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도 하반기 ICT 기술동향 보고서 2015년 12월
목 차 1. 가트너, 정부를 위한 10대 전략기술 동향 발표 2. IoT 기술 활용 전략 3. 대학의 사회적 역할 변화에 대한 논의 4. 개인 모바일 방송 기술 및 동향 5. 드론산업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 정비 및 기술개발 동향 6. 자율 주행차-자동차 ICT 업계 경쟁 본격화 7. 구글 딥러닝 경쟁력을 중심으로 인공지능 기술 분야 주도 8. 국내 인공지능 현황 9. IoT 보안 위협 동향
1. 가트너, 정부를 위한 10대 전략기술 동향 발표 개요 가트너(Gartner)는 전 세계 정부부문의 기술 제품 및 서비스 분야에 대한 투자는 작년대비 약 1.8% 정도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라 기술 투자의 우선순위를 선정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고 강조( 15.6.3.) - 2014년 4,390억 달러에서 2015년 4,310억 달러로 감소될 것으로 예측되나 2019년에는 4,755억 달러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 정부부문 10대 전략 기술 동향 1) 디지털 워크플레이스(Digital Workplace) - 개방적 수평적 민주적인 업무환경으로 열린 정부 조직의 표출 - 정부의 CIO 및 IT 분야 지도자는 소셜, 모바일, 접근성 및 정보 중심의 업무환경 구축에 주도적인 리더십을 발휘해야 함 2) 다채널 시민 참여(Multichannel Citizen Engagement) - 정부는 다양한 시민서비스 채널(지방정부, 우편, 대민 사무실, 전자정부 웹사이트, 모바일 앱 등)의 서비스 일관성 유지에 고심 - 다채널 전략은 시민에게 원활한 경험을 제공하는 것과 함께 일관되고 편리하며 투명한 상호작용을 제공한다는 의미를 지님 - 정책개발자 및 CIO는 전통적 마케팅 도구와 새로운 접근법(Agile 개발 방법 등)을 결합한 서비스 모델을 빠르게 재설계해야 함 3) 공개 데이터(Open Any Data) - 전 세계적으로 공개 데이터세트 및 웹 API의 수는 모든 부문에서 증가하고 있지만 사용 극대화까지는 10년 이상의 소요될 전망 - 정부의 예산 감소로 오픈데이터 프로그램에 영향이 발생할 우려 4) 전자 ID(Citizen e-id) - 성공적인 실현을 위해서는 사업적 가치, 상호 운용성 및 사용자 경험에 초점을 맞춘 정부와 공급업체 간 신뢰 형성이 필요 - 개인정보 및 데이터에 대한 기밀요구 사항 준수가 중요 1
5) 엣지 분석(Edge Analytics) - 데이터분석(Analytics) 분야는 개별 비즈니스 기능 분석에서 시스템 운영 및 사용자 경험 분석 등으로 빠르게 진화하는 중 - 급증하는 빅데이터 처리를 위해서는 중앙 집중화된 분석뿐만 아니라 데이터를 원천에서 분석 처리하는 에지 분석이 더욱 중요 - 실시간 상호작용이 증강된 새로운 모바일 서비스 디자인에 적합 6) 확장가능한 호환성(Scalable Interoperability) - 정부기관은 서비스 제공 네트워크와 비즈니스 기능을 최적화하기 위해 외부 파트너와의 데이터 교환에 대한 의존이 심해지는 추세 7) 디지털 정부 플랫폼(Digital Government Platforms) - 여러 도메인, 시스템 및 프로세스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지향 아키텍쳐(SOA) 디자인 패턴을 포함하는 플랫폼 - 관련 제품은 아직 초기단계로 주로 스마트 도시 지원에 초점 - 운영기술 및 사물인터넷 관련 문제가 중심이지만 디지털 정부의 일반적 문제 및 데이터 교환 등 다양한 이슈 해결에 도움 8)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 환경 및 공공 인프라 모니터링, 비상상황 대응, 공급망 검사, 자산 관리, 교통안정 등 다양한 분야에서 변화 유도를 기대 - 공공서비스 제공 및 운영성능 향상 등의 변화를 이끌기 위해서는 기존 시스템과 결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전략적 접근이 필요 9) 웹 스케일 IT(Web-Scale IT) - 기업 및 정부 IT 조직 내에서 대형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의 기능을 제공하는 글로벌 수준의 시스템 지향 아키텍처 패턴 - 정부 부문에서 웹 스케일 IT의 전환은 장기적인 동향이 될 것 10) 하이브리드 클라우드(Hybrid Cloud and IT) - 하이브리드 IT는 내부 인프라 또는 사설 클라우드와 외부 클라우드 기반 환경을 결합, 운영할 수 있는 새로운 운영 모델을 제공 출처: 가트너(Gartner), 2015.6.3. http://www.gartner.com/newsroom/id/3069117 2
2. IoT 기술 활용 전략 최근 다양한 학자와 컨설팅 기관에서 ICT 기술 중에서 IoT(Internet of things)가 기존 ICT의 트렌드인 컴퓨팅을 통한 자동화, 인터넷을 통한 연 결처럼 새로운 혁신을 촉발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기술로 등장하고 있 다고 분석 결국, 기업들의 경쟁에 있어 IoT의 중요성과 영향력이 점차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IoT 기술에 대한 활용 전략에 대한 심도 높은 이해가 요 구됨 1 ICT부문의 IoT기술에 의한 환경변화 ICT 기술은 1960년대부터 2010년에 걸쳐 지난 50년간 기업의 환경 변화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음 196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주문 처리나 경비 지급, CAD, 생산관리 등 기업 내 가치 사슬 활동의 자동화를 통해 기업의 생산성이 향상 198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인터넷을 통해 공급자, 고객 사이의 지리적 제약을 넘어서 기업 간 연계로 긴밀한 협력이 이루어지기 시작 이러한 환경변화에 대응하여 ICT 기술을 적극적으로 이해하여 핵심역량으로 보유한 기업들은 탁월한 성과를 지속적으로 보여 주었음 - ICT 기술을 공급하는 ICT 공급기업 측면 보다는 이러한 ICT 기술이 제공하 는 가치사슬 활동에서 이점을 활용하여 기업의 혁신과 생산성을 향상시킨 기업의 사례는 무수히 많음 최근에는 ICT 부문의 IoT 기술이 제품에 내장되어 활용되는 스마트 커 넥티드 제품(Smart, Connected Products)이 증가됨에 따라, 제품의 스마 트화 또는 지능화를 불러오고 있음 기존 제품에 센서, 프로세서, 소프트웨어, 통신 기능 등이 내장되고, 제품에서 발생하는 데이터가 클라우드를 통해 수집ㆍ분석되는 제품의 스마트화 또는 지능화가 강화 - IoT 기술은 ᄀ 사물(thing)에 내재되는 센서, 마이크로프로세서, 연결모듈, 3
운영체제 등을 포함하는 제품(Device) 부문, ᄂ 이러한 제품(Device)을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통신(Connectivity)부문, ᄃ 통신을 통해 교환 및 수집되는 데이터를 수집 축적 분석 활용 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반적인 기술들을 제공하는 플랫폼(Platform)부문 등 3가지 기술영역 으로 구분 < IoT의 기술적 계층에 대한 이해 > 구분 Device 기능 o 사물을 구성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 sensors, Embedded processors, connectivity module, memory, secure element, operating system, software applications, user interface 등 Connectivity o 사람, 디바이스, 프로세스 등을 연결하고 데이터를 교환 및 전달할 수 있는 모든 유 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기술 - WPAN, WiFi, 3G/4G/LTE, Bluetooth, Ethernet, BcN, 위성통신, Microware, 시리얼 통신, PLC 등 - 네트워크 가상화, 이기종 네트워크, 자가 구성 네트워크 등 Platform o 디바이스를 연결 제어 관리하는 애플리케이션에서부터 데이터를 수집 축 적 분석 활용하는 기술, 수직적인 산업의 비즈니스 시스템과의 통합 서비 스 등을 제공하는 기술 - 빅 테이터, 클라우드, 보안/프라이버시 보호, 인증/인가, 가상화, 디바이 스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스 관리, 오픈 플랫폼 기술, 미들웨어 기술, 비즈니스 시스템 통합 등 경영전략의 대가의 마이클 포터는 다양한 제품에 IoT의 기술들이 적 용되어 모니터링(monitoring), 제어(control), 최적화(optimization), 자율 성(autonomy)이라는 4가지 영역으로 그 기능이 발전한다고 발표 - 첫째, 모니터링 단계로 센서와 외부 데이터를 통해 제품의 상태, 운영 및 외부 환경을 종합적으로 관리 및 감독하는 기능이 강조 - 둘째, 제어 단계로 제품 자체에 내장되어 있거나 클라우드에 존재하는 알고리즘 조건이나 환경이 특정하게 변화할 때, 제품이 어떻게 대응할지 정 해놓은 규칙 및 명령을 통해 제품을 원격으로 제어 - 셋째, 최적화 단계로 모니터링을 통해 발생하는 풍부한 정보의 흐름과 제품의 작동을 제어하는 기능이 결합됨에 따라 과거에는 불가능했던 다양한 방식으로 제품 성능을 최적화 - 넷째, 자율성 단계로 IoT 제품에서 모니터링, 제어, 최적화의 세 가지 기능이 4
