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ral Health Science 2014, Oct. 2(1): 9~16 ISSN: 22886079 의류수선 작업종사자들의 구강건강실태 김정술 춘해보건대학교 치위생과 Actual State in Oral Health of the Clothing Repair Workers JungSool Kim Choonhae College of Health Sciences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Correspondence to: Kim JS, T e l: +82522700291 Fax: +82522700239 Email: jskim@ch.ac.kr Received September 17, 2014 Revised September 29, 2014 Accepted October 7, 2014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oral state of the clothing repair workers in Ulsan, Busan Cities. Recently, Clothing industry were shifted rapidly as a sustainable fashion style. It means reuse or recycling of waste materials each clothes. And, there are increasing more and more people working in recycling clothes fields. Until now, there are few research paper about the clothing recycling worker s oral state. For this purpose, we examined 552 people as a questionnaire, final results were as follows: 1. According to the type of repair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DMFT and drymouth (P<0.05). 2. According to the amount of repairs clothing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rymouth (P<0.05). 3. According to the use of oral when repairs (i.e biting needle, unsew clothe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rymouth (P<0.05) in particular. 4. According to the cleaning at workplac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subjective oral health and drymouth (P<0.05), and in ventilation at workplac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DMFT and drymouth (P<0.05). 5. Difference in amount of beverag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DMFT and subjective oral health (P<0.05). 6. In discomfort oral item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ll oral health factors (P<0.05), lastly, oral abrasion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subjective oral health and drymouth (P<0.05) in particular. Key words: Clothes, DMFT, Mouthdryness, Subjective oral health Ⅰ. 서론 1970년 후반부터 비약적인 경제성장으로 인하여 국민의 의 식주 생활양식이 빠르게 변화되면서 기성복의 수요가 늘고 국 내의 기성복 산업도 본격화되기 시작하였다[1]. 패션시장이 진 화되면서 의복의 착용경향이 다양하게 변화함에 따라 패션업계 는 여러 가지 트렌드가 공존하게 되었으며 정형화된 아름다움 보다는 각자의 개성을 중요시하는 추세로 발전하면서 2008년을 기점으로 의류재활용 중심의 브랜드들이 설립되어 활발한 활동 을 하고 있고 이 같은 재활용 패션산업의 경향은 산업에서만이 아닌 소비자층에서도 일어나고 있다[2][3][4]. 기성복은 불특정 다수의 사람을 대상으로 표준치수체계를 기준으로 제작되어 대 량생산하므로 기성복을 사 입었을 때 의복이 잘 맞지 않게 된다 [3]. 또한 신체적 조건이 같더라도 체형과 체격이 다양하므로 동일 사이즈라 하더라도 신체의 적합성이 고려된 다양한 치수 체계를 적용하여 생산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4]. 소비자들의 생활양식도 개성화 다변화 되어감에 따라 소비동향 이 변화되고 소비자들의 욕구수준이 높아져 기성복에 대한 소 비자들의 불만족 요인이 대두되고 있다[5][6]. 