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사곡용식의변이패턴체계와변화 : 고대러시아어와고대노브고로드방언을중심으로 * 최성호 - 개요 - 본논문은고대러시아어와고대노브고로드방언의명사곡용패턴에보이는몇가지형태음운적특성에주목한다. 곡용패러다임과곡용식의개념적차이점에주목하면서, 본고는변이단위로서의곡용식은형식적유일성 (uniqueness) 과함의성 (entailment) 이라는두원리에입각하여설정되어야함을주장한다.(2 장 ) 이러한논거는고대러시아어명사굴절에서발생한형태음운적변화의하나는변이영역의축소, 즉변이단위에서의변화에있다는사실을명확하게인식할수있게해준다. 부연하면고대러시아어의곡용식은곡용패러다임전체를대상으로정의되는반면, 현대러시아어의곡용식은단수하위패러다임에국한되어설정되고, 복수의하위패러다임에서의변이단위는개별적격어미형태가된다.(3 장 ) 4 장에서전개되는본고의두번째논의내용은고대러시아어와고대노브고로드방언의소위 a/ja- 곡용식등어선은이두곡용식에대응하는어휘적곡용류의차별적해석에의거해형성된것임을논증하는것이다. 구체적으로고대러시아어는두변이곡용식의합류 (merger) 를동기화한요인은성 ([ 여성 ]) 과어휘형 ([-a]) 이라는두어휘적자질인반면, 고대노브고로드방언의 ja- 곡용식과 i- 곡용식의사격에서의부분합류는성 ([ 여성 ]) 과어간의형태음운적특성에의해동기화된다 ([ 어간말연자음 ]). 주제어 : 고대러시아어, 고대노브고로드방언, 자작나무문서, 곡용패러다임, 곡용식, 곡용류, 이형태론, 변이, 등어선, 형태음운론 * 이논문은 2012년정부 ( 교육부 ) 의재원으로한국연구재단의지원을받아수행된연구임 (NRF-2012SIA5A2A03034114). 본논문에대해다양한충고및지적을해준세분의심사위원께감사의말씀을드린다. ** 충북대학교노어노문학과교수.
1. 들어가기 본고는러시아어의역사적전개과정에서발생한명사곡용식의변이패턴의변화를역사-방언적시각에서비교, 논의하고자한다. 논의의대상은고대러시아어 (Drevnerusskij jazyk, 앞으로는 O(ld) R(ussian) ) 와고대노브고로드방언 (Drevnenovgorodskij dialekt, 앞으로는 O(ld) N(ovgorod) D(ialect) ) 인데, 전자는역사언어학적시각에서고대와현대의곡용체계상의변화중기존의연구에서명확하게기술되지않았던 변이영역의축소 라는측면을중점적으로조망하고, 후자의경우에는명사곡용형태론에서보이는몇가지방언적사실을 OR의대응체계와비교하여기술하고, 그상이점을일반곡용론적시각에서이해하고자한다. 1) 주지하는바와같이, 공통슬라브어 (Obshcheslavjanskij jazyk, 앞으로는 C(ommon) S(lavonic) ) 의명사곡용은수자질 ( 단수 vs. 쌍수 vs. 복수 ) 과격자질 ( 호격을포함하는 7개의격 ) 의중첩적구현으로구성되는 r곡용패러다임 (declensional paradigm) 의개념으로기술되어왔다 (Meje 1924/2001, Borkovskij & Kuznecov 1965, Zaliznjak 2004 등 ). CS 후기 ( 즉, OR 초기 ) 의두드러지는곡용현상중의하나는여러음성변화로말미암은곡용어미자체의변화와더불어, 이전에곡용류의정체성을담보하였던소위 테마모음 의소실또는불투명성 (opacity) 으로말미암아곡용패러다임선택혹은분포의동기 ( 動機 ) 가사라지게되었다는사실이다. 예컨대, 소위 o-어간 명사류와 u-어간 명사류는, 비록남성이라는어휘적특성을공유하지만, 어간의형태음운적형상 ( 어간말테마접사의차이, 즉, *-o vs. *-u) 에있어서서로상이하였기때문에상이한곡용패러다임의선택에동기성이부여되었던것이다. 그러나단수주격형의어말 *-s의탈락과그로인해어말에위치하게된두형태 *-o와 *-u가형태론적으로는어간접 1) OND 의곡용형태론의재구 ( ) 는노브고로드지역에서발굴된자작나무문서 (Berestjanye gramoty, Birchbark letters) 및몇몇이지역과연관된문헌에근거하여이루어졌는데, 본고의연구는특히잘리즈냑 (A. A. Zaliznjak) 의 고대노브고로드방언 (Drevnenovgorodskij dialekt) (2004) 에기반했음을밝힌다. 한편, OR 은방언학적측면에서는방언과대비되는메타방언적성격을갖는다. 잘리즈냑 (2004: 5) 은 OR 의이러한성격을 고대러시아어의메타방언적형식 (naddialektnaja forma drevnerusskogo jazyka) 또는간단히 메타방언적고대러시아어 로기술하고있다.
사에서굴절어미로재해석되고, 음운론적으로는단음성 (shortness) 이이완성 (laxness) 으로재해석되는과정 2) 에서초래된두모음간의음성적차이의약화로인해, 이제이두남성명사류는더이상형태음운적형상에서도다르지않게되며, 따라서두곡용패러다임의선택역시더이상동기화되지않게되고, 자의적인어휘명세에의해이루어지게된것이다. 즉, 단수주격형 *stol-o s > stol-o ø => ( 형태음운적재해석 ) stol ъ vs. 단수주격형 *sūn-u s > sūn-u ø > syn ъ. 러시아어곡용형태론의역사는이렇게자의적으로명세된명사부류들이선택하던곡용패러다임들이, 몇몇어미형태를제외하고는, 소실되었음을웅변하고있다. 이렇듯자의적곡용패러다임들의소실로인한체계상의양적단순화는러시아어역사언어학논저에서이미지적되어온사실이다. 그러나필자는러시아어명사곡용패러다임에서의변화는양적단순화에국한되지않고, 변이의작용영역및그양상이라는질적측면에서도일정한변화를경험했다고판단한다. 본고의 3장은이점에대해서논의한다. 한편, OND에서도위에서언급한동기성상실은그대로나타난다. 그러나동기성상실에대응하는과정에서몇가지상이한점이존재하는데, 본고논의의또다른축은이부분에집중된다. 특히 CS의 a-어간곡용패러다임과 ja-어간곡용패러다임 의 OND에서의발달은기왕의연구에서도언급되어왔는데, OR에서는단수굴절에서 ja-어간명사류들이 a-어간어미를취함으로써두패러다임이합류의과정을경험한반면, OND에서는 a-어간명사류들이자신의원래단수생격형어미 -i 대신에 -ě를사용하고, ja-어간명사류들은자신의고유의단수처격및단수여격형어미 -i 대신에 -ě를사용한다. (1) OR의 a-어간곡용패러다임과 ja-어간곡용패러다임의발달 3) a-어간 ja-어간 a-어간명사 ja-어간명사 단-생 -i = -i -ě => -i жены землѣ > земли 단-처 -ě = -ě -i => -ě женѣ земли > землѣ 단-여 -ě = -ě -i => -ě женѣ земли > землѣ 2) 공통슬라브어시기에모음의양적대립이질적대립으로재해석되는음성변화를말한다. 2-모라 (mora) 의모음 ( 즉, 장모음이나이중모음 ) 은모두긴장모음으로, 1-모라의모음은이완모음으로재해석된다. 예 : *ū > *y, *au > *u, 등 ; *α ([back, low, short]) > *o, *u > *ъ. 특정환경에서이두후설이완모음은 /o/ 로합류하고, 전설이완모음 (/e/ 와 /ь/) 은 /e/ 로합류하는 예르 의변동도아울러주목. 3) 논지에관여적인단수생격, 단수여격, 단수처격의경우만예시한다.
