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dx.doi.org/.579/hswr.8.38.4.9 황애리 ( 서강대학교 ) 나은영 * ( 서강대학교 ) 본연구는정신건강관련내용들이뉴스에서어떤프레임과논조로보도되고있는지를살펴보고, 향후정신건강관련언론보도의바람직한방향을모색하는데그목적을두고있다. 연구를위해최근 년간 3개의일간지에보도된정신건강관련기사를토대로내용분석을실시하였으며그결과, 정신건강관련검색어들중특히자살및우울증관련기사의빈도가높았음을알수있었다. 또한부정적인논조의기사가많았으며, 뉴스프레임의경우인간적흥미프레임과갈등프레임, 사회적프레임의순으로빈도가많이나타났다. 같은정신건강관련이슈라하더라도필자유형이나기사유형, 기사내성별과연령등에따라부정적논조가다르게나타났다. 이러한현상은뉴스프레임의경우도동일하게나타났다. 어떤뉴스프레임이냐에따라기사논조에서도차이가있었는데, 뉴스프레임중부정적논조가많이나타나는프레임은위기프레임과갈등프레임, 사회적프레임이었고, 예방프레임의경우긍정적논조의기사가많은것으로분석됐다. 본연구는정신건강언론보도를우울증, 자살등의영역으로나누어내용분석에집중하였던기존의연구를개괄적인정신건강영역으로확대하여분석해보았다는점에의의가있다. 정신건강에대한사회적관심과정책적노력이증가하고있는상황에서본연구가언론이정신건강에대한정확한정보를전달하고, 이슈를기사화하는데있어바람직한보도방향을정립하는데기여할수있기를기대한다. 주요용어 : 정신건강, 언론보도, 내용분석, 뉴스프레임, 기사논조 이논문은나은영, 황애리, 최미경, 임인재 (7) 가국립정신건강센터의위탁을받아수행한 정신건강보도현황분석및개선방안연구 의최종보고서의일부자료를토대로작성되었다. 내용분석의제 코더로수고해준최미경, 임인재님께감사드린다. * 교신저자 : 나은영, 서강대학교 (ena@sogang.ac.kr) 투고일 : 8.7.3 수정일 : 8.9.6 게재확정일 : 8..4 9
Ⅰ. 문제제기 급박하게변화하는세상속바쁜현대사회를사는사람들에게정신건강은더이상간과할수없는사안이되었다. 우리나라성인인구 4명중 명은평생 번이상의정신질환을겪지만, 그중정신과전문의, 기타정신건강전문가를통해상담 치료를받는비율은.% 로선진국의절반에도못미친다고한다 ( 보건복지부, 7). 하지만정신질환과정신과치료에대한사회의부정적인식때문에 ( 공수자, 997; 국가인권위원회, 8), 치료를방치하여나중에심각한결과를초래하는경우가발견되곤한다. 정신건강의개념은매우포괄적으로정의되고있다. 세계보건기구 (WHO World Mental Health Survey Consortium, 4, p.8) 는정신건강 (Mental Health) 을 정신질환이없는상태뿐만이아니라개인이자신의능력을깨닫고, 삶에서발생하는스트레스에대처하고, 생산적인일을통하여자신이속한사회에기여할수있는안녕상태 로정의하고있다 ( 배정이, 양미경, 6 재인용 ; 백혜진, 조혜진, 김정현, 7, p.9 재인용 ). 정신건강개념을조사한국내연구에따르면, 우리나라사람들도정신건강을단순히 정신질환 이없는상태가아니라자신에대한태도, 성장, 자아실현등을포함하는폭넓은개념으로인식하고있다 ( 김동배, 안인경, 4). 그런데이러한정신건강에대한포괄적개념정의와는별개로여전히많은사람들이정신질환에대한사회적편견과낙인에대한두려움으로정신과치료를꺼리고지연시키고있으며 (Jorm, ; Lipczynska, 5), 정신건강에대해사실과다르게이해하거나알고있는경우가많다. 기존연구에따르면, 보통공중은언론을통해정신질환에대한다양한사건및정책, 연구결과를접하고, 정신질환에대한인식이나태도에상당한영향을받는다 ( 이선혜, 서진환, ; Goulden et al., ; Rhydderch et al., 6; 백혜진, 조혜진, 김정현, 7 재인용 ). 그런데최근정신건강관련기사들을살펴보면, 정신질환이있는범죄자의사례가강조되어보도되면서정신질환증상이있는사람들에대한낙인과거부감을확산시키는경우가많다. 또한우울증을앓고있던유명인의사망사건기사에서우울증을사인을부각시켜보도함으로써정신건강에대한인식이나감정을한쪽방향으로몰고가버린사례들도있다. 6년강남역살인사건의경우여성혐오범죄냐정신질환자의범죄냐하는논란중에경찰은이사건을 정신질환자 ( 조현병 ) 에의한범죄 로결론을내렸고이내용이언론에크게보도되었는데, 백혜진, 조혜진, 김정현 (7, p.8) 은 9
이러한보도가일반공중에게정신질환자전체에대한사회적낙인을찍는데일조했을수있다고설명하고있다. 이러한정신건강언론보도의편중성과더불어우리나라에서이루어지는정신질환의언론보도현황에대한연구는여전히소수에불과하다. 주요언론이정신질환을어떻게다루고있는지에대한학문적관심 ( 노수진, 윤영민, 3; 이하나, 안순태, 3; 조수영, 김정민, ) 과함께다양한정신질환유형에대한언론보도내용분석연구의필요성이제기되고있는것이다 ( 백혜진, 조혜진, 김정현, 7). 이미정신건강에대한편견을극복하기위한방법으로대중매체의보도가공정하고정확해야함이앞서언급한여러연구를통해언급되어오고있고, 이와관련하여정신건강언론준칙을수립하기위한노력도있어왔다 ( 나은영, 황애리, 최미경, 임인재, 7). 올바른정신건강에대한지식과정보전달매체로서언론의중요성또한강조되고있다 ( 국가인권위원회, ). 이에본연구에서는 6년과 7년에걸친약 년간정신건강이전반적으로어떻게보도되고있는지살펴보고자하였다. 특히정신건강에대한국내언론보도의논조나프레임이전반적으로어떻게나타나고있는지파악함으로써, 언론을통해형성되는정신건강에대한낙인과거부감을해소할수있는방안을고민하고자한다. 이를통해향후바람직한언론보도방향을제언함으로써, 국민들의정신건강언론보도에대한이해를제고하고, 정책입안자와실무자들에게유의미한시사점을제공하고자한다. Ⅱ. 이론적배경. 정신건강과미디어 미디어는정신건강에대한사회인식조성에중요한역할을수행하며 (Borinstein, 99; Leo & Lacasse, 8), 건강정보를폭넓게전파하기위한효과적인수단이라고볼수있다 (Brodie, Hamel, Altman, Blendon, & Benson, 3). 또한미디어가사람들에게건강정보를제공함으로써지식을증가시키고, 건강검진과식습관의개선등세부적인행동을유도하는데도직접적인효과가나타나 (Bastani, Marcus, Maxwell, Das, & 9
Yan, 994; Entwistle, 995; Yanovitzky & Blitz, ) 이에주목할필요가있다. 많은사람들이의사나지인을통한소통에서보다미디어를통해건강과관련하여질병예방및치료지식에대한정보를전달받고있다는사실 (Brodie, Hamel, Altman, Blendon, & Benson, 3) 은건강관련미디어의파급력과중요성에서시사하고있는바가크다. Entman(993) 에따르면, 미디어는정보를선택및강조하여전달하고자하는특성이있다, 이와관련한기존연구를살펴보면, 미국 4대방송사의프라임시간대에방영된프로그램에대한내용분석을실시한 Diefenbach(997) 의연구결과에따르면, TV에서묘사되는정신질환자는드라마, 시사프로그램, 리얼리티쇼등의장르구분없이보통의미국시민에비해 배정도위험하게그려지는것으로나타났다. 영화상에서부정적으로묘사된정신질환자를본관객들은동일한영화를보지않은관객들과비교해볼때, 정신질환자에대한동정이덜하고, 시설에격리시키는것을긍정적으로여기는등정신질환자를부정적으로바라보는경향이크다고한다 (Wahl & Lefkowits, 989). 국가인권위원회 () 가실시한국내연구결과에따르면, 대중매체유형에상관없이정신장애인의이미지를부정적으로묘사하여정신장애인에대한잘못된정보를전달하고고정관념과편견을형성하는데일조한다고지적하고있다. 대중은보통언론을통해정신건강이슈에대한여러사건과정책, 연구결과들을보고들으며, 그에대한인식과태도에많은영향을받는다 (Goulden et al., ; Rhydderch et al., 6; 백혜진, 조혜진, 김정현, ). 따라서기사의관점이나분위기를일컫는기사의논조가정신건강이슈에대한일반국민의인식과태도에도영향을줄것이라는예측이가능하다. 이처럼미디어는정신건강을일반시청자와독자들에게그들의전달방식으로다르게각인시키고있다. 본연구에서는미디어중에서도뉴스를통한언론보도에서정신건강이어떻게그려지고있는지살펴보고자한다.. 정신건강에대한언론보도내용분석연구 지금까지정신건강언론보도를다룬기존연구에서살펴본바와같이일부정신건강에대한보도행태는일반인들의정신질환에대한편견을해소시키기보다는정신질환은낫지않는병이거나, 사회생활이어려운것으로보도하여편견을야기하고있다. 이에많은국가들은미디어의정신건강언론보도분석에있어주의를촉구하여미디어가이드 93
