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Living Environ. Sys. Vol. 23, No. 2, pp 207~216(2016) http://dx.doi.org/10.21086/ksles.2016.03.23.2.207 침실공간거주자의쾌적성및편리성에미치는공간구성인자의영향 이상원 1 김수영 2 1 KAIST 문화기술대학원, 2 연세대학교실내건축학과 Influence of Spatial Composition Elements on the Perception of Amenity and Efficiency for Bedroom Space Sangwon Lee 1 and Sooyoung Kim 2 1 Graduate School of Culture Technology, KAIST, Daejeon, Korea 2 Department of Interior Architecture & Built Environment,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Abstract : This study examines the influence of spatial elements on perception of amenity and efficiency to propose an effective alternative that can satisfy users' needs for bedroom space. Experiments and surveys were performed for bedrooms of a house, which were created virtually using software. Five bedrooms with different furniture layouts were used and forty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s and survey. Results indicate that the perception of amenity and efficiency enhanced, when the widths was longer than depths of bedrooms. Overall satisfaction in terms of amenity was influenced by the width, depth and finishing materials. The influence of a depth was stronger than other elements. The height of space was irrelevant to the satisfaction of amenity. Overall satisfaction in terms of efficiency was influenced by the height, depth and color of material. The width of space was not an influential factor for the satisfaction of efficiency. Key words : Spatial elements, Amenity, Efficiency, Virtual reality, Bedrooms, Satisfaction, Width, Depth, Height 1. 서론 건물이건축되어사용자가사용하는시점까지건물의설계과정에다양한단계가존재한다. 건물의공간의구성에대하여사용자는인지적반응과정을거쳐각공간에대한평가를하게되며, 이러한결과는공간에대한만족도에영향을미치게된다. 사용자의요구를충족하기위하여, 공간에대한사용자의요구가고려되어공간설계에반영되는과정이설계단계에반영되어야한다. 건물사용자가공간이설계되는과정에참여하여설계단계에서적절한공간구성이이루어지면, 설계과정의공간구성에대한합리적인방안이결정될수있다. 교신저자 : 김수영 ( 우 03722), 서울특별시서대문구연세로 50, 연세대학교실내건축학과전화번호 : +82-2-2123-3142 E-mail:sooyoung@yonsei.ac.kr 그러나이러한과정은불특정다수의사용자를대상으로건축되고있는주택설계과정에적용되는데있어서어려움이수반된다. 