이러한 현실에 보 다 더 적극적인 불만족 해소 방안 중의 하나가 전문 수선점을 이용하는 것이다. 소비자들은 의류 전문 수선점을 이용함으로 써 치수 불만족도에 따른 문제점을 개선시키고 다양한 스타일 의 변화를 추구하는 등 적은 비용으로 맞춤옷에 상응하는 효과 를 추구하고 있다[8]. 이외에도 수선은 의류제품의 재활용 측면 에서도 기존 제품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 인식되고 있다[5][7][8]. 이러한 개성적이고 감각적인 시대적 변화흐름은 많은 의류수선업 종사자들을 양산하였지만 정작 의류수선업자 Copyright@ 2014 by the Korean Society of Oral Health Science (KOHS) 9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ral Health Science Vol.2 No.1 October 2014 들의 작업환경[9]이나 그들의 건강 특히 구강을 자주 사용하는 환경에 관한 연구는 별로 조사되지 못하였다. 구강건강을 파탄 시키는 구강상병이 발생하는 데에는 무수히 많은 요인이 작용 하고 있다. 그러나 구강상병이 발생하는 데에 작용하는 무수히 많은 요인을 크게 숙주요인과 환경요인 및 병원체요인의 세 가 지 요인으로 구분한다[10]. 이러한 요인들 중에서 특히, 개인구 강을 관리하는 데 있어 환경요인이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개인 의 생활환경 전반적으로 개인을 둘러싸고 있는 현실을 무시할 수가 없다. 우리는 이러한 현실적인 환경요건 중에서 생활하면 서 구강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의류 수선업에 종사하거나 세탁소 또는 패션산업에서 의류 수선업을 하는 작 업자들을 찾아 그들의 평소 구강상태와 수선시 입으로 실 뜯기 나 단추물기, 바늘을 입으로 무는 등의 환경에 노출된 사람들의 직업적인 환경이 구강에 미치는 영향 등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 해서 본 연구를 수행하게 되었다. 현재까지 선행연구에서는 일 반적인 전신건강에 관한 연구도 부족하거니와 특히 구강관련 연구는 거의 찾아볼 수 없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의류 수선업 에 종사하는 작업자들의 구강건강향상을 도모하여 건강한 삶의 질을 영위할 수 있도록 구강보건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그 실태를 조사하게 되었다. Ⅱ. 연구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2014년 4월 30일에서 5월 30일까지 울산, 부산에 거주하며 세탁업을 하거나 의류수선점 및 의류 리폼점을 운영하 는 종사자 600명을 대상으로 무작위 설문조사법으로 시행되었 다. 설문 문항은 일반사항 2문항(성별, 연령), 직업에 관련되는 7문항, 생활습관 6문항, 구강관련 문항 12문항으로 총 27문항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0 K for windows를 이용하 여 t검정, 상관분석과 분산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통계 적 유의수준은 0.05로 하였다. 설문지는 자기기입식과 오지 선다 형으로 응답하게 한 후 부적당한 응답지 48부를 제외한 나머지 552부를 분석하였다. 과 드라이크리닝(116병, 21%)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하루에 수선하는 옷들은 21~30벌(172명, 31%)이 가장 많았고 수선시 구강을 사용하는 경우(입으로 실을 뜯거나 바늘을 입 에 무는 행위 등)는 가끔(200명, 36%)이 가장 많았고, 작업장 청소는 매일한다(240명, 43%)가 가징 많았으며 작업장 환기는 6개월에 1번정도(188명, 34%)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1>. 2. 나이, 직업적 특성과 구강건강의 평균과 표준편차 연령은 평균 49.17세로 나타났으며, 총 수선경력은 9.48년, 하루평균 8.75시간을 일하며 간식먹는 횟수는 2.09번, 칫솔질 은 2.51번으로 나타났으며 DMFT는 평균 2.16개, 주관적인 건 강은 8.3점, 구강건조증은 8.5점으로 각각 나타났다<Table 2>. 3. 직업 특성들과 구강건강(DMFT, 주관적 구강건강, 구강 건조증)과의 상관관계 직업 특성과 주요 구강건강 요인들과의 상관분석의 결과, 칫솔질횟수는 간식섭취회수와 r=0.25로 유의미하였고, DMFT 와 하루평균 작업시간과는 r=0.11로 유의미하였고, 하루평균 칫솔질 횟수와는 r=0.17로 유의미하였고, 주관적 건강과 총수 선 경력과는 r=0.31로 유의미하였으며, 간식섭취횟수와는 r=0.12로 유의미하였고, DMFT와는 r=0.45로 유의미하게 나타 났으며, 구강건조증과 하루평균 작업시간과는 r=0.10로 유의 미하였고, 간식섭취횟수와는 r=0.14로 유의미하였고, DMFT 와는 r=0.24로 유의미하였고, 주관적 건강과는 r=0.47로 유의 미한 관계로 나타났다<Table 3>. 4. 