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3030375FC0DAC3BC5FBCDBC0CEBFEB5FC3DFB6F42032303520C0E7C7D820C6AFBCBABAD0BCAE20B9D720BEC8C0FCC0E5C4A120B0B3B9DF20BFACB1B82E687770>



Similar documents
untitled

<3036C7E2BCF6C3D6C1BEBABB2E687770>


ad hwp

ºñÁ¤±Ô±Ù·ÎÀÇ ½ÇÅÂ¿Í °úÁ¦.hwp

<5BC6EDC1FD5DBEEEBEF7C0CCC1D6B3EBB5BFC0DAC0CEB1C7BBF3C8B2BDC7C5C2C1B6BBE7C3D6C1BEBAB8B0EDBCAD28BAB8C0CCBDBABEC6C0CC292E687770>


13Åë°è¹é¼Ł

<BFDCB1B9C0CE20C5F5C0DAB1E2BEF7C0C720B3EBBBE7B0FCB0E82E687770>

Àç°¡ »êÀçÀå¾ÖÀÎÀÇ ÀçÈ°ÇÁ·Î±×·¥¿¡ °üÇÑ¿¬±¸.HWP

ºñÁ¤±ÔħÇغ¸°í¼�.hwp

<5B33B9F8B0FAC1A65D20B9E6BCDBBDC9C0C7BDC3BDBAC5DB20B0B3BCB1B9E6BEC8BFACB1B82DC3D6C3D6C1BE2E687770>

°æÁ¦Àü¸Á-µ¼º¸.PDF

hwp

제 출 문 중소기업청장 귀하 본 보고서를 중소기업 원부자재 구매패턴 조사를 통한 구매방식 개선 방안 연구 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단 장 최 정 훈 연구책임자 : 이재광 (한국산업기술대학교 부교수) 공동연구자 : 노성호

주지스님의 이 달의 법문 성철 큰스님 기념관 불사를 회향하면서 20여 년 전 성철 큰스님 사리탑을 건립하려고 중국 석굴답사 연구팀을 따라 중국 불교성지를 탐방하였습 니다. 대동의 운강석굴, 용문석굴, 공의석굴, 맥적산석 굴, 대족석굴, 티벳 라싸의 포탈라궁과 주변의 큰

장애인건강관리사업


CC hwp

iOS ÇÁ·Î±×·¡¹Ö 1205.PDF

< BACFC7D1B1B3C0B0C1A4C3A5B5BFC7E228B1E2BCFABAB8B0ED D D20C6EDC1FD2035B1B32E687770>

성인지통계

CC hwp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출산전후근로및임금동학에관한연구 첫자녀출산과연계된경력단절및복귀를중심으로 I. 서론


<C1A4C3A5BFACB1B D3420C1A4BDC5C1FAC8AFC0DAC0C720C6EDB0DFC7D8BCD220B9D720C0CEBDC4B0B3BCB1C0BB20C0A7C7D120B4EBBBF3BAB020C0CEB1C720B1B3C0B020C7C1B7CEB1D7B7A520B0B3B9DF20BAB8B0EDBCAD28C7A5C1F6C0AF292E687770>

정책연구개발사업 2010-위탁 대학 등록금의 합리적 책정을 위한 실행방안 연구 연 구 책 임 자 공 동 연 구 자 송동섭(단국대학교) 이동규(충남대학교) 이창세(재능대학) 한창근(인하공업전문대학) 연 구 협 력 관 장미란(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이 연구는 201

2002report hwp

<BEC6BFF4BCD2BDCCBAB8B0EDBCAD28C3D6C1BE E687770>

<BBE7B8B3B4EBC7D0B0A8BBE7B9E9BCAD28C1F8C2A5C3D6C1BE E687770>


2005 중소기업 컨설팅 산업 백서

xviii EBS 수능강의 서비스를 활용하는 이유는 수능시험에 연계되기 때문이라는 응답 이 학생 61.7%, 학부모 73.2%로 가장 많았고, EBS 수능강의 서비스를 활용하 지 않는 이유는 학생의 경우 사교육 때문이라는 응답이 26.9%, 혼자 공부하는 것으로 충분하

보건 복지 Issue & Focus 이 글은 시간에 대한 (저출산)정책적 관점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주 출산연령층(20~49세)의 경활동 특성에 따른 가사노동시간 3) 의 차이를 분석하고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함 우선 가사노동시간의 성별 차이를 살펴보고, 여성의 경

09 강제근로의 금지 폭행의 금지 공민권 행사의 보장 중간착취의 금지 41 - 대판 , 2006도7660 [근로기준법위반] (쌍용자동차 취업알선 사례) 11 균등대우의 원칙 43 - 대판 , 2002도3883 [남녀고용평등법위

210 법학논고제 50 집 ( )

사진 24 _ 종루지 전경(서북에서) 사진 25 _ 종루지 남측기단(동에서) 사진 26 _ 종루지 북측기단(서에서) 사진 27 _ 종루지 1차 건물지 초석 적심석 사진 28 _ 종루지 중심 방형적심 유 사진 29 _ 종루지 동측 계단석 <경루지> 위 치 탑지의 남북중심

농업기반정비사업 계획설계기준 개편

2016년 신호등 3월호 내지A.indd

2013 건설공사표준품셈건축부문 제 1 장 적용기준제 2 장 가설공사제 3 장 토공사제 4 장 조경공사제 5 장 기초제 6 장 철근콘크리트공사제 7 장 철골공사제 8 장 조적공사제 9 장 돌공사제10장 타일공사제11장 목공사제12장 방수공사제13장 지붕및홈통공사제14장

연구요약 1. 서론 연구의 목적 본 연구는 청소년 교육정책의 바람직한 방향을 설정하고, 미래지향적인 정책과제와 전략, 그리고 비전을 도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지 난 15년간의 청소년 교육 환경 및 정책의 변화를 분석하고, 향후 15년간 의 청소년 교육 환경

2014 건설공사표준품셈 건축부문 제 1 장 적용기준제 2 장 가설공사제 3 장 토공사제 4 장 조경공사제 5 장 기초제 6 장 철근콘크리트공사제 7 장 철골공사제 8 장 조적공사제 9 장 돌공사제10장 타일공사제11장 목공사제12장 방수공사제13장 지붕및홈통공사제14

4-Ç×°ø¿ìÁÖÀ̾߱â¨ç(30-39)

<32312DB1E8C7FCBCAE2E687770>

CR hwp

현안과과제_8.14 임시공휴일 지정의 경제적 파급 영향_ hwp

신탁부동산공매공고

<INPUT DATA & RESULT / 전단벽 > NUM NAME tw Lw Hw 철근 위치 Pu Mu Vu RESULT (mm) (mm) (mm) 방향 개수 직경 간격 (kn) (kn-m)

발간등록번호대한민국의새로운중심 행복도시세종 2015 년기준 사업체조사보고서 Report of The Census on Establishments

<5BB1E2BABB5D5FB0F8B0F8BACEB9AE5FBDC3B0A3C1A6B1D9B9ABBFCD5FC0B0BEC6C8DEC1F7BFA15FB5FBB8A55FB4EBC3BCC0CEB7C25FC8B0BFEBB0FAC0C75FBFACB0E8B9E6BEC85F2D5FB9AEB9CCB0E62E687770>


<C0CFC1A4B0FCB8AE E687770>


<BAD2B9FDBAB9C1A620BAB8B0EDBCAD5FC5EBC7D55F FB9DFB0A3BBE7C6F7C7D45F33C2F720B1B3C1A428B1D7B8B22020C3DFC3E2292E687770>

<BBEAC0E7BAB8C7E8C1A6B5B52E687770>

ad hwp

<C0CEB1C7C0A7C3D6C1BEBAB8B0EDBCAD28BCF6C1A4BABB E687770>

<28BCF6BDC D B0E6B1E2B5B520C1F6BFAABAB020BFA9BCBAC0CFC0DAB8AE20C1A4C3A520C3DFC1F8C0FCB7AB5FC3D6C1BE E E687770>

Àϻ꺴¿ø 10³â»ç Á¦3Æí

PDF


allinpdf.com

<B9E9B3E2C5CDBFEFB4F5B5EBBEEE20B0A1C1A4B8AE20B1E6C0BB20B0C8B4C2B4D92E687770>

일러두기 노사정위원회합의문중관련내용은부록참조 유형간중복을제거한비정규직규모는 < 참고 2> 를참조

<표 1-2-1> 시군별 성별 외국인 주민등록인구 ( ) (단위 : 명, %) 구분 2009년 2010년 외국인(계) 외국인(여) 외국인(남) 성비 외국인(계) 외국인(여) 외국인(남) 성비 전국 870, , , ,

2016년 신호등 10월호 내지.indd

( 단위 : 가수, %) 응답수,,-,,-,,-,,-,, 만원이상 무응답 평균 ( 만원 ) 자녀상태 < 유 자 녀 > 미 취 학 초 등 학 생 중 학 생 고 등 학 생 대 학 생 대 학 원 생 군 복 무 직 장 인 무 직 < 무 자 녀 >,,.,.,.,.,.,.,.,.

최우석.hwp

時 習 說 ) 5), 원호설( 元 昊 說 ) 6) 등이 있다. 7) 이 가운데 임제설에 동의하는바, 상세한 논의는 황패강의 논의로 미루나 그의 논의에 논거로서 빠져 있는 부분을 보강하여 임제설에 대한 변증( 辨 證 )을 덧붙이고자 한다. 우선, 다음의 인용문을 보도록

0429bodo.hwp

伐)이라고 하였는데, 라자(羅字)는 나자(那字)로 쓰기도 하고 야자(耶字)로 쓰기도 한다. 또 서벌(徐伐)이라고도 한다. 세속에서 경자(京字)를 새겨 서벌(徐伐)이라고 한다. 이 때문에 또 사라(斯羅)라고 하기도 하고, 또 사로(斯盧)라고 하기도 한다. 재위 기간은 6

교사용지도서_쓰기.hwp

< BDC3BAB8C1A4B1D4C6C75BC8A3BFDC D2E687770>

cls46-06(심우영).hwp


E1-정답및풀이(1~24)ok

<C1B6BCB1B4EBBCBCBDC3B1E2342DC3D6C1BE2E687770>

<C0CEBCE2BABB2D33C2F7BCF6C1A420B1B9BFAAC3D1BCAD203130B1C72E687770>

untitled

민주장정-노동운동(분권).indd

과 위 가 오는 경우에는 앞말 받침을 대표음으로 바꾼 [다가페]와 [흐귀 에]가 올바른 발음이 [안자서], [할튼], [업쓰므로], [절믐] 풀이 자음으로 끝나는 말인 앉- 과 핥-, 없-, 젊- 에 각각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식형태소인 -아서, -은, -으므로, -음

6±Ç¸ñÂ÷

<C3D6C1BE5FBBF5B1B9BEEEBBFDC8B0B0DCBFEFC8A C3D6C1BEBABB292E687770>

초등국어에서 관용표현 지도 방안 연구

177

제주어 교육자료(중등)-작업.hwp

¸é¸ñ¼Ò½ÄÁö 63È£_³»Áö ÃÖÁ¾

01Report_210-4.hwp

<C3D1BCB15FC0CCC8C45FBFECB8AE5FB1B3C0B0C0C75FB9E6C7E D352D32315FC5E4292E687770>



교육 과 학기 술부 고 시 제 호 초 중등교육법 제23조 제2항에 의거하여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을 다음과 같이 고시합니다. 2011년 8월 9일 교육과학기술부장관 1.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은 별책 1 과 같습니다. 2.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별책

시험지 출제 양식

우리나라의 전통문화에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봅시다.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를 체험합시다.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를 소중히 여기는 마음을 가집시다. 5. 우리 옷 한복의 특징 자료 3 참고 남자와 여자가 입는 한복의 종류 가 달랐다는 것을 알려 준다. 85쪽 문제 8, 9 자료

상품 전단지

::: 해당사항이 없을 경우 무 표시하시기 바랍니다. 검토항목 검 토 여 부 ( 표시) 시 민 : 유 ( ) 무 시 민 참 여 고 려 사 항 이 해 당 사 자 : 유 ( ) 무 전 문 가 : 유 ( ) 무 옴 브 즈 만 : 유 ( ) 무 법 령 규 정 : 교통 환경 재

2

DBPIA-NURIMEDIA

화이련(華以戀) hwp

Transcription:

안전분야- 연구자료 연구원 2007-130 -1061 추락 2.5 재해특성 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 연구 - A study on the special analysis the Fall 2.5 of injuries and the development of the safety devices - 2007년 연구결과보고서

요약문 i 요 약 문 1. 과 제 명 : 추락 2.5 재해특성 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 연구 2. 연구기간 : 2007. 1. 1 ~ 2007. 12. 31 3. 연 구 자 : 가. 연구 책임자 : 송인용 ( 연구위원 ) 나. 연 구 원 : 정세균 ( 연구위원 ) 류보혁 신운철 최상원 김형석 이충렬 ( 연구위원 ) ( 연구위원 ) ( 연구위원 ) ( 연구위원 ) ( 연구위원 ) 4. 연구목적 및 필요성 06년에 산업현장에서 추락으로 11,687 명( 전체재해의 13 %) 의 재해자가 발 생하여 427 명( 전체사망자의 17.4 %) 이 사망하였으며 이 중에서 낮은 추락재해 자가 8,238 명으로 전체 추락재해의 70.5 % 를 점유하고 있고, 낮은 추락재해는 주로 사다리, 운송수단기계설비 등과 관련되어 발생하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의 추락재해 사망률은 3.76 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영국의 25 배, 미국의 7 배 이상 높은 것으로 추락재해 예방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추락과 관련된 안전기준, 선진 외국의 사다리 관련 안전기준 등을 통하여 추락 및 사다리 관련 안전기준 제 개정에 대한 근거자료를 제시 하고자하였다.

ii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특히, 낮은 추락재해의 특성분석 및 근로자의 추락관련 안전의식에 대한 설 문조사 등을 토대로 안전장치를 연구 개발함으로써 낮은 추락재해 예방대책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5. 연구방법 및 내용 1) 추락관련 자료의 수집 및 추락재해의 특성 분석 선진 외국의 사다리 관련 안전기준 및 국내 사다리 관련 안전기준 비교 추락재해 원인분석 총괄 및 낮은 추락재해의 유형별 특성분석 선진 외국의 추락재해 및 국내 추락재해의 비교분석 낮은 추락에 의하여 발생한 중대재해사례 및 예방대책 2) 근로자에 대한 추락 안전의식 설문조사 델파이 기법( Delphi method) 에 의한 근로자 설문조사 근로자의 사회적 요인 및 건강, 심리적 요인 등과 안전의식 상관관계 규명 3) 안전모 착용 확인장치 개발 원격지에서 안전모에 부착된 송수신기를 이용 턱끈 미 착용자에 대한 모니 터링 실시 안전모의 센서에서 발생한 전파를 중간라우터를 이용하여 중앙관리 전송표현 PC에 4) 안전작업복 개발 작업복에 그네식 안전대를 부착한 일체형 및 분리형 그네식 안전작업복 개발 낮은 추락에서 충격을 흡수하여 신체를 보호할 수 있는 충격흡수 안전작업 복 개발

요약문 iii 5) 낮은 높이용 안전작업대 개발 낮은 높이용 안전작업대 ( 전동식) 낮은 높이용 안전작업대 ( 접이식) 개발 개발 6. 1) 연구 결과 추락관련 자료 수집 및 추락재해 특성분석 (1) 선진 외국의 사다리 관련 안전기준 및 국내 사다리 관련 안전기준 비교 한국의 추락, 사다리 관련 안전기준은 불분명한 반면에 영국, 미국 등 선진 외국의 관련 기준은 분류기준, 내용, 구조적인 측면에서 명확하고 구체적인 안전기준을 제시하고 있음 그러므로 국내 산업안전보건법의 사다리관련 안 전기준을 분류기준, 내용, 구조적인 측면에서 구체적으로 제 개정해야함 (2) 추락재해 원인분석 총괄 및 낮은 추락재해의 특성분석 결과 건설업이 제조업에 비하여 부상자는 1.7 배, 사망자는 2.6배 이상 많은 것으 로 나타났고, 사다리 및 운송수단 기계설비와 관련하여 50 % 이상을 점 유하고 있음 낮은 추락재해는 50대 이상의 고령자가 41.3 % 를 점유하고 있고, 남성이 92.9 % 를 점유하고 있으며 요양기간 29일~ 90일이 42.9 % 를 점유하는 것 으로 나타남 또한 낮은 추락재해를 시간별로 분석하면 8~12 시 전에 부상 자의 36.8 %, 사망자의 41.7 % 로 가장 높은 점유율을 나타내고 있음. 그 리고 사업장 규모별로 분석하면 상시근로자 10인 미만 사업장에서 부상자 의 46.6 %, 사망자의 41.7 % 로 가장 높은 점유율을 나타내고 있음 따라서 국내 산재통계용 추락재해 조사 자료에 대하여 추락 높이에 대한 분류를 정확하게 하고, 낮은 높이의 추락에 대한 근본적인 원인을 통계학

iv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적으로 연구하는 등의 제도적인 개선이 필요함 2) 근로자에 대한 추락 안전의식 설문조사 (1) 델파이 기법(Delphi method) 을 이용한 설문조사 실시 설문항목선정 : 현장안전관리자 및 감독원 30 명 및 연구원, 교육원 전문가 17명에게 가장 적절한 근로자 질문서 50가지 선정 대상자 : 아파트, 토목, 플랜트, 중소규모 건설현장 등 15개 건설현장에서 작업하고 있는 근로자 의하여 조사함 512명을 대상으로 직접 방문하여 설문서 및 질문에 (2) 설문조사 결과의 주요 내용 안전의식 영향도의 작성방법을 제시하고 이것에 의한 사회적 인식요인, 건 강 심리적요인, 직업 수입관계요인, 현장 만족도에 따라 불안전행동의 원 인인 근로자 안전의식상태의 연관성을 규명하고 낮은 작업의 안전의식상 태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함 설문조사 결과 일부 내용을 보면 사회적인 주변 인간관계, 작업장의 관심, 작업하고 있는 동료 관심 등으로 조사하고 이 사회적 인식요인 과 근로자 안전의식에 대한 Pearson 상관계수 0.406 등을 규명함 그리고 대기업과 중소기업, 남성과 여성, 학력, 외국인과 국내인, 현 직종 근무경력, 현장 작업 근무 월, 일당, 직종별 등에 대한 근로자의 안전의식 과 그런 의식을 갖는 이유 및 차이를 규명함 따라서 추락재해의 근본적인 원인을 접근할 수 있는 시청각, 체험중심의 안 전교육을 실시하고 감성경영, 사회적 관계 및 작업장 만족도 증진, 작업환경 개 선 등을 통하여 근로자의 안전의식을 제고하여 낮은 높이의 추락재해원인의 대 부분을 점유하고 있는 불안전행동을 제거해야한다.

요약문 v 3) 안전모 착용 확인장치 연구개발 무선모듈 센서가 부착되어 있는 안전모의 턱끈을 착용하면 전파가 발생 되 는데, 이 전파를 라우터라는 무선중계기를 통하여 500 m 전 후의 원격 지에 있는 연구개발함 PC에 전송하여 프로그램을 이용 모니터에서 나타나는 시스템을 근로자의 안전모 턱끈의 착용 여부가 관리하고 있는 사무실 모니터에 실시 간으로 표시되기 때문에 안전모 미착용자에 대한 지도 감독 4) 안전작업복 연구개발 착용 시 작업의 불편함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작업복에 그네식 안전대를 부 착하여 작업복을 착용하면 안전대까지 착용하게 되는 그네식 안전작업복을 개발하였고, 추락할 경우에 안전작업복에 부착된 충격흡수대가 충격력 200 kgf~400 kgf에서 찢어지면서 완충작용을 하도록 개발함 또한, 작업복의 허리, 어깨, 목 부위에 충격흡수용 패드를 부착하여 낮은 높이에서 추락할 경우 신체 어깨 및 허리부분에서의 약 수 보호할 수 있는 충격흡수 안전작업복을 개발함 80 % 의 충격을 흡 5) 낮은 높이용 안전작업대 연구개발 (1) 낮은 추락재해를 예방할 수 있는 전동식 안전작업대 스크류 잭(Screw jack) 과 교류형 단상모터의 구동으로 작업발판의 높이를 (2)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고, 안전난간의 설치 해체가 간편하며 과부하방지 장치, 권과방지장치, 비상정지장치, 아웃리거 (Out rigger), 수평 확인장치 등의 안전장치를 부착하여 개발함 접이식 안전작업대 안전난간과 다리를 접을 수 있고, 알루미늄 프레임을 사용하여 자중이 25 kg 이하로 제작하여 1 인이 운반하기에 간편하며, 5인승 승용차에 적재가

viii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가능함 또한, 스프링식 높이조절장치를 설치하여 작업발판의 높이조절이 간편하도록 개발함 7. 활용계획 낮은 높이의 추락재해의 특성분석 자료, 근로자의 불안전행동에 대한 안전의 식 조사방법 및 조사결과 등을 정부, 사업장 등에 배포하여 추락재해 예방대 책의 자료로 활용 연구 개발된 안전모 착용 확인장치, 그네식 안전작업복 및 충격흡수 안전 작업복, 낮은 높이용 안전작업대를 사업장에 보급하여 낮은 추락재해 예방 추락 및 사다리 관련 법, 안전기준 등 정부의 추락재해 예방정책 수립 및 안전기준 제개정에 반영 8. 중심어 낮은 추락재해, 사다리, 안전의식, 불안전행동, 안전모, 안전작업복, 안전 작업대,

차 례 ix 차 례 Ⅰ. 서 론 1 1. 연구배경 1 2. 연구내용 2 3. 연구방법 3 Ⅱ. 추락재해 특성 및 원인분석 4 1. 서론 4 2. 2006 년도 추락재해 원인분석 5 3. 낮은 추락재해 분석 21 4. 선진 외국의 추락재해 분석 36 5. 국내외 추락재해의 비교 분석 47 6. 낮은 추락에 의한 중대재해 사례 49 7. 결론 60 Ⅲ. 사다리 관련 안전기준 64 1. 산업안전보건법의 사다리 관련 안전기준 64 2. 사다리 관련 선진 외국의 안전기준 65 3. 국내외 사다리 관련 안전기준의 비교 71 Ⅳ. 작업자의 안전의식 상태연구 74 1. 서론 74

x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2. 연구의 배경 및 방법 7 3. 설문조사 내용 81 4. 안전의식 영향도에 의한 설문 분석 86 5. 일반적 안전의식 상태 설문서 분석 94 6. 결론 109 Ⅴ. 안전모 착용 확인장치 개발 114 1. 서론 114 2. 안전모 턱끈 확인 장치 시스템 117 3. 개발 내용 122 4. 결 론 144 Ⅵ. 안전작업복 개발 147 1. 서론 147 2. 기존 안전대의 문제점 150 3. 안전대 개발목적 및 계획 151 4. 그네식 안전작업복 154 5. 충격흡수 안전작업복 157 6. 결론 161 Ⅶ. 낮은 높이용 안전작업대 개발 164 1. 서론 164 2. 전동식 안전작업대 166 3. 접이식 안전작업대 171

차 례 xi Ⅷ. 결론 176 연구 후기 180 참고문헌 181 부록 183 부록Ⅰ. 안전의식 상태조서 결과표 184 부록Ⅱ. 안전의식 설문서 내용 193 부록Ⅲ. 안전의식 설문 결과표 198 부록Ⅳ. 낮은 높이용 안전작업대 ( 전동식) 235 부록Ⅴ. 낮은 높이용 안전작업대 ( 접이식) 280 부록Ⅵ. 연구개발품 시연회 286 Abstract 293

xii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표 차 례 < 표 Ⅱ -1> 산업재해 및 추락재해 현황 5 < 표 Ⅱ -2> 연도별 추락 재해 현황 6 < 표 Ⅱ -3> 선진 외국과의 추락사망률 비교 7 < 표 Ⅱ -4> 발생형태별 재해현황 8 < 표 Ⅱ -5> 업종별 추락재해 현황 9 < 표 Ⅱ -6> 기인물별 추락재해 현황 10 < 표 Ⅱ -7> 추락높이별 재해현황 11 < 표 Ⅱ -8> 지역별 추락재해 현황 12 < 표 Ⅱ -9> 근속기간별 추락재해 현황 13 < 표 Ⅱ -10> 연령별 추락재해 현황 14 < 표 Ⅱ -11> 성별 추락재해 현황 15 < 표 Ⅱ -12> 요양기간별 추락재해 현황 16 < 표 Ⅱ -13> 월별 추락재해 현황 17 < 표 Ⅱ -14> 요일별 추락재해 현황 18 < 표 Ⅱ -15> 시간별 추락재해 현황 19 < 표 Ⅱ -16> 규모별 추락재해 현황 20 < 표 Ⅱ -17> 낮은 추락재해 업종별 현황 21 < 표 Ⅱ -18> 낮은 추락재해 기인물별 현황 22 < 표 Ⅱ -19> 낮은 추락재해 지역별 현황 23 < 표 Ⅱ -20> 낮은 추락재해 근속기간별 현황 24

차 례 xiii < 표 Ⅱ -21> 낮은 추락재해 연령별 현황 25 < 표 Ⅱ -22> 낮은 추락재해 성별 현황 26 < 표 Ⅱ -23> 낮은 추락재해 요양기간별 현황 27 < 표 Ⅱ -24> 낮은 추락재해 월별 현황 28 < 표 Ⅱ -25> 낮은 추락재해 요일별 현황 29 < 표 Ⅱ -26> 낮은 추락재해 시간별 현황 30 < 표 Ⅱ -27> 낮은 추락재해 규모별 현황 31 < 표 Ⅱ -28> 건설업 추락재해 높이별 현황 32 < 표 Ⅱ -29> 건설업 낮은 추락재해 기인물별 현황 33 < 표 Ⅱ -30> 제조업 추락재해 높이별 현황 34 < 표 Ⅱ -31> 제조업 낮은 추락재해 기인물별 현황 35 < 표 Ⅱ -32> 영국의 연도별 추락사망자 현황 36 < 표 Ⅱ -33> 영국의 고용형태별 추락사망자 현황 37 < 표 Ⅱ -34> 영국의 상해정도별 추락재해 현 38 < 표 Ⅱ -35> 영국의 추락높이별 중상자 현황 39 < 표 Ⅱ -36> 영국의 업종별 추락사망자 현황 40 < 표 Ⅱ -37> 영국의 기인물별 추락사망자 현황 41 < 표 Ⅱ -38> 미국의 연도별 추락사망자 현황 42 < 표 Ⅱ -39> 미국의 발생형태별 재해현황 43 < 표 Ⅱ -40> 미국의 기인물별 추락사망자 현황 44 < 표 Ⅱ -41> 미국의 연령별 추락사망자 현황 45 < 표 Ⅱ -42> 미국의 인종별 추락사망자 현황 46 < 표 Ⅳ -1> 사회적 의식 관계와 안전의식의 신뢰성 관계표 88 < 표 Ⅳ -2> 건강 및 심리적 관계와 안전의식의 신뢰성관계 표 89

xiv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 표 Ⅳ -3> 직업 및 수입 관계와 안전의식의 신뢰성관계 표 90 < 표 Ⅳ -4> 현장에 대한 만족 관계와 안전의식의 신뢰성관계 표 91 < 표 Ⅳ -5> 낮은 작업과 일반적 안전의식관계와의 신뢰성관계 표 93 < 표 Ⅳ -6> 설문조사 실시 대상 기업 분류 95 < 표 Ⅴ -1> 마그네틱 근접 센서(PS-321-BP) 의 사양(Specification) 125 < 표 Ⅴ -2> 무선 모듈의 사양 133 < 표 Ⅵ -1> 안전작업복 충격 흡수 시험 결과 161 < 부록 표 Ⅲ -1> 대기업 ( 아파트 ) 199 < 부록 표 Ⅲ -2> 대기업 ( 플랜트 ) 200 < 부록 표 Ⅲ -3> 대기업 ( 토목) 201 < 부록 표 Ⅲ -4> 중소기업 ( 상가) 202 < 부록 표 Ⅲ -5> 급여(5 만원이하 ) 203 < 부록 표 Ⅲ -6> 급여(5-8 만원) 204 < 부록 표 Ⅲ -7> 급여(8-10 만원) 205 < 부록 표 Ⅲ -8> 급여(10-12 만원) 206 < 부록 표 Ⅲ -7> 급여(12 만원이상 ) 207 < 부록 표 Ⅲ -10> 연령(30 세이하) 208 < 부록 표 Ⅲ -11> 연령(30-40 세) 209 < 부록 표 Ⅲ -12> 연령(40-50 세) 210 < 부록 표 Ⅲ -13> 연령(50-60) 21 < 부록 표 Ⅲ -14> 연령(60 세이상) 212 < 부록 표 Ⅲ -15> 근무월수 (30 세이하) 213 < 부록 표 Ⅲ -16> 근무월수 (1-3 개월) 214 < 부록 표 Ⅲ -17> 근무월수 (3-6 개월) 215

차 례 xv < 부록 표 Ⅲ -18> 근무월수 (6-12 개월) 216 < 부록 표 Ⅲ -19> 근무월수 (12-24 개월) 217 < 부록 표 Ⅲ -20> 근무월수 (24 개월 이상) 218 < 부록 표 Ⅲ -21> 근무년수 (1 년 이하) 219 < 부록 표 Ⅲ -22> 근무년수 (1-5 년) 220 < 부록 표 Ⅲ -23> 근무년수 (1 년 이하) 221 < 부록 표 Ⅲ -24> 근무년수 (10-20 년) 2 < 부록 표 Ⅲ -25> 근무년수 (20 년 이상) 223 < 부록 표 Ⅲ -26> 직급( 반장) 224 < 부록 표 Ⅲ -27> 직급( 작업자) 225 < 부록 표 Ⅲ -28> 성별( 남자) 226 < 부록 표 Ⅲ -29> 성별( 여자) 227 < 부록 표 Ⅲ -30> 국가( 한국) 228 < 부록 표 Ⅲ -31> 국가( 중국) 229 < 부록 표 Ⅲ -32> 학력( 무학) 230 < 부록 표 Ⅲ -33> 학력( 초졸) 231 < 부록 표 Ⅲ -34> 학력( 중졸) 232 < 부록 표 Ⅲ -35> 학력( 고졸) 233 < 부록 표 Ⅲ -36> 학력( 대졸) 234

xvi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그 림 차 례 [ 그림 Ⅱ -1] 산업재해 및 추락재해 현황 5 [ 그림 Ⅱ -2] 연도별 추락재해 현황 6 [ 그림 Ⅱ -3] 선진 외국과의 추락사망률 비교 7 [ 그림 Ⅱ -4] 발생형태별 재해현황 8 [ 그림 Ⅱ -5] 업종별 추락재해 현황 9 [ 그림 Ⅱ -6] 기인물별 추락재해 현황 10 [ 그림 Ⅱ -7] 추락높이별 재해현황 1 [ 그림 Ⅱ -8] 지역별 추락재해 현황 12 [ 그림 Ⅱ -9] 근속기간별 추락재해 현황 13 [ 그림 Ⅱ -10] 연령별 추락재해 현황 14 [ 그림 Ⅱ -11] 성별 추락재해 현황 15 [ 그림 Ⅱ -12] 요양기간별 추락재해 현황 16 [ 그림 Ⅱ -13] 월별 추락재해 현황 17 [ 그림 Ⅱ -14] 요일별 추락재해 현황 18 [ 그림 Ⅱ -15] 시간별 추락재해 현황 19 [ 그림 Ⅱ -16] 규모별 추락재해 현황 20 [ 그림 Ⅱ -17] 낮은 추락재해 업종별 현황 21 [ 그림 Ⅱ -18] 낮은 추락재해 기인물별 현황 2 [ 그림 Ⅱ -19] 낮은 추락재해 지역별 현황 23 [ 그림 Ⅱ -20] 낮은 추락재해 근속기간별 현황 24

차 례 xvii [ 그림 Ⅱ -21] 낮은 추락재해 연령별 현황 25 [ 그림 Ⅱ -22] 낮은 추락재해 성별 현황 26 [ 그림 Ⅱ -23] 낮은 추락재해 요양기간별 현황 27 [ 그림 Ⅱ -24] 낮은 추락재해 월별 현황 28 [ 그림 Ⅱ -25] 낮은 추락재해 요일별 현황 29 [ 그림 Ⅱ -26] 낮은 추락재해 시간별 현황 30 [ 그림 Ⅱ -27] 낮은 추락재해 규모별 현황 31 [ 그림 Ⅱ -28] 건설업 추락재해 높이별 현황 32 [ 그림 Ⅱ -29] 건설업 낮은 추락재해 기인물별 현황 3 [ 그림 Ⅱ -30] 제조업 추락재해 높이별 현황 34 [ 그림 Ⅱ -31] 제조업 낮은 추락재해 기인물별 현황 35 [ 그림 Ⅱ -32] 영국의 연도별 추락사망자 현황 36 [ 그림 Ⅱ -33] 영국의 고용형태별 추락사망자 현황 37 [ 그림 Ⅱ -34] 영국의 상해정도별 추락재해 현황 38 [ 그림 Ⅱ -35] 영국의 추락높이별 중상자 현황 39 [ 그림 Ⅱ -36] 영국의 업종별 추락사망자 현황 40 [ 그림 Ⅱ -37] 영국의 기인물별 추락사망자 현황 41 [ 그림 Ⅱ -38] 미국의 연도별 추락사망자 현황 42 [ 그림 Ⅱ -39] 미국의 발생형태별 재해현황 43 [ 그림 Ⅱ -40] 미국의 기인물별 추락사망자 현황 4 [ 그림 Ⅱ -41] 미국의 연령별 추락사망자 현황 45 [ 그림 Ⅱ -42] 미국의 인종별 추락사망자 현황 46 [ 그림 Ⅱ -43] 사다리에서 추락 50 [ 그림 Ⅱ -44] 집수정에서 추락 52

xviii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 그림 Ⅱ -45] 데크 플레이트에서 추락 53 [ 그림 Ⅱ -46] 각재 파손으로 추락 5 [ 그림 Ⅱ -47] 계단 측면에서 추락 56 [ 그림 Ⅱ -48] 이동식비계 상부에서 추락 58 [ 그림 Ⅱ -49] 이동식 작업발판 상부에서 추락 60 [ 그림 Ⅲ -1] 2요소 접촉 6 [ 그림 Ⅲ -2] 2요소 접촉 6 [ 그림 Ⅲ -3] 3요소 접촉 6 [ 그림 Ⅲ -4] 기대는 사다리의 측면 및 후면 경사각 67 [ 그림 Ⅲ -5] 기대는 사다리의 안전한 설치 각도 67 [ 그림 Ⅲ -6] 상부 고정 68 [ 그림 Ⅲ-7] 중하부고정 68 [ 그림 Ⅲ -8] 사다리 측면에서 작업 68 [ 그림 Ⅲ -9] 사다리 정면에서 작업 68 [ 그림 Ⅲ -10] 최 상부 발판 작업 69 [ 그림 Ⅲ -11] 상부 발판 3개 이상 유지 69 [ 그림 Ⅳ -1] 재해원인 구성 요소 75 [ 그림 Ⅳ -2] 하인리히의 Accident Sequence" 57 [ 그림 Ⅳ -3] 안전의식 영향도 7 [ 그림 Ⅳ -4] 사회성 관계 81 [ 그림 Ⅳ -5] 직업성 관계 82 [ 그림 Ⅳ -6] 건강성 관계 83 [ 그림 Ⅳ -7] 현장의 만족감 관계 84 [ 그림 Ⅳ -8] 안전의식 관계 85

차 례 xix [ 그림 Ⅳ -9] 사회적 의식 관계와 안전의식의 신뢰성관계 산점도 8 [ 그림 Ⅳ -10] 건강 및 심리적 관계와 안전의식의 신뢰성관계지수 89 [ 그림 Ⅳ -11] 직업 및 수입 관계와 안전의식의 신뢰성관계 산점도 90 [ 그림 Ⅳ -12] 현장에 대한 만족 관계와 안전의식의 신뢰성관계 산점도 91 [ 그림 Ⅳ -13] 낮은 작업의 안전의식관계와 92 [ 그림 Ⅳ -14] 사업 규모별 분류 94 [ 그림 Ⅳ -15] 성별 분류 96 [ 그림 Ⅳ -16] 성별 안전의식 관계 96 [ 그림 Ⅳ -17] 국적별 비교 97 [ 그림 Ⅳ -18] 국적별 요인 비교 97 [ 그림 Ⅳ -19] 학력별 비교 98 [ 그림 Ⅳ -20] 학력별 요인 비교 98 [ 그림 Ⅳ -21] 직급별 분류 9 [ 그림 Ⅳ -22] 직급별 요인 비교 9 [ 그림 Ⅳ -23] 경력별 구분 10 [ 그림 Ⅳ -24] 경력 요인별비교 10 [ 그림 Ⅳ -25] 경력별 구분 ( 대기업) 10 [ 그림 Ⅳ -26] 경력별 구분 ( 중소기업 ) 10 [ 그림 Ⅳ -27] 현장 근무월수별 구분 102 [ 그림 Ⅳ -28] 현장 근무월수별 요인비교 102 [ 그림 Ⅳ -29] 현장 근무월수별 구분 ( 대기업) 102 [ 그림 Ⅳ -30] 현장 근무월수별 구분 ( 중소기업 ) 102 [ 그림 Ⅳ -31] 일당별 구분 104 [ 그림 Ⅳ -32] 일당별 요인 비교 104

xx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 그림 Ⅳ -33] 일당별 구분 ( 대기업) 104 [ 그림 Ⅳ -34] 일당별 구분 ( 중소기업 ) 104 [ 그림 Ⅳ -35] 연령별 구분 105 [ 그림 Ⅳ -36] 연령별 요인 비교 105 [ 그림 Ⅳ -37] 연령별 구분 ( 대기업) 106 [ 그림 Ⅳ -38] 연령별 구분 ( 중소기업 ) 106 [ 그림 Ⅳ -39] 직종별 구분 107 [ 그림 Ⅳ -40] 직종과 안전의식 관계 108 [ 그림 Ⅴ -1] 상해 부위별 퍼센트 14 [ 그림 Ⅴ -2] 턱끈 착용 유뮤에 따른 위험도 비교 15 [ 그림 Ⅴ -3] 안전모 턱끈 확인 장치 시스템의 구성도 18 [ 그림 Ⅴ -4] 전자식 턱 끈 및 안전모 19 [ 그림 Ⅴ -5] 안전모에 무선 모듈 부착후 정면 123 [ 그림 Ⅴ -6] 안전모 무선 123 [ 그림 Ⅴ -7] 안전모 무선 123 [ 그림 Ⅴ -8] 안전모 턱끈에 사용된 마그네틱 근접 센서 124 [ 그림 Ⅴ -9] 안전모에 사용된 마그네틱 근접 센서( 탈착장치 ) 124 [ 그림 Ⅴ -10] 마그네틱 부착전 좌측 125 [ 그림 Ⅴ -11] 마그네틱 부착전 우측 125 [ 그림 Ⅴ -12] 마그네틱 근접 센서 부착 방법 1 126 [ 그림 Ⅴ -13] 마그네틱 근접 센서 부착 방법 2 126 [ 그림 Ⅴ -14] 마그네틱 근접 센서 부착 방법 3 126 [ 그림 Ⅴ -15] 마그네틱 부착 상태 디자인 127 [ 그림 Ⅴ -16] 마그네틱 부착 형태 127

차 례 xxi [ 그림 Ⅴ -17] 안전모 턱끈 폰잭 연결상태 128 [ 그림 Ⅴ -18] 무선 모듈 하드웨어 구성도 129 [ 그림 Ⅴ -19] 무선 모듈( 부품 위치) 130 [ 그림 Ⅴ -20] 무선 모듈(PCB 패턴-GND) 130 [ 그림 Ⅴ -21] 무선 모듈(PCB 패턴- 신호선,VCC) 130 [ 그림 Ⅴ -22] 라우터 & 싱크 노드 ( 무품 위치) 131 [ 그림 Ⅴ -23] 무선모듈 - 중계기 & 싱크노드 131 [ 그림 Ⅴ -24] 무선 모듈- 중계기& 싱크노드 131 [ 그림 Ⅴ -25] 무선 모듈-PCB 크기 132 [ 그림 Ⅴ -26] 무선 모듈 하우징 13 [ 그림 Ⅴ -27] 무선 모듈 부착장치 13 [ 그림 Ⅴ -28] 130 m 거리에서 측정한 센서 모듈의 데이터 수신율 134 [ 그림 Ⅴ -29]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패킷 정의 135 [ 그림 Ⅴ -30] 라우팅 명령 136 [ 그림 Ⅴ -31] 안전모 데이터 패킷 136 [ 그림 Ⅴ -32] 관리 프로그램의 패킷 정의 137 [ 그림 Ⅴ -33] 라우팅 알고리즘 초기화 138 [ 그림 Ⅴ -34] 라우팅 알고리즘의 코스트 값 설정 139 [ 그림 Ⅴ -35] 라우팅 과정 3 140 [ 그림 Ⅴ -36] 라우팅 과정 4 141 [ 그림 Ⅴ -37] 근로자 관리 모니터링 프로그램 142 [ 그림 Ⅴ -38] 안전모 관리 모니터링 프로그램에서의 사용자 등록 143 [ 그림 Ⅵ -1] 설문조사에 의한 148 [ 그림 Ⅵ -2] 국내 검정합격품 안전대 현황 149

xxii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 그림 Ⅵ -3] 안전작업복 전면 154 [ 그림 Ⅵ -4] 안전작업복 후면 154 [ 그림 Ⅵ -5] 안전 작업복 전면 후면 명칭 및 설명 15 [ 그림 Ⅵ -6] 테스트 결과 그래프 156 [ 그림 Ⅵ -7] 매달려 있을 경우 156 [ 그림 Ⅵ -8] 충격흡수대 시험 전 상태 156 [ 그림 Ⅵ -9] 충격흡수대 시험 후 상태 156 [ 그림 Ⅵ -10] 충격 흡수용 작업복 부위별 설명 158 [ 그림 Ⅵ -11] 충격 흡수용 안전복 전면도 159 [ 그림 Ⅵ -12] 어깨부위 충격 흡수대 -측면 159 [ 그림 Ⅵ -13] 어깨부위 충격 흡수대 -후면 159 [ 그림 Ⅵ -14] 충격흡수 안전 작업복 시험 160 [ 그림 Ⅶ -1] 설문조사에 나타난 낮은 높이 작업용 작업대 사용현황 165 [ 그림 Ⅶ -2] 작업대 하강상태 167 [ 그림 Ⅶ -3] 작업대 상승상태 167 [ 그림 Ⅶ -4] 조작반 167 [ 그림 Ⅶ -5] 작업대 바퀴 167 [ 그림 Ⅶ -6] 교류형 단상 모터 168 [ 그림 Ⅶ -7] 스크류 잭 168 [ 그림 Ⅶ -8] 과부하방지장치 169 [ 그림 Ⅶ -9] 권과방지장치 169 [ 그림 Ⅶ -10] 비상정지장치 169 [ 그림 Ⅶ -11] 아웃리거 169 [ 그림 Ⅶ -12] 안전난간 170

차 례 xxiii [ 그림 Ⅶ -13] 발 스위치 및 덮개 170 [ 그림 Ⅶ -14] 수평 확인장치 171 [ 그림 Ⅶ -15] 요철가공 발판 171 [ 그림 Ⅶ -16] 접이식 안전작업대 172 [ 그림 Ⅶ -17] 작업대 바퀴 172 [ 그림 Ⅶ -18] 작업발판 하부 힌지 173 [ 그림 Ⅶ -19] 나비너트와 볼트 173 [ 그림 Ⅶ -20] 안전난간 하부 힌지 173 [ 그림 Ⅶ -21] 2중관 구조 173 [ 그림 Ⅶ -22] 작업대 접은 상태 174 [ 그림 Ⅶ -23] 접은 상태의 두께 174 [ 그림 Ⅶ -24] 스프링식 높이 조절장치 175 [ 그림 Ⅶ -25] 높이 조절용 구멍 175 [ 부록그림 Ⅰ -1] 대기업 아파트공사현장 184 [ 부록그림 Ⅰ -2] 중소기업 상가빌딩공사현장 184 [ 부록그림 Ⅰ -3] 대기업 플랜트공사현장 184 [ 부록그림 Ⅰ -4] 대기업 토목공사현장 184 [ 부록그림 Ⅰ -5] 안전의식관계 185 [ 부록그림 Ⅰ -6] 사회성 관계 185 [ 부록그림 Ⅰ -6] 직업수입 관계 185 [ 부록그림 Ⅰ -7] 현장만족도 관계 185 [ 부록그림 Ⅰ -8] 낮은높이작업의 의식관계 185 [ 부록그림 Ⅰ -9] 건강 심리의 관계 185

Ⅰ. 서론 1 Ⅰ. 서 론 1. 연구 배경 추락( 洛 ) 의 사전적 의미는 높은 곳에서 떨어지는 것으로 추락재해는 추락 으로 인하여 사람이 상해를 입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과거에는 추락재해가 많지 않았으나 근래에는 건축물의 고층화, 전기 기계설비의 대형화 등에 따라 추락재해가 급증하였다. 01 년부터 06 년까지 재해통계 분석 자료에 의하면, 추락재해로 연평균 477명 이 사망하고, 10,787 명이 부상을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06년의 경우 추락재해 로 인하여 부상자 11,260 명, 사망자 427 명이 발생하였는데, 이를 추락 높이별로 분석하면 낮은 추락재해 1) 자가 8,238 명으로 전체 추락재해자의 70.5 % 를 점유 하여 대부분의 추락재해가 낮은 높이에서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의 추락재해 사망률을 영국, 미국 등 선진 외국과 비교 분석하면 05년의 경우 추락재해 사망률2)은 3.76으로 영국의 25 배, 미국의 7배로 매우 높 은 것으로 나타나 추락재해 예방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위와 같이 사회적으로 문제화 되고 있는 추락재해, 특히 낮은 추락재해를 예방 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며 그것을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 방안으로서 낮은 추 락재해의 유형별 특성분석 및 근로자의 안전의식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 고, 안전모 착용 확인장치, 안전작업복, 낮은 높이용 안전작업대 등의 안전장치 를 연구개발 하였다. 1) 낮은 추락재해는 일반적으로 건축물 1 개 층( 약 3 m) 의 높이를 기준하여 정의한 것으로 작 업장의 높이가 3 m 미만에서 발생하는 추락재해를 의미함 2) 추락재해 사망률은 추락재해로 인하여 근로자 100,000 명당 사망하는 비율을 의미함

2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2. 연구 내용 첫째, 추락재해 원인분석을 통하여 추락재해의 70 % 이상을 점유하고 있는 낮은 추락재해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고 이를 토대로 업종, 기인물, 연령 등 재해유형별 심층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영국, 미국 등 선진 외국의 추락재해 분석을 통하여 국내 추락재해의 심각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둘째, 추락과 관련된 국내 외 안전기준, 특히 사다리 관련 영국의 HSE, 미국의 OSHA 에서 권고하는 안전기준을 정리하여 국내 사다리 관련 안전 기준의 제개정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셋째, 근로자의 설문조사를 통하여 낮은 작업 재해의 88 % 인 불안전 행동 중 근본원인인 근로자 안전의식 상태를 알아 그 원인을 분석하고 근로자가 낮 은 작업에서의 재해 예방 대책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넷째, 보호구 중 낮은 작업에서의 추락 재해를 보호하는 가장 기본 요소로 근로자가 추락하는 경우 무의식 상태에서는 머리가 먼저 바닥에 떨어져 추락재 해의 40 % 가 머리 상처를 입고 다치므로 추락 시에는 안전모가 벗겨지지 않도 록 턱끈 확인장치가 필요하고, 이것을 무선으로 중앙 관리소에서 확인할 수 있 는 장치를 연구개발하고자 하였다. 다섯째, 낮은 높이에서 근로자가 작업하기 편하고 이동중이나 작업중에 현장 시설물 등에 걸리지 않는 가벼운 2 종류의 안전작업복을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추락할 경우에 신체의 순간적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그네식 안전대 겸용 안 전작업복을 개발 하고자 하였고, 또 2 m 미만의 사다리 및 말비계에서 추락 할 경우 작업복에 어깨 및 허리부위에 충격흡수를 할 수 있는 충격 흡수 안전 작업복을 개발하고 연구하였다.

Ⅰ. 서론 3 여섯째, 작업장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사다리 이동식비계, 말비계 등 낮은 높이용 작업대는 안전시설이 미비하기 때문에 추락재해가 빈발하고 있다. 따라 서 이 연구를 통하여 작업발판의 높이 조절이 용이하고 안전난간의 설치 해 체가 간편한 안전작업대를 개발하였다. 안전작업대는 접이식, 전동식 등 2종류 를 개발하여 작업장 특성에 적합한 것을 사용하도록 연구하였다. 3. 연구 방법 이 연구는 산재보상보험법에 의한 업무상 재해로 승인을 받은 사망 또는 4일 이상 요양을 요하는 추락재해 중에서 낮은 추락재해를 중심으로 특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근로자 안전의식에 대한 설문조사는 델파이 기법 3) 을 적용하여 대규모 및 중소규모 건설현장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직접 설문방식으로 실시하였고, 파트, 상가, 플랜트, 교량공사에서 작업하는 골조공사 근로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안전모 턱끈 착용 확인장치, 안전작업복, 낮은 높이용 안전작업 대 등의 안전장치를 개발하였고 건설현장 근로자의 사회적 관계, 안전의식, 불 안전행동 사이의 연관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아 3) 델파이 기법이란 미래를 예측하는 질적 예측방법의 하나로 여러 전문가의 의견을 되풀이하 여 모으고 교환하고 발전시켜 미래를 예측하는 방법이다.

