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6-155.fm



Similar documents
½Ç°ú¸Ó¸®¸»¸ñÂ÷ÆDZÇ(1-5)¿Ï

<C7D1B1B9C0CEC0C720B4EBC7A5BDC4B4DCBAB8B0EDBCAD2E687770>

전립선암발생률추정과관련요인분석 : The Korean Cancer Prevention Study-II (KCPS-II)

(Microsoft PowerPoint - 1 DRI\260\370\303\273\310\270718\300\261\301\370\274\367)

들어가면서 본 식생활가이드 는 여러분께서 받으신 식생활 평가지의 내용을 쉽게 이해하실 수 있도록 구성되었습니다. 식생활 평가지는 식품섭취조사에서 응답하신 내용을 기반으로 분석하여 체중평가, 에너지 섭취평가, 식품 섭취 평가, 영양소 섭취 평가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서론 34 2

hwp

한국영양학회지 (Korean J Nutr) 2013; 46(1): 34 ~ 49 / 35 로 과일주스 우유류 및 탄산음료 등 음료류의 섭취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내 초 중 고 학생을 대상으로 음료 섭취 실태를 조사한 결과 즐겨 마시는 음료는 콜라 스포츠음료 사이


제3호-최종


03-서연옥.hwp

노인정신의학회보14-1호

보고서_pdf로.hwp

주제발표 식품소비구조의변화가국민건강에미치는영향 연구책임자맹원재 ( 자연제 2 분과 ) 공동연구자홍희옥 ( 상명대학교겸임교수 ) - 2 -

어린이기호식품1회제공량표시-결과보고서-줄임.hwp

fm

09È«¼®¿µ 5~152s

(Exposure) Exposure (Exposure Assesment) EMF Unknown to mechanism Health Effect (Effect) Unknown to mechanism Behavior pattern (Micro- Environment) Re

한국영양학회지 (Korean J Nutr) 2011; 44(5): 416 ~ 427 DOI /kjn 부모의사회경제적수준 ( 가구월수입, 부모교육수준 ) 과 초등학교 6 학년학생의과체중및식습관, 식사질과의관계 * 장한별 1 박주연 1

878 Yu Kim, Dongjae Kim 지막 용량수준까지도 멈춤 규칙이 만족되지 않아 시행이 종료되지 않는 경우에는 MTD의 추정이 불가 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 이 SM방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O Quigley 등 (1990)이 제안한 CRM(Continu

달생산이 초산모 분만시간에 미치는 영향 Ⅰ. 서 론 Ⅱ. 연구대상 및 방법 達 은 23) 의 丹 溪 에 최초로 기 재된 처방으로, 에 복용하면 한 다하여 난산의 예방과 및, 등에 널리 활용되어 왔다. 達 은 이 毒 하고 는 甘 苦 하여 氣, 氣 寬,, 結 의 효능이 있

fm

Kor. J. Aesthet. Cosmetol., 및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고, 만족 정도 에 따라 전반적인 생활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신체는 갈수록 개 인적, 사회적 차원에서 중요해지고 있다(안희진, 2010). 따라서 외모만족도는 개인의 신체는 타

A 617

hwp

untitled

???? 1


건강과질병-7권호-웹용.indd

( )Kju269.hwp

학술원논문집 ( 자연과학편 ) 제 50 집 2 호 (2011) 콩의식품적의의및생산수급과식용콩의자급향상 李弘䄷 * 李英豪 ** 李錫河 *** * Significance of Soybean as Food and Strategies for Self Suffici

개최요강

00내지1번2번

,......

페링야간뇨소책자-내지-16

Treatment and Role of Hormaonal Replaement Therapy

제 출 문 경상북도 경산시 농업기술센터 귀하 본 보고서를 6차산업수익모델시범사업 농산물가공품개발 연구용역 과제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년 11 월 19 일 주관연구기관명 : 영남대학교 총괄연구책임자 : 한 기 동 연 구 원 : 김 상 욱 이 수 형 이 상

Lumbar spine


590호(01-11)

기관고유연구사업결과보고

14.531~539(08-037).fm

歯5-2-13(전미희외).PDF

Jkafm093.hwp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J Nutr Health) 2014; 47(3): 186 ~ pissn / eissn R

433대지05박창용

현재도 피운다. (a) Half pack a day (b) half to one pack a day 반 갑 미만 반 갑 ~ 한 갑 (c) one to two packs a day (d) more than 2 packs a day 한 갑 ~ 두 갑 두 갑 이상 5. Ho

248 / 한국노인식사의탄수화물에너지비와만성질환위험성 당뇨병 유병률은 세에서 세 이상에서 로 증가하였으며 고혈압 유병률은 세는 세 이상은 로 증가하여 노령 단계에 따라서도 지속적으로 증가함이 보고되었다 또한 연도에 따라서도 유병률이 꾸준히 증가하여 세 노인의 경우 년부

(김정현).fm


DIABETES FACT SHEET IN KOREA 2012 SUMMARY About 3.2 million Korean people (10.1%) aged over 30 years or older had diabetes in Based on fasting g

Microsoft PowerPoint - SS2_Dr.LeeHY(fiber).ppt

(김영남).fm

untitled

Pharmacotherapeutics Application of New Pathogenesis on the Drug Treatment of Diabetes Young Seol Kim, M.D. Department of Endocrinology Kyung Hee Univ

(72) 발명자 이승원 강원도 고성군 죽왕면 오호리 정동호 강원도 고성군 죽왕면 오호리 이호생 강원도 고성군 죽왕면 오호리 이 발명을 지원한 국가연구개발사업 과제고유번호 PMS235A 부처명 국토해양부 연구사업명 해양자원개발 연구과제명


- 2 -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1, pp DOI: * The

fm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학교폭력표지

<C7D1B1B9B1B3C0B0B0B3B9DFBFF85FC7D1B1B9B1B3C0B05F3430B1C733C8A35FC5EBC7D5BABB28C3D6C1BE292DC7A5C1F6C6F7C7D42E687770>

저품질낱장.pdf

<28BCF6BDC D B0E6B1E2B5B520C1F6BFAABAB020BFA9BCBAC0CFC0DAB8AE20C1A4C3A520C3DFC1F8C0FCB7AB5FC3D6C1BE E E687770>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Æ÷Àå82š


<5B31362E30332E31315D20C5EBC7D5B0C7B0ADC1F5C1F8BBE7BEF720BEC8B3BB2DB1DDBFAC2E687770>

김범수

09구자용(489~500)

< D B4D9C3CAC1A120BCD2C7C1C6AEC4DCC5C3C6AEB7BBC1EEC0C720B3EBBEC8C0C720BDC3B7C2BAB8C1A4BFA120B4EBC7D120C0AFBFEBBCBA20C6F2B0A E687770>

264 축되어 있으나, 과거의 경우 결측치가 있거나 폐기물 발생 량 집계방법이 용적기준에서 중량기준으로 변경되어 자료 를 활용하는데 제한이 있었다. 또한 1995년부터 쓰레기 종 량제가 도입되어 생활폐기물 발생량이 이를 기점으로 크 게 줄어들었다. 그러므로 1996년부

03이경미(237~248)ok


식료

16(5)-03.fm

유해중금속안정동위원소의 분석정밀 / 정확도향상연구 (I) 환경기반연구부환경측정분석센터,,,,,,,, 2012

YBM시사닷컴, 첨단 개인별 맞춤 학습 시스템 개발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3 * The Effect of H

