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STS\272\273\271\256.hwp)

Similar documents
<30322E535453BABBB9AE2DC6EDC1FD2E687770>

<31302EC3D6C3A2BCF62E687770>

김범수

노영남

Jkss hwp

<30382EC0C7C7D0B0ADC1C22E687770>

Jksvs019(8-15).hwp

황지웅

( )Kju225.hwp

( )Jkstro011.hwp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앵커(20)를 이용한 옹벽 시공에 사용되는 옹벽패널에 있어서, 단위패널형태의 판 형태로 구성되며, 내부 중앙부가 후방 하부를 향해 기울어지도록 돌출 형성되어, 전면이 오 목하게 들어가고 후면이 돌출된 결속부(11)를 형성하되, 이 결속부(11

( )Kjhps035.hwp

A 617

페링야간뇨소책자-내지-16

<B0E6C8F1B4EBB3BBB0FAC0D3BBF3B0ADC1C E687770>

03-김 선

°ø±â¾Ð±â±â

04. 최대희(09-116).hwp

Jkafm093.hwp

歯간학회지6-2.PDF

Lumbar spine

( )Kju269.hwp

DIABETES FACT SHEET IN KOREA 2012 SUMMARY About 3.2 million Korean people (10.1%) aged over 30 years or older had diabetes in Based on fasting g

(49-54)Kjhps004.hwp

388 The Korean Journal of Hepatology : Vol. 6. No COMMENT 1. (dysplastic nodule) (adenomatous hyperplasia, AH), (macroregenerative nodule, MR

석사논문.PDF

hwp

레이아웃 1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Trd022.hwp

1. 피고들은 연대하여 가. 원고 A에게 금 88,405,412 원, 원고 A1, A2에게 각 금 62,157,701원 및 각 이에 대하여 부터 까지는 연 5%, 그 다음날부터 완제일까지 는 연 20% 의 각 비율에 의한

< D34302D303420B1E8BCF6C1A42DC0FAC0DABCF6C1A4BABB2D312E687770>

<C7D1B1B9B1B3C0B0B0B3B9DFBFF85FC7D1B1B9B1B3C0B05F3430B1C733C8A35FC5EBC7D5BABB28C3D6C1BE292DC7A5C1F6C6F7C7D42E687770>

untitled


<30322EC6AFC1FD30342DC1A4B9AEC7F62E687770>

ÀÇÇа�ÁÂc00Ì»óÀÏ˘

한약치료와표적항암요법 ( 아피니토 ) 을병행하여부분관해된신세포암간전이환자 1 례 Abstract Sung-Hwan Chang 1, Ji-Hye Park 1,2, Hwa Seung Yoo,2*

심장2.PDF

74 /

03(12-65)p fm

°Ç°�°úÁúº´6-2È£

: , * * = A bs tra c t= A cas e of intraabdominal abs ces s cured by trans rectal catheter drainag e Young Mi Choi, M.D., Ok Jae Lee, M.D., J

SPCP.PDF

< FC1F8B9E6B1B3C0B02E687770>

16_이주용_155~163.hwp

Sheu HM, et al., British J Dermatol 1997; 136: Kao JS, et al., J Invest Dermatol 2003; 120:

The Window of Multiple Sclerosis

2 - ceftazidime-clavulanate 디스크를이용하여 ESBL 생성균주를확인하였다. 또한 2009년도에수집된균주인 P. aeruginosa(386주 ), A. baumannii(349주 ) 를대상으로 imipenem에대한감수성을확인하였고 imipenem-h

1..



08-ÀåÀμö

Kjhps016( ).hwp

노인정신의학회보14-1호

YBM시사닷컴, 첨단 개인별 맞춤 학습 시스템 개발

7.ƯÁýb71ÎÀ¯È« š

637

기관고유연구사업결과보고

Àü°æ³à

Çмúº¸°í6ÇÏÇý¹Î

<B8F1C2F72E687770>

Jkbcs016(92-97).hwp

<BFACB1B85F D30335FB0E6C1A6C0DAC0AFB1B8BFAA2E687770>

GB A(1~3).indd

Pharmacotherapeutics Application of New Pathogenesis on the Drug Treatment of Diabetes Young Seol Kim, M.D. Department of Endocrinology Kyung Hee Univ

Microsoft PowerPoint - S5-04 푒뀴욟 짗뉨과 칟룄_ìš´ì−¹íŸ—_10_22_최좖.ppt [ퟸ펟 모ëfiœ]


<30352EB0A3BAB4B8AE2E687770>

232 도시행정학보 제25집 제4호 I.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사회가 다원화될수록 다양성과 복합성의 요소는 증가하게 된다. 도시의 발달은 사회의 다원 화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현대화된 도시는 경제, 사회, 정치 등이 복합적으로 연 계되어 있어 특


제 9 도는 6제어항목의 세팅목표의 보기가 표시된 레이더 챠트(radar chart). 제 10 도는 제 6 도의 함수블럭(1C)에서 사용되는 각종 개성화 함수의 보기를 표시하는 테이블. 제 11a 도 제 11c 도까지는 각종 조건에 따라 제공되는 개성화함수의 변화의

a16.PDF



<313220C1F5B7CA D C0CCBDC2C7E52DB1E8B0E8C8C62E687770>

<313620C1F5B7CA C3D6C7D1BCBB2E687770>


<B4E3B9E8B0A1B0DD DB9E8C6F7C0DAB7E12E687770>

0태아 초음파 검사-한글(10월25일).PDF

본 발명은 중공코어 프리캐스트 슬래브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중공코어로 형성된 프리캐스트 슬래브 에 온돌을 일체로 구성한 슬래브 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온돌 일체형 중공코어 프리캐스트 슬래브는, 공장에서 제작되는 중공코어 프

Case Report The Korean Journal of Pancreas and Biliary Tract 2015;20: pissn eissn 2288-

<C1A63534C8B820BCBCB9CCB3AA2DC6EDC1FD2E687770>

untitled

Kbcs002.hwp

Kaes025.hwp

γ

-, BSF BSF. - BSF BSF ( ),,. BSF -,,,. - BSF, BSF -, rrna, BSF.

