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 차 > <요 약> i I. 거시경제 전망 1 1. 국내 경기상황 판단 1 2. 대외여건 전망 3 3. 2016년 국내경제 전망 10 II. 주요 산업 전망 2 1. 2015년 동향 2 2. 2016년 전망 24



Similar documents
歯 동아일보(2-1).PDF

전자업종.hwp

Ⅰ. 글로벌 경제환경 변화 29년은 세계 및 국내경제의 역사 속에서 의미 있는 한 해로 기록될 것이다. 리먼 쇼크 이후의 금융시장 혼란과 경제주체들의 심리 위축은 상당한 기간의 경기불황을 예고하는 듯 했지만 글로벌 경제위기를 수습하기 위한 각국의 금융안정화 대책과 재정

652


경제통상 내지.PS

°æÁ¦Åë»ó³»Áö.PDF

우루과이 내지-1

2월 강습회원의 수영장 이용기간은 매월 1일부터 말일까지로 한다.다만,월 자유수영회 원,자유수영 후 강습회원은 접수일 다음달 전일에 유효기간이 종료된다.<개정 , > 제10조(회원증 재발급)1회원증을 교부받은 자가 분실,망실,훼손 및

201501_경제전망보고서_f.hwp

세계 비지니스 정보

2006 경제백서

재원은 크게 지역, 직장 가입자의 총 보험료와 국고지원을 합한 것이라고 보면 된다. 여기까지는 타당해 보인다. 그러나 1만1천원의 기적 이라는 상자를 열어 보면 이는 기적 과는 거리가 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건강보험 보장성은 강화되어야 마땅하다. 그러나 노동자 민중

<C1A4C3A5BFACB1B D3420C1A4BDC5C1FAC8AFC0DAC0C720C6EDB0DFC7D8BCD220B9D720C0CEBDC4B0B3BCB1C0BB20C0A7C7D120B4EBBBF3BAB020C0CEB1C720B1B3C0B020C7C1B7CEB1D7B7A520B0B3B9DF20BAB8B0EDBCAD28C7A5C1F6C0AF292E687770>

> 1. 법 제34조제1항제3호에 따른 노인전문병원 2. 국민건강보험법 제40조제1항의 규정에 의한 요양기관(약국을 제외한다) 3. 삭제< > 4. 의료급여법 제2조제2호의 규정에 의한 의료급여기관 제9조 (건강진단) 영 제20조제1항의 규

노인복지법 시행규칙

순 서 Ⅰ. 2016년 상반기 경제운용 평가 1 Ⅱ. 향후 경제여건 3 Ⅲ. 2016년 하반기 경제정책 기본방향 8 Ⅳ. 2016년 하반기 경제정책 과제 9 1. 경제활력 제고와 민생안정 9 2. 구조개혁 가속화 리스크 관리 강화 37 Ⅴ. 경제전망 40 <

[96_RE11]LMOs(......).HWP

영암군 관광종합개발계획 제6장 관광(단)지 개발계획 제7장 관광브랜드 강화사업 1. 월출산 기( 氣 )체험촌 조성사업 167 (바둑테마파크 기본 계획 변경) 2. 성기동 관광지 명소화 사업 마한문화공원 명소화 사업 기찬랜드 명소화 사업 240

<4D F736F F F696E74202D20312E20B0C5BDC3B0E6C1A6C0FCB8C128C0CEBCE2BABB292E >

8) 현대 다음 11시 56분에, 문명은 11시 57분부터 시작했을 뿐이고, 근대사회의 발전은 11시 59분 30초에 겨우 시작 되었 그렇지만 인류가 생활한 마지막 30초 동안에 엄청 난 변동이 일어났 1 가속성 2 광범위성 3 동시성 4 정보통신의 발달 5 3차적 인

凡 例 一. 이 글은 朝 鮮 日 報 에 成 均 館 大 中 文 學 科 全 廣 鎭 敎 授 가 連 載 한 생활한자에서 拔 萃 하였다. 逃 가지런할 도 走 달릴 주 도주( 逃 走 ) 피하여 달아남. 도망( 逃 亡 ). 필사의 도주/그 피의자는 도주의 우려가 없어 보석금을 내고

순 서 Ⅰ. 2015년 경제운용 평가 1 Ⅱ. 향후 경제여건 3 Ⅲ. 2016년 경제정책 기본방향 9 Ⅳ. 2016년 경제정책 과제 정상 성장궤도 복귀를 위한 경제활력 강화 10 (1) 적극적 신축적 거시정책 (2) 내수 수출 회복 (3) 선제적 리스크 관리


입장


CONTENTS.HWP

INDUS-8.HWP

< C1A633B1C75FC3D6C1BE5FBCF6C1A4BABB2E687770>

며 오스본을 중심으로 한 작은 정부, 시장 개혁정책을 밀고 나갔다. 이에 대응 하여 노동당은 보수당과 극명히 반대되는 정강 정책을 내세웠다. 영국의 정치 상황은 새누리당과 더불어 민주당, 국민의당이 서로 경제 민주화 와 무차별적 복지공약을 앞세우며 표를 구걸하기 위한

untitled

< C7D0B3E2B5B520B9FDC7D0C0FBBCBABDC3C7E820C3DFB8AEB3EDC1F528C8A6BCF6C7FC292E687770>

歯경제.PDF


LG Business Insight 1361

장: 200 세외수입 관: 220 임시적세외수입 항: 223 기타수입 광역친환경농업단지사업 부가세 환급금 및 통장이자 79,440,130원 79, ,440 < 산림축산과 > 497, , ,244 산지전용지 대집행복구공사((주)하나식품)

서비스 수출에 있어서도 일본의 해외진출이 뒤처지고 있다고 지적 (IMF 연례 일본경제 보고서 주요내용) IMF 연례 일본경제 보고서에서 日 銀 의 대 규모 금융완화를 통해 물가가 (전년대비) 상승했다고 분석하였으며, 일본의 소비세 인상 재연기(2017.4월

<28C3D6C1BEC0CEBCE2BFEB29BCADBFEFBDC3B0F8B0F8C5F5C0DABBE7BEF7B0FCB8AEC7D5B8AEC8ADB9E6BEC82E687770>


LG Business Insight 1245


<BFBEBEC6C0CCB5E9C0C720B3EEC0CC2E20B3EBB7A120C0CCBEDFB1E220C7D0B1B3202D20C0DAB7E1322E687770>

인 사 청 문 요 청 사 유 서


歯표지.PDF

최우석.hwp

E1-정답및풀이(1~24)ok

교사용지도서_쓰기.hwp

<C1B6BCB1B4EBBCBCBDC3B1E2342DC3D6C1BE2E687770>

민주장정-노동운동(분권).indd

0429bodo.hwp

<C0CEBCE2BABB2D33C2F7BCF6C1A420B1B9BFAAC3D1BCAD203130B1C72E687770>

cls46-06(심우영).hwp

伐)이라고 하였는데, 라자(羅字)는 나자(那字)로 쓰기도 하고 야자(耶字)로 쓰기도 한다. 또 서벌(徐伐)이라고도 한다. 세속에서 경자(京字)를 새겨 서벌(徐伐)이라고 한다. 이 때문에 또 사라(斯羅)라고 하기도 하고, 또 사로(斯盧)라고 하기도 한다. 재위 기간은 6


과 위 가 오는 경우에는 앞말 받침을 대표음으로 바꾼 [다가페]와 [흐귀 에]가 올바른 발음이 [안자서], [할튼], [업쓰므로], [절믐] 풀이 자음으로 끝나는 말인 앉- 과 핥-, 없-, 젊- 에 각각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식형태소인 -아서, -은, -으므로, -음

時 習 說 ) 5), 원호설( 元 昊 說 ) 6) 등이 있다. 7) 이 가운데 임제설에 동의하는바, 상세한 논의는 황패강의 논의로 미루나 그의 논의에 논거로서 빠져 있는 부분을 보강하여 임제설에 대한 변증( 辨 證 )을 덧붙이고자 한다. 우선, 다음의 인용문을 보도록

< BDC3BAB8C1A4B1D4C6C75BC8A3BFDC D2E687770>

untitled

6±Ç¸ñÂ÷

<C3D6C1BE5FBBF5B1B9BEEEBBFDC8B0B0DCBFEFC8A C3D6C1BEBABB292E687770>

초등국어에서 관용표현 지도 방안 연구

¸é¸ñ¼Ò½ÄÁö 63È£_³»Áö ÃÖÁ¾

177

제주어 교육자료(중등)-작업.hwp

01Report_210-4.hwp

<C3D1BCB15FC0CCC8C45FBFECB8AE5FB1B3C0B0C0C75FB9E6C7E D352D32315FC5E4292E687770>



교육 과 학기 술부 고 시 제 호 초 중등교육법 제23조 제2항에 의거하여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을 다음과 같이 고시합니다. 2011년 8월 9일 교육과학기술부장관 1.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은 별책 1 과 같습니다. 2.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별책

시험지 출제 양식

우리나라의 전통문화에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봅시다.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를 체험합시다.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를 소중히 여기는 마음을 가집시다. 5. 우리 옷 한복의 특징 자료 3 참고 남자와 여자가 입는 한복의 종류 가 달랐다는 것을 알려 준다. 85쪽 문제 8, 9 자료

상품 전단지

::: 해당사항이 없을 경우 무 표시하시기 바랍니다. 검토항목 검 토 여 부 ( 표시) 시 민 : 유 ( ) 무 시 민 참 여 고 려 사 항 이 해 당 사 자 : 유 ( ) 무 전 문 가 : 유 ( ) 무 옴 브 즈 만 : 유 ( ) 무 법 령 규 정 : 교통 환경 재

2

DBPIA-NURIMEDIA

화이련(華以戀) hwp

ÆòÈ�´©¸® 94È£ ³»Áö_ÃÖÁ¾

歯1##01.PDF

<5BC1F8C7E0C1DF2D31B1C75D2DBCF6C1A4BABB2E687770>

120229(00)(1~3).indd

CONTENTS GYEONGSANGBUK-DO COMPOSITE INDEX 주요 경제 ISSUE 대구 경북 이야기 I. 국내외 경기종합지수 1 1. OECD 경기종합지수 1 2. 국내 경기종합지수 3 II. 경상북도 경기종합지수 및 경제지표 5 1. 경상

2016년 제31차 통신심의소위원회 회의록(심의의결서,공개, 비공개).hwp

00-1표지

Microsoft PowerPoint - F_ 경제전망_편.pptx [읽기 전용]

오세경-제15-29호.hwp

*통신1802_01-도비라및목차1~11

京 畿 鄕 土 史 學 第 16 輯 韓 國 文 化 院 聯 合 會 京 畿 道 支 會

< B3E2B0E6B3B2B0E6C1A6C0FCB8C128C0DAB9AEC8B8C0C7292E687770>

제 출 문 국민대통합위원회 위원장 귀하 이 보고서를 연구용역사업 공공갈등의 정치화 경로분석 및 대응방안 연구 과제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4년 12월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장 박 성 완 II

<4D F736F F D20C0AFB0A120BBF3BDC2BFE4C0CE20C1A1B0CB20B9D720BDC3BBE7C1A12E646F63>

<C3D6C1BEBAB8B0EDBCAD28C1A4C3A55F B315D2E687770>

표1

<B0E6C1A6C0A7B1E25FB9DFC1A65FB0ADBCAEC8C62E687770>

israel-내지-1-4


歯25차.PPT

<C1B6BBE7BFF9BAB85F31322E687770>

원이며 경제 정책의 중심이었다. 토지가 재산의 시작이라 할 수 있기에 제한된 땅의 크기를 가지고 백성들에게 어느 정도 나누어 줄지, 국가는 얼마를 가져서 재정을 충당할지, 또 관료들은 얼마를 줄 것인지에 대해 왕조마다 중요한 사항이었다. 정도전의 토지개혁은 그런 의미에


Transcription:

문의 보도자료 본 자료는 11월 26일(목) 조간 부터 보도해 주시기 바랍니다. 강두용(거시) (044) 287-3205 조철(산업) (044) 287-3046 2016년 경제 산업 전망 2015. 11. 25

