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등록번호 11-1352159-000338-10 2015 만성질환 현황과이슈 만성질환 Factbook
이용자를 위하여 주요만성질환 Factbook 은우리나라만성질환의현황과이슈를분석하고이를보건의료정책및사업의효과적인수립및수행을위한참고자료로활용하기위하여작성되었다. 주요만성질환 Factbook 의내용은국가승인통계를중심으로작성되었고, 유관기관의공개자료, 보도자료및주요연구결과등을이용하여보완하였으며, 국제비교를위하여 OECD, WHO 등국제기구에서제공하는결과를사용하였다. 또한, 일부통계는질환분류, 연령구간등의차이를보완하기위하여기존결과를재가공하거나원시자료를이용하여분석하였다. 왜만성질환인가? 2011년 9월유엔총회고급회의의정치적선언을통해비감염성질환이더이상보건의료만의문제가아닌사회경제적발전을저해하는 21세기의주요개발의제로대두되었다. 전세계적으로만성질환은질병부담이높고, 경제적 생산성등사회발전에영향을미치는중대한요인이자사회적불평등을심화시키는요인이다. WHO는 비감염성질환에대한글로벌액션플랜 2013~2020 을수립, 만성질환으로인한조기사망률 25% 감소를목표로설정하여회원국대상국가단위정책수립및성과지표관리를촉구하고있다. 우리나라만성질환으로인한사망및질병부담이높아이에대한관리의지속 확대가필요한시점이다. 중점대상은무엇인가? WHO는전세계적으로질병부담이가장높은심뇌혈관질환, 당뇨병, 만성호흡기질환, 암의 4개질환을주요만성질환으로지정하고, 이를집중중재할것을권고하고있다. 아울러 4개주요만성질환의예방을위한생활습관위험요인및선행단계 ( 고위험군 ) 의예방중재필요성과대응가능한공통의전략을제시하였다. 주요만성질환 Factbook 은 4개의주요만성질환, 4개의선행단계 ( 고위험군 ), 4개의생활습관위험요인자료를바탕으로작성되었다. 생활습관위험요인 흡연 / 음주 / 나쁜식습관 / 신체활동부족 선행단계 고혈압 / 이상지질혈증 / 비만 / 당뇨병전단계 4 개주요만성질환 심뇌혈관질환 / 당뇨병 / 만성호흡기질환 / 암
주요만성질환의총괄적현황 주요만성질환별현황요약 1. 심뇌혈관질환 2. 당뇨병 3. 만성호흡기질환 4. 암 생활습관및질환별 Fact 1. 수명및사망 2. 생활습관 Fact 2-1 흡연 2-2 음주 2-3 신체활동 2-4 영양 2-5 건강생활실천과주요만성질환 3. 선행단계 Fact 3-1 소아청소년비만 3-2 성인비만 3-3 이상지질혈증 3-4 고혈압 4. 주요만성질환 Fact 4-1 천식 4-2 만성폐쇄성폐질환 4-3 당뇨병 4-4 심근경색, 뇌졸중 4-5 암 04 08 10 12 14 16 18 20 36 40 42 44 49 50 54 58 62 66 70 74 78 84 01 02 03
01 주요만성질환의총괄적현황
01 주요만성질환의총괄적현황 그간의만성질환예방관리정책 사업으로소기의성과관찰 주요만성질환으로인한표준화사망률지속적감소 * 표준화사망률 ( 인구 10만명 ) : 심뇌혈관질환 ( 00) 149.3명 ( 13) 75.9명, 당뇨병 ( 00) 27.3명 ( 13) 14.7명 효과적인보건정책을통해예방 치료할수있는회피가능사망률 01) 감소 * 인구 10만명당회피가능사망률 ( 00) 175.5명 ( 05) 157.9명 ( 10) 138.4명 건강증진에대한사회적분위기조성및국가적차원의조사 감시체계구축등만성질환예방관리사업기반구축측면의성과관찰 그림 1 주요사망원인연령표준화사망률추이 ( 단위 : 인구 10 만명, 연령표준화 ) 그림 2 회피가능사망률추이 (2000~2010) ( 단위 : 인구 10 만명당사망률 ) 1) 160.0 140.0 200 175.5 120.0 악성신생물 ( 암 ) 150 157.9 138.4 100.0 80.0 60.0 심뇌혈관질환 100 99.5 100.6 93.7 88.3 84.5 75.8 40.0 당뇨병 고의적자해 ( 자살 ) 50 20.0 0.0 호흡기계통질환신경계통의질환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0 00년 05년 10년 00년 05년 10년 00년 05년 회피가능치료가능예방가능 10 년 [ 자료원 ] 통계청, 사망원인통계 [ 자료원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소기의성과에도불구, 여전히만성질환의질병부담이높은상황 만성질환으로인한사망은전체사망의 81% 를차지하며, 사망원인상위 10 위중 7 개가만성질환 그림 3 우리나라사망구성비 ( 단위 :%) 손상 12% 감염성질환 7% 기타 30% 암 35% 만성하기도질환 5% 당뇨병 3% 표1 우리나라사망구성비 ( 단위 : 인구 10만명당사망률 ) 순위 사망원인 사망자수 ( 명 ) 구성비 (%) 사망률 (10만명당 ) 1 악성신생물 ( 암 ) 75,334 28.3 149.0 2 뇌혈관질환 25,447 9.6 50.3 3 심장질환 25,365 9.5 50.2 4 고의적자해 ( 자살 ) 14,427 5.4 28.5 5 당뇨병 10,888 4.1 21.5 6 폐렴 10,809 4.1 21.4 비감염성질환 81% 순환기계질환 27% 7 만성하기도질환 7,074 2.7 14.0 8 간질환 6,665 2.5 13.2 사망원인구성비 (2013) 비감염성질환구성비 (2013) [ 자료원 ] 통계청, 사망원인통계 9 운수사고 6,028 2.3 11.9 10 고혈압성질환 4,732 1.8 9.4 [ 자료원 ] 통계청, 사망원인 2013 01) 회피가능사망 (Avoidable Mortality) : 예방가능사망 (Preventable Mortality), 치료가능사망 (Amenable Mortality) 로구분 - ( 예방가능사망 ) 보건정책중재에의해예방할수있는사망 - ( 치료가능사망 ) 조기검진, 시의적절한치료등과같은양질의보건의료중재를통해피할수있는사망 [ 자료원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우리나라의회피가능사망분석 6 총론 : 주요만성질환의총괄적현황
국제적비교시만성질환의사망및회피가능사망률이여전히높음 - 당뇨병, 뇌혈관질환으로인한사망률은 OECD 평균보다높음 * OECD 주요국가중당뇨병 5위, 급성심근경색 31위, 뇌혈관질환 10위, COPD 26위 - 회피예방가능사망률은 38.8% 로, 그중에서도치료가능사망보다예방가능사망이영국등에비해 10.8%p 높아예방분야의취약성존재 그림4 주요만성질환 OECD 사망률비교 ( 단위 : 인구 10 만명당명표준화사망률 ) 그림5 우리나라의회피가능사망분석 ( 국제비교 ) ( ( 단위 :%) 급성심근경색 40.0 38.8 만성폐쇄성폐질환 28.8 47.8 28.7 19.2 22.8 68.1 76.5 뇌혈관질환 30.0 20.0 14.8%p 높음 24.0 14.4 13.5 10.8%p 높음 28.6 17.8 32.3 10.0 당뇨병 0.0 회피가능 치료가능 예방가능 OECD 평균 우리나라 한국 영국 [ 자료원 ] 통계청, 사망원인 2013 [ 자료원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만성질환자는지속적으로증가하여사회경제적부담을증가시킴 비감염성질환진료비가 38 조원으로전체진료비의 80% 차지 단일질환기준조기사망에따른손실수명년수 (YLL) 의가장큰원인은뇌졸중이며, 전체 YLL 의 50% 는 4 개의주요만성질환인심뇌혈관질환, 당뇨병, 만성호흡기질환, 암에기인 ( 세계질병부담 2010, WHO) 재난적의료비발생가구중고혈압 당뇨환자를가진가구비율은 32% * 재난적의료비 : 소득대비의료비지출비중이 10% 이상인경우 ( 한국개발연구원, 2013) 노인인구증가로인해만성질환부담이지속적으로증가할전망 14 년 65 세이상노인인구분율 12.7%, 30 년에는 25% 로증가 ( 통계청 ) 노인의료비는 18 조원으로전체의 35.5% 차지 ( 건강보험통계연보, 2013) 10~ 20 년사이에만성질환으로인한사망이전세계적으로 15% 증가할전망 (WHO) Factbook 7
02 주요만성질환별현황요약
01 심뇌혈관질환심장질환의사망률지속적증가원인이되는생활습관요인및선행질환관리저조 심뇌혈관질환사망은연간 50,803 명, 전체사망의약 20% 심장질환사망률은최근 10 년간지속적으로상승하였으며, 뇌혈관질환은사망률은감소하였으나, 여전히 OECD 평균을상회 * ( 13년인구십만명당사망률 / 사망자수 ) 심장질환 50.2/25,358명, 뇌혈관질환 50.3/25,445명 순환기계질환진료비는 6조 1천억원으로암진료비 4조 1천억원보다높음 그림 6 심뇌혈관질환사망률 OECD 국가간 (09~12) 비교 ( 단위 :10 만명당표준화율 ) 그림 7 비감염성질환진료비구성 80 60 68.1 76.5 62.9 67.5 60.6 암 10.7% 당뇨병 3.5% 40 47.8 40.8 43.3 기타 68.7% 순환기계질환 15.7% 20 28.7 21.7 만성하기도질환 1.5% 0 0ECD 평균한국핀란드일본미국 급성심근경색 뇌혈관질환 암 : 4조 1천억 당뇨병 : 1조 3천억 순환기계질환 : 6조 1천억 만성하기도질환 : 5천억 [ 자료원 ] OECD Health statistics [ 자료원 ]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통계 심뇌혈관질환발생에영향을미치는생활습관요인은전반적으로악화 현재흡연자 850 만명, 성인남성흡연율은여전히 40% 이상 고위험음주자 2) 440 만명, 성인 35.8% 월 1 회이상폭음 성인의신체활동실천율꾸준히감소, 에너지 지방과잉섭취자증가 그림 8 생활습관요인추이 ( 단위 :%, 연령표준화 ) 그림 9 연령대별지방, 나트륨과잉섭취 ( 단위 :%) 60 50 40 30 20 10 0 07년대비 13년신체활동 7%p감소 54.7 중등도이상신체활동실천율 47.2 25.3 현재흡연율 24.1 에너지과잉섭취자 9%p증가 21.6 12.5 12.5 12.5 고위험음주율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100 80 60 40 20 0 85.1 87.1 80.6 82.1 77.6 경제활동연령의나트륨섭취가높음 63.5 47.2 38.6 25.2 18.7 연령이어릴수록지방섭취가높음 10.6 5.3 19~29세 30~39세 40~49세 50~59세 60~69세 70세 + 중등도이상신체활동실천율에너지과잉섭취자분율 현재흡연율고위험음주율 지방과잉섭취자분율 나트륨과잉섭취자분율 [ 자료원 ] 질병관리본부, 국민건강영양조사 [ 자료원 ] 질병관리본부, 국민건강영양조사 2) 고위험음주자 : 1 회평균음주량이 7 잔이상 ( 여자 5 잔 ) 이며주 2 회이상음주하는분율 10 각질환별주요 Fact 요약
이환경로에서선행질환이미치는영향이크나적정관리는저조 ( 고혈압 ) 고혈압환자 900 만명, 유병률 27.3% - 인지율 62.6%, 치료율 58.6%, 조절률 ( 유병자중 ) 40.6% ( 고콜레스테롤혈증 ) 고콜레스테롤혈증환자 430 만명, 유병률 14.9% - 인지율 55.9%, 치료율 40.5%, 조절률 ( 유병자중 ) 33.8% 에불과 * 인지율 : 유병자중진단자, 치료율 : 유병자중약물복용자, 조절률 : 유병자중혈압 140/90mmHg, 총콜레스테롤 200mg/dL - 고콜레스테롤혈증유병률빠르게증가, 치료율 조절률은 30~40% 수준 그림 10 고혈압, 고콜레스테롤혈증유병률 ( 단위 :%, 연령표준화 ) 그림 11 고혈압, 고콜레스테롤혈증치료율 조절률 ( 단위 :%, 연령표준화 ) 40 70 30 20 10 28.0 8.0 24.6 26.3 26.4 10.7 10.9 11.5 26.9 28.5 29.0 27.3 13.5 13.8 14.5 14.9 60 50 40 30 20 59.2 57.6 58.6 40.5 35.0 26.4 41.4 19.9 40.5 40.6 28.1 33.8 0 2005 05 년대비 13 년 6.9%p 증가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10 0 치료율 '07~'09년 '10~'12년 조절률 13년 '07~'09년 '10~'12년 13년 고혈압 고콜레스테롤혈증 고혈압 고콜레스테롤혈증 [ 자료원 ] 질병관리본부, 국민건강영양조사 [ 자료원 ] 질병관리본부, 국민건강영양조사 증상시작후병원도착까지의시간지연이문제이며, 후유증으로인한사망률및재발률증가 ( 심근경색 ) 발병 병원도착시간은 12 년기준 140 분 ( 뇌졸중 ) 발병 병원도착시간은 11 년기준 204 분, 권장시간인 3 시간내에도착하는경우는전체환자중 50% 미만 뇌혈관질환후유증으로인한사망률증가 ( 00)63.4/ 백만명 ( 13)138.1/ 백만명 * 허혈성심질환환자 4명중 1명은재발 ( 심평원, 07) 그림 12 증상발현후병원도착까지소요시간 ( 단위 : 분 ) 그림 13 뇌혈관질환후유증으로인한사망자수 ( 단위 : 명 ) 300 10,000 9,494 9,287 200 148 140 243 204 권장시간 3 시간 9,000 8,000 7,000 6,000 5,000 6,725 6,810 7,130 6,280 6,255 6,028 4,407 8,510 8,358 7,606 7,594 100 권장시간 2 시간 4,000 3,000 2,434 2,000 0 2011 2012 급성심근경색 2011 2012 급성기뇌졸증 1,000 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 자료원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적정성평가결과 [ 자료원 ] 통계청, 사망원인통계 Factbook 11
