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PIA-NURIMEDIA



Similar documents
232 도시행정학보 제25집 제4호 I.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사회가 다원화될수록 다양성과 복합성의 요소는 증가하게 된다. 도시의 발달은 사회의 다원 화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현대화된 도시는 경제, 사회, 정치 등이 복합적으로 연 계되어 있어 특

300 구보학보 12집. 1),,.,,, TV,,.,,,,,,..,...,....,... (recall). 2) 1) 양웅, 김충현, 김태원, 광고표현 수사법에 따른 이해와 선호 효과: 브랜드 인지도와 의미고정의 영향을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18권 2호, 2007 여름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 A Analysis of

<B1A4B0EDC8ABBAB8C7D0BAB8392D345F33C2F75F E687770>

652

<33B1C7C3D6C1BEBABB28BCF6C1A42D E687770>

96부산연주문화\(김창욱\)

歯M PDF

<3130BAB9BDC428BCF6C1A4292E687770>

,......

<5B D B3E220C1A634B1C720C1A632C8A320B3EDB9AEC1F628C3D6C1BE292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1, pp.1-19 DOI: *,..,,,.,.,,,,.,,,,, ( )

<B0ADC8ADC7D0C6C428C3D6C1BE292E687770>

도비라

<B1E8BCF6C1A4BEC6BDC3BEC620BFA9BCBAC0C720B1B9C1A6B0E1C8A5BFA120B4EBC7D120B9CCB5F0BEEE20B4E3B7D02E687770>

30이지은.hwp


,,,.,,,, (, 2013).,.,, (,, 2011). (, 2007;, 2008), (, 2005;,, 2007).,, (,, 2010;, 2010), (2012),,,.. (, 2011:,, 2012). (2007) 26%., (,,, 2011;, 2006;

01....=361.

,,,,,, ),,, (Euripides) 2),, (Seneca, LA) 3), 1) )

현대영화연구

아태연구(송석원) hwp


2

<5B335DC0B0BBF3C8BF2835B1B35FC0FAC0DAC3D6C1BEBCF6C1A4292E687770>

<30392EB9DAB0A1B6F72CC1A4B3B2BFEE2E687770>

내지4월최종

2 大 韓 政 治 學 會 報 ( 第 18 輯 1 號 ) 과의 소통부재 속에 여당과 국회도 무시한 일방적인 밀어붙이기식 국정운영을 보여주고 있다. 민주주의가 무엇인지 다양하게 논의될 수 있지만, 민주주의 운영에 필요한 최소한의 제도적 조건은 권력 행사에서 국가기관 사이의

.. IMF.. IMF % (79,895 ). IMF , , % (, 2012;, 2013) %, %, %

KD hwp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2, pp DOI: * The Mediating Eff

단위: 환경정책 형산강살리기 수중정화활동 지원 10,000,000원*90%<절감> 형산강살리기 환경정화 및 감시활동 5,000,000원*90%<절감> 9,000 4, 민간행사보조 9,000 10,000 1,000 자연보호기념식 및 백일장(사생,서예)대회 10

<313020C1A4BFECBAC034332E687770>

26-ÀÌÇýÂùÅä·Ðȸ

<B5B6BCADC7C1B7CEB1D7B7A52DC0DBBEF7C1DF 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searc

<B1B3C8B8BBE7C8B8BBE7BEF75F3236C8A35FBABBB9AE5F33C2F72E687770>

untitled

입장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4, pp DOI: * A Study on Teache

DBPIA-NURIMEDIA

0429bodo.hwp


최우석.hwp

E1-정답및풀이(1~24)ok

< BDC3BAB8C1A4B1D4C6C75BC8A3BFDC D2E687770>

<C1B6BCB1B4EBBCBCBDC3B1E2342DC3D6C1BE2E687770>

과 위 가 오는 경우에는 앞말 받침을 대표음으로 바꾼 [다가페]와 [흐귀 에]가 올바른 발음이 [안자서], [할튼], [업쓰므로], [절믐] 풀이 자음으로 끝나는 말인 앉- 과 핥-, 없-, 젊- 에 각각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식형태소인 -아서, -은, -으므로, -음

<C0CEBCE2BABB2D33C2F7BCF6C1A420B1B9BFAAC3D1BCAD203130B1C72E687770>

교사용지도서_쓰기.hwp

時 習 說 ) 5), 원호설( 元 昊 說 ) 6) 등이 있다. 7) 이 가운데 임제설에 동의하는바, 상세한 논의는 황패강의 논의로 미루나 그의 논의에 논거로서 빠져 있는 부분을 보강하여 임제설에 대한 변증( 辨 證 )을 덧붙이고자 한다. 우선, 다음의 인용문을 보도록

untitled

민주장정-노동운동(분권).indd

伐)이라고 하였는데, 라자(羅字)는 나자(那字)로 쓰기도 하고 야자(耶字)로 쓰기도 한다. 또 서벌(徐伐)이라고도 한다. 세속에서 경자(京字)를 새겨 서벌(徐伐)이라고 한다. 이 때문에 또 사라(斯羅)라고 하기도 하고, 또 사로(斯盧)라고 하기도 한다. 재위 기간은 6

6±Ç¸ñÂ÷

cls46-06(심우영).hwp

<C3D6C1BE5FBBF5B1B9BEEEBBFDC8B0B0DCBFEFC8A C3D6C1BEBABB292E687770>

초등국어에서 관용표현 지도 방안 연구

177

제주어 교육자료(중등)-작업.hwp

¸é¸ñ¼Ò½ÄÁö 63È£_³»Áö ÃÖÁ¾

01Report_210-4.hwp

<C3D1BCB15FC0CCC8C45FBFECB8AE5FB1B3C0B0C0C75FB9E6C7E D352D32315FC5E4292E687770>



교육 과 학기 술부 고 시 제 호 초 중등교육법 제23조 제2항에 의거하여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을 다음과 같이 고시합니다. 2011년 8월 9일 교육과학기술부장관 1.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은 별책 1 과 같습니다. 2.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별책

시험지 출제 양식

우리나라의 전통문화에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봅시다.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를 체험합시다.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를 소중히 여기는 마음을 가집시다. 5. 우리 옷 한복의 특징 자료 3 참고 남자와 여자가 입는 한복의 종류 가 달랐다는 것을 알려 준다. 85쪽 문제 8, 9 자료

상품 전단지

::: 해당사항이 없을 경우 무 표시하시기 바랍니다. 검토항목 검 토 여 부 ( 표시) 시 민 : 유 ( ) 무 시 민 참 여 고 려 사 항 이 해 당 사 자 : 유 ( ) 무 전 문 가 : 유 ( ) 무 옴 브 즈 만 : 유 ( ) 무 법 령 규 정 : 교통 환경 재

2

DBPIA-NURIMEDIA

화이련(華以戀) hwp

ÆòÈ�´©¸® 94È£ ³»Áö_ÃÖÁ¾

歯1##01.PDF

<5BC1F8C7E0C1DF2D31B1C75D2DBCF6C1A4BABB2E687770>

120229(00)(1~3).indd

DBPIA-NURIMEDIA

우리들이 일반적으로 기호

272 石 堂 論 叢 49집 기꾼이 많이 확인된 결과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야기의 유형이 가족 담, 도깨비담, 동물담, 지명유래담 등으로 한정되어 있음도 확인하였 다. 전국적인 광포성을 보이는 이인담이나 저승담, 지혜담 등이 많이 조사되지 않은 점도 특징이다. 아울

Kor. J. Aesthet. Cosmetol., 및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고, 만족 정도 에 따라 전반적인 생활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신체는 갈수록 개 인적, 사회적 차원에서 중요해지고 있다(안희진, 2010). 따라서 외모만족도는 개인의 신체는 타

., (, 2000;, 1993;,,, 1994), () 65, 4 51, (,, ). 33, 4 30, 23 3 (, ) () () 25, (),,,, (,,, 2015b). 1 5,

< FC7D1BEE7B4EB2DB9FDC7D0B3EDC3D132382D332E687770>

<28C3D6C1BE29312DC0CCBDC2BEC62E687770>

국립중앙도서관 출판시도서목록(CIP) 일본만화의 폭력성과 우리 청소년 / 청소년위원회 청소년 보호단 매체환경팀 편집. -- 서울:청소년위원회, 2005 p. ; cm. -- (청소년 ; ) ISNB :기타 KDC

2 佛敎學報 第 48 輯 서도 이 목적을 준수하였다. 즉 석문의범 에는 승가의 일상의례 보다는 각종의 재 의식에 역점을 두었다. 재의식은 승가와 재가가 함께 호흡하는 공동의 場이므로 포 교와 대중화에 무엇보다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믿음을 지니고 있었다. 둘째

<4D F736F F D20C3A520BCD2B0B32DC0DABFACBDC4C0C720C8B2B1DDBAF1C0B2322E646F63>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4, pp DOI: * The Meaning of Pl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view of Research

09김정식.PDF

<303220C7D1C5C2B9AE2E687770>

공연영상

<303220B0EDC7F5C1D82CC0AFBFACBBF32E687770>

¿©±âÀÚ-À¥¿ë.PDF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4, pp DOI: A Study on the Opti

京 畿 鄕 土 史 學 第 16 輯 韓 國 文 化 院 聯 合 會 京 畿 道 支 會

- 2 -

<B7CEC4C3B8AEC6BCC0CEB9AEC7D B3E23130BFF9292E687770>

ePapyrus PDF Document

118 김정민 송신철 심규철 을 미치기 때문이다(강석진 등, 2000; 심규철 등, 2001; 윤치원 등, 2005; 하태경 등, 2004; Schibeci, 1983). 모둠 내에서 구성원들이 공동으 로 추구하는 학습 목표의 달성을 위하여 각자 맡은 역할에 따라 함께

Transcription:

아시아교육연구 15권 3호 Asian Journal of Education 2014, Vol. 15, No. 3, pp. 71-96. 텔레비전 드라마 <돈의 화신>에 나타난 아버지의 이미지 의 극복과 그 교육적 시사점 * 1)2) 김영철( 金 暎 鐵 ) ** 논문 요약 이 연구는 2013년 봄에 방영된 텔레비전 드라마 <돈의 화신>으로부터 자녀가 가지고 있는 여러 유형의 아버 지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추출하고, 정신분석학의 관점에서 그 아버지의 이미지의 극복의 의미와 그 극복의 동력, 그리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드러내려는 시도이다. 분석의 결과 10개의 아버지의 이미지가 발견되었다. 그것은 1 거부, 2 정의의 사도, 3 모범적 법조인, 4 노동자, 5 노숙자, 6 노예, 7 피살자, 8 범죄자, 9 돈의 화신, 그리고 10 탕자 등이다. 이는 다시 A 위대한(1, 2, 3), B 무능한(4, 5), C 억울한(6, 7), 그리고 D 수치스 런(8, 9, 10) 아버지의 이미지라는 4개의 상위 범주로 묶일 수 있다. 여기서 A를 강한, B와 C를 묶어서 약한, 그리고 D를 악한 아버지의 이미지라고 부를 수 있다면, 몇 가지 일반적 명제가 도출될 수 있다. 첫째로, 장성한 자녀에게 강하면서 선한 아버지의 이미지는 존재하지 않으며, 처음에 강해보였던 아버지의 이미지는 이후에 약하거나 악한 아버지의 이미지로 바뀐다. 둘째로, 강한 아버지의 이미지는 말할 것도 없고, 악하거나 약한 아버지의 이미지 또한 자녀에게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셋째로, 모든 아버지의 이미지는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부정적 성격을 띠기 때문에, 아버지의 이미지는 극복되어야 하며, 그 동력은 어머니의 사랑으로부터 온다. 정신분석학에 따르면, 어머니의 사랑으로 극복된 아버지의 이미지 는 상징적 아버지로 귀결된다. 그리고 교육학의 관점에서 볼 때, 상징적 아버지는 가정교육의 과정과 목표로서 한계를 가지고 있다. 주요어 : 텔레비전 드라마 <돈의 화신>, 아버지의 이미지, 어머니의 사랑, 상징적 아버지, 정신분석학 * 이 논문은 2013년 충북대학교 학술연구지원사업의 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1) ** 충북대학교 교육학과 교수2)

