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302DB3B2C7F6BCF72E687770>

Similar documents
<BFB5BBF3B9AEC8AD3139C8A32DC0FCC3BCBFCFBCBABABB2E687770>

<30322DBCADC1A4B3B22E687770>

합본.hwp

레프트21

148 한국교육학연구 제21권 제2호 I. 서 론 일반적으로 이주자들은 주류사회의 구성원과는 구별되는 타자 로 인지된다. 따라서 이주자 들은 정주자와는 구별되는 그들만의 특별한 정체성 을 가지고 있거나 때로는 정상성 1) 에서 벗어나 있는 존재로 회자된다. 한국사회에서

< D DC1B6BCBABED62DB9D9C5C1C3BC2E687770>

<3130BAB9BDC428BCF6C1A4292E687770>

<3133B9F828C0CCBCF6BFF8292E687770>

<B0ADC8ADC7D0C6C428C3D6C1BE292E687770>

<B5B6BCADC7C1B7CEB1D7B7A52DC0DBBEF7C1DF E687770>

입장

<B3EBB5BFB0FCB0E8B9FD20B1B9C8B820B0E8B7F920C0C7BEC828C3D6C1BE29A4BB2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2, pp DOI: : - Qualitative Met

DBPIA-NURIMEDIA

우리나라의 전통문화에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봅시다.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를 체험합시다.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를 소중히 여기는 마음을 가집시다. 5. 우리 옷 한복의 특징 자료 3 참고 남자와 여자가 입는 한복의 종류 가 달랐다는 것을 알려 준다. 85쪽 문제 8, 9 자료

상품 전단지

::: 해당사항이 없을 경우 무 표시하시기 바랍니다. 검토항목 검 토 여 부 ( 표시) 시 민 : 유 ( ) 무 시 민 참 여 고 려 사 항 이 해 당 사 자 : 유 ( ) 무 전 문 가 : 유 ( ) 무 옴 브 즈 만 : 유 ( ) 무 법 령 규 정 : 교통 환경 재

2

DBPIA-NURIMEDIA

화이련(華以戀) hwp

ÆòÈ�´©¸® 94È£ ³»Áö_ÃÖÁ¾

歯1##01.PDF

<5BC1F8C7E0C1DF2D31B1C75D2DBCF6C1A4BABB2E687770>

120229(00)(1~3).indd

01Report_210-4.hwp

<C3D1BCB15FC0CCC8C45FBFECB8AE5FB1B3C0B0C0C75FB9E6C7E D352D32315FC5E4292E687770>



교육 과 학기 술부 고 시 제 호 초 중등교육법 제23조 제2항에 의거하여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을 다음과 같이 고시합니다. 2011년 8월 9일 교육과학기술부장관 1.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은 별책 1 과 같습니다. 2.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별책

시험지 출제 양식

¸é¸ñ¼Ò½ÄÁö 63È£_³»Áö ÃÖÁ¾

177

제주어 교육자료(중등)-작업.hwp

<C3D6C1BE5FBBF5B1B9BEEEBBFDC8B0B0DCBFEFC8A C3D6C1BEBABB292E687770>

초등국어에서 관용표현 지도 방안 연구

6±Ç¸ñÂ÷

과 위 가 오는 경우에는 앞말 받침을 대표음으로 바꾼 [다가페]와 [흐귀 에]가 올바른 발음이 [안자서], [할튼], [업쓰므로], [절믐] 풀이 자음으로 끝나는 말인 앉- 과 핥-, 없-, 젊- 에 각각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식형태소인 -아서, -은, -으므로, -음

민주장정-노동운동(분권).indd

untitled

<C0CEBCE2BABB2D33C2F7BCF6C1A420B1B9BFAAC3D1BCAD203130B1C72E687770>


E1-정답및풀이(1~24)ok

<C1B6BCB1B4EBBCBCBDC3B1E2342DC3D6C1BE2E687770>

< BDC3BAB8C1A4B1D4C6C75BC8A3BFDC D2E687770>

최우석.hwp

교사용지도서_쓰기.hwp

0429bodo.hwp

時 習 說 ) 5), 원호설( 元 昊 說 ) 6) 등이 있다. 7) 이 가운데 임제설에 동의하는바, 상세한 논의는 황패강의 논의로 미루나 그의 논의에 논거로서 빠져 있는 부분을 보강하여 임제설에 대한 변증( 辨 證 )을 덧붙이고자 한다. 우선, 다음의 인용문을 보도록

cls46-06(심우영).hwp

伐)이라고 하였는데, 라자(羅字)는 나자(那字)로 쓰기도 하고 야자(耶字)로 쓰기도 한다. 또 서벌(徐伐)이라고도 한다. 세속에서 경자(京字)를 새겨 서벌(徐伐)이라고 한다. 이 때문에 또 사라(斯羅)라고 하기도 하고, 또 사로(斯盧)라고 하기도 한다. 재위 기간은 6

<C5F0B0E82D313132C8A328C0DBBEF7BFEB292E687770>

º»¹®1ºÎ /29š


(자료)2016학년도 수시모집 전형별 면접질문(의예과포함)(최종 ).hwp

< FC3B6C7D0BBE7BBF F2E687770>

b77¹¼úÁ¤º¸š

<BCD2B0E6C0FCBCAD20C1A62032B1C72E687770>

<C1A634C2F720BAB8B0EDBCAD20C1BEC6ED20BDC3BBE720C5E4C5A920C7C1B7CEB1D7B7A5C0C720BEF0BEEE20BBE7BFEB20BDC7C5C220C1A1B0CB20C1A6C3E22E687770>

이 보고서는 2014년도 방송통신위원회 방송통신발전기금 방송통신 융합 정책연구사업의 연구결과로서 보고서 내용은 연구자의 견해 이며,방송통신위원회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마리안의 유래

688È£

2015 본쥬 아이티 핸드북2

±¹Åä11-Ç¥Áö

< B5BFBEC6BDC3BEC6BBE E687770>

HCCP 패널 이슈 브리프 분석 - 기업의 조직문화를 관계, 혁신, 위계, 그리고 시장문화로 분류하여 각 조직 문화가 구성원들의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 함. 직무만족은 일의 내용, 임금, 그리고 인간관계에 대한 만족으로 나누어 분석하였고,

<근대이전> ⑴ 문명의 형성과 고조선의 성립 역사 학습의 목적, 선사 문화의 발전에서 국가 형성까지를 다룬다. 역사가 현재 우리의 삶과 긴밀하게 연결되었음을 인식하고, 역사적 상상력을 바탕으 로 선사 시대의 삶을 유추해 본다. 세계 여러 지역에서 국가가 형성되고 문 명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 시수 영문교과목명 현대독일미학Ⅱ 3 3 Contemporary German Aesthetics 현대프랑스미학Ⅰ 3 3 Contemporary French Aesthetics 현대프랑스미학

11민락초신문4호


( 사인펜은시험장에서배부 ) - 주관식답안은본인이지참한연필이나볼펜, 지우개등사용가능 - 휴대전화는시험전에전원을끄고감독관에게제출해야함 - 기타응시자유의사항은유인물참조 4. 시험장소 가. Paris Université Paris Diderot ( 파리 7 대학 ) 7520

My Passport for Mac User Manual

제1절 조선시대 이전의 교육

사진 24 _ 종루지 전경(서북에서) 사진 25 _ 종루지 남측기단(동에서) 사진 26 _ 종루지 북측기단(서에서) 사진 27 _ 종루지 1차 건물지 초석 적심석 사진 28 _ 종루지 중심 방형적심 유 사진 29 _ 종루지 동측 계단석 <경루지> 위 치 탑지의 남북중심

새만금세미나-1101-이양재.hwp

??

