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FCFB7E E20B1E2B4C9C6F2B0A1B5B5B1B820B0B3B9DF20BFACB1B82DC3D6C1BEBAB8B0EDBCAD2E687770>

Similar documents
WHO 의새로운국제장애분류 (ICF) 에대한이해와기능적장애개념의필요성 ( 황수경 ) ꌙ 127 노동정책연구 제 4 권제 2 호 pp.127~148 c 한국노동연구원 WHO 의새로운국제장애분류 (ICF) 에대한이해와기능적장애개념의필요성황수경 *, (disabi

* ** *** ****

장애인건강관리사업

- 89 -

Microsoft PowerPoint - 발표자료(KSSiS 2016)

72 순천향의과학 : 제14권 2호 2008 Fig.1. Key components of the rehabilitation evaluation of patients with the rheumatic diseases. The ICF provides a good frame

CC hwp

저작자표시 - 비영리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이차적저작물을작성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

제 출 문 한국산업안전공단 이사장 귀하 본 보고서를 2002 년도 공단 연구사업계획에 따라 수행한 산 업안전보건연구수요조사- 산업안전보건연구의 우선순위설정 과제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03년 5월 연구기관 :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안전경영정책연구실 정책조사연구팀 연


歯1.PDF

<312E20B1E2B4C9C6F2B0A1B5B5B1B8B8A620B1E2B9DDC0B8B7CE20C7D120C0E7C8B0C8AFC0DABAD0B7F9C3BCB0E820B0B3B9DFB0FA20B0CBC1F528332E E687770>

<333720C3D6C0AFC0D32DC7D1B1B9C6C720BCF6C1A4B9D9B5A8C1F6BCF62E687770>

278 경찰학연구제 12 권제 3 호 ( 통권제 31 호 )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Fugl.hwp

2002report hwp

노인의학 PDF


레이아웃 1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보도자료 2014 년국내총 R&D 투자는 63 조 7,341 억원, 전년대비 7.48% 증가 - GDP 대비 4.29% 세계최고수준 연구개발투자강국입증 - (, ) ( ) 16. OECD (Frascati Manual) 48,381 (,, ), 20



2014 년도사업계획적정성재검토보고서 차세대바이오그린 21 사업

Rheu-suppl hwp

서론 34 2

경상북도와시 군간인사교류활성화방안

치의학석사학위논문 치의학대학원학생의장애환자에 대한인식조사 년 월 서울대학교치의학대학원 치의학과 박상억

Untitled-1

Dementia2

I (34 ) 1. (10 ) 1-1. (2 ) 1-2. (1 ) 1-3. (2 ) 1-4. (2 ) 1-5. (1 ) 1-6. (2 ) 2. (8 ) 2-1. (3 ) 2-2. (5 ) 3. (3 ) 3-1. (1 ) 3-2. (2 ) 4. (6 ) 4-1. (2 )

OA_ICF Core Sets.numbers

소준섭

외국인투자유치성과평가기준개발


농림축산식품부장관귀하 본보고서를 미생물을활용한친환경작물보호제및비료의제형화와현장적용매뉴 얼개발 ( 개발기간 : ~ ) 과제의최종보고서로제출합니다 주관연구기관명 : 고려바이오주식회사 ( 대표자 ) 김영권 (

노인정신의학회보14-1호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본문2차( ).hwp

歯4차학술대회원고(황수경이상호).PDF


ISSN 제 3 호 치안정책연구 The Journal of Police Policies ( 제29권제3호 ) 치안정책연구소 POLICE SCIENCE INSTITUTE


Microsoft PowerPoint - evaluation(창원대)

장애인통계-0110-최종.hwp

<BBEAC0E7BAB8C7E8C1A6B5B52E687770>


차 례... 박영목 **.,... * **.,., ,,,.,,


DBPIA-NURIMEDIA

hwp


232 도시행정학보 제25집 제4호 I.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사회가 다원화될수록 다양성과 복합성의 요소는 증가하게 된다. 도시의 발달은 사회의 다원 화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현대화된 도시는 경제, 사회, 정치 등이 복합적으로 연 계되어 있어 특

<C1B6BBE7BFACB1B D303428B1E8BEF0BEC B8F1C2F7292E687770>

<BBEAC0E7BAB8C7E820BFE4BEE7A1A4C0E7C8B020BBE7B7CA20BAF1B1B3BFACB1B82E687770>

210 법학논고제 50 집 ( )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3, pp DOI: * Strenghening the Cap

레이아웃 1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2, pp DOI: IPA * Analysis of Perc

hwp

조사연구 권 호 연구논문 한국노동패널조사자료의분석을위한패널가중치산출및사용방안사례연구 A Case Study on Construction and Use of Longitudinal Weights for Korea Labor Income Panel Survey 2)3) a


우루과이 내지-1


Jkafm093.hwp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5BC0AFBEC6B1E2C7E0BAB9B0A85D20C0CEBCE2BFEB20C3D6C1BEBABB5F F312E687770>

ÀÌÁÖÈñ.hwp

의학박사학위논문 중증뇌손상환자에서기능평가 척도들을이용한간병시간예측모델 Prediction model of caregiving time using functional scales in severely brain-injured patients 2013 년 2 월 서울대학교

<33375FBCDBC3A2BCF82DBDC5B0E6B0E820C0DBBEF7C4A1B7E1BBE7C0C720C6F2B0A1B5B5B1B82E687770>

<C7D1B1B9B1B3C0B0B0B3B9DFBFF85FC7D1B1B9B1B3C0B05F3430B1C733C8A35FC5EBC7D5BABB28C3D6C1BE292DC7A5C1F6C6F7C7D42E687770>

성능 감성 감성요구곡선 평균사용자가만족하는수준 성능요구곡선 성능보다감성가치에대한니즈가증대 시간 - 1 -

특수교육논총 * ,,,,..,..,, 76.7%.,,,.,,.. * 1. **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2016 학년도 2 학기수업계획서 1. 교과목개요 교과목신경물리치료학 1 ( 진단평가 ) 담당교수 수업개요 수업목표 교재및참고서적 수업방법 평가방법 (%) 이병희 윤태원 교과코드 PT2114 연구실 이메일 / 연락처 학점 / 시수수업일및교시강의실 2 / 4 월교시 신경

서론 34 2

ePapyrus PDF Document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1, pp DOI: ICF Core Set : * Devel

<C7A5C1D8BFF8B0ED20BCF6BDC328C3D6C1BEBABB292E687770>

::한국심리::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Microsoft PowerPoint - 1주_ìž¥ìŁ€ê°œë–’ê³¼ 모듸

정보화정책 제14권 제2호 Ⅰ. 서론 급변하는 정보기술 환경 속에서 공공기관과 기업 들은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정보시스템 구축사업 을 활발히 전개하고 있다. 정보시스템 구축사업의 성 패는 기관과 기업, 나아가 고객에게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통제

< C0DAC0B2C5BDB1B820BFEEBFB520B8DEB4BABEF32D33C2F720C6EDC1FD2E687770>


- 최원희ㆍ 김명희: 중년후기 여성의 집단회상 경험과 효과에 대한 연구 - 에 직면하며 심리 사회적인 역할갈등, 고립, 위축, 상실 감 등을 경험하게 된다. 이 시기동안 위기에 잘 대처하 지 못하면 자신에 대하여 실망하며 두려움과 슬픔 등 을 겪으면서 자아존중감이 낮아

신규투자사업에 대한 타당성조사(최종보고서)_v10_클린아이공시.hwp

08_¹Úö¼øöKš

행정학석사학위논문 외국인주민생활만족도의 영향요인연구 년 월 서울대학교대학원 행정학과행정학전공 최은영

< FB4EBB1B8BDC320BAB8B0C7BAB9C1F6C5EBB0E8BFACBAB820B9DFB0A320BFACB1B85FBEF6B1E2BAB92E687770>

서론

학습영역의 Taxonomy에 기초한 CD-ROM Title의 효과분석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3 * The Effect of H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군장병의사회복지분야공헌활성화방안에대한탐색적연구 군장병의사회복지분야공헌활성화방안에대한 탐색적연구 : 경기도포천지역사례를중심으로 민효상 *, 우지희 **, 서정욱 *** 1) Ⅰ. 서론 Ⅱ. 이론적논의및기존연구검토 Ⅲ. 연구설계 Ⅳ. 분석결과및논의 Ⅴ. 결론 Abstrac

RAPAEL Catalogue_Kor

Transcription:

발간등록번호 11-1352367-000050-01 2012 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보건복지부국립재활원재활연구소

연구코드 12-C-01 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2012 연구기관 : 국립재활원재활연구소연구책임자 : 호승희 ( 재활연구소재활표준연구과장 ) 연구참여자 : 김예순 ( 재활연구소재활표준연구과연구사 ) 연구참여자 : 유소연 ( 재활연구소재활표준연구과연구원 ) 연구참여자 : 이고은 ( 재활연구소재활표준연구과연구원 ) 연구참여자 : 서보정 ( 재활연구소재활표준연구과연구원 ) 연구참여자 : 방문석 ( 국립재활원장 ) 연구참여자 : 이범석 ( 재활병원부장 ) 연구참여자 : 신준호 ( 재활병원부사회복귀지원과 2과장 ) 연구참여자 : 김정윤 ( 재활병원부뇌신경재활과 2과장 ) 연구참여자 : 이혜진 ( 재활병원부척수손상재활과 2과장 ) 국립재활원

요약문 연구분야재활표준연구 과제명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연구책임자호승희소속재활표준연구과 총연구기간 2012.1.1.~12.31. 총연구비 90,000 천원 색인단어일상생활활동, 기능평가 연구내용 연구배경및필요성 우리나라에서사용하고있는일상생활활동평가도구들은외국의것을그대로번역하거나일부변형하여사용하고있음. 또한일상생활수행능력과기능적능력 (capacity) 을총체적으로파악할수있는평가도구는부재한실정임. 따라서재활치료시기능적수행 (Functional Performance) 과기능적능력 (Functional capacity) 을모두포괄할수있는총괄적인기능평가도구의개발이필요함. 연구내용및범위 기능평가도구의개념및범위조사분석및재정의 국내외기능평가도구및관련연구동향조사 기능평가도구의항목선정및점수체계개발 AHP 기법을활용한전문가조사를통한대상질환별평가항목의가중치도출 기능평가도구 Alpha version 개발 Pre-pilot test 를통해개발한기능평가도구의수정및보완 연구결과 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 개발된기능평가도구는기능적수행 (Functional Performance) 과기능적능력 (Functional capacity) 으로구성됨. - 기능적수행은 몸단장, 목욕하기, 먹기, 상의입고벗기, 하의입고벗기, 배뇨관리, 배변관리, 용변처리, 침상이동, 이동, 보행 / 휠체어, 계단오르내리기 의총 12 항목으로구성되며, 일상생활수행능력의독립성을평가함. - 기능적능력은 운동기능 (ROM, Strength, Spasticity, Coordination, Standing Balance), 감각기능 (Superficial sense, Proprioception), 인지지각기능 (Orientation, Memory, Executive function, Problem solving, Language, Visuo-spatial function), 심리사회적기능 (Depression, Anxiety, Belief of Rehabilitation) 으로구성됨. 연구결과의활용계획 재활치료를위한총괄적인기능평가도구로다양한질환특성을고려한평가가가능하며, 환자군분류, 치료및퇴원계획수립, 치료결과및치료효과평가등에활용될것임. 또한기능적수행뿐아니라기능적수행에필요한능력의최대화 (capacity utilization) 를위한최적의재활의료서비스제공을위한기준도구가될것으로기대됨.

목 차 제1장연구개요 1 제1절. 연구배경및필요성 1 1. 연구배경 1 2. 연구필요성 2 제2절. 연구목적 3 제3절. 연구내용및방법 4 1. 연구내용 4 2. 연구방법 4 제4절. 기대성과및활용방안 6 제2장이론적배경 7 제1절. 기능평가 7 1. 기능평가의정의 7 2. 기능평가의목적 8 3. 기능평가의구성요소 8 4. ICF에서의기능평가 9 제2절. 기능적상태 11 1. 기능적상태의정의 11 2. 기능적상태의범위 11 제3절. 일상생활활동 13 1. 일상생활활동의정의 13 2. 일상생활활동의범위 14 제4절. AHP 기법 19 1. AHP 기법의정의 19 2. AHP 기법의적용요건 20 3. AHP 기법의장점 20 - i -

4. AHP 기법의적용절차 21 5. AHP 기법의평가 21 제3장국내외기능평가도구현황 22 제1절. 기능평가도구현황 22 1. 일상생활활동평가도구 22 2. 운동및감각기능평가도구 30 3. 인지및지각기능평가도구 36 4. 심리사회적기능평가도구 39 제2절. 기능평가도구개발및연구동향 44 1. 국내 44 2. 국외 50 제4장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58 제1절. 기능평가도구 Alpha version 58 제2절. 기능적수행 62 1. 일상생활활동 62 제3절. 기능적능력 87 1. 운동기능 87 2. 감각기능 92 3. 인지지각기능 96 4. 심리사회적기능 104 제4절. AHP 기법을이용한전문가조사 108 1. 전문가조사개요 108 2. 전문가조사결과 114 제5장기능평가도구의평가및활용방안 157 제1절. 사전평가 157 1. 사전평가내용및방법 157 2. 사전평가결과 160 - ii -

제 2 절. 기능평가도구활용방안 162 제 6 장고찰및결론 164 참고문헌 167 부록 171 부록 1. 일상생활활동평가도구항목분석 171 부록 2. 일상생활활동항목과 ICF 항목매핑 177 부록 3. ADL 평가도구의목적, 연령, 대상진단명, 측정수준 179 부록 4. 기능평가도구적용대상질환 187 부록 5. 대상자의료정보기록지 189 부록 6. 기능평가지 191 6.1. 일상생활수행능력 [ 독립성 ] 191 6.2. 운동기능 192 6.3. 감각기능 196 6.4. 인지지각기능 198 6.5. 심리사회적기능 199 6.6. 점수산정표 204 부록 7. 기능평가매뉴얼 205 7.1. 일상생활수행능력 [ 독립성 ] 205 7.2. 운동기능 220 7.3. 감각기능 237 7.4. 인지지각기능 241 7.5. 심리사회적기능 247 부록 8. AHP 설문지 250 - iii -

표목차 < 표 2-1> ADL과 IADL의세부항목 15 < 표 2-2> 활동과참여 (Activities and Participation) 의영역 16 < 표 2-3> 표준적 ADL과확대된 ADL에포함된활동항목 17 < 표 3-1> ICF 모델의활동과참여영역의평가도구분류및사용빈도 22 < 표 3-2> ICF의활동과참여영역의표준화된도구와비표준화된도구의사용 23 < 표 3-3> 국외기능상태평가도구의사용빈도 (5회이상 ) 24 < 표 3-4> BI와 FIM을사용한연구들의근거중심물리치료데이터베이스 (PEDro) 점수비교 24 < 표 3-5> 이학적검사의사용빈도 30 < 표 3-6> 상지운동기능검사도구사용빈도 30 < 표 3-7> 인지및지각검사사용빈도 36 < 표 4-1> 기능평가도구최종모델 61 < 표 4-2> 일상생활활동평가도구목록 62 < 표 4-3> 일상생활활동 (ADL) 항목 65 < 표 4-4> 단계별독립성수준과척도 71 < 표 4-5> 몸단장 (Grooming) 척도 72 < 표 4-6> 목욕하기 (Bathing) 척도 73 < 표 4-7> 식사하기 (Eating) 척도 74 < 표 4-8> 상의입고벗기 (Dressing upper body) 척도 75 < 표 4-9> 하의입고벗기 (Dressing lower body) 척도 76 < 표 4-10> 배뇨관리 (Bladder management) 척도 77 < 표 4-11> 배변관리 (Bowel management) 척도 78 < 표 4-12> 용변처리 (Toileting) 척도 80 < 표 4-13> 침상이동 (Bed mobility) 척도 81 < 표 4-14> 이동 (Transfer) 척도 82 < 표 4-15> 보행 (Ambulation/walk) 척도 83 < 표 4-16> 휠체어 (Wheelchair) 척도 84 < 표 4-17> 계단오르내리기 (Stairs) 척도 85 < 표 4-18> 인지지각기능평가도구항목 97 < 표 4-19> AHP 기법을이용한전문가조사항목 109 < 표 4-20> 기능평가도구적용대상질환 112 - iv -

< 표 4-21> 본연구에서활용한 AHP 설문예시 113 < 표 4-22> 조사대상자의일반적특성 114 < 표 4-23> 전문의취득후기간 115 < 표 4-24> 진료분야 ( 다중응답 ) 115 < 표 4-25> 현재사용중인일상생활활동평가도구 ( 다중응답 ) 117 < 표 4-26> 일상생활활동평가도구사용목적 ( 다중응답 ) 118 < 표 4-27> 기존일상생활활동평가도구의제한점 ( 다중응답 ) 119 < 표 4-28> 우리나라실정에맞는일상생활활동평가도구의필요성 120 < 표 4-29> 총괄적인평가도구의필요성 121 < 표 4-30> 뇌졸중의 Functional capacity 항목의중요도 122 < 표 4-31> 외상성뇌손상의 Functional capacity 항목의중요도 123 < 표 4-32> 비외상성뇌손상의 Functional capacity 항목의중요도 123 < 표 4-33> 인지기능저하가동반된퇴행성뇌질환의 Functional capacity 항목의중요도 124 < 표 4-34> 운동기능저하가동반된퇴행성뇌질환의 Functional capacity 항목의중요도 124 < 표 4-35> 척수손상 ( 외상성, 비외상성 ) 의 Functional capacity 항목의중요도 125 < 표 4-36> 발달지연및뇌성마비의 Functional capacity 항목의중요도 125 < 표 4-37> 기타신경계질환의 Functional capacity 항목의중요도 126 < 표 4-38> 말초신경및근육질환의 Functional capacity 항목의중요도 126 < 표 4-39> 골절 관절치환및근골격계질환의 Functional capacity 항목의중요도 127 < 표 4-40> 절단의 Functional capacity 항목의중요도 127 < 표 4-41> 심폐질환의 Functional capacity 항목의중요도 128 < 표 4-42> 만성통증증후군 Functional capacity 항목의중요도 128 < 표 4-43> 주요한다발성외상 Functional capacity 항목의중요도 129 < 표 4-44> 화상의 Functional capacity 항목의중요도 129 < 표 4-45> Functional capacity 세부영역별가중치 130 < 표 4-46> 뇌졸중의운동영역세부항목중요도 131 < 표 4-47> 외상성뇌손상의운동영역세부항목중요도 132 < 표 4-48> 비외상성뇌손상의운동영역세부항목중요도 132 < 표 4-49> 인지기능정하가동반된퇴행성뇌질환의운동영역세부항목중요도 133 < 표 4-50> 운동기능저하가동반된퇴행성뇌질환의운동영역세부항목중요도 133 < 표 4-51> 척수손상 ( 외상성, 비외상성 ) 의운동영역세부항목중요도 134 < 표 4-52> 발달지연및뇌성마비의운동영역세부항목중요도 134 - v -

< 표 4-53> 기타신경계질환의운동영역세부항목중요도 135 < 표 4-54> 말초신경및근육질환의운동영역세부항목중요도 135 < 표 4-55> 골절 관절치환및근골격계질환의운동영역세부항목중요도 136 < 표 4-56> 절단의운동영역세부항목중요도 136 < 표 4-57> 심폐질환의운동영역세부항목중요도 137 < 표 4-58> 만성통증증후군의운동영역세부항목중요도 137 < 표 4-59> 주요한다발성외상의운동영역세부항목중요도 138 < 표 4-60> 화상의운동영역세부항목중요도 138 < 표 4-61> 운동영역세부항목별가중치 139 < 표 4-62> 뇌졸중의감각영역세부항목중요도 140 < 표 4-63> 외상성뇌손상의감각영역세부항목중요도 140 < 표 4-64> 비외상성뇌손상의감각영역세부항목중요도 141 < 표 4-65> 인지기능저하가동반된퇴행성뇌질환감각영역세부항목중요도 141 < 표 4-66> 운동기능저하가동반된퇴행성뇌질환감각영역세부항목중요도 142 < 표 4-67> 척수손상 ( 외상성, 비외상성 ) 의감각영역세부항목중요도 142 < 표 4-68> 발달지연및뇌성마비의감각영역세부항목중요도 143 < 표 4-69> 기타신경계질환의감각영역세부항목중요도 143 < 표 4-70> 말초신경및근육질환의감각영역세부항목중요도 144 < 표 4-71> 골절 관절치환및근골격계질환의감각영역세부항목중요도 144 < 표 4-72> 절단의감각영역세부항목중요도 145 < 표 4-73> 심폐질환의감각영역세부항목중요도 145 < 표 4-74> 만성통증증후군의감각영역세부항목중요도 146 < 표 4-75> 주요한다발성외상의감각영역세부항목중요도 146 < 표 4-76> 화상의감각영역세부항목중요도 147 < 표 4-77> 감각영역세부항목별가중치 148 < 표 4-78> 운동영역의세부항목에서제외및추가권고항목 149 < 표 4-79> 감각영역의세부항목에서제외및추가권고항목 150 < 표 4-80> 인지지각영역의세부항목에서제외및추가권고항목 151 < 표 4-81> 심리사회영역의세부항목에서제외및추가권고항목 152 < 표 4-82> 기본적일상생활활동 (BADL) 의세부항목에서제외및추가권고항목 153 < 표 4-83> 수단적일상생활활동 (IADL) 의세부항목에서제외및추가권고항목 154 - vi -

그림목차 [ 그림 1-1] 연구수행체계 5 [ 그림 2-1] Dimensions of Functional Status 12 [ 그림 4-1] 기능평가도구평가영역 58 [ 그림 4-2] 일상생활활동평가도구의대상질환수 64 [ 그림 4-3] 전문의취득후기간 115 [ 그림 4-4] 진료분야 115 [ 그림 4-5] 근무기관 116 [ 그림 4-6] 근무지역 116 [ 그림 4-7] 현재사용중인일상생활활동평가도구 117 [ 그림 4-8] 일상생활활동평가도구의사용목적 118 [ 그림 4-9] 기존일상생활활동평가도구의제한점 119 [ 그림 4-10] 우리나라실정에맞는일상생활활동평가도구의필요성 120 [ 그림 4-11] 총괄적인평가도구의필요성 121 [ 그림 4-12] 뇌졸중의 Functional capacity 세부영역가중치 122 [ 그림 4-13] 외상성뇌손상의 Functional capacity 세부영역가중치 123 [ 그림 4-14] 비외상성뇌손상의 Functional capacity 세부영역가중치 123 [ 그림 4-15] 인지기능저하가동반된퇴행성뇌질환의 Functional capacity 세부영역가중치 124 [ 그림 4-16] 운동기능저하가동반된퇴행성뇌질환의 Functional capacity 세부영역가중치 124 [ 그림 4-17] 척수손상 ( 외상성, 비외상성 ) 의 Functional capacity 세부영역가중치 125 [ 그림 4-18] 발달지연및뇌성마비의 Functional capacity 세부영역가중치 125 [ 그림 4-19] 기타신경계질환의 Functional capacity 세부영역가중치 126 [ 그림 4-20] 말초신경및근육질환의 Functional capacity 세부영역가중치 126 [ 그림 4-21] 골절 관절치환및근골격계질환의 Functional capacity 세부영역가중치 127 [ 그림 4-22] 절단의 Functional capacity 세부영역가중치 127 [ 그림 4-23] 심폐질환재활의 Functional capacity 세부영역가중치 128 [ 그림 4-24] 만성통증증후군의 Functional capacity 세부영역가중치 128 [ 그림 4-25] 주요한다발성외상의 Functional capacity 세부영역가중치 129 [ 그림 4-26] 화상의 Functional capacity 세부영역가중치 129 [ 그림 4-27] 뇌졸중의운동영역세부항목의가중치 131 [ 그림 4-28] 외상성뇌손상의운동영역세부항목의가중치 132 - vii -

[ 그림 4-29] 비외상성뇌손상의운동영역세부항목의가중치 132 [ 그림 4-30] 인지기능저하가동반된퇴행성뇌질환의운동영역세부항목의가중치 133 [ 그림 4-31] 운동기능저하가동반된퇴행성뇌질환의운동영역세부항목의가중치 133 [ 그림 4-32] 척수손상 ( 외상성, 비외상성 ) 의운동영역세부항목의가중치 134 [ 그림 4-33] 발달지연및뇌성마비의운동영역세부항목의가중치 134 [ 그림 4-34] 기타신경계질환의운동영역세부항목의가중치 135 [ 그림 4-35] 말초신경및근육질환의운동영역세부항목의가중치 135 [ 그림 4-36] 골절 관절치환및근골격계질환의운동영역세부항목의가중치 136 [ 그림 4-37] 절단의운동영역세부항목의가중치 136 [ 그림 4-38] 심폐질환재활의운동영역세부항목의가중치 137 [ 그림 4-39] 만성통증증후군의운동영역세부항목의가중치 137 [ 그림 4-40] 주요한다발성외상의운동영역세부항목의가중치 138 [ 그림 4-41] 화상의운동영역세부항목의가중치 138 [ 그림 4-42] 뇌졸중의감각영역세부항목의가중치 140 [ 그림 4-43] 외상성뇌손상의감각영역세부항목의가중치 140 [ 그림 4-44] 비외상성뇌손상의감각영역세부항목의가중치 141 [ 그림 4-45] 인지기능저하가동반된퇴행성뇌질환의감각영역세부항목의가중치 141 [ 그림 4-46] 운동기능저하가동반된퇴행성뇌질환의감각영역세부항목의가중치 142 [ 그림 4-47] 척수손상 ( 외상성, 비외상성 ) 의감각영역세부항목의가중치 142 [ 그림 4-48] 발달지연및뇌성마비의감각영역세부항목의가중치 143 [ 그림 4-49] 기타신경계질환의감각영역세부항목의가중치 143 [ 그림 4-50] 말초신경및근육질환의감각영역세부항목의가중치 144 [ 그림 4-51] 골절 관절치환및근골격계질환의감각영역세부항목의가중치 144 [ 그림 4-52] 절단의감각영역세부항목의가중치 145 [ 그림 4-53] 심폐질환재활의감각영역세부항목의가중치 145 [ 그림 4-54] 만성통증증후군의감각영역세부항목의가중치 146 [ 그림 4-55] 주요한다발성외상의감각영역세부항목의가중치 146 [ 그림 4-56] 화상의감각영역세부항목의가중치 147 - viii -

제 1 장연구개요 제 1 절. 연구배경및필요성 1. 연구배경 가. 장애인의기능평가 장애인의기능평가는일상생활활동및사회활동시필요한능력을진단하는기준임. - 장애인의기능상의독립성정도를평가하는것은일상생활의자조활동이나운동능력수준을파악하고, 치료효과를평가하며, 이차적장애예방, 예후의예견, 환자보호에필요한장치의설비, 보상방법을결정하는등의여러분야에서다양하게적용될수있음 (Both et al., 1990). - 신체기능은가정이나지역사회에서독립적으로생활할수있는지를가늠하게해주는주요한지표가됨 (Guralnik et al., 1992). - 바람직한기능평가도구는한시점에서기능상태를객관적으로나타낼수있고변화된기능상태를확인가능해야함. - 기능평가를통한포괄적인평가는서비스적합성확보, 진단의도움, 치료계획수립, 재평가, 임상연구를위해필요함 (Case-Smith, 2005). 나. 우리나라기능평가도구개발현황및문제점 1) 외국평가도구를그대로번역 일부변형하여사용 현재우리나라에서사용되는일상생활활동평가도구는외국의것을그대로혹은부분적으로변형하여사용하고있어서, 환경이나문화적차이를반영한항목에대한고려가부족함 ( 오윤택등, 2000). 즉문화적특징을반영하여평가항목을구성해야함. 다른문화집단의평가도구를표준화하여사용할경우번역을통한단어간의미전달이충분하지않은문제점을지님 (Fisher et al., 1992). 제 1 장연구개요ㆍ 1

2) 다양한기능평가도구에대한연구및개발미흡 국외의경우다양한평가도구들이지속적으로개발되고있으나, 우리나라의경우단순히 기존평가도구의일부를수정및보완하거나타당도와신뢰도가떨어지는항목의제외나한국형으로의변환에대한연구가주를이루고있음. 3) 일상생활수행능력과 capacity 를총체적으로파악할수있는평가도구의부재 일상생활활동평가시실제적인수행의독립성정도를측정하기때문에기능적능력 (functional capacity) 에대한부분은파악하기어려움. 일상생활활동수행에서의독립성은환자개인의기능, 인지, 감각등복합적인능력과연관됨 (Filiatrault et al., 1991). 재활치료시기능적수행 (functional performance) 과기능적능력 (functional capacity) 을포괄적으로파악할수있는평가도구가필요하나, 전세계적으로이에대한개념과이론이미비할뿐아니라총괄적인평가도구가부재함. 2. 연구필요성 가. 재활치료를위한기능적수행 (Functional performance) 과기능적능력 (Functional capacity) 을포괄할수있는총괄적인평가도구필요 기존의일상생활활동평가도구들은독립적인일상생활수행능력의정도를평가하는데목적을두고있음. 그러나기능적능력 (Functional capacity) 은기능적수행 (Functional performance) 을성공적으로수행하기위한필요요소이며, 재활치료의치료수립및치료결과평가시기능적수행과능력을동시에파악할수있는총괄적인평가도구가필요함. 즉, 기능적능력을최대화 (capacity utilization) 하기위한재활치료가이루어져야하며, 이를위한총괄적인평가도구의개발이이루어져야함. 2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나. 개발한기능평가도구의타당성검증요구 본연구에서개발한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를향후우리나라재활의료기관에서범용적으로사용할수있도록하기위한단계적노력이필요함. 이를위해서는개발한평가도구의실질적인임상적용을통하여운영하고신뢰도와타당도를평가함으로써, 확대적용에대한타당성검증을수행하는과정이필수적임. 제 2 절. 연구목적 본연구는기능적수행 (functional performance) 과기능적능력 (functional capacity) 을평가하기위한기능평가도구를개발하고, 개발한기능평가도구의적용가능성을평가하는데목적이있음. 구체적인목적은다음과같음. - 첫째, 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의개발. 기능평가도구영역별항목및척도개발. 기능평가도구적용대상질환별평가항목의가중치도출. 기능평가도구 Alpha version 개발 - 둘째, 개발된평가도구의사전테스트실시 - 셋째, 실제적용가능성및확대운영을위한타당성검증 제 1 장연구개요ㆍ 3

제 3 절. 연구내용및방법 1. 연구내용 기능평가도구의개념및범위파악 - 기능적상태 (Functional Status), 기능평가 (Functional assessment) 의정의및관련문헌검토 국내 외기능평가도구현황및연구동향조사 - 국내 외기능평가도구현황조사 - 국내 외기능평가도구개발및연구동향조사 기능평가도구항목선정및점수체계개발 - 기존기능평가도구검토및각영역별평가항목분석 - 각영역별평가항목선정, 척도및점수체계개발 질환별평가항목의가중치도출 - 기능평가도구적용대상질환선정 - 전문가설문조사를통한대상질환별평가항목의상대적중요도파악 기능평가도구 Alpha version 개발 - 기능평가도구모형도및 Alpha version 개발 Pre-Pilot test 시행 - 기능평가도구평가지및평가매뉴얼개발 - 뇌졸중, 척수손상환자를대상으로개발한기능평가도구적용후타당성검증및발생할수있는문제점파악하여반영 2. 연구방법 문헌조사 (Literature review) - 국내 외기능평가도구현황및연구동향등을문헌을통해심층조사함. 4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전문가자문회의 - 재활의학과전문의, 관련분야교수, 임상전문가등의검토를통해객관적이고타당한기능평가도구모형을도출함. - 문헌조사, 항목추출및분석등을통해얻은결과를자문회의를통해검토함. - 수렴한의견을반영하여최종기능평가도구모형 ( 안 ) 을도출함. 분석적계층프로세스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적용 - 전문가로부터 AHP 기법에기반을둔설문을통해질환에따른기능적능력 (Functional Capacity) 의영역별가중치와운동 감각영역의세부항목별가중치를도출함. 연구수행체계는 [ 그림 1-1] 과같음. 1 단계 2 단계 기초조사연구 평가도구 개발 1 국내외기능평가도구현황및연구동향조사 Pub-med, Medline, google NDSL 등검색엔진이용 2 기존기능평가도구평가항목분석 3 평가항목세트구성 4 전문가자문회의 5 기능평가도구최종 ( 안 ) 도출 관련문헌고찰및평가도구매뉴얼검토 functional performance 와 functional capacity 에대한항목구성 기능평가도구모형 ( 안 ) 구성및항목검토 기능평가도구 Alpha version 개발 6 functional capacity 영역에대한질환별가중치부여 전문가대상으로 AHP 기법을활용한설문조사시행 3 단계 Pilot test 7 Pilot test 개발한 Alpha version 테스트를통한검토및보완 [ 그림 1-1] 연구수행체계 제 1 장연구개요ㆍ 5

제 4 절. 기대성과및활용방안 1) 총괄적인기능평가도구의활용으로최적의재활서비스촉진 재활치료를위한최초의총괄적인기능평가도구가될것이며, 기능적수행결과뿐 아니라기능적수행에필요한능력의최대화 (capacity utilization) 를위한재활의료 서비스가제공될것으로기대함. 2) 다양한질환별특성을고려한평가가능 기능평가도구를적용할대상질환별로영역별평가항목들의가중치를다르게적용하여다양한질환별특성을고려한맞춤평가가가능함. 3) 환자군분류에활용 대상자의상병, 기능상태등을이용하여외래나입원환자를자원소모나임상적측면에서그룹핑하여분류할수있으며, 재활환자구성, 재활환자사정도구, 재활복합척도, 재활환자분류체계등의기반으로활용가능함. 4) 재활치료및퇴원계획수립, 치료결과및효과평가등에활용 기능적수행 (functional performance) 결과뿐아니라기능적수행을위한능력 (capacity) 을평가하여, 환자의능력을최대화 (capacity utilization) 시킬수있는재활치료계획을수립하고, 기능정도에따라퇴원계획을수립하는데활용가능함. 또한재활치료의효과를기능적능력 (capacity) 과기능적수행 (performance) 으로나누어측정하게되어, 다차원적인재활치료결과및효과평가가가능하게됨. 5) 국내개발로인한기능평가도구의접근성향상 국내개발및사용으로외국도구사용의저작료문제해결등임상적효과뿐아니라경제적인효과를얻을수있음. 6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제 2 장이론적배경 제 1 절. 기능평가 (Functional assessment) 1. 기능평가의정의 가. 사전적의미 개인의이동성 (mobility), 이동기술 (transfer skills) 과일상생활활동 (Activities of daily living) 에대한객관적인검사를말함. 이것은의료서비스의기초적인자료 (baseline) 로제공되고, 재활의결과를예견하거나치료적중재를평가하는데사용되며연구목적에통용되어쓰이는표준적인자료로도활용됨 1). 나. 학계 재활에서기능적평가는심리적양상을포함하는일상생활활동을수행하는개인의기능적능력의정도에대한객관적인측정을말함 2). 기능적평가는노인관리의기본요소로서일상적인생활을스스로관리할수있는능력에대한평가를말함. 최근보고에따르면욕창, 기존의기능장애, 인지장애, 저조한사회활동이노인입원환자들의기능적쇠퇴의위험요인으로나타남 3). 기능 (function) 은사지 (limbs) 혹은기관계 (organ system) 의움직임을의미하는것이아니라인간이활동을하는행동을의미하는것으로인간의건강을결정짓는데중요한구성요소임 4). 1) http://medical-dictionary.thefreedictionary.com/functional+assessment. 2) Maureen E. Neistadt Elizabeth Blesedell Crepeau(1998). Willard & Sparkman's Occupational Therapy.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ch 13. 3) Buehler Center on Aging, McGaw Medical Center of Northwestern University, Chicago, Illinois. http://www.galter.northwestern.edu/geriatrics/chapters/functional_status_assessment.cfm 4) Baltimore, MD, Williams & Wilkins(1984). Functional assessment in Rehabilitation Medicine.. 46-64.: Jette AM. Concepts of health and methodological issues in functional assessment. In Granger CY, Gresham G (eds) 제 2 장이론적배경ㆍ 7

2. 기능평가의목적 질병의유 무를진단하고기능상태를평가하기위함. 장애정도를판별하고, 돌봄서비스가필요한정도를판정하기위함. 돌봄에대한환자의필요도를측정하기위함. 필요한도움의종류 ( 예를들면, 보조기사용, 시설환경변경등 ) 를정하기위함. 전반적인기능상태변화를관찰하기위함. 치료나돌봄서비스의효과를판정하기위함. 경제적으로효과적인최적의재활치료를제공하기위함. 3. 기능평가의구성요소 기능평가는흔히기본적인일상생활활동 (ADL) 과수단적일상생활활동 (IADL) 을평가함 5). 기능평가는시각과청각, 이동성, 배설조절능력, 영양, 정신상태 ( 인지 ), 심리, 가정환경, 사회적지지, 일상생활활동-수단적일상생활활동등에대한평가로이루어짐. 기능평가영역중신체적기능 (Physical Function) 에대한평가는기본적인일상생활활동 (BADL) 과수단적일상생활활동 (IADL) 에대한평가로구성되며, 심리적기능 (Psychological Function) 에대한평가는정신건강에대한평가로구성됨. 역할기능 (Role Function) 에대한평가는고용상태와업무수행에대한평가로구성되며, 사회적기능 (Social Function) 에대한평가는사회적활동과사람과의관계의질적인면에대한평가로구성됨 6)7). 5) 원장원 (2002). 한국형일상생활활동측정도구와한국형도구적일상생활활동측정도구의특징. 노인병. 6(1). 6) Alan M Jette and Paul D Cleary(1987). Functional Disability Assessment. PHYS THER. 67:1854-1859. 7) Ira B.W. et al(1995). Linking Clinical Variables with Health-Related uality of Life. JAMA 273(1):59-65. 8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4. ICF 에서의기능평가 가. 신체기능 (Body function) 신체기능 (Body function) 은신체계통의생리적기능을의미함 ( 심리적기능포함 ). 신체기능은손상의기준으로평가하며, 일단한번손상되면 ICF의일반적평가치를사용해손상의심각성정도에따라비교 평가될수있음. - 기준 : 1 손실혹은결여 2 감소 3 추가혹은과잉 4 변이 나. 활동과참여 (Activity and Participation) 활동과참여의영역은수행 (Performance) 과능력 (Capacity) 의두가지평가로이루어짐. 수행은개인이자신의환경속에서하고있는바를의미함. 다른말로 생활에연루되는것 혹은 살아가면서경험하는것 이라고도정의내림. 또한, 수행에서의환경은실제적으로개인이생활하고있는환경을의미함. 능력은임무를수행하거나행동을하는개인의능력을의미하는것으로 제한된시간에주어진영역속에서개인이발휘할수있는최대능력 을말함. 개인의최대능력을평가하려면, 개인의능력에다르게영향을미칠환경적요소를표준화한후진행함. 이표준화된환경은 1 능력평가를위해흔히사용되는실험조건을갖춘실질적인환경혹은 2 동일한효과를가지리라생각되는가상적인환경일수있음. 이러한환경은 동일 환경혹은 표준 환경이라불리고능력은개인이이러한자신의환경에적응한결과를반영하게됨. 다른나라의모든사람들에게똑같이적용되므로국제적비교가가능해짐. 능력과수행간의격차는실제환경과표준환경간의차이를반영함. 그것은수행능력을향상시키기위해개인의환경에어떤변화를줄수있는지에관한유용한정보를제공할수있다는것을의미함. 제 2 장이론적배경ㆍ 9

능력과수행모두보조기구나인적도움에힘입어한층강화될수있음. 도구나인적도움이손상자체를완전히제거할수는없지만, 특정영역의기능제한을부분적으로향상시킬수있음. 이러한능력과수행의평가는개인의기능이보조기구가없을때얼마나많은제한을받는가를파악하는데있어특히유용함. 개인의기능수행방식에있어서문제가발생하여변화가일어나는경우가있음. 이러한것을제한혹은제약이라고하는데, 제한혹은제약을측정할때그잣대로일반적인인구학적표준이사용됨. 개인의능력및수행을비교하는표준혹은기준은질병, 질환, 혹은손상을갖고있지않은개인의능력및수행이됨. 제한혹은제약은실제수행 (the observed performance) 과기대수행 (the expected performance) 간의불일치를보여주게되는데이때기대수행이란건강상에특별한이상이없는사람들의경험을대변하는집단에서의표준을의미함. 수행능력을향상시키기위해개인의환경에어떤변화를주어야하는지를알아보기위해능력평가시에도기대수행이사용됨. 10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제 2 절. 기능적상태 (Functional status) 1. 기능적상태의정의 한인간이기본적인삶을영위하기위해필요한기본적이면서도다차원적인개념으로, 개인의정상적인삶속에서기본적인욕구를충족시키고, 일상적인활동을수행하며사회적역할을수행하면서건강을유지하는것을말함 8). 기능적상태는건강상태, 일상생활활동 (ADL), 손상의정도, 장애, 핸디캡으로특징지어짐. 일반적으로, 기능 은신체적, 심리적, 사회적특징들을포함함. 이러한관점에서기능적상태측정도구란건강, 근력, 신체증상 ( 예, 통증이나불쾌감 ), 감정이나욕구가일상생활활동과여가활동의수행과사회적관계형성에어떻게영향을미치는지를평가하기위한하나의도구로서정의내림. 즉, 신체상태가어떻게활동에영향을미치고있는지를알아보는것을말함 9). 기능적능력 (Functional capacity) 은활동을수행할수있는개인의최대잠재력이며, 기능적수행 (Functional performance) 은개인이각자의삶의과정에서수행하는일상생활, 가족역할, 직업, 취미활동같은일상생활활동을말함. 이러한활동은능력 (capacity) 에의해부과된한계에따라개인이선택한결과임. 2. 기능적상태의범위 가. 기능적능력 (Functional Capacity) 개인의일상생활활동을수행하기위한최대잠재력을말하며, 신체적, 인지적, 심리적, 사회적, 정신적인능력 으로구성됨. 8) Jay P. Shah(1999). Dimensions of Functional Status in Trials or Wasting. J. Nutr. 129:279 281. Leidy, NY(1994). Functional Status and the Forward progress of merry-go-rounds: toward a coherent analytical framework. Nursing Research. 43(4):196-202. MacVicar, M.(1991). Functional assessment: concepts and measurement. In: Altered Functioning: Impairment and Disability (Metzger, B., ed.). Sigma ThetaTau, Indianapolis, IN. pp. 6 15. 9) D R Salerno et al(2002). A review of functional status measures for workers with upper extremity disorders. 제 2 장이론적배경ㆍ 11

나. 기능적수행 (Functional Performance) 기본적인욕구를충족시키고일상적인역할을이행하고건강과안녕을유지하기위해실제적으로개인이행하는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직업적, 정신적활동들을말하며일상생활활동과수단적일상생활활동으로구성됨. 다. 기능적잠재력 (Functional Reserve) 잠재적으로갖고있는기능적능력의양과실제적기능적수행사이의차이를말하는것으로극한의상황에서발휘하여쓸수있는기능적잠재력의범위를말함. 라. 기능적능력활용 (Capacity Utilization) 기능적수행시선택단계에서필요한기능적잠재력의범위를말함. 출처 : Jay P. Shah(1999). Dimensions of Functional Status in Trials or Wasting. J. Nutr. 129:279 281. [ 그림 2-1] Dimensions of Functional status 12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제 3 절. 일상생활활동 (Activities of daily living) 1. 일상생활활동의정의 가. 미국재활의학협회 장애인이신체적 심리적 직업적 경제적유용성을최대한으로회복하는것을말함 (ACRM, 1941). 한사람의인간이독립하여생활하기위하여필요한기본적이면서도공통적으로매일반복하는일련의신체적동작군을말하는것으로식사, 배설등의목적을가진각동작으로분류되고각동작은그목적을실시하기위한세부동작을말함 (ACRM, 1976). 나. 미국작업치료학회 일상생활활동은개개인모두가공통적으로매일반복하는일련의활동으로자기관리와같은개인적일상생활과관련된단순한활동으로구성된 기본적일상생활활동 (Basic Activities of Daily Living, BADL) 과복잡한환경과상호작용할수있는기술이요구되는 수단적일상생활활동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ADL) 으로구분됨. 기본적일상생활활동 (BADL) 은개인의생활을지속하기위해매일행하는활동이나과제로자기관리와관련된가장기본적인활동을의미하는것으로정의함 10). 수단적일상생활활동 (IADL) 은가정과지역사회내에서의생활을지지하며, 자기관리에비해서는복잡한활동으로정의하고있으며, 개인이주위환경에어느정도잘적응할수있는지를평가함으로써지역사회에서독립적인생활을영위할수있는능력을평가하는것을말함 (Christiansen & Hammecker, 2001). 다. ICF(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2001) 활동은개인에의한일상적인행위또는임무이행으로활동이라는건강관련구성요소의영역에이동성, 자조관리, 가정생활의일상생활활동을포함시킴 11). 10) Christiansen & Hammecker(2001). Self care. In: B.R. Bonder & M.B. Wagner (Eds.), Functional Performance in Older Adults. Philadelphia: F.A. Davis. 155-175. 제 2 장이론적배경ㆍ 13

라. 학계의정의 Deaver와 Brown은기본적인이동, 신변의처리동작, 커뮤니케이션그리고손의사용에의한일상행위를포함하는활동군으로정의함. Lawton은일상적으로아침에일어나서밤에잠자리에들때까지의모든활동 ( 식사하기, 세수하기, 옷갈아입기, 문열고나가기, 출퇴근하기등 ) 으로정의함. Dorother W. Barthel은식사, 의자와침대사이로옮겨가기, 용모단정히하기, 화장실동작, 목욕, 계단오르내리기, 옷입고벗기, 배변조절, 배뇨조절을일상생활활동으로정의함. 2. 일상생활활동의범위 가. 미국작업치료학회 기본적일상생활활동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s) 은목욕하기와샤워하기, 대소변관리, 옷입고벗기, 먹기, 식사하기, 기능적이동, 개인용품관리, 개인위생과몸단장, 성생활, 화장실위생으로구성되며, 수단적일상생활활동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ADLs) 은다른사람돌보기, 애완동물돌보기, 아이돌보기, 의사소통관리, 지역사회이동, 재정관리, 건강관리와유지, 가정꾸리기및관리하기, 식사준비와설거지, 종교적관습, 안전과응급상황관리, 쇼핑하기로구성됨. 기본적일상생활활동 (ADLs) 은자신의몸을돌보는활동말하며 (Rogers & Holm, 1994, 181-202), 사회에서살아가는데근본적으로필요한것으로개인의기본적인생존과안녕을가능케하는활동들을일컬음 (Christiansen & Hammecker, 2001). BADLs(Basic activities of daily living) 과 PADLs(Person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로도언급됨. 수단적일상생활활동 (IADLs) 은집이나공동체안에서일상적인생활을이어나가게해주는활동으로서기본적인 ADL의자조관리 (Self-care) 보다더복잡한상호작용이필요한활동임. 11) 신중일, 박수정 (2010). 노인환자들의재활치료후수단적일상생활활동에대한연구. 한국작업치료고령친화산업정책학회지. 2(2). 14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 표 2-1> ADL 과 IADL 의세부항목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s)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ADLs) Bathing, Showering Care of others (including selecting and Bowel and Bladder management supervising caregivers) Dressing Care of pets Child rearing Eating Communication management Feeding Community mobility Functional mobility Health management and maintenance Personal device care Home estabilishment and management Meal preparation and cleanup Personal hygiene and grooming Religious observance Sexual activity Safety and emergency maintenance Toilet hygiene Shopping 출처 :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Domain & Process 2nd edition 나. ICF 에서의분류 활동과참여 (Activities and Participation) 에서활동은개인에의한일상행위또는임무이행을의미하며참여는생활하면서실제적으로발생하는상황에의연루를의미함. 또한활동제한은활동과정에서한개인이가질수있는어려움을의미하며참여제한은생활하면서실제적으로발생하는상황에의연루과정에서한개인이겪을수있는문제를의미함. 활동과참여구성요소의영역들은생활영역전체 ( 학습과보기와같은기본적인영역에서부터사회적임무와같은복잡한영역에이르는 ) 를포괄하는하나의리스트로표현될수있음. 이러한구성요소는활동이나참여를혹은두가지모두를표시하는데이용될수있음. 활동과참여구성요소의영역에기초할때활동과참여를구분하기어려우며, 마찬가지로전문가들과이론적틀에의한접근방식의차이와국가간차이를감안할때영역에기초한개인적관점과사회적관점을구분하는것은불가능함. 이에 ICF는활동과참여를구분하기위한방법을다음과같이제시함. - 일부영역은활동으로또다른영역은참여로분류하되상호영역이중복되지않도록함. - 앞서언급한방법과마찬가지로하되, 부분적으로영역중복을허용함. - 모든세부적인범주는활동으로, 포괄적인범주는참여로분류함. - 모든영역을활동으로도참여로도이용함. 제 2 장이론적배경ㆍ 15

< 표 2-2> 활동과참여 (Activities and Participation) 의영역 영역 세부영역 의도적감각경험 d1 지식의학습과적용 (Purposeful sensory experiences) (Learning and applying knowledge) 기본적인학습 (Basic learning) 지식적용 (Applying knowledge) d2 일반적인임무와요구 (General tasks and demands) d3 의사소통 (Communication) 의사소통 - 전달받기 (Communicating - receiving) 의사소통 - 전달하기 (Communicating - producing) 대화, 의사소통장비및기술의이용 (Conversation and use of communication devices and techniques) d4 이동 (mobility) 자세변화및유지 (Changing and maintaining body position) 물건나르기, 옮기기, 다루기 (Carrying, moving and handling objects) 보행과이동 (Walking and moving) 운송수단을이용한이동 (Moving around using transportations) d5 자기관리 (self-care) d6 가정생활 (domestic life) 필수품획득 (Acquisition of nescessities a place to live) 가사 (Household tasks) 가족물건관리및가족구성원돌보기 (Caring for household objects and assisting others) d7 일반적인대인관계대인관계및상호작용 (General interpersonal interactions) (Interpersonal interactions and 구체적인대인관계 relationships) (Particula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d8 주요생활영역 (Major life areas) 교육 (Education) 일과고용 (Work and employment) 경제생활 (Economic life) d9 공동체, 사회및시민생활 (Community, social and civic life) 출처 :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al, Disability and Health 다. 학계 16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1950-1970년까지각지에서보고된영문문헌 25편의 ADL 평가항목의일람표에서는 20개항목을열거하고있음. 가장많이채택된 ADL 항목은옷입고벗기, 보행, 목욕, 식사, 옮겨타기, 화장실, 몸단장, 휠체어, 계단오르내리기, 배뇨 변조절, 침대동작, 외출및여행, 커뮤니케이션, 수작업, 쓰기, 잡일, 정신활동, 가사, 인지순으로 20개항목을포함함. 기본적일상생활활동 (BADL) 에는목욕하기, 옷입기, 이동하기, 식사하기등이포함되며이러한활동들은의존성이높아질수록자연스럽게기능을잃어가게되며, 대부분의환자들이제일마지막에상실하게되는기능은식사하기와배설하기이나기능회복에서는가장먼저회복하는기능은식사하기임 (Katz and Akpom, 1987). 기본적일상생활활동보다상위수준에있는일상생활활동으로요리, 세탁, 청소, 전화사용, 시장보기, 가사활동, 자기투약관리, 공공교통수단이용, 재정관리등의수단적일상생활활동 (Lawton과 Brody, 1969) 과여가활동, 탐구, 탐색, 창작활동등상황수준을반영하는기능적일상생활활동 (Functional ADL, FADL) 이포함됨 12). 생활관련활동 (Activities parallel to daily living; APDL) 은 1989년에 Barer등 13) 이평가하는활동항목의범위를확대포함하여관련활동항목을부여함. 생활관련활동이란기본적 ADL에는포함되지않으나기본적 ADL로부터확대되는중요한관련활동군을총칭함. 생활관련활동은연령층과남녀에따라서도다르며가정안에서의역할, 사회에서의역할등에의해서도달라짐. 또한, 생활을윤택하게하고나아가서는생활의질, 삶의질에도크게영향을미침. < 표 2-3> 표준적 ADL 과확대된 ADL 에포함된활동항목 Activities included in standard ADL Continence Drinking Feeding Transfers : bed to chair/floor to chair Washing Extra activities included in extended ADL Walking outside Crossing roads Getting in/out car Using public transport Carrying hot drinks Washing up Washing clothes Housework 12) 성기월 (1999). 시설노인과재가노인의일상생활활동 (ADL) 정도와생활만족정도의비교. 노년학. 19(1):105-117. 13) Barer, D., Nouri.F(1989). Measurement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symposium on measurement). Clin Rehabil. 3:179-187. 제 2 장이론적배경ㆍ 17

Activities included in standard ADL Extra activities included in extended ADL Gardening Grooming Managing money Walking : indoors/outdoors with Shopping or without aids Going out socially Driving car Dressing/Undressing Employment Climbing stairs Hobbies Bathing Reading Using telephone Making a hot drink/snack Writing letters 출처 : Barer, D., Nouri.F(1989). Measurement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symposium on measurement). Clin Rehabil., 3:179-187, 18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제 4 절. AHP 기법 본연구에서는기능평가시질환별기능적능력 (Functional Capacity) 의각변수들의중요도와운동 감각영역의각변수들의중요도를객관적으로정량화시켜측정하기위해 AHP 기법을활용하였음. AHP 기법을통해, 재활의학과전문의들의질환에따른기능적능력의각영역별가중치와질환에따른운동 감각영역의각세부항목별가중치에대한의견을객관적으로정량화하여질환별가중치를반영함. 1. AHP 기법의정의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는 1970년대초반 T. Saaty에의해개발된계층분석적의사결정방법으로써의사결정의계층구조를구성하고있는요소간의쌍대비교 (Pairwise Comparison) 를통해평가자의지식, 경험그리고직관을포착하고자하는의사결정방법론임 14). AHP를적용하기위해서는문제의구조화와더불어계층적분화가필요함. 계층적분화란평가자가당면하고있는문제를구성하고있는하위속성등을계층적으로구분해내는것을의미함. 즉, 서로다른계층요소들간에는상호독립성이유지되지만동일한계층요소간에는비교가가능하게되어, 유기적관계인의사결정기준을계층적으로파악함으로써수많은의사결정기준들이포함된문제에대해서도체계적인분석이가능함 15). 따라서, 향후기능평가도구의모형에서질환에따른기능적능력 (Functional Capacity) 의각영역별중요도와질환에따른운동 감각영역의각세부항목별중요도를판단하는데 AHP 기법은유용하게응용될수있음. 14) 경태원 (2007). AHP 기법을이용한 IT 프로젝트관리우선순위수립에대한연구, Information Systems Review, 제 9 권제 3 호. 15) 최수전 (2007). 균형성과표 (BSC) 를이용한사업장건강증진사업의성과평가모형개발 : AHP 기법을중심으로. 연세대학교보건대학원 제 2 장이론적배경ㆍ 19

