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vista lberoamericana, 15, 21 아 )4 스페인어와한국어의통사적휴사성 이만가 단독 / 서울대학교 Let:, Man-Ki(:W04), Algunas similitudes sintácticas entre el españ 이 coreano. Revis.ra lberoamericana, 15, 147-169. y el Desde el punto de vista tipológico, es bien claro que el español, lengua románica, y el corεano, lengua de la familia ural-altaica, son lenguas evidentεmente distintas. De modo quε no es una tarea fácil que en dichas lenguas podamos encontrar aspectos parecidos en el campo fonológico, morfológico y sintáclico. En contraste, ε1 español y el ingl 낭 s pertenecen a la familia dε lenguas indoeuropeas, por 10 cual muchas palabras derivadas del latín en εsp때이 y en inglés son morfológicameπte muy similarεs. Por 10 tanto, muchos estudiantes coreanos, quiene ya saben inglés y empiezan a aprender españ이 como lengua secundaria, tienen tendencia a adquirir los aspectos lingüísticos del español con la base del inglés. Pero, en este trab에 o procuramos mostrar que el español y el coreano comparten rasgos comunes en algunos aspeιtos sintácticos. En concreto, intentamos argumentar que estas dos lenguas mm:stran las similitudes sintácticas en los siguientes temas: el fenómeono de s띠 eto nulo, el orden de palabras de estructura informativa, y la preposición personal a como una marca de Caso. En primer lugar, el españ이 y el coreano son lenguas de sujeto nulo. En español, el morfema flexivo del verbo puede identificar el sujeto nulo. En cambio, el coreano, que no tiene conjugación verbal, legitima el pro-drop mediante la situación discursiva. En estas dos lenguas, el s내 eto nulo es obligatorio cuando está licenciado y completamente recuperable. En segundo lugar, el español y el coreano muestran una similitud sintáctica en que el orden de palabras, aunque es distinto uno del otro por la posición paramétrica del núcleo, varía dependiendo de Ila estructura informativa del discurso. Es decir, señalaremos que estas dos lenguas no son knguas con s내 eto obligatorio como el inglés y el francés: en españ이 y en con:ano no aparecen un expletivo léxico como it o there del inglés y il del francés. Por * 본논문은 2004 년 2 월 6 일한국언이학회겨윷학술대회 (Agreement in Spanish) 와 2004 년 3 월 19 일셔출대학교스패인중남미떤구소에서발표된원고를수정, 보완한것이다. 상 세한지적과논평을해주신세분의논문섬사자분들에게갚은감사틀드린다
148 01 애로이며 릭카쩌 제 15 권 último, procuramos argumentar que la preposición a del español tiene una función muy parecida a la marca de Caso acusativo ulllul del coreano en los siguientes aspectos. Primero, estas dos partículas se utilizan para evitar la ambigüedad de s매 eto y 이 eto. Segundo, hacen que el objeto directo pueda l1evar un rasgo semántico y aspectual de especificidad y de telicidad. Tercero, tienden a aparecer delante del objeto directo con predicado secundario. Con todo esto, pensamos que, en 10s aspectos sintácticos, e1 coreano es una lengua más cercana al español que al inglés. Si aplicamos a la enseñanza del εspañol estas similitudes sintácticas entre las dos lenguas, 10s estudiantes coreanos tendrán un acceso más fácil a la adquisición del españ이. Key Words: Similitudes sintácticasl Lenguas de sujeto nulol Estructura informativa, 통사적유사성 / 영주어언어 / 정보구조 1. 