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419 이슈브리프_디자인_최종
|
|
- 예서 비
- 6 years ago
- Views:
Transcription
1 Issue Brief 한국 시민사회의 관점에서
2 목차 1.? 2. MDGs에 대한 평가 3. 유엔의 논의 구조와 과정 4. 국제시민사회의 입장과 활동 5. 한국 정부의 역할과 활동 6. 한국시민사회의 입장과 활동 7. 주요 이슈와 쟁점 8. 평가와 전망 부록 참고문헌 관련 홈페이지 약어 모음 필자 소개 이성훈 한국인권재단 상임이사 국제개발협력민간협의회(KCOC) 비상근 정책센터장 국제개발협력시민사회포럼(KoFID) 운영위원 Beyond 2015 Korea 공동운영위원 이슈 브리프 소개 국제사회에서는 유엔을 중심으로 2015년 종료되는 새천년개발목표(MDGs)를 보완 및 대체할 새로운 국제개발목표를 수립하기 위한 노력이 활발히 전개 중입니다. 본 이슈 브리프는 2015년 이후 개발의제 ( Development Agenda, 이하 )의 논의 내용과 과정 및 의미를 시민사회의 관점에서 정리하였습니다. 최근 양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국제개발 분야 한국 시민사회가 이러한 국제사회의 큰 흐름을 잘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참여 및 기여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3 1.? 1? 2015년 이후 개발의제 ( Development Agenda)란 2015년 말 종료되는 새천년개발목표 (MDGs)를 대체하는 새로운 국제사회의 개발목표를 수립하려는 유엔 중심의 논의 과정을 의미한다. 2000년 새천년 정상회의 이후 만들어진 MDGs는 지난 10 여 년간 국제사회 특히 유엔의 전세계 빈곤퇴치 노력에서 나침반 역할을 수행해왔다. 이 MDGs의 기한이 만료됨에 따라 유엔은 2010년 유엔총회 결의안을 근거로 크게 사무총장과 유엔 지속가능발전회의(UNCSD)를 중심으로 새로운 개발의제의 내용을 준비해왔다. 2014년 9월 열리는 유엔 총회에서는 지난 2-3년간 정부와 국제기구, 시민사회, 기업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논의와 자문을 거쳐 취합된 의견을 바탕으로 내용에 대한 본격적인 협상을 시작할 예정이다. 2015년 유엔 총회에서 채택될 예정인 새로운 개발목표는 2016부터 2030년까지 15년간 유엔을 비롯한 국제사회의 빈곤퇴치와 지속가능발전 실현을 위한 노력의 새로운 목표이자 지침 역할을 하게 된다. 지난 2-3년간 유엔은 다양한 방식으로 시민사회와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수렴해왔고 각국 정부, 국제기구, 시민사회단체, 기업, 연구소 등 다양한 행위자는 자신의 과거 MDGs 관련 경험과 연구를 바탕으로 많은 의견을 제출해왔다.1 이 과정에서 새로운 개발목표의 필요성과 내용, 범위와 수준 등 다양한 측면에 대한 논의가 전개되었고 2014년 3월 현재 정부간 협상을 통한 합의를 위한 의제를 만들어 가고 있다. 지금까지의 논의를 보면 새로운 개발목표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대다수가 동의해서 합의가 이루어졌고 명칭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지만 지속가능발전목표(SDGs)가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남아있는 주된 쟁점은 구체적 목표 수와 내용 그리고 이에 수반되는 세부목표와 지표설정 그리고 이를 이행하기 위한 수단과 모니터링 메커니즘 구축 등이다. 쟁점에 대한 이견은 크게 기존의 MDGs의 역할과 한계에 대한 입장, 빈곤과 지속가능발전 개념 및 이와 관련한 최근의 국제적 상황에 대한 이해, 그리고 각국 정부의 국제개발에 대한 철학 및 정책방향과 우선순위의 차이에서 기인하고 있다. 따라서 단순히 실현가능한 개발목표만 제한해서 설정하자는 기술적, 최소주의적 접근에서 이번 기회에 식량, 에너지, 금융위기 및 기후변화 등 지구적 개발과 환경 위기를 다루기 위해서는 개발체제(Architecture) 또는 개발패러다임 등 구조적인 요소까지 다루어야 한다는 최대주의적 접근까지 다양한 편차가 나타났다. 한편 과정에서 새로운 개념과 슬로건 등 다양한 용어가 만들어졌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슬로건은 우리가 원하는 미래 The Future We want와 우리가 원하는 세상 The World We Want 이다. 전자는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이 주창한 것으로 2012년 6월 유엔 지속가능발전회의(Rio+20) 결과문서의 제목으로 채택되기도 하였다. 후자는 시민사회가 먼저 사용한 용어인데 현재 유엔에서 시민사회의 의견을 수렴하는 데에도 사용되고 있다. 한편 와 Beyond 2015란 표현이 혼재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가 시간적 개념 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면 Beyond 2015 는 MDGs를 넘어서는 새로운 개발목표를 제시하고자 하는 의미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유엔의 공식표현은 이지만 시민사회는 Beyond 2015 란 표현을 더 자주 사용하고 있다. 한편 일반적인 개발의제 란 개념과 함께 개발 프레임워크 란 용어도 사용되고 있다. 1 유엔내의 논의는 국제시민사회의 의견은 참조 03
4 2. MDGs에 대한 평가 2 MDGs에 대한 평가 1 극심한 빈곤 및 기아 퇴치 보편적 초등 교육 실현 5 모성보건 증진 2 3 성평등 및 여성권한 강화 6 HIV/AIDS, 말라리아 등 질병 퇴치 유아사망률 감소 7 환경적 지속가능성 보장 4 8 발전을 위한 글로벌 파트너쉽 구축 논의에서 기존의 MDGs에 대한 평가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유엔은 15년 기한의 MDGs가 반환점을 돈 2008년부터 MDGs 이행에 대해 모니터 결과와 평가 담은 보고서를 매년 발간해왔다. 그리고 유엔 개발협력포럼(DCF)을 경제사회이사회(ECOSOC) 주관으로 2년마다 개최하여 MDGs 8번 목표인 개발을 위한 글로벌 파트너십 을 포함한 국제개발협력의 역할에 대한 논의를 해왔다. Post 2015 과정에서 유엔 뿐만 아니라 많은 시민사회단체와 연구소는 기존의 MDGs에 대한 평가와 함께 다양한 개선 방안을 제시해왔다. 이러한 평가와 제안은 새로운 개발목표의 내용과 형식을 구성 하는데 직간접적으로 많은 영향을 주었다. 국제 시민사회에서 주로 제기된 MDGs에 대한 평가를 비판적 내용을 중심으로 간략히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 MDGs는 빈곤문제를 국제사회 특히 유엔의 중심적 의제로 설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특히 빈곤 퇴치를 위한 국제적 차원의 정치적 의지와 재원 동원에 효과적인 역할을 하였으며 MDGs를 통해 개도국의 초등교육과 건강에 분야에서는 괄목할 만한 개선을 이루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 그러나 MDGs는 빈곤을 개도국(만)의 문제로 간주하고 불공정한 무역과 금융정책 등 구조적인 문제 해결과 공여국의 역할에 대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목표가 취약하였다. 그리고 목표를 일반적이고 획일적으로 설정하여 분쟁이나 재난을 겪은 취약국가나 내륙국 또는 기후변화에 약한 도서국가의 특수한 현실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았다. - 빈곤을 좁은 의미의 사회개발 의제로 축소하여 인권, 민주적 거버넌스, 환경 및 군축과 평화 등 범분야 (cross-cutting) 이슈와 정책일관성의 중요성이 반영되지 못했다. 그리고 빈곤을 소득과 같은 좁은 의미의 경제적 측면으로 국한하여 빈곤의 정치, 사회, 문화적 측면 등 다면성과 다차원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았다. - 빈곤퇴치만을 강조하여 양적인 경제성장 과정에서 발생한 사회 경제적 불평등의 문제와 부정부패 문제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했다. 빈곤퇴치와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한 생산적이며 지속가능한 경제성장과 이를 위한 사회경제적 인프라의 중요성 이와 관련된 개발원조의 역할 즉 원조효과성과 개발효과성이 충분히 반영되지 못했다. - 8가지 목표가 분절적으로 설정되어 목표 사이의 유기적 연관성 및 시너지를 제고하려는 효과적인 전략과 정책을 만드는데 어려움을 겪었다. 그리고 세부목표(target)와 지표가 산출물(output) 중심으로 설정되어 중장기적인 성과 (outcome)와 중장기적 파급효과(impact)를 측정하는데 어려움이 많았다. MDGs 이행을 성별, 지역별, 분야별로 효과적으로 모니터할 수 있는 객관적 통계를 확보하는데 기술적 어려움이 있었다. - 광범위한 의견 수렴 과정 없이 유엔과 국제기구의 고위 리더십과 일부 관료와 전문가 그룹만 제한적으로 참여하여 하향적이고 획일적인 기준(One Size Fits All)이 되었다. 따라서 초기에 MDGs 정당성 확보에 어려움을 겪었고 개도국 정부와 시민사회의 참여와 주인의식을 형성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04
5 3. 유엔의 논의 구조와 과정 3 유엔의 논의 구조와 과정 는 유엔의 의제로 유엔이 주도하고 있지만 그 과정에서 유럽연합(EU), 아프리카연합(AU), 영연방(Commonwealth) 등 유엔 외부의 정부간 기구도 자체적으로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그리고 동시에 정부간 협상이 진행되고 있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UNFCCC-COP)와 경제위기를 다루는 G20 정상회의 그리고 세계무역기구(WTO)의 도하개발의제(DDA) 합의 등이 논의 내용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다. 가 형식적으로는 UN 본부가 있는 뉴욕에서 진행되는 논의와 협상이지만 내용적으로는 국제사회의 다양한 의제와 관심과 연관되어 진행되는 복잡한 프로세스라고 할 수 있다. 논의는 비록 2010년부터 2015년까지 5년간 진행되는 과정이지만 그 역사적 기원과 배경은 1972년 스톡홀름 유엔인간환경회의(UNCHE)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지속가능발전목표 (SDGs)란 용어가 보여주듯이 MDGs와 달리 새로운 개발목표는 지속가능발전 개념을 구성하는 사회, 경제, 환경의 세 축이 골고루 반영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따라서 역사적으로 유엔이 주도해온 사회개발, 경제개발, 환경 관련 90년대 유엔 회의와 이후 이행에 관한 후속 회의의 논의가 집약되고 있다는 점에서 MDGs와 질적으로 큰 차별성을 보이고 있다.2 본 이슈 브리프에서는 2010년부터 2015년까지 유엔의 논의과정을 시기에 따라 크게 네 단계로 구분하였다. 개발의제 논의의 단계 1단계 시기 주요 성격과 과제 주요 회의와 결과물 2010년 9월 2012년 5월 사전 예비 논의 65차 유엔총회 (2010년 9월) 유엔 사무총장 MDGs 보고서 (2011년 7월) 66차 유엔 총회 (2011년 9월) 리우+20 회의 (2012년 6월) 유엔 시스템 작업반 보고서 (2012년 6월) 유엔 사무총장 MDGs 보고서 (2012년 8월) 67차 유엔 총회 (2012년 9월) 유엔 고위급패널 보고서 (2013년 5월) 유엔 사무총장 MDGs 보고서 (2013년 7월) 2단계 2012년 6월 2013년 7월 의견 수렴 및 논의 의제 설정 3단계 2013년 7월 2014년 8월 의제 구체화 및 예시적 목표 제시 지속가능발전목표 공개작업반 (2013년 3월 년 7월) 지속가능발전 고위급정치포럼 (2013년 9월 24일) 68차 유엔 총회 MDGs 특별행사 (2013년 9월 25일) 지속가능발전재원 정부간 전문가위원회 (2013년 8월 년 8월) 4단계 2014년 9월 2015년 12월 목표 협상 및 채택 69차 유엔 총회 (2014년 9월) 70차 유엔 총회 (2015년 9월) 2014년 4월 현재는 3단계로 그 동안의 논의를 토대로 의제를 구체화해서 마지막 4단계의 목표를 채택하는 협상을 위한 준비를 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첫 단계는 2010년 유엔 총회 결의안 채택을 계기로 가 유엔의 공식의제로 설정된 이후 사무총장 주도로 과정을 사전 준비하는 시기였다.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은 2010년 65차 유엔총회의 결의안(A/RES/65/1)에 따라 다음 해인 2011년 유엔 총회 MDGs 보고서 (A/66/128)에서 2015년까지 논의 방식에 대한 제안을 하였다 년 부터 2015년까지의 정부간 회의 로드맵은 참조 05
6 3. 유엔의 논의 구조와 과정 제2단계는 2012년 6월 유엔 시스템 작업반(TT) 보고서와 유엔 지속가능발전회의(UNCSD) 리우+20 의 결과 문서 우리가 원하는 미래 채택을 계기로 본격적인 논의가 시작된 시기부터 유엔 사무총장이 임명한 고위급 패널 보고서를 참조하여 유엔 사무총장이 유엔 총회에 15개의 예시적 목표를 포함한 보고서를 제출한 2013년 7월 까지라고 할 수 있다. 이 시기에 리우+20 후속으로 지속가능발전목표 공개작업반은 2013년 3월부터 논의를 시작하였다. 유엔 사무총장은 2012년 보고서(A/67/257)에서 가 2012년 6월 유엔 지속가능발전회의 (리우+20) 과정과 통합적으로 진행할 것을 제안하였다. 2013년 유엔 총회 부터는 두 과정이 통합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제3단계는 제 68차 유엔 총회 기간인 9월 25일 열린 MDGs 특별행사부터 유엔 사무총장 보고서가 제출되는 2014년 7월까지 기간이라고 할 수 있다. 2014년 3월 논의를 시작한 지속가능발전목표 공개작업반은 8차 회의를 마무리하고 19개의 중점 영역을 채택하였고 이를 구체화기 위한 회의를 추가로 2014년 7월까지 5차례 더 개최하기로 하였다. 이 공개작업반 결과는 유엔 사무총장 보고서에 반영될 예정이다. 마지막 단계는 새 개발목표에 대해 본격적인 정부간 협상을 시작하는 2014년 9월 제69차 유엔총회에서 합의된 목표를 채택하는 2015년 9월 제70차 유엔총회까지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채택된 목표는 2016 년 1월부터 2030년까지 15년간 이행될 예정이다. 이러한 유엔의 과정은 크게 유엔 사무총장 주도와 유엔 지속가능발전회의 (리우+20) 둘로 구성되어 진행되어 왔다. 초반기에는 유엔 사무총장이 주도하였다면 2012년 후반 제68차 유엔 총회를 계기로 통합되어 하나의 과정으로 진행되고 있다 유엔 사무총장 프로세스 과정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유엔 사무총장 주도하의 과정은 크게 아래의 세 가지 단계로 진행되었다. 유엔 시스템 작업반 보고서 (2011년 9월 년 6월) 유엔 사무총장 고위급 패널 (2012년 7월 2013년 5월) 유엔 사무총장 보고서 (2013년 7월) 1) 유엔 시스템 작업반 (TT) 보고서 (2011년 9월~2012년 6월) 유엔 사무총장은 2011년 9월 논의를 위한 기초 보고서를 작성할 유엔 내 실무 작업반을 구성하였다. 유엔 관련 약 50여개의 기구의 대표로 구성된 작업반(TT)은 약 6개월간의 작업을 거쳐 2012년 6월 우리가 원하는 모두를 위한 미래의 실현 (Realizing the Future We Want for All) 이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유엔 사무총장에게 제출하였다. 이 보고서는 인권, 평등, 지속가능성 3대 기본원칙과 평화와 안보, 포괄적 사회개발, 포괄적 경제개발과 환경적 지속가능성의 4대 핵심방향을 2015년 이후 개발의제 논의의 기본적 틀로 제시하였다. 06
