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Similar documents
DBPIA-NURIMEDIA

<C5D8BDBAC6AEBEF0BEEEC7D C1FD2E687770>

<30352DC0CCC7F6C8F B1B3292DBFACB1B8BCD2B1B3C1A42E687770>

본문01

134 25, 135 3, (Aloysius Pieris) ( r e a l i t y ) ( P o v e r t y ) ( r e l i g i o s i t y ) 1 ) 21, 21, 1) Aloysius Pieris, An Asian Theology of Li

,,,,,, ),,, (Euripides) 2),, (Seneca, LA) 3), 1) )

212 52,.,. 1),. (2007), (2009), (2010 ), Buzássyová, K.(1999), Bauer, L.(2001:36), Štekauer, P.(2001, 2002), Fernández-Domínguez(2009:88-91) (parole),

<33C2F DC5D8BDBAC6AEBEF0BEEEC7D02D3339C1FD2E687770>

272 石 堂 論 叢 49집 기꾼이 많이 확인된 결과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야기의 유형이 가족 담, 도깨비담, 동물담, 지명유래담 등으로 한정되어 있음도 확인하였 다. 전국적인 광포성을 보이는 이인담이나 저승담, 지혜담 등이 많이 조사되지 않은 점도 특징이다. 아울

< FC3D6C1BEBCF6C1A45FB1E2B5B6B1B3B1B3C0B0B3EDC3D E687770>

<B3EDB9AEC1FD5F3235C1FD2E687770>


<B3EDB9AEC1FD5F3235C1FD2E687770>

Coherence Relations in the Book of Jeremiah 30-33

27 2, * ** 3, 3,. B ,.,,,. 3,.,,,,..,. :,, : 2009/09/03 : 2009/09/21 : 2009/09/30 * ICAD (Institute for Children Ability

00시작(1-5)

#Ȳ¿ë¼®

11¹Ú´ö±Ô

íŁœêµŁìšŸ 목íı„ퟗ쉤욗 ê°’ìŁ‹íŁœ íŁŸë‡Ÿë‰Ÿ 욟 샓엱슒 촋쀒욗 ë‚fl 엤굒 ífl—뀋잗과 ê·¸ 쀆ìı©

3 한국심리학회지 : 발달 한국발달심리학회

<B1A4B0EDC8ABBAB8C7D0BAB8392D345F33C2F75F E687770>

< FB1B9BEEEB1B3C0B0BFACB1B C1FD5FC3D6C1BE2E687770>

<C1DF3320BCF6BEF7B0E8C8B9BCAD2E687770>

Output file

step 1-1

석사논문연구계획서

567돌 한글날 기념 누구나 알아야 할 한글 이야기 10+9

DBPIA-NURIMEDIA

권두 칼럼 쁜 활동과 끊임없이 따라다니는 질투와 감시의 눈길을 피해 스도의 부활을 목격했기 때문이었다. 다시 사신 그리스도를 예수께서 이 집에 오시면 언제나 정성이 가득 담긴 음식을 그들이 눈으로 보고 손으로 만져 보았는데 도무지 아니라고 대접받고 휴식을 취했던 것으로

歯M PDF

ePapyrus PDF Document

<31342D3034C0E5C7FDBFB52E687770>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24권6호-전체최종.hwp

<BEEEB9AEB7D0C3D13630C8A32836BFF93330C0CFBCF6C1A4292E687770>

232 도시행정학보 제25집 제4호 I.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사회가 다원화될수록 다양성과 복합성의 요소는 증가하게 된다. 도시의 발달은 사회의 다원 화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현대화된 도시는 경제, 사회, 정치 등이 복합적으로 연 계되어 있어 특

[ 영어영문학 ] 제 55 권 4 호 (2010) ( ) ( ) ( ) 1) Kyuchul Yoon, Ji-Yeon Oh & Sang-Cheol Ahn. Teaching English prosody through English poems with clon

<303220B0EDC7F5C1D82CC0AFBFACBBF32E687770>

00½ÃÀÛ 5š

±¹Á¦ÆòÈ�3±Ç-01~06,01~186š

Page 2 of 5 아니다 means to not be, and is therefore the opposite of 이다. While English simply turns words like to be or to exist negative by adding not,

300 구보학보 12집. 1),,.,,, TV,,.,,,,,,..,...,....,... (recall). 2) 1) 양웅, 김충현, 김태원, 광고표현 수사법에 따른 이해와 선호 효과: 브랜드 인지도와 의미고정의 영향을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18권 2호, 2007 여름

<C7D1B9CEC1B7BEEEB9AEC7D C3D6C1BE295F31392EB9E8C8A3B3B22E687770>

Output file

12È«±â¼±¿Ü339~3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searc

차 례... 박영목 **.,... * **.,., ,,,.,,

<30315FC0CCB5BFC1D65FC7D1B1B9BCBAB8C5B8C52E687770>

2 KHU 글로벌 기업법무 리뷰 제2권 제1호 또 내용적으로 중대한 위기를 맞이하게 되었고, 개인은 흡사 어항 속의 금붕어 와 같은 신세로 전락할 운명에 처해있다. 현대정보화 사회에서 개인의 사적 영역이 얼마나 침해되고 있는지 는 양 비디오 사건 과 같은 연예인들의 사


<30392EB9DAB0A1B6F72CC1A4B3B2BFEE2E687770>

<B1E2C8A3C7D0BFACB1B85FC1A63336C1FD2E687770>

_KF_Bulletin webcopy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3, pp DOI: * The Grounds and Cons

중국 상장회사의 경영지배구조에 관한 연구

JSRT ( ) ( ) ( ) (K. Barth) (Christological). (Christomonism).. (Christological-centric theology).. 1. (Calvin).., (reality), (realities). cf.,, ( :,

<31325F FB1E8B9CCC1A42CBFF8C0B1B0E62CB1E8B9CCC7F62E687770>

Main Title

10¿ÀÁ¤ÁØ


ÀÌÁÖÈñ.hwp

泰 東 古 典 硏 究 第 24 輯 이상적인 정치 사회의 구현 이라는 의미를 가지므로, 따라서 천인 합일론은 가장 적극적인 경세의 이론이 된다고 할 수 있다. 권근은 경서의 내용 중에서 현실 정치의 귀감으로 삼을 만한 천인합일의 원칙과 사례들을 발견하고, 이를 연구하여

歯kjmh2004v13n1.PDF

킹제임스 성경의 역사

< BBF3B9DDB1E228C6EDC1FD292E687770>

4번.hwp

<3031C8ABB5E6C7A52E687770>

<C1A63236B1C72031C8A328C6EDC1FDC1DF292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Educational Design


Microsoft Word - NEW08_prof. Ma

,......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3, pp DOI: NCS : * A Study on

철학탐구 1. 들어가는말,. (pathos),,..,.,.,,. (ethos), (logos) (enthymema). 1).... 1,,... (pistis). 2) 1) G. A. Kennedy, Aristotle on Rhetoric, 1356a(New York :


7-2.hwp

레이아웃 1

<B1E2C8B9BEC828BFCFBCBAC1F7C0FC29322E687770>

하나님의 선한 손의 도우심 이세상에서 가장 큰 축복은 하나님이 나와 함께 하시는 것입니다. 그 이 유는 하나님이 모든 축복의 근원이시기 때문입니다. 에스라서에 보면 하나님의 선한 손의 도우심이 함께 했던 사람의 이야기 가 나와 있는데 에스라 7장은 거듭해서 그 비결을

<BCF6BDC D31385FB0EDBCD3B5B5B7CEC8DEB0D4C5B8BFEEB5B5C0D4B1B8BBF3BFACB1B85FB1C7BFB5C0CE2E687770>

- 2 - <위기의 한반도> 한 반도는 몇 가지 측면에서 그 어느 때보다 위기 상황에 놓여 있다. 그 첫째는 이슬람이 계획적으로 한반도( 韓 半 島 ) 안으로 교묘하게 침투해서 기독교 를 위협하는 동시에 테러세력으로 나타나 분쟁을 일으키는 일이고 다른 하나는 북한의 위

성공회잡지 3호(3교).indd

<30312DC8ABBDC2C7E52E687770>

DBPIA-NURIMEDIA

27 2, 17-31, , * ** ***,. K 1 2 2,.,,,.,.,.,,.,. :,,, : 2009/08/19 : 2009/09/09 : 2009/09/30 * 2007 ** *** ( :

최승락(강의안).hwp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A study on Characte

Page 2 of 6 Here are the rules for conjugating Whether (or not) and If when using a Descriptive Verb. The only difference here from Action Verbs is wh

삼교-1-4.hwp

30이지은.hwp

<B9AEC8ADC4DCC5D9C3F7BFACB1B82D35C8A32833B1B3292E687770>

<B1E8BCF6C1A4BEC6BDC3BEC620BFA9BCBAC0C720B1B9C1A6B0E1C8A5BFA120B4EBC7D120B9CCB5F0BEEE20B4E3B7D02E687770>

2008º½È£2

06_ÀÌÀçÈÆ¿Ü0926

엔코위논문조귀삼

118 김정민 송신철 심규철 을 미치기 때문이다(강석진 등, 2000; 심규철 등, 2001; 윤치원 등, 2005; 하태경 등, 2004; Schibeci, 1983). 모둠 내에서 구성원들이 공동으 로 추구하는 학습 목표의 달성을 위하여 각자 맡은 역할에 따라 함께

<303720C7CFC1A4BCF86F6B2E687770>

Korean_TCTFC

ÁöÀú½º 50È£c04®¶ó„260³¸é

<302DC5EBC0CFB0FA20C6F2C8AD28BFCF292E687770>

< FC7D1BEE7B4EB2DB9FDC7D0B3EDC3D132382D332E687770>

Transcription:

74 성경원문연구 제20호 누가복음 2장 1-52절 번역을 위한 그리스어 담화분석 요소들 정제순* 1. 들어가는 말 이 글의 목적은 성경 번역에 요긴하게 사용되고 있는 학문인 언어학 중에서 담 화분석 방법이 번역에 어떻게 원용될 수 있는가를 누가복음 2장을 예로 들어 제 시하는 것이다. 독자들이 쉽게 이해하도록 담화분석과 번역에 관련된 기본 개념 들을 간략히 소개한 후에, 누가복음 2장 번역에서 발생하는 담화분석 요소들을 기술하고자 한다. 2. 텍스트에 대한 인식과 담화분석 인간은 의사소통을 하면서 살게 되어 있는데, 의사소통자들 사이에 존재하는 수많은 장애물들 때문에 사람들은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하는 데 어 려움을 겪는다. 서로 다른 세계관, 인식, 언어, 행동, 사회 구조, 심지어 전달 매체 에 의해서도 인간 상호간의 의사소통은 영향을 받는다. 더구나 언어와 문화가 전 혀 다른 상황 속에서 일어나는 의사소통에는 매우 많은 장애물들이 존재하고 있 다. 1) 번역은 서로 다른 언어와 문화적 차이를 극복하면서 이런 매우 다양한 장애 물들을 넘나들며 보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 법 중의 하나이다. 그 중에서도 가장 흔한 의사소통은 두말할 것 없이 말과 글을 사용하는 언어적 방법을 통한 것이다. 언어는 아주 정교하고 복잡하며 고도로 발달된 것으로 의사 소통에서 매우 중요한 도구 중의 하나이지만, 모든 것을 다 표현하지 못하는 특 성도 있다. 2) 결코 완벽치 못한 언어를 기호로 표현된 문자를 사용하여 실제 일어 * 한동대학교 통역번역대학원 교수, 응용언어번역학과, (사) 아시아 언어 문화 연구소 소장 1) 이 영역들을 어떻게 극복하고 서로 다른 문화 가운데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가를 잘 설명해 놓았 다. 다음의 책을 참조하라. David J. Hesselgrave, Communicating Christ Cross-Culturally: An Introduction to Missionary Communication, 2nd ed. (Grand Rapids: Zondervan Publishing House). 2) 현재 지구상에서 통용되고 있는 언어는 총 6,912개로 나타나 있다. 이 중에서 성경 전체 또는 일