(2) OND의 a-어간곡용식과 ja-어간곡용식의발달 a-어간 ja-어간 a-어간명사 ja-어간명사 단-생 -i => -ě -ě = -ě жены > женѣ землѣ 단-처 -ě = -ě -i => -ě женѣ земли > землѣ 단-여 -ě = -ě -i => -ě женѣ земли > землѣ 두곡용류가결과적으로취한어미의형태로만보면, OR에서는 ja-어간명사가일관성있게 a-어간어미를선택한반면, OND에서는생격에서는 a-어간명사가 ja-어간어미를, 처격과여격에서는 ja-어간명사가 a-어간어미를취한것으로보인다. 이러한상이한발달양상을두고자연스럽게생겨나는의문점은첫째, 왜 OND에서는격에따라선택의양상이달라졌을까? 즉, 왜단수생격에서는 a-어간명사가변하고, 처격과여격에서는 ja-어간명사가변했을까? 둘째, OR에서는어간의곡용식합류는발생했지만, 단수생격과단수처-여격과의격어미합류 ( 즉, 동형성syncretism ) 는발생하지않은반면, OND에서는곡용패러다임의합류뿐만아니라격어미의합류도발생한것처럼보인다. 이러한방언적차이의발생배경과원인은무엇일까? 본고는이두가지의문점에대해 4장에서살펴본다. 2장에서는필자가기술적틀로사용하는곡용형태론의몇가지관여적인개념과용어를소개하고, 3장에서는 OR에서의곡용변이의변화를, 제4장에서는 OND의곡용상의방언적특성에대해논의한다. 5장은결론을대신한다. 2. 곡용형태론 : 용어소개와기술적모델 주지하는바와같이, 러시아어처럼형태론적으로융합어 (fusional language) 의유형적특성을보이는언어에서나타나는굴절현상은어휘소가문장에사용될때획득하는여러통사적자질 ( 지시적자질이나관계적자질 ) 의형태적실현으로이해해왔다. 통사적으로구현된두자질의형태적실현과관련하여, 융합어유형의러시아어는두가지특징적인현상을보이는데, 바로중첩 (cumulation) 과변이 (variation) 이그것이다. 즉, 두통사적자질은한편으로는여러개의변이형으로실현되면서, 다른한편으로는중첩적으로단일형태로실현된다. 또한그실현위치는단어의층위에서, 즉형태론적으로정의된다.
예컨대, 복수 와 생격 은세개의변이형들 (-ov, -ej, -ø) 4) 로중첩적으로단어의어간형뒤에실현된다 (stol-ov, gost -ej, kn ig-ø). 여기에서본고의논의와유관한사항은바로변이문제인데, 왜냐하면이들이변이형들이라면, 당연히이들의분포기술이문법의중요한과제가되며, 전통적으로, 그리고러시아어의역사적발전단계에무관하게, 이들의분포는 곡용 (declension) 이라는개념으로기술되고있기때문이다. 굴절적자질 ( 즉, 곡용자질 ) 은명사 ( 어간 ) 에실현되기때문에, 모든명사는굴절형 ( 즉, 곡용형 ) 으로문장에나타난다. 이말은현대러시아어의명사는 12개 (2수자질*6격자질 =12곡용자질 ) 의곡용형으로패러다임을이룬다는것을함의한다. 12개의곡용형이이루는패러다임이해당명사의 곡용패러다임 (declensional paradigm) 인데 (Anderson 1992: 134), 곡용형은어간과어미로형태적분석이가능하므로, 해당명사의어미형태들역시패러다임을형성한다고볼수있다. 5) 예컨대, VODA는 (3) 의곡용패러다임을보이는데, (3) VODA의곡용패러다임과어미패러다임 곡용패러다임 어미패러다임 NS vodá a NP vódi i AS vódu u AP vódi i GS vodí i GP vód ø LS vod é e LP vódax ~ vodáx ax DS vod é e DP vódam ~ vodám am IS vodój oj IP vódam i ~ vodám i am i 4) 러시아어에서성 (gender) 은명사의경우엔어휘소의내재적자질인반면, 형용사의경우에는통사적굴절자질이라는사실은강조되어야한다. 예컨대 stolóm에서분석되는어미 /om/ 는 단수 와 조격 을표현하는반면, bol ším stolóm에서형용사굴절어미 /im/ 는수식되는명사가 단수, 조격, 남성 의자질을가짐을나타낸다. 5) 어간형역시패러다임을형성한다고볼수있다. 대부분의명사들은단일한어간형을가지는 일 ( )-구성원패러다임 을가지지만, 복수의어간형을가지는 다 ( )- 구성원패러다임 도존재한다 ( 예컨대, BRAT /brat-/~/brat j-/).
곡용패러다임은해당명사의굴절시보이는모든형태음운적현상, 즉어미변이뿐만아니라, 어간변이와강세변이를모두아울러서설정하는개념이다. 6) 본고는어미변이에국한해서논의하기때문에 어미패러다임 (desinence paradigm) 이직접적인기술대상이다. 어미변이현상의가장핵심적인사항은어미패러다임을구성하는개별적어미들의형태적유일성 (uniqueness) 이나어미들상호간에형태적함의성 (entailment) 이존재하는지의여부이다. 형태적유일성이란해당형태가해당어미패러다임에만나타나는것을말하며, 형태적함의성이란해당어미패러다임을구성하는형태들사이에함의적관계, 즉, 한형태의존재는다른형태의존재를함의한다는것을말한다. 만약유일성과함의성이존재한다면, 해당어미패러다임이하나의 변이식 (allo-pattern) 즉 곡용식 (declension pattern) 을형성하며, 따라서어미패러다임전체가하나의단위로인정되고, 그단위에대해분포가결정된다고할수있다. 하지만이두형태음운적특성이해당어미패러다임에존재하지않는다면, 우리는해당어미패러다임을곡용상하나의단위로인정할수없고, 대신에개별적통사자질 ( 예컨대, 단수주격, 복수생격, 등 ) 이보이는 변이형 (allo-morph) 들이변이의단위로설정되고, 그것을대상으로분포가결정된다고보아야한다. (3) 을들어설명하자면, 러시아어명사 VODA에표현된 NS -a, AS -u, IS -oj는각각형태적으로본어미패턴에유일하면서, 동시에상호함의관계를형성하며, -e를공유하는 LS와 DS는 어미동형성 (syncretism) 을보인다. 따라서단수어미형들의 ( 하위 ) 패러다임은하나의독립적곡용식을형성한다. 그러나복수의경우, 변이자체가부재한 LP, DP, IP를제외하더라도, NP -i, AP -i, GP -ø는각각형태적유일성도부재하며, 이들상호간에형태적으로함의관계가성립되지도않는다 ( 최성호 2004 참고 ). 따라서복수의어미 ( 하위 ) 패러다임은별개의변이식을형성하지않으며, 개별적통사자질들의변이형들은자체적으로분포가결정된다. 7) 6) 잘리즈냑 (Zaliznjak 1977) 의문법사전이곡용패러다임을대상으로분류한대표적인업적이다. 7) 이상과같은논의에근거해다음과같은변이의양상과그분포가설정될수있다. 1. {-a/ns, -u/as, -i/gs, -e/ls-ds, -oj/is}-어휘형이 /a/ 로끝나는명사, 2. {-i/np}- 모든여성명사와대부분의남성명사, 3. {-i/ap}- 불활물성 의어휘적특성을가지는명사, 4. {-ø/gp}-어휘형이모음으로끝나는명사. 이것은 3장에서의논의의근
