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전시 북한문학 도서전시회를 열기까지 류 η o τ 주 (중앙도서관 수서정리과) < 프E -, 차 > 1. 머리말 VII. 북한문학도서 전시회 개최 1. 김학렬 박사 프로필 II. 북한문학도서 입수 경위 1. 입수경위 2. 진행과정 ill. 북한문학 기증자료 1. 기증자료 처리현황 2. 처리기준 3. 등록 및 정리업무 4. 등록정리 후 특수자료 관리번호 부여 2. 전시개요 3. 전시기간 및 장소 4. 추진일정 5. 도서전시회 운영 내용 6. 전시회 준비위원 구성 7. 테마도서 설명 및 이미지 소개 0 월북 작가들의 문학세계와 예술 활동 O 북한의 영화문학과 가요음악 0 북한의 아동문학 O 북한의 교과서 N. 개인문고 설치운용 0 북한의 사전류 V. 북한문학도서 해제 및 선정 VIII. 맺음말 VI. 통일평화연구소 통일학 세미나 공동주최 93 -
도서관보 제 131 호 I. 머리말 우리 중앙도서관에서는 2008년 10월 17일부터 12월 19일까지 2개월 동안 김학렬 박샤 북 한문학도서 전시회를 개최하였다. 이 전시자료는 재일 한국인 학자 김학렬 박사가 평생 수집 보관해 온 북한문학도서 관련 자료틀을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에 기증함으로써 이루어졌다. 이 자료들은 주로 문학예술 관련 도서가 주종을 이루고 있다. 우리는 이 자료들을 기증받기 위해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소장 박병규 교수/ 국문학과 권영민 교수/ 중앙도서관 수서정리 과 김창곤 과장 외 사서 2명이 자료실사 및 자료이송y 기증식과 개인문고 설치 등의 계획을 논 의하기 위해 일본에 계신 기증자를 방문하였다. 북한문학도서의 입수경위부터 y 기증자료 처리 기준 l 개인문고 설치운용y 자료 해제 및 선정/ 전시회 등을 추진하면서 발생된 모든 정보들을 서로 공유하고자 이 지면을 빌려 쓰게 되었다. 우리 도서관에서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중앙도서관 홈페이지를 통해 국내에서는 가장 많은 북한문학 도서를 연구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으며/ 또한 통일평화연구소에서는 전시회 즈음에 기증자를 모시고 통일 학 세미나를 중앙도서관과 공동 주최하였고/ 마지막으로 북한문학 도서를 선정하고 해제하여 5 개 테마로 나누어 전시하게 되었다. 11. 북한문학도서 입 수 경 위 1. 입수경위 북한문학도서의 입수부터 전시회를 개최하기까지는 중앙도서관 전 관장(박병진 교수), 서울대학교 국문학과 권영민 교수/ 담당 부서인 수서정리과 과장 외 담당사서들의 많은 관심 과 노고가 있었다. 권영민 교수는 2007년 동경대학 대학원 초빙교수로 일본에 파견되어 한국 문학 강의를 담당하는 동안 김학렬 교수의 소장도서를 직접 열람한 바 있다. 이 소장 도서는 해방 이후 북한문학의 자료를 총망라하고y 한국 최대의 북한문학 컬렉션으로서의 의미를 가지 게 될 것으로 여겼으나 당시 소장자는 이 도서를 와세다 대학에 기증하고자 준비 중이었지만 권영민 교수 권유에 따라 한국의 연구기관에 기증하기로 결정하였다. 2 진행과정 자료를 기증받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일들이 진행되었다 0 중앙도서관 전 관장(박명진 교수)과 국문학과 권영민 교수 면담 - 북한 문학자료 중요성 인식 - 중앙도서관에서 추진하기로 결정 - 간부회의에서 자료에 대한 간략소개 및 재원마련 문제 논의 0 기증자 방문 및 제반사항 논의 94
