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 통계브리프 우리나라 20 대청년층의사회적자본과건강 김호진한국직업능력개발원연구원신동준한국직업능력개발원연구원 Ⅰ. 서론 현재우리나라청년층은과거청년세대가경험하지못한극심한경쟁과미래에대한불안 을경험하고있음. - 2018년 10월기준통계청이발표한청년실업률은 8.4%(35만 9천명 ) 이며이는전체실업률 3.5% 를 2배이상상회하는비율임 1). - 10년전처음출간되어큰반향을일으켰던 88만원세대 는점차연애, 결혼, 출산을포기한 3포세대 로그이름이바뀌었고, 이후자가마련, 인간관계까지포기한 5포세대 로바뀌었으며, 다시꿈, 희망, 기타모든삶의가치까지포기한 n포세대 로변화해왔음. 경쟁구도의심화와불안속에서청년층에서는개인을둘러싼사회적관계로부터의자의적, 타의적이탈현상이가속되고있음. - 최근보편적으로회자되고있는 혼밥족, 혼술족, 나아가홀로숙박업소에서휴가를즐기는 혼텔족 등의용어확산은, 사회적관계에대한청년층의불신과반감, 도는가치판단에서의절하를상징하는세태로볼수있음. - 한국행정연구원 (2016) 은 20대중 우울할때사적으로연락할수있는사람이없다 고응 1)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2018. 10.) 168
KEEP 조사 통계브리프 답한비율이 8.2% 로, 30대보다높은비율이라는연구결과를발표함 2). 청년층이경험하고있는극심한경쟁구도와불안은그들의건강에도심각한영향을미치고있는것으로보고되고있음. - 건강보험공단 (2018. 11.) 의발표에따르면, 20대청년층에속하는우울증환자는 2013년 47,721명에서 2017년 75,602명으로증가하여 5년간 58.4% 의상승률을보였다고함. - 1년동안 2주일이상일상에지장이있을정도로슬프거나절망감을느낀비율 을뜻하는우울감경험률은 2015년 20대 (14.9%) 가 50대 (13.1%) 를처음앞지른것으로나타남. 이러한배경에서본고는한국교육고용패널Ⅰ(KEEPⅠ) 자료를활용하여우리나라 20대청년층의사회적자본과건강의관계를실증적으로분석해보고자함. Ⅱ. 분석방법및자료 분석을위하여사회적자본의개념정의및구성요인을다음과같이설정함. - 사회적자본은, 사회적관계를개념의핵심요소로설정하고 상호간이익을위한협력과협동을촉진하는연결망, 규범, 사회적신뢰 로규정한 R. Putnam(1995) 의정의를인용함. - 사회적자본의구성요소로는, 사회적자본에관한정의와 Onyx & Bullen(1997) 이제시한 7개구성요소를바탕으로하여 1 참여, 2 신뢰, 3 안전에대한인지, 4 이타주의적성향등으로설정함. 건강개념은세계보건기구 (WHO) 가제시한 신체적으로무병하거나허약하지않은상태만이아니라, 육체적, 정신적, 사회적안녕의완전한상태 로정의하고, 전반적인건강상태를측정할수있는도구로서타당성과신뢰성을인정받고있는주관적건강척도를활용함. 2) 한국행정연구원, 2016 년사회통합실태조사. 2018 년 9 월 169
조사 통계브리프 사회적자본외에건강에영향을미치는주요요인으로인구 사회경제적지위, 건강행동, 정서적요인에관한변수들을설정함. - 인구통계학적특성은연령, 성별, 인종등을고려할수있으나본분석은동일코호트를대상으로하므로성별만을고려함. - 사회경제적지위는 Seeman & Crimmins(2001) 의논의를토대로교육연수 ( 年數 ), 혼인상태, 본인소득, 부모소득을고려함. - 건강행동요인으로는음주및흡연여부, 운동시간을고려하였고, 정서적요인으로는긍정적자아관및가정생활만족도를고려함. 본고는 20대청년층의사회적자본이건강에미치는영향을검토하기위하여사회적자본과건강간의관계를위계적회귀분석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 을통해분석함. - 위계적회귀분석은경로분석과기본적으로동일한논리이지만, 관심을갖고있는관계에초점이맞추어져있고경로분석보다모형이단순하여결과보고에보다효과적임 ( 김진영, 2013). 분석은한국교육고용패널Ⅰ(KEEPⅠ: 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 10차 (2013) 년도자료를활용하여수행함. 분석대상은 10 차 (2013) 년도에응답한 2004 년고 3 코호트임. - 10 차 (2013) 년도에응답한고 3 코호트는총 2,551 명이며, 이중결측치를제외한 2,148 명 을최종분석대상으로설정함. 170
