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등록번호 51-B 현재흡연율 가정실내간접흡연노출률 직장실내간접흡연노출률 여성가구주가구비율등록장애인인구비율이주민인구비율 총인구수노인인구비율 1인가구비율 고등학교졸업이하교육수준인구비율 실업률 관리자 전문가인구비율 고용원없는자영업자인구비율 비

Similar documents


ISSN 제 280 호 ( ) 발행일 : 우리나라의료이용및건강수준불평등 국가전체의건강수준을향상시키기위해서는국민개개인의건강수준을향상 시키는것이가장중요할수있지만, 인구집단간건강불평등을감소시키는 것도중요한문제임 현재우리나라

<표 1-2-1> 시군별 성별 외국인 주민등록인구 ( ) (단위 : 명, %) 구분 2009년 2010년 외국인(계) 외국인(여) 외국인(남) 성비 외국인(계) 외국인(여) 외국인(남) 성비 전국 870, , , ,

GGWF Report는사회복지분야의주요현안에관하여정책의방향설정과실현에도움을주고자, 연구 조사를통한정책제안이나아이디어를제시하고자작성된자료입니다. 본보고서는경기복지재단의공식적인입장과다를수있습니다. 본보고서의내용과관련한의견이나문의사항이있으시면아래로연락주시기바랍니다. Tel

Ⅳ. 가구구조 1. 가구구조의변화 1. 가구구조의변화 1.3 자치구가구수분포 1.1 가구수의변화 평균가구원수가가장큰구는양천구로 2.93 명, 가장작은구는관악구로 2.34 명 2010 년의가구수는 350 만가구로 1980 년보다 그림 4-1 과의가구규모의증가율 (1980

이용자를위하여 1. 본보고서에수록된내국인통계는 2017 년 12 월 31 일현재 주민등록법 에의하여주민등록표에등재된세대와인구를집계한것입니다. 그리고외국인통계는 출입국관리법 에의하여외국인정보공동이용시스템에등재된인구를집계하여수록한것입니다. 2. 본통계자료는다음과같은사유로작

건강친화개념도입과 건강도시조성을위한전략연구

별지 제4

Ⅱ. 의주택현황 1. 주택재고 1. 주택재고 1.1. 주택유형별재고 주택유형의구분주택유형은단독주택과공동주택으로구분된다. 단독주택은독립된주거의형태를갖춘일반단독주택과, 여러가구가살수있도록구성된다가구주택으로나눌수있다. 다가구주택은 3개층이하, 연면적 6m2이하, 19세대이하

' 서울여성취업자수 ' 40~50 대가 20~30 대첫추월 - 1 -


이연구내용은집필자의개인의견이며한국은행의공식견해 와는무관합니다. 따라서본논문의내용을보도하거나인용 할경우에는집필자명을반드시명시하여주시기바랍니다. * 한국은행금융경제연구원거시경제연구실과장 ( 전화 : , *

<5BB1E2BABB D20C0E5B9CCC7FD2E687770>

법령 고용상연령차별금지및고령자고용촉진에관한법률시행령 ( 제 2 조 ) 노인복지법 ( 제 28 조 ) 국민연금법 ( 제 61 조 ) 고령자또는노인의범위 고령자 : 55 세이상 준고령자 : 50 세이상 55 세미만 65 세이상인자 : 노인에대한복지도모대상으로규정 60 세


베이비붐세대의근로생애와은퇴과정연구

ºñÁ¤±Ô±Ù·ÎÀÇ ½ÇÅÂ¿Í °úÁ¦.hwp

src.hwp

수도권과비수도권근로자의임금격차에영향을미치는 집적경제의미시적메커니즘에관한실증연구 I. 서론



일러두기 노사정위원회합의문중관련내용은부록참조 유형간중복을제거한비정규직규모는 < 참고 2> 를참조


성인지통계

<33BFF9B0EDBFEBB5BFC7E22E687770>

ºñÁ¤±ÔħÇغ¸°í¼�.hwp

공무원복지내지82p-2009하

II. 기존선행연구

<B4E3B9E8B0A1B0DD DB9E8C6F7C0DAB7E12E687770>

2014 년서울지역아르바이트노동실태 - 서울시및 25 개자치구일자리와시급 - 김종진 ( 한국노동사회연구소연구위원 ) * 1) 1. 분석자료개요 가. 분석자료 분석자료는 2014년상반기서울지역사업주가 알바천국 ( 주 ) 에아르바이트채용구인광고입력원자료를재분석한것임. 분석

< B0E6C3D12D4A424620BBF3C8A3B1B3B7F9C7C1B7CEB1D7B7A520C8B8C0C720C0DAB7E12028C3BBB3E2BDC7BEF72928BCADBFB5C1F8292E687770>

발간등록번호대한민국의새로운중심 행복도시세종 2015 년기준 사업체조사보고서 Report of The Census on Establishments

일러두기 월별출생, 사망, 혼인, 이혼통계 우리나라국민이 통계법 및 가족관계의등록등에관한법률 에따라신고한출생, 사망, 혼인, 이혼자료를기초로집계하며, - 출생ㆍ사망 : 발생월기준으로지연신고등을추정하여합산함 ( 국내거주만집계 ). - 혼인ㆍ이혼 : 신고월기준으로집계함 (


출산전후근로및임금동학에관한연구 첫자녀출산과연계된경력단절및복귀를중심으로 I. 서론

<C0CEB1C7C0A7C3D6C1BEBAB8B0EDBCAD28BCF6C1A4BABB E687770>

일러두기 년출생 사망통계 잠정 이자료는우리나라국민이 통계법 및 가족관계의등록 등에관한법률 에따라시구청및읍면동사무소에접수한 출생 사망자료를기초로작성한잠정결과임 년에발생한출생사망중 년 월부터 년 월까지의 신고분및향후접수될것으로예상되는지연신고분을추정하여 집계분석한결과임 확정

hwp

hwp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 단위 : 가수, %) 응답수,,-,,-,,-,,-,, 만원이상 무응답 평균 ( 만원 ) 자녀상태 < 유 자 녀 > 미 취 학 초 등 학 생 중 학 생 고 등 학 생 대 학 생 대 학 원 생 군 복 무 직 장 인 무 직 < 무 자 녀 >,,.,.,.,.,.,.,.,.


The 3 rd Health Plan Trend Report Contents 16 개대표지표 І 개요 02 П 주요결과요약 04 Ш 세부내용분석 06 대표지표 1. 성인남자흡연율 06 대표지표 2-1. 성인남자고위험음주율 07 대표지표 2-2. 성인여자고위험음주율 08

서울도시연구_13권4호.hwp

남 김 * 현 일반자금대출 전남 목포시 여 김 * 희 일반자금대출 서울 마포구 여 김 * 은 일반자금대출 서울 노원구 남 김 * 헌 일반자금대출 서울 강남구 남 김 * 문 일반자금

<C3D6C1BEBAB8B0EDBCAD5FB4E3B9E8B0A1B0DDC0CEBBF3B0FA20C0E7BFF8C8B0BFEBB9E6BEC82E687770>

년암발생자수는 년대비 명이증가하여 년의 년 대비암발생자수증가 명증가 와비교하여둔화되었다 모든암연도별연령표준화발생률추이 모든암의조발생률은 년 만명당 명으로 년 만 명당 명과비교하여 명증가하였다 남자의조발생률은 년과비교하여 만명당 명증가하였 으며 여자의조발생률은 년과비교하

src.xls

일러두기 노사정위원회합의문중관련내용은부록참조 예 ) 일정수준임금이하또는이상의근로자를기준으로저 ( 최저 ) 임금근로자규모 ( 비중 ) 또는고임금근로자규모 ( 비중 ) 등을산출하는경우

hwp

일러두기 고령자의삶 은통계청및각통계작성기관에서만든통계자료를재분류 가공하여작성하였습니다 호남지방통계청은전북지역의고령자현황을파악하여향후 정책수립에활용하고자 전북지역고령자의삶 을작성하 였습니다 이용시유의사항 인구관련통계는통계청 장래인구 가구 추계시도편 자료를 시군별고령인구비

제 2 호 노인가구의추세와특징 노인가구분포 전체노인가구의비율은 24 년이후꾸준히증가추세 - 7 차조사 (24 년 ) 17.5% 에서 1.4 배증가하여 15 차조사 (212 년 ) 24.2% 로상승


ePapyrus PDF Document

210 법학논고제 50 집 ( )

1362È£ 1¸é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33312DBCADBFEFBFACB1B820C6F7C4BFBDBA203331C8A32834BFF93235C0CFC0DA2DBAAFB9CCB8AE2DB1E8B0A9BCF6292E687770>

2013 국토조사연감 075 전국 대기오염도(SO2) 년 대기오염도(SO2) (ppm) 년 2012년

- 1 -

ePapyrus PDF Document


<C1A634C0E52E687770>

Ⅰ. 2003年財政 運營方向


어디서 찾지? TAAS(교통사고분석시스템)홈페이지를 클릭하면 교통사고통계가 한눈에 TAAS란? 도로교통공단은 교통안전법 제59조, 동법 시행령 제48조 제3항 에 따라 경찰 보험사 공제 조합 등의 교통사고 통계자료를 통합(구

목차 제1절서론 1 1. 연구배경및목적 1 2. 이론적고찰 2 3. 연구내용및방법 10 제 2 절인구이동의요인분석 전국총이동규모의변동요인 지역별인구이동요인분석 22 제 3 절결론 요약 연구의한계 42 < 부록 > 45

< 내용요약 > 최근 3년간서울에서는 270.9만세대가전입, 주요전입지역은관악구, 송파구, 강남구등 서울외지역에서서울로전입한경우는 3년간총 69.7만세대이며이주지로는강남구, 송파구, 강서구, 동작구등강남권지역을선호 세대주연령별로 20~30대의전입이많았으며세대원수별로는

2. 경기도사회통합부문의 OECD 내위상 q 경기도는사회복지수준과성평등수준이 OECD 34 개국중에서거의최하위수준 경기도는 인당복지비용 위 대비사회복지지출비중 위 경기도는성평등지표에서여성고용률 위 여성취업자비중 위 여성의경제활동참가율 위 q 경기도는건강증진수준은비교적양

목차 I. 지역사회현황분석 1 1. 지역사회현황분석 1 2. 지역사회현황분석종합 67 II. 제 5 기지역보건의료계획성과와개선과제 제 5 기지역보건의료계획수립과정평가 제 5 기지역보건의료계획시행결과평가 72 III. 제6기지역보건의료계획추진체계 7

<C1A4C3A5B8AEC6F7C6AE C8A3202D20BCF6C1A4322E687770>

공공기관임금프리미엄추계 연구책임자정진호 ( 한국노동연구원선임연구위원 ) 연구원오호영 (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연구위원 ) 연구보조원강승복 ( 한국노동연구원책임연구원 ) 이연구는국회예산정책처의정책연구용역사업으로 수행된것으로서, 본연구에서제시된의견이나대안등은

제 1 장. 조사개요 1. 조사설계 4 2. 응답자특성 5 제 2 장. 조사결과 1. 문재인대통령국정수행평가 7 2. 서울시장가상대결 A : 박영선 김문수 안철수 인지연 신지예 9 3. 서울시장가상대결 B : 박원순 김문수 안철수 인지연 신지예 서울시장가상대

A Time Series and Spatial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Housing Prices in Seoul Ha Yeon Hong* Joo Hyung Lee** 요약 주제어 ABSTRACT:This study recognizes th

2006

남 강 * 구 읷반자금대출 경기 앆성시 남 강 * 구 읷반자금대출 부산 금정구 남 강 * 읷 읷반자금대출 경기 의왕시 남 강 * 태 읷반자금대출 경기 광주시 여 강 * 미 읷반자금

일러두기 년출생통계 확정 이자료는우리나라국민이 통계법 과 가족관계의등록 등에관한법률 에따라시구청및읍면동사무소에신고한 출생자료를기초로작성한결과임 년에발생한출생사건에대해 년 월까지 개월 신고된자료를기준으로집계분석한결과임 이결과는확정치로 년 월 월까지지연신고분추정치가 반영된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2015 년적용최저임금인상요구 2015 년적용최저임금요구안 양대노총단일안

(001~006)개념RPM3-2(부속)


1 제 26 장 사회간접자본의확충

일러두기 고령자의삶 은통계청및각통계작성기관에서만든통계자료를재분류 가공하여작성하였습니다 호남지방통계청은전남지역의고령자현황을파악하여향후 정책수립에활용하고자 전남지역고령자의삶 을작성하 였습니다 이용시유의사항 인구관련통계는통계청 장래인구 가구 추계시도편 자료를 시군별고령인구비

<BBE7B8C120B9D720BBE7B8C1BFF8C0CE20C5EBB0E8B0E1B0FA E687770>

Women's Health 16 Stats & Facts in Korea 수치로보는여성건강 16 CONTENTS 서론 Ⅰ 인구학적특성과사회경제적환경 3 Ⅱ 전반적건강수준과만성질환 11 Ⅲ 건강행태 3 Ⅳ 성건강 31 V 재생산건강 37 Ⅵ 정신건강 4 Ⅶ 의료이용 3

전체범죄의발생건수및발생비추이 (2006 년 ~2015 년 ) 5 ( %) 연도 전체범죄 교통범죄를제외한전체범죄 발생건수발생비증가율 6 발생건수발생비증가율

목차 Ⅰ. 사업개요 1 1. 사업목적 1 2. 사업목표 1 가. 단기목표 1 나. 중장기목표 ( 성과지표 ) 2 다. 산출목표 3 3. 주요사업내용및사업대상 4 가. 주요사업내용 4 나. 사업대상 5 4. 주요사업자체평가 ( 계획대비성과 ) 6 가. 중장기목표달성도 6


1. 조사설계 조사대상 2017 년 2 월현재, 전국만 19 세이상남녀 표본의크기 조사방법 1,021 명 ( 가중전 1,021 명, 가중후 1,000 명 ) - 가중치를 1,000 명기준으로부여했으나, 보도시표본크기는 1,021 명으로보도해야함. 구조화된설문지를이용한전

NYPI YOUTH REPORT VOL.48 _ 발행일 발행인 이재연 발행처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주 소 서울시 서초구 태봉로 114 교총빌딩 9/1층 전화 팩스 제 작 계문사

8 경기도 강원도 인천 1 서울 충청남도 세종 3 대전 충청북도 경상북도 전라북도 광주 2 전라남도 경상남도 대구 부산 27 울산 22 제주도 30


Untitled-1


Ⅰ. 조사목적 본조사는전국민을대상으로대통령국정수행지지도, 정당지지도등을 파악하여, 국민여론을파악하는기초자료수집에그목적을둠. Ⅱ. 조사설계 조사대상 전국거주만 19세이상성인남녀 표본수 총 1,035 명조사후, 지역, 성, 연령별사후보정 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서최대허용

untitled

< >, 2(2012~2013) 8,474( , , ,781). 3,846( , ,615)., (2012 9, ,628) 149 ( 109, 40 ), ( ,99

2011년_1분기_지역경제동향_보도자료.hwp

Transcription:

발간등록번호 51-B553798-000001-10 현재흡연율 가정실내간접흡연노출률 직장실내간접흡연노출률 여성가구주가구비율등록장애인인구비율이주민인구비율 총인구수노인인구비율 1인가구비율 고등학교졸업이하교육수준인구비율 실업률 관리자 전문가인구비율 고용원없는자영업자인구비율 비정규직인구비율 재정자주도 기초생활수급자비율 지역박탈지수 교통안전지수장애인편의시설설치율 식품안정성미확보율 1 인당생활공원면적 비주택거주가구비율 인플루엔자예방접종률 자궁경부암검진수진률 여자유방암검진수진률스트레스인지율 고위험음주율중등도이상신체활동실천율저체중률비만율위암검진수진률대장암검진수검률 5 대범죄발생건수 이웃에대한신뢰율 공공기관에대한신뢰율 경제적이유로인한미충족의료비율 ( 치과미포함 ) 경제적이유로인한치과미충족의료비율 1 인당사회복지예산액 공공보건의료기관분포 1 인당보건예산액 방문건강관리사업방문전문인력당취약가구수 저체중출생아비율 씹기불편비율 주관적구강건강나쁨비율 활동제약비율 주관적건강나쁨비율 관절염유병률 우울증진단경험률 당뇨병유병률 이상지혈증유병률 고혈압유병률 교통사고사상자수 영아사망률모성사망비폐렴사망률 뇌혈관질환사망률자살사망률당뇨병사망률 심장질환사망률 기대여명건강기대여명총사망률암사망률폐암사망률간암사망률위암사망률 인구 교육 고용 소득 지역박탈지수 물질적환경 건강행태 사회심리적요인 사회통합과사회자본 유병 보건의료및복지서비스 손상 사망 2017 서울시건강격차 모니터링 통계집 Ⅰ 주요통계