- 일본의 기증자 방문 및 자료실사 - 운송절차/ 제반사항 논의 - 기증식 및 기념패 전달 관련 - 개인문고 설치 관련 특수자료 (입수 및 정리 시 특수자료 취급 관련) 0 데이터베이스 구축 (수서정리과) O 북한 문학자료 물품반입승인 협조 (통일부) III. 북한문학 기증자료 다량의 북한문학 자료가 기증되어 들어오기는 이번이 처음 있는 일이라 여러 변의 회 의를 거쳐 담당부서인 수서정리과 기증/교환계에서는 북한문학 기증자료 처리기준을 마련하 게 되었으며/ 문고명을 기증자의 이름을 붙여 행되었다. 1. 기증자료 처리현황 학렬문고 로 정하고 다음과 같은 일들이 진 구분 책수 비고 단행본 2, 642책 연속간행불 1,229책 비도서자료 13종 카세 E 테이효/비디오테이효 신문 계 1종 3,871 책 2. 처리기준 기증 자료는 국가정보원 특수자료 처리지침에 따라 특수자료(비)로 처리하여 관리하며 서울대학교중앙도서관 개인문고설치 및 관리지침에 의거 기념 문고를 설치하여 관리한다. 0 문 고 명 : 학렬문고 0 별치기호 비 y 학렬 0 설치장소 : 중앙도서관 5충 특수자료설 3. 등록 및 정리업무 서울대학교중앙도서관 수증자료처리지침 에 의하면 연속간행물/ 소책자/ 결본된 신문 등은 처리지침에서 제외되지만 북한문학 관련 자료의 특수성과 기념문고 설치를 감안해 m 밍
도서관보 제 131 호 모든 자료를 등록하여 정 리 한다. 0 단행본자료 - 기증자료 시스템에 입력 후 등록 처리한다. - 소책자I 48page 이하 자료도 등록/ 정리 후 포갑 처리하여 관리한다. 0 연속간행물자료 - 기증자료 시스댐에 입력 후 등록 처리한다. - 연속간행물은 낱권 등록하며 정리 후 포갑 처리하여 관리한다. 0 비도서자료. 현행 업무용 매뉴얼에 준하여 정리한다. 0 신문 : 합철 제본하지 않고 포갑 처리하여 관리한다 서울대학교중앙도서관 수증자료처리지침 은 중앙도서관 홈페이지 도서관안 내 자료기증 자료기증안내에서 자세한 내용을 볼 수 있다. (http:/ /librarv.snu.ac.kr / static/ snu/ pages/donation/donationrule.pdd 4 특수자료 관리번호 부여 0 등록. 정리 후 특수자료 관리번호를 부여/ 관리대장에 기록하여 5층 단행본자료실 내 특수자료실에 비치하여 관리/ 운영하고 있다. N. 개인문고 설치 운용 김학렬 박사가 기증한 북한 문학 도서를 서울대학교중앙도서관 수증처리지침 제 9조 에 의해 학렬문고 를 중앙도서관 5층 특수자료실에 비치하여 운영하기로 하였다. 중앙도서 관 홈페이지에서는 도서관안내 자료기증을 클릭하면 기증 자료에 대한 내용을 상세히 안내 하고 있으며/ 수증자료처리지침 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홈페이지에 사이버 기증자료 기념문고 를 클릭하면 후학들을 위해 기증하신 개인문고와 사이버 기증자료 기념문고가 있 으며/ 기증자의 호( 號 )를 문고명으로 정하여 운영하고 있고 기증자 약력 및 기증자별 DB구축 목록틀을 볼 수가 었다. v. 북한문학도서 해제 및 선정 북한문학 도서를 전시하기 위해서는 기증한 자료에 대한 해제와 자료 선정이 우선 이루 어져야 했다. 서울대학교 국문과 권영민 교수가 학렬문고 에 소장되어 있는 북한문학 관련 자료 중 해방이후 윌북 작가들의 문학예술 활동 을 전시주제로 하여 테마명을 5개로 나누 어 자료 선정 및 해제를 하였다. 북한에서 간행된 시/ 소설, 연극y 영화/ 음악/ 아동문학/ 문학평 론y 어학/ 문학사연구/ 문학예술정책/ 각급학교 교과서/ 문학예술관련 잡지 r 사전류 등이 포함 96
되어 있으며 좀 더 자세한 해제는 중앙도서관 홈페이지 배너에서 배너 더보기 특별전시 북한문학도서전시회를 클릭하면 전시자료 리스트와 전시자료 해제를 볼 수 있다. (hh!!rtiμilibranπv.snu.a따c.krη1st띠ati따ic이 v사lew. vι7ι.써p?p여ag얄e=banne얀rmo야re_speci떠al또ex셔h비1ib비ition비 1깨 ) VI. 통일평화연구소 통일학 세미나 주최 서울대학교는 현재 통일연구소를 통해 통일학 및 북한연구를 집중적으로 지원하고/ 이들 자료를 이용하여 북한 문화예술 부문에 관한 연구의 중심에 설 수 있도록 기대하고 있다 이 번 북한문학도서 전시와 동시에 통일평화연구소에서는 기증자를 모시고 북한의 시문학의 전 개과정 과 서울대학교 국문학과 권영민 교수는 학렬문고를 통해 본 초기 북한문학의 양 상 에 대한 발표와 함께 통일학 세미나를 중앙도서관과 공동주최하였다. VII. 북한문학도서전시회 개최 중앙도서관에서는 각 부서에서 2개월에 한 번씩 테마도서 전시회를 하고 있다. 수서정 리과에서 북한 문학도서를 테마도서 전시라 설정하고 북한문학도서 전시회를 개최하기로 하 였다. 