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신산업 촉진을 위한 무제한인터넷주소 (IPv6) 확산 로드맵 2014년을 IPv6 기반 서비스 상용화의 원년으로
인터넷 신산업 촉진을 위한 무제한인터넷주소 (IPv6) 확산 로드맵 2014년을 IPv6 기반 서비스 상용화의 원년으로 2014. 3. 14.
차 례 I. 추진배경 1 II. 국내외 현황 3 III. 문제점 10 IV. 추진전략 및 로드맵 12 Ⅴ. 세부 추진과제 16 1. IPv6 인프라 서비스 확산 16 1 IPv6 인프라 확충 16 2 IPv6 상용서비스 개시 및 확산 17 3 정부 공공기관 IPv6 도입 의무화 19 2. IPv6 장비 및 서비스 개발 20 1 IPv6 네트워크 장비개발 및 수요 확대 20 2 IPv6 정보보호산업 육성 21 3 IPv6기반의 신규 서비스 개발 추진 22 3. IPv6 전환촉진 및 이용환경 조성 24 1 IPv6 도입 기업에 대한 세제감면 추진 24 2 IPv6 전환율 자동측정시스템 구축 운영 24 3 IPv6 종합지원체계 구축 25 Ⅵ. 기대효과 26 Ⅶ. 추진체계 및 소요예산 27 Ⅷ. 향후 추진일정 28 [ 별 첨] 29
I. 추진 배경 그간 정부 정통부 방통위 는 기존 인터넷주소 고갈 대응을 위해 조기전환을 목표로 한 정책을 추진 년 전환계획 수립 하여 공공 및 민간 인터넷망 준비율을 지속적으로 높여 왔으나 네트워크 제품별 라우터 스위치 서버 등 지원기능의 활성화 및 기반 서비스 의 상용화는 미진한 상황 의 주소고갈 및 최종할당 정책 선언 월 에 따라 해외 주요국의 공공 및 민간부문에서 전환이 급속히 이루어 지고 있는 반면 우리나라의 기반 서비스 이용은 저조한 상황 향후 년내 국내 고갈이 예상됨에 따라 전환 없이는 기존 서비스 확대와 신규 수요 클라우드 사물인터넷 등 대응이 어려울 전망 미래 인터넷 수요에 대응하고 인터넷 기반 창조경제의 원활한 추진을 도모하기 위해 네트워크 단말 웹서비스 구간에 무제한 인터넷 주소 확산을 위한 전략적 로드맵 수립이 필요한 시점 - 1 -
IP주소 개념 < IPv6 전환 개념 > o IP(Internet Protocol)는 컴퓨터통신에 있어 상호 약속된 통신규약으로 네트워크 상호간 또는 단말간 서로 연결하여 통신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IP 주소가 필요 IPv4 주소는 8비트 4단위(211.192.38.1)로 총 2 32 (약43억개), IPv6 주소는 16비트 8단위 (2001:dc2:0:40:135:72df:9e74:d8a3)로 총 2 128 (3.4 10 38 개 : 거의 무한대) IPv6 전환 개념 o 기존 IPv4 Only 장비(라우터, 스위치, 서버, PC 등)를 IPv4 IPv6 겸용장비 또는 IPv6 Only 장비 등으로 대체하는 것을 의미 IPv6 전환 방법 o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장비에 대해 IPv4 Only, IPv4 IPv6 겸용, IPv6 Only 등의 지원여부를 확인하여 장비교체 및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가능 하드웨어 칩셋의 IPv6지원여부 확인 및 S/W 버전의 IPv6지원 가능여부 확인을 통해 IPv6전환을 위한 장비 교체 여부를 결정 < 유무선 인터넷망의 IPv6 전환 개념도 > IPv6 전환 기술 o IPv6 전환 기술로는 듀얼스택, 터널링 및 주소변환의 3가지 기술이 있으며, 상당한 기간동안 IPv4와 IPv6가 호환되면서 공존할 것으로 전망 - 듀얼스택(Dual Stack) : IPv4 및 IPv6 모두 지원이 가능한 기술 - 터널링(Tunneling) : 중간의 IPv4망을 통과하여 종단 단말간 통신이 가능한 기술 - 주소변환(Address Translation) : IPv4와 IPv6 상호간 통신이 가능한 기술 IPv4와 IPv6는 2046년까지 공존체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KISA 연구결과, '12.12월) - 2 -
Ⅱ. 국내외 현황 1 해외 추진현황 국제기구 는 구글 등 여개 업체가 참여하여 상용서비스 시작을 알리는 개최 월 월 룩셈부르크에서 비영리기관으로 출범 은 전세계 지원 제품에 대해 부여 월부터 시행 국제표준화기구 는 이슈를 발굴하여 지속적인 국제표준 추진 도입을 위한 망 전환기술 및 운영상의 의 경우 년 이후 버전 스마트폰의 경우 년 이후 출시된 제품부터 지원 가능 미국 주소 최다보유국이지만 에서도 종주국으로서의 위상 유지를 위해 공공부문 전환 로드맵을 마련하여 적극 추진 정부 공공기관의 선제적인 전환을 통해 모범사례를 제공 망 전환 시의 보안 우려 해소 등 민간의 원활한 도입환경 조성 모든 연방기관의 백본망에 적용을 완료하고 월까지 연방정부 대민 웹사이트 월까지 내부 시스템 적용 의무화 계획을 발표 - 3 -
유럽 는 전환 촉진을 위해 태스크포스를 구성하고 인프라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도입을 선도 년 는 프로젝트 에 만 유로를 투입하여 기반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전자정부 서비스를 구축 일본 년 장비를 취득한 전기통신사업자에게 법인세 년간 라우터 취득가의 감면을 추진하여 자발적인 전환 유도 년 총무성은 년까지 전환을 목표로 실행계획 을 수립 사업자에게 년까지 체계 구축을 완료하도록 권고 중국 주소 부족 문제를 시급하게 해결하기 위해 범국가적으로 도입을 추진 중 년까지 중국 전역에 개의 지역 거점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년 기반 소규모 시범 테스트를 거쳐 년 상용화 추진 인도 도입 로드맵을 통해 통신사 제조사 정부기관의 적용 계획을 발표 월 해외 주요국은 전환계획 로드맵 발표 공공분야의 우선 도입을 통한 모범사례 확산 관련 장비 기술에 대한 수요 진작을 통한 산업활성화 및 글로벌 시장선점 등 적극적인 확산 정책을 추진 중 우리나라도 국내 환경에 적합한 로드맵 마련 정부 공공기관의 선도적 도입 세제감면 중소기업 지원 등 다양한 정책방안 강구 필요 - 4 -
