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물리의학회지제4권제2 호, 2009년 5월 Vol.4, No.2, May 2009. p.125~131 1) 1 김호봉최용원 제주한라대학물리치료과, 1 대구대학교대학원물리치료전공 The Effects of Hip Fracture on the Mortality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Ho-bong Kim, PT, PhD, Yong-own Choi, PT, MS 1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Chejuhalla College 1 Major in Physical Therapy, Graduate School, Daegu University <Abstract> Purpose : This study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hip fracture among persons over 50 years old, in Jeju-do, Korea, on mortality, activity of daily living(adl). Methods : Three hundred eighteen patients over to 50 years of age who lived in Jeju-do and sustained a hip fracture from January 1st 2003 to December 31th 2004 were recruited. Th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hospital records for each patient included age, sex, date of onset, and patients investigated activity grade, ADL, outdoor walking aid on 3month, 6month and 12month. Results : The incidence was 12.5/10,000 for total patients(female 17.0/10,000, male 6.3/10,000) in population over 50 years old. Patients who had lower activity grade and ADL level, showed higher mortality, and patients using outdoor walking aid showed higher mortality. Conclusion : The activity grade, ADL level, Using of outdoor walking aid affect mortality, so more programs about ADL must be developed for the life span and quality of life. Key Words : ADL, Hip fracture, Mortality Ⅰ. 서론 의료기술의발달로인하여평균수명이늘어남에따라노인인구의증가가빠른속도로진행되고 있다. 2005년에는전체인구 47,041,434명중 65세 이상노인의비가 13.18%(6,201,156 명) 를차지하고 있으며, 2026년에는 20.8% 에이르는초고령화사회 가될것으로보고되고있다( 통계청, 2009). 노인의 교신저자 : 최용원, E-mail: cyw555@hanmail.net 논문접수일 : 2008년 11월 30 일 / 수정접수일 : 2009년 2월 18 일 / 게재승인일 : 2009년 3월 31일 -125 -
대한물리의학회지제4권제2호 건강에가장치명적인위협이되는대표적인요인 중의하나는낙상으로(Li 등, 2003), Means 등(2005) 은노인인구의약 3분의 1이매년한번이상의낙 상을경험하며, 낙상으로인하여찰과상, 연부조직 손상, 고관절주위골절, 손목골절뿐만아니라사 망에까지이르게된다고하였다(Resnick 과Junlapeeya, 2004). 그중고관절주위골절은특히예후가좋지 않은질환으로상부망상동맥의압박으로인하여 약 30% 정도에서무혈성괴사나불유합이일어난다 고하였다( 민경옥등, 2001). 노인인구의급격한증가에따라우리나라고관 절주위골절의발생률은 1993년3.4/10000 명에서, 2004년 12.8 명/10000 명으로증가하는추세에놓여 있으며( 하용찬등, 2004, Rowe et al, 1993), 이에 따른향후보건, 의료, 복지등많은사회적문제가 가시화될것으로전망되며이중해결해야하는 가장중요한문제는증가된노인인구에대해질병 과장애를예방하는것뿐만아니라, 신체의적절한 기능을유지하면서활동적인수명을연장하는것이 다( 최준철등, 2006; Nakamura 등, 1998) 고관절주위골절로인한다양한정형외과적치 료법과여러합병증과사망률에대한연구가이루 어져왔지만그로인한활동성, 일상생활동작, 삶의 질과같은기능적인측면에서의연구에대한관심 이높아지는추세이다. 