앞에서는 입수경위/ 진행과정 I 기증자료 처리기준 등 행정상으로 필요한 절차를 기술하 였다면 이 장에서는 학렬문고 전반적인 내용들을 기증자 프로필/ 기증 도서의 성격/ 기증 도서 내용 및 활용에 대한 권영민 교수의 글을 소개하고 북한문학도서 전시개요/ 추진일정/ 도 서전시 운영내용 및 5개 테마에 대한 설명과 이미지 등을 함께 소개하고자 한다. 1. 김학렬 박사 프로필 0 기증자소개 - 출생 : 1935. 1. 3 일본 교토 - 본적. 경상남도 함안군 대산면 평림리 1269 - 학력 및 경력. 1963.3. 1963.3-2005.3. 1986.6 - 현재 조선대학 문학부 졸업 조선대학 문학부 교수 재일본조선문학예술가동맹 고문 - 저서. 시집 삼지연 J (1979, 문예동). 시집 아/ 조국은 J (1990, 문예출판사) 朝 蘇 幻 想 小 說 傑 作 集 J (1990, 白 水 社 ) m
도서관보 제 131 호 笑 L σ) 三 千 里 : 朝 蘇 그- 二 f: 7 文 學 傑 作 選 J (1992, 白 水 社 ) 조선 프롤레타리아 문학운동연구 J (1996,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0 기증도서 내용 이 내용들은 서울대학교 권영민 교수가 북한 문학관련 자료 전반적인 내용들을 분 석한 후 기증도서 내용 전체를 설명해주셨다. 김학렬 박사가 소장하고 있는 북한관련 자료는 1945년 이후 북한에서 간행된 시집/ 소설집/ 평론집/ 희콕작품집 등을 비롯하여 문학연구서와 문화예술관련 잡지/ 신문을 총망라한 3,800 여점의 귀중한 자료들이다. 이러한 자료들에는 해방 직후 월북한 시인과 소설가들의 북한에서의 행적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 자료들이 다수 포함 되어 있으며/ 북한 문화정책의 변화과정을 설명해 주는 많은 문건이 포함되어 있다. 특히 1950 년대부터 1960년대 초반에 간행된 북한의 문학 서적은 현재 국내의 어떤 연구 기관에서도 소 장하지 못하고 있는 것들이 대부분이다. 그리고 김일성대학에서 활용하고 있는 문학 관련 교 재도 다수 포함되어 있어서 북한 대학의 문학교육 실상을 쉽게 알아 볼 수 있다. 문학도서 이 외에 화첩이나 사진첩 등도 상당한 자료적 가치를 지니는 것들이다. 또한 북한의 문학 관련 도서 출판은 출판사도 제한되어 있다. 매년 출판되는 도서의 종류가 극히 한정되어 있으며 중 판을 간행 하는 예가 드물다. 그러므로 이미 출판되어 배포가 끝나버린 서적의 경우는 서점에 서 구하기 어렵다. 이러한 정황을 놓고 본다면 이 소장도서는 북한 문학 작품의 자료사적 성 격을 그대로 간직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더구나 이들 도서는 소장자 자신의 애장본 들이 기 때문에 판본의 보관 상태가 아주 양호하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0 기증도서의 종류 기증한 도서의 내용들을 분류해보면 아래와 같다. 총 휴 책수 종 휴 책수 시 346 사전류 111 소설 790 국어 r 교육 59 희곡 46 화첩/사진첩 40 영화문학 22 노래 (가요) 63 -낀~ 처 '--' 무 '"-한 143 역사 64 외국문학 92 사회과학관계(주석/ 총서/ 기타) 304 문학사관계 98 잡지 (조선 문학/ 청 년문학, 천리마y 문학예술 등) 다수 외국문학사 13 신문 (문학신문) 다수 문예론 162 총 껴l 3,871책 - 98
특수자료로 취급한다. 기증도서에는 시/ 소설/ 고전문학 등 약 3,800여권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 책들을 0 기증도서의 활용 상기 기증 도서는 해방이후 북한의 문학 자료를 총망라하고 있기 때문에 서울대학 교 도서관에서는 이러한 자료를 기증받게 되어 한국 최대의 북한문학 컬렉션으로서의 의미를 가지게 된 것으로 보인다. 0 기대효과 - 위의 소장도서들은 해방 이후 북한문학의 자료를 총망라하고 있기 때문에 서울대 학교 도서관에 이를 기증받게 되어 한국 최대의 북한문학 컬렉션으로서의 의미를 가진다. - 서울대학교는 현재 통일연구소를 통해 통일학 및 북한 연구를 집중적으로 지원하고 있으므로 이들 자료를 이용하여 북한 문학예술 부문에 관한 연구의 중심에 서게 되리라고 생 각된다. 2 전시개요 0 우리 도서관은 학문의 발전과 학술연구의 적극적인 지원을 위해 특화되고 전문화 된 자료 (Special Collection) 들을 수집하여 지속적으로 구축하고 있다. 0 재일 조선 교포인 김학렬 박사가 소장하고 있는 해방이후 북한에서 발간된 문학 관련 자료 3,800 여 책의 귀중도서를 우리 도서관에서 기증받아/ 북한 문학자료 collection을 전 시하여 관련 학술연구를 지원하고자 한다. 3. 