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와베트남어의불교어계한자어에대하여 289 한국어와베트남어의불교어계한자어에대하여 Ly Kinh Hien( 李敬賢 ) 한국과베트남은동아시아한자문화권에속하는국가들이다. 양국은옛날부터중국에서한자와한자어를많이수용해왔다. 한국에서는한자가오늘날까지어느정도사용되고있으나베트남에서는 1945 년 1 이래국자 (chữ quốc ngữ) 가한자를대체하여공식적인문자가되었다. 한국에서는현재까지중 - 고등학교에서한자교육이실시되고있기때문에한국인대부분이한자를읽을수있다. 한편베트남에서는한자가폐지된후부터한자와한자어를아는사람이감소하는경향이있다. 漢喃 (Hán Nôm) 또는중국어나일본어를전공하는사람외에한자를아는사람이거의없다고볼수있다. 그결과오늘날많은베트남인은베트남에있는유적지나사찰에갈때거기에쓰여져있는한문을이해하지못한다. 그뿐아니라고대로부터 20 세기초까지한자로작성된수많은문헌이있으나오늘날베트남젊은이들이대부분조상의문헌을읽지못하는사실이다. 그러므로이는조상의전통이나문화유산을계승하는데에장애가될지도모른다. 불교는한국과베트남의신앙생활에서중요한역할을하는종교이다. 최근통계에따르면베트남불교신자수가 49,690,000 명에달하며세계적으로불교신자중에서국가별로 4 번째많은것으로보인다. 한편, 한국불교신자수가 10,920,000 명에달하고세게적으로 7 위이다. 2 그래서불교문화는한국과베베트남신앙문화의중요한일부라고할수있다. 한 - 베양국불교계어휘의공통점또는특징은대부분한자로구성되어있다. 고유어로된불교계어휘는있기는하나그수가매우적다. 본고는음운적, 구조적그리고의미적측면에서한국어와베트남어의불교어계한자어휘의공통점과차이점을살펴보도록하겠다. 1. 음운적측면 불교는중국을거쳐한국과베트남으로유입되었으므로한 - 베양국불교어계한자어는대부분한자음으로된것이다. 그원인은중국어에서의음역한어휘나의역한어휘의구성요소는한자로되어있기때문이다. 이러한어휘는한 - 베양국어에수용되었을때부터음운적고유화현상이일어났다. 오늘날한국에서는한글로, 베트남에서는국자 (chữ quốc ngữ) 로표기된다. 음독은유입시기부터현재까지한 - 베양국어에서유지되어변화가없는경우가있는가하면한국어에서나베트남어에서음운적변화가일어난경우도있다. 베트남호찌민시국립대학교인문-사회과학대학한국학과, 인하대학교박사과정생. 1 호찌민 ( 胡志明 ) 주석은 1945 년 9 월 2 일에하노이 Ba Dinh 광장에서독립선언문을읽고베트남민주주의공화국이설립되었다. 2 세계적으로불교신자가많은국가순위는중국, 일본, 태국, 베트남, 미얀마, 스리랑카, 한국, 대만, 캄보디아, 인도이다. (http://www.quangduc.com/quocte/01pgkhaptg-tindo.html)
290 第一屆西太平洋韓語教育與韓國學國際學術會議 가 ) 음운적변화가일어나지않은경우 이경우는한국어와베트남어에서모두음운적변화가없는것을가리킨다. 음역한어휘는袈裟 ( 가사, cà sa, kasaya), 彌勒 ( 미륵, di lặc, maitreya), 舍利 ( 사리, xá lợi, sari), 刹那 ( 찰나, sát na, ksana, kshana) 등이있다. 의역한어휘는光明 ( 광명, quang minh), 大衆 ( 대중, đại chúng), 世界 ( 세계, thế giới), 여래 ( 如來, như lai), 慈悲 ( 자비, từ bi), 衆生 ( 중생, chúng sinh), 破戒 ( 파계, phá giới), 虛空 ( 허공, hư không), 玄關 ( 현관, huyền quan) 등이있다. 위와같은어휘들은수용될때부터오늘날까지음독이한 - 베양국에서유지되어있고음운적변화가없다. 나 ) 음운적변화가일어난경우 한국불교와베트남불교의유입경로는주로중국을통해양국으로들어온것이다. 그러나유입초기에는소승불교는인도에서부터남아시아또는동남아시아각국을거쳐베트남으로직접적으로유입되경우가있다. 