주지하는바와같이, 현대러시아어에서곡용식 {-a/ns, -u/as, -i/gs, -e/ls-ds, -oj/is}( 전통적으로 제2곡용식 으로지칭됨 ) 은 VODA와같은명사들 ( 예컨대, KNIGA, ŽENA, MUŽČINA, SIROTA, 등 ) 에분포하는데, 중요한점은이곡용식이분포하는명사들에는배타적으로공유되는어떤어휘적특성이존재한다는것이다. 만약러시아어명사의어휘형 ( 즉, 어휘소의형태 ) 을단수주격의굴절형을기반으로표상한다면, 이특성은 어휘형이 -a로끝나는형태음운적특성 으로정의내릴수있고, 이러한특성을가지는어휘소는단수의굴절시제2곡용식의어미를선택한다. 8) 이렇게특정곡용식을선택하는어휘소들의집합을 곡용류 (declension class) 라고한다면, 현대러시아어에서제2곡용식을선택하는곡용류는동기화 ( 動機化 ) 되어있다고볼수있다. 즉, VODA 등의어휘소들은자의적인어휘적명세에의해제2곡용식을선택하는것이아니라, 동기화된문법적명세에의해선택하는것이다. 이처럼명사굴절의형태론은개별적굴절자질의실현상의변이양상 ( 변이식 vs. 변이형 ) 과그분포 ( 또는선택 ) 에대한기술로이루어져있다고볼수있다. 9) 이러한기술적틀은그방법론에있어서기존의굴절론과차별화된다. 항목-과정 (item-and-process) 의형태론이나 단어-패러다임 (word-and-paradigm) 형태론적기술에서굴절류 (inflection class) 는 (3, 4) 에서예시된바와같은곡용패러다임 ( 또는어미패러다임전체 ) 을기반으로정립된다. Aronoff(1994: 64) 는굴절자질과그실현을 실현쌍 (realizational pair) 으로명명하고, 어떤어휘소가취할수있는모든굴절자질들에대해그실현쌍들의집합 ( 본고의 어미패러다임 ) 이바로그어휘소의굴절류 10) 라고보고있다. 이러한기 간을형성하는중요한사실이다. 8) PANAMA, MINA 등의외래어가러시아어로차용될때, 이들이제2곡용식어미를취하는것은 -a로끝나면, 제2곡용식 이라는규칙 Wurzel(1989: 118-) 의 paradigm structure condition 참고 ; Carstairs-McCarthy(1991: 215-) 의논의도아울러참고 이러시아어에존재하기때문이다. 9) 현대러시아어의형용사굴절형태론은변이를보이지않고, 따라서분포의문제도제기되지않는다. 10) Aronoff(1994) 는실현쌍의집합인어미패러다임과그어미패러다임을선택하는어휘들의집합을구별하지않고굴절류 ( 명사의경우곡용류, 동사의경우활용류 conjugation class) 라고명명하고있다. Carstairs-McCarthy(1998: 323) 는전자를단순히 패러다임 으로, 후자를굴절류로지칭한다. 필자는용어들의혼동된사용은명료한기술을어렵게한다고생각한다. 또한필자는하나의어휘소가보이는어미
술적방법은어휘소들이취하는어미패러다임의형태적동일성여부를잣대로삼아해당어휘소들을하나의부류로묶는이러한방식이내재적으로갖는근본적인문제는개별적굴절자질들이보이는변이양상이모두굴절류에의해포착될것이라고하는가정이다. 그러나그러한가정은자체적으로그경험적타당성이검증받아야할문제이다. 전술한바와같이, 현대러시아어에서복수주격, 복수대격, 복수생격등의굴절자질들각각은자신에독특한변이의양상을보일뿐더러, 단수의굴절자질에보이는변이양상과도다르다. 다시말하면, 단수에서는전체굴절자질의 ( 하위의 ) 어미패러다임이하나의변이의단위가되는반면, 복수에서는개별적굴절자질의개별적어미가하나의변이단위가된다. 굴절형태론을굴절류라는개념하나로기술하는것은개별적자연언어의굴절이공시적또는통시적으로보이는분포에관련한중요한언어학적일반화를근본적으로포착불가능하게만드는방식이다. 11) 3장에서는러시아어명사곡용형태론에서발생한변화의하나를본고의기술적모델로논의한다. 3. 러시아어명사곡용추이 : 변이의양상변화 3.1 고대러시아어명사굴절 주지하는바와같이, 고대러시아어의명사에구현되는수범주는 단수, 복수, 쌍수 로대립되어있었고, 격범주는호격을포함해 7개의격으로구성되어있어, 현대러시아어와비교해구조적으로복잡한패러다임을보인다. 그런데개별명사들에출현하는어미패러다임에주목하면, 고대러시아어는단수, 쌍수, 복수를아우르는패러다임전체에적용되는형태적유일성과함의성이 패러다임이자체적으로언어학적으로유의미한일반화를가진다고보지않는다. 유사한견해의피력으로는 Zwicky(1991: 116) 참고. 어미패러다임이유의미하려면, 그것은곡용식의지위를가져야한다. 11) 이러한방법론적시각에서러시아어명사곡용을기술한대표적인업적이 Zaliznjak(1977) 이다. 아울러 Corbett(1991), Timberlake(2004) 등도참고. 이러한공시적기술이통시적변화의실체적내용을이해하는데걸림돌이되는것은당연하다. 특히 3절참고.
발견된다. 예컨대, ŽENA 등과같은여성명사의경우, 단수주격에서 -a, 단수대격에서 -u, 단수조격에서 -oju 등의유일한어미형을보이며 (жена, жену, женою), 단수처격과단수여격과의동형성 (женѣ) 뿐만아니라, 단수생격과복수주격과의동형성 (жены) 12), 그리고복수주격과대격과의동형성 (жены) 도아울러보인다. 또한복수처격, 여격, 조격, 쌍수여-조격에서 테마접사 *-ā의후대발달음인 /a/ 를가지고있다 (женахъ, -амъ, -ами, -ама). 따라서이러한어미패러다임은전체적으로하나의변이식 ( 곡용식 ) 으로행동한다고볼수있다. 그리고이러한변이식을전통적으로 a-어간 곡용식으로지칭해왔음은주지의사실이다. 13) 이러한 a-어간곡용식의형태적특성은 STOLЪ과같은 o-어간 명사가보이는어미패러다임과극명하게대비된다. a-어간곡용식의단수주격과대격이 -a vs. -u로형태적구별이이루어지는반면, o-어간패러다임에서는두격이 -ъ로동형성을보인다 (столъ). 반면, a-어간곡용식의단수처격 = 여격, 단수생격 = 복수주격, 복수주격 = 대격의동형성과달리, o-어간에서는이들은반드시구별된다 (-ě vs. -u, -a vs. -i, -i vs. -y; столѣ vs. столу, стола vs. столи, столи vs. столы). 또한단수조격은 -ъmь이고(столъмь), 복수사격형은각각 -ěxъ, -omъ, -y, 쌍수여-조격어미는 -oma로이들어미는이들명사의어미패러다임에유일하다 (столѣхъ, столомъ, столы, столома). 이러한형태적유일성과함의성양상은 o-어간 어미패러다임을하나의변이식 ( 곡용식 ) 으로상정하는것을가능케하며, 14) 사실상이두곡용식은최대한변별된다. (4) 는이상의논의를요약한다. 12) 이러한명사들에서보이는단수생격어미와복수주격어미의음운적동일성은, Zwicky(1991) 의용어를사용한다면, 체계적 (systematic) 이며, 우연적 (accidental) 이지않다. 이점에대해서는 4절에서재론한다. 13) 어간말 /j/ 를가지는 ja-어간 곡용식에대해서도동일한특징을부여할수있다. 14) 소위 jo-어간 곡용식에대해서도같은내용이적용된다. 본고에서는더이상논의하지않지만, 소위 u-어간 명사의어미패러다임이나, i-어간 명사의어미패러다임역시패러다임전체가하나의변이단위를형성한다. Borkovskij & Kuznecov (1965), 191- 참고.
