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

Similar documents
44-3대지.08류주현c

232 도시행정학보 제25집 제4호 I.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사회가 다원화될수록 다양성과 복합성의 요소는 증가하게 된다. 도시의 발달은 사회의 다원 화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현대화된 도시는 경제, 사회, 정치 등이 복합적으로 연 계되어 있어 특

43-4대지07한주성ok

①국문지리학회지-주성재-OK

<3136C1FD31C8A35FC3D6BCBAC8A3BFDC5F706466BAAFC8AFBFE4C3BB2E687770>

,,,.,,,, (, 2013).,.,, (,, 2011). (, 2007;, 2008), (, 2005;,, 2007).,, (,, 2010;, 2010), (2012),,,.. (, 2011:,, 2012). (2007) 26%., (,,, 2011;, 2006;

새만금세미나-1101-이양재.hwp

???? 1

¨ë Áö¸®ÇÐȸÁö-¼Û°æ¾ðOK

주류-비주류 프레임으로 본 19대 대선구도 예측 좌클릭-우클릭 논쟁 넘어 새로운 대선방정식 필요 단일대상 프레임의 넘어 듀얼 프레임 필요 본 보고서는 <데일리한국>에 기고한 2017 대선, 좌클릭-우클릭 논쟁 넘어 새로운 듀얼 전략 필요 의 원본 보고서이다(2015년

<28BCF6BDC D B0E6B1E2B5B520C1F6BFAABAB020BFA9BCBAC0CFC0DAB8AE20C1A4C3A520C3DFC1F8C0FCB7AB5FC3D6C1BE E E687770>

01이정훈(113~127)ok

DBPIA-NURIMEDIA

09구자용(489~500)

아태연구(송석원) hwp

433대지05박창용

DBPIA-NURIMEDIA

DBPIA-NURIMEDIA

DBPIA-NURIMEDIA


<3136C1FD31C8A320C5EBC7D52E687770>

<B0ADC8ADC7D0C6C428C3D6C1BE292E687770>

¸é¸ñ¼Ò½ÄÁö 63È£_³»Áö ÃÖÁ¾

177

6±Ç¸ñÂ÷

제주어 교육자료(중등)-작업.hwp

과 위 가 오는 경우에는 앞말 받침을 대표음으로 바꾼 [다가페]와 [흐귀 에]가 올바른 발음이 [안자서], [할튼], [업쓰므로], [절믐] 풀이 자음으로 끝나는 말인 앉- 과 핥-, 없-, 젊- 에 각각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식형태소인 -아서, -은, -으므로, -음

<C3D6C1BE5FBBF5B1B9BEEEBBFDC8B0B0DCBFEFC8A C3D6C1BEBABB292E687770>

초등국어에서 관용표현 지도 방안 연구

민주장정-노동운동(분권).indd

01Report_210-4.hwp

<C3D1BCB15FC0CCC8C45FBFECB8AE5FB1B3C0B0C0C75FB9E6C7E D352D32315FC5E4292E687770>



<C0CEBCE2BABB2D33C2F7BCF6C1A420B1B9BFAAC3D1BCAD203130B1C72E687770>


교육 과 학기 술부 고 시 제 호 초 중등교육법 제23조 제2항에 의거하여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을 다음과 같이 고시합니다. 2011년 8월 9일 교육과학기술부장관 1.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은 별책 1 과 같습니다. 2.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별책

시험지 출제 양식

untitled

E1-정답및풀이(1~24)ok

<C1B6BCB1B4EBBCBCBDC3B1E2342DC3D6C1BE2E687770>

최우석.hwp

교사용지도서_쓰기.hwp

時 習 說 ) 5), 원호설( 元 昊 說 ) 6) 등이 있다. 7) 이 가운데 임제설에 동의하는바, 상세한 논의는 황패강의 논의로 미루나 그의 논의에 논거로서 빠져 있는 부분을 보강하여 임제설에 대한 변증( 辨 證 )을 덧붙이고자 한다. 우선, 다음의 인용문을 보도록

< BDC3BAB8C1A4B1D4C6C75BC8A3BFDC D2E687770>

0429bodo.hwp

伐)이라고 하였는데, 라자(羅字)는 나자(那字)로 쓰기도 하고 야자(耶字)로 쓰기도 한다. 또 서벌(徐伐)이라고도 한다. 세속에서 경자(京字)를 새겨 서벌(徐伐)이라고 한다. 이 때문에 또 사라(斯羅)라고 하기도 하고, 또 사로(斯盧)라고 하기도 한다. 재위 기간은 6

cls46-06(심우영).hwp

우리나라의 전통문화에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봅시다.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를 체험합시다.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를 소중히 여기는 마음을 가집시다. 5. 우리 옷 한복의 특징 자료 3 참고 남자와 여자가 입는 한복의 종류 가 달랐다는 것을 알려 준다. 85쪽 문제 8, 9 자료

상품 전단지

::: 해당사항이 없을 경우 무 표시하시기 바랍니다. 검토항목 검 토 여 부 ( 표시) 시 민 : 유 ( ) 무 시 민 참 여 고 려 사 항 이 해 당 사 자 : 유 ( ) 무 전 문 가 : 유 ( ) 무 옴 브 즈 만 : 유 ( ) 무 법 령 규 정 : 교통 환경 재