누가복음 2장 1-52절 번역을 위한 그리스어 담화분석 요소들 / 정제순 75 난 의사소통 행위로 기록한 것을 협의의 의미로 텍스트 라고 한다. 3) 문서화된 텍스트는 비록 불완전해도 그것을 읽고 이해할 수 있는 사람에게 정확하고, 효율 적이며, 시공을 초월하여 반복적이고 반영구적으로 의사를 소통하는 특성을 가 지고 있다. 그러나 텍스트는 실제 일어난 언어적 행위를 모두 다 기록할 수는 없어서, 선 택되고, 재정리되고, 의도에 따라 재배열되기 때문에 기록되는 순간부터 중요한 그 무엇들이 생략된 채로 만들어진다. 구두로 의사소통을 해도 위에서 열거한 장 애로 불완전한데, 그보다 더 많이 손질이 된 기록된 텍스트를 통해 의사소통을 하는 행위는 출발부터 더 많은 불완전성을 지니고 있다. 그런데 텍스트는, 텍스 트를 읽는 사람들을 마치 실제 의사소통에 관련된 것처럼 간주하고, 텍스트에 있 는 정보를 바탕으로 심미적이고 논리적이고 이념적인 가치들로 의사소통을 하 기를 원한다. 케빈 밴후저(Kevin Vanhoozer)의 말을 빌리면, 텍스트는 적어도 세 가지 특징 이 복합적으로 구성된 의사소통 행위이다. 즉 의사소통 행위들이 사건을 통해 전 개되면서 드러내는 명제적 내용(propositional content)과, 의사소통의 의도와 목적 을 성취시키려는 행동들(perlocutionary act), 텍스트에 있는 것을 실행하도록 하는 화행능력(illocutionary force)이 그것이다. 4) 반면 하팀(Hatim)과 메이슨(Mason)은, 선택되고 재배열되고 의도에 따라 기록된 텍스트를, 수사학적인 기능을 바탕으 로 형성된 의사소통적이고(communicative) 화용론적이고(pragmatic) 기호학적인 (semiotics) 조합으로 보았다. 5) 이런 맥락에서 본다면 비록 텍스트가 의사소통의 제한성을 갖고 있어도 담화 의 전체적인 의미(the total meaning of discourse) 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6) 텍스 트의 불완전성 때문에 의사소통을 하고자 하는 텍스트의 의미를 어떻게 파악하 느냐? 라는 중요한 문제가 텍스트를 읽는 순간부터 발생하고, 텍스트 의미의 다 의성(polysemy)은 현실적인 문제가 된다. 그러나 텍스트의 의미가 무한정 다양 부가 번역된 언어가 2,377개로 나오며, 성경 번역이 진행되고 있는 언어는 1,640개이고 나머지는 말은 있으나 아직 문자화되지 않은 언어로 구별되고 있다. 자세한 정보는 Raymond Gordon Jr. ed., Ethnologue: Languages of the World, 15th ed. (Dallas: SIL International, 2005). 3) 의사소통에 필요한 모든 것을 텍스트라고 정의하는 광의적인 의미를 벗어나, 여기에서 텍스트라 고 할 때는 기록된 문서에 한정시킨 협의로 사용하였다. 이에 대한 자세한 논의는 다음의 책을 참조하라. Kevin J. Vanhoozer, Is There a Meaning in This Text? (Grand Rapids: Zondervan Publishing, 1998). 4) Kevin J. Vanhoozer, Is There a Meaning in This Text?, 228. 5) B. Hatim and I. Mason, Discourse and the Translators (New York: Longman, 1990). 이 책 전체가 이러한 요소들을 설명해 놓고 있다. 6) Je Soon Chung, Discourse Level Translation of Hebrew Poetry, Ph. D. Dissertation (Fuller Theological Seminary, 2003), 250.

76 성경원문연구 제20호 해지지는 않고, 대부분 어느 정도 구체화되기 마련이지만, 항상 그렇지는 않다. 7) 그래서 기록된 텍스트를 해석하여 의미를 파악하고 번역에 반영하는 과정은 과 학적 행위를 수반한 창의적 예술 활동처럼 보인다. 8) 의사소통 목적을 가진 텍스트의 어떤 문장도 그 전하고자 하는 의미를 문장에 있는 각 단어들의 사전적 의미의 합이라 할 수는 없다. 각 문장들은 언어학적인 통합체적(syntagmatic)이고 계열체적(paradigmatic) 기능과 역할들로 전체 텍스 트를 구성하고 있는 바, 이러한 기능들과 텍스트 내에서 드러내고자 하는 코텍스 트(cotext), 혹은 텍스트 수반적인 요소들과, 텍스트가 형성되었던 콘텍스트 (context)와의 관계 속에서 의미를 파악해야 한다. 9) 이와 같이 텍스트의 전체적 의미를 찾으려고 문장 이상의 영역들을 총체적으 로 다루는 언어학 분야를 바로 담화분석(discourse analysis), 혹은 텍스트 언어 학(textlinguistics) 이라고 한다(다음 항에서 조금 상술한다). 10) 이것을 토대로 보 그랑드(Beaugrande)와 드레슬러(Dressler)는 텍스트의 기능과 조정 원리를 토대 로 텍스트의 일곱 가지의 특성을 제시하였다. 11) 응집성(cohesion), 수미일관성 (coherence), 의도성(intentionality), 수용성(acceptability), 상황성(situationality), 7) 사전적 의미와 문장론에서의 의미에 관해서 번역과 관련되어 다음의 책에서 잘 설명해 놓았다. Jan de Waard and Eugene A. Nida, From One Language to Another: Functional Equivalent in Bible Translating (Nashville: Thomas Nelson Publishers, 1986), 121-181. 그 외 의미를 화용론적인 입장 에서 본 책은 알란 크루스, ꡔ언어의 의미: 의미, 화용론 개론ꡕ, 임지룡, 김동환 역(서울:태학사, 2001). 8) 번역 연구에 관해서는 예술 이냐 과학 이냐 라는 지위 상의 논쟁은 번역자의 입장에서 보면 우문처럼 보인다. 지극히 과학적인 방법론을 총동원하여 지극히 창조적인 예술품을 만들어야 하 는 것이다. 이는 번역을 조금이라도 해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겪고 느끼는 것이다. 비교, Roger Bell, Translation and Translating: Theory and Practice (London: Longman, 1991), 4. 9) Peter Cotterell and Max Turner, Linguistics and Biblical Interpretation (Downers Grove: Inter Varsity Press, 1989), 39. 이것의 이론적 근거는 브라운과 율레의 다음의 책이다. Gillian Brown and George Yule, Discourse Analysi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3). 10) 미국에서는 담화분석(discourse analysis) 혹은 담화문법(discourse grammar) 이라고 부르는 것을 유럽에서는 주로 텍스트 언어학(textlinguistics) 혹은 텍스트 과학(science du texte) 등 여러 가지 말로 부르지만, 황신자 교수가 지적한 대로 학계에서는 이 두 용어가 서로 호환되는 비슷한 의미로 쓰여 지고 있다. 황신자, 미국에서의 텍스트 언어학 동향, ꡔ텍스트 언어학ꡕ 3 (1995), 467. 반더머웨(Van der Merwe)는 텍스트에 대한 언어학적 분석의 전환점이 1970년대로 보고 있지만, 이미 담화(discourse)라는 말을 해리스가 자신의 논문인 Discourse Analysis: A Sample Text 에서 처음 쓰고 있다. 참조, Zellig S. Harris, Discourse Analysis: A Sample Text, Language 29 (1952), 1-30. 그 외에도 타 문화권에서 성경을 번역하는 선교사들이 전통적인 문 장 중심으로 번역하는 데 상당한 문제가 있었음을 경험하고 있어서 문장에서 문단, 혹은 그 이 상을 다루는 언어학의 필요성들을 절감하고 있었다. 참조, Chisto H. J. Van der Merwe, Discourse Linguistics and Biblical Hebrew Grammar, Robert D. Bergen ed., Biblical Hebrew and Discourse Linguistics (Dallas: Summer Institute of Linguistics, 1994), 13-49. 11) Robert de Beaugrande and Wolfgang Dressler, Introduction to Text Linguistics (London: Longman, 1981). 책 전체가 이 일곱 가지 주제를 하나씩 설명하면서 구성되어 있다.

누가복음 2장 1-52절 번역을 위한 그리스어 담화분석 요소들 / 정제순 77 정보 제공성(informativity), 상호텍스트성(intertexuality)이 그 특성들인데, 수용 성과 상황성은 사회 언어학적인 요소들과 상당 부분 겹쳐지나, 나머지들은 텍스 트 언어학적인 방법론과 직접 관련된 내용들이다. 12) 그 중에서 특히 텍스트에 쓰인 언어의 표면구조를 다루는 응집성(cohesion)과 텍스트 이면의 의미를 다루 는 수미일관성(coherence)이 담화분석에서 가장 많이 다루는 영역 중의 하나이 다. 그러면 이러한 요소들은 번역과 어떤 관계를 갖고 있는 것일까? 3. 성경 번역과 담화분석 20세기 중반 번역에 대한 기존의 인식을 뛰어넘어 텍스트와 콘텍스트와의 긴 밀한 교류를 주장했던 인류학자이자, 언어학자이며, 탁월한 의사소통자인 유진 나이다(Eugene Nida)는 번역을 원 메시지의 의미나, 문체를 등가적으로 재생산 하는 행위 13) 로 보았다. 번역이란 수용자의 관점에서 등가적으로 원활하게 의사 소통을 하기 위해 재생산하는 제반 행위인 것이다. 그리고 대부분 문자화되어 있 지 않은 지역에서 언어학 체계를 세우고 번역을 하는 SIL(Summer Institute of Linguistics) / WBT(Wycliffe Bible Translators)에서는 번역을 원 메시지를 가능 한 정확하고(correct), 자연스럽고(natural), 분명하게(clear) 재 진술하는 행위 로 이해하고 있다. 14) 여기에 한 가지를 더 보탠다면 수용자의 사회 언어학적 상황 에 더욱 중요성을 둔 수용성(acceptability)도 위 세 가지 변수 못지 않게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현장에서 성경을 번역하는 사람들로 구성된 이 두 단체의 정의를 보면 번역에 대한 정의를 대부분은 수용자의 사회 언어학적인 환경을 고려하여 언어학적 중 심의 번역과, 그 결과물(product)에 강조를 둔 것들이다. 그러나 텍스트와 콘텍스 12) 응집 은 텍스트의 표면구조인 언어학적인 문장론이나 문법구조를 통해 텍스트를 서로 잘 결 속되는 역할과 기능을 하고, 수미일관성 은 텍스트의 행간의 의미를 전달하는 의미론적인 영 역을 다루며 의도성 은 저자의 의사소통적인 의도와 목적과 태도와 관련되어 있고, 수용성 은 독자의 이해와 협력과 관련된 요소이며, 정보제공성 은 텍스트를 전개할 때 정보의 양에 관 한 조절과 방식, 신정보과 구정보와의 긴장관계과 흥미를 유도하는 요소이고, 상황성 은 텍스 트가 지칭하고 있는 사회적, 역사적, 문화적 상황을 다루고, 상호텍스트성 은 전체 텍스트 내 에서 상호 유기적 관계를 다루는 영역들이다. 13) Eugene Nida and Charles Taber, The Theory and Practice of Translation (Leiden: E. J. Brill, 1969), 12. SIL 소속의 비크만(Beekman)과 캘로우(Callow)도 이와 비슷하게 번역을 의사소통적 행 위 로 보았다. 14) John Beekman and ohn Callow, Translating the Word of God (Grand Rapids: Zondervan Publishing, 1974), 20; Katharine Barnwell, Bible Translation: An Introductory Course in Translation Principles, 3rd ed. (Dalls: SIL International, 1986), 8, 23.

78 성경원문연구 제20호 트의 사회언어학적인 상황을 고려하여 메시지의 등가를 유지하면서 언어학적으 로 전이하는 과정은 생각처럼 쉽게 선형적으로 창출되는 것이 아님을 번역을 조 금이라도 해 본 사람은 누구나 경험한다. 텍스트의 읽기에서부터 분석, 해석, 추 정, 이해, 의미 재구성, 그리고 상황에 맞게 전환하는 작업에 번역자 자신의 세계 관적인 가정과 전제들까지 혼합되어 새롭게 창출하는 과정인 것이다. 다른 말로 표현해 보면, 텍스트의 언어학적인 환경, 번역자의 지정의를 통한 통합, 분석하 는 가치 체계와 수용자의 사회 언어학적이고 문화적 환경 등이 고려되는 과정 속 에서 만들어지는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번역은 번역자가 언어와 문화적 변천 과정을 통해 원 의사소 통자가 원했던 것과 근본적으로 같은 의사소통을 재생산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원 텍스트를 기능적으로 해석하는 과정이다. 15) 여기 기능적으로 해석하는 과 정 에는 상호 유기적으로 관련된 다양한 학문들, 즉 언어학(기술언어학, 화용론, 담화분석), 문화인류학, 의사소통론, 선교학, 문학이론, 기호학 등등이 적절히 수 용되고 원용되어, 간학문적인(interdisciplinary) 특성을 지닌다. 또 의사소통 목 적으로 기술적(descriptive)이고 과정적인 활동을 통해 기능적으로 해석해서 나 온 모든 과정은 단순한 전이(transposition)나 변형(transformation) 차원을 넘어, 과학과 예술이 혼합된 재창조 행위와 다름없다. 또 번역은 이론상 원 언어와 대상 언어 모두를 완벽하게 구사하는 이중 언어 구사자들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그러나 어떤 언어든지 두 언어 를 언어학적으로 완벽하게 이해하고 구사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 게다 가 성경을 번역하는 사람들은 텍스트에 내재되어 있는 엄청난 시공을 고려하면 번역자가 반역자만 되지 않아도 매우 다행인 편이다. 그래서 번역(해석을 포함) 에서 언어적 능숙도(language competence) 못지않게 중요한 것은 언어에 대한 체 계적 이해와 분석을 하는 언어학적 능숙도(linguistic competence)이다. 16) 바로 그 창조적 예술 행위에서 언어학적 능숙도를 가지고 텍스트 분석에 기본적 으로 원용되고 활용되고 있는 분야가 20세기 중반부터 활발하고 심도 있게 다루고 있는 담화분석이다. 17) 담화에 대한 연구는 역사적으로 추정하여 보자면 고대 그리 스의 수사학까지 거슬러 올라가지만, 본격적인 발전은 20세기 후반에 접어들면서 담화나 혹은 담화적 도구인 언어와 언어 사용자 그리고 언어를 쓰고 있는 상황 (context)의 기능을 재인식하고자 하는 학문적인 발전과 도전으로 시작되었다. 15) Je Soon Chung, Discourse Level Translation of Hebrew Poetry, 248. 16) John Barton, Reading the Old Testament: Methods in Biblical Study, Revised ed. (Louisville: John Knox Press, 1996), 13-15. 17) 이하의 내용은 필자의 강의안을 참조하였다. Je Soon Chung, Analysing Text and Context, MT570/670, MK730 (Fuller Theological Seminary, 2004), 64-77.