(4) a-어간곡용식 vs. o-어간곡용식 a-어간 o-어간 NS -a -ъ AS -u =NS LS -ě -ě DS =LS -u IS -oju -ъmь GS -y -a NP =GS -i AP =NP -y GP -ъ -ъ LP -axъ -ěxъ DP -amъ -omъ IP -ami -y D-IDu -ama -oma 한가지부연할사실은이들두곡용식은그분포가대체로성범주에의해구별된다는점이다. 즉 a-어간곡용식은여성명사에분포하고, 남성 (+ 중성 ) 명사를배제하는반면 15), o-어간곡용식은남성 (+ 중성 ) 명사에분포하고, 여성명사를배제한다. 한편, 중성명사는직격 (direct cases) 에서만특유의어미를가지고 (NS=AS -o, NP=AP -a, NDu=ADu -ě), 모든나머지격에서는 o-어간곡용식의어미를취하기때문에자신에고유한곡용식을가진다고해석되지않는다. 3.2 역사적추이 명사굴절의역사적추이에대한기존의연구는대체로곡용식의합류로인한곡용체계의단순화와곡용식간의형태적차이의감소로기술한다 (Borkovskij & Kuznecov 1965: 198). 16) 그런데본고의기술적시각에서본다면, 서론에서언급한것처럼, 러시아어는곡용식및곡용형의감소라는양적변화뿐만아니라변이영역의축소라는질적변화도함께겪었다는사실이 15) 애칭의남성명사 (PETJA) 나총칭명사 (VOEVODA) 등은후대발달이다. 16) o-어간과 a-어간곡용식이보였던두개의변이식 ( jo-어간 과 ja-어간 ) 의소실, u- 어간및자음-어간곡용식의소실등으로곡용식의수가감소했고, 복수사격형들의경우, 예전에보였던형태적변별력이소실되었다 ( 모두 -ax, -am, -am i로합류 ).
주목된다. 미리결론을말한다면, 고대러시아어는, 전술한바와같이, 단수와복수를아우르는전체어미패러다임이하나의변이단위로작용하여그자체가하나의변이식을형성하였으나, 현대러시아어에서는변이식이단수의하위어미패러다임에만한정되어작용하여복수에서는개별곡용자질의어미형이변이의단위로작용한다. 현대러시아어의복수굴절에서보이는어미이형태의양상은다음과같다. (5) 현대러시아어복수에서의이형태 NP i ~ a ~ e AP = NP ~ GP GP ov ~ ej ~ ø LP ax DP am IP am i (4) 와 (5) 의비교를통해발생한변화의내용을살펴보면, 첫째, 사격에서의곡용식의차이는모두 a-어간곡용식의사격어미로통합되면서, 두곡용식사이의변별성은희석된다. 둘째, 고대러시아어의경우주격에서남성명사는어간말경자음이연음화되는반면 (столи /stol -i/) 17), 여성명사는그러한교체가존재하지않았다 (жены /žen-i/). 이러한어간변이에의한남성명사와여성명사의복수주격의구별은대명사 (они vs. оны) 와 l-분사형일치 (были vs. былы) 에의해서도드러난다. 그러나남성명사역시그러한교체를문법에서제거함으로써 a-어간곡용식과의변별성을소실한다. 18) 셋째, 고대러시아어의경우, 대격에서 o-어간곡용식 ( 남성명사 ) 은주격과대격의형태적변별화를보이고, a-어간곡용식은대격 = 주격의동형성을보이는데, 위의연음성교체의제거로인해, 남성 o-어간곡용식역시 a-어간곡용식처럼대격 = 주격의동형성을보이게된다. 넷째, 생격의경우, 고대러시아어시기에는두곡용식모두동일한어미를보였으나 (-ъ/ь), 발달과정에서모든명사에적용되는새로운이형태방식을보인다. 다섯째, 복수대격에서모든명사에적 17) SOSED 이웃, ČERT 악마 등은복수의모든형태에어간연음성을일반화시킨예이다. sos ed -i -ej, čert -i, -ej. 18) 복수주격의다른이형태 -a와 -e의분포는 남성대여성 의대립에의해기술되지않음은주지의사실이다.
용되는, 활물성 에근거하는새로운이형태방식이출현한다. 이상의변화는결국전체어미패러다임에서보이던변이식의구별 (o-어간/ 남성명사 vs. a-어간 / 여성명사 ) 이복수굴절에서는소멸되었고, 그후주격, 대격, 생격각각에고유한이형태가출현하게되었음을보인다. 즉, 변이식의작용영역이단수굴절에한정되며, 복수굴절에서는개별적인격에서변이가출현하여, 그분포가새롭게결정되는변화를경험하게된것이다. 3.3 변화의원인 그렇다면이러한변화를견인한동력은어디에서찾을수있을까? 우선복수사격의통합은직격의통합보다늦게발생했고 (Borkovskij & Kuznecov 1965: 210), 대격과생격에서는 o-곡용식과 a-곡용식사이에형태적차이가원래없었다는사실은이두곡용식의복수에서의구별소실은주격에서의이형태소실을함의한다. 예르 (jer) 의변동이전에두곡용식에서의주격형은 -i vs. -y의음운적대립 (столи /stol-i/ vs. жены /žen-y/) 으로차별화되었지만, 예르의변동이후에이들은어간말자음의연음성여부의대립 (/stol -i/ vs. /žen-i/) 으로차별화된다. 전술한바와같이, 현대러시아어로발전하면서남성중립어간명사의복수주격형에서의연음성은소실되었기 ( 즉, /stol -i/ > /stol-i/) 때문에, 결국문제는어간말연음성자질의소멸원인으로귀결된다. 그리고복수-주격이라는형태론적환경에서연음성자질이소멸될음운적이유는없기때문에, 당연히소멸원인은비-음운적차원에서찾아야된다. 고대러시아어시기에발생한곡용식관련변화중하나는소위경구개어간을가지는명사들 ( 즉, 공통슬라브어에서어간말에 */j/ 를가졌던명사들 ) 이중립 (= 비-경구개 ) 어간명사들의곡용식을취한것이었다. 특히 ja-어간곡용식은 a-어간곡용식과합류과정을겪으면서, 복수주격어미 -ě가 -i로대체된다 (землѣ /z eml -ě/ > земли /z eml -i/). 이러한변화는경구개어간명사들의경우복수주격에서 남성 vs. 여성 의대립이완전히소실되는결과를낳았다. 즉, 복수주격에서예전에는 jo-곡용식남성 -i vs. ja-곡용식여성 -ě 로변별되었지만 (кони /kon -i/ vs. землѣ /z eml -ě/), 이제는둘모두 -i를가지게된것이다 (кони /kon -i/ & земли /z eml -i/). 따라서이전의경구개곡용식을가지는명사들에서복수주격에서의여성 vs. 남성의구별은소실되었다.