02 당뇨병당뇨병환자및고위험군증가, 혈당조절률과합병증관리시급 당뇨병사망연간 1 만명 ( 사망원인 5 위 ), 당뇨병환자 320 만명 당뇨병으로인한사망률은 32.3/10 만명, OECD 34 개국중 5 위 * OECD 평균 22.8/10만명 당뇨병유병률은증가하였으며, 특히남자에게서증가양상뚜렷 그림 14 당뇨병사망률국제비교 ( 단위 :10 만명당, 연령표준화 ) 그림 15 당뇨병유병률증가추이 ( 단위 :%, 연령표준화 ) 50 46.4 15 12.8 40 30 32.3 10 11.0 9.1 22.8 OECD 국가중 5 위 23.2 20 5 10 7.5 7.4 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 연도 ) 0 0ECD 평균한국핀란드일본미국터키 전체남자여자 [ 자료원 ] OECD Health Statistics [ 자료원 ] 질병관리본부, 국민건강영양조사 당뇨병으로의이행가능성이높은당뇨병고위험군증가 약 660 만명, 성인 4 명중 1 명이당뇨병전단계인공복혈당장애 비만은당뇨병의위험을두배이상높이는주요위험요인이나, 성인 1,300 만명이비만이며, 특히남자에게서높음 소아 청소년비만유병자의경우이미공복혈당이높아져있어당뇨병전단계또는당뇨병으로이행중인상황 그림 16 성인비만 / 고도비만유병률추이 ( 단위 :%, 연령표준화 ) 그림 17 소아 / 청소년비만여부별공복혈당 ( 단위 :%) 40.0 30.0 20.0 37.6 35.8 31.8 31.3 31.8 29.2 27.4 26.0 25.1 공복혈당 (mg/dl) 93 92 91 90.5 90 92.5 90.1 10.0 3.1 4.0 4.8 5.3 3.0 3.3 3.8 4.2 4.1 89 88 88.5 0.0 2001 2009 2013 2001 2009 2013 비만유병률 고도비만유병률 87 86 정상체중 비만 정상체중 비만 [ 자료원 ] 질병관리본부, 국민건강영양조사 전체 남자 여자 [ 자료원 ] 질병관리본부, 국민건강영양조사 6~11 세 12~18 세 12 각질환별주요 Fact 요약
임신중당뇨병진료환자는분만여성중 10.5% 로빠르게증가, 최근 5 년간연평균 26.7% 증가 * 임신성당뇨병 : 당뇨병이없던사람이임신 20주이후당뇨병이처음진단되는사례로임신중의생리학적변화와연관. 이후 2형당뇨병발병의위험이높음. 임신성당뇨병환자의 10% 는출산이후에바로 2형당뇨병으로이행되며, 출산후 5년내에는절반이상에서 2형당뇨병발생 그림 18 임신중당뇨병진료환자증가추이 ( 단위 : 천명 ) 그림 19 임신중당뇨병진료비증가추이 ( 단위 : 억원 ) 임신중당뇨병진료환자 50 40 38 44 40 35 30 '07 년대비 '11 년 15 억원증가 29 34 30 22 26 25 20 19 20 23 20 17 15 10 연평균증가율 26.7% 10 5 0 2007 년 2008 년 2009 년 2010 년 2011 년 0 2007 년 2008 년 2009 년 2010 년 2011 년 [ 자료원 ] 국민건강보험공단, 청구자료분석 [ 자료원 ] 국민건강보험공단, 청구자료분석 당뇨환자는혈당조절률이낮으므로, 합병증과동반질환관리가시급 인지율 치료율은 60~70% 수준이나혈당조절률 ( 당화혈색소 <6.5) 은 30% 미만 - 생활습관개선 동반질환관리를통한혈당조절개선이필요한상황 합병증검사율이낮아합병증에대한조기발견및적정관리지원시급 - 지질검사시행률 72.2%, 안저검사시행률은 41.8% 로합병증검사시행률이전반적으로낮음 그림 20 당뇨병인지율 / 치료율 / 조절률추이 ( 단위 :%) 그림 21 합병증검사율추이 ( 단위 :%) 100.0 100 80.0 60.0 40.0 20.0 68.3 49.0 23.0 22.0 72.6 57.5 29.4 24.6 72.7 63.9 28.6 25.0 74.3 65.9 22.1 16.3 80 60 40 69.0 73.2 75.1 48.8 53.0 72.2 40.1 41.6 41.8 0.0 2005 2007~2009 2010~2012 2013 20 인지율 치료율 조절율 ( 유병자 ) 조절율 ( 치료자 ) 0 11년 12년 13년 11년 12년 13년 11년 12년 13년 당화혈색소검사지질검사안저검사 [ 자료원 ] 질병관리본부, 국민건강영양조사 [ 자료원 ] 국민건강보험공단, 당뇨병적정성평가 Factbook 13
03 만성호흡기질환 COPD 인지율이낮고, 진단및치료의적정성은저조 만성하기도질환사망은연간 8 천명, 40 세이상만성폐쇄성폐질환자약 330 만명 (COPD) 40 세이상성인남자의약 20% 가만성폐쇄성폐질환자 - 11 년기준전세계사망원인 4 위, 30 년에는사망원인 3 위가될것으로전망 ( 천식 ) 소아 청소년의천식유병률모두꾸준히증가하고있고, 6~7 세소아 10%, 65 세이상노인천식의유병률또한약 7.0% 그림 22 전세계주요사망원인 ( 단위 :10 만명당, 연령표준화 ) 그림 23 만성호흡기질환유병률추이 ( 단위 :%) 2011 년 2030 년 30 101.2 허혈성심장질환 1 위 허혈성심장질환 111.6 COPD 유병률 (40+ 연령표준화 ) 천식유병률 90.0 뇌졸중 2위뇌졸중 103.6 20 19.4 21.2 20.7 남자 46.2 하기도감염 3 위 만성폐쇄성폐질환 55.1 만성폐쇄성 42.8 4위하기도감염 42.7 폐질환 10 12.4 6.7 12.8 6.0 12.8 6.1 전체 여자 7.7 2.7 9.1 5.3 6~7세 10 7.5 13~14세 150.0 100.0 50.0 0.0 50.0 100.0 150.0 0 제 4 기제 5 기제 6 기 1995 년 2000 년 2010 년 [ 자료원 ] WHO Global Health Estimates [ 자료원 ] 질병관리본부, 국민건강영양조사, ISAAC 조사 질환발병및악화의주요인자인흡연율감소추이정체 * 흡연은 COPD의가장강력한위험요인으로흡연으로인해 70 80% 의 COPD 발생 성인남자흡연율은여전히 40% 이상, 30~50대남자현재흡연자중 90% 이상은매일흡연자 만성호흡기질환자는금연이필수임에도불구, COPD 환자 5 명중 1 명, 천식환자 5 명중 1 명은흡연자 그림 24 흡연율추이 ( 단위 :%, 연령표준화 ) 그림 25 질환여부별흡연율 ( 단위 :%) 60 45.0 47.7 46.9 48.3 47.3 43.7 42.1 25 20 21.5 22.5 40 25.3 27.7 27.2 27.5 27.0 25.8 24.1 15 12.9 20 10 5.3 7.4 7.1 6.3 6.8 7.9 6.2 5 0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남여전체남자여자 0 폐기능정상 COPD 유병자천식유병자 [ 자료원 ] 질병관리본부, 국민건강영양조사 [ 자료원 ] 질병관리본부, 국민건강영양조사 14 각질환별주요 Fact 요약
COPD 환자가본인의질환을인지하고있는경우는 3% 수준 높은유병률에도불구하고주요만성질환중인지도가가장낮음 COPD 는초기단계라고해도이미폐기능저하가진행되어입원및사망률이높아져있는상황으로적극적인조기진단이필요 - 국내 COPD 환자의 94% 는 GOLD 1, 2 단계환자로조기진단 관리시급 그림 26 주요만성질환유병률 미인지율 ( 단위 :%) 그림 27 COPD 단계별입원및사망률 ( 단위 :%) 100 80 97.1 60 GOLD 1, 2 단계 94.7% 국내 COPD 유병자 GOLD 3, 4 단계 5.3% 53.1 60 50.7 40 35.9 33.3 40 20 30.4 34.1 26.9 11.9 15.9 13.5 20 6.4 1.4 3.8 17.0 8.9 10.6 8.5 8.2 20.1 0 고혈압당뇨병고콜레스테롤혈증 COPD 0 GOLD 1 단계 GOLD 2 단계 GOLD 3 단계 GOLD 4 단계 유병률 [ 자료원 ] 질병관리본부, 국민건강영양조사 미인지율 급성악화 입원 사망 [ 자료원 ] Lange et. al. AJRCCM 2012;186:975 [ 국내현황 ] 국민건강영양조사분석결과 진단및치료의적정제공율이낮고, 필수서비스는부족 COPD 로의료를이용한환자의 67.6% 는진단필수검사인폐기능검사미실시 흡입용스테로이드를처방받은천식환자비율은 25.4% 로낮음 * 흡입스테로이드처방률 25.4%, 경구용스테로이드처방률 93.4% 천식은대표적인외래민감성질환임에도불구하고, 천식으로인한입원율은 102.8/10만명으로 OECD 평균의 2배 * 외래민감성질환 (Ambulatory Care Sensitive Condition, ACSC) : 적절한외래기반의관리로병원입원의필요를예방하거나줄일수있는질환. 예. 천식, 당뇨병, COPD 등 호흡재활서비스를제공하는상급종합병원은 25% 에불과 그림 28 OECD COPD 입원율 (2009~2012) ( 단위 :10 만명당표준화율 ) 그림 29 OECD 천식입원율 (2009~2012) ( 단위 :10 만명당표준화율 ) 240 200 196.6 220.2 226.1 120 100 102.8 117.0 160 OECD 11 위 143.4 80 OECD 3 위 67.8 120 60 47.4 80 40 34.7 40 23.5 20 0 OECD 평균 한국일본핀란드미국 0 OECD 평균 한국일본핀란드미국 [ 자료원 ] OECD Health Statiscics [ 자료원 ] OECD Health Statiscics Factbook 15
04 암 전체사망중 1 위, 암발생자수 암유병자수 암생존율증가 암으로인한사망이전체사망 1 위, 진료비 4 조 1 천억 남자의인구 10 만명당사망률이 186.2 명으로여자 111.8 명에비해높음 1~9 세및 40 세이상에서 1 위, 30 대에서 2 위, 10 대 ~20 대에서 3 위 암으로인한진료비가 08 년 2 조 8 천억원에서 13 년 4 조 1 천억원으로증가 2012 년암발생자는 224,177 명으로 2011 년 220,265 명대비 1.8% 증가 12 년신규암환자수는남자 112,385 명, 여자 111,792 명으로총 224,177 명임 12 년모든암의조발생률은인구 10 만명당 445.3 명, 2000 년주민등록연앙인구로보정한연령표준화발생률은인구 10 만명당 319.5 명임 * 성별조발생률 : 남자 446.2명, 여자 444.4명, 성별연령표준화발생률 : 남자 337.2명, 여자 321.3명 세계표준인구로보정한우리나라의연령표준화발생률은인구 10만명당 294.3명으로 OECD 평균 (271.5명) 보다는높음 * 미국 (318.0명), 호주 (323.0명) 보다는낮음 그림 30 암발생률국제비교 ( 단위 : 인구 10 만명당 ) 남 국가 ( 남녀전체 ) 여 257.8 터키 (205.1) 2) 161.6 260.4 일본 (217.1) 2) 185.7 296.8 307.7 312.9 320.8 326.4 347.0 스웨덴 (270.0) 2) OECD 평균 (271.5) 2) 이탈리아 (278.6) 2) 캐나다 (295.7) 2) 한국 (299.0) 2) 미국 (318.0) 2) 248.7 245.0 255.2 277.4 290.1 297.4 385.3 프랑스 (324.6) 2) 276.7 320.1 뉴질랜드 (295.0) 2) 274.3 373.9 호주 (323.0) 2) 278.6 400 300 200 100 0 0 100 200 300 400 ( 명 ) [ 자료원 ] 국립암센터, 암등록통계 1) 국제비교를위해세계표준인구를이용하여산출한열령표준화발생율로우리나라 2000 년표준인구를이용하여산출한수치와다름 2) 국제암연구소에서 2007 년까지의암등록자료를이용하여추정한 2012 암발생율 (GLOBOCAN 2012, IARC, 2013) 3) 한국 : 2012 년암발생자료 (2014 년발표 ) 16 각질환별주요 Fact 요약
그림 31 암연도별표준화발생률 ( 단위 : 인구 10 만명당 ) 400 350 300 250 200 150 100 50 291.9 219.9 173.3 337.2 319.5 321.3 0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 연도 ) 남여전체남자여자 [ 자료원 ] 국립암센터, 암등록통계 1999 년부터 2012 년까지암유병자 3) 는총 1,234,879 명 99 년부터 12 년까지암치료를받고있거나암치료후생존해있는암유병자수는 1,234,879 명으로 12 년전체인구 41 명당 1 명임 * 전체인구대비 2.5%, 남자 2.2%, 여자 2.7% 2008~2012 년발생한암환자의 5 년상대생존율 4) 은 68.1% 로 2001~2005 년 53.8% 보다 14.3%p 향상 2008~2012 년암발생자의 5 년상대생존율은 68.1% 로, 최초암진단이후 3 명중 2 명이 5 년이상생존할것으로추정 3) 1999 년 1 월 1 일부터 2012 년 12 월 31 일까지암을진단받은환자중에서 2013 년 1 월 1 일을기준으로생존해있는암환자 4) 관심질병을가진환자의관찰생존율을동일한성별, 연령군을가지는일반인구의기대생존율로나누어구한값으로암이외의원인으로사망했을경우의효과를보정해준생존율을의미한다. Factbook 17