누가복음 2장 1-52절 번역을 위한 그리스어 담화분석 요소들 / 정제순 79 연구하는 영역도 인간의 제반 영역인, 언어학, 사회학, 인지론, 심지어 인간의 종합 특성까지, 텍스트가 가지고 있는 복합적인 언어 행위 상황 모두를 포함한 다. 이와 관련된 학문들을 열거하여 보면 언어학(언어습득, 문맹퇴치, 화용론, 사 회언어학), 문학(문체, 시어, 연극, 기호학), 인류학(문화인류학, 민족지학, 타문 화 의사소통), 사회과학(역사, 교육, 사회학, 심리학, 정신과학, 정치학, 의사소통, 마르크스주의, 여성학 ), 컴퓨터 공학 등 인간 학문의 총체를 다 망라하는 영역 으로 확대할 수 있다. 20세기 중반까지 거의 대부분의 학자들은 언어를 의미나 정보의 교환, 의사소 통 도구로만 인식하고 있어서, 언어에 대한 연구를 주로 문장론(syntax)이나 의 미론(semantics) 연구에 국한하였다. 문장론에서는 표면적 언어 형태에 나타난 문법적 특성이나 형태론에, 의미론에서는 각각의 어휘가 갖는 사전적 의미에 관 한 연구가 성행하였다. 그러나 20세기 중반을 넘어서면서 언어의 의미나 정보 교환이 단순히 문장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문단이나 전체 텍스트에까지 영향 을 미쳐 기존의 문장 중심의 방법론으로는 많은 한계를 드러내게 되었다. 반더머 웨(Van der Merwe)는 이러한 불만족을 다음 세 가지로 요약하고 있다. 첫째, 언 어학 기술을 위해 보다 정확하고 잘 정의된 범주와 단계의 필요성, 둘째, 단어나 문장 중심의 전통적인 역사비평 주해의 부적절성, 셋째, 성경 번역에서 각 단어 의 사전적인 의미 중심에서 전체 발화(utterance)에서 전달하고자 하는 어의 (sense)로 방향전환 등이다. 18) 성경 번역과 담화분석을 논할 때 텍스트는 그 자체가 가지고 있는 언어학적인 기술(description) 그 이상이다. 과연 언어가 정보 전달을 위한 단순한 부호이고 도구적인 측면만 있는 것일까? 인간의 추론 과정 속에서 언어의 의미가 어떻게 형성되고 전달되는 것일까? 19) 라는 질문도 자연스럽게 하게 되었다. 여기에서 더 나아가 그 언어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속해 있는 사회 문화적 특성과 환경, 사 용자의 신분과 성별의 차이에서 언어의 다양성을 발견하게 되었다. 더구나 언어 사용자 개인이 가지고 있는 가치와 이념과도 연결되어 언어를 사 용할 때의 심리적 상태나 사회적 환경도 연구함에 따라 언어에 대한 기존의 개념 과 인식과 원리 등을 재조명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가 진행되었다. 필자 18) Chisto H. J. Van der Merwe, Discourse Linguistics and Biblical Hebrew Grammar, 13-49. 19) 의사소통 이론에서 아리스토텔레스에서부터 최근까지 사용된 선형적인 기호 모델을 벗어나 이 러한 추론과 유추 중심의 관련성 이론을 주창하였다. Dan Sperber and Deirdre Wilson, Relevance: Communication and Cognition, 2nd ed. (Oxford: Basil Blackwell, 1995). 이러한 이론 적 배경을 근거로 관련성 번역 이론을 제시하여 타문화권에서 성경 번역을 할 때 이 방법을 사 용하고 있다. Ernst-August Gutt, Translation and Relevance: Cognition and Context (Oxford, Basil Blackwell, 1991)과 Relevance Theory: A Guide to Successful Communication in Translation (Dallas: Summer Institute of Linguistics, 1992).

80 성경원문연구 제20호 의 제한된 지식으로는, 한글 성경의 번역의 질을 측정하는데 사용된 방법들은 특 정 어휘나 문장에서 일어날 수 있는 사전적 의미나 신학적인 논제들이 대부분으 로 이것은 번역 이론과 방법에 대한 오해에 나온 것으로 생각한다. 20) 그러나 신약성경을 자세히 보면 단순히 그런 논쟁 이상의 것들이 산재되어 있음을 본다. 문장 이상의 매크로 텍스트를 다루는 담화분석에서 중요하게 여 기는 연결사, 특히 신약의 de,와 kai,를 비롯하여 유표적(marked) 관사와 무표적 (unmarked) 관사를 수반한 지시 대상의 표현, 대명사의 용법들, 전체 텍스트 내에 서 동사 형태와 용법과 기능에 관한 다양한 이해, 주어나 목적어의 선택, 어순, 문 단 구분 등등 실로 문장론 이상의 요소들은 거의 논의가 되지 못했다. 21) 그래서 번역의 질을 토론할 때 이 영역에 속한 것들은 종종 대량으로 무시되어도 성경 번 역에서 최고의 전제로 삼아 왔던 그 일점일획 과는 무관하게 처리되어 왔다. 그러나 텍스트는 각각의 문장이 상호 유기적인 관계로 마치 DNA처럼 하나의 큰 스토리를 형성하면서 서로 엮어져 있어서 각 문장들의 연합과 조화와 흐름을 추적하여 의미를 파악해야 한다. 이것은 각 단어의 사전적이고 문장 중심의 문법 이해보다 훨씬 더 중요한 부분이다. 번역과 관련된 담화분석 내용 하나만 보아도 다양한 형태의 번역이 가능한 바, 수용자의 대상과 여건과 환경 등 사회 언어학적인 요소들까지 감안하면, 텍스트 를 충실하게 해석한 융통성 있고 다양한 번역은 오히려 당연하고 또 필요한 것이 라 하겠다. 아래에서 설명하고 있는 담화분석 번역 방법도 바로 이런 맥락에서 이해하는 것이 좋겠다. 4. 누가복음 2장의 담화분석 방법과 내용들 여기 소논문에서 사용했던 담화분석의 방법론은 아래와 같은 특성을 가진 다. 22) 첫째, 텍스트를 다룰 때 언어학적 구조와 관계만을 밝히고 기술하는 구조 20) ꡔ성경전서 표준새번역ꡕ(1993)이 출판된 후 얼마 지나지 않아 ꡔ표준새번역ꡕ 성경, 무엇이 문제 인가 라는 주제로 1993년 월간목회 5월 호부터 10월 호까지 총 6회에 걸쳐 민영진 박사와 고영 민 박사와의 지상 논쟁이 있었다. 이 논쟁을 읽어 보면 필자의 말에 어느 정도 공감을 할 것이 다. 21) Robert E. Longacre, The Grammar of Discourse, 2nd ed. (New York: Plenum Press, 1996), 1. 22) 신약 그리스어 담화 방법론과 내용에 관해서는 필자가 현재까지 몸담고 있는 SIL (Summer Institute of Linguistics)에서 동료로서 교류하고 함께 사역하고 있는 아래의 학자들의 책을 참조 하기 바란다. Terrance H. Borchard, Discourse Level Functional Equivalent Translation, Ph. D. Dissertation (Fuller Theological Seminary, 1991); Stephen H. Levinsohn, Discourse Features of New Testament Greek, 2nd ed. (Dallas: SIL International, 2000); Robert A. Dooley and Stephen H.

누가복음 2장 1-52절 번역을 위한 그리스어 담화분석 요소들 / 정제순 81 주의의 한계를 넘어 어떤 텍스트이든지 기록자나 편집자의 코텍스트(cotext)와 사회적 상황(context) 속에서 형성된 사용언어역(registers)이 있다고 본다. 둘째, 이런 이유로 담화분석은 화용론적(pragmatic)이고 기능적(functional)이다. 따라 서 어휘 선택이나 언어학적인 구조 등은 각각의 상황 속에서 갖는 기능이 있고, 기록자나 편집자가 동일한 방법으로 일관성 있게 텍스트를 구성하였음을 전제 한다. 셋째, 기존의 언어학자들의 발견과 창의적인 결과들을 사용하여 통합적으 로 재구성하는 총체적인 접근법을 취한다. 물론 성경의 텍스트 구성에 있어서는 사본상의 한계와 독특성 때문에 선택된 어휘나 문체의 차이나 변화들도 있을 수 있을 때는 언급을 하지만, 현재 어느 정도 일치를 본 사본을 택하여 연구를 한다. 여기에서는 편의상 UBS 제 4판을 텍스트로 사용한다. 23) 담화분석에 필요한 영역들은 학자들마다 강조하는 부분들이 조금씩 다르지만 대부분 다음의 영역들을 취급하고 있다. 장르(텍스트의 형태나 스타일을 파악), 수미일관성(coherence), 응집(cohesion), 주제의 연속성과 불연속성, 담화분석적 의미론, 전경 혹은 후경 정보(foreground or background information), 어순, 문장 구조, 연결사, 등장인물이나 지시 대상의 표현 등이다. 24) 물론 이러한 분석들도 기존의 문장론 중심의 별개의 문제가 아니라, 문장론 분석의 결과를 기반으로 주 로 문단 이상의 내용을 다루면서 전체 텍스트에서의 상호작용, 기능, 역할에 중 점을 둔다. 이런 방법론을 토대로 영어 역본들과 한글 성경 중 최근에 번역한 대 표적인 ꡔ개역개정판ꡕ과 ꡔ(표준)새번역ꡕ을 비교하면서 반영하기로 한다. 4.1. 텍스트의 구성 텍스트의 담화는 문화의 양식에 따라 관례적으로 형성된 독특한 이야기 골격 (story schema) 혹은 구성(plot) 에 조직화되어 있다. 25) 누가복음 2장 구성은 내 러티브 형식으로 되어 있다. 내러티브 텍스트의 구성은 대부분 타이틀 혹은 개 Levinsohn, Analyzing Discourse: A Manuel of Basic Concepts (Dallas: SIL International, 2001). 23) 네슬-알란트(Nestle-Aland) 27판도 거의 차이가 없어 어느 것으로 해도 여기에서 의도한 담화분 석에는 큰 차이가 나지 않는다. 24) 담화분석 연구에 큰 기여를 한 롱에이커의 방법론과 스티븐 레빈슨의 방법론이 서로 약간 달라 도 추구하는 목적은 비슷하다고 보아도 무방하다. 참조. 앞서 열거한 Robert E Longacre, The Grammar of Discourse와 Robert A. Dooley and Stephen H. Levinsohn, Analyzing Discourse: A Manuel of Basic Concepts의 책을 비교해 보라. 25) William F. Brewer, The Story Schema: Universal and Culture-specific Properties, David R. Olson, Nancy Torrence, and Angela Hildyard ed., Literacy, Langauge, and Learning: The Nature and Consequences of Reading and Writing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5), 167-194.

82 성경원문연구 제20호 요, 시작 혹은 도입부, 사건 진행과 복잡, 평가, 결과 및 해결, 클라이맥스, 종결 부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26) 내러티브는 자신만이 갖고 있는 독특한 언어학적 인 특성을 공유하고 있다. 27) 등장인물들이 시공간의 흐름 속에서 사건을 중심으 로 내용이 전개되면서, 전하고자 하는 분명한 메시지를 해결성(복잡과 해결), 인 과성(원인과 결과), 의지성(텍스트의 목적)을 통해 드러낸다. 28) 예수 탄생부터 12년 사이에 일어난 사건을 다룬 누가복음 2장도 이와 비슷한 구성을 밟고 있다. 탄생과 관련된 주변 배경 설명으로 시작하여, 아기 예수에 대 한 천상과 지상의 반응, 예수의 이름(정체성)이 부여, 시므온과 안나의 증언, 아 기 예수의 성장(육체, 지혜, 사랑), 성전에서의 증거, 그리고 종결로 이어진다. 또 내러티브는 시공을 통해 사건이 진행되면서 흔히 대화체나, 강해, 권면, 시 적인 표현들이 자연스럽게 삽입된다. 누가복음 2장도 천사, 목자, 시므온, 안나, 예수, 예수의 부모의 대화가 다양한 환경 속에서 삽입되었고, 시므온의 찬송시 (2:29-32)와 예언적인 언급이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요약적인 언급들(2:40, 52) 도 전체 텍스트의 구성과 주제를 드러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기능과 역할들이 다음 항에서 설명하는 각각의 문단과의 상호 작용을 통해 드러 내고 있다. 26) 원래 내러티브 는 1970년 후반부터 역사비평의 한계를 지적하면서 언어 문학적인 특성을 살 려 출발한 문학비평의 한 방법론이다. 내러티브에 관해 더 알고 싶으면 다음의 글을 참고하라. David M. Gunn, Narrative Criticism, Steven L. McKenzie and Stephen R. Hayness revised and expanded ed., To Each Its Own Meaning: Biblical Criticisms and Their Application (Louisvill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1999), 201-229; M. A. Powell, What is Narrative Criticism? (Minneapolis: Fortress, 1990); Michael Goldberg, Theology and Narrative (Nashville: Abingdon, 1981); Meir Sternberg, The Poetics of Biblical Narrative: Ideological Literature and the Drama of Reading (Bloomington: University of Indiana Press, 1985); J. P. Fokkelman, Reading Biblical Narrative: An Introductory Guide, Ineke Smit trans. (Louisvill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1999; org. ed., 1995). 27) 장르에 관해 롱에이커는 특히 관념적인 형식(notional type)이라고 불렀으며 우발적이고 시간적 연속성 과 동작주( 動 作 主, agent)의 지향성 에 따라 내러티브(Narrative), 절차식(Procedural), 행 동(Behaviroral), 강해(Expository)의 네 가지 범주로 구분하였다. Robert Longacre, The Grammar of Discourse, 8-9. 이 장르가 텍스트 전체로 보기보다는 의미를 전달하는 최소 단위를 문단 단위 로 구분하여 권면(hortatory), 강해(expository), 절차(procedure), 내러티브(narrative), 기술 (descriptive)로 나누는 방법도 있다. 비교, Suzanne Eggins and J. R. Martin, Genres and Registers of Discourse, Teun A. van Dijk ed., Discourse Studies: A Multidisciplinary Introduction (London: Sage, 1997), 230-256. 28) John Tuggy, Semantic Paragraph Patterns: A Fundamental Communication Concept and Interpretative Tool, David Alan Black, Katharine Barnwell and Stephen Levinson, eds., Linguistics and New Testament Interpretation: Essays on Discourse Analysis (Nashville: Broadman Press, 1992), 49-50.

