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간호학회지 제20권, 제4호, 2011년 12월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Vol. 20, No. 4, 434-443, December, 2011 대학생의 성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 김수진 1 문승태 2 강희순 전남대학교 간호대학 교수 1, 순천대학교 사범대학 부교수 2, 순천대학교 성희롱성폭력상담실 팀장 3 Factors Influencing Sexual Behaviors of College Students Kim, Soo Jin 1 Moon, Seung Tae 2 Kang, Hee Sun 3 1 Professor, College of Nursing,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 Associate Professor, College of Education, Sunchon National University, 3 Leader, Sexual Harassment-Violence Counseling Center, Sunchon National University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sexual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and to provide basic resources for a counseling program and sexual health education program by identifying general tendency of sexual behavior and analyzing demographic and environmental variables that affect sexual behaviors. Methods: To identify sexual behaviors according to demographic and environmental variables of college students, t-test and one way ANOVA were done using the SPSS/WIN 18.0 program.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done to identify the effects of demographic and environmental variables upon sexual behaviors. Results: As to sexual behaviors, male students, upper grade students, engineering division students, students with higher economic status, students with opposite gender friends, and students with experience in receiving obscene materials were more vulnerable to sexual behavior. As to demographic and environmental variables, they explained 25% of variances in 'sexual behavior'.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development of mental health nursing strategies for university students are required for effective sexual counseling on sound relationships and sexual health matters. Key Words: College student, Sexual behavior, Relationship, Pornography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대학생은 청소년기에서 성인기로 전환해가는 과도기적 상태로 신체적으로는 성적인 잠재기에서 벗어나 이성에 대 한 강렬한 호기심을 갖고 성충동을 느끼며 성적인 문제에 대해 고민하는 시기이다. 이때 정서적 안정과 성역할의 좋 은 모델이 있으면 자신에 대한 통찰과 자아정체감을 갖게 되지만, 그렇지 않으면 앞으로의 직업선택이나 성역할, 성 가치관을 확립하는 데 있어 심한 갈등을 일으키게 된다. 건 강한 성적 발달과 성의식을 갖추는 것은 대학생들의 인격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발달과업 중의 하나이다(Lee, 2008). 대학시절은 가지고 있는 성지식을 행동으로 옮길 수 있 는 시기이며, 이성과의 자유로운 교제를 통해 자신의 정체 성을 확고히 하고 성인기 부모로서의 역할을 준비하는 중 요한 시기이다. 또한 성과 관련된 경험들을 접함으로써 심 리적인 혼란감을 느낄 우려가 있으며, 혼전 성관계, 원치 않 는 임신, 임신중절, 성병, 인터넷 음란문화로 인한 피해 등 현실적인 문제에 가장 많이 당면하는 시기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Park, 2004). 특히 성인기 초기에 해당하는 대 주요어: 대학생, 성행동, 이성교제, 음란물 Address reprint requests to: Kang, Hee Sun, Sexual Harassment-Violence Counseling Center, Sunchon National University, 540-742 Jeollanam-do, Korea. Tel: 82-61-750-3163, Fax: 82-61-750-3169, E-mail: ganghs7205@hanmail.net 투고일 2011년 10월 2일 / 수정일 1차: 2011년 11월 28일, 2차: 2011년 12월 12일 / 게재확정일 2011년 12월 12일 434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대학생의 성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학생 시기는 성적 접촉 등 성 건강의 신체적 측면인 생식건 강에 영향을 미치는 행위가 빈번해지는 때이다. 따라서 시대 적 흐름에 따라 변화되고 있는 성에 대한 사회문화적 인식 은 성관계를 시작하는 시기에 있는 대학생들의 성행동에 많 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여겨진다(Shin, Park, Bae, & Cha, 2010). 대학생들은 입시 위주의 고교교육에서 벗어나면서 급작 스럽게 자유와 재량의 범위가 커지고 다른 시기보다 성적 활동도 활발해지지만, 성적 충동을 적절히 수용하고 판단하 는 데 필요한 성에 관한 가치체계가 제대로 확립되지 않아 서, 주체적인 판단이나 선택에 기초한 준비된 성행동이 이 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Jeon, Lee, & Lee, 2004). 우리 사회의 성의식의 변화는 대학생의 성태도와 성행동 에도 많은 영향을 주었는데, 오늘날 대학생들이 성과 관련 된 지식을 얻는 주된 근원이자 수단은 대중 영상매체라고 할 수 있다. 대학생들은 특히 음란매체를 통하여 무분별한 성 정보에 노출되고, 왜곡된 성 정보를 비판 없이 수용하며 다양한 형태의 성문화를 접촉하고 있어 심각한 사회적 문 제로 대두되고 있다(Lee & Jung, 2001). 