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금융위기 벗어나나 28년 1월과 29년 2월 두 차례에 걸쳐 중대한 위기 국면을 맞았던 글로벌 금융 시장이 3월 이후 빠르게 안정을 되찾아가고 있다. 미국을 비롯한 각국 정부와 중앙 은행이 유동성 공급을 크게 늘리고 금융기관의 자본확충을 지원하면서 금융회사들 의



Similar documents
Ⅰ. 글로벌 경제환경 변화 29년은 세계 및 국내경제의 역사 속에서 의미 있는 한 해로 기록될 것이다. 리먼 쇼크 이후의 금융시장 혼란과 경제주체들의 심리 위축은 상당한 기간의 경기불황을 예고하는 듯 했지만 글로벌 경제위기를 수습하기 위한 각국의 금융안정화 대책과 재정

LG Business Insight 1361

LG Business Insight 1245

Ⅰ. 개인저축률 변화의 주요 특징 2년대 우리 경제에 있어 급격한 변화를 보인 지표 중 하나가 개인저축률일 것이 다. 9년대 평균 2.6% 수준을 유지하던 개인저축률은 2년대 들어 평균 5.3% 로 낮아졌다(<그림 1> 참조). 1988년 이후 완만한 하락세를 보이던

LG Business Insight 1248

LG Business Insight 1165

<4D F736F F F696E74202D20312E20B0C5BDC3B0E6C1A6C0FCB8C128C0CEBCE2BABB292E >

LG Business Insight

<B0E6C1A6BFACB1B D B3E220B1B9B3BBBFDC20B0E6C1A620B9D720B1DDC0B6BDC3C0E520C0FCB8C12E687770>

LG Business Insight 1283

DBPIA-NURIMEDIA

입장

신흥국 소비확대로 글로벌 무역 불균형이 구조적으로 완화된다. 글로벌 경기 회복되는 가운데 아시아 신흥국 견조한 성장 예상 글로벌 경제는 금융위기 이전에 비해서는 경제성장률이 하락한 저성장 과정이 예상되지만 년을 저점을 통과해 올해부터는 회복세가 점차 안정화될 전망이다.

Microsoft PowerPoint - F_ 경제전망_편.pptx [읽기 전용]

< B3E2B0E6B3B2B0E6C1A6C0FCB8C128C0DAB9AEC8B8C0C7292E687770>

201501_경제전망보고서_f.hwp

<C1D6B0A3B0E6C1A62D31362E687770>

오세경-제15-29호.hwp

652

세계적인 불황에도 불구하고 국내 석유화학 경기는 1/4분기에 호황을 누렸다. 일부 기업은 사상 최고치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경기 침체로 세계 석유화학 수요 가 급감하고 많은 해외 경쟁 기업들이 적자를 기록한 상황에서 거둔 성과이기에 놀 라움이 컸다. 이를 가능케 한

4ºÐ±âÃÖÁ¾

<C1DFB1DE2842C7FC292E687770>

원이며 경제 정책의 중심이었다. 토지가 재산의 시작이라 할 수 있기에 제한된 땅의 크기를 가지고 백성들에게 어느 정도 나누어 줄지, 국가는 얼마를 가져서 재정을 충당할지, 또 관료들은 얼마를 줄 것인지에 대해 왕조마다 중요한 사항이었다. 정도전의 토지개혁은 그런 의미에

<3130BAB9BDC428BCF6C1A4292E687770>

재원은 크게 지역, 직장 가입자의 총 보험료와 국고지원을 합한 것이라고 보면 된다. 여기까지는 타당해 보인다. 그러나 1만1천원의 기적 이라는 상자를 열어 보면 이는 기적 과는 거리가 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건강보험 보장성은 강화되어야 마땅하다. 그러나 노동자 민중

<4D F736F F D20C0AFB0A120BBF3BDC2BFE4C0CE20C1A1B0CB20B9D720BDC3BBE7C1A12E646F63>

强 달러 현상이 신흥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및 대응방안 1. 최근 强 달러 현상 배경 및 경과 발생 배경 양적 완화 기간중 해외로 투자된 달러화가 미국의 테이퍼링 정책과 금리 인 상 전망에 따라 다시 미국으로 유입되면서 해외 각 국의 달러화 수요에 비해 공급 부족으로

LG Business Insight 1400

LG Business Insight 1339


Microsoft Word be5c80390f90.docx

2006 경제백서

歯표지.PDF

LG Business Insight 1377

정책보고12-08

< 목 차 > <요 약> i I. 거시경제 전망 1 1. 국내 경기상황 판단 1 2. 대외여건 전망 년 국내경제 전망 10 II. 주요 산업 전망 년 동향 년 전망 24

권두논단(2월).hwp

서비스 수출에 있어서도 일본의 해외진출이 뒤처지고 있다고 지적 (IMF 연례 일본경제 보고서 주요내용) IMF 연례 일본경제 보고서에서 日 銀 의 대 규모 금융완화를 통해 물가가 (전년대비) 상승했다고 분석하였으며, 일본의 소비세 인상 재연기(2017.4월

0904fc528011db35

Microsoft Word - MacroVision_121105_.doc

<443A5C6B77625CC1B6C1A4C6C05C B3E2B0E6C1A6C6F7C4BFBDBA2E2E2E>

며 오스본을 중심으로 한 작은 정부, 시장 개혁정책을 밀고 나갔다. 이에 대응 하여 노동당은 보수당과 극명히 반대되는 정강 정책을 내세웠다. 영국의 정치 상황은 새누리당과 더불어 민주당, 국민의당이 서로 경제 민주화 와 무차별적 복지공약을 앞세우며 표를 구걸하기 위한

Zara는 매장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고객 니즈를 파악하고 시장 트렌드에 대응한다. 에 알려진 것이 어제 오늘의 일은 아니지만, 이를 기업 경영 이념과 접목시켜 지속적인 성 장으로 이끌어온 업체는 손에 꼽힐 정도이다. 그 중 대표적인 사례가 Zara 브랜드이다(<박 스

LG Business Insight 1119호

< C7D0B3E2B5B520B9FDC7D0C0FBBCBABDC3C7E820C3DFB8AEB3EDC1F528C8A6BCF6C7FC292E687770>

<C1B6BBE7BFF9BAB85F31322E687770>

광주은행 제2회 메세나 나눔행사 뮤지컬 공연 성료 광주은행(은행장 김한)은 지난달 28일부터 30일까지 본점 3층 대강당에서 개최한 제2회 메세나 나눔행사 무적의 삼총사 어린이 뮤지컬 공연이 지역 어린이들과 학부모들의 호응 속에 성료됐다. 올해로 2회를 맞이한 광주은행

213 6 SUMMARY 2 국.내.주.식. 시장 전망 뱅가드 펀드 지수 변경이 마무리 국면에 접어들면서 외국인 수급 개선이 예상되고 엔화 약세 속도도 조절될 것으로 판단 됨에 따라 주식시장은 점진적 상승 예상 6월 코스피 밴드는 1,93~2,8pt로 예상. 연간으로는

인 사 청 문 요 청 사 유 서

<B5B6BCADC7C1B7CEB1D7B7A52DC0DBBEF7C1DF E687770>

歯세계경제전망_국제금융센터_.PDF

0429bodo.hwp


최우석.hwp

과 위 가 오는 경우에는 앞말 받침을 대표음으로 바꾼 [다가페]와 [흐귀 에]가 올바른 발음이 [안자서], [할튼], [업쓰므로], [절믐] 풀이 자음으로 끝나는 말인 앉- 과 핥-, 없-, 젊- 에 각각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식형태소인 -아서, -은, -으므로, -음

<C0CEBCE2BABB2D33C2F7BCF6C1A420B1B9BFAAC3D1BCAD203130B1C72E687770>

E1-정답및풀이(1~24)ok

교사용지도서_쓰기.hwp

<C1B6BCB1B4EBBCBCBDC3B1E2342DC3D6C1BE2E687770>

untitled

민주장정-노동운동(분권).indd

伐)이라고 하였는데, 라자(羅字)는 나자(那字)로 쓰기도 하고 야자(耶字)로 쓰기도 한다. 또 서벌(徐伐)이라고도 한다. 세속에서 경자(京字)를 새겨 서벌(徐伐)이라고 한다. 이 때문에 또 사라(斯羅)라고 하기도 하고, 또 사로(斯盧)라고 하기도 한다. 재위 기간은 6

時 習 說 ) 5), 원호설( 元 昊 說 ) 6) 등이 있다. 7) 이 가운데 임제설에 동의하는바, 상세한 논의는 황패강의 논의로 미루나 그의 논의에 논거로서 빠져 있는 부분을 보강하여 임제설에 대한 변증( 辨 證 )을 덧붙이고자 한다. 우선, 다음의 인용문을 보도록

< BDC3BAB8C1A4B1D4C6C75BC8A3BFDC D2E687770>

cls46-06(심우영).hwp

6±Ç¸ñÂ÷

<C3D6C1BE5FBBF5B1B9BEEEBBFDC8B0B0DCBFEFC8A C3D6C1BEBABB292E687770>

초등국어에서 관용표현 지도 방안 연구

¸é¸ñ¼Ò½ÄÁö 63È£_³»Áö ÃÖÁ¾

177

제주어 교육자료(중등)-작업.hwp

01Report_210-4.hwp

<C3D1BCB15FC0CCC8C45FBFECB8AE5FB1B3C0B0C0C75FB9E6C7E D352D32315FC5E4292E687770>



교육 과 학기 술부 고 시 제 호 초 중등교육법 제23조 제2항에 의거하여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을 다음과 같이 고시합니다. 2011년 8월 9일 교육과학기술부장관 1.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은 별책 1 과 같습니다. 2.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별책

시험지 출제 양식

우리나라의 전통문화에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봅시다.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를 체험합시다.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를 소중히 여기는 마음을 가집시다. 5. 우리 옷 한복의 특징 자료 3 참고 남자와 여자가 입는 한복의 종류 가 달랐다는 것을 알려 준다. 85쪽 문제 8, 9 자료

상품 전단지

::: 해당사항이 없을 경우 무 표시하시기 바랍니다. 검토항목 검 토 여 부 ( 표시) 시 민 : 유 ( ) 무 시 민 참 여 고 려 사 항 이 해 당 사 자 : 유 ( ) 무 전 문 가 : 유 ( ) 무 옴 브 즈 만 : 유 ( ) 무 법 령 규 정 : 교통 환경 재

2

DBPIA-NURIMEDIA

화이련(華以戀) hwp

ÆòÈ�´©¸® 94È£ ³»Áö_ÃÖÁ¾

歯1##01.PDF

<5BC1F8C7E0C1DF2D31B1C75D2DBCF6C1A4BABB2E687770>

120229(00)(1~3).indd

순 서 Ⅰ. 2016년 상반기 경제운용 평가 1 Ⅱ. 향후 경제여건 3 Ⅲ. 2016년 하반기 경제정책 기본방향 8 Ⅳ. 2016년 하반기 경제정책 과제 9 1. 경제활력 제고와 민생안정 9 2. 구조개혁 가속화 리스크 관리 강화 37 Ⅴ. 경제전망 40 <

% % % 0.3% % % 1.6% % 0.6%. 9.5%, 7.8% % % 0.5% 6.1% %. 1.9% % 0.7%. 2.7% 1.8%, 1.

