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BC6EDC1FD5D5FC7E0BAB9BBE7C8B8BFCD5FB9AEC8ADC1A4C3A5C0C75FB9E6C7E2342E687770>



Similar documents
2014 자격연수 제1기_수정.hwp

,......

Issue 두 가지 상대적 관점에서 검토되고 있다. 특히, 게임 중독에 대한 논의는 그 동안 이를 개인의 심리적 차원에서 접근해왔던 것에서 벗어나 청소년에 대한 사회문화 및 정보 리터러시(literacy) 교육의 방향이라든 지 나아가 게임중독과 관련한 사회구조적인 또는

,,,.,,,, (, 2013).,.,, (,, 2011). (, 2007;, 2008), (, 2005;,, 2007).,, (,, 2010;, 2010), (2012),,,.. (, 2011:,, 2012). (2007) 26%., (,,, 2011;, 2006;

입장

내지4월최종

232 도시행정학보 제25집 제4호 I.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사회가 다원화될수록 다양성과 복합성의 요소는 증가하게 된다. 도시의 발달은 사회의 다원 화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현대화된 도시는 경제, 사회, 정치 등이 복합적으로 연 계되어 있어 특

08_¹Úö¼øöKš

<5BC0AFBEC6B1E2C7E0BAB9B0A85D20C0CEBCE2BFEB20C3D6C1BEBABB5F F312E687770>

b77¹¼úÁ¤º¸š

<3130BAB9BDC428BCF6C1A4292E687770>

<30315FC0CCB5BFC1D65FC7D1B1B9BCBAB8C5B8C52E687770>

8? ?????? ??(11?).hwp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2, pp DOI: * The Mediating Eff

PSAT¿¹Á¦Áý ȨÆäÀÌÁö °Ô½Ã (¼öÁ¤_200210) .hwp


., (, 2000;, 1993;,,, 1994), () 65, 4 51, (,, ). 33, 4 30, 23 3 (, ) () () 25, (),,,, (,,, 2015b). 1 5,

<C8DEB0A1C0CCBFEB20BDC7C5C2C1B6BBE720B9D720C8DEB0A1B9AEC8AD20B0B3BCB12DC6EDC1FD2E687770>

16

Ç¥Áö

06_±è¼öö_0323

서울시_장혁사회_총평,해설_B책형_1.hwp

세월호라는 사건과 인류학적 현장 사이에서

현 안 분 석 2 Catsouphes & Smyer, 2006). 우리나라도 숙련된 인 력부족에 대한 우려가 심화되고 있으며, 일자리의 미 스매치 수준이 해외 주요국보다 심각하다는 점도 지 지부진한 유연근무제의 확산을 위한 진정성 있는 노 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보여준다

< C7D0B3E2B5B520B9FDC7D0C0FBBCBABDC3C7E820C3DFB8AEB3EDC1F528C8A6BCF6C7FC292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 A Study on the Ac

<B5B6BCADC7C1B7CEB1D7B7A52DC0DBBEF7C1DF E687770>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ethics of coaching sport Sungjoo Park* Kookmin University [Purpose] [Methods] [Results] [Conclusions] Key words:

±¹Á¦ÆòÈŁ4±Ç1È£-ÃÖÁ¾

¹Ì·¡¼¼´ë¿ÍÀǵ¿Çà-Ç¥Áö ¾ÕµÞ¸é ÇÕº» ¿Ï¼º.PDF

9¿ù-2Â÷

<312DB3EBB5BFC6F7C4BFBDBA5BBCF6C1A4BABB5D2E687770>

DBPIA-NURIMEDIA

요 약 대한민국은 1948년 정부수립 이후 60년 만에 세계 13위의 경제대국으로 비약적인 성 장을 이루었다. 정부수립 2년 만에 북한의 전격 남침으로 전 국토가 초토화되었고, 휴 전 이후에도 안보에 대한 위협은 계속되었다. 그러나 대한민국 국민은 불리한 여건에 좌절하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3, pp DOI: * The Grounds and Cons

177

과 위 가 오는 경우에는 앞말 받침을 대표음으로 바꾼 [다가페]와 [흐귀 에]가 올바른 발음이 [안자서], [할튼], [업쓰므로], [절믐] 풀이 자음으로 끝나는 말인 앉- 과 핥-, 없-, 젊- 에 각각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식형태소인 -아서, -은, -으므로, -음

6±Ç¸ñÂ÷

제주어 교육자료(중등)-작업.hwp

¸é¸ñ¼Ò½ÄÁö 63È£_³»Áö ÃÖÁ¾

untitled

민주장정-노동운동(분권).indd

최우석.hwp

<C0CEBCE2BABB2D33C2F7BCF6C1A420B1B9BFAAC3D1BCAD203130B1C72E687770>

<C3D6C1BE5FBBF5B1B9BEEEBBFDC8B0B0DCBFEFC8A C3D6C1BEBABB292E687770>

E1-정답및풀이(1~24)ok

교사용지도서_쓰기.hwp

< BDC3BAB8C1A4B1D4C6C75BC8A3BFDC D2E687770>

초등국어에서 관용표현 지도 방안 연구

<C1B6BCB1B4EBBCBCBDC3B1E2342DC3D6C1BE2E687770>

0429bodo.hwp


時 習 說 ) 5), 원호설( 元 昊 說 ) 6) 등이 있다. 7) 이 가운데 임제설에 동의하는바, 상세한 논의는 황패강의 논의로 미루나 그의 논의에 논거로서 빠져 있는 부분을 보강하여 임제설에 대한 변증( 辨 證 )을 덧붙이고자 한다. 우선, 다음의 인용문을 보도록

cls46-06(심우영).hwp

伐)이라고 하였는데, 라자(羅字)는 나자(那字)로 쓰기도 하고 야자(耶字)로 쓰기도 한다. 또 서벌(徐伐)이라고도 한다. 세속에서 경자(京字)를 새겨 서벌(徐伐)이라고 한다. 이 때문에 또 사라(斯羅)라고 하기도 하고, 또 사로(斯盧)라고 하기도 한다. 재위 기간은 6

01Report_210-4.hwp

<C3D1BCB15FC0CCC8C45FBFECB8AE5FB1B3C0B0C0C75FB9E6C7E D352D32315FC5E4292E687770>



교육 과 학기 술부 고 시 제 호 초 중등교육법 제23조 제2항에 의거하여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을 다음과 같이 고시합니다. 2011년 8월 9일 교육과학기술부장관 1.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은 별책 1 과 같습니다. 2.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별책

시험지 출제 양식

우리나라의 전통문화에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봅시다.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를 체험합시다.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를 소중히 여기는 마음을 가집시다. 5. 우리 옷 한복의 특징 자료 3 참고 남자와 여자가 입는 한복의 종류 가 달랐다는 것을 알려 준다. 85쪽 문제 8, 9 자료