< 목 차 > <요 약> i I. 거시경제 전망 1 1. 국내 경기상황 판단 1 2. 대외여건 전망 3 3. 2016년 국내경제 전망 10 II. 주요 산업 전망 2 1. 2015년 동향 2 2. 2016년 전망 24

< 요 약 > I. 거시경제 전망 현 경기 판단 : 내수 다소 개선ㆍ수출 부진 국내 실물경기는 내수가 투자를 중심으로 다소 회복되는 모습을 보 이고 있는 반면 수출은 부진 지속 - 내수는 경기부양 등에 힘입어 설비투자와 건설투자가 비교적 활발 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고, 민간소비는 완만한 증가세 지속중 - 수출은 물량 증가가 부진한 가운데 유가하락에 따른 단가 하락이 가세하면서 금년 들어 감소세 지속 세계경제 : 2015년보다 소폭 높은 성장 예상 세계경제는 선진권 중심으로 완만한 회복세가 이어지면서 전년보다 소폭 높은 성장을 보일 것으로 예상 - 선진권의 경우 미국은 꾸준한 성장세가 예상되며, 유로권과 일본은 통화정책의 확장적 기조가 이어지면서 완만한 성장을 보일 전망 - 중국은 완만한 성장 둔화 추이가 이어질 전망 유가 및 환율 : 저유가 지속, 환율은 금년과 비슷한 수준 2016년 유가는 세계경제의 완만한 성장세에 따른 수요 부진으로 저 유가 기조가 지속될 전망 원/달러 환율은 미국 금리인상에 따른 달러 강세의 상승 요인과 국 내 대규모 경상흑자 지속에 따른 하락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 서 금년과 비슷한 수준에 머물 것으로 예상 - i -

2016년 국내 경제성장 : 연간 GDP 3% 성장 전망 국내경제는 수출부진이 완화되고 저유가, 저금리에 힘입어 내수가 완만한 증가를 이어가면서 금년보다 소폭 높은 연간 3% 내외의 성 장을 보일 것으로 예상 - 상하반기 비슷한 성장 흐름을 예상 - 수출이 낮은 증가에 그치고 내수도 소비성향 하락 추이 등으로 완 만한 증가에 머물러 성장률 상승 폭은 크지 않을 전망 미국 금리인상과 그 여파, 중국의 성장둔화폭 확대 가능성, 지정학 적 불안 등 대외요인이 주요 변수로 작용할 전망 민간소비 : 연간 2% 내외 증가 전망 소비는 수출 부진 완화, 저물가 등이 증가를 견인하나 가계부채 및 주거비 부담, 고령화 진전 등이 제약요인으로 작용하여 연간 2% 내 외의 완만한 증가를 예상 투자 : 설비투자 호조세 지속, 건설투자는 둔화 설비투자는 수출 부진 완화, 저금리 등으로 전년에 이어 비교적 활 발한 증가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되며, 건설투자는 주택경기 진정, SOC 예산 축소로 전년에 비해 증가세가 낮아질 전망 수출입 : 세계경제 부진 완화로 연간 수출 2.1% 증가 전망 수출은 세계경제가 완만하나마 회복세를 보이고 단가 하락세가 진 정됨에 따라 소폭의 증가세로 전환될 전망 - 2016년 수출은 약 2.1%, 수입은 약 3% 증가하고, 무역수지는 금 년과 비슷한 수준의 대규모 흑자를 이어갈 전망 - ii -

주요 거시경제지표 전망 단위 : 전년동기비, %, 억 달러 2015년 2016년 상반기 하반기 연간 상반기 하반기 연간 실질GDP 2.3 <0.6> 2.9 <1.0> 2.6 3.2 <0.7> 2.9 <0.8> 3.0 민간소비 1.6 2.1 1.8 2.1 1.9 2.0 건설투자 1.2 6.5 4.0 3.9 2.0 2.9 설비투자 5.4 5.3 5.3 4.0 4.4 4.2 통관 수출 (억달러, %) 2,685 (-5.2) 2,638 (-8.9) 5,323 (-7.0) 2,690 (0.2) 2,746 (4.1) 5,436 (2.1) 통관 수입 (억달러, %) 2,224 (-15.5) 2,216 (-15.5) 4,440 (-15.5) 2,250 (1.2) 2,325 (4.9) 4,575 (3.0) 무역수지 461 422 883 440 421 861 자료 : 산업연구원. 주 : < >안은 전기비 분기증가율의 반기 평균임. - iii -

II. 산업별 전망 주력산업 수출은 가전,일반기계 등의 주도로 소폭 증가세 전환 소재산업군은 금년에 비해 수출부진 폭이 축소되고,IT제조업과 기 계산업군은 수출이 소폭 증가세로 전환 산업별로 수출은 가전이 올림픽 특수 등에 힘입어 가장 호조 수출규모가 큰 반도체는 감소세 전환,조선도 드릴쉽 등 해양플랜트 의 인도 연기 및 취소로 감소세 지속 최근 주력산업의 수출부진은 경기적 요인과 구조적 요인이 복합적으 로 작용하고 있어 2016년에도 크게 개선되기 어려울 전망 생산은 수출 저성장,해외생산 확대 등으로 소폭 증가 12대 주력산업 수출은 중국 저성장,단가약세 등의 영향에도 불구하 고,선진국 경기회복,신제품 출시 확대,올림픽 특수 등에 힘입어 소 폭 증가세로 전환(-9.4% 0.4%) -한 중 주력산업간 경쟁심화,엔저 저유가 장기화,해외생산 확대 지 속,산업구조조정,한 중 FTA 발효 등이 변수로 작용할 전망 가전의 호조와 소재산업의 부진 완화에 힘입어 IT제조업(0.7%)과 비 IT제조업(0.3%) 수출 모두 증가세 전환되나 소폭에 그칠 전망 -2016년 수출은 상저하고 흐름으로,하반기에 감소세 탈피 전망 -가전은 브라질 올림픽 특수 등에 힘입어 증가세(6.3%)로 전환되고, 정유와 석유화학은 유가하락으로 크게 감소했던 금년보다 개선 반도체와 조선 수출은 감소세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 -반도체 수출은 해외생산 물량 확대와 D램 가격하락으로 감소세 전 - iv -

환,조선은 저유가 지속으로 해양플랜트 인도 연기로 감소 전망 12대 주력산업의 수출 동향 및 전망 주력산업의 수출부진은 경기적 요인과 구조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어 2016년에도 수출부진이 지속될 가능성 상존 -세계시장 수요둔화도 문제이나,글로벌 공급능력 확대,중국 등 후 발국과의 경쟁심화,해외생산 확대 등도 부진의 원인 -더욱이 엔저 및 저유가 장기화,신흥시장 성장 및 업체간 경쟁격화 등에 따른 수출단가 하락 등도 일정부분 수출제약 요인으로 작용 2016년 생산은 수출과 내수 둔화,가전,정보통신기기,자동차 등 주력업종의 해외생산 확대로 낮은 성장세가 지속될 전망 -반도체(5%)가 내수확대,고부가 제품 양산으로 증가하고,가전과 정보통신기기,정유는 수출확대에 힘입어 3% 정도 증가하지만,여 타업종들은 1~2% 증가에 그치거나 소폭 감소 전망 -가전,스마트폰,섬유에 이어 최근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등 첨단품 목의 해외생산 확대가 국내수출을 대체하면서 수출에 부정적 영향 - v -

2016년 수출 :가전 호조,일반기계,자동차,정유는 증가세 전환 기계산업군 수출은 자동차(2.4%)가 선진국 수요회복으로,일반기계 (4%)가 친환경 기계류 수요와 수출회복으로 증가세 전환되지만,조선 이 감소하면서 전체적으로 1% 증가 소재산업군은 유가하락으로 크게 감소했던 석유화학과 정유의 수출개 선에 힘입어 부진폭이 크게 완화된 0.7% 기록( 15년 23.4% 감소) -철강은 중국 저성장,수입규제 등 보호무역주의 확산으로 금년수준 에서 정체,섬유(1.0%)는 선진국 수요개선,기저효과로 증가세 전환 IT제조업 수출은 가전(6.3%)이 하계올림픽 특수로 증가하나,반도체 (-0.8%)가 D램가격 하락으로 감소세로 전환되면서 전체적으로 1% 증가하며 금년수준에서 정체 -정보통신기기(2.9%)는 휴대폰부품,SSD 호조 지속으로 증가 반면, 디스플레이(-1.8%)는 중국 저성장,해외생산 확대로 부진 지속 전망 2016년 주요 산업별 수출 증가율 전망 단위 :% 주 :달러표시 가격 기준,( )은 2016년 총수출 대비 점유율 전망 - vi -

2016년 중국의 성장둔화시 국내 주력산업은 수출의존도 특히 대중 수출 비중이 높아 대중국 수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 기계 산업군 소재 산업군 IT 제조업군 2016년 산업 전망 기상도 수출 생산 내수 수입 자동차 조 선 일반기계 철 강 석유화학 정 유 섬 유 가 전 정보통신기기 디스플레이 반도체 음식료 주 :1)전망 :전년동기대비 증가율 기준, -10% 이하, -5%~-10, -5~0%, 0~5%, 5~10%, 10% 이상 2)생산과 내수의 경우 자동차는 완성차,조선은 건조량,철강은 철강재,석유화학 은 3대 유도품,정유는 석유제품,섬유는 섬유사의 물량 기준이고 여타 업종은 금액 기준 3)수출과 수입은 모든 업종에서 달러화 가격 기준 화장품 등 부상하고 있는 후발 수출유망 업종은 꾸준히 성장 새로운 유망 수출산업으로 부상하고 있는 7개 후발산업들은 수출성 장세가 지속되면서 주력산업의 수출 부진을 부분적으로 보완 -7개 후발산업*은 1990년대 말부터 제조업 평균 성장률을 넘어서는 꾸준한 수출확대로 성장하며 새로운 유망 수출산업으로 부상 1) 중전기기,플라스틱제품,축전지(이차전지),반도체 디스플레이장비,화 장품,의료용전자기기,의약품 1)그동안 높은 성장세를 기록하던 경보신호기부품이 2014년 이후 수출이 크게 감소하면서 수출 후발 유망업종이 8개에서 7개로 조정됨. - vii -

-한편 7대 후발업종 중에서 중전기기 수출이 2014년 비교적 큰폭의 감소세를 기록했지만,2015년 1~9월 기준 부진폭이 개선 후발 주요 업종의 최근 수출 증감률 변화 추이 단위 :% 2012 2013 2014 2015.1~9 의약품 14.0 3.8 15.2 31.4 중전기기 25.2 11.7-29.2 0.1 화장품 19.0 24.3 51.6 62.9 반도체 디스플레이장비 -27.5 63.5 14.2 14.7 (12대 주력산업) -4.7 1.0 2.8-6.7 (총수출) -1.3 2.1 2.3-6.6 주 :12대 주력산업의 2015년(1~9월)수치는 15년 상반기 기준 7대 후발업종의 총수출 대비 비중은 2007년 3.9%에서 2014년 5.5%로 높아진 반면,동기간 12대 주력산업의 수출비중은 감소(82.5 79.2%) -7대 업종은 1998~14년 동안 연평균 수출증가율이 14.6%로 총수출 의 9.6%를 상회하였으며,2015년 9월까지 수출비중은 6.1%로 상승 후발 7대 수출호조 업종의 총수출 대비 비중 변화 자료 :한국무역협회 무역통계DB(MTI기준)참조 - viii -