2 국내 추진현황 1 추진 경과 년 제 차 보급 촉진 기본계획을 수립하여 기반의 장비 기술개발 및 관련 기술 표준화 추진 연동 게이트웨이 중소형 라우터 방화벽 침입차단시스템 등의 기술개발 추진 장비 망관리 서버 주소관리체계 변환기법 및 연동기술 이동성 지원의 차세대망 기술개발 및 표준화 추진 년 제 차 분야 및 연구기관의 보급 촉진 기본계획을 수립하여 공공 보급 촉진을 위한 시범사업 등 추진 행정 공공기관 정보시스템 구축 운영 지침 예산 및 기금운용계획 집행지침을 개정하여 겸용장비 구매 의무화 지자체 및 연구기관 유 무선 백본망 웹사이트 기본 인프라 준비를 위한 시범사업 추진 등을 대상으로 년 제 차 전환 추진계획을 수립하여 상용서비스 제공기반 구축 및 중소업체 기술지원 추진 케이블 초고속인터넷 이동통신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민관 협력 지원사업 추진 대학망 등에서 상용 기술력이 부족한 중소업체를 대상으로 전문가 양성교육 및 분야별 도입 시 맞춤형 기술컨설팅 등 기술지원 추진 - 5 -
2 추진 현황 주소 확보 월 주소 개 단위 개 확보 우리나라는 미국 개 중국 개 독일 개 일본 개 등에 이어 세계 위 수준 월 네트워크 망사업자의 가입자망 네트워크 준비율 대폭 향상 년 공공부문 겸용장비 구매를 의무화 년 정보시스템 구축 운영 지침과 기금 및 예산운용계획 집행지침 하여 년말 준비율이 수준임 서비스 가 기반 음성 서비스를 개시 월 하였으나 데이터 웹사이트 분야 등 실질적인 서비스는 본격화되지 못한 상황 장비 라우터 등 국내 업체 네트워크 장비의 지원율은 약 수준이나 정보보호 제품의 지원율은 약 로 저조한 상황 단말 스마트단말 등 국내 약 의 단말이 지원 년 - 6 -
< 국내 IPv6 준비 실태조사 결과 > 조사개요 ㅇ조사기간: 2013. 8~12(KISA) 구 분 사업자 대상 인터넷 이용자 대상 조사대상 주요ISP, 중소ISP, CSP 만15세 이상~60세 미만 표본크기 주요 ISP(4개), 중소 ISP(115개), CSP(250개) 2,000명 조사방법 개별면접조사, 팩스 및 이메일 조사 병행 온라인 패널 조사 조사내용 IPv6 지원 현황, 전환 비용, 인식현황 등 IPv6 지원 단말 현황 CSP(Contents Service Provider): 포털 등 인터넷 컨텐츠를 제공하는 사업자 주요 ISP : KT, SKB, LGU+, SKT 등 4개사 주요 결과 o (ISP망 준비율) 백본망 92.1%( 12년 91.2%), 가입자망 65%( 12년 19%) o (IPv4 부족여부) 주요 ISP(75.0%), 중소 ISP(71.4%), CSP(22.4%)가 부족 응답 o (전환계획여부) 주요 ISP는 IPv6 전환 추진중, 중소 ISP와 CSP는 각각 58.4%, 19.1% 만이 IPv6 전환 계획이 있고 나머지는 계획이 없는 것으로 응답 - 전환계획이 있는 사업자의 서비스 제공시기 : 주요 ISP(SKT/SKB '14년, KT '15년, LGU+ '16년), 중소 ISP는 평균 5.2년, CSP는 평균 7.9년으로 응답 o (ISP 보유장비 준비율) DNS 서버 52%, 메일서버 71%, 보안장비 40%, DHCP 서버* 33%로 보안장비와 DHCP 서버가 상대적으로 미흡 *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서버 : 컴퓨터가 네트워크에 접속하면 IP주소를 자동으로 선택하여 할당해주는 서버 o (정부지원사항) 기술지원, 정부의 로드맵 등 정책정비, 장비개발비 지원, 기술동향 제공, 컨텐츠 개발비 지원 등을 희망 o (IPv6 전환비용) 향후 민간영역 총 전환 비용은 2.1조원으로 추정 (해당 군별 평균비용 : 주요 ISP 약 1,927억원, 중소 ISP 약 39억원, 주요 CSP 약 51억원) o (IPv4 부족문제 해결) ISP는 IPv4 주소 재배분, CSP는 사설 IP 사용 응답 o (이용자 단말 OS의 IPv6 지원율) 전체 약 68%의 이용자 단말이 IPv6 지원 (노트북 82.6%, 데스크탑 77.0%, 스마트 패드 61.3%, 스마트폰 50.9%) - 7 -
3 수요 및 전환 전망 1 수요 전망 인터넷접속 단말 급증에 따른 주소 수요증가 유무선 통합 서비스 제공 스마트폰 보급 확산 서비스의 등장 등 무선 인터넷 서비스 활성화로 주소 수요 급증 추세 전세계 서버 스마트폰을 포함한 약 억대 이상의 기기가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으며 년에 억대 로 증가할 전망 국내 주소 고갈 및 수요전망 주소 여유수량 설문조사 결과 국내 할당된 약 억개 중 만개 정도 미사용 여유분이 있는 것으로 조사됨 과거 사용 현황을 고려할 때 향후 년안에 여유분이 고갈될 것으로 전망되며 주요 통신사는 년내에 고갈될 것으로 전망 년 주소 고갈 선언 이전 년 년 간 주소 확보 증가치를 고려하여 향후 년까지 수요를 표준편차 방식으로 전망한 결과 년도에 약 억 천여만개 주소가 필요 < IPv4 주소 연도별 수요- 공급 전망 ( 단위 : 만개) > - 8 -
2 전환 전망 년 고갈 선언 이후 전세계 트래픽 급증 년 주소가 표준으로 제정된 이후 년간의 트래픽 증가는 미미하였으나 월 주소 고갈 선언 이후 트래픽 급증 주소 고갈 선언 이전인 년까지의 트래픽은 에 불과했으나 월 현재 로 급증함 * 출처 : google IPv6 통계 트래픽이 년말 년 로 급증할 전망 구글에서 전 세계 트래픽 증가 추이를 고려하여 트래픽을 전망한 결과 년말 에서 년 중순 로 증가 * 출처 : google IPv6 통계 미국 일본 등은 인터넷 시장 선도 및 자국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중국 인도 등은 주소부족 해소를 위해 적극 도입 전망 - 9 -
