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24 권 6호 통권 528호 네트워크와 단말기 쟁점으로 본 스마트 TV 시장의 미래 1) 박 민 성* 본고는 네트워크와 단말기의 기술적 쟁점을 통해 스마트 TV 시장의 미래에 대해 예측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스마트 TV 사업자의 최근 동향을 분석하고, 클라우드, UI/UX, 트래픽 증 가를 단말기와 네트워크에서 중요 기술적 쟁점으로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스마트 TV의 개념에 인터넷에 연결할 수 있고, 동영상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셋 톱박스형 단말기에 대해서 이를 분리형 스마트 TV 로 정의할 필요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또한 향 후 규제 및 네트워크 대가산정 원칙 지정을 위해서 현재 단말기와 플랫폼의 기능이 혼재되어 있는 스마트 TV의 성격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클라우드와 UI/UX 기술의 성장 으로 인해 콘텐츠뿐만 아니라 스마트 TV의 기능과 편리성이 중요한 경쟁력이 될 수 있으며, 스마 트 TV의 성장을 위해서는 트래픽 증가 문제가 해결되어야 함을 명시하였다. 목 차 Ⅰ. 서 론 / 2 1. 스마트 TV의 등장과 영향 / 2 2. 스마트 TV의 정의 / 5 3. 본고의 구성 / 9 Ⅱ. 스마트 TV 사업자의 최근 동향 / 11 Ⅲ. 네트워크와 단말기 쟁점으로 본 스마트 TV 시장의 쟁점 / 16 1. 클라우드 / 16 2. UI/UX / 18 3. 트래픽 증가 / 21 Ⅳ. 결 론 / 25 * 정보통신정책연구원 방송미디어연구실 연구원, (02)570-4353, mspark@kisdi.re.kr 1
Ⅰ. 서 론 1. 스마트 TV의 등장과 영향 스마트 TV 1) 란 일반적으로 TV 수상기에 웹구동 운영체제(OS)를 탑재하여, TV와 인터넷 기능을 동시에 제공하는 다기능 지능형 차세대 멀티미디어 단말기 2) 를 의미한 다.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모바일 생태계의 급격한 변화를 이미 경험한 소비자들은 미 디어 시장을 크게 변화시킬 차세대 미디어로서 스마트 TV에 대해 관심을 보이고 있 다. 그리고 스마트 TV의 성장 가능성에 주목한 가전 사업자들 역시 스마트 TV를 활 발히 출시하고 있다. <표 1> 인터넷 접속 가능 스마트 TV 보급 및 이용 예측 (누적치, 단위: 백만 대)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스마트 TV 보급 대수 94.57 168.14 241.6 324.26 396.55 437.68 인터넷 콘텐츠 이용 스마트 TV 대수 16.03 32.19 55.48 84.01 103.77 114.09 비율 16.95% 19.14% 22.96% 25.91% 26.17% 26.07% 자료: The Diffusion Group(2011) 이에 따라, 스마트 TV의 전망에 대한 다양한 예측들이 나타나고 있다. 시장조사 업 체들은 스마트 TV 단말기의 보급에 대해서는 비교적 낙관적인 시각을 보이고 있다. 1) 국내에서 스마트 TV라는 용어가 어디서부터 사용되기 시작했는지 명확하지는 않다. 다만, 스마트 산업 생태계를 뒤늦게 도입한 공공부문에서는 방송과 미디어 부분까지 확대하기 위해 붙였고, 이 러한 흐름에 편성하여 국내 단말기 사업자들이 과거부터 추진해 오던 융합시도를 전략적으로 스 마트 TV 라는 브랜드명으로 사용했다는 설명이 있다(강홍렬, 2011). 실제 삼성전자는 2007년부터 출시한 인터넷 연결 기능이 추가된 TV 단말기를 매년 선보였으나, 2011년부터 이를 스마트 TV로 부르기 시작했으며, 그 결과 현재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TV라는 단말기(혹은 서비스) 개념으로서 스마트 TV와 가전 사업자의 브랜드로서의 스마트 TV가 혼재되어 있다. 2) 이재영 외(2011) 2
네트워크와 단말기 쟁점으로 본 스마트 TV 시장의 미래 The Diffusion Group(2011)은 2016년까지 스마트 TV(nDTV)는 약 4.37억 대 보급 되며, 그중 실제 26%인 약 1.1억 대를 통해 시청자들은 인터넷 접속하여 콘텐츠를 시청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그림 1] 스마트 TV 보급 예측 (단위: 백만 대) 자료: The Diffusion Group(2011) 또한 Display Search(2011)에 의하면, 2015년에는 약 1억 3천 800만 대의 스마트 TV (connected TV)가 출하되어 전체 평면 TV 출하량의 47%를 점유할 것으로 예측 된다. 그 결과 2015년까지 약 5억 대의 스마트 TV가 보급될 것으로 전망하였다. 이러한 낙관적인 예측은 2012년은 세계 TV 시장이 급격하게 스마트 TV로 쏠릴 것 이라는 긍정론 3) 으로 이어진다. 그 결과 TV, 웹, 앱이 모두 결합하는 형태의 서비스가 등장하여 4) 기존 콘텐츠 유통 방식의 장벽을 제거하고, 고정 TV 시간의 시청시간을 잠식하여 스마트 TV가 N-Screen과 Home-Hub의 핵심요소로서 미래 스마트 IT 혁 신의 중심 역할을 차지할 것으로 예측이 가능하다. 5) 3) 박병근(2012) 4) 강홍렬(2011a) 5) 송민정(2011. 10. 20) 3
[그림 2] 전 세계 연도별 스마트 TV 출하량 예측 (단위: 천 대) 자료: Display Search(2011) 하지만 스마트 TV의 확산에 대해 긍정적인 시각만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황병선 (2012)은 인터넷 콘텐츠(Youtue 및 웹페이지)를 굳이 TV로 볼 필요는 없다는 점과 새로운 UI/UX라 불리는 음성인식 및 동작인식이 차별화된 편리함과 재미를 줄 수 없 다는 점을 들어 새로운 차원의 스마트한 콘텐츠 추천이나 멀티스크린 기반의 독특한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한다면, 스마트 TV는 또 다른 플랫폼으로 자리 잡지 못하고 그 저 쉽게 연결되는 모니터로 전락할 가능성이 있다 고 지적하였다. 6) 또한 스마트폰보 다 긴 TV 교체주기, lean back 방식의 TV 시청습관, 양질의 콘텐츠 부족, QoS 보장 의 불확실성 등으로 인해 기존 TV 단말기의 보완재 정도에 머무를 것이라는 예측도 있다. 7) 그리고 스마트 TV는 단지 콘텐츠를 전송해 주는 화질이 좋은 렌더링 디바이스 가 될 가능성이 높으며, 따라서 스마트 TV가 아닌 바보(dumb) TV 라 불러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8) 스마트 TV의 전망을 회의적으로 보는 이러한 입장들에 따르면, 6) 황병선(2012) 7) 정두남(2011) 8) Forget Smart TV, Is Dumb TV The Next Big Thing? 4