라인을준수할것을언론에촉구하고있으며, 국내에서도관련언론보도준칙수립을위한기초연구가진행된바있다 ( 나은영, 황애리, 최미경, 임인재, 7). 정신건강언론보도에대한내용분석연구중기사논조에대한것을살펴보면, 김성완, 윤진상, 이무석, 이형영 (, p.838) 이 998년부터 년 월까지보도된정신분열, 정신병, 정신질환, 정신이상 4개검색어를포함한총 36건의동아일보와조선일보기사의분석결과에따르면, 부정적논조의기사가분석대상기사의 69.9% 를차지하였는데, 정신병환자를위험하고난폭하게묘사하여범죄를저지를위험성이높은것으로전달하는기사가절반이상 (8건) 으로나타났다. 이명수, 고정아, 오정하, 신윤식, 박정숙 (9, p.) 의 정신건강과자살에대한인터넷언론보도경향분석 에따르면정신건강관련,495건의기사중긍정적관점으로분류된기사는 47건 (6.5%), 부정적관점으로분류된기사는 358건 (3.9%) 으로나타났다. 정신건강관련기사논조가이처럼부정적인방향에치중하고있다는것은우리에게시사하는바가크다. 이러한기사의논조는낙인효과나기사내언급되는정신질환의원인, 기사의주요초점요소, 필자유형등에의해서도다르게나타날수있다. 왈과우드, 그리고리차드 (Wahl, Wood, & Richards, ) 의연구에서는미국신문의정신질환보도의가장중심적인주제가정신질환의위험성이고, 정신질환자에대한묘사가주로폭력과범죄, 역기능, 장애와같은사안들에중점을두고있는것으로나타났다. 정신질환에대한언론보도에서정신질환을겪었던사람들의회복이나성취와같은긍정적요소에초점을맞춘경우는거의없고, 실제정신적인문제를가진사람들의의견이보도되는경우도거의없었다 (Wahl, 3). 마찬가지로, 정신질환자의범죄를다루고있는신문기사에노출된독자의경우그렇지않은독자에비해정신질환자를위험한대상으로바라보는경향이짙다 (Thornton & Wahl, 996). 백혜진, 조혜진, 김정현 (7, p.5) 은 6년 8월 일부터 6년 7월 3일까지 년간 5대주요일간지의기사에서정신병, 정신질환, 정신장애, 정신건강중하나이상의단어를포함한기사,7건을토대로정신질환의정신질환낙인유형을분석한결과에따르면, 정신질환관련낙인이보도된경우는 3건이었다. 낙인구성 5차원중라벨링 53건 (6.5%), 사회적거리감 33건 (.%), 지위상실 7건 (36.3%), 부정적인속성 9건 (37%) 으로나타나, 이에대한주의가필요함을지적하고있다. 94
노수진과윤영민 (3, p.5) 의연구를살펴보면,,6건에달하는기사모집단에서추출한분석대상기사 건의 /3 정도가우울증의원인을언급하지않았고, 절반이넘는기사가우울증의원인을소심한성격, 사회 심리 환경적원인, 불우한환경등으로언급하였으며, 신경생물학적원인을언급한기사는소수에불과했다. 반면에신경생물학적원인이언급된기사일수록적극적, 소극적치료방식이제시되는비율이높은것으로나타났다. 한편, 국가인권위원회 (, p.4) 가정신건강관련부정적기사의내용분석을 년전과비교해보니부정적기사에서발병원인에대한내용은발견되지않은반면, 우울증, 조울증과같은진단명이나정신질환이라는명칭자체가문제행동의원인으로지목되고있으며, 난폭하고위험하다는식의표현도여전히높은비중을차지하고있었다. 정신질환과관련하여한국지상파 3사의 TV 뉴스의내용을분석한연구도있다. 조수영과김정민 (, p.99) 이실시한 정신질환관련지상파 TV 뉴스분석 연구에따르면, 997년부터 9년까지한국지상파 3사 (KBS, MBC, SBS) 의 TV 뉴스에서정신건강및정신질환에관해방송한분석기사 668건중 97건 (4.6%) 만이과학적연구결과를언급하고있는것으로나타났다. 이는미국에서는유방암관련 TV 뉴스의 5% 이상, 폐암관련 TV 뉴스의약 37% 가량이과학적연구결과를언급하고있는상황과비교해볼때, 우리나라의경우과학적연구결과를정신건강및정신질환보도의근거로제시하는비율이매우낮은것이다. 또한동연구에서는정보원의유형이일반인 39.5%, 의사 8.3%, 환자혹은환자가족 5.%, 연구자 8%, 경찰 6.6%, 정치인및국가관련기관인 3.8%, 유명인 3.3% 순으로나타났으며 (p.94), 지상파 TV 뉴스가정신질환의원인을유전적, 생물학적측면에서찾는경우는 8건 (.7%), 정서적, 사회적, 환경적스트레스와같은심리사회적원인에서찾는경우가 34건 (5%) 으로서절반을넘어 (p.95), 마치정신질환이정신력의열등함이나심약함때문에발생한다고믿게하는경향이있음을지적하고있다 (p.99). 한편, 유현재와송지은 (, p.44) 은독자들이기사의필자가누구냐에따라서자살보도를받아들이는태도에다른결과를초래할것으로예측한바있다. 다시말해, 필자의유형이기자, 전문기자, 의료전문가, 여타분야의전문가, 일반인이냐에따라전문성과신뢰성, 그리고매력도의부분에서서로다른태도가나타날것으로생각한것이다. 또한안민선 (7) 은전달자의전문성수준에따라수용자들이서로다른반응 95
을보인다는것을연구를통해입증한바있다. 이러한선행연구들을참고하여, 본연구에서는특히정신건강에대한전반적인뉴스프레임과논조등을살펴봄으로써, 정신건강언론보도에어떤특징이있는지고찰해보고자한다. 3. 정신건강뉴스프레임과기사논조 고프만 (Goffman, 974) 에따르면, 프레임 (Frame) 은개인이나집단이사회에서벌어지고있는사건에대해인지하고평가하고명명하는것을가능하게한다. 같은맥락으로길튼 (Gitlin, 98) 은프레임이란언론이사회의특정한부분을선택, 강조, 배제함으로서특정한이슈나사건에대해견해를구성하게만드는것이라고설명한다. 프레임중뉴스프레임의경우현재다양한이론으로정의되고있다. 이희영, 김정기 (6, p.8) 는뉴스프레임연구를통해언론이어떤프레임을통해현실을수용자에게전달하고, 사건이나이슈를어떠한프레임으로재구성하여보여주는지를밝힐수있다고하였다. 그리고이슈에관련된여러사항중에일부만을선별하거나강조하여뉴스의지배적의미를구성한다는점에서다양한뉴스프레임개념에대한일치가어느정도이루어진다고보았다. 터크먼 (Tuchman, 978) 은뉴스를세상의수많은사건과세부적인사항들가운데일부를선택하고해석해서구성한현실로정의했고, 넬슨, 클로슨, 옥슬리 (Nelson, Clawson, Oxley, 997) 는프레임을 정치적이고사회적인특정사안과연계된수많은것들중하나를선택하여주제로정의하고그와의도적으로연계시킨일련의관심사항들을정리하는과정 으로포괄적으로정의했다 ( 이희영, 김정기, 6, p. 재인용 ). 뉴스프레임은여러유형으로구분된다. 아이옌거 (Iyengar, 99) 는뉴스메시지제시형식을토대로일화적프레임과주제적프레임으로구분했다. 일화적프레임은해당이슈혹은사건에서개인이나집단의행위및문제에대한사건중심의묘사가주를이룰때, 주제적프레임은사건의원인과결과를분석적으로해석할때분류된다. 세멧코와벨켄버그 (Semetko & Valkenburg, ) 는선행연구들을토대로뉴스프레임유형을갈등프레임, 인간적흥미프레임, 경제적프레임, 도덕성프레임, 책임귀인프레임으로정리했다. 갈등프레임은집단이나조직간갈등과충동을강조한프레임이며, 96
인간적흥미프레임은사건을표현함에있어감정에초점을맞추는프레임이고, 경제적결과프레임은사건의결과에서경제적측면을부각하는프레임이다. 도덕성프레임은사건이나이슈에접근함에있어도덕적규범차원에서접근하며, 책임귀인프레임은문제의원인이나책임에중심을두는프레임이다. 건강보도의뉴스프레임과연관하여히긴스, 네일러, 베리, 오코너그리고맥클레인 (Higgins, Naylor, Berry, O Connor, McLean, 6) 은질병, 라이프스타일, 행동, 사회적프레임의총 4개의프레임을제시한바있다. 질병프레임은의학적발견이나진단및치료를다루고, 라이프스타일프레임은질병관련생활유형에집중하며, 행동프레임은건강해지기위한행동의변화를강조하고, 사회적프레임은정부와사회의책임을강조한다. 우울증에대한온라인뉴스의언론보도프레임을분석한노수진과윤영민 (3) 의연구에따르면, 이들언론보도에있어원인과치료방식에대한제시는거의없고, 개인적문제측면에대한보도가많아수용자들에게해당질병에대한그릇된인식을심어줄우려가있다고지적하였다. 그런데뉴스프레임은기사논조와도깊은관계가있다. 실제로기사논조가긍정, 부정, 중립이냐에따라서정신건강이슈에대한일반국민의인식과태도에도변화가있을가능성이크다고볼수있으며, 뉴스프레임의또다른맥락으로해석할수도있다. 따라서본연구에서는정신건강언론보도의뉴스프레임과논조의경향과관계도함께살펴볼것이다. Ⅲ. 연구문제 본연구에서는기존정신건강에대한연구들을토대로최근 년간정신건강관련언론보도의경향과특성을살펴보고자한다. 특히언론의정신건강보도현황을고찰하고, 뉴스프레임과기사논조의차이를가져오는변수가무엇인지분석하고자다음과같이연구문제를도출하였다. 연구문제 은정신건강에대한언론의전반적인보도특성을살펴보기위해설정한것이다. 분석유목으로는기사검색어, 기사유형, 필자유형, 기사의주된정서로이들의분석을통해한국언론의정신건강관련보도에있어전반적인경향을고찰하였다. 97