누가복음 2장 1-52절 번역을 위한 그리스어 담화분석 요소들 / 정제순 83 4.2. 문단 구분을 위한 표식들 텍스트는 텍스트의 흐름에 따라 다양한 주제들을 표출하고, 그것들이 서로 연 결되면서 의사소통 목적을 드러낸다. 전체 텍스트를 하나의 단위(unit)로 구분하 는 데 사용되는 기본적인 준거는 그 단위 내에서 하나의 일관된 주제를 다루고 있느냐 없느냐이다. 29) 흔히들 언어학적인 표면 구조의 특성들은 이러한 의미론 적 주제에 따라 단위를 구분하는 증거 자료로 사용할 수 있지만, 그것만 가지고 서 텍스트의 단위를 구분할 수는 없다. 그렇다면 어떤 기준을 가지고 큰 텍스트를 적절하게 문단으로 나누어야 하는 가? 내러티브 텍스트를 우리가 읽거나 들을 때 어떤 부분에서는 우리의 정신적 인 흐름이 멈춰지거나, 방해받거나, 변천을 겪게 되는 것을 경험한다. 예를 들면 장면의 전환, 시간적 변천, 등장인물의 변화, 사건의 변천 등이 우리의 지적 활동 에도 변화를 주게 되는 것이다. 30) 이러한 것을 기본(Givón)은 텍스트의 한 단위로 간주하는 주제적 연속성 (thematic continuity)과 중요한 변화를 드러내는 주제적 불연속성(thematic discontinuity)으로 나누고, 다시 시간, 장소, 행동, 등장인물 등 네 개의 차원으로 연속과 불연속을 설명하였다. 31) 즉 연속과 불연속은 이탈점(points of departure) 의 유무와 정도의 차이(degree)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면 시간 은 근소한 시 간적 경과가 있을 경우에는 연속으로, 큰 시간적 경과나 혹은 순서에서 벗어난 사건이 있을 경우에는 불연속으로 간주하였다. 장소 도 같은 장소나 일련의 사 건의 자연스러운 움직임이 있을 경우에는 연속성을 유지한 것으로, 현격한 장소 의 변화가 있을 경우에는 불연속성을 유지한 것으로 본다. 동작(action) 도 같은 형태의 대화나 사건과 연관되면 연속, 변화와 연관되면 불연속, 그리고 등장인 물 도 같은 인물에 관해 집중되면 연속, 그렇지 못할 경우는 불연속성으로 표현 하였다. 내러티브에서는 이 네 가지 이유 중에서 하나라도 현격한 차이를 드러낼 때 새 로운 주제를 표현하는 것으로 인식되어 새로운 문단으로 처리하는 것이 상례이 고, 이 중에서 가장 우선적인 구분 기준은 내러티브 특성상 시간의 변천이다. 물 론 텍스트 내에서 일관된 주제(coherent theme)를 가지고 어느 부분에서 이 흐름 29) R. S. Tomlin, Coherence and Grouping in Discourse (Philadelphia: Benjamins, 1987), 458; John Beekman and John C. Callow, Translating the Word of God, 279. 30) Wallace L Chafe, Cognitive Constraints on Information Flow, Russell S. Tomlin ed., Coherence and Grounding in Discourse (Amsterdam: John Benjamins, 1987), 43. 31) Talmy Givón, Syntax: A Functional-Typological Introduction, 2 (Amsterdam: Benjamins, 1984), 245.

84 성경원문연구 제20호 이 끊어지고 새로운 문단이 시작되는지는 텍스트의 특성상 논리적으로 항상 정 확하게 구분되는 것이 아니다. 그래서 존 비크만(John Beekman)과 존 캘로우(John Callow)는 텍스트의 단위 를 세분화시키는 언어학적 증거들을 다음과 같이 열거하였다. 예를 들면 연결 사, de, dio, kai, ou=n, to,te 등, 내러티브에서 시간과 장소의 변화, 요약적인 말들 (마 7:28; 11:1; 13:53; 19:1; 26:1), 새로운 주제나 에피소드를 소개하는 수사학적 인 질문들, 호격의 사용, 등장인물의 변화, 동사의 시제-양태(aspect)의 변화 등이 다. 32) 이것을 스티븐 레빈슨(Steven Levinshon)은 좀 더 분명하게 정리하여 다음의 요소들을 문단을 나누는 데 사용하는 언어학적 장치들로 보았다. 33) 간략하게 보 면 연결사와 기능, 시공의 변화, 요약 기술, 교차대구 구조(chiastic structure), 수 미쌍관(inclusio) 기능, 수사 의문문(rhetorical questions), 명사구를 사용한 등장인 물 지시, 호격, 배역의 역할과 기능, 동사 시제-양태 혹은 법과 인칭의 변화 등이 다. 물론 언어학적 증거들이 아무리 많아도 문단 구분에 대한 논란의 여지는 항 상 남지만, 34) 이러한 장치들을 충분한 증거로서 제시할 때 텍스트 구분에 대한 언어학적 일관성을 지킬 수 있고, 이러한 일관성이 번역에 큰 기여를 함은 두말 할 나위가 없다. 여기서는 위에 열거한 장치들 중에서 누가복음 2장 문단 구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언어학적 장치들을 중심으로 기술해 본다. 4.3. 연결사의 기능 신약 성경 번역에서 번역하기가 매우 불명확하고, 모호하여, 일관성을 지키기 가 어려운 것 중의 하나가 연결사 de,와 kai,의 용례와 그 역할이 아니겠나 싶다. 탁월한 문법학자들도, 이 두 개의 연결사가 사용된 문장들을 살펴보면 상황에 따 라 달라지지만, 모두가 연결, 반어, 강조 등으로 번역될 수 있다고 지적하 32) John Beekman and John Callow, Translating the Word of God, 279-280. 33) Steven H. Levinshon, Discourse Features of New Testament Greek, 275-280. 34) 한 예로 한글 성경에서 사용된 문단 구분 표시인 관주 를 기준으로 누가복음 하나만 보아 도, ꡔ개역개정ꡕ과 ꡔ새번역ꡕ에서 24군데 이상의 차이가 난다. 참고로, 1:57-58; 1:39-40; 6:37; 7:1-2; 8:11; 8:43; 9:21; 10:13; 10:23; 11:42; 12:8; 12:32; 12:57; 14:34; 17:7; 18:28; 20:19; 21:7; 21:10; 21:25; 22:31; 23:6-8; 23:32; 24:27. 반면, GNT 4 과 NTG 27 를 문단 들여쓰기를 중심으로 차 이를 비교해 보면 50곳 이상에서 문단 구분의 차이가 드러난다. 이것은 문단에 대한 개념을 어 디에 둘 것이냐에 대한 생각의 차이에서 비롯하므로 그 간격은 더 커질 수밖에 없는 것이다. 참 고로, 1:8; 1:56; 3:10; 4:33; 4:40; 4:42; 5:4; 5:36; 6:27; 6:31; 6:37; 6:39; 6:41; 7:24; 7:29; 8:18; 8:32; 9:12; 9:21; 9:23; 10:16; 10:30; 11:33; 11:53; 12:10-11; 12:16; 12:34; 12:47; 14:16; 12:28; 16:16; 17:3-4; 17:11-12; 17:22; 11:29; 20:18-19; 20:34; 21:10; 22:21; 22:52; 23:8; 23:18; 23:24; 23:32; 23:49; 24:9; 24:27; 24:52.

누가복음 2장 1-52절 번역을 위한 그리스어 담화분석 요소들 / 정제순 85 였다. 35) 이 연결사는 구약 성경에서 연결사 와우(w)와 거의 흡사하게 보이지만, 내러티브 텍스트 전개의 흐름뿐 아니라, 텍스트 전체의 수미일관성(coherence) 과 응집성(coherence)과 아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중요한 단어임을 최근 에 잘 설명하고 있다. 36) 예를 들면 누가복음이나 사도행전에서 de,의 기본적 기능은 텍스트를 전개하 는 상황에서 저자 목적을 드러내는 상황 속에서 새로운 단계나 발전을 묘사하거 나, 새로운 에피소드 소개, 앞서 전개한 내용과 구별을 요할 때 드러내기 위하거 나, 에피소드 종결이나 반응을 묘사할 때 사용된다. 반면 kai,는 문장 속에서 변별 이 필요한 내용이 있을 때 사용되거나, 일관된 등장인물이나 주어가 사건 속에서 진행될 때, 다음 장면의 배경 설명에 주로 사용한다. 37) 이런 배경을 가지고 누가복음 2장을 전체적으로 조명해 보면, 연결사 de,는 1, 3, 6, 17, 19, 40, 44, 47절에 사용하였다. 38) 반면에 kai,는 앞선 문장이 종결될 경우 에 그 다음 구절은 거의 예외 없이 초두에 사용되었다. 이런 표면적인 언어학적 장치만 가지고도 누가복음에서 kai,의 기능은 일종의 기본(default) 값임을 알 수 있다. 대신 de,는 누가복음 1-4장에 걸쳐 새로운 주제를 설정하는 일종의 중요한 전환점에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39) 이런 내용을 토대로 de,의 기능이 저자의 주제적 발전(thematic development)을 드러내는 의도가 담긴 것이라면 누가복음 2장의 첫째 단락으로 구분된 2:1-7 (대부분의 역본)에서 구성된 세 하위 문단의 구분은 더욱 명확해진다. 즉 첫 하 위 문단인 2:1-3에서 누가복음의 전체 텍스트에서 가장 중요한 등장인물인 예 35) N. Turner, A Grammar of New Testament Greek: Syntax, 3. J. H. Moulton, ed. (Edinburgh: T & T. Clark, 1963), 331; M. E. Thrall, Greek Particles in the New Testament: Linguistics and Exegetical Studies (Leiden: E. J. Brill, 1962), 51; Stanley E. Porter, Idioms of the Greek New Testament (Sheffield: JSOT Press, 1992), 208, 211. 예를 들면, kai,는 주로 그리고(and) 로 번역하거나 생략 하는 것이 통례이나, 로마서 1:13에서는 그리고 보다는 그러나 가 확실히 더 어울리고, 마찬 가지로 de,도 주로 그러나 로 번역하나, 사도행전 5:10에서는 그리고 가 더 바람직하다. Steven H. Levinshon, Discourse Features of New Testament Greek, 72. de,는 첨가 사항을 나타낼 때 사용되기도 하고 새로운 주제로 전환할 때 사용한다고 개략적으로 예시하기도 하였다. Daniel B Wallace, Greek Grammar Beyond the Basic: An Exegetical Syntax of the New Testament (Grand Rapids: Zondervan Publishing House, 1996), 671, 674. 36) 여기 있는 내용은 Steven Levinshon, Discourse Features of New Testament, 72-111에 있는 내용 에서 많은 도움을 받았다. 37) Ibid. 물론 이 연결사의 기능은 다른 복음서나 서신서에서도 그 기능과 역할이 다르게 나타난다. 왜냐하면 언어학적인 기능과 장치들은 사람들이 공유하는 관례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을지라 도, 그 텍스트를 누가 언제, 어떻게, 어떤 상황에서, 어떤 목적을 가지고 전개하느냐에 따라 텍 스트 내에서의 기능과 역할의 차이를 드러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38) 사본상의 문제를 고려하면 35절에 한 번 더 나온다. 참조, GNT 4. 39) 1장에서의 de,의 출현은 1:8, 24, 26, 39, 56, 80이고, 3장에서는 3:1, 15, 21, 그리고 4:1로 이어진 다.

