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탈냉전기냉전기원의새로운해석에관한연구 1) 김영호 ( 성신여대정치외교학과 ) I. 서론소련과동구권국가들의문서공개와더불어냉전연구는새로운국면을맞이하고있다. 2) 그동안냉전연구는공산권국가들의문서부재로인하여많은한계점을안고있었다. 이러한한계점에도불구하고기존연구들의의의가결코완전히부정될수는없을것이다. 기존냉전연구자들이제기한냉전과관련된여러가지질문들은냉전의현실을이해하는데여전히중요한단초를제공해주고있다. 따라서새로운냉전연구는새로운사료를통하여기존의쟁점들을재검토하는것으로부터시작하는것이바람직할것이다. 기존냉전해석의타당성여부를검토하고그것을바탕으로하여새로운질문들을제기하고검증함으로써냉전의현실에더욱더가까이접근해갈수있을것이다. 이글의목적은현재미국을중심으로하여활발하게전개되고있는냉전연구의새로운성과들을정리하고냉전과관련된기존의쟁점들을재조명하는것이다. 이글이추구하는목적들을달성하기위하여우선기존냉전연구의중요한쟁점들은어떤것들이있었는지를살펴볼필요가있다 (Gaddis 1983, 171-204; 하영선 1993, 1-30). 제2차세계대전직후스탈린이세계공산혁명의청사진을만들어놓고공산주의이념의확산을위해적극적인팽창정책을추구했느냐하는것이가장중요한쟁점의하나였다. 스탈린이혁명의청사진을갖고있었다고보는입장은전통주의 (traditionalism) 에의해대표된다. 전통주의는냉전은소련의팽창을미국이저지하기위하여봉쇄정책을추구하는과정에서발생했고, 냉전발생의일차적인책임은소련에게있다고주장한다. 소련체제의성격을대변하는이념이라는대내적요인에기인한소련의팽창정책이미국의대소봉쇄정책이라는대외적압력에의해차단되었고, 냉전의종식은미국의성공적인봉쇄와억지전략의결과라는것이전통주의의핵심적주장이다 ( 김영호 1998b, 246). 최근이러한주장은맥도날드 (Douglas J. Macdonald) 에의해다시제기되었는데, 그는이념에기초한소련의팽창정책은항상적 ( ) 이었기때문에냉전의원인과전개과정을이해하기위해서는소련의팽창에대응한미국의대응여부를살펴보는것이중요하다고주장한다 (Macdonald 1995/1996, 185). 예를들어미국의대응이미약하거나부재한곳에서는스탈린이분쟁을일으켰다는것이다. 따라서미국이소련의팽창정책에대항해서좀더일찍이적극적으로봉쇄정책을추구했다면동구권이소련의지배하로들어가는것은막을수있었을것이라고전통주의는주장한다. 전통주의적해석과는정반대로수정주의 (revisionism) 는제2차세계대전중소련이입은피해때문에소련의국력은미국에비해전반적으로열세에처해있었고소련은대외적팽창정책을추구할수없었다고주장한다 (Thompson 1981, 39-53). 예를들어제2차세계대전중미국은세계국민총생산의 50% 를점했고, 소련이핵무기실험에성공하는 1949년 8월까지핵무기를독점했다. 또 1947년현재세계철강생산량의비율을살펴보면미국이 54%, 소련이 12% 를각각차지하고
2 있고, 에너지소비량의경우미국이 49%, 소련이 12% 를차지하고있다 (Lebow 1994, 257). 이러한예들은국력지수의거의모든면에서미국이단지소련뿐만아니라지구상에존재하는여타의모든국가들에대해서압도적인힘의우위를지니고있었다는것을보여준다. 이러한근거에기초하여수정주의는미국에비해군사적, 경제적으로열세에처해있던소련이대외적팽창을추구할수없었다는사실을강조하고, 오히려미국자본을위한시장확보를위해미국이공격적으로나오고소련이이에대응함으로써냉전이발생했다고주장한다. 수정주의는스탈린이세계혁명을위한구체적청사진을갖고있었다는전통주의의주장을비판하는데는성공하고있지만, 전후미국의정책을소련의군사적위협에대한전략적요인보다는경제적요인으로설명함으로써뚜렷한한계점을노정시키고있다. 만약스탈린이청사진을만들어두고있지않았다면, 결국냉전은미국과소련쌍방의정책이상호작용하면서점진적으로확대되어가는과정을밟았다고볼수있을것이다. 당시급변하는상황에대한대응으로서스탈린의대외정책이결정되었다면, 구체적사건들이스탈린의정책결정에어떠한영향을주었는지를새로운자료들을동원하여검증하는것이중요한과제가될것이다. 또스탈린의정책에대해서미국이어떻게대응했는지를살펴봄으로써냉전의발생과전개과정에서분기점이된가장중요한사건들이무엇이었는지를설명할수있을것이다. 냉전의종식이후소련전문가들에의해발굴된새로운문서들은스탈린의정책을설명하고냉전의기원을이해하는데결정적인단초를제공해주고있는데, 이논문은이러한새로운사료들을기존냉전사연구의전체적인흐름과의관련하에서새롭게재해석하여탈냉전기냉전연구성과를설명하고자한다. 지금까지냉전의분기점이된사건들로서트루만독트린, 마샬플랜, 코민포름의결성, 한국전쟁등이다양하게거론되어왔다. 그러나최근까지소련과동구권의문서의부재로인하여이문제를해명하는데에는상당한어려움이있었던것이사실이다. 냉전을촉발시킨결정적인계기가된사건을새로운문서들을동원하여검증함으로써과연미국과소련중누구의정책이냉전발생에결정적인영향을끼쳤는지를알수있을것이다. 나아가냉전의분기점을이루는사건에대한규명은유럽에서전개된냉전대결의압도적인영향하에놓여있던한반도냉전전개과정을이해하는데에도결정적인단초를제공할것이다. 1947년 5월부터재개된제2차미소공동위원회는유럽에서의미소냉전대결의결과로교착상태에빠지고한반도의분단은기정사실화되었던것이다. 최근공개된소련문서에기초한냉전연구들은 1947년 6월 5일마샬 (George C. Marshall) 국무장관의하바드연설을계기로하여본격적으로추진된유럽경제부흥계획안 (European Recovery Program) 인마샬플랜 (Marshall Program) 이미소냉전대결의가장중요한분기점이었다는사실에거의일치된견해를보여주고있다 (Gaddis 1997, 31-36; Zubok 외 1996, 50-51; Mastny 1996, 27-28; Leffler 1996, 133; Parrish & Narinsky 1974, 1-51; Roberts 1994, 1371-1386 ; Djilas 1962, 127-128). 제2차세계대전기간중인 1943년부터시작된미국과영국과의협조체제를유지하고미국을자극하지않으려고노력해왔던스탈린은마샬플랜이소련체제를파괴하려는청사진을미국이갖고있다는사실을입증했다고믿고동구권국가들에대한지배를강화시키게된다. 이러한마샬플랜에대응하기위해서 1947년 9월스탈린은즈다노프로하여금양진영이론을제시하게하고코민포름을결성하여동구권국가들의결속을강화시키게된다. 그후미소양국이취한일련의정책들은냉전대결을심화시키는결과를가져왔다. 미국은서독지역을서구유럽경제권으로편입시키기위해단일통화를도입하게되고, 이에대응하여 1948년 6월소련은미국을베를린시로부터몰아내기위해베를린봉쇄를강행하게된다. 미국은약 1년에걸쳐공수작전을취함과동시에서독에서의단독정부수립과북대서양조약기구 (NATO) 의설립을추진하게된다. 결국유럽지역은미국과소련의세력권으로뚜렷하게양분됨으로써이지역에서의미소의냉전대결은일종의교착상태에빠지게된다.
