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l.13. No.2 2014. 10. pp.165~176 165 경북고령군미숭산일원생태숲조성지주변산림식생의군락특성 * 1) 조광진 ** 박인환 *** 김명현 **** 김혜영 ***** Synecological Characteristics on the Forest Vegetation of Ecological Forest Site at Mt. Misung in Goryeong-gun, Gyeongbuk Cho, Kwang-Jin Park, In-Hwan Kim, Myung-Hyun Kim, Hea-Young 국문요약본연구는경북고령군생태숲조성지에분포하는산림식생을대상으로식물사회학적조사를통하여생태숲계획시적용가능한생태학적정보를제공하고자수행하였다. 연구결과, 31개지점에서 170분류군을포함하는 9개식물군락이분류되었으며각군락별종조성, 군락구조, 분포양식등에대한생태적특성이규명되었다. 소나무 -비목나무군락에서는환경부지정멸종위기야생식물 Ⅱ급인세뿔투구꽃이관찰되었고신갈나무군락에서는한국특산식물인노각나무가확인되었다. 그리고산지계곡에는비목나무가우점하고있었다. 31개의식생자료와환경요소와의경향성분석을위해 PCoA 에의한좌표결정법, 유클리디언거리계수가이용되었고그결과토양의수분조건과산지지형이식물군락의분포를결정하는주요생태적요소인것으로나타났다. 이렇게밝혀진연구지역에대한생태적정보는생태교육및생태체험프로그램의재료및공간으로높은활용가치가있을것으로기대되었다. 주제어 : 군락구조, 산림식생, 식물군락, 식물사회학적조사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llect ecologically applicable information when planning the ecological forest throughout the phytosociological investigation in ecological forest site of Goryeong-gun, Gyeongbuk. In this study, a total of 31 vegetation data containing 170 taxa collected and analyzed and 9 plant communities were classified. Ec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 본연구는 대가야고령생태숲조성사업 에따른생태계조사내용의일부를수정 보완한것임. ** 국립농업과학원박사후연구원 (Researcher,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E-mail: a4233125@korea.kr *** 경북대학교조경학과교수 (Professor,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E-mail: parkin@knu.ac.kr **** 국립농업과학원연구사 (Researcher,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E-mail: wildflower72@korea.kr ***** 대구수목원연구원, 교신저자 (Researcher, Daegu Arboretum, Corresponding author) E-mail: kimhy0616@naver.com
166 조광진 박인환 김명현 김혜영 identified including plant composition, community structure, distribution pattern and so on. In the Lindera erythrocarpa-pinus densiflora community, the endangered species Ⅱ degree Aconitum austrokoreense Koidz., listed by Ministry of Environment, was recorded. In Quercus mongolica community, Korean endemic plant Stewartia pseudocamellia Maxim. was observed. The valley of study area was dominated by Lindera erythrocarpa Makino. 31 relevé were analyzed by using coefficient of squared Euclidean distance of Principal Coordinates analysis for ordination analysis. The mountainous topography and soil moisture condition were the main ecological factor determining the distribution of the classified plant communities. The ecological information of this study will be utilized as a basic data for ecological experience program and ecological education space. KeyWords : Ecological forest, Mountainous topography, Soil moisture Ⅰ. 