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EP Case Reports J Korean Neurosurg Soc 29286-290, 2000 수술후재발한라스케열낭 - 증례보고 - 홍석호 곽호신 정희원 = bstract = Recurrent Symptomatic Rathke s Cleft CystCase Report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Seokho Hong, M.D., Ho-Shin Gwak, M.D., Hee-Won Jung, M.D. Department of Neurosurger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KEY WORDS 서 론 증 례 286 J Korean Neurosurg SocVolume 29February, 2000
홍석호 곽호신 정희원 안이 1.2로 우안 시력의 악화가 있었고, 우측 측두 반맹 및 압박하고 있는 것이 관찰되었다. 시신경과 시각교차, 양측 좌측 상측두 사분구의 시야 결손 소견이 관찰되었다. 당시 내경동맥과 양측 전뇌동맥에 낭종 벽과의 유착이 관찰되었 시행한 sellar MRI에서는 이전의 낭종이 터어키안 상부로 으나, 뇌하수체 줄기와는 유착이 심하지 않았다. 낭종은 터 진출하여 양측의 시신경과 시각교차를 압박하는 소견이 의 어키안 내부까지 연장되어 있었다. 미세 수술기법으로 낭종 심되었으나 좀 더 경과를 관찰하기로 하였다. 수술 후 8개 을 모두 제거하였고, 시신경과 내경동맥, 전뇌동맥 등은 손 월 뒤 시행한 추적 검사에서 시력은 우안이 0.02, 좌안이 상 없이 모두 보존하였다. 수술 후 환자는 시력의 호전을 보 0.5로 더욱 감소하였고, sellar MRI에서도 낭종이 양측 시 였고, 신경학적 결손 없이 회복되었다. 신경을 압박하는 소견이 진행하여(Fig. 4) 2차 수술을 계획 하였다. 환자의 임상 경과가 기왕에 알려진 라스케열 낭의 양상과 일치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기 위하여 병리과에 의뢰하여 조 2차 수술은 개두술로 테리온 접근법을 시행하였다. 수술 직연역화학 기법으로 측정한 세포증식지수 검사에서 상피세 소견 상 얇은 낭종 벽과 연갈색의 균질한 크림성상의 내용 포의 20%에서 Ki-67 항체에 염색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 물을 가진 낭종이 뇌조 공간을 채우며 시신경과 시각교차를 었다(Fig. 2. ) Fig. 1. Preoperative T1-weighted, gadolinium-enhanced sellar MRI. Coronal(left) and sagittal view(right) demonstrating an intrasellar and suprasellar multicystic mass with peripheral wall enhancement compressing optic nerves and chiasm. Fig. 2. Photomicrographs of the surgical specimen(upper) showing a benign cyst wall composed of ciliated columnar and focal stratified squamous epithelium with fibrous stroma. H & E, original magnification 100. Lower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of the specimen showing that 20% of epithelial cells are positive to Ki-67 monoclonal antibody. J Korean Neurosurg Soc/ Volume 29 / February, 2000 287
수술 후 재발한 라스케열 낭 fundibulum)가 발생하고, 태생 5주에 라스케 낭이 누두와 고 찰 만난 후, 라스케 낭의 경부가 협-인두 교점(buccal-pharyngeal junction)에서 막혀, 태생 6주에 구강상피와 완전 1. 기원 및 병리 소견 라스케열 낭은 태생기 라스케 낭(Rathke s pouch)의 잔 히 분리된다. 이어서 라스케 낭의 전벽이 뇌하수체의 원위 유 조직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3)4)7)8)15)16)19)32). 중위부(pars intermedia)로 남게 된다. 이 과정에서 라스케 라스케 낭은 태생 24일째 stomatomodeum의 배측 게실 낭의 내강이 라스케 열을 이루게 되며, 이 잔존 내강이 커지 (dorsal diverticulum)에서 발생하며, 외배엽의 상피세포로 면 라스케열 낭을 만드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외 이루어진다. 같은 시기에 간뇌의 신경외배엽에서 누두(in- 에도 라스케열 낭의 기원에 대해서 신경상피기원5)6)16)26), 부(pars distalis)로 발전하게 되며, 후벽은 증식을 멈추고 뇌하수체 전엽의 역 화생에 의한 발생20), 두개인두종이나 표피양 낭과 공동의 기원을 가진 한 연속선상에서의 상피병 변의 하나로 보는 이론 등이 제시되고 있다12). 병리조직학적으로 라스케열 낭은 단층 또는 위다층의 상 피와 그를 지지하는 결체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피는 섬모 세포, 배상 세포, 편평 세포, 기저 세포로 이루어져 있 으며, 면역조직화학검사에서는 GFP, vimentin, cytokeratin 에 양성의 반응을 보인다. 조직학적 소견 상 편평 상피세포 가 관찰되는 경우의 대부분은 단순 또는 부분 중층 편평 상 피세포로 나타나나 두개인두종과는 달리 keratin을 형성하 지 않으며, 간혹 광범위 편평 상피세포를 보이는 경우가 보 고된 바 있고9)13)29), 두개인두종에서도 섬모 원주상피를 가 진 증례 보고가 있어11)17)28) 임상적 및 조직학적으로 두개 인두종과 라스케열 낭의 이행 형이 존재할 가능성이 제시되 고 있고, 이러한 소견들에 대하여 두개인두종, 라스케열 낭, Fig. 3. Gadollinium-enhanced sellar MRI taken on the next day after operation demonstrating shrinkage of cystic mass with partially opened cyst wall. 표피양 낭 등을 모두 터어키안 부근에서 생긴 동일한 외배 엽기원병변의 연속선상에서 이해하려는 시도도 있다. 그러 Fig. 4. Gadollinium-enhanced coronal(left) and sagittal(right) MRI obtained 6 months after the operation revealing massive regrowth of multicystic mass compressing both optic nerves. 288 J Korean Neurosurg Soc/ Volume 29 / February, 2000