03 생활습관및질환별 FACT
01 수명및사망 평균수명 우리나라국민의평균수명은 2013 년기준 81.9 세 ( 남자 78.5 세, 여자 85.1 세 ) 이며, 2000 년이후 6 세 ( 연평균 0.46 세 ) 증가하였다. 질병이나손상이없이건강한상태로살수있는건강수명은 2012 년기준 73.0 세로생존기간중 8.4 년 ( 생존기간의 10%) 을앓다가사망한다. 65 세이상노인인구는약 6 백만명으로인구전체에서 12.2% 를차지하며, 2030 년에는 24.3% 로 12 백만명에이를것으로추산된다. 05) 표 1 우리나라평균수명및건강수명, 노인구성비 (2000~2013) 연도 평균수명 ( 세 ) 건강수명 ( 세 )* 전체남자여자전체남자여자 평균수명건강수명차이 노인구성비 (%) 2000 76.0 72.3 79.6 66.0 63.2 68.8 10.0 7.2 2001 76.5 72.8 80.0 - - - - 7.6 2002 77.0 73.4 80.5 68.0 65.1 71.0 9.0 7.9 2003 77.4 73.9 80.8 - - - - 8.3 2004 78.0 74.5 81.4 - - - - 8.7 2005 78.6 75.1 81.9 - - - - 9.1 2006 79.2 75.7 82.4 - - - - 9.5 2007 79.6 76.1 82.7 71.0 68.0 74.0 8.6 9.9 2008 80.1 76.5 83.3 - - - - 10.3 2009 80.6 77.0 83.8 - - - - 10.7 2010 80.8 77.2 84.1 - - - - 11.0 2011 81.2 77.7 84.5 - - - - 11.4 2012 81.4 78.0 84.6 73.0 - - 8.4 11.8 2013 81.9 78.5 85.1 - - - - 12.2 [ 자료원 ] 통계청, 생명표, 추계인구 ( 중위가정 ) * 건강수명 : WHO, http://www.who.int/gho/publications/world_health_statistics/en/ [ 참고 ] 일본평균수명 83.2 세, 건강수명 75.0 세 (2012 년 ) 05) 통계청, KOSIS 인구추계 20 생활습관및질환별 Fact
사망률및사망자수 2013 년기준연간 26 만명 (1 일평균 729 명 ) 이사망하였고, 70 세이상연령층이전체사망자의 65% 를차지했다. 2000 년 ~2013 년사이모든연령에서사망률은지속적으로감소하였으며, 특히 0~29 세연령층의사망률은 45% 감소하였다. 2000 년 ~2013 년사이연령표준화사망률은 40% 감소하였으며, 이와같은추세가지속될경우평균수명도지속적으로증가할전망이다. 표 2 우리나라사망률및사망자수 (2000~2013) 연도 사망자수 ( 명 ) 조사망률 (10 만명당 ) 전체 0~29 세 30~69 세 70 세 + 전체 0~29 세 30~69 세 70 세 + 연령표준화사망률 2000 246,147 13,296 108,436 124,415 517.8 59.9 464.2 6325.2 615.4 2001 241,506 11,996 105,650 123,860 504.4 54.9 440.7 6033.1 582.8 2002 245,297 10,731 105,074 129,492 509.7 50.1 428.1 6018.8 569.8 2003 244,486 10,491 104,604 129,391 506.1 50.0 417.6 5714.7 544.7 2004 244,208 9,090 102,920 132,198 503.7 44.2 403.4 5522.6 523.0 2005 243,875 8,611 99,734 135,530 500.9 42.6 384.5 5319.4 500.9 2006 242,257 7,780 95,813 138,664 495.5 39.2 364.0 5113.1 476.6 2007 244,867 8,206 94,393 142,268 498.4 42.0 353.5 4942.5 459.3 2008 246,106 7,888 93,426 144,792 498.1 40.9 345.1 4740.6 438.9 2009 246,894 7,769 93,243 145,882 497.2 41.0 339.7 4489.3 420.5 2010 255,333 7,380 92,924 155,029 511.9 39.7 333.5 4501.5 414.3 2011 257,378 6,944 90,784 159,650 513.6 38.1 321.2 4385.8 398.4 2012 267,172 6,268 88,428 172,476 530.7 35.1 309.2 4442.2 392.2 2013 266,221 5,766 86,993 173,462 526.6 32.9 301.0 4220.2 372.0 [ 자료원 ] 통계청, 사망원인 * 국외거주자, 연령미상제외 Factbook 21
01 수명및사망 사망원인 2013 년기준 10 대사망원인은암, 뇌혈관질환, 심장질환, 고의적자해 ( 자살 ), 당뇨병, 폐렴, 만성하기도질환, 간질환, 운수사고, 고혈압성질환이었다. - 연령별사망원인순위 1 위는 10~30 대는고의적자해이고, 40 대이상은암이었다. 표3 우리나라사망원인순위 (2013) 순위 사망원인 사망자수 ( 명 ) 구성비 (%) 사망률 (10만명당 ) 1 악성신생물 ( 암 ) 75,334 28.3 149.0 2 뇌혈관질환 25,447 9.6 50.3 3 심장질환 25,365 9.5 50.2 4 고의적자해 ( 자살 ) 14,427 5.4 28.5 5 당뇨병 10,888 4.1 21.5 6 폐렴 10,809 4.1 21.4 7 만성하기도질환 7,074 2.7 14.0 8 간질환 6,665 2.5 13.2 9 운수사고 6,028 2.3 11.9 10 고혈압성질환 4,732 1.8 9.4 [ 자료원 ] 통계청, 사망원인 표 4 연령별 3 대사망원인구성비및사망률 (2013) 연령 ( 세 ) [ 자료원 ] 통계청, 사망원인 사망원인구성비 (%) 1 위 2 위 3 위 사망률 (10 만명당 ) 사망원인구성비 (%) 사망률 (10 만명당 ) 사망원인구성비 (%) 사망률 (10 만명당 ) 1~9 악성신생물 17.0 2.4 운수사고 14.8 2.1 선천기형 9.1 1.3 10~19 고의적자해 28.4 4.9 운수사고 19.1 3.3 악성신생물 15.7 2.7 20~29 고의적자해 42.6 18.0 운수사고 16.9 7.2 악성신생물 11.2 4.7 30~39 고의적자해 36.3 28.4 악성신생물 19.7 15.4 운수사고 8.2 6.4 40~49 악성신생물 28.8 50.3 고의적자해 18.8 32.7 간질환 8.3 14.6 50~59 악성신생물 38.3 146.3 고의적자해 10.0 38.1 심장질환 7.5 28.7 60~69 악성신생물 44.0 361.5 심장질환 8.1 66.2 뇌혈관질환 7.7 63.1 70~79 악성신생물 34.4 852.2 뇌혈관질환 11.2 277.4 심장질환 9.7 239.9 80 세 + 악성신생물 16.6 1477.6 심장질환 11.5 1026.8 뇌혈관질환 11.4 1018.5 22 생활습관및질환별 Fact
비감염성질환 (NCD) 으로인한사망이 81% 를차지하였고, 손상 ( 사고, 자해, 가해 ) 이 12%, 감염성질환및모성사망등이 7% 였다. - 비감염성질환중에서는암 (35%), 순환기계질환 (27%), 당뇨병 (5%), 만성하기도질환 (3%) 등 4 대만성질환이 70%( 총사망자의 57%) 를차지했다. - 최근감염성질환구성비의증가는폐렴으로인한사망의증가에서기인하였다. 그림 32 사망원인구성비 (2013) / 비감염성질환구성비 (2013) ( 단위 : 사망률 ) 손상 12% 감염성질환 7% 기타 30% 암 35% 비감염성질환 81% 만성하기도질환 5% 당뇨병 3% 순환기계질환 27% 사망원인구성비 (2013) 비감염성질환구성비 (2013) 감염성질환및모성사망등 : 특정감염성및기생충성질환 (A00-B99), 수막염, 뇌염, 척수염및뇌척수염 (G00, G03, G04), 인플루엔자 (J09-J11), 폐렴 (J12-J18), 임신출산및산후기 (O00-O99), 출생전후기에기원한특정병태 (P00-P96), 영양실조및기타영양결핍증 (E40-E64) 비감염성질환 : 암 (C00-C97), 순환기계통질환 (I00-I99, 심뇌혈관질환 ), 당뇨병 (E10-E14), 만성하기도질환 (J40-J47) 등감염성질환과손상을제외한나머지사망 손상 : 질병이환및사망의외인 (V01-Y89) 표5 사망원인별사망자수및구성비추이 (2000~2013) 사망자수 ( 명 ) 사망구성비 (%) 연도 비감염성질환 (NCD) 감염성질환 손상 감염성질환 손상 비감염성질환 (NCD) 계 암 순환기계질환 당뇨병 만성하기도질환 2000 13,188 28,799 204,176 57,725 58,329 10,720 7,957 5% 12% 83% 2001 12,024 28,632 200,865 58,857 57,626 11,379 9,101 5% 12% 83% 2002 11,221 28,762 205,334 62,598 61,301 12,065 10,880 5% 12% 84% 2003 10,770 31,456 202,280 63,352 60,004 12,077 9,204 4% 13% 83% 2004 10,923 30,476 202,818 64,315 58,128 11,730 8,367 4% 12% 83% 2005 11,526 30,864 201,493 65,117 56,266 11,776 7,549 5% 13% 83% 2006 11,719 29,504 201,043 65,519 56,093 11,564 7,061 5% 12% 83% 2007 11,747 30,137 202,990 67,561 57,574 11,272 7,523 5% 12% 83% 2008 12,776 30,475 202,862 68,912 55,460 10,234 7,338 5% 12% 82% 2009 14,059 32,661 200,222 69,779 54,249 9,757 6,914 6% 13% 81% 2010 15,897 32,644 206,864 72,048 56,119 10,349 7,092 6% 13% 81% 2011 17,101 32,445 207,850 71,579 56,878 10,775 6,959 7% 13% 81% 2012 19,144 31,153 216,924 73,759 85,960 11,557 7,831 7% 12% 81% 2013 19,128 31,015 216,114 75,334 57,182 10,888 7,074 7% 12% 81% [ 자료원 ] 통계청, 사망원인 * 국외거주자, 연령미상제외 Factbook 23
01 수명및사망 사망률추이 ( 연령표준화사망률 ) 2000 년 ~2013 년사이알츠하이머병 ( 치매 ), 파킨슨병등신경계통의질환과고의적자해 ( 자살 ) 가가장크게증가하였다. 악성신생물 ( 암 ) 로인한조사망률은인구고령화의영향으로증가하였으나, 연령표준화사망률은감소하였다. 심뇌혈관질환, 특히뇌혈관질환으로인한사망률이크게감소하였다. 그러나뇌혈관질환으로인한사망은여전히높고후유증으로인한사망은증가하였다. 당뇨병으로인한조사망률의감소는둔화한데비해표준화사망률은크게감소하였다. 만성하기도질환과운수사고는뚜렷하게감소하였다. 그림( 단위 33 : 사망률 주요 ) 사망원인연령표준화사망률추이 (2000~2013) ( 단위 :10 만명당 ( 명 )) 160.0 140.0 120.0 약성신생물 ( 암 ) 100.0 80.0 심뇌혈관질환 60.0 40.0 20.0 당뇨병 호흡기계질환 00년 05년 10년 고의적자해 ( 자살 ) 0.0 2000 년 신경계통질환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그림 34 주요사망원인사망률변동 (2000~2013) 223.3% 92.4% 109.6% 72.1% 22.7% -7.8% -4.5% -3.9% 악성신생물 ( 암 ) -24.9% 심뇌혈관질환 당뇨병 호흡기계통의질환 신경계통의질환 고의적자해 ( 자살 ) -49.1% -46.3% -49.2% 조사망률변동률 표준화사망률변동률 24 생활습관및질환별 Fact
