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체질인류학회지제 28 권제 4 호 Korean J Phys Anthropol Vol. 28, No. 4 (2015) pp. 247~251 http://dx.doi.org/10.11637/kjpa.2015.28.4.247 Case report 비전형적인마름근 1 쌍 이지현, 정원석 가천대학교의학전문대학원해부학교실 (2015 년 9 월 10 일접수, 2015 년 11 월 12 일수정접수, 2015 년 11 월 16 일게재승인 ) 간추림 : 만 49세한국인남성에서일반적인마름근과달리전체적으로위쪽척추뼈에서일어나는마름근의변이를발견하여보고한다. 마름근의형태는평행사변형이아닌사다리꼴로, 셋째마름근이큰마름근아래에덧붙어있었다. 작은마름근은넷째에서여섯째목뼈의가시돌기높이목덜미인대에서힘줄로일어났다. 큰마름근이는곳의위쪽경계는왼쪽은다섯째와여섯째목뼈가시돌기사이의목덜미인대, 오른쪽은여섯째목뼈가시돌기높이의목덜미인대였고, 이는곳의아래쪽경계는왼쪽은넷째등뼈가시돌기, 오른쪽은둘째등뼈가시돌기였다. 셋째마름근이는곳의위쪽경계는왼쪽은넷째등뼈가시돌기, 오른쪽은둘째등뼈가시돌기였으며, 이는곳의아래쪽경계는양쪽모두다섯째등뼈가시돌기였다. 전체마름근은 9개척추뼈에걸쳐일어났다. 이마름근의형태를기존에보고된변이와비교하고발생학적, 임상적의미를고찰하였다. 찾아보기낱말 : 마름근, 변이, 셋째마름근, 한국인 서 론 과차이가있기에보고하고자한다. 일반적으로작은마름근은목덜미인대의아래부분, 일곱 째목뼈와첫째등뼈의가시돌기에서일어나아래가쪽으로달려어깨뼈가시부위의어깨뼈안쪽모서리에닿고, 큰마름근은둘째에서다섯째등뼈의가시돌기와가시끝인대에서일어나아래가쪽으로달려어깨뼈가시의뿌리와아래각사이의어깨뼈안쪽모서리로닿아, 두근육모두어깨뼈의안쪽모서리를위안쪽으로당기는작용을한다 [1,2]. 이러한마름근은이는곳의변이및큰마름근아래에또다른형태의근육이존재하는변이들이보고된바가있다. 해부학학생실습시간에큰마름근아래에존재하는 셋째마름근 을포함해그형태가교과서적인기술과다른비정상적마름근한쌍이발견되었고, 기존에보고된변이사례들 저자 ( 들 ) 는 의학논문출판윤리가이드라인 을준수합니다. 저자 ( 들 ) 는이연구와관련하여이해관계가없음을밝힙니다. 교신저자 : 정원석 ( 가천대학교의학전문대학원해부학교실 ) 전자우편 : wonsug@gachon.ac.kr 증례 가천대학교의학전문대학원학생실습에사용된 49세한국인남성시신에서비정상적인마름근이관찰되었다. 일반적인마름근의형태와다른사다리꼴모양으로, 양쪽을함께놓고보았을때오각형의모양을나타냈다. 작은마름근과큰마름근은분리되어있었으며, 큰마름근의경우같은힘줄에서일어나지만힘살은분리되는형태의근육두개로다시나눌수있었다. 이는왼쪽과오른쪽이달라, 왼쪽은비정상적으로큰사다리꼴모양의큰마름근아래에근육이덧붙어있는형태였으며, 오른쪽은일반적인형태의큰마름근에해당하는사변형근육아래에삼각형근육이붙어있는형태였다. 저자들은이를다시큰마름근과셋째마름근이라부르기로했다. 작은마름근은넷째에서여섯째목뼈의가시돌기높이목덜미인대에서힘줄로일어났다. 큰마름근이는곳의위쪽경 c 2015 Korean Association of Physical Anthropologists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 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ISSN 2287-626X (Online) ISSN 1225-150X (Print)
248 이지현, 정원석 Fig. 1. Photograph and drawing of the atypical rhomboid muscles. The rhomboideus minors arose from ligamentum nuchae of 4-6th cervical vertebrae level. The origin of the left rhomboideus major was from ligamentum nuchae of 5th-6th cervical vertebrae level to spinous process of the 4th thoracic vertebra, and the right rhomboideus major was from ligamentum nuchae of 5th cervical vertebra level to the spinous process of the 2nd thoracic vertebra. The left rhomboideus tertius arose from the spinous processes of the 4-5th thoracic vertebrae, and the right rhomboideus tertius arose from the spinous processes of the 2-5th thoracic vertebrae. RMj, rhomboideus major; Rmi, rhomboideus minor; RT, rhomboideus tertius; SPS, serratus posterior superior; LS, levator scapulae; C4, spinous process of 4th cervical vertebra; C7, spinous