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3032305FC1D6B7C2BBEABEF75F28BCF6C1A4292E687770>



Similar documents
UDRIAUDVJVST.hwp

CODE (%) , HEV, 213PHEV EV FCEV LG , GM Volt 1233,, xev 247, HL (, 51%, LG 49%), 2 SK 9677 EV, BlueO

Microsoft Word - 아이오이닉.doc_WBeuqC7MfTAVFRUsMicv

Microsoft Word - 07~28. 자동차.doc

<B8F1C2F72E687770>

Ⅰ. 서론 전기자동차는 석유 연료와 엔진을 사용하지 않고, 전기 배터리와 전기모터를 사용해 구동하는 자동차이 다. 전기자동차는 크게 배터리로만 가는 순수 전기자 동차(EV), 동력원으로 전지에 저장한 전기만을 사용 하고 필요에 따라 충전을 시켜줄 수 있는 플러그인 하이

<3035C7F6B4EBBECBB6F3B9D9B8B6B0F8C0E5B0B3BCB3C0C7BFB5C7E2BAD0BCAE2E687770>

자동차와 IT가 만나면서 영화 속에서나 가능했던 장면들이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자동차 산업은 좀 더 안전하고 편리함을 원하는 소비자의 니즈에 맞춰 기계장치에서 전자장치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다. 최근에는 친환경, 안정성, 편의성에 초점을 맞춘 꿈의 자동차도 개발할 수

<C1B6BBE7BFF9BAB85F335F28C3D6C1BE292E687770>

ePapyrus PDF Document

2011 복지국가정책 아카데미

110 글로벌 경제이슈 상용차 생산은 2월에 수요 증가로 급등세(17%)를 기록한 이후 다소 둔화되다 가 3분기 들어 다시 급격한 증가세를 기록 중국 자동차생산 추이 승용차 및 상용차생산 추이 160 (만대) (전년동월대비, %) (만대) (전년동월대비,

< 목 차 > <요 약> i I. 거시경제 전망 1 1. 국내 경기상황 판단 1 2. 대외여건 전망 년 국내경제 전망 10 II. 주요 산업 전망 년 동향 년 전망 24

연구진 연구책임 연 구 원 김운수 / 교통물류연구실 연구위원 이명화 / 교통물류연구실 초빙연구원

월간-2015년 9월호.hwp

Ⅰ. 글로벌 경제환경 변화 29년은 세계 및 국내경제의 역사 속에서 의미 있는 한 해로 기록될 것이다. 리먼 쇼크 이후의 금융시장 혼란과 경제주체들의 심리 위축은 상당한 기간의 경기불황을 예고하는 듯 했지만 글로벌 경제위기를 수습하기 위한 각국의 금융안정화 대책과 재정

(Microsoft Word _2\302\367\300\374\301\366_\303\326\301\276_\274\366\301\244\277\344.docx)

Microsoft Word K_01_36.docx

국경의 비전 작업 년대 들어 직면하게 된 국경의 새로운 비전을 모색하기 위 KDI의 노력들 김 주 훈* Main Research Publications 2011 비전과 과: 열린 세상, 유연 경 경사회여건 변와 재정의 역할 재벌개혁의 정책과와 방향 북경 발전

행당중학교 감사 7급 ~ 성동구 왕십리로 189-2호선 한양대역 4번출구에서 도보로 3-4분 6721 윤중중학교 감사 7급 ~ 영등포구 여의동로 3길3 용강중학교 일반행정 9급 ~ 1300

contents KOREA UNIVERSITY DEVELOPMENT FUND 고려대학교 발전기금 연차보고서는 기부자님들께서 보내주신 크나큰 사랑이 고려대와 수혜자들에게 어떤 긍정적인 변화를 불러일으켰는지를 담은, 변혁적 기부를 전하는 보고서입니다. <고려대학교 발전기금

이명박정부 국정백서

LG Business Insight 1245

Microsoft Word K_01_07.docx

Microsoft Word - 09년 2월 경제동향.doc

원이며 경제 정책의 중심이었다. 토지가 재산의 시작이라 할 수 있기에 제한된 땅의 크기를 가지고 백성들에게 어느 정도 나누어 줄지, 국가는 얼마를 가져서 재정을 충당할지, 또 관료들은 얼마를 줄 것인지에 대해 왕조마다 중요한 사항이었다. 정도전의 토지개혁은 그런 의미에