2

DBPIA-NURIMEDIA

화이련(華以戀) hwp

ÆòÈ�´©¸® 94È£ ³»Áö_ÃÖÁ¾

歯1##01.PDF

<5BC1F8C7E0C1DF2D31B1C75D2DBCF6C1A4BABB2E687770>

120229(00)(1~3).indd

216 동북아역사논총 41호 인과 경계공간은 설 자리를 잃고 배제되고 말았다. 본고에서는 근세 대마도에 대한 한국과 일본의 인식을 주로 영토와 경계인 식을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이 시기 대마도에 대한 한일 양국의 인식을 살펴볼 때는 근대 국민국가적 관점에서 탈피할

<33C2F DC5D8BDBAC6AEBEF0BEEEC7D02D3339C1FD2E687770>

02이용배(239~253)ok

歯1.PDF

京 畿 鄕 土 史 學 第 16 輯 韓 國 文 化 院 聯 合 會 京 畿 道 支 會


사단법인 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시각디자인학회

<C5EBC0CFB0FA20C6F2C8AD2E687770>

<B0ADC0C7B3EBC6AE312D34C0E52E687770>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C7D1B1B9B1B3C0B0B0B3B9DFBFF85FC7D1B1B9B1B3C0B05F3430B1C733C8A35FC5EBC7D5BABB28C3D6C1BE292DC7A5C1F6C6F7C7D42E687770>

03권동희(17-26)ok

진단, 표시・광고법 시행 1년

대구전시컨벤션센터 전시행사의 지역경제 파급효과 분석

PDF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searc

정치사적

[편집]국가인권위원회_국내 거주 재외동포와 인권(추가논문-보이스아이).hwp

, ( ) 1) *.. I. (batch). (production planning). (downstream stage) (stockout).... (endangered). (utilization). *

02À±¼ø¿Á

<BCF6BDC D31385FB0EDBCD3B5B5B7CEC8DEB0D4C5B8BFEEB5B5C0D4B1B8BBF3BFACB1B85FB1C7BFB5C0CE2E687770>

<B9AEC8ADC4DCC5D9C3F7BFACB1B82D35C8A32833B1B3292E687770>

전라북도 도로 연계 네트워크 효율화 방안 연구

., (, 2000;, 1993;,,, 1994), () 65, 4 51, (,, ). 33, 4 30, 23 3 (, ) () () 25, (),,,, (,,, 2015b). 1 5,

Slide 1

44-6대지.07전종한-5

(자료)2016학년도 수시모집 전형별 면접질문(의예과포함)(최종 ).hwp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3, pp DOI: * The Grounds and Cons

13장문현(541~556)ok

2

mo200706kor.hwp

<C0C7B7CAC0C720BBE7C8B8C0FB20B1E2B4C9B0FA20BAAFC8AD5FC0CCC7F6BCDB2E687770>

<5BC1F8C7E0C1DF2D32B1C75D2DBCF6C1A4BABB2E687770>

<B1E2BABBB0FAC1A D323329C3D6BCBAB7CF2E687770>

03±èÀçÈÖ¾ÈÁ¤ÅÂ

09È«¼®¿µ 5~152s

12È«±â¼±¿Ü339~370

02Á¶ÇýÁø

국립중앙도서관 출판시도서목록(CIP) 강원지역 신광역 교통망 구축과 지역 파급효과 분석 = (An) analysis on the regional economic effect and the construction of the new metro-traffic network

우리나라

<313120B9DABFB5B1B82E687770>

10¿ÀÁ¤ÁØ

Transcription:

국토지리학회지 제48권 1호, 2014 (57~68) 공간구조 변화에 관한 연구: 1995년 2010년* 김 성 록 ** A Study on the Change of Spatial Structure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between 1995 and 2010* Sungrok Kim** 요약 : 1990년대 중반이후 신도시의 개발과 교통체계의 발달 및 산업의 고도화 등의 요인으로 인하여 의 공간구조 는 많은 변화가 있었다. 이 연구는 66개 시군구를 대상으로 1995년과 2010년의 위세중심성과 연계 구조를 파악하 여 공간구조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분석기간 동안 중구-종로구를 포함한 서울강북지역의 위 상은 여전히 유지가 되고 있는 모습을 보였으나, 서울강남지역의 위상이 점점 높아졌다. 또한 인천지역들의 위세중심성 순위가 점차 낮아지는데에 반하여 경기도 남부지역의 위상이 점점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계구조의 변화는 중 북부의 연계성 하락, 중서부 남부의 연계구조의 강화로 설명될 수 있는데, 특히 서울지역 대군집과 남부의 상호교류의 증가에 따른 결과라 판단된다. 주요어 : 위세중심성, 군집분석, 통근통행O-D,, 공간구조 Abstract : There have been numerous changes since the mid-1990s in the spatial structure in the metropolitan area due to the development of new towns, progress in traffic systems and sophistication of industries. This study analyzed changes in spatial structure of metropolitan area using prestige centrality and connection structure of 66 cities, districts and towns in metropolitan area in 1995 and 2010. The results are as follows: During the period analyzed, while northern Seoul including Jung-gu and Chongno-gu maintains its status in the usual manner, the area south of Han river has raised its status. In addition, there has been a gradual decrease in eigenvector centrality index of Incheon area whereas the status of southern region of Gyeonggi Province has ascended steadily. Changes in linkage structure of Seoul metropolitan area can be explained by a decline of linkage between central and northern region, and an intensified linkage structure between midwest and southern region of metropolitan area, which is considered to be a result from increased mutual interchange between major community in Seoul and southern metropolitan area in particular. Key Words : Prestige Centrality, Cluster Analysis, Commuting Travel O-D, Spatial Structure, Seoul Metropolitan Area I. 서 론 의 사전적인 의미는 수도를 중심으로 이루 어진 대도시권 이며, 한 나라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중심지인 경우가 많다. 우리나라의 경우 제2 차 국토종합개발계획 및 제1차 정비계획 등법 적 계획에서 서울시, 인천시, 경기도를 포함하는 을 의 범위로 규정해 왔다. 우리나라 의 인구집중화는 1960년대 후반 이후 지속되었고, 그동 안 정부는 의 과도한 인구집중을 방지하기위해 * 이 연구는 공주대학교 신임교수 정착연구비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 공주대학교 지역개발학부 조교수(Assistant Professor, Faculty of Regional Development, Kongju National University, isoiso@kongju.ac.kr)

