ePapyrus PDF Document

Save this PDF as:
 WORD  PNG  TXT  JPG
Size: px
Start display at page:

Download "ePapyrus PDF Document"

Transcription

1

2 한 눈에 보는 사회 : 2009 OECD 사회지표(Society at a Glance 2009 : OECD Social Indicators) 는 영어와 불어로 OECD에서 발간하였습니다. 보고서 원본의 저작권은 OECD에 있습니다. 본 한국어판은 파의 OECD와 계약에 의해 발간되었으며, 저작권은 OECD 대한민국정책센터에 있습니다. 한국어 번역의 품질 및 원본과 치 여부는 OECD 한국센터의 책임하에 있습니다. Originally published by the OECD in English and in French under the titles: Society at a Glance 2009 : OECD SOCIAL INDICATORS Panorama de la société 2009 : LES INDICATEURS SOCIAUX DE L OCDE c2009 OECD All rights reserved. c2009 OECD/Korea Policy Centre - Health and Social Policy Programme for this Korean edition Published by arrangement with the OECD, Paris. The quality of the Korean translation and its coherence with the original text is the responsibility of the OECD/Korea Policy Centre - Health and Social Policy Programme.

3 한눈에 보는 사회 2009 OECD 사회지표

4 OECD는 세계화로 인한 경제, 사회 및 환경과제들을 공동으로 해결하기 위해 30개 민주국가의 정 부가 공동으로 노력하는 유한 포럼다. 또한 OECD는 기업지배구조, 정보경제 및 인구고령화로 야 기되는 과제 등 새로운 변화와 문제에 대처해야 하는 정부를 해하고 지원하는데 앞장서고 있다. OECD는 회원국 정부가 정책경험을 비교하고 공동의 문제에 대한 답을 찾고 모범사례를 발굴하여 국 내외 정책의 조화를 룰 수 있는 준거의 틀을 제공한다. OECD 회원국은 호주, 오트, 벨기에, 캐나다, 체코공화국, 덴마크, 핀, 프랑, 독, 그, 헝가, 슬, 랜, 탈, 본, 한국, 룩셈부르크, 멕시코, 네덜, 뉴질랜, 노르웨, 폴, 포르투갈, 슬로바키공화국, 페인, 웨덴, 위, 터키, 영국, 미국다. 유럽연 합 집행위원회가 OECD 업무에 부 참여한다. OECD는 출판물을 통하여 회원국 동의한 협약, 지침, 기준뿐만 니라 경제, 사회 및 환경적 슈에 관하여 수집된 통계와 연구 결과를 널 알린다. 보고서는 영어와 불어로 OECD에서 발간하였으며, 원본의 저작권은 OECD에 있습니다. 본 한국어판은 파의 OECD와 계약에 의해 발간되었으며, 저작권은 OECD 대한민국정책센터에 있습니다. 한국어 번역의 품질 및 원본과 치 여부는 OECD 대한민국정책센터의 책임하에 있습니다.

5 역자서문 역자 서문 책은 OECD가 회원국의 사회 핵심지표를 요약 출판하는 'Society at a Glance'의 번역본으로 서, 국문으로는 세 번째로 출간되는 것입니다. 역자가 속한 OECD 대한민국 정책센터의 사회정 책본부는 국외적으로 시 지역 비회원국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네트워크 및 역량구축 사업에 힘 을 기울고 있으며, 국내 정책담당자 및 연구자, 관련 종사자들을 위해서는 OECD 출판물을 국문으 로 번역하는 사업을 해오고 있습니다. 번역작업은 검독위원회의 정밀한 작업을 거친 2007년판의 어휘를 기본으로 하면서도 새로 추가 된 어휘에 대해서는 전문가들의 검증을 거치는 형식으로 루어졌습니다. 번역으로 전달 어려운 경 우 및 영문 표기가 반시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경우에는 괄호 안에 영문을 표시함으로서 독자들에게 정확한 뜻을 전달하고자 하였습니다. 본 번역은 고은경 연구원 전문번역을 담당하였으며,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김은지 연구원, 중앙 대학교의 차승연 선생님께서 낌없는 자문을 해주셨습니다. 원고의 편집에는 신수 요원 수고해 주셨습니다. 울러 진광현 부본부장, 윤기종 연구원, 김유강 연구원 많은 지도를 주셨습니다. 2009년 8월 30 OECD 대한민국센터 사회정책본부 연구원 고 은 경 본부장 윤 현 덕 한 눈에 보는 사회 OECD사회지표 3

6 서문 서 문 본 보고서는 격년으로 출간하는 OECD 사회지표를 정한 한 눈에 보는 사회 의 5차 개정판 다. 는 사회복지 및 동향 관련 양적 자료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마련되었다. 여기에 는 2001년, 2003년, 2005년 및 2006년판에 발표된 지표들도 부 보충하였으며, 신장지표, 지각된 건강상태, 청소년 위험행동 및 집단 따돌림 등 새로운 지표들 추가되었다. 또한, 새로운 주요 사회 지표들을 개발하여 사회적 웰빙과 그 동향에 대한 개요를 제공한다. 그 뿐만 니라, OECD 사회지표 의 구성에 대한 독자의 해를 높기 위한 가와 OECD 국가의 여가 시간을 다룬 장도 포함하고 있다. 번 판에 포함되지 않은 지표들을 포함한 모든 지표에 관한 상세한 정보는 OECD 웹사트 ( 게재되어 있다. 본 지표의 저자는 Simon Chapple과 Maxime Ladaique다. 광범위한 주제를 다루고 있으므로 OECD 사회정책국 내외의 많은 사람들의 도움 없었다면 진행 불가능했을 것다. Francesca Colombo, Michael De Looper, Marco Mira d Ercole, Justina Fischer, Michael Forster, Pauline Fron, Rie Fujisawa, David Jonathan Gonzalez-Villascan, Ingrid Herrbach, Maria del Carmen Huerta, Herwig Immervoll, Gaetan Lafortune, Pascal Marianna, Marlene Mohier, Dominique Paturot, Dominic Richardson, Olivier Thevenon 본 보고서 작성에 도움을 주었다. OECD 사회정책국장인 Mark Pearson은 본 보고서 작업을 최초로 진행하고 꾸준히 감독하였다. 4 한 눈에 보는 사회지표 OECD사회지표

7 목 차 제1장. 주요 사회지표 9 서론 10 OECD 국가의 주요 사회지표 10 8개의 주요 지표 12 각주 17 제2장. 특별 포커: OECD 국가의 여가 측정 19 여가 시간의 경제론 21 잔여 유급근로 시간 동향 22 생애에 걸친 시간의 분배 25 1 평균 여가 25 생활시간조사를 용한 여가 시간 동향 29 여가 분배 패턴 31 여가활동의 종류 35 기타활동에 사용한 시간에 대한 만족도 36 삶의 만족도 및 시장소득 측정치와 비교한 여가 시간 37 의무 휴가 및 여가 시간 39 결론 41 각주 42 참고문헌 42 부록 2.A1. 생활시간조사의 주요 특징 44 제3장. OECD 사회지수의 해석. 51 사회지표의 목적 52 OECD 사회지표의 구성 52 지표의 선정과 설명. 55 보고서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 59 제4장. 반지표 인당 순국민소득 출산율 민 66

8 4. 결혼과 혼 68 제5장. 자활 지표 고용 실업 보육 학업성취도 NEET 노동 활동 중단 연령 교육비 지출 84 제6장. 형평성 지수 소득 불평등 빈곤 동 빈곤 최저생계급여의 적절성 공공 사회지출 총 사회지출 98 제7장. 보건 지표 기대 수명 지각된 건강상태 영 보건 비만 신장 정신 건강 장기요양 수혜자 보건 의료비 지출 116 제8장. 사회통합지표 삶의 만족도 직업만족도 범죄피해 자살률 집단 따돌림 위험행동 130

9 국가코 국가코 AUS AUT BEL CAN CZE DNK FIN FRA DEU GRC HUN ISL IRL ITA JPN KOR LUX MEX NLD NZL NOR POL PRT SVK ESP SWE CHE TUR GBR USA 호주 오트 벨기에 캐나다 체코 공화국 덴마크 핀 프랑 독 그 헝가 슬 랜 탈 본 한국 룩셈부르크 멕시코 네덜 뉴질랜 노르웨 폴 포르투갈 슬로바키 공화국 페인 웨덴 위 터키 영국 미국 한 눈에 보는 사회 OECD사회지표 7

10

11 제1장 주요 사회지표

12 1. 주요 사회지표 서론 1970년대와 1980년대에 사회지표는 생활수준과 근로환경 평가를 하던 기존의 시장 소득 지표를 더욱 개선하고자 개발되었다. 오늘날 한 눈에 보는 사회지표(Society at a Glance) 가 다루고 있는 다양한 주제들은 OECD 각 회원국의 사회환경과 사회환경 개선 대책에 관한 풍부한 정보를 제공한다. 그러나 렇게 풍부한 정보는 큰 대가가 따른다. 독자들은 한 눈에 보는 사회지표 를 단시간에 보고 각국의 사회환경 어떻게 다르고 시간 지나면서 어떻게 발전해왔는가에 대한 간략한 청사진을 갖기 어려울 것다. 주요 지표의 하위 지표들은 사회환경을 보다 깐깐하게 설명해준다. 하위 지표는 독자에 게 여러 OECD 회원국 직면한 사회 분야에서의 부 핵심적인 과제를 신속하게 알려주고, 발전 과정을 비교함으로써 중요한 커뮤니케션 기능을 수행한다.¹ 본 장에서는 주요 지표들을 한눈에 보는 사회지표 의 핵심 부분으로 제시한다. 또한, 러한 주요 사회지표의 선택과 구성을 위한 접근법도 설명한다. OECD 국가의 주요 사회지표 표1.1과 1.2는 8개의 주요 사회지표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눈에 보는 사회지표 에서 사 용된 4개의 핵심 카테고에 각각 해당하는 2개의 지표들로 구성되어 있다. 표는 독자들 어떤 한 시점(표1.1)과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표1.2)의 관점 모두에서 각 회원국의 사회환 경을 한 눈에 볼 수 있게 해준다. 표1.1에서 신호등 표시는 특정 시점을 기준으로 OECD 각 국의 가장 최근의 변화를 나타낸 것다. 원 은 성취도 상위 삼십분위에 속하는 국가를 나타내고, 마름모 는 하위 삼십분위, 삼각형 은 성취도 중간에 위치한 사십분위에 속한 국가들을 나타낸다. 표 1.2에서 화살표 는 다른 OECD 국가와 비교했을 때 최근의 성취도 변화를 나타낸다. 위로 향하고 있는 화살표 는 성취도 상위 삼십분위에 속하는 국가, 래로 향하고 있는 화살표 는 성취도 하위 삼십분위, 오른쪽을 향하고 있는 화살표 는 성취도 변화가 중위권 인 사십분위에 속한 국가들을 각각 나타낸다. 질적 정보므로 지표값은 제시되지 않았다.² 관련 지표로써, 표1.1과 1.2(오른쪽)는 구매 력 지수(purchasing power parity, PPP)를 기준으로한 달러(USD) 표시 국민순소득 NNI(표 1.1)와 1인당 실질 GDP 상승률(국민순소득 NNI 상승률은 오직 17개국에서만 집계가 가능하 였기 때문임)(표1.2)을 포함한다. 10 한 눈에 보는 사회지표 OECD사회지표

13 1. 주요 사회지표 표 1.1. 최근의 주요 사회지표 래 표는 특정 시점에서 각 국의 성취도를 나타낸 것으로 녹색 원 은 상위 삼십분위에 속한 국가들, 붉은 마름모꼴 은 하위 삼십분위에 속한 국가들, 그고 노 삼각형 은 중위 사십분위 해당 국가들을 표시함. 인구 대비 고용비율 자활 형평성 보건 사회통합 소득 문자 독해율 낮은 학생비율 소득 불균형의 지니계수 성별 임금차 65세 남성의 기대수명 영사망 주관적 웰빙 범죄 피해율 달러기준 구매력지수 2007년 2006년 년 2006년 2006년 2006년 2006년 2005년 2006년 호주 오트 벨기에 캐나다 체코.. 덴마크 핀 프랑 독 그 헝가 슬 랜 탈 본 한국.. 룩셈부르크 멕시코.. 네덜 뉴질랜 노르웨 폴 포르투갈 슬로바키.. 페인 웨덴 위 터키.... 영국 미국 NNI: 국민순소득(net national income). StatLink 표1.1은 다양한 패턴을 보여준다. 대부분 국가는 다양한 수준(녹색, 노색, 붉은색)의 성취 도를 보여주었다. 오직 호주, 오트, 핀, 프랑, 독, 노르웨 및 웨덴만 붉은 색 을 갖고 있지 않다. 독, 멕시코, 터키, 영국, 미국에는 녹색 하나도 없다. 모든 지표 가 녹색을 나타낸 국가는 없었으나, 덴마크, 뉴질랜, 노르웨는 최다 5개의 녹색을 가졌다. 사회환경 지수의 변화를 보면 국가 간 다양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표1.2 에서 보여지 듯 대부분의 국가들은 모든 지표에 걸쳐 변화를 보고 있는데 덴마크, 핀, 랜, 그는 붉은색 화살표가 하나도 없고, 호주, 캐나다, 체코, 슬는 녹색 화 살표가 하나도 없으며 터키는 노색 화살표가 하나도 없다. 폴는 데터 상의 모든 헤 라인에서 강력한 진전을 보며 6개의 녹색 화살표를 기록했다. 한 눈에 보는 사회 OECD사회지표 11

14 1. 주요 사회지표 표 1.2. 최근의 주요 사회지표상의 상대적 진전 화살표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성취도의 변화를 나타낸 것으로, 위로 향하고 있는 녹색 화살표 는 성취도 상위 3개국, 래로 향하고 있는 붉은색 화살표 는 하위 3개국, 오른쪽으로 향하는 노색 화살표 는 성취도 중위권 4개국을 나타낸다. 인구 대비 고용비율 변화 2007/2003 자활 형평성 보건 사회통합 소득 문자 독해율 낮은 학생비율 변화 2006/2003 소득 불균형의 지니계수 변화 /20 00 성별 임금차 변화 2006/ealry 2000s 65세 남성의 기대수명 변화 2006/2000 영사망 변화 2006/2000 주관적 웰빙 변화 2006/2000 범죄 피해율 변화 2005/2000 달러기준 구매력지수 변화 2006/2000 호주 오트.. 벨기에.... 캐나다 체코.. 덴마크 핀 프랑 독 그.... 헝가.. 슬 랜.... 탈.. 본.. 한국.... 룩셈부르크.. 멕시코.. 네덜 뉴질랜.. 노르웨.. 폴.. 포르투갈.... 슬로바키 페인.... 웨덴 위.. 터키 영국 미국 주: 데터 가용성 때문에 변화가 관찰된 시기에는 차가 있을 수 있다. 변화 산술적 변화를 의미하며 범죄피 해율 제외된다.(연간 평균 변화). 부 국가의 범죄피해 데터는 2000년 전부터 마련된 것다. 8장의 CO3 에 관한 논의를 참조. 레벨 데터에 비해 호환성 낮을 수 있음. 8개의 주요 지표 StatLink 단순히 몇 개의 주요 지표로 사회환경을 간단히 요약하는 것은 쉽지 않다. 모든 경우에 있 어 목표는 다음과 같다. i) 결과를 기술하는 것; ii) OECD 사회환경 지표 분류의 4가지 영역 에 포함된 다양한 측정치들을 알려주는 것(자활, 형평성, 보건 및 사회 통합); iii) 가능한 많은 OECD 국가 지표를 다루는 것 iv) t시간의 흐름에 따라 사회 상태가 어떻게 발전하는지 모니 터링 하도록 하는 것. 지표의 선정은 통계적 분석에 근거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접근법은 한 눈에 보 12 한 눈에 보는 사회지표 OECD사회지표

15 1. 주요 사회지표 는 사회지표 에서 다루는 모든 결과 지표들 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고, 각 영역 내의 다른 지 표들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지표들을 선정하는 것다. 하나의 대안적 접근법은 각 영 역 내의 기초지표들의 적절한 조합을 찾내기 위해 특정한 종류의 변수 분석에 의존하는 것 다. 지표가 선정되면, 지표들을 최선의 방법으로 나타낼 것인지에 대한 결정을 내려야 한다. 지표들은 0-1 사에 위치할 수 있도록 표준화(normalised) 되어야 한다. 러한 표준화 는 사회지표의 4가지 영역에 속하는 혼합 지수의 생성을 허용하거나, 4개의 영역을 합산한 합 계 지수의 생성을 허용한다.³그러나 투명성의 손실을 가져오기 때문에 커뮤니케션을 방해한 다. 상기 목표를 달성하는데 데터 입수가능성(availability)에 의해서 제약을 받기도 한다. 첫 째, 정의와 출처의 변경은 한눈에 보는 사회 에서 다룰 수 있는 정한 형태의 지표의 수가 줄어든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다수의 지표가 자주 업데트되지 않거나 예측 가능한 주기 를 두고 업데트되지 않으며, 부 국가의 지표만을 다루고 있다. 마지막으로, 다수의 지표가 그 영향 미 다른 지표(예, 기대수명)에 의해 기록된 매우 특정한 결과(예, 자살)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러한 제약으로 인해, 주요 지표를 선정할 때에는 통계적 범위를 용하기 보다는 회원국 간의 논의 과정에서 도달한 국가 간 합의에 근거한다. 커뮤니케션 기능의 달성을 위해 채택 된 지표들은 정상화를 거치지 않은 비가공(raw) 형태로 제시된다. 그러나 선택된 지표들의 산 술값의 해석을 용하게 하기 위해 질적 표지들 용되었다. 간결성을 보장하기 위해 각 영 역에 포함되는 지표의 수에 제한을 두었다. 상기 내용에 근거하여, 4개의 영역으로 분류된 사회지표(자활, 형평성, 보건, 사회통합)에 각 두 개의 주요 지표가 채택되었다. 에 따라 각 국의 사회환경을 비교하고 사회환경의 발전 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8개의 주요 지표가 선정된 것다. 주요 지표를 선정하는데 지침 된 질적 논의는 래에 기술되어 있다. 자활 사람들의 자활은 직업에 대한 접근성과 능력에 달려있다. 과 관련하여 노동시장 결과의 적절한 지표는 노동 연령 인구 대비 고용률다. 지표는 비교 가능한 노동력 설문조사의 정 의에 기반한 것으로 모든 OECD 회원국 매년 지표를 제공할 수 있다. 실업률 등 노동시 장 불황을 측정하는 다른 지표와 비교해 볼 때, 고용률은 직업전망 좋지 못할 때 로 노 동시장을 떠나려는 개인들의 결정에 영향을 덜 받는다. 현재 개인의 기술과 역량을 측정하는 가장 포괄적인 방법은 노동 가능연령 인구의 평균 학 교 교육 연수를 계산하는 것다. 그러나 지표는 학교 외부에서 루어지는 인간 재화 형성 을 무시하고 학교 교육의 질을 등한시한다.⁴ 나가, 노동 연령 인구의 기술 그들의 노동시 장 성과에 영향을 준다는 점에서 기술은 부분적으로 고용률에 포함된다. 개인 노동시장에 진 입하기 전 그들 가진 역량에 초점을 맞추는 데는 몇 가지 유가 있다. 고용 전 역량은 미래 노동시장 전망 지표 및 생애 기회 지표를 제공한다. 15세 인구의 역량은 OECD 국제학생평가 프로그램(PISA)을 통해 측정할 수 있다. 방법은 3년마다 현장 조사된 비교 가능한 설문조 한 눈에 보는 사회 OECD사회지표 13