연구문제. 한국언론의정신건강관련보도는어떤특성들을보이는가? 연구문제 -. 언론보도에서기사유형과필자유형은어떻게나타나고있는가? 연구문제 -. 언론보도에서기사의중심이되는성별과연령, 국적은어떻게나타나고있는가? 연구문제 -3. 기사의주된정서는어떻게나타나고있는가? 더나아가, 정신건강관련언론보도의기사논조와뉴스프레임을분석하여기사가어떠한방향과분위기를나타내는지살펴보고자다음과같이연구문제 를설정하였다. 연구문제. 한국언론의정신건강관련보도에서기사논조와프레임은어떻게나타나는가? 연구문제 -. 정신건강언론보도에서기사논조는어떻게나타나는가? 연구문제 -. 정신건강언론보도에서뉴스프레임은어떻게나타나는가? 연구문제 -3. 정신건강언론보도에서기사논조와프레임은어떤요인들에의해차이가나타나는가? 또한, 기사논조와뉴스프레임이서로관계가있는지살펴보고, 이를바탕으로바람직한정신건강언론보도의방향을제시하는데함의를도출하고자연구문제3 을다음과같이설정하였다. 연구문제 3. 정신건강언론보도의기사논조와뉴스프레임간에서로의미있는관계가있는가? 98
Ⅳ. 연구방법. 분석대상 본연구는한국언론의정신건강전반에대한보도특징을파악하기위한것이다. 하지만연구의집중도를위해방송과인쇄매체등을제외한포털사이트의일간지만을분석대상에포함시켰다. 이러한주요일간지분석으로도한국언론이정신건강을어떤방식으로보도하고있는지대략적인파악이가능하다고보았기때문이다. 본연구는 6년 월 일부터 7년 9월 3일까지 년 9개월에걸쳐네이버뉴스검색상에설정되어있는경향신문, 국민일보, 내일신문, 동아일보, 매일일보, 문화일보, 서울신문, 세계일보, 아시아투데이,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레, 한국일보총 3가지의주요일간지에서보도된정신건강관련기사를분석대상으로선정하였다. 이들기사의수집은한국인이가장많이이용하는뉴스소비방식중하나인네이버포털사이트의뉴스검색에서일간지로분류된매체들을대상으로하였으며, 검색시앞에서언급한매체명으로표시되는경우를모두포함하였다 ( 김선호, 김위근, 6; 백혜진, 조혜진, 김정현, 7). 기사는 정신건강, 정신질환, 정신장애, 정신병, 우울증, 조울증, 자살, 조현병 총 8개의키워드중하나이상포함되어있는정신건강관련기사로추출하였다. 정신건강관련검색어를통한정신건강언론보도주요변수의빈도분석을살펴보면, 자살이 5건 (38.8%) 으로가장많았고, 우울증 64건 (.%), 정신질환 건 (5.3%), 정신건강 64건 (.4%), 조현병 8건 (6.%), 정신장애 47건 (3.6%), 정신병 3건 (.4%), 조울증 8건 (.4%) 이그뒤를이었다. 표집추출은로저 D. 위머, 조셉 R. 도미니크 ( 4, p.56) 가 일주기의층화표집이잡지나신문모두에게가장적합하다는연구결과 (Riffe, Lacy & Drager, 996; Lacy, Robinson & Riffe, 995) 를참고하여언급한바와같이 일주기추출방식으로진행하였다. 검색결과 3개언론사에서해당키워드를하나이상포함한기사,69건이추출되었다. 검색시사용한키워드가정신건강과상관없이사용된기사나홍보성기사, 단순언급되거나비유적으로사용된일부기사의경우를제외하고, 총,건의표집된기사를최종코딩에활용하였다. 분석단위는기사로하였으며, 제목과본문을함께검토하였다. 99
. 코딩범주와조작적정의 가. 기사유형 기사유형은윤석홍과김춘옥 (4), 이하나와안순태 (3), 이화행 (7), 백혜진, 조혜진, 김정현 (7) 등의연구를토대로스트레이트기사, 기획기사, 인터뷰, 칼럼으로구분하였고, 이러한유형에해당하지않는기사는기타로코딩하여진행하였다. 나. 필자유형 필자의유형은기자유형을의미하며, 백혜진, 조혜진, 김정현 (7) 등의연구에서도출한분석유목을토대로일반기자, 의료전문기자, 다른분야의전문기자, 의료전문가, 타분야전문가, 일반인, 기타로구분하였다. 다. 기사정서 기사정서란기사가독자에게유발하는주된정서로정신질환에대해나타날수있는감정적반응에대한선행연구 ( 김정은, 서진환, 5; 박근우, 서미경, a) 를참고하여공포, 불안, 죄책감, 공감, 희망, 유머, 기타로나누어다중응답이가능하게하였다. 라. 기사논조 전반적인기사의논조는김연종 (5), 김성완, 윤진상, 이무석, 이형영 () 과조경숙과한균태 () 의연구를참고하였으며, 언론보도에서정신건강에대한시각혹은관점으로조작정의하여측정하였다. 주관적판단이필요한분석유목으로기사에호의적이고, 이해가표출되는경우긍정적, 단순인용이나명확하지않은경우는중립적, 비판적이고편견이나반대의의견이담긴경우부정적으로분류하였다. 3
마. 뉴스프레임 앞서살펴본기존연구들에따르면, 뉴스프레임에대한정의는연구들마다각기차이가있다 (Gamson, 988; Entman, 99; Pan & Kosicki, 993). 본연구에서는세메코와벨켄버그 (Semetko & Valkenburg, 999) 의내용차원의프레임분류를토대로하였고, 뉴스프레임의경우노수진과윤영민 (3, p.5) 이선행연구 ( 정의철, ; 조수영, 김정민, ) 를근거로제시한우울증보도의의학적, 인간적흥미, 예방, 위기, 갈등, 사회적, 상업적, 정책프레임의조작적정의를 < 표 > 과같이수정 활용하였다. 기사에서지배적인프레임을결정하기어려울경우재독해를통해헤드라인과기사초입의내용을참고하여단일화하였다. 표. 뉴스프레임의정의 프레임 내용 의학적 정신질환의원인과증상, 검진및치료법, 의학적발견및새로운치료법소개 인간적흥미 정신건강관련한개인이나유명인이겪은일화를제시하거나관련된이벤트소개 예방 정신건강관련예방행동이나캠페인보도 위기 정신건강문제의심각성과위험성을알리고사태의급박성강조, 해결촉구 갈등 정신건강관련사건, 사고혹은관련법적 / 도덕적분쟁보도 사회적 정신건강관련사회구조, 정치 / 경제문제보도 상업적 정신건강관련정보를상업적관점에서다루고특정병원이나서비스홍보 정책 정신건강관련정부의지원과예산등정책문제중심보도 자료 : 노수진, 윤영민 (3), p.5에서재구성 3. 코딩절차및코더간신뢰도측정 본연구는매스커뮤니케이션학에서다수활용되고있는내용분석을분석방법으로취했다. Kerlinger(986) 는변수를측정할목적으로커뮤니케이션내용들을체계적이고객관적이며수량적인방식으로연구하고분석하는방법을내용분석의정의로제시한바있다. 본연구는본격적인내용분석에앞서기사분석의타당성을확보하기위해서울 3
지역 3명의대학원생이사회과학분야내용분석의표준절차 (Wimmer & Dominick, 5) 를준수하여분석유목에대하여충분히숙지하고, 독립적으로코딩을진행하였다. 처음에는그중한명이제코더로 6년과 7년해당기사모두를코딩하였고, 나머지두명의코더는각각 6년과 7년에해당하는기사를코딩하였다. 그후제코더가실시한코딩기사의 % 와제코더, 제3코더가실시한코딩표본의약 % 를홀스티검증공식을이용하여코더간신뢰도를확인하였다. 측정결과, 기사유형 =.96, 기사제목의특성 =.88, 기사내용의특성 =.96, 검색키워드포함여부 =.87, 기사논조 =.9, 기사가독자에게유발하는주된정서 =.88, 뉴스프레임 =.86으로그결과는대체로만족스러웠다. 코더간의견이불일치가된항목에대해서는개념조정작업을거쳐논의한뒤동의를구해조율하는과정을거쳐진행하였다. 한편, 기사의중심이되는필자유형, 정신질환관련자의성별, 기사내사례의국적, 기사내에서언급된정신질환유형은기사에서동일하게확인될수있는변수로별도의신뢰도측정없이코더 의측청치를따랐다. 코딩이완료된데이터는변수의기본적특징과차이등을살펴보기위해빈도분석과교차분석, 카이스퀘어검정을실시하였다. Ⅴ. 연구결과 본연구는 6년 월 일부터 7년 9월 3일까지 년 9개월에걸쳐네이버뉴스검색상에설정된 3개의일간지에서보도된 정신건강, 정신질환, 정신장애, 정신병, 우울증, 조울증, 자살, 조현병 관련기사,건에대한내용분석을실시한것으로, 그결과는다음과같다.. 한국언론의정신건강보도특성 먼저빈도분석을통해주요변수의특징을확인하였다. 정신건강관련검색어를 < 표 > 를통해살펴보면, 자살이 5건 (38.8%) 로가장많았고, 우울증 64건 (.%), 정신질환 건 (5.3%), 정신건강 64건 (.4%), 조현병 3
8건 (6.%), 정신장애 47건 (3.6%), 정신병 3건 (.4%), 조울증 8건 (.4%) 이그뒤를이었다. 특정건강이슈에기사가집중되어있는만큼, 기사를접하는다양한독자와기사가미치는사회적영향력을고려해정신건강에대한정보를전달하고, 기사화하는데세심한주의를기울일필요가있다고판단된다. 표. 뉴스검색어빈도분석 ( 다중응답 =,343) 검색어 기사수 ( 건 ) 비율 (%) 정신건강 64.4 정신질환 5.3 정신병 3.4 우울증 64. 조현병 8 6. 조울증 8.4 자살 5 38.8 정신장애 47 3.6 자료 : 나은영, 황애리, 최미경, 임인재 (7), p.45 재인용 가. 기사유형과필자유형 다음으로기사유형을살펴보았다. 최종분석에사용된,개의기사표본에서스트레이트기사가 76건으로 75.4% 를차지해가장높게나타났다. 그뒤를이어기획 건 (.%), 기타 73건 (7.)%, 칼럼 59건 (5.8%), 인터뷰 6건 (.6%) 로나타났다. 필자유형은일반기자가 9.% 로대다수인 9명을차지했다. 단, 이번내용분석에서다소아쉬운점을들자면, 보건복지부나건강분야부처와기관의출입기자들을의료전문기자가아닐경우모두일반기자로분류했다는점이다. 단순히사회면에서다뤄지거나의료전문이라는단어가없다고해도정신건강관련분야의취재를오래했을가능성과사회부기자등을분류해집계하는것을미처고려하지못해모두일반기자로집계되어향후연구에서는보완이필요하다. 타분야전문가가 7명으로.7%, 의료전문기자는.% 에해당하는 명, 의료전문가는 명으로.% 를차지했다. 관련자세한빈도분석의결과는아래 < 표 3> 에제시하였다. 33