결합되면서 자동 운영 연계가 가능해짐에 따라, 주변 환경을 인식하고 자 율적으로 유지 보수의 필요성을 진단하며 수리 등의 기능이 가능 < IoT 기술을 적용한 제품의 기능 > Autonomy Optimization Control Monitoring Sensor 및 외부 제품에 내장된 SW 모니터링과 제어 모니터링, 제어, 데이터를 통하여 또는 클라우드의 SW 기능으로 최적화 등의 조합으 제품 상태 를 통해 제품의 성능 향상 로 외부 환경 제품 기능의 제어 예방적인 진단 자율적인 제품 제품 운영 이용 이용자 경험의 개인 서비스 수리 등 운영 의 모티터링 가 화 을 위해 제품의 운 다른 제품 및 능 (Personalization)가 영과 사용을 최적 시스템과의 운영 이러한 모니터링으 가능 화하는 알고리즘 을 로 변화에 알림 의 적용이 가능 위한 자체 조정 및 경고 제공 자동화된 제품 개선 및 개인화 자체 진단 및 서비스 등이 가 능 IoT기술에 의한 제품의 스마트화 또는 지능화는 기존 산업영역을 구분하는 경계를 확장하고 있음 IoT 기술은 제품이 다른 관련 제품들과 결합 또는 통합되어 폭넓고 근원적인 수요를 만족시키는 방향으로 나아감에 따라 산업 내의 경쟁하는 경계들이 확장 - 경쟁의 기준이 단일 제품(a discrete product)의 기능 중심에서 폭넓은 제품 시스템(broader product system)의 성능 중심으로 변화 5
< IoT 기술에 의한 산업 경계의 재정의 > 출처 : Porter, Michael E., and James E. Heppelmann. How Smart, Connected Products Are Transforming Competition. Harvard Business Review 92(2014):11-64. 김민식 허성욱 (2015), IoT 기술의 활용을 통한 기업의 경쟁우위 확보 전략 및 시사점(I), 방송통신정책, 제27권 7호 통권 598호, 2015. 4. 16. 2 IoT기술이 기업의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 IoT기술은 공정 혁신을 통해 운영의 효율성 강화와 더불어 제품 혁신을 통한 차별화 측면에서 기업의 경쟁력에 영향을 미침 다양한 문제점들을 실시간으로 해결하는 공정혁신이 강화 - 가치사슬 활동에 IoT 기술이 도입되어 소재, 반제품, 완제품, 생산설비 등에 센서, 네트워킹, 인터페이스 기능이 부착되면, 물류투입에서 운영, 물류산출, 마케팅 및 판매활동, 서비스 활동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수집 분석 활용 하여 다양한 문제점들을 실시간으로 해결하는 공정혁신이 강화 기존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IoT 기술 적용을 통해 새로운 수익 창출이 가 능한 제품 혁신이 강화 - 기본적으로 IoT 기술이 제품에 적용으로 발생되어 수집 축적 분석되는 데 이터는 새로운 또는 개선된 제품을 기획 설계하는데 활용되는 동시에 맞춤 화된 제품 및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회도 제공 6
- 더 나아가 단순히 제품을 팔고 유지 보수하는 기존 비즈니스 모델에서 제 품을 상시 모니터링 제어하고 최적화해 주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로의 변화 도 가능하게 해줌 IoT기술을 적절하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관련 지식을 습득해야 하며, 전문 인력, 새로운 장비도입, 기존 시스템과의 연계 및 운영 등이 요구되는데 이 는 모방하기 어려운 경쟁우위로 작용할 수 있음 IoT기술을 초기에 도입하거나 공급하려는 기업들에게 초기진입자 이익이 작용할 가능성이 존재 IoT 기술은 산출된 빅데이터를 수집 축적 분석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 됨에 따라, 이러한 특성으로 지식의 누적성이 강조되어 초기 진입자의 이 익으로 작용할 가능이 높음 IoT 기술개발은 복잡한 기술적 구성요소로 인한 상호의존관계가 존재함으로, 상호의존관계의 구축 및 운영은, 기술적 우위가 없어진 뒤에도 초기진입자로서 비용구조 및 차별화 측면에서 잠재적인 이점을 보유할 수 있음 - IoT 기술은 특정 기업이 개발하여 제공하는 통제된 환경보다는, 생태계를 구축하여 개방된 협력구조가 이상적인 형태 IoT기술은 공급시장에는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며, 활용시장에는 성과향 상을 가져올 수 있는 사업 전반의 구조적인 개선을 이룰 것으로 전망 IoT 기술은 기존 ICT 영역의 파생시장으로 다양한 구성요소 공급업체들에게 성장할 수 있는 기회 제공 IoT 기술이 적용되는 다양한 산업에 효율성, 혁신성, 생산성 등의 향상이 예상됨에 따라 급격한 파생시장의 성장이 예측 출처 : Marco lansiti and Karim R. Lakhani. Digital Ubiquity: How Connections, Sensors, and Data Are Revolutionizing Business. Harvard Business Review 92(2014). 김민식 허성욱 (2015), IoT 기술의 활용을 통한 기업의 경쟁우위 확보 전략 및 시사점(II), 방송통신정책, 제27권 9호 통권 600호, 2015. 5. 16. 7
3 IoT기술의 활용 전략 IoT기술은 원가 절감 및 차별화, 초기 진입자 이익, 산업 전반의 구조 개선 등 3가지 측면에서 기업의 경쟁우위 창출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됨 따라서 기업은 경쟁자보다 초기에 IoT 기술을 도입하여 공정 및 제품혁 신을 통해 운영의 효율화와 제품 차별화를 강화하여야 하며, 생태계를 구 성하거나 활용하여 산업 전반의 구조 개선에 참여하는 경쟁전략 을 취하 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시할 수 있음 IoT에 따른 변화의 흐름을 기업들이 수용하여 자사의 사업에 적용하여 활용하는 전략이 요구 다양한 수직적인 산업 분야에서 다양한 IoT의 기술적인 구성요소를 조합하여 어디 수준까지 기능을 구현하여 IoT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할 것인가? 를 고려하여, 목표로 하는 고객이 수용할 수 있는 IoT 제품 및 서비스를 제공 해야 함 < IoT의 기술적인 구성요소를 조합하여 구현할 수 있는 기능의 범위> IoT 제품 기능 IoT의 기술구성요소 Smart Device (HW + SW) Connectivity Platform 모니터링(Monitoring) 제어(Control) 최적화(Optimization) 타겟으로 하는 사용자가 수용할 수 있는 IoT 제품 및 서비스를 제공 자율성(Autonomy) - 여기서 주의해야 해야 할 점은 기능의 구현에 있어 모니터링에서, 제어, 최적화, 자율성 수준으로 기능이 향상될 수 록 이에 따르는 비용과 복잡성이 크게 증가함을 고려 - 따라서 목표로 하는 사용자가 IoT 제품과 서비스에 대하여 대가를 지불하고자 하는 의사가 충분히 존재하여야 함 8
다양한 수직적 산업 분야에서 IoT 제품과 서비스를 가지고 어떠한 비즈니스모델을 수립하여 누구와 협력하여 가치를 창출하고 이러한 가치를 어떻게 확보할 것인가? 를 고려해야 함 - 여기서 주의해야 해야 할 점은 기존 기업이 보유하고 있던 역량을 IoT 기 술을 활용하여 재조합하고 연결하여 가치를 창출할 때 누구와 어떻게 협력 할 지를 선택해야 한다는 것 - 특히 이때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는 공급자, 보완자, 사용자 등 생태계를 구성하는 시장참여자들의 협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점을 고려해야 함 출처 : 김민식 허성욱 (2015), IoT 기술의 활용을 통한 기업의 경쟁우위 확보 전략 및 시사점(II), 방송통신정책, 제27권 9호 통권 600호, 2015. 5. 16. 9
3. 대학의 사회적 역할 변화에 대한 논의 기술의 급격한 진보와 경제 위기 시대에 대학의 역할에 많은 변화가 요구되는 상황 특히 생산인구 감소에 따른 산업인력 수급을 위해 교육 내용과 방식에 있어서도 큰 변화가 필요 주요국의 고등교육과 관련한 최근 논의는 현재 연구 지원 방식에 대한 평가, 대안적인 고등교육제공 방식 검토 등 다양하게 전개 전통적인 방식을 벗어나 학생의 졸업 이후를 대비하고, 새로운 인력 수 요에 대응하는 기술과 훈련을 제공하는 역할이 강조되나 학술 연구를 위한 강의와 연구 중심지의 역할을 해야 한다는 반론도 존재 1 호주, 연구의 상업적 성과 제고 를 위한 대학연구 평가 추진 호주 교육훈련부와 산업과학부, 보건부는 연구의 상업적 수익 제고 전략 * 을 수립(2015.5.26) * Boosting the Commercial Returns from Research 호주는 연구 생산성이 높고, 질적 수준도 세계적이나 기업과 연구자의 협력 부문은 낮은 수준 2005~2013년 사이에 세계 상위 1% 인용 비중이 75% 증가했으나, 혁신에 있어 연구기관과 기업의 협력 비중은 OECD 최하위 - 공공연구를 상업적 성과로 전환하는 것을 혁신 역량 강화의 핵심적인 부분으로 설정 - 전략에는 기업과 연구영역의 협력을 증진하고, 경제성장과 미래 경쟁력 확보를 위한 14개 실행 의제를 포함 호주정부는 연구의 상업적 수익 제고 전략 의 일환으로 대학 연구 지원금 및 정책에 대한 평가에 착수(2015.7.7) 연구의 경제적 사회적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효율적인 연구기관 간 네트워크와 질적 연구 및 연구 인프라를 제공하는 세계적 수준의 연구자를 10
