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병연구 Res. Plant Dis. 18(1) : 40 44 (2012) http://dx.doi.org/10.5423/rpd.2012.18.1.040 Note Open Access Research in Plant Disease The Korean Society of Plant Pathology Xanthomonas aboricola pv. pruni 에의한자두검은점무늬병의발생과핵과류과수품종에대한병원성 류영현 * 이중환 1 권태영 1 김승한 2 김동근경상북도농업기술원신물질연구소, 1 농업환경연구과, 2 봉화고냉지약초시험장 Occurrence of Bacterial Black Spot on Plum by Xanthomonas aboricola pv. pruni and It's Pathogenicity on Varieties of Some Stone Fruits Young Hyun Ryu*, Joong Hwan Lee 1, Tae Young Kwon 1, Seung Han Kim 2 and Dong Geun Kim Institute for Natural Products Research, Uisung 769-803, Korea 1 Dept. of Plant Environment Research, Daegu 702-708, Korea 2 Bonghwa Alpine Medicinal Plant Experiment Station, Gyeongsangbuk-do Agricultural Research & Extension Services, Bonghwa 755-843, Korea (Received on December 29, 2011; Revised on February 28, 2012; Accepted on March 12, 2012) Xanthomonas arboricola pv. pruni is the causal agent of bacterial black spot disease on some stone fruits, e.g. peach, plum and apricot. To evaluate pathogenicity of Xanthomonas arboricola pv. pruni strain from plum, inoculum of the isolated strain was spray inoculated to fruits and leaves of apricot, Japanese apricot and plum. Apricot and Japanese apricot showed severe black spot symptoms on fruits and shot hole symptoms on leaves. In case of apricot, about fifty percent of fruits did not grow and dropped by hypersensitive reaction to spray infection. Plum, cv. Formosa was very susceptible, showing severe black injury lesions on fruits and cankers on leaves and new twigs. On the other hand, plum cv. Daesukjosaeng, was highly resistant. Fruits of several plum cultivars such as Formosa and Chuhee were severely infected at natural infected orchards by X. arboricola pv. pruni. Where as those of Daesukjosaeng, Taeyang, Soldam and Hongrogen were moderately infected. Keywords : Apricot, Japanese apricot, Pathogenicity, Plum, Symptom development 우리나라주요자두생산지는김천시, 경산시, 영천시, 의성군, 군위군, 영동군등으로경북지역은전국재배면적의 73.4%, 생산량의 70.3% 를차지하고있는데 2003년부터김천, 의성지역의자두과원에서주로포모사품종을중심으로검은점무늬병 ( 일명 : 잉크병 ) 이대량발생하여농가에따라 5 30% 씩의상품과실이감수되는문제가발생하기시작하여재배농가에큰경제적손실을가져왔다. 자두에발생하는세균성병은 Pseudomonas syringae pv. morsprunorum (Wormald) Young et al. 