4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Ⅱ. 추락재해 특성 및 원인분석 1. 서론 추락재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추락재해의 원인 및 특성분석을 토대로 추락 재해가 어디서, 어떻게, 왜 발생하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따 라서 이 장에서는 추락재해 원인분석 총괄, 낮은 추락재해 분석, 선진 외국의 추락재해 분석 및 낮은 추락에 의한 중대재해 사례 등을 통하여 추락재해를 심층적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추락재해 특성 분석은 업무상 재해로 승인을 받은 추락재해 ( 06), 노동부 산 업재해 현황통계 자료( 01 ~ 05), 영국 HSE의 추락재해 보고서 4) ( 05) 및 미국 업무상 재해통계 5) ( 05) 등의 자료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그리고 분석방법은 1 단계로 06년 발생한 전체 추락재해 11,687 건에 대하여 재해특성을 분석하였고, 2단계로 추락재해를 높이별로 구분하여 낮은 추락재해 8,238 건에 대한 심층 분 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영국, 미국 등 선진 외국의 추락재해를 연도별, 기인물별 등 유형별 특 성분석을 통하여 선진 외국의 추락재해 발생현황과 국내 추락재해의 심각성을 제시하였고, 낮은 추락에 의한 중대재해 사례를 통하여 낮은 추락재해의 원인 및 대책을 제시하였다. 4) Statistics of workplace fatalities and injuries, Falls from a height 5) US Department of Labor, Bureau of Labor Statistics, Census of Fatal Occupational Injuries

Ⅱ. 추락재해 특성 및 원인분석 5 2. 2006년 추락재해 원인분석 1) 전체 산업재해 및 추락재해 현황 06년 추락재해자는 11,687명으로 전체 재해자 89,910명의 13 % 를 점유하 고 있고, 추락사망자는 427명으로 업무상 사고 및 질병을 포함한 전체 재 해사망자 2,453명의 17.4 % 를 점유하고 있다. 89,910 재해자 사망자 90,000 80,000 70,000 60,000 50,000 40,000 30,000 2,453 11,687 427 20,000 10,000 0 전체산업 추락 [ 그림 Ⅱ-1] < 표 Ⅱ-1> 산업재해 및 추락재해 현황 산업재해 및 추락재해 현황 구분 총계 업무상 사고 업무상 질병 소계 사망 부상 소계 사망 이환 06년 전체 89,910 79,675 1,332 78,343 10,235 1,121 9,114 추락 11,687 11,687 427 11,260 - - -

6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2) 추락재해의 연도별 발생 추이 추락에 의한 부상자는 03년에 12,243 명을 정점으로 2년 연속 감소하다가 06 년에 05년 대비하여 8.3 % 증가하였고, 사망자는 04년 570명을 정점으 로 05년 416명으로 27 % 감소하였으나 06년 427명으로 전년대비 2.6 %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래와 같은 추락재해의 연도별 추이는 정부의 추락재해 예방정책의 실효성이 부족하고, 추락관련 안전기준에 문제가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14,000 12,243 570 600 12,000 10,000 9,345 426 10,371 464 556 11,106 10,398 416 11,260 427 500 400 8,000 6,000 300 부상자 사망자 4,000 200 2,000 100 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0 [ 그림 Ⅱ-2] 연도별 추락재해 현황 < 표 Ⅱ-2> 연도별 추락 재해 현황 구분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재해자 9,771 10,835 12,799 11,676 10,814 11,687 부상자 9,345 10,371 12,243 11,106 10,398 11,260 사망자 426 464 556 570 416 427

Ⅱ. 추락재해 특성 및 원인분석 7 3) 선진 외국과의 추락사망률 비교 분석 05 년 영국, 미국 등 선진국과 추락재해를 비교하면 미국의 추락으로 인한 사망자는 767명으로 추락사망률이 0.54 이고, 영국의 추락사망자는 46명으 로 추락사망률이 0.15 로 나타났다. 위와는 대조적으로 05년 한국의 추락사망률은 3.76으로 영국의 25 배, 미국 의 7 배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900 4 800 3.76 767 추락사망자 추락사망률 3.5 700 3 600 2.5 500 400 416 2 300 1.5 200 1 100 0 0.54 한국 미국 영국 46 0.15 0.5 0 [ 그림 Ⅱ-3] < 표 Ⅱ-3> 선진 외국과의 추락사망률 비교 선진 외국과의 추락사망률 비교 구분 한국 미국 영국 근로자수 11,059,193 142,894,000 29,781,341 재해사망자 2,493 5,702 212 추락사망자 416 767 46 추락사망률 3.76 0.54 0.15

8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4) 발생형태별 06년 발생형태별 재해현황을 분석하면 부상자는 감김 끼임 재해에서 16,500 명이 발생하였고 사망자는 업무상질병 재해에서 1,121 명이 발생하여 가장 높은 점유율을 나타내고 있다. 업무상사고 중에서는 추락재해로 인한 사망자가 사고 사망자수 1,332 명의 32.1 % 를 점유하고 있다. 427명이 발생하여 업무상 18,000 16,000 16,257 16,500 부상자 사망자 1,121 1200 1000 14,000 12,000 11,260 10,805 800 10,000 8,000 6,000 4,000 2,000 0 427 48 102 149 6,543 89 4,571 3 783 392 51 74 1,003 70 3,158 200 9,114 추락 전도 충돌 감김,끼임 낙하,비래 절단 붕괴,도괴 감전 화재,폭발 교통사고 업무상 질병 119 7,071 기타 600 400 200 0 [ 그림 Ⅱ-4] < 표 Ⅱ-4> 발생형태별 재해현황 발생형태별 재해현황 구분 계 추락 전도 충돌 감김 끼임 낙하 비래 절단 붕괴 도괴 감전 화재 폭발 교통 사고 업무상 질병 기타 재해자 89,910 11,687 16,305 10,907 16,649 6,632 4,574 834 466 1,073 3,358 10,235 7,190 부상자 87,457 11,260 16,257 10,805 16,500 6,543 4,571 783 392 1,003 3,158 9,114 7,071 사망자 2,453 427 48 102 149 89 3 51 74 70 200 1,121 119

Ⅱ. 추락재해 특성 및 원인분석 9 5) 업종별 업종별로 분석하면 건설업에서 5,566명의 추락부상자가 발생하여 추락 부상자 11,260 명의 49.4 % 를 점유하고 있고, 307명의 추락사망자가 발생하 여 추락사망자 427명의 71.9 % 를 점유하고 있다. 또한 건설업이 제조업에 비하여 부상자는 2.2 배, 사망자는 4.7배 이상 많은 것은 옥외작업가설작업고소작업 등 건설 작업장의 특성이 따른 안전관 리의 어려움, 있다. 건설 근로자의 안전의식 저하 등이 주요 원인이라고 할 수 6,000 5,000 5,566 307 부상자 사망자 350 300 250 4,000 200 3,000 2,562 2,430 150 2,000 100 66 1,000 0 44 건설업 광업 금융. 보험업 4 514 28 105 1 1 6 농업.어업. 임업 운수.창고. 통신업 11 0 전기.가스. 상수도업 제조업 기타의 사업 42 50 0 [ 그림 Ⅱ-5] < 표 Ⅱ-5> 업종별 추락재해 현황 업종별 추락재해 현황 구분 계 건설업 광업 금융 보험업 농업 어업 임업 운수 창고 통신업 전기 가스 상수도업 제조업 기타 부상자 11,260 5,566 44 28 105 514 11 2,562 2,430 사망자 427 307 4 1 1 6 0 66 42

10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6) 기인물별 기인물별로 분석하면 사다리와 관련된 추락부상자가 2,766명으로 추락 부상자 11,260 명의 24.6 % 를 점유하고 있고 운송수단 기계설비, 가설구조 물 순으로 추락재해가 발생하고 있다. 사다리와 관련된 추락재해가 많은 것은 모호한 사다리 관련 안전기준, 불안전한 사다리의 사용, 타목적 사용 등이 주요 원인으로 판단된다. 3,000 2,500 2,766 부상자 사망자 2,302 119 2,626 140 120 2,000 94 1,595 86 100 80 1,500 60 1,000 500 32 369 23 808 17 353 39 441 17 40 20 0 사다리 개구부 재료더미, 적재물 지붕 가설구조물 건물,철골 구조물 운송수단, 기계설비 기타 0 [ 그림 Ⅱ-6] 기인물별 추락재해 현황 < 표 Ⅱ-6> 기인물별 추락재해 현황 구분 계 사다리 개구부 재료더미, 적재물 지붕 가설 구조물 건물, 철골 구조물 운송수단, 기계설비 부상자 11,260 2,766 369 808 353 2,302 1,595 2,626 441 사망자 427 32 23 17 39 94 119 86 17 기타

Ⅱ. 추락재해 특성 및 원인분석 11 7) 추락높이별 부상자는 낮은 추락재해로 8,142 명이 발생하여 전산업 추락부상자 11,260 명의 72.3 % 를 점유하고 있다. 낮은 추락재해가 많은 것은 근로자 방심에 따른 불안전행동과 사다리, 운송 수단 기계설비, 가설 구조물 등 낮은 높이 시설의 안전 시설 미비, 불안전 상태 등이 주요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8,142 9,000 8,000 7,000 6,000 5,000 3,118 부상자 사망자 4,000 3,000 331 96 2,000 1,000 0 높은 추락(h >= 3m) 낮은 추락(h < 3m) [ 그림 Ⅱ-7] 추락높이별 재해현황 < 표 Ⅱ-7> 추락높이별 재해현황 구분 재해자 부상자 사망자 계 11,687 11,260 427 높은 추락(h>=3 m) 3,449 3,118 331 낮은 추락(h<3 m) 8,238 8,142 96

12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8) 지역별 지역별 추락재해 현황을 분석하면 부상자는 경기지역에서 3,466 명이 발생 하였고 사망자는 경상지역에서 내고 있다. 128명이 발생하여 가장 높은 점유율을 나타 부상자에 대한 사망자 비율은 경기지역이 3.4 % 이고 경상지역이 4.4 % 로 경상지역이 경기지역에 비하여 30 % 이상 높게 나타났다. 4,000 140 3,500 3,466 128 부상자 사망자 120 3,000 116 2,935 100 2,500 80 2,000 65 1,500 1,640 1,302 1,291 53 60 1,000 480 42 40 500 0 22 146 1 강원 경기 경상 서울 전라 충청 제주 20 0 [ 그림 Ⅱ-8] < 표 Ⅱ-8> 지역별 추락재해 현황 지역별 추락재해 현황 구분 계 강원 경기 경상 서울 전라 충청 제주 부상자 11,260 480 3,466 2,935 1,640 1,302 1,291 146 사망자 427 22 116 128 65 42 53 1

Ⅱ. 추락재해 특성 및 원인분석 13 9) 근속기간별 근속기간별로 추락재해를 분석하면 6개월 미만에서 7,619명의 부상자가 발생하여 추락부상자의 67.6 % 를 점유하고 있고, 330명의 사망자가 발생하 여 추락사망자의 77.3 % 를 점유하고 있다. 미숙련 근로자에서 추락재해가 많이 발생하는 것은 작업장 상황 미숙지, 작업내용방법에 대한 이해부족 등이 주요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8,000 7,619 350 7,000 330 부상자 사망자 300 6,000 250 5,000 200 4,000 150 3,000 2,000 903 100 1,000 0 6개월 미만 23 6개월~1년 미만 784 18 1년~2년 미만 431 10 2년~3년 미만 308 4 3년~4년 미만 226 7 4년~5년 미만 511 17 5년~10년 미만 370 12 10년~20년 미만 108 6 20년 이상 50 0 [ 그림 Ⅱ-9] < 표 Ⅱ-9> 근속기간별 추락재해 현황 근속기간별 추락재해 현황 구분 계 6개월 미만 6개월 ~1년 미만 1년 ~2년 미만 2년 ~3년 미만 3년 ~4년 미만 4년 ~5년 미만 5년 ~10년 미만 10년 ~20년 미만 20년 이상 부상자 11,260 7,619 903 784 431 308 226 511 370 108 사망자 427 330 23 18 10 4 7 17 12 6

14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10) 연령별 추락재해는 40대에서 3,816명의 부상자와 147명의 사망자가 발생하여 추락 부상자의 33.9 %, 추락사망자의 34.4 % 를 점유하고 있다. 또한 60대 이상의 고령자에서 추락부상자의 11.2 %, 추락사망자의 16.4 % 를 점유하고 있는데, 특히 60대 이상 고령자의 부상자에 대한 사망자 비율 은 5.5 % 로 30대의 2.6 % 에 비하여 2 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4,500 4,000 3,500 3,816 147 3,109 127 부상자 사망자 160 140 120 3,000 100 2,500 2,000 2,317 70 80 1,500 60 1,266 60 1,000 750 40 500 0 23 2 0 18세 미만 18~29세 30~39세 40~49세 50~59세 60세 이상 20 0 [ 그림 Ⅱ-10] < 표 Ⅱ-10> 연령별 추락재해 현황 연령별 추락재해 현황 구분 계 18세 미만 18~ 29세 30~ 39세 40~ 49세 50~ 59세 60세 이상 부상자 11,260 2 750 2,317 3,816 3,109 1,266 사망자 427 0 23 60 147 127 70

Ⅱ. 추락재해 특성 및 원인분석 15 11) 성별 최근에 여성의 경제활동이 활발해짐에 따라서 여성의 산업재해가 증가 추세에 있으며 06년 여성이 15,130 명의 재해자가 발생하여 전체 재해자 89,910 명의 16.8 % 를 점유하고 있다. 위와는 대조적으로 추락재해는 남성이 부상자의 를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94.2 %, 사망자의 98.4 % 10,602 부상자 12,000 사망자 10,000 8,000 6,000 4,000 420 658 7 2,000 0 남성 여성 [ 그림 Ⅱ-11] < 표 Ⅱ-11> 성별 추락재해 현황 성별 추락재해 현황 구분 재해자 부상자 사망자 계 11,687 11,260 427 남성 11,022 10,602 420 여성 665 658 7

16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12) 요양기간별 추락재해를 요양기간별로 분석하면 29~90 일이 4,750 명으로 추락재해자 11,687명의 40.6 % 를 점유하고 있고, 4일 미만이 74명으로 추락재해자의 0.63 % 를 점유하고 있다. 또한 요양기간 3개월 이상인 중상자가 47.9 % 를 점유하고 있는데, 이는 추락재해의 위험성이 매우 높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5,000 4,750 4,500 4,000 3,500 3,499 3,000 2,500 2,000 2,035 1,500 1,000 609 500 0 74 64 161 4일 미만 4~7일 8~14일 15~28일 29~90일 91~180일 6개월~1년 미만 68 1년 이상 427 사망 [ 그림 Ⅱ-12] < 표 Ⅱ-12> 요양기간별 추락재해 현황 요양기간별 추락재해 현황 구분 계 4일 미만 4~ 7일 8~ 14일 15~ 28일 29~ 90일 91~ 180일 6개월 ~1년 미만 1년 이상 사망 재해자 11,687 74 64 161 609 4,750 3,499 2,035 68 427

Ⅱ. 추락재해 특성 및 원인분석 17 13) 월별 추락재해를 월별로 분석하면 11월이 부상자 1,076 명, 사망자 54명으로 가장 높은 점유율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추락부상자는 1 월, 추락사망자는 2월이 가장 적게 발생하였는데 이는 계절적 요인에 의한 작업량의 감소가 주요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1,200 1,000 800 600 636 32 748 1,074 1,066 974 963 959 938 868 45 45 38 37 34 27 27 1,076 985 54 973 34 31 60 50 40 30 부상자 사망자 400 23 20 200 10 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0 [ 그림 Ⅱ-13] < 표 Ⅱ-13> 월별 추락재해 현황 월별 추락재해 현황 구분 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부상자 11,260 636 748 963 938 959 974 868 1,066 1,074 985 1,076 973 사망자 427 32 23 38 34 27 37 27 45 45 34 54 31

18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14) 요일별 요일별 추락재해 현황을 분석하면 부상자의 경우 월요일에서 금요일까지 큰 차이가 없으나 토요일과 일요일에 급격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망자의 경우 토요일에 81명이 발생하여 추락사망자의 19 % 를 점 유하고 있는데, 이는 주 5일 근무제가 시행되면서 토요일에 관리 감독을 소홀히 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2,000 1,800 1,600 1,400 1,200 1,000 800 1,781 58 1,681 61 1,743 62 1,857 65 1,837 65 1,546 81 815 35 90 80 70 60 50 40 부상자 사망자 600 30 400 20 200 10 0 월요일 화요일 수요일 목요일 금요일 토요일 일요일 0 [ 그림 Ⅱ-14] < 표 Ⅱ-14> 요일별 추락재해 현황 요일별 추락재해 현황 구분 계 월요일 화요일 수요일 목요일 금요일 토요일 일요일 부상자 11,260 1,781 1,681 1,743 1,857 1,837 1,546 815 사망자 427 58 61 62 65 65 81 35

Ⅱ. 추락재해 특성 및 원인분석 19 15) 시간별 추락에 의한 부상자, 사망자 모두 8~12 시전에 가장 많이 발생하고 있고, 0~4 시전에 가장 적게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작업장에서는 오전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체조, 스트레칭 등으로 몸의 피로를 풀고 위험공정에 대한 안전교육을 실시하여 추락재해를 예방 해야 할 것이다. 4,500 4,000 3,500 4,237 151 3,463 146 부상자 사망자 160 140 120 3,000 2,500 2,443 96 100 80 2,000 1,500 60 1,000 500 0 409 300 192 19 9 216 6 0 0~4시전 4~8시전 8~12시전 12~16시전 16~20시전 20~24시전 분류불능 40 20 0 [ 그림 Ⅱ-15] < 표 Ⅱ-15> 시간별 추락재해 현황 시간별 추락재해 현황 구분 계 0~ 4시전 4~ 8시전 8~ 12시전 12~ 16시전 16~ 20시전 20~ 24시전 분류 불능 부상자 11,260 192 409 4,237 3,463 2,443 300 216 사망자 427 6 19 151 146 96 9 0

20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16) 규모별 사업장의 규모별로 분석하면 10인 미만 사업장에서 부상자 5,176 명, 사망자 149명이 발생하여 추락에 의한 부상자의 46 %, 사망자의 34.9 % 를 점유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10 인 미만 소규모 사업장에서 안전시설 설치, 보호구 착용 등의 안전 수칙을 거의 지키지 않고 작업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6,000 5,000 5,176 149 부상자 사망자 160 140 120 4,000 2,716 100 3,000 89 82 80 2,000 1,847 54 60 1,000 893 377 35 18 251 40 20 0 10인 미만 10인~30인 미만 30인~100인 미만 100인~300인 미만 300인~1,000인 미만 1,000인 이상 0 [ 그림 Ⅱ-16] < 표 Ⅱ-16> 규모별 추락재해 현황 규모별 추락재해 현황 구분 계 10인 미만 10~ 30인 미만 30~ 100인 미만 100~ 300인 미만 300~ 1,000인 미만 1,000인 이상 부상자 11,260 5,176 2,716 1,847 893 377 251 사망자 427 149 89 82 54 35 18

Ⅱ. 추락재해 특성 및 원인분석 21 3. 낮은 추락재해 분석 1) 업종별 06년 발생한 낮은 추락재해를 업종별로 분석하면 건설업에서 3,544 명의 부상자가 발생하여 낮은 추락부상자 8,142명의 43.5 % 를 점유하고 있고, 사망자는 50명이 발생하여 52.1 % 를 점유하고 있다. 건설업이 제조업에 비하여 부상자는 1.7 배, 사망자는 2.6배 이상 낮은 추락 재해가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 60 3,500 3,000 3,544 50 부상자 사망자 50 2,500 40 2,047 1,997 2,000 30 1,500 19 21 20 1,000 500 0 32 건설업 광업 금융. 보험업 2 20 77 0 1 농업.어업. 임업 415 3 운수.창고. 통신업 10 0 전기.가스. 상수도업 제조업 기타의 사업 10 0 [ 그림 Ⅱ-17] < 표 Ⅱ-17> 낮은 추락재해 업종별 현황 낮은 추락재해 업종별 현황 구분 계 건설업 광업 금융 보험업 농업 어업 임업 운수 창고 통신업 전기 가스 상수도업 제조업 기타 부상자 8,142 3,544 32 20 77 415 10 2,047 1,997 사망자 96 50 2 0 1 3 0 19 21

22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2) 기인물별 06년 사다리와 관련하여 발생한 부상자가 낮은 추락부상자의 27.5 % 를 점 유하고 있고, 운송 수단기계설비와 관련하여 26.3 % 를 점유하고 있다. 사다리, 운송수단 기계설비와 관련하여 낮은 추락재해가 많이 발생하는 것은 사다리, 운송수단 기계설비에 승강설비, 작업발판, 안전난간 등의 안전시설이 미비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2,500 35 2,000 2,243 부상자 사망자 2,144 29 30 1,606 25 1,500 20 1,000 13 661 16 825 17 10 15 10 500 224 5 4 382 5 0 사다리 개구부 재료더미, 적재물 2 57 지붕 가설구조물 건물,철골 구조물 운송수단, 기계설비 기타 0 [ 그림 Ⅱ-18] 낮은 추락재해 기인물별 현황 < 표 Ⅱ-18> 낮은 추락재해 기인물별 현황 구분 계 사다리 개구부 재료더미, 적재물 지붕 가설 구조물 건물, 철골 구조물 운송수단, 기계설비 기타 부상자 8,142 2,243 224 661 57 1,606 825 2,144 382 사망자 96 13 2 5 4 16 17 29 10

Ⅱ. 추락재해 특성 및 원인분석 23 3) 지역별 낮은 추락부상자는 경기지역에서 경상지역에서 2,523 명이 발생하였고, 낮은 추락사망자 는 30 명이 발생하여 가장 큰 점유율을 나타내고 있다. 부상자에 대한 사망자 비율을 분석하면 강원지역이 장 높고 서울, 경상지역의 순으로 나타났다. 2.7 % 로 전국에서 가 3,000 35 2,500 2,523 30 부상자 사망자 30 2,150 25 2,000 21 19 20 1,500 1,193 15 1,000 500 9 330 943 894 8 9 109 10 5 0 강원 경기 경상 서울 전라 충청 제주 0 0 [ 그림 Ⅱ-19] < 표 Ⅱ-19> 낮은 추락재해 지역별 현황 낮은 추락재해 지역별 현황 구분 계 강원 경기 경상 서울 전라 충청 제주 부상자 8,142 330 2,523 2,150 1,193 943 894 109 사망자 96 9 21 30 19 8 9 0

24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4) 근속기간별 근속기간별로 분석하면 미만에서 5,261명의 부상자가 발생하여 낮은 추락 부상자의 64.6 % 를 점유하고 있고, 69명의 사망자가 발생하여 낮은 추락 사망자의 71.9 % 를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근속기간 20년 이상의 숙련공에서는 91명의 부상자와 2명의 사망자 가 발생하여 상대적으로 추락재해가 적었다. 6,000 80 5,000 5,261 69 부상자 사망자 70 60 4,000 50 3,000 40 2,000 30 1,000 0 6개월 미만 695 5 6개월~1년 미만 623 6 1년~2년 미만 335 4 2년~3년 미만 404 313 240 180 4 5 91 1 2 0 3년~4년 미만 4년~5년 미만 5년~10년 미만 10년~20년 미만 20년 이상 20 10 0 [ 그림 Ⅱ-20] < 표 Ⅱ-20> 낮은 추락재해 근속기간별 현황 낮은 추락재해 근속기간별 현황 구분 계 6개월 미만 6개월 ~1년 미만 1년 ~2년 미만 2년 ~3년 미만 3년 ~4년 미만 4년 ~5년 미만 5년 ~10년 미만 10년 ~20년 미만 20년 이상 부상자 8,142 5,261 695 623 335 240 180 404 313 91 사망자 96 69 5 6 4 0 4 5 1 2

Ⅱ. 추락재해 특성 및 원인분석 25 5) 연령별 40대에서 낮은 추락부상자의 32.9 % 를 점유하고 있고, 50대 이상에서 낮 은 추락사망자의 59.4 % 를 점유하고 있다. 또한 60대 이상 고령자의 부상 자에 대한 사망자 비율이 40대 보다 3 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근로자에서 추락재해 및 사망자 비율이 높은 것은 고령근로자가 상대적으로 근력, 운동능력 등이 저하되기 때문으로 건강진단 및 체계적인 직무분석 등을 통하여 적정 작업배치를 해야 할 것이다. 3,000 2,500 부상자 사망자 2,675 2,340 29 28 35 30 2,000 23 25 1,500 1,577 20 1,009 15 1,000 12 541 10 500 5 0 4 0 0 18세 미만 18~29세 30~39세 40~49세 50~59세 60세 이상 0 [ 그림 Ⅱ-21] < 표 Ⅱ-21> 낮은 추락재해 연령별 현황 낮은 추락재해 연령별 현황 구분 계 18세 미만 18~ 29세 30~ 39세 40~ 49세 50~ 59세 60세 이상 부상자 8,142 0 541 1,577 2,675 2,340 1,009 사망자 96 0 4 12 23 29 28

26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6) 성별 낮은 추락재해는 남성에서 7,564 명의 부상자가 발생하여 낮은 추락부상자 의 92.9 % 를 점유하고 있고, 93명의 사망자가 발생하여 낮은 추락사망자 96명 의 96.9 % 를 점유하고 있다. 이는 최근에 여성의 경제활동 인구가 급증하고 있고, 06년의 경우 여성 재해자가 전체 재해자의 수 있다. 16.8 % 를 점유하고 있는 것과는 대조적이라 할 7,564 부상자 사망자 8,000 7,000 6,000 5,000 4,000 3,000 93 578 3 2,000 1,000 0 남성 여성 [ 그림 Ⅱ-22] < 표 Ⅱ-22> 낮은 추락재해 성별 현황 낮은 추락재해 성별 현황 구분 재해자 부상자 사망자 계 8,238 8,142 96 남성 7,657 7,564 93 여성 581 578 3

Ⅱ. 추락재해 특성 및 원인분석 27 7) 요양기간별 요양기간별 현황을 분석하면 29 일~90일에서 3,535명의 부상자가 발생하여 낮은 추락재해자 8,238명의 42.9 % 를 점유하고 있다. 또한 요양기간이 91일 이상인 재해자는 3,906 명으로 낮은 추락재해자 8,238 명의 47.4 % 를 점유하고 있어, 낮은 높이에서 추락하여도 중상해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000 3,500 3,535 3,000 2,500 2,487 2,000 1,500 1,380 1,000 476 500 0 41 52 132 4일 미만 4~7일 8~14일 15~28일 29~90일 91~180일 6개월~1년 미만 39 1년 이상 96 사망 [ 그림 Ⅱ-23] 낮은 추락재해 요양기간별 현황 < 표 Ⅱ-23> 낮은 추락재해 요양기간별 현황 6개월 4일 4~ 8~ 15~ 29~ 91~ 1년 구분 계 ~1년 미만 7일 14일 28일 90일 180일 이상 사망 미만 재해자 8,238 41 52 132 476 3,535 2,487 1,380 39 96

28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8) 월별 낮은 추락재해의 월별 현황을 분석하면, 11월에 795명의 부상자와 16명의 사망자가 발생하여 부상자의 9.8 %, 사망자의 16.7 % 로 가장 높은 점유율 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1월에 481명의 부상자와 5명의 사망자가 발생하여 부상자의 5.9 %, 사망자의 5.2 % 로 가장 낮은 점유율을 나타내고 있다. 900 18 795 800 700 731 707 722 710 712 752 707 16 675 16 14 600 500 481 546 11 604 10 12 10 부상자 400 300 200 5 6 8 5 7 6 7 7 8 8 6 4 사망자 100 2 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0 [ 그림 Ⅱ-24] < 표 Ⅱ-24> 낮은 추락재해 월별 현황 낮은 추락재해 월별 현황 구분 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부상자 8,142 481 546 731 707 722 710 604 712 752 707 795 675 사망자 96 5 6 8 5 7 11 6 10 7 7 16 8

Ⅱ. 추락재해 특성 및 원인분석 29 9) 요일별 낮은 추락재해로 월요일에 1,337 명의 부상자가 발생하였고, 화요일에 19명의 사망자가 발생하여 가장 높은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또한 부상자에 대한 사망자 비율은 토요일에 고, 목요일에 0.8 % 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1.7 % 로 가장 높게 나타났 1,600 20 1,400 1,200 1,337 17 1,229 19 1,269 1,327 1,328 15 1,092 18 18 16 14 1,000 800 600 11 11 560 12 10 8 부상자 사망자 400 200 5 6 4 2 0 월요일 화요일 수요일 목요일 금요일 토요일 일요일 0 [ 그림 Ⅱ-25] < 표 Ⅱ-25> 낮은 추락재해 요일별 현황 낮은 추락재해 요일별 현황 구분 계 월요일 화요일 수요일 목요일 금요일 토요일 일요일 부상자 8,142 1,337 1,229 1,269 1,327 1,328 1,092 560 사망자 96 17 19 11 11 15 18 5

30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10) 시간별 낮은 추락재해를 시간별로 분석하면 8~12 시 전에 부상자 2,999 명, 사망자 40명이 발생하여 부상자의 36.8 %, 사망자의 41.7 % 로 가장 높은 점유율 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작업시간 전에 건강체조, TB m(tool Box meeting) 등으로 근로자 의 신체를 풀어주고, 당일의 위험작업을 인지교육해야 할 것이다. 3,500 45 3,000 2,999 40 부상자 사망자 40 2,500 2,467 30 35 30 2,000 1,799 25 1,500 18 20 1,000 500 0 308 236 154 5 2 179 1 0 0~4시전 4~8시전 8~12시전 12~16시전 16~20시전 20~24시전 분류불능 15 10 5 0 [ 그림 Ⅱ-26] < 표 Ⅱ-26> 낮은 추락재해 시간별 현황 낮은 추락재해 시간별 현황 구분 계 0~ 4시전 4~ 8시전 8~ 12시전 12~ 16시전 16~ 20시전 20~ 24시전 분류 불능 부상자 8,142 154 308 2,999 2,467 1,799 236 179 사망자 96 1 5 40 30 18 2 0

Ⅱ. 추락재해 특성 및 원인분석 31 11) 규모별 사업장 규모별로 낮은 추락재해를 분석하면 상시근로자 10인 미만 사업장 에서 부상자 3,797 명, 사망자 40명이 발생하여 부상자의 46.6 %, 사망자의 41.7 % 로 가장 높은 점유율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10인 미만 소규모 사업장에 대하여 집중적인 안전기술지원과 함께 보호구 착용 등에 대한 관리감독을 철저히 해야 할 것이다. 4,000 3,797 45 3,500 40 부상자 사망자 40 3,000 35 2,500 30 1,969 25 2,000 1,309 20 1,500 18 18 15 1,000 500 597 12 267 5 203 3 10 5 0 10인 미만 10인~30인 미만 30인~100인 미만 100인~300인 미만 300인~1,000인 미만 1,000인 이상 0 [ 그림 Ⅱ-27] < 표 Ⅱ-27> 낮은 추락재해 규모별 현황 낮은 추락재해 규모별 현황 구분 계 10인 미만 10~ 30인 미만 30~ 100인 미만 100~ 300인 미만 300~ 1,000인 미만 1,000인 이상 부상자 8,142 3,797 1,969 1,309 597 267 203 사망자 96 40 18 18 12 5 3

32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12) 건설업 추락높이별 건설업은 가설작업 옥외작업 고소작업 등 작업상의 특징, 안전관리의 난맥상 등으로 추락재해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건설업의 추락재해를 높이별로 분석하면 낮은 추락재해자가 3,594 명으로 건설업 추락재해자 5,873 명의 61.2 % 를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544 4,000 3,500 2,022 3,000 2,500 2,000 1,500 257 50 부상자 사망자 1,000 500 0 높은 추락(h>=3m) 낮은 추락(h<3m) [ 그림 Ⅱ-28] < 표 Ⅱ-28> 건설업 추락재해 높이별 현황 건설업 추락재해 높이별 현황 구분 재해자 부상자 사망자 계 5,873 5,566 307 높은 추락(h>=3 m) 2,279 2,022 257 낮은 추락(h<3 m) 3,594 3,544 50

Ⅱ. 추락재해 특성 및 원인분석 33 13) 건설업 기인물별 건설업의 낮은 추락재해를 기인물별로 분석하면 가설구조물과 관련하여 부상자 1,458 명, 사망자 15명이 발생함으로써 부상자의 41.1 %, 사망자의 30 % 를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건설 작업장의 대부분이 설치한 후 해체해야만 하는 거푸집, 비계, 이동통로 등의 가설구조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1600 1400 1,458 15 부상자 사망자 16 14 1200 12 1000 963 11 10 800 9 7 8 600 400 4 442 306 6 4 200 0 120 1 150 2 사다리 개구부 재료더미, 적재물 29 지붕 가설구조물 건물,철골 구조물 운송수단, 기계설비 76 1 기타 2 0 [ 그림 Ⅱ-29] < 표 Ⅱ-29> 건설업 낮은 추락재해 기인물별 현황 건설업 낮은 추락재해 기인물별 현황 구분 계 사다리 개구부 재료더미 적재물 지붕 가설 구조물 건물 철골 구조물 운송수단 기계설비 기타 부상자 3,544 963 120 150 29 1,458 442 306 76 사망자 50 9 1 2 4 15 11 7 1

34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14) 제조업 추락높이별 제조업의 추락재해를 높이별로 분석하면 낮은 추락재해자가 2,066명이 발생하여 제조업 추락재해의 78.6 % 를 점유하고 있는데, 건설업의 낮은 추락재해 점유율 61.2 % 에 비하여 28.4 % 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제조업이 사다리, 차량, 기계 설비 등 비교적 낮은 높이에서 작업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2,047 2,500 2,000 1,500 515 부상자 사망자 1,000 47 19 500 0 높은 추락(h>=3m) 낮은 추락(h<3m) [ 그림 Ⅱ-30] < 표 Ⅱ-30> 제조업 추락재해 높이별 현황 제조업 추락재해 높이별 현황 구분 재해자 부상자 사망자 계 2,628 2,562 66 높은 추락(h>=3 m) 562 515 47 낮은 추락(h<3 m) 2,066 2,047 19

Ⅱ. 추락재해 특성 및 원인분석 35 15) 제조업 기인물별 제조업의 낮은 추락재해를 기인물별로 분석하면 운송수단 기계설비와 관련되어 부상자 872 명, 사망자 9명이 발생하여 부상자의 42.6 %, 사망자 의 47.4 % 를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운송수단 기계설비가 승강설비, 발판, 안전난간 등의 안전시설이 미비한 상태로 사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1000 10 900 800 부상자 사망자 872 9 9 8 700 7 600 543 6 500 5 400 4 300 246 3 3 3 3 200 100 1 54 95 163 58 2 1 0 사다리 개구부 재료더미, 적재물 0 16 0 지붕 가설구조물 건물,철골 구조물 0 운송수단, 기계설비 기타 0 [ 그림 Ⅱ-31] < 표 Ⅱ-31> 제조업 낮은 추락재해 기인물별 현황 제조업 낮은 추락재해 기인물별 현황 구분 계 사다리 개구부 재료더미 적재물 지붕 가설 구조물 건물, 철골 구조물 운송수단 기계설비 기타 부상자 2,047 543 54 246 16 95 163 872 58 사망자 19 1 0 3 0 0 3 9 3

36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4. 1) 선진 외국의 추락재해 분석 영국 (1) 연도별 영국의 추락사망자는 92년 90 명에서 95년 64명으로 계속해서 감소하다가 96년 88명으로 전년대비 37.5 % 급증하였다. 또한 추락사망자는 97년 92 명을 정점으로 최근까지 감소 추세에 있고, 05년 46 명이 발생하여 97년 대비 50 % 감소하였다. 100 90 80 70 90 81 79 64 88 92 80 68 74 69 68 60 50 50 53 46 40 30 20 10 0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 그림 Ⅱ-32] < 표 Ⅱ-32> 영국의 연도별 추락사망자 현황 영국의 연도별 추락사망자 현황 구분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사망자 90 81 79 64 88 92 80 68 74 69 50 68 53 46

Ⅱ. 추락재해 특성 및 원인분석 37 (2) 고용형태별 영국의 추락사망자를 고용형태별로 분석하면 05년 추락사망자 46명 중 고용근로자가 27 명, 자영근로자가 19명으로 고용근로자가 자영근로자에 비하여 42.1 %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추락사망자에서 자영근로자의 점유율은 과거에 비하여 증가추세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70 60 50 63 62 49 51 56 64 48 43 47 53 48 자영근로자 고용근로자 40 30 27 30 32 28 32 25 27 36 36 27 20 19 13 16 14 20 17 19 10 0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 그림 Ⅱ-33] < 표 Ⅱ-33> 영국의 고용형태별 추락사망자 현황 영국의 고용형태별 추락사망자 현황 구분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계 90 81 79 64 88 92 80 68 74 69 50 68 53 46 고용 근로자 자영 근로자 63 62 49 51 56 64 48 43 47 53 36 48 36 27 27 19 30 13 32 28 32 25 27 16 14 20 17 19

38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3) 상해정도별 중상자는 99년 5,775 명을 정점으로 05년 3,739 명이 발생하여 99년 대비 35.3 % 감소하였고, 경상자는 00년 9,150 명을 정점으로 05년 4,329명이 발생하여 00년 대비 52.7 % 감소하였다. 05년 추락사망자는 46 명이고, 추락부상자는 8,068 명으로 추락부상자에 대한 추락사망자율이 0.6 % 인데 반하여, 한국은 추락사망자율이 4 % 로 영국보다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0,000 9,000 8,000 8,816 8,615 8,589 9,135 9,150 경상자 중상자 7,000 6,000 5,000 5,519 5,707 5,729 5,775 5,552 5,605 5,200 5,234 4,652 4,329 4,000 3,000 4,422 4,240 4,354 4,252 3,739 2,000 1,000 0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 그림 Ⅱ-34] < 표 Ⅱ-34> 영국의 상해정도별 추락재해 현황 영국의 상해정도별 추락재해 현황 구분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중상자 5,519 5,707 5,729 5,775 5,552 4,422 4,240 4,354 4,252 3,739 경상자 8,816 8,615 8,589 9,135 9,150 5,605 5,200 5,234 4,652 4,329

Ⅱ. 추락재해 특성 및 원인분석 39 (4) 추락높이별 05년 높은 추락으로 814 명, 낮은 추락으로 2,398 명의 중상자가 발생하여 낮은 추락재해가 64.1 % 를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05 년 높은 추락은 01년 대비 35.4 % 감소한 반면에 05년 낮은 추락 은 01년 대비 4.7 %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3,500 낮은 추락 3,000 높은 추락 2,500 2,290 2,160 2,339 2,584 분류불능 2,398 2,000 1,500 1,000 1,261 871 1,151 929 1,026 989 1,077 814 500 591 527 0 '01 '02 '03 '04 '05 [ 그림 Ⅱ-35] < 표 Ⅱ-35> 영국의 추락높이별 중상자 현황 영국의 추락높이별 중상자 현황 구분 01 02 03 04 05 높은 추락 (h>=2 m) 낮은 추락 (h<2 m) 1,261 1,151 1,026 1,077 814 2,290 2,160 2,339 2,584 2,398 분류불능 871 929 989 591 527

40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5) 업종별 영국의 업종별 추락사망자 현황을 분석하면 건설업에서 24명의 사망자가 발생하여, 전체 추락사망자 46명의 52.2 % 로 가장 높은 점유율을 나타내 고 있다. 또한 업종의 고용형태별로 분석하면 운송 서비스업에서 발생한 추락사망 자의 고용근로자 비율이 자 비율은 71.4 % 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농업의 고용근로 20 % 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16 14 14 고용근로자 자영근로자 12 10 10 8 7 6 4 5 4 2 0 2 2 1 1 0 0 0 농업 제조업 건설업 장치산업 운송,서비스업 기타 [ 그림 Ⅱ-36] < 표 Ⅱ-36> 영국의 업종별 추락사망자 현황 영국의 업종별 추락사망자 현황 구분 계 농업 제조업 건설업 장치산업 운송 서비스업 계 46 6 6 24 1 9 0 고용 근로자 27 1 4 14 1 7 0 자영 근로자 19 5 2 10 0 2 0 기타

Ⅱ. 추락재해 특성 및 원인분석 41 (6) 기인물별 05년 지붕에서 11명의 추락사망자가 발생하여 전체 추락사망자 46명의 23.9 % 로 가장 높은 점유율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지붕, 비계, 사다리 등 3가지 기인물이 전체 추락사망자에서 점유 하는 비율은 56.5 % 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10 9 8 9 높은 추락 낮은 추락 분류불능 8 7 6 5 4 3 4 4 3 3 3 4 2 1 0 2 1 1 1 1 1 1 0 0 0 0 0 0 0 0 0 지붕 비계 사다리 운반,저장장치 차량 생산물,기계 동물,수목 기타 [ 그림 Ⅱ-37] < 표 Ⅱ-37> 영국의 기인물별 추락사망자 현황 영국의 기인물별 추락사망자 현황 구분 계 지붕 비계 사다리 운반 저장장치 차량 생산물 기계 동물 수목 계 46 11 8 7 1 4 2 1 12 높은 추락 낮은 추락 분류 불능 26 9 4 4 0 0 1 0 8 8 0 3 0 0 3 1 1 0 12 2 1 3 1 1 0 0 4 기타

42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2) 미국 (1) 연도별 미국의 추락사망자는 96년 691 명이 발생한 후 01년 810명으로 계속해서 증가하다가 03년 696 명 까지 감소하였으나 04년 822명으로 급격히 증가 하였다. 05년 추락사망자는 767 명으로 04년 대비 6.7 % 감소하였으나 96년 대비 11 %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850 810 822 800 767 750 716 714 721 734 719 700 691 696 650 600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 그림 Ⅱ-38] < 표 Ⅱ-38> 미국의 연도별 추락사망자 현황 미국의 연도별 추락사망자 현황 구분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사망자 691 716 714 721 734 810 719 696 822 767

Ⅱ. 추락재해 특성 및 원인분석 43 (2) 발생형태별 05년 미국의 산업재해를 발생형태별로 분석하면 추락재해로 767명이 사망하여 재해사망자 5,702명의 13.5 % 를 점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많은 발생형태는 교통사고로 2,480 명이 사망하여 전체 재해사망자의 43.5 % 를 점유하고 있고, 두 번째로 많은 재해는 접촉재해로 1,001명이 사망하여 17.6 % 의 점유율을 나타내고 있다. 3,000 2,500 2,480 2,000 1,500 1,000 767 1,001 787 500 0 496 158 13 추락 접촉 유해물질,환경 화재,폭발 교통사고 폭력행동 기타 [ 그림 Ⅱ-39] < 표 Ⅱ-39> 미국의 발생형태별 재해현황 미국의 발생형태별 재해현황 구분 계 추락 접촉 유해물질 환경 화재 폭발 교통사고 폭력행동 기타 사망자 5,702 767 1,001 496 158 2,480 787 13

44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3) 기인물별 05년 미국의 추락사망자를 기인물별로 분석하면 지붕과 관련되어 160명이 사망하여 추락사망자 767명의 20.9 % 를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두 번째로 추락사망자가 많이 발생한 기인물은 사다리로 추락사망자 의 13.8 % 를 점유하고 있고, 바닥 통행로, 비계 순으로 추락사망자가 많 이 발생하였다. 200 180 160 160 174 140 129 120 106 100 80 82 74 60 40 20 17 25 0 계단 바닥,통행로 사다리 지붕 비계 건축,철골 구조물 차량 기타 [ 그림 Ⅱ-40] < 표 Ⅱ-40> 미국의 기인물별 추락사망자 현황 미국의 기인물별 추락사망자 현황 구분 계 계단 바닥 통행로 건축철골 사다리 지붕 비계 구조물 차량 기타 사망자 767 17 106 129 160 82 25 74 174

Ⅱ. 추락재해 특성 및 원인분석 45 (4) 연령별 05년 미국의 추락사망자를 연령별로 분석하면 45~54 세에서 197명이 발생 하여 추락사망자 767명의 25.7 % 로 가장 높은 점유율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55세 이상 고령자의 추락사망자는 247명으로 추락사망자 767명의 32.2 % 를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50 200 197 150 152 149 100 111 98 50 21 39 0 0 16세 미만 16~19세 20~24세 25~34세 35~44세 45~54세 55~64세 65세 이상 [ 그림 Ⅱ-41] < 표 Ⅱ-41> 미국의 연령별 추락사망자 현황 미국의 연령별 추락사망자 현황 구분 계 16세 미만 16~ 19세 20~ 24세 25~ 34세 35~ 44세 45~ 54세 55~ 64세 65세 이상 사망자 767 0 21 39 111 152 197 149 98

46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5) 인종별 05년 미국의 추락사망자를 인종별 분석하면 백인에서 514명이 발생하여 전체 추락사망자 767명의 67 % 로 가장 높은 점유율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라틴계에서 183명의 추락사망자가 발생하여 전체 추락사망자 767명 의 23.9 % 로 두 번째 높은 점유율을 나타내고 있다. 600 514 500 400 300 200 183 100 0 44 14 4 8 백인 흑인 라틴계 아시아계 원주민 기타 [ 그림 Ⅱ-42] < 표 Ⅱ-42> 미국의 인종별 추락사망자 현황 미국의 인종별 추락사망자 현황 구분 계 백인 흑인 라틴계 아시아계 원주민 기타 사망자 767 514 44 183 14 4 8

Ⅱ. 추락재해 특성 및 원인분석 47 5. 국내외 추락재해의 비교 분석 위와 같이 한국과 영국, 미국 등 선진 외국과의 추락재해를 비교하여 분석하 면 추락사망률에서 큰 차이를 나타내고 있을 뿐만 아니라 발생형태, 업종, 기인 물 등에서 많은 차이점을 나타내고 있는데, 그 세부사항은 다음과 같다. 1) 발생형태별 06 년 한국의 산업재해 중에서 전도, 감김 끼임, 추락재해가 전체 산업재해 89,910 명의 49.7 % 를 점유하고 있는 반면에, 05년 미국의 발생형태별 재해현황 을 분석하면 교통사고, 접촉, 폭력행동 재해가 재해사망자 5,702명의 74.9 % 를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앞으로 한국의 교통사고와 폭력행동에 의한 산업재해가 증가할 가능성이 높은 것을 시사하는 것으로, 최근에 이슈화 되고 있는 감성경영 등의 확대로 폭력행동, 교통사고와 같은 재해를 감소시켜 야 할 것이다. 2) 업종별 위에서 언급한 재해분석을 토대로 한국과 영국의 업종별 재해현황을 분석하 면 건설업, 제조업에서 추락사망자가 점유하는 비율은 한국은 87.4 %, 영국은 65.2 % 로 큰 차이가 없으나, 농업에 있어서 한국은 1명의 추락사망자가 발생하 여 전산업 추락사망자의 0.2 % 를 점유하고 있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영국은 6 명의 추락사망자가 발생하여 전산업 추락사망자의 로 나타났다. 13 % 를 점유하고 있는 것으

48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또한 한국은 운수창고통신업에서 추락사망자의 위와는 대조적으로 영국은 운송서비스업에서 추락사망자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4 % 를 점유하고 있으나 19.6 % 를 점유하고 그러므로 국내에서도 규모가 증가하고 있는 물류, 유통, 서비스 업종에 대하 여 승강설비, 발판, 안전난간 등 안전시설을 확충하고 안전모, 안전대 등 보호 구를 착용하고 작업하도록 안전기준 제 개정, 안전기법 연구, 관리 감독 강화 등의 조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3) 기인물별 위에서 언급한 재해분석에 의거하여 한국, 영국, 미국의 기인물별 재해현황 을 분석하면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있다. 한국의 경우 건물 철골구조물, 가설구조물, 운송수단 기계설비 순으로 추 락사망자가 발생하여 전체 추락사망자의 70 % 를 점유하고 있고, 영국의 경우 에는 지붕, 비계, 사다리 순으로 추락사망자가 발생하여 전체 추락사망자의 56.5 % 를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국은 지붕, 사다리, 바닥통 행로 순으로 추락사망자가 발생하여 전체 추락사망자의 는 것으로 나타났다. 51.5 % 를 점유하고 있 여기에서 특이한 점은 영국, 미국의 추락사망자의 기인물 중에서 지붕이 점 유하는 비율은 각각 로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23.9 %, 20.9 % 로 나타난 반면에 한국의 경우에는 9.1 % 위와 같이 영국, 미국에서 지붕과 관련된 추락재해가 많은 것은 주택, 학교, 종교건축 등에서 지붕을 중요한 요소로 계획 시공하고 있기 때문으로 한국에 서도 건축물의 외관을 중시하는 최근의 경향을 고려하면 지붕과 관련된 추락재

Ⅱ. 추락재해 특성 및 원인분석 49 해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지붕과 관련된 안전기준의 제 개정, 안전관리 기법의 연구, 지붕작 업 관련 안전장치의 개발 등을 통하여 지붕과 관련된 추락재해예방에 만전을 기해야 할 것이다. 6. 1) 낮은 추락에 의한 중대재해 사례 사다리에서 추락 (1) 작업장 개요 작업장명 공사규모 : 호텔 리모델링 공사현장 : 실내 인테리어 공사 (2) 재해 개요 발생일시 추락높이 : 1.6 m : 2006. 4.15. 15:15 분경 재해정도 : 사망 1명 재해발생과정 경량철골 벽체설치를 위하여 A형 알루미늄 사다리에 올라가서 먹매김 작업 을 위한 천정 실측작업을 하던 중 몸의 중심을 잃고 약 트 바닥으로 추락하여 사망한 재해임 1.6 m 아래콘크리 (3) 재해원인 안전한 작업발판 미설치 안전모, 안전대 등의 보호구 미착용

50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4) 예방대책 천정 등 추락 위험이 있는 장소에서 작업할 경우에는 비계조립, 이동식 비계 등을 설치하는 방법으로 안전한 작업발판을 설치 추락 위험장소에서 작업할 경우에는 안전모, 안전대 등의 보호구를 착용 하되 안전모는 추락 시 벗겨지지 않도록 턱 끈 까지 체결 (5) 재해관련 사진 1.89 m 1.0 m 0. 3 5 [ 그림 Ⅱ-43] 사다리에서 추락

Ⅱ. 추락재해 특성 및 원인분석 51 2) 집수정 개구부에서 추락 (1) 작업장 개요 작업장명 : 동 주민자치센터 신축현장 공사규모 : 지하 1 층, 지상 2층 (2) 재해 개요 발생일시 추락높이 : 1.6 m : 2006. 8.16. 10:30 분경 재해정도 : 사망 1명 재해발생과정 지하1층 집수정 내부 철골부재 해체작업을 위해 집수정 바닥개구부 덮개를 열고 내부를 살펴보던 중, 약 1.6 m 아래로 추락한 재해임 (3) 재해원인 안전난간, 승강설비 등의 안전시설 미설치 안전모, 안전대 등의 보호구 미착용 (4) 예방대책 작업과 관련하여 안전시설을 해체하고 개구부 하부로 이동할 경우 집수정 하부로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승강설비 설치 개구부에서 작업할 경우에 안전모, 안전대 등의 보호구 착용

52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5) 재해관련 사진 [ 그림 Ⅱ-44] 집수정에서 추락 3) 데크 플레이트(Deck plate) 를 밟고 이동하던 중 추락 (1) 작업장 개요 작업장명 : 공사규모 : 지상 2층 근린생활시설 리모델링 공사현장 (2) 재해 개요 발생일시 추락높이 : 2.5 m : 2006. 8.28 15:10 분경 재해정도 : 사망 1명 재해발생과정 철골 보 상부에 적치되어 있던 데크 플레이트 (Deck plate) 를 밟고 용접장소 로 이동하던 약 2.5 m 아래 바닥으로 추락하여 사망함

Ⅱ. 추락재해 특성 및 원인분석 53 (3) 재해원인 안전방망, 안전대 부착설비 등의 안전시설 미설치 안전모, 안전대 등의 보호구 미착용 (4) 예방대책 철골 보 하부에 안전방망을 설치하고, 부착설비를 설치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안전대 철골 보 상부 등 추락 위험장소에서 작업할 경우에는 안전모, 안전대 등의 보호구 착용 (5) 재해관련 사진 [ 그림 Ⅱ-45] 데크 플레이트에서 추락

54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4) 철근 배근작업 중 각재 파손으로 추락 (1) 작업장 개요 작업장명 : 공사규모 : 지상 5층 오피스텔 신축현장 (2) 재해 개요 발생일시 추락높이 : 0.9 m : 2006.10.22. 07:20 분경 재해정도 : 사망 1명 재해발생과정 지상1 층 기둥철근 배근작업을 하기 위하여 기 조립된 3번째 기둥 띠철근위 에 각재를 거치한 후 각재 상부로 이동하던 중, 각재가 부러지면서 약 0.9 m 아래 콘크리트 바닥으로 추락하여 병원으로 후송하였으나 사망한 재해임 (3) 재해원인 철근 조립작업시 안전한 작업발판 미설치 안전모( 턱끈 포함) 미착용 (4) 예방대책 기둥 철근을 조립할 경우에는 이동식비계 등 안전한 작업발판을 설치하고, 발판 단부에 안전기준에 적합한 안전난간을 설치 기둥 철근 조립작업을 실시할 경우에는 안전모, 안전대 등의 보호구를 착용하되 안전모는 추락 시 벗겨지지 않도록 턱 끈까지 체결

Ⅱ. 추락재해 특성 및 원인분석 55 (5) 재해관련 사진 [ 그림 Ⅱ-46] 각재 파손으로 추락 5) 계단에서 배관용 강관을 메고 이동하던 중 추락 (1) 작업장 개요 작업장명 : 빌딩 신축현장 공사규모 : 지하 1 층, 지상 5층 (2) 재해 개요 발생일시 추락높이 : 1.5 m : 2006.11. 6. 10:30 분경 재해정도 : 사망 1명 재해발생과정 피재자등 2명이 4층 옥상 소방수조 수평배관 설치작업을 위하여 2층에서 3 층 계단으로 옥상 소방수조 인입용 강관을 메고 이동하던 중, 몸의 중심을

56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잃고 약 1.5 m 아래의 하부계단으로 추락하여 사망한 재해임 (3) 재해원인 안전난간 설치 시 안전기준 미 준수 안전모 미착용 (4) 예방대책 계단실의 측면에 안전난간을 설치할 경우에는 안전기준 제7조의 2( 안전 난간의 구조 및 설치요건 ) 를 참조하여 상부 난간대는 바닥면 발판 또는 경사로의 표면으로부터 90 cm 이상 120 cm 이하에 설치하고, 중간 난간 대는 상부 난간대와 바닥면의 중간에 설치 안전난간은 임의의 점에서 임의의 방향으로 움직이는 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튼튼하게 설치 안전모는 추락 시 벗겨지지 않도록 턱 끈을 체결하여 착용 100 kg 이상의 (5) 재해관련 사진 [ 그림 Ⅱ-47] 계단 측면에서 추락

Ⅱ. 추락재해 특성 및 원인분석 57 6) 이동식비계 상부에서 기둥 미장작업 중 추락 (1) 작업장 개요 (2) 작업장명 : 빌딩 신축현장 공사규모 : 지하 1 층, 지상 4층 재해 개요 발생일시 : 2006.11.15. 16:00 분경 추락높이 : 1.95 m 재해정도 : 사망 1명 재해발생과정 미장공인 피재자가 이동식비계 상부에서 내부 기둥 미장작업을 하던 중, 이동식비계가 밀리면서 약 한 재해임 1.95 m 아래 콘크리트 바닥으로 추락하여 사망 (3) 재해원인 이동식비계 상단부에 설치된 안전난간이 안전기준에 미달 이동식비계의 바퀴 미고정 이동식비계의 일부를 견고한 시설물에 미고정 안전모, 안전대 등 보호구 미착용 (4) 예방대책 이동식비계의 상단부에 안전난간을 설치할 경우, 안전규칙 제7조의 2( 안전 난간의 구조 및 설치요건 ) 를 참조하여 상부난간대는 바닥면 발판 또는 경사로의 표면으로부터 90 cm 이상 120 cm 이하에 설치하고, 중간 난간 대는 상부난간대와 바닥면의 중간에 설치 안전난간은 임의의 점에서 임의의 방향으로 움직이는 100 kg 이상의

