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학연구제 52 집 237~267 쪽 2019.2. 곡용과활용현상의사전기술 이홍식 * 35) < 차례 > 1. 머리말 2. 곡용의사전기술 1) 체언의기술 2) 조사의기술 3. 활용의사전기술 1) 용언어간의기술 2) 어미의기술 4. 맺음말 [ 국문초록 ] 본고에서는곡용과활용현상을사전에서어떻게기술하는것이사전편찬의관점에서적절하고이용자의관점에서편리한지살펴보았다. 곡용이나활용어간의형태론적정보를사전에서처리하는방식과조사나어미의형태론적정보를사전에서처리하는방식이같을수는없어서어간의교체형은대부분별개의표제어로등재하지않는반면에조사나어미의교체형은대부분표제어로등재하는것이적절하다고보았다. 체언어간의교체형은음운변동에의한것이대부분이므로체언어간의교체형은표제어로분리하여등재하지않고이른바기본형을표제어로등재한다. 음운변동에의한교체형은발음정보또는곡용 ( 또는활용 ) 정보에서기술한다. 불규칙한교체를보이는경우에해당체언이조사와분리되어표기될수있는경우에는해당교체형은가표제어로등재한다. 체언과조사가융합한경우에도표제어로등재하며미시정보에서어떤체언과조사가결합한구성인지기술한다. 용언어간의불규칙한교체정보는해당교체형을표제어로등재하거나기본형의미시구조에서불규칙한교체양상을기술할수도있으며불규칙활용에관한전문어를표제어로올리고자세한설명을제시할수도있다. 조사나어미의교체형은별개의표제어로사전에등재되어왔다. 조사는선행성분과의결합에서복잡한정보가개입하지않는것이일반적이나어미들의교체는다양 * 숙명여자대학교한국어문학부교수
238 한국학연구제 52 집 한조건이개입하므로이러한교체의조건을정확하게해당어미의미시구조에반영할필요가있다. 또한교체형들사이의관계도한꺼번에기술할수도있고기준에따라나누어기술할수있다. 음운론적조건에의한교체와배타적분포라는조건을만족하는교체형은이형태로기술하고어휘적조건에의한교체이지만배타적분포를보이면이또한이형태로기술한다. 그러나그밖의조건에따라교체를보이면유의어로처리하거나참고어휘로처리하는것이좋을것이다. [ 주제어 ] 사전, 곡용, 활용, 교체, 교체형, 융합형 1. 머리말 본고는한국어의곡용과활용현상을사전에어떻게기술하는것이적절한지를알아보는데목적이있다. 1) 곡용과활용정보를사전의거시구조와미시구조차원에서어떻게기술하는것이이용자가해당정보에편리하게접근할수있도록하는지를살펴보고곡용과활용현상을구체적으로사전에서어떻게기술할것인지를살펴보게될것이다. 곡용과활용을사전에서기술하기위해서는표제어선정이이루어져야하며선정된표제어의미시구조에서곡용과활용정보가적절하게제시되어야할것이다. 본고는곡용과활용정보가거시구조와미시구조에어떻게반영되고있으며문제점은무엇이고이를어떻게개선할것인지를논의할것이다. 곡용과활용정보를사전에서기술하기위해서는한국어에서출현할수있는곡용형과활용형을정하고이들곡용형과활용형의분포와기능을기술하는것이필요할것이다. 그러나한국어가교착어의특징을강하게가진다는점을고려해보면모든곡용형과활용형을표제어로선정하여제시하는것이어렵다는것은쉽게생각해볼수있다. 아직도곡용형이나활용형사 1) 한국어에곡용과활용이라는현상이존재하는지에대해서는다양한의견이제시되었다. 체언의굴절을인정하지않는것이현재학교문법의입장이며용언의활용역시인정하지않는입장들도있다. 본고에서는특정한입장에서곡용이나활용이라는용어를사용하지는않고체언과조사의결합에서생기는체언이나조사의교체현상, 용언의어간과어미의결합과정에서발견되는교체현상을지칭하기위한편의적인차원에서이들용어를사용하기로한다. 활용의인정여부에대한논의는임홍빈 (1997, 2018) 을참고할수있다.
곡용과활용현상의사전기술 239 전이편찬되지않았다는점을보면교착어에서곡용형과활용형을표제어로선정해서제시하는것이얼마나어려운작업인지를알수있다. 간접적으로보여주는상황이라고할수있다. 2) 본고에서는이러한상황을고려해서한국어사전에서곡용과활용현상을기술하기위한적절한방안이무엇인지를살펴보고자한다. 한국어사전에서곡용형과활용형을제시하지않으므로곡용과활용현상은거시구조차원에서는기술되지않는것이일반적이다. 곡용이나활용과관련된정보는미시구조에서제시된다. 가장일반적인것은활용의경우에몇몇어미와의결합정보가형태구조에제시된다. 체언에는곡용과관련된정보가특별한경우가아니면제시되지않는다. 곡용이나활용은조사나어미의미시구조에서기술되는것이일반적이다. 조사나어미가어떤체언이나용언어간과결합하는지가제시된다. 용언어간의경우에는어미와의결합과정에서발생하는음성형식의변동에관한정보가제시된다. 곡용과활용정보의사전기술에대한기존의논의는곡용에대한논의보다는활용에대한논의가더많다고할수있다. 특히활용형자체를표제어로삼는사전에관한논의나활용표를제시하는사전의편찬에관한논의가상대적으로많다. 김정남 (2003) 은활용형을표제어로하는사전의편찬에관한논의이고김종덕 이종희 (2005) 는용언의활용형일람표를사전의부록으로활용하기위한방안을논의했으며배주채 (2010) 은사전에부록으로제시된활용표의문제점을지적하고개선방안을논의하였다. 일정한수의용언목록을제시한다음에이들의활용표를제시한사전이최근에발간되었는데 Song(1988), 남지순 (2007), Argues & Kim(2005), Park(2009a,b), 김종록 (2009) 이그것이다. 이러한활용사전에관한논의로는김종록 (2005, 2012) 가있다. 이은경 (2017) 에서는기존사전에서어휘소나문법소의교체정보를어떻게기술하고있는지를살펴보고문제점을논의하였다. 본고에서는체언이나용언어간이조사나어미와결합할때어떤형식상 2) 고려대한국어대사전 의부록에는활용형목록이제시되어있으나분격적인사전의구조를지니고있다고할수는없다. 활용형을가나다순으로배열하고이들활용형의구조를제시하고있을뿐이다.
240 한국학연구제 52 집 의변동이생기는지를살펴보고이들이사전에적절하게기술되어있는지를주로살피게될것이다. 조사나어미의경우에도어떤체언이나용언어간과결합하는지를적절하게기술하는지그리고그과정에서발생하는형식의변동은어떻게기술되는지를살펴볼것이다. 그리고그러한기술에서보이는문제점을개선하기위한방안은어떤것인지논의하게될것이다. 본고에서곡용과활용을어떻게처리하고있는지검토하고자하는사전은 표준국어대사전, 연세한국어사전, 고려대한국어대사전, 외국인을위한한국어학습사전 이다. 이들을각각줄여서 표준, 연세, 고려, 학습 으로부르기로한다. 표준 은국립국어원의홈페이지 (http://www.korean.go.kr) 에서제공하는인터넷사전을이용하고 고려 는인터넷포털사이트다음 (https://www.daum.net) 에서제공하는인터넷사전을이용하였다. 나머지두사전은종이사전을이용하였다. 학습 은소사전이며 연세 는중사전, 표준, 고려 는대사전이다. 3) 곡용과활용을기술할때사전의크기가문제가된것으로보이지는않는다. 다만 학습 이학습자용사전이기때문에불규칙활용어간을가표제어로등재하는것이크게드러나는차이점이다. 4) 학습 은표제어수가적어서불규칙활용어간을가표제어로등재하는것이큰문제가되지는않았으나나머지사전은불규칙활용어간을가표제어로등재할경우에표제의수가크게늘어나는문제가있어서따로등재하지않은듯하다. 그러나이문제를제외한다면사전의규모가곡용이나활용정보를기술하는데차이를보이지는않았다. 따라서본고에서는사전의규모가문제가되지않는경우에는사전의규모에대해서는따로언급하지않기로한다. 3) 이홍식 (2012) 에따르면 학습 은약 7 천 5 백개의표제어로이루어진소사전이며유현경 (2012) 에따르면 연세 는표제어약 5 만정도의중사전이고, 고려 는표제어약 39 만정도의대사전이다. 이운영 (2002) 에따르면 표준 의표제어는약 51 만정도이다. 4) 학습 은표제어 7,549 개가운데가표제어가 765 개였다 ( 이홍식, 2012, 177).
