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3, No. 9 pp. 4119-4125, 2012 http://dx.doi.org/10.5762/kais.2012.13.9.4119 한국판수정바델지수 (K-MBI) 의타당도, 신뢰도, 문항변별도검증 : 뇌졸중환자를대상으로 최유임 1*, 김원호 2, 박은영 3, 김은주 4 1 호원대학교보건복지대학작업치료학과, 2 울산과학대학교물리치료과 3 전주대학교사범대학중등특수교육과, 4 전주대학교대체의학대학작업치료학과 The Validity, Reliability and Discriminative Index of the Korean Version of Modified Barthel Index(K-MBI) in Stroke Patients Yoo-Im Choi 1*, Won-Ho Kim 2, Eun-Young Park 3 and Eun-Joo Kim 4 1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Health & Welfare, Howon University 2 Dept. of Physical Therapy, Ulsan College 3 Dept. of Secondary Special Education, College of Education, Jeonju University 4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Alternative Medicine, Jeonju University 요약이연구는뇌졸중환자를대상으로한국판수정바델지수 (Korean Version of Modified Barthel Index: K-MBI) 의타당도, 신뢰도와문항변별도를알아보기위해실시되었다. 223명의뇌졸중환자를대상으로 K-MBI를사용하여일상생활활동을측정하였다. 타당도를알아보기위해요인분석을실시하였고, 문항내적합치도, 문항변별도를알아보았다. 요인분석결과, K-MBI의 10개의공통성은.50이상으로나타났으며, 하나의요인에적재되는것으로나타났다. 설명량은 72.184% 이었다. 요인적재량은용변처리, 개인위생, 의자 / 침대이동, 보행 / 의자차, 옷입기, 식사하기, 대변조절, 목욕하기, 소변조절, 계단오르기순으로나타났다. K-MBI의 Cronbach α 값은.944로나타났으며, 각의문항변별도는.783~.909로만족할만한수준이었다. 요인분석을통해 K-MBI의일상생활활동이라는하나의구성요인을확인하였으며, 신뢰도와문항변별도를확인하였다. 뇌졸중환자의일상생활활동의타당한평가를위해, 앞으로의연구에서는 K-MBI의다양한심리측정학적특성을알아보는연구가필요할것으로생각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validity, reliability, and discriminative index of the Korean version of Modified Barthel Index (K-MBI). For this, two hundreds twenty-thee stroke patients participated. Activities of daily living were measured through using K-MBI.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for identifying the construct validity and internal consistent and discriminative index were calculated. The result of factor analysis was that the 10 items of K-MBI have communality above.50, and was constructed one factor. Explained variance was 72.184%. The order of factor loading value was toileting, personal hygiene, transfer from bed to chair and back, ambulation/wheelchair, dressing, feeding, bowel control, bathing, bladder control, and stair climbing. Cronbach α of K-MBI was.994. The range of discriminative index was.783~.909, and was acceptable. One factor of K-MBI was identified through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d discriminative index was also identified. Various psychometric properties of K-MBI