652

ÀÎ-±³Á¤¿ë.PDF


새만금세미나-1101-이양재.hwp

???? 1

<C1DFB1DE2842C7FC292E687770>

기자생활 잔흔들19

2013<C724><B9AC><ACBD><C601><C2E4><CC9C><C0AC><B840><C9D1>(<C6F9><C6A9>).pdf

서비스 수출에 있어서도 일본의 해외진출이 뒤처지고 있다고 지적 (IMF 연례 일본경제 보고서 주요내용) IMF 연례 일본경제 보고서에서 日 銀 의 대 규모 금융완화를 통해 물가가 (전년대비) 상승했다고 분석하였으며, 일본의 소비세 인상 재연기(2017.4월


2013년 산업통상자원부 업무보고 창조경제 생태계 기반 조성 글로벌 전문기업 육성

201501_경제전망보고서_f.hwp

승용차 매장에서 팔리는 전기차, 올해를 기점으로 본격화 BMW i3 출시를 기점으로 전기차 시대는 본격화 될 것임 4 월, BMW 가 i3 를 출시하면서 전기차 시대는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i3 를 시작으로 기아차 역 시 4 월 Soul(소울)의 전기차 버전을 출

hwp

Microsoft Word K_01_21.docx

제3장 21세기 제조업의 특징

재원은 크게 지역, 직장 가입자의 총 보험료와 국고지원을 합한 것이라고 보면 된다. 여기까지는 타당해 보인다. 그러나 1만1천원의 기적 이라는 상자를 열어 보면 이는 기적 과는 거리가 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건강보험 보장성은 강화되어야 마땅하다. 그러나 노동자 민중

untitled

歯통신54호.PDF

<B0FAC7D0B1E2BCFAC1A4C3A5BFACB1B8BFF82D B3E2B0FAC7D0B1E2BCFAC1A4C3A53130B4EBB0FAC1A62DC6EDC1FD2E687770>

기사전기산업_41-56

산업통상자원부 업무보고에 대한 분석.hwp

Microsoft Word Hanwha Daily_New.doc

삼성그룹 전망 토론회 자료집

02민주당.hwp

Zara는 매장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고객 니즈를 파악하고 시장 트렌드에 대응한다. 에 알려진 것이 어제 오늘의 일은 아니지만, 이를 기업 경영 이념과 접목시켜 지속적인 성 장으로 이끌어온 업체는 손에 꼽힐 정도이다. 그 중 대표적인 사례가 Zara 브랜드이다(<박 스

며 오스본을 중심으로 한 작은 정부, 시장 개혁정책을 밀고 나갔다. 이에 대응 하여 노동당은 보수당과 극명히 반대되는 정강 정책을 내세웠다. 영국의 정치 상황은 새누리당과 더불어 민주당, 국민의당이 서로 경제 민주화 와 무차별적 복지공약을 앞세우며 표를 구걸하기 위한

Ⅰ. 금융위기 벗어나나 28년 1월과 29년 2월 두 차례에 걸쳐 중대한 위기 국면을 맞았던 글로벌 금융 시장이 3월 이후 빠르게 안정을 되찾아가고 있다. 미국을 비롯한 각국 정부와 중앙 은행이 유동성 공급을 크게 늘리고 금융기관의 자본확충을 지원하면서 금융회사들 의

2013년 중소기업 플러스 제5호_최종본.hwp

입장

유호현

Microsoft Word _전기차_국문full_수정.docx

<BEC6BFF4BCD2BDCCBAB8B0EDBCAD28C3D6C1BE E687770>

논단 : 제조업 고부가가치화를 통한 산업 경쟁력 강화방안 입지동향 정책동향 <그림 1> ICT융합 시장 전망 , 년 2015년 2020년 <세계 ICT융합 시장(조 달러)> 2010년 2015년 2020년 <국내 ICT