김 성 록 표 1. 인구 변화 지역내총생산 1995 2000 2005 2010 전국 44,608,726 46,136,101 47,278,951 47,990,761 20,189,146 21,354,490 22,766,850 23,459,570 서울특별시 10,231,217 9,895,217 9,820,171 9,631,482 인천광역시 2,308,188 2,475,139 2,531,280 2,632,035 경기도 7,649,741 8,984,134 10,415,399 11,196,053 *. 인구주택 총 조사 기준 표 2. 지역내 총생산 변화 지역내총생산 1995 2000 2005 2010 전국 573,503,674 691,467,810 869,304,594 1,067,217,790 280,948,354 329,935,230 418,612,794 520,576,147 서울특별시 162,423,385 182,152,093 208,899,249 241,052,237 인천광역시 31,038,305 32,787,554 40,398,460 51,864,122 경기도 87,486,664 114,995,583 169,315,085 227,659,788 *. 2005년 가격기준, 단위: 백만원 정비계획법과 같은 다양한 분산정책을 실시하 였으나(노진아 장춘 김지소, 2010), 이러한 지속적 인 집중 억제정책에도 불구하고 서울생활권의 교외화 광역화 1) 로 인한 의 다핵화가 이루어지 고 있다. 이러한 의 교외화 광역화 현상 및 다핵화 현상은 의 인구규모와 지역내총생산을 통해 알 수 있다(표 1, 표2). 의 인구는 1995년 2,018 만여 명에서 2010년 2,345만여 명으로 327만여 명 이 증가하였으며, 행정구역상의 많은 변화가 있었다. 2) 세부지역별로 살펴보면 서울특별시의 인구는 감소추 세에 있으나, 경기도의 인구는 764만 명에서 1,119만 명으로 큰 폭의 증가세를 이루었다. 이는 서울특별시와 인접한 지역에 대규모 택지개발 및 신도시 개발에 따른 주거지이동이 활발하게 이루 어졌으나, 이에 반해 여전히 직장은 서울에 머물러있 어 직주불일치 현상에 의한 통근의 광역화현상이 심 화되었다. 실제로 지난 20여 년 동안 의 교외 화 광역화 현상이 빠른 속도로 진전되면서 통근통행 량이 상당히 증가하였다(이희연 김홍주, 2006). 또 한, 지역내총생산은 1995년 280조에서 2010 년 520조로 약 240조원 증가하였다. 같은 기간 전국 총생산은 573조에서 1067조로 약 493조 증가하였는 데, 전국 총생산에서 총생산의 증가비중이 약 48% 차지하였다. 인구증가와 마찬가지로 내 경기도의 지역내총생산이 1995년 87조에서 2010년 227조로 크게 증가하였다. 은 1995년부터 2010년까지 인구 및 지역내총생산의 약 50%선을 유 지하고 있으나, 같은 기간 동안 경기도의 성장이 두드 러졌다. 즉, 경기도 지역의 인구 및 지역내총생산의 증가는 서울 중심 체제에서 점차 다핵화가 이루어지 고 있다는 것을 추정된다. 따라서 에 대한 지역 정책의 추진에 있어서 개별 도시적 관점이 아닌 수도 권 전체 차원에서의 접근이 우선시 되며, 이를 위해서 는 전체의 공간구조 변화과정과 그 특성에 대 한 분석이 필연적이다(권용식 김창석, 1998). 통근통행 데이터는 주거지와 직장 간의 일일 유동 이 공간적 마찰의 제약을 받으면서 나타나는 도시민 의 일상적인 행위를 잘 반영해주는 데이터이므로 (Clayton, 1974), 대도시권 도시간의 실질적인 상호작 용과 차별화된 지위를 측정하고(Hughes, 1993), 도시 의 공간구조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Plane, 1981). 이 논문은 1995년과 2010년을 시간적 범위로 하여 58