( ) ) ( )3) ( ) ( ) ( ) 4) 1915 ( ) ( ) ) 3) 4) 285

00약제부봄호c03逞풚

충북의대학술지 Chungbuk Med. J. Vol. 27. No. 1. 1~ Charcot-Marie-Tooth Disease 환자의마취 : 증례보고 신일동 1, 이진희 1, 박상희 1,2 * 책임저자 : 박상희, 충북청주시서원구충대로 1 번지, 충북대학교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횡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제1 PC 패널과 제2 PC 패널이 횡방향으로 서로 접합되어 구축되는 건축구조물의 구조 벽체로서, 제1 PC 패널의 길이방향으로 하부측에는, 횡방향 측면이 상부측에서의 횡방향 측면보다 횡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있는 하부

ZNMMZTUCJDUV.hwp

16(1)-3(국문)(p.40-45).fm

untitled

Viridans Streptococci 균혈증 247 나이며, 이는류마티스성열, 승모판탈출, 선천성결손, 인공판막등으로인한심장판막손상이나결손이있는사람에서주로발생한다 [4]. 최근에는혈액종양이나고형암또는골수이식등의치료에사용된항암제에따른심각한호중구감소증, 구강점막의궤양등과

Áß2±âÇØ(01~56)

untitled

Kaes017.hwp

- 위성헌. 요로감염의진단과치료 - 염과상부요로감염을감별하는데중요한요소로간주하고있는데, 적절한항생제치료에도불구하고 48-72시간이상발열이지속되는상부요로감염환자에서는신농양등다른합병증의발생가능성을고려해야한다. 남자의전립선염은배뇨통, 빈뇨, 긴박뇨등의방광염증상이나가는소변줄,

Transcription:

간농양 Liver Abscess 동아대학교의과대학내과학교실 한상영 화농성간농양 서 론 간농양은간내에발생하는치명적인감염성질환으로여러가지원인이있으나크게화농성간농양과 아메바성간농양으로대별할수있다. 최근개인위생및사회위생상태의개선으로인하여아메바성간 농양의발생률은크게줄었지만화농성농양은줄지않고있다. 1,2 화농성간농양은과거사망률이높은 질환으로알려져왔으나최근복부초음파, 전산화단층촬영, 자기공명영상등영상진단법의발달로간 농양의진단율이개선되었고, 이를이용한배농술의발전및효과적인항생제의개발로치료성적이현 저히개선되어합병증및사망률이감소하였다. 3-5 그러나간농양은최근까지도높은발생빈도와다양한 합병증을보이고서구에서는아직도 6~26% 의비교적높은사망률을보고하고있다. 6-8 이는항생물질의 남용으로인해전형적인증상이소실되어조기진단이늦어지는것과원인균의변화및기존항생제에 대한내성균의증가가중요한이유일것으로생각되고있다. 그리고동반질환및원인질환으로당뇨병과 악성종양의증가와고령화에따른유병률의증가등을원인으로설명하고있다. 국내보고에의하면간농 양에의한사망률은 1990년초반까지 7.8~17% 로, 2000년대에접어들어서는 2.1~12.8% 로알려져있 다. 9-12 간농양에대한원인, 증상, 병원균, 치료및예후에대해알아보고시대적변화에따른원인균의 변화와합병증및사망의발생에영향을미치는인자들에대해알아보고자한다. 역 학 화농성간농양의역학은조사된집단과조사당시의기간에따라달라질수있다. 외국의가장광범위 한연구는 1973년에발표된 12년동안 540명의복강내농양환자를대상으로한연구로간농양이 48% - 5 -

