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 기독교교육논총, 제33집, 67-90 A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Vol. 33.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3. 3. 30. 스마트 환경에서 관계적 역량 증진을 위한 교회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 김효숙(장로회신학대학교) belovedkhs@naver.com / 010-6284-9370 권성호(한양대학교) skwon@hanyang.ac.kr / 010-9002-9582 성민경(백석대학교) jwmk1@hanmail.net / 010-3194-6334 <요 약> 스마트 환경은 신앙공동체의 다음세대가 살아가는 삶의 배경이다. 스마트 환경에서 다 음세대와 함께 하는 교육사역을 준비하기 위해서는 기성세대와는 다른 사고방식과 문화를 가지고 있는 학습자를 이해하려는 노력과 다양한 방식으로 소통할 수 있는 관계적 역량을 증진시킬 필요가 있다. 스마트 환경에서의 교육은 스마트 미디어나 인프라를 활용하는 차원을 넘어, 교육방법 및 전략의 혁신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연구는 교육의 맥락성, 실행가능성, 적응성, 호혜 성, 그리고 지속가능성의 측면에서 교사교육에 관한 선행연구를 비판적으로 성찰하였다. 이를 토대로 도출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설계 원리는 이야기 연결의 원리, 모듈화된 교 육과정의 원리, 적응적 실행의 원리, 호혜적 성찰의 원리, 팀 기반 활동의 원리로서, 스마 트(s.m.a.r.t.)로 요약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개발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은 일상의 이야기와 성경이야기, 스마트 교육이야기와 스마트 교사되기 등이 순차적으로 연결되도록 하였으며, * 본 논문은 2012년도 한국연구재단 사회과학연구지원(SSK)사업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 음(NRF-2012S1A3A 2033600).
68 기독교교육논총 제33집 12개 주제는 상호연관성을 지니되 독립적인 내용으로 모듈화 하였다. 또한 교사들의 개인 내 차이와 개인 간 차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역량 진단을 통해 적응적으로 교육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교사공동체에서의 호혜적 성찰 및 팀 기반 활동으로 진행할 수 있도 록 하였다. 이 연구는 선행연구에 대한 분석을 통해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설계 원리를 도출하고 개발하는 과정에서 기독교교육과 교육공학의 학문 간 대화를 시도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한 후속 연구를 준비하고 있다. 주제어: 스마트 환경, 관계적 역량, 교회,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Ⅰ. 서론 스마트 혁명이라고 불리는 미디어의 변화는 독특한 소통의 문법과 형태들을 발생시키고 있다. 스마트 인프라를 기반으로 한 소셜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이하 SNS)는 더욱 향상된 접근성과 단순 성으로 인해 사용자들이 더욱 쉽게 소통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해주고 있다. SNS를 통한 소통의 특징은 모든 구성원들이 사회적 위치나 나이 에 상관없이 동등한 권한이나 대등한 위치에서 소통하는 과정에 참여 하게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수평적 소통에 익숙한 다음세대와 함께 성 숙해가기 위해서는 변화된 소통의 문법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스마트 환경은 의사소통 방식 뿐만 아니라, 정보의 접근과 활용, 생 산과 재조합에 있어서 큰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무엇보다 교육과 관련 된 요소들이 역동적으로 변화하고 있는데, 스마트 환경에서 교사는 더 이상 자격증을 가진 전문가가 아닌 누구나 이며, 교육은 어디에서나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지식의 단순한 전달보다는 지식의 응용을 위한 창의력과 사고력 배양이 중요한 교육적 과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교사 는 내용전문가에서 학생들의 학습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콘텍스트 디자 이너(context designer)나 콘텐트 큐레이터(content curator)의 역할을 수행 하도록 요청받고 있다(Kim, 2011).
3. 스마트 환경에서 관계적 역량 증진을 위한 교회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69 교육혁명이라고 불리는 거대한 변화의 흐름 속에서 교회의 교사들이 다음세대와 함께 하는 행복한 사역을 준비하기 위해선 첨단시설의 구 비나 기술의 효율적 활용에 대한 논의를 넘어, 교사와 학습자 간의 수 평적 파트너십을 전제로 한 새로운 역량 증진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스마트 환경에서의 교회교육은 물리적 스마트화 이전에 관계적 스마트화 를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권성호 김효숙 정효정, 2012). 이러한 문제의식 속에서 권성호 등(2012)은 스마트 환경에서의 교육 사역 역량에 관한 연구 를 통해 교회학교 교사 및 교역자들이 갖추어 야 할 역량을 규명하고 검증하였다. 최종적으로 도출된 스마트 교육사 역 역량은 영적 영역 (7개 역량) 및 교육적 영역 (10개 역량), 관계적 영역 (12개 역량)으로 구분하였고, 각 영역은 인식 차원의 기초 역량 과 행동 차원의 실천 역량 을 포함하는 것으로 보았다. 역량 모델을 검증한 결과에 따르면, 영적 역량 및 교육적 역량, 관계 적 역량을 보유 하는 수준이 높을수록 관계적 역량을 중요 하게 인식 하였으며, 영적 역량 및 교육적 역량 을 중요하게 인식할수록 관계적 역량 또한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권성호 외, 2012). 