86 성경원문연구 제20호 수를 소개한다. 이를 위해 1장과의 전환을 의미하는 연결사 de,와 누가복음의 전 형적인 배경 정보(background information) 표현법인 evge,neto를 2:1에 표현하였 다. 2:1에 나오는 첫 시작 문장인 그 때(evn tai/j h`me,raij evkei,naij) 는 새로운 에피 소드를 소개할 때 쓰는 누가의 매우 흔한 표현법인 40) 동시에 주로 배경 정보를 소개하면서 에피소드 내에서 변천을 표시할 때 쓰는 언어학적 장치이다. 41) 이 표현은 앞선 에피소드를 지칭하는 일종의 연결사 기능도 하면서 앞선 에피소드 와는 또 다른 이탈점(point of departure)을 표시하여 시공 혹은 등장인물이나 사 건이 달라지는 것을 암시하는 표현이다. 두 번째 하위 단위인 2:4-5의 첫 연결사인 de,도 2:1-3에 나타난 등장인물이 2장 전체의 주인공인 요셉과 마리아(이들로 인한 예수)로 초점이 옮겨져 가는 중요 한 주제의 발전을 드러내고 있다. 그 주제의 발전이란 앞의 에피소드와의 관계에 서 볼 때 일반적인 배경에서 구체적인 배경으로 옮기면서 배경 정보에서 주된 등 장인물로 변천된 것을 의미한다. 이런 이유로 연결사 kai, 대신에 de,로 연결한 것 이다. 영어 역본이나 한글 역본이나 이 부분의 연결 고리는 그리 큰 문제를 일으 키지 않는다. 단지 NIV가 결과를 지칭하는 연결사 So 를 첨가하여 앞 부분과의 인과 관계를 더 드러낸 것이 두드러질 뿐이다. 세 번째 하위 단위인 2:6-7 시작도 앞으로 나타날 중요한 전경 정보(foreground information)에 대한 배경 정보로 중요한 전환점에서 표시하는 evge,neto로 시작하 고 있다. 부사절은 예수 탄생에 관한 배경 정보를 표시하면서 중요한 등장인물의 변천과 주제의 변천을 나타내는 연결사 de,가 다시 사용되고 있다. 언어 표면 구 조적으로도 2:1과 2:6은 같은 evge,neto de. evn 로 시작하여 대칭을 이루어 2:1-7 까지의 문단 구분에 많은 언어학적 장치들을 증거로 내세울 수 있다. 2:8에서부터 시작되는 새로운 문단에서 흥미로운 사실은 8-16절까지 연결사 de,를 전혀 사용하고 있지 않은 점이다. 기본(Givón)이 말하는 이탈점들이 8, 9, 10, 13, 15, 16절에서 주어의 변화와 시공의 변화가 있어도 전부 연결사 kai,를 사 용하고 있다. 저자의 관점에서 보면 2장 전체의 주인공인 요셉, 마리아, 예수의 이야기에서 곁으로 벗어나 다른 이야기를 소개한 것이어도, 어디까지나 이 에피 40) evge,neto de. evn tai/j h`me,raij라는 표현은 누가복음에서 두 번 나온다. 여기와 누가복음 6:12이 다. 그러나 그 때 의 시간적 차이는 매우 다르다. 반면 evge,neto de.는 누가복음-사도행전에서 만 나오는(총 37번) 누가의 전형적 표현법 중의 하나이며 누가복음에서만 17번이 나온다. 하워 드 마샬(Howard Marshall)도 이 표현법을 소개하는 구(phrase) 로 잘 묘사하였다. Howard, I. Marshall, Comment- ary on Luke (Grand Rapids: William Eerdmans Publishing Companay, 1978), 98. 41) B. M. Newman and Eugene A. Nida, A Translator's Handbook on the Acts of the Apostles (London: United Bible Societies, 1972), 93.

누가복음 2장 1-52절 번역을 위한 그리스어 담화분석 요소들 / 정제순 87 소드는 전체 주인공인 아기 예수에 대한 이야기를 더 심도 있게 다룬 것에 불과 하다. 반면 17절과 19절에 연결사 de,의 기능은 서로 약간 다르다. 17절은 주인공 아 기 예수로 초점이 다시 돌아가서 주제의 전개에 회귀적 기능이 있다면 19절의 연결사 de,는 다시 2장 전체에서 중요한 주인공 역할을 하는 마리아에 더욱 초점 을 두어 18절에 있는 일반 사람들과의 반응과 현격한 차이가 있음을 드러내는 저자의 의도적 표현으로 보아도 무방하다. 이러한 대조는 18절과 19절에 쓰여 진 동사 형태에서도 잘 나타나고 있다. 즉 신약 그리스어의 기본 값이자 배경 정 보에 사용된 부정과거(aorist)인 놀랍게 여기되(evqau,masan) 와는 대조적으로 19 절 마음에 새기어(suneth,rei) 는 미완료(imperfect) 형으로 사용하여, 등장인물 들의 대조적인 행동을 그린 것이다. 42) 20절에 다시 주어가 목자들로 바뀌지만, 같은 장소에서 같은 시간대에 일어나는 것을 한데 묶은 에피소드임을 강조하고 있다. 21절과 22절은 언어학적 표면 구조를 보면 매우 흡사한 구조로 시작하고 있 다. 21절과 22절 모두 누가복음에서 익숙한 연결사 kai... o[te로 시작하여 kai. o[te evplh,sqhsan (ai`) h`me,rai tou/ 라는 구조를 갖고 있는데, 모두 시간 종속절을 가지 고 있어서 가 차매 라는 형태를 띠고 있다. 할례 받는 것 자체에 신학적 의미 를 두기보다 오히려 예수라는 이름의 부여가 전체 텍스트 속에서 일정한 일관성 을 가지고 주제를 더 드러내고 있다고 보는 것은 바람직하다. 43) 그러나 1:59에 나타난 세례 요한의 세례 의식과 비교를 통해 이 부분도 서로 비교되는 평행법으 로 다루어 새로운 문단으로 취급해야 한다는 것은 사실 텍스트 구조상으로는 그 리 큰 설득력이 없다. 44) 21절과 22절이 같은 그리스어 표현을 반복하여 구조적인 유사성을 가지고 있 어도, 20-22절까지의 시공의 이탈점(point of departure)이 분명하게 명시되어 문 단 구분에는 큰 이의가 없다. 반복적인 언어학적 유사성을 번역에서 지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어역본에 서도 대부분 여드레가 차는 것 에 포커스를 두어 번역 구조상에 이런 형태를 21 절과 22절 모두 견지하고 있다. 그러나 NIV는 21절을 On the eight day 를 문장 42) Darrell L. Bock, Luke Vol 1:1.1-9.50 (Grand Rapids: Baker Books, 1996), 222. 동사 시상과 의미 론적 관계에서 가장 강하게 어필하는 것은 (과거) 완료형(perfective forms)이고, 그 다음이 현재 나 미완료형이며, 가장 약한 것이 부정과거이다. 다음을 참조하라. Stanley E. Porter, Idioms of the Greek New Testament (Sheffield: Sheffield Academic Press, 1992), 1-49. 43) 천사의 약속인 1:31-35와 스가랴의 신실한 반응인 1:57-66을 보라. 참조 Darrell, L. Bock, Luke, vol. 1: 1.1-9.50, 225; Howard Marshall, The Gospel of Luke, 115. 44) Ibid., 224. 이 부분에 대하여, ꡔ개정개역ꡕ은 1:57부터 새로운 문단으로 처리하였고, ꡔ새번역ꡕ은 1:57-58을 하나의 독립 문단으로, 그리고 1:59부터는 또 새로운 문단으로 취급하였다.

88 성경원문연구 제20호 초두에 둠으로 팔 일째 되는 날 에 더 포커스(focus)를 두었는데 22절에는 이와 는 다르게 차는 것, evplh,sqhsan 에 강조를 두어 번역하였다. 한글 성경은 처음의 포커스 받는 부분이 21절 여드레가 차서(ꡔ새번역ꡕ) 와 할례할 팔 일이 되매 (ꡔ개역개정ꡕ) 라고 하여 여드레 와 할례할 팔 일 과 다른 강조점을 두었지만, 구조적으로 ꡔ새번역ꡕ은 차서(21, 22절), ꡔ개역개정ꡕ은 되매(21절) 과 차매 (22절) 로 하여 모두가 차는 것, evplh,sqhsan 에 포커스를 두어 번역하였다. 25절 초두에 사용된 kai. ivdou, 는 새로운 에피소드에서 새로운 등장인물 소개 때 흔히 사용되는 표현이다. 45) 그리고 25절과 33절에 사용된 3인칭 단수 직설 법 미완료 인 h=n도 새롭게 소개되는 배경 설명을 진술할 때 쓰이는 전형적인 표 현 중의 하나라서, 46) 새로운 세부 문단으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비교, ꡔ개 역개정ꡕ). 25절을 영어역본 중 NRS, NIV, NLT는 서두에 모두 Now 라는 시간적 흐름 속에서 새로운 등장인물을 소개하면서 포커스를 받게 하여 그리스어 ivdou, 를 적절히 살린 경우라고 하겠다. 그러나 NAS는 And there was a man 이라고 하여 전혀 스포트라이트를 받지 않고 평범하게 소개하고 있다. ꡔ개역개정ꡕ도 NAS와 비슷하게 아무런 포커스 없이 평범하게 소개한 반면, ꡔ새번역ꡕ은 그런데 마침 이라는 말로 포커스를 받는 새로운 등장인물로 소개하고 있다. 여기서 흥미를 끄는 것은 39-40절의 단위를 어떻게 볼 것인가에 관한 것이다. ꡔ새번역ꡕ은 ꡔ개역개정ꡕ과는 다르게 39-40절을 새로운 문단으로 처리하여 중요 한 이탈점이 있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47) 재미있는 것은 40절 초두에 쓰인 연결 사 de,는 21절에서부터 여기까지 처음 사용된 연결사이다. 대부분의 영역과 마 찬가지로 39절에 사용된 연결사 w`j를 모든 일을 마치고 혹은 마친 때(when) 라 는 시간 부사절 처리하고 주절에 나오는 나사렛으로 돌아 온 것 에 강조를 두는 것이 문장 구조상 무리가 없다. 그런데 40절은 지리적 환경의 변화는 없으나 시간적 경과를 드러내고 있다. 그 리고 21-39절까지 저자의 관점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고 이야기를 전개하다가, 40절에 중요한 주제의 발전을 의미하는 연결사 de,와 관사를 포함하여 재등장시 키는 이 아이, To. de. paidi,on 명사구(대명사로 소개된 33-34절 비교), 그리고 부정과거에서 미완료형으로 변하는 시제 모두 언어학적 증거로 볼 수 있다. 이렇 게 본다면 21-39절까지의 에피소드를 최종적으로 결론을 맺고 다음의 문단으로 45) Roger van Otterloo, Toward an Understanding of lo and behold : Functions of ivdou, and i;de in the Greek New Testament (Occastional Papers in Translation and Textlinguistics, 1984), 34 46) Steven Levinshon, Discourse Features of New Testament Greek, 134. 47) GNT 4 와 NTG 27 도 이와 같다.

누가복음 2장 1-52절 번역을 위한 그리스어 담화분석 요소들 / 정제순 89 자연스럽게 전환하는 기능을 40절이 드러내고 있다. 이것을 더욱 뒷받침할 수 있는 것은 40절과 52절에 담고 있는 결론성 진술 모 두 의미론적으로 수미쌍관성(inclusio)을 가지고 있다고 보아도 큰 무리는 없다. 더구나 이 두 구절 사이에 성전에서 행한 소년 예수의 행동도 놀랄 만큼 자란 지 혜 와 관련되어 큰 중심 주제 범위 내에서 사건이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또 첨 가해 본다면 41절에 사용된 명사절 그의 부모, oi` gonei/j auvtou/ 에 대명사 그, auvtou/ 는 40절과의 긴밀한 관계 속에서 소개될 때 사용되는 용례이다(비교, 33절 에 소개된 대명사). 마지막 절인 52절 초두에 표현된 대명사 VIhsou/j는 누가복음에서 가장 중요한 등장인물인 예수를 본격적으로 소개하기 위해 다시 활성화시킨 부분이다. 더구 나 에피소드의 마지막 종결부분이라 연결사 kai.로 시작하는 것은 매우 자연스럽 다. 41-51절까지 예수는 대명사나 소년 예수, VIhsou/j o` pai/j 로 소개된 후 에피 소드를 종결하면서 모든 에피소드의 초점이 최고의 등장인물인 대명사 VIhsou/j 로 귀결되고 있다. 누구에게 가고 있는가를 부각시키는 표현이다. 등장인물을 재 활성화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4.4. 등장인물의 지시(participant reference) 기능들 신약 그리스어도 여타 다른 언어들처럼 내러티브 속에서 등장인물을 소개할 때 다양한 언어학적 방법들을 사용한다. 어떤 언어에서든지 등장인물을 지칭할 때는 적어도 다음의 세 가지의 과업을 성취한다고 본다. 48) 첫째, 의미론적인 면, 둘째, 담화 분석적이고 화용론적인 면, 셋째, 진행적인 면이 그것이다. 조금 상술해 보면, 의미론적인 면 은 텍스트 내에서 등장인물의 지시 대상이 누구를 지칭하는지를 분명하게 드러내고 제시하고 확인하는 면이 다. 담화분석적이고 화용론적인 면 은 등장인물들이 활성화될 때 언어학적 장 치가 어느 정도 수반되느냐에 관한 것이다. 진행적인 면 은 정보의 흐름을 어떻 게 끊고 이어가는 것과 관련된 언어학적 표식들과 관련된 것이다. 텍스트에서 등장인물을 새롭게 소개하기도 하고, 사라지게도 하며, 재등장시 키거나, 중요한 시점에서 그 역할과 기능들을 부각시킬 때 사용하는 언어학적 장 치들은 물론 언어마다 다르다. 즉 온전한 명사구로서, 대명사나 고유명사가 관사 를 수반하느냐, 아니면 어떤 동사와 함께 등장하느냐, 타 등장인물과 어떤 연관 을 가지고 있느냐, 아니면 초점을 받고 있느냐 등 실로 다양하다. 등장인물의 지시 대상들이 성경 번역에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살펴보면 번역 48) Robert A. Dooley and Stephen H. Levinsohn, Analyzing Discourse, 112.