72 아시아교육연구 15권 3호 Ⅰ. 서론 정범모(2000)는 나라의 마음을 방향 짓는 사람들 을 교육세력 이라고 칭하고, 부모, 교사, 언 론방송인 그리고 각계각층의 지도자 등을 거론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의당 아버지는 교육의 한 세력이지만, 오늘날 아버지의 위상은 전에 없이 추락하고 있다는 것이 일반적 인식이다. 인터넷 상에서 하루에 540만 명의 네티즌이 접속하여 읽었다는 아버지에 관한 글 모음집의 소개 글(아 버지를사랑하는모임, 2002: 9)에 따르면, IMF 이후에 아버지의 위상이 추락했으며 그제서야 사 람들은, 아들과 딸은, 아버지는 누구인가 하고 묻기 시작했다. IMF 이후에 우리사회의 집단적 정서가 진정성을 잃고 급속하게 속물화되었으며(김홍중, 2009: 19-20), 이러한 속물화에 대한 반 동으로 진정성의 아이콘으로 아버지가 거론되기 시작한 것이다. 물론 아버지에 대한 관심이 1992년 문민정부로 시작된 반권위주의적인 정치풍토에서 이미 시작되었던 것을 보면(현정환, 오 경희, 2008; Shwalb, Nakazawa, Yamamoto, & Hyun, 2010), IMF 이전에도 아버지의 위상은 추 락하고 있었으며, IMF는 추락하는 아버지의 권위에 가해진 결정타였을 뿐이다. IMF 이전과 그 이후의 아버지의 위상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을까? 예를 들어 1996년에 나온 김정현의 소설 아버지 속의 정수와 2010년에 나온 동일한 작가의 소설 아버지의 눈물 속 의 흥기를 보자. 질병과 자살, 그리고 범죄와 자수가 두 아버지가 겪는 어두운 사건이다. 정수는 무능감을 겪기는 하지만 서기관이라는 고위직에 의사 친구를 둔 아버지이다. 이에 반하여 흥기 는 무능력하며 언제 실직을 할 지 모르는 불안정한 직업을 가지고 있는 아버지이다. 이러한 차이 에도 불구하고 IMF를 전후한 아버지들은 가정 내에서 무력하고 우울하며 소외된 존재로 그려진 다. 최근에 나온 박범신의 소설 소금 (2013) 속의 선명우는 세 딸과 부인을 버리고 가출하여 이름까지 바꾸고 사는 아버지로 등장한다. 이제 아버지는 공중파 방송과 종교기관이 그렇게 하 는 것처럼 교정과 교화의 대상이 되었다. 그러나 아버지의 위상이 추락하는 현상은 비단 우리의 일만도 아니고, 최근의 일만도 아니다. Zoja(2001/2009: 272-306)는 서구의 경우에 아버지의 권위가 로마 시대에 최고점을 찍은 이후 에 계속적인 추락세를 겪고 있다고 본다. 로마에서 아버지의 권위는 권리에 의해, 그리고 그 권 리는 법에 의해 보장되었다. 하지만 모든 아버지가 성숙한 부성을 갖추고 있지 않아서 그랬겠지 만, 로마에서는 아버지의 의무가 강조되기 시작하였다. 이제 자식의 선생님이기도 했던 아버지 (pater)가 양육자(nutritor)로 축소되게 된다. 오늘날 우리나라의 공익광고에 등장하는 아빠, 마 더하세요. 라는 구호에 상응하는 현상이 이미 로마에도 일어났던 것이다. 로마 시대 이후에 기 독교의 교회는 자식에 대한 아버지의 공식적 권위를 박탈하였고, 신의 중개자로서 사제(pater)의 권위를 내세웠다. 중세시대 내내 아버지의 권위는 장기간에 걸쳐 약화되었는데, 일반적으로 남 자의 이상적인 모습은 신적인 아버지라기보다는 인간적인 아들의 모습이었다. 이후 근대적 부르

텔레비전 드라마 <돈의 화신>에 나타난 아버지의 이미지 의 극복과 그 교육적 시사점 73 주아 아버지는 풍족한 경제적 토대를 배경으로, 그리고 종교개혁을 통해 사제로부터 탈환한 신 적 권위의 중계역할을 인수함으로써 잠시나마 권위를 가질 수 있었다. 하지만 세속적이고 계몽 적인 학문의 융성과 시민혁명으로 인한 군주정의 철폐는 부르주아 아버지의 권위를 끌어내렸다. 노동자 아버지의 권위도 하락하기는 마찬가지였다. 노동자 아버지는 가정을 떠나서 도시의 공장 으로 떠났고 자녀에게 보이지 않게 되는, 소위 아버지의 비가시성(invisibility of the father) 의 영역으로 밀려들어갔다. 아버지는 자녀의 모델이 될 수 없었고, 자녀들은 또래 친구와 경쟁하는 속에서 자신을 바라보게 되었다. 아버지들은 상실감과 우울에 시달렸으며 선술집을 전전했고, 집에 돌아가서는 다시 적은 말수와 적개심에 가득 찬 눈초리로 무장한 더 낯선 사람이 되었다. Zoja는 산업혁명 이후에 서구 역사상 처음으로 자식들이 아버지를 부끄럽게 여기기 시작했다고 말한다. 부권의 몰락의 역사에서 Zoja가 간과하고 있는 것이 있다면, 그것은 근대에 들어 일어난 아버 지의 상징적 기능 그 자체, 즉 상징적 아버지 의 몰락이라는 현상이다. 상징적 아버지는 역사적 으로 실존하는 현실적 아버지 의 상징적 측면이다. 신과 군주의 초월적 권위가 살아 있었던 전 근대 시대에는 이 초월적 권위가 현실적 아버지의 상징적 기능을 보장하였다. 하지만 신과 군주 가 폐기된 근대에 와서는 아버지의 상징적 기능은 현실적 아버지에 내재적으로 통합된다. 따라 서 아버지의 권위가 몰락해간다고 할 때, 그 근대적 특징은 현실적 아버지의 몰락과 동반하여 상징적 아버지도 몰락하는 데에 있다. Lacan 정신분석학에 따르면, 이 상징적 아버지는 자녀의 상상적 경쟁과 동일시의 대상으로서의 아버지의 이미지 를 제어하는 법 그 자체이다. 아버지의 몰락으로 인하여 상징적 아버지가 아버지의 이미지를 제어하지 못할 때 개인적으로나 사회적으 로나 심각한 문제가 발생한다. 상징적 아버지가 현저하게 몰락하는 시기에 아버지에 관한 대중의 관심이 높아지는 것과, 그 와 동시적으로 학문적 관심 또한 높아지는 것은 우연한 일이 아니다. 근대에 태동한 정신분석학 이 그 전형적인 예이다. Lacan은 프로이트의 연구 전체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아버지 가 된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Fink, 1997/2002: 338)라고 말하는데, 이처럼 정신분석학 이 탄생한 시기가 바로 아버지의 위상이 정치, 종교, 가족적으로 삼중의 몰락을 겪은 때인 것이 다(Julien, 1991/2000: 44). 그리하여 군주제를 대신하여 형제애에 입각한 공화정이 시작되고, 종 교의 세속화가 급격히 진행되며, 부르주아 가족 내에서 아버지의 위상이 급격히 실추되는 19세 기 말과 20세기 초에, 아버지를 핵심적 연구대상으로 하는 정신분석학이 탄생한다. 대중과 정신분석학자가 아버지에 관심을 가지게 되는 것은 상징적 아버지의 위상이 몰락하는 현실과 관련이 있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이 둘의 결정적인 차이점은 제기되는 질문에 있다. 대중 이 단지 아버지는 누구인가 라고 물을 때, 정신분석학은 아버지를 가지고 있었다는 것이 아들 또는 딸을 향해 던지는 의미가 무엇인가 를 중요한 질문으로 취급한다(Julien, 1991/2000: 70).

74 아시아교육연구 15권 3호 정신분석학은 상징적 아버지와 더불어 자녀가 가지고 있는 아버지의 이미지로부터 탐구를 시작 하는 반면, 대중은 현실적 아버지의 여러 측면을 뒤섞어 생각한다. 이 논문에서는 정신분석학, 그 중에서도 특히 Lacan의 정신분석학이 해석의 주요한 개념적 도구로 사용되는데, 이는 Lacan 의 정신분석학이 아버지의 이미지, 상징적 아버지 그리고 가정교육 등의 연구 주제에 풍부한 개 념적 자원을 제공한다고 보기 때문이다. 가령 Julien(1991/2000)은 Lacan의 정신분석학에 입각 하여 현실적 아버지를 상상적, 상징적, 실재적, 생물학적 아버지 등으로 구분하여 논의하고 있으 며, 김영철(2005)은 상징적 아버지의 가정교육적 의의를 Lacan의 주요개념에 터하여 논의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 사용되는 아버지의 이미지 에서 이미지 라는 용어는 Jung이 사용한 이마고 (Imago) 라는 개념과 유사하다. 이마고는 시각적 표상에 더하여 감정을 포함한 주관성에 강조점 을 두며, 개인적 무의식으로서의 콤플렉스를 넘어서는 집단적 무의식에 존재하는 원형처럼 집단 적 성격을 띤다(Evans, 1996/1998: 316; Laplanche & Pontalis, 1967/2005: 321). 가령 Abramovitch(1997)는 다양한 아버지의 이미지와 그것의 의미를 검토하고 있다. 그가 열거하고 있는 아버지의 이미지는 부재하는 아버지, 살해당한 아버지, 최초의 아버지, 하느님 아버지, 현실적으로 좋은 아버지 등등이다. 그는 성경 과 같은 탁월한 텍스트로부터 이러한 이미 지들을 추출하고 있는데, 이는 Jung 계열의 심리학자인 Zoja(2001/2009)의 방법론과도 유사하 다. Abramovitch와 Zoja의 연구는 성경 과 같이 서구인들의 집단적 무의식을 형성할 정도로 오랜 동안 읽혀 온 텍스트들로부터 원형적 아버지의 이미지를 발견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다. 이와는 달리, 이 논문에서 아버지의 이미지는 신화적이고 보편적인 원형이 아니라 역사사회 적 맥락에서 대중이 형성한 것으로 취급된다. 이러한 관점에 따라 이 논문은 아버지의 이미지를 대중문화적 텍스트, 그 중에서도 텔레비전 드라마로부터 추출하고자 한다. 텔레비전 드라마를 대중문화적 텍스트라고 지칭하는 것은, 산업자본주의에 기반한 고도의 기술복제 시대에 대중문 화와 무관한 순수예술의 장르가 있을 수 없다는 의미에서(김창남, 1998: 26), 당연한 말에 불과할 것이다. 그렇기는 해도 텔레비전 드라마는 여타의 예술적 장르에 비하여 대중의 취향과 욕망을 상대적으로 충실히 반영할 것으로 판단된다. 1) 텔레비전 드라마가 일반적으로 반영적 대중성을 강하게 띤다는 바로 그 점이, 그로부터 대중이 가지고 있는 아버지의 이미지와 그 의미를 이해하 기 위한 좋은 텍스트가 될 가능성의 근거이다. 이 논문은 2013년 2월부터 4월 사이에 24회에 걸쳐 SBS에서 방영된 드라마 <돈의 화신>을 1) 예를 들어 제7의 예술로서의 영화와 텔레비전 드라마를 비교해 보면, 영화도 대중문화적 텍스트이기는 하 지만, 거기에는 소위 작가주의 영화 내지는 예술영화 가 존재한다(김영철, 2011: 171-172). 이러한 영화는 대중에게 공감이나 감동 보다는 충격과 놀라움을 야기한다. 요컨대, 텔레비전 드라마의 대중성은 일반적으 로 대중의 욕망과 취향을 반영하는 측면이 강하다면, 작가주의 영화의 대중성은 대중의 욕망과 취향의 상 투성에 도전하는 측면이 강하다는 것이다.

