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4, No. 1 pp. 321-327, 2013 http://dx.doi.org/10.5762/kais.2013.14.1.321 서경희 1* 1 혜전대학교언어재활과 The study of diadochokinetic (DDK) rate and accuracy i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Kyoung-Hee Sehr 1* 1 Hyejeon College, Department of Communication Disorders 요약본논문은자연스럽고빠르게모델링했을때 4~6세 37명이산출한조음교대운동 (DDK) 결과를통해모음구조의 DDK도임상적가치가있음을확인했고, DDK속도와함께조음오류빈도와유형및규칙성도분석해야말장애아동의조음능력에대한더정확한정보를얻을수있음을제안하고있다. 자모음 ( 예 : 퍼 ) 과모음 ( 예 : 아이 ) 의음운구조를반복산출한자료에서각검사음을반복한횟수, 오류빈도, 오류유형및규칙성 (DDKsdp) 을측정했다. 그결과, 조음교대운동평균속도는연령과함께증가했으나, 음운구조나연령에따른유의한차이는없었다. DDK 수행시나타난실수를분석한결과, 4세의오류빈도는 5세및 6세에비해유의하게높았다. DDKsdp에서표준화된발음검사점수와연령에따른차이는없었다. Abstract This paper aimed to find out the differences of DDK performances of 37 normally developing children in the range of 4-6 years. DDK tasks included with the Consonant-Vowel(CV) syllables and with the Vowel-Vowel(VV) syllables. For DDK rate, all spoken AMR and SMR in one second were measured by Multi-Speech, and analyzed with Motor Speech Profile for DDK regularity. Error frequency and type in DDK performance were transcribed and auditorily judged by two professional speech pathologists. The findings in this study were follow as: First, DDK rate became faster as the age of children were increased. But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for age.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the CV and VV syllables of DDK tasks. Third, the frequency of articulatory error in DDK performanc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age of 4 than other two groups. Key Words : DDK rate, error frequency, lenition, regularity, tensing 1. 서론 DDK(Diadochokinesis, Diadochokinese) 는연속적교호반복운동이라는뜻의의학용어로바빈스키가명명한말로조음교대운동이라고불리고있다. 예를들면, 손의회내 ( 回内 ) ㆍ회외 ( 回外 ) 운동을번갈아가며될수있는한빨리연속하여행할수있는능력으로운동의촉진작용과제어작용을연합한특수기능이다. 언어치료분야에서는특정한음절을각개인이연속적으로얼마나신속하 고정확하게발음할수있는지를통해말장애 (speech disorder) 화자들의조음능력을알아보기위한선별검사로사용하고있다. 이렇게 DDK가말장애영역에서조음정확도평가와더불어서자주실시되고있는것은그임상적인가치때문이다. 조음장애의심한정도, 조음운동치료필요성여부와조음치료에서차지하는비중파악, 조음치료의개선에대한간접적지표가된다는점에서임상적의의가충분히있다 [1, 2]. 이러한임상적가치는음절반복속도측정과더불어 * Corresponding Author : Kyoung-Hee Sehr (Hyejeon College) Tel: +82-41-630-5211 email: malchingu@hanmail.net Received December 11, 2012 Revised December 31, 2012 Accepted January 10, 2013 3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제 14 권제 1 호, 2013 조음기관의운동정확성과규칙성을함께파악할수있는이점들 [3] 에서확인할수있다. 