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5, No. 5 pp. 2882-2892, 2014 http://dx.doi.org/10.5762/kais.2014.15.5.2882 ISSN 1975-4701 / eissn 2288-4688 재가취약계층여성노인을대상으로한우울 자살예방프로그램의효과 유재순 1, 김현숙 2*, 연현진 3 1 충북대학교간호학과, 2 한국교통대학교사회복지학과, 3 별뜰사회복귀시설 The Effect of Depression and Suicide Prevention Program for Vulnerable Community-Dwelling Elderly Women Jae-SoonYoo 1,Hyun-SookKim 2* andhyon-jinyon 3 1 DepartmentofNursing,ChungbukNationalUniversity 2 DepartmentofSocialWelfare,KoreaNationalUniversityofTransportation 3 Star-SquareCommunityPsychiatricRehabilitationCenter 요약본연구는재가취약계층여성노인을대상으로한우울 자살예방프로그램을개발하고그효과를검증하여지역사 회에서용이하게활용할수있는프로그램을보급하고자하는데그목적을두고있다. 우울 자살예방프로그램은인지행동 이론에기초하고, 선행연구결과를토대로연구자들에의해개발되었다. 프로그램의효과는시계열설계를이용한실험연구설 계로 12 명의재가여성노인을대상으로검증하였다. 우울 자살예방프로그램을적용한결과중재직전에비해중재직후에 는대상자의우울, 자살생각, 무망감수준에서통계적으로유의한변화가없었으나, 중재직전에비해중재 4 주후에는우울, 자살생각, 무망감수준에서통계적으로유의한변화가나타났다. 이상결과에근거하여지역사회정신건강증진센터또는복 지관의종사자들이본프로그램을적극활용할것을제언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rogram to prevent depression and suicidality in vulnerable community-dwelling elderly women, then to furthermore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in a community setting. The researchers designed the depression and suicide prevention program by combining a cognitive behavioral theory model with prospective research data. The effects of the program were measured by time-series design based on survey results from 12 vulnerable community-dwelling elderly women. The depression and suicide prevention program was implemented and feelings of depression, suicidal ideation, and hopelessness were measured 4 weeks before implementation, prior to implementation, immediately following implementation, and 4 weeks after implementation. Although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feelings of depression, suicidal ideation, and hopelessness immediately after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parameters 4 weeks follow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Therefore, we recommend the implementation of our program in community mental health care centers or welfare facilities. Key Words : depression, elderly women, mental health, suicide prevention program 1.1 연구의필요성 1. 서론 우울증은노년기에발생하는가장빈번한정신과적 문제중하나로, 연령이증가함에따라그유병율또한 증가한다 [1]. 미국정신의학회정신질환진단및통계편 본논문은 2012 년도충북대학교학술연구지원사업의연구비지원에의하여연구되었음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research grant of th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in 2012) *Corresponding Author : Hyun-Sook Kim(Korea National Univ. of Transportation) Tel: +82-43-820-5343 email: oldcare@hanmail net Received March 27, 2014 Revised (1st April 11, 2014, 2nd April 18, 2014) Accepted May 8, 2014 2882