7 3. 유엔의 논의 구조와 과정 유엔 시스템 작업반 보고서 기본 프레임워크 환경 지속가능성 생물다양성 보호 안전된 기후 자연재해에 대한 복원력 포괄적 경제개발 수입빈곤과 기아퇴치 불평등 감소 일자리 및 생산적 고용보장 평화와 안보 인권 평등 지속가능성 폭력, 분쟁, 학대로부터 자유 분쟁없는 천영자원 이용 포괄적 사회개발 적당한 영양, 양질의 교육 사망률 및 질병률 감소 양성평등 깨끗한 물, 위생시설의 보편적 이용 이 프레임워크는 유엔의 주요 목적이자 원칙인 평화와 안보, 사회경제적 개발, 인권 및 환경을 균형있게 반영하였고 2015년 이후 개발의제 논의를 위한 유용한 기본적 틀과 기준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를 토대로 유엔의 개발 관련 기구는 약 50 여개 국가에서 국가별 협의를 진행하였고 9개의 글로벌 의제 - 불평등, 영양과 식량안보, 거버넌스, 성장과 고용, 갈등 예방과 해소, 건강, 교육, 환경적 지속가능성 및 인구 문제 - 에 대한 글로벌 차원의 논의를 통해 의견을 수렴하였다. 2) 유엔 사무총장 고위급 패널 (2012년 7월 2013년 5월) 유엔 사무총장은 2012년 6월 유엔 시스템 작업반 보고서 발간 직후 국제적인 저명인사와 시민사회 포함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27명의 고위급 패널(HLP: High-Level Panel on the Development Agenda)을 구성하였다.4 경제수준에 따른 선진국, 신흥국 및 개도국 그리고 대륙별 지역안배를 고려하여 David Cameron 영국 총리, Ellen Johnsons Sirleaf 라이베리아 대통령 그리고 Susilo B. Yudhoyono 인도네시아 대통령이 공동의장으로 임명되었다. 한국에서는 김성환 전 외교(통상)부 장관이 포함되었다. 고위급 패널은 에 대해 각계의 의견을 수렴하고 패널의 자체 논의를 통해 사무총장에게 의견서를 제출하는 과제를 부여받았다. 이에 따라 고위급 패널은 2013년 5월까지 약 10개월 동안 런던, 몬로비아, 발리 등 각 대륙을 순회하며 네 차례 시민사회 및 다양한 이해관계자와의 대화를 개최하였다. 이를 토대로 2013년 5월 새로운 글로벌 파트너십 : 지속가능한 발전을 통한 빈곤퇴치와 변혁적 경제 5 란 제목의 보고서를 유엔 사무총장에게 제출하였다. 이 보고서는 다섯 가지의 전환적 과제를 제시하면서 이를 실현하기 위한 12개의 구체적인 목표와 그에 상응하는 54개의 지표를 제시하였다. 4 공식명칭은 UN-HLP, UN High-level Panel of Eminent Persons on the Development Agenda. 5 영어제목은 A New Global Partnership:Eradicate Poverty and TransformEconomies through Sustainable Development. 07
8 3. 유엔의 논의 구조와 과정 고위급 패널 보고서의 다섯가지 전환적 과제 ① 단 한 사람도 소외시키지 않을 것 ② 지속가능한 발전을 핵심에 둘 것 ③ 일자리 창출과 포용적 성장을 위한 경제로 전환할 것 ④ 평화롭고 효과적이며, 개방적이고 책무성 있는 제도를 구축할 것 ⑤ 새로운 글로벌 파트너십을 수립할 것 고위급 패널 보고서의 12개 목표 1) 빈곤종식 2) 소녀 및 여성역량강화와 성평등 3) 양질의 교육과 평생교육 제공 4) 건강한 삶의 보장 5) 식량안보 및 양질의 영양 보장 6) 식수와 위생에 대한 보편적 접근 달성 7) 지속가능한 에너지 확보 8) 일자리, 지속가능한 생계와 공평한 성장의 창출 9) 천연자원자산의 지속가능한 관리 10) 모범적 거버넌스와 효과적인 제도의 보장 11) 안정적이고 평화로운 사회의 구축 12) 글로벌차원의 우호적 환경조성과 장기적 재원조성 촉진 3) 유엔 사무총장 보고서 (2013년 7월) 유엔 사무총장은 2013년 7월 유엔 시스템 작업반 보고서와 고위급패널의 보고서를 참조하여 모든 사람을 위한 존엄한 삶 (A life of dignity for all)이란 제목의 보고서(A/68/202)를 유엔 총회에 제출하였다. 이 보고서는 기존의 MDGs 이행성과에 대한 평가와 함께 새로운 15개로 구성된 개발목표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효과적인 모니터링과 성과 관리를 위해 데이터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이 보고서에서 제시된 15개 목표는 고위급 패널의 12개 목표에 비해 양적으로 증대 되었을 뿐 만 아니라 질적인 측면에서도 개선되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사무총장의 보고서는 빈곤종식, 교육, 보건 증진, 일자리 보장 등 고위급 패널이 제시한 목표외에 기후변화와 환경문제 그리고 불평등과 배제를 각각 별도의 목표로 제시하였고 국제이주, 인구변화, 도시화를 새롭게 추가하였다. 이같은 변화는 고위급 패널과 리우+20의 결과를 최대한 반영하여 통합된 공동의 의제를 만들고자 한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고위급 패널 보고서도 그러했지만 유엔 사무총장의 보고서는 빈곤과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유엔의 기본적인 입장을 반영하고 있다. 그러나 유엔 사무총장 보고서가 고위급 패널 보고서에 비해 국제 시민사회의 의견을 더 반영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주된 이유는 한국 시민사회를 포함해 국제 시민사회가 지속적으로 주장해왔듯이 불평등을 독자적 목표로 설정해야 한다는 주장이 수용되었고 책무성 메커니즘이 상대적으로 더 중요하게 다루어졌기 때문이었다. 08
9 3. 유엔의 논의 구조와 과정 유엔 사무총장 보고서의 15개 목표 1) 모든 종류의 빈곤 퇴치 2) 배제와 불평등 해결 3) 여성과 소녀의 권한 강화 4) 양질의 교육과 평생교육 제공 5) 보건증진 6) 기후변화 7) 환경문제 8) 포용적이고 지속가능한 성장과 양질의 일자리 증진 9) 기아와 영양실조 종식 10) 인구문제 11) 이주민의 긍정적 기여 강화 12) 도시화의 도전 13) 평화와 법치와 건강한 제도에 기반을 둔 효과적 거버넌스구축 14) 쇄신된 글로벌파트너십 조성 15) 국제개발협력 프레임워크 강화 3.2. 유엔 지속가능발전회의 (리우+20) 프로세스 유엔 사무총장 프로세스가 유엔 사무국 및 시민사회의 입장을 상대적으로 더 대변한다면 유엔 지속가능발전회의 - 리우+20 - 과정은 회원국의 관심사를 보다 많이 반영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리우+20 프로세스는 크게 아래의 과정으로 진행되고 있다. 유엔 지속가능발전회의 (리우+20) (2012년 6월) 지속가능발전목표 공개작업반 (OWG-SDGs) (2013년 3월 2014년 7월) 지속가능발전 고위급정치포럼 (HLPF) (2013년 9월 - ) 지속가능발전재원 정부간 전문가 위원회 (2013년 8월 2014년 8월) 1) 유엔 지속가능한발전회의 (리우+20) (2012년 6월) 유엔은 2012년 6월 브라질 리우 데 자네이로에서 1992년 리우 환경회의 20주년을 맞이하여 지속가능발전회의(UNCSD) 리우+20 - 를 개최하였다. 회의의 의제는 지속가능한발전과 빈곤퇴치 맥락에서의 녹색경제 와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제도적 프레임워크 였으며 목적은 1992년 리우 환경회의와 2002년 요하네스버그 지속가능발전정상회의 - 리우+10 - (WSSD)의 결과에 대한 이행 현황과 최근의 새로운 도전을 파악하고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새로운 정치적 약속을 이끌어 내는 것이었다. 2년간의 준비과정을 거쳐 열린 회의에서 지속가능발전목표 (SDGs) 내용이 담긴 우리가 원하는 미래 란 제목의 결과 문서가 채택되었다. 결과문서는 년 이후 개발의제에서 다루어야 할 내용을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란 이름하에 수립 원칙과 기준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를 구체적으로 논의할 지속가능한발전목표 실무작업반(OWG-SDGs)과 지속가능발전 관련 정책을 논의하는 제도로 지속가능한발전 고위급정치포럼(HLPF) 구성에 합의하였다. 이 고위급정치포럼 설립을 계기로 1993년 경제사회이사회(ECOSOC) 산하에 설립된 지속가능발전위원회(CSD)를 폐지하기로 결정하였다. 09
10 3. 유엔의 논의 구조와 과정 한편 새로운 프레임워크 관련하여 유엔환경계획(UNEP)을 강화하는 안은 세계환경기구를 신설하는 대신 기존의 58개 국가로 구성된 UNEP 집행이사회를 대체하는 유엔 환경총회를 (UNEA)를 신설하기로 결정하였다. 유엔의 모든 회원국가가 참여할 수 있는 유엔 환경총회는 2년마다 열리는데 첫 회의는 2014년 6월 케냐 나이로비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2) 지속가능발전목표 공개작업반 (OWG-SDGs) (2013년 3월 2014년 7월) 리우+20 회의결정에 따라 출범한 지속가능발전목표 공개작업반의 과제는 리우+20 결과문서에 담긴 내용을 토대로 MDGs를 대체하는 개발의제의 내용을 구성하는 것 이었다. 리우 +20 회의는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참여하는 포용적이고 투명한 정부간협상을 통해 유엔총회에서 합의하는 새로운 글로벌 개발목표를 만들기로 합의하였다. 유엔은 2013년 3월부터 2014년 2 월까지 8차례 회의일정으로 공개작업반회의를 개최하였다. 이 논의를 토대로 공개작업반은 2014년 2월 19개의 중점영역을 선정하였다. 한편 공개 작업반을 대표하여 공동의장은 19개 중점영역간의 연계와 관련 세부목표 및 지금까지 합의된 결정 내용을 담은 문서를 발표하였다. 그리고 2014년 7월까지 5회에 걸쳐 구체적인 목표와 세부목표 및 지표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19개 중점영역(Focus Areas) 빈곤퇴치, 식량안보와 영양, 건강화 인구문제, 교육, 성평등과 여성권한 강화, 식수와 위생, 에너지, 경제성장, 산업화, 인프라, 모든 사람을 위한 고용과 양질의 일자리, 평등증진, 지속가능한 도시와 인간정주, 지속가능한 소비와 생산, 기후, 해양자원과 바다, 생태계와 종다양성, 이행수단, 평화적이고 비폭력적 사회와 능력있는 공공기관. 3) 지속가능발전 고위급정치포럼(HLPF) (2013년 9월 24일) 리우+20 회의는 1992년 리우환경회의 직후 경제사회이사회(ECOSOC) 산하기능위원회로 신설된 지속가능한발전위원회(CSD)를 강화 대체하는 새로운 제도로 지속가능발전고위급정치포럼(HLPF)을 신설하기로 결정하였다. 이에따라 2013년 9월 24일 뉴욕에서 첫 정상급 회의를 개최 하였고 2014년 7월 첫 장관급 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다. 이 고위급정치포럼은 4년에 한 번 씩 유엔총회기간 중 정상회의 형식으로 개최하며 매년 유엔 경제사회이사회 주관으로 장관이 참여하는 고위급 세션을 포함한 과정이다. 이 포럼은 지속가능발전 의제에 대한 유엔차원의 정치적 리더십을 발휘하고 2016년 부터 시행되는 새로운 개발목표의 이행에 대한 정책조정 및 평가역할을 수행 할 예정이다. 4) 지속가능발전재원을 위한 정부간 전문가위원회 (2013년 8월 2014년 8월) 한편 유엔은 리우+20 회의결정에 따라 2015년 이후 개발목표 이행을 위한 재원문제를 다룰 지속가능발전 재원정부간 전문가위원회를 구성하였다. 30명의 정부대표로 구성된 이 위원회는 2013년 8월 첫 회의를 개최하였고 2014년 8월까지 5차례 회의를 열어 2014년 제69차 유엔총회에 재원마련을 위한 전략보고서를 제출할 예정이다. 10
11 3. 유엔의 논의 구조와 과정 3.3. 유엔 총회 유엔 사무총장에게 개발의제에 대한 계획안 제출을 요청한 2010년 유엔 총회 결의안 채택 이후 유엔의 최고 의사결정기구인 유엔 총회는 회원국의 중지를 모아 논의의 방향과 방식을 결정해왔다. 2012년 제67차 유엔 총회는 리우+20 회의의 결과와 논의 과정을 연계해서 통합적으로 추진하기로 결정하였다. 이전에 유엔 사무총장과 리우+20 회의의 두 축으로 나누어 진행되던 논의는 2013년 제68차 유엔총회를 계기로 하나로 통합되어 진행되고 있다. 2013년 제68차 유엔 총회 기간중인 9월 24일 첫 지속가능발전 고위급정치포럼을 정상회의 형식으로 열었고 9월 25일 MDGs에 대한 특별행사를 개최하여 의 향후 방향과 방식에 대한 논의(A/68/L.4)를 하였다. 2014년 제69차 유엔 총회에서는 구체적인 목표에 대한 협상을 시작하여 정상회의 형식으로 개최되는 2015년 제70차 총회에서 새로운 목표에 대한 합의를 할 예정이다. 한편 새 개발목표 이행 5년 후인 2020년유엔은 정상회의를 개최하여 5년간 이행상황에 대한 평가를 할 예정이다 효과적인 개발협력을 위한 글로벌 파트너십 (GPEDC) 2011년 말 부산에서 개최된 세계개발원조총회(HLF-4)는 효과적인 개발협력을 위한 부산 파트너십 (BPEDC) 을 이행하기 위해 2012년 6월 효과적 개발협력을 위한 글로벌 파트너십(GPEDC) 이 출범하였다. OECD와 UNDP가 공동으로 사무국으로 운영하는 GPEDC는 비록 UN의 공식 제도는 아니지만 논의에서 이행수단 특히 ODA등 국제개발협력 분야에서 중요한 제도로 주목받고 있다. 즉 가 2016년 이후 국제개발의 내용(What)을 다룬다면 GPEDC는 이행수단-어떻게(How)-를 다룬다고 할 수 있다. 2014년 4월 15-16일 멕시코시티에서 열리는 고위급 회의(HLM) 에서는 부산 총회 이후 부산파트너십 이행에 대한 평가 및 지표에 대한 논의를 할 예정인데 개발의제와의 연계에 대한 논의도 이루어질 전망이다. 아래의 표는 2010년 유엔 총회 이후 2015년 말까지 관련 주요 국제회의와 행사를 연도별로 정리한 것이다. 11