652

歯 조선일보.PDF

<33B1C7C3D6C1BEBABB28BCF6C1A42D E687770>

<C1DFB1DE2842C7FC292E687770>

96부산연주문화\(김창욱\)

???? 1

°£È£ 1~8 1È£š

주근옥 충남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졸업(문학석사) 대전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졸업(문학박사) 대전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전 겸임교수, 충북대학교 전 강사 저서: 한국시 변동과정의 모더니티에 관한 연구 (시문학사: 2001), 석 송 김형원 연구 (도서출판 월인: 2

목 차 국회 1 월 중 제 개정 법령 대통령령 7 건 ( 제정 -, 개정 7, 폐지 -) 1. 댐건설 및 주변지역지원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 일부개정 1 2. 지방공무원 수당 등에 관한 규정 일부개정 1 3. 경력단절여성등의 경제활동 촉진법 시행령 일부개정 2 4. 대

채만식 소설의 인물의 욕망과 작가의식 연구 1930년대 풍자소설을 중심으로 Study of the desire of the characters in novel of Chae, Man-Sik and his consciousness - Centered in satirica

종사연구자료-이야기방 hwp

정 답 과 해 설 1 (1) 존중하고 배려하는 언어생활 주요 지문 한 번 더 본문 10~12쪽 [예시 답] 상대에게 상처를 주고 한 사 람의 삶을 파괴할 수도 있으며, 사회 전체의 분위기를 해쳐 여러 가지 사회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04 5

0616¾ËÄÄÁî_±¹¸³µµ¼Ł°ü À¥¿ë.PDF

8) 자원의 9) 우리나라 굴할 경우, 앞으로 몇 년이나 더 채굴할 수 있는가를 계산한 것으로, 자원의 고갈 시기를 나타내는 지표가 된 증가할 것으로 전망돼. 5 비 : 국민들의 식량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서 는 국내 곡물 생산 기반을 유지할 필요가 있 어. 8.

chr97-07ParkGS.hwp

< FC5E45FC5BBBACFBFA9BCBAC0DAB3E0BCADBBE72DB9DFC7A5B9AE2E687770>

<34B1C720C0CEB1C7C4A7C7D828C3D6C1BEC6EDC1FD D28BCF6C1A4292E687770>

?

160215

참고 금융분야 개인정보보호 가이드라인 1. 개인정보보호 관계 법령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시행령 금융실명거래 및 비밀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전자금융거래법 시행령 은행법 시행령 보험업법 시행령 자동차손해배상 보장법 시행령 자본시장과

hwp

France.,. ( ).,,,,,,,. 3).,..,..., (Centres Locaux d'information et de Coordination: CLIC),. ),?, No.,,,.

580 인물 강순( 康 純 1390(공양왕 2) 1468(예종 즉위년 ) 조선 초기의 명장.본관은 신천( 信 川 ).자는 태초( 太 初 ).시호는 장민( 莊 愍 ).보령현 지내리( 保 寧 縣 池 內 里,지금의 보령시 주포면 보령리)에서 출생하였다.아버지는 통훈대부 판무

치밀한 시간 계산으로 한 치의 오차 없이 여행일정을 계획하지만, 상황이 항상 뜻대로 돌 아가지는 않는다. 인도에서는 철로가 끊겨 있기도 하고, 미국에서는 인디언의 공격을 받 기도 한다. 하지만 그는 항상 침착하고 냉정한 태도를 유지하며, 때로는 일정에 차질이 생 겨도

Microsoft Word - EELOFQGFZNYO.doc

Transcription:

프랑스문화연구 제19집 2009. pp. 487~510 교육적 관점에서 Bourdieu의 언어철학연구* - Langage et Pouvoir Symbolique 를 중심으로 - 1)남 현 숙 ** 차 례 1. 들어가는 글 2. 본론 2.1. 이론적 배경 2.2. 언어교환경제 2.3. 언어와 교육시장 3. 나오는 글 1. 들어가는 글 이 논문의 목적은 언어를 단순한 의사소통의 수단이 아닌 상징폭력을 행사하는 매개 통로로 간주한 Bourdieu의 언어철학을 연구함으로써, 기존 의 언어학 연구방법의 한계를 넘어 언어에 대한 새로운 연구방법론을 모 색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언어연구가 단순히 단어나 문장을 분석하는 단 * Bourdieu는 체계적인 언어학 이론을 정립하지는 않았지만 기존 언어학 이론에 대한 비판과 수용을 통해 사회언어학 분야로 연구범위를 넓히고 새로운 언어연 구의 지평을 열었다는 점에서 언어철학 으로 제목을 정한다. ** 부산디지털대학교 평생교육학 전공

488 남 현 숙 계에 한정되지 않고, 더욱 확장된 거시적인 수준에서 수행됨으로써 연구 결과 또한 더욱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본 논문의 취지이 다. Bourdieu는 20세기 프랑스를 대표하는 사회학자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그의 저술은 사회학뿐만 아니라 인류학에서부터 언론학, 교육학, 언어학 에 이르기까지 방대하다. 사회학자인 Bourdieu의 비판은 전통적으로 Saussure 언어이론을 추종하던 언어학자들의 언어 그 자체의 순수한 현 상, 주로 언어기호와 의미와의 관계에 초점을 둔 연구의 한계에 기인한다. 이 논문은 문헌연구를 연구방법론으로 채택하고, Bourdieu가 남긴 다 양한 영역의 수많은 저서들 중에서도 특히, 언어와 상징권력(Langage et pouvoir symbolique) 을 중심으로 그의 언어철학에 대해 연구한다. 본 논 문에서 주요 연구자료로서 제공된 버전은 1982년 말하는 것은 의미하기 를: 언어학적 교환경제(Ce que parler veut dire : l'économie des échanges linguistiques) 에 John B. Thompson의 서문을 곁들여 2001년 Seuil 社 에서 출판한 도서이다. Bourdieu의 언어연구에서 구별되는 특징은 언어란 이데올로기적으로 중립적이 아니라는 결론에 도달하기보다는 언어를 상징폭력의 수단으로 이해해야 한다는 사실에 대한 새로운 기반 을 제시했으며, 언어와 사회 적 삶 사이의 공생관계를 강력하게 밝혔다 는 점이다 1). 인간은 서로 구 별 짓기 위해 커뮤니케이션한다 2) 고 한다. 구별짓기 가 의사소통의 궁극 적인 목표가 될 수는 없지만 언어적 상호작용을 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타인으로 하여금 우리 자신의 정체성, 계급, 성향을 판단할 수 있게 하는 요소들을 암묵적으로 표출하게 된다. 그것은 각자가 소속된 문화 속에서 1) Goke-Pariola (Abiodun), Language and Symbolic Power: Bourdieu and the Legacy of Euro-American Colonialism in an African Society, Language and Communication, 1993, vol. 13, no. 3, p. 297. 2) 올브리지, 부르디외 커뮤니케이션을 말하다, 이상길 옮김, 커뮤니케이션북스 (주), 2007, p. 23.