16 1. 주요 사회지표 사 모듈에 근거한 것으로 모든 OECD 국가에서 측정 가능하다. 사용된 지표는 1단계 또는 그 하의 읽기 능력을 갖춘 15세 학생의 비율다. 다시 말하자면, 상생활에서 정상 활동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최저 수준의 읽기 능력 필요하다. 학생들의 역량 측정을 위한 다른 PISA 측정법과 비교해볼 때 지표는 1단계 또는 그 하의 읽기 능력을 가진 청소년들에게 초점 을 맞추는데 들은 성인기에 도달했을 때, 고용 되지 않거나 급여가 낮은 직업에 종사하거 나 사회 보장제도에 의존하는 경향 높다. 형평성 형평성은 소득, 건강, 교육 등 다양한 범위의 성과와 관련 있는 개념다. 그러나 현재 여러 국가의 형평성을 다루고, 국가 간 비교가 가능한 정기적으로 제공되는 형평성 측정치는 거의 없다. 선택된 두 가지 지표는 소득 불평등과 남녀 임금의 차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각 국에 거주하는 개인의 임금 격차는 삶의 질적 차를 보여주는 명확한 근거다. 러 한 격차가 너무 크다면, 는 형평성라는 공유된 개념과 충돌할 수 있다. 가구 가처분 소득 의 분배에 관한 데터는 OECD가 5년마다 수집한다. 데터를 통해 모든 OECD 국가의 소득 불평등 비교가 가능하며, 회원국 중 3분의 2에 해당하는 국가의 변화(2000년 후)에 대해 평가할 수 있다. 지표는 가구 가처분 소득의 지니계수다. 지표는 가구 소득의 분 배를 간단히 요약해 나타내며, 상대적 빈곤도와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다. 그러나 지니계수와 그 변화는 국가 차원에서 빈곤과 같은 다른 불평등 수치와는 완벽한 상관관계를 루지 못한 다(예를 들어, 노르웨는 지니계수의 변동과 빈곤도의 변동과의 상관관계에 있어 예외임). 따 라서 러한 기타 불평등 척도로 지니계수를 선택한 것은 주요 지표상의 국가 순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지니계수는 직관적으로 해되지 않는 점도 있다. 소득 불평등 지표는 동한 가구의 모든 구성원들 가용 자원을 공유한다는 가정에 근거 한다. 따라서 러한 척도는 모든 OECD 국가에서 중요한 형평성라는 요소인 남녀 간의 자 산 차를 평가하는데 적합하지 않다. 러한 성별 격차를 나타내기 위해 보고된 지표는 정규 직으로 하는 여성과 남성간의 소득 중간 값 비율다. 것 여성 직면한 노동시장 불 익 요소며 국가 간 비교가 쉽고 정기적으로 업데트가 가능하다. 한편, 는 가족 내에서 소득을 공유하는 남성과 여성의 균등화라는 점을 반영하지 못한다. 성별 임금 차는 19개 OECD 국가의 OECD 소득 데터베를 통해 알 수 있다. 보건상태 보건 상태의 두 가지 주요 척도는 사망률과 질병률다. 안타깝게도 현재 포괄적고 정기 적인 질병률 측정치는 존재하지 않는다. 5 러한 유로 사용된 두 가지 지표는 연령대의 양 극단에 있는 사람들의 사망 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노인들과 관련해 사용된 지표는 65세 인구의 기대 수명으로 OECD 보건 데터에서 지 표가 제공된다. 지표의 작은 단점은 전체 노인 인구의 기대 수명을 다루는 데터가 없다는 것과 부 국가에서 러한 데터가 매년 업데트되지 않는다는 것다. 6 동들과 관련해서 는 영 사망률 지표가 용되는데 는 신생 1,000명 중 1세 하에 사망하는 동의 수를 나타낸 것다. 영 사망률의 한 가지 잠재적 문제점은 국가 간 조산의 사망을 등록하는 방 14 한 눈에 보는 사회지표 OECD사회지표

17 1. 주요 사회지표 법의 차가 있어 데터 호환성에 있어 문제가 상당히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데터가 과 장될 수 있다는 것다(7장의 HE3.1 지표에 대한 논의 참조). 사회통합 사회 통합에는 긍정적인 면도 있고 부정적인 면도 있다. 긍정적인 면에서 보면, 사회 통합 은 사람들의 공동체 생활 참여와 타인을 대하는 태도를 포함한다. 부정적인 측면에서 보면 사 회 통합 부족은 자살, 위험행동 또는 범죄 등 다양한 병현상을 통해 러난다. 개인들의 공동체 생활 참여 또는 타인에 대한 태도에 대한 포괄적 척도는 존재하지 않는 다. 그러나 연구 결과, 몇 가지 특징과 개인적 특성 개인의 삶의 만족도에 기여를 한다는 점 밝혀졌다. 러한 유로, 사회 통합의 긍정적 측면을 측정하는 지표는 각국의 평균적 삶의 만족도다. 삶의 만족도 수준은 2006 갤럽 월 폴의 국가별 코어에 근거한다. 삶의 만족 도의 변화를 측정한 데터의 출처는 다양하다(박 1.1 참조). 지표가 개인의 공동체 생활 에의 참여와 타인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는 유한 간접적 척도인 반면, 제공된 다른 지표들은 직관적인 설득력 떨어진다. 박 1.1. 삶의 만족도 변화 측정 2009 한 눈에 보는 사회지표에서 삶의 만족도 수준을 조사하는데 사용된 2006 갤 럽 월 폴은 삶의 만족도에 대한 연대기별 데터를 제공하지 않는다. 따라서 삶의 만 족도 변화에 대한 데터는 다른 출처에서 제공되었다. 최초 출처는 행복에 대한 세계 데터베(WDH)에서 수집된 다양한 데터다(www1.eur.nl/fsw/happiness/ hap_nat/nat_fp.htm). 데터는 2008년 10월 3과 4에 WDH 웹사트에서 발췌되 었다. 삶의 만족도의 변화는 2000년부터 2006년까지 기간 동안 조사되었다. 기간은 만족도에 변화가 생길 만큼 충분히 긴 기간다. 또 다른 유는 조사가 끝나는 시점인 2006년 갤럽 설문조사 기간과 치한다는 점다. 삶의 만족도의 변화에 대한 데터는 28개 OECD 회원국에서 수집 가능하다. WDH는 유로바로미터 설문조사에서 발췌된 20개 국가의 연대기별 데터를 제공한다. 터키를 제외한 모든 국가가 유럽 국가들다. 영국에 대한 자료는 Great Britain 섬에 대한 자료만 제공된다. 그 외 4개 국가는 월 밸류 서베(캐나다, 한국, 멕시코, 미 국)에서 발췌된 데터만 제공한다. 노르웨와 위의 데터는 유러피안 소셜 서베 에서 제공되었다. 호주의 데터는 호주 연합 웰빙 지수에서, 본의 데터는 라 프 인 네션 서베에서 인용되었다. 슬와 뉴질랜의 데터는 제공되지 않 았다. 한 눈에 보는 사회 OECD사회지표 15

18 1. 주요 사회지표 박 1.1. 삶의 만족도 변화 측정(계속) 유로바로미터 본 데터에서와 같 1-4의 척도로 삶의 만족도를 측정하며, WDH가 제공한 변형된 0-10의 척도가 사용되었다. 월 밸류 서베는 1-10의 척도 를 사용하며, 마찬가지로 WDH가 제공한 변형된 0-10의 척도가 사용되었다. 호주와 노르웨의 데터는 변형을 필요로 하지 않았다. 영어로 번역된 질문들은 설문조사마다 조금씩 달라졌다. 유로바로미터의 질문 내용 은 당신의 삶에 어떻게 만족하고 있습니까? 인 반면 월 밸류 서베는 모든 점 을 고려했을 때, 전인격적 인간으로서 당신은 지금 당신의 삶에 어떻게 만족합니까? 라는 질문을 제시한다. 호주 설문조사는 모든 점을 고려했을 때, 요즘 전인격적 인간 으로 당신의 삶에 어떻게 만족/불만족하십니까?"라고 묻고 있으며, 캐나다, 위, 노 르웨의 설문조사는 월 밸류 서베의 질문 내용과 동하고 본 설문조사는 유로 바로미터의 질문과 같다. 필요에 따라 체코, 헝가, 폴, 슬로바키 공화국, 터키의 자료는 2001년에서 2006년에 걸친 변화를 나타내며, 멕시코 역시 2001년에서 2005년까지 5년간의 자료 가 용되었다. 본의 데터는 2001년-2007년, 한국의 데터는 2001년-2005년까 지의 기간을 다루고 있다. 노르웨는 2002년-2006년, 위는 2000/ /07년 까지의 데터를 제공했다. 미국은 1999년-2006년까지의 자료를 제공했다. 나머지 17개국의 자료는 모두 2000년-2006년까지의 기간을 다루고 있다. 계절성 역시 추가적인 제약었다. 유로바로미터 데터는 2000년 4월 또는 2000 년 4-5월, 2006년 봄에 수집되는 WDH에서 발표된다. 4개 국가의 2001년-2006년까 지의 데터인 유로바로미터 데터는 2001년 10월과 2006년 봄을 비교하고 있다. 호 주 데터는 2000년 9월과 2006년 10월을 비교한 반면 본 데터는 2000년 9월과 2006년 7월을 비교했다. 위 데터는 2002년 9월과 2003년 2월 사, 그고 2006년 2월과 2007년 4월 사 수집되었다. 한국의 2001년 자료는 11월에 수집되었 다. 2005년 한국의 데터에 대해서는 무런 정보도 제공되지 않았다. 노르웨의 데 터는 2002년 9월과 2006년 8월-12월에 수집되었다. 러한 차에도 불구하고, 다른 국가에 대한 추가적 연구는 상기 언급된 다양한 절충안에서 데터의 평균 품질을 떨어뜨린다. 그러나 독자들은 러한 데터 상의 문 제를 염두에 두고 삶의 만족도 변화에 대한 상세한 국가 순위 데터는 적절한 주의를 기울여서 봐야 한다. 변화를 계산하기 위해 사용된 최종적 삶의 만족도 데터(대부분 2006년 자료, 2005,2007년 자료도 포함)간의 상관관계는 갤럽 폴 데터(r=0.81)와 밀접한 상관관 계를 보인다. 터키와 멕시코는 예외다. 16 한 눈에 보는 사회지표 OECD사회지표

19 1. 주요 사회지표 박 1.1. 삶의 만족도 변화 측정(계속) 데터 상에서 가장 큰 변화가 보고된 것은 유로바로미터 상의 터키의 삶의 만족도 상승인데, 터키의 삶의 만족도는 2000년 4.6에서 2006년 6.1로 상승했다. 1-10까지 의 삶의 만족도 척도를 용한 터키의 두 번째 데터(월 밸류 서베)도 와 치 하는데, 2000년 5.6에서 2007년 7.5로 더 높은 상승폭을 보였다. 유로바로미터 2006 서베는 그, 헝가, 포르투갈, 슬로바키보다 터키를 더 높은 순위에 올렸으나, 갤럽 월폴에서 터키는 2006년 OECD 국가 중 삶의 만족도가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 했다. 여기서 사용된 대부분의 서베는 표본크기가 작다(수천 명 내). 삶의 만족도 변 화에 대해 발표된 자료 중 어떤 것 통계적으로 더 의미 있는 지는 명확하지 않다. 사회 통합의 부정적 측면을 측정하는 주요지표는 범죄피해율로 전 1년간 범죄피해를 입 은 사람들의 비율을 나타낸다. 국제 범죄피해 조사에서 인용한 데터는 가장 최근의 26개 OECD 국가의 자료를 담고 있다. 여기에 사용된 지표는 모든 조사에서 다루고 있는 10가지 범죄 카테고를 의미한다. Notes 1. 주요 지표는 OECD의 다른 업무에도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OECD의 환경지표인 한 눈에 보는 환경 은 OECD 장관들 대중을 위한 정보 전달 및 커뮤니케션 도구로 추 천한 10개의 핵심 환경지표를 포함한다. 2. 주요 지표의 산술 값에 관심 있는 독자들은 래의 상세한 지표와 관련한 장을 참조하거 나 OECD 웹사트( indicators)를 참조하기 바다 개의 OECD 사회지표에 근거한 종합 지수의 예는 2006 한 눈에 보는 사회 제 2 장에 기술되어 있다. 4. 역량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대부분의 OECD 국가에서 실시 가능한 전체 인구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가 필요하다. 2003년 실시된 OECD 성인 식자율 및 생활 기술 설문조사 (ALLS, Adult Literacy and Life Skill Survey)는 5개 OECD 국가의 자료만을 제공한다. OECD 성인 역량의 국제적 평가 프로그램 (PIAAC, Programme for the International Assessment of Adult Competences)은 미래의 전체 성인 인구의 역량 지표를 허용한 다. 5. 질병률 측정치는 자가보고 건강 상태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러한 변수에 대한 정보는 OECD 보건 데터에서 확인할 수 있으나, 데터들을 통해 시간의 흐름에 따른 정 기적 비교를 충분히 할 수는 없다. 6. 러한 유로, 래 표 1에서 제시된 지표들은 노인 남성만을 다루고 있다. 명확한 대안 은 노인 여성의 기대 수명 지표를 제시하거나, 남성과 여성의 경험을 합한 측정치를 제 공하는 것다. 한 눈에 보는 사회 OECD사회지표 17

20

21 제2장 특별 포커: OECD 국가의 여가 수준 측정

22 2. 특별 포커: OECD 국가의 여가 수준 측정 여가 시간의 양과 질은 여가가 가져다주는 직접적인 만족도로 연결되므로 직접적인 만족 도로 연결되므로 개인의 웰빙(well-being)에 중요하다. 또한, 어떤 점에서 여가는 신체 와 정신 건강에 중요하다. 여가는 여가를 직접 즐기는 사람 외에도 다른 들의 웰빙에도 기여 한다. 어떤 한 개인 여가를 즐기면, 수많은 방법으로 다른 들과 좋은 을 공유하게 되는 데, 는 인간관계와 가족 기능의 향상, 그고 (최소한 특정 종류의 공유된 여가로부터 기인 하는) 사회 자본 네트워크의 형성을 포함한다. 따라서 OECD 국가들의 여가 시간 패턴은 사회 모니터링의 중요한 부분으로 연구되어야 한다. 그렇다면, 여가(leisure) 정확히 무엇인가? 여가는 시간, 활동 또는 마음의 상태(state of mind)를 통하여 정의될 수 있다. 시간의 관점에서 본다면, 여가는 의무 또는 강요에서 벗어 나 자유롭게 사용된 시간으로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여가 시간은 자신을 위해 누군가에게 돈을 지불하지 않고 요구하는 행위와 자신 원하지 않을 경우 전혀 할 필요가 없는 행위 로 정의되었다(Burda 외, 2006, p. 1). 점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의는 여가로 인정되는 행위의 종류를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고 있으며, 한 개인 의무로부터 얼마나 자유로울 수 있는지 그 범위에 대해서도 기술하지 않고 있다. 다른 방법으로, 여가는 보통 여유롭다 (leisurely) 고 여겨지는 특정 행동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보다 완벽한 정의는 텔레비전 시청, 포츠 또는 운동에 참여하기, 독서, 영화 감상 등 대부분의 사람들 여가 활동으로 꼽는 행 위를 근거로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여가는 마음의 상태로 정의되어 질 수 있는데, 는 재미 있고 만족러운 활동에 참여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에서 사용된 실제 여가의 측정은 모 든 정의를 기초로 한다. 본 장에서는 먼저 여가 시간의 경제적 결정 요소에 대한 짧은 연구 결과를 검토한다. 그 다음에는 OECD 국가에서 유급 근로에 종사하는데 사용되지 않은 잔여 시간으로서의 여가에 대해 알본다. 데터에 대한 러한 접근법은 상적인 방법 되지 못하며, 는 특히 무급 근로에 대한 국가 간 차나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를 허용하지 않기 때문다. 그러나 잔여 시간을 기반으로 한 접근법은 OECD 국가의 횡단면/연대기별 여가에 대한 연구를 가능하 게 한다. 여가 시간의 추가적인 분류는 성인의 생애 주기에 걸친 매우 광범위한 시간 분배를 고려하여 루어진다. 작업은 보통 OECD 국가를 중심으로 루어졌으며, 의무 교육 전 시기, 학교 교육을 받는 시기, 노동 시장 진입 전 시기, 유급 근로에 종사하지 않는 시기, 근 로 시기 및 여성과 남성의 은퇴후시기를 고려하여 진행되었다. 비교할만한 데터 수집 가능한 OECD 18개 국가의 경우, 하루 동안 그고 시간의 흐 름에 따라 보다 정확하게 여가 연구를 하기 위하여 생활시간조사(time use survey)가 용되 었다(본 장의 부록에 18개 생활시간조사의 몇 가지 세부 비교 사항을 포함함). 러한 생활시 간조사는 직업에 종사할 때와 그렇지 않을 때 사람들의 시간 분배에 대한 데터를 기록함으 로써 시장 내에서와 시장 외에서의 활동에 소비하는 시간을 정확히 측정한다. 응답자들 기술 20 한 눈에 보는 사회지표 OECD사회지표

23 2. 특별 포커: OECD 국가의 여가 수준 측정 한 행동은 근로 시간, 가사 시간 또는 여가 활동 시간 등 몇 개의 반적인 카테 고로 코화되었다. 방법과 접근법은 어느 정도 다르지만, 본 장에서 사용한 생활시간조사는 여가 카테고를 취미, 텔레비전 시청 또는 라디오 청취, 친구 및 가족과의 친목 도모, 문 화 행사 참여, 행사 주최 그고 포츠 활동 등과 같 비강제적 활동들의 총합으로 정의한 다. 모든 설문 조사는, 사건 어난 오랜 후에 기억해 낸 결과가 닌, 사람들 실제로 시간 을 어떻게 사용하는 지 정확히 측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데터 조정 후, 국가 간 여가 수준과 동향의 비교가 가능하다. 본 장의 두 번째 파트에서는 생활시간조사 데터를 용하여 성별과 연령 카테고에 따른 여가 분배 패턴에 중점을 두었다. 1 파트에서는 또한 사람들 하고 있는 여가 활동의 종류와 여가 활동 달성을 통해 얻는 만족도에 대해서도 상세히 알본 다. 마지막으로, 여가와 웰빙의 다른 척도, 그고 여가와 유급 휴가에 대한 정책 선택간의 관 계에 대한 고찰하였다. 여가 시간의 경제 론 19세기 말 베블렌(Veblen)의 유한계급론(Theory of the Leisure) 발표된 후, 경제학자 와 기타 사회과학자들 여가에 상당한 관심을 가졌다. 신고 전 전통 관점에서의 노동력 공급 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노동/여가 선택의 론적, 경험적 관심에 초점을 두고 있다. 그러나 러한 접근법은 전통적으로 다른 방법의 시간 사용을 무시한다. 접근법은 신고전적 경제학 의 제한된 낙관화 기술의 측면에서 유급 근로와 여가를 부분 집합으로 포함하는 그 외 모든 활동에 사용된 시간의 합계( 잔여시간(residual time) )의 차를 효과적으로 조사한다. 특히 여가를 보다 복잡한 방법으로 다루는 생활시간 기준의 현대적 취급법은 Gronau(1976)가 고안했다. Mincer의 초기 연구를 인용해 Gronau는 무급 휴가(가계 생산)와 여가 활동의 구분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그는 자신 동의하지 않는 유급 근로/잔여 시간 선 택에 초점을 맞추는 정당한 유는 경제적 변화에 대응하여 서로 상충하는 시간 사용(가계 생 산, 여가, 수면 등) 간 잔여 시간 분배의 안정성 가정되었다는 점에 근거한다고 제안했다. Gronau는 여가, 가계 생산, 유급 휴가라는 3개의 요소로 구분되는 공식적인 모델을 발전시켰 다. 그의 모델은 유급휴가를 통해 취득한 시장화된 상품과 가정에서 생산된 상품은 서로 완벽 한 대체제가 될 수 있다는 가정에 근거한다. 시장 임금의 증가는 가계생산의 감소를 가져온다. 여가와 시장 활동에 미치는 임금 효과는 불확실하다. 소득 증가는 여가 시간을 증가시키고, 유 급 근로를 감소시키나, 가계생산은 변화시키지 않는다. 미국과 라엘의 데터를 용한 Bloch와 Gronau의 경험적 연구는 커플간의 여가가 남편의 임금 소득과 긍정적인 관계를 가지 고 있고, 부인의 임금 소득과는 부정적 관계가 있으며, 비급여(non-wage) 소득과는 긍정적 관계가 있다고 제시한다. 자녀, 특히 미취학 자녀의 수가 많을수록 여가 시간 감소한다 (Gronau, 1976, 표1). 가계생산을 통합시키기 위한 확장된 노동 공급 모델에는 Chiappori(1997) 와 Apps와 Rees(1996, 1997 및 2002)가 포함된다. 시장 활동, 가계생산, 여가 시간과 더불어, Gronau 의 모델은 Solberg와 Wong(1992) 연구한 직무 관련 여행 시간(work-related travel time)도 포함시키고자 확장되었다. 들의 경험적 결과는 그들의 모델 예측과 상충하지 않으 며, 저자들은 그 주된 유가 시장 활동과 가계생산 간의 상호 완벽 대체라는 가정(Gronau와 공유한 가정)을 위반한 것 때문라고 주장한다. 한 눈에 보는 사회 OECD사회지표 21