process of 7th cervical vertebra; T5, spinous process of 5th thoracic vertebra. Table 1. Measurement of rhomboid muscles Measurements Muscle width at origin (mm) Muscle width at insertion (mm) Muscle length of upper margin (mm) Muscle length of lower margin (mm) Muscle thickness* (mm) Rhomboideus minor Rhomboideus major Rhomboideus tertius 32.58 18.34 101.23 100.64 4.90 31.64 11.14 104.62 99.95 4.89 136.46 98.27 102.99 117.35 7.58 59.78 84.77 103.04 128.76 7.18 25.13 4.46 115.93 116.69 1.30 90.50 10.14 124.32 107.66 2.39 * measured at the middle of each muscle 계는 왼쪽은 작은마름근에 덮여 있어 다섯째와 여섯째 목 고 찰 뼈 가시돌기 사이의 목덜미인대, 오른쪽은 여섯째 목뼈 가 시돌기 높이의 목덜미인대였고, 이는곳의 아래쪽 경계는 왼 일반적으로 작은마름근은 작은 원통형의 근육으로, 힘줄 쪽은 넷째 등뼈 가시돌기, 오른쪽은 둘째 등뼈 가시돌기였 로 일어나 어깨올림근의 아래에서 어깨뼈로 닿는다. 큰마름 다. 셋째마름근 이는곳의 위쪽 경계는 왼쪽은 넷째 등뼈 가 근은 사변형의 판모양 근육이며 힘줄로 일어나 힘줄로 닿지 시돌기, 오른쪽은 둘째 등뼈 가시돌기였으며, 이는곳의 아래 만, 작은마름근과 큰마름근 모두 힘살이 직접 어깨뼈로 닿 쪽 경계는 양쪽 모두 다섯째 등뼈 가시돌기였다 (Fig. 1). 어 는 경우도 있다. 대개 작은마름근과 큰마름근은 분리되어 깨뼈 아래각의 높이는 일곱째 갈비사이공간에 위치하였다. 있으나, 두 근육이 겹쳐지는 경우도 있다. 마름근은 등쪽어 모든 마름근은 양쪽 모두에서 힘줄로 일어나 힘살의 형태 로 어깨뼈의 안쪽모서리에 닿으며, 왼쪽 큰마름근과 셋째마 깨동맥이나 가로목동맥의 깊은가지, 위쪽 5개 혹은 6개 뒤 갈비사이동맥로부터 혈액을 공급받고, 등쪽어깨신경의 가 름근의 이는곳과 닿는곳은 붙어있으나 힘살은 약 5 mm 가 량 떨어져 있었다. 큰마름근이 작은마름근보다 두꺼웠으며 지와 C4, 5 신경이 분포한다 [1]. 이러한 마름근은 그 이는곳과 닿는곳이 머리쪽이나 꼬리 셋째마름근이 가장 얇았고, 아래쪽에 위치한 마름근 힘줄 쪽으로 더 넓어지는 형태의 변이가 나타날 수 있다. 작은마 의 길이가 더 길었다 (Table 1). 그리고 동반된 변이로서 위 뒤톱니근이 셋째 목뼈 높이의 목덜미인대로부터 첫째 등뼈 름근은 이는곳의 위모서리가 뒤통수뼈까지 올라가는 형태 사이에서 일어났다. 의 뒤통수마름근 (rhomboideus occipitalis)으로 나타날 수 있고, 큰마름근은 보다 아래 높이의 등뼈에서 일어나 넓은
비전형적인마름근 1 쌍 249 등근까지연결되어보일정도로확대되거나독립된다발로나뉠수도있다 [3]. Von Haffner [4] 는마름근아래에서독립된형태의마름근변이를보고하며이를가장작은마름근 (rhomboideus minimus) 이라명명했고, Mori [5] 는일본인의 11~14% 에서관찰되는덧마름근을더작은마름근 (rhomboideus minus) 으로이름붙였다. Jelev와 Landzhov [6] 는큰마름근아래에서독립된형태의덧마름근변이를보고하면서, 이근육이작은마름근보다크기때문에더작은마름근이나가장작은마름근으로명명하는것이부적절하므로셋째마름근 (rhomboideus tertius) 이라이름붙였다. 이번사례에서관찰된독립된형태의마름근들또한그크기가작은마름근보다크기때문에그견해를따라그이름을셋째마름근으로붙였다. Jelev와 Landzhov [6] 의셋째마름근사례에서는셋째마름근이왼쪽은여섯째부터여덟째등뼈가시돌기에서, 오른쪽은여섯째부터일곱째등뼈가시돌기에서일어나고, 큰마름근과셋째마름근의간격이한개등뼈가시돌기이상떨어져있었지만, 이번사례에서는셋째마름근이왼쪽은넷째등뼈가시돌기부터다섯째등뼈가시돌기에서, 오른쪽은둘째등뼈가시돌기부터다섯째등뼈가시돌기에서일어났으며, 큰마름근과셋째마름근이붙어있어그간격이좁았다. 작은마름근의이는곳위모서리가비정상적인변이 60쪽을조사한 Mori [5] 는, 마름근의이는곳위쪽경계가넷째와다섯째, 여섯째목뼈인경우를각각 16.7%, 60%, 23.3% 로보고하였으며, 마름근이는곳이척추뼈 7개에걸쳐존재하는경우를 36.7%, 8개에걸쳐있을경우가 63.3% 에서존재했다고보고했다. 이번저자들에의해보고되는사례의경우, Mori [5] 의발표에의하면 16.7% 에해당되는넷째목뼈높이에서부터일어나지만넷째목뼈에서부터다섯째등뼈까지 9개의척추뼈에걸쳐일어나는것으로, 기존에보고되지않은새로운형태의변이였다. 또한마름근의이는곳을기준으로봤을때일곱째목뼈에서부터다섯째등뼈에서일어나는일반적인이는곳과달리위쪽으로확장된양상인반면, 형태학적측면에서는사변형의근육한쌍이합쳐 ㅅ 자모양을이루는모습이아닌, 근육이아래쪽으로확장되어마치빈공간을채운듯한오각형의모양을이루는특이한형태였다. 