다양한 매스컴의 발달로 인해 대중매체를 통한 성 관련 정보의 범람 속에서 성행동 양상이 매우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성 개방 풍조로 인한 성에 대한 가치관의 혼란과 성 문제가 단순히 성문제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성 비행이 나 성범죄로 이어지면서 우리사회에 심각한 갈등과 문제를 초래하고 있다. 또한 인터넷 음란물은 성적 충동을 유발시 키고, 성도덕을 약화시키며, 성에 대한 비정상적이고 잘못 된 지식과 사고를 심어줄 가능성이 크고, 성행동에 대한 왜 곡된 태도를 발달시켜 성범죄에 대한 억제력을 약화시킬 가능성이 크다(Ko & Ji, 2002; Lee & Cho, 2007). 이러한 성행동과 관련된 요인을 살펴보면, 대학생의 개 인특성 변인인 성별과 학년, 연령, 음란물 시청경험, 이성 교제 경험유무에 따라 성행동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Kim & Kim, 2008). 특히 인터넷상에서의 음란물 접 촉은 성에 대한 왜곡된 시각을 형성하는데, 음란물을 전혀 접해보지 않은 학생이 음란물을 시청함으로 인해 성적 충 동을 일으키게 되고, 이렇게 유발된 성충동은 모방 성행동 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Lee, 1995). 인터넷 상에서 음란물 접촉이 많을수록 성비행과 연결될 가능성이 크고, 더욱 적극적인 성행동을 하는 경향이 있다. 그리고 음란매 체는 대학생들에게 성적 자극이나 성행동을 일으키는 직접 적인 원인이 되며, 음란매체에 노출되면 될수록 대학생들 의 성적 허용성이 높아진다고 보고하고 있다(Lee, 1995). 음란물의 영향은 대학생들의 성행동에 영향을 주어 공개적 인 장소에서의 이성간의 접촉도 점점 더 증가할 것으로 예 상되며, 이에 따라 성교 장소도 매우 다양해질 것으로 예측 할 수 있다(Shin et al., 2010). 또한 이성교제 기간과 친밀도는 성행동에 가장 직접적이 고 강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이성교제의 경험이 있는 경 우 성행동 수준이 높았고, 직 간접적 성행동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성행동 수준 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Kim, Song, & Kang, 2003). 이를 통해 아직까지 우리 사회는 성별에 따른 이중 적 성태도가 만연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최근까지 다루어진 성행동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국외의 경우에는 청소년들의 무방비한 성관계 및 임신의 증 가가 사회문제로 대두되면서 성행동, 임신, 피임, 성병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연구들(Kirby, 1999; Kissman, 1998) 과 성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Bleakley, Hennessy, Fishbein, & Jordan, 2011; Carolyn, 1997; Feigenbaum, Weinstein, & Rosen, 1995)가 이루어졌으며, Chen, Thompson과 Morrison-Beedy (2010)와 Kotchick, Shaffer, Forehand와 Miller (2001)가 성행동 모형을 검정하 고, 위험 성행동 관리를 위한 효율적인 방안을 제시한 바 있 다. 국내의 연구에서는 청소년 위험 성행동에 대한 경로분석 (Park & Jung, 2011), 부모의 양육태도가 위험 성행동에 미 치는 영향(Kang, 2007) 등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연구한 성 지식, 성태도, 성행동의 상호관계에 대한 연구가 대다수였 고, 성인기 초반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성행동에 영향을 미 칠 수 있는 직접적인 요인검증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아 직 부족한 실정이다. 대학생의 경우 성행동에 영향을 미치 는 성적 자극환경과 유혹요인 등으로 인하여 성적 관심이 고조되면서 성적 충동이 더 강하게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대학생의 성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인 특성과 그들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적 요소를 함께 고려하 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성적 활동이 활발한 성인초기에 해당 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성행동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보 고 성행동에 영향을 주는 인구사회학 및 환경적인 변인을 분석함으로써 대학생의 성행동 문제를 이해하고, 이에 대 한 상담과정 및 효율적인 성건강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 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Vol. 20, No. 4, 2011 435
김수진 문승태 강희순 2. 연구목적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대학생의 인구사회학적 환경 변인 및 성행동을 파악 한다. 대학생의 인구사회학적 환경 변인에 따른 성행동의 차이를 알아본다. 대학생의 인구사회학적 환경 변인이 성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다. 연구결과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행동과 그들의 인구사회학적 환 경 변인을 조사하고, 이 변인들이 대학생의 성행동에 미치 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적 특성에는 성별, 계열, 학년, 학업성적, 경제적 수준, 거주 형태를 포함하였고, 환경 관련 특성에는 휴대폰으로 음란 성 메시지 전송 유무, 이성친구 유무, 음란물 처음 접촉시기 를 포함하였다. 2) 성행동 성행동 검사지는 Zuckerman (1973)을 참고로 Lee (1999) 가 번안하고 Lee (2005)가 사용한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이 척도는 적극적 성행동 6문항, 탐색적 성행동 5문항, 상 상적 성행동 3문항으로 총 14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문항은 성행동을 한 경우에 예(1점), 성행동을 하지 않은 경우에 아니오(0점) 로 구성되어 있으며, 최고 14점, 최저 0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성행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평가 한다. Lee (2005)의 연구에서의 신뢰도 Cronbach's 는 적극적 성행동.87, 탐색적 성행동.60, 상상적 성행동.67 이었으며, 본 연구에서 신뢰도 Cronbach's 는.79로 나 타났다. 2. 