네트워크와 단말기 쟁점으로 본 스마트 TV 시장의 미래 스마트 TV의 보급이 시장에서 큰 인기를 얻지 못한다면 스마트 TV가 가져올 것으로 예측되는 콘텐츠 유통 방식, TV 이용 방식이 크게 변화하지 못할 것이며, 스마트폰이 나 태블릿 PC만큼의 영향력을 주지 못하고, 기존의 TV 시장에 제한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다. 2. 스마트 TV의 정의 스마트 TV의 미래에 대해 본격적으로 논의하기 전에 본고에서 말하는 스마트 TV 란 무엇인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스마트 TV란 기존 TV의 기능 외에 인터넷 기반 운영체제(OS)가 탑재되어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을 설치할 수 있으며, 인터넷과 연결되어 다양한 정보와 콘텐츠를 주고받을 수 있는 TV 단말기를 의미한다. 이러한 점에서 스마트 TV의 개념을 사전적으로 정의하는 것보다는 이것이 가지고 있는 공통적인 특성을 밝혀 이에 속하는 단말기(혹은 서비스)를 범위를 정하 는 것이 보다 의미 있는 과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9) 따라서 본고에서는 스 마트 TV의 사전적 정의를 도출하기보다는 이것이 가지고 있는 핵심적인 기능을 살펴 보며 스마트 TV의 주요 특징을 정리하여, 스마트 TV에 속하는 단말기를 규정하고자 한다. 첫 번째, 스마트 TV는 일반 TV와는 달리 범용 인터넷망에 연결할 수 있어야 한다. 인터넷망 연결은 스마트 TV를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하게 하는 기본적인 조건이 며, 이때 연결되는 인터넷망은 유 무선에 관계없다. 인터넷망에 연결되어 영상 콘텐 츠 서비스를 할 수 있다는 것은 TV로 불릴 수 있는 단말기가 확대됨을 의미한다. 기 존 지상파, 케이블과 같이 방송전용망을 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는 TV 수상기라는 한 종류에 한정되어 있었던 것에 비해, 범용 인터넷망에 접속하여 영상 콘텐츠를 제공하 는 단말기는 매우 다양하기 때문이다. http://paidcontent.org/article/419-forget-smart-tv-is-dumb-tv-the-next-big-thing/ 9) 강홍렬, 2011a; ZDnet, 2012. 1. 16 5
두 번째, 스마트 TV의 가장 핵심적인 특징으로 플랫폼의 기능을 가지고 있어야 한 다. 플랫폼의 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가장 중요한 것이 OS의 존재이다. 스마트 TV에 서 OS는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대로 서비스를 구성하도록 하여 TV 시청뿐만 아니 라, 다양한 정보의 탐색 및 공유 등을 가능하게 하는 전제 조건이다. 10) 이와 같은 범용 혹은 스마트 TV 전용 OS를 기반으로 이용자들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영상 콘텐츠를 시간의 제약에서 벗어나 이용할 수 있다. 11) 7 세 번째, 수상기의 유무와 관련이 있다. 즉, TV 수상기가 있는 것만을 스마트 TV의 정의에 포함하는 것이 타당한 것인지, 아니면 셋톱박스, DVD-Player, 게임 콘솔 등 다양한 기기로 그 가능성을 확대하는 것이 타당한 것인지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 다. 12) 셋톱박스 형태의 단말기는 비록 수상기는 없지만 플랫폼의 기능을 가지고 있고, 인터넷망에 연결되어 이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어 앞에서 정리한 스마 트 TV의 특징을 거의 대부분 갖추고 있다. 스마트 TV에 대해 연구한 기존의 문헌에 서도 게임 콘솔과 블루레이 등을 스마트 TV 개념에 포함시킬지에 대해 다양한 의견 을 도출했다. 이에 따라 수상기와 네트워크 연결 셋톱박스가 결합된 것만을 스마트 TV로 정의하는 입장, 13) 스마트 TV를 셋톱박스 일치형과 셋톱박스 분리형으로 구분하 여 이들 셋톱박스 형태를 스마트 TV에 포함시키는 입장 14) 이 공존하고 있다. <표 2> 블루레이 단말기 인터넷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현황 Samsung Smart Hub Panasonic Viera Cast Sony Bravia Internet Video Video Netflix Yes Yes Yes 10) 한영수(2010. 6. 30) 11) 강홍렬(2011a) 12) 정두남(2011) 13) 박병근(2012) 14) 정두남(2011), 이종근(2012), 류한석(2011. 4. 20) 6
네트워크와 단말기 쟁점으로 본 스마트 TV 시장의 미래 Samsung Smart Hub Panasonic Viera Cast Sony Bravia Internet Video Amazon Instant No Yes Yes Hulu Plus Yes No Yes Vudu Yes Yes Yes CinemaNow Yes Yes Coming Blockbuster Yes No No Qriosity No No Yes Crackle No No Yes YouTube Yes Yes Yes MLB.TV Yes No No Music Pandora Yes Yes Yes Slacker No No Yes Napster No No No MOG No No No vtuner No No No Qriosity No No Yes NPR No No Yes Berliner Philharmoniker No No Yes Photo/social/other Picasa Yes Yes No Flickr No No No Skype No Yes No Twitter Yes Yes No Facebook Yes No Yes 자료: Cnet(2011. 6. 1) 7
<표 3> Xbox Live 서비스 등급별 이용 가능 서비스(미국의 경우) 기능 골드회원 무료회원 다른 사람과 온라인 게임 Netflix 이용 가능*(Netflix 별도 가입) HULU Plus 이용 가능*(Hulu Plus 별도 가입) ESPN 이용 가능 페이스북 및 트위터 Zune 이용 가능 음악* TV, 영화 XBox Live를 통한 채팅 아바타 만들기 kinect 추가 Zune 마켓플레이스 컨트롤 Video kinect 주: * 각 서비스 개별 조건 충족 시(Netflix는 무제한 스트리밍 서비스 가입, Hulu Plus 가입, ESPN 은 ESPN3.com과 제휴한 브로드밴드 이용, Zune Music은 Zune Pass 가입 시) 이용 가능 자료: XBox 홈페이지 본고에서는 수상기와 연결되어 스마트 TV의 기능을 하는 이러한 셋톱박스 형태의 단말기를 스마트 TV에 포함시키기로 한다. 여기에는 두 가지 이유가 있다. 첫째, 스 마트 TV의 개념을 단말기 중심이 아닌 이들이 제공하는 플랫폼의 기능을 중시한다. <표 2>와 <표 3>에 의하면 이 서비스들은 TV 수상기와 연결되어 인터넷 망을 통해 영상콘텐츠를 포함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스마트 TV의 플랫폼과 유사 한 기능을 한다. 둘째, 셋톱박스가 내장된 스마트 TV와 플랫폼 기능이 있는 셋톱박스 가 향후 같은 소비자와 시청자를 두고 경쟁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국내에서는 일 체형 스마트 TV의 비싼 가격 때문에 소비자들이 스마트 TV 구매를 꺼리고 있으며, 이를 이용해 케이블, 통신 및 포탈 사업자가 셋톱박스 시장에 뛰어들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15) 이는 플랫폼 기능이 있는 셋톱박스와 스마트 TV가 향후 대체재 역할을 할 수 15) 머니투데이 (2012. 3. 21) 8