교육적 관점에서 Bourdieu의 언어철학연구 489 면면히 스며들어 익혀지게 된 언어, 신체적 기호 등의 주요 문화정보들이 다. 이에 본 논문에서 다루게 될 연구문제는 첫째, Bourdieu는 기존 언어학 의 어떠한 특성을 비판하였으며, 둘째, 그만의 독특한 언어철학을 형성하 는 데에 이론적 기초를 제공한 이론은 무엇이며, 셋째, 언어와 상징폭력 에서 언어연구에 경제원리를 어떠한 방법으로 적용하였으며, 넷째, 교육 현장에서 그의 언어이론은 어떻게 활용되었으며, 그 연구가치는 무엇인가 이다. 네 가지 연구문제에 대해, 본론에서는 먼저, 이론적 배경으로서 Saussure와 Chomsky를 비롯한 기존 언어학 이론에 대한 비판과 Bourdieu에게 중요한 영향력을 끼친 Austin의 언어행위이론(théorie des actes de langage)을 소개하고, 이어서 언어와 상징권력 의 핵심내용인 언어교환경제에 나타난 그의 언어철학을 살펴보고, 끝으로 교육현장에서 그의 언어연구 결과가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 지를 다룰 것이다. 언어 라는 개념은 특히, 196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 초반까지 Bourdieu가 저술한 업적들에서 매우 비중 있게 다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이 논문에서 Bourdieu의 언어철학에 대한 연구는 언어와 상징권력 이라 는 저서에 초점을 두고 한정된 범위 내에서 수행된다. 향후, Bourdieu의 언어철학이 어떻게 발전되고 적용되었는지 더욱 다각도로 연구하여 현대 프랑스 철학과 언어학에 대한 시각을 더욱 다양화하고, 이를 교육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고찰할 필요가 있다. 2. 본론 Bourdieu는 실체보다는 관계구조를 더 중요시한다. 말하자면, 언어 그 자체, 언어 내적인 구조보다는 외적인 상황, 사회적 환경의 요소들을 고려 한 언어관계에 더 비중을 둔다. 구조주의가 언어를 행동과 권력의 도구

490 남 현 숙 라기보다는 관조의 대상 3) 으로만 고려한다는 비판은 이러한 Bourdieu의 언어철학을 잘 반영한다. 2.1. 이론적 배경 Bourdieu의 언어에 대한 이론적 기초는 Saussure와 Chomsky의 언어 학 이론에 대한 비판에서 출발하여 하버마스가 모든 의사소통행위를 분석 하는 데 전형적인 이론적 근거 역할을 한 Austin과 Searle의 언어이론과 Wittgenstein의 언어철학에서 영향을 받아 형성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장(chapitre)에서는 Bourdieu가 어떠한 점에서 기존 언어학을 비판 하는지 먼저 알아보고, 언어와 상징권력 에서 가장 중요하게 인용되고 있 는 Austin의 언어행위이론을 중점적으로 다루고자 한다. 2.1.1. Saussure와 Chomsky 이론에 대한 비판 Bourdieu는 Chomsky가 Saussure의 언어이론을 암묵적으로 계승하였 으며. Chomsky의 언어능력(compétence)이라는 개념은 Saussure의 랑그 를 또 다른 이름으로 쓰고 있는 결과로 간주한다. Bourdieu에 의하면, Saussure의 이론에서 언어는 모든 내적인 사회적 변동을 배제하는 것 에 근거를 두고 있으며, Chomsky의 이론에서 언어 는 문법의 형태적 특성들에 걸맞은 특권에 기초하는 4) 개념이다. 이리하 여, 현대 언어학이 Saussure의 이론에서 출발한 충격(coup de force) 속 에서 그 운명이 결정지어졌다고 주장하면서, Bourdieu는 Saussure가 외 적 언어학(linguistique externe)과 내적 언어학(linguistique interne)을 분리하여 내적 언어학(linguistique interne)에 한정하여 언어학 이라는 명칭을 부여하였으며, 이로써 언어를 말하는 사람들의 정치적 역사, 민속 3) Goke-Pariola, op. cit., p. 295. 4) Bourdieu, langage et pouvoir symbolique, Seuil, 2001, p. 53.

교육적 관점에서 Bourdieu의 언어철학연구 491 학, 지역의 지리와 관련된 모든 연구들을 배제한 것에 반발한다 5). Saussure에 대한 비판은 Chomsky에게 그대로 적용된다. Bourdieu는 Chomsky가 합법적인 담화에 내재된 법칙을 일치하는 언어적 실천의 보 편적인 규범으로 변환시킴으로써 합법적인 것과 비합법적인 것의 정의가 요구하고 수립하는 시장 구성과 합법적인 언어능력(compétence) 습득을 위한 경제적 사회적 조건들의 문제를 감춘다 6) 고 지적한다. Chomsky가 화자의 언어능력, 특히 문장을 끊임없이 생성해내는 언어능력에 중요한 가치를 부여한 점에 대해서도 Bourdieu는 그 한계를 비판한다. Chomsky 에게 인간의 언어능력 이란 극히 제한된 수의 규칙에서 출발하여 문법적 으로 정확한 많은 수의 새로운 문장을 만들어내고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이 며, 중의적이거나 무의미한 문장을 식별해내고, 같은 의미를 갖는 문장들 을 알아볼 수 있는 능력 7) 이다. 결론적으로, Chomsky의 언어학은 언어 의 용법에 대한 기능적 한계점들을 무시하면서, 언어의 형태적 본질을 중 시 하는가 하면, Saussure의 언어학은 언어 속에 내재하는 모든 사회적 변동을 배제 한다는 것이다 8). Saussure의 이론적 틀에 갇혀 있는 언어학의 연구경향에 대해 러시아 의 Bakhtin도 Bourdieu와 같은 맥락의 의견을 제시한다. 그는 언어반응 은 생체에 의한 고유한 사회적 발현이고, 그 언어반응은 개인내부에서 일 어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상황전체의 산물 임을 밝히고 프로이드를 비 판했으며, 프로이드 연구에서 환자가 개인적으로 발화한 언어 자료조차 도 분석자(정신과 의사)가 화자로서 존재하는 미시상황(micro-context) 을 포함한 전체적이고 복합적인 거시상황(macro-context) 속에서 해석 되어야 한다 고 주장했다 9). 여기에서 거시상황 이란 Bourdieu가 주장하 5) Ibid., p. 54. 6) Ibid., p. 68. 7) 르불, 언어와 이데올로기, 홍재성 & 권오룡 옮김, 역사비평사, 2003, p. 215. 8) Goke-Pariola, op. cit., p. 295. 9) 박동섭, 바흐친의 대화성 개념을 통한 교실 담화분석의 방향 모색, 교육인류