연구대상 4. 자료수집 본 연구대상은 이성과의 자유로운 교제를 통해 자신의 성정체감을 형성할 수 있는 중요한 시기인 대학생이며, 연 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참여에 동의한 전라남도에 소재 한 K대학교, J대학교, S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을 대상으 로 하였다. 표본수 산정은 G*Power 3.1.3 프로그램(Erdfelder, Faul, & Buchner, 1996)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하고자 하는 8개의 독립변인을 투입하여 다중회귀분 석을 실시하는 경우 effect size를.02 기준으로 5% 유의수 준과 80% 검정력을 유지하기 위해 표본 크기를 산출한 결 과 최소 표본 크기는 395명이 요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탈락률을 고려하여 500명을 목표인원으로 하였으나, 조사 대상 500명 중 결측치가 있거나 불성실 응답자를 제외하고 최종 468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3. 연구의 도구 1) 일반적 특성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대학생의 성행동 관련 문헌을 토대로(Kim & Kim, 2008; Lee & Cho, 2007), 인구사회학 적 특성과 환경 관련 특성으로 구성하였는데, 인구사회학 연구자료의 수집기간은 2011년 5월 2일부터 6월 30일까 지 자기 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대상자들이 속해 있는 각 대학을 직접 방문하여 실용 교과목 담당교수 와 학생들의 동의를 얻어 본 연구의 목적과 연구대상자의 윤리보호에 대한 설명을 한 후 자발적으로 연구에 참여하 기로 동의한 학생에게만 서면동의를 받고 설문지를 작성하 도록 하였다. 또한 질문지에 대한 응답은 철저히 비밀이 보 장되며 익명으로 처리됨을 알려주었으며 구조화된 설문지 를 사용하여 성행동과 관련된 문항과 측정도구를 우선적으 로 질문하고,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대한 문항은 후반부에 넣어 설문지 응답률을 높이고자 하였다. 5. 자료분석 본 연구에서 설정된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학생의 인구 사회학적, 환경 변인에 따른 성행동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 해서 t-test와 one way ANOVA를 실시하였으며, 사후 검 증을 위해 Scheffe 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인구사회학적 및 환경 변인이 성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다 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436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대학생의 성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결과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분석하면, 성별에서 남자는 175명(37.4%), 여자는 293명(62.6%)이고 계열에 서는 인문계열 52명(11.1%), 사회계열 93명(19.9%), 자연 계열 112명(23.9%), 교육계열 76명(16.2%), 예체능계열 26명(5.6%), 공학계열 109명(23.3%)이었다. 학년에서는 1학년 86명(18.4%), 2학년 117명(25.0%), 3학년 140명 (29.9%), 4학년 125명(26.7%)이고 학업성적에서는 상 125 명(26.7%), 중 209명(44.7%), 하 134명(28.6%)이었다. 가정 의 경제적 수준에서는 상 89명(19.0%), 중 296명(63.2%), 하 83명(17.7%)이고 거주형태에서는 가족과 거주 196명(41.9 %), 하숙 37명(7.9%), 자취 128명(27.4%), 기숙사 107명 (22.9%)으로 나타났다(Table 1). 2.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성행동의 차이 검증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라 성행동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성별(t=5.43, p<.001), 계열(t=3.98, p=.002), 학년(t=4.36, p=.005), 경제적 수준(t=3.98, p=.019), 거주형태(t=2.96, p=.050)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학 업성적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 타났다(Table 1). 성별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서 성행동을 많이 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열에서는 공학계열, 예체능계열, 인 문계열, 자연계열, 사회계열, 교육계열 순으로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Scheffe 사후 검증을 한 결과 사회계열 과 교육계열에 비해 공학계열의 성행동 점수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별에서는 4학년, 3학년, 2학년, 1학년 순으로 성행 동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Scheffe 사후 검증을 한 결과 1 학년이 2학년, 3학년, 4학년에 비해 유의하게 성행동 점수 Table 1. Differences in Sexual Behavior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N=468) Characteristics Categories n(%) Sexual behavior M±SD t or F p Scheffe Gender Male Female 175 (37.4) 293 (62.6) 4.4±3.35 3.0±2.38 5.43 <.001 Specialty Humanities a Social studies b Science c Education d Arts and pysical education e Engineering f 52 (11.1) 93 (19.9) 112 (23.9) 76 (16.2) 26(5.6) 109 (23.3) 3.7±2.47 2.8±2.36 3.0±3.03 2.8±2.90 3.7±2.84 4.3±3.06 3.98.002 b, d<f Grade Grade 1 a Grade 2 b Grade 3 c Grade 4 d 86 (18.4) 117 (25.0) 140 (29.9) 125 (26.7) 2.2±2.06 3.4±2.90 3.7±3.13 3.9±2.67 4.36.005 a<b, c, d Academic achievement High a Middle b Low c 125 (26.7) 209 (44.7) 134 (28.6) 3.8±3.12 3.3±2.67 3.6±3.03 0.98 Economic condition High a Middle b Low c 89 (19.0) 296 (63.2) 83 (17.7) 4.3±3.26 3.3±2.72 3.9±3.10 3.98.019 a>b Residential type Live with family a Boarding house b Self-catering c Dormitory d 196 (41.9) 37(7.9) 128 (27.4) 107 (22.9) 3.2±2.90 3.1±2.00 4.0±3.03 3.5±2.77 2.96.050 a, b<c Vol. 20, No. 4, 2011 437