(6) 복수주-대격에서의변화 OR 예르변동및합류이후 복-주 복-대 복-주 복-대 여성중립식 -y -y -i -i 경구개식 -ĕ -ĕ -i -i 남성중립식 -i -y '-i -i 경구개식 -i -ĕ -i -ĕ 따라서복수주격에서 여성 vs. 남성 의구별은중립어간명사에국한되었다. 한편, 복수대격과생격에서는본래 여성 vs. 남성 의구별이존재하지않았다. 즉, 복수대격의경우, 모든중립식명사들의어미는 -y > ( 예르의변동 ) -i (жену & столы), 모든경구개식명사들의어미는원래 -ě (землѣ & конѣ) 이었고, 복수생격의경우, 모든중립어간명사들의어미는 -ъ > ( 예르의변동 ) -ø (женъ & столъ), 모든경구개어간명사들의어미는 -ь > ( 예르의변동 ) -ø (земль & конь) 이었다. 그런데대격의경우, 중립식과경구개식의합류는여성과남성에서상이한결과를낳았다. 즉, 여성은주 = 대격의동형 ( 同形 ) 성으로인해복수대격어미가 -i로일반화된반면, 남성은주격과대격의이형 ( 異形 ) 성으로인해본래의경구개식대격어미 -ĕ를그대로유지하게되었다. 이것은경구개명사들의경우에도 여성 vs. 남성 의대립이복수대격에서 ( 일시적으로나마 ) 구현되었음을의미한다. 이를간략하게보이면, (7) 합류직후의복수주격과대격에서의여성 vs. 남성의구별 중립명사 경구개명사 여성 남성 여성 남성 복수주격 žen-i stol -i zeml -i kon -i 복수대격 žen-i stol-i zeml -i kon -ĕ 표 (7) 은중립명사이든경구개명사이든, 주격과대격에서의성의대립은남성명사에서의주격과대격의이형성 (non-syncretism) 과여성명사에서의주격과대격의동형성이라는상호대조적인형태음운적대립에기인한다는사실을확인해준다. 19) 그런데러시아역사언어학은여성명사의동형성특성이남성명사의이형성특성보다선호되었던원리임을웅변하고있다. 즉, 모든 19) 여성명사 : -y (a- 어간 ), -ě (ja- 어간 ), -i (i- 어간및자음 - 어간 ). 그러나남성명사 : -i vs. -y (o- 어간 ), -i vs. -ě (jo- 어간 ), -ove vs. -y (u- 어간 ), -ije vs. -i (i- 어간 ), -e vs. -i ( 자음 - 어간 ).
남성명사는이형성특성을포기하고여성명사의동형성을받아들이는데, 그구체적구현방식은유표적변이형을제거하는방식으로진행되었다. 중립남성명사의경우, 주격과대격모두 -i의어미를가지지만, 주격형이보이는어간말자음의연음화가유표적변이임은자명하다. 왜냐하면모든다른격형태들에서어간말자음은경자음이기때문이다. 기실 OR뿐만아니라 CSR의명사곡용에서어간변이는유표적이다. 경구개남성명사의경우에는어간변이는부재하지만, 중립남성명사의주-대격어미는 -i이기때문에, 어미 -ĕ가 -i에비해유표적으로해석되고, 따라서유표형 -ĕ 대신에 -i로일반화된다. 그렇다면무엇이여성명사의주-대격의동형성모델의선호 ( 選好 ) 를동기화했을까? 필자는 12-13세기에나타나기시작하는남성명사복수에서의주격 = 대격합류는동시기에발생한 (Borkovskij & Kuznecov 1965: 218) 쌍수 (dual) 의소멸에의해서촉진되었을것으로추정한다. 문법적자질로서의쌍수의소멸은지시적양 ( 量 ) 적자질로서의 둘 (two) 을복수로재해석하는것을의미했고, 이는일정시간쌍수형어미와복수형어미의공존을시사한다. 즉, 복수를표현하는어미로이전의쌍수형어미뿐만아니라복수형어미를혼용했다는것이다. 20) 이때이전의쌍수주격과대격은모든명사에서동형성을보였기때문에, 남성명사들역시복수화한쌍수의동형성을받아들일가능성이높았다는것이다. 3.4 요약 러시아어명사굴절에서발생한역사적변화는어미패러다임자체를곡용식으로동일시하는기술은경험적타당성이결여되어있음을잘보여준다. 물론 어미패러다임 = 곡용식 의패턴이불가능한것은아니지만, 그러한판단을내리기위해서는어미패러다임내에서형태적유일성과함의성이발견되어야한다는것이중요하다는것이다. 본고의논의는러시아어명사형태론의 20) 이것은수사구에서의수범주사용에서간접적으로드러난다. 쌍수가존재했던시기에수사 2 와는명사의쌍수형이사용되었고, 3, 4 와는복수형이사용되었으나, 쌍수가소멸된이후에는, 주지하는바와같이, 2, 3, 4 모두에서남성명사는예전의쌍수주격형 (/stol-a/) 이, 여성명사와중성명사는예전의복수주격형 (/s ol-a/, /žen-i/) 이사용된다. 현대에서는이들형태는모두단수생격형으로재해석되었다.
사적발달에서변이영역의축소, 즉변이식의작용영역이패러다임전체에서단수패러다임으로축소되었음을분명하게보여준다. 이것은단수굴절에서는곡용식이변이단위로, 복수굴절에서는곡용어미형이변이단위로기술되어야함을함의한다. 4. 고대노브고로드방언 (OND) 의여성명사곡용 서론에서언급했듯이, OND의곡용체계상특이점중의하나는 CS의여성중립식 (a-곡용식) 과경구개식 (ja-곡용식) 의생격어미 ( 각각, *-i와 *-ĕ) 가 -ĕ로합류되어, 어미의형태자체로만보면, 생격 = 처격 = 여격 의동형성을보인다는점이다. 즉, OND에서는두변이곡용식의합류뿐만아니라, 3 사격에서의합류도아울러나타난다 (Zaliznjak 2004: 146). 본장에서는이러한방언적특성에대해상세하게논의한다. 4.1 a- 곡용식과 ja- 곡용식 논의의편의를위해, 한번더세사격의 CS 에서 OND 로의변화를제시한다. (2') CS a-곡용식과 ja-곡용식의 OND 발달 a-곡용식 ja-곡용식 a-어간명사 ja-어간명사 단-생 *-i > -ě *-ě = -ě *жены => женѣ *землѣ=землѣ 단-처 *-ě = -ě *-i > -ě *женѣ=женѣ *земли => землѣ 단-여 *-ě = -ě *-i > -ě *женѣ=женѣ *земли => землѣ CS에서이두곡용식은, 여타의다른곡용식과달리, 단수처-여격에서동형성을보이는유일한곡용식이었고, 이것은이들을하나의독립적인곡용식의하위식으로보는근거의하나가되기도한다. 21) OR에서이두곡용식은합류되었지만 ( 표 1 참고 ), 처-여격의동형성은그대로유지된다. 그러나 (2') 에 21) 전통적인러시아어역사언어학문법서 ( 예컨대, Borkovskij & Kuznecov 1965: 207 등 ) 에서는이두곡용식을동일한한곡용식의 변이 (разновидность) 로지칭하고있다.