CONTENTS 요약문 06 제 1 장. 분석개요 1. 건강격차설명틀 12 2. 서울시건강격차모니터링지표 14 3. 분석방법 17 4. 제시방법 24 제 2 장. 서울시건강격차주요통계 1. 사회구조요인 인구 1-1 총인구수 30 1-2 노인인구비율 32 1-3 1인가구비율 34 1-4 여성가구주가구비율 36 1-5 등록장애인인구비율 38 1-6 이주민인구비율 40 교육 1-7 고등학교졸업이하교육수준인구비율 42 고용 1-8 비정규직인구비율 44 1-9 관리자 전문가인구비율 45 1-10 고용원없는자영업자인구비율 46 1-11 실업률 48 소득 1-12 재정자주도 49 1-13 기초생활수급자비율 51 지역박탈지수 1-14 지역박탈지수 53

2017 Monitoring of Health Disparities, SEOUL 2017 서울시건강격차모니터링 2. 중재요인 물질적환경 2-1 비주택거주가구비율 58 2-2 식품안정성미확보율 60 2-3 1인당생활권공원면적 64 2-4 교통안전지수 66 2-5 장애인편의시설설치율 68 건강행태 2-6 현재흡연율 69 2-7 가정실내간접흡연노출률 75 2-8 직장실내간접흡연노출률 78 2-9 고위험음주율 80 2-10 중등도이상신체활동실천율 85 2-11 저체중률 89 2-12 비만율 92 2-13 위암검진수진률 98 2-14 대장암검진수진률 102 2-15 여성유방암검진수진률 105 2-16 자궁경부암검진수진률 107 2-17 인플루엔자예방접종률 109 사회심리적요인 2-18 스트레스인지율 112 사회통합과사회자본 2-19 이웃에대한신뢰율 115 2-20 공공기관에대한신뢰율 117 2-21 5대범죄발생건수 119 보건의료및복지서비스 2-22 공공보건의료기관분포 120 2-23 1인당보건예산액 121 2-24 방문건강관리사업방문전문인력당취약가구수 123 2-25 경제적이유로인한미충족의료비율 ( 치과미포함 ) 125 2-26 경제적이유로인한치과미충족의료비율 128 2-27 1인당사회복지예산액 131

CONTENTS 3. 건강결과 유병 3-1 고혈압평생의사진단경험률 136 3-2 당뇨병평생의사진단경험률 140 3-3 이상지질혈증평생의사진단경험률 143 3-4 관절염평생의사진단경험률 147 3-5 우울증진단경험률 150 3-6 활동제약비율 154 3-7 주관적건강나쁨비율 156 3-8 씹기불편비율 162 3-9 주관적구강건강나쁨비율 168 3-10 저체중출생아비율 174 손상 3-11 교통사고사상자비율 176 사망 3-12 기대여명 178 3-13 건강기대여명 182 3-14 총사망률 185 3-15 암사망률 192 3-16 폐암사망률 197 3-17 간암사망률 201 3-18 위암사망률 205 3-19 심장질환사망률 209 3-20 뇌혈관질환사망률 213 3-21 자살사망률 218 3-22 당뇨병사망률 223 3-23 영아사망률 227 3-24 모성사망비 230 3-25 폐렴사망률 234

2017 Monitoring of Health Disparities, SEOUL 2017 서울시건강격차모니터링 제 3 장. 서울시자치구현황 1. 강남구 240 2. 강동구 241 3. 강북구 242 4. 강서구 243 5. 관악구 244 6. 광진구 245 7. 구로구 246 8. 금천구 247 9. 노원구 248 10. 도봉구 249 11. 동대문구 250 12. 동작구 251 13. 마포구 252 14. 서대문구 253 15. 서초구 254 16. 성동구 255 17. 성북구 256 18. 송파구 257 19. 양천구 258 20. 영등포구 259 21. 용산구 260 22. 은평구 261 23. 종로구 262 24. 중구 263 25. 중랑구 264 부록표준인구 : 2005 년추계인구 266

요약문 서울특별시는시민의건강권을보장하고삶의질을높이고자 < 서울시건강격차모니터링 > 통계집을 2013 년 부터발간하고있다. <2017 서울시건강격차모니터링 > 통계집은서울시자치구시민의사회경제적 건강수준, 주요건강문제를파악하여효율적인맞춤형보건정책을세울수있도록건강격차를개괄하여보여준다. <2017 서울시건강격차모니터링 > 통계집은서울시의보건의료실무자, 관료, 보건복지관련단체, 그리고일반 시민들에게건강격차의현황에대한자료를제시함으로써건강격차에대한인식을확산시키고관심을유도하며논의의기반을제공할것이다. <2017 서울시건강격차모니터링 > 통계집은두권으로구성되어있다. 통계집 Ⅰ은서울시건강격차현황의주요통계를그림위주로나타내어건강격차가쉽게드러나고이해하기쉽게하였다. 또서울시 25개자치구별핵심지표현황을요약하여, 서울시내에서각자치구의위치를간단히확인할수있도록하였다. 통계집 Ⅱ에는전체지표에대해격차를분석한결과를통계표형태로실었다. 정확한수치는통계집 Ⅱ를통해확인이가능하다. 서울시건강격차모니터링통계는사회구조요인, 중재요인, 건강결과 3개의요인 66개의지표로구성되어분석되었다. 사회구조요인은인구, 교육, 고용, 소득, 지역박탈지수로, 중재요인은물질적환경, 건강행태, 사회심리적요인, 사회통합과사회자본, 보건의료및복지서비스로구성하였다. 건강결과에는유병, 손상, 사망을포함하였다. 각지표들에대해자치구, 소득수준, 교육, 직업등주요사회경제적위치별건강격차를제시하였다. 지표는건강격차설명틀에기초하여선정되었다. 건강격차설명틀은 2010 년세계보건기구에서제시한건강격차를설명하는개념틀을일부수정한것으로, 단지개인의선택이나타고난기질에의해서만건강과건강격차가발생하는것이아니라, 건강도사회적과정의일부로서사회적으로구조화되어차별적으로분포하게된다는것을나타낸다.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기전은소득, 교육, 직업, 성별, 인종등사회경제적위치들간의관계를형성한다. 이러한사회경제적위치는건강의중재요인인물질적환경, 건강행태, 사회심리적요인등건강위험요인의노출에영향을미치고, 결과적으로사회경제적으로위치지어진집단들간에건강격차를발생시키게된다.

2017 Monitoring of Health Disparities, SEOUL 2017 서울시건강격차모니터링 <2017 서울시건강격차모니터링 > 은전년도결과와비교분석에중점을두고서술되었으며, 인구주택총조사 (5년단위생성 ) 와같이분석을위한원자료 (Raw data) 가연단위의주기적으로생성되지않는경우에는 <2017 서울시건강격차모니터링 > 발행연도에서가장최근생성된원자료 (Raw data) 를바탕으로분석하여그결과를통계집에업로드하였다. 사회구조요인의분석결과전반적으로서울시전체인구는줄고있으나, 노인인구비율은지속적으로증가하는추세를보이고있다. 또한 1인가구비율과여성가구주가구비율도증가추세를보이며, 기초생활수급자비율은 2015 년급격한증가이후전년도대비비슷한수준을유지하는것으로나타났다. 지방자치단체예산규모를나타내는재정자주도는지속적으로감소하는추세를보이다가 2016 년이후전년도대비비슷한수준을유지하고있다. 중재요인중식품안정성미확보율지표는 경제적으로어려워서먹을것이부족했다 고응답한가구의분율로서울시 25개자치구중가장낮은자치구는 0.7% 였지만, 가장높은자치구는 6.3% 로격차를보인것으로나타났다. 만 30-64세중졸이하교육수준인시민들의식품안정성미확보율은 8.7% 로나타난반면, 교육수준이대졸이상인경우 0.9% 로두교육수준간격차는 7.8%p, 9.64 배차이로나타났다. 한편주요건강행태인남자현재흡연율은전년대비증가하였고자치구간격차도증가한것으로나타났다. 그러나만 30-64세중졸이하남자의현재흡연율은 59.2% 로나타난반면, 교육수준이대졸이상인남자현재흡연율은 36.4% 로나타나두교육수준간격차는 22.8%p 로 1.63 배의차이를보이며, 남자흡연율의교육수준별격차는전년대비감소한것으로나타났다. 서울시고위험음주율은전반적으로전년대비감소한것으로나타났고, 서울시 25개자치구간격차는감소하였으나교육수준별격차는증가한것으로나타났다. 또한서울시저체중률은전반적으로전년대비소폭감소하였으나비만율은증가한것으로나타났다. 경제적이유로인한미충족의료비율은전년대비감소하였고, 자치구별, 직업별미충족의료비율격차도전년대비감소하였으나교육수준별격차는전년대비증가한것으로나타났다.

건강결과요인중사망원인별사망률에서는암, 뇌혈관질환, 자살, 당뇨병사망률이전년대비감소하였고, 심장질환사망률과폐렴사망률은증가한것으로나타났다. 그중폐렴사망률의경우 2014 년이후지속적으로증가하면서 5대사망원인에포함되어폐렴사망률지표를추가하였다. 폐렴사망률이가장높은구와서울시폐렴사망률과의차이는십만명당 4.5명으로, 서울시폐렴사망률의 28.97% 만큼더높았다. 만 30-64세중졸이하인남성의폐렴사망률은십만명당 27.3 명, 대졸이상인경우십만명당 1.0 명으로십만명당 26.3 명, 27.87 배차이가났다. 출생시서울시전체기대여명은 82.28 세로전년대비다소증가하였으며, 남자 79.87 세, 여자 84.75 세로여자가남자에비해 4.88년더긴것으로나타났다. 고혈압, 당뇨병, 관절염등주요만성질환에서도자치구별, 교육수준별, 직업별격차가확인되었다. 특히, 씹기불편비율에서건강격차가크게나타났다. 씹기불편비율이가장높은자치구는 29.6% 로서울시전체와비교하여 10.4%p, 1.54 배차이가있는것으로나타났고, 씹기불편비율이가장낮은자치구는 11.7% 로서울시전체보다 7.6%p 더낮게나타났다. 분석결과, 거주하는자치구에따라소득수준, 교육수준, 직업에따라건강수준에서차이가발견되었다. 교육수준이상대적으로낮고소득수준이낮을수록, 육체직이나서비스 판매직에근무할수록좋은건강을누리지못하는것으로나타났다. 서울시노인인구비율, 1인가구비율, 이주민인구비율, 고등학교졸업이하교육수준인구비율, 고용원없는자영업자인구비율, 기초생활수급자비율, 지역박탈지수등이높은자치구의경우, 건강수준도상대적으로뒤처지는것으로나타나, 향후건강결과에미치는영향을주시할필요가있다. <2017 서울시건강격차모니터링 > 통계집은사회적결정요인과중재요인, 건강결과지표를포괄적으로고려하여, 최신자료를분석하여공식통계집으로최근 5년간지속적으로발간되었다는점에서매우큰의의를가진다. 통계집은자치구로배포되어, 건강추이및자치구별격차등을쉽게파악할수있도록하였으며, 보건사업, 보건정책기획시중요한기반이될것으로기대한다. 서울시건강격차모니터링은건강과관련하여중요하게다뤄지는추가지표를발굴하여서울시민의건강수준향상, 자치구간건강격차감소를위해지속적인모니터링수행을바탕으로, 서울시민들의건강에대한인식과관심을증가시키고, 궁극적으로건강형평성을지향한서울시보건정책과천만서울시민들을위한건강한공공보건정책수립이이루어질때에야그의의가바래지않을것이다.

2017 Monitoring of Health Disparities, SEOUL 2017 서울시건강격차모니터링 [ 서울시건강격차 : 핵심지표요약 ] 분류 사회구조요인 중재요인 건강결과 지표 기간 ( 년 ) 재정자주도 2016 기초생활수급자비율 2015 1 인가구비율 2010 지역박탈지수 2010 비주택거주가구비율 2010 식품안정성미확보율 2014-15 남자현재흡연율 2015 자치구최솟값 서울시 자치구최댓값 가장높은자치구값과서울시의격차 g) 43.2( 강서 ) 53.2 a) 66.9( 종로 ) (%) 기간 ( 년 ) 자치구최솟값 서울시 자치구최댓값 가장높은자치구값과서울시의격차 42.5( 강서 ) 53.3a) 67.8( 종로 ) (%) 교육수준별값범위 30-64 세 중졸이하교육수준과대졸이상과의격차 경제적이유로인한 0.6( 관악 ) 1.7 5.0( 강북 ) (%) 0.3( 동대문 ) 1.4 3.1( 성동 ) (%) 0.5 6.6 (%) 미충족의료비율 2015 2016 ( 치과미포함 ) 2.95 ( 배 ), 3.3 (%p) 2.14 ( 배 ), 1.7 (%p) 12.18 ( 배 ), 6.0 (%p) 경제적이유로인한치과미충족의료비율 2015 2.4( 동대문 ) 4.9 10.8( 강북 ) (%) 1.9( 서초 ) 4.4 8.9( 강북 ) (%) 2.3 9.2 (%) 2016 2.20 ( 배 ), 5.9 (%) 2.02 ( 배 ), 4.5 (%) 3.96 ( 배 ), 6.9 (%p) 총사망률 건강기대여명 자살사망률 1.26 ( 배 ), 13.7 (%p) 2017 1.27 ( 배 ), 14.5 (%p) - 1.1( 서초 ) 2.6 4.3( 노원 ) (%) 1.1( 서초 ) 2.6 4.7( 강북 ) (%) 2016 1.7 ( 배 ), 1.7 (%p) 1.7 ( 배 ), 2.0 (%p) - 16.3( 양천 ) 24.4 38.8( 관악 ) (%) ( 양천 ) 29.5 43.9( 관악 ) (%) 2015 1.59 ( 배 ), 14.5 (%p) 1.5 ( 배 ), 14.4 (%p) - -9.37( 서초 ) 0 5.74( 중랑 ) -9.00( 서초 ) 0 6.34( 금천 ) (%) 2015 5.74 6.34-1.0( 중랑 ) 3.7 9.5( 영등포 ) (%) 2.2( 노원 ) 5.1 12.5( 영등포 ) (%) 2015 2.59 ( 배 ), 5.9 (%p) 2.44 ( 배 ), 7.4 (%p) - 1.2( 동대문 ) 3.5 7.3( 강북 ) (%) 2015-0.7( 동대문 ) 3.2 6.3( 금천 ) (%) 0.9 8.7 (%) 2.10 ( 배 ), 3.8 (%p) 16 1.98 ( 배 ), 3.1 (%p) 9.64 ( 배 ), 7.8 (%p) 28.8( 송파 ) 36.8 43.7( 중구 ) (%) 30.8( 강남 ) 37.2 47.1( 금천 ) (%) 36.4 59.2 (%) 2016 1.19 ( 배 ), 6.9 (%p) 1.27 ( 배 ), 9.9 (%p) 1.63 ( 배 ), 22.8 (%p) 2013-2015 b) 254.8( 서초 ) 317.4 359.4( 강북 ) ( 명 / 십만명 ) 1.15 ( 배 ), 47.7 ( 명 / 십만명 ) 1.13 ( 배 ), 42.0 ( 명 / 십만명 ) 103.0 578.0 c) ( 명 / 십만명 ) 5.26 ( 배 ), 468.79 ( 명 / 십만명 ) 261.8( 서초 ) 325.9 373.6( 중랑 ) ( 명 / 십만명 ) 2014-2016 b) 2009-71.86( 금천 ) 72.60 73.79( 서초 ) ( 세 ) 2014-75.60( 금천 ) 76.03 76.63( 서초 ) ( 세 ) 38.23 49.16 e) ( 세 ) 2011 d) 1.02 (%), 1.19 ( 세 ) 2016 d) 1.54 (%), 1.16 ( 세 ) -22.23 (%), -10.93 ( 세 ) 2013-2015 b) 15.8( 서초 ) 22.1 27.2( 중랑 ) ( 명 / 십만명 ) 2014-2016 b) 15.0( 서초 ) 20.4 25.9( 강북 ) ( 명 / 십만명 ) 1.23 ( 배 ), 5.1 ( 명 / 십만명 ) 1.27 ( 배 ), 5.6 ( 명 / 십만명 ) 16.5 121.0 c) ( 명 / 십만명 ) 7.31 ( 배 ), 104.46 ( 명 / 십만명 ) 34.3( 서초 ) 50.1 61.8( 강서 ) 21.5 126.5 ( 명 / 천명 ) ( 명 / 천명 ) 활동제약비율 2010 5.89 ( 배 ), 105.0 1.23 (%), 11.7 ( 명 / 천명 ) ( 명 / 천명 ) 10.3( 용산 ) 19.1 25.5( 강북 ) (%) 11.7( 서초 ) 19.2 29.6( 강북 ) (%) 9.8 24.6 (%) 씹기불편비율 f) 2015 f) 2016 1.34 ( 배 ), 6.4 (%p) 1.54 ( 배 ), 10.4 (%p) 2.52 ( 배 ), 14.9 (%p) a) 자치구평균값임. b) 3개년의이동합계평균율임. c) 2015년교육수준별값임. d) 3개년도이동합계평균건강기대여명임. e) 2015년교육수준에따른 30세건강기대여명임. f) 대상연령이 40세이상임.