네트워크와 단말기 쟁점으로 본 스마트 TV 시장의 미래 있음을 암시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들로 본고에서는 이들 셋톱박스를 스마트 TV에 포함시켜 분리형 스마트 TV 로 부르는 것으로, 일체형 스마트 TV 와 구분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3. 본고의 구성 최근 스마트 TV의 판매가 증가하고, 이로 인한 기존 TV 시장에서의 영향력에 대해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향후 스마트 TV의 주요 쟁점들을 검토하고, 스마 트 TV 시장의 미래를 예측해 보는 작업이 필요하다. 방송환경 변화 시나리오 분석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기술변화, 소비자 행동, 콘텐 츠 서비스, 시장구조, 정책 및 규제 등이 있다. 16) 이에 따라 스마트 TV의 향후 전망에 대한 다양한 접근법이 가능하다. 본고에서는 이에 대한 해답을 찾는 출발점으로 네트 워크와 단말기의 기술적인 특성을 주목하였다. 스마트 TV 시장의 미래를 네트워크와 단말기의 기술적인 측면에서 접근하기로 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 TV가 인터넷과 연결되고 범용 OS의 삽입과 같이 이미 이룬 기술적 혁신을 이루었을 뿐만 아니라, 향후 음성인식 및 동작인식,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한 홈네트워크의 구축과 같은 새로운 기술들을 결합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즉, 스마 트 TV 단말기에 적용되는 기술 혁신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둘째, 네트워크와 단말기에 연결된 스마트 TV 기술 관련 쟁점을 분석함으로써, 연 관된 다른 쟁점에까지 통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스마트 TV와 관련된 쟁 점들은 하나의 층위에서만 중요한 것이 아니라, 다른 층위의 쟁점들과 서로 중층적으 로 연결되어 있다. 예를 들어 방송 미디어 시장에서 클라우드 기술이 도입됨에 따라, 사업자들은 다양한 단말기를 통해 서비스하는 N-Screen 서비스의 구현이 가능해졌 으며, 이로 인해 기존의 유료방송 대체 가능성이 부각되면서 가입해지 현상이 일어날 수 있음을 우려하게 되었다. 이러한 점에서 기존 유료방송 사업자에 대한 규제와 스마 16) DCMS(2007) 9
트 TV 사업자에 대한 규제 형평성에 대한 이슈가 제기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스 마트 TV 이슈의 중층성을 고려한다면, 이를 통합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에 대한 실마리를 기술적 관점에서 보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스마트 TV 이슈에서 기술적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네트워크와 단말기를 중 심으로 분석한 접근법을 사용한 연구가 많지 않기 때문이다. 스마트 TV에 관한 주요 쟁점을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미래 예측 연구들은 주로 콘텐츠, 시장구조, 정책 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예를 들어 황준호(2010)는 스마트 TV 성패의 결정요인으로 양질의 콘텐츠와 편리한 UI, 생태계 구축, 규제장벽의 극복을 들었으며, 스마트 TV에 관한 정책 이슈로 스마트 TV 사업자의 위상, 시장지배적 사업자에 대한 판단, 콘텐츠 에 대한 내용규제 등을 제시했다. 17) 그 결과 스마트 TV 출현으로 인해, CPNT의 전통 적 가치사슬이 Contents-Platform-User의 구분으로 바뀔 것으로 예측하여, 스마트 TV 시대에 네트워크와 단말기의 중요성이 낮아질 것으로 보았다. 또한 조영신(2011) 은 C-P-T의 주체에 따라 OTT 서비스 유형을 구분함으로써, 이 역시 네트워크 사업 자에 대해 고려하지 않았다. 그리고 정두남(2011)은 스마트 TV의 산업적 측면에 초 점을 맞추어, 단말기로서 스마트 TV와 미디어 서비스로서 스마트 TV를 구분하여 전 자의 성장성은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후자의 성장성은 불분명하다고 주장하였다. 이 처럼 기존의 연구들이 네트워크와 단말기의 기술적 특성을 중시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검토를 바탕으로 스마트 TV의 미래를 예측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러한 근거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기술적인 층위에서 네트워크와 단말기를 중 심으로 스마트 TV의 미래 전망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다. 이를 위해 스마트 TV 단 말기 사업자의 최근 동향을 검토하고, 여기에서 나타난 특징을 중심으로 중요 기술적 이슈를 도출하고자 한다. 17) 황준호(2010) 10
네트워크와 단말기 쟁점으로 본 스마트 TV 시장의 미래 Ⅱ. 스마트 TV 사업자의 최근 동향 본고에서는 일체형 스마트 TV의 대표적인 사업자인 삼성, 그리고 기존 모바일 생 태계의 강자 구글과 애플, PC 중심의 MS의 스마트 TV 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스마 트 TV 시장에서 도출될 수 있는 중요 기술적 쟁점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삼성전자는 2007년부터 infolink라는 이름으로 출시한 인터넷 연결 기능이 추가된 TV 단말기를 매년 선보였다. 그리고 2011년부터 이를 스마트 TV로 부르기 시작했는 데, 이로 인해 브랜드명으로서 스마트 TV와 단말기 이름으로서 스마트 TV가 혼동될 정도로 대표적인 사업자로 간주되고 있다. [그림 3] 삼성 스마트 TV의 역사 자료: 삼성전자(2011) 2011년 삼성은 기존 개별 서비스의 접속화면을 smart Hub 플랫폼으로 통합시켰 다. 앞으로 삼성의 스마트 TV는 플랫폼 기능의 강화와 화질 개선이라는 두 가지 측면 에 모두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먼저, 화질은 TV 단말기 제조업체로서의 삼성의 강점 이 잘 나타나는 부분이며, 2012년 하반기에 55인치 OLED HDTV를 선보일 예정이 11