텔레비전 드라마 <돈의 화신>에 나타난 아버지의 이미지 의 극복과 그 교육적 시사점 75 자료로 하여, 그 드라마에 등장하는 자녀가 어떠한 아버지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으며 그 이미지 의 극복의 동력과 의미는 무엇인가 하는 질문에 대하여 정신분석학의 관점에서 답해 보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해보고자 하는 시도이다. 이 드라마는 대중이 처한 사회경제적 배경(약한 아버지의 이미지), 주요 사건의 모티브(강한 아버지의 살해 또는 타락과 복수), 등장인물의 성격 (사회지도층 인사의 행태들) 등의 면에서 대중의 욕망과 취향을 충실히 반영하고 있다. 특히 <돈 의 화신>에는, 가령 2012년 KBS에서 방영된 <내 딸 서영이>에 나오는 세 명의 아버지보다 다양 한 아버지가 등장한다. 또한 <돈의 화신>은 아버지의 이미지 에 천착하고자 하는 본 논문의 관 심에 적합한 소재를 제공한다. 이러한 다양성과 적합성이, 시청률을 불문하고, <돈의 화신>이라 는 텔레비전 드라마가 연구자료로 선택된 이유이다.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II장에서는 사건과 인물을 중심으로 드라마 <돈의 화신>을 개관 한다. III장에서는 아버지의 이미지의 유형을 추출한다. IV장에서는 드라마가 아버지의 이미지에 관하여 일반적으로 드러내고 있는 바를 명제로 요약하고 추가로 몇 가지 정신분석학적 해석을 시도한다. 마지막 V장 결론에서는 가정교육을 중심으로 교육적 시사점을 논한다. Ⅱ. 사건의 개요와 가족관계 속에서 본 등장인물들 1. 사건의 개요 드라마 첫 회는 양평의 한 공사장에서 돈다발이 쏟아지는 장면으로 시작된다. 이 돈은 이중만 회장의 비밀의 방에 쌓여있던 것이다. 이 사건의 담당검사는 이차돈인데, 그는 자신이 이 회장의 아들 이강석이라는 것을 알지 못한다. 그는 기억상실 상태인 것이다. 그에게 의문의 전화가 걸려 오는데, 전화를 건 사람은 이차돈의 어린 시절에 이 회장의 고문변호사 노릇을 한 황장식이다. 여기서 드라마는 플래시백 되어 1997년 강석의 청소년 시절로 돌아간다. 양평 공사장의 이 장면은 9회에 동일하게 다시 반복되는데, 이 장면을 드라마의 현재시점 (2013년)으로 하여 과거의 사건과 현재진행의 사건이 나뉘어 진다. 이중만 회장이 살해를 당하고 그의 아들 강석이 교통사고를 당하여 기억을 상실 한 후에 한마음보육원 이라는 고아원에서 이 차돈이라는 이름으로 성장하며, 대략 10년 후에 검사가 되어 잠재의식 속에 각인된 아버지의 축 재의 형태를 비리검사로서 반복하는 것이 과거의 일이다. 이후 9회 중반부터 마지막 24회에 이 르기까지, 이차돈이 검찰 감찰부의 조사로 검사직을 사퇴하고, 변호사로서 수임료를 챙기기 위 해 정신병동에 수감된 박기순을 찾아 잠입하였다가 집중치료 라는 전기고문으로 기억을 되찾고 모자가 상봉을 하여 아버지의 억울한 죽음을 가져 온 일당에게 복수를 하는 것이 현재진행의

76 아시아교육연구 15권 3호 일이다. 이 회장의 살해를 주도하고, 부인 박기순에게 살인의 누명을 씌워 그녀를 교도소와 정신병원 에 가두어 두는 한편, 어린 강석조차 죽이려고 한 지세광과 그의 일당은 승승장구한다. 지세광은 검사로 임관하여 전 서울시장인 정해룡의 뇌물수수사건을 해결한다. 그는 외압에 굴복하지 않는 청렴하고 지조 있는 검사로서, 감찰부장을 역임하면서 이차돈과 같은 비리검사를 색출해낸다. 그는 올해의 검사 상을 수상하며, 정치권으로부터 주목을 받는다. 지세광의 애인이자 이 회장의 내연녀였던 은비령은 이 회장의 고문변호사 황장식과 함께 이 회장의 유서를 조작하여 많은 재 산을 상속 받고 의류업체의 사장으로, 나중에는 황해신용금고 의 대표로 선출된다. 지세광에게 매수되어 그와 협조 관계를 유지하지만 정치적 입지를 놓고 경쟁을 계속하는 권재규는 서울지 방검찰청장의 자리에 오른다. 한 때 연예부 기자였던 고호는 지세광에게 매수되면서 방송국의 국장으로 승진하며 시사프로의 진행을 맡게 된다. 다만, 지세광을 도와 이중만 회장의 비극을 불러온 핵심 당사자 황장식 변호사만은 도박에 빠져 재산을 모두 탕진한다. 그는 이차돈이 이강 석이라는 사실을 제일 먼저 알고는, 은비령을 협박하여 돈을 갈취하려다가 공사장 건물에서 은 비령에게 떠밀려 추락 사망한다. 어머니가 돌아가신 후, 드라마는 이강석의 복수극으로 전개되지만, 그것은 잔혹한 방식이 아 니라 일당의 내분을 일으켜 자멸을 불러오는 식으로 진행된다. 하지만 지세광과 권재규 일당의 반격도 만만치 않다. 지세광은 결국 이차돈이 이강석이라는 증거를 잡고, 이를 권재규에게 알린 다. 권재규는 덤프트럭 기사를 매수하여, 트럭이 택시를 들이받는 사고로 위장하여 이강석 살해 를 기도한다. 강석은 구사일생으로 살아나지만 이번에는 권재규와 지세광의 음모에 말려 교도소 에 수감 된다. 그는 교도소 안에서 같은 방에 수감된 유재국으로부터 위증에 대한 진술번복을 받아내어 무죄로 석방된다. 이강석은 서울지검 특수부 특별검사에 지원하여 다시 검사직에 복귀한다. 알츠하이머병으로 부터 기억이 돌아 온 복화술은 자신에게 빚이 있는 정재계와 방송계 인사를 초치하여 지세광 일당을 압박할 조치를 취하도록 한다. 공금횡령과 권혁 살해의 진범으로 체포된 지세광은 이차 돈 검사에게 피의자로 심문을 받지만 증거가 없다며 오히려 호통을 친다. 하지만 지세광의 애인 전지후 판사는 번민 끝에 이차돈 검사에게 지세광의 혐의를 입증할 결정적 증거를 건넨다. 고호 의 방해에도 불구하고 이중만 회장의 살해사건이 재조명되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방영된다. 이 방송에 출연한 복재인은 이 회장의 살해범 일당의 실명을 공개한다. 권재규는 지세광 때문에 자 신의 아들 권혁이 추락사한 것을 알고 법원 복도에서 그를 저격한다. 총상을 입은 지세광은 앰뷸 런스로 호송되는 도중에 권총을 탈취하여 도주한다. 은비령이 지세광을 구해내지만, 두 사람은 자살로 생을 마감하고, 이차돈과 복재인은 결혼식을 올린다.

텔레비전 드라마 <돈의 화신>에 나타난 아버지의 이미지 의 극복과 그 교육적 시사점 77 2. 가족관계 속에서 본 등장인물들 이 드라마에 나오는 아버지는 8인이고, 어머니는 7인이며, 자녀는 6인 또는 그 이상이다. 어머 니 7인 중에서 극 중에 실제로 등장하는 인물은 4인(박기순, 복화술, 은비령, 권혁의 모친)이고 나머지 3인(전지후의 모친, 고호의 부인, 고명한의 부인)은 등장하지 않는다. 자녀가 6인 이상이 라는 것은 극 중에 등장하지는 않지만, 가령 전화통화 등을 통하여 그 존재가 추정되기 때문이 다. 이하에서는 가족관계 속에서 인물을 소개한다. 첫째로, 이중만-박기순-이강석. 이중만은 거만하고 인색한 주인이자 자본가이다. 부산 출신으 로 어린 시절에 상경하여 자수성가한다. 그는 아내를 박대하며, 은비령을 내연녀로 두고 있다. 박기순은 평범한 주부이다. 남편뿐만이 아니라 은비령에게도 무시와 모욕을 당하지만, 감정을 드러내지 않고 인고한다. 주인공 이강석은 어린 시절 세상에 무서운 것이 없는 고집 세고 명민한 소년이었다. 교통사고로 기억을 상실하지만 비상한 암기력을 갖게 된다. 이후 기억을 회복하고 아버지를 살해한 범인 일당들에게 복수를 할 때는 온 몸을 던지는 집요한 성격을 드러내지만, 감정을 숨기고 절제하는 능력도 탁월하다. 둘째로, 지만호-지세광. 이중만 회장의 운전기사이자 집사였던 지만호는 아들의 회상 속에 초 췌한 모습으로 등장한다. 그는 주인에게 충성스러우며 순응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지세광은 아버지의 굴종적 삶으로 인하여 이 회장에 대한 반감을 가지고 있으며, 아버지가 옥사한 후에는 원한감정을 갖는다. 그는 냉철하고 빈틈없이 일을 꾸미고 과단성 있게 추진하는 성격을 가지고 있는 수재이다. 검사로 임관된 후에 청렴하고 강직하며 정의로운 검사로 활약하며, 검찰계의 로 빈 훗 으로 불린다. 셋째로, 권재규의 아버지-권재규-권혁. 권재규의 아버지는 드라마에 실제로 등장하지 않고, 다 만 아들 권재규의 말 속에서 지독한 가난을 겪는 무능한 아버지로 회고된다. 권력을 치부의 수단 으로 삼는 권재규는 저돌적이고 독선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자신이 한 일을 후회하지 않는 강한 의지의 인물이다. 권혁은 청장인 아버지를 그림자처럼 따라 다니는 수행검사 역할을 한다. 아버지의 말을 거스른 적이 없고 소심하고 유약해 보이는 인물이다. 넷째로, 공기남-복화술-복재인. 심약하고 약간은 어리석은 로맨티스트 공기남은 젊은 시절의 방 탕과 무능으로 아내 복화술로부터 내쳐진 남자지만, 복화술이 알츠하이머병을 앓을 때에는 그녀 를 지극정성으로 간병한다. 복재인의 실부이지만, 차마 딸 앞에 자신을 드러내지 못한다. 복화술은 요정과 사채업을 경영하면서 정계, 재계, 방송계의 요인들과 친분을 맺고 막후에서 정치적 실력을 행사한다. 그녀는 여장부의 풍모와 입담을 보인다. 외동딸 복재인은 호적 명에 따라 공재인이라는 이름으로 황해신용금고에 근무하던 중, 이차돈의 말에 상처를 받고 전신 성형수술을 감행한다. 적 극적이고 독립심이 강한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어떤 권위와 권력에도 굴하지 않는다.

78 아시아교육연구 15권 3호 다섯째로, 전훈-전지후. 대법관을 역임한 교수 전훈은 많은 법조인들로부터 존경을 받는 인물 이다. 신인정치인의 등용문이자 정치적 실세들의 사교모임인 청록문학회 의 수뇌부 격인 4인위 원회 의 멤버이지만, 실세는 아니다. 부인은 전훈의 말(17회 61:54) 2) 을 통해서만 그 존재가 언급 된다. 검사에서 판사로 직을 옮기는 딸 전지후는 사건 수사에 남성들 이상으로 강인한 직업근성 을 보이며, 굽히지 않는 원칙과 소신을 가지고 있다. 청렴하고 강직해 보이는 선배 검사 지세광 을 사랑하고 결혼을 약속한다. 여섯째로, 고호, 고명한, 은비령 등. 고호는 출세지향적이고 기회적인 인물이다. 이중만 회장 의 사망을 재조명하는 프로그램이 텔레비전에 방영된 후에 그는 가족에게도 버림받고 노숙자 신세로 전락한다. 부인과 자녀의 존재는 24회(04:45)에서 그의 전화통화에서 추정된다. 고명한은 박기순을 지하병동에 수감한 충청도 소재 요양원의 원장이다. 이 요양원의 주된 역할은 재산다 툼으로 가족에 의해 맡겨진 사람들을 수용하여 재산포기각서를 받아주는 것이다. 그의 전화통화 (12회, 32:32)를 통해 부인과 자녀의 존재를 알 수 있다. 거부 이중만의 내연녀이자 지세광의 연 인으로서 자살로 생을 마감하는 은비령은 모델이자 배우이다. 가식적이고 교태가 많으며 교만하 지만, 지세광을 끝까지 사랑하는 순정을 보인다. 미국에 놔두고 온 어린 아들이 있다. Ⅲ. 장면의 분석: 아버지의 이미지들 드라마에 나타나는 자녀는 6인 이상이다. 그 중에서 고호, 고명환, 은비령의 자녀의 경우에 드라마 속에 그 자녀의 아버지에 대한 이미지가 나타나지 않으므로 분석대상에서 제외하며, 이 강석(이차돈), 지세광, 권재규, 권혁, 복재인, 전지후 등, 6인의 자녀가 가진 아버지의 이미지가 분석대상이다. 이 장에서는 6명의 자녀에게 발견된 각 1개의 이미지에 더하여, 이강석에게 2개, 권혁에게 1개 그리고 복재인에게 1개의 이미지가 추가되어, 총 10개의 아버지의 이미지가 제시 되고 있다. 1. 위대한 아버지의 이미지 1) 거부( 巨 富 ) 어린 강석은 부유하고 든든한 아버지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아버지가 살해된 뒤 집 없이 거리를 떠돌던 강석에게는 두 번의 회상장면이 있는데, 하나는 어떻게 살 것인가를 선언하는 아 2) 17회 분의 61분 54초의 지점을 말한다.