하지만, 아직이에대한자 세한연구는국내에서거의이루어지지않아, 국내 에서발생하는고관절주위골절에의한사망률과 활동성및일상생활동작에관한체계적인조사가 요구되고있다( 이상락등, 2005). 이에고관절주위 골절에따른대한사회경제적손실에대한체계적 인파악과국가적인대책을수립에기여하기위하 여본연구는 2003년제주도에서고관절주위골절 환자의발생률및사망률과제주도노인인구의보 통사망률과의관계를분석하고, 생존자와사망자의 일상생활동작과삶의질과관련된인자들을분석함 으로써고관절주위골절환자들에게향후삶의질 향상과생명의연장등다각적인측면들에대하여 연구하였다. 1. 연구대상및기간 Ⅱ. 연구방법 2003년 1월 1일부터 2004년 12월 31일까지고관 절주위골절로제주도내의정형외과병의원을방 문한만 50세이상의환자 318명을대상으로하였 다. 2. 연구방법 고관절주위골절로입원수술한환자전체 318 명의병력기록지를통해성별, 연령분포에대하여 알아보고, 면접과상담에응한연구대상자 235명에 대해추적조사하여골절전, 골절후 3 개월, 골절 후 6 개월, 골절후 12 개월기간동안의활동성, 일 상생활동작(Activity of daily living, ADL), 보행보 조기사용여부를평가하였다. 활동성에대한평가는 Halpin 분류법을사용하였 으며(Halpin 과Nelson, 1980), 이평가법은외부활 동이자유로운 1 단계, 중등도활동성 2 단계, 제한된 활동성 단계로총 3 단계, 거동이불편하여침대생활을하는 4 4 단계로분류하였다. 일상생활동작의평가는수정된바델지수 (modified Barthel index, MBI) 로하였으며총 10개항목을평 가하였다. 각항목은 5단계의수행단계로분류하 며, 1 단계는과제수행불가, 2단계는실제도움이 필요, 3 단계는중등도도움이필요, 4단계는최소한 도움이필요, 5단계는완전히독립적과제수행으로 평가하였다. 전체평가항목 10 개에서개인위생( 세수, 양치질), 목욕하기의두항목은 5 점만점이고, 식사 하기, 화장실사용, 계단오르기, 옷입고벗기, 대 변관리, 소변관리의 6개항목은 10 점만점이고, 이동성, 옮겨가기두항목은 15점만점으로전체 10 개항목총 100 점만점으로평가하였다. 0~24점은 완전의존(total), 25~49 점은최대의존(severe), 50 점~74 점은증등도의존(moderate), 75~90점은경도 의존(mild), 91~99 점최소의존(minimal) 으로분류하 였다(Shah 등, 1989). -126 -
3. 통계분석 고관절주위골절환자의발생률, 사망률, 일반적 인특성및활동성, 일상생활동작, 삶의질에대한 단편적인분석은빈도분석, 교차분석, 독립 t-검정 (independent t-test) 을이용하여분석하였다. 자료분 석은 SPSS 12.0 을이용하여통계처리하였고, 통계 학적유의성검증을위한유의수준 α는 0.05로하 였다. Ⅲ. 결 과 1. 고관절주위골절의성별및연령별발생률 제주도내에살고있는만 50세이상의 2003년 2004년누적인구는 254,330명이며남성 108,631 명, 여성 145,699명으로제주도전체인구의 552,297명 의 22.3% 였다. 나이별고관절주위골절발생률은 50대 20 명(1.9/10,000), 60대 56 명(6.4/10,000). 70대 98 명(22.5/10,000), 80대118 명(66.9/10,000), 90대26 명(85.5/10,000) 으로나타났다(Table 1). 2. 활동성장애정도가고관절주위골절환자 사망에미치는영향 전체대상군 318명중에서면접과상담에응한 234명을대상으로조사한활동성을Grade Ⅰ, Ⅱ와 Grade Ⅲ, Ⅳ로나누어사망률에미치는영향을분 석한결과골절전에는 OR 0.323으로유의한차이 가없었으나, 골절후 6 개월,12개월에서는활동성이 나쁜 Grade Ⅲ, Ⅳ가각각 53 명(52.48%), 44 명(50%) 이고 OR 2.948, 2.988으로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 를나타내었다 (Table 2). Table 1. Age group distribution in Jeju-do of hip fracture patients (unit: person, per 10,000) Population Fracture Male Female Male Female Total(N=141) 50~59 51,974 51,838 13(2.5) 7(1.3) 20(1.9) 60~69 3,9089 47,366 25(6.3) 31(6.5) 56(6.4) 70~79 13,819 29,567 15(70.8) 83(28.0) 98(22.5) 80~89 3,420 14,217 14(40.9) 104(73.1) 118(66.9) 90~ 329 2,711 2(60.7) 24(88.5) 26(85.5) total 108,631 