KEEP 조사 통계브리프 Ⅲ. 자료처리및기술통계 Ⅱ 에서제시한사회적자본, 건강, 기타요인의측정을위한변수및자료처리는아래표와 같음. 표 1. 변수및자료처리 인구 사회경제적요인 건강행동 정서적요인 사회적자본 관련문항 응답범위및자료처리 주관적건강 현재자신의건강 5점척도 성별 - 더미 ( 여성 =1) 교육연수 학력 교육연수로환산 기혼 혼인상태 더미 ( 기혼 =1/ 이혼 사별은제외 ) 본인소득 지난 1년간월평균소득 Log 처리 (0=0.0001 부여 ) 부모님소득 부모근로소득, 부모님의부동산소득 항목별중앙값부여 합산후 Log 처리 (0=0.0001 부여 ) 음주 1년전음주빈도 ( 월 1~2회이상 =1) 흡연 1년전흡연여부 더미 ( 흡연 =1) 운동시간 주평균운동시간 Log 처리 (0=0.0001 부여 ) 긍정적자아관 1) 내가무엇을잘하는지안다 2) 내가좋아하는일을안다 3) 내삶에서무엇이중요한지를안다 4) 내가할일을무리없이결정한다 5) 내가계획한것을잘할수있다 6) 내가괜찮은사람이라고생각한다 6 개문항평균 가정생활만족도 현재가정생활만족도 - 모임참여 종교, 레저, 문화, 친목, 정당, 환경단체, 자선단체, 기타시민단체참여정도 8개문항역산후평균 이타주의 전쟁발생시참전의사 더미 ( 있음 =1) 타인신뢰 대부분의사람에대한신뢰도 - 종교단체, 군대, 경찰, 법조계, 정부, 정당, 의회, 공무원, 집단신뢰 언론, 노조, 대학, 초중고교, 대기업, 은행, 환경단체, 여성단체, 자선단체, 기타시민단체, 병원, UN 에대한신 20개문항평균 뢰정도 환경안전감 주변환경안전도 역산 2018 년 9 월 171
조사 통계브리프 주요변수의기초통계량을살펴보면다음과같음. - 청년층의건강인식은 5점만점에 3.55점으로나타나대체로본인의건강수준을보통이상으로인식하는것으로나타남. - 사회적자본관련변수에서는모임참여가 1~3점분포중 1.3점으로나타나참여수준이높지않은편이었으며, 타인신뢰, 집단신뢰, 환경안전감은 1~4점분포중 2.4~3.0점수준인것으로나타남. - 기타통제변수의기초통계량은 < 표 2> 와같음. 표 2. 변수및자료처리 평균 중위수 분산 표준편차 1. 주관적건강 3.55 4.00 0.68 0.82 2. 모임참여 1.30 1.25 0.11 0.33 3. 이타주의 (dummy) 0.63 1.00 0.23 0.48 4. 타인신뢰 2.58 3.00 0.35 0.60 5. 집단신뢰 2.38 2.40 0.19 0.44 6. 환경안전감 3.01 3.00 0.25 0.50 7. 여성 (dummy) 0.44 0.00 0.25 0.50 8. 교육연수 14.64 15.00 2.29 1.51 9. 기혼 (dummy) 0.14 0.00 0.12 0.35 10. 본인소득 (log) -0.47 0.59 10.71 3.27 11. 부모님소득 (log) 3.23 5.52 31.33 5.60 12. 1년전음주 (dummy) 0.77 1.00 0.17 0.42 13. 1년전흡연 (dummy) 0.28 0.00 0.20 0.45 14. 1년전운동시간 (log) -2.87 0.00 25.25 5.03 16. 긍정적자아관 3.66 3.67 0.37 0.61 16. 가정생활만족도 3.64 4.00 0.63 0.79 172
KEEP 조사 통계브리프 분석에활용된변수들의상관관계는 < 표 3> 과같음. - 변인들간가장높은상관은여성-이타주의 (-.497), 여성-흡연 (-.405) 간의부적관계에서나타남. 이는성별에따른군복무경험및흡연율의차이에의한것차이때문인것으로추론됨. - 이를제외한모든변수들이.3 이하의상관을보임으로써변수간의다중공선성발생가능성은낮은것으로판단됨. 표 3. 변수별상관관계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 주관적건강 1 2. 모임참여.104** 1 3. 이타주의 (dummy).164**.121** 1 4. 타인신뢰.153**.093**.140** 1 5. 집단신뢰.157**.078**.139**.333** 1 6. 환경안전감.164**.059**.163**.147**.114** 1 7. 여성 (dummy) -.211** -.072** -.497** -.053**.028 -.153** 1 8. 교육연수.063**.111**.055**.119**.038.133** -.004 1 9. 기혼 (dummy) -.040* -.034 -.126** -.003 -.018 -.042*.181** -.176** 1 10. 본인소득 (LN) -.018.002 -.098** -.007 -.058** -.077**.147** -.148**.178** 1 11. 부모님소득 (LN).068**.095**.020.066**.090**.051*.014.147** -.003 -.004 1 12. 1년전음주 (dummy).041* -.018.074**.033 -.017 -.004 -.077**.060** -.091**.096**.032 1 13. 1년전흡연 (dummy).068** -.023.200** -.030 -.039.039* -.405** -.124** -.057**.014 -.038.184** 1 14. 