다. 18) 그와 동시에 삼성은 스마트 TV의 플랫폼 기능 강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CES 2012에서는 스마트 허브의 기능 개선, HD TV용 앱스토어 삼성앱스TV의 콘텐츠 강 화 등이 이루어졌다(전자신문, 2012. 1. 12). 삼성의 스마트 TV 전략에서 눈에 띄는 것은 현재 스마트폰, 그것도 일부 제품에만 사용하고 있는 바다 OS를 향후 스마트 TV에 적용하겠다는 입장이다. 19) 또한 2012년 삼성 스마트 TV의 가장 두드러지는 특 징은 Smart Interaction이라는 음성 및 동작인식 기술로, 이는 본고의 뒷부분에 UI/UX를 설명하면서 서술하도록 하겠다. 구글은 TV 2.0을 통해 스마트 TV 시장에 참여하고 있다. 2010년 5월, TV는 웹을 만나고, 웹은 TV를 만난다 (TV meets web, Web meets TV)는 슬로건으로 구글 TV 발표하였다. 그리고 2010년 10월, 소니가 일체형 TV와 블루레이 디스크가 설치된 셋 톱박스의 두 가지 형태, 로지텍이 기존 TV에 연결해 사용할 수 있는 구글 TV 셋톱박 스 레뷰(Revue) 를 선보였다. 20) 그러나 구글 TV는 기대를 밑도는 실적을 보였으며, 소니는 기대를 밑도는 부진한 판매 실적으로 인해 2010년 말 구글 TV 플랫폼 탑재 TV 및 블루레이 플레이어의 가격을 최대 200달러까지 인하하였다. 또한 로지텍이 출 시한 구글 TV 셋톱박스 레뷰 는 지난 분기 동안 당초 기대했던 수치 1,800만 달러보 다 72% 가량 적은 500만 달러의 매출을 기록하였다. 21) 구글은 구글 TV의 지지부진한 성장에 대해 다음과 같은 대책을 내놓는다. 첫째는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이다. 2011년 10월 구글은 인터페이스의 단순화, 콘텐츠 검색 기능 강화, 구글 TV 전용 YouTube 서비스 개시, 구글 TV 전용 애플리케이션 도입의 4가지를 핵심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로 제시하였다. 22) 둘째는 제휴 사업자의 확대이 다. 2012년 CES에서 구글은 새로운 구글 TV 제휴 사업자를 소개하였는데, 단말기 사업자로는 LG, 삼성과 칩셋 제작사로 Marvell, MediaTek과 제휴하기로 했음을 발 18) ZDnet (2012. 1. 10) 19) 아이뉴스24 (2012. 3. 8) 20) 이재영 외(2011) 21) 스트라베이스(2011. 5. 11) 22) Google TV Blog(2011. 10. 28) 12
네트워크와 단말기 쟁점으로 본 스마트 TV 시장의 미래 표하였다. 또한 소니와 비지오는 새로운 모델의 구글 TV를 선보였다. 23) 그 결과로 CES 2012에서 구글은 LG와 제휴하여 독자 개발한 Magic Motion 리모컨에 QWERTY 자 판을 결합한 구글 TV용 전/후면 듀얼 리모컨 Magic Remote Qwerty 를 공개하였다. 24) [그림 4] 구글 TV 2.0 화면 자료: 이재영(2011) 애플은 이미 2007년과 2009년에 셋톱박스 애플 TV를 출시하였다. 애플 TV의 출 시는 itunes를 중심으로 한 기존의 콘텐츠 분야를 영상 콘텐츠로 확대시킨 것을 의미 23) SNL(2012. 1. 6) 24) 스트라베이스(2012. 1. 26) 13
한다. 25) 하지만 이는 비싼 단말기 가격(299달러)과 불편한 이용방법 등의 이유로 큰 호응을 받지 못했다. 26) 애플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보완하여 2010년 9월에 애플 TV를 출시하였다. 이 애플 TV의 가장 큰 특징으로 서비스 콘텐츠의 확대를 들 수 있다. 애 플 TV는 미국 지상파방송사 ABC와 FOX의 콘텐츠를 초방 24시간 후 편당 99센트에 제공하고 있으며, VOD는 편당 신작 4.99달러(구작 3.99달러)에 제공하고 있다. 27) 또 한 애플 TV는 YouTube, Netflix, MLB tv, NBA.com과도 제휴하고 있다. 스마트 TV 시장에서 애플이 주목받는 이유는 2012년 itv를 선보일 것이 기정사실 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28) 최근의 음성인식 UI Siri의 발표와 애플 단말기에서 연동되는 icloud 등이 itv를 위한 기술적 조건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29) 올해 2월부터 itv가 일본의 Sharp 공장에서 생산되고 있다는 주장도 있다. 30) [그림 5] itv 주요 기능 예측 자료: Cnet(2012) 25) 이종원 외(2011) 26) 정두남(2010) 27) 황준호(2011) 28) 이종근(2012) 29) 이성춘(2012) 30) TV지디넷코리아 (2011. 11. 24) 14
네트워크와 단말기 쟁점으로 본 스마트 TV 시장의 미래 분리형 스마트 TV의 대표적인 단말기로 MS의 XBox를 들 수 있다. MS는 Xbox를 통해 2006년 11월부터 동영상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으며, XBox 360은 게임, 음악, 영화, TV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MS 엔터테인먼트 전략의 핵심 이 되 었다. XBox 360이 단순한 게임 콘솔을 넘어서 미디어 플랫폼으로 진화했다는 것은 수치로도 증명되는데, XBox 360의 기능 중 40%는 게임과 전혀 관련이 없는 것이며, XBox 360 이용자들은 평균 한 달에 30시간을 동영상 콘텐츠를 시청하는 데 이를 이 용하고 있다. 31) 이를 가능하게 하는 XBox 360의 플랫폼은 XBox Live다. MS는 2006년 11월 Zune Video Marketplace라는 이름으로 가장 먼저 동영상 콘텐츠 서비스를 시작하였 다. 이후 2009년에 이를 XBox Live에 통합해 동영상 콘텐츠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 였다. 32) 현재 XBox Live는 XBox 360을 통해서 온라인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서 비스로, 이용자들은 이를 통해 TV, 영화, 스포츠, SNS 서비스 등을 이용할 수 있다. XBox Live라는 플랫폼이 주목받는 이유는 이를 구동하는 단말기인 XBox 360이 충분히 보급되어 있다는 데 있다. 2010년 말까지 XBox와 Xbox 360은 약 4,200만 대가 팔렸고, 33) 플랫폼인 XBox Live는 2011년 9월 기준 전 세계적으로 3,500만 명의 가입자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34) 이는 미국 최대 유료방송 사업자인 Comcast의 2,250만 명의 가입자 수를 뛰어 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사실을 통해 MS가 이미 약 5,000만 명 정도의 스마트 TV 이용자를 확보하고 있으며, 이는 단말기 보급이라는 측면에서 전 세계 어느 유료방송사에도 뒤지지 않는 경쟁우위를 보유하고 시장에 진 입했음을 알 수 있다. 35) 따라서 분리형 스마트 TV의 한 종류로서 XBox 360의 보급확 대 및 플랫폼 경쟁력은 향후 셋톱박스 형태로 일체형 스마트 TV와 경쟁하려는 사업 자에게는 중요한 참고 사례가 될 수 있다. 31) Cnet(2011. 6. 1) 32) 스트라베이스(2009. 12. 28) 33) 스트라베이스(2010. 12. 9) 34) Bloomberg(2011. 9. 29) 35) 스트라베이스(2011. 10. 5) 15