24 2. 특별 포커: OECD 국가의 여가 수준 측정 상기 모델 중 어느 것도 여가에 수면을 포함시키지는 않는다. Biddle과 Hamermesh (1990)가 지적한 바와 같, 다수의 노동 공급 모델은 무급 근로와 수면을 제외한 여가에 정 해진 양의 시간 분배된다고 가정하고 있다. 함축적으로 말하자면, 수면은 고정된 생물학적 요소나 론과 근거는 를 뒷받침하지 않는다. Biddle과 Hamermesh는 론적, 경험적으 로 수면 시간은 다른 시간 사용의 형태와 함께 최소한의 경제적 인센티브에 대응하기 위한 것 임을 보여준다. 그러한 자격으로, 몇몇 최근의 생활시간조사는 모든 형태의 수면을 여가로 분 류하고 있다(Aguiarand Hurst, 2007; Engler and Staubli, 2008 참조). 잔여 유급 근로 시간 동향 단순히 유급 근로에 사용되지 않은 시간을 최대 여가 시간으로 간주함으로써 분석 시작 된다. 접근법에는 무급 근로와 출퇴근에 사용된 시간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명백한 한계가 있으나, 대다수 OECD 국가에서 장기간에 걸쳐 비교의 근거가 되는 근로 시간 데터를 제공 할 수 있다는 장점 있다. 국가 간 비교와 시간 변화에 따른 비교가 모두 가능하다. 근로 외 잔여 시간(residual time-not-worked)라고 여가를 처음 정의함으로써, 연구 대상 국가의 범위는 좁지만, 여가 수준과 동향에 대한 연구를 가능하게 해 주는 견고한 개념적 접근을 점진 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다. 대다수 OECD 국가에서 정규직 종사자의 연간 총 유급 근로 시간을 추산하고, 에 따라 잔여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표 2.1참조). 물론, 접근법의 명확한 한계는 각국의 비고용 인 구 다수의 여가에 대해 무것도 알 수 없고 그 잔여적 가치도 알 수 없다는 것다. 표 2.1에 서는 몇 가지 흥미로운 사실을 볼 수 있다. 첫째, 각 국의 고용 인구의 연간 근로 시간에 상당 한 차가 있다. 연구 대상 국가의 잔여 여가의 표준 편차 는 175시간 또는 주당 48시간 근로 를 기준으로 4주다. 미국 최저 잔여 여가를 나타낸 반면, 노르웨는 최고치를 기록했다. 잔여 여가가 적은 다른 국가로는 헝가, 폴, 슬로바키 공화국 있다. 잔여 여가가 많은 국가로는 네덜, 덴마크, 웨덴, 프랑 등 노르딕 국가와 서부 유럽 국가들 있다. 만약 여가가 유급 근로 외의 활동에 소비된 시간으로만 인식된다면, 연간 근로 시간의 변 화는 당연히 가용 여가 시간의 양의 변화에 반영될 것다. 표 2.2는 1970년부터 2005년까지 OECD 국가의 근로 시간 평균 증가율을 조사한 것다. 선택된 5년간 평균은 높은 빈도의 직 무 주기의 변동을 상당부분 제거한다. 분명히 데터는 완벽하지 못하며, 특히 초기 ( ) 데터가 여러 국가에서 갖추고 있지 못하다. 그러나 대부분 국가에서 시간 지 나면서 줄어는 비율로 근로 시간의 감소 패턴을 전반적으로 보여준다. 1인당 유급 근로 시간 상승하는 국가는 거의 없다. 부 계층에서 시간 부족(time crunch) 증가하고 있음 에도 불구하고 반적으로 OECD 국가들에서 유급 근로 인력의 환경 변화에서 발생하는 시간 부족의 개념 지지를 받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림 2.1은 6개 OECD 국가에서 약 30년에 걸친 장기간의 연간 근로 시간 동향을 나타내 기 위해 동한 데터를 사용한다. 캐나다와 미국은 1980년 후 1인당 비교적 안정적인 근 로 시간을 기록하며 상당히 유사한 패턴을 보고 있다. 영국의 패턴 역시 북미와 유사하다. 본의 고용 인구 근로 시간은 급격히 감소해 미국, 캐나다, 영국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프랑 와 노르웨의 데터를 보면1980년대와 1990년대에는 전혀 안정의 기미가 보지 않았으 나, 2000년대에 들어서서 어느 정도 안정세를 보고 있다. 22 한 눈에 보는 사회지표 OECD사회지표

25 2. 특별 포커: OECD 국가의 여가 수준 측정 표 2.1. 종속 근로자(dependent employee)의 반적 근로 연수 분석, 2006 정규직과 동등한 노동자의 평균 실질 연간 근로시간을 구성 요소별로 분해함 연간 근로 시간 1 (a) = (c)*(g) 연간 잔여 여가 (b) = (365*24) -(a) 모든 직업에 있어서의 주당 평균 근로시간 (c) = (d)+(e)+( f) 주된 직업에 있어서의 주당 상 근로시간 주요직업 의 시간외 근무 = 초과시간 + 가변시간 (예. 변경가능 한 시간) + 기타 추가적인 자의 근로시간 (d) (e) (f) 연간 근로 주수 (g) = 52 - [(h) + (i) + (j) + (k)] 휴 및 휴가 주수 휴가가 닌 유로 1주 상 결근하는 주수 휴가가 닌 유로 1주 내 결근하는 주수 질병나 육로 인한 결근 2 (h) (i) (j) (k) 시간 주당근로시간 근로 주수/비근로 주수 호주(2005) 오트 벨기에 캐나다(2005) 체코 덴마크 핀 프랑 독 그 헝가 슬(2006) 랜 탈 룩셈부르크 네덜 노르웨 폴 포르투갈 슬로바키 페인 웨덴 위 영국 미국 3 (2005) OECD 변동계수 OECD 사무국 벨기에, 랜, 룩셈부르크, 네덜, 포르투갈의 고용 인구의 연간 실질 근로 시간을 추 산하기 위해 사용한 방법에 대한 간결한 설명을 위해 OECD 고용 전망 2004(OECD Employment Outlook 2004)의 부록 2.A1 참조. 표에 제시된 모든 유럽 국가들의 피고용인 1인당 연간 근로 시간 추산을 위해 동 한 방법 사용됨. 2. 기간은 미 h,i 컬럼에 포함되어 있으나, 호주를 제외하고는 실제보다 50% 가량 적게 신고된 것을 수정하 기 위해 두 번 포함됨 (부록 2.A1참조) 3. 추정치는 총 정규직 고용을 나타냄. 휴가 외의 유로 인한 한 주 전체 결근 보고됨. 출처: Secretariat estimates for European countries based on European Labour Force Surveys results and EIRO (2005). Estimates for Australia, Canada, United States based on ECO/CPE/WP1(2007)11/ANN2. StatLink 한 눈에 보는 사회 OECD사회지표 23

26 2. 특별 포커: OECD 국가의 여가 수준 측정 표 년간 정규직 근로자의 연간 근로 시간 증가 호주 오트 벨기에 캐나다 체코 덴마크 핀 프랑 독 그 헝가 슬 랜 탈 본 한국 룩셈부르크 멕시코 네덜 뉴질랜 노르웨 폴 포르투갈 슬로바키 페인 웨덴 위 터키 영국 미국 OECD 자료없음 출처: Secretariat estimates based on OECD Employment Outlook StatLink 그림 : 장기간에 걸친 연간 근로 시간의 감소 부 OECD 국가의 전체 노동 인구의 연간 근로 시간 캐나다 프랑 영국 본 노르웨 미국 출처: Secretariat estimates based on OECD Employment Outlook StatLink 24 한 눈에 보는 사회지표 OECD사회지표

27 2. 특별 포커: OECD 국가의 여가 수준 측정 생애에 걸친 시간의 분배 생활시간조사(time-use survey)의 여가 패턴 연구를 위한 두 번째 맥락은 다른 성격을 가진 사람들 각기 다른 생애 주기에 걸쳐 종사했던 주요 활동(main activity) 에 대한 연 구다. 횡단면적인 자료에 근거하고 있으나, 그 내용(contextualisation)은 생애에 걸친 시간 사용(time-use)에 대해 설명을 해주는데, 는 어떤 한 사람(예, 15세) 겪을 노동시장결과 및 출산율과 관련한 생애(예, 15-64세) 경험 현재 그 연령대(15-64세)에 있는 인구의 오 늘날 행동을 보고 짐작할 수 있다는 강한 가설을 바탕으로 한다. 근원적 가정은 기대 수명 또 는 총출산합계율 계산의 근거가 되는 가설과 동하다. 사람의 생애 주기가 각기 다른 주요 활동에 소비한 연수로 분해되는지 보여주는 그림 2.2 가 주요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남성과 여성을 분해서 나타내는 데터는 충분한 데터가 수집 가능한 OECD 국가의 평균에 근거한 것으로 몇 가지 기초가 튼튼한 패턴들을 강조한다. 마 가장 잘 알려진 패턴은 남성의 유급 휴가 연수의 지속적 감소와 동시에 여성의 유급 휴 가 연수 증가 것다. 기대 수명 증가의 결과로 은퇴 후 기간의 증가 추세 역시 나타나고 있다. 빠른 은퇴 연령과 기대 수명 증가라는 두 가지 유에 기인한 여성의 빨라진 은퇴 연령 과 은퇴 후 기간의 증가도 관찰되었다. 여성의 교육 시간 증가는 나타나지 않았다. 분야 에서의 여성 교육 격차 해소를 분시키기 위한 추가 연구가 예정되어 있다. 그림 2.2. 전형적 OECD 국가에서 남성과 여성 다른 활동에 소비한 연수 출처: Secretariat estimates based on OECD Employment Outlook StatLink 1 평균 여가 상기 분석은 1년간 OECD 국가 간 유급 근로 시간의 평균치에 상당한 차가 있음을 보여 준다. 나가, 연간 평균 근로 시간은 지난 30년간 감소해왔다. 그러나 연간 근로 시간의 감소 가 반시 사용 가능한 여가 시간의 대칭적 증가를 의미하는가? 대답은 니다 다. 대상 인구의 범위라는 관점에서, 그고 모든 잔여 시간 여가에 소비되었다는 가정 하에 러한 잔여적 접근의 약점은 명백하다. 궁극적으로 러한 약점은 점진적으로 전형적인 한 해를 구성 하는 요소들에 대한 부분적인 직관을 제공할 뿐다. 사람들 여가를 위해 따로 분배하는 시 간의 유형적 추정치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생활시간조사만 제공할 수 있는 데터가 필요하다. 한 눈에 보는 사회 OECD사회지표 25

28 2. 특별 포커: OECD 국가의 여가 수준 측정 한 개인 평균 1년간 평균 1 여가에 사용한 시간의 비중을 보다 잘 해하기 위해서는 단 성인 다른 주요 활동 중에서 24시간을 어떻게 분배하는지 살펴보야 한다. 여기서 사 용된 접근법은 하루의 시간을 5개의 카테고로 분류하는 것다. 5개의 시간 카테고는 1) 좁은 의미에서의 여가, 2) 유급 근로, 3) 무급 근로, 4) 개인 관(personal care), 그고 5) 기타 시간(고려 또는 정의되지 않은 시간의 사용)다. 제까지 완전한 방법적 표준화와 호환성은 생활시간조사(time-use survey)를 통해 달성할 수 있었고, 국가 간 비교는 평균 동안 사람들 시간을 나누는 방법에서 관찰된 차는 주목할 만하다. 유념해야 할 것은 정 도의 차는 있으나 생활시간조사의 결과는 질병 및 휴가 시 시간 분배 측정의 측면에서 완벽 하게 정확하지 못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는 것다. 현재까지 연구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는 생활시간조사는 OECD 전체국가 중 60%만 제공할 수 있으며 (본 장에서는 18개국 의 조사를 분석하였다.) 조사의 방법도 상당히 달랐다. 안타깝게도 헝가, 슬, 네덜 의 기존 생활시간조사를 포함하기에는 제공된 정보가 불충분했다. 유급 근로(paid work) 는 정규직 및 시간제 근로를 포함하고, 직장에서 보낸 시간, 직 장까지 출퇴근 시간, 구직시간, 학교에서 보낸 시간, 학교 통학시간 및 재택 유급 근로 시간으 로 분류된다. 무급 근로(unpaid work) 는 모든 가사 노동(허렛, 요, 청소, 육, 가 족 및 가족 외의 사람 돌보기, 자원봉사, 쇼핑 등)을 포함한다. 개인 관(personal care) 는 수면, 식사, 기타 집안, 의료 및 개인 서비(위생, 몸단장, 병원 방문, 미용실 방문 등)를 포함한다. 여가 는 취미 활동, 게임, 텔레비전 시청, 컴퓨터 사용, 기분 전환을 위한 정원 가꾸기, 포츠, 친구 및 가족과의 친목 도모, 행사 참여 등을 포함한다. 기타 시간 은 상기 언급된 모든 활동을 제외한 활동을 포함한다. 그림 2.3은 18개 OECD 국가에서 사람들은 개인 관에 가장 많은 시간을 소비한다는 것 을 보여준다. 개인 관에 사용된 시간 비중의 격차는 6퍼센트 포인트로 상대적으로 적은 편으 로, 캐나다, 웨덴, 멕시코가 43%로 최저, 프랑는 49%로 최고를 기록했다. 그림 2.3. 평균 하루 동안 여가와 기타 행위에 사용된 시간의 비중 OECD 18개국의 15세 상 응답자가 주요 활동에 소비한 24시간의 시간별 분류 여가 개인관 유급근로/공부 무급근로 확인되지 않음 멕 시 코 본 프 랑 뉴 질 랜 터 키 호 주 탈 폴 한 국 미 국 페 인 캐 나 다 영 국 웨 덴 벨 기 에 독 핀 노 르 웨 OECD-18 출처: Secretariat estimates based on national and multinational time-use surveys (2006 where available). StatLink 26 한 눈에 보는 사회지표 OECD사회지표

29 2. 특별 포커: OECD 국가의 여가 수준 측정 개인 관를 구성하는 활동은 무엇인가? 모든 국가에서 개인 관를 구성하는 첫 번째 요 소는 수면다. 모든 OECD 국가에서 사람들은 평균 8시간 22분의 수면을 취한다. 따라 서 수면은 OECD 국가에서의 개인관 시간의 77%를 차지한다. 두 번째 주요 구성 요소는 모 든 OECD 국가(식사 시간 다른 개인 관 시간과 분되어 계산되지 않은 관계로 터키는 제 외된다)에서 개인 관 시간의 14% 또는 1시간 37분을 차지하는 식사다. 에 따라, 수면 과 식사는 평균적으로 개인 관 시간의 90%를 차지한다. 나머지 개인 관 시간에는 개인, 의료, 가사 서비 가 포함된다. 마지막 카테고는 개인위생, 병원 방문, 머 자르기, 차 수 등 다양한 활동을 포함한다. 수면, 식사, 음주, 개인위생 여가 시간으로 분류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늦잠, 친구, 가족과 긴 점심시간 보내기, 머 감기 또는 자르기 서비) 개인 관와 여가의 구분에 있어 자의성라는 중요한 요소가 있다. 개인 관에 어, 여가는 반적으로 가장 많은 시간을 소비하는 카테고로 나타났는데 OECD 18개국에서 평균 전체 시간의 22%를 차지한다. 여가 시간은 노르웨가 전체 시간의 27%로 가장 높았고, 멕시코가 16%로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여가의 양은 벨기에, 독, 핀에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와 정 반대로 본, 프랑, 뉴질랜에서는 여가 시 간 상대적으로 적었다. 본과 멕시코는 유급 근로 시간의 비중 여가 시간 비중보다 높은 유한 두 국가다. 한편 한국은 유급 근로와 여가 활동 비중 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타 15개국은 모두 여 가 시간 비중 유급 근로 시간 비중보다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평균적으로 OECD 18개국 에서, 유급 근로 시간은 여가 시간 다음으로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차는 경미하다. 멕시 코, 뉴질랜, 호주, 탈, 폴, 벨기에, 독 등 많은 나라에서 실제로 무급 근로에 유 급 근로보다 더 많은 시간 소비된다. 멕시코는 무급 근로 시간 여가 시간보다 더 많은 유 한 국가로 나타났다. 4개의 가장 큰 시간 카테고(여가, 개인 관, 유급 근로, 무급 근로) 중, 여가 시간의 비 중 국가마다 가장 큰 차를 보였는데 멕시코와 노르웨 양국 간 여가 시간 비중은 11퍼센 트 포인트의 차를 나타냈다. 무급 근로 시간의 비중도 마찬가지로 큰 차를 보는데 한국 (최저)과 멕시코(최고) 간 11퍼센트 포인트의 차를 기록했다. 유급 근로 시간 비중의 차 는 보다 적어 벨기에(최저)와 한국(최고) 간 9퍼센트 포인트의 차를 나타냈다. 개인 관와 여가의 경계의 자의성 미 논의된 점을 고려할 때, 여가에 소비한 시간을 측정하는 대안적 방법은 개인 관 시간을 최저 국가 수준(멕시코의 경우 하루 전체 중 평균 42.7%)으로 고정시키는 것다. 개인 관 시간 비중 가장 낮은 국가의 비율은 필수적으로 인식될 수 있는 최저치를 제시한다고 주장할 수 있다. 폭 넓은 정의에 따른 여가로 분류되 는 것은 그림 2.3에서 미 측정되고 보고된 좁은 의미의 여가에 잉여 개인 관 시 간을 최저 국가 비율로 나눈 것의 합으로 계산될 수 있다. 러한 넓은 의미의 여가 계산 법의 결과는 그림 2.4에 나타나있다. OECD 18개국의 평균 여가 시간 전체 시간의 21.6%( 협의 의 여가)에서 24%( 광의 의 여가)로 상승했다. 국가 간 차도 상당히 커 서 멕시코는 평균 여가에 소비하는 시간 전체 시간의 16%로 가장 적었고, 벨기에의 경우 전체 시간의 27%를 기록해 11퍼센트 포인트의 차를 나타냈다. 그러나 기타 국가들 간 에는 여가의 동성 더 컸다. 한 눈에 보는 사회 OECD사회지표 27

30 2. 특별 포커: OECD 국가의 여가 수준 측정 여가의 정의를 확대함으로써 부 국가는 다른 국가에 비해 더 많은 여가 시간을 가지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국가 순위에도 상당한 차가 생겼다. 순위가 가장 많 상승한 국가는 프 랑(9단계 상승), 탈(6단계 상승), 뉴질랜(5단계 상승)다. 세 국가는 OECD 여 가 평균의 평균 하에서 평균 또는 평균 상으로 순위가 상승했다. 폭넓은 여가 시간의 측면 에서 가장 큰 하락세를 보인 국가는 캐나다(6단계 하락), 웨덴과 한국(각각 4단계 하락)다. 그림 2.4. 여가의 정의가 확장됨으로써 여가 시간 증가하고 국가순위가 변경된다. 평균 여가 시간 비율 멕 시 코 본 호 주 터 키 한 국 캐 나 다 미 국 폴 뉴 질 랜 웨 덴 영 국 프 랑 탈 페 인 핀 노 르 웨 독 벨 기 에 OECD18 각주: 넓은 의미의 여가 는 최저 국가 수준에 맞추어 기준화된 개인 관 시간 수준을 의미한다. 모든 잉여 개인 관 시간은 초기 여가 가치로 재 할당된다. 출처: Secretariat estimates based on national and multinational time-use surveys (2006 where available). StatLink 그림 2.5. 프랑인들의 수면 시간 가장 길다. 평균 수면 시간 (단위: 분) 한 국 본 노 르 웨 웨 덴 독 탈 멕 시 코 영 국 벨 기 에 핀 폴 캐 나 다 호 주 터 키 뉴 질 랜 페 인 미 국 프 랑 OECD18 출처: Secretariat estimates based on national and multinational time-use surveys (2006 where available) StatLink 28 한 눈에 보는 사회지표 OECD사회지표