서론 사회의구조적인변화에따른주 5일제활성화, 소득증대, 여가시간증가, 교통수단발달등은현대인의자연휴양자원에대한의식고취와함께삶의질향상에대한욕구증대로이어지면서수목원과생태숲에대한사회적중요성과역할이강조되고있다 ( 산림청, 2010b). 생태숲은산림생태계가안정되어있거나산림생물다양성이높아특별히현지내보전과관리가필요한숲으로, 자연이갖는생태적기능을강조함과동시에일반인의관심과흥미를불러일으키고 ( 산림청, 2002) 산림생태계의안정과산림생물의다양성을유지, 증진하고연구, 교육, 탐방, 체험등을원활히추진하기위하여지정되고있다 ( 산림청, 2010a). 또한희귀및특산식물등의유용한자생식물자원을활용하여생태적으로안정되고미래경쟁력있는숲을조성하는데그목적이있다 ( 이정환, 2005). 그러나생태숲대상지선정시식생조사를선행하지않고입지적여건만을고려하기때문에자생식물의현지내보전이라는생태숲의기본목표를충족시키지못하고있는실정이다 ( 허재용등, 2010). 이러한취지에서생태숲조성예정지를대상으로한식물상연구는충북제천 ( 유주한, 2005; 유주한등, 2005), 경남하동 ( 오현경, 2010), 경북봉화 ( 유주한등, 2009) 등에서이루어지바있으나서식처에대한생태적기초정보들을제공하며 (Becking, 1957) 생태계및서식처에대한보전과건전한이용을가능하게하는필수적인수단으로활용되고있는식물군락에대한식생학적연구는미흡한실정이다. 따라서본연구는경북고령군미숭산일원의생태숲조성지를대상으로조사지역산림식생의종조성적특성을통하여식생유형분류를실시하고분류된식물군락의특성을파악하여생태숲을조성함에있어서식생자원을활용하기위한생태적정보를제공하고자한다. 대구경북연구제 13 권제 2 호
경북고령군미숭산일원생태숲조성지주변산림식생의군락특성 167 Ⅱ. 재료및방법 1. 조사지역현황 조사지역은경상북도고령군고령읍신리미숭산북동측일원으로미숭산과문수봉사이에위치하고있으며서쪽으로경상남도합천군야로면나대리와인접해있다 ( 그림 1). 해발고도는 320m-670m 범위로계곡과능선이혼재하고있어비교적험준하며미숭산자연휴양림과인접해있어각종시설물연계활용이가능하다. 미숭산은가야산에서남으로이어지는산줄기상에위치하며시대미상의고령화강암 ( 高靈花崗巖 ) 으로이루어져있다 ( 손명원, 2008). 또한식물지리적으로한반도의남부지구에속하고 ( 이우철 임양재, 2002) 건생식생이주로발달하는대구형의생물기후구계 ( 김종원, 2004) 에해당한다. 한편, 고령군일대의식물상및식생조사는환경부의전국자연환경조사를통해소학산과만대산지역 ( 환경부, 2000) 과까치산, 의봉산, 제석산지역 ( 환경부, 2002) 에서이루어져있으며 3영급이상의산림지역에대한현존식생도가제작되어있다. 고령군에서가장넓은면적을차지하는산림식생은소나무우점림으로보고되어있으며다음으로다양한참나무림 ( 신갈나무우점림, 굴참나무우점림, 상수리나무우점림, 졸참나무우점림, 떡갈나무우점림 ) 들이분포하고있다 ( 서종철, 2008). < 그림 1> 연구지역의위치 ( 1-31 : 식생조사지점 ) 및환경정보 지점 좌표정보 고도 (m) 경사 ( ) 방위 1 N 35 44.843, E 128 11.465 525 27 SE 2 N 35 44.866, E 128 11.493 520 27 E 3 N 35 44.918, E 128 11.491 508 28 E 4 N 35 44.973, E 128 11.463 505 30 E 5 N 35 44.863, E 128 11.807 343 38 S 6 N 35 44.863, E 128 11.695 364 10 NE 7 N 35 44.821, E 128 11.665 375 11 SEE 8 N 35 44.738, E 128 11.522 483 25 NE 9 N 35 44.746, E 128 11.544 459 32 NE 10 N 35 44.704, E 128 11.562 450 31 NEE 11 N 35 44.690, E 128 11.623 453 24 S 12 N 35 44.682, E 128 11.637 445 20 E 13 N 35 44.643, E 128 11.638 456 36 NE 14 N 35 45.031, E 128 12.022 329 20 NEE 15 N 35 45.064, E 128 12.189 305 24 SW 16 N 35 45.131, E 128 12.147 386 27 SE 17 N 35 45.126, E 128 12.134 379 27 SSW 18 N 35 45.231, E 128 12.041 473 25 SW 19 N 35 45.255, E 128 11.996 505 32 SW 20 N 35 45.271, E 128 11.893 576 33 N 21 N 35 45.241, E 128 11.907 566 24 SE 22 N 35 45.220, E 128 11.801 584 30 SE 23 N 35 45.142, E 128 11.910 469 25 SE 24 N 35 45.113, E 128 11.932 435 20 SE 25 N 35 44.782, E 128 11.603 410 30 E 26 N 35 44.918, E 128 11.417 560 30 SSW 27 N 35 45.002, E 128 11.349 610 28 SE 28 N 35 45.117, E 128 11.372 635 40 SSE 29 N 35 45.149, E 128 11.459 620 35 SSE 30 N 35 45.161, E 128 11.633 650 35 SSE 31 N 35 44.845, E 128 11.523 485 20 SEE