2017 Monitoring of Health Disparities, SEOUL 제 1 장. 분석개요 1. 건강격차설명틀 2. 서울시건강격차모니터링지표 3. 분석방법 4. 제시방법

현재흡연율 가정실내간접흡연노출률 직장실내간접흡연노출률 여성가구주가구비율등록장애인인구비율이주민인구비율 총인구수노인인구비율 1인가구비율 고등학교졸업이하교육수준인구비율 실업률 관리자 전문가인구비율 고용원없는자영업자인구비율 비정규직인구비율 재정자주도 기초생활수급자비율 지역박탈지수 교통안전지수장애인편의시설설치율 식품안정성미확보율 1 인당생활권공원면적 비주택거주가구비율 인플루엔자예방접종률 자궁경부암검진수진률 여성유방암검진수진률스트레스인지율 고위험음주율중등도이상신체활동실천율저체중률비만율위암검진수진률대장암검진수진률 5 대범죄발생건수 이웃에대한신뢰율 공공기관에대한신뢰율 경제적이유로인한미충족의료비율 ( 치과미포함 ) 경제적이유로인한치과미충족의료비율 1 인당사회복지예산액 공공보건의료기관분포 1 인당보건예산액 방문건강관리사업방문전문인력당취약가구수 저체중출생아비율 주관적구강건강나쁨비율 씹기불편비율 활동제약비율 주관적건강나쁨비율 관절염평생의사진단경험률 우울증진단경험률 고혈압평생의사진단경험률 당뇨병평생의사진단경험률 이상지질혈증평생의사진단경험률 교통사고사상자비율 폐렴사망률 자살사망률당뇨병사망률영아사망률모성사망비 뇌혈관질환사망률 심장질환사망률 기대여명건강기대여명총사망률암사망률폐암사망률간암사망률위암사망률 인구 교육 고용 소득 지역박탈지수 물질적환경 건강행태 사회심리적요인 사회통합과사회자본 유병 보건의료및복지서비스 손상 사망

제 1 장분석개요 2017 서울시건강격차모니터링 1. 건강격차설명틀 건강격차 (health disparities) 란사회적, 인구학적, 환경적, 지리적특성에따라정의된인구집단사이에발생하는건강결과와결정요인의차이를가리킨다. 1) 건강불평등 (health inequalities) 이란용어가더흔히사용되어왔으나, 미국에서는건강불평등과큰구별없이건강격차를주로사용하고있다. 본통계집에서는그간서울시에서사용하여왔던용어인건강격차를사용하였으며, 일부정확한기술을위해필요한경우건강불평등을사용하였다. 1 건강격차가왜발생하는가? 건강격차를제대로이해하고해결하기위해서는건강격차가발생하는기전과경로를포괄적으로조망하고적절한개입지점을찾는것이중요하다. 세계보건기구에서는건강격차를발생시키는다양한사회적결정요인과사회적개입지점에대한이해를돕기위해개념틀을제시한바있다. 2) 본연구는세계보건기구의개념틀을바탕으로논의를진행하여건강격차설명틀을다음그림 건강격차설명틀 과같이제시하였다. 본통계집은이건강격차설명틀이담고있는건강과건강격차의발생기전과사회적개입의필요성을수용하며, 이에따라건강격차모니터링지표도선정되었다. 2 건강격차설명틀은단지개인의선택이나타고난기질에의해서만건강과건강격차가발생하는것이아니라, 건강도사회적과정의일부로서사회적으로구조화되어차별적으로분포하게된다는것을나타낸다.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맥락은소득, 교육, 직업, 성별, 인종등사회경제적위치들간의관계를형성한다. 이러한사회경제적위치는건강의중재요인인물질적환경, 건강행태, 사회심리적요인등건강위험요인의노출에영향을미치고, 결과적으로사회경제적으로위치지어진집단들간에건강격차를발생시키게된다. 사회경제적건강격차는어느특정연령집단에서만발견되는현상이아니다. 유병 손상과사망의사회경제적격차는모든연령대에걸쳐지속적으로나타나며, 가장일관된역학연구결과중하나로평가받고있다. 이는건강격차설명틀에서제시되었던다양한사회적결정요인이태아기부터 ( 혹은그이전부터 ) 사망시까지한인간의삶에끊임없이작용하고있음을나타낸다. 건강격차를완화시키기위해서는사회경제적맥락, 정치적맥락을변화시키기위한사회정책으로부터건강위험요인의차별적노출과취약성을개선할수있는구체적인프로그램까지다양한접근을모색해야한다. 사회경제적맥락은고려치않고, 개인의인식전환과노력에의존해건강행태를바꾸기위한 1) Truman BI, Smith CK, Roy K et al. Rationale for regular reporting on health disparities and inequalities United States. MMWR 2011;60:3-10. 2) WHO. A conceptual framework for action on the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2010 12

건강행태사업만으로는큰효과를기대하기어렵다. 형평성을지향하는보건정책에서부터공공정책을 건강의관점으로수립하고추진하는건강한공공정책 (healthy public policies) 에이르기까지서로협력하는, 조직적인노력이수반되어야한다. 사회경제적맥락정치적맥락 거버넌스 거시경제정책 사회정책노동시장, 주거, 토지 공공정책건강, 교육, 사회보호 사회경제적위치 사회계급성 ( 젠더 ) 인종 교육 직업 사회통합 & 사회자본 물질적환경 ( 주거환경, 작업조건, 식품구입가능성등 ) 건강행태 사회심리적요인 생물학적요인 ( 나이, 성 (sex), 유전등 ) 건강격차 문화사회적가치 소득 보건의료체계 구조적요인건강불평등의사회적결정요인 중재요인건강의사회적결정요인 개입 : 정책 전략 사업 모든생애과정에적용 * WHO(2010) 의모형을일부수정함. [ 건강격차설명틀 * ] 13

제 1 장분석개요 2017 서울시건강격차모니터링 2. 서울시건강격차모니터링지표 1) 지표선정원칙 서울시건강격차모니터링지표선정을위해다음의지표선정원칙이적용되었다. 포괄성건강격차와관련된요인들을모두포함하였는가? 건강격차설명틀을구성하는요인들을모두포괄하여야한다. 여기에는사회구조요인, 중재요인, 건강결과등세개의범주와각범주를구성하는요인들이포함된다. 중요성건강격차와관련하여중요한가? 건강수준과건강격차에대한기여도 ( 사망률, 유병률, 격차크기등 ) 가크거나증가할것으로예상되는지표를고려한다. 사회구조요인이나중재요인의각영역에해당하는핵심적인문제나기능을반영하면서도, 건강결과와의관련성이상대적으로높은지표를우선적으로고려한다. 서울시보건정책내에서우선순위가높은사업과관련된지표를고려한다. 의미지표가무엇을얼마나정확하게말해주는가? 지표는중요한격차와변화를감지할수있어야하고, 의미하는바가명확해야한다. 건강격차감소사업의진행과정과목표달성정도도점검이가능해야한다. 자료가용성충분한수준의질을갖춘자료를이용할수있어야한다. 2) 서울시건강격차모니터링지표 건강격차설명틀과지표선정원칙을고려하여서울시건강격차모니터링지표를다음표와같이선정하였다. 일부지표의경우서울시건강격차모니터링에중요한지표임에도불구하고, 서울시수준에서자료가생산되지않거나정보공개등의문제로자료를구득하지못하여최종지표에서누락되었다. 14

[ 서울시건강격차모니터링지표 ] 대분류중분류소분류지표번호지표명 사회구조요인 중재요인 1-1 총인구수 1-2 노인인구비율 인구 인구 1-3 1인가구비율 1-4 여성가구주가구비율 1-5 등록장애인인구비율 1-6 이주민인구비율 교육 교육 1-7 고등학교졸업이하교육수준인구비율 1-8 비정규직인구비율 1-9 관리자 전문가인구비율고용고용 1-10 고용원없는자영업자인구비율 1-11 실업률 1-12 재정자주도소득소득 1-13 기초생활수급자비율지역박탈지수지역박탈지수 1-14 지역박탈지수 물질적환경 건강행태 사회심리적요인 주거 2-1 비주택거주가구비율 식품 2-2 식품안정성미확보율 2-3 1인당생활권공원면적 환경 2-4 교통안전지수 2-5 장애인편의시설설치율 2-6 현재흡연율 흡연 2-7 가정실내간접흡연노출률 2-8 직장실내간접흡연노출률 음주 2-9 고위험음주율 운동 2-10 중등도이상신체활동실천율 체중 2-11 저체중률 2-12 비만율 2-13 위암검진수진율 건강검진 2-14 대장암검진수진율 2-15 여성유방암검진수진율 2-16 자궁경부암검진수진율 예방접종 2-17 인플루엔자예방접종률 스트레스 2-18 스트레스인지율 15

제 1 장분석개요 2017 서울시건강격차모니터링 대분류중분류소분류지표번호지표명 중재요인 건강결과 사회통합과사회자본 보건의료및복지서비스 유병 사회통합과사회자본 보건의료서비스 2-19 이웃에대한신뢰율 2-20 공공기관에대한신뢰율 2-21 5 대범죄발생건수 2-22 공공보건의료기관분포 2-23 1 인당보건예산액 2-24 방문건강관리사업방문전문인력당취약가구수 2-25 경제적이유로인한미충족의료비율 ( 치과미포함 ) 2-26 경제적이유로인한치과미충족의료비율 복지서비스 2-27 1 인당사회복지예산액 고혈압 3-1 고혈압평생의사진단경험률 당뇨병 3-2 당뇨병평생의사진단경험률 이상지질혈증 3-3 이상지질혈증평생의사진단경험률 관절염 3-4 관절염평생의사진단경험률 우울증 3-5 우울증진단경험률 활동제약 3-6 활동제약비율 주관적건강수준 3-7 주관적건강나쁨비율 구강건강 3-8 씹기불편비율 3-9 주관적구강건강나쁨비율 저체중출생아 3-10 저체중출생아비율 손상교통사고손상 3-11 교통사고사상자비율 사망 기대여명 3-12 기대여명 건강기대여명 3-13 건강기대여명 총사망 3-14 총사망률 주요사망원인별사망 3-15 암사망률 3-16 폐암사망률 3-17 간암사망률 3-18 위암사망률 3-19 심장질환사망률 3-20 뇌혈관질환사망률 3-21 자살사망률 3-22 당뇨병사망률 영아사망 3-23 영아사망률 모성사망 3-24 모성사망비 폐렴사망 3-25 폐렴사망률 16

3) 지표의수정사항 본통계집 (2017 년 ) 은 2016 서울시건강격차모니터링에서지표중일부의내용을아래의표와 같이수정하였다. 구분 지표추가 수정사항 3-25 폐렴사망률지표추가 ( 통계집 Ⅰ) - 국내사망원인순위 4 위인폐렴사망률분석결과제시 3. 분석방법 1) 분석자료서울시건강격차모니터링지표별로성별, 생애주기별, 사회경제적위치별분석이가능하고, 서울시자치구수준까지대표성이있는자료원을선정하고자하였다. 전수조사와표본조사자료모두를사용하였으며, 필요한경우관계기관의협조를통해내부자료를사용하기도하였다. 분석에사용한자료는다음표와같다. 17

제 1 장분석개요 2017 서울시건강격차모니터링 [ 서울시건강격차모니터링지표별분석자료 ] 대분류지표번호지표명분석자료 사회구조요인 중재요인 1-1 총인구수주민등록인구통계 1-2 노인인구비율주민등록인구통계 1-3 1 인가구비율인구주택총조사 1-4 여성가구주가구비율인구주택총조사 1-5 등록장애인인구비율보건복지부장애인현황 1-6 이주민인구비율 행정자치부지방자치단체외국인주민현황 1-7 고등학교졸업이하교육수준인구비율 인구주택총조사 1-8 비정규직인구비율 경제활동인구조사 1-9 관리자 전문가인구비율 인구주택총조사 1-10 고용원없는자영업자인구비율인구주택총조사 1-11 실업률경제활동인구조사 1-12 재정자주도행정자치부지방자치단체예산개요 1-13 기초생활수급자비율 서울통계 ( 서울시복지정책과 ) 1-14 지역박탈지수 인구주택총조사 2-1 비주택거주가구비율인구주택총조사 2-2 식품안정성미확보율지역사회건강조사 2-3 1 인당생활권공원면적서울통계 ( 서울시공원녹지정책과 ) 2-4 교통안전지수전국시군구별교통안전지수 2-5 장애인편의시설설치율 장애인편의시설실태전수조사 2-6 현재흡연율 지역사회건강조사,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2-7 가정실내간접흡연노출률지역사회건강조사,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2-8 직장실내간접흡연노출률지역사회건강조사 2-9 고위험음주율지역사회건강조사,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2-10 중등도이상신체활동실천율지역사회건강조사,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2-11 저체중률지역사회건강조사,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2-12 비만율지역사회건강조사,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2-13 위암검진수진율지역사회건강조사 2-14 대장암검진수진율지역사회건강조사 2-15 여성유방암검진수진율지역사회건강조사 2-16 자궁경부암검진수진율지역사회건강조사 2-17 인플루엔자예방접종률지역사회건강조사 2-18 스트레스인지율지역사회건강조사,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18

대분류지표번호지표명분석자료 중재요인 건강결과 2-19 이웃에대한신뢰율서울서베이 2-20 공공기관에대한신뢰율서울서베이 2-21 5대범죄발생건수 서울지방경찰청 5대범죄발생현황 2-22 공공보건의료기관분포 서울시자료 2-23 1인당보건예산액서울통계일반회계세입예산 2-24 방문건강관리사업방문전문인력당취약가구수서울시공공보건의료지원단자료 2-25 경제적이유로인한미충족의료비율 ( 치과미포함 ) 지역사회건강조사 2-26 경제적이유로인한치과미충족의료비율지역사회건강조사 2-27 1인당사회복지예산액 서울통계일반회계세입예산 3-1 고혈압평생의사진단경험률 지역사회건강조사 3-2 당뇨병평생의사진단경험률지역사회건강조사 3-3 이상지질혈증평생의사진단경험률지역사회건강조사 3-4 관절염평생의사진단경험률지역사회건강조사 3-5 우울증진단경험률지역사회건강조사 3-6 활동제약비율인구주택총조사 3-7 주관적건강나쁨비율지역사회건강조사,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3-8 씹기불편비율지역사회건강조사 3-9 주관적구강건강나쁨비율지역사회건강조사,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3-10 저체중출생아비율출생신고자료 3-11 교통사고사상자비율 도로교통공단지역별교통사고통계 3-12 기대여명 사망신고자료, 주민등록연앙인구자료, 인구주택총조사 3-13 건강기대여명사망신고자료, 주민등록연앙인구자료, 인구주택총조사 3-14 총사망률사망신고자료, 주민등록연앙인구자료, 인구주택총조사 3-15 암사망률사망신고자료, 주민등록연앙인구자료, 인구주택총조사 3-16 폐암사망률사망신고자료, 주민등록연앙인구자료, 인구주택총조사 3-17 간암사망률사망신고자료, 주민등록연앙인구자료, 인구주택총조사 3-18 위암사망률사망신고자료, 주민등록연앙인구자료, 인구주택총조사 3-19 심장질환사망률사망신고자료, 주민등록연앙인구자료, 인구주택총조사 3-20 뇌혈관질환사망률사망신고자료, 주민등록연앙인구자료, 인구주택총조사 3-21 자살사망률사망신고자료, 주민등록연앙인구자료, 인구주택총조사 3-22 당뇨병사망률사망신고자료, 주민등록연앙인구자료, 인구주택총조사 3-23 영아사망률사망원인보완조사자료, 출생신고자료 3-24 모성사망비 사망원인보완조사자료, 출생신고자료 3-25 폐렴사망률 사망신고자료, 주민등록연앙인구자료, 인구주택총조사 19

