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의위치동화에대한지각적분석 박선우 ( 한신대학교 ) Park, Sunwoo. 2011. A perceptual analysis of Korean place assimilation. Studies in Phonetics, Phonology and Morphology 17.1. 3-23.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detailed aspects of Korean place assimilation. For this research, a perception test of Korean place assimilation was conduc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erception test, I postulated the P-map hyphothesis (Steriade 2001) about nasal sounds /m/, /n/, /ŋ/ and analyzed the place assimilation in Korean consonant clusters within the OT framework. Nine pairs of nonce word and spelling were chosen as stimuli and 10 Seoul Korean speakers participated in the perception test. The results show coronal sound /n/ is disposed to undergo velarization and labialization, but labial sound /m/ is not disposed to undergo velarization. According to the test, tensed stop triggers (/ankˀa/ [aŋkˀa]) are preferred to aspirated stop and plain stop triggers (/ankʰa/ [aŋkʰa], /anka/ [aŋɡa]). This preference is likely to reflect the features of tensed stops, which have a long and strong place gesture. (Hanshin University) Key words: place assimilation, P-map, velarization, labialization, gestural overlap 1. 머리말 한국어의위치동화현상에대해서는그동안많은연구가이루어졌다. 대부분의연구는 위치동화가일어나는음성학적원인은무엇이며어떠한환경에서어느정도의동화가일어나는가 라는문제나 음운이론에서는위치동화의결과를어떻게설명할수있는가 라는문제를다루고있다. 물론이러한연구들은위치동화의언어보편적특성을밝히는데기여하였다. 특히위치동화가자음과자음사이에서일어나는단순한동시조음의효과가아니라언어보편적인유무표적위계의결과이며, 동화주와피동화주가되는분절음들사이에는비대칭적관계 ( 연구개음 > 양순음 > 치경음 ) 가있음을보여주었다 (Jun 2004). 1 최근의연구를살펴보면음성학적실험을바탕으로한국어의위치동화에대한보다세부적인논의가이루어지고있다. Son(2008) 에서는 양순 치경 연구개 의순서로발음할경우 (/tk/) 반대의순서로발음하는경우 (/tp/) 보다조음제스처의중복이더잘일어난다는 순서효과 (order effect) 가한국어의위치동화환경에서는나타나지않으며순수한지각적요인보다는한국어의음운론적경향에따라위치동화가적용된다고논의하였다. Kochetov and Pouplier(2008) 에서는위치동화가적용되는환경과관련된분절음의종류, 형태론적경계의유무, 피험자, 발화속도에따라동화가일어나는빈도에는차이가있으며동화 1 언어보편적인유표성위계와반대로 McCarthy(2003:16-19) 에서는 Sri Lankan Portuguese Creole 에서양순음과연구개음이치경음에동화되는특수한위치동화를소개하고있다. 그러나이러한현상은유표성제약의분할과관련된현상이므로언어보편적위계의반례로보기는어렵다. 이러한예외적위치동화에대한논의에대해서는김선회 (2008) 을참고하기바란다.
4 박선우 의정도를고려한다면한국어의위치동화는음성학적변이라기보다는음소의변주가바뀌는현상이라고논의하였다. (1) 한국어위치동화의성격 (Kochetov and Pouplier 2008: 425) 위의도식은한국어위치동화의성격을피동화주가치경음인경우 (coronal assimilation) 와양순음인경우 (labial assimilation) 로나누어보여주고있다. Y 축을기준으로보면한국어의위치동화는전반적으로음성학적변이라기보다는음소의범주가바뀌는현상으로이해할수있다. X 축을기준으로보면위치동화는수의적인현상이지만피동화주가치경음인경우가피동화주가양순음인경우보다적용되는빈도가높다. 본연구에서는동화주나피동화주의조음위치에따라한국어의위치동화가어느정도의수준으로적용되는지살펴보되, 동화주의발성유형에따라위치동화의양상에차이가있는지도살펴볼것이다. 또한전반적인경향과개인별경향에차이가있는지, 남녀성별에따른차이가관찰되는지도함께논의하겠다. 산출실험을통하여동화의양상을관찰하기는어려우므로본연구에서는동화된어형의적합도를평가하는지각실험을실시하였다. 발화의산출과지각이서로밀접하게관련되어있음을보여주는 Steriade (2001) 의 P-map 모델에의하면음운현상은주로청자의지각이어려운환경에서적용되므로지각실험을통하여위치동화의구체적인양상을파악할수있다. 본연구에서위치동화의지각실험을통하여규명할문제는다음과같다. 첫째피험자들은위치동화를겪은비표준적발음에대하여긍정적태도를갖고있는가, 부정적태도를갖고있는가? 둘째피동화주의조음위치 ( 치경 - 양순 ) 와동화주의조음위치 ( 양순 - 연구개 ) 에따라동화의정도가어떻게변화하는가? 셋째동화주의발성유형 ( 평음 - 경음 - 유기음 ) 에따라동화의정도가어떻게변화하는가? 넷째전반적인경향과개인별경향에는차이가있는가? 다섯째남녀성별에따른차이가관찰되는가? 이후의내용은다음과같이구성되어있다. 2 장에서는한국어위치동화의양상을구체적으로살펴보고기존의연구에서논의했던위치동화의원인에대하여정리하였다. 3 장에서는위치동화의정도를평가하기위한지각실험의방법과절차를소개하였다. 4 장에서는실험에결과를분석하고 Steriade(2001) 의 P-map 모델을적용하여위치동화에대한음운론적분석을시도하였다. 마지막으로 5 장에서는논의내용을요약하고정리하였다.