168 조광진 박인환 김명현 김혜영 2. 연구방법식생조사는 2011년 9월과 10월, 2012년 7월에수행되었으며, 식생조사방법은기본적으로식물사회학적방법에따라실시하였고, 식생조사시조사지점에대한해발고도, 좌표, 산지지형, 사면방향, 경사도, 출현종수, 토양수분조건등을기록하였으며, 다층구조를나타내는산림식생은층별로구분하여수고및우점도를판정하였다. 조사지점의해발고도및좌표는 Garmin 의 Oregon 550을이용하여획득하였으며토양수분은 5단계 ( 과습, 약습, 보통, 약건, 과건 ; 이율경과김종원, 2005) 로구분하여현장에서판단하였다. 우점도판정은식물종의피복면적과개체수에따라서수척도로변환된 9계급의변환통합우점도를이용하였고식생조사구면적은종의누락을방지하기위하여군락구조에서최고식생높이의자승값에준하는면적을조사하였다. 식생조사지점의선정은조사지역을전형적, 대표적으로나타낼수있는동질적인생태적환경조건과종조성을갖추고있는입지를선택하였다. 전체식물군락에대한각출현식물종의기여도는군락간의질적, 양적가치비교분석이가능하도록백분율로환산한상대기여도 (r-ncd; relative net contribution degree) 를산출하여정량적인상대적값으로나타내었다. 기타자세한조사방법은김종원과이율경 (2006) 을참고하였다. 식물종명은국가표준식물목록 ( 국립수목원과한국식물분류학회, 2007) 을기준으로하였으며, 귀화식물종은박수현 (2009) 을참고하였다. 그리고연구지역에서획득된조사구와환경요소간의경향성분석을위해 SYN-TAX 2000의좌표결정법 (ordination) 을활용하였고좌표결정법은주좌표분석법 (Principal Coordiante Analysis; PCoA) 과조사구간의유사도측정을위해유클리디언거리계수 (coefficient of squared Euclidean distance) 가이용되었다. Ⅲ. 결과및고찰 연구지역은총 31개의식생조사지점에서 67과 134속 170 분류군으로이루어져있는 9개의산림군락 ( 침엽수림 1개 : 소나무군락, 침활혼효림 2개 : 소나무-굴참나무군락, 소나무-비목나무군락, 낙엽활엽수림 3 개 : 상수리나무군락, 신갈나무군락, 비목나무군락, 인공림 1개 : 아까시나무군락, 임연식생 2개 : 싸리군락, 산딸기군락 ) 이구분되었다 ( 표 1). 1. 군락분류 1) 상록침엽림소나무군락 (Pinus densiflora community, 그림 2a) 은산지상부와능선부를따라파편상으로발달하고있었으며햇볕이잘드는남사면의입지에서관찰되었다. 상관적으로소나무가우점하며관목층에졸참나무, 굴참나무, 진달래, 생강나무, 산초나무, 때죽나무등이혼생하고초본층에가는잎그늘사초, 큰기름새등이높은빈도로출현하고있었다. 종조성상관목층에출현하고있는때죽나무, 개옻나무의출현은본군락이가지치기등과같은인간의주기적인간섭행위가소극적으로이루어지고있음을반증하는것이 대구경북연구제 13 권제 2 호
경북고령군미숭산일원생태숲조성지주변산림식생의군락특성 169 며,( 조광진, 2004) 초본층의산거울과큰기름새는졸참나무-작살나무아군단지역약건 (semidry) 의수분환경또는양지의광조건을갖춘입지에서고빈도로출현하는식물종으로본군락의생육환경을잘반영하고있다. 본군락은 3층구조로서교목층의평균수고는약 15.2m 이며, 각계층별평균식피율은교목층 77.0%, 관목층 35.0%, 초본층 25.0% 로나타났다. 2) 침활혼효림소나무-굴참나무군락 (Quercus variabilis-pinus densiflora community, 그림 2b) 은산지중 상부와능선부를따라넓은면적으로발달하고있었으며소나무군락과유사하게주로남사면 (SE, SW) 의약건한입지에서관찰되었다. 상관적으로소나무와굴참나무가우점하며산지정상부로갈수록신갈나무의출현율이높아지는것이특징적이었다. 신갈나무는산지능선부및산지사면상부에주로출현하고있었으며, 사면중부로내려오면서소나무, 졸참나무, 굴참나무등과경쟁하며군상으로분포하고있었다. 관목층에생강나무, 졸참나무, 진달래등이혼생하고, 초본층에는가는잎그늘사초, 큰기름새가높은빈도로출현하고있었다. 교목층과관목층에졸참나무와신갈나무가함께혼생하는것으로보아본군락이냉온대남부 저산지대의졸참나무-작살나무아군단역에서이차림의형태로발달하고있는것으로판단되었다. 군락구조는 3층구조로서교목층의평균수고는약 15.8 m이며각계층별평균식피율은교목층 81.0%, 관목층 36.0%, 초본층 23.0% 로초본층의발달이다소빈약한것으로나타났다. 