492 남 현 숙 는 언어 외적인 구조, 언어 바깥의 사회적 경제적 상황에 부응하는 용어 이다. Bourdieu의 관점에서, 이러한 언어 외적인 조건들을 고려하지 않았 다는 것은 Saussure적 모델이 행동을 파롤처럼 숫자나 코드, 랑그나 문 화를 이용하여 해독하도록 되어있는 의사소통행위에만 제한하는 오류를 범했다는 의미가 된다. Bourdieu에게 의사소통 관계는 그 자체가 언어교 환(échanges linguistiques)으로서, 화자와 그들이 존중하는 집단들 사이 의 힘의 관계가 현실적으로 표출되는 상징권력(pouvoir symbolique)의 관계들 이다 10). 2.1.2. Austin의 이론적 영향 나는 이 배를 Joseph Staline이라고 부르노라 하고 (...) 난처한 것은 내가 그 배에 이름을 부여할 자격이 있는 사람이 아니라는 점이다 11). Bourdieu는 Austin의 말하는 것이 행하는 것일 때(Quand dire c'est faire) 에서 위의 문장을 인용하여 언어와 상징권력 의 한 장(chapitre)의 에필로그로 장식하였다. 이는 Austin의 언어행위이론의 핵심을 밝혀주는 인용구로서 우리가 어떤 것을 말함으로써 무엇인가를 실현하게 되는, 즉 언어는 곧 행위가 된다는 것을 명시한다. 이러한 Austin의 언어행위이론 은 Bourdieu의 언어철학에 토대를 제공한다. Bourdieu는 언어가 어떤 사 회적 상황 내에서 각 개인의 위치, 입장에 따라 달리 실현됨을 강조하는 데, Austin의 언어행위이론에서 발화수반력(illocutionary force) 과 통하 는 견해이다. Austin은 발화적(locutionary) 행위, 발화수반적(illocutionary) 행위, 발화효과적(perlocutionary) 행위 라는 세 가지 측면을 구분하였다 12). 이 학연구 11(1), 2008, p. 45. 10) Bourdieu, op. cit., p. 59. 11) Ibid., p. 159. 12) 윤평중, 푸코와 하버마스를 넘어서 - 합리성과 사회비판, 교보문고, 2005, p.

교육적 관점에서 Bourdieu의 언어철학연구 493 중에서 Bourdieu의 언어이론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은 발화수반적 (illocutionary) 행위 이다. 이는 단어를 말함으로써 이루어지는 행위를 가 리키는 것으로 Bourdieu가 말하는 수행적 발화(énoncé performatif) 와 일맥상통하는 개념이다. 수행적 발화는 관습적인 절차에 따라 그에 합당 한 인물이 말해야만 그 효과를 제대로 발휘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예 처럼, 배에 이름을 부여하거나, 도로에서 교통경찰이 운전자에게 어떤 명 령을 내린다거나 결혼식에서 주례자가 결혼 당사자들을 향해 부부가 되었 음을 선언한다거나 하는 예는 발화 즉시 행위가 실현되는 것이다. 제도적 으로 경계가 지어진 언어행위가 받아들여질 수 있느냐의 여부는 그 행위 가 관계자들 사이에 전제되어 있는 규칙에 기반하고 있느냐가 결정한다. Bourdieu는 수행적 발화의 효율성이 오랜 전통과 관습, 제도의 존재 와 분리될 수 없다는 것을 아래와 같이 강조하는데, 이는 우리는 발화수 반행위가 관습적인 행위, 즉 관습에 따라 행해지는 행위라는 것을 인지해 야 한다 13) 는 Austin의 주장과 일치한다. 수행적 발화가 보여주는 마술의 진정한 원리는 대행자에 비결이 숨 어있다. 위임에 따라 개별행위자 - 국왕, 성직자, 대변인 - 는 집단의 이 름으로 말하고 행위하게 되며, 따라서 집단이 그 사람 속에, 그리고 그 사람에 의해 구성된다. 14) 언어행위가 갖는 발화수반력 이 어떻게 청자로 하여금 화자를 신뢰하 게 하는가? 청자로 하여금 화자와의 상호관계에 진입하도록 만드는 발화 수반력 의 근거는 무엇인가? 제도적으로 언어행위의 경우, 그 대답은 이미 성립되어 있는 행동규범이나 관습이라는 것이다. Bourdieu에게 발화수반 131. 13) 오스틴, 말과 행위 - 오스틴의 언어철학, 의미론, 화용론, 김영진 옮김, 서광 사, 2007, p. 135. 14) Bourdieu, op. cit., p. 111.

494 남 현 숙 력은 화자의 활용능력을 반영하며 이 능력은 상징자본, 말하자면 제도적 으로 승인된 권위나 특권의 배분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이를테면, 교육현장에서 화자인 교사의 언어가 청자인 학생들에게 설득 력이 있는 근거도 교사가 제도적으로 승인받은 교육적 권위를 보유한 행 위자이므로 발화효과가 큰 거부감이나 비판 없이 받아들일 수 있다. 그리 하여 Austin이 말하는 수행적 발화 의 효율성은 Bourdieu에게 제도와는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없음을 보여준다. Bourdieu의 언어에 대한 견해를 종합해 보면, 그가 Saussure나 Chomsky같은 언어학자보다는 좀 더 확장된 시각, 사회구조, 사회현상, 즉 비언어적 현상까지 고려한 거시언어학적 입장을 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Bourdieu는 언어라는 기호 그 자체에 대한 분석과 인간의 언어능력 과 언어수행에 연구의 초점을 두는 언어학자들과는 달리, 언어를 인간의 관계, 사회구조와 제도, 구조와 주체 사이의 관계 속에서 연구한다. Saussure와 Chomsky의 문법은 언어시장의 구성처럼 합법적인 언어능 력을 획득하는 경제적 사회적 조건들을 배제 한 반면, Bourdieu의 언어철 학에서 언어시장에서의 권력관계 변동은 다양한 사회적 상황에서 나타나 는 발화 가치의 변동을 결정한다 15). Bourdieu는 문화적 측면에서 언어에 대한 관계를 어느 누구도 언어에 대한 관계를 습득하지 않고는 결코 언어를 습득할 수 없으며, 언어는 습 득된 것을 특정방식으로 활용하는 형식, 즉 습득자의 사회적 성격과 습득 된 것의 사회적 특질 사이에 존재하는 객관적 관계를 표현해 주는 습득양 식으로 나타난다 16) 고 주장한다. Bourdieu에게 언어 란 그 자체의 고유 한 특성만이 아니라, 이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 그들이 구성하고 있는 사회와의 관계 속에서 사회적 가치를 고려하여 연구해야 하는 대상이기 때문이다. 15) Goke-Pariola, op. cit., pp. 295-296. 16) 부르디외, 재생산, 이상호 옮김, 동문선, 2003, p. 154.

교육적 관점에서 Bourdieu의 언어철학연구 495 2.2. Bourdieu의 언어교환 경제 Thompson이 서문에서 밝히듯이 우리의 삶의 대부분은 사회적 상호 작용의 일상적 흐름 속에서 언어표현이 반복되는 교환으로 이루어져 있 다 17). Bourdieu는 이러한 언어표현의 교환을 언어와 상징권력 에서 언 어교환경제 로 고려하여, 다음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언어활동에 따르 는 중요한 원칙들을 언어자본, 언어적 아비투스, 언어시장 등의 개념을 통해 시장경제 원리에 비유하여 설명한다. <그림 1. 언어교환경제의 메타포> 2.2.1. 언어적 아비투스(habitus linguistique) 아비투스 는 명확하게 정의내리기 어려운 개념이지만, 이를 통해 Bourdieu는 구조 속에서 개인의 주체를 설명하는 자신만의 고유한 인식 론의 기초를 정립하였다. 홍성민 18) 에 따르면, 아비투스는 아리스토텔레스 의 습관(habitude)의 개념과 유사하다. 아리스토텔레스에게서 습관이란 17) Bourdieu, op. cit., p. 7. 18) 홍성민, Bourdieu, 사회비평 25, 나남출판, 2000, p. 88.