58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튼튼하게 설치 이동식비계의 갑작스러운 이동 또는 전도를 방지하기 위하여 브레이크 등으로 바퀴를 고정시킨 다음 비계의 일부를 견고한 시설물에 고정하거나 아웃리거 (Out rigger) 를 설치 안전대를 착용한 채로 작업하고 안전모는 추락시 벗겨지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턱끈을 체결하여 견고하게 착용 (5) 재해관련 사진 [ 그림 Ⅱ-48] 이동식비계 상부에서 추락 7) 내화피복 뿜칠 준비작업 중 작업발판 상부에서 추락 (1) 작업장 개요 작업장명 : 쇼핑몰 신축현장 공사규모 : 지하 7 층, 지상 14층

Ⅱ. 추락재해 특성 및 원인분석 59 (2) 재해 개요 발생일시 추락높이 : 2.7 m : 2006.12. 1. 18:40 분경 재해정도 : 사망 1명 재해발생과정 이동식비계 상부에 강관파이프와 합판 등으로 높이 0.8 m를 연장하여 제작 한 작업발판 위에서, 천정 철골에 내화피복 뿜칠작업시 데크 플레이트 (Deck plate) 등 철골 주변 부재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비닐부착작업을 실시하던 중, 2.7 m 아래 콘크리트 바닥으로 추락하여 사망한 재해임 (3) 재해원인 (4) 이동식 작업발판 상단부에 안전난간 미설치 작업발판의 불안전한 설치 안전모, 안전대 등 보호구 미착용 예방대책 이동식비계의 상단부에 안전난간을 설치할 경우 안전난간은 임의의 점에 서 임의의 방향으로 움직이는 하게 설치 100kg 이상의 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튼튼 내화피복 뿜칠 등 특별한 목적으로 작업발판을 제작할 경우에는 작업시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견고하게 제작하고,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난 간 또는 안전방망을 설치 작업발판의 지지물은 하중에 의하여 파괴될 우려가 없는 것을 사용하고 작업발판재료는 뒤집히거나 떨어지지 않도록 2이상의 지지물에 연결 하거나 고정하여 견고하게 설치 안전대를 착용한 채로 작업하고 안전모는 추락시 벗겨지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턱끈을 체결하여 착용

60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5) 재해관련 사진 [ 그림 Ⅱ-49] 이동식 작업발판 상부에서 추락 7. 결론 1) 추락재해예방의 문제점 위와 같은 추락재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안전난간, 작업발판, 안전방망 등의 안전시설 설치 및 기술적 대책도 중요하지만 추락, 안전기준의 제 개정, 이 선행되어야 한다. 사다리 등과 관련된 보호구 착용에 대한 관리 감독 강화 등 제도적 뒷받침 그러나 추락재해 예방에 관한 현행 제도, 교육, 연구 및 관리 감독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다. (1) 제도적 측면 추락과 관련된 안전기준, 특히 추락재해가 가장 많이 발생하고 있는

Ⅱ. 추락재해 특성 및 원인분석 61 (2) 기인물인 사다리에 대한 안전기준이 세분화 되어있지 않다. 또한 산재통계용 산업재해조사 자료를 보면 추락 높이에 대한 분류가 정확하게 되어있지 않다. 교육적 측면 작업장에서 실시하고 있는 추락재해 예방교육이 실질적인 내용보다는 형식적인 측면이 있어 근로자의 안전의식 확립, 불안전행동 제거 등의 실효성을 거두지 못하고 있다. (3) 연구개발 측면 추락재해예방과 관련된 연구가 작업장의 실태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실용성이 부족하여 추락재해예방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다. (4) 관리감독 측면 안전모, 안전대 등 보호구 미착용 근로자에 대한 관리 감독이 제대로 이 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2) 추락재해 예방대책 추락재해는 인적 요인 물적 요인 환경적 요인 등 복합적인 요인에 의하여 발생되므로 사다리 관련 안전기준 등의 제도 개선, 체계적인 안전교육, 작업장 의 안전한 상태 유지, 실용적인 연구 개발 및 철저한 관리 감독 등이 종합적 으로 이루어져야 가능하며, 그 세부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사다리 관련 안전기준의 제개정 위의 < 표 Ⅱ-18> 낮은 추락재해 기인물별 현황에서 나타나듯이 사다리와 관련하여 낮은 추락재해의 27.4 % 가 발생하고 있다. 그리고 사다리는 작

62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2) 업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작업대로 가볍고 편리한 대신에 작업발판, 안전난간이 없고 안전대 착용이 곤란하므로 낮은 추락재해가 많이 발생하 고 있다. 이는 국내의 사다리 관련 안전기준이 불명확하고 구체적이지 못 한 것에 기인한 것으로 Ⅲ장에서 제시한 영국, 미국 등 선진 외국의 사다 리 관련 안전기준의 내용을 참고하여 산업안전보건법의 사다리 관련 안전 기준을 조속히 제개정해야 할 것이다. 또한 산재통계용 추락재해 조사 자료에 대하여 추락 높이에 대한 분류를 0~1 m, 1~2 m, 2~3 m, 3~5 m, 5~10 m, 10 m 이상 등으로 세분화함 으로써 추락 높이에 따른 안전대책을 수립해야 한다. 안전의식 제고를 통한 불안전행동의 제거 근로자의 불안전행동은 지능 성격 경험 등 인적요인과 인간관계 기후 상태 조명 소음 등 외적요인의 함수관계에 의하여 발생하며 안전교육, 상담, 휴식, 작업환경개선, 적정 작업배치 등을 통하여 제거할 수 있다. 그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안전교육이라고 할 수 있는데, 안전교육이란 안전유지를 위한 지식과 기능의 부여 및 안전의식을 제고하기 위한 교육 으로 계속적이고 반복적으로 실시해야 하며, 이론교육과 더불어 재해사례, 시청각, 현장체험중심으로 실시하여 교육효과를 높여야 한다. 위와 같은 지속적인 안전교육을 통하여 근로자의 안전의식 및 태도를 형성 함으로써 재해원인의 대부분을 점유하고 있는 불안전행동을 제거해야한다. (3) 작업장의 안전한 상태 유지 추락재해가 많이 발생하고 있는 사다리, 운송수단 기계설비, 가설구조물 등에 승강설비 작업발판 안전난간 방망 등의 안전시설을 설치하여 추락위험요인을 제거하고 작업장의 안전한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Ⅱ. 추락재해 특성 및 원인분석 63 또한 사람의 심리가 더러운 장소에 쓰레기를 쉽게 버리는 것처럼 정리 정돈이 잘 안된 작업장 일수록 근로자의 불안전행동을 유발하여 재해발생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작업장의 자재, 기계 기구 등에 대한 정리 정돈을 철저히 해야 한다. (4) 실용적인 안전장치의 연구개발 아직도 작업장에는 안전모를 상습적으로 착용하지 않는 근로자가 많이 있다. 이러한 근로자에 대하여 원격지에서 안전모의 턱끈 체결상태를 확 인할 수 있는 안전장치를 연구 개발하여 보급한다면 안전모 미착용에 의 한 추락재해를 감소시킬 수 있다. 사다리는 작업 및 운반이 편리하기 때문에 작업장에서 널리 사용하고 있지만 안전난간 작업발판 등 안전시설이 미비하고 근로자가 불안전하게 사용함으로써 많은 추락재해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사다리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설치 해체가 간편하고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낮은 높이용 작업대 등의 실용적인 안전장치를 연구 개 발하여 작업장에 보급함으로써 낮은 추락재해를 예방할 수 있다. (5) 보호구 착용에 대한 관리감독 강화 아무리 좋은 보호구가 있다고 해도 근로자가 제대로 착용하지 않는다면 아무 소용이 없다. 실제로 낮은 높이에서 안전대를 미착용한 상태에서 작 업하다가 추락하여 사망하는 경우가 있고, 안전모의 턱끈을 체결하지 않고 작업하다가 추락하면서 안전모가 벗겨져 사망에까지 이르는 경우도 있다. 위와 같은 보호구 미착용에 의한 추락재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작업장 관리감독자의 역량만으로는 한계가 있고, 정부가 지속적으로 관리 감독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64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Ⅲ. 사다리 관련 안전기준 1. 산업안전보건법의 사다리 관련 안전기준 일반적으로 사다리는 작업장소를 이동하기 위한 통로로 주로 사용되지만 전 등의 교체, 나사의 설치 등 비교적 간단한 작업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산업안전보건법의 사다리와 관련된 안전기준들은 자의적 판단이 가 능한 모호한 문구와 구체적이지 못한 표현으로 법 적용시 논란의 소지가 있으 므로 조속히 제 개정되어야 할 것이다. 관련 안전기준을 정리한 자료이다. 다음은 산업안전보건법에 있는 사다리 1) 사다리식 통로의 구조 ( 안전규칙 제20 조) (1) (2) 견고한 구조로 할 것 발판의 간격은 동일하게 할 것 (3) 발판과 벽과의 사이는 15 cm 이상의 간격을 유지할 것 (4) 사다리가 넘어지거나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할 것 (5) 사다리의 상단은 걸쳐놓은 지점으로부터 60 cm 이상 올라가도록 할 것 (6) 사다리식 통로의 길이가 10 m 이상인 때에는 5 m 이내마다 계단참 을 설치할 것 (7) 사다리식 통로의 기울기는 80 도 이내로 할 것( 높이 2.5 m를 초과하 는 지점부터 등받이 울을 설치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Ⅲ. 사다리관련 안전기준 65 2) 이동식 사다리의 구조 ( 안전규칙 제446 조) (1) 견고한 구조로 할 것 (2) 재료는 심한 손상부식 등이 없는 것으로 할 것 (3) 폭은 30 cm 이상으로 할 것 (4) (5) 다리부분에는 미끄럼방지장치를 설치하는 등 미끄러지거나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필요한 조치할 것 발판의 간격은 동일하게 할 것 3) 사다리기둥의 구조 ( 안전규칙 제447 조) (1) 견고한 구조로 할 것 (2) 재료는 심한 손상부식 등이 없는 것으로 할 것 (3) 기둥과 수평면과의 각도는 75 도 이하로 하고, 접는식 사다리기둥은 (4) 철물 등을 사용하여 기둥과 수평면과의 각도가 충분히 유지되도록 할 것 바닥면적은 작업을 안전하게 하기 위하여 필요한 면적이 유지되도록 할 것 2. 사다리 관련 선진 외국의 안전기준 산업안전보건법의 안전기준과는 대조적으로 영국의 HSE, 미국의 OSHA에서 는 사다리와 관련하여 분류기준, 내용, 재료, 구조적 측면에서 명확한 안전기준 을 제시하고 있는데, 그 세부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영국 HSE (Health & Safety Executive)

66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1) 모든 사다리 (All types of ladder) 사다리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박스, 벽돌 등 사용금지 사다리에서 가능한 사다리 사용시 10 kg 이상의 중량물 운반금지 3 요소( 두 다리와 한 손) 는 항상 접촉해 있을 것 [ 그림 Ⅲ-1] 2요소 접촉 [ 그림 Ⅲ-2] 2요소 접촉 [ 그림 Ⅲ-3] 3요소 접촉 문 또는 창문이 접촉하거나 차량이 충돌할 수 있는 장소에 설치 금지 견고하고 평탄한 지반에 설치하고 오일(Oil) 또는 자재가 있는지 점검 사다리 작업시간은 최대 머리 위로 6 m 30분으로 할 것 이내에 전기선이 있는 장소에 설치금지 전기장치에 인접하여 작업시 부도체 재질의 사다리 사용 사다리에서 물건을 던지지 말 것 (2) 기대는 사다리(Leaning ladders) 기대는 사다리의 측면 경사각은 16 고 후면 경사각은 6 도 이하로 설치 도 이하로 하여 수평조절장치를 설치하

Ⅲ. 사다리관련 안전기준 67 [ 그림 Ⅲ-4] 기대는 사다리의 측면 및 후면 경사각 다른 장소로 접근하기 위하여 사다리를 사용하는 경우 내리려는 장소 위로 적어도 1 m 또는 발판 3개 이상이 되도록 설치 이동식 사다리의 설치각도는 75 도를 유지하고 사다리 높이의 1/4 길이의 수평거리 유지 [ 그림 Ⅲ-5] 기대는 사다리의 안전한 설치 각도

68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가능 하다면 사다리의 상부 또는 하부를 고정시킬 것 [ 그림 Ⅲ-6] 상부고정 [ 그림 Ⅲ-7] 중하부고정 (3) 계단식 사다리(Step ladders) 계단식 사다리의 측면에서 작업하지 말 것 [ 그림 Ⅲ-8] 사다리 측면에서 작업 [ 그림 Ⅲ-9] 사다리 정면에서 작업

Ⅲ. 사다리관련 안전기준 69 계단식 사다리의 최상부 3개 발판에서 작업하지 말 것 [ 그림 Ⅲ-10] 최상부 발판 작업 [ 그림 Ⅲ-11] 상부 발판 3개 이상 유지 계단식 사다리 사용할 경우에 잠금장치 (Locking Devices) 계단식 사다리는 지붕으로 접근할 때에 사용하지 말 것 구비 2) 미국 OSH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dministration) (1) 모든 사다리(All Ladders) 오일(Oil) 등 미끄럼이 없는 상태에서 사용 목적에 적합하게 사용하고 제조시의 최대적재하중 이상으로 적재금지 사다리의 상부 또는 하부 주위에는 깨끗한 상태로 유지 사다리 사용 시 사다리를 움직이거나 이동시키지 말 것 전기장치에 인접하여 작업 시 부도체 재질의 사다리 사용 사다리 승강 시 적어도 한 손은 사다리를 잡아야 함 균형상실, 추락 등의 원인이 되는 물체 운반금지

70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사다리의 발판은 평행하고 일정한 간격을 유지 사다리 발판의 수직 간격은 25 cm ~ 36 (2) 계단식 사다리(Stepladders) cm 사이로 설치 계단식 사다리의 최상부 또는 최상부 발판은 사용하지 말 것 계단식 사다리 사용시 잠금장치 (Locking devices) 구비 (3) 이동식 사다리(Portable Ladders) 이동식 사다리 높이와 벽면과의 벌림 간격은 이동식 사다리의 폭은 29 cm 이상으로 설치 4:1 비율 적용 금속으로 제작된 이동식 사다리의 발판은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하여 물결 모양 등의 표면처리를 할 것 이동식 사다리는 최대설계하중의 4배 이상의 하중에 견딜 것 다른 장소로 접근하기 위하여 사다리를 사용하는 경우 내리려는 장소 위로 90 cm 이상 연장 설치 (4) 고정식 사다리(Fixed Ladders) 고정식 사다리는 114 kg 고정식 사다리의 폭은 이상의 하중에 견딜 수 있을 것 41 cm 고정식 사다리 발판 사이의 간격은 이상으로 설치 18 cm ~ 30 cm로 설치 고정식 사다리의 수직 기둥은 최상부 지점 또는 발판으로부터 연장하여 설치 고정식 사다리는 수평면에 대하여 90 도 이하로 설치할 것 1.1 m 이상 고정식 사다리의 높이가 7.3 m 이상일 경우 등받이 울, 신축형 구명줄 (Self-retracting Lifelines) 등을 설치 등받이 울의 폭은 발판 중심으로부터 68 cm ~ 76 cm로 설치

Ⅲ. 사다리관련 안전기준 71 등받이 울의 수평 지지대는 1.2 m 이내마다 설치 등받이 울의 수직 난간대의 간격은 24 cm 이하로 설치 등받이 울은 최상부 지점 또는 발판으로부터 1.1 m 이상 연장 설치 3. 국내외 사다리 관련 안전기준의 비교 위와 같이 한국과 영국, 미국의 사다리 관련 안전기준은 분류기준, 내용, 구 조적 측면에서 많은 차이점이 있는데, 다음의 세부내용을 토대로 산업안전보건 법의 사다리 관련 안전기준에 대한 제개정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1) 분류기준 측면 한국의 사다리 관련 안전기준은 산업안전보건법의 안전규칙에서 주로 규정 하고 있는데, 분류기준이 모호하여 작업장에서 안전관리를 할 경우에 혼선을 초래하고 있다. 예를 들면 사다리를 사다리식 통로의 구조, 이동식 사다리의 구조, 사다리기둥의 구조 등으로 분류하고 있는데, 이 중에서 사다리식 통로, 사다리기둥 등의 용어는 작업장에서 잘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작업장에서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분류기준을 제시해야 할 필요가 있다. 위와 비교하여 영국의 HSE 에서는 사다리를 모든 사다리, 기대는 사다리, 계 단식 사다리 등으로 분류하여 사다리 종류에 따라 가이드라인 (Guide line) 을 제 시하고 있고, 미국의 OSHA 에서는 모든 사다리, 계단식 사다리, 이동식 사다리, 고정식 사다리 등으로 분류하여 구체적인 안전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72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2) 내용 측면 한국의 사다리에 대한 안전기준은 내용이 단순하고 모호하여 자의적 해석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산업안전보건법의 안전기준에서 안전규칙 제446 조, 이동식 사다리의 구조의 1, 2 조를 보면 견고한 구조로 할 것, 재료는 심한 손상부식 등이 없는 것으로 할 것 등의 내용이 있는데, 이는 사람에 따라 다양한 해석 이 가능하여 작업장의 법 위반 여부를 판단해야하는 상황에 처할 경우 논란의 소지가 있다. 또한 동법 안전규칙 제447 조, 사다리기둥의 구조를 보면 바닥면적은 작업을 안전하게 하기위하여 필요한 면적이 유지되도록 할 것 이라는 내용이 있는데, 안전한 작업을 위한 바닥면적이 몇 m2인지 명시되지 않았다. 이에 반하여 영국의 사다리 관련 안전기준은 사다리 사용시 3 요소( 두 다리 와 한 손) 는 항상 접촉해 있을 것, 사다리 작업시간은 최대 30 분으로 할 것, 계 단식 사다리의 최상부 3 개 발판에서 작업하지 말 것 등으로 내용이 명확하고 구체적이다. 또한 미국의 경우에도 모든 사다리 발판의 수직 간격은 25 cm ~ 36 cm 사이로 설치, 계단식 사다리 사용시 잠금장치 (Locking devices) 구비, 이동식 사다리의 폭은 29 cm 이상으로 설치 등으로 명확하고 구체적인 안전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3) 구조적 측면 국내의 사다리 관련 안전기준은 재료, 최대설계하중 등의 구조적 접근이 없 고 단순히 견고한 구조로 할 것 등으로 모호하다. 이에 반하여 영국은 전기장치에 인접하여 작업시 부도체 재질의 사다리 사

Ⅲ. 사다리관련 안전기준 73 용 등으로 사다리의 재료에 대한 안전기준을 제시하고 있고, 미국은 아래와 같이 보다 구체적인 재료 및 구조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전기장치에 인접하여 작업시 부도체 재질의 사다리 사용 목적에 적합하게 사용하고 제조시의 최대적재하중 이상으로 적재금지 이동식 사다리는 최대설계하중의 고정식 사다리는 114 kg 4배 이상의 하중에 견딜 것 이상의 하중에 견딜 수 있을 것

74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Ⅳ. 작업자의 안전의식 상태연구 1. 서론 건설업의 재해의 원인을 작업환경의 가변성, 작업 자체의 위험성, 공사계약의 편무성, 고용의 불안정과 근로자의 유동성, 신공법의 채택, 하도급 생산체계, 근 로자 및 사업주의 안전의식 결여 등 건설업의 특수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인식 하여 어느 정도의 재해발생은 필연적인 것으로 간주되어 왔다. 그리고 낮은 높이 작업에서 추락재해의 70 % 이상이 발생하고 있는 것의 근 본원인은 낮은 높이에서의 안전시설 미설치와 작업자의 낮은 높이에서의 위험 성인식이 낮다는 것에서 찾을 수 있으며 비용절감에 대한 작업의 압박과 빠르 고 쉽게 하려는 인간의 본성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리고 건설재해는 대부분이 불안전한 상태에 불안전한 행동이 겹쳤을 때 일어나고 있다. 발생된 산업재해의 91 % 정도는 그 재해 원인 구성요소 가운데 불안전 상태라고 하는 재해요인을 포함하고, 또 동일재해에 대하여 96 % 정도 가 그 재해원인 구성요소 가운데 불안전행동이라고 하는 재해 요인을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재해통계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재해의 원인 구성요소는 1불안전상태는 포함되어 있으나 불안전 행동은 포 함되어 있지 않다. 2불안전행동은 포함되어 있으나 불안전 상태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3양자가 동시에 포함되어 있다는 세 가지가 있다. 이 가운데 대부 분의 재해는 3의 경우에 해당한다.

Ⅳ. 작업자의 안전의식 상태연구 75 [ 그림 Ⅳ-1] 재해원인 구성 요소 따라서 근로자의 불안전행동을 제거한다면 재해는 발생할 수 없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인간의 주의력에는 한계가 있으며 인간에게는 공통적인 결함 이 있어 완전한 인간을 바라는 것은 무리이므로 안전관리의 방향은 불안전한 상태를 개선하는 계획에 중점을 두고, 불안전한 행동을 합리적으로 배제할 수 있는 시책을 병행하여야 한다. 즉 근로자가 처한 외부의 물적 환경을 대상으로 하는 기술적 대책과 근로자를 대상으로 하는 인간적 대책이 병행되어야 하는 것이다. 하인리히 (Heinrich. H.W) 의 도미노 이론[ 그림 Ⅳ-1] 에서 사회적 환경 및 유 전적 요소, 개인적 결함 중 선행적 요인이 연쇄적으로 생겨 불안전행동으로 재해 의 88 % 가 발생한다는 이론이 있다. 본 설문연구를 통하여 불안전행동의 일부이 면서 근본원인이라고 판단되는 안전의식과 불안전행동간의 상호관계를 밝혀내고 그에 대한 안전대책을 세우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사회적환경 및 유전적요소 개인적 결함 불안전 행동상태 사고 상해 ( 손실) 1단계 2단계 3단계 4단계 5단계 [ 그림 Ⅳ-2] 하인리히의 Accident Sequence"

76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또한 이러한 추락재해의 영향이 미치는 조직과 인간요소를 이해하기 위한 자료인 HSE 연구 보고서(Falls fro m height-prevention and risk control effectiveness) 에서도 높은 작업에서는 추락이 위험하고 낮은 높이에서의 추락 은 그렇지 않다와 근로자들이 추락의 전형적인 관점의 요약으로 나는 이일을 수년간 일을 하였지만 사고가 발생되지 않았는데 지금이라도 일어나겠는가? 라는 생각이 사고의 근본적 요인으로 보고 있다. 이런 근본적 요인을 여러 가 지 사업장 종류 및 추락요인 네트워크를 구분하여 조사하였던 것처럼 낮은 높 이의 추락재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안전시설하기가 어려운 낮은 높이의 작업 자의 안전의식이 중요하다는 관점으로 접근하였으며 선진 외국에서도 낮은 추 락재해의 대부분이 작업자의 인식에 의한 것임을 중요시 여겨 관련 연구가 계 속되고 있다. 2006 년도 추락재해 통계에서 나타나듯이 건설업, 제조업, 서비스 업 등 다양한 부분에서 낮은 높이의 추락재해가 발생하고 있지만 이번 설문조 사 연구는 낮은 높이의 추락재해가 가장 많이 발생되는 건설업종에 종사하는 근로자에 한정하였고 설문 조사를 통하여 건설분야의 작업자들이 우리사회를 어떻게 보고 건강 심리적 상태와 직업 수입에 대한 만족 관계 그리고 현장에 서 작업하는 동안의 감성경영과 복지시설 등의 요인들이 안전의식과 어떻게 관 련되어 있으며 어떤 영향을 미치는 데 목표를 두고 진행되었다.

Ⅳ. 작업자의 안전의식 상태연구 77 2. 연구의 배경 및 방법 1)안전의식의 기본요소 구성 [ 그림 Ⅳ-3] 안전의식 영향도 인간의 행동 중 안전에 대한 불안전한 행동은 개인적인 생각과 의지, 실수 및 조직의 문화, 대화, 리더쉽 또는 작업적인 만족, 환경 등의 영향에 의하여 나타난다고 보면 그림의 개인의 안전의식 영향도 [ 그림 Ⅳ-3] 는 인간의 안전행 동이 어떤 주요한 요인의 영향을 받았는가 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표현하였 다. 하지만 이중 재해에 따라 어떤 특정한 부분만 ( 예를 들면 고혈압에 의한 추락재해는 건강요인에만 국한될 수 있음) 좀더 세분화된 분석표가 필요할지도 모르나 전체적인 안전의식 상태에 대한 윤곽을 잡는데 이 영향도를 이용할 수

78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가 있을 것이다. 이것은 인간의 안전행동이 너무나 많은 변수가 있어 정확치는 않지만 이 접근방법은 현장에서 발생하는 사고에 대한 다양한 접근방법중의 하나로 보고 이런 방법으로 계속적으로 접근하다 보면 일관성 있는 방법들이 나올 것으로 사료되며 정량화 되는 수치로도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다만 이 연구에서는 이것을 가정하여 작업자들에게 직접설문을 통하여 과연 이런 영향이 맞는지 확인하는 선에서 연구를 한 것이며 향후에도 계속적으로 새로운 연구를 통해 하나의 영향분포를 세분화하여 근본적원인과 이에 대한 다 양한 대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이 자료는 작업자의 의식 상태를 조사하여 향후 안전에 있어 행동요인이 어 떻게 되는 것에 대한 가능성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고 연관성을 다음과 같은 요 인으로 채택하였다. 사회적 관계요인 : 우리가 소속에 대한 주변사람의 관심과 사업장의 관심 및 같이 일하는 동료와의 관심을 중점적으로 보아 이것을 사회적 연관성 관계요인으로 보았다. 건강 및 심리적 관계 요인 : 본인의 건강에 대한 관심과 이런 일하는 것에 대한 자부심 및 가정생활에 만족도를 관점으로 보아 이것을 건강 및 심리 적 관계요인으로 보았다. 직업 및 수입관계 요인 : 본인 직업에 대한 만족감에 대한 약간의 심리적 관계, 현 작업의 어려움 및 현 직업으로 인한 수입관계의 만족도를 관점으 로 보아 이것을 직업 및 수입 관계요인으로 보았다. 작업현장의 만족관계 요인 : 현재 작업하는 장소에 대한 복지시설 및 작업 반장, 관리감독자 들에 대한 만족과 현재하는 일에 대한 불만족을 관점으 로 보아 이것을 작업현장의 만족관계 요인으로 보았다. 안전의식관계의 요인 : 안전보호구에 대한 신뢰성과 현장내의 안전에 대한

Ⅳ. 작업자의 안전의식 상태연구 79 만족도 및 안전교육 등에 대한 필요성을 관점으로 보아 이것을 안전의식 관계의 요인으로 보았다. 낮은 작업에서의 안전의식관계 요인 : 낮은 작업경우에의 보호구의 필요성 과 안전시설의 중요성 및 보호구의 착용을 하는 상태를 관점으로 보아 이 것을 낮은 작업에서의 안전의식 관계요인으로 보았다. 2) 연구의 전반적 목적 첫째, 추락재해의 근본적인 원인을 확인해볼 수 있도록 안전 영향도를 하여 각 사업장의 재해원인분석 및 대안제시에 기준선을 제공 제시 둘째, 영향도에 의한 작업자의 사회적 관계, 건강 및 심리적 관계, 직업적 계, 현장만족관계, 안전의식의 관계, 낮은 작업에서의 안전의식관계를 제 시하여 이것에 대한 사업장의 작업자 안전의식 상태를 조사하여 향후 재해에 대한 예방대책수립에 모델 제공 셋째, 국내 건설현장의 재해의 근본적 원인을 어떠한 영향으로부터 발생되는 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 넷째, 추락재해의 불안전행동을 유발한 근원적 사고원인 제시하고 대책수립의 도구로 사용 다섯째, 건설사업장에서 공종별, 공사별, 공정별로 근로자에 대한 안전의식상 태를 조사하여 향후에 재해 발생우려가 있는 근로자들을 집중관리하 는데 도구로 사용 여섯째, 각 건설현장의 작업자 위험성평가를 확인하는 방법 모델 제공 관

80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3) 설문서 작업방법 설문조사 순서 문서 정리 ( 자료정리 ) 자문 설문서 작성 설문서 타당성조사 설문조 사( 건설 ) 요인인자에 대한정리 전체대상에 대한 정리 설문서 최종 작성 및 조사방법결정 근로자에게 제공할 선물 및 위촉연구원 ( 인천대 이승 태) 동원 승인 기술지도기관 및 지도원 협조요청 ( 현장 및 방법) 현장 설문조사 및 실태조사 통계정리 (SPSS) 보고서 초안 작성 보고서작성 ( 요약 및 본안) 건설현장 작업자에게 직접 받는 설문서 내용은 외국과 국내에서는 사례가 없어 이 설문서 내용을 현장작업자가 이해하고 알아들을 수 있는 질문 91 가지 설문을 작성하여 각 전문가그룹 ( 연구원, 교육원 17명과 경기지역안전 관리자 연합회 회원 및 건설회사의 직원 찾아 선택한 질문 30 명) 에게 가장 각 분야와 가장 연관된 것을 3~5가지씩 선택하도록 ( 델파이기법 ) 하여 그중 가장 중요한 질 문이라고 생각되는 것을 연구책임자가 선택하여 결정하였다. 그러고 난후 설문서는 건설현장 아파트공사 작업자 310명과 플랜트 작업자 45 명, 토목공사 작업자 20명의 대기업작업자와 중소규모 상가건물 작업자 137 명의 총 512명 에게 직접 설문서를 받아 어떠한 영향이 작업자에게 안전을 하 겠다는 의식과 연관되었는지를 알고자 하였다.

Ⅳ. 작업자의 안전의식 상태연구 81 3. 설문조사 내용 총 91개의 항목 중 40개 선정 타당성 및 신뢰성을 조사한 설문서 작성 델파이기법 (Delphi method) 를 사용하여 91 개의 설문지 항목을 만들었으며, 안전의시 상태를 설명할 수 있는 타당성 조사 설문서를 산업안전연구원 17 명, 건설현장 직원 및 안전관리자 30명를 대상으로 설문내용에 대하여 각 요 인과 가장 연관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질문을 3~5 가지 선택하여 순위로 각 평가항목별로 상위 10개의 질의를 선택하여 총 40개의 질의 항목을 선정함 1) 사회성 관계요인 인 원 30 25 20 15 10 5 0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항 목 당 선 택 인 원 항 목 [ 그림 Ⅳ-4] 사회성 관계 설문 내용 우리 현장이 다른 현장에 비교에 (무엇이든) 잘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다른 동료 분들과 같이 작업하는 것을 좋아 합니까? 같이 일하는 분이 (다) 마음에 들지요? 일 끝나면 같이 일하는 동료 분들과 술 한잔 하면서 어울리십니까? 본인은 사람 사귀는 것을 좋아합니까? 같이 일하는 분 중에 걱정거리가 있는 분이 많지요? 일 끝나시면 같이 어려운 분들을 잘 도와준다고 생각하십니까? 같이 일하는 동료 분들이 이기적이라고 생각하십니까? 본인은 주변에 혹은 이 현장에 아군보다는 적이 많다고 생각하십니까? 이 사회는 우리 같이 어려운 분들을 잘 도와 준다고 생각하십니까? (명) 28 28 20 22 20 19 9 12 13 10

82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2)직업성 관계요인 인 원 30 25 20 15 10 5 0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항 목 당 선 택 인 원 항 목 [ 그림 Ⅳ-5] 직업성 관계 설문 내용 이 일하는 것이 즐겁다고 생각하십니까? 이 일을 얼마나 하셨습니까? (몇 년) 본인 작업이 힘이 들고 짜증이 나십니까? 저녁이 되면 몸과 마음이 피로함을 느끼나요? 수입(일당)은 사는데 지장이 없습니까? 본인 생각에 일하는 것에 비해 일당을 충분히 받는다고 생각하십니까? 평소 작업량이 많다고 생각하십니까? 이런 일들은 얼마나 더 하실 생각이 있습니까? 귀하의 경제수준은 사회적으로 어느 정도라고 생각하십니까(상,중,하)? 본인 작업이 천하다고 생각하신 적이 있습니까? (명) 36 18 14 13 15 23 17 12 12 14

Ⅳ. 작업자의 안전의식 상태연구 83 3)건강성 관계요인 인 원 30 25 20 15 10 5 0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항 목 당 선 택 인 원 19 20 21 항 목 [ 그림 Ⅳ-6] 건강성 관계 설문 내용 식사는 규칙적으로 잘 하시지요? 혹시 혈압, 허리, 당뇨 등 몸이 아프신 데는 없으십니까? 건강을 위해 운동 등 관리하시는 것은 있으십니까? 담배는 피우십니까?(몇 갑), 술은 자주 하십니까? (몇 잔) 본인이 중요한 사람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의리와 도리를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안전규칙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본인은 생활에 항상 불안감을 가지고 있지는 않습니까? 나보다 못한 사람을 보면 도와주고 싶다고 생각하신 적이 있습니까? 가족들과 같이 있으면 행복하십니까? (명) 22 24 27 27 22 16 23 18 13 16

84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4)현장의 만족감 관계요인 인 원 45 40 35 30 25 20 15 10 5 0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항 목 당 선 택 인 원 항 목 [ 그림 Ⅳ-7] 현장의 만족감 관계 설문 내용 현장식당에서 식사하시는 것은 마음에 드십니까? 샤워실과 화장실, 휴게시설은 마음에 드십니까? 솔직히 소장님과 직원들이 본인 마음에 드십니까? 조회할 때 마다 악수, 인사 등 이런 행사가 좋다고 생각하십니까? 근로자 교양강좌 등이 본인에게는 도움이 됩니까? 본인은 이 공사에 최선을 다한다고 생각하십니까? 옆 현장보다 우리현장에 공사를 잘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아침현장 행사 때문에 공사를 못하여 짜증이 나신 적이 있습니까? 현장에서 아침마다 에어로빅하는 것이 안 좋다고 생각하십니까? 정기 건강검진 하는 것이 만족스럽습니까? 다른 공정과 문제가 발생되어 싸운 적이 있습니까? (명) 33 36 27 28 12 24 21 15 12 13 14

Ⅳ. 작업자의 안전의식 상태연구 85 5)안전의식관계요인 인원 30 25 20 15 10 5 0 1 2 3 4 5 6 7 8 9 1011121314151617181920 항목당 선택인원 항목 [ 그림 Ⅳ-8] 안전의식 관계 설문 내용 안전모 잘 쓰고 계시군요? (그런데 다른 소규모 현장에서도 이렇게 쓰고 일합니까?) 안전모를 가장 쓰고 싶지 않을 때가 있지요? (언제) 안전대가 불편하지 않으세요? 안전모 턱끈을 채워야 된다고 생각하십니까? 이 현장은 정리정돈이 항상 잘 되어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작업중 혹시 위험하다고 생각하거나 아차 사고를 당한적이 많습니까? 다른 현장에 비해 우리현장 안전시설은 잘 되어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안전교육이 형식적 이지 않나요? 소장님이 여러분들한테 관심이 많은데 이것이 좋다고 생각하십니까? 안전교육을 받을 때 본인 생각에 이런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명) 20 18 22 23 24 17 24 14 11 24

86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4. 안전의식 영향도에 의한 분석 1) 안전의식에 미치는 영향요인 건설현장 작업현장에 다니면서 설문지를 조사하던 중 건설현장의 재해의 당 사자인 근로자들에게 안전하게 작업하면 되는데 왜 안전을 규정대로 하지 않 아 본인도 다치고 사회적으로나 사업주에게 손해를 주는 가에 대하여 근로자 들과 대화 중 안전하게 작업해야 되는 것은 대부분 공감하면서 다음과 같은 의식관계로 안전하게 작업하는 것을 기피하게 되는 요인으로 알 수 있었다. 우리는 이 사회에서 비정규직으로 천하고 힘들며 이런 직업을 가진 것을 창피하다고까지 생각하는 근로자들이 많은 관계로 우리사회와 사업장에서 는 아직도 건설현장에서 작업하는 기능기술자의 자긍심을 심어주는 경향 이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근로자들의 대부분은 안전을 감독하는 사람이나 현장에 있는 관리감독자를 동료라고 생각하지 않고 불신하고 있었으며 본인을 위해 안전을 지키라고 하는 것이 아니라 일을 방해하고 귀찮은 존재며 할 수 없이 하는 시키니까 하는 경향이 있고 일부는 나를 자꾸 귀찮게 하면 가만 안두겠다는 적개심 이 있는 근로자들도 있었다. 근로자들의 직업개념은 건설현장에 일을 이것저것하다 안되면 노가다라도 하자 고 생각하고 작업하는 경향이 있어 언제라도 이것에서 벗어나야겠다 고 생각사람은 많았으나 그것이 쉽지 않아 작업하면서 불만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낮은 높이에서의 작업은 이 일은 내가 수십 년 해보고 위험하지도 않는데 지금이라고 문제가 되겠어. 라고 대부분생각하며 좋은 작업대나 보호구가 있으면 좋지만 자꾸 이동해야 하고 잠깐 하면 되는데 비싼 작업대와 장비 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불법하도급과 저가 하도급 등으로 인하여 일양에 비해 정당한 임금을 받지 못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이것에 대한 불만내용은 고용관계가 불

Ⅳ. 작업자의 안전의식 상태연구 87 확실하여 근로자들이 어쩔 수 없이 인정해야 된다는 반응이었으며 이것에 맞추어 조금이라도 벌기위해 일양을 늘리고 건강이 해가 되도록 무리하게 작업하며 위험한 돌관 작업 및 야간작업도 마다하지 않으면서 어쩔 수 없 이 안전은 등한시 할 수밖에 없다는 반응이었다. 현장에서 사고가 발생되어 아프다고 하면 바로 작업을 계속할 수 없으므로 산재를 숨기는 근로자들이 있는 반면에 현장입사 전에는 몸에 이상이 없다 고 주장하면서 현장건강진단을 기피하고 있다가 일단현장에 배치되어 일을 하다가 닫친 것으로 주장하여 산재보험법을 이용하면 된다는 생각이 부득 이 안전을 지킬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었다. 보호구는 현장에서 지급해야 된다는 사업주 의무사항이라는 것을 근로자들 이 알고 있어 지급된 보호구를 깨끗하게 사용하지 않고 더러워지면 일부러 던지고 파손하여 다시 사업주에게 요구하므로 사업주는 보호구를 안전하고 좋은 것을 주는 것이 아니라 어차피 근로자들이 한번 쓰고 버릴 것이라면 약간 불안전하더라도 조금이라도 싼 것을 주어 작업하다가 버려도 좋다는 인식이 팽배해 있었다. 건설현장은 많은 투입인원 동시에 작업하므로 자기가 하고 일에 방해가 되 거나 불편하게 하면 공종간과 작업동료간의 경쟁과 적대감이 있어 다른 사 람을 위해 내가 부득이 안전시설을 해야 되겠다고 생각하지 않으며 본인일 이 끝나면 다른 공정 근로자들도 이용해야 하는 기존 안전시설도 자기공정 에 필요가 없으면 제거해 버린다고 한다. 이것 이외에 이 사회에 부정부패에 대한 상대적 박탈감 등과 같이 인간의 안전에 대한 의식은 복합요소가 많았으며 근로자 마다 가정생활과 환경에 또 는 나이, 학벌에 따라 다양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관계로 안전의식 영향도에 따라 사회적요인, 건강 및 심리적 관계요 인, 직업 및 수입관계요인, 건설현장 만족도 요인, 안전의식과 낮은 작업에서 의 안전의식 요인으로 분류하여 조사하고 각 요인에 대한 연관관계와 < 부록 Ⅰ- 안전의식 상태조서 결과표> 와 같이 상관계수를 조사하여 결과를 도출하여 보았다.

88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2) 사회적요인과 안전의식 관계 [ 그림 Ⅳ- 9] 사회적의식 관계와 안전의식의 신뢰성관계 산점도 < 표 Ⅳ-1> 사회적의식 관계와 안전의식의 신뢰성관계표 구분 안전의식관계 사회성관계 Pearson 상관계수 (r) (N) 0.406 (515) Spear man의 서열상관계수(r ) (N) 0.392 (515) 사회적 요인의 만족도가 높은 작업자들이 안전을 받아들이겠다는 인식과의 Pearson 상관계수는 0.406 으로 비교적 높은 상관계수가 나타났으며 이것을 4개 모듈로 분개한 분석표에서는 91 % 정도가 전반적으로 동료애 및 우리 현장의 애착심과 동료근로자를 생각해주는 배려심이 높은 사람이 현장에 대한 만족감이 높아지고 안전에 대한 인식과 행동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Ⅳ. 작업자의 안전의식 상태연구 89 3) 건강 및 심리적요인과 안전의식 관계 [ 그림 Ⅳ-10] 건강 및 심리적 관계와 안전의식의 신뢰성관계지수 < 표 Ⅳ-2> 건강 및 심리적 관계와 안전의식의 신뢰성관계 표 구분 Pearson 상관계수 (r) (N) Spear man의 서열상관계수(r ) (N) 건강심리적관계 안전의식관계 0.415 (515) 0.399 (515) 건강과 심리적 관계인 본인의 건강, 건강관리 및 하고 있는 일에 대한 사회적 자부심, 가정생활의 불안감 등과 안전의식의 것에 대하여 Pearson 상관계수는 0.415 로 비교적 높은 상관계수가 나타났다. 4개 모듈의 분포에서도 건강 및 심리적 요인을 긍정적으로 보는 근로자들 이 안전의식도 긍정적으로 보는 확률이 86 % 정도 안전의식상태와 연관성 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런 관계는 건강과 안전 및 인간의 심리적관계가 안전의식과 연관성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90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4) 직업 및 수입요인과 안전의식관계 [ 그림 Ⅳ-11] 직업 및 수입 관계와 안전의식의 신뢰성관계 산점도 < 표 Ⅳ-3> 직업 및 수입 관계와 안전의식의 신뢰성관계 표 구분 Pearson 상관계수 (r) (N) Spear man의 서열상관계수(r ) (N) 직업수입관계 안전의식관계 0.399 (515) 0.362 (515) 직업 및 수입관계요인에서 하고 있는 일에 대한 만족감과 수입의 적정성, 그 수입으로 인한 본인 및 가족과의 만족감 등과 안전의식과의 Pearson 상관계수는 현장에서 작업 후 0.399 로 낮은 상관계수가 나타났으며 별도로 추가 조사한 건설 받는 하루 일당에 대한관계에도 낮은 상관계수가 나타 나 단순히 수입이 좋다고 하여 안전을 할 것이라고는 관념은 일치되지 않 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직업에 수입의 만족도가 높은 사람이 안전의식 상태도 높은 것에 대 한 관계는 71 % 정도로 관계가 나타나 일당이 높다고 하여 직업에 대한 수

Ⅳ. 작업자의 안전의식 상태연구 91 입만족도가 높다고는 볼 수 없으나 안전의식과는 다소 연관성이 있는 것으 로 알 수 있었다 5)작업장에 대한 만족감과 안전의식관계 [ 그림 Ⅳ- 12] 현장에 대한 만족 관계와 안전의식의 신뢰성관계 산점도 < 표 Ⅳ-4> 현장에 대한 만족 관계와 안전의식의 신뢰성관계 표 구분 현장만족도 안전의식관계 Pearson 상관계수 (r) (N) 0.550 (515) Spear man의 서열상관계수(r ) (N) 0.524 (515) 현장에 대한 만족감 내용인 현장의 복지시설 ( 식당, 화장실, 휴게실 등) 과 안전시 설 및 현장관리자, 같이 일하고 있는 동료에 대한 만족감 등이 안전의식과의 연 관성은 Pearson 상관계수가 0.550 으로 비교적 높은 상관계수가 나타났다.

92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4개의모듈에 분포도 86 % 로 나타나 현장감독자들이 현장근로자들에 대한 복지 와 동료애에 대한 관심을 가질 경우 안전의식과 근로자의 안전한 행동에 매우영 향이 높아 현장관리를 통해 근로자들이 요구하는 복지시설과 인간관계유대 및 애로사항을 잘 들어주면 자동적으로 안전의식이 높아져 재해방지에 효과가 있다 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그래서 건설회사 일부가 실시하고 있는 감성경영을 하면 안전이 좋아진다는 것이 여기에 접근하는 방법 중 하나의 방법이라 하겠다. 6)안전의식과 낮은 높이의 작업에서의 안전의식관계 [ 그림 Ⅳ-13] 낮은 작업의 안전의식관계와 일반적 안전의식관계와의 신뢰성관계 산점도

Ⅳ. 작업자의 안전의식 상태연구 93 < 표 Ⅳ-5> 낮은 작업의 안전의식관계와 일반적 안전의식관계와의 신뢰성관계 표 구분 Pearson 상관계수 (r) (N) Spear man의 서열상관계수(r )(N) 안전의식관계 낮은작업의식관계 0.670 (203) 0.662 (203) 안전의식관계와 낮은 작업을 하는 경우의 안전의식과의 는 Pearson 상관계수 0.670 으로 비교적 높은 상관계수를 나타나고 있어 낮은 작업에서의 보 호구 인식과 작업할 경우의 낮은 작업위험성 인식상태와 관계에서 일반적 안전의식관계와는 연관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알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안전의식 관계를 알면 낮은 높이에서도 안전하게 작업을 하려 는 안전의식은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어 낮은 작업에 대한 의식을 별 도로 보지 말고 전체적으로 안전의식을 높이기 위한 노력과 낮은 작업의 위험성을 인지시키는 데 관리가 필요하다

94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5. 1) 일반적 안전의식 상태 설문서 분석 설문대상 및 인원 [ 그림 Ⅳ-14] 사업 규모별 분류 총 512 명을 이번 설문조사에서 인천, 부천지역 및 충청남도 지역의 작업자중 공사규모 300 억 이상 대기업 중( 아파트, 플랜트, 토목공사 ) 공사규모 20억에서 250 억원 규모의 중 소규모사업장 ( 택지개발 지구내 상가 및 오피스텔 현장) 의 골조 및 설비 등의 작업자를 조사하였으나 다음과 같은 내용은 설문조사 계획 대로 진행되지 못하였으며 차후년도에 사업계획을 잡아 추가 실시하여 보완 할 것이다. 추락 2.5 회의(10 회) 를 통해 제시한 각 지역별 공사종류에 따라 종사하는 다 양한 작업자 및 제조업, 서비스업 등에 종사하는 다양한 추락재해 위험이 있는 근로자들을 실시하지 못하였다. 기초 골조 마감 작업 진행에 따라 공정이 다른 근로자의 의식상태를 조 사하여야 하나 금번조사는 설문조사 기간이 율 20 % ~50 %) 에만 집중되었다. 7, 8, 9 월과 골조작업진행 ( 공정 설문서 결과에 대한 근거는< 부록Ⅲ- 안전의식 설문결과표 > 을 참조하여 그

Ⅳ. 작업자의 안전의식 상태연구 95 중에서 중요한 부분만 본 연구 본문에 제시하였다. < 표 Ⅳ-6> 설문조사 실시 대상 기업 분류 지역 분류 기업명 공사금액 ( 억원 ) 공정상태 ( %) 설문자수 ( 명 ) 비고 건설 1200 35 183 부천 중동 아파트 현장 산업개발 1300 40 40 산업 1400 45 42 8층에서 18층 골조 공사중 건설 (2 차) 1600 35 45 건설 25 35 21 건설 23 25 12 하우스 35 25 8 인천 (논현 지구) 상가건 물 및 사무실 공사 현장 종합건설 18 45 10 종합건설 35 53 6 종합 건설 254 18 2 3층에서 6층골조 공사중 건설 23 35 62 건설 28 30 16 서산 서천 합계 플랜트 사업현 장 토목교 량현장 엔지니어링 355 85 24 철골 및 건설 285 55 21 기업 2200 65 20 15개 사업장 512 설비 작업중 교량 공사중

96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2) 설문결과 분석 (1) 성별 안전의식 [ 그림 Ⅳ-15] 성별 분류 [ 그림 Ⅳ-16] 성별 안전의식 관계 건설현장의 근로자중 남성들은 여성에 비교해 직업수입관계의 불만족이 높 게 나타나는 것은 남성들은 대부분 가장으로 수입으로 생활함에 부족함을 느끼 며 사회적으로나 직업적으로 수입이 일정하지 않아 수입 면에서는 불만족한 것 으로 나타나며 이런 불만족이 안전을 준수해야 된다는 의식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근로자들은 남성근로자에 비교해 힘든 작업과 직업이 천하다는 인식이 강했으며 이런 직업을 가진 것에 대한 불만족관계 등으로 건강 및 심리적관계 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설현장에 대한 안전의식은 건설현장이 위험하고 힘든 곳으로 안전을 지켜야 된다는 인식이 남성들에 비교해 다소 높았다. 설문조사에서 대부분 골조작업을 진행하는 공사를 조사함으로서 마감작업에 많이 투입되는 여성들의 참여가 적었으며 여성근로자들은 설문조사에서도 창피 하다는 이유로 기피하는 경향이 많았다.

Ⅳ. 작업자의 안전의식 상태연구 97 (2) 국적별 안전의식 [ 그림 Ⅳ-17] 국적별 비교 [ 그림 Ⅳ-18] 국적별 요인 비교 이 설문조사에서 외국인이 13.9 % 를 차지하였으나 일부 중국교포 외 다른 외국인들은 한글을 읽지 못하고 글의 뜻을 이해하지 못하여 설문을 포기하는 경우가 많아 설문서를 작성하지 못하고 중국교포들만 일부 참여하여 실제로는 건설현장에 외국인 들이 이보다 많은 것으로 파악되며 토목현장 등 일부 골조 공사현장에는 40 % 가량이 외국인( 중국, 파키스탄, 인도, 등) 으로 파악되고 있 다. 중국교포들이 국내근로자들과 비교하면 자국에 비해 수입이 월등히 많다고 인식하고 있어 직업 및 수입관계, 사회를 보는 인식, 현장에 대한 만족감이 높 았으며 안전의식도 약간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외국인 근로자들이 타향살이에 대한 외로움과 이질감이 있고, 대부분 건설현장 내 하부조직으로 단순작업과 힘든 작업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런 현상으로 건강 및 심리적 관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98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3) 학력별 안전의식 [ 그림 Ⅳ-19] 학력별 비교 [ 그림 Ⅳ-20] 학력별 요인 비교 학력은 대부분 고졸출신이 64 % 를 차지하고 대졸출신도 7 % 이상을 차지 하였으며 건설현장에서 작업하는 인원이 70 % 이상이 고학력 출신으로 업무와 안전교육의 중요성을 인식시키는 것이 강요가 아니라 이제는 이해와 설득 등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현장 설문조사 중 작업자 대부분은 당연히 안 전하게 작업하면 좋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상황이 어 쩔 수 없고 오히려 정부와 하도급 및 현장의 관리감독자와의 문제가 있다는 것 을 제기하는 근로자도 있다 본 설문조사에서도 안전의식과 학력과는 전반적으로 큰 의미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Ⅳ. 작업자의 안전의식 상태연구 99 (4) 직급별 안전의식 [ 그림 Ⅳ-21] 직급별 분류 [ 그림 Ⅳ-22] 직급별 요인 비교 본 설문조사에서 현장의 협력업체 작업반장들이 약 머지는 대부분 협력업체 근로자들이 16 % 가 참여하였고 나 84 % 가 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반장 급( 협력업체 공정책임자 ) 들이 일반근로자보다는 안전의식 및 다른 인식 관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것은 대부분 일정한 월급제 수입으로 되어있 어 사회적으로 약간의 긍정적인 인식과 산재사고가 발생되면 책임자에게도 불 이익이 있음을 알고 있어 안전은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일부 근로자들은 현장의 일당이 반장급보다 많은 근로자들도 있으나 수입이 일정치 않아 직업 및 수입에 대한 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나 일정한 수입이 직업의 만족도와 안전의식과 연관이 되어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00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5) 경력별 안전의식 [ 그림 Ⅳ-23] 경력별 구분 [ 그림 Ⅳ-24] 경력 요인별비교 [ 그림 Ⅳ-25] 경력별 구분 ( 대기업 ) [ 그림 Ⅳ-26] 경력별 구분 ( 중소기업 ) 건설현장의 종사자 대부분은 그 분야에서 10년 이상자가 많으며 이런 현상은 한 분야에 기술을 가진 사람은 우리사회에서는 전업하기가 어렵고 또한 수입관 계 등으로 이런 직업분야를 계속 유지하는 경향이 있으며, 또한 건설현장에도 고령자가 많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경력이 작은 분야는 외국인 근로자가 많으며 젊은 층이 많은 전기분야

Ⅳ. 작업자의 안전의식 상태연구 101 도 대부분 경력이 5 년 이하 정도 인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이 많은 고령근로자는 대기업 건설현장 보다 중소기업 건설현장에서 일 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나 대기업 건설현장은 고령자 근로자들을 기피 하는 것과 중소기업 건설현장에서 일하는 경우가 단기간에 일하면서 일당이 높 아 선호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으며 대기업 건설현장에서 일하는 것보다 품질 및 안전 면에서는 까다롭지 않다고 하는 의견도 있고 계속적으로 일하기 위해 서는 책임반장을 따라서 ( 일괄하도급 ) 어쩔 수 없이 중 소규모 건설현장에 다 닌다는 의견도 있었다. 한직종의 근무경력이 많다고 하여 현 직업에 만족도가 높아지지는 않으며 오히려 10년 ~ 20년 경력에서 사회적 관계와 직업관계 등에서 불만족한 것으 로 나타났으며 이것 등으로 인한 안전의식도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 사회가 아직도 현장에 일하는 근로자들에게 경력과 기술이 좋으면 수입이나 사 회적으로 좋아지는 기능적 대우를 하지 않고 있으며 이런 관계로 직업의 자부 심도 적어 현장의 힘든 일을 자포자기적으로 생활하면서 내 생명을 위해 안전 을 꼭 해야 된다는 인식이 낮아진다는 것을 어느 정도 파악할 수 있었다.