°Ç°�°úÁúº´5-44È£ÃÖÁ¾

2 3

*5£00̽ÅÈ�

1

untitled

a16.PDF

경부종괴의 임상적 고찰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searc


untitled

04_이근원_21~27.hwp

한국영양학회지 (Korean J Nutr) 2013; 46(1): 50 ~ 60 ISSN / E-ISSN 어린이와청소년의비알콜성음료섭취에따른다량무기질섭취량평


DBPIA-NURIMEDIA

DBPIA-NURIMEDIA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4, pp DOI: A Study on the Opti

Transcription: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17(2) : 146~155, 2012 Korean J Community Nutr 17(2) : 146~155, 2012 http://dx.doi.org/doi:10.5720/kjcn.2012.17.2.146 여대생의 아연, 구리, 망간, 셀레늄 섭취 상태 평가 2) 배윤정 김미현 1) 연지영 한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1) 강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2) 숙명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Evaluation of Dietary Zinc, Copper, Manganese and Selenium Intake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Yun-Jung Bae, Mi-Hyun Kim 1), Jee-Young Yeon 2)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al Sciences, Hanbuk University, Gyeonggi, Korea 1)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Gangwon, Korea 2)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measure and evaluate the s of four antioxidant trace elements, namely, Zn, Cu, Mn, and Se in 19-29y-old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Diet data were collected by 3-day dietary records in 644 subjects. The mean age, height, weight and body mass index of the subjects were 20.08 years, 161.77 cm, 54.26 kg and 20.82 kg/m 2, respectively. The mean, median and 25th-75th percentile s of Zn, Cu, Mn, and Se in the subjects were 12.83 mg (12.40 mg, 9.59 to 15.34), 1.30 mg (1.27 mg, 1.00 to 1.57), 3.19 mg (3.12 mg, 2.45 to 3.86), and 50.90 µg (50.17 µg, 37.59 to 64.35), respectively. The proportion of subjects whose Mn was adequate or less was 62.89%, and the proportions of subjects whose Zn, Cu and Se s were at the estimated average requirements or less were 10.09, 4.97, and 39.60%, respectively. The major food group for dietary s of Zn, Cu, Mn, and Se was cereal, providing 8.55 mg (66.60%), 0.78 mg (59.93%), 2.09 mg (65.50%), and 16.83 µg (32.43%), respectively. Many female university students were deficient in Mn and Se compared with the dietary reference s. Therefore, except for cereal, it is required to consume a diet consisted of various food sources for increasing the s of antioxidant trace minerals, especially animal food groups. (Korean J Community Nutr 17(2) : 146~155, 2012) KEYWORDS : zinc copper manganese selenium female university students 서 국민소득 향상과 의학의 발달은 삶의 질을 높이고 인간 수 명을 연장시켰으나, 생활환경의 개선으로 식이 섭취의 급격 한 변화를 가져왔다. 이는 비만, 당뇨, 심혈관계 질환 등의 만 성질환과 빈혈, 저체중 등과 같은 영양 섭취 불균형으로 이 어져 국민 건강을 위협하는 영양문제로 나타나고 있다. 특 히, 잘못된 식행동으로 인한 무리한 체중감소는 열량 영양소 뿐 아니라 필수 미량영양소의 섭취 부족을 초래하기 쉽다. 여 접수일: 2012년 1월 31일 접수 수정일: 2012년 2월 17일 수정 채택일: 2012년 3월 02일 채택 Corresponding author: Jee-Young Yeon,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Cheongpa-dong 2(i)-ga, Yongsan-gu, Seoul 140-742, Korea Tel: (031) 860-1445, Fax: (031) 860-1449 E-mail: jyyeon@yahoo.co.kr 론 대생의 경우 건강보다 체형에 가치를 더 부여함으로써 잘못 된 다이어트를 통해 무분별한 체중감소를 보이는 경우가 높 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Sohng & Park 2003) 미량영양 소의 섭취 부족이 우려된다. 미량 무기질은 체내 적은 존재 량으로 대사적 기능 조절에 필요한 영양소로 알려져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항산화 무기질로 간 주되는 아연, 구리, 망간, 셀레늄의 영양 섭취 상태 평가에 관 한 연구는 많지 않다. 아연은 필수 미량 영양소 중의 하나로 다양한 생리학적, 대 사적 기능을 수행하며(Hambidge 2000), 모든 주요 생화 학적 경로에 필수적이고, 세포 증식과 분화에 작용하는 것으 로 알려져 있다. 아연 섭취 부족시 세포증식이 저해되어 성 장 지연을 초래하는 것으로 보고되었고(MacDonald 2000), Nriagu(2010)는 임산부에게 아연 결핍시 산모와 태아에게 발생될 수 있는 합병증의 증가를 야기한다고 보고하였다. 또 한, 세계보건기구에서는 전 세계인구의 31%가 아연 결핍이 146

배윤정 김미현 연지영 147 라고 보고하고 있으며, 지역에 따라 4~73%의 차이를 보이 는 것으로 나타났다(Caulfield & Black 2004). 현재 우리 나라의 아연 섭취에 관한 연구 자료가 부족하여 국외 자료를 이용하여 평균 필요량을 추정하고 있으므로, 우리나라 사람 을 대상으로 한 아연 섭취 평가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구리는 여러 효소의 구성성분으로 산화환원반응에 관여한 다. 구리 결핍시 철 이용률의 감소로 빈혈이 발생할 수 있으 며(Linder & Hazegh-Azam 1996), 혈중 콜레스테롤이 증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Solomons 1985; Medeiros 등 1991). 구리의 결핍증은 드물게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우리나라 구리 섭취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면, 농촌 성인 여성 3.7 mg(lee 등 1996), 폐경기 여성 1.47 mg (Yeon & Sung 2011), 여대생 2.3 mg(son & Sung 1999)으로 구리 섭취 상태는 같은 성인 여성에서도 연령, 거주환경, 생리적 환경 등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구리의 과잉 섭취는 산화적 스트레스로 인한 지 질대사의 변화와 항산화 효소 활성을 감소시키고 면역기능 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Galhardi 등 2004). 2010년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의 구리 상한 섭취량은 10 mg 으로 제정되어 있으나, 하루 0.6 mg 이상 구리가 체내에 보 유될 경우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고 하였다(The Korean Nutrition Society [KNS] 2010). 따라서 상한 섭취량에 대한 조정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섭취량 평가 에 대한 국내 연구의 부족으로 그대로 설정하고 있는 실정이다. 망간은 골격에 존재하며, 금속효소의 구성성분으로 열량 영양소인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대사에 관여한다. 망간은 철 흡수를 억제하며, 칼슘, 아연 등과 같은 무기질의 과잉 섭 취는 망간의 체내 이용률에 영향을 미친다(Sandstrom 등 1987). 식이로 섭취한 망간의 1~3% 정도가 흡수되며, 흡 수된 망간은 빠르게 담즙을 통해 배설되고, 성인의 경우 흡 수된 망간 보유율이 1~3%로 보고되고 있다(Mena 1981). 망간은 다양한 식품에 함유되어 있으나 흡수율이 낮고, 섭취 량의 변이가 커 망간 필요량을 추정하기 어려우며(Greger 1998), 우리나라 식품의 망간 함량에 대한 자료가 부족하여 망간 섭취 실태를 파악하기 힘든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셀레늄은 글루타티온 과산화효소의 구성성분으로 혈청 셀 레늄 농도가 정상인 경우 암 발생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으며 (Rayman 2005), 혈청 셀레늄 농도가 낮은 대상자에게 셀 레늄을 보충하면 폐암, 간암, 전립선암 등과 같은 암 발생을 억제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Duffield-Lillico 등 2004; Rayman 2005; Jablonska 등 2008). 셀레늄은 영양학적 중요성이 알려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인 영양섭취기준 설정에 필요한 우리나라 database가 부족하여 중국과 뉴질 랜드 자료를 토대로 설정되어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지속적 인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는 셀레늄 영양섭취기 준이 마련되어야 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항산화 무기질은 여러 항산화관련 효소와 호르몬의 구성 성분으로 결핍시에는 효소 활성을 감소시키므로, 세포 안전 성을 손상시키고 면역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항산화 무기질 섭취 상태에 대한 자료가 미흡한 상태이므로 세부적 인 섭취 상태를 평가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따라 서 본 연구는 성인기로 접어든 여대생의 일상적인 식이 섭취 를 통한 항산화 무기질 섭취 현황과 급원식품을 확인하고, 적 정 영양상태 유지를 위한 미량 무기질 권장량 설정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대상 및 방법 1. 연구 대상 및 시기 본 연구에서는 서울, 충북 및 강원지역 각 1개 대학교에서 19~29세 사이 여대생 총 644명을 대상으로 2008년 9월 부터 2011년 5월 사이에 식사 섭취 조사를 실시하였다. 2. 연구 방법 및 내용 1) 신체계측 신장과 체중은 신장 체중 자동계측기(DS-102, JENIX, Korea)를 사용하여 가벼운 옷차림 상태에서 신발을 벗고 직 립한 자세로 측정하였으며, 측정된 신장과 체중을 이용하여 체질량지수(BMI, Body Mass Index = 체중(kg)/[신장 (m)] 2 )를 산출하였다. 2) 식사 섭취 조사 영양소 섭취상태는 식품의 분량 및 재료 등에 대하여 사전 에 푸드 모델 및 사진자료를 이용하여 기록 방법을 교육한 후, 기록법을 통하여 비연속 3일간(주말 1일과 주중 2일)의 식품 섭취량을 조사하였다. 조사된 자료는 영양분석 프로그 램 Can-pro 3.0(KNS 2010)을 이용하여 영양소와 식품 섭취량을 분석한 후, 개인별 영양소 및 식품군별 섭취량을 계 산하였다. 무기질 섭취량은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Food database(u.s. Department of Agriculture,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2010)와 농촌진흥청 식품성분표(Rural Resources Development Institute, Rural Administration, 2006)를 이용하여 분석 하였다. 조사대상자의 무기질 섭취량은 평균값(1일 총 섭 취량, 섭취 열량 1000 kcal당 무기질 섭취량) 및 중앙값으 로 나누어 제시하였으며,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의 평균필요