소나무-비목나무군락 (Lindera erythrocarpa-pinus densiflora community, 그림 2c) 은계곡과인접한산지중 하부를따라발달하고있었으며, 암석노출이적고토양의수분조건이적습한입지에발달하고있었다. 본군락의주요구성종인비목나무 ( 그림 3a) 는녹나무과 (Lauraceae) 에속하는낙엽활엽교목으로우리나라에서는주로황해도이남에서서식하며 ( 이우철, 1996) 9월에적색으로둥근열매가열리고잎에서특유의향이나며노란단풍이아름답기때문에조경수로서가치가높고 ( 이동철등, 1995) 줄기의껍질과잎, 열매로부터다양한식물화학적활성물질이발견되고있어식물자원으로서높은가치가있다 ( 최용화등, 2003; 강민철등, 2010). 따라서생태탐방로를조성하거나생태교육프로그램을개발할경우비목나무를적극활용할수있는방안이수립되어야할것이다. 본군락은 3층구조로서교목층의평균수고와식피율은각각 15.5 m, 80.0% 로소나무, 비목나무, 졸참나무, 상수리나무가혼생하고있었다. 관목층은평균수고 3.3 m, 평균식피율 31.3% 로생강나무, 비목나무, 쥐똥나무, 물푸레나무, 졸참나무등이출현하고있었고초본층에는주름조개풀, 뱀고사리등이높은빈도로출현하고있었다. 한편, 특이식물종으로군락내에서멸종위기야생식물 Ⅱ급의세뿔투구꽃이발견되었는데 ( 그림 3b) 생태숲을찾는탐방객들의인위적인간섭미치지못하도록이지역에대한적절한보전방안이수립되어야할것으로생각되었다. 3) 낙엽활엽수림 상수리나무군락 (Quercus acutissima community, 그림 2d) 은조사지역의산지중 상부를따라발달
170 조광진 박인환 김명현 김혜영 하고있었으며, 소나무군락과유사하게토양의수분조건이약건한남향사면에주로분포하고있었다. 상관적으로상수리나무가우점하며소나무, 졸참나무가높은출현율을나타내었다. 관목층에는진달래, 산초나무, 생강나무, 감태나무, 비목나무등이혼생하고, 초본층에는가는잎그늘사초, 큰기름새, 가는잎족제비고사리등이높은빈도로출현하고있었다. 본군락은식생지리적으로냉온대남부 저산지대의졸참나무- 작살나무아군단역내에포함되며산지정상부에는신갈나무가일부혼생하고있었다. 상수리나무는우리나라에서제주도한라산으로부터함경남도에이르기까지양지바른산기슭에자생하며 ( 송민섭, 2008) 수직적으로해발 10m에서 1,100m 까지분포하나분포중심지는 100-200 m이다. 내건성과내한성, 내음성이강해우리나라전역에분포하고있으며 ( 김윤식등, 1981) 인가주변및도로변산지일대에서가장쉽게접할수있는향토수종이다 ( 정태현과이우철, 1965). 본군락은 3층구조로서교목층의평균수고는약 15.7m이며각계층별평균식피율은교목층 73.3%, 관목층 46.7%, 초본층 41.7% 이고평균출현종수는 32.3 종으로나타났다. 신갈나무군락 (Quercus mongolica community, 그림 2e) 은해발고도 456m-655m 범위의산지상부와능선부를따라발달하고있었으며토양의수분조건이적습한북향 (N, NE) 또는남향 (SE, SSE) 사면에분포하고있었다. 상관적으로신갈나무가우점하며굴참나무가일부혼생하고있었다. 관목층에는생강나무, 진달래, 굴참나무, 산철쭉등이높은상대기여도로혼생하며졸참나무의출현율이매우낮은것이특징적이었다. 문수봉산지능선부일원에서는한국특산식물인노각나무의생육이확인되었는데 ( 그림 3c), 노각나무는국내에서자생하는낙엽활엽교목으로꽃은 6-7월에동백꽃모양의하얀색꽃이피고가을에는단풍이들며수피의부분적인박리현상으로광택이나며아름다워조경수로써활용가치가높은수종이다 ( 권혜진, 2008). 따라서계곡부의비목나무와능선부의노각나무를연계한탐방로조성이필요할것으로판단되었다. 군락구조는 3층구조로서교목층의평균수고는약 14.7m 이며, 각계층별평균식피율은교목층 80.7%, 관목층 59.3%, 초본층 27.9% 이고평균출현종수는 26.7종으로나타났다. 비목나무군락 (Lindera erythrocarpa community, 그림 2f) 은조사지역의산지계곡부를따라발달하고있었으며, 토양의수분조건이적습- 약습하고암석노출이심한지역에분포하고있었다. 상관적으로비목나무가우점하며관목층에토양의수분조건이양호한지역에서주로생육하는쥐똥나무, 산수국, 고광나무등이높은상대기여도로출현하고있었다. 비목나무군락내에는산지임연성덩굴식물인으름덩굴, 칡등이비목나무의수관을점령하여비목나무군락의발달을저해하고비목나무의생육을방해하는등여러가지문제점을야기하고있었으므로덩굴성식물의정기적인제거가필요할것으로판단되었다. 본군락은암석노출과경사가심해인위적인접근성이불량하므로탐방지역으로는적합하지못한것으로생각되었다. 본군락은 3층구조로서교목층의평균수고는약 12.8m 이며, 각계층별평균식피율은교목층 72.5%, 관목층 35.0%, 초본층 23.8% 이고평균출현종수는 32.0 종으로나타났다. 4) 인공림 아까시나무군락 (Robinia pseudoacacia community) 은산지하부에인위적으로식재되어있었다. 교목층에는아까시나무가우점하며굴참나무가일부혼생하고있었다. 관목층에굴참나무, 아까시나무, 백동 대구경북연구제 13 권제 2 호