유인할 수 있는 강한 연구기반이 필요 이를 위해 교육훈련부 장관은 관련 연구 지원금 프로그램과 호주의 연구 시스템 강화를 위해 필요한 개혁 범위를 정할 성과 지표와 정책 상황을 평가할 위원장을 선임 평가를 통해서 호주 고등교육 시스템 내에서 세계적 연구가 경제적 이익 으로 전환될 수 있는 환경 조성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할 예정 - 호주 대학 연구와 연구 훈련의 질과 탁월성 보장 - 기존 연구 블럭 펀딩을 보다 단순하고 투명한 방식으로 배분 - 기업 및 사용자의 참여와 협력을 개선하고 증진시킨 대학에게 인센티브를 제공 - 재정 지원 인센티브와 효율적인 지식재산 관리를 통해서 기업과 더 넓은 커뮤니티를 대상으로 한 연구 상업화와 지식 이전에 대학이 참여할 수 있도록 독려 - 제안서의 질 및 상업화와 기업 협력 적합 분야를 확인할 수 있는 경쟁적 재원 배분 기준을 확보 성과를 비교하고 개선을 유도할 수 있는 국제적 순위를 포함한 연구- 산업 협력 지표 개발도 고려 - 질, 영향력, 연구-산업 간 연계, 상업화, 국제 협력을 포함해 정부가 추구 하는 세계적 수준의 연구와 연구 훈련 시스템을 반영하는 것이 필요 평가 최종 보고서는 2015년 11월 말경 교육훈련부에 제출될 예정 11
< 연구의 상업적 수익 제고 전략 의 14개 실행 의제> 구분 과학 연구 우선순위 설정 블록 펀딩 환경 조성 공공연구소와 기업 간 협력 연구훈련 평가 R&D 조세 효율성 평가 의료연구 미래펀드 조성 연구위원회와 협력 세계 수준의 연구 인프라 연구인프라 평가 지식재산권 툴킷 개발 온라인 접근권 개선 유사연구 통합 데이터 공개 연구시스템 평가 개선 계획 수립 주요 내용 호주의 산업 강점, 글로벌 트렌드, 커뮤니티 이해와 함께 국가 우수 연구 분야와 일치하는 과학 연구 우선순위 설정 질과 우수성(excellence)에 집중하고, 산업과 소비자 참여를 지원하고, 산업에의 지식 이전을 지속할 수 있는 투명하고 단순한 연구 블럭 펀딩(research block grant) 환경 조성 공공 연구기관과 산업계의 협력 제고를 위한 정부의 더 많은 기회 확인 아이디어를 시장화하기 위해 산업계와 생산적으로 일할 수 있는 훌륭한 연구자를 마련하기 위한 연구 훈련 환경 평가 위원회 구성 조세논의의 일환으로 정부는 R&D 조세 인센티브 운영을 검토하고, 더 넓은 맥락에서 공공연구기관과의 협력을 위한 기존 조세 인센티브의 효율성을 평가 의료연구 미래펀드(Medical Research Fund Future Fund)의 조성을 통해 연구와 산업 파트너간 의료연구의 중개와 상업화 협력을 지원할 중요한 기회 제공해야 함 호주연구위원회 및 국립보건의료연구위원회와 협력해 경쟁적 지원금 규칙이 산업 관련 전문지식이나 연구를 적절히 반영하고 있는지 확인 세계 최고의 연구자를 불러들이고 산업과의 협력을 원활하게 할 국가적 세계수준의 연구 인프라를 지속적으로 지원 연구인프라평가(Research Infrastructure Review)를 수행중으로 2015년 중반 정부에 보고할 예정 근거를 통해 국가적으로 중요성을 가진 우선순위 연구를 지원하고 장기적인 연구 인프라 투자의 로드맵을 수립 연구와 산업 사이 협력을 원활하게 할 모범 계약 및 사례 연구를 담은 지식재산권 툴킷(IP Toolkit)을 개발 기업의 온라인 연구 접근을 위한 전략 실행을 통해 상업적으로 활용가능한 연구와 잠재적 연구 파트너 손쉽게 찾도록 지원 규모와 효율성 증진할 산업에 집중하기 위해 관련 연구 프로그램을 통합할 방안 고려 공공 연구 논문과 데이터에 기업과 커뮤니티가 접근할 수 있도록 통합적 정책(whoe-of-government)을 개발 실질적인 개선을 위해 연구부문과 산업계와 협력에서 연구 시스템 평가 개선 계획을 수립 참여, 기업 지식이전, 연구 결과, 영향력과 관련된 개선된 통계를 포함 출처 : 호주 교육훈련부 (2015.5.26 / 2015.6.30 / 2015.7.7) https://education.gov.au/boosting-commercial-returns-research https://education.gov.au/news/launch-strategy-boosting-commercial-returns-research http://www.education.gov.au/news/review-research-policy-and-funding-arrangements 12
2 영국, 대학의 경제적 역할에 대한 논의 영국대학연합(Universities UK) * 은 대학이 영국 경제의 발전에 있어 수행한 다양한 역할에 대한 분석 보고서를 발간 * Universities UK(UUK) : 영국 대학들의 대표 기구로서 영국 내 모든 대학을 대표하여 의견을 내는 것을 목적으로 1918년에 창설되었으며, 현재 133개의 대학이 참여 대학은 낮은 노동생산성, 낮은 R&D 투자 및 기술력 부족을 포함한 영국 경제의 다양한 약점을 극복하는데 있어 기술을 증진하고 혁신을 보조하 며, 투자 및 재능 있는 인재를 유인함으로써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 1 세계 시장 내 경쟁력 유지를 위한 비즈니스 혁신, 수출 주도 지식 기반 성장의 지원 - 기업의 혁신을 지원하기 위해 장기적 협력 연구 프로그램, 자문 및 맞춤형 훈련 등 다양한 범위의 지식 교환 활동에 참여 - 신상품이나 서비스 개발에 직접 협력하지 않더라도 간접적으로 지역 혁신 커뮤니티 연구장비와 설비 투자, 설비 및 기기 관련 서비스 등을 통해 혁신 조력자로 역할 - 대학연구의 상업화와 벤처 캐피탈 설립을 통해 스스로 혁신 투자자가 되거나 창업 인재를 장려하여 초기 단계 창업 활동을 지원 2 노동력 변화에 따른 지식 및 기술적 요구에 대응 - 노동력의 변화는 고임금의 분석적이고 비반복적인 일자리와 육체노동 기반 저임금 직종의 확대 및 중위 임금 일자리의 축소가 가장 큰 특징 - 노동시장이 요구하는 고급 기술의 발전을 위해 대학은 지식과 기술의 증진, 기업의 요구에 맞춘 유연한 학습 경로 제공, 생애전주기 학습의 참여를 통한 사회적 이동성 보조, 지역 경제 성장 및 일자리 창출 지원 3 미래 수요의 예측과 연구 혁신의 주도 - 장기적 생산성의 향상은 기술적 경계를 확장하는 근본적 발견으로 가능하나 호기심에 기초한 연구는 대학 외부에서 이루어지기는 현실적으로 불가능 - 대학 내 기초 지식의 축적 및 다학제간 아이디어의 상호 교류를 통해 미래 추세 및 기술 발전 동학을 예상하고 정책수립기반을 지원 13
영국대학의 다양한 역할 중 최근 영국정부가 강조하고 있는 경쟁력 과 효율성 추진 방향에 대해 대학교수들이 반대하는 공식 서한을 발표(2015.7.6) 뛰어난 국제적 명성, 사회에 미치는 직 간접적 기여, 핵심 임무인 교육과 훈련이 저평가되고 시장화 압력으로 강의와 연구에서 경쟁력과 효율성을 요구 - 측정의 투명성을 위해 지속적으로 표준화 준수 복종 복제의 압력이 가 해지는 상태 정부규제와 미시적 관리는 학계에 대한 압력이 강화되고 대학을 마치 비용을 처리하거나 이익을 산출해야 하는 소규모 기업처럼 기능하도록 인식 - 학계의 비전문화와 미시적 관리는 효율적이고 적절한 연구와 강의 역량을 점차 침식하여 비생산적이고 비혁신적인 인력을 만들 것 새롭게 선출된 의회 교육위원회에 이러한 심각한 문제에 대한 신속한 조사에 나설 것을 촉구 출처 : 유럽대학연합 (2015.5.7) / 더 가디언(2015.7.6) http://www.eua.be/news/15-05-07/trends_2015_the_changing_context_of_europea n_higher_education.aspx http://www.theguardian.com/education/2015/jul/06/let-uk-universities-do-what-th ey-do-best-teaching-and-research 3 미국, 고등교육의 혁신과 질적 제고 추진 고등교육을 둘러싼 상황 변화에 따라 전통적인 대학 교육 이외에 다양한 방식의 교육 프로그램 확산과 질을 제고하기 위한 품질 보증 제도를 추진 대학 진학이 확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2015년 많은 학생들이 커뮤니티 칼리지 * 를 선택하거나 일 가정을 병행하며 파트타임으로 학업을 수행 * community college : 지역 전문대학(주로 인근 지역 출신 학생들에게 실용 적 기술 위주의 교육을 하는 2년제 대학) 14
- 고등교육 기관도 이런 변화에 맞춰 진보된 기술에 따라 시공간의 제약을 덜 받는 좀 더 유연한 방식의 수업을 제공 고등교육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면서 전통적인 기관 역량을 추월 - 고등학교 졸업장이 자동적으로 중간급의 일자리를 보장하던 시대가 지나고 고등교육학위와 자격이 필수가 되면서 교육부도 고품질의 다양한 프로그램 접근권 확대 및 전국민 이용가능성 증진 정책에 집중 전통적 고등교육 밖에서 제공되는 대부분의 프로그램은 훌륭한 수준으로, 학습자에게 새로운 기술이나 지식, 기회를 제공하지만 일부 낮은 질의 프로그램도 존재 - 문제는 이런 질적 수준을 구분해낼 평가 도구가 부족하다는 것이며 일반적인 고등교육 평가 메커니즘은 이런 종류의 프로그램에 부적절 교육부는 급증하는 교육대안분야를 위해 품질 보증 체계를 어떻게 만들 것인가에 대한 논의에 초점을 맞춘 상태 - 측정가능한 학생 성과와 역량을 통해 품질 보증을 추진하려 하며, 특정 학습 결과를 지원하기 보다는 결과를 품질 보증의 핵심으로 상정 - 향후 몇 달간 현장과 연계해 고품질의 비전통적 프로그램 인식 방식에 대한 이해의 확장을 추진 - 품질 보증과 관련된 검토는 투입보다는 산출과 증거에 초점을 맞출 예정 출처 : 교육부 (2015.7.15) https://www.ed.gov/blog/2015/07/innovation-and-quality-in-higher-education/ 15