Issue Br ief ing Vol E01 ( ) 해외경제연구소산업투자조사실 하반기경제및산업전망 I II IT : (

2009½Å¿ëÆò°¡-³»Áö0713


<C1DFB1B9BCBABDC3BAB02031B1C72E687770>

< C7D0B3E2B5B520B9FDC7D0C0FBBCBABDC3C7E820C3DFB8AEB3EDC1F528C8A6BCF6C7FC292E687770>

2015년 비영리민간단체 공익활동지원사업 평가 보고서 사업 사진 1차 장사항 행사 4차 가평 행사 평가 결과 우 수 보 통 미 흡 구 분 단체역량 운영과정 성 과 사 업 회 계 종 합 사업비 집행 현황 (단위 : 원) 비목 보조금 자부담 예산 집행 잔액 예산 집행 잔액

요 약 2007년에도 글로벌 기업의 화두는 작년과 마찬가지로 '성장'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대다수 글로벌 기업의 CEO는 급변하는 경영환경 속에서 성장만이 미래의 안 정을 담보한다는 명확한 경영방침을 천명하고 있다. 이러한 경영기조에 따라 지난 몇 년간 지속된 M&

<4D F736F F D203032B1E8C1D6BCBA5FC6AFC1FD5F2DC3D6C1BEBCF6C1A45FBCF6C1A42E646F6378>

<C0CEBDCEC0CCC6AE5F3835C8A32DBCF6C1A4362E687770>

전기정보 11월(내지).qxp

untitled

<B5B6BCADC7C1B7CEB1D7B7A52DC0DBBEF7C1DF E687770>

¹ÙÀÌ¿À °æÁ¦½Ã´ë °úÇбâ¼ú Á¤Ã¥ÀÇÁ¦¿Í ´ëÀÀÀü·«---.PDF

<C1A4C3A5B8DEB8F05FC1A C8A32DC3D6C1BE2E687770>

인 사 청 문 요 청 사 유 서

<4D F736F F D20B1E2C8B9BDC3B8AEC1EE2DB1E8B1A4BCAE>

ePapyrus PDF Document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부동산포커스는 부동산시장에 대한 분석과 전망을 통해 건전한 부동산시장을 선도하고, 부동산 금융 정책 제도 등에 관한 정보제공을 통해 올바른 부동산 문화창달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Through-out the profound insights and perspectives


민주장정-노동운동(분권).indd

0429bodo.hwp

최우석.hwp

과 위 가 오는 경우에는 앞말 받침을 대표음으로 바꾼 [다가페]와 [흐귀 에]가 올바른 발음이 [안자서], [할튼], [업쓰므로], [절믐] 풀이 자음으로 끝나는 말인 앉- 과 핥-, 없-, 젊- 에 각각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식형태소인 -아서, -은, -으므로, -음

<C0CEBCE2BABB2D33C2F7BCF6C1A420B1B9BFAAC3D1BCAD203130B1C72E687770>

E1-정답및풀이(1~24)ok

교사용지도서_쓰기.hwp

< BDC3BAB8C1A4B1D4C6C75BC8A3BFDC D2E687770>

cls46-06(심우영).hwp

<C1B6BCB1B4EBBCBCBDC3B1E2342DC3D6C1BE2E687770>

untitled

6±Ç¸ñÂ÷

時 習 說 ) 5), 원호설( 元 昊 說 ) 6) 등이 있다. 7) 이 가운데 임제설에 동의하는바, 상세한 논의는 황패강의 논의로 미루나 그의 논의에 논거로서 빠져 있는 부분을 보강하여 임제설에 대한 변증( 辨 證 )을 덧붙이고자 한다. 우선, 다음의 인용문을 보도록

伐)이라고 하였는데, 라자(羅字)는 나자(那字)로 쓰기도 하고 야자(耶字)로 쓰기도 한다. 또 서벌(徐伐)이라고도 한다. 세속에서 경자(京字)를 새겨 서벌(徐伐)이라고 한다. 이 때문에 또 사라(斯羅)라고 하기도 하고, 또 사로(斯盧)라고 하기도 한다. 재위 기간은 6