상품 전단지

::: 해당사항이 없을 경우 무 표시하시기 바랍니다. 검토항목 검 토 여 부 ( 표시) 시 민 : 유 ( ) 무 시 민 참 여 고 려 사 항 이 해 당 사 자 : 유 ( ) 무 전 문 가 : 유 ( ) 무 옴 브 즈 만 : 유 ( ) 무 법 령 규 정 : 교통 환경 재

2

DBPIA-NURIMEDIA

화이련(華以戀) hwp

ÆòÈ�´©¸® 94È£ ³»Áö_ÃÖÁ¾

歯1##01.PDF

<5BC1F8C7E0C1DF2D31B1C75D2DBCF6C1A4BABB2E687770>

120229(00)(1~3).indd


<3037C1A4BCB1BFED5FB1E8BCBABCF65FBBE72E687770>

<3036C0CCBCB1BFEC2E687770>

제24조

<3031C8ABB5E6C7A52E687770>

±ÇµÎ¾ðÀÛ¾÷¼öÁ¤2

한울타리36호_완성본

<B0ADB9AE5F33B1C75F30315FC0CEBCE232C2F728B9DAC1D6BEF0295F FB3AAB4AEC5EBB0E85FB0B3BCB1B9E6BEC85FC3D6C1BEBAB8B0EDBCAD28C3D6C1BE295FC3D6C1BE E687770>

정보화정책 제14권 제2호 Ⅰ. 서론 급변하는 정보기술 환경 속에서 공공기관과 기업 들은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정보시스템 구축사업 을 활발히 전개하고 있다. 정보시스템 구축사업의 성 패는 기관과 기업, 나아가 고객에게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통제

untitled


레이아웃 1

형의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결혼이민자도 10~15% 를 차지하였다. 교육에 참여하지 못한 이유 로는 교육프로그램이 없었다는 응답이 39.8% 에 이르고, 바쁜 생활 24.3%, 자녀양육 21.4% 순으로 나타났다 ( 경남발전연구원, 2006). 결혼이민자의 정기적인

지난 2009년 11월 애플의 아이폰 출시로 대중화에 접어든 국내 스마트폰의 역사는 4년 만에 ‘1인 1스마트폰 시대’를 눈앞에 두면서 모바일 최강국의 꿈을 실현해 가고 있다

<28C0DAB7E1C1FD2920C4DDB7CEC4FBBEF62034C2F720C6EDC1FDBABB2E687770>

118 김정민 송신철 심규철 을 미치기 때문이다(강석진 등, 2000; 심규철 등, 2001; 윤치원 등, 2005; 하태경 등, 2004; Schibeci, 1983). 모둠 내에서 구성원들이 공동으 로 추구하는 학습 목표의 달성을 위하여 각자 맡은 역할에 따라 함께

<302DC5EBC0CFB0FA20C6F2C8AD28BFCF292E687770>

<C7D1B1B9B1B3C0B0B0B3B9DFBFF85FC7D1B1B9B1B3C0B05F3430B1C733C8A35FC5EBC7D5BABB28C3D6C1BE292DC7A5C1F6C6F7C7D42E687770>

<C1A63236B1C72031C8A328C6EDC1FDC1DF292E687770>

제 출 문 문화체육관광부장관 귀하 본 보고서를 문화예술분야 통계 생산 및 관리 방안 연구결과 최종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0년 10월 숙명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본 보고서는 문화체육관광부의 공식적인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

의정연구_36호_0828.hwp

석사논문연구계획서

재원은 크게 지역, 직장 가입자의 총 보험료와 국고지원을 합한 것이라고 보면 된다. 여기까지는 타당해 보인다. 그러나 1만1천원의 기적 이라는 상자를 열어 보면 이는 기적 과는 거리가 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건강보험 보장성은 강화되어야 마땅하다. 그러나 노동자 민중

±§ 60¡ÿ ‚±‚ ‰«•¡ˆ

<C5F0B0E82D313132C8A328C0DBBEF7BFEB292E687770>

27 2, * ** 3, 3,. B ,.,,,. 3,.,,,,..,. :,, : 2009/09/03 : 2009/09/21 : 2009/09/30 * ICAD (Institute for Children Ability

<C1A4BCBCBAD0BCAE D30332D28BCBCBFF8292E687770>


<2323B4EBC7D0C7A5C1D8C3EBBEF7B1B3C0E72E687770>

Transcription:

: 행복의 여가 국제비교를 중심으로 윤 소 영 ( 한국문화관광연구원) Ⅰ. 머리말 2007년 뉴욕타임즈 보도에 따르면 하버드대학에서 2006 년 최고 인기강좌는 긍정심리학 입문 이며, 이 강좌의 핵심은 행복론이었다. 특히 이 강좌의 수강생들은 즐거움을 주는 경험하기와 다 른 사람을 위한 친절베풀기 경험하기라는 다소 이색적인 숙제를 제출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 러한 실천적인 경험이 의미하는 바는 개인의 행복에 영향을 주는 즐거움의 요소와 이타적인 요 소일 것이다. 이에 대해 Matin Seligman(2002) 는 행복의 본질이 정기적으로 즐거움을 경험하는 생활(the pleasant life) 과 가치있는 것을 추구하는 경험의 생활(the meaningful life) 에서 비롯된 다는 주장을 통해 뒷받침한 바 있다. 즉 행복을 추구하는 삶에서 쾌락과 도덕성 문제는 항상 주 장된 바 있다. 한편, 행복에 대한 학문적인 논의는 주관주의와 객관주의로 구분되면서, 특히 주관주의의 입 장에서 행복은 세상의 상태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 자신의 마음의 상태에 달려있으므로 욕구 충족에 따른 만족감이 그 요체라고 한다. 그래서 주관주의에서 본 행복은 삶의 만족으로 서 자신의 삶의 조건이나 상태에 대한 주체자의 긍정적인 인지적 혹은 정의적 반응 ( 도성달, 2008) 으로 규정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행복의 개념은 주관적인 마음의 상태나 생활상의 특정한 경험으로 인식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여가이론을 행복론 또는 행복학이라고 부르는데, 즉 여가활동을 통해 행복한 삶을 경험하고 생활의 질적 향상이 이루어진다고 인식하는데, 그 근거는 행복의 개념속에서 찾을 수 있 을 것으로 여겨진다. 앞서 말한대로 생활상의 특정한 경험을 통해 행복을 추구하고 이러한 경험에 대한 마음의 상태에 따라 행복감을 느끼게 될 때, 여가활동을 통한 즐거움의 추구나 생활속의 특 정한 경험, 그리고 자유로움에 대한 인지나 마음의 상태는 곧 행복의 본질적 요소라 여겨진다. 결국 여가를 통해 우리 인간은 행복을 추구할 수 있다는 것인데, 여기서 제기되는 의문점은 여가활동이 반드시 우리의 행복을 이끄는가? 어떠한 여가경험이 행복의 본질을 가져다 주는 가? 등이다. 본 연구의 시작은 이러한 여가에 대한 행복론 분석으로부터 출발한다. 한편, 객관주의 관점에서 행복론은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 충족에 기인한 욕구이론의 축에 기 반한다. 이 관점에 의하면 인간의 행복이나 복지는 개인적 욕망이나 성향 혹은 호불호( 好 不 好 ) 와 상관없이 복지의 내재적 근원이라고 부를 수 있는 인간복지의 7 가지 기본 양상 에 의존한다 행복의 여가: 국제비교를 중심으로 257