곡용과활용현상의사전기술 241 2. 곡용의사전기술 1) 체언의기술 한국어에서체언은조사와결합하게되는데결합하는조사의목록을해당체언의미시구조에제시하지는않는다. 5) 또한체언이조사와결합할때의교체는대부분규칙적교체의양상을띤다. 특히명사의경우에는불규칙적교체를찾아보기가어렵다. 그러므로체언의교체는대부분규칙적교체라고할수있다. 즉한국어체언은음운론적인조건에따른교체양상을보이는것이일반적이다. 이를모두사전에반영하기는어렵기때문에사전에서는제한적인교체양상을보여주게된다. 체언의경우에는교체가일어나는부분이대부분음절말자음이라고할때음절말자음의탈락이나대치등의정보를제공하게된다. 음절말자음군의경우에는음절말자음군단순화의적용에대한정보가제공된다. 기술사전이나학습자용사전의경우에는어문규범과는다른실제적인실현형에대한정보도제시할필요가있다. 표준 에서는체언과조사의결합에서발생하는체언의교체에대한정보만제시하는데이를 활용정보 라는구획에서표시한다. 국 의경우에는활용정보에 국만 [ 궁-] 이라는방식으로교체형을제시한다. 학습 의경우에는미시구조의 발음하기 에서 국이 [ 구기 kugi], 국만 [ 궁만 kuŋman] 과같은조사결합형에대한발음정보가제시되어있다. 학습자용사전의경우에는활용정보와발음정보를분리하여제시하는것이학습에효과적일것이다. 곡용과관련하여사전에반영할수있는체언의교체현상은자음군단순화, 음절말평파열음화, 비음동화, 구개음화가된다. 이들현상은조사결합 5) 학교문법에서는체언과조사의결합을형태론적인현상으로보지않는다. 체언과조사모두별개의단어이므로이들의결합은통사구성이된다. 그러나이들구성은음운론적단어를형성하므로음운론적으로보면하나의단위를형성한다고할수있다. 이러한점때문에고영근 남기심 (1993) 에서는 준굴절법 이라는용어를사용하여체언과조사의결합구성을형태론적인구성으로기술하기도한다.
242 한국학연구제 52 집 형을제시함으로써기술된다. 밭 의경우에는구개음화현상을보이기위해주격조사와의결합형을제시하고있다. (1) 밭 01 [ 받 ] 활용정보 :[ 밭이 [ 바치 ], 밭을 [ 바틀 ], 밭만 [ 반 -]] 표준 에서는모음으로시작하는조사와의결합형을주격조사 이 와의결합형으로대표하여제시하는데 밭 의경우에는구개음화때문에교체현상이발생한다. 사전이용자가이를일반화하여모음으로시작하는조사와결합할때는 밫 으로실현된다고받아들일수있기때문에이경우에는조사 을 과의결합형을추가로제시한것이다. 6) 일부곡용형의융합은사전에표제어로등재되지만일관성있게처리하지는않았다 ( 이은경, 2017, 160-3). 대명사 나 와관형격조사 의 의결합인 나 + 의 구성은 내 로실현되기도하는데이와같은유형에는 네, 제 가있다. 7) 이들은모두표제어로등재되어야한다. 것 + 이 가융합된 게 역시표제어로등재되어야한다. 또한이와유사한예로 테 가있다. 이것은 터 와서술격조사의어간 이- 가융합한것이다. 사전에서는이러한사실이 터 의미시구조에기술되기도하나다른것들처럼표제어로도등재하는것이좋을것이다. 의문의대명사 누구 는주격조사와의결합에서 구 가탈락한형인 누 로교체된다. 8) 누구 + 가 는 누가 로나타나는것이다. 9) 이러한실현에는역사 6) 그럼에도 이 라는모음으로시작하는조사모두와결합할때만구개음화가실현된다는정보는여기에나타나지않는다. 더친절한사전을편찬한다면미시구조에이러한사실을기술할수있을것이다. 7) 이들은주격조사 가 와결합할때 내, 네, 제 라는교체형으로실현된다. 이러한정보도사전에제시되어야하는데 내, 네, 제 를표제어로제시하고 나, 너, 저 의미시구조에서도이러한정보를추가로제시하는것이이용자의편의를증진시킬것이다. 8) 이때조사 가 가주격조사뿐만아니라보격조사인지가명확하지는않다. 누구가아니다, 누구가되다 와같은구성은자연스럽지않아서 누구 와보격조사가결합할수있는지가명확하지않은듯하다. 9) 표준 에서는 누구 의미시구조에서이러한설명이제시되는데뜻풀이다음에 표시를하고간단하게사실을기술하고있다.
곡용과활용현상의사전기술 243 적인이유가있지만공시적으로보면불규칙한교체라고할수있다. 물론 누구가 와같은실현형이불가능하지는않지만규범적인측면에서도받아들이기어렵고실제언어생활에서도그렇게자주발견되지는않는다. 그러므로 누구 의주격조사결합형은 누가 라고볼수있다. 이러한정보는 누구 라는표제어속에서도기술되어야하고 누 라는표제어속에서도기술되어야한다. 또한사전이용자를고려해보면 누가 라는표제어도설정되어야한다. 누가 라는표제어를검색하는경우도있고 가 를분석하고 누 를검색하는경우도있을것이므로 누가 와 누 모두표제어로등재할필요가있을것이다. 10) 어문규범 ( 한글맞춤법 32항 ) 에따르면 기러기 의호격형은 기러기야 또는 기럭아 가되어야한다. 11) 기럭아 만을놓고본다면 기럭 은호격조사와결합할때의교체형이되는것이다. 기럭 은 기러기 의준말이라고할수있지만호격조사와결합할때만준말로사용되는데이러한정보가제대로제시되지않았다 ( 이은경, 2017, 161). 이를처리하기위해서는 기럭 이라는표제어를설정하고호격조사와결합할때나타난다고기술해야할것이다. 기럭아 라는표제어도등재할필요가있다. 물론 기러기 의미시구조에도이러한정보를제시할필요가있다. 12) 이상의논의를바탕으로사전에서체언이교체를어떻게정리할것인지를정리하면다음과같다. 체언의교체형은음운변동에의한것이대부분이므로체언의교체형은표제어로분리하여등재하지않고기존사전의처리와같이이른바기본형을표제어로등재한다. 음운변동에의한교체형은발음정보 10) 표준 에서는 누가 만표제어로제시되어있고 누 는표제어로제시되어있지않다. 11) 한글맞춤법 32 항에는 그것은그것이그것으로나는나를너는너를무엇을무엇이 의준말로 그건그게그걸로난날넌널뭣을 / 무얼 / 뭘뭣이 / 무에 를제시하나이들은곡용형의준말로보기는어렵다. 이에대한논의는송철의 (2009) 와이은경 (2018) 를참고할수있다. 12) 그런데이러한현상이 기러기 + 아 에서만나타나는지에대해서는맞춤법에별다른설명이없다. 뻐꾸기 + 아 는 뻐국아 가안되는지가명확하지않다. 만약에 ㅣ 로끝나는동물명에모두이러한현상이가능하다면사전에이러한정보가체계적으로제시될필요가있을것이다. 표준 에서는 두꺼비 의준말로 두껍 을허용하며호격조사 아 의용례에 두껍아 를제시하고있다. 그러므로이러한준말허용이 기러기 에국한된것은아니라는것을알수있다. 그러나 개구리 에대해 개굴 은등재되어있지않다.