이는 영적 역량, 교육적 역량, 그리고 관계적 역량이 체제적으로(systemic) 연 결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영성과 전문성이라는 두 축을 중 심으로 논의되어 온 교사교육 패러다임은 관계성이라는 축으로 연결 확장시킬 필요가 있다(김효숙, 2011). 물론 교사의 전문성은 관계성이라 는 차원을 포함한다. 그러나 주로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내용 전 달 위주의 교육이었기 때문에 실제로 관계적 역량을 향상시키기에는 한계가 있고, 이러한 한계의 원인을 예측하지 못한 교사들이 관계형성 의 어려움으로 교육현장을 떠나는 일은 비일비재하다. 한편,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교사로 봉사한 기간이 길수 록 영적 역량 보유도가 높아질 가능성이 매우 높고, 교육적 역량 보유 도 및 관계적 역량 보유도 또한 높아질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
70 기독교교육논총 제33집 다. 이는 교사로 살아간다는 것이 일방적인 봉사가 아닌, 학습자 혹은 동료 교사들과의 호혜적인 관계 속에서 함께 성숙해가는 여정임을 입 증해 준다(권성호 외, 2012). 좋은 수업과 관련하여 기독교 대안학교 교 사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영역 또한 관계 영역이라는 결과(송수 지 이정미, 2012)는 다양한 기독교교육의 장에서 수고하는 교사들에게 관계적 역량은 필수적이라는 사실을 확인시켜 주었다. 이 연구는 선행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한 후속 연구로서, 스마트 환경 에서 교회학교 교사들의 관계적 역량을 증진시키기 위한 교육 프로그 램을 개발하고자 하는 것이다. 스마트 환경에서의 교육은 단지 스마트 기술에 기반을 둔 교육이 아니라, 교육방법 및 전략의 혁신과 같은 다 양한 의미를 포괄한다. 기존에 분리되어 있던 교육적 요소들이 스마트 인프라를 바탕으로 연결되어 새로운 교육적 가치를 발생시키기 때문이 다(김현철, 2011). 따라서 교사교육에 관한 선행연구는 스마트 환경이 초래하고 있는 새로운 교육적 가치들로 범주화하여 비판적으로 성찰할 것이다. 이를 토대로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설계 원리를 도출하고, 설계 원리에 의해 개발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제시하고자 한다. Ⅱ. 교회의 교사교육에 관한 비판적 성찰 교회의 교사교육에 관한 연구는 비교적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또한 교회교육의 질적 혁신을 위한 해결책이 교사양성 모델 개발에 있 다고 인식하거나(오인탁 정웅섭, 1987) 교회학교의 부흥을 교사교육 패 러다임 변화와 연결시키는 것(박상진, 2007)은 교사교육이 얼마나 중요 한 지를 일깨워준다. 최근 10년 간 이루어진 교사교육에 관한 선행연구 를 스마트 환경이 초래하고 있는 교육적 가치들로 범주화하여 분석하 면, 다음과 같다.
3. 스마트 환경에서 관계적 역량 증진을 위한 교회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71 1. 교육의 맥락성(contextuality) 김화선(2005)은 교사교육의 반성과 모색 이라는 연구에서 교사교육 이 몇 개의 과정으로 제시되긴 하지만, 과정별 교육내용이 차별화되지 않고 지나치게 일반적이라고 비판하였다. 이는 교육내용이 교육현장의 맥락(context)을 배제한 채 내용(text)만을 제시한 데서 비롯된 문제라 할 수 있다. 또한 오성주(2008)는 새로운 교사교육 방향 모색 이라는 연구에 서 한국 교회의 위기를 교회학교와 관련시켰고, 위기의 원인을 교사교육 의 문제로 인식하였다. 그는 교회교육이나 교사교육을 교회의 내적 신앙 양육 차원이나 개인적인 신앙차원에서 분석하고 해석하는 경향이 있다고 비판하였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윔벌리(Wimberly)가 제시한 구상화(emplotment)라는 개념을 토대로 삶의 현실에 접근하는 문 제해결식 교사교육을 제안하였다. 이야기(story)에 관한 해석은 탈맥락성이라는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유용한 실마리를 제공해준다. 이야기는 인간의 삶을 방향짓고 변화시키 는 힘이며(Noddings, 1991; 염지숙, 1999에서 재인용), 새로운 앎의 방식 으로 이끄는 단서가 된다. 양금희(2010)는 파울러(Fowler, 1981)의 신앙 발달에 관한 논의를 토대로 기독교 신앙을 갖는다는 것은 성서와 기독 교이야기(Story)가 삶의 방향을 이끌어가는 마스터 이야기(master story) 가 되도록 하는 것이며, 신앙의 여정은 지속적인 삶의 이야기의 변형 과정이라고 하였다. 또한 그는 스트로우프(Stroup, 1997)의 견해를 소개 하면서 한 공동체의 진정한 구성원이 된다는 것은 그 공동체의 이야기 를 공유하고, 다른 구성원과 공동체의 이야기를 하는 과정을 통해 새로 운 전통을 창조해가는 것으로 볼 수 있다고 하였다(양금희, 2010에서 재인용). 따라서 교사교육의 탈맥락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교사들이 자신의 이야기를 다른 교사들에게 하게 함으로써 자신이 하고 있는 일
72 기독교교육논총 제33집 에 대한 의미를 부여하게 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교사들이 개인의 이 야기와 교육공동체의 이야기를 연결하여 해석하는 활동에 참여하므로 이야기되는 삶을 살아가도록 할 필요가 있다. 2. 교육의 실행가능성(feasibility) 한미라(2012)는 한국 기독교교육학의 비판적 성찰 이라는 연구에서 교사양성 및 교사 재교육의 문제를 개신교 교회학교의 고질적 문제로 지적하면서, 점차 전문적인 교사교육이 축소되거나 사라지고 있다고 하 였다. 그는 선행연구(2008)에서도 교사교육의 발전을 저해하는 요인을 사회적 요인과 교회 내적 요인, 그리고 교사 개인적 요인으로 분류하여 제시하면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교사양성시스템의 부재에 대해 비판 하였다. 특히, 교사경력과 무관하게 진행되는 무계획적인 교사교육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였다. 따라서 교사경력에 따라 교육을 단계화해야 할 필요가 있지만, 교사교육을 진행할 인력 및 예산 부족 등의 현실적 인 문제 또한 간과할 수 없는 실정이라고 하였다. 