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목적 및 필요성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의학의 발전과 성장이 가속화되고 여기에 발맞추어 평균연령이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고령화 사회가 되어가면서 노인성 질환에 많은 관심이 생기고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고령인구에서 높은 비율로 발병하는 질병이 치매이다. 치매는 환자본인과 그 가족들에게 경제적,심리적, 육체적인 고통을 주는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치매중 퇴행성 뇌질환인 알츠하이머 병(Alzheimer's Disease)은 노인들에게서 가장 많이 나타나는 대표적인 치매이다. 알츠하이머병은 65~74 살에서 10%, 75~84 살 19%, 85 살 이상에서는 47%가 발병하는 데다 그 발병률이 해마다 늘어나 커다란 사회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알츠하이머병은 인지능력과 기억력이 상실되는 병이다. 임상적인 뇌 조직의 특징은 뇌세포의 손실, 세포밖의 amyloid β가 침착이 되어 plaque 을 형성하고, 뇌세포안에는 tau 단백질이 포함되어 있는 neurofibrillary tangle 이 발견된다(1,2). 유전성( Famillial-)과 산발성(sporadic-) 알츠하이머병 알츠하이머의 병인에 따라서 크게 두가지로 구분하고 있다(4). 알츠하이머 치매전체의 10%도 채 안되는 유전적 형태의 치매(familial AD)와 치매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산발성 치매(sporadic AD)로 구분된다(4). 알츠하이머 뇌에서 생긴 neurotoxic 단백질을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다(3,8). 정상세포에서는 APP 가 α-, β-, γ-secretase 에 의해서 절단이 되는데 알츠하이머병 뇌에서는 비정상적인 분해과정을 거쳐 Aβ (1-42)가 많이 형성되어 응집되고 deposition 이 증가되어서
세포밖의 plaque 이 생긴다(2). FAD 의 경우 Aβ (1-42)가 잘 생기게 되는 돌연변이 유전자로는 APP, presenilin1,2 가 있다(6). APP 는 β-secretase 에 의해서 잘려지는 부위가 돌연변이가 생겨 쉽게 Aβ를 형성하고 Presenilin 은 γ-secretase 와 복합체를 형성하여 효소활성을 가지는데 presenilin 에 돌연변이가 생겨 γ- secretase 의 활성이 계속유지가 되어 베타아밀로이드의 침착이 생기는 것이다(5,6,7,8). 두 번째의 경우는 neurofibrillary tangle(nft)이 뇌세포 안에서 축적되어 알츠하이머가 생긴다(9). 보통 정상뇌는 tau 의 인산화와 탈인산화가 평형상태를 이루어 세포내의 cytoskeleton stability 와 axon 의 형태를 조절하는데 tau 가 과인산화가 되어 잘못된 구조의 paired helical filament 를 형성하고 이것은 더 축적되어 neurofibrillary tangle(nft)이 생기게 된다. 그러므로 tau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생기면 FAD 가 유발된다(1,9). 산발성 알츠하이머는 알려진 기전이 전혀 없지만 치매의 증상과 발견되는 Aβ plaque 과 neurofibrillary tangle 이 생기는 것은 같다 (2,5,7). 최근까지 받아 들여 지고 있는 알츠하이머병의 기전은 'amyloid cascade'모델이다(1). Amyloid Precursor Protein(APP)이 Aβ(1-42)로 생기는 것은 두 가지 효소가 작용한다. APP 는 β-,γ-secretase 에 의해서 절단되는 근처에서 주로 돌연변이가 일어나서 β-secretase 에 의해서 쉽게 잘려지고 잇달아 γ-secretase 에 의해서 절단되어 Aβ(1-42)가 생긴다. 또는 Presenilin1 이나 2 는 γ-secretase 와 복합체를 형성하는데 PS1 이나 2 에서 돌연변이가 생기게 γ- secretase 가 변형이 되어 자가 응집이 잘 일어나는 Aβ(1-42)가 생성 축적된다. 이 Aβ(1-42) 펩타이드가 알츠하이머의 개시를 알리는 물질이다. 세포 밖에서 형성된 Aβ(1-42)는 oligomerization 과 침착(deposition)이 되고 synapse 에 영향을
주고 신경세포 injury 를 유발한다. 신경세포가 손상될 때 세포내의 kinase 와 phosphatase 는 활성이 바뀌고 이때 세포지지조직과 관계하는 tau 단백질의 hyperphosphorylation 이 생기게 되고 결국 세포내의 microtubule network 이 파괴된다. 이것이 바로 잘못된 구조의 fibril tangle 이 형성된다는 것이다(1,2). 즉 Aβ(1-42)의 toxicity 로 인해서 NFT 가 형성되고 신경세포 사멸을 유도하는 것이다(4) WNT signaling 과 알츠하이머병. (1) GSK3. GSK3β 는 Wnt signaling 의 target molecule 인 β -catenin 을 인산화시켜서 stability 를 조절하는 key kinase 이고 tau 를 과인산화시켜 tangle 이 생기게 하는 단백질이기도 하다. GSK3 를 억제 했을때 tau 의 인산화가 차단되고 신경세포의 손상이 줄어든다는 사실로부터 알츠하이머의 병인에 Wnt signaling component 인 GSK3 가 중요함을 알 수 있다(3,4). 비정상적인 APP processing 에 관여하는 PS1 을 세포내에서 과발현시킬 경우 GSK3 β의 양은 변화시키지 않고 PS1 의 250-298 잔기에 직접 결합한다. 이 부위에서는 GSK3 β의 기질인 tau 또한 GSK3 β와 상관없이 PS1 에 결합한다(10). 그리고 이 부위는 PS1 의 돌연변이가 잘 일어나는 'hot spot'임을 고려할 때 알츠하이머의 중요한 인자인 PS1 이 tau 의 인산화를 쉽게 하기위해서 GSK3β를 연결시켜주는 다리역할을 하고 GSK3β는 알츠하이머병 기전에서 중요한 조절요소임을 알 수 있다.