서론 일반적으로언어유형론적입장에서로망스어의하나인스페인어는우랄얄타이어계인한국어와는분명히서로다른언어임에틀림이없다. 음성학, 형태론, 통사론적여러양상에서이들두언어는공통된언어학적현상을찾기힘들다i 이런점에서스페인어를제 2외국어로배우는많은학생들은외국어로이미습득한영어에서출발하여스페인어의여 러 언어학적특정들을유추해내려하는경향이짙은것이사실이다. 실 제로라틴어에서파생된많은영어어휘들은스페인어어휘와유사하기 때문에, 학생들이스페인어에좀더친숙하게접근할수있다고한다. 그 러나본논문에서는, 통사론적측면에서스페인어가영어가아닌한국어 와훨씬더유사한현상을공유한다는점을보이고자한다. 이를통하 여, 스페인어가습득하기까다로운외국어가아니라, 영어뿐만이아니라 우리말과도친숙한언어라는사실을교육현장에서학생들에게주지시킨 다면, 스페인어를외국어로습득하는한국어화자학생들이스페인어에 좀더친근하게접할수있는기회를가질수있으리라생각된다. 따라서, 본논문이외국어교수법과직접적인관련을지니지는않지만, 두언어 간의통사론적유사성을교육현장에활용할수있도록제시함으로써외
스페인어와한국어의통사적유사성 이만기 149 국어로서의스페인어교수법에간접적으로나마도움이되었으면하는 바램을가져본다. 본논문의구성은다음과같다. 먼저, II 장에서는스페인어와한국어의 황사적차이점을간략하게살펴볼것이다.IIl 장에서는본논문의주제인 두언어간의통사적유사성을구체적으로다음의경우를가지고논증해 나갈것이다 : 주어생략현상, 정보구조어순, 스페띤어인칭목적격전치 사 a 와한국어목적격조사 을 / 를 의 유사성. 마지막으로결론이제시 될것이다. 1I. 스페언어와한국어의차이점 서론에서언급하였다시피, 스페인어와한국어는분명히계통상서로다른어족에속하는언어이다. 따라서인도유럽어똑에속하며로망스어의하나인스페인어는여러가지언어학적양상에서한국어와는분명히二규별되는언어임에틀림없다. 어휘변에서보더라도, 한국어의어휘와 스페인어의단어는어떠한상호연관관계를찾아볼수없다.1) 또한음 성학적측면에서도두언어간에는분명히서로다뜬음소체계가존재한 다는사실을알수있다. 예를들면, 우리한국어에존재하는 / 뻐 /-/ 표 /, / 다 /-/E/, /ll/-/ 극 / 와같은된소리와거센소리의대조가스페인어에는존 재하지않는다. 즉, 한국어에는 /b/ 와 /pι 모두대표음 / 닝 /) 가대조되지 않고, 단순히무성음님 (p)/ 된소리 ll l:l (p )/ 거센소리교 (ph) 의대립쌍만이 존재한다. 힌편, 스페인어에존재하는 /r/, /ñj, /f/, /rr/, /x/, /8/ 와같은음 소는힌국어에없다. 형태론적측면에서도두언어간의공통점을찾아보 키는힘툴다. 다음에서구체적으로스페인어와한국어의형태론적차이 점에대해서살펴보기로하자. I ) 우리말에는 café, cafetería, plaza, pan, guεπilla 와같은스페인어단어가일상생 활에서사용되는경우도있다한편, 스페인어에서차용 (préstamo) 되어음성적변화를겪은단어도있다예를뜰변. tabaco는조선시대에건너와다음과같은음생변화를겪 어현재 담배 란단어로사용되고았다 : 따바꼬 > 담바고 > 담배
150 01 애로야며 l 릭카빼 a 제 15 권 l 형태론적문볍자질의차이 자연언어는일반적으로의미의최소단위인형태소 (morfema) 들의결합에의해단어를형성한다. 형태소에는단어의기본의미를나타내는어휘형태소 (morfema léxico) 뿐만아니라, 문법적의미를나타내는문법적형태소 (morfema gramatical) 도폰재한다. 문제는언어마다문법적형태를나타내는방식이서로다르다는점이다. 만약, 자연언어모두가비록어휘는서로다르지만문법적양상을나타내는형태자질이서로일치했다면, 아마외국어를습득하기가훨씬더쉬워졌을것이다. 스페인어와한국어의가장두드러지는차이점중의하나도바로이러한문법자질의표현방식이다르다는점이다. 구체적으로스페인어명사에존재하는성 (género) 과수 (número) 나동사의인칭변화 { conjugación) 와같은굴절형태소 (morfema flexivo) 가한국어에는나타나지않는다. 또한스페인어의접어대명사가동사에항상붙어서나타나야하는것과는달리, 한국어에는이러한종류의접어가나타나지않는다. 한펀, 한국어에존재하는형태론적격표지는스페인어에나타나지않는다. 이러한여러가지현상들중에서먼저, 스페인어명사와술어사이에존재하는일치현상 ( concordancia) 부터살펴보기로한다. (1) 성 / 수얼치현상 스페인어에는명사와이를서술해주거나수식해주는요소가그명사 의성과수에일치해야한다. 그러나다음에서보듯이, 한국어에는이러 한명사와술어간의일치현상이나타나지않는다. (1) a. Él es alto. 그는키가르단. b. Ellas son altas. 그녀들은키가르단. (2) a. Esa chica parece bonita. 저여자는봐뻔보인다. b. Esas chicas parecen bonitas. 저여자들은렌뻔보인다. (3) a. Considero inteligente al niño. 나는그아이를똘똘한단곤생각한다.
스페인어와한국어의통사적유사성 이만기 151 b. Considero inteligentes a los niños. 나는그아이들을똘폼학단콕생각한다. (4) a. Juan bebe frío el café. 후안은커피를갚겐마신다.2) b. Juan come cruda la carne. 후안은고기를날흐먹는다. (5) a. El chico m갱 O 및짚소년 h. Las chicas majas 및짚소녀들 (6) a. Las chicas fueron consideradas inteligentes. 저소녀들은똘똘화단곤연검경단. b. Fueron consideradas inteligentes las chicas. 저소녀들이똘똘화단곳연견경단. 이는한국어의굴절형태소에는스페인어와같은빌치형태소가존재하 지않음을의미한다. 즉, 앞서언급했다시피, 언어내적요소인문법자질 을나타내는문법형태소는개탤언어간에분명차이가있으며, 이에는언 어계통이중요한역할을한다고볼수있다. 왜냐하면, 로망스어족에 속하는불어, 포르투갈어, 이태리어와같은언어는이러한일치현상을 모두보이기때문이다. (2) 접어 (clítico) 대명사의샤용 한편, 다음에서보듯이, 스페인어에는접어를통짜여직접목적대명사 나간접목적대명사의기능을표시하나, 한국어에는대명사의이러한기 능들이접어와같은문법요소에의해표현되지않는다. (7) a. Juan la quiere mucho. 철수는그녀를무척사랑한다. b. Juan le compró un juego de perla (a María). 철수는그녀에게진주한세트를사주었다. 2) 이와같이목적어병사구를서숨해주는역할을하는술어를이차술어 {predicado sεcundari 이라고부른다한국어에서도형용사가어미훨용 ( 굴절 ) 을통하여이차술어역 할을한다고볼수있다,