4 대학의 역할과 관련한 그 밖의 논의 유럽대학연맹 * 은 Trends 2015 ** 조사에서 인구변화와 재정 위기가 고등교육 체계에 크게 영향을 미친 상황 변화에 주목 * European University Association ** 유럽고등교육의 학습과 교육 트렌드를 분석하기 위해 실시하는 조사로 15년 은 제 7차 조사이며, 46개 국가의 451개 교육기관이 참여 부정적 경제 전망과 청년 실업률의 증가에 따라 EU 내 많은 국가와 유 럽집행위원회(EC), OECD는 고등교육의 변화를 촉구 - 고등교육이 경제적 사회적 수요에 대응하고, 산학 협력을 통한 기업가정 신과 혁신에 초점을 두어 졸업생의 고용가능성을 제고해야 함을 강조 이에 대응해 유럽대학은 다양한 계층의 참여를 확대하고, 학생에게 지역 커뮤니티 참여를 통해 전수가능한 기술을 개발할 기회를 제공하고, 대학의 핵심적인 활동에 외부 이해관계자를 참여시키기 위한 다양한 이니셔티브를 추진 - 이런 변화는 ICT의 광범위한 발전, 국제화의 전략적 중요성의 확대 등과 맞물려 강화 미래 사회에서 대학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려면 다양한 학생을 대상 으로 한 평생 학습 접근권, 학생 중심의 학습 제공, 노동시장과 사회를 대비한 졸업생 준비를 핵심 목표로 상정하는 것이 필요 IBM은 지난 세기 기업의 인력, 기술, 수요가 엄청나게 변화했음에도 불구 하고 고등교육의 정체는 심각한 문제라고 지적 IBM 기업 가치 연구소가 학계와 재계 경영진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현재 고등교육 시스템이 학생에 대해서는 51%, 산업계에 대해서는 60% 가량이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고 응답 고등교육 시스템의 가치 제고에 가장 중요한 것은 학생이 졸업 이후 삶을 준비할 수 있도록 더 실질적이고 응용적 접근을 채택하는 것 - 더 가치있는 교육 생태계를 만들기 위해 학계와 민간 부문 간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확장하는 것이 필요 - 대학은 분석 신기술, 클라우드 컴퓨팅, 이동성, 소셜 미디어 등을 활용하여 16
교육 콘텐츠의 접근성을 확대하고, 다양한 경험을 위해 물리적 디지털 세 계의 연계 및 의사결정 구조를 개선하는 것이 시급 출처 : 유럽대학연맹 (2015.5.7) / 하버드비즈니스리뷰 (2015.7.17) http://www.eua.be/news/15-05-07/trends_2015_the_changing_context_of_europea n_higher_education.aspx https://hbr.org/2015/07/why-higher-ed-and-business-need-to-work-together 5 정리 및 시사점 국제적 경제 위기와 청년 실업률의 증가에 따라 고등교육분야는 대대적인 변화에 직면 경제적 사회적 요구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졸업생의 취업가능성을 높 이며, 평생 교육의 장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학습을 보다 폭넓게 확대하는 것이 필요 기업이나 지역사회와의 파트너십처럼 개방과 협력이 변화의 중요한 방향을 설정 대학연구의 상업화 및 대안적인 방식의 프로그램을 활성화를 위해 대학연구 지원금 및 정책의 방향에 대한 검토나 다양한 고등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품질인증방안을 추진 호주는 공공연구의 상업적 수익제고전략의 일환으로 세계적 수준의 대학 시스템과 연구자 육성을 위한 현황 분석에 착수 미국은 전통적인 방식으로 평가가 어려운 대안적 고등교육 프로그램의 품질인증체계 마련을 추진 대학의 경제적 역할은 직접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본연의 학술연구와 교육 훈 련이 가져오는 간접적인 역할도 중요 기업혁신을 지원할 협력연구 및 자문, 초기단계의 창업활동지원뿐만 아 니라 노동력 변화에 따른 평생학습단계별 새로운 지식 및 기술훈련과 지역경제활동의 지원, 미래수요를 창출할 근본적 연구도 중요 17
최근 교육부는 산업수요 맞춤형 고등교육 인재양성 방안 시안을 발표해 산업수요에 맞춘 정원 조정과 이공계 인력 확대를 주요 개편 방향으로 설정(2015.6.26) 대학의 역할 변화는 수요 노동력의 변화와 국제적 경제 위기 속에서 외면할 수 없는 상황으로 신속한 대응과 체계적인 추진이 필요 특히 새로운 기술에 기반한 접근권 확대, 교육 콘텐츠의 개방 및 개발, 미래 신산업 창출을 위한 기반 연구의 추진은 R&D 정책과도 연계되므 로 면밀한 검토가 필요 18
4. 개인 모바일 방송 기술 및 동향 新 사업모델과 함께 개인 모바일 방송 확산 스마트폰, LTE, Wi-Fi 등의 보급과 밀레니엄 세대가 주요 소비층으로 부각되면서 이들이 선호하는 주제의 모바일 동영상 시청이 증가 2000년대 중반 UGC(User Generate Content)와 같은 개인 콘텐츠 제작이 증가했으나 플랫폼사의 사업모델 부재로 서비스가 종료된 바 있음 최근 정제된 사업모델과 모바일에 최적화 된 동영상 제작 편집 유통 플 랫폼의 보급은 개인 모바일 방송을 확산시키는 추세 1 콘텐츠 짧은 메시지와 이미지를 선호하는 밀레니엄 세대 1980년에서 2000년 사이에 태어난 밀레니엄 세대(Millennials)가 주요 소비층으로 부각되면서 인터넷과 모바일 서비스도 이들의 이용행태를 고려 - 2015년 국내 밀레니엄 세대는 1,320.6만 명으로 총 인구의 27.5%를 차지하 며 1), 미국의 경우 전체 근로자의 35% 수준 밀레니엄 세대는 항상 온라인 상태를 유지하면서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유지 - 페이스북 보다는 짧은 메시지나 이미지의 스냅챗, 트위터, 인스터그램, 핀터레스트 등을 선호 - 美 밀레니엄 세대의 87%가 주1회 이상 사진 비디오를 촬영하고 있으며, 이는 주로 소셜 미디어에 올리기 위한 것 스마트폰을 이용한 촬영이 생활화되면서, 세로 화면의 사진 및 비디오가 급증 - 트위터가 2015년 3월에 인수한 스타트업 페리스코프는 앱 실행 시 세로 화면이 기본으로 설정되었으며, 올 7월 안드로이드 유튜브 앱은 세로 전체화면 재생기능을 추가 1) 출처 : 통계청 2010년 총인구조사를 기반으로 추정 19
밀레니엄 세대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주제 10대에서 30대 초반의 주로 젋은층이 관심을 갖는 게임, 음악, 코미디, 스포츠 등을 주제로 다룸으로서 기존 메스미디어의 틈새를 공략 - 최근 MCN이 개인 방송 제작자와 계약하고 채널을 관리하면서 초기 다양했던 장르가 서로 유사해지는 경향이 나타남 유명 개인방송 제작자로 해외는 메이크업분야의 미셀 판(Michelle Phan), 게임분야의 퓨디파이(PewDiePie) 등이 있으며, 국내는 게임분야의 대도서관, 양띵과 어학분야의 디바제시카 등이 존재 유튜브 등의 콘텐츠 유통 플랫폼도 경쟁력 확보와 광고수익확대를 위해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 확대 등의 콘텐츠 강 화 전략을 추진 모바일 환경에서 동영상 콘텐츠 소비 행태 < 美 스크린별 시청시간 현황 (2010-2015)> 자료: INTERNET TRENDS 2015, KPCB (2015.05) 최근 5년(2010-2015) 간 미국 내 스크린별 시청 시간 추이를 보면, 총 시청시간이 2010년 7.6시간에서 2015년 9.9시간으로 증가 - TV 및 PC 시청 시간은 정체되어 있으나 모바일 기기(세로 화면)를 이용한 시청은 2010년 0.4시간에서 2015년 2.8시간으로 29%를 차지 모바일 기기에서 동영상 콘텐츠 소비는 87%가 10분 이내 재생이기 때문에 숏-클립 형식의 콘텐츠 제공이 요구되는 상황 2) 20
2015년 5월 스냅챗 발표에 따르면 스마트폰 동영상 광고 완전 시청률은 가로화면보다 세로화면이 9배가 높음 3) 2 플랫폼 클라우드 기반 동영상 편집 소프트웨어의 플랫폼화 개인의 동영상 콘텐츠 제작이 증가하면서 이를 편집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출시가 늘어났으며, 특히 클라우드 기반 편집 소프트웨어 출시도 증가 - (설치형) MS윈도우즈 라이브 무비 메이커, 다음팟인코더, 아프리카TV 등 - (클라우드 기반) 유튜브 동영상 편집기, wevideo, Flipgram 등 클라우드 기반 동영상 편집기는 트랜스코딩, 메타데이터 생성 및 관리, 보안, 비디오 배포, 광고 삽입 등의 기능을 포함하여 플랫폼화 되는 추세 - 해외는 페리스코프, 스냅챗, 미어캣 등의 서비스들이 트위터 등의 소셜 네트워크와 연동하여 모바일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 - 국내는 아프리카TV, 판도라TV 등이 개인 모바일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스마트폰을 이용해 촬영한 동영상을 서버로 전송하면, 스트리밍 서버가 클라이언트로 전송 <국내외 주요 개인 모바일 라이브 방송 서비스 플랫폼> 서비스명 방송제작 다시보기 실행환경 화면 미디어켓 누구나 x 안드로이드, ios 웹 시청 가능 세로 페리스코프 누구나 (24시간 이내) 안드로이드, ios 웹 시청 가능 세로 페이스북 라이브 유명인사 (페이스북 승인) 안드로이드, ios 웹 시청 가능 가로 세로 아프리카TV 누구나 안드로이드, ios 가로 세로 네이버V 유명인사 (네이버 계약) 안드로이드, ios 웹 시청 가능 가로 세로 2) 출처 : 송진, 이영주, 황성연 외, 방송영상 클립형 콘텐츠 서비스 전략, 한국콘텐츠진흥원, 2014.12.31. 3) 출처 : http://www.bloomberg.com/news/features/2015-05-26/evan-spiegel-reveals-plan-to-turn-snapchat-into-a-real-business 21
HLS(Http Live Streaming) 방식 선호 이용자가 생성한 비디오 콘텐츠는 서버로 전달되면 향후 콘텐츠 배포 관 리를 위해 특정 코덱으로 인코딩 되며, 스트리밍 서버를 통해 사용자 단말에 적합한 해상도로 서비스를 제공 <개인 모바일 방송 시스템 구조> 단말의 해상도,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최선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전에 저/중/고화질로 동영상을 인코딩하고 서비스하는 HLS방식의 활 용이 증가하는 추세 - HLS는 기존 RTMP 스트리밍 서버보다 하나의 물리적 서버로 다수의 이용자에게 서비스가 가능한 장점을 보유 - ios에서는 잘 동작하나 안드로이드에서는 OS버전, 단말 등의 환경에 따라 표준 HTML <video> 태그로 재생이 되지 않는 경우가 빈번하여 서비스 제공자가 플레이어 앱을 제공 22