148 여대생의 아연, 구리, 망간, 셀레늄 섭취상태 량, 권장섭취량, 충분섭취량 및 상한섭취량과 비교하였다. 미 량 무기질 섭취 분포는 대상자들의 중앙값 섭취량(median) 과 25th~75th percentiles로 제시하였으며, 미량무기질 섭 취범위(range)는 최소섭취량과 최대섭취량으로 제시하였 다. 조사 대상자들의 섭취한 식품을 토대로 무기질 섭취량을 계산하고 이를 토대로 무기질 주요 급원식품의 상위 20위를 도출하였다. 3. 통계분석 실험결과로 얻어진 모든 결과는 SAS Program(ver. 9.1) 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계산하였다. 결 1. 신체계측 조사 대상자들의 일반사항은 Table 1과 같다. 조사 대상 자들의 평균 연령은 20.08세였으며, 신장과 체중은 161.77 cm, 54.26 kg으로 나타났다. 평균 체질량지수는 20.82 kg/ m 2 로 나타났다. 2. 영양소 섭취상태 조사 대상자의 평균 영양소 섭취량은 Table 2와 같다. 조 사 대상자의 1일 섭취 열량은 1573.86 kcal로 해당 연령대 의 한국인 영양섭취기준과 비교해 볼 때, 필요추정량의 75.54% 섭취 수준을 보였으며, 단백질 섭취량은 58.85 g (119.79% of RNI; Recommended Nutrient Intake), 지질 섭취량은 48.69 g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대상자의 탄 수화물, 단백질, 지방으로부터의 섭취 열량을 분석한 결과, 57.47 : 14.99 : 27.46으로 나타났다. 조사 대상자의 철 섭 취량은 10.61 mg(73.55% of RNI)으로 동물성 철 3.09 mg, 식물성 철의 경우 7.52 mg이었으며, 나트륨 섭취량은 3064.30 mg으로 충분섭취량의 204.29%의 섭취 수준을 나타내었다. 비타민별 섭취량을 살펴보면 비타민 A 585.33 µg R.E., 비타민 B 1 1.03 mg, 비타민 B 2 1.00 mg, 비타민 C 69.17 mg으로 나타났으며, 나트륨을 제외한 대부분의 영양소 섭취량은 권장섭취량 이하의 섭취 수준을 보였다. 3. 아연, 구리, 망간, 셀레늄 섭취량 조사 대상자들의 아연, 구리, 망간, 셀레늄 섭취량과 분포 는 Table 3과 4에 제시하였다. 1일 아연 섭취량은 12.83 mg이었고, 중앙값 섭취량(25th~75th percentiles)은 12.40 mg(9.59~15.34)으로 나타났다. 아연 섭취량을 해 과 Table 1. Age and anthropometric measurements of subjects Variable Subjects (n = 644) Age (yrs) 520.08 ± 1.70 1) Height (cm) 161.77 ± 5.19 Weight (kg) 554.26 ± 8.84 BMI 2) (kg/m 2 ) 520.82 ± 3.43 1) Mean ± SD, 2) Body Mass Index Table 2. Mean daily energy and nutrient s in subject Variable Daily s % of KDRIs 1) Energy (kcal) 1,573.86 ± 5,447.33 2) 575.54 ± 21.61 3) Protein (g) 51,58.85 ± 51,19.95 119.79 ± 41.05 4) Animal protein (g) 51,30.84 ± 51,13.57 Plant protein (g) 51,28.01 ± 51,11.90 Fat (g) 51,48.69 ± 51,18.91 Animal fat (g) 51,23.91 ± 51,12.22 Plant fat (g) 51,24.77 ± 51,11.65 Carbohydrate (g) 5,224.28 ± 51,62.81 Crude fiber (g) 51,13.56 ± 51,54.98 Iron (mg) 51,10.61 ± 51,54.18 573.55 ± 28.94 4) Animal iron (mg) 51,53.09 ± 51,51.18 Plant iron (mg) 51,57.52 ± 51,53.56 Sodium (mg) 3,064.30 ± 1,121.97 204.29 ± 74.73 5) Potassium (mg) 1,903.21 ± 5,704.72 Vitamin A (µg R.E.) 5,585.33 ± 5,325.06 591.21 ± 50.65 4) Retinol (µg) 5,143.74 ± 5,117.68 β-carotene (µg) 2,407.08 ± 1,653.57 Vitamin B 1 (mg) 51,51.03 ± 51,50.54 595.20 ± 49.66 4) Vitamin B 2 (mg) 51,51.00 ± 51,50.49 583.46 ± 40.75 4) Niacin (mg) 51,13.30 ± 51,55.11 595.03 ± 36.49 4) Vitamin B 6 (mg) 51,51.57 ± 51,50.78 Vitamin C (mg) 51,69.17 ± 51,51.84 569.17 ± 51.84 4) Energy distribution % Carbohydrate 51,57.47 ± 51,57.04 % Protein 51,14.99 ± 51,52.99 % Fat 51,27.46 ± 51,55.77 1) KDRIs: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2) Mean ± SD 3) Percent of Estimated Energy Requirements (EER) of 2010 KDRIs 4) Percent of Recommended Nutrient Intake (RNI) of 2010 KDRIs 5) Percent of Adequate Intake (AI) of 2010 KDRIs 당 연령대의 한국인 영양섭취기준과 비교해 볼 때, 권장섭 취량의 157.68%의 섭취 수준을 보였으며, 평균필요량에 미달되게 섭취하는 대상자의 비율은 10.09%(65명)로 나 타났고, 상한섭취량 이상으로 섭취하는 비율은 0.62%(4 명)로 나타났다. 평균 구리 섭취량(median, 25th~75th percentiles)은 1.30 mg(1.27 mg, 1.00~1.57)으로 권 장섭취량의 160.30%의 섭취 수준을 보였으며, 평균필요량 에 미달되게 섭취하는 대상자의 비율은 4.97%(32명)로 나