Ⅲ. 문제점 ( 장애요소) 상용서비스 제공 지연 민간 기존 전환계획에 따라 네트워크 준비율이 지속적으로 증가 중이나 네트워크내 장비별 지원기능 활성화와 서비스 전환 지연 네트워크 서비스 단말 등 서로 다른 분야가 지원되지 않았다는 사유로 상호 도입을 미루고 있는 상황 이며 장비 교체 업데이트 등에 따른 투자비 부담으로 도입 회피 공공 네트워크 장비의 경우 년부터 기능을 의무화하였으나 웹사이트 분야는 의무화 대상에 포함되지 않아 서비스 제공 지연 보안 취약성 우려 및 서비스 모델 부재 기능 성능평가를 통해 품질이 보장된 정보보호 제품 개발이 미흡하고 환경에서의 보안 취약점 및 위협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이 존재 투자 대비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신규 서비스 개발 미흡 - 10 -
전문인력 부족 및 전환 성공사례 부재 o IPv6 도입에 따른 시스템 운용 개발 전문인력이 부족하고, IPv6 전환 노하우와 성공사례가 축적되지 않아 선제적 도입을 기피하는 상황 중소 사업자의 약 70%가 전문인력 양성, 기술컨설팅 지원 희망( 13년, 인터넷진흥원) < IPv6 전환 지연시 문제점 > 신규 서비스 수요 대응 및 신규 사업자의 시장진입 제한 o IP 주소를 필요로 하는 신규 서비스 개시나 서비스 확장 시 제약 발생 * (호스팅업체 A 社 ) 다수의 IP주소가 필요한 사업 특성상 신규고객 유치에 어려움 호소 * (케이블업체 K 社 ) IP주소 미확보로 서비스 확장 계획을 실행하지 못하다가, 사업을 종료한 D 社 의 IPv4 주소를 이전받아 서비스를 확장 NAT 등의 부가장비 사용으로 인한 비용증가 및 품질저하 o 사설IP 공인IP 간 주소변환으로 인해 쌍방향 일대일 통신이 자유롭지 못해, 센서 및 가전제품 등의 사물을 원격에서 제어하기 곤란 o 사설IP 중복사용으로 네트워크 관리의 복잡성 증가, 사설-공인 IP주소간의 변환에 따른 네트워크 품질저하, NAT 구입비용 증가 등의 문제 발생 외국기업의 국내시장 잠식 및 해외진출 애로 o 네트워크/시스템 통합(NI/SI), 전문 컨설팅 등 인터넷 관련 全 산업분야에서 IPv6 전환에 적극적인 외국 기업과의 기술격차로 국내 시장 잠식 우려 o IPv6 기술력 노하우 부족으로 해외 장비수출 및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 수주 시 애로 * (IPv6 전환 장비 제조사 A 社 ) 말레이시아 정부의 IPv6 기반 구축 사업에 참여하려 했으나, 국내 IPv6 전환 및 구축 사례가 부족하여 사업 수주에 실패 다량의 IPv4보유 사업자와 미보유 사업자간의 형평성 논란 o 서비스 경쟁이 아닌 IPv4 확보 여부가 영업 및 거래에 있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함에 따라, 인터넷 서비스 시장의 공정경쟁 환경을 저해할 우려 * (기업 전용회선 영업 경쟁사 A B 社 ) B보다 많은 IPv4 할당을 조건으로 영업을 시도한 A가 계약을 수주, B는 IPv4 부족으로 고객 유치에 어려움 겪음 - 11 -
Ⅳ. 추진 전략 및 로드맵 1 비전 및 목표 - 12 -
2 추진 전략 장비대개체 서비스 중심으로 정책 전환 그간 확산 정책은 장비대개체 네트워크 준비율 제고 등 위주였으나 이용자의 실질적인 기반 서비스 이용 에 중점을 두고 정책 추진 이동통신 유선인터넷 및 웹사이트 동시 상용서비스 개시를 통해 네트워크 서비스 단말 등 구간에 걸친 선순환 체계 구축 도입 확산을 위해 공공분야 도입 의무화 추진 정부 공공기관의 신규 웹사이트 구축 및 변경 시 를 적용하도록 의무화하여 민간분야 웹사이트까지 확대될 수 있는 기반 마련 기반 정보보호제품 경쟁력 강화 및 보안산업 육성 기반 보안장비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 해소 및 관련 보안산업 육성을 위해 경쟁력을 갖춘 제품 개발 및 보안취약성 평가 강화 기반 신규 서비스 모델 개발 기반의 신규 서비스 모델을 발굴하고 민 관 협력 시범사업 및 상용화 추진을 통해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 및 투자 유인 전환 촉진을 위한 지원 제도 인프라 확충 장비 취득금액에 대한 세제 감면 등 도입 기업의 부담 완화 전문인력 기술력이 부족한 업체를 위한 종합지원체계 구축 등 다양한 지원방안을 마련 - 13 -
3 IPv6 확산 로드맵 단계별 확산 계획 확산기 성숙기 주요 인프라 구축 완료 및 서비스 개시 모든 인프라 구축 완료 및 서비스 확산 구 분 확산기( 14~ 17) 성숙기( 18~ 22) 정부 공공기관 망 구축 완료 (100%) 망 구축 주요 ISP 망 구축 완료 (100%) 이통3 사 망 구축 완료 (100%) 중소 ISP 백본망 구축 완료 (100%) 중소 ISP 가입자망 구축 완료 (100%) 서비스 제공 모든 LTE 상용서비스 개시 확산 주요 초고속인터넷 상용서비스 개시확산 중소 주요 ISP 상용서비스 개시 확산(30%) CSP 웹사이트 상용서비스 개시 확산 (30%) 정부 공공기관 대민 웹서비스 개시 확산 (30%) 정부 공공기관 대민 웹서비스 제공 (100%) 중소 주요 ISP 상용서비스 제공 (80%) CSP 웹서비스 제공 (80%) 네트워크 / 보안 장비 구축 네트워크 장비 보안장비 IPv6 지원율 (100%) IPv6 지원율 (50%) 보안장비 IPv6 지원율 (100%) 단말기 공급 스마트폰 IPv6 지원율 (80%) 스마트폰 IPv6 지원율 (100%) - 14 -
단계별 확산 일정 - 15 -