한국어의위치동화에대한지각적분석 5 2. 한국어의위치동화 한국어의위치동화현상은전반적으로언어보편적인경향을벗어나지않는다. 위치동화의양상은다음과같다. (2) a. 후행자음에의한선행자음의역행동화 CVC 1 +C 2 VC ( 동화주 :C 2, 피동화주 :C 1 ) b. 치경음의양순음화치경음 (n, t)+ 양순음 (m, p, pˀ, pʰ) 양순음 (m, p)+ 양순음 1 옷보다 /otpota/ [ot pˀoda]~[op pˀoda] (cf. opˀoda) 2 준비 /ʨunpi / [ʨunbi]~[ʨumbi] c. 치경음의연구개음화치경음 (n, t)+ 연구개음 (k, kˀ, kʰ) 연구개음 (ŋ, k)+ 연구개음 1 숟가락 /sutkalak/ [sut kˀaɾak ] ~ [suk kˀaɾak ] (cf. sukˀaɾak ) 2 모든걸 /motɨnkəl/ [modɨnɡəl]~[modɨŋɡəl] d. 양순음의연구개음화양순음 (m, p)+ 연구개음 (k, kˀ, kʰ) 연구개음 (ŋ, k)+ 연구개음 1 숲길 /supʰkil/ [sup kˀil]~[suk kˀil] (cf. sukˀil) 2 짐꾼 /ʨimkˀun/ [ʨimkˀun]~[ʨiŋkˀun] 위치동화의양상은언어보편적인비대칭성에의해결정된다. 음절초성은음절종성에비하여지각적단서가풍부하므로동화를겪지않는다. 반면지각적단서가빈약한음절종성은피동화주가되는데한국어의폐쇄음에는음절말불파음화현상이적용되어개방구간이사라지므로다른언어의폐쇄음에비하여지각이더불리하다고볼수있다. 한국어에서는마찰음과개방이동반된폐쇄음이음절말위치에올수없지만다른언어를살펴보면조음위치에대한음향적정보가뚜렷한마찰음과개방이동반된폐쇄음은음절말위치에서도동화를잘겪지않는다 ( 이석재 1999, Jun 2004). 음절말자음이라하더라도조음위치상유표적인자음은동화를겪지않는다. 동화의여부는선행자음과후행자음의상대적인유표성위계에의하여결정된다. 조음위치상으로가장무표적인치경음은양순음과연구개음에동화되며 ( 준비 [ʨumbi], 모든걸 [modɨŋɡəl]), 연구개음에비하여무표적인양순음은가장유표적인연구개음에동화된다 ( 짐꾼 [ʨiŋkˀun]). 반면연구개음이무표적인양순음이나치경음에동화되거나 ( 강물 * [kammul], 강나루 * [kannaɾu]), 양순음이가장무표적인치경음에동화되는위치동화 ( 감나무 * [kannamu]) 는관찰되지않는다. 따라서위치동화의언어보편적비대칭성은다음과같이정리할수있다. 2 (3) 위치동화의언어보편적비대칭성 2 (3c) 의언어보편적위계와다른견해도있다. Rice(1996) 에서는자질계층이론의관점에서치경 ( 설정 ) 과연구개를단일한위치마디 (single place node) 로표시되는무표적조음위치로보았으며, Hume(2003) 에서는조음위치의유표성과무표성은언어개별적으로결정된다고논의하고있다.
6 박선우 a. 순행동화는일어나지않는다. ( 음절말음만 동화를 겪는다. 준비 *[ʨundi], 짐꾼 *[ʨimpˀun]) b. 동화주 C 2 가피동화주 C 1 보다유표성이강한조음위치를 갖는경우에만동화된다. c. 유표성의언어보편적경향 (Prince and Smolensky 1993) 연구개음 양순음 치경음 동화환경 : 치경음 + 양순음 연구개음, 양순음 + 연구개음 비동화환경 : 양순음 + 치경음, 연구개음 + 치경음 양순음 ( 예 ) 강물 *[kammul], 강나루 *[kannaɾu], 감나무 *[kannamu] 위치동화가일어나는원인에대해서는언어보편적으로두가지설명이제안되었다. 하나는조음제스처의중복에의하여일어난다는설명이다 (Browman and Goldstein 1990, Kang 1999). 이러한논의에의하면피동화주인선행자음의조음제스처가빠를수록, 동화주인후행자음의조음제스처가느릴수록동화가잘일어난다. (4) 피동화주의조음제스처 ( 위 ) 와동화주의조음제스처 ( 아래 ) (Jun 2004:63-65) 설첨에의해서폐쇄가일어나는치경음은혀가이동하는제스처가빠르므로지각을위한음향적전이단서가짧다. 반면각각혀뿌리와입술에의해폐쇄가일어나는연구개음과양순음의제스처는완만하므로음향적전이단서가긴편이다. 따라서 (3c) 에서살펴본조음위치의유표성위계는제스처의속도에의해결정되며제스처의속도가완만하여제스처의중복이일어나는경우위치동화가일어난다고본다. 위치동화의원인에대한다른설명은조음제스처약화의결과로동화가일어난다는논의이다. Jun(1995) 에서는구강압력을측정하는산출실험을실시한후에피동화주의제스처가약화된발화와제스처의중복이일어난발화에대한지각실험을하였다. 지각실험결과제스처가중복된발화는피험자들이대부분
한국어의위치동화에대한지각적분석 7 제대로지각하였지만제스처가약화된발화는동화된어형으로지각하는비율이높았다. (5) /VpkV/ 에서 /p/ 의지각 (Jun 1995:100) 전체 4번가운데 /p/ 로지각한횟수 괄호안의숫자는응답한횟수발화스타일피험자 비격식 격식 p k 중복 약화없음 p^k 제스처중복 <p>k 제스처약화 kk 완전동화 1 4 4 1 0 2 4 4 0 0 3 4 3 0 0 (3) 4 4 3 (3) 1 0 5 4 4 0 0 6 4 3 (3) 0 0 1 4 4 0 0 2 4 4 0 0 3 4 4 0 0 4 4 4 0 0 5 4 4 1 (3) 0 6 4 4 0 (3) 0 한편 Jun(2004) 에서는음운론적으로두가지논의를절충하여피동화주제스처의약화와동화주조음위치제스처의확장이동시에일어나면서동화가일어난다고보고있다.