제 1 장분석개요 2017 서울시건강격차모니터링 2) 분석대상연령 자치구별분석과소득수준별분석은자료가허용하는범위에서전체연령대인구를대상으로하였다. 교육수준별분석은국내교육수준의급격한변화를감안하여, 30-64세연령군과 65세이상연령군으로나누어분석하였다. 직업별분석은 30-64세를대상으로하였다. 생애주기별분석은 0세, 1-4세, 5-12세, 13-18세, 19-29세, 30-44세, 45-64세, 65세이상으로나누어분석하는것을원칙으로하였다. 분석에사용된연령은모두 ' 만 ' 으로헤아린것이다. 성별자료가가용한경우전체인구, 남자, 여자로나누어분석하였다. 시기자료가가용한경우 2001년부터최신기간까지분석하는것을원칙으로하였다. 그러나자료마다안정적으로생산되기시작한시기가다르고, 최근자료가공개되는시기도달라서각지표마다분석에포함된기간이상이했다. 표본조사의설문문항이변한경우는최근자료와같은문항으로조사된시기의자료만이용하여분석하는것을원칙으로하였다. 또한 1차자료원이생성되지않아 2017년에분석하지않은기존지표의결과도제시함을원칙으로하고있다. [ 주요자료생성및구득시기 ] 분석자료 1 차자료생성시기 1 차자료 ( 마이크로데이터 ) 구득시기 주민등록인구통계매년익년 1 월 ~6 월 인구주택총조사 5 년단위 ( 05, 10, 15) 익익년말경 경제활동인구조사 매년 익년 7월경 서울통계 매년 익년 5월경 서울서베이 매년 익년 11월경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매년 익년 5월경 사망신고자료 매년 익년 12월경 사망원인보완조사자료 매년 익년 12월경 지역사회건강조사 매년 익익년 1월말 20

3) 율가중치적용조율 표본조사자료는자료에함께제공된가중치를사용하여가중치적용조율을분석하고제시하였다 ( 별책부록으로통계표제시 ). 표준오차는가중치와복합표본설계를고려하여 Taylor series linearization 분산추정방법에의해추정하였다. 이절차는 SAS proc surveymeans procedure와층과군집, 가중치에대한 statement를통해얻어진다. 지역사회건강조사의경우, strata에 2009년, 2010년, 2016년에는kstrata(KCDC 생성변수 ), 2011-2015년에는 dong( 동 ) 과 house_type( 주택유형 ) 을이용하였고, cluster와가중치는 jijum_cd( 지점번호 ) 변수와 wt( 개인가중치 ) 변수를사용하였다. 3년이동합계평균율기대여명, 건강기대여명이나사망률을자치구단위로분석하는경우는관찰값의개수가작아추정이불안정해지는것을막기위해기준시점전후 1년을포함하여 3년을윈도우로하는이동합 (moving sum) 을분자와분모에각기적용하여, 3년이동합계평균율을제시하였다. 표준화율표준화율은직접표준화를하였다. 양성이모두있는전체에대해서는성 연령표준화를하고, 남성이나여성, 하나의성만있는경우에는연령표준화를하였다. 저체중출생아비율에대해서는임신기간 37-42주, 단태아인경우로분석대상을제한하였고, 산모의연령과출산아수를보정하였다. 직접표준화직접표준화율은통계청에서제시하고있는 2005년추계인구를표준인구로사용하였으며, 기대여명및사망률관련지표의표준인구는 2005년주민등록연앙인구를사용하였다. 2005년추계인구는질병관리본부에서매년발표하고있는국민건강통계에서도표준인구로사용하고있다. 연령을표준화할때연령구간은자료의종류에따라다르게적용하였다. 전수조사는대상자수가충분하여 5세단위로표준화하였고, 표본조사는 10세단위표준화를원칙으로하되자료에따라일부조정하였다. 성별을표준화할때에는남성과여성의비를 1:1로가정하고표준화하였다. 표준화를위해사용한각표준인구는부록으로첨부하였다. 지역사회건강조사를이용해표준화율을구할때는 proc surveyreg procedure를이용하였는데, 전체인구에서는성별, 연령표준화율을구하고, 남성, 여성인구에서는연령표준화율을구하기위해 model statement에성별, 사용한 WHO 표준인구와동일한연령으로구성된연령, 성별 연령을포함하였고, 21

제 1 장분석개요 2017 서울시건강격차모니터링 estimate statement에표준인구의성별, 연령, 성별 연령의분포를넣어 regression estimator (a linear function of the regression parameters) 를지정함 (specify) 으로써해당구또는해당교육이나직업분류의표준화율과 Taylor series (linearization) 분산추정방법에의한표준오차를얻었다. proc sur -veyreg procedure에서사용한층과군집, 가중치에대한 statement는조율을구할때와 (proc sur -veymeans) 동일하였다. 4) 건강격차사회경제적위치 건강격차분석에사용된사회경제적위치지표는지역, 소득수준, 교육수준, 직업이었다. 가급적네개의사회경제적위치에대한격차를모두분석하려하였으나, 자료원이나시기에따라사용가능한사회경제적위치지표에제한이있었다. 지역별분석은행정구역상의자치구를기준으로나누어시행하였다. 소득수준별분석은월가구소득을가구원수의제곱근으로나눈월가구균등화소득을 4분위로나누어시행하였다. 교육수준은졸업을기준으로만 30-64세연령군은중학교졸업이하, 고등학교졸업, 대학교졸업이상으로, 만 65세이상연령군은초등학교졸업이하, 중학교졸업, 고등학교졸업이상으로분류하였다. 직업은한국표준직업분류대분류직업군에서제시하고있는관리자, 전문가및관련종사자, 사무종사자를묶어사무직으로, 서비스종사자, 판매종사자를묶어서비스 판매직으로, 농업, 임업및어업숙련종사자, 기능원및관련기능종사자, 장치, 기계조작및조립종사자, 단순노무종사자를육체직으로분류하였다. 건강격차가용한모든지표에대해상대격차와절대격차를분석하였다. 건강격차를분석하는과정에서모든값은소수점첫째자리에서반올림한값이기때문에, 제시된표준화율로계산한차나비가제시된절대격차나상대격차와일치하지않을수있다. 기준집단자치구별상대격차와절대격차를분석할때에는지표에따라서울시조율 ( 표준화율 ) 또는자치구평균을기준으로비교하였다. 소득수준별격차를분석할때에는소득수준이높은집단을기준으로비교하였다. 직업별격차를분석할때에는사무직을기준으로비교하였다. 교육수준별격차를분석할때에는교육수준이가장높은집단을기준으로비교하였다. 22

상대격차상대격차는상대위험도 (relative risk) 나상대격차백분율 (relative gap percentage) 로제시하였다. 상대위험도는해당집단의표준화율을기준집단의표준화율로나누어준값이다. 상대위험도의 95% 신뢰구간은로그변환한표준화율비의분산을이용해서구하였다. 상대위험도가 1.3이라는것은기준집단에비해위험이 1.3배높다는것을의미한다. 상대위험도가 1 미만이면기준집단보다위험이적다는의미이다. 소수점셋째자리에서반올림한값이기때문에, 그림에서보이는표준화율들의비와제시된상대격차가일치하지않을수있다. 상대격차백분율은 ( 해당집단표준화율 기준집단표준화율 ) / 기준집단표준화율 100의수식을통해구하였다 ( 단위 %). 상대격차백분율 30% 는기준집단의 30% 만큼위험이높다는것을의미한다. 상대위험도 1.3과상대격차 30% 는같은의미이다. 상대격차백분율이음수가나오면기준집단보다위험이적다는의미이다. 절대격차절대격차는해당집단의표준화율에서기준집단의표준화율을뺀값이다. 표본조사의경우절대격차의 95% 신뢰구간도제시하였는데, 이는표준화율차이의표준오차를두군각각의분산의합의제곱근 (SE of prevalence difference = square root of (SE2group1+SE2group2)) 으로계산한후, 이표준오차의 1.96배를표준화율차이에더하고빼서산출하였다. 소수점둘째자리에서반올림한값이기때문에그림에서보이는표준화율의차와제시된절대격차가일치하지않을수있다. 23

제 1 장분석개요 2017 서울시건강격차모니터링 4. 제시방법 서울시건강격차주요통계 ( 통계집Ⅰ) 서울시건강격차주요통계에서는건강격차설명틀의각범주별지표순서에따라그림을중심으로건강격차현황을제시하였다. 각지표에대해서는지표의정의, 보건학적의의, 산출식과사용한자료를밝혔다. 각지표의분석결과중대표적인그림을선정하여 3-7개내외로실었다. 일부지표의경우에는자료의제한으로 1개만싣거나, 필요한경우 10개를넘겨싣기도하였다. 각그림에대해서간단한설명을붙였다. 각그림에대해서시기, 대상자연령, 단위를표시하였고, 필요한경우분석과관련된추가설명을달았다. 지표와분석자료에대한설명은앞에서기술되었기때문에, 각그림에는중복하여넣지않았다. 각그림에대한자세한수치는통계표형태로별책에수록하였다. 그림에는다음의규칙을부여하였다. 단, 일부이를적용하기어려운경우는예외로하였다. 색전체 : 녹색계열남자 : 하늘색계열여자 : 주황색계열 모양 자치구최댓값 - 서울시 자치구최솟값 전국 30-64세중졸이하 - 30-64세고졸 30-64세대졸이상 - 65세이상초졸이하 - 65세이상중졸 65세이상고졸이상 - 육체직 - 서비스 판매직 사무직 - 소득수준하 소득수준중하 소득수준중상 소득수준상 - 서울시자치구현황 ( 통계집 Ⅰ) 서울시자치구현황에서는자치구의상황을한눈에가늠할수있도록전체 66개지표중 14개의핵심지표를자치구별로모아그림으로정리하였다. 24

통계표 ( 통계집Ⅱ) 별책의통계표에는가용한지표에대해생애주기별, 지역별, 소득수준별, 교육수준별, 직업별로분석한결과를제시하였다. 표본조사자료를분석한경우에는대상자수, 가중치적용조율과표준오차, 상대표준오차, 표준화율과표준오차, 상대격차와 95% 신뢰구간, 절대격차와 95% 신뢰구간을제시하였다. 전수조사자료를분석한경우에는대상자수, 조율, 표준화율과표준오차, 상대격차, 절대격차를제시하였다. 신뢰도표본조사자료를분석한경우, 분석결과의신뢰도를제시하기위해통계표에표준오차와상대표준오차를표기하였다. 각문항별응답대상자수가 30명미만인경우표와그림에값을제시하지않았다. 상대표준오차가 20% 를초과하는경우해석에주의하라는의미로표의해당값에 표시를하였다. 상대표준오차가 33.3% 를초과하는경우수치를제시하지않고 F로표시하였다. 교육수준, 직업, 소득수준별분석에서 1/3을초과하여 F값이존재하는경우, 해당항목전체를표에서삭제하고그림도제시하지않았다. 자치구별분석에서 5개구를초과하여 F값이존재하는경우, 해당항목전체를표에서삭제하고그림도제시하지않았다. 25

2017 Monitoring of Health Disparities, SEOUL 제 2 장. 서울시건강격차주요통계 1. 사회구조요인 2. 중재요인 3. 건강결과

현재흡연율 가정실내간접흡연노출률 직장실내간접흡연노출률 여성가구주가구비율등록장애인인구비율이주민인구비율 총인구수노인인구비율 1인가구비율 고등학교졸업이하교육수준인구비율 실업률 관리자 전문가인구비율 고용원없는자영업자인구비율 비정규직인구비율 재정자주도 기초생활수급자비율 지역박탈지수 교통안전지수장애인편의시설설치율 식품안정성미확보율 1 인당생활권공원면적 비주택거주가구비율 인플루엔자예방접종률 자궁경부암검진수진률 여성유방암검진수진률스트레스인지율 고위험음주율중등도이상신체활동실천율저체중률비만율위암검진수진률대장암검진수진률 5 대범죄발생건수 이웃에대한신뢰율 공공기관에대한신뢰율 경제적이유로인한미충족의료비율 ( 치과미포함 ) 경제적이유로인한치과미충족의료비율 1 인당사회복지예산액 공공보건의료기관분포 1 인당보건예산액 방문건강관리사업방문전문인력당취약가구수 저체중출생아비율 주관적구강건강나쁨비율 씹기불편비율 활동제약비율 주관적건강나쁨비율 관절염평생의사진단경험률 우울증진단경험률 고혈압평생의사진단경험률 당뇨병평생의사진단경험률 이상지질혈증평생의사진단경험률 교통사고사상자비율 폐렴사망률 자살사망률당뇨병사망률영아사망률모성사망비 뇌혈관질환사망률 심장질환사망률 기대여명건강기대여명총사망률암사망률폐암사망률간암사망률위암사망률 인구 교육 고용 소득 지역박탈지수 물질적환경 건강행태 사회심리적요인 사회통합과사회자본 유병 보건의료및복지서비스 손상 사망

2017 Monitoring of Health Disparities, SEOUL 1. 사회구조요인 2017 서울시건강격차모니터링 인구 1-1 총인구수 1-2 노인인구비율 1-3 1인가구비율 1-4 여성가구주가구비율 1-5 등록장애인인구비율 1-6 이주민인구비율 교육 1-7 고등학교졸업이하교육수준인구비율 고용 1-8 비정규직인구비율 1-9 관리자 전문가인구비율 1-10 고용원없는자영업자인구비율 1-11 실업률 소득 1-12 재정자주도 1-13 기초생활수급자비율 지역박탈지수 1-14 지역박탈지수

제 2 장서울시건강격차주요통계 2017 서울시건강격차모니터링 1-1. 총인구수 2016년서울시주민등록총인구수는 9,930,616명으로남자 4,876,789명, 여자 5,053,827명이었다. 주민등록인구가많은 5개자치구는송파구 (6.6%), 강서구 (6.0%), 노원구 (5.7%), 강남구 (5.7%), 관악구 (5.1%) 였다. 송파구는 2015년 660,302명에비해 657,831명으로적어졌으나여전히서울시에서주민등록인구가가장높은구이다. 주민등록인구가가장적은자치구는중구이며주민등록인구의 1.3% 인 125,249명으로 2015년에비해다소감소하였다. 그림 1-1-1 자치구별총인구수지도 (2016 년 ) 양천구영등포구도봉구 노원구 강북구 은평구 성북구 중랑구 종로구 서대문구 동대문구 강서구 마포구 중구 성동구 광진구 강동구 용산구 구로구 동작구 송파구강남구 서초구 금천구 관악구 서울시총인구수전체 9,930,616명남자 4,876,789명여자 5,053,827명 ( 단위 : 명 ) 125,249-299,259 314,194-357,215 370,613-417,551 444,168-491,476 506,851-657,831 그림 1-1-2 자치구별총인구수 (2016 년 ) ( 단위 : 명 ) 1,000,000 900,000 800,000 700,000 600,000 500,000 400,000 300,000 200,000 100,000 0 전체 125,249 명 63,045 62,204 중구 종로구 용산구 금천구 성동구 서대문구 강북구 도봉구 동대문구 광진구 영등포구 전체 397.225 명 마포구 202,153 195,071 자치구평균 동작구 중랑구 구로구 강동구 서초구 성북구 양천구 은평구 관악구 강남구 전체 657.831 명 노원구 강서구 337,274 320,557 송파구 남자 여자 30