성별과 흡연에 따른 구강건강 요인과의 ttest 성별과 흡연에 따른 구강건강 요인과의 t검정 결과 성별은 구강건조증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흡연은 주관적 구강건강과 구강건조증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Ⅲ. 연구결과 1. 성별과 직업적인 특성 본 연구 대상자의 성별로는 남자 가 316명(57%), 여자 는 236명(43%)으로 나타났고, 수선종류로는 옷 수선(280명, 51%) 5. 직업특성과 구강건강(DMFT, 주관적 구강건강, 구강건조 증)과의 분산분석 직업특성과 구강건강(DMFT, 주관적 구강건강, 구강건조증) 과의 ANOVA 결과에서는 믈을 포함한 음료수의 양만이 구강 건조증과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p>0.05) 나머지 변수 10
Actual State in Oral Health of the Clothing Repair Workers <Table 1> Sex and job characteristics Sex Kind of repairs No. of repair clothes per day No. of oral use per day No. of workroom cleaning per day No. workroom ventilation Smoke Drinking Favorite snacks Amount of beverages Oral discomfort Cope with discomfort Oral abrasion Classification Frequency % Men 316 43 Women 236 57 Drycleaning 116 21 Sewing 60 11 Clothes repairs 280 51 Laundry 60 11 Clothes reform 36 6 Below 10 140 25 11 ~ 20 108 20 21 ~ 30 172 31 31 ~ 40 100 18 Over 41 32 6 Never 128 23 Often 200 36 Moderate 120 22 Frequently 92 17 Always 12 2 Never 0 0 Often 48 9 Moderate 116 21 Frequently 148 27 Always 240 43 Never 12 2 1/1 year 88 16 1/ 6 months 188 34 1/ 3 months 152 28 1/ 1 month 112 20 No 248 45 Yes 304 55 No 128 23 1/1 month 84 15 1/2 weeks 104 19 1/1 week 124 23 3/1 week 112 20 Beverages(coffee, tea, soda, juice, etc) 340 62 Candies 28 5 Snacks 80 15 Flours 8 17 Never 4 1 2/1 day 140 25 3/1 day 228 41 5/1 day 120 22 Over 5/1 day 60 11 Never 220 40 Blood 44 8 Chilled 108 20 Fracture 56 10 Decayed 124 22 Endure 12 2 Use drug 80 15 Folk remedy 20 4 Neglect if not pain or clinic if pain 352 64 Instant clinic 88 16 Very discomfort 0 0 Discomfort 144 26 Moderate 240 44 Satisfy 128 23 Very Satisfy 40 7 11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ral Health Science Vol.2 No.1 October 2014 들은 모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Table 5>에서 유의하게 나타난 각 변수들에 대한 사후검 정(Scheffe)의 결과는 <Table 6>과 같다. 수선업무의 종류에 있어서는 드라이크리닝과 바느질이 DMFT, 구강건조증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고(p<0.05), 드 라이크리닝과 세탁은 구강건조증에서, 드라이크리닝과 옷수선 <Table 2> Mean and standard deviation for age, job characteristics and oral health Classification Mean(M) Standard deviation(sd) Age 49.17 7.00 Duration of total repairs 9.48 5.74 Working time per day 8.75 2.08 No. of eating snacks 2.09 1.02 No. of toothbrushing 2.51 0.67 Decayed tooth 1.36 1.48 Missed tooth 0.12 0.47 Filled tooth 1.13 1.45 DMFT 2.61 2.79 Subjective oral health 8.28 2.07 Drymouth 8.49 2.32 <Table 3> Correlation with job characteristics and oral health(dmft, subjective oral health, drymouth) 1 2 3 4 5 6 7 1. Duration of total repairs 1 2. Working time per day 1 3. No. of eating snacks 1 4. No. of toothbrushing 