이에따라베트남어에서는산스크리트어나팔리어로된일부불교어휘에대한음역한어휘가생겼다. 예를들어산스크리트어의 buddha 는베트남에서직접적으로 bụt 으로표음되었고민간에서널리사용되었다. bụt 이라는인물은 Tấm Cám ( 싸라기와쌀겨 ) 등옛날이야기등에등장하였으나오늘날잘쓰이지않고있다. 그당시베트남불교는소승불교이었는데 bụt 은희고긴머리와수염이있는신선으로서좋은사람을도와주고악한사람을징벌하는사람인것으로알려져있다. bụt 이라는고유어에해당하는한자어는 phật ( 佛 ) 이다. 4-5 세기부터중국에서유입된대승불교의영향으로 bụt 은점점사라지고 phật ( 佛 ) 으로대체되었다. 중국어에서는 buddha 는처음에 佛陀 로되었는데이후 phật ( 佛 ) 으로줄여널리쓰이게되었다. 이에비해한국어의경우오늘날고유어인 부처 ( 부처 < 부쳐 < 부텨 ) 3 는한자어인 불타 ( 佛陀 ) 보다널리쓰이고있다. 이를표로보면다음과같다. 산스크리트어하국어베트남어한자어불타 ( 佛陀 ) phật( 佛 ) < phật đà( 佛陀 ) buddha 고유어부처 < 부쳐 < 부텨 bụt 주목할만한것은한국어에서는음운적변화가일어났으나베트남어에서는그렇지않은경우가있는반면베트남어에서는음운적변화가일어났지만한국어에서는그렇지않은경우가있다. 예를들면한국어에서는 보리 ( 菩提 ) 의음독이원래 보제 ( 보리 < 보제, 산스크리트어 : bodhi) 인데음운적변화가일어났으므로 보리 가되었다. 베트남어의 bồ đề ( 菩提 ) 는음운적변화가생기지않아서음독이그대로유지되고있다. 이에반해베트남어에서는성조변화가발생하였기때문에 cung dưỡng ( 供養 ) 은 cúng dường 으로변했다 (cúng dường < cung dưỡng( 供養 )). 즉현재 cúng dường 으로사용되고있다. 한국어의공양 ( 供養 ) 은그대로되어있다. 3 표준국어대사전
한국어와베트남어의불교어계한자어에대하여 291 한편, 한국어에서는현재 십방 ( 十方 ) 대신에 시방 으로쓰이고있다. 이에해당하는베트남어의 thập phương ( 十方 ) 은음독이그대로유지되고있다. 일부한자가한국어나베트남어에들어간후에두가지음독이생겼다. 유입할때부터발생한경우도있고사용과정에서생긴경우도있다. 예를들어 正 에해당하는베트남어발음은 chính 과 chánh 이다. 八正道와같은경우는베트남어에서는 bát chính đạo 대신에 bát chánh đạo 로발음된다. 다시말하면이경우는 chính 대신에 chánh 을채택한것이다. 이외에는절단에의한약어화현상때문에음운적변화를초해할수있다. 이는 4 음절이상의단어나구에서앞뒤음절을탈락시켜두세개의음절로줄여쓰는경우를이른다. 이러한현상은고유어에서는잘일어나지않아한자어의대표적특성의하나이다 4. 4 음절불교어계한자어가 2 음절로줄여쓰이는경우는 菩提薩埵 가 菩薩 로되는것으로볼수있다. 이경우는한 - 베양국어에서똑같은모습으로사용되고있다. 산스크리트어 하국어 베트남어 Bodhisattva 보리살타 ( 菩提薩埵 ) 보살 bồ đề tát đoả( 菩提薩埵 ) bồ tá ( 菩薩 ) t( 菩薩 ) 특히, 한국어에서는 미륵보살 ( 彌勒菩薩 ) 은 4 음절로되어있다. 그러나베트남어에서는 3 음절로줄여쓰이며 彌勒菩薩 중의 菩薩 (bồ tát) 은 佛 (phật) 로대체되었고베트남어어순대로 佛 (phật) 은 彌勒 (di lặc) 앞에나온다. 다시말하면현재 phật di lặc ( 佛彌勒 ) 꼴로사용되고있다. 2. 구조적측면 산스크리트어나팔리어계불교어는당초인도에서부터중국으로유입되었을때중국어문법의어휘구조특징대로한자어로옮겼다. 이러한불교어계한자어휘는한국어나베트남어에들어간다음에 1 음절한자어 ( 業 : 업 - nghiệp ) 외에 2 음절이상한자어에유입언어의문법특징에맞추어일정한변경이일아날수있다. 한자순서가그대로유지된경우도있고그렇지않은경우도있다. - 2 음절불교어계한자어 중국문어계한자어와마찬가지로 2 음절불교어계한자어휘는수량이제일많다고할수있다. 