Ⅴ. 세부 추진과제 1 IPv6 인프라 서비스 확산 1 IPv6 인프라 확충 네트워크 인프라 구축을 조기에 완료하고 유무선 인터넷 및 웹사이트 상용서비스 제공을 위한 연동망 고도화 추진 기반 네트워크 구축 가속화 전환을 위한 민 관 협의체 및 종합지원체계 운영 민 관 협력 사업 등을 통해 기반 네트워크 구축 조기완료 추진 상용서비스 촉진을 위한 연동망 제공 및 고도화 년 가 운영중인 연동망 을 확산 초기에 무료로 제공하고 안정적인 상용서비스 제공을 위해 연동망을 고도화하고 장애 발생에 대비한 이중화 및 망관리 장비 확충 년 웹서비스 본격화를 위한 지원사업 추진 년 멀티미디어 이미지 동영상 등 웹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의 도입 지원사업 민 관 매칭 을 통해 웹서비스 상용화 촉진 - 16 -
2 IPv6 상용서비스 개시 및 확산 년을 서비스 원년 으로 삼아 이동통신 초고속인터넷 웹사이트 상용서비스 본격화를 위한 모멘텀을 마련하고 네트 워크 서비스 단말 구간 촉진 선순환 체계를 구축 상용서비스 개시 및 확산 년 하반기 2014 2015 2016 구분 시범 상용 시범 상용 시범 상용 서비스 사업자 KT SKT LGU+ KT - LGU+ 는 년 하반기부터 에서는 단말기만 출시할 예정 유선인터넷 상용서비스 개시 및 확산 년 하반기 2014 2015 2016 구분 시범 상용 시범 상용 시범 상용 서비스 사업자 KT SKB LGU+ KT - LGU+ 웹사이트 상용서비스 개시 및 확산 년 하반기 2014 2015 2016 구분 시범 상용 시범 상용 시범 상용 서비스 사업자 네이버 다음 - 네이버 - - 중소 년까지 년까지 의 중소 사업자의 웹 사이트가 상용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 추진 - 17 -
단말에서 웹사이트 접속시 웹사이트 접속 단말 무선교환기 유선망 웹사이트 웹사이트 접속 유선망 중 망 웹사이트 웹사이트 접속 단말 무선교환기 유선망 변환기 유선망 단말에서 웹사이트 접속시 웹사이트 웹사이트 접속 단말 유선망 웹사이트 겸용 웹사이트 접속 겸용 유선망 중 망 겸용 웹사이트 중 사이트 웹사이트 접속 단말 유선망 변환기 유선망 웹사이트 상용서비스 제공을 위한 민 관 협의체 구성 운영 년 정부 유무선 사 제조 사 포털 사 등으로 상용서비스 지원 협의회 를 구성하여 상용서비스 추진에 따른 애로사항 수렴 해소 - 18 -
3 정부 공공기관 IPv6 도입 의무화 정부 공공기관의 네트워크 웹사이트에 도입을 촉진하여 전환 노하우 축적 및 관련산업 수요창출을 도모하고 민간 확산 기반 마련 정부 공공기관 도입 의무화 년 정부 공공기관 네트워크 웹사이트의 선제적인 도입을 의무화 하여 민간분야로 확산될 수 있도록 국가정보화기본법 개정 추진 공공부문의 도입 성공사례 및 가이드라인 제공 년 정부 공공기관의 도입 경험 사례를 축적하고 전환시 준비사항 및 문제해결 방안 제시를 통해 중소 민간사이트의 전환을 유도 정부전산통합센터와 연계한 정부 웹사이트 미래부 등 전환 년 을 통해 공공분야 모범사례 를 도출하고 시범 이를 기반으로 도입 가이드라인 을 마련 배포 년 하여 공공 및 민간 웹사이트의 전환을 촉진 공공분야 장비의 기능을 평가할 수 있는 테스트베드 구축 지원 - 19 -
2 IPv6 장비 및 서비스 개발 1 IPv6 네트워크 장비개발 및 수요 확대 전환 촉진을 위해 국내 실정에 맞는 저렴하고 경쟁력 있는 네트워크 장비를 개발하여 관련 산업 활성화 및 수요 확대 도모 네트워크 장비 제조사의 비용부담 완화 및 인증소요기간 단축을 위해 인증제도 간소화 및 테스트베드 구축 지원 기반의 네트워크 장비 개발 년 글로벌 시장 선도 및 수출 가능성 수입대체 효과 등을 고려하여 라우터 스위치 등 기반 네트워크 장비 개발 기반의 네트워크 장비 테스트베드 구축 년 기반의 네트워크 장비 제조사가 관련 장비를 테스트할 수 있도록 실제 상용서비스 환경과 유사한 시험망 구축 네트워크 장비 인증제도 간소화 년 제조사의 인증 비용부담 완화 및 소요기간 단축을 위해 국제 와 국내 를 통합하여 간소화 추진 국내외 수요기관에서 희망하는 인증마크가 다를 수 있어 통합 인증이 통용될 때까지 필요시 가지 인증마크를 추가 부여 - 20 -
2 IPv6 정보보호산업 육성 도입 기업이 신뢰할 수 있고 글로벌 시장 선점 가능한 정보보호제품 개발을 지원 국내 산업 활성화 및 경쟁력 강화 기여 정보보호제품의 신뢰성 안전성 확보를 위해 보안취약성 평가를 강화하고 테스트베드 구축 성능평가 기준 마련 등 추진 기반의 정보보호제품 개발 년 클라우드 사물인터넷 등 수요가 큰 산업 분야의 기반 보안 강화를 위한 핵심 원천기술 개발 추진 보안 연구 및 테스트베드 구축 추진 년 공존 환경 및 전환 환경에서의 보안취약점 주소 변경에 따른 다양한 공격 방어 유형 등 연구 추진 정보보호제품을 개발 단계에서 출시 이후 사후관리 단계까지 단계에서 검증할 수 있도록 테스트베드 구축 지원 보안취약성 평가 강화 및 성능평가 기준 마련 보안기능이 탑재된 제품에 대해 보안인증 년 평가기관 의 보안취약성 평가를 강화 시험항목에 추가 반영 보안제품에 대한 필수보안요구기능 및 성능평가 기준을 마련 하여 제조사에 제공하고 동 기준의 보안인증 적용 의무화 검토 - 21 -
3 IPv6 기반의 신규 서비스 개발 추진 기반으로 다양한 사물간 통신이 가능한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접속기술 등 서비스 기반기술 개발 신규 접속기술을 활용하여 빅데이터 클라우드 등 기반의 새로운 서비스 모델 발굴을 위한 시범사업 및 상용화 추진 기반의 사물인터넷 기술개발 년 기반으로 다양한 사물을 연결하고 상호간의 통신이 가능한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경량화 저전력 이기종 접속기술 개발 추진 - 22 -