31 2. 특별 포커: OECD 국가의 여가 수준 측정 프랑의 경우, 큰 폭의 변화의 직접적 유는 매우 높은 개인 활동 시간 비중으로 OECD 국 가 중 최고치인 49%를 기록했는데 중 부가 여가 시간으로 재분배되었다. 와 같은 높 은 개인 관 시간 비중의 측면에서, 흥미로운 것은 프랑인들의 높은 수면량다(위에서 언 급한 바와 같 수면 개인 관로 분류되어 있음). OECD 국가별 수면 데터는 래 그림 2.5와 같다. 평균적인 프랑인은 OECD 중 수면 시간 가장 적은 한국인에 비해 하루에 한 시간 상 긴 수면 시간을 갖는다. 많은 문화권에서 미 여가와 유사한 성격을 갖는 것으로 관찰된 또 다른 중요한 개인 활 동은 식사다. 그림 2.6은 식사 시간 가장 긴 나라와 가장 짧은 나라 간에 평균 1시 간 30분의 격차가 있음을 보여준다. 확장된 여가 순위에서 순위가 가장 많 상승한 국가는 프랑, 뉴질랜인데 두 나라 모두 식사에 많은 시간을 소비한다. 매, 프랑인들은 멕시코, 캐나다, 미국인들의 2배에 달하는 식사 시간을 갖는다. 그림 2.6. 프랑인들은 식사와 음주에 가장 많은 시간을 소비한다. 평균 식사 시간 (단위: 분) 멕 시 코 캐 나 다 미 국 핀 노 르 웨 영 국 호 주 웨 덴 폴 한 국 독 페 인 벨 기 에 탈 본 뉴 질 랜 프 랑 각주: 터키의 시간 사용 조사 데터는 개인, 의료, 가사 관를 식사 및 음주와 분하지 않고 있어, 터키는 표에서 제외되었다. OECD 평균에 근거하여 식사와 음주 시간으로부터 개인, 의료, 가사 관를 분한 임시 데터에 의하면 터키는 탈와 비슷한 수준다. 출처: Secretariat estimates based on national and multinational time-use surveys (2006 where available). StatLink 개인 관 중 제 마지막으로 가장 적은 비중을 차지하는 카테고는 개인, 의료, 가사 서비 다. 러한 활동에 소비한 시간은 국가마다 상당한 차를 보는데 핀는 43분, 한국은 77분으로 나타났다. (표 2.7 참조) 생활시간조사를 용한 시간 동향 또 다른 흥미로운 점은 모든 성인에게 있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여가의 패턴 달라졌다는 것다. (좁은 측정 용됨). 문제에 대한 해답은 충분히 긴 시간 동안 시간 사용 조사를 실시했던 부 국가에서 찾을 수 있다. 여기에는 캐나다, 네덜, 노르웨, 영국, 미국 2 한 눈에 보는 사회 OECD사회지표 29

32 2. 특별 포커: OECD 국가의 여가 수준 측정 포함된다. 매 국가마다, 제공할 수 있는 장기 데터의 최대 기간 범위와 빈도는 다르다. 모든 경우에, 빈도는 낮으며 에 따라 종단면 시간 추세에 대한 결론은 조심럽게 도출되어야 한 다. 그림 2.8은 지난 40년 동안 상기 언급된 국가가 경험한 여가에 할당된 시간 비중의 각기 다른 변화 추세다. 네덜의 경우 1970년대 중반부터 21세기 초반까지 여가에 소비된 시 간의 비중 감소했는데, 영국도 보다는 덜 두러지지만 유사한 패턴을 보인다. 노르웨 의 경우, 데터가 제공된 기간 전체에 걸쳐 여가 패턴에 큰 변화가 없다. 마지막으로, 가장 긴 기간에 걸친 데터를 제공한 캐나다와 미국에서는 유럽의 OECD 국가보다 기본적으로 여가 시간 적기는 하지만 여가 시간의 양 증가하고 있다. 안타깝게도 자발적, 비자발적 여가 시 간의 변화는 조명할 수 있으나, 비즈니 주기에 따른 여가 활동의 변화를 연구할 만큼 충분한 데터가 충분한 빈도로 제공되지 않는다. 그림 2.7. 본과 한국은 개인, 의료, 가사 서비에 더 많은 시간을 소비한다. 부 OECD 국가의 전체 노동 인구의 연간 근로 시간 핀 벨 기 에 프 랑 캐 나 다 웨 덴 영 국 멕 시 코 페 인 출처: Secretariat estimates based on national and multinational time-use surveys (2006 where available). StatLink 노 르 웨 폴 뉴 질 랜 독 미 국 호 주 탈 본 한 국 그림 2.8. 시간 사용 조사에 나타난 시간 동향 5개 OECD 국가의 평균 여가 시간 비중의 장기적 동향 (단위: 퍼센트) 캐나다 네덜 노르웨 영국 미국 출처: Secretariat estimates based on national and multinational time-use surveys (2006 where available). StatLink 30 한 눈에 보는 사회지표 OECD사회지표

33 2. 특별 포커: OECD 국가의 여가 수준 측정 여가 분배 패턴 인구학적 특징과 여가 여가 활동에 소비한 시간 각기 다른 사회계층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가? 섹션에서는 성별과 연령에 따라 구분되는 다른 사회 계층의 여가 패턴에 대해 알본다. 성별 OECD 국가 전체에서 남성과 여성 간 여가 시간의 양은 어떻게 달라지는가? 유급, 무급, 전체 근로의 성별 차에 대한 비교 연구가 상당히 많 진행되었다. 그러나 여가의 성별 차에 초점을 둔 연구는 매우 적었다. Burda외의 연구자들(2007)은 벨기에, 덴마크, 프랑, 핀, 독, 탈, 네덜, 노르웨, 웨덴, 영국, 미국의 시간 사용 데터를 용하여 대 부분의 부유한 국가들에서 여가 시간의 성별 차는 미미하다. 는 결론을 도출했다. Burda 등 의 연구에서 보고된 바와 같 남성과 여성 간 차가 미미한지는 논의 여지가 있다. 들은 한 해를 기준으로 한 여가 시간 차를 나타내기 위해 분/1 단위를 용해 성별 차를 보고 했다. 하루를 기준으로 했을 때, 몇 분의 차는 상대적으로 적어 보인다. 그러나 연간 기준으 로 했을 때는 야기가 달라진다. 성별 차가 가장 낮은 노르웨의 경우, 남성 여성보다 연 간 55시간 더 많은 여가를 누린다. 대부분의 정규직 유급 근로자가 매년 주 간의 추가 휴 가를 미미 하다고 여기지는 않을 것다. Burda 등 보고한 기준 여가 시간의 성별 차를 연간 기준으로 환산했을 때(표 1.1과 표 1.2), 모두 남성 여성에 비해 더 많은 여가 시 간을 누린 것으로 나타나는데. 네덜는 연간 116시간, 미국 128시간, 웨덴 134시간, 영 국 170시간, 독 176시간, 덴마크 195시간, 벨기에 213시간, 핀 225시간, 프랑 280 시간, 탈 444시간의 성별 차가 있었다. OECD 18개국의 생활시간조사를 용한 래의 그림 2.9에서 남성 보편적으로 여성에 비해 좁은 의미의 여가로 분류되는 활동에 더 많은 시간을 소비하는 것으로 나타나 있는데, 는 Burda의 연구 결과와 치한다. 래 표에서 노르웨의 경우 성별 차는 통계학적으로 큰 의미가 없다. (하루에 몇 분 내). 와 반대로, 탈 여성의 경우 남성에 비해 평균 여가 시간 80분 가까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Burda (2007, pp. 4-5)의 연구는 미 탈 여성의 높은 무급 근로 시간 비중을 지적한 바 있으며, 탈 남성의 경우 텔레비전 시청 시간 비중 매우 높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와 같 탈 여성의 추가 근로 시간 중 대부분 집안 청소에 사용된다. 그러나 여가 시간의 성별 차는 시간 여가 혹은 개인 관 중 어떤 방법으로 분 류되는 지에 따라 변수에 영향을 받는다. 그러면 개인 관는 성별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가? 그림 2.10은 대다수 OECD 국가에서, 여성 평균 남성보다 더 많은 시간을 소비하는 것 으로 나타났다. 웨덴, 벨기에, 미국 등의 경우 특히 런 경향 두러졌다. 남성 여성보 다 개인 관에 더 많은 시간을 소비하는 국가는 탈, 폴, 한국, 멕시코로 조사되었 다. 멕시코의 경우, 남성의 개인 관 시간 특히 더 길어서 평균 30분가량 더 많았다. 러한 차의 가장 큰 원인은 멕시코 남성의 평균 수면 시간 여성보다 25분 더 많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멕시코 인들은 남성과 여성 모두 수면 시간 OECD 평균을 조금 밑돌고 있다.) 한 눈에 보는 사회 OECD사회지표 31

34 2. 특별 포커: OECD 국가의 여가 수준 측정 32 한 눈에 보는 사회지표 OECD사회지표 그림 2.9. 남성보다 여성 더 많은 여가 시간을 누린다. 여가 시간의 성별 차(단위: 분), 양의 값은 남성 우위를 나타냄 노 르 웨 뉴 질 랜 본 웨 덴 독 캐 나 다 핀 호 주 터 키 영 국 프 랑 한 국 미 국 벨 기 에 페 인 멕 시 코 폴 탈 각주: 협의의 여가 정의가 용됨. 출처: Secretariat estimates based on national and multinational time-use surveys (2006 where available). StatLink 그림 남성은 여성보다 개인 관 활동에 소비하는 시간 적다. 개인 관 시간의 성별 차 (단위 분/1), 양의 값은 남성 우위를 나타냄 멕 시 코 폴 탈 한 국 터 키 프 랑 본 핀 독 뉴 질 랜 호 주 페 인 노 르 웨 영 국 캐 나 다 미 국 벨 기 에 웨 덴 출처: Secretariat estimates based on national and multinational time-use surveys (2006 where available). StatLink 폭넓은 정의에 따른 여가의 성별 차를 살펴보기 위해, 개인 관 시간 최저 국가 수준에 맞추어 다시 표준화되었다. (멕시코 여성의 경우 602분) 를 초과하는 남성, 여성의 개인 관 시간은 여가로 재 할당된다. 러한 재조정은 남성과 여성 간의 폭넓고 더 나은 측 정을 가능하게 한다. (그림2.11). 여가와 유사한 성격의 개인 관 시간의 조정에도 불구하고 대다수 국가에서 남성들은 여 전히 여성에 비해 폭넓은 의미의 여가활동에 더 많은 시간을 소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러한

35 2. 특별 포커: OECD 국가의 여가 수준 측정 성별 차는 멕시코와 탈에서 특히 강하게 두러졌다. 그러나 뉴질랜, 노르웨, 웨덴 등 3개 국가에서는 여성 폭넓은 의미의 여가 활동에 더 많은 시간을 소비한 것으로 조사되 었다. 여성 남성에 비해 평균 16분 더 많은 여가 시간을 갖는 노르웨의 경우, 여성 우위는 실질적 중요성을 갖는다. 와 같 남성에게 유한 여가의 성별 차는 탈, 멕시 코, 폴, 한국을 비롯한 몇몇 국가에서 광범위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그 외 다수 국가에서도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주목할 만한 것은 탈, 멕시코, 폴, 한국은 협의의 정의에 따른 여가 시간에 대한 기존에 존재하는 성별 차가 개인 관의 성별 차를 포함시킴으로써 증 가한 국가들라는 점다. 따라서 여가에 대한 광의, 협의의 정의를 적용한 것과 관계없 대 부분 국가에서 남성들 여성들에 비해 더 많은 여가를 즐기는 경향 있다. 3 여가 시간의 성별 차를 고려함에 있어 발생하는 또 다른 한계는 쇼핑을 여가 활동으로 분 류하는가에 대한 성별차다. 상기 분석에서, 모든 쇼핑은 무급 근로로 분류되었다. 로 인해, 여가 시간 감소했고, 나머지 카테고들은 동하다. 생활시간조사를 통해 알려진 또 다른 사실을 여성 남성보다 쇼핑을 많 한다는 것다. 예를 들면, 미국의 경우 남성은 평 균 43분 쇼핑을 하는데 비해 여성의 59분간 쇼핑을 한다. 독의 경우, 남성은 46분 그고 여성은 66분, 탈의 경우, 남성은 33분 그고 여성은 53분, 그고 네덜의 경우 남 성은 36분 그고 여성 53분의 쇼핑 시간을 기록했다(Burda 외, 2007, 표 1.1). 4 쇼핑시간 중 부가 여가로서의 요소를 가지고 있고, 반적으로 여성에게서 쇼핑을 여가로 인식하는 경 향 강했다. 그림 반적으로 남성 여성보다 더 많은 시간을 넓은 의미(broadly-defined)에서의 여가를 누린다. 광의의 정의에 따른 여가 시간의 성별 차(단위: 분/1), 양의 값은 남성 우위를 나타냄 노 르 웨 웨 덴 뉴 질 랜 캐 나 다 독 본 호 주 핀 영 국 미 국 벨 기 에 프 랑 터 키 페 인 한 국 폴 멕 시 코 탈 각주: 광의의 정의에 따른 여가(Broadly-defined leisure) 는 최저 국가의 수준에 맞추어 기준화된 별 수준과 성별 차를 고려한 수준의 개인 관를 의미하며, 잉여 개인 관 시간은 양성의 당초 여가가치 에 따라 재할당된다. 출처: Secretariat estimates based on national and multinational time-use surveys (2006 where available). StatLink 연령대별 여가 패턴 생애 주기에 걸친 여가에 대한 정확한 파악을 위해, 인간의 생애 주기를 나타내는 종단면 한 눈에 보는 사회 OECD사회지표 33

36 2. 특별 포커: OECD 국가의 여가 수준 측정 (longitudinal) 데터가 필요하다. 그러나 러한 데터는 수집 불가능하다. 데터의 부재 로, 연령대별 섹션 간 시간 사용 데터가 여가가 개인의 생애 주기에 걸쳐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려준다. 예상한 대로, 청소년층과 특히 노년층은 노동 연령대 인구보다 여가 활동에 더 많은 시간을 소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2.3에서 분석된 18개 OECD 국가에서, 65세 상의 인구 는 다른 연령대의 인구에 비해 지속적으로 더 많은 시간을 여가에 소비했다. 여가에 소비한 시 간의 퍼센티지는 캐나다, 노르웨, 폴가 39%로 최고를 기록하였다. 65세 상 인구의 여 가 시간 가장 적은 멕시코의 경우는 25%를 기록했다 세 인구의 여가 시간 비중은 반적으로 노동 연령 인구의 여가 시간 비중보다 높 았다. 예상한 대로, 청년들의 여가 시간 비중 25-44세 인구의 여가 시간 비중보다 항상 높 은 것으로 나타났다. 더 놀라운 것은 45-64세 인구와 비교했을 때, 마도 연령대의 인구 의 대부분 또는 모두가 직 공식 은퇴 연령에 도달하지는 않았으나 여가 시간의 비중 상당 히 치한다는 것다. 연령대가 높은 노동 연령 인구의 가족 내 동의 부재가 들 연령대 가 낮은 노동 연령 인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많은 여가를 즐길 수 있는 강력한 유 가능 성 크다. 핀, 탈, 뉴질랜는 청소년의 여가 시간 하루 전체 시간 중 평균 30% 또는 그 상의 높은 비중을 기록했다. 청소년의 여가 시간 비중 가장 낮은 나라는 멕시코로 OECD 18개국 평균을 밑도는 9퍼센트를 기록했다. 표 2.3. 청년층과 노년층 노동 연령 인구에 비해 여가 시간 많다 연령대별 인구의 여가 시간 비율, 하루 전체 시간 중 여가 시간의 퍼센티지 세상 호주 벨기에 캐나다 핀 프랑 독 탈 본 한국 멕시코 뉴질랜 노르웨 폴 페인 웨덴 터키 영국 미국 OECD 각주: 표는 노르웨의 개인관 수준을 최저수준으로 용하고, 잉여 개인관 시간은 여가로 분배함 으로써 얻어진 폭넓은 여가 수준을 용하고 있다. 출처: Secretariat estimates based on national and multinational time-use surveys (2006 where available). StatLink 특정 공공 정책 개인의 직업 생활에 대한 보다 균형적인 접근법을 추진했거나, 최저 세 율 매우 높은 국가에서는 25-44세 연령대 인구가 더 많은 여가 시간을 누는 경향 있었 다: 노르웨(24%), 핀, 벨기에, 독(각 23%) 25-44세 연령대 인구의 여가 활동에서 선두에 있다(Parnanen 외, 2005). 34 한 눈에 보는 사회지표 OECD사회지표

37 2. 특별 포커: OECD 국가의 여가 수준 측정 여가활동의 종류 인기있는 여가 활동으로는 무엇 있는가? OECD 각국의 국민들 즐기는 여가 활동에는 큰 차가 있는가? 표 2.4는 여가에 소비된 시간을 다음과 같 5개 주요 여가 카테고로 분 류한다: 집에서의 멀티미디어 오락(집에서 텔레비전 시청 또는 라디오 청취), 기타 여가 활동 (다양한 취미 생활, 인터넷 사용, 전화 통화 등), 친구 방문 및 친목도모(사적, 공적 장소를 모 두 포함) 사회 행사 참여(콘서트, 극장, 박물관 등), 포츠(개인 또는 단체로 정기적인 신체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 OECD 18개국에서 평균적으로 텔레비전 시청나 라디오 청취가 전체 여가 시간의 40% 가까를 차지하며 가장 인기 있는 여가 활동으로 나타났다. 텔레비전 시청은 멕시코가 48% 로 가장 높았고, 뉴질랜가 25%로 가장 낮았다. 표 2.4. 조사 대상 OECD 국가에서 텔레비전 시청 선호되는 여가활동으로 나타난다. 전체 여가 시간 중 각기 다른 여가 활동 차지하는 비율 TV,라디오 시청 기타 여가 활동 친구 방문, 유흥 행사 참여 포츠 호주 벨기에 캐나다 핀 프랑 독 탈 본 한국 멕시코 뉴질랜 노르웨 폴 페인 웨덴 터키 영국 미국 OECD 출처: Secretariat estimates based on national and multinational time-use surveys (2006 where available). It is important to point out that conclusions derived from these figures should be tentative: national time-use surveys methodologies differ in the way they choose to include or exclude the measure of secondary activities. StatLink 평균적으로 기타 여가 활동 도 매우 인기가 높다. 러한 인기는 기타 여가 활동 카테 고가 취미 생활, 컴퓨터게임, 기분 전환용 인터넷 사용, 전화 통화, 예술, 공예, 애완동물 산 책시키기 등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카테고라는 점에 부 기인한다. 기타 활동은 탈 국 민들의 여가 시간 중 48%를 차지하는 반면, 터키 국민들의 여가 시간 중 25%만을 차지한다. 카테고로서의 크기를 고려할 때, 다른 카테고를 주요 하위 카테고 별로 제시하는 것도 흥미로울 것다. 안타깝게도, 러한 하위 카테고 분류는 주요 하위 카테고의 정의가 국 가별로 충분한 관성을 갖고 있지 못한 관계로 불가능하다. 친구 방문 또는 친목 도모는 터키는 최고치인 34%, 호주의 경우 최저치인 3%를 기록해 한 눈에 보는 사회 OECD사회지표 35