Xbox 360이 중요한 특징은 동작인식 기술인 kinect인데, 이는 UI/UX를 다루는 부 분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Ⅲ. 네트워크와 단말기 쟁점으로 본 스마트 TV 시장의 쟁점 위에서 살펴본 것처럼 다양한 사업자들이 스마트 TV 시장에 참여하고 있으나, 스 마트 TV의 성패 여부는 그리 단순하게 결정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36) 이는 스마 트 미디어 시대 TV 시장을 둘러싼 경쟁이 다각화되고 있으며, 그만큼 예측할 수 있는 실마리가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기 때문이다. 본고는 스마트 TV 시장의 미래를 네트 워크와 단말기의 쟁점을 기술적 관점에서 검토하기로 하였다. 그리고 스마트 TV 사 업자의 최신 동향을 통해 단말기에서는 클라우드와 UI/UX 그리고 네트워크에서는 트래픽 증가 핵심 기술적 이슈로 도출하였다. 1. 클라우드 스마트 TV는 OS를 가지고 있고, 인터넷망에 연결되어 동영상 및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범용 네트워크인 인터넷은 그 안에서 전달되는 콘텐츠 및 서비스에 대한 특별한 제약이 없다. 또한 스마트 TV에는 범용 OS가 삽입되어 있는데 이는 범 용 OS를 가진다는 것은 어떤 특정한 기기가 할 수 있는 일에 제한이 사라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37) 따라서 스마트 TV에서 이용할 수 있는 콘텐츠를 다른 단말기를 통해서도 이용 가능하다. 이러한 점 때문에 스마트 TV가 N-스크린 서비스의 핵심 단말기로 부각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스마트 TV를 통한 N-스크린 서비스의 구현을 위해서 필요한 것이 바로 클라우드 38) 다. 36) 한영수(2010) 37) 서기만(2011. 11) 38) 일반적으로 클라우드에 대한 다양한 정의가 제시하고는 있으나, 아직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한 공신력 있는 정의가 명확하게 제시된 것은 아니며, 클라우드의 개념을 논하는 것은 본고의 범위 16
네트워크와 단말기 쟁점으로 본 스마트 TV 시장의 미래 클라우드 컴퓨팅의 모든 서비스는 하드웨어의 통합성 확보를 전제로 하고 있다. 수 많은 하드웨어들을 마치 하나의 통합된 하드웨어인 것처럼 작동시키는 신축적이고 유 연한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 가장 먼저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 바로 하드웨어의 통합이기 때문이다. 39) 즉, 클라우드를 통해 다양한 단말기에서 같은 정보 를 이용할 수 있는 동기화가 가능해 지는 것이다. 이를 영상 서비스에 접목하면, 클라 우드는 바로 N-스크린 전략으로서 소비자에 끊김 없는(seamless) 콘텐츠의 제공을 위한 기술적 기반이 된다. 이러한 점에서 N-스트린 서비스 구현을 핵심 기능으로 하 는 스마트 TV에서 클라우드 서비스는 더 이상 차별화된 기술이 아닌 기본적인 조건 에 해당되는 것이다. 40) 따라서 스마트 TV 사업자는 경쟁력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클라우드 서비 스 사업자와 전략적 제휴를 맺거나, 자신들의 클라우드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 단 말기 사업자인 삼성과 LG가 클라우드 서비스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이유 또한 이러 한 필요에 의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이를 바꾸어 생각해 보면, 이미 클라우 드를 가지고 있는 사업자가 스마트 TV 서비스 시장에서 유리한 위치를 가진다고도 볼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보면, 구글과 애플이 스마트 TV 시장에서 강력한 경쟁 력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실제 스마트 TV 사업자들은 TV 서비스를 위한 클라우드 구축에 노력하고 있다. 구글은 2011년 5월 구글 I/O에서 구글 TV와 모바일 OS를 바탕으로 단말기와 연계 해 홈 네트워킹 영역을 장악할 계획을 발표하였다. 즉, 태블릿 PC용 안드로이드와 클 라우드 기반 크롬 OS의 병행은 클라우드 기반 TV 중심 N스크린을 구상한 것이다. 그리고 애플 역시 icloud를 통해 애플 단말기의 모든 자료를 동기화할 수 있도록 하 를 벗어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강홍렬(2011b)이 지적한 것처럼 본고에서는 클라우드 서비스가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에 불과하다는 점에 주목하고자 한다. 즉, 클라우드 서비스의 제 공자는 가상적인 형태로 정보자원을 제공할 뿐이고, 이를 어떻게 업무나 비즈니스 서비스와 연결 할지는 서비스의 이용자가 결정하는 것이라고 전제하여 이 속성이 스마트 TV 단말기와 연결되 는 점을 찾아 정리하기로 한다. 39) 강홍렬(2011b) 40) 지디넷코리아 (2012. 3. 16) 17
고 있다. 즉, 애플은 TV를 가정 내에서 애플 단말기 연동의 허브로 작동시키려고 하 고 있는 것이다. 41) 삼성 역시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인 N서비스 를 2012년 4월부터 시작한다는 계획이며, 42) Time Warner Cable, DirecTV, Comcast and Verizon와 콘 텐츠 제휴가 이루어졌다고 알려져 있다. 43) 2. UI/UX 또한 단말기에서 중요한 기술적 쟁점은 스마트 TV에 적합한 UI/UX의 개발이다. 스마트 TV에서는 시청자가 선호하는 콘텐츠를 검색하고, 추천하는 콘텐츠 배치 방식 과 검색의 중요성이 증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미래의 스마트 TV는 단순성과 편이성이 극대화되는 방향으로 갈 것이라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44) 이를 위해 가장 중 요한 것이 편리한 UI의 도입이다. 스마트 TV가 등장하기 전의 TV는 방송전용 네트 워크를 타고 전송된 콘텐츠를 복잡하지 않은 인테페이스를 활용하여, 오로지 보여주 는 기능만을 하는 단말기였다. 따라서 스마트 TV가 등장하기 전까지의 TV는 얼마나 잘 보여줄 수 있는가, 즉 화질이 가장 중요한 경쟁력이었다. 그러나 스마트 TV에서는 단순히 잘 보여주는 것에 그치지 않고, 기기와 사람이 어떻게 소통하는지가 중요한 화두가 되었다. 45) 즉, 이용자의 의도를 가장 간편한 방식으로 정확히 반영할 수 있는 UI의 개발이 중요해진 것이다. 스마트 TV에서 인터페이스가 중요한 또 다른 이유는 스마트 TV가 제공하는 서비스와 콘텐츠의 양이 많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 중의 하나로 제일 먼저 시도된 것이 리모컨의 고도화다. 46) 그런데 이러한 시도로 만들어진 QWERTY 방식의 구글 TV 리모컨이나, 심플한 디자인의 애플 TV 리모컨 41) 송민정(2011) 42) 서울경제 (2012. 1. 12) 43) Engadget(2012. 1. 9) 44) 정두남(2011) 45) 유미연(2012. 2) 46) 스트라베이스 (2011. 2. 14) 18