전시시간 및 장소 0 북한문학도서 전시는 62주년 개교기념일에 맞춰 2개월 동안 전시하였다. - 전시기간 : 2008. 10. 17-12. 19 - 전시장소 : 중앙도서관 4층 로비 4. 추진일정 o 2008. 9.29-9.30 : 북한관련도서 전시회 계획(안) 수럽 o 2008. 9.29-10.6 : 전시자료 구성/ 선정 및 해제(테마 설명) - 자료선정 및 해제(테마설명) : 국어국문학과 권영민 교수 - 2008. 10. 6-10. 15 리플렛 제작 현수막y 배너 제작 99
도서관보 저 1131 호 테마설명 배너 그래픽 : 20매 - 전시자료 이미지 스캔 선정된 전시자료 표지 이미지 스캔 윌북 작가 사진 이미지 스캔 - 홍보 : 서울대신문/ 홈페이지/ 정보광장/ 언론사 (기획홍보팀) - 동영상 촬영 : 멀티미디어 전문사서팀 (정보관리과) 개막행사 및 전시자료 촬영 - 초청장 발송 대상 : 50 명 대학원장y 전 도서관장y 전임 도서관장/ 본부 처 국장r 학장/ 사무국장/ 통일연 구소 학술대회 참석자 5. 도서전시회 운영내용 0 도서전시회 명칭 - 김학렬 박사 문고 북한문학도서 전시회 0 전시주제 - 해방이후 월북 작가들의 문학예술 활동 0 전시계획 - 5개의 테마로 나누어 전시 월북 작가들의 문학세계와 예술 활동 북한의 아동도서 북한의 영화문학 북한의 교과서 북한의 사전류 6. 전시회 준비위원 구성 0 위 원장 : 중앙도서관장(박명 진 교수) 0 자문위원 : 권영민 교수(국어국문학과) 0 전시담당부서 : 수서정리과 (자료교환 및 연속간행물) 0 홍보 및 예산지원 : 행정지원팀 0 전시시설물 지원 - 전시대 (4 대) : 정보관리과 고문헌자료실 - 동영상 촬영 : 멀티미디어 전문사서팀 이 전시를 하면서 많은 직원들의 도움과 시설물을 지원 받아 전시하게 되었다. 100
7. 테마설병 및 이미지 소개 0 월북 작가들의 문학세계와 예술 활동 테마설명 (깐le Literary World and Artistic Activities of an Auther who crossed the Border into North Korea) 해방 이후 북한에서 발간한 문학예술은 사회주의 체제가 확립되는 과정 속에서 형 성된 사회주의 문화의 이념적 가치를 일관되게 추구하고 있으며/ 시대적 변화에 따라 그 전개 양상에 차이를 드러낸다. 이 테마에서는 시대별로 북한문학의 변화 양상과 월북 작가들의 문 학세계와 예술 활동을 알아보고자 한다. - 1945년 해방직후 북한에서는 사회주의 이념의 예술적 실천을 목표로 북조선예술 총연맹 (1946. 3.) 이 조직된다. 이 조직은 그 해 10월 북조선문학예술총동맹으로 개편되고/ 예술 의 각 영역의 동맹체로서의 성격을 분명히 하게 된다. 남북한의 분단이 점차 고정되자/ 북조선 문학예술총동맹은 이미 서울에서 결성된 조선문학가동맹 (1946. 3.) 과 분리되어 평양을 중심으 로 하는 북한지역의 독자적인 문예활동을 장악하는 단체로 등장 한 것이다. 이 조직의 중심인 물들은 대부분 서울에서의 활동을 포기하고 사회주의 이념에 따른 새로운 문예활동을 위해 평 양으로 활동 무대를 옮긴 이기영/ 한설야y 안함광/ 송영/ 박세영/ 박팔양/ 이동규 등을 들 수 있 다. 이들은 <진보적 민주주의에 의한 민족문화의 수립/ 반봉건 반민족적 예술세력과 관념의 소탕y 민족 문화유산의 비판적 계승> 동의 슬로건을 내세우며 북한지역의 모든 문예활동을 장 악하게 된다. - 1950년 한국전쟁을 겪으면서 북한의 문학은 새로운 변화를 겪게 된다. 전쟁이 끝 난 뒤에 휴전과 함께 사회적 혼란이 어느 정도 평정되자/ 북한에서는 문학 예술인에 대한 대 대적인 숙청이 단행된다. 