38 2. 특별 포커: OECD 국가의 여가 수준 측정 국가 간 차가 매우 크다. 5 문화 행사 참여, 포츠 활동 참여 등 보다 적극적 형태의 여 가는 모든 조사대상 OECD 국가에서 그다지 큰 인기가 없는 편었다. 문화 행사 참여 또는 주최는 독과 노르웨에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빈도로 행해지는 반면, 본, 한국, 터키에서는 흔하지 않다. 포츠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페인에서는 여가 시간의 12%, 벨기에, 멕시코, 뉴 질랜, 미국에서는 5%밖에 차지하지 않는다. 기타활동에 사용한 시간에 대한 만족도 그림 여가활동 만족도가 직무 관련 활동 만족도보다 높다(미국). 내림차순으로 정한 순간적 즐거움 순위 친 퇴 목 근 도 후 모 휴 식 저 녁 식 사 점 심 식 사 TV 시 청 친 직 목 장 도 내 모 전 집 화 에 사 서 용 요 육 가 사 퇴 근 출 근 여가활동 직무관련 활동 각주: 상기 접근법은 웰빙의 생산과 분배에 있어 중요한 요소는 행동 자체에서 생성되는 련의 만족 감 라는 Juster(1985; p.333)의 독창적 연구를 발전시킨 것다. 행동에서 발생되는 만족감을 평가하 기 위해, Juster는 응답자들에 직업 또는 자녀 보육 등 응답자들 반적으로 하는 활동을 얼마나 즐기 고 있는지 0에서 10의 척도를 용해 만족도를 매길 것을 요구했다. 후의 연구 결과는 반적인 만족 도 평가가 활동의 특정 순간에 종속된 단편적 평가와 편차가 있으며 는 중요하고 론적으로 의미가 있다고 지적했다. 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Krueger 외 연구자들은 특정 자의 실제 행사와 상 황에서 연상된 감정적 경험과 더 긴밀하게 연결된 시간 기법, 상재구성방법(Day Reconstruction Method, DRM)을 용했다. DRM은 종와 펜을 용해 작성하는 질문지로서 개인에게서 전 날짜의 기 정보를 처음으로 떠올도록 한다. 메모된 각 에피소에 대해 개인은 행동의 특성을 기재하고, 존재 또는 존재하지 않는 다양한 감정의 정도를 기재한다. 개인들은 감성의 몇 가지 차원에서의 강도의 측면에서 매 에피소 당시 그들의 감정 상태를 묘사한다. 감정에는 긍정적(예, 행복, 자 만족, 친밀함 ) 감정과 부정적 감정(예, 우울함, 분노, 좌절 ) 있다. 따라서 DRM은 경험 샘플과 시간 기 등의 요소를 조합하며, 구체적으로 정확한 감정적 연상을 촉진하도록 하기 위한 것다. 출처: OECD calculations from data in Krueger et al. (2008). StatLink 상기 언급된 다양한 활동들은 사람들 시간을 어떻게 소비하는 지에 대해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지만, 다양한 활동에 참여함으로써 얻는 만족도와 관련해서는 어떠한 결론도 도출하지 않는다(즉, 본 장의 서론에서 언급된 여가에 대한 정신 상태(state of mind) 접근법) 웰 빙과 여가 활동에 대한 시간 분배 간의 관계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생활시간조사와 만족 조사 36 한 눈에 보는 사회지표 OECD사회지표

39 2. 특별 포커: OECD 국가의 여가 수준 측정 (Krueg 외, 2008)라는 두 가지 출처에서 인용된 정보의 조화가 필요하다. 조사에서 응답 자들은 특정 활동의 성취에 대한 만족 수준을 다양한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했다. 그림 2.12 는 응답자들 성취된 활동( 평가적 판단 )에 대한 객관적인 진술 또는 응답자들 여전히 특정 활동( 순간적 데터 포착 )을 하면서 느끼는 주관적 감정에 대한 객관적인 진술을 하 도록 요구 받았는지에 따른 활동의 순위의 변화를 나타낸다. 데터와 조사 모두 미국에 초점 을 맞추고 있어 어느 범위까지 다른 OECD 국가들 유사한 패턴을 따르는지 명확하지 않았다. 상기 측정치에서 분명히 러난 것은 휴식과 퇴근 후 친목 도모가 출퇴근에 비해 훨씬 더 선호되었다. 예상한 대로, 텔레비전 시청, 식사(시간 사용 접근법은 전통적으로 식사를 개인 관 로 분류되기는 하지만), 휴식, 동료들과의 친목 도모는 순간적 데터 측면에서 꾸준히 높은 수준의 선호도를 나타낸다. 와 반대로, 직장 또는 가족에 대한 의무적 활동은 순간적 즐거움 의 척도에서 순위가 매우 낮았다. 대부분의 활동의 순위는 응답자의 평가적 판단에 따라 순위가 달라졌다. 그 중 두러진 것은 자녀 보육은 현재의 평가적 판단으로써 가장 즐기는 여가 활동으로 인식된다. 역시 와 유사한 성격을 갖는다. 퇴근 후 친목 도모나 가사 노동과 같은 부 활동 역시 높은 불치 를 보였다. 그러나 러한 활동의 경우 현재의 평가적 판단보다는 과거 회고적 평가적 판단의 관점에서 상대적으로 즐거움을 갖는 여가활동다. 삶의 만족도 및 시장소득 측정치와 비교한 여가 시간 여가의 또 다른 흥미로운 점은 여가 시간 국가 차원에서 다른 웰빙 측정치와의 상관관계 의 정도에 있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글로벌 웰빙에 대한 두 가지 대 측정치를 여가 시 간의 두 가지 측정치와 비교했다. 선택된 두 가지 웰빙 측정치는 전통적인 시장 소득 측정치 ( 경우, 1인당 국민순소득-NNI)와 주관적 웰빙 측정치(갤럽 월 폴 2006, 삶의 만족도 데터)다. 주요 여가 측정치 두 가지는 총 연간 시간에서 연간 총 근로 시간을 빼서 계산된 잔여분과 폭넓은 시간 사용 측정법다. 그림 잔여 유급 근로는 삶의 만족도와 긍정적 상관관계가 있다. 삶의 만족도 잔여여가시간 출처: Data from the 2006 Gallup Life-satisfaction Survey and other OECD data. Secretariat estimates based on European Labour Force Surveys results and EIRO (2006 where available). StatLink 한 눈에 보는 사회 OECD사회지표 37

40 2. 특별 포커: OECD 국가의 여가 수준 측정 그림 폭넓은 여가 시간은 삶의 만족도와 긍정적 상관관계가 있다. 삶의 만족도 실질여가시간(생활시간조사) 출처: Data from the 2006 Gallup Life-satisfaction Survey and other OECD data. Secretariat estimates based on national and multinational time-use surveys (2006 where available). StatLink 그림2.13과 2.14는 평균적 국가 차원의 삶의 만족도가 잔여 여가 시간든 실제 여가 시 간든 여가 시간과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잔여 여가의 수준을 고려할 때 삶의 만족도가 낮은 국가에는 헝가, 포르투갈, 슬로바키가 포함된다. 반면, 여가의 양을 고려했을 때, 미국, 호주의 경우 삶의 만족도가 두러지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 시간 사용 방법과 관련하여, 상대적으로 여가 시간의 양 적음에도 불구하고 호주인들은 자신들의 삶에 만족하는 것으로 보인다. 여가 시간 사용법을 고려했을 때, 폴, 터키, 한국은 특히 삶 의 만족도가 낮았다. 그림 잔여 유급 근로 시간은 1인당 국민순소득과 긍정적 상관관계가 있다. 1인당 국민순소득 각주: 호주, 본, 한국, 뉴질랜, 폴, 터키는 2005년 자료를 사용함. 잔여여가시간 출처: Secretariat estimates based on OECD Annual National Accounts and Social Expenditure database (2006 where available), data from the 2006 Gallup Life-satisfaction Survey, the European Labour Force Surveys results, and EIRO(2006 where available). StatLink 38 한 눈에 보는 사회지표 OECD사회지표

41 2. 특별 포커: OECD 국가의 여가 수준 측정 보다 전통적인 시장-소득 기준 웰빙 측정으로 돌가서, 그림 2.15와 2.16은 여가 시간과 1인당 국민순소득수준 간의 긍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낸다. 또한, 상관관계는 잔여 여가 시간 및 실질 여가 시간 모두와 긍정적며, 여가가 반 재화로서의 특성을 지닌다는 결론을 제시한 다. 즉 소득 증가하면서 수요가 증가하는 것다. 의무 휴가 및 여가 시간 정책적으로 보다 흥미로운 것은 법률상의 최저 유급 휴가와 유급 휴가, 여가 시간의 양(잔 여 여가 또는 시간 사용 측정에서 파생된 여가 시간) 간의 관계다. 유급 휴가에 대한 공적 규제의 차적 목적은 마도 가용 여가 시간의 양을 늘는 동시에, 가족과 친구들 보다 쉽 게 여가를 함께 보낼 수 있도록 사회를 조화시키기 위한 것다. OECD 국가에 걸쳐 의무 유 급 연차와 유급 공휴의 수에 상당한 차가 존재한다. 미국의 경우 유급 휴가가 없는 반면, 오트, 포르투갈, 페인의 경우 1년의 10%가 유급 휴가다(그림 2.17). 6 그림 폭넓은 여가 시간은 1인당 국민순소득과 긍정적 상관관계를 가진다. 1인당 국민순소득 실질여가시간(생활시간조사) 각주: 호주, 뉴질랜, 폴는 2005년 데터를 용했다. 2005년 후 멕시코의 NNI 데터는 제공 되지 않는다 인당 GDP 데터를 용해 2006년 NNI를 추정하였다. 출처: Secretariat estimates based on national and multinational time-use surveys (2006 where available). OECD Annual National Accounts and Social Expenditure database (2006 where available). Secretariat estimates based on European Labour Force Surveys results and EIRO (2006 where available). StatLink 러한 정책적 불치가 국가별 여가의 차를 설명할 수 있겠으나, 최저 유급 휴가 또는 유급 공휴을 보장하는 나라의 국민들 자동적으로 여가를 더 즐기는 것인지는 불명확하다. 그림 2.18은 총 연차(유급 휴가와 유급 공휴의 합)의 수준과 잔여 여가 간의 긍정적 상관관 계를 보여주는데, 정책적으로 규제되는 휴가는 상대적으로 성공적라는 점을 제시한다. 또한, 총 연차 수를 OECD 18개국에 대해 조사한 그림 2.19에서 제시된 우수한 여가 시간 사용법 과 비교했을 때, 긍정적 상관관계는 여전히 존재하며 실제로 더 강한 상관관계를 보인다. 상관 관계에 대한 불가피한 인과적 효과의 기록에 대한 분명한 경고가 있기는 하지만, 유급 휴가에 대한 규제 정책은 국민들 누는 여가의 양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한 눈에 보는 사회 OECD사회지표 39

42 2. 특별 포커: OECD 국가의 여가 수준 측정 그림 OECD 국가의 유급 연차 및 유급휴가 연간 유급 연차 및 유급 휴가 수 유급 휴가 유급 연차 프 랑 덴 마 크 핀 노 르 웨 웨 덴 독 오 트 포 르 투 갈 페 인 호 주 벨 기 에 각주: 부 국가의 법은 근무을 지칭하고, 기타 국가의 법은 달력상의 날짜 또는 주를 지칭한다. 비교는 주5 근무라는 가정 하에서 루어졌다. 미국은 비교 대상 국가 중 고용주에게 법적으로 유급 연차를 제공하도록 요구하지 않는 유한 국가다. 물론, 그림 2.17의 국가들의 고용주 중 다수는 단 체 또는 개인과의 계약에 근거해 법으로 규정된 최저 유급 연차보다 더 많은 유급 휴가를 제공한다. 법 어느 한 종류의 혜택을 위한 법적 최소한의 장치를 제공하지 않는다는 점을 고려할 때, 요소는 미국의 경우 특히 중요하다. 미국의 법은 유급 공휴에 대한 조항 없으며, 본, 네덜, 웨덴, 영국도 마찬가지다. 보다 자세한 정보는 출처 참조. 출처: Schmitt and Ray (2007), with the exception of Mexico, which is an OECD Secretariatcollected figure. 그 랜 탈 네 덜 뉴 질 랜 위 영 국 멕 시 코 캐 나 다 본 미 국 StatLink 그림 잔여 유급 근로와 규제된 유급 휴가는 강한 상관관계를 보인다. 총 연차수 잔여여가시간 StatLink 40 한 눈에 보는 사회지표 OECD사회지표

43 2. 특별 포커: OECD 국가의 여가 수준 측정 그림 광의의 여가 시간과 규제를 받는 연차 수 간 강력한 상관관계를 보인다. 총 연차수 실질여가시간(생활시간조사) 각주: 부 국가의 법은 근무을 지칭하고, 기타 국가의 법은 달력상의 날짜 또는 주를 지칭한다. 비교는 주5 근무라는 가정 하에서 루어졌다. 출처: Schmitt and Ray (2007) and Secretariat estimates based on national and multinational time-use surveys (2006 where available). StatLink 결론 본 장에서는 OECD 국가 간 비교 할 때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다양한 여가를 살펴보았다 생활시간조사(time-use survey)에서 발췌한 비교 가능한 데터를 통해 여가의 의미를 점진 적으로 확장시키기 위해 여가 를 근로에 사용되지 않은 시간(time not worked) 라는 간단한 초기 정의를 용하여 분석을 시작함으로써 여가의 경험적 측정과 관련한 개념적 슈 가 주목 받았다. 특히 초점을 맞추어야 할 포인트는 여가 의 정의(광의 및 협의에서의 정 의)를 달 했을 때 여가 수준(level) 간의 순응성(malleability)과 추세다. 본 장의 주요 결 론은 여가 와 같은 어려운 개념의 분석에 있어서는 개념적 정의가 극히 중요하며, 전반적인 국가 순위와 부 사회인구학 패턴을 바꿀 수도 있다는 것다. 생활시간조사의 데터는 OECD 국가의 국민들의 실제 생활환경을 모니터 하는 데 도움을 준다. 러한 통계를 통해 다양한 계층의 생활 방식과 여러 활동 중에서 특정 활동을 선택한 그들의 결정을 관찰할 수 있으며, 다양한 사회, 경제 현상의 해석과 해를 증진시킬 수 있다. 처럼, 생활시간조사 데터는 정부기관, 특히 공공 정책의 조언, 행, 모니터링에 관여하는 정부기관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된다(Callister, 2004). 정책 입안가들은 반적으로 사회 정책을 효율성과 형평성 측면에서 고려한다. 여가와 관 련된 정책도 와 달라서는 안 된다. 현재 정책 선택은 직접적고 미묘한 방법을 통해 여가 시간에 영향을 준다. 보다 중요한 것은 근로/비근로 마진, 그고 그로 인한 최대 가용 여가 시간은 가처분 소득 수준(소득 효과를 통해)과 한계 유효 세율(근로의 비근로 대체에 영향을 준다)의 수준에 영향을 받는다. 보다 반적으로, 동 및 방과 후 시설부터 고등 교육에 대한 공공 보조금에 르기까지 노동 공급에 영향을 주는 련의 정책들은 유급 근로/비근로 선택에 있어 중요하다. 세제 혜택과 더불어 노동시장과 상품 시장 규제는 둘 다 OECD 국가들의 가용 한 눈에 보는 사회 OECD사회지표 41

44 2. 특별 포커: OECD 국가의 여가 수준 측정 여가 시간의 양에 영향을 주기 위해 만들어진 것다. 노동시장과 관련해 공휴과 최저 연간 휴가는 자주 규제를 받는다. 상품 시장과 관련해서는 사람들의 여가기회 향상을 위해 쇼핑 시 간과 영업 자가 규제를 받는다. 러한 정책들 원래 계획했던 목적에 원하는 방향으로 영 향을 주는가는 직 의문으로 남있다. 다양한 국가를 대상으로 한 생활시간조사를 용한 여가 시간의 국제 비교는 직 초기 단 계에 있다. 러한 맥락에서 OECD 전체를 대상으로 한 생활시간조사 자료를 통해 연구자들은 여러 회원국 간 여가 시간 비교 연구를 발전시킬 수 있을 것다. OECD 차원에서의 여가 비 교 연구의 해 증진을 위한 명확한 다음 단계는 현재 러한 조사를 실시하지 않는 회원국들 에게 정기적으로 국제적 비교가 가능한 생활시간조사를 하도록 유도하는 것다. Notes 1. 소득 수준별 시간 사용 비교는 상당히 흥미롭다. 러한 연구를 위한 국가 간 소득 측정 표준화가 충분히 루어지지 않았다. 2. 보다 최근에 발표된 연령대의 변화, 인구의 교육 분포, 자녀수의 변화 등을 고려한 시간 의 흐름에 따른 여가에 대한 상세한 분석은 Engler와 Staubli (2008)의 연구를 참조. 저 자들은 동한 5개 국가의 25년에 걸친 기간의 자료를 용했다. 연구의 주요 결론은 기간 동안 들 국가들은 여가 시간을 합산해 왔다는 것다. 3. 결과는 부유한 국가에서의 효과적인 여가의 양성 평등을 강조한 Burda 외(2007)의 연구 결과와 상충한다. 결론은 또한 캐나다, 네덜, 노르웨, 영국, 미국의 생활 시간조사에서 조사된 여가 측정치의 성별 차를 보고한 Engler와 Staubli(2008)가 최근 발표한 연구 결과와도 상충한다. 들은 상기 5개 나라에서 여성 주당 여가 시간 우위 를 점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냈다. 들의 연구는 여가 의 개념에 두 가지 정의를 사용했다. 첫 번째 정의는 전체 시간에서 유급 근로와 무급 근로(출퇴근 시간 포함) 시간 을 뺀 잔여 시간다. 두 번째는 교육, 개인 서비 받기, 종교/공동체/자원봉사 활동 시 간을 빼고 정원 가꾸기 시간을 더한 시간다. 4. Engler와 Staubli(2008)는 다른 국가와 비교했을 때, 미국의 남성과 여성 모두 Burda 외 (2007) 의 연구가 보고한 것보다 훨씬 더 많은 시간(주당 2시간 상을 초과)을 쇼핑에 쓴다고 보고한다. 5. 문화적으로 호주와 뉴질랜의 친구, 가족 방문에 소비하는 시간의 양은 터키와 유사하 다는 것은 여가 생활에 대한 데터의 호환성 문제가 있을 수 있음을 나타낸다. 6. 법적으로 의무화된 연차와 유급 공휴 간의 차는 연차는 낼 수 있는 시기가 자율적인 반면 유급 공휴의 날짜는 보통 정해져 있다. 또한, 달력의 주기성으로 인해 유급 공휴 은 주말 될 수도 있지만, 최소한 부 국가에서는 주말에 반적으로 근무를 하는 경우가 니라면 주말에 연차를 내지 않는다. 참고문헌 Aguiar, M. and E. Hurst (2006), "Measuring Trends in Leisure: The Allocation of Time Over Five Decades",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Working Paper No , Cambridge MA, March. 42 한 눈에 보는 사회지표 OECD사회지표