244 한국학연구제 52 집 로제시하거나곡용정보를분리하여미시구조에포함한경우에는곡용정보에서조사결합형을제시하면서발음표시를제공한다. 13) 불규칙한교체를보이는경우에해당체언이조사와분리되어표기될수있는경우에는해당교체형은가표제어로등재한다. 14) 체언과조사가융합한경우에도표제어로등재하며미시정보에서어떤체언과조사가결합한구성인지기술한다. 15) 2) 조사의기술 곡용은체언과조사의결합으로이루어지는데한국어에서조사는표제어로사전에등재될뿐아니라조사의이형태도표제어로사전에제시된다. 이는체언이나용언어간의교체형이독립된표제어의자격을얻지못하는것과는다른처리라고할수있다. 선행체언등의음운론적인기준에따라교체하는교체형인 이 / 가, 은 / 는, 을 / 를, 로 / 으로, 와 / 과 와16) 같은조사들뿐만아니라 이 로시작하는조사들의교체형도각각이표제어로등재된다, 이나 / 나, 이나마 / 나마, 이니 / 니, 이든 / 든, 이든지 / 든지, 이라고 / 라고, 이라도 / 라도, 이라야 / 라야, 이란 / 란, 이랑 / 랑, 이야 / 야 등이교체형각각이표제어로등재된조사들이다. 교체형이라는정보는뜻풀이뒤에따로제시된다. 교체형이라는정보를 표준 에서처럼 참고어휘 에서제시할것인지 고려 에서처럼 이형태 라는정보로제시할것인지가문제가될수있다. 이형태의범위에대한논의가활발하기는하지만아직이형태목록에대한정리가완료되었다고보기는어려워서 이형태 라는정보로이들교체형을제시하는것이간단한작업은아니다. 그럼에도어떤확고한기준을선택할수는있다. 단어내부의결합관계와 13) 기존사전과같이 활용정보 에표시하는것이다. 밭01 [ 받 ] 활용정보 : [ 밭이 [ 바치 ], 밭을 [ 바틀 ], 밭만 [ 반-]] 14) 누가 에서 누 를가표제어로등재하는것이다. 15) 내책 에서 내 는대명사 나 와관형격조사 의 의결합으로기술하는것이다. 16) 표준 에서는 와 / 과 의분포에대한기술이빠져있다. 고려 에서는선행성분의음운론적조건에따라상보적분포를한다는사실이기술되어있다.
곡용과활용현상의사전기술 245 상보적분포라는기준을선택한다면구체적인사전정보의기술에서는혼란을막을수있을것이다. 이러한기준에따르면위에서제시한조사들의교체형은이형태라는이름으로기술할수있다. 이은경 (2017, 170) 에서지적되었듯이이들과달리이형태로기술하기어려운경우도있다. 은 / 는 은또다른교체형인 ㄴ 을가진다. 이에대해 표준 에서는다음과같이기술하고있다. (2) ㄴ 02 조사 1 (( 받침없는체언이나부사어, 연결어미 - 아,- 게,- 지,- 고, 합성동사의선행요소따위의뒤에붙어 )) 어떤대상이다른것과대조됨을 나타내는보조사. 는 01 1 보다더구어적이다. 표준 에따르면 는 과 ㄴ 의차이는전자에비해후자가더구어적이라는것이다. 둘의차이는화용론적인차이또는문체론적인차이라고할수있다. 이러한차이가교체의조건인지는확실하지않다. 17) 그러나이들을교체형이라고한다면 표준 은이를표제어차원에서구별하여기술하였다고할수있다. 이점은 연세, 고려, 학습 모두동일하다. 이러한구별은 에게 와 한테 에서도동일하게발견된다 ( 이은경, 2017, 171). 표준 에서는조사 한테 를아래와같이기술하고있다. (3) 한테 조사 (( 사람이나동물따위를나타내는체언뒤에붙어 )) 1 일정하게 제한된범위를나타내는격조사. 에게 보다더구어적이다. 한테 는 에게 와의미기능이동일한데다만문체론적인차이만있다고할수있다. 이는 는 과 ㄴ, 를 과 ㄹ 의관계와같다. 이들은참고어휘정보로제시할수있을것이다. 주격조사 이 에대해서 표준 에서는참고어휘정보에 가 ; 께서 를제시 17) 문체론적인조건또는화용적조건에의한교체를인정하는논의 ( 민현식, 1999; 김유범, 2017; 배주채 ; 2017) 와그렇지않은논의 ( 박재연, 2010) 가있다.
246 한국학연구제 52 집 한다. 그런데많은한국어문법개론서에서는 에서 가단체를나타내는체언뒤에붙어주어를표시한다고기술하고있으며 표준 에서도그렇게기술하고있다. 18) 그런데 이 의참고어휘정보에는이러한관계가제시되어있지않다. 참고어휘에다양한관계를맺는표제어를제시한다는점에서 에서 도제시되어야할것이다. 이 와 가 의관계와 이 와 께서, 에서 의관계가동일하지않다고할때 표준 에서처럼모두참고어휘정보로한꺼번에제시하는것은문제라고할수있다. 이와달리 고려 는 이 에대해서각각의뜻풀이뒤에이형태로 가 를제시하고있다. 너만이나를이해해준다 와같은환경에서는 가 가나타날수없는데이경우에는이형태로 가 를제시하지않았다. 그런데 에서 나 께서 에대한정보는전혀제시되지않는다. 께서 에서는주격조사 이 와 가 의높임말로기술하고있으나 에서 에서는 이 와 가 와의관련에대한기술이없다. 이 의미시구조이형태로는 가 를참고어휘로는 께서, 에서 를제시해야할것이다. 그리고 가, 에서, 께서 의미시구조에는이들사이의관계를보여주어야할것이다. 이은경 (2017, 172) 에서지적한것처럼조사 의 의교체형에대해서는표준발음법에서제시한두가지발음 [ 의 ] 와 [ 에 ] 라는발음을제시하여야한다. [ 의 ] 는격식적인발음이지만실제구어에서는주로 [ 에 ] 로발음한다는정보역시제시하는것이학습자용사전에서는필요하다. (4) 의 10 활용정보 : 의 / 에 ( 나라의 / 나라에 ) 다만 의 와 에 를이형태관계로기술할것인지는문제가된다. 사전은기본적으로문자로표기된것에대해기술할수있기때문에 의 가두개의교체형을가진다고하더라도이를이형태라는이름으로기술하기는어렵다. 18) 대표적인학교문법해설서라고할수있는남기심 고영근 (1993, 99) 에서도그렇게기술하였으며이익섭 채완 (1999, 161), 국립국어원 (2005, 404), 고영근 구본관 (2018, 150) 에서고그렇게기술하였다. 그러나이관규 (2002, 139) 에서는 에서 를주격조사로보지않았다.
곡용과활용현상의사전기술 247 그리고위에서제시한기준가운데상보적분포라는기준을적용한다면이들은이형태관계가되기어렵다. 그렇다고하여참고어휘정보에넣기도어렵다. 에 가한글맞춤법에서표기의대상이아니므로표제어로등재되는상황을생각하기어렵기때문이다. 한글맞춤법에서는 그것으로 의준말로 그걸로 를인정하고있다. 그런데 표준 에서는이에대한정보가전혀없다. 고려 에서는 ㄹ로 라는조사를인정하고있다. 거, 무어, 뭐 뒤에붙는방법의부사격조사로기술한다. 걸로, 그걸로, 이걸로, 저걸로, 요걸로, 고걸로, 조걸로, 뭘로 가표제어로등재되어있다. 그러나 무얼로 는등재되지않았다. ㄹ로 의뜻풀이에서 무어 뒤에붙는다고했으므로 무얼로 가등재될필요가있다. 로 를참고어로제시했는데 ㄹ로 와 로 가상보적분포를하지않는다고보아이형태로분석하지않은듯하다. 즉 거로, 이거로, 그거로, 저거로, 무어로, 뭐로 등이가능하다고본것이다. 다만이들결합형이모두가능한지는좀더정밀한조사가이루어져야할필요가있다. 만약이들이불가능하다면 ㄹ로 는이들체언뒤에나타나는 로 의이형태로기술될수있다. 서술격조사의 이다 는활용이매우특이하다. 이다 의활용은 이다 의어간의교체정보는아니지만 이다 의미시구조에서제시할필요가있다. 이다 의어간과결합하는어미에서기술할경우에해당어미에서기술하는정보를따로참조해야하는불편함이있을수있다. 다른용언어간의결합에서는볼수없는교체이므로이러한정보는서술격조사 이다 의미시구조에서아래와같이제시해야할것이다. (5) 이다 조사 이라고, 이시라고이었다고이야이에요 / 이어요이로구나 ( 이구나 ) 이도다 ( 이로다 ) 이시로구나 ( 이시구나 ) 이시로다이어 ( 이라 ), 이라서 ( 이어서 ) 이라도 ( 이어도 ), 이건마는 ( 이언마는 ), 이고 ( 이요 ), 이다 ( 이라 ), 이더라 ( 이러라 ), 이되 ( 이로되 ) 이상의논의를바탕으로조사의교체를기술하는방식을정리하면다음과
248 한국학연구제 52 집 같다. 조사의교체는각각의교체형을표제어로분리하여등재한다. 19) 조사의교체형은그수가상대적으로많지않으므로이러한처리가종이사전의측면에서도크게문제가되지는않는다. 그러므로표제어의측면에서는조사의교체는개선할만한부분이없다고할수있다. 그러나조사의교체형의결합정보는해당조사의미시구조에서좀더정확하게기술되어야할것이다. 3. 활용의사전기술 1) 용언어간의기술 용언어간은어미와결합하여야음운론적인단어로문장안에서사용될수있다. 그런데용언어간의활용양상은사전에모두제시되지는않는다. 대개몇종류의어미와결합하는모습을제시할뿐이다. 사용이활발한어미가운데음운론적인기준에따라어미를선별해서이들과용언어간의결합양상을간단하게제시하는방식이일반적이다. (6) 슬프다 [ 슬퍼, 슬프니 ] 표제어에서는자음어미와용언어간의결합형을보이고활용정보에서는 아 / 어 계어미의대표인어말어미 -아/ 어 와의결합형을제시하고매개모음어미의대표로연결어미 -으니 를제시한다. 체언과는달리용언어간이어미와의결합에서보이는교체의양상은매우다양하다. 그러나용언어간의규칙적인교체는체언과크게다르지않다. 음절말평파열음화, 자음군단순화, 비음동화등이해당된다. 20) 앉다, 밝다, 덮다 등에서이러한현상이발견된다. 자음군단순화는규칙적인교체를유 19) 주격조사 이 와 가 를따로표제어로등재하는방식이다. 20) 구개음화는용언의어간에서는나타나지않는다.