3 우선이글은제2차세계대전중에작성된소련의전후전략적구상을보여주는문서들을통하여스탈린이과연세계공산혁명에대한청사진을갖고그러한목적을급격하게추진하려고했는가하는문제를검토하는것으로부터시작된다. 여기서스탈린은전후초기에는미국과서구와의협조체제를유지하고소련의경제복구를위해상당기간동안평화의시기가유지되기를원했다고주장한다. 다음으로이글은미국에의한마샬플랜의추구가미소냉전의가장중요한분기점이되었다고주장하고, 그이후미국과소련의정책이상호작용하면서점진적으로냉전이심화되어갔다는논지를경험적으로증명해나갈것이다. 결론적으로이글은미국인과소련인뿐만아니라인류전체에게엄청난고통과희생을가져온미소냉전대결은과연피할수없었던것인가하는문제를검토하고, 한반도의분단과냉전전개과정을이해하는데어떠한시사점을던지는지를살펴볼것이다. II. 스탈린의전후구상과유럽정책 냉전 (cold war) 개념은미소사이에실제적인전쟁인열전 (hot war) 은일어나지않았지만이열전만큼이나군사적이고이념적인측면에서격렬하게전개된세계적차원의미소대결을설명하기위하여미국의언론인리프만 (Walter Lippmann) 에의하여처음으로사용되기시작했다. 리프만은케난 (George F. Kennan) 이익명으로대소봉쇄전략을제시한논문을비판하기위하여 뉴욕헤럴드트리뷴 지에 12회에걸쳐연재된글들을단행본으로묶어내면서그책의제목을 냉전 으로정했는데, 그이후학계와언론계에서미소가대결하고있는국제정치현실을설명하기위하여냉전이라는용어가광범하게사용되기시작했다 (Lippmann 1947). 3) 미소냉전은제2차세계대전의산물이었다. 미소대결이본격적으로시작된시기를제2차세계대전보다훨씬더이전으로거슬러올라가서찾을수도있을것이다. 예들들어제1차세계대전중러시아에서볼셰비키혁명이성공한이후미국은소련영토내로직접수천명의군대를파견한적이있다. 1918년 3월소련이독일과브레스트-리토브스크 (Brest-Litovsk) 조약을단독으로체결하여연합국에서탈퇴하고, 그결과동부전선에배치된독일군 47개사단중많은병력이서부전선으로이동할것을우려하여미국은연합국들과함께소련영토내로군대를파견했다. 그러나이군대파견은소련대신에동부에서전선을유지하려는데에그주된목적이있었고, 소련에등장한사회주의국가를압살하려는서구국가들의일치된시도는아니었다 (Taubman 1982, 13-14). 볼셰비기혁명으로사회주의국가가등장한이후소련이갖고있는혁명적이데올로기때문에미국은소련의잠재적위협을우려했지만그당시소련은내전에휩싸여있었을뿐만아니라서구국가들에게직접적인위협을줄정도의군사력을보유하지도못했다. 그럼에도불구하고제1차세계대전이후성립된베르사이유체제는소련과독일사이에일종의벨트모양을한국가들을탄생시켰고, 이국가들은공산주의의서유럽으로의확산을막고소련을고립시키는방역지대 (cordon sanitaire) 의역할을하게된다 (Palmer & Colton 1992, 727). 북해로부터지중해까지연결된이벨트국가들에는핀란드,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폴란드, 체코슬로바키아, 유고슬라비아등이포함되어있었고, 이들은모두제1차세계대전이후독립을획득했다. 이들중앞의 5개국가와우크라이나는브레스트-리토브스크조약체결시소련이포기한영토였다. 그런데제2차세계대전의결과소련은강력한군대를이끌고베르사이유체제가만들어놓은벨트국가들을모두점령하고독일의일부마저점령함으로써서부유럽에대해직접적인군사적위협으로등장하기시작했다. 미소사이의이념의차이와이것에서오는대결의식이소련군사력의증가와더불어중앙정부가존재하지않는무정부적국제정치현실에서소련의힘에
4 대한두려움과결함되었을때미소냉전대결은비로소구체화되기시작했다 (Leffler 1994a, vii). 미국과소련이다른모든기존의강대국들을능가하는두초강대국으로등장했다는사실이이들사이의냉전대결을심화시키는또다른조건이되었다. 4) 제2차세계대전이후초강대국으로등장한미소는일종의안보딜레마 (security dilemma) 에빠져있었다. 국제정치에서특정국가가자신의안전을확보하기위해방어적목적으로어떤조치를취한다고하더라도, 다른국가들은그국가의그러한의도를그대로받아들일수없고오히려그러한조치가자신들의안전을위협하는것으로이해한다. 그결과다른국가들이대응조치를취함으로써특정국가의안보가오히려이전보다더위태롭게되는상황이유발되는데에서오는딜레마를설명하기위하여발전된개념이안보딜레마이다 (Thompson 1992, 88-89; 김영호 1999, 85). 이러한딜레마에처한미국과소련은상대국가의어떠한정책에대해서도불신을갖고서로대응함으로써미소냉전대결이심화되었다는주장이케난, 모겐소 (Hans J. Morgenthau), 리프만, 할레 (Louis Halle) 와같은현실주의국제정치이론가들에의해서제기되었다 (Rose 1994/1995, 90). 이들은냉전발발의책임을소련이나미국에게일방적으로전가하려는전통주의자들이나수정주의자들과는달리미소가처한딜레마를인정하고, 그러한한계내에서냉전발생원인을규명하고냉전대결의극단성을완화할수있는방법을모색하고자했다. 두초강대국의등장에의해국제정치질서가양극으로재편되고, 이과정에서미소가안보딜레마에빠졌다는현실주의자들의주장은냉전의배경적이고근원적인조건이무엇이었는지는설명하고, 소련이나미국어느한쪽에게만일방적으로냉전발생의책임을전가하려는전통주의와수정주의의냉전해석이지니고있는독선적 (self-righteous) 측면을비판함으로써냉전연구에지대한공헌을한것이사실이다. 그럼에도불구하고현실주의적냉전해석은미소냉전대결을촉발시키는계기가된구체적인사건들과직접적인원인들을설명하는데에는뚜렷한한계점을갖고있다. 또미소가처한안보딜레마의상황때문에양국의정책결정자들이항상최악의경우를상정하고정책을추진할수밖에없었다고하는것을무비판적으로받아들일경우우리는미국과소련국민은물론이고인류에게엄청한희생을강요한미국이나소련의냉전정책을정당화시켜주는잘못을범하게될것이다. 따라서우리는최근공개된소련문서들을통하여과연소련이세계공산혁명이라는청사진을갖고있었는지를검증하고, 이러한가정에기초하여냉전정책을입안하고추진한미국정책들이어느정도타당했는지를평가해보아야할것이다. 지금까지의냉전연구는주로공개된미국의문서들에기초하여이루어짐으로써냉전에대한객관적인평가가사실상매우어려웠다. 최근공개된소련문서들은제2차세계대전이후스탈린이어떠한전략적구상을갖고있었는지를구체적으로보여주고있다. 최근공개된스탈린에게제출된보고서들을통하여우리는소련의전후구상과대미관계설정에관한입장을알수있게되었다. 특히우리의주목을끄는것은주영국소련대사메이스키 (Ivan Maisky) 가스탈린에게보낸 1944년 1월 11일자전문이다 (Zubok & Pleshakov 1996, 29-30 ). 5) 이전문에서그는전후소련의전략적목적은유럽과아시아에있는국가들이연합하여소련