12 3. 유엔의 논의 구조와 과정 개발의제 관련 주요 국제회의와 행사 년 7월 제2차 유엔개발협력포럼 (UNDCF) (뉴욕) 2010년 9월 제65차 유엔 총회 (뉴욕) 개발의제 관련 결의안 채택 2010년 10월 제5차 G20 정상회의 (서울) 년 4월 유엔 제4차 최빈국 회의 (LDC-4) (터키, 이스탄불) 2011년 11월-12월 OECD 세계개발원조총회 (HLF-4) (부산) 2011년 7월 제6차 G20 정상회의 (프랑스, 니스) 2011년 9월 제66차 유엔 총회 (뉴욕) 2012년 11월 제17차 기후변화협약 (UNFCCC) 당사국회의 (COP-17) (남아공, 더번) 년 6월 유엔 시스템 작업반 (TT) 보고서 발표 Realising the Future We Want 2012년 6월 효과적인개발협력을 위한 글로벌 파트너십 (GPEDC) 출범 2012년 6월 제7차 G20 정상회의 (멕시코, 칸쿤) 2012년 6월 유엔 지속가능발전회의 (UNCSD) 리우+20 (브라질, 리우 데 자네이로) 2012년 7월 제3차 유엔 개발협력포럼 (UNDCF) 2012년 9월 제67차 유엔 총회 (뉴욕) 2012년 11월 제18차 기후변화협약 (UNFCCC) 당사국회의 (COP-18) (카타르, 도하) 년 3월 제1차 지속가능발전목표 공개작업반 회의 (OWG-SDGs) 2013년 5월 유엔 사무총장 고위급 패널(HLP) 보고서 발표 2013년 7월 유엔 사무총장 개발의제 보고서 A Life of Dignity for All 발표 2013년 8월 유엔 지속가능발전목표 재원 정부간 전문가 위원회 (뉴욕) 2013년 9월 제8차 G20 정상회의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2013년 9월 제68차 유엔 총회 (뉴욕) 2013년 9월 24일 제1차 유엔 지속가능발전 고위급청치포럼 (HLPF) 2013년 9월 25일 유엔총회 MDGs 특별행사 2013년 11월 제19차 기후변화협약 (UNFCCC) 당사국회의 (COP-19) (폴란드, 바르샤바) 2013년 12월 WTO 각료회의 - DDA 합의 (발리) 년 1월 유엔 과학자문위원회 출범 (베를린) 2014년 2월 제8차 지속가능발전목표 공개작업반 회의 (OWG-SDGs) 2014년 4월 15-16일 GPEDC 고위급 회의 (멕시코시티) 2014년 6월 유엔환경총회 (케냐, 나이로비) 2014년 7월 유엔 제4차 개발협력포럼 (UNDCF) 2014년 7월 제2차 유엔 지속가능발전 고위급청치포럼 (HLPF) 2014년 9월 1-4일 유엔 소도서국가(SIDS) 회의 (사모아, 아피아) 2014년 9월 제69차 유엔 총회 (뉴욕) 개발목표 협상 2014년 9월 유엔 기후변화 정상회의 (뉴욕) 2014년 11월 제9차 G20 정상회의 (호주, 브리스번) 2014년 12월 제20차 기후변화협약 (UNFCCC) 당사국회의 (COP-20) (페루, 리마) 년 제21차 기후변화협약 (UNFCCC) 당사국회의 (COP-21) (파리) 2015년 제10차 G20 정상회의 (터키, 이스탄불) 2015년 9월 제70차 유엔 총회 및 정상회의 (뉴욕) 개발목표 채택
13 4. 국제시민사회의 입장과 활동 4 국제시민사회의 입장과 활동 4.1. 국제시민사회의 참여 국제시민사회는 논의 초기부터 다양한 방식으로 적극적으로 개입 및 참여해왔다. Oxfam, World Vision, Save the Children, ActionAid 등 국제개발 분야의 대표적인 단체 뿐 만 아니라 GCAP, Social Watch, CIVICUS, IPF, CPDE 등 개발분야 국제시민사회 네트워크 단체도 논의의 의의와 원칙 및 방향 그리고 주요 내용에 대한 입장과 의견을 활발히 개진해 왔다. 특히 영국의 시민사회단체가 주도하여 2010년 출범한 Beyond 2015 네트워크 는 전세계 시민사회의 활동 정보와 의견을 수렴하여 체계화하고 유엔에 전달하는 플랫폼과 창구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한편 개발분야 실천적 조사연구자의 네트워크인 PARTICIPATE 또한 실증적 연구를 기반으로 논의과정에 시민사회와 풀뿌리 공동체의 경험과 입장을 반영한 제안을 하고 있다. Beyond 2015는 개발분야 협의체의 네트워크인 IFP, PARTCIPATE 등과 함께 과정에서 시민사회 캠페인과 로비 등의 활동을 공동으로 수행하고 있는 중이다. Social Watch를 중심으로 국제개발의 시민사회 전문가들의 연구 모임인 Civil Society Reflection Group은 2012년 6월 정의없이 미래없다 (No Future without Justice)는 제목의 분석 보고서에서 여섯개의 글로벌 지속가능성목표 (Global Sustainability Goals)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2013년 3월 베를린 시민사회센터가 주최한 독일 정부 후원 국제회의에 참석한 국제시민사회 대표자들은 개발목표에 포함되어야 할 7가지 의제를 제시하였다. 한편 진보적인 사회운동 네트워크인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민중의 목표 (PGSD) 캠페인 그룹 또한 10개 목표를 제시하였다. 이 밖에 Save the Children 또한 아동 관점에서 10개의 구체적인 목표를 제시하기도 하는 등 전 세계의 시민사회단체들은 개발의제 수립을 위하여 활발히 참여하고 있다. 그리고 유엔이 전세계 시민의 의견을 온라인으로 수렴한 My World 캠페인데도 적극 참여하였다. 주요 국제시민사회 단체들이 제시한 의제와 목표를 표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국제시민사회단체가 제시한 주요 의제와 목표 Civil Society Reflection Group Berlin Civil Society Center 1) 모든 사람의 존엄성과 인권 2) 평등과 정의의 증진 3) 자연과 대기경계권 (Planetary boundaries)의 존중 4) 군축을 통한 평화 구축 5) 공정하고 회복력 있는 금융시스템의 조성 6) 민주적이고 참여적인 거버넌스 강화 1) 토지와 식수의 약탈 2) 채굴산업 모델 3) 대기경계권 4) 젠더 정의 5) 경제 금융 제도 6) 인권 7) 평화와 갈등 People s Goal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1) 인권 2) 빈곤과 불평등 3) 식량 주권 4) 완전한 고용과 양질의 일자리 5) 보편적인 사회적 보호 6) 젠더 정의 7) 기후변화와 환경적 지속가능성 8) 새로운 무역, 통화 및 금융 제도 9) 민주주의와 모범적 거버넌스 10) 정의에 기반을 둔 평화와 안보 13
14 5. 한국 정부의 역할과 활동 위의 표에서 보여지듯이 국제시민사회는 개발목표에 대해 포괄적이고 구조적인 관점에서 접근하고 있다. 유엔 고위급패널과 사무총장이 제시한 목표와 유사해 보이지만 글로벌 빈곤과 그 원인을 보는 관점에서는 적지 않은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국제시민사회는 글로벌 정의 프레임을 기본으로 하여 분야별 의제와 목표에 접근하고 있으며 사회경제적 정의 뿐 아니라 젠더, 생태적 정의 개념을 강조하고 있다. 그리고 인권, 평화, 생태 등 보편적 가치와 프레임을 강조하고 있으며 글로벌 금융과 경제 시스템 개혁과 민주적 거버넌스 강화를 개발체제와 패러다임 혁신의 중요한 의제로 제시하고 있다. 이는 앞에서 소개한 MDGs에 대한 비판적 관점을 반영하는 것으로 빈곤의 구조적 원인에 대한 해결책 없이 개발목표가 실효성 없는 목표로 귀결될지 모른다는 우려를 반영하고 있다. 한편 아시아 시민사회의 경우 2013년 2월 초 방콕에서 출범한 아시아개발연대(ADA)는 약 10개 국가의 15개 개발협력 분야 NGO 협의체 중심의 네트워크로 관련 아시아 시민사회의 의견을 수렴하고 리더십 역량을 강화하는 훈련 프로그램 등 다양한 교육 및 애드보커시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현재 한국의 KCOC와 캄보디아의 캄보디아협력위원회(CCC)가 ADA의 공동사무국을 맡고 있다. 5 한국 정부의 역할과 활동 한국정부는 논의 과정에 비교적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는 한국 외교부 장관이었던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의 위상과 영향력 뿐 만 아니라 최근 국제개발 분야에서 높아진 높아진 한국의 위상과 기대에 부응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기도 하다. 한국 정부는 2010년 초 개발원조 공여국가의 모임인 OECD 개발원조위원회(DAC)에 가입하였고 2010 년 G20 서울 정상회의에서 선진국과 개도국과의 가교 역할을 강조한 서울개발의제 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2011년 말 부산 세계개발원조총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하고 2012년 녹색기후기금(GCF)를 송도에 유치하면서 국제개발과 환경 분야에서 중요한 리더십 국가로 부상하였다. 한국 정부는 Rio+20 준비위원회에서 한국은 선진국을 대표하여 공동의장국 역할을 수행하였고 현재 GPEDC에 공여국을 대표하여 집행위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한편 논의 과정에서 김성환 전 외교부 장관은 개인자격으로 고위급패널 위원으로 활동하였고 한국정부는 30석으로 제한된 지속가능발전목표 공개작업반과 30명으로 구성된 지속가능 발전목표재원 정부간 전문가 위원회 및 지속가능발전 관련 과학자문위원회에도 참여하고 있다. 한국정부는 2013년 3월부터 시작한 OWG-SDGs에서 다양한 주제에 대해 의견을 표명하였다. 첫 회의에서는 공개작업반의 역할에 대해, 제2차 회의에서는 SDGs의 개념 그리고 3차 회의에서는 식수와 위생, 식량안보와 지속가능한 농업 그리고 5차 회의에서는 역량강화, 에너지와 지속가능발전목표, 지속가능하고 포용적 경제성장 등 세가지 주제에 대해 발언하였다. 국내에서 한국정부는 2013년 8월 반기문 유엔사무총장의 방한을 계기로 Korea 포럼을 출범하였다. 그리고 2013년 10월에는 UNDP와 공동으로 아시아 국가정부 및 시민사회와 의제를 논의하는 국제회의를 개최하였고 제7차 서울 ODA 국제회의에서 와 부산 파트너십을 연계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14
15 6. 한국 시민사회의 입장과 활동 6 한국 시민사회의 입장과 활동 국내에서 에 대한 논의를 처음 접한 것은 2011년 11월 26일 부산 세계개발원조총회 준비회의인 부산 세계시민사회포럼 중 열린 전문가 라운드테이블 회의였다. 부산총회 이후 국제개발 의제는 어디로? :리우+20, MDGs 및 2015 이후 국제개발 프레임워크 란 주제로 열린 토론회에서 Oxfam, CIVICUS, LDC Watch 등 국제 개발 NGO 대표자는 부산 파트너십과 의 연관성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2012년 초부터 한국 시민사회는 본격적으로 개발의제논의를 위한 활동을 시작하였다. 2012년 초부터 개발협력 분야의 NGO 협의체인 지구촌빈곤퇴치시민연대(GCAP-Korea), 국제개발협력민간협의회(KCOC) 그리고 국제개발협력시민사회포럼(KoFID)은 대응 한국시민사회연대회의(Beyond 2015 Korea)를 결성하여 다양한 활동을 전개해 왔다. Beyond 2015 Korea는 관련 주요 정책문서 강독, 공개 토론회 및 뉴스레터 발간 그리고 국제회의 참석 등 다양한 활동을 전개해왔다. 그리고 정부와 공식/비공식 정책 간담회를 개최하여 국내외 시민사회의 의견을 전달하였다. 한편 국제적으로는 ADA 창설을 주도하여 아시아 개발협력 협의체와의 연대와 역량 강화에 기여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2013년 9월 국무총리실의 지원을 받아 KCOC 이사 등 국제개발협력 분야 약 10여명의 시민사회 대표단이 제68차 유엔 총회를 참관하기도 하였다. 한편 Beyond 2015 Korea의 에 대한 기본적인 입장은 2013년 2월 20일 발표한 에 대한 한국시민사회 입장문 에 정리되어 있으며 본 문서는 고위급패널인 김성환 전 외교부장관에게 전달하여 한국 시민사회의 의견을 국제사회에 알렸다. 개발의제에대한 한국시민사회 제안 5개 핵심제안 (2013년 2월 20일) 복합적 위기를 극복하는 새로운 개발 패러다임 모색 개발의제는 현재 국제사회가 직면한 금융/경제, 식량과 에너지, 기후변화, 핵위협 등 다중적 위기를 극복하는 새로운 개발 패러다임을 모색하는 계기가 되어야 하며, 인권, 평화/안보, 성 평등, 민주주의, 생태적 지속가능성과의 상호연관성을 고려한 총체적, 전일적 시각에서 접근해야 한다. 불평등 문제를 개발 핵심의제로 선정 개발의제는 불평등의 문제를 개발의 핵심의제로 다루어야 한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인권에 기반을 둔 접근(HRBA), 생태적 지속가능성 원칙과 함께 사회적으로 가장 취약한 계층인 아동과 노인의 인권 보장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개발재원의 혁신적인 방안이 모색 개발의제의 효과적 이행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몬테레이컨센서스를 넘어서는 혁신적인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투기자본에 대한 금융거래세 도입, 지구적 군비축소, 그리고 국제협력을 통한 조세탈피 방지 등의 혁신적 조치를 통한 개발재원 확보를 위한 보다 실질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책무성 매카니즘의 제도화 개발의제를 구속력 있는 목표로 만들기 위해서는 국내외 민주적인 거버넌스를 강화하고 목표 이행을 체계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어야 하며, 개발 관련 국제인권조약에 대한 비준과 실천 이외에 인권분야에서 시행되고 있는 국가별 인권상황 정례 검토(UPR)와 같은 제도를 개발분야에도 도입하는 것을 적극 고려해야 한다. 글로벌 파트너십의 중요성 개발의제의 효과적 이행을 위해서는 상호책무성과 민주적 주인의식 그리고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파트너십이 필수적이며, 인권, 성평등, 양질의 일자리, 환경적 지속가능성과 같은 보편적 가치가 파트너십의 기본 원칙이 되어야 한다. 15