인구 교육고용소득지역박탈지수 총인구수노인인구비율 1인가구비율여성가구주가구비율등록장애인인구비율이주민인구비율 서울시주민등록총인구수는 2010년이후지속적으로감소하고있으며, 2016년은 2015년대비 91,565명이감소하였다. 그림 1-1-3 자치구별총인구수추이 ( 단위 : 명 ) 12,000,000 10,181,166 10,312,545 10,000,000 10,103,233 10,022,181 9,930,616 8,000,000 6,000,000 4,000,000 2,000,000 0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서울시총인구수 자치구최댓값 자치구평균 자치구최솟값 각해마다총인구수가가장높은자치구와가장낮은자치구의값을자치구최댓값과자치구최솟값으로표시 지표설명 총인구수는서울시에거주하는것으로등록된주민등록인구수로정의한다. 자료 : 주민등록인구통계, 2006-2016 년 31

제 2 장서울시건강격차주요통계 2017 서울시건강격차모니터링 1-2. 노인인구비율 2016년서울시전체인구중노인이차지하는비율은 13.0% 였다. 전체인구중남자노인이 5.7%, 여자 7.3% 로, 여자노인인구가남자노인인구보다더많았다. 노인인구비율이높은 5개자치구는강북구 (16.5%), 종로구 (16.3%), 중구 (16.3%), 용산구 (15.4%), 서대문구 (15.1%) 였다. 노인인구비율이가장낮은자치구는송파구 (10.8%) 로나타났다. 서울시와가장높은자치구와의상대격차 1.26배, 절대격차 3.4%p였다. 그림 1-2-1 자치구별노인인구비율지도 (2016 년 ) 강북구 도봉구 노원구 양천구영등포구은평구 성북구 중랑구 종로구 서대문구 동대문구 강서구 마포구 중구 성동구 광진구 강동구 용산구 송파구 구로구 동작구 강남구 서초구 금천구 관악구 ( 단위 : %) 10.8-11.6 11.9-13.1 13.2-13.7 13.8-15.0 15.1-16.5 그림 1-2-2 자치구별노인인구비율 (2016 년 ) ( 단위 : %) 전체 16.5% 15.0 전체 13.0% 전체 10.8% 9.4 7.3 5.8 5.0 4.9 5.7 7.1 송파구 양천구 강남구 서초구 광진구 강서구 강동구 노원구 마포구 서울시 성동구 관악구 구로구 금천구 중랑구 동작구 영등포구 성북구 도봉구 은평구 동대문구 서대문구 용산구 중구 종로구 강북구 남자 여자 소수점첫째자리까지반올림한값이기때문에, 남자와여자를합한값이전체값과일치하지않을수있음. 32

인구 교육고용소득지역박탈지수 총인구수노인인구비율 1인가구비율여성가구주가구비율등록장애인인구비율이주민인구비율 서울시노인인구비율은지속적으로증가하고있고, 2015년 12.6% 였던노인인구는 2016년에 13.0% 였다. 2016년현재모든자치구가 10% 이상의노인인구비율을보이며노인을위한적극적인보건정책이필요할것으로보인다. 그림 1-2-3 자치구별노인인구비율추이 ( 단위 : %) 15.0 상대격차 1.37 배절대격차 2.4%p 8.9 6.5 9.6 9.8 7.1 7.4 10.2 7.8 13.1 9.7 7.7 13.5 10.2 8.1 14.4 10.8 8.7 14.9 11.5 9.2 15.5 12.0 9.8 16.0 12.6 10.3 16.5 13.0 10.8 상대격차 1.26 배절대격차 3.4%p 상대격차 0.83 배절대격차 -2.3%p 5.0 상대격차 0.75배절대격차 -1.6%p 4.9 5.3 5.6 5.9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서울시자치구최댓값자치구최솟값 각해마다노인인구비율이가장높은자치구와가장낮은자치구의값을자치구최댓값과자치구최솟값으로표시 지표설명 노인인구비율은전체인구중만 65 세이상인구의분율로정의한다. 연령이증가할수록유병과사망의위험도증가한다. 한국사회의노인빈곤율이매우높은수준이기때문에, 노인인구비율은지역의사회경제적상황을간접적으로드러내기도한다. 산출식 : ( 만 65 세이상인구수 / 전체인구수 ) 100 자료 : 주민등록인구통계, 2006-2016 년 33

제 2 장서울시건강격차주요통계 2017 서울시건강격차모니터링 1-3. 1 인가구비율 2015년서울시전체가구중1인가구가차지하는비율은 29.5% 였다. 전체가구중남자 1인가구의비율은 14.4%, 여자 1인가구는 15.1% 였다. 1인가구비율이높은 5개자치구는관악구, 중구, 종로구, 광진구, 동대문구였다. 관악구는 1인가구비율이가장높은자치구로, 자치구전체가구의 43.9% 가 1인가구였다. 여자 1인가구비율은 % 로관악구가가장높았다. 그림 1-3-1 자치구별 1 인가구비율지도 (2015 년 ) 강북구 도봉구 노원구 양천구영등포구은평구 성북구 중랑구 종로구 서대문구 동대문구 강서구 마포구 중구 성동구 광진구 강동구 용산구 구로구 동작구 송파구 강남구 금천구 관악구 서초구 ( 단위 : %) 4-24.34 24.34-28.48 28.65-32.78 33.18-34.35 36.05-43.87 그림 1-3-2 자치구별 1 인가구비율 (2015 년 ) ( 단위 : %) 5 45.0 전체 43.9% 4 35.0 3 전체 29.5% 25.0 전체 20.2% 15.0 10.4 5.0 9.6 양천구 도봉구 노원구 송파구 강동구 서초구 은평구 구로구 강서구 강북구 중랑구 강남구 15.1 14.4 서울시 성북구 성동구 영등포구 서대문구 금천구 동작구 마포구 용산구 동대문구 광진구 종로구 중구 23.8 관악구 남자 여자 소수점첫째자리까지반올림한값이기때문에, 남자와여자를합한값이전체값과일치하지않을수있음. 34

인구 교육고용소득지역박탈지수 총인구수노인인구비율 1인가구비율여성가구주가구비율등록장애인인구비율이주민인구비율 서울시 1 인가구비율은 2010 년에비해 2015 년에증가하였다. 2010 년 24.4% 이던 1 인가구비율은 2015 년 29.5% 로 증가하였다. 관악구는 2010년과 2015년모두 25개자치구중 1인가구비율이가장높았으며, 2010년에비해 2015년에는 5.1%p가량증가하였다. 그림 1-3-3 자치구별 1 인가구비율추이 ( 단위 : %) 45.0 43.9 4 35.0 32.6 38.8 29.5 상대격차 1.49 배절대격차 14.4%p 3 25.0 상대격차 1.60 배절대격차 12.2%p 20.4 24.4 상대격차 0.68 배절대격차 -9.4%p 15.0 상대격차 0.66 배절대격차 -7.0%p 16.3 13.4 5.0 2005년 2010년 2015년 서울시자치구최댓값자치구최솟값 각해마다 1 인가구비율이가장높은자치구와가장낮은자치구의값을자치구최댓값과자치구최솟값으로표시 지표설명 1 인가구비율은전체가구중가구원이 1 인인가구의분율로정의한다. 산출식 : ( 가구원이 1 인인가구수 / 전체가구수 ) 100 자료 : 인구주택총조사, 2005 년, 2010 년, 2015 년 35

제 2 장서울시건강격차주요통계 2017 서울시건강격차모니터링 1-4. 여성가구주가구비율 2015 년서울시전체가구중여성이가구주인가구는 31.7% 였다. 어성가구주가구비율이높은 5 개자치구는 용산구, 마포구, 서대문구, 종로구, 중구였다. 용산구는여성가구주가구비율이가장높은자치구로, 자치구전체 가구의 35.3% 가여성가구주가구였다. 여성가구주가구비율이가장낮은자치구는양천구 (27.2%) 였다. 그림 1-4-1 자치구별여성가구주가구비율지도 (2015 년 ) 강북구 도봉구 노원구 은평구 서대문구 종로구 성북구 동대문구 중랑구 양천구영등포구강서구 마포구 중구 성동구 광진구 강동구 용산구 송파구 구로구 동작구 강남구 서초구 금천구 관악구 ( 단위 : %) 27.23-29.70 29.80-30.85 31.15-32.09 32.39-34.37 34.43-35.30 그림 1-4-2 자치구별여성가구주가구비율 (2015 년 ) ( 단위 : %) 4 35.0 31.7 35.3 3 27.2 25.0 15.0 5.0 양천구 구로구 송파구 강동구 서초구 도봉구 금천구 노원구 성동구 영등포구 중랑구 서울시 강서구 은평구 성북구 동작구 동대문구 강남구 광진구 강북구 관악구 중구 종로구 서대문구 마포구 용산구 36

인구 교육고용소득지역박탈지수 총인구수노인인구비율 1인가구비율여성가구주가구비율등록장애인인구비율이주민인구비율 서울시여성가구주가구비율은 2010년에비해 2015년에증가하였다. 2010년 28.1% 이던여성가구주가구비율은 2015년 31.7% 로증가하였다. 2015년에는용산구가 25개자치구중여성가구주가구비율이가장높았으며, 2015년에는 2010년에비해 2.7%p가량증가하였다. 양천구는 2010년과 2015년모두여성가구주가구비율이가장낮았으며, 2010년과 2015년간증가폭이 3.5%p였다. 그림 1-4-3 자치구별여성가구주가구비율추이 ( 단위 : %) 4 35.0 32.6 35.3 31.7 상대격차 1.11 배절대격차 3.6%p 3 25.0 상대격차 1.25 배절대격차 5.8%p 29.4 23.6 28.1 27.2 상대격차 0.86 배절대격차 -4.5%p 상대격차 0.79 배절대격차 -5.0%p 23.7 15.0 18.6 5.0 2005년 2010년 2010년 서울시자치구최댓값자치구최솟값 각해마다여성가구주가구비율이가장높은자치구와가장낮은자치구의값을자치구최댓값과자치구최솟값으로표시 지표설명 여성가구주가구비율은전체가구중가구주가여성인가구의분율로정의한다. 산출식 : ( 가구주가여성인가구수 / 전체가구수 ) 100 자료 : 인구주택총조사, 2005 년, 2010 년, 2015 년 37

제 2 장서울시건강격차주요통계 2017 서울시건강격차모니터링 1-5. 등록장애인인구비율 2016년서울시전체인구중등록장애인이차지하는비율은 3.9% 였다. 2016년도전체인구중남자등록장애인이 2.3%, 여자등록장애인이 1.6% 로전년도와같았으며, 등록장애인인구비율이높은 5개자치구는강북구 (5.3%), 중랑구 (4.8%), 노원구 (4.8%), 강서구 (4.7%), 금천구 (4.6%) 였다. 강북구는등록장애인인구비율이가장높은자치구로서울시와의상대격차는 1.35배, 절대격차는 1.4%p였다. 서울시와등록장애인이가장낮은서초구의상대격차는 0.62배, 절대격차는 -1.5%p였다. 그림 1-5-1 자치구별등록장애인인구비율지도 (2016년) 강북구 도봉구 노원구 양천구영등포구은평구 성북구 중랑구 종로구 서대문구 동대문구 강서구 마포구 중구 성동구 광진구 강동구 용산구 구로구 동작구 송파구 강남구 서초구 금천구 관악구 ( 단위 : %) 2.43-3.53 3.56-3.90 3.92-4.02 4.12-4.57 4.64-5.30 그림 1-3-2 1-5-2 자치구별 1등록장애인인가구비율인구 (2010비율년 ) (2016년) ( 단위 : %) 6.0 전체 5.3% 5.0 4.0 전체 3.9% 2.3 3.0 전체 2.4% 1.6 2.0 1.0 1.0 1.4 2.3 3.0 서초구 강남구 송파구 광진구 용산구 양천구 마포구 동작구 강동구 서울시 영등포구 성북구 성동구 관악구 종로구 서대문구 구로구 도봉구 은평구 동대문구 중구 금천구 강서구 노원구 중랑구 강북구 남자 여자 소수점첫째자리까지반올림한값이기때문에, 남자와여자를합한값이전체값과일치하지않을수있음. 38

인구 교육고용소득지역박탈지수 총인구수노인인구비율 1인가구비율여성가구주가구비율등록장애인인구비율이주민인구비율 서울시등록장애인인구비율은 2010년이후 4.0% 였으나 2014년이후부터 3.9% 를유지하고있으며, 25개자치구별등록장애인인구비율은전년도와비슷한것으로나타났다. 그림 1-5-3 자치구별등록장애인인구비율추이 ( 단위 : %) 6.0 5.0 4.0 3.0 상대격차 1.27 배절대격차 0.9%p 상대격차 0.64 배절대격차 -1.2%p 4.7 4.3 3.6 3.4 2.2 2.3 5.0 3.9 2.5 5.1 4.0 2.5 5.1 4.0 2.5 5.1 4.0 2.5 5.2 4.0 2.4 5.2 3.9 2.4 5.2 3.9 2.4 5.3 3.9 2.4 상대격차 1.35 배절대격차 1.4%p 상대격차 0.62 배절대격차 -1.5%p 2.0 1.0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서울시자치구최댓값자치구최솟값 각해마다등록장애인인구비율이가장높은자치구와가장낮은자치구의값을자치구최댓값과자치구최솟값으로표시 지표설명 등록장애인인구비율은전체인구중등록장애인의분율로정의한다. 등록장애인이란장애인복지법제 2 조의기준에해당되어시 군 구청장에게등록을한장애인을일컫는다. 따라서등록장애인인구수와실제장애인인구수는차이가있을수있다. 산출식 : ( 등록장애인수 / 전체인구수 ) 100 자료 : 보건복지부장애인현황, 2007-2016 년 39

제 2 장서울시건강격차주요통계 2017 서울시건강격차모니터링 1-6. 이주민인구비율 2016년서울시전체인구중이주민이차지하는비율은 4.1% 로전년도와같았다. 전체인구중남자이주민이 1.9%, 여자이주민이 2.2% 로나타났으며, 이주민인구비율이높은 5개자치구는영등포구 (15.0%), 금천구 (12.6%), 구로구 (11.6%), 중구 (9.0%), 용산구 (7.4%) 였다. 영등포구는전년도 (15.1%) 대비약간낮아졌으나이주민인구비율이지속적으로서울시에서가장높은자치구로나타났다. 가장낮은자치구는노원구로 1.1% 였다. 서울시와가장높은구와의상대격차는 3.68배, 절대격차 10.9%p로자치구간의격차가전년도에비해줄어든것으로나타났다. 그림 1-6-1 자치구별이주민인구비율지도 (2016 년 ) 양천구영등포구도봉구 노원구 강북구 은평구 성북구 중랑구 종로구 서대문구 동대문구 강서구 ( 단위 : %) 마포구중구 성동구 광진구 강동구 1.14-1.72 1.81-1.97 용산구 구로구 동작구 송파구강남구 2.01-4.28 서초구 금천구 관악구 4.50-7.41 7.42-14.96 그림 1-3-2 1-6-2 자치구별 1이주민인가구인구비율 (2010 비율 (2016 년 ) 년 ) ( 단위 : %) 15.0 전체 15.0% 2.2 7.3 5.0 전체 4.1% 전체 1.1% 0.6 0.5 노원구 도봉구 은평구 양천구 강남구 강동구 서초구 강북구 송파구 중랑구 강서구 성북구 마포구 성동구 2.2 1.9 서울시 서대문구 동작구 동대문구 광진구 관악구 종로구 용산구 중구 구로구 금천구 7.7 영등포구 남자 여자 소수점첫째자리까지반올림한값이기때문에, 남자와여자를합한값이전체값과일치하지않을수있음. 40