45 2. 특별 포커: OECD 국가의 여가 수준 측정 Aliaga, C. and K. Winqvist (2003), "How Women and Men Spend their Time", Statistics in Focus: Population and Social Conditions, Eurostat, Luxembourg. Apps, P.F. (2003), "Gender, Time Use and Models of the Household", IZA Discussion Paper No. 796, Institute for the Study of Labor, Bonn, June. Apps, P.F. and R. Rees (1996), "Labour Supply, Household Production and Intra-family Welfare Distribution", Journal of Public Economics, Vol. 60, pp Apps, P.F. and R. Rees (1997), "Collective Labour Supply and Household Production",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Vol. 105, pp Apps, P.F. and R. Rees (2002), "Household Production, Full Consumption and the Costs of Children", Labour Economics, Vol. 8, pp Biddle, J. and D. Hamermesh (1990), "Sleep and the Allocation of Time",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Vol. 98, No. 5, pp Burda, M.C., D.S. Hamermesh and P. Weil (2007), "Total Work, Gender, and Social Norms", IZA Discussion Paper No. 2705, Institute for the Study of Labor, Bonn, March. Callister, P. (2004), "Time-Use Data and Work-Life Policy Development", Social Policy Journal of ew Zealand, No. 22, July. Causa, O. (2008), "Explaining Differences in Hours Worked among OECD Countries: An Empirical Analysis", OECD Economics Department Working Papers, No. 596, OECD, Paris. Chiappori, A. (1997), "Introducing Household Production in Collective Models of Labour Supply",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Vol. 105, No. 1, pp Engler, M. and S. Staubli (2008), "The Distribution of Leisure Time across Countries and Over Time", Department of Economics Discussion Paper No , University of St. Gallen, Switzerland. Gronau, R. (1976), "Leisure, Home Production and Work - The Theory of the Allocation of Time Revisited", NBER Working Paper No. 137, Cambridge, MA, May. Koreman, P. and A. Kapteyn (1987), "A Disaggregated Analysis of the Allocation of Time within the Household",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Vol. 95, No. 2, pp Krueger, A.B., D. Kahneman and D. Schkade (2008), "National Time Accounting: The Currency of Life", third draft of unpublished paper, March 31. Parnanen, A., H. Sutela and S. Mahler (2005), Combining Family and Full-Time Work, European Foundation for the Improvement of Living and Working Conditions, Report No. TN0510TR02, Dublin. Ramey, V.A. and F. Neville (2006), "A Century of Work and Leisure", NBER Working Paper No , Cambridge, MA, May. Schmitt, J. and R. Ray (2007), o Vacation ation USA - A Comparison of Leave and Holiday in OECD Countries, Center for Economic and Policy Research, European Economic and Employment Policy Brief No , Washington, May. Solberg, E. and D. Wong (1992), "Family Time-use, Home Production, Market Work and Work-Related Travel", Journal of Human Resources, Vol. 27, No. 3, pp Veblen, T. (1899), The Theory of the Leisure Class, Penguin Classics. 한 눈에 보는 사회 OECD사회지표 43

83.0 82.3 81.8 81.8 81.6 81.6 81.5 81.4 81.0 81.0 80.8 80.7 80.7 80.6 80.4 80.4 80.3 80.3 80.3 80.0 80.0 80.0 79.5 79.5 79.0 79.0 78.4 78.2 77.3 75.8 75.3 75.0 75.0 74.0 73.8 15.2 10.9 12.0 12.0 10.7 9.9

More information

한국의 성장과 사회통합을 위한 틀 서문 2 한국에게 사회통합이 최우선 과제인 이유는? 3 첫째, 지속 가능한 성장은 사회통합을 달성하는 데 필수이다. 3 사회화 (go social) 정책도 그만큼 중요하다. 5 사회지출 증대 6 증가하는 사회지출의 재원을 마련할 방법은

한국의 성장과 사회통합을 위한 틀 서문 2 한국에게 사회통합이 최우선 과제인 이유는? 3 첫째, 지속 가능한 성장은 사회통합을 달성하는 데 필수이다. 3 사회화 (go social) 정책도 그만큼 중요하다. 5 사회지출 증대 6 증가하는 사회지출의 재원을 마련할 방법은 한국의 성장과 사회통합을 위한 틀 (Framework) 211년 6월 한국의 성장과 사회통합을 위한 틀 서문 2 한국에게 사회통합이 최우선 과제인 이유는? 3 첫째, 지속 가능한 성장은 사회통합을 달성하는 데 필수이다. 3 사회화 (go social) 정책도 그만큼 중요하다. 5 사회지출 증대 6 증가하는 사회지출의 재원을 마련할 방법은? 7 고용 1 한국의

More information

2018.05 Vol.263 C O N T E N T S 02 06 27 61 68 71 74 78 82 89 99 148 153 155 159 M O N T H L Y P U B L I C F I N A N C E F O R U M 2 2018.5 3 4 2018.5 * 6 2018.5 1) 2) 3) 7 4) 8 2018.5 5) 6) 7) 9 8) 9)

More information

R&D : Ⅰ. R&D OECD 3. Ⅱ. R&D

R&D : Ⅰ. R&D OECD 3. Ⅱ. R&D R&D : 2012. 6. Ⅰ. R&D 1. 2. OECD 3. Ⅱ. R&D 1. 2. - 1 - Ⅰ. R&D R&D. R&D (TFP). R&D R&D, GDP R&D (Ha and Howitt, 2007). : (1), R&D. 1. ( )(), 1 ( ), ( ). (2) -, (Penn World Table 7.0) (growth accounting)

More information

노동시장구조(14_05_13)_최종.hwp_Oj56tZD7S0zQC9sEROzd

노동시장구조(14_05_13)_최종.hwp_Oj56tZD7S0zQC9sEROzd 2014. 5. 13(화) 조 사 자 료 동경사무소 일본 노동시장의 주요 구조변화 및 정책과제 일본은 1990년대 이후 고령화 저출산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데다 90년 대 후반부터 디플레이션 상황에 빠지면서 노동시장 구조가 크게 변화 1 생산가능인구는 1997년을 정점으로 줄어들어 2013년에는 8천만명을 하회(1990년 대비 -8.0%) 취업자수도 감소세를

More information

13.12 ①초점

13.12 ①초점 12 2013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 3 4 5 Income Distribution of the Elderly and Desirable Income Support Directions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A Poverty Solution of Low-lncome Elderly Women

More information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수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이저작물을개작, 변형또는가공할수없습니다. 귀하는, 이저작물의재이용이나배포의경우,

More information

<C8DEB0A1C0CCBFEB20BDC7C5C2C1B6BBE720B9D720C8DEB0A1B9AEC8AD20B0B3BCB12DC6EDC1FD2E687770>

<C8DEB0A1C0CCBFEB20BDC7C5C2C1B6BBE720B9D720C8DEB0A1B9AEC8AD20B0B3BCB12DC6EDC1FD2E687770> 연구책임 이 성 태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책임연구원) 연구보조 김 수 아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 석사) 서 문 우리나라는 국토에 매장되어 있는 천연자원은 물론 축적기술의 부족으 로 인하여 근로자의 근면과 성실을 통한 노동집약적 압축 성장을 추진한 역사가 있습니다. 보다 발전된 미래 청사진의 실현을 위해서 국민 모두가 쉬지 않고 일한 결과, 대한민국은 자동차

More information

2040 2010 6 11 - - - - - - 03 - -,,, - 08 8 15 < > - - -,, - / 04 2040 100,, -, 05 - -- - - KOREA 2040, 06 - - - - - - - 69(2010) 88(2040) - 2.56 2.10, 65 7.6% 14.2% 18% 15%, 65 16% 25% - -,, 56.7(2010)

More information

(20100511 growing\307\321\261\333\306\307.hwp)

(20100511 growing\307\321\261\333\306\307.hwp) Growing Unequal? : OECD회원국의 소득분배와 빈곤은 OECD에서 아래제목의 영어와 불어로 발간하 였습니다. Growing Unequal?: Income Distribution and Poverty in OECD Countries Croissance et inégalités: Distribution des revenus et pauvreté dans

More information

사회동향1-최종

사회동향1-최종 Korean Social Trends 28 28 28 Korean Social Trends 28 CONTENTS CONTENTS CONTENTS CONTENTS CONTENTS CONTENTS 2 3 28 Korean Social Trends 28 Population Household & Family Education Labor Income

More information

사회동향1-2장

사회동향1-2장 Korean Social Trends 2010 2010 CONTENTS CONTENTS CONTENTS CONTENTS CONTENTS CONTENTS Population 4 _ 5 70 60 50 40 30 20 10 0-10 1910 1920 1930 1940 1950 1960 1970 1980 1990 2000 2010 6 _ 50.2

More information

사회동향-내지간지수정

사회동향-내지간지수정 Korean Social Trends 2013 http://sri.kostat.go.kr 2013 Korean Social Trends 2013 Population 01 02 03 04 2 15 24 31 Family & Household 01 02 03 38 48 52 Health 01 02 03 04 62 73 79 87 Education 01 02

More information

<BAB8C7E8BFACB1B8BFF82DB0EDB7C9C8ADB8AEBAE4202832C8A3292DB3BBC1F62E687770>

<BAB8C7E8BFACB1B8BFF82DB0EDB7C9C8ADB8AEBAE4202832C8A3292DB3BBC1F62E687770> Ⅰ. 특집 고령화시대 출산정책 현황과 평가 오승연 연구위원 1. 검토 배경 1990년대 이후 선진국들 사이에서 출산율이 1인당 GDP 및 인간개발지수(Human Development Index, HDI) 1) 등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음(참고). 과거에 출산율은 경제발전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감소하였고, 지금도 소득 수준이 낮 은 국가들 사이에서는

More information

0121사회동향1장

0121사회동향1장 Korean Social Trends 2009 2009 2009 Korean Social Trends 2009 CONTENTS CONTENTS CONTENTS CONTENTS CONTENTS CONTENTS 2 3 Population 6 _ 7 70 60 50 40 30 20 10 0-10 1910 1920 1930 1940 1950 1960

More information

<3136365FB4EBB1B8BDC320BAB8B0C7BAB9C1F6C5EBB0E8BFACBAB820B9DFB0A320BFACB1B85FBEF6B1E2BAB92E687770>

<3136365FB4EBB1B8BDC320BAB8B0C7BAB9C1F6C5EBB0E8BFACBAB820B9DFB0A320BFACB1B85FBEF6B1E2BAB92E687770> 연구보고서 2007 DAEGU-GYEONGBUK DEVELOPMENT INSTITUTE 대구시 보건복지통계연보 발간 연구 엄 기 복 대구경북연구원 차 례 차 례 요 약 ⅰ~ⅴ 제1장 서 론 3 1.연구의 목적 및 범위 3 가. 연구배경 3 나. 연구의 목적 4 2. 연구방법 및 내용 4 가. 연구방법 4 나. 연구내용 5 제2장 보건복지통계관리현황 9 1.

More information

0121사회동향1장

0121사회동향1장 11-1240245-000014-10 http://sri.kostat.go.kr 2009 Korean Social Trends 2009 Korean Social Trends 2009 2009 이 면은 빈 공간입니다. 2009 Korean Social Trends 2009 CONTENTS CONTENTS CONTENTS CONTENTS CONTENTS

More information

歯4차학술대회원고(황수경이상호).PDF

歯4차학술대회원고(황수경이상호).PDF 1) 2).. 1-4.,,,, k?,,,. -, 4.... (norm alization ) (social inclusion ),..,. 1990.. 2000 145 100 3.1% 1, 1* *** 4. ( ). 3) 133 15 64, 56. 47.8% 71.6% 28.4%. 4.1% 7 ( 1). 4) < 1> 1 2 (2000) 47.8 71.6 28.4

More information

인구정책의 현황과 과제 (4) 수 있다. 과거 서구에서 전염병, 기근, 전쟁 등으로 인하여 대량으로 사망자가 발생하였던 시기 직후 에 사망을 조절하는 정책도 인구조정정책의 중요 한 영역을 차지하였으나 최근 보건의료발달 등에 따라 평균수명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

인구정책의 현황과 과제 (4) 수 있다. 과거 서구에서 전염병, 기근, 전쟁 등으로 인하여 대량으로 사망자가 발생하였던 시기 직후 에 사망을 조절하는 정책도 인구조정정책의 중요 한 영역을 차지하였으나 최근 보건의료발달 등에 따라 평균수명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 인구정책의 현황과 과제 Population Policy and Its Challenges 이삼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정부는 2005년 1.08 충격 직후인 2006년부터 출산율 회복을 위하여 10여년간 정책적 노력을 기울여 왔다. 지난 10년의 대책이 아직 초보적인 수준에 그치고 있어 출산율의 본격적인 회복을 기대하기는 곤란하나, 그 노력은 결코

More information

KDI정책포럼제221호 ( ) ( ) 내용문의 : 이재준 ( ) 구독문의 : 발간자료담당자 ( ) 본정책포럼의내용은 KDI 홈페이지를 통해서도보실수있습니다. 우리나라경

KDI정책포럼제221호 ( ) ( ) 내용문의 : 이재준 ( ) 구독문의 : 발간자료담당자 ( ) 본정책포럼의내용은 KDI 홈페이지를 통해서도보실수있습니다.   우리나라경 KDI정책포럼제221호 (2010-01) (2010. 2. 10) 내용문의 : 이재준 (02-958-4079) 구독문의 : 발간자료담당자 (02-958-4312) 본정책포럼의내용은 KDI 홈페이지를 통해서도보실수있습니다. http://www.kdi.re.kr 우리나라경기변동성에대한요인분석및시사점 이재준 (KDI 부연구위원 ) * 요 약,,, 1970. * (,

More information

사회동향1-2장

사회동향1-2장 Korean Social Trends 2010 2010 이 면은 빈 공간입니다. 이 면은 빈 공간입니다. CONTENTS CONTENTS CONTENTS CONTENTS CONTENTS CONTENTS 이 면은 빈 공간입니다. 이 면은 빈 공간입니다. Population 4 _ 5 70 60 50 40 30 20 10 0-10 1910 1920

More information

2006 1 < > < > 1 3 1 3 2 8 3 19 4 34 41 < > 45 < > 2000~2001 13 18 28 28 OECD 29 33 < 1>, 3 < 2> 5 < 3>,, 8 < 4> 2000 9 < 5> 10 < 6> 1999~2000 12 < 7> 12 < 8> 14 < 9> 2000~2001

More information

<3036C0CCBCB1BFEC2E687770>

<3036C0CCBCB1BFEC2E687770> 일반논문 고령화 시대에 대비한 공무원정년제도의 유연화에 대한 임금피크제(pay-peak system)의 영향분석 * 1) 현재 공무원 정년은 6급 이하 57세, 5급 이상 60세로 구분되어 있으나, 직급에 따른 상이한 정 년적용에 대한 인권침해소지를 지적하고 이를 60세로 동일화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있는 상황 이다. 한편, 고령사회 1) 로 급격히 진입하고

More information

유럽연합의 양성평등지수와 세계경제포럼에서 측정하는 양성격차지수 등을 통해 스웨덴 사회의 양성평등 수준이 높을 것이라는 점은 예상할 수 있으나 그동안 스웨덴 노동시장의 양 성평등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성별 임금, 근로형태, 고용률, 실업률 등의 통계는 자세히 소 개되지

유럽연합의 양성평등지수와 세계경제포럼에서 측정하는 양성격차지수 등을 통해 스웨덴 사회의 양성평등 수준이 높을 것이라는 점은 예상할 수 있으나 그동안 스웨덴 노동시장의 양 성평등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성별 임금, 근로형태, 고용률, 실업률 등의 통계는 자세히 소 개되지 216년 4월호 pp.6~72 한국노동연구원 스웨덴 성별 노동시장 격차 International Labor Trends 국제노동동향 2 - 스웨덴 송지원 (스웨덴 스톡홀름대학교 경영학 박사과정) 들어가는 말 스웨덴의 유럽연합(EU) 양성평등지수(EU Gender Equality Index, 212년 기준)는 74.2로 유럽연합 국가들의 평균인 2.9보다 상당히

More information

13.11 ①초점

13.11 ①초점 11 2013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 3 4 The Roles and Fiscal Responsibility on Social Security between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in Korea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Structure

More information

국제무역론-02장

국제무역론-02장 1 1 ( 27 ). 2, 3, 4. - 5. 6,. 7. 2... 17 20... 32 1.? ( ).?? 2.?,? 17 18, (Adam Smith). 40 (David Ricardo).,.,,. 20 (Gottfried Haberler). 2 2. 2 2.,. 6., 7. 1776. 1776,,,., 17 18 (,, ).,. 33 (1571 1641).

More information

연합학술대회(국민연금윤석명1008)ff.hwp

연합학술대회(국민연금윤석명1008)ff.hwp 국민연금 재정안정화방안 : 재정추계 및 시사점 도출 중심으로 1) 윤석명 2) 신화연 3)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국민연금 재정분석 개요 3. 100세 시대를 고려한 국민연금 재정평가 4. 2011년 통계청 인구추계를 반영한 국민연금 재정평가 5. 요약 및 정책제언 참고문헌 [부록 1] 2006년 통계청 인구추계의 인구가정을 반영한

More information

요 약 대한민국은 1948년 정부수립 이후 60년 만에 세계 13위의 경제대국으로 비약적인 성 장을 이루었다. 정부수립 2년 만에 북한의 전격 남침으로 전 국토가 초토화되었고, 휴 전 이후에도 안보에 대한 위협은 계속되었다. 그러나 대한민국 국민은 불리한 여건에 좌절하

요 약 대한민국은 1948년 정부수립 이후 60년 만에 세계 13위의 경제대국으로 비약적인 성 장을 이루었다. 정부수립 2년 만에 북한의 전격 남침으로 전 국토가 초토화되었고, 휴 전 이후에도 안보에 대한 위협은 계속되었다. 그러나 대한민국 국민은 불리한 여건에 좌절하 2008.8.13. (제667호) 대한민국경제 60년의 大 長 程 목차 Ⅰ. 대한민국경제 60년의 성과 Ⅱ. 대한민국경제의 여건과 제도 Ⅲ. 대한민국경제의 정책 선택 Ⅳ. 한국경제의 당면과제 작성 : 전영재 수석연구원(3780-8357) serijyj@seri.org 황인성, 김득갑, 장성원, 한창수, 전효찬, 강성원, 임수호, 손민중 감수 : 권순우 수석연구원(3780-8071)

More information

인적자원개발정책 협력망 <차 례> I. 문제 제기 II. 우리나라 고령화의 특징과 문제점 1. 고령화의 특징 (1) 우리나라 인구 10명중 1명이 노인 (2) 농어촌 지역의 초고령사회화 (3) 노인인구의 유년인구 추월(2016년) (4) 생산가능인구 7.3명이 노인 1

인적자원개발정책 협력망 <차 례> I. 문제 제기 II. 우리나라 고령화의 특징과 문제점 1. 고령화의 특징 (1) 우리나라 인구 10명중 1명이 노인 (2) 농어촌 지역의 초고령사회화 (3) 노인인구의 유년인구 추월(2016년) (4) 생산가능인구 7.3명이 노인 1 인적자원정책협력망 정례토론 제1주제 고령화사회의 고령자 인적자원관리 발표자: 유성기(한국인사관리학회 부회장) 인적자원개발정책 협력망 I. 문제 제기 II. 우리나라 고령화의 특징과 문제점 1. 고령화의 특징 (1) 우리나라 인구 10명중 1명이 노인 (2) 농어촌 지역의 초고령사회화 (3) 노인인구의 유년인구 추월(2016년) (4) 생산가능인구

More information

Vol.259 C O N T E N T S M O N T H L Y P U B L I C F I N A N C E F O R U M

Vol.259 C O N T E N T S M O N T H L Y P U B L I C F I N A N C E F O R U M 2018.01 Vol.259 C O N T E N T S 02 06 28 61 69 99 104 120 M O N T H L Y P U B L I C F I N A N C E F O R U M 2 2018.1 3 4 2018.1 1) 2) 6 2018.1 3) 4) 7 5) 6) 7) 8) 8 2018.1 9 10 2018.1 11 2003.08 2005.08

More information

¨ë Áö¸®ÇÐȸÁö-¼Û°æ¾ðOK

¨ë Áö¸®ÇÐȸÁö-¼Û°æ¾ðOK Industrial and Innovation Networks of the Long-live Area of Honam Region* Sam Ock Park**Kyung Un Song***Eun Jin Jeong**** Abstract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industrial and innovation networks

More information

기획7.hwp

기획7.hwp 2014 사회정책연합 공동학술대회 한국사회의 사회안전망을 점검한다 복지확대기의 조세재정정책방향: 지방재정과의 연계 1) 최 성 은 (한국조세재정연구원) 1. 서론 최근 우리나라는 복지정책에 있어서 상당한 패러다임의 변화를 맞이하며 급격하게 복지확대기로 접어들고 있다. 현 정부의 무상보육, 의료보장성 확대, 기초연금의 도입 등은 그간 저소득층 및 취약계층 위주의