16 6. 한국 시민사회의 입장과 활동 개발의제관련 국내 주요행사 2011년 11월 26일 6월12-13일 2012년 2013년 16 부산 세계시민사회포럼 특별 라운드 테이블 부산총회이후 국제개발의제는 어디로? :리우+20, MDGs 및 2015 이후 국제개발프레임워크 KDI와 UNDP, 아시아적 시각에서 본 Post-2014 개발의제 6월 14일 Beyond 2015 Development Agenda 사전토론회 9월 14일 Beyond 2015 국제개발 프레임워크를 위한 열린포럼 1월 7-9일 UNDP-Korea, North-East Asian Youth Forum: The World We Want 1월 22일 Beyond 2015 시민사회 오픈 워크샵 2월 18일 개발의제 토론회 2월 20일 한국시민사회다자간정책포럼 HLP 김성환 외교(통상)부장관과의 정책대화 7월 3일 한국시민사회정책포럼 Dialogue with UN HLP 8월 26일 외교부, Post 2015 Korea 포럼출범식 10월 7일 제4차 서울시민사회포럼 프레임워크하에서의 효과적인 개발협력을 위한 포용적이고 공평한 파트너쉽 9월 27일 한국정책학회 추계학술대회 국제협력과 국제개발 10월 7일 외교부와 UNDP, Seoul Conference 10월 8일 KOICA, 제7차 서울ODA 국제회의: 개발프레임워크와 ODA의역할 10월 14일 한국 지속가능한 해법 네트워크(SDSN-Korea) 창립기념 국제회의: UN 지속가능발전 어젠다와 한국의 과제 11월 8일 한국국제정치학회 추계학술회의 글로벌아키텍처와 한국 (국제개발협력분과) 11월 15일 경실련국제위원회 재출범기념 토론회: 의제와 한국사회 한국목표의 방향설정 11월 25일 제2회 한국시민사회 정책포럼 개발의제와 부산파트너십의 연계 한국정부와 시민사회의 역할 12월 6일 KAIDEC 동계학술대회 개발의제의 쟁점과 한국의 전략적 대응 12월 19일 경실련 Post 2015 국제적논의와 국내목표 설정에대한 영역별 시리즈 1차 토론
17 7. 의 주요 이슈와 쟁점 7 의 주요 이슈와 쟁점 앞에서 설명했듯이 지난 몇 년간 논의는 기존의 MDGs에 대한 평가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즉 논의 과정에서 MDGs의 장점을 살리고 성과를 이어가면서 동시에 단점과 한계를 극복하는 방안을 도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지금까지의 과정에서 부각된 많은 이슈와 쟁점 가운데 시민사회 관점에서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다섯 가지 관심사를 MDGs 평가와 연관하여 정리하였다. 1) 개발목표의 범위와 내용 MDGs는 2000년의 평화와 안보, 인권과 민주주의, 환경 등 포괄적인 과제를 담은 새천년선언의 내용을 사회개발 분야의 의제로 축소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유엔은 70년대부터 개도국 빈곤의 구조적 측면 즉 글로벌 차원의 무역, 금융, 투자 등 경제체제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고 개혁을 촉구해왔다. 특히 유엔은 1974년의 신국제경제질서(NIEO) 선언과 1986년 발전권 선언, 그리고 1992년 리우선언과 1995년 코펜하겐 사회개발정상회의 선언, 그리고 2000년 새천년선언에 담긴 빈곤과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통합적 접근과 내용을 현재의 맥락에서 재해석해서 적극 반영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접근은 개발을 위한 정책일관성 차원에서도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특히 MDGs 경우처럼 층위가 다른 개별 목표에 따라 세부목표와 지표로 구성하는 기계적, 기술적 접근을 지양하고 중점과제의 독자성을 존중하면서도 상호연관성과 시너지 관계에 주목하여 통합적이며 유기적인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목표와 지표를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2) 개발목표의 보편성과 글로벌 상호의존성 MDGs는 공여국 중심의 의제로 빈곤을 개도국(만)의 문제로 설정하여 개도국을 대상화 하고 산업선진국의 책무를 중요하게 다루지 않았다는 비판을 받았다. 2008년 미국에서 시작된 금융위기의 전개과정에서 나타났듯이 상호의존성이 강화된 지구적 금융경제 시스템으로 인하여 이제 개도국의 빈곤문제는 지구적 경제체제와 분리해서 해결할 수 없는 글로벌 문제가 되었다. 더 나아가 개도국과 선진국 모두 예외없이 거의 모든 국가에서 부의 편중으로 인한 불평등이 심화되었고 이는 사회불안 요인이 되어 지속가능발전에 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다소 늦은 감이 있지만 리우+20에서 정식으로 채택된 지속가능한 소비와 생산(SCP) 의제가 (불)평등과 함께 19개 중점과제에 명시적으로 포함된 것은 중요한 진전으로 평가된다. 즉 개도국의 빈곤은 선진국에서 소수에게 지나치게 집중된 부와 그 축적 방식, 그리고 생태적으로 지속가능하지 않은 생산과 소비문제와 함께 다루어져야 한다. 3) 실효성 있는 책무성 매카니즘의 필요성 MDGs가 실현되지 못한 중요한 원인으로 효과적인 이행 매커니즘의 부재가 지적되었다. 회원국의 참여가 없이 유엔 사무국 주도의 하향식 방식으로 만들어진 MDGs는 정당성이 부족했고 이는 효과적인 이행 메커니즘의 결핍으로 나타났다. 현재 이행에 대한 모니터링 메커니즘과 관련하여 여러가지 가능성이 모색되고 있지만 아직 구체화되지 않고 있다. 기존의 유엔 개발협력포럼 (UNDCF) 이외에 고위급정치포럼(HLPF) 그리고 유엔 밖의 GPEDC가 어떤 역할을 수행할 지에 대한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과정에서 책무성 원칙에 기반한 이행수단에 대한 논의를 병행하는 것은 매우 바람직하고 필요한 과정이다. 세계은행 등 다자간 개발은행과 정치적 영향력을 지닌 G20 국가의 적극적 참여와 기여가 필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참여는 기관의 이해관계가 아니라 글로벌 빈곤의 퇴치와 불평등 감소 등 공동의 비전과 목표에 대한 합의와 공약을 전제로 이루어져야 한다. 17
18 8. 평가와 전망 4) 지속가능발전 재원 확보와 기업의 역할 MDGs이행에서 취약한 점은 재정 확보의 어려움이었다. MDGs 8번 개발을 위한 글로벌 파트너십 을 실현하기 위해 2002년에 몬트레이 개발재원 합의가 뒤늦게 만들어졌지만 제대로 이행되지 않았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따라서 논의에서 개발재원을 구체적으로 논의하는 것이 필요하다. 현재 지속가능발전 재원 전문가 회의가 진행되고 있지만 최근 글로벌 경제위기로 경제성장과 무역이 위축되는 상황에서 ODA 증액 또한 쉽지 않아 보인다. 이러한 상황에서 시민사회가 지속적으로 주장해온 조세회피 방지, 금융거래세(FTT), 부유세, 군사비 감축 등을 통한 새로운 재원 마련에 대한 국제적 합의를 이루고 이를 실효성있게 실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리고 생산적 일자리 창출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기업의 역할과 참여 또한 중요하다. 기업의 직접 참여나 민관협력(PPP) 방식의 참여시 기업은 유엔 글로벌컴팩 10대원칙 이외에도 유엔 인권이사회의 기업과 인권 프레임워크 등 기업의 인권적 책무성을 실천하려는 노력을 강화해야 한다. 5) 투명한 참여적 의사결정 과정과 시민사회의 참여 MDGs는 유엔 사무국 관료의 주도로 하향식으로 만들어져 초반기에 유엔 회원 국가와 시민사회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주인 의식이 취약했다는 지적을 받았다. 유엔 총회를 통한 논의와 결정으로 정당성과 대표성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되 국익 중심의 논의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시민사회와 주요 그룹(Major Groups)등 공익과 사회경제적 약자의 권리와 이익을 대변하는 그룹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보장하는 것이 필요하다. 공적인 성격의 ODA와 함께 시민의 모금을 통한 재원 또한 중요함을 고려할 때 시민사회가 보다 활발히 책임성을 지키고 빈곤퇴치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필요한 제도적, 정책적 환경 (enabling environment)를 구축하는 것 또한 매우 중요하다. 한편 부산파트너십에서 강조했듯이 시민사회가 개발정책 형성과정에 참여하고 감시하는 애드보커시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고 시민사회 개발효과성을 증진하기 위해 자발적으로 만든 이스탄불 원칙을 모범적으로 실천할 필요가 있다. 8 평가와 전망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은 개발의제 논의를 시작하면서 과거의 관습에 얽매이지 말고 혁신적인 발상과 접근을 통해 지구촌 빈곤을 효과적으로 종식하고 지속가능발전 목표를 성취하자고 강조한 바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논의 과정을 돌이켜 볼 때 과연 그런 획기적인 발상의 전환과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의문이다. 여전히 국가이익 을 구실로 빈곤의 책임을 다른 나라에 전가하는 태도가 바뀌지 않고 있다. 는 MDGs로 해결하지 못한 지구촌 빈곤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는 국제사회의 목표와 방향을 결정하는 중요한 역사적 과정이다. 특히 는 아직 극심한 빈곤과 기아를 벗어나지 못한 10억의 동시대인에 대한 책무성과 연대의식을 실천하는 역사적 과제이자 의무이기도 하다. MDGs가 제정되었던 2000년대 초 한국은 국제개발 분야의 변방이었지만 현재 과정에서 중요한 리더십을 행사하는 위치에 있다. 다행히 최근 한국사회에 국제규범에 대한 수동적 수용자가 아니라 적극 참여하는 리더십과 주의의식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 지구촌 빈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세계시민의식을 갖춘 국민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개발의제는 한국정부와 시민사회 모두에게 기회이자 도전이다. 정부와 시민사회는 를 활용하여 국제개발협력 정책을 국제규범에 부합하도록 개선하고 정부와 시민사회가 비판적 협력관계를 통해 국제사회에서 리더십 역할을 모범적으로 수행하는 성숙한 파트너십을 발전시켜 나가기를 기대해 본다. 18
19 개발의제 로드맵 개발의제 로드맵 ( ) UN 사무총장 프로세스 UN 시스템 작업반 ( ) UN 고위급 패널 ( ) UN 사무총장 보고서 "A Life of Dignity for All" (2013.7) UN 총회 프로세스 제65차 UN 총회 제66차 UN 총회 제3차 UN 개발협력포럼 (DCF) 리우+20 프로세스 UN 지속가능발전회의 (CSD, Rio+20) 제67차 UN 총회 제68차 UN 총회 UN MDGs 특별행사 제1차 UN 지속가능발전 고위급정치포럼(HLPF) 제4차 UN 개발협력포럼 (DCF) 제2차 UN 지속가능발전 고위급정치포럼(HLPF) 제69차 UN 총회 제70차 UN 총회 제3차 UN 지속가능발전 고위급정치포럼 (HLPF) 2015 UN 지속가능발전목표 공개작업반(OWG-SDGs) UN 지속가능발전재원(SDF) 전문가위원회 OECD 주도 프로세스 원조효과성 파리선언 2005 아크라행동강령 (AAA) 2008 효과적 개발협력을위한 부산 파트너십 (BPEDC) 효과적 개발협력을 위한 글로벌파트너십 (GPEDC) 제1차 GPEDC HLM (고위급 회의) 멕시코시티 제2차 GPEDC HLM 19
20 부록 부록 A. 참고자료 1) 국내자료 KDI, Development Agenda: 국제논의현황 및 KDI의 역할 ( ) 임소진, 국제사회의 개발프레임워크 수립동향 및 한국 ODA의 기여방안, KOICA 개발정책포커스 제14호, (2012년 7월) KDI, 2015년이후 개발의제 보고서 ( ) 임소진, 개발프레임워크와 UN 고위급패널보고서, 개발협력 정책과 이슈 제10호, (2013년 6월) 임소진, 모두를 위한 품위있는 삶: 개발의제를위한 UN 사무총장보고서, KOICA 정책과 이슈제12호 (2013년 9월) 유웅조, 와 한국 ODA 정책의 개선과제 (이슈와논점776호), 국회입법조사처 (2014년 1월) 2) 한국시민사회성명서 및 뉴스레터 개발의제에대한 한국시민사회의 입장 (2013.2월) 유엔 고위급패널보고서에 대한 한국시민사회의 입장 (2013.7월) Beyond 2015 Korea Newsletter No 1 (2013년 11월), Beyond 2015 Korea Beyond 2015 Korea Newsletter No 3 (2013년 11월), Beyond 2015 Korea Beyond 2015 Korea Newsletter No 1-English (2013년 9월), Beyond 2015 Korea B. 관련 웹사이트 주소 1) 유엔 및 국제기구 웹사이트 관련 유엔 웹사이트 UN website on UN Website on MDGs UN Millennium Campaign on MDGs UN Sustainable Development Knowledge Platform UN OWG-SDGs UN HLPF UN System Task-Team UNSG s HLP on Post A joint initiative between the UN and Civil Society. A global survey for citizens led by the UN and partners Sustainable Development Solution Network for UN 관련 유엔 및 국제기구 웹사이트 UN Rio+20 UN Development Program UN Research Institute for Social Developent (UNRISD) UN NGLS
21 부록 UN Global Compact Global Partnership for Effective Development Cooperation (GPEDC) 2) 국제시민사회단체와 연구소 ADA Beyond CIVICUS CPDE GCAP IFP ODI website on / Social Watch PARTICIPATE Civil Society Reflectin Group 3) 한국정부와 시민사회단체 정부기관 국무조정실개발협력정책관실 ODA관련 정부 공식 안내사이트 ODA 정보센터(KOICA) KOICA(한국국제협력단) EDCF(대외경제협력기금) 시민사회단체, 연구소 및 다자간네트워크 KCOC(국제개발협력민간협의회) KoFID(국제개발협력시민사회포럼) GCAP-Korea(지구촌빈곤퇴치시민네트워크) KAIDEC(국제개발협력학회) SDSN-Korea(지속가능발전해법네트워크) UN(글로벌콤팩트한국협회) Beyond 2015 Korea C. 축약어모음 ADA : Asia Development Alliance 아시아개발연대 AU : African Union 아프리카연합 BPEDC : Busan Partnership for Effective Development Cooperation 효과적인 개발협력을 위한 부산 파트너십 CCC : Cooperation Committee for Cambodia 캄보디아 협력위원회 (NGO) COP-UNFCCC : Conference of Parties to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CPDE : CSO Partnership for Development Effectiveness 개발효과성시민사회파트너십 CSO : Civil Society Organization 시민사회단체 DAC : 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 개발원조위원회 (OECD) DAK : Development Alliance Korea 개발협력연대 DDA : Doha Development Agenda 도하개발의제 (WTO) 21