102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6) 현장 근무개월별 안전의식 [ 그림 Ⅳ-27] 현장 근무월수별 구분 [ 그림 Ⅳ-28] 현장 근무월수별 요인비교 [ 그림 Ⅳ-29] 현장 근무월수별 구분 ( 대기업) [ 그림 Ⅳ-30] 현장 근무월수별 구분 ( 중소기업) 균 대기업에 근무하는 작업자는 평균 8개월 이상 근무하나 중소규모 사업장은 평 3개월 이내에 근무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것은 대기업 현장의 작업은 2~ 3년 이상 장기간 공사를 진행하며 중소기업은 평균 1년 이하 정도 공사함으로서 여기에 근무하는 근로자들도 자신의 공정에 맞추어 근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Ⅳ. 작업자의 안전의식 상태연구 103 안전의식은 전반적으로 현장에 근무 개월 수가 많을수록 안전의식과 현장에 대한 만족감등이 증가하나 6~8개월 정도는 인식이 없다가 그이상이 되면 현 장에 대한 이해와 작업동료, 관리감독자들과의 거리감이 좁혀지면서 일반적 사 회적 관계 등도 높아지는 것으로 알 수 있었으며 이것은 대부분 대기업 건설현 장에 있는 작업자들 인식이고 단 기간 일하는 중소기업 중 소 건설현장의 근 로자들의 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현상은 근로자들이 현장의 위험성과 공정을 파학하지 못한 상태에서 작업하다 사고 나는 경우가 안전의식과 더불어 중 소규모 건설현장에서 재해 가 많이 발생하는 원인이라고 판단된다. 현장에 근무 개월 수가 많을수록 안전의식과 현장에 대한 만족감등이 증가하 나 1년 이상 근무자는 낮아지는 특히 현상이 나타나고 있어 이 부분에서는 근 로자들의 책임이 좀 더 필요하다고 본다.

104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7) 일당별 안전의식 [ 그림 Ⅳ-31] 일당별 구분 [ 그림 Ⅳ-32] 일당별 요인 비교 [ 그림 Ⅳ-33] 일당별 구분 ( 대기업) [ 그림 Ⅳ-34] 일당별 구분 ( 중소기업) 현장의 대부분 근로자는 하루 작업하는 시간 및 일당개념으로 일하고 있으 며, 전기 및 설비, 일부 작업반장들은 월급제로 수입을 결정하고 있으며, 조적 및 미장 등은 일당이 아닌 각 조(2-4 명) 별로 일 한량만큼 ( 예 조적1장 당 20-30 원 등으로 ) 수입을 결정되어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Ⅳ. 작업자의 안전의식 상태연구 105 일당으로는 대기업 건설현장이 중소기업 건설현장 보다 적으나 월( 약 150-200 만원) 개념으로는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 달 평균 15~20 일 정도 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의식 상태는 일당이 높아지면 안전의식이 좋아지지 않는 것으로 파악되 었으므로 임금이 많고 소득이 높아지면 안전의식이 높아지는 것이 아니라 그 소득이 자기가 일한만큼 정당하게 받고 그것으로 가정생활이 만족하고 하는 일 에 보람을 느낄 때 수입만족도나 높아져서 안전의식이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8) 연령별 안전의식 [ 그림 Ⅳ-35] 연령별 구분 [ 그림 Ⅳ-36] 연령별 요인 비교 대규모 건설현장에 근무하는 작업자가 평균적으로 나이가 적으며 이에 비해 중소규모 건설 현장에 근무하는 작업자의 나이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는 우리나라 건설현장의 작업자가 40세 이상 고령화가 되어가고 있으며 안전관리도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될 소지가 많다는 것으로 판단된다.

106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 그림 Ⅳ-37] 연령별 구분 ( 대기업) [ 그림 Ⅳ-38] 연령별 구분 ( 중소기업) 연령별로 안전의식과 직업 및 수입관계 등이 연관성이 없어 기술이 나아진 다거나 경력이 많다고 하여 일당 등이 높아지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 고, 이런 관계는 건설현장의 고령자에 대한 안전관리 인식을 고려해서 생리적 기능 과 근력의 저하 등으로 인한 재해를 방지하기 위한 건강진단, 안전교육 등의 대책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Ⅳ. 작업자의 안전의식 상태연구 107 (9) 직종별 안전의식 [ 그림 Ⅳ-39] 직종별 구분 설문조사에서 대부분 골조작업진행중이라 대부분 거푸집공이 52 % 로 가장 많았으며 그다음 골조와 같이 설비작업중인 전기 및 설비 공 작업자들을 조사 하였다. 특히 토목, 상가건물, 아파트 현장은 거푸집공이 대부분이었고 플랜트 사업 장에서는 기계설비 분야에 일하는 작업자들이 많았다. 골조공사 공사 진행 중에는 추락사고가 많이 발생하고 특히 거푸집, 철골, 설비, 견출, 도장공 등은 높은 곳에서 작업하는 경우가 많으며 내장 및 조적, 직영, 미장공 등은 낮은 곳에서 사다리, 이동식비계 등을 이용하여 작업하는 경 우가 많았다. 거푸집 등 힘든 작업을 하는 근로자들이 외국인 작업자인 경우가 많았으며 설비, 비계, 견출, 등 기술이 일부 필요한 작업에서는 국내 작업자들이 많이 작 업하는 것을 현지 조사에서 알 수 있었다.

108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 그림 Ⅳ-40] 직종과 안전의식 관계 안전의식 상태는 안전요원과 비계, 도장공 등은 높은 장소에서 작업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위험요인에 따른 안전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것으로 안전 의식에 대한 인지도가 높았다. 내장목공 및 거푸집 목공 작업자는 어느 정도 안전의식과 공사에 대한 편 리성과의 관계를 인식하여 안전시설 상태를 고려함으로써 안전의식 상태 가 중간정도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중 전기, 설비 공 등은 주로 월급을 받 는 관계로 대부분 장기간 일하면서 시간에 대한 강박관념이 없어 어느 정 도 안전에 대한 인식과 통제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적, 미장공 등은 일한 양만큼 일당을 받는 관계로 공사물량 위주로 공사 를 진행함으로써 안전보다는 공사의 진행에 방해되지 않아야 된다는 인식 이 매우 높아 안전의식이 매우 낮게 나타났다. 이에 따라 낮은 높이 작업에 대한 안전의식도 비슷한 관계로 나타나는 경 향이 있어 보인다. 특히 현상은 안전시설을 설치하는 작업자가 높은 안전의식에 비해 건강 및 리적 관계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나 위험작업을 하는 작업자 일수록 식상태는 높으나 항상 위험에 대한 불안감을 같고 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 안전의

Ⅳ. 작업자의 안전의식 상태연구 109 6. 1) 결론 안전의식 영향도 조사에 의한 재해예방대책 낮은 작업에서의 추락재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근로자들의 안전의식을 향 상시켜야하고 그렇게 함으로서 불안전행동을 하지 않아 재해를 방지하기 위하 여 다음과 같은 내용을 개선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사회적 관계 신뢰회복 건설현장의 근로자들은 사회적으로 건설현장 근로자들을 3D 작업으로 취급 하여 천하게 여기며 대부분 건설회사에서 근무하는 기능인들에 대한 사회적으 로나 문화적으로 냉소적이며 하대적 시선으로 보는 경향이 있다. 이런 관계로 근로자들은 자기직업에 자긍심을 갖고 있지 않으며 일부는 우리사회에 대하여 부정적으로 보는 경향이 있으며 이런 불만요소들에 의해 다른 공정의 사람들이 재해를 입을 우려가 있는 불안전요소가 발견되어도 그것은 나와 상관없는 일이 라고 취급하여 버림으로 인해서 재해가 발생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건설현 장의 작업자들의 자긍심이 심어지도록 직업의식 관계를 교육하고 주기적으로 방송 및 문화적으로 일반사회인 및 건설현장근로자들에게 건설현장 직업에 대 한 자부심을 심어주는 노력이 있어야한다 건강 및 심리적 관계 향상 본 연구에 중 소규모 건설현장 근로자들은 본인 건강상태를 관리하고 있지 않으며 심리적으로는 항상 가정과 작업장에 대한 불안감을 갖고 일하는 것으로 보였으며 먹고 살기위해서 어쩔 수 없이 이런 직업을 갖고 있는 것으로 생각하 고 있으므로 현장에서 실시하는 건강교육이나 안전교육에 대한 관심이 없는 것 으로 판단되어 건설현장 근로자들에 대한 끊임없는 인간적 관심과 어떤 고민이 있는지에 대한 관심으로 자기 직업에 대하여 계속적 일을 할 수 있도록 하고

110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직업 및 사회복지시설을 확장하여 가정과 건강관리 및 심리적으로 불안하지 않 도록 제도적으로 관리하여야 한다. 직업 및 수입관계 관리 건설현장의 근로자들은 현재 수입에 대해 외국인과 여성 근로자들 중 일부 분은 만족하는 사람도 있었으나 대부분 국내 근로자들은 하루 일당은 높으나 작업이 힘들고, 비가 올 경우 및 여름철, 겨울철에는 일을 할 수가 없어 월수 입이 적고, 기술경력이 많다고 하여 임금이 특별히 높아지지 않아 수입에 대한 만족도는 매우 낮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이런 관계로 현장에서 사고의 위험성이 있어도 본인 스스로 안전시설을 하 지 않고 작업을 하며 수입과 공정에 맞추어 빨리만 하려고 하는 경향이 높아져 재해발생 확률이 높아지므로 재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건설현장 근로자들이 공 사 진행이 어려운 경우라도 계속적으로 일을 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 일정한 수입을 가질 수 있도록 제도적 관리 및 현장에서 덥거나 추워도 계속 일을 할 수 있는 공정관리와 공법에 대한 지속적인 개선이 필요하다 하겠다. 작업현장의 만족도 향상 근로자들이 작업하는 현장에 대한 화장실이 더럽다면 사업장내부에 실례를 하게 되고, 식당의 식사가 좋지 않으면 식사를 제대로 하지 않고, 휴계실이 없 으면 위험한 현장 내 작업장소 등에서 휴식을 취하고, 샤워실 및 세면실이 없 으면 현장 내 아무데서나 물을 사용하며, 교육장소가 불편하다거나 덥거나 추 우면 교육 참석을 기피하고, 관리감독자 및 안전관리자와 사이가 나쁘면 일부 러 안보이거나 없는데서 근로자들은 감독관을 피하면서 작업하게 된다. 이런 관계로 현장이 정리 정돈이 안 되어 미끄러지거나 걸려 넘어질 우려가 높아지며 충분한 휴식 및 식사가 부족하여 판단력이 흐려지거나 건강상 문제로 재해와 연결되므로 건강관리 및 사업장의 복지시설에 관심과 감독자들은 근로

Ⅳ. 작업자의 안전의식 상태연구 111 자들을 존중해주면서 평상시 친절하게 인사하며 좋은 인간관계를 형성시켜야 한다. 안전의식관계요인 향상 상기 요소에 어떠한 생각이 가진 근로자들이 안전모 및 안전대를 스스로 잘 사용하고 필요성을 인정하고 있거나 현장의 안전시설 및 안전규칙의 중요성을 인식하는지에 대한 의식과 안전교육의 필요성을 인정하고 있는지에 대한 관계 를 정확히 조사하여 이것에 대한 강요가 아닌 상기 요소에 의한 연관성을 현장 소장과 관리감독자, 안전관리자는 이해하여 교육 및 안전관리를 하여야 한다. 낮은 작업에서의 안전의식 향상 안전의식 일반적 요인 중 낮은 작업에서의 안전모, 안전대착용의 필요성과 사다리 작업의 안전수칙준수여부 및 낮은 작업대의 인식 등을 조사해본 결과는 안전의식관계와 연관성관계지수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나 현장 관리감독자는 낮은 작업대의 안전난간대 등 안전시설이 불가능한 대표적인 사다리 및 말비계 의 안전은 상기요소의 노력으로 안전의식상태가 높아진 근로자에게 가장 안전 하게 사용하는 방법을 알려주고 낮은 작업에서의 추락으로 인한 재해사례와 위 험성에 대한 것을 홍보와 교육을 강화하여 안전수칙을 스스로 준수하게 하는 방법으로 관리하여야 한다. 안전의식 향상을 위한 다양한 방안연구 불안전행동의 근본원인 중 한부분인 안전의식을 안전 영향도 근거로 조사된 < 부록 Ⅰ- 안전의식 상태조서 결과표> 에서 나타난 결과를 보면 안전을 해야 된 다는 안전의식 상태는 어느 한 가지에 의해 좌우된다고 볼 수는 없으며 각 요 인과의 연관성을 보아 근로자에게 안전의식을 향상 시키면서 가장 영향을 미치 고 접근하기 쉬운 방법으로 건설사업장만아니라 제조 및 서비스업 사업장에서 안전의식 향상방안 대안을 제시 될 수 있도록 계속적으로 다양한 연구가 되어야 하겠다.

112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2) 일반적 안전의식 조사에 의한 재해예방대책 각 분류별 안전의식상태 조사에 의한 나타난 결과로 낮은 높이의 추락재해 를 예방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을 개선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성별에 대한 안전의식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남성근로자들의 기술적 대우 와 여성근로자들에게는 직업의 자긍심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배려가 필요 하다. 한글을 모르고 현장에서 언어도 잘 통하지 않는 외국인 근로자들에 대한 지속적인 안전교육이 필요하며 외국인들의 타향살이에 대한 외로움과 이질 감이 느끼지 않도록 하는 관리가 필요하다. 건설현장의 작업자들이 고학력으로 안전교육 및 작업지시가 일방적으로 강 요보다는 설득적인 교육을 실시하여 근로자 스스로 안전을 찾아서 할 수 있도록 여건을 만들어 주어야 한다. 건설현장 근로자들이 일정한 수입이 되도록 사회적 시스템이 정비되어야 하고 현장에서는 공정 및 공사 관리를 철저히 해서 근로자들이 일을 못하 는 일이 없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경력이 많은 숙련된 기능기술자들의 대우를 높이는 제도적 장치가 설치하 여 직업의 만족도를 높여주어야 한다. 신규 건설근로자들의 현장에 배치되면 현장을 이해할 수 있는 안전교육을 강화 하고 각 경력(1 개월, 3 개월, 6 개월,12 개월) 개월에 맞추어 안전교육이 필요하며 교육내용이 중복되어서 지루하지 않도록 교육계획을 세워야 한다. 불법하도급을 근절하여 근로자들이 일한 만큼 정당한 임금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이 사회의 중요한 일을 하고 있다는 자긍심을 심어주는 노력이 필요하다.

Ⅳ. 작업자의 안전의식 상태연구 113 건설현장의 고령자에 대한 건강과 심리적 관심을 두고 별도로 관리하며 수시로 신체적 변화를 관리하여야 한다. 조적 및 미장 등 일한만큼 임금을 받는 직종은 안전보다는 공정에 우선하여 공 사를 진행할 경우가 많으므로 협력업체와 협조 위험성이 있는 작업경우는 시간 으로 임금을 줄 수 있도록 유도하며 공사 중에 관리를 철저히 하여야 한다.

114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Ⅴ. 안전모 착용 확인장치 개발 1. 서론 산업안전보건동향조사 결과, 우리나라 건설업 47,816개 현장에 종사하고 있 는 근로자 수는 모두 1,943,627 명으로 추정된다. 2001년에서 2005년까지 최근 5년간 건설현장에서 발생한 3476명의 사망자중 1695명이 추락재해로 전체의 48.8 % 를 점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사망사고들은 안전모 착용 및 시 설 장비에 대한 가장 기본적인 안전 대책만 마련하여도 막을 수 있는 사고였지 만, 현장에서는 재수가 없어 생긴 불상사 로 치부되고 있기 때문에 현장에서 비슷한 재해가 되풀이되는 근본적인 이유이다. [ 그림 Ⅴ-1] 상해 부위별 퍼센트

Ⅴ. 안전모 착용 확인장치 개발 115 산업재해 통계 중 상해부위별 사망분석 결과 근로자들이 가장 많이 다치는 곳은 머리 부분이다 6). 머리 사고의 대부분은 근로자의 추락재해와 못, 쇳조각 및 돌조각이 얼굴부위에 맞는 비래사고, 벽돌 각목등이 떨어져서 머리를 다치 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머리사고를 막을 수 있는 필수품이 안전모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근로자는 귀찮다고 제대로 쓰지 않는 것이 문제점으로 나타나 고 있다. 한국산업안전공단의 조사 결과 2003년 추락사한 근로자 436명중 안전 모를 착용한 사람은 26 명으로 조사되었다. [ 그림 Ⅴ-2] 턱끈 착용 유뮤에 따른 위험도 비교 안전모 사용에서 턱끈을 착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안전모의 턱끈을 착용하지 않을 경우 물체가 안전모에 부딪쳤을 경우에 안전모는 벗겨지면서 근로자에서 해 를 줄 수 있다. 안전모의 턱끈을 착용하는 경우 안전모가 물체의 충격을 흡수해 6) ( 머리 : 39.95 %, 전신 21.06 %, 몸통 8.39 %, 등 3.4 %, 목 1.4 % 기타- 2000-2003 년 상해부위별분석 ( 노동부연간보고서 ))

116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완충작용을 일으켜 물체의 충격을 1 /10로 줄여주어 근로자의 안전을 지켜준다. 건설현장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줄이기 위해 근로자의 안전모와 턱끈 착용을 도와주고 안전관리 감독자가 쉽게 확인 및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 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건설현장에서 근로자 개개인의 안전모 착용 및 턱 끈 착용을 확인할 수 있는 및 원거리에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전자식 안전모 턱끈 확인 장치 를 개발하여 근거리 본 시스템에서는 무선 네트워크 모듈을 사용하여 효율적인 근로자 안전관리 를 할 수 있으며,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기술을 적용하여 근로자 의 안전모 턱끈 착용 여부에 확인하여 근로자의 상황 인지를 할 수 있으며, 근 로자의 정확한 안전모 착용을 유도하여 안전 사고 발생시 부상정도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안전관리 시스템을 건설현장에 적용함으로서 근로자 의 안전을 도모하고, 안전 사고에서 근로자의 부상을 최소화하여 국가적으로 발생하는 인명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안전사고로 인한 경제 손실을 최소화하여 건설비 인하 유도 및 건설 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이 과 제의 연구 개발 성과를 인해 USN 기술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다. 이 과제에서 개발된 안전모 턴끈 조임 장치를 기존의 안전모에도 빠르게 적용할 수 있으며, 근로자의 안전 사고에 대한 철저한 대비가 가능하게 되었다. 이 과제에서 개발된 안전모 턱끈 확인 시스템 기술로 건설용 엘리베이터 안 전 상황 인지, 타워 크레인 안전 문제 등의 시스템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이 장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2절에서는 아 연구에서 개발한 안전모 턱끈 확인 장치 시스템의 개요에 대해서 알아보고, 3절에서는 이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한 턱끈 장치, 무선 모듈, 중계기,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사용자 관리 시스템 의 개발 내용에 대해서 알아보고, 4 절에서는 결론을 맺는다.

Ⅴ. 안전모 착용 확인장치 개발 117 2. 1) 안전모 턱끈 확인 장치 시스템 관련 연구 기존에 안전사고를 줄이기 위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었다. 건설사업관리 (C m) 안전관리정보시스템 개발에 관한 조사연구 에서는 건설사업관리에서 상대 적으로 비중이 낮은 안전관리에 관한 사항을 계획단계, 설계 단계, 입찰 단계, 시공단계, 시공후 단계의 5 단계에 대한 안전관리 지침 모델을 제시하고, 제시된 모델을 근거로 C m에서 각 단계별 필요로 하는 절차 및 문서에 관한 안전정 보관리를 수행 할 수 있는 안전관리 정보 시스템 개발이고, 건설안전정보시스 템 구축에 관한 연구 는 유사한 재해 사례를 일차적으로 건축공사 표준시방서 에 의한 분류를 기초로 하여 각 공정별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를 기반 으로 하여 건설현장에서 필요한 각 공정에 따른 안전정보를 재해사례와 연계하 여 제공할 수 있는 안전정보 시스템 구축하였다. 중소규모 건설현장의 안전수준을 고려한 안전관리 프로그램 개발 은 건설 현장의 안전수준 개선 및 건설재해 감소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중소규모 건설 현장에서 공사규모에 따라 안전관리 단계를 4단계로 설정하여 활용할 수 있는 안전 관리 프로그램 (Safety Plus) 을 개발 및 보급하여 안전관리활동의 효과성 및 효율성을 제고시키도록 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연구는 안전 관리 활동에 관련된 연구이기 때문에 실제 건설 현장에 있는 근로자의 안전 상황 인지를 못하기 때문에 안전사고가 발생하면 과거의 사고의 유형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통계 및 사고 유형의 분석을 통한 프로그램 접근법이 아닌 실질적으로 현장에서 근로자가 안전을 지킬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118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특히, 사고 현장에서의 추락 및 낙하물에 대한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안전모 를 작업자가 안전모를 미착용하거나 추락할 경우 턱끈을 결속하지 않아 사고 발생할 경우에 안전모가 이탈되어 재해를 입는 경우가 많으므로 작업자에게 안 전모 착용을 도와주고 안전관리 감독자가 쉽게 착용상태를 확인 관리할 수 있 는 전자식 턱근을 개발하고, 착용상태를 LED 로 표시하면서 근거리, 원거리 무 선통신을 이용한 안전모 통합관리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서 건설 현장의 근로자가 올바른 안전모 착용을 유도하고 관 리자가 관리 감독할 수 있는 안전모 턱끈 확인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2) 안전모 턱끈 확인 시스템 [ 그림Ⅴ-3] 안전모 턱끈 확인 장치 시스템의 구성도 [ 그림 Ⅴ-3] 은 이 과제에서 개발한 안전모 턱끈 확인 장치 시스템의 구성도 를 나타나고 있다. 이것은 추락 및 낙하물에 대한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안전

Ⅴ. 안전모 착용 확인장치 개발 119 모를 작업자가 안전모를 미착용하거나 추락할 경우 턱끈을 결속하지 않아 사고 가 발생한 경우에 안전모가 이탈되어 재해를 입는 경우가 많으므로 작업자에게 안전모 착용을 도와주고 안전관리 감독자가 쉽게 착용 상태를 확인, 관리할 수 있는 전자식 턱끈을 개발하고, 착용 상태를 LED 로 표시하면서 근거리, 원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안전모 통합 관리 시스템이다. 3) 안전모 [ 그림 Ⅴ-4] 전자식 턱 끈 및 안전모 안전모 턱끈 확인 장치 시스템에서의 안전모는 근로자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연구에서 요구되는 안전모의 요구 사항은 다음과 같다. 안전모 형태는 일반 검정품을 사용하고 외부에 사용되는 글은 상호 협의하 여 진행

120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안전모 내피는 일반 검정품을 사용 무선 장치에 고정 장치 부착가능토록 제작 4) 턱끈 장치 안전모 턱끈 확인 장치 시스템에서 안전모의 턱끈 장치는 근로자의 안전모 착용 여부를 확인 시켜주기 위해 사용된다. 다음과 같다. 안전모의 턱끈 장치의 요구사항은 전선 연결은 부드럽고, 신축성이 있으며 끈어지지 않도록 설치 턱끈 내부의 전선이 근로자의 신체에 접촉되지 않도록 설치 턱끈의 탈락이 안전검정시험에 합력되도록 제작 전선 연결 센서가 작동되도록 잠금 장치 설치 디자인은 상호 협의후 제작 설치 턱끈 길이가 조정되도록 설치 5) 무선 모듈 안전모 턱끈 확인 장치 시스템에서 무선 모듈은 안전모에 착용하여 근로자 의 안전모 턱끈 확인 여부를 무선으로 안전관리실로 전송하기 위해 사용된다. 무선 모듈의 요구 사항은 다음과 같다. 무선 모듈 사양 통신 거리를 최대 리 확장 ( 사양 정리해서 작성) 500 m를 보장하기 위해 중계기 모듈을 설치하여 통신 거 ( 라우팅 알고리즘 필요)

Ⅴ. 안전모 착용 확인장치 개발 121 턱끈 미착용 경우는 LED 전원이 들어올 수 있으며 10 m 거리에서도 인지 될 수 있도록 함. 무선 장치 개발 형태 및 모양은 상호 협의하여 진행 무선 모듈 케이스는 안전모와 미착할 수 있도록 함. 무선 모듈 장치의 외관 형태는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 6)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안전모 턱끈 확인 장치 시스템에서 근로자의 안전모 착용 여부를 안전관리 실로 전송하기 위해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이 사용된다. 이 과제에서 적용된 센 서 네트워크 시스템의 요구사항은 다음과 같다.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해 데이터 수집기기 ( 코디네이터 ), 기( 라우터 ) 및 무선 모듈( 엔드 디바이스 ) 로 구성함. 중계 7) 근로자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안전모 턱끈 확인 장치 시스템에서 사용자 관리 시스템은 근로자의 안전모 턱끈 착용 여부를 확인하고, 근로자를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이것을 구 성하기 위한 요구 사항은 다음과 같다. 안전관리실에 위치한 데이터 수집기기에서 안전모에 부착된 무선 모듈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구성 프로토콜 구성은 상호 협의하여 진행 통신 방식은 협의하여 진행 사용자 관리 시스템에서 근로자의 상태는 색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사용. ( 청- 착용, 적- 미착용, 황- 행방불명 ) 사용자 관리 시스템에서 관리할 수 있는 사용자는 최대 1000명까지 보장

122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3. 1) 개발 내용 안전모 내열 이 과제에서 개발한 안전모의 모체는 작고 가벼운 톱니 안전모이고, 재질은 P.C(Poly Carbonate) 로 고열에 강하고 내구성 및 광택이 좋다. 열변형 온 도는 135 이고 충격흡수 능력은 검정기준 1000 파운드를 상회하는 500 파운 드 이하의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안전모의 충격 실험은 안전모를 머리 모형에 씌우고 중량이 3.6 Kg인 추를 1.524 m의 높이에서 자유 낙하하여 안전모의 정상에 맞는 순간 전달되는 충격잔량이 최소한 안전모는 충격흡수 시험규격 자체가 총 충격력 1000 LBS 를 초과하지 않았다. 57000N 으로 소의 두개골이 파손될 정도의 강력한 파괴력을 갖는 조건에서 실험하게 되며 이 충격력을 안 전모 자체 내에서 흡수하고 인체 전달되는 충격력은 그 1/13인 4450 N이내로 줄여주어야 한다. 결국 3.6 Kg의 추가 1.524 m에서 떨어지는 힘을 같은 추가 0.00927 m 이하에서 떨어지는 힘으로 줄여야 한다. 위의 결론으로 안전모가 수 행하는 능력은 실제 충격력의 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위의 실험의 한계는 어디까지나 1 /13으로 줄여주는 엄청난 방지능력을 갖고 있 57,000 N( 운동량19.675 kg m /sec) 이내에서의 작용이지 그이상의 힘에서는 감내하지 못하므로, 안전모가 전능의 무한한 능력을 갖는 것으로 오인하여 그 이상의 충격력이 발생할 위험상황에 노출시켜서는 안 된다.

Ⅴ. 안전모 착용 확인장치 개발 123 [ 그림 Ⅴ-5] 안전모에 무선 모듈 부착후 정면 [ 그림 Ⅴ-6] 안전모 무선 모듈 부착 후 좌측 [ 그림 Ⅴ-7] 안전모 무선 모듈 부착 후 우측 [ 그림 Ⅴ-5] ~[ 그림5.7] 은 이 과제에서 사용한 안전모를 정면과 측면을 나타내 고 있다. 안전모의 정면은 한국산업안전공단 마크를 나타내고, 오른쪽 측면에서 무선 모듈을 착용할 수 있도록 하였고, 왼쪽 측면은 산업안전보건 연구원에서 개발된 결과물임을 나타내도록 하였다.

124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2) 턱끈 장치 [그림 Ⅴ-8] 안전모 턱끈에 사용된 마그네틱 근접 센서 ( 조임 장치) [ 그림 Ⅴ- 9] 안전모에 사용된 마그네틱 근접 센서( 탈착장치) [ 그림 Ⅴ-8] 과 [ 그림 Ⅴ-9] 는 이 과제에서 사용한 마그네틱 근접 센서( magnetic Proxi mity Sensor)를 안전모 턱끈 조임 장치에 부착시킨 사진을 나 타내고 있다. 이것은 안전모 턱끈 조임 장치가 부착되었을 때는 마그네틱 근접 센서의 선(wire) 에 전류가 흐르고, 탈착되었을 때는 선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성질을 이용한 것이다. < 표 Ⅴ-1> 은 이 과제에서 사용한 마그네틱 근접 센서 의 사양을 나타내고 있다.

Ⅴ. 안전모 착용 확인장치 개발 125 < 표 Ⅴ-1> 마그네틱 근접 센서(PS-321-BP) 의 사양(Specification) Contact Arrange ment Switching Voltage( max.) Closed loop 100v AC /DC Switching Current( max.) 0.5A Contact Capacity Initial Contact( max.) Carry Current Insulation resistance ( min.) Switch Cycle Vibration Shock 10VA 0.15Oh m 1A 100 moh m 5 X 1,000,000 cycle at 30.V 0.1ADC 20G(10-55Hz) 30G(11 msec) [ 그림 Ⅴ-10] 마그네틱 부착전 좌측 [ 그림 Ⅴ-11] 마그네틱 부착전 우측

126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 그림 Ⅴ-12] 마그네틱 근접 센서 부착 방법 1 [ 그림 Ⅴ-13] 마그네틱 근접 센서 부착 방법 2 [ 그림 Ⅴ-14] 마그네틱 근접 센서 부착 방법 3

Ⅴ. 안전모 착용 확인장치 개발 127 [ 그림 Ⅴ-15] 마그네틱 부착 상태 디자인 [ 그림 Ⅴ-16] 마그네틱 부착 형태 [ 그림 Ⅴ-8] 과 [ 그림 Ⅴ-9] 는 기존에 사용하는 안전모 턱끈에 마그네틱 근접 센서가 적용 가능한지를 확인하기 위한 사진이다. 마그네틱 근접 센서를 안전 모 턱끈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마그네틱 센서를 턱끈에 고정시켜, 근로자가 안 전모를 착용하였을 경우에 불편함을 느끼지 못하도록 제작할 필요가 있다. 이 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 그림 Ⅴ-10] ~[ 그림 Ⅴ-16] 과 같이 마그네틱 근접

128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 그림 Ⅴ-17] 안전모 턱끈 폰잭 연결상태 센서를 턱끈 조임 장치에 내장할 수 있도록 디자인하였고, 센서 리드 선 역시 턱끈 연결 장치에 내장하도록 고안하여 적용하였다. [ 그림 Ⅴ-17] 는 최종 결과 물로 제작된 안전모 턱끈을 나타내고 있다. 안전모 턱끈에서 마그네틱 근접 센서는 턱끈 조임 장치에 내장되어 쉽게 이 탈되지 않도록 제작되었으며, 자석은 조임 장치 홀에 강력 본드로 붙여 쉽게 떨어지지 않도록 제작되었다. 턱끈의 재질은 일반 천( 섬유재질 ) 을 사용하였고, 이것의 내부에 마그네틱 근접 센서의 신호선을 내장하여 전선이 근로자의 피부 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였다. 턱끈과 무선 모듈과의 인터페이스는 핸드폰의 이 어폰으로 많이 사용되는 폰잭(phone jack) 을 연결하도록 하였다.

Ⅴ. 안전모 착용 확인장치 개발 129 3) 무선 모듈 안전모 턱끈 확인 시스템에서 무선 모듈은 안전모 측면에 설치하여 안전모 턱끈에 장착된 마그네틱 근접 센서의 상태 데이터를 중계기 또는 싱크 노드에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 그림 Ⅴ-18] 무선 모듈 하드웨어 구성도 [ 그림 Ⅴ-18] 은 무선 모듈 하드웨어 구성도를 나타내고 있다. 무선 모듈을 구 성하기 위해서는 TI사의 msp430 8비트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이용해 마그네 틱 근접 센서로부터 안전모 턱끈의 탈부착 여부의 데이터를 입력 받아 이 상태 값에 따라 CC1020 RF Chip을 이용해 RF로 중계기 또는 싱크노드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리고 중계기 기능( 라우팅 테이블 작성 및 라우팅 알고리즘 수행) 을 위해 확장 메모리를 삽입하여 근로자의 위치 및 상태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싱크 노

130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드의 기능(PC 데이터 전송) 을 위해서 RS-232C 방식으로 PC의 CO m Port와 통신을 할 수 있도록 무선 모듈을 구성하였고, 필요 없는 기능은 무선 모듈의 제작 단가를 고려하여 사용하지 않았다. [ 그림 Ⅴ-19] 무선 모듈( 부품 위치) [ 그림 Ⅴ-20] 무선 모듈(PCB 패턴-GND) [ 그림 Ⅴ-21] 무 선 모듈(PCB 패턴 - 신호선,VCC) [ 그림 Ⅴ-19] ~[ 그림 Ⅴ-21] 은 안전모에 부착되는 무선 모듈의 필요한 부품 위치 및 신호선 및 전원의 패턴을 보여주고 있다. 이것의 PCB 모형은 무선 모

Ⅴ. 안전모 착용 확인장치 개발 131 듈의 모형을 고려하여 아치형으로 제작하였으며, 밑 부분은 양산 모델을 고려 하여 PCB 자체만으로 플래시 메모리에 프로그램을 쓰기 위해서 확장형으로 제 작되었다. 이것은 프로그램을 라이팅 후에 절단하여 무선 모듈 케이스에 장착 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 그림 Ⅴ-22] 라우터 & 싱크 노드 ( 무품 위치) [ 그림 Ⅴ-23] 무선모듈- 중계기& 싱크노드 (PCB패턴-GND) [ 그림 Ⅴ-24] 무선 모듈- 중계기& 싱크노드 (PCB 패턴- 신호선 & VCC) [ 그림 Ⅴ-22] ~[ 그림5.24] 는 중계기와 싱크 노드에 사용되는 모듈의 필요한 부품 위치 및 신호선 및 전원의 패턴을 보여주고 있다.

132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 그림 Ⅴ-25] 무선 모듈-PCB 크기 [ 그림 Ⅴ-25] 는 개발된 무선 모듈의 PCB 크기를 나타내고 있다. 센서 모듈 의 크기는 기는 45X61.75 m m 110.50 X 59.5 0 m m 크기를 가진다. 크기를 가지고 라우터 모듈과 싱크 노드의 모듈 크 센서 모듈의 크기는 실제로 더 작게 구현할 수 있으나 무선 모듈 케이스 내 에 삽입되는 배터리 크기(AAA Type) 를 고려하여 크기를 제작하였다. 만일 배 터리를 무선 모듈 케이스 외부에 장착하는 모델로 제작이 된다면 무선 모듈의 크기는 안전모 사이드 홀( 안전모 옆에 다른 기구를 삽입하는 홀) 크기 보다 조 금 크게 설계도 가능할 것이다. 라우터 모듈과 싱크 모듈에 사용된 PCB 크기 역시 더 작게도 구현이 가능 하지만, 라우터 및 싱크 모듈의 설치 모형을 고려하여 제작되었다. [ 그림 Ⅴ -26] 은 무선 모듈의 하우징 도면을 나타내고 있고, [ 그림 Ⅴ-27] 은 실제 제작된 무선 모듈의 사진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 표 Ⅴ-2 > 는 무선 모듈이 통신을 하기 위한 사양을 표로 나타내었다.

Ⅴ. 안전모 착용 확인장치 개발 133 [ 그림 Ⅴ-26]. 무선 모듈 하우징 [ 그림 Ⅴ-27] 무선 모듈 부착장치 < 표 Ⅴ- 2> 무선 모듈의 사양 General Spec RF Spec 통신 속도 1.2Kbps 변조방식 GFSK 통신 거리 LOS = 100 m( max) 사용주파수 424.700-424.95MHz 입력 전원 3V 사용채널 21 개, Step 12.5MHz 입출력포트 JTAG 출력 -20-10dB m 소비전류 사용환경 Active mode = 330uA Sleep mode = 8uA 동작온도 = -40-85 수신감도 up to -118dB m for a 12.5MHz 대역폭 12.5MHz

134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 그림Ⅴ- 28] 130 m 거리에서 측정한 센서 모듈의 데이터 수신율 [ 그림 Ⅴ-28] 은 130 m 거리에서 무선 모듈과 싱크 노드와의 1:1 통신에서 데이터 수신율을 나타내고 있다. 무선 모듈에서 전송한 데이터는 비컨 프레임 ( 데이터 상태 값 포함) 을 전송한 것이며, 전체 데이터 수신율은 최저 95 % 이고 대부분이 100 % 의 수신율을 나타내기 때문에 이 연구에 필요한 기본 스펙인 100 m 에서의 통신 성능은 충분히 가능한 것을 알 수 있다.

Ⅴ. 안전모 착용 확인장치 개발 135 4)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1) 통신 프로토콜 이 연구에서 사용된 통신 프로토콜은 센서 네트워크 ( 무선 모듈-라우터 -싱크 노드) 에서 근로자의 안전모 턱끈 착용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과 싱크 노드에서 최종 수집된 데이터를 로토콜로 나눌 수 있다. PC 프로그램으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 프 ( 가)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프로토콜 [ 그림 Ⅴ-29]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패킷 정의 [ 그림 Ⅴ-29] 는 센서 네트워크에서 라우팅 정보를 구성하기 위한 패킷을 정 의한 것이다. 패킷의 각 항목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Start : 0x51 의 값을 가지며 패킷의 시작을 나타냄. Length : 실제 데이터의 길이를 나타냄. 즉 Co m mand+data 의 길이 Co m mand : 라우팅 동작을 위한 특정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 Data : Co m mand에서 일어나는 동작에 필요한 실제 데이터 End : 0x45의 값을 가지며 패킷의 끝을 나타냄

136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 그림 Ⅴ-30] 라우팅 명령 [ 그림 Ⅴ-30] 는 라우팅 정보를 구성하기 위한 패킷 중 센서 노드로부터 경로 정보를 전달받아 라우터 노드로 전송하는 메시지과 라우터 노드로부터 경로 정 보를 전달 받아 싱크 노드로 전송하는 메시지 명령을 의미하는 패킷 중 명령 과 데이터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패킷의 각 항목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Co m mand : 0x41, 0x55 ID-Data : 해당 센서 노드의 ID 값 Parent ID : 경로 정보를 보내는 센서 노드의 부모 노드 주소 Hop Count : 해당 센서 노드에서 싱크 노드까지의 홉 수 [ 그림 Ⅴ-31] 안전모 데이터 패킷 [ 그림 Ⅴ-31] 은 안전모 데이터 패킷을 전달하는 명령과 데이터 부분을 나타 내고 있다. 패킷의 각 항목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Ⅴ. 안전모 착용 확인장치 개발 137 Co m mand : 0x45, 0x55 Sensor ID : 해당 센서 노드의 ID 값 Sensor Nu mber : 센서 노드의 종류( 이 과제에서는 마그네틱 근접 센서만 사용하기 때문에 모든 패킷은 1 의 값을 가짐) Data : 마그네틱 근접 센서( 안전모 턱끈의 착용 여부 확인) 의 데이터 값 (0xaa : Off, 0x55 : On) Battary : 센서 노드의 배터리 잔량(1:25 %,2=50 %, 3=75 %, 4=100 %) ( 나) 싱크 노드와 관리 프로그램과의 프로토콜 [ 그림 Ⅴ-32] 관리 프로그램의 패킷 정의 [ 그림 Ⅴ-32] 는 싱크 노드와 근로자 관리 모니터링 프로그램과의 데이터 전 송을 위한 패킷을 나타낸다. 패킷의 각 항목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START : 0x97, 0x97 ID : 센서 노드의 ID Data : 안전모 턱끈의 탈부착 여부(0xaa: Off, 0x55: On) Battary : 센서 노드의 배터리 잔량(1:25 %,2=50 %, 3=75 %, 4=100 %)

138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2) 라우팅 알고리즘 이 연구에 적용한 무선 센서 네트워크 라우팅 알고리즘은 안전모를 착용한 근로자의 현재 상태 정보를 안전 관리 프로그램으로 전달하기 위한 알고리즘이 다. 이것은 안전모에 장착된 무선 모듈을 엔드 디바이스 (End-Device), 근로자 의 상태 정보를 안전 관리 프로그램으로 전달하기 위한 라우터 (Router), 근로자 의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안전관리 프로그램에 연결된 싱크 노드 (Sink Node) 로 구성이 된다. 싱크노드와 라우터는 서로의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로 멀티홉 메시지( multi-hop message) 를 전송하고, 전송된 멀티홈 메시지는 데이터의 크기에 따라 코스트(Cost) 를 가진다. 코스트는 자기 자신에게 보내는 값은 0 이고 보내지는 데이터 전력의 크기에 따라 증가한다. 그리고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는 노드의 코스트 값은 무한대( ) 의 값을 가진다. [ 그림 Ⅴ-33] 라우팅 알고리즘 초기화

Ⅴ. 안전모 착용 확인장치 개발 139 [ 그림 Ⅴ-34] 라우팅 알고리즘의 코스트 값 설정 [ 그림 Ⅴ-34] 은 라우팅 알고리즘의 초기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각 노드는 노드와 노드 사이의 무선 링크 사이의 파워를 나타내는 코스트 (cost) 값과 자 신의 상위 링크를 나타내는 부모 노드(parent node) 를 가진다. 처음에 무선 라우터 노드와 싱크 노드에 전원을 인가하면 싱크 노드의 코스 트는 0의 값을 가지고 싱크 노드의 인근에 있는 라우터 노드 1, 3은 무한대의 코스트 값을 가진다. 무선 라우터 노드는 멀티홉 메시지를 전송하여 [ 그림 Ⅴ -34] 와 같이 싱크 노드와의 코스트 관계를 설정하게 된다. 일정 시간 이후 자신의 이웃 무선 노드들이 주기적으로 보낸 멀티홉 메시지 에 포함된 경로 정보 및 해당 무선 노드의 cost값을 가지고 최소의 cost를 갖 는 무선 노드를 부모 노드로 설정하게 된다. 그리고 1번 노드와 3번 노드들은 최소의 코스트를 가지는 0 번 노드를 부모 노드로 설정한다. 하지만 노드 2와 노드 4는 싱크 노드와 관계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무한대의 코스트 값을 계속 유지하게 된다.

140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 그림 Ⅴ-35] 라우팅 과정 3 노드 2와 노드 4는 부모 노드를 설정하기 위해서 이미 경로를 설정한 자신 의 이웃 노드 1와 3들이 주기적으로 보낸 멀티홉 메시지에 포함된 경로 정보와 해당 무선 노드의 코스트 값을 가지고 최소의 코스트를 가지는 노드를 부모 노 드로 설정하게 된다. 그림 35에서 노드 2는 노드 3과의 코스트는 15 이고, 노드 1과의 코스트는 18 이기 때문에 부모 노드를 노드 3 으로 설정하고, 노드 4는 노드 3과의 코스트는 23 이고, 노드 1과의 코스트는 25이기 때문에 보모 노드를 3 으로 설정된다. 이러한 과정으로 각 노드들의 코스트와 부모 노드를 설정한다. 전체 설정된 경로를 보면 노드 1 은 싱크 노드와 링크를 연결하고, 노드 2는 노드 3을 거쳐 서 싱크 노드와 링크를 연결하고, 노드 3 은 싱크 노드와 링크를 연결하고, 노드 4는 노드 3 을 거쳐서 싱크 노드와 링크 노드를 연결한다. 각 노드사이의 링크 를 연결하면 각각의 무선 노드는 주기적으로 멀티홉 메시지를 주고 받으며 최 적의 경로를 유지한다.

Ⅴ. 안전모 착용 확인장치 개발 141 [ 그림 Ⅴ-36] 라우팅 과정 4 [ 그림 Ⅴ-36] 은 이 연구에서 사용된 무선 라우팅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안전 모 턱끈 데이터가 관제 프로그램으로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나타내 고 있다. 노드 4의 무선 라우터 근처의 근로자가 안전모를 미착용했을 시에 안 전모에 부착된 무선 모듈이 알람 메시지를 송신하게 되고, 4번 무선 라우터는 알람 메시지를 수신하여 자신의 부모 노드인 하여 결국은 싱크 노드를 거쳐 관제 센터로 전송하게 된다. 3 번 노드에게 포워딩(forwarding)

142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5) 근로자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 그림 Ⅴ-37] 근로자 관리 모니터링 프로그램 [그림 Ⅴ-37] 은 이 과제에서 개발된 근로자 관리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나타내 고 있다. 근로자 관리 모니터링 프로그램은 등록된 근로자의 현재 상태를 모니터 링하는 프로그램이다. 전체사용자 리스트는 근로자 관리에서 등록된 모든 근로자 등록 상태 및 현재 상태를 나타낸다. 미착용자는 안전모를 착용한 근로자가 턱끈 풀었을 때, 수신된 정보를 나타내고, 행방 불명은 일정시간 (10 분) 동안 모니터링 프로그램에 사용자 의 정보가 입력되지 않았을 때, 즉 근로자의 통신 영역 이외의 지역으로 이동하였 을 때를 나타내고 있다. 근로자의 상태는 이름 뿐만 아니라 현재 상태를 빠르게 확인하기 위해서 착용 상태는 녹색 아이컨으로 표기가 되고, 미착용일 경우에는 빨강색, 행방 불명일 경

Ⅴ. 안전모 착용 확인장치 개발 143 우에는 노란색으로 표기가 되도록 하였다. [ 그림 Ⅴ-38] 안전모 관리 모니터링 프로그램에서의 사용자 등록 [ 그림 Ⅴ-38] 은 안전모 관리 모니터링 프로그램에서 사용자 등록을 나타내고 있다. 사용자 등록은 착용하는 안전모의 고유 번호와 근로자의 이름을 등록하 고, 근로자의 작업 내용을 공정, 세부 공정, 작업 활동으로 나누어 등록하도록 하였다. 근로자의 작업 내용은 모니터링 프로그램에서 근로자의 번호를 클릭하 면 사용자 정보란에 표기하여, 근로 감독자가 근로자의 현장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144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4. 결 론 안전모 턱끈 장치 시스템은 산업 현장에서 가장 기본적인 안전 대책을 세울 수 있는 안전모 장치에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을 접목 시켜 근로자들의 안 전모 착용 상태를 근로 관독자가 쉽고 빠르게 확인 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안전모 착용은 단순히 모자를 쓰는 것만으로 안전이 지켜지는 것이 아니고, 안전하고 정확하게 안전모 턱끈을 착용해야만 안전모가 물체의 충격을 흡수해 완충작용으로 물체의 충격을 1 /10 로 줄여 주어 근로자의 안전을 지켜준다. 이 연구과제에서는 무선 네트워크 모듈을 사용하여 효율적인 근로자 안전관 리를 할 수 있고,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기술을 적용하여 근로자 의 안전모 턱끈 착용 여부로 확인 근로자의 상황 인지를 할 수 있으며, 근로자 의 정확한 안전모 착용을 유도하여 안전 사고 발생시 부상정도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안전모 턱끈 확인 장치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 시스템을 건설현장에 적용함으로서 근로자의 안전을 도모하고, 안전 사고 에서 근로자의 부상을 최소화하여 국가적으로 발생하는 인명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안전사고로 인한 경제 손실을 최소화하여 건설비 인하 유도 및 건설 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이 과제의 연구 개발 성과를 인해 USN 기술 발전에 도 기여할 수 있다. 이 과제에서 개발된 안전모 턱끈 조임 장치를 기존의 안전 모에도 빠르게 적용할 수 있으며, 근로자의 낮은 추락재해를 예방하는데 기여 할 것이다.

Ⅴ. 안전모 착용 확인장치 개발 145 이 과제에서 개발된 안전모 턱끈 확인 시스템에서 향후 성능 개선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이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무선 모듈 케이스의 무게 감소 이 과제를 통해 개발된 시제품은 일반 사출물이 아닌 목업 형태로 제작된 것이기 때문에 실제 제품으로 제작시 사출 제작이 된다고 하면 현재의 무게보 다 많이 감소 될 것이다. 배터리 용량 증가 및 배터리 무게 감소 이 과제에서 사용되는 배터리는 AAA 타입의 배터리 2개를 사용하는 시스 템이다. 그리고, 배터리가 무선 모듈 케이스에 내장되는 형태이고, 일반 상용 배터리를 사용하기 때문에 일정 시간이 지나면 교체해주어야 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일반 배터리가 아닌 충전지를 사용하고 무선 모듈 에 컨넥터를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할 것이다. 이것이 가능하게 되면 배터리 모두 방전되었을 때 교체하지 않고, 근로자가 작업하는 시간에는 충전된 용량을 사용하고, 근로자가 퇴근한 후에는 충전할 수 있어 배 터리 교환이 필요하지 않을 것이다.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센서 모듈 노드의 개수 확대 이 과제에서 개발된 안전모 턱끈 확인 시스템에서 측정 가능한 무선 모듈 ( 안전모) 은 최대 50 명에 한해서만 테스트 되었고, 통신 테스트에 관련된 파 라메터들이 정의가 되어 있다. 이를 작은 소규모 작업장에는 적용이 가능하지 만, 대규모 작업장에는 전체 직원에 적용할 수 없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146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무선 모듈을 제작하고 테스트하여 안전 모에 적용하는 실험이 필요하다. 근로자의 위치 추정 및 응급 상황 인지 시스템으로 성능 개선 이 과제 시스템은 단순히 근로자의 안전모 턱끈 착용 여부만을 측정하는 시 스템이다. 이를 발전시켜 근로자의 근무 위치를 추정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발 전할 수 있다. 이는 본 시스템의 센서 노드에서 라우터로 데이터 전송시 라우터의 위치를 확인함으로서 근로자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안전 사고 발생시 응급 상황에 빠르게 대처하기 위해 안전모에 착용된 무선 모듈에 응급 상황을 알릴 수 있는 버튼을 설치하여, 근로자가 의식을 잃기 전에 버튼을 눌러 응급 상황을 알리거나, 안전모에 부탁된 무선 모듈을 충격을 받으면 탈착되게 제작 하여 응급 상황을 알려 보다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발전할 수 있 을 것이다.