5 의안전을위협할수없을정도로강력한지위를확보하는것이라고지적하고, 소련이전쟁의상처를회복하고이러한전략적목적을달성하기위해서는약10년간의평화의기간이필요할것이라고지적했다. 또그는소련이히틀러와의조약과그이후획득한유럽지역의영토를공고히하고, 아시아에서는남부사할린과쿠릴열도를일본으로부터합병해야한다고주장했다. 특히유럽대륙에서는전후독일을완전히무력화시키고, 프랑스가강대국으로재부상하는것을저지하여소련이유라시아대륙에서유일한강대국이되어세력균형의조종자로서의역할을해야한다고메이스키는주장했다. 이러한전략적구도하에서소련이유럽대륙전체를사회주의화시켜이지역에서전쟁의가능성을제거하는데에는최소한 30년, 최대한 50년이소요될것으로보았다. 여기서우리는소련이전후에즉시유럽을공산화시켜야한다는청사진을갖고있지않았고, 철저하게현실주의적노선을견지하고있다는것을알수있다. 그의보고서에서이념이미국과영국의대외정책에관한소련의인식을왜곡시킨점이있다면, 그것은레닌의제국주의이론에따라서전후미국과영국사이에식민지와세계시장을두고분쟁의발생가능성을예상하고이분쟁의결과로영국마저도소련의동맹권으로흡수될가능성이있다고보고있다는데에서발견된다. 결론적으로메이스키는소련이전후미국과영국과의협조체제를유지하는것이소련의국가이익에부합된다고지적하고있다. 메이스키의보고서와관련하여한가지지적해두고싶은것은소련의정책결정자들이미국이제1차세계대전이후와같이제2차세계대전이후에도유럽에서손을떼고다시고립주의노선을채택할것을예상하고있다는점이다. 이점에서미국의대외정책에관한그들의판단은철저하게현실주의적이지못했다는것을우리는알수있다. 이러한사실은메이스키보고서보다약6개월전에씌어진맥킨더 (Halford J. Mackinder) 의주장을검토해보면더욱더분명하게드러난다. 제1차세계대전직전맥킨더는심장토 (heartland) 를점하고있는제정러시아가유라시아대륙전체를장악하지못하도록영국이경계해야한다고주장했다 (Mackinder 1904, 421-444). 영국이세계제국의지위를상실해가는것이분명해지는시점인제2차세계대전중그는제정러시아를대체한소련이유라시아대륙을장악하는것을막는것이미국의전후안보에긴요하다고보고, 미국이고립주의노선으로회귀할것이아니라유럽의세력균형을유지하는데적극적인정책을추구해야한다고주장했다 (Mackinder 1943, 598-605). 결국미국정책결정자들은맥킨더의주장을수용하게됨으로써유럽대륙에서소련이유일한강대국으로서이지역의세력균형의조종자가되어야한다는메이스키의정책은현실화되지못했다. 물론이것은소련이전후미국의대외정책에관해서중대한판단착오를했다는것을의미하지만, 여기서우리가놓쳐서안되는또다른중요한점은소련이전후유럽대륙에서이념적으로다른체제를가진미국과직접적인적대관계를예상하고있지않다는점이다. 외무장관자리를몰로토프 (V. M. Molotov) 에게물려준후스탈린에의해전후소련정책을입안하기위한위원회의책임자로임명된리트비노프 (M. Litvinov) 도 1944년 7월몰로토프에게제출한보고서에서전후소련에대항하기위한자본주의국가들의블록이등장한다고하더라도소련은서구의국가들과협조체제를지속하는것이소련의국가이익에부합된다고주장했다 (Zubok & Pleshakov 1996, 30). 리트비노프는소련의전후복구를위해서는상당한기간동안의평화가필요하다고주장하고, 유럽대륙에서영국과세력권분할에관한합의를도출하여소련의안전을확보할수있을것이라고판단했다. 이보고서역시메이스키와마찬가지로전후미국이고립주의노선으로회귀할것을예상하고있다는것을우리는알수있다. 특히독일의경우사회주의혁명이일어난다면소련에게는가장바람직한결과가되겠지만, 이것이현실화되지않는다고하더라도이념적열망을앞세워결코미국이나영국과독일문제를두고직접적으로충돌해서는안
6 된다고그는주장했다. 소련은미국과영국으로부터의자금지원과독일로부터의배상이전후복구를위해동원할수있는자원이라고판단했기때문에미국과영국과의기존협조체제를전후시기까지지속하는것이긴요하다고그는보았다. 메이스키와리트비노프의보고서들은몰로토프를거쳐스탈린에게모두직접보고되었고, 스탈린의전후구상은이보고서들의기조를크게벗어나지않았다. 스탈린은미국과영국과의협조체제를유지하고극도로국력이약화된국가들로구성된유럽대륙에서세력균형의조종자의역할을하면서유럽국가들내에서사회주의체제의성립을장기간에걸쳐도모한다는구상을갖고있었다 (Mastny 1996, 19-20). 이러한스탈린의구상은독일이항복하기이전에마지막으로열린전시회담인얄타회담에서구체적으로제시되었다 (Yergin 1990, 61-67). 얄타회담에서스탈린은독일을연합국 4대국이분할하여점령하자고제의했고, 미국이이안을받아들임으로써소련은본격적으로세력권을방역지대너머로확대할수있는계기를마련했다. 소련과폴란드의국경은쿠존선 (Cuzon Line) 으로정하고, 친서방적인폴란드런던망명정부 (London Poles) 가아니라소련이내세운루블린정부 (Lublin Government) 를중심으로여타의정파들이연합하여폴란드독립정부를수립한다는것이결정되었고, 그구체적인절차는미국, 영국, 소련의 3국외상회담에서결정하기로합의했다. 또이회담은 해방유럽에관한선언 (Declaration on Liberated Europe) 을루스벨트의제안에의해채택했는데, 이선언은 3국이새로해방된유럽의국가들에서민주적선거절차를거쳐독립국가를건설하는데협력하기로한합의문이었다. 냉전이본격화된이후미국내에서루즈벨트의대소화해노선에반대한세력들이이회담에서루즈벨트가스탈린에게동구지배를용인했다는식으로비판을가했지만, 그것은사실과다르다. 이회담에서스탈린은소련국경너머에사회주의체제를당장구축하고자하는안을갖고그것을구체적으로시행에옮긴것이아니라미국을포함한연합국들과의협조체제를유지하면서장기적으로유럽지배에유리한국제적조건을창출하려고시도했던것이다. 