should be investigated in further studies for valid assessment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stroke patients. Key Words : ADL, K-MBI, Stroke, Validity 이연구는호원대학교교내연구비지원에의해수행된연구임 * Corresponding Author : Yoo-Im Choi Tel: +82-10-3256-1365 email: yichoi@howon.ac.kr 접수일 12년 07월 13일수정일 12년 08월 06일게재확정일 12년 09월 06일 41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제 13 권제 9 호, 2012 1. 서론 뇌졸중은세계적으로흔한성인병중하나이다. 세계보건기구의보고에따르면세계적으로년간 1천 5백만의사람들이뇌졸중을경험하며, 이들중 5백만이사망하고 5백만은영구적장애가남아가족과지역사회의도움을필요로하는것으로보고되었다 [1]. 우리나라의경우 2010년도사망원인통계결과를보면 3대사망원인은악성신생물 ( 암 ), 뇌혈관질환, 심장질환이며, 3대사망원인에따른사망자는총사망자의 47.8% 에이른다. 뇌혈관질환의사망원인순위는 2위로나타나고있으나, 인구 10만명당사망률추이는 1999년 79.2명에서 2010년 53.2명으로감소하고있다 [2]. 뇌혈관질환의사망률감소와더불어뇌졸중의유병률은증가하는추세이며, 60대이상의노인들에게장애를일으키는가장일반적인요인이되었다 [3]. 뇌졸중환자의치료에있어장애정도를감소시키는것은재활프로그램의주요목표가된다. 특히, 일상생활활동에서의독립성은뇌졸중환자의재활에서가장일반적인성과측정치이다 [4]. 일상생활활동은개인의기능에대한신체적손상의영향을반영함과동시에임상가가환자의퇴원과추후관리의필요성에관한의사결정을하는데도움을줄수있는객관적인자료를제공해준다 [5-7]. 현재재활분야에서뇌졸중환자의일상생활활동평가를위해널리사용되고있는도구는수정바델지수 (Modified Barthel Index: MBI) 와기능적독립성평가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IM) 이다. 이중 FIM은사용료의지불과교육을받아야하는등의제한으로인해, MBI가임상현장과연구에서좀더흔히사용되고있다 [8]. MBI는측정학적으로도장점이있는데, 다른도구에비해민감도가높고, 단순하며, 쉽게점수를매길수있으며 [9-11], 신뢰도와타당도가높은것으로보고되고있다 [4]. 이러한이점은 MBI가여러나라에서번안되고타당화되도록하는데기여하였다. MBI는터키 [12] 와중국 [4] 에서번안되고신뢰도와타당도가확인되었으며, 오스트리아, 일본, 영국과미국뇌졸중환자를대상으로다국가간비교연구도보고되었다 [13]. 국내에서는장한영등 [8] 이 MBI 5판을한국실정에맞도록번안하고표준화하여한국판수정바델지수 (K-MBI) 를보고하였다. K-MBI는뇌졸중환자 30명을대상으로타당도와신뢰도를제시하였다. 이후 K-MBI는노인장기요양보험수발등급평가에있어 K-MBI가유용한지에대한연구 [14], 뇌졸중환자를대상으로한연구 에서환자의일상생활활동수준을평가하기위한도구로사용 [15], 새로운척도의타당을확인하기위한비교평가도구 [16] 에사용되고있다. K-MBI는표준번안및문화적차이에대한수정ㆍ보완과정에따라개발되어졌으나, 몇가지제한점이존재한다. 첫째는표본의크기가뇌졸중환자 30명이었다는점이다. 6개기관에서 5명씩선정하여다기관연구라는것에는의의가있고, 상관을위한표본의최소기준을충족하였으나, 검정력 (power) 이낮아결과해석에유의해야한다 [17]. 둘째, 구성타당도의검증을위해요인분석이아닌상관을알아보았다는점이다. 구성타당도를검정하기위한대표적방법은요인분석이다. 때문에도구의타당도를확인하기위한연구들에서는요인분석을통해구성타당도를확인하고있다 [15, 16, 18]. 셋째, 상관을통해구성타당도를확인하기위해 10개의을임의적으로전체점수, 자조기능, 이동기능으로나누어서상관을분석하였다는점이다. 장애를확인하고관련된문제들을관리하기위해서는임상가들과연구자들모두에게장애를과학적으로입증된도구를이용하여평가하는것이필요하다 [19]. 과학적으로입증된도구는신뢰도와타당도가확인된도구를의미한다. K-MBI가보고된이후, 타당도와신뢰도를보고한연구는찾아보기어렵다. 검사도구를활용할때그검사도구가측정하고자하는것을충실히재고있는지, 혹은오차없이정확하게측정하고있는지를판단하기위한신뢰도와타당도의검증은선행되어야하는필수요소이다 [18]. 따라서이연구에서는뇌졸중환자를대상으로요인분석을통해 K-MBI의타당도를확인하고, 신뢰도와문항변별도를알아보고자한다. 2. 연구방법 2.1 연구대상자의일반적특성 [ 표 1] 연구대상자의일반적특성 (N=223)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y subjects 일반적특성 값 나이 ( 세 ) 59.93±10.68* 유병기간 ( 개월 ) 68.96±61.48 마비부위 ( 우측 / 좌측 / 양측 ) 86/98/39 성별 ( 남 / 여 ) 153/70 * 평균 ± 표준편차 본연구는뇌졸중진단을받고입원이나외래를통해 4120