는 것이다(Finnis, 1980; 도성달, 2008 에서 재인용). 이러한 관점은 행복 개념을 사회적 경제적 차원에서 측정하려고 시도한다. 따라서 사회지표로서 신뢰할만한 통계자료를 제시하여, 주관적 지표로는 삶의 질에 대한 사람들의 지각이나 인식을 측정하며 객관적 지표로는 삶의 질에 일정 하게 영향을 미치는 외적인 사회적 조건을 측정한다. 여기서 본 연구는 욕구이론가들이 행복을 측정하고자 하는 관점에서, 행복지수에 나타난 여가 관련 요인들을 축출해보고자 한다. 예를들어 개개인이 자신의 삶을 어떻게 평가하는지 또는 개 개인이 자신의 삶에 얼마나 만족하는지를 측정하는 개개인의 행복연구에서 주관적인 삶의 질 (SQL: Subjective Quality of Life) 이나 주관적 안녕감(SWB: Subjective Well-Being) 을 구성하 는 여가요인은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요인들은 경험적 데이터를 중심으로 국 제적인 자료를 비교함으로써 보다 분명하게 제시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여가를 통해 행복이 가능한가에 대한 의문과 그러한 행복을 측정하는데 포함되는 여가관련 요인들의 실증적 자료를 비교하고자 한다. 이러한 논의는 현대사회의 여가에 대한 논의가 행복지향 추구임을 다시한번 일깨우는데 기여할 것이라 사료된다. Ⅱ. 1. 여가경험과 행복 여가개념에 대한 접근 여가 용어는 생각과 이미지, 개념의 다양성을 내포한다. 강단사회학의 여가의미는 자유시간 이나 자유로운 활동, 그리고 마음의 상태로 요약된다. 예를 들어 Kelly와 Godbey(1992) 는 체험 그 자체에 일차적인 의미가 부여된 자율적으로 결정한 행위(self-determinated action) 로 개념화 하였다. 또한 Mannell 과 Kleiber(1997) 는 객관적 현상으로서 여가는 활동( 일련의 활동) 이나 특정 시간동안의 특별한 상황으로 이해되어 시간배분이나 활동목록으로 측정될 수 있으며, 주관적 현 상으로서 여가는 여가활동에 관계되어 있는 동안의 정신적 경험으로 이해되며 이러한 관계로부 터 나타난 만족이나 의미와 관련된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Mannell 과 Kleiber(1997) 는 객관적 현상보다는 주관적 현상으로서 여가 개념에 집중하여, 여가는 활동과 관련된 또는 활동 즉시 따 라오는 인지된 자유와 밀접하게 연관되고 있음을 강조하였다. Shaw(1985) 역시 자신의 생활속에서 여가활동은 주관적 경험과 관련된 선택의 자유, 내적동 기, 즐거움, 휴식 등의 감각적 요소로 구분해낸다고 하였다. 즉 여가활동은 특별한 시간과 장소 에 일어나지만, 우리들은 여가경험과 자아개념 사이의 관계속에서 이를 파악한다는 것이다 (Howe & Rancourt, 1990). 다시말해 마음의 상태, 자유시간, 그리고 활동으로 보는 여가는 휴식, 자아향상, 가족기능 안정 및 상호작용, 탈출, 새로움, 복합성, 흥미, 환상 등의 개인적이고 주관적 여가의 경험에 집중한다. 이와같은 사회심리적 접근과 강단사회학 관점의 여가개념은 비평주의자들에 의해 보다 확장된 다. 즉 여가개념은 개인의 생활에 의미를 부여하는 사회문화적 상황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여가 는 역사적 힘, 문화적 이데올로기, 정치에 의해 부과된 제약속의 삶의 한 단면으로 여겨진다. 예 258 행복사회와 문화정책의 방향

를 들어 Rojek(2002) 은 사회적 조건에 영향을 받는 탈중심화 여가(decentring leisure) 로서 개념 화한 바 있다. 여가를 마음의 상태나 개인의 경험으로 접근하는 전자의 방식은 행복을 개인의 마음의 상태, 즉 즐겁다거나 유쾌한 상태로 접근하는 방식과 일치한다 ( 박효종, 2008). 즉 여가활동은 특정한 자유시간에 특정한 활동을 통해 얻는 주관적인 경험을 통해 순기능적인 효과를 가져오는데, 이 러한 경험을 자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내적동기화가 될수록, 그리고 즐겁다거나 긴장이 완 화된 느낌을 가지게 될 때 행복한 감정과 연관된다. 다른 한편, 사회적 맥락속에서 개인의 여가활동이나 행복 방식이 결정된다고 보는 후자의 관점 에서, 여가를 통한 행복은 주어진 사회적 조건을 변화시키거나 극복하는 형태로 발현될 것이다. 예 를 들어 현대 산업자분주의 사회에서 여가의 개인화 상업화 현상을 극복하기 위해서 공동체 및 공 동체 의식에 근거한 여가적 삶을 지향하게 된다면 주관적 안녕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1). 2. 행복한 생활과 여가경험 Martin Seligman(2002) 의 매우 대중적인 저서 [ 진정한 행복] 에 의하면, 인간의 진정한 행복은 생활속의 3 가지 경험속에서 유래한다. 그것은 규칙적으로 즐거움을 경험하는 것(the pleasant life), 만족스런 활동에 고도로 몰입하는 경험을 하는 것(the engaged life), 보다 큰 세계와 관계 를 맺고 있다는 인식을 경험하는 것(the meaningful life) 이다. 이러한 3가지 경험에 대한 Seligman 의설명은 쾌락주의이론 (hedonism theory), 욕구이론 (desire theory), 객관적결과주의 (objective list theory) 에 근거한다 (Seligman & Royzman, 2003). 여기서 쾌락주의에 근거한 행복은 즐거움의 느낌을 극대화하고 고통의 느낌을 최소화하는 것 으로 행복한 생활(a happy life) 이 곧 즐거운 생활(a pleasant life) 이다. 따라서 즐거움을 더 만끽 하는 생활을 하기 위해서는 즐거움을 일으키는 사건이나 행동을 의도적으로 만들어 생활속에서 습관화하고 환경의 변화에 항상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Seligman, 2002). 한편, 욕구이론에서 행복은 즐거움이 아니라 욕구충족에 중점을 둔다. 즉 여기서의 행복은 자 신이 원하는 것을 얻는 것(Griffin, 1986) 이다. 욕구이론에 근거해서 행복한 삶을 유지하기 위해 서는 몰입경험 (Csikszentmihalyi, 1988) 을 일으킬 수 있는 활동을 함으로써 가능하다 (Seligman, 2002). 여기서 몰입경험 (flow experience) 이란 인간의 삶에서 즐거움에 넘쳐 행위 자체에 완전히 몰두한 최적 경험(optimal experience) 상태(Csikszentmihalyi, 1988) 로서, 이러한 몰입은 놀이 (play) 개념으로부터 영향을 받았다. Huizinga 는 놀이는 문화보다 오래된 것으로 인간의 마음을 사로잡는다. 놀이는 참여자를 열렬히, 완전히 몰두케 하는... 황홀하고 매혹적인 것이다. 놀이에 이렇게 열광하거나 몰두하는 것, 즉 미치게 만드는 힘 속에는 놀이의 본질, 원초적인 성질이 깃 들어 있다... 재미(fun) 라는 요소는 놀이의 본질을 규정한다 고 한 바 있다(Huizinga, 1955; 노준 석 손용, 2004 에서 재인용). 이와같이 몰입경험을 통한 행복은 재미를 수반한 여가( 또는 놀이) 활 동에 정신을 빼앗겨 열중하는 생활(the engaged life) 을 의미한다. 1) 행복심리학에서 공동체와 공동체 의식이 주관적 안녕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확인되고 있다 ( 방영준, 2008) 행복의 여가: 국제비교를 중심으로 259