표 6 우리나라사망자수및사망률변화 (2000~2013) 사망원인 사망자수 ( 명 ) 조사망률 (10 만명당 ) 표준화사망률 (10 만명당 ) 2000 년 2013 년 2000 년 2013 년 2000 년 2013 년 악성신생물 ( 암 ) 57,723 75,333 121.4 149.0 144.0 108.2 폐암 11,540 17,165 24.3 34.0 29.2 24.0 위암 11,502 9,180 24.2 18.2 28.8 13.2 간암 10,040 11,404 21.1 22.6 24.8 16.8 대장암 4,200 8,270 8.8 16.4 10.6 11.6 유방암 1,169 2,244 2.5 4.4 2.8 3.6 순환기계질환 ( 심뇌혈관질환 ) 58,328 57,172 122.7 113.1 149.3 75.9 심장질환 18,165 25,358 38.2 50.2 46.0 34.1 허혈성심장질환 10,159 13,569 21.4 26.8 25.8 18.2 급성심근경색증 8,139 9,554 17.1 18.9 20.6 12.8 만성허혈성심장병 1,055 2,827 2.2 5.6 2.7 3.8 기타허혈성심장질환 965 1,188 2.0 2.3 2.5 1.6 기타심장질환 8,006 11,789 16.8 23.3 20.2 15.9 뇌혈관질환 34,754 25,445 73.1 50.3 89.3 33.8 뇌내출혈 10,695 6,710 22.5 13.3 26.8 9.6 뇌경색증 7,357 7,558 15.5 14.9 19.1 9.6 기타뇌혈관질환 16,702 11,177 35.1 22.1 43.4 14.5 고혈압성질환 4,219 4,731 8.9 9.4 11.0 5.9 당뇨병 10,720 10,888 22.6 21.5 27.3 14.7 만성하기도질환 7,957 7,072 16.7 14.0 20.8 9.0 만성및명시되지않은기관지염 757 306 1.6 0.6 2.0 0.4 폐기종 164 174 0.3 0.3 0.4 0.2 만성폐쇄성폐질환 3,165 4,878 6.7 9.6 8.3 6.2 천식 3,731 1,523 7.8 3.0 9.7 1.9 신경계통의질환 ( 알츠하이머등 ) 2,851 9,813 6.0 19.4 6.7 13.0 고의적자해 ( 자살 ) 6,444 14,426 13.6 28.5 14.6 25.1 운수사고 12,048 6,028 25.3 11.9 27.0 10.1 [ 자료원 ] 통계청, 사망원인 * 국외거주자, 연령미상제외 Factbook 25
01 수명및사망 OECD 국가사망률비교 OECD 34 개국중당뇨병 5 위, 뇌혈관질환 10 위를차지하고있다. [ 자료원 ] OECD.STAT, Health Status Data(2014.9. 추출 ), Statistics and Indicators for 34 countries 그림 35 OECD 당뇨병표준화사망률 (2010~2012 중최신 ) 160.0 140.0 120.0 100.0 80.0 60.0 40.0 20.0 0.0 일본 핀란드 그리스에스토니아 영국아이슬란드룩셈부르크슬로베니아 벨기에노르웨이 스위스 프랑스슬로바키아아일랜드 네덜란드스웨덴 스페인 폴란드 호주뉴질랜드 체코 캐나다 덴마크 독일 미국이탈리아 헝가리오스트리아 칠레 한국포르투갈이스라엘 터키 멕시코 그림 36 OECD 뇌혈관질환표준화사망률 (2010~2012 중최신 ) 160.0 140.0 120.0 100.0 80.0 60.0 40.0 20.0 0.0 캐나다 프랑스 스위스 미국이스라엘네덜란드 스페인오스트리아 호주 독일룩셈부르크 덴마크 벨기에노르웨이 스웨덴멕시코 아이슬란드아일랜드 일본뉴질랜드 핀란드 영국에스토니아이탈리아 한국 칠레슬로베니아 폴란드포르투갈 터키 체코 그리스 헝가리슬로바키아 [ 자료원 ] 통계청, OECD Health Statistics 26 생활습관및질환별 Fact
한국인질병부담 ( 국내 ) 한국인의질병부담을전반적으로조명한연구는장애보정손실년수 (DALY) 를기준으로 2002 년, 2007 년 2 차례에걸쳐시행되었고 2012 년연구는미공표상태 - 질병분류, 발생률추정방법, 장애가중치등방법론적차이로인해비교가능성제한 표7 질병부담 (DALY) 10대만성질환 ( 한국남성 ) The estimation result of 2002 The estimation result of 2007 Diabetes mellitus (E10-E14) 1,020 Cirrhosis of the liver (K70, K74) 1,113 Cerebrovascular disease (i60-i69) 973 Cerebrovascular disease (I60-I69) 1,112 Cirrhosis of the liver (K70, K74) 671 Diabetes mellitus (E10-E14) 1,091 Asthma (J45,J46) 663 Ischemic heart disease (I20-I25) 990 Ischemic heart disease (I20-I25) 601 Asthma (J45,J46) 609 Peptic ulcer disease (K25-K27) 559 Liver cancer (C22) 551 Liver cancer (C22) 467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J40-J44) 550 Trachea, bronchus and lung cancers (C33-C34) 378 Stomach cancer (C16) 481 Stomach cancer (C16) 368 Hypertensive heart disease (I10-I13) 453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J40-J44) 270 Peptic ulcer disease (K25-K27) 202 [ 자료원 ] 질병관리본부학술연구용역 표8 질병부담 (DALY) 10대만성질환 ( 한국여성 ) The estimation result of 2002 The estimation result of 2007 Diabetes mellitus (E10-E14) 919 Cerabrovascular disease (I60-I69) 730 Cerebrovascular disease (i60-i69) 900 Diabetes mellitus (E10-E14) 708 Peptic ulcer disease (K25-K27) 794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J40-J44) 476 Asthma (J45,J46) 755 Ischemic heart disease (I20-I25) 432 Rheumatoid arthritis (M05,M06) 531 Asthma (J45,J46) 398 Unipolar depressive disorder (F32) 447 Schizophrenia (F20-F29) 373 Ischemic heart disease (I20-I25) 444 Hypertensive heart dise ase (I10-I13) 362 Osteoarthritis (M15-M19) 243 Epilepsy (G40-G41) 300 Skin disease (L00-L99) 221 Colon and rectum cancers (C18-C21) 254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J40-J44) 214 Breast cancer (C50) 240 [ 자료원 ] 질병관리본부학술연구용역 Factbook 27
01 수명및사망 ( 국제 ) 미국워싱턴대학교건강영향측정평가연구소 (Institute for Health Metrics and Evaluation, IHME) 는세계보건기구 (WHO) 와 2010 년세계질병부담보고서발간 * 291가지질병및부상, 67가지위험요소, 1160가지후유증, 21개지역, 20개연령그룹, 187개국가를대상 우리나라조기사망의주요원인은뇌졸중, 자해 (self-harm), 허혈성심장질환이며, 1990 년에비해자해가가장크게증가 그림 37 우리나라조기사망으로인한질병부담 (Years of Life Lost, WHO) # YLLs in thousands (% of total) Rank and disorder 1990 Rank and disorder 2010 1.048 (15.9%) 1 Stroke 1 Stroke 671 (12.6%) -41 572 (8.7%) 2 Road injury 2 Self-harm 425 (8.0%) 143 549 (8.4%) 3 Ischemic heart disease 3 Ischemic heart disease 338 (6.4%) -40 414 (6.3%) 4 Cirrhosis 4 Liver cancer 342 (6.4%) 17 414 (6.3%) 5 Stomach cancer 5 Stomach cancer 329 (6.2%) -19 285 (4.3%) 6 Liver cancer 6 Lung cancer 313 (5.9%) 98 234 (3.9%) 7 Self-harm 7 Cirrhosis 263 (4.9%) -41 197 (3.0%) 8 Congenital anomalies 8 Road injury 249 (4.7%) -58 178 (2.7%) 9 Tuberculosis 9 Diabetes 222 (4.2%) 66 175 (2.7%) 10 Lung cancer 10 Colorectal cancer 163 (3.1%) 196 138 (2.1%) 11 Lower respiratory infections 11 Lower respiratory infections 110 (2.1%) -20 139 (2.1%) 12 Diabetes 12 COPD 99 (1.9%) 33 117 (1.8%) 13 Drowning 13 Pancreatic cancer 88 (1.7%) 100 117 (1.8%) 14 Mechanical forces 14 Falls 83 (1.6%) -16 100 (1.5%) 15 Falls 15 Alzheimers disease 70 (1.3%) 172 94 (1.4%) 16 Leukemia 16 Gallbladder cancer 68 (1.3%) 46 74 (1.1%) 17 COPD 17 Chronic kidney disease 64 (1.2%) 46 69 (1.1%) 18 Asthma 18 Tuberculosis 62 (1.2%) -66 62 (1.0%) 19 Hypertensive heart disease 19 Leukemia 59 (1.1%) -39 70 (1.1%) 20 Poisonings 20 Hypertensive heart disease 57 (1.1%) -11 61 (0.9%) 21 Colorectal cancer 21 Breast cancer 57 (1.1%) 116 59 (0.9%) 22 Other cardio & circulatory 22 Congenital anomalies 45 (0.8%) -80 52 (0.8%) 23 Peptic ulcer 23 Esophageal cancer 44 (0.8%) -17 47 (0.7%) 24 Chronic kidney disease 24 Drowning 42 (0.8%) -66 48 (0.7%) 25 Esophageal cancer 25 Brain cancer 26 Gallbladder cancer 28 Pancreatic cancer 32 Brain cancer 36 Breast cancer 39 Alzheimers disease Ranks for top 25 causes of YLLs 1990~2010, South Korea 27 Asthma 31 Other cardio & circulatory 33 Mechanical forces 51 Peptic ulcer 59 Poisonings # YLLs in thousands (% of total) % change 39 (0.7%) 8 28 생활습관및질환별 Fact