말장애가심하여기본적인조음정확도평가가어려운어린아동의경우라도 DDK를통해잠재된조음산출력을간접적으로예측할수있는정보를제공한다 [4, 5, 6]. 관련연구를살펴보면, 정상발달아동을대상으로 DDK 특성을연구하거나구어장애아동과의차이점을제시했다 [4, 7, 8, 9]. 이들연구는기본적으로 DDK 속도를분석하고, 정확성과일관성의특성을알아보고, 조음문제를동반한구어장애아동집단과는분명한차이가있음을제시했다. DDK 속도와정확도면에서정상구어발달아동집단에서연령에따라다른수행력을보인다는결과가있다. 그러나아동을대상으로한 DDK 특성연구들은기본적인평가방법과분석관점에따라연구결과해석과시사하는바에차이가있다. Williams & Stackhouse 는 DDK 평가를성인모델방식과아동스스로의발화산출양식에따라실시했을때근본적으로수행력정확도와일관성에서차이가있었음을제시했다 [7]. 이연구에서는 4~6세사이의정상발달아동들이자신들의발성및발화방식으로 DDK 평가를했을때가더욱섬세한수행력을보였다. 그밖에구조와모음구조에따른교대운동의차이 [10], 오류유형과유창함에대한질적분석 [11] 을통한 DDK 수행력에대한해석차이등이있다. 이러한연구결과들은 DDK 평가에대한양적분석뿐만아니라질적분석에대한중요성을공통적으로제안한다고볼수있다. 단순히 DDK의속도와정확성만으로는조음문제가있는대상자들의조음능력과의관련성을파악하기란쉽지않을것이기때문이다. 구어장애가있는아동들의조음운동문제성이실제그들에게서만나타나는독특한특성인지알아보기위해서정상구어발달아동을대상으로한 DDK의질적분석이여러측면에서파악되어야한다. 따라서본연구에서는 4~6세아동들을대상으로실시했던준비연구 [9] 의후속연구로써보다많은수를대상으로동일연령대아동의 DDK 특성을분석하고자했다. 이연구에서는기존연구 [9] 에서실시하지않았던조음오류빈도와유형분석그리고규칙성요소를부가하여질적분석을실시했다. 이에따른구체적인연구목적은다음과같다. 첫째, 연령증가 (4세, 5세, 6세 ) 에따른조음교대운동속도에차이가있는가? 둘째, 모음구조와자음구조의교대운동평가과제에따라조음교대운동속도와산출특성에차이가있는가? 셋째, 연령증가에따라교대운동평가에서조음실수빈도와오류유형에차이가있는가? 넷째, 조음정확도수준에따른두집단간조음교대운동규칙성에차이가있는가? 2. 연구방법 2.1 연구대상 어린이집에다니고있는정상발달과정에있는 4~6세아동 42명이검사에참가했다. 아동들은외관상구강구조가정상이며, 어린이집교사의보고와연구자의선별평가를통해언어, 사회성, 정서, 운동발달이정상발달범위에있는것으로판단되는아동을대상으로했다. 두명의 1급언어치료사가아동들의조음산출능력과인터뷰를통한의사소통태도를평가한결과언어, 구어, 청력의결함은관찰되지않았다. 모든참여아동이정상발달과정에있는것으로판단되었다. DDK 검사를거부한아동은 4세 3명, 5세 1명, 6세 1명, 총 5명으로본연구에서는 42 명중 37명에대한검사결과를분석했다. 연령별대상자수는 Table 1과같다. [Table 1] Participants Age 4;0 4;11 5;0 5;11 6;0 6;11 Total 9 14 14 Male 4 7 7 Female 5 7 7 2.2 연구절차녹음이가능한조용한방에서아동한명씩을검사를실시했다. Roland사의 Edirol R-09를사용하여한아동이 DDK를수행하는동안하나의음성파일로저장했다. 연구자는 Table 2의각과제를자연스럽고빠르게모델링하고아동에게각음절을가능한정확하게많이말하라고지시했다. 검사자의지시 ( 발화시작신호, 시작 ; 발화멈춤신호, 잘했어 또는 그만 ) 에시작하고반복한후멈추도록요구했다. 아동이이해하지못했을때 1~2회모델링을하며반복연습을했다. [Table 2] Tokens for DDK tasks syllable structure Vowel Consonant-Vowel 1 syllable - /pʰə/, /tʰə/, /kʰə/ 2 syllables /ɑi/, /ɔi/ /pʰətʰə/, /tʰəkʰə/ 3 syllables /ɑɔi/ /pʰətʰəkʰə/ 322