I. 거시경제 전망 1. 국내 경기상황 판단 내수 다소 개선ㆍ수출 부진 국내 실물경기는 경기부양 등에 힘입어 투자가 비교적 활발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 반면 수출은 부진 지속 - 투자는 설비투자와 건설투자 모두 하반기 들어 비교적 활발한 증가세 - 민간소비는 3분기 들어 상반기 메르스 영향에 따른 부진에서 벗어나 완만한 증가세 - 수출은 유가하락에 따른 단가 하락과 세계교역 부진의 영향으로 감소세 * GDP(전기비, %) : ( 14.4/4) 0.3 ( 15.1/4) 0.8 (2/4) 0.3 (3/4) 1.2 * GDP(전년동기비, 이하 同, %): ( 15.1/4) 2.5 (2/4) 2.2 (3/4) 2.6 * 민간소비(%) : ( 14.4/4) 1.4 ( 15.1/4) 1.5 (2/4) 1.7 (3/4) 2.0 * 설비투자(%) : ( 14.4/4) 4.2 ( 15.1/4) 5.8 (2/4) 5.0 (3/4) 6.8 * 건설투자(%) : ( 14.4/4) -1.5 ( 15.1/4) 0.6 (2/4) 1.6 (3/4) 5.2 * 통관 수출(%) : ( 15.1/4) -3.0 (2/4) -7.2 (3/4) -9.5 (10월) -15.8 <그림 I - 1> GDP 및 부문별 성장기여도 추이 자료 : 한국은행. 주 : 내수는 민간소비와 총고정자본형성의 합. - 1 -

산업생산은 광공업이 수출의 영향으로 부진한 반면 서비스업은 꾸준한 증가세 * 광공업(%) : ( 14.4/4) -1.9 ( 15.1/4) -0.9 (2/4) -1.5 (3/4) -0.3 * 서비스(%) : ( 14.4/4) 2.6 ( 15.1/4) 2.8 (2/4) 2.5 (3/4) 2.8 <그림 I - 2> 산업생산지수 증가율 추이 자료 : 통계청. 경기선행지표는 완만하나마 경기 개선 가능성을 시사 * 동행 순환변동치 전월차: ( 15.6월) -0.3 (7월) 0.2 (8월) 0.3 (9월) 0.7 * 선행 순환변동치 전월차: ( 15.6월) -0.4 (7월) -0.1 (8월) 0.1 (9월) 0.5 <그림 I - 3> 경기종합지수 추이 자료 : 통계청. - 2 -

2. 대외여건 전망 (1) 세계경제 2015년 동향 : 2014년 대비 저조한 성장세 올 들어 세계 실물경기는 선진권의 완만한 성장 흐름과 개도권의 현저한 경기 둔화로 전년보다 성장세가 상대적으로 저조 - 선진권에서는 미국이 상대적으로 견고한 내수에 힘입어 전년비 2% 대의 성장률을 유지하고 있는 반면, 일본과 유로권은 정책당국의 경기부양 노력에도 성장세가 미미 - 개도권은 중국이 내 외수 부진 여파로 상반기 성장률이 7% 수준 에 그치고, 3분기에는 2009년 1분기 이후 처음으로 7%선을 하회 - 전세계 산업생산은 올 상반기에 완연한 둔화세를 보인 이후, 하반 기 들어 다소 반등하는 모습 * 세계 산업생산 : (2014) 3.3% (2015.상반기) 2.2% (2015.7~8월) 2.0% 선진권 : (2014) 2.4% (2015.상반기) 1.2% (2015.7~8월) 1.0% 개도권 : (2014) 4.2% (2015.상반기) 3.2% (2015.7~8월) 3.0% <그림 I - 4> 세계 권역별 산업생산 증가율 추이 7 ( %, 전 년 동 월 비 ) 6 5 4 3 2 1 0-1 - 2-3 2 0 1 2 2 0 1 3 2 0 1 4 2 0 1 5 전 세 계 산 업 생 산 선 진 국 개 도 국 자료 : CPB Netherlands Bureau for Economic Policy Analysis. - 3 -

2016년 전망 : 불확실성 속 성장률 소폭 개선 2016년 세계경제는 선진권과 개도권의 성장세가 소폭 개선되면서 2015년보다 약간 높은 성장률이 예상되나, 여전히 높은 불확실성으 로 인해 성장세가 강하지는 않을 전망 - 미국경제는 고용 및 소득 여건의 개선에 힘입어 내수 주도의 견조 한 성장이 예상되나, 연준의 금리 인상과 대외경기 부진의 영향이 주요 변수 - 일본과 유로권은 실물경기 회복의 가시화 전까지 현재의 경기부양 기조가 이어질 전망이며, 중국을 비롯한 개도권에서도 경기부양을 위한 전방위 노력에 따른 성장 회복 여부가 주요 관건 - 주요 리스크 요인들로는 주요국들 간의 차별적인 정책 기조 영향 과 국제금융시장의 변동성 확대 여부, 그리고 개도권과도 밀접한 연관성이 있는 원자재가격의 회복 여부 등에 주목할 필요 <표 I - 1> 세계 권역별 및 주요국의 성장률 추이와 전망 단위 : %, 전년동기비(전기비 연율) 2014년 2015년 2016년 전망치 조정폭 상반기 하반기 연간 1분기 2분기 3분기 연간(f) 연간(f) 2015 2016 세 계 3.4 3.1 3.6 0.2 0.2 선진권 1.9 1.9 1.9 2.0 2.0-2.0 2.2 0.1 0.2 미 국 2.2 2.7 2.4 2.9 (0.6) 2.7 (3.9) 2.0 (1.5) 2.6 2.8 0.1 0.2 일 본 1.0-1.2-0.1-0.8 0.8-0.6 1.0 0.2 0.2 유 로 1.0 0.9 0.9 1.2 1.5-1.5 1.6 0.0 0.1 개도권 4.6 4.0 4.5 0.2 0.2 중 국 7.5 7.3 7.4 7.0 7.0 6.9 6.8 6.3 0.0 0.0 세계교역 3.3 3.2 4.1 0.9 0.3 자료 : IMF World Economic Outlook(2015.10월) 등. 주 : 전망치 조정폭은 2015.7월과의 변화폭이며, 는 하향조정을 의미. - 4 -

<그림 I - 5> OECD 산업생산 및 경기선행지수 변화율 추이 (%, 전년동월비) (%, 전년동월비) 6 20 4 2 15 10 5 0 0-2 -4-6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5 -10-15 -20 OECD 전산업생산지수(우) OECD 경기선행지수(좌) OECD <표 I - 2> OECD 및 주요국의 경기선행지수(CLI) 추이 경기선행지수 (장기 추세=100) 전월비 변화율 (%)) 2015년 2015년 4월 5월 6월 7월 8월 4월 5월 6월 7월 8월 전년 동월비 15.8월 100.2 100.2 100.1 100.0 99.9-0.05-0.06-0.07-0.10-0.12-0.46 유로권 100.6 100.6 100.6 100.6 100.7 0.05 0.03 0.01 0.00 0.01 0.41 아시아 개도권* 99.1 99.0 98.8 98.7 98.5-0.08-0.11-0.14-0.17-0.18-1.18 경기 전망** Signs of easing growth Stable growth momentum Growth losing momentum 선진권(G7) 100.1 100.0 99.9 99.8 99.7-0.05-0.06-0.08-0.11-0.14-0.73 Easing growth 캐나다 99.7 99.7 99.7 99.6 99.6-0.05-0.03-0.02-0.04-0.05-0.70 Easing growth 프랑스 100.5 100.6 100.6 100.7 100.8 0.07 0.06 0.07 0.08 0.09 1.20 Growth firming 일 본 100.1 100.1 100.0 99.9 99.8 0.00-0.02-0.05-0.11-0.16-0.24 Easing growth 독 일 100.0 100.0 100.0 100.0 100.0 0.06 0.04 0.02 0.01 0.00 0.09 Stable growth momentum 이탈리아 100.9 100.9 100.9 100.9 101.0 0.08 0.04 0.02 0.02 0.05 0.50 Growth firming 영 국 100.2 100.1 99.9 99.7 99.5-0.13-0.15-0.18-0.21-0.23-1.60 미 국 99.9 99.8 99.6 99.5 99.2-0.11-0.12-0.13-0.18-0.23-1.36 브라질 99.2 99.0 98.9 98.9 98.8-0.21-0.17-0.12-0.06-0.02-0.93 중 국 98.3 98.1 97.9 97.6 97.2-0.17-0.21-0.26-0.31-0.33-2.61 Growth losing momentum Growth losing momentum Weak growth momentum Growth losing momentum 인 도 99.5 99.6 99.7 99.8 99.9 0.09 0.10 0.11 0.11 0.12 1.05 Growth firming 러시아 99.3 99.4 99.4 99.3 99.1 0.08 0.06-0.01-0.09-0.13-1.85 Weak growth momentum 자료 : OECD. 주 1) 한국, 중국, 일본, 인도, 인도네시아. 2) 지수가 100 이상에서 상승(또는 하락)하면 expansion(또는 downturn), 반대로 100 미 만(음영 부문)에서 상승(또는 하락)하면 recovery(또는 slowdown)를 의미. - 5 -

(2) 유가 : 저유가 기조 지속 국제유가는 전반적으로 저유가 기조가 지속되는 가운데, 2015년 상 반기에 다소 반등하는 모습을 보이다가 6월 이후 달러화 강세와 이 란 핵협상 타결 등 공급과잉 우려가 맞물리면서 재차 하락세 * 10월 30일 기준 배럴당 43.94달러(두바이유)로 연중 최고점대비 32.5%, 연초대비 17.5% 하락 - 최근 국제유가 약세의 주요 원인은 중국 및 세계경제의 성장 둔화 로 인한 수요 감소, 북미지역 셰일오일 및 OPEC 회원국들의 원유 생산량 증가 등 <표 I - 3> 국제 유가 추이 단위 : 달러/배럴, 기간 평균 2014년 2015년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연간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WTI 98.7 103.1 97.5 73.4 93.2 48.6 58.0 46.6 46.3 Brent 108.1 109.7 102.7 76.7 99.3 55.1 63.5 51.3 49.3 Dubai 104.4 106.0 101.6 74.8 96.7 52.2 60.5 49.9 45.8 자료 : 한국석유공사. 주 : 2015년 4분기는 2015년 11월 현재 기준. <그림 I - 5> 최근 국제유가 추이 자료 : 한국석유공사. 주 : 음영 부문은 연간 변동 범위(최소값~최대값)임. - 6 -

2016년 국제유가는 최근의 수급구조가 기본적으로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는 점에서 저유가 기조가 지속될 전망 - 다만 국제유가 하락을 이끌었던 세계경기 부진이 선진국을 중심으 로 다소 완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非 OPEC 산유국의 생산량 감소 등이 예상되어 전년보다 소폭 높아지는 모습을 보일 전망 - 주요 전망 기관들의 경우, 2016년 상반기에는 낮은 수준의 가격을 유지하다 하반기 이후에는 완만한 오름세를 보일 것을 예상하는 견해가 지배적 - 2016년 유가는 저유가 기조 속에 금년보다 소폭 상승한 연간 55.1달 러(2015년 대비 5.7% 상승) 내외 예상 <표 I - 4> 2015년 및 2016년 국제유가 전망 단위 : 달러/배럴 2015년 2016년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연간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연간 WTI 48.5* 57.9* 46.6* 45.3 49.5 49.1 54.4 56.3 54.3 53.6 Brent 54.0* 61.7* 50.5* 50.0 54.0 54.1 59.4 61.3 59.3 58.6 자료 : EIA 단기에너지전망 보고서 2015년 10월. 주 : *는 실측치. <표 I - 5> 2016년 유가 전망(국내경제 전망을 위한 전제) 단위 : 달러/배럴, 기간 평균 2015년 2016년 상반기 하반기 연간 상반기 하반기 연간 Dubai유 56.3 (-46.5) 47.9 (-45.7) 52.1 (-46.1) 51.7 (-8.2) 58.4 (22.0) 55.1 (5.7) 주: ( )는 각각 전년동기비 기준, 단위 %. - 7 -

(3)원/달러 환율 :2015년과 비슷한 수준 예상 원/달러 환율은 미국의 경기회복 및 금리 인상 기대 등에 따라 금 년 들어 상승세를 보이다가 10월 이후 다소 하락하여 1130원대에서 변동 중 - 9월 7일 연 최고점인 1,203.7원까지 상승한 이후, 미국 연준의 금리 인상 시점 지연과 중국 금융시장의 안정 등으로 하락세를 보이면 서 최근 1,120원~1140원대에서 변동 중 <그림 I - 6> 최근 원/달러, 원/엔(100엔), 엔/달러 환율 추이 자료 : 한국은행. 2016년 원/달러 환율은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등에 따른 달러 강세 와 국내 대규모 경상흑자 지속에 따른 하락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 용하면서 금년과 비슷한 수준에 머물 것으로 예상 - 미국 기준금리 인상은 금년말 혹은 늦어도 2016년중에는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 - 다만, 미국의 금리 인상속도가 완만할 것으로 보인다는 점이나 국 내 경상수지의 대규모 흑자 지속 등이 억제요인으로 작용하여 환 율은 금년과 비슷한 수준에 머물 것으로 예상 - 8 -

