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음교육을위한한국어모음체계고찰 (Describing Korean simple vowels in the KFL classroom) 김정영 ( 헬싱키대학교 ) 1. 들어가기 외국어학습시발음은통사적인요소나의미등과같이설명을통한교육보다는단순히 원어민의표준발음을듣고따라하는것이보통이다. 음운규칙을기술하여설명하는 경우도있기는하겠으나듣고따라하기가전제되지않는다면조음방식을아무리상세하게 기술하더라도정확한발음을보장할수없다. 하지만성인을대상으로하는발음교육은무조건듣고따라하는것만이최선이라고 섣불이장담할수없을지도모르겠다. 그이유는, 학습자가듣는것만으로는그정확한 음가를제대로파악하지못하여모국어와비슷한발음으로잘못인식할수있기때문이다. (Flege & Port 1981, Flege &Hillenbrand 1984, Flege 1986 & 1987, Flege & Eefting 1987) 그러나이렇게모국어에존재하지않는음소를들어서인식하지못하는것이반드시 발음하지못하는결과를낳는것은아니다. (Bever 1981, Sheldon & Strange 1982, Smith 2000 & 2001) 특히한국어특유의격음, 평음, 경음의경우, 모국어파열음이유성음과 무성음으로만분류되는학습자들을대상으로한실험연구에서청취력보다발화력이훨씬 더나은현상이그러한예이다. (Kim 2010) 이는다시말해, 외국어학습시듣지못하는 음소는조음방식설명을통해익힐수있다는의미이기도할것이다. 그렇다면모국어에 존재하지않기때문에듣지못하는발음을정확하게발음하도록어떻게효율적으로 설명할수있을지그방법을모색해봐야할것이다. 본발표는핀란드어화자들이흔하게곤란을겪는모음인 < ㅓ, ㅗ, ㅜ, ㅡ > 에초점을 맞추어양언어간의차이를살펴봄으로써위의모음을바르게발화할수있는조음방식을 제안하고자한다. 2. 한국어의단모음 한국어의단모음은일반적으로아래 [ 표 1] 에서보는바와같이혀의높이에따라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그리고앞뒤위치에따라전설과후설모음, 또한입술모양의 둥근정도에따라평순모음과원순모음으로분류된다.
[ 표 1] 7 모음의음성학적분류 ( 배주채 2007: 46) 구분 전설모음 중설모음 후설모음 평순모음 평순모음 원순모음 고모음 ㅣ ㅡ ㅜ 중모음 ㅐ / ㅔ ㅓ ㅗ 저모음 ㅏ 한편한글창제의원리를알려주는훈민정음해례본의모음자설명에등장하는용어를참고해보자면, ' 설축 ( 舌縮 )', ' 설소축 ( 舌小縮 )', ' 설불축 ( 舌不縮 )', ' 구축 ( 口蹙 )', ' 구장 ( 口張 )' 등의표현이있는데, 각각 ' 혀가오그라짐 ', ' 혀가조금오그라짐 ', ' 혀가오그라지지않음 ', ' 입 ( 술 ) 이오므라짐 ', ' 입 ( 술 ) 이펴짐 ' 을뜻하는말로조음방식을묘사하고있다. 이러한창제원리의개념을현대음성학에서사용되는모음사각도에적용을하여도식화한것을소개하면다음과같다. [ 그림 1] 창제원리를적용한한국어모음사각도 1 < 출처 : https://namu.wiki/w/%ed%95%9c%ea%b8%80/%ec%97%ad%ec%82%ac> 1 [ ] 속국제음성기호는추정치이니만큼완전한정설은아니다 ( 이사각도와달리ㅡ가 [ə] 였고ㅓ가 [e] 였다는견해도있다 ). 아닌게아니라, 혀가제일안쪽으로오그라진설축, 덜오그라진설소축, 완전히펴진설불축의모습이어느정도그려지기는한다. 이각각의세부류에모음기본자인ㆍ, ㅡ, ㅣ가천, 지, 인의순서대로배치되는것. 즉혀를안쪽으로오그렸다가차차펴면서내는음가를기본자로삼은것이다. ( 이를설명하는과정에서하늘이자시에먼저열리고, 땅이축시에열렸으며, 사람은인시에생겼다는성리학적자연관이반영된듯하다.) 그후ㆍ에서입을오므리면 ( 구축 ) ㅗ, 입을펴면 ( 구장 ) ㅏ가되며, ㅡ에서입을오므리면 ( 구축 ) ㅜ, 입을펴면 ( 구장 ) ㅓ가된다. < 출처 : https://namu.wiki/w/%ed%95%9c%ea%b8%80/%ec%97%ad%ec%82%ac>