Microsoft Word - 09년 2월 경제동향.doc

금융위기 이후, 글로벌 환경 변화와 한국 경제 세계경제의 장기정체 위험 국내 장기 저성장 위험 지속 고부채 下 잠재위기 지속 국내 경제 및 금융시장의 상대적 안정성 시험 교역흐름의 위축과 재편 국내 수출 위축과 경쟁위협 심화 자금흐름의 변동성 심화 국내 자본유출입 변동

10김묘선

Microsoft Word Stragegy Monthly 9월호.doc

Microsoft Word - HMC_economy_note_ _하반기

308 한국문학논총 제46집 그가 남긴 자료의 태반이 일본어 문건이라는 점과도 관련이 있겠으나, 그에 대한 한국학계의 대응은, 일부 회고담 및 임종국의 친일문학론 (1966), 1) 그리고 신지방주의론 과 민요시, 번역시 문제를 다룬 근래의 연구성과 수편을 제외하면,

歯경제.PDF

Dc_F&OWeek

LG Business Insight 1176

Microsoft Word - 핫이슈 0201 최종_결합_.doc

진단, 표시・광고법 시행 1년

Transcription:

LGERI 리포트 29년 하반기 국내외 경제전망 경제연구실 gtlee@lgeri.com 금융연구실 hybae@lgeri.com Ⅰ. 금융위기 벗어나나 Ⅱ. 세계경제의 향방은 Ⅲ. 국내경기 언제 회복되나 금융기관 손실이 줄어들고 위험회피 성향이 완화되면서 금융시장이 극심한 불안으로부터 벗어 나고 있다. 미국 주택가격의 하락속도가 둔화되는 조짐도 나타나고 있지만, 실물경제 침체로 인한 소비자 및 기업 금융 부문의 부실 확대로 인해 금융시장이 완전히 정상화되기까지는 좀더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금융시장 안정과 세계 각국의 경기부양책으로 세계경기는 올 하반기중 침체국면에서 벗어날 것 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선진국의 가계부채 해소, 과잉공급 능력 조정, 금융의 신용창출기능 회복 등 에 장기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여 내년까지도 세계경제는 성장세가 매우 완만할 것으로 보인다. 국내 경제는 연초의 빠른 지표호전에 힘입어 2분기중 전기비 성장률이 2% 내외에 달할 것이지만 환율하 락, 유가상승 등으로 하반기에는 성장세가 둔화될 것이다. 수출과 설비투자의 회복이 지연되고 소비 와 건설투자도 공공부문에 의해 주도될 전망이다. 2분기의 고성장으로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1.7%로 당초 전망을 상향수정한다. 내년중 우리경제는 잠재 성장능력에 미치지 못하는 3%대의 성 장이 예상되어 경기는 U자형 회복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내년까지는 유동성 확대가 높은 인플레 이션으로 나타날 가능성이 높지 않을 것이다. 선제적인 인플레 대책보다는 금융완화 기조를 당분간 유지하고 계획했던 부양책을 차질 없이 집행해야 할 것이다. 2 LG Business Insight 29 6 24

Ⅰ. 금융위기 벗어나나 28년 1월과 29년 2월 두 차례에 걸쳐 중대한 위기 국면을 맞았던 글로벌 금융 시장이 3월 이후 빠르게 안정을 되찾아가고 있다. 미국을 비롯한 각국 정부와 중앙 은행이 유동성 공급을 크게 늘리고 금융기관의 자본확충을 지원하면서 금융회사들 의 연쇄파산과 그로 인한 금융시장 전반의 붕괴 우려가 크게 줄어들었다. 저금리 정 책에 힘입어 자본조달 비용이 낮아지고 주식, 회사채 등 위험자산에 대한 수요가 되 살아나기 시작하면서 자금중개 활동 또한 부분적으로 재개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에서 실물경제 침체가 완화되고 경기회복의 조짐이 나타나면서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론의 부실로부터 촉발되어 세계경제 전반으로 확대된 이번 위기가 향후 어떤 경로로 치유되고 금융시장이 회복될 것인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금융불안이 완화되면서 금융기관의 대손상각 규모도 29년 1분기 들어 크게 줄어들었다. 금융위기, 최악의 상황으로부터 벗어나 LGERI 리포트 현재 상황이 글로벌 금융위기의 어느 단계에 해당하는지, 더 나아가 본격적인 회복 국면에 진입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위기 의 개념을 보다 구체적으로 규정할 필요가 있다. 만약 금융위기의 핵심을 과도한 신용 증가 및 자산가격 상승이 조정을 겪는 과정에서 금융기관과 시스템이 붕괴위 험에 직면하는 것으로 본다면, 지금은 최악의 상황 으로부터는 벗어나 회복의 초기 국면을 지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우선 금융시장의 불안정성이 지속적으로 감소하 면서 28년 분기당 평균 2,6억달러에 이르던 전 세계 금융기관의 대손상각(Writedowns) 규모가 29년 1분기 들어 1,5억달러 수준으로 크게 줄어 들었다. 이러한 흐름이 2분기 이후에도 지속된다면, 향후 발생할 잠재 손실에 대한 추정치(IMF)의 경우 지난 4월 펴낸 글로벌금융안정보고서 에서 21년 11 1 9 8 7 <그림 1> VIX 및 금융업 주가 비율 추이 금융주 비율( ) 2 6 VIX( ) 1 5 28.1 4 7 1 29.1 4 주 : 1. VIX(Volatility Index; 변동성 지수): 시카고옵션거래소(CBOE)가 S&P5 지수 옵션의 자금 유출입 동향을 근거로 내재 변동성(Implied Volatility)을 측정하여 산출하며, 향후 3일간의 변동성에 대한 시장의 기대를 나타내 수치가 커질수록 증시의 변동성이 커지 고 시장의 비관론이 높아짐을 의미 2. 금융주 비율은 다우존스 금융업 지수와 종합지수의 비율을 28년초가 1이 되도록 조정 자료 : Chicago Board Option Exchange, Datastream 9 8 7 6 5 4 3 LG Business Insight 29 6 24 3

LGERI 리포트 최근의 주식시장 호조에 힘입어 미국 은행권은 지난 5월 한 달 동안 85억 달러의 자본을 확충했다. 까지 전세계 금융기관의 대손상각액이 약 4조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정) 또한 축소 조정될 여지가 있다. 이에 따라 금융기관의 파산위험을 나타내는 신용부도스왑 (CDS) 프리미엄이 크게 낮아졌으며, 금융업종의 주가도 3월 이후 시장 평균보다 강 한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다. 미국의 대형 은행들에 대한 스트레스 테스트 결과도 향후 상황과 은행 회계상의 세부기준을 둘러싼 분분한 이견에도 불구하고, 단기적으로는 시장불안 완화에 기여 하고 있다. 테스트 대상 19개 은행 가운데 1개사에 대해 총 746억 달러의 자본 확충 이 추가로 필요하다는 결과는 민간 연구기관 및 신용평가사들이 사전에 추정한 것보 다 훨씬 작은 규모에 해당한다. 게다가 최근의 주식 및 회사채시장 호조에 힘입어 미 국 은행권은 유상증자 및 무보증 채권 발행, 우선주의 보통주 전환 등을 통해 지난 5 월 한 달 동안에만 85억 달러의 자금 확보에 성공하면서, 정부의 부실자산구제계획 (TARP)을 통해 제공받았던 구제자금에 대해서도 조기 상환에 나서고 있다. 자금시장 여건도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다. 작년 말 금융권의 단기자금시장에 만 국한되었던 시중자금 흐름이 29년 들어서는 위험자산 선호 증가에 힘입은 회 사채 발행 증가로 이어지면서 비금융 부문의 일반 기업으로까지 확대되었다. 모기 지 금리가 낮아지고 차입자의 리파이낸싱(Refinancing)이 활발하게 일어나면서 주 택구매자의 자금경색도 다소 완화되었다. 하지만 비우량 등급의 회사채나 신용카드 등 아직 신용위험 수준이 높고 정책지원 대상에 포함되지 못한 부문의 자금조달 여 건은 크게 개선되지 못하는 모습이다. <그림 2> 미국 및 유럽 금융기관의 대손상각 규모 추이 (억달러) 3, 2,5 2, 1,5 1, 5 미국 유럽 27.3Q 4Q 28.1Q 2Q 3Q 4Q 29.1Q 자료: Bloomberg 주택가격 하락세 지속, 안정조짐은 나타나 한편 이번 위기의 진원지에 해당하는 미국 주택가격 의 하락세는 최근까지도 지속되어 온 것으로 나타났 다. 미국 주택가격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인 케이 스-실러 지수(Case-Shiller Home Price Index 2) 에 의하면, 미국 2대 대도시의 주택가격은 지난 3 월에도 전년동월 대비 18.7%의 가파른 하락세를 나 4 LG Business Insight 29 6 24

타내며 32개월 연속으로 하락했다. 이는 26년 7월의 주택가격 고점(26.5, 2.1=1)으로부터 32.2% 하락한 수준에 해당한다. 특히 하락 속도가 높은 수준 을 유지하고 있어, 주택경기의 심각한 침체와 관련 금융부문의 손실발생이 빠른 시 일 내에 마무리되기 어려울 수도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앞에서 살펴본 대로 금융기 관과 시장의 위기가 상당 부분 진정되고는 있지만, 그것을 유발한 근본 원인은 올해 1분기까지도 계속 진행되어 왔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주택가격 하락 움직임의 둔화 여부 또한 이번 금융위기로부터의 회 복 여부를 가늠할 수 있는 하나의 잣대가 될 수 있다. 즉 주택가격 하락세가 진정됨으로써 관련 금융상품의 추가적인 부실이 더 이상 크게 확대되지 않거나, 적어 도 예상 가능한 수준으로 안정되는 것이 금융 불안 해 소의 핵심 요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미국의 주택가격이 지난 3월까지는 계속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그 이후 기간 동안의 매매동향에 서는 이러한 하락세가 둔화되는 조짐이 나타나고 있 다. 기존 및 신규주택매매의 감소세가 연초부터 둔화 된 상태이며, 이러한 가운데 기존 주택판매에 1~2개 월 선행하는 것으로 알려진 잠정주택판매가 지난 4월 까지 3개월 연속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주택경기 침체 완화에 대한 기대가 생겨나고 있다. 개인의 주택구입 능력도 모기지 금리 하락과 최초주택구매자에 대한 지 원 등의 정책효과에 힘입어 사상 최고 수준으로 높아 졌다. 하지만 모기지 연체율이 계속 상승하고 있는 데 다 높은 주택공실률과 느린 재고조정 속도를 감안하 면 주택경기의 회복을 선뜻 낙관하기는 어려워 보인 다. 게다가 실업률 상승 등 고용여건의 악화와 최근 나타나기 시작한 금리상승 움직임, 그리고 국제유가 1 <그림 3> 미국 주택가격 추이 비우량 등급의 회사채나 신용카드 등 신용위험 수준이 높고 정책지원 대상에 포함되지 못한 부문의 자금조달 여건은 크게 개선되지 못하고 있다. (2.1=1) 22 주택가격 (%) 3 ( ) 2 주택가격상승률 2 18 ( ) 1 16 14-1 12-2 8 22 23 24 25 26 27 28 29-3 2 18 16 14 12 1 8 주 : 1. 주택가격은 S&P/Case-Shiller 2 지수 2. 주택가격상승률은 전년동월 대비 증가율 자료 : Standard & Poors <그림 4> 미국 잠정주택판매 및 개인의 주택구입능력 주택구입능력지수 잠정주택판매 6 21 22 23 24 25 26 27 28 29 주 : 1. 잠정주택판매는 판매계약은 성사됐으나 대금지급 등 거래가 완결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하며 21=1으로 지수화 2. 주택구입능력지수는 평균적인 가구의 주택구입능력(affordability)을 나타내는 지수 로 소득이 평균(median) 수준인 가구가 일반적인 모기지론을 통해서 평균적인 주택 을 살 수 있는 수준이 1에 해당됨. 자료 : 전미부동산중개인협회(NAR) LGERI 리포트 LG Business Insight 29 6 24 5