김수진 문승태 강희순 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적 수준에서는 상, 하, 중 순 으로 성행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Scheffe 사후 검증을 한 결과 경제수준이 높은 집단이 중간 수준인 집단 보다 성행동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거주형태에서는 자 취, 기숙사, 가족과 거주, 하숙 순으로 성행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Scheffe 사후 검증을 한 결과 가족과 거주하는 대상자와 하숙하는 대상자가 자취하는 대상자보 다 유의하게 낮은 성행동 점수를 보였다. 3. 대상자의 환경 변인에 따른 성행동의 차이 검증 Table 2에서 알 수 있듯이, 휴대폰으로 음란성 메시지 유 무(t=2.95, p=.004), 이성 친구 유무(t=2.51, p=.012), 음 란물 접촉 시기(t=9.17, p<.001)에 따라 성행동에 통계적 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휴대폰 음란성 메시지 유무에서는 휴대폰으로 음란성 메 시지를 받은 경험이 있는 대학생이 휴대폰으로 음란성 메 시지를 받은 경험이 없는 대학생보다 성행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성 친구 유무에서는 이성친구가 있는 대학생이 이성친구가 없는 대학생보다 성행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란물 처음 접촉시기에서는 중학교 1, 2학년, 고등학교, 초등학교, 중학교 3학년 순으로 나타났으며, Scheffe 사후 검증을 한 결과 중학교 1, 2학년 때 음란물을 처음 접촉한 학생들이 중학교 3학년 때 음란물을 처음 접촉한 학생에 비 해 성행동 점수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고등학교 때 음란물을 처음 접촉한 학생들이 중학교 3학년 때 음란물을 처음 접촉한 학생에 비해 성행동 점수가 유의하게 높게 나 타났다. 4. 인구사회학적 변인, 환경 변인이 성행동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에서는 주요 변수들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전에 자료의 정규성 분포와 다중공선성 문제를 점검하였다. 공 차한계(tolerance)를 비교한 결과.80~.95 사이에 있었고, 분산팽창계수(VIF)는 1.10~1.32로 나타나 다중공선성의 문제는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잔차분석을 한 결과, Durbin-Watson 검정결과는 1.95로 2에 가까워 모형의 오 차항 간에 자기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잔차의 등분 산성과 정규분포성 가정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사회학적 변인, 환경 변인이 성행동에 미치는 영향 을 알아보기 위해서 성행동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인구사 회학적 변인 (성별, 계열, 학년, 경제적 수준, 거주형태), 환 경 변인 (휴대폰 음란 메시지 전송 유무, 이성친구 유무, 음 란물 처음 접촉시기)을 독립변인으로 하고 성행동 요인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3과 같다. 이 독립변인들 은 범주형 변수이므로 가변수 처리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 였으며, 각 변인의 기준집단은 성별은 남자, 계열은 인문계 열, 학년은 1학년, 경제적 수준은 상, 거주형태는 가족과 거주, 휴대폰 음란 메시지 전송 유무는 무, 이성친구 유무 는 무, 음란물 처음 접촉 시기는 초등학교 로 처리하였다. Table 3에서와 같이 인구사회학적 변인 중 성별(여), 전 공계열(교육), 학년(3학년, 4학년), 경제적 수준(중)과 환 경 변인 중 휴대폰 메시지 받음, 이성친구 있음, 음란물 처 음 접촉 시기 변인(중 3)이 성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들은 종속변수 인 성행동 의 25%를 설명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able 2. Differences in Sexual Behavior according to Environmental Variables Characteristics Obscene message from mobile phone Categories Yes No n(%) 237 (50.6) 231 (49.4) Sexual behavior M±SD 3.9±2.96 3.1±2.72 (N=468) t or F p Scheffe 2.95.004 Opposite sex friend Yes No 182 (38.8) 286 (61.1) 3.9±3.02 3.2±2.74 2.51.012 First contact period of obscene materials Elementary school a Grade 1, 2 in middle school b Grade 3 in middle school c High school d 118 (25.2) 158 (33.7) 87 (18.6) 105 (22.5) 3.3±2.99 4.1±2.86 2.2±1.97 3.9±3.04 9.17 <.001 b, d>c 438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대학생의 성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Table 3. Influencing Factors on Sexual Behavior (N=468) Variables Categories B β t p Gender Female -1.53 -.26-0.58 <.001 Specialty Social studies Science Education Arts and PE Engineering 0.63-0.01 1.14 0.01 0.27.09.00 -.15.00.04 1.35-0.02-2.39 0.00 0.61.178.987.017.998.543 Grade Grade 2 Grade 3 Grade 4 0.87 1.44 1.47.14.23.23 1.96 3.19 3.16.050.002.002 Economic condition Middle Low 0.96 0.38.15.05 2.38 0.80.018.419 Residential type Boarding house Self-catering Dormitory 