0.25** 1 5. DMFT 0.11** 0.17** 1 6. Subjective oral health 0.31** 0.12** 0.45** 1 7. Drymouth 0.10* 0.14** 0.24** 0.47** 1 ** p <0.01, * p <0.05 <Table 4> ttest for oral health(dmft, subjective oral health, mouthdryness) Independence Dependence DMFT (p) Subject oral health (p) Drymouth (p) Sex 0.34 0.15 Smoke 0.23 * p<0.05 <Table 5> ANOVA test for oral health factors and job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Dependent variable DMFT(p) Subjective oral health(p) Drymouth(p) Kind of repairs No. of repair clothes per day No. of oral use per day No. of workroom cleaning per day No. workroom ventilation Drinking Amount of beverages 0.98 Oral discomfort Oral abrasion * p <0.05 12
Actual State in Oral Health of the Clothing Repair Workers 에서는 주관적 구강건강과 구강건조증에서, 드라이크리닝과 옷리폼에서는 DMFT와 구강건조증이, 옷수선과 바느질에서는 DMFT만이, 옷수선과 세탁에서는 DMFT와 주관적 건강이, 옷 수선과 옷리폼은 DMFT만이 각각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하루에 수선하는 옷의 개수는 10벌이하와 20 여벌에서는 DMFT와 구강건조증이, 10벌이하와 40여벌에서는 <Table 6> Specific results in table 4(Scheffe post test) Kind of repairs No. of repair clothes per day No. of oral use per day No. of workroom cleaning per day No. workroom ventilation Amount of beverages Oral discomfort Oral abrasion * p <0.05 Classification Drycleaning Sewing Drycleaning Laundry Drycleaning Clothes repairs Drycleaning Clothes reform Clothes repairs Sewing Clothes repairs Laundry Clothes repairs Clothes reform Below 10 21 ~ 30 Below 10 41 ~ 50 11 ~ 20 21 ~ 30 11 ~ 20 31 ~ 40 21 ~ 30 31 ~ 40 21 ~ 30 41 ~ 50 Never Frequently Never Moderate Never Often Often Frequently Moderate Frequently Frequently Always Often Always Often Moderate Often Frequently Moderate Always Frequently Always 1/ 1 month 1/1 year 1/ 1 month 1/6 months 1/ 1 month 1/ 3 months 1/ 3 months 1/1 year 1/ 6 months 1/1 year 2/1 day 3/1 day 2/1 day 5/1 day 2/1 day over 5/1 day 3/1 day 5/1 day 3/1 day over 5/1 day 5/1 day over 5/1 day Never Blood Never Chilled Never Decayed Never Fracture Blood Chilled Blood Fracture Blood Decayed Chilled Fracture Decayed Fracture Discomfort Moderate Discomfort Satisfy Discomfort Very satisfy Moderate Satisfy Moderate Very satisfy Satisfy Very satisfy Dependent variable DMFT(p) Subjective oral health(p) Drymouth(p) 0.03* 0.03* 0.04* 0.03* 13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ral Health Science Vol.2 No.1 October 2014 DMFT만이, 10여벌과 20여벌에서는 구강건조증만이, 10여벌과 30여벌에서는 주관적 구강건강만이, 20여벌과 30여벌에서는 주관적 구강건강과 구강건조증이, 20여벌과 40여벌에서는 구 강건조증만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하루 중 구강을 이용하는 횟수에서는 전혀사용안함과 자주에 서 모두 유의하였고(p<0.05), 전혀사용안함과 보통 그리고 자 주사용에서는 구강건조증만이, 가끔사용과 자주 그리고 보통 과 자주사용에서는 모두 유의하였고(p<0.05), 자주와 항상사용 에서는 구강건조증만이 유의하게 나타났다(p<0.05). 