(2) β-catenin Presenilin 이 돌연변이가 일어나서 생기는 FAD 의 기전을 설명하는것중 βcatenin 의 연구가 몇 년간 되어 왔다. PS1 은 bcatenin 과 직접 결합하고 있다는 사실은 여러 논문에서 알려져 있지만 PS1 과 bcatenin 의 복합체가 어떤기능을 하는지에 관한 설명은 확실하지도 않고 연구가 많이 되어 있지 않다. 다만 PS1 과의 결합이 βcatenin 의 stability 를 증가시키는지 또는 분해를 시키는가에 대해서는 몇몇의 논문들이 있다(11).
그런데 몇 가지 논문들을 보면 Canonical Wnt Pathway 와 알츠하이머병과의 연관성이 없다는 보고도 있다.
rat 의 hippocampi 에 Aβ를 주입하면 GSK3β가 활성화되고 tau 가 과인산화되어 tangle 이 생성됨으로써 공간지각과 기억력이 상실되지만 Li(참고로 Li 는 GSK3α와β모두 억제함)를 같이 처리하게 되면 훨씬 더 행동장애가 나아진다는 보고가 있다(16,17). 여기서 예상할 수 있는 것은 LiCl 에 의해서 GSK3α/β가 차단되고 tau 가 인산화되지 않아 neurofibrillar tangle 을 만들지 않고 또한 세포내의 βcatenin 의 증가로 세포성장에 유리한 유전자를 발현함으로써 신경세포의 사멸을 억제한다는 논리로써 canonical wnt signaling 이 FAD 를 negative 하게 조절할수 있다는 제시를 할수 있다. 그런데 최근의 논문에서 이 가설을 반박할 만한 논문이 있다. Li 자체가 GSK3α를 차단해서 Aβ를 감소시키는 것이지 GSK3β를 억제하는 것과 bcatenin 의 증가와는 상관이 없다고 한다(18). 그리고 FAD 기전을 설명하는 다른 논문에서는 Presenilin 이 βcatenin 과 결합하여 분해를 촉진하는데 PKA 와 GSK3β의 도움으로 βcatenin 이 인산화를 시키고 ubiquitination 으로 유도한다는 presenilin 의 기능에 관한 논문이다. Presenilin 이 βcatenin 을 분해시키는 조건에서 Wnt3a 를 처리하더라도 Presenilin 의 βcatenin 분해작용을 차단하지 못하고 Wnt 신호전달의 scaffolding 단백질인 Axin 을 없애도 PS1 의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을 보아 Axin 이 PS 의 βcatenin 분해에 필요하지 않음을 제시하고 있다. 즉 PS1 이 βcatenin 분해에 작용하는 것은 Wnt signaling pathway 와 개별적으로 일어난다는 것이다(13).
βcatenin 의 분해는 서로다른 signaling 에서 일어난다.왼쪽은 Wnt canonical signaling 이 차단되어 βcatenin 의 분해에 관련된 복합체를 보여주고 있으며 오른쪽은 Presenilin 이 PKA 와 GSK3β와 complex 를 이루고 있으면서 βcatenin 의 serine 45 번부터 인산화 시키면서 33/37/41 번을 잇달아 인산화시키고 곧바로 분해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13). 그러나 위의 Kang et al, 2002 논문과는 반대로 Aβ가 침착될 때 세포에 나타나는 독성을 Wnt 3a 를 처리함으로써 줄여주고 세포사멸을 줄일 수 있다는 보고(19)가 있다. 또한 Aβ침착시 Wnt 신호전달의 억제자로써 작용하는 Dickkopf-1 가 유도된다는 사실은(20) 알츠하이머로 인한 뇌세포의 손상은 Wnt signaling 이 회복시킬 수 있는 작용이 있다고 보여진다. 그러므로 여전히 알츠하이머병의 기전을 밝히기 위해 Wnt signaling 과의 연관성을 연구해볼 가치가 있다고 본다.