공간에대한사용자의만족도정도를설계단계에반영하기위하여다양한방법들이적용되고있으나, 사용자가공간에일정기간거주한이후공간에대하여평가를실시하는거주후평가방법 (Post Occupancy Evaluation) 이대안으로고려되어적용되어왔다 (Orihuela & Orihuela, 2014; Jiboye, 2012; Sherman, Varni, Ulrich & Malcarne, 2005; Skika, Sapri, Jibril, Sipan & Abdullah, 2012; Bordass, & Leaman, 2005; Stevenson & Rijal, 2010). 그러나거주후평가방법은사용자가건축된실제공간에거주한후공간에대하여평가하는과정을거치게되므로, 사용자의만족도에대한결과를반영하는데있어많은시간과비용이수반된다. 또한, 이러한방법은이미건축된공간에대하여사용자의평가를 207
208 이상원 김수영 얻는과정이므로, 건물이건축되기전에실시되는설계단계에사용자의평가및제안을반영하는데있어한계점이있다. 건축되는공간에대한사용자의평가는쾌적성 (amenity) 및편리성 (efficiency) 으로분류되어평가된다 (Yasushi, 2003). 공간에대한쾌적성은아름다움, 레크레이션등이충분히확보되는것을의미하며, 거주자의생활문화를배경으로다양한공간요소에의하여형성되는공간의질에대한종합적인평가결과로요약된다. 한편, 편리성은인간이어떤생활행위를하려고의도했을때스트레스없이그행위를수행할수있음을의미한다. 다양한조건의공간구성및조건에대하여공간사용자의쾌적성및편리성에대한만족도를향상하기위한과정은설계단계에효율적으로반영되어야한다. 이러한과정은건물의실질적인건축과정과별개로실제공간을동일하게구성한가상현실 (virtual reality) 조건에서형성된공간에대하여실시되어, 공간에대한사용자의요구가시간과비용적인측면에서효과적으로설계단계에반영될수있다. 따라서본연구에서는건축예정인단독주택을대상으로공간의조건변화에대한사용자의평가가분석되어, 공간에대한편리성및효율성을향상시키기위하여활용될수있는공간구성인자의결정에대한기초자료가정립된다. 이를위하여실제주택의공간이동일하게모델링된가상현실조건의공간에대하여실험및설문조사가실시되었다. 쾌적성은공간사용자의가치나생활양식과같은문화적요소에의하여영향을받으므로, 본연구에서는자연과근접거리, 공간의폭과높이에따른개방감, 구성요소간미적조화와같은공간요소의특징이쾌적성지각에영향을주는것으로가정되었다. 편리성의평가는손님접대의생활장면이설정되어진행되었으며, 공간에서의이동거리, 공간의폭및깊이에따른이용행동을지원하는적정크기, 가구의배치등과같은공간요소의특징이편리성감지에영향을주는것으로가정되어연구가진행되었다. OO 동에위치한대지에건축될예정이었으며, 2 층으로구성된단독주택이다. 대지에대한건물의배치를제외한주택의평면구성은 Figure 1 에세부적으로명시되어있다. 각층의면적은 138.24 m 2 로, 두개층모두동일한면적으로구성되어있으며, 각층의천장높이는 2.6 m 이다. 기준층인 1 층에는현관, 주방, 식사실, 거실, 침실, 및욕실이배치되어있으며, 2 층에는침실 4 개및욕실이배치되어있다. 본연구에서는각공간의용도에적합한가구가설치되는조건이설정되었다. 선정된주택의단위공간인각공간을현실적인조건과동일하게유지하기위하여, 가상현실조건에서공 2. 연구방법 2.1. 대상공간및가상현실화본연구에서는공간에대한사용자의평가를위하여, 건축예정중인단독주택이선정되어건물내부의각침실공간이대상공간으로적용되었다. 주택은서울시 Figure 1. Plan of house (top: 2 nd floor, bottom: 1 st floor). 한국생활환경학회지
침실공간거주자의쾌적성및편리성에미치는공간구성인자의영향 209 Table 1. Zone number and changed conditions of each space for virtual models Zone Name before change Changed conditions Name after change 1 Bedroom 1 Reduce width of window by 0.6m Bedroom 1 2 Bedroom 2 Increase height of ceiling by 0.6m Bedroom 2 3 Bedroom 3 Combine bedroom 3 with bedroom 4 Bedroom 3 4 Bedroom 4 5 Bedroom 5 Change the color of flooring material Bedroom 5 Figure 2. View of modeled house. 간을모델링할수있는시뮬레이션방법이활용되었다. 