표 3. 기사유형 / 필자유형빈도분석 (N=,) 요인구분기사수 ( 건 ) 비율 (%) 기사유형 필자유형 스트레이트 76 75.4 기획. 인터뷰 6.6 칼럼 59 5.8 기타 73 7. 일반기자 9 9. 의료전문기자. 다른분야의전문기자 5.5 의료전문가. 타분야전문가 7.7 일반인투고 6.6 기타. 자료 : 나은영, 황애리, 최미경, 임인재 (7), pp.4-43 재인용 나. 성별과연령및국적의표현 기사에서중심적으로언급되는정신질환관련자의성별을살펴보면, 남성은 34건으로 3.%, 여성은 4명으로.3% 로나타났으며, 구분없음은 56건으로 55.6% 였다. 연령대는성인이 58명으로 57.4%, 아동 청소년이 76건으로 7.5%, 영유아가 9건으로.9%, 노인이 7명으로 6.8% 로분석되었으며, 사건사고를보도하는경우기사에연령대가잘잘드러나지만, 예방을주제로한기사나칼럼등은기사내에연령대가드러나지않아 74건으로 7.4% 를기록했다. 한편, 기사내사례의국적은국내가 88건으로 8.9%, 해외가 6건으로.5% 로나타났다. 이는기사코딩시자살폭탄테러등국제적인사건사고들을배제하고, 실질적인정신건강관련언론보도들로만추려진결과라고볼수있다 ( 표 4). 34
표 4. 기사의중심이되는성별 / 연령대 / 국적의빈도분석 (N=,) 요인구분기사수 ( 건 ) 비율 (%) 남성 34 3. 성별 여성 4.3 트랜스젠더. 구분없음 56 55.6 영유아 9.9 아동 청소년 76 7.5 연령대 성인 58 57.4 노인 7 6.8 드러나지않음 74 7.3 국내 88 8.9 국적 해외 6.5 해당없음 57 5.6 자료 : 나은영, 황애리, 최미경, 임인재 (7, pp.43-44 재인용 ) 다. 기사의주된정서 다음으로는정신건강관련기사가주는주된정서를살펴보았다. < 표 5> 를보면, 기타를제외하고가장많은정서로는공감이 건으로.4%, 희망이 86건으로 7.9% 이었다. 공포와불안은각각 55건 (5.%), 64건 (5.9%) 으로나타났다. 753건으로 69.6% 를나타낸기타의경우굉장히중립적인기사논조임에도그내용이끔찍한경우는공포나불안보다는분노가컸던것으로보인다. 그리고부정적인논조도공포나불안을유발하기보다는분노나안타까움을불러일으키는경우가있어기타로분류된것으로추측된다. 35
표 5. 기사가독자에게주는주된정서빈도분석 ( 다중응답 =,8) 구분 기사수 ( 건 ) 비율 (%) 공포 55 5. 불안 64 5.9 죄책감.9 공감.4 희망 86 7.9 유머. 기타 753 69.6 자료 : 나은영, 황애리, 최미경, 임인재 (7, p.47 재인용 ). 정신건강관련기사논조와프레임 가. 기사논조와프레임분석 다음으로정신건강관련기사전반의분위기가어떠한지기사논조와프레임을분석한결과, < 표 6> 과같이나타났다. 긍정적, 중립적, 부정적으로구분된전반적인논조를분석한결과중립적이 787건으로 77.8% 로나타났고, 부정적논조가 48건으로 4.6%, 긍정적논조의기사수는 76건으로 7.5% 로나타났다. 중립적논조를제외하고봤을때부정적논조가긍정적논조의약 배에달함을확인할수있다. 한편, 정신건강관련기사들의뉴스프레임을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인간적흥미프레임이 37건으로 3.3%, 갈등프레임이 85건으로 8.3%, 사회적프레임이 8건으로 7.9% 를나타냈다. 그뒤를이어의학적프레임이 78건으로 7.7%, 정책프레임이 67건으로 6.6%, 위기프레임이 39건으로 3.9%, 상업적프레임이 6건으로.6% 로나타났다 ( 표 6). 36
표 6. 기사논조와뉴스프레임빈도분석 (N=,) 요인구분기사수 ( 건 ) 비율 (%) 기사논조 뉴스프레임 긍정적 76 7.5 부정적 48 4.6 중립적 787 77.8 의학적프레임 78 7.7 인간적흥미프레임 37 3.3 예방프레임 8.7 위기프레임 39 3.9 갈등프레임 85 8.3 사회적프레임 8 7.9 상업적프레임 6.6 정책프레임 67 6.6 자료 : 나은영, 황애리, 최미경, 임인재 (7, p.44 재인용 ) 나. 기사논조와프레임에영향을주는요인들 한편, 필자유형과기사유형에따라기사논조의비율차이를검증하기위해교차표를산출하였다. 그결과필자유형의경우일반기자는중립적논조 78건 (79.%), 부정적논조 5건 (3.6%), 긍정적논조 67건 (7.3%) 으로나타났고, 다른필자유형의경우도의료전문가와기타유형을제외하면, 중립적논조가가장많은것으로나타난가운데긍정적논조보다부정적논조가더많이나타났다. 기사유형의경우스트레이트기사는중립적논조 63건 (8.8%), 부정적논조 95건 (.5%), 긍정적논조 36건 (4.7%) 으로, 기획기사의경우중립적논조 65건 (64.4%), 긍정적논조 9건 (8.8%), 부정적논조 7건 (6.8%) 으로, 인터뷰는중립적논조 8건 (5.%), 긍정적논조 7건 (43.8%), 부정적논조 건 (6.3%) 으로나타났다. 칼럼의경우중립적논조 39건 (66.%), 부정적논조 5건 (5.4%), 긍정적논조 5건 (8.5%) 로, 기타유형은 44건 (6.3%), 부정적논조 건 (7.4%), 긍정적논조 9건 (.3%) 순으로나타났다. 필자유형과기사유형에따른기사논조차이의통계적유의성여부를판단하기위해카이제곱검정을실시한결과, 두요인다유의한차이를보이는것으로나타났다 (p<.). 위내용은아래 < 표 7> 에제시되어있다. 37
표 7. 필자유형 / 기사유형에따른기사논조차이 (N=,) 요인 구분 기사논조 (%) 긍정적부정적중립적 전체 x 일반기자 67(7.3) 5(3.6) 78(79.) 9(.) 의료전문기자 (9.5) 5(3.8) 4(66.7) (.) 타분야전문기자 (.) (4.) 3(6.) 5(.) 필자의료전문가 6(7.3) 5(.7) (5.) (.) 유형타분야전문가 (.) 3(.) 4(88.9) 7(.) 일반인투고 (6.7) (33.3) 3(5.) 6(.) 기타 (.) 6(6.) 4(4.) (.) 스트레이트 36(4.7) 95(.5) 63(8.8) 76(.) 기획 9(8.8) 7(6.8) 65(64.4) (.) 기사인터뷰 7(43.8) (6.3) 8(5.) 6(.) 유형칼럼 5(8.5) 5(5.4) 39(66.) 59(.) 기타 9(.3) (7.4) 44(6.3) 73(.) *p<., **p<.5, ***p<. 4.5*** 8.976*** 그리고기사내용에서중심을이루는등장인물의성별과연령에따라기사논조의비율에도차이가있는지살펴보았다. 분석결과 p<.로유의한차이를보였으며, 분석결과는 < 표 8> 과같다. 기사내용에서중심을이루는성별의경우중립적논조를제외하고, 남성과여성모두긍정적논조보다부정적논조가약 3배가량많은것으로나타났다. 연령역시긍정적논조보다부정적논조의비율이높게나타났다. 표 8. 성별 / 연령에따른기사논조차이 (N=,) 요인 구분 기사논조 (%) 긍정적부정적중립적 남성 3(4.) 38(.7) 73(84.3) 34(.) 성별 여성 3(.4) 3(4.) 9(73.4) 4(.) 트렌스젠더 (.) (.) (.) (.) 드러나지않음 6(.7) 8(4.) 4(75.) 56(.) 영유아 (.) (.) 8(88.9) 9(.) 아동청소년 5(6.6) (7.6) 5(65.8) 76(.) 연령 성인 5(4.3) 74(.7) 48(83.) 58(.) 노인 38(4.) 44(6.) 89(69.7) 7(.) 드러나지않음 8(.8) 8(.8) 58(78.4) 74(.) *p<., **p<.5, ***p<. 전체 x 9.574*** 4.364*** 38