서보듯이, OND에서는곡용식의합류와더불어동형성이생격으로까지확장되는결과를보인다. 잘리즈냑은이를고대프스코프방언의체계와 OR의체계의복합적영향의결과로해석하고있다 (Zaliznjak 2004: 146). 즉, 고대프스코프방언에서는 a-곡용식과 ja-곡용식의합류는일어나지않았지만, 두곡용식모두생격으로동형성이확장되는변화를보인반면 ( 생격 женѣ земли, 처-여격 женѣ земли), OR에서는곡용식의합류를경험했지만, 동형성확장은발생하지않았다 ( 생격 жены земли, 처-여격 женѣ землѣ). 즉, OND의동형성확장은고대프스코프방언의영향을, 곡용식합류는 OR의영향을받았다는것이그의주장의요지이다. 그러나필자는 OND에서과연중립 a-식과경구개 ja-식이합류되었는지, 그리고생격으로의동형성확장이실제로발생했는지등합류와확장의실제성에의문을제기한다. 물론자작나무문서의경험적자료에의해확인되는 OND의곡용체계는 a-곡용식뿐만아니라 ja-곡용식에있어서도생격, 처격, 여격의어미가 -ĕ로동일하게실현됨을보인다. 22) 그러나동일한어미형의실현이이들세격의동형성 (syncretism) 을함의하는것은아니라고본다. 예컨대, CS o-곡용식에서, 복수대격어미와복수조격어미는동일하게 -y로실현되고 (OR stol-y), CS jo-곡용식의단수여격과호격의어미가 -u로동일하더라도 (OR kon'-u), 이들두쌍의격들이동형성을이룬다고보지는않는다. 23) 이들의어미동일성은규칙체계에의해동기화된것이라고볼수없으며, 자의적이며우연적이기때문이다. 어미의형태적동일성이동형성의필수조건은되지만, 충분조건의자격은가지지못한다는지적은 OND의 a/ja-곡용식의사격어미 -ĕ의일반화및발달과정에대한논의가필요함을시사한다. 22) 물론각격에서이형태가발견되기도한다 (Zaliznjak 2004: 96-). 이점에대해서는다음절에서언급할예정이다. 23) 중성명사 o/jo-곡용식에서의주격과대격의어미동일성은체계적이고동기화된동형성의전형적인예이다. 체계적동형성과우연적동일성에관련한논의는 Zwicky (1991) 참고.
4.2 어미 -ĕ 의일반화와발달과정 4.2.1 ja-어간곡용식. ja-어간곡용류는 CS 후기에 생격 -ĕ, 처-여격 -i 의패턴을취했는데, OND에서는처-여격에서 -ĕ로대체된다. 그런데처-여격에서의 -i => -ĕ의변화는두가지상이한해석을가능케한다. 하나는 a-곡용식의처-여격어미 -ĕ가 ja-곡용식의처-여격어미를대체한것이라는해석과다른하나는 ja-곡용식내에처-여격의동형성이 ( 어떤이유로인해 ) 생격으로확장되는과정에서생격의 -ĕ가처-여격어미로일반화되었다는해석이그것이다. 전자는곡용식상호간의대응하는격어미의합류이며, 후자는곡용식내의격상호간의합류인셈이다. 어느해석이당시의상황에부합되는것일까? 중립식과경구개식이합류된 OR의상황을보면, OND에서도이와유사하게두변이식이합류되었을것으로추정되지만, 당시 OND의곡용상황을고려하면, 동형성의확장이라는후자의해석이좀더설득력이있는것으로보인다. 우선, OR의경우, 경구개 ja-식의어미는모두중립 a-식의어미로일반화되면서두변이식의합류가완성된다. 그러나 OND의경우에는, 만약이두변이식의합류로해석한다면생격에서는 ja-식의어미 ( 즉, -ĕ) 로일반화되는반면, 처-여격에서는 a-식의어미 ( 즉, -ĕ) 로일반화되기때문에, 격에따라일반화의방향이달라지는모순적상황을설명해야하는부담이생긴다. 둘째, 이당시 ja-식의단수생격어미는무표적인 -ĕ 외에 -i도드물게보이는데 ( 예 : ѹ Даньши, отъ Пѹтеши, ѹ Твьрьши; Zaliznjak 2004: 97), 이유표적 -i 형태가단수처-여격에서도무표적 -ĕ대신에드물게출현한다는것이다. 24) (8) OND 여성 ja-곡용식의 자유변이 무표 유표 단수생격 -ĕ -i 단수처-여격 -ĕ -i 잘리즈냑의적절한지적처럼, 처-여격의유표적어미 -i의출현은원래 ( 즉, CS ja-곡용식 ) 자신의어미형태 *-i를그대로가진것으로이해할수는 24) Zaliznjak(2004: 97) 의다음과같은기술참고 : Редкое окончание -и в мягком варианте (при господствующем -ѣ) отмечается в Р. ед. примерно в такой же доле случаев, как в Д. М. ед.
있지만, 단수생격에서의유표적어미형태 -i의출현은이해하기어렵다. 왜냐하면, OND에서 a-어간명사들이자신의원래단수생격어미 -i를포기하고 -ĕ를선택하는상황에서, ja-어간명사들이 a-어간명사들이포기한 -i를유표적으로선택했다고하는것이논리적으로납득하기어렵기때문이다. 두곡용식의합류를가정했을때당면하게되는어려움이여기에도있다. 이러한점들로인해 ja-곡용식의사격에서의어미 -ĕ로의일반화는처-여격의동형성이생격으로확장되었다는해석이더설득력이있게된다. 그렇다면, 문제는이러한확장을동기화한배경은무엇인가하는점이다. 필자는 ja-곡용식의사격발달에여성 i-곡용식의사격패턴이작용했을것으로추정한다. 이러한추정은물론 i-곡용식이보이는 생격 = 처격 = 여격 의동형성에근거하고있다. 또한 ja-곡용류와 i-곡용류가부분적으로동일한어휘적특성을공유하고있는데, 이것이 i-동형성의 ja-곡용식으로의일반화의배경을이룬다고본다. 즉, 이두곡용류는여성이라는어휘적특성과, 어간말자음이모두연자음이라는 ( 예 : ja-곡용류 zeml -, i-곡용류 xudost -, drob -, sol -, 등 ) 형태음운적동일성을공유한다 (4.3 참고 ). i-곡용식과 ja-곡용식사이의단수사격동형성공유라는추정은 (8) 에서보인 ja-곡용식의사격에서의변이 -ě~-i를자연스럽게설명한다. 즉, i-곡용식의 생격 = 여격 = 처격 이라는동형성의영향아래, ja-곡용식생격의본래어미 -ě 가처-여격에도 ( 무표적으로 ) 실현되어동형성이구현될수도있고, ja-곡용식처-여격의본래어미 -i가생격에도 ( 유표적으로 ) 실현되어동형성이구현될수도있을것이다. 그렇다면 i-곡용식의사격동형성패턴은 a-곡용류명사들에도영향을미치지않았을까? a-곡용식의생격과처-여격의어미역시모두 -ě로동일하기때문에생기는당연한의문이다. 필자는중립 a-곡용식은 i-곡용식사격동형성영향권밖에놓여있었다고추정하는데, 이것역시 a-곡용식과 ja-곡용식의합류를부정하는근거가된다. 이점에대해서는다음소절에서상론한다. 4.2.2 a-곡용식. ja-곡용류가 a-곡용식을선택함으로써완전한합류를이룬 OR과유사하게, OND에서도이두곡용식이합류를이룬것처럼보인다. 또한 -ĕ는생격뿐만아니라처-여격에도나타나기때문에 a-곡용식도 ja-곡용식처럼동형성이확장된것처럼보인다. 그러나다음의두가지사실로인해 OND에서는곡용식의합류나동형성의확장가능성모두부정된다.