145,699 69(6.3) 249(17.0) 318(12.5) Table 2. Activities grades and mortality of hip fracture patients Pre fracture (N=234) Post fracture Activities grades Death rate OR 95% CI Grade Ⅰ, Ⅱ 87(38.66) 1 Grade Ⅲ, Ⅳ 1(11.11) 0.323 0.045-2.324 3mo Grade Ⅰ, Ⅱ 17(10.89) 1 (N=230) Grade Ⅲ, Ⅳ 67(90.54) 1.584 0.912-2.749 6mo Grade Ⅰ, Ⅱ 22(18.33) 1 (N=221) Grade Ⅲ, Ⅳ 53(52.48) 2.948 1.762-4.914 12mo Grade Ⅰ, Ⅱ 21(17.07) 1 (N=211) Grade Ⅲ, Ⅳ 44(50.0) 2.988 1.757-5.081 OR: odds rate(age and sex adjusted), 95% CI: confidence interval for difference Grade Ⅰ, Ⅱ: good activity, Grade Ⅲ, Ⅳ: poor activity (unit: person, %) -127 -
대한물리의학회지제4권제2호 3. 보행보조기사용유무가사망률에미치는영향 보행보조기를사용하지않는사람과어떤종류 의보조도구라도사용한경우로나누어실외보행 보조기의사용유무가사망률에미치는영향을분 석한결과골절전과골절후 6 개월, 12개월에서 실외보행보조도구를사용한경우가사망률이통 계적으로유의하게높았다 (Table 3). 그룹은 84.98(20.08) 점, 사망자그룹은 87.12(13.83) 점으로두그룹간에통계적유의한차이는없었으 나(p>.05), 골절후 3개월에는생존자그룹은 46.77 (25.88) 점, 사망자그룹은 26.85(18.99) 점, 골절후6 개월에는생존자그룹은 59.11(32.12) 점, 사망자그 룹은 29.72(23.40) 점(p>.05), 골절후 12개월에는생 존자그룹은 67.05(35.43) 점, 사망자그룹은 31.63 (30.72) 점으로두그룹간에통계적유의한차이를 보였다 (p<.05)(table 4). 4. 일상생활동작의정도가고관절주위골절환 자사망에미치는영향 5. 고관절골절환자의누적생존율 수정된바델지수(MBI) 점수를종합한결과생존자와사망자그룹의골절전평가점수는생존자 2003 년, 2004년발생한고관절주위골절환자를 대상으로 2003년 1월 1일부터 2007년 12월 31일까 Table 3. Use of outdoor walking aid and mortality of hip fracture patients. (unit: person, %) Pre fracture (N=233) Post fracture Outdoor walking aid Death rate OR 95% CI None(n=122) 30(24.59) 1 Use(n=111) 58(52.25) 0.323 0.045-2.324 3mo None(n=20) 17(10.89) 1 (N=229) Use(n=209) 67(90.54) 1.584 0.912-2.749 6mo None(n=35) 22(18.33) 1 (N=220) Use(n=185) 53(52.48) 2.948 1.762-4.914 12mo None(n=53) 21(17.07) 1 (N=210) Use(n=157) 44(50.0) 2.988 1.757-5.081 OR: odds rate(age and sex adjusted), 95% CI: confidence interval for difference Table 4. Evaluation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of hip fracture patients(for total Modified Barthel Index, MBI) (unit: MBI score, SD) Pre fracture (N=232) Post fracture MBI score Alive(n=146) 84.98(20.08) death(n=86) 87.12(13.83) 3mo Alive(n=146) 46.77(25.88) (N=230) death(n=84) 26.85(18.99) 6mo Alive(n=146) 59.11(32.12) (N=221) death(n=75) 29.72(23.40) 12mo Alive(n=146) 67.05(35.43) (N=211) death(n=65) 31.63(30.72) OR: odds rate(age and sex adjusted), 95% CI: confidence interval for difference MBI: modified Bartherl index Total MBI MD t 95% CI p -0.957-6.54~2.26 0.340 6.163 13.55~26.29 0.000 7.021 21.14~37.64 0.000 6.975 25.41~45.44 0.000-128 -