Ⅵ. 안전작업복 개발 147 Ⅵ. 안전작업복 개발 1. 서론 건설현장에서 대부분 사용하고 있는 벨트식 안전대와 벨트식 용도와 같은 상체식 안전대를 대부분 사용하고 있다. 이런 벨트식 안전대에 있는 보호구 성 능검정에 따라 안전줄 규정대로 의 1.5 m에서 추락할 경우에도 자기 몸무게의 거 10배가 자유낙하의 가속도에 의한 순간적 충격을 주어 벨트식이 매여 있는 배 및 허리 부위에서 충격을 받아 재해를 당할 수 있다. 또한 배 부위 등에서 순간적 충격을 받을 경우 배의 내부의 장 파열이 일어 나거나 신체내부가 파열되어 재해를 입을 수도 있고 매달려 있는 상태에서 숨 을 쉴 수가 없어 질식사 할 수도 있다. 이런 문제 때문에 그네식 안전대 사용을 권장하고 있으며 일부 선진국 및 대형건설회사에서는 그네식 안전대를 적극 사용하고 있으며 공단에서도 추락 의 2 차 재해를 방지하기 위해 그네식 안전대를 권장 보급하고 있다. 그렇지만 근로자들 대부분이 그네식 안전대가 작업 이동 및 작업도중에 파 이프 및 각재 등에 걸려 사고의 위험이 있고 허리 구부려 작업하거나 움직임 이 많은 건설작업자들은 그네식 안전대가 불편하다고 하여 기피하고 있는 실 정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그네식 안전대는 고환부위에 안전대가 몰려 있어 걸어 다닐경우에 여름에 땀이 많이 발생되거나 하면 스쳐서 상처가 발생된다고

148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하여 특히 여름철에는 사용을 기피하고 있으며 여성인 경우 더욱 사용을 기피 하고 있어 추락위험성이 높은 부위에서만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설문조사 및 현장의 조사에서 파악 되었다. 또한 사다리 및 말비계 등 낮은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안전난간대 등의 안 전시설 설치가 어려우며 안전대를 착용하였다 하여도 안전대 걸이 시설이 불 가능 한 경우가 많아 안전대를 대부분 사용하지 않고 있으며 그것으로 인해 낮은 높이에서 추락이 발생할 경우에는 허리 및 어깨 등 재해를 방지할 수 있 는 보호구가 없는 실정이다. 설문조사에서는 건설현장에서는 착용하기 편하고 가벼운 벨트식 안전대를 49 % 정도로 대부분 사용하고 있으며 상체식 안전대를 38 % 정도로 전체 87 % 가 벨트식 안전대를 사용하는 것으로 알 수 있었으며 나머지 12 % 그네식 안전대를 사용하는 것으로 [ 그림 Ⅵ-1] 과 같이 나타났다. 정도가 [ 그림 Ⅵ-1] 설문조사에 의한 안전대 사용현황

Ⅵ. 안전작업복 개발 149 한국산업안전공단의 2007년도 10 월 검정합격에 대한 현황은 [ 그림 Ⅵ-2] 과 같고, 그네식 안전대 검정현황이 40 % 대로 현장에서 실제로 사용하는 것에 비 해 높이 나타나 있으며, 이중 벨트식 56 % 중 상체식 안전대도 포함되어 있어 현재 건설현장에서 아직도 벨트식 안전대를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그림 Ⅵ-2] 국내 검정합격품 안전대 현황

150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2. 기존 안전대의 문제점 기존 그네식 안전대의 건설현장 작업자들의 현장 실태조사 및 설문조사에서 그네식 안전대를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사용을 기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네식 안전대를 착용하여 작업하거나 이동할 경우 현장의 물체에 걸려 사 고의 위험성과 작업의 불편함으로 인하여 작업자가 착용을 꺼려왔다. 그네식 안전대가 다리 가운데( 사타구니 ) 에 몰려있어 걸을 경우 안전대와 다리 가운데가 스쳐서 땀이 나거나 작업할 경우 고환 등이 아프거나 상처 가 발생한다. 그네식 안전대에 충격흡수대를 부착하면 이동할 때 덜렁거리고 작업에 불 편하다. 그네식 안전대를 차고 추락할 경우 순간적 충격이 다리가운데로 몰려 고환 부위가 충격을 받을 수 있다. 그네식 안전대에 연결고리가 많아 대체로 무거우며 비용이 비싸다. 또한 사다리 및 이동식비계, 말비계 등 낮은 작업하는 경우에는 안전시설 설 치가 어려우며 안전대 걸이 시설이 불가능 한 경우가 많아 안전대를 사용하지 않고 있었다.

Ⅵ. 안전작업복 개발 151 3. 1) 안전대 개발목적 및 계획 목적 추락에 대한 신체를 보호하기 위한 안전대를 작업자가 낮은 높이 작업은 ( 사다리, 말비계 등) 작업진행상 안전대 착용이 곤란하고 안전대 부착시설 이 어렵다는 이유와 안전대가 작업중 작업물체 등에 걸려 더 위험하다는 이유로 안전대를 착용하지 않아 낮은 작업대 등에서 추락되어 재해를 입는 경우가 많으므로 작업자에게 안전대 착용을 도와주고 최대한 편리하면서 간편하게 안전대를 작업복 내에 설치하여 안전대 겸용한 그네식 안전작업 복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또한 그네식 안전작업복을 착용하고 사다리 등과 같이 안전대 걸이시설을 할 수 없으며 높이가 2 m 미만에서 작업하는 건설현장 및 일반 사업장에서는 작 업복에 충격을 흡수 할 수 있는 물질을 넣고, 더운 여름철인 경우 작업자들이 이 더위를 피하기 위해 얼음 조끼를 차고 다니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것을 이 용 충격흡수 안전작업복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2) 추진방침 낮은 작업에서 안전대 미착용 등으로 인한 사고사례 분석 실시 안전작업복 개발 관련 학계 또는 전문업체 개발( 용역) 발주 개발된 안전작업복 다양한 조건에서의 현장 실험 및 검정실험 개발된 안전작업복은 건설현장에서 시현 및 지도원, 전시 등을 통해 보급 활용.

152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3) 세부추진계획 관련 연구과제명 : 추락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 연구 개발방법 : 전문업체 개발( 용역) 발주 개발 및 기초 실험기간 : 발주 후 3월 이내 개발품의 신뢰성 확보( 성능검증 ) 를 위한 기초 실험 등은 개발업체 ( 안전공단 및 전문업체 ) 에서 추진 4) 개발( 용역) 내용 등 (1)안전대 겸용 상하 분리 안전작업복 (2)안전대겸용 상하연결 안전작업복 작업복 동복( 긴팔과 긴바지) 과 하복( 반팔과 반바지) 구분하여 제작 섬유재질은 최대한 부드러운 제품과 땀 흡수가 잘되는 것( 사전샘플승인) 색상은 지정색 안전대 검정( 한국산업안전공단 검정기준) 이 되도록 충분한 강도유지 연결버클은 충분한 강도가 되도록 설치 연결벨트 체결은 기존 방법 사용( 기 기성제품: 사전승인) 내부 작업복과 일체화 될 수 있도록 재봉 연결하거나 작업복 섬유재질이 충분한 강도로 안전대 역활을 경우에는 안전대 생략 가능 ( 단 허리부분 과 버클 연결부분은 부착 : 사전승인) 폴리에스터 제품으로 최대한 부드럽게 제작 엉덩이부위는 가로방향으로 설치 충격흡수 기능 추가

Ⅵ. 안전작업복 개발 153 충격흡수부분 충격흡수대를 작업복에 부착 ( 폭 및 길이는 향후 강도실험을 통해 결정) 접착부위는 완전밀착 되도록 하며 순간 추락 충격을 흡수 될 수 있도록 제작 상단부 안전 고리 연결부위는 충분한 강도 유지 마지막 부위 기존 안전대와 재봉 등으로 연결하여 제작( 사전승인 ) (3) 충격흡수용 안전작업복 : 2벌 작업복 동복( 긴팔과 긴바지) 과 하복( 반팔과 반바지) 구분하여 제작 섬유재질은 최대한 부드러운 제품과 땀 흡수가 잘되는 것( 사전샘플 승인) 색상은 지정색 충격흡수 보호대 재질은 외부고무 등 제품으로 추락하면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사용 크기는 폭 5-10 c m와 길이 20-25 c m정도로 하여 포켓에 넣을 수 있도 록 설치 작업복 내 충격흡수 설치 장소는 사전협의 후 결정 충격흡수 보호대 내부 재질은 여름에는 어름조끼 역할과 겨울에는 열이 발생되는 재질로 교환될 수 있도록 설치

154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4. 1) 그네식 안전작업복 세부내용 상하 일체형 작업복에 그네식 안전대를 내부에 넣고 그 위에 안감을 넣어 안전대를 작업복과 일체화시킴 단 그네식 안전대는 중간에 조인트를 만들지 않고 최대한 작업복과 일체화 시키도록 하였으며 부드러운 재질로 착용할 경우 그네식안전대가 작업에 방해되지 않도록 하였다. [ 그림 Ⅵ-3] 안전작업복 전면 [ 그림Ⅵ- 4] 안전작업복 후면 안전대 등 방향 부위에는 를 작업복에 부착하여 충격흡수가 되도록 한다. 작업복 : D링을 안전대 중앙부위에 연결하고 충격흡수대 일반적으로 사업장에서 사용하는 일체형작업복을 이용하고 동복 과 하복을 다양하게 제작되어 사용할 수 있다.

Ⅵ. 안전작업복 개발 155 그네식 안전대 : 부드러운 폴리에스터 계열로 안전공단 검정품을 합격한 재질로 조인트 없이 제작하여 내부안감과 외부옷감 사이에 넣고 내부 안감에 안전대를 부착하여 착용시에 안전대가 걸리지 않도록 하고, 그네식 안전대 전면방향에 있는 안전대는 X 자형으로 고리도 설치할 수 있다. [ 그림Ⅵ-5] 안전 작업복 전면 후면 명칭 및 설명 충격흡수 장치 부위는 안전대에 : 충격흡수대를 등 방향으로 작업복에 일체화시키고 고리 D링을 설치하여 추락으로 인한 순간적 충격이 200 kgf 이상 되면 찢어지면서 충격을 흡수하여 안전성능 기준의 충격이 400 이내가 되도록 한다. kgf

156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 그림 Ⅵ-6] 테스트 결과 그래프 [ 그림 Ⅵ-7] 매달려 있을 경우 [ 그림Ⅵ- 8] 충격흡수대 [ 그림 Ⅵ-9] 충격흡수대 시험 전 상태 시험 후 상태

Ⅵ. 안전작업복 개발 157 2) 발명 기대 효과 추락으로부터 위험이 있는 작업자에게 안전작업복을 착용시킴으로서 자동 적으로 그네식 안전대를 착용하는 효과로 추락재해 방지 추락으로 인한 충격흡수대가 옷에 부착되어 있어 추락할 경우 충격을 흡수 추락 후 2차적인 재해방지 작업복과 그네식 안전대를 별도로 구매하는 하던 것을 안전작업복으로 매하면 비용절감으로 인한 보급 확대 구 5. 1) 충격흡수 안전작업복 세부내용 사다리 및 말비계 등 낮은 작업하는 경우에는 안전시설 설치가 어려우며 안전대 걸이 시설이 불가능 한 경우가 많아 추락이 발생할 경우에는 허리 및 어깨 등 재해를 방지할 수 있는 보호구가 없다. 건설현장 및 일반 사업장에서 여름철 무더위가 있을 경우 열사병 및 더 위를 먹어 작업자들이 이 더위를 피하기 위해 얼음 조끼를 차고 다니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것을 이용 충격흡수 안전대를 개발하였다. 2) 개발내용 상하 일체식 작업복 허리부분에 250 mm 10 mm의 막대형 충격흡수대를 넣고 그 사이에 얼음 주머니를 만들어 얼음 냉각 팩을 넣을 수 있도록 개발하 였다. 어깨상부에는 충격흡수대를 전체에 넣고 어깨부위에 추락이 되었을 경우 충격을 흡수 할 수 있도록 하였다.

158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 그림 Ⅵ-10] 충격 흡수용 작업복 부위별 설명

Ⅵ. 안전작업복 개발 159 3) 제품 상세 (1) 주요 구성품 허리부분의 충격흡수대 및 얼음 냉각 팩 주머니 [ 그림 Ⅵ-11] 충격 흡수용 안전복 전면도 어깨부위 충격흡수대 [ 그림 Ⅵ-12] 어깨부위 충격 흡수대-측면 [ 그림 Ⅵ-13] 어깨부위 충격 흡수대-후면

160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충격흡수 실험 결과 충격흡수 안전작업복의 충격효과를 알기 위한 테스트는 안전모 시험 장치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충격효과에 알기 위하여 시험을 하였다. 안전모시험기는 3.6kg의 무게의 추에 높이 1.5 m에서 자유 낙하하여 충격량을 체크하는 기계로 이 위에 안전작업복 흡수시험을 하기위해 시험하였다. 8 cm 8cm 합판을 올리고 충격량을 [ 그림 Ⅵ-14] 충격흡수 안전 작업복 시험

Ⅵ. 안전작업복 개발 161 < 표 Ⅵ-1> 안전 작업복 충격 흡수 시험결과 ( 단위 : kgf) 구분 미착용 충격량 (A) 안전작업복( 1) 안전작업 복(2) 평균 (B) 축소량 (A-B) 충격흡수량 ( %) 411.7 319.4 허리 1920 457.6 463.9 441.8 413.2 336.9 341.7 417.9 1502.1 78.8 어깨 1899 358.1 389.7 363.3 1535.7 80.9 370 383.5 4) 발명 기대 효과 이 연구를 통해서 사다리 및 말비계 등 낮은 작업에서 작업하는 작업자들 이 입을 수 있는 충격흡수 안전작업복을 개발하여 추락에 의한 재해방지 안전작업복 내에 얼음 냉각 팩을 이용한 열사병 등 재해방지 향후 충격흡수재의 젤 형태의 개발로 가볍고 움직임이 편하도록 개발기초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추락2.5 과제 중에서 충격흡수 안전작업복 개발로 인한 공단위상 높아짐 6. 결론 그네식 및 충격흡수 안전작업복은 추락에 대하여 보호할 수 있는 기본 보호 구로서 근로자 입장에서 낮은 높이의 추락을 보호하는 그네식 안전대의 작업

162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및 작업이동 중에 물체에 안전대가 걸려서 위험하다는 것과 추락할 경우에 고 환부위에 집중되어 근로자가 착용을 기피하는 등의 단점을 보완하여 그네식 안 전작업대를 개발 하였고, 사다리 등에서 작업할 경우에 안전대 부착시설이 곤 란한 2 m 미만의 작업에서는 추락하여도 어깨와 허리를 보호할 수 있으며 동 절기 및 더운 여름철에 얼음 팩을 이용하여 열사병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충격 흡수 안전작업복을 개발하였다. 이 2종류의 안전작업복을 건설현장에 적용함으로서 근로자의 안전을 도모하 고, 추락안전 사고에서 근로자의 부상을 최소화하고 안전사고로 인한 경제 손 실을 최소화하여 건설비용 인하 유도 및 건설 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이 과 제의 연구 개발 성과로 인해 안전대 기술발전 및 공단의 위상을 높이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다. 이 과제에서 개발된 그네식 및 충격흡수 안전작업복를 더욱 실용적이고 경제적으로 개선되어지면 근로자의 낮은 추락재해를 예방하는데 기 여할 것이다. 이 과제에서 개발된 일체형 그네식 안전작업복과 상하분리형 그네식 안전작 업복 및 충격흡수 안전작업복이 실용적으로 되기 위해서는 이 개선되어야 한다. 다음과 같은 사항 일체형 그네식 안전대의 벗고 입기 불편함 본 개발품이 근로자 들이 화장실을 사용할 경우 벗고 입기가 불편하며 더 운 여름철 등에 작업복과 일체화 되어 별도로 착용하는 것 보다 더워 불편함 으로서 착용을 기피할 수 있다.

Ⅵ. 안전작업복 개발 163 세탁의 어려움 본 개발품이 작업복 내에 안전대가 부착되어 있어 세탁할 경우에 어려움이 예상되고 연결고리가 일부 있어 세탁기가 고장 날 우려가 있다. 충격흡수복의 작업상 어려움 본 개발품인 충격흡수복은 착용하였을 경우 흡수장치가 부드럽지 않아 작 업할 경우에 몸의 유현성이 떨어지고 단열효과가 높아 땀이 날 경우에는 더 워서 사용하기가 어렵고 이것을 보완하기 위해 얼음주머니를 넣었으나 지속 시간이 3~4 시간밖에 되지 않아 수시로 갈아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기타사항 기타 개선사항은 < 부록 Ⅵ- 연구개발품 시연회 > 를 통해 나타난 미비한 점 은 향후 지속적인 연구를 통하여 현장적용이 가능한 실용적 제품으로 개발해 야 할 것이다.

164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Ⅶ. 낮은 높이용 안전작업대 개발 1. 기존 낮은 높이용 작업대의 문제점 기존에 작업장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사다리, 이동식비계, 말비계 등의 작 업대는 사용상의 위험성 및 문제점 많고, 안전기준이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많 은 추락재해가 발생하고 있다. 사다리는 원래 작업장소의 이동을 위한 것이었으나 설치 해체의 편리성 때 문에 천정 배선, 전등 설치, 인테리어 작업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사다리는 작업발판, 안전난간이 없기 때문에 작업 중 사다리의 전도, 파손 및 신체의 균형상실 등으로 추락재해가 발생하기 쉽다. 또한 이동식비계는 설치 해체가 번거롭고 작업발판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작업장소가 높아질 경우에 이동식비계 상부 또 는 중간난간대에 합판, 알루미늄 유공발판 등을 걸쳐놓고 작업하다가 추락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그리고 말비계는 사다리처럼 설치 해체가 편리하여 인테리어, 철근배근 작 업 등에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발판의 폭이 30cm 이하인 경우가 많고 발판 단 부에 안전난간이 없어 작업 중 추락위험이 높다. 위와 같이 사다리, 이동식 비계, 말비계 등 기존 작업대의 문제점들을 해결하 지 않고 추락재해가 감소하기를 바라는 것은 노력은 하지 않고 요행을 바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Ⅶ. 낮은 높이용 안전작업대 개발 165 [ 그림 Ⅶ-1] 설문조사에 나타난 낮은 높이 작업용 작업대 사용현황 본 연구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 그림 Ⅶ-1] 과 같이 낮은 높이에서의 거푸집 근로자 등의 작업대는 대부분 이동하기 편한 사다리를 51 % 가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대부분은 나무사다리를 사용하고 있으며 주로 철근, 설 비 및 전기 근로자 등은 이동식비계 기타 공정들은 말비계를 사용하고 있는데 38 % 가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조사시에는 천정과 도배 등 마감작업이 적은 관계로 말비계로 작업하는 경우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이외에 현장의 작업자재 등을 이용하여 낮은 높이 작업을 한다는 근로자 들도 나타났다. 따라서 이 연구를 통하여 낮은 높이에서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는 안전 작업대를 연구 개발하였는데, 도록 전동식, 접이식 2 종류를 개발하였다. 작업장의 특성에 적합한 것을 선택하여 사용하

166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2. 전동식 안전작업대 기존에 작업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고소작업대는 충전기 및 유압장치를 사용 하여 작업발판의 높이를 조절하게 되어 있으나, 무게가 무겁고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중소규모 작업장에서 사용하기에는 경제적인 부담이 큰 실정이다. 따라서 기존 고소작업대와 비교하여 가볍고 저렴한 낮은 높이용 안전작업대 를 연구개발하였는데, 그 세부사항은 다음과 같다. 1) 기본사양 전동식 안전작업대의 기본사양은 작업발판의 크기 600 mm 600 mm, 작업발 판의 높이 1,150 mm~2,000 mm, 정격하중 120 kg 등으로 설계하여, 1인이 탑승한 상태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또한 상승 하강용 조작반을 안전난간 상부에 설치하여 작업발판의 높이를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고, 경우 약 4 m 까지 가능하게 하였다. 작업 높이를 근로자가 손을 들어 작업할 그리고 알루미늄 프레임을 적용하여 작업대의 중량을 약 110 kg 전후로 감 소시켰고, 작업장소를 이동시키기 편리하도록 4 인치 바퀴를 장착하였는데, 작업 장의 못, 핀 등에 파손되지 않도록 고무제품을 적용하였다.

Ⅶ. 낮은 높이용 안전작업대 개발 167 [ 그림 Ⅶ-2] 작업대 하강상태 [ 그림 Ⅶ-3] 작업대 상승상태 [ 그림 Ⅶ-4] 조작반 [ 그림 Ⅶ-5] 작업대 바퀴 2) 구동부 전동식 안전작업대는 전기 모터( motor) 및 스크류 잭(Screw jack) 등의 구

168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동부에 의하여 작업발판의 높이를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고, 충전기 무게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작업장의 분전함에서 전원을 직접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교류 모터를 장착하였다. 전기 모터인 단상 유도 전동기는 출력 0.75 kw, 주파수 60 Hz, 전압 220 V, 전류 5.25~7.15 A 등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작동할 경우의 소음은 59 db, 진 동은 19 μm이다. 스크류 잭은 고속형, 상방형으로 최대허용동력 0.5 kw, 웜(Wor m) 감속비 5:1, 정격하중회전수 600 rp m, 허용이송속도 1.25 m/ min 등의 특성을 가지 고 있으며 모터와 스크류 잭은 V- 벨트로 동력을 전달하도록 개발 하였다.. [ 그림 Ⅶ-6] 교류형 단상 모터 [ 그림 Ⅶ-7] 스크류 잭 3) 안전장치 작업중 근로자의 추락재해 예방을 위하여 과부하방지장치, 권과 방지 장치, 비상정지장치, 아웃 리거(Out rigger), 안전난간, 승강설비 등의 안전장치를 장 착하였는데, 그 세부사항은 다음과 같다. 과부하방지장치는 적재중량이 120 kg 이상이 되면 모터의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하여 작업대의 구동을 멈추게 하였고, 작업발판이 최고 또는 최저 높이에

Ⅶ. 낮은 높이용 안전작업대 개발 169 도달하였을 경우 자동으로 전원을 차단하도록 권과방지장치를 설치하였다. [ 그림 Ⅶ-8] 과부하방지장치 [ 그림 Ⅶ-9] 권과방지장치 또한 작업발판이 급격하게 상승 또는 하강할 경우에 작업대의 구동을 정지 시킬 수 있도록 비상정지장치를 조작반에 설치하였고, 재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아웃리거를 부착하였다. 작업대의 전도에 의한 [ 그림 Ⅶ-10] 비상정지장치 [ 그림 Ⅶ-11] 아웃리거 그리고 낮은 높이에서 작업중 근로자의 추락재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안전난 간을 설치 해체가 쉽게 제작하였다. 근로자가 승강설비를 통하여 작업발판에

170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올라가서 안전난간을 위로 당기면 90 cm 높이의 안전난간이 설치되고, 안전난 간을 잡은 상태에서 작업발판에 설치된 스위치를 발로 밟으면 안전난간이 해체 되도록 발 스위치를 설치하였다. 또한 작업중 근로자의 실수에 의하여 발 스위치를 밟음으로써 안전난간이 해체되지 않도록 발 스위치 상부에 덮개를 설치하였다. [ 그림 Ⅶ-12] 안전난간 [ 그림 Ⅶ-13] 발 스위치 및 덮개 전동식 작업대의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것은 작업대의 전도를 예방하는데 중 요하기 때문에 작업대 측면에 2 개의 수평 확인장치를 설치하였다. 또한 요철 가공된 발판을 사용하여 근로자의 미끄러짐에 의한 재해를 예방하고자 하였고, 위의 [ 그림 Ⅶ-2] 에서 나타나듯이 안전난간 외측에 승강설비를 설치하여 작업 대를 안전하게 승하강 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Ⅶ. 낮은 높이용 안전작업대 개발 171 [ 그림 Ⅶ-14] 수평 확인장치 [ 그림 Ⅶ-15] 요철가공 발판 3. 접이식 안전작업대 위에서도 언급했듯이 접이식 안전작업대는 기존에 작업장에서 사용되고 있 는 사다리, 이동식비계, 말비계 등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제작한 낮은 높이용 작업대로, 근로자 1 인이 운반할 수 있도록 경량화 하였고, 작업장소를 쉽게 이 동할 수 있도록 접이식으로 연구개발하였다. 1) 일반사항 접이식 안전작업대는 작업발판의 크기를 600 mm 1,000 mm, 작업발판의 높 이를 1,200 mm~1,650 mm 등으로 설계하여, 근로자 1인이 탑승한 상태에서 작업 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또한 알루미늄 프레임을 사용하여 작업대의 자중을 약 작업장 바닥에 장애물이 있거나 작업장소를 이동할 경우 근로자 반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20 kg으로 제작하여 1인이 쉽게 운 그리고 작업대 4개의 다리 하부에 4인치 바퀴를 각각 설치하여 작업대를 쉽

172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게 이동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는데, 바퀴는 작업장의 못, 핀 등에 손상되지 않 는 제품을 설치하였다. 또한 작업장의 바닥이 고르지 않은 점을 고려하여 약 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20 mm의 범위에서 바 [ 그림 Ⅶ-16] 접이식 안전작업대 [ 그림 Ⅶ-17] 작업대 바퀴 2) 특이사항 접이식 안전작업대의 가장 큰 특징은 작업대 다리와 안전난간대를 접을 수 있다는 것인데, 접는 방식은 작업대 다리의 경우 작업발판 하부에 힌지를 설치 하여 안으로 접히도록 설계하였다. 또한 작업대 다리를 핀 상태에서 나비너트와 볼트를 이용하여 작업발판과 작 업대 다리를 고정시킴으로써 불시에 작업대 다리가 접히지 않도록 연구 개발 하였다.

Ⅶ. 낮은 높이용 안전작업대 개발 173 [ 그림 Ⅶ-18] 작업발판 하부 힌지 [ 그림 Ⅶ-19] 나비너트와 볼트 그리고 안전난간 하부에 힌지를 설치하여 안으로 접을 수 있도록 설계하였 고, 2중관 구조로 설계하여 안전난간의 높이를 90 cm로 제작하였다. 또한 철에 비하여 강도가 약한 알루미늄 안전난간을 열처리하여 강도를 증진시켰고, 쉽게 접고 펼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 그림 Ⅶ-20] 안전난간 하부 힌지 [ 그림 Ⅶ-21] 2중관 구조의 안전난간 위와 같이 작업대 다리와 안전난간을 접음으로써 작업대의 두께는 약 32 cm가 되어 5 인승 승용차 뒷자석에 세워서 적재운반이 가능하다. 이는 기존의 이동식비계를 운반하 기 위해서는 반드시 트럭이 필요한 것에 비하여 운반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것이다.

174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 그림 Ⅶ-22] 작업대 접은 상태 [ 그림 Ⅶ-23] 접은 상태의 두께 작업장에서 이동식비계, 말비계 등의 작업대를 잘 사용하지 않는 원인중의 하 나는 기존 작업대들의 높낮이 조절이 곤란하거나 번거롭기 때문이다. 예를 들 어 이동식비계에서 작업중 50 cm 의 대응방식은 다음과 같이 다양하다. 정도 더 높은 곳의 작업을 할 경우 근로자들 첫째, 가장 흔히 사용되는 방법은 이동식비계 중간난간대에 작업발판을 걸쳐 놓고 작업하는 경우이다. 이때 작업발판에서 안전난간 상부까지의 높이는 약 45 cm 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근로자가 몸의 중심을 잃을 경우 안전난간이 제 역할을 할 수 없게 되어 추락재해가 발생하는 것이다. 둘째, 이동식비계 상부에 약 50 cm 높이의 페인트 통, 신나 통, 방수액 통 등 을 올려놓고 그 통 위에 올라가서 작업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몸의 중심을 잃 거나 통이 전도되는 경우 추락재해가 발생하는 것이다. 셋째, 이동식비계 상부에 설치된 안전난간을 밟고 작업하는 경우도 있다. 안 전난간은 금속제로 되어 있어 미끄러지기 쉽고, 밟고 있던 안전난간대가 불시 에 처짐 또는 해체됨으로써 추락재해가 발생하고 있다. 그러므로 작업장에서는 작업발판의 높이를 쉽고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작업대가 절실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를 통하여 위와 같은 문제의 해결방

Ⅶ. 결론 175 안을 제시하고자 안전작업대 다리에 스프링식 높이 조절장치를 설치하였다. 접이식 안전작업대의 높이는 높이조절장치를 잡아당긴 상태에서 원하는 높 이로 작업대 다리 내부관을 이동시킨 후, 높이 조절장치를 작업대 다리에 있는 구멍에 맞게 고정시킴으로써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접이식 안전작업대의 높이는 상 중 하 3단계로 조절할 수 있도록 설 계하였는데, 최대 45 cm까지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제작하였다. [ 그림 Ⅶ-24] 스프링식 높이 조절장치 [ 그림 Ⅶ-25] 높이 조절용 구멍

176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Ⅷ. 결론 본 연구는 낮은 높이에서 발생되는 추락재해에 대한 원인분석을 실시하고, 하인리히 (Heinrich. H. W) 가 제안한 재해의 88 % 가 불안전행동에 있다는 이론 을 근거로 건설현장 근로자들의 낮은 높이 작업에서의 근로자 안전의식상태를 설문조사에 의하여 연구하였다. 그리고 낮은 높이에서 작업하는 근로자 입장에서 사용하기 편리하고 관리 감독이 용이한 보호구 및 낮은 높이용 작업대를 개발하였다. 낮은 높이인 2.5 m 내외에서 작업하는 근로자의 추락재해를 감소시키기 위 해서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1. 추락 및 사다리관련 안전기준을 제개정해야 한다. 우리나라의 추락 및 사다리 관련 안전기준은 내용 측면에서의 자의적 해 석이 가능하여 법 적용에 공정성 측면에서 분쟁의 소지가 많다. 그러나 영국, 미국 등 선진 외국의 사다리관련 안전기준은 분류기준, 내용, 구조적 측면에서 자세하고 구체적인 안전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산업안전보건법의 추락 및 사다리 관련 안전기준을 분류기준, 내용 구조적 측면에서 구체적으로 제개정해야 할 것이다.

Ⅶ. 결론 177 2. 사회적으로 건설현장의 일은 숙련된 작업자가 한다는 인식을 확산시 키고 건설현장 근로자에게 자긍심을 심어주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 안전의식과 사회적요인과의 피어슨상관계수가 적 높은 상관계수 결과가 나왔다. 이것은 우리현장의 애착심 및 0.406 으로 비교 주변 동료애와 사회를 긍정적으로 보는 인 식이 높아질수록 안전의식행동이 높아질 수 있다는 것으로 사회적, 문화적 으로 건설현장의 근로자 자긍심을 심어주고 건설현장의 숙련된 작업자를 대우하는 인식을 안전과 연관되어서 관리하여야 한다. 건설현장의 근로자들이 아무나 이것저것하다 안되면 노가다라도 하자 가 아닌 숙련된 기술자들이 아니면 이런 위험한 직업을 가질 수 없다는 인식 을 심을 수 있도록 하기위하여 자격제도 강화 및 일정한 안전교육, 직업 교육을 이수하지 않으면 위험한 건설현장 일을 할 수 없도록 제도적 정비 가 필요하다. 3. 건설현장의 근로자들을 위한 건강관리 및 직업안정을 위한 대책으로 건설근로자 자격수첩제도 등을 강화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 안전의식과 직업 및 수입관계의 피어슨 상관계수가 나타났으며 건강 및 심리적 관계에서도 가 나온 결과가 나왔다. 0.415 0.399 로 으로 비교적 높은 상관계수 그러나 건설현장의 근로자들은 심리적으로 자기직업에 대하여 수치심과 모멸감을 느끼고 있으며 본인의 건강은 잘 관리하지 않고 있어 대규모 건 설현장은 건강진단 등을 주기적으로 하고 있으나 중소규모 사업장은 거의

178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관리 안 되는 상태로 있어 건설현장의 직업을 투입하기 전에 건강관리와 심리상태를 지정된 기관에서 받아야만 취업할 수 있는 건설근로자 자격수 첩제도를 기존제도등과 보완하여 실시하여야 한다. 건설현장 근로자들이 불법하도급 및 고용관계의 불안정으로 인한 직업대 한 만족도가 낮으며 특히 경력이 많고 기능이 높을수록 더욱 낮아지는 경 향이 있으므로 이것에 대한 정당한 보수와 직업의 안전성을 찾아 볼 수 있도록 노동부 등에서 건설업만 특별 관리하는 고용관리센터를 강화하고 건설근로자 자격수첩제도와 연관하여 근로자가 원하는 곳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건설전문가가 관리하여야 한다. 4. 건설현장의 근로자들을 위한 감성경영을 확산 시켜야 한다. 본 연구에서 안전의식 영향도에서도 가장 접근성이 쉬운 건설현장 작업장 에 대한 만족도와 안전의식과의 피어슨 상관계수는 0.550 으로 높은 상관계 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즉 현장에 대한 복지시설 및 관리감독자, 동료에 대한 만족감이 높을수록 안전을 해야 되겠다는 인식이 높게 된다는 결과 로 나타났으므로 현장책임자의 의지가 무엇보다도 현장에 대한 만족도를 높여야겠다는 생각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현장소장은 근로자들이 사용하는 화장실, 샤워실, 탈의실, 휴게실, 식당의 식사 등을 근로자들이 사용이 편리하고, 쾌적할 수 있도록 최대한 예산을 투입하고 계속적으로 관리하여야한다. 또한 현장 작업자들 간의 동료애를 심어줄 수 있는 행사와 관리감독자와 근로자간의 오해와 반감이 없도록 관리하고 근로자들의 불만을 자주 터놓 고 대화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여야 한다.

Ⅶ. 결론 179 재해예방을 하기위한 건설현장 감성경영 등을 대기업뿐만 아니라 중소기 업 건설현장에도 파급될 수 있도록 지도하고 홍보하여야 한다. 5. 낮은 높이 작업에서의 위험성을 사업주와 근로자에게 인식시켜야 한다. 추락재해의 70 % 이상이 낮은 높이 작업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재해통계 에서 나타났으므로 낮은 높이의 작업을 하는 근로자에게 추락재해사례를 홍보와 교육을 통하여 낮은 높이의 작업의 위험성을 계속적으로 반복하여 알려야 한다. 공단의 현장기술지원 할 경우에도 낮은 높이의 추락재해 위험성을 알리고 현장관리감독자 및 사업주에게 공정관리에서 낮은 높이의 작업 안전규칙 을 준수할 수 있도록 관리하여야 한다. 또한 낮은 추락재해의 50 % 이상을 점유하고 있는 사다리, 운송수단 기계 설비 등의 시설에 대하여 작업발판, 안전난간, 승강설비 등의 안전시설을 설치한 후 작업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6. 근로자 입장에서 편리하고 실용성 있는 보호구와 낮은 높이용 작업대 를 지속적으로 연구개발하여야 한다. 안전모가 추락재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턱끈 착용을 해야 하나 착용을 답답하다는 이유로 기피하여 사고가 발생되므로 이것을 감시하는 체계를 본 연구에 개발하여 현장관리감독자가 항상 안전모에 대한 착용상태를 쉽 게 확인 가능하도록 하였다

180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안전대는 근로자입장에서 작업의 불편함과 문제점을 일부해결하기 위하여 그네식 안전작업복과 충격흡수 안전작업복을 개발하였다. 낮은 높이 작업대는 기존에 다양한 제품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비 용의 문제와 안전성에서 문제가 있어 안전장치와 안전난간대가 구비된 전 동식 안전작업대와 접이식 안전작업대를 개발하였다. 이와 같이 개발된 보호구와 낮은 높이용 작업대의 시연회 < Ⅵ-연구개발품 시연회 : 2007.11.22 ( 대우건설 부천중동재건축현장 )> 를 통해 나타난 미비 한 점은 향후 지속적인 연구를 통하여 현장적용이 가능한 실용적 제품으 로 개발해야 할 것이다. < 연구 후기 > (1) (2) (3) 본 연구는 건축 및 토목공사에 세부적 공사종류별 및 지역별로 종사하는 근로자 특성 등이 설문조사에서 반영되어야 하나 건축현장에서 아파트 및 상가위주의 근로자 대부분을 대상으로 하였고 골조공사 위주로 설문조사 분석되었다. 또한 설문조사 양식의 작업과정에서는 예비조사 및 본 조사 등으로 현장근 로자의 입장으로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작성항목이 다소 미흡하였고, 건설 현장의 근로자들이 고용관계의 문제와 현장감독자 영향력으로 솔직한 설문 서 답변이 되지 못하는 한계점이 반영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인간의 불안전행동을 예방할 수 있어야만 낮은 작업에서의 추락재 해를 방지할 수 있다는 전제하에 인간의 의식상태와 안전의식 영향도를 정 리하려고 하였으니 향후 기술적으로나 학문적으로 이와 같은 한계점을 인 식하고 보다 심도 있는 다양한 연구를 하는데 기초가 되었으면 한다.

참고문헌 181 참 고 문 헌 1. 2005 년 산업재해원인조사 ( 업무상사고 ) 보고서, 한국산업안전공단 산업안전보건 연구원, 2006 2. 건설 중대재해 사례와 대책, 한국산업안전공단, 2006 3. 건설사업에 있어서 규격화, 표준화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998 4. 건설안전체험교육, 한국산업안전공단, 2006 5. 건설재해분석기법, 한국산업안전공단, 2005 6. 건설재해유형별 안전점검편람, 한국산업안전공단, 2002 7. 교량공사의 위험지수 정량화 연구, 산업안전보건연구원, 2006 8. 근로자행동특성에 의한 사고발생추정 S.W 개발, 산업안전보건연구원, 1996 9. 달비계 안전작업에 관한 연구, 산업안전보건연구원, 2006 10. 마음을 훔치는 책, 도서출판산하, 1991 11. 명예산업안전감독관 교육( 건설업신규 ), 한국산업안전공단, 2005 12. 발주자를 활용한 건설현장 안전관리체계구축연구, 산업안전보건연구원, 2006 13. 한경보 외 1 인, 건설안전기술사 용어설명, 예문사, 2000 14. 산업안전보건 법령집, 한국산업안전공단, 2007 15., 노동부, 2001~ 2006 16. 인간행위공학, 한국산업안전공단, 2002 17. 정상호, 추락환자에서 추락높이와 관련된 외상지수의 예후적 의의에 관한 연 구,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18. 통계학, 기문사, 2004

182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19. 통계학 - 류근관, 법문사, 2004 20. Falls from height - Prevention and risk control effectiveness, HSE, 2003 21. Census of Fatal Occupational Injuries, US Department of Labor, Bureau of Labor Statistics, 2005 22. New perspectives on falls from height-identifying high profile areas for intervention, HSE, 2005 23. Statistics of fatal injuries, HSE, 2005/06 24. Statistics of work place fatalities and injuries, fall from a height, HSE, 2005/06 25. Safe use of ladders and stepladders, HSE, 2005~2006 26. Stairways and ladders, OSHA, 2006

부록 183 부 록 부록 Ⅰ 안전의식상태 조사 결과서 부록 Ⅱ 안전의식 설문서 내용 부록 Ⅲ 안전의식 설문서 결과표 부록 Ⅳ 낮은 높이용 안전작업대 ( 전동식 ) 부록 Ⅴ 낮은 높이용 안전작업대 ( 접이식 ) 부록 Ⅵ 연구개발품 시연회

184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부록Ⅰ 안전의식 상태조사 결과서 13 14 4% 4% 17 5% 26 8% 38 12% 14 11 4% 4% Total 312 people people/% 180 59% Capenter Electric fitter installer Steel structure bricklayer Painter Helper etc 7 8 5% 6% 11 8% 12 9% 14 10% 8 6% Capenter T o t a l 13 7 people p eo p l e/% 77 56% Steel structure Helper Electric fitter installer Labour etc [ 부록그림 Ⅰ-1] 대기업 아파트공사현장 [ 부록그림 Ⅰ-2] 중소기업 상가빌딩공사현장

부록 185 4 9% 4 9% 4 9% 3 7% 2 4% Total 45 people people/% 11 24% 17 38% installer Capenter Helper Electric fitter Steel structure Painter 4 19% 1 1 5% 5% 1 5% Total 21 people people/% 14 66% Scaffold Steel structure Good driver Labour Helper Painter etc etc [ 부록그림 Ⅰ-3] 대기업 플랜트공사현장 [ 부록그림 Ⅰ-4] 대기업 토목공사현장

186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 부록그림 Ⅰ-5] 안전의식관계 [ 부록그림 Ⅰ-6] 사회성 관계 [ 부록그림 Ⅰ-6] 직업수입 관계 [ 부록그림1.7] 현장만족도 관계 [ 부록그림 Ⅰ-8] 낮은높이작업의 의식관계 [ 부록그림 Ⅰ-9] 건강 심리의 관계

부록 187 구분 현장만족도 사회성관계 현장만족도 직업수입관계 < 부록표 1.1> 현장만족도 건강심리적관계 현장만족도 안전의식관계 현장만족도 낮은작업의식관계 사회성관계 건강심리적관계 사회성관계 직업수입관계 사회성관계 안전의식관계 사회성관계 낮은작업의식관계 직업수입관계 건강심리적관계 직업수입관계 안전의식관계 직업수입관계 낮은작업의식관계 상관계수 비교표 Pearson 상관계수 (r) (N) 0.515 (515) 0.428 (515) 0.365 (515) 0.550 (515) 0.486 (203) 0.352 (515) 0.382 (515) 0.406 (515) 0.313 (203) 0.359 (515) 0.399 (515) 0.330 (203) Spear man의 서열상관계수(r ) (N) 0.510 (515) 0.419 (515) 0.369 (515) 0.524 (515) 0.477 (203) 0.337 (515) 0.351 (515) 0.392 (515) 0.280 (203) 0.319 (515) 0.362 (515) 0.332 (203)

188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건강심리적관계 안전의식관계 건강심리적관계 낮은작업의식관계 안전의식관계 낮은작업의식관계 0.415 (515) 0.514 (203) 0.670 (203) 0.399 (515) 0.516 (203) 0.662 (203) p< 0.05, p < 0.01, p < 0.001 상관계수 (r)(pearson 상관계수 ) 는 두변수간의 선형적인 관계정도와 방햐을 수학적인 수치로 정량화 하여 표시하는 지수를 말한다. 상관계수의 평가는 연구의 성격과 자료의 특성에 따라 평가기준이 달라지 는데 보편적 기준은 다음과 같다. 상관계수 (r) 의 절대값 r값의 해석 0.2 미만 관계가 거의 없음 0.2 ~ 0.4 미만 낮은 상관관계 0.4 ~ 0.6 미만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 0.6 ~ 0.8 미만 높은 상관관계 0.8 이상 매우 높은 상관관계

부록 189

190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부록 191

192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부록 193

194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부록Ⅱ 안전의식 설문서 내용 - 근로자 입장에서 이해할 수 있으며 현장에서 하는 일에 대한 내용물 등 으로 현장 실무자와 같이 작성하였음. (1) 사회성 있는 질문 내용 현 정치하는 것이 마음에 드십니까? 같이 일하는 분들이 다 마음에 들지요? 우리 현장이 다른 현장에 비교에 잘한다고 생각하십니까? ( 무엇이든) 본인 생각에 정부가 여러분을 위해서 노력한다고 생각하십니까? 일 끝나면 같이 일하는 동료 분들과 저녁에 같이 잘 어울리십니까? 요즘 사회는 노력안하고 잘사는 사람이 많다고 생각하십니까? 한, 미 FTA 협정 등 정부가 하는 일이 잘못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다른 동료 분들과 같이 작업하는 것을 좋아 합니까? 요즘 젊은 사람들이 어른들에게 잘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같이 일하는 분 중에 걱정거리가 있는 분이 있는 분이 많이 있지요? 돈이 많은 사람들을 보면 화가 나지요? 같이 일하는 동료 분들이 이기적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일 끝나시면 같이 작업한 분들과 한잔 하십니까? 이 사회는 힘없고 어려운 분들을 잘 도와준다고 생각하십니까? 본인은 사람 사귀는 것을 좋아합니까? 본인은 주변에 혹은 이 현장에 좋은 사람보다는 나뿐 사람이 더 많다고 생각하십 니까? 우리나라는 준법을 지키면 손해를 본다고 생각하십니까?

부록 195 (2) 직업 및 수입관계성 질문내용 이 일하는 것이 즐겁다고 생각하십니까? 이 일을 얼마나 하셨습니까? ( 몇년) 본인 작업이 힘이 들고 짜증이 나십니까? 저녁이 되면 몸과 마음이 피로함을 느끼시지요? 이런 일들을 얼마나 더 하실 생각 이십니까? 다른 가족들도 수입을 위해서 일하십니까?( 누가) 본인수입 ( 일당) 으로 사는데 지장이 없습니까? 본인생각에 일하는 것에 비해 일당을 충분히 받는다고 생각하십니까? 집은 있으십니까? ( 자가, 전세, 월세, 차 소유는) 본인 매달 수입은 얼마정도? 평소 작업량이 많다고 생각하십니까? 쉬는 날이 많아 수입이 적어 생활하기가 어렵지요? 본인이 하는 일에 대하여 자식이나 친척에게 소개하고 싶습니까? 이 일을 천직이라고 생각하신 적이 있습니까? 귀하의 경제수준은 사회적으로 어느 정도라고 생각하십니까? ( 상 중 하) 아침에 출근하기가 싫지요? 본인 작업이 천하다고 생각하신 적이 있습니까? (3) 건강 및 심리적 관계 질문내용 식사는 규칙적으로 잘 하시지요? 혹시 혈압, 허리, 당뇨 등 몸이 아프신데는 없으십니까? 건강을 위해 운동 등 관리하시는 것은 있으십니까? 담배는 피우십니까? ( 몇갑), 술은 자주 하십니까? ( 몇잔) 하는 일이 항상 피곤하다고 생각 하십니까? 본인이 이 사회에서 중요한 사람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사람으로서 의리와 도리를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처음 만난사람에게는 대부분 적대감을 느끼십니까? 현장의 안전규칙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가족들은 건강하십니까? 일 끝나면 바로 집으로 가십니까? 집안에 걱정거리는 없는지요? ( 건강 등) 결혼은 하셨습니까? ( 독신가정 등 파악)

196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자식 들은 공부 잘하지요?( 걱정거리 파악), 본인은 생활에 항상 불안감을 가지고 있지는 않습니까? 나보다 못한 사람을 보면 도와주고 싶다고 생각하신 적이 있습니까? 동료가 일을 할 때 일을 잘못하면 자주 화를 내신 적이 있습니까? 토론할 경우 내 생각과 다르게 이야기 하면 화를 내신 적이 있습니까? 가족들과 같이 있으면 행복하십니까? 하고 있는 일에 대하여 남에게 자랑스럽게 이야기를 하십니까? 이일이 본인에게는 육체적으로 너무 힘들다고 생각하십니까? 자신의 신체적 능력보다 이상의 일을 한다고 보십니까? 다른 동료들이 아픈데도 일하는 것을 보신 적이 있습니까? (4) 현장에 대한 만족감에 대한 질문내용 현장식당에서 식사하시는 것은 마음에 드십니까? 샤워실과 화장실, 휴게시설은 마음에 드십니까? 솔직히 소장님과 직원들이 본인 마음에 드십니까? 아침 조회할 때 마다 악수, 인사 등 이런 행사가 좋다고 생각하십니까? 현장에서 실시하는 근로자 교양강좌 등이 본인에게는 도움이 됩니까? 내가 하고 있지 않은 다른 공정작업은 규정대로 일을 잘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본인은 이 공사에 최선을 다한다고 생각하십니까? 옆 현장보다 우리현장이 공사를 잘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솔직히 현장공사담당 기사들이 다른 현장보다 실력이 있다고 봅니까? 우리현장은 공사자재를 좋은 것 쓰고 있다고 봅니까? 본인과 같이 일하는 분들은 같이 야간작업을 자주 하십니까? 현장 행사 때문에 공사를 못하여 짜증이 나신 적이 있습니까? 본인이 한일이 아니어도 공사상 잘못된 부위를 보면 고쳐 준적이 있습니까? 이 현장에 대하여 다른 사람이 욕하거나 불평하는 것을 들은 적이 있습니까? 현장에서 아침마다 체조하고 에어로빅 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십니까? 이 현장의 정기 건강검진 하는 것이 만족스럽습니까? 다른 공정과 문제가 발생되어 싸운 적이 있습니까? 혼자 하기 힘든 일을 할 때 주변에 도움을 받아 처리 한 적이 있습니까?

부록 197 (5) 안전의식관계에 대한 질문내용 안전모 잘 쓰고 계시군요? 그런데 다른 현장( 소규모공사 ) 에서도 이렇게 쓰고 일합니까? 안전모를 가장 쓰고 싶지 않을 때가 있지요 안전대가 불편하지 않으세요? ( 대답유도), 형식적으로 차고 다니는지 확인.? ( 언제) 사다리로 작업하다가 넘어질 뻔 한 적이 있나요. ( 있다면 어느 종류 사다리 확인) 안전모 턱끈은 꼭 채워야 된다고 생각하십니까? ( 특히 더울때) 이 현장은 정리정돈이 항상 잘 되어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고정된 개구부를 작업상 필요해서 철거하고 작업한 적이 있습니까?( 그후에는) 다른 현장에 비해 우리현장 안전시설은 잘 되어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이 현장에서 안전교육이 형식적이지 않아요? 이 현장에서 안전모 등은 자주 교체해 주거나 지급을 잘 해줍니까? 안전관리자 나 안전담당자가 마음에 드십니까? 작업중 혹시 위험하다고 생각하거나 아차사고를 당 한적 있습니까? 공사 중에 견딜 수 없을 정도의 소음이나 공기가 나쁜 적이 있었습니까? 야간( 돌관) 작업을 보고하지 않고 혼자 한 적이 있습니까? 다치신 적이 ( 조금이라도 ) 있었습니까? 안전교육을 받을 때 본인 생각에 이런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소장님이 여러분들한테 관심이 많은데 이런 것이 본인마음에 드십니까? 아침조회시에 동료 분들이나 혹은 나의 건강상태와 안전상태를 확인하십니까? 안전시설들이 공사 진행 하는데 방해된다고 생각하십니까? 안전대를 차고 사용해 본 적이 있습니까? 산업안전보건법이 있어야 된다고 보십니까? 재해의 90 % 는 나의 불안전하게 하는 행동에 의해서 발생된다고 보십니까? 안전모, 안전대, 안전화를 싣고 있는 동료를 보면 자랑스럽게 생각하십니까? 건설현장에서 추락을 보호하는데 안전모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짐을 들기 전에 무게를 확인하고 바른 자세로 짐을 운반하려고 노력하십니까? 거푸집동바리등 자재가 나쁘면 사용안하고 좋은 자재로 구입하여 사용합니까? 공사상 급할 경우에 거푸집동바리에 철근핀 등을 사용한 적이 있습니까? 작업할 때 날씨가 더울 경우에 상의를 벗고 작업한 경우가 있습니까?

198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갱폼이 외관상 큰 문제가 없으면 안전하다고 생각하십니까? 높은 사다리보다 높지 않은 사다리는 사고가 많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합니까? 사고가 발생하면 나는 운이 좋고 운동신경이 좋아서 피할수 있다고 생각한다. 본인 생각에 안전은 사고 후 대피가 예방보다 중요하다고 생각합니까? 안전은 작업공정을 모르는 사람들이 안전에 관여해야 된다고 생각하십니까? 비가 적게 올 때 갱폼이나 작업발판에서 작업한 적이 있습니까? 급할 경우에 안전난간대를 넘거나 각재를 임시로 놓고 통행한 적이 있습니까? 각재에 못이 튀어나와 있는 것을 볼 경우에 다른 사람을 위해 망치로 구부린적이 있습니까? 틀비계 사용경우에 작업상 급해서 사람을 태우고 이동 한 적이 있습니까? 사다리는 나무사다리가 알미늄 사다리보다 안전상 좋다고 생각하십니까? 갱폼의 조립 및 해체 시 추락사고는 항상 인간의 실수에 있다고 생각합니까? 안자 마크가 있는 것은 항상 안전한 자재라고 생각하십니까? 작업하시다가 작은 물건 및 자재를 건물 밖으로 버린 적이 있습니까? 본인은 응급조치 요령 및 소화기를 사용할 줄 압니까?