텔레비전 드라마 <돈의 화신>에 나타난 아버지의 이미지 의 극복과 그 교육적 시사점 79 버지와의 가족식사 장면(1회, 51:21)이고, 다른 하나는 무엇을 위해 살 것인가를 설교하는 아버지 와의 비밀회합 장면(2회, 32:42)이다. 앞의 장면에서 강석은 얼굴에 멍 자국과 상처가 나 풀이 죽 어 있다. 아버지는 싸움에서는 무조건 이겨야 한다는 것, 피해자가 합의를 안 해 주려는 것은 합 의금이 적다는 투정에 불과하다는 것을 강변한 후, 아들에게 공부를 하지 말라고 말한다. 가진 것이라고는 그저 쥐뿔도 없는 것들이, 기를 쓰고 하는 게, 그게 공분기라. 니는 나중에 공부 잘하 는 놈만 딱, 딱, 딱, 딱 골라 가가, 니 꼬붕으로 달고 다니면 되는 기야. 이 때 어린 강석은 아버지 의 말에 전적으로 동의하지 않는 어머니의 눈치를 보면서도 아버지의 지지발언에서 쾌감을 느끼 는 표정을 짓는다. 학교공부가 아들에게 필요 없는 이유는 아버지가 거부 이기 때문이다. 강석의 두 번째 회상 장면에서 아버지는 자신이 무엇을 가졌는지, 그것이 삶에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 아들에게 알려준다. 아버지는 아들과 단 둘이 자신의 비밀의 방으로 간다. 그곳에는 엄청 난 돈다발과 골동품 등이 쌓여 있다. 아버지는 쌓인 돈을 신 이라고, 그 방을 성전 이라고 부 른다. 그리고 그는 거기에 쌓인 돈을 자신은 차마 쓸 수 없지만 강석이 정승처럼 쓰라고 말한 후, 아들에게 황금색 동전을 부적으로 건넨다. 거부의 이미지는 강석이 기억을 상실하면서 사라 진듯하지만, 이후에도 이차돈은 이 동전을 항상 몸에 지니고 다니면서 화폐축장자의 행위를 반 복한다. 비리검사 시절 그는 온갖 부정한 방법으로 벌어들인 돈다발을 자신의 비밀의 방에 쌓아 두면서도, 자신이 왜 그러한 행위를 하는지 의식에 떠올리지 못한다. 2) 정의의 사도 검사 권재규의 아들 권혁은 나름 안정된 환경에서 성장했다. 혁은 아버지를 존경하고 동일시 한 결과, 아버지와 동일한 검사의 길을 걷게 된다. 그는 청장인 아버지를 그림자처럼 좆아 다니 면서 수행원 노릇을 한다. 정략적인 이유에서 아버지는 아들에게 연애의 대상까지 지목해준다. 이 장면(15회, 13:40)에서 혁은 아버지의 명령이 과도하다고 느끼고 반항한다. 아버지가 원해서 검사가 됐어요. 영문도 모르고 아버지가 시키는 대로 다했습니다. 언제까지 아버지의 꼭두각시 처럼 라고 혁이 채 말을 맺지 못하는 것과 동시에, 아버지가 아들의 뺨을 때린다. 아버지는 난 내가 원하는 세상에서 단 한 번도 널 빼놓고 생각한 적이 없어. 날 도와주는 게 아니라, 네 일을 하는 거야. 네 미래를 위해서. 혁아, 넌 내 아들이야. 내 분신이라고. 혁은 스스로를 아버지의 꼭두각시 라고 투정처럼 말하지만 아버지는 아들을 분신 이라고 말한다. 사실 아들도 마찬가지로 자신을 아버지의 분신으로서 생각하고 행동한다. 다만 연애나 결혼과 같이 특별히 민감한 개인적 문제 사태에서만 자신의 개인적 정체성에 사소한 의문을 제 기하고 반항의 몸짓을 해 보일 뿐이다. 혁은 아버지의 말을 어긴 적이 없는 삶을 살아왔다. 그에 게 아버지는 어린 시절부터 법과 질서를 수호하는 정의의 사도 로서 이상적인 아버지였다. 성년

80 아시아교육연구 15권 3호 이 되어서도 아버지는 아들에게 우상으로서의 부동의 지위를 누리고 있다. 아들은 단 한번이라 도 아버지가 존경스럽지 않은 적이 없었습니다. (21회, 26:01)라고 고백하기도 한다. 아버지의 말 에 대한 아들의 거부감과 반항심은 체벌과 설득의 말로 쉽게 제압된다. 이어지는 드라마의 장면 에서 연애경험이 없는 혁은 아버지가 시킨 대로 복재인과 서투른 모습으로 데이트를 하고 있다. 3) 모범적 법조인 전직 대법관이자 현직 교수이며 정계의 막후 실력자를 아버지로 둔 검사 딸은 자신의 직장인 검찰청에 자신의 부녀관계가 알려지기를 원치 않는다(17회, 61:44). 딸 전지후는 아버지 전훈을 존경하여 동일시하면서도 그의 후광에서 벗어나고자 노력한다. 아들 권혁이 아버지의 분신으로 서 별다른 의식 없이 청장이 된 아버지를 수행하면서 어디에서나 아버지 라고 발설하는 것과 는 대조적이다. 전지후는 명예와 권력이 있는, 자랑스러운 아버지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그녀 는 아버지를 아빠 라고 부르며 살갑게 대하는 딸이지만(17회, 61:40), 법조인으로서 그녀가 가 지고 있는 정의감과 사명감은 비정상적일 정도로 남다르다. 그녀는 자신의 직장상사인 청장(권 재규)을 체포하면서 서슴지 않고 수갑을 채우며, 살해 유기된 후 부검된 시신에서 나온 음식물도 다시 헤집어 볼 정도이다. 외압에 주눅 들지 않고, 어떤 남성들보다 직업정신에 투철한 이 영웅적 여검사의 오버액션은 아버지의 이미지를 모방하면서 동시에 그 이미지와 극단적으로 경쟁하고 있다는 증거이다. 그녀 는 아버지와 단 둘이 찍은 사진을 항상 가지고 다닐 정도로(18회, 10:40) 아버지와 밀착되어 있 다. 그녀는 모범적 법조인 인 아버지의 이미지를 스스로 구현하고자 한다. 동시에 그녀는 이 아 버지의 이미지를 뛰어 넘고자 부단히 노력한다. 그녀가 가지고 있는 아버지의 이미지는 그녀의 이상적 자아이자 상상적 경쟁자이다. 2. 무능한 아버지의 이미지 1) 노동자 수뢰혐의로 청장 자리에서 물러난 후에, 로펌회사 사무실에서 권재규는 심복 서 비서가 있는 자리에서 죽은 아들 혁과 함께 찍은 졸업사진을 보며 독백처럼 말한다(24회, 19:14). 어릴 때 우리 아버지는 우등상장을 받아오면 그 자리에서 찢어버리셨어. 야속하고 미웠지. 근데 어느 날 밤인가, 아버지 혼자 몰래 우시는 모습을 봤어. 한참을 우시다가 품속에서 뭔가를 꺼내셨는

텔레비전 드라마 <돈의 화신>에 나타난 아버지의 이미지 의 극복과 그 교육적 시사점 81 데, 내 우등상장이더군. 조각조각 테이프로 붙인 내 우등상장. 그 때 처음 알았지. 아버지가 날 많이 사랑하고 계시구나. 권재규에게 아버지는 가난한 노동자의 이미지로 남아 있다. 혹은 노무자이거나 노동능력조차 없는 사람이었는지도 모른다. 어린 시절부터 공부를 잘했던 아들의 뒷바라지를 못하는 것에 대 한 자학적 행위로 아들의 우등상장을 찢어버리고, 그 상장 조각을 이어 붙여 남몰래 품에서 꺼내 보며 우시던 아버지의 모습이 아들의 기억 속에 각인되어 있다. 아들에게는 가난이 지독히 혐오 스러웠다. 그는 초임 검사시절에 자주 술에 절어 살면서도, 범인의 취조에서는 무척 냉담하고 집요했다. 이중만의 부인 박기순을 살인 피의자로 기소한 검사로서 그가 보이는 태도가 그러하 다. 그에게 지세광이 제안한다. 백억이면 되겠습니까? 그는 크게 번민하지 않고 그 돈을 받고 살인범죄의 공모자가 된다. 그의 자학과 가학의 원인이 되었던 돈의 문제가 해결되는 순간이다. 나중에 밝혀지는 권재규의 비리장부에서도 드러나듯이, 그는 백억의 돈을 출세의 자금으로 사용하고, 출세와 동시에 많은 청탁과 이권에 개입한다. 그는 양평 산사태에서 나온 이중만의 재산을 탐내며, 황해신용금고의 인수를 획책하고, 황해신용금고로부터 빼돌린 417억의 돈을 탐 낸다. 그는 더 큰 권력을 얻고자 하지만, 그에게 더 큰 권력은 더 많은 돈을 벌게 해주는 요긴한 수단일 뿐이다. 가난한 노동자 라는 아버지의 이미지는 아들에게 권력을 수단삼아 자본가가 되 도록 부추긴다. 2) 노숙자 복재인의 어머니 복화술은 자신의 사채업을 딸에게 물려주고자 하지만 딸은 사채업을 혐오한 다. 딸은 어머니 몰래 은행에서 대출을 받아 레스토랑을 경영한다. 어머니가 딸에게 자주 하는 협박성 발언은 집에서 나가! 라는 말이다. 어머니 입장에서는 경제적 독립과 자신의 사채업을 배우라는 뜻의 말인데, 딸의 입장에서는 이 말이 상처가 된다. 딸이 아빠도 이런 식으로 내쫓았 어? 돈 때문에? 라고 말하는 순간 어머니는 딸의 뺨을 때린다. 딸은 자신의 성씨가 호적상으로 는 공 씨이면서도, 평소에는 어머니의 복 씨를 따르고 있는 것도 창피하다고 악을 쓰며 대꾸한다 (10회, 47:00). 재인은 어떻게든 어머니로부터 경제적 독립은 이루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아버지 처럼 무능하여 어머니에게 쫓겨나지 않으려면 말이다. 이것은 자신이 사귈 남자의 조건도 된다. 딸은 말한다. 나도 엄마 닮아서 무능력한 것은 용서 못하거든 (12회, 07:23). 그녀가 성공하여 무능력한 아버지처럼 집에서 쫓겨날지도 모르는 불안을 극복하는 것은 황해 신용금고의 회장으로 취임한 때이다. 그녀는 집에서 어머니와 팔도 삼촌과 조촐한 파티를 연다 (17회 45:07). 어머니에게 한 손으로 술을 따르면서 우리 콩가루 집안의 행복을 위하여! 라고