배윤정 김미현 연지영 149 타났다. 평균 망간 섭취량(median, 25th~75th percentiles)은 3.19 mg(3.12 mg, 2.45~3.86)으로 충분섭 취량의 91.09%의 섭취 수준을 보였다. 망간의 경우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의 해당 연령대 충분섭취량 3.5 mg 보다 낮은 섭취 상태를 보인 비율은 62.89%로 나타났다(Table 4). 평균 셀레늄 섭취량(median, 25th~75th percentiles)은 51.90 µg(50.17 µg, 37.59~64.35)으로 권장섭취량의 93.06%의 섭취 수준을 보였으며, 평균필요량에 미달되게 섭취하는 대상자의 비율은 39.60%(255명)으로 나타났다. 4. 식품군별 아연, 구리, 망간, 셀레늄 섭취량 식품군별 아연, 구리, 망간, 셀레늄 섭취량에 대한 결과는 Table 5에 제시하였다. 조사 대상자들의 식품군별 아연 섭 취량을 살펴보니, 곡류군으로부터의 아연 섭취량이 8.55 Table 3. Mean of zinc, copper, manganese and selenium s in subjects Variable Mean ± SD Mean ± SD (/1,000 kcal) Intake evaluation Intake evaluation by KDRI 2) Median (25 75) 1) Range % of RNI 3) <EAR 4) UL 5) Zn (mg) 12.83 ± 55.11 6) 58.29 ± 2.99 12.40 (59.59 15.34) 1.06 543.06 157.68 ± 63.50 565 (10.09) 7) 4 ( 0.62) Cu (mg) 51.30 ± 50.45 50.83 ± 0.22 5 1.27 (51.00 51.57) 0.14 553.77 160.30 ± 56.21 532 (54.97) Mn (mg) 53.19 ± 51.06 52.06 ± 0.54 5 3.12 (52.45 53.86) 0.28 557.27 591.09 ± 30.19 8) Se (µg) 51.90 ± 20.43 33.02 ± 9.51 50.17 (37.59 64.35) 8.53 122.71 593.06 ± 36.46 255 (39.60) 1) Percentile, 2) KDRIs: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3) RNI: Recommended Nutrient Intake, 4) EAR: Estimated Average Requirement, 5) UL: Tolerable upper level, 6) Mean ± SD, 7) N (%), 8) Percent of Adequate Intake (AI) of 2010 KDRIs Table 4. Distribution (percentiles) of Daily s of zinc, copper, manganese and selenium in subjects and evaluation based on the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KDRIs) Percentiles 1 5 10 25 50 75 90 95 99 Zn (mg) 3.33 5.78 6.99 9.59 12.40 15.34 18.60 20.81 29.34 Cu (mg) 0.42 0.60 0.76 1.00 1.27 1.57 1.84 2.10 2.56 Mn (mg) 1.00 1.50 1.87 2.45 3.12 3.86 4.56 4.99 5.99 Se (µg) 12.39 20.01 27.90 37.59 50.17 64.35 77.75 89.00 108.38 EAR: Estimated Average Requiremen ( ) Zn: 7.0 mg/day, Cu: 0.6 mg/day, Se 45 µg/day RNI: Recommended Nutrient Intake ( ) Zn: 8.0 mg/day, Cu: 0.8 mg/day, Se 55 µg/day AI: Adequate Intake ( ) Mn: 3.5 mg/day Table 5. Mineral from each food group in subjects Food groups Zn s (mg/day) Cu s (mg/day) Mn s (mg/day) Se s (µg/day) Cereals 8.55 ± 4.47 1) (566.60) 2) 0.78 ± 0.29 (559.93) 2.09 ± 0.74 (565.46) 16.83 ± 11.13 (532.43) Potatoes and starches 0.08 ± 0.14 (550.62) 0.04 ± 0.07 (552.71) 0.07 ± 0.15 (552.09) 0.22 ± 50.40 (550.42) Sugar and sweeteners 0.08 ± 0.18 (550.62) 0.02 ± 0.04 (551.40) 0.07 ± 0.15 (552.26) 0.21 ± 50.37 (550.41) Pulses 0.17 ± 0.20 (551.33) 0.04 ± 0.05 (552.90) 0.11 ± 0.13 (553.43) 1.30 ± 51.84 (552.51) Nuts and seeds 0.04 ± 0.11 (550.32) 0.01 ± 0.03 (551.01) 0.02 ± 0.09 (550.85) 0.07 ± 50.37 (550.14) Vegetables 0.56 ± 0.29 (554.36) 0.14 ± 0.08 (510.67) 0.43 ± 0.24 (513.35) 1.02 ± 50.60 (551.97) Mushrooms 0.01 ± 0.05 (550.10) 0.01 ± 0.03 (550.47) 0.00 ± 0.01 (550.05) 0.13 ± 50.44 (550.25) Fruits 0.08 ± 0.15 (550.66) 0.05 ± 0.08 (553.65) 0.10 ± 0.18 (553.16) 0.23 ± 50.40 (550.44) Meats 1.74 ± 1.20 (513.57) 0.06 ± 0.06 (554.98) 0.03 ± 0.07 (551.03) 14.48 ± 59.62 (527.90) Eggs 0.39 ± 0.29 (553.03) 0.02 ± 0.02 (551.62) 0.01 ± 0.01 (550.26) 9.21 ± 56.99 (517.74) Fish and shellfishes 0.31 ± 0.48 (552.41) 0.06 ± 0.12 (554.30) 0.04 ± 0.10 (551.27) 5.37 ± 57.44 (510.35) Seaweeds 0.05 ± 0.14 (550.41) 0.01 ± 0.02 (550.49) 0.03 ± 0.06 (551.07) 0.05 ± 50.12 (550.09) Milks 0.51 ± 0.47 (553.96) 0.02 ± 0.02 (551.32) 0.01 ± 0.02 (550.26) 2.25 ± 52.20 (554.33) Oils 0.00 ± 0.01 (550.01) 0.00 ± 0.00 (550.02) 0.00 ± 0.00 (550.01) 0.00 ± 50.01 (550.00) Beverages 0.08 ± 0.17 (550.59) 0.01 ± 0.08 (551.05) 0.02 ± 0.16 (550.62) 0.16 ± 50.86 (550.32) Seasonings 0.18 ± 0.17 (551.39) 0.05 ± 0.04 (553.48) 0.16 ± 0.19 (554.90) 0.36 ± 50.75 (550.69) Others 0.00 ± 0.04 (550.01) 0.00 ± 0.00 (550.00) 0.00 ± 0.00 (550.00) 0.00 ± 50.00 (550.00) Total 12.83 ± 5.11 (100.00) 1.30 ± 0.45 (100.00) 3.19 ± 1.06 (100.00) 51.90 ± 20.43 (100.00) 1) Mean ± SD, 2) % of total