교육의 실행가능성과 관련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교사교육에 서 다루어야 할 내용을 모듈화(modularization)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모듈화란 하나의 통합된 주제를 가진 교육과정의 단위를 다른 과정의 영향을 받지 않고 독립적으로 학습할 수 있으나 상호연관성을 지닌 형태로 설계, 개발하는 것을 의미한다. 말하자면, 이 전 내용을 반드시 학습해야만 하는 형태가 아닌, 독립적이지만 흐름에 있어서는 상호연관되는 형태로 개발하는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 고 있는 공개교육자원(Open Educational Resources)이나 공개강의(Open Course Ware)에서 제공되는 내용들이 모듈화되는 이유도 다양한 교육현 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관계적 역량 증진 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은 상호연관성을 가진 통합된 주제로 연결
3. 스마트 환경에서 관계적 역량 증진을 위한 교회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73 시키되 독립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개발할 필요가 있다. 3. 교육의 적응성(adaptability) 옥장흠(2011)은 교회학교 교사교육의 효율성을 증진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면서 교사교육이 일회성 프로그램이 아닌 교육현장에 적절한 맞춤 형 프로그램으로 개발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김화선 (2005)은 교회의 교사교육이 교육주체인 교사들의 학습준비도나 의견을 반영하지 않은 채 교역자의 일방적인 계획이나 전달로 이루어지는 현실 에 대해 비판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교사들이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하 기란 불가능하며, 교사들이 성인 학습자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교사교육 을 계획하는 단계에서부터 관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맞춤형 교육, 즉 교육의 적응성에 관한 논의에 기초해 볼 때, 교사교 육 프로그램은 교사 개인 내 현재 수준(As-is)과 바람직한 수준(To-be) 간의 차이(gab)와 개인 간 차이를 적절히 반영할 수 있는 유연한 과정 으로 개발 실행할 필요가 있다. 4. 교육의 호혜성(reciprocality) 김효숙(2011)은 교사교육이 주로 체계적(systematic)이고 선형적(linear) 인 가르침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고, 배움의 과정에서 개인과 공동체 차원의 순환적 관계성을 간과하였다는 측면에 주목하였다. 교사로서의 정체성 형성은 학생들과 관계를 맺거나 소통하는 경험이 없이는 지체 되거나 제한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학생들과 풍부한 상호작용이 일어 날 수 있는 환경을 설계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동료 교사 와의 풍성한 교제 속에서 서로가 체득한 암묵적 지혜를 공유, 성찰할 수 있는 비형식적 학습 기회를 마련해주는 것이 형식적 교육과정만큼,
74 기독교교육논총 제33집 혹은 그 이상으로 중요하다고 하였다. 신앙 형성(formation) 및 변형(transformation)에 있어서 신앙공동체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도 교사가 학생들의 영적 성숙을 위해 이미 다 준 비된 존재인 것처럼 모든 문제의 원인을 교사 개인의 신앙적 열정이나 약한 소명감으로 귀결시키는 것은 모순일 수 있다. 교사도 변화의 대상 이며 영적 성숙의 여정에 있다는 것을 인식한다면 호혜적 성찰을 통한 성숙의 기회를 보다 풍성히 제공할 필요가 있다. 5. 교육의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오성주(2008)는 교사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면서 전통적인 형태 의 강사중심 교육 에서 교사들이 서로 경험을 나누며 다양한 시각을 가 지고 토론하고 참여하는 형태의 교사중심 교육 으로 변화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신언혁(2004)은 한국 개신교 교회학교의 성장 둔화의 원인 을 교사교육에 두고, 교사양성 및 훈련 방법을 소그룹 형태의 질문과 발 표중심의 자기주도적 교수 학습법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고 하였다. 한편, 권성호 등(2012)이 스마트 환경에서의 교육사역 역량 모델을 제시하기 위해 실시한 설문조사 중 귀하가 교사 혹은 교역자로서 필 요한 역량을 갖추기 위해 중요하게 여기는 모임이나 자원은 무엇입니 까? 라는 다중응답 문항에 대해 총 300명(교사 153명, 교역자 147명)이 응답한 결과에 따르면, 말씀묵상 및 기도를 통한 개인의 영적 훈련 (교사 75명(28.1%), 교역자 116명(30.2%))이 가장 중요한 자원으로 나타 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교육부서 교사들과의 공적 토론이나 사적 대 화 (교사 51명(19.1%), 교역자 54명(14.1%))라고 응답하였다. 교회 단위 의 교사교육과정 에 대해서는 교사 46명(17.2%), 교역자 27명(14.1%)만 이 유용하다고 응답하였고, 교역자의 경우는 동료 교역자와의 공적 토 론이나 사적 대화 (53명, 13.8%)가 교회 단위의 교사교육과정 보다 더