496 남 현 숙 에토스(ethos) 와 헥시스(hexis) 의 두 차원으로 구분되는데, 전자는 반 복된 행위로부터 유래하는 기계적인 행위 를 지칭한다면, 후자는 도덕적 성향 곧 덕(virtue) 과 밀접한 관련을 가진다. 아비투스 개념이 현대적 의 미로 해석된 것은 후자인 헥시스(hexis) 의 개념이다. 언어적 아비투스 또한 아비투스 즉, 헥시스 의 일부이며, 그 속성을 그 대로 계승한다. 말하자면, 언어적 아비투스는 사람이 자신도 모르는 사이 에 스스로의 성향과 사회적 지위를 드러내며, 행위자의 언어표현과 언 어능력을 통해 사회적인 표식을 부여하는데 매우 강력하게 이바지 19) 한 다. Bourdieu는 언어교환경제에서 언어적 아비투스를 어떤 시장 법칙들 에까지 연장된 근본적인 관계의 산물 로 정의하고, 그 특성에 대해서는 다양한 시장에서 그 자신과 타자들의 고유한 언어적 산물(produit linguistique)에 대해 가늠할 수 있는 가치와 수용의 의미로 작용하는 경 향이 있다 20) 고 기술한다. 유사한 계급의 구성원들이 가지는 특성, 성향체계라는 아비투스에 대한 가장 일반적인 해석처럼, 언어적 아비투스는 그 사회의 구조, 즉 계급구 조, 계급의 구성원 사이의 관계, 그 계급의 성향체계를 반영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이는 언어적 아비투스가 계급 아비투스(habitus de classe)의 한 차원 이며, 사실상 사회구조 내에서 공시적 통시적으로 차지하고 있 는 위치 21) 를 표현하기 때문이다. Bourdieu는 언어와 계급 사이의 관계를 특정한 한 계층의 구성원들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사회적 교육적 특 성에 따라 언어를 기반으로 하는 의사소통이 어떻게 사용되는가가 결정된 다고 본다. 언어와 상징권력 에 삽입된 Thompson의 서문에서도 Bourdieu가 일상에서 일어나는 언어교환을 사회적으로 구조화된 원천과 수행능력을 갖춘 행위자들 사이에 지엽적으로 위치한 수많은 만남 으로 기술하고, 개별적이고 하찮은 모든 언어적 상호작용이라도 그 자체가 표 19) 올브리지, op. cit., p. 111. 20) Bourdieu, op. cit.. p. 113. 21) Ibid., p. 122.

교육적 관점에서 Bourdieu의 언어철학연구 497 현하고 재생산하는 사회구조의 흔적을 가진다 22) 고 밝힌 부분을 찾아볼 수 있다. 인간이 발화하는 것 자체는 신체의 한 부분을 사용한 결과로 나타나는 언어활동(langage)의 하나이며, 언어는 오랜 가정적 배경과 전통이 육체 에 스며들어 있다가 지적 자본의 형태로 외부세계에 표출되는 것이다. 이 는 Bourdieu의 자본 개념 중에서 가장 근본적인 유형이라 할 수 있는 체 득된 형태의 문화자본 의 특성을 가장 잘 반영하는 것이며, 언어자본의 속 성으로 이어진다. 2.2.2. 언어자본(capital linguistique) Bourdieu에게 자본화(capitalisation)란 개인이 자기가 지닌 특정한 자 원(성향, 학식, 돈, 기술 등)을 공인된 자본으로 전환시키는 과정 을 의미 한다 23). 이러한 자본화 과정은 아주 짧은 순간에 이루어지기도 하고, 오 랜 시간을 두고 면면히 이어지기도 한다. 전자는 어떤 사람의 어법이나 취향이 탁월하여 다른 사람의 인정을 단번에 획득하는 과정이며, 후자는 한 사람의 문화적 소양이 태어나면서부터 축적되거나 학위를 취득하는 것 처럼 장기간에 걸쳐 쌓이는 과정을 말한다 24). Bourdieu의 이론에서 자본의 유형 중 가장 독창적이며 핵심적인 개념 이 문화자본 이다. 문화자본은 일체의 상징적 자산으로 구성되어 있으 며 25), 언어적 습성(문법, 억양, 어조), 공식적인 지식과 일반문화 뿐만 아 니라 학위까지 포함하고 있다. 문화자본 이라 일컫는 것은 말하자면, 지 배계층이 학교 또는 사회적 제도로부터 보유하고 있는 특정한 지식 형태 로서, 특히 언어적 형태를 주로 띠고 있다 26). 인류학자 Godelier도 원시 22) Ibid., p. 8-9. 23) 올브리지, op. cit., p. 20. 24) Ibid. 25) Chauviré (Christiane) & Fontaine (Olivier), Le Vocabulaire de Bourdieu, Ellipse, 2003, p. 12.

498 남 현 숙 종족인 바루야족을 관찰한 결과, 그들에게 한 사물에 대한 은어를 아는 일은 곧 그것에 대한 권력을 갖는 일에 다름 아님 27) 을 발견한다. 이는 특정 계층에게 언어가 자본화되어 권력과 직결되는 원시사회의 모델을 제 시한 것이다. 언어자본은 경제논리에 의해 직접적으로 교환하는 데에 쓰 이는 재화의 형태는 아니지만 누구나 충분한 경제자본이 있어야 언어자본 을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렇게 획득된 언어자본은 필연적으 로 계급의 개념에 관여하며, 권력의 수단으로 기능할 수 있는 특성을 보 인다. Bourdieu의 이론에서 가장 핵심적인 요소는 언어와 권력의 관계에 있 다. 그에게 언어교환은 발신자와 수신자 사이의 의사소통 관계 로 정의 되며, 이것은 결국 어떤 언어자본을 갖춘 생산자와 소비자(혹은 시장) 사 이의 상징적인 힘의 관계 속에서 확립된 경제적 교환 이다 28). 따라서 언 어자본에 기반을 둔 담화(discours)는 단순히 언어학적 관점에 기대어 해 독되는 언어기호의 연속체일 수 없으며, 언어시장에서 사회적 경제적 관 계를 반영한 부의 기호(signes de richesse) 이며 권위의 기호(signes d'autorité) 29) 인 것이다. 언어교환경제 에서 언어기호는 신용을 보증하 는 데에 고유한 권력으로 가격을 부여하도록 되어 있는 상품(그것이 놓여 있는 시장법칙에 따라 변하는)이기 때문에, 언어생산은 시장제재의 기대 에 불가피하게 영향을 받는다 30). 26) Gorder (K.L.), Understanding School Knowledge: A Critical Appraisal of Basil Bernstein and Pierre Bourdieu, Educational Theory, 1980, 30(4), pp. 342-343. 27) 이병혁, 언어사회학서설 - 이데올로기와 언어, 까치, 1986, p. 167. 28) Bourdieu, op. cit., p. 98. 29) Ibid. 30) Ibid., p. 114.