기반의 신규 서비스 개발 추진 년 다양한 통신방식 및 서비스간을 로 연계할 수 있는 경량화 저전력 이기종간 접속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개발 추진 빅데이터 클라우드 홈네트워크 서비스 상호간의 연계 등을 통한 다양한 결합 융합서비스 개발 신규 서비스에 대한 시범사업 및 상용화 추진 년 연구기관 사업자가 참여하여 상호운용성 검증 신규 서비스 적용상 문제점 및 상용화 가능성 등을 분석하기 위한 시범사업 상용화 추진 기술검증 및 신규 서비스 상용화 추진을 위해 정부 산 학 연 등의 전문가로 구성된 기술검증 및 상용화 추진협의회 신설 운영 - 23 -
3 IPv6 전환 촉진 및 이용환경 조성 1 IPv6 도입 기업에 대한 세제감면 도입 촉진을 위해 지원 장비에 대한 세제감면 장비에 대한 세제감면 월 도입 기업의 부담 완화를 위해 장비 라우터 스위치 등 취득금액의 일정수준 대기업 중소기업 의 소득세 또는 법인세 감면 2 IPv6 전환율 자동측정시스템 구축 운영 기관별 트래픽 및 순위를 주기적으로 측정 발표하여 미도입 기관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 전환율 자동측정시스템 구축 운영 년 주소 사용 여부 기반의 웹사이트 개설여부 및 이용자의 웹사이트 접속 트래픽 등을 자동으로 측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내에 구축 운영 월 기관별 전환율 순위보고서 매년 발표 년 트래픽을 주기적으로 측정하고 연도별 전환율 순위 보고서를 발간 배포하여 미진한 기업의 조속한 도입 참여를 유도 - 24 -
3 IPv6 종합지원체계 구축 전문인력 기술력이 부족한 영세 중소사업자를 대상으로 기업별 맞춤형 전문교육 및 기술컨설팅 가이드라인 등 종합지원체계 구축 종합지원체계 구축 운영 년 전문교육 주소관리 책임자 실무자 네트워크 관리자 엔지니어 등을 대상으로 맞춤형 교육과정 개발 운영 국제 인증과정 개설 자격인증제도 운영 등 전문교육 강화 상담 컨설팅 전환 상담 해외 기술동향 및 테스트베드 제공 기술지원 요구사항 컨설팅 등을 종합 지원 맞춤형 도입 가이드라인 마련 배포 년 분야별 도입방안 도입계획 수립 절차 방법 기술 검토사항 및 검증방법 도입비용 등의 정보제공을 위한 도입 가이드라인 마련 배포 - 25 -
Ⅵ. 기대효과 미래 인터넷 서비스 기반 조성 기존 주소 부족 문제를 근본적 으로 해소하여 다양한 미래 인터넷 서비스 제공기반 조성 차세대 융합서비스 기반 마련 무제한 주소 공급으로 빅데이터 클라우드 홈네트워크 등이 연계된 융합서비스 기반 마련 이용자에게 양질의 서비스 제공 주소의 장점인 단말 이동성 보안기능 선택호출 및 양방향 통신을 활용한 양질의 서비스 제공 국내 산업 활성화 기반의 네트워크 및 정보보호제품을 개발 공급하여 국내 산업 활성화 및 글로벌 시장 선점 경제적 파급효과 년부터 년까지 민간분야 투자액 정부지원사업 포함 을 기준으로 연관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산출한 결과 생산유발효과 조 억원 부가가치유발효과 조 억원 고용 유발효과는 명으로 나타남 - 26 -
Ⅶ. 추진체계 및 소요예산 1 추진 체계 도입 촉진을 위한 정책과제 및 이슈사항 등을 협의하기 위해 정부 산 학 연 전문가로 전환전략협의회 를 구성 운영 2 소요 예산 단위 억원 IPv6 인프라 서비스 확산 IPv6 장비 및 서비스 개발 구 분 IPv6 인프라 확충 IPv6 상용서비스 개시 및 확산 정부 공공기관 IPv6 적용 의무화 IPv6 네트워크 장비개발 및 수요확대 IPv6 정보보호산업 육성 IPv6 기반의 신규 서비스 개발 추진 IPv6 도입 IPv6 도입 기업에 대한 세제감면 촉진 및 이용 IPv6 전환율 자동측정시스템 구축 운영 환경 조성 IPv6 전환 종합지원체계 구축 합 계 합계 - 27 -
Ⅷ. 향후 추진일정 세부추진과제 추진일정 2014 2015 2016 2017 중점과제 1. IPv6 인프라 서비스 확산 IPv6 인프라 확충 ISP의 가입자망 지원사업 및 IPv6 연동망 고도화 IPv6 상용서비스 제공을 위한 CDN 지원사업 IPv6 상용서비스 지원 협의회 구성 운영 IPv6 상용서비스 개시 및 확산 IPv6 상용서비스 개시( 14 년 하반기부터) IPv6 상용서비스 제공 지원사업 정부 공공기관 IPv6 적용 의무화 국가정보화기본법 개정 추진 정부 공공기관 대민 웹사이트 구축 지원사업 정부 공공기관 IPv6 성공사례 및 가이드라인 마련 중점과제 2. IPv6 장비 및 서비스 개발 IPv6 네트워크 장비개발 및 수요 확대 IPv6 네트워크 장비개발 및 테스트베드 구축 운영 IPv6 네트워크 장비 인증제도 간소화 IPv6 정보보호제품 개발 IPv6 정보보호산업 육성 IPv6 공격 방어 유형 연구 및 테스트베드 구축 운영 보안인증 필수요구기능 및 성능평가 기준 마련 IPv6기반의 새로운 서비스 개발 추진 중점과제 3. IPv6 도입 촉진 및 이용환경 조성 IPv6 도입 기업에 대한 세제감면 추진 IPv6 전환율 자동측정 시스템 구축 운영 세제감면 추진 IPv6 기반의 사물인터넷 접속기술 및 신규 서비스 개발 IPv6 신규 서비스에 대한 시범사업 및 상용화 추진 IPv6 전환율 자동측정시스템 구축 운영 기관별 IPv6 전환율 순위보고서 공개 중소업체 기술지원 등 종합지원체계 구축 IPv6 도입 가이드라인 마련 영세 중소업체 대상 전문교육 실시 영세 중소업체 대상 맞춤형 기술컨설팅 실시 - 28 -
별첨 IPv4와 IPv6 주소 비교 주소의 종류 주소는 와 가 있으며 현재는 가 주로 사용되고 있음 구 분 주소길이 IPv4('81 년 개발) IPv6 ('98 년 개발) 32비트 128비트 주소형식 예) 211.192.38.1 예) 2001:dc2:0:40:135:72df:9e74:d8a3 총 주소개수 약 43 억개 (2 32 개) 약 43 억 43 억 43 억 43 억개 (3.4 10 38, 2 128 개) 주소설정 수동설정 자동 설정 ( 주소구성 복잡) 보안기능 IPSec프로토콜 별도설치 확장기능에서 기본으로 제공 품질제어 지원 수단 없음 품질보장이 용이 주소의 장점 주소의 증가 주소가 비트에서 비트로 확장되어 주소가 크게 증가 되어 사물인터넷 스마트폰 등 신규 수요에 대응 가능 주소자동 설정 기존의 는 주소를 수동으로 설정하였으나 는 이용자의 개입없이 자동으로 주소 설정 단말간 통신 가능 는 사설 를 사용하여 단말간 통신이 불가하나 는 사설 를 사용하지 않아 단말간 통신 가능 단말 이동성 제공 이용자가 다른 기지국으로 이동하더라도 주소가 변경되지 않고 끊김없이 서비스가 가능 품질제어 기능 이용자의 등급 서비스 별로 패킷을 구분할 수 있어 각 등급 및 서비스로 품질보장 가능 네트워크 관리비용 감소 는 주소변환장비 등 가 불필요 하여 네트위크 구성이 간편하고 망 구축 및 관리 비용 절감 보안기능 는 보안 기능 을 별도로 설치해야 하였으나 는 확장기능에서 기본으로 보안기능을 제공 - 29 -