각공간에대한모델링은주택의전체공간이 ArchiCAD 로제작된후, 각공간별운용을위하여 Virtual Building Explorer (VBE) 형태로전환되어최종적으로완성되었다. 사용된 VBE는가상현실조건에서형성된각공간조건을둘러보기에적합한것으로알려져있으며, 사용자가사용하는데어려움이없는것으로알려져있다 (Arayici., Coates, Koskela, Kagioglou, Usher, & O'Reilly, 2011; Lou Maher, Liew, Gu, & Ding, 2005) 본연구에서각공간은 Figure 1에나타난공간의면적과동일하게모델링되었다. 모델링된주택의전경은 Figure 2에명시되어있다. 각공간에적용된설계요인의변화에대한사용자의평가를위하여공간별기본조건 (Base case) 과대안조건 (Alternative case) 의두가지조건이적용되었다. 설정된기본조건에비교되어변경된대안조건에대한세부사항및실험이진행되는동안사용된침실의번호는 Table 1에요약되어있다. 대안조건의경우, 침실 3과침실 4는서로합쳐져하나의공간으로사용되었으며, 침실 3으로설정되어실험에적용되었다. 기본조건에서침실 3으로분류된공간의출입문으로사용된출입구가합쳐진공간의출입문으로사용되었으며, 기본조건에서사용된침실 4의출입문은폐쇄되는것으로설정되었다. Table 2. Material and color assigned for each surface of bedroom Zone Surface Material Color 1 2 3 4 5 Ceiling Gypsum board + Paint Beige Wall Wall paper Beige Floor Wood Brown Ceiling Gypsum board +Paint Beige Wall Wall paper Beige Floor Wood Brown Ceiling Gypsum board + Paint Beige Wall Wall paper Beige Floor Wood Brown Ceiling Gypsum board +Paint Beige Wall Wall paper Beige Floor Wood Brown Ceiling Gypsum board +Paint Beige Wall Wall paper Beige Floor Wood Brown 기본조건의경우, 각침실의내부표면에적용된마감재와색상의종류는 Table 2 에요약되어있다. 침실 5(zone 5) 의경우, 기본조건에서설정된갈색의바닥마감색상이대안조건에서흑갈색으로변경되어설정되었다. 동일한면적및용도의공간에대한실험을위하여, 본연구의실험및설문에사용된공간은 1 층및 2 층에위치한 5 개의침실이다. 각 5 개공간에대하여기본조건과대안조건의두가지조건이적용되어종합 10 개의가상공간이형성되어본연구에활용되었다. 각공간별기본조건과대안조건이적용되어가상현실조건에서형성된공간에대한이미지의예는 Table 3 에명시되어있다. 2.2. 설문, 피험자및실험진행과정본연구의실험및설문과정에참여한참가자로부 제 23 권제 2 호 2016 년
210 이상원 김수영 Table 3. Selected views for the change of conditions used for each bedroom Zone 1 2 3 4 5 Base case (Before change) Alternative case (After change) 터수집되는분석용데이터는세가지분야로구성되었다. 참가자의특성파악을위한일반적인사항에대한부분, 공간의조건변화에대하여감지하는쾌적성 (amenity) 및편리성 (efficiency) 에대한부분으로분류되었다. 일반적인사항은참가자의나이, 직업, 교육정도등에대한부분으로구성되었다. 쾌적성에대한부분은공간을구성하고있는폭, 깊이, 높이의변화에대한감지정도와마감재및색상에대한인지정도로구성되었다. 편리성에대한부분은쾌적성부분과동일하게구성되어, 공간의폭, 깊이, 높이에대한감지정도와마감재및색상에대한부분으로구성되었다. 공간에대한전반적인만족도부분은쾌적성과편리성부분에공통적으로포함되었다. 세부적인설문내용은 Table 4 에요약되어있다. 실험에참가한참가자는각질문에대하여 Table 5 에명시되어있는 5 단계응답척도를사용하여각설문에응답하였다. 참가자는 25 세이상 50 세미만의남녀 40 명이선정되었다. 참가자의건강상태는사전에확인되어컴퓨터를이용한실험진행에시각및인지적인지장이없는사람들로구성되었다. 참가자는남자 27 명 (67.5%), 여자 13 명 (32.5%) 으로구성되었다. 