곡용과활용현상의사전기술 249 발한다고할수있지만예외도있다. 밟다 의경우에는다른 ㄼ 용언어간과는다른방식의자음군단순화규칙이적용된다. 자음앞에서 ㄹ 이탈락되는것이다. 이러한정보는활용정보에서발음표시와함께제시하면될것이다. 표준 에서는용언의활용형을모음어미, 매개모음어미, 자음어미의세가지유형으로나누어제시한다. 자음어미와의결합형은표제어가대표하고모음어미는 -아 나 -어 로대표하며매개모음어미는 -으니 로대표한다. 용언어간이보이는교체에는 ㄹ 탈락과 으 탈락이있다. 이들어간의교체는미시구조에반영되어야한다. 표준 이나 고려 는ㄹ말음용언에대해서는 살아, 사는 과같은두개의활용형만제시한다. 그러나 ㄹ 탈락은 - 시- 와 -오 앞에서도일어나므로이를사전에반영하는것이필요하다. 살다 에대해서는다음과같은교체와관련된정보를제시할수있다. (7) 살다 01 [ 살 ː-] 활용정보 : [ 살아, 사니 [ 사 ː-], 사오 [ 사 ː-], 사시니 [ 사 ː -], 살 [ 살 ː]] 사시니 와같은활용형정보가추가되는것이필요하다 ( 이은경, 2017, 166-7). 학습자용사전에서는 사-3( 사는, 사니, 사신다 ) 살다 와같이교체형을가표제어로등재하는것이필요하다. 살다 에서는 발음하기 에 사는, 살아, 삽니다, 사십니다 의발음을제시하면될것이다. 관형사형도 살을 이아니라 살 이라는점을미시구조에표시하는것이필요하다. 으 탈락은모음어미 -아/- 어 와의결합형을제시하는것만으로도가능할것이다. (8) 슬프다 [ 슬퍼, 슬프니 ] 으 탈락이표면상으로는모음어미 -아/- 어 나 -았-/- 었- 등에서만일어나므로다른활용형을굳이더제시할필요는없어보인다. 체언과비교하면용언은매우다양한불규칙적교체를보인다고할수있
250 한국학연구제 52 집 다. 이른바불규칙활용이라고하는현상은대부분용언어간의불규칙적교체에해당한다. 사전은이러한정보를특정한문법용어를통해기술한바있다. 21) 여불규칙 과같은표시가사전에제시되었다 ( 김종덕 이종희, 2005, 189~190). 표준 에서는이러한불규칙적교체를 활용정보 에제시해두고있다. 다만대표적인활용형을제시함으로써나머지활용형은사전이용자가불규칙적교체의유형을파악해스스로적용해야한다 ( 이은경, 2017, 164). 22) (9) 부드럽다 [--- 따 ] 활용정보 : [ 부드러워, 부드러우니 ] 사전이용자가이들활용형을보고나머지활용형을추측할수있어야하는데그러기에는제시되는정보가충분하지않은듯하다. 해당표제어마다미시구조에불규칙활용의양상을기술하는방법이있을수있다. 그러나이경우에해당되는모든표제어에내용이유사한기술을반복해야하는문제가있을수있으므로전통적인표시방식인메타언어를제시하는방식을선택하는것이경제적일것이다. 이러한표시방식은 고려 에서계승되어나타난다. 고려 에서는 변화 라는항목에 < 부드러워, 부드러우니 > ㅂ불규칙 과같이처리하고있다. 사전이용자입장에서는더자세한정보는 ㅂ불규칙 이라는표제어에서찾을수있다. 하이퍼링크기능을가지고있을경우에는해당표제어의미시구조에서 ㅂ불규칙 을클릭하면될것이고그렇지않다면 ㅂ불규칙 을입력해서아래와같은정보를제공하는해당표제어로이동하면될것이다. 23) 21) 예전의사전에는 ㅂ불규칙 과같은용어만제시한바있는데 고려 ] 에서는 부드러워, 부드러우니 와같은활용형에 ㅂ불규칙 과같은용어도같이제시하고있다. 22) 표제어의미시구조에제한된활용형만제시하는문제를해결하기위해사전은부록의형태로활용표를제시하는방식을취하고있다. 이에대해서는김종덕 이종희 (2005) 에서다룬바있다. 기존사전의활용표의문제점에대해서는배주채 (2010) 에서검토한바있다. 23) 고려 에서는 ㅂ불규칙 이라는표제어는없다. 대신 ㅂ불규칙활용 이라는표제어가있다. 미시구조에 ㅂ불규칙 이라고제시했다면이를표제어로삼는것이필요할것이다.