0.06 0.35 0.25.01.05.04 0.14 1.13 0.79.890.250.428 Obscene message from mobile phone Yes 0.78.14 0.31.002 Opposite sex friends Yes 0.71.12 2.77.006 First contact period of obscene materials Grade 1, 2 in middle school Grade 3 in middle school High school 0.55 1.29 0.57.09.18.08 1.71 3.46 1.60.089.001.110 Adjusted R 2 =.25; F=13.42; p<.001. Dummy variables: speialty (humanities=0; social studies=1; science=2; education=3; arts and pysical education=4; Engineering=5), grade (grade 1=0; grade 2=1; grade 3=2; grade 4=3), economic condition (high=0; middle=1; low=2), residential type (live with family=0; boarding house=1; self-catering=2; dormitory=3), first contact period of obscene materials (elementary school=0; grade 1, 2 in middle school=1; grade 3 in middle school=2; high school=3). 논 의 본 연구는 성적인 활동이 활발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성행동에 영향을 주는 인구사회학적 환경적인 요인을 분 석해 봄으로써, 대학생들에게 미치는 성행동 문제를 이해 하고 이에 대한 상담과정 및 효율적인 성건강 교육 프로그 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대학생의 인구사회학적인 변인에 따른 성행동에 대한 차 이에서 성별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서 성행동을 많 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계열별에서는 공학계열, 학년 별에서는 4학년, 가정의 경제적 수준이 상, 거주형태에서 는 자취를 하는 대학생들이 성행동을 가장 많이 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성행동 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난 결과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성행동 경험이 많다고 보고한 다른 선행연구들(Kim et al., 2003)과 맥락을 같이 한다. 이 처럼 남학생들의 경우 어느 정도의 성행동이 '남성다운' 것 으로 여겨지기도 하는 또래가치 때문에 남학생의 성행동이 여학생의 성행동보다 더 많이 표출된 것으로 보인다(Kim & Jeon, 2007). 즉, 여학생들이 남학생들에 비해 자신의 성 적 충동을 직접적인 성행동이 아닌 다른 영역으로 해소하 거나, 혹은 자신의 성적 충동을 억제하는 능력이 더 발달되 어 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Kim, 2003). 이러한 양상은 남자청소년들이 여자청소년들에 비해 더욱 적극적이고 활 발한 성행동을 한다는 기존의 연구(Kim & Lee, 2002)와 일치하는 결과이다. 또한 회귀분석 결과 성별이 성행동의 유의한 영향변인으로 나타났는데, 이처럼 성행동 경험이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것은 우리 사회의 유교문화권 에서 강조되어온 남성중심의 가부장적인 성가치관 팽배로 인해 우리사회가 아직까지는 남성에 대해 허용적이고 개방 Vol. 20, No. 4, 2011 439
김수진 문승태 강희순 적인 성에 대한 이중적인 가치관이 형성되어 성별에 따라 성행동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올바른 성 가치관을 심어주는 성교육과 성별에 따른 차별화된 성건강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계열별에서는 공학계열, 예체능계열, 인문계열, 자연계 열, 사회계열, 교육계열 순으로 성행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후 검정 결과 공학계열이 사회계열과 교육 계열보다 성행동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이는 사회계열 과 교육계열은 통념상 사회질서 유지를 위한 사회규범에 대한 교육내용이 다른 계열에 비해 강조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계열별에 따른 성행동 차이에 대해 대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전무한 상태이다. 다만, 전국 고 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인문계 학생들보다 실업계 학생들이 성행동을 더 많이 한다는 연구결과(Kim & Lee, 2002)가 있는데, 이 연구에서 실업계열의 학생들이 인문계 학생들보다 성행동에 있어서 개방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비교해 볼 때 성별비율이 여성보다 남성이 높은 계열 특성상 공학계열 대학생들이 성행동에 있어서 보다 개방적인 태도를 보이고, 이로 인해 공학계열 대학생들이 다른 계열에 비해 성행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회귀분석 결과에서도 교육계열이 성행동 의 유의한 영향변인으로 나타났는데, 교육계열은 다른 계 열과는 구별되는, 교사로서 행위의 모범자, 실천자로서의 도덕성이 강조되고 요구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계열별에 따른 성행동 관련변인에 대한 반복연구를 통하여 성행동과의 관련성을 비교 확인할 필요 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학년에 따라 성행동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4학년에 서 가장 성행동 점수가 높고 3학년, 2학년, 1학년 순으로 나 타났으며, 사후 검정 결과 1학년이 2학년, 3학년, 4학년에 비해 성행동 점수가 유의하게 낮았다. 회귀분석 결과에서 는 3학년, 4학년이 성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 이는 대학생의 개인특성 변인인 학년에 따라 성행동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연구결과(Kim & Kim, 2008; Lee, 1994)와 일치하는데, 그 이유는 대학생들이 고학년이 되면 이성교제의 기회가 빈번해지고 그에 따른 친밀도도 높아지면서 성행동 경험이 많아지는 것으로 생각되며, 학 년이 올라갈수록 성에 관한 부모의 제재가 어느 정도 약해 지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되어진다. 