공간구조 변화에 관한 연구: 1995년 2010년 의 공간구조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인 연구의 목적은 1의 연계구조를 분석 하여 소으로 나누어 설정하고, 2중심성분석을 통하여 소의 중심지역을 도출한다. 31995년- 2010년 사이 의 공간구조의 변화를 파악한다. II. 이론적 배경 1. 중심성분석 중심성분석은 출발지와 목적지를 결절점으로, 결절 점간의 상호작용을 연결선으로 구축한 후 네트워크상 에서의 통근통행의 흐름을 분석하는 것이다(Borgatti, 2005; Friedkin, 1991). Protor and Loomis(1951)에 의해 소개된 연결중심성은 Shaw(1954)를 비롯하여 여러 학자들에 의해 이용되었으며, Seeley(1949)는 Feedback중심성을 제시하였다. 위세중심성은 사회네트워크 분석에서 산출되는 중 심성 지표들 가운데 가장 중요한 지표라고 볼수있 는데(이희연 김홍주, 2006), 결절점들 간의 직접 연 결뿐만 아니라 간접 연결을 고려하며, 자신과 연결되 어있는 상대방의 중심성도 반영하여 중심성이 측정된 다. 이런 개념들은 고유벡터 해로 나타낼 수 있으며 이렇게 구한 중심성을 고유벡터 중심성이라고 한다. Hubbell(1965)은 선형방정식의 해를 기반으로 한중 심성 측정방법을 제안하였으며, 이후 Bonacich(1972) 에 의해 구체화 되었다. 즉, 위세중심성은 연결된 상 대방의 중심성과 두 결절점 간의 유동량을 가중치로 고려하므로 중심성이 높은 결절점과 연결되거나 유동 량이 많을수록 위세중심성이 높아진다(Bonacich 1987). 이러한 위세중심성의 척도는 Bonacich가 개발 한 파워중심성과 아이겐벡터 중심성이 유명한데, 3) 일 반적으로 위세중심성은 파워중심성보다 아이겐벡터 중심성을 더 많이 사용하며(이수상, 2012), 그 수식은 다음과 같다. Ci = 1 λ Σ j N(i) Aij Cj λ: 노드 i의 고유치 N(i): 노드 j의 이웃노드들의 집합 Cj: 중심성값 박시현 나유경 조창현(2011)은 전철O-D 자료를 바탕으로 교통을 파악하였으며, 심 용주 조진희 권정주 황희연(2012)은 연결중심성 분석을 이용하여 전라북도의 연담화 지역 공간범위를 분석하였다. 노진아 장훈 김지소(2010)는 공간구조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유입통근통행 데이 터를 활용하여 연결중심성 분석과 위세중심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희연 김홍주(2006)는 통근통행량 분 석뿐만 아니라 유동량을 기준으로 한 네트워크 분석 을 통합화하여 의 공간구조를 연구하였다. 이 상의 선행연구를 종합해 볼때, 이종상(2008)이 지적 하였듯이 분석의 단위인 지역의 크기가 서로 다름에 도 불구하고 지역의 크기를 고려하지 않았으며, 이종 상의 연구 역시 공간구조의 변화를 연구하기 위하여 지역의 크기는 고려하였으나, 그 분석방법으 로 위세중심성이 아닌 in-degree 연결중심성 분석을 실시하는데 그쳤다. 2. 지역 간 연계구조 분석 지역 간 상호작용에 의한 지역구조 분석에 관한 연 구는 국내외에서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Nystuen and Dacey,1961; Russwurm, 1975; Berry, 1976; Vanhove and Klaassen, 1980). 우리나라의 경우에 는그분석방법에 의해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할 수있 으며, 그 연구방법은 요인분석에 의한 방법과 군집분 석에 의한 방법이 그것이다(김성록, 2012). 먼저, 요인분석을 사용한 연구에는 김광익(2009), 김광익(2010), 송미령(1997), 송승호(2003), 이상대 (2000), 이외희(1999), 조일환 등(2011), 손승호(2013) 등이 있다. 그러나 지역의 구조를 분석하는 연구에 있 어서 요인분석은 그 분석기법상의 한계를 가진다(이 종상, 2000). 첫째, 요인분석에서 몇 개의 요인을 추 59

김 성 록 출할 것인가 하는 것은 여러 가지 기준이 있으나, 일 반적으로 고유치가 1보다 큰 것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 경우 실제변수 값에 의해 좌우되는 것이 아니라 상관계수에 의해 좌우되기 때문에 연계패턴을 정확하 게 표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두 번째는 요인행 렬에 나타난 요인적재량을 기준으로 요인에 대한 변 수들의 중요성을 해석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요인적 재량이 낮은 변수, 즉 상관관계가 낮은 변수일수록 과 대하게 해석하는 경향이 나타날 뿐만 아니라 각 요인 에 의한 요인점수를 반영할 때에도 상관도가 낮은 변 수의 선정자체가 그 변수의 크기를 과대 해석하도록 유도하게 된다(이희연, 1989). 셋째, 요인분석에서 부 호에 관계없이 상관계수의 절대치의 크기에 의해 결 정되기 때문에 동일한 요인 속에서 요인적재량이 + 와 - 가 공존하게 되어 해석상의 어려움이 있다(이종 상, 2000).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이종상(2007)의 방법으로 군 집분석을 이용하여 지역 간 연계구조를 분석하고자 한다. 군집분석(Cluster Analysis)은 각객체(대상)간의 유사성을 측정해서 유사성이 높은 집단을 분류하고, 군집에 속한 객체들의 유사성과 서로 다른 군집에 속 하는 객체간의 상이성을 규명하는 기법으로, 군집추 출방법에 따라 계층적 군집화방법(hierarchical cluster procedures)과 비계층적군집화방법(nonhierarchical cluster procedures)로 나눌 수 있다(김기영 전명식, 1994). 이 연구에서는 계층적군집화방법 중 서로 다 른 군집에 속하는 개체들의 모든 쌍의 거리를 평균한 평균거리를 이용하여 군집화하는 방법인 평균연결법 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III. 분석방법 및 자료 분석대상지역은 을 구성하고 있는 서울특별 시 25구( 區 ), 인천광역시 8구( 區 ) 2군( 郡 ), 경기도 28 시( 市 ) 3군( 郡 의) 등총66개 지역으로 하며, 비자치 구는 제외하였다. 분석자료는 1995년과 2010년의 인 도착 출발 서울시 종로구 서울시 중구 서울시 종로구 구주택 총 조사자료의 지역 간 통근통행 자료로 먼저, i지역에서 j지역으로의 통행자수 xij를 원소로 하는 O- D행렬을 작성하였다. 둘째, 이렇게 작성된 O-D행렬 은 i지역 j지역의 통근자수와 j지역 i지역 통근자 수가 다른 비대칭행렬이므로 위세중심성 분석과 군집 분석을 수행하기 위하여 (xij + xji)/2로 변환하여 대칭 행렬로 변환하였다. 셋째, 내 66개 시 군 구 지역들 간의 인구규모 및 통근자수의 편차로 인한 단 순 비교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tij = xij/ Pi Pj 을 원소로 가지는 T행렬을 작성하였다. 여기서 Pi, Pj 는 i지역과 j지역의 인구수이며, 각 지역의 인구수이 다. 통계적 실증분석을 위하여, UCINET6와 SAS9.3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각 위세중심성과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1. 위세중심성 분석결과 표 3. 1995년 통근O-D(tij) 서울시 중구 IV. 분석결과 1995년 위세중심성이 높은 최상위 10개 지역은 중 구, 강남구, 종로구, 영등포구, 서초구, 동대문구, 용산 구, 성동구, 서대문구, 마포구순으로 분석되었으며, 2010년의 경우 중구, 강남구, 종로구, 서초구, 영등포 구, 마포구, 송파구, 용산구, 성동구, 동대문구로 분석 되었다. 즉, 1995년과 2010년 모두 중구가 위세중심 성이 가장 높은 지역으로 나타났다. 1995년에 비해 2010년의 경우 송파구(11 7)와서 경기도 가평군 경기도 양평군 0.0000 0.0263 0.0002 0.0006 0.0263 0.0000 0.0004 0.0002 경기도 가평군 경기도 양평군 0.0002 0.0004 0.0000 0.0004 0.0006 0.0002 0.0004 0.0000 60