2016년 원/달러 환율은 연평균 1,150원(전년 대비 1.7% 상승) 내외 예상 <표 I - 6> 원/달러 환율 전망치 2015년 2016년 상반기 하반기 연간 상반기 하반기 연간 1,098.9 (4.7) 1,162.8 (10.0) 1,130.9 (7.4) 1,160 (5.6) 1,140 (-2.0) 1,150 (1.7) 주 1) ( )는 각각 전년동기비 기준, 단위 %. 2) 2015년 하반기는 2015년 11월 현재 기준. 원/엔 환율은 일본의 경기 회복이 미진한 가운데 일본중앙은행의 완화적인 통화정책 지속으로 2016년에도 약세가 전망되나 세계금융 시장 변동성 확대로 인한 안전자산 선호 현상으로 약세 강도는 2015년 대비 다소 완화될 것으로 예상 - 9 -

3. 2016년 국내경제 전망 (1)경제성장 2016년 GDP 성장률 3% 내외 예상 2015년 국내경제는 수출 부진의 영향으로 2.6%의 다소 낮은 성장에 그칠 전망 2016년 국내경제는 수출이 소폭이나마 증가세로 돌아서고 내수도 완만한 회복 기조를 유지하면서 금년보다 다소 높은 3% 내외의 성 장을 보일 전망 - 상하반기 비슷한 성장 흐름이 이어질 전망 수출은 세계 교역이 회복세를 보이고 단가 하락세가 진정됨에 따라 완만하나마 증가세를 되찾을 전망 - 2016년 수출은 약 2.1%, 수입은 약 3% 증가하고, 무역흑자는 전년 과 비슷한 약 860억 달러 내외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 내수는 소비와 투자 모두 완만한 증가를 보일 전망 - 소비는 수출 부진 완화, 물가 안정 등에 힘입어 꾸준한 증가세를 이어가나 주거비 및 가계부채 부담 등이 제약요인으로 작용하여 금년과 비슷한 완만한 증가를 보일 전망 - 설비투자는 수출 부진 완화와 저금리에 힘입어 금년에 이어 비교 적 활발한 증가가 예상되고, 건설투자는 주택경기 진정, 정부 SOC 예산 축소 등에 따라 금년보다 증가율이 낮아질 전망 - 10 -

미국 금리인상 관련 불안, 중국의 성장둔화 폭 확대 가능성, 지정학 적 불안 등 대외요인이 주요 변수로 작용할 전망 <표 I - 7> 주요 거시경제지표 전망 단위 : 전년동기비, %, 억 달러 2015년 2016년 상반기 하반기 연간 상반기 하반기 연간 실질GDP 2.3 <0.6> 2.9 <1.0> 2.6 3.2 <0.7> 2.9 <0.8> 3.0 민간소비 1.6 2.1 1.8 2.1 1.9 2.0 건설투자 1.2 6.5 4.0 3.9 2.0 2.9 설비투자 5.4 5.3 5.3 4.0 4.4 4.2 통관 수출 (억달러, %) 2,685 (-5.2) 2,638 (-8.9) 5,323 (-7.0) 2,690 (0.2) 2,746 (4.1) 5,436 (2.1) 통관 수입 (억달러, %) 2,224 (-15.5) 2,216 (-15.5) 4,440 (-15.5) 2,250 (1.2) 2,325 (4.9) 4,575 (3.0) 무역수지 461 422 883 440 421 861 자료 : 산업연구원. 주 : < >안은 전기대비 분기증가율의 반기 평균임. - 11 -

(2)부문별 전망 민간소비 민간소비는 유가 하락에 따른 소득 증가 호조에 힘입어 완만한 증 가세를 지속중 - 2015년 상반기 메르스로 인해 소비활동이 위축되면서 2분기에는 전기비 0.2% 감소하였으나, 3분기 들어 증가세를 회복 - 재화별로는 준내구재의 부진이 이어지는 가운데 내구재가 상대적 으로 높은 증가세를 보였으며 비내구재와 서비스는 완만한 증가세 <표 I - 8> 민간소비 관련 지표 추이 단위 : %, 전년동기비 2014년 2015년 1/4 2/4 3/4 4/4 연간 1/4 2/4 3/4 민간소비 2.6 1.7 1.5 1.4 1.5 1.7 2.0 1.8 (0.4) (-0.4) (0.8) (0.5) (0.6) (-0.2) (1.1) 소매판매액지수 2.4 0.8 1.5 1.9 1.6 2.9 3.1 1.7 (0.2) (-0.2) (1.3) (0.4) (0.5) (0.6) (1.1) 실질 GNI 4.8 3.6 3.1 3.7 7.0 5.8 3.8 (1.0) (1.0) (0.2) (1.6) (4.2) (-0.1) - 자료: 한국은행, 통계청. 주: ( )안은 계절조정 자료의 전분기비. <그림 I - 7> 재화별 소비 추이 (전년동기비) 자료: 한국은행. - 12 -

유가의 하향안정세와 낮은 물가상승률 등이 가계의 실질 구매력을 개선시키면서 민간소비 증가세를 견인 - 저유가에 따른 수입물가 하락세 등에 힘입어 소비자물가는 0%대 상승률을 지속중이고 교역조건 개선으로 GDI는 높은 증가세 * 국제유가(두바이유): ( 15.1/4) 52.2달러 (2/4) 60.5달러 (3/4) 49.9달러 * 수입물가지수(한국은행, 달러기준, 전년동기비): ( 15.1/4) -20.4% (2/4) -20.5% (3/4) -24.1% <그림 I-8> 교역조건과 GDI 증가율 추이 <그림 I-9> 소비자 물가 상승률 추이 자료 : 한국은행. 자료 : 한국은행. 고용과 임금도 완만하나마 증가 추이를 지속중 <그림 I-10> 취업자수 추이(계절조정) <그림 I-11> 명목임금 추이(전년동기비) 자료 : 통계청. 주 : 실질 기준. 자료 : 통계청. 주 : 5인이상 사업체 평균 1인당 분기평균 기준. - 13 -

다만 전세가 상승 등에 따른 주거비 부담, 높은 수준의 가계부채에 다른 원리금 상환 부담, 고령화 진전 등이 소비 제약요인으로 작용 - 가계부채의 큰 폭 증가와 더불어 원리금 상환 부담도 높아지면서 가계소비를 제약 - 주택거래(매매ㆍ전세 기준)가 올해 들어 규제 완화 및 저금리 기조 지속에 대출금리 하락 등의 요인으로 급격히 늘면서 가계 부채의 증가세는 당분간 지속될 전망 - 주거비 비담이나 가계부채 원리금 부담 등이 소비를 제약하면서 소 비증가율이 가계소득증가율을 하회하여 최근 소비성향은 하락 추이 <그림 I - 12> 가계부채 추이 <그림 I-13> 가계 소득 및 소비성향 추이 자료 : 한국은행. 자료 : 통계청. 2016년 민간소비는 수출 부진 완화에 힘입은 소득 증가와 저물가에 따른 실질구매력 개선 추이가 지속되는 가운데, 가계부채 누증 등이 제약요인으로 작용하면서 완만한 증가추이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 - 금년보다 소폭 높은 2% 내외의 연간 증가를 예상 - 14 -

설비투자 설비투자는 작년에 이어 올해도 경제성장률을 웃도는 비교적 안정 적인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는 중 * 설비투자 전년동기비 증감률(%) : ( 14.3/4) 4.2 (4/4) 4.2 ( 15.1/4) 5.8 (2/4) 5.0 (3/4) 6.8 형태별로는 일반기계류와 자동차에 대한 투자가 큰 폭으로 증가 - 특히, 금년 들어 자동차에 대한 투자가 큰 폭으로 증가하는 가운데 하반기 들어 증가세가 가속화 형 태 별 설비투자 기계류 <표 I - 9> 설비투자 추이 단위 : %, 전년동기비 2014년 2015년 1/4 2/4 3/4 4/4 연간 1/4 2/4 3/4 7.2 7.7 4.2 4.2 5.8 5.0 6.8 5.8 (-1.4) (1.3) (0.2) (4.0) (0.2) (0.5) (2.0) 9.3 (-3.4) 운송장비 2.6 (3.7) 5.4 (0.4) 12.8 (3.6) 1.3 (2.0) 12.2 (-3.8) 자료 : 한국은행. 주 : ( ) 안은 계절조정계열의 전기비 증감률. 4.6 (5.6) 3.4 (0.4) 5.0 7.7 7.2 (-0.7) 2.7 (2.4) 2.6 (-3.9) 9.3 (10.6) <표 I - 10> 부문별 설비투자지수 추이 단위 : %, 전년동기비 2015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총지수 13.7 3.1 8.8 2.6 0.7 12.3 7.2 16.6 7.1 기계류 17.3 4.3 11.6 5.9-5.2 10.7 8.2 11.3-4.1 일반기계류 24.2 10.2 21.8 8.2-8.2 15.0 13.4 16.4-6.5 전기전자기기 7.9-5.3-7.2 2.8-1.1 1.5 2.7 6.8 1.1 정밀기기 19.2 5.3 9.2 2.5-2.5 11.0 3.9 4.2-6.1 기타기기 2.5-8.0 6.6 1.7 2.7 12.1-5.8 0.2-2.2 운송장비 4.9 0.2 1.5-5.4 15.5 16.2 4.9 30.9 36.4 자동차 13.4 1.5 17.2 10.0 12.3 19.8 7.4 26.5 17.9 기타운송장비 -19.4-3.8-37.5-44.8 21.8 8.6-0.3 47.5 84.5 자료 : 통계청. - 15 -

<그림 I - 14> 설비투자 추이 (전년동기비 증가율) (a) 설비투자(국민계정) (b) 설비투자지수(통계청) 자료 : 한국은행, 통계청. 주 : 설비투자지수는 3개월 중심항 이동평균. 2016년 설비투자는 수출 부진의 완화나 저금리 등에 힘입어 호조가 이어지겠으나, 주요 업종의 구조조정 등이 제약 요인으로 작용하여 올해보다는 약간 낮은 증가를 보일 것으로 예상 - 2013년부터 비교적 활기를 보였던 기계수주액은 올해 하반기 들어 하락세로 전환되는 모습 - 금년 하반기에 집중되는 내수부양책의 효과와 세계경제의 회복에 따른 수출 둔화세의 진정, 저금리 기조 등은 투자증가세 유지에 기여할 전망 - 업종별로는 IT와 자동차 등이 호조를 보이는 반면, 구조조정의 압 력을 받고 있는 철강, 석유화학 등은 부진할 전망 <그림 I - 15> 설비투자 선행지표 추이 (a) 기계수주와 설비투자조정압력 (b) 제조업 설비투자 전망(BSI) % % 자료 : 통계청, 한국은행 주 1) 기계수주(선박제외 불변금액 국내수요)와 설비투자조정압력은 3개월 중심항 이동 평균. 2) 설비투자조정압력 = 제조업 생산지수 증감률 제조업 생산능력 증감률. 3) 설비투자 전망은 다음 달 전망. - 16 -