82 아시아교육연구 15권 3호 흥사를 외친다. 오늘같이 기쁜 날 누구를 생각했냐는 어머니의 물음에, 딸은 오늘 같은 날, 아빠 가 있었으면 얼마나 좋았을까. 날 엄청 자랑스러워했을 텐데. 라고 말한다. 자립한 후에야 딸은 무능하여 어머니에게 쫓겨난 부재하는 아버지를 그리워한다. 재인이 가지고 있는 노숙자 라는 아버지의 이미지는, 현실적 아버지와의 경험에서 구성된 것 이 아니라 어머니의 언행에 기초하여 형성된 것이다. 재인은 아버지가 어머니에게 무능으로 인 해 쫓겨나 길거리를 헤매다 죽은 것으로 알고 있으므로, 거리를 집삼아 생활하는 노숙자 가 그 녀의 부재하는 아버지의 이미지였다고 해도 무방하다. 드라마 마지막 회에서 그녀는 어머니의 병간호를 잘해주던 노숙자 공기남을 찾다가, 팔도 삼촌으로부터 그가 바로 친아빠 라는 말을 듣는다(24회, 33:40). 그 전까지 재인은 그가 생부라는 사실을 모르므로, 공기남이 노숙자라는 것 과 재인이 가지고 있는 노숙자 라는 아버지의 이미지의 일치는 우연적인 것이다. 3. 억울하게 죽은 아버지의 이미지 1) 노예 지세광이 이중만을 살해하는 가까운 계기는 이 회장이 질투심으로 인해 먼저 그와 은비령을 살해하려고 한 일이고, 먼 계기는 이 회장이 자신의 음주운전 사고를 대신하여 세광의 아버지를 감옥에 보내고 세광의 아버지가 발병하여 옥사한 일이다. 아들은 아버지의 말로를 통하여 불의 한 세상을 보았다. 그의 아버지는 말 그대로 현대판 노예 였던 것이다. 드라마에는 이런 인물들 이 여럿 조연으로 등장한다. 가령 정해룡 전 서울시장의 운전기사 김관수, 복화술의 집사이자 운전기사 팔도, 권재규의 비서 서도균 등. 검사가 된 지세광은 교도소에 수감되어 수인복을 입은 아버지를 면회하던 옛 일을 회상한다 (15회, 33:12). 기침을 하면서 백발의 초췌한 아버지는 말한다. 세광아, 넌 회장님에게 잘 해 드 려야 한다. 난 어차피 시한부 판정을 받았다. 내가 자청해서 한 것이고 네가 원망할 사람은 나 다. 아들은 아버지에게 드시고 싶은 것이 없냐고 묻고, 아버지는 어릴 때 먹던 호두가 생각난다 고 말한다. 아들이 호두를 사서 다시 교도소에 면회를 왔을 때, 아버지는 이미 운명하였다. 이어 지는 회상 장면(15회, 35:16)에서 소주와 호두와 함께 아버지의 영정이 놓인 산소 앞에서 아들은 말한다. 아버지 저 사법시험에 합격했어요. 세상이 공평하지 않다는 것, 아버지를 보고 알았어 요. 정의롭지 않은 것들, 제가 다 바꿀 겁니다. 때려 부셔서라도 제가 다 바꿀 거예요. 아들은 노예로서의 아버지의 이미지로부터 오히려 권력 있는 주인을 선망하게 된다. 노예근 성을 가진 지만호는 주인을 위해 자청하여 옥에 갇히지만 그의 아들은 아버지의 투옥과 죽음에 서 원한감정을 가지게 된다. 원한감정은 살해사건의 먼 계기에 불과하지만, 이러한 감정이 없었

텔레비전 드라마 <돈의 화신>에 나타난 아버지의 이미지 의 극복과 그 교육적 시사점 83 다면 이 회장을 살해하는 사건은 우발적인 것이 되었을 것이다. 세광은 자신이 저지른 살인조차 정의구현으로 합리화하며, 그런만큼 더욱 더 정의로운 주인이 되고자 한다. 그는 청렴하고 강 직한 검사처럼 보이지만, 이 외면적인 청렴과 강직은 더 힘 센 주인이 되기 위한 위장이다. 2) 피살자 비리로 인하여 검사직을 사퇴하고 변호사 업을 시작한 이차돈은 박기순의 행방을 찾는다. 그 녀가 충청도 소재 모 정신병원에 수감되어 있다는 것을 알고 환자로 위장하여 잠입한 이차돈은 고명환 병원장에게 대들다가 두 번째로 집중치료를 받던 중에 기억을 되찾는다. 이차돈에게 강 석의 기억이 돌아오는 것은, 마치 코제트의 남편 마리우스에게 테나르디에가 마리우스의 생명의 은인이 장 발장이라는 것을 무심코 고지하는 것처럼, 악인의 의도하지 않은 도움 때문이다. 이강 석이 복수심을 갖게 되는 것은 상실된 기억이 돌아온 후에, 다시 상봉한 어머니로부터 아버지를 살해한 범인이 지세광, 황장식, 은비령이라는 말을 듣고 나서이다. 여기에 권재규와 고호가 추가 된다. 강석에게는 기억을 상실하기 전의 거부 로서의 아버지의 이미지, 그리고 기억을 되찾은 후의 돈의 화신 으로서의 아버지의 이미지와 피살자 로서의 아버지의 이미지가 있다. 이처럼 몇 가 지의 아버지의 이미지가 강석에게 공존하지만, 이 시점에서 가장 강렬한 것은 피살자 로서의 아버지의 이미지이다. 여기에 어머니의 억울한 삶과 허망한 죽음도 그의 복수심을 부추긴다. 강석이 기억을 되찾고 어머니와 다시 만나는 일련의 사건은 마치 악몽에서 깨어나는 과정과 유사하다. 기억을 되찾기 전에 그는 강자에 저항하여 살아남는 것이 자신의 정의관이라고 지세 광에게 말한 적이 있지만(11회, 08:40), 기억을 되찾은 후에는 신의 법 에 입각하여 세상의 평화 를 위한 사필귀정의 시나리오를 자신의 정의관으로 내세운다(13회, 65:10). 더 나아가 그는 억울 하게 죽은 아버지의 이미지가 남겨준 복수심을 넘어 은비령에게 용서한다는 말까지 한다(24회, 16:05). 생존과 법의 정의관이 어머니가 유산으로 남겨 준 용서의 사랑관으로 바뀌는 것이다. 4. 수치스러운 아버지의 이미지 1) 범죄자 지세광과 권재규는 자신들이 살해하려한 이차돈이 죽지 않고 병원에 입원해 있다는 것을 알 게 되는데, 이들이 언쟁하는 소리를 문 밖에서 혁이 우연히 듣게 된다. 아버지 권재규는 아들 혁이 아직 자신이 이차돈 살해기도의 주모자라는 사실을 모르리라 생각한다. 다만 언론에 제보

84 아시아교육연구 15권 3호 된 자신의 비리혐의 보도에만 신경을 쓴다(20회, 17:24). 그러고도 혁은 여전히 검찰청장인 아버 지를 수행하는데, 아버지가 청사 안에서 비리혐의로 체포될 때 곁에 있던 아들은 비로소 놀란다. 이때로부터 혁이 가지고 있는 아버지의 이미지는 결정적 균열을 보이기 시작한다. 혁은 다시 한 번 아버지의 살해기도 음모를 듣게 되는데, 그것은 자신이 흠모하는 복재인을 통해서이다(21회, 1:29). 복재인은 양 사무장으로부터 이차돈의 교통사고는 권재규와 지세광이 꾸민 살해음모사건 이라는 전화를 받는데, 이를 혁이 듣게 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혁은 황해신용금고의 뱅크런 사태 현장에서 복재인으로부터 당신이나, 당신 아버지, 지세광 부장, 다 같은 사람이야. (21회: 23:48)라는 소리를 듣는다. 권혁은 어릴 때부터 아버지를 존경했으며, 검사가 된 후에도 여전히 정의로운 아버지의 이미 지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혁은 이제까지 이상적 자아로 여겨왔던 정의로운 아버지의 이미지를 대신하여 범죄자 라는 아버지의 이미지를 가지게 된다. 늦은 밤 한강변에서 혁은 홀로 절규한 다. 나, 이제부터 당신 아들 아닙니다. 대한민국 검사로 돌아갈 거예요. 당신들이 묻어둔 진실, 내가 파헤칠 겁니다. 내가 다 파헤칠 거라구요 (21회, 21:01). 아들은 이제 정의로운 아버지의 이 미지를 되찾기 위해 스스로 그 이미지를 구현하고자 한다. 이러한 아들의 결단은 자신의 아버지 의 범죄를 자신이 처음 사랑한 여자가 알고 있고, 아버지가 살해하려는 남자가 그녀의 애인으로 서, 자신도 없어지기를 바라는 사람이라고 하는 사실에 의해 강화된다. 2) 돈의 화신 강석도 수치스러운 아버지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그것은 강석의 어머니 박기순의 말에 대 해 강석이 답하는 데에서 나타난다(13회, 31:12). 아들은 병든 어머니를 업고 해변을 걷는다. 어 머니는 엄만 네가 참 자랑스럽다. 그 모진 고생을 다해 가면서 내 아들, 어쩜 이렇게 반듯하게 자랐을까. 라고 말한다. 어머니는 아들의 현재 모습이 대견하기 그지없다. 그러나 어머니의 반듯 하게 자랐다는 말에, 아들은 자신이 잘난 아들 도 아니고 바보 같은 짓 도 많이 했다고 말한 다. 바보 같은 짓이란 검사시절에 자신이 저지른 비리와 그 귀결을 말하는 것이다. 그 귀결은 애써 모은 돈을 모두 화재로 태운 일과 검사직에서 불명예스럽게 퇴직하게 된 일을 말한다. 비리 행위와 그 참담한 결과를 회고하는 강석은 어린 시절에 가졌던 거부 라는 위대한 아버지의 이미 지를 돈의 화신 이라는 아버지의 이미지로 재평가하고 있다. 이는 권혁이 가지게 된 범죄자 라 는 아버지의 이미지와는 유사하면서도 다르다. 기억을 상실한 비리검사 시절에 강석은 화폐축장자로 행동했으나 아직 돈의 화신 이라는 아 버지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지 않았다. 하지만 기억을 되찾고 어머니와 재회한 아들이 보기에, 어린 시절 가지고 있었던 거부 는 돈으로 사람의 목숨도 살 수 있다고 믿는 주인이자, 그 돈을

텔레비전 드라마 <돈의 화신>에 나타난 아버지의 이미지 의 극복과 그 교육적 시사점 85 불리기 위해서는 사람도 기계와 마찬가지로 부릴 수 있다고 생각하는 돈의 화신 에 불과하다. 거부라는 위대한 아버지의 이미지가 돈의 화신이라는 수치스런 아버지의 이미지로 대치되는 데 에는 실패한 삶이 주는 교훈과 더불어, 어머니의 사랑이 결정적 계기로 작용한다. 3) 탕자( 蕩 子 ) 복재인은 여성으로서는 드물게 말술을 마시고 주정을 하기도 한다(20회, 39:00). 술에 취해 집 에 돌아오던 재인이 집 담장에서 색스폰을 불고 있던 공기남에게 우리 엄마 성격 거지같아요. 라고 말하는 것(19회, 20:35)과 복화술의 핸드폰에 저장되어 있는 딸의 이름이 변신마녀 로 되어 있는 것(7회, 48:40)과 같이, 이 두 모녀의 관계는 화기애애하지는 않다. 서로 상처를 주고 싸우기 도 하지만, 어머니의 독설은 아비 없는 딸을 자립시키기 위한 가장이며, 딸의 반항은 홀어머니에 게 인정받고자 하는 희구이다. 아버지 역할을 해야 했던 어머니 복화술은 훈육적 엄격함을 풍긴 다. 가령 어머니로부터 시장 통 상인들에게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말고 이자를 받아오라는 명을 받은 딸은 원금을 탕감해주고 이자만 받아 오는데, 어머니는 이 사태에 대해 자신이 수단방법 을 가리지 말라 고 했던 말을 떠올리며 딸의 기지와 수완을 긍정한다(11회, 40:40). 복화술은 사채업 외에도 불야성 이라는 요정을 경영하는데, 이런 환경 속에서 재인은 어린 시절부터 술을 접해왔을 것이다. 복화술은 자신이 쫓아낸 남편을 천하의 잡놈 이라고 말하는 데, 그 내용인 즉은 젊은 시절의 남편이 술뿐만이 아니라 바람피우기와 도박하기에 빠져 지냈다 는 것이다(20회, 44:10). 재인은 부재하는 아버지가 어머니에 의해 내쳐졌다는 것을 알고 있다. 그것은 그의 경제적 무능력과 더불어 그의 방탕한 생활 때문이다. 그래서 자신의 성씨가 호적상 으로는 공 씨이지만, 어머니의 성을 따라 복 씨로 불리는 것을 수용한다. 그녀에게 아버지의 이 미지는 탕자 로 남아있다. 재인은 어떠한 남자에게도 의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모든 남자를 소위 초식( 草 食 )남 처럼 대한다. 그녀는 차돈에게 수컷 이라든지 받아 처먹어! 같은 말을 서 슴없이 사용하는데(10회, 20:55), 이는 어머니의 입담으로부터 자연히 학습된 바이기도 하지만, 탕자로서의 아버지의 이미지가 남자 일반에게 확대된 것이기도 하다. Ⅳ. 장면의 해석 1. 일반적 특징 전 장에서 자녀가 가지고 있는 아버지의 이미지는 크게는 위대한, 무능한, 억울한, 그리고 수

