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EP Clinical Researches J Korean Neurosurg Soc 30479-485, 2001 말초성안면마비에서중두개와접근법에의한안면신경감압술3례보고 조준 박성호 김재영 * = bstract = Facial Nerve Decompression via Middle Fossa pproach Report of Three Cases Joon Cho, M.D., Sung-Ho Park, M.D., Jae-Young Kim, M.D.* Department of Neurosurgery and Otolaryngology,* Minjoong Hospital, Konkuk University Medical Center, Seoul, Korea bjective Method Results Conclusion KEY WORDS 서론 - J Korean Neurosurg SocVolume 30pril, 2001 479
말초성 안면마비에서 중두개와 접근법에 의한 안면신경 감압술 : 3례 보고 에서는 완전하게 회복되지 않고 정지상태에서 입술모양의 작된 사람일수록 후유증이 남을 확률이 더 높다는 문제점 비대칭, 표정을 지을 때 입술모양의 뒤틀림, 눈이 완전히 감 이 있다. 그러므로 말초성 안면마비는 대부분 보존적 치료 기지 않는 상태를 후유증으로 흔히 남기며, 호전이 늦게 시 가 가능한 질환임에도 불구하고, 후유증 발생을 억제하기 B Fig. 1. Pictures taken 6 months after operation(right) showing recovery state of facial nerve paralysis in comparison with the pictures taken before the operations(left). Case 1, B Case 2 480 J Korean Neurosurg Soc/ Volume 30 / pril, 2001
- 증례 1 증 례 Table 1. Clinical summary of cases Case No. Sex/ ge Cause H-B grade* Pre-op Post-op6 months ENoG** Pre-op Post-op6 months 1 M/50 Idiopathic 2.46% 19.5% 2 F/18 Idiopathic 1.8% 12.3% 3 M/36 Trauma 0% 18.2% H-B grade=housebrackmann grade ENoG=Electroneurography, represents percentages of the amplitude of compound motor action potential in affected nasalis muscle. Postoperative results represent obivious impairment in contrast to the preoperative results - 증례 2 Table 2. HouseBrackmann grade Grade Degree of Injury Definition I Normal Normal symmetric function in all areas II Mild dysfunction Slight weakness noticeable only on close inspection III Moderate dysfunction Obvious weakness but not disfiguring IV Moderately severe dysfunction Obvious disfiguring weakness inability to lift browsevere synkinesis, mass movement, or spasm V Severe dysfunction Motion barely perceptible synkinesis, contracture and spasm usually absent VI Total paralysis No movementloss of toneno synkinesis, contracture, or spasm Classification system for reporting results of facial paralysis Based on system proposed by House and Brackmann and adopted by the Facial Nerve Disorders Committee of the merican cademy of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Sept. 16, 1984. J Korean Neurosurg SocVolume 30pril, 2001 481
증례 3 1. 수술방법 수술방법및결과 L/R Facial Mot L/R Facial Mot P P O R T Lt Na O T R Lt P O T R Rt Na P O R T Rt L/R Facial Mot P 1 82.0m mv O Lt Na R OP T T R Rt Na 2 99.6m mv B Fig. 2. Case 1. The 6-month postoperative ENoG resultright side showing 19.5% obvious improvement in contrast to the preoperative result 2.46%left. B Case 2. The postoperative ENoG resultright side showing 12.3% obvious improvement in contrast to the preoperative result 1.8%left. 482 J Korean Neurosurg SocVolume 30pril, 2001