3 네트워크 <모바일 서비스별 트래픽 전망(2014-2019)> 자료: Cisco Visual Networking Index: Forecast and Methodology, 2014 2019 전 세계적으로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은 2014년에서 2019년 사이 연평균 57%씩 증가할 것으로 예상 전체 인터넷 트래픽에서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4년 4%에서 2019년 14%로 증가할 전망 총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에서 비디오가 차지하는 비중은 2014년 55%에 서 2019년 72%로 증가할 전망 실시간 모바일 방송을 위한 기술 LTE 환경에서 고품질의 실시간 모바일 방송 서비스를 위한 embms (evolved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기술이 구현 -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서비스를 하면 사용자 단말 수만큼 동일한 데이터가 전송되나, embms를 적용하면 하나의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이용해 서비스가 가능하기 때문에 서버 및 전송 구간의 트래픽이 감소 embms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단말 내 embms 미들웨어 내장이 필수 - 국내에서는 KT가 LTE 망내 embms 기능을 구현했으며, 삼성전자 갤럭시 노트3, S5, S6 등 일부 단말에서만 이용이 가능 23
<LTE 실시간 모바일 방송 기능 embms 적용 전/후 차이> 자료: embms - the future of Multimedia Broadcasting, Ericsson, 2014, 재편집 24
4 디바이스 4K UHD 개인 촬영기기의 보급 2014년 경부터 4K UHD 촬영이 가능한 스마트폰, 디지털 캠코더, 액션캠 등 보급 확산됨에 따라 고품질의 개인 방송이 가능한 토대가 마련 <4K UHD 촬영이 가능한 스마트폰> 제품명 디스플레이 ROM/RAM 카메라 배터리 삼성 갤럭시 S6 삼성 갤럭시 노트4 LG G3 Cat.6 소니 엑스페리아 Z5 프리미엄 5.1.", 2560x1440, 577ppi 5.6", 2560x1440, 515ppi 5.5" 2560x1440, 534ppi 5.5" 3840x2160, 806ppi 32GB/3GB 16MP / 5MP 2,550mAh 32GB/3GB 16MP / 3.7MP 3,220mAh 32GB/3GB 13MP / 2.1MP 3,000mAh 32GB/3GB 23MP / 5MP 3,430mAh 서핑이나 산악자전거 등의 레포츠를 즐기는 매니아들을 중심으로 액션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촬영이 증가하면서 관련 시장이 성장하고 있음 - 고프로는 2014년 전세계 캠코더 시장 점유율 42%의 차지했으며, 액션 카메라도 920만대 출하를 했으며, Hero4는 4K UHD 촬영을 지원 - 2015년 8월, 美 스타트업 그라바(Graava)는 센서와 지능형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자동 편집기능이 내장된 액션캠 그라바(Graava) 를 출시 <액션 캠 고프로(좌), 그라바(우)> 25
5 사업화 모델 : UGC에서 MCN 검증된 광고 모델 트루뷰(TrueView) 2005년경부터 시작된 UGC는 개인의 콘텐츠 제작 유통을 촉발했으나 수익모델의 한계로 축소 종료 - 롱테일(The Long Tail) 특성을 갖는 UGC 콘텐츠는 광고효과를 보장하기 위한 수단이 미흡하여 광고주들이 외면 구글은 유튜브를 인수한 후 다양한 광고 실험이 진행되었으며, 2010년 말 트루뷰(TrueView) 광고 모델을 시작 - 트루뷰는 동영상 재생 시 5초 후 광고 시청여부의 선택을 사용자에게 주며, 과금은 30초 이내의 광고는 전부 시청한 경우만, 30초 이상의 광고는 30초 이상 재생된 경우만 청구 개인방송의 확산과 MCN(Multi Channel Network)의 부상 개인방송은 기존 메스미디어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된 10~20대의 수요 를 중심으로 게임, 음악, 스포츠 등의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 메스미디어에서 다루지 않았던 소소한 소재를 방송함으로써 이용자의 세분화된 니즈를 충족시키며 타겟 광고 시장을 형성 - 메스미디어는 광고 매출과 연계된 시청률을 고려하기 때문에 대중의 화제에서 벗어난 주제를 다루기는 어려운 것이 사실 <해외 주요 MCN 현황> MCN 설립 주요 콘텐츠 비고 Machinima 2007 Maker Studios 2009 게임, 그래픽, 스토리, 소프트웨어 게임, 스포츠, 음악 패션, 뷰티, 만화 워너 브라더스 투자 디즈니가 약 1조원에 인수 Fullscreen 2011 코미디, 게임, 음악 AT&T 및 자회사 체르닉 그룹 투자 StyleHaul 2011 패션, 라이프스타일 RTL 그룹 600만 달러 투자 AwesomenessTV 2012 코미디, 음악, 리얼리티 드림웍스가 3,300만 달러에 인수 자료: http://techcrunch.com/2015/09/08/verizons-mobile-video-service-go90-prepares-to-launch/#.mrrdik:lvtr 26
MCN은 유튜브 생태계에서 발생했으나, 현재는 개인방송 진행자와 협력하여 광고, PPL, OTT를 통한 오리지널 콘텐츠 유통을 통해 수익을 극대화 하는 사업자를 지칭 - 유튜브에 따르면 MCN은 다수의 개인방송 채널과 제휴한 조직으로서 제품, 프로그래밍, 자금지원 교차 프로모션, 파트너 관리, 디지털 저작권 관리, 수익 창출/판매, 잠재고객 확보 등을 지원 4) 6 시사점 개인 모바일 방송은 다양한 장르의 콘텐츠를 통해 시청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며 기존 메스미디어의 보완제로서 역할을 할 것 제작자가 좋아하는 주제를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방송하기 때문에 시청률을 고려하는 기존 방송보다 다양한 주제를 다룰 수 있어 표현의 자유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 개인 모바일 방송의 주제와 포맷을 케이블TV, 지상파 등에서 참고함으로써 젊은 세대의 문화콘텐츠를 전 세대가 함께 향유할 수 있음 해외 개인 모바일 방송과 MCN은 동영상 유통 플랫폼의 수익모델에 대한 면밀한 분석과 전략에 의해 형성되었으나 국내 상당수 MCN은 전략부재로 어려움이 예상 2009년을 전후로 국내 대부분의 UGC 서비스 사업자들은 한정된 수익 모델로 인해 관련 서비스를 종료 광고 외에 타 미디어와 제휴, 해외진출 등을 통해 다양한 수익모델을 발굴을 추진하고, 투자유치 및 M&A를 통한 기존 사업과 연계 전략을 마련이 시급 4) 출처 : https://www.youtube.com/yt/creators/ko/mcns.html 27
5. 드론산업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 정비 및 기술개발 동향 드론의 활용범위가 증가하면서 각국은 관련 법제도 정비 추진 드론 관련 법 제도는 비행체의 중량, 사용목적(사업용/비사업용)을 기 준으로 관리해왔으나 민간 활용이 증가하면서 재정비를 추진하고 있음 EU는 드론 산업 발전을 위해 유럽항공안전청(EASA)에서 공통 규칙 제 정 작업을 추진하여 지난 7월말 초안을 공개하였음 - 드론을 위험도에 따라 저위험군(open category), 중위험군(specific category), 고위험군(certified category) 등 3개 범주로 나누어 규제함 - 저위험군은 25Kg 미만 드론을 조정자의 직접 시야범위(500M) 내에서 최대 고도 150M 이하로 운행해야하며, 지오-펜싱 기능 탑재 요구 지오-팬싱(geo-fencing)은 제작사가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드론이 비행금지/제한 구역에서 작동할 수 없도록 함 미국 연방항공청(FAA)은 2015년 12월부터 1Kg 이상의 드론에 대해 교통부 등록을 의무화 하는 제도를 시행할 예정임 - 정부, 산업체, 민간 전문가들이 태스크포스를 구성하여 구체적 지침을 마련하고 있음 자율비행을 위한 센서 소프트웨어 기술개발 가속 실제 비행 환경 실시간 제작된 3D 지도 드론은 비행 위치 기록 및 경로 설정을 위한 GPS, 본체 균형 유지를 위한 자이로센서, 충돌방지를 위한 레이더 센서가 필요함 실내/외 어디서나 지도 없이 목적지까지 자율 비행을 가능하게 하는 28
소프트웨어 기술 개발 추진 - 스위스의 취리히 연방 공대(ETH Zurich)는 카메라로 획득한 영상을 실 시간으로 분석하여 3차원 지도를 만드는 연구 진행 드론용 충돌방지 시스템은 센서 및 분석 장치 탑재로 인한 중량 증가, 배터리 소비 증가, 컴퓨팅 능력 제한, 고속 비행 지원이 함께 고려되어야 함 - 초음파, 적외선, 카메라, 밀리미터 레이더 등이 드론 자율 비행을 위해 사용 드론 시장은 활용분야가 확대되면서 급속히 성장하고 있음 골드먼 삭스에 따르면 드론 시장은 2015년 14억달러에서 2017년 50억 달러로 매년 100%씩 성장할 전망 5) 드론 시장은 DJI(중국), Parrot(프랑스), AeroVironment(미국), 3D로 보틱스(미국) 등이 주도 < 美 상업용 드론의 사용 목적 Top 7 > 600 512 400 200 350 301 242 164 134 78 0 공중촬영 부동산 공중조사 공중감시 농업 공사 인프라감시 시사점 우리나라는 우수한 무인항공기 관련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어 상업용 드론의 사업화 지원을 통한 경쟁력 확보가 필요한 시점 드론 산업 활성화를 위해 세계 각국은 법제도를 정비하고 있으며, 국내도 드론 기반의 융합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법 제도 정비가 시급 출처 : 메사추세츠 공과대학 / 기술 리뷰 (2015.10.28.) 등 http://auvsilink.org/advocacy/section333.html http://easa.europa.eu/system/files/dfu/205933-01-easa_summary%20of%20the%20anpa.pdf 5) 출처 : http://www.marketwatch.com/story/these-charts-show-why-gopro-has-a-shot-at-dominating-the-drone-market-2015-07-14 29