3. 스마트 환경에서 관계적 역량 증진을 위한 교회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75 유용하다고 응답하였다. 이는 교사나 교역자로서의 역할 수행에 있어서 소위 교사대학이라고 일컬어지는 형식적 교육과정 보다 비형식적 학습공동체로부터 실제적 인 정보나 유용한 사례를 많이 얻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교사보 다 교역자가 더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교사교 육 프로그램은 하나의 부서 혹은 팀을 학습공동체로 설계할 필요가 있 으며, 그럴 때에만 교사교육이 단발성 행사가 아닌 지속가능한 형태로 확장해 갈 것이다. 지금까지 살펴본 교사교육에 관한 성찰을 토대로 새로운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설계 원리를 정리하면, <표 1>과 같다. <표 1> 교사교육에 관한 비판적 성찰을 통해 도출한 설계 원리 교사교육에 관한 비판적 성찰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설계 원리 교육의 맥락성(contextuality) 이야기 연결의 원리(principle of story linking) 모듈화된 교육과정의 원리(principle of modularized 교육의 실행가능성(feasibility) curriculum) 교육의 적응성(adaptability) 적응적 실행의 원리(principle of adaptive implementation) 교육의 호혜성(reciprocality) 호혜적 성찰의 원리(principle of reciprocal reflection) 팀 기반 활동의 원리(principle of team-based 교육의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activity) 스마트 환경에서 관계적 역량을 증진하기 위한 교회의 교사교육 프 로그램은 스마트(s.m.a.r.t.) 라는 원리로 개발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진정한 의미의 스마트 교육은 스마트 미디어나 인프라에 기반한 교육 이라기보다 교육의 맥락성, 실행가능성, 적응성, 호혜성, 그리고 지속가 능성을 담보하는 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
76 기독교교육논총 제33집 Ⅲ. 관계적 역량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1. 이야기 연결(story linking)의 원리에 의한 교육 프로그램 교회교육을 담당하는 교사의 관계적 역량을 개발하기 위한 프로그램 은 윔벌리(2005)의 이야기 연결(story linking) 모델을 차용하여 개발하 였다. 이야기 연결 은 학습자들의 일상인 현재의 이야기와 성서에 나타 난 기독교 이야기, 그리고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기독교전통 이야기들을 연결시키고 성찰하는 과정을 통해 해방(liberation)과 소명(vocation)으로 이끌어주려는 교육모델이다(Wimberly, 2005, 18). 이야기 연결 모델은 4 단계의 활동이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형태로서, 일상의 이야기에 참여하 기(engaging the everyday story), 성서에 나타난 기독교 신앙이야기에 참 여하기(engaging the Christian faith story in the Bible), 아프리카계 미국인 전통에 나타난 기독교 신앙이야기에 참여하기(engaging Christian faith stories from the African American heritage), 그리고 기독교윤리적 의사결 정에 참여하기(engaging in Christian ethical decision making)로 구성된다 (양금희, 2010, 98-99; Wimberly, 2005). 교육의 맥락성을 고려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은 이야기 연결 모델의 단계에 맞추어 하나의 주제 속에 4개의 이야기, 즉 일상의 이야기, 성 경이야기, 스마트 교육이야기, 스마트 교사되기가 연결되는 형태로 개 발하였다. 이야기 연결 모델과 새로운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활동 단계 는 <표 2>와 같다.
3. 스마트 환경에서 관계적 역량 증진을 위한 교회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77 <표 2> 이야기 연결 모델 및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활동 단계 이야기 연결 모델의 활동 단계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활동 단계 사랑 톡톡 일상의 이야기에 참여하기 일상의 이야기 성서에 나타난 기독교 신앙이야기에 참 여하기 성경이야기 아프리카계 미국인 전통에 나타난 기독 교 신앙이야기에 참여하기 스마트 교육이야기 기독교윤리적 의사결정에 참여하기 스마트 교사되기 활동 단계를 자세히 살펴보면, 사랑 톡톡 은 교사교육 프로그램에서 나 타나고 있는 탈맥락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실제적인 문제(authentic problem)를 제시하는 도입부라 할 수 있다. [그림 1]은 주제별로 개발해 야 할 목표 역량과 관련된 문제 상황을 예시한 것이다. 2과 응답하라!! 스마트세대 8과 두런두런(Do-learn Do-learn) 설계하기 [그림 1] 사랑 톡톡의 문제 상황 예시
78 기독교교육논총 제33집 일상의 이야기 는 스마트 환경에 관한 이야기(예: 2011 스마트폰 이 용자 설문결과, 세종시 참샘초등학교 학습 풍경, 교회의 소셜미디어 활 용 실태에 관한 기사 등)나 다음세대의 특징에 관한 기사(예: 십대들이 부모 앞에서 입 다무는 이유 등), 그리고 교회교육 현장에서 흔히 경험 할 수 있는 이야기를 제시하였다. 성경이야기 는 해당 주제를 말씀으로 해석할 수 있도록 본문을 중심 으로 3, 4개의 질문을 제시하였다. 또한 교역자만이 아니라 교사공동체 에 속한 사람이라면 누구나 인도할 수 있도록 인도자용 해설을 첨가하 였다. 세 번째 주제인 스피드하게 전달하기 vs 스마트하게 참여하기 의 경우를 예로 들면, 느헤미야 2-3장의 말씀으로 스마트 교육의 특성을 탐색할 수 있도록 하였다. 1. 예루살렘 성벽에 대한 현장조사를 마친 느헤미야는 유다 사람들에 게 성벽과 성문이 어느 정도 황폐하게 되었는지 자세히 보고했습니 다. 이어 성벽재건의 비전을 제시하면서 느헤미야가 반복해서 사용 한 주어는 무엇입니까? (느 2:17, 20) [인도자용 해설] 느헤미야는 자신이 공동체의 일원이며, 성벽재건이 란 과제를 함께 해결해가야 한다는 것을 일깨워주므로 백성들이 자 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 주었습니다. 교사가 지 시자나 관찰자로 서 있을 경우, 학생들의 참여를 유도하기는 매우 어렵습니다. 느헤미야가 백성들과 함께 일하듯, 교사들이 학생들과 함께 배우는 사람(co-learner)이 될 때에 행복한 교육이 시작됩니다. 2. 느 3장에 소개되고 있는 사람들은 누구입니까? [인도자용 해설] 느헤미야는 리더인 자신의 이름(16절의 느헤미야는 동명이인)은 감춘 채 성벽 재건에 참여한 다양한 계층의, 다양한 직 업을 가진 사람들의 이름을 일일이 소개했습니다. 참여한 사람들을 재건의 주체로 세워주는 느헤미야의 모습은 학습자 주도적인 교육 을 설계해 갈 교사들의 프로그램이 됩니다.