Table 6. Ranking of food sources by zinc, copper, manganese and selenium s Rank Food Zn (mg) % of Cumulative total percentage Food Cu (mg) % of Cumulative total percentage Food Mn (mg) % of total Cumulative percentage Food Se (µg) % of total Cumulative percentage 1 Rice 4471.21 54.02 54.02 Rice 393.27 46.92 46.92 Rice 1014.47 49.39 49.39 Egg 5811.97 17.35 17.35 2 Beef 482.74 5.83 59.85 Kimchi 18.32 2.19 49.10 Bean curd 54.01 2.63 52.02 Pork 3791.01 11.32 28.67 3 Cereal 400.73 4.84 64.69 Bean curd 17.43 2.08 51.18 Ramen 49.87 2.43 54.44 Beef 2589.49 7.73 36.40 4 Pork 271.10 3.28 67.97 Ramen 17.25 2.06 53.24 Kimchi 45.80 2.23 56.67 Rice 2402.41 7.17 43.57 5 Egg 242.02 2.92 70.89 Pizza 15.31 1.83 55.07 Maple syrup 37.05 1.80 58.48 Bread 1587.04 4.74 48.31 6 Milk 174.21 2.10 72.99 Bread 14.40 1.72 56.79 Garlic 36.76 1.79 60.27 Chicken 1225.35 3.66 51.97 7 Pizza 153.96 1.86 74.85 Egg 13.18 1.57 58.36 Bread 31.69 1.54 61.81 Ramen 991.36 2.96 54.93 8 Chicken 148.47 1.79 76.65 Pork 12.43 1.48 59.84 Pizza 29.08 1.42 63.23 Flour 940.53 2.81 57.74 9 Kimchi 114.50 1.38 78.03 Crab 10.12 1.21 61.05 Curry powder 26.38 1.28 64.51 Anchovy 920.75 2.75 60.49 10 Ramen 84.27 1.02 79.05 Potato 9.73 1.16 62.21 Sweet potato 24.16 1.18 65.69 Milk 872.41 2.60 63.09 11 Bean curd 71.47 0.86 79.91 Soybean paste 9.53 1.14 63.35 Spinach 23.34 1.14 66.82 Pizza 810.32 2.42 65.51 12 Bread 49.84 0.60 80.51 Tangerine 9.13 1.09 64.44 Snack 22.42 1.09 67.91 Bean curd 805.08 2.40 67.92 13 Soybean paste 36.51 0.44 80.96 Sweet potato 8.97 1.07 65.51 Gochujang 20.63 1.00 68.92 Mackerel 574.27 1.71 69.63 14 Crab 34.20 0.41 81.37 Beef 7.68 0.92 66.42 Mussel 20.44 1.00 69.91 Spaghetti, dish 484.95 1.45 71.08 15 Rice cake 34.13 0.41 81.78 Beansprouts 7.31 0.87 67.29 Soybean paste 20.28 0.99 70.90 Breadcrumbs 468.75 1.40 72.48 16 Squid 33.65 0.41 82.19 Squid 6.73 0.80 68.10 Rice cake 19.51 0.95 71.85 Spaghetti, noodle 455.79 1.36 73.84 17 Coffee 33.35 0.40 82.59 Garlic 6.57 0.78 68.88 Flour 18.96 0.92 72.77 Sausage 405.87 1.21 75.05 18 Anchovy 32.99 0.40 82.99 Chicken 6.50 0.78 69.66 Kkakdugi 17.28 0.84 73.62 Noodle 374.51 1.12 76.17 19 Yoghourt 31.32 0.38 83.37 Korean radish 6.47 0.77 70.43 Brown seaweed 15.99 0.78 74.39 Kalguksu 323.61 0.97 77.13 20 Ice cream 30.71 0.37 83.74 Rice cake 5.36 0.64 71.07 Onion 15.87 0.77 75.17 Garlic 312.18 0.93 78.07 Total 8277.41 Total 838.20 Total 2054.08 Total 33494.23 150 여대생의 아연, 구리, 망간, 셀레늄 섭취상태

배윤정 김미현 연지영 151 mg(66.60%)으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육류군(1.74 mg, 13.57%), 채소군(0.56 mg, 4.36%), 우유 및 유제품 군(0.51 mg, 3.96%)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식품군별 구 리 섭취량은 곡류군(0.78 mg, 59.93%), 채소군(0.14 mg, 10.67%), 육류군(0.06 mg, 4.98%), 어패류군(0.06 mg, 4.30%)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식품군별 망간 섭취량은 곡류군이 2.09 mg(65.46%)으로 가장 높았고, 채소군 (0.43 mg, 13.35%), 조미료류(0.16 mg, 4.90%), 두류 (0.11 mg, 3.43%)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식품군별 셀 레늄 섭취량을 분석한 결과 곡류군으로부터의 셀레늄 섭취 량이 16.83 µg(32.43%)으로 가장 높았고, 육류(14.48 µg, 27.90%), 난류(9.21 µg, 17.74%), 어패류(5.37 µg, 10.35%)의 순으로 나타났다. 5. 아연, 구리, 망간, 셀레늄 급원식품 무기질별 급원 식품 결과를 살펴보면(Table 6), 아연 급 원식품은 쌀(54.02%), 소고기(5.83%), 시리얼(4.84%), 돼지고기(3.28%) 등으로 나타났으며, 구리 급원식품은 쌀 (46.92%), 김치(2.19%), 두부(2.08%), 라면(2.06%) 등으로 나타났다. 망간 급원식품은 쌀(49.39%), 두부 (2.63%), 라면(2.43%), 김치(2.23%) 등으로 나타났으 며, 셀레늄 급원식품은 계란(17.35%), 돼지고기(11.32%), 소고기(7.73%), 쌀(7.17%) 등으로 나타났다. 고 본 연구에서는 19~29세 여대생의 일상식이를 통한 아연, 구리, 망간, 셀레늄 섭취 현황 및 급원식품을 살펴보고자 하 였다. 조사 대상자들의 평균 연령은 20.08세였으며, 신장과 체중은 161.77 cm, 54.26 kg으로 나타났다. 조사 대상자 의 평균 섭취 열량은 1573.86 kcal로 해당 연령대의 한국 인 영양섭취기준과 비교해 볼 때, 필요추정량의 75.54%의 섭취 수준을 보였으며, 열량 영양소 구성 비율은 57.47 : 14.99 : 27.46(당질 : 단백질 : 지질)로 나타나 2009년 국 민건강영양조사(67.7 : 14.1 : 18.2)와 비교해 볼 때 당질 의 섭취 비율은 낮은 반면, 지질의 섭취 비율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Ministry of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MOHWFA] &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CDCP] 2010). 조사 대상자들의 평균 아연 섭취량은 12.83 mg이었고, 중앙값 섭취량(25th~75th percentiles)은 12.40 mg (9.59~15.34)으로 나타났다. 평균 아연 섭취량을 해당 연 령대의 한국인 영양섭취기준과 비교해 볼 때, 권장섭취량의 찰 157.68%의 섭취 수준을 보였으며, 평균필요량에 미달되 게 섭취하는 대상자의 비율은 10.09%, 상한섭취량 이상으 로 섭취하는 비율은 0.62%로 나타났다. 2008년 국민건강 영양조사에 의하면 20세 이상 성인 여성의 평균 아연 섭취 량은 7.0~8.9 mg, 남성은 9.6~12.3 mg으로 보고하였다 (MOHWFA & KCDCP 2009). 국내에서 보고된 아연 섭 취량을 살펴보면, 여대생을 대상으로 한 Sung & Yoon (2000)에서는 7.6 mg, Kim 등(1999)은 6.7 mg으로 보 고하였으며, 성인을 대상으로 한 Choi 등(2005)에서는 7.9 mg, 노인을 대상으로 한 Gwag 등(2003)은 12.1 mg으로 대상자에 따라 섭취량의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 국인을 대상으로 한 Qin 등(2009)의 연구에서는 중국 Dietary Reference Intakes(DRI)를 기준으로 했을 때 불 충분한 아연 섭취량을 가지는 대상자의 비율을 22.9%로 보 고하였으며, 본 연구 대상자의 평균 필요량에 미달되게 섭취 하는 비율인 10.09%와 비교시 본 연구대상자에서 아연의 섭취가 좀 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구리 섭취량(median, 25th~75th percentiles) 은 1.30 mg(1.27 mg, 1.00~1.57)으로 권장섭취량의 160.30%의 섭취 수준을 보였다.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한 Choi 등(2009a)의 연구결과 구리 섭취량은 남성 1.16 mg, 여성 1.03 mg으로 나타났으며, 여대생을 대상으로 한 Son & Sung(1999)의 연구에서는 2.3 mg, 농촌 성인을 대상으 로 한 Sung(1993)의 연구에서는 남성 3.2 mg, 여성 3.7 mg으로 연구대상자 및 거주지역 등에 따라 섭취량에 차 이를 보였다. 지금까지의 구리 섭취량은 연구보고에 따라 차 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전반적으로 우리나라 성인의 구리 섭취 수준은 양호한 것으로 보인다. 중국인을 대상으로 한 Qin 등(2009)의 연구에서는 중국 DRI를 기준으로 했을 때 불충분한 구리 섭취량을 가지는 대상자의 비율을 37.2% 로 보고하였으며, 본 연구 대상자의 평균 필요량에 미달되게 섭취하는 비율인 4.97%와 비교시 우리나라 성인기 초반 여 성은 중국인에 비해 양호한 구리 섭취 상태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망간 섭취량(median, 25th~75th percentiles) 은 3.19 mg(3.12 mg, 2.45~3.86)으로 충분섭취량의 91.09%의 섭취 수준을 보였다. 2008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에 따르면 성인 평균 망간 섭취량 50백분위수는 3.4 mg이 였으며(MOHWFA & KCDCP 2009), 여대생을 대상으로 한 Sung & Yoon(2000)의 연구에서 3.81 mg, 성인을 대 상으로 한 Choi & Kim(2007)은 3.2 mg, 성인 여성을 대 상으로 한 Kim & Lim(2006)의 연구에서는 3.8 mg으로 본 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우리나라의 경우 망간 섭