경북 고령군 미숭산 일원 생태숲 조성지 주변 산림식생의 군락특성 171 백나무 등이 출현하였으며 초본층에는 주름조개풀이 우점하고 있었다. 본 군락은 굴참나무와 상수리나무 가 높은 빈도로 출현하고 있기 때문에 향후 굴참나무림 또는 상수리나무림으로의 천이가 예상되며 벌목 작업을 통해 아까시나무의 제거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군락구조는 3층구조로서 교목층의 수고는 약 14.0m이며, 각 계층별 식피율은 교목층 70.0%, 관목층 30.0%, 초본층 35.0%이고, 출현종수는 29.0종으 로 나타났다. 5) 임연식생 임연군락은 초지, 하천, 나지 등의 개방식생역과 인접하고 있는 산림의 가장자리와 낙뢰, 산불, 벌채, 도로개설 등의 자연적 또는 인위적 교란이 일어난 입지의 가장자리에서 발달하며(Miyawaki 1967; Miyawaki et al. 1968; Tüxen, 1972) 산림의 울타리로서 산림 내에 측광과 바람의 유입을 차단하여 산림 식생의 보호와 보전에 기능적 역할을 한다(Jakucs, 1970). 싸리군락(Lespedeza bicolor community)과 산딸기군락(Rubus crataegifolius community)은 조사지 역의 임도 주변에서 관찰되었으며, 임도 조성시 형성된 절개지에 발달하고 있었다. 싸리군락은 관목층에 싸리나무가 우점하고 아까시나무와 억새 등이 혼생하고 있었고, 초본층에는 큰김의털, 붉은서나물, 개망 초 등과 같은 귀화식물의 출현이 특징적이었다. 산딸기군락은 관목층에 산딸기와 더불어 상수리나무, 비 목나무, 산초나무, 물푸레나무 등이 혼생하고 있었고, 초본층에는 주름조개풀, 가는잎족제비고사리, 칡, 억 새 등이 출현하고 있었다. 싸리군락과 산딸기군락은 인위적인 간섭과 교란이 빈번한 임도 주변에 분포하 고 있는 입지적 특성상 출현종수가 적고 귀화식물의 출현빈도가 높은 것이 특징적이었다. 소나무군락(조사지점 05) 소나무-굴참나무군락(조사지점 21) 소나무-비목나무군락(조사지점 06) 상수리나무군락(조사지점 02) 신갈나무군락(조사지점 09) 비목나무군락(조사지점 23) <그림 2> 연구지역에 분포하는 주요 식생자원
172 조광진 박인환 김명현 김혜영 비목나무세뿔투구꽃노각나무 < 그림 3> 연구지역에분포하는주요식물자원 < 표 1> 연구지역산림식생의총합군락표일련번호 Running number 1 2 3 4 5 6 7 8 9 조사구수 Number of relevé 5 5 4 3 7 4 1 1 1 평균출현종수 Mean number of species 25.6 23.4 39.5 32.3 26.7 32.0 29.0 15.0 18.0 각군락의구분종 Differential species of plant communities 소나무 Pinus densiflora 100.00 100.00 100.00 59.09 10.08.... 굴참나무 Quercus variabilis 46.34 90.91 2.78 4.55 32.21. 50.00.. 상수리나무 Quercus acutissima 1.46 29.09 41.67 100.00 5.04. 37.50. 50.00 신갈나무 Quercus mongolica 1.46 29.09. 27.27 100.00.... 비목나무 Lindera erythrocarpa 17.56 21.21 88.89 31.82 33.33 100.00 37.50. 37.50 아까시나무 Robinia pseudoacacia. 0.61.... 100.00 55.56. 싸리 Lespedeza bicolor. 0.61. 3.03 0.84.. 100.00 25.00 산딸기 Rubus crataegifolius.. 1.85 6.06.. 12.50 22.22 100.00 수반종 Commpanion species 주름조개풀 Oplismenus undulatifolius var. undulatifolius 4.88 0.61 29.63 6.06 0.28 11.72 75.00 11.11 87.50 가는잎족제비고사리 Dryopteris chinensis 0.49 12.12 5.56 15.15 11.20 0.78 25.00. 25.00 참취 Aster scaber 0.49. 8.33 1.52 0.84 9.38 25.00 22.22. 쥐똥나무 Ligustrum obtusifolium 0.98 1.21 51.85 15.15 1.68 46.88 62.50.. 감태나무 Lindera glauca 5.85 4.85 5.56 21.21 7.56 6.25 37.50.. 산초나무 Zanthoxylum schinifolium 25.37 4.85 19.44 31.82 3.36 7.81.. 37.50 생강나무 Lindera obtusiloba 25.37 75.76 66.67 18.18 56.86 37.50 37.50.. 족제비고사리 Dryopteris varia 0.49 0.61 0.93 1.52 0.56 3.91... 칡 Pueraria lobata 0.98 3.03 1.85.. 12.50 12.50. 50.00 작살나무 Callicarpa japonica 0.98 4.85 9.26 3.03. 16.41 37.50.. 산철쭉 Rhododendron yedoense for. poukhanense 3.90 4.85 7.41 3.03 21.01 2.34... 