건설투자 건설투자는 부동산 경기회복, 경기부양 등에 힘입어 최근 들어 증가 세가 확대되는 모습 - 올해 들어 주택거래를 중심으로 부동산 경기가 활기를 보이면서 주거용 건물에 대한 투자가 큰 폭으로 증가 - 반면에 토목건설은 대규모 프로젝트가 없어 여전히 부진을 지속 형 태 별 주 체 별 <표 I - 11> 건설투자 추이 단위 : %, 전년동기비 2014년 2015년 1/4 2/4 3/4 4/4 연간 1/4 2/4 3/4 건설투자 4.1 (5.3) 0.2 (0.5) 2.3 (0.9) -1.5 (-7.8) 1.0 0.6 (7.4) 1.6 (1.6) 5.2 (4.5) 건물건설 8.0 (3.2) 3.5 (3.1) 5.7 (2.4) 1.5 (-7.3) 4.4 2.5 (4.5) 4.0 (4.6) - 주거용 (7.5) 17.2 9.1 9.1 2.3 (1.5) (-1.4) (-5.6) 8.9 6.0 9.0 (12.2) (4.1) - 비주거용 (-0.1) 0.5-0.6 3.5 0.9 (4.4) (5.5) (-8.5) 1.2-0.9 0.0 (-1.4) (5.0) - 토목건설 (8.9) -2.1-4.9-4.0-5.7 (-3.8) (-1.8) (-8.8) -4.4-2.8-2.6 (12.7) (-3.6) - 민간 5.3 4.4 3.4 1.2 (9.9) (0.1) (-3.0) (-5.4) 3.5 2.0 1.1 (11.5) (-1.1) - 정부 -2.3 (-11.0) -15.4 (2.3) -1.2-9.8 (17.6) (-16.4) -7.8-7.9 (-8.1) 3.4 (14.4) - 자료 : 한국은행. 주 : ( ) 안은 계절조정계열의 전기비 증감률. % <그림 I - 16> 건설투자와 건설기성액 (전년동기비) (a) 건설투자 (b) 건설기성액 자료 : 한국은행, 통계청. 주 : 건설기성액은 3개월 중심항 이동평균. - 17 -

건설수주와 부동산 심리지수 등 건설경기 선행지표들은 여전히 상승국면 에 있어 호조 지속을 시사 - 전년 4분기 부진의 기저효과로 2015년 하반기 건설투자는 비교적 높은 증가를 보일 전망 2016년 건설투자는 금년보다 다소 낮은 연간 3% 내외의 증가를 예상 - 주거용 건물 투자는 부동산 거래의 호조 지속으로 꾸준한 증가세가 이 어질 전망 - 공공부문, 토목 건설 투자는 경기부양책 등에 힘입어 점차 부진에서 벗 어날 것으로 전망 - 다만 부동산 경기호조세 완화, 금년 대비 정부 SOC 예산 축소 등 으로 2015년보다는 증가율이 낮아질 전망 <그림 I - 17> 건설투자 선행지표 추이 (a) 건설수주액(전년동기비) (b) 부동산시장 소비심리지수 자료 : 통계청, 국토연구원. 주 : 건설수주액은 3개월 중심항 이동평균. - 18 -

수출입 2015년 수출은 유가하락에 따른 관련 제품 수출의 급감, 세계 교역 둔화, 엔화 및 유로화 약세에 따른 가격경쟁력 저하, 중국경제의 구 조변화 등 일시적, 구조적 요인이 겹치면서 큰 폭으로 감소 - 수입도 자본재와 소비재가 소폭 증가를 보이고 있으나, 유가 하락 등으로 에너지 자원의 수입이 대폭 감소한데다 수출부진에 따른 중간재 수입 둔화 등으로 두 자릿수 감소 - 수출입이 모두 부진한 가운데 수출보다 수입이 더 큰 폭으로 감소 함에 따라 무역수지 흑자 규모가 크게 확대 수출 수입 2014년 <표 I - 12> 최근 수출입 동향 2015년 단위 : 억 달러, % 1/4 2/4 3/4 10월 1 10월 5,727 1,334 1,351 1,283 435 4,403 (2.3) (-3.0) (-7.2) (-9.5) (-15.8) (-7.6) 5,255 1,118 1,105 1,083 368 3,675 (1.9) (-15.5) (-15.6) (-18.5) (-16.6) (-16.5) 무역수지 472 216 246 200 67 728 자료 : 한국무역협회, 산업통상자원부. 주 1) ( )안은 전년동기비 증가율. 2) 10월 실적은 잠정치. 품목별로는 무선통신기기와 반도체를 제외한 대부분의 품목들이 감 소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국제유가 하락의 영향으로 유가관련 제 품인 석유제품과 석유화학의 수출이 특히 큰 폭으로 감소 - 무선통신기기는 해외생산 거점으로의 부품수출 확대와 신제품의 판매 호조로 증가세가 지속되고 있으나, 반도체는 PC 수요 부진에 따른 메모리 수출 감소로 증가세가 점차 둔화 - 19 -

- 자동차는 신흥시장 경기둔화에 따른 수출 부진으로, 디스플레이는 공급과잉에 따른 단가하락과 해외생산 확대 등으로, 철강과 섬유는 세계경기 부진과 공급과잉에 따른 수출단가 하락 등으로 감소 <표 I - 13> 산업별 수출 2014년 2015년 단위 : 억 달러, % 연간 증가율 1 10월 증가율 비중 무선통신기기 295.7 7.2 266.1 8.4 6.0 반도체 626.5 9.6 529.7 3.7 12.0 일반기계 484.0 4.3 395.3-1.7 9.0 자동차부품 266.4 2.1 213.3-4.6 4.8 선박류 398.9 7.3 318.2-5.3 7.2 디스플레이 323.1-9.8 255.0-5.4 5.8 자동차 489.2 0.6 375.4-5.8 8.5 섬유류 159.4-0.1 119.1-10.9 2.7 철강제품 355.4-9.4 255.3-13.1 5.8 가 전 148.4-0.3 106.9-15.6 2.4 석유화학 482.1-0.3 319.5-21.7 7.3 석유제품 507.8-3.8 274.9-37.3 6.2 자료 : 한국무역협회, 산업통상자원부. 주 : 2015년 10월 실적은 추정치. 지역별로는 선진국과 개도국 모두 1 9월 중 전년동기 대비 6%대의 고른 감소폭을 보이고 있으며, 미국을 제외한 대부분 지역에 대한 수출이 감소 - 대선진국 수출은 대미수출은 증가세가 지속되고 있으나, 엔화 및 유로화 약세에 따른 가격경쟁력 하락으로 일본과 EU에 대한 수출 은 두 자릿수의 큰 폭 감소 - 우리나라 최대 시장인 대중수출도 중국의 경기 둔화와 자급능력 확대 등으로 부진한 흐름이 지속되고 있으며, 유가 하락 및 경기부 진의 영향으로 중동과 중남미에 대한 수출도 크게 감소 - 20 -

<그림 I - 18> 지역별 수출 증가율 자료 : 한국무역협회. 2016년 수출은 중국의 성장세 둔화와 엔화 유로화 약세 등이 제약 요인으로 작용하나, 국제 원자재 가격의 안정, 세계경기의 완만한 회복, 기저효과 등으로 2.1%의 소폭 증가세로 돌아설 전망 수입은 유가 안정에 따른 에너지 자원의 수입 회복과 기저효과 등 으로 3.0%의 소폭 증가가 예상되며, 무역수지 흑자규모는 2015년과 비슷한 높은 수준이 유지될 전망 <표 I - 14> 2016년 수출입 전망 단위 : 전년동기비, %, 억 달러 2014년 2015년 2016년 상반기 하반기 연간 상반기 하반기 연간 수출 수입 5,727 2,685 2,638 5,323 2,690 2,746 5,436 (2.3) (-5.2) (-8.9) (-7.0) (0.2) (4.1) (2.1) 5,255 2,224 2,216 4,440 2,250 2,325 4,575 (1.9) (-15.5) (-15.5) (-15.5) (1.2) (4.9) (3.0) 수지 472 461 422 883 440 421 861 주 : ( )안은 전년동기비 증가율. - 21 -

Ⅱ. 주요 산업 전망 1.2015년 동향 수출은 정보통신기기와 반도체 외에 전업종이 감소 12대 주력산업 수출은 정보통신기기와 반도체가 증가했지만,이외 모 든 업종 특히 소재산업군이 크게 부진하면서 전년동기비 9.4% 감소 -하반기에 유가가 재차 약세를 보이면서 해양플랜트 인도 연기,D 램 단가하락 등이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 (기계산업군)조선은 하반기 해양플랜트 인도 연기로 감소세로 전환되 고,자동차와 일반기계도 신흥시장 수요부진 등으로 감소하면서 전체 적으로 4%대 감소율을 기록 (소재산업군)정유(-36.6%)와 석유화학(-20.6%)은 수출물량 확대에도 불 구하고 하반기 유가하락 지속으로 크게 부진했으며,철강과 섬유는 대 중국 수요 둔화와 단가하락 등의 영향으로 10~14% 감소 (IT제조업군)정보통신기기가 휴대폰부품,SSD 호조로 증가했지만,반 도체가 D램가격 하락 등으로 소폭 증가에 그치고,가전과 디스플레이 가 해외생산 확대와 단가하락의 영향으로 부진 생산은 정유,반도체,조선이 증가한 반면,여타업종은 부진 (비IT제조업)조선,자동차,일반기계가 증가했지만,정유를 제외한 소재산업군이 수출과 내수위축으로 감소하면서 전체적으로 부진 -정유(8.1%)가 수출물량과 내수확대로 증가했지만,철강,석유화학, 섬유 등 여타 소비재산업군은 수출 및 내수위축으로 감소세 기록 - 22 -

(IT제조업)반도체(5.1%)가 미세공정 적용 확대로 증가세를 유지했지 만,가전,디스플레이,정보통신기기가 해외생산 확대,수출과 내수 부 진의 영향으로 감소 내수는 IT제조업이 둔화,비IT제조업은 업종별로 혼조세 (기계산업군)자동차(7.9%)가 내수 진작책,수입차 판매확대로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한 반면,일반기계는 수요둔화 등으로 1.9% 감소 (소재산업군)정유가 저유가 영향으로 확대되었지만,메르스 영향,수 요산업 시황악화 지속 등으로 섬유,석유화학,철강 등이 모두 감소 -한편 음식료산업의 내수는 간편식,고기능성 영양식 등 식품소비 트 렌드 변화 및 고부가가치 신제품 출시로 소폭 증가한 것으로 추정 (IT제조업군)반도체 내수는 웨어러블기기,SSD 등 수요산업 확대로 견실한 증가 반면,소비심리 위축으로 가전과 정보통신기기가 감소 수입은 IT제조업이 증가하는 반면,비IT제조업은 큰 폭 감소 (기계산업군)자동차가 수입차 판매 강세로,조선은 해양 기자재와 벌크선 반입확대로 증가 반면,일반기계는 내수부진으로 감소하면 서 전체적으로 1~2% 감소 추정 (소재산업군)석유화학과 정유,철강 모두 수입단가 하락 및 경기부 진 등의 영향으로 크게 감소하면서 전년대비 20% 이상 감소 추정 (IT제조업군)가전은 수출과 내수 동반 부진으로 감소했지만,정보통 신기기와 반도체가 비메모리,외산 스마트폰 수요확대로 증가하면서 전체적으로 5~6% 증가 예상 - 23 -

2.2016년 전망 (1)12대 주력산업 전망 종합과 특징 소재산업군은 금년에 비해 수출부진 폭이 축소되고,IT제조업과 기 계산업군은 소폭 증가세로 전환 산업별로 수출은 가전이 올림픽 특수 등에 힘입어 가장 호조 수출규모가 큰 반도체는 감소세 전환,조선도 드릴쉽 등 해양플랜트 의 인도 연기 및 취소로 감소세 지속 최근 주력산업의 수출부진은 경기적 요인과 구조적 요인이 복합적으 로 작용하고 있어 2016년에도 크게 개선되기 어려울 전망 생산은 수출둔화,해외생산 확대 등으로 소폭 증가 주력산업 수출은 가전,일반기계 등의 주도로 소폭 증가세 전환 12대 주력산업 수출은 중국 저성장세,단가약세 등의 영향에도 불구 하고,선진국 경기회복,신제품 출시 확대,올림픽 특수 등에 힘입어 소폭 증가세로 전환(-9.4% 0.4%) -한편 한 중 주력산업간 경쟁심화,엔저 저유가 장기화,해외생산 확 대 지속,산업구조조정,한 중 FTA 발효 등은 변수로 작용 전망 가전의 호조세와 소재산업의 부진 완화에 힘입어 IT제조업(0.7%)과 비IT제조업(0.3%) 수출 모두 증가세 전환되나 소폭에 그칠 전망 -2016년 수출은 상저하고 흐름으로,하반기에 감소세에서 벗어날 전망 -가전은 브라질 올림픽 특수 등에 힘입어 증가세(6.3%)로 전환되고, 정유와 석유화학은 유가하락으로 크게 감소했던 금년보다 개선 수출규모가 큰 반도체와 조선 수출은 감소세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 - 24 -