2. AHP 기법의적용요건 AHP는다음에설명하는 4가지공리에의하여적용을위한이론적배경을마련하고있음 16). - 역수성 (Reciprocal) : 결정자는동일한계층내에있는 2개의요인을짝지어비교할수있어야만하고, 그선호의강도를표현할수있어야함. 이러한선호의강도는역수조건을만족시켜야함. 예를들어 A가 B보다 x배중요시된다고하면 B는 A보다 1/x배중요하다는의미가됨. - 동질성 (Homogeneity) : 중요도는제한된범위내에서정해진척도 (Bounded Scale) 에의하여표현됨. - 종속성 (Dependency) : 한계층의요소들은인접한상위계층의요소에대하여종속적이어야함. 그러나상위계층의모든요소에대하여인접한하위계층내의모든요소들간에독립성이확보되어야하는것은아님. - 기대성 (Expectations) : 의사결정의목적에관한사항을계층이완전하게포함하고있다고가정함. 3. AHP 기법의장점 AHP 는기본적으로단순하고명확한이론을근거로하여잘개발되어있는 AHP 소프트웨어패키지를통하여적용하기에간편하고어떠한분야든의사결정이요구되는문제에는적용이가능한범용적모델이라고할수있으며다음과같이 6가지장점을갖고있음 17). - 첫째, AHP 는비구조화되어있는의사결정문제를계층적으로표현함. 이를통해의사결정문제를보다정확히파악하게되며, 이해하게됨. - 둘째, AHP는무형의것을측정할수있는척도와우선순위를설정하기위한방법을제공해줌. 즉, 평가자의직관적이고합리적인판단을근거로정량적인요소와더불어정성적인요소까지도고려할수있는문제해결을위한포괄적인틀을제공함. - 셋째, AHP는평가자들의판단에대한논리적일관성을검증할수있는장치가마련되어있어, 결과에대한신뢰성을높임. - 넷째, AHP는의사결정문제와관련된정보의변화에따른민감도를분석할수있게함. 16) 조근태 (2003), 계층분석적의사결정, 동현출판사. 17) 조근태 (2003), 계층분석적의사결정, 동현출판사. 20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즉, 평가기준의가중치를변화시켜나감으로써대안의우선순위가어떻게변화하는지를검토할수있음. - 다섯째, AHP는계속적으로수정될수있는환경변화에따른적응성이강한모델임. 의사결정자는의사결정문제의계층에있는요소들을추가또는삭제할수도있으며계층에있는요소들간의선호에대한판단을바꿀수도있음. - 여섯째, AHP 는다수평가자의다양한의견과판단을합의나수치의통합을통해각대안의종합된최종우선순위를도출할수있게해줌. 4. AHP 기법의적용절차 AHP 기법을이용하는경우일반적으로다음과같은네단계의절차로수행됨. - 1단계 : 의사결정문제를상호관련된의사결정사항들의계층으로분류하여의사결정계층 (Decision Hierarchy) 을설정함. - 2단계 : 의사결정요소들간의쌍대비교로판단자료를수집함. - 3단계 : 고유치방법을사용하여의사결정요소들의상대적인가중치를주정함. - 4단계 : 평가대상이되는여러대안들에대한종합순위를얻기위하여의사결정요소들의상대적인가중치를종합화함. 5. AHP 기법의평가 정량적요소는일정하게정해진요소, 계량적으로파악가능한요소를의미하며, 정성적요소란추상적 상징적인요소를의미함. AHP기법의장점은정량적요소와정성적요소의통합이가능함. 또한, AHP 를활용하여의사결정하는과정에서의사결정자의논리적일관성여부의확인이가능함. 일반적으로일관성비율 (consistency ratio = C.I./R.I.) 의값이 10% 이내면합리적일관성을, 20% 이내일경우용납가능한일관성, 20% 이상일경우일관성이부족하다고판단함 (Saat, 1983. 재인용 ). AHP는의사결정에참여한모두의의견을반영시키며, 각자의요소별대안별선호도차이를 100% 반영하므로보다합리적인집단의사결정이도출됨. 한편, 비교항목이많아지면응답시간이길어지므로일관성지수가높아질수있다는단점이있음. 제 2 장이론적배경ㆍ 21

제 3 장국내외기능평가도구현황 제 1 절. 기능평가도구현황 1. 일상생활활동평가도구 가. 일상생활활동평가도구사용실태및동향 MBI와 FIM은재활분야에서가장관심을가지고사용되는평가도구로장애수준에대한중요한지표를제공하는항목들로구성되어있어가장널리사용되고있는평가도구임 (Clossen 등, 1991). 국내일상생활활동평가도구사용에관한연구에서 FIM과 MBI가다른도구에비해사용빈도가높은것으로보고되고있음 ( 박소연과유은영, 2002). 국내작업치료사를대상으로평가도구에대한사용실태및동향을알아보고자한연구에의하면, 일상생활활동평가도구로가장많은사용빈도를보이는것은 FIM과 MBI이며이어서 SCIM, AMPS 순으로나타남 ( 유은영등, 2006). ICF 모델의분류기준에따른평가도구분류및사용빈도에관한국내연구결과에따르면, 활동과참여의영역에서가장많이사용된도구는 BI(18.75%) 와 MAL(18.75%) 이며, 이어서 FIM(12.5%) 순으로나타남. < 표 3-1> ICF 모델의활동과참여 (Activity & Participation) 영역의평가도구분류및사용빈도 ICF 평가도구 사용빈도 ( 회 ) 백분율 (%) Barthel Index (BI) 6 18.75 Motor Activity Log (MAL) 6 18.75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IM) 4 12.5 활동과참여 Nottingham Extended Activity of Daily Living Scale 2 6.25 Nottingham Extended Leisure Scale 2 6.25 (Activity & Stroke Impact Scale (SIS) 2 6.25 Participation) ADL Observation* 1 3.13 COOP Chart 1 3.13 15 Area Performance* 1 3.13 Functional Assessment* 1 3.13 Rating of Use of Bathing Device & Bathing 1 3.13 22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ICF 평가도구 사용빈도 ( 회 ) 백분율 (%) Independence* Rivermead Mobility Index 1 3.13 Rivermead ADL Scale 1 3.13 Self-Management Behaviours Scale* 1 3.13 Short-Form Health Survey (SF-36) 1 3.13 Quebec User Evaluation of Satisfaction With Assistive Technology (QUEST) 1 3.13 소계 32 100 * : 비표준화된평가 출처 : 정혜영, 김경미, 장문영 (2009). 뇌졸중환자의작업치료중재결과를측정하기위해사용된평가도구에관한 체계적고찰,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7(3):79-95. ICF의활동과참여영역에사용된 16개평가도구중, 표준화된평가도구는 11개 (68.75%), 비표준화된평가도구수는 5개 (31.25%) 로나타남. 비표준화된평가도구는연구과정에있어서주요한편견 (bias) 으로작용함 (Marshall et al., 2000). 따라서논문의질적수준의향상과비교 분석을위해신뢰도과타당도가검증된표준화된평가도구를사용해야함 (Salter, Teasell, Foley & Jutai, 2007). < 표 3-2> ICF 모델의활동과참여영역의표준화된도구와비표준화된도구의사용 단위 : 개 (%) 활동과참여 (Activity & Participation) 표준화된평가도구 11 (68.75) 비표준화된평가도구 5 (31.25) 총합 16 (100.0) 출처 : 정혜영, 김경미, 장문영 (2009). 뇌졸중환자의작업치료중재결과를측정하기위해사용된평가도구에관한체계적고찰,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7(3):79-95. 1968년부터 2002년까지뇌졸중환자를대상으로 BI와 FIM의사용패턴을비교한국외연구에따르면장애 (Disability) 를측정하는데 BI와 FIM이가장일반적으로사용되며, BI가 FIM보다더많이사용되고우수한연구에서의인용횟수도 BI가더많은것으로보고함 (Harpreet Sangha et al, 2005). 1997년부터 2002년까지의연구는북아메리카 (North America) 에서유럽 (Europe) 에비해 FIM의인용횟수가더높은것으로나타남. 북아메리카에서의 FIM의사용빈도는유럽 (Europe) 아시아 (Asia), 오세아니아 (Oceania) 의 3대륙에서의 FIM을사용한연구의합한 제 3 장국내외평가도구현황ㆍ 23

만큼인용하여사용하고있지만우수한연구물은아님. 북아메리카와대조적으로유럽에서는최근연구물에서도 BI의사용이뚜렷하게나타남. 또한 BI와 FIM 이외의다양한다른평가도구를사용하고있으며 BI와 FIM 다음으로사용빈도가높은평가도구는 Nottingham extended ADL, Frenchay activities index, Rankin/Modified Rankin/Oxford handicap scale, Rivermead ADL, Rivermead mobility index 순으로나타남. 이들모두총 310개의연구물중 5회이상사용된평가도구만을분석한것으로, 이외에도다른다양한평가도구를인용하고있는것으로보고됨 (Harpreet Sangha et al, 2005). < 표 3-3> 국외기능상태평가도구들의사용빈도 (5 회이상 ) Measure Frequency of use (n) Barthel Index 86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24 Nottingham extended ADL 17 Frenchay activities index 14 Rankin/Modified Rankin/Oxford handicap scale 10 Rivrmead ADL 9 Rivermead mobility index 5 출처 : Harpreet Sangha et al(2005). A comparison of the Barthel Index and the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as outcome measures in stroke rehabilitation : patterns of disability scale usage in clinical trials. International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28(2):135-139. FIM과 BI를사용한연구들을분석한국외연구에따르면 BI를사용한연구들의방법론적인질이 FIM을사용한연구들보다더욱우수했으며, BI를사용한연구들의근거중심물리치료데이터베이스 (PEDro) 평균점수는 6.39±1.28이었고이것은 FIM의 5.54±1.25(p=0.005) 보다상당히높은것임 (Harpreet Sangha et al, 2005). < 표 3-4> BI 와 FIM 을사용한연구들의근거중심물리치료데이터베이스 (PEDro) 점수비교 Trials Barthel Index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n=24) P All 6.39±1.28(84) 5.54±1.25(24) 0.005a European 6.67±1.18(61) 5.00±1.20(8) 0.001a North America 5.60±1.24(15) 5.85±1.07(13) 0.582 Data are mean±sd (n). ap<0.05 (independent t-test). 출처 : Harpreet Sangha et al(2005). A comparison of the Barthel Index and the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as outcome measures in stroke rehabilitation : patterns of disability scale usage in clinical trials. International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28(2):135-139. 24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나. 기존일상생활활동평가도구 일상생활활동 (ADL) 의평가지표는옷입기 (Dressing), 식사하기 (Eating), 이동하기 (Ambulating), 화장실사용 (Toileting), 목욕하기 (Bathing) 등과같이가장기본적인기능을평가하는것으로 1963년에 Katz가최초로개발하여사용함. 수단적일상생활활동 (IADL) 은독립적인생활을하는데필요한보다높은차원의기능을말하며, 최초의 IADL 평가지표는 1969년에 Lawton과 Brody 18) 에의해 60세이상의노인을대상으로개발됨. Lawton 에의해개발된평가도구는주로지역사회거주노인의기능적상태를평가하는데많이사용되며입원후퇴원하려는환자의사회복귀가능성을판정하기위해서도사용됨.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FIM) 는 The Uniform Data System for Medical Rehabilitation (UDSMR) 에서개발되었으며, 국내에서일상생활활동을평가하는도구로가장많이사용되는평가도구임 ( 유은영등, 2006). 자기관리, 대소변조절, 이동성, 보행, 의사소통, 사회적인지 6개영역으로구성되어있으며, 최소 18점에서최대 126점임 (Granger et al., 1993; Kidd et al., 1995; Ottenbacher et al., 1996). FIM의신뢰도검증을위한국내연구에따르면, 검사자간신뢰도는.975, 검사내신뢰도는.984로나타남 ( 정한영등, 1999). 다른국내연구에서도내용타당도와구성타당도가높은것으로나타났으며검사자간신뢰도도높다고보고함 ( 신용일등, 1996). Modified Barthel Index(MBI) 는 Barthel 과 Mahoney(1965) 가개발한 Barthel Index를민감도와신뢰도를증진시키기위하여 Shah 등 (1989) 이수정및보완하여개발한일상생활평가도구로서뇌손상장애를가진환자들의장애의중증도를평가하고재활의경과를평가하는도구임. 현재너싱홈 ( 요양시설 ) 이나재활센터에서유용하게사용함. 구성은 10개의 ADL 항목으로이루어져있고도움의정도에따라 5단계척도로구성되어짐. 항목별가중치를두고있는것이특징이며최소 0점에서최대 100점임. MBI는재활치료결과를판정하는것을주된평가의목적으로삼고 가능하다, 가능하지않다 처럼능력의평가에중점을둠. 특히다른평가도구에비해평가의편리함, 높은정확성, 일관성, 민감도, 그리고통계처리의용이함등으로널리사용되고있으며자기관리와운동성에대한재활치료결과를판별하는지표가됨 (Smith, 1993). MBI 의검사자간신뢰도는.95이고, 검사자내신뢰도는.89임(Shah 등, 1989). 18) Lawton MP, Brody EM(1969). Assessment of older people: Self-maintaining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Gerontologist 9(3):179-186. 제 3 장국내외평가도구현황ㆍ 25

Katz Index 는 1963년에 Katz 에의해개발되었으며현재노인의기능평가로가장많이사용되는도구임. Katz 는만성질환이주대상인클리블랜드의벤자민로즈병원의노인대퇴골골절환자에대해일상생활기능 ( 식사, 목욕, 옷입기, 신발끈매기, 앉기, 서기, 걷기, 계단오르기, 대소변조절, 그리고화장실가기 ) 을전형적으로조사함 19). 대퇴골골절환자에서 ADL의기능에대한간호요구도가높을수록 1년후사망률이증가하거나병세가악화된다고하였고, 이를통해 ADL이환자의예후를판정하는척도로서의미가있다고보고함 20). 또한, 추적연구를통해재활치료를받지않는환자에서 ADL의기능악화와사망률이더증가함을보고함으로써재활치료의기능적평가도구로서도유용하다고보고함 21). 이러한결과들을종합하여 Katz는만성질환의경과에대한객관적인지표로서노화과정평가에대한도구로서재활교육의보조도구로서 Index of ADL을활용할수있다고보고함. 또한, 할수있는지 ( 능력 ) 여부 보다는 하고있는지 ( 상태 ) 에중점을두고도움이필요한정도를평가하는도구란특징이있음. Spinal Cord Independence MeasureⅡ(SCIMⅡ) 는척수손상환자를위해 Catz 등 (2001) 에의해 SCIM의단점을보완하여개발된평가도구로자기관리, 호흡과괄약근조절, 이동의세영역으로나뉘고각항목은생활에서의비중에따라각각 20, 40, 40점씩으로점수화함. SCIMⅠ 은각세부항목에서측정된기능의중요성에비례하여점수에가중치를주었고사용자위주의측정체계를가지고있다는장점이있었으나목욕, 옷입고벗기, 괄약근관리, 침대에서의움직임의항목에서검사자간일치도가표준치이하로나타남 (<80%, kappa;.66-.73). 이러한낮은검사자간일치도를보인일부항목에대해수정및보완을하여상 / 하지구분과척도기준의변경, 설명수정등을거쳐 SCIMⅡ로개정됨. Catz 등 (2001) 에의한검증결과 FIM에비해척수손상환자기능변화에민감도가더높은것으로나타났으며, 검사자간일치도도높게나타남. MBI와비교한국내연구에서도척수손상환자의기능변화에서 SCIMⅡ가더민감하게나타남 ( 송영진등, 2003). Catz와 SCIM 의공동개발자인 Itzkovich 등 (2002) 에의한신뢰도타당도검증연구에서는신뢰도와타당도는높게나타났으나개선할점을제안하였음. 19) Katz s, Chinn AB, et al(1958). Multidisciplinary study of illness in aged persons. Ⅰ. Methods and Prcliminary results. J of Chron Dis. 7(4):332-345. 20) Katz S, Chinn AB, et al(1960). Multidisciplinary study of illness in aged persons. Ⅲ. Prognostic indices in fracture of the hip. J of Chron Dis. 11(4):445-455. 21) Katz S, Jackson BA, Jaffe MW, Littell AS, Turk CE(1962). Multidisciplinary study of illness in aged persons-Ⅳ. Comparison study of rehabilitated and nonrehabilitated patients with fracture of the hip. J of Chron Dis. 15:979-984. 26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Spinal Cord Independence MeasureⅢ(SCIMⅢ) 는 Itzkovich 등 (2002) 에의한 SCIMⅡ 연구결과에따라평가항목의구와절, 척도를재구성하였음. 개발된 SCIMⅢ는국제적으로사용될수있도록 6개국의척수손상환자를대상으로하여신뢰도와타당도연구를실시함 (Catz 등, 2007; Itzkovich 등, 2007). 그결과, 다른문화권에서도검사자간신뢰도와타당도, 민감도가높은것으로나타나국제적으로여러문화권에서도사용가능한평가도구임을입증함 (Catz & Itzkovich, 2007). Itzkovich 등 (2007) 의연구에서검사자간일치율은 74.5-96.2% 이고두검사자에의한 SCIMⅢ의내적일치도는각각 Cronbach's α =.847,.849로높았으며, FIM과의상관계수를통해제시된공인타당도 (Concurrent-related validity) 도각각.790,.779로높게나타남. Motor Activity Log(MAL) 는 Taub 등 (1993) 에의해강제유도운동치료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CIMT) 의효과를평가하기위해앨라바마대학에서고안된평가도구임. 실제일상생활 ( 스위치올려불켜기, 서랍열기, 양말신고벗기등 ) 에서환측상지를얼마나질적, 양적으로사용하는지알아보기위하여구조화된인터뷰식의평가도구로결과측정은환측상지를얼마나질적으로사용하는지에대한상지활동의질 (Quality of Movement, QoM) 과얼마나양적으로많이사용하는지에대한환측상지사용량 (Amount of Use, AoU) 으로분류됨. 각각의 QoM과 AoU의점수는각항목당 0점에서 5점까지 6점척도로되어있고, 각항목의점수를합산하여총점으로나타냄. MAL은내적일치도.88-.95 이고검사자간신뢰도가.90, 검사-재검사신뢰도가.94로신뢰도가높은검사도구임 (Uswatte et al., 2005). The Nottingham Extended Activities of Daily Living Scale(NEADL) 은총 22가지항목의활동을수행하는데있어서필요한도움의양에따라점수를매기는평가도구로서이동성 (mobility), 가정생활 (domestic), 여가 (leisure), 주방 (kitchen) 의 4개항목으로구성됨. 이총점을활용하여뇌졸중환자의장애등급을판별하는데용이함 22). NEADL 은뇌졸중환자와관련된연구에매우잘활용되며 23), 점수범위는 0-22점이고점수가높을수록기능이좋음을의미함. 22) Lincoln NB, Gadman JR(1992). The Extended Activities of Daily Living scale:a further validation. Disablity and Rehabilitation. 14:41-43. 23) Ebrahim S, Harwood RH(1999). Stroke: Epidemiology, Evidence and Clinical Practice.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제 3 장국내외평가도구현황ㆍ 27

Stroke Impact Scale(SIS) 은뇌졸중에의해발생된장애의회복정도를평가하기위하여개발된것으로경한뇌졸중과중등도의뇌졸중환자모두의회복정도에대한평가와장애혹은손상으로인한변화를측정할수있는자기기입형식의평가도구임. 근력 (Strength), 기억과사고 (Memory), 기분과정서 (Emotion), 의사소통 (Communication), 일상생활활동과도구적일상생활활동 (ADL & IADL), 이동성 (Mobility), 손의기능 (Hand function), 사회적참여 (Social Participation) 의 8개영역으로구성됨. 마지막 9번째항목은뇌졸중회복정도에대한환자의주관적판단을점수화하여기록하도록되어있음. 검사-재검사신뢰도는감정적인부분에서 ICC=.57이었으며그외영역에서는 ICC=.70-.92 를나타냄. 0점은전혀회복되지않은것을의미하고, 100점은최고로회복된것을의미함 ( 황은옥, 2010; Duncan 등, 1999). Modified Rankin Scale(MRS) 은뇌졸중후장애정도를평가하기위해 1957년에개발된 the Rankin Scale(RS) 를 Wunderlich와 Skalej에의해서 0-5점의 6점척도로변형한평가도구로뇌졸중이후환자의일상생활수행능력의의존성을평가하는척도이며비교적짧은시간에측정할수있는장점이있음. 그러나 MRS가여러척도로구분되어있고선행연구 (G s, 1999) 에서지적한바와같이임상연구들에서양호한결과에대해다양하게정의를내리고있어급성기뇌졸중치료에관한임상적효과를해석하고비교하기엔어려움이있음. 이에 Suletret 등 (1990) 은사망, 뇌졸중으로인한입원, MRS 3점초과, Barthel 점수 60점미만등을나쁜결과로정의하자고제안한바있음. 이러한사용방법을국내여러연구에서도적용하였고 ( 권영대등, 2007; 배종석등, 2001), 보편적으로예후가좋음 (0-2) 과예후가나쁨 (3점이상 ) 으로 MRS점수를구분하여사용함. 또한, 사용하는시기도다양하지만국외에서는가장흔히발병후 90일 (3개월) MRS점수와 1년째 MRS 점수를사용함. The Lawto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Scale은 Lawton과 Brody(1969) 에의해서개발된것으로너싱홈 ( 요양시설 ) 과정신과, 가정서비스를제공받아야하는지역사회거주 60세이상노인을대상으로기능적상태를평가하고, 퇴원시환자의사회복귀가능성을측정하는자료로활용하기위하여개발됨. 이후 1978년듀크대학에서 Older American Resources and Services(OARS) Multidimensional Functional Assessment Questionnaire에서급성기입원환자를대상으로하는내용을포함하여개정함. 전화기사용, 쇼핑, 식사준비, 집안관리및유지, 세탁, 외출을위한이동, 복약, 재정관리의 8개검사항목으로이루어져있으며 2점척도이지만각항목별가중치가다름. 총점은최소 0점에서최대 8점이며, 검사자간신뢰도는.85이며각항목간의상관관계는 0.01 혹은 0.05 수준에서유의함. 28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Frenchay Activities Index(FAI) 는지역사회에서독립을위해필요한활동들특히수단적일상생활활동이나신체기능의높은수준을측정하기위한척도임. FAI는대상자가일상생활활동에얼마나참여하는지그빈도를기록하는짧은형태의질문지로 15개항목으로이루어져있으며, 한국판 FAI는가사활동, 실외활동, 여가, 취미의 4가지요소로구성됨. 각각의항목은 4점척도 (1-4점) 로구성되어있고총점의범위는 15점 ( 활발하지못함 ) 에서 60점 ( 활발함 ) 임. FAI 한국버전의신뢰도는 α=0.796 이였고, FAI요소의구성타당도점수들간의분석은 Varimax Rotation을이용하여수행하였으며, Bartlett's Test의구형도는의미가있는것으로나타남 (x 2 =5978.86, p<.001). 요인분석을위한 FAI점수의적합성을나타내는 Kaiser-Meyer-Olkin (KMO) measure index는 0.86으로나타남 (Han, Lee & Kohzuki, 2009). Assessment of Motor and Process Skills(AMPS) 는개인의 IADL 과제수행과그수행에기여하는운동및처리기술간에관련성을평가하기위해개발된관찰적평가도구임. 기능적수행을평가하는동안운동기술과처리기술이동시에평가됨. 16개운동기술항목과 20개의일상생활활동의처리기술항목이 1점에서 4점까지의 5단계척도로구성됨. 평가대상은진단명에관계없이 3세이상의모든사람에게적용가능하며, AMPS 운동기술과 FIM 사회-인지영역간, AMPS 처리기술과 FIM 사회-인지영역간에는 r=.62의상관관계를보임 (Robinson & Fisher, 1996). 검사-재검사결과운동기술영역과처리기술영역이각각 r=.91, r=.85로나타남 (Kirkley & Fisher, 1999). 한국형일상생활활동측정도구 (K-ADL) 와한국형도구적일상생활활동측정도구 (K-IADL) 는대한노인병학회노인기능평가연구회에의해한국노인중기능장애가있는사람들의장애활동을수집하고사전조사와전문가회의국어학자의자문등을통해개발됨. K-ADL 항목에는목욕, 옷입기, 화장실사용, 이동, 대소변조절, 식사하기, 세수하기의 8개항목, K-IADL항목에는몸단장, 집안일, 식사준비, 빨래, 교통수단이용, 금전관리, 전화사용, 물건사기 ( 쇼핑 ), 근거리외출, 약챙겨먹기의 10개항목으로구성됨. 이두평가도구의타당도와신뢰도는개발자에의한연구에서높게나타남 24)25). 24) 원장원, 노용균, 김수영, 조비룡, 이영수 (2001). 한국형일상생활지표 (K-ADL) 의타당도, 신뢰도. 노인병. 5(2):83. 25) 원장원, 노용균, 김수영, 이은주, 윤종률, 조경환 (2001). 한국형도구적일상생활지표 (K-IADL) 의타당도, 신뢰도. 노인병. 5(2):84. 제 3 장국내외평가도구현황ㆍ 29

2. 운동및감각기능평가도구 가. 운동및감각기능평가도구사용실태및동향 성인을위한이학적검사법으로관절가동범위검사 (80.3%), 근긴장도검사 (69.2%), 도수근력검사 (67.5%), 감각검사 (58.1%), 구강검사 (50.4%) 순으로높은사용빈도를보였으며, 검사자의 50% 이상이작업치료평가에있어이학적검사를주로사용하는것으로조사됨. < 표 3-5> 이학적검사의사용빈도 검사도구명 사용자 ( 명 ) 백분율 (%) 관절가동범위검사 94 80.3 근긴장도검사 81 69.2 도수근력검사 79 67.5 감각검사 68 58.1 구강검사 59 50.4 반사검사 14 12.0 출처 : 유은영, 정민예, 박소연, 최은희 (2006). 한국작업치료사의영역별평가도구사용동향.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4(3). 성인을위한운동기능평가도구중사용빈도가 50% 이상인검사도구는 Manual Function Test(62.4%), Jebsen Hand Function Test(61.5%), Purdue Pegboard test(57.3%), Dynamomoeter (51.3%) 로나타남. < 표 3-6> 상지운동기능검사도구사용빈도 검사도구명 사용자 ( 명 ) 백분율 (%) Manual Function Test 73 62.4 Jebsen Hand Function Test 72 61.5 Prudue Pegboard 67 57.3 Dynamometer 60 51.3 Box and Block Test 56 47.9 Grooved Pegboard Test 54 46.2 O'coner Finger Dexterity Test 38 32.5 Fugl-Meyer Assessment Scale 30 25.6 9-hole Pegboard Test 28 23.9 Minnesota Rate of Manipulation Test 14 12.0 기타 1 0.9 출처 : 유은영, 정민예, 박소연, 최은희 (2006). 한국작업치료사의영역별평가도구사용동향.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4(3). 30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나. 기존운동및감각기능평가도구 1) 운동기능평가도구 Range of Motion(ROM) 은관절의움직임을가능하게하는관절가동영역을말하는것으로관절의해부학적구조에의해제한되고근육이나인대와관절피막과관계있는다른구조물또는건과다른결체조직에의해영향을받음. 부위별관절가동범위의측정은 goniometer를사용하여측정하며 goniometer의축은관절축에고정한상태로운동팔 (movement arm) 이움직일수있도록하여측정위치에따라각도계한쪽은고정팔 (Stationary arm) 로다른한쪽은운동팔 (movement arm) 로사용함. Modified Ashworth Scale(MAS) 은현재임상에서가장널리사용되는경직 (spasticity) 평가도구임. Bohannon과 Smith(1987) 는 5등급척도로된 Ashworth 척도를 6등급으로수정하여 MAS를발표하였으며, 편마비환자의팔꿈치관절굽힘근 (elbow flexor muscle) 에대한경직평가로신뢰할만하다고함. Bodin 과 Morris(1991) 도 2명의훈련된측정자사이에손목굽힘근 (wrist flexor muscle) 에대한경직평가로 MAS가신뢰도가높다고보고함. Fugl-Meyer Assessment(FMA) 는 Fugl-Meyer 등 (1975) 이뇌졸중발생후운동과균형, 감각, 수동적관절가동범위 (PROM), 통증정도를수량화하여환자의회복정도를평가하고자고안된평가도구이며, Brunnstrom의운동회복단계를토대로고안된평가도구로 5가지영역으로구성되어있음. 이평가도구의세분화된항목은 3점만점으로 0점은 수행할수없음, 1점은 부분적으로수행할수있음, 2점은 완전하게수행할수있음 으로구분됨. 운동기능평가는상지운동기능 66점, 하지운동기능 34점으로최대점수는 100점임. 상지는어깨 / 팔꿈치 / 아래팔, 손목, 손 ( 손가락 ), 협응능력, 하지는엉덩이 / 무릎 / 발목, 협응능력으로세분화되어있음. 균형검사는앉은자세에서 3가지, 선자세에서 4가지로평가되며최대점수는 14점임. 감각은촉각 (light touch) 과관절위치감각 (position sense) 을검사함. 촉각은상지에서팔과손바닥, 하지에서다리와발바닥을건측과환측을비교하여검사함. 위치감각은상지에서어깨, 팔꿈치, 손목, 엄지손가락을검사하고하지에서는엉덩이, 무릎, 발목, 엄지발가락을건측과환측을비교하여검사함. 최대점수는 24점임. 또한, 관절가동범위는수동으로검사하고건측과비교함. 통증검사는수동적관절가동범위를측정할때통증정도를검사함. 각각최대점수는 44점임. 각항목의검사는 3회실시하며가장높은점수를채택하고, 검사자간 (r=.94), 검사자내 (r=.99) 신뢰도가높음 (Duncan 등, 1983). 제 3 장국내외평가도구현황ㆍ 31

Stroke Rehabilitation Assessment of Movement(STREAM) 는뇌졸중환자의운동기능에있어자발적인사지의움직임과기본적인운동성의회복을반영하여운동회복능력을평가하기위한도구이며비교적평가하기가쉽고간편함. STREAM 은수행에기초를둔평가도구이고, 상지와하지의수의적움직임과기본적인운동성을포함하는세가지하위척도로나누어진 30항목들로구성됨. 상지와하지의수의적움직임의평가는 3점척도이며기본운동성평가는 4점척도를이용하며최종 STREAM 점수는상 하지의수의적인움직임각각 20점, 기본적인운동성 30점을합해총 70점만점이나이를 100점으로환산하여사용함 (Daley 등, 1997). 내적일관성의 Cronbach's α =.98 이며 (Daely 등,1999), 검사자간신뢰도는.98이고, 검사자내신뢰도는.96임(Wang 등, 2002). Manual Function Test(MFT) 는일본에있는동북대학의학부리하연구, 명자분원에서개발되어뇌졸중환자의상지기능및동작능력을측정하기위한평가도구로상지기능의회복과정과일상생활활동의수행수준을반영하고객관적으로평가하기쉽게고안됨. 이미선행연구들에서 Brunnstrom recovery stage와상관관계가높다는것이발표되었으며또한치료의효과를가시화할수있으며객관적인평가지표로서인정받아사용되고있음 ( 이한석, 1996). 운동 4항목, 파악 2항목, 손가락조작 2항목으로구분하여검사마다 수행가능 시 1점, 불가능 시는 0점으로총점수는 32점만점이며점수에 3.125배하여 100점으로환산하는방법으로사용함 ( 김미영, 1994). American Spinal Cord Injury Association(ASIA) Score는 1996년미국척수손상협회에서척수손상의신경학적, 기능적분류를위한국제기준마련에의해개발됨. ASIA는 손상척도, 운동점수, 감각점수 ' 로분류되고이는 FIM과함께척수손상환자의분류기준으로간주되고있음 (ASIA, 1996). 1982년 ASIA에의해척수손상환자의신경학적분류에대한표준을마련한이후 1992년에 Frankle Scale이추가되고 1996년과 2000년에재개정됨 (Kirshblum 등, 2002). ASIA 운동점수는상지근력점수와하지근력점수로구성되는데, 10개의주요근육을양측으로검사하여각각총점이 50점으로 0에서 5까지의 6개의점수단계로구분하며총점은 100점임. 완전마비 는 0, 가시적인수축 이있으면 1, 중력을제거한상태에서능동운동이가능 하면 2, 중력에대한능동운동이가능 하면 3, 약간의저항에대한능동운동이가능 하면 4, 완전한저항에대한능동운동이가능 하면 5점을부여함 (ASIA, 1996; 송영진등, 2003). ASIA 감각점수는바늘로한번찌르기, 가벼운터치를실시해모두 0에서 2점까지의평가로구성됨. 0은 감각이없음, 1은 감각이상, 2는 정상 으로평가하고몸의양쪽을모두검사하며, 최대 112점임. 32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Berg Balance Scale(BBS) 는노인들의균형능력을평가하기위해개발되었으나최근에는뇌졸중, 외상성뇌손상등중추신경계환자의균형능력을평가하기위해널리사용되고있음. 평가가복잡하지않고평가하기쉬운일상생활활동을응용한총 14항목으로구성되어있음. 각항목별 0점에서 4점까지총 56점으로높은점수일수록더욱좋은균형기능을반영하며독립적이고안전한이동을위해서는 45점이상이필요함 (Bogle 등, 1996). 뇌졸중환자를대상으로한검사자간신뢰도는.97이고, 검사자내신뢰도는.98임 (Berg 등, 1995). One-Legged Stand Test는균형유지능력중정적균형 (static balance) 을평가하기위한것으로편마비환자의특성을고려하여다리가바닥에서 5cm이상떨어지면한발서기로인정함. 눈을뜬상태와눈을감은상태두가지형태로측정하였고눈을뜬상태에서검사를먼저시행함. 시간측정은초시계를이용하였고, 대상자가한발을들었을때부터시간을재기시작하여들려진다리가바닥에닿거나대상자가눈을떴을때까지의시간으로점수를매김. 측정은눈뜨고마비가있는다리로서있기, 눈감고마비가있는다리로지지하기, 눈뜨고건측으로서있기, 눈감고건측으로서있기의총 4가지로나누어측정함. 측정값은 3회측정중가장오랫동안자세를유지한값을선택함. Timed Up & Go 검사 (TUG) 는기능적운동성과이동능력을검사하기위하여개발된평가도구로서연구대상자가팔걸이가있는의자에앉아서검사자의출발신호와함께의자에서일어나 3m거리를걷고다시되돌아와서의자에앉는데이때이속도를측정하여점수를매김. 1회연습과정을거친후 3회반복측정하여평균값을구함. Podsiadlo 등 (1991) 은이검사의검사자내신뢰도 (r=,99), 검사자간신뢰도 (r=.98) 가높고, 건강한 정상 노인의경우 7-10초 정도의범위에속하고, 30초이상 이면 이동능력이의존적이고, 혼자서실외이동을할수없다 고보고함. Good balance system은 1993년 Metitur Ltd, Jyvaskyla, Finland에의해개발된기능적서기균형검사 (Functional Standing Balance Test) 를위해사용하는장비로노인과중추신경계손상환자의동적, 정적균형능력을검사할수있고훈련도가능하여많이사용되어짐. 힘판에형성되는압력의중심점의이동에의해그려지는내 외측동요속도와전 후측동요속도, 동요거리를측정하며, 초당압력의중심점의움직임에의해만들어지는동요면적을측정하여균형검사를함. 제 3 장국내외평가도구현황ㆍ 33

2) 감각기능평가도구 감각검사는환자가평가방법을이해할수있도록정상에가까운쪽부터먼저평가함. 감각검사의종류에는표준화된감각검사와비표준화된감각검사로나뉘며, 표준화된감각검사에는촉각의역치평가, 정적두-점구별검사, 동적두-점구별검사, 접촉위치인식, 진동감각역치, 수정된 Moberg 집기검사로이루어짐. 비표준화된감각검사에는촉각인식, 핀찌르기검사 (pinprick test), 온도인식 ( 온도감각 ), 진동인식 ( 진동감각 ), 입체감각인식 (Stereognosis), Moberg 집기검사 (Moberg's Picking-Up Test), 고유감각 (Proprioception), 운동감각 (Kinesthesia) 이있음. 그밖의감각검사로특수감각검사법이있으며후각 (Olfactory sensation, smell) 과미각 (Gustatory sensation) 을검사함. 촉각의역치검사는가벼운접촉과압박으로검사하며, 압박검사시피부가움푹들어가거나하얗게될정도로충분한압력을가함. 가벼운접촉이미세하게식별가능한손의사용에중요한반면심부압박은보호감각의형태로서중요함. Semmas-Weistein 모노필라멘트는표피압박의역치를평가하는데가장정확한도구이며이것은한세트에 20가지크기의나일론모노필라멘트들로구성됨. 점수는세번의시도에서적어도한번감지한가장얇은필라멘트의숫자또는실제압력을표시함. 결과는손의도형과색연필이나표시도구를사용하여표준 color code에따라기록함. 정적두-점구별검사는기능적감각능력의전통적검사로고려됨. 이것은미세한손-과제사용과관련이있음. 검사동안가벼운압박과함께검사함. 점수는하나또는둘에대한인식을하는가장적은거리임. 환자의반응이부정확하거나주저할때 3회중 2회, 7회중 4회, 또는 10회중 7회반응을필요로함. 동적두-점구별검사는정적두-점구별검사를하는것보다구별감각의회복의초기평가에사용됨. 검사동안인접한손가락신경을자극하지않도록하기위해두지점은세로축에평행하게유지하고점수는하나또는둘에대한인식을하는가장적은거리로측정함. 접촉위치인식 (Touch localization) 은두-점구별을위한검사와높은상관관계를갖기때문에기능적검사로고려됨. 반응속도는감각능력수준과관련이있음. 환자가정확하게위치를밝히면작업용지 (worksheet) 의일치하는구역에점을표시함. 손의윤곽위에격자 (grid) 를첨가한손격자작업용지 (hand grid worksheet) 는검사결과를기록하는데매우유용하며자극이부정확하게위치가밝혀진다면작업용지 (worksheet) 위에자극의지점으로부터촉각의연관부위 (referred point) 로화살표를그림. 이와같은매핑은환자의위치인식의 34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수준에대한상황을알려줌. 점수는자극의위치와반응의위치간의 mm 로측정된거리로매김. 진동감각역치 (Vibration threshold) 는신경압박으로인해점진적으로신경기능이저하되는것을알아내는데민감함. 점수는도구마다다양하게나타남. 수정된 Moberg 집기검사는 Deoolin에의해검사품목들이표준화되었으며입체감각인식을검사함. 점수는검사의 Part1과 Part2 에따라다르게적용되며 Part1은두번의시도에대한수행시간을측정하고두번의시도중각시도에서 12개물건들을집어상자안에넣은전체시간으로매김. part2는반응속도를측정하고두번시도의각시도에서각사물을인식하는시간이며최대 30초까지임. 비표준화된감각검사방법중하나로촉각인식 (Tactile awareness) 검사는솜뭉치나면봉, 손가락끝, 연필지우개등의도구를사용하여피부의무작위부위에가벼운접촉을시도하여올바른반응을보이는지검사하는방법임. 핀찌르기검사 (Pinprick test) 는통증의보호감각을평가하기위한검사로서살균된또는새안전핀으로검사를진행하며안전핀의예리한끝과무딘끝을무작위순서로자극하여올바른반응을보이는지검사하는방법임. 온도인식 ( 온도감각 ) 은따뜻한자극과차가운자극을구별하는지를검사하는것으로차가운물 (4 ) 과뜨거운물 (46-49 ) 을채운유리검사관으로무작위순서로피부에자극을주어올바른반응을보이는지검사하는방법임. 진동인식 ( 진동감각 ) 은음차 (turning fork) 를이용해검사하는것으로양손이똑같이느껴지면점수는정상이고다르게느껴지면이상이있는것으로평가함. 입체감각인식 (Stereognosis) 은시각을가린상태에서고유감각정보와촉각모두를사용하여사물을확인하는검사법으로 3차원적인기하학적모형등을이용해손안에무작위순서로물건을놓고올바른물건의이름을맞추는수와걸리는시간등으로점수를측정함. Moberg 집기검사 (Moberg's Picking-Up Test) 는동전, 열쇠등일상의작은물건들과작은상자를이용하여환자가빨리물건을집어상자안에넣는것을시행하여전체걸리는시간과시각을차단할때와차단하지않았을때양쪽손의점수를비교함. 고유감각 (Proprioception) 은시야를가린채로검사되는신체부위를검사자가다양한자세로움직여서환자가반대측으로동작을따라하게끔하여검사를진행함. 정상 (intact), 손상 (impaired), 감각결여 (absent) 로점수를측정함. 제 3 장국내외평가도구현황ㆍ 35

운동감각 (Kinesthesia) 은검사되는신체부위를잡고다양한각도로움직여환자가움직인 신체부위가어느방향으로움직였는지를말함으로서정상 (intact), 손상 (impaired), 감각결여 (absent) 로점수를측정함. 3. 인지및지각기능평가도구 가. 인지및지각기능평가도구사용실태및동향 성인용인지및지각검사를위해서사용된검사도구는 Mini-Mental Status Examination(80.3%), Motor-Free Visual Perception Test(65.8%), Lo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50%), Line Bisection Test(47.9%), Albert s Test(36.8%), Computer-based cognitive assessment(18.9%) 순으로높은사용빈도를보임. < 표 3-7> 인지및지각검사사용빈도 검사도구명 사용자 ( 명 ) 백분율 (%) Mini-Mental Status Examination(MMSE) 94 80.3 Motor-Free Visual Perception Test 77 65.8 Lo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 58 50.0 Line Bisection Test 56 47.9 Alber's Test 43 36.8 Computer-based cognitive assessment 22 18.9 Clinical Dementia Scale 11 9.4 Minnesota Spatial Relation Test 11 9.4 Allen Cognitive Level Test 9 7.7 K-Dementia Rating Scale 6 5.1 Neurobehavioral Cognitive Status Examination 5 4.3 Global Deterioration Scale 4 3.4 Neuropyschiatric Inventory 3 2.6 Riveread Behavioral Memory Test 3 2.6 Behavioral Inattention Test 2 1.7 기타 5 4.3 출처 : 유은영, 정민예, 박소연, 최은희 (2006). 한국작업치료사의영역별평가도구사용동향.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4(3). 36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나. 기존인지및지각기능평가도구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 는 Folstein과 McHugh(1975) 에의해고안된것으로잠재적으로인지손상이의심되는환자를선별하기위해개발된평가도구임. 치매가의심되는노인이나뇌손상환자를대상으로하며지남력, 기억등록, 기억회상, 주의집중및계산능력, 언어기능, 이해및판단등의항목을평가함. 정상 은 24점이상, 의심됨 은 20~23점, 확정 은 19점이하로점수를매김. Korean-Mini Mental State Examination(K-MMSE) 은인지기능장애의정도를정량적으로평가할수있는도구임. MMSE의원래문항들을가능한그대로유지하여제작한것으로 6가지영역으로구성되어있으며, 각각의영역은시간지남력, 장소지남력, 기억등록, 주의집중및계산, 기억회상, 언어및시공간구성이며총 30점임. 점수가 24점이상이면 정상, 18-23점이면 경도의인지장애, 0-17점이면 분명한인지장애 로분류함 (Folstein 등, 1975). K-MMSE 의공존타당도는.78임( 강연욱등, 1997). Mini Mental State Exam-Korean(MMSE-K) 은 MMSE로부터권용철과박종환 (1989) 이개발한한국판간이정신상태검사임. 평가영역은시간및장소에대한지남력, 기억력, 기억회상, 주의집중및계산력, 이해및판단력, 언어기능으로구성되며, 점수는 30점만점임. 검사자간신뢰도는.99임( 권용철과박종환, 1989). Motor-Free Visual Perception Test(MVPT) 는운동능력검사를포함하지않는검사도구로시지각능력의판별, 진단, 연구를목적으로고안됨. MVPT 는아동과성인모두에서전체시지각적수행능력을평가하는것으로높은신뢰도 (r=.81) 와타당도를보이며, 검사에상대적으로짧은시간이소요되는유용한검사도구임 (Colarusso & Hammill, 1996). MVPT는시각적무시와시각적수행시간을측정할수있음. 구성은시각적변별 (Visual Discrimination), 전경- 후경 (Figure-Ground), 시각적기억 (Visual Memory), 시각적폐쇄 (Visual Closure), 공간관계 (Spatial Relation) 의 5가지항목으로되어있음. 모두 36문항으로문항당 1점으로채점하여총점은최대 36점이고, 점수가높을수록시지각능력이좋은것을의미함. Mental Status Questionnaire(MSQ) 는 Kahn, Goldfarb, Pollack과 Peck (1960) 이개발한 10개문항으로이루어진정신상태검사설문지임. Lawton(1978) 에의하면높은수준의지능정도를판단할수는없지만최소한의인지기능장애를찾아내는데유용하며, 최저 1점에서최고 10점의점수범위를가짐. Kahn 등 (1960) 이 1077명의노인을대상으로하여연구한결과 8개문항이상을맞춘노인이노인성치매가없다고간주하는점수기준을제시함. 제 3 장국내외평가도구현황ㆍ 37

Loe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LOTCA) 는 1974년이스라엘의 Lowenstein 재활병원에서개발된인지기능평가도구로미국등의여러나라에서활발하게사용되고있음. 이스라엘전쟁으로인한뇌손상환자가급증함에따라인지기능의적절한평가와치료의기초선 (baseline) 을정하기위한평가도구가필요도에의해 1974년에 Itzkovich 등에의해개발됨. 지남력, 시 지각, 공간지각, 운동실행, 시각운동조직력, 사고조작력의 6개영역으로구성되어있음. 평가도구의타당도분석은환자군과정상군의차이를비교한결과 1차평가에서평가목적이동일한 (Identification of Object) 항목을제외한모든하위항목에서차이를보였고 (p<.0001), 기준 (Criterion) 타당도는뇌손상집단의시각운동조직력 (visuomotor organization) 의평균점수와 Wechsler 성인지능검사의항목인블록디자인하기 (block design) 의평균점수와의상관관계를분석한결과 r=.68로나타났으며, 각영역당내적타당도도높게나타남. 검사자간신뢰도는 r=.82 ~.97로높은일치율을보임 (Katz, Itzkovich, Averbuch, & Elazar, 1989). Line Bisection Test는 1980년에 Schenkenberg와 Brdford이개발한것으로편측무시를평가하기위한도구임. 이검사는다양한길이의 20개선들이 21.5cm 28cm 규격의 A4용지의중앙, 왼쪽, 오른쪽에각각 6개씩배열되어있음. 검사방법은검사용지를대상자의중앙에위치시키고, 연필을이용하여각선의중앙점을표시하도록함. 점수는각선의실제중앙점과대상자가표시한중앙점사이의거리를 mm로측정하고, 그값들을더하여선의개수로나누어구함. 결과해석은중앙에서벗어난길이가 6.3mm 미만인경우에는정상, 6.3mm 이상인경우에는경한편측무시, 12.5mm이상인경우에는심한편측무시로판정함. 검사자간신뢰도는 r=.82로신뢰할만함 (Zoltan, 1996). Albert Test 는 Fullerton 등이 1986년에개발한것으로선택적집중과편측무시여부를평가하기위한도구임. 21.5cm 28cm규격의 A4용지크기검사지에는 40개의흩어져있는짧은선들이무작위로배열되어있음. 검사방법은종이에그려진선들을대상자가모두찾아표시하는것으로선지우기검사 (cancellation test) 의일종임 (Albert, 1973). 검사-재검사자간신뢰도는 r=.99로나타남 ( 송창순등, 2006). Korean Version of Montreal Cognitive Assessment(MoCA-K) 는몬트리올인지평가문항들을가능한그대로한국어로번안한검사로경도인지장애환자들을선별하고자하는목적으로개발됨. 시공간실행력, 어휘력, 주의력, 문장력, 추상력, 지연회상능력, 지남력과같은인지기능들을평가함. 점수는시행하지못하면 0점을주는 2점척도로구성되어있고, 총 30점만점으로 23점이상이면 정상 으로간주하지만 22점이하일경우 경도인지장애 의선별대상자가됨 ( 정유경, 2010). 38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Neurobehavioral Cognitive Status Examination(NCSE) 은 1987년 Kiernan 등이미국에서개발한인지상태의선별검사로진행방식이빠르고간편함 ( 오제흥등, 1996). 모든인지영역의검사결과에전반적으로영향을미칠수있는 3가지의일반적인요인들 ( 의식수준, 주의집중력, 지남력 ) 과 5가지의주요한인지기능영역들 ( 언어, 구성, 기억, 계산, 논리적사고 ) 을독립적으로측정하도록되어있음. 검사자간신뢰도는 r=.90이상이며, 검사-재검사간신뢰도는 r=.88-1.00의분포를가짐 ( 정원미등, 1999). MMSE-K와 NCSE의민감도비교에서 NCSE가경도인지장애에서높은민감도를보임 ( 김세주와박윤형, 1997). 4. 심리사회적기능평가도구 가. 심리사회적기능평가도구사용실태및동향 1) 우울평가도구의사용실태및동향 우울평가도구는임상가평가척도와자기보고형척도로구분됨 (Sung HM 등, 2008). 국외에서많이쓰이는임상가평가척도로 HDRS(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 와 Montgomery -Ǻsberg Depression Rating Scale(MADRS) 가있으며, HDRS는미국에서흔히쓰이며, MADRS는유럽에서흔히쓰이는척도임 (Carmody TJ 등, 2006). 이두척도는한글판으로도표준화되어임상및연구를위해활용되며국내에서임상가에의한객관적평가척도로서표준화되어사용되는척도이기도함. 자기보고형척도로 BDI, BDI-Ⅱ, CES-D, PHQ-9, GDS, GDS-15, SDS가국내에표준화되어사용되고있음. 이중 BDI는전세계적으로가장많이사용되고있는자기보고형척도임 ( 윤서영등, 2012). 2) 불안평가도구의사용실태및동향 불안을평가하는자기보고형척도로 Beck Anxiety Inventory,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elf-rating Anxiety Scale 등이있음 ( 이중훈, 1996; 윤서영등, 2012). 이중신뢰도와타당도가높고특히국내연구진을통해우리나라에맞게표준화가되어사용되어높은신뢰도가인정된 State-Trait Anxiety Inventory(STAI) 가가장많이사용되고있음 ( 이성근등, 1991). 제 3 장국내외평가도구현황ㆍ 39

나. 기존심리사회적기능평가도구 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HDRS) 은 Hamiton(1960) 우울증의심각도를평가하기위해개발됨. 우울증에있어관찰자평가척도의표준으로여겨지고있으며처음개발당시에는 21문항이었으나, 이중기분의일주연동, 이인증-비현실감, 편집증상, 강박증상의 4항목은우울증그자체의증상이아니거나드물고, 증상의심각도를반영하지않아오히려내적일관성을떨어뜨린다는점에서제외됨. 현재는 Hamiton(1967) 에의해개정된 17항목의수정본이널리사용되고있음. 그밖의다양한수정본이개발되었는데표준화를위한연구들이전세계적으로진행되고있음. 국내에서는 2005년에 Yi 등에의해한글판해밀턴우울증평가척도 (K-HDRS) 가번안되어사용됨. BDI, MADRS, CGI(Clinical Global Impression Scale) 와유의한공존타당도를나타내며, 만족할만한내적일관성과높은검사자간신뢰도가입증됨 (Yi 등, 2005). Montgomery-Ǻsberg Depression Rating Scale(MADRS) 는몽고메리와아스버그는 HDRS가우울증관찰자평가척도의표준으로여겨지며가장널리사용되고있지만, 치료에따른증상변화를민감하게반영하기보다는진단적측면을더반영한다고비판하면서 MADRS를개발함. 그들의연구에서검사자간신뢰도가높고, HDRS 와유의한공존타당도를보이며증상의변화는 HDRS보다더욱민감하게반영하는것으로나타남 (Montgomery SA, Asberg M, 1979). 국내에서는 2005년에 Ahn 등이표준화작업을거쳐한글판 MADRS 를제작하였으며매우높은내적일관성및우수한수준의검사자간신뢰도를보이고, HDRS, CGI와는높은공존타당도를 BDI와는중등도이상의공존타당도를보임.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는뇌졸중환자의우울정도를측정한평가도구이며 1961년 Beck이개발한 Beck Depression Inventory를한홍무등 (1986) 이한국어로표준화한척도로써뇌졸중환자가응답가능하도록수정 보완함. 총문항수는 21개이며각문항마다 0-3점으로구성되어짐. 총점은최대 63점, 최소 0점이며총점에대한해석은 4단계로분류되며 0-9점은 우울하지않은상태, 10-15 점은 가벼운우울상태, 16-23점은 중한우울상태, 24-63점은 심한우울상태 를의미함. 점수가높을수록우울정도가심함을의미함. 본도구의신뢰도는한홍무등 (1986) 의연구에서정상집단에서는 Cronbach's α=.886이었으며, 우울증집단에서는 Cronbach's α=.942로나타남. 40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Self-Rating Depression Scale(SDS) 는 Zung이 1965에개발한것으로심리적인우울과생리적인우울로증상을구분한대표적인우울척도로서 4점척도로구성되어있음. 심리적인우울성향은심리적인과정에부정적인영향을주는것으로서혼동, 정신운동지연, 정신운동흥분, 절망감, 과민성, 우유부단, 자기비하, 공허감, 불만등을야기시키는우울증상을지칭함. 이에비해, 생리적인우울은신체적및생리적인과정에부정적인영향을주는것으로서수면장애, 식욕감소, 성욕감소, 체중감소, 변비, 심계항진및피로등의문항으로구성됨. Grinker, Overall, Friedman 등이우울증상의요인을분석으로처리하여공통성및특징적인요인들을 20개문항으로추출하여개발된것으로총 20개문항으로구성되어있고이들중 10문항은부정적으로응답할때더높은점수를받게되어있고, 점수가높을수록우울정도가심한것을말함. 우울척도의총점은최대 100점, 최소 25점이고총점에대한해석은 4단계로분류됨. 25-49점은 정상범위 이고 50-59점은 경도의우울증, 60-69점은 중등도의우울증, 70점이상은 중증의우울증 로해석됨. BDI와의상관관계는.76으로높게나타남 (Blumenthal MD, 1975). Korean Form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KGDS) 은 Yesavage 등 (1983) 이개발한 30개문항의노인우울검사도구를정인과등 (1997) 이표준화한평가도구임. 실시가용이하고비교적짧은시간안에실시가가능한검사로서, 대상자가 예 / 아니오 로응답하는이분척도로서 30문항으로이루어짐. 각문항당 0점또는 1점으로부여하며, 14점을 cut off로보고, 14-18 점사이는 우울의심및경도의우울증, 19-21점사이는 중도의우울증, 22점이상을 심한우울증 으로나눔. 표준화한당시신뢰도는 Cornbach's α=.88, 반분신뢰도는.79, GDS와의상관은.87이며, 기존의검사인 GDS에비해진단변별력이 10% 가량향상된결과를보였고, 최적절단점수는 14점이제안됨. Short form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SGDS) 은한국어판축약형 GDS로서노인성우울증의선별검사도구로전세계적으로널리사용되고있는 GDS 의한국어판 GDS 와높은상관관계를나타내었으며내적일치도, 공시타당도, 내용타당도, 변별타당도가훌륭하여한국어판 GDS의대용으로사용가능한도구임. 15개문항중 10개문항은긍정적인응답의경우 1점을부여하고나머지 5문항은부정적인응답을한경우 1점을부여함. 5점미만이면 정상, 5-9점이면 우울의심, 10점이상이면 우울증 으로분류함 ( 위송희, 2008; 조맹제등, 1999). 제 3 장국내외평가도구현황ㆍ 41