곡용과활용현상의사전기술 251 (10) 비읍불규칙 언어 어간의말음인 ㅂ 이 아 나 아 로시작되는어미앞에서는 오 로, 어 나 어 로시작되는어미및매개모음을요구하는어미앞에서는 우 로변하는활용. 와, 워, 우니 의형태로결합되어나타나며, 돕-+- 아 도와, 굽-+- 어 구워, 아름답-+-( 으 ) 니 아름다우니 따위가있다. 불규칙활용에대한정보를표제어차원이나표제어의미시구조차원에서해결하기어려운경우에는해당용어의전문어뜻풀이를참조하도록하는방식을선택할수있다. 이경우에는해당용어에대한뜻풀이가더정교해져야할것이다. ㅎ 불규칙활용은다른불규칙활용에비해더복잡한양상을띠는데이러한정보가정교하게제시되어야할것이다. 아래는 고려 의처리이다. (11) ㅎ불규칙활용 [- 不規則活用 ] 일부형용사에서어간끝의 ㅎ 이어미 ㄴ 이나 ㅁ 위에서줄어활용하는형식. [ 언어 ] 일부형용사에서어간끝의 ㅎ 이어미 ㄴ 이나 ㅁ 으로시작하는어미앞에서줄어드는활용. 빨갛다 가 빨가니, 빨가면 으로, 노랗다 가 노라니, 노라면 으로변하는것따위를말한다. 노랗다 와같은용언어간은 ㅏ / ㅓ 로시작하는어미와결합할때는어간과어미가모두교체를하게되어 까맣다 의과거형은 까맸다 가된다. 까맣 + 아 는 까매 가된다. 매개모음 으 로시작하는어미와결합할때는어간말음 ㅎ 이탈락하고매개모음 으 도탈락하게된다. 예를들어 까맣 + 으니까 는 까마니까 가되고 까맣 + 으면 은 까마면 이되고 까맣 + 으냐 는 까마냐 가된다. 자음으로시작하는어미가오면어간말음 ㅎ 은해당자음과축약되어발음한다. 까많 + 고 [ 까마코 ], 까맣 + 지 [ 까마치 ], 까맣 + 습니다 [ 까마씀니다 ] 와같다. ㄴ 으로시작하는어미와결합하면 ㄴ 이된다. 까맣 + 니? 는 [ 까만니 ] 와같이발음한다. 그런데위의기술을보면 노랗- 이 ㄴ 을만나서 노라 가되는것처럼기술하는데이런기술방식을택하면먼저어미 -으니 의기술과맞지않
252 한국학연구제 52 집 는문제가발생한다. 아래는 표준 의 - 으니 에대한기술이다. (12)- 으니 01 어미 (( ㄹ 을제외한받침있는용언의어간이나어미 - 었 -, - 겠 - 뒤에붙어 )) 노랗다 는받침있는용언의어간이므로 -으니 와결합해야한다. 그런데위의기술을보면 노랗- 이 -니 와바로결합하는것처럼기술하고있다. 이러한기술은종결어미 -니 와의결합에서 노랗다 가보여주는현상때문에문제가된다. 노랗다 에종결어미 -니 가결합하면 노랗니 [ 노란니 ] 가된다. 즉 노랗다 에연결어미 -( 으 ) 니 가결합하면 노라니 가되고종결어미 -니 가결합하면 노랗니 가된다. 그러니까 ㄴ 과결합할때 노라니 가되는것이아니라연결어미 -( 으 ) 니 와결합할때만 노라니 가된다는사실이위기술에서는안드러나는것이다. 또다른문제는ㅎ불규칙용언과어미의결합을어떻게기술하느냐하는데있다. 물론이러한기술은이론적인측면이므로어떤이론적입장을취하느냐하는문제라고할수도있지만사전에서도이문제를여러가지관점에서고려할필요가있다. 만약에어미를매개모음으로시작하는이형태와어간이결합하는것으로한다면사전에제시되지는않지만매개모음탈락이라는과정이포함되어야한다. 그러니까 표준 에서는 -으면/ 면 의경우에다음과같은기술이이들표제어의미시구조에제시된다. (13)-으면 (( ㄹ 을제외한받침있는용언의어간이나어미 -었 -, -겠 - 뒤에붙어 )) (14)-면 (( 이다 의어간, 받침없는용언의어간, ㄹ 받침인용언의어간또는어미 -으시- 뒤에붙어 )) 위기술만보면 ㅎ불규칙용언 은 - 으면 과결합하게된다. 하얗 + 으면 이되는것이다. 이경우에 ㅎ탈락 과 으 탈락이이루어지는것이다. 만약
곡용과활용현상의사전기술 253 에 하얗 + 면 으로기술하게되면 ㅎ 탈락만이루어진다. 어느쪽을선택하든문제가없는것처럼보이지만위에서본것처럼연결어미 -으니 와종결어미 -니 와의결합에서는문제가될수있다. 연결어미 -으니 는이형태로 -니 가있지만종결어미 -니 는매개모음이붙는 -으니 라는이형태가존재하지않는다. 그러므로후자의설명방식을택하면연결어미 -니 와의결합도 하얗 + 니 이고종결어미 -니 와의결합도 하얗 + 니 이므로전자는 하야니 가되고 후자는 하얗니 [ 하얀니 ] 가되는결과를설명하기어렵게된다. 그러므로사전에서도매개모음이있는교체형과ㅎ불규칙용언어간이결합하는것으로기술하여야할것이다. 음운론적조건에따라어간이교체하는동사어간에대한기술에서문제가되는예가 뵙다 와 뵈다 이다. 뵙다 는 표준 에아래와같이기술되어있다. (15) 뵙다 [ 뵙ː따 / 뷉ː따 ] 동사 을 (( 자음어미와결합하여 )) 웃어른을대하여보다. 뵈다02 보다더겸양의뜻을나타낸다. 말씀으로만듣던분을뵙게되어영광입니다./ 막음례라는여자가진사댁마님을뵙고자찾아왔노라고통기를넣으라일렀다. 문순태, 타오르는강 / 나도죽음의그림자가드리운할아버지를뵙는게무서웠기때문에얼른그자리를피했다. 박완서, 그많던싱아는누가다먹었을까 표준 에서는 뵈다 와 뵙다 가겸양에서차이를보이는다른단어라고기술하고있다. 그러면서동시에 뵙다 는자음어미와만결합하는제약이있다고기술하고있다. 자음어미에는매개모음어미는제외되는듯하다. 용례를보면매개모음어미는포함되어있지않다. 그런데표제어에서는자음어미라는표제어가제시되어있지않아서자음어미가무엇을의미하는지확인하기가쉽지않다. 그러므로 (( -고,-지 와같은자음어미와결합하여 )) 와같은표현으로바꾸는것이필요하다. 뵈다 는모든어미와결합할수있는것으로되어있다. 그런데 표준 의
254 한국학연구제 52 집 용례를보면매개모음어미와의결합형만제시되어있다. 모음어미와의결합형은형태정보에제시되어있어서이용자가알수있게되어있으나 뵈고, 뵈지만, 뵈는, 뵈게 와같은활용형이가능한지확인할길이없다. 표제어에 뵈다 가제시된다고해서모든자음어미에도동일하게결합할수있다고보기는어려울것이다. 배주채 (2017) 에서는 뵈- 와 뵙- 을이형태관계로보고있다. 김양진 정경재 (2010) 은말뭉치에서 뵈는, 뵈고, 뵈지만 의예가나타나는것을근거로삼아 뵈- 는활용계열이불완전한동사라고보았다. 이에대해배주채 (2017, 주13) 은이들예들이 뵙는, 뵙고, 뵙지만 의오류로보아야한다고주장하였다. 뵈- 와 뵙- 을이형태관계로보지는않더라도이들의분포에대해서는좀더정확한기술을제시해야할것이다. 있다 와 없다 는형용사인데도부분적으로동사활용을한다. 가장대표적인것이관형사형이다. 있는 과 없는 으로활용을한다. 이정보를 표준 에서는활용정보에추가해서제시하고있다. (16) 없다 01 [ 업 ː 따 ] 활용정보 : [ 없어 [ 업 ː 써 ], 없으니 [ 업 ː 쓰 -], 없고 [ 업 ː 꼬 ], 없는 [ 엄 ː-], 없지 [ 업 ː 찌 ]] 물론관형사형이라는명시적인정보는없다. 없는 이관형사형이라는정보를이용자가알것이라는전제가있는것이다. 그런데관형사형에서만특이한활용을하는것은아니다. 없는데, 없는지, 없느냐 등과같은활용형은동사활용형이라고할수있다. 작은데, 작은지, 작으냐 등과같이활용하는것이형용사의활용이라고할수있다. 이것은형용사용법의 있다 도동일하다. 이들표제어의미시구조에이러한정보를포함해야할것이다. 표준 의활용정보는발음과관련된정보에치중하는느낌이다. 그러므로어떤어미와결합하는지에대한정보를추가할만한미시구조를포함하는것도고려해야할것이다. 24) 용언어간 하- 와어미 -어 의융합형이라고할수있는 해 에대해
곡용과활용현상의사전기술 255 표준 과 연세 에서는 하다 의활용정보에서기술하고있다. 이에비해 고려 와 학습 에서는 해 라는표제어로등재하여이를기술하고있다. 25) 대명사와조사의융합형을표제어로등재한다는점을고려하면용언어간과어미의융합형도별도의표제어로등재하는것이일관성있는기술이라고할수있을것이다. 26) 체언의경우에는불규칙교체를보이는체언어간을표제어로등재하고있다. 그러나불규칙교체를보이는용언어간은소사전인 학습 을제외하고는표제어로등재하지않는다. 27) 이는용언표제형이많이실린중사전이나대사전에상대적으로용언어간의교체형이많기때문이다. 이를모두가표제어의형식으로등재하는것은사전의양적인측면에서문제가될수있다. 28) 이에대한대안은해당용언의미시구조에이러한정보를제시하는것이다. 미시구조에불규칙활용에관한정보는현재최소한으로제시되고있는데이를좀더확대할필요가있다. 특히어미의유형별로활용의양상을제시할필요가있다. 29) 이러한정보의추가가어려운경우에는메타언어를활용하는방식도고려할수있다. 이른바불규칙활용의유형을미시구조에제시하고이용자는그러한유형을표제어에서검색해서불규칙활용의구 24) 고려 에서는 어법 정보에서 다만 없다 는형용사 있다 와함께동사에만결합하는관형사형어미 - 는 이나연결어미 - 는데 등과결합하는특이한활용을한다. 와같이활용정보를제시하고있다. 25) 고려 에서는 용언의어간 하 - 에어미 - 어 가붙어서준말 이라고기술하고있는데이러한기술은 했 과같은활용형을고려하지못하고접미사 - 하 - 에서도이러한현상이보인다는점또한고려하지못하고있다. 해 에대해서이러한정보도같이제시하는것이이용에도움이될것이다. 26) 고려 와 학습 에는 돼 라는 되 + 어 의융합형도표제어로등재되어있다. 27) 홍종선 (2003, 30~31) 에서는 큰사전 에서 돕다, 도오 -, 도우 - 를표제어로실었다고하면서형용사 반갑다 의경우에이형태 반갑 - 과 반가우 - 를표제어로올려야한다고주장하였으며정상근 (2001) 에서는한국어학습자용사전에서활용형을표제어로올려야한다고주장하고구체적인방안을논의하였다. 김정남 (2003) 에서는활용형사전의편찬필요성과방법에대해논의하였다. 28) 도원영 차준경 (2009, 39~40) 에따르면 고려 에실린불규칙용언의수는 44,048 개이다. 이렇게적지않은수의용언의활용형을표제어로등재하는것은어려운일이될수있다. 그런데이가운데 - 여 불규칙용언이 42,295 개이다. 이를제외하면나머지불규칙용언은모두 1,753 개이므로이들만을대상으로한다면그리어려운작업은아닐것이다. 29) 일종의활용사전이용언어간과어미의다양한결합형을제시하는역할을하고있다. 이러한사전으로는 Song(1988), Argues & Kim(2005), Park(2009 ㄱ, ㄴ ), 남지순 (2007), 김종록 (2009) 가있다.