한국판수정바델지수 (K-MBI) 의타당도, 신뢰도, 문항변별도검증 : 뇌졸중환자를대상으로 병원에서치료를받고있거나, 지역사회복지관을이용하고있는뇌졸중환자 223명을대상으로실시되었다. 뇌졸중이외에다른질환이있는경우조사대상에서제외시켰다. 평가는자발적으로참여에동의한경우실시되었다. 연구대상자의평균연령은 59.93세이었고, 유병기간은 68.96개월이었다 ( 표 1). 2.2 측정도구뇌졸중환자의일상생활활동을평가하기위해 Shah 등 [9] 이개발한수정바델지수를정한영등 [8] 이번역하여보고한 K-MBI를사용하였다. K-MBI는개인위생, 목욕하기, 식사하기, 용변처리, 계단오르기, 옷입기, 대변조절, 소변조절, 보행, 의자차, 의자 / 침대이동의 11개문항으로구성되어있는데, 의자차의경우는보행이가능하지않은경우에만보행대신측정하기때문에실제측정문항은총 10개문항이된다. 각은 5점리커트척도로수행정도에따라완전히독립적인경우부터과제를수행할수없는경우까지이다. 점수체계는 5점에서 15점까지로모든을완전히독립적으로수행할수있는경우는 100점이된다. 정한영등 [8] 은 K-MBI의구성타당도를보고하였으며, 검사자간신뢰도를.93~.98, Cronbach α를.84로보고하였다. 2.3 절차 K-MBI의타당도를알아보기위해뇌졸중환자 236명을대상으로평가를실시하였다. 이중평가결과에결측치가존재하는 13명을분석에서제외하여최종 223명의평가결과를분석에사용하였다. 수집된자료는통계프로그램을이용하여분석하였다. 2.4 분석방법 K-MBI의타당도를알아보기위해탐색적요인분석을실시하였다. 먼저자료의요인분석가능성을알아보기위해 Kaiser-Myer-Olkin(KMO) 을측정한결과 0.915이었으며, Bartlett의구형성검정결과카이제곱값이 2399.473 으로 α =.01수준에서유의하였다. KMO 값은통상적으로.70보다크면자료가요인분석에적절하다고보며, Bartlett의구형성검정결과가유의하면요인분석에적절하다고판단한다. 요인추출방법으로는주성분분석을사용하였으며, 요인회전방법은요인들이상호독립적이라는제한조건을주지않는프로맥스방법을이용하였다 [20, 21]. 문항내적합치도를알아보기위해 Cronbach α를계산하였고, 문항변별도를알아보기위해총점-문항간상관 을알아보았다. 자료의통계분석을위해서는 SPSS 18.0 을사용하였다. 3.1 주성분분석결과 3. 연구결과 뇌졸중환자를대상으로한 K-MBI의주성분분석결과는표 2와같다. 분석결과 10개문항모두공통성이.50이상인것으로나타났다. [ 표 2] 주성분분석결과 [Table 2]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추출된공통성 추출된공통성 개인위생.806 옷입기.745 목욕하기.666 대변조절.672 식사하기.714 소변조절.638 용변처리.833 보행 / 의자차.771 계단오르기.574 의자 / 침대이동.800 3.2 설명된총분산뇌졸중환자를대상으로한 K-MBI의요인을추출한결과는표 3과같다. [ 표 3] 설명된총분산 [Table 3] Explained variance 요인 초기고유값 추출제곱합적재값 합계 % 분산 % 누적합계 % 분산 % 누적 1 7.218 72.184 72.184 7.218 72.184 72.184 2.834 8.337 80.521 3.510 5.099 85.621 4.374 3.743 89.364 5.352 3.515 92.879 6.206 2.065 94.944 7.174 1.740 96.684 8.158 1.585 98.269 9.113 1.129 99.398 10.060.602 100 표 3에서보는바와같이, 주성분분석을통해고유값 1 이상의요인을추출한결과, 하나의요인이추출되었으며, K-MBI는일상생활활동의 72.184% 를설명해주는것으로나타났다. 41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제 13 권제 9 호, 2012 3.3 성분행렬 K-MBI의요인추출결과하나의요인으로추출되었기때문에회전하지않은성분행렬결과를제시하였으며, 그결과는표 4와같다. [ 표 4] 성분행렬 [Table 4] Factor loading matrix 일상생활활동 일상생활활동 개인위생.898 옷입기.863 목욕하기.816 대변조절.845 식사하기.845 소변조절.799 용변처리.913 보행 / 의자차.878 계단오르기.758 의자 / 침대이동.895 표4에제시한바와같이, K-MBI의 10개은용변처리, 개인위생, 의자 / 침대이동, 보행 / 의자차, 옷입기, 식사하기, 대변조절, 목욕하기, 소변조절, 계단오르기순으로요인적재량이큰것으로나타났다. 3.4 신뢰도 K-MBI 의 Cronbach α 값은.944 로나타났다. 