22 부록 EDCF : Economic Development Cooperation Fund 대외경제협력기금 EU : European Union 유럽연합 FTT : Financial Transanction Tax 금융거래세 GCAP-Korea : Global Call to Action Against Poverty-Korea (한국) 지구촌빈곤퇴치시민연대 GCAP : Global Call to Action Against Poverty 빈곤퇴치를위한 지구행동 GPEDC : Global Partnership for Effective Development Cooperation 효과적인개발협력을위한글로벌파트너십 HLF-4 : 4th High-level Forom on Aid Effectiveness 부산 세계개발원조총회 HLP : High-Level Panel on the Development Agenda 2015년 이후 개발의제에 관한 유엔고위급패널 HLPF : UN High-Level Political Forum 유엔지속가능발전 고위급정치포럼 IFP : International Forum of National NGO Platforms 국가별 NGO협의체국제포럼 IP : Istanbul Principles for CSO Development Effectiveness 시민사회 개발효과성을 위한 이스탄불 원칙 KAIDEC : Korea Association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and Cooperation 국제개발협력학회 KDI : Korea Development Institute 한국개발연구원 KOICA : Korea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한국국제협력단 LDCs : Least Developed Countries 최빈개도국 MDGs :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새천년개발목표 NIEO : New International Economic Order 신국제경제질서 ODA :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공적개발원조 ODI : Overseas Development Institute 국제개발연구소 OECD DAC : OECD 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 OECD개발원조위원회 OECD :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경제협력개발기구 OWG-SDGs : Open Working Group on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지속가능발전목표 공개작업반 PGSD : People s Goal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민중의 지속가능발전목표 PPP : Public Private Partnership 민관협력 SCP : Sustainable Consumption and Production 지속가능한 소비와 생산 SDGs :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지속가능발전목표 SDSN : Sustainable Development SolutionsNetwork 지속가능발전해법네트워크 TWN : Third World Network 제3세계네트워크 UNCSD : United Nations Commission on Sustainable Development 유엔 지속가능발전위원회 UNCSD : United Nations Conference on Sustainable Development 유엔지속가능발전회의(리우+20) UNDCF : United Nations Development Cooperation Forum 유엔개발협력포럼 UN DG : United Nations Development Group 유엔개발그룹 UN ECOSOC : Economic and Social Council 유엔경제사회이사회 UN NGLS : United Nations Non-governmental Laision Service 유엔비정부연락서비스 UNSG : United Nations Secretary-General 유엔사무총장 UN System TT : United Nations System Task-Team 유엔 시스템 작업반 UNCHE : United Nations Conference on Human Environemnt 유엔인간환경회의 UNDP :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유엔개발계획 UNEA : United Nations Environment Assembly 유엔 환경총회 UNEP :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유엔환경계획 UNGC : United Nations Global Compact 유엔글로벌콤팩트 UNRISD : United Nations Research Institute for Social Developent 유엔사회발전연구소 WTO : World Trade Organization 세계무역기구 22
23
24
목차 Ⅰ배경과 맥락 -국제 환경, 국내 환경 Ⅱ Post-2015 개발의제 수립 과정의 국제시민사회 활동 Ⅲ Post-2015 개발의제 수립 과정의 한국시민사회 활동 Ⅳ KOICA지원 한국 CSO 협의체의 정책 활동 및 성과 Ⅴ Post-2015 정책의제와 협의체간 연
Post-2015/SDG 체제의 국제개발협력을 위한 민간협의체 역할 및 국제공조 강화 방안 2015.03.06 목차 Ⅰ배경과 맥락 -국제 환경, 국내 환경 Ⅱ Post-2015 개발의제 수립 과정의 국제시민사회 활동 Ⅲ Post-2015 개발의제 수립 과정의 한국시민사회 활동 Ⅳ KOICA지원 한국 CSO 협의체의 정책 활동 및 성과 Ⅴ Post-2015 정책의제와
More informationafoco백서-내지.indd
녹색 아시아의 꿈, AFoCO와 함께 한 날들 1장 자신감을 얻다 GREEN INNOVATION FOR THE FUTURE 2장 녹색 아시아를 위하여 3장 아시아 산림 협력의 새로운 모델 4장 AFoCO 설립을 제안하다 Green Ocean 오늘날 세계는 탄소 의존형 경제 패러다임을 뛰어넘은 새로운 시장의 선점을 향한 녹색 경주(Green Race)를 펼치고
More information<BFA9BCBABFACB1B8BAB8B0EDBCAD28C6EDC1FD292E687770>
성매매방지법 제정과정에 영향을 미친 요인에 관한 연구 - 거버넌스 관점과 여성단체의 역할을 중심으로 오 혜 란 * 1) 초 록 주요용어:성매매방지법, 성매매, 여성관련 법률, 여성단체, 여성정책, 입법과정, 젠더, 거버넌스, 젠더 거버넌스, NGO I. 들어가는 말 II. 이론적 배경 여성정책과 거버넌스 거버넌스의 의미 거버넌스의 유형 1) 국가(정부)주도형
More information1장.pdf
4 5 6 7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51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More information¹Ì·¡¼¼´ë¿ÍÀǵ¿Çà-Ç¥Áö ¾ÕµÞ¸é ÇÕº» ¿Ï¼º.PDF
교사가 실천하는 지속가능발전교육: 미래 세대와 동행하기 발 간 사 미래 세대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능력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현 세대의 요구를 충족 시키려는 지속가능발전 은 현재와 미래를 살아가는 우리 모두를 위해 달성해야 할 공동의 임무입니다. 생산, 소비, 문화, 생활 전반에 걸친 패러다임의 근본적인 전환을 통 해 경제발전, 사회통합, 환경보전 의 전체적(holistic)인
More information개도국지식재산분야발전을위한 개발협력콘텐츠개발및 IP-Divide 해소방안연구 2013. 12 특허청 위탁연구기관명 : 숙명여자대학교 요 약 ㅇ ㅇ ㅇ ㅇ ㅇ - i - ㅇ ㅇ ㅇ - ii - ㅇ ㅇ 2013 26, ODA 2, - iii - ㅇ / EDCF,,,,,,,, CIS, / 19, 8, 2 ㅇ,,, : ODA : : : / : - iv - ㅇ
More informationLevel Panel of Eminent Persons on the Post-2015 Development Agenda, 이후 HLP) 을구성하여 8 월 1 일부터활동을시작하도록하였다. 특히 UN HLP 논의활동에있어서 UN 사무총장은제프리삭스 (Jeffrey Sach
발간등록번호 11-B260003-000202-14 제 12 호 지구촌행복시대, KOICA 가함께합니다. 2013.9 월 개발과이슈 모두를위한품위있는삶 Post-2015 개발의제를위한 UN 사무총장보고서 1. UN 의 Post-2015 개발의제형성노력 2. UN 작업반보고서 2.1. 우리가원하는모두를위한미래실현하기 2.2. 개발을위한변화된글로벌파트너십 2.3.
More information코이카 연보
발간 등록 번호 지구촌 행복시대, KOICA가 함께합니다. Happiness for All, with Global KOICA 11-B260003-000217-10 KOICA 년 코이카 연보 코이카 연보 발간 등록 번호 11-B260003-000217-10 KOICA 년 코이카 연보 ODA연구 2014-29-205 발 행 일 발 행 인 편집/발행처 주 소 전
More information<BAA3C6AEB3B2C1F6BFF8BBE7BEF72DB1E8B3ADBFB52DC1FD2E687770>
베트남 감사원 감찰원 역량 강화 지원사업 수요 및 지원방안 연구 2013. 12 김 난 영 감사연구원 발간사 우리나라는 원조 수혜국에서 공여국으로 자리바꿈한 유일한 국가로 우리나라의 경험 공유 및 벤치마킹에 대한 개도국의 수요가 높습니다. 이와 함께 감사원은 다른 국가 최고감사기구의 벤치마킹 대상이자 평가기관의 위치에 올랐습니다. 이에 감사원은 우리나라의
More informationÈ޴ϵåA4±â¼Û
July 2006 Vol. 01 CONTENTS 02 Special Theme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Beautiful Huneed People 03 04 Special Destiny Interesting Story 05 06 Huneed News Huneed
More information알기쉬운지속가능발전목표 SDGs INDI LAB 하나 지속가능발전목표 (SDGs) 알아보기 1. 지속가능발전목표 (SDG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는무엇일까? 2. SDGs 는어떻게만들어졌을까? 3. SDGs 를만드는과정에서시민사회단체는무엇을했을까? 하나. 지속가능발전목표 (SDGs: Sustainable Development
More information(최종)UN글로벌콤팩트 이행보고서.hwp
2010 국가핵융합연구소 유엔글로벌콤팩트 이행보고서 UN Global Compact Communication On Progress 2010. 10. CONTENTS 05 CEO 인사말 07 보고서 소개 08 UN 글로벌 콤팩트 09 국가핵융합연구소 개요 11 기후변화 및 국제사회의 대응과 핵융합에너지 14 국가핵융합연구소 연구 소개 20 환경 22 인권 25
More information*5£00̽ÅÈ�
. 2001.. 2. 1998... 21 :. 1998... 21 :. 2002. :.. :. :. 37, 2003. (: 2003-08-10) Annan, Kofi. We the People, the Role of the United Nations in the st Century, Secretary General
More information<BFACB1B8BAB8B0ED2031332D313120B9CEB0A3BACEB9AE20C1F6C0DAC3BCC0C720BACFC7D120BBEAB8B2BAB9B1B8C1F6BFF820C8B0BCBAC8AD20B9E6BEC820BFACB1B85FB3BBC1F62E687770>
발간등록번호 11-1400377-000619-01 연구보고 13-11 민간부문 지자체의 북한 산림복구지원 활성화 방안 연구 박 경 석 (국립산림과학원 산림경제경영과) 이 성 연 (국립산림과학원 산림경제경영과) 유 병 일 (국립산림과학원 산림경제경영과) 박 소 영 (국립산림과학원 산림경제경영과) 발간사 2010년을 전후로 경색되었던 남북관계가 올해 초 개성공단
More information05 포커스 SDGs와개발협력의방향 에따라이글에서는 SDGs에대한구체적인이해를바탕으로향후추진되는개발협력의방향을고찰하고자한다. 그리고이러한개발협력의전환을맞아지방정부가나아갈길을모색하였다. MDGs는 8개의목표와 19개의세부목표로구성되었다. 이는지난 50년동안의원조에대한반성
세계와도시 포커스 04 01 밀레니엄이후국제사회개발협력의흐름 2000 년 9 월, 새로운세기를맞이하여유엔정상회 의는국제사회의빈곤퇴치를위한선언을하였다. 189 개 UN 회원국의만장일치로채택하여 천년개발목표 국제개발협력의전환을맞아지방정부가나아갈길 SDGs 와개발협력의방향 (Millenium Development Goals, MDGs) 라고공식화한이선언은모든공여국,
More information코이카 개발정책 포커스 3호.0714.indd
KOICA 개발정책 포커스 ISSN 2093-2111 제3호 한국 무상원조의 기본정신과 중기 정책 수립 방향 KOICA Development Policy Focus KOICA 개발정책 포커스 제3호 한국 무상원조의 기본정신과 중기 정책 수립 방향 목 차 1. 서 언 3 2. 원조공여국의 ODA 법과 정책 구조 분석 4 3. 한국 무상원조의 기본정신, 목표,
More information피해자식별PDF용 0502
국제이주기구(International IOM 인신매매 방지 교육 지침서 시리즈는 인신매매 피해자 Organization for Migration, IOM) 에 대한 지원 서비스를 향상시키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개발 는 전 세계 곳곳에서 인신매매 방지 되었다. IOM의 풍부한 현장 경험을 기반으로 하여 실무자에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비정부기구, 정 게 도움이 될
More information....pdf..