3. 스마트 환경에서 관계적 역량 증진을 위한 교회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79 3. 느헤미야는 백성들의 참여를 독려할 뿐만 아니라, 은사 와 재능에 따라 사람을 배치했습니다. 하나님께 재물을 드리기 위해 출입하는 양문은 그 문의 용도를 가장 잘 아는 제사장들에게(느 3:1), 어업에 종사했던 하스나아의 자손들에게는 어문을 맡겼습니다(느 3:3). 느헤미야의 효 과적인 역할 분담이 교회교육에 시사해주는 것은 무엇 입니까? [인도자용 해설] 느헤미야가 적재적소에 백성들을 배치할 수 있었 던 것은 그들의 은사와 재능에 대해 잘 알고 있었기 때문에 가능 한 일입니다. 교사는 교육을 설계하는 사람으로서 학생들의 학습준 비도, 선호도, 관심 영역 등에 대해 알고 꼭 필요한 내용과 과정을 설계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는 스마트 교육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 인 개별화, 맞춤형 교육을 위한 전제조건이기도 합니다. 한편, 스마트 교육이야기 에서는 스마트 환경 속에서 변화하고 있는 교육의 측면들을 쉽고 간결하게 설명한 후 교회교육과 연결시켜 성찰 할 수 있도록 질문이나 활동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스마트 교사되기 에서는 교사들의 결단을 촉구할 수 있 는 이야기(예: Facebook을 Faithbook으로 만들어 갈 학습리더를 위한 10가지 귀띔)나 질문, 활동을 제시하였다. 2. 모듈화된 교육과정의 원리에 의한 교육 프로그램 교사교육 프로그램은 세 가지 통합적 주제로 구성하였는데, 스마트 환경에서의 행복한 교육사역, 행복한 교육사역을 위한 실천적 기술 개 발, 그리고 다음세대와 함께 하는 참여적 교수-학습 활동 등 이다. 스마트 환경에서의 행복한 교육사역 은 스마트 환경, 스마트 세대, 스 마트 교육, 스마트 교사 등의 세부 주제로 구성하였다. 행복한 교육사
80 기독교교육논총 제33집 역을 위한 실천적 기술 개발 에서는 교사와 학생 간의 소통을 효과적으 로 지원할 수 있는 다양한 지원 도구들(페이스북,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토론도구 등)을 소개하고 실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 다. 마지막으로 다음세대와 함께 하는 참여적 교수-학습 활동 에서는 소통하는 교육, 행복한 교육을 위하여 다음세대들과 함께 학습하고 성 장하도록 돕는 교수-학습 방법(맞춤형 교육을 위한 행동유형진단법, 자기주도적 학습을 위한 코칭, 협력학습을 위한 문제중심학습(Problem Based Learning; PBL), SNS를 활용한 소셜러닝의 기제와 사례) 등으로 구성하였다. 모듈화된 교육과정은 <표 3>과 같다. 주제 과 세부 주제 내용 스마트 환경 에서의 행복 한 교육사역 1 2 3 <표 3> 모듈화된 교육과정 스마트 환경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교육 스마트 환경에 사역에 필요한 역량은 무엇이고, 교사는 서의 교회교육 어떻게 변화해야 하는가에 대해 성찰 응답하라!! 스마 트 세대 선택의 자유를 추구하며, 멀티태스킹, 양 면성, 정보식별력 및 기술활용력 등 기성세대와는 다른 다음세 대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그들과 어떻게 소통하고 함께 성장해갈 수 있을 지에 대 해 성찰 스피드있게 전달 스마트 교육의 개념과 특징에 대하여 파 하기 vs. 스마트 악하고 교회교육에서 스마트 교육의 의미 하게 참여하기 및 실행방안에 대해 성찰 4 나는스마트 교사다 소통과 참여, 관계성, 공감과 수용이라는 핵심어를 중심으로 스마트 교사의 의미 및 자질에 대해 성찰
3. 스마트 환경에서 관계적 역량 증진을 위한 교회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81 행복한 교육 사역을 위한 실천적 기술 개발 다음세대와 함께 하는 참여적 교수 -학습 활동 5 6 7 말없는 아이들? 스마트 세대와 소통하기 위한 도구로서 다양한 방법으 카카오톡과 카카오 스토리의 장점과 활용 로 소통하기 방법에 대해 탐색 및 실행 페북? 얼친? SNS 세상 소셜미디어 문화의 특성을 이해하고 향유 하기 위해 페이스북의 장점과 활용방법에 대해 탐색 및 실행 이런 앱 쓰면 좋 일상에서의 경건훈련 및 스마트 세대와의 아요! 교사를 위한 지속적 소통을 위해 다양한 모바일 앱의 필수 앱! 종류와 활용방법에 대해 탐색 및 실행 8 두런두런(Do-learn Do-learn) 설계하기 9 10 11 12 스마트 세대가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스마트 협력학습 도 구에 대해 탐색 및 실행 내 스타일 고수 개별화 및 맞춤형 교육을 실행하기 위한 하기 vs. 네 스 DISC 행동유형검사 의 이해 및 참여 타일존중하기 Level up! 목소 학습자 주도적 교육을 실행하기 위한 코 리에서 마음의 칭의 철학과 기술의 탐색 및 참여 소리로! 문제아? 문제 속 집단지성에 기반한 문제해결력 향상 및 에서 성장하는 아 협력학습을 실행하기 위한 문제중심학습 이들! (PBL)의 탐색 및 참여 비형식적 학습 및 소셜러닝을 실행하기 함께 살고, 함 위해 페이스북을 기반 께 배우며, 함 으로 한 학습사례 탐색 및 온라인 실천공 께 성숙해가기 동체(Community of Practice) 참여 세부 주제별로 개발하고자 하는 목표 역량은 2 7개씩 중복되어 포 함되는데, 예를 들면, 관계적 기초 역량인 수평적 파트너십 형성에 대 한 인식력 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1, 2, 4, 6, 8, 10, 12과를 제시할 수 있고, 공감적 경청력 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2, 9, 10과를 제시할 수 있도록 하였다.