남로당의 정치적 몰락과 함께 월북문인들 가운데 임화/ 김남천/ 이태 준/ 설정식 등 상당수의 문인들이 문단에서 제거된 것이다. 문단숙청을 실현한 후에, 북한당국 은 전후 복구사업과 경제발전을 위해 문학 예술인들을 다시 조직 동원하게 된다<천리마운 동>으로 지칭되고 있는 전후 복구사업의 수행은 북한에서 사회주의 체제의 정착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y 대중에 대한 사상적 통제를 쉽게 할 수 있도록 하였던 것이다. 1950년대 소설로는 땅 J, 1"서산대사 J, 1"두만강 J, 1"질소비료공장 J, 1"월남일 기 J, 1"배비장전 J, 1"력사 J, 1"승냥이 J, 1"설봉산 등이 있고/ - 101
도서관보 제 131 호 102 -
1950년대 시로는 김우철/ 리용악/ 백인준/ 벽암시선/ 벚나는 태양 등이 있다. 훌I 용빡씩했격웰 - 1960년대 이후 북한의 문학예술은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의 미학적 요건을 김일성의 주체 사상에 입각하여 새롭게 규정함으로써 주체성과 혁명성이 더욱 고양되는 변모를 보여 준다. 1960년대 이전의 문학이 사회주의의 이념/ 계급적 요소/ 인민성의 요건 등을 중시하고 집단적 인 것과 전형적인 것의 창조를 강조했다변, 1960년대 이후의 문학에서는 주체사상과 혁명적 투쟁의식이 내세워짐으로써 그만큼 이념성이 강화되고 있다고 할 것이다. 특히 1970년대부터 등장한 <주체의 문예이론> 에서 그 이념적 지표가 분명하게 제시된다. 1960~70년대에 발표된 소설로는 사회주의 국가건설의 위대성을 선전하고 있는 작품 으로 권정웅의 백일홍 J, 석윤기의 행복 J, H"시대의 탄생 J, 최학수의 평양시가 J, 생명수 J, 김규엽의 봄 등이 높이 평가되고 I 백인준의 대동강에 흐르는 이야기 J, 정 103 -
도서관보 제 131 호 문향의 시대에 대한 생각 J, 오영재의 조국이 사랑하는 처녀 등이 비슷한 주제의식을 보 여준다. 1960년대 시로는 눈보라 만리 J, l'밀림의 역사 J, l'단죄 한다 아메리카 J, l'황해의 노 래 등이 있다. 밸 힐 훌 쩌 행R T 했 / 까 써 @ 104
- 1970년대의 문학예술은 그 내용이 크게 세 가지로 대별된다. 첫째는 김일성의 항일 무장투쟁의 혁 명적 위업을 찬양한 것/ 둘째는 북한의 사회주의 국가건설의 위대성을 선 전 하는 것/ 셋째는 남한에 대한 혁명적 통일의 과제를 강조하는 것 등이다 특히 김일성의 혁명투쟁과 그 과엽의 위대성을 찬 양하기 위해 기획된 <불멸의 역사> 총서는 1970년대 중반 부터 1980년대에 이르기까지 오랜 시간에 걸쳐 창작 간행된 역사문학이라고 할 수 있다. - 1970년대 후반 이후에 발표된 박태원의 갑오농민전쟁 과 홍석중의 높새바람 (1983)은 각각 전봉준을 중심으로 하는 동학혁명의 과정과/ 조선시대 삼포왜란을 소재로 하여 왜적과 대항했던 역사의 현장을 그려내고 있는 역사소설로서 주목되었던 작품들이다. 이 시 기에 항일 혁명문학 예술작품을 대작의 형식으로 재창작하는 작업도 집체적인 방법에 의해 널리 행하여져서 꽃 파는 처녀 / 피바다 / 한 자위단원의 운명 등이 혁명가극/ 혁명소설/ 혁명영화 등의 이름으로 널리 선전되고 있으며 y 북한의 문학예술에서 항일 혁명문학의 전통 이 가장 중요한 이념적 요건으로 자리 잡게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 1980년대 후반부터 북한의 문화는 주체의 문예 이론이 요구하였던 이념적 성격 에서 조금씩 벗어나기 시작한다. 이 같은 변화는 먼저 문학 연구 영역에서 나타나기 시작하였 는데 y 북한의 근대문학사 연구자들에 의해 반동적 부르주아 작가로 비판받았던 이광수/ 현진 건/ 이효석 r 채만식 등의 문학에 대한 재평가 작업(조선 근대 및 현대 소설사 연구~, 1986) 이 이루어지면서 그 진보적인 성격이 새로이 조명되었으며/ 시인 김소윌/ 한용운 등에 대해 적극적인 평가(~우리나라 비판적 사실주의 문학에 대한 연구~, 1988)가 이루어졌 다. 김일성의 항일 혁명 투쟁에 가려졌던 일본 식민지 시대의 계급문학운동에 대해서도 적극 적인 관심 (W주체문학론~, 1992)을 기울이기 시작한다. 