객관적 결과주의 (Nussbaum, 1992; Sen, 1985) 에서 행복은 직업적 성취, 우정, 질병이나 고통으 로부터의 해방, 물질적 안락함, 시민정신, 아름다움, 교육, 사랑, 지식, 양심 등과 같은 가치있는 어 떤 것을 추구하는 것이다. 따라서 의미있는 삶(a meaningful life) 을 영위하는 것이 곧 행복한 삶이 다. 여가생활과 연관지어 예를들면, 사회구성원이 다양한 여가생활을 통해 개인의 정신적 가치를 중시하고 개인적 즐거움을 추구하는 것에서 점차 공동체의 유익성에 많은 관심을 가지거나 그로 인해 더 큰 행복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해 Yoshiaki Senuma(2005) 는 ' 이타적 여가( 利 他 的 餘 暇 )' 로, Robert Stebbins(2006) 는 여가의 이타주의 (altruism) 로 명명한 바 있다. 또한 윤소영 (2007) 은 이러한 개념을 통틀어 사회성 여가 로 일컬어, 여가행위자가 그 활동의 목적으로서 내적 보상인 자기만족을 추구하는 것 이외 사회공헌적 가치를 구현하는 여가활동을 구분한 바 있다. 한편, Sirgy 와 Wu(2009) 는 Seligman(2002) 의 3가지 삶의 영역 이외에 균형있는 생활이 주관적 인 웰빙(SWB) 에 영향을 준다고 강조하였다. 즉 인간은 단일의 생활 영역으로 얻은 만족감은 매우 제한적이며, 매우 다양한 영역을 통해서 인간발달의 완전한 욕구체계를 충족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생활의 균형(balance in life) 을 이루어야 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일-가족역할 갈등은 생활에 대 한 불만족 수준과 관계된다는 많은 경험적 연구(Collins and Killough, 1989; Edwards and Rothbard, 2000; Lewis and Cooper, 1987; Sturges and Guest, 2004; Wiley, 1987) 들이 존재한다. 또한 삶의 균형을 이루고 균형잡힌 역할체계를 이룬 사람들이 불균형하게 삶의 한 영역에만 집중 하고 만족하는 사람들보다 더 높은 웰빙수준 또는 행복도를 나타내고 있음을 보고하는 경험적 연 구(Marks and McDermid, 1996; Bhargava, 1995; Chen, 1996; Frisch, 2006) 들도 존재한다. 한편, 돈을 인생의 최고가치로 여기는 사람의 생활만족도에 비해 여가, 가족, 종교 등을 중시 하는 사람들의 행복도가 더 높다는 결과도 제시되었다 ( 이동원, 2007). 이러한 결과는 인간의 삶 에서 여가나 가족 등과 같은 일 이외의 삶의 영역의 중요성이 보다 부각되고 있는 사실과 더불 어, 인간의 생활에서 행복과 연관된 삶의 영역이 매우 다양하다는 사실을 설명해준다. 자료: 이동원. 2007. 행복연구의 복지정책에 대한 시사점. 제5 차 한국종합사회조사 심포지엄 자료집. 삼성경제연구소 [ 그림 1] 가치관과 삶의 평균 만족도(2007 년 기준) 260 행복사회와 문화정책의 방향