152 01 애로이며 l 럭저쩌앙제 15 권 접어는하나의단어라기보다는동사에항상붙어서나타나야하기때문에, 한국어의대명사가자유형태소 (morfema librε) 인것과는달리결속형태소 (morfema ligado) 이다. 이러한접어형태소역시로망스어에만나타나는문법형태이다. (3) 형태론적격표지 앞의 두문법현상이스페인어에만존재하는문법형태였다면, 문법적 기능을표시하는주격조사나목적격조사, 주제어표시 (Topic marker) 같 은형태론적격표지는한국어에만존재하는문법형태소이다. 즉, 다음의 문장에서보듯이, 한국어에는격조사나주제어표시가명사구에외현적 으로표시되지만, 스페인어는이러한형태론적격표지가나타나지않는 다 )) (8) a. 철수가서점에서책몇권을샀다 [ 주격, 목적격조사 l 핀an compró 쁘으흐꾀뇨쁘 ~ en la librería. b. 어제는서울에비가억수같이왔다 [Topic marker] AY효!: llovió a cántaros en Se디l. 지금까지우리는스페인어와한국어에는분명히서로다른형태론적 3) 생성문법이론에서는보면문법적관점에서, 형태격 (Caso morfológico) 이격표지로나타나는언어에서출발하여, 모든자연언어에는추상격 (Caso absπacto) 이존재한다고가정 하고있다. 격이란어떤명사구의문장에서의통사적가능을표시해주는역할을하기 때문에, 형태격이표면적으로나타나든, 나타나지않든간에, 명사구스스로단독적으 로격표시가허가될수는없다. 즉, 나목적어와같은통사적기능을수행할수있다 다음과같이명사구들은문장속에서자신의주어 (i) a. * 철수가, * 영회를 b. 철수가영희를사랑해. (ii) a. *Ias madres, *sus nìños b. Las madres quieren a sus niños. 이런점에서언어간에존재하는형태론적문법자질의차이점은부차적인문제이며, 중 요한점은이러한문볍현상외현적차이점을어떻게통합적으로일관성있게설명해 내느냐는것일것이다
스페인어와한국어의통사적유사성 이만기 153 분법자절이존재한다는점을살펴보았다. 두언어에나타나는이러한서 로다른체계의문법형태소는외국어로서각각의언어를습득함에있어 서장애로나타날것임은분명한사실일것이다. 2. 어순의차이개별언어간의매개변인 (Parám(:tro) 본논문에서의주제는스페인어와한국어사이에존재하는통사론적유사성이다. 이러한주제의기저에는언어생득설의가설 (HipótεSIS innatista) 하에서인간은보편문법 (Gramática universal) 을지닌다는근본적인가정에서출발하는것이다. 따라서통사콘적 F 사성을설명하기이전에, 두언어에존재하는분땅한통사론적차이점, 즉문장어순에있어서의차이점을설명해야할것이다. 생성문법이뜬에서는, 보편문법적관점에서개별언어의구체적얀통사론적차이점은매개변인 (Parámetro) 에의해셜탱가능하다고가정한다. 이러한매개변인적관점에서본다면자연언어는핵이앞에오는 Head-initial 언어와핵이뒤에위치하는 Head-final 언어로나누어진다. 이를구체적으로실펴본다면다음과같다. (9) Head-initial language: 스페인어, 영어 XF X( 어휘핵 ) Complement( 보충어 ) destrucción(n) de la ciudad destruir(v) la ciudad contento(a 이 ) en(p) creer que(comp) de las notas la escuela [María es guapa]
154 01 애로야며 럭자쩌갚제 15 권 (10) Head-final language: 한국어, 얄본어 XP Complemεnt 도시의도시를영희를학교 [ 영희가예쁘다 ] X( 어휘핵 ) 파괴 (N) 파괴하다 {V) 좋아하대A이 ) 에서 (P) 고 (COMP) 생각하다 위에서살펴본바와같이스페인어는영어와마찬가지로핵이앞에오는언어인반면에, 한국어는일본어와같이핵이뒤에오는언어에속한다. 이러한매개변인을통하여, 스페인어와한국어의어순차이가두언어에만존재하는통사론적차이가아니라, 모든자연언어에적용되고설명되어질수있는현상이라는점을알수있다. 따라서우리는스페인어와한국어에존재하는어순차이는매개변인에의해설명되어질수있는문법현상이라는점을전제하고, 이러한전제하에서다음장에서살펴볼두언어간의통사적유사성을살펴보도록하자. 스페인어는비록어순에있어서는인도유럽어족인영어와같은부류에속한다고볼수있으나, 앞으로구체적으로살펴볼한국어와의통사적유사성을고려해본다면스페인어는한국어에더가까운언어임을알수있을것이다. Ill. 스페인어와한국어의유사성 l 주어생략 (pro-drop) 현상 (1) 영주어언어와비영주어언어 먼저, 스페인어와한국어는주어를생략할수있는영주어언어 (null subject language) 이다.
스페인어와한국어의통사적유사성 이만기 155 (11) 영주어언어의인칭별동사변화 A페인어 한국어 (Yo) canto ( 나는 ) 노래부른다 (Tú) cantas. ( 너는 ) 노래부른다. (EIIElla) canta. ( 그l그녀는 ) 노래부른다. (Nosotros) cantamos. ( 우리는 ) 노래부른다. (Vosotros) cantáis. ( 너희들은 ) 노래부른다. (Ellos/Ellas) cantan. ( 그들 / 그녀들은 ) 노래부른다. 위에서보듯이, 스페인어는동사의활용어미, 즉, 굴절형태소를통하여 주어를확인할수있기때문에주어를생략할수있다. 한편, 한국어는 인칭별동사의활용어미가모두동일함에도불구하고주어를생략할수 있다. 다음에논의하겠지만, 한국어에서는동사의활용어미형태소가아 니라담화같맥에서주어를확인할수있는경우에영주어가허가된다. 이러한동사활용어미와영주어허가의상관관계를포착하여, Jaeggli & Safir( 1989) 는획일적인굴절패러다임을지닌언어는영주어를허가한다고제안하고있다. (12) Jaeggl i & Safir (1989): 획일적인굴절패러다임을지닌언어는 영주어를허가한다. 한편, 동사의굴절형태소가있음에도주어를생략할수없는언어도있 다. 다음에서보듯이, 불어와영어가비영주어언어의예가될수있겠다. (13) 비영주어언어의인칭별동사변화 불어 영어 *(Je) chantc. *(1) sing. *(Tu) chantes. *( 'ou) sing. *(II/Elle) chante. *(He/She) sings. *(Nous) chantons. *(We) sing. *(Vous) chantez. *(You) sing. *(fls/elles) chantent. *(They) sing.