8 박선우 (6) 피동화주조음제스처의삭제와동화주조음제스처의확장 (Jun 2004:72) 제스처의약화와중복가운데한부분만으로위치동화의원인을설명하는것은아직까지는어려운것같다. 본연구에서도지각실험의결과를바탕으로후반부에서위치동화의원인에대하여논의할것이다. 3. 지각실험 본연구에서는한국어의위치동화현상의구체적인양상을살펴보고, 위치동화가일어난어형 (/amka/-[aŋɡa], /anka/-[aŋɡa], /anpa/-[amba]) 에대한적합도평가실험을실시하였다. 3.1 자극과피험자 실험을위한음성자극으로서는두자음의조음위치가동일한 6 가지종류의무의미단어의발음을이용하였다. 이발음들은박선우 (2008) 의산출실험에서피험자들이녹음한것들로서피동화주인선행자음과동화주인후행자음의조음위치가동일한틀문장을낭독한것이다. (7) 실험자극 a. n양순음화 b. m연구개음화, n연구개음화 /anpa/ : 1 [amba] /amka/, /anka/ : 4 [aŋɡa] /anpˀa/ : 2 [ampˀa] /amkˀa/, /ankˀa/ : 5 [aŋkˀa] /anpʰa/ : 3 [ampʰa] /amkʰa/, /ankʰa/ : 6 [aŋkʰa] b. 박선우 (2008) 피험자의 6가지반복녹음가운데 2가지선 택 5명 6종류 2가지 =60가지자극 c. 자극의선택기준 : 6가지녹음가운데조음위치와관련된 제1포만트주파수가평균값에가까운녹음선택 ( 평균보 다높은녹음, 낮은녹음각각하나씩선택 ) ( 예 ) 피험자 KTH (1인당 6가지녹음, 단위 : Hz ) F1 평균값 amba: 242.273 ampʰa: 239.076 ampˀa: 246.336 높음 amba 6 : 247.149 ampʰa 1 : 240.945 ampˀa 3 : 251.092 낮음 amba 2 : 240.490 ampʰa 4 : 235.991 ampˀa 6 : 240.177
한국어의위치동화에대한지각적분석 9 F1 평균값 aŋɡa: 332.030 aŋkˀa: 322.704 aŋkʰa: 322.131 높음 aŋɡa 5 : 332.664 aŋkˀa 5 : 323.100 aŋkʰa 1 : 324.919 낮음 aŋɡa 2 : 331.051 aŋkˀa 3 : 316.828 aŋkʰa 5 : 314.192 d. 틀문장 : 이것을 라고한다. 박선우 (2008) 의산출실험에서는피험자 1 인당동일한무의미단어를 6 번씩녹음하였는데, 여섯가지녹음가운데 2 가지를실험자극으로이용하였다. 비음의조음위치와제 1 포만트주파수가관련되어있다는논의 ( 성철재 1996, 황연신 2002) 를참고하여동일한 6 가지녹음가운데비음의제 1 포만트주파수가평균에가까운녹음을활용하되평균보다높은녹음과평균보다낮은녹음을선택하였다. 한국어의위치동화에대한기존의실험음성학적연구에서는산출실험이든지각실험이든주로피동화주가폐쇄음 /t/ 나 /p/ 인단어의유형 (/atpa/, /atka/, /apka/) 들이이용되었다. 그러나 (1) 에서살펴본바와같이이러한환경에서위치동화가일어나면서음절말의피동화주가탈락되는현상이발생할수있다. 예를들어 /atpa/ 의동화형인 [appˀa] 는 [apˀa] 로 /atka/ 와 /apka/ 의동화형인 [akkˀa] 는 [akˀa] 로발음되는경우가있다. 따라서본연구에서는위치동화가일어나는경우에도피동화주가탈락되지않는환경, 즉 [-np-], [-nk-], [-mk-] 가포함된무의미단어들을자극으로이용하였다. 피험자로는수도권지역에서성장한 20 대남녀각각 5 명이참가하였다. 이들가운데음성적훈련을받거나발화나청각장애병력을가진피험자는없었다. (8) 피험자명단성별연령출생지역성장지역직업 남1 25 인천 인천 대학생 남2 27 서울 서울 대학원생 남3 27 경기 경기 대학생 남4 29 서울 서울 대학원생 남5 28 제주 서울 (3세이후 ) 대학원생 여1 27 서울 경기 대학원생 여2 29 서울 서울 대학생 여3 26 서울 서울 대학원생 여4 25 경기 서울 대학생 여5 21 서울 서울 대학생 3.2 방법과절차 지각실험은피험자에게시각적, 청각적자극을제시하고피험자들이청각적자극의적합도를판정하는방식으로진행하였다. 자극을제시하고피험자의판정을기록하기위하여 Cedrus 사의 SuperLap Pro 2.0 이라는프로그램을활용하였다. 피험자들은다음과같은과정을거쳐판정을하였다. (9) 피험자의판정절차 a. 모니터를통하여위치동화환경의단어가포함된문장확인