공간구조 변화에 관한 연구: 1995년 2010년 표 4. 위세중심성 변화 초구(5 4)의 상승으로 기존의 강남구(2 2)와 함께 강남권의 위상이 더욱 높아졌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서대문구 (9 13)의 위세중심성이 하락하고, 마포구 (10 6)의 위세중심성이 상승하여 서울 서북권의 중 심지의 변화가 보였다. 동대문구 (6 10)와 용산구 (7 8), 성동구(8 9) 등의 경우 위세중심성이 하락한 모습이다. 이어 차상위 10개 지역의 위세중심성의 변화를 살 펴보면, 광진구 ( 22 15 ), 강서구 ( 21 19 ), 성남시 (24 20) 지역이 차상위지역으로 위세중심성지수가 상승하였으나, 강북구(18 25), 고양시(19 24), 도봉 구(20 27) 지역의 경우 위세중심성지수가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외에도 용인시(50 31), 수원시(42 37), 하남시 (45 39), 화성시 (57 41), 파주시 (51 43), 광주시 (52 47) 지역의 경우 위세중심성이 큰 폭으로 상승 하였으며, 이와 반대로 위세중심성이 큰 폭으로 하락 한 지역은 안산시(39 45), 인천중구(40 46), 인천 남구(35 51), 인천연수구(49 53), 인천동구(47 54) 등으로 분석되었다. 그림 1. 1995년 위세중심성 순위분포 6 1

김 성 록 지역의 위세중심성의 변화는 인구의 증감에 큰영 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위세중심성 상승지 역의 경우 전체 인구의 증가율보다 높은 인구 증가율을 보였다. 1995년부터 2010년 사이에 전체인구는 20,189,146명에서 22,969,070명으로 1.13 배 증가하였으나, 같은 기간 용인시 3.35배, 수원시 1.36배, 화성시 2.92배, 파주시 1.88배, 광주시 2.52 배 증가하였다. 이와 반대로 위세중심성이 하락한 지 역을 살펴보면, 도봉구 0.87배, 서대문구 0.82배, 인 천동구 0.71배, 인천남구 0.94배로 분석되었다. 2. 연계구조 분석결과 그림 2. 2010년 위세중심성 순위분포 지역 간 연계성에 근거한 구조변화를 분석 하기 위하여 1995년과 2010년 각 시점에서 군집분 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분석결과는 각각 <그림 3>과 <그림 4>이다. CL30 (중구, 성동구, 광진구, 동대문구, 중랑구)+(도봉구, 종로구, 성북구, 강북구, 노원구) CL22 (서초구, 강남구, 성남시, 송파구, 강동구)+(용산구, 동작구, 관악구) CL31 마포구+(은평구, 서대문구, 고양시) CL27 (구로구, 영등포구, 금천구, 광명시)+(양천구, 강서구) CL20 (인천중구, 인천남구, 인천동구, 연수구, 인천남동구, 인천서구)+(부천시, 부평구, 계양구) CL25 (안양시, 군포시)+(과천시, 의왕시) CL53 안산시+시흥시 CL55 구리시+남양주시 CL21 하남시+광주시 CL24 강화군+김포시 CL19 (의정부시,양주시 동두천시)+포천시 CL23 (수원시, 화성시, 용인시)+(평택시, 오산시) CL29 이천시+여주군 그림 3. 1995년 연계구조 62