억새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4.88 4.85. 9.09 4.20.. 22.22 37.50 청미래덩굴 Smilax china 9.76 7.27 0.93 3.03 2.24. 12.50.. 개옻나무 Rhus tricocarpa 16.10 18.18 12.96 22.73 11.20. 12.50.. 진달래 Rhododendron mucronulatum var. mucronulatum 48.78 27.27 16.67 36.36 78.43 3.91... 졸참나무 Quercus serrata 56.10 33.94 62.96 45.45 13.45 2.34... 산박하 Isodon inflexus. 0.61 3.70 1.52 0.28 12.50 12.50.. 청가시덩굴 Smilax sieboldii 0.98 2.42 11.11 6.06. 3.13... 땅비싸리 Indigofera kirilowii 2.93 0.61 0.93 1.52 1.12.... 실새풀 Calamagrostis arundinacea 2.93. 0.93 1.52 6.72 0.78... 개암나무 Corylus heterophylla var. heterophylla 5.85. 2.78 27.27 0.84 9.38... 둥굴레 Polygonatum odoratum var. pluriflorum 5.85 10.91 8.33. 8.40 3.13... 대구경북연구제 13 권제 2 호
경북고령군미숭산일원생태숲조성지주변산림식생의군락특성 173 < 표 1> 계속 일련번호 Running number 1 2 3 4 5 6 7 8 9 각시붓꽃 Iris rossii var. rossii 7.32 0.61 1.85. 3.36 0.78... 담쟁이덩굴 Parthenocissus tricuspidata 8.78 0.61 11.11. 0.28 9.38... 큰기름새 Spodiopogon sibiricus 15.61 33.33 1.85 40.91 11.20.... 때죽나무 Styrax japonicus 17.56 13.33 9.26.. 1.56 50.00.. 가는잎그늘사초 Carex humilis var. nana 33.17 36.36 11.11 77.27 50.98.... 물푸레나무 Fraxinus rhynchophylla. 0.61 27.78. 8.96 1.56.. 50.00 노루발 Pyrola japonica 0.49 0.61. 12.12 1.12.... 큰까치수염 Lysimachia clethroides 0.49. 0.93. 0.56. 12.50.. 뱀고사리 Athyrium yokoscense 0.49. 25.00. 25.21 11.72... 계요등 Paederia scandens var. scandens 0.98. 29.63 1.52. 3.13... 갈참나무 Quercus aliena 1.46. 12.96 27.27 0.84.... 맑은대쑥 Artemisia keiskeana 7.32 2.42. 6.06 7.84.... 댕댕이덩굴 Cocculus trilobus 9.76 9.70. 12.12 9.80.... 조록싸리 Lespedeza maximowiczii 10.24 12.73.. 19.61 1.56... 개벚나무 Prunus verecunda var. verecunda 13.17 31.52. 4.55 1.40.... 애기원추리 Hemerocallis minor. 18.18 0.93 1.52 6.72.... 양지꽃 Potentilla fragarioides var. major.. 0.93 1.52. 0.78.. 25.00 물박달나무 Betula davurica.. 3.70 4.55 3.92 12.50... 개머루 Ampelopsis brevipedunculata 0.49. 11.11... 12.50.. 소태나무 Picrasma quassioides 0.49.. 4.55. 3.91... 고사리 Pteridium aquilinum var. latiusculum 0.49.. 15.15 5.88.... 찔레꽃 Rosa multiflora var. multiflora 0.98.. 1.52.. 12.50.. 대팻집나무 Ilex macropoda 1.46. 2.78. 0.56.... 회잎나무 Euonymus alatus for. ciliatodentatus 1.46.. 1.52. 0.78... 구절초 Dendranthema zawadskii var. latilobum 1.95.. 1.52 2.24.... 노린재나무 Symplocos chinensis for. pilosa 3.90.. 3.03 28.01.... 떡갈나무 Quercus dentata 6.83.. 4.55 4.48.... 비비추 Hosta longipes. 0.61 0.93. 0.28.... 도둑놈의갈고리 Desmodium podocarpum var. oxyphyllum. 0.61 0.93.. 3.13... 쇠물푸레나무 Fraxinus sieboldiana. 