이런경우의불교어계한자어는한국과베트남양국어에서한자순서가대부분같다. 예를들면功德 ( 공덕, công đức), 大悲 ( 대비, đại bi), 煩惱 ( 번뇌, phiền não), 法界 ( 법계, pháp giới), 佛敎 ( 불교, phật giáo), 佛道 ( 불도, phật đạo), 三業 ( 삼업, tam nghiệp), 西方 ( 서방, tây phương), 緣起 ( 연기, duyên khởi), 輪廻 ( 윤회, luân hồi), 因果 ( 인과, nhân quả), 眞實 ( 진실, chân thực) 등이있다. - 3 음절이상불교어계한자어 4 노명희 (1998:788)- 문법연구와자료.
292 第一屆西太平洋韓語教育與韓國學國際學術會議 이경우한국어의수식어 피수식어구성이중국어와동일하므로불교어계한자어는한국어에수입된후에한자순서가절대다수그대로유지되어있다. 이에반해베트남어의피수식어 - 수식어구성때문에특수한경우외에 3 음절이상불교어계한자어의한자순서가대부분베트남어의어휘구조대로바뀌어야했다. 일부그대로유지된어휘는베트남어에서비통사적이라고여겨진다. 다음은한 - 베양국어에서한자순서가같은경우와다른경우를살펴보도록하겠다. (1) 한 - 베양국어에서한자순서가같은경우 한자어 한국어 베트남어 四聖諦 사성제 tứ thánh đế 八正道 팔정도 bát chánh đạo 金剛乘 금강승 kim cương thừa 大慈大悲 대자대비 đại từ đại bi 西方極樂 서방극락 Tây phương cực lạc 觀世音菩薩 관세음보살 Quan thế âm bồ tát 大勢至菩薩 대세지보살 Đại thế chí bồ tát 표에서제시한한자어는한국 - 베트남양국어에서구조적순서가동일한것으로나타난다. 四聖諦 ( 사성제, tứ thánh đế) 는한국과베트남에서 四眞諦 ( 사진제, tứ chân đế), 四諦 ( 사제, tứ đế) 이라고도하는데, 특히베트남에서는이와같은말인 tứ diệu đế ( 四妙諦 ) 는제일널리사용되고있다. 八正道 ( 팔정도, bát chánh đạo) 에해당하는말은 八聖道 ( 팔성도, bát thánh đạo) 이다. 大慈大悲 ( 대자대비, đại từ đại bi), 西方極樂 ( 서방극락, Tây phương cực lạc) 은양국어에서같은한자순서가유지되어있다. 觀世音菩薩 과 大勢至菩薩 은주목할만한경우이다. 왜냐하면베트남어에서는일반적으로 bồ tát quan thế âm ( 菩薩觀世音 ), bồ tát đại thế chí ( 菩薩大勢至 ) 라고해야하기때문이다. (2) 한 - 베양국어에서한자순서가다른경우 한자어 한국어 베트남어 因果律 인과율 luật nhân quả( 律因果 ) 輪廻說 윤회설 thuyết luân hồi ( 說輪廻 ) 無我論 무아론 thuyết vô ngã( 說無我 ) 韓國佛敎 한국불교 Phật giáo Hàn Quốc( 佛敎韓國 ) 大乘佛敎 대승불교 Phật giáo đại thừa( 佛敎大乘 ) 因果律, 輪廻說 등같은불교어계한자어는베트남어에서는해당하는말이 luật nhân quả ( 律因果 ), thuyết luân hồi ( 說輪廻 ) 이다. 다시말하면 luật nhân quả ( 律因果 ), thuyết luân hồi ( 說輪廻 ) 중의 luật ( 律 ), thuyết ( 說 ) 은 nhân quả ( 因果 ), luân hồi ( 輪廻 ) 앞에나왔고 luật nhân quả ( 律因果 ), thuyết luân hồi ( 說輪廻 ) 의중심부가되었다. 無我論 에해당하는베트남어어휘는 thuyết vô ngã ( 說無我 ) 리고하는데이경우베트남어에서는 論 대신에 說 (thuyết) 가쓰여져있다. 韓國佛敎, 大乘佛敎 같은경우도마찬가지이다. 베트남에서는해당하는말이 Phật giáo Hàn Quốc ( 佛敎韓國 ), Phật giáo đại thừa ( 佛敎大乘 ) 라고한다.