교육적 관점에서 Bourdieu의 언어철학연구 499 2.2.3. 언어시장(marché linguistique) Bourdieu는 언어시장에서, 언어자본, 언어생산물의 가치평가나 가격은 어떻게 형성되는지 언어와 상징권력 에서 상세하게 밝힌다. 그에 따르면, 담화(discours)의 가치는, 생산능력과 동시에 평가하고 수용하는 능력, 또는 다른 말로, 다양한 행위자들이 자신들의 생산물에 가 장 유리한 평가기준을 부과하는 교환에 관여하는 능력과 통하는 화자의 언어능력 사이의 힘의 관계 에 달려있다 31). 여기에서 능력 이라 함은 사 회적으로 계층화된 생산능력 을 말하는데, 언어시장에서 가치평가, 말하자 면 가격형성은 사회적으로 계층화된 시장들을 정의하는 언어능력들 사이 의 관계 에 따라서 결정된다. 자본주의가 팽배한 시장에서 약육강식 이나 빈익빈 부익부 의 폐단이 존재하듯이, 언어시장에서도 공식적으로 인정받 은 권위가 높은 개인과 사회집단일수록, 그들이 사용하는 언어가 합법적 으로 인정받은 공식적인 언어일수록 시장법칙은 유리하게 작용하는 것이 일반적임을 Bourdieu는 인정한다. 이러한 언어시장의 원리를 역으로 적용하여 언어와 권력 사이의 부조 화를 통해 이윤을 극대화할 수 있는 경우가 있는데 겸양전략(stratégie de condescendance) 32) 이 그것이다. 이 전략은 실질적으로 대립하고 있는 두 언어간의 힘의 관계에서 언어들 간의 위계와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 간의 위계를 상징적으로 부인하는 행위를 통해 이윤(profit)을 취하는 데 에 있다 33). Bourdieu는 표준어를 구사할 줄 알면서도 베아른어로 연설을 하여 지역민들의 감동을 사는 Pau 시장의 일화를 자주 예로 든다. 이를테 면, 지배계급의 문화자본을 보유하고 제도적으로 승인된 합법적인 권위를 갖춘 정치인이 공식적인 언어에 대한 지식과 구사능력을 가졌음에도 자신 31) Ibid., p. 100. 32) 여기에서 겸양전략은 단순하게 겸손의 뜻이 아니라 지식이 있는 사람이 지식을 덜 갖춘 사람에게 베푸는 호의 의 개념이다. 33) Bourdieu, op. cit., p. 102.

500 남 현 숙 의 지역에서 지역의 방언을 사용함으로써 얻게 되는 이득을 말한다. 이는 공식적인 언어에 대한 지식이 없는 평범한 화자가 방언을 쓰는 경우와는 그 격차가 명백하게 존재한다. 언어시장에서 합법적인 언어능력 은 몇 가지 필요조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먼저, 공식적인 상황 에서, 합법적으로 권위를 인정받은 사람 이 합 법적인 언어 를 수단으로, 수행능력과 효력이 있는 담화 를 하는, 소위 법 적으로 승인된 능력 이어야 한다 34). 수행능력과 효력이 있는 담화는 언어 가 행위로 바로 연결될 때인데 그 전제조건은 궁극적으로 권위와 합법성 이 우선 부과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겸양전략은 이러한 언어능력과 화자 의 권위 사이의 위계질서를 부인하고 이를 전복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극대화된 이윤이라는 전리품을 획득할 수 있다. 기존의 언어학에서 연구대상은 언어의 내적인 구조, 언어 그 자체에 대 한 분석, 인간의 발화능력, 생물학적인 능력 등이 주를 이루었다. 여기에 서는 Bourdieu가 언어에 기반한 의사소통 관계를 시장경제 원리에 빗대 어 분석하는 독특한 사회언어학 영역을 다루었다. 2.3. 언어와 교육시장 Bourdieu는 학교체제를 언어교환경제의 법칙이 제도적 장치에 의해 강 력하게 작용하면서도 그 사실이 철저하게 은폐되는 시장으로 정의한다. 합법적인 교육시장에서 교사와 학생은 생산자와 소비자, 발신자와 수신자 의 관계를 형성한다. 특히, 사회적 출신배경에 따라 불균등하게 배분되어 있는 언어자본은 교육관계 속에서 학업의 성공 혹은 실패를 결정하는 요 인으로 개입 35) 하며 교육적인 의사소통의 성패는 흔히 사회적 성공을 판 가름하기 때문에 Bourdieu는 학교에서의 언어교환 문제를 매우 중요하게 34) Ibid., p. 103-104. 35) 올브리지, op. cit., p. 66.

교육적 관점에서 Bourdieu의 언어철학연구 501 다룬다. 2.3.1. 언어자본 전수 언어자본은 그 전수법칙에서 다른 자본들과 구별되는 몇 가지 특성을 지닌다. 첫째, 언어자본의 전수는 세대간 문화자본의 합법적인 전수법칙 의 특수한 경우 에 해당하며, 둘째, 학업기준에 따라 측정된 언어능력은 학력과 사회진로로 측정된 교육수준에 달려있으며, 셋째, 언어능력의 생 산에 있어서 두 가지 주요 요인, 가족과 교육체계 사이의 다양한 조합형 태에 부응한다 는 점이다 36). Bourdieu는 교육시장의 특성을 합법적인 문화의 보호자들의 심판에 엄격하게 지배받는 언어시장 이자 지배계급의 언어생산물에 의해 엄격 하게 지배받으며 기존 자본의 차이를 제재하는 경향이 있는 37) 것으로 기 술한다. 지배계급에게 유리하게 작용하는 교육시장의 특성 상, 학교현장 에서도 어떤 부정적인 제재에 제일 먼저 희생되는 집단은 가장 낮은 계급 의 학생들인 경우가 많다. 교사의 언어자본은 일반적으로 지식인층의 언 어, 지배계급의 언어를 대표하여 문화의 자의성을 전수하는 행위자의 언 어자본으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피지배계급 출신의 학생에게 언어는 실제 경험과 다르게 현실이 구성되므로 이를 통해 언급되는 내용이 모두 비현실적인 것으로 드러나는 반면, 가정에서부터 학교언어에 익숙한 학생 은 언어가 실제 경험하는 사물의 실재를 잘 구성할 수 있으므로 학교제도 에 잘 적응할 수 있는 환경 속에 이미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국가적 차원에서 한 국민의 유대를 강화하는 역할을 하는 공식적인 언 어(langue officielle)는 학교를 통해 보급되고 계승되며, 교실에서 교사와 학생 사이의 의사소통 속에서 제 위상을 차지한다. 교사는 공식적인 언어 를 알지 못하거나 사투리, 지방어를 사용하는 학생들에게 모든 생각과 감 36) Bourdieu, op. cit., p. 94. 37) Ibid., pp. 94-95.

502 남 현 숙 정을 하나의 통일되고 정확한 언어로 표현한다. 학생들은 점점 더 교사의 말과 행동에 익숙해지게 되며 같은 방법으로 느끼고 생각하게 된다. 공식 적인 언어는 공식적인 경우에, 공식적인 장소(학교, 행정기관, 정치제도 등)에서 필수적이며 이 국가의 언어는 모든 언어실천이 객관적으로 측정 되는 이론적 규범이 된다 38). 이렇게 국가가 권위를 부여한 언어의 이론 적 규범을 합법적이고 체계적으로 보급하고, 세대를 거듭하며 전수되고 계승하는 역할을 하는 제도적 기관으로서 학교가 존재한다. 2.3.2. 언어적 지배 특정 언어적 표현의 영속화는 지배의 영속화에 기여한다. 그렇다면 어째서 한 사회가 경제체제, 사회체제를 변화시키기를 원하면서 그 전 의 사회질서에 중요한 봉사를 한 언어표현을 그대로 계속 사용해야 했 는가? 39) 인간사회가 존속하는 한 언어교환은 영구적으로 이루어지며, 언어에 기 반한 의사소통 속에서 발신자와 수신자 사이의 힘의 관계는 다양하게 표 현된다. 모든 커뮤니케이션은 공유된 문화를 전제 40) 하므로 여기에는 발 신자가 속한 계급의 모든 문화적 정보들이 드러난다. Bourdieu의 권력 은 물리적인 힘을 발휘하여 직접적으로 그 효과가 발 휘되는 양상을 띠는 것이 아니라 비가시적이며, 간접적이며, 우회적인 방 식으로 나타내는 힘, 상징적인 권력 이다. Bourdieu의 업적은 지배의 사 회학, 지배를 고발하는 사회학 으로 일컬어지는데 여기에서 지배의 개념 은 Foucault의 권력의 개념과 통한다는 견해 가 일반적이다 41). 이는 푸코 의 규율적 권력 이, Bourdieu의 상징권력처럼, 은밀하게 보이지 않는 방 38) Ibid., p. 71. 39) 이병혁, op. cit., p. 167. 40) 올브리지, op. cit., p. 22. 41) Chauviré & Fontaine, op. cit., p. 33.