에의한궤양병과 Erwinia nigrifluens Wilson et al. 및 Xanthomonas arboricola *Corresponding author Phone) +82-54-832-9669, Fax) +82-54-833-1359 Email) younghyunr@korea.kr pv. pruni (Smith) Vauterian et al. 에의한세균성구멍병이알려져있다 (European and Mediterranean Plant Protection Organization, 1997; 한국식물병리학회, 2009). 복숭아에서발생하는세균성구멍병 (Kim 등, 1999) 과는달리자두에서발생하는검은점무늬병은과실에심각한검은색점무늬를만들어상품성이거의상실되는문제점이있는데, 국내에서자두에서발생하는 X. arboricola pv. pruni에의한다른핵과류에대한병원성이나병징발생에대한자료가미흡한실정이다. 따라서본연구는자두검은점무늬병균인 X. arboricola pv. pruni에의한국내주요핵과류에대한병원성과병징형태에대한자료를제공하고자실시하였다. 자두품종별검은점무늬병발병실태조사. 품종별로자두검은점무늬병의발생정도를조사하기위하여김천,
Xanthomonas aboricola pv. pruni에 의한 자두 검은점무늬병의 발생과 핵과류 과수 품종에 대한 병원성 영천, 군위, 의성 등 4개 지역에서 품종별로 5개 과수원 을 선택하여 2005년 6월 상순에서 하순까지 10일 간격으 로 5그루에서 10그루의 나무에서 각 나무별로 50개 정도 의 과실을 조사하였다. 접종원. 2005년과 2006년도에 경북 의성지역의 자두 과원에서 검은점무늬병 증상을 나타낸 과실과 잎의 병반 부위에서 병원세균을 분리한 다음 X. arboricola pv. pruni 에 대해서 특이성을 가진 primer를 이용하여(Ryu 등, 2010) PCR로 동정한 후 접종원 균주로 사용하였다. 냉장 보관중인 균주를 nutrient agar 배지에 접종한 후 25oC에서 1주일간 배양 후 0.01 M MgSO4용액에 105/ml CFU 정도의 밀도로 희석한 다음 과실과 식물체에 대한 접종원으로 사용하였다. 핵과류 수종, 접종방법 및 병징 조사. 연구에서 조사 된 핵과류 과수는 자두(Prunus salicina cv. Formosa, Fig. 1. Infection rates of bacterial black spot on several plum cultivars during 2004 2005 in Gyeongbuk Province. 41 Daesukjosaeng), 매실(Prunus mume cv. Namgo), 살구 (Prunus armeniaca cv. Choha) 그리고 복숭아(Prunus persica cv. Changbangjosaeng)로 경상북도농업기술원 과 수연구포장에서 수행하였다. 핵과류에 대한 접종은 2006년 4월 중순경 개화 10일 후에 낙화가 이루어진 과수를 대상으로 하였는데, 접종 후 건조를 방지하기 위해서 해질 무렵에 실시하였다. 준 비된 액체접종원을 잎과 과실에 충분히 분무접종한 다음 종이봉투로 보호하여 건조를 방지하였으며 이튿날 아침 에 종이봉투를 제거하였다. 접종이 이루어진 후 30일(5월말)에서 50일(6월 중순)경 에 잎, 과실 그리고 신초가지에 대한 병징 발생 상태를 조사하였으며 12월 초순경에 여름철에 생육한 신초가지 에 대한 궤양형성 정도를 관찰하였다. 품종별 자두 검은점무늬병의 발병실태. 2005년 봄부 터 여름까지 경북지역 주요 자두재배지역인 김천, 의성, 경산지역을 중심으로 자두 품종별 발병과률을 조사한 결 과 포모사와 추희 품종에서 가장 높은 발병과률(15 18%) 을 나타내었으며, 그 외의 나머지 품종(대석조생, 대석중 생, 솔담, 태양, 홍로겐)에서는 5% 이하의 발병과률을 나 타내었다(Fig. 1). 이는 Detached leaf assay 방법으로 복 숭아, 자두 등에 대해서 X. arboricola pv. pruni 균주별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특정균주들이 일부품종에 대해서 특별한 병원성이 나타난다는 보고(Du Plessis, 1988)와 X. arboricola pv. pruni에 대한 일본형 자두품종의 감수성을 조사한 결과, 자두품종에 따라 다양한 감수성 차이를 나 타내었다는 보고(Topp 등, 1989) 등과 비추어 볼 때, X. Fig. 2. Symptoms (20 ) caused by Xanthomonas arboricora pv. pruni on fruit and leaf of Japanese apricot, apricot and plum.