1년전운동시간 (LN).118**.189**.151**.069**.009.062** -.217**.140** -.085** -.061**.029.061**.043* 1 16. 긍정적자아관.290**.123**.161**.162**.122**.203** -.105**.173** -.004 -.018.074**.060**.023.133** 1 17. 가정생활만족도.261**.050*.119**.152**.128**.223** -.078**.134**.150**.029.076** -.020 -.007.090**.292** 1 - 양측검정, **p<0.01, *p<0.05 2018 년 9 월 173
조사 통계브리프 Ⅳ. 분석결과 다른통제변수를고려하지않은상태에서사회적자본과청년층의주관적건강의관계를분석한결과 ( 모형 1), 사회적자본을구성하는참여, 이타주의, 신뢰 ( 타인및집단 ), 환경안전감등 5개구성요인모두에서통계적으로유의한관계가나타남. - 모든사회적자본구성요인들은주관적건강과정적관계를갖는것으로나타나사회적자본이주관적건강에긍정적인영향을줌. 이는기존의연구결과를지지하고있는것으로해석할수있음. 성별및교육연수, 혼인상태, 본인및부모소득등인구 사회경제적요인을포함한모형 2 에서는이타주의를제외한사회적자본요인들이여전히유의한영향을주는것으로나타남. - 본고에서설정한사회적자본요인중에서이타주의는인구 사회경제적요인에의해통계적유의성을상실하였는데, 이는성별변수가통제되면서나타난결과로판단됨. - 즉, 이타주의가전쟁시참전의사를통해측정되었고, 국방의수행이주로남성에의해수행되고상대적으로여성의관심이낮은한국의상황을감안할때, 성별변수의통제는이타주의의영향력을상당부분희석시키는역할을한것으로판단됨. 1년전의건강행동요인이추가된모형 3에서도이타주의를제외한모든사회적자본요인이통계적으로유의한긍정적영향이나타남. - 1년전의건강행동요인중에서는음주와운동시간이건강에긍정적인영향을주는것으로나타남. - 음주가건강에부정적인영향을미친다는일반적인견해와는다소다르게정적관계로나타난것은해당문항이음주량이아닌횟수로측정되었다는점과과도하지않은음주의경우사회적관계망을보다강화시키는기능을할수도있다는점에서비롯된것으로추정됨. 174
KEEP 조사 통계브리프 - 건강행동요인이추가되면서사회적자본요인중집단신뢰가가장강한영향을갖는요인으로분석된것은, 이러한추정을어느정도지지하는것으로판단됨. 긍정적자아관및가정생활만족도등정서적요인변수를추가한최종모형 (Ⅳ) 에서도모임참여와타인신뢰, 환경안전감등사회적자본요인이청년층의건강에통계적으로유의한영향을주는것으로나타남. - 모임참여와집단신뢰, 환경안전감과달리타인신뢰의경우 0.1 수준에서마지널한 (marginal) 영향력을갖는것으로나타나정서적요인에의해많은부분영향받음을추정할수있음. - 또한, 모형 3에서유의한영향을가졌던운동시간은정서적요인을통제한결과통계적유의성을상실하였는데, 이는청년층의건강이정서적, 심리적요인에의해더많은영향을받는것으로추정할수있음. 이와같은분석을통해본고는청년층의건강에미치는주요요인을통제한경우에도여전히사회적자본의긍정적영향력이남아있음을보여줌. - 이는사회적관계및돌봄이중요하다고여겨지는중고령자뿐만아니라청년들에게도참여, 신뢰, 안전감등사회적자본이주요한건강자원으로기능한다는것을의미함. 2018 년 9 월 175
조사 통계브리프 표 4. 회귀분석 사회적자본 인구 사회경제적요인 건강행동 (1 년전 ) 정서적요인 Ⅰ Ⅱ Ⅲ Ⅳ b β sig. b β sig. b β sig. b β sig. ( 상수 ) 1.849-000 *** 1.928.211.000 *** 1.946.000 ** 1.312.000 *** 모임참여.190.075.000 ***.169.053.001 **.153.061.004 **.119.047.021 * 이타주의 (dummy).192.113.000 ***.022.041.061.018.010.066.541 타인신뢰.104.075.001 **.095.030.002 **.090.065.003 **.055.040.061 집단신뢰.183.097.000 ***.227.041.000 ***.231.123.000 **.188.100.000 *** 환경안전감.211.128.000 ***.179.035.000 ***.183.111.000 **.087.053.012 * 여성 (dummy) -.338.040.000 *** -.321 -.194.000 ** -.89 -.174.000 *** 교육연수.015.012.213.010.018.404 -.013 -.023.278 기혼 (dummy) -.006.050.897.007.003.881 -.077 -.033.117 본인소득 (LN).008.005.135.007.026.215.003.014.502 부모님소득 (LN).002.003.493.002.014.511.001.004.856 음주 (dummy).102.052.013 *.089.045.025 * 흡연 (dummy) -.014 -.008.744.000.000.994 운동시간 (LN).008.047.029 *.004.026.215 긍정적자아관.258.191.000 *** 가정생활만족도.158.153.000 *** R 2.075.105.110.174 Adj.R 2.073.101.105.168 R 2.075.030.005.064 Ⅴ. 