가정의 경제수준에 따른 성행동의 차이에서는 경제수준 이 높거나 낮다고 지각하는 경우가 보통이라고 지각하는 경우보다 성행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가 정의 경제적 수준이 높거나 낮은 경우가 경제수준이 중간 인 경우보다 위험 성행동이 높았다는 연구결과(Jo & Kim, 2006)와 일치하고 있었다. 회귀분석 결과에서도 중간 정도 의 경제적 수준이 성행동의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는 데, 이는 기준집단인 낮은 경제적 수준에 비해 중간 정도의 경제수준이 0.96배 성행동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 다. 경제수준이 높은 가정에서는 중간 정도의 경제수준인 가정보다 성에 대해 개방적인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생각 된다. 한편 경제수준이 낮은 가정은 성에 대해 개방적이기 보다는 생계유지 등의 이유로 자녀 행동에 대한 제재가 어 렵고 통제할 여건이 되지 않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부모의 사회경제적인 지위에 따른 성에 대한 가치관의 차이와 성에 대한 통제 여부가 자녀의 성행동에 영향을 미침을 시사하며, 향후 이에 대해서는 좀 더 심층적 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거주형태에 따른 성행동의 차이에서는 가족과 같이 생활 하는 대학생과 하숙을 하는 대학생이 자취를 하는 대학생 에 비해 성행동 점수가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는데, 부모님 과 함께 살거나 부모를 대신한 어른의 관심과 통제를 받으 며 생활해야 하는 하숙생의 경우가 아무런 제재를 받지 않 는 자취생에 비해 성행동에 있어 보다 자유롭지 못하기 때 문으로 사료된다. 이는 부모와 동거하지 않는 대학생이 직 간접적으로 성행동을 많이 한다는 연구결과(Kim et al., 2003)와 일치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가족과 함께 거주 하는 형태에 비해 통제되지 않은 자취나 기숙사 등의 공간 에서 성행동의 기회가 개방적으로 변화되면서 성행동 경험 을 더 많이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대학생의 환경적 변인에 따른 성행동에 대한 차이에서는 휴대폰으로 음란성 메시지를 받은 경험이 있는 대학생이 휴대폰으로 음란성 메시지를 받은 경험이 없는 대학생보다 성행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귀분석 결과에 서도 휴대폰 음란성 메시지를 받은 경험이 성행동의 유의 한 영향변인으로 나타났다. 오늘날 대학생들이 성과 관련 된 지식을 얻는 주된 근원이자 수단은 대중영상매체로 볼 수 있는데, 음란매체는 성에 관한 정보나 지식을 왜곡하거 나 성을 과장되게 표현하는 경우가 많은 실정이다. 휴대폰 으로 음란성 메시지를 받은 경험이 있는 대학생이 성행동 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음란물을 전혀 접해 보지 않은 학생이 음란물을 시청함으로 인해 성적 충동을 유발하고 유발된 성충동이 모방 성행동에 상당한 영향을 440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대학생의 성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미친다는 선행연구(Hur, 2001)와 맥락을 같이 한다. 또한 음란 매체는 청소년들에게 성적 자극이나 행동을 일으키는 직접적인 원인이 된다고 보고한 Lee (1995)의 연구와 일치 한다. 음란물에 대한 주관적 해석에 따라 성과 관련된 행동 을 할 확률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 음란영상매체에 대한 심의를 더욱 강화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성교제의 경험이 있는 대학생이 성행동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성교제의 경험이 있는 경우 성행동 수준이 높았으며, 직 간접적 성행동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난 선행연구(Kim et al., 2003) 결과와 일치한다. 회귀 분석 결과에서도 이성친구가 있는 경우 성행동의 유의한 영향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 시기는 이 성과의 관계를 형성하고 자아를 향상시키고, 사회적으로 수용 가능한 방식으로 성적 충동과 감정을 처리하는 방법 을 학습하며(Sung & Lim, 2009), 이성 친구를 사귀면서 감 정적으로 성충동을 느껴 성행동 경험을 할 기회가 많기 때 문(Kim & Jeon, 2007)이라 생각된다. 따라서 대학생으로 서 자유로운 이성교제에 대한 개방적인 사회적 분위기와 더불어 이성교제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성교육적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음란물을 처음으로 접촉한 시기로는 중학교 때 접한 대 상자가 52.3%로 가장 많았는데, 이러한 결과는 Lee와 Cho (2007)가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인터넷 음란물을 처음 접촉한 시기가 중학교 때 가 가장 많았고, 다음이 고 등학교, 초등학교, 대학입학 후의 순으로 나타난 결과와 일 치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음란물을 처음으로 접촉한 시 기에 따른 성행동 차이에서는 중학교 1, 2학년 때와 고등학 교 때 음란물을 처음 접촉한 학생들이 중학교 3학년 때 음 란물을 처음 접촉했던 학생에 비해 성행동 점수가 유의하 게 높게 나타났으며, 회귀분석 결과에서도 음란물을 처음 접촉한 시기가 성행동의 유의한 영향변인으로 나타났다. 음란물을 처음으로 접촉한 시기가 중학교 1, 2학년 때인 경 우가 중학교 3학년 때 음란물을 처음 접촉한 학생에 비해 성행동 점수가 높은 이유는 중학교 1, 2학년 시기가 성적 호 기심이 급격히 증가하는 사춘기 초입으로, 또래 집단과의 잘못된 성에 대한 정보 나눔으로 인한 성행동이 추후의 성 행동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본 연구에 서는 고등학교 때 처음 음란물을 접촉한 학생들이 중학교 3 학년 때 음란물을 처음 접촉한 학생에 비해 성행동 점수가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중학교 3학년의 경우 인문계와 실업 계라는 계열의 선택의 기로에 서 있는 시기로 이때 음란물 을 접촉하는 경우 충분한 시간적 여유나 마음의 여유가 없 어 음란물을 접하게 되더라도 그에 대한 지속적인 행동 유 발로 이어지지 않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고등학교 때 음란 물을 처음 접촉한 경우는 중학교 3학년의 경우와 달리 또다 시 새로운 환경에서 새로운 호기심을 가지고 시작하는 시 기인데다 또래의 많은 학생들이 이미 음란물을 접한 경험 을 가지고 있을 확률이 높고 뒤늦게 음란물을 접촉하게 되 면서 친구들에 의해 보다 자극적이고 강도 높은 음란물을 접하게 될 환경적인 요소들이 추후의 