86 아시아교육연구 15권 3호 치스러운 아버지의 이미지의 네 가지로, 작게는 거부, 정의의 사도, 모범적 법조인, 노동자, 노숙 자, 노예, 피살자, 범죄자, 돈의 화신 그리고 탕자의 열 가지로 분석되었다. 무능한 아버지와 억울 한 아버지를 묶어 볼 수 있다면 그것은 패배한 아버지의 이미지 가 될 것이다. 약자의 이미지이 다. 반면 위대한 아버지는 승리한 아버지의 이미지 로 되며, 강자의 이미지이다. 수치스러운 아 버지의 이미지는 타락한 아버지의 이미지 로서, 그것은 악인의 이미지라고 할 수 있다. 장면의 분석을 관통하여 발견된 일반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로, 장성한 자녀에게 강하면서 선한 아버지의 이미지는 존재하지 않으며, 처음에 강해 보 였던 아버지의 이미지도 이후에는 약하거나 또는 악한 아버지의 이미지로 바뀐다. 강하면서 선 한 아버지의 이미지는 권력의 사회적 법칙의 구현자와 윤리적 올바름의 신봉자 간의 양립불가 능성으로 인하여 드라마에 등장하지 않는다. 이러한 아버지는 실존불가능할 뿐만이 아니라, 일 리아스 에 나오는 불사의 전사 아킬레우스와 트로이의 왕자 헥토르를 합성할 수 없는 것처럼, 대중 또는 장성한 자녀에게 상상불가능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어린 시절에 자식은 아버지를 강 하다고 느끼지만, 성장함에 따라 약하거나 악한 아버지의 이미지를 가지게 된다. 권재규와 지세 광도 어린 시절에는 강한 아버지의 이미지를 가졌을 것이다. 하지만 아들들은 성장함에 따라 각 각 가난한 노동자 와 비천한 노예 라는 약한 아버지의 이미지를 가지게 된다. 주인공 이강석이 어린 시절에 가졌던 거부 의 강한 아버지의 이미지는 기억상실의 기간 중에는 잠복되어 화폐축 장자의 행위로 반복될 뿐이지만, 기억을 되찾은 후에는 돈의 화신 이라는 악한 아버지의 이미지 와 피살자 라는 약한 아버지의 이미지로 변한다. 권혁은 정의의 사도 라는 강한 아버지의 이미 지 대신 범죄자 라는 악한 아버지의 이미지를 가지게 된다. 아들들이 가지고 있는 아버지의 이미지의 변모는 이러한 일반성을 띠는 반면, 딸들이 가지고 있는 아버지의 이미지는 명확하지 않거나 예외적이다. 전지후가 가지고 있던 강한 아버지의 이 미지는 명확하게 악화되거나 약화되지 않는다. 다만 그녀가 가지고 있던 강한 아버지의 이미지 에 상처가 생긴다는 점은 알 수 있다. 가령 아버지가 적극 재촉한 결혼의 상대자이자 아버지가 몸소 나서서 서울시장 후보에 추천하고 후원한 당선자 지세광이 지탄받을만한 인물이었던 것이 다. 전지후는 모범적 법조인 으로 아버지를 생각하지만, 바로 그 때문에 지세광을 사랑하는 우 를 범하게 된다. 세광의 외면적 청렴과 소신이 아버지의 이미지와 유사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건으로부터 전지후가 수치스러운 아버지의 이미지를 가지게 되었을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한편, 복재인의 경우는 아버지의 부재로 인하여 어머니로부터 형성된 애초의 아버지의 이미지, 즉 노숙자 로서의 무능한 아버지의 이미지와 탕자 로서의 수치스러운 아버지의 이미지가 유지 되고 있다는 점에서 예외이다. 둘째로, 강한 아버지의 이미지는 말할 것도 없고, 악하거나 약한 아버지의 이미지 또한 자녀에 게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자녀가 장성해서도 강한 아버지의 이미지만을 가지고 있을 때의 문제

텔레비전 드라마 <돈의 화신>에 나타난 아버지의 이미지 의 극복과 그 교육적 시사점 87 점을 드라마에서 권혁의 경우가 잘 보여준다. 그는 강한 아버지의 그늘 아래서 벗어나지 못하며, 아버지의 분신으로 산다. 혁은 정의의 사도 라는 강한 아버지의 이미지가 범죄자 라는 악한 아 버지의 이미지로 대체되면서 강한 아버지의 이미지를 스스로 구현하려는 돌발행동에 나서게 되 고, 결국 비극적 죽음을 맞게 된다. 그는 강석처럼 아버지의 이미지를 재평가하고 극복할 수 없 었다. 이는 급격한 아버지의 이미지의 변전 때문이었다기보다는, 범죄자 라는 아버지의 이미지 가 돈의 화신 이라는 아버지의 이미지와는 달리 사회적으로 용납되는 한계를 넘었기 때문이다. 권혁에 비해 전지후는 모범적 법조인 이라는 강한 아버지의 이미지의 지배력 행사에 꾸준히 저 항하고 있다. 수사검사로서 그녀는 아버지의 이미지와 치열하게 경합을 하면서도, 결코 아버지 의 후광에 기대지 않는다. 이러한 독립심이 강한 아버지의 이미지에 심각한 흠결이 생겼을 때에 도 그녀를 견디게 했을 것이다. 주인공 이강석이 어린 시절 가지고 있던 거부 로서의 강한 아버 지의 이미지는 비리검사로서의 기간 동안에 잠복된다. 나중에 기억을 되찾은 후에 강석은 회고 적으로 재평가된 돈의 화신 이라는 악한 아버지의 이미지를 갖게 된다. 또한 강석은 억울하게 죽임을 당한 피살자 라는 약한 아버지의 이미지도 가지고 있다. 그는 복수심에 사로잡혀 자신의 아버지를 살해한 일당과 대결한다. 이 과정에서 그는 생사를 넘나드는 생을 살게 된다. 권재규와 지세광이 가지고 있는 노동자 와 노예 라는 두 아버지의 이미지의 대립 항에는 자 본가와 주인의 이미지가 있다. 권재규와 지세광은 약한 아버지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지만, 그와 대립되는 자본가와 주인의 욕망을 물려받는다. 권재규는 가난한 아버지의 이미지의 역상인 자본 가를 추구하며, 지세광은 비천한 아버지의 이미지의 역상인 주인을 추구한다. 이는 아버지의 이 미지를 극복하는 것이 아니라 퇴행하는 방향성을 띠고 있다. 그들은 약한 아버지의 이미지가 주 는 치부와 패권의 욕망을 극복할 수 없었다. 아버지의 이미지가 제공한 이러한 욕망이 그들을 파멸로 몰아넣는다. 복재인에게 현실의 아버지는 부재했지만, 어머니에 의해 형성된 아버지의 이미지는 경제적으 로 독립을 하지 못한 무능력자이자 아내를 힘들게 한 방탕한 남자로 남아 있다. 그녀는 자주 술 에 절어 살며 폭식의 유혹에 시달리고 경제적 독립의 압박을 느낀다. 그녀는 무능력한 삶에 깊은 혐오를 느끼며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능력을 인정받고 싶어 한다. 하지만 재인이 전신성형 을 하여 미모를 얻는 것, 레스토랑의 사장이 되는 것 그리고 황해신용금고의 회장이 되는 것 등 은 결국 모두 어머니의 재력으로 가능한 것이었고, 어머니가 병들고 외풍이 강할 때 그녀는 자신 의 무능력을 절감하게 된다. 또한 그녀는 남성을 존경은커녕 존중하지도 않는다. 이는 그녀가 탕자라는 아버지의 이미지를 갖고 있는 까닭이다. 셋째로, 모든 아버지의 이미지가 자녀에게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만, 어머니의 사랑을 동력으 로 하여 주인공만은 아버지의 이미지를 극복한다. 드라마에서 권혁, 권재규, 지세광, 복재인, 전 지후 그리고 주인공 이강석까지 모든 자녀들은 아버지의 이미지로 인하여 고통을 겪는다. 위대

88 아시아교육연구 15권 3호 한 아버지의 이미지로 인하여 어린 시절의 강석은 명민하지만 안하무인의 청소년으로 성장한다. 거부 라는 아버지의 이미지는 기억상실의 사건으로 일단 유실되지만, 그는 아버지의 특정 행태 를 무의식적으로 반복한다. 기억을 찾은 후에 그는 수치스러운 아버지의 이미지로 인하여 회한 의 감정을, 그리고 억울한 아버지의 이미지로 복수심을 갖는다. 하지만 드라마는 거부 와 피살 자 라는 두 가지 아버지의 이미지와 이 이미지에 수반된 축재욕과 복수심을 극복하는 주인공의 모습을 보여준다. 가령 그는 검사보다 훨씬 많은 돈을 벌었던 변호사로부터 특별검사로 복귀한 다. 그는 양 사무장과 홍 주임을 시켜, 권재규와 서 비서의 사주로 자신을 죽이려고 했던 트럭운 전사의 노모와 자녀들을 돌봐준다. 그가 거부로서의 아버지의 이미지를 극복했다는 것은 어머니 의 납골당 앞에서 재인에게 주는 목걸이에서 상징적으로 드러난다. 그 목걸이에는 어린 강석에 게 아버지가 부적으로 건네준 황금색 동전이 축소된 형태로 펜던트에 새겨져 있다. 축재를 기원 하는 부적이 단지 애도의 기념물로 대치된 것이다. 한편, 강석은 자신을 죽이려고 한 뒤 뺑소니를 친 트럭운전사를 용서해준다. 또한 은비령에게 지세광의 위해에 처해있는 아들의 신변보호를 약속한다. 그리고 더 나아가 보호감호소에서 탈출 한 은비령과의 전화통화에서 그녀에게 당신에게 원망 없어요. 아니, 용서해 줄께요. (24회, 31:12)라고 말한다. 강석이 거부와 피살자라는 아버지의 이미지를 극복하는 것은 무엇 때문에 가능했던 것인가? 드라마는 어머니의 사랑 을 제시한다. 이 어머니의 사랑은 강석에게 남긴 어 머니의 유언에 잘 드러난다(13회, 31:12). 생각해 봤는데, 난 내 아들이 복수 같은 거, 안했으면 싶어. 그 사람들이 어떤 사람들인데, 복수하 면서 네가 위험해질 걸 생각하니까. 그냥 엄마는 내 아들이 훌륭한 변호사가 되어서 나처럼 억울하고 불쌍한 사람들 많이 도와주는 거, 그래서 남들한테 칭찬받고 존경받는 사람 되는 거, 내 아들이 그런 사람이 되면, 엄만 죽어도 늘 웃을 수 있을 거 같아. 생각만 해도 너무 행복하다. 사랑해, 내 아들. 어머니는 아들의 전 인생에 관심이 있다. 그것은 소극적으로는 아들이 다치지 않는 것, 그리고 적극적으로는 아들이 남들에게 존경받는 사람이 되는 것이다. 아들 강석은 어머니의 사랑으로부 터 아버지의 이미지를 극복할 힘과 뜻을 얻는다. 그리하여 강석이 가지고 있던 돈에 대한 물신적 욕망과 아버지의 억울한 죽음으로 인한 원한감정은 자선과 용서의 감정으로 승화된다. 2. 정신분석학적 해명 이 절에서는 앞 절에서 제시된 일반적 명제들로부터 제기될 수 있는 추가적 질문에 대하여 정신분석적 해명을 시도한다. 첫째로, 드라마에서 강한 아버지의 이미지가 약하거나 악한 아버