10 박선우 b. 피동화주와동화주의조음위치가동일한단어가포함된틀문장음성파일청취 (2 번반복 ) 화면 : 이것을 ( 안가 ) 라고한다. 발음 : 이것을 [ 앙가 ] 라고한다. c. 4 등급기준으로적합도판정 ( 키보드숫자키로입력 ) 1 점 : 나쁜발음 2 점 : 자연스럽지않은발음 3 점 : 괜찮은발음 4 점 : 좋은발음 피험자는위치동화가일어나는 9 가지환경에대한판정을하였다. 9 가지환경에대한 5 명의녹음을 1 세트 (9 가지환경 5 명의녹음 =45 번판정 ) 로구성하였다. 자극을구성할때하나의동화환경에대하여동화된발음을 2 가지씩선택하므로각각의피험자에게는총 2 세트의자극이제시되었다. 피험자 1 인당총 90 번 (2 세트 45 번 ) 의판정을했고, 동화가일어나는 9 가지환경에대하여각각 10 번씩판정을하였다. (10) 동화가일어나는 9가지환경에대한적합도조사 n양순음화 n연구개음화 m연구개음화 화면-음성 화면-음성 화면-음성 / 안바 /-[amba] / 안가 /-[aŋɡa] / 암가 /-[aŋɡa] / 안빠 /-[ampˀa] / 안까 /-[aŋkˀa] / 암까 /-[aŋkˀa] / 안파 /-[ampʰa] / 안카 /-[aŋkʰa] / 암카 /-[aŋkʰa] 9가지환경 5명의녹음 = 45번판정 (1세트) 피험자 1인당 2세트실험 (1인당 90번판정 ) 4. 결과와논의 실험에서피험자들은제시된철자와다른발음을듣게되므로평가점수가높다는것은제대로지각을하지못하고발음을혼동했음을의미한다. 반면평가점수가낮다는것은피험자들이제대로지각했음을의미한다. 하지만평가점수가단순히지각의능력만을반영하는것은아니다. 발화의지각은발화의산출과밀접한관계를맺고있다. Steriade(2001) 에의하면화자의산출은자신의지각에의하여직접적인영향을받는다. (11) 화자와조음과청자의지각사이의관계 (Steriade 2001: 235) a. Lindblom 의가설 : 화자의조음은청자의지각적요구에영향을받는다. b. P-map 모델 : 화자의조음은청자의지각적능력과경향에의해결정된다.
한국어의위치동화에대한지각적분석 11 이러한논의에의하면청자가음운론적대립을지각하기어려울수록화자에게는음운현상이잘적용된다. 반대로청자가음운론적대립을지각하기쉬울수록화자에게음운현상은잘일어나지않는다. 화자가공을들여신중하게발음을해도청자가지각하기어려운입력형에는조음적편이와경제성을고려한음운현상이적용된다. 따라서실험결과점수가높은환경, 즉지각이어려운환경에서는위치동화가잘일어나고, 점수가낮은환경, 즉지각이쉬운환경에서는위치동화가잘일어나지않는다고해석할수있다. (12) 설정음과권설설정음의 P-map (Steriade 2001: 237) V V V # V C # V C V C C s/ʂ s/ʂ s/ʂ s/ʂ s/ʂ s/ʂ s/ʂ t/ʈ t/ʈ t/ʈ t/ʈ t/ʈ t/ʈ t/ʈ n/ɳ n/ɳ n/ɳ n/ɳ n/ɳ n/ɳ n/ɳ 글자의크기는지각적유사성을암시 : 클수록차이가크다. 위의도식은일반적인설정음과권설설정음의지각적대조를음운론적환경에따라분류한 P-map 이다. 글자가클수록지각적인차이가크고글자가작을수록지각적유사성이증가한다. 따라서권설성의동화현상은두가지설정음의지각적차이가잘구분되지않는 C V 나 C C 의환경에서적용될가능성이높다. 아래는 P-map 을바탕으로설정된제약의위계를통하여권설성동화를분석한결과이다. (13) 권설성동화의분석 (Steriade 2001: 240) a. /t-ʈ/ [tt] /pat-ʈal/ AGREE IDENT[ant]/ IDENT[ant]/ V[_apical,stop]C C[_apical,stop]V Pattal * paʈʈal *! patʈal *! b. /ʈ-t/ [ʈʈ] /-ɭeʈ-tu/ AGREE IDENT[ant]/ IDENT[ant]/ V[_apical,stop]C C[_apical,stop]V -ɭeʈʈu * -ɭettu *! -ɭeʈtu *! V C 는 C V 보다설정음과권설설정음의대조를지각하기유리한환경이므로충실성제약들은 IDENT/V C IDENT/C V 의위계를갖는다. 충실성제약과상호작용을하는 AGREE 는연결되는두설정음의권설성이일치되어야한다는제약이다. 제약의위계에의하여지각에유리한위치, V C 에오는설정음이동화주가되고 C V 에오는설정음이피동화주가된다. 다음절에서는지각실험의결과를분석하여한국어비음의대조와관련된 P-map 을구성하고위와같은분석을진행할것이다.