이번에는정신건강관련검색어에따른기사논조의비율차이를 < 표 9> 와같이알아보았다. 그결과, 정신건강은중립적 5건 (7.%), 부정적 7건 (6.5%), 긍정적 건 (3.4%) 순으로, 정신질환은중립적 4건 (69.7%), 부정적 53건 (6.4%), 긍정적 8건 (4.%) 순으로, 우울증의경우중립적 85건 (7.%), 부정적 47건 (7.8%), 긍정적 3 건 (.%) 순으로, 조현병은중립적 5건 (63.4%), 부정적 5건 (3.5%), 긍정적 5건 (6.%) 순으로, 자살의경우는중립적 47건 (83.6%), 부정적 6건 (.7%), 긍정적 4 건 (4.7%) 순으로나타났다. 검색어에따른기사논조차이의통계적유의성여부를판단하기위해카이제곱검정을실시한결과, 정신건강 (p<.5) 과정신질환, 우울증, 조현병, 자살 (p<.) 이검색어였을경우는유의한차이를보였다. 다시정리하면, 중립적논조를제외한긍정적논조와부정적논조의경우정신건강, 정신질환, 우울증, 조현병, 자살이라는키워드를사용하였을때긍정적기사논조보다부정적기사논조가높게나타났다. 8개의검색어중정신병, 조울증, 정신장애는유의한차이가나타나지않았다 ( 표 9). 표 9. 검색어에따른기사논조차이 (N=,) 기사논조 (%) 요인 구분 긍정적 부정적 중립적 전체 x 정신건강 (3.4) 7(6.5) 5(7.) 64(.).** 정신질환 8(4.) 53(6.4) 4(69.7) (.) 9.95*** 검색어 우울증 3(.) 47(7.8) 85(7.) 64(.) 5.88*** 조현병 5(6.) 5(3.5) 5(63.4) 8(.) 7.938*** 자살 4(4.7) 6(.7) 47(83.6) 5(.).*** *p<., **p<.5, ***p<. 다음으로는위의내용에서기사논조비율에유의한차이를보인유목들에따라뉴스프레임비율도차이를보이는지알아보았는데, 그결과가 < 표 > 에제시되어있다. 먼저필자유형과기사유형에따라뉴스프레임의비율에차이가있는지살펴본결과, 각각유의한차이가나타났다 (p<.). 필자유형에서가장많은비율을차지하는일반기자의경우인간적흥미프레임 33건 (35.%) 이가장많았으며, 갈등프레임 8건 (9.8%), 사회적프레임 57건 (7.%) 이그뒤를이었다. 의료전문기자 (건, 5.4%) 39
와의료전문가 (건, 5.%) 는의학적프레임이가장많았으며, 타분야전문가는사회적프레임이 3건 (48.%) 이가장많은것으로나타났다. 기사유형에서가장많은비중을차지하는스트레이트기사의경우인터뷰는인간적흥미프레임이 84건 (37.3%) 으로가장많이나타났고, 갈등프레임 7( 건.6)% 과사회적프레임 7건 (4.%) 순이었다. 기획기사는사회적프레임 33건 (3.7%) 과의학적프레임 9건 (8.7%) 이, 인터뷰기사는인간적흥미프레임이 7건 (43.8%) 으로나타났다. 칼럼은사회적프레임이 4건 (4.7%) 으로가장많이나타났다. 표. 필자유형 / 기사유형에따른뉴스프레임차이 (N=,) 요인구분 필자유형 기사유형 일반기자 의료전문기자타분야전문기자 의료전문가 타분야전문가 일반인투고 기타 스트레이트 기획 인터뷰 칼럼 기타 의학적 54 (5.9) (5.4) (.) (5.) (3.7) (.) (.) 34 (4.5) 9 (8.7) (6.3) 5 (8.5) 9 (.3) 인간적흥미 33 (35.) (.) (.) (4.5) (3.7) (33.3) (.) 84 (37.3) (.9) 7 (43.8) 7 (.9) 7 (3.3) *p<., **p<.5, ***p<. 뉴스프레임 (%) 예방위기갈등사회적상업적정책적 (.9) (4.8) (4.) 7 (3.8) 6 (.) (33.3) (.) 8 (.6) (.9) 3 (8.8) 4 (3.7) 8 (.) 3 (3.5) (9.5) (.) (4.5) (7.4) (6.7) (.) 6 (3.4) (.) (6.3) 3 (5.) 7 (9.6) 8 (9.8) (4.8) (.) (.) (3.7) (.) (.) 7 (.6) 4 (4.) (.) 3 (5.) 6 (8.) 57 (7.) 3 (4.3) (.) (4.5) 3 (48.) (6.7) 5 (5.) 7 (4.) 33 (3.7) (.5) 4 (4.7) 5 (.5) 6 (.7) (.) (.) (.) (.) (.) (.) (.4) (.) (6.3) (.) 4 (5.5) 56 (6.) 3 (4.3) (4.) (4.5) 3 (.) (.) (.) 47 (6.) 9 (8.9) (6.3) 3 (5.) 7 (9.6) 전체 x 9 (.) (.) 5 (.) (.) 7 (.) 6 (.) (.) 76 (.) (.) 6 (.) 59 (.) 73 (.) 4.5*** 8.976*** 3
다음으로, 기사내용에언급된성별과연령, 국적에따른뉴스프레임비율차이를분석한결과, 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를보였다 (p<.). 먼저성별에따른뉴스프레임의차이를살펴보면, 인간적흥미프레임이성별에관계없이가장높게나타났는데, 남성 85건 (57.%), 여성 48건 (38.7%) 로나타났다. 성별구분이없는경우는사회적프레임이 3건 (3.3%), 예방프레임 건 (9.6%) 로나타났다. 연령에있어서는성인의경우인간적흥미프레임이 36건 (5.7%) 로가장많이나타났지만, 아동 청소년은갈등프레임이 35건 (46.%), 노인은예방프레임이 69건 (5.5%) 으로각각많이나타났다. 연령이드러나지않는경우는사회적프레임의비율이 45건 (6.8%) 으로많았다. 한편, 기사내언급되어진주요인물의국적이국내일경우는인간적흥미프레임이 7건 (3.9%) 로, 해외일경우는 55건 (43.7%) 로가장많이나타났는데, 국적이언급되지않아해당사항이없는경우는사회적프레임이 33건 (67.9%) 로가장많이나타났다 ( 표 ). 표. 기사내성별, 연령, 국적에따른뉴스프레임차이 (N=,) 요인 구분 의학적 인간적흥미 뉴스프레임 (%) 예방위기갈등사회적상업적정책적 전체 x 남성 6 (.9) 85 (57.) 6 (.9) 3 (.9) 87 (6.9) 36 (.) (.3) (.) 34 (.) 성별 여성트렌스젠더 5 (4.) (.) 48 (38.7) (.) (.6) (.) 4 (3.) (.) 49 (39.5) (.) 4 (.3) (.) (.) (.) (.6) (.) 4 (.) (.) 54.45*** 구분없음 67 (.9) 93 (6.5) (9.6) 3 (5.7) 49 (8.7) 3 (3.3) 5 (.7) 65 (.6) 56 (.) 영유아 (.) (.) 7 (77.8) (.) (.) (.) (.) (.) 9 (.) 아동 청소년 (.6) (3.) 9 (.8) (.3) 35 (46.) (4.5) (.6) 6 (7.9) 76 (.) 연령 성인 (3.6) 36 (5.7) 9 (5.) 8 (3.) 9 (.) 7 (.) (.3) 5 (.9) 58 (.) 7.559*** 노인 33 (.) (4.) 69 (5.5) (7.4) (7.7) 53 (9.6) (4.4) 5 (9.) 7 (.) 드러나지않음 (8.4) (.) 4 (5.4) (.) (.) 45 (6.8) (.) 4 (5.4) 74 (.) 3
요인 국적 구분 국내 해외 해당없음 의학적 45 (5.4) 7 (3.5) 6 (8.) *p<., **p<.5, ***p<. 인간적흥미 7 (3.9) 55 (43.7) (.) 뉴스프레임 (%) 예방위기갈등사회적상업적정책적 8 (3.) 7 (5.6) 3 (5.3) 3 (3.7) 8 (6.3) (.) 66 (.) 9 (5.) (.) 3 (5.9) 6 (.7) 33 (57.9) 4 (.7) (.8) (.8) 6 (7.) 3 (.4) 4 (7.) 전체 x 88 (8.9) 6 (.5) 57 (5.6) 48.379*** 한편정신건강언론보도의내용분석을위해정신건강 (p<.), 정신질환 (p<.), 정신병 (p<.5), 우울증 (p<.), 조현병 (p<.), 조울증 (p<.5), 자살 (p<.), 정신장애로분류된 8가지검색어에따라뉴스프레임의비율에유의미한차이를보였다 ( 표 ). 정신건강의경우예방프레임이 44건 (6.8%), 정책적프레임이 4건 (4.4%) 으로많이나타났다. 정신질환과우울증의경우는사회적프레임이각각 5건 (5.9%), 65건 (4.6%) 로가장많이나타났다. 그다음으로갈등프레임이정신질환은 46건 (.9%), 우울증은의학적프레임이 48건 (8.%) 순이었다. 정신병과조현병의경우, 갈등프레임이각각 5건 (5.6%), 4건 (5.%) 으로높게나타났다. 한편, 자살검색어의경우인간적흥미프레임이 6건 (5.%) 으로가장많이나타났다. 반면, 정신장애검색어의경우는유의한차이가나타나지않았다. 표. 기사검색어에따른뉴스프레임차이 (N=,) 요인구분 의학적 인간적흥미 뉴스프레임 (%) 예방위기갈등사회적상업적정책적 전체 x 정신건강 (N=64) 8 (.) 7 (4.3) 44 (6.8) (7.3) 4 (8.5) 6 (5.9) 3 (.8) 4 (4.4) 64 (.) 98.944*** 검색어 정신질환 (N=) 정신병 (N=3) 9 (4.4) (6.5) 3 (5.4) 4 (.9) 8 (4.) 3 (9.7) 3 (6.5) (3.) 46 (.9) 5 (5.6) 5 (5.9) 3 (9.7) (.) (.) (.) (6.5) (.) 3 (.) 7.57*** 5.58** 3