부록 199 부록Ⅲ 안전의식 설문서 결과표

200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1. 대기업 ( 아파트) < 부록 표 Ⅲ-1> 대기업( 아파트) 요인 사회성관계 직업 및 수입 관계 건강 및 심리적 관계 현장에 대한 만족관계 안전의식관 계 등급 질문 매우 그렇지 총 보통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지 않다 않다 그렇다 A1 7 2.2 % 8 2.6 % 72 23.1 % 138 44.2 % 87 27.9 % 312 100 % B2 10 3.2 % 6 1.9 % 42 13.5 % 139 44.6 % 115 36.9 % 312 100 % C4 28 9.0 % 68 21.8 % 71 22.8 % 86 27.6 % 59 18.9 % 312 100 % E2 2 0.6 % 14 4.5 % 82 26.3 % 120 38.5 % 94 30.1 % 312 100 % G4 44 14.1 % 68 21.8 % 58 18.6 % 63 20.2 % 79 25.3 % 312 100 % A2 12 3.8 % 33 10.6 % 113 36.2 % 119 38.1 % 35 11.2 % 312 100 % B3 25 8.0 % 46 14.7 % 91 29.2 % 77 24.7 % 73 23.4 % 312 100 % C3 92 29.5 % 58 18.6 % 103 33.0 % 34 10.9 % 25 8.0 % 312 100 % D5 37 11.9 % 65 20.8 % 68 21.8 % 67 21.5 % 75 24.0 % 312 100 % E1 76 24.4 % 96 30.8 % 101 32.4 % 18 5.8 % 21 6.7 % 312 100 % G2 19 6.1 % 11 3.5 % 26 8.3 % 98 31.4 % 158 50.6 % 312 100 % G3 74 23.7 % 64 20.5 % 90 28.8 % 40 12.8 % 44 14.1 % 312 100 % A3 11 3.5 % 32 10.3 % 50 16.0 % 86 27.6 % 133 42.6 % 312 100 % B4 19 6.1 % 27 8.7 % 84 26.9 % 103 33.0 % 79 25.3 % 312 100 % C2 70 22.4 % 62 19.9 % 48 15.4 % 70 22.4 % 62 19.9 % 312 100 % E3 14 4.5 % 13 4.2 % 44 14.1 % 127 40.7 % 114 36.5 % 312 100 % G1 26 8.3 % 28 9.0 % 47 15.1 % 88 28.2 % 123 39.4 % 312 100 % A4 46 14.7 % 47 15.1 % 119 38.1 % 73 23.4 % 27 8.7 % 312 100 % C1 23 7.4 % 12 3.8 % 49 15.7 % 88 28.2 % 140 44.9 % 312 100 % D3 16 5.1 % 19 6.1 % 95 30.4 % 96 30.8 % 86 27.6 % 312 100 % E4 2 0.6 % 3 1.0 % 27 8.7 % 141 45.2 % 139 44.6 % 312 100 % F4 37 11.9 % 20 6.4 % 60 19.2 % 103 33.0 % 92 29.5 % 312 100 % F5 34 10.9 % 58 18.6 % 29 9.3 % 85 27.2 % 106 34.0 % 312 100 % A5 28 9.0 % 24 7.7 % 41 13.1 % 125 40.1 % 94 30.1 % 312 100 % B1 38 12.2 % 47 15.1 % 33 10.6 % 87 27.9 % 107 34.3 % 312 100 % B5 23 7.4 % 46 14.7 % 35 11.2 % 91 29.2 % 117 37.5 % 312 100 % C5 6 1.9 % 13 4.2 % 35 11.2 % 121 38.8 % 137 43.9 % 312 100 % D1 5 1.6 % 9 2.9 % 11 3.5 % 81 26.0 % 206 66.0 % 312 100 % D2 15 4.8 % 15 4.8 % 43 13.8 % 114 36.5 % 125 40.1 % 312 100 % D4 7 2.2 % 5 1.6 % 20 6.4 % 122 39.1 % 158 50.6 % 312 100 % E5 7 2.2 % 12 3.8 % 25 8.0 % 125 40.1 % 143 45.8 % 312 100 % F1 25 8.0 % 30 9.6 % 23 7.4 % 73 23.4 % 161 51.6 % 312 100 % F2 34 10.9 % 74 23.7 % 54 17.3 % 59 18.9 % 91 29.2 % 312 100 % F3 13 4.2 % 10 3.2 % 44 14.1 % 116 37.2 % 129 41.3 % 312 100 % G5 28 9.0 % 14 4.5 % 40 12.8 % 130 41.7 % 100 32.1 % 312 100 % H1 42 13.5 % 44 14.1 % 74 23.7 % 81 26.0 % 71 22.8 % 312 100 % H2 21 6.7 % 28 9.0 % 41 13.1 % 94 30.1 % 128 41.0 % 312 100 % H3 29 9.3 % 23 7.4 % 32 10.3 % 108 34.6 % 120 38.5 % 312 100 % H4 17 5.4 % 62 19.9 % 42 13.5 % 85 27.2 % 106 34.0 % 312 100 % H5 17 5.4 % 13 4.2 % 61 19.6 % 119 38.1 % 102 32.7 % 312 100 %

부록 201 2. 대기업 ( 플랜트) < 부록 표 Ⅲ-2> 대기업( 플랜트) 요인 사회성관계 직업 및 수입 관계 건강 및 심리적 관계 현장에 대한 만 족관계 안전의식관계 등급 질문 매우 그렇지 매우 총 그렇지 않다 않다 보통이다 그렇다 그렇다 A1 0 0.0% 0 0.0% 11 24.4% 16 35.6% 18 40.0% 45 100% B2 0 0.0% 1 2.2% 2 4.4% 18 40.0% 24 53.3% 45 100% C4 2 4.4% 8 17.8% 12 26.7% 15 33.3% 8 17.8% 45 100% E2 0 0.0% 0 0.0% 8 17.8% 21 46.7% 16 35.6% 45 100% G4 2 4.4% 15 33.3% 7 15.6% 12 26.7% 9 20.0% 45 100% A2 0 0.0% 1 2.2% 11 24.4% 19 42.2% 14 31.1% 45 100% B3 2 4.4% 0 0.0% 9 20.0% 15 33.3% 19 42.2% 45 100% C3 7 15.6% 7 15.6% 16 35.6% 11 24.4% 4 8.9% 45 100% D5 1 2.2% 4 8.9% 9 20.0% 9 20.0% 22 48.9% 45 100% E1 4 8.9% 8 17.8% 27 60.0% 1 2.2% 5 11.1% 45 100% G2 2 4.4% 0 0.0% 3 6.7% 17 37.8% 23 51.1% 45 100% G3 1 2.2% 16 35.6% 16 35.6% 10 22.2% 2 4.4% 45 100% A3 1 2.2% 4 8.9% 2 4.4% 10 22.2% 28 62.2% 45 100% B4 0 0.0% 1 2.2% 7 15.6% 19 42.2% 18 40.0% 45 100% C2 3 6.7% 7 15.6% 8 17.8% 20 44.4% 7 15.6% 45 100% E3 1 2.2% 2 4.4% 4 8.9% 22 48.9% 16 35.6% 45 100% G1 0 0.0% 5 11.1% 5 11.1% 14 31.1% 21 46.7% 45 100% A4 3 6.7% 7 15.6% 13 28.9% 12 26.7% 10 22.2% 45 100% C1 4 8.9% 5 11.1% 15 33.3% 13 28.9% 8 17.8% 45 100% D3 2 4.4% 0 0.0% 10 22.2% 19 42.2% 14 31.1% 45 100% E4 0 0.0% 0 0.0% 3 6.7% 28 62.2% 14 31.1% 45 100% F4 2 4.4% 3 6.7% 1 2.2% 22 48.9% 17 37.8% 45 100% F5 0 0.0% 11 24.4% 8 17.8% 9 20.0% 17 37.8% 45 100% A5 0 0.0% 0 0.0% 0 0.0% 9 20.0% 36 80.0% 45 100% B1 4 8.9% 2 4.4% 5 11.1% 10 22.2% 24 53.3% 45 100% B5 1 2.2% 8 17.8% 6 13.3% 13 28.9% 17 37.8% 45 100% C5 0 0.0% 1 2.2% 9 20.0% 18 40.0% 17 37.8% 45 100% D1 0 0.0% 0 0.0% 0 0.0% 15 33.3% 30 66.7% 45 100% D2 1 2.2% 0 0.0% 0 0.0% 21 46.7% 23 51.1% 45 100% D4 2 4.4% 0 0.0% 3 6.7% 15 33.3% 25 55.6% 45 100% E5 0 0.0% 0 0.0% 10 22.2% 27 60.0% 8 17.8% 45 100% F1 0 0.0% 1 2.2% 5 11.1% 14 31.1% 25 55.6% 45 100% F2 2 4.4% 8 17.8% 6 13.3% 11 24.4% 18 40.0% 45 100% F3 0 0.0% 8 17.8% 6 13.3% 14 31.1% 17 37.8% 45 100% G5 0 0.0% 0 0.0% 2 4.4% 25 55.6% 18 40.0% 45 100% J1 0 0.0% 1 2.2% 1 2.2% 13 28.9% 30 66.7% 45 100% J2 1 2.2% 2 4.4% 3 6.7% 20 44.4% 19 42.2% 45 100% J3 1 2.2% 2 4.4% 2 4.4% 20 44.4% 20 44.4% 45 100% J4 1 2.2% 6 13.3% 3 6.7% 16 35.6% 19 42.2% 45 100% J5 0 0.0% 5 11.1% 2 4.4% 9 20.0% 29 64.4% 45 100%

202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3. 대기업( 토목) < 부록 표 Ⅲ-3> 대기업( 토목) 요인 사회성관계 직업 및 수입 관계 건강 및 심리적 관계 현장에 대한 만 족관계 안전의식관계 질문 매우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등급 보통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A1 0 0.0% 0 0.0% 0 0.0% 9 42.9% 12 57.1% 21 100% B2 0 0.0% 1 4.8% 0 0.0% 8 38.1% 12 57.1% 21 100% C4 1 4.8% 3 14.3% 8 38.1% 8 38.1% 1 4.8% 21 100% E2 0 0.0% 1 4.8% 5 23.8% 8 38.1% 7 33.3% 21 100% G4 2 9.5% 4 19.0% 3 14.3% 8 38.1% 4 19.0% 21 100% A2 0 0.0% 0 0.0% 2 9.5% 6 28.6% 13 61.9% 21 100% B3 2 9.5% 1 4.8% 4 19.0% 5 23.8% 9 42.9% 21 100% C3 2 9.5% 1 4.8% 3 14.3% 11 52.4% 4 19.0% 21 100% D5 3 14.3% 3 14.3% 3 14.3% 4 19.0% 8 38.1% 21 100% E1 1 4.8% 6 28.6% 8 38.1% 3 14.3% 3 14.3% 21 100% G2 0 0.0% 1 4.8% 0 0.0% 6 28.6% 14 66.7% 21 100% G3 3 14.3% 2 9.5% 7 33.3% 5 23.8% 4 19.0% 21 100% A3 1 4.8% 1 4.8% 4 19.0% 3 14.3% 12 57.1% 21 100% B4 0 0.0% 0 0.0% 5 23.8% 5 23.8% 11 52.4% 21 100% C2 1 4.8% 2 9.5% 8 38.1% 9 42.9% 1 4.8% 21 100% E3 0 0.0% 0 0.0% 1 4.8% 12 57.1% 8 38.1% 21 100% G1 5 23.8% 0 0.0% 1 4.8% 4 19.0% 11 52.4% 21 100% A4 4 19.0% 1 4.8% 10 47.6% 6 28.6% 0 0.0% 21 100% C1 4 19.0% 1 4.8% 6 28.6% 5 23.8% 5 23.8% 21 100% D3 0 0.0% 0 0.0% 2 9.5% 7 33.3% 12 57.1% 21 100% E4 0 0.0% 0 0.0% 0 0.0% 10 47.6% 11 52.4% 21 100% F4 0 0.0% 3 14.3% 4 19.0% 6 28.6% 8 38.1% 21 100% F5 0 0.0% 2 9.5% 3 14.3% 8 38.1% 8 38.1% 21 100% A5 0 0.0% 0 0.0% 0 0.0% 1 4.8% 20 95.2% 21 100% B1 1 4.8% 2 9.5% 3 14.3% 6 28.6% 9 42.9% 21 100% B5 2 9.5% 3 14.3% 5 23.8% 5 23.8% 6 28.6% 21 100% C5 0 0.0% 0 0.0% 2 9.5% 10 47.6% 9 42.9% 21 100% D1 0 0.0% 0 0.0% 0 0.0% 7 33.3% 14 66.7% 21 100% D2 0 0.0% 0 0.0% 2 9.5% 8 38.1% 11 52.4% 21 100% D4 1 4.8% 0 0.0% 1 4.8% 7 33.3% 12 57.1% 21 100% E5 0 0.0% 1 4.8% 1 4.8% 10 47.6% 9 42.9% 21 100% F1 2 9.5% 1 4.8% 2 9.5% 4 19.0% 12 57.1% 21 100% F2 2 9.5% 3 14.3% 2 9.5% 7 33.3% 7 33.3% 21 100% F3 0 0.0% 3 14.3% 6 28.6% 6 28.6% 6 28.6% 21 100% G5 1 4.8% 0 0.0% 4 19.0% 5 23.8% 11 52.4% 21 100% J1 0 0.0% 1 4.8% 0 0.0% 4 19.0% 16 76.2% 21 100% J2 0 0.0% 0 0.0% 0 0.0% 7 33.3% 14 66.7% 21 100% J3 0 0.0% 1 4.8% 1 4.8% 9 42.9% 10 47.6% 21 100% J4 6 28.6% 5 23.8% 0 0.0% 7 33.3% 3 14.3% 21 100% J5 3 14.3% 2 9.5% 1 4.8% 4 19.0% 11 52.4% 21 100% 총

부록 203 4. 중소기업( 상가) < 부록 표 Ⅲ-4> 중소기업( 상가) 요인 사회성관계 직업 및 수입 관계 건강 및 심리적 관계 현장에 대한 만 족관계 안전의식관계 질문 매우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등급 보통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A1 1 0.7% 5 3.6% 31 22.6% 63 46.0% 37 27.0% 137 100% B2 5 3.6% 5 3.6% 26 19.0% 74 54.0% 27 19.7% 137 100% C4 19 13.9% 28 20.4% 37 27.0% 44 32.1% 9 6.6% 137 100% E2 1 0.7% 1 0.7% 47 34.3% 65 47.4% 23 16.8% 137 100% G4 6 4.4% 46 33.6% 24 17.5% 43 31.4% 18 13.1% 137 100% A2 8 5.8% 11 8.0% 49 35.8% 48 35.0% 21 15.3% 137 100% B3 4 2.9% 19 13.9% 50 36.5% 40 29.2% 24 17.5% 137 100% C3 20 14.6% 25 18.2% 52 38.0% 33 24.1% 7 5.1% 137 100% D5 11 8.0% 28 20.4% 39 28.5% 43 31.4% 16 11.7% 137 100% E1 16 11.7% 49 35.8% 64 46.7% 7 5.1% 1 0.7% 137 100% G2 5 3.6% 8 5.8% 15 10.9% 71 51.8% 38 27.7% 137 100% G3 16 11.7% 45 32.8% 42 30.7% 21 15.3% 13 9.5% 137 100% A3 6 4.4% 12 8.8% 23 16.8% 42 30.7% 54 39.4% 137 100% B4 6 4.4% 15 10.9% 51 37.2% 45 32.8% 20 14.6% 137 100% C2 19 13.9% 27 19.7% 27 19.7% 47 34.3% 17 12.4% 137 100% E3 1 0.7% 5 3.6% 28 20.4% 79 57.7% 24 17.5% 137 100% G1 12 8.8% 19 13.9% 31 22.6% 39 28.5% 36 26.3% 137 100% A4 28 20.4% 26 19.0% 45 32.8% 26 19.0% 12 8.8% 137 100% C1 39 28.5% 26 19.0% 46 33.6% 19 13.9% 7 5.1% 137 100% D3 3 2.2% 6 4.4% 45 32.8% 56 40.9% 27 19.7% 137 100% E4 0 0.0% 3 2.2% 35 25.5% 60 43.8% 39 28.5% 137 100% F4 9 6.6% 17 12.4% 26 19.0% 58 42.3% 27 19.7% 137 100% F5 2 1.5% 30 21.9% 26 19.0% 41 29.9% 38 27.7% 137 100% A5 6 4.4% 2 1.5% 15 10.9% 45 32.8% 69 50.4% 137 100% B1 7 5.1% 26 19.0% 21 15.3% 52 38.0% 31 22.6% 137 100% B5 6 4.4% 29 21.2% 25 18.2% 43 31.4% 34 24.8% 137 100% C5 5 3.6% 11 8.0% 53 38.7% 49 35.8% 19 13.9% 137 100% D1 1 0.7% 3 2.2% 11 8.0% 53 38.7% 69 50.4% 137 100% D2 3 2.2% 8 5.8% 18 13.1% 63 46.0% 45 32.8% 137 100% D4 0 0.0% 7 5.1% 23 16.8% 66 48.2% 41 29.9% 137 100% E5 3 2.2% 8 5.8% 56 40.9% 49 35.8% 21 15.3% 137 100% F1 7 5.1% 18 13.1% 26 19.0% 46 33.6% 40 29.2% 137 100% F2 4 2.9% 46 33.6% 24 17.5% 39 28.5% 24 17.5% 137 100% F3 6 4.4% 46 33.6% 23 16.8% 32 23.4% 30 21.9% 137 100% G5 2 1.5% 6 4.4% 23 16.8% 72 52.6% 34 24.8% 137 100% J1 7 5.1% 15 10.9% 16 11.7% 40 29.2% 59 43.1% 137 100% J2 7 5.1% 12 8.8% 21 15.3% 60 43.8% 37 27.0% 137 100% J3 7 5.1% 32 23.4% 19 13.9% 56 40.9% 23 16.8% 137 100% J4 6 4.4% 49 35.8% 26 19.0% 33 24.1% 23 16.8% 137 100% J5 8 5.8% 14 10.2% 27 19.7% 46 33.6% 42 30.7% 137 100% 총

204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5. 급여 (5 만원 이하) < 부록 표 Ⅲ-5> 급여(5 만원이하) 요인 사회성관계 직업 및 수입 관계 건강 및 심리적 관계 현장에 대한 만 족관계 안전의식관계 질문 매우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등급 보통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A1 1 2.9% 0 0.0% 9 25.7% 15 42.9% 10 28.6% 35 100% B2 0.0% 2 5.7% 3 8.6% 17 48.6% 13 37.1% 35 100% C4 3 8.6% 5 14.3% 8 22.9% 15 42.9% 4 11.4% 35 100% E2 0.0% 2 5.7% 9 25.7% 16 45.7% 8 22.9% 35 100% G4 4 11.4% 16 45.7% 5 14.3% 8 22.9% 2 5.7% 35 100% A2 1 2.9% 2 5.7% 9 25.7% 15 42.9% 8 22.9% 35 100% B3 0.0% 3 8.6% 10 28.6% 12 34.3% 10 28.6% 35 100% C3 8 22.9% 8 22.9% 15 42.9% 4 11.4% 0 0.0% 35 100% D5 1 2.9% 7 20.0% 7 20.0% 8 22.9% 12 34.3% 35 100% E1 5 14.3% 12 34.3% 16 45.7% 1 2.9% 1 2.9% 35 100% G2 2 5.7% 0 0.0% 2 5.7% 16 45.7% 15 42.9% 35 100% G3 4 11.4% 8 22.9% 15 42.9% 6 17.1% 2 5.7% 35 100% A3 1 2.9% 4 11.4% 9 25.7% 5 14.3% 16 45.7% 35 100% B4 1 2.9% 2 5.7% 8 22.9% 12 34.3% 12 34.3% 35 100% C2 7 20.0% 4 11.4% 6 17.1% 16 45.7% 2 5.7% 35 100% E3 0.0% 2 5.7% 6 17.1% 17 48.6% 10 28.6% 35 100% G1 2 5.7% 2 5.7% 7 20.0% 9 25.7% 15 42.9% 35 100% A4 4 11.4% 6 17.1% 14 40.0% 5 14.3% 6 17.1% 35 100% C1 4 11.4% 2 5.7% 12 34.3% 8 22.9% 9 25.7% 35 100% D3 0.0% 2 5.7% 12 34.3% 14 40.0% 7 20.0% 35 100% E4 0.0% 0 0.0% 3 8.6% 18 51.4% 14 40.0% 35 100% F4 2 5.7% 4 11.4% 4 11.4% 12 34.3% 13 37.1% 35 100% F5 2 5.7% 12 34.3% 4 11.4% 7 20.0% 10 28.6% 35 100% A5 1 2.9% 2 5.7% 3 8.6% 11 31.4% 18 51.4% 35 100% B1 2 5.7% 9 25.7% 4 11.4% 7 20.0% 13 37.1% 35 100% B5 2 5.7% 8 22.9% 5 14.3% 10 28.6% 10 28.6% 35 100% C5 0.0% 1 2.9% 8 22.9% 17 48.6% 9 25.7% 35 100% D1 0.0% 1 2.9% 2 5.7% 10 28.6% 22 62.9% 35 100% D2 2 5.7% 1 2.9% 2 5.7% 17 48.6% 13 37.1% 35 100% D4 1 2.9% 1 2.9% 5 14.3% 12 34.3% 16 45.7% 35 100% E5 1 2.9% 1 2.9% 9 25.7% 15 42.9% 9 25.7% 35 100% F1 2 5.7% 2 5.7% 5 14.3% 8 22.9% 18 51.4% 35 100% F2 3 8.6% 12 34.3% 3 8.6% 8 22.9% 9 25.7% 35 100% F3 2 5.7% 10 28.6% 5 14.3% 7 20.0% 11 31.4% 35 100% G5 2 5.7% 1 2.9% 7 20.0% 12 34.3% 13 37.1% 35 100% H1 1 8.3% 2 16.7% 4 33.3% 3 25.0% 2 16.7% 12 100% H2 1 8.3% 1 8.3% 2 16.7% 4 33.3% 4 33.3% 12 100% H3 2 16.7% 1 8.3% 2 16.7% 2 16.7% 5 41.7% 12 100% H4 1 8.3% 4 33.3% 1 8.3% 2 16.7% 4 33.3% 12 100% H5 0.0% 1 8.3% 4 33.3% 3 25.0% 4 33.3% 12 100% 총

부록 205 6. 급여(5-8 만원) < 부록 표 Ⅲ-6> 급여(5-8 만원) 요인 사회성관계 직업 및 수입 관계 건강 및 심리적 관계 현장에 대한 만 족관계 안전의식관계 질문 매우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등급 보통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A1 0.0% 0 0.0% 6 22.2% 15 55.6% 6 22.2% 27 100% B2 1 3.7% 0 0.0% 3 11.1% 17 63.0% 6 22.2% 27 100% C4 1 3.7% 3 11.1% 11 40.7% 9 33.3% 3 11.1% 27 100% E2 0.0% 0 0.0% 6 22.2% 13 48.1% 8 29.6% 27 100% G4 1 3.7% 4 14.8% 11 40.7% 8 29.6% 3 11.1% 27 100% A2 1 3.7% 0 0.0% 8 29.6% 12 44.4% 6 22.2% 27 100% B3 0.0% 1 3.7% 14 51.9% 8 29.6% 4 14.8% 27 100% C3 2 7.4% 5 18.5% 7 25.9% 8 29.6% 5 18.5% 27 100% D5 1 3.7% 5 18.5% 4 14.8% 8 29.6% 9 33.3% 27 100% E1 3 11.1% 7 25.9% 13 48.1% 3 11.1% 1 3.7% 27 100% G2 0.0% 0 0.0% 5 18.5% 10 37.0% 12 44.4% 27 100% G3 5 18.5% 5 18.5% 11 40.7% 3 11.1% 3 11.1% 27 100% A3 1 3.7% 1 3.7% 3 11.1% 11 40.7% 11 40.7% 27 100% B4 3 11.1% 0 0.0% 7 25.9% 8 29.6% 9 33.3% 27 100% C2 2 7.4% 7 25.9% 5 18.5% 9 33.3% 4 14.8% 27 100% E3 1 3.7% 3 11.1% 5 18.5% 11 40.7% 7 25.9% 27 100% G1 1 3.7% 1 3.7% 8 29.6% 9 33.3% 8 29.6% 27 100% A4 3 11.1% 6 22.2% 9 33.3% 7 25.9% 2 7.4% 27 100% C1 3 11.1% 2 7.4% 10 37.0% 6 22.2% 6 22.2% 27 100% D3 0.0% 0 0.0% 9 33.3% 11 40.7% 7 25.9% 27 100% E4 0.0% 0 0.0% 5 18.5% 15 55.6% 7 25.9% 27 100% F4 2 7.4% 0 0.0% 10 37.0% 11 40.7% 4 14.8% 27 100% F5 1 3.7% 4 14.8% 8 29.6% 8 29.6% 6 22.2% 27 100% A5 0.0% 0 0.0% 5 18.5% 13 48.1% 9 33.3% 27 100% B1 1 3.7% 2 7.4% 5 18.5% 10 37.0% 9 33.3% 27 100% B5 0.0% 5 18.5% 4 14.8% 9 33.3% 9 33.3% 27 100% C5 0.0% 3 11.1% 3 11.1% 15 55.6% 6 22.2% 27 100% D1 0.0% 2 7.4% 2 7.4% 7 25.9% 16 59.3% 27 100% D2 0.0% 1 3.7% 5 18.5% 8 29.6% 13 48.1% 27 100% D4 0.0% 0 0.0% 4 14.8% 12 44.4% 11 40.7% 27 100% E5 0.0% 0 0.0% 5 18.5% 18 66.7% 4 14.8% 27 100% F1 0.0% 2 7.4% 5 18.5% 12 44.4% 8 29.6% 27 100% F2 0.0% 11 40.7% 6 22.2% 4 14.8% 6 22.2% 27 100% F3 0.0% 1 3.7% 10 37.0% 10 37.0% 6 22.2% 27 100% G5 0.0% 7 25.9% 8 29.6% 7 25.9% 5 18.5% 27 100% H1 0.0% 3 21.4% 5 35.7% 5 35.7% 1 7.1% 14 100% H2 1 7.1% 0 0.0% 2 14.3% 6 42.9% 5 35.7% 14 100% H3 2 14.3% 1 7.1% 4 28.6% 5 35.7% 2 14.3% 14 100% H4 0.0% 1 7.1% 3 21.4% 4 28.6% 6 42.9% 14 100% H5 0.0% 0 0.0% 6 42.9% 5 35.7% 3 21.4% 14 100% 총

206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7. 급여(8-10 만원) < 부록 표 Ⅲ-7> 급여(8-10 만원) 요인 사회성관계 직업 및 수입 관계 건강 및 심리적 관계 현장에 대한 만 족관계 안전의식관계 질문 매우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등급 보통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A1 1 0.9% 4 3.4% 33 28.2% 53 45.3% 26 22.2% 117 100% B2 3 2.6% 1 0.9% 16 13.7% 59 50.4% 38 32.5% 117 100% C4 8 6.8% 28 23.9% 30 25.6% 37 31.6% 14 12.0% 117 100% E2 1 0.9% 4 3.4% 34 29.1% 49 41.9% 29 24.8% 117 100% G4 11 9.4% 35 29.9% 16 13.7% 30 25.6% 25 21.4% 117 100% A2 3 2.6% 15 12.8% 45 38.5% 44 37.6% 10 8.5% 117 100% B3 9 7.7% 22 18.8% 34 29.1% 27 23.1% 25 21.4% 117 100% C3 29 24.8% 19 16.2% 37 31.6% 20 17.1% 12 10.3% 117 100% D5 9 7.7% 27 23.1% 24 20.5% 25 21.4% 32 27.4% 117 100% E1 24 20.5% 37 31.6% 44 37.6% 6 5.1% 6 5.1% 117 100% G2 4 3.4% 4 3.4% 7 6.0% 48 41.0% 54 46.2% 117 100% G3 24 20.5% 28 23.9% 34 29.1% 17 14.5% 14 12.0% 117 100% A3 2 1.7% 13 11.1% 15 12.8% 30 25.6% 57 48.7% 117 100% B4 5 4.3% 9 7.7% 39 33.3% 37 31.6% 27 23.1% 117 100% C2 21 17.9% 27 23.1% 24 20.5% 28 23.9% 17 14.5% 117 100% E3 4 3.4% 3 2.6% 22 18.8% 55 47.0% 33 28.2% 117 100% G1 4 3.4% 12 10.3% 18 15.4% 30 25.6% 53 45.3% 117 100% A4 21 17.9% 27 23.1% 42 35.9% 23 19.7% 4 3.4% 117 100% C1 16 13.7% 2 1.7% 24 20.5% 36 30.8% 39 33.3% 117 100% D3 7 6.0% 3 2.6% 45 38.5% 39 33.3% 23 19.7% 117 100% E4 0.0% 2 1.7% 20 17.1% 54 46.2% 41 35.0% 117 100% F4 8 6.8% 10 8.5% 22 18.8% 40 34.2% 37 31.6% 117 100% F5 9 7.7% 21 17.9% 21 17.9% 32 27.4% 34 29.1% 117 100% A5 9 7.7% 9 7.7% 13 11.1% 45 38.5% 41 35.0% 117 100% B1 9 7.7% 15 12.8% 12 10.3% 41 35.0% 40 34.2% 117 100% B5 9 7.7% 24 20.5% 15 12.8% 33 28.2% 36 30.8% 117 100% C5 5 4.3% 5 4.3% 21 17.9% 50 42.7% 36 30.8% 117 100% D1 1 0.9% 3 2.6% 5 4.3% 39 33.3% 69 59.0% 117 100% D2 1 0.9% 6 5.1% 16 13.7% 50 42.7% 44 37.6% 117 100% D4 0.0% 1 0.9% 11 9.4% 54 46.2% 51 43.6% 117 100% E5 5 4.3% 4 3.4% 26 22.2% 39 33.3% 43 36.8% 117 100% F1 4 3.4% 13 11.1% 9 7.7% 28 23.9% 63 53.8% 117 100% F2 11 9.4% 31 26.5% 28 23.9% 19 16.2% 28 23.9% 117 100% F3 4 3.4% 4 3.4% 18 15.4% 54 46.2% 37 31.6% 117 100% G5 2 1.7% 9 7.7% 19 16.2% 44 37.6% 43 36.8% 117 100% H1 8 10.0% 8 10.0% 17 21.3% 24 30.0% 23 28.8% 80 100% H2 3 3.8% 7 8.8% 8 10.0% 23 28.8% 39 48.8% 80 100% H3 5 6.3% 4 5.0% 5 6.3% 29 36.3% 37 46.3% 80 100% H4 3 3.8% 14 17.5% 8 10.0% 28 35.0% 27 33.8% 80 100% H5 2 2.5% 5 6.3% 22 27.5% 28 35.0% 23 28.8% 80 100% 총

부록 207 8. 급여 (10-12 만원) < 부록 표 Ⅲ-8> 급여(10-12 만원) 요인 사회성관계 직업 및 수입 관계 건강 및 심리적 관계 현장에 대한 만 족관계 안전의식관계 질문 매우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등급 보통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A1 3 1.4% 8 3.8% 43 20.2% 92 43.2% 67 31.5% 213 100% B2 5 2.3% 6 2.8% 27 12.7% 98 46.0% 77 36.2% 213 100% C4 20 9.4% 40 18.8% 55 25.8% 61 28.6% 37 17.4% 213 100% E2 2 0.9% 7 3.3% 62 29.1% 80 37.6% 62 29.1% 213 100% G4 27 12.7% 57 26.8% 37 17.4% 47 22.1% 45 21.1% 213 100% A2 13 6.1% 18 8.5% 66 31.0% 83 39.0% 33 15.5% 213 100% B3 13 6.1% 28 13.1% 57 26.8% 61 28.6% 54 25.4% 213 100% C3 49 23.0% 37 17.4% 83 39.0% 29 13.6% 15 7.0% 213 100% D5 28 13.1% 43 20.2% 50 23.5% 50 23.5% 42 19.7% 213 100% E1 46 21.6% 70 32.9% 74 34.7% 12 5.6% 11 5.2% 213 100% G2 12 5.6% 11 5.2% 20 9.4% 72 33.8% 98 46.0% 213 100% G3 44 20.7% 49 23.0% 67 31.5% 29 13.6% 24 11.3% 213 100% A3 8 3.8% 18 8.5% 35 16.4% 54 25.4% 98 46.0% 213 100% B4 13 6.1% 17 8.0% 61 28.6% 67 31.5% 55 25.8% 213 100% C2 45 21.1% 46 21.6% 41 19.2% 48 22.5% 33 15.5% 213 100% E3 8 3.8% 7 3.3% 32 15.0% 95 44.6% 71 33.3% 213 100% G1 24 11.3% 27 12.7% 36 16.9% 54 25.4% 72 33.8% 213 100% A4 34 16.0% 24 11.3% 84 39.4% 50 23.5% 21 9.9% 213 100% C1 32 15.0% 19 8.9% 55 25.8% 49 23.0% 58 27.2% 213 100% D3 12 5.6% 11 5.2% 54 25.4% 74 34.7% 62 29.1% 213 100% E4 1 0.5% 4 1.9% 23 10.8% 95 44.6% 90 42.3% 213 100% F4 21 9.9% 20 9.4% 34 16.0% 79 37.1% 59 27.7% 213 100% F5 11 5.2% 51 23.9% 27 12.7% 49 23.0% 75 35.2% 213 100% A5 16 7.5% 9 4.2% 23 10.8% 68 31.9% 97 45.5% 213 100% B1 25 11.7% 35 16.4% 30 14.1% 63 29.6% 60 28.2% 213 100% B5 13 6.1% 30 14.1% 33 15.5% 69 32.4% 68 31.9% 213 100% C5 4 1.9% 9 4.2% 41 19.2% 87 40.8% 72 33.8% 213 100% D1 4 1.9% 4 1.9% 10 4.7% 57 26.8% 138 64.8% 213 100% D2 12 5.6% 12 5.6% 28 13.1% 77 36.2% 84 39.4% 213 100% D4 7 3.3% 6 2.8% 22 10.3% 79 37.1% 99 46.5% 213 100% E5 4 1.9% 9 4.2% 38 17.8% 91 42.7% 71 33.3% 213 100% F1 15 7.0% 19 8.9% 29 13.6% 57 26.8% 93 43.7% 213 100% F2 16 7.5% 63 29.6% 31 14.6% 45 21.1% 58 27.2% 213 100% F3 15 7.0% 8 3.8% 25 11.7% 96 45.1% 69 32.4% 213 100% G5 7 3.3% 31 14.6% 36 16.9% 60 28.2% 79 37.1% 213 100% H1 21 17.2% 18 14.8% 28 23.0% 30 24.6% 25 20.5% 122 100% H2 10 8.2% 10 8.2% 15 12.3% 35 28.7% 52 42.6% 122 100% H3 10 8.2% 6 4.9% 12 9.8% 48 39.3% 46 37.7% 122 100% H4 10 8.2% 24 19.7% 19 15.6% 29 23.8% 40 32.8% 122 100% H5 8 6.6% 1 0.8% 19 15.6% 49 40.2% 45 36.9% 122 100% 총

208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9. 급여 (12 만원이상 ) < 부록 표 Ⅲ-7> 급여(12 만원이상) 요인 사회성관계 직업 및 수입 관계 건강 및 심리적 관계 현장에 대한 만 족관계 안전의식관계 질 문 등급 매우 총 그렇지 않다 그렇지 매우 않다 보통이다 그렇다 그렇다 A1 3 2.1 % 1 0.7 % 31 21.8 % 60 42.3 % 47 33.1 % 142 100 % B2 5 3.5 % 6 4.2 % 22 15.5 % 60 42.3 % 49 34.5 % 142 100 % C4 19 13.4 % 33 23.2 % 31 21.8 % 42 29.6 % 17 12.0 % 142 100 % E2 0.0 % 5 3.5 % 36 25.4 % 66 46.5 % 35 24.6 % 142 100 % G4 11 7.7 % 36 25.4 % 28 19.7 % 36 25.4 % 31 21.8 % 142 100 % A2 2 1.4 % 12 8.5 % 51 35.9 % 45 31.7 % 32 22.5 % 142 100 % B3 8 5.6 % 13 9.2 % 47 33.1 % 37 26.1 % 37 26.1 % 142 100 % C3 37 26.1 % 29 20.4 % 40 28.2 % 29 20.4 % 7 4.9 % 142 100 % D5 10 7.0 % 24 16.9 % 38 26.8 % 35 24.6 % 35 24.6 % 142 100 % E1 20 14.1 % 41 28.9 % 64 45.1 % 7 4.9 % 10 7.0 % 142 100 % G2 8 5.6 % 5 3.5 % 12 8.5 % 57 40.1 % 60 42.3 % 142 100 % G3 16 11.3 % 41 28.9 % 40 28.2 % 26 18.3 % 19 13.4 % 142 100 % A3 7 4.9 % 17 12.0 % 26 18.3 % 40 28.2 % 52 36.6 % 142 100 % B4 2 1.4 % 15 10.6 % 38 26.8 % 53 37.3 % 34 23.9 % 142 100 % C2 22 15.5 % 18 12.7 % 20 14.1 % 54 38.0 % 28 19.7 % 142 100 % E3 3 2.1 % 7 4.9 % 18 12.7 % 72 50.7 % 42 29.6 % 142 100 % G1 11 7.7 % 12 8.5 % 20 14.1 % 49 34.5 % 50 35.2 % 142 100 % A4 21 14.8 % 24 16.9 % 43 30.3 % 35 24.6 % 19 13.4 % 142 100 % C1 17 12.0 % 18 12.7 % 27 19.0 % 32 22.5 % 48 33.8 % 142 100 % D3 2 1.4 % 11 7.7 % 42 29.6 % 49 34.5 % 38 26.8 % 142 100 % E4 0.0 % 0 0.0 % 16 11.3 % 68 47.9 % 58 40.8 % 142 100 % F4 13 9.2 % 13 9.2 % 25 17.6 % 53 37.3 % 38 26.8 % 142 100 % F5 11 7.7 % 23 16.2 % 10 7.0 % 50 35.2 % 48 33.8 % 142 100 % A5 9 6.3 % 7 4.9 % 14 9.9 % 52 36.6 % 60 42.3 % 142 100 % B1 11 7.7 % 22 15.5 % 13 9.2 % 38 26.8 % 58 40.8 % 142 100 % B5 9 6.3 % 27 19.0 % 18 12.7 % 35 24.6 % 53 37.3 % 142 100 % C5 2 1.4 % 8 5.6 % 30 21.1 % 42 29.6 % 60 42.3 % 142 100 % D1 1 0.7 % 3 2.1 % 5 3.5 % 48 33.8 % 85 59.9 % 142 100 % D2 5 3.5 % 4 2.8 % 14 9.9 % 64 45.1 % 55 38.7 % 142 100 % D4 3 2.1 % 5 3.5 % 10 7.0 % 61 43.0 % 63 44.4 % 142 100 % E5 1 0.7 % 8 5.6 % 21 14.8 % 57 40.1 % 55 38.7 % 142 100 % F1 12 8.5 % 14 9.9 % 13 9.2 % 37 26.1 % 66 46.5 % 142 100 % F2 13 9.2 % 22 15.5 % 21 14.8 % 43 30.3 % 43 30.3 % 142 100 % F3 10 7.0 % 7 4.9 % 16 11.3 % 65 45.8 % 44 31.0 % 142 100 % G5 9 6.3 % 20 14.1 % 16 11.3 % 50 35.2 % 47 33.1 % 142 100 % H1 12 13.8 % 15 17.2 % 22 25.3 % 22 25.3 % 16 18.4 % 87 100 % H2 6 6.9 % 11 12.6 % 16 18.4 % 30 34.5 % 24 27.6 % 87 100 % H3 9 10.3 % 12 13.8 % 9 10.3 % 26 29.9 % 31 35.6 % 87 100 % H4 2 2.3 % 22 25.3 % 12 13.8 % 23 26.4 % 28 32.2 % 87 100 % H5 6 6.9 % 7 8.0 % 13 14.9 % 36 41.4 % 25 28.7 % 87 100 %

부록 209 10. 연령(30 세이하) < 부록 표 Ⅲ-10> 연령(30 세이하) 요인 사회성관계 직업 및 수입 관계 건강 및 심리적 관계 현장에 대한 만 족관계 안전의식관계 질문 매우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등급 보통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A1 1 6.3% 0 0.0% 1 6.3% 6 37.5% 8 50.0% 16 100% B2 1 6.3% 0 0.0% 2 12.5% 5 31.3% 8 50.0% 16 100% C4 2 12.5% 3 18.8% 1 6.3% 4 25.0% 6 37.5% 16 100% E2 0 0.0% 0 0.0% 4 25.0% 6 37.5% 6 37.5% 16 100% G4 4 25.0% 1 6.3% 0 0.0% 5 31.3% 6 37.5% 16 100% A2 1 6.3% 0 0.0% 5 31.3% 8 50.0% 2 12.5% 16 100% B3 3 18.8% 2 12.5% 2 12.5% 4 25.0% 5 31.3% 16 100% C3 4 25.0% 1 6.3% 7 43.8% 3 18.8% 1 6.3% 16 100% D5 4 25.0% 1 6.3% 3 18.8% 5 31.3% 3 18.8% 16 100% E1 4 25.0% 4 25.0% 5 31.3% 1 6.3% 2 12.5% 16 100% G2 2 12.5% 0 0.0% 0 0.0% 5 31.3% 9 56.3% 16 100% G3 5 31.3% 4 25.0% 3 18.8% 1 6.3% 3 18.8% 16 100% A3 1 6.3% 0 0.0% 0 0.0% 6 37.5% 9 56.3% 16 100% B4 2 12.5% 2 12.5% 2 12.5% 7 43.8% 3 18.8% 16 100% C2 3 18.8% 0 0.0% 1 6.3% 7 43.8% 5 31.3% 16 100% E3 0.0% 0 0.0% 0 0.0% 7 43.8% 9 56.3% 16 100% G1 3 18.8% 0 0.0% 2 12.5% 3 18.8% 8 50.0% 16 100% A4 2 12.5% 0 0.0% 9 56.3% 2 12.5% 3 18.8% 16 100% C1 2 12.5% 3 18.8% 0 0.0% 2 12.5% 9 56.3% 16 100% D3 0.0% 0 0.0% 2 12.5% 5 31.3% 9 56.3% 16 100% E4 1 6.3% 0 0.0% 1 6.3% 7 43.8% 7 43.8% 16 100% F4 4 25.0% 0 0.0% 0 0.0% 6 37.5% 6 37.5% 16 100% F5 4 25.0% 2 12.5% 0 0.0% 4 25.0% 6 37.5% 16 100% A5 0.0% 1 6.3% 1 6.3% 2 12.5% 12 75.0% 16 100% B1 4 25.0% 3 18.8% 2 12.5% 3 18.8% 4 25.0% 16 100% B5 1 6.3% 0 0.0% 1 6.3% 6 37.5% 8 50.0% 16 100% C5 0.0% 0 0.0% 4 25.0% 4 25.0% 8 50.0% 16 100% D1 0.0% 0 0.0% 0 0.0% 5 31.3% 11 68.8% 16 100% D2 1 6.3% 0 0.0% 0 0.0% 7 43.8% 8 50.0% 16 100% D4 0.0% 0 0.0% 0 0.0% 4 25.0% 12 75.0% 16 100% E5 0.0% 0 0.0% 2 12.5% 6 37.5% 8 50.0% 16 100% F1 3 18.8% 2 12.5% 0 0.0% 3 18.8% 8 50.0% 16 100% F2 2 12.5% 4 25.0% 0 0.0% 5 31.3% 5 31.3% 16 100% F3 2 12.5% 0 0.0% 0 0.0% 7 43.8% 7 43.8% 16 100% G5 1 6.3% 0 0.0% 0 0.0% 7 43.8% 8 50.0% 16 100% H1 1 11.1% 0 0.0% 2 22.2% 0 0.0% 6 66.7% 9 100% H2 1 11.1% 0 0.0% 0 0.0% 0 0.0% 8 88.9% 9 100% H3 3 33.3% 0 0.0% 2 22.2% 0 0.0% 4 44.4% 9 100% H4 2 22.2% 1 11.1% 0 0.0% 1 11.1% 5 55.6% 9 100% H5 1 11.1% 0 0.0% 1 11.1% 1 11.1% 6 66.7% 9 100% 총

210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11. 연령(30-40 세) < 부록 표 Ⅲ-11> 연령(30-40 세) 요인 사회성관계 직업 및 수입 관계 건강 및 심리적 관계 현장에 대한 만 족관계 안전의식관계 질문 매우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등급 보통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A1 2 1.7% 0 0.0% 20 17.1% 57 48.7% 38 32.5% 117 100% B2 4 3.4% 0 0.0% 15 12.8% 61 52.1% 37 31.6% 117 100% C4 16 13.7% 27 23.1% 32 27.4% 34 29.1% 8 6.8% 117 100% E2 0.0% 5 4.3% 37 31.6% 44 37.6% 31 26.5% 117 100% G4 8 6.8% 38 32.5% 19 16.2% 28 23.9% 24 20.5% 117 100% A2 3 2.6% 5 4.3% 42 35.9% 44 37.6% 23 19.7% 117 100% B3 10 8.5% 14 12.0% 36 30.8% 31 26.5% 26 22.2% 117 100% C3 23 19.7% 16 13.7% 47 40.2% 22 18.8% 9 7.7% 117 100% D5 9 7.7% 22 18.8% 35 29.9% 27 23.1% 24 20.5% 117 100% E1 20 17.1% 35 29.9% 49 41.9% 6 5.1% 7 6.0% 117 100% G2 8 6.8% 3 2.6% 15 12.8% 51 43.6% 40 34.2% 117 100% G3 19 16.2% 36 30.8% 38 32.5% 17 14.5% 7 6.0% 117 100% A3 3 2.6% 10 8.5% 11 9.4% 39 33.3% 54 46.2% 117 100% B4 4 3.4% 9 7.7% 40 34.2% 36 30.8% 28 23.9% 117 100% C2 18 15.4% 29 24.8% 20 17.1% 33 28.2% 17 14.5% 117 100% E3 5 4.3% 5 4.3% 20 17.1% 57 48.7% 30 25.6% 117 100% G1 8 6.8% 12 10.3% 23 19.7% 36 30.8% 38 32.5% 117 100% A4 17 14.5% 21 17.9% 41 35.0% 27 23.1% 11 9.4% 117 100% C1 20 17.1% 10 8.5% 34 29.1% 26 22.2% 27 23.1% 117 100% D3 3 2.6% 6 5.1% 34 29.1% 44 37.6% 30 25.6% 117 100% E4 0.0% 3 2.6% 17 14.5% 53 45.3% 44 37.6% 117 100% F4 9 7.7% 10 8.5% 20 17.1% 47 40.2% 31 26.5% 117 100% F5 1 0.9% 27 23.1% 15 12.8% 33 28.2% 41 35.0% 117 100% A5 7 6.0% 3 2.6% 9 7.7% 28 23.9% 70 59.8% 117 100% B1 15 12.8% 14 12.0% 13 11.1% 36 30.8% 39 33.3% 117 100% B5 7 6.0% 12 10.3% 26 22.2% 37 31.6% 35 29.9% 117 100% C5 2 1.7% 5 4.3% 25 21.4% 52 44.4% 33 28.2% 117 100% D1 0.0% 1 0.9% 6 5.1% 42 35.9% 68 58.1% 117 100% D2 5 4.3% 5 4.3% 10 8.5% 50 42.7% 47 40.2% 117 100% D4 3 2.6% 4 3.4% 7 6.0% 52 44.4% 51 43.6% 117 100% E5 1 0.9% 4 3.4% 21 17.9% 57 48.7% 34 29.1% 117 100% F1 4 3.4% 21 17.9% 21 17.9% 24 20.5% 47 40.2% 117 100% F2 12 10.3% 36 30.8% 21 17.9% 23 19.7% 25 21.4% 117 100% F3 2 1.7% 25 21.4% 20 17.1% 35 29.9% 35 29.9% 117 100% G5 1 0.9% 7 6.0% 21 17.9% 54 46.2% 34 29.1% 117 100% H1 8 18.2% 7 15.9% 14 31.8% 9 20.5% 6 13.6% 44 100% H2 3 6.8% 4 9.1% 5 11.4% 16 36.4% 16 36.4% 44 100% H3 7 15.9% 5 11.4% 2 4.5% 17 38.6% 13 29.5% 44 100% H4 1 2.3% 6 13.6% 4 9.1% 17 38.6% 16 36.4% 44 100% H5 3 6.8% 5 11.4% 11 25.0% 14 31.8% 11 25.0% 44 100% 총

부록 211 12. 연령 (40-50 세) < 부록 표 Ⅲ-12> 연령(40-50 세) 요인 사회성관계 직업 및 수입 관계 건강 및 심리적 관계 현장에 대한 만 족관계 안전의식관계 질문 매우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등급 보통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A1 0.0% 5 3.4% 35 23.8% 62 42.2% 45 30.6% 147 100% B2 1 0.7% 6 4.1% 24 16.3% 74 50.3% 42 28.6% 147 100% C4 15 10.2% 42 28.6% 34 23.1% 43 29.3% 13 8.8% 147 100% E2 0.0% 2 1.4% 43 29.3% 71 48.3% 31 21.1% 147 100% G4 11 7.5% 41 27.9% 26 17.7% 39 26.5% 30 20.4% 147 100% A2 5 3.4% 13 8.8% 52 35.4% 58 39.5% 19 12.9% 147 100% B3 3 2.0% 19 12.9% 52 35.4% 42 28.6% 31 21.1% 147 100% C3 26 17.7% 26 17.7% 53 36.1% 30 20.4% 12 8.2% 147 100% D5 11 7.5% 30 20.4% 37 25.2% 38 25.9% 31 21.1% 147 100% E1 16 10.9% 51 34.7% 67 45.6% 6 4.1% 7 4.8% 147 100% G2 5 3.4% 7 4.8% 12 8.2% 66 44.9% 57 38.8% 147 100% G3 23 15.6% 40 27.2% 49 33.3% 18 12.2% 17 11.6% 147 100% A3 5 3.4% 9 6.1% 27 18.4% 34 23.1% 72 49.0% 147 100% B4 7 4.8% 14 9.5% 47 32.0% 49 33.3% 30 20.4% 147 100% C2 21 14.3% 20 13.6% 29 19.7% 57 38.8% 20 13.6% 147 100% E3 1 0.7% 5 3.4% 25 17.0% 76 51.7% 40 27.2% 147 100% G1 14 9.5% 17 11.6% 26 17.7% 42 28.6% 48 32.7% 147 100% A4 21 14.3% 25 17.0% 58 39.5% 32 21.8% 11 7.5% 147 100% C1 27 18.4% 20 13.6% 31 21.1% 33 22.4% 36 24.5% 147 100% D3 3 2.0% 9 6.1% 52 35.4% 47 32.0% 36 24.5% 147 100% E4 0.0% 2 1.4% 20 13.6% 76 51.7% 49 33.3% 147 100% F4 10 6.8% 12 8.2% 28 19.0% 60 40.8% 37 25.2% 147 100% F5 2 1.4% 29 19.7% 21 14.3% 39 26.5% 56 38.1% 147 100% A5 8 5.4% 10 6.8% 19 12.9% 58 39.5% 52 35.4% 147 100% B1 9 6.1% 24 16.3% 19 12.9% 50 34.0% 45 30.6% 147 100% B5 3 2.0% 26 17.7% 17 11.6% 47 32.0% 54 36.7% 147 100% C5 3 2.0% 8 5.4% 38 25.9% 51 34.7% 47 32.0% 147 100% D1 1 0.7% 3 2.0% 8 5.4% 53 36.1% 82 55.8% 147 100% D2 3 2.0% 8 5.4% 19 12.9% 67 45.6% 50 34.0% 147 100% D4 0.0% 3 2.0% 21 14.3% 62 42.2% 61 41.5% 147 100% E5 3 2.0% 6 4.1% 35 23.8% 56 38.1% 47 32.0% 147 100% F1 9 6.1% 12 8.2% 19 12.9% 45 30.6% 62 42.2% 147 100% F2 5 3.4% 36 24.5% 22 15.0% 44 29.9% 40 27.2% 147 100% F3 6 4.1% 23 15.6% 25 17.0% 45 30.6% 48 32.7% 147 100% G5 8 5.4% 4 2.7% 17 11.6% 70 47.6% 48 32.7% 147 100% H1 7 11.1% 7 11.1% 22 34.9% 13 20.6% 14 22.2% 63 100% H2 3 4.8% 4 6.3% 10 15.9% 20 31.7% 26 41.3% 63 100% H3 3 4.8% 4 6.3% 9 14.3% 25 39.7% 22 34.9% 63 100% H4 2 3.2% 14 22.2% 8 12.7% 20 31.7% 19 30.2% 63 100% H5 3 4.8% 2 3.2% 10 15.9% 25 39.7% 23 36.5% 63 100% 총