하지만이상의조음방식설명은한국어원어민화자가각음소를발화하는현상을음성학적으로구사해놓은것일뿐이며학습자의모국어에존재하지않아들리지않는모음을정확하게발음할수있도록설명해야하는교육현장에서는도움을주지못하는것으로보인다. 한국어교육현장에서듣지못하는음소를설명하기위해서는학습자의모국어에있는발음과비교하는방법을고려해보지않을수없을것이다. 따라서다음단원에서는핀란드어의모음과연계하여살펴보기로하겠다. 3. 핀란드어의모음핀란드어의모음은아래 [ 표 2] 에서보듯이음성학적으로여덟개의음소로분류되고그에일대일로상응하는문자가존재한다. 우선핀란드어의모음을특정짓는조음방식을한국어와비교해어떤차이점이있는지밝혀보도록하겠다. [ 표 2] 핀란드어모음의음성학적분류 (Iivonen & Harnud 2005:60-66) Front Back unrounded rounded unrounded rounded Close i <i> y <y> u <u> Mid e <e> ø <ö> o <o> Open æ <ä> a <a> 한국어는혀의위치를나타내는전설 중설 후설과고 중 저모음, 그리고입술모양을나타내는평순 원순으로조음방식이분류되므로입술모양보다는혀의위치가좀더다양하게작용하여모음의음가를결정짓는데반영된다. 하지만핀란드어는한국어와달리혀의위치보다다양한형태의입술모양이조음방식을결정한다. 혀의위치는전설 [front] 와후설 [back] 로만분류되는반면, 입술모양은둥근정도뿐아니라개폐정도도감안하여평순 [unrounded], 원순 [rounded], 닫힘 [close], 중간 [mid], 열림 [open] 등으로묘사된다. 한편, [ 그림 2] (1) 과 (2) 의모음사각도를보면핀란드어의 <i, o, u> 와한국어의 < ㅣ, ㅗ, ㅜ > 가동일한발음일것으로예측되고 <a, e> 는 < ㅏ, ㅐ / ㅔ > 와미묘한차이가있을것으로짐작해볼수있다. 그리고 < ㅓ, ㅡ > 는핀란드어에상응하는음소가존재하지않는다는것을가시적으로쉽게파악할수있다. 이처럼양언어의모음사각도를대략비교해봤을때 < ㅣ, ㅗ, ㅜ > 가핀란드어화자들에게가장익히기쉽고 < ㅓ, ㅡ > 는생소하며 < ㅏ, ㅐ / ㅔ > 는
애매모호할것으로보인다. 그러나교육현장에서관찰되는바로는 < ㅏ, ㅐ / ㅔ, ㅣ > 는핀란드어화자들에게매우자연스럽게수용되지만 < ㅗ >:< ㅜ >, < ㅗ >:< ㅓ >, < ㅜ >:< ㅡ > 는각각그대립을인식하거나발화하는데있어곤란을겪는부분이다. 따라서학습자들이이발음들의차이를명확하게하여발화할수있는방편을고안해야할것이다. [ 그림 2] 핀란드어와한국어의모음사각도비교 (1) Suomi, Toivanen & Ylitalo (2008:21) (2) 김상준 & 이규항 (2008) 4. 전순 과 장순 앞서도언급했듯이음성학적으로분류한조음방식이나이를도식화한모음사각도에대한해설적설명은모두모국어화자들의발음을기술적으로묘사해놓은것에지나지않기때문에그자체를아무런여과없이그대로한국어교육현장에도입하여적용하는것은무리가있다. 그렇다고인식하지못하는발음을무조건반복해서들려주고따라하는방식을고수할수도없는노릇이다. 하지만외국어학습에서인식하지못하는음소도제대로발음하는것이불가능한것은아니므로각각시각적으로다른형태로표기되어구별되는발음을어떻게다르게발음해야하는지학습자들에게효율적으로설명하기위한별도의강구책을마련할필요가있다. 핀란드어화자들의경우에는양성 음성 중성모음간의조음방식을차별화함으로써 < ㅗ >:< ㅜ >, < ㅗ >:< ㅓ >, < ㅜ >:< ㅡ > 의혼돈이개선될수있다. 즉, < ㅓ > 는 < ㅏ > 를, 그리고 < ㅜ > 는 < ㅗ > 를발화하는입모양에서입술을펼쳐과장되게쭉내밀어발음를하도록지도한다. 이는 < ㅏ, ㅗ > 와 < ㅓ, ㅜ > 의모음조화가음양의조화를표방한철학적인면만강조되어왔던것과는달리음성학적으로유사성이있는모음끼리어울린다는언어학적보편성을뒷받침해주기도한다. 반면에 < ㅡ, ㅣ > 는중성모음이기도하지만입술을거의
다무는모양을하고옆으로길게당겨낼수있다는점을부각시켜 < ㅜ > 와 < ㅡ > 가어떻게다르게발음될수있는지설명할수있다. 따라서한글창제의원리를첨가한모음사각도인 [ 그림 1] 을모음조화를고려하여재구성해본다면, 입술을앞으로쭉내미는의미의 전순 [forward] 과입술모양을옆으로길게만든다는뜻의 장순 [long] 이라는개념을도입하여 [ 그림 3] 에서보는바와같이새롭게재구성해볼수있겠다. [ 그림 3] 전순 과 장순 을포함한단모음사각도 5. 맺음말본발표는핀란드어화자들이흔히실수를겪게되는한국어모음을지도하기위한한방법으로기존의모음체계에 전순 과 장순 이라는새로운조음의개념을더할것을제시한다. 전순 은고의적으로입술을입바깥쪽으로내밀어위아래로펼쳐서만들수있는음소인 < ㅓ, ㅜ > 에, 그리고 장순 은입술을과장되게옆으로길게당겨낼수있는 < ㅡ, ㅣ > 에적용된다. 이새로운개념은실질적인발음교육을위한제안이기도하지만그동안동양철학의사상에근거했던것으로만여겨지던양성 음성 중성모음을음성학적으로구별짓는변별적자질로서도그역할을할수있을것이다.