네트워크와 단말기 쟁점으로 본 스마트 TV 시장의 미래 이 시청행태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키지 못했다는 점을 고려해 본다면, 47) 스마트 TV의 이용에 리모컨의 한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비록 QWERTY 리모컨을 통해 할 수 있는 기능이 적지는 않았지만, 스마트 TV의 복잡한 화면구성과 방대한 콘텐츠를 효과적으로 이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는 것이다. 이를 반영하듯 스마트 TV 사업자들은 새로운 UI/UX를 스마트 TV에 도입하기 위 해 노력하고 있다. 48) 먼저, 삼성전자는 Smart Interaction 이라는 새로운 기술을 차세 대 TV에 도입하여 음성 및 동작인식을 선보였다. 이 기술을 통해 20~30개의 언어로 TV의 전원을 켜고 끌 수 있으며, 앱을 실행하고, 콘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손동작으로 웹 브라우저에서 하이퍼링크나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으며, 내장 카메라 로 전방의 움직임을 인식하고, 2개의 단일 지향성 마이크로 음성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49) 또한 애플은 2010년 4월 28일 Virtual Assistant 서비스를 제공해온 Siri를 인수하였으며, 50) 2011년 10월에 음성인식 UI Siri를 정식으로 공개하였다. Siri 는 사 용자의 음성 명령을 인식하고 웹과 온라인 서비스를 검색해 답변을 제공하는 인공지 능형 서비스로, 51) 이 기능이 itv의 핵심적인 UI로 지목받고 있다. 이는 스티브 잡스의 자서전에서 사용하기 편한 통합된 TV를 만들고자 했다. 이것은 아이클라우드를 기 반으로 끊김 없는 서비스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이용자들은 더 이상 복잡한 리모컨을 만지작거릴 필요가 없을 것이다. 그것은 아마 우리가 생각할 수 있는 가장 단순한 인터페이스일 것이다. 내가 결국 해결했다. 52) 라는 암시에서, 해결했다(Cracked it)는 것이 TV의 UI, 특히 Siri 형태의 음성인식 UI를 말하는 것이라는 주장이 있다. 53) Siri는 트랙휠이나 멀티터치와 더불어 애플의 또 하나의 혁신적인 UI로 예측되는데, 47) 스트라베이스 (2011. 10. 5) 48) 스트라베이스 (2012. 1. 18) 49) 이기훈(2012) 50) 스트라베이스 (2010. 5. 13) 51) 스트라베이스 (2011. 10. 11) 52) Forbes(2011. 10. 21) 53) Cnet(2011. 11. 26) 19
이는 TV에서 음성인식 UI가 가지는 장점을 극대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일반적으 로 TV는 시청자가 멀리 떨어져서 시청하는데, 음성인식을 통해 이를 극복할 수 있다 는 것이다. 또한 기존 리모컨의 복잡한 버튼과 같은 불편함 역시 Siri가 해소해 줄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동작인식에서 주목할 수 있는 서비스는 Xbox의 Kinect다. Kinect가 처음 출 시되었을 때에는 부정적인 전망도 있었다. 상대적으로 비싼 가격, 모션 인식 컨트롤러 에 최적화된 게임의 부족, 버튼 없는 컨트롤러라는 점으로 인해 Kinect가 성공하지 못할 것이라고 보는 의견이 있었다. 54) 그러나 Kinect는 출시 2개월 만에 800만 대, 5 개월 만인 2011년 3월에 1,000만 대의 판매를 돌파하였으며, 55) 2011년 말까지 적어도 1,000만 대 이상이 더 팔렸을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56) [그림 6] Kinect를 이용한 게임 활용 자료: Xbox 홈페이지 Kinect가 주목받는 이유는 단순히 많이 팔렸기 때문이 아니라, XBox와 Kinect를 54) 스트라베이스 (2010. 8. 24) 55) Engadget(2011. 3. 10) 56) SNL(2011. 3. 14) 20
네트워크와 단말기 쟁점으로 본 스마트 TV 시장의 미래 통해 다양한 파생적인 서비스가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즉, 단순이 게임컨트롤러로 서의 역할 뿐만 아니라, Kinect는 스마트 TV의 UI로 활용될 수 있는 것이다.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스마트 TV 활성화를 위해서는 시청자들이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컨트 롤러 혹은 리모컨의 역할이 중요한데, 동작인식 UI의 도입을 통해 다른 스마트 TV에 비해 우위를 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3. 트래픽 증가 스마트 TV 단말기를 통한 서비스는 인터넷망을 바탕으로 한다는 점에서 IPTV와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IPTV는 네트워크와 플랫폼이 결합하여, IPTV 서비스 를 위해 QoS가 보장된 실시간 및 온디맨드 서비스를 제공한다. 반면, 스마트 TV 단 말기 서비스는 네트워크와 플랫폼 단말기 서비스가 구분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제공 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사업자의 양해나 혹은 양자 간 협상을 통한 대가산정이 있어 야 한다. 스마트 TV의 대중화로 인한 대용량의 동영상 트래픽의 폭발로 인해 이를 수용할 수 있는 이른바 스마트 네트워크는 필수 조건이다. 57) 따라서 네트워크의 중요성이 더 욱 강조될 수 있으나, 앞에서 살펴본 것처럼 스마트 TV 서비스에서의 네트워크가 고 려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네트워크 사업자를 제외한 이러한 구분은 다음과 같은 점에서 적절하지 않다. 첫째, 스마트 TV 서비스는 인터넷망을 통해 서비스되는 것을 전제로 한다. 따라서 네트워크가 당연히 연결되는 것으로 상정할 수 있지만, 반 대로 네트워크 사업자가 네트워크 용량(capacity)을 높이지 않거나, 제공을 거부할 경 우 아무런 결과를 내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 미디어가 도입될수록 이에 대한 고려는 중요해질 것이다. 둘째로 스마트 TV로 인한 네트워크 트래픽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앞의 설명이 당위적인 성격이 강한 것이라면, 후자는 현실적인 문제라고 할 수 있다. 57) 송민정(2012) 21
<표 4>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Cisco(2011)에 의하면, 전 세계 한 달 평균 IP 트래 픽은 2010년 20.2엑사바이트였으나, 연평균 성장률 48%를 기록하여 2015년에는 80.5엑사바이트를 기록할 것으로 예측된다. 