검사음의음절구조는모음과자모음구조로나뉜다. 모음구조는개구도와산출위치를기준으로거리가먼 아, 오, 이 였다. 자모음구조에 / ㅍ, ㅌ, ㅋ / 음을활용했다. 이는 퍼, 터, 커 가조음교대운동연구에서가장빈번히사용되는음이며, 또한각기다른조음위치에서산출되므로조음위치에따른경향도분석할수있기때문이다. DDK 검사음에일음절로실시하는 AMR(Alternative Motor Rate) 과 2음절이상의 SMR (Sequential Motor Rate) 을모두포함했다. 아동의조음음운검사로는 아동용발음평가 [12] 를실시했다. 2.3 자료분석교대운동의반복횟수와 AMR의규칙성은 Kay PENTAX사의 Multi-Speech Model 3700과 Motor Speech Profile advanced Model 5141( 이하 MSP) 로측정했다. 37 명의각음성파일을 Multi-Speech에서확인하며검사음별로음성파일을분리해저장했다. 37명의아동이 8개의검사음과제를수행해총 296개의음성파일을분석했다. 검사음의음절수에따라단음절은 12개, 2음절은 6개, 3 음절은 4개씩 1회산출하는데걸린시간을측정해 1초당산출한횟수를계산했다. Multi-Speech의음성파형을보며반복청취하며각검사의시작부분부터산출한음절수를세었고, 마지막음절까지의시간을측정하고나서, 조음실수의빈도와유형을확인했다. 조음실수는자모음구조의조음교대운동에서만분석했다. AMR의규칙성으로 Fig. 1과같이 MSP의프로토콜중 Diadochokinetic rate를선택분석한후결과에서 Standard Deviation of DDK period( 이하 DDKsdp) 변수로산출했다. DDKsdp는음절을반복했을때반복간격에대한표준편차로반복음절의규칙성을나타낸다. 프로그램에이미설정된에너지역치로계산되는데아동이반복한음절수와다르게분석될경우, 역치를수정한후다시분석했다. AMR 과제수행을할때산출에너지가특정음절에서작아져음절수측정에서제외되거나 (Fig. 2의 a), 이완음화를한후큰에너지로여러음절을지속산출해하나의음절로측정되거나 (Fig. 2의 b), /pʰ/, /tʰ/, /kʰ/ 에서나오는파열음의에너지가커서개별음절수로계산되어 12개의음절보다더많이측정될경우 (Fig. 2의 c) 는규칙성분석에서제외했다. 규칙성비교는 아동용발음평가 에서 5점이상 (70개의검사음중 65개이하로정조음 ) 의낮은점수인 12명, 2점이하 (70개의검사음중 68개이상정조음 ) 의높은점수인 12명의아동을대상으로했다. [Fig. 1] DDK(AMR) analysis of /pʰə/ (a) 음절의에너지가너무작음 (b) 음절들이뭉쳐하나의음절로계산됨 (c) 기식파열음의에너지가너무커서음절로계산됨 [Fig. 2] Except eg. on AMR analysis 32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제 14 권제 1 호, 2013 교대운동의모든과제수행결과는연령집단별로집중경향치인평균과표준편차를계산했다. SPSS version 12 를사용해연령에따라검사과제별수행력및조음실수에차이가있는지일원분산분석을했다. 모음구조와자모음구조의과제수행력은독립표본 t-검정으로비교했다. 3. 결과 3.1 연령별초당음절반복횟수 음절이증가하면초당반복횟수의평균값이감소하고연령이증가하면서 DDK 평균속도가증가하고있다. 연령과검사음에따른교대운동의초당반복수의평균값과표준편차는 Table 3과같다. Fig. 3은연령대별음절반복횟수에관한결과이다. 모든검사음에서 4세보다는 5세에서그리고 5세보다는 6세에서평균초당반복회수가더높은것을알수있다. 음절수가증가하면반복횟수는감소했지만, 단음절과 2음절을비교했을때보다 2음절과 3음절에서덜감소하는경향이있었다. [Table 3] Difference between the group means(sd) for DDK rates in the age of 4, 5 and 6 Tasks CV V 1 Age 4yrs(N=9) 5yrs(N=14) 6yrs(N=14) Total(N=37) mean SD mean SD mean SD mean SD pʰə 3.62 1.10 3.99 0.69 4.43 0.38 4.07 0.77 tʰə 4.08 1.26 4.38 0.75 4.63 0.73 4.40 0.89 kʰə 3.52 1.38 3.89 0.88 4.16 0.67 3.90 0.96 pʰətʰə 2.11 0.89 2.30 0.49 2.57 0.36 2.36 0.59 2 tʰəkʰə 2.15 0.97 2.41 0.97 2.47 0.41 2.37 0.79 3 pʰətʰəkʰə 1.23 0.46 1.42 0.31 1.58 0.33 1.44 0.37 ɑi 2.46 1.19 2.57 0.61 2.72 0.44 2.60 0.73 2 ɔi 1.91 0.73 2.13 0.55 2.41 0.66 2.18 0.65 3 ɑɔi 1.35 0.66 1.38 0.43 1.64 0.23 1.47 0.45 [Table 4] One-Way ANOVA for DDK rates Consonant + Vowel Vowel Tasks F pʰə 3.52 * 1 Syllable tʰə 1.09 kʰə 1.20 2 Syllables pʰətʰə 1.93 tʰəkʰə 0.45 3 Syllables pʰətʰəkʰə 2.70 2 Syllables ɑi 0.36 ɔi 1.71 3 Syllables ɑɔi 1.70 3.2 모음과자모음구조에따른조음교대운동속도및산출특성연령대별조음교대운동속도의특성을자음과모음구조로나누어분석한결과는 Fig. 3과같다. 2음절구조는 /ɔi/ 가다른 2음절검사음인 pʰətʰə, tʰəkʰə, ɑi 보다초당반복횟수가적다. 