인구 교육고용소득지역박탈지수 총인구수노인인구비율 1인가구비율여성가구주가구비율등록장애인인구비율이주민인구비율 이주민인구비율은 2013년 4.1% 에서 2014년 4.5% 로증가하였으나, 2015년부터는 4.1% 로감소하였다. 영등포구는 2008년이후 25개자치구중이주민인구비율이지속적으로가장높은자치구로나타났다. 자치구간의이주민인구의격차는전년도대비감소하였다. 그림 1-6-3 자치구별이주민인구비율추이 ( 단위 : %) 17.5 15.0 10.9 12.4 14.4 13.7 15.2 15.1 15.0 9.7 상대격차 3.68 배절대격차 10.9%p 5.0 상대격차 3.54 배절대격차 7.0%p 상대격차 0.32 배절대격차 -1.9%p 2.8 0.9 3.3 1.0 3.6 1.1 4.0 1.1 3.9 1.1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4.1 1.1 4.5 1.1 4.1 1.1 4.1 1.1 상대격차 0.28 배절대격차 -2.9%p 서울시자치구최댓값자치구최솟값 각해마다이주민인구비율이가장높은자치구와가장낮은자치구의값을자치구최댓값과자치구최솟값으로표시 지표설명 이주민인구비율은전체인구중이주민이차지하는분율로정의한다. 등록외국인현황자료에기초하여조사된공식자료를이용하였으므로, 미등록외국인현황은담지못하였다. 산출식 : (( 외국인으로한국국적을가지지않은사람수 + 외국인중한국국적을취득한사람수 + 외국인주민자녀수 ) / 전체인구수 ) 100 자료 : 행정자치부지방자치단체외국인주민현황, 2008-2016 년 41

제 2 장서울시건강격차주요통계 2017 서울시건강격차모니터링 1-7. 고등학교졸업이하교육수준인구비율 2015년서울시만 30-64세인구중고등학교졸업이하의교육수준을가진인구가차지하는비율은 45.7% 였다. 25개자치구들모두에서전반적으로고학력자의비중이높아지는가운데, 2015년현재서초구 (19.9%), 강남구 (22.9%), 송파구 (35.9%) 에서고등학교졸업이하교육수준을가진인구의비율이가장낮았다. 중랑구 (64.2%), 금천구 (63.7%), 강북구 (62.7%) 에서고등학교졸업이하의교육수준을가진인구비율이높았다. 그림 1-7-1 자치구별고등학교졸업이하교육수준인구비율지도 (2015 년, 만 30-64 세 ) 강북구 도봉구 노원구 은평구 서대문구 종로구 성북구 동대문구 중랑구 양천구영등포구강서구 마포구 중구 성동구 광진구 강동구 용산구 송파구 구로구동작구강남구 서초구 금천구 관악구 ( 단위 : %) 19.93-40.48 40.82-46.32 46.34-49.00 49.54-52.61 55.38-64.16 그림 1-3-2 1-7-2 자치구별 1고등학교인가구비율졸업 (2010 이하년교육수준 ) 인구비율 (2015년, 만 30-64세 ) ( 단위 : %) 8 7 6 62.7 63.7 64.2 5 45.7 4 35.9 3 19.9 22.9 서초구 강남구 송파구 마포구 동작구 용산구 영등포구 양천구 종로구 서울시 서대문구 노원구 성동구 관악구 강서구 강동구 광진구 성북구 구로구 중구 은평구 동대문구 도봉구 강북구 금천구 중랑구 42

인구교육고용소득지역박탈지수 고등학교졸업이하교육수준인구비율 대학진학률이꾸준히향상되는가운데서울시는전국추정치보다훨씬양호한결과를보여서, 2010년 53.3% 에서 45.7% 로감소하였다. 중랑구의고등학교졸업이하교육수준인구비율은 2010년 71.5% 에서 2015년 64.2% 로감소하였다. 그림 1-7-3 자치구별고등학교졸업이하교육수준인구비율추이 ( 만 30-64 세 ) ( 단위 : %) 8 7 6 5 4 3 상대격차 1.27 배절대격차 16.3%p 상대격차 0.51 배절대격차 -29.0%p 75.8 59.5 30.5 71.5 53.3 25.1 64.2 45.7 19.9 상대격차 1.40 배절대격차 18.4%p 상대격차 0.44 배절대격차 -25.8%p 2005년 2010년 2015년 서울시자치구최댓값자치구최솟값 각해마다고등학교졸업이하교육수준인구비율이가장높은자치구와가장낮은자치구의값을자치구최댓값과자치구최솟값으로표시 지표설명 고등학교졸업이하교육수준인구비율은만 30-64 세인구중고등학교졸업이하의교육수준을가진인구의분율로정의한다. 낮은교육수준은사회경제적취약성을나타내는지표들중하나이다. 산출식 : ( 만 30-64 세인구중고등학교졸업이하교육수준을가진인구수 / 만 30-64 세전체인구수 ) 100 자료 : 인구주택총조사, 2005 년, 2010 년, 2015 년 43

제 2 장서울시건강격차주요통계 2017 서울시건강격차모니터링 1-8. 비정규직인구비율 인구교육고용소득지역박탈지수 비정규직인구비율관리자 전문가인구비율고용원없는자영업자인구비율실업률 2006년부터 2010년까지비정규직인구비율은전국대비서울시가높게나타났으나, 2011년부터는전국대비감소하는추세를보이다가 2017년다시전국대비서울시가높게나타났다. 그림 1-8-1 비정규직인구비율추이 ( 만 15 세이상임금노동자 ) ( 단위 : %) 5 4 42.0 40.3 38.2 3 35.5 35.9 33.8 35.2 34.9 34.4 33.7 33.7 33.3 34.2 33.3 32.5 32.6 32.4 32.3 32.5 31.6 32.8 32.1 33.7 32.9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전국 서울시 지표설명 비정규직인구비율은만 15 세이상전체임금노동자중임시직이나일용직으로고용되어일하는사람들의분율로정의한다. 비정규노동은노동시장의취약성을나타내는대표적인지표이다. 산출식 : ( 임시직이나일용직으로고용되어일하는만 15 세이상임금노동자수 / 만 15 세이상전체임금노동자수 ) 100 자료 : 경제활동인구조사, 2006-2017 년 (8 월기준 ) 44

1-9. 관리자 전문가인구비율 인구교육고용소득지역박탈지수 비정규직인구비율관리자 전문가인구비율고용원없는자영업자인구비율실업률 전반적인학력수준이높아지는가운데전국적으로 2010년에서 2015년사이취업자중관리자 전문가의비중은 22.2% 에서 22.3% 로미미하게높아졌다. 서울시도같은기간동안관리자 전문가인구비율은 29.5% 에서 3% 로증가했다. 서울시는전국에비해관리자 전문가인구비율이 7.7%p 더크다. 성별간차이는크지않았는데, 남자의관리자 전문가인구비율이여자에비해낮았다. 그림 1-9-1 관리자 전문가인구비율추이 ( 만 15 세이상취업자 ) ( 단위 : %) 35.0 3 29.5 3 30.8 29.3 27.8 31.0 25.0 22.1 25.4 15.0 18.0 22.2 22.3 18.0 20.1 17.9 22.3 13.5 13.4 13.7 5.0 2005년 2010년 2015년 2005년 2010년 2015년 2005년 2010년 2015년 전체 남자 여자 전국 서울시 전국 서울시 전국 서울시 지표설명 관리자 전문가인구비율은만 15 세이상전체취업자중관리자와전문가직업을가진사람들의분율로정의한다. 직업은물질적보상과사회적지위를결정하는중요한사회경제적요인중하나이다. 직업분류체계에서관리자와전문가는다른직업군에비해상대적으로유리한물질적조건과사회적지위를누리는것으로볼수있다. 산출식 : ( 한국표준직업분류상관리자와전문가및관련종사자로일하는만 15 세이상취업자수 / 만 15 세이상전체취업자수 ) 100 자료 : 인구주택총조사, 2005 년, 2010 년, 2015 년 45

제 2 장서울시건강격차주요통계 2017 서울시건강격차모니터링 1-10. 고용원없는자영업자인구비율 전국수준과서울시수준모두에게고용원없는자영업자인구비율은 2010 년에서 2015 년사이감소했다. 서울시는 전국에비추어고용원없는자영업자인구비율이낮았으며, 특히남자에서차이가컸다. 성별차이를살펴보면, 전반적으로여자에비해남자에게서고용원없는자영업자인구비율이높은것으로나타났다. 그림 1-10-1 고용원없는자영업자인구비율추이 ( 만 15 세이상취업자 ) ( 단위 : %) 3 25.0 15.0 20.9 15.8 17.0 13.3 16.6 12.8 24.6 18.5 20.2 15.5 19.3 14.8 15.0 11.5 12.6 12.8 10.5 10.1 5.0 2005 년 2010년 2015년 2005년 2010년 2015년 2005년 2010년 2015년 전체남자여자 전국 서울시 전국 서울시 전국 서울시 자치구별로고용원없는자영업자인구비율은상당한차이를보였다. 중구와종로구의고용원없는자영업자인구비율은각각 16.6%, 16.3% 로전국수준과유사한반면, 서초구의비율은 10.4% 로가장낮았다. 그림 그림 1-10-2 1-3-2 자치구별 고용원 1인가구없는비율자영업자 (2010인구년 ) 비율지도 (2015 ( 단위 : %) 년 ) 강서구 구로구 금천구 마포구 동작구 관악구 중구 양천구영등포구용산구 강북구 서초구 도봉구 성동구 강남구 노원구 은평구성북구중랑구서대문구종로구동대문구 광진구 송파구 강동구 ( 단위 : %) 10.4-11.5 11.7-12.3 12.4-13.3 13.6-14.4 14.5-16.6 46

인구교육고용소득지역박탈지수 비정규직인구비율관리자 전문가인구비율고용원없는자영업자인구비율실업률 그림 1-3-2 1-10-3 자치구별 1인고용원가구비율없는 (2010 자영업자년 ) 인구비율 (2015년, 만 15세이상취업자 ) ( 단위 : %) 16.3 16.6 15.0 12.8 10.4 10.8 5.0 서초구 강남구 송파구 영등포구 동작구 관악구 금천구 광진구 구로구 강서구 노원구 마포구 성동구 양천구 서울시 강동구 은평구 서대문구 용산구 중랑구 성북구 강북구 도봉구 동대문구 종로구 중구 지표설명 고용원없는자영업자인구비율은만 15 세이상전체취업자중고용원없는자영업자의분율로정의한다. 한국사회에서고용원이없는자영업자는영세자영업자인경우가많다. 그리고이들영세자영업자들이처한경제적조건이나근로환경, 사회적보호는오히려임금근로자보다취약한경우가적지않다. 따라서고용원없는자영업자규모는지역의사회경제적상황을간접적으로드러내는지표중하나로볼수있다. 산출식 : ( 고용원없는자영업자인만 15 세이상취업자수 / 만 15 세이상전체취업자수 ) 100 자료 : 인구주택총조사, 2005 년, 2010 년, 2015 년 47

제 2 장서울시건강격차주요통계 2017 서울시건강격차모니터링 1-11. 실업률 인구교육고용소득지역박탈지수 비정규직인구비율관리자 전문가인구비율고용원없는자영업자인구비율실업률 2016년서울시의실업률은 4.3% 이며, 전국은 3.7% 로서울시가 0.6%p 더높게나타났으며, 2015년서울시의실업률 4.2% 에비해 0.1%p 증가하였다 (2015년전국은 3.6% 로 0.1%p 증가 ). 성별에따른실업률을살펴보면전국남자 3.8%, 여자 3.6% 에비해서울시남자 4.3%, 여자 4.3% 로나타나전반적으로서울시가전국에비해높은양상을보였다. 그림 1-11-1 실업률추이 ( 만 15 세이상경제활동인구 ) ( 단위 : %) 6.0 5.0 4.0 3.0 4.8 4.5 4.1 3.5 4.6 4.0 3.3 3.2 4.3 3.9 3.3 3.2 5.2 4.5 3.6 3.5 5.4 4.7 3.8 3.7 5.1 4.6 3.9 3.4 4.6 4.2 3.7 3.2 4.2 4.0 3.7 3.1 4.5 4.5 4.4 3.5 4.3 4.2 4.1 3.6 4.3 4.3 3.7 2.0 1.0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전국 서울시전체 서울시남자 서울시여자 지표설명 실업률은만 15 세이상전체경제활동인구중현재일자리가없으며, 적극적인구직의사를갖는 (4 주이상의구직활동 ) 사람들의분율로정의한다. 실업은구직의사가있지만일자리를갖지못한상태로, 개인과가족혹은지역사회수준에서사회경제적취약함을나타내는지표라할수있다. 산출식 : ( 현재일자리가없으며, 적극적인구직의사를갖는 (4 주이상의구직활동 ) 만 15 세이상경제활동인구수 / 만 15 세이상전체경제활동인구수 ) 100 자료 : 경제활동인구조사, 2006-2016 년 48

1-12. 재정자주도 인구교육고용소득지역박탈지수 재정자주도기초생활수급자비율 2017년서울시재정자주도는 53.3% 로 2016년 (53.2%) 에비해약간증가하였다. 재정자주도가높은구는종로구 (67.8%), 중구 (63.9%), 용산구 (6%), 강남구 (59.4%) 순이었다. 반면, 낮은구는강서구 (42.5%), 은평구 (45.6%), 노원구 (46.9%), 강북구 (47.1%) 순이었다. 그림 1-3-2 1-12-1 자치구별 1인재정자주도가구비율 (2010 지도년 (2017 ) 년 ) ( 단위 : %) 강북구 도봉구 노원구 은평구 서대문구 종로구 성북구 동대문구 중랑구 양천구영등포구강서구 마포구 중구 성동구 광진구 용산구 송파구 구로구동작구강남구 서초구 금천구 관악구 강동구 ( 단위 : %) 58.2-67.8 53.6-57.4 51.1-53.3 49.2-51.0 42.5-48.6 그림 1-3-2 1-12-2 자치구별 1인재정자주도가구비율 (2010 (2017 년 ) ) ( 단위 : %) 8 6 4 67.8 63.9 6 59.4 53.3 47.1 46.9 45.6 42.5 종로구 중구 용산구 강남구 영등포구 성동구 광진구 서초구 서대문구 동대문구 양천구 서울시 금천구 송파구 강동구 마포구 구로구 동작구 성북구 도봉구 중랑구 관악구 강북구 노원구 은평구 강서구 49

제 2 장서울시건강격차주요통계 2017 서울시건강격차모니터링 재정자주도는지난 10 년간지속적으로감소추세였으나, 2016 년이후증가추세로 2017 년은전년도대비 0.1%p 증가하였다. 2014 년이후자치구간격차가줄어들다가 2017 년에다시자치구간격차가증가하였다. 그림 1-12-3 자치구별재정자주도추이 ( 단위 : %) 10 상대격차 1.10 배절대격차 8.3%p 8 상대격차 0.85배절대격차 -12.3%p 6 4 91.9 83.6 71.3 91.7 82.0 68.4 89.7 77.0 61.2 91.4 77.0 61.3 89.3 73.8 59.4 84.8 71.0 58.4 84.7 69.6 56.7 79.3 64.1 51.8 69.8 54.8 43.9 64.9 52.5 42.1 66.9 53.2 43.2 67.8 53.3 42.5 상대격차 1.27 배절대격차 14.5%p 상대격차 0.80 배절대격차 -10.8%p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자치구평균자치구최댓값자치구최솟값 각해마다재정자주도가가장높은자치구와가장낮은자치구의값을자치구최댓값과자치구최솟값으로표시 지표설명 재정자주도는지방세와세외수입을포함하는자체수입, 중앙정부로부터지원받는지방교부세, 재정보전금, 조정교부금을포함하는자주재원이전체예산규모에서차지하는비중으로정의된다. 재정자주도는지방자치단체가재량에따라사용할수있는예산규모를나타낸다. 산출식 : (( 자체수입 + 자주재원 ) / 자치단체예산규모 ) 100 자료 : 행정자치부지방자치단체예산개요, 2006-2017년 50