마름근아래층에있는위뒤톱니근역시일반적인이는곳인목덜미인대의아래부분, 일곱째목뼈부터셋째등뼈의가시돌기사이 [1] 가아니라셋째목뼈높이의목덜미인대와첫째등뼈사이에서일어나그이는곳이위쪽으로이행된양상을보였다. 마름근은어깨뼈를들어올리고척주쪽으로끌어당겨, 앞톱니근과함께어깨뼈중간부위를가슴우리쪽에붙여고정시킴으로써팔의움직임을돕는다. 이러한마름근에의한 Fig. 2. The rhomboid muscle group in non-human primate (A) and in human (B) (redrawn and modified from figure in Ref. 8). In primate, the rhomboideus muscles show extensive origins including skull and the entire cervical and thoracic vertebrae in contrast to human with limited origin. RO, rhomboideus occipitalis; RC, rhomboideus cervicis; RT, rhomboideus thoracis; Rmi, rhomboideus minor, RMj; rhomboideus major. 어깨뼈의고정없이는팔을모으는힘이나펴는힘이제한되기때문에 [7], 이증례의경우일반적인경우보다더넓은마름근이보다단단히어깨뼈를고정함으로써더강한힘을낼수있었을것으로생각된다. 또한한편으로는어깨뼈의내림이나내밈과같은운동을하는작은가슴근이나앞톱니근에대한길항근으로서의작용이커지므로 [7], 이들근육의운동을방해할수도있었을것으로생각된다. 비교해부학적관점에서영장류에서나타나는근육의형태와유사한사람의변이는인류의진화에대한가설을뒷받침하는증거중하나로제기되기도한다 [8]. 사람외의영장류에서마름근은머리뼈에서등뼈까지넓게일어나고몇몇종에서는열두째등뼈까지확장되어뒤통수마름근이나목마름근 (rhomboideus cervicis), 가슴마름근 (rhomboideus thoracis) 을이루며 (Fig. 2), 마름근이분리되어많게는 6~7 개의별개의근육을이루는경우도있다 [8]. 이번에저자들이보고하는변이는마름근의이는곳이위쪽으로연장되고마름근이분리된형태로, 사람외의영장류에게서나타나는마름근의특징을일부갖고있다고볼수있다. 일반적으로마름근은 14 mm 배아에서온근육덩이 (common muscle
250 이지현, 정원석 mass) 의형태로어깨뼈의안쪽모서리와가시돌기사이에위치하지만, 이단계에서는상대적으로팔이음부위보다앞에위치하기때문에마름근육덩어리는위뒤톱니근의가장윗부분만을덮고있다가발생후기에팔과팔이음부위가꼬리쪽으로이주할때마름근이함께꼬리쪽으로이동하여위뒤톱니근을완전히뒤덮게된다 [9]. 하지만이번변이는이러한마름근의발생과정에서생겨난것으로추측되는데, 마름근육덩이 (rhomboideus muscle mass) 의일부와위뒤톱니근이아래로이주하지않고남아서위쪽으로확장된형태의마름근과위쪽에위치한위뒤톱니근이된것으로생각된다. 근육과근육주위조직내에통증유발점 (trigger point) 이라고하는과민반응을일으키는부위가존재하는근육질환을근막통증증후군 (myofascial pain syndrome) 이라하며, 그증상으로는통증, 근육경련, 압통, 경직, 운동제한, 근육위축, 자율신경계이상등이있다 [10]. 이러한근막통증증후근을치료하기위한방법중하나로통증유발점에약물을주입하는통증유발점주사 (trigger point injection) 가시술되고있으며, 마름근도근막통증증후군이흔히발생되는근육이다 [11]. 그러나마름근을비롯한어깨부위에서의통증유발점주사과정에서출혈, 감염, 신경손상부터공기가슴증에이르기까지다양한부작용이발생할수있으므로이를최소화하기위해어깨부위근육의형태에대한지식이필수적이다 [12]. 하지만보다자세한한국인의마름근에대한형태학적인연구는활발히이루어져있지않은상황으로, 이러한근육의형태변이에대한연구는형태학적, 비교해부학적관점뿐만아니라임상적으로도그가치가있을것으로생각된다. 참고문헌 1. Standring S. Gray s Anatomy. 40th ed. Philadelphia: Elsevier Churchill Livingstone; 2008. p. 810-1, 925. 2. Chung IH, Oh CS, Han SH, Kim HJ. Human anatomy. 5th ed. Seoul: Hyunmoonsa; 2011. p. 176-8. 3. Bergman RA, Afifi AK, Miyauchi R. Opus I: muscular system. illustrated encyclopedia of human anatomic variation. [Internet]. Anatomy atlases; c1995-2015 [cited 2015 Sep 3]. Available from: http://www.anatomyatlases.org/anatomic- Variants/MuscularSystem/Text/R/23Rhomboideus.shtml. 4. von Haffner H. Eine seltene doppelseitige anomalie des trapezius. Internationale monatsschrift für anatomie und physiologie. 1903; 20:313-8. 