한국어와베트남어의불교어계한자어에대하여 293 특히주목할만한경우는한국어에서는일반적으로사용될때나염불할때구분없이그대로사용되나베트남어에서는그렇지않다. 한자어 한국어 베트남어 阿彌陀佛 아미타불나무아미타불 Phật A Di Đà( 佛阿彌陀 ) Nam mô A Di Đà Phật( 南無阿彌陀佛 ) 釋迦牟尼佛 석가모니불나무석가모니불 Phật Thích Ca Mâu Ni ( 佛釋迦牟尼 ) Nam mô Thích Ca Mâu Ni Phật ( 南無釋迦牟尼佛 ) 淨土宗 (Tịnh Thổ Tông, Tịnh Độ tông) 은베트남전국으로널리알려져있는종파이다. 아미타불상은오래전부터많은곳에나타난불상이다. 어디든지사람들이 Nam mô A Di Đà Phật ( 南無阿彌陀佛 ) 이라는염불소리가들릴수있다. 이경우한국어는역시베트남어와같이 나무아미타불 이라는말로사용되고있다. 그러나베트남에서는일반적으로쓰일때는 Phật A Di Đà ( 佛阿彌陀 ) 로바뀌어야한다. 즉 Phật ( 佛 ) 는 A Di Đà ( 阿彌陀 ) 앞에나와야쓸수있다. 釋迦牟尼佛 ( 석가모니불, Thích Ca Mâu Ni Phật) 은역시마찬가지이다. 베트남에서는염불할때는 Nam mô Thích Ca Mâu Ni Phật ( 南無釋迦牟尼佛 ) 로, 일반적으로쓰일때는 Phật Thích Ca Mâu Ni ( 佛釋迦牟尼 ) 로사용되고있다. 이런용법은베트남사찰간판에사용될때와일반적으로사용될때볼수도있다. 예를들면사찰간판에서 đại hùng điện ( 大雄殿 ), Pháp Vân tự ( 法雲寺 ) 로쓰이지만이런경우외에 điện đại hùng ( 大雄殿 ), chùa Pháp Vân (chùa 法雲 ) 으로쓰이고있다. 法雲寺 중의 寺 는베트남어에서단어가아니라형태소이므로일반적으로사용될때해당하는고유어인 chùa 로바뀌었다. 이런경우는 gạo cúng nhường (gạo 供養, 供養米 ), quan âm nghìn tay ( 觀音 nghìn tay, 千手觀音 ) 등에도나나타있다. 3. 의미적측면 불교어계한자어는중국에서수용된후에오늘날까지한 - 베양국어에서같은의미로사용되는경우가많지만부분적으로다르거나완전히다른경우도있다. 이부분에서양국불교어계한자어를동형동의어와동형이의어로나누어의미상공통점과차이점을개괄적으로살펴보도록하겠다. 한국한자어의의미해석은국립국어연구원 (1999) 의 표준국어대사전 을근거로하고베트남한자어의의미해석은 Nguyen Nhu Y 외 (2008) 의 베트남어대사전 을근거로하였다. 보조적으로 http://www.quangduc.com/tudien( 불교사전 ) 을참고하기도하였다. 3.1. 동형동의어 동형동의어는한자어중에서한ㆍ베양국사전에나와있는개념적의미가모두같은한자어를가리킨다. 불교어계한자어중에서다음과같은한자어는양국어에서의미상차이가없다. 光明 ( 광명, quang minh), 大悲 ( 대비, đại bi), 大乘 ( 대승, đại thừa), 彌勒 ( 미륵, di lặc), 煩惱 ( 번뇌, phiền não), 法界 ( 법계, pháp giới), 佛道 ( 불도, phật đạo), 삼업 ( 三業, tam nghiệp), 西方 ( 서방, tây phương), 小乘 ( 소승, tiểu thừa),
294 第一屆西太平洋韓語教育與韓國學國際學術會議 여래 ( 如來, như lai), 慈悲 ( 자비, từ bi), 眞實 ( 진실, chân thực), 眞空 ( 진공, chân không), 破戒 ( 파계, phá giới), 四聖諦 ( 사성제, tứ thánh đế), 八正道 ( 팔정도, bát chánh đạo) 3.2. 동형이의어 동형이의어는완전이의어와부분이의어로구분하여살펴보도록하겠다. 동일한한자어라도시간이지남에따라양국어에서의미가완전히또는부분적으로달라지는어휘가있다. 이러한현상발생원인은사용과정에서양민족의인식으로인하여이의가발생하였다고할수있다. 3.2.1. 