재가취약계층여성노인을대상으로한우울 자살예방프로그램의효과 람 4판 (Diagnosticand StatisticalManualofMental Disorders-4thedition;DSM-IV) 진단기준에근거한우리나라노인의주요우울장애의시점유병율은 5.4-7.5% 로성인보다높고 [2-3], 다른아시아권국가들이나서구의 2-4% 보다높은것으로추정되고있다 [1]. 또한 CenterforEpidemiologicalstudies-DepressionScales (CES-D) 점수나노인우울척도 (Geriatric Depression Scale;GDS) 점수로정의된노인우울증상유병율은이보다더높은데, 조사방법이나대상인구의특성에따라다르게보고되어있다. 국내의경우노인우울증상유병율이 13.8%-51.5% 로연구방법에따라다양하게보고되어있고, 외국의경우도자료수집장소에따라지역사회거주자의 15%, 외래환자의 20%, 입원환자의 40%, 그리고수용시설거주자의 50% 이었다는결과도보고되어있다 [1]. 우리나라의급속한고령화를고려한다면향후노인에서우울환자는지속적으로더욱증가할것으로예측된다. 노인우울이사회적관심문제로대두된것은우울이자살을예측하는단일요인으로가장결정적요인이기때문이다 [4,5]. 자살기도를한경우에그렇지않는일반인보다평생동안주요우울장애를경험할위험이자살기도를 1회한경우에는 6.5 배,2 번이상한경우에는 7.9 배더높다 [6]. 우리나라에서자살은모든연령층에서발생하고사회전체와사회구성원모두에게영향을미치는심각한사회문제로,2010 년기준인구 10 만명당우리나라자살률은 33.5 명으로경제협력개발기구 (OECD) 회원국 ( 평균자살률 12.9 명 ) 중가장높다 [7]. 연령이증가할수록자살률은더높아 2012 년도 60 대의자살률은 10 만명당 42.4 명, 70 대는 73.1 명, 그리고 80 세이상은 104.5 명으로노인의자살문제는더심각하다 [8]. 이에빠른고령화, 핵가족화, 개인화, 급속한경제성장등많은사회변화를겪고있는우리나라의노인에있어서우울증관리의중요성이어느때보다강조되는시점이다 [7]. 보건복지부는생애주기별정신건강증진사업등자살예방을위한사업들을추진하고있으나, 이러한사업들은병원이나정신건강증진센터등과연계한우울증치료서비스를제공하는접근을위주로운영되고있다. 노인의우울증은타연령군에서의우울증과는달리비전형적인증상, 즉우울감을적게호소하고, 신체기능저하및신체적불편감호소, 인지기능저하가두드러지게나타 나노인들은이를우울증상으로받아들이지않고있고, 이로인해진단율과치료율이낮다는문제점이있으며정신건강문제, 정신건강의학과에대한부정적인식이팽배한노인들에게의료적접근은노인자살을예방함에있어효과적이지않을수있다 [12]. 따라서노인들이주로활동하는지역사회에서우울관리및자살예방개입을하는것이중요하다. 그동안국내에서우울또는자살사고를감소시키기위한프로그램을개발하고효과를검증한여러연구들이보고되었다 [12-15]. 재가노인이나경로당이용노인들에게자살예방프로그램을실시한결과자살에대한소망, 실제자살을시도하려는욕구, 자살하고싶은욕구, 그리고우울감소에효과적이었다는보고도있고 [12,13], 사회복지관이용노인들에게우울증예방프로그램을적용한결과우울감소에효과적이었다는보고도있으며 [14], 대상자를저소득층또는취약계층노인으로한정하여우울증예방을위한프로그램을개발하여그효과를검증한연구 [15] 도시도되었다. 그러나대부분의연구들이프로그램적용전후의단기효과를검증하고있어장기간의효과는검증되지않았으며, 우울이나자살위험성이높은노인을대상으로프로그램을운영한연구는부족한편이다. 노인우울증의위험요인으로여성, 낮은교육수준, 낮은경제적수준, 질병,85 세의고령, 농촌거주등이보고되어있다 [1,9,10]. 이러한요인들중에서특히경제적수준은건강문제와긴밀한관련이있어경제적으로취약한노인의우울문제는일반노인에비해더심각한실정으로 [11], 경제적으로취약한농촌거주노인을대상으로우울관리및자살을예방하기위한개입활동이절실히요구된다. 또한우울및자살은인구사회학적특성중특히성별에따라그양상이달라중재방법이달라야함에도불구하고 [16], 대부분의선행연구들은남녀노인에게동일한프로그램을적용하고효과를검증하여제시하고있다. 이에노인의성별을고려하여한층취약하여좀더적극적인우울예방활동을하는것이필요한여성노인을대상으로우울 자살예방프로그램을개발하고그효과를검증할필요성이있다. 인지행동이론은행동주의이론과부정적인기분이나행동을가져오는잘못된믿음을수정하도록하는인지이론을통합하여적용하는기법으로특히우울감소에효과 288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제 15 권제 5 호, 2014 적인것으로알려져있다 [17-19]. 또한노인들에게흔히적용되는활동요법들중회고또는회상요법은노년기우울과죽음불안감소에효과적인것으로보고되어있다 [20]. 이에본연구에서는취약계층재가여성노인들을대상으로인지행동이론과회상요법에근거한우울 자살예방프로그램을개발하고그효과를규명하고자한다. 1.2 연구목적본연구의목적은취약계층재가여성노인을대상으로한우울 자살예방프로그램을개발하여적용함으로써그효과를규명하고자하며구체적인목적은다음과같다. 첫째, 노인을위한우울 자살예방프로그램을개발한다. 둘째, 개발된프로그램을취약계층재가여성노인에게적용하여우울, 자살생각, 무망감감소에미치는효과를검증한다. 셋째, 프로그램의효과발생시기를파악하여지역사회정신보건및노인복지에적용할수있도록기초자료를제시한다. 1.3 연구가설본연구의가설은다음과같다. 가설 1: 우울 자살예방프로그램중재전후의시기 ( 중재 4주전, 중재직전, 중재직후, 중재 4주후 ) 에따라대상자의우울수준에차이가있을것이다. 가설 2: 우울 자살예방프로그램중재전후의시기 ( 중재 4주전, 중재직전, 중재직후, 중재 4주후 ) 에따라자살생각수준에차이가있을것이다. 가설 3: 우울 자살예방프로그램중재전후의시기 ( 중재 4주전, 중재직전, 중재직후, 중재 4주후 ) 에따라대상자의무망감수준에차이가있을것이다. 2. 연구방법 2.1 연구설계본연구는우울 자살예방프로그램이취약계층여성 노인의우울, 자살생각, 무망감감소에미치는효과를파 악하기위해중재 4 주전, 중재직전, 중재직후, 중재 4 주후 에자료수집이진행된단일군시계열설계를이용한유 사실험연구이다. 프로그램의효과발생시기를규명하기 위해중재종료 4 주후추후조사를실시하였으며추후조 사결과에시간경과효과, 대상자의성숙효과가개입했는 지의여부를파악하기위해중재 4 주전사전조사를추가 로실시하였다. [Fig. 1] Research design of the study. Pre-test Treatment Post-test Experimental group Y 1 Y 2 X Y 3 Y 4 remarks:y 1:beforetreatment Y 2::justbeforetreatment Y 3:justaftertreatment Y 4:aftertreatment 2.2 연구대상자 본연구에서는다음의선정기준을모두만족하는농 촌지역의재가취약계층여성노인을대상으로하였다. 1.C 지역에거주하는 65 세이상의여성노인으로국민 기초생활보장제도수급권자, 차상위및차차상위자, 행정기관의희망복지서비스를받는자, 및장애인 등록자중에서마을이장또는보건진료소장으로부 터프로그램참여에추천을받은자 2. 대화가가능할정도의의사소통능력및청력을가 진자 3. 본연구에참여하기를희망하고연구참여에서면 동의한자 연구초기중재 4 주전조사에는 21 명이참여하였으나, 중재직전조사에는 20 명 ( 응답율 95.2%) 이, 중재직후조 사에는 18 명 ( 응답율 85.7%) 이응답하였으며, 이후자발 적탈락자가발생하여중재 4 주후조사시에는최종적으 로 12 명 ( 응답율 57.1%) 이참여하였다. 2.3 우울 자살예방프로그램 2.3.1 우울 자살예방프로그램개발 우울 자살예방프로그램은인지행동이론을기반으로 하고 [17-19], 활동요법들중노인에게흔히적용되는활 동요법들중우울및죽음불안감소에효과가있는것으 로알려진회상요법 [20], 그리고치료레크레이션등을활 2884