-반도체 수출은 해외생산 물량 확대와 D램 가격하락으로 감소세 전 환,조선은 저유가 지속으로 해양플랜트 인도 연기로 감소 전망 <그림 Ⅱ-1>12대 주력산업의 수출 동향 및 전망 주력산업의 수출부진은 경기적 요인과 구조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어 2016년에도 수출부진이 지속될 가능성 상존 -세계시장 수요둔화도 문제이나,글로벌 공급능력 확대,중국 등 후 발국과의 경쟁심화,해외생산 확대 등도 부진의 원인 -더욱이 엔저 및 저유가 장기화,신흥시장 성장 및 업체간 경쟁격화 등에 따른 수출단가 하락 등도 일정부분 수출제약 요인으로 작용 2016년 생산은 수출과 내수 둔화,가전,정보통신기기,자동차 등 주력업종의 해외생산 확대로 낮은 성장세가 지속될 전망 -반도체(5%)가 내수확대,고부가 제품 양산으로 증가하고,가전과 정보통신기기,정유는 수출확대에 힘입어 3% 정도 증가하지만,여 타업종들은 1~2% 증가에 그치거나 소폭 감소 전망 -가전,스마트폰,섬유에 이어 최근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등 첨단품 목의 해외생산 확대가 국내수출을 대체하면서 수출에 부정적 영향 - 25 -

2016년 중국의 성장둔화시 국내 주력산업은 수출의존도 특히 대중 수출 비중이 높아 대중국 수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전망 2016년 수출 :가전 호조,일반기계,자동차,정유는 증가세 전환 기계산업군 수출은 자동차(2.4%)가 선진국 수요회복으로,일반기계 (4%)가 친환경 기계류 수요와 수출회복으로 증가세 전환되지만,조선 이 감소하면서 전체적으로 1% 증가 소재산업군은 유가하락으로 크게 감소했던 석유화학과 정유의 수출개 선에 힘입어 부진폭이 크게 완화된 0.7% 기록( 15년 23.4% 감소) -철강은 중국 저성장,수입규제 등 보호무역주의 확산으로 금년수준 에서 정체,섬유(1.0%)는 선진국 수요개선,기저효과로 증가세 전환 기계 산업군 소재 산업군 IT 제조업군 <표 Ⅱ-1>2016년 산업 전망 기상도 수출 생산 내수 수입 자동차 조 선 일반기계 철 강 석유화학 정 유 섬 유 가 전 정보통신기기 디스플레이 반도체 음식료 주 :1)전망 :전년동기대비 증가율 기준, -10% 이하, -5%~-10, -5~0%, 0~5%, 5~10%, 10% 이상 2)생산과 내수의 경우 자동차는 완성차,조선은 건조량,철강은 철강재,석유화학 은 3대 유도품,정유는 석유제품,섬유는 섬유사의 물량 기준이고 여타 업종은 금액 기준 3)수출과 수입은 모든 업종에서 달러화 가격 기준 - 26 -

IT제조업 수출은 가전(6.3%)이 하계올림픽 특수로 증가하나,반도체 (-0.8%)가 D램가격 하락으로 감소세로 전환되면서 전체적으로 1% 증가하며 금년수준에서 정체 -정보통신기기(2.9%)는 휴대폰부품,SSD 호조 지속으로 증가 반면, 디스플레이(-1.8%)는 중국 저성장,해외생산 확대로 부진 지속 전망 화장품 등 부상하고 있는 후발 수출유망 업종은 꾸준히 성장 새로운 유망 수출산업으로 부상하고 있는 7개 후발산업들은 수출성 장세가 지속되면서 주력산업의 수출 부진을 부분적으로 보완 -7개 후발산업 * 은 1990년대 말부터 제조업 평균 성장률을 넘어서는 꾸준한 수출확대로 성장하며 새로운 유망 수출산업으로 부상 2) *중전기기,플라스틱제품,축전지(이차전지),반도체 디스플레이장비,화 장품,의료용전자기기,의약품 -한편 7대 후발업종 중에서 중전기기 수출이 2014년 비교적 큰폭의 감소세를 기록했지만,2015년 1~9월 기준 부진폭이 개선 <표 Ⅱ-2>후발 주요 업종의 최근 수출 증감률 변화 추이 단위 :% 2012 2013 2014 2015.1~9 의약품 14.0 3.8 15.2 31.4 중전기기 25.2 11.7-29.2 0.1 화장품 19.0 24.3 51.6 62.9 반도체 디스플레이장비 -27.5 63.5 14.2 14.7 (12대 주력산업) -4.7 1.0 2.8-6.7 (총수출) -1.3 2.1 2.3-6.6 2)그동안 높은 성장세를 기록하던 경보신호기부품이 2014년 이후 수출이 크게 감소하면서 수출 후발 유망업종이 8개에서 7개로 조정됨. - 27 -

7대 후발업종의 총수출 대비 비중은 2007년 3.9%에서 2014년 5.5%로 높아진 반면,동기간 12대 주력산업의 수출비중은 감소(82.5 79.2%) -7대 업종은 1998~14년 동안 연평균 수출증가율이 14.6%로 총수출 의 9.6%를 상회하였으며,2015년 9월까지 수출비중은 6.1%로 상승 <그림 Ⅱ-2>후발 7대 수출호조 업종의 총수출 대비 비중 변화 자료 :한국무역협회 무역통계DB(MTI기준)참조 <표 Ⅱ-3>후발 수출호조 업종의 수출비중 변화 추이 2000 2005 2010 2013 2014 2015 1~9월 단위 :% CAGR 98~14 09~14 플라스틱 제품 1.23 1.30 1.36 1.61 1.62 1.73 11.9 14.6 중전기기 0.94 0.98 1.48 1.99 1.38 1.42 15.2 13.3 반도체/디스플레이 장비 0.24 0.24 0.63 0.72 0.81 0.88 22.2 30.4 축전지 0.17 0.39 0.80 0.83 0.83 0.80 29.1 10.4 화장품 0.06 0.10 0.17 0.21 0.31 0.49 23.8 32.6 주 :의약품 연평균 증가율( 98~14)은 11.9%,의료용전자기기는 15.7% 기록 (2)2016년 12대 주력산업 전망 주력산업 수출 :가전 호조,일반기계,자동차,정유 증가세 전환 12대 주력산업 수출은 중국 저성장세,단가약세 등의 영향에도 불구 하고,선진국 경기회복,신제품 출시 확대,올림픽 특수 등에 힘입어 - 28 -

증가세로(-9.4% 0.4%)돌아서지만 금년수준에서 정체 -산업군별로 IT제조업(0.7%)과 비IT제조업(0.3%)이 가전의 호조세와 소재산업의 개선에 힘입어 증가세 전환되나 소폭에 그칠 전망 가전은 하계올림픽 특수 등에 힘입어 증가세(6.3%)로 전환되고, 정유와 석유화학은 유가하락으로 크게 감소했던 금년보다 개선 -그러나 한 중 주력산업간 경쟁심화, 엔저 저유가 장기화, 해외생산 확대 지속, 산업구조조정, 한 중 FTA 발효 등은 변수로 작용 전망 (기계산업군)자동차(2.4%)가 신모델 출시 확대로,일반기계(4%)가 친 환경 기계류 수요와 수출회복으로 증가세 전환되지만,조선이 감소하 면서 전체적으로 1% 증가 -조선은 해양플랜트의 인도 연기로 4.9% 감소,자동차는 폭스바겐 사태의 반사이익,해외거점향 자동차부품 수출확대로 증가세 전환 (소재산업군)유가하락으로 크게 감소했던 석유화학과 정유의 수출개 선에 힘입어 부진폭이 크게 완화된 0.7% 기록( 15년 23.4% 감소) -철강(-3.9%)은 중국 저성장,수입규제 등 보호무역주의 확산으로 감 소,섬유(1%)는 선진국 수요개선,기저효과로 증가세 전환 -정유(2.5%)수출은 중국 등 구조조정 영향과 국제유가 하락세 진정 에 따른 단가상승으로 증가세 전환,석유화학(-1.5%)은 감소폭 완화 (IT제조업군)가전이 올림픽 특수로 증가하나,반도체(-0.8%)가 D램 가격 하락으로 감소세로 전환되면서 전체적으로 1% 증가하며 둔화 -해외생산 확대와 경쟁격화에도 불구하고 가전(6.3%)은 올림픽 특수, 프리미엄 생활가전 수요로 호조세,정보통신기기(2.9%)는 휴대폰부 품,SSD 및 기업용 태블릿PC를 중심으로 증가세 지속 - 29 -

-디스플레이는 중국 저성장,해외생산 확대로 1.8% 감소,반도체는 해외생산 확대와 D램가격 하락세가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 전망 -한편 음식료 수출은 중국의 성장세 둔화,대일 수출 감소의 영향으 로 1.1% 증가에 그칠 전망 <표 Ⅱ-4>2016년 12대 주력산업 수출 전망의 주요 요인 전년대비 특징 호조 (5% 이상) 양호 (증가세 전환) 둔화 부진 (감소전환) 업종 증가율(%) 수출증감 주요 요인 15 16 가전 -13.8 6.3 -올림픽 특수,프리미엄 생활가전 수요 확대 -해외생산 확대,중국과 격차 축소는 부정적 요인 일반 기계 -2.4 4.0 -신흥개도국 기계류 및 부품 수요 확대 -엔저 지속,중국 경기부진은 수출수요 감소 영향 정유 -36.6 2.5 자동차 -5.5 2.4 섬유 -10.2 1.0 음식료 -2.1 1.1 정보통 신기기 -중국 설비증설 지연,유가안정으로 단가 상승 -글로벌 공급과잉,중국,일본 경제성장 둔화 -수출차종 신모델 출시,자동차부품 수요 확대 -엔저 영향,개도국 시장 수요 침체 지속 -선진국 경기회복,대개도국 섬유소재 수출 확대 -중국 등 신흥국 저성장 기조,해외생산 확대 -중국의 저성장,주류 상품의 대일 수출 감소 -대중 가공식품 수출 지속,한 중 FTA 효과 기대 6.5 2.9 -휴대폰부품,SSD 및 기업용 태블릿PC 수요증가 -해외생산 확대,신흥시장내 경쟁심화,단가 하락 반도체 1.3-0.8 -중국 내수부진,해외생산 확대,D램 가격 하락 -산업용 차량용 반도체 수요와 사물인터넷 수요확대 부진 (감소세 완화) 석유 화학 디스 플레이 철강 -중국경기 둔화 및 자급률 상승,공급과잉 -20.6-1.5 -유가 하락세 진정,터키 베트남 신흥시장 대두 -6.3-1.8 -중국 LCD패널 생산능력 향상,해외생산 확대 -UHD TV 및 OLED TV 수요증가,TV 대형화 -14.2-3.9 -공급과잉 및 단가하락,보호무역주의 확산 등 -신흥국 중심 수요 회복 전망 부진 지속 조선 -4.5-4.9 -저유가로 일부 해양플랜트 인도 연기/계약 취소 -고가 선박 및 해양플랜트 수출은 긍정적 요인 주 :1)호조는 5% 이상 증가,양호는 0~5% 미만 증가,부진은 감소세 기록 기준 2)일반기계는 사무기기(MTI714)와 광학기기(715)제외 기준 - 30 -