연령은 20 대 30 명 (75%), 30 대 9 명 (22.5%) 및 40 대 1 명 (2.5%) 으로구성되었다. 교육수준은대학원이상 11 명 (27.5%), 대학졸업 21 명 (52.5%), 전문대졸업 6 명 (15%), 중고교졸업 2 명 (5%) 으로구성되었다. 참가자의직업은회사원 25 명 (62.5%), 학생 11 명 (27.5%), 전문직 3 명 (7.5%), 주부 1 명 (2.5%) 으로구성 Table 4. Questionnaire used for tests No. Questionnaire A1 Does the width of space affect that you feel amenity for space? A2 Does the height of space affect that you feel amenity for space? A3 Does the depth of space affect that you feel amenity for space? A4 Does the overall color of finishing material of space affect that you feel amenity for space? A5 Does the finishing material of space affect that you feel amenity for space? A6 Do you feel overall satisfaction for the space in terms of amenity? E1 Does the width of space affect that you feel efficiency for space? E2 Does the height of space affect that you feel efficiency for space? E3 Does the depth of space affect that you feel efficiency for space? E4 Does the overall color of finishing material of space affect that you feel efficiency for space? E5 Does the finishing material of space affect that you feel efficiency for space? E6 Do you feel overall satisfaction for the space in terms of efficiency? 한국생활환경학회지
침실공간거주자의쾌적성및편리성에미치는공간구성인자의영향 211 Table 5. Voting scale Answer Voting Scale Agree very slightly 1 Agree slightly 2 Agree moderately 3 Agree strongly 4 Agree very strongly 5 되었다. 참가자중대도시거주자는 23 명 (57.5%), 광역시거주자는 13 명 (32.5%), 중소도시거주자는 4 명 (10%) 으로나타났다. 따라서본연구의결과는 20 대와 30 대의대학이상의교육수준을지닌회사원또는학생의응답이설문내용에전반적인부분을이루고있는것으로판단된다. 참가자들은실험에참가하기위하여가상공간이설치된장소에도착하여실험에대한사전교육을받았다. 교육내용에는조성된공간에대한전반적인설명, 관련기기사용방법, 용어설명, 설문항목및응답요령이포함되었다. 사전교육이종료된후, 참가자의일반적인사항에대한설문이실시되었다. 사전교육과일반사항에대한설문이진행되는동안참가자들은본실험이진행되는컴퓨터환경에적응하여, 가상공간에대한실험에서발생될수있는오류는최소화되었다. 실험은 1 층현관부분에서부터각층에위치된공간을컴퓨터를이용하여이동하면서 (navigation) 각공간에서감지한정도에근거하여설문내용에대한응답을하는과정으로진행되었다. Table 1 및 Table 2 에명시된기본조건에대한평가가진행된후, 대안조건에대한평가가순차적으로진행되었다. 기본조건에서감지된기억에대한영향을최소화하기위하여, 20 분간휴식을취하며실험과관련되지않은개인이선호하는다른일을하도록하였다. 각조건에대하여공간에대한이동경로는참가자의의사에따라자유롭게결정되었다. Figure 3. Perception for amenity (Answer for questionnaire number A1). Figure 4. Perception for amenity (Answer for questionnaire number A2). 