90 성경원문연구 제20호 의 다양성을 더욱 실감할 수 있겠다. 즉 지시 대상을 소개할 때 불필요하게 많이 사용하게 되면, 텍스트 진행적인 면에서 정보량이 많아져 텍스트의 역동성을 많 이 약화시키기도 하고, 그 반대의 경우는 지시 대상이 분명치 않아 다의성 문제 를 야기시킨다. 이 때문에 지시 대상의 언어학적 표현에 관한 연구는 번역에 매 우 중요한 요소이기도 하다. 물론 각 언어마다 지시 대상을 표시하는 방법은 다 양하기 때문에 번역할 때 그것을 어떻게 적절하게 표현하는 것이 최선인지 번역 자는 두 언어의 담화의 특성을 연구하면서 항상 씨름해야 한다. 단순히 그리스어 구조와 표면구조상 다르게 번역되었다고 단정 지어 번역의 질이 좋다 나쁘다 속 단하는 것은 금물이다. 누가복음 1장에서 3장까지의 등장인물과 관련된 언어학적인 특성을 보면 각 각의 에피소드에서 중요한 주인공은 무관사로 소개한다는 점이다. 예를 들면 스 가랴(1:12; 1:18), 엘리사벳(1:24), 마리아(1:34; 1:38a), 스가랴(1:67), 요셉과 마리 아(2:4, 5), 시므온과 마리아(2:34), 안나(2:36), 예수(2:43, 52; 3:21, 23). 누가복음 2장도 전체 내러티브 안에서 본다면 주인공은 예수이지만, 다양한 등장인물들이 이 예수를 중심으로 전체 텍스트를 흥미롭고 역동적으로 드러내는 장이기도 하 다. 누가복음 2:1-7에서의 주인공은 요셉과 마리아가 아기 예수를 준비하는 기능 으로 번갈아 가면서 그 역할과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고 있다. 2:8-20에서는 아기 예수에 대한 목자들과 천사들이 주된 등장인물로 나타나 아기 예수에 관한 예언 적인 일을 언급하며, 이러한 과정에서 마리아와 요셉과 아기 예수는 오히려 부차 적인 인물로 소개되다가, 19절에서 마리아는 관사와 함께 소개되어 한번 등장한 인물을 재활성화 시킨 것으로 소개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2:21-39까지는 시므온 과 안나, 그리고 마리아가 주된 주인공으로 묘사되고 있고, 2:52에 가서야 드디 어 누가복음 전체의 최고 주인공인 예수를 다시 무관사로 등장시켜 본격적으로 예수의 이야기가 전개 될 것을 암시하고 있다. 특히 세 개의 전환점을 이룬 21절, 40절, 52절 모두 누가복음의 최고의 주인공 인 예수와 얽힌 내용이다. 누가의 표현대로라면 이러한 전환점은 큰 골격을 이루 면서 내러티브 사건이 더욱 발전 지향적으로 전개됨을 분명하게 드러내는 역할 을 하고 있는 것이다. 21절은 태어난 아기 이름을 예수라고 하여 정체성을 갖는 장면으로 소개되어 앞선 에피소드에서 한 단계 발전된 과정을 드러낸다. 그리고 40절은 정결 의식 과정 속에서 만난 시므온과 안나를 통해 아기 예수에 관한 에 피소드를 마무리하면서 그 아기, To. de. paidi,on 라는 말로 시작하여 동사보다 먼저 나와 중요한 표식이 있는 돌출된 토픽(topic)으로 소개되고 있다. 바로 그 아 기가 성장하고, 지혜와 하나님의 은혜가 충만함으로 발전되었으며, 그 다음 에피 소드에서 40절에 드러나 등장인물의 발전된 내용이 어떠한가를 암시하고 있는

누가복음 2장 1-52절 번역을 위한 그리스어 담화분석 요소들 / 정제순 91 것이다. 52절은 앞서 설명한 대로 2장 전체의 결론이자 대단원의 막을 내리면서 주인공인 아기 예수가 더욱 성장하고, 지혜도 더욱 많아지고, 하나님뿐 아니라 사람에 의해 더욱 사랑스러워져서 본격적으로 사역하기 위해 완전히 준비되어 있음을 알리는 부분이기도 하다. 조금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2:1의 주어는 (칙)영, do,gma 로 소개되고 있는데 무생물이 주어로 나오기에는 한국어 어법에 어색하여 가이사 아구스도(ꡔ개역 개정ꡕ) 혹은 아우구스투스 황제(ꡔ새번역ꡕ) 로 소개하고 있다. 49) 2:2의 처음에 소개되는 지시 대상은 대명사를 포함하여 이 첫 번째 호적(인구조사), au[th avpografh. prw,th 으로 소개되고 있는데 ꡔ개역개정ꡕ의 이 호적은 처음 한 것 이라 와 ꡔ새번역ꡕ 이 첫 번째 호적은 의 차이도 언어학적으론 포커스(focus) 차이가 있지만 그리 큰 문제는 되지 않는다. 50) 3절과 4절과의 관계는 3절은 모든 사람 과 4절 요셉 과의 의미론적인 상관 관계는 일반적(generic)-구체적(specific) 인 관계로 표시된다. 더구나 4절을 VAne,bh de. kai. VIwsh.f 라고 시작하여, 중요한 등장인물인 요셉이 연결사 de.와 kai.가 혼합된 형태로 소개되어 모든 사람에서 요셉 으로 이동하는 중요한 이탈 점을 표시하고 있다. ꡔ개역개정ꡕ은 3절과 4절 문장이 끊어지지 않고 이어져서 요셉도 라는 표현을 하여, 일반-구체적 관계를 더욱 명확하게 드러내었다. 그러 나 ꡔ새번역ꡕ은 4절이 3절과의 단절이 보다 분명하게 드러나는데, 원인절인 다 윗 가문의 자손 과 보다 직접적인 관계를 드러내고 있다. 이 부분을 3-4절의 일 반적-구체적 관계를 더 드러내면서 원인절을 살려보면 다윗의 가문의 자손인 요셉도 라는 표현도 가능하다. 6절 그들이 거기에 머물러 있는 동안에, evge,neto de. evn tw/ ei=nai auvtou.j evkei/ 라 는 문장에서 그들 이 포커스를 받을 이유는 거의 없다. 그 대신 앞서 설명한 대로 6절 시작인 evge,neto de. 표현법을 사용하여, 중요한 전경 정보인(foreground information) 해산할 날이 찬 것 에 대한 배경 정보(background information)로서 기능을 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ꡔ새번역ꡕ에서 5절 문장을 마치지 않고, 임신 중 49) 시어체나 비유 등 수사학적인 표현에서는 무생물이 주어가 되어도 큰 문제는 없으나, 사건 진 행에 강조를 둔 내러티브에서 무생물이 주어가 될 때 어법상 어색하여 수동의 형태로 표현되는 것이 보통인데 아무래도 한국어 보단 영어가 이런 표현에 익숙하다. 영어역본에서도 NAS나 NKJ는 신약 그리스어와 같이 (칙)영 을 주어로 삼아 번역하였고, NIV, NRS, NLT는 모두 가 이사 아구스도 를 주어로 삼았다. 50) 이 부분을 NAS, NKJ, NRS, TEV, NJB는 한글 성경과 같이 이것을 원래 텍스트로 다루었으나, NIV, NLT는 괄호로 묶어 차별을 두었다. 지시사가 관사와 없이 사용될 경우 자연스러운 번역 은 하워드 마샬이 지적한 대로 This is the first census 가 된다. Howard Marshall, Commentary on Luke, 98. 그러나 어떤 사본에는(A C W L)관사 h;가 포함되어 다른 번역 가능성도 있다. NKJ, NJB를 NAS, NRS, NLT와 비교해 보라.

92 성경원문연구 제20호 이었는데, 그들이 라고 번역한 것은 두 가지 가능성으로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첫 번째는 5절 문장을 완전히 마쳤을 경우에는 어법상 6절 그들이 라고 표현해 도 큰 지장은 없다. 그러나 5절에 이어서 6절을 그들이 라고 시작하면 지시 대 상인 그들은 포커스를 받게 된다. 그러나 사실 5-6절을 동시에 보면 거기에 머 문 사람들 이 누구인지 전하고자 하는 정보는 충분하다. 이런 의미에서 6절에 사 용된 대명사 그, auvtou,j 는 포커스 받을 강조 용법이 아니라, 5절에서 받은 변하 지 않는 등장인물을 소개할 때 사용된 대명사의 용법이다. 13절에서의 지시 대상은 ꡔ새번역ꡕ에서 사용한 단수인 그 천사 를 ꡔ개역개정ꡕ 에서는 복수인 그 천사들 로 표기하여 복수인 그 천사들이 누구인지 지시 대상 이 불명확하다. 이러한 흐름이 15절에 다시 소개할 때 한국 성경 ꡔ개역개정ꡕ과 ꡔ새번역ꡕ 모두 관사가 생략된 복수 형태인 천사들 51) 로 표기하였다. ꡔ개역개정ꡕ 은 13절 그 천사들 과 15절 천사들 을 의미론적으로 연결되는 것처럼 보인 반 면, ꡔ새번역ꡕ의 15절 천사들 은 신약 그리스어와는 다르게 관사를 표기하지 않 고, 앞서 나온 천사 와 하늘의 군대(천군) 중 어느 한쪽인지 둘 다인지 지시 대상에 관한 연결 고리가 없는 상태로 번역하였다. 특히 15절에 있는 불변화사인 dh.는 명령형과 쓰이면서 강한 권면형 요청을 하 는 강조 형태의 단어이다. 52) ꡔ개역개정ꡕ처럼 이제 로 번역한 것은 매우 좋은 시 도이다. 53) ꡔ새번역ꡕ에 첨가하여 본다면 자, 베들레헴으로 가서 라고 해도 무 방하겠다. NIV와 NJB에서는 이러한 강조가 빠져 있지만, 다른 영어역본에서는 NAS의 straight NKJ나 NRS의 now 그리고 NLT에서는 Come on 이라는 강 조적 표현들을 첨가하고 있다. 19절 시작은 등장인물의 역할과 기능에서 매우 중요한 전환점이다. 그래서 저 자의 주제 발전적인 연결사인 de.를 여기서 다시 사용하였다. 영어역본에서는 모 두가 이것을 드러내기 위해 대조의 연결사인 그러나, but 를 사용하였고, 그 중 에서 NJB는 분명한 포커스 형태인 As for Mary 라고 표현하였다. ꡔ개역개정ꡕ 을 포함한 대부분의 한글 성경도 그리스어와 함께 18절과 연결하여 대조나 차별 성을 드러냈지만, ꡔ공동번역ꡕ과 ꡔ새번역ꡕ은 이 부분에서 평범한 서술 형식으로 마리아는 이라고 소개하여 주제의 전환과 등장인물의 중요성을 모두 놓치고 51) ꡔ새번역ꡕ과 ꡔ개역개정ꡕ 모두 정관사 그 를 표기하지 않았다. 52) Fredeick William Danker revised and ed.,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BDAG 3rd ed.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0), 222. 53) 한국말 이제 의 담화 기능은 단순히 시간 사건의 지시 기능 외에 화자의 진행 표시 나 화행 자체에 대한 강조 등의 태도 표현으로 제안하였다. 이원표, ꡔ담화분석: 방법론과 화용 및 사회 언어학적 연구의 실례ꡕ(서울: 한국문화사, 2001), 27-59에 나오는 이제 의 담화 기능을 참조하 라.