Beck Anxiety Inventory(BAI) 는뇌졸중환자에서흔히동반되는불안을평가하기위해사용하는평가도구로서 Beck 등 (1988) 에의해서고안된구조화된설문지임. 불안의인지적, 정서적, 신체적영역을포함한 21문항으로구성되어있으며, 특히우울에서불안을구별하여측정하는데도움이되는것으로알려짐. 육성필등 (1996) 에의해한국어로표준화되어사용되어지고있으며이측정도구의총점은최대 63점, 최소 0점이며총점에대한해석은크게 4단계로분류됨. 0-21점은 불안하지않은상태, 22-26점은 불안한상태 ( 일단진찰을요함 ), 27-31점은 심한불안상태, 32점이상은 극심한불안상태 로구분되어짐. 본도구의신뢰도는 Cronbach's α=.91로나타남. State-Trait Anxiety Inventory(STAI) 는 Spielburger(1970) 에의해개발된자기보고형불안척도로서 40개문항으로구성되어있으며시간의경과에따라그강도가변화하는상태불안과비교적변화하지않고개인차를가지는동기나획득된행동성향으로보이는특성불안을측정함. 20개문항은상태문항을 20개문항은특성불안을평가함. STAI의총점은최대 80점에서최소 0점이며점수가높을수록불안이심함을의미함. 총점에대한해석은 50점을기준으로함 ( 윤석준등, 1999). Hahn 등에의한 1993년, 1996년연구에서특성불안검사의신뢰도는각각 Cronbach's α=.89,.90이었고, 상태불안검사의신뢰도는각각 Cronbach's α=.93,.92로나타남. Self-rating Anxiety Scale(SAS) 는 Zung(1971) 에의해개발된것으로가장일반적인불안의증상을모두포함하며불안의정도를양적으로평가할수있음. 크게정동적증상과신체적증상으로구분되며총 20문항의 4점척도로구성됨. 모든문항에대한응답은아니다, 때로그렇다, 자주그렇다, 항상그렇다중택일하도록되어있으며총점은최대 80점에서최소 20점임. SAS는다른불안척도인 Anxiety Status Inventory, Taylor Manifest Anxiety Scale 간에유의성이현저하게나타남 (p<0.01)(zung, 1971). State-Trait Anger, Anger Expression Inventory(STAXI) 는 Spielberger가개발한척도로상태분노를측정하기위한 10문항, 특성분노를측정하기위한 10문항, 분노표현을측정하기위한 28문항으로구성됨. 분노표현은분노억제, 분노표출, 분노통제라는측면으로각각 8항목으로구성됨. 1점 ( 거의아니다 ) 에서 4점 ( 언제나그렇다 ) 까지의 4점척도로되어있고이검사의내적일치도는.78임( 고정인등, 1999). 42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Sports Injury Rehabilitation Beliefs Scale(SIRBS) 는보호동기이론 (Protection Motivation Theory) 에근거해재활환자의심리적상태중재활에대한믿음이환자의상태와재활치료에미치는영향을측정하기위해 Taylor & May(1996) 에의해개발된평가도구임. 보호동기이론의구성요소인민감성 (Susceptibility), 치료효능 (Treatment efficacy), 자기효능 (Self efficacy), 심각성 (Severity) 의총 4개항목으로구성되고총 19문항임. 1점 ( 매우강하게동의하지않음 ) 부터 7점 ( 매우강하게동의함 ) 까지의 7점척도로이루어져있으며점수가높을수록재활믿음이강한것임. 재활치료중재에참여도를높이는데모든문항의항목들이영향을미치는것으로보호동기이론을입증한평가도구로검증됨. 각각의항목에대한내적일치도는민감성 (α=.83), 심각성 (α=.63), 자기효능 (α=.79), 치료효능 (α=.83) 로나타남 (Taylor & Sally May, 1996). 제 3 장국내외평가도구현황ㆍ 43

제 2 절. 기능평가도구개발및연구동향 1. 국내 국내의연구는새로운평가도구를개발하는연구보다기존평가도구를번역또는일부수정 보완하거나, 타당도와신뢰도가떨어지는항목제외, 한국형으로변환하는연구가주를이루고있으며, 주로노인이나뇌졸중, 척수손상환자를대상으로이루어지고있음. 가. Korean version of Physical Activity Scale for the Elderly(K-PASE) Washburn 등 (1993) 이개발한노인신체활동측정도구 (PASE) 를수정 보완하여한국판노인신체활동측정도구로개발함 26). 신체활동의유형 ( 여가시간활동-6문항, 가사활동-3문항, 일과관련된활동-1문항 ) 과활동빈도에따라가중치가부여되며, 총 10문항으로구성되어있음. 평가형식이질의응답설문형태임. K-PASE의개발및검증과정 - 1단계 : 1차번역단계 1차로 PASE를한글로번역하고, 2차로한글판도구를다시영어로역번역하였으며, 3차로 1차번역한설문지와역번역한것을미국의 New England Research Institute에진행상황에대해보고하고원저자로부터번역의타당성을검증받음. - 2단계 : 2차번역단계 노인 10명을대상으로예비조사를실시하여설문지에답하기가용이한지, 설문지에예시내용이적합한지등문항을검토함. 한국노인들이참여하고있는신체활동이어느정도의강도인지를분류하기위해스포츠전문가 2인의자문을받고, 신체활동추가등을실시함. - 3단계 : 3차번역및최종판승인 26) 최명애 (2010). 한국판노인신체활동측정도구 (Korean version of Physical Activity Scale for the Elderly: K-PASE) 의평가.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6(1). 44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나. 뇌졸중외래환자의일상생활수행평가도구 기존평가도구를 Rasch 분석후평가에부적합한항목을제외및수정하여 2007년에뇌졸중외래환자의일상생활수행평가도구로개발함 27). 뇌졸중외래환자의일상생활수행평가도구를개발하기위해여, 문항반응이론에근거한라쉬모형을적용하여분석하였음. 뇌졸중환자의재활수준별능력과평가수준별난이도를적절하게선별하기위해서입원환자와외래환자를구분함. 뇌졸중외래한자를대상으로분석을실시한결과부적합판정을을받은 7개항목을제외한 6개영역의 16개항목이뇌졸중외래환자의일상생활수행의평가항목으로적합하다고판정함 뇌졸중외래환자의일상생활수행평가도구의개발및검증과정 - 1단계 : 평가항목에대한자료수집단계 기존의일상생활수행평가도구와작업치료문헌을이용하여평가항목을수집함. 부적절한항목은해당전문가에게의뢰하여삭제함. - 2단계 : 평가항목의중요도조사단계 1차선택된항목에대하여작업치료사와뇌졸중환자를대상으로일상생활수행항목을 Q 표본분류방법을실시하여중요도순위별 34개의항목을선택함. - 3단계 : 예비항목선택단계 평가항목의채점기준을정하고, 검사자간신뢰도를구하여신뢰도가낮은항목을제외함. 수정된평가항목에대하여다시검사자간신뢰도를구하여 6개영역의 23개항목을예비항목으로선택함. - 4단계 : 자료수집단계 전국 18개기관에서작업치료사가재활치료중인뇌졸중환자에게예비항목으로선택된일상생활수행평가질문지와지침서에따라평가한결과자료를수집함. 27) 이재신 (2007). 라쉬분석을이용한뇌졸중외래환자용일상생활수행평가도구개발.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5(1). 제 3 장국내외평가도구현황ㆍ 45

- 5 단계 : 자료분석단계 각항목과환자가일상생활수행평가도구에적합한지를판정하여, 부적합판정된환자와 항목을제외하고적합한환자의항목으로만재분석함. 항목의난이도를구하여그순서로배열하였으며, 적합도에따른타당도와대상자와 항목에대한분리신뢰도를구함. - 6 단계 : 평가도구완성단계 환자에게적합한평가항목을최종선택하여평가도구를완성함. 각환자의일상생활수행능력을추정하는공식을구함. 다. 한글판수정바델지수 (K-MBI) Shah 등 (1996) 이개발한제 5 판 MBI 를한국실정에맞도록일부문항을수정, 보완하여 한국어로번역하고이에대한통계적인표준화과정을거쳐한국판수정바델지수로개발함 28). 10개평가항목 ( 개인위생, 목욕하기, 식사하기, 용변처리, 계단오르기, 옷입기, 대변조절, 소변조절, 보행, 의자-침대이동 ) 으로구성되어있으며, 각항목의점수는항목별로 5단계로구분되어있으며, 그내용의비중에따라 9가지의가중치가적용됨. 한글판수정바델지수 (K-MBI) 의개발및검증과정 - 1단계 : K-MBI 의개발단계 기존수정바델지수를번역하고, 시대적환경차이와서구와의문화적차이를고려하여일부문항을번안함. - 2단계 : K-MBI 평가를위한영상자료제작단계 통계학적인분석및검증에사용하기위해총 20편의영상자료를제작함. - 3단계 : K-MBI 의신뢰도및타당도분석단계 재활의학과교수가 Brunnstrӧm 척도를이용하여편마비의정도를평가함. 검사자간일치도 (inter-rater reliability) 와검사자내일치도 (intra-rater reliability) 및측정문항들의내적일관성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의신뢰도를평가함. 6명의뇌졸중전문재활의학과교수가번역한후그내용을서로비교분석해내용타당도검사 (content validity) 를함. 각각의 K-MBI 구성요소들이전체 K-MBI, 부분 K-MBI ( 자조기능, 이동기능 ) 를얼마나잘설명하는지구성타당도 (construct validity) 를검사함. 28) 정항영, 박병규 (2007). 한글판수정바델지수 (K-MBI) 의개발 : 뇌졸중환자대상의다기관연구. 대한재활의학회지. 31(3). 46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라. 한글판 Pediatric Evaluation of Disability Inventory(PEDI) 아동의기능상태및수행을평가하기위해 1992년미국에서개발된 Pediatric Evaluation of Disability Inventory (PEDI) 를한글로번역하고, 한국과미국의문화가차이를고려해한글 PEDI로표준화함 29). 한글 PEDI를국내아동들에게평가하여동일연령대의미국아동들과비교하여동일연령대의한국과미국아동들의기능수준에대한문화간차이를확인하였고, 한글 PEDI의한국문화적용에대한적합성을검증하였음. 신변처리, 이동, 사회적기능인 3개영역에서아동의기능수준을측정하는기능적기술부분의 197개문항과이들영역에대한보호자의도움정도및과제의조정 / 변경을측정하는 20개, 총 217개문항으로구성됨. Pediatric Evaluation of Disability Inventory(PEDI) 의번역및검증과정 - 1단계 : PEDI의한글번역과정단계 문화간차이점으로인한음식의종류나, 생활습관, 단위나수량표기등을한국문화에맞게용어들을수정하여번역함. - 2단계 : 한글 PEDI의번역정확도검증단계 기능적기술부분의 197개문항과보호자의도움및조정 / 변경부분의 20개문항을포함해서총 217개의문항으로구성하여실시함. - 3단계 : 한글 PEDI의일반아동적응단계 2~5 세연령의일반아동 28명을대상으로한글 PEDI 실시하였으며, 미국아동과비교하기위해원본 PEDI의연령군과동일하게 6개월단위로구분하였음. - 4단계 : 한글 PEDI의한국문화적용을위한문항적합성검증단계 문항적합성검증을위해아동재활관련분야의전문가들에게신변처리, 이동, 사회적기능의각영역별로 7개의동일한질문내용으로된총 21개문항에대해설문을실시하였음. 마. 뇌졸중환자용기본일상생활평가도구 뇌졸중환자의일상생활평가항목의중요도를분석하고우리나라의문화적가치를반영하여중요도가높은항목으로구성한한국실정에맞는뇌졸중일상생활평가도구를개발함 30). 29) 정병록 (2009). Pediatric Evaluation of Disability Inventory (PEDI) 평가도구의국내적용을위한번역및문화간비교연구 : 예비연구.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7(3). 제 3 장국내외평가도구현황ㆍ 47

현재한국병원내환경에서는실시하기어려운항목들이나뇌졸중환자의일상생활평가항목으로부적절하다고지적된항목등을제외하여임상에서사용하기에간편한평가도구를제작함. 총 10개항목 ( 자동차로옮겨앉기, 양치질하기, 신발 양말신고벗기, 적절한식사도구사용하기, 용변을보기위해옷벗고다시입기, 목욕자세유지, 실내보행, 방바닥 침대에서의기능적이동성, 신체각부위에대해비누질한후씻고수건으로닦기, 용변후뒤처리하기 ) 으로구성되었으며, 각평가항목에대해다중회귀계수비를구하여가중치를부여함. 뇌졸중환자용기본일상생활평가도구개발및검증과정 - 1단계 : 평가항목수집및평가항목의선택단계 메드라인 (Medline) 과논문에서언급된평가도구들의원문을수집함. 해당분야의 3년이상근무한전문가 5명에게평가항목으로부적절한항목을선택하게하여 80% 이상이부적절한것으로판단하는항목은평가목록에서삭제함. 80% 미만인항목에대하여델파이조사를실시함. - 2단계 : 평가항목의중요도조사단계 총 34개일상생활평가항목을 Q표본분류방법을시행함. 각평가항목의중요도순위를결정하기위해조사를통해얻어진각평가항목의 Q점수에대한평균값을구하고순위를정함. - 3단계 : 기본일상생활평가항목구성과검사자간신뢰도조사단계 작업치료사 2명이뇌졸중환자 10명을대상으로기본일상생활평가도구를사용하여검사자간신뢰도를구하고, 검사자간신뢰도가낮은항목은삭제하여수정된일상생활평가도구의검사자간신뢰도를다시구함. - 4단계 : 평가항목의최종선택과각평가항목에대한가중치부여단계 다중회귀분석을실시하여총점에대한설명력이매우높은 10개평가항목을최종적으로선택함. 총점에대한각평가항목의상대적중요도를회귀계수비로써가중치를부여함. - 5단계 : 최종선택된평가항목간내적일치도검사단계 최종선택된평가항목에대하여문항간일관성을검증하기위하여문항내적일치도검사를실시함. 30) 박경영 (2004). 뇌졸중환자용기본일상생활평가도구개발 (2),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2(1). 48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바. 한국형일상생활활동측정도구 (K-ADL), 한국형도구적일상생활활동 측정도구 (K-IADL) 기존평가도구에서반영되지못했던문화적차이를고려하여노인의기능을평가할수있는한국형 ADL과 IADL 측정도구를개발함 31). K-ADL 항목은목욕, 옷입기, 화장실사용, 이동, 대소변조절, 식사하기, 세수하기의 8개항목, K- IADL 항목에는몸단장, 집안일, 식사준비, 빨래, 교통수단이용, 금전관리, 전화사용, 물건사기 ( 쇼핑 ), 근거리외출, 약챙겨먹기의 10개항목으로구성됨. 각각의지문에대한혼동이있을수있는부분에대해서는각주로지침을첨부함으로써각각의상황에대한판단을할수있도록하였으며, 각각의문항에대해질문할문장을기록하여질문의표준화를가능하게하였음. K-ADL과 K-IADL의개발및검증과정 - 불편한신체적활동수집 기능장애가있는노인을대상으로남의도움을받아야하는신체적활동의종류와구체적인내용을면접을통해조사함. - 1차설문지 ( 안 ) 개발 선정된문항의각각에대해불편한활동수집에서얻은내용을참고로여러차례의전문가회의를통해각각의항목에대해정의를내리고응답항목을설정하였으며응답시주의할점을각주로달아 1차로설문지 ( 안 ) 를개발함. - 사전조사및최종설문지개발 1차설문지안을이용해 118명의기능장애노인을대상으로사전조사를실시함. 사전조사에서는장애노인에게설문조사를수행함에있어서수정해야할부분을조사하였으며그결과를토대로전문가회의를통해설문지를수정함. 1차로수정된설문지를갖고 1차사전조사를수행한동일기관에서기능장애노인 99명을대상으로 2차사전조사를실시함. 2차사전조사결과를분석하여다시수정해야할부분을전문가회의를통해수정하고국문학자의검증을받은후에최종설문지를개발함. 31) 원장원 (2002). 한국형일상생활활동측정도구 (K-ADL) 와한국형도구적일상생활활동측정도구 (K-IADL) 의개발. WebHealth Research. 5:1226-8461. 제 3 장국내외평가도구현황ㆍ 49

2. 국외 국외의연구는국제기능분류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ICF) 를기반으로하여일상생활활동및기능등을평가하는평가도구와특정질환에대한기능및수행능력을평가하는평가도구에대한연구가주를이루고있으며, 평가도구의형식은주로설문형태로이루어지고있음. 가. Global Disability Scale(Glo.Di.S) 체계적인문헌고찰을기초로하여 WHO의 ICF 개념과호환되는자기보고 (self-report) 의기능및장애평가도구를개발함 32). 징후또는주관적인감정으로작용하는것들이기능을평가하는데섞이지않고, 장애와손상에대한평가를넓은범위에걸쳐구성하여정신장애를비롯한여러가지질병에서사용할수있는평가도구를개발함. Global Disability Scale(Glo.Di.S) 의개발및검증과정 - 문헌검토 체계적문헌고찰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을통해장애 (disability) 를평가하는평가도구를확인함. - 평가항목선택 세부항목으로일상의기능 (Everyday functioning), 사회와대인관계기능 (Social and interpersonal functioning), 심각성 (Severity), 정신장애 (Mental disability) 4개를포함하여장애의다양한측면을평가하는총 25개항목을개발함. - 점수척도 점수방법은세연구자의합의를통해도출하였으며, 각항목에대한응답은 4점척도로구성함. - 데이터수집 데이터의수집은인터넷을기반의전자플랫폼 (electronic platform) 을사용하여훈련된심리학자를통해실시함. - 신뢰도분석 WHODAS-II와비교및검사-재검사, 검사자간일치도를통해신뢰도분석을실시함. 32) Fountoulakis et al(2012). Development of the Global Disability Scale (Glo.Di.S):preliminary results. Annals of General Psychiatry. 11:14. 50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나. ICF-CY based assessment tool 자폐증아동을기능을평가하기위해국제기능장애분류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ICF) 와건강 (Health)-아동(Children) 및청소년 (Youth) 을기반으로한 (ICF-CY) 설문지를개발함 33). 아동과관련된다른전공분야에서도쉽게사용할수있도록 ICF에서제시된국제범용어를사용하고, ICF를토대로기능과장애를분류하여제작함. ICF-CY based assessment tool의개발및검증과정 - 문헌검토및수정 ICF / ICF-CY 와자폐증에대한문헌을검토하고, 전문가의유효성을테스트한후문서를수정함. - 설문조사의설계및개발 자폐아동을위한 ICF CY 기반설문지는 신체기능 (body functions), 활동 (activities), 참여 (participation), 환경 (environment) 으로 4개영역으로구성됨. 설문조사의첫번째초안으로 148 항목을구성함. - 평가항목의선택 20년이상해당분야의경험이있는전문가 3명을통해너무어렵거나너무쉬워서적합하지않는선정하여, 30개항목을삭제하고콘텐츠의일부를수정함. 신체기능 (body functions) 영역의 28개항목, 활동 (activities) 영역의 41개항목, 참여 (participation) 영역의 36개항목, 환경 (environment) 영역의 13개항목으로, 총 118개항목으로구성됨. - 점수척도구성 아동이독립적으로수행할수있는작업의비율을정량화하기위해활동영역의예선자의스케일을수정함. 점수척도는 0~4점까지 5단계로구성됨. - 평가항목구성과검사자간신뢰도조사단계 검사자간일치도 (inter-rater reliability) 와검사자내일치도 (intra-rater reliability) 의신뢰도를평가함. 33) Shu-Mei Gan et al(2012). ICF-CY based assessment tool for children with autism. Journal of the Disability & Rehabilitation. 제 3 장국내외평가도구현황ㆍ 51

다. Inflammatory bowel disease Disability Index 염증성장질환에의해영향을받는가장관련성이높은 ICF 카테고리를선택하여염증성장질환에대한장애지수를처음으로개발함 34). 총 28개의질문으로구성됨. 첫번째질문은환자의일반적인건강에대한내용으로, 다음 17개질문은 ICF 카테고리에의해설정된 IBD가구성요소로신체기능, 신체구조와활동과참여와일치하는지에대한내용으로, 마지막 10개질문은환경요인에대한내용으로구성됨. Inflammatory bowel disease disability index의개발및검증과정 - 체계적문헌고찰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체계적문헌검토는 MEDLINE, EMBASE 등을통한데이터베이스검색, 연구에포함되는결과매개변수의추출, 개념의연계 의 3단계로실시함. - 질적연구 (qualitative study) 표적집단방법 (focus group) 을사용하여질적연구는환자의관점에서기능의관련측면뿐만아니라환경요인을확인하기위해실시함. 총 27명의참가자가 6개표적집단에포함됨. 질적연구결과의미있는개념은기존의연결규칙에따라 ICF 카테고리에연결됨. - 전문가설문조사 (expert survey) 전문가설문조사는 IBD 환자의관리에관련된보건전문가의관점에서기능의관련측면뿐만아니라환경요인을수집하기위해실시함. 인터넷을통해해당분야의다양한직업과 37개국가의총 125명의세계적인전문가가조사에참여함. 해당분야의경험이적어도 5년이상인전문가에게개방형질문을사용하여 IBD 환자와관련된콘텐츠요소를식별하게함. 모든답변은기존연결규칙에따라 ICF 카테고리에연결됨. - 횡단면적연구 (cross-sectional study) 기능 (functioning) 을설명하고임상관점에서 IBD 환자의환경요인을식별하기위해실시함. 170개카테고리의 ICF 체크리스트가데이터수집에사용됨. 34) Laurent Peyrin-Biroulet et al(2012). Development of the first disability index for inflammatory bowel disease based on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Journal of the British Society of Gastroenterology. 61(2):241-247. 52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라. Vestibular Activities and Participation(VAP) 전정기관의질환을가진사람들의활동 (activities) 과참여 (Participation) 를국제기능장애건강분류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에따라평가하기위해개발함 35). 자기보고 (self-report) 형식으로, 32개항목으로설문이구성됨. Vestibular Activities and Participation(VAP) 의개발및검증과정 - 활동과참여에대한항목생성 전정기관의장애를가진사람들에게활동과참여항목을 ICF와연결하여가장맞는현재사용되는평가도구 8개를선정하도록함. 전정기관질환의재활전문가 2명이 ICF 책에서활동과참여범주의전체적인틀을검토하고전정기관장애를입었을때영향을받을수있는다른평가도구에포함되지않은항목을선택함. - 델파이조사 전정기관장애에대한전문가 23명이델파이조사에참여함. - 설문지항목선정 전문가패널을통해참여와활동의 55개항목을선정함. 4점구두응답척도로구성함. - 설문조사 어지러움이나균형에문제가있는 58명에게실시함. - 결과측정 World Health Organization Disability Assessment Schedule II (WHODAS II) 의 12 항목의자기보고양식이 ICF에따라활동및참여구성요소로검사의측정기준으로사용됨. Dizziness Handicap Inventory(DHI) 의 3개영역 25 항목이집중타당도를평가하기위해사용됨. - 신뢰도및타당도분석 총점수및항목수준에서검사-재검사신뢰도분석을실시함. WHODAS II와 VAP의동시타당도분석을실시함. DHI와집중타당도분석을실시함. 참가자의특성과 VAP 전체점수간의판별타당도분석을실시함. 35) AA Alghwiri et al(2012).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Vestibular Activities and Participation Measur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93(10):1822-1831. 제 3 장국내외평가도구현황ㆍ 53

마. Kerlan-Jobe Orthopaedic Clinic(KJOC) score questionnaire 어깨손상또는어깨통증의치료및수술오버헤드선수 (overhead athletes) 의어깨와팔꿈치의기능상태를측정하기위해환자관리설문지를개발함 36). 환자보고 (patient-reported) 방식의 10개항목의설문형태로구성됨. new patient-reported instrument의개발및검증과정 - 1차 Pilot 설문지개발 Tibone이제안한운동선수의어깨에대한평가시스템이설문지의새항목을개발하는데사용됨. 잠재적항목은오버헤드선수의보호와직접관련된의사, 운동트레이너와물리치료사로부터수집함. 중복된항목을결합또는삭제하여초기 13개항목으로설문지질문이구성됨. 설문지형식은 visual analog scales(vas) 와유사한형식으로설정됨. 기능과운동성능에대한 5개항목과통증, 불안정성 (instability) 과같은상지와관련된증상및대인관계와관련된수행능력에대한 8개항목으로구성됨. - 초기설문항목검사 야구와소프트볼종목의오버헤드선수 21명을대상으로 13개항목의설문조사를실시함. 점수산정과어깨와팔꿈치의신뢰도분석을위해 Disabilities of the Arm, Shoulder and Hand(DASH) 가사용됨. - 설문지검증 최종적으로 10개항목으로구성된 Kerlan-Jobe Orthopaedic Clinic(KJOC) 의설문지를 282명전문오버헤드선수에게설문을실시함. 인구통계학적데이터를수집하여대상자의그룹을나누어요인분석 (factor analysis) 을실시함. 부상당한선수의추가그룹에서개입전후의점수를비교하는응답테스트 (Responsiveness testing) 를실시함. - 신뢰도및타당도분석 검사-재검사신뢰도분석을실시함. 인구기준과그인구내그룹의비교설명에대한타당도분석을실시함. 문항내적신뢰도분석을실시함. 36) Alberta FG et al(2010).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Functional Assessment Tool for the Upper Extremity in the Overhead Athlete. The American Journal of Sports Medicine. 38(5):903-911. 54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바. Performance Measure for Activities of Daily Living-8(PMADL-8) ICF의개념적모형을기반으로울혈심부전증 (congestive heart failure, CHF) 환자의기능적인한계 (Functional limitations) 를측정하기위해개발함 37). 일상생활활동과 ICF에명시된개인일상생활활동수행을포함하여총 8개항목으로구성됨. Performance Measure for Activities of Daily Living-8 (PMADL-8) 의개발및검증과정 - 평가항목수집및선택 전문가패널을통해기존의재활프로그램에서사용하고있는일상생활활동평가도구를기반으로 40개설문항목으로구성함. ICF 활동구성요소내에서이동성 (mobility), 자기관리 (self-care), 국내생활 (domestic life) 등의활동을포함하고, 인지 (cognitive), 사회 (social), 커뮤니케이션 (communication) 항목은제외함. 기본적일상생활활동 13개와도구적일상생활활동 27개로설문을구성함. - 사전테스트 76명의 CHF 환자를대상으로 40개항목에대해사전테스트를실시하였으며이와관련해심장재활분야를연구하는전문가 3명에게피드백받음. 4개카테고리의응답척도를이용하여환자의응답을구하고, 현재 PMADL 항목에관해일상적인신체활동에어려움을느끼는정도를평가함. - 평가항목선정 순위가가장높은 20개항목을초기 PMADL의초안으로선정한다음 ' 횡단보도빨리건너기 ' 와같은익숙하지않은활동은항목제외하고, 마지막으로전문가패널들이기본적인 ADL과 ICF 매뉴얼에명시된개인의일상생활활동수행을포함하는항목을선택하여최종적으로 8개항목으로구성함. - 신뢰도및타당도분석 내적일관성및검사-재검사신뢰도분석을실시함. PMADL-8 점수와특정질병측정의상관관계를기반으로구성타당도, 변별타당도, 집중타당도분성을실시함. 항목의난이도와개인의능력수준에따라구별되는능력을결정하기위해 Rasch 분석을실시함. 37) Yuko Shimizu et al(2010). Development of the Performance Measure for Activities of Daily Living-8 for Patients with Congestive Heart Failure: A Preliminary Study. Journal of the Gerontology. 56:459 466. 제 3 장국내외평가도구현황ㆍ 55

사. Functional Assessment Measure(FAM) FAM의항목은 FIM에서상대적으로덜강조하는인지 (cognitive), 행동 (behavioral), 의사소통 (communication) 및지역사회기능측정 (community functioning measures) 등의주요기능영역을해결하기위한 FIM의부속물로개발됨 38). 12개항목으로구성된 FAM은 FIM의 18개항목에추가되어, 총 30개항목의조합은 FIM + FAM 이라고이름지어짐. 아. Wheelchair Users Functional Assessment(WUFA) 수동휠체어 (manual wheelchair users, MWCU) 를사용하는사람들의기능상태의변화를 측정하고휠체어사용자의독립수준의차이를구별하기위해개발됨 39). 현재측정도구의평가기준체계를제공하는 FIM의항목을선택해적용함. 작업을완료하는시간과도움이필요한정도및보조장치사용여부에따라 Likert 척도로점수를매기며 13개항목 (Tight space, Uneven terrain, Door management, Street crossing, Ramp, Curb, Bed transfer, Toilet transfer, Floor transfer, Bathing,,Upper and lower dressing, Reaching function, Picking up objects/sweeping) 으로구성됨. Wheelchair Users Functional Assessment(WUFA) 의개발및검증과정 - 전문가패널 가정및지역사회에서독립적인생활을위해중요하다고생각하는 6개목록의 18개항목을합의하에개발함. - 설문조사실시 수동휠체어를사용하는 30명에게가정및지역사회에서독립적인생활을위해필요한기술에대한의견을설문조사로실시함. 38) McPherson, KM et al(1996). An inter-rater reliability study of the Functional Assessment Measure (FIM+FAM). Journal of the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18:341-347. 39) Rhonda K. et al(2003). Development of a functional assessment measure for manual wheelchair users.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40(4):301 308. 56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 항목선정및구성 MWCU의의견을바탕으로, 원래 18 항목네가지가제거되었고두항목이수정되어 15개항목으로구성함. - 사전테스트 신뢰도가입증된 13개항목에대해 101명에게사전테스트를실시함. - 신뢰도및타당도분석 평가자내의신뢰도 (intra- rater reliability), 평가자간의신뢰도 (inter rater reliability) 분석을실시함. 제 3 장국내외평가도구현황ㆍ 57

제 4 장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제 1 절. 기능평가도구 Alpha version 가. 기능평가도구적용방향 평가대상 - 재활치료를목적으로하는환자로만 13세이상청소년및성인 평가목적 - 대상자의기능적수행 (Functional Performance) 과기능적능력 (Functional Capacity) 을총체적으로파악하여, 환자군분류, 치료계획수립, 치료결과및효과평가, 퇴원계획수립, 연구등에활용 평가영역 - 기능적수행 (Functional Performance) : 일상생활활동의독립성 - 기능적능력 (Functional Capacity) : 운동기능, 감각기능, 인지지각기능, 심리사회기능 [ 그림 4-1] 기능평가도구평가영역 58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나. 기능평가도구구성 기능평가도구는크게기능적수행 (Functional performance) 과기능적능력 (Functional capacity) 으로구성됨. 기능적수행은일상생활활동의독립성을평가하며기본적일상생활활동 (Basic activities of daily living, BADL) 에해당하는 12개항목으로구성됨. - 몸단장 (Grooming), 목욕하기 (Bathing), 식사하기 (Eating), 상의입고벗기 (Dressing upper body), 하의입고벗기 (Dressing lower body), 배뇨관리 (Bladder management), 배변관리 (Bowel management), 용변처리 (Toileting), 침상이동 (Bed mobility), 이동 (Transfer), 보행 (Ambulation/ walk), 휠체어 (Wheelchair), 계단오르내리기 (Stairs) 항목을평가함. 기능적능력은운동기능, 감각기능, 인지지각기능, 심리사회적기능총 4개의영역으로구성됨. - 운동기능은 ROM, Muscle Strength, Spasticity, Coordination, Standing Balance 총 5개항목을평가함. ROM은상지의 Shoulder, Elbow, wrist, Finger와하지의 Hip, Knee, Ankle, 체간의 Cervical, Lumbar 에해당하는각관절의동작마다의가동범위를측정하고그기능적수준을평가함. Strength는상지의 Shoulder, Elbow, wrist와하지의 Hip, Knee, Ankle에해당하는부위에도수근력검사를실시하고그기능적수준을평가함. Spasticity는상지와하지의근긴장도의기능적수준을평가함. Coordination은상지와하지의협응력을검사하는것으로 Tremor, Dysmetria, Speed에해당하는기능적수준을평가함. Standing Balance는균형및유연성과기본적인운동성을측정하여그기능적수준을평가함. - 감각기능은 Superficial sense와 Proprioception 총 2개항목을평가함. Superficial sense는상지의 Arm, Hand와하지의 Thigh, Foot의각부위에 Tactile sense, Temperature sense, Sense of Pain의기능적수준을평가함. Proprioception은상지의 Shoulder, Elbow, Wrist, Thumb와하지의 Hip, Knee, Ankle, Toe의각부위에해당하는고유수용성감각의기능적수준을평가함. - 인지지각기능은 Orientation, Memory, Executive function, Problem solving, Language, Visuo-spatial function 총 6개항목을평가함. Orientation은시간, 장소, 사람에해당하는지남력을평가함. Memory는 Procedure, Prospective, Visual, Verbal에해당하는기억력을평가함. 제 4 장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ㆍ 59

Executive Function은과제의시작, 진행, 종료에해당하는실행능력을평가함. Problem Solving 은문제인식, 해결방안고안, 결과평가에해당하는문제해결능력을평가함. Language는 Expression, Comprehension에해당하는언어능력을평가함. Visuo-Spatial Function은 Visual Perception, Spatial Perception, Visuomotor perception에해당하는시공간능력을평가함. - 심리사회적기능은 Depression, Anxiety, Beliefs of Rehabilitation 총 3개항목을평가함. Depression은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로평가함. Anxiety는 Beck Anxiety Inventory(BAI) 로평가함. Beliefs of Rehabilitation의 Perceived Susceptibility는환자가지각하는재활치료에대한민감도를평가함. Perceived Treatment Efficacy는환자가지각하는재활치료효능을평가함. Self-Efficacy는환자의자기효능감을평가함. Perceived Rehabilitation Value는환자가지각하는재활치료의중요성을평가함. Perceived Severity는환자가지각하는장애의심각도를평가함. 다. 기능평가도구점수체계 기능적수행에해당하는일상생활수행능력은 6점척도로, 완전독립 (6점), 부분독립 (5점), 최소의존 (4점), 중간의존 (3점), 최대의존 (2점), 완전의존 (1점) 으로측정하며, 총점은 12점에서 72점임. 기능적능력에해당하는운동기능은 ROM 4점, Muscle strength, Spasticity, Coordination 3점, Standing balance 5점척도로측정하며, 감각기능의 Superficial Sense(Tactile, Temperature, Pain) 와 Proprioception은 3점척도로측정함. 인지지각기능은항목별평가수행의유무 (Y/N) 에따라 2점척도로측정하며, 심리사회적기능을측정하는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와 Beck Anxiety Inventory(BAI) 는 4점척도로 Beliefs of Rehabilitation는 5점척도로측정함. 질환에따라영역에대한가중치에차이를두어계산함. 60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 표 4-1> 기능평가도구최종모델 Functional Performance Functional Capacity ADL 독립성운동기능감각기능인지지각기능심리사회적기능 Item Grade* Item Part Grade Item Part Grade Item Sub Item Grade Item Sub Item Grade 1. Grooming 2. Bathing 3. Eating 4. Dressing upper body 5. Dressing lower body ROM Strength U/E L/E Spine U/E Shoulder Elbow Wrist Finger Hip Knee Ankle Cervical Lumbar Shoulder Elbow 4 6 Super -ficial sense 6. Bladder management Hand 7. Bowel management 8. Toileting 9. Bed mobility 10. Transfer 11-1. Ambulation (walk) 11-2. Wheelchair Coordin ation Spasticity Tremor Dysmetria Speed L/E Wrist Hip Knee Ankle Arm Time U/E Hand Orientation Place Tactile Thigh 3 Person L/E Foot Procedure U/E Arm Memory Prospective Tempe Hand Visual rature 3 Thigh Verbal L/E Foot Test1 Executive Arm function U/E Test2 Pain L/E Thigh Foot Shoulder 3 Problem solving Test1 test2 U/E Elbow Expression 6 U/E Language Wrist L/E Comprehension U/E Thumb 3 L/E Proprioception 3 Visual U/E Hip 3 L/E Knee U/E Visual spatial Spatial 3 L/E function L/E Ankle Visuomoter 12. Stairs Standing Balance 5 Toe 1. A b l e 0. U n a b l e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Beck Anxiety Inventory (BAI) Beliefs of Rehabilitati on Depression 4 Anxiety 4 Perceived Susceptibility 5 Treatment Efficacy 5 Self-Efficacy 5 Rehabilitation Value 5 Perceived Severity 5 Total (Performance) : 12-72 점 sub-total ( 운동 ): 71-315 점 sub-total ( 감각 ): 20-60 점 sub-total ( 인지지각 ): 0-25 점 sub-total ( 심리사회 ):12-186 점 Total (Capacity): 103-586 점 *Grade : 6-Complete Independent, 5-Modified Independent, 4-Mild dependent, 3-Moderate dependence, 2-Maximal dependent, 1-Complete Dependent 61

제 2 절. 기능적수행 (Functional Performance) 1. 일상생활활동 (Activities of daily living) 가. 개발과정 1) 일상생활활동평가도구조사및분석 기존 48 개일상생활활동평가도구의대상질환, 개발목적, 개발방법, 항목구성, 소요시간, 점수산출방법등에대해검토함. 각평가도구의평가지및매뉴얼을통해세부항목과점수척도를분석함. < 표 4-2> 일상생활활동평가도구목록 구분기본적일상생활활동 (BADL) 수단적일상생활활동 (IADL) 1.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FIM) 평가도구명 2. Functional Independent Measure For Children(WeeFIM) 3. Modified Barthel Index(MBI) 4. Spinal Cord Independence Measure(SCIM) 5. Arrnadottir OT-ADL Neurobehavioral Evaluation(A-ONE) 6. Klein-Bell Activities of Daily Living Scale 7. Katz Index of ADL 8. Seoul-Activities of Daily Living Test(S-ADL) 9. Derogatix Sexual Function Inventory(DSFI) 10. Wheelchair Skills Test(WST) 11. Wheelchair Users Functional Assessment(WUFA) 12. Kenny Self-Care Evaluation 13. Quadriplegia Index of Function(QIF) 14. Korean Activities of Daily Living(K-ADL) 15. Barthel ADL index 16. Wakari ADL 17. Kitchen Task Assessment(KTA) 18. Seoul-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Test(S-IADL) 19. Communica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20. Assessment of living Skills and Resources(ALSAR) 21. Rabideau Kitchen Evaluation-Revised(RKE-R) 62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구분기본적일상생활활동 (BADL) + 수단적일상생활활동 (IADL) 평가도구명 22. Satisfaction With Performance Scale Questionnaire(SPSQ) 23. Multidimensional Functional assessment 24. Lawto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25. Rivermead ADL Assessment 26. Hamrin Activity Index 27. Frenchay Activity Index 28. Assessment of Motor and Process Skills (AMPS) 29. Kohlman Evaluation of Living Skill(KELS) 30. Milwakee Evaluation of Daily Living Skill(MEDLS) 31. Performance Assessment of Self-Care Skill(PASS) 32. Routine Task Inventory-2(RIT-2) 33. Outcome and Assessment Information Set(OASIS) 34. BristolactivityofdailylivingScale 35. 신체기능정도 checklist 36. 전국방문보건협의회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999) 37. PULSES Profile 38. Korea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K-IADL) 39.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COPM) 40. Edamans ADL 41. Sunnaas ADL 42. Arm Motor Ability Test(AMAT) 43. Functional Life Scale(FLS) 44. Chula ADL 45. Functional Autonomy Measurement System(SMAF) 46. Stoke Impact Scale(SIS) 47. London Chest Activity of Daily Living scale(lc-adl) 48. Nottingham Extended ADL Scale 2) 일상생활활동평가도구의연령및대상질환분석 48개일상생활활동평가도구의연령과대상질환의범위를분석함 - 일상생활활동평가도구들의대상질환을분석한결과, Stroke(27개 ) 을대상으로한평가도구가가장많았으며, Dementia(20개 ), traumatic brain injury nontraumatic brain injury(18개 ) 순으로높았음. 제 4 장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ㆍ 63

[ 그림 4-2] 일상생활활동평가도구의대상질환수 3) 일상생활활동평가도구의진단명별각영역의세부항목분석 일상생활동작을기준으로척수손상과뇌졸중, 척수손상, 뇌졸중을대상으로개발된 평가도구의세부항목을분석함. 4) 일상생활활동평가도구의각영역과 ICF 항목비교분석 평가도구의각영역을 ICF(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al Disability and Health) 의 3 단계세부항목과매핑하여분석함. - 평가도구의항목들이 ICF 의해당항목을전반적으로포함하고있는것으로나타남. 5) 일상생활활동평가항목선정 전문가설문조사와자문회의를통해해당전문가의의견을반영하여, 병원내환경에서 실시하기어려운항목이나부적절하다고판단되는항목은평가항목에서삭제하고일부항목을수정하여평가항목을선정함. 64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초기에기본적일상생활활동 (BADL) 12항목과수단적일상생활활동 (IADL) 중혼자일상생활하는데필수적인항목인전화사용 (Telephone use), 약복용 (Taking medicine), 식사준비 (Meal preparation) 3항목을포함하여총 15개의일상생활활동평가항목을개발하였으나, 수단적일상생활활동의선별기준이모호하고, 기본적일상생활활동과함께평가하는데무리가있어제외하고, 12항목을최종항목으로선정함. 6) 일상생활활동의점수척도구성 채점방법및척도는관련전문가와연구자의합의에의해도출하였으며, 각항목에대한 점수척도는 1~6 점까지 6 점척도로구성함. 7) 사전테스트 재활의학과전문의가뇌졸중, 척수손상환자 3 명을대상으로사전테스트를실시함. 사전테스트후일부항목의점수척도기준을수정함. 나. 개발 1) 항목구성및내용 일상생활활동은일상생활수행능력의독립성을평가하며, 기본적일상생활활동 (Basic activities of daily living, BADL) 에해당하는 12 개항목으로구성됨. < 표 4-3> 일상생활활동 (ADL) 항목 구분 일상생활활동 (ADL) 항목 1. 몸단장 (Grooming) 2. 목욕하기 (Bathing) 3. 식사하기 (Eating) 4. 상의입고벗기 (Dressing upper body) 5. 하의입고벗기 (Dressing lower body) 6. 배뇨관리 (Bladder management) 제 4 장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ㆍ 65

구분 항목 7. 배변관리 (Bowel management) 8. 용변처리 (Toileting) 9. 침상이동 (Bed mobility) 10. 이동 (Transfer) 11-1. 보행 (Ambulation/walk) 11-2. 휠체어 (Wheelchair) 12. 계단오르내리기 (Stairs) 2) 항목의정의 몸단장 (Grooming) - 구강관리, 손과얼굴씻기, 머리빗질하기, 면도하기, 화장하기의몸단장을수행하는과정으로다음의활동을포함함. 미리준비된평가환경에서특정활동에필요한도구적절하게선택하기 구강관리하기 : 치약을칫솔위에짜고, 칫솔을입으로가져가서칫솔로치아를닦은다음물로입안을헹구고뱉기. 틀니를사용할경우틀니를제거하고, 치약을칫솔위에짜서칫솔로틀니를닦은다음물로헹구고다시입에착용하기 손과얼굴씻기 : 세면대의물을틀어서손과얼굴에물을묻히고, 비누나세안제를이용해거품을내서해당부위에비누칠을하고, 비누거품이완전히제거될때까지적절하게헹구고, 수건으로닦고, 세면대의물잠그기 머리빗질하기 : 머리정수리, 머리뒤, 머리옆으로빗을가져가서빗질하기 면도하기 : 수동면도기경우얼굴에거품을내고얼굴에가져가서털이제거될때까지적절하게면도기를하용하고얼굴헹구고닦기 66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 전자면도기경우면도기를작동시켜얼굴에가져가서털이제거될때까지적절하게면도기를사용하고얼굴에남아있는털을닦아내고면도기작동멈추기 화장하기 : 스킨, 로션뚜껑을열어서용액을덜은다음순서나용도에맞게적절하게얼굴전체에바르고뚜껑닫기 목욕하기 (Bathing) - 얼굴과등을제외한신체부위 ( 가슴, 배, 엉덩이, 팔, 다리 ) 를비누질하고헹구고말리는과정으로다음을평가함. 수도꼭지나샤워기를틀고물의온도를적절하게조절하기 스펀지나샤워타월을이용해거품을내서비누칠하기 비누거품이완전히제거될때까지헹구기 수건이나드라이기를사용하여몸을닦고말리기 식사하기 (Eating) - 보편적인방식으로차려진준비된음식물을먹는과정으로다음을평가함 미리준비된평가환경에서식사에필요한도구를적절하게선택하기 준비된음식을도구를사용하여음식물을먹기좋게다양한형태로변형하기 : 용기개봉하기, 음식자르기, 음식곱게다지기, 음료의경우용기에따르기 숟가락이나포크, 젓가락같은식사도구를이용해서그릇에서음식을떠서입으로가져가기 음식을씹고삼키기 상의입고벗기 (Dressing upper body) - 환자가상의를입고벗는과정으로다음의활동을평가함. 준비된옷에머리집어넣고빼기 준비된옷에양팔을집어넣고빼기 단추혹은지퍼를올바르게채우거나채워진단추혹은지퍼를올바르게열기 옷을입기위해개인도구, 보조기의수족착용하고분리하기 제 4 장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ㆍ 67

하의입고벗기 (Dressing lower body) - 환자가하의를입고벗는과정으로다음의활동을평가함. 준비된옷에다리를집어넣고빼기 바지를허리부분까지올리고내리기 지퍼혹은단추, 버클을올바르게채우거나올바르게채워진단추혹은지퍼, 버클열기 옷을입기위해개인도구, 보조기의수족착용하고분리하기 신발에발을끼워넣고, 발에맞게신발의위치를올바르게위치시켜서신고벗기 신발끈을묶거나지퍼를채우고풀기 배뇨관리 (Bladder management) - 의도적으로방광을조절하는과정으로다음을평가함. 방광괄약근을의도적으로조절하여화장실변기또는남성용소변기에서배뇨하기 필요할방광조절을위해내부및외부기구나약물사용하기 배뇨시청결상태유지하기 배뇨를하지않는시간에는방광괄약근을조절하여청결상태를유지하기 방광조절실패나실뇨가있을경우그것을대비또는처리하기 배뇨자세유지하기 흡수력있는패드나기저귀를사용할경우그것을사용하고교체하고처리하기 배변관리 (Bowel management) - 의도적으로장을조절하는과정으로다음을평가함. 항문괄약근을의도적으로조절하여화장실변기에서배변하기 필요할경우항문조절을위해내부및외부기구나약물을사용하기 배변시청결상태유지하기. 배변을하지않는시간에는항문괄약근을조절하여청결상태를유지하기 배변조절실패나실변이있을경우그것을대비또는처리하기 배변자세유지하기 흡수력있는패드나기저귀를사용할경우그것을사용하고교체하고처리하기 68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용변처리 (Toileting) - 화장실변기를이용하여용변을보고처리를하는과정으로다음을평가함. 미리준비된평가환경에서평가활동에필요한도구선택하기 용변을보기위해변기뚜껑을열고변기에적절하게앉고일어서기 옷을더럽혀지지않게내리고입기 용변후에변기물을내리고처리하기 화장실용품을적절하게선택하고사용하여회음부를청결하게하기 여성위생제품을올바르게사용하여청결유지하기 침상이동 (Bed mobility) - 침상에서한자세에다른자세로바꾸거나신체의위치를움직이는과정으로다음을평가함. 바로누운자세에서옆으로돌아눕기 옆으로누운자세에서바로눕기 옆으로누운자세에서엎드리기 바로누운자세에서앉은자세로몸을일으키기 앉은자세에서바로눕기 바로누운자세에서침대가장자리에걸터앉기 침대가장자리에걸터앉은상태에서바로눕기 이동 (Transfer) - 바닥, 침대, 의자, 휠체어사이의이동이나욕조나샤워실에서의이동하는과정으로다음을평가함. 바닥에서의자혹은휠체어로이동하기 침대에서의자혹은휠체어로이동하기 욕조나샤워실로이동하기 욕조안으로들어가고나오기 보행 (Ambulation/walk) - 50m 이상걷기를수행하는과정으로다음을평가함. 걷기위해균형을유지한채선자세를유지하지 평지에서 50m 이상걷기 방향을전환을위해돌기 (Turn) 턱이나장애물을통과하기 커브, 경사로걷기 제 4 장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ㆍ 69

휠체어 (Wheelchair) - 50m 이상휠체어를작동하는과정으로다음을평가함. 균형을유지한채휠체어에서앉은자세유지하기 휠체어브레이크풀고잠그기 휠체어전진, 후진하기 방향전환을위해돌기 (Turn) 턱, 장애물을통과하기 경사로를오르내리기 커브, 경사로에서휠체어보행하기 계단오르내리기 (Stairs) - 한층의계단 (12~14개) 을오르내리는과정으로다음을평가함. 계단을오르내리기위해균형을유지한채선자세를유지하기 계단올라가기 계단내려오기위해돌기 (Turn) 계단내려오기 3) 평가방법 환자가수행하는것을직접관찰함으로서기능을평가함. 평가전각평가항목에대한정의및채점기준을정확히파악하고검사를시행함. 환자가실제로하고있는것을측정함. 70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4) 척도 (1) 단계별독립성수준과척도 기능평가도구는독립적인수행정도에따라완전독립 (6 점 ), 부분독립 (5 점 ), 최소의존 (4 점 ), 중간의존 (3 점 ), 최대의존 (2 점 ), 완전의존 (1 점 ) 6 단계로구분됨. < 표 4-4> 단계별독립성수준과척도 독립성보조자수행도척도설명 100% 6 ( 완전독립 ) 활동의모든과정을독립적으로안전하게그리고적당한시간내에수행한다. 활동의모든과정을 assistive device/ adaptive 독립 필요없음 100% 5 ( 부분독립 ) device) 를사용하여독립적으로수행한다. 활동수행시안전에주의해야하며, 시간이오래걸린다. * assistive device/adaptive device 는의지, 보조기, 항목별로정의내린보조장비가포함된다. 75% 이상 - 4 활동수행에있어서감독이나조언이필요하다. 100% 미만 ( 최소의존 ) 활동수행능력은 75% 이상에서 100% 미만이다. 50% 이상- 75% 미만 3 ( 중간의존 ) 활동수행능력은 50% 이상에서 75% 미만이다. 의존 필요 25% 이상- 50% 미만 2 ( 최대의존 ) 활동수행능력은 25% 이상에서 50% 미만이다. 25% 미만 1 ( 완전의존 ) 활동의모든과정을수행할수없다. 활동수행능력은 25% 미만이다. 제 4 장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ㆍ 71

(2) 항목별척도기준 기능평가도구의항목별척도기준은단계별독립성수준에근거하여각각항목에해당하는동작및난이도에대한기준을항목별로제시함. 몸단장 (Grooming) < 표 4-5> 몸단장 (Grooming) 척도 척도 6 몸단장을완전히독립적으로수행한다. 설명 몸단장수행시안전하게적당한시간내에수행한다. 5 몸단장을 assistive device/adaptive device를사용하여독립적으로수행한다. 몸단장수행시안전에주의해야하며, 시간이오래걸린다. < 예시 > 몸단장수행시 wash mitt, adapted toothbrush, utensil solt 또는 adapted comb 등과같은필요한 assistive device/adaptive device을사용하여독립적으로수행할수있다. 4 환자의몸단장수행능력은 75% 이상에서 100% 미만이다. 보조자의감독이나조언이필요하다. < 예시 > 구강관리하기시칫솔로치아안쪽닦기에도움이필요하다. 손과얼굴씻기시거품이완전히제거될때까지적절하게헹구기에도움이필요하다 머리빗질하기시머리뒤빗질하기에도움이필요하다. 면도하기시위턱의털을제거하기에도움이필요하다. 화장하기시화장품뚜껑열어주고닦거나덜기등의도움이필요하다. 3 몸단장수행능력은 50% 이상에서 75% 미만이다. < 예시 > 구강관리하기시칫솔로치아닦기, 칫솔로틀니닦기에도움이필요하다. 손과얼굴씻기시비누칠하기에도움이필요하다. 머리빗질하기시머리에옆빗질하기에도움이필요하다. 면도하기시아래턱의털을제거하기에도움이필요하다. 화장하기시화장품을얼굴에바르기에도움이필요하다. 72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척도 2 설명몸단장수행능력은 25% 이상에서 50% 미만이다. < 예시 > 전반적으로몸단장하기과정에서최대의도움이필요하다. 1 활동의모든과정을수행할수없다. 몸단장수행능력은 25% 미만이다. 목욕하기 (Bathing) < 표 4-6> 목욕하기 (Bathing) 척도 척도 6 5 4 3 2 1 설명목욕하기를완전히독립적으로수행한다. 목욕하기수행시안전하게적당한시간내에수행한다. 목욕하기를 assistive device/adaptive device를사용하여독립적으로수행한다. 목욕하기수행시안전에주의해야하며, 시간이오래걸린다. < 예시 > 목욕하기수행시 wash mitt, 긴손잡이가달린스펀지또는가로대등과같은필요한 assistive device/adaptive device 을사용하여독립적으로수행할수있다. 환자의목욕하기수행능력은 75% 이상에서 100% 미만이다. 보조자의감독이나조언등의도움이필요하다. < 예시 > 수도꼭지나샤워기를틀고물의온도를적절하게조절하기에도움이필요하다. 목욕하기수행능력은 50% 이상에서 75% 미만이다. < 예시 > 스펀지나샤워타월을이용해거품을내서비누칠하기에도움이필요하다. 목욕하기수행능력은 25% 이상에서 50% 미만이다. < 예시 > 전반적으로목욕하기과정에서최대의도움이필요하다. 활동의모든과정을수행할수없다. 목욕하기수행능력은 25% 미만이다. 제 4 장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ㆍ 73

식사하기 (Eating) < 표 4-7> 식사하기 (Eating) 척도 척도 6 5 4 3 2 설명식사하기를완전히독립적으로수행한다. 식사하기수행시안전하게적당한시간내에수행한다. 식사하기를 assistive device/adaptive device를사용하여독립적으로수행한다. 식사하기수행시안전에주의해야하며, 시간이오래걸린다. < 예시 > 포크숟가락, 빨대, 용수철부착젓가락또는 universal cuff 등과같은필요한 assistive device/adaptive device 을사용하여독립적으로수행할수있다. 구강식도관 (Oroesophageal tube) or 위루형성술 (Gastrotomy) 을사용하여스스로영양공급이가능하다. 식사하기수행능력은 75% 이상에서 100% 미만이다. 보조자의감독이나조언등의도움이필요하다. < 예시 > 경증의연하곤란 ( 삼킴장애 ) 이있는경우, 부드러운음식이나죽과같은밥을먹어야한다. 간단한식사도구 ( 숟가락등 ) 는스스로다룰수있으나젓가락과같은다루기어려운식사도구를사용시도움 ( 김치자르기, 생선바르기등 ) 이필요하다. 식사하기수행능력은 50% 이상에서 75% 미만이다. < 예시 > 숟가락을사용하여음식을입으로가져가기, 우유팩이나병뚜껑열기와같은간단한동작수행시도움이필요하다. 중등도의연하곤란을가져주로죽을먹고, 소량의국물음식만을허용하며, Thick-it 파우더를이용해음식의농도조절이필요하다. 식사하기수행능력은 25% 이상에서 50% 미만이다. < 예시 > 보호자가음식을떠서입에넣어줘야하는것과같은도움이필요하다. 음료따르기등의수행시에도어려움이있어도움이필요하다. 중증의연하곤란을가져서모든음식은갈아서걸쭉하고부드러운상태로준비하고국물음식은제한해야한다. 1 활동의모든과정을수행할수없다. 74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척도 설명 식사하기수행능력은 25% 미만이다. < 예시 > 비위강튜브 (Nasogastric tube) or 위루형성술 (gastrotomy) 을통해영양공급을받으나모든과정을스스로전혀수행할수없다. 입으로충분한식사 ( 먹고, 마시기 ) 를할수없고, 위루형성술 (gastrotomy) 이나비위강튜브 (nasogastric tube) 를통해영양소를공급받으며스스로관리를할수없다. 튜브영양때주입, 연결, 세척, 주입속도조절등에모두보호자의도움이필요하다. 상의입고벗기 (Dressing upper body) < 표 4-8> 상의입고벗기 (Dressing upper body) 척도 척도 6 5 4 3 설명상의입고벗기를완전히독립적으로수행한다. 상의입고벗기수행시안전하게적당한시간내에수행한다. 상의입고벗기를 assistive device/adaptive device를사용하여독립적으로수행한다. 상의입고벗기수행시안전에주의해야하며, 시간이오래걸린다. < 예시 > button hook, dressing stick, reacher 또는지퍼손잡이등과같은필요한 assistive device/adaptive device 을사용하여독립적으로수행할수있다. 환자의상의입고벗기수행능력은 75% 이상에서 100% 미만이다. 보조자의감독이나조언등의도움이필요하다. < 예시 > 단추풀고끼우기에도움이필요하다. 지퍼열고닦기에도움이필요하다. 끈풀고묶기에도움이필요하다. 상의입고벗기수행능력은 50% 이상에서 75% 미만이다. < 예시 > 티셔츠를머리에집어넣을수는있으나팔을끼우기위해서는보조자의도움이필요하다. 한쪽팔만소매에집어넣을수있고다른팔은집어넣지못한다. 옷에서팔을뺄수있지만머리를빼기위해서는보조자의도움이필요하다. 한쪽팔만소매에서뺄수있고다른팔은빼기어렵다. 2 상의입고벗기수행능력은 25% 이상에서 50% 미만이다. 제 4 장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ㆍ 75