재가취약계층여성노인을대상으로한우울 자살예방프로그램의효과 [Table 1] Depression and suicide prevention program Session Theoretical Background Sessionspecific Program Contents commonto alsession Remarks 1 SelfIntroduction& Orientation Formingrapport 2 Drawingmylifecurve Formingrapport Reminiscence 3 Exercise,game, singingetal Stressmanagement Therapy Program warm up 4 Whoisthebest3personsinmylife? findresources activity 5 Whatmakesmefeelinggood? Sharinghereandnow Cognitive- & 6 Boastofone'ssuccessandbepraised Behavioral Therapeutic Buildupthestrength Verbalizingone'swory. 7 Therapy recreation Cognitivereconstruction Whatismyirationalbelief? Sharingthethoughtsandfeelingsaboutthe 8 Wrapup Evaluation program 용한우울및자살예방프로그램을실시한선행연구들을참고하여 [12-15] 연구자들이구성하였다. 본연구자들이개발한프로그램의타당성을검증하기위해정신간호학전공교수와정신보건임상심리학전공교수의자문을받아프로그램을수정 보완하였다. 본프로그램은 4주간주 2회씩,1 회당 70 분씩적용하도록구성되었으며회기별운영내용은다음과같다 [Table1]. 1회기는도입단계로서프로그램에대한설명과동시에프로그램의목적에대해이야기하는시간이다. 노인우울및자살예방프로그램에대한설명과우울및자살예방교육훈련, 자기소개, 프로그램실시하는동안부를별칭을정하여집단원간친밀감을형성한다.1 회기에서는진행자와스텝도함께소개한다.2 회기부터 4회기는과거에대한회상을하는단계로 2회기에는 나의일, 힘들었던일, 잊지못하는일, 그리고그자인생곡선그리기 를실시하였다. 내인생에서리에서자신의역할과소중함을생각하는시간중요한시기를중점으로곡선을그리며좋았던을갖고발표를하면서감정을공유한다.3 회기는스트레스관리로레크리에이션실시한다 ( 건강박수, 건강율동, 난센스퀴즈, 풍선게임, 노래부르기등 ).4 회기에는내인생에서소중한사람들을생각하는단계이다 ( 가장생각나는사람, 나에게긍정적으로영향을주었던사람, 가장닮고싶은사람, 내가좋아하는사람등 ). 유인물을나누어주고 나에게소중한사람 best3" 를적어보고함께발표하는시간을갖는다. 5회기부터 7회기까지는인지재구조화단계로현재를강화한다.5 회기는좋아하는사람부터물건, 노래, 음식, 일, 취미, 연예인, 텔레비전프로그램, 여행, 계모임등나를기분좋게만드는것들에대해생각해보며,6 회기는 다른사람들이경험해보지못했을것같은일이나스스로생각해도자랑스러운경험을한가지씩이야기하고옆사람과칭찬릴레이를이어간다. 칭찬릴레이는참여자들이어려워할때까지계속돌아가자신의강점이많다는것을인식할수있도록돕는다. 7회기는현재자신의고민을다른사람에게표현하고, 고민의문제가어디에서나타나고형성되었는지를파악해보며타인의의견을들어자신의신념에대해고찰해보는시간을가짐으로서인지재구조화를돕는다. 8회기는마무리단계로추억이담긴또는보여주고싶은사진을가져와사진에담긴내용, 사연, 추억등을이야기한다. 마지막으로프로그램에대한소감을이야기나누고프로그램에목적에대해리뷰하는시간을갖는다. 2.3.2 우울 자살예방프로그램의적용연구대상자에게본프로그램을적용하기전에프로그램운영시의시간, 문제점등을파악하기위해취약계층노인을대상으로프로그램의파일럿적용을실시하였다. 파일럿적용을통해프로그램을정련하였으며, 설문조사 4시점모두참여율이 58.3%(12 명중 7명 ) 으로연구대상자중도탈락률이높음을예상할수있었다. 우울 자살예방본프로그램진행은주진행자 1인 ( 정신보건전문요원수련생 ) 및보조진행자 2인 ( 정신보건전문요원, 사회복지학과대학생 ) 이주관하였다. 프로그램진행전에정신보건전문요원인연구자가프로그램목적, 프로그램진행시유의점, 프로그램의회기별진행사항과회기별프로그램의목적등에대해프로그램진행자및보조진행자훈련을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을마친후진행자및보조진행자들과사후모임을통해프로그램진행시유의할점, 특별히중점적으로보아야할대상자 288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제 15 권제 5 호, 2014 등에대해논의하고피드백을주었다. 2.4 자료수집도구본연구에서우울 자살예방프로그램의효과측정은연구자가구조화한설문지를이용하였다. 설문지에포함된표준화된척도는다음과같다. 2.4.1 우울본연구에서우울은 Sheikh 와 Yesavage[21] 이개발한노인우울척도단축형 (GeriatricDepression Scale Shortform;GDSSF) 을 Ki[22] 가번역하고신뢰도및타당도검증을거친한국판노인우울척도단축형 (GDSSF-K) 을사용하여측정하였다. 이척도는총 15 개의문항으로구성되어있으며, 각문항 예, 아니오 로응답하도록되어있어, 총점수의범위는 0-15 점이다. 점수가높을수록우울정도가높은것을의미한다.Sheikh 와 Yesavage(1986) 이개발한 GDSSF 의신뢰도계수 Cronbach's α=.95 이었으며 [21], Ki(1996) 의연구에서 Cronbach'sα=.88 이었고 [22], 본연구에서는본연구에서의 Cronbach'sα=.72 로나타났다. 2.4.2 자살생각본연구에서자살생각은 Beck 등 [23] 이개발하여신민섭등 [24] 이번안수정한자기보고형자살생각척도지 (ScaleforSuicidalIdeation;SSI) 를사용하여노인의자살생각정도를측정하였다. 