0.61 2.78. 15.41.... 도라지 Platycodon grandiflorum. 0.61.. 1.12... 25.00 새 Arundinella hirta. 2.42 0.93 9.09..... 미역취 Solidago virgaurea subsp. asiatica var. asiatica.. 0.93 1.52 0.28.... 병꽃나무 Weigela subsessilis.. 0.93 4.55 6.72.... 딱총나무 Sambucus williamsii var. coreana.. 0.93.. 4.69 25.00.. 좀깨잎나무 Boehmeria spicata.. 1.85.. 14.06 12.50.. 고사리삼 Sceptridium ternatum.. 3.70 1.52. 0.78... 선밀나물 Smilax nipponica.. 3.70. 2.52 0.78... 산수국 Hydrangea serrata for. acuminata.. 4.63. 0.28 23.44... 줄딸기 Rubus oldhamii.. 5.56.. 4.69 12.50.. 고깔제비꽃 Viola rossii.. 16.67 1.52 0.28.... 갈퀴꼭두서니 Rubia cordifolia var. pratensis... 1.52. 0.78.. 37.50 철쭉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10.92.... 노각나무 Stewartia pseudocamellia.... 9.24.... 사위질빵 Clematis apiifolia..... 0.78 12.50. 37.50 주 ) 기타출현종은대부분우연출현종 (accidental species) 으로저자에의해생략되었음 1 : 소나무군락, 2 : 소나무 - 굴참나무군락, 3 : 소나무 - 비목나무군락, 4 : 상수리나무군락, 5 : 신갈나무군락, 6 : 비목나무군락, 7 : 아까시나무군락, 8 : 싸리군락, 9 : 산딸기군락
174 조광진 박인환 김명현 김혜영 2. 조사구와환경요소간의경향성분석식물군락의구성식물종행동양식과서식입지환경과의상관성을설명하기위하여본조사지역에서획득된 31개의식생자료를통해조사구와환경요소간의경향성분석을실시하였다 ( 그림 4). 그결과, 제1축은고유값 19.38% 로토양의수분조건과대응되었으며제2축은고유값 14.03% 로산지지형에대응되는것으로나타났다. 이를구체적으로살펴보면 1축을기준으로상단에는하단에위치하는비목나무군락, 신갈나무군락에비해상대적으로건조한곳에발달하는소나무군락, 소나무-굴참나무군락, 상수리나무군락이위치하고, 2축을기준으로오른쪽에는해발고도가높은산지사면상부에분포하는신갈나무군락이위치하고왼쪽에는상대적으로해발이낮은산지사면하부또는계곡부에발달하는소나무-비목나무군락, 비목나무군락이위치하는것으로확인되었다. 아까시나무군락, 싸리군락, 산딸기군락은조사구수가부족하여뚜렷하게유형화되지못하였다. 따라서좌표결정법에의한간접분석을통해고령생태숲조성지에발달하는식물군락들의공간적분포는산지지형과토양의수분조건이라는환경요소에영향을받는것으로확인되었다. < 그림 4> 31 개조사구의 PCoA ordination 분석결과 Ⅳ. 결론 경북고령군생태숲조성지는식생지리적으로냉온대남부저산지형의졸참나무-작살나무아군단역내에포함되며잠재적으로참나무류가주종을이루는낙엽활엽수림의천이가예상되었다. 군락분류결과, 9개의식물군락이구분되었으며세부적으로상록침엽수림 1개 ( 소나무군락 ), 침활혼효림 2개 ( 소나무-굴참나무군락, 소나무-비목나무군락 ), 낙엽활엽수림 3개 ( 상수리나무군락, 신갈나무군락, 비목나무군락 ), 인공림 1개 ( 아까시나무군락 ), 임연식생 ( 싸리군락, 산딸기군락 ) 로이루어져있었다. 연구지역에서가장자연성 대구경북연구제 13 권제 2 호
경북고령군미숭산일원생태숲조성지주변산림식생의군락특성 175 이높은식물군락은신갈나무군락이었으며특이식물로서한국특산식물인노각나무가문수봉능선을따라생육하고있었다. 또한소나무- 비목나무군락에서는법적보호종인세뿔투구꽃이관찰되었고연구지역의산지계곡에는비목나무가우점하고있었다. 생태숲조성에있어서주요고려사항은생태숲이지닌생태적기능을보존하고생물다양성을유지함과동시에자연체험및관찰을위한사회적인이용수요를충족시키는것이며, 이를위해서는기본적으로자연친화적인소재및현지내에분포하고있는식물및식생자원을활용해야한다. 본연구에서밝혀진식물및식생자원은생태교육및생태체험프로그램의재료및공간으로높은활용가치가있을것으로기대된다. 한편, PCoA(Principal Coordinate Analysis) 좌표결정법에의한조사구와환경요소간의경향성분석결과, 각조사구의토양수분조건과산지지형이식물군락의공간적분포양식을결정하는주요한생태적요소인것으로밝혀졌으며, 이렇게밝혀진조사지역산림식생에대한생태적정보는생태숲조성및계획에있어기초자료로서활용가능할것으로사료되었다. 참고문헌 강민철 고려경 김수경 최호민 진영준 한종헌 김봉석 이남호 김기옥, 2010, 비목나무 (Lindera erythrocarpa Makino) 껍질에서분리한신규화합물 (Jeju-Erythrane) 의멜라닌생합성억제효과. KSBB Journal 25(4): 330-336. 국립수목원, 한국식물분류학회, 2007, 국가표준식물목록. 