2006년대한간학회 Single Topic Symposium 로가장많았다. 13 그이후 1973년에서 2003년사이에발표된세연구에따르면연중입원환자 10만명 당 18~20 예, 14,15 인구 10만명당 2.3예 16 가발생하였다. 가장최근의연구에의하면발생률은나이가증 가함에따라증가하고남자가여자보다 (3.3 vs 1.3/10 만) 높았다. 국내연구에따르면여자보다남자에서 발생빈도가높고 9-12,19 호발연령은 80년대초반에는 30 대, 20 90년대초반에는 40 대에, 19,21 2000 년대에들 어서는 50대와 60 대로보고되고있어시대에따라고령화하는경향을보였다. 9-12,22 화농성간농양의가장흔한원인은담도계질환이며 성담도계폐쇄가점차적으로흔한원인으로자리를잡았다. 14 40~60% 를차지한다. 14,17,18 최근수십년동안악 발생기전 화농성간농양의발생기전은두가지로대별할수있는데담도계또는복강내의인접한감염으로부 터국소적으로퍼져서발생되는경우와혈행성으로발생되는경우이다. 동물실험과임상에서이런발생과정이두가지병기로나뉜다고보고하고있는데호기성그람음성 세균으로인한균혈증때문에생긴복막염과그이후에생기는농양형성이다. 23 농양형성기에는혼합 감염이종종발생한다. 복막염과농양을형성하는복강내원인중과거에는충수염파열이가장많은원인이었으나현재는담 도계자체의문제가화농성간농양의가장큰원인이다. 14,17 여성의생식기에서잘발생하고그외복강 어디에서든지발생할수있는농성혈전염이간농양의또다른감염원이다. 24 혈행성전파는간농양의흔 한원인경로는아니다. 비장농양과는반대의경우라하겠다. 하지만만약 Streptococcus, Staphylococcus 와같은균주가간농양에서검출되면혈행성전파를반드시생각해봐야한다. 국내보고에의하면감염 경로를모르는경우가 44.2~67.5% 정도로가장많은비율을차지하였고, 담도질환이 40%, 혈행성전파 가 10% 정도를차지하고그외복부손상, 복강내, 눈혹은피부병소등에서 5% 이하의비율을차지하였 다. 10-12 세균학적검사 화농성간농양의원인균주는다양하고때때로감염의경로를반영한다. 대부분통성산소성균과혐기 성균이혼합된경우로동정된다. 약 1/3 의배양에서위에서언급한혐기성균이자란다. 14 균혈증이동반 된경우는 56% 정도이다. 국내보고에의하면배농액양성률은 41.4~51.0% 이었으며혈액배양양성률은 13.5~59.5% 의다양한결 과를보였다. 화농성간농양의경우그람음성균주가 70% 이상을차지하고그중 Klebsiella pneumoniae 가 40%, E. coli 가 20%, Pseudomonas aeruginasa 가 15% 로서상당수를차지하고그외기타균들이발견되었 - 6 -

한상영 : 간농양 다. 그람양성균주가 30% 정도를차지하고그중 Streptococcus 15%, Staphylococcus 10%, 그외기타균들이 발견되었다. 10-12 시대적변화에따른원인균의변화를보면, 화농성간농양의원인균주로는전통적으로 E. coli, Staphylococcus, Streptococcus 가주종을이룬다고알려졌으나최근대만에서대규모연구를통하여이 미 Klebsiella pneumoniae 가가장흔한화농성간농양의원인균주임을보고하였다. 27 국내에서도 초반까지국내화농성간농양의원인균주로 E. coli 를보고하였으나, 2,19 Klebsiella pneumoniae 가가장주된원인균주임을보고하였다. 1,9-12,22 1990 년대 이후최근까지의보고에의하면 농양으로부터동정된균주에따른감염경로 담도가감염의경로일경우장내그람음성균과장내구균이대부분동정된다. 혐기성균은담도감염 에의할경우농양의원인으로흔하지않다. 이는혐기성균이기존의수술이나담도내스텐트삽입술을 시행한경우를제외하고담도내흔히자라지않기때문이다. 골반과복강내원인은호기성균과혐기성균이혼합된형태로 ( 특히 Bacteroides fragilis ) 관찰된다. B. fragilis 는유일하게 에서특징적으로나타난다. 25,26 capsular polysaccharide complex 를갖고있기때문에혐기성균혈증과복강내농양 혈행성경우에한가지세균이주로동정되는데 Staphylococus aureus 나 Streptococcus milleri 와같은 Streptococcal species 가주를이룬다. Klebsiella pneumoniae 는대만에서간농양의일차적원인으로유일하게설명된다. 27 K. pneumoniae 는 또한 New York City Study(54 명중 23 예) 에서화농성간농양이있는환자에서가장많이동정되기도 했다. 17 K. pneumoniae 는 non-asian 보다 Asian 에서더흔히나타난다 (50% 대 27%). 그람양성균은간암 환자가동맥색전술이후생긴간농양의 60% 에서원인균으로보고되었다. 28 임상증상및검사실소견 화농성간농양에서의임상적증상과증후는다양하게표현된다. 발열이가장흔한증상으로 90% 의환 자에서관찰된다. 14,15,17,30 55~74% 의환자에서복부통증및압통이관찰된다. 14,15,17 기타비특이적증상으 로는오한(38~49%), 식욕부진 (38%), 체중감소 (25~43%), 오심과구토(28~43%), 허약감과권태감 (30%) 등 있다. 환자들은우상복부에국한된복통, 복부경직, 압통을동반할수있다. 이런증상들은담도계에문제 가생겼음을나타내는증상들일가능성이크다. 그러나, 우상복부동통이없다고간농양을배제하진못한 다. 간농양을가진환자의 1/2 에서만이간비대, 우상복부압통혹은황달을보인다. 따라서많은환자들에 서간에문제가있음을보여주는증상이나, 증후들이나타나지않는다. 30 불명열은고령의환자에서흔히 관찰된다. 따라서, 복부의이학적검사가불명열을보이는많은환자들에서중요하다. - 7 -