3.5 문항변별도 총점과의상관을통해 K-MBI 각문항의변별도를알아본결과는표 5와같다. [ 표 5] 문항변별도 [Table 5] Discriminative index 변별도 변별도 개인위생.877** 옷입기.861** 목욕하기.795** 대변조절 813** 식사하기.837** 소변조절.793** 용변처리.909** 보행 / 의자차.896** 계단오르기.783** 의자 / 침대이동.900** **p <.01 표 5에제시한바와같이, K-MBI 각문항의변별도는.783~.909로만족할만한수준이었다. 4. 논의 이연구는뇌졸중환자를대상으로 K-MBI 의타당도, 신뢰도, 문항변별도를알아보는데그목적이있었다. 이를위해뇌졸중환자 223명을대상으로 K-MBI를이용하여일상생활활동을평가한후, 요인분석을실시하고문항내적합치도인 Cronbach α 값을알아보았다. 또한총점- 문항간상관을통해문항변별도를알아보았다. K-MBI의구성타당도는요인분석을통해알아보았다. 분석결과, K-MBI의 10개모두하나의요인에적재되어나타나, K-MBI의구성요인은하나인것으로나타났다. 도구의단일차원성은심리측정학적연구들에서중요하게다루어져왔다. 단일차원성이란특정도구에포함된각이단일한잠재적특성을측정하고있다는가정을전제로하는것이다. 요인분석을통한단일차원성가정판단기준은첫째, 스크리도표가명확한첫번째요인을보여주는경우, 둘째, 첫번째요인의고유치가나머지요인들에비해유의하게클경우, 셋째, 첫번째요인이총분산의 20% 이상을설명할경우이다 [22]. MBI는일상생활활동을측정하기위한 10개의단일요인으로구성되어져있다. 이연구에서 K-MBI의요인은하나로나타났으며, 설명량이 72.184% 로단일차원성을만족하는것으로나타났다. MBI의타당도에관한기존의연구들은몇몇을제외한단일차원성을보고하고있다. Kucukdeveci 등 [12] 은 대변조절 과 소변조절 이단일차원에부적합하였음을보고하였으며, Leung 등 [4] 은 MBI를중국어로번안한후, 요인분석을실시한결과 2개의요인을추출하였음을보고하였다. 대소변조절기능은중추신경계의기능과인지기능과관련이높기때문에, 이러한결과의차이는대상자의차이에서기인할수있다. Kucukdeveci 등 [12] 의연구에서는뇌졸중환자 50명과척수손상환자 50명을대상으로실시하였다. 척수손상환자가대상자에포함된것은대소변조절에대한평가결과에영향을미쳤을것이라생각되어진다. Leung 등 [4] 의연구에서는대상자가뇌졸중환자로이연구의대상자와동일하나연령분포에서차이를보였다. Leung 등 [4] 의대상자평균연령은 76.0세로이연구의대상자평균연령인 59.13세와큰차이를보였다. 만약어떤도구가단일차원성을만족하지않는다면각각의에대한총합의개념이모호해진다. 즉일상생활활동을측정하기위한 MBI의중단일차원성을만족하지않는이존재한다면, 그은일상생활활동이라는총점의개념에포함시키는데있어고려의대상이될수있다. 그러나이연구결과에서 K-MBI는하나의구성개념을갖는단일차원성을만족하는것으로나타나, 일상생활활동을측정하는도구로써의타당도가확인되었다. 10개의이설명하는총분산량의값은 72.184% 로 4122
한국판수정바델지수 (K-MBI) 의타당도, 신뢰도, 문항변별도검증 : 뇌졸중환자를대상으로 Leung 등 [4] 이요인분석을통해보고한 Chinese Version of Modified Barthel Index(MBI-C) 의 75.7% 와유사한것으로나타났다. K-MBI의 Cronbach α 값은.944로높은수준의신뢰도를보였다. Nunnally와 Bernstein[23] 은문항내적합치도의판단기준에의하면.70이상이면받아들이기에적합한수준 (acceptable reliability) 이며,.80 이상이면좋은신뢰도 (good reliability),.90은받아들일수있는최대값이라고하였다. 본연구의 K-MBI의신뢰도는 Hsueh[19] 이제시한.89~.92, Leung 등 [4] 이보고한 0.93과유사한수준인것으로나타났다. K-MBI의총점과각문항과의상관을통해문항변별도를알아본결과, 변별도는.783~.909로나타났다. 고전검사이론에의한문항변별도분석은문항과총점간의상관계수값에의해이루어진다. 문항의변별도를판단하는절대적인기준은없으나피어슨적률상관을이용하여계산한총점-문항간의상관이 0.28 이상이면만족할만한수준으로생각된다 [12]. 이러한판단근거에기초하여 K-MBI의문항변별도는높은것으로볼수있다. 이는또한 MBI-C의 0.54~0.91보다높은것으로나타났다 [4]. 세부별변별도를비교해보면, 개인위생, 식사하기, 용변처리, 계단오르기, 대변조절, 소변조절, 보행 / 의자차는은 MBI-C보다높게나타났으며, 의자 / 침대이동은.90으로같게나타났고, 목욕하기와옷입기은 K-MBI의변별도가 MBI-C보다낮게나타났다. 이연구에서는 K-MBI의구성타당도와신뢰도, 문항변별도를알아보고확인하였다. 장애에대한활동및참여의개념이강조되고있는현재의상황을고려할때, 일상생활활동측정도구에대한심리측정학적특성에대한연구가축적되어야할것이다. 앞으로의연구에서는 K-MBI에대한문항특성과측정자간신뢰도를확인하는연구가필요할것으로생각된다. 5. 