특히 소비자(consumer) 인터넷 트래픽 이용량이 70엑사바이트로 산업(business) IP 트래픽 10엑사바이트를 훨씬 초과할 것 으로 전망된다. <표 4> 인터넷 IP 트래픽 증가 (단위: PB/Month) CAGR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0~2015 네트워크 종류 별 fixed Internet Managed IP Mobile Data 14,955 20,650 27,434 35,879 46,290 59,354 32% 4,989 6,839 9,014 11,352 13,189 14,848 24% 237 546 1,163 2,198 3,806 6,254 92% Consumer 16,221 23,130 31,592 42,063 54,270 70,045 34% 이용자 별 Business 3,930 4,894 6,011 7,357 8,997 10,410 22% Total IP traffic 20,151 28,023 37,603 49,420 63,267 80,456 32% 자료: Cisco(2011) 58) 특히 소비자 인터넷 트래픽에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트래픽이 인터넷 비디 오라는 점이다. 2015년 월평균 33.6엑사바이트로 이는 전체 인터넷 트래픽의 41.7%, 58) Cisco(2011)에서의 주요 개념은 다음과 같음. Consumer: Includes fixed IP traffic generated by households, university populations, and Internet cafés Business: Includes fixed IP WAN or Internet traffic generated by businesses and governments Mobile: Includes mobile data and Internet traffic generated by handsets, notebook cards, and mobile broadband gateways Internet: Denotes all IP traffic that crosses an Internet backbone Managed IP: Includes corporate IP WAN traffic and IP transport of TV and VoD 22
네트워크와 단말기 쟁점으로 본 스마트 TV 시장의 미래 전체 소비자 인터넷 트래픽의 48.0%를 차지하는 수치이다. <표 5> 소비자 IP 트래픽 증가 (단위: PB/Month)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CAGR 2010~2015 File sharing 4,968 6,017 7,277 8,867 11,040 13,797 23% Internet video 4,672 8,079 12,146 17,583 24,357 33,620 48% Consumer IP Traffic Web, email, and data 2,393 3,113 4,146 5,325 6,769 8,592 29% Video calling 308 442 659 905 1,251 1,736 41% Online gaming 49 68 95 133 187 290 43% Voice over IP (VoIP) 138 147 153 157 160 168 4% Other 0 1 1 3 8 11 132% Consumer Internet traffic 12,528 17,888 24,478 32,973 43,771 58,214 36% Consumer Managed IP Traffic IPTV VoD 612 878 1,177 1,497 1,770 2,041 27% Cable digital VoD 3,042 4,310 5,791 7,321 8,309 9,212 25% Cable hybrid *38 75 148 271 420 579 72% IP VoD Consumer Managed IP video traffic 3,692 5,283 7,116 9,090 10,499 11,832 26% Consumer IP traffic 16,221 23,130 31,592 42,063 54,270 70,045 34% 자료: Cisco(2011) 이러한 콘텐츠의 온라인 소비 증가, 미디어 콘텐츠 전송이 단순한 인터넷 검색 및 브라우징보다 훨씬 많은 트래픽을 유발한다는 점은 네트워크의 과부하를 초래할 것이 며, 이 때문에 네트워크 인프라의 고도화가 중요해지고 있다. 59) 이에 따라 망 비용 문 59) 강홍렬(2011a) 23
제를 둘러싼 망 사업자와 단말 사업자 간의 갈등이 스마트 TV 활성화의 주요한 장애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60) 실제 네트워크 사업자들은 이미 망 대가에 산정 에 대한 갈등을 보이고 있는데, Netflix와 Level 3, 삼성과 KT의 분쟁이 망 사용대가 를 둘러싼 갈등이 현실에서 일어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에 대해 네트워크 사업자가 선택할 수 있는 방법에는 네트워크에 무한 투자하거 나, 네트워크 Management를 시행하거나, 수익자 부담 원칙을 적용하는 것이 있다. <표 6> 트래픽 증가에 대응한 네트워크 사업자의 전략 대응방안 1. 네트워크(무한)투자 2. 네트워크 Management 3. 수익자 부담 자료: 김석인 외(2011) 장단점 - 트래픽 증가에 따라 용량 증설 - 트래픽과 수익의 decoupling으로 투자한계 봉착 - 네트워크 관리를 통해 네트워크 효율성 및 투자효율성 제고 - 트래픽 제어를 통해 선의의 그리고 다수의 소비자를 구제 - 망중립성의 선결: 보편적 동등접근, 비차별성 등 - 망 이용대가, Revenue Sharing 등 상호협력의 규칙 제정 - QoS가 보장되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 가능 네트워크 사업자는 이에 대해 네트워크 무한 투자는 불가능하다고 간주하며, 네트 워크 관리와 수익자 부담 원칙을 통해 네트워크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생태계 측면 에서 win-win 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61) 그런데 문제는 이러한 망 사용대가 협의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이다. [그림 7]에서 나타난 것처럼 통신 사업자 는 네트워크 사용대가에 대해 요구한 바 있으며, 여기에 관한 논의가 진행될 것으로 전망된다. 여기서 주목할 만한 것은 스마트 TV 사업자의 위상이다. 단말기 사업자로 서 지불한 것인지, 플랫폼 사업자로서 지불한 것인지, 만약 플랫폼 사업자로 지불한 것이라면 스마트 TV 사업자뿐만 아니라 Tving, 에브리온 TV와 같은 PiP(Platform in 60) 정두남(2011) 61) 김석인 외(2011) 24
네트워크와 단말기 쟁점으로 본 스마트 TV 시장의 미래 Platform) 사업자에 대해서도 통신사업자들이 망 사용대가를 요구할 가능성이 있다. [그림 7] 스마트 TV를 둘러싼 국내 미디어 사업자 관계 자료: 정두남(2011) 재구성 Ⅳ. 결 론 본고는 네트워크와 단말기의 기술적 쟁점을 통해 스마트 TV 시장의 미래에 대해 예측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스마트 TV 사업자의 최근 동향을 분석하고, 클 라우드, UI/UX, 트래픽 증가를 주요 기술적 쟁점으로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다 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셋톱박스 형태(혹은 분리형) 스마트 TV의 영향력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본고는 스마트 TV를 정의하면서, TV 수상기와 연결하는 것을 전제로 한 셋톱박스 형태의 단말기 역시 스마트 TV의 개념에 포함되어야 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이는 단말기로서 스마트 TV가 아니라, 미디어 플랫폼으로서 스마트 TV의 기능에 주목한 것이며, 만약 서로 비슷한 플랫폼의 기능을 한다면 일치형과 분리형이 서로 같은 시장 을 두고 경쟁할 수 있다는 점을 반영한 것이다. 둘째, 스마트 TV가 단말기인지 플랫폼인지를 명확하게 할 필요가 있다. 이는 스마 25