이도구는 얼마나자주자살하고싶은생각이드는가?, 자살하려는글 ( 유서 ) 을쓴적이있는가? 등자살에대한유혹, 충동, 경험등자살해야겠다는생각을측정하는총 19 문항, 각문항 3점척도로구성되어있다. 총점은 0-38 점이고, 점수가높을수록자살생각을많이한것을의미한다. Beck 등 (1979) 이개발한자살생각척도의신뢰도는 Cronbach's alpha=.89 이었으며 [23], 본연구에서는 Cronbach'salpha=.70 로나타났다. 2.4.3 무망감노인의미래에대한부정적이고비판적인생각인무망감을측정하기위해 Beck 등 [25] 이개발한무망감척도 (BeckHopelessnessScale;BHS) 를신민섭등이번안하고서혜석 [26] 이수정하여사용한도구를사용하여무망감을측정하였다. 이도구는 내가원하는것을가질 수없으므로무엇을원하는것은바보같은일이다, 나는미래에나쁜일보다는좋은일이더많을것이라고기대한다 등의 9개문항으로구성되어있으며, 각문항 5점척도로점수가높을수록무망감정도가높음을의미한다. 서혜석 (2006) 의연구에서신뢰도 Cronbach's alpha=.883 이었고 [26], 본연구에서는 Cronbach'salpha=.77 로나타났다. 2.5 자료수집방법본연구의자료수집기간은 2012 년 7월 1일부터 11 월 20 일까지충북 C군소재경로당 3곳의승인을받아실시하였다.4인 ( 정신보건전문요원, 정신보건전문요원수련생, 사회복지학과대학생, 간호학과대학생 ) 으로구성된자료수집요원이구조화된설문지를이용하여중재 4주전, 중재직전, 중재직후, 그리고중재 4주후에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을하기에앞서자료수집요원들에게연구및프로그램의목적과내용, 설문조사시유의점등에대한교육을시행하였다. 자료수집요원이각연구대상자에게설문의취지를설명하고설문지를나누어주고응답하도록하였다. 설문지를스스로작성하기어려운대상자들의경우일대일면접을통해자료수집요원이직접각문항을질문하고대상자의응답에따라기록하는방식으로수집하였다. 2.6 자료분석방법수집된자료는 SPSS19.0 을사용하여분석하였다. 대상자의사회인구학적특성은빈도와백분율로분석하였다. 프로그램중재전후시기 ( 중재직전, 중재직후, 중재 4 주후 ) 별결과변인의차이는 repeatedmeasureanova 에대응하는비모수검정법인 Friedman 검정법을이용하였으며,Friedman 검정결과에대한사후검정, 프로그램중재전시기별 ( 중재 4주전, 중재직후 ) 결과변인의차이는비모수대응표본검정법인 WilcoxonSignedRanked 검정법을이용하여분석하였다. 연구도구의신뢰도는 Cronbach'salpha 와 K-R20 으로측정하였으며각통계량의유의수준은 p<.05 에서가설을채택하였다. 2.7 연구대상자의윤리적고려본연구는충북대학교생명윤리심의위회의심의 [IRB No.CBNU-IRB-2012-Q01) 를거쳐시행되었다. 연구대상노인에게연구의목적과참여방법을설명하고연구 2886
재가취약계층여성노인을대상으로한우울 자살예방프로그램의효과 참여의사를확인하여대상자의서면동의를받은후연 구를진행하였다. 3. 연구결과 3.1 연구대상자의인구사회학적특성 연구대상자의평균연령은 78.50(±10.94) 세이었으며, 대상자의과반수이상의학력수준이무학 (50.0%) 이었으 며, 현재신체적질환을가지고있었고 (66.7%), 독거노인 (66.7%) 이었다 [Table2]. [Table 2]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N=12) Characteristics Categories N(%) Age 65-69 5(41.7) 70-79 1(8.3) 80-89 2(16.7) >90 4(33.3) M±SD 78.50±10.94years Education Noformal education 6(50.0) Elementary school 4(33.3) Middleschool 2(16.7) Disease Yes 8(66.7) No 4(33.3) Living Withfamily 4(33.3) Alone 8(66.7) 3.2 가설검정 가설검정결과는다음과같다 [Table3]. 제1가설 : 우울 자살예방프로그램중재전후의시기별 ( 중재 4주전, 중재직전, 중재직후, 중재 4주후 ) 대상자의우울수준은차이가있을것이다.' 는지지되었다. 프로그램중재전후시기별대상자의우울수준은중재 4주전 8.08±3.58, 중재직전 7.83±5.92, 중재직후 6.83±3.95, 중재 4주후 4.42±3.40 으로시기별로유의한차이를보였다 (χ 2 =9.682,p=.021). 사후검정을위해 WilcoxonSignedRanked 를이용한검정결과, 중재 4주전과중재직후 (Z=-0.536,p=.592) 중재직전과중재직후 (Z=.000,p=1.000) 의우울수준간에는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가없었다. 중재 4주후우울수준 (4.42±3.40) 이중재직후 (6.83±3.95) 에비해 2.71 점감소되어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가있는것으로나타났으며 (Z=-2.579,p=.010), 중재 4주후의중재 4주후의우울수준은중재직전에비해 3.41 점감소되어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를보였다 (Z=-2.406,p=.016). 제2가설 : 우울 자살예방프로그램중재전후의시기별 ( 중재 4주전, 중재직전, 중재직후, 중재 4주후 ) 대상자의자살생각수준은차이가있을것이다. 는지지되었다. 즉프로그램중재전후시기별대상자의자살생각수준은중재 4주전 1.75±1.91, 중재직전 3.17±3.83, 중재직후 2.08±2.97, 중재 4주후 0.58±1.24 로시기별로유의한차이가있는것으로나타났다 (χ 2 =11.194,p=.011). 사후검정결과, 중재 4주전과중재직전 (Z=-1.930, p=.054), 중재직전과중재직후 (Z=-1.078,p=.281), 중재직후와중재 4주후 (Z=-1.876,p=.061) 자살생각의차이는유의한차이가없었다. 