완전이의어 동형한자어중에서한ㆍ베양국사전에나와있는전체의미가상이한한자어를완전이의어라고한다. 불교어계한자어중에서다음과같은한자어는양국어에서의미상완전히다른것으로보인다. 點心 ( 점심, điểm tâm) 은한국에서는 선원에서, 배고플때에조금먹는음식 을이르는말인데마음을점검한다는뜻이다. 이에반해베트남에서는 가벼운朝食 (buổi ăn sáng nhẹ) 이라는의미로사용되고있다. 그리고한국어의 업장 ( 業障 ) 은 삼장 ( 三障 ) 의하나인데말, 동작또는마음으로지은악업에의한장애 를이른다. 반면에베트남어의 nghiệp chướng ( 業障 ) 은 이겁 ( 劫 ) 에서얻은나쁜결과은지난겁에서지은죄악때문이다 (hậu quả phải gánh chịu ở kiếp này do tội ác ở kiếp trước gây ra) 를뜻한다. 3.2.2. 부분이의어 동형한자어중에서한ㆍ베양국사전에나와있는일부의미가상이한한자어를부분이의어라고한다. 다음은불교어계한자어중에서한국어에서의미가더넓은경우, 베트남어에서의미가더넓은경우, 그리고양국어에서일부의미가달라진경우로나누어고찰하겠다. 가 ) 한국어에서의미가더넓은경우 化緣 ( 화연, hoá duyên) 은한 - 베양국어에서 중생을교화하는인연. 불보살의출현은이때문이며, 이인연이다하면곧열반에든다 라는의미는양국에서공통적으로사용되고있다. 이의미외에한국에서는 교화를받아들일인연이되는중생의근기 ( 根機 ) 라는뜻으로도쓰이고있다. 이러한의미는베트남어에없다. 苦行 ( 고행, khổ hạnh) 은양국에서 몸으로견디기어려운일들을통하여수행을쌓는일 을가리키는데한국에서는 절에거주하면서심부름을하는사람 을뜻하기도한다. 베트남어에서는두번째의미는존재하지않는다. 나 ) 베트남어에서의미가더넓은경우 菩提 ( 보리, bồ đề) 는한 - 베양국에서 불교최고의이상인불타정각의지혜 그리고 불타정각의지혜를얻기위하여닦는도. 불과 ( 佛果 ) 에이르는길 을가
한국어와베트남어의불교어계한자어에대하여 295 리킨다. 이러한의미외에베트남어에서는 bồ đề ( 菩提 ) 는 보리수 를이르기도한다. 衆生 ( 중생, chúng sinh) 은양국에서 모든살아있는무리 라는의미가공통적으로사용되고있으나이의미외에베트남어에서는 還生 (sự sống chết trải qua nhiều lần, many lives, or many transmigrations) 을뜻하기도한다. 다 ) 양국어에서일부의미가달라진경우 淨戒 ( 정계, tịnh giới) 는 부처가만든청정한계행 ( 戒行 ) 또는계법 ( 戒法 ) 을가리키는데이러한의미외에양국에서각각좀다른의미로사용되고있다. 한국에서는 비구오덕 ( 比丘五德 ) 의하나. 평생동안청정한계율을지키는일 을이른다. 베트남에서는 이계율대로살면身心이점점청정해진다 (Sống theo giới luật này thân tâm sẽ dần dần được trong sạch, thanh tịnh). 이상으로한 - 베양국불교어계한자어를음운적, 구조적, 그리고의미적측면에서고찰하였다. 음운적으로는음독이유입시기부터현재까지한 - 베양국어에서유지되어변화가없는경우도있고한국어에서나베트남어에서음운적변화가일어난경우도있다. 구조적으로는 2 음절과 3 음절이상불교어계한자어로나누어한 - 베양국어에서한자순서가같은경우와한자순서가다른경우를살펴보았다. 의미적으로는양국불교어계한자어를동형동의어와동형이의어로나누어의미상공통점과차이점을개관하였다. 동형이의어중에서완전이의어와부분이의어로구분하였다. 부분이의어는한국어에서의미가더넓은경우, 베트남어에서의미가더넓은경우, 그리고양국어에서일부의미가달라진경우로나누어고찰하였다.