그러나 /ɔi/ 의초당반복횟수가다른 2음절검사음보다현저하게작다고판단하기어렵다. 모든 2음절검사음의교대운동속도는단음절검사음보다뚜렷이낮고, 3음절검사음의교대운동속도보다약간높은경향을보였다. 3음절모음구조인 /ɑɔi/ 는 pʰətʰəkʰ ə 의교대운동반복횟수와비슷한경향을보이고있다. number of cycles AMR SMR tasks 연령에따라검사과제별수행력에차이가있는지 one-way ANOVA를한결과는 Table 4와같다. 검사음중 /pʰə/ 에서연령에따른수행력에유의한차이가있었고사후검정에서 4세와 6세집단간에차이가있는것으로나타났다 (p <.05 * ). 다른검사음에서유의한차이는보이지않았다. [Fig. 3] Differences between VV and CV structures means(sd) for DDK rates 자모음과모음구조의검사음에따라조음교대운동속도에차이가있는지독립표본 t-검정을실시한결과, 유의한차이를보이지않았다 (t=-.247, p <.05) 3.3 조음교대운동에서나타난조음실수 Table 5는연구에참여한아동들의연령대별조음실수를분석하고정리해제시한내용이다. 연령대가증가할 324
수록조음실수가감소하는경향이나타났다. 4, 5, 6세각연령대에서한명의아동이검사과업수행의어려움을호소했다. [Table 5] Articulation Error on DDK tasks(# of Error Syllables) Age 4yrs 5yrs 6yrs Tasks (N=9) (n=14) (N=14) pʰə 47 3 1 tʰə 2 2 0 kʰə 16 0 2 pʰətʰə 18 11 1 tʰəkʰə 26 20 3 pʰətʰəkʰə 25 23 8 Total 134 59 15 연령에따라검사과제별조음실수에차이가있는지 one-way ANOVA를한결과, 조음교대운동과제수행시조음실수한음절수에서연령집단간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가있었다 (F=11.845 ***, p <.001). 사후검정결과, 4 세집단이 5세및 6세집단과차이를보였다. [Table 6] Error Patterns on DDK tasks(# of Error Syllables) Age Error Patterns 4yrs (N=9) 5yrs (N=14) 6yrs (N=14) tensing 30 11 2 p * ə/pʰə lenition 82 30 8 pə/pʰə substitution 0 0 0 - eg. ommission 6 3 0 pʰəə/pʰətʰə addition 3 11 1 pʰətʰəkʰəh distortion 12 3 2 pʰə breathy sound 5 1 2 - Total 138 59 15 DDK 과제수행시나타난조음오류의유형을분석한결과는 Table 6과같다. 이완음화 (lenition) 가 4세, 5세, 및 6세집단에서가장높은오류패턴으로나타났다. 3.4 조음교대운동 (AMR) 규칙성 MSP의 DDK 분석결과는 Fig. 4와같다. 5세아동이수행한 /kʰə/ AMR을분석한 report에서 DDKsdp는 57.84 이다. APAC의검사점수가높은집단과낮은집단각 12 명의 AMR 수행에대한 DDKsdp를분석했다. [Fig. 4] Differences between VV and CV structures means(sd) for DDK rates 두집단간에독립표본 t-검정을실시한결과는 Table 7과같다. 두집단간의규칙성에서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를보이지않았다. [Table 7] Regularity of AMR Groups Lower Upper Tasks (N=12) (n=12) t pʰə 46.95(±31.91) 29.89(±14.94) 1.68 tʰə 32.19(±22.41) 29.77(±22.72) 0.26 kʰə 37.25(±18.81) 42.55(±35.54) -0.46 4. 결론 본연구에서는취학전정상적인구어능력과의사소통능력을가진정상구어발달아동을대상으로그들의조음교대운동속도특성을알아보았다. 이연구는구어장애가있는어린아동들의조음산출능력의비교지표를제시할만한임상적근거의필요성을지각하고, 본연구를통해서관련자료를예비적으로제시한다는데그의의가있다. 연구결과에그에따른결론은다음과같다. 첫째, DDK 속도는연령 (4세, 5세, 6세 ) 에따른세집단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는나타나지않았다. 전반적으로집단내속도의평균값은증가했다. 이결과는기존의 4~6세아동을대상으로한시험연구 [9] 와동일한경향을보이고있다. 