Korea Shipping Association 조합 뉴비전 선포 다음은 뉴비전 세부추진계획에 대한 설명이다. 우리 조합은 올해로 창립 46주년을 맞았습니다. 조합은 2004년 이전까 지는 조합운영지침을 마련하여 목표 를 세우고 전략적으로 추진해왔습니 다만 지난 2005년부터 조합원을 행복하게 하는 가치창출로 해운의 미래를 열어 가자 라는 미션아래 BEST
More information_ODA교육원5차
KOICA ODA KOICA [ ODA KOICA NGOs KOICAKOICA 6~7 Info Session KOICA ODA KOICA 3KOICA 5~12Kids Help Kids: kiki 1~6one-heart 4~6 ideakoica.go.kr oda.koica.go.kr 031-740-0500 KOICA 302 http://teacher.i-scream.co.kr
More information11-011.hwp
KOCHI 11-011 KOCHI 11-011 Clean KOTRA, Green KOTRA 중국 소비자에게 사랑받는 기업의 CSR 7계명 [요 약] 1 Ⅰ. 조사 배경 5 Ⅱ. 중국 CSR의 특징 8 Ⅲ. 중국진출 우리기업의 CSR 설문 분석 12 Ⅳ. 중국진출 기업의 CSR 사례 21 Ⅴ. 중국진출 우리기업 CSR 특징 및 향후 개선방향 43 Ⅰ. 조사
More information통권 129호 07 2012 08 호 기획특집 배보다 큰 배꼽 의료비, 비급여의 실체 시사포커스 불법 입찰담합 부추기는 불공정거래위원회 건강이야기 포괄수가제는 시민들에게 이득인가, 손해인가? 늘어나는 대부업체, 감독은 대체 어디서 하나? what's on your mind? 지금, 무슨 생각하세요? 경실련 SNS에서 하는 말은 늘 조심스럽습니다. 편하게 접근할
More informationeco-academy(....).hwp
Ⅰ. 환경과 더불어 사는 인간 Ⅱ. 깨끗한 공기로의 회복 Ⅲ. 맑고 풍부한 물 Ⅳ. 흙을 살리는 길 Ⅴ. 자원으로서의 폐기물 Ⅵ. 지구적 환경문제와 지속가능발전 Ⅶ. 여성과 환경 - 에코페미니즘 Ⅰ. 환경과 건강 그리고 질병 Ⅱ. 환경 호르몬 Ⅲ. 약물 오 남용 및 중독의 이해 Ⅳ. 생명과 환경을 살리는 먹거리 Ⅴ. 친환경적 농업 Ⅵ. 건전한 소비 - 효율적인
More informationEurope 2020 Strategy 글로벌산업기술생태계의융합과발전을선도하는일류산업진흥기관 EU 기술협력거점 *EU Issue Paper EU : KIAT EU ( ,
2011-42 Europe 2020 Strategy 2011. 04. 14. 글로벌산업기술생태계의융합과발전을선도하는일류산업진흥기관 EU 기술협력거점 *EU Issue Paper EU : KIAT EU (+49 6927 4015 221, bryan100@kiat.or.kr) < > Europe 2020 Strategy ㅇ,,,, ㅇ 2020 3 - (Smart
More information중점협력국 대상 국가협력전략 ( 9 개국 ) ᆞ 5 ᆞ 30 관계부처 합동
중점협력국대상국가협력전략 (9 개국 ) - 콜롬비아, 방글라데시, 아제르바이잔, 르완다, 볼리비아, 우간다, 우즈베키스탄, 인도네시아, 파라과이 - 2016. 5. 30. 관계부처합동 중점협력국 대상 국가협력전략 ( 9 개국 ) 2 0 1 6 ᆞ 5 ᆞ 30 관계부처 합동 총목차 1. 콜롬비아국가협력전략 1 2. 방글라데시국가협력전략 38 3. 아제르바이잔국가협력전략
More information감사회보 5월
contents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동정 및 안내 상장회사감사회 제173차 조찬강연 개최 상장회사감사회 제174차 조찬강연 개최 및 참가 안내 100년 기업을 위한 기업조직의 역 량과 경영리더의 역할의 중요성 등 장수기업의 변화경영을 오랫동안 연구해 온 윤정구 이화여자대학교
More information¾ç¼ºÄÀ-2
양성평등 캠퍼스 문화 조성을 위하여... 고려대학교 양성평등센터 는 2001년 6월에 제정된 성희롱 및 성폭력 예방과 처리에 관한 규정 에 의거하여 같은 해 7월에 설치된 성희롱및성폭력상담소 를 2006년 10월 개칭한 것입니다. 양성평등 센터 로의 개칭은 교내에서 발생하는 성피해에 대한 즉각적인 대응과 상담 제공뿐만 아니라 상호 존중을 바탕으로 한 양성평등
More information스리랑카국가협력전략 Country Partnership Strategy for the Democratic Socialist Republic of Sri Lanka 관계부처합동 동전략은수원국정부와의긴밀한협의하에작성되었으며, 국내및수원국현지의상황에따라변경
스리랑카국가협력전략 Country Partnership Strategy for the Democratic Socialist Republic of Sri Lanka 2016. 12. 관계부처합동 동전략은수원국정부와의긴밀한협의하에작성되었으며, 국내및수원국현지의상황에따라변경가능함 목 차 I. 원조성과평가 1 II. 수원국분석 4 1. 수원국개발현황 4 2. 수원국의국가개발전략
More information2014년 국제 정세는 정치적 이데올로기의 옷을 벗어던진 구 지정학의 귀환
2015 국제정세전망 요 약 2014년 국제 정세는 정치적 이데올로기의 옷을 벗어던진 구 지정학의 귀환, 극단적 테러집단으로부터의 위협, 그리고 선진국과 개도국 간의 이해 대립이라는 세 가지 갈 등의 축을 중심으로 국제사회에서의 경쟁과 분쟁, 그리고 협력이 파생되는 형세를 보 였다. 2015년에는 이러한 세 가지 갈등의 축이 지역적으로 파급 또는 봉쇄되는 양상을
More information01정책백서목차(1~18)
발간사 2008년 2월, 발전과 통합이라는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여 출범한 새 정부는 문화정책의 목표를 품격 있는 문화국가 로 설정하고, 그간의 정책을 지속적으로 보완하는 한편 권한과 책임의 원칙에 따라 지원되고, 효율의 원리에 따라 운영될 수 있도록 과감한 변화를 도입하는 등 새로운 문화정책을 추진하였습니다. 란 국민 모두가 생활 속에서 문화적 삶과 풍요로움을
More informationVision Mission 15 174 121881 T 0269004400 F 0269004499 170 5 121140 T 0221264091 F 0221264044 4 112 203 425807 T 0314020442 F 0314020140 899 402061 T
2014 Vol.130 Zoom In People Vision Mission 15 174 121881 T 0269004400 F 0269004499 170 5 121140 T 0221264091 F 0221264044 4 112 203 425807 T 0314020442 F 0314020140 899 402061 T 0324341391 F 0324391391
More information주요국가별對캄보디아원조동향
주요국가별對캄보디아원조동향 2017.10. 목 차 I. 캄보디아국가개황및개발전략 1 1. 캄보디아국가개황 1 2. 캄보디아주요국가개발전략 2 II. 對캄보디아원조현황 4 1. 캄보디아의 ODA 수혜체계 4 ᄋ 원조수혜개관 4 ᄋ 원조접수체계 4 ᄋ 원조조율체계 5 2. 한국의對캄보디아원조현황 6 ᄋ KOICA 對캄보디아원조현황 6 3. 미국 (USAID/PEACE
More information**09콘텐츠산업백서_1 2
2009 2 0 0 9 M I N I S T R Y O F C U L T U R E, S P O R T S A N D T O U R I S M 2009 M I N I S T R Y O F C U L T U R E, S P O R T S A N D T O U R I S M 2009 발간사 현재 우리 콘텐츠산업은 첨단 매체의 등장과 신기술의 개발, 미디어 환경의
More informationAFF2018_6PP_Brochure_BR_KR_preview
각 산업 전문가 프레젠테이션 및 전세계의 투자 프로젝트 쇼케이스가 진행됩니다. 권위자, 오피니언 리더, 싱크탱크 전문가 포럼 참가자 전용 모바일 어플 제공: 2017년 11월 30일까지 웹사이트()를 통해 등록하시면 조기등록 할인 혜택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추가 정보는 AFF 웹사이트 () 를 방문하시거나 아래 양식을 작성하시어 이메일 (aff@hktdc.org)
More information한국의 양심적 병역거부
한국의 양심적 병역거부 2 목차 편집자의 말 ------------------------------------------------------------------------------------- 3 한국의 * 상1 개괄 한국의 병역거부운동 -------------------------------------------------------------------------
More information<BFA1B3CAC1F62C20C8AFB0E62CB0C7BCB320BAD0BEDFC0C720B9CCB7A1C0AFB8C1B1E2BCFABCB1C1A42E687770>
머 리 말 목 차 제1장 서 론 1 제2장 포럼의 진행방법 9 제3장 제1차 토론회 13 제4장 제2차 토론회 45 제5장 제3차 토론회 71 제6장 결 론 81 참고문헌 85 표 목차 제1장 서 론 1. 포럼의 목적 2. 포럼의 내용 및 범위 제2장 포럼의 진행방법 1. 포럼의 진행방법 2. 포럼 참여 전문연구위원 제3장 제 1 차 토론회 1.
More information09김정식.PDF
00-09 2000. 12 ,,,,.,.,.,,,,,,.,,..... . 1 1 7 2 9 1. 9 2. 13 3. 14 3 16 1. 16 2. 21 3. 39 4 43 1. 43 2. 52 3. 56 4. 66 5. 74 5 78 1. 78 2. 80 3. 86 6 88 90 Ex e cu t iv e Su m m a r y 92 < 3-1> 22 < 3-2>
More informationÁ¤Ã¥¹é¼Ł_Ç¥Áö
T O WA R D S G L O B A L E M I N E N C E KYUNG HEE UNIVERSITY 2010 1. 20 2010 1 21 이처럼 학문적 수월성을 추구하면서도 경희는 대학의 사회적 책임과 지구적 책무를 소홀히 하지 않았다. 1950~60년대 농촌계몽, 의료봉사활동, 잘살기운동을 펼치는 한 편 세계대학총장회(International
More information<323030383132323520B1B9C1A6B1E2B1B82D594ABFCFB7E12E687770>
[ 해외 평생교육 정책동향 시리즈 5 ] 국제기구 평생교육 정책동향 - 유럽연합(EU), 유네스코(UNESCO)를 중심으로 - Contents 1. 유럽연합(EU) 평생교육 정책동향 1 가. EU 평생교육 관련 정책연구 동향 개요 1 1) 분석 목적 1 2) 분석 대상 1 3) 분석 내용 2 4) 해외 연구보고서 목록 2 나. 유럽지역 평생교육 관련 정책연구
More information???德嶠짚
2018 3+4 NO.132 SDGs Social Equality Communication Human Rights Justice Peace www.kipa.re.kr CONTENTS 2018 3+4 NO.132 02 52 16 22 58 32 38 44 66 www.kipa.re.kr 74 80 132 2018 4 13 235 02-2007-0644 02-564-2006
More information1.媛議깊삎 [蹂?섎맖]
4 5 6 7 10대 주제전시관 제 0주제 - 유기농 주제 안내 유기농이란,생태적삶이란무엇인가? 주제전시관에서 전달 하고자 하는 메시지에 대한 물음을 던지며 유기농에 관한 기본적인 정보 및 1관부터 10관까지 내용을 소개하는 공간 제 1주제 - 건강하고 복원력 있는 토양 "생명을품은보금자리"유기농,땅심을살리다 만물이 소생하는 생명의 근원인 토양의 중요성과 함께
More informationEU탄소배출거래제보고_ hwp
2011. 10. 28 - 2 - Ⅰ. EU ㅇ EU (Directorate-General Environment) EU,, (Directorate-General Climate Action), (ETS) ㅇ EU 2008 (Climate Change & Energy Package), 2011 8 2050 (A Roadmap for moving to a competitive
More information1
2013 민주평통 통일골든벨 문제집 제1편. 성공의 역사는 대한민국 미래의 디딤돌 반만년 우리민족의 역사 속에 대한민국의 역사는 극히 미세한 부분에 지나지 않을 것입니다. 그러나 우리는 짧은 기간에 가난을 벗어나기 위한 변화와 혁신을 이루었고, 성공의 역사를 만들어 왔습니다. 전쟁의 폐허 속에 세계 최빈국에서 세계 10위권의 경제대국과 민주 국가가 되었습니다.
More information<3230313320C0CCC7D8C1F5C1F820BBE7BEF720BCBAB0FABBE7B7CAC1FD20BFF8B0ED2831322E31325F31C2F7292DC0DBBEF72E687770>
2013년도 대학교 국제개발협력 이해증진사업 성과사례집 contents 1. 가천대학교 성과사례(2012) 1 2. 강원대학교 성과사례(2012) 15 3. 경북대학교 성과사례(2012) 27 4. 경희대학교 성과사례(2012) 45 5. 고려대학교 성과사례(2012) 65 6. 국민대학교 성과사례(2012) 83 7. 부경대학교 성과사례(2012) 99 8.