스탈린은이얄타회담을계기로하여소련이서방국가에의해국제적으로승인받는계기를마련했다고보고, 이회담의성과를소련외교의빛나는금자탑으로여겼다 (Zubok 1995/1996, 24). 얄타회담에서의합의에따라동독과베를린의일부를점령하게된소련은초기부터이지역을소비에트화하려고시도하지않았다. 당시소련공산당중앙위원회는서구와의국제적합의를무시하고일반적으로동독을공산화하는것은소련의국가이익에부합되지않는다고주장했다 (Naimark 1995, 345-346). 미국은서독과일본의점령에관한정책의대강을제시한구체적인정책지침서를갖고있었지만, 소련은초기에대동독점령정책에관한일관된입장을갖고있지못했다 (Naimark 1995, 10). 물론소련은독일을무장해제시키고 10억불에달하는배상금과첨단의군사과학기술을독일로부터확보하고소련의경제회복을위해루르지역의석탄을이용할수있어야한다는뚜렷한경제적목적들을갖고점령에임했지만, 동독의소비에트화와같은정치적목적은갖고있지않았다. 왜냐하면이러한정치적목적의추구는미국과직접적인충돌을유발할것이고, 그렇게될경우소련이추구한경제적목적들을달성하기가어렵게될것이기때문이다. 또 1947년 9월코민포름을결성했을때에도스탈린은독일문제를둘러싸고미국과마찰을피하기위해동독이코민포름에참여하지못하도록했다. 동독에대한스탈린의조심스러운정책에도불구하고동독의소비에트화를불가피하게만든것은바로소련점령정책의실패였다. 여기서우리는동독의정치적장래에관한정책적지침의부재를일상적인점령정책의부재와는혼돈해서는안될것이다. 뚜렷한정책적지침이상부로부터하달되지않았을경우소련점령군의행위는자신들이성장해온이념적, 문화적환경의절대적인영향을받을수밖에없었다. 점령초기전반적지침과통제의부재하에서소련군들이독일인에대해자행한약탈과강간과같은만행은소련체제의부정적인이념과문화가구체적으로표출된좋은예이다. 현재소련의점령정책에관한한연구에따르면강간당한동독여성의숫자는
7 약200만명에이르고있다 (Nimark 1995, 69-140). 유고의공산당지도자인질라스 (Milovan Djilas) 가스탈린에게소련군들의만행과그것이가져올부정적인정치적영향을지적했을때, 스탈린은소련군을너무이상적인군대로보지말라고하면서질라스의비판을일축하고있다 (Djilas 1962, 110). 결국소련정령군의만행으로인하여소련은동독주민들의지지를확보할수없었고, 이러한현실에직면하여스탈린이취할수있는유일한대안은강압적으로소련체제를동독에주입시키는것이었다. 미국과의냉전대결의심화가스탈린으로하여금동독과동구권국가들에대한소비에트화를강화시키는정책을유도했다는기존의주장과는달리, 최근공개된소련문서들은소련이이지역주민들로부터지지를확보하는데실패함으로써동구의소비에트화라는선택을스탈린이강요당했음을보여주고있다 (Mastny 1996, 24). 이러한스탈린의정책은단기적으로소련의안전을확보하는데기여했지만, 미국과서구국가들에게는소련에대한두려움을증폭시키고, 히틀러에대항하여엄청한희생을치른소련에대한서구인들의긍정적인이미지를완전히손상시키는결과를가져왔다. 결국전후동구권전체를소비에트화한다는뚜렷한청사진을갖고있지않았던스탈린은이지역주민들의지지를확보하는데실패함으로써소련체제를강제적으로주입시키지않을수없었다. 이렇게하여건설된소련제국은그통제와유지에과도한자원이소요됨으로써궁극적으로소련제국의멸망을촉진시키는결과를가져왔다. 제2차세계대전전후에스탈린이동구권을공산화하겠다는청사진을갖고있지않았다고하더라도, 이미소련군들이동구지역을군사적으로점령한상태에서스탈린이필요하다고판단될때에는언제든지소비에트체제를강요하는데에는그다지어려움이없었을것이다. 스탈린은유고공산당지도자인질라스와의회담에서군사력으로영토를점령한사람은누구든지자신의정치체제를강요할수있다고주장했다 (Djilas 1962, 114). 루즈벨트는사석에서소련은자신이군사력으로점령한지역에서미국과의협의없이도자신이원하는것을성취할수있다고말한것으로전해지고있다 (Yegrin 1990, 66). 사실소련이거대한군사력을이끌고동구를점령한상태에서이러한군사적힘의불균형상태를변화시키지않고단순히협정을통하여동구의공산화를저지시키는데에는명백한한계가있었을것이다. 그럼에도불구하고전후스탈린은동구에서급격한소비에트화정책을실행하는것은미국을자극하여기존의협조체제를파괴하는것이라고판단하고, 소련의경제복구를위한평화적국제환경을조성하려고노력했다. 그러나스탈린은미국이유럽의경제부흥을위해마샬플랜을추진하면서동구권국가들을서구의세력권으로유인하려고하자이에대응하여동구권의소비에트화를적극적으로추진하게된다. III. 미소냉전대결의분기점 : 마샬플랜전후서구와의협조체제를유지하고미국의경제적지원을통하여소련의경제복구를추진하려고했던스탈린은미국이서부유럽국가들과의합의하에마샬플랜을추진하자서구와의본격적인대결정책을추진하게되었고, 그결과미소사이의냉전대결은격화되기시작했다. 소련문서가공개되기이전의많은연구들은미국이영국을대신하여그리스와터키에 4억불을원조하기로한 1947년 3월 12일의트루만독트린이미소냉전의가장직접적이고중요한사건이었다고지적하고있다. 이독트린은미국이전시가아닌평시에서반구밖의국가를지원하고기존의고립주의노선을탈피하겠다는의사를명백히한미국외교에서혁명적선언이었다 (Ambrose 1990, 86). 그러나이선언은기존의연구들이주장한만큼의위기의식을스탈린에게불러일으키지않았던것으로최근공개된소련내부의문서들은보여주고있다 (Mastny 1996, 26). 우선그리스와터키는냉전의중심지가된유럽대륙의주변부에위치한국가들로서소련의안보에직접적인위협이되지않았다. 1946년스탈린은유고의티토가그리스내의게릴라들에대한지원을중지하도록지시했는데, 이것은소련의안보에결정적인중요성을갖지않은그리스