공간구조 변화에 관한 연구: 1995년 2010년 CL22 (중구, 성북구, 종로구, 동대문구, 노원구, 강북구, 도봉구, 용산구)+(은평구, 서대문구, 마포구) CL23 (서초구, 강남구, 송파구, 관악구, 동작구)+(성동구, 광진구) CL19 (금천구, 광명시, 양천구, 강서구, 구로구, 영등포구)+부천시 CL26 (구리시, 남양주시)+중랑구 CL27 (인천남구, 인천남동구, 연수구, 인천중구, 부평구, 인천서구)+계양구 CL58 고양시+파주시 CL48 강동구+하남시 CL49 성남시+광주시 CL25 (안양시, 군포시, 의왕시)+과천시 CL61 안산시+시흥시 CL29 (평택시, 오산시)+안성시 CL33 (수원시, 화성시)+용인시 CL21 강화군+김포시 CL20 (의정부시, 양주시, 포천시)+(동두천시, 연천군) CL41 이천시+여주군 그림 4. 2010년 연계구조 1995년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최초 중 심지역(CL30)과 중남부지역(CL22)이 군집을 형성하고, 이어 중북부지역(CL31)지역이 추가 되어 서울지역의 대군집을 형성하였다. 이후 중서부(CL27) 남서부(CL25, CL53) 수도 권 동부(CL55, CL21) 서부(CL20, CL24) 북부(CL19) 남부(CL23)순으로 군집 을 형성하였다. 그러나 연천군, 파주시, 안성시, 양평 군, 가평군, 옹진군 등 6개 지역의 경우 타 지역과의 연계성이 낮아 독립군집을 형성하였다. 2010년의 경우, 최초 중심지역(CL22)과 수 도권 중남부지역(CL23)이 군집을 형성하고, 이어 수 도권 중서부지역(CL19)지역이 추가되어 서울지역의 대 군 집 을 형 성 하 였 다. 이 후 수 도 권 동 부 일 부 (CL26) 중북부(CL58) 동부(CL48, CL49) 남서부(CL25, CL61) 남부 (CL29, CL33) 서부(CL27) 북부 (CL20)순으로 군집을 형성하였다. 2010년 역시 인천 동구, 양평군, 가평군, 옹진군 등 4개 지역이 독립군 집을 형성하였다. 3. 공간구조 변화 <그림 5>와 <그림 6>은 각각 1995년과 2010년 의 위세중심성 분석결과와 연계구조분석결과 를 바탕으로 의 공간을 총 19개 으로 구분 한 것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독립군집지역의 수가 감 소하여 의 연계성이 강화되었음을 알수있다. 또한 군집지역의 동부와 남부지역과 같이 연 계구조의 다양화가 나타나 지역의 다핵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구체적으로 살펴 63

김 성 록 보면 다음과 같다. 1995년의 중심 지역은 중구, 종로구, 성북 구, 강북구, 도봉구, 노원구, 중랑구, 동대문구, 성동구, 광진구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2010년의 경우 마포구 은평구 서대문구 용산구가 새롭게 편입되었으 며, 성동구 광진구 중랑구가 타 으로 이탈하 였다. 중심을 구성하는 지역의 변화가 있 음에도 불구하고, 중심지는 중구로 동일하게 나타나 그 위상을 확고히 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중남부은 1995년 강남구, 서초구, 송파 구, 강동구, 동작구, 관악구, 강동구, 성남시로 형성되 었으나, 2010년에는 성동구 광진구가 편입되고, 용 산구 강동구 성남시가 이탈하는 것으로 분석되었 다. 위세중심성분석상 중심지는 강남구 동일하게 나 타났으나, 송파구 서초구 등의 위세중심성이 높아짐 에 따라 중남부의 영향력이 점점 강화되 는 것으로 판단된다. 중북부은 1995년 은평구, 서대문구, 마 포구, 고양시로 형성되었으나, 2010년에는 독립군집 을 형성하고 있었던 파주시가 새롭게 포함되고, 마포 구 서대문구 은평구가 이탈하는 것으로 분석되었 다. 새롭게 포함된 파주시는 2003년부터 시작된 운정 신도시의 개발과 2009년 기존 경의선 선로를 활용한 전철 경의선이 개통되면서 타지역간의 연계성 이 강화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되며, 기존의 마포구 서대문구 은평구의 이탈의 경우 중심내 의 지역 간 연계성 강화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 에 따라 중북부지역의 중심지역은 마포구에서 고양시로 변화되었음을 알수있다. 중서부의 경우 1995년과 2010년 모두 영등포구가 중심지역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내 포함되는 지역의 경우 변화가 있었다. 1995년의 경우 영등포구, 양천구, 구로구, 금천구, 강서구, 광명 시로 구성되었으나, 2010년에 새롭게 부천시 지역이 편입되었다. 부천시의 경우 1995년 서부지역 의 중심지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이렇게 부천시지역 의 중서부의 편입은 인천광역시가 추진하 는 지역개발정책의 효과에 의한 것과 중서부 의 영향력증대라는 복합적인 원인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며, 이는 서울특별시와 인천광역시 사이에 위 그림 5. 1995년 공간구조 그림 6. 2010년 공간구조 64

공간구조 변화에 관한 연구: 1995년 2010년 표 5. 공간구조 변화 1995년 2010년 비고 중심 - 성동구 광진구 중랑구 이탈 - 마포구 서대문구 은평구 용산구 편입 중남부 - 강동구 용산구 성남시 이탈 - 성동구 광진구 편입 중북부 - 마포구 서대문구 은평구 이탈 - 파주시 편입 중서부 - 부천시 편입 남서부 동부 - 3개 세부으로 분화 - 중랑구 강동구 성남시 편입 서부 - 부천시 이탈 북부 - 연천군 편입 남부 - 2개 세부으로 분화 - 안성시 편입 65