척도 설명 < 예시 > 도움을받는동안자세변경및자세유지와같은수행의일부분만가능하다. 머리를옷에집어넣고, 양팔모두소매에집어넣기위해도움이필요하다. 옷을벗을때머리와양팔을모두빼기위해도움이필요하다. 1 활동의모든과정을수행할수없다. 상의입고벗기수행능력은 25% 미만이다. 하의입고벗기 (Dressing lower body) < 표 4-9> 하의입고벗기 (Dressing lower body) 척도 척도 6 5 4 설명하의입고벗기를완전히독립적으로수행한다. 하의입고벗기수행시안전하게적당한시간내에수행한다. 하의입고벗기를 assistive device/adaptive device를사용하여독립적으로수행한다. 하의입고벗기수행시안전에주의해야하며, 시간이오래걸린다. < 예시 > button hook, dressing stick, reacher 또는지퍼손잡이등과같은필요한 assistive device/adaptive device을사용하여독립적으로수행할수있다. 환자의하의입고벗기수행능력은 75% 이상에서 100% 미만이다. 보조자의감독이나조언등의도움이필요하다. < 예시 > 단추풀고끼우기에도움이필요하다. 지퍼열고닦기에도움이필요하다. 신발끈풀고묶기에도움이필요하다. 3 하의입고벗기수행능력은 50% 이상에서 75% 미만이다. < 예시 > 바지에다리를집어넣고바지를올릴수있지만나머지부분은보조자의도움이필요하다. 한쪽다리만집어넣을수있고다른다리는집어넣지못한다. 한쪽다리만빼기가능하고다른다리를빼는데어려움이있다. 2 하의입고벗기수행능력은 25% 이상에서 50% 미만이다. 76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척도 설명 < 예시 > 도움을받는동안자세변경및자세유지와같은수행의일부분만가능하다. 바지에다리를집어넣을때양다리모두도움이필요하다. 바지를벗을때양쪽다리모두도움이필요하다. 1 활동의모든과정을수행할수없다. 하의입고벗기수행능력은 25% 미만이다. 배뇨관리 (Bladder management) < 표 4-10> 배뇨관리 (Bladder management) 척도 척도 6 5 4 설명배뇨관리하기를완전히독립적으로수행한다. 배뇨관리하기수행시안전하게적당한시간내에수행한다. 배뇨관리하기를 assistive device/adaptive device를사용하여독립적으로수행한다. 배뇨관리하기수행시안전에주의해야하며, 시간이오래걸린다. < 예시 > 흡수력있는패드나기저귀를사용할경우도움없이교체하여사용할수있다. 도뇨관을사용할경우준비와삽입, 청소의모든면을독립적으로관리한다. 배뇨조절을위해약을사용할경우모든면에서스스로관리할수있다. 요로문합술을받은경우, 도움없이상태를유지할수있고, 청결한상태를유지한다. 배뇨관리실패 ( 실뇨, 옷등에묻는일등 ) 는없다. 침대변기 (bedpan), 이동식변기 (commode) 혹은남성용소변기 (urinal) 등과같은필요한도움장치를사용하고그것을비우고제자리로가져다놓는다. 환자의배뇨관리하기수행능력은 75% 이상에서 100% 미만이다. 보조자의감독이나조언등의도움이필요하다. 배뇨관리실패횟수가지난 3일동안 1회이하이다. < 예시 > 배뇨조절을위해약을사용할경우감독이나조언이필요하다. 도뇨관을사용할경우삽입은할수있으나준비와청소에도움이필요하다. 침대변기 (bedpan), 이동식변기 (commode) 혹은남성용소변기 (urinal) 등과같은도움장치를 제 4 장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ㆍ 77

척도 설명 사용할수있으나그것을청결하게비우고제자리에가져다놓는데도움이필요하다. 요로문합술을받은경우청결한상태를유지하기에도움이필요하다. 실뇨가있으나스스로처리를할수있다. 3 2 1 배뇨관리하기수행능력은 50% 이상에서 75% 미만이다. 배뇨관리실패횟수가지난 3일동안 2-4회이다. < 예시 > 도뇨관을사용할경우삽입에도움이필요하다. 요로문합술을받은경우, 배뇨백을유지하고관리하는데도움이필요하다. 배뇨자세를취하고자세를유지하는데도움이필요하다. 배뇨관리하기수행능력은 25% 이상에서 50% 미만이다. 배뇨관리실패횟수가지난 3일동안 5-7회이다. < 예시 > 전반적으로배뇨조절과정에있어서도움이필요하다. 활동의모든과정을수행할수없다. 배뇨관리하기수행능력은 25% 미만이다. 배뇨관리실패횟수가지난 3일동안 8회이상이다. < 예시 > 지속적도뇨를위해흡수용패드나유치카테터 (indwelling) 를사용하는데있어서보조자에의해모든과정에도움을받는다. 외부도뇨, 배뇨백, 야간백등의사용이전적으로보조자에의해이루어진다. 배변관리 (Bowel management) < 표 4-11> 배변관리 (Bowel management) 척도 척도 6 5 설명배변관리하기를완전히독립적으로수행한다. 배변관리하기수행시안전하게적당한시간내에수행한다. 배변관리하기를 assistive device/adaptive device를사용하여독립적으로수행한다. 배변관리하기수행시안전에주의해야하며, 시간이오래걸린다. < 예시 > 흡수력있는패드나기저귀를사용할경우도움없이교체하여사용할수있다. 78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척도 설명 배뇨조절을위해약 ( 대변연하제, 좌약등 ) 을사용할경우모든면에서스스로관리할수있다. 인공항문형성술 (colostomy) 을받은경우, 도움없이상태를유지할수있고, 청결한상태를유지한다. 침대변기 (bedpan), 이동식변기 (commode) 혹은남성용소변기 (urinal) 등과같은필요한도움장치를사용하고그것을비우고제자리로가져다놓는다. 배변관리실패 ( 실변, 옷등에묻는일등 ) 는없다. 4 3 2 1 배변관리하기수행능력은 75% 이상에서 100% 미만이다. 보조자의감독이나조언등의도움이필요하다. 배변관리실패횟수가지난 3일동안 1회이하이다. < 예시 > 배변조절을위해좌약, 관장제또는외부장비 (external device) 를사용할경우감독이나조언이필요하다. 침대변기 (bedpan) 또는이동식변기 (commode) 등과같은도움장치를사용할수있으나그것을청결하게비우고제자리에가져다놓는데도움이필요하다. 인공항문형성술을받은경우청결한상태를유지하기에도움이필요하다. 실변이있으나스스로와처리를할수있다. 배변관리하기수행능력은 50% 이상에서 75% 미만이다. 배변관리실패횟수가지난 3일동안 2-4회이다. < 예시 > 좌약, 관장제또는외부장비 (external device) 를사용할경우삽입에도움이필요하다. 인공항문형성술을받은경우, 배변주머니를유지하고관리하는데도움이필요하다. 배변자세를취하고자세를유지하는데도움이필요하다배변관리하기수행능력은 25% 이상에서 50% 미만이다. 배변관리실패횟수가지난 3일동안 5-7회이다. < 예시 > 전반적으로배변조절과정에있어서도움이필요하다. 활동의모든과정을수행할수없다. 배변관리하기수행능력은 25% 미만이다배변관리실패횟수가지난 3일동안 8회이상이다. 제 4 장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ㆍ 79

용변처리 (Toileting) < 표 4-12> 용변처리 (Toileting) 척도 척도 6 5 4 3 2 설명용변처리를완전히독립적으로수행한다. 용변처리수행시안전하게적당한시간내에수행한다. 용변처리를 assistive device/adaptive device를사용하여독립적으로수행한다. 용변처리수행시안전에주의해야하며, 시간이오래걸린다. < 예시 > 가로대또는옷집게등과같은필요한 assistive device/adaptive device 를사용하여독립적으로수행한다. 비대변기를사용하여회음부위생관리를독립적으로수행할수있다. 용변처리수행능력은 75% 이상에서 100% 미만이다. 보조자의감독이나조언등의도움이필요하다. < 예시 > 여성위생제품사용시제품착용과정에도움이필요하다. 침대변기 (bedpan) 또는이동식변기 (commode) 등과같은도움장치를사용할수있으나그것을청결하게비우고제자리에가져다놓는데도움이필요하다. 화장실변기나다른변기이용시변기뚜껑열고닫기, 화장지미리준비해두기와같은준비과정의도움이필요하다. 용변처리수행능력은 50% 이상에서 75% 미만이다. < 예시 > 회음부위생관리, 옷입고벗기등의용변처리수행시균형유지나올바른동작수행을위해도움이필요하다. 여성위생제품사용시제품개봉과정에도움이필요하다. 용변처리수행능력은 25% 이상에서 50% 미만이다. < 예시 > 전반적으로용변처리과정에있어서도움이필요하다. 1 활동의모든과정을수행할수없다. 용변처리수행능력은 25% 미만이다. < 예시 > 환자가평가시간동안항문과방광모두에서배설조절력이없어평가가불가능하다. 80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침상이동 (Bed mobility) < 표 4-13> 침상이동 (Bed mobility) 척도 척도 6 5 4 3 2 1 설명침상이동을완전히독립적으로수행한다. 침상이동수행시안전하게적당한시간내에수행한다. 침상이동을 assistive device/adaptive device를사용하여독립적으로수행한다. 침상이동수행시안전에주의해야하며, 시간이오래걸린다. < 예시 > 침대난간또는변환용시트등과같은 assistive/adaptive device 를사용하여독립적으로수행할수있다. 침상이동수행능력은 75% 이상에서 100% 미만이다. 보조자의감독이나조언등의도움이필요하다. < 예시 > 침상에서의움직임수행을위해감독이나조언이필요하다. bed rail 을움직이거나침대브레이크를잠그는등과같은도움이필요하다. 침상이동수행능력은 50% 이상에서 75% 미만이다. < 예시 > 침상에서의움직임수행을위해팔지지 (arm support) 와같은도움이필요하다. 침상이동수행능력은 25% 이상에서 50% 미만이다. < 예시 > 침상에서의움직임수행을위해체간지지 (trunk support) 와같은도움이필요하다. 보조자한명의지속적인신체적지지와수행전반에걸쳐도움이필요하다. 활동의모든과정을수행할수없다. 침상이동수행능력은 25% 미만이다. < 예시 > 보조자두명에의해모든과정에도움을받는다. 제 4 장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ㆍ 81

이동 (Transfer) < 표 4-14> 이동 (Transfer) 척도 척도 6 5 4 3 2 1 설명이동을완전히독립적으로수행한다. 이동수행시안전하게적당한시간내에수행한다. 이동을 assistive device/adaptive device를사용하여독립적으로수행한다. 이동수행시안전에주의해야하며, 시간이오래걸린다. < 예시 > 슬라이딩보드, 리프트또는가로대등과같은필요한 assistive device/adaptive device를사용하여독립적으로수행한다. 이동수행능력은 75% 이상에서 100% 미만이다. 보조자의감독이나조언등의도움이필요하다. < 예시 > 이동수행을위해팔지지 (arm support) 와같은도움이필요하다. 이동수행을위해몸을돌리는동작 (turn) 에서단지잡아주는정도의도움이필요하다. 침대안으로밖으로하나의사지를들어올리는데도움이필요로한다. 이동수행능력은 50% 이상에서 75% 미만이다. < 예시 > 이동수행을위해체간지지 (trunk support) 와같은도움이필요하다. 이동수행을위해축이동 (pivot transfer) 에서부분적도움이필요하다. 침대안으로밖으로두개의사지를들어올리는데도움이필요로한다. 앉은자세에서서기자세로전환하는동안의들어올리는 (lift) 도움이필요하다. 이동수행능력은 25% 이상에서 50% 미만이다. < 예시 > 이동수행시체중지지 (weight bearing) 가어려워모든과정에걸쳐보조자한명에의한지속적인신체적지지나들어올리는 (lift) 도움이필요하다. 이동수행을위해보조자한명에의해축이동 (pivot transfer) 의전반에걸쳐도움이필요하다. 활동의모든과정을수행할수없다. 이동수행능력은 25% 미만이다. < 예시 > 보조자두명에의해모든과정에도움을받는다. 82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보행 (Ambulation/walk) 휠체어 (Wheelchair) - 보행 < 표 4-15> 보행 (Ambulation/walk) 척도 척도 6 5 설명보행을완전히독립적으로수행한다. 보행수행시안전하게적당한시간내에수행한다. 보행을 assistive device/adaptive device를사용하여독립적으로수행한다. 보행수행시안전에주의해야하며, 시간이오래걸린다. < 예시 > 워커 or 목발 or 지팡이등과같은필요한 assistive device/adaptive device 를사용하여독립적으로수행한다. 4 보행수행능력은 75% 이상에서 100% 미만이다. 보조자의감독이나조언등의도움이필요하다. < 예시 > 보행수행을위해보조자가잡아주는정도의도움이필요하다. 보행보조도구를잡고조작하는데약간의도움이필요하다. 좁은공간, 문턱, 거친바닥을지나거나방향전환을할때균형유지를위해도움이필요하다. 3 2 1 보행수행능력은 50% 이상에서 75% 미만이다. < 예시 > gait belt 를착용한상태에서보조자가 gait belt 를잡아주면보행이가능하다. 보조도구를사용하여 50m 미만을걸을수있다. 보행수행능력은 25% 이상에서 50% 미만이다. < 예시 > 보행의모든과정에보조자한명에의한지속적인신체적지지와더불어전반에걸쳐도움이필요하다. rail parallel bar에걸려있는 walking harness 를입고보행할수있다. 활동의모든과정을수행할수없다. 보행수행능력은 25% 미만이다. < 예시 > 보조자두명에의해모든과정에도움을받는다. 제 4 장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ㆍ 83

- 휠체어 < 표 4-16> 휠체어 (Wheelchair) 척도 척도 6 5 4 3 2 1 설명휠체어보행을완전히독립적으로수행한다. 휠체어보행수행시안전하게적당한시간내에수행한다. 휠체어보행을 assistive device/adaptive device를사용하여독립적으로수행한다. 휠체어보행수행시안전에주의해야하며, 시간이오래걸린다. < 예시 > Grade-aid, Brake lever extension 또는 Forward stabilizer 등과같은필요한 assistive device/adaptive device 를사용하여독립적으로수행한다. 휠체어보행수행능력은 75% 이상에서 100% 미만이다. 보조자의감독이나조언등의도움이필요하다. < 예시 > 좁은공간, 문턱, 거친바닥, 경사로에서휠체어보행을할때도움이필요하다. 50m 미만에서는휠체어보행이스스로가능하다. 휠체어보행수행능력은 50% 이상에서 75% 미만이다. < 예시 > 경사가없고바닥이평평한곳에서방향전환을할때도움이필요하다. 휠체어브레이크풀고잠그기에도움이필요하다. 휠체어보행수행능력은 25% 이상에서 50% 미만이다. < 예시 > 15m 미만에서는휠체어보행이스스로가능하다. 활동의모든과정을수행할수없다. 휠체어보행수행능력은 25% 미만이다. 84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계단오르내리기 (Stairs) < 표 4-17> 계단오르내리기 (Stairs) 척도 척도 6 5 4 3 2 1 설명계단오르내리기를완전히독립적으로수행한다. 계단오르내리기수행시안전하게적당한시간내에수행한다. 계단오르내리기를 assistive device/adaptive device를사용하여독립적으로수행한다. 계단오르내리기시안전에주의해야하며, 시간이오래걸린다. < 예시 > 계단난간, 목발또는지팡이등과같은필요한 assistive device/adaptive device를사용하여독립적으로수행한다. 계단오르내리기능력은 75% 이상에서 100% 미만이다. 보조자의감독이나조언등의도움이필요하다. < 예시 > 계단오르내리기를위해보조자의팔지지 (arm support) 가필요하다 계단오르내리기를위해방향전환 (turn) 시보조자의잡아주는정도의약간의도움이필요하다. 계단오르내리기능력은 50% 이상에서 75% 미만이다. < 예시 > 계단오르내리기를위해보조자의체간지지 (trunk support) 가필요하다. 계단오르내리기를위해균형유지를위해보조자의도움이필요하다. 계단오르내리기능력은 25% 이상에서 50% 미만이다. < 예시 > 계단오르내리기수행시전반에걸쳐보조자한명의지속적인신체적지지와최대의도움에도 4~6개이상오르내리지못한다. 활동의모든과정을수행할수없다. 계단오르내리기능력은 25% 미만이다. < 예시 > 두명이상의보조자에의해모든과정에도움을받는다. 기계리프트를전적으로도우미에의해조작해사용한다. 제 4 장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ㆍ 85

5) 채점 일상생활활동은 6점척도로최대점수로 6점, 최저점수로 1점을줌. 총점의범위는 12점에서 72점임. 능력 (capacity) 보다는실제적인수행 (actual performance) 을평가함. 모든항목에대해환자의기능수준을가장잘묘사하고있는점수를기록함. 환경과시간에따라기능상의차이가있다면가장낮은점수를기록함. 환자가그동작을수행하지못하거나손상의위험이있으면 1점을줌. 모든항목을빈칸으로남겨두지않도록함. 걷기 / 휠체어의경우가장일상적인양식을체크함. 86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제 3 절. 기능적능력 (Functional Capacity) 1. 운동기능 가. 개발과정 1) 운동기능평가도구조사및분석 PUBMED에서 ADL과 motor 를 keyword로하여 753개의 1차문헌검색후, ADL motor function assessment를 keyword로하여 142개의 2차문헌검색을토대로 81개의문헌검토후상관관계, 전 후비교, 결과측정, 세부항목등을제시하고있는 8개의문헌을분석함. 일상생활활동 (ADL) 과관련된운동에대한문헌고찰을통해운동과관련된하위요소를분석함. 문헌고찰및운동기능평가도구의항목분석을통해 Walk, Transfer, Standing Balance, Sitting Balance, Coordination, Reach, Grip & Manipulation 등이운동기능측정에필요한관련항목으로분석됨. 일상생활활동 (ADL) 의각항목을수행하는데필요한동작을세분화하고, 해당동작수행에필요한운동기능을분석함. 2) 운동기능평가항목선정 문헌검토및전문가자문회의를통해 ADL의각항목별로동작을수행하는데필요한운동기능의정도를 reach, grip, sitting, standing 등의요소로측정하고자하는 1안과일반적으로 ADL을수행하는데필요한운동기능 ROM, strength, ataxia, spasticity등의요소로측정하고자하는 2안을구성함. 임상전문가의자문과전문가- 연구진간의논의를통해 2안을토대로 ADL의각항목별로동작을수행하는데필요한운동기능항목을 ROM, Strength, Muscle tone, Coordination, Hand function로결정함. 제 4 장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ㆍ 87

Muscle tone 의항목이름은 Spasticity 로변경하였고, Hand function 은제외되었으며, Standing balance 가 ADL 수행하는데있어기본적인동작이된다는의견을반영하여, ROM, Muscle Strength, Spasticity, Coordination, Standing Balance 총 5 개항목을최종항목으로선정함. 3) 운동기능의점수척도구성 채점방법은관련전문가와연구자의합의에의해도출하였으며, 관절가동범위 (ROM) 는 1~4점까지 4점척도, 근력 (Muscle strength) 과근긴장도 (Spasticity) 는 1~6점까지 6점척도, 협응력 (Coordination) 은 1~3점까지 3점척도, 기립균형 (Standing balance) 은 1~5점까지 5점척도로구성함. 나. 개발 1) 항목구성및내용 운동기능의항목은관절가동범위 (ROM), 근력 (Muscle strength), 근긴장도 (Spasticity), 협응력 (Coordination), 기립균형 (Standing balance) 로 5 개평가항목으로구성되어있음. 2) 항목의정의 관절가동범위 (Range of Motion, ROM) 는한관절축의기준에서움직이는방향으로최대한움직일수있는범위를말하는것으로굴곡 (flexion), 신전 (extension), 회전 (rotation), 외전 (abduction), 내전 (adduction), 외번 (eversion), 내번 (inversion) 등의각을알아봄으로써그범위를측정함. 근력 (Muscle strength) 이란체력수준을평가하는중요한요소중의하나로신체의분절을중력및타저항에대항해서움직일수있는능력 ( 힘 ) 을뜻함. 인간의대부분모든신체활동이근력의발현에의해가능함. 정상근긴장도 (Spasticity) 는정상적으로근육이신장에대해저항할수있는반면경직 (Spasticity) 은수동운동 (passive movement) 에증가된저항을보이고, 과긴장 (hypertonic) 되며, 반사가항진 (hyperreflexive) 되는상태로, 경직의정의는심부건반사의항진을보이는근육의정상적인긴장 (tone) 이증가된상태또는과긴장 (hypertonicity) 의상태를말함. 88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협응력 (Coordination) 이란움직임을수행하기위하여신경, 근육, 관절, 또는분절등과같은다양한신체부분이효과적이고공동적으로작용하는상호조정능력을말하며, 일상에서흔히사용되는자조능력기술이나운동기술에기초가됨. 균형은기저면 (base of support) 내에서무게중심을유지하고신체의운동을조절하는것으로크게정적균형 (static balance) 과동적균형 (dynamic balance) 으로나뉨. 그중정적균형은고정된지지면에흔들림없이서있을수있는능력으로대표적으로기립균형 (Standing balance) 이이에해당하며기립균형 (Standing balance) 은다양한과제를수행하는일상생활에서중요한운동조절요소중하나임. 3) 평가방법 관절가동범위 (ROM : Range of Motion) - 각관절의동작 (motion) 마다관절축관절가동범위 (ROM) 를재고그제한의정도를알아보는것으로, 해부학적자세에기초하여각부위별로 0 를시작으로해서관절가동범위를관절각도계 (Goniometer) 로측정함. 근력 (Muscle strength) - 각관절의선별된동작 (motion) 마다근력의정도와범위를측정하여, 그제한의정도를알아보는것으로, 도수근력검사 (Manual Muscle Test, MMT) 를실시하여측정함. 근긴장도 (Spasticity) - 상지 (upper extremity) 와하지 (lower extremity) 를수동적으로움직일때발생하는근육의긴장도 (tone) 를평가하는것으로, 관절을수동적으로움직였을때측정자가느끼는저항의정도를평가하는주관적인측정방법인 Modified Ashworth scale(mas) 를이용해측정함. 협응력 (Coordination) - 신체운동시정확하고조절된움직임을만들어내는능력을평가하는것으로, 반복된동작수행시진전 (Tremor), 운동거리측정장애 (Dysmetria), 속도 (Speed) 를측정함. - 상지 (upper extremity) 의경우앉은자세에서손가락을무릎에서코로가져가는동작을빠르게 5번반복하고, 하지 (lower extremity) 의경우앉은자세에서발뒤꿈치를반대편발목에서무릎으로가져가는동작을빠르게 5번반복하면서진전이나운동거리측정장애가나타나는지또는속도조절의문제가있는지를측정함. 제 4 장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ㆍ 89

기립균형 (Standing balance) - 서있는자세에대한균형유지능력을평가하는것으로, 기대거나잡지않고 2 분동안 서있게한후시간을측정함. 4) 평가부위및자세 관절가동범위 (ROM : Range of Motion) - 상지의경우 shoulder, elbow, wrist, finger의 4개관절을평가하며 shoulder는 Flexion, Extension, Abduction, Adduction, Internal Rotation, External Rotation의 6가지동작을, elbow는 Flexion, Extension, Pronation, Supination의 4가지동작을, wrist 는 Flexion, Extension, Ulnar deviation, Radial deviation의 4가지동작을평가함. - 하지의경우 Hip, Knee, Ankle 의 3개관절을평가하며 Hip은 Flexion, Extension, Abduction, Adduction, Internal Rotation, External Rotation의 6가지동작을, Knee 는 Flexion, Extension의 2가지동작을, Ankle 은 Dorsiflexion, Plantarflexion, Inversion, Eversion의 4가지동작을평가함. 근력 (Muscle strength) - 상지의경우 shoulder, elbow, wrist의 3개관절을평가하며 shoulder는 Flexion, Extension, Abduction, Adductionn의 4가지동작을, elbow는 Flexion, Extension의 2가지동작을 wrist는 Flexion, Extension의 2가지동작을평가함. - 하지의경우 Hip, Knee, Ankle 의 3개관절을평가하며 Hip은 Flexion, Extension, Abduction, Adduction의 4가지동작을, Knee 는 Flexion, Extension의 2가지동작을, Ankle 은 Dorsiflexion, Plantarflexion의 2가지동작을평가함. 근긴장도 (Spasticity) - 상지 (upper extremity) 와하지 (lower extremity) 로나누어평가하며, 둘다바로누운자세에서평가함. 협응력 (Coordination) - 상지 (upper extremity) 와하지 (lower extremity) 로나누어평가하며, 둘다앉은자세에서평가함. 기립균형 (Standing balance) - 아무것도잡지않고서있는자세에서시간을측정하여평가함. 90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5) 척도및채점 관절가동범위 (ROM : Range of Motion) - 4점척도로구성되며 정상관절가동범위 일경우 4점, 정상관절가동범위 1/2이상에서 3/4미만 일경우 3점, 정상관절가동범위 1/4이상에서 1/2미만 일경우 2점, 정상관절가동범위 1/4미만 일경우 1점으로함. 근력 (Muscle strength) - 6점척도로구성되며 근력이중력과최대 (max) 저항을이길경우 6점, 중력과최선 (optimal) 의저항을이길경우 5점, 중력을이기고저항없이완전한 ROM의절반이상을수행하거나중력을이기고저항없이완전한 ROM을수행하거나또는저항을이기고최선 (optimal) 의저항에대해완전한 ROM의절반을수행할경우 4점, 중력이없는상황에서완전한 ROM을수행하지못하거나중력이없는상황에서완전한 ROM을수행하거나또는중력을이기고, 저항없이완전한 ROM의절반이하를수행할경우 3점, 근육수축이일어나나관절움직임은없을경우 2점, 근육수축이안일어나고, 관절움직임도없을경우 1점으로함. 근긴장도 (Spasticity) - 6점척도로구성되며관절을수동적으로움직였을때 저항이느껴지지않을경우 6점, 관절가동범위의끝부분에서약간의저항이감지되며근긴장도가약간의증가를보일경우 5점. 관절가동범위의 1/2이하에서부터약간의저항이감지되며근긴장도가약간의증가를보일경우 4점, 대부분의관절가동범위에서현저한근긴장도증가를보이지만굽힘동작은쉽게수행할경우 3점, 대부분의관절가동범위에서상당히많은근긴장도증가를보이며수동운동이어려울경우 2점, 저항이너무강해수동운동이불가능할경우 1점으로함. 협응력 (Coordination) - 3점척도로구성되며동작을빠르게반복했을때, 진전 (Tremor) 은 진전이없을경우 3점, 진전이약간있을경우 2점, 진전이뚜렷하게나타날경우 1점으로하며, 운동거리측정장애 (Dysmetria) 는 운동거리측정장애가없을경우 3점, 운동거리측정장애가약간있거나규칙적인운동거리측정장애가나타날경우 2점, 운동거리측정장애가뚜렷하게나타나거나불규칙적인운동거리측정장애가나타날경우 1점으로하며, 속도 (Speed) 는정상속도 ( 건측 ) 와비교했을때 2초미만으로걸릴경우 3점, 정상속도보다 2-5.9초로더걸릴경우 2점, 정상속도보다 6초이상더걸릴경우 1점으로함. 제 4 장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ㆍ 91

기립균형 (Standing balance) - 5점척도로구성되며 아무것도잡지않고 2분동안서있을때안전하게 2분동안서있을수있을경우 5점, 감독과함께 2분동안서있을수있을경우 4점, 지지없이 30초동안서있을수있을경우 3점, 지지없이 30초동안서기위해여러번의시도가필요할경우 2점, 도움없이 30초동안서있을수없을경우 1점으로함. 2. 감각기능 가. 개발과정 1) 감각기능평가도구조사및분석 PUBMED에서 ADL과 sensory를 keyword로하여 80개의문헌검색후 33개의문헌검토후상관관계, 전 후비교, 결과측정, 세부항목제시하고있는 3개의문헌을분석함. 일상생활동작 (ADL) 과관련된감각에대한문헌고찰을통해감각과관련된하위요소를분석함. 작업치료사 20명을대상으로일상생활동작과관련한감각기능평가에대해설문조사를실시함. 2) 감각기능평가항목선정 문헌검토및전문가자문회의를통해일상생활활동 (ADL) 의각항목별로동작을수행하는데필요한감각기능의정도를촉각 (Tactile), 시각처리기술 (Visual processing skills), 신체도식화 (Body scheme), 시각적분별력 (Visual discrimination) 등의요소로측정하고자하는 1안과일반적으로 ADL을수행하는데필요한감각기능을체성감각 (Somatosensory), 관절감각 (Joint sense), 운동감각 (Kinesthetic sense), 촉각실인증 (Tactile agnosia), 신체실인증 (Somatognosia) 등의요소로측정하고자하는 2안으로구성함. 임상전문가의자문과작업치료사를대상으로한설문조사를토대로 1안과 2안을절충하여일상생활활동 (ADL) 의각항목별로동작을수행하는데필요한감각기능을표면감각 (Superficial Sense) 과고유수용성감각 (Proprioception) 으로결정함. 92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표면감각 (Superficial Sense) 중촉각 (Tactile), 온도감각 (Temperature), 통각 (Pain) 과고유 수용성감각 (Proprioception) 항목을최종항목으로선정함. 3) 감각기능의점수척도구성 채점방법은관련전문가와연구자의합의에의해도출하였으며, 각항목에대한점수척도는 1~3 점까지 3 점척도로구성함. 나. 개발 1) 항목구성및내용 감각기능의항목은크게표면감각 (Superficial Sense) 과고유수용성감각 (Proprioception) 2 개의평가항목으로구성되며, 표면감각 (Superficial Sense) 은촉각 (Tactile), 온도감각 (Temperature), 통각 (Pain) 의 3 개세부항목으로구성됨. 2) 항목의정의 표면감각 (Superficial Sense) 은다른말로피부감각이라고하며피부와이것에접해있는점막에있는감각으로촉각 (Tactile), 온도감각 (Temperature), 통각 (Pain) 으로나뉨. 촉각 (Tactile) 은물건이피부에닿아물리적자극을가했을때촉각수용기에느껴지는감각으로모든일상생활활동수행에결정적요인이되며, 온도감각 (Temperature) 은온도자극으로생기는피부감각으로온각과냉각을통틀어말하는것으로목욕, 요리, 다림질과같은일상생활에서화상을입는등의상해를예방하는데중요한역할을담당함. 또한통각 (Pain) 은날카롭거나둔한자극으로생기는통증을감지하는피부감각으로피부와피하조직의자극을파악하여해로운자극으로부터보호하는역할을담당함. 고유수용성감각 (Proprioception) 은자신의신체위치, 자세, 평형및움직임에대한정보를파악하여중추신경계로전달하는감각으로고유수용기 ( 근방추, 골지건기관 ) 로부터들어온정보를통해근육, 건, 인대, 관절의활동과평형이나균형을인식함. 제 4 장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ㆍ 93

3) 평가방법 산만하지않고검사도구로부터나는소음도최소화한조용한공간에서실시하며, 검사하는부분은노출시키고편안한자세를취하게한다음손상받지않은부위부터검사함. 환자에게검사방법을이해시키고이결과를기준으로손상받은부위를검사함. 또한검사자는검사동안피검자가보지못하도록피검자의시야를차단해야함. 표면감각 (Superficial Sense) - 촉각 (Tactile) 촉각자극과그위치를인식하는지의여부를평가하기위한것으로측정부위를임의의순서로가볍게접촉하거나자극한다음환자에게자극에대하여반응하게하여촉각을측정함. - 온각 (Temperature) 온도감각을감지하는능력을평가하기위한것으로첫번째검사로하나는찬물 (7 정도 ), 다른하나는뜨거운물 (43 정도 ) 로채운두개의시험관의측면을환자의측정부위에임의의순서로살짝접촉시킨후환자에게 뜨겁다 혹은 차갑다 로표현하게하여온각을측정함. 두번째검사로찬물 ( 빨강마개 ), 미지근한물 ( 주황마개 ), 따뜻한물 ( 초록마개 ), 뜨거운물 ( 노랑마개 ) 을채운 4개의시험관의측면을환자의측정부위에임의의순서로살짝접촉시킨후환자에게 4개의시험관을왼쪽에서부터뜨거운순서대로배열하도록하여온각을측정함. - 통각 (Pain) 통각을감지하는능력을평가하기위한것으로안전핀이나곧게편클립을이용하여날카롭거나둔한자극을무작위의속도와순서로환자의측정부위에자극시킨후환자에게 날카롭다 또는 둔하다 라고표현하게하여통각을측정함. 고유수용성감각 (Proprioception) - 고유수용성감각을감지하는능력을평가하기위한것으로평가자가평가부위를수동적으로움직인후 (up, down) 어느방향으로움직였는지를대답하게하거나손으로가리켜답하게하거나혹은같은동작을건측으로모방하도록하여측정함. - 먼저평가자가 up, down 시키는모습을환자가눈으로보게한다음환자의눈을감게하고평가자가약간의 ROM(10 ) 으로측정부위를 up/down을 4번또는필요할경우그이상반복하여각측정부위와동작마다평가자가환자에게어떤부위에어떤동작을시행했는지에대해표현하게하여고유수용성감각을측정함. 94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4) 평가부위 표면감각 (Superficial Sense) - 촉각 (Tactile) 상지의경우 Biceps brachii muscle belly, Palmar surface 2곳의말초신경의감각지절이분포하는피절부분을평가하며, 하지의경우 Hamstring muscle belly, Sole의 2곳의말초신경의감각지절이분포하는피절부분을평가함. - 온각 (Temperature) 상지의경우 Arm, Hand 2곳을평가하며, 하지의경우 Thigh, Foot의 2곳을평가함. - 통각 (Pain) 상지의경우 Arm, Hand 2곳의말초신경의감각지절이분포하는피절부분을평가하며, 하지의경우 Thigh, Foot의 2곳의말초신경의감각지절이분포하는피절부분을평가함. 고유수용성감각 (Proprioception) - 상지의경우 Shoulder, Elbow, Wrist, Thumb의 4곳을평가하며앉은자세, 선자세모두가능함. - 하지의경우 Hip, Knee, Ankle, 3rd Toe의 4곳을평가하며앉은자세, 선자세모두가능하나 Hip, Knee는바로누운자세 (Supine) 에서만가능함. 5) 척도및채점 표면감각 (Superficial Sense) - 촉각 (Tactile) 3점척도로구성되며 측정부위를가볍게접촉하거나자극하였을때정상감각 ( 건측 ) 과같이촉각을올바르게인식할경우 3점, 촉각은감지하나, 정상감각 ( 건측 ) 에비해무디거나반응지연이나타나거나촉각이확실하지않은경우 2점, 촉각을느낄수없거나인식하지못할경우 1점으로함. 제 4 장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ㆍ 95

- 온각 (Temperature) 3점척도로구성되며 측정부위에찬물과뜨거운물을채운두개의실험관을접촉시켰을때온도를정확히구분하고, 찬물, 미지근한물, 따뜻한물, 뜨거운물을채운 4개의시험관을접촉시켰을때온도의정도에따라 4개의실험관을순서대로올바르게배열할경우 3점, 찬물과뜨거운물을채운두개의실험관의온도는구분하나찬물, 미지근한물, 따뜻한물, 뜨거운물을채운 4개의시험관을온도의정도에따라순서대로올바르게배열하지못할경우 2점, 찬물과뜨거운물을채운두개의실험관을접촉시켰을때에온도를구분하지못하거나느끼지못할경우 1점으로함. - 통각 (Pain) 3점척도로구성되며 측정부위에안전핀이나곧게편클립을이용하여날카롭거나둔한자극을줬을때날카롭고둔한자극모두맞게반응할경우 3점, 둔한자극에날카롭다고반응하거나날카로운자극을둔하다고반응할경우 2점, 둔한자극에날카롭다고반응하거나날카로운자극을둔하다고반응할경우 1점으로함. 고유수용성감각 (Proprioception) - 3점척도로구성되며 모든지시동작의부위나움직임의방향을정확히맞출경우 3점, 반응이늦거나 4번반복지시동작수행중에서 3번정도를올바르게맞추나정상에비해상당한어려움을가질경우 2점, 분명히틀리거나반응이없을경우 1점으로함. 3. 인지지각기능 가. 개발과정 1) 인지지각기능평가도구조사및분석 인지항목을포함한일상생활활동평가도구 17개와인지기능평가도구 17개를조사하여이를토대로분석함. 지각기능평가도구는지각항목을포함한인지기능평가도구 6개와지각기능평가도구 4개를조사하여이를토대로분석함. 각평가도구의평가지및매뉴얼의분석을통해항목선정과척도개발의근거로함. Orientation과관련된 14개의평가도구, Memory 와관련된 6개의평가도구, Executive 96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function 과관련된 2 개의평가도구, Problem solving 과관련된 4 개의평가도구, Language 와 관련된 5 개의평가도구, Visuospatial function 과관련된 6 개의평가도구를검토하여각각의 세부검사항목을개발하는데참고함. < 표 4-18> 인지지각기능평가도구항목 항목 Orientation Memory 평가도구 Functional Assessment Measure Bristol activity of daily living Scale Functional Autonomy Measurement System Mini-Mental Status Examination Clinical Dementia Rating Brief cognitive rating scale Korean version of Montreal Cognitive Assessment The Middlesex Elderly Assessment of Mental State Neurobehavioral Cognitive Status Examination Ross Information Processing Assesment Scales of cognitive ability of TBI Cognitive Assessment of Minnesota Lo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unctional Assessment Measure Functional Autonomy Measurement System Minimum Data Set Cognition Scale Mini-Mental Status Examination Clinical Dementia Rating Korean-Dementia Rating Scale 한국어판 Brief cognitive rating scale Korean version of Montreal Cognitive Assessment Consortium to Estabilish a Registry for Alzheimer's Disease The Middlesex Elderly Assessment of Mental State Neurobehavioral Cognitive Status Examination Ross Information Processing Assesment 제 4 장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ㆍ 97

항목 Executive function Problem solving Language Visuo Spatial function 평가도구 Scales of cognitive ability of TBI Cognitive Assessment of Minnesota Lo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 CERAD-K Seoul Neuropsychological Screening Batter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unctional Assessment Measure Clinical Dementia Rating Ross Information Processing Assesment Mini-Mental Status Examination Korean version of Montreal Cognitive Assessment Consortium to Estabilish a Registry for Alzheimer's Disease The Middlesex Elderly Assessment of Mental State Neurobehavioral Cognitive Status Examination Mini-Mental Status Examination Korean version of Montreal Cognitive Assessment Consortium to Estabilish a Registry for Alzheimer's Disease The Middlesex Elderly Assessment of Mental State Seoul Neuropsychological Screening Battery 2) 인지지각기능평가도구의진단명별각영역의세부항목분석 인지지각기능을기준으로외상성뇌손상 (TBI), 뇌졸중 (Stroke), 치매 (Dementia) 를대상으로 개발된평가도구의세부항목을분석함. 3) 인지지각기능평가항목선정 문헌고찰과해당기존평가도구분석을통해초기평가항목을선정함. 인지기능은기초인지능력의지남력 (Orientation), 집중력 (Attention), 기억력 (Memory) 과상위수준의사고능력의문제해결력 (Problem solving), 초인지처리능력의실행기능 (Executive function) 의총 5개항목으로구성됨. 지각기능은시각처리기술 (Visual Processing Skill), 시공간 98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지각 (Visuosaptial perception), 체성감각 (Somatosensory), 운동불능증 (Apraxia) 의총 4개항목으로구성됨. 임상전문가설문조사와자문회의를통해해당전문가의의견을반영하여, 일상생활활동과의관련성이적고부적절하다고판단되는항목은평가항목에서삭제하고필요하다고판단되는항목은추가함으로써최종항목을선정됨. 최종선정된항목은크게인지기능평가항목 5개와지각기능평가항목 1개를포함하여총 6개항목으로구성됨. 4) 인지지각기능의점수척도구성 채점방법은관련전문가와연구자의합의에의해도출하였으며, 각항목에대한점수척도는 0~1점까지이점척도로구성함. 나. 개발 1) 항목구성및내용 인지지각기능은총 6개의항목을평가하는것으로서지남력 (Orientation), 기억력 (Memory), 실행기능 (Executive function), 문제해결력 (Problem solving), 언어 (Language), 시공간적기능 (Visuo-Spatial function) 으로구성함. - 지남력 (Orientation) : 시간, 장소, 사람의 3개항목을평가하는것으로구성함. - 기억력 (Memory) : 과제수행의절차 (Procedure), 미래에있을과제수행에대한기억 (Prospective), 시각적기억 (Visual), 언어적기억 (Verbal) 의 4개항목을평가하는것으로구성함. - 실행기능 (Executive function) : 특정과제내에정해놓은규칙을숙지한후그것을얼마나잘이행하는지를평가함. - 문제해결력 (Problem Solving) : 어떠한상황에서문제가생기면어떻게해결할것인가를평가함. - 언어 (Language) : 표현 (Expression) 과이해 (Comprehension) 의 2개항목을평가하는것으로구성함. - 시공간기능 (Visuo Spatial function) : 시지각 (Visual perception), 공간지각 (Spatial perception), 시각운동 (Visuomotor) 의 3개항목을평가하는것으로구성함. 제 4 장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ㆍ 99

2) 항목의정의 지남력 (Orientation) 이란자신의주위환경을이해하며환경과관련하여자신의위치를인식하는과정으로시간과관련지어자신의위치를이해하고다른사람과의관계를이해하는경우지남력이있다고함. 지남력은통상사람, 장소, 시간의지남력으로구별되고있음. - 시간지남력 (time orientation) : 년, 월, 일, 요일등의현재시간을말할수있는지, 시간판단의연속성과계속됨을이해하는지, 그리고시간과사건들을상호연관시킬수있는지의능력을요구함 41). - 장소지남력 (place orientation) : 장소와관련된자신을인식하는능력으로환자가자신이있는장소가어떤타입인지, 예로그장소의위치와이름을말할수있고거리와방향을바르게판단할수있는지를이해할수있는능력에의해설명될수있음 42). - 사람지남력 (person orientation) : 사람과관련된자신을인식하는능력으로자신과타인, 둘다를포함시킴. 기억력 (Memory) 이란정보를받아들이고저장하며인출하는것을말함 (Morse, 1986). - 절차적기억 (procedural memory) : 기술이나행위, 조작방법과같은수행활동을습득해서활동의순서를기억하는것으로신체의움직임이나기술을기억하는것이해당됨. - 전향적기억 (prospective memory) : 과거에계획해놓은행동을미래의어느시점혹은어떠한상황에서이행해야한다는것을기억하고있는능력 43) 으로정의되며, 미래행동에대한기억 44) 으로일상생활많은부분이전향적기억에해당함. - 시각기억 (visual memory) : 시각적경험과관련된감각의특징을보존하는기억의일부분으로새로운시각적자극을부호화하고회상하는능력을말함. - 언어기억 (Verbal memory) : 새로운언어적자극을부호화하고회상하는능력을말함. 실행기능 (Executive function) 이란목표를세우고그목표를효과적으로수행하기위해적절한문제해결세트를유지하는능력 45) 으로정의되며, 계획, 조직화, 목표선택, 융통성, 자기-조절, 억제, 세트유지등을포함하는넓은범위의능력 46) 으로목표달성에필수적인 41) 박지은 (2006). 반복학습이중증알츠하이머형치매노인의지남력습득에미치는효과.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42) 박지은 (2006). 반복학습이중증알츠하이머형치매노인의지남력습득에미치는효과.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43) Cohen G(1996), Memory in the real world. Hove, UK. Psycological Sciences. (46).31-36. 44) Luo, L & Craik. F.I.M(2008). Aging and Memory: A cognitive approach. Canadian Journal of Psychiatry. (53). 346-353 45) Lauria, A. R(1966). Higher cortical functions in man. New York: Basic Books. 46) Lezak. M. D(1995). Neropsychological assessment(3rd ed).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00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행동을구성함 47). 문제해결 (Problem solving) 이란문제상황을해결하기위한능력으로문제인식, 문제정의, 해결방안고안과선택, 해결방안조직화, 해결방안실행, 결과평가하기의단계로이루어져있음. 언어 (Language) 는가장일반적인이해와표현양식으로 48) 의사소통의기능을지니고있는데이는듣기와읽기의수용언어와발하기와쓰기의표현언어로구분되며, 음성언어인듣기와말하기, 문자언어인읽기와쓰기로구별됨. 이런언어활동은언어표현과해석, 다시말해표현 (Expression) 과이해 (Comprehension) 의양면을지님 49). - 언어이해 (Comprehension): 음성이나문자를시각이나청각기관을통해받아들여그형식을파악하고, 그안에포함된정보단위사이의관계를파악하고자신의경험과지식을연결하여새로운정보로통합하는일련의과정을말함 50). - 언어표현 (Expression): 자신의생각과느낌을단어를연결하여문장으로표현할수있는능력을말함. 시공간지각 (Visuospatial perception) 은신체의공간배열을인지하고, 자신에관계하여물체를식별하고, 공간에서물체들간의관계를식별하는능력으로일반적으로대상을정확하게지각하고, 표상하며공간적인정보를변형시키는것과관련되는중요한인지적구성요소임. 이는주로일상생활에서효율적으로길을찾아가는것과관련되는능력으로써흔히대상을인지하고위치를파악하는시공간지각및분석능력과대상을지각한후이를통합하거나재구성하는시공간인지기능으로분류됨. - 시지각 (visual perception) : 물체와모양을시각적으로인식하는능력으로모양, 물체, 색깔, 다른특성을인지하고사람의크기, 형태, 물체의관계에대한정확한판단을하도록함. - 공간지각 (Spatial perception) : 공간관계나공간위치를감각을통해파악하는능력으로일반적으로방향을잡는일, 즉주위사물들과관련하여자신의위치를파악하도록함. - 시각운동 (Visuomotor) : 시각적자극에일치하는것을활동으로수행하는능력으로시각과신체운동또는신체일부와의협응에의한행위를말함. 47) Lauria, A. R(1973). The working brain: Introduction to neuropsychology. New York: Basic Books. 48) 정현주 (1999). 총체적언어교육접근이유아의언어표현력및창의성에미치는효과. 전남대학교교육대학원 49) 송은경 (2005). 소리내어읽어주기활동이아동의언어이해력에미치는영향. 이화여자대학교교육대학원 50) 박갑수외 (2000). 국어표현 이해교육, 서울 : 집문당 제 4 장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ㆍ 101

3) 평가방법 인지지각기능평가는환자와일대일로실시하며, 시간제한은없음. 주로묻고답하는형식으로평가하며환자가말을할수없거나들을수없는경우구두대신필기방식으로평가함. 지남력 (Orientation) 은시간, 장소, 사람의 3개항목에대해서각각한문항씩물음으로써평가함. - 시간 : 오늘의날짜를묻는문항이며, 치매가심한경우요일, 계절이라는말을모르기때문에세부적인요일이나계절을제시해주고선택하는식으로물음. - 장소 : 지금있는현재의장소를물음. 환자가도시나장소의말을잘이해하지못할경우세부적인장소이름을제시해주고선택하는식으로물음. - 사람 : 주변사람에대해인지하는지여부를평가하기위해주변사람에대한이름이나관계를물음. 기억력 (Memory) 은절차적 (Procedure), 전향적 (Prospective), 시각적 (Visual), 언어적 (Verbal) 기억의 4개항목에대해각각한문항씩물음으로써평가함. - 절차적 (Procedure) 기억 : 양치질과정을설명한카드를보여주고, 양치질하는과정을순서대로나열하도록함. - 전향적 (Prospective) 기억 : 환자에게하나의특정물건을주면서평가가끝나고그물건을다시달라는지시를한뒤환자가그사실을잊지않고수행하는지를평가함. - 시각적 (Visual) 기억 : 준비된여러개의추상적인그림카드에서무작위로선정된추상적인그림카드한장을보여주고, 5분후에여러개의추상적인그림이있는카드에서똑같은그림을고르도록함. - 언어적 (Verbal) 기억 : 준비된여러단어들중무작위로선정된세개를말해주고 5분후에다시그세개의단어를물어봄. 실행기능 (Executive function) 은두가지의문항으로나눠서평가함. - Contrasting program : 평가자가손가락을하나올리면환자는두개를올리고, 평가자가두개를올리면환자는손가락을하나를올리도록지시하고이를환자가잘이행하는지를평가함. 만약, 환자가손가락을올리지못하는경우, 눈을깜빡이는동작을취하도록함. - Go-No Go test : 평가자가박수를한번치면환자는손을들고평가자가박수를두번치면환자는아무동작도하지않도록지시하고이를환자가잘이행하는지를평가함. 만약, 환자가손을들지못하는경우, 특정단어를말하도록함. 102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문제해결력 (Problem Solving) 은두가지의문항으로나눠서평가함. - 옷은왜빨아입는지질문하여평가함. - 옆건물에불이났을때어떻게해야하는지질문하여평가함. 언어 (Language) 는표현 (Expression), 이해 (Comprehension) 의 2개항목에대해각각의문항을통해물음으로써평가함. - 표현 (Expression) : 오늘의날씨를설명하게하는문항, 준비된문장을보여주며따라읽거나써보게하는문항, 준비된특정물건을보여주며그것의이름을묻는문항으로평가함. - 이해 (Comprehension) : 책상위에있는종이를집어반으로접은다음저에게주세요. 라고평가자의지시에따라행동하도록함으로써평가함. 시공간기능 (Visuo-Spatial function) 은시지각 (Visual perception), 공간지각 (Spatial perception), 시각-운동 (Visuomotor) 의 3개항목에대해각각세문항씩물음으로써평가함. - 시지각 (Visual perception) : 준비된그림카드를환자에게보여주면서평가자가특정사물을지시하면환자가그림카드중에서그특정사물을찾는방식으로평가함 8가지의일상적인물체 / 도형카드를환자에게보여주면서그카드중에있는특정사물하나를평가자가말하면환자가그사물을카드에서찾게함으로써평가함. 3개의도형이겹쳐진그림카드를환자에게먼저보여준다음도형이각각그려진여섯가지그림카드를보여주면서이중에서처음봤던겹쳐졌던도형을찾게함으로써평가함. 특정사물카드를하나환자에게먼저보여준다음다섯개의특정사물들을다양한각도에서찍은그림카드를보여주면서처음보여준카드와같은사물을찾게함으로써평가함. - 공간지각 (Spatial Perception) : 환자자신의신체에대한공간적위치를묻거나, 환자와공간내의사물사이의위치관계, 공간내의사물사이의위치관계를물음으로써평가함. - 시각-운동 (Visuo-motor) : 준비된그림카드를환자에게보여주면서따라그리게하거나시계를그리게함으로써평가함. 원, 세모, 네모, 다이아몬드의복잡한형태순서로그려진그림카드를환자에게보여주면서따라그리도록하여평가함. 상자가그려진그림카드를보고따라그리도록하여평가함. 시계를그리게한다음 10시 15분에표시하게함으로써평가함. 제 4 장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ㆍ 103

4) 척도및채점 인지지각기능평가항목별문항검사수행후, 가능여부 (Y/N) 에따라체크함. 이진척도 (1점/0점) 로써 가능 하면 1점, 불가능 하면 0점처리함. 지남력 (Orientation) 은 0-3점, 기억력 (Memory) 은 0-4점, 실행기능 (Executive function) 은 0-2점, 문제해결 (Problem solving) 은 0-2점, 언어 (Language) 는 0-5점, 시공간기능 (VisuoSpatial function) 은 0-9점으로서총점은 0-25점임. 4. 심리사회적기능 가. 개발과정 1) 심리사회적기능평가도구조사및분석 심리사회적기능평가도구 19 개를조사하여각평가도구의평가지및매뉴얼분석을통해 항목선정과척도개발의근거로하였음. 2) 심리사회적기능평가항목선정 문헌고찰과기존심리사회적기능평가도구분석을통해초기평가항목을선정함. 심리사회적기능의초기항목은불안 (Anxiety), 우울 (Depression), 동기 (Motivation), 장애수용 (Acceptance of disability), 재활에의참여 (Adherence of rehabilitation), 회복에대한기대 (Expectation of Recovery) 의총 6개항목이었음. 지속적인문헌고찰과자문회의를통해재활전문가의의견을반영하여, 일상생활활동과기능회복에관련성이깊은평가항목으로선별하여선정함. Motivation, Expectation, Adherence, Intention, Rehabilitation 의 keyword 검색을통해보호동기이론 (Protection Motivation Theory) 에입각한재활신념 (Beiliefs of Rehabilitation) 의항목을개발하였음. 우울 (Depression), 불안 (Anxiety), 재활신념 (Beliefs of Rehabilitation) 의총 3개항목이최종항목으로선정되었음. 104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3) 심리사회적기능의점수척도구성 우울과불안은임상에서심리사회적기능을평가하기위해가장많이사용하고있는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와 Beck Anxiety Inventory(BAI) 의 4점척도에따라평가함. 재활신념 (Beliefs of Rehabilitation) 항목은기존심리사회적기능평가도구의점수척도와문헌고찰을바탕으로리커트척도 (Likert Scale) 의 5점척도로개발하였음. 나. 개발 1) 항목구성및내용 심리사회기능의항목은우울, 불안, 재활신념 3개의평가항목으로구성되어있음. 우울 (Depression) 항목은우울증의인지적, 정서적, 동기적, 신체적영역으로구성된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의 21개문항으로평가함. 4개의문장중에서자신의상태와가장유사한것에표시하는형태로증상의정도를표현하는구체적인진술문에응답케함으로써응답자들이자신의심리상태를수량화하는데겪는혼란을줄일수있음. 불안 (Anxiety) 항목은인지적, 정서적, 동기적, 신체적영역으로구성된 Beck Anxiety Inventory(BAI) 의 21개문항으로평가함. 지난한주동안불안을경험한정도를 4점척도로측정함. 재활신념 (Beliefs of rehabilitation) 항목은인식된민감성 (Perceived susceptibility), 치료효능 (Treatment efficacy), 자기효능 (Self-efficacy), 재활의중요성 (Rehabilitation Value), 인식된심각성 (Perceived Severity) 의 5개항목에대한 12개문항으로평가함. - 인식된민감성 은기능악화및회복지연방지, 합병증및재발방지, 신체적기능및활동에대한장애방지에대한내용의 3개문항으로구성되어있음. - 치료효능 은치료효과에대한믿음, 회복속도단축에대한믿음, 완전한회복에대한믿음에대한내용의 3개문항으로구성되어있음. - 자기효능 은재활치료과정의수행에대한자신감, 재활의어려움극복및완료에대한자신감에대한내용의 2개문항으로구성되어있음. - 재활중요성 은완전한회복을위한재활의중요성과가족이나주변사람들을위한재활의중요성에대한내용의 2개문항으로구성되어있음. - 인식된심각성 은기능장애의심각성에대한우려와기능장애로인한활동및참여의제약에대한두려움에대한내용의 2개문항으로구성되어있음. 제 4 장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ㆍ 105