중재직전 (3.17±3.83) 에비해중재 [Table 3] Differences in Dependent Variables between before and after Treatment (N=12) Variables Depression Suicide Ideation Hopelessness Time Tx=Treatment before Tx just before Tx just after Tx after Tx before -just before just before -just after just after- after just before- after M±SD M±SD M±SD M±SD X 2 (p) Z(p) Z(p) Z(p) Z(p) 8.08± 7.83± 6.83± 4.42± 9.682 -.536.000-2.579-2.406 3.58 5.92 3.95 3.40 (.021) (.592) (1.000) (.010) (.016) 1.75± 1.91 21.33± 5.09 3.17± 3.83 22.58± 8.33 2.08± 2.97 18.17± 6.64 0.58± 1.24 16.00± 5.20 11.994 (.011) 6.500 (.090) -1.930 (.054) -.102 (.919) -1.078 (.281) -1.633 (.102) -1.876 (.061) -1.164 (.106) -2.687 (.007) -2.313 (.021) 288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제 15 권제 5 호, 2014 4주후 (0.58±1.24) 의자살생각수준이통계적으로유의하게감소되었다 (Z=-2.687,p=.007). 제3가설 :' 우울 자살예방프로그램중재전후의시기별 ( 중재 4주전, 중재직전, 중재직후, 중재 4주후 ) 대상자의무망감수준은차이가있을것이다 는기각되었다. 프로그램중재 4주전의무망감 21.33±5.09, 중재직전 22.58±8.33, 중재직후 18.17±6.64, 중재 4주후 16.00±5.20 로시기별유의한차이가없는것으로나타났다 (χ 2 =6.500,p=.090). 사후검정결과중재 4주전과중재직전 (Z=-0.102, p=.919) 중재직전과중재직후 (Z=-1.633.p=.102), 중재직후와중재 4주후 (Z=-1.164,p=.106) 의무망감수준에는유의한차이가없었으나, 중재직전에비해중재 4주후의무망감수준이유의하게감소한것으로나타났다 (Z=-2.313,p=.021). 4. 논의본연구는최근심각한사회문제로대두된노인의우울과자살문제를예방하기위한지역사회정신건강증진전략의일환으로우울 자살예방프로그램을개발하여그효과를규명하기위하여시도되었다. 본프로그램은인지행동이론을기반으로하여 4주간주 2회씩총 8회기중재로구성되었으며. 프로그램중재후추후효과를규명하기위해중재 4주전, 중재직전, 중재직후, 중재 4주후등총 4회에걸쳐연구변인을조사하였다. 연구대상자는노인우울증의위험요인인낮은경제상태뿐아니라교육수준이낮고농촌지역에거주하는재가여성노인이다. 연구결과, 프로그램중재 4주전, 중재직전, 중재직후, 중재 4주후등의 4시점에서의우울과자살생각은유의한차이가있는것으로나타났다. 사후검정결과, 중재직전과중재직후의우울, 자살생각의점수가약간감소하였으나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를보이지않았다. 반면에중재직전과중재 4주후의차이를비교한결과에서는우울, 자살생각, 무망감등의모든연구변인수준이유의하게감소한것으로나타났다. 특히연구대상자의중재직전의우울수준이 7.83(±5.92) 점으로경증우울군으로분류되었으나, 중재 4주후의우울수준은 4.42(±3.40) 으로 정상수준으로변화되었다는점은주목할만결과로볼수있겠다. 취약계층여성노인의우울, 자살생각, 무망감감소등정신건강증진을위해서는 4주간의단기간프로그램으로즉각효과가나타나지않고프로그램종료 4 주후시점에서효과가나타났는데, 그이유를다음과같이추정할수있겠다. 중재 4주전기간이나중재직후부터중재 4주후까지기간동안에연구대상자거주지역에본프로그램과유사한프로그램이운영되었거나해당지역의보건소, 보건진료소등의공공보건기관을통해유사한관리프로그램이개입된적이없었음이확인되었으며. 프로그램중재 4주전과중재직전의연구변인수준에유의한차이가없었다는점을고려할때, 본연구결과에대한다음의해석이가능하다. 즉실험연구의경우동일한측정도구에의한반복조사시야기될수있는시험효과, 또는중재전후조사시기의시차사이에개입될수있는시간경과효과 ( 또는제3변수개입 ) 나실험자내부에서발생하는심리적변화로인한성숙문제등의내적타당도위협요인들은본연구에서연구변인들에통계적으로유의한영향을미치지않았다고해석할수있을것이다. 따라서중재직전과비교하여중재 4주후에유의하게연구변인들의수준이감소한것은중재프로그램의효과로추정된다. 그러나본연구에서연구대상자의중도탈락률이높았던점, 대조군을선정하지않아발생가능한외생변수를통제할수없었던점은본연구결과의내적타당도를위협하는요인으로남아있다. 한편, 프로그램중재직전과비교하여중재직후의연구변인수준에유의한차이를보이지않은본연구의결과는, 프로그램중재직후우울점수가유의하게낮아진것으로보고한선행연구들의결과와는차이가있으며 [13-15,27],4 주동안의실험처치후우울수준에유의한차이가없었던것으로보고한조계화의연구와는유사한결과이다 [28]. 연구자에따라우울또는자살생각을예방하기위해구성한프로그램의특성, 중재시기, 연구대상자선정기준이달라연구결과들이상이하게나타난이유를추정하기는어렵다. 특히본프로그램의경우총 8회기중재중 3회기에걸쳐중재한인지행동프로그램의특성상정서적요소가강한우울상태를변화시키기에는본프로그램의처치효과가미약했던것으로사료된다. 조계화가만성질환노인의자살예방을위해실시한 4주간주 2회실시된간호사의함께있음프로그램의효과결과도자살생각및삶의만족도점수는통계적으로유의 2888
재가취약계층여성노인을대상으로한우울 자살예방프로그램의효과 하게변화되었으나우울은통계적으로유의한변화가나타나지않아, 노인의우울감소를위해서는처치기간을연장해볼필요성이있다고제안했었다 [28]. 이에향후인지행동집단상담프로그램직후노인의우울감소효과를높이기위해서는좀더심화된인지행동프로그램을구성하고, 처치기간을연장해볼필요성이있겠다. 또한프로그램중재직후우울점수가유의하게낮아진것으로보고한선행연구들의경우프로그램참여자가대부분경로당또는사회복지관이용노인인반면에 [13,14,28], 본연구대상자는우울및자살위험요인으로알려진여성노인이었고, 대상자전원이기초생활수급자또는차상위계층으로저소득자들이었으며, 과반이무학으로교육수준이낮았고, 농촌지역에거주하는재가노인으로많은우울및자살위험요인을지닌취약계층이었다는점에그차이가있다. 특히본연구대상자의과반수이상 (66.7%) 이만성질환자임을고려할때, 중재로인한효과가나타나기까지즉각효과가나타난다른대상자의경우보다장기적인시간경과가필요한것으로볼수있다. 