177

<C3D6C1BE5FBBF5B1B9BEEEBBFDC8B0B0DCBFEFC8A C3D6C1BEBABB292E687770>

제주어 교육자료(중등)-작업.hwp

초등국어에서 관용표현 지도 방안 연구

Transcription:

산업별 Vol. 2 The next big thing! 대한민국 산업 기술 비전 2020 주 력 산 업

대한민국 산업 기술 비전 2020 Ⅰ. 총 론 1. 주력산업 개관 3 2. 당면과제 6 3. 주력산업 전략 8 4. 산업별 분석 및 발전전략 11 Ⅱ. 자동차산업 1. 서 론 23 2. 자동차산업의 외부환경 분석 25 3. 자동차산업 내부역량 분석 38 4. 자동차산업 2020년 Vision 및 정량적 목표 49 5. 산업 전략 51 6. 기술 전략 60 Ⅲ. 조선해양산업 1. 서 론 73 2. 조선 해양 산업 외부 환경 분석 76 3. 조선해양산업 내부 역량 분석 90 4. 조선해양산업 2020년 비전 및 목표 96 5. 산업 전략 98 6. 조선해양산업 기술 전략 109 Ⅳ. 기계산업 1. 서 론 127 2. 기계산업 외부 환경 분석 129 3. 기계산업 내부역량 분석 138 i

대한민국 산업 기술 비전 2020 4. 2020 비전 및 목표 144 5. 산업전략 145 6. 기술전략 166 7. 비전체계 172 Ⅴ. 플랜트 엔지니어링산업 1. 서 론 175 2. 플랜트 엔지니어링산업 외부환경 분석 178 3. 플랜트 엔지니어링 산업 내부 역량 분석 191 4. 2020년 비전 및 정량적 목표 197 5. 산업전략 198 6. 기술전략 212 Ⅵ. 항공우주산업 1. 서 론 223 2. 항공 산업 외부환경 분석 225 3. 항공 산업 내부역량 분석 234 4. 2020년 비전 및 정량적 목표 239 5. 산업 전략 240 6. 기술전략 257 7. 비전체계도 264 Ⅶ. 섬유의류산업 1. 서 론 267 2. 외부환경 분석 269 3. 내부역량 분석 279 ii

대한민국 산업 기술 비전 2020 4. 2020년 Vision 및 정량적 목표 288 5. 산업 전략 291 6. 기술 전략 308 7. 비전 체계도 316 Ⅷ. 철강 비철산업 1. 철강 비철 산업 개요 321 2. 철강산업 322 3. 비철금속산업 348 4. 뿌리산업 379 Ⅸ. 화학산업 1. 서 론 407 2. 외부환경 분석 413 3. 내부역량 분석 421 4. 2020년 Vision 및 정량적 목표 429 5. 산업 전략 431 6. 기술 전략 445 7. 비전 체계도 454 iii

The next big thing! 대한민국 산업 기술산업 비전 기술 2020 비전 2020 총 론 Ⅰ 주력산업 The next big thing! 대한민국 산업 기술 비전 2020