LGERI 리포트 금융시장의 불안을 유발했던 미국 주택가격 하락은 올해 1분기까지도 계속 진행되어 왔다. 상승으로 인한 구매력 저하 등은 향후 개인의 주택수요를 약화시킬 것으로 전망된 다. IMF가 추정한 미국의 균형주택가격과의 괴리도를 감안하면, 미국 주택가격은 1~15% 정도 추가하락할 것으로 보여 올해 2~3분기 중으로 하락세가 둔화될 것으 로 예상된다. 실물경제 침체의 여파로 금융시장 회복 저해 금융시장의 파국을 막고 머지 않아 주택경기가 안정되더라도, 그것이 금융위기의 해소와 본격적인 회복을 의미한다고 보기는 어렵다. 실물경제 침체의 영향으로 가 계와 기업 부문의 부실이 늘어나고 금융기관의 자산건전성이 계속 악화되면서 금융 시장의 정상화를 지연시킬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맥킨지(McKinsey)가 21년까지 미국의 은행들이 입게 될 신용손실 규모를 부 문별로 추정한 결과를 보면, 주택금융 부실의 경우 이미 많은 부분이 손실로 실현 된 반면, 소비자 금융과 기업 금융의 부실은 아직 실현되지 않은 잠재손실로 남아 있는 부분이 훨씬 크다. 이는 금융시장이 극심한 불안으로부터 벗어난 이후에도 개 인의 자산과 소득이 위축되고 기업의 수익성 및 현금흐름이 악화되는 상황은 상당 기간 지속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과거 경기침체 사례에 대한 IMF 조사결과에서도 금융위기를 동반한 경기침체의 경우는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민간소비와 기업 투자의 회복에 더 많은 기간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 <그림 5> 7~ 1년 미국 은행의 부문별 추정손실 (억달러) 주거용 부동산 상업용 부동산 소비자금융 기업금융 레버리지/고위험 합계 6,4 6,4 실현손실 미래손실 9,3 4 3,9 1,3 5,3 21,9 3 3, 9 3,3 주 : 블룸버그가 집계하는 미국 은행의 신용손실 자료를 토대로 가장 덜 낙관적인(least optimistic) 시나리오를 적용해서 추정. 기준 시점은 28년 11월 24일임. 자료 : The McKinsey Quaterly June 29 타났다. 특히 신용카드 부실의 확대는 향후 소비자 금융 부 문에서 미국 은행들의 자산건전성을 악화시킬 가장 주 요한 요인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28년 4분기 이후 연체율이 상승하면서, 은행들이 많은 수익을 올린 지난 1분기에도 신용카드 사업부문은 손실을 입었다. 또 카 드업체가 추심을 포기한 대출의 규모도 28년 같은 기간 동안에 비해 약 7% 가까이 증가했다. 향후 실업 률 상승 등으로 고용여건이 악화되고 세금환급정책의 6 LG Business Insight 29 6 24

효과가 약해지면서 개인의 구매력이 더욱 취약해지게 되면 신용카드 부문의 이러한 부 실 또한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민간수요의 약화가 지속되면서 기업 금융의 부실 또한 은행의 자산건전성을 위 협하고 있다. 무디스(Moody s)가 집계한 전세계 기업의 부도율을 보면, 금융위기 가 발발한 28년 4분기 기업 부도율은 1% 중후반으로 199년대 초반의 경기침체 나 2년대 초 IT버블 붕괴 당시에 비해 높지 않은 수준이었다. 하지만 올해 2분 기 들어서도 가파른 상승 추세를 지속하고 있으며, 통상 기업 부도율이 경기흐름에 다소 후행하는 속성이 있음을 감안하면, 머지 않아 경기가 저점을 통과하더라도 부 도 증가로 인한 기업 금융 부문의 부실은 상당기간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아 울러 기업실적 부진 및 부도 증가는 상업용 부동산 경기의 침체로도 연결될 가능성이 크다. 1 실업률 상승으로 인한 신용카드 부실의 확대는 향후 미국 은행들의 자산건전성을 악화시킬 가장 주요한 요인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림 6> 미국 실업률 및 신용카드 연체율 추이 (%) 유럽 시장의 회복은 상대적으로 느릴 것 8 6 실업률 LGERI 리포트 금융위기의 진원지로서 미국 금융시장이 파국적인 충 격을 받으면서 그에 대한 강력한 대응도 함께 이루어 졌다면, 유럽지역은 반대로 직접적인 부실 규모는 작 지만 부실화의 진행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리고 정책대 응도 상대적으로 완만하게 이루어짐으로써, 미국보다 오랜 기간 동안 금융불안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금융산업 비중이 높은 영국 및 아일랜드나, 경상 수지 적자 구조에 외채 의존도도 높은 동유럽 국가들 은 각국이 안고 있는 구조적인 취약점 이외에 정부재 정도 부실한 경우가 많아, 효과적인 정책대응을 위한 여력이 떨어진다. 이 가운데 동유럽 지역의 경우 국제통화기금, EU 등의 외화유동성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는 데다, 석유 등 원자재 가격 상승이 무역수지와 외화획득 여 4 2 신용카드 연체율 23 24 25 26 27 28 29 주: 신용카드 연체율은 Amex, BOA, Capital One, Chase, Citibank, Discover의 연체율(3일 이상)의 가중평균 자료: Bloomberg, Datastream 14 12 1 <그림 7> 전세계 기업 부도율 추이 (%) 8 6 4 2 투기등급 전체 199 1992 1994 1996 1998 2 22 24 26 28 자료: Moody's/Datastream LG Business Insight 29 6 24 7

LGERI 리포트 경기가 저점을 통과하더라도 부도증가로 인한 기업 금융 부문의 부실은 상당 기간 더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건을 개선시킴으로써 다급한 상황은 이미 상당 부분 지나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영국의 경우에는 향후 국채발행을 통한 재정자금 조달이 어려워질 것으 로 보여 금융 불안 확대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할 우려를 여전히 안고 있다. 더 욱이 금융산업 부문에서 입은 타격이 고용, 민간소비 등 내수경기에 직접적인 영향 을 미치고 있는 데다 만성적인 재정적자, 그리고 국채발행 시 막대한 물량공급의 미 국 국채와 경합해야 하는 상황을 감안하면, 글로벌 금융시장의 호조세가 지속되지 않는 한 영국 금융시장이 자력으로 빠르게 안정화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영국의 금융불안이 크게 확대되는 경우 영국 금융시장을 통해 자금을 조달했던 전 세계 기업 및 금융기관들에 대한 자금상환압력이 크게 높아지면서, 전세계적인 자 금사정 악화를 초래할 수도 있다. 향후 급격한 불안 가능성 낮지만 회복지연 리스크는 남아 리만 사태가 발생한 지 9개월이 경과한 현 시점에서 미국발 금융위기는 최악의 상황 을 지나 회복의 초기국면을 지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정부의 강력한 대응을 통 해 금융시장의 붕괴를 막고 민간부문이 스스로 자본확충에 나서고 있는 현재에 이 르기까지, 위기극복을 위한 노력과 국가간 공조 또한 다소간의 갈등과 시행착오에 도 불구하고 비교적 성공적으로 실행되어 온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글로벌 금융시장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여전히 큰 상황에서 향후 소비자 및 기업 금융 부문의 부실이 확대된다면 금융시장의 기능이 예전의 정상적인 수준 으로 회복되는 데에 상당한 시간이 더 소요될 수도 있다. 최근 나타나고 있는 부실 자산구제계획의 실행이 연기되는 움직임 또한 단기적으로는 금융기관에 대한 신뢰 와 투자심리의 회복을 의미하는 것일 수도 있지만, 장기적으로 부실이 해소되지 않 는 상태로 계속 방치되는 경우에는 위기로부터의 회복과정에서 다시 한 번 발목을 잡는 장애물이 될 수도 있다. 8 LG Business Insight 29 6 24

미국 국채 버블 꺼지나 금융위기 발발 이후 안전자산으로 각광받으며 역사상 야기할 것인가? 우선 아직은 인플레이션을 우려할 상황 최저 수준으로까지 하락했던 미국 국채의 수익률이 최근 상승 움직임을 나타내고 있다. 29년 1월 2.5%이던 1년 만기 국채 수익률이 6월에는 4.1%로 1.6%p 상승하였다. 이와 같은 금리 상승은 시중 금리의 전반적인 상승으로 이어지게 되어, 소비자 및 기업의 금융비용 부담을 증가시 켜 소비 및 투자의 지연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그렇 다면 최근 국채금리가 상승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우선 미국의 재정적자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감세와 재정지출 확대로 연방정부의 재정적자는 29년에 1조 6천억 달러, 21년에는 1조 천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미 의회예산국 추산). 아울러 양적 완화 정책으 로 본원통화도 크게 늘어 27년 말 8,2억 달러에서 29년 5월 말에는 1조 7천억 달러에 이르렀다. 이처럼 금융정책과 재정정책이 모두 경기부양적이기 때문에, 향후에 금리인상, 재정적자 축소 등 적절한 대응 책이 마련되지 않는다면 물가가 크게 상승할 것이라는 견해가 점차 힘을 얻고 있다. 실제로 컨퍼런스 보드 이 아니다. 근원물가 상승률은 1%에 그치고 있고, 금융시 장의 인플레이션 예상도 최근 상승하였으나 그 수준은 27년과 비교해서 그리 높지 않다. 이러한 점에서 최근 의 금리 상승은 인플레이션 우려보다는 금융시장이 안정 을 되찾고 안전자산 선호가 해소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중국, 러시아 등의 외환보유 다변화 정책도 달러 표시 자산의 매도가 단기간에 급속도로 진행될 경우 이들 국 가의 달러화 보유자산에 손실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고, 달러화 이외의 적당한 대체 투자처를 찾기도 어렵다는 점에서 신중하게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결국 미국국채 금리가 급등할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최근 금융시장이 안정을 되찾으면서 인 플레이션 우려가 제기되는 점을 감안할 때, 저금리와 재 정지출 확대를 통해 금융위기를 극복하려는 미국정부의 정책이 선회하면서 금리 수준은 한 단계 높아질 가능성 이 크다. (Conference Board)의 조사에 따르면 미국 소비 자들은 향후 1년간 물가상승률이 5.6%에 달할 것 으로 예상하고 있다. <그림 8> 금융시장의 인플레이션 기대 (%p) 4 한편 중국, 브라질 등 주요 미국국채 보유국들 3 명목채권 선도 수익률 - TIPS 선도 수익률 2 은 재정적자 확대로 인한 국채공급 증가와 인플 명목채권 수익률- 레이션에 의한 달러화 가치 하락 등으로 자본손 1 TIPS 수익률 실이 발생할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아울러 금 -1 유동성 및 안전자산 융위기의 진앙인 미국 금융시스템에 대한 불신이 커지면서 달러 비중이 높은 자국 외환보유액의 -2-3 27.5 8 11 28.2 선호 5 8 11 29.2 5 운영방향을 재검토할 가능성도 내비치고 있다. 이러한 방안이 현실화될 경우 미국 국채에 대한 주 : 1. 미 국채의 명목채권(Straight Bond)과 인플레이션 연동채권(TIPS)의 수익률 차이를 인플레이션에 대한 기대(BEI)로 해석 2. 금융시장 혼란기에는 명목채권의 선호현상이 강해져 BEI가 왜곡되며 이러한 현상에 의한 착시를 제거하기 위해 명목채권에 대한 선도(forward)와 TIPS에 대한 선도 수 수요가 줄어들어 금리 상승은 불가피하다. 익률 차이를 활용 3. 5년 만기 기준 이러한 움직임이 과연 미국국채 가격의 폭락을 자료 : Bloomberg LGERI 리포트 LG Business Insight 29 6 24 9