42 류영현 이중환 권태영 김승한 김동근 arboricola pv. pruni 균주도국내에서자두품종에따라서특이적인병원성발현을나타내는것으로생각한다. 자두에대한병원성발생형태. 실험에사용된자두품종은국내에서비교적많이재배중인포모사품종과대석조생품종이었는데포모사품종의경우과실에서암록색의병반이나타났고과실의성장과함께흑청색의병반으로진행되어병반의직경이 0.2 1.2 cm 정도로매우다양한크기의병반으로진행되어상품성이크게저하되는경향이었다. 잎의경우조직이괴사되어심하게탈락되는증상이나타났으며신초가지에서도괴사병반이나타나농 가에서와동일한증상을나타내었으며가지에서의궤양부위는복숭아에비해서깊게형성되었다 (Fig. 2, Fig. 3). 반면에대석조생품종은잎이나신초부위에서는뚜렷한병반을형성하지않았으며과실에서는작은병반을나타내었으나인위적인병원균접종과는달리자두재배포장에서는자연감염된과실병반을확인할수없어비교적저항성인품종임을알수있었다 ( 미제시자료 ). Xanthomonas pruni는나뭇가지의목질부의도관을통해서잎내부조직으로전이될수있으며특히겨울철에는피층, 체관부그리고유조직에존재하면서이듬해봄 Fig. 3. Symptoms of bacterial black spot caused by artificial inoculation of Xanthomonas aboricola pv. pruni on several stone fruits.
Xanthomonas aboricola pv. pruni 에의한자두검은점무늬병의발생과핵과류과수품종에대한병원성 43 에새로운궤양조직을형성한다고보고 (Feliciano와 Daines, 1970) 에비추어볼때 Xanthomonas pruni에의한과실의궤양증상과같은외부적인병징이외에식물내부조직에침투했을경우조사관찰이힘든문제점이있을것으로생각한다. 매실및살구에대한병원성발생형태. 매실은접종후매우강력한과민성반응을나타내었는데잎에서는심한천공현상이일어나신초잎이고사탈락되는증상이나타났으며과실에있어서도매우조밀한검은점무늬증상을보였다. 살구의경우에서도극심한초기과민성반응이나타났는데 50% 정도의과실이생장정지되어낙과되는현상을보였으며병반의크기는자두와는달리한두개의점무늬형태로진행되지않고다수의검은점무늬를형성하는병반형태를나타내었다. 이러한결과로미루어볼때자두검은점무늬병이발생한자두과원인근으로부터 X. arboricola pv. pruni가살구나매실에전염될경우과민성반응이발생하여극심한과실낙과현상을일으킬수있어살구, 매실재배농가에서는자두검은점무늬병에대해서매우주의를기울일필요가있다는것을의미한다 (Fig. 2, Fig. 3). 복숭아에대한병원성발생형태. 복숭아의경우자두나매실, 살구와달리시험에사용된창방조생품종에서는과실에서뚜렷한점무늬증상이나타나지않았다 (Fig. 3). 잎에서는잎맥을중심으로일부괴사되는전형적인증상을나타내었는데아래잎에서먼저발생하여옅은녹색에서황색의원형또는부정형의작은점무늬가생긴후점무늬가점점성장하면서갈색내지검은색으로짙게변색되었다. 신초지에서는수침상의옅은검은색의점무늬가나타나가지의성장방향으로 1 2 cm 정도로진행되었으며생성된궤양부위는깊게형성되지는않았다. 복숭아나무의월동가지에 X. arboricola pv. pruni가초봄에줄기마름현상을유발하는현상을관찰하여복숭아세균성가지마름병으로명명한보고 (Kim 등, 1999) 가있는데, 자두에서분리된 X. arboricola pv. pruni 균주는복숭아에대해서는과실이나신초가지에대해서는특이적인병원성을유발하지않아분리병원균은기주특이성이존재함을알수있었다. 핵과류여름철신초지에서의감염궤양조직형성. 자두의여름철신초지에형성된궤양은병든과수원에서관찰된것과동일한병징을나타내었고특히조직내부즉체관부조직에까지침투하는궤양증상을확인할수있었다. 반면에살구와매실의경우겉면은자두와유사한증상을확인할수있었으나자두와는달리조직내부에형성되는궤양이관찰되지않고체관부일부에서만궤양현 Fig. 4. Symptoms of bacterial black spot caused by Xanthomonas arboricola pv. pruni on branches of several stone fruits (from left, plum, apricot and Japanese apricot). Note that cankers developed deeply into xylem tissue of plum branches, on the other hand, canker developed in phloem parts of apricot and Japanese apricot. 상이관찰되었다 (Fig. 4). 살구에서도조직내부로깊은궤양현상을일으킨다는보고 (Moffett, 1973) 가있으나이번결과에서는겉표면에서만궤양증상이나타났는데이는이번의연구에사용된분리균주의기주특이적반응으로생각한다. 