김 성 록 치한 부천지역의 특성을 잘 나타낸 것이다. 1995년 부천의 직주비율 4) 은0.74이며, 2010년의 경우 0.60 으로 주거초과가 더욱 강화되었으며, 인구역시 779,412명에서 829,140명으로 증가하였다. 즉, 주거 초과 및 인구증가에 따른 지역 간 연계구조 변화에 있어서 서부이 아닌 주도권 중서부과 더욱 연계가 강화되었음을 의미한다. 남서부은 1995년과 2010년 모두 크게 두 개의 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 구성하는 지역은 각각 안양시 과천시 의왕시 군포시와 시흥시 안산시로 두 시기 모두 변화가 없 었다. 또한 중심지역 역시 안양시와 안산시로 동일하 게 분석되었다. 동부의 경우 1995년에는 크게 두 개의 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나, 2010년에는 세 개의 권 역으로 큰 변화가 있었다. 1995년의 경우 남양주시 구리시 과 하남시 광주시 에서 중랑구 구 리시 남양주시 과 강동구 하남시 그리고 성남시 광주시으로 세분화된 모습이다. 특히 수 도권중심의 중랑구와 중남부의 강동 구 성남시가 동부으로 편입된 형태로 이 는 기존 동부을 구성하고 있었던 구리시 남양주시 하남시 광주시의 인구증가에 따른 영향 력 확대 및 다핵화의 한 단면이라 할수있다. 서부은 1995년, 2010년 모두 크게 두 개의 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두 시기의 가장 큰 변화점은 바로 부천시의 이탈이라 할 수 있다. 1995년의 경우 서부의 중심지역 는 부천시로 분석이 되었으나, 2010년의 경우 부천시 가 중서부으로 편입되었다. 북부 은 1995년 의정부시를 중심지역으로 양주시 동 두천시 포천시로 구성되어있었으나, 2010년의 경우 독립군집이었던 연천군이 편입되었다. 두시기 모두 북부의 중심지는 의정부시로 분석되었다. 1995년 수원시, 화성시, 용인시, 평택시, 오산시로 구성된 남부은 2010년 독립군집이었던 안성시가 추가되면서, 두 개의 으로 분화된 모습 을 보였다. 전술하였듯, 남부과 서울특별 시와의 연계성이 강화됨에 따라 위세중심성에 의한 중심지역도 1995년 수원시에서 2010년 용인시로 그 중심지역이 변화가 있었다. 용인의 인구는 1995년 241,643명에서 2010년 813,187명으로 증가되었으며, 같은 기간 직주비율은 1.21에서 0.72변화되어 주거 초과지역이 되었다. 또한 통근패턴의 경우도 1995년 내부통근을 제외하고 수원(6055명), 강남(2635명), 성 남(2146명), 서초(1330명)에서 2010년에는 성남(25585 명), 강남(24026명) 수원(15023명), 서초(12930명), 송파(5820명)로 이른바 강남지역으로의 연계성이 강 화되는 모습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V. 결 론 1990년대 중반이후 신도시의 개발과 교통체계의 발달 및 산업의 고도화 등의 요인으로 인하여 의 공간구조는 많은 변화가 있었다. 특히 경기도 지역 의 성장에 의한 의 다핵화와 이에 따른 광역통 근의 형태가 심화되고 있다. 즉, 내 지역 간서 로 다른 기능적 연계가 강화되고 있다. 따라서 이연 구는 66개 시군구를 대상으로 1995년과 2010 년의 위세중심성과 연계구조를 파악하여 공간 구조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995년과 2010년 모두 중구-종로구를 포함한 서울 강북지역의 위상은 여전히 유지가 되고 있는 모습을 보였으나, 강남구를 비롯하여 서초구, 송파구, 성남시 그리고 강동구를 포함한 서울강남지역의 위상이 점점 높아졌다. 또한 인천지역들의 위세중심성 순위가 점 차 낮아지는 데에 반하여 용인, 수원, 하남, 화성 등 경기도 남부지역의 위상이 점점 상승한 것으로 나타 났다. 분석기간 동안 연계구조의 변화는 중북부의 연계성 하락, 중서부 남부의 연계구 조의 강화로 설명될 수 있는데, 특히 남부지역 의 대규모 택지개발에 따른 인구증가 및 산업발전, 그 66