요인구분 우울증 (N=64) 조현병 (N=8) 조울증 (N=8) 자살 (N=5) 의학적 48 (8.) 4 (4.9) 6 (33.3) 9 (.8) 인간적흥미 8 (.6) 4 (4.9) (.) 6 (5.) *p<., **p<.5, ***p<. 뉴스프레임 (%) 예방위기갈등사회적상업적정책적 49 (8.6) (.4) (.) 5 (.) 7 (6.4) 4 (4.9) (.) 7 (3.3) 3 (.7) 4 (5.) 4 (.) 84 (6.4) 65 (4.6) (6.8) 3 (6.7) 69 (3.5) 8 (3.) (.) (.) (.4) 8 (6.8) 4 (4.9) 3 (6.7) 7 (3.3) 전체 x 64 (.) 8 (.) 8 (.) 5 (.) 45.79*** 87.5*** 4.37**.676*** 3. 기사논조와뉴스프레임간의관계 끝으로뉴스프레임에따라기사논조비율에차이가있는지살펴본결과 < 표 3> 과같이유의한차이가나타났다 (p<.). 기사논조의경우어떤뉴스프레임이든모두중립적논조가가장많이나타났지만, 중립을제외한긍정적, 부정적논조사이에서차이를보였다. 정신건강에대한의학적, 예방적정보를제공하거나, 상업적혹은정책적인설득을소구하는프레임의경우긍정적논조의비율이많이나타났고, 일화중심의인간적흥미프레임이나위기프레임, 갈등프레임, 사회적프레임등사건사고나이슈등을전달하는뉴스프레임의경우는부정적논조의비율이많이나타났다. 구체적으로살펴보면, 갈등프레임의경우는긍정적논조 8건 (4.3%) 에비해부정적논조가 57건 (3.8%) 으로, 사회적프레임의경우부정적논조가 44건 (4.3%) 으로긍정적논조 5건 (.8%) 에비해 8배가량높게나타났다. 위기프레임의경우는 9건 (48.7%) 가부정적논조를보여긍정적논조가 인것과차이를보였다. 인간적흥미프레임의경우긍정적논조가 (3.%), 부정적논조가 (3.7%) 로큰차이가없었다. 반면, 의학적프레임일경우는긍정적논조가 9건 (.5%) 으로부정적논조 4건 (5.%) 보다약 배많게나타났고, 예방프레임일경우전반적논조는긍정적논조가 9건 (4.6%) 로부정적논조 4건 (3.4%) 보다 7배이상많았다. 상업적프레임의경우긍정적논조가 4건 (5%) 이었고, 부정적논조는 건 (.%) 이었으며, 정책적프레임은긍정적논조가 건 (6.4%), 부정 33
적논조는 8 건 (.9%) 로나타났다. 표 3. 뉴스프레임에따른기사논조차이 (N=,) 요인 뉴스프레임 구분 기사논조 (%) 긍정적부정적중립적 의학적 9(.5) 4(5.) 65(83.3) 78(.) 인간적흥미 (3.) (3.7) 35(93.3) 37(.) 예방 9(4.6) 4(3.4) 85(7) 8(.) 위기 (.) 9(48.7) (5.3) 39(.) 갈등 8(4.3) 57(3.8) (64.9) 85(.) 사회적 5(.8) 44(4.3) 3(7.9) 8(.) 상업적 4(5.) (.) 75.) 6(.) 정책적 (6.4) 8(.9) 48(7.6) 67(.) *p<., **p<.5, ***p<. 자료 : 나은영, 황애리, 최미경, 임인재 (7, p.48 재인용 ) 전체 x 9.845*** Ⅵ. 결론 이번연구는한국언론의정신건강언론보도의특징을살펴보고, 향후정신건강언론보도의바람직한방향과시사점을제시하고자수행되었다. 이를위해최근 년간 3개의일간지에보도된 정신건강, 정신질환, 정신장애, 정신병, 우울증, 조울증, 자살, 조현병 관련기사,건을토대로내용분석을실시하였다. 연구의주요결과는다음과같다. 첫째, 정신건강언론보도에서검색어빈도는자살이가장빈번했고, 스트레이트기사와일반기자작성기사의비율이높은것으로나타났다. 기사내에서는남성이, 성인이, 국내사례가주로쓰이고있었다. 둘째, 정신건강언론보도에서기사논조는중립적논조가 77.8% 로가장높게나타났으나부정적논조가긍정적논조보다 배더많은것으로나타났다. 또한뉴스프레임의경우는인간적흥미프레임이 3.3% 로가장높게나타났다. 셋째, 같은정신건강관련이슈라하더라도필자유형이나기사유형, 기사 34
내성별과연령, 정신질환과조현병, 자살등의검색어가있는기사에서부정적논조가더많이나타났다. 이는뉴스프레임의경우도마찬가지였고, 기사논조에서는유의미한결과가나타나지않았던기사내사례의주요인물의국적에따라서도논조에차이가나타났다. 넷째, 뉴스프레임에따라기사논조도유의한차이를나타냈다. 특히정신건강관련뉴스중갈등프레임이나사회적프레임으로보도된경우부정적논조가높게나타났다. 예컨대앞서문제제기등에서언급한바와같이특정사건이발생한경우관련정신질환자를범죄나폭력과연관지어갈등프레임이나사회적프레임속에서보도한사례가많았다. 특정정신질환을범죄또는폭력과연관지어보도할경우범죄에대한사실보도는피할수없으나그질환이있는 모든 사람이그러한범죄또는폭력에개입될수있다는편견과두려움을심어줄수있기때문에특히유의하여기사를작성할필요가있다고나은영, 황애리, 최미경, 임인재 (7) 는지적하고있다. 반면, 의학적프레임이나예방프레임에서는긍정적논조가높게나타나, 정신건강언론보도를통해국민들에게정확한정보를전달하고, 정신건강관련이슈에대한불안감을해소하는데기여할수있는역할을할것으로판단된다. 본연구는기존정신건강언론보도에있어주로우울증, 자살등영역별로내용분석을집중실시하였던것을개괄적인정신건강영역으로확대하여분석해보았다는점에의의가있지만, 그럼에도불구하고몇가지아쉬운한계점을지적할수있다. 첫째, 본연구의내용분석대상매체의한계를언급할수있다. 본연구에서는네이버포털에서검색되는일간지기사만을분석하였다. 따라서연구에서분석한일간지외에다른일간지에게재된기사나네이버가아닌다른포털과방송, 라디오, 인쇄매체등에게재된기사들이이연구의분석에는포함되지못했다는제한점을가진다. 내용분석의검색어들이오늘날사회적으로이슈화되고있는정신건강이슈의전반을다룬다고볼때보다다양한매체의기사들을바탕으로다음연구를추진해야할것으로생각된다. 둘째, 전문적인정신질환용어와일반인들이생각하는정신질환에대한사회적인식등에차이가있을것으로예상되는바, FGI 등을통해전문가및언론보도와일반인의인식차이에대한비교분석등이보완된다면, 더욱풍부한시사점을얻을수있을것이다. 셋째, 본연구는내용분석의코딩카테고리를정함에있어구체적인연구모델을구현하기보다전반적인언론보도의현황파악을강조하여살펴본바향후뉴스프레임등분석유목구성에있어타연구와차별화된방식의추가적논의가필요하다. 또한다양한 35
정신건강관련검색어가혼재되어있다는점에유의가필요하다. 이점을유의하지않으면, 성급한일반화의오류가될수있어논조나프레임의분류나분석비율에있어연구결과의해석에있어분석이왜곡될우려가있기때문이다. 끝으로, 내용분석연구의특성상참여코더들의주관이개입되었을가능성을배제할수있다. 코더트레이닝을통해코더간신뢰도는확보했지만, 향후연구에서는분석유목의기준과객관성을더욱보완할수있도록하는고민이필요하다. 이러한한계점들이앞으로의연구에서극복된다면, 보다완성도있는정신건강관련언론보도내용분석연구와이를통한심도있는고찰이가능해질것으로판단된다. 또한정신건강의바람직한보도방향에대한공감대를이끌어내기위해서는실제취재담당기자들뿐만아니라기사를최종결정하는편집국장과논설위원등과의언론준칙수립, 교육프로그램개발등지속적인협업이필요하다 ( 나은영, 황애리, 최미경, 임인재, 7). 정신건강에대한사회적관심과정책적노력이점차증가하고있는만큼, 본연구가언론이정신건강에대한정보를전달하고, 이슈를기사화하는데바람직한보도방향을정립하는데공헌할수있는계기가되길바란다. 황애리는서강대학교신문방송학과박사과정에재학중이며, 현재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서행정원으로재직중이다. 주요관심분야는정신건강관련언론보도내용분석과실험연구이며, 현재이와관련한연구를진행하고있다. (E-mail: skurly@naver.com) 나은영은서울대학교에서영문학과심리학을공부하고미국 Yale University 에서사회심리학박사학위를받았으며, 현재서강대학교지식융합미디어학부학장으로재직중이다. 주요관심분야는미디어심리학으로현재소셜미디어와설득커뮤니케이션, 디지털시대청소년의소통문화, SNS 의사회심리학적분석과관련한다양한연구를수행하고있다. (E-mail: ena@sogang.ac.kr) 36