성행동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추후 음란물을 처음 접촉 한 시기에 따른 성행동 차이를 조사할 경우 접촉시기를 보 다 세분화하여 조사해 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대학생으로서 자유로운 이성교 제에 대한 사회적 분위기와 더불어 올바른 성행동 유도 및 성태도 확립에 대한 방안 모색이 필요하리라 생각되며, 급 변하는 성문화에 걸맞는 성교육 프로그램의 정착이 시급하 며 성문제로 인한 대책마련에 대해서도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성이라는 개인적인 변인을 설문지법을 통해 조사함으로써 연구대상자들의 솔직한 응답을 얻어내 는데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주관적인 인간의 경험을 보다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참여관찰이나 심층면접 등 질 적 연구방법을 병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리라 본다. 또한 대 학생들의 성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성지식, 성태도 등 좀 더 다양한 변수들을 추가하여 반복 연 구를 시도해 볼 것을 제언한다. 결 론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 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대학생의 성행동 문제에 대한 상담 및 효과적인 성건강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결과, 대학생의 성행동은 성별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서 성행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 회계열과 교육계열에 비해 공학계열의 성행동 점수가 유의 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1학년이 2학년, 3학년, 4학 년에 비해 유의하게 성행동 점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수준이 높은 집단이 중간 수준인 집단보다 성행동 점 수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가족과 거주하는 대상자와 하숙 하는 대상자가 자취하는 대상자보다 유의하게 낮은 성행동 Vol. 20, No. 4, 2011 441
김수진 문승태 강희순 점수를 보였다. 또한 대학생의 성행동에는 성별(여), 전공 계열(교육), 학년(3학년, 4학년), 경제적 수준(중)과 환경 변인 중 휴대폰 메시지 받음, 이성친구 있음, 음란물 처음 접촉 시기 변인(중 3)이 성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들은 종속변수인 성행동 의 변동량의 25%가 설명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들의 올바른 성지식, 성 태도, 성행위 등을 습득하기 위한 전인교육 차원의 성교육 이 실시되어야 하며, 학교 성교육 프로그램의 내실화가 요 구된다. 또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성행동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남학생에게는 그들의 성행동 특성에 맞게 남 녀 간의 차이를 서로 이해하고 이성교제 시 효과적인 성적 자기표현과 의사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효율적인 성상 담과 체계적인 성 건강 교육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한다. REFERENCES Bleakley, A., Hennessy, M., Fishbein, M., & Jordan, A. (2011). Using the integrative model to explain how exposure to sexual media content influences adolescent sexual behavior. Health Education & Behavior, 38(5), 530-540. Carolyn, A. S. (1997). Factors associated with early sexual activity among urban adolescents. Social work, 42, 334-346. Chen, A. C., Thompson, E. A., & Morrison-Beedy, D. (2010). Multi-system influences on adolescent risky sexual behavior. Research in Nursing & Health, 33, 512-527. Erdfelder, E., Faul, F., & Buchner, A. (1996). A general power analysis program. Behavior Research Methods, Instruments, & Computers, 28, 1-11. Feigenbaum, R., Weinstein, E., & Rosen, E. (1995). College students' sexual attitudes and behaviors: Implications for sexuality education. Journal of American College Health, 44(3), 112-118. Hur, J. K. (2001).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adolescent communication style and adolescent sexual attitude and behavi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Women's University, Seoul. Jeon, K. S., Lee, H. Y., & Lee, S. J. (2004). Sexual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s of Korea college students and effects of sexual education on sexual knowledge and attitude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1(1), 45-68. Jo, J. Y., & Kim, Y. H. (2006). A path model of self, family, & extra familial system factors associated with adolescents' sexual risk behaviors. Journal of the Korean Economics Association, 44(3), 181-195. Kang, J. Y. (2007). The effect of perceived parenting behavior, self-control, and delinquency on sexual risk behavior in male high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Kim, E. H., & Jeon, G. Y. (2007). The ecological variables affecting adolescent's sexual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5(7), 71-91. Kim, H. W. (2003). The relationships among sexual knowledge, attitudes, behaviors of male and female high school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15, 309-328. Kim, H. W., & Lee, H. K. (2002). Analyses on the sexual behaviors among high school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9, 247-272. Kim, J. H., & Kim, K. S. (2008).