하루중 작 업장 청소에서는 가끔과 항상에서는 주관적 구강건강만이, 가 끔과 보통 그리고 가끔과 자주에서는 구강건조증만이, 보통과 항상 그리고 자주와 항상에서는 주관적 구강건강과 구강건조 증이 유의하게 나타났다(p<0.05). 환기횟수에서는 1달에 1번과 1년에 1번 그리고 1달에 1번과 6개월에 1번에서 DMFT와 구강 건조증이, 1달에 1번과 3달에 1번에서는 구강건조증만이, 3달 에 1번과 1년에 1번에서는 DMFT만이 6개월에 1번과 1년에 1 번에서는 주관적 구강건강만이 유의하게 각각 나타났다 (p<0.05). 마시는 음료의 양에서는 1일에 2번과 1일에 3번 그리 고 1일에 2번과 1일에 5번 또한 1일에 2번과 1일에 5번이상에 서는 DMFT와 주관적 구강건강에서 모두 유의하였고(p<0.05), 1일에 3번과 1일에 5번 그리고 1일에 3번과 1일에 5번이상, 또 한 1일에 5번과 1일에 5번이상에서는 DMFT만이 유의한 것으 로 나타났다(p<0.05). 구강의 불편함에 있어서는 전혀없음과 출혈, 전혀없음과 시림, 전혀없음과 충치, 전혀없음과 파절에 서 대체적으로 DMFT와 주관적 구강건강과 구강건조증에 유 의한 것으로 나타났고(p<0.05), 출혈과 시림, 출혈과 파절 및 충 치에서는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고(p<0.05), 시림과 파절, 충치 과 파절에서는 구강건조증에만 유의하게 나타났다(p<0.05). 구 강마모증에서는 불편함과 보통, 불편함과 만족에서 모두 유의 하게 나타났고(p<0.05), 불편함과 매우만족, 보통과 만족, 보통 과 매우만족, 만족과 매우만족에서는 주관적 구강건강과 구강 건조증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Ⅳ. 고찰 구강상병이 발생하는 데에 작용하는 무수히 많은 요인을 크게 숙주요인과 환경요인 및 병원체요인의 세 가지 요인으 로 구분한다[10]. 환경요인을 제외한 숙주요인과 병원체요인 측면에서는 개인이 구강건강을 위해 치과를 방문하여 직접 그 원인을 치료하거나 치의학자들은 구강미생물들을 사멸하 기위해 여러 가지 연구들을 끊임없이 시행하고 있다. 환경적 측면에서는 그 개인이 속해있는 생활적 또는 직업적인 요인 들이 서로 달라 이에 대한 대책을 세우기가 매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직업적인 환경들 중 열악한 한경 속에서 의류세탁업을 하거나 의류수선업에 종사하는 작업자들의 환 경적인 측면들이 구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그 실 태를 파악하여 그들 작업자들이 구강건강에 힘쓸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조사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일부지 역에 한정된 작업자들을 대상으로 하였기에 전체 작업자들을 일반화하기가 어려운 제한점이 있지만 울산, 부산에 거주하며 세탁업을 하거나 의류수선점 및 의류 리폼점을 운영하는 종 사자 600명을 대상으로 무작위 설문조사법으로 시행되어 이 지역들에 한정되어 어느 정도 대표성을 유지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조사된 성별로는 남자 가 316명(57%), 여자 는 236 명(43%)으로 나타났고, 의류수선종류로는 옷 수선(280명, 51%)과 드라이크리닝(116병, 21%)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 다. 하루에 수선하는 옷들은 21~30벌(172명, 31%)이 가장 많 았고, 수선시 구강을 사용하는 경우(입으로 실을 뜯거나 바늘 을 입에 무는 행위 등)는 가끔사용(200명, 36%)이 가장 많았 고, 작업장 청소는 매일한다(240명, 43%)가 가징 많았으며, 작 업장 환기는 6개월에 1번정도(188명, 34%)가 가장 많은 것으 로 나타났다. 연령은 평균 49.17세로 나타났으며, 총 수선경력 은 9.48년, 하루평균 8.75시간을 일하며, 간식은 하루 2.1번, 칫 솔질은 2.5번으로 나타났으며 DMFT는 평균 2.16개, 주관적인 건강은 8.3점, 구강건조증은 8.5점으로 각각 나타났다. 직업적 특성과 주요 구강건강 요인들과의 상관분석의 결과로는 칫솔 질횟수는 간식섭취회수와 r=0.25로 유의미하였고, DMFT와 하 루평균 작업시간과는 r=0.11로 유의미하였고, 하루평균 칫솔 질 횟수와는 r=0.17로 유의미하였고, 주관적 건강과 총수선 경 력과는 r=0.31로 유의미하였으며, 간식섭취횟수와는 r=0.12로 유의미하였고, DMFT와는 r=0.45로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구강건조증과 하루평균 작업시간과는 r=0.10로 유의미하였고, 간식섭취횟수와는 r=0.14로 유의미하였고, DMFT와는 r=0.24 로 유의미하였고, 주관적 건강과는 r=0.47로 유의미한 관계로 나타났다. 이는 직업적 특성과 주요 구강건강 요인들과의 관 계가 골고루 DMFT, 주관적 구강건강, 구강건조증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과 흡연에 따른 구강건강 요인과 의 t검정 결과 성별은 구강건조증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 로 나타났고(p<0.05), 흡연은 주관적 구강건강과 구강건조증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p<0.05), 흡연은 몸에 좋지 않다는 인식과 구강을 건조하게 한다는 사실을 의미하는 것 으로 파악되었다. 직업특성과 구강건강(DMFT, 주관적 구강건 강, 구강건조증)과의 분산분석 결과에서는 음료수의 양만이 14