LGERI 리포트 올들어 유가하락으로 원유 수입국들은 총 6,5억 달러 이상의 수입비용을 절약할 수 있었다. Ⅱ. 세계경제의 향방은 지난해말 글로벌 금융시장 충격 이후의 급격한 실물경기 위축현상은 금년 들어 진 정되고 있는 모습이다. 주요 국가들의 생산활동 지표는 금년 1분기중 하락 속도가 완화되거나 상승세로 반전했다(<그림 9> 참조). 연초까지만 해도 초유의 위기를 맞 아 실물경기의 추락이 얼마나 더 지속될 것인지에 대한 불안감이 팽배했으나 지표 들의 추락이 멈추면서 불안심리가 가시고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는 상황이 다. 소비자나 기업들이 판단하는 기대지수들이 상승하고 주가도 반등하는 등 실물 경기의 분위기는 밝아지고 있다. 정책효과로 분위기 반전 선진국 정부의 금융구제 정책으로 금융시장이 안정되면서 경제주체들의 불안심리가 줄어들고 있는 데다 각국의 적극적인 경기부양책이 민간부문의 수요위축을 어느 정도 보완해주고 있다는 점이 세계경기 호전의 가장 큰 원인이다. 주요국들은 재정지출 확 대, 감세 등을 통해 GDP의 2~3%에 달하는 경기부양책을 실시하고 있으며 여기에 금 리인화와 통화량 확대 등 통화정책이 결합되면서 부양책의 효과가 본격화되고 있다. 유가하락도 경기를 호전시키는 데 크게 기여했다. 연초 유가는 지난해에 비해 절 1 9 8 7 <그림 9> 주요국의 산업생산 6 28.1 11 12 29.1 2 3 4 주 : 28.1월=1. 실질기준 자료 : Datastream 미국 영국 대만 일본 반 이하로 하락함으로써 원유수입에 의존하는 주요국 소 비자들의 실질구매력을 높여 수요위축을 완화시켜주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올들어 5월까지 전세계 원유수요는 125억배럴에 머물렀으며 평균 유가는 47달러 수준(WTI 기준)으로 지난해 평균에 비해 배럴당 5달러 이상 떨어 졌다. 원유수입국들은 6,5억 달러 이상의 수입비용을 절감할 수 있었는데 이는 연율로 보았을 때 세계 GDP의 2.4%에 달하는 금액이다(<그림 1> 참조). 물론 산유국 들의 수익이 그만큼 줄어들어 이들의 경기위축 요인으로 작용했을 것이지만 현재 세계수요를 이끌어가는 주요국 1 LG Business Insight 29 6 24

들이 대부분 원유수입국임을 감안할 때 올초 유가하락에 따른 긍정적 효과가 매우 컸 음을 짐작해볼 수 있다. 원유수입 의존도가 높은 미국, 일본 등 선진국과 한국, 중국 등 제조업 중심국가들 모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세계적으로 빠른 재고조정이 경기회복에 긍정적인 신호가 될 것이다. 완만한 회복 예상 세계경제는 하반기중 침체국면에서 벗어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수요회복을 이끄 는 주된 요인은 역시 각국 정부의 경기부양책이 지속적으로 시행될 것이라는 점이다. 미국은 감세와 재정지출 확대 등 총 7,8억달러에 달하는 부양책을 올 2분기부터 시작해 내년까지 수행할 계획이다. 부양규모 면에서 금 년보다 내년에 비중을 둠으로써 부양의 효과가 조기에 <그림 1> 전세계 GDP 대비 석유지출 비중 (%) 소진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그림 11> 참조). 경기부진이 5.1 예상보다 심각한 일본과 유럽 선진국들은 추가적인 부양 을 계획하고 있으며 지난해 4분기부터 대규모 부양책을 꾸준히 수행하고 있는 중국도 하반기중 그 규모를 확대 2.4 3. 3.8 4.1 4.1 2.6 LGERI 리포트 할 것으로 예상된다. 세계적으로 빠른 재고조정도 경기회복에 긍정적인 신호가 될 것이다. 지난해말 극심한 금융시장 불안과 실 물경기 급락으로 불확실성이 확대되면서 기업들이 향후 수요위축에 대비해 생산을 억제하고 재고를 크게 축소 시켰다. 미국의 경우 제조업 재고액이 지난해 8월 이후 매월 1%씩 줄어들어 196년대 이후 가장 급격한 하락추 23 24 25 26 27 28 29. 1~5월 주 : 경상금액 기준 자료 : EIA, IMF <그림 11> 미국의 재정지출 계획 (억달러) 3,994 세를 보였다(<그림 12> 참조). 제조업 중심국가들의 재 고감소는 더욱 빠른 속도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일본의 경우 월 2%씩 재고물량이 줄어들었다. 대공황 혹은 장 1,849 1,344 기불황 등 최악의 시나리오를 가정하고 재고규모를 빠 르게 줄임으로써 수요회복시 기업들이 생산을 바로 재 개할 수 있는 여건이 갖추어졌다고 볼 수 있다. 자료 : IMF World Economic Outlook 362 276 29 21 211 212 213 LG Business Insight 29 6 24 11

LGERI 리포트 12 1 8 6 4 2 세계적인 공급능력 조정과정에서 기업의 설비투자 부진이 장기화될 것이다. <그림 12> 미국과 일본의 재고 추이 세계경기 상승활력 크지 않을 전망 그러나 세계경기 회복추세는 매우 완만하게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어 내년중에도 세 계경제 성장률은 평균적인 성장추세에 못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해 말 세계경 제를 위기상황에 이르게 했던 제반 요인들이 정상화되는 데 상당한 시일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억달러) (25=1) 6, 12 5, 4, 주 : 미국은 제조업 재고액, 일본은 재고지수 추이 자료 : 미국 상무부, 일본 경제기획청 <그림 13> 미국의 가계 신용 버블 (%) 2년대 중반의 과열성장 시기중 누적되었던 미국의 가계부채 규모는 정상적 인 추세 수준으로 회귀하는 데 수년이 걸릴 것으로 생각된다. 최근 저축성향이 늘면 서 미국의 가계부채가 줄어들고 있지만 마이너스 성장으로 소득수준도 줄어들면서 장기추세선 미국( ) 일본( ) 25 26 27 28 29 9 1975 198 1985 199 1995 2 25 27 주 : GDP 대비 가계부채 비중임. 29년은 1분기 수치이며, 가계부채 감소 보다 명목 GDP의 감소폭이 커 비중이 전분기대비 소폭 증가 자료 : FRB of st.louis 11 1 미국 가계의 부채부담은 쉽게 줄어들지 못하고 있다 (<그림 13> 참조). 현재 미국 가계의 저축률이 5%대 로 높아졌지만 부채부담을 줄이기 위해서는 7~8% 대의 저축률이 수년간 지속되어야 할 것으로 전문가 들은 예상하고 있다. 또한 세계적인 공급능력 조정과정에서 기업의 설 비투자 부진이 장기화될 것으로 예상된다(<그림 14> 참조). 연초 급락했던 주요국의 가동률이 다시 높아 졌지만 여전히 평균적인 추세에 크게 못미치는 상황 이어서 가동률이 충분히 높아질 때까지 설비투자의 재개가 본격화되기 어려울 것이다. 우리나라 외환위 기 이후의 상황에서도 보았듯이 심각한 위기상황 발 생 이후 기업의 투자심리는 장기간 위축되는 경향이 있다. 더욱이 금융기관의 신용창출 기능이 위기 이전 수준으로 정상화되는 데 장기간이 소요될 것으로 전 망되므로 이 기간중 기업들은 차입보다는 내부자금을 이용한 보수적인 투자행태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부문이 수요확대를 이끌면서 수출보다는 내 수, 설비투자보다는 건설투자가 성장을 이끄는 주요 12 LG Business Insight 29 6 24

부문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경기부양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각국은 고용창출 이 높은 건설 및 서비스 부문의 수요확대를 유도할 것으로 보인다. 개도국은 장기적 인 성장력 확대를 위해 SOC 투자에 집중할 것으로 예상된다. 부양의 효과가 외국 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막기 위한 보호무역주의 성향도 어느 정도 유지될 것으로 생 각된다. 이에 따라 세계교역은 29년중 크게 위축되고 21년에도 크게 살아나기 어려울 것이다. 장치산업 중심의 대량생산과 교역이라는 2년대 중반의 세계무 역 트렌드는 내년까지 재개되기 어려울 것이다. 장치산업 중심의 대량생산 및 교역이라는 2년대 중반의 세계무역 트렌드는 내년까지 재개되기 어렵다. 선진국경제 부진 지속 <그림 14> 세계경제성장률과 투자증가율 추이 (%) 국가별로 볼 때 선진국이 개도국에 비해 부진이 장기 화될 것으로 예상된다(<그림 15> 참조). 미국은 가계 의 디레버리지 과정에서 민간소비의 회복이 지연되 고 금융충격 이후 기업부문도 생산 및 투자 확대에 소극적이 될 것이다. 경기부양 효과가 하반기부터 본격화되면서 마이너스 성장에서 벗어날 것으로 예 상되지만 회복의 힘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주 택가격이 추가적으로 하락하면서 금융기능의 정상화 를 지연시키고 가계 부채부담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 용할 전망이다. 5월 현재 9.4%에 이르는 실업률은 내년까지 1%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어 가계 부문의 소득창출 확대와 소비확대라는 선순환을 이 끄는 데 상당한 시일이 요구될 것이다. 올해 -3% 가 까이 성장률이 추락할 것으로 예상되는 미국경제는 내년 중에도 1% 내외의 낮은 성장에 머물 것으로 전 망된다. 유럽의 경우 미국보다 침체가 더 깊을 것으로 예 상되는데 이는 두 가지 측면에 기인한다(<그림 16> 1 5-5 -1 세계경제 성장률 투자증가율 -15 199 1995 2 25 21 주 : 실질기준. 세계경제성장률 중 29년과 21년은 LG경제연구원 전망치 이용 자료 : IMF, EIU <그림 15> 선진국 및 개도국의 세계경제 성장기여도 (%p) 6 4 2-2 -4 25 26 27 28 29 21 주 : 29, 21년은 LG경제연구원 전망치 이용 자료 : IMF 개도국 선진국 LGERI 리포트 LG Business Insight 29 6 24 13