3. 결과및고찰 3.1. 쾌적성변화분포 Table 1 및 Table 2 나타나있는기본조건및대안조건이적용된공간에대하여실험참가자가감지한쾌적성반응에대한분석이실시되었다. 쾌적성감지에대한변화분포는 Figure 3~Figure 7 에나타나있다. 각그림에명시된값은실험에참가한전체참가자가 Figure 5. Perception for amenity (Answer for questionnaire number A3). Table 3 에요약된질문에대하여응답한결과의평균값을나타낸다. 공간의폭은공간이쾌적하게감지되는정도 (A1) 에적절한영향을주는것으로분석되었다 (M=3.0, SD= 0.56~M=3.80, SD=0.52). 기본조건에서대안조건으로 제 23 권제 2 호 2016 년
212 이상원 김수영 Figure 6. Perception for amenity (Answer for questionnaire number A4). (M=2.75, SD=0.55~M=3.75, SD=0.55). 예를들어, 침실 3 의경우가장긍정적인쾌적성조건이형성되었다 (M=3.75, SD=0.55). 이는공간에진입하는경우, 출입구부분에장애물이설치되지않은조건과공간의폭이깊이보다넓게형성되어공간에대한개방감이긍정적으로작용하여발생된것으로판단된다. 진입로부분에서출입문의폭정도실내로이동한후공간을감지할수있는침실 1 과침실 2 의조건에서쾌적성은낮게감지되는것으로분석되었다. 전반적으로쾌적성은폭과깊이가동일한정방형형태의침실 5 에비교하여폭이깊이보다넓은직사각형형태의공간에서양호하게나타난것으로분석된다. 마감재의색상 (A4) 과마감재의종류 (A5) 가쾌적성에미치는영향은공간의형태를결정하는공간의폭, 깊이높이의영향에비교하여상대적으로약한것으로분석되었다 (M=2.95, SD=0.39~M=3.60, SD=0.60). 이는공간에서쾌적성을감지하는데있어서공간의형태가마감재및색상에우선하는것을암시한다. Figure 7. Perception for amenity (Answer for questionnaire number A5). 조건이변화되는경우, 감지된쾌적성의차이는응답척도에서최대 0.2 감소되는것으로분석되었다. 천장높이가 0.6 m 증가된조건인침실 2 의경우공간의폭의영향은응답척도에서 0.1 감소되어높이만증가하는경우쾌적성은감소되는것으로나타났다 (M=3.55, SD=0.60). 창문의폭이감소되는조건이쾌적성미치는영향은응답척도에서 0.05 변화되어, 창문폭의감소에따른변화는약한것으로분석되었다. 공간의높이가공간이쾌적하게감지되는정도 (A2) 에미치는영향은공간의폭이쾌적성에미치는영향에비교하여, 약한것으로분석되었다 (M=2.90, SD= 0.45~M=3.50, SD=0.76). 붙박이장이설치되지않아상대적으로정방형의형태를지닌침실 5 에서쾌적성은가장높게감지되는것으로나타났다 (M = 3.50, SD=0.76). 기본조건에서설정조건이변화되는경우, 감지된쾌적성의차이는응답척도에서최대 0.15 로나타났다. 공간의깊이가공간이쾌적하게감지되는정도 (A3) 는영향은폭의영향과유사한것으로분석되었다 3.2. 편리성변화분포 Table 1 및 Table 2 에명시되어있는기본조건및대안조건이적용된공간에대하여실험참가자의편리성감지에대한변화분포는 Figure 8~Figure 12 에나타나있다. 공간의폭은공간이편리하게감지되는정도 (E1) 에적절한영향을주는것으로분석되었다 (M=3.05, SD=1.32~M=4.05, SD=1.55). 특히, 공간이폭이깊이에비교하여상대적으로넓은침실 3 의경우편리성에대한평가는긍정적인것으로나타났다. 1 층에위치한침실 1 의경우편리성부분에서도가장낮은평가를받은것으로분석되었으며 (M=3.05, SD=1.32), 이러한 Figure 8. Perception for efficiency (Questionnaire number E1). 한국생활환경학회지