More information제 3 권 제 1 호 ( 통권제 10 호 ) 2015 년 11 월 30 일 발행인박광국한국환경정책 평가연구원 세종특별자치시시청대로 370 세종국책연구단지 B 동 ( 과학 인프라동 ) TEL FAX
한국환경정책 평가연구원세종특별자치시시청대로 370 세종국책연구단지 B 동 ( 과학 인프라동 ) TEL 044-415-7777 FAX 044-415-7799 www.kei.re.kr KOREA ENVIRONMENT INSTITUTE 2015. 11. 30 VOL.3 No.1 UN 지속가능발전목표 (SDGs) 이행 제 3 권 제 1 호 ( 통권제 10 호 ) 2015
More information환경-본문(N).indd
셰계 환경의 날 세계 환경의 날은 환경에 대한 세계인의 의식 을 고취시키고 환경보호를 위한 행동을 촉구하는 유엔의 가장 중 요한 날이다. 이 날은 각 개인이 지구를 돌보거나 변화의 행위자 가 되기 위한 의미에서 사람들의 날(people s day) 로도 불린다. (출처 : shutterstock) 환경-본문(N).indd 12 2018. 2. 22. 오후 4:17
More information1 / 4 1. / 1 2. / 2 3. / 4 2 / 12 1. / 12 2. / 15 3. / 32 3 / 50 1. / 50 2. / 50 3. / 53 4. / 54 4 / 56 1. / 56 2. / 59 3. / 66 4. / 69 5 : / 75 1., / 75 2. / 91 3. / 95 1. / 100 / 124 21,,,,.. 2000 12
More information_ _ Reading and Research in Archaeology. _ Reading and Research in Korean Historical Texts,,,,,. _Reading and Research in Historical Materials from Ko
4. _ Culture of Korea: In the Present and the Past,.. _ Korean History and the Method of Psychoanalysis.,,. _ Politics and Ideas in Modern days Korea.,. _ Contemporary Korean History and International
More informationNGO _ 2011 NGO _ 기후변화의 대표적 피해 지역 남아시아 지원 그린아시아그랜트는 아시아의 환경문제 해결을 위해 아시아지역 의 NGO를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2011년 8개국 9개 단체를 지 원하였으며, 현재까지 총16개 나라 18개 단체의 교육, 캠페인, 지
Part 2 1 NGO non-governmental organization 시민단체 활동지원 환경재단은 시민단체가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각종 활동 NGO 리우(Rio)회의) 가 있은 지 30년이 되는 해입니다. 2011년, 시민 단체가 중심이 되어 2012년 6월 개최되는 유엔지속가능발전 정 1. NGO 2. 후원자 3. 기업 4. 정부 및 지자체
More information2015_11_이슈브리프.indd
MRTC IOM이민정책연구원 이슈브리프 No. 2015-11 ISSN 2289-084X(Online) www.iom-mrtc.org 2015 ASEAN 경제통합과 한국의 對 동남아시아 FTA: 전문인력 이동에 관한 이민정책적 시사점 조영희(부연구위원) Contents 01 2015 아세안 경제통합 02 한국의 통상정책에서 동 남아시아의 중요성 03 FTA 서비스무역
More information<C5EBC0CFBFACB1B8BFF85FBACFC7D1C0CEB1C7B9E9BCAD203230313528B1B9B9AE295FB3BBC1F65FC3D6C1BE5FC0A5BFEB283039323120BCF6C1A4292E687770>
북한인권백서 2015 인 쇄: 2015년 6월 발 행: 2015년 6월 발 행 처: 통일연구원 발 행 인: 최진욱 편 집 인: 북한인권연구센터 등 록: 제2-02361호 (97.4.23) 주 소: (137-756)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17 통일연구원 전 화: (대표) 2023-8000 (직통) 2023-8030 (팩시밀리) 2023-8297 홈 페 이
More informationWWF (World Wide Fund for Nature, 세계자연기금 ) WWF는스위스에국제본부를둔세계최대규모의자연보전기관으로, 전세계 100개국에 500만명의회원들이글로벌네트워크를통해함께활동하고있습니다. 멸종위기종보전을주목적으로 1961년설립된 WWF 는현재기후 에
세계자연기금 REPORT KR 2016 우리의 미래, 지속가능발전목표 Brent Stirton / Getty Images 새로운 국제 발전 아젠다에서 환경적 측면이 갖는 중요성 WWF (World Wide Fund for Nature, 세계자연기금 ) WWF는스위스에국제본부를둔세계최대규모의자연보전기관으로, 전세계 100개국에 500만명의회원들이글로벌네트워크를통해함께활동하고있습니다.
More information경영노트편집2월-3
01 02 03 2 04 01 3 54,218 3,076 1,866 75.5 47.3 5 02 4 03 5 01 6 02 7 Mon Tu e 18 동남아 전략지역 4개국 투자 환경 설명회 (13:30, 대한상의회관) We d 19 공인전자주소 제도 설명회 (14:30, 대한상의회관) Thu 20 강창일 국회 지식경제위원장 초청 조찬간담회 (07:30, 대한상의회관)
More information<B1B9C8B8C0D4B9FDC1B6BBE7C3B3BAB85F BB0DCBFEFC8A35B315D2E706466>
2011 Winter 02 08 10 News 14 Article Report 42 NARS Report 60 NARS Report Review 68 World Report 84 Column 94 Serial 116 2011 Winter 11 www.nars.go.kr 01 02 w w w. n a r s. g o. k r 03 04 01 02 03 04
More information기본소득문답2
응답하라! 기본소득 응답하라! 기본소득 06 Q.01 07 Q.02 08 Q.03 09 Q.04 10 Q.05 11 Q.06 12 Q.07 13 Q.08 14 Q.09 응답하라! 기본소득 contents 16 Q.10 18 Q.11 19 Q.12 20 Q.13 22 Q.14 23 Q.15 24 Q.16 Q.01 기본소득의 개념을 쉽게 설명해주세요. 06 응답하라
More information표현의 자유
49 정보 인권과 민주주의를 위한 입법 과제 장여경* 오병일* 정민경* 1) 목 차 I. 문제 제기 1. 정보화 정책의 주요 문제점과 과제 2. 대안으로서 정보인권 II. 표현의 자유 1. 개념 2. 입법 과제 III. 프라이버시권 1. 개념 2. 입법 과제 IV. 정보문화향유권 1. 개념 2. 입법 과제 V. 정보접근권과 인터넷 망중립성 1. 개념 2. 입법
More information<B1E2C8B9B3EDB4DC325FC0D3C0BBC3E25FB1B9C1A6BDC3C0E5C1A2B1D92E687770>
서 론 북한의 국제시장 접근 노력: 무역과 외자유치 분야 국제시장 접근을 위한 학습 및 인적 교류 결론: 국제화의 양면성과 정책적 시사점 26 / 서 론 / 27 28 / / 29 북한의 국제시장 접근 노력: 무역과 외자유치 분야 30 / / 31 32 / / 33 34 / / 35 36 / / 37 38 / / 39 국제시장 접근을 위한 학습 및 인적 교류
More information알기쉬운 지속가능발전목표 SDGs CONTENTS 지속가능발전목표 (SDGs) 알아보기 하나 1. 지속가능발전목표 (SDG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는무엇일까? 2. SDGs는어떻게만들어졌을까? 3. SDGs를만드는과정에서시민사회단체는무엇을했을까? 06 09 11 둘 SDGs 자세히살펴보기 1. SDGs 의 17 개목표
More information2012 경제발전경험모듈화사업: 한국의 경제발전에 기여한 국가표준체계 구축 2013 2012 경제발전경험모듈화사업: 한국의 경제발전에 기여한 국가표준체계 구축 2012 경제발전경험모듈화사업: 한국의 경제발전에 기여한 국가표준체계 구축 National Standards Infrastructure Underpinning the Economic Growth of
More information한국무역협회
ISSN 2016년 6호 주요국 2015년 추진 현황과 2016년 전망 2016년 3월 통상연구실 정혜선 연구원 통상연구실 이근화 연구원 CONTENTS [요 약] ⅰ I. 전 세계 추진 동향의 특징 및 시사점 1. 전 세계 추진 동향의 특징 2. 시사점 II. 주요국별 추진 동향 1. 아시아 2. 미주 3. 유럽 4. 대양주 5. 기타지역 1 1 6 7
More information2040 2010 6 11 - - - - - - 03 - -,,, - 08 8 15 < > - - -,, - / 04 2040 100,, -, 05 - -- - - KOREA 2040, 06 - - - - - - - 69(2010) 88(2040) - 2.56 2.10, 65 7.6% 14.2% 18% 15%, 65 16% 25% - -,, 56.7(2010)
More informationCourse for Master s Degree 1) International Commerce Course Number 교과목명 Course name IIC110 관리회계 MANAGEMENT ACCOUNTING IIC111 국제조직관리 INTERNATIONAL ORGA
Course for Master s Degree 1) International Commerce Course Number 교과목명 Course name IIC110 관리회계 MANAGEMENT ACCOUNTING IIC111 국제조직관리 INTERNATIONAL ORGANIZATION MANAGEMENT IIC112 글로벌리더쉽 GLOBAL READERSHIP
More information본연구결과는일의미래와노동시장전략연구에대한고용노동부의학술연구용역사업에의한것임 일의미래와노동시장전략연구 연구기관 / 한국노동연구원 2017. 3. 고용노동부 - 1 - - 2 - - 3 - - 4 - - 5 - - 6 - - 7 - - 8 - - 9 - - 10 - - 11 - - 12 - - 13 - - 14 - - 15 - - 16 - - 17
More information: (Evaluation and Perspective of the Broadcasting Policy: The Direction and Tasks of a New Broadcasting Policy in Korea) 2013. 1 : ⅶ 1 1. 연구의필요성및목적 1 2. 연구의구성및범위 2 2 제 1 절미디어환경의변화 4 1. 스마트미디어의확산과발달
More information<C7D1B1B9C7FC20B3EBBBE7B0FCB0E82DC3D6C1BE612E687770>
한국형 노사관계 모델의 탐색 제 절 머리말 제 절 시장체제와 민주주의 자본주의 정치경제체제 유형 제 절 박정희 시대의 자본주의 정치경제체제 시장 형성적 권위주의 제 절 전두환 정권의 자본주의 정치경제체제 시장순응적 권위주의 제 절 노태우 김영삼 정권 하에서의 자본주의 정치경제 규제되지 않은 개방 경제 시장 민주주의 발전국가의 쇠퇴와 국가규율의 약화 재벌체제의
More information<31342D B9DABCBAC7F62E687770>
ISSN 1229-1889(Print) ISSN 2287-9005(Online) J Korean Soc Qual Manag Vol. 42, No.4: 529-542, December 2014 http://dx.doi.org/10.7469/jksqm.2014.42.4.529 인류의삶의질을향상시키기위한 UN 의밀레니엄발전목표 (MDGs) 와지속가능발전목표 (SDGs)
More informationCR2006-41.hwp
연구책임자 가나다 순 머 리 말 2006년 12월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원장 - i - - ii - - iii - 평가 영역 1. 교육계획 2. 수업 3. 인적자원 4. 물적자원 5. 경영과 행정 6. 교육성과 평가 부문 부문 배점 비율(%) 점수(점) 영역 배점 1.1 교육목표 3 15 45점 1.2 교육과정 6 30 (9%) 2.1 수업설계 6 30 2.2
More information<5BB0F8B0F8C7E0C1A45D4B4F49434120B0F8B0F8C7E0C1A4BAD0BEDFC0FCB7AB5FC3D6C1BE2E687770>
목 차 Ⅰ. 수립 배경 1. 수립 배경 1 2. 수립 방향 2 Ⅱ. 수립 근거 1. 국제개발협력과 4 2. 개발협력 현황 6 Ⅲ. 지원 1. 체계도 13 2. 목표 및 중점 프로그램 14 3. 범 이슈의 적용 18 Ⅳ. 접근방법 1. 선택과 집중 19 2. 효과성 증진 20 3. 파트너십 강화 21 Ⅰ 수립 배경 1. 수립 배경 1.1. 지원 현황 1) 의
More information´ë±â-ÃÑ°ýº¸°í¼Ł.PDF
통일시대를 향한 한반도 개발협력 핵심 프로젝트 선정 및 실천과제 Major development projects for the integrated Korean peninsula - 총괄보고서 - 이상준, 김천규, 이백진, 이건민, 배은지, 김흠 임강택, 장형수, 김경술, 나희승, 김의준 연구진 연구책임 이상준 선임연구위원 김천규 연구위원 이백진 연구위원 이건민
More informationICT 2 1. ITU 2. ITU-R 3. ITU-T 4. ISO/IEC JTC 1 53 77 99 125 1. ETSI 2. ASTAP 153 197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ITU ICT Contents I 58 58 58 60 61 61 62 64 65 65 67 69 70 II 73 73 74 76 2
More information요 약 문 남북 종교교류의 역사는 짧지만, 그 성과와 영향력은 무시할 수 없을 만큼 크고, 갈 수록 그 현실적 의미와 결실이 증대하고 있다. 정치ㆍ경제ㆍ문화ㆍ학술ㆍ예술ㆍ종교 분 야 등에서 다양하게 남북한간의 교류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분야에서의 교 류와 협
종교계 통일준비 네트워크 형성에 관한 연구 :종교연합기구(KCRP)를 중심으로 윤창원 도산통일연구소 정책실장 제1장 서 론 3 제2장 북한의 종교정책 변화 9 제3장 통일의 종교적 당위성 15 제4장 남북한 종교교류의 성찰 21 제5장 한반도 평화에 있어 종교계의 역할 25 제6장 남북종교교류의 평가와 전망 34 제7장 결론-종교계 통일준비네트워크 정책 제안을
More information<B3EDB9AEC0DBBCBAB9FD2E687770>
(1) 주제 의식의 원칙 논문은 주제 의식이 잘 드러나야 한다. 주제 의식은 논문을 쓰는 사람의 의도나 글의 목적 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2) 협력의 원칙 독자는 필자를 이해하려고 마음먹은 사람이다. 따라서 필자는 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말이 나 표현을 사용하여 독자의 노력에 협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3) 논리적 엄격성의 원칙 감정이나 독단적인 선언이
More information(중등용1)1~27
3 01 6 7 02 8 9 01 12 13 14 15 16 02 17 18 19 제헌헌법의제정과정 1945년 8월 15일: 해방 1948년 5월 10일: UN 감시 하에 남한만의 총선거 실시. 제헌 국회의원 198명 선출 1948년 6월 3일: 헌법 기초 위원 선출 1948년 5월 31일: 제헌 국회 소집. 헌법 기 초위원 30명과 전문위원 10명
More information연합감리교회 여선교회 핸드북 2013-2016
연합감리교회 여선교회 핸드북 2013-2016 2013 연합감리교회 여선교회 이 책에서 사용된 모든 성경의 인용문은 달리 표현이 없는 한 개역개정판을 사용합니다. 신 저작권법에 의거하여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불법 사용을 금합니다. 2012년도 연합감리교회 장정에서 온 인용문들은 연합감리교회 출판부의 허락하에 사용함. 연합감리교회 여선교회 목적문 연합감리교회
More information참가 자격 한국어부문의 경우, 만 18세에서 30 세 이하(1983년 1월 1 일~1995년 12월 31 일 출생자) 로 국내에 거주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국적에 관계없이 참가할 수 있습 니다. ( 대학( 원) 생 포함, 영어부문 참가자는 영문공지문 참조) 박사학위소지
2013 국제인권도시 논문 공모전 내가 살고 싶은 인권도시 만들기 2013년 5월 15일 최종심사 주최 : 광주광역시 공동주관 : 서울대학교 인권센터, 전남대학교 5 18 연구소, 한국인권재단 협력기관 : 유네스코 아태 국제이해교육원(APCEIU), 도시와 지방자치 단체연합(UCLG)- 사회통합, 참여민주주의 및 인권 위원회, 세계시민사회단체연합(CIVICUS),
More information( 제 20-1 호 ) '15 ( 제 20-2 호 ) ''16 '15 년국제개발협력자체평가결과 ( 안 ) 16 년국제개발협력통합평가계획 ( 안 ) 자체평가결과반영계획이행점검결과 ( 제 20-3 호 ) 자체평가결과 국제개발협력평가소위원회
( 제 20-1 호 ) '15 ( 제 20-2 호 ) ''16 '15 년국제개발협력자체평가결과 ( 안 ) 16 년국제개발협력통합평가계획 ( 안 ) 자체평가결과반영계획이행점검결과 ( 제 20-3 호 ) 자체평가결과 2016. 2. 16. 국제개발협력평가소위원회 제 20 차 국제개발협력 평가소위원회 회의자료 2 0 1 6 ᆞ 2 ᆞ 16 국제개발협력 평가소위원회
More informationEU
세계 5개국의 ICT 기반 헬스케어 정책 사례 요약 ICT 기반 헬스케어 산업의 본격적 발전에 따른 국가 차원의 관련 정책 수립 필요성 증대 모바일 네트워크의 급속한 발전이 촉발한 사물 인터넷 시대의 도래와 함께 커넥티드 의료 기기 및 웨어러블 단말을 통한 ICT 기반 헬스케어 시장의 성장이 본격화 전세계 ICT 기반 헬스케어 시장은 연평균 12~16%의 빠른
More information歯VPR200407_011.PDF
: I. 1. - (Sustainability) ( ) - -- 60%, 2050 30 -, (trade-off) 1), (trade-off) 2) - (Sustainable Development),, 1 2, :? - (going concern) (Shareholderism), (Stakeholderism),, (Echholderism), < > - (Shareholderism)
More information................-......