결국 행복한 생활은 즐거움을 극대화하고 고통을 최소화하며, 재미있는 활동에 열중하며, 사 회적으로 의미있는 가치를 추구하는 것 뿐만 아니라, 삶의 다양한 영역( 예를 들어 일, 가족, 여가 등) 에서 균형을 이루어 가능하게 된다. 여가적인 용어로 재해석 하자면, 행복한 생활은 자기 결 정적이고 내적동기화된 여가활동을 통해 생활의 즐거움을 극대화하고, 여가활동의 재미적 요소 를 통해 몰입하여 개인의 마음의 상태를 즐겁고 유쾌한 상태로 유지하여 얻을 수 있으며, 지속 적인 여가활동을 통한 전문적인 기술과 경험을 사회적인 관계속에서 나누고 공유함으로써 만족 스런 수준을 지속시킬 수 있다. 이러한 여가적 경험과 나눔의 가치실현을 통한 행복은 기본적으 로 일상에서 일- 삶의 조화(Work-Life Balance) 가 실현될 때 가능하다. Ⅲ. 1. 행복지수의 여가요인 행복지수 구성요인에 포함된 여가요인 행복에 대한 학문적인 관심은 행복측정에 대한 연구로 구체화된다. 일반적으로 행복을 측정하는 두 가지 방안은 객관적 삶의 질을 측정하는 것과 주관적 안녕을 측정하는 것이다 ( 방영준, 2008). 주관적 삶의 질 측정은 개인의 주관성이 개입되어 개념정의나 측정이 어렵지만, 1970 년대는 삶의 하위 영역들 각각에 대한 만족도를 측정하여 삶의 질을 높이려는 노력을 구체화하는데 도움을 주 었으며, 1980 년대 이후에는 개인이 체험하는 삶의 주관적 안녕에 대해 인지적 측면에서 냉철하게 평가하는 만족보다는 감정적으로 행복한 상태라는 견해에서 행복감 측정으로 옮겨갔다. 객관적 삶의 질 측정은 보다 여러 국가를 비교할 수 있는 기준이 되는데, 예를 들어 교육, 문 화, 사회복지, 건강 등의 객관적 삶의 측정치들이 GNP를 떠나 어떤 국가가 보다 질 좋은 삶을 누리고 있는가를 반영해 준다. 일반적으로 경제학자, 사회학자, 정치학자들은 객관적 삶의 질에 대한 지표 그 자체에 보다 큰 관심이 있으나, 주관적 안녕을 연구하는 심리학자들은 객관적 삶 의 질 보다는 그것이 주관적 삶에 미치는 영향에 많은 관심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행복 측정을 위해 포함된 지수 가운데 여가요인은 시간사용이나 시간배분, 여가시 간에 대한 만족도, 시간활용에 대한 재량, 업무스트레스, 시간균형, 스포츠활동이나 문화예술 참 여율 등이 있다( 표 1 참조). 특히 행복측정에서 시간량이나 분배 또는 시간에 대한 만족도 등은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된다. 몇몇 연구자들은 과중한 업무와 시간압박감이 어떻게 감정적인 웰빙이나 주관적인 행복감에 영향을 주는지 밝히고 있다(Robinson & Godbey, 1997; Barnett, 1988; Iheto, 1998). 연구결과들 은 과중한 업무량과 시간부족감이 웰빙이나 행복수준에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낸다고 밝히고 있다. 더욱이 노동시간이 길수록 일과 일 이외의 삶의 영역에 불균형을 초래하게 되었다. 그러나 사람들은 자신의 노동시간이나 노동량을 자유의사로 선택하였고 그것에 흥미를 느낀다면 시간 부족감없이 장시간 일할 수 있으며, 반대로 단시간 일하더라도 자신의 일에 흥미가 없고 작업에 대한 통제권이 부족하다면 시간부족이나 압박감을 느끼게 되었다. 결국 웰빙이나 행복에 영향을 주는 시간관련 변인은 노동시간량 보다는 시간부족에 대한 감정상태이 더 많은 영향력을 주는 행복의 여가: 국제비교를 중심으로 261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노동시간의 길이가 삶의 균형에 영향을 준다는 측면에서 노동시간량 또는 여가시간량도 유의한 영향변수임을 알 수 있다. < 표 1> 다양한 행복지수 구성요소에 포함된 여가요인 행복지수 설명 구성요소 중 여가요인 GNH (Grows National Happiness: 국민총행복지수) CIW (Canadian Index of Wellbeing; 캐나다 웰빙지수) 뉴질랜드 사회적 웰빙지수 (Indicators of social wellbeing) 한국인의 행복지수 - 1972년 부탄왕 지그메 싱기에 왕추크에 의해 처 음 고안 - 부탄은 90년대 후반부터 경제발전의 지표인 GDP, 국내총생산 개념 대신 전 국민을 행복하게 하겠다는 국민총행복지수 즉 GNH라는 개념을 도입해 국가발전의 기준으로 삼고 있음 - 캐나다에서 1999년부터 정부 주축으로 개발 - GDP와 같은 경제 활동과 관련된 지표만으로는 사회의 전반적인 웰빙을 측정하는 데 부족하다 는 사회적 여론으로 사회적 요인, 경제적 요인, 건강, 환경 등 국민의 웰빙에 영향을 미치는 요 인을 종합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CIW를 도입함 - 뉴질랜드 정부는 정부의 비전을 사회개발(social development)로 상정하고 이러한 국가의 방향 평가 및 뉴질랜드의 wellbeing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2001년부터 매년 Social Report를 발간 - Social Report 는 경제적, 환경적 지표를 통해 wellbeing과 삶의 질을 정기적으로 측정하고 wellbeing 측정 결과를 다른 나라와 비교, 계획 및 정책 결정 등 실천해야 할 중요한 이슈와 영 역을 규명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함임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8) 은 한국인의 행복 결정 요인과 행복지수에 관한 연구를 통해 행복지수 ( 안) 를 제시함 -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의미하는 행복지 표 1차안으로 10개 영역의 41개 지표를 개발함 - 한국조사연구학회 연구 - 한국인 이 생각하는 행복의 구성요소를 파악하 고 이를 바탕으로 행복지수 공식을 개발 - 한국인의 행복지수 공식 : 행복=2.5* 생존+2.5* 관계+5* 성장 * 관련된 자료를 연구자가 정리하여 제시함. - 문화 활성화 및 다양성(Culture vitality and diversity) - 시간 사용 및 균형(Time use and balance) - 시간배분(time allocation) : 노동시간과 여가시간의 균 형, 시간 활용에 대한 재량, 업무스트레스 - 문화 정체성: TV의 지방 편 성 프로그램, 마오리 언어 사 용자, 언어 보존 - 레저 및 레크리에이션 : 여가 시간에 대한 만족도, 스포츠 활동 참여율, 문화예술활동 참여율 - 일상생활 : 만족스러운 수면 ( 양, 질), 여가 및 휴식에 대 한 만족도 - 성장 : 여가 : 일상을 벗어난 문화생활 및 레저활동을 계 획하고 참여하는 정도 2. 행복지수의 여가요인에 대한 국제비교 글로벌 발전을 위한 레가툼연구소 (Legatum Institute for Global Developmentl: LIGD) 는 가치 있 는 삶에 대한 평가 기준인 2007 레가툼 번영 지수(Legatum Prosperity Index: LPI) 를 2007 년 도입하 여 발표하였다. 이 기준은 국민들의 물질적 부와 삶의 만족도를 함께 분석함으로써 한 국가의 균형 을 갖춘 번영 정도를 판단하는 내용으로 미국과 노르웨이, 스웨덴이 서로 다른 사회적 모델에도 불 구하고 가장 번영한 국가로 드러났고, 한국은 괄목할 만한 물질적 부로 점수를 얻었지만 높은 이혼 262 행복사회와 문화정책의 방향