12 박선우 4.1 동화유형별평가 동화유형별평가결과, m 연구개음화 (/amka/-[aŋɡa]) 에비하여 n 연구개음화 (/anka/-[aŋɡa]) 와 n 양순음화 (/anpa/-[amba]) 의점수가훨씬높았다. 피험자의판정가운데 1 점 ( 나쁜발음 ) 과 2 점 ( 자연스럽지않은발음 ) 은부정적응답이며 3 점 ( 괜찮은발음 ) 과 4 점 ( 좋은발음 ) 이긍정적응답이라는점을고려한다면평균점수가중앙값인 2.5 보다높은경우는동화된발화를긍정적으로, 2.5 보다낮은경우는동화된발화를부정적으로본다는것을의미한다. 이러한기준에의하면 m 연구음화 에대한평가 (1.74<2.5) 는부정적이었으며 n 연구음화, n 양순음화 에대한평가는긍정적 (3.03, 3.11>2.5) 이었다. (14) 동화유형별평가결과 ( 오차막대는 평균표준편차 를표시 ) 동화유형별차이가유의미한것인지.05 의유의수준으로일원배치분산분석 (One-way ANOVA) 을시행한결과 n 연구개음화 와 n 양순음화 의차이는유의미하지않았지만 m 연구개음화 는 n 연구개음화, n 양순음화 와모두유의미한차이가있는것으로확인되었다. 요약하자면 n 연구개음화 와 n 양순음화 는한국어에서수의적이지만긍정적인발음으로지각되는음운현상으로볼수있다. 반면 m 연구개음화 는부정확한발음으로지각된다. 즉정확하게지각되므로발화와지각의관계를고려한다면 /m/ 가 [ŋ] 으로실현될가능성은낮다고볼수있다. 따라서앞서살펴본조음위치의유표성위계는지각실험결과다음과같이조정할수있다. (15) 한국어의조음위치유표성위계에대한재검토연구개 > 양순음 > 치경음 연구개 양순음 > 치경음 조음위치유표성위계의조정은다소성급해보일수있으나언어보편적인위치동화의양상을살펴본다면 연구개 양순음 > 치경음 의위계는일리가있다. Jun(2004:68) 에의하면여러언어의위치동화사례들을분석하고분류한결과연구개음과양순
한국어의위치동화에대한지각적분석 13 음의비대칭적위계가정해지는 연구개 > 양순음 > 치경음 의유형, 즉양순음이연구개음에동화되지만연구개음은양순음에동화되지않는언어는한국어가유일하였다. 만약 /amta/- [anda] 나 /aŋta/-[anda] 와같이동화가일어나지않는환경과동화를겪은발음을제시한지각실험을실시했을경우에도 m 연구음화 와비슷한평가점수가나온다면 m 연구개음화 는사실상한국어에서관찰되는음운현상이아니라고결론지을수있을것이다. 지각실험의결과를반영하여 C V 환경의비음에대한 P-map 을아래와같이가정할수있다. 위치동화가일어나는환경의대조, 예를들어 V [lab] 의 n/m 나 V [dor] 의 n/ŋ 은지각적유사성이높다는점은실험결과와상관없이 (3c) 의유표성위계만으로도예상할수있다. 유표성위계에의하면 V [dor] 의 m/ŋ 역시지각적유사성이높으므로작은글씨로표시되어야한다. 하지만피험자들은 양순음 + 연구개음 의자극 (/amka/-[aŋɡa]) 을상대적으로정확히지각하였으므로실험결과를고려하다면지각적유사성이높다고보기어렵다. (16) 후행자음의조음위치에따른한국어비음의 P-map V [dor] V [lab] V [cor] n/m n/m n/m n/m n/ŋ n/ŋ n/ŋ n/ŋ m/ŋ m/ŋ m/ŋ m/ŋ 양순음과연구개음에선행하는 n/m 과 n/ŋ 의대조를지각하기어렵다는점을고려한다면 V C 위치의 /n/ 에대한충실성제약의위계는 IDENT/V [cor] IDENT/V [lab] IDENT/V [dor] 로설정할수있다 (17a b). 이러한위계에연결되는두자음의조음위치가일치되어야한다는 AGREE 를포함시키면아래와같이분석할수있다. (17) 한국어비음의위치동화에대한분석 a. /n-p/ [mb] /an-pa/ AGREE V_[cor] V_[lab] anba *! amba * b. /n-k/ [ŋɡ] /an-ka/ AGREE V_[cor] V_[lab] anɡa *! aŋɡa * c. /m-k/ [mɡ] V_[dor] V_[dor] IDENT[lab, nas] IDENT[lab, nas] IDENT[lab, nas] /am-ka/ /V_[cor] /V_[lab] /V_[dor] amɡa * aŋɡa *! AGREE 피동화주가 /m/ 인경우후행자음의조음위치와상관없이지각적유사성이낮으므로충실성제약의위계를결정하기어렵다