LGERI 리포트 유럽과 일본의 경우 미국보다 경기 회복이 더 지연될 것이다. <표 1> 세계경제 전망 (%) 참조). 우선 미국에 대한 수출의존도가 높은데 미국경기의 부진이 길어짐에 따라 성 장의 모멘텀을 찾기가 어렵다는 점이다. 재정 및 통화정책도 미국에 비해 소극적인 대응에 그칠 것이다. 유럽중앙은행(ECB)의 신용공여 금지, 회원국 구제금지 등 각 종 규제 조약으로 인하여 유럽 개별국들이 적극적인 정책을 펴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인플레이션 부담으로 양적완화 정책 역시 소극적인 것으로 평가된다. GDP의 2% 규모를 책정한 미국과 달리 지난 5월 결정된 ECB 양적완화정책의 규모 는 유로존 GDP의.6%인 6억 유로에 불과하다. 정책효과가 크게 나타나기 위해 서는 회원국간 일관된 정책 의사결정이 수행되어야 할 것인데, 유럽 각국의 정책에 대한 견해차가 존재하여 조화로운 정책이 수행되지 못하는 상황이다. 일본은 연초의 급락세에서 벗어나 경기반등 조짐을 보이고 있지만 회복세 자체 에는 한계가 있을 것이다. 일본 경제의 수출의존 구조, 과잉설비 부담, 인구 감소에 따른 소비시장 침체 등의 구조적인 문제들이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일본정부는 금년 1분기 기준으로 잠재GDP에 대한 수요부족 규모가 45조엔 정도로 GDP의 8% 28 29 21 연간 상반기 하반기 연간 연간 세계경제(PPP) 3.2-2. -.7-1.4 2.2 세계경제(시장환율) 2.1-3. -1.8-2.4 1.4 선진국.9-4.5-3.4-3.9.5 미국 1.1-3.1-2.4-2.8 1. 일본 -.7-8. -3.9-5.9.9 유로.9-5.2-4.4-4.8 -.1 개도국 6.1 1. 2.8 1.9 4.4 중국 9. 6.4 8.2 7.4 8.4 인도 7.3 5. 5.5 5.3 6.3 중남미 4.2-2.5.5-1. 1.5 브라질 5.1-1.5 1. -.3 2.5 중동 5.9 3.2 4.1 3.7 4.8 러시아 5.6-9. -3. -6. 1.2 동구 2.9-4.2-3.2-3.7.7 유가(WTI, 달러/bbl) 99.6 5.9 75.2 63.1 8.3 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일본정부가 하 반기중 고용확대 및 친환경 대책 등 추가적인 경 기부양을 통해 지원규모를 확대할 계획이지만 회 복의 속도는 완만할 것으로 보인다. 21년도에 소폭의 플러스 성장을 회복할 전망이지만 27년 의 경제활동 규모에 미치지 못하는 수준에 머물 것으로 예상된다. BRICs 경제 상대적 호조 상대적으로 내수의 규모 및 성장기여도가 큰 국가 들이 위기를 극복하는 데 유리할 것으로 보이는데 그런 의미에서 중국, 인도 등은 성장률 하락의 폭 이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은 GDP 대비 수출비중이 44%로 높게 나타나지만 단순조립 형 14 LG Business Insight 29 6 24

태의 가공무역이 상당부분을 차지해 수출로부터의 부가가치 창출은 상대적으로 크 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중국이 6%대의 성장을 유지하는 가운데 수입이 마이너스 를 기록하고 있는 점도 이러한 측면에 기인한 바가 큰 것으로 보인다. 올 상반기중에 는 수출의 급격한 하락으로 성장률이 6%대로 하락할 것으로 보이지만 하반기에는 경기부양책의 효과가 확대되면서 8% 내외의 성장세를 회복할 전망이다. 대규모 경 기부양으로 올 상반기 고정자산투자 증가세는 전년보다 강세로 돌아섰고, 대규모 인 프라 투자사업의 특성상 하반기로 갈수록 자금집행은 탄력을 받을 것이다(<그림 17> 참조). 인도는 대외여건 개선이 불투명해 제조업의 성장회복이 지연되고 과다한 재정투 입에 따른 경기부양에도 한계가 있다는 점이 빠른 성장을 제약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그러나 서비스업과 1차산업 비중이 8%를 넘어 세계경제 침체의 영향을 덜 받을 것이라는 점이 인도경제에 긍정적 측면으로 작용하고 있어 내년에는 6%대의 성장이 예상된다. 브라질은 원자재 가격의 하락으로 올해 소폭 마 이너스 성장이 예상되지만 금융시장 안정에 발 빠르 게 나서는 등 지난 세기 수 차례에 걸친 경제위기를 통해 얻은 교훈을 바탕으로 이번 위기 속에서 비교 적 양호한 대응을 하는 것으로 평가 받고 있다. 미국 의존도가 높은 멕시코 등 중남미 다른 국가에 비해 경제의 타격이 상대적으로 작을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러시아는 유가하락과 금융불안 등으로 인해 저조한 성장에 머물 전망이다. 국내 수요 위축으로 생산과 투자가 감소함에 따라 실업이 증가하고 소득 이 감소하면서 국내 수요가 다시 위축되는 내수 침 체 가속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어 경기회복이 상대적 으로 늦을 것으로 예상된다. 5 4 3 2 1-1 -2-3 상대적으로 내수의 규모가 큰 국가들이 위기를 극복하는 데 유리하다. <그림 16> 미국과 유럽의 지출항목별 성장기여도 비교 (%p) 1-1 -2-3 <그림 17> 중국의 주요 경제지표 추이 (%) 주 : 실질기준임. 자료 : CEIC '8. 4Q '9. 1Q '8. 4Q '9. 1Q 유럽 미국 주 : 전기비 기준 성장기여도임. 유럽은 유로존 13개국 기준 자료 : Datastream 고정자산투자증가율 수출증가율 순수출 소비 투자 소매총액증가율 27 28 29 LGERI 리포트 LG Business Insight 29 6 24 15

LGERI 리포트 아시아 공업국과 같은 수출주도 국가들의 경기회복은 빠르지 않을 전망이다. 상대적으로 침체의 폭이 컸던 수출 주도의 아시아 공업국들은 최근 경기의 반등 이 나타나고 있지만 이는 지난해말 성장이 급락한 데 따른 조정의 의미가 크며 이들 이 올해 더 크게 회복할 것이라고 판단하기는 어렵다. 극심한 불확실성이 줄어들면 서 지난해말 미루어 두었던 대기수요가 발생하는 과정에서 수요회복이 빠르게 나타 나고 있으나 급등락에 따른 조정기가 지나면 지표회복의 속도가 다시 둔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금년중 세계교역이 지난해에 비해 크게 위축되고 내년중에도 완만한 회복 에 그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수출주도 국가들의 경기회복은 빠르지 않을 전망이 다. 또한 동유럽국은 서유럽 경기부진 지속으로 수출회복이 어렵고 금융불안도 쉽게 해소되기 힘들어 개도국중 가장 저조한 성장에 그칠 것으로 보인다. 달러, 완만한 약세 예상 미국, 유럽 등 선진국의 정책금리는 29년 연말까지는 동결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21년 중에는 경기회복, 양적완화 정책에 따른 후유증 우려 등으로 인상될 전망이 다(<그림 18> 참조). 미국이 유럽보다 선제적으로 금리를 올릴 것으로 보이며 ECB 는 경기회복이 상대적으로 미진하더라도 역내에서의 금융손실이 상대적으로 작다 는 점과 인플레이션에 대해 상대적으로 강한 거부감을 갖고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미국과 보조를 맞추어 정책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예상된다. 금융위기 국면에서 강세를 나타냈던 달러화 가치는 금융시장 안정이 지속되고 <그림 18> 주요국 정책금리 전망 (%) 5 유럽 4 3 미국 2 1 일본 28 29 21 자료 : 각국 중앙은행, LG경제연구원 향후 세계경제가 회복되면서 약세로 전환될 가능성 이 크다. 금융기관의 안전자산 선호 및 현금보유 성 향이 약화되고, 여기에 달러 캐리 트레이드 점증 가 능성과 미국경제의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까지 더 해지면서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달러화에 대한 선호 는 점진적으로 위축될 것으로 보인다. 약화된 달러화 수요의 상당 부분은 엔화보다는 유로화 쪽으로 옮겨 갈 가능성이 높다. 채권, 주식 등의 금융시장이 유로 지역이 더 발달해 있는 반면, 일본의 경우는 금융불 16 LG Business Insight 29 6 24

국제유가, 하반기 점진적인 상승 전망 글로벌 경기 침체에 따른 석유 수요 감소로 급락했던 국제유가는 미국 달러화 약세의 지속, 비OPEC의 공급 부진, 중국 등 개도국을 중심으로 한 세계 석유 수요 증 가 등에 따라 하반기에 점진적으로 상승할 전망이다. 그 러나 석유 수입국들의 늘어난 석유 재고, 유가 상승에 따른 OPEC의 결속력 완화 등에 따라 지난 해와 같은 급등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국제유가는 글로벌 경기 회복 가능성 고조에 따 라 미래 석유 수요의 증대 기대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달러화의 약세 지속, 개도국 석유 수요의 증가세 전환, 미국 석유 수요의 성수기 도래, 나이지리아 등 산유국의 지정학적 긴장 고조, 미국의 정유 공장 화재에 따른 공 급 차질 등이 겹치면서 강세가 나타나고 있다. 국제 석 유 시장이 초과 공급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수요 증가 기 대 속에 공급 불안 등 단기적 유가 상승 요인들이 발생 함에 따라 유가가 빠르게 오른 것이다. 하반기 국제유가는 일부 산유국의 공급 불안이 해소 되더라도 개도국을 중심으로 한 세계 석유 수요의 증가, 비OPEC의 공급 부진 등으로 인해 빠듯한 수급 상황이 지속될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상승세가 나타날 것으로 전망된다. 수요 측면에서는 글로벌 경기가 하반기에 개 선되면서 선진국 수요의 감소세가 둔화되고, 개도국 수요의 증가세가 가속되면서 세계 석유 수요가 점진 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반해 공급 측 면에서는 OPEC이 감산 정책을 고수할 것으로 보이 는 가운데 멕시코만과 북해의 생산 감소를 중심으로 비OPEC의 석유 생산이 부진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 라 세계 석유 공급이 정체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재정 적자 확대 등에 따른 미국 달러화의 약세 지속 은 유가 강세를 뒷받침할 것이다. 유가가 상승하더라도 석유 수입국의 석유 재고가 높아져 있어 지난 해처럼 유가가 급등할 가능성은 27 26 25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그림 19> 참조). 먼저, 석유 수입 국의 빠르게 증가한 석유 재고가 석유 수요 증가분의 일 부를 충당하면서 유가 상승에 완충 역할을 할 것으로 보 인다. 유가 급락 이후 석유 수입국들은 석유 재고량 확 충에 노력해 왔으며, 올해 5월 OECD의 상업용 석유 재 고량은 약 28억 배럴로 지난 1년간 연평균 재고량 보 다 높은 수치를 기록하였다. 특히 미국의 경우 원유 및 석유 제품 재고가 11억 배럴로 199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유가가 급등한다면 OPEC 의 결속력이 완화될 가능성도 있다. 감산 정책 추진의 결과로 OPEC 산유국들은 추가적으로 원유를 생산할 여 력이 세계 석유 수요 대비 5.3%(28년 7월에는 1.1%를 기록)로 증가하였다. 또한 유가 급락 시에는 가격 하락 을 막기 위해 OPEC의 결속력이 높아졌지만 유가 급등 시에는 카르텔의 결속력 저하가 예상되기 때문에 OPEC 의 감산 정책이 완화될 가능성이 있다. 연초에 8%대 초반을 보이던 OPEC 회원국들의 감산 이행률이 5월에 74%로 낮아진 것도 유가 상승에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결국 수요 측면에서는 높은 재고 수준이, 공급 측 면에서는 여유 생산 능력 확대가 유가 급등을 억제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억배럴) 28 <그림 19> 여유 생산 능력과 석유 재고 OPEC의 여유생산능력( ) OECD의 상업용 석유재고( ) (세계 수요대비, %) 6 24 2 23 26 29.1 5 자료: IEA, EIA 5 4 3 2 1 LGERI 리포트 LG Business Insight 29 6 24 17