침실공간거주자의쾌적성및편리성에미치는공간구성인자의영향 213 Figure 9. Perception for efficiency (Questionnaire number E2). Figure 12. Perception for efficiency (Questionnaire number E5). Figure 10. Perception for efficiency (Questionnaire number E3). Figure 11. Perception for efficiency (Questionnaire number E4). 결과는쾌적성의분석결과와유사한것으로나타났다. 천정높이가 0.6 m 증가되는대안조건이형성된침실 2 경우편리성에대한평가는긍정적인것으로나타났다. 그러나침실 3 과침실 4 의두개의공간이합쳐져넓은면적이형성된조건에대한편리성은응답 척도에서최대 0.4 감소되는것으로분석되었다. 공간의높이는공간이편리하게감지되는정도 (E2) 에영향을주는것으로나타났다 (M=3.15, SD=1.42~ M=3.90, SD=1.17). 높이의영향은침실 2 에서가장강한것으로분석되었지만, 천장높이가 0.6 m 증가되는대안조건의경우편리성은응답척도에서 0.75 감소되는것으로분석되었다. 이러한결과는침실공간의폭과깊이가정해진조건에서천장높이만증가하는조건은공간에대한편리성을향상하는데있어서부정적인영향을주는것임을암시한다. 공간이편리하게감지되는데있어서공간의깊이도효과적인인자 (E3) 로나타났다 (M=3.25, SD=1.12~M= 3.60, SD=1.31). 공간의높이가 0.6m 증가되는대안조건이형성된침실 2 의경우, 편리성에대한평가는응답척도상 0.45 증가하였다. 이는공간에서높이가증가하는경우, 감지되는깊이의영향은편리성에대한평가를증진하는요소로작용하는것을의미한다. 침실 3 과침실 4 공간이합쳐지는대안조건의경우, 편리성에대한평가는긍정적인방향으로증가하는경향이나타났다. 이는공간에진입하는경우, 공간의깊이에대한폭의변화로인하여형성되는비율의차이로인하여발생된것으로판단된다. 공간에적용된마감재의색상 (E4) 또는마감재의종류 (E5) 가편리성의감지에미치는영향은공간의폭, 깊이, 높이의영향에비교하여상대적으로약한것으로분석되었다 (M=3.00, SD=1.31~M=3.65, SD=1.23). 이는공간에서감지되는편리성은마감재의색상또는종류에의한영향보다는폭, 깊이및높이에의하여결정되는공간의형태에의하여더욱높은영향을받는것을암시한다. 이러한결과는쾌적성분석에서나 제 23 권제 2 호 2016 년
214 이상원 김수영 타난결과와유사하다. 3.3. 전반적만족도및상관성분석설정된침실공간에대하여쾌적성및편리성측면에대한전반적인만족도 (A6, E6) 분포는 Figure 13 및 Figure 14에명시되어있다. 각각의침실공간에대하여쾌적성측면에서의만족도는전반적으로양호한것으로나타났다 (M=2.95, SD=0.60~M=3.95, SD=0.76). 가구의배치로인하여실내에서활용되는공간의폭이깊이에비교하여넓은공간인침실 3에서가장높은만족도가나타났다 (M= 3.95, SD=0.76). 두개의침실공간이합쳐진후하나의공간으로적용된대안조건에서만족도는응답척도에서 0.32 감소되었다. 이는공간의깊이에비교하여공간의폭이필요이상으로확대되어발생된현상으로판단된다. 평면상에서다른침실공간에비교하여상대적으로활용가능한공간이좁은침실 1은쾌적성이가장낮은공 Figure 13. Overall satisfaction in terms of amenity. Figure 14. Overall satisfaction in terms of efficiency. 간으로평가되었다 (M=2.95, SD=0.60). 이는쾌적성측면에서공간에대한만족도를향상하기위하여공간의폭은신중히고려되어결정되어야함을의미한다. 공간에대한편리성측면에서의만족도는쾌적성측면에서의만족도보다높은것으로나타났다 (M=3.20, SD=0.62~M=4.08, SD=0.83). 쾌적성에대한만족도와유사하게침실공간 3 은가장높은만족도를제공하는공간으로평가되었다 (M=3.95, SD=0.51). 두개의공간이합쳐져공간의폭에대한깊이의비율이 2 배로증가된대안조건의침실 3 공간에서편리성에대한만족도는응답척도에서 0.13 증가하였다. 폭과깊이의비율이동일한침실 4 와침실 5 는효과적인만족도를제공하는공간으로평가되었다 (M= 3.95, SD=0.51~M=4.00, SD=0.63). 기본조건에비교하여대안조건에서변화된쾌적성및편리성측면에서의만족도는응답척도에서각각 0.32 와 0.17 을초과하지않는범위에서변화되어조건변화에따른만족도의변화는약한것으로분석되었다. 본연구에서는다중선형회귀분석 (multiple linear regression) 이실시되어공간에서감지된쾌적성및편리성에영향을미치는인자를분석하기위한예측모델식이개발되었다. 회귀분석에적용된종속변수 (dependent variable) 는쾌적성및편리성측면에서감지된전반적인만족도 (overall satisfaction) 이다. 또한, 적용된독립변수 (independent variable) 는설문에사용된모든항목에포함된내용이다. 