156 01 배로이이 1"'1 카쩍왔제 15 권 불어는스페인어와같은로망스어에속하지만, 로망스어군에서유일하게영주어를허가하지않는다. 그이유는, 다른로망스어와는달리, 불어의경우, 동사의풍부한어미형태에도불구하고, 발음 { 구어 ) 시에동사의어미형태가 l 인칭단수, 2 인칭단수, 3 인칭단복수의주어를확인할수없기때문이다.4) 영어의경우에는동사의굴절형태소의출현이 3 인칭단수의경우에만한정되므로주어의생략이불가능하다. (2) 스페인어와한국어의주어생략현상 앞서살펴본바와같이스페인어는동사의 풍부한, 일치형태소 (richness 0 아 f a 쟁 greement mo 야 rpho 이 logy) 로탈락된주어의회복이가능하다. 즉, (14a) 에서보듯이, 주어를생략해도어미형태소 o 가주어 Yo 를 확인해주므로 YO 를 생략할수있는것이다. 그러나동사에주어와일 치하는일치형태소가나타나지않아주어를확인할수없는한국어의 경우, (1 4b) 와같이담화상황이주어지지않고주어가생략되어냐타냐 면그회복이불가능하여이문장은비문이된다. (1 4) a. [e] Canto. b. *[e] 노래한다. [ 스페인어 ] [ 한국어 1 따라서, 한국어는담화나문장차원에서탈락한주어를복원할수있 는요소 ( 선행사 ) 가제시된환경에서만주어생략이가능하다. (1 5) a. 넌밥먹었니? - 웅, [e] 먹었어. b. 철순늪언제오니? - [e] 일요일에와. c. 일순눈 [[e] 내일오겠다고 ] 말했다. d. 결순늪학생이야. [e] 언어학을공부하지. 4) 불어의경우, 2 인칭복수인칭변화 Vous chantez 에서는동사의어마형태의발음이다 른인칭과는분명히구별되므로주어인 Vous 가생략가능하다고한다. 이는로망스어에서영주어의허가가구어 (Ienguaje oral) 와밀접히관련되어있음을증명하는것이라생각된다.
/뻐l,스페얀어와한국어의통사적유사성 이만기 157 한편, 한국어에는일치형태소가동사에나타나지않기때문에, 생략된주어의복원이혼란스러울수있다. 영화 살인의추억 에서는한국어익이러한주어생략현상을아주잘활용한예라고할수있다. 즉, 영화에서주된흥띠거리로제시되고있는백광호의진술내용이그것이다. 형사들은백광호의진술에서그가범인이라고계속생각하고있다. 그러나섣제로백광호는자신이숨어서본범행현장플형사들앞에서진술하는것뿐이다. 즉, 다음백광호의진술내용에나타난생략된주어는담화상 1 인칭인 [ 내가 ] 도될수있고, 3 인칭인 [ 범인이 l 도펼수있는것이다. (16) [ε] 향숙이머리에씌운다. [e] 목을조른다. 스페인어또 3 인칭의경우에는, 다음과같은단분에서는주어생략이볼가능하다. 왜냐하면, 3 인칭의특성상단문에서는생략된주어의지시체를확인할수없기때문이다. 즉, 디음의문장은담화적차원에서맥락이주어지지않을경우부적절한문장이된다. (17) a. [e] Estudia Iingüística. b. [e JI Vendrá el domingo. 즉, 스페인어에서도 3 인칭의경우에는, 한국어와마찬가지로, 다음과 같이담화나문장차원에서선행사가있어야주어생략이가능하다. 삐t 시a ν 띠얹않M -[e] Estudia lingüística. b Jm, 0 빼,J- 뻐? 떠[e] Vendrá el domingo. e -,뻐 따그러나비영주어언어인영어나불어에서는담화문맥상주어를확인 할수있는경우에도주어를생략하면다음과같이비문이된다. (1 9) a. 피피 is a student. b. When will John come? *( 뀐흐 ) studies linguistics. *( 딘효 ) wi l1 come on sunday.