텔레비전 드라마 <돈의 화신>에 나타난 아버지의 이미지 의 극복과 그 교육적 시사점 89 지의 이미지로 변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는 대중이 그 이미지를 필히 극복되어야 하는 것으로 보기 때문이라고 말할 수 있다. 아버지의 이미지가 극복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강한 아버지의 이미지가 필히 약화되거나 악화되어야 한다. Lacan(1966/2006: 482)은 아버지가 자신을 중요한 사람이라고 자처할 때, 가령 입법자, 믿음의 지주, 정직함과 신앙심의 모범, 거장, 덕 있는 사람, 구원사업의 봉사자 등으로 스스로 자처할 때 자녀에게 파괴적인 결과를 가져온다고 말한다. 강한 아버지의 이미지의 부정적 영향은 정신병의 맥락에서 뿐만 아니라, 대타자의 결여를 제대 로 받아들이지 못하는 도착증이나 신경증의 경우에도 나타난다. 다만 아버지의 상징적 기능이 폐제된 정신병과는 달리, 도착증과 신경증에 있어서는 그 기능이 상실되지 않은 채 왜곡된 방식 으로 나타난다(홍준기, 2004: 209). 자녀에게 능력 있고 완벽한 아버지의 이미지는 그저 존경과 만족의 존재가 아니라 고통과 박탈의 존재이다. 아버지의 이미지는 자녀의 보잘 것 없음을 증거 하는 창조자 이면서, 자녀의 만족을 빼앗아 가는 입법자 인 것이다(Julien, 1991/2000: 80-81). 자 녀가 그 권능을 믿고 사랑과 존경을 바친 아버지의 이미지를 포기하기 위해서는 아버지에 대한 미움과 비난을 쏟아내고 애도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 물론 이 과정이 순탄한 것은 아니어서 자녀 는 아버지의 이미지로 인하여 고통을 받는다. 아버지의 이미지를 극복한다는 것의 의미는 무엇인가? 정신분석학에서 아버지의 이미지의 극 복은 부친살해(parricide) 라는 주제로 다루어져 왔다. Sophocles의 비극에 따르면, 오이디푸스 는 친부 라이오스를 죽이게 된다. 이 특이한 사례는 Freud(1912-1913/1997)의 토템과 타부 에 서 보편적인 원사실로 확장된다. 터무니없는 신화라는 인류학적 비판(Kroeber, 1920)에도 불구 하고, 정신분석학적 관점에서는 자식들이 담합하여 모든 여자를 소유한 원초적 아버지 를 살해 하고 그 결과 죽은 아버지가 상징적 이름으로 회귀하는 부친살해의 사건이야말로 동물 상태에 서 문화로의 이행이 이루어지기 위해서 필연적으로 일어나야 했던 인류의 보편적 사건이다. 부 친살해에 대한 정신분석학의 설명에 비추어 볼 때, 아버지의 이미지의 극복의 의미는 바로 상징 적 아버지 (법, 질서, 문명)의 건립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로, 아버지의 이미지를 극복할 동력이 어머니의 사랑으로부터 온다는 것은 어떤 의미인 가?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극복하는 것이 오이디푸스를 비켜 가는 문제가 아니라 거쳐 가는 문제라고 할 때(맹정현, 2009: 354), 자녀가 아버지와의 상상적 경쟁관계를 넘어서서 상징적 질서 를 받아들이는 것, 즉 상징적 거세 를 완수하는 것은 자녀 성장의 필수적 경로이다. 이 거세의 작인은 상징적 아버지이지만, 실제로 이 아버지를 끌어들이는 이는 어머니이다. 가령 아이의 포 르트 다 놀이(실패놀이) 에서 보듯이, 어머니의 현존과 부재의 교체는 아이에게 어머니가 결여되 어 있으며 그 결여는 아버지를 향해 있음을 깨닫게 해준다. 드라마가 제시하는 어머니의 사랑은 자녀와의 이자관계를 거절(Versagung) 하기 위해 상징적 아버지를 끌어들여 자녀로 하여금 아 버지의 이미지를 극복하게 하는 상징적 어머니 의 속성으로 볼 수 있다. 그런데 이 어머니의

90 아시아교육연구 15권 3호 사랑은 모성 과 같은 것일까? 역사적 관점에서는 모성의 자연적 성격이 부정되기도 하며 (Badinter, 1980/2009), 정신분석학적 관점에서는 모성이 아이를 삼키기 위하여 벌리고 있는 악 어의 입과 같은 것(맹정현, 2009: 221)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따라서 어머니의 사랑은 모성의 긍 정적 측면일 뿐이다. 모성의 상징적 측면을 강조하여 모성을 긍정적인 것으로 보는 경우에도, 어머니의 사랑은 자 녀로 하여금 아버지의 이미지를 넘어 상징적 아버지를 수용하게 하는, 달리 말하여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극복을 조력하는 보조적 요인이다. 요컨대, 상징적 어머니는 상징적 아버지를 넘어 서지 못한다. 그런데 상징적 아버지는 자녀의 성장에 필수적인 것이지만, 여전히 원초적 아버지 라는 예외로서의 아버지의 이미지에 의해 결박되어 있고, 자녀를 종속으로 이끌어가고 소외시키 며, 훈육적이고 사회화적인 틀의 한계를 가지고 있지 않은가? 과연 상징적 아버지에 대한 대안 은 무엇이며, 그 극복은 어떠한 과정을 거치는가? 이는 남성적 경쟁을 극복하는 동력으로서 양 육적 모성에 힘입어 훈육적 부성에 도달한 자녀가, 다시 이 부성을 극복하여 교육적인 그 무엇 으로 될 수 있는가 하는 문제이다. 이 의문은 결론에서 논한다. Ⅴ. 결론: 교육적 시사점 드라마 <돈의 화신>은 일체의 아버지의 이미지(상상적 아버지)가 자녀에게 극복의 대상이 되 어야 함을 보여준다. 또한 드라마는 아버지의 이미지를 극복하기 위한 동력으로 어머니의 사랑 (긍정적 모성으로서의 상징적 어머니)을 제시하고 있다. 드라마는 어머니의 사랑을 통한 아버지 의 이미지의 극복을 보여주기는 하지만, 아버지의 이미지의 극복에 긍정적 모성은 어떠한 작용 을 하는지 그리고 그 극복의 의미로서의 상징적 아버지가 어떠한 교육적 의미와 한계를 가지고 있는지는 명확히 보여주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Lacan 정신분석학의 관점에서 엄부자모 라는 가 정교육의 전통적 원리를 해석함으로서 이 점을 명확히 해보고자 한다. 엄부자모의 원리는 유교적 원리로 알려져 있지만(Shwalb, Nakazawa, Yamamoto, & Hyun, 2010: 341), 특히 엄부의 원리는 기독교 문화권을 포함하여 보다 보편적인 원리라고 볼 수 있다 (나일수, 1994). 한편 문화인류학적 연구에 따르면 수렵-채집의 원시인의 아버지는 자녀와 친밀 성 을 가지기 때문에(Hewlett, 1992: 5), 그 보편성은 제한된다. 하지만 이러한 보편성 문제는 본 논문에서는 논외로 한다. 한편, 엄부자모의 전통적 원리는 현대 가정교육에서 엄자부엄자모 의 원리로 변화되고 있는지도 모른다. 한 설문조사(김영철, 1996)에 따르면, 현재 귀하의 가정에서 보여지는 부모의 모습은 어떠합니까? 라는 질문에 조사대상 어머니의 16.5%가 엄부자모의 원리 를 택한 반면, 42.5%가 엄자부엄자모 의 원리를 택하였다. 그 외에 엄모자부가 17.1%, 그리고

텔레비전 드라마 <돈의 화신>에 나타난 아버지의 이미지 의 극복과 그 교육적 시사점 91 3.3%가 엄부엄모를 선택하였다. 확대하여 말하면, 전통사회에서 어머니에게 배당되어 온 양육의 기능이 아버지에게도 배당되고 있는 것과 동시에, 전통사회에서 아버지에게 배당되었던 훈육의 기능이 어머니에게도 배당되고 있다. 맞벌이의 증가와 함께 엄자부엄자모의 원리는 엄부자모의 원리의 현대적 변화상일 수 있다. 엄부자모의 원리에서 교육의 한 축으로서의 엄부 는 아버지의 이미지 중의 하나가 아니라, 그와는 차원이 다른 상징적 아버지이다. 가령 Julien(1991/2000: 90)은 모든 것에 참견하고 통제 하며 호통을 치는 교육자적 아버지, 간단히 말하면 한 여자에게서가 아니라 자기의 아이에게서 향유의 대상을 찾는 교육자적 아버지보다 더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는 사람은 없다. 고 말한다. 이러한 교육자적 아버지는 현실적 아버지일 수도 있고 상상적 아버지일 수도 있지만, 상징적 아 버지는 아니다. 엄부는 구체적 훈육자가 아니라, 추상적 법 혹은 Lacan의 용어로 아버지-의-이 름(Name-of-the-Father) 이다(Lacan, 1966/2006: 464-465). 여기서 엄부는 엄부모 로 대치되어도 강조점은 동일하다. 다만 엄부의 경우와는 달리 엄부모의 경우에는 기준의 비일관성이 야기되기 쉽다는 난점이 존재한다. 자녀를 키울 때, 훈육의 기준은 양육자의 외부에서 와야 한다. 자신을 훈육의 기준으로 지목하는 것은 자칫 자의적인 폭군의 태도와 유사해지기 쉽기 때문이다. 어머 니나 아버지가 홀로 아이를 키울 때의 어려움은 이로부터 발생한다. 자애로운 양육자가 자녀를 훈육할 때, 어머니는 아버지를, 아버지는 어머니를 추상적 기준으로 인거해야하며, 여기서 훈육 기준의 비일관성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자녀를 훈육하는 부부는 기준의 일관성 을 위하여 상호 배려하는 것을 넘어서서 상호 존경하는 조화로운 관계여야 한다. 전통사회는 양 육의 행위와 훈육의 기준을 어머니와 아버지 각각에게 배당하는 관습을 발전시킴으로써, 이러한 비일관성을 피했던 반면, 오늘날 가정이 엄자부엄자모의 원리를 수용해가고 있다면, 부모가 자 녀의 훈육과 양육을 동시에 감당해야하므로 예전보다 더욱 성숙한 부모상이 요구된다. 하지만 현대 가정교육에 있어서 엄부가 엄부모로 얼마나 변모되었는가 하는 것은 확언하기 어렵다. 따 라서 이하에서는 이러한 변화가능성을 염두에 두면서도, 가정교육의 일반적 양육자를 어머니로 상정한다. 가정교육의 실제적 주도자, 즉 양육자를 어머니라고 할 때, 자모 는 자녀에게 회초리를 들 때 조차 사랑으로 그렇게 한다. 만일 이러한 훈육이 교육적인 것으로 되려면, 거기에는 외적인 규칙 이나 기준이 도입되어야 하며, 바로 이 규칙이나 기준이 상징적 아버지이다. 어머니와 아버지가 가정교육을 분업적으로 수행할 때, 양육자로서의 어머니는 가정교육의 구체적 실행을 담당하는 주체이고, 훈육자로서의 아버지는 다만 추상적 기준으로만 나타나는 상징적 심급이라는 것이다. 양육자의 교육적 기능은 바로 상징적 기준을 도입하여, 자녀로 하여금 아버지의 이미지를 극복 하도록 조력하는 데에 있다. 현실적 부모는 자녀 양육을 위해 다양한 역할을 분담하여 협동적으 로 수행한다. 그 모든 역할이 다 중요하겠지만, 부모만이 수행할 수 있고, 또 수행해야 하는 가정

92 아시아교육연구 15권 3호 교육의 핵심적 역할은 자녀 훈육이다. 자녀는 아버지의 이미지를 극복하게 될 때 그 귀결로서 상징적 아버지를 받아들이게 되지만, 사실 상징적 아버지는 자녀가 아버지의 이미지와 동일시하고 경쟁할 때 이미 전제되어 있다. 상 징적 아버지의 선존재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이전 단계에서 이미 자녀가 상상적 남근 을 가지 고 있다는 사실로부터도 확인된다(Evans, 1996/1998: 227). 그런데 현대의 대중적 상황은 아버지 의 이미지가 전제하고 있는 상징적 아버지를 몰락시키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Zizek(1999/2010: 509)은 토템과 타부 에 더하여 Freud(1939/1997)의 인간 모세와 유일신 교 를 추가로 분석하는데, 이 분석에서 그는 상징적 아버지(모세)가 죽임을 당함으로써 순수한 의지와 합리적 질서 이전의 변덕스러운 실재적 아버지 (유대적 신)가 회귀함을 주장하고 있다. 요컨대, 향유를 독점하던 원초적 아버지는 죽임을 당한 후에 상징적 아버지로 회귀하며, 이와는 반대로 합리적 질서를 대변하는 상징적 아버지는 죽임을 당한 후에 흉포하고 외설적이며 비합 리적인 실재적 아버지로 회귀한다는 것이다. 상징적 아버지가 몰락하여 아버지의 이미지를 제어 하지 못할 때, 자녀는 아버지와 향유를 두고 상상적 경쟁을 하는 나르시시즘적으로 유폐된 주체 로 전락하거나, 잔인하고 외설적인 초자아적 영웅을 희구하게 된다(Zizek, 1999/2010: 598). 이로 인한 파국적인 결과는 자녀가 주체로서의 성장을 멈춘다는 것이다. 드라마 <돈의 화신>에 등장 하는 많은 인물들에서 보듯이, 오늘날 우리는 상상적 아버지와 경쟁하면서 타인을 지옥으로 여 기고 폭력을 자행하며, 우상에 대한 과도한 열광을 뿜어내는 미성숙한 어른들을 목도하고 있다. 현대 사회에서 엄부 는 주체의 성장을 지지하는 상징적 아버지로서의 교육적 의미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교육학적 관점에서 볼 때 엄부는 사라지는 매개자 이지, 그 자체로 가정교육의 궁 극적 목표가 될 수 없다. 여기서 요점은 엄부가 폐기되어야 한다는 것이 아니라 극복되어야 한다 는 것이다. 엄부 대신에 엄부모를 수용한다고 하여도, 부모의 자녀 훈육에서 필수불가결한 기준 이나 법의 엄격함 은 교육학적 관점에서 볼 때 궁극적으로 극복되어야 한다. 왜 양육과 훈육으 로 다 채워지지 않는 가정교육의 부분이 존재한다고 보아야 하는가? 만일 그러한 부분이 존재한 다면, 그것은 어떠한 과정과 목표를 가지고 있는가? 현실적으로 현대의 가정은 순수증여의 관계로 엮인 공동체이자, 이데올로기적 국가기구이며, 노동력을 생산하고 재생산하는 제도이다. 상징적 아버지의 기능은 증여적 공동체, 재분배적 국 가, 그리고 상품교환적 자본주의의 틀을 벗어날 수 있을까? 그렇지 않을 것이다. 만일 교육이 단지 기존의 형식에로의 주형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형식의 창안을 위해 기존의 형식을 극복하는 창조적 활동이며, 가정교육이 그러한 교육의 가정판이라면, 상징적 아버지는 자신의 훈육적 소임을 다한 뒤에는 극복될 대상이 된다. 한편, 이론적 관점에서 볼 때, 완전무결한 공리 계나 법 또는 자기완결적인 신이나 지식이 존재하지 않듯이, 상징적 아버지도 결함을 가지고 있 다. Gödel식 구조주의에 따르면, 어떠한 구조이든 간에 그것은 결코 자기완결적일 수 없는 불완