참고문헌 공수자. (997). 정신질환자에대한사회적표상연구. 정신간호학회지, 6(), pp.65-77. 국가인권위원회. (8). 정신질환자에대한차별과편견실태조사. 서울 : 동기관. 국가인권위원회. (). 정신장애인차별 편견해소를위한실태조사. 서울 : 동기관. 김동배, 안인경. (4). 한국인의정신건강개념에관한연구. 한국사회복지학, 56(), pp.3-33. 김선호, 김위근. (6). 디지털뉴스리포트 6: 한국. 서울 : 한국언론진흥재단. http://www.kpf.or.kr/site/kpf/research/selectmediapdsview.do?seq=573979에서 8.6.3. 인출. 김성완, 윤진상, 이무석, 이형영. (). 최근일간지에보도된정신병에대한기사분석. 신경정신의학, 39(5), pp.838-848. 김연종. (5). 자살보도권고기준과한국신문의자살보도행태분석. 한국언론학보, 49(6), pp.4-65. 김정은, 서진환. (5). 영화속정신장애인에대한사회적표상연구 : 한국영화를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46(), pp.77-4. 나은영, 황애리, 최미경, 임인재. (7). 정신건강보도현황분석및개선방안연구. 서울 : 국립정신건강센터. 노수진, 윤영민. (3). 우울증에관한언론보도분석 - 온라인뉴스미디어를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6, pp.5-7. 로저 D. 위머, 조셉 R. 도미니크. (4). 매스미디어연구방법론 (판) ( 유재천, 김동규, 역 ), 서울 : 한경사. ( 원서출판 3). 박근우, 서미경. (a). 정신장애인에대한대학생의편견과차별 - AIDS, 수형자사례유형과의비교. 사회과학연구, 8(4), pp.383-48. 배정이, 양미경. (6). 정신건강정책개발을위한지역사회정신건강현황분석. 한국위기관리논집, (3), pp.79-95. 백혜진, 조혜진, 김정현. (7). 정신질환의낙인과귀인에대한언론보도분석. 한국언 37
론학보, 6(4), pp.7-43. 보건복지부. (7). 6년도정신질환실태조사. 세종 : 동기관. 안민선. (7). 보상된구전이소비자의심리적반응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유현재, 송지은. (). 미디어의성격별, 자살관련보도의스타일에대한분석 : 인터넷신문 ( 대안지 ) 과전통적신문 ( 연장지 ) 의차이비교. 보건사회연구, 3(), pp.47-467. 윤석홍, 김춘옥. (). 신문방송, 취재와보도. 서울 : 나남. 이명수, 고정아, 오정하, 신윤식, 박정숙. (9). 정신건강과자살에대한인터넷보도경향분석. J Korean Assoc Soc Psychiatry, 4(), pp.97-4. 이선혜, 서진환. (). 한국성인의정신건강역량 : 우울증과정신분열병을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4(), pp.7-58. 이하나, 안순태. (3). 자살예방뉴스의낙인 (stigma) 요소에대한분석. 한국언론학보, 57(4), pp.7-47. 이화행. (7). 일간지과학지면의특성과보도경향비교연구. 언론과학연구, 7(), pp.3-6. 이희영, 김정기. (6). 질적메타분석을통한뉴스프레임의유형. 한국언론학보, 6(4), pp.7-38. 정의철. (). 유방암관련언론보도의프레이밍특성에대한연구. 언론과학연구, (), pp.4-444. 조경숙, 한균태. (). 한국신문의공정성에대한고찰 : 미디어관련법개정보도에대한프레임분석을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36(3), pp.33-65. 조수영, 김정민. (). 정신건강및정신질환에대한지상파 TV 뉴스분석. 한국언론학보, 54(5), pp.8-4. Bastani, R., Marcus, A. C., Maxwell, A. E., Das, I. P., & Yan, K. X. (994). Evaluating of an intervention to increase mammography screening in Los Angeles. Prevention Medicine, 3(), pp.83-9. Borinstein A. B. (99). Public attitudes towards persons with mental illness. Health Affairs, (3), pp.86-96. 38
Brodie, M., Hamel, E. C., Altman, D. E., Blendon, R. J., & Benson, J. M. (3). Health news and the American public, 996-. Journal of Health Politics, Policy and Law, 8(5), pp.97-95. Diefenbach, D. L. (997). The portrayal of mental illness on prime-time televisio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5(3), pp.89-3. Entman, R. M. (993). Framing: Toward clarification of a fractured paradigm. Journal of communication, 43(3), pp.5-58. Entwistle, V. (995). Reporting research in medical journals and newspapers. British Medical Journal, 3, pp.9-93. Gamson, W. A. (988). A constructionist approach to mass media and public opinion. Symbolic Interaction, (), pp.6-74. Gitlin, T. (98). The whole world is watching: Mass media in the making and unmaking of the new left. L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Goffman, E. (974). Frame analysis: An essay on the organiz the orgaexperience. NY: Harper & Row. Goulden, R., Corker, E., Evans-Lacko, S., Rose, D., Thornicroft, G., & Henderson, C. (). Newspaper coverage of mental illness in the UK, 99-8. BMC public health, (), 796. Higgins, J. W., Naylor, P. J., Berry, T., O Connor, B., & McLean, D. (6). The health buck stops where?: Thematic framing of health discourse to understand the context for CVD prevention.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3), pp.343-358. Iyengar, S. (99). Is anyone responsible?: How television frames political issues.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Jorm, A. F. (). Mental health literacy: Public knowledge and beliefs about mental disorders.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77, pp.396-4. Kerlinger, F. N. (986). Foundation of Behavioral Research. New York: Holt, Rinehart and Winston. Lacy, S., Robinson, K., & Riffe, D. (995). Sample size in content analysis of weekly 39