2006년대한간학회 Single Topic Symposium 혈액검사의이상은간농양환자에서특이적이지않다. 혈청 ALP의증가는가장흔한혈액검사의이상 이며, 67~90% 환자에게서관찰된다. 14,15,30 다른간기능검사들은정상이나, 1/2환자에서혈청빌리루빈과 AST 의증가가관찰된다. 다른추가적인이상소견으로는백혈구증가, 빈혈과저알부민혈증이관찰된다. 국내보고에의하면, 화농성간농양에서검사실이상소견은백혈구증가 (80% 이상), ALP 증가(60% 이 상), 저알부민혈증 (70% 이상), ALT/AST 증가(45%), 빌리루빈증가(50%) 등이관찰된다고한다. 9-12 진 단 특징적인임상적증상및증후의부재및비특이적인검사소견으로인하여간농양을진단함에있어영 상진단이필요하다. 초음파검사와복부 CT 촬영이필수적이다. 25 Gallium or indium-labeled white blood cell scans 과 MRI 또한진단에사용될수있으나, 이들은악성종양과농양을구별하는데적합하지 않다. 국내보고에의하면방사선학적소견으로는화농성간농양의경우단발성/ 다발성(85/15%), 우엽/ 좌 엽/ 양엽(65/25/10%), 직경 5 cm 이하/6~10 cm/10 cm 이상(30/60/10%), 공기방울형성/ 비형성 (140/6) 으 로관찰되었다. 화농성간농양의경우특별한동반질환이없는경우가 60%, 동반질환으로는당뇨병이 30%, 그외만성기관지폐쇄, 간경변증, 임신, 지방간, 악성종양이 5% 이하의비율을보였다. 9-12 치 료 화농성간농양은성공적인치료를위해일반적으로항생제치료와배액모두를필요로한다. 한연구 에서진단을위한경피흡인을대부분에서시행하였으나약물로만치료받은 15명의환자에대해보고하 였다. 그러나이런시도는성공적일수도있지만일반적으로배액없이치료받은환자들이더오랜기간 의항생제치료를받았다. 32,33 배 액 이미지를통한( 초음파또는 CT) 경피배액이일차치료로선호된다. 경피배액이실패할수있는요인들은 다발성, 크거나소포체의농양, 카테터를쉽게막히게하는점착성의농양, 일차적으로수술적치료를필 요로하는관련된질환들 ( 예, 담도계 ) 이다. 4~7 일내경피배액에대한임상적인반응이없을때, 또는수술이필요한연관된복부내병변이있을 때일차적으로수술이적합할수도있다. - 8 -

한상영 : 간농양 간농양에대한진단을받고평균 8일이내에 ERCP 를받은 63명의환자에대해홍콩에서보고하였 다. 18 ERCP 를통해 40% 의환자에서 ( 그중일부에서는내시경적시술을받았다.) 관련된담도계의이상이 밝혀졌다. 이시술은 3 명의환자에서담도와농양강사이의교통을밝혀냈다. 그러므로간농양의담도 원인을가진환자들에게서 ERCP 는수술을대체할수도있다. 지속적인배액을위해카테터를유치하지않고경피흡인을하느냐에대해서는논쟁이있다. 경피흡인 을받은 64명의환자들은 97% 의성공률을가졌으나 27% 의환자에서 3 번이상의흡인, 50% 의환자에서 2 번이하의흡인을하였다. 34 경피흡인의효용성에대해서는두개의무작위적인시도에서잘규명되어졌다. 50 명의환자(20 명은아 메바성농양) 는경피흡인또는경피배액을하는것으로분류되었다. 35 경피흡인을하는것으로등록된 25 명중 15 명(60%) 만이 1번이나 2 번의흡인으로치료되었지만, 경피배액으로치료한경우 100% 치료되 었다. 그러나농양의흡수( 대략 15 주) 에대해서는유사하지만, 농양의크기가 50% 감소하는데걸리는시 간은경피흡인을한그룹에서현저하게길었다 (11일대 5 일). 1994~1999 년사이의 64명의무작위환자들에대한이후의연구에서연속적인카테터배액과항생제 치료를받은환자와간헐적인경피흡인과항생체치료를받은환자들사이의임상치료반응은큰차이 가없었다. 36 이연구에서 3 cm 이상의크기를가진간농양을가진환자들에게서경피흡인이동등하게 효과적이고안전하다는것을제시하고있다. 항생제 화농성간농양에서경험적항생제의선택은가능성있는감염원에따라좌우된다. 어느약제가초기에 선택된다하더라도치료방법은배농액혹은혈액배양검사결과가나오면적절한균주를반영하도록바 뀌어야한다. 검체는혐기성및호기성배양검사모두행해져야한다. 초기검체가획득되지않았거나, 적절히보내지지않았을경우, 결과가음성이거나혼돈되는경우, 현 존하는배액관을통해배양검사를얻어내는방법이시도되고있다. Duke 연구는최소 48시간동안배액 관에서획득되는검체가 하였다. 37 배액배양의단지 하거나과도한치료로드러났다. 2일내에행해지는경피적흡인술에서얻어지는것과대등하다는가설을시험 56% 만이경피적검체와연관되어있었고배액배양에근거한치료는부적절 혐기성균에대한감수성검사는임상적검사에서일반적으로수행되는것은아니다. 검사의뢰는균혈 증균주, 치료에반응하지않는환자의경우에고려되어야한다. 화농성간농양의경험적항생제치료는경피적흡인혹은외과적배액으로얻어진농양의배양결과가 나올때까지는광범위한스펙트럼의항생제를포함해야한다. 대부분의환자, 모든입원환자는주사용 항생제로치료받아야한다. 경구용항생제는경한합병증이없는감염의외래환자에서고려될수있다. - 9 -