82 기독교교육논총 제33집 3. 적응적 실행의 원리에 의한 교육 프로그램 교사교육 프로그램은 교사들에게 필요한 실제적 역량을 증진시키려는 목적에서 현재 보유하고 있는 역량 수준에 따라 맞춤형 교육과정을 제 시할 수 있는 형태로 개발하였다. 우선, 교육부서에 소속된 교사들이 해 당 부서에 속한 학습자와 소통하기 위해 갖추어야 할 필수 역량을 제시 한 후(1) 역량 진단지를 활용하여 교사 개인의 역량 보유도 및 중요도 를 조사할 수 있도록 하였다(2). 이는 교사 개인 내 및 개인 간 차이를 반영하여 맞춤형 교육과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역량 진단지는 영적 역량 문항(보유도 7문항, 중요도 7문항), 교육적 역량 문항(보유도 10문 항, 중요도 10문항) 및 관계적 역량 문항(보유도 12문항, 중요도 12문항), 일반적 문항(봉사부서/기간/연령/성별 등 4문항)으로 구성하였다. 한편, 기존에 실행되고 있는 교사교육 프로그램과 융합하기 위해 개 발해야 할 역량이 기존 교사교육과정을 통해 향상될 수 있는 역량인지 를 검토한 후(3) 적절한 형태의 학습기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4). 교사교육의 구체적인 실행 절차는 [그림 2]와 같다. [그림 2] 교사교육의 실행 절차 4. 호혜적 성찰의 원리에 의한 교육 프로그램 교사교육 프로그램은 영적 역량 및 교육적 역량의 향상과도 관련이
3. 스마트 환경에서 관계적 역량 증진을 위한 교회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83 있으나, 주로 교사의 관계적 역량을 증진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하 였다. 따라서 교사들이 교육현장에서 경험하는 문제들을 관계 속에서 해결책을 모색하고 성찰할 수 있도록 하였다. 호혜적 성찰의 원리는 사랑 톡톡에 등장하는 인물 설정에서 잘 드러 나는데, <표 4>에 제시된 것처럼 교사로 봉사하기 시작한 황무지 선생 이 자신의 기대와 달리 학생들과 원활하게 소통하지 못하는 상황이 반 복되자 무력감에 빠지고, 담당 목회자를 찾아와 봉사를 그만 두겠다는 문제 상황에서부터 시작한다. 이때 담당 목회자는 높은 수준의 관계적 역량을 보유한 나호감 선생에게 황무지 선생과 함께 교사모임에 참석 해 달라는 부탁을 하고, 매주 두 선생 간에 교육현장에서 부딪히는 고 민을 서로 나누는 장면으로 프로그램이 시작된다. <표 4> 사랑 톡톡의 등장인물 등장인물 목사님 나호감 황무지 소개 오랜 기간 동안의 교육부 사역으로 교사와 파트너십을 형 성하는데 어려움이 없고, 적재적소에 교사를 배치하며 적 절히 권한을 위임할 줄 아는 목회자 유쾌하고 긍정적인 성품으로 교사나 학생들 사이에서 호감 도가 높으며, 봉사를 시작한 지 10년이 된 베테랑 선생님 하나님의 은혜를 경험한 후 교회 안에서 가장 열악한 봉 사 영역인 교육부 교사로 자원한 신입 선생님. 옷차림이 나 걸음걸이부터 바른 맨이라는 인상을 강하게 전해줌. 교육부에서 처음 봉사를 시작하던 날은 부름받아 나선 이 몸 이라는 찬양을 자주 부른다고 했으나, 요즘은 십자가 를 질 수 있나 라는 찬양을 자주 읊조리는 선생님 스마트 환경에서 봉사하는 교사들에게 요구되는 역량이란 교육현장과 동떨어진 객체화된 지식이 아니라, 교육현장에서 겪는 문제에 대한 해결 력이며, 시행착오적 사례를 공유하고 창조적으로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84 기독교교육논총 제33집 체득할 수 있는 기술이자 자세이다. 따라서 <표 5>에서 예시된 것과 같 이 세부 주제에 따라 호혜적 성찰을 할 수 있는 질문을 제시하였다. 세부 주제 스마트 환경에서의 교회교육 응답하라!! 스마트 세대 말없는 아이들? 다양한 방법으로 소통하기 함께 살고, 함께 배우며, 함께 성숙해가기 <표 5> 세부 주제별 호혜적 성찰을 위한 질문 질문 내용 하루 24시간 중 여러분이 커뮤니케이션 미디어를 사용하는 시 간은 몇 시간 정도입니까? 학생들의 삶에서 커뮤니케이션 미 디어가 차지하는 비중은 어느 정도일지 함께 나누어 보십시오. 스마트 환경이 교회교육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생각합니까? 첨단시설 이나 스마트 인프라의 구축보다 더 시급하게 준비해야 할 것이 있다면 무엇 입니까? 학 생들과 소통하는 과정(주일 성경공부, 주중 심방 등)을 최우선적으 로 리모델링할 필요는 없습니까? 의도하지 않았지만 학생들이나 동료 교사의 말투 옷차 림 행동 등을 보고 미리 판단해서 실수한 경험이 있습 니까? 첫 인상이나 처음 판단이 달라져서 자신이 실수했 다고 느꼈던 경험들에 대해 서로 나누어 보십시오. 스마트 세대의 특징은 삶의 환경과 밀접히 관련되기 때 문에 교사 세대에도 유사한 특징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스마트 세대의 특징 중 교사 세대에도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면 무엇인지 함께 나누어 보십시오. 말 문자 이미지로 대화하는 경우, 학생들이 보다 적극 적으로 반응하는 것은 어떤 형태의 대화인가요? 학생들 과 보다 원활한 소통을 위해 조금 더 익숙해 져야 할 대 화의 형태가 있다면 어떤 것입니까? 이제까지 살아오는 동안 하나님께선 여러분과 주로 어떤 형태로 소통하셨습니 까? 하나님께서 여러분의 삶의 상황 이나 영적 상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말씀하시는데, 때로 자신에게 익숙한 형태에만 귀 기울인 채 살아오진 않았습 니까? 하나님과 소통하는 우리의 모습과 우리와 소통하는 학생들의 모습에서 어떤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습니까? 잠언 27:17절의 철이 철을 날카롭게 하는 것 같이 사람 이 그의 친구의 얼굴 을 빛나게 하느니라 는 말씀이 소 셜미디어 시대를 살아가는 교사된 여러분의 삶에서 어떻 게 해석 실행되고 있습니까?