Table 5. Cumulative survival rate at end of interval in Jeju-do of hip fracture patients. Follow up 3mo 1yr 2yr 3yr 4yr Total 0.89 0.82 0.73 0.62 0.55 Sex Male 0.92 0.83 0.77 0.61 0.61 Female 0.88 0.82 0.72 0.64 0.53 50~59 0.92 0.85 0.77 0.69 0.69 60~69 0.93 0.93 0.90 0.83 0.83 Age group 70~79 0.89 0.83 0.74 0.68 0.62 80~89 0.86 0.76 0.67 0.56 0.44 90~ 0.90 0.85 0.55 0.25 0.19 지 3~4년까지 3~4년간의고관절골절환자의누적 생존율은골절후 3개월에서 0.89, 골절 1년후 0.82, 골절 2 년후, 0.73, 골절 3년후 0.62, 골절 4 년후, 0.55 로나타났으며, 나이가많을수록생존율 이낮은결과를보였다 (Table 5). Ⅳ. 고 찰 50 세이상인구의고관절주위골절로인한여러 가지문제들에대한다양한연구들이보고되어왔 다. 역사적으로가장높은고관절주위골절발병률 을나타내고있는노르웨이오슬로에서는 1996/1997 년에여자 118.0/10,000 명, 남자 44.0/10,000명이발 생하였고여자가 78% 로조사되었다(Lofthus 등, 2001). 우리나라에서는 1993년Rowe 등에의해호 남지역및광주지역에서고관절주위골절의발병 률에관한연구에서발병률이 3.4/10.000명이었던 것이2005년13.3/10,000 으로(Rowe 등, 1993, Rowe 등, 2005), 2004년하용찬등에의한제주도지역 연구에서는 12.8/10,000명으로보고하여급격히증 가하는추세를보이고있다. 본연구에서는여자 17.0/10,000 명, 남자 6.3/10,000 명, 전체 12.5/10,000 명으로하등의연구와비슷한발병률을보였으며, 노르웨이에서보고된Lofthus 등(2001) 의연구와비 슷한성별비를나타내었다. 본연구에서수정된바델지수(MBI) 를이용한 일상생활동작에대한평가에서는고관절골절전 두그룹의점수는유의한차이를보이지않았으나, 골절후 3 개월, 6 개월, 12개월에서는통계적으로유 의한차이가발견되었다. 이는사망자의경우일상 생활동작이현저하게저하되어있다는것을나타내 고, 이것은고관절주위골절후일상생활동작을영 위하기어려운사람일수록조기에사망할확률이 높다는것을암시한다. 2001년Willing 등은핀란드 에서고관절주위골절환자 200명을 7년간추적 관찰한연구에서, 대조군에비해사망률이 3개월에 서 6%, 5년에서 6.5%, 6년에서 9% 점차높아지며, 일상생활동작이의미있게나빠져, 사회적접촉과 외출이거의없는등삶의질과연관되는건강에 중대한영향을미친다고보고하였다. 또다른연구 에서는 275명의고관절주위골절환자를대상으로 기능수행능력과사망률에대한연구결과, 183명 (66.9%) 이 1 년후까지생존했으며, 기능수행능력 이가장낮은집단이가장높은사망률을기록했다 고보고하였다(Rosell 과Parker, 2003). 제주도지역 50세이상인구의보통사망률과고 관절주위골절을입은그룹간의사망률의비교해 보면 2003년에서 2007년까지제주도의 50세이상 총연인구 675,889명중에사망자는남자가 5,756명 (1.9%), 여자가 6,128 명(1.6%) 으로총 11,884 명(1.7 %) 이였고( 통계청, 전국주민등록인구, 2003, 2004, 2005, 2006, 2007), 본연구에서고관절주위골절을얻은 그룹 254명중에사망자는여자가 88 명(34.6%), 남 자가 20 명(7.9%) 으로총 108 명(42.5%) 으로현저하 게높은사망률을보였다. 1996년 Levi는덴마크에 서보통정상적인인구사망률이 2.6% 인데비해고 관절골절후 437명중 59 명(13.5%) 이3개월내에 사망하였고, 사망평균연령이 85 세(62~98 세) 라고보 -129 -
대한물리의학회지제4권제2호 고하였다. 1998년Kitamura 등은4개월에 6%, 1년 에 11%, 2년에 19% 의사망률을보고하였다. 2002 년 Kirke 등은아일랜드에서 50세이상여성노인 106 명의고관절골절환자와같은지역여성노인 의대조군과 2년후에사망률을조사하였는데고관 절골절환자그룹에서 23.6%, 대조군에서 10.1% 의 사망률을보였다. Ⅴ. 결 본연구에서제주도지역 론 50세이상의고관절주 위골절환자를대상으로활동성장애와일상생활동 작(ADL) 이사망률에영향을미친다는사실을확인 하였다. 골절후일상생활동작 (ADL) 의현저한저하 로인하여사망률이높게나타난다는것을알았다. 고관절주위골절후활동성을증진시킬수있는 다양한활동프로그램을개발하고적용시킴으로써 일상생활동작을향상시키고나아가가족과사회의 간병에대한인적, 금전적부담을줄이고궁극적으 로는사망률을줄이는데기여할것으로사료된다. 