복숭아에서 X. arboricola pv. pruni는감염나무의봉우리나엽흔에존재하고심지어땅에떨어진낙엽에서도생존한다는보고 (Zaccardelli 등, 1998) 에미루어볼때 감염된식물체에서병원균은육안적인증상과관계없이존재할수있는가능성이높아약제방제보다는과수원으로전염되지않도록묘목의선택이나인근과수원에서의전염등에대해서매우주의를기울여야함을알수있다. 이번실험에사용된균주는자두에서분리된 X. arboricola pv. pruni 균주로복숭아과실에대해서는특징적인병원성이관찰되지않았으나다양한종류의핵과류와품종에서다수의 X. arboricola pv. pruni를분리하여분리기주별핵과류품종에대한병원성검증이앞으로필요할것으로생각한다. 요 약 자두검은점무늬병에걸린식물체로부터순수분리된 X. arboricola pv. pruni 균을 NA배지에서배양한후국내재배핵과류에분무접종한결과자두, 매실, 살구에있어서는과실에뚜렷한병원성을나타내었으나복숭아과실은저항성을나타내었다. 특히매실과살구에서는극심한초기과민성반응이나타났는데과실의 50% 정도가생장정지되어낙과되는현상을보였으며병반의크기는자두와
44 류영현 이중환 권태영 김승한 김동근 는달리크게진행되지않고많은점무늬를형성하는병반형태를나타내었고복숭아에서는과실병징이나타나지않았다. 접종된여름철신초가지에서자두포모사품종에서는도관부까지궤양조직이형성되었으나살구그리고매실에서는체관부일부에서만궤양조직이형성되어분리된병원균은자두포모사품종에특이적인감염조직을형성함을알수있었다. Acknowledgement This work was supported by Rural Development Adminstration, Republic of Korea. References Du Plessis, H. J. 1988. Differential virulence of Xanthomonas campestris pv. pruni to peach, plum and apricot cultivars. Phytopathology 78: 1312 1315. European and Mediterranean Plant Protection Organization. 1997. Data Sheets on Quarantine Pests : Xanthomonas arboricola pv. pruni, pp. 1 3. www.eppo.org Feliciano, A. and Daines, R. H. 1970. Factors influencing ingress of Xanthomonas pruni through peach leaf scars and subsequent development of spring cankers. Phytopathology 60: 1720 1726. Kim, J. W., Choo, Y. D. and Lim, J. W. 1999. Bacterial branch blight of peach tree caused by Xanthomonas arboricora pv. pruni. Res. Plant Dis. 12: 115 118. (In Korean) Moffett, M. L. 1973. Bacterial spot of stone fruit in Queensland. Aust. J. Biol. Sci. 26: 171 179. Ryu, Y. H., Lee, J. H., Kwon, T. Y., Kim, S. H. and Kim, D. G. 2010. PCR primer developed for diagnosis of Xanthomonas arboricola pv. pruni in prune. Res. Plant Dis. 16: 125 128. (In Korean) The Korean Society of Plant Pathology. 2009. List of Plant Disease in Korea. 5th ed., Suwon, Korea. 853 pp. (In Korean) Topp, B. L., Heaton, J. B., Russell, D. M. and Mayer, R. 1989. Field susceptibility of Japanese-type plums to Xanthomonas campestris pv. pruni. Aust. J. Exp. Agr. 29: 905 909. Zaccardelli, M., Malaguti, S. and Bazzi, C. 1998, Biological and epidemiological aspects of Xanthomonas arboricola pv. pruni on peach in Italy. J. Plant Pathol. 80: 125 1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