2) 항목의정의 우울 (Depression) 이란근심스럽거나답답하여활기가없는것 51) 으로사고억제와의욕저하를주증상으로하는심리상태로근심, 침울함, 실패감및무가치함을나타내는정서상태를말함 ( 양경순, 2004). 이러한기분의정도가지나치게심한상태로오랫동안지속되면개개인의삶에커다란지장을일으키는우울증을일으킴. 불안 (Anxiety) 이란부정적인결과가나타날수도있는위협적이고위험한상황에서우리가경험하게되는불쾌하고고통스러운정서적반응으로인간내부의욕구갈등에서나타나는막연한예감과그것에수반되는일정한생리반응에서오는두려움으로정의됨 52). 재활신념 (Beilefs of Rehabilitation) 은인식된민감성, 치료효능감, 자기효능감, 재활의중요성, 인식된심각성으로이루어져있으며재활에대한환자의의지 (Intentions) 를결정하는중요한요소로나아가재활에의참여도 (Adherence behavior) 에도영향을미치는중요한심리적요소임 53). Becker 등 (1974) 과 Janz 등 (1984) 에의해개발되어진 health belief model의확장된개념으로써, Maddux & Rogers(1986) 에의해개발되어진보호동기이론 (Protection Motivation Theory) 의주요구성요소이기도함 54). - 인식된민감성 (Perceived Susceptibility) 은자신의질환의회복이얼마나가능한지를본인이인식하는정도를말함. - 치료효능감 (Treatment efficacy or Response efficacy) 은재활치료프로그램이자신의상태호전에얼마나효과적으로도움을주는지를말함. - 자기효능감 (Self-efficacy) 은재활치료프로그램을내가얼마나성공적으로수행할수있는지를말함. - 재활의중요성 (Rehabilitation Value) 은환자가지각하는재활치료의중요성을말함. - 인식된심각성 (Perceived severity) 은자신의질환이얼마나심각한지를본인이인식하는정도를말함. 51) 국립국어원 : www. korean.go.kr. 52) Dulay, H., & Burt, M., & Krashen, S. (1982). Language two.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53) Grindley, Zizzi(2005). Using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Predict Motivation and Adherence to Rehabilitation in Older Adults, Geriatric Rehabilitation. 21(3):182-193. 54) Henk Boer, Erwin R. Seydel(1994). Protection Motivation Theory, 106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3) 평가방법 우울은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를이용하여자기기입식방법으로평가함. 환자가인지기능이낮을때보조자의도움을받아검사하고, 자기기입식방법이어려운경우구두로대답하는것을평가자가기입하는식으로검사함. 불안은 Beck Anxiety Inventory(BAI) 를이용하여자기기입식방법으로평가함. 환자가인지기능이낮을때보조자의도움을받아검사하고, 자기기입식방법이어려운경우구두로대답하는것을평가자가기입하는식으로검사함. 재활신념은 Protection Motivation Theory의개념을바탕으로개발한평가도구를사용하여자기기입식방법으로실시함. 환자가인지기능이낮을때보조자의도움을받아검사하고, 자기기입식방법이어려운경우구두로대답하는것을평가자가기입하는식으로검사함. 4) 척도 우울을평가하는 BDI의척도는 4점척도로서 0점에서 3점까지우울한사건의강도를표시하는것으로점수분포를가짐. 불안을평가하는 BAI의척도는 4점척도로서 0점 거의그렇지않다, 1점 가끔그렇다, 2점 자주그렇다, 3점 거의그렇다 로구성됨. 재활신념은 5점척도로서 1점 전혀동의하지않음, 2점 동의안함, 3점 보통, 4점 동의함, 5점 매우동의함 으로구성됨. 5) 채점 BDI는총점 0-63점으로 0-9점은 우울하지않은상태, 10-15점은 가벼운우울상태, 16-23점은 중한우울상태, 24-63점은 심한우울상태 를나타냄. BAI는총점 0-63점으로 22-26점은 불안상태 ( 일단진찰을요함 ), 27-31점은 심한불안상태, 32점이상은 극심한불안상태 를나타냄. 재활신념 (Beliefs of rehabilitation) 의점수는각문항점수를합산하여총점을구하며, 총점은 12-60점임. 제 4 장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ㆍ 107

제 4 절. AHP 기법을이용한전문가조사 1. 전문가조사개요 가. 조사목적및방법 1). 조사목적 임상에서의일상생활활동평가도구사용현황분석과현재주로사용되고있는일상생활활동평가도구의문제점을파악하고, 질환별로기능적능력 (Functional capacity) 의세부영역별가중치 (Part A) 와운동영역과감각영역의세부항목별가중치 (Part B) 를도출하기위함. 2) 조사대상 본조사는종합병원 병원 재활병원등총 20개기관의재활의학과전문의를대상으로실시하였음. 조사지역은서울, 인천, 경기지역을중심으로하였음. 조사가완료된대상자는총 79명이었으며, 불충분한응답을한 1명을제외한총 78명에대한설문을최종분석대상으로하였음. 3) 조사방법 2012년 11월 5일부터 2012년 12월10일까지를조사기간으로하였고, 자기기입식설문조사형태로기관직접방문및우편을통하여설문지를배포후우편으로회수하였음. 설문의전문성과신뢰도를높이기위하여각기관의담당자와연락하여설문의취지와방법에대해유선으로설명하여설문에응하도록하였음. 108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나. 조사내용및항목구성 1) 조사항목구성 설문지의조사항목은크게응답자의기본사항, 일상생활활동평가도구의현황및개발의필요성, 질환별 Functional capacity 항목의상대적중요도비교, 질환별운동 감각영역세부항목의상대적중요도비교, Functional capacity와 Functional Performance에대한전반적인의견으로구성하였음. 응답자의기본사항은성별, 나이, 전문의취득년도, 진료분야와같은일반적특성과근무기관규모, 총병상수, 재활의학과병상수, 지역과같은근무기관특성에대해조사함. 일상생활활동평가도구의현황및개발의필요성은일상생활활동평가시사용하는평가도구, 현재사용하고있는일상생활활동평가도구의제약, 우리나라실정에맞는일상생활활동평가도구의필요성과 Functional Performance와 Functional capacity를모두평가할수있는총괄적인평가도구의필요성에대해조사함. 질환별 Functional capacity 항목의상대적중요도는 15개질환에대해운동영역, 감각영역, 인지지각영역, 심리사회적영역을 AHP 기법을활용하여조사함. 질환별운동 감각영역세부항목의상대적중요도는 15개질환에대해운동영역은 ROM, Strength, Spasticity, Coordination, Standing Balance를감각영역은 Superficial sense와 Proprioception을 AHP 기법을활용하여조사함. Functional capacity와 Functional Performance의전반적인의견은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의 Functional capacity와 Functional Performance 각각의세부항목에서제외또는추가가필요한항목과문제점및보완방법에대해조사함. < 표 4-19> AHP 기법을이용한전문가조사항목 조사항목내용측정수준 응답자기본사항 일상생활활동평가도구의현황분석및개발의필요성 성별, 나이, 전문의취득년도, 진료분야근무기관규모, 총병상수, 재활의학과병상수, 지역일상생활활동평가시사용하는평가도구일상생활활동평가도구의사용목적 제 4 장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ㆍ 109

조사항목내용측정수준 현재사용하고있는일상생활활동평가도구의제약 질환별 Functional capacity 항목의상대적중요도비교 ( 운동영역 / 감각영역 / 인지지각영역 / 심리사회영역 ) 우리나라실정에맞는일상생활활동평가도구의필요성 Functional Performance와 Functional capacity를모두평가할수있는총괄적인평가도구의필요성 뇌졸중 환자평가시 Functional capacity 항목의중요도 외상성뇌손상 환자평가시 Functional capacity 항목의중요도 비외상성뇌손상 환자평가시 Functional capacity 항목의중요도 인지기능저하가동반된퇴행성뇌질환 환자평가시 Functional capacity 항목의중요도 운동기능저하가동반된퇴행성뇌질환 환자평가시 Functional capacity 항목의중요도 척수손상 ( 외상성, 비외상성 ) 환자평가시 Functional capacity 항목의중요도 발달지연및뇌성마비 환자평가시 Functional capacity 항목의중요도 기타신경계질환 환자평가시 Functional capacity 항목의중요도 말초신경및근육질환 환자평가시 Functional capacity 항목의중요도 골절 관절치환및근골격계질환 환자평가시 Functional capacity 항목의중요도 절단 환자평가시 Functional capacity 항목의중요도 심폐질환 환자평가시 Functional capacity 항목의중요도 만성통증증후군 환자평가시 Functional capacity 항목의중요도 주요한다발성외상 환자평가시 Functional capacity 항목의중요도 화상 환자평가시 Functional capacity 항목의중요도 5 점척도 9 점척도 110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조사항목내용측정수준 뇌졸중 환자평가시운동 감각영역세부항목의중요도 외상성뇌손상 환자평가시운동 감각영역세부항목의중요도 비외상성뇌손상 환자평가시운동 감각영역세부항목의중요도 인지기능저하가동반된퇴행성뇌질환 환자평가시운동 감각영역세부항목의중요도 운동기능저하가동반된퇴행성뇌질환 환자평가시운동 감각영역세부항목의중요도 척수손상 ( 외상성, 비외상성 ) 환자평가시운동 감각영역세부항목의중요도 질환별운동 감각영역세부항목의상대적중요도비교 ( 운동영역의 ROM/ Strength/ Spasticity/ Coordination/ Standing Balance, 감각영역의 Superficial sense/ Proprioception) Functional capacity 에대한전반적인의견 Functional Performance 에대한전반적인의견 발달지연및뇌성마비 환자평가시운동 감각영역세부항목의중요도 기타신경계질환 환자평가시운동 감각영역세부항목의중요도 말초신경및근육질환 환자평가시운동 감각영역세부항목의중요도 골절 관절치환및근골격계질환 환자평가시운동 감각영역세부항목의중요도 절단 환자평가시운동 감각영역세부항목의중요도 심폐질환 환자평가시운동 감각영역세부항목의중요도 만성통증증후군 환자평가시운동 감각영역세부항목의중요도 주요한다발성외상 환자평가시운동 감각영역세부항목의중요도 화상 환자평가시운동 감각영역세부항목의중요도 제외항목, 추가항목, 문제점및보완방법 제외항목, 추가항목, 문제점및보완방법 9 점척도 제 4 장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ㆍ 111

2) 설문적용질환 AHP 설문기법을통해질환별 Functional capacity 항목의가중치와질환별운동 감각영역세부항목의가중치를도출하기위해 15개질환에대한설문을실시함. 설문적용질환은기존 ADL 평가도구의대상질환과미국의 Rehabilitation Impairment Category를토대로본연구에서선정하였으며 < 표 4-20> 과같음. < 표 4-20> 기능평가도구적용대상질환 질환 예시 1 뇌졸중 Cerebral Infarction, Intracranial Hemorrhage, etc 2 외상성뇌손상 3 비외상성뇌손상 Brain Tumor, Encephalitis, etc 4 인지기능저하가동반된퇴행성뇌질환 Alzheimer disease, Dementia, Frontotemporal dementia, etc 5 운동기능저하가동반된퇴행성뇌질환 Parkinson s disease, Cerebellar ataxia, Huntington s disease 6 척수손상 ( 외상성, 비외상성 ) Transvers myelitis, etc 7 발달지연및뇌성마비 8 기타신경계질환 upper motor neuron 및 Anterior horn cell을침범하는질환 (Multiple sclerosis, Poliomyelitis, etc) 9 말초신경및근육질환 Muscular dystrophy, Polyneuropathy, GBS, etc 10 골절 관절치환및근골격계질환 상지골절, 하지골절, 하지관절치환, 골관절염, 류마티스질환 (RA, AS, SLE, etc), Contracture, Sprain, Tendinitis, Ligament injury, etc 11 절단하지절단, 기타절단 12 심폐질환 13 만성통증증후군 CRPS, FBSS, Post-herpetic neuralgia, etc 14 주요한다발성외상 교통사고등으로인한다발성골절, 관통상으로인한다발성외상등 15 화상 112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3) AHP 기법설문평가방식 Functional capacity 의영역별가중치와운동영역과감각영역의세부항목별가중치를질환에따라다르게산정하기위해 AHP 기법을통해설문함. 두요인간의평가방식은의사결정자에게두요인의중요도에대해 < 표 4-21> 과같이 9점척도로질문함. 예를들어특정질환에대해기능평가시평가항목들중 운동영역 과 감각영역 중어느요인이더중요하다고생각하는지에대한물음에다음과같이응답가능함. < 표 4-21> 본연구에서활용한 AHP 설문예시 A A가 A가 A가 A가 A와 B가 B가 B가 B가절대확실히매우약간 B가약간매우확실히절대 B 평가요인 중요 중요 중요 중요 동일 중요 중요 중요 중요 평가요인 9 7 5 3 1 3 5 7 9 운동영역 감각영역 다. 분석방법 응답자의기본사항, 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의현황분석및개발의필요성, Functional capacity와 Functional Performance에대한전반적인의견은 SPSS(Ver.17) 통계프로그램을이용하여분석함. 질환별 Functional capacity 항목의상대적중요도와운동 감각영역세부항목의상대적중요도분석시질환별로일관성충족기준 (Consistency Ratio<0.2) 을만족시키지않은경우는제외하고 AHP 가중치를산출함. AHP 가중치는 Saaty(1980) 이제안한 AHP 분석방법을함수형태로구현한 Microsoft Excel 기반 VBA(Visual Basic for Application) 프로그램을이용해분석함. 제 4 장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ㆍ 113

2. 전문가조사결과 가. 조사대상전문가의특성 1) 일반적특성 응답자 75 명중남자는 55 명 (70.5%), 여자는 23 명 (29.5%) 이며, 평균연령은 40 세로, 30 대가 42 명 (53.8%) 으로가장많았으며, 그다음으로 40 대 31 명 (39.7%), 50 대 4 명 (5.1%), 60 세이상이 1 명 (1.3%) 으로나타남. < 표 4-22> 조사대상자의일반적특성 단위 : 명 (%) 항목 구분 빈도 백분율 성별 남자 55 70.5 여자 23 29.5 합계 78 100.0 30대 42 53.8 연령 40대 31 39.7 50대 4 5.1 60세이상 1 1.3 합계 78 100.0 2) 경력 본연구의설문은재활의학과전문의를대상으로실시하였으며, 경력은전문의취득후 5 년미만이 29 명 (37.7%) 으로가장많았으며, 그다음으로 5~10 년 19 명 (24.7%), 11~15 년 19 명 (24.7%), 16~20 년 9 명 (11.7%), 21 년이상 1 명 (1.3%) 순으로나타남. 114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 표 4-23> 전문의취득후기간 단위 : 명 (%) 구분 빈도 백분율 5년미만 29 37.7 5~10년 19 24.7 11~15년 19 24.7 16~20년 9 11.7 21년이상 1 1.3 합계 77 100.0 [ 그림 4-3] 전문의취득후기간 3) 진료분야 진료분야는근골격계재활이 53 명 (67.9%) 으로가장많았으며, 그다음으로뇌신경재활 48 명 (61.5%,) 척수손상재활 27 명 (34.6%), 소아재활 12 명 ( 15.4%), 기타 3 명 (3.8%) 순으로 나타났으며, 기타에는암재활 2 명 (2.6%) 과전기진단재활 1 명 (1.3%) 이있었음. < 표 4-24> 진료분야 ( 다중응답 ) 단위 : 명 (%) 구분 빈도 백분율 척수손상재활 27 34.6 뇌신경재활 48 61.5 소아재활 12 15.4 근골격계재활 53 67.9 심폐질환재활 7 9.0 기타 3 3.8 [ 그림 4-4] 진료분야 제 4 장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ㆍ 115

4) 근무기관특성 의료기관의규모를 6가지 (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일반병원, 재활병원, 요양병원, 의원, 기타 ) 로분류하였음. 근무기관은상급종합병원이 48명 (62.3%) 으로가장많았고, 재활병원 12명 (15.6%), 종합병원과의원 6명 (7.8%), 요양병원 5명 (6.5%) 순으로나타남. 근무지역은모두서울 42명 (58.3%), 경기 25명 (34.7%), 인천 5명 (6.9%) 지역에분포하고있었음. [ 그림 4-5] 근무기관 [ 그림 4-6] 근무지역 나. 일상생활활동평가도구의현황 1) 일상생활활동평가도구의사용빈도 현재일상생활활동평가시주로사용하는평가도구는 Modified Barthel Index가 77명 (98.7%) 로가장많았으며, 그다음으로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37명 (47.4%), Spinal Cord Independence Measure 29명 (37.2%), Assessment of Motor and Process Skills 3명 (3.8%), Seoul-Activities of Daily Living Test 2명 (2.6%), Lawsto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2명 (2.6%), 기타 1명 (1.3%) 순으로나타남. 116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Arnadottir OT-ADL Neurobehavioral Evaluation, Klein-Bell Activities of Daily Living Scale, Performance Assessment of Self-Care Skill을사용하는응답자는없었으며, 기타로는 Pediatric Evaluation of Disability Inventory(PEDI) 1명 (1.3%) 이있었음. < 표 4-25> 현재사용중인일상생활활동평가도구 ( 다중응답 ) 단위 : 명 (%) 구분 빈도 백분율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FIM) 37 47.4 Modified Barthel Index(MBI) 77 98.7 Spinal Cord Independence Measure(SCIM) 29 37.2 Assessment of Motor and Process Skills(AMPS) 3 3.8 Arnadottir OT-ADL Neurobehavioral Evaluation(A-ONE) 0 0.0 Klein-Bell Activities of Daily Living Scale(Klein-Bell) 0 0.0 Seoul-Activities of Daily Living Test (S-ADL) 2 2.6 Performance Assessment of Self-Care Skill(PASS) 0 0.0 Lawsto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2 2.6 기타 1 1.3 [ 그림 4-7] 현재사용중인일상생활활동평가도구 제 4 장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ㆍ 117

2) 일상생활활동평가도구의사용목적 일상생활활동평가도구를사용하는목적은 치료효과평가 가 70명 (89.7%) 으로가장많았으며, 치료계획수립 57명 (73.1%), 재활의학연구기초자료로활용 39명 (50.0%), 예후의예견 27명 (34.6%), 보조도구및보조기결정 21명 (26.9%), 기타 4명 (5.1%) 순으로나타났으며, 기타목적으로는장애진단이있었음. < 표 4-26> 일상생활활동평가도구의사용목적 ( 다중응답 ) 단위 : 명 (%) 구분 빈도 백분율 치료계획수립 57 73.1 치료효과평가 70 89.7 예후의예견 27 34.6 보조도구및보조기결정 21 26.9 재활의학연구기초자료로활용 39 50.0 기타 4 5.1 [ 그림 4-8] 일상생활활동평가도구의사용목적 118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3) 기존일상생활활동평가도구의제한점 기존에사용하고있는일상생활활동평가도구의제약으로는 총괄적인평가가어려움 이 56명 (71.8%) 으로가장많았으며, 평가기준이모호함 48명 (61.5%), 질환별가중치가고려 안됨 31명 (39.7%), 우리나라실정에맞지않음 16명 (20.5%), 평가절차및방법에대한 설명이부족함 11명 (14.1%), 경제적으로비용지출이있음 5명 (6.4%), 기타 2명 (2.6%) 순으로나타났으며, 기타제한점으로는단순하지않고시간이많이소요된다는의견이 있었음. < 표 4-27> 기존일상생활활동평가도구의제한점 ( 다중응답 ) 단위 : 명 (%) 구분 빈도 백분율 우리나라실정에맞지않음 16 20.5 총괄적인평가가어려움 56 71.8 평가기준이모호함 48 61.5 평가절차및방법에대한설명이부족함 11 14.1 질환별가중치가고려안됨 31 39.7 경제적으로비용지출이있음 5 6.4 기타 2 2.6 [ 그림 4-9] 기존일상생활활동평가도구의제한점 제 4 장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ㆍ 119

다. 평가도구개발의필요성 1) 우리나라실정에맞는일상생활활동평가도구의필요성 현재 FIM / MBI 등을대체할우리나라실정에맞는일상생활활동평가도구의필요성에대해 필요하다 가 44명 (56.4%) 으로가장많았으며, 그다음으로 매우필요하다 19명 (24.4%), 보통이다 12명 (15.4%), 필요하지않다 3명 (3.8%) 순으로나타났으며, 전혀필요하지않다 는응답은없었음. < 표 4-28> 우리나라실정에맞는일상생활활동평가도구의필요성 단위 : 명 (%) 구분 빈도 백분율 매우필요하다 19 24.4 필요하다 44 56.4 보통이다 12 15.4 필요하지않다 3 3.8 전혀필요하지않다 0 0.0 합계 78 100.0 [ 그림 4-10] 우리나라실정에맞는일상생활활동평가도구의필요성 120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2) 총괄적인평가도구의필요성 본연구는 Functional Performance 와 Functional capacity를모두평가할수있는총괄적인평가도구의필요성에 필요하다 가 46명 (64.1%) 으로가장많았으며, 그다음으로 매우필요하다 24명 (30.8%), 보통이다 3명 (16.0%), 필요하지않다 1명 (1.3%), 전혀필요하지않다 0명 (0.0%) 으로나타남. < 표 4-29> 총괄적인평가도구의필요성 단위 : 명 (%) 구분 빈도 백분율 매우필요하다 24 30.8 필요하다 50 64.1 보통이다 3 3.8 필요하지않다 1 1.3 전혀필요하지않다 0 0.0 합계 78 100.0 [ 그림 4-11] 총괄적인평가도구의필요성 제 4 장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ㆍ 121

라. 질환별 Functional capacity 영역의상대적중요도 질환별 Functional capacity 영역의상대적중요도는기능평가도구를적용할 15개대상질환의운동영역, 감각영역, 인지지각영역, 심리사회영역의상대적중요도를 AHP기법을활용하여도출함. 1) 뇌졸중 뇌줄중은 Functional capacity 항목중운동영역 (45.2%) 의중요도가가장높았고, 그다음으로 인지지각영역 (30.6%), 감각영역 (12.1%), 심리사회영역 (11.9%) 순으로중요도가높은것으로 나타남. < 표 4-30> 뇌졸중의 Functional capacity 항목의 중요도 세부영역 가중치 일관성비율 운동영역 0.4533 감각영역 0.1212 인지지각영역 0.3062 심리사회영역 0.1194 합계 1 0.0854 [ 그림 4-12] 뇌졸중의 Functional capacity 세부영역가중치 122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2) 외상성뇌손상 외상성뇌손상은 Functional capacity 영역중인지지각 (38.8%) 의중요도가가장높았고, 그다음으로운동영역 (32.7%), 심리사회영역 (18.4%), 감각영역 (9.9%) 순으로중요도가높은 것으로나타남. < 표 4-31> 외상성뇌손상의 Functional capacity 항목의중요도 세부영역가중치일관성비율 운동영역 0.3272 감각영역 0.0999 인지지각영역 0.3880 심리사회영역 0.1848 합계 1 0.0883 [ 그림 4-13] 외상성뇌손상의 Functional capacity 세부영역가중치 3) 비외상성뇌손상 비외상성은 Functional capacity 항목중운동영역 (46.1%) 의중요도가가장높았고, 그다음으로 인지지각영역 (27.2%), 심리사회영역 (15.4%), 감각영역 (11.3%) 순으로중요도가높은것으로 나타남. < 표 4-32> 비외상성뇌손상의 Functional capacity 항목의중요도 세부영역가중치일관성비율 운동영역 0.4606 감각영역 0.1129 인지지각영역 0.2721 심리사회영역 0.1544 합계 1 0.0895 [ 그림 4-14] 비외상성뇌손상의 Functional capacity 세부영역가중치 제 4 장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ㆍ 123

4) 인지기능저하가동반된퇴행성뇌질환 인지기능저하가동반된퇴행성뇌질환은 Functional capacity 항목중인지지각영역 (51.8%) 의중요도가가장높았고, 그다음으로심리사회영역 (25.2%), 운동영역 (14.6%), 감각영역 (8.4%) 순으로중요도가높은것으로나타남. < 표 4-33> 인지기능저하가동반된퇴행성뇌질환의 Functional capacity 항목의중요도 세부영역가중치일관성비율 운동영역 0.1458 감각영역 0.0844 인지지각영역 0.5177 심리사회영역 0.2521 합계 1 0.0702 [ 그림 4-15] 인지기능저하가동반된퇴행성 뇌질환의 Functional capacity 세부영역가중치 5) 운동기능저하가동반된퇴행성뇌질환 운동기능저하가동반된퇴행성뇌질환은 Functional capacity 항목중운동영역 (52.2%) 의중요도가가장높았고, 그다음으로인지지각영역 (20.6%), 심리사회영역 (16.5%), 감각영역 (10.8%) 순으로중요도가높은것으로나타남. < 표 4-34> 운동기능저하가동반된퇴행성뇌질환의 Functional capacity 항목의중요도세부영역가중치일관성비율 운동영역 0.5221 감각영역 0.1078 인지지각영역 0.2057 심리사회영역 0.1645 합계 1 0.0819 [ 그림 4-16] 운동기능저하가동반된퇴행성 뇌질환의 Functional capacity 세부영역가중치 124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6) 척수손상 ( 외상성, 비외상성 ) 척수손상 ( 외상성, 비외상성 ) 은 Functional capacity 항목중운동영역 (55.1%) 의중요도가가장높았고, 그다음으로감각영역 (19.8%), 심리사회영역 (17.2%), 인지지각영역 (7.9%) 순으로중요도가높은것으로나타남. < 표 4-35> 척수손상 ( 외상성, 비외상성 ) 의 Functional capacity 항목의중요도 세부영역 가중치 일관성비율 운동영역 0.5510 감각영역 0.1977 인지지각영역 0.0794 심리사회영역 0.1719 합계 1 0.0888 [ 그림 4-17] 척수손상 ( 외상성, 비외상성 ) 의 Functional capacity 세부영역가중치 7) 발달지연및뇌성마비 발달지연및뇌성마비는 Functional capacity 항목중운동영역 (38.3%) 의중요도가가장 높았고, 그다음으로인지지각영역 30.7%), 심리사회영역 (18.1%), 감각영역 (12.9%) 순으로 중요도가높은것으로나타남. < 표 4-36> 발달지연및뇌성마비의 Functional capacity 항목의중요도 세부영역 가중치 일관성비율 운동영역 0.3830 감각영역 0.1290 인지지각영역 0.3067 심리사회영역 0.1813 합계 1 0.0745 [ 그림 4-18] 발달지연및뇌성마비의 Functional capacity 세부영역가중치 제 4 장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ㆍ 125

8) 기타신경계질환 기타신경계질환은 Functional capacity 항목중운동영역 (59.5%) 의중요도가가장높았고, 그다음으로심리사회영역 (16.9%), 인지지각영역 (12.0%), 감각영역 (11.6%) 순으로중요도가높은것으로나타남. < 표 4-37> 기타신경계질환의 Functional capacity 항목의중요도 세부영역 가중치 일관성비율 운동영역 0.5947 감각영역 0.1163 인지지각영역 0.1203 심리사회영역 0.1687 합계 1 0.0909 [ 그림 4-19] 기타신경계질환의 Functional capacity 세부영역가중치 9) 말초신경및근육질환 말초신경및근육질환은 Functional capacity 항목중운동영역 (60.3%) 의중요도가가장 높았고, 그다음으로감각영역 (16.8%), 심리사회영역 (13.8%), 인지지각영역 (9.1%) 순으로 중요도가높은것으로나타남. < 표 4-38> 말초신경및근육질환의 Functional capacity 항목의중요도 세부영역 가중치 일관성비율 운동영역 0.6030 감각영역 0.1677 인지지각영역 0.0915 심리사회영역 0.1378 합계 1 0.0880 [ 그림 4-20] 말초신경및근육질환의 Functional capacity 세부영역가중치 126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10) 골절 관절치환및근골격계질환 골절 관절치환및근골격계질환은 Functional capacity 항목중운동영역 (54.2%) 의중요도가가장높았고, 그다음으로감각영역 (21.3%), 심리사회영역 (14.9%), 인지지각영역 (9.7%) 순으로중요도가높은것으로나타남. < 표 4-39> 골절 관절치환및근골격계질환의 Functional capacity 항목의중요도 세부영역 가중치 일관성비율 운동영역 0.5417 감각영역 0.2125 인지지각영역 0.0966 심리사회영역 0.1492 합계 1 0.0857 [ 그림 4-21] 골절 관절치환및근골격계질환의 Functional capacity 세부영역가중치 11) 절단 절단은 Functional capacity 항목중운동영역 (54.1%) 의중요도가가장높았고, 그다음으로 심리사회영역 (18.3%), 감각영역 (18.1%), 인지지각영역 (9.4%) 순으로중요도가높은것으로 나타남. < 표 4-40> 절단의 Functional capacity 항목의중요도 세부영역가중치일관성비율 운동영역 0.5414 감각영역 0.1811 인지지각영역 0.0943 심리사회영역 0.1832 합계 1 0.0881 [ 그림 4-22] 절단의 Functional capacity 세부영역가중치 제 4 장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ㆍ 127

12) 심폐질환 심폐질환은 Functional capacity 항목중운동영역 (52.4%) 의중요도가가장높았고, 그다음으로심리사회영역 (22.6%), 인지지각영역 (13.2%), 감각영역 (11.8%) 순으로중요도가높은것으로나타남. < 표 4-41> 심폐질환의 Functional capacity 항목의 중요도 세부영역 가중치 일관성비율 운동영역 0.5245 감각영역 0.1183 인지지각영역 0.1318 심리사회영역 0.2255 합계 1 0.0762 [ 그림 4-23] 심폐질환의 Functional capacity 세부영역가중치 13) 만성통증증후군 만성통증증후군은 Functional capacity 항목중감각영역 (39.3%) 의중요도가가장높았고, 그다음으로심리사회영역 (30.9%), 운동영역 (16.2%), 인지지각영역 (13.5%) 순으로중요도가 높은것으로나타남. < 표 4-42> 만성통증증후군 Functional capacity 항목의중요도 세부영역 가중치 일관성비율 운동영역 0.1623 감각영역 0.3937 인지지각영역 0.1350 심리사회영역 0.3090 합계 1 0.0826 [ 그림 4-24] 만성통증증후군의 Functional capacity 세부영역가중치 128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14) 주요한다발성외상 주요한다발성외상은 Functional capacity 항목중운동영역 (46.0%) 의중요도가가장높았고, 그다음으로감각영역 (22.5%), 심리사회영역 (20.0%), 인지지각영역 (11.5%) 순으로중요도가높은것으로나타남. < 표 4-43> 주요한다발성외상 Functional capacity 항목의중요도 세부영역 가중치 일관성비율 운동영역 0.4601 감각영역 0.2250 인지지각영역 0.1150 심리사회영역 0.2000 합계 1 0.0851 [ 그림 4-25] 주요한다발성외상의 Functional capacity 세부영역가중치 15) 화상 화상은 Functional capacity 항목중운동영역 (36.9%) 의중요도가가장높았고, 그다음으로 감각영역 (27.6%), 심리사회영역 (24.3%), 인지지각영역 (11.1%) 순으로중요도가높은것으로 나타남. < 표 4-44> 화상의 Functional capacity 항목의 중요도 세부영역 가중치 일관성비율 운동영역 0.3693 감각영역 0.2762 인지지각영역 0.1114 심리사회영역 0.2431 합계 1 0.0690 [ 그림 4-26] 화상의 Functional capacity 세부영역가중치 제 4 장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ㆍ 129

16) 질환별 Functional capacity 영역의상대적중요도비교 AHP기법을활용하여도출한 15개대상질환의 Functional capacity 항목의상대적중요도는 < 표 4-45> 와같음. < 표 4-45> Functional capacity 세부영역별가중치 영역질환 운동영역 감각영역 인지지각영역 심리사회영역 계 뇌졸중 0.4533 0.1212 0.3062 0.1194 1 외상성뇌손상 0.3272 0.0999 0.3880 0.1848 1 비외상성뇌손상 0.4606 0.1129 0.2721 0.1544 1 인지기능저하가동반된퇴행성뇌질환 운동기능저하가동반된퇴행성뇌질환 0.1458 0.0844 0.5177 0.2521 1 0.5221 0.1078 0.2057 0.1645 1 척수손상 ( 외상성, 비외상성 ) 0.5510 0.1977 0.0794 0.1719 1 발달지연및뇌성마비 0.3830 0.1290 0.3067 0.1813 1 기타신경계질환 0.5947 0.1163 0.1203 0.1687 1 말초신경및근육질환 0.6030 0.1677 0.0915 0.1378 1 골절 관절치환및근골격계질환 0.5417 0.2125 0.0966 0.1492 1 절단 0.5414 0.1811 0.0943 0.1832 1 심폐질환 0.5245 0.1183 0.1318 0.2255 1 만성통증증후군 0.1623 0.3937 0.1350 0.3090 1 주요한다발성외상 0.4601 0.2250 0.1150 0.2000 1 화상 0.3693 0.2762 0.1114 0.2431 1 130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마. 질환별운동영역세부항목의상대적중요도비교 질환별운동영역세부항목의상대적중요도는기능평가도구를적용할 15개대상질환의 ROM, Strength, Spasticity, Coordination, Standing balance의상대적중요도를 AHP기법을활용하여도출함. 1) 뇌졸중 뇌졸중은운동영역세부항목중 Strength(31.9%) 의중요도가가장높았으며, 그다음으로 Standing balance(26.5%), Coordination(18.7%), Spasticity(18.9%), ROM(9.0%) 순으로중요도가높은것으로나타남. < 표 4-46> 뇌졸중의운동영역세부항목중요도 세부항목가중치일관성비율 ROM 0.0909 Strength 0.3193 Spasticity 0.1349 Coordination 0.1898 Standing balance 0.2650 합계 1 0.0707 [ 그림 4-27] 뇌졸중의운동영역세부항목의가중치 제 4 장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ㆍ 131

2) 외상성뇌손상 외상성뇌손상은운동영역세부항목중 Standing balance(27.6%) 의중요도가가장높았으며, 그다음으로 Strength(26.5%), Coordination(22.7%), Spasticity(14.3%), ROM(8.8%) 순으로중요도가높은것으로나타남. < 표 4-47> 외상성뇌손상의운동영역세부항목중요도 세부항목가중치일관성비율 ROM 0.0884 Strength 0.2654 Spasticity 0.1432 Coordination 0.2269 Standing balance 0.2760 합계 1 0.0738 [ 그림 4-28] 외상성뇌손상의운동영역세부항목의가중치 3) 비외상성뇌손상 비외상성뇌손상은운동영역세부항목중 Strength(31.5%) 의중요도가가장높았으며, 그다음으로 Standing balance(27.2%), Coordination(19.9%), Spasticity(12.2%), ROM(9.2%) 순으로중요도가높은것으로나타남. < 표 4-48> 비외상성뇌손상의운동영역세부항목중요도 세부항목가중치일관성비율 ROM 0.0920 Strength 0.3150 Spasticity 0.1223 Coordination 0.1990 Standing balance 0.2717 합계 1 0.0738 [ 그림 4-29] 비외상성뇌손상의운동영역세부항목의가중치 132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4) 인지기능저하가동반된퇴행성뇌질환 인지기능저하가동반된퇴행성뇌질환은운동영역세부항목중 Standing balance(34.0%) 의중요도가가장높았으며, 그다음으로, Coordination(26.0%), Strength(20.4%), ROM(11.1%), Spasticity(8.4%) 순으로중요도가높은것으로나타남. < 표 4-49> 인지기능저하가동반된퇴행성뇌질환의운동영역세부항목중요도 세부항목가중치일관성비율 ROM 0.1113 Strength 0.2041 Spasticity 0.0842 Coordination 0.2602 Standing balance 0.3402 합계 1 0.0836 [ 그림 4-30] 인지기능저하가동반된퇴행성뇌질환의운동영역세부항목의가중치 5) 운동기능저하가동반된퇴행성뇌질환 운동기능저하가동반된퇴행성뇌질환은운동영역세부항목중 Standing balance(33.6%) 의중요도가가장높았으며, 그다음으로 Coordination(30.3%), Strength(17.9%), Spasticity(9.3%), ROM(8.9%) 순으로중요도가높은것으로나타남. < 표 4-50> 운동기능저하가동반된퇴행성뇌질환의운동영역세부항목중요도 세부항목가중치일관성비율 ROM 0.0894 Strength 0.1786 Spasticity 0.0928 Coordination 0.3033 Standing balance 0.3359 합계 1 0.0840 [ 그림 4-31] 운동기능저하가동반된퇴행성뇌질환의운동영역세부항목의가중치 제 4 장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ㆍ 133

6) 척수손상 ( 외상성, 비외상성 ) 척수손상 ( 외상성, 비외상성 ) 은운동영역세부항목중 Strength(37.3%) 의중요도가가장높았으며, 그다음으로 Standing balance(21.7%), Spasticity(17.0%), Coordination(13.7%), ROM(10.3%) 순으로중요도가높은것으로나타남. < 표 4-51> 척수손상 ( 외상성, 비외상성 ) 의운동영역세부항목중요도 세부항목가중치일관성비율 ROM 0.1026 Strength 0.3733 Spasticity 0.1696 Coordination 0.1373 Standing balance 0.2172 합계 1 0.0876 [ 그림 4-32] 척수손상 ( 외상성, 비외상성 ) 의운동영역세부항목의가중치 7) 발달지연및뇌성마비 발달지연및뇌성마비는운동영역세부항목중 Standing balance(25.2%) 의중요도가가장높았으며, 그다음으로, Coordination(23.1%), Strength(21.8%), Spasticity(19.5%), ROM(10.5%) 순으로중요도가높은것으로나타남. < 표 4-52> 발달지연및뇌성마비의운동영역세부항목중요도 세부항목가중치일관성비율 ROM 0.1052 Strength 0.2176 Spasticity 0.1950 Coordination 0.2306 Standing balance 0.2516 합계 1 0.0680 [ 그림 4-33] 발달지연및뇌성마비의운동영역세부항목의가중치 134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8) 기타신경계질환 기타신경계질환은운동영역세부항목중 Strength(21.8%) 의중요도가가장높았으며, 그다음으로 Standing balance(25.2%), Coordination(23.1%), Spasticity(19.5%), ROM(10.5%) 순으로중요도가높은것으로나타남. < 표 4-53> 기타신경계질환의운동영역세부항목중요도 세부항목가중치일관성비율 ROM 0.1174 Strength 0.3850 Spasticity 0.1266 Coordination 0.1453 Standing balance 0.2257 합계 1 0.0684 [ 그림 4-34] 기타신경계질환의운동영역세부항목의가중치 9) 말초신경및근육질환 말초신경및근육질환은운동영역세부항목중 Strength(43.7%) 의중요도가가장높았으며, 그다음으로 Standing balance(21.4%), ROM(14.8%), Coordination(13.3%), Spasticity(6.9%) 순으로중요도가높은것으로나타남. < 표 4-54> 말초신경및근육질환의운동영역세부항목중요도 세부항목가중치일관성비율 ROM 0.1479 Strength 0.4373 Spasticity 0.0685 Coordination 0.1327 Standing balance 0.2137 합계 1 0.0905 [ 그림 4-35] 말초신경및근육질환의운동영역세부항목의가중치 제 4 장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ㆍ 135

10) 골절 관절치환및근골격계질환 골절 관절치환및근골격계질환은운동영역세부항목중 ROM(36.3%) 의중요도가가장높았으며, 그다음으로 Strength(30.5%), Standing balance(15.7%), Coordination(11.1%), Spasticity(6.5%) 순으로중요도가높은것으로나타남. < 표 4-55> 골절 관절치환및근골격계질환의운동영역세부항목중요도 세부항목가중치일관성비율 ROM 0.3627 Strength 0.3047 Spasticity 0.0647 Coordination 0.1111 Standing balance 0.1568 합계 1 0.0847 [ 그림 4-36] 골절 관절치환및근골격계질환의운동영역세부항목의가중치 11) 절단 절단은운동영역세부항목중 Strength(32.9%) 의중요도가가장높았으며, 그다음으로 ROM(30.9%), Standing balance(19.9%), Coordination(10.4%), Spasticity(6.0%) 순으로중요도가높은것으로나타남. < 표 4-56> 절단의운동영역세부항목중요도 세부항목가중치일관성비율 ROM 0.3088 Strength 0.3290 Spasticity 0.0595 Coordination 0.1042 Standing balance 0.1986 합계 1 0.0951 [ 그림 4-37] 절단의운동영역세부항목의가중치 136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12) 심폐질환 심폐질환은운동영역세부항목중 Strength(36.3%) 의중요도가가장높았으며, 그다음으로 Standing balance(25.6%), ROM(16.5%), Coordination(14.4%), Spasticity(7.2%) 순으로중요도가높은것으로나타남. < 표 4-57> 심폐질환의운동영역세부항목중요도 세부항목가중치일관성비율 ROM 0.1654 Strength 0.3632 Spasticity 0.0722 Coordination 0.1437 Standing balance 0.2555 합계 1 0.0923 [ 그림 4-38] 심폐질환의운동영역세부항목의가중치 13) 만성통증증후군 만성통증증후군은운동영역세부항목중 ROM(28.2%) 과 Strength(28.2%) 의중요도가가장높았으며, 그다음으로 Standing balance(17.8%), Coordination(15.9%), Spasticity(9.9%) 순으로중요도가높은것으로나타남. < 표 4-58> 만성통증증후군의운동영역세부항목중요도세부항목가중치일관성비율 ROM 0.2822 Strength 0.2822 Spasticity 0.0991 Coordination 0.1590 Standing balance 0.1776 합계 1 0.0562 [ 그림 4-39] 만성통증증후군의운동영역세부항목의가중치 제 4 장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ㆍ 137

14) 주요한다발성외상 주요한다발성외상은운동영역세부항목중 Strength(32.9%) 의중요도가가장높았으며, 그다음으로 ROM(28.3%), Standing balance(19.2%), Coordination(12.7%), Spasticity(6.9%), 순으로중요도가높은것으로나타남. < 표 4-59> 주요한다발성외상의운동영역세부항목중요도 세부항목가중치일관성비율 ROM 0.2825 Strength 0.3292 Spasticity 0.0689 Coordination 0.1270 Standing balance 0.1923 합계 1 0.0685 [ 그림 4-40] 주요한다발성외상의운동영역세부항목의가중치 15) 화상 화상은운동영역세부항목중 ROM(47.1%) 의중요도가가장높았으며, 그다음으로 Strength(21.1%), Standing balance(13.7%), Coordination(10.9%), Spasticity(7.2%) 순으로중요도가높은것으로나타남. < 표 4-60> 화상의운동영역세부항목중요도 세부항목가중치일관성비율 ROM 0.4711 Strength 0.2108 Spasticity 0.0720 Coordination 0.1089 Standing balance 0.1372 합계 1 0.0694 [ 그림 4-41] 화상의운동영역세부항목의가중치 138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16) 운동영역의세부항목별상대적중요도 AHP기법을활용하여도출한 15개대상질환의운동영역세부항목의상대적중요도는 < 표 4-61> 과같음. < 표 4-61> 운동영역세부항목별가중치 세부항목 Standing ROM Strength Spasticity Coordination 질환 balance 계 뇌졸중 0.0909 0.3193 0.1349 0.1898 0.2650 1 외상성뇌손상 0.0884 0.2654 0.1432 0.2269 0.2760 1 비외상성뇌손상 0.0920 0.3150 0.1223 0.1990 0.2717 1 인지기능저하가동반된퇴행성뇌질환 운동기능저하가동반된퇴행성뇌질환 0.1113 0.2041 0.0842 0.2602 0.3402 1 0.0894 0.1786 0.0928 0.3033 0.3359 1 척수손상 ( 외상성, 비외상성 ) 0.1026 0.3733 0.1696 0.1373 0.2172 1 발달지연및뇌성마비 0.1052 0.2176 0.1950 0.2306 0.2516 1 기타신경계질환 0.1174 0.3850 0.1266 0.1453 0.2257 1 말초신경및근육질환 0.1479 0.4373 0.0685 0.1327 0.2137 1 골절 관절치환및근골격계질환 0.3627 0.3047 0.0647 0.1111 0.1568 1 절단 0.3088 0.3290 0.0595 0.1042 0.1986 1 심폐질환 0.1654 0.3632 0.0722 0.1437 0.2555 1 만성통증증후군 0.2822 0.2822 0.0991 0.1590 0.1776 1 주요한다발성외상 0.2825 0.3292 0.0689 0.1270 0.1923 1 화상 0.4711 0.2108 0.0720 0.1089 0.1372 1 제 4 장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ㆍ 139

바. 질환별감각영역세부항목의상대적중요도 질환별감각영역세부항목의상대적중요도는기능평가도구를적용할 15개대상질환의 Superficial sense, Proprioception의상대적중요도를 AHP기법을활용하여도출함. 1) 뇌졸중 뇌졸중의감각영역세부항목은 Proprioception(77.0%) 의중요도가 Superficial sense(23.0%) 의중요도보다높게나타남. < 표 4-62> 뇌졸중의감각영역세부항목중요도 세부항목 가중치 Superficial sense 0.2299 Proprioception 0.7701 합계 1 2) 외상성뇌손상 [ 그림 4-42] 뇌졸중의감각영역세부항목의가중치 외상성뇌손상의감각영역세부항목은 Proprioception(79.1%) 의중요도가 Superficial sense (20.9%) 의중요도보다높게나타남. < 표 4-63> 외상성뇌손상의감각영역세부항목중요도 세부항목 가중치 Superficial sense 0.2086 Proprioception 0.7914 합계 1 [ 그림 4-43] 외상성뇌손상의감각영역세부항목의가중치 140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3) 비외상성뇌손상 비외상성뇌손상의감각영역세부항목은 proprioception(75.8%) 의중요도가 Superficial sense (24.2%) 의중요도보다높게나타남. < 표 4-64> 비외상성뇌손상의감각영역세부항목 중요도 세부항목 가중치 Superficial sense 0.2422 Proprioception 0.7578 합계 1 4) 인지기능저하가동반된퇴행성뇌질환 [ 그림 4-44] 비외상성뇌손상의 감각영역세부항목의가중치 인지기능저하가동반된퇴행성뇌질환의감각영역세부항목은 Proprioception(74..8%) 의 중요도가 Superficial sense(25.3%) 의중요도보다높게나타남. < 표 4-65> 인지기능저하가동반된퇴행성뇌질환 감각영역세부항목중요도 세부항목 가중치 Superficial sense 0.2525 Proprioception 0.7475 합계 1 [ 그림 4-45] 인지기능저하가동반된퇴행성 뇌질환의감각영역세부항목의가중치 제 4 장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ㆍ 141

5) 운동기능저하가동반된퇴행성뇌질환 운동기능저하가동반된퇴행성뇌질환의감각영역세부항목은 Proprioception(78.4%) 의 중요도가 Superficial sense(21.6%) 의중요도보다높게나타남. < 표 4-66> 운동기능저하가동반된퇴행성뇌질환의 감각영역세부항목중요도 세부항목 가중치 Superficial sense 0.2161 Proprioception 0.7839 합계 1 6) 척수손상 ( 외상성, 비외상성 ) [ 그림 4-46] 운동기능저하가동반된퇴행성 뇌질환의감각영역세부항목의가중치 척수손상 ( 외상성, 비외상성 ) 의감각영역세부항목은 Proprioception(71.6.%) 의중요도가 Superficial sense(28.5%) 의중요도보다높게나타남. < 표 4-67> 척수손상 ( 외상성, 비외상성 ) 의감각영역 세부항목중요도 세부항목 가중치 Superficial sense 0.2845 Proprioception 0.7155 합계 1 [ 그림 4-47] 척수손상 ( 외상성, 비외상성 ) 의감각영역세부항목의가중치 142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7) 발달지연및뇌성마비 발달지연및뇌성마비는감각영역세부항목은 Proprioception(73.4%) 의중요도가 Superficial sense(26.6%) 의중요도보다높게나타남. < 표 4-68> 발달지연및뇌성마비의감각영역세부항목중요도 세부항목 가중치 Superficial sense 0.2661 Proprioception 0.7339 합계 1 [ 그림 4-48] 발달지연및뇌성마비의감각영역세부항목의가중치 8) 기타신경계질환 기타신경계질환의감각영역세부항목은 Proprioception(69.0%) 의중요도가 Superficial sense(31.0%) 의중요도보다높게나타남. < 표 4-69> 기타신경계질환의감각영역세부항목중요도 세부항목 가중치 Superficial sense 0.3100 Proprioception 0.6900 합계 1 [ 그림 4-49] 기타신경계질환의감각영역세부항목의가중치 제 4 장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ㆍ 143

9) 말초신경및근육질환 말초신경및근육질환의감각영역세부항목은 Proprioception(67.9%) 의중요도가 Superficial sense(32.1%) 의중요도보다높게나타남. < 표 4-70> 말초신경및근육질환의감각영역 세부항목중요도 세부항목 가중치 Superficial sense 0.3212 Proprioception 0.6788 합계 1 10) 골절 관절치환및근골격계질환 [ 그림 4-50] 말초신경및근육질환의 감각영역세부항목의가중치 골절 관절치환및근골격계질환의감각영역세부항목은 Proprioception(66.0%) 의중요도가 Superficial sense(34.0%) 의중요도보다높게나타남. < 표 4-71> 골절 관절치환및근골격계질환의 감각영역세부항목중요도 세부항목 가중치 Superficial sense 0.3399 Proprioception 0.6601 합계 1 [ 그림 4-51] 골절 관절치환및근골격계 질환의감각영역세부항목의가중치 144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11) 절단 절단의감각영역세부항목은 Proprioception(65.9%) 의중요도가 Superficial sense(34.1%) 의 중요도보다높게나타남. < 표 4-72> 절단의감각영역세부항목중요도 세부항목 가중치 Superficial sense 0.3407 Proprioception 0.6593 합계 1 12) 심폐질환 [ 그림 4-52] 절단의 감각영역세부항목의가중치 심폐질환의감각영역세부항목은 Proprioception(64.9%) 의중요도가 Superficial sense (35.1%) 의중요도보다높게나타남. < 표 4-73> 심폐질환의감각영역세부항목중요도 세부항목 가중치 Superficial sense 0.3512 Proprioception 0.6488 합계 1 [ 그림 4-53] 심폐질환의 감각영역세부항목의가중치 제 4 장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ㆍ 145

13) 만성통증증후군 만성통증증후군의감각영역세부항목은 Superficial Proprioception(32.1%) 의중요도보다높게나타남. sense(67.9.%) 의중요도가 < 표 4-74> 만성통증증후군의감각영역세부항목중요도 세부항목 가중치 Superficial sense 0.6790 Proprioception 0.3210 합계 1 14) 주요한다발성외상 [ 그림 4-54] 만성통증증후군의감각영역세부항목의가중치 주요한다발성외상의감각영역세부항목은 Proprioception(50.8%) 의중요도가 Superficial sense(49.2%) 의중요도보다높게나타남. < 표 4-75> 주요한다발성외상의감각영역세부항목중요도 세부항목 가중치 Superficial sense 0.4921 Proprioception 0.5079 합계 1 [ 그림 4-55] 주요한다발성외상의감각영역세부항목의가중치 146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15) 화상 화상의감각영역세부항목은 Superficial sense(64.5%) 의중요도가 Proprioception(35.5%) 의 중요도보다높게나타남. < 표 4-76> 화상의감각영역세부항목중요도 세부항목 가중치 Superficial sense 0.6446 Proprioception 0.3554 합계 1 [ 그림 4-56] 화상의 감각영역세부항목의가중치 제 4 장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ㆍ 147

16) 감각영역의세부항목별상대적중요도비교 AHP기법을활용하여도출한 15개대상질환의감각영역세부항목의상대적중요도는 < 표 4-77> 과같음. < 표 4-77> 감각영역세부항목별가중치 질환 Superficial sense Proprioception 계 뇌졸중 0.2299 0.7701 1 외상성뇌손상 0.2086 0.7914 1 비외상성뇌손상 0.2422 0.7578 1 인지기능저하가동반된퇴행성뇌질환 운동기능저하가동반된퇴행성뇌질환 0.2525 0.7475 1 0.2161 0.7839 1 척수손상 ( 외상성, 비외상성 ) 0.2845 0.7155 1 발달지연및뇌성마비 0.2661 0.7339 1 기타신경계질환 0.3100 0.6900 1 말초신경및근육질환 0.3212 0.6788 1 골절 관절치환및근골격계질환 0.3399 0.6601 1 절단 0.3407 0.6593 1 심폐질환 0.3512 0.6488 1 만성통증증후군 0.6790 0.3210 1 주요한다발성외상 0.4921 0.5079 1 화상 0.6446 0.3554 1 148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사. Functional capacity 영역에대한전반적인의견 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의 Functional capacity에해당하는운동영역, 감각영역, 인지지각영역, 심리사회영역의각세부항목에서제외가필요한항목과추가가필요한항목, 문제점및보완방법등에대해조사함. 1) 운동영역 운동영역의세부항목에서제외가필요한항목은 Coordination이 10명 (12.8%) 으로가장많았으며, 그다음으로 Standing Balance 5명 (6.4%), ROM 2명 (2.6%), Strength 1명 (1.3%), Spasticity 1명 (1.3%) 순으로나타남. 운동영역에서추가가필요한항목으로는 Gait와 Sitting balance가 3명 (3.8%) 으로가장많았으며, 그다음으로 Hand function 2명 (2.6%) 과 Mobility 1명 (1.3%) 이있었음. < 표 4-78> 운동영역의세부항목에서제외및추가권고항목 항목빈도백분율 단위 : 명 (%) 제외항목 추가항목 ROM 2 2.6 Strength 1 1.3 Spasticity 1 1.3 Coordination 10 12.8 Standing Balance 5 6.4 Gait 3 3.8 Sitting balance 3 3.8 Hand function 2 2.6 Mobility 1 1.3 제 4 장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ㆍ 149

2) 감각영역 감각영역의세부항목에서제외가필요한항목은 Superficial sense에서 Temperature sense 가 18명 (23.1%) 으로가장많았으며, 그다음으로 Tactile sense 4명 (5.1%) 과 Pain 4명 (5.1%) 순으로나타났으며, Proprioception을응답한대상자는없었음. 감각영역에서추가가필요한항목으로는 Allodynia 1명 (1.3%), Light touch 1명 (1.3%), Tingling sense 1명 (1.3%), Body awareness/body scheme 1명 (1.3%) 이있었음. < 표 4-79> 감각영역의세부항목에서제외및추가권고항목 단위 : 명 (%) 항목빈도백분율 제외항목 추가항목 Superficial sense Tactile sense 4 5.1 Temperature sense 18 23.1 Pain 4 5.1 Proprioception 0 0.0 Allodynia 1 1.3 Light touch 1 1.3 Tingling sense 1 1.3 Body awareness/body scheme 1 1.3 3) 인지지각영역 인지지각영역의세부항목에서제외시키면좋겠다고생각하는항목은 Problem Solving이 6명 (8.1%) 으로가장많았으며, 그다음으로 Executive Function 2명 (2.6.%), Visuospatial Function 1명 (1.3.%) 순으로나타났으며, Orientation, Memory, Language를응답한대상자는없었음. 인지지각영역에서추가가필요한항목으로는 Attention이 3명 (3.8%) 으로가장많았으며, 그다음으로 Calculation 1명 (1.3%) 이있었음. 150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 표 4-80> 인지지각영역의세부항목에서제외및추가권고항목 단위 : 명 (%) 항목빈도백분율 제외항목 추가항목 Orientation 0 0.0 Memory 0 0.0 Executive Function 2 2.6 Problem Solving 6 8.1 Language 0 0.0 Visuo-Spatial Function 1 1.3 Attention.3 3.8 Calculation 1 1.3 4) 심리사회영역 심리사회영역의세부항목에서제외가필요한항목은 Beliefs of Rehabilitation이 24명 (30.8%) 으로가장많았으며, 그다음으로 Beck Anxiety Inventory 5명 (6.4.%), Beck Depression Inventory 3명 (3.8%) 순으로나타남. 심리사회영역에서추가가필요항목으로는 Motivation 2명 (2.6%) 으로가장많았으며, 그외에 Irritability 1명 (1.3%), obsession 1명 (1.3%), Economic conditions 1명 (1.3%), Family support 1명 (1.3%) 등이있었음. 제 4 장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ㆍ 151