6. 자율 주행차-자동차 ICT 업계 경쟁 본격화 자동차 ICT업계는 미래 먹거리로 자율주행차 주목 (자동차 업계) 자율주행차 등장이 산업을 한 단계 성장시킬 수 있는 계 기라고 생각하는 반면 속도조절은 필요하다는 입장 - 현재 주행 환경에서 당장 상용 가능한 제한적 자율주행 기능을 우선적으로 출시해 완성도를 높이고 이후 완전한 수준의 자율주행으로 그 범위를 점차 넓혀 나가는 전략 (ICT 업계) 자율주행차 상용화 시대가 다가올수록 새로운 수익모델을 발굴하고 나아가 자동차 시장까지 입지를 넓힐 수 있는 수단으로 판단 - ICT 기술이 자동차 시장의 핵심으로 부상하면서 향후 반도체 SW 콘 텐츠 서비스가 큰 역할을 담당하게 될 것으로 예측 상용화 시 자동차 제조사가 주도권을 잡고 있던 엔진분야까지도 ICT 기술이 대체하게 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양측 간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전망 커넥티드카와 자율주행자동차를 포괄하는 스마트카 시장은 15년 2,100억 달러에서 18년 2,700억 달러로 연간 9%의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SA) 글로벌 업계의 자율자동차 개발은 시험 운행에 성공하는 등 진일보 구글 애플을 필두로 한 ICT 업계는 인재를 영입하거나 자동차용 OS를 통해 자동차 전반을 아우를 수 있는 시스템 마련에 주력 - (애플) 테슬라 등 관련 업체 인력을 흡수한데 이어 엔비디아에서 인공 지능 개발의 핵심인 딥러닝 * 담당자 조너선 코헨을 영입(10.24) * 딥러닝(deep learning) : 기계학습의 한 종류로 컴퓨터가 반복학습을 통해 사람처 럼 생각하고 배울 수 있도록 하는 인공지능(AI) 기술 - (구글) 자체 개발한 자율주행차와 함께 기존 차량도 스스로 주행이 가능 하도록 해주는 기술을 공개(9.30)했으며 이르면 17년 판매 예정 * 존 크라프칙 전 현대모터스아메리카(HMA) 최고경영자(CEO)를 자율주행차사업부 CEO로 영입( 15.8)하면서 사업화에 대한 본격적인 의지를 표출 자동차 업계는 현실적으로 운전자를 보조할 수 있는 부분적인 자율주 행 기술 개발에 초점을 두고 시험운행을 다양하게 실시 - (현대) 15년 말 출시 예정인 신형 에쿠스에 고속도로 주행지원(HDA; Highway Driving Assist) 시스템을 탑재할 예정 * 인천 송도에서 제네시스로 혼잡구간 주행지원 시스템을 시연( 15.3) 30
- (쌍용) 자동차부품연구원에서 개최한 이-모빌리티 테크 쇼 ( 15.10.28)에서 자율주행차(코란도C)를 공개했으며 곡선도로 선회 주행과 장애물 회피 등을 수행 - (푸조) 10월, 프랑스 파리에서 보르도까지 약 580km 고속도로에서 제한 속도 등 도로 인프라를 고려해 주행 속도를 조절하고 추월을 위한 차 선 변경까지 성공 - (도요타) 20년 고속도로용 자율주행차 출시를 발표(10.6)했으며 렉서스 하이브리드차인 GS450h 로 내부순환도로에서 실험을 진행(10.30) * 현재 개발 시험 중인 기술은 3단계 초기 기술 정도로 평가되며 이는 기본적으로 자동차가 자동으로 운전하고, 운전자는 돌발 상황에 개입하는 단계 < 글로벌기업의 자율주행 자동차 > (가) 애플 (나) 구글 (다) 도요타 (라) 푸조 자료 : 각 사 홈페이지 시사점 자동차산업의 구조 고도화, ICT와 산업융합을 바탕으로 자율주행 자 동차는 차세대 성장 동력으로 부상하고 있으며 더불어 자동차 사고를 예 방할 수 있는 대안으로도 주목 이에 국내 업체는 제품 개발뿐 아니라 교통망 통신망 보안체계 등 다방면으로 연구 분야를 확대해 글로벌 시장 선점을 위한 발판을 마련할 필요 - 자동차 업계와 ICT기업은 서비스 플랫폼 등 관련 SW를 공동개발하며 시장공략을 위한 체계적 전략을 수립하고 지속적인 R&D 투자를 지속 - 또한 해외 의존도가 심화되면 기술이 종속되고, 가격 경쟁력이 약화되어 국내 생산기반을 상실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핵심부품 국산화도 병행 한편, 상용화를 위해 면허 보험, 책임의 범위와 책임자 규명 등 제도뿐 만 아니라 테러나 고의사고 등 악의적 사용에 대응한 합당한 규제 및 제도 마련 필요 출처 : IITP 산업분석팀 (2015.11.) 31
7. 구글 딥러닝 경쟁력을 중심으로 인공지능기술 분야 주도 구글은 딥러닝 * 역량 강화를 통해 인공지능 경쟁력을 확보 딥 러닝 (Deep Learning) 컴퓨터가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빠른 속도로 처리하면서 사람처럼 스스로 학습 하는 인공지능 기술의 한 분야 전통적인 알고리즘과는 달리 투입데이터의 양이 늘어날수록 방대한 정보 처리 속도와 연산능력이 강화되어, 이를 기반으로 향후 음성인식과 시각 검색에서 비약적 발전을 보일 것으로 예상 맥킨지는 오는 2025년 머신러닝을 포함하여 인공지능을 통한 지식노동 자동화 의 파급효과가 연간 5조 2000억~6조 700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 최근 구글을 비롯한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페이스북, 바이두 등 글로벌 ICT 기업의 인공지능 분야 선점경쟁이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구글은 딥러닝 분야를 선도 - 2011년 딥러닝 분야 권위자인 앤드류 응 스탠퍼드대 교수와의 딥러닝 프로젝트를 통해 1만 6,000개의 컴퓨터 프로세서, 10억 개 이상의 뉴럴 네트워크로 DNN((Deep neural network)을 구현 사례 : 1 유튜브 내 천만 개 이상의 동영상에서 고양이를 인식하는 실험을 수행하여 어떤 이미지가 고양이인지 가르쳐주지 않아도 스스로 고양이를 인 식하고 분류해내는 데 성공, 2 1만3,000개의 얼굴 사진이 포함된 데이터 세트에서 거의 100%에 가까운 인식률을 기록, 3 2억 6000만 장의 이미지 로 훈련한 결과는 86% 이상의 정확도를 보임, 4 사진 속 객체를 인식해 자동 으로 캡션을 해주는 기능을 개발하여 구글 포토에 응용( 14.9) 구글은 대표적으로 검색엔진, 구글나우, 구글포토, 구글번역기, 지메일 등 다양한 자사 제품에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기술을 접목하여 딥러닝 서비스를 제공 (구글 앱) 음성 검색에서 음성인식 후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검색어 생성 (구글 포토) 스마트폰에 저장된 사진을 바탕으로 인물, 장소, 사물 등의 기준을 자동으로 분류하여 저장 (구글 나우) 음성 인식률을 높여 인공지능을 통해 개인 비서 서비스를 제공 32
(구글 번역서비스) 머신러닝을 통해 번역 인식 오류가 2년 전 23%에서 최근 8%로 감소 (지메일) 인공지능이 사람을 대신하여 답장을 해주는 스마트 답장(Smart Reply) 서비스가 제공될 예정 그 외에도 클라우드, 자율주행자동차 등의 서비스에도 딥러닝 기술 적용 구글이 딥러닝 분야 선도 전략은 크게 R&D, M&A 및 생태계 개방으로 설명 가능 (R&D) R&D 예산 확충을 통해 관련 분야 전문 인력 확충 및 R&D 조직 운영 등의 전략을 통해 혁신적 기술 개발 노력을 제고 - 2011년부터 딥러닝 분야 전문가 앤드류 응 교수와의 연구를 수행하였고, 2013년 3월에는 토론토대학의 제프리 힌튼 교수를 영입하였으며, 힌튼 교수의 회사 DNN리서치 인수 및 토론토대학의 다른 연구진 확보 등 인공지능 분야 유수의 전문가를 확충 - 2010년부터 `구글X`라는 비밀 R&D조직을 만들어 제약 조건을 두지 않는 충분한 연구자금 지원을 통해 구글글라스, 무인자동차, 번역 기술 등 단기적인 수익이 아닌 장기적인 관점에서 혁신적인 기술을 개발 (M&A) 다수의 유망 인공지능 기업의 인수합병을 추진 - 2012년 세계에서 손꼽히는 로봇 관련 기업 7개를 인수 - 2013년부터는 인공지능 개발을 위한 인공지능 맨해튼 프로젝트 를 진행하여 현재 100여개 이상의 머신러닝 프로젝트를 진행 중 스마트 온도조절기 업체 네스트랩을 32억 달러에 매입( 14), 신생 인공지능 관련 기술을 보유한 딥마인드(Deepmind)를 4억 달러에 인수( 14), 사진 인식을 통한 번역 기술을 갖고 있던 월드렌즈를 인수( 14), 사진 및 동영상 편집 모바일 앱 관련 기업 플라이랩 인수( 15)등 딥 러닝 관련 기업 인수에 주력 (개방형 생태계) 머신러닝 핵심소프트웨어인 텐서플로 * 를 오픈소스로 개 방한다고 공포( 15.11.9) * TensorFlow : 구글의 내부머신러닝 시스템 디스트빌리프 의 후속 소프트 웨어로써, DDN을 활용한 머신러닝 기술 적용에 필수적이며 약 50개의 구글 제품에 장착된 구글의 핵심 기술 - 이는 전 세계 머신러닝 개발자들에게 시스템 개선 및 새로운 적용 방식에 33