8 문제로인하여미국과영국과의불필요한마찰을피하기위한것으로이해될수있다 (Gaddis 1997, 40-41). 또스탈린은미국이지중해해상로의중심지인그리스의공산화를좌시하지않을것이라는사실을잘알고있었다. 나아가그는이선언이소련이이미군사적으로점령하고있던동구권에는적용되지않는다는사실을잘알고있었기때문에이선언을비난하는성명서를발표하는것이외에는구체적인조치들을취하지않았다. 트루만독트린에대한스탈린의이러한대응방식은마샬플랜이발표되었을때소련의군사적점령하에들어가있던동구권국가들이소련으로부터이탈하는것을막기위해코민포름을즉시결성한것과는좋은대조를이룬다. 이안을제안한당시미국무장관마샬의이름을따라서마샬플랜이라고흔히불리우는유럽경제부흥안은전후극심한경제위기에처해있던유럽국가들을지원하기위해미국이취한원조안이었다 (Kindleberger 1987; Hoffmann 외 1984). 유럽국가들은미국의요구에부응하여자발적으로자신들에대한지원요구액수를 280억로제시했고, 트루만행정부는미의회에 170억불을지원해줄것을요구했다. 미의회는 130억불의원조안을승인함으로써유럽경제부흥원조안은구체화되었다. 원래이안은 1947년 3월전후문제를처리하기위해모스크바에서열린삼상회의에참석하고돌아온마샬의제안에의해추진되었다. 유럽의경제위기가심화되고있음에도불구하고스탈린이동서독의경제적통합에반대하고독일에대해과도한보상을계속적으로요구하면서유럽문제해결을지연시키자, 이경제위기가서구유럽의공산화에유리한조건을제공할것을우려하여미국이먼저주도권을행사하여이위기를극복하지않으면안된다고마샬은보았다 (Leffler 1994b, 152-153). 미국은이원조안을제안하면서소련과동구권국가들을모두참가시키려는구상을갖고있었다. 영국과프랑스는마샬플랜을논의하기위해마련된 1947년 6월 27일의파리회담에소련의참여를권유했다 (Parrish & Narinsky 1994, 41-51). 6월 21일소련정치국중앙위원회는이회담에소련이참여할것을권고하고, 다음날폴란드, 체코, 유고주재소련대사들에게전문을보내이들국가들도마샬플랜에참여하는것을신중하게고려할것을지시하고있다. 애초에소련은마샬플랜을소련과동구의경제회복을위해미국으로부터자금지원을받을수있는좋은기회로판단했다. 또경제학자인바르가 (Y. Varga) 는 6월 24일몰로토프에게제출한보고서에서이안은잉여생산물을처리하지못해서심각한경제위기에처한미국이마지못해추구하고있는정책이라고말하고, 이회담에서미국에게최대한압력을가해서소련은정치적이득을얻어내야할것이라고주장했다. 그러나당시소련내부에서마샬플랜에관해부정적인견해가전혀없었던것은아니었다. 예를들어미국주재소련대사노비코프 (N. V. Novikov) 는 6월 24일몰로토프에게보낸전문에서마샬플랜은유럽국가들을하나의경제적단위체로묶어유럽에서미국의정책을관철시키고소련에대항하는데유리한환경을조성하기위한방편이라고주장했다. 파리회담에참석한몰로토프는노비코프가예상한대로미국이유럽에서단일한경제적단위체를형성하려는사실을알게되었다 (Parrish & Narinsky 1994, 41-51). 그러나소련은소련과동구권국가들의경제에대한미국의어떤형태의통제와지배를결코용납할수없었다. 1947년 7월 1 일파리에서스탈린에게보낸전문에서몰로토프는소련이영국과프랑스와함께마샬플랜에관하여합의점을도출하는것은불가능하게되었다고보고한후, 7월 2일파리회담에서일방적으로철수하게된다. 소련이마샬플랜에참여하기어려웠던또다른중요한이유는미국은이안을시행하면서독일이소련에게배상금을지불하지못하도록결정했기때문이다. 미국은이결정을영국정부에게미국무차관클레이턴 (William L. Clayton) 을통하여전달했는데, 소련은당시영국국무성내의첩보요원을통하여이내용을확인했고이정보는파리회담에참석하고있던몰로토프에게그로미코를통하여전달되었다. 소련은배상금문제를포함한독일문제는마샬플랜과는별도로얄타회담의합의에따라서 4대연합국이결정할문제라고주장했다. 결국미국은동서독지역의경제를빠른시일내에통합하기를원했지만소련의비협조로인하여그것을실현시키
9 기가어렵게되었다고판단되자, 얄타회담의합의를무시하고일방적으로마샬플랜을통하여서독지역만의경제적통합을통하여서부유럽의경제를부흥시키고자했다. 마샬의지시로유럽경제원조에관한정책을입안하는데주도적인역할을한미국무성정책기획실장케난 (George F. Kennan) 은유럽의위기는전쟁의결과로정치적, 경제적, 사회적기반이완전히붕괴되었기때문에발생했다고지적했다. 6) 그는이위기는전후유럽이미국과소련에의해분할점령되어동서로완전히양분됨으로써더욱더악화되었고, 공산주의자들은이러한위기를자신들에게유리한방향으로최대한역이용하고있다고지적했다. 이위기를이용하여공산주자들이유럽에서득세하게될경우미국의안보는심각한위협에직면할것이라고그는지적했다. 따라서유럽에서공산주의의위협에대처하기위해미국은유럽의경제를부흥시켜유럽사회의활력을되찾아줌으로써공산주의세력이성공할수있는토양을제거해야한다고케난은주장했다. 나아가그는미국이이러한기조위에서대유럽정책을결정한후이것을미국민들에게공개적으로발표하고미국민들의동의를구해야할것이라고지적했다. 결국국무장관마샬은 1947년 6월 5일하바드대학졸업식연설에서유럽경제부흥계획을발표하게된다. 미국은마샬플랜을시행하면서석탄, 철광석, 운송, 농업, 식량문제를다루기위한위원회들을구성하기로결정했다. 스탈린은이위원회를통하여미국이동국권국가들의내정에참여할수있는교두보를마련하고자시도했다고판단했다. 바로여기서스탈린은미국이마샬플랜을통하여전후동구권국가들로이루어진소련의세력권을파괴하려는청사진을구체화시켰다고판단했다. 몰로토프가파리회담에서일방적으로철수한후 1947년 7월 4일영국과프랑스가 7월 12일로예정된파리회담에유럽 22개국의참석을권유하는초청장을발송하자, 스탈린의위기의식은더욱더증폭되기시작했다 (Parrish & Narinsky 1994, 41-51). 7월 7일스탈린은모든동구권국가들에게파리회의에참석하지못하도록지시하고, 이미참여를선언한체코지도자들을모스크바로직접불러서회담을갖고파리회담참석선언을번복하도록지시했다. 결국소련과동구권의마샬플랜불참으로이안을실현하는데가장중요한장애물이제거됨으로써미국은서부유럽의사회경제적안정을도모하고서부유럽을미국의동맹권으로흡수할수있었다. 반면에소련은미국의마샬플랜이갖고있었던흡인력을차단시키고동구권에대한지배권을공고히하고소련제국을건설하기위한구체적인조치들을취하게된다. 결국마샬플랜은유럽이미국과소련의세력권으로양분되는직접적인계기가되었다. 마샬플랜을계기로하여스탈린은동구권을중심으로하는제국적질서를창출함으로써히틀러등장이후자신이추구해온소련의안보관을현실화시키게되었다. 원래스탈린은일국사회주의론을내세워권력을장악한후사회주의국제주의노선에입각하여유럽국가들에서자발적인사회주의혁명을유도하고이들이소련과자연스럽게연대하도록하는정책을견지했다. 베르사이유체제가만들어놓은방역지대너머에웅크리고앉아서제정러시아보다훨씬더축소된영토를지배하고있던스탈린이소련의안보를위해제국을건설하지않으면안된다는자신의구상을구체화시키게된계기는바로히틀러의등장이었다 (Mastny 1996, 15-16). 히틀러의위협에직면하여스탈린은방역지대너머에있는국가들에게직접적으로개입할수있는권리를갖는것이소련의안전을확보하는데필요하다고판단하고이러한권리를영국과프랑스에게요구했지만거절당한후 1939년 8월히틀러와의조약을통하여자신의요구를관철시킬수있었다. 소련은폴란드의동부지역을병합했고, 1940년에는라트비아, 리투아니아, 에스토니아발트 3국을합병함으로써비로소방역지대를넘어소련제국을확대할수있는발판을마련했다. 그러나스탈린은히틀러의침공을예상치못하고합병된지역의주민들을다른지역으로이동시키고소비에트체제를주입하는데열중하면서외적위협보다는내적으로체제의안전을도모하는데에열중했다. 1941년히틀러의예상치못한소련침공은소련이동구유럽지역을소