첫째, (8) 에서보인바와같은 ě~i의자유변이는 a-곡용류에서는나타나지않는다는사실이주목된다. 잘리즈냑에의하면, a-곡용류명사들의단수생격어미형은 -ě가규범 (норма) 이라고하면서, -i는거의나타나지않고 ( большая редкость ), 설령 -i로출현하는경우에도, OND의방언적특성을가진다고규정될수없는문서에나타난다고밝히고있다. 25) 또한 OND의자작나무문서에서는단수처-여격에서 -i의출현이전무하다. 이처럼위의자유변이라는현상이 ja-곡용류에국한되었다는사실은이두곡용류가통합되지않았음을시사한다. 둘째, a-곡용식의생격어미와관련하여중요한통시적사실은 OND 후기 (13세기-15세기) 로갈수록 -i의출현빈도가높아진다는점이다. 그러나처-여격의경우에는이러한현상이전혀발견되지않는다. OND 초기와마찬가지로후기에서도무표적생격어미는 -ĕ이었지만, -i의출현빈도는초기 (12세기까지 ) 의 2%-7% 에서, 13-14세기에는약 13%, 15세기에는약 30% 까지높아진다 (Zaliznjak 2004: 97). 26) a-곡용식의생격과처-여격사이에이처럼변이양상이차별적으로발달했다는점이시사하는바는이들세격이형태적동일성에도불구하고실제로는동형성을가지지않았다는사실이다. 이점은또한 ja-곡용류명사들에서는 (8) 에서보이는자유변이가 OND 후기에도지속적으로나타난다는사실과극명하게대비된다. 표 (9) 참고. (9) OND 어미발달 : a-곡용식 vs. ja-곡용식 초기 후기 a-식 ja-식 a-식 ja-식 단수생격 ĕ~?i ĕ~i ĕ~i ĕ~i 단수처-여격 ĕ ĕ~i ĕ ĕ~i 25) 잘리즈냑의통계에의하면, 단수생격어미 -i의출현빈도는전체출현수의최대 7% ~ 최소 2% 에불과하다고지적하고있다 (Zaliznjak 2004: 97). 26) 잘리즈냑은 -i의점증적출현은초방언적 OR의영향에의한것이라고주장하고있으며, 당시 OND 의단수생격어미 -ĕ~-i의변이는현재러시아남부방언에광범위하게발견되는통사적맥락에조건화된 -ĕ~-i의변이와는다르다고지적한다. 후자의변이에대해서는 Avanesov & Orlova(1965), Bromlej & Bulatova(1972) 등참고.
OND에서는이두곡용식이합류되지않았을것이라고추정하는또다른근거이다. 이상과같은논증은 ja-곡용류명사들은 i-곡용식의동형성모델을받아들였지만, a-곡용류명사들은그렇지않았으며, 이것은 OR과 OND의두방언을가르는형태음운론적차이, 즉 OR의두변이식 (a-식과 ja-식 ) 의합류와 OND 의두곡용식 (ja-식과 i-여성식 ) 의부분적 ( 사격 ) 합류라는등어선 (isogloss) 의설정을가능케한다. 그렇다면, a-곡용류의원래의단수생격어미 -i를대체한 -ĕ의출처는무엇인가? 필자는 -ĕ의출처는다양했을것으로추정한다. 우선 ja-식과 a-식이실질적으로합류가일어나지않았기때문에 a-곡용류가 ja-곡용류의단수생격어미 -ĕ를전적으로받아들였다고보기는어렵다. 그러나두곡용식의합류가능성이배제된다고해서, 개별격어미형이전혀영향을주고받지않았다고추정하는것역시현실적이지않다고본다. 또한가지고려해야할점은 단수생격 = 복수주격 이라는 a/ja-곡용식에특징적인동형성이다. OND에서 a-곡용류의복수주격어미는 -ĕ~-i로나타난다 (Zaliznjak 2004: 98-). 원래 CS의단수생격 = 복수주격어미형이 -i이기때문에, 복수주격에서의 -ĕ의출현은단수생격에서의 -ĕ의출현과마찬가지로 OND에서새롭게형성된어미임에틀림없다. 필자는 -ĕ는쌍수의주-대격어미형 -ĕ 가복수주격으로재해석된결과일수있다고본다. 특히, -ĕ는 дъвѣ-수사구 뿐만아니라, три/четыре-수사구 에서도배타적으로출현한다 (99쪽). 쌍수주격 -ĕ가 3, 4 수사구에원래사용되었던복수주격 -i를대체했다고추정할수있는결정적인증거이다. 따라서 a-곡용식의 단수생격 = 복수주격 의동형성모델에의거해, 생격어미로서의 -ĕ 출현이가능해진다. 마지막으로고대프스코프방언에서보이는생격과처-여격의어미동일성이다. 여기에서는처-여격어미형이일반화되어서, a-곡용류에서는 -ĕ로, ja-곡용류에서는 -i로일반화되었다. 즉, 이방언의 a-곡용식의생격어미형 -ĕ가인접한 OND 단수생격에영향을미쳤을가능성이있다. 그러나전절에서밝힌바와같이, 프스코프방언의동형성모델이 OND로일반화된것은아니고, 개별격의어미형태만 수입 된것으로이해된다.
4.3 등어선의해석 : 곡용류의어휘적특성 그렇다면, OND에서 a-식과 ja-식의차별적인공시적체계와통시적발달을동기화한배경은무엇일까? 필자는이두곡용식의분포환경, 즉곡용류의어휘적특성에서의유사성과차이점에그배경이있을것으로추정한다. 우선 CS 시기에 a-곡용식과 ja-곡용식이동일한곡용식의하위변이식으로구분될수있었던근본적인이유는이들이분포하는명사류의어휘적특성에공통성과차별성을동시에가지고있었기때문이다. 즉이들은여성이면서모음 /a/ 의개음절로끝나는어휘형 ( 즉, 단수주격형 ) 을공통적으로가지는반면, 어간말자음이하나는비-경구개음인반면, 다른하나는경구개음이라는명료한형태음운적특성으로차별화되었다. 예 : CS *žen-a (a-곡용류) vs. svĕtj-a > svĕč-a, *zemj-a > zemĺ-a, *nosj-a > noš-a, *vonj-a > voń-a, 등 (ja-곡용류). 27) 한편 i-곡용식을선택하는명사류는여성이라는면에서동일하지만, 28) 어휘형이 /ь/ 로끝난다는점에서 a-곡용류와 ja-곡용류모두와변별된다. 그러나 i-곡용류의어간말자음의음운적특성은, 예르의변동이전에는, 일부는 a-곡용류와나머지는 ja-곡용류와동일하였다. 예 : *kost-ь ( 비-경구개자음 ) vs. *nokt-i > noč-ь, *rug-i > rъž-ь ( 경구개자음 ). 29) 그러므로이미 CS 시기에 ja-곡용류와 i-곡용류는부분적으로나마어휘적특성을공유하고있었다. 그러나첫째, ja-곡용류의어간말공명경구개음 /ĺ ń ŕ/ 이예르의변동으로 /l n r / 의연자음으로재해석되고, 둘째, i-곡용류의어간말비-경구개자음은음운적으로는중립자음 ( 즉, 경자음 ) 이었지만, 음성적으로는전설모음 [ь] 앞에서음성적으로반연자음 (полумягкий) 이었고, 따라서전설예르 [ь] 의소멸이후이반연자음은음운적으로연자음으로해석되었다. 이결과, 어간말자음의형태음운적특성이라는측면에서 ja-곡용류와 i-곡용류는그차별성이 27) CS의 치음 +j' 연쇄체에서치음은경구개음으로재해석되었고 ( 소위 치음의경구개음화 ), 후행하는 /j/ 는탈락했음 ( 소위 탈요트화 ) 은주지의사실이다. 28) 남성 -i 곡용류는, put 를제외하고는, 이른시기에 jo-곡용식과합류되거나, 자신의성을여성으로바꿔 i-곡용식을선택한다 (Borkovskij & Kuznecov 1965; Vlasto 1986: 94-). 29) 예르의변동이전 CS 시기에연음성 (sharping) 은잉여적음성자질이었다. 따라서 /kostь/ [kost'ь], /nočь/ [noč'ь].