158 01 배로야에리카쩍 2 제 15 권 (3) 주어생략과인칭대명사 한편, 스페인어나한국어처럼주어생략이허가되는언어에서는, 주어 탈락이가능한환경에서인칭주격대명사를사용하면강조의의미를지 니게된다. 즉, 다음과같이주어를회복할수있는경우에서는주어를 생략하는것이가장자연스럽고무표적인문장이되는것이다. (20) a. l,vas a cantar? b. Sí, [e] voy a cantar. b. Sí, yo voy a cantar. [+ 강조 ] (21) a. 너노래할래? b. 응, [e] 노래할게. b. 응, 내가노래할게. [+ 강조 ] 마찬가지로, 다음의예문들은주어생략과관련하여스페인어나한국어 의공통점을시사한다. 즉, 행사를지칭할수있으나, 두언어모두주어를생략하면문장내의선 인칭대명사를사용하면문장내의선행사가 아닌다른지시체를가리킨다. (22) a. Cuando [e]; trab에 a, 관쁘 ; no bebe. b. Cuando 한미 trab에 a, 꽉앤 ; no bebe. (23) a. [e]; 일할때, 결순늘, 술안마셔요. b. 프간 *i/j 일할때, 철순늘l 술안마셔요. (24) a. 핀쁘 ; quiere [[ej; casarse con MaríaJ b. 핀쁘 ; quiere [que 학 ';/i se case con María] (25) a. 철숫늘 ; [[e]; 마리아와결혼하길 ] 바란다. b. 결순늪l 딛갚 *i/j 마리아와결혼하길 ] 바란다. 예상한바대로, 영주어언어가아닌영어의경우에는, 스페인어나한 국어와는달리, 의무적으로사용되는주격인칭대명사가문장내의선행 사나그이외의다른지시체모두를지칭할수있다.
스페인어와한국어의통사적유사성 이만기 159 (26) When 뻗 i/j works, I 으쁘 i doesn t drink. 이상에서, 우리는스페인어와한국어가비록동사활용이라는굴절형태소체계에있어서는분명차이가있으나, 주어를생략할수있는영주어언어라는점과주어생략이가쳐오는여러가지통사적현상을공유한다는점에서, 두언어는아주멀리통떨어진언어가아니라통사적으로밀접한언어라는점을살펴보았다. 2. 정보구조어순 (1) SVO 어순과정보구조어순 주어생략현상에이어서여기에서는스페인어와한국어의어순이공히정보구조에관련되어있다는사실을알아보도록하자. 먼저, 다음에서보듯이, 영잉와불어는주어가정해진위치에나타나는고정된 SVO 어순을보인다 (27) 영어와불어의 SVO 어순 영어 불어 a. Who came? a. Qui est venu? b. John eame. (SV) b. Jean est venu. (SV) a. Who bought the computer? a. Qui a acheté cet ordinateur? b. Mary bought it. (SVO) b. Marie 1 a acheté. (SVO) 그러나다음스페인어의예문에서보듯이 고정된어순이아니라정보구또에민감한어순을나타낸다. 스페인어어순은 SVO 의
160 01 얘로야에 I!!! I 카쩍강제 15 권 (28) 스페인어의정보구조어순 A 페인어 a. l,quién vino? b. Vino Juan. (VS) a l,quién compró el ordenador? b. Lo compró Ma꺼a. (OVS) 즉, 스페인어의어순은고정된 SVO 어순이아니라, 질문의내용에따 라주어의위치가문장의끝에도올수있는것이다. 왜냐하면, 스페인 어에서가장자연스러운어순은 구정보 (Tema)+ 신정보 (Rema) 의 어순이 기때문이다. 그런데 한국어도스페인어와마찬가지로이러한정보구조 와관련된어순을보이고있다. 같은대화상황에서두언어의어순을 비교해보자. (29) 스페인어와한국어의어순비교 스페인어 한국어 a. l,quién compró el ordenador? a. 그컴퓨터누가샀니? b. EI ordenador 10 compró María. b. 그컴퓨터는영회가샀어. a. l,qué compró M뼈a? a. 영희는뭘샀니? b. M뼈a compró un ordenador. b. 영회는컴퓨터를샀어. 위의표에서보듯이 스패인어나한국어모두질문에대한답으로제 시되는새로운내용진한글자로된단어 ) 은동사에가깝게나타나며, 5) 담화상에서이미알고있는내용은문장의맨앞에위치한다 { 물론두언 5) 스페인어는신청보가동사바로뒤에위치 ( 동사 + 신정보 ) 하며, 한국어는동사바로앞 에위치 ( 신정보 + 동사 ) 하는것이자연스런무표적어순 (unmarked word order) 이다. 동사 와관련하여신정보의어순이서로다른것은매개변인에의해나누어지는핵의위치 (head initial/ head final) 에의해설명되어질수있다. 즉, 동사가핵이되므로, Head-initial 언어인스페인어는신정보가동사뒤에올것이며, Head-final 언어인한국 어는선정보가동사앞에위치하는것이다.