LGERI 리포트 달러화 가치는 향후 세계경제가 회복되면서 약세로 전환될 가능성이 크다. 안이 완화되면서 오히려 엔캐리 트레이드가 재개될 가능성이 높다. 정부재정의 건 전성, 향후 금리 수준에 대한 기대 측면에서도 글로벌 자금흐름은 유로지역을 향할 것으로 예상된다. 금융위기를 겪으면서 위안화의 위상이 크게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단기적 으로는 위안화 강세를 제약하는 요인들도 산재해 있다. 투자 등 내수의 성장기여도 가 높아진 데다 해외에서 위안화의 통용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노력과 수출경쟁력 유지를 위한 절상 억제, 또는 약세 유도 가능성은 당분간 위안화 환율의 절상속도를 완만하게 만들 것으로 전망된다. Ⅲ. 국내경기 언제 회복되나 2분기 성장률 빠른 반등 예상 지난해 말 급격히 위축되었던 국내경기는 올해 초를 바닥으로 반등하고 있다. 수출과 내수지표들이 모두 빠르게 개선되면서 생산활동이 활발해지는 모습이다. 산업생산은 금년 들어 4월까지 전월 대비 3% 이상 성장했다. 다만 지난해 말의 감소폭이 커서 빠 른 반등에도 불구하고 지표들이 아직 예년 수준을 크게 밑돌고 있는 상황이다. 지표의 개선과 함께 주가가 상승하고 각종 기대지수들이 반등하는 등 전반적으 로 경기에 대한 긍정적인 분위기가 확산되는 모습이다. 특히 우리나라는 세계 주요 국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빠른 지표회복의 추세를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 1분기 GDP 는 전기비로.1%의 플러스 성장으로 돌아서 대부분 국가들이 마이너스 성장을 지 속하는 것과 대조된다(<그림 2> 참조). 이는 국내외 여건이 우리경제에 유리하게 작용했기 때문이다(자세한 내용은 LG Business Insight 29년 6월 17일자, 경기 저점 언제인가 참조). 우선 지난해 말의 금융시장 불안으로 우리나라의 통화가치 하 락이 세계적으로 상당히 빠르게 진행되어 수출의 가격경쟁력 증대에 크게 기여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는 경쟁국에 비해 주요 시장에서 점유율을 높일 수 있었다. 또한 연초의 유가하락이 원유수입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의 실질 구매력 개선 18 LG Business Insight 29 6 24

요인으로 작용했다. 금년 들어 우리나라의 교역조건 개선폭은 세계 주요국에 비해 월등히 높게 나타나고 있다. 마지막으로 경기부양 규모도 우리나라가 세계적으로 높은 수준인 것으로 판단된다. 우리나라는 경기부양 규모가 GDP 대비 4% 이상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목표대비 빠른 예산집행률을 통해 부양의 효과가 조기에 나타나도록 하고 있다. 생산활동이 빠르게 개선되면서 2분기에는 전기대비 성장률이 2% 내외에 달할 것 으로 예상된다(<그림 21> 참조). 이에 따라 경기저점이 곧 도래한다거나 혹은 이미 1 분기중 지났을 것이라는 기대감도 커지게 될 것이다. 그러나 아직 우리경제가 저점 을 지나 본격적인 회복국면에 도달했다고 판단하기 는 이른 것으로 보인다. <그림 2> 주요국 경제성장률 (%) 생산활동이 빠르게 개선되면서 2분기에는 전기대비 성장률이 2% 내외에 달할 것이다. 하반기중 성장둔화로 완만한 U자형 회복 우리나라에 유리하게 작용했던 세 가지 요인들은 그 효과가 점차 줄어드는 추세다. 원화는 금융시장이 안정되면서 강세로 돌아섰고 유가도 연초의 배럴당 4달러 내외에서 이미 7달러 수준으로 크게 올랐 다. 정부의 경기부양책이 상대적으로 상반기중에 집 중됨으로써 하반기 부양규모는 상반기에 비해 줄어 들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하반기에는 2분기와 같은 빠른 성장세 가 지속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나라에 유리했던 환경들이 부정적으로 바뀌면서 향후 국내 경기의 상승추세는 세계경기의 흐름을 따라가게 될 것으로 보인다. 세계경기가 서서히 회복되면서 수출 수요도 완만하게 개선되고 경기부양 효과가 내수에 반영되면서 내수와 수출이 함께 경기를 이끌어갈 것 이다. 그러나 세계경기 상승속도가 빠르지 않을 것 2 1-1 -2-3 -4-5 -6-7 주 : 계절조정 전기비 기준, 중국은 LG경제연구원 추정치 자료 : Datastream, 한국은행 3 2 1-1 -2-3 -4-5 -6 중국 인도 한국 대만 미국 태국 영국 유로 홍콩 일본 멕시코 <그림 21> 전기비 경제성장률 전망 (%) 28 29 주 : LG경제연구원 전망치, 전기비 실질 기준 8.4분기 9.1분기 LGERI 리포트 LG Business Insight 29 6 24 19

LGERI 리포트 하반기 중 성장의 활력이 다시 떨어져 경기저점은 금년 말이나 내년으로 미루어질 것이다. 으로 예상됨에 따라 우리나라도 회복의 힘이 제약될 것이다. 올 하반기 중 성장의 활력이 다시 떨어질 것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경기저점은 금년 말이나 내년으로 미 루어질 가능성이 크며 저점 이후에도 경기 활력은 크지 않을 것이다. 올해 우리경제는 지난해 대비 -1.7%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어 세계경제 성장률 (PPP 기준)보다 다소 못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21년에는 우리 성장률이 3%대로 높아져 세계경제의 평균 성장률을 웃돌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의 최대 수출시장 인 중국이 상대적으로 고성장할 것으로 보이는 점, 자동차, 휴대폰, 가전 등 주력 수 출품 시장에서 경쟁력이 높아지고 있다는 점, 그리고 경기부양 여력 및 의지가 크다 는 점 등이 우리 경제에 유리하게 작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잠재 성장 능력이 4%는 유지하는 것으로 판단되어 내년 중에도 잠재성장 능력에 미치지 못할 전망이다. 향후 경기회복의 모양은 가파르기보다는 완만한 U자형 회복의 형태 에 가까울 것으로 보인다. <표 2> 29년 국내경제 전망 28 29 21 연간 상반기 하반기 연간 연간 경제성장률 (GDP, %) 2.2-3.6.3-1.7 3.6 민간소비 (%).9-3.9 -.7-2.3 3.1 건설투자 (%) -2.1 2.2 2.8 2.5 3.2 설비투자 (%) -2. -22.3-5.7-14.2 7.1 수출 (통관기준 증가율, %) 13.6-23.5-14.2-18.9 11.2 수입 (통관기준 증가율, %) 22. -34.9-15.5-25.3 15.9 경상수지 (억 달러) -64 241 32 273 8 상품수지 (억 달러) 6 254 31 285 167 서비스 소득 이전수지 (억 달러) -124-14 2-12 -87 소비자물가상승률 (%) 4.7 3.4 2.5 2.9 2.5 실업률 (%) 3.2 3.8 3.7 3.8 3.8 취업자수 증감 (만 명) 14-18 -21-2 12 원/달러 환율 (평균, 원) 1,1 1,35 1,175 1,26 1,1 원/1엔 환율 (평균, 원) 1,73 1,41 1,18 1,295 1,8 회사채 수익률 (평균, %) 7. 6.1 5.7 5.9 6.5 2 LG Business Insight 29 6 24

고환율에 따른 수출경쟁력 제고 수출이 올들어 전월대비로 계속 증가하면서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다. 선박류를 제외하고 우리 수출의 6% 이 상을 차지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석유화학, 자동차, 가 전, 반도체, 무선통신기기 등 주력 제품들의 수출증가율 이 1월 대비 월평균 4.2~18.%의 높은 신장세를 보이 고 있는 것이다. 이 같은 선전이 주요 시장에서의 시장 점유율 상승으로 이어지면서 향후 수출 전망에 긍정적 신호로 작용하고 있다. 미국과 중국 시장에 대한 우리나 라 수출의 증감 요인을 시장점유율 요인과 수요변동 요 인으로 분해해 보았다(<그림 22> 참조). 이에 따르면 28년까지는 시장점유율 요인이 계속 마이너스를 기 록, 우리 수출이 미국과 중국의 수입규모 확대에 미치지 못했었다. 그러나 29년에 들어서는 대미, 대중 수출 금액 자체는 감소하였지만 이들의 수입수요가 줄어든 것에 비해 선전한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그 결과 올해 미국, 중국에서의 시장점유율이 각각 작년에 비해.4%p,.7%p 상승하였다. 작년 연말부터 이어진 유리한 환율여건이 수출상품 의 가격경쟁력 상승으로 이어져 시장점유율을 높이는 데 크게 일조한 것이 사실이다. 특히 경쟁국의 제품들 과 품질 차이가 거의 없는 범용제품의 시장점유율 상 승은 전적으로 원화 약세의 덕을 보았을 것이다. 그러 나 R&D, 혁신 등을 통한 품질 제고와 시장 및 고객 분 석, 마케팅 확대 등 역량 강화가 환율상승이라는 호조 건과 결합되며 시장점유율 상승에 보탬이 된 부분 또 한 크다고 할 수 있다. 그 결과 과열경쟁 산업에서 규 모의 경제를 시현하여 원가 우위를 확보하는가 하면, 최상위 업체들의 점유율을 잠식하기도 하였고, 고급제 품 시장에의 진입 토대를 마련하기도 했다. 선진국 수 요 회복을 아직 기대하기 어렵고 환율여건 마저 하반 기 이후 불리해질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당분간 우리 수출이 본격적으로 회복되지는 못할 전망이다. 그러나 경쟁국들이 우리보다 더욱 어려움을 겪는 동안 이러한 제반의 경쟁력 상승 효과가 우리 수출의 급락을 방지 하면서 향후 세계경제 회복기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 으로 보인다. LGERI 리포트 <그림 22> 대미, 대중수출 증감요인 분해(십억 달러) 대미수출 대중수출 6 4 수출 증감액 시장점유율 요인 수요변동 요인 2 15 1 2 5-2 -5-1 -4-15 26 27 28 29. 1~3 26 27 28 29. 1~4 주 : 전년동기대비임. 수요변동요인은 수입국의 시장규모 확대에 따른 우리 수출의 증가분이며, 시장점유율 요인은 우리의 경쟁력 제고가 추가적으로 얼마나 수출을 더 늘릴수 있었는지에 대한 것임. 자세한 내용은 LG Business Insight 28년 1월 28일자, 수출 둔화세 심상치 않다 참조 자료 : 한국무역협회 LG Business Insight 29 6 24 21