5. Mori M. Statistics on the musculature of the Japanese. Okajimas folia anatomica japonica. 1964; 40:195-300. 6. Jelev L, Landzhov B. A rare muscular variation: the third of the rhomboids. Anatomy. 2012-2013;6-7:63-64. DOI: 10.2399/ana.11.218. 7. Valerius KP, Frank A, Kolster BC, Hamilton C, Lafont EA, Kreutzer R. The muscle book: anatomy, testing, movement. 1st ed. Berlin: Quintessence Publishing Co: 2011. p. 18-24. 8. Oxnard C. The scientific bases of human anatomy, Hoboken, New Jersey: Wiley-Blackwell; 2015. p. 173, 183. 9. Keibel F, Mall FP. Manual of human embryology I. Philadelphia: Lippincott Company; 1910. 485 p. 10. Moon CW. Myofascial pain syndrome. J Korean Pain Soc. 2004; 17(Suppl):S36-44. Korean. 11. Seol SJ, Cho H, Yoon DH, Jang SH. Appropriate depth of needle insertion during rhomboid major trigger point block. Ann Rehabil Med. 2014; 38(1):72-6. 12. Shafer N. Pneumothorax following trigger point injection. JAMA. 1970; 213:1193.
비전형적인마름근 1 쌍 251 A Pair of Atypical Rhomboid Muscles Jihyun Lee, Wonsug Jung Department of Anatomy, School of Medicine, Gachon University Abstract : We report a pair of atypical rhomboideus muscles which originated higher than normal observed in a 49-year-old Korean male. Rhomboid muscles were not paralleogram shape but trapezoid with rhomboideus tertius attached inferior to the rhomboideus major muscles. Rhomboideus minor originated as tendon from the ligamentum nuchae of fourth and sixth cervical vertebrae level. The upper end of the origin of the rhomboideus major was the ligamentum nuchae between fifth and sixth cervical vertebrae level on the left side and the ligamentum nuchae at the sixth cervical vertebra level on the right side. The lower end of the origin of the rhomboideus major was the spinous process of the fourth thoracic vertebra on the left side and the spinous process of the second thoracic vertebra on the right side. The upper end of the origin of the rhomboideus tertius were the same as the lower end of the rhomboideus major and the lower end of the origin of the rhomboideus tertius were the spinous process of the fifth thoracic vertebrae on both sides. Whole rhomboideus muscle spanned over nine vertebrae. We compared these rhomboidei with previously reported variations and discussed its embryological and clinical significance. Keywords : Rhomboid, Variation, Rhomboideus tertius, Korean Correspondence to : Wonsug Jung (Department of Anatomy, School of Medicine, Gachon University) E-mail: wonsug@gachon.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