10 련세력권으로편입시켜이지역을일종의완충지대로확보하지못할경우소련의안보는보장될수없다는확신을스탈린에게심어주었다. 이미살펴본대로스탈린은전후제국적질서의건설을급격하게추진하려고하지않았다. 그는미국과영국과의협조체제를유지하면서소련경제를회복시키기위해일정기간동안평화의시기를확보하고자했다. 경제복구를위해서는독일의배상금과루르지역의석탄은소련에게매우중요한의미를갖고있었는데, 마샬플랜은이러한스탈린의전후구상을완전히무력화시키는것이었다. 트루만독트린을통하여미국이그리스와터키에지원한액수가 4억불인데반하여, 미의회가마샬플랜을위해승인한지원금은 130억불이었다. 스탈린은이처럼엄청난액수를유럽에지원하기로한미국의결의에서미국이제1차세계대전과는달리고립주의노선을채택하지않고유럽의세력균형을유지하기위해적극적으로개입하려는의사를확인했을것이다. 미국의개입정책은메이스키와리트비노프의보고서들의예상과는완전히다른정책노선이었던것이다. 결국스탈린은동구권을소련의세력권하에두기위해서당시가장활력에찬경제력을갖고있던미국의자본과시장의혜택을누릴수없게되었고, 동구를중심으로하는일종의자립경제체제를추구하지않을수없었다. 마샬플랜에대한스탈린의대응은이데올로기가스탈린의외교정책결정에어떻게반영되었는지를잘보여준다. 그는제2차세계대전이파시즘과자본주의국가들사이의전쟁이었다면, 전후에는자본주의국가들사이에시장과식민지를둘러싼전쟁이필연적이라고보았다. 그러나마샬플랜은서구자본주의국가들이공동으로협조체제를구성할수있다는것을보여줌으로써스탈린의예상은완전히빗나가게되었다 (Zubok & Pleshakov 1996, 50). 스탈린의예에서우리는이념이단순히이미결정된정책에정당성을부여하는기능만을하는것이아니라실제로이념이대외정책결정과정에중요한영향을끼쳤다는것을알수있다. 스탈린은사회주의이념때문에서구의대외정책노선에관한왜곡된인식을갖게되었고, 그것이가진문제점을자각하게되었을때스탈린은미국과서구를훨씬더위협적으로느끼게되었던것이다 (Leffler 1996, 133-134). 스탈린은미국과서구의위협에대처하고제국적질서하에서소련의안보를확보하기위해서 1947년 9월폴란드에서코민포름결성을위한회의를개최하게된다. 당시회의에참석한동구권국가들의지도자들은자본주의국가들에대항하기위한국제적조직체를결성할것이라는사실을전혀사전에통보받지못했다. 이회의에서즈다노프 (Andrei A. Zhdanov) 는세계가자본주의와사회주의두진영으로나누어졌고, 동구권국가들은사회주의진영에서서함께생존을위해싸워야할것이라고지적했다. 1943년서구와동맹하여히틀러에대항하기위해코민테른을해체시켰던스탈린은코민포름결성이전까지만하더라도동구권국가들이사회주의로이행해나가는과정에서다양한노선을채택할수있다는사실을인정하고있었다. 그러나코민포름의결성으로동구권내부에잔존해있던민족주의적이고부르조아적요소들은완전히제거되었고동구권국가들은소비에트화의길로들어서게되었다. 예를들어헝가리, 폴란드, 체코, 불가리아, 루마니아에서는일종의연합정부가들어서있었지만, 코민포름의결성이후소련은연합정권의존재를더이상용인하지않게된다 (Gaddis 1997, 38-39). 결국코민포름의결성은미국의주도하에이루어진마샬플랜에대응하여동구권국가들의이탈을방지하고소련제국건설을구체화시켜나가는계기가되었던것이다. 그후스탈린은 1948년 2월체코에서쿠테타를통하여소비에트정권을설립하고, 6월부터는베를린을소련과공동으로점령하고있던미국, 영국, 프랑스를서베를린으로부터몰아내기위해베를린봉쇄를강행하게된다. 그러나미국은 1년에걸친공수작전을통하여스탈린의봉쇄에적절하게대응함으로써스탈린의기도를좌절시키게된다. 유럽에서의스탈린의일련의강경정책은미국을더욱더자극했고, 미국은 1948년 7월마샬플랜을통한경제적협의체구성과는별도로군사동맹인북대서양조약기구 (NATO) 의결성을적극적으로추진하게된다. 구세계인유럽국가들
11 의전쟁에휘말려들지않도록평시에는유럽국가들과군사동맹을체결해서는안된다는미국의초대대통령와싱톤의이임사는고립주의의성전으로여겨져왔는데, 나토의결성은미국이이러한고립주의노선을완전히탈피했다는것을의미했다. 코민포름에동독의참여를금지시키는유화책과베를린봉쇄라는강공책을동시에구사하면서미국과독일문제의해결책을모색하던스탈린은 1949년 10월 5일동독에사회주의국가의등장을허용함으로써유럽은완전히미국과소련의세력권으로양분되었다. 미국은미소의세력권이만나는선을봉쇄선을설정하고유럽에서는이선을모든수단과방법을동원하여지키기위한봉쇄정책을추진하게된다. 이로써히틀러의항복이후유럽은미소의두세력권으로분할된이후일종의교착상태에빠지게된다. V. 결론유럽의강대국들이두번에걸친자멸적인전쟁을통하여유럽지역에서힘의공백상태가창출되었을때소련은거대한군사력을이끌고동구의국가들을점령했다. 그렇지만전후스탈린은세계혁명을급격하게추진하겠다는청사진을갖고있지않았고, 소련의전후경제복구를위해미국과의협조체제를유지하기를원했으며미국과의합의를준수하려고노력했다. 그러나미국은유럽의경제위기가매우심각하고소련이이러한상황을자신에게유리하게역이용하려고하고있다고판단하고마샬플랜을적극적으로추진하게된다. 그이후미소냉전은두국가쌍방의정책이상호작용하면서더욱더심화되면서확대되었다. 독일에서두분단국가의성립이후일종의고착상태에빠진유럽과는달리아시아에서는중국공산혁명의성공으로대단히유동적인상황이전개되자스탈린은김일성의무력통일론을역이용하여아시아의세력균형을공산세력에게급격하게유리한방향으로변화시키고미국과의냉전대결에서결정적인승기를잡기위해한국전쟁을승인하고지원하게된다 ( 김영호 1998a, 103-164). 