결론 본고는청년층의사회적자본이그들의주관적건강에어떠한영향을미치는가를한국교육 고용패널 Ⅰ(KEEPⅠ) 자료를통해실증적으로분석하였음. 분석결과, 사회적자본은기타요인을통제한후에도여전히청년층의건강에영향을미치 176
KEEP 조사 통계브리프 는것으로나타남. 이에따라최근 혼밥, 혼술 등사회적관계를이탈하여홀로이루어지는활동의증가경향은청년층의사회적자본의약화를야기함으로써장기적으로건강에부정적결과를초래할수있음. - 그러나이러한현상은과도한사회적관계에대한반작용으로발생하는것으로해석할수있으므로, 이경우개인의심리적안정감을회복시킴으로써건강에긍정적결과를야기할수있다는점에서지속적인논의가필요함. 그럼에도불구하고집단혹은사회수준에서의사회적자본은한번약화되면회복하기에오랜시간과노력이필요하고, 개인의의향과상관없이전체사회구성원에게영향을미친다는점에서향후세심한관심이필요함. 마지막으로본고의내용은한국교육고용패널 Ⅰ(KEEPⅠ) 10 차 (2013) 년도자료를활용하여 분석한결과이니만큼, 보다최근자료를활용하여추가적인분석을수행할필요가있으며, 변수처리등에서보다면밀한검토를수행할필요가있음. 2018 년 9 월 177
조사 통계브리프 참고문헌 김준홍. 2010. 사회적자본, 신체활동그리고주관적건강 : 구조방정식모형검증을통한정책의근거모색. 보건과사회과학, 28, 61-90. 김진영.2013. 학력과주관적건강의관계 : 노동시장지위와경제적지위를통한연결, 한국사회학 제47집제2 호, 211~239. 김형용. 2010. 지역사회건강불평등에대한고찰 : 사회자본맥락효과에대한해석. \m ŒY 44(2): 59-92. 서지원. 2006. 중고령기건강에대한인적자본과사회자본의효과. 대한가정학회지, 44(10):133-144. 송예리아, 남은우. 2009. 사회자본정도및건강행동이한국인의주관적건강에미치는영향분석. 보건교육 건강증진학회지, 26(3):1-13. 임재영, 조창익. 2008. 한국노인의흡연및음주행위에대한사회자본의효과. 보건경제와정책연구, 14(2):73-92. 정민수, 조병희. 2007. 지역사회역량이주민건강수준에미치는영향 : 2006년서울시도봉구주민건강행태조사를중심으로. 보건과사회과학, 22:153-182. Bourdieu, P. 1985. The Social Space and the Genesis of Groups, Theory and Society, Vol.14 No. 6, pp. 723 744. Coleman, J. S. 1988.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S95 S120. Coleman, J. S. 1990. Commentary: Social Institutions and Social Theory,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pp. 333 339. Onyx, J., & Bullen, P. 1997. Measuring Social Capital in Five Communities in NSW: An Analysis, University of Technology, Sydney, Centre for Australian Community Organisations and Management (CACOM). Putnam, R. D. 1993. The Prosperous Community: Social Capital and Public Life, The American Prospect, Vol.13, pp. 35 42. Putnam, R. D. 1995. Bowling Alone: America's Declining Social Capital, Journal of Democracy, Vol.6 No.1, pp. 65 78. Seeman, T.A., and E. Crimmins. 2001 Social Environment Effects on Health and Aging: Integrating Epidemiologic and Demographic Approaches and Perspectives. 178
KEEP 조사 통계브리프 2018 년 9 월 1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