256 한국학연구제 52 집 체적인내용을언어학적인기술을통해확인하게되는것이다. 30) 전자사전의경우에는어간의불규칙교체형을가표제어로등재하는것도고려할필요가있다. 양적인제약을종이사전에비해획기적으로극복할수있을것이다. 더나아가활용형자체를가표제어로등재하는것도고려할필요가있다. 특정활용형을찾으면그활용형이어떤용언의활용형인지에대한정보를미시구조에제시해서이용자가해당표제어를찾아가도록도와주는것이다. 한국어용언의활용형이그수가엄청나게많겠지만전자사전의용량을고려하면불가능한방식은아닐것이다. 31) 2) 어미의기술 기존사전에서는조사처럼어미의이형태역시조사처럼별개의표제어로분할배열하는방식을취한다. 어미의이형태들이어떤음운론적조건을갖춘용언어간과결합하는지는뜻풀이정보앞부분에제시하는것이일반적이다. 예를들어대표적인어미인 -아/- 어 /-여 는 고려 에서다음과같이별개의표제어로제시된다. (17)-아 10 어미 [1](( 끝음절의모음이 ㅏ, ㅗ 인용언의어간뒤에붙어 )) 이형태 -어06.-여 25 (18)-어 06 어미 [1](( 끝음절의모음이 ㅏ, ㅗ 가아닌용언의어간뒤에붙어 )) 이형태 -아10;-여 25. (19)-여 25 어미 [1](( 하다 나 하다 가붙는용언의어간뒤에붙어 )) 구어에서는준말로만쓰인다. 공부해, 공부했다. 이형태 -아10;-어 06. 30) 예를들어 ㅎ불규칙활용 이라는표제어에다음과같은정보를추가하는것이다. 일부형용사에서어간끝의 ㅎ 이어미 ㄴ 이나 ㅁ 으로시작하는어미앞에서줄어드는활용. 빨갛다 가 빨가니, 빨가면 으로, 노랗다 가 노라니, 노라면 으로변하는것따위를말한다. 또한 아 / 어 로시작하는어미와결합하여어간과어미가융합되는활용. 빨갛다 가 빨개, 빨갰다, 뻘겋다 가 뻘게, 뻘겠다 와같이변화는것따위를말한다. 31) 배주채 (2010, 27) 에따르면 고려 에서는부록에모두 22,731개의활용형을싣고이활용형들이어떤용언의활용형인지를일일이표시한목록을실었다고되어있다. 이는종이사전에있는부록이다. 종이사전에도이를실었다면전자사전에이를싣지못한이유가없는것이다.
곡용과활용현상의사전기술 257 음운론적인조건에따른교체형인 -아 와 -어 에대해서는뜻풀이정보앞에음운론적인조건을제시하였다. 거기에반해형태론적인조건이라고할수있는 -여 의출현조건에대해서는 하다 나 하다 가붙는용언의어간뒤라고하는조건을따로제시하였다. -아 와 -어, -여 라는교체형은별개의표제어로등재하고출현조건을각각의표제어에제시하였다. 그런데일종의음운현상에의해교체형이달라지는점에대해서는사전이다른어미들의이형태처리와는다르게표제어차원에서아무런처리를하지않는다 ( 이은경, 2017, 173-4). 예를들어표준발음법에서는다음과같은음운현상을표준발음에포함했다. (20) 제 22 항다음과같은용언의어미는 [ 어 ] 로발음함을원칙으로하되, [ 여 ] 로 발음함도허용한다. 되어 [ 되어 / 되여 ] 피어 [ 피어 / 피여 ] 위의규정에따르면어미 -어 는 -여 라는교체형을가지게된다. 이는 하다 나 하다 가붙은용언뒤에오는 -여 와는성격이다르다. 이는일종의음운론적인조건에의한것이라고볼수있다. 32) 이규정에의한어미의교체는해당용언의미시구조에기술할수밖에없다. 이교체형은문자로표기되지않기때문이다. 33) (21) 되다 01 [ 되 -/ 뒈 -] 활용정보 :[ 되어 [ 되어 / 되여 / 뒈어 / 뒈여 ]( 돼 [ 돼 ː]), 되 니 [ 되 -/ 뒈 -]] 32) 음운론적인조건에의한교체인지는확실하지않지만규정만보면 ㅚ 라고하는모음과 ㅣ 라고하는모음으로끝나는용언어간뒤에서 - 여 가출현할수있으므로일종의음운론적인조건에의한교체라고할수있다. 33) 이것은기본적으로사전이표기에의존하고있기때문이라고할수있다. 표기에의해구별되는경우에는표제어로제시하고이용자가이에대한정보를해당표제어에서확인하지만표기는동일한테발음이두가지이상으로허용되는경우에는해당발음이현행맞춤법에의해받아들여져표기가허용되지않는한이를표제어차원에서기술할수있는방법이없는것이다.
258 한국학연구제 52 집 즉 되다 라는용언의미시구조에 -어 와결합할때어미 -어 가 -여 로발음될수있다는사실을기술하여제시하는것이다. 이러한예들로는 뉘다, 이다 따위가있다. 어미의경우에표기법에서구별되는각각의이형태들을모두표제어로기술할경우에이들사이의차이와관계를기술하는것이필요하다. 이형태와수의적변이형을구별하고자한다면 고려 에서처럼음운론적조건과상보적분포라는기준을충족하는교체형에대해서는이형태로처리하고나머지는유의어로처리할수있을것이다. 어미가단어가아니라는점이문제가될수는있으나어미까지포괄하는용어로유의어라는용어를사용할수는있을것이다. 서술격조사와결합하는연결어미 -요 는연결어미 -고 의이형태라고하기는어렵다. 이둘은상보적분포를보이지않기때문이다. 또한 -어서 에대해서술격조사에결합하는 -라서 는이형태관계로보일수있으나최근에 이어서 와 이라서 가모두사용되는상황을고려한다면이둘은유의관계를보인다고기술해야할것이다. 그러나간접인용의 이라고 의 -라 는확실히서술격조사의어간과 아니다 의어간, 그리고이들어간과 -시- 가결합한구성뒤에서만 -다 와교체된다는점을고려하면이둘은이형태관계로기술해야할것이다. 기존의사전에서는이들이형태관계를기술하기위해선행성분을자세히기술했는데이들선행성분에대한기술은좀더정밀해질필요가있다. 다음 (22가) 와 (22나) 는종결어미 -어 에대한 표준 과 고려 의미시구조의일부이다. 34) (22) 가. (( 끝음절의모음이 ㅏ, ㅗ 가아닌용언의어간뒤에붙어 )) 해할자리에 쓰여, 어떤사실을서술하거나물음 명령 청유를나타내는종결어미. 34) 표준 은 서술, 의문, 청유, 명령 의기능을분리하여뜻풀이에서기술하지않았으나 고려 는분리하여기술하였다. 그런데명령이나청유의 - 어 가 - 었 -, - 겠 - 뒤에결합한다는기술은수정할필요가있다. 이들기능의 - 어 가이들선어말어미와결합할가능성은없기때문이다.