대한 아이디어를 제시하도록 유도하여 텐서플로우가 널리 보급되도록 함으로써 머신러닝 분야의 대표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의도로 해석됨 시사점 구글은 인공지능 분야를 주도하는 한편, 관련 분야 스타트업과의 협력 및 오픈소스를 통해 생태계를 형성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기 위한 기타 글로벌 업체들의 노력이 지속되고 있음 구글은 여태까지 비밀리에 인력 확충 및 연구개발 진행을 통해 진행해 왔던 폐쇄형 1단계 인공지능 전략에 이어 최근 오픈소스 공개 등을 통해 스타트업과의 상생 도모를 통한 인공지능 개방형 생태계 구축에 나선 것으로 보임 - 머신러닝은 구글이 개발중인 무인자동차와 지능형 로봇과 연결되어 활용 될 수 있으며 그 외 광범위한 응용이 가능 한편, 구글의 이러한 독점 움직임에 대응하여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페 이스북 등 글로벌 기업들도 머신러닝 전문가 확충, AI 인프라 보강 및 관련 분야 스타트업 인수 추진 등의 행보를 보이고 있음 - 인공지능 분야의 경쟁이 가속화될 것으로 보이며 향후 인공지능 분야 기술경쟁력 및 표준 확보를 위한 전략 등 인공지능 생태계 를 주도하기 위한 노력도 중요할 것 출처 : 지디넷 코리아 (2015.11.11) 등 https://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51111142656 http://www.ajunews.com/view/20151110140433684 http://news.mt.co.kr/mtview.php?no=2015111013143730236 http://pub.chosun.com/client/news/viw.asp?cate=c01&mcate=m1002&nne wsnumb=20140614994&nidx=14995 http://www.techm.kr/home/bbs/board.php?bo_table=indepth&wr_id=149&m g_id=33 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15022514063559191&o utlink=1 http://www.etnews.com/201307120215 34
8. 국내 인공지능 현황 국내 인공지능 연구 및 서비스는 네이버와 카카오(다음카카오)를 중심으로 출시되었으나 해외에 비하면 규모나 수준이 미약한 편 (네이버) 12년부터 네이버랩스 * 를 별도 운영 * 음성인식 검색서비스와 N드라이브 사진 분류서비스, 지식iN 서비스에 딥러닝 기술을 적용 (카카오) 즉답검색서비스와 여행지 추천서비스에 머신러닝 기술을 적용하는 등 인공지능에 대한 투자 강화 (엔씨소프트) AI랩 을 운영하여 인공지능 기반의 게임개발에 집중 (삼성) 직접적인 개발보다는 해외 유망기업에 투자를 통해 인공지능 분야를 준비 올초 세계최초 가정용 로봇 개발 벤처회사인 지보(JIBO) 에 200억원 가량 투자하였으며 인공지능 기술관련 벤처기업인 비캐리어스 에도 투자를 결정 <기업 및 대학/연구소 현황> 35
정부과제 및 투자를 바탕으로 일부 스타트업기업들이 작지만 활발하게 연구를 수행하고 있고 대학 및 연구소는 ETRI와 KAIST를 중심으로 진 행 KAIST 출신의 루닛(구 클디), 엑소브레인 참여기관인 솔트룩스, 의료관 련 기업인 디오텍 등이 정부 R&D 과제 및 투자 유치를 통한 본격적 연구 및 제품 개발 집중 국내 인공지능은 언어인지, 시각인지 분야가 압도적으로 많으며 이를 위한 기계학습/딥러닝이 같이 개발되고 있음 대부분 정부과제에 의존하다보니 결과물을 단기간에 가시화 할 수 있고 수요가 많은 분야를 위주로 연구를 수행 반면, 인지컴퓨팅, 슈퍼컴퓨터 등 대규모 투자 및 장기간 연구수행이 필요한 분야는 연구진행이 더딘 것으로 조사되어 R&D 과제의 쏠림현 상이 보임 < 인공지능 분야별 현황 > 36
인공지능 관련 분야는 기업 및 연구기관이 많지 않고 분야가 제한적이므로 좀 더 체계적인 지원 및 연구가 절실히 필요 R&D 대부분이 단기적이고 결과 중심적이다 보니 기초에 충실하고 장 기적인 지원은 부족한 실정으로, 인력양성 및 기반조성 같은 생태계 구축을 위한 노력이 요구됨 출처 : IITP 산업분석팀(2015.11) 37
9. IoT 보안 위협 동향 모든 사물에 통신 기능이 탑재되어 사물 간 실시간 연결이 가능한 사물 인터넷 시대 도래 사물인터넷은 개별 단말에 통신 기능을 접목해 원격 감시 및 시스템 자동화 등을 실현하는 사물 간 통신(M2M) * 과 유사한 개념 * Machine-to-Machine : 주로 대규모 인프라 설비나 산업 시설 등 대형 시스템 을 대상으로 통신 기술을 접목해 설비 운영 효율을 높이는 솔루션 제공에 초점 사물인터넷은 모바일, 클라우드, 빅데이터 등 다른 IT 기술과의 연계를 통해 한 단계 진보된 사업 모델을 제시하는 것이 목표 시장조사업체 가트너(Gartner)에 따르면, 15년 IoT 사용기기는 49억 개로 이러한 IoT 시장 성장추세가 더욱 가속화되어 16년에는 64억 개의 IoT 사용기기가 있을 것으로 추정 이는 일 평균 약 550만개의 기기가 새롭게 연결되는 것을 의미 이에 대해 가트너는 IoT 서비스가 IoT 시장을 활성화하는 주요 요인이 라고 밝히며, 소비자들이 커넥티드 카를 비롯해 인터넷에 연결된 많은 사물들을 사용하게 될 것이라고 밝힘 <부문별 IoT 사용기기 전망> (단위 : 백만 개) 구 분 2014 2015 2016 2020 소비자(Consumer) 2,277 3,023 4,024 13,509 포괄적 비즈니스 (Business : Cross-Industry) 수직적 비즈니스 (Business : Vertical-Specific) 632 815 1,092 4,408 898 1,065 1,276 2,880 합 계 3,807 4,902 6,392 20,797 자료 : Gartner( 15.11.10) 38
1 IoT 보안 위협 대두 사물인터넷 서비스 확산으로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사물이 사이버해킹 대상이 됨에 따라 보안 위협 우려 증가 통신 기능과 함께 데이터를 자체적으로 확보, 처리하는 기능이 탑재된 사물인터넷 단말 및 시스템이 사이버공격의 표적이 될 수 있음 특히, 사물인터넷 서비스에 활용되고 있는 단말들의 경우, 대체로 컴퓨팅 기능이 단순하고 보안성도 취약한 경우가 많아 외부 공격에 취약한 상태 또한, 사물인터넷 산업 환경이 단일된 기술 표준으로 통합될 경우, 특정 분야를 겨냥한 사이버공격이 다른 산업에까지 악영향을 미치는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음 사물인터넷 단말의 보안 취약성의 특징은 크게 고도의 보안 솔루션을 도입하기 어렵고, 외부에서 해킹 사실을 확인할 수 없으며, 복잡한 네트워크 구조로 침투 경로가 다양하다는 점 등이 지목 간단한 통신 기능만 탑재된 단말의 경우, 개별적으로 보안 SW를 설치해 구동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보안 HW 모듈을 장착하거나 전체 제어 시 스템에 보안 솔루션을 적용하는 등 별도의 노력이 필요 아직까지 사이버위협에 노출된 사물인터넷 단말을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보안 솔루션이 보편화되지 않았으며, 일반 소비자 가전 영역에서는 해킹 공격을 확인할 방법이 전무 또한, 개별 사물인터넷 서비스에서 사용하는 통신 기술 표준이 아직 정 립되지 않아 복잡한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하고 있으며, 와이파이 (Wi-Fi), 블루투스(Bluetooth) 등 이종 네트워크 간 상호 연동 과정에서 일정한 보안 수준 유지 어려움이 발생 스마트가전, 스마트카 등 사물인터넷과 관련된 보안 문제가 이미 여러 차례 가시화되면서 업계의 경각심이 높아지는 추세 미국 연방거래위원회는 보안용 웹카메라 벤더 트렌드넷(TRENDnet)의 CCTV 제품 시큐어뷰(SecurView) 가 보안 결함이 있다며 시정조치를 명 령( 13.9) 미국 보안업체 프루프포인트(Proofpoint)는 13.12.23~14.1.6 기간에 세 39
계 전역에서 기업 및 개인을 겨냥한 악성 스팸 메일 총 75만 건 중 25%가 TV, 냉장고 등 통신 기능이 탑재된 가전제품에서 발송된 것으로 확인 사물인터넷 분야 중 하나인 스마트카 역시 스마트폰 등 자동차와 연결 되는 다른 단말을 통해 바이러스에 감염될 수 있으며, 감염된 자동차가 작동 오류를 일으켜 최악의 경우 대형 사고의 원인으로 부각 <스마트카 보안문제 예시> 구 분 GM 피아트 크라이슬러 테슬라 주 요 내 용 해커들이 차량 위치 파악, 잠금장치 해제 등 원격 조종 시연 ( 15.7). 해커들이 무선 통신망을 이용해 속도, 에어컨, 라디오 등 차량 기능을 원격 조정, 140만대 리콜 피해 발생( 15.7). 해커들의 해킹 실험을 통해 속도, 브레이크 등 보안 취약점 발 견( 15.8) 자료 : 각 언론사 보도자료 재구성 독일 보안업체 리큐리티랩스(Recurity Labs)는 해킹 실험을 통해 독일 남부에 위치한 작은 도시 에틀링겐(Ettlingen)의 전력 공급을 외부에서 무단으로 차단하는 등 사물인터넷 보안 심각성 주장(2013.11) 국내 역시 사물인터넷 보안 위협 피해 사례가 등장하고 있으며, 해킹 피해 예방을 위한 보안조치 마련 움직임 발생 SK브로드밴드 등 특정 통신사 네트워크를 겨냥한 사이버공격으로 통신 서비스가 일시적으로 장애를 일으키는 사고 발생(2014.11) 당시 DDoS 공격에 사용된 악성코드 설치 단말(좀비 PC)은 기존의 PC나 스마트폰이 아닌 가정용 무선공유기 및 통신 기능이 탑재된 냉장고나 세탁기 등 일반 가전제품인 것으로 드러나, 사물인터넷 단말의 보안 취약성이 현실로 드러남 이외에도 스마트카와 관련하여, 직접적인 해킹 피해사례는 발생하지 않았으나 피해 예방을 위한 보안조치를 강화하고 있는 추세 * 현대차는 현대오토에버를 통해 자동차 해킹 방지기술 개발을 시작하였으며, 장거리 통신을 통한 해킹 방지 기술에 주목 40