공간구조 변화에 관한 연구: 1995년 2010년 리고 서해안 고속도로 개통, 지하철 1호선 연장 등과 같은 교통체계의 발전에 따른 영향으로 서울지역 대 군집과 남부의 상호교류의 증가에 따른 결과 라 판단된다. 또한, 독립군집지역이 4개 지역으로 1995년에 비해 그 수가 감소하였는데, 이는 각 지역 간의 상호연관관계가 높아졌다는 의미라 할 수 있다. 분석기간 동안 정비계획법으로 대변되는 수 도권 정책에 의해 천안, 당진, 아산, 춘천지역의 성장 이 두드러졌다. 따라서 공간구조에 대한 보다 세밀한 분석을 위해서는 분석대상지역의 선정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註 1) 도시화과정에서 서울 인접지역의 제1기 5개 신도시 건설 및 지속적인 택지개발사업으로 서울 도심 반경 25km권으로 확 대된 서울 생활권이 용인, 동탄 등제2기신도시에 의해 반경 40km까지 확대되었다. 이 같은 의 교외화, 광역화현상 은 앞으로도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박성구 이창수, 2005). 2) 분석기간 동안 행정구역의 변화 시 기 변 화 1995년 1996년 1998년 2001년 2003년 미금시 남양주군 평택시 송탄시 평택군 구로구 성동구 도봉구 용인군 이천군 파주군 김포군 안성군 화성군 광주군 포천군 양주군 통합 분리 승격 남양주시 평택시 구로구 금천구 성동구 광진구 도봉구 강북구 용인시 이천시 파주시 김포시 안성군 화성시 광주시 포천시 양주시 3) 이수상(2012) p.268 참조. 4) 직주비 = 총도착통근자수 / 총출발통근자수 文 獻 권용식 김창석, 1998, 서울대도시권의 통근패턴변 화(1980-1995), 국토계획 33(5): 183-197. 김광익, 2009, 서울대도시권의 통근권 변화 특성, 국토지리학회지 43(4): 571-586. 김광익, 2010, 시,도간 통행 및 산업연계 분석을 통 한 광역 구분, 국토지리학회지 44(4): 525-536. 김기영 전명식, 1994, 다변량통계자료분석, 자유아 카데미. 김성록, 2012, 지역산업연관표를 이용한 지역 간산 업의 연계성 분석 및 지역산업연관표의 추계 기법, 공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노진아 장춘 김지소, 2010, 수단별 통근통행에 따른 의 공간구조 특성에 관한 연구, 한 국지형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69-76. 박시현 나유경 조창현, 2011, 통근통행 자료를 바 탕으로 한 교통의 설정에 관한 연 구- 전철OD자료를 바탕으로, 국토지 리학회지 45(2): 309-321. 박성구 이창수 2005 도시의 특성과 서울통 근통학률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40(1): 19-33. 손승호, 2013, 서울대도시권 통근통학통행의 시공간 변화 패턴,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6(2): 119-134. 송미령, 1997, 서울 공간구조의 변화와 특징, 국토 계획 32(4): 209-228. 송승호, 2003, 의 통근통행과 지역구조의 변 화, 한국도시지리학회지 6(1): 69-83. 심용주 조진희 권정주 황희연, 2012, 사회네트 워크분석기법에 의한 연담화 지역 공간범위 분석 전라북도를 중심으로, 국토지리학회지 67

김 성 록 46(2): 95-105. 이종상, 2000 유동패턴분석에 있어서 요인분석의 유용성, 한국지역개발학회지 12(2): 55-65. 이종상, 2007, O-D행렬에서 간접류의 재해석과 계산 방법의 개선, 한국지역개발학회지 19(2): 1-14. 이종상, 2008, 상호작용 분석을 통한 공간구 조와 그 변화 1995-2005, 한국도시지리학회 지 11(3): 91-100. 이상대, 2000, 의 지역구조 및 생활권 구분과 개편전략 연구, 경기: 경기개발연구원. 이수상, 2012. 네트워크분석 방법론, 서울:논형출판사. 이외희, 1999, 경기도 외부 통근통학지 패턴에 관한 연구, 경기연구 4: 57-73. 이희연, 1989, 지리통계학, 서울: 법문사. 이희연 김홍주, 2006, 서울대도시권의 통근 네트 워크 구조 분석, 한국도시지리학회지 9(1): 91-111. 조일환 김소연 곽수정 홍서영, 2011, 통근 통 학 업무 목적통행으로 본 의 지역구 조 변화,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4(1): 49-66. Berry, B.J.L. 1976. Urbanization and Counter - Urbanization, Beverly Hill: Sage Pub. Bonacich, P. 1972. Factoring and weighting approaches to status scores and clique identification. Journal of Mathematical Sociology 2: 113-120. Bonacich, P. 1987. Power and Centrality : a family of measures.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2: 1170-1182 Borgatti, P.S. 2005. Centrality and Network Flow. Social Network 27: 55-71. Clayton, C. 1974. Communication and Spatial Structure. Tijdsch, Econ. Geogr. 65: 211-227. Friedkin, N. 1991. Theoretical Foundations for centrality measures.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6: 1478-1504. Gordon P. and Richaedson, H. 1996. Beyond Polycentricity : the dispersed metropolis, Los Angeles 1970-1990.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62: 289-295. Hubbell, C.H. 1965. In input-output approach to clique identification. Sciometry 28(4): 377-399. Hughes, H. 1993 Metropolitan Structure and the suburban hierarchy.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58(3): 417-433. Nystuen, J.D. and Dacey, M. F. 1961. A graph theory interpretation of nodal regions. Paper and Proceedings of the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7: 69-84. Plane, D.A.. 1981. The Geography of Urban commuting fields: some empirical evidence from new England. Professional Geographer 33: 82-188. Protor, C.H. and Loomis, C.P. 1951. Analysis of Sociometric data, in Jahoda, M., Deutsch, M., Cook, S.W. Research Methods in Social Relations 561-586. Russeurm, L. H. 1975. Urban Fringe and Urban Shadow. Toronto : Rinehart and Winston. Seeley, J.R. 1949. The net of reciprocal influence: Aproblem in treating sociometric data. Canadian Journal of Psychology 3(4): 234-240. Shaw, M.E. 1954. Group structure and the behavior of individuals in small group. Journal of Psychology 38: 139-149. Vanhove, N. and Klaassen, L. H. 1980. Regional Policy: A European Approach. New York: Saxon House. 접 수 2014년 1월 6일 최종수정 2014년 2월 10일 게재확정 2014년 3월 5일 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