결론 이연구는뇌졸중환자를대상으로 K-MBI의타당도, 신뢰도와문항변별도를알아보기위해뇌졸중환자 223 명을대상으로 K-MBI를이용하여일상생활활동을평가한후, 요인분석을실시하고문항내적합치도인 Cronbach α와문항변별도를알아보았다. 연구결과 K-MBI의구성타당도가확인되었으며, 문항내적합치도는높은것으로나타났다. 또한문항변별도결과는만족할만한수준인것으로나타났다. 뇌졸중환자의일상생활활동수준을측정하기위한국내에서개발된타당한 도구가부재한것을고려할때, 타당도와신뢰도가확인된 K-MBI는뇌졸중환자의일상생활활동수준에대한평가에기여할수있을것이라생각된다. 앞으로의연구에서는 K-MBI에대한다양한심리측정학적특성을알아보아야할것으로생각된다. References [1] T. L. Green, and K. M. King, Functional and psychosocial outcomes 1 year after mild stroke. Journal of Stroke Cerebrovascular Disease, Vol.19, No.1, pp.10-16, 2010. [2] Statistics Korea, 2010 Statistics on the Aged, Daejeon, Statistics Korea, 2011. [3] Ministry of Health & Welfare, Elderly Health and Social Welfare Service Guideline, http://www.mohw.go.kr, 2003. [4] S. O. C. Leung, C. C. H. Chan, and S. Shah, Development of a Chinese version of the Modified Barthel Index: Validity and reliability, Vol.21, pp.912-922, 2007. [5] C. H. Christiansen, and C. M. Baum, Occupational therapy: Enabling function and well-being, NJ, Slack Incorporated, 1997. [6] S. Shah, and B. Cooper, Commentary on a critical evaluation of the Barthel Index, British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Vol.56, pp.70-72, 1993. [7] S. Shah, In praise of the biometric and psychometric qualities of the Barthel Index, Physiotherapy, Vol.80, pp.769-761, 1994. [8] H. Y. Jung, et al., "Development of the Korean Version of Modified Barthel Index (K-MBI): Multi-center study for subjects with stroke", Journal of Korean Academy Rehabilitation Medicine, Vol. 31, No. 3, pp. 283-297, 2007. [9] S. Shah, F. Vanclay, and B. Cooper, Improving the sensitivity of the Barthel Index for stroke rehabilitation,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Vol.42, pp.703-709, 1989. [10] G. E., Gresham, T. F. Phillips, and M. L. C. Labi, ADL status in stoke: Relative merits of three standard indexes, Archives Physical Medicine & Rehabilitation, Vol.61, pp.355-358, 1980. [11] M. L. Dombovy, B. A. Sandok, and J. R, Rehabilitation for stroke: A review, Stroke, Vol.17, pp.363-369, 1986. 412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제 13 권제 9 호, 2012 [12] A. A. Kucukdeveci, G. Yavuzer, G, A. Tennant, et al., Adaptation of the modified Barthel Index for use in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in Turkey, Scandinavian Journal of Rehabilitation Medicine, Vol.32, pp.87-92, 2000. [13] S. Shah, B. Cooper, and F. Maas, The Barthel Index and ADL