LGERI 리포트 주력제품의 경쟁력 개선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인 수요부진이 이어져 수출의 회복은 빠르지 않을 것이다. 세계 내구재 수요 조기회복 어려워 수출부진 지속 우리나라에서도 세계적 추세와 같이 하반기중 수출과 설비투자의 회복이 건설투자 및 소비에 비해 지연될 전망이다. 올들어 수출은 전년동기 대비 -24.5%를 기록하 는 심한 부진을 겪고 있다. 다만 전월비로는 빠르게 개선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고환율 등에 따른 경쟁력 상승효과가 작용한 데 따른 것이다. 고환율과 그 동 안의 혁신과 기술 축적으로 인한 품질 제고, 마케팅 등 제품 외적인 역량 강화 등으 로 올들어 주요 시장에서 우리 제품의 점유율이 높아지는 등 향후 수출전망에 긍정 적 신호가 나타나고 있다(<박스기사> 참조). <그림 23> 미국 전체소비지출과 내구재소비지출 증가율 격차 (%p) 4 2-2 -4-6 -8-1 -12-14 +1 +2 +3 +4 +5 +6 +7 +8 +9 +1분기 주 : 명목, 전년동기비 기준. 전체소비지출 증가율과 내구재소비지출 증가율 차이를 나타냄. 과거 위기는 1, 2차 오일쇼크, S&L사태, IT버블 붕괴의 평균임. 자료 : Datastream 그러나 주력제품의 경쟁력 개선에도 불구하고 이들 제품에 대한 전반적인 수요 부진이 이어지면서 수출의 회복이 빠르지 않을 것이다. 특히 내구소비재 수요의 회 복은 내년까지도 본격화되기 어려울 전망이다. 1, 2차 오일쇼크, 저축대부조합 사태, IT버블 붕괴 등 과거 경기침체기 미국의 소비지출 패턴을 살펴보면 내구소비재에 대 한 지출폭 감소가 소비지출 전체에 비해 훨씬 크게 나타났으며, 이처럼 지연된 내구 재 소비가 전체 소비지출 평균 이상으로 회복되는 데에는 위기시작 이후 8분기 이상 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그림 23> 참조).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의 경기 침체가 과거 어느 때보다 심각하다는 점을 고려하면 내구소비재에 대한 수요 회복이 장기화 과거 위기 평균 서브프라임 사태(27.4Q~) 될 가능성이 크다. 선진국의 내구재 수요는 결국 개 도국 투자수요와 연결될 가능성이 크고 이에 따라 개 도국에 대한 중간재, 자본재 수출의 회복도 제약될 것으로 보인다. 올 4분기에는 수출이 플러스 성장을 회복할 것으로 보이지만 연간으로 -2% 가까운 부 진이 예상된다. 설비투자, 세계경제와의 연동성 확대 세계적으로 과잉투자에 따른 조정이 예상되는 가운 데 내구재 소비와 관련된 전기전자 산업과 철강, 화 22 LG Business Insight 29 6 24

학, 조선 등 장치산업 등이 투자조정의 주된 대상이 될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우리 나라는 외환위기 이후 설비투자가 장기적으로 저조해 투자과잉 규모가 크지 않다고 보이지만 이러한 장치 산업들을 주력으로 하고 있는 만큼 투자의 위축은 불가피할 것이다. 특히 과거 국내경기와 밀접하게 연관되던 투자는 2년대 들어 수출의 비 중이 확대되면서 점차 세계경제와의 연관성도 커지고 있다(<그림 24> 참조). 세계 경제의 금년 마이너스 성장과 내년 1%대의 낮은 성장 전망으로 기업들의 투자확대 유인이 매우 낮은 상황이다. 더욱이 제조업 가동률도 크게 하락해 있다. 연초 6% 초반 수준에서 반등하고 있으나 아직 7% 내외로 2년대 중반의 8%대에 크게 못 미친다. 연초 생산활동의 빠른 반등으로 가 동률이 높아졌지만 하반기 성장이 둔화되면서 가동 률의 빠른 회복이 지속되기 어렵다. 설비투자 회복 에 앞서 가동률 상승이 전제되어야 하지만 향후 수 요회복은 매우 완만하게 이루어질 것이다. 과거 외 환위기 시기에는 경기가 V자형으로 반등하면서 가 동률이 높아지고 이에 따라 설비투자도 1년만에 크 게 증가한 바 있다(<그림 25> 참조). 그러나 현재는 세계적으로 수요부진이 장기화된 8년대 2차 오일 쇼크와 비슷한 양상이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당시 세계경제의 불황이 길어지면서 가동률과 설비투자 가 오랜 기간동안 회복되지 못했다. 더욱이 신용경색이 완화되고 있지만 금융기관의 기업대출이 본격화되는 데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 인다. 수요둔화로 내부자금 축적도 어려운 상황이어 서 기업들의 투자자금 마련이 쉽지 않을 것이다. 올 상반기 -22.3%까지 급락했던 설비투자는 하반기 -5.7%로 다소 회복될 것이지만, 연간으로 여전히 두 자릿수의 감소율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1 8 6 4 2-2 -4-6 설비투자는 2년대 들어 수출의 비중이 확대되면서 점차 세계경제와의 연관성이 커지고 있다. <그림 24> 세계 및 국내경제성장률과 설비투자 증가율 (%) 5 4 3 2 1-1 -2-3 -4-5 국내경제( ) 21 22 23 24 25 26 27 28 주 : 실질기준, 설비투자 증가율은 3분기 이동평균치임. 자료 : IMF, 한국은행 설비투자( ) 세계경제( ) 25 2 15 1 5-5 -1-15 -2-25 <그림 25> 제조업 평균가동률과 설비투자 증가율 관계 (%) 설비투자 증가율 '82 '81 오일쇼크 ('8) 현재 '83 외환위기('98) '99 ' 6 65 7 75 8 85 제조업 평균가동률 주 : 198~28년 연간자료 이용. 현재는 9. 1Q 수치임. 자료 : 통계청, 한국은행 LGERI 리포트 LG Business Insight 29 6 24 23

LGERI 리포트 근로자들의 실질소득이 전년대비 하락하면서 소비여력을 축소시키게 될 것이다. 실질소득 감소로 소비 위축 연초 고환율이 수출의 빠른 회복에 기여했다면 하반기 중에는 원화절상의 효과로 물가가 안정되면서 경제환경이 수출보다는 상대적으로 내수에 유리하게 작용할 것 으로 보인다. 정부소비 증대와 함께 민간부문의 수요확대를 목표로 하는 경기부양 책이 지속적으로 이어지는 점도 내수경기를 회복시키는 요인이 될 전망이다(<그림 26> 참조). 그러나 금년중 민간부문의 수요회복은 빠르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민간소비의 경우 최근 경제회복에 대한 기대가 커지면서 소비자 5 4 3 2 1-1 -2-3 -4 12 1 8 6 4 2-2 -4-6 -8 <그림 26> 민간 및 정부소비의 성장기여도 (%p) 주 : 실질기준 자료 : 한국은행 <그림 27> 실질 근로소득과 민간소비 증가율 추이 (%) 민간소비 실질근로소득 정부소비 민간소비 27 28 29 21 22 23 24 25 26 27 28 29 21 주 : 실질 총근로소득 = 취업자수x명목임금/소비자물가. 29년과 21년은 LG경제연구원 전망치 이용 자료 : 통계청, 한국은행 기대지수가 1을 넘는 등 소비심리가 개선되고 있 다. 그러나 심리회복이 실제 소비확대로 이어지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고용부진이 장기화되면서 취업자 수가 줄어들고 있는 가운데 기업경영 실적의 악화로 근로자 임금은 명목기준으로도 지난해보다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근로자들의 실질소득이 전년대비 하락하면서 소비여력을 축소시키게 될 것 이다(<그림 27> 참조). 세계적으로 가계부채 규모가 큰 편인 우리나라에 서 부채 조정이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 점도 소비성향이 크게 높아지는 것을 제한하는 요인 이 될 것이다. 올들어 실질소득이 줄어드는 상황에서 소비가 더 크게 위축됨으로써 소비성향이 낮아지고 있는데 이는 부채조정을 위해 가계가 저축을 늘리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민간소비는 2년대 들어 신용카드 버블시기 중 일시적 호조를 보인 것을 제외하고는 장기적인 부진에 빠져있는데 올해 경제가 마이너스 성장함에 따라 금년 -2%를 밑도는 저조한 모습을 보일 전망이다. 24 LG Business Insight 29 6 24

공공부문의 건설주도는 내년까지 지속 건설투자는 금년 1분기중 전년동기비 플러스 성장을 기록한 유일한 수요부문이다. 이는 정부의 공공투자 확대에 기인한 것이다. 공공건설은 하반기에도 전체 건설투 자를 주도해갈 것으로 전망된다. 4대강 정비사업 의 예산 조기집행 등 하반기에도 굵직한 SOC 건설이 계획되어 있다. 또한 그 동안 진행되어오던 혁신도시 등 균형개 발사업 기성이 진척되는 효과도 상반기에 이어 하반기에도 지속되어 나타날 것이다 (<표 3> 참조). 하지만, 민간 건설투자는 금년중 회복을 기대하 기 어렵다. 1분기 민간건축 건설수주가 전년동기대비 44% 급감하였고, 주택건설 인허가 실적 역시 3% 급락하였다. 미분양 주택은 4월기준 16만가구가 넘 어 주택재고 부담이 해소되는 데는 상당한 시간이 걸 릴 것이다(<그림 28> 참조). 일부 지역에서 부동산 가격이 오르고 분양이 회복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 나 이는 전체적인 상황은 아니다. 국내외 경제의 성 장활력이 한 단계 떨어진 것으로 평가되는 상황에서 부동산 가격의 상승은 제약될 것이며 이에 따라 민간 의 주택수요가 활기를 띠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대규모 건설예산이 내년에 더욱 크게 계획되어 있는 점을 고려하여 볼 때 내년중에도 공공부문의 토목건설 증가세는 유지될 전망이다. 건설업 구조조 정 마무리, 건설업 유동성 문제 해소, 미분양 주택호 수 감소에 따른 재고부담 완화 등의 영향으로 민간 건설은 극심한 침체에서는 벗어날 것으로 보이지만 전반적인 경기회복 속도가 빠르지 않아 회복의 폭이 2 1-1 -2 미분양 주택 등 주택재고 부담으로 민간 건설투자의 회복을 기대하기 어렵다. <표 3> 정부의 대규모 토목건설 계획 (조원) 총사업비 29년 21년 4대강 정비사업 26.3 2.6 9.6 4대강 살리기 22.2 1.9 8.6 녹색 교통망 11.1 2.2 2.6 경부호남 고속철도 9.7 1.8 2.2 환승시설 구축.5.2.1 자전거도로.8.1.1 수자원 확보 1.6.3.5 중소댐 건설.7.2.2 주 : 녹색뉴딜사업계획 중 SOC토목건설 사업임. 4대강 살리기사업은 마스터플랜 추가 반영 자료 : 국토해양부, '4대강 살리기 마스터플랜'('9. 6), '녹색뉴딜사업 설명자료'('9. 1) <그림 28> 미분양수와 주택건설투자 증가율 추이 (%) (천호) 3 18 미분양수( ) 주거용 건물 건설투자 증가율( ) 12 6-6 -12 LGERI 리포트 크지는 않을 것이다. -3 21 22 23 24 25 26 27 28 29-18 자료 : 국토해양부, 한국은행 LG Business Insight 29 6 24 25