14 박선우 (17c). 이러한환경에서는 AGREE 가충실성제약들의지배를받으므로위치동화는적용되지않는다. 4.2 동화주의발성유형별평가 동화주의발성유형별로위치동화에대한평가를비교해본결과동화주가유기음이나경음인경우 (/anpʰa/-/ankʰa/-/amkʰa/, /anpˀa/-/ankˀa/-/amkˀa/) 가동화주가평음인경우 (/anpa/-/anka/- /amka/) 에비하여점수가높은편이었다. 동화유형별평균과동일한방법과유의수준으로통계적검증을시행한결과유기음과경음사이의차이는유의미하지않았지만평음은유기음, 경음과모두유의미한차이가있는것으로확인되었다. 동화유형에서평가점수가낮은 m 연구개음화 의점수를제외하고평균을계산할경우전반적으로평가점수가높아졌지만 경음 > 유기음 > 평음 의순위와통계적분석의결과는동일하였다. (18) 동화주의발성유형별평가결과 ( 왼쪽 : 전체, 오른쪽 : m 연구개음화제외 ) 점수가높은 n 연구개음화 와 n 양순음화 를따로분석한결과, n 연구개음화 는경음의점수가두드러진편이었다. 일원배치분산분석 (One-way ANOVA) 을시행한결과평음과유기음사이에는유의미한차이가없었지만경음은평음, 유기음과모두유의미한차이를보였다. n 양순음화 는유기음과경음의점수가높은편인데통계적검증결과유기음과경음사이에는유의미한차이가없지만평음은경음, 유기음과모두유의미한차이를보였다. 정리하자면두가지동화유형에서경음은평음에비하여유의미한수준으로높은점수를받았다. 따라서분석결과는동화주가평음이나유기음일때보다동화주가경음인경우위치동화가잘일어난다는것을보여주고있다. (19) 동화주의발성유형별평가결과 ( 왼쪽 : n 연구개음화, 오른쪽 : n 양순음화 )
한국어의위치동화에대한지각적분석 15 동화주가경음일경우위치동화가잘일어난다는결과는위치동화의원인이제스처의약화나중복이라는논의에부합된다. 신지영 (1998), 신지영 차재은 (2003) 에의하면경음은성대의긴장을동반할뿐만아니라조음과정에서도평음이나유기음과비교하여전반적인차이를보인다. 긴장성을가진경음은조음체가조음점에닿는시간도길고협착공간도넓다. 다음은신지영 (1998) 에서전자구개도 (electro-palatograph, EPG) 를통하여 /a a/ 환경에서혀가입천장에닿는접촉면을비교한결과이다. (20) /a a/ 환경치경폐쇄음의 EPG 출력 ( ㄱ : 평음, ㄴ : 유기음, ㄷ : 경음, 신지영 1998:58) EPG 출력결과를통하여혀가입천장에닿는협착공간을비교해보면경음 ( ㄷ ) 이평음 ( ㄱ ) 이나유기음 ( ㄴ ) 에비하여넓다는것을확인할수있다. 협착공간이넓다는것은같은폐쇄음이라도경음을조음할경우혀의높이가더높다는것을의미하므로경음은평음과유기음보다조음제스처가강하다고이해할수있다. 알다시피경음은협착공간뿐만아니라폐쇄구간도평음이나유기음보다길다. 여러연구들에의하면경폐쇄음은평폐쇄음에비하여거의두배정도폐쇄구간의길이가긴편이다. (21) 폐쇄음의폐쇄구간과 VOT 길이 ( 최성원 전종호
16 박선우 1998:537) 직접적인비례관계를계산하기는어렵겠지만폐쇄구간이길다면 (4) 에서살펴본양순음이나연구개음의조음처럼제스처가길이가확장되면서선행자음의제스처와중복될가능성이더높아질것이다. 동화주의발성유형에따라 C V 환경의비음에대한 P-map 은아래와같이가정할수있다. n 연구개음화 는동화주가경음인경우 (V [CG]) 에상대적으로높은점수를받았으므로이환경에서는 n/ŋ 의지각적유사성이높다고볼수있다. n 양순음화 는동화주가유기음인경우 (V [SG]) 와경음인경우에높은점수를받았으므로역시유기음과경음앞의위치 (V [SG], V [CG]) 에서는 n/m 의지각적유사성이높다. (22) 후행자음의조음위치에따른한국어비음의 P-map V [stop] V [SG] V [CG] n/ŋ n/ŋ n/ŋ n/ŋ n/m n/m n/m n/m 동화주의발성유형에따라 n/ŋ 과 n/m 의대조를지각하기어려운환경을고려한다면 V C 위치의 /n/ 에대한충실성제약의위계는 (23) 과 (24) 의도표와같이설정할수있다. 지각적유사성이높은환경을포함하는충실성제약은위계상하위의제약이된다. 이러한위계에연결되는두자음의조음위치가일치되어야한다는 AGREE 를포함시키면아래와같이분석할수있다. (23) n연구개음화 에대한분석 a. /n-k/ [nɡ] /an-ka/ V_[dor, stop] V_[dor, SG] AGREE Anɡa * Aŋɡa *! V_[dor, CG]
b. /n-kʰ/ [nkʰ] /an-kʰa/ V_[dor, stop] 한국어의위치동화에대한지각적분석 17 V_[dor, SG] AGREE ankʰa * aŋkʰa *! c. /n-kˀ/ [ŋkˀ] /an-kˀa/ V_[dor, stop] V_[dor, SG] AGREE V_[dor, CG] V_[dor, CG] ankˀa *! aŋkˀa * (24) n양순음화 에대한분석 a. /n-p/ [nb] /an-pa/ AGREE V_[lab, stop] anba * amba *! b. /n-pʰ/ [mpʰ] /an-pʰa/ V_[lab, stop] AGREE V_[lab, SG] V_[lab, SG] anpʰa *! ampʰa * V_[lab, CG] V_[lab, CG]
18 박선우 c. /n-pˀ/ [mpˀ] /an-pˀa/ V_[lab, stop] AGREE V_[lab, SG] V_[lab, CG] anpˀa *! ampˀa * 4.3 전반적경향과피험자별개인차 전반적인경향과개인별경향을비교해보았을때, 개인별로세부적인차이가있었으나전체평균의분석결과와마찬가지로 n 연구개음화 와 n 양순음화 를선호하는경향이뚜렷하였다. 아래의도표는전체피험자 10 명의평가를개인별로정리한결과이다. (25) 남성개인별평가결과 ( 평음, 유기음, 경음, 전 체 ) < 남1> < 남2> < 남3> < 남4> < 남 5> (26) 여성개인별평가결과 ( 평음, 유기음, 경음, 전 체 )