evaluation in stroke rehabilitation in Australia, Japan, the UK, and the USA, Australian Occupational Therapy Journal, Vol.39, No.1, pp.5-13, 1992. [14] W. S., Kim, and H. I. Shin, Usefulness of the fraity and Modified Barthel Indexes in the assessment of care grades in geiatric long-term care service, Journal of Korean Geriatric Society, Vol.12, No.4, pp.207-214, 2008. [15] W. H. Kim, The effects of activity an family support on the participation restriction of chronic stroke patients, Physical Therapy Korea, Vol.19, No.1, pp.76-85, 2012. [16] Y. I. Choi, W. H. Kim, and E. Y. Park,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London Handicap Scal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2, No.11, pp.5102-5109, 2011. [17] Choen, Statistical power and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88. [18] E. Y. Park, Factor analysis of the Korean-Child Behavior Checklist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8. No.1, pp.211-230, 2010. [19] I. P., Hsueh, M. M. Lee, and C. L. Hsieh,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of the Barthe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dex in stroke patients, Journal of Formosan Medical Association, Vol.100, No.8, pp.526-532, 2001. [20] E. Y. Park, Development of Employer's Criteria Judged Critical to Employment of Persons With Mental Retardation, Doctorial Thesis, Kongju University, 2007. [21] Y. J. Lee, Understanding Factor Analysis, Seoul, Seokjeong, 2002. [22] R. K. Hambleton, H. Swaminathan, and H. J. Rogers, Fundamentals of Item Response Theory, Newbury Park, Sage Publications, 1991. [23] J. C. Nunnally, and I. H. Bernstein, Psychometric Theory, New York, McGraw-Hill Inc., 1994. 최유임 (Yoo-Im Choi) [ 정회원 ] 작업치료, 인지재활 2005 년 2 월 : 연세대학교대학원재활학과 ( 이학석사 ) 2011 년 8 월 : 연세대학교대학원재활학과박사과정수료 2008 년 3 월 ~ 현재 : 호원대학교작업치료학과교수 김원호 (Won-Ho Kim) [ 정회원 ] 물리치료, 보건의료 1998 년 8 월 : 연세대학교대학원재활학과 ( 이학석사 ) 2005 년 2 월 : 가톨릭대학교대학원보건학과 ( 보건학박사 ) 2006 년 3 월 ~ 현재 : 울산과학대학물리치료과조교수 박은영 (Eun-Young Park) [ 정회원 ] 직업재활, 특수교육 1999 년 2 월 : 연세대학교대학원재활학과 ( 이학석사 ) 2007 년 2 월 : 공주대학교대학원특수교육학과 ( 교육학박사 ) 2008 년 3 월 ~ 현재 : 전주대학교중등특수교육학과교수 4124
한국판수정바델지수 (K-MBI) 의타당도, 신뢰도, 문항변별도검증 : 뇌졸중환자를대상으로 김은주 (Eun-Joo Kim) [ 정회원 ] 2003 년 8 월 : 전북대학교보건대학원산업보건학과 ( 보건학석사 ) 2008 년 3 월 : 연세대학교대학원재활학과작업치료학박사과정 2007 년 3 월 ~ 현재 : 전주대학교작업치료학과교수 작업치료, 직업재활 4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