1-13. 기초생활수급자비율 인구교육고용소득지역박탈지수 재정자주도기초생활수급자비율 서울시의기초생활수급자비율은 2016년 2.7% 로 2015년대비 0.1%p 증가하였다. 기초생활수급자가높은구는강북구 (4.7%), 노원구 (4.4%), 금천구 (4.1%) 순으로 2015년에비해모든자치구가높게나타났으며, 서초구는기초생활수급자가 1.1%(4853명 ), 송파구 (1.4%), 동작구 (2.0%) 순으로낮게나타났다. 그림 1-3-2 1-13-1 자치구별 1인기초생활수급자가구비율 (2010비율년 ) 지도 (2016년) 강서구 구로구 금천구 마포구 양천구영등포구용산구 동작구 관악구 중구 강북구 서초구 도봉구 성동구 강남구 노원구 은평구성북구중랑구서대문구종로구동대문구 광진구 송파구 강동구 ( 단위 : %) 1.1-2.0 2.1-2.3 2.4-2.8 2.9-3.5 3.6-4.7 그림 1-3-2 1-13-2 자치구별 1인기초생활수급자가구비율 (2010비율년 ) (2016년) ( 단위 : %) 5.0 4.0 4.1 4.4 4.7 3.0 2.7 2.0 2.0 1.0 1.1 1.4 서초구 송파구 동작구 마포구 강남구 구로구 광진구 영등포구 양천구 강동구 서대문구 성동구 관악구 용산구 서울시 종로구 성북구 도봉구 중구 동대문구 강서구 은평구 중랑구 금천구 노원구 강북구 51

제 2 장서울시건강격차주요통계 2017 서울시건강격차모니터링 그림 1-13-3 자치구별기초생활수급자비율추이 ( 단위 : %) 5.0 4.3 4.7 4.0 3.6 3.7 3.7 3.6 3.6 3.6 3.7 상대격차 1.74 배절대격차 2.0%p 3.0 상대격차 1.79 배절대격차 1.6%p 2.6 2.7 2.0 1.0 상대격차 0.35 배절대격차 -1.3%p 2.0 0.7 2.1 0.7 2.1 0.7 2.0 0.7 2.0 0.7 2.0 0.7 2.1 0.8 1.1 1.1 상대격차 1.1 배절대격차 -1.6%p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자치구평균자치구최댓값자치구최솟값 지표설명기초생활수급자는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에의해급여자격을갖춘수급권자중에서실제로급여를받는사람을지칭한다. 수급자는부양의무자가없거나부양의무자가있어도부양능력이없거나부양을받을수없는사람으로서, 소득인정액이최저생계비이하인사람을지칭하며, 이경우에해당하지않더라도생활이어려운사람으로서일정기간동안이법에서정하는급여의전부또는일부가필요하다고보건복지부장관이정하는사람도수급자가된다. 자치구별기초생활수급자의규모는해당지역의사회경제적상황을나타내는간접적지표이자, 최저생계비이하절대빈곤층의규모를가늠케하는지표이기도하다. 산출식 : (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에의해급여자격을갖춘수급권자중실제로급여를받는사람의수 / 전체인구수 ) 100 자료 : 서울통계 ( 서울시복지정책과 ), 2008-2016 년, 주민등록인구통계, 2008-2016 년 52

1-14. 지역박탈지수 인구교육고용 소득지역박탈지수 지역박탈지수 2015년서초구, 강남구, 송파구, 양천구는지역박탈지수값이낮은지역에속하였고, 금천구, 강북구, 중랑구, 중구는값이높은지역에속하였다. 가장낮은지역박탈지수값을보인서초구는 9.00이었으며, 가장높은지역박탈지수값을보인금천구는 6.34였다. 그림 1-3-2 1-14-1 자치구별 1인지역박탈지수가구비율 (2010 지도년 )(2015년) ( 단위 : %) 강서구 구로구 금천구 마포구 동작구 관악구 중구 양천구영등포구용산구 강북구 서초구 도봉구 성동구 강남구 노원구 은평구성북구중랑구서대문구종로구동대문구 광진구 송파구 강동구 -9.00 - -1.86-1.61 - -0.62-0.16-0.94 0.99-2.00 2.70-6.34 그림 1-3-2 1-14-2 자치구별 1인지역박탈지수가구비율 (2010 (2015 년 ) 년 ) ( 단위 : %) 0 8.00 6.00 4.00 4.27 5.25 5.94 6.34 2.00 0 0-2.00-4.00 서초구 강남구 송파구 양천구 -3.45 마포구 동작구 노원구 강동구 용산구 강서구 성북구 서대문구 성동구 서울시 도봉구 은평구 광진구 구로구 영등포구 종로구 관악구 동대문구 중구 중랑구 강북구 금천구 -6.00-5.13-8.00-7.69-0 -9.00 53

제 2 장서울시건강격차주요통계 2017 서울시건강격차모니터링 지표설명지역박탈지수는자동차소유가구비율, 고등학교졸업미만교육수준을가진인구비율, 낮은사회계층에해당하는인구비율, 이혼또는사별한인구비율을종합하여나타낸지수로정의한다. 지역박탈지수는지역의빈곤수준과더불어, 다양한종류의자원결핍수준을가늠케하는지표이다. 해당지역의지역박탈지수가양 (+) 의값이면숫자가커질수록박탈정도가심한것이다. 해당지역의지역박탈지수가음 (-) 의값이면 0에서멀어질수록양호한것이다. 자료 : 인구주택총조사, 2005년, 2010년, 2015년 54

주거식품 환경 1 인당생활권공원면적 교통안전지수 장애인편의시설설치율 서울시교통안전지수는 2011년에급감하여 2014년까지감소추세였다가 2015년에 79.7점으로다시급증하였지만, 2016년에 77.6으로다시감소하였다. 2015년교통안전지수가가장낮았던구는중구 (61.0점) 로서울시와의절대격차가 18.7점으로전에비해증가하였던반면, 2016년에는수치가가장낮았던강남구 (68.3점) 와서울시와의절대격차는 9.2점으로전년대비감소하였다. 그림 2-4-3 자치구별교통안전지수추이 ( 단위 : 점 ) 10 9 8 7 6 5 상대격차 1.09 배절대격차 7.0 점 상대격차 0.77 배절대격차 -17.6 점 84.2 77.2 59.7 87.6 77.3 54.3 88.7 81.8 65.0 87.5 88.3 86.1 89.2 84.8 78.3 78.0 78.3 77.0 65.2 79.7 61.0 55.9 58.9 58.5 82.4 77.6 68.3 상대격차 1.06 배절대격차 4.8 점 상대격차 0.88 배절대격차 -9.2 점 4 3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서울시자치구최댓값자치구최솟값 각해마다교통안전지수가가장높은자치구와가장낮은자치구의값을자치구최댓값과자치구최솟값으로표시 지표설명교통안전지수는교통사고발생에영향을미치는기초자료 ( 인구수, 자동차등록대수, 도로연장거리 ) 대비교통사고발생요인, 희생요인, 도로환경요인에대한교통사고발생률을산출하여, 항목별목표값대비백분위정규화하여교통안전도수준을객관적, 계량적수치로나타낸것으로, 매년도로교통공단에서발표하고있다. 교통안전지수는 0점에서 100점사이의값을가지며, 100점에가까울수록교통안전도가높고, 0점에가까울수록교통안전도가낮은것을의미한다. 자료 : 전국시군구별교통안전지수, 2008-2016 년 65

제 2 장서울시건강격차주요통계 2017 서울시건강격차모니터링 2-5. 장애인편의시설설치율 2013 년서울시장애인편의시설설치율은 67.2% 였다. 이는전국 67.9% 보다다소낮은수치이며, 장애인편의시설 설치율이가장높은대구와는 5.0%p 가량차이가났다. 그림 2-5-1 시도별장애인편의시설설치율지도 (2013 년 ) 강원도인천서울경기도 충청북도 충청남도 ( 세종 ) 대전 경상북도 전라북도광주 경상남도 대구 부산 울산 ( 단위 : %) 70.84-72.20 68.92-70.83 전라남도 66.32-68.91 60.27-66.31 제주 그림 2-5-2 시도별장애인편의시설설치율 (2013 년 ) ( 단위 : %) 8 7 72.2 67.9 67.2 상대격차 1.07 배절대격차 5.0%p 상대격차 0.90 배절대격차 -7.0%p 6 60.3 5 대구 부산 강원 대전 제주 광주 울산 경기 전북 전국 경남 서울 인천 경북 충남세종 전남 충북 지표설명 장애인편의시설설치율은 장애인 노인 임산부등의편의증진보장에관한법률 제 7 조 ( 대상시설 ) 및동법시행령제 3 조 ( 대상시설 ) 에따라편의시설설치대상시설 ( 건물 ) 에설치하여야하는전체편의시설항목수중조사를통해그시설 ( 건물 ) 에설치된편의시설항목수의비율로정의한다. 장애인편의시설은장애인의이동권을보장하기위한기본적인요건일뿐만아니라, 건강증진을위한시설과정보에대한접근성측면에서도중요하다. 산출식 : ( 설치된장애인편의시설세부항목수 / 설치해야할장애인편의시설세부항목수 ) 100 자료 : 장애인편의시설실태전수조사, 2013년 66

2-6. 현재흡연율 흡연 음주운동체중건강검진예방접종 현재흡연율가정실내간접흡연노출률직장실내간접흡연노출률 2016년서울시현재흡연율 ( 만 19세이상, 표준화 ) 은남자 37.2%, 여자 3.6%, 전체 20.4% 로 2015년 ( 남자 36.8%, 여자 3.7%, 전체 20.3%) 대비여자는약간감소하였지만, 남자가증가하면서전체현재흡연율도미미하게증가하였다. 자치구별남자의현재흡연율은 30.8%( 강남구 ) 부터 47.1% ( 금천구 ) 까지분포하였으며, 서울시와남자의현재흡연율이가장높은구와의차이는 9.9% 였다. 자치구별여자의현재흡연율은 1.9% 부터 5.5% 까지분포하였다. 서울시와전체현재흡연율이가장높은구와의격차는전년도대비남자는격차가증가하였고여자는소폭감소하였다. 양천구영등포구 그림 2-6-1 자치구별남자현재흡연율지도 (2016년, 만 19세이상 ) 도봉구 노원구 강북구 은평구 성북구 중랑구 종로구 서대문구 동대문구 강서구 마포구 중구 ( 단위 : %) 성동구 광진구 강동구 30.8-34.7 35.1-35.7 용산구 구로구 동작구송파구강남구 36.8-38.7 서초구 금천구 관악구 38.8-40.4 41.5-47.1 연령표준화율 그림 2-6-2 자치구별현재흡연율 (2016 년, 만 19 세이상 ) ( 단위 : %) 7 6 5 4 3 17.3 17.3 상대격차 0.85 배절대격차 -3.1%p 20.4 상대격차 1.25 배절대격차 5.1%p 25.5 강남구 영등포구 송파구 서초구 양천구 동작구 서대문구 강서구 강동구 노원구 마포구 광진구 서울시 성동구 용산구 강북구 동대문구 종로구 은평구 관악구 중랑구 도봉구 구로구 성북구 중구 금천구 성 연령표준화율 상대격차또는절대격차가서울시와유의하게차이나는자치구는제일흐린색과짙은색으로표시 67

제 2 장서울시건강격차주요통계 2017 서울시건강격차모니터링 그림 2-6-3 성별자치구별현재흡연율추이 ( 만 19 세이상 ) ( 단위 : %) 7 6 5 4 3 상대격차 1.10 배절대격차 4.4%p 상대격차 0.80 배절대격차 -9.0%p 49.6 45.2 36.2 49.4 43.5 35.8 48.4 42.1 33.4 50.1 42.0 35.0 46.8 41.0 35.4 49.5 39.0 28.8 43.7 36.8 28.8 47.1 37.2 30.8 상대격차 1.27 배절대격차 9.9%p 상대격차 0.83 배절대격차 -6.5%p 상대격차 1.45 배절대격차 1.8%p 상대격차 0.58 배절대격차 -1.7%p 5.8 4.0 2.3 2009년 5.7 3.7 1.9 7.7 3.7 1.6 3.9 1.9 6.3 8.2 3.8 2.2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3.5 2.3 5.5 3.7 2.1 6.1 3.6 1.9 5.5 상대격차 1.52 배절대격차 1.9%p 상대격차 0.54 배절대격차 -1.7%p 남자서울시 남자최댓값 남자최솟값 여자서울시 여자최댓값 여자최솟값 연령표준화율 각해마다현재흡연율이가장높은자치구와가장낮은자치구의값을자치구최댓값과자치구최솟값으로표시 2010 년소득수준중하에속하는남자의현재흡연율은 46.6%( 만 19 세이상, 표준화 ) 로가장높았고, 소득수준상에속하는남자에비해 1.20 배, 7.7%p 높았다. 그림 2-6-4 성별소득수준별현재흡연율추이 ( 만 19 세이상 ) ( 단위 : %) 7 6 50.9 5 4 3 상대격차 1.28 배절대격차 11.2%p 39.7 38.9 46.6 중하 : 상상대격차 1.20 배절대격차 7.7%p 상대격차 2.29 배절대격차 3.1%p 5.5 2.4 2.5 2009 년 5.0 2010 년 상대격차 2.00 배절대격차 2.5%p 남자하 남자중하 남자중상 남자상 여자하 여자중하 여자중상 여자상 연령표준화율 68

흡연 음주운동체중건강검진예방접종 현재흡연율가정실내간접흡연노출률직장실내간접흡연노출률 2016 년서울시만 30-64 세중졸이하인남자의현재흡연율 ( 표준화 ) 은 59.2%, 대졸이상인경우 36.4% 로 22.8%p, 1.63 배차이가났다. 만 30-64 세중졸이하인여자의흡연율은 15.3%, 대졸이상인경우 2.0% 로 13.3%p, 7.57 배차이가났다. 중졸이하의현재흡연율은 2015 년에비해남자는감소하였지만여자는상승하였고, 대졸이상의현재흡연율은 2015 년에비해남자, 여자모두상승하였다. 그림 2-6-5 교육수준별현재흡연율 (2016 년, 만 30-64 세 ) ( 단위 : %) 7 6 59.2 55.2 5 상대격차 1.63 배절대격차 22.8%p 4 37.3 36.4 3 30.9 상대격차 1.94 배절대격차 18.0%p 19.2 4.5 전체남자여자 15.3 6.6 2.0 상대격차 7.57 배절대격차 13.3%p 중졸이하고졸대졸이상중졸이하고졸대졸이상중졸이하고졸대졸이상 성 연령표준화율 그림 2-6-6 성별교육수준별현재흡연율추이 ( 만 30-64 세 ) ( 단위 : %) 7 6 5 상대격차 1.43 배절대격차 18.8%p 62.4 56.2 61.5 56.1 60.7 57.0 57.7 56.7 60.7 59.0 66.5 55.9 63.1 54.2 59.2 55.2 상대격차 1.63 배절대격차 22.8%p 4 3 43.6 41.8 11.2 41.0 40.6 9.2 40.2 11.3 37.3 17.1 35.8 11.7 36.4 15.3 상대격차 3.53 배절대격차 4.3%p 6.0 4.6 1.7 5.0 1.9 5.1 1.9 5.0 2.6 5.8 2.1 5.7 1.9 7.4 1.8 6.6 2.0 상대격차 7.57 배절대격차 13.3%p 2009 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남자중졸이하 남자고졸 남자대졸이상 여자중졸이하 여자고졸 여자대졸이상 연령표준화율 69

제 2 장서울시건강격차주요통계 2017 서울시건강격차모니터링 2016 년서울시만 30-64 세남자의현재흡연율 ( 표준화 ) 은육체직인경우 50.5%, 사무직인경우 36.0% 로 14.5%p, 1.40 배차이가났다. 여자의현재흡연율 ( 표준화 ) 은서비스 판매직인경우 8.6%, 사무직인경우 2.4% 로 6.1%p, 3.52 배차이가났다. 그림 2-6-7 직업별현재흡연율 (2016 년, 만 30-64 세 ) ( 단위 : %) 7 6 5 4 50.5 50.3 36.0 상대격차 1.40 배절대격차 14.5%p 3 28.0 29.4 19.2 서비스 판매직 : 사무직상대격차 1.53 배절대격차 10.2%p 4.5 전체남자여자 5.4 8.6 2.4 서비스 판매직 : 사무직상대격차 3.52 배절대격차 6.1%p 육체직서비스 판매직사무직육체직서비스 판매직사무직육체직서비스 판매직사무직 성 연령표준화율 그림 2-6-8 성별직업별현재흡연율추이 ( 만 30-64 세 ) ( 단위 : %) 7 6 5 4 상대격차 1.32 배절대격차 14.0%p 57.8 54.1 43.8 58.0 51.5 42.5 55.0 51.8 42.0 54.2 51.2 41.5 55.8 53.4 4 55.3 50.1 36.7 51.5 48.0 35.1 50.5 50.3 36.0 상대격차 1.40 배절대격차 14.5%p 3 서비스 판매직 : 사무직상대격차 2.57 배절대격차 3.6%p 5.9 5.0 2.3 2009년 8.3 4.3 3.2 7.4 3.6 2.6 6.4 5.6 3.2 8.8 3.5 2.8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7.3 4.3 2.1 10.2 7.5 2.6 8.6 5.4 2.4 서비스 판매직 : 사무직상대격차 3.52 배절대격차 6.1%p 남자육체직 남자서비스 판매직 남자사무직 여자육체직 여자서비스 판매직 여자사무직 연령표준화율 70