2006년대한간학회 Single Topic Symposium 다음요법이고려될수있다. 1. Metronidazole (500 mg iv every 8 hours) plus - Ceftriaxone (1 g to 2 g daily ) or cefotaxime (1 to 2 g every six hours) or a fluoroquinolone (ciprofloxacin 400 mg iv every 12 hours or levofloxacin 500 mg iv daily) 2. Piperacillin/tazobactam (3.375 g or 4.5 g every six hours) 3. Imipenim (500 mg every six hours) or meropenim (1 g every eight hours) 4. Ampicillin/sulbactam (3 g every six hours) 5. Ticarcillin-clavulanate (3.1 g every four hours) 6. Cefoxitin (1 g every four hours) 화농성간농양의항생제치료기간은대개최소 4주에서 6 주정도이다. 주사용항생제는첫 2~3주혹 은적절한임상적반응이있을때까지투여되어야하고남은기간은경구용항생제로완료되어야한다. Metronidazole 과 fluoroquinolone (ciprofloxacin or levofloxacin) 조합이일반적인경구용방식이다. 경과관찰용영상촬영은치료에대한반응을모니터하기위해, 항생제의기간을결정하기위해, 흡인이 더필요할지를결정하기위해사용될수있다. 일반적으로치료는 CT 소견상농양강이완전하게혹은 거의완전하게 (near complete) 나을때까지계속되어야한다. 국내치료성적을보면환자의나이, 전신적상태, malignancy 등의동반질환여부, 감염균등에따라 치료성적이달라지나화농성간농양에서는대부분의경우에서선택한경피배액 + 항생제군에서 90% 이상에서호전을보였고 10% 미만에서사망하였다 ( 특히악성종양을동반한경우). 항생제만을선택한 경우 70% 정도에서호전을보이고 30% 정도에서사망하였다. 9-12 합병증 화농성간농양의경우가장많은합병증이호흡기계합병증 (90%) 으로전체화농성간농양의 30% 정 도를차지하고그중늑막삼출이대다수를차지하였다. 그외급성신부전, 복막염, 농양파열, 창상감염, 간 부전, 패혈증, 재발이전체화농성간농양의 5~2% 정도를차지하였다. 9-12 예 후 1950 년대이후로화농성간농양환자의예후에있어상당한호전이보인다. 다양한기간에보여지는 환자를평가하는여러연구결과를보면사망률은 1952~1972 년도에 65%, 14 1973~1993 년도에 31%, 14 1977~1984 년도에 15%, 38 1988~1999 년도에 12% 15 로나타난다. 최근의연구에서치명률은주로농양그 - 10 -

한상영 : 간농양 자체보다기저질환과상관성이있었다. 15 1992~2003 년의후향성연구결과를보면 17 단지 2.5% 의사망률 을보인다. 그러나퇴원후평균추적기간이 12일이고반이상의환자의추적검사자료가없기때문에사 망률의평가가제한된다. 국내에서발표된사망률및예후인자에대해살펴보면화농성간농양에서사망 률은전체 10% 정도를보였고그중 80% 에서패혈증, 20% 정도에서호흡부전이관찰되었다. 사망한경 우의 60% 정도는악성신생물이동반된경우였다. 담도계병인에서유래된경우, 악성신생물이동반된 경우, 농양강의수가다수인경우, 혈청알부민이 3.0 g/dl 이하인경우는예후가좋지않았다. 그외농 양강의크기, 농양침범부위, 혈청빌리루빈, AST, ALT, ALP수치는예후에영향을주는통계적유의성 은관찰되지않았다. 10 아메바성간농양 서 론 Amebiasis 는원충인 Entamoeba histolytica 에의해발생한다. 이기생충은감염성을가지는낭성기와 침습성 (invasive) 을가진영양형의두가지형태로존재한다. 전세계적으로약 400~500 만의사람들이매 년감염되며, 39 이러한감염의대부분은사회경제적상태및위생상태가떨어지는사람들에게서생긴다. 아메바성간농양은가장흔한장외 amebiasis 의형태다. Portal venous system 의 ascending infection 에 의해발생한다. 40 역 학 Intestinal amebiasis 와구별되는 amebic liver abscess 의역학적형태가있다. 아메바성간농양은성인남자에게서 7~10 배정도많다. 41 이차이에대해서는완전히설명되지는않 으나몇가지가능한기전이제시되어있다. 내분비적인효과( 폐경후여성에게서빈도증가 ) 및 portal seeding 이가능하게하는알코올성간손상에의한간내병소의잠재적인역할이그것이다. 42 후자가더욱 중요할것으로생각된다. 나이, 임신, 스테로이드치료, 악성종양, 영양부족등의세포매개면역을감소시킬수있는상태일때 E. histolytica 감염이간을침범하는침습성질환이될가능성이높다. 아메바성간농양의경우에는특별한 동반질환은관찰되지않았다. - 11 -