<그림 Ⅱ-3> 2016년 주요 산업별 수출 증가율 전망 단위 :% 주 :1)달러표시 가격 기준,( )은 2016년 총수출 대비 점유율 전망 2)일반기계는 사무기기(MTI714)와 광학기기(715)제외 기준 2016년 12대 주력산업의 수출증가율(0.4%)은 총수출 증가율(2.1%)을 하회하여,총수출대비 12대산업의 비중이 2015년 77.2%에서 76%로 더욱 낮아질 전망 -2016년 수출비중 상위 5대 업종은 자동차(13.5%),반도체(11.6%),일반 기계(8.2%),정보통신기기(7.4%),석유화학(6.9%)등으로 조선이 탈락했 으며,상위 5대 업종이 총수출에서 47.6% 차지할 전망 <그림 Ⅱ-4>12대 주력산업의 총수출 대비 비중 변화 추이 자료 : KITA 무역통계를 활용하여 산업연구원 작성 - 31 -

12대 산업 생산 :자동차,석유화학,섬유,디스플레이 감소,여타 업 종은 1~5% 증가 주력산업의 생산은 내수와 수출 부진,주요 업종의 해외생산 확대 등의 영향으로 금년과 비슷하거나 소폭 증가할 것으로 전망 (기계산업군)자동차가 내수감소의 영향으로 2% 감소세로 전환 반 면,조선은 기 확보 수주잔량의 건조에 힘입어 1.5% 증가 -일반기계는 내수확대와 수출회복의 영향과 친환경 관련 기계류 및 설비 수요확대로 2% 증가세 전망 (소재산업군)석유화학은 생산시설 증설에도 에틸렌-납사 스프레드 축소 등으로 1.1% 감소,섬유는 해외생산 확대,낮은 수출성장 및 수입확대로 0.9% 감소 -반면 정유는 저유가 기조에 따른 석유제품 내수증가로 3% 증가하고, 철강은 부진한 내수회복과 높은 재고 등으로 1.4% 증가에 그칠 전망 (IT제조업군)해외생산 확대에도 수출부진으로 감소한 디스플레이 외에 모든 업종이 3~5% 증가하면서 전체적으로 약 3% 증가 -반도체(5.1%)는 고부가 제품(3D V낸드)와 AP 양산 확대로 증가, 정보통신기기(3.6%)도 내수와 수출확대에 힘입어 증가 전망 -가전(3.3%)은 올림픽 특수에 따른 영상기기와 초절전형 및 빌트인 가전을 중심으로 증가 음식료(0.6%)는 경기침체에도 불구하고 편의식품 시장 확대,가정 간편식 등 고부가가치 제품 소비가 증가하면서 전년수준 유지 예상 - 32 -

<그림 Ⅱ-5> 2016년 주요 산업별 생산 증가율 전망 단위 :% 주 : 자동차는 완성차, 조선은 건조량, 철강은 철강재, 석유화학은 3대 유도품, 정유 는 석유제품, 섬유는 섬유사 기준이고 여타 업종은 금액 기준 12대 산업 내수 :자동차,조선,석유화학 외 모든 업종이 증가하나,증 가세는 소폭에 머무를 전망 내수는 반도체(9.3%)와 정보통신기기(3.1%)가 수요산업 성장 및 신 제품 교체수요로 증가하나,자동차,석유화학이 감소하고 여타업종 이 0~2% 증가에 머무르면서 소폭 증가 (내수중심 업종)음식료(0.1%)는 고급 가공식품 수입확대,메르스 여 파 이후의 소비지출 상승세 전망에도 전반적으로 수입이 감소하면서 금년수준 유지 예상 -철강(1.8%)은 건설용 설비용 철강수요에도 자동차,조선 등 수요산 업 생산위축으로,일반기계(1.2%)는 설비투자가 다소 둔화되면서 소폭 증가에 그칠 전망 (수출 내수 병행)자동차는 금년 호실적에 따른 기저효과와 수입차 판매 증가 둔화의 영향으로 5% 감소 -가계부채와 거주비 상승에 따른 소비위축에도 가전(1.2%)은 올림픽 특수와 초절전형 가전 수요로,섬유(0.5%)는 수입확대로 소폭 증가 - 33 -

-정유(1.7%)는 저유가 기조가 지속되면서 경유,휘발유 등 수송용 및 산업용 석유제품 수요확대로 금년에 이어 증가세 지속 (수출중심 업종)반도체 내수(9.3%)는 SSD,사물인터넷,웨어러블기 기 등 수요산업 성장에 힘입어 견실한 증가세가 지속될 전망 -디스플레이(1.3%)가 경기부진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에도 대형 TV 가격하락,신제품 출시 등으로 소폭 증가,정보통신기기(3.1%)는 신 규 스마트폰 출시,윈도 10및 PC 교체수요에 힘입어 증가 <그림 Ⅱ-6> 2016년 주요 산업별 내수 증가율 전망 단위 :% 주 :상동 12대 산업 수입 :비IT제조업 수입부진이 개선되면서 증가세 전환 수입은 철강,석유화학,음식료의 감소세가 지속되지만,여타업종들 이 수출과 내수 확대,저유가 기조로 인한 수입단가 약세에 힘입어 소폭이나마 증가하면서 전체적으로 증가세(1.7%)반전 -금년은 비IT제조업이 17.2%(IT제조업 5.6%)로 크게 부진했지만, 2016년에는 비IT제조업이 1.3% 증가(IT제조업 2.6%)로 전환될 전망 -음식료(-3.9%)는 주류,커피,유제품 등 고급 가공식품 수요에도 불 - 34 -

구하고 수입비중이 높은 사료와 당류의 수입부진이 지속되며 감소 (기계산업군)외제차,기자재,엔저에 따른 기계류와 부품 수요에 힘 입어 자동차,조선,일반기계 모두 증가하며 전체적으로 4.1% 증가 -자동차(4.8%)는 폭스바겐 사태로 둔화되나 외제차 수요 지속으로 증가,조선(2.4%)은 해외의존도가 높은 해양기자재 중심으로 증가 (소재산업군)철강과 석유화학은 감소세가 크게 축소되고,정유(3%) 와 섬유(5.2%)가 저유가 기조,중저가 섬유소재 수요로 증가하면서 전체적으로 0.1% 증가( 15년 27%)예상 -석유화학(-2.3%)은 수입단가 하락의 영향이 지속되면서 감소폭이 축소,철강(-3.6%)은 내수부진과 국내 공급역량 확충으로 위축 (IT제조업군)디스플레이(-1.2%)가 중소형 범용패널 수요둔화로 감소 하나,여타 업종이 모두 수입이 늘어나면서 전체적으로 2.6% 증가 -정보통신기기(5.1%)는 외산 스마트기기 수요,가전(4.1%)은 중저가 가전,반도체(1.3%)는 시스템 반도체를 중심으로 수입이 모두 증가 <그림 Ⅱ-7> 2016년 주요 산업별 수입 증가율 전망 단위 :% 주 : 달러표시 가격 기준 - 35 -

업종 2014 자동차 조선 일반기계 철강 석유화학 정유 섬유 가전 정보통신 기기 디스 플레이 반도체 음식료 12대 합계 총수출 <표 Ⅱ-5>2016년 12대 주력산업의 수출 전망 2015 2016 단위 :백만 달러,% 상반기 하반기 연간 상반기 하반기 연간 75,559 36,704 34,712 71,416 37,099 36,038 73,137 1.1-5.5-5.4-5.5 1.1 3.8 2.4 39,886 22,391 15,700 38,091 20,309 15,916 36,225 7.3 12.1-21.2-4.5-9.3 1.4-4.9 43,891 22,358 20,498 42,856 22,400 22,170 44,570 4.5 1.4-6.1-2.4 0.2 8.2 4.0 35,543 16,147 14,357 30,504 14,600 14,700 29,300 9.4-7.4-20.7-14.2-9.6 2.4-3.9 48,255 19,431 18,867 38,298 18,845 18,869 37,714-0.3-19.0-22.2-20.6-3.0 0.0-1.5 50,784 16,621 15,565 32,186 15,602 17,400 33,002-3.8-36.2-37.0-36.6-6.1 11.8 2.5 15,936 7,202 7,110 14,312 7,115 7,335 14,450-0.1-10.1-10.3-10.2-1.2 3.2 1.0 14,843 6,142 6,655 12,797 7,150 6,450 13,600-0.3-17.9-9.6-13.8 16.4-3.1 6.3 36,527 18,379 20,514 38,893 18,886 21,148 40,034 5.9 3.4 9.4 6.5 2.8 3.1 2.9 25,810 12,053 12,122 24,175 10,997 12,742 23,739-5.8-5.6-7.1-6.3-8.8 5.1-1.8 62,647 30,993 32,484 63,477 30,540 32,429 62,969 9.6 6.0-2.8 1.3-1.5-0.2-0.8 4,181 2,025 2,069 4,094 2,050 2,091 4,141 6.2-0.2-3.9-2.1 1.2 1.1 1.1 453,862 210,446 200,653 411,099 205,593 207,288 412,881 2.8-6.7-12.1-9.4-2.3 3.3 0.4 572,664 268,500 263,800 532,300 269,000 274,600 543,600 2.3-5.2-8.9-7.0 0.2 4.1 2.1 주 :1)( )은 전년 동기비 증가율 2)수치는 통관 기준 3)일반기계는 사무기기(MTI714)와 광학기기(715)제외 기준 - 36 -

<표 Ⅱ-6>2016년 12대 주력산업의 생산 전망 단위 :% 업종 2014 자 동 차 조 (천대) 선 (만CGT) 일 반 기 계 철 (10억원) (천톤) 강 석 유 화 학 정 (천톤) 유 (십만배럴) 섬 가 (천톤) 유 전 (10억원) 정보통신기기 (10억원) 디스플레이 (10억원) 반 도 체 (10억원) 음 식 료 (10억원) 2015 2016 상반기 하반기 상반기 하반기 4,525 2,322 2,293 4,615 2,263 2,259 4,522 0.1-0.9 5.1 2.0-2.5-1.5-2.0 1,012 629.5 424.7 1,054.2 657.8 412.2 1,070-11.2 6.7 0.6 4.2 4.5-2.9 1.5 100,220 48,223 53,237 101,460 49,700 53,789 103,489 1.4 1.5 1.0 1.2 3.1 1.0 2.0 74,109 36,566 36,962 73,528 36,842 37,730 74,572 7.2-1.3-0.3-0.8 0.8 2.1 1.4 21,452 10,608 10,754 21,362 10,562 10,559 21,121-1.2-2.5 1.7-0.4-0.4-1.8-1.1 10,301 5,477 5,658 11,135 5,699 5,768 11,467 2.8 11.6 4.9 8.1 4.1 1.9 3.0 1,961 938 902 1,840 903 920 1,823-4.8-5.8-6.5-6.2-3.7 2.0-0.9 34,211 16,072 16,968 33,040 17,543 16,599 34,142 0.3-6.8 0.0-3.4 9.2-2.2 3.3 69,579 33,200 35,890 69,090 34,566 37,025 71,591 3.5-5.0 3.7-0.7 4.1 3.2 3.6 32,674 16,255 16,052 32,307 15,125 16,282 31,407-8.3-0.2-2.1-1.1-7.0 1.4-2.8 75,083 39,228 39,687 78,915 39,811 43,129 82,940 8.1 4.7 5.5 5.1 1.5 8.7 5.1 76,801 38,146 39,211 77,357 38,347 39,511 77,858 1.8 1.4 0.1 0.7 0.5 0.8 0.6 주 :1)( )은 전년 동기비 증가율 2)자동차는 완성차,조선은 건조량,철강은 철강재,석유화학은 3대 유도품,정 유는 석유제품,섬유는 섬유사 기준이고 여타 업종은 금액 기준 - 37 -