장애를유발하는주요원인은요통, 목의통증, 근골격계장애, 주요우울장애 (major depressive disorder), 불안장애 (anxiety disorders) 그림 38 상병으로인한질병부담 (Years lived with disability, WHO) 500,000 400,000 300,000 200,000 100,000 0 South Korea YLDs by cause and age 2010 0~6 days 7~27 days 28~364 days 1~4 years 5~9 years 10~14 years 15~19 years 20~24 years 25~29 years 30~34 years 35~39 years 40~44 years 45~49 years 50~54 years 55~59 years 60~64 years 65~69 years 70~74 years 75~79 years 80+ years 조기사망과장애부담을합산한장애보정손실년수 (DALY) 가가장큰질환은뇌혈관질환, 요통, 당뇨병이며, 질병부담에영향을주는 3 대위험요인은영양, 음주, 흡연 그림 39 우리나라질병부담 (Disability adjusted life years, WHO) Dietary risks Alcohol use Smoking High blood pressure High fasting plasma glucose High body-mass index Physical inactivity Ambient PM pollution Occupational risks Drug use High total cholesterol Intimate partner violence Lead Childhood sexual abuse Low bone mineral density War & disaster Intentional injuries Unintentional injuries transport injuries Other non-communicable Musculoskeletal disorders Diabetes/urogen/blood/endo Mental & behavioral disorders Neurological disorders Digestive diseases Cirrhosis Chronic respiratory diseases Cardio & circulatory diseases Cancer Burden of disease attributable to 15 leading risk factors in 2010, expressed as a percentage of South Korea DALYs -1 0 1 2 3 4 5 6 7 8 9 10 11 12 % DALYs attributable to risk factors. Other communicable Nutritional deficiencies Neonatal disorders Maternal disorders NTD & malaria Diarrhea/LRI/other infectious HIV/AIDS & tuberculosis War & disaster Intentional injuries Unintentional injuries Transport injuries Other non-communicable Musculoskeletal disorders Diabetes/urogen/blood/endo Mental & behavioral disorders Neurological disorders Digestive diseases Cirrhosis Chronic respiratory diseases Cardio & circulatory diseases Cancer Other communicable Nutritional deficiencies Neonatal disorders Maternal disorders NTD & malaria Diarrhea/LRI/other infectious HIV/AIDS & tuberculosis Factbook 29
01 수명및사망 의료보장인구 2013 년기준의료보장적용인구는 5,145 만명이며, 건강보험인구 4,999 만명, 의료급여인구 146 만명 (2.8%), 의료급여비율은지속적감소 (2006 년 183 만명, 3.7%) 건강보험적용인구중직장적용인구는 3,501 만명 (70%), 지역적용인구는 1,498 만명 (30%) 이며, 직장적용인구비율지속적증가 (2006 년직장 60%, 지역 40%) 표 9 연도별의료보장적용인구 ( 단위 : 천명 ) 구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의료보장 49,238 49,672 50,001 50,291 50,581 50,909 51,169 51,448 건강보험 47,410 47,820 48,160 48,614 48,907 49,299 49,662 49,990 소계 28,445 29,424 30,417 31,413 32,384 33,257 34,106 35,006 직장 지역 가입자 10,415 11,175 11,616 12,146 12,764 13,397 13,991 14,606 피부양자 18,030 18,250 18,800 19,267 19,620 19,860 20,115 20,400 부양률 ( 명 ) 1.73 1.63 1.62 1.59 1.54 1.48 1.44 1.40 가입자 18,965 18,396 17,743 17,201 16,523 16,043 15,556 14,984 세대수 8,107 8,141 8,058 8,111 7,940 7,902 7,835 7,709 부양률 ( 명 ) 1.34 1.26 1.20 1.12 1.08 1.03 0.99 0.94 의료급여 1,828 1,853 1,841 1,677 1,674 1,609 1,507 1,459 [ 자료원 ]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통계 의료이용 주요만성질환진료실인원이 2008 년에비해 2013 년대체로증가하였으나, 천식의경우감소하였다. 표 10 연도별주요만성질환별진료인원, 내원일수 구분 [ 자료원 ]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통계, 298 질병분류, * 질병분류중주요만성질환만발췌 ( 암제외 ) 2008 년 2013 년 진료실인원 ( 천명 ) 내원일수 ( 천일 ) 1 인당평균내원일진료실인원 ( 천명 ) 내원일수 ( 천일 ) 1 인당평균내원일 당뇨병 1,786,778 16,281,090 9.1 2,317,104 19,757,855 8.5 본태성 ( 원발성 ) 고혈압 4,303,423 35,781,551 8.3 5,240,577 43,023,253 8.2 급성심근경색증 64,376 425,288 6.6 76,587 504,780 6.6 기타허혈성심장질환 561,089 2,793,064 5.0 701,196 3,435,049 4.9 폐색전증 4,999 60,012 12.0 10,179 114,248 11.2 전도장애및심장성부정맥 221,608 861,239 3.9 301,577 1,338,451 4.4 심부전 96,108 697,321 7.3 115,070 853,264 7.4 기타심장질환 78,142 428,449 5.5 110,914 630,158 5.7 뇌내출혈 72,405 1,995,687 27.6 81,853 2,794,748 34.1 뇌경색증 401,204 6,156,084 15.3 436,462 7,975,106 18.3 출혈또는경색으로명시되지않은졸중 22,084 350,957 15.9 22,555 278,598 12.4 기타뇌혈관질환 249,863 2,982,879 11.9 384,975 5,504,882 14.3 기관지염, 폐기종및기타만성폐쇄성폐질환 2,599,575 7,029,327 2.7 3,082,229 7,992,707 2.6 천식 2,273,290 9,046,679 4.0 1,830,468 6,470,706 3.5 30 생활습관및질환별 Fact
2013 년총진료비가 48 조원으로 2008 년에비해 14 조원증가 - 주요만성질환은 2008 년에비해 2013 년 2 조원이증가하여 12 조원이다. - 만성하기도질환의경우 08 년에비해 13 년에외래진료비는감소하였으나, 입원진료비는증가하였다. 표 11 연도별주요만성질환별의료비 구분 2008 년 2013 년 진료비 ( 천원 ) 구성비 (%) 진료비 ( 천원 ) 구성비 (%) 증감액 ( 천원 ) 총계 34,093,553,059 48,708,494,215 14,614,941,156 주요만성 9,474,805,531 27.8 12,191,644,974 25.0 2,716,839,443 계 악성신생물 ( 암 ) 2,860,531,609 8.4 4,157,684,435 8.5 1,297,152,826 당뇨병 1,141,245,466 3.3 1,343,356,785 2.8 202,111,319 순환기계통질환 4,865,085,497 14.3 6,106,856,044 12.5 1,241,770,547 만성하기도 607,942,959 1.8 583,747,710 1.2 24,195,249 총계 22,932,618,855 31,218,389,717 8,285,770,862 주요만성 5,543,426,555 24.2 6,431,599,364 20.6 888,172,809 외래 악성신생물 ( 암 ) 1,035,021,621 4.5 1,650,917,448 5.3 615,895,827 당뇨병 999,071,262 4.4 1,130,256,217 3.6 131,184,955 순환기계통질환 3,037,639,254 13.2 3,229,583,160 10.3 191,943,906 만성하기도 471,694,418 2.1 420,842,539 1.3 50,851,879 총계 11,160,934,204 17,490,104,498 6,329,170,294 주요만성 3,931,378,972 35.2 5,760,045,616 32.9 1,828,666,644 입원 악성신생물 ( 암 ) 1,825,509,984 16.4 2,506,766,992 14.3 681,257,008 당뇨병 142,174,204 1.3 213,100,568 1.2 70,926,364 순환기계통질환 1,827,446,242 16.4 2,877,272,885 16.5 1,049,826,643 만성하기도 136,248,542 1.2 162,905,171 0.9 26,656,629 [ 자료원 ]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통계 그림 40 건강보험진료비구성비 손상 13.9% 감염성질환 6.2% 암 10.7% 당뇨병 3.5% 비감염성질환 79.9% 기타 68.7% 순환기계질환 15.7% 만성하기도질환 1.5% 진료비구성비 (2013) 비감염성질환진료비구성비 (2013) 비감영성질환중기타질환상위 5 개질환은치아및지지구조의기타장애 [K00-K01,K03-K08], 기타배병증 [M40M49,M53-M54], 신부전증 [N17-N19], 급성기관지염 [J20-J21], 관절증 [M15-M19], 치매 [F00-F03] 로나타났다. Factbook 31
01 수명및사망 단일상병기준진료비가가장많은질병은본태성고혈압 (2 조 1,639 억원, 4.2%), 만성신장질환 (1 조 3,419 억원, 2.6%), 급성기관지염 (1 조 1,242 억원, 2.2%) - 1 인당평균내원일수와진료비기준으로는만성신장질환, 알츠하이머병, 뇌경색증 표12 단일상병기준진료비지출 10대질환 순위 질병명 진료실인원 ( 천명 ) 내원일수 ( 천일 ) 진료비 ( 백만원 ) 1인당내원일수 ( 일 ) 1인당진료비 ( 원 ) 1 본태성 ( 일차성 ) 고혈압 5,241 43,023 2,163,917 8.2 412,882 2 만성신장질환 151 7,090 1,341,917 47.0 8,886,868 3 급성기관지염 14,147 49,603 1,124,169 3.5 79,463 4 인슐린 ~ 비의존당뇨병 2,010 16,218 1,087,030 8.1 540,811 5 무릎관절증 2,467 18,671 949,007 7.6 384,681 6 뇌경색증 436 7,975 887,847 18.3 2,036,346 7 알츠하이머병 ( 치매 ) 241 10,916 766,265 45.3 3,179,523 8 치은염및치주질환 10,826 22,440 746,881 2.1 68,990 9 기타추간판장애 1,847 13,031 586,960 7.1 317,791 10 등통증 4,568 22,102 579,137 4.8 126,781 [ 자료원 ]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통계 노인질병및의료비지출현황 2014년총인구에서 65세이상노인인구가차지하는비율은 12.7% 이고, 2034년 27.6% 수준에이를것으로전망 ( 통계청 ) 표13 노인인구추이 구분 1994 2004 2014 2024 2034 ( 천명 ) 구성비 (%) ( 천명 ) 구성비 (%) ( 천명 ) 구성비 (%) ( 천명 ) 구성비 (%) ( 천명 ) 구성비 (%) 준고령자 5,398 12.1 6,806 14.2 10,507 20.8 12,635 24.4 11,910 22.9 - 베이비부머 1) 7,430 16.6 7,257 15.1 7,112 14.1 6,881 13.3 6,206 11.9 고령자 2,542 5.7 4,166 8.7 6,386 12.7 9,834 19.0 14,325 27.6 65 79세 2,178 4.9 3,530 7.3 5,070 10.1 7,570 14.6 11,022 21.2 80세이상 365 0.8 636 1.3 1,316 2.6 2,264 4.4 3,303 6.4 [ 자료원 ]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2011), 고령자통계 1) 1955년에서 1963년에태어난사람들로각조사의작성년도별해당연령계층에대한결과 * 고령자 는 65세이상, 준고령자 는 50 64세인구 (%) 80.0 60.0 69.3 71.7 72.8 73.1 72.6 71.1 66.3 63.1 56.5 52.7 49.7 40.0 20.0 0.0 25.6 5.1 21.1 7.2 16.1 14.3 11.0 14.0 15.7 20.8 24.3 12.7 13.4 13.2 12.9 12.6 32.3 40.1 37.4 11.2 9.9 10.2 1990 2000 2010 2014 2017 2020 2026 2030 2040 2050 2060 0~14 세 15~16 세 65 세이상 32 생활습관및질환별 Fact