296 第一屆西太平洋韓語教育與韓國學國際學術會議 참고문헌 노명희 (1998), 한자어 문법연구와자료, 태학사. 박영섭 (1995), 國語漢字語彙論, 박이정. 송기중 (1999), 漢字文化圈, < 새국어생활 > Vol.9, No.2. 심재기 (1982), 國語語彙論 集文堂. 안명철, 리낀히엔 (2008), 한 - 베한자어비교연구의기본방향, 인하대 - 하노이인문사회대국제학술회의자료집. Bùi Đức Tịnh(1981), 한자어, 사회과학출판사. Hoàng Văn Hành, Hà Quang Năng, Nguyễn Văn Khang(2008), 베트남어어휘, 사이공문화출판사. Lê Đình Khẩn(2002), 베트남어의한자어휘, 胡志明市국립대출판부. Nguyễn Lang(1979), Việt Nam Phật giáo Sử Luận( 베트남불교사론, tập III), Văn Học 출판사. Nguyễn Văn Khang(2007), 베트남어의외래어, 교육출판사. TT KHXH&NV QG(2002), 베트남어문법, 사회과학출판사. 국립국어연구원 (1999) 표준국어대사전 ( 주 ) 두산동아. Nguyễn Như Ý 외 (2008), 베트남어대사전, 호찌민시국립대출판사. Nguyễn Kim Thản(2008), 現代漢越詞典, 사회과학출판사. Viện ngôn ngữ học( 언어학연구원, 2006), 베트남語辭典, 다낭출판사. http://www.quangduc.com/tudien/index.html http://www.hoalinhthoai.com/?option=dict_budd&lang=vn
한국어와베트남어의불교어계한자어에대하여 297 Abstract The paper generally consider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n phonological, structural and semantic aspects of Sino-Korean and Sino-Vietnamese words through the comparison of Buddhist-origin words. Comparisons are mainly made between Sino- Korean words and Sino-Vietnamese words of the same shape. Phonologically, there is case without phonological change and case of phonological change in Korea or in Vietnam. On the structural aspect, Chinese characters of the same order and different order was surveyed after dividing Buddhist-origin Sino-Korean and Sino-Vietnamese words into 2 and 3 syllabic words. Semantically, Sino-Korean and Sino-Vietnamese words of the same shape were divided into words of the same meaning and different meaning to survey. In which words of different meaning was classified into words of completely different meaning and words of partially different meaning. Words of partially different meaning continue to be divided into (i) Sino-Korean words with broader meaning, (ii) Sino-Vietnamese words with broader meaning, and (iii) words with intersectional meaning in two languages.
298 第一屆西太平洋韓語教育與韓國學國際學術會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