<표 Ⅱ-7>2016년 12대 주력산업의 내수 전망 단위 :% 업종 2014 2015 2016 상반기 하반기 상반기 하반기 자 동 차 1,675 869 939 1,808 843 875 1,718 (천대) 8.9 6.9 8.8 7.9-3.0-6.8-5.0 조 선 109.7 58.3 55.6 113.9 56.0 53.9 109.9 (만CGT) -2.5 4.1 3.5 3.8-3.9-3.1-3.5 일 반 기 계 85,627 38,744 45,297 84,041 40,270 44,783 85,053 (10억원) -0.6-4.0 0.1-1.9 3.9-1.1 1.2 철 강 55,521 27,400 27,967 55,367 28,247 28,107 56,354 (천톤) 7.3-3.2 2.8-0.3 3.1 0.5 1.8 석 유 화 학 10,781 5,227 5,171 10,398 4,749 4,675 9,424 (천톤) -0.2-2.0-5.1-3.6-9.1-9.6-9.4 정 유 8,215 4,178 4,326 8,504 4,266 4,379 8,645 (십만배럴) -0.5 3.3 3.8 3.5 2.1 1.2 1.7 섬 유 1,475 694 678 1,372 671 708 1,379 (천톤) -4.5-8.0-6.0-7.0-3.3 4.4 0.5 가 전 24,203 12,085 12,170 24,255 12,450 12,085 24,535 (10억원) 4.7-2.4 3.0 0.2 3.0-0.7 1.2 정보통신기기 52,552 24,790 25,879 50,669 25,632 26,602 52,234 (10억원) 12.6-7.5 0.5-3.6 3.4 2.8 3.1 디스플레이 8,986 4,794 3,947 8,741 5,103 3,753 8,856 (10억원) 0.0 3.1-8.9-2.7 6.4-4.9 1.3 반 도 체 47,509 24,958 25,956 50,914 26,340 29,289 55,629 (10억원) 6.1 0.7 14.2 7.2 5.5 12.8 9.3 음 식 료 84,566 41,948 43,048 84,996 42,025 43,067 85,092 (10억원) 1.4 1.4-0.4 0.5 0.2 0.0 0.1 주 :1)( )은 전년 동기비 증가율 2)자동차는 완성차,조선은 건조량,철강은 철강재,석유화학은 3대 유도품,정 유는 석유제품,섬유는 섬유사 기준이고 여타 업종은 금액 기준 - 38 -

<표 Ⅱ-8>2016년 12대 주력산업의 수입 전망 단위 :백만 달러,% 업종 2014 2015 2016 상반기 하반기 연간 상반기 하반기 연간 자동차 13,964 7,482 7,421 14,903 7,882 7,732 15,614 24.4 14.8-0.3 6.7 5.3 4.2 4.8 조선 3,970 2,254 2,403 4,657 2,355 2,415 4,770 9.1 27.0 9.5 17.3 4.5 0.5 2.4 일반기계 29,666 13,970 13,472 27,442 14,200 14,340 28,540-2.5-6.2-8.8-7.5 1.6 6.4 4.0 철강 29,848 11,857 10,973 22,830 10,800 11,200 22,000 6.6-22.2-24.9-23.5-8.9 2.1-3.6 석유화학 16,452 7,009 6,927 13,936 6,806 6,816 13,622-3.3-13.3-17.2-15.3-2.9-1.6-2.3 정유 30,133 7,867 7,317 15,184 7,359 8,286 15,645 2.0-50.5-48.6-49.6-6.5 13.2 3.0 섬유 14,657 6,464 8,115 14,579 6,650 8,694 15,344 8.4 1.3-1.9-0.5 2.9 7.1 5.2 가전 5,341 2,514 2,528 5,042 2,760 2,490 5,250 10.5-11.9 1.6-5.6 9.8-1.5 4.1 정보통신기기 20,356 10,662 11,407 22,069 11,184 12,018 23,202 29.5 6.7 10.1 8.4 4.9 5.4 5.1 디스플레이 3,315 1,623 1,712 3,335 1,542 1,752 3,294 8.8-2.5 3.7 0.6-5.0 2.3-1.2 반도체 36,461 18,375 20,342 38,717 18,826 20,395 39,221 5.3 7.0 5.5 6.2 2.5 0.3 1.3 음식료 11,554 5,485 5,368 10,853 5,221 5,210 10,431 3.3-1.8-10.1-6.1-4.8-2.9-3.9 12대 합계 215,717 95,562 97,985 193,547 95,585 101,348 196,933 6.4-9.9-10.6-10.3 0.0 3.4 1.7 총수입 525,500 222,400 221,600 444,000 225,000 232,500 457,500 1.9-15.5-15.5-15.5 1.2 4.9 3.0 주 :1)( )은 전년 동기비 증가율 2)수치는 통관 기준 3)일반기계는 사무기기(MTI714)와 광학기기(715)제외 기준 - 39 -

<별첨 1>중국 저성장이 주력산업 대중 수출에 미치는 영향 국내 주력산업은 특히 대중국 수출비중이 높은 편으로,중국의 성 장둔화는 특히 일반기계,섬유,정유,철강 및 가전의 대중국 수출 에 비교적 큰 부정적 영향을 미칠 전망 -일반기계는 중국 수출 비중이 큰 건설중장비 등 기계류의 부정적 영향이 불가피할 전망 -섬유는 품목별로 대중 수출비중이 섬유원료,원사 등 섬유소재가 76%,의류 등 최종재가 24%로 높아 타격이 클 전망 -정유는 공급과잉 상황이 지속되는 가운데 중국의 성장세 둔화시 석유제품 수요감소로 수출경쟁이 더욱 심화 -가전은 중국이 제2의 수출시장으로 중국 성장둔화시 부품과 중국 내수용 완제품의 대중 수출이 감소할 전망 -철강은 중국경제의 저성장시 국제 철강경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 치고,중국의 국내수요가 크게 위축될 것으로 예상 디스플레이,석유화학,반도체 등 여타 업종들도 수출에 다소의 부 정적 영향 예상 -디스플레이와 석유화학은 중국이 최대 수출시장으로 중국 저성장 세가 지속될 경우 대중 수출에 일부 부정적 영향이 예상 -반도체는 중국 저성장으로 인한 내수부진으로 스마트폰 등 수요산 업의 수요가 줄어들면서 반도체 수요도 감소 전망 -정보통신기기의 경우 중국이 제2의 수출대상국으로서 중국 경기둔 - 40 -

화에 따른 시장수요 둔화는 국내수출에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 -음식료는 중국 성장둔화시 소비감소의 영향을 받지만,한국산 가공 식품의 주요 소비층이 중상층으로 부정적 영향은 제한적일 전망 -자동차는 자동차 시장 둔화와 함께 중국정부의 자동차 구매제한 정책 확대의 영향을 받지만 가격인하 전략으로 수출영향은 제한적 <표 Ⅱ-9>중국 저성장과 주력산업의 2016년 대중 수출 영향 전망 수출 영향 크게 부정적 영향 업종 대중 수출비중 일반기계 19.1 섬유 15.0 주요 요인 단위 :% 중국은 기계류 최대 수출시장으로서 중국내 수요둔 화에 따른 영향 우려 중국은 제2의 수출시장으로 저성장시 국산 섬유소재 및 의류의 수입수요 큰 폭 감소 우려 정유 14.0 중국 경제 저성장에 따른 석유제품 수요증가율 감소 가전 13.0 철강 12.9 디스 플레이 중국은 제2수출시장으로서 부품 및 중국 내수용 완 제품 수출 부진을 야기 대중 수출비중이 점차 축소되고,중국의 철강수출이 확대되며(1억톤 상회)국제 철강가격 약세를 견인 68.1 최대 수출시장인 대중 수출에 일부 부정적 영향 석유화학 45.1 수입수요 감소로 대중 수출(범용제품)감소 우려 반도체 43.8 중국의 내수 부진으로 반도체 수요 감소 소폭 부정적 영향 정보 통신기기 24.0 음식료 20.1 자동차 9.3 조선 3.6 중국의 내수중심 성장,자국산업 우대정책이 추진중 인 한편,중국의 저성장세는 수출에 부정적 영향 중국 성장둔화는 소비감소로 이어지나,한국산 가공 식품의 주요 소비층이 중상층으로 영향 제한적 전망 내수시장 부진으로 대중국 수출 감소 우려되나 가격 인하 전략 등으로 부정적 영향 제한적 중국 수요부진시,벌크선 수출은 크게 감소,기타선 종은 영향 미미 주 : 수출비중은 2015년 상반기 업종별 총수출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 - 41 -

<별첨 2>중국 추격 가속화가 주력산업 수출에 미치는 영향 중국 주력산업의 경쟁력 강화로 중국추격이 거세지면서 자동차와 반도체를 제외한 주력산업의 수출에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 전망 조선,일반기계,철강,석유화학,섬유,가전,정보통신기기,디스플 레이,음식료는 중국추격 확대로 수출에 소폭 부정적 영향이 전망 -조선은 경쟁력 상승으로 인한 영향은 당분간 크지 않지만,중국 조 선산업의 구조조정이 완료되고 안정화되면 위협적 영향 전망 -일반기계는 기계류 최첨단 설비 보다는 중급 및 범용기계류를 중 심으로 중국의 추격이 가속화되면서 한 중간 경쟁이 심화 -철강은 공급과잉과 함께 중국과 수출품목 및 지역까지 경쟁이 확 대되고 있으며,석유화학은 자급률 상승으로 부정적 영향 전망 -섬유는 중국의 대규모 생산설비 확충에 따른 생산능력 확대,첨단 설비도입에 따른 원사 직물의 품질제고 등으로 수출확대를 제약 -가전은 UHD TV,프리미엄 세탁기 등 첨단기술제품 생산 역량을 확보하여 프리미엄 시장에서도 한국 업체와 경쟁관계를 형성 -정보통신기기는 특히 중국 스마트폰이 거대 내수기반과 저가격-고 기능 전략으로 급성장하면서 중국내에서 한 중간 경쟁이 심화 -디스플레이는 중국기업의 LCD 생산이 지속되고 TV용 패널에서 빠르게 추격중이며,OLED 패널의 증설투자도 본격화될 전망 -음식료는 내수산업의 성격이 뚜렷한 산업 특성상 중국 내수기업의 경쟁력 상승이 국내 산업에 위협요인으로 작용할 전망 - 42 -

정유는 중국이 정제설비를 지속 확충하고 고도화 설비투자 확대로 고부가 제품에서 경쟁이 심화되면서 상대적으로 영향이 클 전망 반면 반도체는 중국이 산업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지만 한국과 중국 반도체산업은 생산공정이 분업화되어 있어 단기적으로 영향 미미 -자동차는 중국업체의 경쟁력 상승으로 국내 수출에 부정적 영향이 예상되나 중국 내수시장에 한정되고 한 중 산업간의 격차가 존재 <표 Ⅱ-10>중국 추격 가속화와 2016년 주력산업 수출 변화 전망 수출 영향 업 종 주요 요인 조 선 과잉 공급능력에 의한 경쟁 치열(공급), 선복과잉에 의한 발주부진(수요) 소폭 부정적 크게 부정적 영향 미미 일반기계 철 강 석유화학 섬 유 가 전 정보 통신기기 디스 플레이 음식료 정유 자동차 반도체 범용 기계류를 위주로 중국의 추격 가속화 동남아 등 신흥국에서 중국 철강제품과의 경합도가 계속 높아지고 있으며,기존의 봉형강류에서 판재류까지 확산 부동산 시장 침체,산업구조조정 가속화로 중국생산 둔화 그러나 중국 석유화학 시장에서 자급률 상승 봉제의류에 이어 섬유소재 경쟁력이 한국과 비슷한 수준으 로 상승하고,산업용섬유 분야로 경쟁 확대 추세 UHD TV와 LED조명기기 등에서 중국의 기술 추격이 가속 화 중국 스마트폰은 경쟁력 제고로 중국 등 저가시장 잠식 컴퓨터 등 정보기기는 시장점유율면에서 중국이 우위 8세대 LCD 생산능력 확대를 통해 특히 TV용 패널에서 한 국을 빠르게 추격 중국 내수기업의 경쟁력 강화는 장기적으로 국내 가공식품 의 가장 큰 위협요인이나,단기적으로는 영향이 제한적 거대 국영기업을 중심으로 한 정제설비 확충 중국 고도화설비 투자 확대로 고부가 제품에서 경쟁심화 중국과 한국 자동차산업과의 격차 존재 중국 경쟁력 강화는 부정적 요인이나 중국내에 국한 전망 제품 차별화 및 공정분업 관계로 영향 미미 - 4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