212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13. 연령(50-60 세) < 부록 표 Ⅲ-13> 연령(50-60) 요인 사회성관계 직업 및 수입 관계 건강 및 심리적 관계 현장에 대한 만 족관계 안전의식관계 질문 매우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등급 보통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A1 1 1.1% 1 1.1% 17 19.1% 40 44.9% 30 33.7% 89 100% B2 2 2.2% 2 2.2% 10 11.2% 40 44.9% 35 39.3% 89 100% C4 6 6.7% 12 13.5% 21 23.6% 28 31.5% 22 24.7% 89 100% E2 1 1.1% 3 3.4% 21 23.6% 32 36.0% 32 36.0% 89 100% G4 10 11.2% 22 24.7% 14 15.7% 22 24.7% 21 23.6% 89 100% A2 2 2.2% 7 7.9% 32 36.0% 33 37.1% 15 16.9% 89 100% B3 7 7.9% 13 14.6% 21 23.6% 21 23.6% 27 30.3% 89 100% C3 29 32.6% 15 16.9% 21 23.6% 18 20.2% 6 6.7% 89 100% D5 11 12.4% 16 18.0% 16 18.0% 26 29.2% 20 22.5% 89 100% E1 21 23.6% 24 27.0% 30 33.7% 7 7.9% 7 7.9% 89 100% G2 6 6.7% 3 3.4% 6 6.7% 25 28.1% 49 55.1% 89 100% G3 17 19.1% 15 16.9% 23 25.8% 18 20.2% 16 18.0% 89 100% A3 2 2.2% 10 11.2% 11 12.4% 21 23.6% 45 50.6% 89 100% B4 3 3.4% 7 7.9% 25 28.1% 33 37.1% 21 23.6% 89 100% C2 22 24.7% 18 20.2% 12 13.5% 21 23.6% 16 18.0% 89 100% E3 2 2.2% 5 5.6% 9 10.1% 38 42.7% 35 39.3% 89 100% G1 4 4.5% 6 6.7% 16 18.0% 24 27.0% 39 43.8% 89 100% A4 15 16.9% 14 15.7% 30 33.7% 22 24.7% 8 9.0% 89 100% C1 8 9.0% 7 7.9% 18 20.2% 21 23.6% 35 39.3% 89 100% D3 3 3.4% 5 5.6% 26 29.2% 28 31.5% 27 30.3% 89 100% E4 2 2.2% 0 0.0% 11 12.4% 39 43.8% 37 41.6% 89 100% F4 9 10.1% 9 10.1% 10 11.2% 30 33.7% 31 34.8% 89 100% F5 7 7.9% 19 21.3% 11 12.4% 28 31.5% 24 27.0% 89 100% A5 4 4.5% 2 2.2% 14 15.7% 31 34.8% 38 42.7% 89 100% B1 9 10.1% 18 20.2% 13 14.6% 21 23.6% 28 31.5% 89 100% B5 5 5.6% 20 22.5% 6 6.7% 25 28.1% 33 37.1% 89 100% C5 2 2.2% 4 4.5% 18 20.2% 26 29.2% 39 43.8% 89 100% D1 1 1.1% 5 5.6% 4 4.5% 18 20.2% 61 68.5% 89 100% D2 4 4.5% 5 5.6% 9 10.1% 30 33.7% 41 46.1% 89 100% D4 1 1.1% 4 4.5% 8 9.0% 28 31.5% 48 53.9% 89 100% E5 2 2.2% 3 3.4% 16 18.0% 30 33.7% 38 42.7% 89 100% F1 9 10.1% 7 7.9% 9 10.1% 26 29.2% 38 42.7% 89 100% F2 4 4.5% 23 25.8% 11 12.4% 19 21.3% 32 36.0% 89 100% F3 2 2.2% 14 15.7% 12 13.5% 28 31.5% 33 37.1% 89 100% G5 8 9.0% 4 4.5% 12 13.5% 35 39.3% 30 33.7% 89 100% H1 8 14.0% 7 12.3% 11 19.3% 18 31.6% 13 22.8% 57 100% H2 3 5.3% 4 7.0% 7 12.3% 15 26.3% 28 49.1% 57 100% H3 6 10.5% 7 12.3% 5 8.8% 17 29.8% 22 38.6% 57 100% H4 3 5.3% 13 22.8% 7 12.3% 12 21.1% 22 38.6% 57 100% H5 5 8.8% 3 5.3% 11 19.3% 20 35.1% 18 31.6% 57 100% 총

부록 213 14. 연령(60 세이상 ) < 부록 표 Ⅲ-14> 연령(60 세이상) 요인 사회성관계 직업 및 수입 관계 건강 및 심리적 관계 현장에 대한 만 족관계 안전의식관계 질문 매우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등급 보통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A1 4 3.0% 4 3.0% 36 27.1% 59 44.4% 30 22.6% 133 100% B2 6 4.5% 5 3.8% 18 13.5% 53 39.8% 51 38.3% 133 100% C4 10 7.5% 21 15.8% 31 23.3% 42 31.6% 29 21.8% 133 100% E2 2 1.5% 5 3.8% 30 22.6% 58 43.6% 38 28.6% 133 100% G4 22 16.5% 25 18.8% 28 21.1% 30 22.6% 28 21.1% 133 100% A2 7 5.3% 17 12.8% 40 30.1% 48 36.1% 21 15.8% 133 100% B3 9 6.8% 18 13.5% 32 24.1% 40 30.1% 34 25.6% 133 100% C3 39 29.3% 24 18.0% 44 33.1% 15 11.3% 11 8.3% 133 100% D5 19 14.3% 26 19.5% 27 20.3% 24 18.0% 37 27.8% 133 100% E1 34 25.6% 37 27.8% 46 34.6% 8 6.0% 8 6.0% 133 100% G2 6 4.5% 6 4.5% 10 7.5% 38 28.6% 73 54.9% 133 100% G3 34 25.6% 25 18.8% 37 27.8% 18 13.5% 19 14.3% 133 100% A3 9 6.8% 16 12.0% 22 16.5% 42 31.6% 44 33.1% 133 100% B4 9 6.8% 10 7.5% 29 21.8% 45 33.8% 40 30.1% 133 100% C2 23 17.3% 25 18.8% 28 21.1% 26 19.5% 31 23.3% 133 100% E3 7 5.3% 3 2.3% 19 14.3% 55 41.4% 49 36.8% 133 100% G1 14 10.5% 16 12.0% 13 9.8% 36 27.1% 54 40.6% 133 100% A4 24 18.0% 18 13.5% 44 33.1% 32 24.1% 15 11.3% 133 100% C1 11 8.3% 7 5.3% 24 18.0% 37 27.8% 54 40.6% 133 100% D3 8 6.0% 5 3.8% 36 27.1% 44 33.1% 40 30.1% 133 100% E4 0.0% 1 0.8% 14 10.5% 58 43.6% 60 45.1% 133 100% F4 18 13.5% 10 7.5% 28 21.1% 40 30.1% 37 27.8% 133 100% F5 23 17.3% 23 17.3% 15 11.3% 34 25.6% 38 28.6% 133 100% A5 14 10.5% 10 7.5% 13 9.8% 48 36.1% 48 36.1% 133 100% B1 12 9.0% 19 14.3% 15 11.3% 40 30.1% 47 35.3% 133 100% B5 12 9.0% 23 17.3% 20 15.0% 38 28.6% 40 30.1% 133 100% C5 3 2.3% 6 4.5% 15 11.3% 53 39.8% 56 42.1% 133 100% D1 4 3.0% 3 2.3% 4 3.0% 33 24.8% 89 66.9% 133 100% D2 4 3.0% 5 3.8% 22 16.5% 48 36.1% 54 40.6% 133 100% D4 6 4.5% 1 0.8% 7 5.3% 55 41.4% 64 48.1% 133 100% E5 4 3.0% 8 6.0% 16 12.0% 54 40.6% 51 38.3% 133 100% F1 11 8.3% 8 6.0% 7 5.3% 37 27.8% 70 52.6% 133 100% F2 17 12.8% 31 23.3% 27 20.3% 23 17.3% 35 26.3% 133 100% F3 8 6.0% 4 3.0% 20 15.0% 50 37.6% 51 38.3% 133 100% G5 13 9.8% 3 2.3% 16 12.0% 56 42.1% 45 33.8% 133 100% H1 16 12.9% 20 16.1% 23 18.5% 32 25.8% 33 26.6% 124 100% H2 9 7.3% 12 9.7% 17 13.7% 34 27.4% 52 41.9% 124 100% H3 12 9.7% 7 5.6% 13 10.5% 39 31.5% 53 42.7% 124 100% H4 9 7.3% 22 17.7% 21 16.9% 33 26.6% 39 31.5% 124 100% H5 6 4.8% 3 2.4% 23 18.5% 49 39.5% 43 34.7% 124 100% 총

214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15. 근무월수 (1 개월이하 ) < 부록 표 Ⅲ-15> 근무월수(30 세이하) 요인 사회성관계 직업 및 수입 관계 건강 및 심리적 관계 현장에 대한 만 족관계 안전의식관계 질문 매우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등급 보통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A1 1 4.0% 3 12.0% 6 24.0% 7 28.0% 8 32.0% 25 100% B2 2 8.0% 0 0.0% 3 12.0% 10 40.0% 10 40.0% 25 100% C4 3 12.0% 5 20.0% 8 32.0% 5 20.0% 4 16.0% 25 100% E2 0.0% 1 4.0% 10 40.0% 8 32.0% 6 24.0% 25 100% G4 3 12.0% 5 20.0% 5 20.0% 6 24.0% 6 24.0% 25 100% A2 3 12.0% 3 12.0% 9 36.0% 8 32.0% 2 8.0% 25 100% B3 2 8.0% 2 8.0% 13 52.0% 2 8.0% 6 24.0% 25 100% C3 4 16.0% 9 36.0% 8 32.0% 2 8.0% 2 8.0% 25 100% D5 1 4.0% 6 24.0% 4 16.0% 6 24.0% 8 32.0% 25 100% E1 6 24.0% 9 36.0% 8 32.0% 1 4.0% 1 4.0% 25 100% G2 1 4.0% 1 4.0% 1 4.0% 11 44.0% 11 44.0% 25 100% G3 1 4.0% 11 44.0% 7 28.0% 3 12.0% 3 12.0% 25 100% A3 0.0% 3 12.0% 7 28.0% 5 20.0% 10 40.0% 25 100% B4 2 8.0% 3 12.0% 6 24.0% 7 28.0% 7 28.0% 25 100% C2 8 32.0% 5 20.0% 2 8.0% 7 28.0% 3 12.0% 25 100% E3 1 4.0% 2 8.0% 4 16.0% 11 44.0% 7 28.0% 25 100% G1 2 8.0% 1 4.0% 5 20.0% 7 28.0% 10 40.0% 25 100% A4 4 16.0% 3 12.0% 12 48.0% 3 12.0% 3 12.0% 25 100% C1 4 16.0% 0 0.0% 8 32.0% 7 28.0% 6 24.0% 25 100% D3 4 16.0% 0 0.0% 4 16.0% 13 52.0% 4 16.0% 25 100% E4 0.0% 0 0.0% 3 12.0% 12 48.0% 10 40.0% 25 100% F4 2 8.0% 1 4.0% 5 20.0% 10 40.0% 7 28.0% 25 100% F5 3 12.0% 3 12.0% 4 16.0% 7 28.0% 8 32.0% 25 100% A5 1 4.0% 1 4.0% 1 4.0% 14 56.0% 8 32.0% 25 100% B1 4 16.0% 2 8.0% 2 8.0% 6 24.0% 11 44.0% 25 100% B5 3 12.0% 4 16.0% 2 8.0% 4 16.0% 12 48.0% 25 100% C5 1 4.0% 2 8.0% 2 8.0% 16 64.0% 4 16.0% 25 100% D1 0.0% 0 0.0% 0 0.0% 9 36.0% 16 64.0% 25 100% D2 3 12.0% 0 0.0% 3 12.0% 10 40.0% 9 36.0% 25 100% D4 0.0% 0 0.0% 4 16.0% 12 48.0% 9 36.0% 25 100% E5 0.0% 0 0.0% 3 12.0% 13 52.0% 9 36.0% 25 100% F1 1 4.0% 2 8.0% 0 0.0% 5 20.0% 17 68.0% 25 100% F2 4 16.0% 4 16.0% 5 20.0% 7 28.0% 5 20.0% 25 100% F3 1 4.0% 0 0.0% 1 4.0% 10 40.0% 13 52.0% 25 100% G5 1 4.0% 2 8.0% 3 12.0% 15 60.0% 4 16.0% 25 100% H1 3 13.0% 3 13.0% 4 17.4% 9 39.1% 4 17.4% 23 100% H2 3 13.0% 4 17.4% 2 8.7% 9 39.1% 5 21.7% 23 100% H3 1 4.3% 0 0.0% 3 13.0% 9 39.1% 10 43.5% 23 100% H4 2 8.7% 7 30.4% 2 8.7% 3 13.0% 9 39.1% 23 100% H5 0.0% 0 0.0% 6 26.1% 11 47.8% 6 26.1% 23 100% 총

부록 215 16. 근무월수 (1-3 개월) < 부록 표 Ⅲ-16> 근무월수(1-3 개월) 요인 사회성관계 직업 및 수입 관계 건강 및 심리적 관계 현장에 대한 만 족관계 안전의식관계 질문 매우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등급 보통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A1 0 0.0% 0 0.0% 1 0.0% 3 25.0% 4 75.0% 117 100% B2 0 0.0% 0 0.0% 1 0.0% 3 25.0% 4 75.0% 100% C4 0 0.0% 2 0.0% 4 50.0% 1 25.0% 4 25.0% 4 100% E2 0 0.0% 1 0.0% 25.0% 1 25.0% 2 50.0% 4 100% G4 0.0% 2 50.0% 0 0.0% 1 25.0% 1 25.0% 4 100% A2 0.0% 0 0.0% 0 0.0% 1 25.0% 3 75.0% 4 100% B3 2 50.0% 0 0.0% 0 0.0% 1 25.0% 1 25.0% 4 100% C3 0.0% 1 25.0% 1 25.0% 2 50.0% 0 0.0% 4 100% D5 1 25.0% 0 0.0% 0 0.0% 2 50.0% 1 25.0% 4 100% E1 0.0% 3 75.0% 0 0.0% 1 25.0% 0 0.0% 4 100% G2 0.0% 0 0.0% 0 0.0% 1 25.0% 3 75.0% 4 100% G3 0.0% 0 0.0% 1 25.0% 2 50.0% 1 25.0% 4 100% A3 0.0% 1 25.0% 1 25.0% 0 0.0% 2 50.0% 4 100% B4 0.0% 0 0.0% 0 0.0% 2 50.0% 2 50.0% 4 100% C2 1 25.0% 1 25.0% 0 0.0% 2 50.0% 0 0.0% 4 100% E3 0.0% 0 0.0% 0 0.0% 3 75.0% 1 25.0% 4 100% G1 1 25.0% 0 0.0% 1 25.0% 0 0.0% 2 50.0% 4 100% A4 0.0% 0 0.0% 2 50.0% 1 25.0% 1 25.0% 4 100% C1 0.0% 0 0.0% 1 25.0% 1 25.0% 2 50.0% 4 100% D3 0.0% 0 0.0% 0 0.0% 2 50.0% 2 50.0% 4 100% E4 0.0% 0 0.0% 0 0.0% 1 25.0% 3 75.0% 4 100% F4 0.0% 1 25.0% 0 0.0% 2 50.0% 1 25.0% 4 100% F5 0.0% 0 0.0% 0 0.0% 2 50.0% 2 50.0% 4 100% A5 0.0% 0 0.0% 0 0.0% 1 25.0% 3 75.0% 4 100% B1 1 25.0% 0 0.0% 0 0.0% 2 50.0% 1 25.0% 4 100% B5 2 50.0% 1 25.0% 0 0.0% 1 25.0% 0 0.0% 4 100% C5 0.0% 0 0.0% 1 25.0% 0 0.0% 3 75.0% 4 100% D1 0.0% 0 0.0% 0 0.0% 1 25.0% 3 75.0% 4 100% D2 0.0% 0 0.0% 0 0.0% 1 25.0% 3 75.0% 4 100% D4 0.0% 0 0.0% 0 0.0% 1 25.0% 3 75.0% 4 100% E5 0.0% 0 0.0% 1 25.0% 1 25.0% 2 50.0% 4 100% F1 0.0% 0 0.0% 0 0.0% 0 0.0% 4 4 100% F2 0.0% 1 25.0% 0 0.0% 0 0.0% 3 75.0% 4 100% F3 0.0% 1 25.0% 1 25.0% 0 0.0% 2 50.0% 4 100% G5 0.0% 0 0.0% 0 0.0% 2 50.0% 2 50.0% 4 100% H1 0.0% 0 0.0% 0 0.0% 0 0.0% 1 1 1 100% H2 0.0% 0 0.0% 0 0.0% 0 0.0% 1 10 1 100% H3 0.0% 0 0.0% 0 0.0% 1 0 0.0% 1 100% H4 0.0% 0 0.0% 0 0.0% 0 0.0% 1 1 1 100% H5 0.0% 0 0.0% 0 0.0% 0 0.0% 3 10 3 100% 총

216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17. 근무월수 (3-6 개월) < 부록 표 Ⅲ-17> 근무월수(3-6 개월) 요인 사회성관계 직업 및 수입 관계 건강 및 심리적 관계 현장에 대한 만 족관계 안전의식관계 질문 매우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등급 보통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A1 1 2.9% 1 2.9% 6 17.6% 19 55.9% 7 20.6% 34 100% B2 1 2.9% 1 2.9% 6 17.6% 21 61.8% 5 14.7% 34 100% C4 3 8.8% 8 23.5% 9 26.5% 11 32.4% 3 8.8% 34 100% E2 0.0% 1 2.9% 8 23.5% 18 52.9% 7 20.6% 34 100% G4 4 11.8% 8 23.5% 4 11.8% 8 23.5% 10 29.4% 34 100% A2 2 5.9% 5 14.7% 11 32.4% 12 35.3% 4 11.8% 34 100% B3 3 8.8% 6 17.6% 11 32.4% 9 26.5% 5 14.7% 34 100% C3 8 23.5% 5 14.7% 11 32.4% 6 17.6% 4 11.8% 34 100% D5 7 20.6% 8 23.5% 9 26.5% 6 17.6% 4 11.8% 34 100% E1 6 17.6% 10 29.4% 13 38.2% 3 8.8% 2 5.9% 34 100% G2 0.0% 1 2.9% 5 14.7% 11 32.4% 17 50.0% 34 100% G3 10 29.4% 3 8.8% 14 41.2% 4 11.8% 3 8.8% 34 100% A3 1 2.9% 1 2.9% 10 29.4% 11 32.4% 11 32.4% 34 100% B4 2 5.9% 1 2.9% 8 23.5% 13 38.2% 10 29.4% 34 100% C2 5 14.7% 7 20.6% 7 20.6% 11 32.4% 4 11.8% 34 100% E3 0.0% 3 8.8% 6 17.6% 14 41.2% 11 32.4% 34 100% G1 3 8.8% 6 17.6% 7 20.6% 10 29.4% 8 23.5% 34 100% A4 1 2.9% 9 26.5% 10 29.4% 10 29.4% 4 11.8% 34 100% C1 5 14.7% 2 5.9% 8 23.5% 9 26.5% 10 29.4% 34 100% D3 0.0% 2 5.9% 13 38.2% 9 26.5% 10 29.4% 34 100% E4 0.0% 1 2.9% 5 14.7% 17 50.0% 11 32.4% 34 100% F4 4 11.8% 1 2.9% 9 26.5% 13 38.2% 7 20.6% 34 100% F5 2 5.9% 3 8.8% 8 23.5% 11 32.4% 10 29.4% 34 100% A5 3 8.8% 1 2.9% 4 11.8% 9 26.5% 17 50.0% 34 100% B1 2 5.9% 7 20.6% 3 8.8% 13 38.2% 9 26.5% 34 100% B5 2 5.9% 5 14.7% 5 14.7% 14 41.2% 8 23.5% 34 100% C5 1 2.9% 1 2.9% 5 14.7% 19 55.9% 8 23.5% 34 100% D1 0.0% 1 2.9% 2 5.9% 13 38.2% 18 52.9% 34 100% D2 0.0% 3 8.8% 4 11.8% 16 47.1% 11 32.4% 34 100% D4 0.0% 0 0.0% 7 20.6% 13 38.2% 14 41.2% 34 100% E5 2 5.9% 0 0.0% 5 14.7% 18 52.9% 9 26.5% 34 100% F1 3 8.8% 3 8.8% 0 0.0% 10 29.4% 18 52.9% 34 100% F2 4 11.8% 13 38.2% 5 14.7% 6 17.6% 6 17.6% 34 100% F3 3 8.8% 7 20.6% 3 8.8% 12 35.3% 9 26.5% 34 100% G5 3 8.8% 3 8.8% 8 23.5% 10 29.4% 10 29.4% 34 100% H1 2 10.5% 2 10.5% 10 52.6% 3 15.8% 2 10.5% 19 100% H2 1 5.3% 1 5.3% 3 15.8% 5 26.3% 9 47.4% 19 100% H3 5 26.3% 1 5.3% 4 21.1% 5 26.3% 4 21.1% 19 100% H4 0.0% 0 0.0% 5 26.3% 7 36.8% 7 36.8% 19 100% H5 1 5.3% 0 0.0% 6 31.6% 6 31.6% 6 31.6% 19 100% 총

부록 217 18. 근무월수 (6-12 개월) < 부록 표 Ⅲ-18> 근무월수(6-12 개월) 요인 사회성관계 직업 및 수입 관계 건강 및 심리적 관계 현장에 대한 만 족관계 안전의식관계 질문 매우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등급 보통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A1 0.0% 1 0.9% 28 24.6% 47 41.2% 38 33.3% 114 100% B2 3 2.6% 1 0.9% 13 11.4% 54 47.4% 43 37.7% 114 100% C4 12 10.5% 28 24.6% 28 24.6% 30 26.3% 16 14.0% 114 100% E2 1 0.9% 5 4.4% 26 22.8% 45 39.5% 37 32.5% 114 100% G4 11 9.6% 27 23.7% 19 16.7% 32 28.1% 25 21.9% 114 100% A2 3 2.6% 6 5.3% 38 33.3% 45 39.5% 22 19.3% 114 100% B3 9 7.9% 8 7.0% 35 30.7% 33 28.9% 29 25.4% 114 100% C3 23 20.2% 23 20.2% 29 25.4% 25 21.9% 14 12.3% 114 100% D5 13 11.4% 16 14.0% 21 18.4% 33 28.9% 31 27.2% 114 100% E1 16 14.0% 33 28.9% 46 40.4% 10 8.8% 9 7.9% 114 100% G2 7 6.1% 4 3.5% 15 13.2% 38 33.3% 50 43.9% 114 100% G3 18 15.8% 29 25.4% 33 28.9% 17 14.9% 17 14.9% 114 100% A3 5 4.4% 15 13.2% 15 13.2% 31 27.2% 48 42.1% 114 100% B4 4 3.5% 9 7.9% 36 31.6% 35 30.7% 30 26.3% 114 100% C2 20 17.5% 22 19.3% 17 14.9% 36 31.6% 19 16.7% 114 100% E3 4 3.5% 7 6.1% 16 14.0% 52 45.6% 35 30.7% 114 100% G1 9 7.9% 13 11.4% 16 14.0% 27 23.7% 49 43.0% 114 100% A4 16 14.0% 20 17.5% 41 36.0% 24 21.1% 13 11.4% 114 100% C1 11 9.6% 6 5.3% 19 16.7% 39 34.2% 39 34.2% 114 100% D3 6 5.3% 7 6.1% 25 21.9% 37 32.5% 39 34.2% 114 100% E4 0.0% 2 1.8% 16 14.0% 53 46.5% 43 37.7% 114 100% F4 10 8.8% 10 8.8% 15 13.2% 45 39.5% 34 29.8% 114 100% F5 7 6.1% 13 11.4% 19 16.7% 28 24.6% 47 41.2% 114 100% A5 9 7.9% 6 5.3% 11 9.6% 43 37.7% 45 39.5% 114 100% B1 12 10.5% 17 14.9% 9 7.9% 31 27.2% 45 39.5% 114 100% B5 4 3.5% 12 10.5% 22 19.3% 32 28.1% 44 38.6% 114 100% C5 2 1.8% 6 5.3% 20 17.5% 43 37.7% 43 37.7% 114 100% D1 1 0.9% 3 2.6% 7 6.1% 23 20.2% 80 70.2% 114 100% D2 3 2.6% 4 3.5% 11 9.6% 34 29.8% 62 54.4% 114 100% D4 2 1.8% 2 1.8% 9 7.9% 37 32.5% 64 56.1% 114 100% E5 1 0.9% 6 5.3% 13 11.4% 48 42.1% 46 40.4% 114 100% F1 5 4.4% 13 11.4% 13 11.4% 31 27.2% 52 45.6% 114 100% F2 8 7.0% 27 23.7% 18 15.8% 22 19.3% 39 34.2% 114 100% F3 2 1.8% 10 8.8% 18 15.8% 33 28.9% 51 44.7% 114 100% G5 10 8.8% 4 3.5% 16 14.0% 47 41.2% 37 32.5% 114 100% H1 10 13.2% 7 9.2% 17 22.4% 27 35.5% 15 19.7% 76 100% H2 7 9.2% 5 6.6% 7 9.2% 23 30.3% 34 44.7% 76 100% H3 6 7.9% 11 14.5% 6 7.9% 22 28.9% 31 40.8% 76 100% H4 3 3.9% 12 15.8% 6 7.9% 28 36.8% 27 35.5% 76 100% H5 4 5.3% 3 3.9% 14 18.4% 30 39.5% 25 32.9% 76 100% 총

218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19. 근무월수 (12-24 개월) < 부록 표 Ⅲ-19> 근무월수(12-24 개월) 요인 사회성관계 직업 및 수입 관계 건강 및 심리적 관계 현장에 대한 만족관계 안전의식관계 질문 매우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등급 보통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A1 2 3.4% 3 5.1% 11 18.6% 26 44.1% 17 28.8% 59 100% B2 1 1.7% 1 1.7% 5 8.5% 35 59.3% 17 28.8% 59 100% C4 7 11.9% 10 16.9% 14 23.7% 19 32.2% 9 15.3% 59 100% E2 1 1.7% 3 5.1% 19 32.2% 24 40.7% 12 20.3% 59 100% G4 5 8.5% 15 25.4% 13 22.0% 14 23.7% 12 20.3% 59 100% A2 0.0% 6 10.2% 25 42.4% 20 33.9% 8 13.6% 59 100% B3 3 5.1% 2 3.4% 19 32.2% 17 28.8% 18 30.5% 59 100% C3 16 27.1% 13 22.0% 23 39.0% 7 11.9% 0 0.0% 59 100% D5 4 6.8% 10 16.9% 17 28.8% 13 22.0% 15 25.4% 59 100% E1 7 11.9% 21 35.6% 23 39.0% 5 8.5% 3 5.1% 59 100% G2 4 6.8% 5 8.5% 2 3.4% 24 40.7% 24 40.7% 59 100% G3 8 13.6% 21 35.6% 22 37.3% 4 6.8% 4 6.8% 59 100% A3 1 1.7% 4 6.8% 5 8.5% 22 37.3% 27 45.8% 59 100% B4 2 3.4% 9 15.3% 10 16.9% 26 44.1% 12 20.3% 59 100% C2 14 23.7% 9 15.3% 4 6.8% 22 37.3% 10 16.9% 59 100% E3 2 3.4% 3 5.1% 6 10.2% 32 54.2% 16 27.1% 59 100% G1 4 6.8% 5 8.5% 9 15.3% 16 27.1% 25 42.4% 59 100% A4 10 16.9% 10 16.9% 19 32.2% 16 27.1% 4 6.8% 59 100% C1 9 15.3% 8 13.6% 13 22.0% 13 22.0% 16 27.1% 59 100% D3 1 1.7% 4 6.8% 18 30.5% 28 47.5% 8 13.6% 59 100% E4 1 1.7% 2 3.4% 3 5.1% 34 57.6% 19 32.2% 59 100% F4 4 6.8% 5 8.5% 12 20.3% 27 45.8% 11 18.6% 59 100% F5 4 6.8% 11 18.6% 6 10.2% 22 37.3% 16 27.1% 59 100% A5 4 6.8% 4 6.8% 8 13.6% 20 33.9% 23 39.0% 59 100% B1 5 8.5% 15 25.4% 8 13.6% 14 23.7% 17 28.8% 59 100% B5 4 6.8% 11 18.6% 4 6.8% 19 32.2% 21 35.6% 59 100% C5 0.0% 3 5.1% 15 25.4% 21 35.6% 20 33.9% 59 100% D1 0.0% 2 3.4% 0 0.0% 28 47.5% 29 49.2% 59 100% D2 3 5.1% 2 3.4% 6 10.2% 32 54.2% 16 27.1% 59 100% D4 0.0% 3 5.1% 3 5.1% 32 54.2% 21 35.6% 59 100% E5 0.0% 3 5.1% 11 18.6% 24 40.7% 21 35.6% 59 100% F1 2 3.4% 4 6.8% 11 18.6% 17 28.8% 25 42.4% 59 100% F2 2 3.4% 15 25.4% 9 15.3% 13 22.0% 20 33.9% 59 100% F3 2 3.4% 10 16.9% 7 11.9% 23 39.0% 17 28.8% 59 100% G5 2 3.4% 5 8.5% 7 11.9% 31 52.5% 14 23.7% 59 100% H1 3 8.8% 3 8.8% 14 41.2% 8 23.5% 6 17.6% 34 100% H2 4 11.8% 2 5.9% 4 11.8% 13 38.2% 11 32.4% 34 100% H3 1 2.9% 1 2.9% 6 17.6% 12 35.3% 14 41.2% 34 100% H4 1 2.9% 8 23.5% 5 14.7% 10 29.4% 10 29.4% 34 100% H5 2 5.9% 2 5.9% 5 14.7% 18 52.9% 7 20.6% 34 100% 총

부록 219 20. 근무월수 (24 개월 이상) < 부록 표 Ⅲ-20> 근무월수(24 개월 이상) 요인 사회성관계 직업 및 수입 관계 건강 및 심리적 관계 현장에 대한 만족관계 안전의식관계 질문 매우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등급 보통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A1 0.0% 3 3.6% 14 16.7% 38 45.2% 29 34.5% 84 100% B2 0.0% 2 2.4% 5 6.0% 41 48.8% 36 42.9% 84 100% C4 6 7.1% 14 16.7% 19 22.6% 27 32.1% 18 21.4% 84 100% E2 0.0% 1 1.2% 16 19.0% 37 44.0% 30 35.7% 84 100% G4 10 11.9% 28 33.3% 15 17.9% 18 21.4% 13 15.5% 84 100% A2 0.0% 4 4.8% 22 26.2% 39 46.4% 19 22.6% 84 100% B3 4 4.8% 5 6.0% 16 19.0% 32 38.1% 27 32.1% 84 100% C3 15 17.9% 15 17.9% 30 35.7% 17 20.2% 7 8.3% 84 100% D5 6 7.1% 15 17.9% 11 13.1% 25 29.8% 27 32.1% 84 100% E1 15 17.9% 28 33.3% 33 39.3% 5 6.0% 3 3.6% 84 100% G2 3 3.6% 2 2.4% 5 6.0% 31 36.9% 43 51.2% 84 100% G3 6 7.1% 27 32.1% 29 34.5% 12 14.3% 10 11.9% 84 100% A3 5 6.0% 10 11.9% 7 8.3% 21 25.0% 41 48.8% 84 100% B4 0.0% 6 7.1% 15 17.9% 32 38.1% 31 36.9% 84 100% C2 14 16.7% 11 13.1% 13 15.5% 31 36.9% 15 17.9% 84 100% E3 4 4.8% 3 3.6% 6 7.1% 42 50.0% 29 34.5% 84 100% G1 7 8.3% 8 9.5% 11 13.1% 21 25.0% 37 44.0% 84 100% A4 10 11.9% 10 11.9% 30 35.7% 21 25.0% 13 15.5% 84 100% C1 8 9.5% 7 8.3% 27 32.1% 20 23.8% 22 26.2% 84 100% D3 2 2.4% 2 2.4% 20 23.8% 31 36.9% 29 34.5% 84 100% E4 0.0% 0 0.0% 3 3.6% 38 45.2% 43 51.2% 84 100% F4 5 6.0% 4 4.8% 16 19.0% 31 36.9% 28 33.3% 84 100% F5 7 8.3% 20 23.8% 16 19.0% 21 25.0% 20 23.8% 84 100% A5 2 2.4% 6 7.1% 4 4.8% 29 34.5% 43 51.2% 84 100% B1 7 8.3% 11 13.1% 12 14.3% 22 26.2% 32 38.1% 84 100% B5 6 7.1% 12 14.3% 11 13.1% 25 29.8% 30 35.7% 84 100% C5 1 1.2% 1 1.2% 14 16.7% 39 46.4% 29 34.5% 84 100% D1 0.0% 1 1.2% 4 4.8% 16 19.0% 63 75.0% 84 100% D2 2 2.4% 1 1.2% 9 10.7% 34 40.5% 38 45.2% 84 100% D4 3 3.6% 0 0.0% 4 4.8% 36 42.9% 41 48.8% 84 100% E5 0.0% 2 2.4% 16 19.0% 34 40.5% 32 38.1% 84 100% F1 7 8.3% 6 7.1% 5 6.0% 23 27.4% 43 51.2% 84 100% F2 4 4.8% 22 26.2% 13 15.5% 23 27.4% 22 26.2% 84 100% F3 3 3.6% 10 11.9% 15 17.9% 28 33.3% 28 33.3% 84 100% G5 2 2.4% 1 1.2% 7 8.3% 42 50.0% 32 38.1% 84 100% H1 5 12.5% 5 12.5% 7 17.5% 11 27.5% 12 30.0% 40 100% H2 1 2.5% 3 7.5% 5 12.5% 14 35.0% 17 42.5% 40 100% H3 2 5.0% 0 0.0% 4 10.0% 15 37.5% 19 47.5% 40 100% H4 6 15.0% 7 17.5% 4 10.0% 13 32.5% 10 25.0% 40 100% H5 1 2.5% 0 0.0% 5 12.5% 19 47.5% 15 37.5% 40 100% 총

220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21. 근무년수 (1 년이하 ) < 부록 표 Ⅲ-21> 근무년수(1 년 이하) 요인 사회성관계 직업 및 수입 관계 건강 및 심리적 관계 현장에 대한 만족관계 안전의식관계 질문 매우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등급 보통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A1 8 1.9% 10 2.3% 100 23.2% 188 43.6% 125 29.0% 431 B2 15 3.5% 11 2.6% 65 15.1% 198 45.9% 142 32.9% 431 100% C4 44 10.2% 93 21.6% 109 25.3% 126 29.2% 59 13.7% 431 100% E2 3 0.7% 15 3.5% 126 29.2% 177 41.1% 110 25.5% 431 100% G4 44 10.2% 105 24.4% 77 17.9% 108 25.1% 97 22.5% 431 100% A2 20 4.6% 41 9.5% 153 35.5% 153 35.5% 64 14.8% 431 100% B3 29 6.7% 61 14.2% 138 32.0% 105 24.4% 98 22.7% 431 100% C3 106 24.6% 76 17.6% 144 33.4% 72 16.7% 33 7.7% 431 100% D5 46 10.7% 85 19.7% 108 25.1% 98 22.7% 94 21.8% 431 100% E1 82 19.0% 131 30.4% 167 38.7% 24 5.6% 27 6.3% 431 100% G2 23 5.3% 18 4.2% 39 9.0% 161 37.4% 190 44.1% 431 100% G3 88 20.4% 100 23.2% 126 29.2% 64 14.8% 53 12.3% 431 100% A3 14 3.2% 39 9.0% 72 16.7% 120 27.8% 186 43.2% 431 100% B4 25 5.8% 37 8.6% 132 30.6% 140 32.5% 97 22.5% 431 100% C2 79 18.3% 87 20.2% 78 18.1% 115 26.7% 72 16.7% 431 100% E3 12 2.8% 17 3.9% 71 16.5% 198 45.9% 133 30.9% 431 100% G1 36 8.4% 44 10.2% 73 16.9% 124 28.8% 154 35.7% 431 100% A4 71 16.5% 71 16.5% 157 36.4% 96 22.3% 36 8.4% 431 100% C1 62 14.4% 37 8.6% 89 20.6% 105 24.4% 138 32.0% 431 100% D3 19 4.4% 23 5.3% 132 30.6% 147 34.1% 110 25.5% 431 100% E4 2 0.5% 6 1.4% 62 14.4% 201 46.6% 160 37.1% 431 100% F4 43 10.0% 39 9.0% 75 17.4% 158 36.7% 116 26.9% 431 100% F5 29 6.7% 81 18.8% 50 11.6% 122 28.3% 149 34.6% 431 100% A5 32 7.4% 20 4.6% 52 12.1% 151 35.0% 176 40.8% 431 100% B1 43 10.0% 66 15.3% 50 11.6% 133 30.9% 139 32.3% 431 100% B5 26 6.0% 74 17.2% 60 13.9% 127 29.5% 144 33.4% 431 100% C5 10 2.3% 24 5.6% 85 19.7% 159 36.9% 153 35.5% 431 100% D1 6 1.4% 11 2.6% 18 4.2% 140 32.5% 256 59.4% 431 100% D2 17 3.9% 22 5.1% 54 12.5% 172 39.9% 166 38.5% 431 100% D4 7 1.6% 12 2.8% 43 10.0% 174 40.4% 195 45.2% 431 100% E5 10 2.3% 19 4.4% 76 17.6% 177 41.1% 149 34.6% 431 100% F1 27 6.3% 44 10.2% 51 11.8% 114 26.5% 195 45.2% 431 100% F2 38 8.8% 109 25.3% 73 16.9% 93 21.6% 118 27.4% 431 100% F3 16 3.7% 57 13.2% 64 14.8% 140 32.5% 154 35.7% 431 100% G5 29 6.7% 19 4.4% 62 14.4% 190 44.1% 131 30.4% 431 100% H1 37 13.6% 39 14.3% 67 24.6% 70 25.7% 59 21.7% 272 100% H2 20 7.4% 25 9.2% 36 13.2% 80 29.4% 111 40.8% 272 100% H3 27 9.9% 23 8.5% 28 10.3% 93 34.2% 101 37.1% 272 100% H4 11 4.0% 55 20.2% 38 14.0% 72 26.5% 96 35.3% 272 100% H5 16 5.9% 13 4.8% 56 20.6% 100 36.8% 87 32.0% 272 100% 총

부록 221 22. 근무년수 (1-5 년) < 부록 표 Ⅲ-22> 근무년수(1-5 년) 요인 사회성관계 직업 및 수입 관계 건강 및 심리적 관계 현장에 대한 만족관계 안전의식관계 질문 매우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등급 보통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A1 7 1.4% 13 2.6% 112 22.3% 220 43.8% 150 29.9% 502 100% B2 14 2.8% 11 2.2% 69 13.7% 234 46.6% 174 34.7% 502 100% C4 48 9.6% 103 20.5% 126 25.1% 148 29.5% 77 15.3% 502 100% E2 3 0.6% 14 2.8% 141 28.1% 209 41.6% 135 26.9% 502 100% G4 53 10.6% 131 26.1% 91 18.1% 120 23.9% 107 21.3% 502 100% A2 20 4.0% 44 8.8% 174 34.7% 185 36.9% 79 15.7% 502 100% B3 32 6.4% 63 12.5% 152 30.3% 133 26.5% 122 24.3% 502 100% C3 117 23.3% 90 17.9% 172 34.3% 85 16.9% 38 7.6% 502 100% D5 51 10.2% 98 19.5% 118 23.5% 119 23.7% 116 23.1% 502 100% E1 94 18.7% 157 31.3% 194 38.6% 29 5.8% 28 5.6% 502 100% G2 24 4.8% 19 3.8% 43 8.6% 187 37.3% 229 45.6% 502 100% G3 93 18.5% 125 24.9% 151 30.1% 72 14.3% 61 12.2% 502 100% A3 17 3.4% 46 9.2% 75 14.9% 140 27.9% 224 44.6% 502 100% B4 24 4.8% 42 8.4% 145 28.9% 166 33.1% 125 24.9% 502 100% C2 89 17.7% 94 18.7% 90 17.9% 143 28.5% 86 17.1% 502 100% E3 16 3.2% 19 3.8% 75 14.9% 233 46.4% 159 31.7% 502 100% G1 42 8.4% 49 9.8% 83 16.5% 140 27.9% 188 37.5% 502 100% A4 80 15.9% 79 15.7% 183 36.5% 113 22.5% 47 9.4% 502 100% C1 69 13.7% 41 8.2% 114 22.7% 122 24.3% 156 31.1% 502 100% D3 21 4.2% 24 4.8% 149 29.7% 174 34.7% 134 26.7% 502 100% E4 1 0.2% 5 1.0% 65 12.9% 233 46.4% 198 39.4% 502 100% F4 46 9.2% 42 8.4% 89 17.7% 185 36.9% 140 27.9% 502 100% F5 35 7.0% 99 19.7% 66 13.1% 137 27.3% 165 32.9% 502 100% A5 32 6.4% 26 5.2% 56 11.2% 178 35.5% 210 41.8% 502 100% B1 50 10.0% 73 14.5% 61 12.2% 152 30.3% 166 33.1% 502 100% B5 32 6.4% 84 16.7% 69 13.7% 148 29.5% 169 33.7% 502 100% C5 10 2.0% 25 5.0% 98 19.5% 193 38.4% 176 35.1% 502 100% D1 5 1.0% 11 2.2% 22 4.4% 154 30.7% 310 61.8% 502 100% D2 19 3.8% 20 4.0% 63 12.5% 202 40.2% 198 39.4% 502 100% D4 9 1.8% 12 2.4% 47 9.4% 207 41.2% 227 45.2% 502 100% E5 10 2.0% 21 4.2% 92 18.3% 206 41.0% 173 34.5% 502 100% F1 33 6.6% 49 9.8% 55 11.0% 134 26.7% 231 46.0% 502 100% F2 41 8.2% 127 25.3% 85 16.9% 114 22.7% 135 26.9% 502 100% F3 18 3.6% 67 13.3% 78 15.5% 163 32.5% 176 35.1% 502 100% G5 29 5.8% 17 3.4% 68 13.5% 227 45.2% 161 32.1% 502 100% H1 42 13.8% 42 13.8% 74 24.3% 76 24.9% 71 23.3% 305 100% H2 19 6.2% 27 8.9% 40 13.1% 93 30.5% 126 41.3% 305 100% H3 29 9.5% 23 7.5% 32 10.5% 104 34.1% 117 38.4% 305 100% H4 17 5.6% 62 20.3% 42 13.8% 80 26.2% 104 34.1% 305 100% H5 16 5.2% 12 3.9% 60 19.7% 117 38.4% 100 32.8% 305 100% 총

222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23. 근무년수 (5-10 년) < 부록 표 Ⅲ-23> 근무년수(1 년 이하) 요인 사회성관계 직업 및 수입 관계 건강 및 심리적 관계 현장에 대한 만족관계 안전의식관계 질문 매우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등급 보통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A1 1 7.7% 0 0.0% 2 15.4% 6 46.2% 4 30.8% 13 100% B2 1 7.7% 2 15.4% 1 7.7% 5 38.5% 4 30.8% 13 100% C4 2 15.4% 4 30.8% 2 15.4% 5 38.5% 0 0.0% 13 100% E2 0.0% 2 15.4% 1 7.7% 5 38.5% 5 38.5% 13 100% G4 1 7.7% 2 15.4% 1 7.7% 6 46.2% 3 23.1% 13 100% A2 0.0% 1 7.7% 1 7.7% 7 53.8% 4 30.8% 13 100% B3 1 7.7% 3 23.1% 2 15.4% 4 30.8% 3 23.1% 13 100% C3 4 30.8% 1 7.7% 2 15.4% 4 30.8% 2 15.4% 13 100% D5 1 7.7% 2 15.4% 1 7.7% 4 30.8% 5 38.5% 13 100% E1 3 23.1% 2 15.4% 6 46.2% 0 0.0% 2 15.4% 13 100% G2 2 15.4% 1 7.7% 1 7.7% 5 38.5% 4 30.8% 13 100% G3 1 7.7% 2 15.4% 4 30.8% 4 30.8% 2 15.4% 13 100% A3 2 15.4% 3 23.1% 4 30.8% 1 7.7% 3 23.1% 13 100% B4 1 7.7% 1 7.7% 2 15.4% 6 46.2% 3 23.1% 13 100% C2 4 30.8% 4 30.8% 1 7.7% 3 23.1% 1 7.7% 13 100% E3 0.0% 1 7.7% 2 15.4% 7 53.8% 3 23.1% 13 100% G1 1 7.7% 3 23.1% 1 7.7% 5 38.5% 3 23.1% 13 100% A4 1 7.7% 2 15.4% 4 30.8% 4 30.8% 2 15.4% 13 100% C1 1 7.7% 3 23.1% 2 15.4% 3 23.1% 4 30.8% 13 100% D3 0.0% 1 7.7% 3 23.1% 4 30.8% 5 38.5% 13 100% E4 1 7.7% 1 7.7% 0 0.0% 6 46.2% 5 38.5% 13 100% F4 2 15.4% 1 7.7% 2 15.4% 4 30.8% 4 30.8% 13 100% F5 1 7.7% 2 15.4% 0 0.0% 6 46.2% 4 30.8% 13 100% A5 2 15.4% 0 0.0% 0 0.0% 2 15.4% 9 69.2% 13 100% B1 0.0% 4 30.8% 1 7.7% 3 23.1% 5 38.5% 13 100% B5 0.0% 2 15.4% 2 15.4% 4 30.8% 5 38.5% 13 100% C5 1 7.7% 0 0.0% 1 7.7% 5 38.5% 6 46.2% 13 100% D1 1 7.7% 1 7.7% 0 0.0% 2 15.4% 9 69.2% 13 100% D2 0.0% 3 23.1% 0 0.0% 4 30.8% 6 46.2% 13 100% D4 1 7.7% 0 0.0% 0 0.0% 3 23.1% 9 69.2% 13 100% E5 0.0% 0 0.0% 0 0.0% 5 38.5% 8 61.5% 13 100% F1 1 7.7% 1 7.7% 1 7.7% 3 23.1% 7 53.8% 13 100% F2 1 7.7% 4 30.8% 1 7.7% 2 15.4% 5 38.5% 13 100% F3 1 7.7% 0 0.0% 1 7.7% 5 38.5% 6 46.2% 13 100% G5 2 15.4% 3 23.1% 1 7.7% 5 38.5% 2 15.4% 13 100% H1 0.0% 2 28.6% 0 0.0% 5 71.4% 0 0.0% 7 100% H2 2 28.6% 1 14.3% 1 14.3% 1 14.3% 2 28.6% 7 100% H3 0.0% 0 0.0% 0 0.0% 4 57.1% 3 42.9% 7 100% H4 0.0% 0 0.0% 0 0.0% 5 71.4% 2 28.6% 7 100% H5 1 14.3% 1 14.3% 1 14.3% 2 28.6% 2 28.6% 7 100% 총

부록 223 24. 근무년수 (10-20 년) < 부록 표 Ⅲ-24> 근무년수(10-20 년) 요인 사회성관계 직업 및 수입 관계 건강 및 심리적 관계 현장에 대한 만족관계 안전의식관계 질문 매우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등급 보통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A1 6 1.4% 13 2.9% 100 22.7% 194 44.0% 128 29.0% 441 100% B2 15 3.4% 10 2.3% 63 14.3% 205 46.5% 148 33.6% 441 100% C4 44 10.0% 101 22.9% 110 24.9% 127 28.8% 59 13.4% 441 100% E2 3 0.7% 14 3.2% 121 27.4% 184 41.7% 119 27.0% 441 100% G4 45 10.2% 120 27.2% 83 18.8% 106 24.0% 87 19.7% 441 100% A2 17 3.9% 36 8.2% 155 35.1% 157 35.6% 76 17.2% 441 100% B3 26 5.9% 59 13.4% 130 29.5% 118 26.8% 108 24.5% 441 100% C3 108 24.5% 83 18.8% 147 33.3% 73 16.6% 30 6.8% 441 100% D5 44 10.0% 82 18.6% 107 24.3% 102 23.1% 106 24.0% 441 100% E1 81 18.4% 132 29.9% 178 40.4% 25 5.7% 25 5.7% 441 100% G2 22 5.0% 17 3.9% 39 8.8% 169 38.3% 194 44.0% 441 100% G3 81 18.4% 116 26.3% 137 31.1% 64 14.5% 43 9.8% 441 100% A3 15 3.4% 38 8.6% 69 15.6% 121 27.4% 198 44.9% 441 100% B4 23 5.2% 37 8.4% 134 30.4% 139 31.5% 108 24.5% 441 100% C2 74 16.8% 79 17.9% 78 17.7% 136 30.8% 74 16.8% 441 100% E3 12 2.7% 18 4.1% 68 15.4% 207 46.9% 136 30.8% 441 100% G1 35 7.9% 44 10.0% 72 16.3% 130 29.5% 160 36.3% 441 100% A4 72 16.3% 72 16.3% 155 35.1% 99 22.4% 43 9.8% 441 100% C1 67 15.2% 39 8.8% 103 23.4% 102 23.1% 130 29.5% 441 100% D3 19 4.3% 22 5.0% 133 30.2% 153 34.7% 114 25.9% 441 100% E4 2 0.5% 5 1.1% 61 13.8% 206 46.7% 167 37.9% 441 100% F4 40 9.1% 40 9.1% 82 18.6% 159 36.1% 120 27.2% 441 100% F5 31 7.0% 92 20.9% 61 13.8% 116 26.3% 141 32.0% 441 100% A5 29 6.6% 24 5.4% 45 10.2% 148 33.6% 195 44.2% 441 100% B1 41 9.3% 59 13.4% 56 12.7% 133 30.2% 152 34.5% 441 100% B5 23 5.2% 78 17.7% 61 13.8% 131 29.7% 148 33.6% 441 100% C5 10 2.3% 21 4.8% 91 20.6% 170 38.5% 149 33.8% 441 100% D1 4 0.9% 10 2.3% 21 4.8% 140 31.7% 266 60.3% 441 100% D2 19 4.3% 21 4.8% 59 13.4% 180 40.8% 162 36.7% 441 100% D4 9 2.0% 10 2.3% 43 9.8% 184 41.7% 195 44.2% 441 100% E5 7 1.6% 17 3.9% 86 19.5% 184 41.7% 147 33.3% 441 100% F1 27 6.1% 43 9.8% 49 11.1% 113 25.6% 209 47.4% 441 100% F2 36 8.2% 114 25.9% 71 16.1% 101 22.9% 119 27.0% 441 100% F3 15 3.4% 66 15.0% 71 16.1% 143 32.4% 146 33.1% 441 100% G5 23 5.2% 16 3.6% 63 14.3% 201 45.6% 138 31.3% 441 100% H1 33 13.3% 36 14.5% 62 25.0% 61 24.6% 56 22.6% 248 100% H2 19 7.7% 24 9.7% 35 14.1% 75 30.2% 95 38.3% 248 100% H3 19 7.7% 16 6.5% 29 11.7% 84 33.9% 100 40.3% 248 100% H4 15 6.0% 50 20.2% 32 12.9% 69 27.8% 82 33.1% 248 100% H5 14 5.6% 13 5.2% 51 20.6% 93 37.5% 77 31.0% 248 100% 총

224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25. 근무년수 (20 년이상) < 부록 표 Ⅲ-25> 근무년수(20 년 이상) 요인 사회성관계 직업 및 수입 관계 건강 및 심리적 관계 현장에 대한 만족관계 안전의식관계 질문 매우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등급 보통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A1 2 2.7% 0 0.0% 14 18.9% 32 43.2% 26 35.1% 74 100% B2 0.0% 3 4.1% 7 9.5% 34 45.9% 30 40.5% 74 100% C4 6 8.1% 6 8.1% 18 24.3% 26 35.1% 18 24.3% 74 100% E2 0.0% 2 2.7% 21 28.4% 30 40.5% 21 28.4% 74 100% G4 9 12.2% 13 17.6% 9 12.2% 20 27.0% 23 31.1% 74 100% A2 3 4.1% 9 12.2% 20 27.0% 35 47.3% 7 9.5% 74 100% B3 7 9.5% 7 9.5% 24 32.4% 19 25.7% 17 23.0% 74 100% C3 13 17.6% 8 10.8% 27 36.5% 16 21.6% 10 13.5% 74 100% D5 8 10.8% 18 24.3% 12 16.2% 21 28.4% 15 20.3% 74 100% E1 16 21.6% 27 36.5% 22 29.7% 4 5.4% 5 6.8% 74 100% G2 4 5.4% 3 4.1% 5 6.8% 23 31.1% 39 52.7% 74 100% G3 13 17.6% 11 14.9% 18 24.3% 12 16.2% 20 27.0% 74 100% A3 4 5.4% 11 14.9% 10 13.5% 20 27.0% 29 39.2% 74 100% B4 2 2.7% 6 8.1% 13 17.6% 33 44.6% 20 27.0% 74 100% C2 19 25.7% 19 25.7% 13 17.6% 10 13.5% 13 17.6% 74 100% E3 4 5.4% 2 2.7% 9 12.2% 33 44.6% 26 35.1% 74 100% G1 8 10.8% 8 10.8% 12 16.2% 15 20.3% 31 41.9% 74 100% A4 9 12.2% 9 12.2% 32 43.2% 18 24.3% 6 8.1% 74 100% C1 3 4.1% 5 6.8% 13 17.6% 23 31.1% 30 40.5% 74 100% D3 2 2.7% 3 4.1% 19 25.7% 25 33.8% 25 33.8% 74 100% E4 0.0% 1 1.4% 4 5.4% 33 44.6% 36 48.6% 74 100% F4 8 10.8% 3 4.1% 9 12.2% 30 40.5% 24 32.4% 74 100% F5 5 6.8% 9 12.2% 5 6.8% 27 36.5% 28 37.8% 74 100% A5 5 6.8% 2 2.7% 11 14.9% 32 43.2% 24 32.4% 74 100% B1 9 12.2% 18 24.3% 6 8.1% 22 29.7% 19 25.7% 74 100% B5 9 12.2% 8 10.8% 10 13.5% 21 28.4% 26 35.1% 74 100% C5 1 1.4% 4 5.4% 8 10.8% 28 37.8% 33 44.6% 74 100% D1 2 2.7% 2 2.7% 1 1.4% 16 21.6% 53 71.6% 74 100% D2 0.0% 2 2.7% 4 5.4% 26 35.1% 42 56.8% 74 100% D4 1 1.4% 2 2.7% 4 5.4% 26 35.1% 41 55.4% 74 100% E5 3 4.1% 4 5.4% 6 8.1% 27 36.5% 34 45.9% 74 100% F1 7 9.5% 7 9.5% 7 9.5% 24 32.4% 29 39.2% 74 100% F2 6 8.1% 17 23.0% 15 20.3% 15 20.3% 21 28.4% 74 100% F3 4 5.4% 1 1.4% 8 10.8% 25 33.8% 36 48.6% 74 100% G5 8 10.8% 4 5.4% 6 8.1% 31 41.9% 25 33.8% 74 100% H1 9 14.1% 8 12.5% 12 18.8% 20 31.3% 15 23.4% 64 100% H2 2 3.1% 4 6.3% 6 9.4% 19 29.7% 33 51.6% 64 100% H3 10 15.6% 7 10.9% 3 4.7% 24 37.5% 20 31.3% 64 100% H4 2 3.1% 12 18.8% 10 15.6% 16 25.0% 24 37.5% 64 100% H5 3 4.7% 0 0.0% 10 15.6% 26 40.6% 25 39.1% 64 100% 총