완전히소실되었다. 즉, 두곡용류의어간말자음은경구개음이거나비-경구개음인경우에는연자음이었다. (10) 세곡용류의어휘적특성과통시적발달 a-곡용류 ja-곡용류 i-곡용류 성 여성 여성 여성 어휘형 -a -a -ь > -ø 어간말경구개음 ~ 경구개음 ~ 경자음자음연자음경자음 > 연자음 OR a-곡용식 & ja-곡용식합류 i-곡용식 OND a-곡용식 사격동형성확장 (10) 의표에서보듯, OR에서는어휘형의공통성을기반으로 a-식과 ja-식이합류되었고, OND는어간말자음의공통성을기반으로 ja-곡용식과 i-곡용식이 생격 = 처격 = 여격 의동형성을공유하였다고해석할수있다. 달리부연하면, OR의여성명사는어휘형의음운구조에의거해서 a-식과 i-식으로나뉘어진반면, OND에서는 ja-곡용식이 a-곡용식과 i-곡용식이혼재된일종의혼합식 (mixed/hybrid) 이되었다. 즉, 주-대-조격에서는 a-식을따르고, 생-처-여격에서는 i-식을따른다. 5. 결론 현대러시아어의명사곡용에보이는변이는곡용어미패러다임을기본단위로삼는단어-패러다임적인방식에의해기술된것이사실이다. 예컨대, 팀벌레이크 (Timberlake 2004) 의러시아어참고문법을보면, 단수와복수를모두아우르는어미패러다임을대상으로, 그형식적유사성과차이점을바탕으로 3개의곡용식 (IA-IB, II, III) 을설정한다 (132쪽이하 ). 이렇게어미패러다임전체를바탕으로현대러시아어명사곡용변이의양상을일반화하는기술방식 (Corbett 1991도참고 ) 은고대러시아어의그것과동일하다. 그러나본고에서논의했듯이 (3장) 러시아어곡용체계는역사적으로변이영역의축소화를겪었음이주목된다. 즉변이의단위인곡용식이단수-쌍수-복수모두를포함하는곡용패러다임을바탕으로설정된고대러시아어는역사적전개과정
에서, 특히쌍수의소실과더불어, 복수에서는개별적격에따라변이가규정되면서변이의단위가개별어미화하기때문에, 이제곡용식의설정영역은단수에국한되는축소화변화를경험한것이다. 이러한역사적변화로인해, 현대러시아어에서는단수와복수에서별개의변이양상을보이게된다. 곡용패러다임을하나의단위로삼아설정되는곡용식기술모델 ( 예컨대, Carstairs 1987, Aronoff 1994 등 ) 로는러시아어명사곡용의변이에관한의미있는일반화를포착하지못하는이유가여기에있다. 본고는또한고대노브고로드방언의여성명사에분포하는두곡용변이식 (a-식과 ja-식 ) 의단수생격과처-여격에서보이는공시적패턴과통시적변화를이해하기위해서는이두변이식이분포하는곡용류의어휘적특성을고려해야함을보인다. 이것은곡용식의패턴이나변화를곡용식자체의어미동일성이라는형태적요인에국한해서기술하기보다, 그곡용식이분포하는환경의의미적요인도아울러고려하여야함을예시한다 (4장).
참고문헌 최성호 (2004) 러시아어의곡용에서어미이형태의분포, 러시아연구 14:2, 서울대학교러시아연구소, 279-306쪽. Anderson, Stephen(1992) A-Morphous Morpholog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Aronoff, Mark(1994) Morphology by Itself, Cambrdige: The MIT Press. Avanesov, R. I, & V. G. Orlova(1965) Russkaja dialektologija, Moskva: Nauka. Borkovskij, V. I, & P. S. Kuznecov(1965) Istoricheskaja grammatika russkogo jazyka, Moskva: izdatel'stovo Nauka. Bromlej, S. V. & L. N. Bulatova(1972) Ocherki Morfologii russkix govorov, Moskva: Nauka. Carstairs, A.(1987) Allomorphy in Inflexion, London: Croom Helm. Carstairs-McCarthy, A.(1991) Inflection Classes: Two questions with one answer, in Frans Plank(ed.) Paradigms: The Economy of Inflection, New York: Mouton de Gruyter, pp. 213-253. (1998) Paradigmatic Structure: Inflectional Paradigms and Morphological Classes, in Andrew Spencer & Arnold M. Zwicky(eds.) The Handbook of Morphology, Oxford: Blackwell Publishers, pp. 322-334. Corbett, Greville(1991) Gender,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Norman M. Fraser(1993) Network morphology: A DATR account of Russian nominal inflection, Journal of Linguistics 29, pp. 113-142. Gvozdanovic, Jadranka(1991) Syncretism and the paradigmatic patterning of grammatical meaning, in Frans Plank(ed.) Paradigms: The Economy of Inflection, New York: Mouton de Gruyter, pp. 133-160. Haspelmath, Martin(2002) Understanding Morphology,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Meje, A.(1924/2001) Obshcheslavjanskij jazyk (trans.), Moskva: Izdatel skaja gruppa Progress. Meshcherskij, N. A. et al(1972) Ruskaja dialektologija, Moskva: vysshaja shkola.
Timberlake, Alan(2004) A Reference Grammar of Russia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Vlasto, A. P.(1986) A Linguistic History of Russia to the End of the Eighteenth Century, Oxford: Clarendon Press. Wurzel, W. U.(1989) Inflectional Morphology and Naturalness, Dordrecht: Kluwer Academic Publishers. Zaliznjak, A. A.(1977) Grammaticheskij slovar' russkogo jazyka, Moskva: Slovoiznemenie. (2004) Drevnenovgorodskij dialekt, 2nd ed., Moskva: Jazyki slavjanskoj kul tury. Zwicky, Arnold M.(1991) Systematic versus accidental phonological identity, in Frans Plank(ed.) Paradigms: The Economy of Inflection, New York: Mouton de Gruyter, pp. 113-131.
Abstract Allomorphy Pattern of Nominal Declension in Synchrony and Diachrony: Evidence from Old Russian and Old Novgorod Dialect Choi, Sung-ho * This paper discusses nominal declension patterns of Old Russian (=OR) and Old Novgorod dialect (=OND). Noting that desinence paradigm and desinence pattern should be carefully distinguished, it maintains that establishment of desinence pattern as an allomorphic unit should be based upon two formal principles, namely uniqueness and entailment. This makes it possible to clearly recognize that one of the morphophonemic changes in OR declension is reduction in variation domain, viz change in allomorphic unit: in OR declension pattern was defined in terms of the whole declensional paradigm, while in CSR declension pattern should be defined only in the singular sub-paradigm, which suggests that individual cases in the plural have their own allomorphic patterns. The second point to be discussed in section 4 is to show that the dialectal isogloss between OR and OND a/ja-declensions could be explained in terms of differential interpretation of lexical features between the two declension classes. Specifically, OR merges the two variant declension patterns, which is motivated by the common lexical features of gender ([feminine]) and lexical form ([-a]); OND s partial merger of Gen-Loc-Dat cases between ja-declension and i-declension is motivated by their common lexical features of gender ([feminine]) and morphophonemics ([stem ending in sharping]). Key words: Old Russian, Old Novgorod Dialect, Birchbark Letters, Declensional Paradigm, Declension Pattern, Declension Class, Allomorphy, Variation, Isogloss, Morphophonemics. * Professor,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최성호충북대학교교수. 미국 UCLA 슬라브어학박사. 러시아어및슬라브제어곡용형태론, 러시아어음운론및형태음운론, 통사유형론등이주된연구영역. 최근에일반언어학적, 유형론적시각에서한국어의통사적특성을러시아어와비교해서연구하고있음. 최근논문으로는 통사적관계 : 서술과평언, 교착통사론: 생략과부가 등이있다. Choi, Sung-ho The author is a professor at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whose primary academic interest is in Slavic declensional morphophonemics, Russian phonology, and syntactic typology. His recent publications are Syntactic Relations: Predication and Comment, Agglutinative Syntax: Ellipsis and Adjunction, among others, which concentrate on some typ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with respect to sentential syntax. 논문투고일 : 2014. 9. 30 논문심사일 : 2014. 10. 10 ~ 10. 30 심사완료일 : 2014. 11. 5 논문심사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