152 여대생의 아연, 구리, 망간, 셀레늄 섭취상태 취에 관한 연구가 많지 않으며, 식품 내 망간 함량에 대한 자 료가 제한되어 망간 섭취 상태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어렵 다. 그러나 본 연구 대상자들에서 충분섭취량 이하의 섭취 수 준을 보이는 비율은 62.89%(405명)로 높게 나타났으며 (data not shown), 망간의 흡수율이 5% 미만인 것을 감안 할 때 망간 섭취 부족으로 인한 질병 위험도가 높아질 가능 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평균 셀레늄 섭취량(median, 25th~75th percentiles) 은 51.90 µg(50.17 µg, 37.59~64.35)으로 권장섭취량 의 93.06%의 섭취 수준을 보였다.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 에서 20~29세 성인 여성의 50백분위 셀레늄 섭취량은 71.4 µg으로 보고하였고(MOHWFA & KCDCP 2008), 20~64세 성인 여성의 50백분위는 62~74 µg으로 보고하 였다(MOHWFA & KCDCP 2009). 충남지역 식품을 분 석하여 얻은 셀레늄 database를 식이조사에 적용한 결과 남 성 135.5 µg, 여성 122.9 µg으로 보고되었다(Choi 등 2009a). 이를 본 연구 대상자 섭취량과 비교하여 볼 때 본 연구대상자가 낮은 셀레늄 섭취량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 다. 반면, 전북지역 젊은 여성을 대상으로 한 Kim & Lim (2006)의 연구에서 섭취한 식품을 직접 수거하여 분석한 결 과 셀레늄의 섭취량을 41.9 µg으로 보고하였다. 지역에 따 른 Yang(2003)의 연구에서는 경기도 여주 36.3 µg, 서울 45.7 µg, 강원도 영양 43.8 µg, 인천 41.9 µg의 섭취량을 보고하여 본 연구 결과의 셀레늄 섭취 중앙값과 유사한 결과 를 보였다. 젊은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한 Kim & Lim(2006)의 연구에서 평균 셀레늄 섭취량은 41.93 µg으 로 보고되었고, Choi 등(2009b)의 연구에서는 57.5 µg으 로 본 연구 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으며, 셀레늄 섭취량 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중국인을 대상으로 한 Qin 등(2009)의 연구에서는 중국 DRI를 기준으로 했을 때 불충분한 셀레늄 섭취량을 가지는 대상자의 비율은 29.3% 로 보고하였으며, 본 연구 대상자 중 평균 필요량에 미달되 게 섭취하는 비율이 39.60%로 나타난 것과 비교시 본 연구 대상자들의 셀레늄 섭취 상태가 중국인에 비해 낮은 것으로 보인다. 중국인을 대상으로 한 Ge 등(1983)의 연구에서 셀 레늄 부족에 의한 케산병은 가임기 여성에서 걸리기 더 쉬 우며, 남녀의 차이가 있다고 하여 필요량을 결정할 때는 성 별에 따른 차이가 고려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셀레늄 함량은 토양의 셀레늄 함량에 의존하며, 같은 식품이어도 재배된 식 물의 섭취에 따라 동물의 셀레늄 농도가 50배 차이를 보인 다고 하였다(Willet 1990). 본 연구의 셀레늄 섭취량은 국 내 자료가 부족하여 대부분 미국 식품 자료를 이용한 것으로 타 연구와의 차이점은 토양에 따른 식품 중 셀레늄의 차이 때 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지역에 따른 식품의 셀레늄 함 량에 대한 Database 구축에 관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 으로 생각되며, 셀레늄에 관한 섭취량 평가 및 관련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조사 대상자들의 식품군별 아연 섭취량은 곡류군이 8.55 mg으로 가장 높았고, 육류(1.74 mg), 채소류(0.56 mg), 유제품류(0.51 mg)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급원식품으로 는 쌀(54.02%), 소고기(5.83%), 시리얼(4.84%), 돼지고 기(3.28%), 달걀(2.92%) 등으로 5가지 식품으로부터 전 체 아연 섭취의 약 70% 정도를 공급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년 성인을 대상으로 한 Choi 등(2005)의 연구에서 아연 급원식품은 쌀(35.9%), 돼지고기(4.9%), 쇠고기(4.8%), 팥(3.9%), 개고기(3.8%), 닭고기(3.7%), 우럭(2.4%) 등 의 순으로 보고하였으며, 본 연구결과와 차이를 보이는 것으 로 나타났다. 이는 연령대와 지역별 차이에 따른 식품 섭취 가 다르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Park & Chyun(1993) 은 곡류로부터 아연 공급을 남성에서는 45.7%, 여성에서는 44.4% 정도 받는다고 하였으며, 곡류와 같은 식물성 식품으 로부터의 아연 공급은 체내 이용율을 낮출 것이라고 하였다. 본 연구 결과, 평균 아연 섭취량은 권장섭취량 이상으로 나 타났으나, 평균필요량에 미달되게 섭취하는 대상자의 비율 도 10% 정도로 나타났으므로 흡수율이 높은 동물성 식품을 통한 아연 섭취 증가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식품군별 구리 섭취량은 곡류군(0.78 mg), 채소류(0.14 mg), 육류(0.06 mg), 어패류(0.06 mg) 등의 순으로 나타 났으며, 구리 급원식품은 쌀(46.92%), 김치(2.19%), 두부 (2.08%), 라면(2.06%) 등으로 나타났다. 구리를 공급하는 주된 식품군으로 조개류, 견과류, 종실류, 두류, 곡류 등이 알 려져 있으며, 여러 식품에 들어있기는 하나 구리 함량은 식 품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다. 본 연구결과에서 구리를 공급 하는 주요 식품군으로 곡류군, 채소군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우리나라의 경우 식물성 식품을 주로 섭취하는 식생활로 식 품 자체의 절대적인 섭취량이 많아 본 연구 대상자의 구리 급 원식품으로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곡류 및 채소류는 알려 진 주요 급원식품에 비해 구리의 함량이 낮으며, 이들 식품에 함유된 식이섬유소와 피틴산은 구리의 체내 이용률을 낮추 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Kim 2006). 따라서 구리의 체내 이용률을 증가시키기 위한 아미노산 함량이 높은 동물성 식 품의 이용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식품군별 망간 섭취량은 곡류가 2.09 mg으로 가장 높았 고, 채소류(0.43 mg), 조미료류(0.16 mg), 두류(0.11 mg)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급원식품은 쌀(49.39%), 두부 (2.63%), 라면(2.43%), 김치(2.23%) 등으로 전체 망간