< 참고문헌 > 김상준 & 이규항 (2008) 표준한국어발음사전 지구문화사. 배주채 (2007) 한국어의발음 삼경문화사. Bever, T. (1981) Normal acquisition processes explain the critical period for language learning. In K. Diller (Eds.), Individual Differences in Language Learning Aptitude. Rowley, MA: Newbury House. Flege, J. E. (1987) The production of new and similar phones in a foreign language: Evidence for the effect of equivalence classification. Journal of Phonetics 15, 47-65. Flege, J. E. and W. Eefting. (1987) Production and perception of English stops by native Spanish speakers. Journal of Phonetics 15: 67-83. Flege, J. E. and J. Hillenbrand. (1984) Limits on pronunciation accuracy in adult foreign language speech production,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76: 708-721. Flege, J. E. and R. Port. (1981) Cross-language phonetic interference: Arabic to English, Language and Speech, 24: 125-46. Sheldon, A. & W. Strange. (1982) The acquisition of /r/ and /l/ by Japanese learners of English: evidence that speech production can precede speech perception. Applied Psycholinguistics 3: 243-261. Smith, L. C. (2000) Acquisition of /r/ and /l/ by learners of English: Evidence for production and perception as two distinct processes in SLA. LSO Working Papers in Linguistics 1. Smith, L. C. (2001) L2 acquisition of English liquids: Evidence for production independent from perception. In X. Bonch-Bruevich, W. J. Crawford, J. Hellermann, C. Higgins and H. Nguyen (Eds.),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Second Language Research. Somerville: Cascadilla Press. Iivonen, A. & H. Harnud. (2005) Acoustical comparison of the monophthong systems in Finnish, Mongolian and Udmurt,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Phonetic Association, 35 (1): 59 71, doi:10.1017/s002510030500191x. Kim, J. Y. (2010) L2 Korean Phonology. VDM Verlag Dr. Muller: Saarbrücken. Suomi, K., J. Toivanen & R. Ylitalo. (2008) Finnish Sound Structure: Phonetics, phonology, phonotactics and prosody, Oulu University Press: Oulu. https://namu.wiki/w/%ed%95%9c%ea%b8%80/%ec%97%ad%ec%82%a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