REFERENCE 1. Moon, R. T., Kohn, A. D., De Ferrari, G. V., KayKas, A., 2004. Wnt and β- catenin signalin: disease and Therapies. Nature 5: 689-699. 2. Sisodia, S. S., St George-Hyslop, P.H., 2002. γ-secretase, notch, Aβ and Alzheimer's disease : where do the presenilins fit in?. Nature Rev. 3 :281-289. 3. TaKashima, A., Honda, T., Yasutake, K., Michel, G., Murayama, O., Murayama, M., Ishiguro, K., Yamaguchi, H., 1998. Activation of tau protein kinase I /glycogen synthase kinase-3beta by amyloid beta peptide (25-35) enhances phosphorylation of tau in hippocampal neurons. Neurosci. Res. 31: 317-323. 4. De Ferrari, G. V. and Inestrosa, N. C., 2000. Wnt signaling function in Alzhsimer's disease. Brain Res. Rev. 33 : 1-12. 5. Hardy, J., Selkoe, D. J., 2002. The amyloid hypothesis of Alzheimer's Disease : progress and problems on the road to therapeutics. Science 297 : 353-356. 6. Hardy, J. A., Higgins, G. A., 1992. Alzhsimer's disease : The amyloid cascade hypothesis, science 256 : 184-185. 7. Koo, E. H., Kopan, R., 2004. Potential role of presenilin-regulated signaling pathways in sporadic neurodegeneration. Nature Med. : 26-33. 8. Xia, W., Zhang, J., Perez, R., Koo, E. H., Selkoe, D. J., 1997. Interaction between amyloid precursor protein and presenilins in mammalian cells: implications for the pathogenesis of Alzheimer disease. P. N. A.. S. 94: 8208-8216.
9. Maccioni, R. B., Munoz, J. P., Barbrito, L., 2001. The Molecular Bases of Alzheimer's Disease and Other Neurodegenerative Disorders. Arch. Med. Res. 32 : 367-381. 10. Takashima,. A., Murayama, M., Murayama, O., Kohno, T., Honda, T., Tasutake, K., Nihonmatsu, N., Mercken,M., Yamaguchi, H., Sugihara, S., Wolozin,B., 1998. Presenilin 1 associates with glycogen synthase kinase-3β and its substrate tau. P.N.A.S. 95: 9637-9641. 11. De Strooper, B., Annaert, W., 2001. Where notch and Wnt signaling meet: The Presenilin hub. J. Cell. Biol. 152: F17-F19. 12. Kang, D. E., Soriano, S.,Frosch, M.P., Collins, T., Naruse, S., Sisodia, S.,Leibowitz, G., Levine, F., Koo, E.H., 1999. Presenilin 1 facilitates the constitutive turnover of beta-catenin : differential activity of Alzheimer's diseaselinked PS1 mutants in the beta-catenin -signaling pathway. J. Neurosci.19: 4229-4237. 13. Kang, D. E., Soriano, S., Xia, X., Everhart, C. G., Strooper, B.D., Zheng, H., Koo, E. H., 2002. Presenilin couples the paired phosphorylation of β-catenin independent of Axin : implications for β-catenin activation in tumorigenesis. Cell 110: 751-762. 14. Noll,E., Medina, M., Hartley, D., Zhou, J., Perrimon, N., Kosik, K. S., 2000. Presenilin affects Arm/beta-catenin localization and function in Drosophila. Dev. Biol.227 : 450-464. 15. Cox, R. T., D. G. McEwen, D. L. Myster, R. J. Duronio, J. Loureiro, and M. Peifer. 2000. A screen for mutations that suppress the phenotype of drosophila armadillo, the beta-catenin homolog. Genetics.155 : 1725-1740.
16. Morris, R., 1984. Developments of a water -maze procedure for studying spatial learning in the rat. J. Neurosci. Methods 11 : 47-60. 17. Inestrosa, N. C., De Ferrari, G. V., Garrido, J. L., Alvarez, A., Olivares, G. H., Barria, M. I., Bronfman, M., Chacon, M. A., 2002. Wnt siginaling involvement in β-amyloid-dependent neurodegeneration. Neurochem. intern 41 : 341-344. 18. Phiel, C. J., Wilson, C. A., Lee, Y. V. M., Klein, P. S., 2003. GSK3α regulates production of Alzheimer's disease amyloid-β peptides. Nature 423: 435-439. 19. Alvarez, A. R., Godoy, J. A., Mullendorf, K., Olivares, G. H., Bronfman, M., Inestrosa, N. C., 2004. Wnt 3a overcomes beta-amyloid toxicity in rat hippocampal neurons. Exp. Cell. Res. 297 : 186-196. 20. Caricasole, A., Copani, A., Caraci, F., Aronica, E., Rozemuller, A. J., Caruso, A., Storto, M., Gaviraghi, G., Terstappen, G. C., Nicoletti, F., 2004. Induction of Dickkopf-1, a negative modulator of the Wnt pathway, is associated with neuronal degeneration in Alzheimer's brain. J. Nerosci. 24: 6021-6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