본프로그램에적용된인지행동집단상담프로그램은노인우울증의중재방안에대한문헌고찰결과우울에빠지게했던믿음과비관적인사고를확인하고변화시키도록도와서우울을감소시키는데효과적이라고밝힌연구결과와같이 [29], 우울과스트레스, 고독감, 자살사고를줄이는데효과적인프로그램이다 [19]. 본연구결과와유사한결과로김상식등은우울치료프로그램, 노인자살예방인지교육프로그램등을실시하여우울증에과거회상및운동, 레크레이션등이효과적이라는결과를보였고, 자살예방인지교육프로그램이이후자살생각감소에영향을주었음을확인하였다 [12]. 그리고김미혜등은노인우울증예방프로그램으로스마일교실프로그램을운영, 노인의대인관계를돌아보고이들관계에서오는문제를해결하는회상과인지행동기법 ( 인지구조와행동패턴의변화 ) 을모두활용하여우울증예방에효과적이라고보고했다 [14]. 선행연구들과달리본연구에서적용된우울자살예방프로그램은재가노인에게접근성이높은지역사회기반정신건강증진센터나사회복지관종사자들이용이하게활용할수있도록정신간호학전공교수와임상심리학교수의자문을받아연구자들이개발하였으며, 정신보건수련생인사회복지사를주진행자로활동하도록하였다. 본연구결과의추후효과를고려하여지역사회정 신건강증진센터또는지역사회복지관의종사자들이본프로그램을지속적으로활용할것을제언한다. 본연구에서사용된프로그램적용시어려웠던점은우울및자살생각위험요인이있는노인들은외부활동을거의하지않아대상자표집에어려움이있었고, 노인들이주로활동하는경로당을활용하여프로그램을진행한결과연구대상자외의노인들이참여하길원해서함께프로그램에참여시킬수밖에없었으며, 연구대상자의중도탈락률도높았다는점등을들수있다. 본연구의중도탈락률이높은주요원인중의하나는자료수집기간이 12 주간으로길었다는점을들수있다. 즉중재직후참여율이 85.7% 인반면에중재 4주후시점에서는참여율이 57.1% 로대폭감소하였다. 그리고또다른높은중도탈락률은원인은연구대상자의반수이상이 80 세이상의고령노인이고, 만성질환자이며, 독거노인이었기때문에프로그램운영일에날씨가나쁜경우프로그램운영장소인경로당과집의거리가먼경우경로당까지이동하는데어려움이있어프로그램에참석하지못하는경우가종종발생했기때문이다. 이러한점은재가노인을대상으로하는자발적참여에의한집단프로그램운영의제한점이다. 본연구대상자의특성을고려할때총 12 주동안실시된 4회의연구변수설문조사에의참여, 그리고 4주동안주 2회씩총 8회기프로그램에빠짐없이참석하는것은상당히어려운일이었을것이다. 그럼에도불구하고이기간프로그램에참석하고중재 4주후추후조사에도참여해준연구대상자가 57.1% 였음은프로그램에만족하신분들이절반이상이었던것으로해석할수있을것이다. 중재 4주후연구대상자의가정을방문하여탈락률을줄일수있었으나재가를방문하여자료를수집하지않은이유는경로당집단모임자체의효과를배제하기위해서였다. 이에재가취약계층여성노인을위한프로그램은개별상담등의접근법을고려할필요성이있다고생각된다. 그리고시설노인을대상으로인지행동적집단상담을매회기 90 분간주 2회씩 5주에걸쳐실시한유현숙등의연구결과 [18] 노인들의자아존중감을종속변수로측정하여중재직후통계적으로유의한효과가나타났고, 그효과가 8주후까지도안정적으로유지되는것으로보고하고있으므로프로그램의효과변수를자아존중감과같은긍정적심리변화로설정하여효과를검증하는반복연구를제언한다. 또한본프로그램은취약계층여성노인만을대상으로하였으므로다양한세 288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제 15 권제 5 호, 2014 팅의대상자를대상으로확대하여효과를검증하는반복연구가필요하다. 5. 결론정신건강문제중자살문제가점점심각해지고있고특히노인들의자살문제는더욱심각한사회문제로대두되고있다. 우울은노년기에발생하는가장빈번한정신과적문제중의하나이며자살을예측할수있는가장중요한정신건강문제이다. 그리고경제적어려움은우울과자살에직접적원인이며, 남성에비해여성은특히우울증에취약하다. 이에본연구에서는취약계층재가여성노인들을대상으로인지행동이론에기초하고선행연구결과를토대로연구자들에의해개발된우울 자살예방프로그램을개발하고, 시계열설계를이용한실험연구설계로 12 명의재가여성노인을대상으로그효과를검증하였다. 본연구결과우울 자살예방프로그램은연구우울 자살예방프로그램을적용한결과중재직전에비해중재직후에는대상자의우울, 자살생각, 무망감수준에서통계적으로유의한변화가없었으나, 중재직전에비해중재 4주후에는우울, 자살생각, 무망감수준에서통계적으로유의한변화가나타났다. 따라서우울 자살예방프로그램은재가취약계층여성노인의정신건강수준을증진시키는데장기적인효과가있고, 일반간호사나사회복지사가쉽게접근할수있는중재방법으로활용될수있을것으로사료된다. 이상결과에근거하여지역사회정신건강증진센터또는복지관의종사자들이본프로그램을지속적으로활용할것을제언한다. 단이프로그램은실험군취약계층여성노인만을대상으로하였으므로통제군을둔순수실험설계에의한프로그램효과의검증및다양한세팅의대상자를대상으로확대하여그효과를검증하는반복연구를제언한다. References [1] J. H. Park, K. W. Kim, A review of the epidemiology of depression in Korea, Journal of Korean Medical Association, 54(4), pp. 362-369, 2011. DOI: http://dx.doi.org/10.5124/jkma.2011.54.4.362 [2] G. H. Suh, J. K. Kim, B, K, Yeon, et al,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dementia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9, pp. 809-824. 2000. [3] J. H. Park, J. J. Lee, S. B. Lee, et al, Prevalence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and minor depressive disorder in an elderly Korean population: results from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n Health and Aging (KLoSHA),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125, pp. 234-240, 2010. DOI: http://dx.doi.org/10.1016/j.jad.2010.02.109 [4] H. S. Kim, A study on epistemology of Korean elder`s suicidal thought,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2(1), pp. 159-172, 2002. [5] H. J. Jeon, Depression and suicide, Journal of Korean Medical Association, 54(4), pp. 370-375, 2011. DOI: http://dx.doi.org/10.5124/jkma.2011.54.4.370 [6] M. J. Cho, S. M. Chang, B. J. Hahm,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major mental disorders among Korean adults: a 2006 National Epidemiologic Survey.