그리고조음교대운동속도관련선행연구 [6, 11, 13, 14] 를뒷받침하고있다. 본연구에참여한아동들의수는선행연구들에비해매우부족하긴하나정 32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제 14 권제 1 호, 2013 한진외 [9] 에이어유사한연구결과가반복적으로산출되었다. 따라서유사연령대집단에대한교대운동속도의평균값은비교적안정적인결과이며임상적으로도동일연령대구어장애아동들과의비교치로써도활용가치가있을것으로사료된다. 다만모음구조로이루어진교대운동속도에대한평가는보다더다양한연령대와많은수의대상자를통해서지속적으로분석되어야할것이다. 둘째, 조음교대운동속도평가과제, 즉자음구조와모음구조에따른교대운동속도의차이를비교한결과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는나타나지않았다. 이결과는자음구조 ( 퍼, 터, 커 ) 의교대운동평가가용이하지않은대상아동의경우에는모음구조의교대운동평가를통해서는조음능력에대한임상정보수집이용이할수있음을시사한다. 이연구결과는동일한연령대와동일한조음교대운동과제를토대로한예비연구 [9] 결과를뒷받침하는것이기도하다. 이연구에서도통계적인차이는없었지만자음과모음구조의조음교대운동속도가연령대에따른차이가나타나지않았다. 셋째, 조음교대운동속도과제에서대상아동들의조음실수빈도를분석한결과, 세연령집단간에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가있었다. 4세와 5세, 그리고 4세와 6세집단간차이가있는것으로나타났다. 이연구결과에서제시하고있는조음실수빈도는교대운동의유창성을의미하는것이기도한데, 교대운동속도정확성과유창성이아동구어발달에관한중요한정보를제공할수있다는연구 [11] 를뒷받침하고있다. 이는교대운동속도평가시나이가어린아동일수록조음오류빈도가높아지면조음운동의민첩성이부족할수있다는점을시사한다. 교대운동속도과제시출현한조음오류유형중에서이완음화와긴장음화와같이발성자질이관련된오류유형의빈도가높았다. 이러한연구결과를보다타당성있게뒷받침하기위해서는정상구어발달에서발생하는정상적인교대운동실수의빈도가구어장애아동과는어느정도의차이를보일수있는지그오류유형에서는어떠한차이가있는지지속적인연구가요구된다. 넷째, 조음정확도점수가높은집단과낮은집단을대상으로 DDK 반복음절구간 (period)-교대운동속도규칙성- 의차이를알아본결과, 두집단간에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가나타나지않았다. 조음교대운동속도의중요요인인규칙성에차이가없다는것은 DDK가조음정확도에직접적인영향을미치는주요요소가아닐수도있음을시사하고있다. 이에대해서는직접적인말속도와조음정확도의상관성에관한후속연구가요구된다. 이상의연구결과들을종합해볼때, 4~6세취학전아동을대상으로한조음교대운동속도평가에서는자음혹 은모음교대운동속도, 교대음절의반복구간 ( 규칙성 ) 에대한연령대간통계적으로차이가없었으며, 조음실수빈도와유형에서통계적으로유의미한차이가있었다. 이는교대운동속도평가에서조음실수에대한양적및질적분석이임상적으로유용한정보를제공할수있다는점을제시하고있다. 기존의국내외연구에서교대운동속도에대한대상자들의수행능력에대한질적분석자료는극히부족하다. 본연구에서실시했던조음오류실수빈도와유형분석은구어장애아동에게임상적으로보다더유용한정보를제공할것이다. 이러한결과에임상적의의를부여하기위해서추후연구에서는다양한연령대의정상구어발달아동과구어장애가있는아동을대상으로한연구가필요하다. References [1] Ziegler, W., Task-related factors in oral motor control: Speech and oral diadochokinesis in dysarthria and apraxia of speech, Brain and Language, 80, pp. 556-575. 2002. DOI: http://dx.doi.org/10.1006/brln.2001.2614 [2] Fletcher, S. G., Time-by-count measurement of diadochokinetic syllable rate,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15, pp. 763-770. 1972. [3] Duffy, J. R.(2005). Motor speech disorders: Substrates, differential diagnosis, and management(2nd ed). St. Louis, MO: Mosby. [4] Henry, C. E., The development of oral diadochokinesia and nonlinguistic rhythmic skills in normal and speech disordered young children, Clinical Linguistics and Phonetics, 4(2), pp. 121-137. 