2 전세계 IPv4 IPv6 주소 보유 현황 순위 국가 보유수( 개) 1위 미국 1,581,204,352 2위 중국 330,309,376 3위 일본 201,707,264 4위 영국 123,634,448 5위 독일 119,562,600 6위 대한민국 ( 잔여수량) 112,273,152 (15,232,000) 7위 프랑스 95,904,112 8위 캐나다 80,960,768 9위 브라질 70,174,208 10위 이탈리아 53,261,416 순위 국가 보유수( 개) 1위 중국 330,309,376 2위 일본 201,707,264 3위 대한민국 112,273,152 4위 오스트레일리아 47,839,232 5위 인도 35,473,408 6위 대만 35,405,568 7위 인도네시아 17,513,472 8위 베트남 15,587,072 9위 홍콩 11,718,912 10위 태국 8,577,792 순위 국가 보유수(/32, 개) 1위 미국 31,636 2위 중국 16,670 3위 독일 11,976 4위 일본 11,249 5위 프랑스 9,338 6위 오스트레일리아 8,652 7위 유럽연합 6,251 8위 이탈리아 5,309 9위 대한민국 5,241 10위 아르헨티나 4,306 순위 국가 보유수(/32, 개) 1위 중국 16,670 2위 일본 11,249 3위 오스트레일리아 8,652 4위 대한민국 5,241 5위 대만 2,345 6위 인도 263 7위 인도네시아 158 8위 뉴질랜드 156 9위 싱가폴 150 10위 홍콩 135 구분 최초 할당일 할당 대상 IPv4주소 86년 7월 서울대컴퓨터공학과와 한국전자연구소( 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간 전산망 SDN(System Development Network)에서 최초 사용 IPv6주소 99년 10월 전산원( 현 정보화진흥원) 광대역통합연구망 KOREN(KOrea advanced REsearch Network) 최초 할당 받음 o IPv6 확보 ISP 수('13 년) 구분 IPv6 확보 ISP 수( 누적) 34 40 43 49 57 66 77-30 -
3 IPv6 전환비용 o 국내 ISP와 CSP(컨텐츠제공사업자)의 IPv6 구축 시 2014년 이후 전환 비용은 약 2.1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 - 주요 ISP의 비중은 37.1%, 중소 ISP의 비중은 21.6%, CSP의 비중은 약 41.3%(약 858억원)로 CSP 비중이 가장 높게 나타남 실제 주요 ISP, 중소 ISP, CSP의 네트워크 보안 서버장비는 기술발전, 트래픽 증가에 따른 자연 대개체 되는 장비 o (국내) IPv6 도입을 위해 2013년 국내 IPv6준비도 실태조사 조사 대상 업체 에서 현재 보유하고 있는 L3장비(라우터/스위치) 및 보안장비 등을 IPv6가 지원되는 장비로 100% 교체한다고 가정했을 때 소요되는 비용(H/W, S/W, 인건비)을 토대로 IPv6 전환비용 추정(주요 ISP : H/W 80.6%, S/W 10.9%, 인건비 8.5%) 설문조사는 주요 ISP(KT, SKB, SKT, LGU+), 중소 ISP(77개사) 및 CSP(152개사)로 해당업체의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전환 비용을 산출 o (미국) IPv6도입비용은 서비스 종류, 전환기술, 인프라 구성, 보안수준, 전환시점 등에 영향을 미치므로 업계 이해관계자와 전문가 협의를 통해 IPv6 도입비용 산출 ( 06.1월, 상무성 보고서) - (ISP : H/W 15%, S/W 15%, 인건비 70%) <국내 IPv6 전환비용 - 결과> IPv6 총 전환비용 IPv6 준비도 총 전환비용 2013년 이전 총 전환비용 2014년 이후 총 전환비용 (장비기준) 총 금액 구성비 총 금액 구성비 총 금액 구성비 Stakeholders % 10억원 % 10억원 % 10억원 % 주요 ISP 66.6 4,788.0 58.0 4,017.2 65.2 770.8 37.1 중소 ISP 48.5 869.9 10.6 422.0 6.9 448.0 21.6 CSP 66.5 2,557.4 31.0 1,699.6 27.6 857.8 41.3 총계 8,215.3 100.0 6,138.7 100.0 2,076.6 100.0-31 -
4 IP주소 관리체계 IP주소 관리 체계 <전세계 IP주소 관리 체계도> o ICANN(Internet Corporation for Assigned Names and Numbers) - 전세계 인터넷주소자원 총괄 관리 기관 - 인터넷 관련 비즈니스, 기술계, 학계 및 이용자 단체 등으로 구성된 비 영리기구 o IANA(Internet Assigned Numbers Authority) - ICANN이 미 상무부와의 계약에 의해 수행하는 전세계 IP주소 관리 업무 - 각각의 대륙별 인터넷주소 관리기관인 RIR에 주소를 분배 o RIR(Regional Internet Registry) - 대륙별 인터넷주소 관리기관(전세계 : 총 5개) - 각 RIR이 관할하는 대륙의 국가 인터넷주소자원 관리기관인 NIR 또는 인터넷접속서비스 제공자인 ISP에 주소를 분배 - AfriNIC(African Network