율과 여가시간 부족 등 삶의 만족도를 저해하는 요인들로 상쇄되어 전체 50개 국가 순위 중 22위를 차지하였다. 물질적인 부의 순위에서는 12위를 차지하였지만 삶의 만족도 순위에서는 36위를 차지하 였다. 삶의 만족도 지수를 구성하는 요소는 총 11 개로 정치적 권리와 시민적 자유, 기회균등, 선택의 자유, 여가시간, 고소득, 좋은 건강, 저실업률, 우호적 기후, 저이혼률, 공동체 생활, 종교적 믿음이다. 자료: www. prosperity.com, 2007 레가툼 번영 지수 [ 그림 2] 우리나라의 2007 번영 지수 < 표 2> 각국의 여가시간 지수 순위 순위 국가 지수 점수 1 네덜란드 17 2 캐나다 16 3 벨기에 14 4 불가리아 13 5 러시아 12 6 뉴질랜드 11 7 오스트리아 11 8 미국 10 9 노르웨이 10 10 호주 9 26 영국 0 27 독일 0 36 일본 -6 44 한국 -14 자료: www. prosperity.com, 2007 레가툼 번영 지수 행복의 여가: 국제비교를 중심으로 263

레가툼연구소의 보고서에 따르면 부유한 나라에서의 삶의 만족도와 관련한 2가지 추가 요소 는 다양한 공동체 생활과 충분한 여가시간이었다. 여가시간의 지수는 농업에 종사하고 있지 않 은 사람들의 주당 평균 근로시간으로 측정된다. 여가시간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도 높은데, 우 리나라의 매우 낮은 삶의 만족도 지수는 바로 많은 노동시간에 따른 여가시간의 부족 때문이었 다. 삶의 만족도 요소 중 여가시간 지수에서 우리나라는 44 위로 거의 하위 수준에 머물고 있다. 미국과 일본의 번영을 이끌거나 번영에 저해되는 요소들의 현황을 비교해 보면 일본의 여가 시간 지수 또한 번영에 저해되는 부정적 점수이지만 우리나라보다는 훨씬 그 비율이 낮다. 미국 의 경우는 여가시간 지수가 미국의 번영을 이끄는 긍정적인 점수 요소로 나타나고 있어 우리나 라와 대비되고 있다. 자료: www. prosperity.com, 2007 레가툼 번영 지수 [ 그림 3] 미국, 일본과 우리나의 번영 지수 비교 또한, 산업정책 연구원(IPS) 과 국가경쟁력연구원 (IPS-NaC) 이 공동으로 조사하여 발표하고 있는 IPS 국가경쟁력연구보고서를 바탕으로 세계 각국의 여가경쟁력을 비교ㆍ분석한 결과를 살 펴보면 2007년 기준 한국은 국가경쟁력 순위와 마찬가지로 23 위로 나타났다. 여가경쟁력지수는 여가생산 조건( 금전, 시간), 여가수요의 질( 소비자의 교육수준 및 세련도), 여가연관 산업 및 인 프라( 국내 관광인프라, 정보통신, 교통, 해외서비스 ), 정치 사회적 기반( 공교육, 사회환경, 정부정 책) 등의 4 가지의 결정적 요인으로 분석된다. 한국은 IPS 국가경쟁력 연구보고서의 국가군 분류 에서 강중국에 속하는데, 한국과 비교된 강중국 7개국 중 여가경쟁력 분야에서 가장 낮은 순위 264 행복사회와 문화정책의 방향

로 나타났다. 스웨덴이 4 위로 가장 높았으며 영국(6 위), 프랑스(9 위), 노르웨이 (11 위), 뉴질랜드 (13 위), 핀란드 (17 위), 대만(22 위) 순이었다. 한국은 여가수요의 질 측면에서는 스웨덴, 프랑스 등 과 비슷한 수준을 나타냈지만 여가 생산 조건에서 금전적ㆍ 시간적 여유 두 가지 측면 모두 다른 강중국과 비교했을 때 낮은 경쟁력 수준을 보였으며, 여가연관 산업 및 인프라는 강중국 7개국 평균에 가까운 지수를 나타낸 반면, 정치 사회적 기반은 평균에 못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 표 3> 여가경쟁력 순위 여가경쟁력 순위 국가 여가경쟁력 순위 국가 1 네덜란드 16 독일 2 미국 17 핀란드 3 덴마크 18 호주 4 스웨덴 19 싱가포르 5 오스트리아 20 홍콩 6 영국 21 스페인 7 스위스 22 대만 8 일본 23 한국 9 프랑스 24 폴란드 10 이스라엘 25 체코공화국 11 노르웨이 26 그리스 12 벨기에 27 포르투갈 13 뉴질랜드 28 헝가리 14 이탈리아 29 크로아티아 15 캐나다 자료: 조동성, 여가와 국가경쟁력(2008 여가정책 심포지엄 자료집), 2008 < 표 4> 강중국 7개국과 한국의 여가경쟁력지수 66개국 중 순위 스웨덴 영국 프랑스 노르웨이 뉴질랜드 핀란드 대만 한국 여가경쟁력 순위 4 6 9 11 13 17 22 23 여가경쟁력 지수 66.76 64.26 64.05 62.97 61.86 60.91 53.49 52.69 여가생산조건 순위 3 13 6 2 11 19 39 40 여가수요의 질 순위 6 13 9 21 14 16 22 8 여가연관 산업 및 인프라 순위 13 4 3 21 14 24 20 19 정치사회적 기반 순위 3 14 19 6 12 5 47 46 자료: 조동성, 여가와 국가경쟁력(2008 여가정책 심포지엄 자료집), 2008 한편, 영국 신경제학재단 (NEF) 에서는 2006 년 행복한 지구 지수(Happy Planet Index) 를 발표 하였다. 178개국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한국은 아시아 국가 24개국 중에서는 21위를 차지하였 행복의 여가: 국제비교를 중심으로 265