< 표 4-81> 심리사회영역의세부항목에서제외및추가권고항목 항목빈도백분율 Beck Depression Inventory 3 3.8 단위 : 명 (%) 제외항목 추가항목 Beck Anxiety Inventory 5 6.4 Beliefs of Rehabilitation 24 30.8 Motivation 2 2.6 Irritability 1 1.3 Obsession 1 1.3 Economic conditions 1 1.3 Family support 1 1.3 아. Functional Performance 영역에대한전반적인의견 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에서 Functional Performance에해당하는기본적일상생활활동 (BADL) 과수단적일상생활활동 (IADL) 의세부항목에서제외가필요한항목과추가가필요한항목, 문제점및보완방법등에대해조사함. 1) 기본적일상생활활동 (BADL) BADL의세부항목에서제외가필요한항목은 Bed mobility가 4명 (5.1%) 으로가장많았으며, 그다음으로 Grooming 2명 (2.6%), Bladder management 1명 (1.3%), Bowel management 1명 (1.3%), Ambulation(walk) 1명 (1.3%) 순으로나타남. BADL에서추가가필요한항목으로는 Communication 1명 (1.3%), Sleeping & Wake up 1명 (1.3%), Mat mobility 1명 (1.3%) 이있었음. 152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 표 4-82> 기본적일상생활활동 (BADL) 의세부항목에서제외및추가권고항목 단위 : 명 (%) 항목빈도백분율 제외항목 추가항목 Grooming 2 2.6 Bathing 0 0.0 Eating 0 0.0 Dressing upper body 0 0.0 Dressing lower body 0 0.0 Bladder management 1 1.3 Bowel management 1 1.3 Toileting 0 0.0 Bed mobility 4 5.1 Transfer 0 0.0 Ambulation(walk) 0 0.0 Wheelchair 1 1.3 Stairs 1 1.3 Communication 1 1.3 Sleeping & Wake up 1 1.3 Mat mobility 1 1.3 2) 수단적일상생활활동 (IADL) IADL의세부항목에서제외가필요한항목은 Meal preparation이 8명 (10.3%) 으로가장많았으며, 그다음으로 Medication management이 6명 (7.7%), Telephone use가 2명 (2.6%) 순으로나타남. IADL에서추가가필요한항목으로는 Computer use가 4명 (5.1%) 으로가장많았으며, 그다음으로 Transportation use와 Cell phone use이 3명 (3.8%) 으로많았고, 그외 Write a letter 2명 (2.6%), Financial management 1명 (1.3%), Clean up 1명 (1.3%) 순으로나타남. 제 4 장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ㆍ 153

< 표 4-83> 수단적일상생활활동 (IADL) 의세부항목에서제외및추가권고항목 단위 : 명 (%) 항목 빈도 백분율 Telephone use 2 2.6 제외항목 추가항목 Medication management 6 7.7 Meal preparation 8 10.3 Computer use 4 5.1 Transportation use 3 3.8 Cell phone use 3 3.8 Write a letter 2 2.6 Financial management 1 1.3 Clean up 1 1.3 154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자. 조사결과에대한고찰 현재일상생활활동평가시주로사용하는평가도구는 MBI(98.7%) 가가장많았으며, FIM (47.4%), SCIM(37.2%) 순으로나타났으며, 일상생활활동평가도구의사용목적은주로치료효과평가 (89.7%) 및치료계획수립 (73.1%) 에사용되고있었음. 기존에사용하고있는일상생활활동평가도구의제약으로는 총괄적인평가가어려움 (71.8%) 이가장많았고, 그다음으로 평가기준이모호함 (61.5%), 질환별가중치가고려되지않음 (39.7%) 등의의견이많았음. 본연구는기능적수행과기능적능력을포괄적으로평가하기위한총체적인기능평가도구개발을목적으로하고있으며, 기능평가도구적용대상질환별평가항목의가중치를도출하여질환의특성을반영함. 또한평가기준의객관성을위해항목별평가기준의예시를상세히기술하였으며, 현재평가도구들의제한점을최대한반영하여이를보완할수있는기능평가도구를개발하고자하였음. 또한응답자의 80.8% 가현재 FIM/MBI 등을대체할우리나라실정에맞은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가필요하다고하였으며, 전체 94.9% 는기능적수행 (Functional performance) 과기능적능력 (Functional capacity) 을모두평가할수있는총괄적인기능평가도구가필요하다고응답하여, 총괄적인평가도구에대한요구도가매우높음을알수있음. 따라서일상생활활동과이에중요한영향을미치는운동, 감각, 인지지각, 심리사회적기능등기능적능력을함께고려한총괄적인기능평가도구의개발이필요함. 기능평가도구를적용할 15개대상질환의기능적능력 (Functional capacity) 에해당하는운동, 감각, 인지지각, 심리사회적기능의상대적중요도와운동영역의세부항목 ROM, Strength, Spasticity, Coordination, Standing balance의상대적중요도, 감각영역의세부항목 Superficial sense과 Proprioception의상대적중요도를 AHP 기법을활용하여도출하였으며, 이를기능평가도구에반영함. 질환별로평가영역과항목의가중치를달리적용함으로써다양한질환의특성을고려한평가가가능할것으로사료됨. 운동영역에서추가가필요한 Gait와 Mobility 항목은기능적수행 (Functional performance) 영역에서평가하고있으며, hand function test는전문가들과의논의를통해제외되었음. 감각영역에서제외가필요한항목은 Superficial sense 중 Temperature sense(23.1%) 가가장많았으며, 사전테스트에서도측정의정확성과필요성에대한고려가필요한것으로나타나이에대한추가검토가필요함. Allodynia(1.3%), Light touch(1.3%), Tingling sense(1.3%), body scheme(1.3%) 이추가가필요한항목으로나왔으나, 감각만을자세히평가하는도구가아니므로기본이되는항목만을평가하도록구성함. 제 4 장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ㆍ 155

인지지각영역의세부항목에서는해당영역에대한포괄적인평가를하고자하였으며, 추가가필요한항목으로는 Attention(3.8%) 과 Calculation(1.3%) 이있었음. 개발된기능평가도구에서는 Attention이다른평가항목에포함되어있으며, Attention 만을독립적으로측정하는데는어려움이있으므로따로측정하지않음. 심리사회영역에서는제외항목으로 Beliefs of rehabilitation(30.8%) 이가장많았으나, Beliefs of rehabilitation은환자가지각하는재활치료에대한민감도, 재활치료효능, 자기효능감, 재활치료의중요성, 장애의심각도를평가하며, 이는재활치료중재에참여도를높이는데영향을미치는중요한요소이므로 (Taylor & Sally May, 1996) 항목에포함하였음. 또한관련이론은 motivation도주요요소로다루고있음. 추가가필요한항목으로는 Motivation (2.6%), Irritability (1.3%), obsession(1.3%), Economic conditions (1.3%), Family support(1.3%) 등이있었음. 기능적수행 (Functional performance) 영역의기본적일상생활활동 (BADL) 에서제외가필요한항목으로는 Bed mobility(5.1%), Grooming(2.6%), Bladder management(1.3%), Bowel management (1.3%), Ambulation/walk(1.3%) 가있었으며, 추가가필요한항목으로는 Communication(1.3%), Sleeping & Wake up(1.3%), Mat mobility(1.3%) 가있었음. Grooming, Bladder and Bowel management, Ambulation(walk) 항목은일상생활활동평가에서기본이되는중요한항목이므로반영하도록하였으며, Bed mobility는일상생활활동과의연관성및중요도검토중에있음. 수단적일상생활활동 (IADL) 에서 Meal preparation(10.3%), Medication management(7.7%), Telephone use(2.6%) 세항목모두제외가필요한항목으로나왔으며, 추가가필요한항목으로는 Computer use(5.4%) 로가장많았고, Transportation use(3.8%) 와 Cell phone use(3.8%) 그외 Write a letter(2.6%), Financial management(1.3%), Clean up(1.3%) 등다양한의견이있었음. 수단적일상생활활동에해당하는 3항목은포함여부에대한검토후선별기준이모호하고, 기본적일상생활활동과함께평가하는데무리가있어제외함. 156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제 5 장기능평가도구의평가및활용방안 제 1 절. 사전평가 1. 사전평가내용및방법 재활의학과전문의의임상적용을통해뇌졸중환자와척수손상환자를대상으로개발된기능평가도구 Alpha version의사전평가를실시하였음. 사전평가후평가항목및시간의적합성등에관한문항을설문형태로측정하여결과를평가도구에반영함. 기능평가도구의적합성및적절성등평가항목은 매우적합하다 에서 매우적합하지않다 의 5점척도로측정함. 가. 기능적수행 (Functional performance) 영역 기능적수행 (Functional performance) 에해당하는 ADL의평가항목은사전평가를통해 평가항목의적절성, 난이도적합성, 각단계별척도기준의적절성, 평가시간의적절성 에대해평가함. - 평가항목의적절성 55) 최명애등 (2010) 의연구에서평가도구개발과정중예비조사를실시하여문항을검토했던연구과정을토대로 평가항목의적절성 을평가의기준으로삼음. - 난이도적합성 56) 평가항목은항목의중요도뿐아니라난이도를고려해야하며, 각평가항목의난이도분석을통하여평가도구를보완할필요가있음 ( 박경영, 2004). 55) 최명애 (2010). 한국판노인신체활동측정도구 (Korean version of Physical Activity Scale for the Elderly: K-PASE) 의평가.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6(1). 56) 박경영 (2004). 뇌졸중환자용기본일상생활평가도구개발 (2).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2(1). 제 5 장기능평가도구의평가및활용방안ㆍ 157

- 각단계별척도기준의적절성 57) 평가도구는기본적으로타당성및신뢰도, 등급척도, 표준화등의조건을갖추어야하므로 (Christiansen CH, 1993), 각단계별척도기준의적절성에대한평가가필요함. - 평가시간의적절성 58) 평가도구개발시임상에서사용하기에간편하고, 일상생활에대한객관적이며정확한정보를도출할수있는평가도구를개발해야하므로 ( 박경영, 2004), 평가시간의적절성에대한평가가필요함. 나. 기능적능력 (Functional capacity) 영역 1) 운동영역 감각영역 인지지각영역 기능적능력 (Functional capacity) 에해당하는운동영역 감각영역 인지지각영역의평가항목은 평가의객관성, 평가의용이성, 점수산정적절성, 평가시간의적절성 에대해평가함. - 평가의객관성 59) 검사도구들은환자의상태를정확하고객관적으로파악할수있어야하며동시에환자의변화를민감하게반영할수있어야함 (Law, 2001). - 평가의용이성 60) 기능평가도구는검사에용이하며실용적이어야함 (Christiansen CH, 1993). - 점수산정적절성 61) 뇌졸중환자의일상생활수행을서열척도수준으로측정한후라쉬모형을적용하여환자와평가항목의적합성과항목의난이도를분석하고등간척도수준으로변환하여개개인의일상생활수행능력을추정할수있는평가도구를개발한이재신 (2006) 의연구를토대로 점수산정적절성 을평가의기준으로삼음. 57) Christiansen CH(1993). Self care: Evaluation and management. Rehabilitation medicine, 2nd ed, Philadelphia: JB Lippincott Company. 178-200. 58) 박경영 (2004). 뇌졸중환자용기본일상생활평가도구개발 (2).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2(1). 59) Law, M(2001). Measuring occupational performance : Supporting best practice in occupational therapy. 60) Christiansen CH(1993). Self care: Evaluation and management. Rehabilitation medicine,2nd ed, Philadelphia: JB Lippincott Company. 178-200. 61) 이재신 (2007). 라쉬분석을이용한뇌졸중외래환자용일상생활수행평가도구개발.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5(1). 158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 평가시간의적절성 62) Functional performance와같이임상에서사용하기에간편하고, 일상생활에대한객관적이며정확한정보를도출할수있는평가도구를개발한박경영 (2004) 의연구를토대로평가시간의적절성을평가의기준으로삼음. 2) 심리사회적영역 기능적능력 (Functional capacity) 에해당하는심리사회적영역의평가항목은 문항의이해 및적절성, 문항삭제및추가필요성, 문항의중복성, 문항의일관성 에대해평가함. - 문항의이해및적절성 63) 평가도구의내용타당도를검증하기위해서문항의이해및적절성과문화적적합성등에대해질문지를작성한후전문가대상으로질문을실시하여내용타당도를검증한정병록 (2011) 등의연구를토대로 문항의이해및적절성 을평가의기준으로삼음. - 문항삭제및추가필요성 64)65) 부적합한항목을제외및수정하는단계를걸쳐뇌졸중외래환자의일상생활수행평가도구를개발한이재신 (2007) 의연구와해당분야의 3년이상근무한전문가 5명에게평가항목으로부적절한항목을선택하게하여 80% 이상이부적절한것으로판단하는항목은평가목록에서삭제한박경영 (2004) 의연구를토대로 문항삭제및추가필요성 을평가의기준으로함. - 문항의중복성 66) 김용국 (2007) 의연구에따르면측정도구개발을위해전문가 6명에의해문항이검토되었으며, 편중된반응을유도할가능성이있는지, 언어가모호하지않고명확한지, 전문적인용어와불필요한용어가포함되지않았는지, 개념이중복되지않았는지등에중점을맞췄으며, 이를토대로 문항의중복성 을평가기준으로함. - 문항의일관성 67) 문헌을검토하고, 전문가의유효성을테스트한후문서를수정한 Shu-Mei Gan et al (2012) 의연구를토대로 문항의일관성 을평가의기준으로함. 62) 박경영 (2004). 뇌졸중환자용기본일상생활평가도구개발 (2).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2(1). 63) 정병록 (2009). Pediatric Evaluation of Disability Inventory(PEDI) 평가도구의국내적용을위한번역및문화간비교연구 : 예비연구.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7(3). 64) 이재신 (2007). 라쉬분석을이용한뇌졸중외래환자용일상생활수행평가도구개발.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5(1). 65) 박경영 (2004). 뇌졸중환자용기본일상생활평가도구개발 (2).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2(1). 66) 김용국 (2007). 지체장애인의신체적자기개념측정도구개발및타당화. 한국특수체육학회지. 15(3). 67) Shu-Mei Gan et al(2012). ICF-CY based assessment tool for children with autism. Journal of the Disability & Rehabilitation. 제 5 장기능평가도구의평가및활용방안ㆍ 159

2. 사전평가결과 가. 기능적수행 (Functional Performance) 영역 재활의학과전문의에의해시행된사전평가결과 평가항목의적절성, 난이도적합성, 각단계별척도기준의적절성, 평가시간의적절성 의모든측면에서대체적으로 적합하다 는결과를보임. 평가항목의적절성 측면에서는모든항목이 4점 적합하다 이상의결과를보임. 난이도적합성 측면에서는모든항목이 3점 보통이다 이상의결과를보임. 척수손상환자의경우 Bladder management, Medication management(taking medication) 항목이다른항목에비해다소낮은적합성을보였고, 뇌졸중환자의경우 Grooming, Meal preparation 항목이다른항목에비해다소낮은적합성을보임. 각단계별척도기준의적절성 측면에서는모든항목이 3점 보통이다 이상의결과를보임. 척수손상환자의경우 Bathing, Stairs, Toileting, Telephone use, Medication management (Taking medication) 항목이다른항목에비해다소낮은적절성을보였고, 뇌졸중환자의경우 Transfer 항목이다소낮게측정됨. 평가시간의적절성 측면에서는모든항목이 3점 보통이다 이상의결과를보임. 척수손상환자의경우 Medication management(taking medication) 항목이다른항목에비해다소낮은적절성을보였고, 뇌졸중환자의경우 Grooming, Meal preparation 항목이다소낮게측정됨. Performance 영역에서수정및보완이가장많이필요한측면은 평가시간의적절성 과 각단계별척도기준의적절성 인것으로나타남. 사전평가결과를바탕으로연구진간의논의를거쳐의견을반영함. 나. 기능적능력 (Functional Capacity) 영역 운동영역 - 운동기능평가에서는 평가의용이성 과 평가시간의적절성 측면에서수정및보완이필요한것으로나타남. 척수손상환자의경우 'ROM, Coordination' 항목에서 평가의용이성 과 평가시간의적절성 이다소낮게측정되었으며, 뇌졸중환자의경우 ROM, Strength' 항목에서 평가의용이성 과 평가시간의적절성 이다소낮게측정됨. 160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감각영역 - 감각기능평가에서는 평가의용이성 과 평가시간의적절성 측면에서수정및보완이필요한것으로나타남. 뇌졸중환자의경우평가시간의부적합함을보였으며, 평가의용이성또한보완이필요한것으로나타났으며, 척수손상환자의경우대체적으로적합하다는결과를보였지만 'Proprioception' 항목에서다소보완이필요한것으로나타남. 인지지각영역 - 인지지각기능평가에서는 Problem solving' 항목에서 ' 평가의용이성, 점수산정적절성, 준비도구의적절성, 평가시간의적절성 측면이다소낮게측정됨. Memory, Language' 항목에서도평가의객관성및용이성과평가시간, 준비도구에대한보완이필요한것으로나타남. 심리사회적영역 - 심리사회적기능평가에서는 BDI 와 BAI' 평가설문지의평가문항의중복성과평가시간의적절성에대한검토가필요하다고나타남. Beliefs of Rehabilitation' 평가항목은대체적으로 적합하다 는결과를보임. Capacity 영역에서수정및보완이가장많이필요한측면은 평가시간의적절성 과 평가의용이성 인것으로나타남. 사전평가결과를바탕으로연구진간의논의를거쳐의견을반영함. 제 5 장기능평가도구의평가및활용방안ㆍ 161

제 2 절. 기능평가도구활용방안 본장에서는개발된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의효율적인적용및활용방안에대해다각적인측면에서제시하고자하였음. 가. 다양한질환별특성을고려한맞춤평가 개발된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는재활치료를목적으로하는환자로만 13세이상청소년및성인을대상으로함. 뇌졸중, 외상성뇌손상, 비외상성뇌손상, 인지기능저하가동반된퇴행성뇌질환, 운동기능저하가동반된퇴행성뇌질환, 척수손상, 발달지연및뇌성마비, 기타신경계질환, 말초신경및근육질환, 골절 관절치환및근골격계질환, 절단, 심폐질환, 만성통증증후군, 주요다발성외상, 화상등 15개질환을대상질환으로하여개발함. 기능평가도구를적용할대상질환별로평가항목들의가중치 ( 상대적중요도 ) 를반영하여평가영역별다양한질환별특성을고려한맞춤평가가가능함. 나. 총괄적인기능평가도구의활용으로최적의재활서비스촉진 재활치료를위한최초의총괄적인기능평가도구로기능적수행 (Functional performance) 에해당하는일상생활활동 (Activities of Daily Living) 의독립성정도와이를성공적으로수행하기위해필요한운동기능, 감각기능, 인지지각기능, 심리사회적기능의기능적능력 (Functional Capacity) 을동시에파악할수있음. 일상생활수행능력과기능적능력 (Functional capacity) 과의관련성을파악하여최적의재활의료서비스를제공하는데활용될것으로기대됨. 다. 환자군분류에활용 대상자의상병, 기능상태등을이용하여외래나입원환자를자원소모나임상적측면에서그룹핑하여분류할수있으며, 재활환자구성, 재활환자사정도구, 재활복합척도, 재활환자분류체계등의기반으로활용이가능함. 162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라. 치료계획및퇴원계획수립 일상생활에관계되는장애의원인을밝혀재활치료팀의공통목표와구체적인치료에대한기준을설정할수있음. 기능적수행결과 (functional performance) 뿐아니라기능적수행을위한능력 (capacity) 을평가하여, 환자의능력을최대화 (capacity utilization) 시킬수있는재활치료계획을수립할수있게됨. 기능상태 (functional status) 에대한개요를제공하며, 활동의제한 (activity limitations) 정도를결정하도록도와줌. 재활치료시중재계획 (intervention planning) 을위한가이드를제공하며, 기능정도에따라퇴원및미래에대한계획을수립하는데활용가능함. 마. 치료결과및효과평가에활용 재활치료의결과를측정하고재활치료행위의유효성을평가할수있음. 중재프로그램 (intervention programs) 을평가하고진행상황을모니터링하는데활용가능하며, 재활치료에대한효과를추적평가하는데활용가능함. 재활치료의효과를 capacity와 performance로나누어측정하게되어, 다차원적인재활치료효과평가가가능하게됨. 바. 시스템구축을통한연구자료로의활용 재활의학연구의기초자료로활용가능하며, 근거중심의학 (Evidence Based Practice) 을위한데이터로이용가능함. 일상생활수행능력과 Functional capacity 사이의관련성분석등다양한임상및기초연구에활용가능함. 이를위해대상자의평가결과를체계적으로관리할수있는사례베이스및시스템구축이필요할것으로사료됨. 제 5 장기능평가도구의평가및활용방안ㆍ 163

제 6 장고찰및결론 본연구는기능적수행 (Functional Performance) 과기능적능력 (Functional capacity) 을평가하기위한기능평가도구를개발하고, 개발한기능평가도구의적용가능성을평가하고자함. 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의주요결과및제언을다음과같이크게여섯가지로제시할수있음. 첫째, 기능적수행 (Functional Performance) 과기능적능력 (Functional capacity) 을총체적으로파악할수있는기능평가도구를개발함. - 개발된기능평가도구는크게기능적수행 (Functional performance) 과기능적능력 (Functional capacity) 으로구성됨. 기능적수행은일상생활활동의독립성을평가하며, 몸단장 (Grooming), 목욕 (Bathing), 식사하기 (Eating), 상의입고벗기 (Dressing upper body), 하의입고벗기 (Dressing lower body), 배뇨관리 (Bladder management), 배변관리 (Bowel management), 용변처리 (Toileting), 침상이동 (Bed mobility), 이동 (Transfer), 보행 (Ambulation/walk), 휠체어 (Wheelchair), 계단오르내리기 (Stairs) 총 12개항목으로구성되며, 각항목은최대점수 6점 ( 완전독립 ), 최저점수 1점 ( 완전의존 ) 으로총점은 12점에서 72점임. - 기능적수행은운동기능, 감각기능, 인지지각기능, 심리사회적기능총 4개의영역으로구성되어있음. 운동기능은관절가동범위 (Range of Motion), 근력 (Muscle Strength), 근긴장도 (Spasticity), 협응력 (Coordination), 서기균형 (Standing Balance), 감각기능은표면감각 (Superficial sense: Tactile, Temperature, Pain), 고유수용성감각 (Proprioception), 인지지각기능은지남력 (Orientation), 기억력 (Memory), 실행기능 (Executive function), 문제해결력 (Problem solving), 언어 (Language), 시-공간적기능 (Visuo-spatial function), 심리사회적기능은우울 (Depression), 불안 (Anxiety), 재활신념 (Beliefs of Rehabilitation) 을평가하며, 척도는항목별로유 무또는 3점 ~6점척도로측정함. 164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둘째, AHP 기법을활용한전문가설문조사를통해기능평가도구를적용할대상질환별로 평가항목들의가중치 ( 상대적중요도 ) 를도출하여평가도구에반영함. - 뇌졸중, 외상성뇌손상, 비외상성뇌손상, 인지기능저하가동반된퇴행성뇌질환, 운동기능저하가동반된퇴행성뇌질환, 척수손상, 발달지연및뇌성마비, 기타신경계질환, 말초신경및근육질환, 골절 관절치환및근골격계질환, 절단, 심폐질환, 만성통증증후군, 주요다발성외상, 화상을대상질환으로하여질환별평가항목들의중요도를도출함. 질환별로평가영역과항목의가중치를달리적용함으로써, 질환의특성을고려한평가가가능할것으로사료됨. 셋째, 재활의학과전문의의임상적용을통해뇌졸중, 척수손상환자를대상으로개발된 기능평가도구의사전테스트를시행함. - 재활의학과전문의 3명이뇌졸중환자와척수손상환자를대상으로사전평가를시행하여, 일상생활활동의 평가항목의적절성, 난이도의적합성, 각단계별척도기준의적절성, 평가시간의적절성 에대해평가함. - 운동기능, 감각기능, 인지지각기능은 평가의객관성, 평가의용이성, 점수산정의적절성, 평가시간에적절성 에대해평가하였고, 심리사회적기능항목은 문항의이해및적절성, 문항삭제및추가필요성, 문항의중복성, 문항의일관성 에대해평가하여일부항목및점수척도기준을수정 보완함. 넷째, 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의효율적인적용및활용방안에대해다각적측면에서 제시하였음. - 개발된기능평가도구는기능평가를적용할대상질환별로평가항목들의상대적중요도를반영하여개발함으로써다양한질환별특성을고려한맞춤평가가가능하며, 기능적수행 (Functional performance) 에해당하는일상생활활동 (Activities of Daily Living) 의독립성과이를성공적으로수행하기위해필요한운동 감각 인지지각 사회심리적기능의기능적능력 (Functional Capacity) 을총체적으로파악하여최적의재활의료서비스를제공하는데활용될것임. 제 6 장고찰및결론ㆍ 165

- 또한환자군분류, 치료계획및퇴원계획수립, 재활치료결과측정및다차원적인재활치료효과평가에활용가능함. - 데이터축척을통해재활의학연구의기초자료와다양한임상연구로활용가능하며, 근거중심의학 (Evidence Based Practice) 을위한데이터로이용가능함. 또한일상생활수행능력과 Functional capacity 사이의관련성분석등다양한임상및기초연구에활용될수있음. 이를위해대상자의평가결과를체계적으로관리할수있는사례베이스및시스템구축이필요할것으로보임. 다섯째, 개발된기능평가도구의실제적용가능성및확대운영을위해시범운영과평가를 통한타당성검증이요구됨. - 개발한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를향후우리나라재활의료기관에서범용적으로사용할수있도록하기위해서는개발한평가도구의실질적인임상적용을통하여신뢰도와타당도를평가함으로써, 확대적용에대한타당성검증을수행하는과정이필수적임. - 신뢰성평가를통해기능평가도구를이용한측정의안정성 (stability), 일관성 (consistency), 정확성 (accuracy) 등을검증하고, 기존평가도구와의비교 분석을실시함으로써개발한기능평가도구의타당성을평가하는것이중요함. 여섯째, 기능평가도구의타의료기관으로의확대적용을위한체계적인교육프로그램과매뉴얼보급및운영방안에대한제시가필요함. - 개발된기능평가도구에대한매뉴얼보급과홍보를통해권역별재활병원등타의료기관으로의확대보급이가능할것으로사료되며, 기능평가에대한충분한자격을갖춘사람이평가를시행할수있도록체계적인교육과관리체계가정립되어야할것임. 166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참고문헌 경태원, 김상국 (2007). AHP 기법을이용한 IT 프로젝트관리우선순위수립에대한연구. 한국경영정보학회지. 9(3):157-181. 김용국, 성창훈 (2007). 지체장애인의신체적자기개념측정도구개발및타당화. 한국특수체육학회지. 15(3):27-50. 박갑수 (2000). 국어표현 이해교육. 집문당. 박경영, 이충휘, 정민예, 유은영 (2004). 뇌졸중환자용기본일상생활평가도구개발 (2).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2(1):15-20 박지은 (2006). 반복학습이중증알츠하이머형치매노인의지남력습득에미치는효과.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재활과학과심리치료전공석사학위논문. 성기월 (1999). 시설노인과재가노인의일상생활활동 (ADL) 정도와생활만족정도의비교. 한국노년학회지. 19(1):105-117. 송은경 (2005) 소리내어읽어주기활동이아동의언어이해력에미치는영향. 이화여자대학교교육대학원초등교육전공석사학위논문. 신중일, 박수정 (2010). 노인환자들의재활치료후수단적일상생활활동에대한연구. 한국고령친화산업정책학회지. 2(2):17-24. 원장원 (2002). 한국형일상생활활동측정도구 (K-ADL) 와한국형도구적일상생활활동측정도구 (K-IADL) 의개발. 대한노인병학회지. 6(1):1-10. 원장원, 노용균, 선우덕, 이영수 (2002). 한국형일상생활활동측정도구의타당도및신뢰도. 대한노인병학회지. 6(4):273-280 원장원, 노용균, 김수영, 조비룡, 이영수 (2001). 한국형일생활지표 (K-ADL) 의타당도, 신뢰도. 대한노인병학회지. 5(2):83. 이재신, 이충휘, 장기연, 권혁철 (2007). 라쉬분석을이용한뇌졸중외래환자용일상생활수행평가도구개발.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5(1):1-11. 정병록, 유은영, 정민예, 정보인 (2009). Pediatric Evaluation of Disability Inventory(PEDI) 평가도구의국내적용을위한번역및문화간비교연구 : 예비연구.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7(3):121-132. 정항영, 박병규, 신희석, 강윤규, 편성범, 김세현, 김태현, 한태륜 (2007). 한글판수정바델지수 (K-MBI) 의개발 : 뇌졸중환자대상의다기관연구. 대한재활의학회지. 31(3):283-297. 정현주 (1999). 총체적언어교육접근이유아의언어표현력및창의성에미치는효과. 전남대학교교육대학원교육학과유아교육전공석사학위논문. 참고문헌ㆍ 167

정혜영, 김경미, 장문영 (2009). 뇌졸중환자의작업치료중재결과를측정하기위해사용된평가도구에관한체계적고찰.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7(3):79-95. 조근태 (2003). 계층분석적의사결정. 동현출판사. 최명애, 김증임, 전미양, 채영란 (2010). 한국판노인신체활동측정도구 (Korean version of Physical Activity Scale for the Elderly: K-PASE) 의평가. 여성건강간호학회지.16(1):47-59. 최수전 (2007). 균형성과표 (BSC) 를이용한사업장건강증진사업의성과평가모형개발 :AHP 기법을중심으로. 연세대학교보건대학원보건정보관리학과석사학위논문. Alberta FG, ElAttrache NS, Bissell S, Mohr K, Browdy J, Yocum L, Jobe F.l(2010).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Functional Assessment Tool for the Upper Extremity in the Overhead Athlete. The American Journal of Sports Medicine. 38(5):903-911. Alghwiri AA, Whitney SL, Baker CE, Sparto PJ, Marchetti GF, Rogers JC, Furman JM(2012).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Vestibular Activities and Participation Measur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93(10):1822-1831.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2008).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Domain & Process 2nd edition. AOTA Press Barer.D, Nouri.F(1989). Measurement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symposium on measurement. Clinical Rehabilitation. 3:179-187. Christiansen CH(1993). Self care: Evaluation and management. Rehabilitation medicine,2nd ed, Philadelphia: JB Lippincott Company. 178-200. Cohen G(1996). Memory in the real world. Hove, UK. Psycological Sciences. (46):31-36. Donaldson SW, Wagner CC, Gresham GE(1973). A unified ADL evaluation from. Arch,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54(4):175-9. Dulay H, Burt M, Krashen S(1982). Language two.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Ebrahim S, Harwood R(1999). Stroke: Epidemiology, Evidence and Clinical Practice. OUP Oxford: 2 edtion. Oxford University Press. Fountoulakis KN, Lekka E, Kouidi E, Chouvarda I, Deligiannis A, Maglaveras N(2012). Development of the Global Disability Scale(Glo.Di.S): preliminary results. Annals of General Psychiatry. 11(1):14. Gan SM, Tung LC, Yeh CY, Wang CH(2012). ICF-CY based assessment tool for children with autism. Journal of the Disability & Rehabilitation. Granger CV, Gresham GE, Jatte AM(1984) Concepts of health and methodological issues in functional assessment. In Granger CY, Gresham G (eds) 168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Grindley, E. J., & Zizzi, S. J(2005). Using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Predict Motivation and Adherence to Rehabilitation in Older Adults. Geriatric Rehabilitation. 21(3):182-193. Grnager CV, Mcnamara MA(1984). Functional assessment utilization:the long-range evaluation system(lres). Functional assessment in Rehabilitation Medicine. 46-64. Henk, Boer, Erwin R, Seydel(1994). Protection Motivation Theory.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al, Disability and Health Jette AM, Cleary PD(1987). Functional Disability Assessment. Graduate Program in Physical Therapy, Massachusetts General Hospital Institute of Health Professions 67(12):1854-1859. Katz s, Chinn AB(1958). Multidisciplinary study of illness in aged persons. Ⅰ. Methods and Prcliminary results. Journal of Chronic Diseases. 7(4):332-345. Katz S, Chinn Al(1960). Multidisciplinary study of illness in aged persons. Ⅲ. Prognostic indices in fracture of the hip. Journal of Chronic Diseases. 11(4):445-455. Katz S, Jackson BA, Littell AS, Turk CE, Jaffe MW(1962). Multidisciplinary study of illness in aged persons-Ⅳ. Comparison study of rehabilitated and nonrehabilitated patients with fracture of the hip. Journal of Chronic Diseases. 15:979-984. Lauria, A. R(1966). Higher cortical functions in man. New York: Basic Books. Lauria, A. R(1973). The working brain: Introduction to neuropsychology. New York: Basic Books. Law M, Baum C, Dunn W(2001). Measuring occupational performance : Supporting best practice in occupational therapy. Slack Incorporated. Lawton MP, Brody EM(1969). Assessment of older people: Self-maintaining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Gerontologist. 9(3):179-186. Leidy, NY(1994). Functional Status and the Forward progress of merry-go-rounds: toward a coherent analytical framework. Wester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43(4):196-202. Lezak. M. D(1995) Neropsychological assessment(3rd ed).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Lincoln NB, Gadman JR(1992). The Extended Activities of Daily Living scale:a further validation. Disablity and Rehabilitation. 14(1):41-43. Luo, L, Craik. F.I.M(2008). Aging and Memory: A cognitive approach. Canadian Journal of Psychiatry. (53):346-353 참고문헌ㆍ 169

MacVicar, M(1991). Functional assessment: concepts and measurement. In: Altered Functioning: Impairment and Disability (Metzger, B., ed.). Sigma ThetaTau, Indianapolis, IN. 6 15. Maureen E. Neistadt Elizabeth Blesedell Crepeau(1998). Willard & Sparkman's Occupational Therapy.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McPherson KM, Pentland B, Cudmore SF, Prescott RJ(1996). An inter-rater reliability study of the Functional Assessment Measure (FIM+FAM). Journal of the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18(7): 341-347. Peyrin-Biroulet L, Cieza A, Sandborn WJ, Coenen M, Chowers Y, Hibi T(2012). Development of the first disability index for inflammatory bowel disease based on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Journal of the British Society of Gastroenterology. 61(2):241-247. Salerno DF, Copley-Merriman C, Taylor TN, Shinogle J, Schulz RM(2002). A review of functional status measures for workers with upper extremity disorders.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59(10):664-70. Sangha H, Lipson D, Foley N, Salter K, Bhogal S, Pohani G, Teasell RW(2005). A comparison of the Barthel Index and the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as outcome measures in stroke rehabilitation : patterns of disability scale usage in clinical trials. International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28(2):135-139. Shah JP(1999). Dimensions of Functional Status in Trials or Wasting. Journal of Nutrition. 129:279 281. Shimizu Y, Yamada S, Suzuki M, Miyoshi H, Kono Y, Izawa H, Kato R(2010). Development of the Performance Measure for Activities of Daily Living-8 for Patients with Congestive Heart Failure: A Preliminary Study. Journal of the Gerontology. 56(5):459 466. Stanley RK, Stafford DJ, Rasch E, Rodgers MM(2003). Development of a functional assessment measure for manual wheelchair users.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40(4):301 308. Wilson IB, Cleary PD(1995). Linking Clinical Variables with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73(1):59-65. http://medical-dictionary.thefreedictionary.com http://www.galter.northwestern.edu http://www.korean.go.kr 170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부록 1 일상생활활동평가도구항목분석 Domain and process 1.FIM 2. WeeFIM 3. MBI 4. SCIM 5. A-ONE 6. Klein 7. Katz 8. S-ADL 9. DSFI 10. WST 11. WUFA 12. KSCE BADL 1. Bathing, showering Bathing Bathing Bathing self Bathing Bathing Bathing Bathing 2. Bowel and bladder management Bladder management Bladder management Bladder control Sphincter Management - Bladder Elim ination Continence Controlling bladder Bladder program Bowel management Bowel management Bowel control Sphincter Management - Bowel Controlling Bowels Bowel program 3. Dressing Upper Dressing, Lower Dressing Dressing _Upper body Dressing _Lower body Dressing Dressing Dressing -Shirt(dress) -Pants -Socks -Shoes -Fastenings Dressing Dressing Dressing, Putting on shoes Dressing -Upper trunk & arm -Lower trunk, leg & feet 4. Eating Eating Eating Eating 5. Feeding Feeding Feeding Feeding -Drink from a mug -Use fingers/ sandwich -Use fork or spoon -Use knife Feeding Feeding Feeding 6. Functional m obility Transfers: -Chair/WC, -Toilet, -Tub/Shower Transfers: -Chair/WC, -Toilet, -Tub/Shower Chair/bed transfer Transfer: -bed-wheel chair -wheelchair -toilet-tub -wheelchair -car -ground -wheelchair Transfers and m obility -Sitting up in bed -Transfers to/from bed(chair) -Maneuver around -Toileting transfers -Tub transfers M obility Transferring W alking indoor, Transfer from floor to chair, Ascend and descend stairs Indoor - Moves controller away and back, Indoor - Turns controller on and off, Indoor - Controls tilt function, Indoor - Controls recline function, Indoor - Disengages and engages Transfers -sitting -standing -toilet -bathing Bed-move in bed, rise and sit 171

Domain and process 1.FIM 2. WeeFIM 3. MBI 4. SCIM 5. A-ONE 6. Klein 7. Katz 8. S-ADL 9. DSFI 10. WST 11. WUFA 12. KSCE motors, Indoor - Operates battery charger, Indoor - Rolls forward 10m, Indoor - Rolls backward 5m, Indoor - Turns 90 while m oving forward L&R, Indoor - Turns 90 while m oving backward L&R, Indoor - Turns 180 in place L&R, Indoor - Maneuvers sideways L&R, Indoor - Gets through hinged door in both directions, Indoor - Reaches 1.5m high object, Indoor - Picks object from floor, Indoor - Relieves weight from buttocks, Indoor - Transfers from W C to bench and back Locomotion -Walk -Wheelchair-C rawl Locomotion -Walk -Wheelchair-C rawl Stair clim bing, ambulation, w heelchair Stair management Advanced - Ascends 10 incline, Advanced - Locomotion 172

Domain and process 1.FIM 2. WeeFIM 3. MBI 4. SCIM 5. A-ONE 6. Klein 7. Katz 8. S-ADL 9. DSFI 10. WST 11. WUFA 12. KSCE -Stairs -Stairs Descends 10 incline, Advanced - Ascends 15cm curb, Advanced - Descends 15cm curb, Advanced - Performs 30s stationary wheelie, Advanced - Turns 180 in place in wheelie positionl&r, Advanced - Gets from ground into wheelchair, Advanced - Ascends stairs, Advanced - Descends stairs M obility in bed and action to prevent pressure sores M obility Indoors, M obility for Moderate Distances (10-100 meters) Tight Space, Uneven Terrain, Door Management Street Crossing, Ramp, Curb, Bed Transfer, Toilet Transfer, Car Transfer, Floor Transfer, Bathing Stairs Upper/lower dressing Reaching 173

Domain and process 1.FIM 2. WeeFIM 3. MBI 4. SCIM 5. A-ONE 6. Klein 7. Katz 8. S-ADL 9. DSFI 10. WST 11. WUFA 12. KSCE function Picking up objects/ sweeping 7. Personal device care 8. Personal hygiene and Grooming Grooming Grooming Personal hygiene Grooming Grooming and hygiene -W ash face and upper body -Comb hair -Brush teeth -Shave/make -up -Continence/ toilet hygiene -Bathing Personal hygiene Personal hygiene -Face, hair, arms, lower extremities Trunk & perineum 9. Sexual activity 배우자와성관계만족성, 성교횟수의충분성, 성생활의다양성, 성교후의편안함, 성교시간의충분성, 성에관한흥미, 절정감, 애무에대한흥분감, 성행위능력에대한염려, 성문제에대한대화 10. Toilet hygiene Toileting Toileting Toilet Use of Toilet hygiene going to toilet Using the toilet IAD L 1. Care of others 2. Care of pets 3. Child rearing 4.Communication management 5. Com m unity m obility M obility Outdoors (m ore than 100 meters) Community - Selects drive modes and speeds, Walking outside >15mins 174

Domain and process 1.FIM 2. WeeFIM 3. MBI 4. SCIM 5. A-ONE 6. Klein 7. Katz 8. S-ADL 9. DSFI 10. WST 11. WUFA 12. KSCE Community - Rolls forward 10m in 30s, Community - Folds and unfolds wheelchair, Community - Rolls 100m, Community - Avoids moving obstaclesl&r, Community - Ascends 5 incline, Community - Descends 5 incline, Community - Rolls 2m across 5 side-slope L&R, Community - Rolls 2m on soft surface, Community - Gets over 15cm pot-hole, Community - Gets over 2cm threshold, Community - Ascends 5cm level change, Community - Descends 5cm level change driving car/bus travel 6. Financial management 7. Health management & maintenance 8. Home establishment & Washing 175

Domain and process 1.FIM 2. WeeFIM 3. MBI 4. SCIM 5. A-ONE 6. Klein 7. Katz 8. S-ADL 9. DSFI 10. WST 11. WUFA 12. KSCE management clothes Light housework Heavy housework Gardening household/ car maintenance 9. Meal preparation & cleanup Preparing m ain m eals washing up 10. Religious observance 11. Safety & emergency maintenance 12. Shopping Local shopping 인지 Communication -Comprehension -Expression Communication -Comprehension -Expression Communication -Comprehension -Speech Emergency Communication Social Cognition -Social interaction, -Problem solving, -Memory Social Cognition -Social interaction, -Problem solving, -Memory 기타 Respiration Left alone Social outings Actively pursuing hobby Reading books Gainful work 176

부록 2 일상생활활동항목과 ICF 항목매핑 Domain and process ICF 1 단계 2 단계 3 단계 BADL 1. Bathing, showering d5 self-care d510 씻기 (washing oneself) d5100 신체일부씻기 d5101 전신씻기 d5102 말리기 2. Bowel management d5 self-care d530 대소변처리 (toileting) d5300 배뇨조절 (regulating urination) Bladder management d5301 배변조절 (regulating defecation) d5302 월경관리 (Menstrual care) 3. Dressing d5 self-care d540 옷입기 (dressing) d5400 옷입기 d5401 옷벗기 d5402 신발신기 d5403 신발벗기 d5404 적절한옷차림 4. Eating d5 self-care d550 먹기 (eating) d560 마시기 (drinking) 5. Functional mobility d4 Mobility d410 자세변화및유지 (changing and maintaining body position) d4100 눕기 d4101 쪼그리고앉기 d4102 무릎꿇기 d4103 앉기 d4104 기립 d4105 구부리기 d4106 몸의중심이동 d415 d420 d430 d440 자세유지 (maintaining a body position) d4150 눕기자세유지 d4151 쪼그리고앉기자세유지 d4152 무릎꿇기자세유지 d4153 앉기자세유지 d4154 기립자세유지 자리이동 (transfering oneself) (transferring oneself) d4200 앉아서자리이동 d4201 누워서자리이동 물건나르기, 옮기기, 다루기 (carrying, moving and handling object) d4300 들어올리기 d4301 손으로나르기 d4302 팔로나르기 d4305 내려놓기 d4308 기타특이적인들어올려나르기 d4309 상세불명의들어올려나르기 미세한손동작 (fine hand use) d4401 잡기 (grasping) d4402 다루기 (manipulation) d4403 풀어놓기 (releasing) 부록ㆍ 177

Domain and process ICF 1 단계 2 단계 3 단계 d445 손과팔의이용 (hand and arm use) d4450 당기기 (pulling) d4451 밀기 (pushing) d4452 뻗기 (reaching) d4453 손이나팔로돌리거나뒤틀기 (turning or twisting the hands of arms) d4455 붙잡기 (catching) d4458 기타특이적인손과팔이용 d4459 상세불명의손과팔이용 d450 d455 d460 보행 (walking) d4500 단거리보행 (1km 이하 ), 방사이, 복도등의한건물내에이동 d4501 장거리보행 (1km 이상 ), 열린공간즉건물사이이동 d4502 상이한지면보행 d4503 장애물선회보행 이동 (moving) d4550 기어가기 d4551 기어오르기 d4552 달리기 d4553 점프 d4554 수영 상이한장소로의이동 (moving around in different locations) d4600 집안내의이동 d4601 집을제외한건물내의이동 d4602 집, 여타건물외부에서의이동 d465 d470 d475 장비를이용한이동 (moving around using equipment) 운송수단이용 (using transpotation) d4700 인력서이용 d4701 자가용이동 d4702 시내버스이용 운전 (driving) d4750 인력거운전 d4751 동력화운전수단운전 d4752 동물이끄는운동수단운전 6. Personal hygiene and Grooming d5 self-care d520 신체일부관리 (caring for body parts) d5200 피부관리 d5201 치아관리 d5202 모발관리 d5203 손톱관리 d5204 발톱관리 7. Toilet hygiene d5 self-care d530 대소변처리 (toileting) IADL 8. Telephone use d3 communication d360 의사소통장비및기술의이용 (using communication devices and techniques) d3600 원거리통신장비이용 d3601 기록장비이용 d3602 의사소통기술이용 d3608 기타특이적인의사소통장비및기술이용 9. Medication management d5 self-care d570 자신의건강돌보기 (Looking after one's health) d5702 건강유지 d5708 기타특이적인자신의건강돌보기 10. Meal preparation d6 domestic life d630 식사준비 (preparing meals) d6300 간단한식사준비 d6301 복잡한식사준비 178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부록 3 ADL 평가도구의목적, 연령, 대상진단명, 측정수준 B A D L 1 2 3 4 ADL Assessment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IM ) Functional Independent Measure For Children (W eefim ) Modified Barthel Index (M BI) Spinal Cord Independence Measure (SCIM ) 목적연령 신체적손상과관련된장애를측정하고자개발되었으며, 의사소통과인지기능측면의내용을담아기존의일상생활능력평가도구보다더포괄적인내용을담고있음. FIM 을변형하여개발한도구로서아동의건강, 발달, 교육정도를평가하기위해서개발됨. Barthel Index 에서 100 점만점으로더세분화하여 modified 란이름을붙여만든도구로서만성질환자의일상생활자립도를알아보기위해개발됨. FIM 이척수손상환자의장애를평가함에있어서평가도구로서의민감도를감소시키는것에대한단점을보완하기위해개발됨. 진단명 측정수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총점및척도 ) 18 세이상 6 개월 ~8 세 6 개월 ~12 세 발달지연아동 인지수준 7 세이하아동 1 세이상 1 세이상 총점 : 18~126 점 척도 : 각문항당 7 점척도 (1~7 점 ) 1 점 (total assistance) - 25% 미만수행 2 점 (maximal assistance) - 25%~49% 수행 3 점 (moderate assistance) - 50%~74% 수행 4 점 (minimal contact assistance) - 75% 이상수행 5 점 (supervision or set up) - 격려 / 지시 / 준비필요 ( 신체적도움없이 ) 6 점 (m odified independence) - 독립적임 ( 느림, 안전, 보조기구필요 ) 7 점 (complete independence) - 독립적임 ( 쉽게, 안전, 보조기구없이 ) 총점 : 18~126 점 척도 : 각문항당 7 점척도 (1~7 점 ) 1 점 (total assistance) - 25% 미만수행 2 점 (maximal assistance) - 25%~49% 수행 3 점 (moderate assistance) - 50%~74% 수행 4 점 (minimal contact assistance) - 75% 이상수행 5 점 (supervision or set up) - 격려 / 지시 / 준비필요 ( 신체적도움없이 ) 6 점 (m odified independence) - 독립적임 ( 느림, 안전, 보조기구필요 ) 7 점 (complete independence) - 독립적임 ( 쉽게, 안전, 보조기구없이 ) 총점 : 0-100 점 0~24 점 - 완전의존 25~49 점 - 심각한의존 50~74 점 - 중등도의존 75~90 점 - 약간의존 91~99 점 - 최소한의의존 100 점 - 완전독립 척도 : 도움의정도에따라 5점척도 총점 : 0 점 ~100 점 척도 : 생활에서의비중에따라각소항목별점수를다르게주었으며 3 개의큰항목의점수는아래와같다. - 자가관리 : 0-20 점 - 호흡과괄약근관리 : 0-40 점 - 기동성 : 0-40 점 5 Arnadottir OT-ADL Neurobehavioral Evaluation (A -ON E) 선택된일상생활활동의독립손상 성평가와 일상생활활동수 행에있어서필요한도구 장 치의종류를파악하고신경행 동학적 손상의 종류와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개발 됨. 18 세이상 총점 : 모든총점을기입하고퍼센트로나타냄. 척도 : 2 가지로나뉨 - 1. 독립성 (0-4 점 ) 2. 신경행동학적손상 (0-4 점 ) 1. 독립성척도 4 점 : 독립적으로수행가능함. 3 점 : 감독이필요한독립적수행가능함. 2 점 : 활동을끝내기위해구두의도움이필요함 179

ADL Assessment 6 Klein-Bell Activities of Daily Living Scale 7 Katz Index of ADL 8 Seoul-Activities of Daily Living Test (S-ADL) 9 Derogatix Sexual Function Inventory (DSFI) 10 Wheelchair Skills Test (W ST) 11 Wheelchair Users Functional Assessment (W UFA) 목적연령 진단명 측정수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총점및척도 ) 1 점 : 신체적도움이필요함 0점 : 수행을할수없음, 완전히도움에의존. 어린이와성인의독립적인일상생활활동을측정하기위해개발됨. 1 세이상 2. 신경행동학적손상척도 0 점 : 신경행동학적손상이관찰되지않음. 1점 : 환자는부가설명없이도수행을할수있으나, 몇몇의신경행동학적손상은발견됨. 2 점 : 수행동안의조금의신경행동학적손상을지니며언어적도움이있어야수행가능함. 3 점 : 최소한 ~ 중등도까지의신체적도움이나미리행동을보여줌으로써수행이가능함. 4 점 : 신경행동학적손상으로인해수행을할수없고, 최대한의신체적도움이필요. 총점 : 0-313 점 척도 : 각영역에대한평가가완전히이루어지면, 각항목에해당하는하부평가에할당된점수를더한다. : 만약활동을할수있다면 0 : 만약할수없다면 NA : 만약확실히, 영구적으로, 적용이안된다면 * 중요도요인으로 4 가지요소고려 - 건강한사람에게중요한것 - 장애가없는사람들에게어려운것 - 수행하기위해요구되는시간 - 보호자에게부여된조력등 다발성경화증, 고관절골절, 뇌졸중등을가지고있는고령의만성질환자들을기초로하여일상생활활동을평가하기위해개발됨. 18 세이상 총점 : 0-6 점각항목을종합하여전체기능을 A-G 까지 7 단계로평가총점 0 점 (G 단계 ) - 낮은점수 ; 환자는매우의존적총점 6 점 (A 단계 ) - 높은점수 ; 환자는매우독립적 척도 : 2 점척도 (0-1 점 ) 1 점 - 감독, 지시또는개인적도움필요없음. 0 점 - 감독, 지시, 개인적인도움또는전반적인보호필요. 치매환자의기본적인일상활경과와 동들을평가함으로서치매중 기 이후의 임상적인 변화를 평가하기 위해 개발 됨. 성생활만족도측정을위해개발됨. 초기재활과정에검사가이루어져앞으로의재활과정동안중점을두고익혀야할휠체어조작기술을알아보는데활용하기위해개발됨. 65 세이상 총점 : 0-24 점 척도 : 각항목당 3 점척도 (0,1,2 점 ), 최근한달간의상태를고려하여총 12 항목평가 총점 : 10-40 점 척도 : 총 10 문항으로구성되어있고, 점수가높을수록성생활만족도가높음을의미 척도실행부분과안전부분으로측정됨실행에대한기록은통과와실패로기록됨. 안전에대한기록은안전과불안전으로기록됨 FIM 에서휠체어사용자들의기본적인일상생활활동을평가하는부분을보충하기위해휠체어사용자들의독립된사회생활을평가하는부분을포 총점 : 15-105 점 척도 : 5 점척도 (1-5 점 ) 5 점 - 매우독립적임, 4 점 - 제한적으로독립적임 180

I A D L ADL Assessment 12 Kenny Self-Care Evaluation 13 Quadriplegia Index of Function (Q IF) 14 한국형일상생활활동측정도구 (K-ADL) 15 Barthel index 16 Wakari ADL 17 Kitchen Task Assessment (KTA) 18 Seoul- Instrum 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Test(S-IADL) 함하여개발됨. 목적연령 일상생활을하는데필요한활동들을종합적으로평가하기위해개발됨. 보행이불가능한사지마비환자의일상생활수행동안의기능평가를위해개발됨. 노인분들이생활하는데주변사람들의도움이얼마나필요한가를평가하기위해한국실정에맞게개발됨. 65 세이상 18 세이상 진단명 측정수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총점및척도 ) 65 세이상 3 점 - 어느정도의존하고있음 2 점 - 최소한의이동만할수있음 1 점 - 전적으로의존함 총점 : 0-24 점 척도 : 5 점척도 (0-4 점 ) 0 점 - 전적으로남에게의존해야하는경우 1 점 - 많은도움이필요한경우 2 점 - 중등도의도움이필요한경우 3 점 - 약간의도움이나감독이필요한경우 4점 - 완전히혼자독립적으로수행할수있는경우 총점 : 기능적수행영역 + 개인위생관리영역 / 2 척도 - 기능적수행영역 : 180 점만점 (0~4 점 ) - 개인위생관리영역 : 20 점만점 총점 : 7-21 점 척도 : 3 점척도 (1-3 점 ) 각항목당척도기준은항목에맞게세부적으로다르게기재 1점 - 도움없이혼자할수있음 2 점 - 부분적으로도움을받아야할수있음 3 점 - 전적으로다른사람의도움에의존함 뇌졸중환자의개인적보호능력와기동성에서장애의정도를평가하기위해개발됨. 18 세이상 총점 0-100 점 척도 : 4 점척도 (0-3 점 ) 0 점 - 완전의지하여수행. 1 점 - 다른사람으로부터몇몇도움을필요. 2 점 - 홀로관리할수있고특별한환경조건에서수행. 3 점 - 완전독립해서수행. Garland Scale 에서발전한도구로서자가돌봄가능여부와기동성 ( 장애요소 ) 그리고합리적행동 ( 인지손상부분 ) 을측정하고간호시간의항목추가로간호사나간병인에게요구되는돌봄의정도를측정하기위해개발됨. 총점 : 7( 독립 )~28( 완전의존적 ) 척도 : 1~4 점 조직화능력, 계획능력, 위해 판 단기술 등을 평가하기 개발됨. 65 세이상 총점 : 0-30 점 척도 : 도움정도에따라 6 점척도 0점 - 완전독립 1점 - 구두감독 2점 - 몸짓감독 지시 3 점 - 구두로직접적지시 4 점 - 신체적인도움 5 점 - 참여하여대신도와줌. 노인들의기능평가및우리나라의문화적특성을고려한도구적일상활동평가도구의필요성에대한요구를충족시키기위해개발됨. 65 세이상 총점 : 현재실행, 잠재능력두개의각평가당 45 점 척도 : 4 점척도 (0-3 점 ) 181