2006년대한간학회 Single Topic Symposium 임상증상 아메바성간농양을가진환자들은급성기에 1~2주동안 38.5~39.5 의고열및우상복부통증(80% 이 상) 을호소한다. 그외호흡기증상, 오심과구토등을호소한다. 몇몇환자에게서는이전수개월안에이 질의과거력이있지만, 1/3 이하의환자에게서설사가동반된다. 황달은흔하지않다. 풍토지역에서돌아 온여행자들에게있어서증상의발현은보통 8~20 주(median 12 주) 였으며돌아온지 5개월이내에 95% 에서증상을보이나가끔몇년의아주긴간격을보이기도한다. 43,44 종종열, 체중감소, 복통의만성증 상을보이기도하며이러한환자들은간비대와빈혈이자주동반된다. 다른합병이없는경우 50% 에서간비대및국소동통을보인다. 41 임상적인황달은 10% 이하에서보 인다. 종종농양이터져복막염을일으키기도한다(2~7%). 45 진 단 아메바성간농양환자들은종종호산구증가없이 10,000/mm 3 이상의백혈구증가증을가진다. 간기능 검사는 80% 에서 ALP가높게나타나고 hepatic transaminases (20~60%) 역시상승한다. 46 대변검사는 환자의단지 18% 에서아메바에대해양성반응을보인다. 1. 영상검사 간의영상검사는아메바성간농양를진단하기위한주요한방법이다. 이것은초음파, CT 또는 MRI로 이루어진다. 대부분간우엽에서 70~80% 는단발성으로발견된다. 47 국내보고에의하면아메바성간농 양의경우단발성 / 다발성 (90/10%), 우엽/ 좌엽/ 양엽(80/10/ 10%), 크기 5 cm 이하/6~10 cm/10 cm 이상 (15/75/10%) 로나타났다. 적절한치료에도농양은처음에커져보일수있고농양강의완전한소실도 2 년까지걸릴수있다. 그러므로반복적인촬영은보통도움이되지않는다. 화농성간농양은 hot 임에 비해아메바성간농양은 cold 이기때문에가끔 gallium scan 은도움이될수있다. 2. 혈청검사 혈청항체들은아메바성간농양에걸린환자들의 92~97% 에서발견된다. 결국환자의 99% 가 positive antibody test 를보인다. 하지만혈청검사는첫일주일동안은음성으로나올수도있다. 44,45,47,48 풍토병지역 에살고있는 25% 정도의인구가그이전의진단되지않은불현성감염때문에혈청항체를가진다. 결론적으 로, 이러한인구에서 positive serology 는거의도움이되지않는다. 49 Indirect hemagglutination (IHA) 는가 - 12 -

한상영 : 간농양 장민감한검사법이다. 50 Agar gel diffusion 과 counterimmunophoresis 는 IHA 보다덜민감하다. 51 3. 경피흡인 Needle aspiration 은보통잘수행되지않고출혈, 아메바성복막염, 이차적세균감염, echinococcal cyst 의파열등이일어날수있다. 47 하지만, 3일에서 5 일후에항생제치료에반응을보이지않거나, 낭 종이곧터질위험이임박해있거나, 다른진단들의신속한배제가필요하다면흡인이초음파또는 CT 유도하에고려될수있다. 치 료 아메바성간농양에가장흔하게사용되는약제는 metronidazole 이고(7~10 일동안하루 3 회씩, 한번에 500 or 750 mg 씩) 완치율이 90% 가넘는다. 39 Metronidazole 은위장관에서부터흡수가잘되어환자가경 구로먹을수있는한정맥치료는분명한이득이없으며, metronidazole 은소장의흡수에도큰방해를 하지않는다. 만약환자가 metronidazole 에반응이느리거나, 치료에도불구하고재발시에는흡인또는더오랜기 간의 metronidazole 치료가필요하다. Metronidazole 저항성 E. histolytica trophozoites 는보고되지않 았다. 52 만약이용가능하다면 tinidazole 과 ornidazole 은아메바성간농양의치료에대용약제들이다. 한연구 에따르면 2 g의 tinidazole or ornidazole 사용은양쪽모두에서 94% 이상의치료성공률을보였다. 53 다 른연구에서는 2~3일간의 tinidazole 의치료가거의 100% 에가까운치료성공률을보여준다고한다. 54-56 tinidazole 은 amebiasis 의치료제로 2004년 5월미국 FDA 의승인을받았다. 57 또다른방법은 chloroquinolone( 매일 600 mg 2일간그리고 300 mg 매일 2~3 주간) 또는 dehydroemetine 이있으나후자는심독성등상당히위험한부작용때문에오직입원환자들에게만사용 되어야한다. Tetracyclin 과 erythromycin 은 hepatic amebiasis 에는효과적이지않다. Invasive amebiasis 의치료후대변검사에서음성이라해도장관내치료약제를사용해야한다. 장관내 의감염은보통다음과같은약제로치료된다. Paromomycin- 하루에 30 mg/kg 을세등분하여경구로 10일동안사용 Iodoquinol- 매일 650 mg 세번씩경구로 20일간사용 Diloxanide furoate- 하루에 500 mg씩경구로 10 일간사용하였다. - 13 -