3. 스마트 환경에서 관계적 역량 증진을 위한 교회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85 5. 팀 기반 활동의 원리에 의한 교육 프로그램 관계적 역량을 개발하기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은 교회 단위로 행 해지는 교사대학 형태의 형식적 교육과정에서 부서별로 진행될 수 있 는 팀 기반의 비형식적 학습활동으로 개발하였다. 교사공동체는 그 자 체로 학습공동체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기존의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대체하기 보다는 확장하는 것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김효 숙, 2011). 교육의 확장이라는 측면에서 사회적 네트워크 뿐만 아니라 기술적 네트워크를 활용하는 노력 또한 병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교사교육은 매 주일 교사회의나 공적 혹은 사적 모임 시 이 루어질 수 있는 형태로 구성하였다. 소요시간은 약 1시간으로, 사랑 톡 톡(5분), 일상의 이야기(10분), 성경이야기(15분), 스마트 교육이야기(20 분), 스마트 교사되기(10분) 순으로 진행하되 교육 사례나 경험을 공유 하는 정도나 실제적 활동에 참여하는 정도에 따라 유연하게 진행할 수 있다. 세부 주제별 활동을 예시하면, <표 6>과 같다. <표 6> 세부 주제별 활동 예시 세부 주제 스마트 환경에서의 교회교육 말없는 아이들? 다양한 방법으로 소통하기 이런 앱 쓰면 좋아요! 교사를 위한 필수 앱! 활동 내용 자가진단용 점검표로 스마트 지수 진단하기 카카오톡 프로필에 학생들을 격려하는 응원의 메시 지 게시하기 교사들과의 즐거운 학습 풍경을 카카오스토리에 게 시하기 예수님께서 대상에 따라, 상황에 따라, 시기에 따라 다양한 교육방법 및 도구를 사용하셨듯이 학생들과 보다 즐겁게 소통하기 위해 활용하는 나만의 방법 이나 도구를 한 가지씩 소개하기
86 기독교교육논총 제33집 Level up! 목소리에서 마음의 소리로! 내 스타일 고수하기 vs. 네 스타일 존중하기 함께 살고, 함께 배우 며, 함께 성숙해가기 공감적 경청 실습하기 DISC 검사하기 검사 후 서로 다른 유형의 교사 4명이 한 팀을 이루어 어떤 경우에 상처를 받거 나 기분이 상하는지, 혹은 어떤 경우에 격려받고 있다고 느끼는지 함께 나누기 네트워크 지수(Network Quotient) 진단하기 Ⅳ. 결론 스마트 환경은 신앙공동체의 다음세대에게는 익숙하고 자연스러운 삶의 배경이다. 이러한 환경은 이미 알고 있는 종교적 지식이나 경험을 학생에게 일방적으로 전달하며 변화를 기대하는 교사보다는, 학생들과 서로 어우러져 소통하면서 친밀한 관계를 맺고, 그 관계 안에서 함께 성숙해가는 교사를 필요로 한다. 파머(Palmer, 2000)가 제시한 것처럼 교사와 학생, 기성세대와 다음세대가 서로의 파트너가 되어 손을 부딪 치고 몸을 돌리며 함께 춤출 수 있어야 한다. 무엇보다 스마트 환경은 삶과 배움이 자연스럽게 어우러질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해준다는 점에 서 기독교교육이 추구해 온 지식의 본질 및 교육의 특성을 보다 실현 가능하게 해주고 있다(권성호 외, 2012). 따라서 스마트 환경에서 다음세대와 함께 하는 행복한 교육사역을 준비하기 위해서는 기성세대와는 다른 사고방식과 문화를 가지고 있는 스마트한 학습자(the smart learner)를 이해하려는 노력과 더불어, 가르침 에 대한 열정과 의지로 교육내용에 대한 전문성 뿐만 아니라 다양한 방식으로 소통할 수 있는 스마트한 교사(the smart teacher)가 될 필요가 있다. 스마트 환경에서의 교육사역 역량에 관한 연구 (권성호 외, 2012) 가 스마트 환경과 스마트한 학습자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한 연구라면,
3. 스마트 환경에서 관계적 역량 증진을 위한 교회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87 후속적으로 진행된 이 연구는 신앙공동체 교사들의 관계적 역량을 증 진시키기 위해 스마트한 방법(the smart way)의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개 발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교사교육에 관한 비판적 성찰을 토대로 교육의 맥락성, 실 행가능성, 적응성, 호혜성, 그리고 지속가능성을 담보하는 교육을 진정 한 의미의 스마트 교육으로 재개념화하였다. 스마트(s.m.a.r.t.) 라는 설 계 원리를 기초로 개발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은 일상의 이야기와 성경 이야기, 스마트 교육이야기와 스마트 교사되기를 연결하여 해석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12개의 주제는 상호연관성을 지니되 독립적인 내용으 로 모듈화 하였다. 또한 교사 개인의 현재 수준과 바람직한 수준 간의 차이 및 교사 간의 차이를 반영하기 위해 역량 진단과정을 통해 맞춤 형 교육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교사공동체에서의 호혜적 성찰 및 팀 기반 활동으로 개발하였다. 결국, 이 연구는 스마트 환경이 교회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효율성의 차원에서 스마트 미디어나 인프라의 활용에 관해 처방하는 미시적 접 근이라기보다, 기술로 인한 교육적 가치 변화까지 포괄한 거시적 접근 이라 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교사교육에 관한 선행연구를 비판적으로 성찰하여 설계 원리를 도출하고 프로그램을 개발한 것은 기독교교육과 교육공학의 학문 간 대화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교사교육 프로 그램의 효과적 실행은 개인 차원의 헌신이나 의지를 넘어 교회 차원에 서 자생적 학습문화를 지원할 때에 활성화될 수 있다. 따라서 후속 연 구로는 사회적 네트워크를 활용한 교사와 학생 간의 비형식적 학습문 화 구축에 대한 연구를 제안할 수 있으며,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을 검증하기 위한 연구를 실행할 필요가 있다.