More information

Microsoft Word - NEW08_prof. Ma

Microsoft Word - NEW08_prof. Ma 한국정당의 복지정책과 선거 마인섭(성균관대학교) 1. 서론 이 글은 2010년 이후 복지가 정치의 중요한 쟁점이 된 사회경제의 구조와 정치과정에 관한 연구이다. 2010년 이후 한국정치는 복지국가담론으로 소용돌이치고 있으며 이 복지정치가 선거와 정당을 중심으로 일어나고 있다. 2012년 국회의원선거와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사회복지가 정치권의 핵심화두로 등장하고

More information

06_À̼º»ó_0929

06_À̼º»ó_0929 150 151 alternative investment 1) 2) 152 NPE platform invention capital 3) 153 sale and license back 4) 154 5) 6) 7) 155 social welfare 8) 156 GDP 9) 10) 157 Patent Box Griffith EUROSTAT 11) OTC M&A 12)

More information

연구진 연구책임 연 구 원 김운수 / 교통물류연구실 연구위원 이명화 / 교통물류연구실 초빙연구원

연구진 연구책임 연 구 원 김운수 / 교통물류연구실 연구위원 이명화 / 교통물류연구실 초빙연구원 A Study on the Actual Analysis of Introducing Marine Special Economic Zone in Incheon 연구진 연구책임 연 구 원 김운수 / 교통물류연구실 연구위원 이명화 / 교통물류연구실 초빙연구원 요약 및 정책건의 Ⅰ. 연구개요 정부에서는 유휴화된 항만공간을 고부가가치화와 융복합 클러스터를 구현시킴 으로써

More information

WHO 의새로운국제장애분류 (ICF) 에대한이해와기능적장애개념의필요성 ( 황수경 ) ꌙ 127 노동정책연구 제 4 권제 2 호 pp.127~148 c 한국노동연구원 WHO 의새로운국제장애분류 (ICF) 에대한이해와기능적장애개념의필요성황수경 *, (disabi

WHO 의새로운국제장애분류 (ICF) 에대한이해와기능적장애개념의필요성 ( 황수경 ) ꌙ 127 노동정책연구 제 4 권제 2 호 pp.127~148 c 한국노동연구원 WHO 의새로운국제장애분류 (ICF) 에대한이해와기능적장애개념의필요성황수경 *, (disabi WHO 의새로운국제장애분류 (ICF) 에대한이해와기능적장애개념의필요성 ( 황수경 ) ꌙ 127 노동정책연구 2004. 제 4 권제 2 호 pp.127~148 c 한국노동연구원 WHO 의새로운국제장애분류 (ICF) 에대한이해와기능적장애개념의필요성황수경 *, (disability)..,,. (WHO) 2001 ICF. ICF,.,.,,. (disability)

More information

IDP www idp or kr IDP 정책연구 한국경제의구조적문제와개혁방향 민주정책연구원 The Institute for Democracy and Policies

IDP www idp or kr IDP 정책연구 한국경제의구조적문제와개혁방향 민주정책연구원 The Institute for Democracy and Policies IDP 정책연구 2011-13 www.idp.or.kr IDP 정책연구 2011-13 한국경제의 구조적 문제와 개혁방향 The Institute for Democracy and Policies 서울시 영등포구 영등포동 6가 133번지 민주정책연구원 Tel : 02.2630.0114 Fax : 02.2630.0194 민주정책연구원 민주정책연구원 IDP 정책연구

More information

<B0ADB9AE5F33B1C75F30315FC0CEBCE232C2F728B9DAC1D6BEF0295F303133305FB3AAB4AEC5EBB0E85FB0B3BCB1B9E6BEC85FC3D6C1BEBAB8B0EDBCAD28C3D6C1BE295FC3D6C1BE283230313230333237292E687770>

<B0ADB9AE5F33B1C75F30315FC0CEBCE232C2F728B9DAC1D6BEF0295F303133305FB3AAB4AEC5EBB0E85FB0B3BCB1B9E6BEC85FC3D6C1BEBAB8B0EDBCAD28C3D6C1BE295FC3D6C1BE283230313230333237292E687770> 나눔통계 개선방안 1 나눔통계 개선방안 박주언 이희길 제1절 서 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우리 사회에서 균등한 기회보장과 공정한 경쟁으로 대변되는 공정사회 수립이 중요한 국정과제로 제시되었다. 이에 따라 공정사회를 실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나 눔 (philanthropy)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나눔 은 자신이 가진 가치 있는 자원을

More information

......(N)

......(N) 이 책을 펴내며 한국은행은 1957년 우리나라 國 民 所 得 統 計 의 공식편제기관으로 지정되 면서 UN이 1953년에 발표한 國 民 計 定 體 系 와 그 附 表 (A System of National Accounts and Supporting Tables)의 작성기준에 따라 1953년 이 후의 국민소득통계를 작성해 왔습니다. 그리고 1986년부터 UN이 1968년

More information

2017.09 Vol.255 C O N T E N T S 02 06 26 58 63 78 99 104 116 120 122 M O N T H L Y P U B L I C F I N A N C E F O R U M 2 2017.9 3 4 2017.9 6 2017.9 7 8 2017.9 13 0 13 1,007 3 1,004 (100.0) (0.0) (100.0)

More information

< e-business 전략 계획 이슈와 사례 >

< e-business 전략 계획 이슈와 사례 > 2004 6 LG < >,,, i , 25~292008, 5 25~29 2009 10 1990,, 20 10,, ii < > < > 1 1 1 2 2 5 1 6 2 8 3 9 4 11 13 1 13 2 14 3 16 4 19 19 1 19 2 20 3 23 4 25 5 27 < > 29 < > 7 17

More information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1, pp.1-19 DOI: *,..,,,.,.,,,,.,,,,, ( )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1, pp.1-19 DOI:   *,..,,,.,.,,,,.,,,,, ( )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1, pp.1-19 DOI: http://dx.doi.org/10.21024/pnuedi.26.1.201604.1 *,..,,,.,.,,,,.,,,,, ( ).,,,. * 2014. 2015. ** 1, : (E-mail: cajoo@pusan.ac.kr)

More information

Vol.266 C O N T E N T S M O N T H L Y P U B L I C F I N A N C E F O R U M

Vol.266 C O N T E N T S M O N T H L Y P U B L I C F I N A N C E F O R U M 2018.08Vol.266 C O N T E N T S 02 06 30 48 54 66 80 120 M O N T H L Y P U B L I C F I N A N C E F O R U M 2 2018.8 3 4 2018.8 1) 6 2018.8 2) 7 8 2018.8 3) 9 4) 5) 6) 10 2018.8 7) 8) 9) 10) 11 12 2018.8

More information

±§ 60¡ÿ ‚±‚ ‰«•¡ˆ

±§  60¡ÿ ‚±‚ ‰«•¡ˆ 여성고용정책을 통해 본 장애인고용정책의 시사점 이 금 진(기초연구팀) I. 검토 배경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교과서의 단일민족 이라는 용어가 차별로 인식될 만큼 다 양성 다문화 에 대한 관심이 증가됨 농촌지역을 중심으로 외국계 여성과의 혼인율이 35.9%로 이 늘어나고 있으며 (통계청, 2006), 코시안(Kosian)을 비롯하여 다양한 혼혈자녀, 외국인 노동자

More information

<5BC0AFBEC6B1E2C7E0BAB9B0A85D20C0CEBCE2BFEB20C3D6C1BEBABB5F3135303231335F312E687770>

<5BC0AFBEC6B1E2C7E0BAB9B0A85D20C0CEBCE2BFEB20C3D6C1BEBABB5F3135303231335F312E687770> 연구보고 2014-21 유아기 행복감 증진 방안 도남희 배윤진 김지예 머 리 말 행복은 전 세계적으로 연구의 주요 주제가 되어왔을 뿐만 아니라 정치적인 이슈로 발전해 오고 있으며 인간의 물질적 수준뿐만 아니라 정신적 수준을 높 이려는 노력으로서 지속적으로 전개되고 있다. UN은 2013년에 세계 행복 보고 서(World happiness report)를 발표했고

More information

<2834C2F729BAB8C7E8BFACB1B8BFF85FBAB8C7E8B5BFC7E22032303133B3E220B0A1C0BBC8A35FB3BBC1F62E687770>

<2834C2F729BAB8C7E8BFACB1B8BFF85FBAB8C7E8B5BFC7E22032303133B3E220B0A1C0BBC8A35FB3BBC1F62E687770> Ⅰ. 테마진단 민영 장기요양보험퍼즐과 프랑스 사례의 시사점 오승연 연구위원 1. 검토 배경 인구고령화로 정부와 개인의 장기요양(Long-Term Care, 이후 LTC)비용이 급속히 증가해 민영 장기요양보험(Long-Term Care Insurance, 이후 LTCI)의 활성화를 통한 비용 분담이 요구되나 대부분의 국가들에서 민영 LTCI 시장이 발달하지 못하고

More information

3 Local Government Officials Development Institute 4 2006 Local Government Officials Development Institute 5 6 2006 Local Government Officials Development Institute 7 8 2006 Local Government Officials

More information

서강대_파이널.hwp

서강대_파이널.hwp 1 The 논술 2016 서강대 모의논술 제시문 [가]에서 다루는 문제와 관련한 두 논점을 [나]~[바]에서 찾아 정리하고, 이를 논거로 활용하여 국가가 [가]의 문제를 해결할 때의 어 [문제] 려움을 논의한 다음, 그 난관을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지에 대한 자신 의 견해를 논술하라. 제시문 [가] 자본주의 경제 체제가 급속도로 발달함에 따라 빈부 격차가 심화되고,

More information

에너지경제연구 Korean Energy Economic Review Volume 17, Number 1, March 2018 : pp. 37~65 가정부문전기수요의결정요인분석 : 동태적패널 FD GMM 기법을중심으로 37

에너지경제연구 Korean Energy Economic Review Volume 17, Number 1, March 2018 : pp. 37~65 가정부문전기수요의결정요인분석 : 동태적패널 FD GMM 기법을중심으로 37 에너지경제연구 Korean Energy Economic Review Volume 17, Number 1, March 2018 : pp. 37~65 가정부문전기수요의결정요인분석 : 동태적패널 FD GMM 기법을중심으로 37 38 39 40 41 ln ln ln ln ln ln ln 42 ln ln ln ln ln ln ln ln ln ln ln ln ln ln

More information

Copyright by Korean Local-government Management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 No part of this publication may be reproduced, stored in a retrieval s

Copyright by Korean Local-government Management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 No part of this publication may be reproduced, stored in a retrieval s 2014. 5 Copyright by Korean Local-government Management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 No part of this publication may be reproduced, stored in a retrieval system, or transmitted in any form or by any

More information

*5£00̽ÅÈ�

*5£00̽ÅÈ� . 2001.. 2. 1998... 21 :. 1998... 21 :. 2002. :.. :. :. 37, 2003. (: 2003-08-10) Annan, Kofi. We the People, the Role of the United Nations in the st Century, Secretary General

More information

연구보고 2003-17 젠더에 대한 한국인간개발보고서 2003. 11 연구책임자: 문 유 경 (한국여성개발원 연구위원) 공동연구자: 박 수 미 (한국여성개발원 연구위원) 강 민 정 (한국여성개발원 연구원) 여 성 부

연구보고 2003-17 젠더에 대한 한국인간개발보고서 2003. 11 연구책임자: 문 유 경 (한국여성개발원 연구위원) 공동연구자: 박 수 미 (한국여성개발원 연구위원) 강 민 정 (한국여성개발원 연구원) 여 성 부 연구보고 2003-17 젠더에 대한 한국인간개발보고서 2003 여 성 부 연구보고 2003-17 젠더에 대한 한국인간개발보고서 2003. 11 연구책임자: 문 유 경 (한국여성개발원 연구위원) 공동연구자: 박 수 미 (한국여성개발원 연구위원) 강 민 정 (한국여성개발원 연구원) 여 성 부 이 연구는 한국여성개발원이 여성부의 연구용역을 의뢰받아 수행한 것입니다.

More information

<C6EDC1FD2DBAB8B0EDBCAD3132333128BCF6C1A4292D303130352DBABBB9AE2E687770>

<C6EDC1FD2DBAB8B0EDBCAD3132333128BCF6C1A4292D303130352DBABBB9AE2E687770> 연구 09-24 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제도 비용효과 분석에 관한 연구 2009. 12 한국인개발원 제1장 서 론 1.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1.2 연구목적 3 1.3 연구방법 3 제2장 물 없는 환경에 대한 주요 개념 2.1 무 디자인의 개념 5 2.2 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제 6 2.2.1 인증종류 7 2.2.2 인증대상 7 2.2.3 인증기관 7

More information

한눈에 보는 정부 213 한눈에 보는 정부 213 한국어 번역의 품질 및 원문과의 일치 여부는 OECD 대한민국 정책센터의 책임 하에 있습니다. 원문과 한국어판 간에 차이가 존재할 시에는 오직 원문의 내용만이 유효합니다. 이 보고서는 OECD 사무총장의 책임아래 발간되었다. 이 보고서에 수록된 의견과 주장들은 OECD 및 OECD회원 국들의 공식적인 견해가

More information

5-김재철

5-김재철 ) * I... 2005 11 3 * ). ..,.. ( ). (FTA), ( )...,.,....,. ) (Kim, - ). . ( )..,. (, )..,,.....,,..,.., ). ( ). ),, (Bernstein and Munro ) (Donnelly ).. ,..,...,,. %., GDP. GDP,.,,, GDP (, )... IMF GDP,

More information

2월1일자.hwp

2월1일자.hwp 제 26 권 2호 통권 570호 국가별 디지털 네이티브(digital natives) 현황과 IDI(ICT Development Index) 7) 고 흥 석 * 1. 개 요 2001년 마크 프렌스키(Marc Prensky)는 오늘날 학생들을 일컬어 컴퓨터와 비디오 게임, 각종 인터넷 등의 디지털 언어에 대해 네이티브 스피커(native speaker)와 같다

More information

현 안 분 석 2 Catsouphes & Smyer, 2006). 우리나라도 숙련된 인 력부족에 대한 우려가 심화되고 있으며, 일자리의 미 스매치 수준이 해외 주요국보다 심각하다는 점도 지 지부진한 유연근무제의 확산을 위한 진정성 있는 노 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보여준다

현 안 분 석 2 Catsouphes & Smyer, 2006). 우리나라도 숙련된 인 력부족에 대한 우려가 심화되고 있으며, 일자리의 미 스매치 수준이 해외 주요국보다 심각하다는 점도 지 지부진한 유연근무제의 확산을 위한 진정성 있는 노 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보여준다 공공기관 근무유연성 확대를 위한 논의 Ⅰ. 서 론 박한준 한국조세재정연구원 부연구위원 (hanpark@kipf.re.kr) 정부는 여성의 지속적인 근로기회를 보장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적 논의를 계속 하고 있다. 이는 현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중산층 70%, 고용률 70% 달성의 필수 조건이 여성인력의 사회참여에 달려 있기 때문이라는 인식에 기반하고 있다. 일

More information

04_이근원_21~27.hwp

04_이근원_21~27.hwp 1) KIGAS Vol. 16, No. 5, pp 21~27, 2012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http://dx.doi.org/10.7842/kigas.2012.16.5.21 실험실의 사례 분석에 관한 연구 이근원 이정석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2012년 9월 5일 투고, 2012년 10월 19일

More information

<32303039C0C7B7E1B0FCB8AEC7D0BDC7BDC0B1B3C0E728C3D6C1BEBABB292E687770>

<32303039C0C7B7E1B0FCB8AEC7D0BDC7BDC0B1B3C0E728C3D6C1BEBABB292E687770> 2009년 의료관리학 실습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료관리학교실 1. 의료관리학 실습 개요 1 2. 우리나라 의료제도의 현황과 문제점 - 건강보험 3 3. 세계의 의료제도 가. 영국의 의료제도 19 나. 미국의 의료제도 31 다. 독일의 의료제도 47 라. 대만의 의료제도 59 4. 의료정책 패널토론 67 1. 의료관리학 실습 개요. (1) 일반 목표

More information

장애인통계-0110-최종.hwp

장애인통계-0110-최종.hwp 작성기준일 : 2013년 12월 19일 문 의 처 :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조사통계부 Tel:031-728-7108 Fax:031-728-7143 머 리말 우리나라 등록장애인 수는 2012년 12월 말 현재 251만 1천명으로, 2000년 12월 말 95만 8천명에서 약 162% 증가하였습니다. 장애인 인구가 이처럼 급격히 증가함에 따 라 장애인 정책에

More information

<30382E20B1C7BCF8C0E720C6EDC1FD5FC3D6C1BEBABB2E687770>

<30382E20B1C7BCF8C0E720C6EDC1FD5FC3D6C1BEBABB2E687770> 정보시스템연구 제23권 제1호 한국정보시스템학회 2014년 3월, pp. 161~184 http://dx.doi.org/10.5859/kais.2014.23.1.161 베이비붐세대의 디지털라이프 지수* 1) 권순재**, 김미령*** Ⅰ. 서론 Ⅱ. 기존문헌 연구 2.1 베이비붐세대의 현황과 특성 2.2 베이비붐의 세대이 정보화 연구 Ⅲ. 연구내용 및 방법 Ⅳ.