교육적 관점에서 Bourdieu의 언어철학연구 503 식으로 행사되는 속성에 기인한다. 규율적 권력 이 암암리에 가시화될 수 있는 대표적인 기관이 학교이다. 권력의 경제학으로서 규율은 권력의 효 과가 사회구성체 안에 계속 매끄럽게 흐르도록 하는 기제 42) 로서 바로 학 교가 지배문화를 은밀하게 주입하는 원동력이다. 학교현장에서 상징권력과 언어능력 사이의 관계가 가장 피상적으로 드 러나는 사례는 선발과정 즉, 시험이다. Bourdieu는 지배의 효과를 학생들 의 행위와 교사들의 인지과정으로 환원하여 설명하고 있는데, 지배란 학 생들의 태도를 평가하고 기록하는 언어적 분류체계와 밀접한 관계 를 맺 으며, 교사들에게 지배란 학생들의 행동을 분류함으로써 사회적 가치체 계를 주입할 때 발휘 된다고 한다 43). 학생들의 태도에 대한 평가나 기록 은 교육체계 속에서 제도화된 선발과정과 연결된다. 논술(dissertation)은 그 권한이 가장 다양한 영역으로 확산되는 쓰기 와 작문의 규칙들을 정의하고 보급한다. (...) 항상 의사소통의 제도화되 고 규칙화된 모델인 시험의 다른 형태들이 교육적 의사소통의 원형, 더 일반화하면, 어떠한 문화적 야심을 지니는 모든 유형의 의사소통(학술대 회, 발표, 나 기자회견)의 원형을 어떻게 제공하는지 검토해야 할 것이 다 44). Bourdieu는 선발과정을 지배계급의 제도적 장치 로 여기는데, 시험이 지니는 구속력 은 학교가 학생들에게 가시적으로 보이는 거대한 권력이 다. 다양한 시험의 유형 중에서도 작문에 기반한 논술은 생산자인 학생이 그 내부에, 언어능력뿐만 아니라 자신이 속한 사회계급의 문화를 표출할 수 있는, 곧 담화의 가치가 규범화될 수 있는 형태이므로 가장 강력한 언 42) 윤평중, op. cit., p. 195. 43) 홍성민, 문화와 아비투스 - Bourdieu와 유럽정치사상, 나남출판, 2000, p. 317. 44) Bourdieu (Pierre) & Passeron(Jean-Claude), L'examen d'une illusion, Revue française de sociologie, 1968, IX, Numéro spécial, p. 228.

504 남 현 숙 어적 지배력을 발휘한다. 그럼에도 지배문화의 전수에 앞장서는 학교의 기능에 사람들이 큰 저 항을 느끼지 못하는 것은 지배문화의 자의성을 암묵적으로 주입하는 교육 행위가 교육적인 의사소통 내부에서 언어를 수단으로 자연스럽게 일어나 기 때문이다. Bourdieu는 사회주의자의 시선으로 언어와 교육시장의 관계를 분석하 였다. 그가 특히, 교육체제이론을 다룬 저서 재생산 에서 양극단에 두고 있는 대조적인 말투, 부르조아의 말투 와 평민의 말투 는 학교사회에서 지배계급의 언어와 피지배계급의 언어의 관계를 반영한다. 피지배계급의 언어, 평민의 말투는 자기비하적이며, 학교에서 평가절하되고 실패나 배 제에 대한 체념을 가져오는 소극적인 성향과 기질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피지배계급의 언어적 특성을 이용하여 학교는 지배계급 문화를 전수하는 것이 사회를 위해 공헌하는 고유한 책무를 다하는 기관으로 인식된다. 한 개인 또는 한 집단의 구성원들의 성향과 기질, 즉 아비투스는 결국 교육 체계와 계급구조 사이에 관계를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교육기회 구 조를 영구적으로 유지하는 데에 이론적 뒷받침이 된다. Bourdieu는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제도권 교육에 대해서 회의적인 입장 을 보인다. 언어적 아비투스는 소외계층, 저소득계층, 피지배계층의 학생 들이 자신들의 무능력을 운명으로 받아들이거나 사회 현실의 불합리성에 대해 문제의식을 갖지 못하며, 무의식적으로 받아들이게 하는 기제가 된 다. 지배에 익숙해 있는 이들은 학교라는 제도권에서 수용한 지배문화의 타성에 젖어 기득권에 의해 움직이는 이 사회를 자신만의 주관이 아니라 지배자와 동일한 시선으로 보는 데에 익숙해져 문제점 자체를 인식하지 못한다. 이것은 상징폭력이 제대로 행해지는 좋은 본보기이다. 이러한 폭 력은 사회적 행위자가 공모를 통해 명백하게 나타나거나 공개되지 않은 채 간접적이고 암묵적으로 행해진다. 그리하여 Bourdieu의 견해는 개혁의 의지가 없어 비관적이라는 비판을

교육적 관점에서 Bourdieu의 언어철학연구 505 받기도 하지만, 역설적으로 기득권자들, 지배계층의 공모에 의한 상징권 력이 사회 전반에, 특히, 가장 합리적이며 약자를 대변해 주리라 신뢰하고 있던 교육에 의해 합법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폐단을 고발함으로써, 우리 로 하여금 몰이해(méconnaissance)를 인정하고, 이를 개선할 방안을 스 스로 모색하게 한다. 3. 나오는 글 Bourdieu의 언어철학은 언어 외적인 상황, 특히 언어를 수단으로 한 의 사소통 내에서 형성되는 언어와 권력의 관계에 초점을 둠으로써 언어연구 의 범위와 관점을 다양화하는 데에 기여하였다. 이에 대해 본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제기하였다. 첫째, Bourdieu는 기존 언어학의 어떠한 특성을 비판하였는가? 둘째, Bourdieu의 언어철학에 이론적 기초를 제공한 이론은 무엇인가? 셋째, 언어와 상징폭력 에서 언어연구에 경제원리를 어떠한 방법으로 적용하였는가? 넷째, 교육현장에서 그의 언어이론은 어떻게 활용되었으며 그 연구가치 는 무엇인가? 먼저, Bourdieu는 Saussure와 Chomsky가 언어를 언어 내적인 구조, 언어 그 자체에만 초점을 두고 연구하였으며, 언어 외적인 구조, 사회적 상황을 배제한 것으로 비판하였다. 반면, Austin의 언어행위이론은 언어 의 사회적 상황들을 고려하면서 합법적인 권위와 지위를 갖춘 사람에 의 한 발화는 곧 행위로 실현된다는 점에서 Bourdieu의 언어철학에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였다. Bourdieu에게 언어교환은 언어자본을 갖춘 생산자와 소비자(혹은 시장), 말하자면, 발화자와 대화상대자 사이의 상징적인 힘의 관계 속에서 확립된 경제적 교환이다. 언어시장에는 화자가 출신배경에서