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sexual knowledge and sexual attitudes on their sexual behavior.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13(1), 123-138. Kim, J. H., Song, E. I., & Kang, S. H. (2003). A study on sexual attitudes, sexual behaviors and parents-children relationships among college student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Economics Association, 41(1), 111-124. Kirby, D. (1999). Reflections on two decades of reserch on teen sexual behavior and pregnancy. Journal of School Health, 69(3), 89-94. Kissmam, K. (1998). High risk behavior among adolescent mothers: The problem in context.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143, 103-112. Ko, H. K., & Ji, Y. D. (2002). The roles of several mediators and moderators between pornography and rape myth. The Korea Journal of Youth Counseling, 10(1), 87-105. Kotchick, B. A., Shaffer, A., Forehand, R., & Miller, K. S. (2001). Adolescents's sexual risk behavior: A multi-system perspective. Clinical Psychology Review, 21, 493-519. Lee, G. Z., & Jung, E. J. (2001). The effects of sex education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on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sex.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0, 276-289. Lee, H. Y. (2008). Comparative analysis of sexual knowledge, sexual attitude, sexual behavior and sex education of Korean, Chinese and Japanese students in adolescence. Unpublished doctor dissert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Lee, I. S. (1994). A study on the sexual knowledge, attitudes, experience and sex education of university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Lee, I. S., & Cho, J. Y. (2007). Exposure to internet pornography and sexual behaviors of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0(2), 59-68. Lee, S. H. (2005). The factors to influence sexual behavior of 442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대학생의 성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youth.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Lee, S. J. (1999). Development of a rape myths scale. The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13(2), 131-148. Lee, S. M. (1995). A study on sexual permissiveness of Korean adolesc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Park, H. S., & Jung, S. Y. (2011). Validation of a path model to prevent sexual risk behavior in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 49-60. Park, J. H. (2004). A study of the effects on sexual behavior among couples by communication characteristic between parents late adolescent children, sexual attitude, and sexual communication among university student coupl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Shin, K. R., Park, H. J., Bae, K. E., & Cha, C. Y. (2010). Sexual behavior, health risk behaviors related to reproductive health, and sexual experiences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2, 624-633. Sung, M. H., & Lim, Y. M. (2009). Discriminant factors of attitude pattern toward sexual violence of college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5, 312-319. Zuckerman, M. (1973). Scales for sexual experience for males and female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1, 27-29. Vol. 20, No. 4, 2011 4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