ADL Assessment 19 Communica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20 Assessment of living Skills and Resources (A LSAR) 21 Rabideau Kitchen Evaluation- Revised (RKE-R) 22 Satisfaction W ith Performance Scale Questionnaire (SPSQ) 23 Multidimensional Functional assessment 목적연령 일상과비슷한환경에서의사소통능력을관찰하기위해개발됨. 위험지시와우선시되는중재뿐만아니라도구적일상생활활동평가를위해서개발됨. TBI 성인들의 기능적이고 단 계적능력을 평가하기위해 개발됨. 지역사회에기반을둔장애인이독립적인생활기술의수행에서만족스러운경험을만들기위해구성된것으로낮은만족도영역이독립적인생활기술훈련을위한목표로서역할을하게끔하기위해개발됨. 미국의노인들의일상생활활동능력을평가함으로써이들에대한정보와서비스프로그램개발을위해개발됨. 진단명 측정수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총점및척도 ) 18 세이상 65 세이상 18 세이상 1 세이상 총점 : 0-100 점 척도 : 3 점척도 (0-2 점 ) 로구성되어있으며, 정확 - 부정확의등급화로메시지전달능력에기초하여측정함. 0점 - 잘못된반응 1 점 - 적당한반응 ( 부분적으로정확한반응이거나질문의반복후의정확한반응 ) 2점 - 정확한반응 총점 : 0-44 점, 위험점수 : -6 6 척도 : 각과제당독립, 부분적인독립, 의존 - 기술점수, 자원점수 : 3 점척도 (0 점 ~2 점 ) - 각 IADL 을위한위험점수를얻기위해더해짐. 위험점수는낮음 (combined score of 0 혹은 1) 중간 (combined score of 3) 높음 (combined score of 4) 로구성됨. 총점 : 0-12 점 척도 : 4 점척도 (0-3 점 ) 0 점 - 대상자는도움이요구되지않는다. 독립적으로구성단계를시작하고수행한다. 1 점 - 대상자는구성단계에서수행을위해하나의구두적단서혹은지시를요구한다. 2 점 - 대상자는구성단계를수행하기위해서하나이상의구두적단서혹은지시를요구한다. 3 점 - 대상자는구성단계를수행할수없고평가로부터구성단계까지직접적인중재를요구한다. 총점 : 퍼센트로나타냄. 백분율척도는모든시간이만족했던 100% 로부터시간이전혀없었던 0% 까지범위임. 척도 : 5 점척도 (1-5 점 ) 각항목은환자가 reference point 처럼그들의수행에만족을느끼는것이지난 6 개월이상지속된퍼센트를사용해서 5 점척도로점수화함. 1 점 - 모든시간 (100%) 2 점 - 대부분의시간 (75%) 3 점 - 약간의시간 (50%) 4 점 - 거의대부분의시간이아님 (25%) 5 점 - 아무시간도없음 (0%) 총점 : 총 6 개의분야로나눠서측정 1. 훌륭한 ADL 능력 2. 좋은 ADL 능력 3. 약간손상된 ADL 능력 4. 중등도로손상된 ADL 능력 5. 심각하게손상된 ADL 능력 6. 완전히손상된 ADL 능력 척도 : 각항목당 3 점척도 (0-2 점 ) 2 점 - 도움이필요없다. 1 점 - 약간의도움이필요하다. 0 점 - 완전도움이필요하다. 무응답 182

B A D L + + I A D L ADL Assessment 24 Lawton Instrum 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25 Rivermead ADL Scale 26 H am rin A ctivity Index 27 Frenchay Activity Index 28 Assessment of Motor and Process Skills (AM PS) 29 Kohlman Evaluation of Living Skill(KELS) 30 Milwakee Evaluation of D aily Living Skill(MEDLS) 목적연령 노인분들이공동체에서살아가기위해필요한복합적인일상생활활동을평가하기위해개발됨. 뇌졸중환자의도구적일상생활동작측정을위한만들어진첫번째도구. 진단명 측정수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총점및척도 ) 65 세이상 18 세이상 남자 : 0~5 점 (0 점 : 불가능하거나부분적으로가능 / 1 점 : 가능 ) 여자 : 0~8 점 (0 점 : 낮은기능수준, 의존적 /8 점 : 높은기능수준, 독립적 ) 총점 : 31-93 점 척도 : 3 점척도 (1~3 점 ) 1점 - 의존 2 점 - 구두의도움이필요함. 3점 - 독립 뇌졸중환자들의일상생활활동을평가하기위해만들어짐. 18 세이상 척도 : 4 점척도 (1-4 점 ) 1 점 - 활동을결코하지못함. 2 점 - 단지개인적인도움이있을시에활동을함. 3 점 - 약간의어려움을가지고활동을함. 4 점 - 스스로활동을하고정기적으로함. 뇌졸중환자들의사회적인활동능력과실내활동능력의회복정도를평가하기위해개발됨. 기본적 / 수단적일상생활의수행을방해하는운동및처리기술수행의질을파악하고일상생활의자립도를측정하기위해개발됨. 독립적인생활능력, 지역사 회에서의안정성뿐만아니라 정신과적진단을받은환자의 퇴원계획을 돕기 위해 개발 됨. 18 세이상 전연령층 25 세이상 총점 : 0-45 점 ( 비활동성 - 높은활동성 ) 척도 : 4 점척도 (0-3 점 ) 점수가낮을수록더낮은활동성을보임. 총점 : 36-144 점 척도 : 4 점척도 (1-4 점 ) 4점 - 유능한수행행동의진행을지지하고좋은성과를끌어내는데도움되는유능한수행. 클라이언트의수행이유능하다는데의심의여지가없음. 3 점 - 의문스러운수행행동의진행에위태로움이있고, 수행이적절했는가에대해의문점을품게하는불확실한성과를초래하는의심스럽게수행. 2 점 - 비효율적인수행행동의진행을혼란스럽게하거나방해하고바람직하지않은성과를초래하는비효율적인수행. 1 점 - 받아들일수없는수행행동의진행에지장을주고받아들일수없는성과를초래하는심각한수행. 평가자는받아들일수없는지연, 받아들일수없을정도의어려움, 긴박한손상이나상해의가능성, 과제진행의중단 / 평가자개입의필요성관찰 총점 : 0-16 점, 5.5 점미만 - 독립적임 6점이상 - 보조필요 척도 : 3 점척도 (0-1 점 ) 0 점 - 독립적, See Note, NA( 적용불가 ) 1 점 - 도움필요 ( 모든항목, work, leisure 예외 ) 0.5 점 - 도움필요 (work, leisure 항목만해당 ) 만성적인정신건강문제를가지고있는환자의일상생활기술을간주하는중재지침과치료목표발전에필요한기초행동을세우기위해개발됨 총점 : 고객에게다양한하부검사를운영하기때문에합산 (summary score) 로계산되지않음 척도 : 각하부검사는과제를수행한기술의횟수에따라평가됨. 183

ADL Assessment 31 Performance Assessment of Self-Care Skill(PASS) 32 Routine Task Inventory- Expanded (RIT-E) 33 Outcome and Assessment Inform ation Set(OASIS) 34 Bristol activity of daily living Scale 35 신체기능정도 checklist 36 전국방문보건협의회 (M 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37 PULSES Profile 38 한국형도구적일상생활활동측정도구 (K-IA DL) 39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COPM ) 목적연령 진단명 측정수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총점및척도 ) 퇴원에필요한근거자료제시혹은중재계획을위해서필요한자료제공과기초적인상태와시간에따른변화를평가하기위해개발됨. 총점 : 독립, 안전, 성과의세가지요약점수를산출함 척도 : 4 점척도 (0~3 점 ) ACL 에기초한상태에서변화기록과기능적인상태의레벨을만들기위해서개발됨. 미국에서가정간호대상자를사정하기위하여개발됨. 인지기능장애를가진노인에대한기초자료를제공하기위해개발됨. 65 세이상 18 세이상 65 세이상 자기자신, 돌봐주는사람, 치료사에의해측정됨. 총점 : 각 4 부분의평가영역에서산출된총점을해당영역총항목수로나누어합산함. 척도 : 4 부분으로나누어평가 1 점 - 신체적평가척도 (ADL)-1-5 점, 약복용과적절한도구사용항목제외 (1-6 점 ) 2 점 - 의사소통평가척도 -1-6 점 3 점 - 공동체생활평가척도 (IADL)-2-6 점 4 점 - 작업준비능력평가척도 -3-6 점 총점 : 14-64 점, 높은점수 : 의존도높음. 척도 : ADL/IADL 각항목에따라 2점 (0-1 점 ) - 6점 (0-5 점 ) 척도로구성됨. 척도 : 4 점척도 (0-3 점 ) 3 점 - 완전히독립적으로수행, 2 점 - 독립적으로다소수행가능 1 점 - 독립적수행이어려우며부분적으로보조필요 0 점 - 전적으로의지 노인의생활기능상태예측모형구축을위해개발됨. 65 세이상 전국방문간호사가사용하는건강기록부에포함된항목으로대상자의생활수행능력을평가하기위해개발됨. 65 세이상점수가높을수록생활수행능력이높아짐을의미함. 장애에의한독립생활정도를평가하기위해개발됨. 25 세이상 총점 : 6-24 점 6 점 - 완전독립 12 점이상 - 심각한장애 24 점 - 완전의존 척도 : 4 점척도 (1-4 점 ) 1점 - 독립 4점 - 의존 노인분들이생활하는데주변사람들의도움이얼마나필요한가를평가하기위해한국실정에맞게개발됨. 65 세이상 총점 : 각항목의해당값을다합친총계. 척도 : 각항목당척도기준은항목에맞게세부적으로다르게기재 4 점은괄호안의항목에만해당함. 1점 - 도움없이혼자할수있음 2 점 - 부분적으로도움을받아야할수있음 3 점 - 전적으로다른사람의도움에의존함 4 점 - 하지않음 ( 집안일, 식사준비, 빨래, 교통수단이용, 물건사기, 금전관리, 전화사용 ) 작업수행에대한대상자의자기 - 인식정도에대한치료전후변화를평가하기위해개발됨. 1 세이상 총점 : 전체수행점수와전체만족점수를각각문제수로나누어서총점수란에기입 척도 : 10 점척도 (1-10 점 ) 184

ADL Assessment 40 Edamans ADL 41 Sunnas ADL 42 Arm Motor Ability Test(AMAT) 43 Sarno Functional Life Scale (SFLS) 44 Chula ADL Index 45 Functional Autonomy Measurement System (SM AF) 목적연령 진단명 측정수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총점및척도 ) 뇌졸중환자가각가정에서독립적으로생활할수있는지를파악하기위해일상생활수행능력평가를위해개발됨. 뇌졸중환자의기초적인일상생활활동과도구적일상생활활동기능을평가하기위해개발됨. 18 세이상 총점 : 0-36 점 척도 : 4 점척도 (0-3 점 ) 일상생활활동의영역에서질과양둘다를측정하기위해개발됨. 총점 : 13 가지항목각점수합하여총점매긴다. 척도기능적인능력 0 점 - 아무것도사용하지않는다. 1 점 - 매우약간사용한다. 2 점 - 약간사용한다. 3 점 - 중등도로사용한다. 4 점 - 거의사용을한다. 5 점 - 완전한사용을한다. 질적움직임 0 점 - 아무런사용이없다. 1 점 - 매우불충분한 2점 - 불충분한 3점 - 적당한 4점 - 거의정상 5점 - 정상 장애인의전반적인생활기능의정량적인정의를위해개발됨. 총점 : 464 점의최고로획득가능한점수와환자의점수를 % 로비교하여나타낸다. 각항목은수행의 4 가지질적인면에있어서 5 가지수행의요소를측정하는것으로구성되었다. 수행의 4 가지질적인요소는 self-initiation, frequency, speed, overall efficiency 가있다. - Self-initiation score : 136 점 ( 최고점수 ) - Frequency score : 104 점 ( 최고점수 ) - Speed score : 84 점 ( 최고점수 ) - Overall efficiency score : 140 점 ( 최고점수 ) 척도 : 각항목당 5 점척도 (0-4 점 ) 0 점 - 전혀활동을할수없다. 1 점 - 활동을매우잘못한다. 2 점 - 활동에문제가있다. 3 점 - 정상에가까운활동을한다. 4 점 - 정상적인활동을한다. 지역사회내에거주하는사람의광범위한일상생활활동능력을평가하기위해개발됨. 65 세이상 총점 : 0-45 점각항목의등급을단순히합한것으로총점을매긴다. 척도 : 0-9 점높은점수는더높은활동성을나타낸다. 세계보건기구의장애분류에따라임상적판단에근거한기능적인능력을측정하기위해개발됨. 18 세이상 총점 : 0-87 점 척도 : 5 점척도 (0-3 점 ) 0점 - 독립 185

ADL Assessment 목적연령 진단명 측정수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총점및척도 ) 0.5 점 - 스스로수행하나어려움이있다. 1점 - 감독필요 2점 - 도움필요 3점 - 의존적 46 Stoke Impact Scale(SIS) 뇌졸중발병후건강상태를평가하기위해개발됨. 18 세이상 총점 : 0-100 점 척도 : 5 점척도 (1-5 점 ) 총점 : 0-75 점 47 London Chest Activity of Daily Living scale (LC-ADL) 만성폐쇄성폐질환환자의일상생활을평가하기위해개발됨. 18 세이상 척도 : 5 점척도 (0~5 점 ), 높은점수를획득할수록일상생활에장애를많이가짐. 0 점 - 아무렇지않다. ( 활동이나에게쉽게느껴질경우 ) 1 점 - 호흡곤란증세는가지고있지않다.( 활동이약간의호흡곤란증세를가지고올경우 ) 2 점 - 중등도의호흡곤란증세를가지고있다.( 활동이매우많은호흡곤란증상을가져올경우 ) 3 점 - 매우많은호흡곤란증상을가지고있다.( 호흡곤란때문에하던일을중단하지만너대신에그일을할사람은필요없는경우 ) 4 점 - 이것을더이상수행할수없다.( 당신이너무호흡곤란증상을보이기때문에어떤다른누군가가당신을위해이것을수행한다면혹은당신을도와줄경우 / 예를들어가정도우미가쇼핑을대신해준다.) 5 점 - 이것을수행하는데있어서다른사람의도움이필요하다. 48 Nottingham Extended ADL Scale 퇴원후의환자의독립성정도를측정하기위해개발됨. 18 세이상 척도 : 4 점척도 - 스스로독립적으로수행가능하다. - 스스로독립적으로수행하는데어려움이있다. - 도움이있다면할수있다. - 전혀하지못한다. 주 ) 진단명 1. stroke 2. nontraumatic brain injury 3. traumatic brain injury 4. nontraumatic spinal cord injury 5. traumatic spinal cord injury 6. guilian barre syndrome 7. lower extremity fracture 8. other amputation 9. osteoarthritis 10. rheumatoid arthirits 11. cardiac 12. parkinson 13. pulmonary 14. pain syndrome 15. major multiple trauma 16. major multiple trauma with brain/spine 17. other condition 18. dementia 19. polio 20. cerebral palsy 21. mental retardation 186

부록 4 기능평가도구적용대상질환 RIC(21 개 ) K-RIC(23 개 ) 기능평가도구대상질환 1 차 (19 개 ) 기능평가도구대상질환최종 (15 개 ) 1 뇌졸중 (stroke) 1 뇌졸중 1 뇌졸중 1 뇌졸중 2 외상성뇌손상 (TBI) 2 외상성뇌손상 2 외상성뇌손상 2 외상성뇌손상 3 비외상성뇌손상 (NTBI) 3 비외상성뇌손상 3 비외상성뇌손상 3 비외상성뇌손상 4-4 4- 퇴행성뇌질환 퇴행성뇌질환, 인지저하퇴행성뇌질환, 운동저하 4 퇴행성뇌질환, 인지저하 4 인지저하가동반된퇴행성뇌질환 5 퇴행성뇌질환, 운동저하 5 운동기능이저하된퇴행성뇌질환 4 외상성척수손상 (TSCI) 5 외상성척수손상 6 외상성척수손상 6 척수손상 ( 외상성, 비와성성 ) 5 비외상성척수손상 (NTSCI) 6 비외상성척수손상 7 비외상성척수손상 7 발달지연 8 발달지연 7 발달지연및뇌성마비 6 신경계 (Neuro) 8 뇌성마비 9 뇌성마비 9 기타신경계질환 10 기타신경계질환 8 기타신경계질환 7 GuillainBarre(GB) 10 말초신경및근육질환 11 말초신경및근육질환 9 말초신경및근육질환 8 하지골절 (FracLE) 11 하지골절 12 9 하지관절대체 (RepILE) 12 하지관절치환 10 기타정형외과적 (Ortho) 13 기타근골격계질환 11 골관절염 (OsteoA) 14 골관절염 골절 관절치환및기타근골격계질환 10 골절 관절치환및근골격계질환 기타류마티스관절염 12 (RheumA) 13 골관절염및류마티스질환 15 류마티스질환 13 하지절단 (AMPLE) 16 하지절단 14 기타절단 (AMP-NLE) 17 기타절단 14 절단 11 절단 15 심장 (Cardiac) 18 심장재활 15 심장재활 12 심폐질환재활 187

RIC(21 개 ) K-RIC(23 개 ) 기능평가도구대상질환 1 차 (19 개 ) 기능평가도구대상질환최종 (15 개 ) 16 폐 (Pulmonary) 19 폐질환재활 16 폐질환재활 17 통증증후군 (Pain) 20 만성통증증후군 17 만성통증증후군 13 만성통증증후군 주요한다발성외상, 뇌손상, 18 척수손상이 없는 (MMT-NBSCI) 21 주요한다발성외상 18 주요한다발성외상 14 주요한다발성외상 주요한다발성외상, 뇌손상, 19 척수손상이있는 (MMT-BSCI) 20 화상 (Burns) 22 화상 19 화상 15 화상 21 기타 (MISC) 23 기타 척수손상 ( 외상성, 비외상성 ) : 외상성척수손상 + 비외상성척수손상 발달지연및뇌성마비 : 발달지연 + 뇌성마비 골절 관절치환및기타근골격계질환 : 하지골절 + 하지관절치환 + 기타근골격계질환 + 골관절염 + 류마티스관절염 절단 : 하지절단 + 기타절단 심폐질환재활 : 심장재활 + 폐질환재활 188

부록 5 대상자의료정보기록지 5.1. 뇌졸중 (Stroke) 인구사회학적특성 성 명 성별 ( 남, 여 ) 생년월일 ( 만 세 ) 직 업 학력 종교 결혼상태 1 미혼 2 유배우 3 이혼 4 사별 5 별거 가족사항 보험유형 1 건강보험 2 급여1종 3 급여 2종 4 일반 5 산재 6 자보 월평균가구소득 1 ~100만원 2 100~200만원 3 200~300만원 4 300만원이상 간병유형 1 없음 2 가족 3 유료간병 4 기타 ( 봉사자등 ) 의학적특성 진단명 발병년도 년 월 ( 경 ) 입원일 년 월 일 퇴원일 년 월 일 장애등록 1 유 ( 유형 : 등급 : ) 2 무 입원전기관 1 종합병원 2 재활병원 3 집 4 개인병원 5 한방병원 6 요양병원 7 의원 장애원인 1 뇌경색 2 뇌출혈 3 기타 마비측 1 Rt. 2 Lt. 3 Both. quadriplegia 동반질환 1 Hypertension 7 Urinary incontinence 13 Neurogenic Bowel 2Hyperlipidemia ➇Dementia 14Dysphagia 3 Depression 9 Cardiovascular disease 15 Myalgia 4 Epileptic seizure 10 Language disorder 16 Upper gastrointestinal 5 Periodontal disease 11 Arthritis diseases 6 Diabete mellitus 12 Osteoporosis MBI 점수 MMSE 점수 부록ㆍ 189

5.2. 척수손상 (SCI) 인구사회학적특성 성 명 성별 ( 남, 여 ) 생년월일 ( 만 세 ) 직 업 학력 종교 결혼상태 1 미혼 2 유배우 3 이혼 4 사별 5 별거 가족사항 보험유형 1 건강보험 2 급여1종 3 급여 2종 4 일반 5 산재 6 자보 월평균가구소득 1 ~100만원 2 100~200만원 3 200~300만원 4 300만원이상 간병유형 1 없음 2 가족 3 유료간병 4 기타 ( 봉사자등 ) 의학적특성 진단명 발병년도 년 월 ( 경 ) 입원일 년 월 일 퇴원일 년 월 일 장애등록 1 유 ( 유형 : 등급 : ) 2 무 입원전기관 1 종합병원 2 재활병원 3 집 4 개인병원 5 한방병원 6 요양병원 7 의원 1 외상 ( 교통사1 낙상 상해 latrogenic 스포츠및레저 기타 ) 손상원인및종류 2 비외상 ( 종양 척수염 감염 spina stenosis or ruptured disc 동맥혈기형 기타 ) 손상레벨 1 Cervical 2 Thoracic 3 Lumbosacral 손상유형 1 Paraplegia 2 Tetraplegia 장애정도 1 Incomplete 2 Complete ASIA 1 A 2 B 3 C 4 D 방광관리방법 1 CIC 2 자극배뇨 3 foley or incontinence 4 정상배뇨 동반질환 1 Neurogenic bladder 7 Periodontal disease 13 Arthritis's sprain 2 Neurogenic Bowel ➇ Depression 14 Diabete mellitus 3 Urinary incontinence 9 Hyperlipidemia 15 Upper gastrointestina 4 Urinary tract infection 10 Hypertension diseases 5 Decubitus ulcer 11 Osteoporosis 6 Inflammation pain 12 Gynecology diseases 16 Upper respiratory infection SCIM 점수 190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부록 6 기능평가지 6.1. 일상생활수행능력 [ 독립성 ] Functional Assessment for Activities of Daily Living 번호 : 이름 : 나이 / 성별 : / 병명 : 검사일 : 검사자 : 1. Grooming 항목 Admission Discharge 2. Bathing 3. Eating 4. Dressing Upper Body 5. Dressing Lower Body 6. Bladder management 7. Bowel management 8. Toileting 9. Bed Mobility 10. Transfer 11-1. Ambulation(walk) 11-2. Wheelchair 12. Stairs Total Score * Grade : 6-Complete Independent, 5-Modified Independent, 4-Mild dependent, 3-Moderate dependence, 2-Maximal dependent, 1-Complete Dependent. 부록ㆍ 191

6.2. 운동기능 - Range of Motion(ROM) 각부위의동작별관절가동범위를기입해주십시오. U/E Motion Range of Motion ( ) ( ) ( ) L/E Motion Spine Motion Lt Rt Lt Rt Lt Rt Flexion Flexion Flexion Shoulder Elbow Wrist Extension Abduction Adduction Internal rotation External rotation Flexion Extension Pronation Supination Flexion Extension Ulnar deviation Radial deviation Hip Knee Extension Abduction Adduction Internal rotation External rotation Flexion Cervical Dorsal and Lumbar Extension Lateral bending Rotation Flexion Extenson Lateral bending Rotation Thumb Carpo meta carpal Thumb MP Thumb IP Abduction parallel to plane of palm (radial) Abduction at right angle to plane of palm (palmar) Flexion Extension Flexion Extension Ankle Extension Dorsiflexion Plantarflexion Finger MP Flexion Extension Inversion Finger Flexion PIP Finger DIP Extension Flexion Extension Eversion 192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6.2. 운동기능 - Muscle Strength 각부위의동작별 Muscle Strength를검사한후, 해당 grade에체크하여주십시오. Muscle Strength Grade Grade U/E Motion Lt Rt L/E Motion Lt Rt N G F P T Z N G F P T Z N G F P T Z N G F P T Z Flexion Flexion Shoul der Exten sion Abduc tion Hip Exten sion Abduc tion Adduc tion Flexion Adduc tion knee Exten sion Elbow Wrist Flexion Exten sion Flexion Exten sion Ankle Plantar flexion Foot dorsi flexion & Inver sion 부록ㆍ 193

6.2. 운동기능 - Spasticity 각부위의 spasticity를검사한후, 해당 grade에체크하여주십시오. Spasticity Grade G0 G1 G1+ G2 G3 G4 Lt U/E L/E Rt U/E L/E 6.2. 운동기능 - Coordination 각부위의 coordination 를검사한후, 해당 grade 에체크하여주십시오. Coordination Grade Tremor Dysmetria Speed Normal Mild Severe Normal Mild Severe 2 초미만 2-5.9 초 6 초이상 Lt U/E L/E U/E Rt L/E 194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6.2. 운동기능 - Standing Balance standing balance 검사후, 해당하는 grade 에체크하여주십시오. Standing Balance Grade 비 1 ( 기입 ) 5 안전하게 2 분동안서있을수있다. 4 감독과함께 2 분동안서있을수있다. 3 지지없이 30 초동안서있을수있다. 2 지지없이 30 초동안서기위해여러번의시도가필요하다. 1 도움없이 30 초동안서있을수없다. 부록ㆍ 195

6.3. 감각기능 - Superficial Sense 각부위의 superficial sense(tactile, temperature, pain) 를검사한후, 해당 grade에체크하여주십시오. Superficial Sense Grade Tactile Temperature Pain Intact Impaired Absent Intact Impaired Absent Intact Impaired Absent U/E Arm Hand Lt Thigh L/E Foot U/E Arm Hand Rt Thigh L/E Foot 196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6.3. 감각기능 - Proprioception 각부위의 proprioception을검사한후, 해당 grade에체크하여주십시오. Proprioception Grade Intact Impaired Absent Shoulder U/E Elbow Wrist Lt Thumb Hip L/E Knee Ankle Toe Shoulder U/E Elbow Wrist Rt Thumb Hip L/E Knee Ankle Toe 부록ㆍ 197

6.4. 인지지각기능 아래항목별문항검사수행후, 가능여부 ( 유 무 ) 를체크하여주십시오. Orientation Memory 항목문항 Yes No Executive function Problem Solving Language Time 오늘날짜를말해주세요 Place 지금있는장소를말해주세요 Person 지금옆에있는사람이누구인지말해주세요 Procedure 양치질하는과정을순서대로나열해보세요 Prospective 지금제가드리는물건을평가가끝나면저에게주세요 Visual 추상적인그림보여주 1 5 분후에똑같은그림 1 르기 Verbal 3 가지단어를 5 분후에다시물어보기 Expression Contrasting program ( 검사자가손가락하나올리면피검자는두개올리1, 검사자가두개올리면하나올리기 ) Go-No Go Test ( 검사자가제시하는 2가지신호중하나에만반응하1 다른하나에는반응하지않도록지시하기 ) 옷은왜빨아입습니까? 옆건물에불이났을때어떻게해야합니까? 오늘날씨가어때요? ( 문장을보여주며 ) 읽어보세요. ( 문장을보여주며 ) 따라써보세요. ( 물건을보여주며 ) 이것을무엇이라1 합니까? Visuo Spatial function Compre hension Visual Perception Spatial Percep tion Visuomotor 지금부터제가말씀드리는대로해보십시오. 앞에놓인종이를집어반으로접은다음저에게주세요 8가지의일상적인물체 / 도형카드를보여주1 특정물건찾기 시계는어디있습니까?, 삼각형은어디있습니까? 물체가겹쳐진그림을보여주1 물체가각각그려진여섯가지그림에서겹쳐졌던물체를찾아내는방법 특정사물카드하나를보여주1, 다양한각도에서찍은다섯개의카드를보여주1 이사진속의그림은무엇입니까? 위의큰그림과같은것을아래의작은사진중에서찾아보세요 라1 한다. 당신의오른손을보여주세요 당신의왼쪽다리를보여주세요 문은당신의어느쪽입니까? 나는당신어느쪽에앉아있습니까? 거울이문쪽의오른쪽에있습니까왼쪽에있습니까? 원, 세모, 네모, 다이아몬드.. 복잡한형태순서로그려진카드를보1 따라그리기. 상자가그려진카드를보1 따라그리기 시계그려서 10시 15분표시하기 198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6.5. 심리사회적기능 -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이질문지는여러분이일상생활에서경험할수있는내용들로구성되어있습니다. 각내용은모두네개의문장으로되어있는데이네개의문장들을자세히읽어보시1 그중지난일주일동안자신을가장잘나타낸다1 생각되는하나의문장을선택하여그번호에표시하여주십시오. 문항 1 2 3 4 5 6 7 1 나는슬프지않다 2 나는슬프다 3 나는항상슬프1 기운을낼수없다. 4 나는너무나슬프1 불행해서도저히견딜수없다. 1 나는앞날에대해서별로낙심하지않는다. 2 나는앞날에대해서용기가나지않는다. 3 나는앞날에대해기대할것이아무것도없다1 느낀다. 4 나의앞날은아주절망적이1 나아질가망이없다1 느낀다. 1 나는실패자라1 느끼지않는다. 2 나는보통사람들보다더많이실패한것같다. 3 내가살아온과거를뒤돌아보면, 실패투성이인것같다. 4 나는인간으로완전한실패자라1 느낀다. 1 나는전과같이일상생활에만족하1 있다. 2 나의일상생활은예전처럼즐겁지않다. 3 나는요즘에는어떤것에서도별로만족을얻지못한다. 4 나는모든것이다불만스럽1 싫증난다. 1 나는특별히죄책감을느끼지않는다. 2 나는죄책감을느낄때가많다. 3 나는죄책감을느낄때가아주많다. 4 나는항상죄책감에시달리1 있다. 1 나는벌을받1 있다1 느끼지않는다. 2 나는어쩌면벌을받을지도모른다는느낌이든다. 3 나는벌을받을것같다. 4 나는지금벌을받1 있다1 느낀다. 1 나는나자신에게실망하지않는다. 2 나는나자신에게실망하1 있다. 3 나는나자신에게화가난다. 4 나는나자신을증오한다. 8 1 내가다른사람보다못한것같지는않다. 2 나는나의약점이나실수에대해서나자신을탓하는편이다. 3 내가한일이잘못되었을때는언제나나를탓한다. 4 일어나는모든나쁜일들은다내탓이다. 부록ㆍ 199

문항 9 10 11 12 13 14 15 16 17 1 나는자살같은것은생각하지않는다. 2 나는자살할생각을가끔하지만, 실제로하지는않을것이다. 3 자살하1 싶은생각이자주든다. 4 나는기회만있다면자살하겠다. 1 나는평소보다더울지는않는다. 2 나는전보다더많이운다. 3 나는요즘항상운다. 4 나는전에는울1 싶을때울수있었지만, 요즘은울래야울기력조차없다. 1 나는요즘평소보다더짜증을내는편은아니다. 2 나는전보다더쉽게짜증이나1 귀찮아진다. 3 나는요즘항상짜증을내1 있다. 4 전에는짜증스럽던일에요즘은너무지쳐서짜증조차나지않는다. 1 나는다른사람들에대한관심을잃지않1 있다. 2 난전보다다른사람들에대한관심이줄었다. 3 나는다른사람들에대한관심이거의없어졌다. 4 나는다른사람들에대한관심이완전히없어졌다. 1 나는평소처럼결정을잘내린다. 2 나는결정을미루는때가전보다더많다. 3 나는전에비해결정내리는데에더큰어려움을느낀다. 4 나는더이상아무결정도내릴수가없다. 1 나는전보다내모습이더나빠졌다1 느끼지않는다. 2 나는나이들어보이거나매력없어보일까봐불안한다. 3 나는내모습이매력없게변해버린것같은느낌이든다. 4 나는내가추하게보인다1 믿는다. 1 나는전처럼일을할수있다. 2 어떤일을시작하는데에전보다더많은노력이든다. 3 무슨일이든하려면나자신을매우심하게채찍질해야만한다. 4 나는전혀아무일도할수가없다. 1 나는평소처럼잠을잘수가있다. 2 나는전에만큼잠을자지는못한다. 3 나는전보다한두시간일찍깨1 다시잠들기어렵다. 4 나는평소보다몇시간이나일찍깨1, 한번깨면다시잠들수없다. 1 나는평소보다더피5하지는않다. 2 나는전보다더쉽게피5해진다. 3 나는무엇을해도피5해진다. 4 나는너무나피5해서아무일도할수없다. 200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문항 1 내식욕은평소와다름없다. 18 2 나는요즘전보다식욕이좋지않다. 3 나는요즘식욕이많이떨어졌다. 4 요즘에는전혀식욕이없다. 1 요즘체중이별로줄지않았다. 19 2 전보다몸무게가 2kg 가량줄었다. 3 전보다몸무게가 5kg 가량줄었다. 4 전보다몸무게가 7kg 가량줄었다. 나는현재음식조절로체중을줄이고있는중이다. ( 예, 아니오 ) 1 나는건강에대해전보다더염려하 1 있지는않다. 20 2 나는여러가지통증, 소화불량, 변비등과같은신체적문제로불안하 1 있다. 3 나는건강이염려되어다른일은생각하기힘들다. 4 나는건강이너무염려되어다른일은아무것도생각할수없다. 1 나는요즘성에대한관심에별다른변화가있는것같지는않다. 21 2 나는전보다성에대한관심이줄었다. 3 나는전보다성에대한관심이상당히줄었다. 4 나는성에대한관심을완전히잃었다. 평가자기록란 : 총점 ( ) 평가 ( ) 부록ㆍ 201

6.5. 심리사회적기능 - Beck Anxiety Inventory(BAI) 각문장을자세히읽어보시1 오늘을포함하여지난일주일동안자신의상태를가장잘 나타낸다1 생각되는번호에표시하여주십시오. 응답방식은다음과같습니다. 0 = 전혀느끼지않았다. 1 = 조금느꼈다. 2 = 상당히느꼈다. 3 = 심하게느꼈다. 문항 전혀조금상당히심하게느끼지느꼈다느꼈다느꼈다않았다 1 가끔씩몸이저리1 쑤시며감각이마비된느낌을받았다. 0 1 2 3 2 흥분된느낌을받는다. 0 1 2 3 3 가끔씩다리가떨리5 한다. 0 1 2 3 4 편안하게쉴수가없다. 0 1 2 3 5 매우나쁜일이일어날것같은두려움을느낀다. 0 1 2 3 6 어지러움 ( 현기증 ) 을느낀다. 0 1 2 3 7 가끔씩심장이두근거리1 빨리뛴다. 0 1 2 3 8 침착하지못하다. 0 1 2 3 9 자주겁을먹1 무서움을느낀다. 0 1 2 3 10 신경이과민되어있다. 0 1 2 3 11 가끔씩숨이막히1 질식할것같다. 0 1 2 3 12 자주손이떨린다. 0 1 2 3 13 안절부절못해한다. 0 1 2 3 14 미칠것같은두려움을느낀다. 0 1 2 3 15 가끔씩숨쉬기 5란할때가있다. 0 1 2 3 16 죽을것같은두려움을느낀다. 0 1 2 3 17 불안한상태에있다. 0 1 2 3 18 자주소화가잘안되1 뱃속이불편하다. 0 1 2 3 19 가끔씩기절할것같다. 0 1 2 3 20 자주얼굴이붉어지5 한다. 0 1 2 3 21 땀을많이흘린다 ( 더위로인한경우는제외 ). 0 1 2 3 평가자기록란 : 총점 ( ) 평가 ( ) 202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6.5. 심리사회적기능 - Beliefs of Rehabilitation 각문장들을자세히읽어보시 1 그중지난일주일동안자신을가장잘나타낸다 1 생각되는하나의 문장을선택하여그번호에표시하여주십시오. 응답방식은다음과같습니다. 1 = 전혀동의하지않음. 2 = 동의하지않음. 3 = 동의도비동의도아님. 4 = 동의함. 5 = 매우동의함 문항 Grade 전혀동의하지않음 동의하지않음 동의도비동의도아님 동의함 매우동의함 1 2 3 나의기능이더악화되거나회복이지연되는것을방지하기위해선재활치료가필수적이다. 나의질환으로인한이차적인합병증이나재발을방지하는방법은재활치료를참여하는것이다. 나는재활치료에참여하지않으면내신체적기능및활동에치명적인장애를남길것같다. 1 2 3 4 5 1 2 3 4 5 1 2 3 4 5 4 나는재활치료의효과에대한절대적인믿음이있다. 1 2 3 4 5 5 6 재활치료를적극적으로받는다면회복속도도빨라질것이다. 나를위해짜여진재활프로그램이기능상태의완전한회복을보장할것이다. 1 2 3 4 5 1 2 3 4 5 7 나는재활치료과정을수행하는데자신감이있다. 1 2 3 4 5 8 나는재활치료를받는데어떤어려움이있더라도목표를이룰때까지지속해나갈자신이있다. 1 2 3 4 5 9 나의완전한회복을위해서재활치료는매우중요하다. 1 2 3 4 5 10 재활치료는가족이나주변사람들을위해서도중요하다. 1 2 3 4 5 11 12 나의질환에따른기능장애는다른질환에비해심각한것같다. 나는기능장애가앞으로의활동및참여에심각한영향을미칠것같아두렵다. 1 2 3 4 5 1 2 3 4 5 평가자기록란 : 총점 ( ) 평가 ( ) 부록ㆍ 203

6.6. 점수산정표 ROM Coordination 3 Normal 4 정상관절가동범위 Tremor 2 Mild 1 Severe 3 정상관절가동범위 1/2이상 3/4 미만 3 Normal Dysmetria 2 Mild 2 정상관절가동범위 1/4 이상 1/2 미만 1 Severe 3 2초미만 1 정상관절가동범위 1/4 미만 Speed 2 2-5.9초 1 6초이상 Strength Standing Balance 6 N Normal 5 2 분동안유지 5 G Good 4 F Fair (+) ~ Fair (-) 3 P Poor (+) ~ Poor (-) 2 T Trace 4 2분동안감독하에유지 3 지지없이 30초동안유지지지없이 30초동안유지위해여러번 2 시도필요 1 Z Zero Spasticity 6 G0 5 G1 4 G1+ 3 G2 2 G3 1 G4 1 도움없이 30초동안유지어려움 Sensory 3 Intact 2 Impaired 1 Absent 204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부록 7 기능평가매뉴얼 7.1. 일상생활수행능력 [ 독립성 ] 평가목적 일상생활활동의독립적인수행정도를평가함. 평가대상평가준비도구평가내용평가방법평가시기 재활치료를목적으로하는환자 ( 청소년, 성인 ) - 연령 : 13세이상 평가용지, 연필 총 12항목으로구성됨 평가항목 - Grooming, Bathing, Eating, Dressing upper body, Dressing lower body, Bladder management, Bowel management, Toileting, Bed mobility, transfer, Ambulation/Wheelchair, Stairs 환자가수행하는것을직접관찰함으로써기능을평가함. 평가전각평가항목에대한정의및채점기준을정확하게파악하1 검사를시행함. 환자가실제로하1 있는것을측정함. 입원자료는입원후 72시간내에수집 퇴원자료는퇴원전 72시간내에수집 추적자료는퇴원후 80-180일 (3-6개월 ) 동안에수집 채점 각항목에대해최대점수로 6점, 최저점수로 1점을줌. 총점의범위는 12-72점이다. 모든항목들에대해환자의기능수준을가장잘묘사하1 있는점수를기록함. 능력 (capacity) 보다는실제적인수행 (actual performance) 을기록함. 다른환경이나시간들사이에기능상의차이가있다면가장낮은점수를기록함. 모든항목을빈칸으로남겨주지않도록함. 걷기 / 휠체어의경우가장일상적인양식을체크함. 부록ㆍ 205

7.1. 일상생활수행능력 [ 독립성 ] - 각단계별독립성수준 독립성보조자수행도척도설명 100% 6 ( 완전독립 ) 활동의모든과정을완전히독립적으로수행한다. 활동수행시안전하게적당한시간내에수행한다. 독립필요없음 100% 5 ( 부분독립 ) 활동의모든과정을 assistive device/adaptive device 를사용하여독립적으로수행한다. 활동수행시안전에주의해야하며, 시간이오래걸린다. * assistive device/adaptive device 는의지, 보조기, 항목별로정의내린보조장비가포함된다. 75% 이상 - 100% 미만 4 ( 최소의존 ) 보조자의감독이나조언이필요하다. 활동수행능력은 75% 이상에서 100% 미만이다. 50% 이상 - 75% 미만 3 ( 중간의존 ) 활동수행능력은 50% 이상에서 75% 미만이다. 의존필요 25% 이상 - 50% 미만 2 ( 최대의존 ) 활동수행능력은 25% 이상에서 50% 미만이다. 25% 미만 1 ( 완전의존 ) 활동의모든과정을수행할수없다. 활동수행능력은 25% 미만이다. 206

1. 몸단장 (Grooming) 채점가이드 정의및활동범위 도구를사용해야하는활동을위해필요한도구를미리준비해놓는다. 적당한시간내에안전하게수행한다. 정의에제시된활동만으로평가하며각각은전체 20% 로계산한다. 여성의경우면도하기는평가에서제외한다. 만약머리카락이없다면머리빗질하기는평가에서제외한다. 위의두가지항목에해당될경우제외한나머지활동만으로퍼센트를계산한다. 구강관리, 손과얼굴씻기, 머리빗질하기, 면도하기, 화장하기의몸단장을수행하는과정으로다음의활동을포함한다. 미리준비된평가환경에서특정활동에필요한도구를적절하게선택하기. 구강관리하기치약을칫솔위에짜1, 칫솔을입으로가져가서칫솔로치아를닦은다음물로입안을헹구1 뱉기. 틀니를사용할경우틀니를제거하1, 치약을칫솔위에짜서칫솔로틀니를닦은다음물로헹구1 다시입에착용하기. 손과얼굴씻기세면대의물을틀어서손과얼굴에물을묻히1, 비누나세안제를이용해거품을내서해당부위에비누칠을하1, 비누거품이완전히제거될때까지적절하게헹구1, 수건으로닦1, 세면대의물잠그기. 머리빗질하기머리정수리, 머리뒤, 머리옆으로빗을가져가서빗질하기. 면도하기 - 수동면도기경우얼굴에거품을내1 얼굴에가져가서털이제거될때까지적절하게면도기를사용하1 얼굴헹구1 닦기. - 전자면도기경우면도기를작동시켜얼굴에가져가서털이제거될때까지적절하게면도기를사용하1 얼굴에남아있는털을닦아내1 면도기작동멈추기. 화장하기스킨 로션뚜껑을열어서용액을덜은다음순서나용도에맞게적절하게얼굴전체에바르1 뚜껑닫기. 몸단장을완전히독립적으로수행한다. 6 몸단장수행시안전하게적당한시간내에수행한다. 몸단장을 assistive device/adaptive device를사용하여독립적으로수행한다. 몸단장수행시안전에주의해야하며, 시간이오래걸린다. 5 < 예시 > 몸단장수행시 wash mitt, adapted toothbrush, utensil solt 또는 adapted comb 등과같은필요한 assistive device/adaptive device을사용하여독립적으로수행할수있다. 환자의몸단장수행능력은 75% 이상에서 100% 미만이다. 보조자의감독이나조언이필요하다. 척도및예시 4 3 2 1 < 예시 > 구강관리하기시칫솔로치아안쪽닦기에도움이필요하다. 손과얼굴씻기시거품이완전히제거될때까지적절하게헹구기에도움이필요하다 머리빗질하기시머리뒤빗질하기에도움이필요하다. 면도하기시위턱의털을제거하기에도움이필요하다. 화장하기시화장품뚜껑열어주1 닦거나덜기등의도움이필요하다. 몸단장수행능력은 50% 이상에서 75% 미만이다. < 예시 > 구강관리하기시칫솔로치아닦기, 칫솔로틀니닦기에도움이필요하다. 손과얼굴씻기시비누칠하기에도움이필요하다. 머리빗질하기시머리에옆빗질하기에도움이필요하다. 면도하기시아래턱의털을제거하기에도움이필요하다. 화장하기시화장품을얼굴에바르기에도움이필요하다. 몸단장수행능력은 25% 이상에서 50% 미만이다. < 예시 > 전반적으로몸단장하기과정에서최대의도움이필요하다. 활동의모든과정을수행할수없다. 몸단장수행능력은 25% 미만이다. 부록ㆍ 207

2. 목욕하기 (Bathing) 채점 가이드 도구를사용해야하는활동을위해필요한도구를미리준비해놓는다. 적당한시간내에안전하게수행한다. 정의에제시된활동만을평가하며, 직접관찰하여평가하기어려울경우보호자를통하여평가하거나환자인터뷰식으로평가한다. 정의및활동범위 얼굴과등을제외한신체부위를비누칠하 1 헹구 1 말리는과정으로다음을평가한다. 수도꼭지나샤워기를틀 1 물의온도를적절하게조절하기 스폰지나샤워타월을이용해거품을내서비누칠하기 비누거품이완전히제거될때까지헹구기 수건이나드라이기를사용하여몸을닦 1 말리기 6 목욕하기를완전히독립적으로수행한다. 목욕하기수행시안전하게적당한시간내에수행한다. 5 목욕하기를 assistive device/adaptive device 를사용하여독립적으로수행한다. 목욕하기수행시안전에주의해야하며, 시간이오래걸린다. < 예시 > 목욕하기수행시 wash mitt, 긴손잡이가달린스펀지또는가로대등과같은필요한 assistive device/adaptive device 을사용하여독립적으로수행할수있다. 척도및예시 4 환자의목욕하기수행능력은 75% 이상에서 100% 미만이다. 보조자의감독이나조언등의도움이필요하다. < 예시 > 수도꼭지나샤워기를틀 1 물의온도를적절하게조절하기에도움이필요하다. 3 목욕하기수행능력은 50% 이상에서 75% 미만이다. < 예시 > 스폰지나샤워타월을이용해거품을내서비누칠하기에도움이필요하다. 2 목욕하기수행능력은 25% 이상에서 50% 미만이다. < 예시 > 전반적으로목욕하기과정에서최대의도움이필요하다. 1 활동의모든과정을수행할수없다. 목욕하기수행능력은 25% 미만이다. 208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3. 식사하기 (Eating) 채점가이드정의및활동범위 보편적인방식으로음식을미리준비하 1, 도구를사용하여야하는활동을위해필요한도구를미리준비하여놓는다. 적당한시간내에안전하게수행한다 정의에제시된활동만을평가한다. 보편적인방식으로차려진준비된음식물을먹는과정으로다음을평가한다. 미리준비된평가환경에서식사에필요한도구를적절하게선택하기. 준비된음식을도구를사용하여음식물을먹기좋게다양한형태로변형하기 : 용기개봉하기, 음식자르기, 음식곱게다지기, 음료의경우용기에따르기. 숟가락이나포크, 젓가락같은식사도구를이용해서그릇에서음식을떠서입으로가져가기 음식을씹 1 삼키기 6 식사하기를완전히독립적으로수행한다. 식사하기수행시안전하게적당한시간내에수행한다. 식사하기를 assistive device/adaptive device 를사용하여독립적으로수행한다. 식사하기수행시안전에주의해야하며, 시간이오래걸린다. 5 < 예시 > 포크숟가락, 빨대, 용수철부착젓가락또는 universal cuff 등과같은필요한 assistive device/adaptive device 을사용하여독립적으로수행할수있다. 구강식도관 (Oroesophageal tube) or 위루형성술 (Gastrotomy) 을사용하여스스로영양공급이가능하다. 식사하기수행능력은 75% 이상에서 100% 미만이다. 보조자의감독이나조언등의도움이필요하다. 척도및예시 4 3 2 1 < 예시 > 경증의연하 5 란 ( 삼킴장애 ) 이있는경우, 부드러운음식이나죽과같은밥을먹어야한다. 간단한식사도구 ( 숟가락등 ) 는스스로다룰수있으나젓가락과같은다루기어려운식사도구를사용시도움 ( 김치자르기, 생선바르기등 ) 이필요하다. 식사하기수행능력은 50% 이상에서 75% 미만이다. < 예시 > 숟가락을사용하여음식을입으로가져가기, 우유팩이나병뚜껑열기와같은간단한동작수행시도움이필요하다. 중등도의연하5란을가져주로죽을먹1, 소량의국물음식만을허용하며, Thick-it 파우더를이용해음식의농도조절이필요하다. 식사하기수행능력은 25% 이상에서 50% 미만이다. < 예시 > 보호자가음식을떠서입에넣어줘야하는것과같은도움이필요하다. 음료따르기등의수행시에도어려움이있어도움이필요하다. 중증의연하5란을가져서모든음식은갈아서걸쭉하1 부드러운상태로준비하1 국물음식은제한해야한다. 활동의모든과정을수행할수없다. 식사하기수행능력은 25% 미만이다. < 예시 > 비위강튜브 (Nasogastric tube) or 위루형성술 (gastrotomy) 를통해영양공급을받으나모든과정을스스로전혀수행할수없다. 입으로충분한식사 ( 먹 1, 마시기 ) 를할수없 1, 위루형성술 (gastrotomy) 이나비위강튜브 (nasogastric tube) 를통해영양소를공급받으며스스로관리를할수없다. 튜브영양때주입, 연결, 세척, 주입속도조절등에모두보호자의도움이필요하다. 부록ㆍ 209

4. 상의입고벗기 (Dressing upper body) 채점 가이드 상의옷입기에필요한일반적인티셔츠, 환자복을미리준비하여놓는다. 적당한시간내에안전하게수행한다. 정의에제시된활동만을평가한다. 의지, 보조기는이항목에서만예외적으로 assistive device/adaptive device 에포함되지않는다. 정의및활동범위 환자가상의를입 1 벗는과정으로다음의활동을펑가한다. 준비된옷에머리집어넣 1 빼기 준비된옷에양팔을집어넣 1 빼기 단추혹은지퍼를올바르게채우거나채워진단추혹은지퍼를올바르게열기 옷을입기위해개인도구, 보조기의수족착용하 1 분리하기 6 상의입 1 벗기를완전히독립적으로수행한다. 상의입 1 벗기수행시안전하게적당한시간내에수행한다. 5 상의입 1 벗기를 assistive device/adaptive device 를사용하여독립적으로수행한다. 상의입 1 벗기수행시안전에주의해야하며, 시간이오래걸린다. < 예시 > button hook, dressing stick, reacher 또는지퍼손잡이등과같은필요한 assistive device/adaptive device 을사용하여독립적으로수행할수있다. 척도및예시 4 3 환자의상의입 1 벗기수행능력은 75% 이상에서 100% 미만이다. 보조자의감독이나조언등의도움이필요하다. < 예시 > 단추풀 1 끼우기에도움이필요하다. 지퍼열 1 닦기에도움이필요하다. 끈풀 1, 묶기에도움이필요하다. 상의입 1 벗기수행능력은 50% 이상에서 75% 미만이다. < 예시 > 티셔츠를머리에집어넣을수는있으나팔을끼우기위해서는보조자의도움이필요하다. 한쪽팔만소매에집어넣을수있 1 다른팔은집어넣지못한다. 옷에서팔을뺄수있지만머리를빼기위해서는보조자의도움이필요하다. 한쪽팔만소매에서뺄수있 1 다른팔은빼기어렵다. 2 상의입 1 벗기수행능력은 25% 이상에서 50% 미만이다. < 예시 > 도움을받는동안자세변경및자세유지와같은수행의일부분만가능하다. 머리를옷에집어넣 1, 양팔모두소매에집어넣기위해도움이필요하다. 옷을벗을때머리와양팔을모두빼기위해도움이필요하다. 1 활동의모든과정을수행할수없다. 상의입 1 벗기수행능력은 25% 미만이다. 210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5. 하의입고벗기 (Dressing lower body) 채점 가이드 하의옷입기에필요한일반적인바지, 환자복, 신발을미리준비하여놓는다. 적당한시간내에안전하게수행한다 정의에제시된활동만을평가한다. 의지, 보조기는이항목에서만예외적으로 assistive device/adaptive device 에포함되지않는다. 정의및활동범위 환자가하의를입 1 벗는과정으로다음의활동을펑가한다. 준비된옷에다리를집어넣 1 빼기 바지를허리부분까지올리 1 내리기 지퍼혹은단추, 버클을올바르게채우거나올바르게채워진단추혹은지퍼, 버클열기 옷을입기위해개인도구, 보조기의수족착용하 1 분리하기 신발에발을끼워넣 1, 발에맞게신발의위치를올바르게위치시켜서신 1 벗기 신발끈을묶거나지퍼를채우 1 풀기. 6 하의입 1 벗기를완전히독립적으로수행한다. 하의입 1 벗기수행시안전하게적당한시간내에수행한다. 5 하의입 1 벗기를 assistive device/adaptive device 를사용하여독립적으로수행한다. 하의입 1 벗기수행시안전에주의해야하며, 시간이오래걸린다. < 예시 > button hook, dressing stick, reacher 또는지퍼손잡이등과같은필요한 assistive device/adaptive device 을사용하여독립적으로수행할수있다. 척도및예시 4 3 환자의하의입 1 벗기수행능력은 75% 이상에서 100% 미만이다. 보조자의감독이나조언등의도움이필요하다. < 예시 > 단추풀 1 끼우기에도움이필요하다. 지퍼열 1 닦기에도움이필요하다. 신발끈풀 1 묶기에도움이필요하다. 하의입 1 벗기수행능력은 50% 이상에서 75% 미만이다. < 예시 > 바지에다리를집어넣 1 바지를올릴수있지만나머지부분은보조자의도움이필요하다. 한쪽다리만집어넣을수있 1 다른다리는집어넣지못한다. 한쪽다리만빼기가능하 1 다른다리를빼는데어려움이있다. 2 하의입 1 벗기수행능력은 25% 이상에서 50% 미만이다. < 예시 > 도움을받는동안자세변경및자세유지와같은수행의일부분만가능하다. 바지에다리를집어넣을때양다리모두도움이필요하다. 바지를벗을때양쪽다리모두도움이필요하다. 1 활동의모든과정을수행할수없다. 하의입 1 벗기수행능력은 25% 미만이다. 부록ㆍ 211