곡용과활용현상의사전기술 259 (22) 나. 끝음절의모음이 ㅓ, ㅕ, ㅜ, ㅡ, ㅣ, ㅐ, ㅔ, ㅖ, ㅞ, ㅚ, ㅟ, ㅢ 인용언의어간이나선어말어미 -었 -, -겠 - 의뒤에붙 어, 어떤사실을서술하는뜻을나타내는말. 해체로쓰인다. 선행용언어간끝음절모음에대한기술에서차이를보인다. 표준 의처리보다는 고려 의처리가복잡하기는해도이용자의입장에서는구체적인정보를얻게되어있다. 문제는그다음이다. 표준 에따르면어간과종결어미사이에선어말어미가결합하는지어떤지알수가없다. 이에반해 고려 는선어말어미와의결합에도관심을보여주고있다. 그러나 고려 의기술도정확하지는않다. 선어말어미 -시 -, -았 - 뒤에서도 -어 가결합한다. 그러므로위의뜻풀이는다음과같이바꾸어야한다. (23) 끝음절의모음이 ㅓ, ㅕ, ㅜ, ㅡ, ㅣ, ㅐ, ㅔ, ㅖ, ㅞ, ㅚ, ㅟ, ㅢ 인동사의어간이나선어말어미 -시 -, -았 -/- 었-, -겠 - 의뒤에 붙어, 어떤사실을서술하는뜻을나타내는말. 해체로쓰인다. 35) 가시어 와같은활용형을고려해야한다. 어떤모음으로끝나는용언어간이오더라도그어간에 -시- 가연결되면종결어미는 -어 가연결된다. 가-+- 아 는 가 가되지만 -시- 가 가개입하면 가-+- 시-+- 어 와같이연결된다. 뿐만아니라과거를나타내는선어말어미 -았-/- 었- 가운데어떤형태가연결되든종결어미는 -어 가된다. 가-+- 았-+- 어 와같이연결되고 갔어 와같은활용형이실현된다. 이런방식의기술이 고려 의다른어미들의기술에서도발견된다. (24)- 라서 2 연결어미 (1) 이다, 아니다 의어간이나선어말어미 - 으시 - 의 35) 표준 에서처럼서술, 의문, 명령, 청유를한꺼번에기술할경우에는이러한결합관계가명령이나청유에는해당하지않기때문에문제가된다. 고려 에서는문장종결법에따라나누어기술했는데다만청유와명령에대해서도이와같은결합관계를그대로옮겨적어놓았다. 명령이나청유에 - 었 - 이나 - 겠 - 이결합할가능성은없다는점에서적절한기술이라고할수없다.
260 한국학연구제 52 집 뒤에붙어, 앞절이뒤절에대한원인이나근거가됨을나타내는말. 위기술은 이 + 라서, 아니 + 라서 로이해될수있다. 그러나 이시라서, 아니시라서 인지아니면다른용언어간에 -시- 가결합한구성에다시 -라서 가결합하는지분명하지않다. 가시라서 와같은활용형을배제하기어렵게되어있다. -어 에대한아래의기술과비교해보면이러한가능성을살펴볼수있다. (25) 끝음절의모음이 ㅓ, ㅕ, ㅜ, ㅡ, ㅣ, ㅐ, ㅔ, ㅖ, ㅞ, ㅚ, ㅟ, ㅢ 인동사의어간이나선어말어미 -시 -, -았 -/- 었-, -겠 - 의뒤에 붙어, 어떤사실을서술하는뜻을나타내는말. 해체로쓰인다. 위기술에서선어말어미 -겠- 은끝음절의모음이 ㅏ 인용언어간에결합하여 가겠어 와같은활용형을허용한다. 즉용언어간의여부와는관계가없다. 이러한기술방식과위의 -라서 에서의결합조건에대한기술은차이가없다. 그러므로 선어말어미 -으시- 뒤에붙어 라는기술은정확하지않다. 다음과같이구체적으로바꾸어야할것이다. (26) 이다, 아니다 의어간이나 이다, 아니다 의어간에선어말어미 - 시 - 가연결된구성뒤에붙어 위와같이바꾸어야 이시라서 와 아니시라서 와같은활용형만가리키게될것이다. 고려 의 -었었- 의기술도마찬가지이다. (27)-었었-끝음절의모음이 ㅓ, ㅕ, ㅜ, ㅡ, ㅣ, ㅐ, ㅔ, ㅖ, ㅙ, ㅞ, ㅚ, ㅟ, ㅢ 인용언이나 이다 의어간뒤에붙어, 과거에대한회상을나타내는말 -시- 에대한기술이없다. 용언어간이 ㅏ 로끝나는 가다 의경우에
곡용과활용현상의사전기술 261 도 가시었었- 과같이활용한다. 갔었- 과비교해보면용언어간의음운론적인조건은 -시 - 와결합하는순간 -었었- 의결합에영향을미치지않는다. 기존사전들은결합의범위가넓고결합방식이비교적규칙적인경우에는기술에문제가별로없으나매우제한적인분포를보이는어미의교체형에대한기술은오히려부족한편이다. 서술격조사 이다 는활용에서매우불규칙적인양상을보인다. 이는서술격조사의미시구조에서기술되어야하나서술격조사와결합하는어미들의미시구조에서도기술되어야한다. (28)- 라고 05 (( 간접인용절에쓰여 )) 1 (( 이다, 아니다 의어간이나어미 - 으시 - 뒤에붙어 )) 이라, 아니라 의어미 - 라 에격조사 고 23 가결합한말. 간접적으로인용됨을나타낸다. 자기는절대범인이아니라고주장한다. 위의기술도정확하지않은부분이있다. 오해의여지가있는것이다. 어미 -으시- 뒤에붙는다고기술하면 착하시라고 와같은잘못된활용형을예상하게한다. 위의기술은 이다 와 아니다 의어간에 -시- 가결합한경우에그뒤에 -라고 가결합한다는뜻으로이해되어야한다. 그러나위의기술만으로는그렇게이해하기어렵다. 이기술은아래와같이수정하는것이좋을것이다. (29)- 라고 05 (( 간접인용절에쓰여 )) 1 (( 이다, 아니다 의어간이나 이다, 아니다 의어간 이- 와 아니- 에어미 -으시- 가결합한 이시-, 아니시 - 뒤에붙어 )) 이와같은수정은 이다 와 아니다 의어간과결합하는많은어미들에모두적용된다. -언마는, -요,-라,-러라,-로다,-라,-로되 등이모두결합양상에서위와같은기술로바뀌어야한다. 이상의논의를바탕으로어미의교체형에대한기술의방향을정리하면
262 한국학연구제 52 집 다음과같다. 어미의교체형은조사와마차가지로기존사전에서처럼별개의표제어로등재된다. 이는체언이나용언의교체형이등재되지않는것과대조된다. 기존사전에서어미의교체와관련하여문제가되는것은어미의결합조건에대한기술이명확하지않은것이다. 대부분의교체형은표제어로등재되어있으나이들의결합조건은소략하게제시되어있어서이용자가정보를정확하게알기가어렵게되어있다. 그러므로각각의교체형의분포에대한정확한정보를제시하는것이필요하다. 특히선행성분에대한구체적인명시가이용자의입장에서는이해하기가더용이할것이다. 4. 맺음말 본고에서는곡용과활용을사전에서어떻게기술하는것이사전편찬의관점에서적절하고이용자의관점에서편리한지살펴보았다. 곡용과활용은체언과조사의결합, 용언어간과어미의결합으로이루어지는데곡용형, 활용형을표제어로등재하는사전은없고체언, 조사, 용언어간 + 다, 어미가각각별도로표제어로등재된다. 본고에서는기존사전의방식을유지하면서곡용형이나활용형을표제어로올리는방식과같이대규모의표제어를추가하는작업이없이곡용정보와활용정보의수정이나추가를통해사전에서곡용과활용의기술을개선하는데논의의초점을맞추었다. 체언의교체형은음운변동에의한것이대부분이므로체언의교체형은표제어로분리하여등재하지않고이른바기본형을표제어로등재한다. 음운변동에의한교체형은발음정보또는곡용 ( 또는활용 ) 정보를분리하여미시구조에포함한경우에는곡용정보에서조사결합형을제시하면서발음표시로대신한다. 불규칙한교체를보이는경우에해당체언이조사와분리되어표기될수있는경우에는해당교체형은가표제어로등재한다. 체언과조사가융합한경우에도표제어로등재하며미시정보에서어떤체언과조사가결합한구성인지기술한다.