2014 추계인구 ( 여 ) ( 명 ) 남 95세이상 90~94세 여 85~89 세 80~84 세 75~79 세 70~74 세 65~69 세 60~64 세 55~59 세 50~54 세 45~49 세 40~44 세 35~39 세 30~34 세 25~29 세 20~24 세 15~19 세 10~14 세 5~9 세 0~4 세 3,000,000 2,250,000 1,500,000 750,000 0 0 750,000 1,500,000 2,250,000 3,000,000 2028 추계인구 ( 여 ) ( 명 ) 남 95세이상 90~94세 여 85~89 세 80~84 세 75~79 세 70~74 세 65~69 세 60~64 세 55~59 세 50~54 세 45~49 세 40~44 세 35~39 세 30~34 세 25~29 세 20~24 세 15~19 세 10~14 세 5~9 세 0~4 세 3,000,000 2,250,000 1,500,000 750,000 0 0 750,000 1,500,000 2,250,000 3,000,000 노인진료비는 18 조 852 억원으로전체진료비의 35.5% 점유 - 노인 1 인당연평균진료비 322 만원 ( 적용인구 1 인당연평균진료비 102 만원 ) 표 14 연도별노인인구진료비지출 구분 2006 년 2007 년 2008 년 2009 년 2010 년 2011 년 2012 년 2013 년 총진료비 ( 억원 ) 284,103 323,892 348,690 393,390 436,283 462,379 478,392 509,552 65 세이상진료비 ( 비율, %) 75,504 (25.9) 91,190 (28.2) 107,371 (30.8) 124,236 (31.6) 141,350 (32.4) 153,893 (33.3) 164,494 (34.4) 180,852 (35.5) 노인 1 인당연평균진료비 ( 천원 ) 1,805 2,079 2,334 2,574 2,839 2,968 3,076 3,219 전체 1 인당연평균진료비 ( 천원 ) 599 679 726 813 895 941 967 1,022 [ 자료원 ]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통계 Factbook 33
01 수명및사망 질환별노인 (65 세이상 ) 진료비, 본인부담금이 2008 년에비해 2013 년은 6.7 조원, 본인부담금 1.5 조원이증가 표 15 주요질환별노인진료비, 본인부담금지출 질병구분 연령별 진료비 ( 백만원 ) 본인부담금 ( 진료비 - 급여비 ) 2008 2013 증감 2008 2013 증감 65 세이상 10,590,294 17,385,263 6,794,968 2,635,550 4,151,971 1,516,421 계 65~69 세 3,522,590 4,272,930 750,340 873,780 1,017,649 143,869 70~74 세 3,096,634 4,749,247 1,652,612 758,838 1,096,934 338,097 75 세이상 3,971,070 8,363,086 4,392,016 1,002,933 2,037,388 1,034,455 65 세이상 1,082,521 1,658,280 575,759 128,487 124,276 4,211 악성신생물 ( 암 ) 65~69 세 419,554 507,792 88,237 47,466 35,909 11,557 70~74 세 341,505 520,845 179,339 39,577 37,069 2,508 75 세이상 321,462 629,644 308,182 41,444 51,297 9,854 65 세이상 499,473 635,584 136,111 149,200 188,287 39,087 당뇨병 65~69 세 188,406 175,545 12,861 57,053 54,346 2,707 70~74 세 154,702 189,749 35,047 46,017 56,284 10,267 75 세이상 156,365 270,289 113,925 46,131 77,658 31,527 65 세이상 2,436,561 3,324,993 888,432 654,901 826,859 171,958 순환기계통질환 65~69 세 740,911 728,394 12,517 199,079 181,526 17,553 70~74 세 698,113 873,409 175,296 186,367 214,460 28,094 75 세이상 997,537 1,723,190 725,653 269,455 430,872 161,418 65 세이상 225,228 257,137 31,909 62,603 71,813 9,210 만성하기도 65~69 세 58,928 50,742 8,186 16,901 15,058 1,843 70~74 세 61,891 63,195 1,305 17,247 17,791 543 75 세이상 104,410 143,200 38,790 28,455 38,965 10,510 [ 자료원 ]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통계, 질환별 298 분류통계 34 생활습관및질환별 Fact
65 세이상노인의전체사망률및주요만성질환으로인한사망은감소, 뇌혈관질환의후유증, 신경계통의질환으로인한사망은증가 표16 65세이상사망자수및사망률변화 (2000~2013) 사망원인 사망자수 ( 명 ) 조사망률 (10만명당 ) 2000년 2013년증감 2000년 2013년증감 65세이상전체 149,454 192,928 43,474 4573.17 3199.17 1,374.0 악성신생물 ( 암 ) 30,384 50,453 20,069 929.73 836.62 93.1 폐암 7,238 13,120 5,882 221.48 217.56 3.9 간암 3,708 6,240 2,532 113.46 103.47 10.0 위암 6,343 6,002 341 194.09 99.53 94.6 대장암 2,464 5,924 3,460 75.4 98.23 22.8 전립선암 472 1,495 1,023 14.44 24.79 10.4 유방암 260 647 387 7.96 10.73 2.8 순환기계통의질환 41,695 47,377 5,682 1275.83 785.62 490.2 고혈압성질환 3,486 4,484 998 106.67 74.35 32.3 심장질환 11,728 20,241 8,513 358.86 335.64 23.2 허혈성심장질환 6,580 10,864 4,284 201.34 180.15 21.2 급성심근경색증 5,002 7,548 2,546 153.06 125.16 27.9 만성허혈성심장병 827 2,269 1,442 25.31 37.63 12.3 기타심장질환 5.148 9,377 4,229 157.52 155.49 2.0 뇌혈관질환 25,663 21,289 4,374 785.27 353.02 432.3 거미막밑출혈 722 979 257 22.09 16.23 5.9 뇌내출혈및기타비외상성머리내출혈 5,057 3,251 1,806 154.74 53.91 100.8 뇌경색증 5,899 7,009 1,110 180.5 116.22 64.3 기타명시되지않은뇌중풍 11,157 1,304 9,853 341.4 21.62 319.8 기타뇌혈관질환 755 419 336 23.1 6.95 16.2 뇌혈관질환의후유증 2,073 8,327 6,254 63.43 138.08 74.7 호흡기계통의질환 12,907 20,708 7,801 394.94 343.38 51.6 폐렴 3,026 10,047 7,021 92.59 166.6 74.0 만성하기도질환 6,835 6,618 217 209.15 109.74 99.4 만성및명시되지않은기관지염 693 292 401 21.21 4.84 16.4 폐기종 141 160 19 4.31 2.65 1.7 만성폐쇄성폐질환 2,716 4,573 1,857 83.11 75.83 7.3 천식 3,189 1,427 1,762 97.58 23.66 73.9 당뇨병 7,139 8,955 1,816 218.45 148.49 70.0 신경계통의질환 1,295 8,406 7,111 39.63 139.39 99.8 파킨슨병 462 3,030 2,568 14.14 50.24 36.1 알쯔하이머병 142 4,269 4,127 4.35 70.79 66.4 콩팥 ( 신장 ) 기능상실 1,432 3,593 2,161 43.82 59.58 15.8 질병이환및사망의외인 6,311 12,347 6,036 193.11 204.74 11.6 운수사고 2,366 2,329 37 72.4 38.62 33.8 추락 1,072 1,168 96 32.8 19.37 13.4 고의적자해 ( 자살 ) 1,161 3,871 2,710 35.53 64.19 28.7 [ 자료원 ] 통계청, 사망원인 Factbook 35
2-1 흡연 흡연개요 전세계적으로매년 600 만명이흡연으로인해사망하며, 2030 년에는한해 800 만명이상이사망할것이라전망하고있다 6). 흡연은암, 심혈관질환및호흡기계질환등각종만성질환의위험요인 7) 이며, 청소년기에시작된흡연은신체적, 정신적발달에악영향을미칠뿐만아니라건강하지않은생활습관과밀접한관련이있다. 또한간접흡연에노출된어린이와비흡연자는조기사망과질병발생위험이크다 8). 세계보건기구는비감염성질환에의한조기사망률, 흡연, 음주, 신체활동등에관한 9 개의목표를설정하여국제적으로모니터링하고있으며, 15 세이상의현재흡연율을현재수준대비 30% 감소시키는것을목표에포함하였다 9). 우리나라현황 우리나라 19 세이상성인남자중 750 만명이현재흡연자이고, 성인남자흡연은여전히 40% 이상을유지하고있으며, 30~50 대남자현재흡연자중 90% 이상은매일흡연자이다. 성인남자현재흡연율은최근 3 년간감소하고있으나여전히 40% 수준으로높으며, 여자는최근 10 년간큰변화없이 6~7% 수준을유지하고있다. < 표 17> 청소년남자현재흡연율은최근 3 년간감소하였고, 여자는 2005 년에비해절반수준 ( 05 년 8.9% 13 년 4.6%) 으로감소하였다. < 표 17> 2013 년기준성인남자 41.4% 가현재흡연자이다. < 표 18> - 성인남자약 750 만명, 여자약 110 만명이현재흡연자로추정된다. - 30 대남자 54.5%, 20 대여자 9.1% 가현재흡연자이다. - 남녀모두소득수준이낮을수록현재흡연율이높았다. 우리나라성인남자의 11.2% 는전자담배를피워본적이있으며, 특히 20~40 대젊은연령에서높았다. < 표 18> 현재비흡연자중직장실내및공공장소실내에서각각 48.3%, 55.5%, 가정실내에서는 10.6% 가간접흡연에노출되고있다. < 표 18> 현재흡연자의 57.5% 가최근 1 년동안금연시도를한적이있다. < 표 19> 표 17 연도별현재흡연률추이 (1998~2013) 지표명조사년도전체남자여자 성인현재흡연율 1) (%, 연령표준화 *) (19 세 +) [ 자료원 ] 평생담배 5 갑 (100 개비 ) 이상피웠고현재담배를피우는분율 청소년현재흡연율 2) (%) ( 중 1~ 고 3) 최근 30 일동안 1 일이상담배를피우는분율 1998** 35.1 66.3 6.5 2001 30.2 60.9 5.2 2005 28.8 51.6 5.7 2007 25.3 45.0 5.3 2008 27.7 47.7 7.4 2009 27.2 46.9 7.1 2010 27.5 48.3 6.3 2011 27.0 47.3 6.8 2012 25.8 43.7 7.9 2013 24.1 42.1 6.2 2005*** 11.8 14.3 8.9 2006 12.8 16.0 9.2 2007 13.3 17.4 8.8 2008 12.8 16.8 8.2 2009 12.8 17.4 7.6 2010 12.1 16.6 7.1 2011 12.1 17.2 6.5 2012 11.4 16.3 5.9 2013 9.7 14.4 4.6 1) 질병관리본부, 국민건강영양조사 (19 세이상 ), *2005 년추계인구로연령표준화, **1998 년 : 20 세이상 2) 질병관리본부,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 중 1~ 고 3); ***2005 년 : 중 1~ 고 2 6) WHO. Tobacco. Fact sheet N 339, updated May 2014. http://www.who.int/mediacentre/factsheets/fs339/en/imdex.html 7) US Department of Human Health Service. A Report of the Surgeon General, The health consequences of smoking. 2004. 8) US Department of Human Health Service. A Report of the Surgeon General, Preventing tobacco use among young people. 1994. 9) WHO. Global action plan for the prevention and control of NCD 2013~2020. 2013. 36 생활습관및질환별 Fact