스페인어와한국어의통사적유사성 이만기 161 어모두구정보가생략되는것이자연스러운어순이디-). 따라서영어처럼주어의위치까고정된 svo 어순이아니라담화정보에밀접하게관련되어어순이배열된다는점에서스페인어와한국어는공통된분모를지니는언어라는사실을알수있다. (2) 주어의의무성과어휘허사 {lexical exp l 앙 ive) 한편, 스페인어와한국어는어휘허사를지니지않는다는점에서도공통점을지닌다. 즉, 다음도표의예문들에서보듯이, 영어나불어와같이주어가고정된 SVO 어순을지니는비영주어언어에서는항상주어위치에영어의 it, there 이나불어의 i l 과같은어휘허사가나타난다. 그러나영주어언어인스페인어와한국어에서는이러한어휘허사가나타나지않는따. (30) 영주어언어와비영주어언어의어휘허사분포 비영주어언어 영어 It s 10 0 clock. [e] Son las 10. It is likely that they won t pay you. 영주어언어 A 페인어 [e] Es fáci l que no te paguen. lt seems that M 따 y is intelligent. [e] Parece que María es inteligente. There is a tlower on the table. 불어 1I est dix heures. [e] 10 λ 1 0 1=. [e] Hay una tlor sobre la mesa. 한국어 11 est probable qu ils ne te paient pas_ [e] 껴들이너한테돈안주기쉬워 11 semble que Marie est intelligente. [e] 영희가똑똑한것같 아. n y a une tleur sur la table. [e] 책상위에꽃한송이가있어. 영어나불어와같은비영주어언어에서어휘허사가나타난다는사실은우연의일치가아니며이러한사실은이들언어가주어를반드시요구하는 svo의고정된어순을요구하는언어라는사실과무관하지않 다 6)
ιm차lπ는a 하-162 01 이 로야며 l 릭카쩌 a 제 15 권 3. 스페인어전치사 a+ 직접목적어 와한국어목적격조사 을 / 를 의 유사성 스페인어인칭전치사 a 는 직접목적어가사람을나타내는경우에사 용된다. 그러나다음에서보듯이, 한국어의목적격조사는이러한인칭 이라는의미자질조건을요구하진않는다., J 껴기 )a b a 나b 나때-懶뼈-썼빼헬짧-願η는[+animado] [-animado] [+animad 이 [-animado] 그러나본논문에서는이러한차이점에도불구하고, 스페인어의인칭 전치사 a 와한국어목적격조사 을 / 를 은다음과같은점에서유사성을 보인다는사실을보이고자한다. 먼저, 두언어공히이들요소는주어와목적어의혼돈을피하기위해 사용된다. 다음의스페인어예문에서보듯이, 직접목적어앞에인칭전치사 a 를사용하지않을경우주어와목적어의구분이애매모호하다. (33) a. Juan quiere María. b. Perseguía el guardia el ladrón. (ambiguo) (ambiguo) 그러나인칭전치사 a 를목적어명사구앞에삽입하면이러한중의성 은사라지게된다. / m (34) a. Juan quiere a María. 빼 / 뼈기 m b. A Juan quiere María. m 6) Chomsky (1 982) 는주어를반드시요구하는이러한현상과관련하여다음과같은확대 빼뼈.멍투사원리 (Extended Projection Principle) 를제안한바있다 (i) 확대투사원리. 모든절은주어를갖는다 (Every clause must havε a subject)
스페요어와한국어의통사적유사성 이만기 163 (35) a. Perseguía al guardia el ladrón b. Perseguía el guardia al ladrón. (no ambiguo) (110 ambiguo) 다음의스페인어예문은주어와목적어의혼돈을방지하기위해사물 목적어에도 a 를사용할수있다는점을보여준다. (36) Ve11ció a la dificultad el entusiasmo. [-animado] 이와마찬가지로, 한국어에서도격조사는주어와목적어의혼란을방 지하기위해사용될수있다. 회(37) 칠수영희좋아해. 빼/ 때(38) a. 철수가멸휠를좋아해. 뺑, / m,b. 활뚫영희가좋아해. 뼈 그러나한국어나스페인어포두주어와목적어가애매하지 에는격조사나인칭전치사 a 가나타나지않는다.9) L " 동 -cr1 /6 기- 7) 이문장은 A Juan 이강조된강조구문이다만약, 그렇지않다면, 다음과같이접어대 명사가나티나야한다 A Juan 10 quiere María 8'1 익명의논펑자가언급했듯이일반적으로이문장에대해한국어화자는 sov로해석하는경향을지닌다. 그러나이는경향일뿐이며, 이문장이항상 SOV로해석되는것은아니다. 예를들어, 철수영희서로좋아해 라는해석도충분히가능하며, OSV로해석할가능성을배제할수는없는것이다이모뜬것은한국어에격조사가나타나지않음으로인해서생길수있는하석의애매성인것이다. 한편, 본논문에서는한국어의문장해석의중의성을방지하기위해서목적격조사가반드시필요하다눈것이아니파, 격조사까요구된다는것을보이고있다. 논평자도지적하듯이, 다음과같이목적격조사는생략가능하며주격조사만으-로도문장의애매힘이사라칠수있기때문이다 : 칠수가 ( 는 ) 영희좋아해 ) ) 논평자는다음의점을들어한국어목적격조사는스페인어대격전치사 a 와는다른문법적요소라고지적하고있다먼저, 한국어목적격조사는스페인어와달리무생물목적어에도사용될수있으며, 또한한국어목적격조사는목적어기능표시자임과동시에초점과관련된화용론적범주에속할수있다한편, 다음파같이주어와목적어가애매하지않은경우에도격조사가나타나는문장을지적하고있다 천수가책을샀니?" 윤콘 l 러한점틀은스페인어대격전치사 a 와는분명히다판점이다. 그러나, 본논문에사는이러한차이점에도불구하고, 논문에서논의되는특정성파완료성파감은의미적양상에서한국어의목색격조사와스페인어의대격전치사는유사한기능을
164 01 애로야며 릭카쩌갚제 15 권 왜뼈철<T 때μi,m 빼? 將q/ (no ambiguo) (no ambiguo) 둘째, 격조사 을 / 를 이나인칭전치사 a 는해당목적어가특정성 (specificity ) 이란의미자질을나타내도록한다. (41) a. Tr멍 eron [a un amigo] con ellos. [+específico] b. Trajeron [un amigo] con ellos. [-específico] (42) a. 영희가 I 어떤학생-을 ] 보았다. [ 특정한한생 ] (Kim, 1993: 23) b. 나는존이 [ 어떤아이 ] 야단치는거보고놀랐다. [ 불특정한아이 ] (Lee & Cho, 2003: 43) 셋째, 목적격조사나인칭전치사 a 와함께나타난목적어는특정적인의미해석을지님으로인하여, 해당술어가상적요소 (aspectual factor) 인완료성 (telicity) 를나타낸다. 다음예문에서보듯이, 인칭전치사 a 와목적격조사가사용된구문에서만완료적해석을가지며, 그렇지않은경우의문장에서는두언어모두에서불완료상을나타내는반복적해석을가진다. (43) a. Laura escondió a un prisionero durante dos años. [single act reading] b. Laura escondió Uß p꺼sioßero durante dos años. [repetitive reading] (Toπego, 1998: 21) (44) a. 한시간동안존이편지를썼다. [single act reading] b. 한시간동안폰이편지썼다. [repetitive reading] (Lee & Cho, 2003: 44) 한다는점을제안하고자한다.