배윤정 김미현 연지영 153 섭취의 56% 이상을 공급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을 대 상으로 한 Choi & Kim(2007)의 연구결과 망간의 주요 급 원식품으로 쌀, 대두, 수수, 김치, 두부 순으로 나타나 본 연 구결과와 순서의 차이는 있었으나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 대상자는 여대생으로 기호 식품인 라면의 섭취가 높아, 라면으로부터의 망간 섭취가 많았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Choi & Kim(2007)의 연구에서는 상위 20가지 식품으로 부터 전체 망간 섭취량의 74%를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 결과(75.17%)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식품군별 셀레늄 섭취량은 곡류군이 16.83 µg으로 가장 높았고, 육류(14.48 µg), 난류(9.21 µg), 어패류(5.37 µg) 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계란(17.35%), 돼지고기(11.32%), 소고기(7.73%), 쌀(7.17%) 등이 셀레늄 급원식품으로 나 타났다. 2001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토대로 한 Choi 등 (2009b)의 연구에서 셀레늄의 주요 급원식품으로 곡류 (34%), 어패류(21%), 육류(20%)를 보고하여 본 연구결 과와 다소 차이를 보였다. 이는 식생활의 서구화로 인한 단 백질 식품 섭취 증가가 셀레늄 급원식품에 변화를 주었기 때 문으로 생각된다. 일본의 경우 어패류가 셀레늄의 주요 공급 원으로 보고되었으며(Yoneyama 등 2008), 셀레늄 급원 식품은 식생활 패턴에 의존하며 국가마다 차이를 보인다고 하였다(KNS 2010).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여대생의 항산화 무기질 섭취 상태를 평가한 결과 아연과 구리는 적정 수준을 섭취하는 것 으로 나타난 반면, 망간과 셀레늄은 영양섭취기준 이하로 섭 취하는 대상자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곡류군으로 부터 대부분의 무기질을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무기 질 섭취를 증가시키기 위한 식품의 절대적인 섭취량 증가는 다량 영양소의 과잉 섭취가 될 수 있다. 그러므로 낮은 생체 이용률을 가지는 무기질의 특성을 고려할 때 동물성 급원식 품을 통한 무기질 섭취도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우 리나라 식품의 무기질 함량에 대한 데이터 부족으로 무기질 섭취상태를 평가하는데 제한점이 있으므로 database 구축 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요약 및 결론 본 연구에서는 여대생 644명을 대상으로 일상식이를 통 한 항산화무기질인 아연, 구리, 망간, 셀레늄의 섭취상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자의 평균연령은 20.08세였으며, 신장, 체중 과 체질량지수는 161.77 cm, 54.26 kg, 20.82 kg/m 2 으 로 나타났다. 2. 조사 대상자의 평균 섭취열량은 1573.86 kcal로 해당 연령대의 한국인 영양섭취기준과 비교해 볼 때, 필요추정량 의 75.54% 섭취 수준을 보였으며, 평균 단백질 섭취량은 58.85 g(119.79% of RNI)과 지질 섭취량은 48.69 g으 로 나타났다. 3. 평균 아연 섭취량은 12.83 mg이었고, 중앙값 섭취량 (25th~75th percentiles)은 12.40 mg(9.59~15.34) 으로 나타났다. 평균필요량에 미달되게 섭취하는 대상자의 비율은 10.09%(65명)로 나타났으며, 상한섭취량 이상으 로 섭취하는 비율은 0.62%(4명)로 나타났다. 평균 구리 섭취량(median, 25th~75th percentiles)은 1.30 mg (1.27 mg, 1.00~1.57)으로 평균필요량에 미달되게 섭취 하는 대상자의 비율은 4.97%(32명)으로 나타났다. 평균 망 간 섭취량은 3.19 mg(3.12 mg, 2.45~3.86)이었으며, 평 균 셀레늄 섭취량은 51.90 µg(50.17 µg, 37.59~64.35) 으로 평균필요량에 미달되게 섭취하는 대상자의 비율은 39.60%(255명)으로 나타났다. 4. 조사 대상자들의 식품군별 무기질 섭취량을 살펴보면, 아연 섭취량은 곡류군이 8.55 mg으로 가장 높았고, 육류 (1.74 mg), 채소류(0.56 mg), 유제품류(0.51 mg)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구리 섭취량은 곡류군(0.78 mg), 채소류 (0.14 mg), 육류(0.06 mg), 어패류(0.06 mg) 등의 순으 로 나타났으며, 망간 섭취량은 곡류가 2.09 mg으로 가장 높 았고, 채소류(0.43 mg), 조미료류(0.16 mg), 두류(0.11 mg)의 순으로 나타났다. 셀레늄 섭취량은 곡류군이 16.83 µg 으로 가장 높았고, 육류(14.48 µg), 난류(9.21 µg), 어패 류(5.37 µg)의 순으로 나타났다. 5. 무기질별 급원식품 결과를 살펴보면, 아연은 쌀 (54.02%), 소고기(5.83%), 시리얼(4.84%), 돼지고기 (3.28%) 등이 아연 급원식품으로 나타났으며, 구리은 쌀 (46.92%), 김치(2.19%), 두부(2.08%), 라면(2.06%) 등으로 나타났다. 망간은 쌀(49.39%), 두부(2.63%), 라면 (2.43%), 김치(2.23%) 등으로 나타났으며, 셀레늄은 계란 (17.35%), 돼지고기(11.32%), 소고기(7.73%), 쌀 (7.17%) 등이 셀레늄 급원식품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아연과 구리는 적정 수준을 섭 취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망간과 셀레늄은 영양소 섭취기 준 이하로 섭취하는 대상자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무기질의 섭취는 상호간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특정 무기 질의 섭취가 과잉되지 않도록 균형잡힌 식사섭취가 요구된 다. 또한 항산화 무기질의 주요 급원식품군이 곡류군으로 나 타나 생체이용률이 높은 동물성 식품으로부터의 무기질 섭 취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154 여대생의 아연, 구리, 망간, 셀레늄 섭취상태 참 고 문 헌 Caulfield LE, Black RE (2004): Zinc deficiency. In Comparative quantification of health risks: global and regional burden of diseases attributable to selected major risks. Edited by: Ezzati M, Lopez AD, Murray CJ, Rodgers A. World Health Organization, Geneva, p.257 Choi MK, Kang MH, Kim MH (2009a): The analysis of copper, selenium, and molybdenum contents in frequently consumed foods and an estimation of their daily in Korean adults. Biol Trace Elem Res 128(2): 104-117 Choi MK, Kim EY (2007): Evaluation of dietary manganese in Korean men and women over 20 years old.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4): 447-452 Choi MK, Kim HS, Lee WY, Lee HM, Ze KZ, Park JD (2005): Comparative evaluation of dietary s of calcium, phosphorus, iron, and zinc in rural, coastal, and urban distri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5): 659-666 Choi YJ, Kim JY, Lee HS, Kim CI, Hwang IK, Park HK, Oh CH (2009b): Selenium content in representative Korean foods. Food Comp Anal 22(2): 117-122 Duffield-Lillico AJ, Dalkin BL, Reid ME, Turnbull BW, Slate EH, Jacobs ET, Marshall JR, Clark LC; Nutritional Prevention of Cancer Study Group (2003): Selenium supplementation, baseline plasma selenium status and incidence of prostate cancer: an analysis of the complete treatment period of the Nutritional Prevention of Cancer Trial. BJU Int 91(7): 608-612 Galhardi CM, Diniz YS, Faine LA, Rodrigues HG, Burneiko RC, Ribas BO, Novelli EL (2004): Toxicity of copper : lipid profile, oxidative stress and susceptibility to renal dysfunction. Food Chem Toxicol 42(12): 2053-2060 Ge K, Xue A, Bai J, Wang S (1983): Keshan disease-an endemic cardiomyopathy in China. Virchows Arch Pathol Anal Histopathol 401:1-15 Greger JL (1998): Dietary standards for manganese: overlap between nutritional and toxicological studies. J Nutr 128(2 Suppl): 368S- 371S Gwag EH, Lee SL, Yun JS, Lee HS, Kwon JS, Kwon IS (2003): Macronutrient, mineral and vitamin s in elderly people in rural area of North Kyungpook province in South Korea. Korean J Nutr 36(10): 1052-1060 Hambidge M (2000): Human zinc deficiency. J Nutr 130(5S): 1344S- 1349S Jablonska E, Gromadzinska J, Sobala W, Reszka E, Wasowicz W (2008): Lung cancer risk associated with selenium status is modified in smoking individuals by Sep15 polymorphism. Eur J Nutr 47(1): 47-54 Kim CH, Paik HY, Joung HJ (1999): Evaluation of zinc and copper status in Korean college women. Korean J Nutr 32(3): 277-286 Kim SH (2006): Dietary copper s and nutritional status of copper in serum among elementary schoolchildren in Chungnam province in Korea: comparison between remote rural and urban areas. Korean J Nutr 39(4): 381-391 Kim KH, Lim HS (2006): Dietary s, serum concentrations, and urinary excretions of Fe, Zn, Cu, Mn, Se, Mo, and Cr of Korean young adult women. Korean J Nutr 39(8): 762-772 Lee JY, Choi MK, Sung CJ (1996): The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s, serum levels, urinary excretions of Zn, Cu, Fe and serum lipids in Korean rural adults on self - selected diet. Korean J Nutr 29(10): 1112-1120 Linder MC, Hazegh-Azam M (1996): Copper biochemistry and molecular biology. Am J Clin Nutr 63(5): 797S-811S MacDonald RS (2000): The role of zinc in growth and cell proliferation. J Nutr 130(5S): 1500S-1508S Medeiros DM, Bagby D, Ovecka G, McCormick R (1991): Myofibrillar, mitochondrial and valvular morphological alterations in cardiac hypertrophy among copper-deficient rats. J Nutr 121(6): 815-824 Mena I (1981): Disorders of mineral metabolism. In: Bronner FL, Coburn JW, eds, Academic Press, New York, pp.230-270 Ministry of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MOHWFA] &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CDCP] (2008): 2007 National Health Statistics- The 4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e first year (2007).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Ministry of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MOHWFA] &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CDCP] (2009): 2008 National Health Statistics- The 4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e second year (2008).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Ministry of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MOHWFA] &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CDCP] (2010): 2009 National Health Statistics- The 4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e third year,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Nriagu J (2010): Zinc deficiency in human health. Available from http://www.extranet.elsevier.com/homepage_about/mrwd/nvrn/ Zinc%20Deficiency%20in%20Humans.pdf. [cited 2012 January 3] Park JS, Chyun JH (1993): Ditary zinc analysis and changes of zinc nutriture with zinc supplementation in Korean adults. Korean J Nutr 26(9): 1110-1117 Qin Y, Melse-Boonstra A, Shi Z, Pan X, Yuan B, Dai Y, Zhao J, Zimmermann MB, Kok FJ, Zhou M (2009): Dietary of zinc in the population of Jiangsu province, China. Asia Pac J Clin Nutr 18(2): 193-199 Rayman MP (2005): Selenium in cancer prevention: a review of the evidence and mechanism of action. Proc Nutr Soc 64(4): 527-542 Rural Resources Development Institut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6): Food composition table. Korea Sandström B, Davidsson L, Eriksson R, Alpsten M, Bogentoft C (1987): Retention of selenium (75Se), Zinc (65Zn) and manganese (54Mn) in humans after of a labelled vitamin and mineral supplement. J Trace Elem Electrolytes Health Dis 1(1): 33-38 Sohng KY, Park CS (2003): Eating habits, trend of disordered eating, weight reduction practice and body size evaluation of college students in Seoul. Korean J Women Health Nurs 9(4): 457-466 Solomons NW (1985): Biochemical, metabolic, and clinical role of copper in human nutrition. J Am Coll Nutr 4(1): 83-105 Son SM, Sung SL (1999): Zinc and copper with food analysis and levels of zinc and copper in serum, hair and urine of female