표 18 흡연율현황 (2013) 지표명설명전체남자여자 현재흡연율 (%) 평생담배 5 갑 (100 개비 ) 이상피웠고현재매일또는가끔담배를피우는분율 현재흡연자추정인구수 ( 단위 : 천명 ) 매일흡연율 (%) 평생담배 5 갑 (100 개비 ) 이상피웠고현재매일담배를피우는분율 평생전자담배흡연율 (%) 지금까지전자담배를피워본적이있는분율 현재전자담배흡연율 (%) 최근 1 달동안전자담배를피워본적이있는분율 현재비흡연자의간접흡연노출률 (%) 최근 7 일동안실내에서다른사람이피우는담배연기를맡은분율 청소년현재흡연율 (%)* ( 중 1~ 고 3) 연령별 소득수준별 ( 연령표준화 ) [ 자료원 ] 질병관리본부, 국민건강영양조사 (19 세이상 ) [ 자료원 ]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전체 (19세 +) 23.2 41.4 5.7 19~29세 24.1 37.0 9.1 30~39세 30.7 54.5 6.9 40~49세 26.9 48.0 6.2 50~59세 22.0 40.8 3.7 60~69세 17.4 32.5 4.0 70세 + 8.0 15.6 3.1 하 28.6 47.5 9.6 중하 25.2 43.1 6.8 중상 22.3 41.3 4.5 상 20.4 36.6 4.0 2013년추계인구 (19세 +) 8,542 7,466 1,076 2013년추계인구 (30세 +) 6,819 6,043 776 2013년추계인구 (30~49세) 4,278 3,788 489 2013년추계인구 (50~64세) 1,937 1,780 157 2013년추계인구 (65세 +) 604 474 129 전체 (19세 +) 20.6 37.5 4.3 19~29세 20.6 32.8 6.5 30~39세 27.4 49.7 5.0 연령별 40~49세 23.7 43.2 4.8 50~59세 20.1 38.1 2.6 60~69세 15.4 29.1 3.2 70세 + 7.4 14.5 2.9 소득수준별 ( 연령표준화 ) 하 26.3 45.1 7.3 중하 22.4 39.2 5.1 중상 19.0 35.8 3.4 상 17.7 32.5 2.9 전체 (19세 +) 6.6 11.2 2.1 19~29세 8.5 11.7 4.7 30~39세 9.4 16.9 2.0 연령별 40~49세 6.8 11.4 2.3 50~59세 4.9 8.3 1.5 60~69세 4.9 9.4 0.9 70세 + 2.0 4.5 0.3 전체 (19세 +) 1.1 2.0 0.3 19~29세 0.8 1.0 0.5 30~39세 1.7 3.2 0.1 연령별 40~49세 1.4 2.4 0.5 50~59세 1.4 2.5 0.3 60~69세 0.2 0.4 0.0 70세 + 0.5 1.1 0.2 직장실내간접흡연노출률 48.3 58.5 39.6 가정실내간접흡연노출률 10.6 5.4 13.7 공공장소실내간접흡연노출률 55.5 61.1 52.2 전체 ( 중1~ 고3) 9.7 14.4 4.6 중1학년 2.3 3.1 1.4 중2학년 5.5 7.5 3.3 학년별 중3학년 8.6 13.0 3.8 고1학년 12.1 18.3 5.4 고2학년 14.3 20.8 7.0 고3학년 15.0 22.8 6.4 Factbook 37
2-1 흡연 표19 금연관련현황 (2013, 19세 +) 지표명 설명 전체 남자 여자 전체 (19세 +) 20.0 19.2 25.6 19~29세 21.0 18.8 31.7 현재흡연자의 1 개월내금연계획률 (%) 현재흡연자중 1 개월내금연할계획이있는분율 현재흡연자의금연시도율 (%) 현재흡연자중최근 1 년동안담배를끊고자하루 (24 시간 ) 이상금연을시도한분율 현재흡연자의금연계획 (%) 현재흡연자중금연계획 금연시도자의금연계획 (%) 현재흡연자중최근 1 년동안담배를끊고자하루 (24 시간 ) 이상금연을시도한사람중금연계획 금연캠페인경험률 (%) 최근 1 년동안 TV 및라디오의공익광고, 포스터, 리플렛등을통해금연캠페인을보거나들어본적이있는분율 연령별 연령별 연령별 30~39세 17.6 17.4 19.1 40~49세 19.0 18.3 24.3 50~59세 22.3 22.5 19.5 60~69세 21.3 18.6 -* 70세 + 23.4 24.6 -* 전체 (19세 +) 57.5 57.0 60.7 19~29세 53.8 50.5 69.4 30~39세 61.8 61.7 62.4 40~49세 53.6 53.4 55.1 50~59세 61.7 62.0 58.8 60~69세 57.5 56.7 -* 70세 + 52.7 57.6 -* 1개월내 20.0 19.2 25.6 6개월내 15.1 15.3 13.7 언젠가 35.4 35.0 38.5 금연계획없음 29.5 30.5 22.3 1개월내 29.2 28.2 35.8 6개월내 18.6 19.1 -* 언젠가 35.2 34.9 37.1 금연계획없음 17.1 17.9 -* 전체 (19세 +) 76.8 79.7 74.0 19~29세 79.1 78.4 79.9 30~39세 80.1 80.2 80.0 40~49세 79.4 80.1 78.7 50~59세 75.0 81.1 69.0 60~69세 73.8 79.2 69.0 70세 + 67.0 77.5 60.3 하 76.3 77.9 75.1 소득수준별 ( 연령표준화 ) 중하 77.2 77.7 77.4 중상 77.0 80.5 74.0 상 79.1 82.4 76.0 [ 자료원 ] 질병관리본부, 국민건강영양조사 (19 세이상 ) * 자료수 (n) 가 20 명미만으로결과비제시 38 생활습관및질환별 Fact
표 20 현재흡연자의건강생활실천현황 (2009~2013 자료통합, 19 세 +, 성 연령보정 *) 주요생활습관 전체남자여자 평생비흡연자현재흡연자평생비흡연자현재흡연자평생비흡연자현재흡연자 고위험음주율 (%) 1) 3.3 17.8 9.3 27.6 2.4 16.2 신체활동부족률 (%) 2) 52.5 52.4 47.2 48.3 54.0 53.6 에너지및지방과잉섭취율 (%) 3) 4.2 6.8 6.1 9.6 3.8 5.8 [ 자료원 ] 질병관리본부, 국민건강영양조사 1) 1 회평균음주량이 7 잔 ( 여자 5 잔 ) 이상이며주 2 회이상음주 2) 최근 1 주일동안격렬한신체활동 (1 회 10 분이상, 1 일총 20 분이상, 주 3 일이상 ), 중등도신체활동 (1 회 10 분이상, 1 일총 30 분이상, 주 5 일이상 ), 또는걷기 (1 회 10 분이상, 1 일총 30 분이상, 주 5 일이상 ) 비실천 3) 에너지섭취량이필요추정량 ( 또는영양권장량 ) 의 125% 이상이면서지방섭취량이에너지적정비율 (25%) 초과 * 모든분율은성 연령 ( 전체 ) 또는연령 ( 남자, 여자 ) 보정 Factbook 39
2-2 음주 음주개요 유해한음주는 200 가지이상의질병과손상의주요원인이며, 조기사망및장애와관련이있다. 세계보건기구 (WHO) 에따르면, 해마다 330 만명이음주로사망하는것으로추산되고있다 10). 세계보건기구는비감염성질환에의한조기사망률, 흡연, 음주, 신체활동등에관한 9 개의목표를설정하여국제적으로모니터링하고있으며, 위험음주율은현재수준대비 10% 감소를목표로하고있다 11). 우리나라현황 우리나라 19 세이상성인 440 만명이고위험음주자이고, 성인남자 2 명중 1 명, 여자 5 명중 1 명은월 1 회이상폭음경험이있다. 2013 년기준성인남자의 19.4% 는고위험음주자로, 성인남자 350 만명이고위험음주자로추정된다. < 표 22> - 특히, 30~40 대남자는 4 명중 1 명 (30 대 23.7%, 40 대 25.9%) 이고위험음주자이다. 2013 년기준성인남자 52.6%, 여자 19.5% 는월 1 회이상폭음자로, 성인 1,300 만명이연간월 1 회이상폭음한것으로추정된다. < 표 22> 청소년현재음주자는지난 10 년간감소하였으나, 2013 년기준청소년남자 19.4%, 청소년여자 12.8% 가현재음주자이다. < 표 21> 표21 연도별음주율추이 (2005~2013) 지표명 조사년도 전체 남자 여자 2005 11.6 19.9 3.4 2007 12.5 21.3 3.5 2008 15.4 24.5 6.2 성인고위험음주율 1) (%, 연령표준화 *) (19 세 +) 1 회평균음주량이 7 잔 ( 여자 5 잔 ) 이상이며주 2 회이상음주하는분율 2009 13.5 21.4 5.4 2010 13.8 22.0 5.6 2011 14.1 23.2 4.9 2012 13.9 21.8 6.0 2013 12.5 19.7 5.4 2005** 27.0 27.0 26.9 2006 28.6 30.5 26.5 2007 27.8 29.6 25.7 청소년현재음주율 2) (%) ( 중 1~ 고 3) 최근 30 일동안 1 잔이상술을마신적이있는사람의분율 2008 24.5 26.1 22.6 2009 21.1 23.7 18.2 2010 21.1 23.5 18.3 [ 자료원 ] 1) 질병관리본부, 국민건강영양조사 (19 세이상 ) * 2005 년추계인구로연령표준화 2) 질병관리본부,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 중 1~ 고 3); **2005 년 : 중 1~ 고 2 2011 20.6 23.7 17.1 2012 19.4 22.7 15.8 2013 16.3 19.4 12.8 10) WHO. Alcohol. Fact sheet, updated January 2015. http://www.who.int/mediacentre/factsheets/fs349/en/ 11) WHO. Global action plan for the prevention and control of NCD 2013~2020. 2013. 40 생활습관및질환별 Fact
표 22 현재음주율현황 (2013) 지표명 설명 전체 남자 여자 전체 (19세 +) 11.9 19.4 4.8 19~29세 14.1 18.7 8.8 30~39세 15.6 23.7 7.6 40~49세 15.1 25.9 4.4 연령별고위험음주율 (%) (19세 +) 50~59세 12.1 20.3 4.2 1회평균음주량이 7잔 ( 여자 5잔 ) 60~69세 4.6 8.9 0.8 이상이며주 2회이상음주하는분율 70세 + 1.7 4.3 0.0 고위험음주자추정인구수 ( 단위 : 천명 ) 월간폭음률 (%) (19 세 +) 최근 1 년간월 1 회이상한번이술자리에서남자 7 잔이상, 여자 5 잔이상음주한분율 월간폭음자추정인구수 ( 단위 : 천명 ) 청소년현재음주율 (%)* ( 중 1~ 고 3) 소득수준별 ( 연령표준화 ) [ 자료원 ] 질병관리본부, 국민건강영양조사 ; * [ 자료원 ] 질병관리본부,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하 11.1 16.6 5.7 중하 13.1 18.9 7.2 중상 13.3 23.2 3.9 상 12.8 20.6 5.1 2013년추계인구 (19세 +) 4,398 3,492 905 2013년추계인구 (30세 +) 3,386 2,772 614 2013년추계인구 (30~49세) 2,284 1,838 446 2013년추계인구 (50~64세) 977 812 164 2013년추계인구 (65세 +) 126 122 4 전체 (19세 +) 35.8 52.6 19.5 19~29세 47.4 56.2 37.2 30~39세 43.0 59.4 26.5 연령별 40~49세 38.6 59.3 18.5 50~59세 35.2 54.5 16.5 60~69세 22.6 41.1 6.2 70세 + 8.6 19.0 2.0 소득수준별 ( 연령표준화 ) 하 33.8 47.7 20.3 중하 39.2 52.7 25.9 중상 37.1 56.3 19.1 상 39.1 56.4 22.4 2013년추계인구 (19세 +) 13,168 9,500 3,668 2013년추계인구 (30세 +) 9,773 7,336 2,437 2013년추계인구 (30~49세) 6,065 4,393 1,671 2013년추계인구 (50~64세) 2,993 2,321 672 2013년추계인구 (65세 +) 715 622 93 전체 ( 중1~ 고3) 16.3 19.4 12.8 중1학년 5.4 6.0 4.6 중2학년 7.8 8.3 7.3 학년별 중3학년 11.7 14.1 9.1 고1학년 17.6 22.0 12.8 고2학년 26.5 31.7 20.9 고3학년 27.3 32.6 21.5 표 23 고위험음주자의건강생활실천현황 (2009~2013 자료통합, 19 세 +, 성 연령보정 *) 주요생활습관 전체남자여자 평생비음주자고위험음주자 3) 평생비음주자고위험음주자평생비음주자고위험음주자 현재흡연율 (%) 3.6 35.4 23.9 60.8 2.2 26.7 신체활동부족률 (%) 1) 55.7 49.6 46.9 45.5 57.8 52.2 에너지및지방과잉섭취율 (%) 2) 1.7 9.5 0.1 13.3 1.6 6.8 [ 자료원 ] 질병관리본부, 국민건강영양조사 1) 최근 1 주일동안격렬한신체활동 (1 회 10 분이상, 1 일총 20 분이상, 주 3 일이상 ), 중등도신체활동 (1 회 10 분이상, 1 일총 30 분이상, 주 5 일이상 ), 또는걷기 (1 회 10 분이상, 1 일총 30 분이상, 주 5 일이상 ) 비실천 2) 에너지섭취량이필요추정량 ( 또는영양권장량 ) 의 125% 이상이면서지방섭취량이에너지적정비율 (25%) 초과 3) 1 회평균음주량이 7 잔 ( 여자 5 잔 ) 이상이며주 2 회이상음주 * 모든분율은성 연령 ( 전체 ) 또는연령 ( 남자, 여자 ) 보정 Factbook 41