누가복음 2장 1-52절 번역을 위한 그리스어 담화분석 요소들 / 정제순 93 있다. 25-27절까지는 등장인물 시므온에 대한 소개는 주어가 생략된 채 그와 관련 된 배경 설명을 하고 있다. 그러나 ꡔ새번역ꡕ에서 26절 그가 성령의 지시를 받은 사람이었다 라는 표현으로 시므온이 포커스를 받은 것이 강조되고 있는데, ꡔ개역개정ꡕ처럼 자연스럽게 그는 성령의 지시를 받았더니 라고 하는 것이 배경 설명과 더 어울린다. 이것은 특히 28절에 다시 대명사인 그, auvto.j 로 재등 장시켜 언어학적 증거로 더욱 강화되고 있다. 33절에 소개된 아기의 아버지와 어머니 라는 표현은 2장 전체에서 매우 중요 한 주인공에다가 관사를 포함한 명사구로 표현하여, 관심의 중심에 서 있다고 보 아야 한다. 54) 왜냐하면 누가복음 2장 전체에 걸쳐 내러티브가 발전되면서, 18절, 33절, 47절, 50절, 51절에 중요한 중심 주제, 즉 예수의 정체성과 관련된 이해하 지 못하는 내용들을 거듭 강조하고, 그것을 고이 간직하는 마리아의 내용과 긴밀 하게 관련되고 있기 때문이다. 36절 초두도 25절과 마찬가지로 연결사 kai.와 제시형 동사인 3인칭 단수 직설 법 미완료인 kai. h=n 를 써서 새로운 등장인물인 안나를 자연스럽게 또 소개하 고 있다. 분명 이 문단만 보면 안나의 등장은 전혀 이상할 것이 없지만, 2장 내러 티브 전체에서는 안나는 시므온과 연계되어 나타나고 있다. 문단을 연결하는 연 결사도 NKJ는 Now there was 라고 소개하고 NAS는 완전 직역으로 And there was 라고 소개하고 있다. 그리고 NRS, NIV, NLT는 모두 또, also 라는 것을 첨가하여 아기 예수를 둘러싸고 증언하는 시므온과 안나를 서로 연계시킨 것이다. 한글 성경들 대부분도 대부분의 영어역본과 같이 또 라는 것을 첨가하 였지만, ꡔ새번역ꡕ은 아무런 첨가 없이 그냥 소개하고 있다. 41절에 소개된 그의 부모, oi` gonei/j auvtou/ 는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40절과 연관 지어 표현하기 때문에 대명사인 그의 로 표현되었다. 누가복음 2장 처음 에서는 지금까지 누가복음의 최고 주인공인 예수 가 표면적으로 드러나고 있 지 않고, 아이, paidi,on 로 소개되고 있다. 그래서 41절 소개에 NLT와 ꡔ새번역ꡕ 처럼 예수의 부모 라고 할 경우 발전 지향적으로 소개되는 등장인물이 갑자기 정면으로 부각되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ꡔ개역개정ꡕ처럼 그의 부모 혹은 그 아이의 부모 라고 간접적으로 소개하는 방법도 있다. 그 후 그 아이 가 42절에 드디어 예수 로 소개되고 52절 끝까지 주인공 예수가 정면으로 부각되고, 누가 복음의 최고의 VIP인 예수가 향후 어떻게 진행될지를 암시하고 있는 것이다. 위에서 신약 그리스어의 등장인물 지시에 관한 것이 다양하게 소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간략하게 요약해 보면, 25절에 특별한 포커스를 두는 단어인 보라, 54) Steven Levinshon, Discourse Features of New Testament Greek, 149-150.

94 성경원문연구 제20호 ivdou, 와 함께 소개되기도 하고, 25절, 33절, 36절에 제시형(presentational) 동사인 h=n 을 사용하여 새로운 등장인물을 소개하기도 하며, 문단과 문단을 나누는 이탈 점과 주제의 전환과 함께 중요한 등장인물들이 스토리 라인에서 발전 지향적으 로 소개되는 것을 보았다. 누가복음 2장에서는 아기 소년 예수, 그리고 요 셉과 마리아 마리아 부모 아버지, 어머니 어머니 예수의 어머니로 지시 대상이 바뀌면서 주제의 발전에 따라 각각의 등장인물들의 역할과 기능도 함께 드러남을 보았다. 이러한 담화분석적 요소들이 번역에도 가미되어야만 텍 스트가 드러내고자 한 역동성을 신실하게 지킬 수 있는 것이다. 4.5. 담화 분석적 의미론과 번역 각 문장에 있는 각각의 단어에는 텍스트(text), 코텍스트(cotext), 컨텍스트 (context)라는 삼차원적인 환경 속에서의 의미가 드러나고 있다. 그리고 전체 텍 스트 담화분석에서 각각의 단어가 가지고 있는 의미와 역할과 기능이 어떻게 달 라질 수 있는지도 간략하게 위에서 설명하였다. 번역자는 바로 이런 문제를 염두 에 두고 각각의 단어가 함축하고 있는 의미를 추적하여 번역에 반영한다. 누가복 음 2:19와 2:51에 나타난 쉰테레오(sunthre,w)와 디아테레오(diathre,w)도 바로 그 런 유형의 단어라고 하겠다. 내러티브 텍스트에서의 반복어의 기능과 역할은 매우 중요하게 나타나고 있 다. 55) 신약 그리스어는 영어와는 다르지만 독일어와 비슷하게 다양한 합성어를 형성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합성어들의 의미를 더욱 분명하게 드러내기 위 해 합성어들을 세분화하여 각각의 어원적 의미를 합하는 것은 분명 언어학적 오 류들이다. 56) 이러한 오류를 제외하고 문장론의 통합체적 특성(syntagmatic characteristics), 문학적 특성, 상황적 특성을 감안하여 유사한 어휘에 대한 의미 를 통합적으로 찾아서 해석하고 번역하는 것은 번역자들에게 또 하나의 창의성 이 요구되는 없어서는 안 될 요소이다. 57) 55) Robert Alter, The Art of Biblical Narrative (New York: Basic Books, 1981), 88-113. 56) 이 부분에 관해서는 다음의 훌륭한 책들을 참조하라. James Barr, The Semantics of Biblical Language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61); Stephen Ullmann, Semantics: An Introduction to the Science of Meaning (Oxford: Blackwell, 1972); Moisés Silva, Biblical Words and Their Meaning: An Introduction to Lexical Semantics, Revised and Expanded, ed., (Grand Rapids: Zondervan Publishing House, 1994). 이러한 오류들을 카슨(D. A. Carson)은 간략하지만 매우 설 득력 있게 풀어놓았다. D. A. Carson, Exegetical Fallacies, 2nd ed. (Grand Rapids: Baker Books, 1996), 27-64. 57) 의미의 결정에 관한 중요한 논의에 대해서는 다음의 내용을 보라. Moisés Silva, Biblical Words and Their Meaning, 137-169.

누가복음 2장 1-52절 번역을 위한 그리스어 담화분석 요소들 / 정제순 95 2:19와 2:51의 두 단어는 합성어로 형성된 것으로 유사한 동의어로 사용한 것이 다. 이 두 단어에 대한 성경적 자료는 매우 빈약한 편이다. 2:19의 쉰테레오 (sunthre,w)는 마가복음 6:20에 헤롯이 요한을 보호하려고 하는 의미로 한 번 사 용되었고, 2:51의 디아테레오(diathre,w)는 이곳에 단 한 번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전체 텍스트 내에서 코텍스트와 컨텍스트를 고려하면 해석상에 매우 흥미로운 사 실을 추적할 수 있다. 2:19의 배경은 2:18 아기 예수의 탄생에 관한 목자들의 증언 에 대해 듣는 자가 놀랍게 여겼지만 2:19 [그러나] 마리아는 이 모든 말을 마음에 새기어 생각하니라 라고 나와 있다. 즉 마음에 고이 간직하려는 상황에서 쉰테레 오(sunthre,w)를 사용하였는데 이 단어가 쉰(sun)과 테레오(thre,w)의 합성어이다. 반면 2:51에 나타난 디아테레오(diathre,w)는 소년 예수의 열두 살 때의 경험에 사용된 단어이다. 즉 예수가 열두 살 때 유월절을 보내려고 예루살렘에 가서 돌 아가던 길에 예수가 사라져 예수의 부모가 사흘 동안 찾아서 예수에게 한 말에 대한 반응에 이 단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다. 즉 예수의 대답인 내가 내 아버지 집에 있어야 될 줄 알지 못하였나이까 (눅 2:49)에 대한 반응을 양친 모두 그가 하신 말씀을 깨닫지 못하더라 라고 기록하고, 2:51하반에 [그러나] 그의 모친은 이 모든 말(일)을 마음에 두니라 라고 하면서 마음에 두는 것을 디아(dia)와 테 레오(thre,w)의 합성어인 디아테레오 로 사용한 것이다. 여기 누가복음 2장에 기록된 내러티브에서 쉰테레오와 디아테레오와의 시공 의 차이는 12년이 된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예수의 정체성에 대한 부모의 생각 과 인식이 어떤 식으로 변천되었는지는 성경에서 침묵하고 있어서 불필요한 추 정이 되겠지만, 텍스트 내에서 예수의 반응 내가 내 아버지 집에 있어야 될 줄 알지 못하셨나이까? 는 분명 정체성에 대해 상기시키는 반어적인 응답이다. 58) 예수의 정체성에 대한 재인식과 상기에 관해 마리아는 예수에 관한 내용을 다 시금 고이 간직하게 되는데 2:19의 간직 에서 훨씬 발전적이고 확장된 의미에 서 간직 이 된다. 그리고 마리아는 예수가 본격적으로 사역하게 되는 3장 1절과 의 사이에 18년이라는 기다림을 맞게 되는 것이 텍스트에서 생략된 내용이다. 특히 이 내러티브는 누가복음에만 기록되어 있어 이러한 유추를 해도 큰 무리는 발생하지 않는다. 상황적 요소를 고려하고, 예수의 정체성과 마리아의 생각과 인 식에서 2:19 쉰테레오 는 마리아가 들었던 것 모든 것을 마음에 함께 둔 것을 강조하여 번역할 수 있다. 2:51에 나타난 디아테레오 는 12년이라는 세월이 경과한 후에 또 예수의 정 체성을 망각한 것에 대한 책망과 관련된 단어이다. 예수에게서 일종의 책망 혹은 58) 예수의 대답에 대한 다양한 해석학적인 견해에 관해서는 대럴 보크(Darrell Bock)가 잘 요약해 놓았다. Darrell L. Bock, Luke 1:1-9:50, 269-271.

96 성경원문연구 제20호 재확인을 2:49에서 받아 나사렛에 돌아가 마리아는 다시금 51절 디아테레오 를 한다. 여기에서의 간직 이 그 전하고자 하는 의미가 2:19와는 사뭇 다르게 나타 날 수 있다. 즉 예수가 본격적으로 공생애를 시작하는 18년 후라는 시공의 차이를 감안하 면서 번역자가 창의성을 발휘하여 번역하게 되면 분명 2:51의 디아테레오 는 단순히 마음에 둔 것이 아니라 지속의 의미를 나타낼 수 있는 디아 라는 의미에 강조를 두고 계속 마음에 두고 살았더라 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각각의 단 어가 지니고 있는 의미가 텍스트 전체의 담화분석 차원에서 확대해 보면 반복어 의 의미를 살리면서 전체 텍스트와 조화를 이루는 다양하고 창의적인 번역이 가 능하여 이러한 경우에 번역자는 텍스트에 신실하고 창의적으로 해석하여 번역 을 할 수 있는 융통성과 개방성이 또한 절실히 요구되기도 한다. 5. 맺는 말 번역은 번역자가 텍스트의 어떤 부분에 강조를 두느냐와 어떤 과정을 거치느 냐에 따라 다양한 결과를 초래한다. 위에서 살펴본 대로 누가복음 2장을 중심으 로 신약 그리스어의 담화분석 내용들을 번역과 관련해서 아주 간략하게 중요한 부분만 발췌하여 설명을 해 보았다. 기존의 문장론 중심의 번역에서 탈피하여 내 러티브 텍스트의 흐름을 구분 짓는 이탈점들이 문단 구분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 고, 언어의 표면적 응집 요소들인 연결사들이 텍스트 전체의 일관된 주제 발전 및 전개에 중요한 기능과 역할을 하는 것을 우선적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문단 과 문단 사이를 발전 지향적으로 사건을 엮어가면서 중요한 기능과 역할을 하는 등장인물들이 표현될 때 사용된 언어학적 장치들과 기능들도 소개하였다. 특히 지시 대상에 대한 언어학적인 표현들은 텍스트의 역동적 흐름에 영향을 끼치는 바 번역자들은 항상 이 점들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또 비록 표면적으로 유사한 단어라 할지라도 전체 텍스트의 전개 속에서 담화 분석적 의미를 지니고 있을 수 있음을 설명하여 번역자는 메시지의 의미 파악에 창의적 노력이 더 필요함도 부언하였다. 현대 언어학의 발전으로 이러한 담화분 석적 요소들이 하나씩 발견되는 것은 번역자들에게 참으로 기쁜 일이며 큰 도움 을 받을 수 있기에 복된 일이기도 하다. 번역자들이 담화분석적 요소들을 더 면 밀히 조사하고, 검토하고, 연구 비교해 가면서 번역할 수 있다면, 보다 더 언어학 적 일관성을 갖출 수 있고 더욱 신뢰받는 번역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누가복음 2장 1-52절 번역을 위한 그리스어 담화분석 요소들 / 정제순 97 누가복음 2장의 담화 분석표 절 주어 비주어 요약 어순 1a NP (칙령) 아우구스투스 황제 V+S 1b NP (온세상) 호적 등록 V+S 2 pn+np (이 첫 호적) 구레뇨가 시리아 총독 S+V 3 NP (모두) 호적하러 고향으로 감 (kai) V+S 4~5 PrP (요셉) 마리아와 함께 다윗 동 V+(de kai)+s 네로 감 6a 0 (egeneto) 그들이 있을 때 V+(de) 6b NP (해산할 날) NP (마리아) 찼다 V+S 7a 0 (마리아) NP (첫 아들) 낳다 (kai) V 7b 0 (마리아) pn 강보에 싸다 (kai) V 7c 0 (마리아) pn 테이블에 놓다 (kai) V 7d NP (장소) 있을 곳이 없다 (dioti ouk) V 8 NP (목자) 양을 치고 있음 (kai) S+V 9a NP (주의천사) 그들에게 나타남 (kai) S+V 9b NP (주의 영광) 에워쌈 (kai) S+V 9c NP (큰 두려움) 두려워함 (kai) V+S 10~12 NP (천사들) pn (그들) 직접화법 (kai) V+S 13a 0 (egeneto) 많은 하늘 군대 (kai) V 13b~14 0 (하늘군대) 직접화법 (kai) V 15a 0 (egeneto) (kai) V 15b 0 (하늘군대) 떠나자 V 15c~d 0 (목자들) 직접화법 16a 0 (목자들) 서둘러 가서 (kai) V 16b 0 (목자들) NP(dat.양친/아기) 찾았다 (kai) V 17 0 (목자들) 말하다 (de) V 18 NP (모두) 놀라다 (kai) S+V 19 NP (dat. 마리아) NP (dat. 모든 말) 마음에 소중히 간직 (dat. + de) S +V 20a NP (목자들) 돌아감 (kai) V + S 20b 0 (목자들) 찬양 (kai) V 21a NP (날들) 날이 차매 (kai) V+S 21b NP (이름) 예수라 불렀다 (kai) V+S 22 NP (날들) 날이 차매 (kai) V+S 23~24 0 (not specific) 율법에 쓰여진 내용 V 25a NP (사람) 시므온이라는 사람 (kai+idou) S+V