배윤정 김미현 연지영 155 college students. Korean J Nutr 32(6): 705-712 Sung CJ (1993): The dietary, blood and urinary levels of lead, iron and copper in self selected dietary rural peopl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2(6): 716-723 Sung CJ, Yoon YH (2000): The study of Zn, Cu, Mn, Ni contents of serum, hair, nail and urine for female college students. Korean J Food Nutr 29(1): 99-105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KNS] (2010): Dietary reference s for Koreans.Seoul, pp.2-7, 442-444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2010): USDA National nutrient database for standard reference, Release 23. Nutrient Data Laboratory Home Page, Available from http://www.ars.usda.gov/nutrientdata. [cited 2011 October 14] Willet W (1990): Nutritional Epidemi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pp.20-34 Yang HR (2003): Study of the dietary selenium and selenium status of Korean women. Ph. D, Dankook University Yeon JY, Sung CJ (2011): A study on dietary mineral s, urinary mineral excretions, and bone mineral density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Korean J Community Nutr 16(5): 569-579 Yoneyama S, Miura K, Itai K, Yoshita K, Nakagawa H, Shimmura T, Okayama A, Sakata K, Saitoh S, Ueshima H, Elliott P, Stamler J; INTERMAP Research Group (2008): Dietary and urinary excretion of selenium in the Japanese adult population: the INTERMAP Study Japan. Eur J Clin Nutr 62(10): 1187-1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