문학 연구 영역에서 일어나기 시작한 변화의 물결은 문학 창작에서도 서서히 나타 나고 있다. 집단적 이념을 중시하며 혁명 위업에 대한 찬양에 주력했던 북한의 시단에 서정성 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자리 잡기 시작하였으며/ 소설의 경우에도 집체 창작을 중심으로 혁명 적 대작에 참여했던 작가들이 대중적 취향에 접근하여 청춘 남녀의 사랑 이야기도 소설 속에 수용하기 시작한다. 이러한 변화는 북한 사회의 내부적인 변화를 상당 부분 반영하는 현상이 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화는 소설의 경우 김보행/ 김영근/ 남대현/ 정창윤/ 신태일/ 백철수/ 백보흠/ 림종상/ 리종렬 등과 시의 경우 정문향/ 오영재/ 안창만I 박세옥/ 리호큰l 김형 준 등의 창작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105 -
도서관보 제 131 호 - 1970-1980년대 소설은 r피바다 J, W'은하수 J, W'맞은 올랐다 J, W'금천강 J, 꽃파는 처녀 J, W'백일홍 / 새봄 등이 있고/ " 쇼 ;채 빡 ::} woo.m 샤.. - 1970-1980년대 시로는 대동강I 인민은 노래한다/ 백두산/ 남해가 보인다 등이 었다. - 106 -
0 북한의 영화문학과 가요음악 테마설명 (The Films Literature and Ballards of the North Korea) 영화와 가요는 일반대중을 상대로 호소력이 강하기 때문에 사회주의 국가에서는 중 요시되는 분야이며/ 이러한 예술분야의 작품들을 통해 북한의 문화를 간접적으로 느낄 수 있 다. <학렬문고 에는 북한이 정책적으로 지원했던 영화문학이나 가요 음악 분야에 관한 여 러 가지 작품들이 포함되어 있다. 이 가운데 대표적인 작품들을 전시함으로써 인민성을 강조 해 온 북한 문예정책의 방향을 확인해보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북한 영화 문학의 기초를 닦은 윌북 극작가 송영의 불사조 J (1959), 신고송의 선구자틀 J (1958), 조령출의 싸우는 마을 J(1952), 한태천의 화전민 J (1958) 이 눈에 띄며/ 무용가 최승희의 무용극 대본집 (1958)과 시조 시인 조운이 엮은 조선구전민요전집 J (1954) 등도 있다. - 107 -
도서관보 제 131 호 영화관련 - 108
음악관련 "'''응j 지 JI 휴 난갱~~;;I^~t"'j;;N~ 훗 첸 l멍 ~후?앙 i '~!!1 γ.' 대표적 인 국문학자로서 해방 전부터 활동했던 홍기문의 조선신화연구 J, 고정옥의 r 조선구전문학 연구 등이 북한에서 이루어진 새로운 연구 업적으로 손꼽히고 있으며/ 김하 명의 경우에는 우리나라 고전문학 l 조선 문학사 등 많은 저작을 남기고 있다 월북시 인으로 분류되고 있는 김북원의 r 남해가 보인다 J, 김상훈의 새로운 전선에 서 / 김상훈 시집 흙 J, 김우철의 김우철 시선집 J, 민병균의 조선의 노래J/ 박산운의 내가 사는 나라 f 두더지고 개 J, 박세영의 붉은 기발 휘날린다 I 서사시 밀림의 역사 J, 박팔양의 r 황해의 노래 y 벚나는 태양 y 눈보라 만리 J, 백인준의 단죄 한다 아메리카 / 인민의 태양 J, 조벽암의 벽암시선 J, 정서촌의 인민은 노래한다 J, 조령출의 조령출시선집 등이 눈에 띈 다. 소설가의 경우는 김영석의 젊은 용사들 격랑 J, 이갑기의 도솔봉 J, 리큰영의 첫 수확 / 청천강 J, 리기영의 두만강 / 땅 / 한 녀성의 운명 등이 있다. 그리고 박태원의 임 진 조국전쟁 / 갑오농민전쟁 / 계명산천은 밝아오느냐 J, 석인해의 배비장전 / r 마을의 녀 - 109 -