1990. DOI: http://dx.doi.org/10.3109/02699209008985476 [5] Robbins, J., & Klee, T., Clinical assessment of oropharyngeal motor development in young children, Journal of Speech Hearing Disorders, 52, pp. 271-277. 1987. [6] Prathanee, B., Thanaviratananich, S., & Pongjanyakul A., Oral diadochokinetic rates for normal Thai children, International Journal of Language Communication Disorders, 38, pp. 417-428. 2003. DOI: http://dx.doi.org/10.1080/1368282031000154042 [7] Williams, P., & Stackhouse, J., Rate, accuracy and consistency: Diadochokinetic performance of young, normally developing children, Clinical Linguistics & Phonetics, 14, pp. 267-293. 2000. DOI: http://dx.doi.org/10.1080/02699200050023985 326
[8] Ha, Ji-Wan., Diadochokinetic Rate and Variability in Children with Normal and Disordered Articulation. The Graduate School Ewha Woman University, Master thesis. 1999. [9] Han-Jin Jeong, Ok-Bun Lee, & Kyeung-Hee Sehr., Diadochokinetic Skills i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ged 4-6 Years: Pilot Stud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2(7), pp. 3149-3155. 2011. [10] Bernthal, J. E., & Bankson, N. W.,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Disorders(5th ed). Boston: Pearson Education, Inc. 2004. [11] Yaruss, J. S., & Loganb, K. J., Evaluating rate, accuracy, and fluency of young children's diadochokinetic productions: a preliminary investigation, Journal of Fluency Disorders, 27, pp. 65-86. 2002. DOI: http://dx.doi.org/10.1016/s0094-730x(02)00112-2 [12] Min-Jung Kim, Soyeong Pae, & Chang-Il Park, Assessment of Phonology & Articulation for Children, Human Brain Research & Consulting. 2007. [13] Jungyun Choe, Jin Soon Han, Diadochokinetic Rate of Normal Children and Adults : A Preliminary Study,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3, pp. 183-193. 1998. [14] Soo-Yeon Kim, Maximum phonation time and diadochokinetic rate in normal Korean children, Graduate Program in Speech Pathology, Yonsei University, Master thesis, 2008. 서경희 (Kyoung-Hee Sehr) [ 정회원 ] 2002년 8월 : 한림대학교사회복지대학원재활학과언어병리학전공 ( 석사 ) 2006년 2월 : 한림대학교대학원언어병리학박사과정수료 2003년 9월 ~ 2007년 9월 : 한림대학교언어청각학부외래강사 2008년 3월 ~ 현재 : 혜전대학교언어재활과교수 < 관심분야 > 의 생명공학, 사회과학 교육 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