국립수목원. 권혜진, 2008, 한국산노각나무 (Stewartia koreana NAKAI ex REHDER) 의생태및분자계통학적연구, 충남대학교석사학위논문. 김윤식 고성철 오병운, 1981, 한국식물의분포도에관한연구 (Ⅴ). 참나무과의분포도, 고려대학교이공론집 : 93-133. 김종원, 2004, 녹지생태학. 월드사이언스김종원 이율경, 2006, 식물사회학적식생조사와평가방법. 월드사이언스. 박수현, 2009, 세밀화와사진으로보는한국의귀화식물. 일조각. 산림청, 2002, 생태숲조성지침. 산림청, 2010a, 생태숲지정 관리지침 ( 예규제 582호 ). 산림청, 2010b, 수목원 생태숲전국권역별장기발전방안연구. 서종철, 2008, 고령군의생태환경,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4(6): 698-708. 손명원, 2008, 고령군지형경관자원의분포와활용방안,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4(4): 279-289. 송민섭, 2008, 한국상수리나무 (Quercus acutissima) 림의분포와군집구조분석, 창원대학교박사학위논문. 오현경, 2010, 하동구재봉생태숲조성부지의관속식물상유형별분류,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3(4): 18-29. 유주한, 2005, 충청북도제천시생태숲조성예정지의관속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9(1): 31-45.
176 조광진 박인환 김명현 김혜영 유주한 나정화 조현주 구지나, 2009, 백두대간생태숲조성예정지의관속식물상과활용방안,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12(5): 42-58. 유주한 조흥원 진연희 유희빈 이귀용 한주환 이철희, 2005, 충청북도생태숲조성예정지의자원식물상, 한국자원식물학회지, 18(3): 390-402. 이동철 심경구 서병기, 1995, 비목나무번식에관한연구, 한국잔디학회지, 9(1): 1-10. 이우철, 1996,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아카데미서적. 이우철 임양재, 2002, 식물지리, 강원대학교출판부. 이율경 김종원, 2005, 한국의하천식생, 계명대학교출판부. 이정환, 2005, 괘관산생태숲조성지역식물자원조사보고서, 산림조합중앙회엔지니어링사업본부. 조광진, 2004, 한반도동남단일대의소나무림과해송림에대한식물사회학적특성, 계명대학교석사학위논문. 정태현 이우철, 1965, 한국삼림식물대및적지적수론, 성균관대학교논문집, 10: 329-435. 최용화 권순열 김진호 백남인 최경자 조광연 이병무, 2003, 비목나무 (Lindera erythrocarpa) 잎으로부터항진균성활성물질의분리, 한국응용생명화학회지, 46(2): 150-153. 환경부, 2000, 합천 고령지역의자연생태조사보고서. 환경부, 2002, 성주 고령지역의자연생태조사보고서. 허재용 김도균 정정채 이정, 2010, 우리나라생태숲조성기본계획실태및개선방향,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4(3): 235-248. Becking, R. W., 1957, The Zürich-Montpellier School of phytosociology, Bot. Rev. 23: 411-488. Jakucs, P., 1970, Bmerkungen zur Saum-mantel Frage, Vegetatio 21:29-47. Miyawaki, A., 1967, The vegetation of Japan according to the comparison of plant and world. The encyclopedia of recent science illustrated 3, Hoikusa. 535p. Miyawaki, A., Ohba, T., Okuda, S., Nakayama, K. and Fujiwara, K., 1968, Phytosociological studies on the vegetation of the Echigo Sanzan and Okutadami (Niigata and Fukushima Prefecture), Sci. Rep. Nature Conservation Soc. Japan. 3.4: 57-152. Tüxen, R., 1972, Richtlinien für die Austellung eines Prodromus der europaichen Pflanzengesellschaften, Vegetatio 24: 23-29. 논문접수일 :2014. 08. 25, 심사완료일 :2014. 10. 14, 최종원고 :2014. 10. 16 대구경북연구제 13 권제 2 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