한국어의위치동화에대한지각적분석 19 < 여 1> < 여 2> < 여 3> < 여 4> < 여 5> 피동화주가되는비음의제 1 포만트주파수를통하여위치동화의정도를파악한박선우 (2008) 의산출실험에서는피험자 5 명의개인차가심했지만본연구의지각실험에서는피험자들사이에서상당히유사한결과가관찰되었다. 다만동화주의발성유형상평음에대한점수의차이가유기음이나경음과비교하여큰편이었다. 대부분유기음과경음의점수가높았지만동화의유
20 박선우 형이나피험자별로평음의점수가더높은경우도관찰되었다. 세부적인차이가있었지만개인별로도일관성이있는결과가관찰되었으므로위치동화현상이한국어의언어공동체에서적용되는음운현상임을확인할수있었다. 4.4 성별평가 남녀성별로점수를분석한결과, 약간의차이가있었지만전 반적인경향은비슷하였다. 전체적으로여성보다남성의평가 점수가높은편이었다. 남성은 n연구개음화 의점수가 n양순 음화 보다높은반면여성은 n양순음화 의점수가 n연구개음 화 보다높았다. (27) 남녀동화유형별평가결과 ( m연구개음화, n연구개 음화, n양순음화, 전체, m연구개음화제외 ) (28) 남녀발성유형별평가결과 ( 평음, 유기음, 경음, 전체 ) < 남성평균 > < 여성평균 > 남성과여성의전체평균에대하여.05 의유의수준으로독립표본 T- 검정을시행한결과유의확률은 0.005 로서통계적으로유의미한차이가있는것으로확인되었다. 그러나점수가매우낮은 m 연구개음화 의자료를제외할경우차이가줄어들고유의확률이 0.057 로서통계적으로유의미한차이가없는것으로검증되었다. (29) 성별평가결과 Ⅰ ( 왼쪽 : 전체, 오른쪽 : m 연구개음화제외 )
한국어의위치동화에대한지각적분석 21 남녀간점수의차이를동화유형별로정리한결과 m 연구개음화 와 n 연구개음화 는남성의점수가높은편이었지만 n 양순음화 의경우성별의차이가거의없었다. 성별점수의차이는전반적으로점수가가장낮은 m 연구개음화 에서가장컸다. 통계적검증결과 m 연구개음화 (0.000<0.05) 와 n 연구개음화 (0.008<0.05) 의성별차는유의미하였지만 n 양순음화 (0.876 >0.05) 의성별차는유의미하지않았다. (30) 동화유형별성별평가결과 Ⅱ
22 박선우 <m 연구개음화 > <n 연구개음화 > <n 양순음화 > 위치동화의지각에대한성별의차이를살펴본결과, 여성들이남성들보다규범적인언어나표준발음을선호한다는통념을벗어나지는않았다. 그러나 m 연구개음화 를제외한다면유의미한차이로는볼수없었다. 적어도실험대상인 20 대대학생혹은대학원생들사이에서는위치동화에대한남녀차는관찰하기어려웠다. 6. 결론 본연구에서는산출과지각이밀접하게관련되어있다는 Steriade (2001) 의논의를바탕으로한국어의위치동화에대한지각실험을실시하고실험결과를바탕으로위치동화의구체적인양상을살펴보았다. 피동화주의조음위치가치경음인환경에서일어난양순음화와연구개음화는긍정적으로지각되었지만피동화주가양순음인환경에서일어난연구개음화는부정적으로지각되었다. 따라서치경음의무표성은확인되었지만유표적인양순음과연구개음의비대칭적관계는확인하기어려웠다. 한국어를제외한자료에서언어보편적으로양순음과연구개음의비대칭성이관찰되지않는다는점을고려한다면한국어에서가정되고있는 연구개음 > 양순음 의유표적위계도재검토할필요가있다. 동화주가유기음이나경음인환경 (/ankʰa/-/ankˀa/, /anpʰa/- /anpˀa/) 은평음인환경 (/anka/-/anpa/) 보다위치동화가잘일어나는것으로확인되었다. 특히동화주가경음인환경 (/ankˀa/- /anpˀa/) 에서는동화된발음에대한평가점수가가장높았다. 이러한양상은경음의조음적특징에의한결과로이해할수있다. 경음은성대가긴장된다는특징외에도폐쇄가강하고긴편이므로선행자음의조음제스처에영향을미칠수있다. 후행자음인경음의조음제스처가확장되고선행자음의조음제스처와중복되면서위치동화가일어나는것으로보인다. 피험자들사이의개인별결과를비교해보았을경우개인차는심하지않았으며남녀간성별에따른차이도관찰되지않았다. 동화주가평음인환경 (/anpa/-/anka/-/amka/) 에서는피험자에따라다소편차가심한편이었다. 하지만피동화주가치경음인경우, 동화주가경음인경우위치동화가잘일어난다는전반적인경향을벗어나지는않았다.