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48, pp. 143-152, 2009. [7] Y. S. Chang. Current state of suicide rate and policy issu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Issue & Focus, 165, pp. 1-8, 2012. [8] Statistics Korea, 2012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cited 2013 Sep 25],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6/2 /index.board?bmode=read&bseq=&aseq=308559&page No=1&rowNum=10&navCount=10&currPg=&sTarget=ti tle&stxt= (accessed Jan, 2, 2014) [9] Carleton RN, Thibodeau MA, Teale MJN et al.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A Review with a theoretical and empirical examination of item content and factor structure. PLoS ONE, 8(3), e58067, 2013. doi:10.1371/journal.pone.0058067 DOI: http://dx.doi.org/10.1371/journal.pone.0058067 [10] G. H. Suh, J. K. Kim, B. K. Yeon et al.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dementia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9, pp. 809-824, 2000. [11] S. S. Kwon, Y. K. Chung, H. J. Kwon, Comparison of depression level of poor elderly and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3(1), pp. 30-38, 2002. [12] S. S. Kim, M. K. Kim, H. S. Kim, Verification study of Elderly suicide prevention program effectiveness. Report of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0. 2890
재가취약계층여성노인을대상으로한우울 자살예방프로그램의효과 [13] K. S. Lim, H. S. Kim, Effect of life respect programs for the elderly on depression, suicidal ide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elderly,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55, pp. 201-222, 2012. [14] M. H. Kim, S. D. Chung, G. Y. Le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preventive mental health prograrm for depression among the elderly in community-focused on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user,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44(3), pp. 318-345, 2001. [15] Y. H. Ahn, A community-based integrated preventive program of depression and its effectiveness in caring for vulnerable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4(2), pp. 287-298, 2003. [16] C. G. Kim, S. M. Park, Gender difference in risk factors for depression in community-dwelling eld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2(1), pp. 136-147, 2012. [17] Wikipedia,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Available F rom: ht tp://en.wikipe dia.org/wiki/cognitive _behavioral_therapy (accessed Dec. 10, 2013) [18] H. S. Yoo, H. W. Lee, M. A. Do, The Effect of cognitive-behavioral group counseling on self-esteem in the institutionalized elderly, Mental Health & Social Work, 40(2), pp. 117-137, 