한국전쟁이후미국은나토의군사력을강화시키고아시아국가들과도군사동맹을체결하고, 소련은바르샤바조약기구를창설함으로써미소냉전대결은세계적차원에서군사적대결의양상으로발전하게된다. 인류역사의어떠한사건들도필연적이라고할수없다고한다면냉전역시특정역사적상황에처한지도자들의정책적선택의결과라고할수있을것이다. 여기서우리는미소양국이정책적선택을달리했다면미국인과소련인뿐만아니라인류에게엄청난고통을가져온냉전대결은피할수도있지않았을까하는의문을갖지않을수없다. 설령냉전대결을피할수없다고하더라도냉전대결의극한성을완화시키고그대결을좀더빨리종식시킬수있는방법은없었는없었는가하는의문을에우리는또한갖게된다. 만약그러한기회가존재했다고한다면냉전초기와전개과정에서의구체적조건들중에서어떠한변화가실제냉전전개과정과는다른결과를가져왔을것인지를우리는생각해보아야할것이다 (Larson 1997, 2-3). 이미지적한바와같이미소가처한안보딜레마와같은조건은특정개인이나국가가완전히제거할수있는것은아니다. 그럼에도불구하고우리는안보딜레마가일종의배경적조건을구성했고, 냉전의직접적인계기는마샬플랜이나코민포름의결성등에서찾아진다는사실을지적했다. 따라서미소양국에게냉전의전개양상을바꿀수있는기회가없었던것은아니었을것이다. 냉전의종식이후우리가되돌아보는냉전과정은그보다훨씬더나은선택의여지가있었고, 최근공개된소련문서는미소가그러한대안적상황에대해서공통의이해관계를가지고있었던경우가있었다는것을보여준다. 그럼에도불구하고냉전초기에소련이이러한사실을효과적으로상호전달하고미국과의협조체제를발전시키지못했던이유는스탈린의안보에대한기대수준이너무나높았다는사실에서찾아질수있을것이다. 스탈린에게는개인의안전, 소련공산당의유지, 소련의국가안보가상호분리될수없었기때문에미국이어떠한정책을통하여스탈린의기대수준을충족시켜주는것은거의불가능했을것이다. 또스탈린은자신의기대수준을충족시키기위해제국적질서를창출하게되는데, 결국은동구권이소련제국의안전을위협하는
12 치명적인약점이되었다. 스탈린이후에등장한소련지도자들은스탈린이남겨둔이러한유산의부정적인영향으로부터벗어날수없었다. 소련과마찬가지로미국도전후일종의제국적질서를창출하고그동맹권내의국가들에게일종의위계질서를강요한측면이있었던것도사실이다. 그러나마샬플랜의수립과집행과정에서보는것처럼 초대받는제국 과강요된제국은실로엄청난차이가있었고, 결국냉전은소련과그제국의멸망으로끝나고말았다 (Lundestad 1990, 54-61). 마샬플랜에의해촉발된유럽에서의미소냉전대결은모스크바삼상회의의결정에의해한반도의분단문제를해결하기위해진행되고있던제2차미소공동위원회에서의한반도통일정부수립을위한미소합의에도부정적인영향을끼쳤다. 비밀회담형식으로진행되어오던미소공동위원회는 1947년 10월 18일제62차회의를마지막으로완전히교착상태에빠지게되고그이후한반도에서의미소합의는불가능하게된다. 유럽에서의냉전기원을밝혀주는새로운문서들의공개와더불어앞으로한반도와관련된스탈린의구체적정책적입장을이해하는데도움을주는문서들이공개된다면한반도에서의냉전기원과분단고착화의과정에관한연구는새로운국면을맞게될것이다. < 참고문헌 > 김영호. 1998a. 한국전쟁의기원과전개과정 : 스탈린과미국의롤백, 서울 : 두레.. 1998b. 동아시아와케난의딜레마, 한국과국제정치, 제14권, 2호.. 1999. 통일한국의패러다임 : 평화통일강대국론, 서울 : 풀빛. 하영선. 1993. 한국현대사의재조명 : 한국전쟁을중심으로, 논문집, 서울대학교부설국제문제연구소, 제17집. Chen, Jian. 1993. "The Sino-Soviet Alliance and China's Entry into the Korean War," Working Paper, Woodrow Wilson Center, Washington, D.C., No. 1. Djilas, Milovan. 1962. Conversations with Stalin, Michael B. Petrovich, trans. New York: Harcourt, Brace & World Inc. Gaddis, John L. 1974. "Was the Truman Doctrine a Real Turning Point?" Foreign Affairs, Vol. 52, No. 3 (January).. 1983. "The Emerging Post-Revisionist Synthesis on the Origins of the Cold War," Diplomatic History, Vol. 7, No. 3 (Summer).. 1997. We Now Know. Oxford: Clarendon Press. Hoffmann, Stanley and Maier, Charles, eds. 1984. The Marshall Plan: A Retrospective Boulder: Westview. Kennan, George F. 1967. Memoirs, 1925-1950. New York: Pantheon. Kindleberger, Charles P. 1987. Marshall Plan Days. Boston: Allen & Unwin Kennedy, Paul. 1987. The Rise and Fall of the Great Powers. New York: Random House. Larson, Deborah W. 1997. Anatomy of Mistrust: U.S.-Soviet Relations during the Cold War. Ithaca: Cornell University Press. Lebow, Richard Ned. 1994. "The Long Peace, the End of the Cold War, and the Failure of Realism," International Organization, Vol. 48, No. 2 (Spring). Leffler, Melvyn. 1994a. The Specter of Communism. New York: Hill & Wang.. 1994b. A Preponderance of Power: National Security the Truman Administration, and the Cold War.