고 전체 국가 중에서는 미국, 영국 등을 제치고 102 를 차지하였다. 그러나 다른 아시아 국가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보다 전체 행복지수 순위가 낮은 미국, 영국보다도 삶의 만족도 지수가 낮게 나와 우리나라 국민들의 삶의 만족도가 전반적으로 매우 낮은 수준임을 알 수 있다. < 표 5> 국가별 행복지수 순위 행복지수 순위 국가 삶의 만족도 (Life Sat) 평균 수명 (Life Exp) 생태발자국지수 (EF) 행복지수 (HPI) 1 바누아투 7.4 68.6 1.1 68.2 2 콜롬비아 7.2 72.4 1.3 67.2 3 코스타리카 7.5 78.2 2.1 66.0 4 도미니카 7.3 75.6 1.8 64.5 5 파나마 7.2 74.8 1.8 63.5 6 쿠바 6.3 77.3 1.4 61.9 7 온두라스 7.2 67.8 1.4 61.8 8 과테말라 7.0 67.3 1.2 61.7 9 엘살바도르 6.6 70.9 1.2 61.7 10 세인트빈센트그레니딘 7.2 71.1 1.7 61.4 31 중국 6.3 71.6 1.5 56.0 88 홍콩 6.6 81.6 4.6 42.9 95 일본 6.2 82.0 4.3 41.7 102 한국 5.8 77.0 3.4 41.1 108 영국 7.1 78.4 5.4 40.3 주: 생태발자국지수(Ecological Footprint): 인간이 소비하는 에너지, 식량, 주택, 도로 등을 만들기 위해 자원을 생산하는 데 필요한 면적을 토지( 헥타르ha) 로 환산한 것으로 자연 생태를 망치는 인간의 발자국을 상징함. 자료: 영국 신경제학재단(NEF:www.neweconomics.org),The Happy Planet Index: An index of human well-being and environmental impact(2006) 이러한 결과와 함께 비교해서 볼 수 있는 자료는 일과 여가의 균형에 대한 조사이다. 미국의 다국적 여론조사기관 놉월드 (NOP World) 社 는 세계 31 개국, 13세에서 65세까지 인구 30,000 명을 대상으로 일과 여가의 균형 에 관한 조사를 하였는데, 이 조사에서 우리나라는 31개 조사 대상 국가 가운데 가장 일 중점적인 국가로 나타났다. 조사대상 31개국의 평균이 주당 노동 40.6시 간, 여가활동 (TV 시청, 독서, 친구들 만나기, 자녀 손자와 보내기) 39.2 시간인 반면, 우리나라는 주당 50.7시간 일하고 30.7 시간 여가활동에 소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에 비해 우리나라는 주당 10시간 정도 더 일하고 8.5 시간 더 적게 여가생활을 즐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고로 일과 여가 균형에 있어 가장 균형을 나타낸 스웨덴의 국민들은 주당 36.7 시간 일하고, 36.4시간 여가 생활을 향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가보다는 일에 중점을 두는 국가로는 우리나라 이외 에 홍콩, 터키, 인도, 싱가포르 등이 있으며, 반대로 일보다는 여가에 보다 중점을 두는 국가로는 266 행복사회와 문화정책의 방향

필리핀, 태국, 브라질, 아르헨티나, 캐나다 등이 있다. 더욱이 우리나라의 노동시간은 아직도 매우 높고, 상대적으로 긴 노동시간으로 인한 여가시간 의 부족과 일- 삶의 불균형 문제가 지적될 수 있다. 이는 2007년 OECD 국가들의 평균 노동시간 인 연간 1,768 시간에 비해 우리나라 노동시간은 가장 길어서 연간 2,316 시간으로 나타났는데, 이 는 OECD 국가의 노동자들보다 한국 노동자들이 1주일에 약 10.5 시간 더 일하는 셈이다. < 표 6> 국가별 주당 평균 일과 여가시간 국가명 일 여가 세계평균 40.6 39.2 한국 50.7 30.7 홍콩 48.6 34.8 터키 56.8 42.3 인도 45.4 35.1 싱가포르 44.1 34.9 독일 37.1 31.6 멕시코 41.6 36.2 일본 38.9 34.3 헝가리 42.3 37.9 대만 50.9 47.5 프랑스 34.1 33.1 이탈리아 40.1 39.1 인도네시아 42.9 42.2 이집트 49.4 48.6 스페인 37.8 37.3 중국 40.9 40.4 스웨덴 36.7 36.4 호주 35.0 37.0 영국 36.1 39.2 미국 38.3 41.7 캐나다 34.8 38.0 아르헨티나 42.8 48.3 브라질 40.7 46.4 태국 47.4 54.1 필리핀 32.0 41.1 자료: http://www.gfkamerica.com (2004.11 월 발표) 단위: 시간 행복의 여가: 국제비교를 중심으로 267

자료: 2009 OECD Factbook. [ 그림 4] OECD 회원국의 연간노동 시간비교(2007 년 기준) Ⅳ. 맺음말 19 세기 이후 우리 사회의 행복론은 사회 경제적 차원에서 논의되었다. 이것은 인간의 내면세 계인 도덕과 자유보다는 오히려 물질적 부나 심리 상태 등 외부적인 자극에 의해 행복이 결정 된다는 입장으로 행복은 개인적문제가 아닌 사회 전체의 문제로 보게 되었고, 국가나 사회 체제 가 개인의 행복 증진에 기여해야 한다는 논리가 부각되었다. 이러한 추세는 세계 국정 핵심 코 드가 행복으로 등장하면서 과거 국민의 행복은 국민 총생산과 연계성을 가진다는 의견과는 분 분해지고 있다. 실제, 부탄은 1인당 GDP가 1,200달러의 가난한 나라임에도 2006년 영국의 레스 터대가 조사한 국민 행복지수에는 세계 8 위로 주목을 받게 되었고, 미국은 1인당 GDP가 46,208 달러(2007 년) 로 세계 1 위이지만, 행복지수 순위는 23 위에 머물렀다. 이러한 사실에서 보듯, 과거 선진국을 논하던 국민 총 생산 중심시대가 종식 되었고 이제는 국민 총 행복 시대가 도래되었다. 이러한 흐름은 전 세계적으로 확대 되어, 프랑스 대통령 니콜 라 사르코지는 행복 경제를 주창하고, 국민 행복 지수를 반영한 GDP를 개발하기 위해 노벨 경 제학상 수상자인 조지프 스티글리츠 미국 컬럼비아대 교수와 인도 벵골 출신의 아마르티야센 박사를 영입하였으며, 영국도 GDP 를 대체할 웰빙 지수를 개발 중이며, 빈곤과 건강, 보험, 교통 문제 등 정책 입안 시, 행복을 최우선으로 둘 예정이다. 캐나다 정부도 생활수준과 시간의 배분, 교육, 건강, 환경 공동체, 좋은 정치 등 일곱 가지 항목의 국가 웰빙 지수를 개발 중이며, 우리 나라도 한국적인 행복 지수 마련을 위해 미래위원회 1 차 회의에서 통계청과 공동으로 국민행복 지수( 가칭) 을 개발하여 정기적으로 발표하기로 정한 뒤, 현재 지수개발을 검토 중이다. 세계의 흐름이 이러하듯 대부분의 국가는 국민의 행복증진을 최우선의 과제로 삼아 국민의 268 행복사회와 문화정책의 방향