흡연 음주운동체중건강검진예방접종 현재흡연율가정실내간접흡연노출률직장실내간접흡연노출률 2016 년서울시에거주하는청소년의현재흡연율 ( 표준화 ) 은전체 5.8%, 남자 8.5%, 여자 2.8% 로, 2015 년에비해모두감소하였다 (2015 년전체 7.0%, 남자 10.7%, 여자 3.0%). 아버지가중졸이하인남자청소년현재흡연율은 16.4% 로아버지가대졸이상인청소년현재흡연율 6.2% 보다 10.1%p, 2.63 배높았다. 여자청소년인경우아버지가중졸이하일때 9.7%, 대졸이상일때 1.8% 로 8.0%p, 5.43 배차이가났다. 아버지교육수준에따른청소년현재흡연율의경우, 2015 년에비해남자의격차는감소하였으나여자의격차는증가하였다. 그림 2-6-9 아버지교육수준에따른청소년현재흡연율 (2016 년, 만 13-18 세 ) ( 단위 : %) 7 6 5 4 3 5.8 13.7 8.1 4.1 상대격차 3.34 배절대격차 9.6%p 8.5 16.4 12.9 6.2 상대격차 2.63 배절대격차 10.1%p 전체남자여자 2.8 9.7 3.7 1.8 상대격차 5.43 배절대격차 8.0%p 서울시중졸이하고졸대졸이상서울시중졸이하고졸대졸이상서울시중졸이하고졸대졸이상 가중치적용조율 그림 2-6-10 아버지교육수준에따른청소년현재흡연율추이 ( 만 13-18 세 ) ( 단위 : %) 3 고졸 : 대졸이상상대격차 1.44배 25.2 절대격차 5.7%p 24.8 25.0 상대격차 3.29배 23.6 절대격차 11.0%p 21.4 20.2 18.5 17.9 18.5 18.7 18.7 19.9 17.0 17.4 16.4 15.8 15.8 15.8 15.3 상대격차 5.43배 15.9 13.1 13.4 절대격차 8.0%p 12.1 12.9 14.3 13.0 12.8 12.7 10.1 10.7 9.2 9.6 9.7 11.8 8.4 8.5 7.2 9.4 7.8 7.8 7.1 7.0 8.5 6.1 5.2 5.2 상대격차 2.63배 6.2 6.2 4.5 3.7 절대격차 10.1%p 5.6 4.8 3.9 4.1(F) 4.3 3.0 3.4 2.8 2.8 2.2 2.0 1.8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남자 여자 서울시중졸이하고졸대졸이상서울시중졸이하고졸대졸이상 가중치적용조율 71

제 2 장서울시건강격차주요통계 2017 서울시건강격차모니터링 지표설명 흡연은조기사망의주요원인으로, 인체의거의모든장기에영향을미치며국제암연구소 (IARC) 가지정한 1 급발암물질이다. 성인의현재흡연율은평생담배 5 갑 (100 개비 ) 이상피웠고, 현재담배를피우는사람의분율로정의한다. 산출식 : ( 만 19 세이상인구중 " 지금까지살아오는동안 5 갑 (100 개비 ) 이상의담배를피웠습니까?" 라는설문에 " 예 " 라고응답하고, " 현재담배를피웁니까?" 라는설문에 " 매일피움 " 또는 " 가끔피움 " 으로응답한사람수 / 조사대상응답자수 ) 100 자료 : 지역사회건강조사, 2009-2016 년 청소년의현재흡연율은최근 30 일간담배를 1 개비라도피운날이 1 일이상인청소년의분율로정의한다. 산출식 : ( 만 13-18세인구중최근 30일간담배를 1개비라도피운날이 1일이상이라고응답한사람수 / 조사대상응답자수 ) 100 자료 :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2009-2016 년 72

2-7. 가정실내간접흡연노출률 흡연 음주운동체중건강검진예방접종 현재흡연율가정실내간접흡연노출률직장실내간접흡연노출률 2016 년서울시만 19 세이상현재비흡연자의가정실내간접흡연노출률 ( 표준화 ) 은남자 2.1%, 여자 5.8%, 전체 4.0% 였다. 자치구별가정실내간접흡연노출률은 1.4% 부터 7.1% 까지분포하였으며, 가정실내간접흡연노출률이가장높은구와서울시의차이는 3.1%p 였다. 서울시에비해가정실내간접흡연노출률이유의하게낮은구는관악구, 노원구, 서대문구, 종로구였으며높은구는강북구였다. 서울시여자의가정실내간접흡연노출률은 5.8% 로서울시남자의가정실내간접흡연노출률 2.1% 에비하여두배이상높게나타났다. 2016 년여자의자치구별가정실내간접흡연노출률이가장높은구는도봉구 (10.2%) 였으며, 서울시여자의가정실내간접흡연노출률과비교하여 1.76 배, 4.4%p 높게나타났다. 서울시가정실내간접흡연노출률과가장높은구와의격차는여자인경우 2013 년부터증가추세를보이면서 2015 년에는절대격차, 상대격차모두증가하였지만, 2016 년에는전년대비감소하였다. 그림 2-7-1 자치구별가정실내간접흡연노출률지도 (2016 년, 만 19 세이상현재비흡연자 ) 강북구 도봉구 노원구 양천구영등포구은평구 성북구 중랑구 종로구 서대문구 동대문구 강서구 마포구 중구 성동구 광진구 용산구 강동구 ( 단위 : %) 1.4-3.0 3.2-3.6 구로구 금천구 동작구 관악구 서초구 강남구 송파구 3.8-4.1 4.2-5.4 5.5-7.1 성 연령표준화율 그림 2-7-2 자치구별가정실내간접흡연노출률 (2016 년, 만 19 세이상현재비흡연자 ) ( 단위 : %) 3 상대격차 0.35 배절대격차 -2.6%p 1.4 1.6 2.0 2.5 4.0 상대격차 1.79 배절대격차 3.1%p 7.1 관악구 노원구 서대문구 종로구 성북구 금천구 동작구 강남구 서초구 성동구 동대문구 강서구 마포구 영등포구 서울시 광진구 구로구 용산구 강동구 송파구 양천구 은평구 중구 중랑구 도봉구 강북구 성 연령표준화율 상대격차또는절대격차가서울시와유의하게차이나는자치구는제일흐린색과짙은색으로표시 73

제 2 장서울시건강격차주요통계 2017 서울시건강격차모니터링 그림 2-7-3 여자의자치구별가정실내간접흡연노출률 ( 만 19 세이상현재비흡연자 ) ( 단위 : %) 6 5 4 3 상대격차 1.73 배절대격차 9.6%p 상대격차 0.51 배절대격차 -6.5%p 22.8 13.2 6.7 19.8 13.9 7.7 20.1 13.6 8.1 19.7 13.1 8.6 12.6 7.7 4.4 13.3 6.0 3.9 10.2 5.8 2.3 상대격차 1.76 배절대격차 4.4%p 상대격차 0.40 배절대격차 -3.5%p 2009년 2010년 2011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서울시자치구최댓값자치구최솟값 연령표준화율 각해마다가정실내간접흡연노출률이가장높은자치구와가장낮은자치구의값을자치구최댓값과자치구최솟값으로표시 2016년서울시에거주하는청소년의가정실내간접흡연노출률은 26.5% 이며남자청소년은 25.6%, 여자청소년은 27.4% 였다. 아버지가중졸이하인경우남자청소년의가정실내간접흡연노출률은 36.5%, 여자청소년의가정실내간접흡연노출률은 38.1% 로아버지가대졸이상인청소년보다각각 12.6%p, 15.7%p 높았다. 청소년의가정실내간접흡연노출률은 2009년이후로지속적으로감소하다 2014년에증가하였으며, 2015년에 25.9% 로급감하였고, 이는 2009년이후로가장낮은가정실내간접흡연노출률로나타났다. 2016년청소년의가정실내간접흡연노출률은, 26.5% 로작년대비소폭상승하였다. 남자 여자모두아버지교육수준이중졸이하인청소년과대졸이상인청소년의가정실내간접흡연노출률은 2015년에비해 2016년에상대격차와절대격차모두증가하였다. 그림 2-7-4 아버지교육수준에따른청소년가정실내간접흡연노출률 (2016년, 만 13-18세 ) ( 단위 : %) 6 5 4 3 26.5 37.1 33.5 23.2 상대격차 1.60 배절대격차 13.9%p 25.6 36.5 29.8 23.9 상대격차 1.53 배절대격차 12.6%p 27.4 38.1 37.0 22.4 상대격차 1.70 배절대격차 15.7%p 전체남자여자 서울시중졸이하고졸대졸이상서울시중졸이하고졸대졸이상서울시중졸이하고졸대졸이상 가중치적용조율 74

흡연 음주운동체중건강검진예방접종 현재흡연율가정실내간접흡연노출률직장실내간접흡연노출률 그림 2-7-5 아버지교육수준에따른청소년가정실내간접흡연노출률추이 ( 만 13-18 세 ) ( 단위 : %) 6 5 4 3 47.5 46.9 40.9 34.9 44.2 44.1 38.9 34.4 고졸 : 대졸이상상대격차 1.36 배절대격차 12.6%p 46.9 41.7 37.9 34.0 41.8 33.6 28.8 24.6 36.7 33.1 27.7 24.0 39.3 37.8 30.6 26.0 32.2 28.3 25.4 22.9 36.5 29.8 25.6 23.9 상대격차 1.53 배절대격차 12.6%p 상대격차 1.51 배절대격차 16.7%p 상대격차 1.70 배절대격차 15.7%p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49.4 48.1 39.6 32.7 55.4 45.6 39.3 33.1 50.5 44.6 38.1 32.4 52.0 38.4 32.7 27.4 41.5 36.8 29.4 23.8 39.8 39.6 31.4 25.8 33.7 30.9 26.5 22.3 38.1 37.0 27.4 22.4 남자 여자 서울시중졸이하고졸대졸이상서울시중졸이하고졸대졸이상 가중치적용조율 지표설명 간접흡연은성인뿐만아니라어린이에게도다수의질환을유발할수있으며, 국제암연구소 (IARC) 가지정한 1 급발암물질이다. 성인의가정실내간접흡연노출률은현재비흡연자중가정실내에서다른사람이피우는담배연기를맡는사람의분율로정의한다. 산출식 : ( 만 19세이상현재비흡연자중 " 가정의실내에서다른사람이피우는담배연기를맡는시간은하루몇시간정도입니까?" 라는설문에 "1시간미만 " 또는 "1시간이상 " 이라고응답한사람수 / 조사대상응답자중현재비흡연자수 ) 100 자료 : 지역사회건강조사, 2009-2011 년, 2013 년 산출식 : ( 최근 1주일 (7일) 동안가정의실내에서다른사람이피우는담배연기를맡은적이있는사람의수 / 현재비흡연자 ( 과거흡연자포함 ) 의수 ) 100 자료 : 지역사회건강조사, 2014-2016 년 청소년의가정실내간접흡연노출률은최근 7 일간집안에서다른사람이담배를피울때그근처에같이있은적이주 1 일이상인청소년의분율로정의한다. 산출식 : ( 만 13-18세인구중최근 7일간집안에서다른사람이담배를피울때그근처에같이있은적이주 1일이상인사람수 / 조사대상응답자수 ) 100 자료 :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2009-2016 년 75

제 2 장서울시건강격차주요통계 2017 서울시건강격차모니터링 2-8. 직장실내간접흡연노출률 2016 년서울시만 30-64 세고졸이하인남자의직장실내간접흡연노출률은 27.9%, 대졸이상인경우 19.9% 로 8.0%p, 1.40 배차이가났다. 만 30-64 세중졸이하인여자의흡연율은 19.5%, 대졸이상인경우 6.6% 로 12.9%p, 2.97 배차이가났다. 그림 2-8-1 교육수준별직장실내간접흡연노출률 (2016 년, 만 30-64 세비흡연취업자 ) ( 단위 : %) 6 5 4 3 18.9 19.8 13.2 고졸 : 대졸이상상대격차 1.50 배절대격차 6.6%p 18.3 27.9 19.9 고졸 : 대졸이상상대격차 1.40 배절대격차 8.0%p 19.5 11.7 6.6 상대격차 2.97 배절대격차 12.9%p 전체 남자 여자 중졸이하고졸대졸이상중졸이하고졸대졸이상중졸이하고졸 대졸이상 성 연령표준화율 2016 년서울시만 19 세이상직장에다니는현재비흡연자의직장실내간접흡연노출률 ( 표준화 ) 은남자 18.6%, 여자 8.1%, 전체 13.4% 였다. 2016 년서울시만 30-64 세남자의직장실내간접흡연노출률은육체직인경우 32.1%, 사무직인경우 20.9% 로 11.2%p, 1.54 배차이가났다. 여자인경우서비스 판매직은 17.9%, 사무직은 11.2% 로 6.7%p, 1.60 배차이가났다. 육체직과사무직의격차는남자일경우감소하였고, 서비스 판매직과사무직의격차는여성일때소폭으로상승하였다. 그림 2-8-2 직업별직장실내간접흡연노출률 (2016 년, 만 30-64 세비흡연취업자 ) ( 단위 : %) 6 5 4 3 24.9 21.6 16.0 상대격차 1.56 배절대격차 8.9%p 32.1 25.4 20.9 상대격차 1.54 배절대격차 11.2%p 17.8 17.9 11.2 서비스 판매직 : 사무직상대격차 1.60 배절대격차 6.7%p 전체 남자 여자 육체직서비스 판매직사무직육체직서비스 판매직사무직육체직서비스 판매직사무직 성 연령표준화율 76

흡연 음주운동체중건강검진예방접종 현재흡연율가정실내간접흡연노출률직장실내간접흡연노출률 그림 2-8-3 성별직업별직장실내간접흡연노출률추이 ( 만 30-64 세비흡연취업자 ) ( 단위 : %) 6 5 4 3 50.5 42.2 34.7 45.4 36.0 30.4 상대격차 1.46 배절대격차 15.8%p 47.3 35.4 29.0 44.5 32.4 21.9 42.6 30.4 22.5 35.4 28.1 32.1 25.4 21.1 20.9 상대격차 1.54 배절대격차 11.2%p 서비스 판매직 : 사무직상대격차 1.63 배절대격차 11.8%p 서비스 판매직 : 사무직상대격차 1.54 배절대격차 6.7%p 2009년 2010년 2011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남자 여자 30.5 28.1 18.7 33.2 31.3 20.2 29.7 29.0 24.7 24.2 19.1 17.8 17.0 18.0 17.9 13.2 29.6 21.4 14.5 12.4 11.2 육체직서비스 판매직사무직육체직서비스 판매직사무직 연령표준화율 지표설명 간접흡연은성인뿐만아니라어린이에게도다수의질환을유발할수있으며, 국제암연구소 (IARC) 가지정한 1 급발암물질이다. 직장실내간접흡연노출률은현재일을하고있는현재비흡연자중직장의실내에서다른사람이피우는담배연기를맡는사람의분율로정의한다. 산출식 : ( 만 19세이상직장에다니는현재비흡연자중 " 직장의실내에서다른사람이피우는담배연기를맡는시간은하루몇시간정도입니까?" 라는설문에 "1시간미만 " 또는 "1시간이상 " 이라고응답한사람수 / 조사대상응답자중현재비흡연자수 ) 100 자료 : 지역사회건강조사, 2009-2011 년, 2013 년 산출식 : ( 최근 1 주일 (7 일 ) 동안직장의실내에서다른사람이피우는담배연기를맡은적이있는사람의수 / 일을하고있는현재비흡연자 ( 과거흡연자포함 ) 의수 ) 100 자료 : 지역사회건강조사, 2014-2016 년 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