텔레비전 드라마 <돈의 화신>에 나타난 아버지의 이미지 의 극복과 그 교육적 시사점 93 전한 것이다(Fink, 1997/2002: 373; 홍준기, 2005: 345-348). 상징적 아버지가 그 자체로 불완전하 다는 사실을 무시하면 가정교육은 자녀를 훈육적이고 사회화적인 틀에 꿰어 맞추는 일로 축소 된다. 그러므로 가정교육은, 본성상 불완전한 구조의 결여를 메우거나 그 완전함을 세우는 방향 으로 나아갈 수는 없다. 결국 우리는 상징적 아버지의 훈육적 기능을 받아들이면서도, 가정교육 의 본질을 생각할 때 그것에 머무를 수는 없다. 이것이 엄부는 사라지는 매개자 라는 말이 의미 하는 바이다. 앞서 Zizek도 경고하고 있듯이, Lacan은 상징적 아버지의 폐기의 위험성을 경고한다. 다시 말 하여 상징적 아버지가 불완전하다고 하여 그것을 폐기하는 것은 그것에 종속되는 것보다 자녀 에게 더욱 나쁜 결과를 가지고 온다(김영철, 2005: 32-35). 그러나 동시에 그는 상징적 아버지의 극복을 적극적으로 지지한다. 자녀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통과하면서 상징적 아버지를 수용 하지만, 자신의 잃어버린 잉여-향유의 한 조각(대상a)을 결코 포기하지 않는다. 상징적 아버지로 인하여 욕망의 주체로 태어난 자녀는 완전한 대타자와 완전무결한 향유를 환상 속에서 보유하 는 것이다. Lacan은 주체가 잉여-향유의 한 조각과 맺는 환상적 관계를 극복하는 것을 정신분석 의 종료과정으로 규정했는데, 이것이 환상의 횡단 이다(맹정현, 2009: 362). 만일 부모가 분석가 의 위치(대상a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있을 수 있다면, 이러한 환상의 횡단은 상징적 아버지의 극복과정으로서, 가정교육의 과정으로 해석될 수 있다. 한편 Lacan은 정치한 성구분(sexuation) 논의를 통하여 상징적 아버지로 대표되는 남근적 세 계에 전적으로 종속되지 않은 탈오이디푸스적 주체의 속성으로서 여성성 을 제시한다. 이는 Freud가 만년에 천착했으나 규명하지 못한 여성성의 문제를 다른 각도에서 검토한 결과이다 (André, 1995/2009: 337-364; Fink, 1995: 107-125). 후기 Lacan에 따르면 여성성은 상징적 체계를 넘어서는 대타자의 타자 로서 비-전체(not whole) 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Lacan, 1975/1998: 7). 대타자의 타자로서의 여성성은 언어로 파악되기를 거부한다. 그것은 지식의 외부에 놓여있는 것 이다. 그리고 여성적 비-전체는 예외 없는 전체, 그리고 그 때문에 비보편적인 질서 로서, 구성 적 예외에 기반하고 있는 보편적 전체의 질서 로서의 남성적 전체와 구조적으로 대비된다 (Zizek, 2012: 756). 남성적 전체는 무제약적인 향유를 누리는 원초적이고 예외적인 아버지에 기 반을 두고 있다. 이 하나의 예외가 남성을 보편적인 집합으로 묶어준다. 이에 반해 여성적 비-전 체는 예외에 기반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전체로 묶일 수 없는 비보편적인 개별자들로 구성된다. 만일 부모가, 예외적 아버지에 의해 전체성의 신화에 결박된 남성성, 그리고 상상적 세계와 상 징적 체계 내부에 머무는 부성성 뿐만이 아니라, 소위 세상의 모든 엄마들 이라는 신화에 결박 된 모성성 도 넘어서고자 한다면, 그들의 지향점은 여성성 일 수밖에 없을 것이다. Lacan 정신 분석학에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완전한 극복지점(분석의 종결점)을 지시하고 있는 이 여성 성은 상징적 아버지를 넘어서고자 할 때 제시될 수 있는 가정교육의 목표로 해석될 수 있다.

94 아시아교육연구 15권 3호 참고문헌 김영철(1996). 자녀교육에 관한 설문조사. 한국의 장래와 부모교육의 역할. 청소년대화의 광장 제4회 학술세미나 자료집(미출판간행물), 79-140. 김영철(2005). 라캉의 언어사회화론 탐색: 아버지의-이름 이 가정교육에 주는 시사점. 교육인류 학연구, 8(1), 1-38. 김영철(2011). 교육영화론 연구: 오손 웰즈의 <시민 케인>을 중심으로. 교육인류학연구, 14(3), 165-196. 김정현(1996). 아버지. 서울: 문이당. 김정현(2010). 아버지의 눈물. 서울: 문이당. 김창남(1998). 대중문화의 이해. 서울: 한울아카데미. 김홍중(2009). 마음의 사회학. 파주: 문학동네. 나일수(1994). 자녀교육에서 아버지의 엄격함. 백암 이창호 교수 회갑기념논문집, 463-485. 맹정현(2009). 리비돌로지. 서울: 문학과 지성사. 박범신(2013). 소금. 서울: 한겨레출판. 아버지를사랑하는모임(2002). 아버지는 누구인가: 마음에 새긴 아버지의 초상화. 서울: 청조사. 정범모(2000). 한국의 교육세력. 서울: 나남출판. 현정환, 오경희(2008). 최근 한국 아버지 연구의 동향과 과제. 한국보육학회지, 8(3), 105-121. 홍준기(2004). 슬라보이 지젝의 포스트모던 문화 분석: 문화적 정치적 무의식과 행위(환상을 통 과하기). 철학과 현상학 연구, 22, 195-225. 홍준기(2005).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남자의 성, 여자의 성: 정신분석강의 I. 서울: 아난케. Abramovitch, H. (1997). Images of the "father" in psychology and religion. M. Lamb (Ed.)(1997). The role of the father in child development (pp.19-32). New York: John Wiley & Sons. André, S. (1995). Que veut une femme? 홍준기, 박선영, 조성란 역(2009). 여자는 무엇을 원하는 가?: 히스테리, 여자동성애, 여성성. 서울: 아난케. Badinter, E. (1980). L'amour en plus. 심성은 역(2009). 만들어진 모성. 파주: 동녘. Evans, D. (1996). An introductory dictionary of lacanian psychoanalysis. 김종주 역(1998). 라깡 정 신분석 사전. 서울: 인간사랑. Fink, B. (1995). The lacanian subject: between language and jouissance. Princeton University Press. Fink, B. (1997). A clinical introduction to lacanian psychoanalysis: theory and technique. 맹정현 역

텔레비전 드라마 <돈의 화신>에 나타난 아버지의 이미지 의 극복과 그 교육적 시사점 95 (2002). 라캉과 정신의학: 라캉이론과 임상분석. 서울: 민음사. Freud, S. (1912-1913). Totem und Tabu: Uber einige Ubereinstimmungen im Seelenleben der Wilden und der Neurotiker. 이윤기 역(1997). 토템과 타부: 미개인과 신경증환자의 정 신생활에서 상당부분 일치하는 점에 관하여(pp.203-430). 종교의 기원. 서울: 열린책들. Freud, S. (1939). Der Mann Moses und die monotheistische Religion: Drei Abhandlungen. 이윤 기 역(1997). 인간 모세와 유일신교: 세 편의 논문(pp.7-186). 종교의 기원. 서울: 열린책들. Hewlett, B. (1992). Intimate father: the nature and context of Aka Pygmy paternal infant care. Th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Julien, P. (1991). Le manteau de Noé: essai sur la paternité. 홍준기 역(2000). 노아의 외투: 아버지 에 관한 라캉의 세 가지 견해. 서울: 한길사. Kroeber, A. L. (1920). Totem and taboo: an ethnologic psychoanalysis. American Anthropologist, 22, 48-55. Lacan, J. (1966). Ecrits. B. Fink Trans.(2006). Ecrits. New York: Norton. Lacan, J. (1975). Le seminaire, Livre XX: Encore. B. Fink Trans.(1998). Encore: the seminar of Jacques Lacan Book XX. New York: Norton. Laplanche, J. & Pontalis, J. B. (1967). Vocabulaire de la psychanalyse. 임진수 역(2005). 정신분석 사전. 서울: 열린책들. Shwalb, D. W., Nakazawa, J., Yamamoto, T., & Hyun, J. H. (2010). Fathering in Japan, China, and Korea. In M. E. Lamb (Ed.)(2010). The role of the father in child development (pp.341-387). Hoboken, NJ: John Wiley & Sons. Zizek, S. (1999). The ticklish subject. 이성민 역(2005). 까다로운 주체. 서울: 도서출판b. Zizek, S. (2012). Less than nothing: Hegel and the shadow of dialetical materialism. London: Verso. Zoja, L. (2001). The father: historical, psychological and cultural perspectives. 이은정 역(2009). 아버 지란 무엇인가. 서울: 르네상스. * 논문접수 2014년 8월 4일 / 1차 심사 2014년 9월 4일 / 2차 심사 2014년 9월 22일 / 게재승인 2014년 9월 22일 * 김영철: 서울대학교 교육학과에서 교육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충북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주 관심사는 가정교육에서 부성의 의미이다. * E-mail: kyc@chungbuk.ac.kr

96 아시아교육연구 15권 3호 Abstract The Passing-over of Images of Fathers and Its Educational Suggestions based on the TV Drama <Incarnation of Money>* 3)4) Kim, Young-chul ** What images of the father do sons and daughters have? This study tries to analyze and interpret the images of father based on the mass cultural text, SBS drama <Incarnation of money>. From the analysis, four generic categories, A great, B poor, C victimized, and D dishonorable image of father, have ten specific sub-categories: 1) Croesus(A 1), 2) Apostle of justice(a 2), 3) Legal exemplar(a 3), 4) Laborer(B 1), 5) Homeless(B 2), 6) Slave(C 1), 7) Murderee(C 2), 8) Criminal(D 1), 9) Incarnation of money(d 2), and 10) Prodigal(D 3). As the interpretation, three propositions discovered are as follows: first, the offsprings do not have the strong(a) and good images of father, and substitute the strong image of father for the weak(b+c) or the bad(d) image of father as they grow older. Second, not only the strong image of father but also the weak or bad have negative effects on the offsprings. Third, because every image of father is negative, it should be passed over by offsprings The protagonist, Lee Gang-suk's life story in the drama makes the interpretation possible, that the mass has the desire to pass over the images and gets empowered to pass over the images from the love of mother. But the drama has no idea about the position of the mother's love and the meaning of the passing-over of the images of fathers. It is important in family education that the symbolic father that is the meaning of the passing-over has its own incompleteness. From the late lacanian concepts, the process of family education can not be the disciplinary, but the 'traversing of fantasy', and the aim of it not the symbolic father, but the 'femininity'. Key words: TV drama <Incarnation of money>, images of fathers, mother's love, symbolic father, psychoanalysis *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research grant of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in 2013.3) ** First author, Professor, Chungbuk National University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