2-3 신체활동 신체활동개요 신체활동부족 (physical inactivity) 은전세계사망의 10 대위험요인중하나로, 심혈관계질환, 당뇨병, 일부암과같은비전염성질환의주요위험요인이다 12). 세계보건기구는비감염성질환에의한조기사망률, 흡연, 음주, 신체활동등에관한 9 개의목표를설정하여국제적으로모니터링하고있으며, 신체활동부족률은현재수준대비 10% 감소를목표로하고있다 13). 우리나라현황 우리나라 19 세이상성인의절반이하, 청소년 8 명중 1 명만걷기를포함하여중등도이상의신체활동을실천하고있다. 성인의신체활동실천율은남녀모두감소하고있으나, ( 05 년 68.5% 13 년 47.2%), 청소년은소폭증가하고있다 ( 09 년 10.9% 13 년 12.6%). < 표 24> 19 세이상성인중 46.5% 만걷기를포함하여중등도이상의신체활동을실천하고있다. < 표 25> 청소년 87.4% 는신체활동을실천하지않고있다. < 표 25> - 2013 년기준남학생 17.8%, 여학생 6.9% 만하루 60 분주 5 일이상의신체활동실천자이다. - 2013 년기준근력운동을실천하는학생은남학생 29.6%, 여학생 9.8% 이었다. 표24 연도별신체활동실천율추이 (2005~2013) 지표명 조사년도 전체 남자 여자 2005 68.5 71.7 66.1 2007 54.7 57.9 51.7 2008 56.9 60.1 54.0 성인 (19 세 +) 중등도이상 ( 걷기포함 ) 신체활동실천율 1) (%, 연령표준화 *) 2009 56.2 58.8 53.9 2010 50.8 53.5 48.3 2011 46.9 50.9 43.1 2012 46.8 50.8 43.1 2013 47.2 52.0 42.4 2009 10.9 15.7 5.4 청소년 ( 중 1~ 고 3) 하루 60 분주 5 일이상신체활동실천율 2) (%) 2010 10.0 14.5 4.9 2011 10.8 15.8 5.2 2012 12.0 17.3 6.1 2013 12.6 17.8 6.9 [ 자료원 ] 1) 질병관리본부, 국민건강영양조사 ; 최근 1 주일동안격렬한신체활동 (1 회 10 분이상, 1 일총 20 분이상, 주 3 일이상 ), 중등도신체활동 (1 회 10 분이상, 1 일총 30 분이상, 주 5 일이상 ), 또는걷기 (1 회 10 분이상, 1 일총 30 분이상, 주 5 일이상 ) 를실천한분율. * 2005 년추계인구로연령표준화 2) 질병관리본부,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 중 1~ 고 3); 최근 7 일동안운동종류상관없이심장박동이평상시보다증가하거나, 숨이찬정도의신체활동을하루에총합 60 분이상한날이 5 일이상인사람의분율 12) WHO. Physical Activity. Fact sheet N 385, updated January 2015. http://www.who.int/mediacentre/factsheets/fs385/en/ 13) WHO. Global action plan for the prevention and control of NCD 2013~2020. 2013. 42 생활습관및질환별 Fact
표 25 신체활동현황 (2013) 지표명설명전체남자여자 중등도이상 ( 걷기포함 ) 신체활동실천율 (%) (19 세 +) 최근 1 주일동안격렬한신체활동 (1 회 10 분이상, 1 일총 20 분이상, 주 3 일이상 ), 중등도신체활동 (1 회 10 분이상, 1 일총 30 분이상, 주 5 일이상 ), 또는걷기 (1 회 10 분이상, 1 일총 30 분이상, 주 5 일이상 ) 를실천한분율 근력운동실천율 (%) (19 세 +) 최근 1 주일동안팔굽혀펴기, 윗몸일으키기, 아령, 역기, 철봉등의근력운동을 2 일이상실천한분율 청소년하루 60 분주 5 일이상신체활동실천율 (%)* ( 중 1~ 고 3) 청소년주 3 일이상근력강화운동실천율 (%)* ( 중 1~ 고 3) 연령별 소득수준별 ( 연령표준화 ) 연령별 소득수준별 ( 연령표준화 ) 학년별 학년별 [ 자료원 ] 질병관리본부, 국민건강영양조사 ; * [ 자료원 ] : 질병관리본부,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전체 (19 세 +) 46.5 51.6 41.6 19~29 세 56.7 65.3 46.7 30~39 세 45.7 50.9 40.4 40~49 세 46.6 45.7 47.4 50~59 세 42.3 45.5 39.2 60~69 세 41.3 45.8 37.3 70 세 + 41.9 54.6 33.6 하 45.0 49.4 40.5 중하 45.5 48.1 43.1 중상 48.2 52.5 44.2 상 50.0 58.1 41.7 전체 (19 세 +) 22.2 30.9 13.9 19~29 세 27.7 37.4 16.5 30~39 세 20.6 28.1 13.0 40~49 세 19.6 26.2 13.1 50~59 세 22.9 30.0 16.1 60~69 세 23.8 34.3 14.6 70 세 + 17.2 30.6 8.7 하 20.4 29.1 11.4 중하 20.7 27.5 14.3 중상 23.1 32.8 14.2 상 25.4 34.3 16.6 전체 ( 중 1~ 고 3) 12.6 17.8 6.9 중 1 학년 14.9 21.2 8.1 중 2 학년 15.4 22.0 8.2 중 3 학년 15.9 22.5 8.6 고 1 학년 9.7 14.0 5.0 고 2 학년 10.5 14.6 6.1 고 3 학년 9.4 13.0 5.4 전체 ( 중 1~ 고 3) 20.1 29.6 9.8 중 1 학년 22.3 31.4 12.2 중 2 학년 20.7 29.6 11.0 중 3 학년 21.1 30.0 11.4 고 1 학년 18.2 28.3 7.4 고 2 학년 19.3 29.0 8.5 고 3 학년 19.5 29.5 8.4 표 26 신체활동부족자의건강생활실천현황 (2009~2013 자료통합, 19 세 +, 성 연령보정 *) 주요생활습관 전체남자여자 신체활동실천자 3) 신체활동부족자 4) 신체활동실천자신체활동부족자신체활동실천자신체활동부족자 현재흡연율 (%) 17.9 19.1 43.2 45.5 6.3 6.2 고위험음주율 (%) 1) 9.9 9.3 20.7 19.4 3.8 3.5 에너지및지방과잉섭취율 (%) 2) 6.2 6.1 9.3 9.0 4.0 4.1 [ 자료원 ] 질병관리본부, 국민건강영양조사 1) 1 회평균음주량이 7 잔 ( 여자 5 잔 ) 이상이며주 2 회이상음주 2) 에너지섭취량이필요추정량 ( 또는영양권장량 ) 의 125% 이상이면서지방섭취량이에너지적정비율 (25%) 초과 3) 중등도이상 ( 걷기포함 ) 신체활동실천자 : 최근 1 주일동안격렬한신체활동 (1 회 10 분이상, 1 일총 20 분이상, 주 3 일이상 ), 중등도신체활동 (1 회 10 분이상, 1 일총 30 분이상, 주 5 일이상 ), 또는걷기 (1 회 10 분이상, 1 일총 30 분이상, 주 5 일이상 ) 실천자 4) 중등도이상 ( 걷기포함 ) 신체활동비실천자 * 모든분율은성 연령 ( 전체 ) 또는연령 ( 남자, 여자 ) 보정 Factbook 43
2-4 영양 개요 우리나라질병부담에기여하는 3 대위험요인은영양, 음주, 흡연이며, 이중영양문제가가장중요한요인이다 14). 낮은과일섭취율과높은나트륨섭취율은전세계질병부담에각각 4.2%, 2.5% 를기여하는가장중요한식이요인이며, 이외에도채소류, 견과류, 전곡류, 오메가 -3 지방산을함유한낮은해산물섭취가질병부담에 1% 이상기여하는것으로보고되었다 15). 식이요인은암, 심혈관계질환, 당뇨와같은비감염성질환의주요요인으로, 세계보건기구 (WHO) 에서는비감염성질환예방과관리를위해건강한식생활과신체활동실천을우선으로한전세계전략을세우고행동계획을마련한바있다 16). 우리나라현황 우리나라성인은에너지와지방섭취가지속적으로증가하고있으며, 나트륨섭취가여전히높다. 성인의에너지와지방과잉섭취율이지속적으로증가하고있으며, 2013 년기준성인남자 25.2% 는필요한에너지를초과하여섭취하고있다. < 표 27, 28> - 특히, 비만유병률이가장높은남자 30 대, 여자 60 대에서에너지과잉섭취자가가장많았다. - 연령층이젊을수록지방과잉섭취자가증가하여, 20 대 47.2% 는지방섭취가에너지적정비율을초과하였다. 우리나라성인의하루나트륨섭취량은 2013 년기준약 4,300mg 으로, 성인남자 89.7%, 여자 73.9% 는세계보건기구 (WHO) 의나트륨권고상한치 (2,000mg) 를초과한다. < 표 28> 과일류섭취는다소감소하는반면, 단순당의주요급원식품군인당류및음료류섭취는크게증가하고있다. < 표 27> - 과일류는소득수준이낮을수록섭취량이낮았다. < 표 28> - 당류및음료류는젊은연령층일수록섭취량이높았다. < 표 28> 14) Institute for Health Metrics and Evaluation.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Profile(2010) : South Korea, 2013 15) Lim ss 등. A comparative risk assessment of burden of disease and injury attributable to 67 risk factors and risk factor cluster in 21 regions, 1990-2010. Lancet 380(9859): 2224-2260. 2012 16) WHO. Global Strategy on Diet,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http://www.who.int/dietphysicalactivity/background/en/ 44 생활습관및질환별 Fact
표 27 연도별주요영양소및식품군섭취추이 (1998~2013, 19 세 +, 연령표준화 *) 지표명성별 1998 2001 2005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에너지과잉섭취자분율 (%) 성 연령별필요추정량 ( 또는영양권장량 ) 의 125% 이상 지방과잉섭취자분율 (%) 에너지섭취비율 25% 초과 나트륨과잉섭취자분율 (%) 2,000mg 초과 전체 13.8 14.1 17.8 12.5 14.0 14.7 20.6 19.6 18.1 21.6 남자 14.2 14.8 19.6 14.9 17.6 18.5 26.1 25.8 22.8 25.2 여자 13.6 13.6 15.9 10.0 10.3 10.8 15.0 13.3 13.2 17.8 전체 15.5 18.8 23.7 18.3 19.3 21.4 23.6 24.7 26.1 29.5 남자 16.7 20.7 26.3 20.5 21.7 24.7 25.7 26.4 28.0 31.6 여자 14.3 17.1 21.2 16.2 16.7 18.2 21.4 23.0 24.1 27.5 전체 88.5 92.1 93.1 88.2 88.7 87.6 89.5 88.1 87.7 81.8 남자 93.4 95.6 96.1 94.5 94.1 93.9 95.2 94.0 94.0 89.7 여자 84.2 89.1 90.3 82.3 83.6 81.5 84.0 82.4 81.5 73.9 전체 325.4 338.9 365.6 314.9 332.2 325.8 335.0 328.1 322.9 327.8 채소섭취량 (g/ 일 ) 남자 363.2 378.9 407.0 367.3 378.3 374.4 383.3 376.6 361.5 371.0 여자 290.6 305.2 324.7 263.4 286.3 277.3 287.4 279.7 284.7 284.7 전체 200.1 214.6 87.5 188.9 173.6 174.5 199.1 177.9 175.4 174.3 과일섭취량 (g/ 일 ) 남자 173.7 173.1 76.2 168.8 153.5 150.0 176.2 163.9 160.9 156.6 여자 226.4 251.0 99.5 209.5 194.5 199.6 223.1 192.6 190.1 193.1 당류섬취량 (g/ 일 ) 당류 : 설탕, 시럽, 사탕, 초콜렛등이포함된식품군 전체 7.8 12.8 7.9 8.3 8.2 8.2 10.0 10.6 10.0 12.1 남자 8.9 14.0 9.0 10.8 9.9 10.0 11.8 12.3 12.2 13.5 여자 6.9 11.8 6.7 5.9 6.4 6.5 8.2 8.8 7.7 10.8 전체 46.5 62.9 60.4 64.6 71.8 94.1 128.3 129.4 140.7 184.2 음료류섭취량 (g/ 일 ) 남자 50.4 60.8 71.4 71.5 83.4 103.5 147.5 141.1 152.4 204.2 여자 42.9 64.8 49.0 57.5 59.8 84.4 108.4 117.8 129.0 163.5 [ 자료원 ] 질병관리본부, 국민건강영양조사, * 2005 년추계인구로연령표준화 Factbook 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