홍석호 곽호신 정희원 2. 임상양상및치료결과 결 론 References 1) arrow DL, Spector RH, Takei Y, et alsymptomatic Rathke s cleft cysts located entirely in the suprasellar region Review of diagnosis, management, and pathogenesis. Neurosurgery 16766-772, 1985 2) ayoumi MLRathke s cleft and its cysts. Edinburgh Med J 55745-749, 1948 3) erry RG, Schlezinger NSRathke s cleft cysts. rch Neurol 48-58, 1959 4) urger PC, Vogel FSSurgical Pathology of the Nervous System and Its Coverings, Ed 2. New YorkJohn Wiley and Sons, 1982. pp525-528 5) Concha S, Hamilton PM, Millan JC, et alsymptomatic rathke's cleft cyst with amyloid stroma.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38782-786, 1975 6) Diengdoh JV, Scott TElectron-microscopical study of a Rathke s cleft cyst. cta Neuropathol 6014-18, 1983 7) Fager C, Carter HIntrasellar epithelial cysts. J Neurosurg 2477-81, 1966 8) Frazier CH, lpers JTumors of Rathke s clefthitherto called tumors of Rathke s pouch. rch Neurol Psychiatry 32973-984, 1934 9) Fulstow Mn epithelial cyst of the hypophysis. m J Pathol 487-90, 1928 10) Gillman TThe incidence of ciliated epithelium and musous cells in the normal antu pituitary. S fr J Med Csi 530-40, 1940 11) Goodrich JT, Post KD, Duffy PCiliated craniopharyngioma. Surg Neurol 24105-111, 1985 12) Harrison MJ, Morgello S, Post KDEpithelial cystic lesions of the sellar and parasellar region continuum of ectodermal derivatives? J Neurosurg 801018-1025, 1994 J Korean Neurosurg SocVolume 29February, 2000 289
수술후재발한라스케열낭 13) Ikeda H, Yoshimoto T, Suzuki JImmunohistochemical study of Rathke's cleft cyst. cta Neuropathol 7733-38, 1988 14) Kepes JJTransitional cell tumor of the pituitary gland developing from a Rathke's cleft cyst. Cancer 41337-343, 1978 15) Landolt MTherapeutic aspects of the empty sella syndrome, in Glaser JSedNeuro-Ophthalmology. St LouisCV Mosby, 1977, Vol 9, pp229-235 16) Leech RW, Olafson REpithelial cysts of the neuraxis. Presentation of three cases and a review of the origins and classification. rch Pathol LabMed 101196-202, 1977 17) Matsushima T, Fukui M, Ohta M, et alciliated and goblet cells in craniopharybgioma. Light and electron microscopic studies at surgery and autopsy. cta Neuropathol 50199-105, 1980 18) McGrath PCysts of sellar and pharyngeal hypophyses. Pathology 3123-131, 1971 19) Menault F. Sabouraud O, Favalet, et alcyste de la fente de Rathke. Rev Otoneuroophtalmol 51383-390, 1979 20) Naiken VS, Tellen M, Meranze DRPituitary cyst of Rathke s cleft origin with hypopituitarysm. J Neurosurg 18703-708, 1961 21) Pearl GS, Seyama S, Takei Y, et alcystic prolactinoma, variant of transitional cell tumorof the pituitary. m J Surg Pathol 585-90, 1981 22) Rasmussen TCiliated epithelium and mucus-secreting cells in the human hypophysis. nat Rec 41272-283, 1929 23) Rout D, Das L, Rao VRK, et alsymptomatic Rathke s cleft cysts. Surg Neurol 1942-45, 1983 24) Shanklin WMOn the presence of cysts in the human pituitary. nat Rec 104379-407, 1949 25) Shanklin WMThe incidence and distribution of cilia in the human pituitary with a description of microfollicular cysts derived from Rathke's cleft. cta nat 11361-382, 1951 26) Shuangshoti S, Netsky MG. Nashold S JrEpithelial cyst related to sella turcica. Proposed origin from neuroepithelium. rch Pathol 90444-450, 1970 27) Steinberg GK, Koenig GH, Golden JSymptomatic Rathke s cleft cystsreport of two cases. J Neurosurg 56290-295, 1982 28) Tajika Y, Kubo O, Kamiya M, et alclinico-pathological features of 5 cases of pituitary cyst including Rathke s cleft cyst. No Shinkei Geka 101055-1064, 1982 29) Verkijk, ots GTMn intrasellar cyst with both Rathke s cleft and epidermoid characteristics. cta Neurochir 51 203-207, 1980 30) Voelker JL, Campbell RL, Muller JClinical, radiographic, and pathological features of symptomatic Rathke s cleft cysts. J Neurosurg 74535-544, 1991 31) Yasargil MG, Curice M, Mirjava K, et altotal removal of craniopharyngioma. J Neurosurg 733-11, 1990 32) Yoshida J, Kobayashi T, Kageyama N, et alsymptomatic Rathke s cleft cyst. Morphological study with light and electron microscopy and tissue culture. J Neurosurg 47451-458, 1977 290 J Korean Neurosurg SocVolume 29February,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