International Workshop on Biodiversity Conserva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in North-East Asia with emphasis on the Role of Gangwon Province 2014. 6. 18-20 International Workshop on Biodiveristy Conservation
More information기후변화는 인류사회가 직면한 가장 거대한 불확실성 중 하나
기후변화는 인류사회가 직면한 가장 거대한 불확실성 중 하나 세계적 차원서 기온 상승 해수면 상승 일어날 가능성 높아 기후변화는 인류사회가 직면한 가장 거대한 불확실성 중 하나 물에 관한 리스크가 감소되지 않고 있지만 이해는 증진 세계적 차원서 기온 상승 해수면 상승 일어날 가능성 높아 제4편 불확실성과 리스크에서 물관리(Managing Water under
More information13.12 ①초점
12 2013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 3 4 5 Income Distribution of the Elderly and Desirable Income Support Directions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A Poverty Solution of Low-lncome Elderly Women
More informationG20 제1차 정상회의 : 미국 워싱턴 D.C.(2008. 11. 15) 참가국(기구) G20 회원국 : G7 한국 중국 인도 호주 브라질 멕시코 인도네시아 아르헨티나 러시아 터키 사우디아라비아 남아프리카공화국 의장국(프랑스) 스페인 네덜란드 국 제 기 구 : UN I
G20 코리아 더 큰 세계로 G20 정상회의 의미와 과제 그리고 대한민국의 새로운 도전 문화체육관광부 G20 정상회의 준비위원회 G20 제1차 정상회의 : 미국 워싱턴 D.C.(2008. 11. 15) 참가국(기구) G20 회원국 : G7 한국 중국 인도 호주 브라질 멕시코 인도네시아 아르헨티나 러시아 터키 사우디아라비아 남아프리카공화국 의장국(프랑스) 스페인
More information지속가능개발목표(SDGs) 수립현황과 대응방안 2015. 7 KOICA
지속가능개발목표(SDGs) 수립현황과 대응방안 2015. 7 KOICA 본 연구 보고서의 내용은 한국국제협력단의 공식적인 입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을 밝힙니다. 본 연구의 내용은 출처 및 집필자를 명시하는 한 인용할 수 있 습니다. 본 자료는 KOICA 홈페이지(http://www.koica.go.kr)를 통해서도 볼 수 있습니다. 발 간 사 최근 국제사회에서는
More information16-27( 통권 700 호 ) 아시아분업구조의변화와시사점 - 아세안, 생산기지로서의역할확대
16-27( 통권 700 호 ) 2016.07.08 - 아세안, 생산기지로서의역할확대 본보고서에있는내용을인용또는전재하시기위해서는본연구원의허락을얻어야하며, 보고서내용에대한문의는아래와같이하여주시기바랍니다. 총괄 ( 경제연구실장 ) : 주원이사대우 (2072-6235, juwon@hri.co.kr) 경제연구실 / 동향분석팀 : : 조규림선임연구원 (2072-6240,
More information2015 년도 정기총회자료 일시 : 2015 년 2 월 6 일 ( 금 ) 오후 4 시 -6 시 장소 : 환경재단레이첼카슨홀 목 차 < 총회순서 > I. 전차회의록 5 II. 2014 년감사보고 13 III. 부의안심의 17 1) 2014 년도사업보고및결산 19 2) 2015 년도사업계획및예산 ( 안 ) 36 IV. 논의안건 43 별첨 47 1) 국제개발협력시민사회포럼정관개정안
More information<315FC7A5C1F628BED5B8E9292E687770>
제 출 문 국토교통부 장관(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장) 귀하 귀 진흥원과 계약체결한 환경부하 저감형 LCA(Life Cycle Assessment) 기반 설계 및 시공기술 개발 기획 과제를 완료하고 보고 서로 제출합니다. 2014. 04. 25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장 김원용 참여 연구원 주관 연구책임자 - 중앙대학교 김경주 교수 공동 연구책임자 - 권석현 대표이사
More information<B1B9C1A6B0B3B9DFC7F9B7C25FC3B9B0C9C0BD5FB3BBC1F62E706466>
I n t r o d u c t i o n t o I n t e r n a t i o n a l D e v e l o p m e n t C o o p e r a t i o n USD Billions (Current Prices) 600.00 500.00 400.00 300.00 355.5 421.2 476.4 597.7 480.0
More information사진 한겨레 포토에세이 울부짖는 이랜드의 노동자들 이랜드 그룹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21일간 벌였던 생존권 보장 요구 농성 을, 국가는 끝내 강제로 짓뭉갰다. 노동자들의 요구는 간단하고 뚜렷했다. 생존권을 보장해 인간답게 살아가게 해 달라는 것이었다. 생존권은 인간의 기
국제앰네스티 벨기에지부의 수단 다르푸르 민간인 학살의 심각성을 알리고 중단을 촉구하기 위한 캠페인 포스터 소식지 2007년 19호 발행일 2007년 8월 1일 발행처 국제앰네스티 한국지부 발행인 고은태 편집 사무국 디자인 DNC 값 1.000원 주소 서울 종로구 광화문우체국 사서함 2045호 전화 02-730-4755/6 부록 포토에세이 02 굿뉴스 03 칼럼
More information000표지
04 Contents 1. Background 2. Outline 3. Schedule 4. Opening Ceremony (Sep.27(Tue)) 5. Sisterhood ceremony & Cultural performance (Sep.27(Tue)) 6. Movie- Jun-Ai / Banquet (Sep.27(Tue)) 7. Korea cultural
More information2013<C724><B9AC><ACBD><C601><C2E4><CC9C><C0AC><B840><C9D1>(<C6F9><C6A9>).pdf
11-1140100-000102-01 9 93320 788988 807705 ISBN 978-89-88807-70-5 93320 2013 11 25 2013 11 28,,, FKI ISBN 978-89-88807-70-5 87 www.acrc.go.kr 24 www.fki.or.kr PREFACE CONTENTS 011 017 033 043 051 061
More information( 수 ) 10:00 한국수출입은행 (EDCF) 2014 년 ODA 합동워크숍자료집 국무조정실기획재정부외교부
2014.2.26( 수 ) 10:00 한국수출입은행 (EDCF) 2014 년 ODA 합동워크숍자료집 2014. 2. 26. 국무조정실기획재정부외교부 2014 년상반기 ODA 합동워크숍 총목차 우리나라 ODA 현황및정책방향 7 ODA 사업계획조정절차안내 43 15 년도무상원조사업에대한 시행계획작성안내 55 EDCF 를활용한유 ᆞ 무상연계활성화방향 67 KOICA
More information,,,,,,, ,, 2 3,,,,,,,,,,,,,,,, (2001) 2
2004- - : 2004 5 11 :?,,,,,? Sen (human capability) 1?,, I 1 2 1 Sen A Why health equity? Health Econ 2002:11;659-666 2 1991 p 17 1 ,,,,,,, 20 1 2,, 2 3,,,,,,,,,,,,,,,, 3 3 1 (2001) 2 1),, 2), 2),, 3),,,
More informationUNCED, 의제 21, Rio+20, 지속가능발전, Post 2015, 환경운동, 시민사회 UNCED 20. UN Rio+20, 180 UN ) , , UNGC(UN Global Compact )
일반논문 NGO 연구제 8 권제 1 호 (2013): 133~166 ** 한일장신대학교연구교수 UNCED, 의제 21, Rio+20, 지속가능발전, Post 2015, 환경운동, 시민사회 2012 1992 UNCED 20. UN Rio+20, 180 UN 100 5. 200. 1) 6 20 22 50, +20 50, UNGC(UN Global Compact
More information_
T O W A R D S G L O B A L E M I N E N C E 2008 2 Contents 2. : 1. 6 6 : 8 2. 10 10, 11 3. 14, 60 14, 16 (Medical Science), 21. 2 : 1. 26,, 26 29 30 2. 31 31., : 1. 36 2. < > 44 3., 45 4. 46 1. 365
More information4) 종교 및 문화 몽골인의 주된 종교는 티베트 불교로 역사적으로는 티베트와의 관계가 깊다. 하지만 1992 년 선거로 민주화된 이후 개신교가 선교사들에 의해 유입되고 있으며, 그 이전부터 러시아 의 영향으로 정교회 신자들이 존재하고 있었다. 불교 50%, 이슬람교 4
몽골 (Mongolia) 보건의료 프로파일 1. 국가개관 1) 지형 몽골(Mongolia)은 중앙아시아 고원지대 북부에 위치한 내륙국가로 총면적은 156.7만km2로 한반도의 약 7.4배이다. 국토는 4가지 성격의 지대로 나누어진다. 동쪽은 초원 지대, 서쪽은 알타이, 항가이라고 하는 큰 산맥지대, 남쪽은 중앙아시아 고비사막 지대, 북쪽은 시베리아 남쪽 산림지대로
More information국제사회의파리선언이행현황과시사점 Ⅰ2 1. 검토배경 밀레니엄개발목표 (MDG) 가설정된이후국제사회는개도국 의빈곤퇴치와지속가능한발전을위해다각적인노력을기 울이고있음. - 특히선진국원조공여를주도하고있는 OECD 개발원조위 원회 (DAC) 는국제사회의개발파트너십강화와효과적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www.kiep.go.kr 137-747 서울시서초구양재대로 108 ISSN 1976-0515 Vol.8 No.35 2008 년 8월 28일 국제사회의파리선언이행현황과시사점 권율국제개발협력센터 ODA 팀팀장 (ykwon@kiep.go.kr, Tel: 3460-1060) 정지선국제개발협력센터 ODA 팀연구원 (jsjeong@kiep.go.kr,
More information<36BFF9C8A32E687770>
2008. 6 KDI 북한경제리뷰 편집진 총 괄 고일동(선임연구위원) 편 집 진 이 석(부연구위원) 김상기(전문연구원) 이재호(전문연구원) 편 집 간 사 김은영(주임연구원) 이주영(연구원) KDI 북한경제리뷰 는 북한경제의 실태 및 남북한 경제협력과 관련한 주요 이슈를 분석ㆍ정리하여 정책당국 자, 학계 및 업계 등의 이해를 높이고 정책방안을 도출하는 데 도움을
More information<B8D3B8AEB8BB5F20B8F1C2F72E687770>
발간사 발간사 KDI 정책연구사례 : 지난 30 년의회고 발간사 KDI 정책연구사례 : 지난 30 년의회고 목차 / 김광석 / 김적교 / 사공일 / 송희연 / 남상우 / 문팔용 / 김윤형 / 사공일ㆍ송대희 / 김수곤 / 김영봉 / 이규억 / 민재성ㆍ박재용 KDI 정책연구사례 : 지난 30 년의회고 / 황인정 / 남상우 / 양수길 / 고일동 / 김준경ㆍ조동철
More information<B1B9C1A6B0B3B9DFC7F9B7C B3E220C1A631C8A3292DC6EDC1FD2E687770>
ISSN 2093-212X 연구자료 ODA연구 2011-03- 102 ISSN 2093-212X Making a better world together 2011 No.1 2011 No.1 Journal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국 제 개 발 협 력 461-833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대왕판교로 418 418 Daewangpangyo-ro,
More information연구보고 2003-17 젠더에 대한 한국인간개발보고서 2003. 11 연구책임자: 문 유 경 (한국여성개발원 연구위원) 공동연구자: 박 수 미 (한국여성개발원 연구위원) 강 민 정 (한국여성개발원 연구원) 여 성 부
연구보고 2003-17 젠더에 대한 한국인간개발보고서 2003 여 성 부 연구보고 2003-17 젠더에 대한 한국인간개발보고서 2003. 11 연구책임자: 문 유 경 (한국여성개발원 연구위원) 공동연구자: 박 수 미 (한국여성개발원 연구위원) 강 민 정 (한국여성개발원 연구원) 여 성 부 이 연구는 한국여성개발원이 여성부의 연구용역을 의뢰받아 수행한 것입니다.
More information보고서 개요 본 보고서는 통합 삼성물산 출범(2015년) 이후 처음으로 발간되는 CSR 보 고서입니다. 삼성물산은 매년 CSR 보고서 발간을 통해 한해 CSR 경영의 성과와 활동에 대해 외부 이해관계자들에게 공개하고 있습니다. 작성 기준 GRI(Global Report
SAMSUNG C&T CORPORATION CSR REPORT 2016 보고서 개요 본 보고서는 통합 삼성물산 출범(2015년) 이후 처음으로 발간되는 CSR 보 고서입니다. 삼성물산은 매년 CSR 보고서 발간을 통해 한해 CSR 경영의 성과와 활동에 대해 외부 이해관계자들에게 공개하고 있습니다. 작성 기준 GRI(Global Reporting Initiative)
More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