행복지수를 높일 수 있는 시스템의 정착이 필요하다고 인지하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사회전체가 삶에서 일 뿐만 아니라 가족, 건강, 여가생활, 마음의 안정과 휴식, 개인의 즐거움과 쾌락, 자기계 발 및 자기실현, 대인관계 등 다양한 삶의 영역도 중요하다고 인식하게 되었다. 우리나라는 2004년 주 40시간 근무제 실시 이후 사회 구성원들이 일이외의 영역이 삶에서 불 가결한 부분이자 삶의 보람과 기쁨을 배로 만들 수 있는 요소임을 인식하게 되는 계기를 마련하 게 되었다. 더욱이 일과 여가의 조화(Work and Leisure Balance) 가 실현 되는 사회가 국민의 삶 의 질(quality of life) 또는 웰빙(well-being) 지수를 높이는데 매우 중요하다는 사실도 알게 되 었다. 앞서 논의를 통해 우리는 일과 여가의 조화가 실현되는 사회에서 국민은 국가가 제공하는 다양한 여가 활동으로 삶을 영위해 나가고, 휴식을 통해 안정감을 찾고, 자기계발을 통해 자아실 현의 계기를 마련하며, 생산적 여가 활동을 통해 사회에 공헌함으로 삶의 보람을 찾아 만족감을 극대 시켜 행복지수를 높이게 된다는 사실을 공감했다. 이와 같이 인간의 삶을 긍정적으로 바꾸 어주는 여가는 인간의 궁극적 목적인 삶의 질의 향상과 자아실현을 통해 행복추구권을 확보 해 주는 것으로 다른 어떤 것보다 중요한 영역임을 다시 한번 깨닫게 되었다. 이제 행복론의 시작은 즐거움의 생활, 몰두하는 생활, 의미있는 생활, 그리고 균형있는 생활 속에서 논의될 것이며, 구체적인 행복 실현은 자유로운 선택과 내적동기로 선택된 여가생활을 통해, 사회적인 가치를 함께 나누는 생활 정착을 통해, 그리고 일과 삶의 균형을 통해 이룰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자는 마지막으로 이러한 행복의 여가를 측정할 수 있는 객관적 그리고 주 관적 여가행복지수를 제안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김명소 한영석. 2006. 한국인의 행복지수 공식 개발. 조사연구 7(2): 1-38. 김승권 장영식 조흥식 차명숙. 2008. 한국인의 행복결정요인과 행복지수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 연구원 연구보고서. 노준석 손용. 2004. 전자미디어의 몰입경험과 여가만족의 상관성 분석: 텔레비전과 internet 비교를 중 심으로. 한국방송학보 18(1): 116-173. 도성달. 2008. 행복의 개념과 논점. 도성달 외. 웰빙문화시대의 행복론. 경인문화사. pp. 1-40. 박효종. 2008. 정치와 행복. 도성달 외. 웰빙문화시대의 행복론. 경인문화사. pp. 231-282. 방영준. 2008. 한국인의 행복관. 웰빙문화시대의 행복론. 경인문화사. pp. 283-316. 양현미. 2007. 문화의 사회적 가치- 행복연구의 정책적 함의를 중심으로.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정책자 료집. 윤소영. 2007. 사회성여가 발굴 및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정책자료집. 이동원. 2007. 행복연구의 복지정책에 대한 시사점. 제5 차 한국종합사회조사 심포지엄 자료집. 삼성 경제연구소. Barnett, R. C. 1988. Towards a review and reconceptualization of the work/family literature. Genetic, Social, and General Psychology Monographs 124(2): 125-82. Bhargava, S. 1995. An integration-theoretical analysis of life satisfaction Psychological Studies 40: 170-182. Collins, K. M. & L. N. Killough. 1989. Managing stress in public accounting. Journal of 행복의 여가: 국제비교를 중심으로 269

Accountancy 167(5): 92-96. Csikszentmihalyi, M. 1988. Introduction in Optimal Experience Psychological Studies of Flow in Consciousness.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Edwards, J. R. & N. C. Rothbard. 2000. Mechanisms linking work and family: Cla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and family constructs. Th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5: 178-199. Frisch, M. B. 2006. Quality of life therapy: Intervention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patients with emotional or physical problems. New York: Wiley. Griffin, J. 1986. Well-being: Its meaning, measurement, and moral importance. Oxford: Clarendon Press. Haworth, J. T. 2004. "Work, leisure and well-being". pp.168-183. in J. T. Haworth & A. J. Veal(ed.). Work and Leisure. Routledge Inc: New York. Howe, C. Z. & A. M. Rancourt. 1990. The importance of definitions of selected concepts for leisure inquiry. Leisure Sciences 12: 395-406. Kelly, J. R. & G. Godbey. 1992. The Sociology of Leisure. Venture. Lewis, S. C. & C. L. Cooper. 1987. Stress in two-earner couples and stage of the life cycle.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60: 289-303. Mannell, R. C. & D. A. Kleiber. 1997. A Social psychology of leisure. State College, PA:Venture. Marks, S. R. & S. M McDermid. 1996. Multiple role and the self: A theory of role balance.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8:417-432. Nussbaum, M. 1992. Human functioning and social justice: In defence of Aristotelian essentialism. Political Theory 20: 202-246. Parr, M. G. & B. D. Lashua. 2004. What is Leisure? The Perceptions of Recreation Practitioners and Others. Leisure Sciences 26: 1-17. Robinson, J. P. & G. Godbey. 1997. Time for life: The surprising ways Americans use their time. University Park, PA: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Rojek, C. 2002. 포스트모더니즘과 여가 (Decentring Leisure-Rethingking Leisure Theory). 최석호 이진형 역. 일신사. Seligman, M. E. P. & E. Royzman. 2003. Happiness: The three traditional theories, Authentic Happiness Newsletter. July 2003 (http://www.authentichappiness.org/news/ news6.html) Seligman, M. E. P. 2002. Authentic happiness: Using the new positive psychology to realize your potential for lasting fulfillment. New York: The Free Press. Sen, A. 1985. Commodities and capabilities. North-Holland, Amsterdam. Shaw, S. M. 1985. The meaning of leisure in everyday life. Leisure Sciences 7. 1-24. Sirgy, M. J. & J. Wu. 2009. The Pleasant Life, the Engaged Life, and the Meaningful Life: What about the Balanced Life?. J. Happiness Stud 10: 183-196. Stebbins, R. 2006. Mentoring as a Leisure Activity: On the informal world oof small-scale altruism. World Leisure 48: 3-10. Sturges, J. & D. Guest. 2004. Working to live or living to work? Work/Life balance early in the career. Human Resource Management Journal 14(4): 5-15. 270 행복사회와 문화정책의 방향

Wiley, D. L. 1987.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nonwork role conflict and job-related outcomes: Some unanticipated findings. Journal of Management 13: 467-472. Yoshiaki Senuma(2005). 余 暇 の 動 向 と 可 能 性. 學 文 社 ( 東 京 ). Zuzanek, J. 2004. "Work, leisure, time-pressure and stress". pp.123-144. in J. T. Haworth & A. J. Veal(ed.). Work and Leisure. Routledge Inc: New York. 행복의 여가: 국제비교를 중심으로 2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