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13. 1996. "Inside Enemy Archives: the Cold War Reopended," Foreign Affairs, Vol. 75, No. 4 (July/August). Lippmann, Walter. 1947. The Cold War: A Study in U.S. Foreign Policy. New York: Harper & Brothers. Lundestad, Geir. 1990. The American "Empire" and Other Studies of US Foreign Policy in a Comparative Perspective.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Macdonald, Donald J. 1995/1996. "Communist Bloc Expansion in the Early Cold War: Challenging Realism, Refuting Revisionism," International Security, Vol. 20, No. 3 (Winter). Mackinder, Halford J. 1904. "The Geographical Pivot of History," Geographical Journal, Vol. XXIII, No. 4 (April).. 1943. "The Round World and the Winning of the Peace," Foreign Affairs, Vol. 21 (July). Mastny, Vojtech. 1996. The Cold War and Soviet Insecurity: the Stalin Year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Naimark, Norman M. 1994. "'To Know Everything and To Report Everything Worth Knowing': Building the East German Police State, 1945-1949," Working Paper, Woodrow Wilson Center, Washington, D.C., No. 10.. 1995. The Russians in Germany: A History of the Soviet Zone of Occupation, 1945-1949.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Nelson, Anna K. 1983. The State Department Policy Planning Staff Papers, 1947-1949, Vol. 1 New York: Garland Publishing. Parrish, Scott D. and Narinsky, Mikhail M. 1994. "New Evidence on the Soviet Rejection of the Marshall Plan, Two Reports," Working Paper, Woodrow Wilson Center, Washington, D.C., No. 9. Palmer, R. R. and Colton, Joel. 1992. A History of the Modern World Since 1815. New York: McGraw-Hill. Roberts, Geoffrey. 1994. "Moscow and the Marshall Plan: Politics, Ideology and the Onset of the Cold War, 1947," Europe-Asia Studies, Vol. 46. Rose, Gideon. 1994/1995. "The New Cold War Debate," National Interest, No. 38 (Winter). Taubman, William. 1982. Stalin's American Policy. New York: Norton. Thompson, Kenneth W. 1981. Cold War Theories: World Polarization, 1943-1953, Vol. I. Baton Rouge: Louisiana University Press.. 1992. Traditions and Values in Politics and Diplomacy. Baton Rouge: Louisiana Universty Press. Weathersby, Kathryn. 1993. "Soviet Aims in Korea and the Origins of the Korean War, 1945-1950: New Evidence From Russian Archives," Working Paper, Woodrow Wilson Center, Washington, D.C., No. 8. X[Kennan, George F]. 1947. "The Sources of Soviet Conduct," Foreign Affairs, Vol. 25, No. 4. Yergin, Daniel. 1990. Shattered Peace. New York: Penguin. Zubok, Vladislav. 1995/1996. "To Hell with Yalta" - Stalin Opts for a New Status Quo," Cold War International History Project Bulletin, Vols. 6-7 (Winter). and Pleshakov, Constantine. 1996. Inside the Kremlin's Cold War.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