스페인어와한국어의통사적유사성 이만기 165 따라서목적격조사와인칭전치사 a 는 술어의완료적해석과어울리 는 한시간안에 니 - en un segundo 와같은부사구와만같이사용될 수있다. (45) a 한시간안에존이편지를썼다. b.?? 한시간안에존이편지썼다. [single act reading] [rεpεtitive reading] (Lee & Cho, 2003: 45) (46) a. Besaron a un niño en un segundo. (télico [+terrninativo]) b. *Besaron un niño en un segundo. (Torrego, 1999: 1789) 넷째, 스페인어의인칭전치사 a 와한국어의목적격조사는다음과같 은통사적꽁통점을나타낸다 : 이차술어 (predicado secundario) 의목적어 명사구앞에온다. 먼저, 다음익예문들은스페인어의인칭전치사 a 가 이차술어를 ; 까지는목적어명사구앞에나타난다는것을보여준다. (47) Besaron [a un niño llorando ].10) (48) a. Llamamos [al perro Juan]. b. Llamamos [perro a Juan] (49) Encontré [a un alumno preocupado por el examen]. (50) La UEFA podría d멍 ar [a Inglaterra sin Eurocopa]. (51) Hicieron [al pobre animlll correr]. (52) Tiene [a muchos alumnos estudiando el problema].ll) 10) a 가나타니지않는다음의문장은 llor 없 1do 가주어술어로만기능한다 (i) Besaron [1m niño] llorando. 11 ) 스페인어 tener 동사구문은다음파같은점에서 haber 존재구문과유사하다. 먼저특 정명사구를목적어로취할수없다는점에서공히한정성효파 (definiteness 인다. (i) a. Hay niños εn el jardín. b. *Hay el niño en ε1 jardín. (ii) a. María tiene parientes. b. *María tiene los pariεntes effect) 플보 둘째, 두동사모두직접목적어로 [+animado] 의마자젤을지니는명사구를취하더랴도
166 01 배로아이 l 럭거쩌강제 15 권 다음의한국어예문역시, 목적격조사가이차술어를가지는목적어명 사구앞에반드시나타나는경향을보여주고있다.1 2 ) (53) a. 철수는 [ 경휠를뛰게 l 했다. b.?* 철수는 [ 멸휠뛰게 1 했다. (54) a. 철수가 [ 멸휠릎얘인으로 ] 삼았다 / 간주했다. b. * 철수가댐휠애인으로l 삼았다 / 간주했다. (55) a. 철수는 [ 월휠를행복하다고 ] 생각한다 b.?* 철수는댐휠행복하다고 ] 생각한다. (Hong, 1994: 3-5) 다섯째, 한국어 ( 일본어 ) 와스페인어에서목적어명사구가뒤섞기 ( scrambling) 되는경우, 격조사 을 / 를 과인칭전치사 a 는반드시요구된다. 인칭전치사 a 를사용할수없다 (iii) a. *Hay a muchos amigos. b. * Juan tiene a muchos 외 nigos. 이러한점에서. tener 구문은 haber 존재구문과마찬가지로처럼특정명사구를목적 어로취할수없으며, 따라서인칭전치사 a 를 사용할수도없다그러나, 다음의예 문에서처럼, 직접목적어를서술해주는이차술어가나타나게되면, tener 구문은 haber 존 재구문이아닌 estar 장소술어구문으로바뀌어져서, 목적어명사구가특정적해석을띠 게되어인칭전지사 a 가나타날수있다 (iv) a. Tengo [a tu hermana como ayudante). b. Tiene [a los alumnos estudiando el problema) 이러한사실은인칭전치사 a 는 [+animado, +específico) 라는두가지의미자질을목적 어명사구에요구한다는것을의미한다 (v) a. He visto a un niño en la calle. [+animado, +específico) b. He visto un niño en la calle. [+animado, -específico) 12) 논평자는, (53)-(55) 에서이차술어를갖는많은목적어가 -를 뿐만아니라 -가( 이 ) 에 의해서교체될수있다는점을지적한다. 실제로한국어에서는이러한구문에서 가 / 를 이교체될수있다. 언어학용어를사용한다연, 스페인어나영어의경우, 비시제절 을가지는내포절의주어는주절동사로부터예외적 격표시 (ECM) 가이루어지나, 한국 어에서는격표시가내포절자체에서주격으로허가될수도있고, 주절통사로부터예외 적격표시를받을수도있다. 그러나, 본논문에서중요하게여기는점은, 주격조사든지 목적격조사든지간에, 어색하게된다는점이다. 이차술어를가지는목적어에격조사가탈락되면이러한문장은
스패인어와한국어의통사적유사성 이만기 167 (56) a. 뜯캄솔 }, 존이 [ 머l 리까 t 좋아한다고 ] 생각한다. b. SOJ딱쉰띤갚잉 } John-ga [Maη-ga! katta 1:01 omotteiru. that book-acc John-Nom Mary-Nom bought that thinks (57) *~ç딱피 ~, Juan piensa [que 10 quiere! María]. 이상에서살펴본대로, 스페인어의인칭목적어앞에나타나는전치사 a 는한국어목적격조사 을 / 를 과여러변에서공통점을보인다고볼수있겠다. 따라서스페인어 a 는순수한전치사가아년격표지자 {Case marker) 라고간주할수있다. 다음역예문은스페인어의인칭전치사 a 가격표지자에불과하다는점윤시사한다. 즉, 직접목적어와간접목적어가동시에나타나는경우, 직접목적어가 [+animado, +específic이라는의미자질을만족하더라도인칭전치사 a 는생략된다. 그대신, 어순은다음과같이고정된다 : V + OD[+animado] + a 이. (58) a. Presenté Miguel a Antonia. b. Denunci 당 el ladrón al guardia. c. Rεcomiendε Ud. mi s:obrino al señor IV. 결론 이상에서우리는스페인어와한국어가명백히서로다른언어계통 ( 인도유럽어족 vs. 우랄알타이어족 ) 에속하는별개의언어임에도불구하고, 여러통사적인변에서유사한점을보인다는사실을보았다. 구체적으로, 스페인어와한국어는주어를생략할수있는영주어언어이며, SVO 라는고정된어순을지니지않고담화정보에따라구정보 + 신정보의어순을공통적으로지니며, 어휘허사를가지고있지않는다는점을살펴보았다. 그리고스페인어의인칭전치사 a 와한국어의목적격조사 을 / 를 역시상당히유사한통사적양상을보여준다는점질보았다. 다시말해서, 기본적문법의틀은계통이같은영어와스페인어가한국어보다더공통점이많은것은사실이나, 통사적으로몇가지매개변인 (parameter)