Actual State in Oral Health of the Clothing Repair Workers 구강건조증과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p>0.05) 나머지 변수들은 모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수선업무의 종류에 있어서는 드라이크리닝과 바느질이 DMFT, 구강건조 증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고(p<0.05), 드라이크리닝과 세 탁은 구강건조증에서, 드라이크리닝과 옷수선에서는 주관적 구강건강과 구강건조증에서, 드라이크리닝과 옷리폼에서는 DMFT와 구강건조증이, 옷수선과 바느질에서는 DMFT만이, 옷수선과 세탁에서는 DMFT와 주관적 건강이, 옷수선과 옷리 폼은 DMFT만이 각각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0.05). 수선의 종류는 드라이크리닝은 구강건조증과 유의한 차이를 많이 나타냈으며 옷 수선은 DMFT에 가장 많은 유의 한 차를 나타내어 직접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으 며, 하루에 수선하는 옷의 개수는 10벌이하와 20여벌에서는 DMFT와 구강건조증이, 10벌이하와 40여벌에서는 DMFT만이, 10여벌과 20여벌에서는 구강건조증만이, 10여벌과 30여벌에서 는 주관적 구강건강만이, 20여벌과 30여벌에서는 주관적 구강 건강과 구강건조증이, 20여벌과 40여벌에서는 구강건조증만 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하루 수선 갯수는 구 강건조증에 가장 많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구강건조증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p<0.05). 하루 중 구 강을 이용하는 횟수에서는 전혀사용안함과 자주에서 모두 유 의하였고(p<0.05), 전혀사용안함과 보통 그리고 자주사용에서 는 구강건조증만이, 가끔사용과 자주 그리고 보통과 자주사용 에서는 모두 유의하였고(p<0.05), 자주와 항상사용에서는 구강 건조증만이 유의하게 나타나 구강사용회수는 DMFT나 주관적 구강건강, 구강건조증에 많은 관계가 있으나 구강건조증에는 모두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p<0.05). 하루 중 작업장 청소에서는 가끔과 항상에서는 주관적 구강건강만 이, 가끔과 보통 그리고 가끔과 자주에서는 구강건조증만이, 보통과 항상 그리고 자주와 항상에서는 주관적 구강건강과 구강건조증이 유의하게 나타나 작업장 청소는 구강건조증에 가장 많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환기횟수에서는 1달에 1번과 1년에 1번 그리고 1달에 1번과 6개월에 1번에서 DMFT와 구강건조증이, 1달에 1번과 3달에 1번에서는 구강건 조증만이, 3달에 1번과 1년에 1번에서는 DMFT만이 6개월에 1번과 1년에 1번에서는 주관적 구강건강만이 유의하게 각각 나타나, 작업장 환기횟수는 DMFT와 구강건조증과 유의한 차 이를 나타내었다(p<0.05). 마시는 음료의 양에서는 1일에 2번 과 1일에 3번 그리고 1일에 2번과 1일에 5번 또한 1일에 2번 과 1일에 5번이상에서는 DMFT와 주관적 구강건강에서 모두 유의하였고(p<0.05), 1일에 3번과 1일에 5번 그리고 1일에 3번 과 1일에 5번이상, 또한 1일에 5번과 1일에 5번이상에서는 DMFT만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음료의 양은 DMFT에서 가 장많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구강의 불편함에 있어서는 전혀없음과 출혈, 전혀없음과 시림, 전혀없음과 충 치, 전혀없음과 파절에서 대체적으로 DMFT와 주관적 구강건 강과 구강건조증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p<0.05), 출혈과 시림, 출혈과 파절 및 충치에서는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고 (p<0.05), 시림과 파절, 충치과 파절에서는 구강건조증에만 유 의하게 나타났다(p<0.05). 구강불편사항은 DMFT, 주관적 구강 건강, 구강건조증 모두가 대체적으로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어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구강마모증에서는 불 편함과 보통, 불편함과 만족에서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고 (p<0.05), 불편함과 매우만족, 보통과 만족, 보통과 매우만족, 만족과 매우만족에서는 주관적 구강건강과 구강건조증과 밀 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Ⅴ. 