2 주요국 IoT 보안 위협 대응 동향 미국, 유럽 등에서는 사물인터넷 산업 진흥과 이용자 보호를 함께 고려하는 제도적 지원 마련을 검토하고자 노력 구체적인 사물인터넷 정책이 수립되지 않았으나, 시장의 자율규제를 통 해 각 서비스 분야별로 보안 원칙을 적용하도록 유도 헬스케어 등 사람의 생명과 직결되는 분야에서는 사물인터넷과 별도로 강력한 보안 지침을 마련해 이를 의무화한 상태 미국은 사물인터넷 보안 강화를 위한 공공-민간 전문가 의견수렴 등 사물인터넷 보안 정책 수립 초기단계에 진입 미국은 사물인터넷 중심의 보안 정책이나 법제도가 아직 정립되지 않 았으나, 사물인터넷과는 별개로 특정 분야에 대한 사이버보안 강화 정 책은 지속적으로 추진 중 미국 백악관에서는 주요 기반시설을 겨냥한 사이버공격에 대응하기 위해 대통령 행정명령을 발동하고, 국립표준기술연구소의 주도 하에 사이버 보안 프레임워크를 수립(2013.2) 미국 식품의약청(FDA)에서는 의료장비에 대한 보안 지침을 마련해, 이를 준수하지 않은 제품은 미국 내에서 판매 및 유통을 금지(2013) 미국 연방거래위원회(FTC)는 사물인터넷 규제 마련을 위한 준비 작업의 일환으로 학계 및 민간 사업자와 소비자 보호 단체가 참여하는 워크숍 개최(2013.11) * 사물인터넷 활용 단말 및 서비스의 정의, 사물인터넷 구현 기술의 유형 확인, 소비자 데이터 프라이버시의 보호, 데이터 전송 네트워크 보안 등 사물인 터넷과 관련한 다양한 규제 이슈에 대해 논의 진행 미국 연방거래위원회 줄리 브릴(Julie Brill) 의장은 사물인터넷을 제공하는 단말 및 사업자들이 크게 3가지의 대원칙을 준수해야 한다고 밝힘(2014.3) * 1 사물인터넷 사업자들이 보다 개인정보보호를 고려한 제품 및 서비스 디자인을 진행해야 함, 2수집된 개인 데이터의 강력한 비식별화, 3사물 인터넷 단말 및 서비스의 투명성 확보 유럽은 기본적으로 권고사항 및 가이드라인 형태의 사물인터넷 보안 지침 마련과 함께 사물인터넷 보안 기술 개발 및 인증, 표준화 작업에 초점 41
유럽위원회는 유럽 내에서 사물인터넷이 확산됨에 따라 보안 위협이나 사생활 침해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음을 인지하고, 지속적인 공공 -민간 의견수렴을 통해 필요한 제도적 기반을 준비 중 유럽 사물인터넷 연구단에서는 사물인터넷과 관련된 전반적인 기술연 구가 이뤄지고 있으며, 이중에는 사물인터넷 보안 관련 연구과제도 포함 유럽데이터보호 감독기구 작업반 29(Working Party 29)에서 사물인터넷 데이터 보호와 관련된 권고안 * 을 채택, 발표( 14.9) * Opinion 8/2014 on the on Recent Developments on the Internet of Things 중국 역시 사물인터넷을 미래 핵심 산업으로 육성시키기 위해 사물인터넷 핵심 원천기술 확보의 일환으로 사물인터넷 보안 강화를 도모 중국 공업정보화부는 사물인터넷 정책을 보다 구체화한 사물인터넷 12차 5개년 계획 을 공개하고, 원천기술 혁신, 산업 생태계 육성, 기술 응용 수준 제고 등의 목표를 설정( 11.12) 또한, 사물인터넷 발전 10개 전문 행동계획을 수립하고, 핵심 보안기술 개발 및 보안 테스트 평가 플랫폼 구축을 추진하는 등 자국의 보안 역량 강화를 모색 중 3 국내 IoT 위협 대응 동향 사물인터넷 분야에서 사이버보안 위협이 대두됨에 따라 신속하게 관련 정보보호 정책을 발표( 14.10.31) 기존 사이버공간에서의 보안 위협이 사물인터넷으로 인해 현실 세계로 전이 및 확대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해, 새로운 사이버보안(정보보호) 접근방식이 필요성 대두 이에 미래부는 보안 내재화된 IoT 기반 조성(Security Native), 글로벌 IoT 보안 선도기술 개발(Security Frontier), IoT 보안 산업 경쟁력 강화(Security Premier) 등의 전략으로 구성된 사물인터넷 정보 보호 로드맵 발표( 14.10) (보안 내재화된 IoT 기반 조성) 사물인터넷 산업을 7개 분야로 규정하고 각 산업에 대해 보안 내재화를 추진 42
15년부터 추진되는 1단계 보안 내재화 사업에서는 국민 일상생활과 밀접하고 상용화가 가장 빠르게 이뤄지고 있는 홈 가전, 의료, 교통 분야에 보안 원칙을 우선 적용하고, 이후 16년에 나머지 산업 분야에 대한 보안 원칙 도입을 지원 정부가 제시하는 사물인터넷 보안 기준을 업계에 확산시키고자 정부와 기업이 협력 하에 민관합동기구 사물인터넷 보안 협의체 를 구성 및 운영 사물인터넷 관련 제품 및 서비스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홈페이지를 통해 보안 관련 사항을 국민에게 공개하고, 새로 발견된 보안 취약점에 대한 사후관리 등 지속적인 관리지원 사업을 추진 소비자가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사물인터넷 보안인증 제도를 도 입하고, 민간 주도의 인증 시스템 운영으로 자율적인 활성화를 도모 (글로벌 IoT 보안 선도기술 개발) 사물인터넷의 3계층(디바이스, 네트워크, 서비스/플랫폼) 9대 핵심 원천기술을 개발 (단말 계층) 경량 저전력 암호 기기 위 변조 방지용 보안 SoC(System on Chip) 사물인터넷 보안운영체제 등의 기술 개발을 추진 (네트워크 계층) 이종 네트워크 간 보안 게이트웨이(Gateway) 침입 탐지 및 대응 시스템 원격 보안관제 등을 연구 (플랫폼/서비스 계층) 이용자 생체정보나 행동패턴을 인식하는 스마트 인증 비정형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사생활 보호 기술 분야별 특성을 고려한 적응형 보안 솔루션 등이 주요 개발 대상 이 같은 기술 연구를 위해 7개 사물인터넷 분야에 대한 실증사업을 추진 하고, R&D 결과물에 대한 시험 검증을 통해 최종 원천기술 확보를 달성 미국, 유럽 등 사물인터넷 선도기술을 보유한 국가와의 국제협력을 통해 R&D 역량을 강화하는 한편, 확보한 원천기술의 표준화 추진을 통해 국가 경쟁력 제고도 모색 (IoT 보안 산업경쟁력 강화) 사물인터넷 관련 창의적인 아이디어 발굴을 위해 보안 전문 기업 육성, 인력 양성 추진 사물인터넷 보안 우수기업을 발굴하기 위해 중소벤처 창업 및 육성 지원, 사물인터넷 융합보안 실증사업 등을 추진 43
사물인터넷 보안취약점을 발굴하기 위한 신고포상제를 도입하는 한편, 보안업체와 사물인터넷 업체를 연결함으로써 사물인터넷 보안 적용사 례를 확대 사물인터넷 7대 분야와 관련된 대학 학과에 대한 정보보호 기본교육 추진으로 융합보안 전문 인력 육성의 기틀을 마련하고, 정보보호 전공 학생을 대상으로 심화교육도 추진 사물인터넷 7대 분야에 종사하는 재직자를 대상으로 사물인터넷 보안 교육과정 운영 4 결론 및 시사점 사물인터넷 환경에서의 보안 위협 피해의 파급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보안 대책 수립 어려움 발생 사물인터넷은 제조업, 의료 등 다양한 산업분야와 융 복합되어 혁신이 창출되는 개념으로 각 산업 분야별로 보안 위협요인과 대응 방식도 달 라지기 때문에 일관된 사물인터넷 보안 기준을 결정하기 어려움 또한, 사물인터넷 환경은 보호대상의 범위, 대상 특성, 보호 방법 등에 있어 기존 PC, 모바일 중심의 사이버환경과 달라 새로운 보안 대응 체계 구축이 필요한 상황 이에, 사물인터넷 관련 보안 강화 정책 추진 시, 특정 산업군마다 별도의 기준을 세워 접근하는 것에 대한 고려 필요 소셜 미디어, 검색 엔진, 온라인 쇼핑, 뉴스, 콘텐츠 서비스 등 다양한 인터넷 서비스 종류에 따라 조금씩 다른 보안 지침이 적용되고 있는 것을 감안, 사물인터넷도 유사한 접근방식을 취할 수 있을 것 사물인터넷 정보보호 로드맵 과 같이 사물인터넷 정보보호 정책의 체 계적 추진이 더욱 더 중요해질 것으로 예상 * 국내는 미래부에서 사물인터넷 정보보호 로드맵 3개년 시행계획을 수립하는 등 사물인터넷 정보보호 정책의 체계적 추진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 또한, 개인정보를 활용한 다양한 사물인터넷 서비스가 출현될 것으로 예측 됨에 따라 사물인터넷 환경에서의 개인정보 이슈가 지속 발생할 것으로 전망 44
사물인터넷 환경에서의 서비스는 디바이스, 통신/네트워크 공급자 등 다양한 주체가 공존함으로 인해 주체간 프라이버시 보호책임, 권한 선정의 어려움이 발생 또한, 사물인터넷 서비스 특성상 기기-사람, 기기-기기 간 수많은 정보가 유통, 공유되어 자신의 데이터를 관리, 검토하기 어려운 문제 등이 발생 출처 :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5.8.13) http://www.nortonrosefulbright.com/knowledge/publications/121753/eu-arti cle-29-working-party-emphasises-privacy-by-design-for-the-internet-ofthings-in-opinion-82014-on-the-r http://www.msip.go.kr/cms/www/open/go30/info/info_1/info_11/ icsfiles/af ieldfile/2015/12/03/%ec%82%ac%eb%ac%bc%ec%9d%b8%ed%84%b 0%EB%84%B7%20%EC%A0%95%EB%B3%B4%EB%B3%B4%ED%98%B8% 20%EB%A1%9C%EB%93%9C%EB%A7%B5%20%EC%8B%9C%ED%96%89 %EA%B3%84%ED%9A%8D.pdf https://www.ftc.gov/news-events/events-calendar/2013/11/internet-things-p rivacy-security-connected-world http://www.google.co.kr/url?sa=t&rct=j&q=&esrc=s&source=web&cd=1&v ed=0ahukewjdypsx3tljahufmjqkhqsjdsiqfgglmaa&url=http%3a%2f %2Fec.europa.eu%2Finformation_society%2Fnewsroom%2Fcf%2Fdae%2Fd ocument.cfm%3fdoc_id%3d1753&usg=afqjcnhorl11ce0inelpi0saloz VlFHcwQ&bvm=bv.109395566,d.dGo http://www.gartner.com/newsroom/id/3165317 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