2012. [19] Rudd, M. D. Brie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BCBT) for suicidality in military populations. Military Psychology, 24(6), pp. 592 603, 2012. DOI: http://dx.doi.org/10.1080/08995605.2012.736325 [20] I. S. Yeo, C. K. Kim, Effects of the life review-narrative group therapy program on decreasing depression and death anxiety in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4(5), pp. 113-128, 2006. [21] Sheikh, J. I., Yesavage, J. A. Geriatric depression scale(gds) recent evidence and development of a shorter version. Clinical Gerontology, 30, pp. 319-325, 1986. [22] B. S. Ki. A Preliminary Study for the Standardizat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Korea Version,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5(2), pp. 298-302, 1996. [23] Beck, A.T., Kovacs, M.,, Weissman, A. Assessment of suicidal intention: The Scale for Suicide Ideatio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7(2), pp. 343-352, 1979. DOI: http://dx.doi.org/10.1037/0022-006x.47.2.343 [24] M. S. Shin, K. B. Park, K. J. Oh, Z. S. Kim, A study of suicidal ideation among high school students: the structural relation among depression, hopelessness, and suicidal ideation.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9(1), pp1-19. 1990. [25] Beck, A. T., Weissman, A., Lester. D., Trexler, L. The Measurement of Pessimism: The Hopelessness Scale.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2, pp. 861-865. 1974. DOI: http://dx.doi.org/10.1037/h0037562 [26] H. S. Seo,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on adolescent's suicide think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aegu University, Daegu, 2006. [27] M. H. Kim, S. D. Chung, G. Y. Le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preventive mental health program for depression among the elderly in community, Journal of Social Welfare, 44, pp. 318-345, 2001 [28] K. H. Jo, Effect of a nurse presence program on suicide prevention for elders with a chronic disease,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37(7), pp. 1027-1038, 2007. [29] H. A. Chung, A literature review a program of intervention of patient geriatric depression, Journal of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pp 59-67, 2008. 유재순 (Jae-SoonYoo) [ 정회원 ] 1982 년 2월 : 서울대학교보건대학원 ( 보건학석사 ) 1997 년 2월 : 서울대학교대학원간호학과 ( 간호학박사 ) 1982 년 5월 ~ 2012 년 2월 : 충주대학교 ( 현한국교통대학교 ) 간호학과교수 2012 년 3월 ~ 현재 : 충북대학교간호학과교수 < 관심분야 > 지역사회간호학, 지역사회건강증진, 지역사회정신건강 289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제 15 권제 5 호, 2014 김현숙 (HyunSookKim) [ 정회원 ] 1999 년 2월 : 서울대학교대학원간호학과 ( 간호학석사 ) 2005 년 8월 : 서울대학교대학원간호학과 ( 간호학박사 ) 2010 년 8월 : 서울여자대학교기독교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석사 ) 2000 년 3월 ~ 현재 : 한국교통대학교사회복지학과교수 < 관심분야 > 노인보건복지, 호스피스완화의료, 정신건강 연현진 (Hyon-JinYon) [ 정회원 ] 2009 년 2 월 : 충남대학교사회복지학과 ( 사회복지학석사 ) 2013 년 2 월 : 충북대학교아동복지학과 ( 박사과정수료 ) 2000 년 1 월 ~ 2000 년 12 월 : 순천향대학천안병원신경정신과 2001 년 1 월 ~ 2013 년 4 월 : 청원군정신건강증진센터팀장 2013 년 8 월 ~ 현재 : 별뜰사회복귀시설 < 관심분야 > 지역사회정신건강, 자살, 정신질환재활 28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