부록 225 26. 직급( 반장) < 부록 표 Ⅲ-26> 직급( 반장) 요인 사회성관계 직업 및 수입 관계 건강 및 심리적 관계 현장에 대한 만족관계 안전의식관계 질문 매우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등급 보통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A1 4 4.9% 1 1.2% 16 19.5% 36 43.9% 25 30.5% 82 100% B2 5 6.1% 2 2.4% 6 7.3% 32 39.0% 37 45.1% 82 100% C4 12 14.6% 18 22.0% 16 19.5% 18 22.0% 18 22.0% 82 100% E2 0.0% 7 8.5% 19 23.2% 30 36.6% 26 31.7% 82 100% G4 16 19.5% 13 15.9% 17 20.7% 15 18.3% 21 25.6% 82 100% A2 1 1.2% 4 4.9% 29 35.4% 33 40.2% 15 18.3% 82 100% B3 8 9.8% 8 9.8% 21 25.6% 23 28.0% 22 26.8% 82 100% C3 23 28.0% 12 14.6% 29 35.4% 14 17.1% 4 4.9% 82 100% D5 12 14.6% 11 13.4% 21 25.6% 16 19.5% 22 26.8% 82 100% E1 18 22.0% 22 26.8% 32 39.0% 2 2.4% 8 9.8% 82 100% G2 10 12.2% 4 4.9% 5 6.1% 23 28.0% 40 48.8% 82 100% G3 16 19.5% 17 20.7% 23 28.0% 10 12.2% 16 19.5% 82 100% A3 4 4.9% 8 9.8% 17 20.7% 24 29.3% 29 35.4% 82 100% B4 7 8.5% 5 6.1% 20 24.4% 31 37.8% 19 23.2% 82 100% C2 23 28.0% 9 11.0% 13 15.9% 18 22.0% 19 23.2% 82 100% E3 5 6.1% 2 2.4% 11 13.4% 34 41.5% 30 36.6% 82 100% G1 12 14.6% 4 4.9% 7 8.5% 29 35.4% 30 36.6% 82 100% A4 15 18.3% 8 9.8% 30 36.6% 22 26.8% 7 8.5% 82 100% C1 8 9.8% 8 9.8% 11 13.4% 20 24.4% 35 42.7% 82 100% D3 2 2.4% 4 4.9% 18 22.0% 30 36.6% 28 34.1% 82 100% E4 2 2.4% 2 2.4% 6 7.3% 32 39.0% 40 48.8% 82 100% F4 13 15.9% 6 7.3% 16 19.5% 24 29.3% 23 28.0% 82 100% F5 11 13.4% 11 13.4% 3 3.7% 28 34.1% 29 35.4% 82 100% A5 5 6.1% 3 3.7% 9 11.0% 28 34.1% 37 45.1% 82 100% B1 12 14.6% 17 20.7% 8 9.8% 14 17.1% 31 37.8% 82 100% B5 12 14.6% 7 8.5% 9 11.0% 22 26.8% 32 39.0% 82 100% C5 1 1.2% 3 3.7% 14 17.1% 24 29.3% 40 48.8% 82 100% D1 3 3.7% 3 3.7% 2 2.4% 24 29.3% 50 61.0% 82 100% D2 5 6.1% 6 7.3% 10 12.2% 31 37.8% 30 36.6% 82 100% D4 3 3.7% 1 1.2% 5 6.1% 30 36.6% 43 52.4% 82 100% E5 0.0% 2 2.4% 11 13.4% 29 35.4% 40 48.8% 82 100% F1 11 13.4% 6 7.3% 3 3.7% 17 20.7% 45 54.9% 82 100% F2 7 8.5% 16 19.5% 9 11.0% 19 23.2% 31 37.8% 82 100% F3 6 7.3% 6 7.3% 16 19.5% 15 18.3% 39 47.6% 82 100% G5 9 11.0% 7 8.5% 9 11.0% 32 39.0% 25 30.5% 82 100% H1 8 11.4% 14 20.0% 16 22.9% 11 15.7% 21 30.0% 70 100% H2 7 10.0% 8 11.4% 9 12.9% 21 30.0% 25 35.7% 70 100% H3 8 11.4% 5 7.1% 7 10.0% 25 35.7% 25 35.7% 70 100% H4 4 5.7% 15 21.4% 6 8.6% 20 28.6% 25 35.7% 70 100% H5 7 10.0% 4 5.7% 14 20.0% 26 37.1% 19 27.1% 70 100% 총

226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27. 직급( 작업자) < 부록 표 Ⅲ-27> 직급( 작업자) 요인 사회성관계 직업 및 수입 관계 건강 및 심리적 관계 현장에 대한 만족관계 안전의식관계 질문 매우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등급 보통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A1 1 0.3% 7 2.1% 66 20.1% 153 46.5% 102 31.0% 329 100% B2 5 1.5% 8 2.4% 45 13.7% 163 49.5% 108 32.8% 329 100% C4 26 7.9% 68 20.7% 86 26.1% 103 31.3% 46 14.0% 329 100% E2 1 0.3% 8 2.4% 96 29.2% 136 41.3% 88 26.7% 329 100% G4 30 9.1% 91 27.7% 61 18.5% 80 24.3% 67 20.4% 329 100% A2 12 3.6% 35 10.6% 108 32.8% 129 39.2% 45 13.7% 329 100% B3 19 5.8% 44 13.4% 98 29.8% 92 28.0% 76 23.1% 329 100% C3 76 23.1% 59 17.9% 115 35.0% 51 15.5% 28 8.5% 329 100% D5 29 8.8% 72 21.9% 80 24.3% 80 24.3% 68 20.7% 329 100% E1 59 17.9% 108 32.8% 128 38.9% 20 6.1% 14 4.3% 329 100% G2 10 3.0% 10 3.0% 30 9.1% 133 40.4% 146 44.4% 329 100% G3 60 18.2% 79 24.0% 106 32.2% 47 14.3% 37 11.2% 329 100% A3 12 3.6% 31 9.4% 49 14.9% 86 26.1% 151 45.9% 329 100% B4 17 5.2% 28 8.5% 100 30.4% 101 30.7% 83 25.2% 329 100% C2 53 16.1% 72 21.9% 62 18.8% 98 29.8% 44 13.4% 329 100% E3 8 2.4% 12 3.6% 49 14.9% 158 48.0% 102 31.0% 329 100% G1 21 6.4% 38 11.6% 56 17.0% 95 28.9% 119 36.2% 329 100% A4 51 15.5% 45 13.7% 123 37.4% 80 24.3% 30 9.1% 329 100% C1 43 13.1% 23 7.0% 75 22.8% 83 25.2% 105 31.9% 329 100% D3 13 4.0% 16 4.9% 102 31.0% 114 34.7% 84 25.5% 329 100% E4 0.0% 2 0.6% 37 11.2% 165 50.2% 125 38.0% 329 100% F4 24 7.3% 27 8.2% 61 18.5% 123 37.4% 94 28.6% 329 100% F5 20 6.1% 73 22.2% 48 14.6% 84 25.5% 104 31.6% 329 100% A5 21 6.4% 18 5.5% 33 10.0% 126 38.3% 131 39.8% 329 100% B1 29 8.8% 46 14.0% 39 11.9% 111 33.7% 104 31.6% 329 100% B5 12 3.6% 62 18.8% 48 14.6% 102 31.0% 105 31.9% 329 100% C5 6 1.8% 17 5.2% 57 17.3% 135 41.0% 114 34.7% 329 100% D1 2 0.6% 6 1.8% 13 4.0% 100 30.4% 208 63.2% 329 100% D2 12 3.6% 14 4.3% 40 12.2% 133 40.4% 130 39.5% 329 100% D4 3 0.9% 8 2.4% 28 8.5% 140 42.6% 150 45.6% 329 100% E5 4 1.2% 13 4.0% 53 16.1% 142 43.2% 117 35.6% 329 100% F1 17 5.2% 34 10.3% 40 12.2% 89 27.1% 149 45.3% 329 100% F2 27 8.2% 85 25.8% 63 19.1% 73 22.2% 81 24.6% 329 100% F3 8 2.4% 46 14.0% 45 13.7% 119 36.2% 111 33.7% 329 100% G5 18 5.5% 10 3.0% 43 13.1% 156 47.4% 102 31.0% 329 100% H1 26 12.6% 27 13.1% 51 24.8% 59 28.6% 43 20.9% 206 100% H2 11 5.3% 17 8.3% 30 14.6% 63 30.6% 85 41.3% 206 100% H3 16 7.8% 16 7.8% 22 10.7% 71 34.5% 81 39.3% 206 100% H4 9 4.4% 42 20.4% 34 16.5% 52 25.2% 69 33.5% 206 100% H5 9 4.4% 9 4.4% 35 17.0% 81 39.3% 72 35.0% 206 100% 총

부록 227 28. 성별( 남자) < 부록 표 Ⅲ-28> 성별( 남자) 요인 사회성관계 직업 및 수입 관계 건강 및 심리적 관계 현장에 대한 만족관계 안전의식관계 질문 매우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등급 보통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A1 2 4.8% 3 7.1% 10 23.8% 18 42.9% 9 21.4% 42 100% B2 2 4.8% 1 2.4% 6 14.3% 20 47.6% 13 31.0% 42 100% C4 5 11.9% 7 16.7% 11 26.2% 15 35.7% 4 9.5% 42 100% E2 1 2.4% 0 0.0% 10 23.8% 20 47.6% 11 26.2% 42 100% G4 3 7.1% 12 28.6% 7 16.7% 12 28.6% 8 19.0% 42 100% A2 4 9.5% 3 7.1% 10 23.8% 16 38.1% 9 21.4% 42 100% B3 3 7.1% 4 9.5% 12 28.6% 15 35.7% 8 19.0% 42 100% C3 11 26.2% 6 14.3% 14 33.3% 9 21.4% 2 4.8% 42 100% D5 5 11.9% 8 19.0% 4 9.5% 11 26.2% 14 33.3% 42 100% E1 8 19.0% 12 28.6% 15 35.7% 3 7.1% 4 9.5% 42 100% G2 3 7.1% 1 2.4% 5 11.9% 12 28.6% 21 50.0% 42 100% G3 12 28.6% 6 14.3% 13 31.0% 8 19.0% 3 7.1% 42 100% A3 2 4.8% 1 2.4% 4 9.5% 15 35.7% 20 47.6% 42 100% B4 1 2.4% 0 0.0% 10 23.8% 16 38.1% 15 35.7% 42 100% C2 4 9.5% 10 23.8% 5 11.9% 13 31.0% 10 23.8% 42 100% E3 2 4.8% 1 2.4% 9 21.4% 18 42.9% 12 28.6% 42 100% G1 2 4.8% 5 11.9% 9 21.4% 12 28.6% 14 33.3% 42 100% A4 5 11.9% 10 23.8% 16 38.1% 4 9.5% 7 16.7% 42 100% C1 3 7.1% 2 4.8% 16 38.1% 13 31.0% 8 19.0% 42 100% D3 4 9.5% 0 0.0% 11 26.2% 17 40.5% 10 23.8% 42 100% E4 0.0% 0 0.0% 6 14.3% 20 47.6% 16 38.1% 42 100% F4 2 4.8% 3 7.1% 8 19.0% 16 38.1% 13 31.0% 42 100% F5 3 7.1% 9 21.4% 8 19.0% 12 28.6% 10 23.8% 42 100% A5 3 7.1% 3 7.1% 5 11.9% 10 23.8% 21 50.0% 42 100% B1 1 2.4% 2 4.8% 8 19.0% 14 33.3% 17 40.5% 42 100% B5 3 7.1% 7 16.7% 5 11.9% 14 33.3% 13 31.0% 42 100% C5 1 2.4% 1 2.4% 9 21.4% 22 52.4% 9 21.4% 42 100% D1 0.0% 1 2.4% 3 7.1% 11 26.2% 27 64.3% 42 100% D2 1 2.4% 1 2.4% 8 19.0% 15 35.7% 17 40.5% 42 100% D4 3 7.1% 0 0.0% 3 7.1% 17 40.5% 19 45.2% 42 100% E5 3 7.1% 2 4.8% 10 23.8% 18 42.9% 9 21.4% 42 100% F1 1 2.4% 2 4.8% 2 4.8% 16 38.1% 21 50.0% 42 100% F2 5 11.9% 11 26.2% 8 19.0% 10 23.8% 8 19.0% 42 100% F3 0.0% 5 11.9% 10 23.8% 15 35.7% 12 28.6% 42 100% G5 2 4.8% 0 0.0% 11 26.2% 15 35.7% 14 33.3% 42 100% H1 3 13.0% 2 8.7% 6 26.1% 9 39.1% 3 13.0% 23 100% H2 1 4.3% 1 4.3% 1 4.3% 8 34.8% 12 52.2% 23 100% H3 2 8.7% 0 0.0% 2 8.7% 10 43.5% 9 39.1% 23 100% H4 2 8.7% 0 0.0% 2 8.7% 11 47.8% 8 34.8% 23 100% H5 1 4.3% 0 0.0% 10 43.5% 8 34.8% 4 17.4% 23 100% 총

228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29. 성별( 여자) < 부록 표 Ⅲ-29> 성별( 여자) 요인 사회성관계 직업 및 수입 관계 건강 및 심리적 관계 현장에 대한 만족관계 안전의식관계 질문 매우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등급 보통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A1 0.0% 2 5.3% 13 34.2% 14 36.8% 9 23.7% 38 100% B2 1 2.6% 1 2.6% 9 23.7% 17 44.7% 10 26.3% 38 100% C4 2 5.3% 11 28.9% 10 26.3% 11 28.9% 4 10.5% 38 100% E2 0.0% 1 2.6% 11 28.9% 20 52.6% 6 15.8% 38 100% G4 1 2.6% 11 28.9% 6 15.8% 13 34.2% 7 18.4% 38 100% A2 1 2.6% 1 2.6% 20 52.6% 7 18.4% 9 23.7% 38 100% B3 1 2.6% 3 7.9% 19 50.0% 2 5.3% 13 34.2% 38 100% C3 7 18.4% 9 23.7% 11 28.9% 8 21.1% 3 7.9% 38 100% D5 1 2.6% 6 15.8% 11 28.9% 10 26.3% 10 26.3% 38 100% E1 7 18.4% 11 28.9% 19 50.0% 0 0.0% 1 2.6% 38 100% G2 2 5.3% 4 10.5% 2 5.3% 19 50.0% 11 28.9% 38 100% G3 2 5.3% 18 47.4% 8 21.1% 6 15.8% 4 10.5% 38 100% A3 0.0% 4 10.5% 7 18.4% 9 23.7% 18 47.4% 38 100% B4 0.0% 5 13.2% 13 34.2% 15 39.5% 5 13.2% 38 100% C2 6 15.8% 3 7.9% 7 18.4% 13 34.2% 9 23.7% 38 100% E3 0.0% 3 7.9% 7 18.4% 17 44.7% 11 28.9% 38 100% G1 4 10.5% 2 5.3% 10 26.3% 5 13.2% 17 44.7% 38 100% A4 6 15.8% 12 31.6% 13 34.2% 5 13.2% 2 5.3% 38 100% C1 10 26.3% 8 21.1% 11 28.9% 4 10.5% 5 13.2% 38 100% D3 1 2.6% 4 10.5% 13 34.2% 12 31.6% 8 21.1% 38 100% E4 0.0% 1 2.6% 11 28.9% 15 39.5% 11 28.9% 38 100% F4 2 5.3% 5 13.2% 4 10.5% 19 50.0% 8 21.1% 38 100% F5 0.0% 5 13.2% 4 10.5% 13 34.2% 16 42.1% 38 100% A5 0.0% 2 5.3% 5 13.2% 11 28.9% 20 52.6% 38 100% B1 3 7.9% 8 21.1% 6 15.8% 9 23.7% 12 31.6% 38 100% B5 4 10.5% 8 21.1% 4 10.5% 9 23.7% 13 34.2% 38 100% C5 1 2.6% 2 5.3% 16 42.1% 11 28.9% 8 21.1% 38 100% D1 1 2.6% 1 2.6% 2 5.3% 17 44.7% 17 44.7% 38 100% D2 0.0% 2 5.3% 4 10.5% 20 52.6% 12 31.6% 38 100% D4 1 2.6% 2 5.3% 8 21.1% 17 44.7% 10 26.3% 38 100% E5 2 5.3% 2 5.3% 15 39.5% 15 39.5% 4 10.5% 38 100% F1 2 5.3% 5 13.2% 9 23.7% 11 28.9% 11 28.9% 38 100% F2 2 5.3% 12 31.6% 4 10.5% 7 18.4% 13 34.2% 38 100% F3 3 7.9% 9 23.7% 6 15.8% 9 23.7% 11 28.9% 38 100% G5 1 2.6% 1 2.6% 5 13.2% 20 52.6% 11 28.9% 38 100% J1 4 10.5% 3 7.9% 2 5.3% 9 23.7% 20 52.6% 38 100% J2 2 5.3% 4 10.5% 5 13.2% 13 34.2% 14 36.8% 38 100% J3 1 2.6% 10 26.3% 6 15.8% 13 34.2% 8 21.1% 38 100% J4 2 5.3% 10 26.3% 7 18.4% 12 31.6% 7 18.4% 38 100% J5 2 5.3% 3 7.9% 7 18.4% 13 34.2% 13 34.2% 38 100% 총

부록 229 30. 국가( 한국) < 부록 표 Ⅲ-30> 국가( 한국) 요인 사회성관 계 직업 및 수입 관계 건강 및 심리적 관 계 현장에 대 한 만족관 계 안전의식 관계 질문 매우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등급 보통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A1 2 / 3.4 % 3 / 5.1 % 11 / 18.6 % 26 / 44.1 % 17 / 28.8 % 59 / 100 % B2 1 / 1.7 % 1 / 1.7 % 5 / 8.5 % 35 59.3 % 17 28.8 % 59 100 % C4 7 11.9 % 10 16.9 % 14 23.7 % 19 32.2 % 9 15.3 % 59 100 % E2 1 1.7 % 3 5.1 % 19 32.2 % 24 40.7 % 12 20.3 % 59 100 % G4 5 8.5 % 15 25.4 % 13 22.0 % 14 23.7 % 12 20.3 % 59 100 % A2 0.0 % 6 10.2 % 25 42.4 % 20 33.9 % 8 13.6 % 59 100 % B3 3 5.1 % 2 3.4 % 19 32.2 % 17 28.8 % 18 30.5 % 59 100 % C3 16 27.1 % 13 22.0 % 23 39.0 % 7 11.9 % 0 0.0 % 59 100 % D5 4 6.8 % 10 16.9 % 17 28.8 % 13 22.0 % 15 25.4 % 59 100 % E1 7 11.9 % 21 35.6 % 23 39.0 % 5 8.5 % 3 5.1 % 59 100 % G2 4 6.8 % 5 8.5 % 2 3.4 % 24 40.7 % 24 40.7 % 59 100 % G3 8 13.6 % 21 35.6 % 22 37.3 % 4 6.8 % 4 6.8 % 59 100 % A3 1 1.7 % 4 6.8 % 5 8.5 % 22 37.3 % 27 45.8 % 59 100 % B4 2 3.4 % 9 15.3 % 10 16.9 % 26 44.1 % 12 20.3 % 59 100 % C2 14 23.7 % 9 15.3 % 4 6.8 % 22 37.3 % 10 16.9 % 59 100 % E3 2 3.4 % 3 5.1 % 6 10.2 % 32 54.2 % 16 27.1 % 59 100 % G1 4 6.8 % 5 8.5 % 9 15.3 % 16 27.1 % 25 42.4 % 59 100 % A4 10 16.9 % 10 16.9 % 19 32.2 % 16 27.1 % 4 6.8 % 59 100 % C1 9 15.3 % 8 13.6 % 13 22.0 % 13 22.0 % 16 27.1 % 59 100 % D3 1 1.7 % 4 6.8 % 18 30.5 % 28 47.5 % 8 13.6 % 59 100 % E4 1 1.7 % 2 3.4 % 3 5.1 % 34 57.6 % 19 32.2 % 59 100 % F4 4 6.8 % 5 8.5 % 12 20.3 % 27 45.8 % 11 18.6 % 59 100 % F5 4 6.8 % 11 18.6 % 6 10.2 % 22 37.3 % 16 27.1 % 59 100 % A5 4 6.8 % 4 6.8 % 8 13.6 % 20 33.9 % 23 39.0 % 59 100 % B1 5 8.5 % 15 25.4 % 8 13.6 % 14 23.7 % 17 28.8 % 59 100 % B5 4 6.8 % 11 18.6 % 4 6.8 % 19 32.2 % 21 35.6 % 59 100 % C5 0.0 % 3 5.1 % 15 25.4 % 21 35.6 % 20 33.9 % 59 100 % D1 0.0 % 2 3.4 % 0 0.0 % 28 47.5 % 29 49.2 % 59 100 % D2 3 5.1 % 2 3.4 % 6 10.2 % 32 54.2 % 16 27.1 % 59 100 % D4 0.0 % 3 5.1 % 3 5.1 % 32 54.2 % 21 35.6 % 59 100 % E5 0.0 % 3 5.1 % 11 18.6 % 24 40.7 % 21 35.6 % 59 100 % F1 2 3.4 % 4 6.8 % 11 18.6 % 17 28.8 % 25 42.4 % 59 100 % F2 2 3.4 % 15 25.4 % 9 15.3 % 13 22.0 % 20 33.9 % 59 100 % F3 2 3.4 % 10 16.9 % 7 11.9 % 23 39.0 % 17 28.8 % 59 100 % G5 2 3.4 % 5 8.5 % 7 11.9 % 31 52.5 % 14 23.7 % 59 100 % H1 3 8.8 % 3 8.8 % 14 41.2 % 8 23.5 % 6 17.6 % 34 100 % H2 4 11.8 % 2 5.9 % 4 11.8 % 13 38.2 % 11 32.4 % 34 100 % H3 1 2.9 % 1 2.9 % 6 17.6 % 12 35.3 % 14 41.2 % 34 100 % H4 1 2.9 % 8 23.5 % 5 14.7 % 10 29.4 % 10 29.4 % 34 100 % H5 2 5.9 % 2 5.9 % 5 14.7 % 18 52.9 % 7 20.6 % 34 100 % 총

230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31. 국가( 중국) < 부록 표 Ⅲ-31> 국가( 중국) 요인 사회성관 계 직업 및 수입 관계 건강 및 심리적 관 계 현장에 대 한 만족관 계 안전의식 관계 질문 매우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등급 보통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A1 0.0 % 3 3.6 % 14 16.7 % 38 45.2 % 29 34.5 % 84 100 % B2 0.0 % 2 2.4 % 5 6.0 % 41 48.8 % 36 42.9 % 84 100 % C4 6 7.1 % 14 16.7 % 19 22.6 % 27 32.1 % 18 21.4 % 84 100 % E2 0.0 % 1 1.2 % 16 19.0 % 37 44.0 % 30 35.7 % 84 100 % G4 10 11.9 % 28 33.3 % 15 17.9 % 18 21.4 % 13 15.5 % 84 100 % A2 0.0 % 4 4.8 % 22 26.2 % 39 46.4 % 19 22.6 % 84 100 % B3 4 4.8 % 5 6.0 % 16 19.0 % 32 38.1 % 27 32.1 % 84 100 % C3 15 17.9 % 15 17.9 % 30 35.7 % 17 20.2 % 7 8.3 % 84 100 % D5 6 7.1 % 15 17.9 % 11 13.1 % 25 29.8 % 27 32.1 % 84 100 % E1 15 17.9 % 28 33.3 % 33 39.3 % 5 6.0 % 3 3.6 % 84 100 % G2 3 3.6 % 2 2.4 % 5 6.0 % 31 36.9 % 43 51.2 % 84 100 % G3 6 7.1 % 27 32.1 % 29 34.5 % 12 14.3 % 10 11.9 % 84 100 % A3 5 6.0 % 10 11.9 % 7 8.3 % 21 25.0 % 41 48.8 % 84 100 % B4 0.0 % 6 7.1 % 15 17.9 % 32 38.1 % 31 36.9 % 84 100 % C2 14 16.7 % 11 13.1 % 13 15.5 % 31 36.9 % 15 17.9 % 84 100 % E3 4 4.8 % 3 3.6 % 6 7.1 % 42 50.0 % 29 34.5 % 84 100 % G1 7 8.3 % 8 9.5 % 11 13.1 % 21 25.0 % 37 44.0 % 84 100 % A4 10 11.9 % 10 11.9 % 30 35.7 % 21 25.0 % 13 15.5 % 84 100 % C1 8 9.5 % 7 8.3 % 27 32.1 % 20 23.8 % 22 26.2 % 84 100 % D3 2 2.4 % 2 2.4 % 20 23.8 % 31 36.9 % 29 34.5 % 84 100 % E4 0.0 % 0 0.0 % 3 3.6 % 38 45.2 % 43 51.2 % 84 100 % F4 5 6.0 % 4 4.8 % 16 19.0 % 31 36.9 % 28 33.3 % 84 100 % F5 7 8.3 % 20 23.8 % 16 19.0 % 21 25.0 % 20 23.8 % 84 100 % A5 2 2.4 % 6 7.1 % 4 4.8 % 29 34.5 % 43 51.2 % 84 100 % B1 7 8.3 % 11 13.1 % 12 14.3 % 22 26.2 % 32 38.1 % 84 100 % B5 6 7.1 % 12 14.3 % 11 13.1 % 25 29.8 % 30 35.7 % 84 100 % C5 1 1.2 % 1 1.2 % 14 16.7 % 39 46.4 % 29 34.5 % 84 100 % D1 0.0 % 1 1.2 % 4 4.8 % 16 19.0 % 63 75.0 % 84 100 % D2 2 2.4 % 1 1.2 % 9 10.7 % 34 40.5 % 38 45.2 % 84 100 % D4 3 3.6 % 0 0.0 % 4 4.8 % 36 42.9 % 41 48.8 % 84 100 % E5 0.0 % 2 2.4 % 16 19.0 % 34 40.5 % 32 38.1 % 84 100 % F1 7 8.3 % 6 7.1 % 5 6.0 % 23 27.4 % 43 51.2 % 84 100 % F2 4 4.8 % 22 26.2 % 13 15.5 % 23 27.4 % 22 26.2 % 84 100 % F3 3 3.6 % 10 11.9 % 15 17.9 % 28 33.3 % 28 33.3 % 84 100 % G5 2 2.4 % 1 1.2 % 7 8.3 % 42 50.0 % 32 38.1 % 84 100 % H1 5 12.5 % 5 12.5 % 7 17.5 % 11 27.5 % 12 30.0 % 40 100 % H2 1 2.5 % 3 7.5 % 5 12.5 % 14 35.0 % 17 42.5 % 40 100 % H3 2 5.0 % 0 0.0 % 4 10.0 % 15 37.5 % 19 47.5 % 40 100 % H4 6 15.0 % 7 17.5 % 4 10.0 % 13 32.5 % 10 25.0 % 40 100 % H5 1 2.5 % 0 0.0 % 5 12.5 % 19 47.5 % 15 37.5 % 40 100 % 총

부록 231 32. 학력( 무학) < 부록 표 Ⅲ-32> 학력( 무학) 요인 사회성관계 직업 및 수입 관계 건강 및 심리적 관계 현장에 대한 만족관계 안전의식관 계 질문 매우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등급 보통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A1 8 1.9 % 10 2.3 % 100 23.2 % 188 43.6 % 125 29.0 % 431 B2 15 3.5 % 11 2.6 % 65 15.1 % 198 45.9 % 142 32.9 % 431 100 % C4 44 10.2 % 93 21.6 % 109 25.3 % 126 29.2 % 59 13.7 % 431 100 % E2 3 0.7 % 15 3.5 % 126 29.2 % 177 41.1 % 110 25.5 % 431 100 % G4 44 10.2 % 105 24.4 % 77 17.9 % 108 25.1 % 97 22.5 % 431 100 % A2 20 4.6 % 41 9.5 % 153 35.5 % 153 35.5 % 64 14.8 % 431 100 % B3 29 6.7 % 61 14.2 % 138 32.0 % 105 24.4 % 98 22.7 % 431 100 % C3 106 24.6 % 76 17.6 % 144 33.4 % 72 16.7 % 33 7.7 % 431 100 % D5 46 10.7 % 85 19.7 % 108 25.1 % 98 22.7 % 94 21.8 % 431 100 % E1 82 19.0 % 131 30.4 % 167 38.7 % 24 5.6 % 27 6.3 % 431 100 % G2 23 5.3 % 18 4.2 % 39 9.0 % 161 37.4 % 190 44.1 % 431 100 % G3 88 20.4 % 100 23.2 % 126 29.2 % 64 14.8 % 53 12.3 % 431 100 % A3 14 3.2 % 39 9.0 % 72 16.7 % 120 27.8 % 186 43.2 % 431 100 % B4 25 5.8 % 37 8.6 % 132 30.6 % 140 32.5 % 97 22.5 % 431 100 % C2 79 18.3 % 87 20.2 % 78 18.1 % 115 26.7 % 72 16.7 % 431 100 % E3 12 2.8 % 17 3.9 % 71 16.5 % 198 45.9 % 133 30.9 % 431 100 % G1 36 8.4 % 44 10.2 % 73 16.9 % 124 28.8 % 154 35.7 % 431 100 % A4 71 16.5 % 71 16.5 % 157 36.4 % 96 22.3 % 36 8.4 % 431 100 % C1 62 14.4 % 37 8.6 % 89 20.6 % 105 24.4 % 138 32.0 % 431 100 % D3 19 4.4 % 23 5.3 % 132 30.6 % 147 34.1 % 110 25.5 % 431 100 % E4 2 0.5 % 6 1.4 % 62 14.4 % 201 46.6 % 160 37.1 % 431 100 % F4 43 10.0 % 39 9.0 % 75 17.4 % 158 36.7 % 116 26.9 % 431 100 % F5 29 6.7 % 81 18.8 % 50 11.6 % 122 28.3 % 149 34.6 % 431 100 % A5 32 7.4 % 20 4.6 % 52 12.1 % 151 35.0 % 176 40.8 % 431 100 % B1 43 10.0 % 66 15.3 % 50 11.6 % 133 30.9 % 139 32.3 % 431 100 % B5 26 6.0 % 74 17.2 % 60 13.9 % 127 29.5 % 144 33.4 % 431 100 % C5 10 2.3 % 24 5.6 % 85 19.7 % 159 36.9 % 153 35.5 % 431 100 % D1 6 1.4 % 11 2.6 % 18 4.2 % 140 32.5 % 256 59.4 % 431 100 % D2 17 3.9 % 22 5.1 % 54 12.5 % 172 39.9 % 166 38.5 % 431 100 % D4 7 1.6 % 12 2.8 % 43 10.0 % 174 40.4 % 195 45.2 % 431 100 % E5 10 2.3 % 19 4.4 % 76 17.6 % 177 41.1 % 149 34.6 % 431 100 % F1 27 6.3 % 44 10.2 % 51 11.8 % 114 26.5 % 195 45.2 % 431 100 % F2 38 8.8 % 109 25.3 % 73 16.9 % 93 21.6 % 118 27.4 % 431 100 % F3 16 3.7 % 57 13.2 % 64 14.8 % 140 32.5 % 154 35.7 % 431 100 % G5 29 6.7 % 19 4.4 % 62 14.4 % 190 44.1 % 131 30.4 % 431 100 % H1 37 13.6 % 39 14.3 % 67 24.6 % 70 25.7 % 59 21.7 % 272 100 % H2 20 7.4 % 25 9.2 % 36 13.2 % 80 29.4 % 111 40.8 % 272 100 % H3 27 9.9 % 23 8.5 % 28 10.3 % 93 34.2 % 101 37.1 % 272 100 % H4 11 4.0 % 55 20.2 % 38 14.0 % 72 26.5 % 96 35.3 % 272 100 % H5 16 5.9 % 13 4.8 % 56 20.6 % 100 36.8 % 87 32.0 % 272 100 % 총

232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33. 학력( 초졸) < 부록 표 Ⅲ-33> 학력( 초졸) 요인 사회성관계 직업 및 수입 관계 건강 및 심리적 관 계 현장에 대 한 만족관계 안전의식관 계 질문 매우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등급 보통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A1 7 1.4 % 13 2.6 % 112 22.3 % 220 43.8 % 150 29.9 % 502 100 % B2 14 2.8 % 11 2.2 % 69 13.7 % 234 46.6 % 174 34.7 % 502 100 % C4 48 9.6 % 103 20.5 % 126 25.1 % 148 29.5 % 77 15.3 % 502 100 % E2 3 0.6 % 14 2.8 % 141 28.1 % 209 41.6 % 135 26.9 % 502 100 % G4 53 10.6 % 131 26.1 % 91 18.1 % 120 23.9 % 107 21.3 % 502 100 % A2 20 4.0 % 44 8.8 % 174 34.7 % 185 36.9 % 79 15.7 % 502 100 % B3 32 6.4 % 63 12.5 % 152 30.3 % 133 26.5 % 122 24.3 % 502 100 % C3 117 23.3 % 90 17.9 % 172 34.3 % 85 16.9 % 38 7.6 % 502 100 % D5 51 10.2 % 98 19.5 % 118 23.5 % 119 23.7 % 116 23.1 % 502 100 % E1 94 18.7 % 157 31.3 % 194 38.6 % 29 5.8 % 28 5.6 % 502 100 % G2 24 4.8 % 19 3.8 % 43 8.6 % 187 37.3 % 229 45.6 % 502 100 % G3 93 18.5 % 125 24.9 % 151 30.1 % 72 14.3 % 61 12.2 % 502 100 % A3 17 3.4 % 46 9.2 % 75 14.9 % 140 27.9 % 224 44.6 % 502 100 % B4 24 4.8 % 42 8.4 % 145 28.9 % 166 33.1 % 125 24.9 % 502 100 % C2 89 17.7 % 94 18.7 % 90 17.9 % 143 28.5 % 86 17.1 % 502 100 % E3 16 3.2 % 19 3.8 % 75 14.9 % 233 46.4 % 159 31.7 % 502 100 % G1 42 8.4 % 49 9.8 % 83 16.5 % 140 27.9 % 188 37.5 % 502 100 % A4 80 15.9 % 79 15.7 % 183 36.5 % 113 22.5 % 47 9.4 % 502 100 % C1 69 13.7 % 41 8.2 % 114 22.7 % 122 24.3 % 156 31.1 % 502 100 % D3 21 4.2 % 24 4.8 % 149 29.7 % 174 34.7 % 134 26.7 % 502 100 % E4 1 0.2 % 5 1.0 % 65 12.9 % 233 46.4 % 198 39.4 % 502 100 % F4 46 9.2 % 42 8.4 % 89 17.7 % 185 36.9 % 140 27.9 % 502 100 % F5 35 7.0 % 99 19.7 % 66 13.1 % 137 27.3 % 165 32.9 % 502 100 % A5 32 6.4 % 26 5.2 % 56 11.2 % 178 35.5 % 210 41.8 % 502 100 % B1 50 10.0 % 73 14.5 % 61 12.2 % 152 30.3 % 166 33.1 % 502 100 % B5 32 6.4 % 84 16.7 % 69 13.7 % 148 29.5 % 169 33.7 % 502 100 % C5 10 2.0 % 25 5.0 % 98 19.5 % 193 38.4 % 176 35.1 % 502 100 % D1 5 1.0 % 11 2.2 % 22 4.4 % 154 30.7 % 310 61.8 % 502 100 % D2 19 3.8 % 20 4.0 % 63 12.5 % 202 40.2 % 198 39.4 % 502 100 % D4 9 1.8 % 12 2.4 % 47 9.4 % 207 41.2 % 227 45.2 % 502 100 % E5 10 2.0 % 21 4.2 % 92 18.3 % 206 41.0 % 173 34.5 % 502 100 % F1 33 6.6 % 49 9.8 % 55 11.0 % 134 26.7 % 231 46.0 % 502 100 % F2 41 8.2 % 127 25.3 % 85 16.9 % 114 22.7 % 135 26.9 % 502 100 % F3 18 3.6 % 67 13.3 % 78 15.5 % 163 32.5 % 176 35.1 % 502 100 % G5 29 5.8 % 17 3.4 % 68 13.5 % 227 45.2 % 161 32.1 % 502 100 % H1 42 13.8 % 42 13.8 % 74 24.3 % 76 24.9 % 71 23.3 % 305 100 % H2 19 6.2 % 27 8.9 % 40 13.1 % 93 30.5 % 126 41.3 % 305 100 % H3 29 9.5 % 23 7.5 % 32 10.5 % 104 34.1 % 117 38.4 % 305 100 % H4 17 5.6 % 62 20.3 % 42 13.8 % 80 26.2 % 104 34.1 % 305 100 % H5 16 5.2 % 12 3.9 % 60 19.7 % 117 38.4 % 100 32.8 % 305 100 % 총

부록 233 34. 학력( 중졸) < 부록 표 Ⅲ-34> 학력( 중졸) 요인 사회성관계 직업 및 수입 관계 건강 및 심리적 관계 현장에 대한 만족관계 안전의식관 계 질문 매우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등급 보통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A1 1 7.7 % 0 0.0 % 2 15.4 % 6 46.2 % 4 30.8 % 13 100 % B2 1 7.7 % 2 15.4 % 1 7.7 % 5 38.5 % 4 30.8 % 13 100 % C4 2 15.4 % 4 30.8 % 2 15.4 % 5 38.5 % 0 0.0 % 13 100 % E2 0.0 % 2 15.4 % 1 7.7 % 5 38.5 % 5 38.5 % 13 100 % G4 1 7.7 % 2 15.4 % 1 7.7 % 6 46.2 % 3 23.1 % 13 100 % A2 0.0 % 1 7.7 % 1 7.7 % 7 53.8 % 4 30.8 % 13 100 % B3 1 7.7 % 3 23.1 % 2 15.4 % 4 30.8 % 3 23.1 % 13 100 % C3 4 30.8 % 1 7.7 % 2 15.4 % 4 30.8 % 2 15.4 % 13 100 % D5 1 7.7 % 2 15.4 % 1 7.7 % 4 30.8 % 5 38.5 % 13 100 % E1 3 23.1 % 2 15.4 % 6 46.2 % 0 0.0 % 2 15.4 % 13 100 % G2 2 15.4 % 1 7.7 % 1 7.7 % 5 38.5 % 4 30.8 % 13 100 % G3 1 7.7 % 2 15.4 % 4 30.8 % 4 30.8 % 2 15.4 % 13 100 % A3 2 15.4 % 3 23.1 % 4 30.8 % 1 7.7 % 3 23.1 % 13 100 % B4 1 7.7 % 1 7.7 % 2 15.4 % 6 46.2 % 3 23.1 % 13 100 % C2 4 30.8 % 4 30.8 % 1 7.7 % 3 23.1 % 1 7.7 % 13 100 % E3 0.0 % 1 7.7 % 2 15.4 % 7 53.8 % 3 23.1 % 13 100 % G1 1 7.7 % 3 23.1 % 1 7.7 % 5 38.5 % 3 23.1 % 13 100 % A4 1 7.7 % 2 15.4 % 4 30.8 % 4 30.8 % 2 15.4 % 13 100 % C1 1 7.7 % 3 23.1 % 2 15.4 % 3 23.1 % 4 30.8 % 13 100 % D3 0.0 % 1 7.7 % 3 23.1 % 4 30.8 % 5 38.5 % 13 100 % E4 1 7.7 % 1 7.7 % 0 0.0 % 6 46.2 % 5 38.5 % 13 100 % F4 2 15.4 % 1 7.7 % 2 15.4 % 4 30.8 % 4 30.8 % 13 100 % F5 1 7.7 % 2 15.4 % 0 0.0 % 6 46.2 % 4 30.8 % 13 100 % A5 2 15.4 % 0 0.0 % 0 0.0 % 2 15.4 % 9 69.2 % 13 100 % B1 0.0 % 4 30.8 % 1 7.7 % 3 23.1 % 5 38.5 % 13 100 % B5 0.0 % 2 15.4 % 2 15.4 % 4 30.8 % 5 38.5 % 13 100 % C5 1 7.7 % 0 0.0 % 1 7.7 % 5 38.5 % 6 46.2 % 13 100 % D1 1 7.7 % 1 7.7 % 0 0.0 % 2 15.4 % 9 69.2 % 13 100 % D2 0.0 % 3 23.1 % 0 0.0 % 4 30.8 % 6 46.2 % 13 100 % D4 1 7.7 % 0 0.0 % 0 0.0 % 3 23.1 % 9 69.2 % 13 100 % E5 0.0 % 0 0.0 % 0 0.0 % 5 38.5 % 8 61.5 % 13 100 % F1 1 7.7 % 1 7.7 % 1 7.7 % 3 23.1 % 7 53.8 % 13 100 % F2 1 7.7 % 4 30.8 % 1 7.7 % 2 15.4 % 5 38.5 % 13 100 % F3 1 7.7 % 0 0.0 % 1 7.7 % 5 38.5 % 6 46.2 % 13 100 % G5 2 15.4 % 3 23.1 % 1 7.7 % 5 38.5 % 2 15.4 % 13 100 % H1 0.0 % 2 28.6 % 0 0.0 % 5 71.4 % 0 0.0 % 7 100 % H2 2 28.6 % 1 14.3 % 1 14.3 % 1 14.3 % 2 28.6 % 7 100 % H3 0.0 % 0 0.0 % 0 0.0 % 4 57.1 % 3 42.9 % 7 100 % H4 0.0 % 0 0.0 % 0 0.0 % 5 71.4 % 2 28.6 % 7 100 % H5 1 14.3 % 1 14.3 % 1 14.3 % 2 28.6 % 2 28.6 % 7 100 % 총

234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35. 학력( 고졸) < 부록 표 Ⅲ-35> 학력( 고졸) 요인 사회성관계 직업 및 수입 관계 건강 및 심리적 관계 현장에 대한 만족관계 안전의식관 계 질문 매우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등급 보통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A1 6 1.4 % 13 2.9 % 100 22.7 % 194 44.0 % 128 29.0 % 441 100 % B2 15 3.4 % 10 2.3 % 63 14.3 % 205 46.5 % 148 33.6 % 441 100 % C4 44 10.0 % 101 22.9 % 110 24.9 % 127 28.8 % 59 13.4 % 441 100 % E2 3 0.7 % 14 3.2 % 121 27.4 % 184 41.7 % 119 27.0 % 441 100 % G4 45 10.2 % 120 27.2 % 83 18.8 % 106 24.0 % 87 19.7 % 441 100 % A2 17 3.9 % 36 8.2 % 155 35.1 % 157 35.6 % 76 17.2 % 441 100 % B3 26 5.9 % 59 13.4 % 130 29.5 % 118 26.8 % 108 24.5 % 441 100 % C3 108 24.5 % 83 18.8 % 147 33.3 % 73 16.6 % 30 6.8 % 441 100 % D5 44 10.0 % 82 18.6 % 107 24.3 % 102 23.1 % 106 24.0 % 441 100 % E1 81 18.4 % 132 29.9 % 178 40.4 % 25 5.7 % 25 5.7 % 441 100 % G2 22 5.0 % 17 3.9 % 39 8.8 % 169 38.3 % 194 44.0 % 441 100 % G3 81 18.4 % 116 26.3 % 137 31.1 % 64 14.5 % 43 9.8 % 441 100 % A3 15 3.4 % 38 8.6 % 69 15.6 % 121 27.4 % 198 44.9 % 441 100 % B4 23 5.2 % 37 8.4 % 134 30.4 % 139 31.5 % 108 24.5 % 441 100 % C2 74 16.8 % 79 17.9 % 78 17.7 % 136 30.8 % 74 16.8 % 441 100 % E3 12 2.7 % 18 4.1 % 68 15.4 % 207 46.9 % 136 30.8 % 441 100 % G1 35 7.9 % 44 10.0 % 72 16.3 % 130 29.5 % 160 36.3 % 441 100 % A4 72 16.3 % 72 16.3 % 155 35.1 % 99 22.4 % 43 9.8 % 441 100 % C1 67 15.2 % 39 8.8 % 103 23.4 % 102 23.1 % 130 29.5 % 441 100 % D3 19 4.3 % 22 5.0 % 133 30.2 % 153 34.7 % 114 25.9 % 441 100 % E4 2 0.5 % 5 1.1 % 61 13.8 % 206 46.7 % 167 37.9 % 441 100 % F4 40 9.1 % 40 9.1 % 82 18.6 % 159 36.1 % 120 27.2 % 441 100 % F5 31 7.0 % 92 20.9 % 61 13.8 % 116 26.3 % 141 32.0 % 441 100 % A5 29 6.6 % 24 5.4 % 45 10.2 % 148 33.6 % 195 44.2 % 441 100 % B1 41 9.3 % 59 13.4 % 56 12.7 % 133 30.2 % 152 34.5 % 441 100 % B5 23 5.2 % 78 17.7 % 61 13.8 % 131 29.7 % 148 33.6 % 441 100 % C5 10 2.3 % 21 4.8 % 91 20.6 % 170 38.5 % 149 33.8 % 441 100 % D1 4 0.9 % 10 2.3 % 21 4.8 % 140 31.7 % 266 60.3 % 441 100 % D2 19 4.3 % 21 4.8 % 59 13.4 % 180 40.8 % 162 36.7 % 441 100 % D4 9 2.0 % 10 2.3 % 43 9.8 % 184 41.7 % 195 44.2 % 441 100 % E5 7 1.6 % 17 3.9 % 86 19.5 % 184 41.7 % 147 33.3 % 441 100 % F1 27 6.1 % 43 9.8 % 49 11.1 % 113 25.6 % 209 47.4 % 441 100 % F2 36 8.2 % 114 25.9 % 71 16.1 % 101 22.9 % 119 27.0 % 441 100 % F3 15 3.4 % 66 15.0 % 71 16.1 % 143 32.4 % 146 33.1 % 441 100 % G5 23 5.2 % 16 3.6 % 63 14.3 % 201 45.6 % 138 31.3 % 441 100 % H1 33 13.3 % 36 14.5 % 62 25.0 % 61 24.6 % 56 22.6 % 248 100 % H2 19 7.7 % 24 9.7 % 35 14.1 % 75 30.2 % 95 38.3 % 248 100 % H3 19 7.7 % 16 6.5 % 29 11.7 % 84 33.9 % 100 40.3 % 248 100 % H4 15 6.0 % 50 20.2 % 32 12.9 % 69 27.8 % 82 33.1 % 248 100 % H5 14 5.6 % 13 5.2 % 51 20.6 % 93 37.5 % 77 31.0 % 248 100 % 총

부록 235 36. 학력( 대졸) < 부록 표 Ⅲ-36> 학력( 대졸) 요인 사회성관계 직업 및 수입 관계 건강 및 심리적 관계 현장에 대한 만족관계 안전의식관 계 질문 매우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등급 보통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A1 2 2.7 % 0 0.0 % 14 18.9 % 32 43.2 % 26 35.1 % 74 100 % B2 0.0 % 3 4.1 % 7 9.5 % 34 45.9 % 30 40.5 % 74 100 % C4 6 8.1 % 6 8.1 % 18 24.3 % 26 35.1 % 18 24.3 % 74 100 % E2 0.0 % 2 2.7 % 21 28.4 % 30 40.5 % 21 28.4 % 74 100 % G4 9 12.2 % 13 17.6 % 9 12.2 % 20 27.0 % 23 31.1 % 74 100 % A2 3 4.1 % 9 12.2 % 20 27.0 % 35 47.3 % 7 9.5 % 74 100 % B3 7 9.5 % 7 9.5 % 24 32.4 % 19 25.7 % 17 23.0 % 74 100 % C3 13 17.6 % 8 10.8 % 27 36.5 % 16 21.6 % 10 13.5 % 74 100 % D5 8 10.8 % 18 24.3 % 12 16.2 % 21 28.4 % 15 20.3 % 74 100 % E1 16 21.6 % 27 36.5 % 22 29.7 % 4 5.4 % 5 6.8 % 74 100 % G2 4 5.4 % 3 4.1 % 5 6.8 % 23 31.1 % 39 52.7 % 74 100 % G3 13 17.6 % 11 14.9 % 18 24.3 % 12 16.2 % 20 27.0 % 74 100 % A3 4 5.4 % 11 14.9 % 10 13.5 % 20 27.0 % 29 39.2 % 74 100 % B4 2 2.7 % 6 8.1 % 13 17.6 % 33 44.6 % 20 27.0 % 74 100 % C2 19 25.7 % 19 25.7 % 13 17.6 % 10 13.5 % 13 17.6 % 74 100 % E3 4 5.4 % 2 2.7 % 9 12.2 % 33 44.6 % 26 35.1 % 74 100 % G1 8 10.8 % 8 10.8 % 12 16.2 % 15 20.3 % 31 41.9 % 74 100 % A4 9 12.2 % 9 12.2 % 32 43.2 % 18 24.3 % 6 8.1 % 74 100 % C1 3 4.1 % 5 6.8 % 13 17.6 % 23 31.1 % 30 40.5 % 74 100 % D3 2 2.7 % 3 4.1 % 19 25.7 % 25 33.8 % 25 33.8 % 74 100 % E4 0.0 % 1 1.4 % 4 5.4 % 33 44.6 % 36 48.6 % 74 100 % F4 8 10.8 % 3 4.1 % 9 12.2 % 30 40.5 % 24 32.4 % 74 100 % F5 5 6.8 % 9 12.2 % 5 6.8 % 27 36.5 % 28 37.8 % 74 100 % A5 5 6.8 % 2 2.7 % 11 14.9 % 32 43.2 % 24 32.4 % 74 100 % B1 9 12.2 % 18 24.3 % 6 8.1 % 22 29.7 % 19 25.7 % 74 100 % B5 9 12.2 % 8 10.8 % 10 13.5 % 21 28.4 % 26 35.1 % 74 100 % C5 1 1.4 % 4 5.4 % 8 10.8 % 28 37.8 % 33 44.6 % 74 100 % D1 2 2.7 % 2 2.7 % 1 1.4 % 16 21.6 % 53 71.6 % 74 100 % D2 0.0 % 2 2.7 % 4 5.4 % 26 35.1 % 42 56.8 % 74 100 % D4 1 1.4 % 2 2.7 % 4 5.4 % 26 35.1 % 41 55.4 % 74 100 % E5 3 4.1 % 4 5.4 % 6 8.1 % 27 36.5 % 34 45.9 % 74 100 % F1 7 9.5 % 7 9.5 % 7 9.5 % 24 32.4 % 29 39.2 % 74 100 % F2 6 8.1 % 17 23.0 % 15 20.3 % 15 20.3 % 21 28.4 % 74 100 % F3 4 5.4 % 1 1.4 % 8 10.8 % 25 33.8 % 36 48.6 % 74 100 % G5 8 10.8 % 4 5.4 % 6 8.1 % 31 41.9 % 25 33.8 % 74 100 % H1 9 14.1 % 8 12.5 % 12 18.8 % 20 31.3 % 15 23.4 % 64 100 % H2 2 3.1 % 4 6.3 % 6 9.4 % 19 29.7 % 33 51.6 % 64 100 % H3 10 15.6 % 7 10.9 % 3 4.7 % 24 37.5 % 20 31.3 % 64 100 % H4 2 3.1 % 12 18.8 % 10 15.6 % 16 25.0 % 24 37.5 % 64 100 % H5 3 4.7 % 0 0.0 % 10 15.6 % 26 40.6 % 25 39.1 % 64 100 % 총

236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부록Ⅳ 낮은 높이용 안전작업대( 전동식)

프레임 강도계산 부록 237

238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Screw jack의 출력 계산

조립도 부록 239

240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하부 프레임 부록 241

242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상부 프레임

부록 243 구동부

244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부록 245

246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

부록 247 안전난간부

248 추락 2.5 재해특성분석 및 안전장치 개발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