참고문헌 민경옥, 김순희, 박래준. 질환별물리치료 ( Ⅰ). 대학서 림. 2001. 이상락, 김삼림, 정광훈등. 고관절주위골절로인한 사망률및활동성. 대한정형외과학회지. 2005;40 (4):423-427. 최준철, 나화엽, 이영상. 80세이상의고관절주위골 절의치료후사망률. 대한고관절학회지. 2006; 18(3):116-120. 통계청. 사망원인통계. 2003, 2004. 통계청. 전국주민등록인구. 2003, 2004, 2005, 2006, 2007. 하용찬, 김상림, 구경회등. 제주도지역고관절주 위골절에대한역학연구. 대한정형외과학회지. 2004; 39(2):131-136. Halpin PJ, Nelson CL, A system of classification of femoral neck fractures with special refereance to choice of treatment. Clin Orthop Relat Res. 1980;152:44-8. Kirke PN, Sutton M, Burke H. Outcome of hip fracture in older Irish women: a 2-year follow-up of subjects in a case-control study. Injury. 2002; 33(5):387-391. Kitamura S, Hasegawa Y, Suzuki S et al. Functional outcome after hip fracture in Japan. Clin Orthop Relat Res. 1998;348:29-36. Levi N. Early mortality after cervical hip fractures. Br J Cancer. 1996;74(8):1321-1323. Li F, Fisher KJ, Harmer P et al. Fear of falling in elderly persons: association with falls, functional ability, and quality of life. J Gerontol B Psychol Sci Soc Sci. 2003;58(5):P283-90. Lofthus CM, Osnes EK, Falch JA et al. Epidemiology of hip fractures in Oslo, Norway. Bone. 2001; 29(5):413-418. Means KM, Rodell DE, O'Sullivan PS. Balance, mobility, and falls among community-dwelling elderly persons: effects of a rehabilitation exercise program. Am J Phys Med Rehabil. 2005;84(4): 238-250. Nakamura E, Moritani T, Kanetaka A. Further evaluation of physical fitness age versus physiological age in women. Eur J Appl Physiol Occup Physiol. 1998;78(3):195-200. Resnick B, Junlapeeya P. Falls in a community of older adults: findings and implications for practice. Appl Nurs Res. 2004;17(2):81-91. Rosell PA, Parker MJ. Functional outcome after hip fracture. A 1-year prospective outcome study of 275 patients. Injury. 2003;34(7):529-532. Rowe SM, Toon TR, Ryang DH. An epidemiological study of hip fracture in Honam, Korea. Int Othop. 1993;17:139-143. Rowe SM, Yoon TR, Lee JY et al. Hip Fracture in the Elderly Aged 80 Years and More Shah S, Vanclay F, Cooper B. Improving the sensitivity of the Barthel Index for stroke rehabilitation. J Clin Epidemiol. 1989;42(8):703- -130 -
709. Willig R, Keinänen-Kiukaaniemi S, Jalovaara P. Mortality and quality of life after trochanteric hip fracture. Public Health. 2001;115(5):323-327. -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