6. 배뇨관리 (Bladder management) 채점가이드정의및활동범위척도및예시 적당한시간내에안전하게수행한다 정의에제시된활동만을평가하며지난 3일동안환자의배뇨관리를인터뷰식으로평가한다. 필요한경우장비와약을사용하여배뇨관리를조절하1 장비와약은 assistive device/adaptive device에포함된다. ' 배뇨관리실패 ' 란배뇨배설물이옷이나천을적시거나화장실변기나배뇨장비의겉에배설물이유출되어더렵혀진것을말한다. 의도적으로방광을조절하는과정으로다음을평가한다. 방광괄약근을의도적으로조절하여화장실변기 or 남성용소변기에서배뇨하기. 필요할방광조절을위해내부및외부기구나약물사용하기. 배뇨시청결상태유지하기. 배뇨를하지않는시간에는방광괄약근을조절하여청결상태를유지하기. 방광조절실패나실뇨가있을경우그것을대비또는처리하기. 배뇨자세유지하기. 흡수력있는패드나기저귀를사용할경우그것을사용하1 교체하1 처리하기. 배뇨관리하기를완전히독립적으로수행한다. 6 배뇨관리하기수행시안전하게적당한시간내에수행한다. 배뇨관리하기를 assistive device/adaptive device를사용하여독립적으로수행한다. 배뇨관리하기수행시안전에주의해야하며, 시간이오래걸린다. < 예시 > 흡수력있는패드나기저귀를사용할경우도움없이교체하여사용할수있다. 도뇨관을사용할경우준비와삽입, 청소의모든면을독립적으로관리한다. 5 배뇨조절을위해약을사용할경우모든면에서스스로관리할수있다. 요로문합술을받은경우, 도움없이상태를유지할수있1, 청결한상태를유지한다. 배뇨관리실패 ( 실뇨, 옷등에묻는일등 ) 는없다. 침대변기 (bedpan), 이동식변기 (commode) 혹은남성용소변기 (urinal) 등과같은필요한도움장치를사용하1 그것을비우1 제자리로가져다놓는다. 환자의배뇨관리하기수행능력은 75% 이상에서 100% 미만이다. 보조자의감독이나조언등의도움이필요하다. 배뇨관리실패횟수가지난 3일동안 1회이하이다. < 예시 > 배뇨조절을위해약을사용할경우감독이나조언이필요하다. 4 도뇨관을사용할경우삽입은할수있으나준비와청소에도움이필요하다. 침대변기 (bedpan), 이동식변기 (commode) 혹은남성용소변기 (urinal) 등과같은도움장치를사용할수있으나그것을청결하게비우1 제자리에가져다놓는데도움이필요하다. 요로문합술을받은경우청결한상태를유지하기에도움이필요하다. 실뇨가있으나스스로처리를할수있다. 배뇨관리하기수행능력은 50% 이상에서 75% 미만이다. 배뇨관리실패횟수가지난 3일동안 2-4회이다. < 예시 > 3 도뇨관을사용할경우삽입에도움이필요하다. 요로문합술을받은경우, 배뇨백을유지하1 관리하는데도움이필요하다. 배뇨자세를취하1 자세를유지하는데도움이필요하다. 배뇨관리하기수행능력은 25% 이상에서 50% 미만이다. 배뇨관리실패횟수가지난 3일동안 5-7회이다. 2 < 예시 > 전반적으로배뇨조절과정에있어서도움이필요하다. 활동의모든과정을수행할수없다. 배뇨관리하기수행능력은 25% 미만이다. 배뇨관리실패횟수가지난 3일동안 8회이상이다. 1 < 예시 > 지속적도뇨를위해흡수용패드나유치카테터 (indwelling) 를사용하는데있어서보조자에의해모든과정에도움을받는다. 외부도뇨, 배뇨백, 야간백등의사용이전적으로보조자에의해이루어진다. 212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7. 배변관리 (Bowel management) 채점 가이드 적당한시간내에안전하게수행한다 정의에제시된활동만을평가하며지난 3 일동안환자의배변관리를인터뷰식으로평가한다. 필요한경우장비와약을사용하여배변관리를조절하 1 장비와약은 assistive device/adaptive device 에포함된다. ' 배변관리실패 ' 란배변배설물이옷이나천에묻거나화장실변기나배변장비의겉에배설물이유출되어더렵혀진것을말한다. 의도적으로장을조절하는과정을다음을평가한다. 정의및활동범위 항문괄약근을의도적으로조절하여화장실변기에서배변하기. 필요할경우항문조절을위해내부및외부기구나약물을사용하기 배변시청결상태유지하기. 배변을하지않는시간에는항문괄약근을조절하여청결상태를유지하기. 배변조절실패나실변이있을경우그것을대비또는처리하기 배변자세유지하기. 흡수력있는패드나기저귀를사용할경우그것을사용하1 교체하1 처리하기배변관리하기를완전히독립적으로수행한다. 6 배변관리하기수행시안전하게적당한시간내에수행한다. 배변관리하기를 assistive device/adaptive device 를사용하여독립적으로수행한다. 배변관리하기수행시안전에주의해야하며, 시간이오래걸린다. 5 < 예시 > 흡수력있는패드나기저귀를사용할경우도움없이교체하여사용할수있다. 배뇨조절을위해약 ( 대변연하제, 좌약등 ) 을사용할경우모든면에서스스로관리할수있다. 인공항문형성술 (colostomy) 을받은경우, 도움없이상태를유지할수있1, 청결한상태를유지한다. 침대변기 (bedpan), 이동식변기 (commode) 혹은남성용소변기 (urinal) 등과같은필요한도움장치를사용하1 그것을비우1 제자리로가져다놓는다. 배변관리실패 ( 실변, 옷등에묻는일등 ) 는없다. 척도및예시 4 3 2 1 배변관리하기수행능력은 75% 이상에서 100% 미만이다. 보조자의감독이나조언등의도움이필요하다. 배변관리실패횟수가지난 3 일동안 1 회이하이다. < 예시 > 배변조절을위해좌약, 관장제또는외부장비 (external device) 를사용할경우감독이나조언이필요하다. 침대변기 (bedpan) 또는이동식변기 (commode) 등과같은도움장치를사용할수있으나그것을청결하게비우 1 제자리에가져다놓는데도움이필요하다. 인공항문형성술을받은경우청결한상태를유지하기에도움이필요하다. 실변이있으나스스로와처리를할수있다. 배변관리하기수행능력은 50% 이상에서 75% 미만이다. 배변관리실패횟수가지난 3 일동안 2-4 회이다. < 예시 > 좌약, 관장제또는외부장비 (external device) 를사용할경우삽입에도움이필요하다. 인공항문형성술을받은경우, 배변주머니를유지하1 관리하는데도움이필요하다. 배변자세를취하1 자세를유지하는데도움이필요하다 배변관리하기수행능력은 25% 이상에서 50% 미만이다. 배변관리실패횟수가지난 3 일동안 5-7 회이다. < 예시 > 전반적으로배변조절과정에있어서도움이필요하다. 활동의모든과정을수행할수없다. 배변관리하기수행능력은 25% 미만이다배변관리실패횟수가지난 3 일동안 8 회이상이다. 부록ㆍ 213

8. 용변처리 (Toileting) 채점 가이드 적당한시간내에안전하게수행한다. 정의에제시된활동만을평가한다. 여성위생제품에는생리대, 탐폰이포함된다. 정의및활동범위 화장실변기를이용하여용변을보 1 처리를하는과정으로다음을평가한다. 미리준비된평가환경에서평가활동에필요한도구선택하기 용변을보기위해변기뚜껑을열 1 변기에적절하게앉 1 일어서기 옷을더럽혀지지않게내리 1 입기 용변후에변기물을내리 1 처리하기 화장실용품을적절하게선택하 1 사용하여회음부를청결하게하기 여성위생제품을올바르게사용하여청결유지하기. 6 용변처리를완전히독립적으로수행한다. 용변처리수행시안전하게적당한시간내에수행한다. 용변처리를 assistive device/adaptive device 를사용하여독립적으로수행한다. 용변처리수행시안전에주의해야하며, 시간이오래걸린다. 5 < 예시 > 가로대또는옷집게등과같은필요한 assistive device/adaptive device 를사용하여독립적으로수행한다. 비대변기를사용하여회음부위생관리를독립적으로수행할수있다. 척도및예시 4 3 용변처리수행능력은 75% 이상에서 100% 미만이다. 보조자의감독이나조언등의도움이필요하다. < 예시 > 여성위생제품사용시제품착용과정에도움이필요하다. 침대변기 (bedpan) 또는이동식변기 (commode) 등과같은도움장치를사용할수있으나그것을청결하게비우 1 제자리에가져다놓는데도움이필요하다. 화장실변기나다른변기이용시변기뚜껑열 1 닫기, 화장지미리준비해두기와같은준비과정의도움이필요하다. 용변처리수행능력은 50% 이상에서 75% 미만이다. < 예시 > 회음부위생관리, 옷입1 벗기등의용변처리수행시균형유지나올바른동작수행을위해도움이필요하다. 여성위생제품사용시제품개봉과정에도움이필요하다. 2 용변처리수행능력은 25% 이상에서 50% 미만이다. < 예시 > 전반적으로용변처리과정에있어서도움이필요하다. 1 활동의모든과정을수행할수없다. 용변처리수행능력은 25% 미만이다. < 예시 > 환자가몸평가시간동안항문과방광모두에서배설조절력이없어평가가불가능하다 214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9. 침상이동 (Bed mobility) 채점 가이드 적당한시간내에안전하게수행한다. 정의에제시된활동만을평가한다. 침상에서한자세에다른자세로바꾸거나신체의위치를움직이는과정으로다음을평가한다. 정의및활동범위 바로누운자세에서옆으로돌아눕기 옆으로누운자세에서바로눕기, 옆으로누운자세에서엎드리기 바로누운자세에서앉은자세로몸을일으키기 앉은자세에서바로눕기 바로누운자세에서침대가장자리에걸터앉기 침대가장자리에걸터앉은상태에서바로눕기 6 침상이동을완전히독립적으로수행한다. 침상이동수행시안전하게적당한시간내에수행한다. 5 침상이동을 assistive device/adaptive device 를사용하여독립적으로수행한다. 침상이동수행시안전에주의해야하며, 시간이오래걸린다. < 예시 > 침대난간또는변환용시트등과같은 assistive/adaptive device 를사용하여독립적으로수행할수있다. 척도및예시 4 3 침상이동수행능력은 75% 이상에서 100% 미만이다. 보조자의감독이나조언등의도움이필요하다. < 예시 > 침상에서의움직임수행을위해감독이나조언이필요하다. bed rail 을움직이거나침대브레이크를잠그는등과같은도움이필요하다. 침상이동수행능력은 50% 이상에서 75% 미만이다. < 예시 > 침상에서의움직임수행을위해팔지지 (arm support) 와같은도움이필요하다. 2 침상이동수행능력은 25% 이상에서 50% 미만이다. < 예시 > 침상에서의움직임수행을위해체간지지 (trunk support) 와같은도움이필요하다. 보조자한명의지속적인신체적지지와수행전반에걸쳐도움이필요하다. 1 활동의모든과정을수행할수없다. 침상이동수행능력은 25% 미만이다. < 예시 > 보조자두명에의해모든과정에도움을받는다. 부록ㆍ 215

10. 이동 (Transfer) 채점가이드정의및활동범위 적당한시간내에안전하게수행한다. 정의에제시된활동만을평가한다. 바닥, 침대, 의자, 휠체어사이의이동이나욕조나샤워실에서의이동하는과정으로다음을평가한다. 바닥에서의자혹은휠체어로이동하기 침대에서의자혹은휠체어로이동하기 욕조나샤워실로이동하기 욕조안으로들어가 1 나오기 6 5 이동을완전히독립적으로수행한다. 이동수행시안전하게적당한시간내에수행한다. 이동을 assistive device/adaptive device 를사용하여독립적으로수행한다. 이동수행시안전에주의해야하며, 시간이오래걸린다. < 예시 > 슬라이딩보드, 리프트또는가로대등과같은필요한 assistive device/adaptive device 를사용하여독립적으로수행한다. 이동수행능력은 75% 이상에서 100% 미만이다. 보조자의감독이나조언등의도움이필요하다. 척도및예시 4 3 < 예시 > 이동수행을위해팔지지 (arm support) 와같은도움이필요하다. 이동수행을위해몸을돌리는동작 (turn) 에서단지잡아주는정도의도움이필요하다. 침대안으로밖으로하나의사지를들어올리는데도움이필요로한다. 이동수행능력은 50% 이상에서 75% 미만이다. < 예시 > 이동수행을위해체간지지 (trunk support) 와같은도움이필요하다. 이동수행을위해축이동 (pivot transfer) 에서부분적도움이필요하다. 침대안으로밖으로두개의사지를들어올리는데도움이필요로한다. 앉은자세에서서기자세로전환하는동안의들어올리는 (lift) 도움이필요하다. 2 이동수행능력은 25% 이상에서 50% 미만이다. < 예시 > 이동수행시체중지지 (weight bearing) 가어려워모든과정에걸쳐보조자한명에의한지속적인신체적지지나들어올리는 (lift) 도움이필요하다. 이동수행을위해보조자한명에의해축이동 (pivot transfer) 의전반에걸쳐도움이필요하다. 1 활동의모든과정을수행할수없다. 이동수행능력은 25% 미만이다. < 예시 > 보조자두명에의해모든과정에도움을받는다. 216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11-1. 보행 (Ambulation/walk) 채점 가이드 적당한시간내에안전하게수행한다. 정의에제시된활동만을평가한다. 환자가걸을수있을때이항목을평가한다. 목발, 지팡이혹은워커같은보조도구를사용할경우그것을필요한때에필요한위치에가져오 1, 조작하는것까지평가한다. 보장구및보조기를사용할경우잠금장치를풀 1 잠그며, 일어서 1 앉는것까지평가한다. 보조도구를사용하여도환자가 50m 미만으로걷기를수행할때, 최대 level 3 로평가한다. 정의및활동범위 50m 이상걷기를수행하는과정으로다음을평가한다. 걷기위해균형을유지한채선자세를유지하지 평지에서 50m 이상걷기 방향을전환을위해돌기 (Turn) 턱이나장애물을통과하기 커브, 경사로걷기 6 5 보행을완전히독립적으로수행한다. 보행수행시안전하게적당한시간내에수행한다. 보행을 assistive device/adaptive device 를사용하여독립적으로수행한다. 보행수행시안전에주의해야하며, 시간이오래걸린다. < 예시 > 워커 or 목발 or 지팡이등과같은필요한 assistive device/adaptive device 를사용하여독립적으로수행한다. 척도및예시 4 3 2 1 보행수행능력은 75% 이상에서 100% 미만이다. 보조자의감독이나조언등의도움이필요하다. < 예시 > 보행수행을위해보조자가잡아주는정도의도움이필요하다. 보행보조도구를잡 1 조작하는데약간의도움이필요하다. 좁은공간, 문턱, 거친바닥을지나거나방향전환을할때균형유지를위해도움이필요하다. 보행수행능력은 50% 이상에서 75% 미만이다. < 예시 > gait belt 를착용한상태에서보조자가 gait belt 를잡아주면보행이가능하다. 보조도구를사용하여 50m 미만을걸을수있다. 보행수행능력은 25% 이상에서 50% 미만이다. < 예시 > 보행의모든과정에보조자한명에의한지속적인신체적지지와더불어전반에걸쳐도움이필요하다. rail parallel bar에걸려있는 walking harness를입1 보행할수있다. 활동의모든과정을수행할수없다. 보행수행능력은 25% 미만이다. < 예시 > 보조자두명에의해모든과정에도움을받는다. 부록ㆍ 217

11-2. 휠체어 (Wheelchair) 채점 가이드 적당한시간내에안전하게수행한다. 정의에제시된활동만을평가한다 환자가휠체어를사용할때이항목을평가한다. 전동이든수동이든관계없이그독립성정도만을동일하게평가한다 휠체어는환자가소유하 1 있는휠체어로평가한다. 정의및활동범위 50m 이상휠체어를작동하는과정으로다음을평가한다. 휠체어브레이크풀 1 잠그기 휠체어전진, 후진하기 방향전환을위해돌기 (Turn) 턱, 장애물을통과하기 경사로를오르내리기 커브, 경사로에서휠체어보행하기 6 휠체어보행을완전히독립적으로수행한다. 휠체어보행수행시안전하게적당한시간내에수행한다. 5 휠체어보행을 assistive device/adaptive device 를사용하여독립적으로수행한다. 휠체어보행수행시안전에주의해야하며, 시간이오래걸린다. < 예시 > Grade-aid, Brake lever extension 또는 Forward stabilizer 등과같은필요한 assistive device/adaptive device 를사용하여독립적으로수행한다. 척도및예시 4 3 휠체어보행수행능력은 75% 이상에서 100% 미만이다. 보조자의감독이나조언등의도움이필요하다. < 예시 > 좁은공간, 문턱, 거친바닥, 경사로에서휠체어보행을할때도움이필요하다. 50m 미만에서는휠체어보행이스스로가능하다. 휠체어보행수행능력은 50% 이상에서 75% 미만이다. < 예시 > 경사가없 1 바닥이평평한곳에서방향전환을할때도움이필요하다. 휠체어브레이크풀 1 잠그기에도움이필요하다. 2 휠체어보행수행능력은 25% 이상에서 50% 미만이다. < 예시 > 15m 미만에서는휠체어보행이스스로가능하다. 1 활동의모든과정을수행할수없다. 휠체어보행수행능력은 25% 미만이다. 218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12. 계단오르내리기 (Stairs) 채점 가이드 적당한시간내에안전하게수행한다. 정의에제시된활동만을평가한다 보행보조도구를사용할경우그것을운반하는것까지평가한다. 보조도구를사용하여도환자가 12 개미만으로계단오르내리기를수행할때, 최대 level 3 로평가한다. 정의및활동범위 한층의계단 (12~14 개 ) 을오르내리는과정으로다음을평가한다. 계단을오르내리기위해균형을유지한채선자세를유지하기 계단올라가기 계단내려오기위해돌기 (Turn). 계단내려오기 6 계단오르내리기를완전히독립적으로수행한다. 계단오르내리기수행시안전하게적당한시간내에수행한다. 5 계단오르내리기를 assistive device/adaptive device 를사용하여독립적으로수행한다. 계단오르내리기시안전에주의해야하며, 시간이오래걸린다. < 예시 > 계단난간, 목발또는지팡이등과같은필요한 assistive device/adaptive device 를사용하여독립적으로수행한다. 척도및예시 4 3 계단오르내리기능력은 75% 이상에서 100% 미만이다. 보조자의감독이나조언등의도움이필요하다. < 예시 > 계단오르내리기를위해보조자의팔지지 (arm support) 가필요하다 계단오르내리기를위해방향전환 (turn) 시보조자의잡아주는정도의약간의도움이필요하다. 계단오르내리기능력은 50% 이상에서 75% 미만이다. < 예시 > 계단오르내리기를위해보조자의체간지지 (trunk support) 가필요하다. 계단오르내리기를위해균형유지를위해보조자의도움이필요하다. 2 1 계단오르내리기능력은 25% 이상에서 50% 미만이다. < 예시 > 계단오르내리기수행시전반에걸쳐보조자한명의지속적인신체적지지와최대의도움에도 4~6 개이상오르내리지못한다. 활동의모든과정을수행할수없다. 계단오르내리기능력은 25% 미만이다. < 예시 > 두명이상의보조자에의해모든과정에도움을받는다. 기계리프트를전적으로도우미에의해조작해사용한다. 부록ㆍ 219

7.2. 운동기능 - Range of Motion(ROM) ROM 정의 한관절축의기준에서움직이는방향으로최대한움직일수있는범위. 평가목적임상적의미평가준비도구평가내용평가방법평가시기채점 각관절가동범위를재어제한이있는지를알아봄. 운동의질을관찰하1 평가함. 관절의초기상태, 치료효과측정, 치료프로그램의유용성평가, 치료목표설정에도움이됨. 환자의동기 (motivation) 를유발하는심리적인요인으로서도중요함. 맨손근력검사 (manual muscle testing) 의지표로써도운동범위측정이중요한이유가됨. 평가용지, 연필, Goniometer, 표시용스티커, 줄자 각관절 motion 마다관절축 ROM을재1, 제한정도를알아봄. 평가부위 U/E - shoulder, elbow, wrist, finger L/E - hip, knee, ankle Spine - cervical, lumbar 해부학적자세에기초하여 0 의위치가어딘지를명확하게알1 측정해야함. 평가지에각관절별각도를기록함. 입원자료는입원후 72시간내에수집 퇴원자료는퇴원전 72시간내에수집 추적자료는퇴원후 80-180일 (3-6개월 ) 동안에수집 4 : 정상관절가동범위 3 : 정상관절가동범위 1/2이상 3/4 미만 2 : 정상관절가동범위 1/4 이상 1/2 미만 1 : 정상관절가동범위 1/4 미만 220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7.2. 운동기능 - Range of Motion (ROM) : 평가방법 운동방향 각도계의배치법 1 정자 (SA) 가동자 (MA) 축 (axis) acromion 을통과하는 Flexion humerus 의중심선수직선 acromion process acromion 을통과하는 Extension humerus 의중심선수직선 acromion process acromion 을통과하는 Abduction humerus 의중심선수직선 acromion process Shoulder Adduction acromion 을통과하는 humerus 의중심선수직선 acromion process Internal 침상과의수직선 ulnar 의중심선 Rotation olecranon process of ulna external 침상과의수직선 ulnar 의중심선 Rotation olecranon process of ulna 시작자세 환자는팔을옆으로하 1 supine 으로눕 1 손바닥면을신체쪽으로향함 goniometer 의 axis 는 acromion process 위에위치 SA 와 MA 는 humerus 와 lateral epicondyle 에정렬 환자는팔을옆으로하 1 prone 으로누움 얼굴은테스트받는어깨반대로얼굴을돌림 elbow 는약간만구부려야하 1 손바닥면은신체쪽을향하게함 Axis 는 acromion process 위에위치시킴 SA 와 MA 는 humerus 와 lateral epicondyle 의 lateral midline 에정렬시킴 환자는팔을옆으로둔채바로누움 손바닥은앞쪽을향함 AXIS 은 acromion process 에위치 SA 와 MA 는 humerus 의 anterior 의 midline 에위치 환자는팔을옆으로둔채바로누움 손바닥은앞쪽을향함 AXIS 은 acromion process 에위치 SA 와 MA 는 humerus 의 anterior 의 midline 에위치 Shoulder 를 90 도로한상태로바로눕게하 1 elbow 를 90 도로 flexion 테이블에 elbow 를지지해서는안됨 AXIS 는 olecranon process 중심에위치 MA 는 ulnar 의 styloid process 에위치 SA 는바닥에수직을이루어야함 Shoulder 를 90 도로한상태로바로눕게하 1 elbow 를 90 도로 flexion 테이블을 elbow 로지지해서는안됨 AXIS 는 olecranon process 중심에위치 MA 는 ulnar 의 styloid process 에위치 SA 는바닥에수직을이루어야함 221

각도계의배치법시작자세 1 정자 (SA) 가동자 (MA) 축 (axis) 222 운동방향 누워서팔을해부학적자세에둠 만약환자의팔이 table 의끝에있다면 goniometer 를정렬하기가더쉬울것임 Axis 은 humerus 의 lateral epicondyle 에맞춤 SA 는 humerus 의 midline 을따라정렬시킴 MA 는 radial 의 styloid process 에정렬시킴 humerus 의 Flexion radius 의중심선 elbow joint 중심선 humerus 의 Extension radius 의중심선 elbow joint Flexion 의끝자세중심선 환자는앉아서 elbow 를 90 도굽히 1, wrist 를악수자세로환자의옆에둠 Axis 은 ulnar styloid process 의약간뒤에위치시킴 MA 와 SA 는 humerus 의 midline 에평행하게위치시킴 styloid process 의위치에서 carpal styloid process joint 의외측면 Elbow Pronation 침상과의수직 pronation 과같음 gomiometer 를 radioulnar joint 에받침점으로하 1 forearm 의 medial aspect 에놓음 humerus 의 anterior midline 에 SA, MA 둘다를정렬함 styloid process 의 Supination 침상과의수직 위치에서 carpal styloid process joint 의외측면 second Flexion radius radial styloid metacarpal 골 Extension radius second metacarpal radial styloid Wrist Ulnar 환자는앉아서 elbow 를 90 도굽힌사태에서측정함 forearm 의중심 third metacarpal wrist joint middle Deviation forearm 의중심 third metacarpal wrist joint middle Radial Deviation

Thumb CMC Thumb MP Thumb IP Finger MP Finger PIP Finger DIP 운동방향 각도계의배치법 1 정자 (SA) 가동자 (MA) 축 (axis) Abduction to radial 시지무지수근중수관절 Abduction to palmar Flexion 제 1 중수골제 1 기절골 MP 관절 Extension Flexion 제 1 중수골제 1 기절골 MP 관절 Extension 제 1 기절골제 1 말절골 IP 관절 Flexion 제 2-5 중수골제 2-5 기절골 MP 관절 Extension Flexion 제 2-5 기절골제 2-5 중절골 PIP 관절 Extension Flexion 제 2-5 중절골제 2-5 말절골 DIP 관절 Exte 시작자세 운동방향은손바닥면 운동방향은손바닥면에직각 손가락끝과근위부또는원위부 palmar crease 사이의거리 손가락끝과근위부또는원위부 palmar crease 사이의거리 223

각도계의배치법시작자세 1 정자 (SA) 가동자 (MA) 축 (axis) 224 운동방향 환자는 supine 자세로누움 femur 의 greater trochanter 을 axis 로함 SA 는 lateral middle of the abdomen 에따라놓음 pelvis 을기준으로사용하 1, MA 를 lateral midline of the femur에따라서움직임 greater trochanter Flexion trunk 와평행 femur 의중심 환자는 prone 자세로누움 Goniometer 위치는 hip flexion 과같음 greater trochanter Extension trunk 와평행 femur 의중심 환자는 supine 자세로누움 ASIS 을 axis 로함 MA 는 middle of the patella 을따라가 1, SA 는반대편의 ASIS 에위치함 MA 와 SA 의처음각도는 90 도로하는데그것을 0 도라 1 생각함 좌우 ASIS 를잇는수평선 Hip thigh 의중앙선 ASIS Abduction 환자가한쪽다리가 abduction 을하게해서반대쪽다리가 full adduction 이되게허락하는 supine 자세를취하게함 ASIS 을 axis 으로함 MA 는 middle of patella 을따라움직이 1, SA 는반대편의 ASIS 에위치함 또한 goniometer 시작각도가 90 도인것을기억해야함 thigh 의중앙선 ASIS 좌우 ASIS 를잇는수평선 Adduction 환자는 supine 자세로양다리를펴 1 table 에눕는다. axis 를 femur 의 lateral epicondyle 에놓는다. SA 는 greater trochanter 와, femur 의 midline 에배열을하 1, MA 는 lateral malleolus 와 fibula 의 midline 에배열을시킨다. knee joint fibula(fibula head 에서 malleolus 중심 ) femur(greater trochanter 에서 lateral condyle 의중심 ) Flexion Knee knee joint Flexion 의끝자세 fibula(fibula head 에서 malleolus 중심 ) femur(greater trochanter 에서 lateral condyle 의중심 ) Extension 환자는 leg 가땅에닿지않게테이블에않음 axis : lateral malleolus SA : fibula head 를사용하여 low leg 의 midline 을기준으로함 MA : fifth metatarsal 과평행하게함 fibula 축으로의수평선 fifth metatarsal ankle joint Dorsi Flexion 환자는다리가땅에닿지않게테이블에앉음 goniometer의정렬은 dolsiflexion 과동일함 Plantar Ankle Flexion fibula 축으로의수선 fifth metatarsal ankle joint Inversion 환자는테이블에서 foot 이밖으로나오게 prone 으로누움두 malleoli 기준점을두 malleoli 사이에둠 leg 의중앙선 calcaneus 의중앙 Eversion 사이 SA 는 leg 의중앙선에정렬하 1 MA 는 calcaneus 의중앙에놓음

운동방향 Flexion Extension Cervical Spine Lateral Bending Rotation Lateral Beding Rotation Lumbar Spine Flexion Extension 각도계의배치법 1 정자 (SA) 가동자 (MA) 축 (axis) 시작자세 바닥에직각을이루거나코와평행하게둠평행하게함 External auditory meatus 환자는등이지지된상태로앉아있음. 목이측방굴곡이나회전이 0 도인상태임. 바닥에직각을이루거나뒷머리의정중앙평행하게함 C7 vertebra 의극돌기 환자는등이지지된상태로앉아있음. 목이굴곡, 신전, 회전이 0 도인상태임. 두견봉사이를연결한선에콧날과평행하게둠. 평행하게함 머리정수리한가운데 환자는등이지지된상태로앉아있음. 목이굴곡, 신전, 측방굴곡이 0 도인상태임. 경추, 흉추, 요추모두굴곡, 신전, 바닥에수직으로둠. C7 의극돌기를따라움직임. S1 의극돌기 회전이 0 도인상태임. 환자는서있는상태임. 두장골능의두 Prominent tubercles 사이를잇는가상선에평행하게둠. 두견봉사이의가상선과평행하게둠. 머리의정수리 ( 정중앙 ) 경추, 흉추, 요추모두굴곡, 신전, 회전이 0 도인상태임. 환자는앉아있는상태임. 1. 환자의양쪽 PSIS 를표시하 1 자를사용하여그두지점의중간지점을포스트잇으로표시한후, 그로부터 15cm 지점을스티커로표시함. 2. 무릎은곧게편상태로가능한한구부리게함. 3. 구부렸을때측정된길이와 15cm 와의차이가 ROM 을나타냄. 경추, 흉추, 요추모두측방굴곡과회전이 0 도인상태임. 1. Lumbosacral junction 을표시한후, 그지점으로부터 10cm 위와 5cm 아래부위를스티커로표시함. 2. 줄자를 10cm 위와 5cm 아래부위표시한사이에두 1. 환자의손은엉덩이에올려놓은상태에서뒤로가능한한구부리게함. 3. 신전시측정된길이와기존 15cm 와의차이가 ROM 을나타냄. 환자는서있는상태임. 줄자로 ROM 을잼. 225

7.2. 운동기능 - Range of Motion (ROM) : 각관절의 motion 별기준각도 부위 4 3 2 1 Motion 정상관절가동범위정상관절가동범위정상관절가동범위정상관절가동범위1/4 1/2이상 3/4 1/4이상 1/2 Flexion 0~180 90 이상 ~135 미만 45 이상 ~90 미만 45 미만 Extension 0~50 25 이상 ~38 미만 13 이상 ~25 미만 13 미만 Abduction 0~180 90 이상 ~135 미만 13 이상 ~90 미만 45 미만 Shoulder Adduction 0~40 20 이상 ~30 미만 10 이상 ~20 미만 10 미만 Internal Rotation 0~90 45 이상 ~68 미만 23 이상 ~45 미만 23 미만 external Rotation 0~90 45 이상 ~68 미만 23 이상 ~45 미만 23 미만 Flexion 0~145 73 이상 ~109 미만 36 이상 ~73 미만 36 미만 Elbow Extension 0~80 40 이상 ~60 미만 20 이상 ~40 미만 20 미만 Pronation 0~80 40 이상 ~60 미만 20 이상 ~40 미만 20 미만 Supination 0~85 43 이상 ~64 미만 21 이상 ~43 미만 21 미만 Flexion 0~80 40 이상 ~60 미만 20 이상 ~40 미만 20 미만 Extension 0~70 35 이상 ~53 미만 18 이상 ~35 미만 18 미만 Wrist Thumb Carpo meta carpal Thumb MP Ulnar Deviation Radial Deviation Abduction parallel to plane of palm (radial) Abduction at right angle to plane of palm (palmar) Flexion Extension 0~45 23 이상 ~34 미만 11 이상 ~23 미만 11 미만 0~40 20 이상 ~30 미만 10 이상 ~20 미만 10 미만 70 35 이상 ~53 미만 18 이상 ~35 미만 18 미만 70 35 이상 ~53 미만 18 이상 ~35 미만 18 미만 0 ~50 25 이상 ~38 미만 13 이상 ~25 미만 13 미만 Thumb IP Finger MP Flexion 80 40 이상 ~60 미만 20 이상 ~40 미만 20 미만 Extension 20 10 이상 ~15 미만 5 이상 ~10 미만 5 미만 Flexion 90 45 이상 ~68 미만 23 이상 ~45 미만 23 미만 Extension 45 23 이상 ~34 미만 11 이상 ~23 미만 11 미만 226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부위 Finger PIP Finger DIP Motion Flexion Extension Flexion Extension 4 3 2 1 정상관절가동범위 정상관절가동범위정상관절가동범위 1/2이상 3/4 1/4이상 1/2 정상관절가동범위1/4 0 ~100 50 이상 ~75 미만 25 이상 ~50 미만 25 미만 0 ~90 45 이상 ~68 미만 23 이상 ~45 미만 23 미만 Flexion 120 60 이상 ~90 미만 30 이상 ~60 미만 30 미만 Extension 10 5 이상 ~8 미만 3 이상 ~5 미만 3 미만 Abduction 45 23 이상 ~34 미만 11 이상 ~23 미만 11 미만 Hip Adduction 30 15 이상 ~23 미만 8 이상 ~15 미만 8 미만 Knee Internal rotation External rotation Flexion Extension Dorsi Flexion 45 23 이상 ~34 미만 11 이상 ~23 미만 11 미만 45 23 이상 ~34 미만 11 이상 ~23 미만 11 미만 0 ~135 68 이상 ~101 미만 34 이상 ~68 미만 34 미만 20 10 이상 ~15 미만 5 이상 ~10 미만 5 미만 Ankle Plantar Flexion 50 25 이상 ~38 미만 13 이상 ~25 미만 13 미만 Inversion 5 3 이상 ~4 미만 1 이상 ~3 미만 1 미만 Eversion 5 3 이상 ~4 미만 1 이상 ~3 미만 1 미만 Flexion 45 23 이상 ~34 미만 11 이상 ~23 미만 11 미만 Extension 45 23 이상 ~34 미만 11 이상 ~23 미만 11 미만 Spine Lateral Bending 45 23 이상 ~34 미만 11 이상 ~23 미만 11 미만 Rotation 60 30 이상 ~45 미만 15 이상 ~30 미만 15 미만 Flexion 80 (4") 40 이상 ~60 미만 20 이상 ~40 미만 20 미만 Spine Dorsal and Lumbar Extension 20 10 이상 ~15 미만 5 이상 ~10 미만 5 미만 Lateral Bending 30 15 이상 ~23 미만 8 이상 ~15 미만 8 미만 Rotation 45 23 이상 ~34 미만 11 이상 ~23 미만 11 미만 부록ㆍ 227

7.2. 운동기능 - Muscle Strength Strength 정의 신체의분절을중력및타저항에대항해서움직일수있는능력 ( 힘 ). 평가목적 근력상태를양적으로측정하여근력의정도와범위를판정함. 임상적의미평가준비도구평가내용평가방법평가시기채점 진단의보조적수단임. 신경근육계의예후와치료경과및효과에대한판정자료임. 근재교육을위한적절한처방과외과적수술여부결정을위한참1자료임. 평가용지, 연필 각관절선별된 motion 마다근력의정도와범위를측정함. 평가부위 U/E - shoulder, elbow, wrist L/E - hip, knee, ankle 근력을평가하기위해도수근력검사 (MMT ; Manual Muscle Test) 를실시함. 평가지의해당 grade에체크하도록함. 입원자료는입원후 72시간내에수집 퇴원자료는퇴원전 72시간내에수집 추적자료는퇴원후 80-180일 (3-6개월 ) 동안에수집 6 (Normal) : 중력과최대 (max) 저항을이김. 5 (Good) : 중력과최선 (optimal) 의저항을이김. 4 (Fair -,F, F+) : 중력을이기1 저항없이완전한 ROM의절반이상을수행함, 중력을이기1 저항없이완전한 ROM을수행함, 저항을이기1 최선 (optimal) 의저항에대해완전한 ROM의절반을수행함. 3 (Poor -, P, P+) : 중력이없는상황에서완전한 ROM을수행하지못함, 중력이없는상황에서완전한 ROM을수행함, 중력을이기1, 저항없이완전한 ROM의절반이하를수행함. 2 (Trace) : 근육수축이일어나나관절움직임은없음. 1 (Zero) : 근육수축이안일어나1, 관절움직임도없음. 228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7.2. 운동기능 - Muscle Strength : 평가방법 Body Part Action muscle Grade Position Resistance Gravity R.O.M 비 1 N G Sitting 어깨외회전 Proximal elbow 적용완전운동범위 Palm down-biceps 의대상작용방지 F 90 도 flexion Flexion Sitting - 적용 P 부분운동범위 sidelying- 중력없다 (full range). T Z Supine 굴곡시도시, 근육의수축유무확인 N G Prone 어깨 - 내회전, 내전 Proximal elbow 적용완전운동범위 Palm up- 외회전방지, 견갑골약하면견갑골 1 정, 정상시흉각 1 정. Extension F Prone 완전운동범위 - 적용 P palm up 유지부분운동범위 T Z Prone 신전시근육의수축유무확인 Shoulder N G Sitting elbow- 굴곡 Proximal elbow 적용완전운동범위 Palm down-biceps 의대상작용방지 Abduction F Sitting - P Supine - 완전운동범위 적용완전운동범위어깨거상, 체간외측굴곡허용안되게 T Z Supine 외전시도시, 근육의수축유무관찰 Horizontal Adduction N G F P T Z Supine, Shoulder 90, Abduction Sitting, Elbow slight flexion 상완골대결정능, 흉곽전상부촉지. 쇄골두 : down outward 흉골두 : up outward 적용 완전운동범위 - - - trunk rolling 을막기위해 thorax 1 정을함. 229

Body Part Action muscle Grade Position Resistance Gravity R.O.M 비 1 N Sitting 상완 1 정 G Wrist 근위부적용완전운동범위 Bicep-supination Brachilalis-Pronation Brachioradialis-mid P. Flexion F - P Supine - - 어깨 - 외전외회전 T Supine 근수축유무관찰및촉지 Z Elbow N Supine 어깨, 팔꿈치 - 굴곡, G Arm1 정 Wrist 적용 F Extension P 완전운동범위 Supine, Arm1 정 Supine, Arm1 정 - 어깨 - 외전, 팔꿈치 - 굴곡 T Supine 근수축유무관찰및촉지 Z 230

Body Part Action muscle Grade Position Resistance Gravity R.O.M 비 1 N Sitting (Forearm supinated, dorsal surface rest on table, finger G relax) 요측수근굴근 -2 번째중수골저부에신전과척측굴곡방향으로저항가함. 척측수근굴근 -5 번째중수골저부에신전과요측굴곡방향으로저항가함. 적용 완전가동범위 대상작용 (Curling) 방지 Flexion F Sitting ( 전완을중립자세로, P 손의내측연을침상에 올려놓음 ) - 완전 가동범위 부분 가동범위 T Wrist lateral, medial palmar aspect 촉지 Wrist Z N Sitting (Forearm pronated, G finger relax) 장, 단요측수근신근 - 2,3 번째중수골배측면에굴곡과척측굴곡방향으로저항가함. 적용척측수근신근 -5 번째중수골배측면에신전과요측굴곡방향으로저항가함. 완전가동범위 finger extensor 의대상작용방지 F Extension Sitting - P 완전가동범위부분가동범위 T Wrist lateral, medial dorsal aspect 촉지 Z 231

Body Part Hip Action Grade Position Resistance Gravity R.O.M 비 1 N sitting post.tilting 상태로 G 골반 1 정 (table 에서 hip 떨어지지않게 ) proximal knee 적용완전운동범위 Flexion Extension Abduction Adduction F P T Z sitting (post.tiltingt 상태골반 1 정 ) sidelying(gm) 윗쪽다리를받쳐준상태 post.tilting 상태골반 1 정 N prone G 골반 1 정 supine 90 fl. 후약간저항 적용완전운동범위 supine, 근육의수축유무촉지 (satorius 의내측위서혜인대원위부 ) 완전운동범위 proximal knee 적용완전운동범위 F prone, 골반 1 정적용완전운동범위 P T Z sidelying ( 검사쪽골반 1 정 ) GM 슬관절신전, 윗다리잡기 N sidelying G 골반 1 정 prone, 환자가 1 관절신전시도시대둔근의상부와하부촉지 슬관절근위부적용 완전운동범위 외회전없이외전운동범위 F sidelying. 골반 1 정적용완전운동범위 P supine. 골반과다리 1 정완전운동범위 T Z 환자가외전시도시 ilium 의근위부의외측면에서 greater trochanter 까지촉지 N sidelying G 위쪽다리 25 도외전 반대압 proximal knee 적용 1 관절내전 검사하는쪽 knee flexion (hamstring tension 방지 ) sartorius 의대상작용여부확인 G.maximus 의단독검사는슬관절굴곡후실시 gluteal crease 아래쪽무릎은균형을위하여굴곡 tensor fascia latae 의대상작용여부확인 F sidelying, 윗쪽다리 25 도외전적용 1 관절내전 active movement P supine, 골반, 반대다리 1 정 25 도 ab. rot. 없이 hip ad. T hip flexor 대상작용방지 supine, 내전근군의 1 관절내전시도시대퇴의내측연과 pubic ramir 근위부촉지 Z hamstring 대상작용방지 232

Body Part Action Grade Position Resistance Gravity R.O.M 비 1 Knee Flexion N Prone, 골반 1 정 G 환자는무릎굴곡 F Prone P T Z N G Sidelying ( 왼쪽다리받쳐주 1 대퇴 1 정 ) Sitting, 골반 1 정 굴곡시저항 above ankle supine 90 fl. 후약간저항 Prone, 굴곡근의건은슬관절츤쳐대퇴의후면에서촉지 족관절상부 above knee 적용완전운동범위 적용 90 도까지굴곡 완전운동범위 적용무릎신전 biceps femoris- 외측회전 나머지 - 내측회전 gastronemisddir- 시작 10 도 굴곡 (initial muscle) 검사하는쪽 knee flexion (hamstring tension 방지 ) Sartorius, gracilis gastrocnemius 의대상작용여부확인 hamstring 긴장제거 - 기대앉기 terminal locking 없음 Extension F Sitting 적용외회전없이신전 P T Z sidelying 검사쪽 -flexion supine, rectus femoris 기시부근 (ASIS) 에서촉지 무릎신전 1 관절굴곡이되지않아야함 N 4-5 완전운동범위바닥에대항하는반대압 Standing, 무릎신전 Weight 적용 G 2-3 완전운동범위 Plantar flexion F Standing 적용저측굴곡 P Sidelying 하지 1 정 Ankle-midposition 저측굴곡 T Z Calcaneus 상부의건과하퇴의후면근섬유의촉지 Ankle Plantar flexion ( 체중부하주지않는상태 ) Supine, 과신전을방지하기우하여무릎에패드를댐, 발목근위부하퇴 1 정저항 - 종골주위를잡 1 저측굴곡근에대항하는압력을가함반대압 - 발바닥 N,G,F 는저항의양에의해결정됨. N 발내측배측면적용완전운동범위 Sitting G 적용완전운동범위 Foot dorsi flexion F 약한저항 Sitting P T Z 건은발목의내측족저면과근섬유는하퇴의전외측부위에서촉지 233

7.2. 운동기능 - Spasticity Spasticity 정의 정상근긴장도는정상적으로근육이신장에저항할수있는정도임. 평가목적평가준비도구평가내용평가방법평가시기채점 주관적판단에따른강직을정량화시키는대표적인방법으로그정도를판단하기위함. 평가용지, 연필 해당부위의강직정도를측정함. 평가부위 U/E - Biceps brachii muscle belly L/E - Quadriceps muscle belly 치료사가측정부위를수동적으로움직일때발생하는근육 tone을측정함. 환자의근육 tone에따라 grade를결정함. 머리위치, alignment 등을올바로하여편안한환경에서좋은자세로측정함. 해당측정부위를굽혔다가피는동작을반복함. 평가지의해당 grade에체크하도록함. 입원자료는입원후 72시간내에수집 퇴원자료는퇴원전 72시간내에수집 추적자료는퇴원후 80-180일 (3-6개월 ) 동안에수집 6 (G0) : 저항이느껴지지않음. 5 (G1) : 관절가동범위의끝부분에서약간의저항이감지되며, 근긴장도가약간의증가를보임. 4 (G1+) : 관절가동범위의 1/2이하에서부터약간의저항이감지되며, 근긴장도가약간의증가를보임. 3 (G2) : 대부분의관절가동범위에서현저한근긴장도증가를보이지만, 굽힘동작은쉽게수행함. 2 (G3) : 대부분의관절가동범위에서상당히많은근긴장도증가를보이며, 수동운동이어려움. 1 (G4) : 저항이너무강해수동운동이불가능함. 234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7.2. 운동기능 - Coordination 정의 Tremor Coordination - 신체의일부분이의지와상관없이규칙적으로움직여지는증상임. Dysmetria - 소뇌질환증상의하나로, 눈을감은채로손끝을코끝에대거나좌우 Speed 손가락을맞닿게할때목표가빗나가정확히댈수없게되는현상을말함. - 협응력에서움직임의상호조정능력의정도를판단하기위하여측정하는 항목임. 평가목적 정확하1 조절된움직임을만들어내는능력을평가하기위함. 평가 평가용지, 연필준비도구 평가내용 평가방법 평가시기 협응력평가수행과정에서 Tremor, Dysmetria, Speed 의총 3 가지 항목을검사함. 평가부위 U/E - 앉은자세에서손가락을무릎에서코로가져가는동작을빠르게 5 번 반복함. L/E - 앉은자세에서발뒤꿈치를반대편발목에서무릎으로가져가는 동작을빠르게 5 번반복함. 입원자료는입원후 72 시간내에수집 퇴원자료는퇴원전 72 시간내에수집 추적자료는퇴원후 80-180 일 (3-6 개월 ) 동안에수집 Tremor 3 : 진전이없음. 2 : 진전이약간있음. 1 : 진전이뚜렷하게나타남. Dysmetria 채점 3 : 운동측정장애가없음. 2 : 운동측정장애가약간있거나규칙적인운동측정장애가나타남. 1 : 운동측정장애가뚜렷하게나타나거나불규칙적인운동측정장애가나타남. Speed 3 : 정상속도 ( 건측 ) 와비교했을때 2초미만으로걸림. 2 : 정상속도보다 2-5.9초로더걸림. 1 : 정상속도보다 6초이상더걸림. 부록ㆍ 235

7.2. 운동기능 - Standing Balance Standing balance 정의 서있는자세를유지할수있는능력을말함. 평가목적 환자의서있는자세에대한균형유지능력을측정하기위함. 평가 준비도구 평가용지, 연필 평가방법 잡지말 1 2 분동안서있게한후시간을측정함. 평가지에시간을기록하 1, 해당항목에체크하도록함. 평가시기 입원자료는입원후 72 시간내에수집 퇴원자료는퇴원전 72 시간내에수집 추적자료는퇴원후 80-180 일 (3-6 개월 ) 동안에수집 채점 5 : 안전하게 2분동안서있을수있음. 4 : 감독과함께 2분동안서있을수있음. 3 : 지지없이 30초동안서있을수있음. 2 : 지지없이 30초동안서기위해여러번의시도가필요함. 1 : 도움없이 30초동안서있을수없음. 236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7.3. 감각기능 - Superficial Sense Superficial sense - Tactile 정의 물건이피부에닿아표면에있는촉각수용기를자극하여느껴지는감각임. 평가목적 촉각감각을감지하는능력을평가하기위함. 평가 준비도구 평가용지, 연필 평가내용 해당부위를촉지하여촉각을측정함. 평가부위 U/E - Biceps brachii muscle belly, Palmar surface L/E - Hamstring muscle belly, Sole 평가방법 해당부위를촉지함. 평가시기 입원자료는입원후 72 시간내에수집 퇴원자료는퇴원전 72 시간내에수집 추적자료는퇴원후 80-180 일 (3-6 개월 ) 동안에수집 채점 3 (Intact): 정상감각 ( 건측 ) 과같은촉각이감지됨. 2 (Impaired): 촉각은감지하나, 정상감각 ( 건측 ) 에비해무디거나반응지연이나촉각이확실치않음. 1 (Absent): 촉각을느낄수없음. 부록ㆍ 237

Superficial sense - Temperature 정의 온도자극으로생기는피부감각. 온각과냉각을통틀어말함. 평가목적 온도감각을감지하는능력을평가하기위함. 평가준비도구평가내용평가방법평가시기채점 마개가있는 2cm지름의관 4개, 뜨거운물 (43 ), 따뜻한물, 미지근한물, 찬물 (7 ), 온도계, 평가용지, 연필 준비한시험관을각해당부위의피부에접촉시킴. 평가부위 U/E - Arm, Hand L/E - Thigh, Foot 검사 1. - 하나는찬물 (7 정도 ) 로, 다른하나는뜨거운물 (43 정도 ) 로채운두개의시험관을사용함. 지나치게뜨겁거나차가운경우는통각수용기를자극하기때문에사용하지않아야함 ( 통증이느껴질정도의냉 온수를주의 ). - 시험관마개를닫1 피부표면에시험관을옆으로접촉시키되위치와순서는무작위로함. 검사 2. - 검사1. 에서두온도를구분하지못하면검사2. 는시행하지않음. - 4개의시험관에찬물 ( 빨강마개 ), 미지근한물 ( 주황마개 ), 따뜻한물 ( 초록마개 ), 뜨거운물 ( 노랑마개 ) 을담그1 마개를닫은후무작위로접촉시킴. 반응 - 검사 1에서 뜨겁다 or 차갑다 라1 대답함. - 검사 2에서뜨거운순서대로왼쪽부터배열하도록지시함. ( 실어증의경우, 검사전에말을대신할의사소통방법을정함 ) 입원자료는입원후 72시간내에수집 퇴원자료는퇴원전 72시간내에수집 추적자료는퇴원후 80-180일 (3-6개월 ) 동안에수집 3 (Intact): 검사1과 2 모두에서온도를구분함. 2 (Impaired): 검사1을통과한후, 검사2에서온도배열순서에서잘수행하지못함. 1 (Absent): 검사1에서온도를구분하지못함. 238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Superficial sense - Pain 정의 날카롭거나둔한자극으로생기는통증을감지하는피부감각을말함. 평가목적 통각을감지하는능력을평가하기위함. 평가 준비도구 시야를차단하기위한칸막이나폴더, 넓은안전핀이나곧게편클립, 평가용지, 연필 평가내용 해당부위에통각을측정함. 평가부위 U/E - Arm, Hand L/E - Thigh, Foot 평가방법 검사 1. - 날카로운자극을줌. 검사 2. - 둔한자극을줌. 반응 - 피검자는각각의자극대해 날카롭다 또는 둔하다 라1 대답함. - 실어증이나구음장애가있는경우환자에게자극한핀들을보여주어해당되는것을지적하도록함. 평가시기 입원자료는입원후 72 시간내에수집 퇴원자료는퇴원전 72 시간내에수집 추적자료는퇴원후 80-180 일 (3-6 개월 ) 동안에수집 채점 3 (Intact): 날카롭1 둔한자극모두맞게반응하여보호감각이완전함. 2 (Impaired): 둔한자극에날카롭다1 반응하거나날카로운자극을둔하다1 반응함. 1 (Absent): 날카롭1 둔한자극모두에틀리게반응하여보호감각이결여되었음. 부록ㆍ 239

7.3. 감각기능 - Proprioception Proprioception 정의 자신의신체위치, 자세, 평형및움직임에대한정보를파악하여 중추신경계로전달하는감각임. 평가목적 1 유수용성감각을감지하는능력을평가하기위함. 평가준비도구평가내용평가방법평가시기채점 평가용지, 연필 해당부위의 1유수용성감각을측정함. 평가부위 U/E - Shoulder, Elbow, Wrist, Thumb L/E - Hip, Knee, Ankle, Toe 평가자가평가부위를움직인후 (up, down) 어느방향으로움직였는지를대답하게함. 먼저, 환자가눈으로평가자가 up, down시키는모습을보게함. 환자의눈을감게한후, 평가자가약간의 ROM(10 ) 으로 up/down을 4번반복 ( 필요시, 4번이상 ) 실시함. 각동작마다평가자가환자에게어떤동작을시행했는지에대해물음. 평가자세 - U/E : 앉은자세, 선자세모두가능 - L/E : Ankle, Toe는앉은자세, 바로누운자세 (Supine) 에서모두가능, Hip, Knee는바로누운자세 (Supine) 에서만가능 입원자료는입원후 72시간내에수집 퇴원자료는퇴원전 72시간내에수집 추적자료는퇴원후 80-180일 (3-6개월 ) 동안에수집 3 (Intact): 모든지시동작을올바르게수행하1, 약간의어려움이있거나없음. 2 (Impaired): 4번반복지시동작수행중 3번정도를올바르게수행하나정상감각에비해상당한어려움을가짐. 1 (Absent): 1유수용감각이없음. 240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7.4. 인지지각기능 1. 검사수행 환자를대상으로일대일로실시하며시간제한은없음 1) Orientation 각각의질문에대해 1점씩총 3점이다. 질문에대해대답이맞을경우 1점, 질문과다른대답혹은대답하지못할경우 0점으로한다. ⓵ 시간 오늘몇월몇일입니까? 라1 묻는다. 치매가심한경우요일, 계절이라는말을모르기때문에 월, 화, 수, 목, 금. 토, 일중어느요일인가요? 또는봄, 여름, 가을, 겨울중어느계절인가요? 와같이세부적으로질문을해야한다. ⓶ 장소 지금현재장소가어디입니까? 라1 묻는다. 환자가도시라는말을이해하지못하는경우 여기가부산입니까? 여기가인천입니까? 등다른도시의이름을제시할수있다. 장소의경우 여기가학교입니까? 또는 여기가교회입니까? 라1 질문할수있다. ⓷ 사람 지금옆에있는사람은누구입니까? 라1 묻는다. 2) Memory 각각의과제에대해 1점씩총 4점이다. 각과제를올바르게수행하면 1점, 수행하지못하거나과제의수행과는다른행동을할경우는 0점으로한다. ⓵ Procedure 양치질하는카드 4장을보여주1 양치질하는과정을순서대로나열해보세요 라1 말한다. 카드 [1-1] 치약짜기, 카드 [1-2] 이닦기, 카드 [1-3] 입안헹구기, 카드 [1-4] 뺃기 ) 부록ㆍ 241

⓶ Prospective Memory의전반적인평가를시작하기전에앞서환자에게물건하나를주면서 제가지금주는물건을가지1 계시다가평가다끝나1 나가시기전에저에게다시주세요 라1 말한다. ⓷ Visual 추상적인그림카드 [2-1] 하나를보여주1, 5분후에여러개의추상적인그림이있는카드 [2-2] 에서똑같은그림을 1르도록한다. 예시 > 카드 [2-1] 카드 [2-2] ⓸ Verbal 임의의숫자세개를말해주1 5분후에다시그세개의숫자를물어본다. 3) Executive function 각각의과제에대해 1점씩총 2점이다. 각과제를올바르게수행하면 1점, 수행하지못하거나과제의수행과는다른행동을할경우는 0점으로한다. 242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⓵ Contrasting program 제가손가락하나를올리면 님은손가락을두개올리시1, 제가손가락두개를올리면 님은반대로손가락하나만올리세요. 라1 말한뒤손가락의수를다르게올리면서피검자가앞에말한조건과일치하게잘따라하는지평가한다. 손가락을올리지못하는경우, 눈을깜빡이는동작으로대체할수있다. ⓶ Go-No Go Test 제가박수를한번치면 님은손을들1, 제가박수를두번치면 님은가만히계세요 라1 말한뒤박수의수를다르게치면서피검자가앞에말한조건과일치하게잘따라하는지평가한다. 손을들지못하는경우, 특정단어를말하는것으로대체할수있다. 3) Problem Solving 각각의과제에대해 1점씩총 2점이다. 각과제를올바르게수행하면 1점, 수행하지못하거나과제의수행과는다른행동을할경우는 0점으로한다. ⓵ 옷은왜빨아입습니까? 라1 물어본다. ⓶ 옆건물에불이났을때어떻게해야합니까? 라1 물어본다. 4) Language 각각의과제에대해 1점씩총 7점이다. 각과제를올바르게수행하거나대답하면 1점, 수행혹은대답하지못하거나과제의수행과는다른행동이나대답을할경우는 0점으로한다. 부록ㆍ 243

⓵ Expression 오늘날씨가어때요? 라1 묻는다. ( 문장을보여주며 ) 읽어보세요. 라1 말한다. ( 문장을보여주며 ) 따라써보세요. 라1 말한다. ( 가위를보여주며 ) 이것을무엇이라1 합니까? 라1 말한다. 가위대신정확한명칭을말할수있는다른사물로대체해서물어볼수있다. ⓶ Comprehension 종이를책상위에올려놓 1, 지금부터제가말씀드리는대로해보십시오. 라 1 말한뒤 앞에놓인종이를집어반으로접은다음저에게주세요. 라 1 말한다. 5) Visuo-Spatial function 각각의과제에대해 1점씩총 10점이다. 각과제를올바르게수행하거나대답하면 1점, 수행혹은대답하지못하거나과제의수행과는다른행동이나대답을할경우는 0점으로한다 ⓵ Visual Perception 다음과같은 8가지의일상적인물체 / 도형카드 [3-1] 를보여주1 가위는어디있습니까? 혹은 컵은어디있습니까? 라1 말한뒤특정물건을찾도록한다. 예시 > 카드 [3-1] 244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

물체가겹쳐진그림카드 [4-1] 를보여주 1 두가지물체가각각그려진그림 예시 > 카드 [4-2] 에서겹쳐졌던물체를찾아내도록한다. 카드 [4-1] 카드 [4-2] 특정사물카드 [5-1] 하나를보여주 1, 다양한각도에서찍은다섯개의카드 [5-2] 보여주 1 이사진속의그림은무엇입니까?, 위의큰그림과같은것을아래의작은 사진중에서찾아보세요 라 1 한다. 예시 > 카드 [5-1] 카드 [5-2] 부록ㆍ 245

⓶ Spatial Perception 당신의오른손을보여주세요 혹은 당신의왼쪽다리를보여주세요 라1 말하면서피검자에게신체에대한위치방향을묻는다. 문은당신의어느쪽입니까? 혹은 나는당신어느쪽에앉아있습니까? 라1 말하면서피검자에게장소에대한위치방향을묻는다. 거울이문쪽의오른쪽에있습니까왼쪽에있습니까? 라1 말하면서피검자에게사물에대한위치방향을묻는다 ⓷ Visuomotor 원, 세모, 네모, 다이아몬드, 복잡한형태순서로그려진카드 [6-1] 를보1 따라그리도록한다. 예시 > 카드 [6-1] 상자가그려진그림카드 [7-1] 을보여주며따라그리도록한다. 카드 [7-1] 시계그리 1 시계의시간은 10 시 15 분표시하도록한다. 246 ㆍ일상생활활동기능평가도구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