한국어의위치동화에대한지각적분석 23 참고문헌 김선회. 2008. 조부효과와동화의유형적차이분석. 언어 33.4, 565-587. 박선우. 2008. 한국어위치동화의실험음성학적분석. 언어연구 25.2, 45-65. 경희대언어연구소. 박선우. 2010. 한국어의위치동화에대한분석 : 적합도설문평가를중심으로. 어문논집 62, 143-167. 성철재. 1996. 한국어비음의음향적특성에관한실험음성학적연구. 말소리 31, 9-22. 신지영. 1998. 한국어 / ㄷ, ㄸ, ㅌ, ㅈ, ㅉ, ㅊ / 의조음적특성에관한연구. 국어학 31, 53-80. 신지영 차재은. 2003. 우리말소리의체계 : 국어음운론연구의기초를위하여, 한국문화사. 이석재. 1999. 제약 SHARE CONDITION: 자음의조음간극과위치동화양상의상관성. 어학연구 35.3, 489-518. 최성원 전종호. 1998. 한국어경음 기음은중복자음인가. 어학연구 34.3, 521-546. 황연신. 2002. 한국어비음에관한실험음성학적연구. 서울대학교석사학위논문. BROWMAN, CATHERINE P. and LOUIS M. GOLDSTEIN. 1990. Tiers in articulatory phonology, with some implications for casual speech. In John Kingston and Mary E. Beckman (eds.), Papers in laboratory phonologyⅠ: Between the grammar and physics of speech, 341-76.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HUME, ELIZABETH. 2003. Language specific markedness: the case of place of articulation. Studies in Phonetics, Phonology and Morphology 9.2, 295-310. JUN, JONGHO. 1995. Perceptual and Articulatory Factors in Place Assimilation: An Optimality Theoretic Approach. PhD Dissertation. UCLA. JUN, JONGHO. 2004. Place assimilation. In Bruce Hayes, Robert Kirchner and Donca Steriade (eds.), Phonetically Based Phonology, 58-86.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KANG, YOONJUNG. 1999. The phonetic basis of coronal phonotactics. WCCFL 18, 232-45. KOCHETOV, ALEXEI and MARIANNE POUPLIER. 2008. Phonetic variability and grammatical knowledge: an articulatory study of Korean place assimilation. Phonology 25, 399-431. MCCARTHY, JOHN J. 2003. Comparative Markedness, Theoretical Linguistics 29, 1-51. NOLAN, FRANCIS. 1992. The descriptive role of segments: Evidence from assimilation. In Gerard J. Docherty and D. Robert Ladd (eds.) Papers in laboratory phonology Ⅱ : Gesture, segment, prosody, 261-80.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RINCE, ALAN and PAUL SMOLENSKY. 1993. Optimality Theory: Constraint Interaction in Generative Grammar. Ms. Rutgers University.
24 박선우 RICE, KEREN. 1996. Default variability: the coronal-velar relationship. Natural Language and Linguistic Theory 14.3, 493-543. SON, MINJUNG. 2008. Gestural overlap as a function of assimilation contrast. Korean Jurnal of Linguistics 33.4, 665-691. STERIADE, DONCA. 2001. Directional asymmetries in place assimilation. In Elizabeth Hume and Keith Johnson (eds.), The Role of Speech Perception in Phonology, 219-250. Academic Press. Sunwoo Park College of General Eduction Hanshin University 411 Yangsan-dong Osan Gyeonggi, 447-791, Korea e-mail: sunwoopark@naver.com received: March 5, 2011 accepted: April 15,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