2006년대한간학회 Single Topic Symposium 예 후 합병증이없는아메바성간농양은진단되고일찍치료된다면치사율이 1% 미만이다. 합병증이있는 경우에서는치사율이 20% 가넘는다. 한후향적인인디안연구에의하면 135명의환자에있어서아메바 성간농양의사망률은 17.7% 이고, bilirubin level>3.5 mg/dl, serum albumin<2.0 g/dl, large volume of the abscess cavity and/or multiple abscess 및 encephalopathy 는사망률을증가시키는독립적인위 험인자들이다. 58 급성감염기간동안생산되는 antiamebic antibody 는아메바성간농양을치료하는데효과적이지못하 다. 측정가능한항체역가는수년동안지속되고치료된경우에는어느정도의면역성을가지는것같 다. 59 요 약 간농양은간내에발생하는치명적인감염성질환으로여러가지원인이있으나크게화농성간농양과 아메바성간농양으로대별할수있다. 최근개인위생및사회위생상태의개선으로인하여아메바성간 농양의발생률은크게줄었지만화농성농양은발생빈도가감소하고있지않다. 이는항생물질의남용으 로인해전형적인증상이소실되어조기진단이늦어지는것과원인균의변화및기존항생제에대한내 성균의증가가중요한이유일것으로생각되고있다. 그리고동반질환및원인질환으로당뇨병과악성종 양의증가와고령화에따른유병률의증가등을원인으로설명하고있다. 하지만조기진단및적절한배 농치료와함께항생제를병용하면비교적예후가좋을것으로보인다. 참고문헌 1. 임상우, 이은주, 이상원등. Klebsiella pneumoniae 가간농양에서차지하는임상적의의. 대한소화기학회지 2003;42:226-231. 2. 이옥재, 김영채. 간농양의임상적고찰. 대한소화기병학회지 1994;26:506-520. 3. Cheng DL, Liu YC, Yen MY, Liu CY, Wang RS. Septic metastatic lesions of pyogenic liver abscess. Their association with Klebsiella pneumoniae bacteremia in diabetic patients. Arch Intern Med 1991;151: 1557-1559. 4. Greenstein AJ, Lowenthal D, Hammer GS, Schaffner F, Aufses AH Jr. Continuing changing patterns of disease in pyogenic liver abscess: a study of 38 patients. Am J Gastroenterol 1984;79:217-226. 5. Pitt HA, Zuidema GD. Factors influencing mortality in the treatment of pyogenic hepatic abscess. Surg Gynecol Obstet 1975;140:228-234. 6. Branum GD, Tyson GS, Branum MA, Meyers WC. Hepatic abscess: changes in etiology, diagnosis and management. Ann Surg 1990;212:655-662. - 14 -

한상영 : 간농양 7. Bissada AA, Bateman J. Pyogenic liver abscess: a 7-year experience in a large community hospital. Hepatogastroenterology 1991;38:317-320. 8. Tazawa J, Sakai Y, Maekawa S, et al. Solitary and multiple pyogenic liver abscess: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s and efficacy of percutaneous drainage. Am J Gastroenterol 1997;92:271-274. 9. 김대원, 한상표, 김상중등. 최근 10 년간간농양의임상적고찰. 대한내과학회지 2004;66:478-486. 10. 서태진, 박창환, 이승환등. 최근 15 년간광주전남지역에서 발생한간농양의임상적고찰. 대한내과학회지 2005;68:26-38. 11. 전대원, 문지용, 백상현등. 두지역병원에서의화농성간농양의임상적고찰. 대한간학회지 2005;11:250-260. 12. 이창재, 정동식, 정석희등. 당뇨병환자와비당뇨병환자의화농성간농양비교. 대한간학회지 2005;11:339-349. 13. Altemeier WA, Culbertson WR, Fullen WD, Shook, CD. Intra-abdominal abscesses. Am J Surg 1973; 125:70-79. 14. Huang CJ, Pitt HA, Lipsett PA, et al. Pyogenic hepatic abscess: changing trends over 42 years. Ann Surg 1996;223:600-607. 15. Mohsen AH, Green ST, Read RC, McKendrick MW. Liver abscess in adults: ten years experience in a UK centre. QJM 2002;95:797-802. 16. Kaplan GG, Gregson DB, Laupland KB. Population-based study of the epidemiology of and the risk factors for pyogenic liver abscess. Clin Gastroenterol Hepatol 2004;2:1032-1038. 17. Rahimian, J, Wilson, T, Oram, V, Holzman, RS. Pyogenic liver abscess: recent trends in etiology and mortality. Clin Infect Dis 2004;39:1654-1659. 18. Lam YH, Wong SK, Lee DW, et al. ERCP and pyogenic liver abscess. Gastrointest Endosc 1999;50:340-344. 19. 유효민, 김원호, 임대순, 강진경, 박인서, 최홍재. 화농성간농양의임상적고찰. 대한소화기학회지 1992;24: 1347-1361. 20. 김영호, 박길수. 간농양의통계적고찰. 외과학회지 1980;22:157-167. 21. 이건욱, 윤진, 김진복. 화농성간농양의임상적고찰. 대한소화기학회지 1990;22:147-155. 22. 나병규, 김연수, 문희석등. 화농성간농양의원인균및치료의최근변화. 대한간학회지 2003;9:275-283. 23. Onderdonk AB, Kasper DL, Cisneros RL, Bartlett JG. The capsular polysaccharide of Bacteroides fragilis as a virulence factor: comparison of the pathogenic potential of encapsulated and unencapsulated strains. J Infect Dis 1977;136:82-89. 24. Kasper DL, Zaleznik DF. Intra-abdominal infections and abscesses. In: Harrison 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16th ed. Kasper DL, Braunwald E, Fauci AS, Hauser SL, Longo DL, Jameson JL(Eds), McGraw-Hill, New York 2005. p.749. 25. Zaleznik DF, Kasper DL. Intra-abdominal abscesses. In: Gastrointestinal Infections: Diagnosis and Management, Lamont JT (Ed), Marcel Dekker, New York 1997. p.397. 26. Tzianabos AO, Pantosti A, Baumann H, et al. The capsular polysaccharide of Bacteroides fragilis comprises two ionically linked polysaccharides. J Biol Chem 1992;267:18230-18235. 27. Wang JH, Liu YC, Lee SSJ, et al. Primary liver abscess due to Klebsiella pneumoniae in Taiwan. Clin Infect Dis 1998;26:1434-1438. 28. Chen C, Chen PJ, Yang PM, et al. Clinical and microbiological features of liver abscess after transarterial embolization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Am J Gastroenterol 1997;92:2257-2259. 29. Lodhi S, Sarwari AR, Muzammil M, et al. Features distinguishing amoebic from pyogenic liver abscess: a review of 577 adult cases. Trop Med Int Health 2004;9:718-723. - 15 -