결론 본 연구는 의류수선 작업자들의 구강상태 실태를 파악하고 자 부산, 울산에 거주하는 세탁업을 하거나 의류수선점 및 의 류 리폼점을 운영하는 종사자 552명을 대상으로 실태를 분석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성별에 따라서는 구강건조증에서, 흡연은 주관적 구강건 강과 구강건조증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2. 수선의 종류에 따라서는 DMFT와 구강건조증에서 세부 항목들간의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다(p<0.05). 3. 하루에 수선하는 옷의 양은 구강건조증의 세부항목에서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0.05). 4. 수선시 구강을 사용하는 경우는 모든 구강건강들이 유의 하게 나타났으나, 특히 구강건조증에서 밀접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5. 작업장 청소는 주관적 건강과 구강건조증에서 특히 유의 미한 관계가 많이 나타났고(p<0.05), 작업장 환기는 DMFT와 구강건조증에서 특히 유의미하게 나타났다(p<0.05) 6. 마시는 음료 양에 따른 차이는 DMFT와 주관적 구강건 강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p<0.05). 7. 구강불편사항은 모든 구강건강 항목에서 골고루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8. 구강마모증은 특히 주관적 구강건강과 구강건조증에서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15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ral Health Science Vol.2 No.1 October 2014 참고문헌 1. Yong HK, Choi KM: A Survey and Problems in Clothes Size Standard of Women s Dress. Research of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of Industry Development, Kyungbook college 5(1):299330, 1999. 2. Ahn YS: A Fashion Styling Study based on Recycling Fashion Design. master 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011. 3. Yoon SI: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Sustainable Fashion Industry and Consumer s Consumption Behavior. doctor s thesis, Dankuk University, Seoul, 2013. 4. Lee JS, Sung SK: A Survey on the Purchase and Repair of Jean Slacks Targeted of the Male and Female Students with in Age Group between 18 and 23. J. Kor. Soc. Cloth. Ind 5(2):153158, 2003. 5. Park JY, Lee YS, Choi YD, Choi HY, Cheon MJ, Han JH: Research on variety of Clothes Size through the Repairs trend Survey of Lady s Dress. J Life Sciences, Life sciences of Yonsei University 1(31):2730, 1998. 6. Ljungberg LY: Materials Selection and Design for Development of Sustainable Product. Materials and Design 28(2):466479, 2007. 7. Homer PM, Kahle LR: A Structural Equation Test of the ValueAttitudeBehavior Hierarch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4(4):638646, 1988. 8. Poortinga W, Steg L, Vlek C: Values, Environmental Concern, and Environmental Behavior. Environment and Behavior 36(1):7093, 2004 9. Niinimaki K.: Ecoclothing, Consumer Identity and Ideology. Sustainable Development 18(3):150162, 2010. 10. Kim JB, Choi YJ, Moon Hs, et al.: Public Oral Health. 4th ed. Komoonsa, Seoul, 2005.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