도서관보 제 131 호 선생 J, 엄홍섭의 동틀 무렵 J, 유항림의 건설의 길 / 성실성에 대한 이야기 JJ 최명익의 행주 산성의 싸움 / 서산대사 J, 한설야의 역사 y 승냥이 / 열풍 등이 주목된다. 극작가의 경우 송영의 희곡집 불사조 J, 신고송의 선구자들 J, 조령출의 희독집 싸우는 마을 J, 한태천의 희곡집 화전민 등과 비평가 암함광의 문학의 탐구 / 조선 문학사 JJ 윤세평의 해방 전 조선 문학 l 해방 후 조선 문학 등도 있다. 무용가 최승희의 무용극 대본집 J, 시조시인 조운이 엮은 조선구전민요전집 등도 이들의 월북 후 활동을 말해주는 중 요 자료가 된다. O 북한의 아동문학 테 마설 명 (The Juvenile Literature of the North Korea) 북한의 아동문학은 혁 명 적 아동문학 으로 규정되 어 있고 자라나는 새 세대들을 공 산주의 혁명가로 키우는데 이바지하는 역할로 인식하고 있으며/ 몇 가지 특정을 가지고 있다. 첫째 동화/ 동시/ 동요/ 우화/ 아동소설/ 아동극 등 종류와 형태가 구체적이고 다양하다. 둘째 근면. 성실성을 강조한 작품이 많다. 셋째 이야기에 등장하는 동식물이 구체적이고 다양하며 그 생태도 매우 사실적으로 묘사되어 있다. 넷째 토속적이고 해학적인 전래동화의 분위기를 계승한 작품들이다 다섯째 의성어 l 의태어 등 옛말을 그대로 간직한 것으로 보아 민족의 고 유성을 지키려함을 알 수 있다. 학렬문고 에는 다수의 아동문학이 포함되어 있으며/ 그 중에 김정의 '1 학년 생 J (1983)은 북한에서 80년대 성과적으로 손꼽히는 아동중편소설로 북조선에서 이제야 진 짜 아동 작가가 한명 나왔다 라고 평가될 정도로 작가성이 뛰어나다. 동화집으로는 즐거운 집 J (1954),,-막내두꺼비의 갑옷 J (1983),,-뿔사슴과 방울염소 J (1986), 동화그림책 개미와 왕지네 J (1989),,-노렁뱅이 너구리 J (199이/ 덕만이와 쇠돌이 J (1989),,-명의의 실수 (199이 며느리와 좀다래나무 J (1986), 노래집 오직 한마음 J (1984), 동시집 능수버들 (195끼f 별나라 J (1958),,-숲속에서 J (1958),,-사랑하는 조국에 J (1961),,-웃는 밤동산 (1974) 등 다수의 아동 문학을 선정하여 전시한다. 이러한 도서들을 전시함으로써 북한의 아동 문학 교육의 내용과 방향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110 -
0 북한의 교과서 테마설명 (The Textbook of the North κorea) 학렬문고에는 다양한 자료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중 교과서류도 다수 포함되어 있다. 이 테마에서는 유아/ 초등/ 중등/ 고등/ 대학 교과서를 전시하여 사회주의 국가인 북한의 학교교육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교육의 이념을 엿볼 수 있는 기회를 갖고자 한다. 북한 의 교육은 사회주의 이념과 그 실천적 당면 문제에 봉사하기 위해 실행되고 있다. 그들은 자 본주의 사회에서의 학교교육을 이데올로기에 순종하는 인간교육/ 즉 노예교육으로 규정하고 진정한 교육적 가치를 인간을 계급 혁명의 주인공으로 개조하는 데에서 찾고 있다. 북한의 교과서는 각 단원 처음에 /김일성교시 I 나 l 김정일 말씀 l 이 먼저 나온 후 학습 내용 이 제시되며/ 교과서에서 쓰는 용어도 우리와는 조금 다르다. 또한 북한에서는 1960년대 중반부터 /문화어/라고 하여 한자어와 외래어를 순수 한글로 바꾸는 작업을 하였다. 교과서류 전시 목록틀을 살펴보면 유치원용에는 새 조선의 해돋이 j (김청일 l 교육도서출판사), r 백 두산별님 j (김청일/ 교육도서출판사), 초급학교용에는 교수법 : 국어 산수 초급학교용 j (학 우서방), r꽃송이 j (리덕호l 학우서방), r 말하기: 6학년용 j (총련중앙상임위원회 교과서편찬 위원회), 중급학교용 국어: 저111 학년 j, r글짓기: 저112학년 은 총련중앙상임위원회 교과서편 찬위원회에서 출판되었으며 y 꽃송이: 중고급부편 j (리덕호/ 학우서방), r설화집: 중학교학생 용 j (박영해/ 아동도서출판사), r문학 독본 : 초급 둥학교 제 1 학 년용 j (문상민 y 학우서방), 고 급학교용 세계력사: 제 2학년용 j, r세계문학 : 고급학교용 등은 총련중앙상임위원회 교과 111