More information

<31372DB9CCB7A1C1F6C7E22E687770>

<31372DB9CCB7A1C1F6C7E22E687770> 미래지향 고령친화 주거디자인을 위한 예비노인층의 라이프스타일 특성 Characteristics of Lifestyle of the Pre-Elderly for Future Elderly-friendly Housing Design 류 혜 지 청운대학교 인테리어디자인학과 교수 Ryu hye-ji Dept. of Interior Design, Chungwoon University

More information

Issue 두 가지 상대적 관점에서 검토되고 있다. 특히, 게임 중독에 대한 논의는 그 동안 이를 개인의 심리적 차원에서 접근해왔던 것에서 벗어나 청소년에 대한 사회문화 및 정보 리터러시(literacy) 교육의 방향이라든 지 나아가 게임중독과 관련한 사회구조적인 또는

Issue 두 가지 상대적 관점에서 검토되고 있다. 특히, 게임 중독에 대한 논의는 그 동안 이를 개인의 심리적 차원에서 접근해왔던 것에서 벗어나 청소년에 대한 사회문화 및 정보 리터러시(literacy) 교육의 방향이라든 지 나아가 게임중독과 관련한 사회구조적인 또는 ISSUE ANALYSIS 게임중독인가? 몰입인가? - 진흥과 중독예방의 상대적 비교 관점에서 최정일 / 숭실대학교 경영학부 교수, (사)미디어미래연구소 부소장, jichoi1009@naver.com 1. 서 언 온라인 및 모바일 접속 환경이 급속히 보편화됨에 따라 특정 미디 어와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s)을 오랫동안 그리고 지속적으로 사 용함으로써

More information

지방자치시대의 정책갈등 분석

지방자치시대의 정책갈등 분석 107 개헌과 새로운 통치이념의 정립 1)한동호(경성대) Ⅰ. 서론 1987년 6월 항쟁의 결과 한국은 경제발전 이후 대통령직선제 개헌을 통해 민주주의 역시 달성하게 되었다. 이후 수평적 정권교체를 통해 안정적인 민주주의의 정착을 보게 되었다. 하 지만 소위 1987년 체제라고 불리는 현행 헌법체제는 통치구조에서 심각한 문제점을 노정해 왔다. 특히 1987년

More information

DBPIA-NURIMEDIA

DBPIA-NURIMEDIA 27(2), 2007, 96-121 S ij k i POP j a i SEXR j i AGER j i BEDDAT j ij i j S ij S ij POP j SEXR j AGER j BEDDAT j k i a i i i L ij = S ij - S ij ---------- S ij S ij = k i POP j a i SEXR j i AGER j i BEDDAT

More information

레이아웃 1

레이아웃 1 i g d e d mod, t d e d e d mod, t e,0 e, n s,0 e,n e,0 Division of Workers' Compensation (2009). Iowa workers' compensation manual. Gamber, E. N. & Sorensen, R. L. (1994). Are net discount rates stationary?:

More information

06-구인회

06-구인회 29(2), 2009, 126-150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contributory benefit programs)...,..,., :, 2008). * :, (inhoeku@snu.ac.kr) 126 20. 1987 2 2007 642, 20 3. 1990 2008 563,210. 2008 429,850. 1995

More information

지속가능경영보고서도큐_전체

지속가능경영보고서도큐_전체 C o n t e n t s 03 06 07 10 30 38 43 55 56 60 62 70 71 Korea Foundation for Women Annual Report 2010 SLOGAN VISION 2 3 MISSION 1 MISSION 3 MISSION 2 4 5 Korea Foundation for Women Annual Report 2010 Korea

More information

분석결과 Special Edition 녹색건물의 가치산정 및 탄소배출 평가 이슈 서 민간분야의 적극적인 참여 방안의 마련이 필요하다. 또한 우리나라는 녹색건축의 경제성에 대한 검증에 대 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반면, 미국, 영국, 호주 등은 민간 주도로 녹색건축물

분석결과 Special Edition 녹색건물의 가치산정 및 탄소배출 평가 이슈 서 민간분야의 적극적인 참여 방안의 마련이 필요하다. 또한 우리나라는 녹색건축의 경제성에 대한 검증에 대 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반면, 미국, 영국, 호주 등은 민간 주도로 녹색건축물 기획특집Ⅱ 1 지속가능성 평가기반 에너지효율등급인증 건축물 가치산정에 관한 연구 지속가능성 평가기반 에너지효율등급인증 건축물 가치산정에 관한 연구 * 유 영 준 부연구위원 한국감정원 녹색건축센터 녹색건축연구단 신 성 은 연구원 한국감정원 녹색건축센터 녹색건축연구단 박 아 름 연구원 한국감정원 녹색건축센터 녹색건축연구단 윤 종 돈 부장 한국감정원 녹색건축센터

More information

서론 34 2

서론 34 2 34 2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Information and Health Statistics Volume 34, Number 2, 2009, pp. 165 176 165 진은희 A Study on Health related Action Rates of Dietary Guidelines and Pattern of

More information

Microsoft Word - 21KR_Proceeding_2009_

Microsoft Word - 21KR_Proceeding_2009_ 21st IFES-APRC INTERNATIONAL CONFERENCE November 2-3, 2009, Moscow 북한 핵문제와 북한 중국관계: 변화와 지속 The China- North Korea relations and the Nuclear Issue in Korean Peninsula 문흥호(한양대 국제학대학원) Ⅰ. 서론 장쩌민( 江 澤 民 )

More information

Rheu-suppl hwp

Rheu-suppl hwp Objective: This paper reviews the existing Korean medical and public health, and nursing academy articles on disease-specific and domain-specific quality of life, and provides recommendations for the universally

More information

歯표지.PDF

歯표지.PDF 2000 11 ,, LG i < > 1023 44 40 1999 2,497 ( 479 ) 600900, 500600, 50% (4 ) 146% 4 10%, 25% 4 05% ( 10 ) 86,646, 122,489, 50% ILO 25%, 1 : 2 : 2001 3 : 2001 40 2010 (GDP )34% 320012003 ii GDP,,, ( 98 4/4

More information

¹é¼ŁÇ¥Áö 11³âš

¹é¼ŁÇ¥Áö 11³âš KERI ANNUAL REPORT 2010 KERI ANNUAL REPORT 2010 KOREA ECONOMIC RESEARCH INSTITUTE KOREA ECONOMIC RESEARCH INSTITUTE 1 2 3 KOREA ECONOMIC RESEARCH INSTITUTE KERI CONTENTS 3 6 55 56 CONTENTS K O R E A E

More information

<28BCF6BDC320323031352D31332920B0E6B1E2B5B520C1F6BFAABAB020BFA9BCBAC0CFC0DAB8AE20C1A4C3A520C3DFC1F8C0FCB7AB5FC3D6C1BE2830312E3036292E687770>

<28BCF6BDC320323031352D31332920B0E6B1E2B5B520C1F6BFAABAB020BFA9BCBAC0CFC0DAB8AE20C1A4C3A520C3DFC1F8C0FCB7AB5FC3D6C1BE2830312E3036292E687770> 수시과제 2015-13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연구책임자 : 최 윤 선 (본원선임연구위원) : 남 승 연 (본원연구위원) 연 구 지 원 : 이 상 아 (본원위촉연구원) 연 구 기 간 : 2015. 9 ~12 2015 발 간 사 여성 일자리는 사회 내 여성과 남성간의 차이를 좁히고 개개인의 삶을 윤택하게 만드는 중요 한 부분입니다. 이에 정부는

More information

<30315FB1E2C8B9B3EDB4DC2832303133B0A1C0BBC8A3295FB1E8C1DFC8A32E687770>

<30315FB1E2C8B9B3EDB4DC2832303133B0A1C0BBC8A3295FB1E8C1DFC8A32E687770> 기 획 논 단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의 작동 환경 분석 - G2시대의 새로운 동북아시아 질서를 중심으로 김 중 호 * Ⅰ. 서 론 Ⅱ.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의 내용과 특징 Ⅲ. 동북아 안보환경과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 Ⅳ. 동북아 경제환경과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 Ⅴ. 결 론 요 약 이 글은 동북아시아의 안보 경제 환경을 분석함으로써 박근혜 정부가 내세운 한반도

More information

05-08 087ÀÌÁÖÈñ.hwp

05-08 087ÀÌÁÖÈñ.hwp 산별교섭에 대한 평가 및 만족도의 영향요인 분석(이주희) ꌙ 87 노 동 정 책 연 구 2005. 제5권 제2호 pp. 87118 c 한 국 노 동 연 구 원 산별교섭에 대한 평가 및 만족도의 영향요인 분석: 보건의료노조의 사례 이주희 * 2004,,,.. 1990. : 2005 4 7, :4 7, :6 10 * (jlee@ewha.ac.kr) 88 ꌙ 노동정책연구

More information

141(26) 20056 1930 19 () ( ( ) () () () ) 2) 1932 ()()3) 2 1) 1897519( ) ( ) () () () 4) ( ) 5) 6) 15-20 7) 191216 2) ( ) () 42 () 193111 12 1933 4 3)

141(26) 20056 1930 19 () ( ( ) () () () ) 2) 1932 ()()3) 2 1) 1897519( ) ( ) () () () 4) ( ) 5) 6) 15-20 7) 191216 2) ( ) () 42 () 193111 12 1933 4 3) 141(26) 20056 Korean J Med Hist 14131 Jun 2005 ISSN 1225505X ( 1897-1982) * ** 1 ( 1897-1982) ( ) 1) 3 1 ( ) 1930 1930 1930 * () ** 1) ( 2000 p 13-15) 1 141(26) 20056 1930 19 () ( ( ) () () () ) 2) 1932

More information

<C3D6C1BE2DBDC4C7B0C0AFC5EBC7D0C8B8C1F62833322D32C8A3292E687770>

<C3D6C1BE2DBDC4C7B0C0AFC5EBC7D0C8B8C1F62833322D32C8A3292E687770> 유자차 신제품에 대한 소비자 지불의사액 추정 강혜정 최지현 이기웅 유자차 신제품에 대한 소비자 지불의사액 추정 An Analysis on Estimation of Willingness to Pay for the New Products of Citrus Tea Assessed by Korean Consumers 강혜정* 최지현** 이기웅*** 1) Kang,

More information

<323031325F3035202D20C0C7B7E1B9E8BBF3B0F8C1A6C1B6C7D520C3DFC1F820B0FCB7C320BFACB1B85FBCF6C1A42E687770>

<323031325F3035202D20C0C7B7E1B9E8BBF3B0F8C1A6C1B6C7D520C3DFC1F820B0FCB7C320BFACB1B85FBCF6C1A42E687770> 연 구 보 고 서 2 0 1 2-0 5 의료사고 피해구제 및 의료분쟁 조정 등에 관한 법률 공포에 따른 의료배상공제조합 추진 관련 연구 2012. 4. 이 보고서는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에서 주관하는 연구사업에 의해 수행된 것이며, 이 보고서에 수록된 내용은 연구자 개인적인 의견이며 대한의사협회의 공식견해가 아님을 밝혀둡니다. 제 출 문 대한의사협회 정책연구소

More information

,,,,,,, ,, 2 3,,,,,,,,,,,,,,,, (2001) 2

,,,,,,, ,, 2 3,,,,,,,,,,,,,,,, (2001) 2 2004- - : 2004 5 11 :?,,,,,? Sen (human capability) 1?,, I 1 2 1 Sen A Why health equity? Health Econ 2002:11;659-666 2 1991 p 17 1 ,,,,,,, 20 1 2,, 2 3,,,,,,,,,,,,,,,, 3 3 1 (2001) 2 1),, 2), 2),, 3),,,

More information

173*243-³»Áö-1Æí-ÃÖÁ¾

173*243-³»Áö-1Æí-ÃÖÁ¾ STATISTICS RESEARCH INSTITUTE 2008. 4. + STATISTICS RESEARCH INSTITUTE www.nso.go.kr 16 20 32 46 67 76 89 96 115 120 122 156 178 244 264 267 Contents Table of of Table page _ 006 026 030 035 037 039

More information

<31342EBCBAC7FDBFB52E687770>

<31342EBCBAC7FDBFB52E687770> 일본 기혼여성의 취업 및 취업형태 결정요인 성 혜 영 (국민연금연구원) 본 연구의 목적은 일본 기혼여성의 취업실태를 고찰하고 취업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상시 또는 파트타임과 같은 취업형태를 결정하는 요인을 일본 내 전국 수준의 조사 데이터를 활용해 실증적으로 검토해 보는데 있다. 일본 기혼여성취업의 특징은 파트타임 취업 비율이 특히 높다는 것이며 이에

More information

- 11 - - 12 - - 13 - - 14 - - 15 - - 16 - - 17 - - 18 - - 19 - - 20 - - 21 - - 22 - - 23 - - 24 - - 25 - - 26 - - 27 - 제 1패 널 나눔의 경제와 기업 이정우 "배제에서 나눔으로: 한국경제 패러다임의 전환" 이종욱 "가치창출형 나눔과 한국의 상생협력: 물에서 돌이

More information

<302DC5EBC0CFB0FA20C6F2C8AD28BFCF292E687770>

<302DC5EBC0CFB0FA20C6F2C8AD28BFCF292E687770> 72 통일과 평화(창간호 2009) 한반도 통일에 관한 이론적 고찰 전재성(서울대 외교학과) 국문요약 본 논문은 변화하는 국제질서와 한반도 내부의 상황을 고려하여, 21세기 한반도 통일 을 새로운 관점에서 이론적으로 분석하고자 시도한다. 21세기 하나의 주권을 가진 하나 의 국가를 만들고자 하는 통일론은 결국 한반도 거버넌스의 문제이다. 한반도에서 사는 전통적

More information

±×¸°¸®Æ÷Æ® ³»Áö5Â÷

±×¸°¸®Æ÷Æ® ³»Áö5Â÷ 04 Netherlands 1 GREEN REPORT 2010 Vol.10 05 06 GREEN REPORT 2010 Vol.10 07 08 Japan 2 GREEN REPORT 2010 Vol.10 09 10 Hong Kong 3 GREEN REPORT 2010 Vol.10 11 12 Switzerland 4 GREEN REPORT 2010 Vol.10 13

More information

Kor. J. Aesthet. Cosmetol., 라이프스타일은 개인 생활에 있어 심리적 문화적 사회적 모든 측면의 생활방식과 차이 전체를 말한다. 이러한 라이프스 타일은 사람의 내재된 가치관이나 욕구, 행동 변화를 파악하여 소비행동과 심리를 추측할 수 있고, 개인의

Kor. J. Aesthet. Cosmetol., 라이프스타일은 개인 생활에 있어 심리적 문화적 사회적 모든 측면의 생활방식과 차이 전체를 말한다. 이러한 라이프스 타일은 사람의 내재된 가치관이나 욕구, 행동 변화를 파악하여 소비행동과 심리를 추측할 수 있고, 개인의 RESEARCH ARTICLE Kor. J. Aesthet. Cosmetol., 한국 중년 여성의 라이프스타일이 메이크업 추구이미지와 화장품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주영주 1 *, 이순희 2 1 서경대학교대학원미용예술학과, 2 신성대학교 미용예술계열 The Effects of The Life Style for Korean Middle Aged Women on

More information

A Study on Married Female Immigrants Life Style and Marriage Satisfaction in Terms of Preparing Their Old Age in Chungcheongnam-do Department of Gerontology, Hoseo University Doctoral Student : Hi Ran

More information

에너지경제연구 Korean Energy Economic Review Volume 14, Number 2, September 2015 : pp. 99~126 산유국의재생에너지정책결정요인분석 1) 99

에너지경제연구 Korean Energy Economic Review Volume 14, Number 2, September 2015 : pp. 99~126 산유국의재생에너지정책결정요인분석 1) 99 에너지경제연구 Korean Energy Economic Review Volume 14, Number 2, September 2015 : pp. 99~126 산유국의재생에너지정책결정요인분석 1) 99 100 101 102 < 표 1> 산유국의재생에너지정책현황 103 104 105 106 107 108 < 표 2> 재생에너지발전의주요결정요인 109 110 < 표

More information

에너지경제연구제 16 권제 1 호 Korean Energy Economic Review Volume 16, Number 1, March 2017 : pp. 95~118 학술 탄소은행제의가정용전력수요절감효과 분석 1) 2) 3) * ** *** 95

에너지경제연구제 16 권제 1 호 Korean Energy Economic Review Volume 16, Number 1, March 2017 : pp. 95~118 학술 탄소은행제의가정용전력수요절감효과 분석 1) 2) 3) * ** *** 95 에너지경제연구제 16 권제 1 호 Korean Energy Economic Review Volume 16, Number 1, March 2017 : pp. 95~118 학술 탄소은행제의가정용전력수요절감효과 분석 1) 2) 3) * ** *** 95 Intended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s 96 97 98 99 100 101

More information

<2D3828C8AE29B9DAC3B5B1D42E687770>

<2D3828C8AE29B9DAC3B5B1D42E687770> 부동산학연구 제16집 제1호, 2010. 3, pp. 131~146 Journal of the Korea Real Estate Analysts Association Vol.16, No.4, 2010. 3, pp. 131~146 주택시장 체감지표의 주택시장지표 예측력 분석 * 1) Analysis on the Predictive Power of the Housing

More information

Microsoft Word - 2016050910392308K_01_07.docx

Microsoft Word - 2016050910392308K_01_07.docx 국제유가 Update 올해 말 45달러 전망치 유지 최근 국제유가 상승의 원인 심혜진 Analyst hyejin.shim@samsung.com 2 7782 허진욱 Economist james_huh@samsung.com 2 7796 WTI기준 국제유가는 올해 2월 배럴당 26.2달러를 저점으로 5월 17일 48.3달러까지 8% 이상 상승했다. 지난 4월 17일

More information

¹ÙÀÌ¿À °æÁ¦½Ã´ë °úÇбâ¼ú Á¤Ã¥ÀÇÁ¦¿Í ´ëÀÀÀü·«---.PDF

¹ÙÀÌ¿À °æÁ¦½Ã´ë °úÇбâ¼ú Á¤Ã¥ÀÇÁ¦¿Í ´ëÀÀÀü·«---.PDF : : www.stepi.re.kr : : S&T Policy Agenda and Options for the BioEconomy 발 간 사 바이오 경제는 화학과 물리학이 주축이 되는 Physical Science의 한계로 지목되 고 있는 이른바 지속 가능성의 위기 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이며, Life Science의 이론적, 기술적 기반 위에서 성립하는

More information

<C1B6BBE7BFACB1B820323030342D303428B1E8BEF0BEC62920303128B8F1C2F7292E687770>

<C1B6BBE7BFACB1B820323030342D303428B1E8BEF0BEC62920303128B8F1C2F7292E687770> 조사연구 2004-05 장애인 공무원 직무특성과 고용실태 연구 연구자 : 김언아 (고용개발원 선임연구원) 머 리 말 장애인 공직임용 확대 사업은 2004년 2월 5일 청와대에서 개최된 제 37차 국 정과제회의 결과 여성, 지방대 출신의 공직 임용 확대와 더불어, 참여정부에서 중점 적으로 추진하고자 하는 국정개혁의 일부라고 할 수 있다. 그동안 노동부와 공단에

More information

<32303133B3E25FBBE7B8C1BFF8C0CEC5EBB0E85FB0E1B0FA5F76332DBCF6C1A42E687770>

<32303133B3E25FBBE7B8C1BFF8C0CEC5EBB0E85FB0E1B0FA5F76332DBCF6C1A42E687770> http://kostat.go.kr 2014. 9. 23.(화) 12:00부터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보도자료 배포일시 2014. 9. 23.(화) 09:30 담당부서 사회통계국 인구동향과 담 당 자 과 장 : 윤 연 옥 (042.481.2250) 사무관 : 송 준 행 (042.481.2251) 2013년 사망원인통계 통계청이 작성한 2013년 사망원인통계 는

More information

<BED6C7C3BCD2BDBA5F4B5350BBFDBBEABCBA31C0E5312D32302E70312E504446>

<BED6C7C3BCD2BDBA5F4B5350BBFDBBEABCBA31C0E5312D32302E70312E504446> 2011 ISBN 978-89-8063-572-6 94320 ISBN 978-89-8063-562-7 11-1051000-000135-01 Knowledge Sharing Program Preface Contents 4 16 18 19 22 25 25 34 37 37 37 38 39 40 40 43 70 73 73 78 82 82 84 90 93 95 95

More information

264 축되어 있으나, 과거의 경우 결측치가 있거나 폐기물 발생 량 집계방법이 용적기준에서 중량기준으로 변경되어 자료 를 활용하는데 제한이 있었다. 또한 1995년부터 쓰레기 종 량제가 도입되어 생활폐기물 발생량이 이를 기점으로 크 게 줄어들었다. 그러므로 1996년부

264 축되어 있으나, 과거의 경우 결측치가 있거나 폐기물 발생 량 집계방법이 용적기준에서 중량기준으로 변경되어 자료 를 활용하는데 제한이 있었다. 또한 1995년부터 쓰레기 종 량제가 도입되어 생활폐기물 발생량이 이를 기점으로 크 게 줄어들었다. 그러므로 1996년부 大 韓 環 境 工 學 會 誌 特 輯 - Special Feature - 263~268. 2008. 인구구조변화에 따른 생활폐기물 발생량 현황 및 전망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Status and Forecast of the Municipal Solid Waste Generation by the Change of Population Structure Sa-rah

More information

<C7D1B1B9B1B3C0B0B0B3B9DFBFF85FC7D1B1B9B1B3C0B05F3430B1C733C8A35FC5EBC7D5BABB28C3D6C1BE292DC7A5C1F6C6F7C7D42E687770>

<C7D1B1B9B1B3C0B0B0B3B9DFBFF85FC7D1B1B9B1B3C0B05F3430B1C733C8A35FC5EBC7D5BABB28C3D6C1BE292DC7A5C1F6C6F7C7D42E687770> 기혼 여성이 사이버대학에서 상담을 전공하면서 겪는 경험 방기연 (고려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학과 부교수) * 요 약 본 연구는 기혼 여성의 사이버대학 상담전공 학과 입학에서 졸업까지의 경험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다. 이를 위해 연구참여자 1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하고, 합의적 질적 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입학 전 에 연구참여자들은 고등교육의 기회를

More information

노인의학200303.PDF

노인의학200303.PDF Assisted Living 9,, ( ) ( ) 1. 6) 2. 5. 3. 1) 4. 2) 1) 6. : 2) 1) 3) 2) 4) 3) 5) 4) (1998) 21 2025 80 73.,. 1980..?,,.,.,, 130 ,,.,.,,,. (managed care),,,.,.,,,.,,,,.,.,,,,,.,..,. 131 1. 2010 - -,,,,,...,

More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