곡용과활용현상의사전기술 263 용언어간의교체는체언보다훨씬복잡하다. 불규칙한교체가체언보다훨씬많다. 그러므로용언어간의교체형을표제어로등재하는것이이용자의입장에서는매우편리할것이다. 그러나이는대규모의표제어가추가되는작업이므로종이사전의경우에는고려하기어렵다. 그러므로교체형을표제어로등재하는것보다는기본형의미시구조에서해당정보를제시하는것이현실적이다. 사전의규모와상관없이미시구조의활용정보에서가능한한많은교체형을제시할수있을것이다. 또한불규칙활용의경우에는두가지가능한기술방식이있다. 불규칙용언표제어의미시구조에서불규칙활용의양상을기술하는방법이있을수있다. 다만이경우에는미시구조에제시되는정보의양이많아진다는문제가있을수있다. 다른하나는활용정보에서불규칙활용의유형을제시하고불규칙활용의유형을표제어로등재하여언어학적정보를제시하는것이다. ㅂ불규칙 이라는정보를제시할경우에는표제어로 ㅂ불규칙 또는 비읍불규칙 을등재하고이표제어에서활용양상을설명하는것이다. 용언의교체형을등재하는것은학습자용사전에서는일반적인데더나아가활용형자체를표제어로삼는방안도가능하다. 전자사전의경우에는용량의제약이별로없기때문에이러한처리도고려해볼수있다. 체언과조사의융합형이나용언어간과어미의융합형은표제어로등재하는것이일반적이었다. 융합형을분석해서따로등재해두면사전이용자가융합형을분석할수없는경우에는이들융합형의문법적인정보에접근할수없다는점에서융합형을별개의표제어로등재하는것이이용자의입장에서더편리하다고할수있다. 기존사전에제시된용언의활용형이일부에그친다는점에서사전이용자에게제공되는정보가제한적이라고할수있다. 종이사전의경우에는지면의제약때문에제한된수의활용형만제시할수밖에없지만전자사전의경우에는이러한제약을충분히극복할수있으므로다양한활용형을제시하는것이사전이용에도움을줄수있을것이라고하겠다. 조사나어미의교체형은별개의표제어로사전에등재되어왔다. 맞춤법에
264 한국학연구제 52 집 서도교체형을표기에그대로반영하므로이를사전에서도그대로표제어로등재한것이었다고할수있다. 조사는선행성분과의결합에서복잡한정보가개입하지않는것이일반적이다. 선행성분의말음이자음인지모음인지에따라교체하는것이일반적이다. 이에반해어미들의교체는다양한조건이개입하므로이러한교체의조건을정확하게해당어미의미시구조에반영할필요가있다. 또한교체형들사이의관계도한꺼번에기술할수도있고기준에따라나누어기술할수있다. 음운론적조건에의한교체와배타적분포라는조건을만족하는교체형은이형태로기술하고어휘적조건에의한교체이지만배타적분포를보이면이또한이형태로기술한다. 그러나그밖의조건에따라교체를보이면유의어로처리하거나참고어휘로처리하는것이좋을것이다. 일부조사나어미의교체형은별개의표제어로등재되지않았는데등재되지않은교체형은대개별도의표기형이존재하지않은경우였다. 이는사전이표기에의존하는방식으로이루어져있기때문이다. 교체형에대한표준표기형이없는경우나반모음처럼따로표기를정해표제어로등재하기어려운경우에는교체형이사전에표제어로등재되지않았다. 곡용이나활용에서의교체형가운데일부는사전편찬과정에서의도적이든그렇지않든누락된것으로보인다. 이들은적절한판단을통해사전의미시구조에포함되어사전이용자에게제공되어야할것이다.
곡용과활용현상의사전기술 265 참고문헌 1. 사전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원편, 고려대한국어대사전 (http://dic.daum.net/), 2019. 국립국어원편 (2017), 표준국어대사전 (http://stdweb2.korean.go.kr/main.jsp), 2019. 서상규외편 (2006), 외국인을위한한국어학습사전, 신원프라임, 2006. 연세대학교정보개발연구원편 (1998), 연세한국어사전, 두산동아, 1998. 2. 논저고영근 구본관, 개정판우리말문법론, 집문당, 2018. 국립국어원, 한국어문법 1, 커뮤니케이션북스, 2005. 김양진 정경재, 국어사전에서 -어/- 아 계열어미의결합정보기술에대하여, 한국사전학 12, 한국사전학회, 2008, 97~121쪽. 김유범, 이형태의성격과이형태교체의유형, 국어학 81, 국어학회, 2017, 325~349쪽. 김정남, 학습자용활용형사전을위한제안, 한국사전학 2, 한국사전학회, 2003, 191~210쪽. 김종덕 이종희, 용언의활용형일람표연구 : 사전의부록으로활용하기위한방안을중심으로, 한국사전학 5, 한국사전학회, 2005, 185~207쪽. 김종록, [ 외국인을위한표준한국어동사활용사전 ] 을편찬하기위한기초적연구, 한글 270, 한글학회, 2005, 149~195쪽. 김종록, 외국인을위한표준한국어동사활용사전, 박이정, 2009. 김종록, [ 외국인을위한표준한국어동사활용사전 ] 돌아보기, 한글 295, 한글학회, 2012, 73~134쪽. 남기심 고영근, 표준국어문법론 ( 개정판 ), 탑출판사, 1993. 남지순, 한국어동사, 형용사활용마법사, 박이정, 2007. 도원영 차준경, < 고려대한국어대사전 > 의종합적고찰, 민족문화연구 51, 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원, 2009, 1~54쪽. 민현식, 국어문법연구, 역락, 1999. 박재연, 이형태교체와관련된몇문제, 국어학 58, 국어학회, 2010, 129~155쪽. 배주채, 국어사전용언활용표의음운론적연구, 한국문화 52, 2010, 23~52쪽. 배주채, 교체의개념과조건, 국어학 81, 국어학회, 2017, 295~323쪽. 송철의, 준말에대한형태 음운론적고찰, 동양학 23, 단국대학교동양학연구소, 2009, 25~49쪽. 유현경, < 연세한국어사전 > 과 < 고려대한국어대사전 > 비교연구-언어사전으로서의특성을중심으로-, 한글 296, 2012, 35~71쪽. 이관규, 개정판학교문법론, 월인, 2002. 이운영, < 표준국어대사전 > 연구분석, 국립국어연구원, 2002. 이은경, 교체의사전적처리에대하여, 한국사전학 30, 한국사전학회, 2017, 155~189쪽. 이은경, 준말과관련된몇문제에대하여, 한국학연구 49, 인하대학교한국학연구소, 2018, 333~356쪽. 이익섭 채완, 국어문법론강의, 학연사, 1999.
266 한국학연구제 52 집 이홍식, < 외국인을위한한국어학습사전 > 의사전학적고찰, 국어국문학 162, 2012, 171~204쪽. 임홍빈, 국어굴절의원리적성격과재구조화, 관악어문연구 22, 서울대학교국어국문학과, 1997, 93~163쪽. 임홍빈, 재구조화 1, 2,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8. 정상근, 한국어학습사전에서용언활용형의표제어선정방안연구, 한국어교육 12(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01, 201~221쪽. 홍종선, 국어사전편찬, 그성과와과제 (3) : 올림말 (2), 어문논집 48, 민족어문학회, 2003, 5~38쪽. Argues, Alexander & Jong Rok Kim. Korean Verbal Conjugation. Dunwoody Press(USA), 2005. Park, Bryan, 한국어형용사 500 활용사전, 소통, 2009a. Park, Bryan, 한국어동사 500 활용사전, 소통, 2009b. Song, Seok Choong, 201 Korean Verbs. Barron's Educational Series. Inc, 1988.
곡용과활용현상의사전기술 267 On the description of declension and conjugation in Korean dictionaries Yi, Hong-shik In this paper we examined how to deal with declension and conjugation of Korean language in the dictionaries. Alternants of stems of nouns and verbs need not to be registered as separate headwords. In Learners dictionaries, the inflectional forms of verbs have to be listed, except for this, the alternations of stems were described in the micro structure of the headwords. Most of the alternants of grammatical morphemes(postpositions and endings) are listed in separate headwords in the dictionaries. Some alternants of postpositions and endings were not listed as separate headwords. This is because the dictionaries depend on the writing forms. If there are no standard written forms, or if it is difficult to write the proper forms of some grammatical morphemes the alternants are not listed as headwords in the dictionary. Most of the alternants of words and fused forms can be listed in a electronic dictionary. key words : dictionary, declension, conjugation, alternation, alternant, fused form 논문투고일 : 2019 년 1 월 10 일 심사완료일 : 2019 년 2 월 10 일 게재확정일 : 2019 년 2 월 10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