도서관보 제 131 호 서편찬위원회에서 출판되었으며 국어 : 저111 학년-제 3학년 J (안함광 편/ 교육도서출판사)등이 있다. 대학교과서에는 근현대문학사, 문학, 3년 사범과 J (조선대학교), l'글짓기/ 공통국어 1 학년 J (조선대학교), l'문학작품분석(사범대학용)j, l'미술교수법(사범대학용 )J, l'사회주의 문예리론(사범대학용 )J 등의 자료틀이 있다. G 북한익 싸전묶 테마첼명 (The Dictionary of the North Korea) 우리 한민족은 남과 북으로 분단된 후/ 반세기에 가까운 세월이 흐르는 동안 서로 다른 길을 걸어왔다. 북한에서는 1954년 9월에 독자적인 새로운 맞춤법인 l 조선어 철자법 I을 제정하여 사용하며 변화를 겪었고, 1960년대 중반부터는 이른바 평양어를 중심으로 한 문화어 운동을 전개하면서 남북한 사이에는 오늘날과 같은 심한 언어의 차이가 생겨나게 된 것이다. 이로 인해 달라진 북한의 언어 습관은 조선말 사전 J, l'조선 문화어 사전 등의 북한에서 발행한 우리말사전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속담은 대체로 생활속에서의 경험을 토대로 교훈이 비유와 상징으로 드러나게 되며/ 사회 현실을 풍자적으로 표현하고 그 안에 민족성이 내포되어 있다. 북한에서 속담에 관한 개 념 이해는 남한과 크게 다르지 않은데 차이점을 지적한다면 남한과 달리 i투쟁 I 의 의미를 풀 이 가운데에 삽입하는 경우가 많고 l 성구/와 I 속담/의 개념을 혼동하고 있는 경우가 있으며 조선말규범집 에 속담의 띄어쓰기 l도 명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북한의 속담사전 성구속 담사전 J I 11조선 속담 을 통해 그 특정을 살펴볼 수 있다 이밖에도 학렬문고에는 II(대중) 정치용어사전.1, 11문학예술사전.1, 11 철학사전 등 다양 한 분야의 사전이 포함되어 있다. 전시회 기간 동안 테마설명/ 표지이미지와 함께 재미있는 북한 속담과 우리말 북한말을 비교 전시함으로써 북한사회를 엿볼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V1H. 맺음말 일본을 방문하여 기증자 김학렬 박사에게 간단한 기증식과 감사패 전달도 하였다. 일 본에서는 이 과정을 每 日 新 聞 社 에서 촬영과 인터뷰를 하였고, 2008년 8월 29 일 KBS 문화지대 에서는 해방이후부터 최근에 이르기까지 북한문학 연구에 새로운 전기가 열렸다고 보도되기 도 하였다. 김학렬 박사는 이 자료를 기증하면서 서울대가 남북 화합에 중요한 역할을 하길 바라는 마음에서 평생 모아온 북한관련 자료를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에 기증했다 고 밝혔 다. 이 중에는 기증자가 가장 아끼는 1920년 후반에 쓴 안함광/ 조선 문학사.1, 11조기천 시 선집 등도 포함되어 있다. 학렬문고는 중앙도서관에 설치된 14번째 개인문고이며 김학렬 박사가 중앙도서관에 기증한 북한문학 관련도서는 3,800여권이다. 우리 도서관은 학문의 발전 - 112 -
과 학술연구의 적극적인 지원을 위해 특화되고 전문화된 자료들을 지속적으로 수집하고 있 다. 이번 북한관련 자료의 가치가 중요하기 때문에 귀중한 장서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우리는 해방이후 월북 작가들의 문학예술 활동으로 하는 전시주제를 가지고 5개 테마로 나누 어 1 개월은 해방이후 월북 작가들의 문학예술 활동/ 북한의 영화문학과 가요음악/ 북한의 아 동문학을 전시하였고/ 나머지 1 개월은 북한의 교과서/ 북한의 사전류 등을 교체 전시 하여 북 한문학의 변화 양상과 월북 작가들의 예술 활동/ 북한의 학교 교육 및 교육의 이념을 엿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국내에서 가장 많이 소장하고 있는 북한관련 자료는 서울대학교뿐만이 아니라 해방이후 북한 관련 연구자들의 학술연구에 많은 도움이 되리라고 생각된다. 그 동안 전시회를 열기까지 함께한 선 후배님에게 이 지변을 통해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 북한문학 관련 자료들이 입수부터 전시되기까지의 모든 과정들을 기록으로 남기고 싶어 미흡하나마 이 글을 쓰게 되었다. 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