88 기독교교육논총 제33집 참고문헌 권성호 김효숙 정효정 (2012). 스마트환경에서의 교육사역 역량에 관한 연구. 기독교교육정보, 35, 291-324. 김현철 (2011). 스마트교육 콘텐츠 품질관리 및 교수학습 모형 개발 이슈.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김화선 (2005). 교사교육의 반성과 모색. 기독교교육논총, 11, 263-297. 김효숙 (2011). 형식적 교사교육에서 비형식적 학습공동체로의 확장에 관한 연구. 기독교교육논총, 27, 443-472. 박상진 (2007). 교회학교 부흥을 위한 교사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서울: 예영커 뮤니케이션. 송수지 이정미 (2012). 기독교 대안학교 교사들의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 기독 교교육정보, 33, 1-59. 신언혁 (2004). 교회학교 교사를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기독교교육정보, 9, 425-451. 양금희 (2010). 이야기 예술 기독교교육.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 출판부. 염지숙 (1999). 내러티브 탐구(Narrative Inquiry)를 통한 유아 세계 이해: 유치 원에서 초등학교 1학년으로의 전이 경험 연구를 중심으로. 교육인류학연구, 2(3). 57-82. 오성주 (2008). 새로운 교사교육 방향 모색. 기독교교육논총, 17, 131-157. 오인탁 정웅섭 (1987). 교회 교사교육의 현실과 방향.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옥장흠 (2011). 한국기독교장로회 교단의 교사교육 효율성 증진 방안. 기독교교육 논총, 27, 411-442. 한미라 (2012). 한국 기독교교육학의 비판적 성찰. 기독교교육논총, 29, 57-86. 한미라 (2008). 교회의 교사교육 실태와 성서적 대안. 기독교교육정보, 21, 275-314. Kim, Hyo Sook. (2011). Design of a learning environment based on media ecology. Korea Presbyterian Journal of Theology, 42, 279-296. Palmer, P. J. (2000). 가르침과 배움의 영성. 이종태 역. 서울: 한국기독학생회 출판부.(원저 1993 출판) Wimberly, A. S. (2005). Soul stories: African American Christian Education (Revised edition). Nashville: Abingdon Press.
3. 스마트 환경에서 관계적 역량 증진을 위한 교회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89 Abstract Development of a Teacher Education Program in Church to Enhance Relational Competencies in a Smart Environment Hyo Sook Kim Assistant Professor, Presbyterian College & Theological Seminary Sung Ho Kwon Professor, Hanyang University Min Kyung Sung Assistant Professor, Baekseok University A smart environment is a living condition where the next generation of the faith community resides in. Thus, it is necessary to endeavor to understand the smart learners who have different ways of thinking and cultures. Also, it is necessary to enhance relational competencies to communicate in various means in order to equip for the educational ministry with the next generation in a smart environment. Education in smart environments not only means beyond education using smart media and infrastructure, but also implies innovation in educational methods and strategies. This study critically reviewed preceding research on teacher education from the aspects of contexuality,
90 기독교교육논총 제33집 feasibility, adaptability, reciprocality, and sustainability.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suggested design principles to develop a teacher education program: principles of story linking, modularized curriculum, adaptive implementation, reciprocal reflection, and team-based activity, which are abbreviated to s.m.a.r.t.. Based on these principles,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 is developed as twelve modules of distinct and interconnected subjects, each of which is composed of stories of daily life, the Bible, smart education, and smart teachers in sequential activities. Implementation of the developed program is adaptable as the teachers can minimize intra-and-inter personal differences by using the competence diagnostic scale. Finally, this program allows teachers to engage in reciprocal reflection and team-based activities within the teacher community. This study has an implication of integrating Christian education and educational technology in the process of drawing design principles and developing a teacher education program, and can be further developed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program. Key words smart environment, relational competency, church, teacher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원 고 접 수 : 2013. 01. 30 게 재 승 인 : 2013. 02. 28 논 문 심 사 : 2013. 02.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