Information Center) : 아프리카 지역 - APNIC(Asia Pacific Network Information Center) : 아ㆍ태 지역 - ARIN(American Registry for Internet Numbers) : 북미 지역 - LACNIC(Latin American and Caribbean IP address Regional Registry) : 중남미 및 카리브해 지역 - RIPE NCC(Reseaux IP Europeens Network Coordination Centre) : 유럽 지역 o NIR(National Internet Registry) - 국가별 인터넷주소 관리기관(아 태지역 : 총 7개) KRNIC(한국), JPNIC(일본), CNNIC(중국), VNNIC(베트남), TWNIC(대만), APJII(인도네시아), INNIC(인도) KISA(KRNIC) : 국내 관리대행자 또는 독립사용자에게 IP주소 AS번호 할당 o LIR(Local Internet Registry) - 지역별 인터넷주소 관리기관, 일반적으로 ISP를 의미 - 32 -
IPv6 도입 시 대체장비 현황 대상자 서비스 내용 도입 시 대체장비 백본망 라우터 스위치 망사업자 관리 기반 인터넷접속 서비스 제공 등 가입자망 비즈니스 이용자 민간 공공기관 서비스 제공자 포털 등 일반 이용자 제품제조사 망 라우터 스위치 기반 자체 및 대민 서비스 제공 보안 방화벽 웹방화벽 등 및 외부 기반 서비스 이용 관리 응용 웹서버 메일서버 전자결재 등 망 라우터 스위치 기반 콘텐츠 검색 서비스 제공 보안 방화벽 웹방화벽 등 관리 응용 웹서버 메일서버 등 기반 서비스 이용 광랜 등 제조사의 모든 제품군에 고려 하여 어떤 제품으로 망을 구성해도 무선랜 무선 등 서비스 제공 가능 와이브로 등 라우터 스위치 등 방화벽 등 보안장비 등 등 장비종류 지원 최저 운영체제 일반 는 설치 후 이상 스마트폰 이상 서버 이상 네트워크장비 엔터프라이즈급 이상 웹 메일 이상 웹 브라우져 이상 - 33 -
IPv6 전환 추진계획 및 실적 보급 촉진 추진계획 및 실적 구분 IPv6 보급촉진 추진계획( 04) IPv6 보급촉진 기본계획 Ⅱ( 07) IPv6 전환 추진계획( 10) 목표 o IPv6 기반의 유무선 통합 기술개발 및 응용서비스 시범 서비스 추진 o 정부, 공공 및 연구분야에 선도적으로 IPv6를 적용하여 초기 시장 선도 o 민관협력사업 강화를 통한 서비스 기반 촉진 IPv6 상용 IPv6 기반의 유 무선 통합 기술 개발 공공부분 및 연구기관에 IPv6 적용 IPv6 상용서비스 지원 기반 구축을 위한 민관협력 사업 추진 o IPv6 보급에 필수적인 장비 개발 지원 등을 통한 선도적인 사업 견인 - IPv6 인프라 구축을 위한 장비기술 개발 유무선 통합 환경에서 사용가능한 IPv4/ IPv6 연동게이트웨이 장비, 이동성 기술 및 망관리 서버 등 총 7 종 개발( 04~ 05) - BCN 에서 이동통신망, 무선랜, WiBro 등 서비스 연동을 위한 IPv6 기반 통합 장비 및 서비스 개발 - IP 차세대 라우터 기술 개발 IPv6 중 소형 라우터와 관련된 기술 5건 개발( 03~ 05), 통합보안장비 시제품 개발( 06) o 지방자치단체 및 연구소에 IPv6 적용 - 공공기관 IPv6 장비지원 사업, 대덕 특구 IPv6 클러스터 구축 사업 추진 분야 적용기관 강릉시청 삼척시청 공주시청 경남도청 지자체,,,, 경북도청, 광주광역시청, 부산광역시청총 ( 7 개) 대덕특구 연구기관 기초과학지원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천문연구원, 한국핵융합연구원, 한국 지질자원연구원, 한국한의학연구원, 한국 과학기술정보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총8 개) o IPv6 상용서비스 도입을 위한 환경 구축 - 국내 통신 3사 백본망의 IPv6 적용 및 IX간 IPv6 연동을 통한 IPv6 이용환경 기반 마련 - SKT 와 협력하여 무선망 (3G, LTE, WiFi) 에 IPv6 기반 인프라를 구축 / 서비스 제공 ( 12 년) - 웹 호스팅 사업자와 협력하여 홈페이지에 IPv6 적용( 12 년) - 케이블 사업자와 협력하여 IPv6 실 가입자를 확보 (250 명하고 ), IPv6 가입자를 확보할 수 있는 최신 IPv6 전환기술 (6RD) 개발 ( 11 년) IPv6 응용서비스 개발 보급 촉진 IPv6 도입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 보급ㆍ확산 기반 구축 민관협력체계 구축 및 취약계층 지원 주요 추진 과제 실적 o IPv6 초기시장을 촉발할 수 있는 첨단 응용 어플리케이션을 개발 - IPv6 기반 P2P 어플리케이션 개발 및 적용 P2P 어플리케이션, VoIP, 텔레메틱스, 교육 응용서비스 등 o 시범서비스를 통한 IPv6활성화 추진 - FTTH 디지털홈 서비스('04) - VoIPv6 시범서비스('04, '06) - IPv6 기반 대학 원격강의 시범서비스 ('04) - IPv6 재난재해 예방관리 서비스( 05) - 무인당직서비스( 06) o 홈네트워크 서비스에 IPv6 적용을 유도 하여 유 무선 통합 네트워크의 발전을 촉진하고 관련 산업의 발전을 도모 o IPv6 도입 요건화 및 관련 제도화를 적극 추진 - 정부기관 장비 구입시 IPv6 적용 제품 도입을 위한 제도화 - 공공기관 IPv6 적용 가이드라인 등 가이드 개발 - 공공부문의 IPv6주소 할당체계 확립 o IPv6 교육 및 협력 체계를 구축하여 IPv6 전환 확산 인식제고 - IPv6 교육 (17 회, 612 명) 및 기술컨설팅 (20 회) - 산학연관 협의체 운영(11 회) - 기술 컨설팅(20 회) - Global IPv6 Summit 등 행사 개최 ㆍ지원 (12 회) - 정책연구 (2 건), 논문 및 표준화, 언론보도 등 o 취약계층을 위한 IPv6전환종합지원체운영 - IPv6 적용 및 구축 운영 전문가 양성 ( 