LGERI 리포트 3 2 1-1 -2 원화환율의 하락이 지속되면서 전반적인 수입물가를 안정시킬 것이다. 물가는 내년까지 하향안정 예상 경기침체로 인하여 디플레이션 압력이 커지고 국제유가 등 상품가격이 크게 하락했 지만 지난해 말 이후의 원화환율 급등으로 상반기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미국, 일본, 중국 등 주요국의 인플레이션율이 마이너스를 기록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5월까지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6%에 달한다. 작년 4분기 이후 총수요압력, 국제유가 하락이 소비자물가를 각각 1.6%p,.5%p 하락시키는 요인으 로 전환되었으나, 환율상승이 물가를 2%p 이상 상승시켜 앞의 하락효과를 상쇄시키 는 것으로 추정된다(<그림 29> 참조). <그림 29> 소비자물가 상승률의 요인별 분해 (%p) 유가 환율 총수요압력 28.1Q 2Q 3Q 4Q 29.1Q 환율이 꾸준히 하락하면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점차 낮아지고 있지만 아직 물 가불안 요인들도 많다. 국제유가가 다시 오르는 등 원자재가격의 상승조짐이 나타 나고 또 하반기에는 그동안 억제해 왔던 공공요금의 인상이 계획되어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 하반기중 성장세가 잠재성장의 추세에 미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되어 총수 요압력에 따른 물가상승 압력은 낮게 유지될 것이다. 원화환율의 하락도 지속되면 서 전반적인 수입물가를 안정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주 : 인플레이션 행태방정식을 이용 요인별 분해(인플레이션 t = c + α 인플레이션 t-1 + β Δ 국제유가 t + γ 산출갭 t ) 경기부양 과정에서의 통화확대가 인플레이션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 다. 위기 이후 본원통화가 평균 2%를 상회하는 높은 증가율을 보이고 있으며 특히 단기부동자금이 늘어나면서 자산가격 상승 및 인플레 확산이 우려되고 있다. 그러 나 금융중개기능 약화로 기업대출 등 실물경제로 유 입되지 못하면서 유동성 확대가 수요증대로 이어지 지 못하고 있다. 외환위기 이후 통화량 증가와 인플 레이션의 관계가 크게 약화되어 있는 점을 고려하여 볼 때도 통화확대에 따른 인플레이션 압력은 단기적 으로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하반기에는 물가상승률이 2%대로 떨어지면서 올 해 물가상승률은 3% 내외를 기록할 전망이다. 내년 에도 물가상승 압력은 크지 않을 전망이다. 원화가치 하락세가 내년에도 지속될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올 26 LG Business Insight 29 6 24

해 우리나라 물가를 주변 국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유지시켰던 요인이 내년에는 반대로 작용할 것이다. 내년 3%대 성장은 여전히 산출갭이 큰 상황임을 의미한다. 금년중 정책금리 유지될 것으로 예상 21년에는 원화가 달러당 1,1원 수준으로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연초 고환율의 효과로 경상수지 흑자규모는 27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는 환율의 하향압력으로 작용해 원화환율의 하향 안정 추세는 올해 하반기 및 내년까 지 계속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그림 3> 참조). 여기에 글로벌 금융시장이 위기국면 으로부터 점차 벗어나면서 신흥경제권으로의 외국인투자 또한 본격적인 증가추세 전 환이 기대된다. 다만 원화의 절상 속도는 최근 나타났던 것에 비해 다소 완만해질 가 능성이 크다. 원화 약세에 힘입은 수출증대 효과가 3분기 이후 부분적으로 약화될 것 으로 예상되는 데다, 국제유가 또한 배럴당 7달러 내외 수준으로 연초에 비해 거의 두 배 가까이 상승해 경상수지 개선 속도를 둔화시킬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29년 원/달러 환율은 평균 1,2원대 중반 수준이 예상되며 21년에는 달러 당 1,1원 수준으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된다. 올해 원/엔 환율은 1엔당 1,2원 후반의 높은 수준을 유지하겠지만, 내년에는 28년 평균인 1엔당 1,7원과 비 슷한 수준으로 하락함으로써 수출가격경쟁력이 점차 약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정책금리는 29년 연말까지는 2.%로 유지되고 21년에는 3~4차례에 걸쳐 1%p 가량 인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29년 하 반기에는 실물경기가 최악의 상태에서는 벗어나겠지 만 본격적인 회복을 확신할 수 없는 상태에서 정책금 리를 인상하기 어려우며, 물가상승률도 한국은행의 물가목표 내에 있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반 면 21년에는 경기회복이 어느 정도 진행되고 경제 위기 극복과정에서 크게 늘어난 유동성이 경제에 부 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경기회복에 걸림 돌이 되지 않을 수준까지는 인상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국고채 수익률(만기 3년)은 점진적인 경기 (억달러) 1 5-5 -1-15 -2-25 <그림 3> 국제수지 및 원/달러 환율 추이 원/달러 환율( ) 경상수지( ) 자본수지( ) 국제수지( ) -3 27.1Q 3Q 28.1Q 3Q 29.1Q 자료 : 한국은행 (원/달러) 1,8 1,6 1,4 1,2 1, 8 6 LGERI 리포트 LG Business Insight 29 6 24 27

LGERI 리포트 고용부진 장기화될 것으로 예상 올 들어 고용여건은 계속 악화되고 있다. 구직단념자 등 비경제활동인구의 숫자가 매월 대폭 증가하면서 실업 률은 크게 오르지 않고 있지만 취업자수는 계속 줄어들 어 1분기에는 14만 개, 2분기에는 2만 개 이상의 일자리 가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경기침체의 깊이에 비해서는 고용사정이 상대 적으로 양호한 편이라고 할 수 있다. 외환위기시와 현재 의 고용여건을 비교해보면 현재는 고용감소의 폭은 크 지 않지만 부진이 더 장기화될 우려가 큰 것으로 판단된 다. 외환위기 때인 1998년에는 취업자수가 15만 명 이 상 감소한 바 있다(<그림 31> 참조). 당시의 경기침체는 내수부문에 의해 주도되었는데 특히 고용유발 효과가 큰 서비스업 부문이 크게 위축되면서 실업률이 7%를 넘 어선 바 있다. 반면 현재의 경기침체는 수출과 제조업 부문에서 더 크게 나타나고 있는데 이 부문의 고용유발은 내수 부문 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다. 또한 외환위기 때와 달리 기 업들의 재무구조가 건전해져 대규모 기업부도 사태가 발생하지 않고 있으며, 정부 또한 적극적인 재정지출을 통한 경기부양을 시도하면서 고용사정이 상대적으로 덜 악화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취업자수 감소 는 현재의 2만명대에서 크게 확대되지 않을 것으로 보 이며 3분기 저점을 지나 내년 1분기중 완만한 증가세로 전환될 전망이다. 그러나 향후 고용여건의 회복은 외환위기시기보다 더 지연될 것으로 생각된다. 외환위기 당시에는 대외여건 의 호조로 경기가 V자로 반등하면서 일자리도 빠르게 늘었지만 현재는 경기회복력이 미미해 고용사정이 빠르 게 개선되기 어렵다. 재정적자 부담으로 공공근로 등 경 기부양에 따른 고용효과는 점차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 다. 내년중 성장률이 3%대를 기록하더라도 우리나라 성 장에 대한 고용창출 효과가 줄어들고 있다는 점을 감안 할 때 취업자수 증가는 1만명 내외에 그칠 것으로 예상 된다. 꾸준한 생산성 향상으로 취업유발계수(실질GDP 십억 원을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취업자수)가 계속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그림 32> 참조). <그림 31> 주요 경기침체기 취업자수 증감 (만명) <그림 32> 실질 GDP의 취업유발계수 추이 (명) 15 1 5-5 -1-15 카드사태 (23.1Q~) 서브프라임 (28.4Q~) 외환위기 (1997.4Q~) 6 5 4 3-2 +1 +2 +3 +4 +5 +6 +7 +8분기 주 : 전년동기대비 증감임. 점선부분은 LG경제연구원 전망치 자료 : 통계청 2 199 1995 2 25 28 29 21 주 : 1. 취업유발계수(=취업자수/실질GDP)는 실질GDP 십억원을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취업자수를 나타냄. 2. 취업유발계수의 장기추세를 바탕으로 29년과 21년 추정 자료 : 한국은행, 통계청 28 LG Business Insight 29 6 24

회복과 재정적자 확대에 따른 물량부담 그리고 안전자산 선호경향의 완화에 따라 점차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회사채(AA- 등급, 만기 3년)와 국고채 수익률 간의 차이인 신용스프레드는 전반적인 금리 상승세와 기업의 자금수요 증가에 따라 현재 수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선제적 인플레 대책보다는 계획했던 부양책을 차질없이 수행하는 데 주력해야 할 것이다. 일관된 정책 추진 필요 이례적인 유동성 확대로 인플레 우려가 커지면서 통화환수 등 출구전략이 논의되고 있다. 장기적으로 통화량이 인플레이션과 정(+)의 관계를 가진다는 점에서 통화 및 물가지표를 항상 예의 주시할 필요가 있지만 인플레 우려가 단기간내 현실화될 가 능성은 크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시장의 현금선호가 커져 통화량의 상당부분이 예 비적 수요로 남아 유통되지 않고 있으며 현재와 같이 심각한 경기침체 상황에서는 이러한 통화량이 실물수요 확대로 이어지는 데는 상당한 시간이 요구되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경기의 추락이 멈추면서 급한 불은 꺼졌지만 향후 경기를 낙관하기는 어려운 상 황이다. 대공황 시기와 같은 파국으로 치닫게 될 가능성은 거의 없어졌지만 여전히 장기불황에 대한 리스크는 해소되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대공황과 일본 장기불황 발생 1년 후 미국과 일본의 GDP를 비교해보면 일본의 GDP가 위기발생 이전에 비 해 미국보다 더 많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난다. 최근의 빠른 경기회복과 이에 따른 기대심리의 호전은 큰 폭의 하락에 따른 상대 적 반등의 의미가 크며 향후 우리경제는 다시 잠재성장률을 밑도는 완만한 회복국 면에 접어들 것으로 판단된다. 위기 이후 계획되었던 적극적인 경기부양책과 금융 완화 기조가 지속되지 않을 경우 경기가 다시 급락할 가능성이 크다. 전례를 찾기 힘든 세계경기 침체의 상황을 맞아 어떤 정책이 바른 것인지 단정하기는 쉽지 않다. 그러나 지금 현 상황은 경기과열에 대해 우려하기보다는 경기부진에서 벗어나 경제 를 정상궤도에 빠르게 돌려놓는 데 주력해야 하는 시기인 것으로 판단된다. 선제적 인 인플레 대책보다는 금융완화 기조를 당분간 유지하고 계획했던 부양책을 차질 LGERI 리포트 없이 집행해야 할 것이다. www.lgeri.com LG Business Insight 29 6 24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