2006년대한간학회 Single Topic Symposium 30. Rubin RH, Swartz MN, Malt R. Hepatic abscess: changes in clinical bacteriologic and therapeutic aspects. Am J Med 1974;57:601-610. 31. Reed SL. Amebiasis: an update. Clin Infect Dis 1992;14:385-393. 32. Maher JA, Reynolds TB, Yellin AE. Successful medical treatment of pyogenic liver abscess. Gastroenterology 1979;77:618-622. 33. Reynolds TB. Medical treatment of pyogenic liver abscess. Ann Intern Med 1982;96:373-374. 34. Ch YS, Hg LR, Kan PS, Metreweli C. Pyogenic liver abscess: treatment with needle aspiration. Clin Radiol 1997;52:912-916. 35. Rajak CL, Gupta S, Jain S, et al. Percutaneous treatment of liver abscesses: needle aspiration versus catheter drainage. AJR Am J Roentgenol 1998;170:1035-1039. 36. Yu SC, Ho SS, Lau WY, et al. Treatment of pyogenic liver abscess: prospective randomized comparison of catheter drainage and needle aspiration. Hepatology 2004;39:932-938. 37. Everts RJ, Heneghan JP, Adholla PO, Reller LB. Validity of cultures of fluid collected through drainage catheters versus those obtained by direct aspiration. J Clin Microbiol 2001;39:66-68. 38. Bertel CK, van Heerden JA, Sheedy PF. Treatment of pyogenic hepatic abscesses: surgical vs percutaneous drainage. Arch Surg 1986;121:554-558. 39. Li E, Stanley SL. Amebiasis. Gastroenterol Clin North Am 1996;25:471-492. 40. Aikat BK, Bhusnurmath SR, Pal AK, et al. The pathology and pathogenesis of fatal hepatic amoebiasis: a study based on 79 autopsy cases. Trans R Soc Trop Med Hyg 1979;73:188-192. 41. Maltz G, Knauer CM. Amebic liver abscess: a 15-year experience. Am J Gastroenterol 1991;86:704-710. 42. Stanley SL Jr. Amoebiasis. Lancet 2003;361:1025-1034. 43. Knobloch J, Mannweiler E. Development and persistence of antibodies to Entamoeba histolytica in patients with amebic liver abscess: analysis of 216 cases. Am J Trop Med Hyg 1983;32:727-732. 44. Petri WA, Singh U, Ravdin JI. Enteric Amebiasis. In: Tropical Infectious Diseases: Principles, pathogens, and practice. First edition, Guerrant, R, Walker, DH, Weller, PF(eds). WB Saunders, Philadelphia 1000. p.685. 45. Adams EB, MacLeod IN. Invasive amebiasis. II. Amebic liver abscess and its complications. Medicine (Baltimore) 1977;56:325-334. 46. Ravdin JI. Amebiasis. Clin Infect Dis 1995;20:1453-1464. 47. Katzenstein D, Rickerson V, Braude A. New concepts of amebic liver abscess derived from hepatic imaging, serodiagnosis, and hepatic enzymes in 67 consecutive cases in San Diego. Medicine (Baltimore) 1982;61:237-246. 48. Patterson M, Healy GR, Shabot JM. Serologic testing for amoebiasis. Gastroenterology 1980;78:136-141. 49. Aucott JN, Ravdin JI. Amebiasis and nonpathogenic intestinal protozoa. Infect Dis Clin North Am 1993;7:467-485. 50. Kagan IG. Serologic diagnosis of parasitic diseases. N Engl J Med 1970;282:685-686. 51. Salata RA, Ravdin JI. The interaction of human neutrophils and Entamoeba histolytica increases cytopathogenicity for liver cell monolayers. J Infect Dis 1986;154:19-26. 52. Ravdin JI, Skilogiannis J. In vitro susceptibilities of Entamoeba histolytica to azithromycin, CP-63,956, erythromycin, and metronidazole. Antimicrob Agents Chemother 1989;33:960-962. 53. Lasserre R, Jaroonvesama N, Kurathong S, et al. Single-day drug treatment of amebic liver abscess. Am J Trop Med Hyg 1983;32:723-726. 54. Khokhani RC, Garud AD, Deodhar KP, et al. Treatment of amoebic liver abscess with tinidazole and - 16 -

한상영 : 간농양 metronidazole. Drugs 1978;15(Suppl):23-25. 55. Quaderi MA, Rahman MS, Rahman A, Islam N. Amebic liver abscess and clinical experiences with tinidazole in Bangladesh. J Trop Med Hyg 1978;81:16-19. 56. Vanijanonta S, Bunnag D, Looareesuwan S, Harinasuta T. Low dose tinidazole in the treatment of amebic liver abscess. Southeast Asian J Trop Med Public Health 1985;16:253-256. 57. Presutti antiprotozoal agent Tindamax clears FDA; AWP is $18 per dose. In: The Pink Sheet vol 66, F-D-C Reports, Inc. Chevy Chase, MD 2004. p.10. 58. Sharma MP, Dasarathy S, Verma N, et al. Prognostic markers in amebic liver abscess: a prospective study. Am J Gastroenterol 1996;91:2584-2588. 59. Joyce MP, Ravdin JI. Antigens of Entamoeba histolytica recognized by immune sera from liver abscess patients. Am J Trop Med Hyg 1988;38:74-80. - 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