적용된독립변수중에서신뢰도수준 0.05 이하를만족하는분포를나타내는변수만이선정되어최종예측모델식에독립변수로사용되었다. 쾌적성및편리성측면의만족도에대하여분석된다중선형회귀분석모델식은 Table 6 및 Table 7 에나타나있다. 분석된예측모델식은신뢰도수준 0.01 이하에서전반적으로유효한것으로나타났다. 독립변수와종속변수의상관성을나타내는결정계수 (r 2,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는쾌적성의경우 0.429, 편리성의경우 0.296 으로분석되었다. 이는각공간에서독립변수로사용된공간의폭, 높이, 깊이, 마감색상및마감재의영향이쾌적성및편리성에대한만족도에미치는영향을예측하는경우발생하는오차범위 (error variance) 가각각 42.9% 및 29.6% 감소하는것을의미한다. 쾌적성측면에서공간에대한만족도를예측을하는경우, 공간의폭, 깊이, 마감재는중요한인자로분석되었다. 특히공간의깊이의영향이다른인자에비교하여강한것으로나타났다. 이는공간에서감지되는 한국생활환경학회지
침실공간거주자의쾌적성및편리성에미치는공간구성인자의영향 215 Table 6. Linear relationship between overall satisfaction and influential factors for amenity Variable Unstandardized Coefficient B Std. Error t Sig. (Constant) 0.125 0.34 0.37 0.71 Width 0.272 0.08 3.61 0.00 Depth 0.511 0.08 6.57 0.00 Material 0.205 0.10 2.13 0.03 ANOVA r² = 0.429, F(3, 176) =44.00, Sig. = 0.00 Table 7. Linear relationship between overall satisfaction and influential factors for efficiency Variable Unstandardized Coefficient t Sig. B Std. Error (Constant) 2.197 0.18 12.21 0.00 Height 0.110 0.04 3.01 0.00 Depth 0.160 0.04 4.16 0.00 Color 0.168 0.04 4.30 0.00 ANOVA r² = 0.296, F(3, 175) =24.48, Sig. = 0.00 쾌적성측면의만족도를향상하기위하여공간의깊이에대한신중한고려가필요함을의미한다. 공간의높이는영향인자에서제외되어침실공간에서쾌적성측면의만족도에영향을미치는중요한요소는아닌것으로분석되었다. 반면, 편리성측면에서만족도에영향을미치는인자는공간의높이, 깊이및마감재의색상으로분석되었다. 쾌적성의경우와다르게, 선정된세가지인자모두편리성의감지에전반적으로균등한영향을주는것으로나타났다. 공간의폭은예측식에서제외되는것으로나타나, 침실공간에서편리성측면의만족도에중요한영향을미치는요소는아닌것으로분석되었다. 그러나편리성측면의만족도에대한예측모델식의결정계수는 0.296 로나타나, 설정된각변수사이의상관성이쾌적성측면의만족도에대한예측결과에비교하여약한단점이있는것으로판단된다. 공간의깊이는쾌적성및편리성측면의만족도를향상하기위하여공통적으로중요하게결정되어야하는요소로분석되었다. 이러한결과는공간에서감지되는쾌적성및편리성을향상하기위하여공간의깊이는공간설계과정에효과적으로반영되어야함을의미한다. 4. 결론및향후연구 본연구에서는공간구성요소가쾌적성및편리성에미치는영향을분석하기위하여, 가상현실조건에서형성된공간조건의변화에대한사용자의반응이분석되었다. 연구결과의요약은다음과같다. 1. 동일한면적의정사각형형태침실조건에서쾌적성및편리성은공간의폭이깊이보다넓은직사각형형태의가용면적이확보되는조건에서양호하게나타난것으로분석된다. 이는공간에진입하는경우, 출입구부분에장애물이설치되지않은조건과공간의폭이깊이보다넓게형성되어공간에대한개방감이긍정적으로작용하여발생된것으로판단된다. 2. 침실에대한쾌적성측면의만족도는공간의폭, 깊이, 마감재에의하여영향을받는것으로분석되었다. 특히, 공간깊이의영향은다른인자에비교하여강한것으로나타났다. 공간의높이는쾌적성측면의만족도에영향을미치는중요한요소는아닌것으로나타났다. 3. 침실에대한편리성측면의만족도에영향을미치는요소는공간의높이, 깊이및마감재의색상으로분석되었다. 세가지요소는편리성측면의만족도에전반적으로균등한영향을주는것으로나타났다. 