트 TV 규제와 네트워크 및 콘텐츠 대가산정과 관련된 이슈로, 스마트 TV를 플랫폼으 로 볼 수 있는지, 그렇다면 기존 유료방송 사업자(특히 IPTV 사업자)에 대한 규제적 용과 어떤 차이가 있어야 하는지, 그리고 다른 플랫폼 사업자와 마찬가지로 네트워크 및 콘텐츠 이용대가를 지불하는 것이 타당한지에 대한 문제의 해결점이 될 수 있다. 셋째, 스마트 TV는 기능은 다양하면서도, 이용하기 쉬운 단말기가 성공할 가능성 이 높다. 즉, 스마트 TV에서 클라우드의 도입은 방대한 콘텐츠를 끊김 없이 제공하는 기본적인 조건인 동시에, 다른 부가 서비스(단말기의 동기화, 소셜 TV로의 활용)를 효과적으로 이용하는 핵심 단말기로서의 기능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이러한 점 에서 스마트 TV에서 콘텐츠를 직접 제공할 수 있는가 혹은 동영상 PiP를 보유하고 있는가는 중요한 의미를 가지지만, 이것만이 스마트 TV를 선택하는 핵심 기준은 아 닐 수 있다. 한편, 스마트 TV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편리한 UI 기술의 개발이 필수적 이다. 이용자는 스마트 TV의 복잡한 기능과 같이 복잡한 이용은 원하지 않기 때문이 다. 따라서 이를 이용할 수 있는 편리한 UI를 제공하는 스마트 TV 단말기가 시장에서 성장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넷째, 스마트 TV의 원활한 성장을 위해서는 네트워크의 트래픽 증가에 대해 원활한 해결이 전제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강홍렬 (2011a), 스마트TV와 미디어 패러다임 변화, 기본연구 11-06, 정보통신 정책연구원. 강홍렬 (2011b), 정부 클라우드 전략의 논의방향, KISDI Premiun Report, 2011-05. 김석인 외(2011), 통신사업자가 바라본 스마트 TV. 류한석 (2011. 4. 20), 스마트TV의 사용자 경험 이슈, [2011년 제4회 Digieco 오 픈세미나]. 머니투데이 (2012. 3. 21), 비싼 스마트TV 왜 사? 셋톱 하나로 OK!. 26
네트워크와 단말기 쟁점으로 본 스마트 TV 시장의 미래 박병근 (2012), 2012년은 스마트TV 확산의 원년, Digieco Issue & Trend. 삼성전자 (2011), Samsung Smart TV SDK. 서기만 (2011. 11), 컨버전스하는 IT 기기, 디버전스하는 IT 서비스, LG Business Insight. 서울경제 (2012. 1. 12), 삼성전자도 클라우드 시장 진출. 송민정 (2011. 10. 20), 클라우드 혁명 중심에 선 스마트TV 사업기회는?, [스마 트TV 포럼]. 송민정 (2012), 스마트 TV & N스크린 콘텐츠 이슈, [스마트TV 빅뱅 2012]. 스트라베이스 (2010. 5. 13) Apple이 인수한 음성 인식 기반 Virtual Assistant Siri 의 서비스 개요 및 특징. 스트라베이스 (2011. 5. 11), 실적 저조한 Google TV, 플랫폼 개선 및 You Tube 활용 통한 실적 반전 가능성 제기. 스트라베이스 (2011. 10. 11) Apple의 인공지능형 개인용 비서 서비스 Siri, 미 래 모바일 시장의 변화 주도할 것. 스트라베이스 (2012. 1. 18), CES 2012, 음성 동작인식 기술로 더 똑똑해진 스 마트 TV 의 등장 예고. 스트라베이스 (2012. 1. 26), 파트너십 교체 단행한 Google TV, 검색 광고 노 하우와 Android 역량을 바탕으로 부활할까?. 아이뉴스24 (2012. 3. 8), 바다OS, 스마트TV OS 경쟁에선 안 밀릴까?. 유미연 (2012. 2), TV, 이제는 인터페이스 경쟁이다, LG Business Insight. 이기훈(2012), CES 2012로 본 미디어시장 전망. 이성춘 (2012), Apple itv의 시장진입 전략과 시사점, [제42회 디지에코 오픈세 미나]. 이재영 외 (2011), 스마트 미디어 시대 지상파방송 종합발전방안 연구, 정책연구 11-47,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이종근 (2012), 애플 itv shock 시나리오, digieco issue & trend. 27
이종원 외 (2011), 스마트시대를 대비한 통합방송법 제도 연구, 정책연구 11-45,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정두남 (2010), 스마트TV의 등장에 따른 미디어산업 구조변화에 관한 연구 Ⅰ. 정두남 (2011), 스마트 TV 등장에 따른 미디어산업 구조변화에 관한 연구 Ⅱ. 조영신(2011), 스마트 TV를 둘러싼 경쟁 지형과 정책 방안, 한국방송학보, 25 권 5호, 233 266. 지디넷코리아 (2011. 11. 24), 애플, 샤프와 itv 생산 돌입. 지디넷코리아 (2012. 3. 16), 클라우드 서비스로 시작되는 미래 플랫폼 전쟁. 한영수 (2010. 6. 30), 구글 TV와 애플TV로 미리 본 스마트 TV 시장의 경쟁. 황준호 (2010a), 스마트TV가 방송시장에 미치는 영향, KISDI 프리미엄리포 트, 10-03, 정보통신정책연구원. 황준호 (2010b), 스마트TV 산업 활성화를 위한 규제진단 및 개혁방안, [스마트 TV 산업의 상생전략 및 핵심기술 이슈분석]. 황병선 (2012), CES 2012에서 보는 멋있는 스마트TV 의 가능성, Digieco Issue & Trend. Cisco (2011). Cisco Visual Networking Index: Forecast and Methodology, 2010-2015. Cnet (2011. 6. 1). Blu-ray player streaming-media services compared. Cnet (2011. 11. 26). Better 3D, voice control, more apps: How CES 2012 will advance the TV. Cnet (2012. 1. 16). most-anticipated tech products of 2012. DCMS (2007). Future Broadcasting Regulation. Display Search (2011). Connected TV Shipments to Exceed 138 Million Units in 2015. Engadget (2012. 1. 9). Samsung N Service unveiled at CES: Time Warner Cable, DirecTV, Comcast and Verizon onboard. 28
네트워크와 단말기 쟁점으로 본 스마트 TV 시장의 미래 Forbes (2011. 10. 21). Steve Jobs On TV: I Finally Cracked It. The Diffusion Group (2011). OTT TV Platforms. Google TV Blog (2011. 10. 28). An Update on Google TV. SNL (2012. 1. 6). Google unveils more TV partners. ZDnet (2012. 1. 10). CES 2012: Samsung s 55-inch Super OLED HDTV will debut in second half of 2012. ZDnet (2012. 1. 16). Smart TV: Six big features that matter.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