08~, 3,185 명) - IPv6 전환 기술 컨설팅 실시( 11~, 35 개) 기술, 투자가 어려운 취약계층인 중소 기업을 대상으로 컨설팅 실시 o 민관협력체계 확대 및 행사 개최를 통한 실 서비스 적용 기반 마련 - IPv6 전환추진협의회 (4 회) 및 실무협의회 (7 회) 운영 - World IPv6 Day( 11.5) 행사에 참여 네이버, 다음 등 12 개 국내 사이트 참여 - Korea IPv6 Day 행사 개최( 12.5) 네이버, 다음, KT, SKB등 22개 기관 참여 IPv6 DNS 시범서비스 도입 및 표준화 인증제도 도입 IPv6 네트워크, 성화 연구 포털서비스 운영 및 활 IPv6 전환 분야별 점검체계 강화 및 인식제고 o IPv6.kr DNS 적용방안 연구및시범서비스 추진 - 국내 외에서 운영중인.kr DNS 총11 대중 5대는 IPv4와 IPv6를 모두 지 원할 수 있도록 구축( 08 년) o IPv6 관련 국내 및 국제 표준화 추진 - IETF 국제표준 ITU-T 국제표준 제안 및 국내표준 채택 o IPv6 시험 인증을 통한 장비간 상호 운용성 보장 - IPv6 Ready Logo 인증, IPv6 관련 TTA Verified 인증 추진 o IPv6 홍보를 위한 IPv6 홈페이지 리뉴얼 o 공공기관 IPv6 적용, 콘텐츠 활성화 방안 기술연구(2 건) o IPv6 연동망(6NGIX/6KANet) 운영 o 국내 IPv6 도입수준 진단을 위한 준비도 지표와 사용도 지표 신규 개발 국내 IPv6 준비상태 및 전환 현황 등에 대한 실태조사 수행( 10~ 12 년) o IPv6 인식제고 - 국내 IPv4주소 최종할당정책 시행 ( 11년 4 월) 에 따라 분야별 설명회 개최, 보도 자료 배포 - IPv6실태 점검 및 국제회의에 참석 하여 국내 선도 사례 발표 - IPv4/IPv6 공존환경에서 안정적인 IPv6 전환을 위한 IPv6 도입을 위한 사례집, 이해 관계자별 IPv6 실전 적용서 등 제작 배포 - 34 -
용어정리 무선랜 접속 포인트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 회선 아프리카 인터넷주소 관리 기구 아 태 인터넷주소 관리 기구 인도네시아 인터넷주소관리기관 북미 인터넷주소 관리 기구 인증 백본망의 대용량 트래픽 처리 수용 가능한 주소변환 장비 국제공통평가기준으로 정보보호제품을 평가하기 위한 국제 표준 콘텐츠 서비스 제공자 포털 사업자 등 중국 인터넷주소 관리 기관 케이블 모뎀 종단 시스템 미 연방정부 정보화 위원회 디지털 가입자 회선 접속 다중화기 서버게이트웨이 기반 듀얼스택 변환기술 디지털 텔레비전 도메인 이름을 주소로 변환해 주는 장비 주소 할당 관리하는 통신 규약 유럽 연합 유럽 연합 위원회 광 네트워크 종단의 인터넷신호 증폭기 대표적인 버스 구조 방식의 근거리 통신망 이더넷 노드 모뎀 엘리먼트 관리 시스템 - 35 -
댁내 광 네트워크 서비스 유럽의 전자정부 서비스 구축을 위한 이동통신망의 패킷 관문 지원 노드 프로젝트 홈 에이전트 하나의 광전 장비 광 동축 혼합망 고속 하향 패킷 접속 단말과 국제 주소 할당 기관 국제인터넷주소관리 기구 인터넷데이터센터 침입 탐지 시스템 국제 인터넷 표준화 기구 사물인터넷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버전 도입 활성화를 위해 만들어진 국제 포럼 포럼에서 검증된 제품에 부여하는 인증 로고 침입 방지 시스템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비전 망내부에 고립된 망간에 통신할 수 있는 기술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국제전기통신연합 중국에서 제안한 인터넷 교환노드 주소변환기술 - 36 -
일본 인터넷주소 관리 기관 한국 인터넷주소 관리 기관 주소 관리 기구 지역별 인터넷주소 관리기관 세대 무선 이동통신 규격 등 남미 인터넷 중국 산업정보 기술부 전화회선을 이용한 컴퓨터 접속 장치 주소변환기술 장치 간 주소변환기술 국가별 인터넷주소 관리 기관 일본전신전화주식회사 에서 독립한 일본 이동통신사 망 관리 시스템 광 회선 단말 광망 종단 장치 광 망 단말 예산 관리처 경제협력개발기구 - 37 -
관리기구 원격 노드 대륙별 인터넷주소 관리 기구 유럽 인터넷주소 인터넷 서비스가 가능한 케이블 사업자 수송 계층 릴레이 방식 중 하나인 저속 변환 기술 게이트웨이 방식 셋톱 박스 문자 메시지 서비스 주소변환 기술 중 응용계층 서비스 지역 내에 있는 호스트들이 외부에 또 다른 호스트와 통신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연결하는 기술 개 이상의 네트워크간에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통신할 때 터널브로커 서버가 터널링을 설정하는 방식 특수 집단 또는 임시 조직 전송계층 주소변환 기술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대만 인터넷주소 관리 기관 국제연합 운용 워킹그룹 초고속 디지털 가입자 회선 베트남 인터넷주소 관리 기관 인터넷전화 - 38 -
무선광대역 인터넷 고성능 무선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무선랜 기술 디지털 가입자 회선 국제전기통신연합의 세대 이동통신기술 규격 전환 차세대 기술 에서 운영 중인 기반 인터넷 교환노드 에서 운영 중인 기반 인터넷 가입자망 가구에 단말장비만 설치하면 기반의 인터넷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기술 사전에 명시적인 터널의 설정 없이 개 이상의 네트워크 간에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상호간에 통신하기 위한 방법 - 3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