168 01 애로야며 1"'1 거쩌 2 제 15 권 를살펴보았을때에, 스페인어는영어보다한국어와공통점이더많이나타나는것이다. 이러한점을외국어로서의스페인어교육에십분활용한다면, 한국어를모국어로가진화자들이스페인어를좀더쉽고친근하게배울수있지않을까생각해본다. 따라서본논문의결론은다음으로 요약될수있겠다 : 한국어는영어보다스페인어와통사적유사성이더 많다.1 3 ) 13) 논평자들은이러한몇가지통사적현상을가지고한국어와스페인어가가깝다는것은너무비약적이라고지적한다. 물론이에동의한다. 그러나, 본논문에서는, 영어와비교했을경우, 스패인어와한국어의몇가지통사적유사성에주목하며, 이를통해스페인어교육에있어서많은지침이될수있기를바란다는점과, 학생들로하여금스페인어학습시문법적오류를일으키는몇가지요인을한국어와비교하여지적할수있도록해줄것이란점에서, 스페인어를우리말과유사한친근한언어로인식하는데도움이될것으로기대한다. 즉, 본논문은교육적관점하에서두언어간의통사적유사성올논의한것이란점을밝혀둔다.
스페인어와한국어의통사적유사성 이만기 169 참고문헌 Brugé L. & G. Brugger(1996), On the accusative a in Spanish", Probus 8, 1-5 1. Chomsky, N.( 1981). Lectures on Government and Binding. Dordrecht, Foris -- ( 1982). Some Concepts and Consequences 01 the Theory 01 Government and B.inding. M ass, M lt Press Contreras, H. (1983), El orden de palabras en español. Madrid: Cátedra Hong, Yong-Tcheol(1 994), Incorporation theory and the distribution of Case morpheme", Studies in Generative Grammar, 4: 1, 1-43. Hualde J 01arrea A. & A. Escobar(2003), Jntroducción a la lingüística hispánica, Cambridge University Press. Jaeggli & Satìr( 1989), The Null subject parameter and parametric theory", The Null Su 비 ect Parameter, K luwer, 1-44. K.m, Dae-Bin(1993), The Specificity/Non-specificity Distinction and Scrambling theor), Seoul, Taehaksa. Kim, Un-Kyung(1993), La preposición a ante el complemento directo", Revista lberoamericana 4, 139-178. King, Larry D. & Margarita Suñer(2003), Gramática española: Análisis y práctica, 2da. Edición, MeGraw-Hill. la~e, Man-Ki(2004), Structural Case and D-feature in Spanish and Korean", Studies in Generative Grammar, 14:1, 137-155. LI~e, Wonbin & Sungeun Cho(2003), Argument Scrambling and 0 비 ect Shift", Studies in Generative Grammar, 13, 39-59. Rizzi, L.(l 982), Jssues in Italian Syntax, Dordrecht, Foris. Shim, Sang-Wan(2003), Comparative study on pro-drop: Pedagogical approach"" Revista lberoamericana, 14, 113-132. Solà, J.(1992), Agreement and Subjects", Ph.D. Dissertatíon. UAB. Torrego, E.( 1998), The Dependencies of 0ψécts, Mass, MIT Press.(1 ( 99), EI complemento directo preposicional", Gramática Descriptiva de la Lengua Española, Madricl, Espasa. Zagona, K.(2002), The Syntax of Spanish, Cambridge University Press. Zubizarreta, M. L.(l 994), The Grammatical Representation of Topic and Focus". Cuadernos de Lingüística del J. U Ortega y Gasset 2. 0] 만기논문접수띨 : 2004 년 4 월 3 일 서울대학교인문대학서어서문학과 E-mail: mankilee@snu.ac.kr 심사완료띨 : 2004 년 5 월 27 일 게재확정띨 : 2004 년 12 월 10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