98 성경원문연구 제20호 25b NP (그사람) 의롭고 경건한 (kai) S+V 25c NP (성령) 그 사람 위에 있다 (kai) S+V 26 0 (not specific) 계시가 드러남 (kai) V 27a 0 (시므온) 성전 왔다 (kai) V 28a pn (시므온) pn (아기) 앉고 (kai) S+V 28b 0 (시므온) 하나님 찬양 (kai) V 28c~32 0 (시므온) 직접화법 (kai) V 33 NP (dat. 부모) 놀랐다 (kai) V+S 34 35 NP (시므온) pn (그들) 축복 + 직접화법 (kai) V+O+S 36a NP (안나예언자) (kai) en+s 36b pn (안나) 나이가 많음 S+V 37a NP (이 여자) 과부가 되어 84세 S+0 37b Prp (안나) 성전을 떠나지 않음 S+V 38a 0 (안나) 경배 (kai) V 38b 0 (안나) 아이에 대해 말함 (kai) V 39 0 (부모) NP (모든것) 율법에 쓰여진 내용 (kai) V 40a NP(def.아이) 자라고, 강하여짐 (def+de) V 40b NP(하나님은혜) 있다 (kai) S+V 41 NP(def.그의부모) 해마다 유월절 갔다 (kai) V+S 43a NP(예수, dat 아이) 머물다 (kai) V 43b NP(dat 부모) 모르다 (kai) V+S 44 45 0 (부모) 찾고 돌아갔다 (de) V 46 0 (부모) pn (그) 찾았다. (kai) V 47 NP(모두 듣는자) 놀랐다 V+(de)+S 48a 0 (부모) 놀랐다 (kai) V 48b NP(def.그의어머 그에게 물었다 (kai) V+S 니) 49 0 (예수) 그들에게 대답하였다 (kai) V 50 pn(그들) NP(한 말) 깨닫지 못했다 (kai) S+V 51a 0 (예수) 그들과 함께 내려감 (kai) V 51b NP(def.그의 모친) NP (모든 것) (계속) 간직 (kai) S+V 52 PrP (예수) 자라고, 사랑스러워짐 (kai) S+V 약어 설명: NP(Noun Phrase, 명사구), pn(pronoun, 대명사), PrP(Proper Noun, 고 유명사), S(Subject, 주어), V(Verb, 동사), O(Object, 목적어), 0(No overt reference, 지시대상이 동사의 성 수 격으로 표현될 때), def.(definite article, 정관사).

누가복음 2장 1-52절 번역을 위한 그리스어 담화분석 요소들 / 정제순 99 <주요어>(Keyword) 담화분석적 번역, 등장인물 지시, 담화적 의미, 본문상호성, 연결사 discourse translation, participant reference, discourse-level meaning, intertextuality, connectors <참고문헌> 민영진, 표준 새번역 성경, 무엇이 문제인가, 월간목회 5 (1993). 크루스 알란, ꡔ언어의 의미: 의미, 화용론 개론ꡕ, 임지룡, 김동환 역, 서울: 태학사, 2001. Alter, Robert, The Art of Biblical Narrative, New York: Basic Books, 1981. Barnwell, Katharine, Bible Translation: An Introductory Course in Translation Principles, 3rd ed., Dalls: SIL International, 1986. Barr, James, The Semantics of Biblical Language,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61. Barton, John, Reading the Old Testament: Methods in Biblical Study, Revised ed., Louisville: John Knox Press, 1996. Beekman, John and Callow, John, Translating the Word of God, Grand Rapids: Zondervan Publishing, 1974. Bell, Roger, Translation and Translating: Theory and Practice, London: Longman, 1991. Bock, Darrell L., Luke, Grand Rapids: Baker Books, 1996. Borchard, Terrance H., Discourse Level Functional Equivalent Translation, Ph. D. Dissertation, Fuller Theological Seminary, 1991. Brewer, William F., The Story Schema: Universal and Culture-specific Properties, David R. Olson, Nancy Torrence, and Angela Hildyard, ed., Literacy, Language, and Learning: The Nature and Consequences of Reading and Writing,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5. Carson, D. A., Exegetical Fallacies, 2nd ed., Grand Rapids: Baker Books, 1996. Chafe, Wallace L., Cognitive Constraints on Information Flow, Russell S. Tomlin ed., Coherence and Grounding in Discourse, Amsterdam: John Benjamins, 1987. Chung, Je Soon, Analysing Text and Context, MT570/670, MK730, Fuller Theological Seminary, 2004. Chung, Je Soon, Discourse Level Translation of Hebrew Poetry, Ph.D. Dissertation. Fuller Theological Seminary, 2003.

100 성경원문연구 제20호 Cotterell, Peter and Turner, Max, Linguistics and Biblical Interpretation, Downers Grove: Inter Varsity Press, 1989. De Beaugrande, Robert and Dressler, Wolfgang, Introduction to Text Linguistics, London: Longman, 1981. De Waard, Jan and Nida, Eugene A., From One Language to Another: Functional Equivalent in Bible Translating, Nashville: Thomas Nelson Publishers, 1986. Dooley, Robert A. and Levinsohn, Stephen H., Analyzing Discourse: A Manuel of Basic Concepts,, Dallas: SIL International, 2001. Eggins, Suzanne and Martin, J. R., Genres and Registers of Discourse, Teun A. van Dijk, ed., Discourse Studies: A Multidisciplinary Introduction, London: Sage, 1997. Fokkelman, J. P., Reading Biblical Narrative: An Introductory Guide, Ineke Smit trans, Louisvill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1999; org. ed., 1995. Danker, Fredeick William, Revised and ed.,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BDAG, 3rd ed.,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0. Gillian, Brown, and George, Yule, Discourse Analysi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3. Givón, Talmy, Syntax: A Functional-Typological Introduction, Amsterdam: Benjamins, 1984. Goldberg, Michael, Theology and Narrative, Nashville: Abingdon, 1981. Gordon, Raymond Jr., ed., Ethnologue: Languages of the World, 15th ed., Dallas: SIL International, 2005. Gunn, David M., Narrative Criticism, Steven L. McKenzie and Stephen R. Hayness, revised and expanded ed., To Each Its Own Meaning: Biblical Criticisms and Their Application, Louisvill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1999. Gutt, Ernst-August, Relevance Theory: A Guide to Successful Communication in Translation, Dallas: Summer Institute of Linguistics, 1992. Gutt, Ernst-August, Translation and Relevance: Cognition and Context, Oxford: Basil Blackwell, 1991. Harris, Zellig S., Discourse Analysis: A Sample Text, Language 29 (1952). Hatim, B. and Mason, I., Discourse and the Translators, New York: Longman, 1990. Hesselgrave, David J., Communicating Christ Cross-Culturally: An Introduction to Missionary Communication, 2nd ed., Grand Rapids: Zondervan Publishing House. Howard, Marshall I., Commentary on Luke, Grand Rapids: William Eerdmans

누가복음 2장 1-52절 번역을 위한 그리스어 담화분석 요소들 / 정제순 101 Publishing Company, 1978. Howard, Marshall, I., The Gospel of Luke: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Grand Rapids: W.B. Eerdmans Pub. Co., 1978. Levinsohn, Stephen H., Discourse Features of New Testament Greek, 2nd ed., Dallas: SIL International, 2000. Longacre, Robert E., The Grammar of Discourse, 2nd ed., New York: Plenum Press, 1996. Newman, B. M. and Nida, Eugene A., A Translator's Handbook on the Acts of the Apostles, London: United Bible Society, 1972. Nida, Eugene A. and Taber, Charles, The Theory and Practice of Translation, Leiden: E. J. Brill, 1969. Porter, Stanley E., Idioms of the Greek New Testament, Sheffield: Sheffield Academic Press, 1992. Powell, M. A., What is Narrative Criticism?, Minneapolis: Fortress, 1990. Silva, Moisés, Revised and Expanded ed., Biblical Words and Their Meaning: An Introduction to Lexical Semantics, Grand Rapids: Zondervan Publishing House, 1994. Sperber, Dan and Wilson, Deirdre, Relevance: Communication and Cognition, 2nd ed., Oxford: Basil Blackwell, 1995. Sternberg, Meir, The Poetics of Biblical Narrative: Ideological Literature and the Drama of Reading, Bloomington: University of Indiana Press, 1985. Thrall, M. E., Greek Particles in the New Testament: Linguistics and Exegetical Studies, Leiden: E. J. Brill, 1962. Tomlin, R. S., Coherence and Grouping in Discourse, Philadelphia: Benjamins, 1987. Tuggy, John, Semantic Paragraph Patterns: A Fundamental Communication Concept and Interpretative Tool, David Alan, Black, Katharine Barnwell and Stephen Levinson, eds., Linguistics and New Testament Interpretation: Essays on Discourse Analysis, Nashville: Broadman Press, 1992. Turner, N., A Grammar of New Testament Greek: Syntax, Edinburgh: T & T. Clark, 1963. Ullmann, Stephen, Semantics: An Introduction to the Science of Meaning, Oxford: Blackwell, 1972. Van der Merwe, Chisto H. J., Discourse Linguistics and Biblical Hebrew Grammar, Robert D. Bergen ed., Biblical Hebrew and Discourse Linguistics, Dallas: Summer Institute of Linguistics, 1994. Van Otterloo, Roger, Toward an Understanding of lo and behold : Functions of ivdou,

102 성경원문연구 제20호 and i;de in the Greek New Testament, Occasional Papers in Translation and Textlinguistics, 1984. Vanhoozer, Kevin J., Is There a Meaning in This Text?, Grand Rapids: Zondervan Publishing, 1998. Wallace, Daniel B., Greek Grammar Beyond the Basic: An Exegetical Syntax of the New Testament, Grand Rapids: Zondervan Publishing House, 1996.

누가복음 2장 1-52절 번역을 위한 그리스어 담화분석 요소들 / 정제순 103 <Abstract> Greek Discourse Factors to Translate Luke 2:1-52 Prof. Je-Soon Chung (Handong Global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ee how a Bible translation can result differently when a translator adopts a discourse analysis, which has been widely used among cross-cultural translators, dealing with the text higher than sentence level such as paragraphs or the entire text. The method this article used is pragmatic, functional, and interdisciplinary. It cannot surely show all Greek discourse factors due to limited pages. Instead, it chooses some important discourse factors that can affect a Bible translation and shows them by using 2:1-52 of the Gospel of Luke as a sample text. The following things are mainly dealt with by this article: First, it shows how linguistic devices such as points of departure that determine the continuity or discontinuity of the text can affect delimiting the text as smaller units, so called paragraph. Second, it explains how the Greek connectives such as de, and kai, play important roles and functions within a narrative text in order to keep text cohesiveness as a developmental progress. Third, it emphasizes that whenever participants are referred, a translator should be careful of dealing with linguistic devices attached and try to find their roles and functions. Especially, since these participants references are interwoven keeping the dynamics of the text, a translator should always keep in mind that the omissions of important marked ones or the additions of unnecessary implied information lose or hinder such dynamic progress of the text. Fourth, it presents that even synonymous words can carry their discourse meanings within a whole text differently. The findings of different senses of the synonymous words used within a text cannot be captured by a sentence-oriented translation method. To counter this, translator should diligently search for its relevant meaning with discourse analysis by which its sense can be found out through the intertextuality of text, cotext, and context. In this area, translators are not only required to keep linguistic competence, they are also required to cultivate creative and brave endeavors to apply such findings into their translations. It is really a great privilege for a translator to utilize diverse discourse factors researched by recent discourse linguists. What is even better, is that translators themselves diligently study, evaluate and even compare diverse discourse factors. Then, when they apply these factors into their translation, the translated texts surely keep linguistic consistency and accuracy with the dynamics of the text much more than bef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