조 준 박성호 김재영 근을 박리하였다. 중두개와로부터 기저부가 만나는 곳까지 사진 촬영 결과는 Fig. 1에서 증례와 B 증례의 우측 사 측두골을 개두절제 후 뇌경막을 후방에서 전방 쪽으로 진 진과 같았다. 수술 전인 각각의 좌측 사진에 비하여 뚜렷한 행하며, 호형 융기(arcuate eminence)와 도면(meatal pl- 임상적 호전을 보였다. 증례 1과 2에서 수술 후 6개월째 측 ane) 위로 서서히 들어올렸다. 전방에서 안면신경의 신경 정한 신경전도검사(ENoG)상 변화는 Fig. 2에서 와 B의 관열공(neural hiatus)을 확보하고 서서히 견인하여, 내측방 우측과 같았으며, 각각 순서별로 19.5%와 12.3%로서 수 으로 중수막동맥(middle meningeal artery)을 확보하였다. 술 전 2.46%와 1.8%에 비하여 현저하게 호전 중인 결과 중수막동맥의 내측에 있는 표재성 주추체신경(greater sup- 를 보였다. erficial petrosal nerve)을 덮고 있는 중두개와골을 근위 고 부에서 원위부 방향으로 주추체신경이 당겨지지 않도록 지 찰 지 고정하였다. 지름 3mm의 다이아몬드 burr로 골편을 제거 하고 슬신경절(geniculate ganglion)을 표출시킨 후 지름 벨 마비는 연간 10만명당 23명이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 2mm의 burr를 이용하여 약 1cm정도 골편을 제거하며 진 져 있으며, 가장 흔한 안면신경질환 중 하나이다3). 발생빈도 행하였다. 미로 분절(labyrinthine segment)에 이르러서는 상 대개 남녀 성비는 거의 비슷하고 모든 연령층에서 고루 지름 1mm의 다이아몬드 burr를 이용하여 내이도 열공 부 발생하며, 계절에 큰 관계없이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위인 내이공(meatal foramen)까지 표출하였다(Fig. 3, 저자에 따라 여성에서 분만 전후에 호발 한다거나, 고혈압, B). 안면신경을 표출시킨 후 비버씨 칼(Beaver knife)을 이 당뇨병과 관련이 있다는 주장도 있지만 신경섬유의 변성 때 용하여 신경초(epineurium)를 절개하여 신경 부종에 의한 문이라는 것이 일반적인 개념이다. 압력을 배제시키고 안면신경을 최대한 감압시켰다. 수술에 바이러스가 벨 마비의 병인이라는 설은 Baringer1), Bur- 의한 골 결손부위는 측두근으로 보완하고, 측두골에 대하여 gess 등2)이 벨 마비가 발생한지 6주만에 사망한 노인환자 성형적 개두술(osteoplastic craniotomy)의 방식으로 봉합 의 안면신경 슬신경절에서 단순포진 바이러스의 게놈(ge- 하였다. nome)을 발견함으로서 그 기전이 입증되었다. Murakami 2. 수술 결과 3례 모두 수술 직후 수술 부위의 통증은 심하지 않았고 청력저하, 어지러움 등의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퇴원 후 1주일, 2주일 후 각각 외래로 추적 관찰하였으며 이후 1개 월마다 정기적으로 관찰하였다. 수술 전 각각 H-B grade Ⅴ, Ⅵ, Ⅴ에서 수술 후 6개월 동안 각각 Ⅰ, Ⅱ, Ⅲ 순서대 로 호전된 결과를 보였다. 외래에서 수술 6개월 후 안면부 등5)은 중합효소연쇄반응기법을 이용하여 14례의 벨 마비 중 11례에서 제 7 뇌신경의 신경내막에 제 1 형 단순포진 바 이러스가 존재함을 입증하였다. 이들은 단순포진 바이러스 를 쥐의 귀와 혀에 접종함으로서 안면마비를 유발시켰으며, 그 후 안면신경과 신경절에서 바이러스 항원을 발견하였다. 이 후 Yoon 등8)은 dams가 저술한 신경과학 번역서에서 지금까지 벨 마비와 동의어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본태성 안 면마비라는 용어가 전적으로 적절하지 못하고 단순포진 안 B Fig. 3. Intraoperative pictures Before the facial nerve decompression. G greater superficial petrosal nerve(gspn), T temporal lobe, R retractor B fter the facial nerve decompression. C cochlea, GG geniculate ganglion, L labyrinthine segment, V vestibule. J Korean Neurosurg Soc/ Volume 30 / pril, 2001 483
- 484 J Korean Neurosurg SocVolume 30pril, 2001
결 론 References 1) Baringer JRHerpes simplex virus and Bell s palsy. nn Intern Med 12463-64, 1996 2) Burgess RC, Michael L, Bale JF, Smith RJPolymerase chain reaction amplification of herpes simplex viral DN from the geniculate ganglion of the patient with Bell s palsy. nn Otol Rhi- nol Laryngol 103775-777, 1994 3) Hauser W, Karnes WE, nnis J, Kurland LTIncidence and prognosis of Bell s palsy in the popul- ation of Rochester. Minnesota, Mayo Clin Proc 46258-260, 1971 4) Hughes GBPractical management of Bell s palsy. Otolaryngol Head Neck Surg 102658-663, 1990 5) Murakami S, Mizobuchi M, Nakashiro Y, Ishida YBell s palsy and herpes simplex virus. Identifi- cation of viral DN in endoneurial fluid and muscle. nn Intern Med 12427, 1996 6) Peitersen EThe natural history of Bell s palsy. m J Otol 4107-111, 1982 7) Silverstein HSurgery of the facial nerve. J Otolaryngol 10 449-458, 1981 8) Yoon BWCranial nerve diseases, in dams RDedsdams Principles of Neurology, SingaporeMcGraw-Hill, 1998, Part 2, pp1268-1274 9) Jannetta PJ, Resnick DCranial Rhizopathies, in Youmans 4th edsneurological Surgery. PhiladelpiaWB Sounders, 1996, pp3563-3574 J Korean Neurosurg SocVolume 30pril, 2001 4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