newspapers.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7, pp.336-345. Leo, J., & Lacasse, J. R. (7). The Media and the Chemical Imbalance Theory of Depression. Society, 45(), pp.35-45. Lipczynska, S. (5). Power to the people: the case for Wikipedia. Reference Reviews, 9(), pp.6-7, doi:.8/9545588 Major, L. H. (9). Break it to me harshly: The effects of intersecting news frames in lung cancer and obesity coverage.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4(), pp.74-88. Nelson, T. E., Clawson, R. A., & Oxley, Z. M. (997). Media framing of a civil liberties conflict and its effect on tolerance.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9(3), pp.567-583. Niederkrotenthaler, T., Voracek, M., Herberth, A., Till, B., Strauss, M., Etzersdorfer, E., Eisenwort B., & Sonneck, G. (). Role of media reports in completed and prevented suicide: Werther v. Papageno effects.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97(3), pp.34-43. Pan, Z. & Kosicki, G. M. (993). Framing analysis: An approach to news discourse, Political Communication, (). pp.55-75. Phillips, D. P. (974). The influence of suggestion on suicide: Substantive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e Werther effect.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pp.34-354. Rhydderch, D., Krooupa, A. M., Shefer, G., Goulden, R., Williams, P., Thornicroft, A., & Henderson, C. (6). Changes in newspaper coverage of mental illness from 8 to 4 in England. Acta Psychiatrica Scandinavica, 34(S446), pp.45-5. Riffe, D., Lacy, S., & Drager, M. (996). Sample size in content analysis of weekly news magazines. Journalism and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73, pp.635-644. Semetko, H. A., & Valkenburg, P. M. (). Framing european politics: A content analysis of press and television news. Journal of Communication, 5(), 3
pp.93-9. Thornton, J. A & Wahl, O. F. (996). Impact of a newspaper article on attitudes toward mental illness.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4, pp.7-5. Tuchman, G. (978). Making news: A study in the construction of reality. New York, NY: Free Press. Wahl, O. F. & Lefkowits, J. Y. (989). Impact of a television film on attitudes toward mental illness.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7(4), pp.5-58. Wahl, O. F. (3). News media portrayal of mental illness. American Behavior Scientist, 46(), pp.594-6. Wahl, O. F., Wood, A., & Richards, R. (). Newspaper Coverage of Mental Illness: Is It Changing?. Psychiatric Rehabilitation Skills, 6(), pp.9-3. WHO World Mental Health Survey Consortium. (4). Prevalence, severity, and unmet need for treatment of mental disorders in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orld Mental Health Surveys. JAMA, 9(), pp.58-59. Yanovitzky, I., & Blitz, C. L. (). Effect of media coverage and physician advice on utilization of breast cancer screening by women 4 years and older.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5, pp.7-34. 3
Content Analysis of News Coverage with Regard to Mental Health: Focusing on News Frame and Tone Hwang, Aeri (Sogang University) Na, Eun-Yeong (Sogang University)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analyze news frame and tone of articles on mental heath with a view to prividing a desirable direction for news coverage related to mental health in future.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a content analysis based on mental health articles reported on in 3 major daily newspapers over the past two years. As a result, we found that the frequencies of mentioning suicide- and depression- related words were higher than others. In addition, there were many articles of a negative tone, and in terms of news frame, human interest frame, conflict frame, and social frame were more frequently observed than others in order. Even with the same mental health issue, negative tones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s of authors and articles, etc. Finally, a crisis frame, a conflict frame, and a social frame were more strongly associated with negative tones, while a preventive frame was more strongly associated with positive tones. In the face of increasing social interest and policy efforts in mental health, it is expected that the present study provide people with accurate information on mental health, and to help to prepare a desirable media guideline. Keywords: Mental Health, News Coverage, Contents Analysis, News Frame, News Tone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