공간의폭은만족도에중요한영향을미치는요소는아닌것으로분석되었다. 4. 공간의깊이는쾌적성및편리성측면의만족도를향상하기위하여공통적으로중요하게결정되어야하는요소로분석되었다. 이는공간에대한만족도를향상하기위하여, 공간의깊이는공간의형태결정에효과적으로반영되어야함을의미한다. 본연구에서는주택을구성하는공간중침실만이선정되어, 가상현실조건에서형성된조건에서제한된참가자를대상으로실험이진행되었다. 본연구의분석결과는가상현실공간에대하여실시된실험에근거하므로, 실질적인조건에적합하도록활용되기에는한계점이있다. 향후연구에서현실적인조건이반영되는공간에서보다다양한조건이적용되는경우에대한분석이실시되면효과적일것으로판단된다. 감사의글 본연구는 2014 년도정부 ( 미래창조과학부 ) 의재원으로한국연구재단의기초연구사업지원을받아수행된것임 (NRF-2014R1A2A1A11051162). 제 23 권제 2 호 2016 년
216 이상원 김수영 REFERENCES Arayici, Y., Coates, P., Koskela, L., Kagioglou, M., Usher, C., & O'Reily, K. (2011) BIM adoption and implementation for architectural practices. Structural Survey, 29(1), 7-25 Bordass, B. & Leaman, A. (2005). Making feedback and post-occupancy evaluation routine 1: A portfolio of feedback techniques. Building Research and Information, 33(4), 347-352 Jiboye, A. (2012). Post-occupancy evaluation of residential satisfaction in Lagos, Nigeria; Feedback for residential improvement, Frontier of Architectural research, 1(3), 236-243 Loe Maher, M., Liew S., Gu, N., & Ding, L. (2005) An agent approch to supporting collaborative design in 3D virtual worlds. Automation in Construction, 14(2), 189-195 Orihuela, J. & Orihuela,, P., (2014). Needs, values and post-occupancy evaluation of housing project customers; A pragmatic view, Procedia Engineering, 85, 412-419 Sherman, S. Varni, J. Ulrich, R. & Malcarne, V. (2005). Post-occupancy evaluation of healing gardens ina pediatric cancer center;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73(1), 167-183 Shika, S. Sapr, M. Jibril, J.Sipan, I., & Abdullah. S. (2012). Developing post occupancy evaluation sustainability assessment framework for retrofitting commercial office buildings: A proposal, Procedia- Social and Behavioral, 65, 644-649 Stevenson, F. & Rijal, B. (2010). Developeing occupancy feedback from a prototype to improve housing production. Building Research and Information, 38(5), 549-563 Yashshi A. (2003) Evaluation of residential environment. Spacetime Publisher, Tokyo and Korea 투고일 : 2016. 1. 21 수정접수일 : 2016. 3. 14 게재승인일 : 2016. 4. 22 한국생활환경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