506 남 현 숙 부터 익숙해진 언어적 아비투스, 그가 속한 사회계급의 언어자본과 합법 적으로 승인받은 권위 사이의 위계질서가 작용한다. 이러한 언어교환경제 원리를 기반으로 지배계급의 언어적 지배와 지배문화의 자의성이 교육시 장에서 학교라는 합법적인 제도적 장치를 통해 암묵적이며 합법적으로 전 수되고 계승된다는 것이다. 현재 우리 사회와 교육현실에서 근원적인 문제인 계층에 따른 언어자 본의 불평등한 분배 문제를 근본적으로 제기하고 문제의식을 심어주고자 하는 사회주의자의 의지가 Bourdieu의 언어철학에 담겨있다. Bourdieu의 연구가 의미있는 것은, Chauviré와 Fontaine 45) 에 의하면, 하나의 체제를 형성하는 개념들 - 아비투스(habitus), 장(champ), 재생산 (reproduction), 상징폭력(violence symbolique), 자본(capital), 구별짓 기(distinction) 등 - 의 망(réseau) 속에서 그만의 고유한 철학과 사상이 솟아나오며 진실로 개성 있고 독특한 그만의 독창성이 있기 때문이다. Bourdieu의 사상과 이론은 Merleau-Ponty를 비롯하여, Pascal, Hegel, Kant 등의 학자들로부터 다양한 영역에서 영향을 받아 매우 풍부하지만 난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럼에도 이 논문은 Bourdieu의 언어와 상 징권력 을 중심으로 연구대상을 그의 언어철학 분야로 한정하였다. 향후, Bourdieu에 대한 문헌연구의 범위를 확장하여, 그의 언어에 대한 이론을 더욱 다양하고 깊이 있게 분석하며, 또한 언어철학 외에 더 풍부한 주제 로 접근하여 우리의 사회와 교육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중요한 원천 자료 들을 발견하도록 한다. 45) Chauviré와 Fontaine, op. cit., p. 5.

교육적 관점에서 Bourdieu의 언어철학연구 507 참고문헌 남현숙, Bourdieu의 교육적 의사소통(Pedagogic Communication)에 대한 고찰, 부산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석사학위 논문, 2009. 넬러, 현대교육사상, 안인희 옮김, 서광사, 2001. 르불, 언어와 이데올로기, 홍재성 & 권오룡 옮김, 역사비평사, 2003. 박동섭, 바흐친의 대화성 개념을 통한 교실 담화분석의 방향 모색, 교육 인류학연구 11(1), 2008, pp. 37-72. 부르디외, 상징폭력과 문화재생산, 정일준 옮김, 새물결, 1995. 부르디외, 재생산, 이상호 옮김, 동문선, 2003. 소쉬르, 일반언어학 강의, 김현권 옮김, 지만지, 2008. 올브리지, 부르디외 커뮤니케이션을 말하다, 이상길 옮김, 커뮤니케이션 북스(주), 2007. 오스틴, 말과 행위 - 오스틴의 언어철학, 의미론, 화용론, 김영진 옮김, 서광사, 2007. 윤평중, 푸코와 하버마스를 넘어서 - 합리성과 사회비판, 교보문고, 2005. 이병혁, 언어사회학서설 - 이데올로기와 언어, 까치, 1986. 해리스, 소쉬르와 비트겐슈타인의 언어, 고석주 옮김, 보고사, 1999. 홍성민 외, 문화와 계급, 동문선, 2002. 홍성민, 문화와 아비투스 - Bourdieu와 유럽정치사상, 나남출판, 2000. 홍성민, Bourdieu, 사회비평 25, 나남출판, 2000, pp. 80-89. Bourdieu (Pierre) & Passeron (Jean-Claude), L'examen d'une illusion, Revue française de sociologie, 1968, IX, Numéro spécial, pp. 227-253. Bourdieu (Pierre) & Passeron (Jean-Claude) (translated by Richard

508 남 현 숙 Nice), Reproduction in Education, Society and Culture, Sage Publications Ltd., Beverly Hills California, 1977(1970 French Edition). Bourdieu (Pierre), Langage et pouvoir symbolique, Seuil, 2001. Chauviré (Christiane) & Fontaine (Olivier), Le Vocabulaire de Bourdieu, Ellipse, 2003. Goke-Pariola (Abiodun), Language and Symbolic Power: Bourdieu and the Legacy of Euro-American Colonialism in an African Society, Language and Communication, 1993, vol. 13, no. 3, pp. 294-312. Gorder (K.L.), Understanding School Knowledge: A Critical Appraisal of Basil Bernstein and Pierre Bourdieu, Educational Theory, 1980, 30(4), pp. 335-346. Harker (Richard K.), On Reproduction, Habitus and Education, British Journal of Sociology of Education, 1984, vol. 5, no. 2, pp. 117-127.

교육적 관점에서 Bourdieu의 언어철학연구 509 Résumé L'Etude de la Philosophie Linguistique de Bourdieu du Point de Vue Pédagogique - mise au point sur 'langage et pouvoir symbolique' - NAM Hyeon-Sook Le but de cet article est de chercher les méthodes nouvelles à adopter dans l'étude sur le langage, qui dépasse la limite de la théorie linguistique préexistante, en faisant de la recherche sur la philosophie linguistique de Bourdieu. Les questions posées dans notre travail sont les suivantes : - Quelles caratéristiques de la théorie linguisique préexistante, Bourdieu, a-t-il, critiqué? - Quelle théorie linguistique sert de la base théorique chez Bourdieu? - De quelle manière la théorie économique est utilisée en vue d'une application à l'étude linguistique à travers le langage et le pouvoir symbolique?

510 남 현 숙 - Comment on emploie la théorie linguistique de Bourdieu dans le champ de l'éducation, et quelle valeur d'étude contient-elle, cette recherche? Fondés sur ces quatre quéstions, nous présentons les théories linguistiques de Saussure et de Chomsky critiquées par Bourdieu parce qu'ils ont négligé les macro-contextes du langage, en se concentrant sur la linguistique interne, et ensuite, nous démontrons la théorie des actes de langage développée par Austin dont la philosophie linguistique de Bourdieu a subi une grande influence. Le deuxième chapitre est consacré à l'analyse de l'économie des échanges linguistiques susceptibles à exprimer les relations de pouvoir, à laquelle Bourdieu accorde une certaine importance dans son oeuvre 'le langage et le pouvoir symbolique', et à la pratique de sa philosophie dans l'éducation du système scolaire. Nous envisageons de traiter, comme sujet de la prochaine étude, la philosophie linguistique de Bourdieu plus vaste, en s'appuyant sur un certain nombre d'écrits de sociologie et de théorie sociale sur le langage, pour l'acquisition des données de base qui permettent de résoudre des problèmes sociaux et pédagogiques dans notre société contemporaine. Mots-clés(주제어): Bourdieu(부르디외), pouvoir symbolique(상징권력), économie des échanges linguistiques(언어교환경제), habitus linguistique(언어적 아비투스), capital linguistique(언어자본) 46) 논문투고일 : 2009. 10. 31 최종심사일 : 2009. 11. 16 게재확정일 : 2009. 11.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