I. 총 론 1 주력산업 개관 1.1 주력산업의 정의 및 중요성 ㅇ 주력산업은 자동차, 조선, 기계, 항공, 플랜트 엔지니어링, 금속(철강, 비철금속, 뿌리산업), 화 학, 섬유 산업으로 구성되며 생산, 수출, 고용 비중 및 전후방 산업 파급효과가 큰 국가 경제의 핵심산업이며, 대표적인 자본재 및 중간재 산업으로서 산업발전의 토대가 되는 산업이다. <그림 1> 우리나라 주력산업의 구성 <표 1> 제조업에서의 주력산업의 생산액 및 비중 추이(조 원) 1) 산업 분류 2005 2006 2007 2008 2009 CAGR 자동차 99.7(12.4%) 109.8(12.8%) 117.7(12.4%) 118.3(10.5%) 113.0(10.1%) 5.9% 조선 29.9(3.7%) 37.0(4.3%) 47.5(5.0%) 66.6(5.9%) 74.7(6.7%) 30.5% 일반기계 (플랜트) 56.2(7.0%) 61.4(7.1%) 67.9(7.2%) 79.0(7.0%) 72.7(6.5%) 12.1% 항공 1.5(0.2%) 1.8(0.2%) 2.0(0.2%) 2.2(0.2%) 2.5(0.2%) 13.2% 섬유 29.4(3.7%) 29.2(3.4%) 29.6(3.1%) 31.7(2.8%) 33.8(3.0%) 2.6% 금속 83.0(10.4%) 88.3(10.3%) 102.9(10.8%) 130.5(11.6%) 111.7(10.0%) 16.3% 철강 61.9(7.7%) 60.2(7.0%) 70.5(7.4%) 97.8(8.7%) 79.4(7.1%) 16.5% 비철금속 17.4(2.2%) 24.2(2.8%) 27.7(2.9%) 26.7(2.4%) 27.9(2.5%) 15.3% 뿌리산업* 3.7(0.5%) 3.8(0.4%) 4.7(0.5%) 6.0(0.5%) 4.5(0.4%) 17.4% 화학 77.7(9.7%) 80.3(9.4%) 90.3(9.5%) 111.9(9.9%) 111.7(10.0%) 12.9% 주력산업 계 377.3(47.1%) 407.9(47.4%) 457.9(48.3%) 540.2(48.1%) 520.1(46.4%) 12.9% 제조업 계 801.7(100%) 859.7(100%) 948.6(100%) 1,123.0(100%) 1,122.0(100%) 11.9% * 뿌리산업에서 금형은 일반기계산업에 포함되므로 제외하여 산출. 뿌리산업에는 주조업(철강, 비철금속 주조) 포함. 금속열처리 산업은 금속제품 세부에 포함되어 있어 뿌리산업으로 분류하기에 다소 무리 * 괄호 안의 값은 제조업 대비 비중을 의미 ㅇ 2009년 주력산업은 우리나라 제조업 생산의 46.4%(520.1조 원), 고용의 43.2%(105.9만 명), 수출의 51.6%(1,874.7억 불)를 차지하는 등 우리나라 경제의 중추적 위상을 보유하고 있다. 1) 통계청 광업 제조업 조사보고서(10인 이상)에서 인용 재구성 3

The next big thing! 대한민국 산업 기술 비전 2020 - 주력산업 <표 2> 제조업에서의 주력산업의 고용 및 비중 추이(천 명) 2) 산업 분류 2005 2006 2007 2008 2009 CAGR 자동차 258(10.6%) 268(10.8%) 268(10.7%) 259(10.6%) 250(10.2%) 0.1% 조선 91(3.7%) 104(4.2%) 119(4.7%) 130(5.3%) 131(5.4%) 12.4% 일반기계 (플랜트) 245(10.0%) 252(10.1%) 261(10.4%) 262(10.7%) 254(10.3%) 2.1% 항공 7(0.3%) 7(0.3%) 8(0.3%) 8(0.3%) 8(0.3%) 3.2% 섬유 204(8.4%) 191(7.7%) 185(7.4%) 169(6.9%) 168(6.9%) -6.0% 금속 110(4.5%) 111(4.5%) 116(4.6%) 120(4.9%) 120(4.9%) 2.9% 철강 69(2.8%) 70(2.8%) 73(2.9%) 78(3.2%) 79(3.2%) 4.5% 비철금속 25(1.0%) 25(1.0% 26(1.0%) 24(1.0%) 25(1.0%) -1.1% 뿌리산업* 16(0.7%) 16(0.6%) 17(0.7%) 17(0.7%) 16(0.6%) 2.2% 화학 121(4.9%) 124(5.0%) 126(5.0%) 125(5.1%) 128(5.2%) 1.1% 주력산업 계 1,037(42.4%) 1,057(42.5%) 1,083(43.2%) 1,073(43.7%) 1,059(43.2%) 1.1% 제조업 계 2,443(100%) 2,484(100%) 2,508(100%) 2,454(100%) 2,453(100%) 0.2% <표 3> 제조업에서의 주력산업의 수출 및 비중 추이(억 달러) 3) 산업 분류 2005 2006 2007 2008 2009 CAGR 자동차 379.6(13.3%) 431.5(13.3%) 497.2(13.4%) 489.8(11.6%) 371.2(10.2%) 8.9% 조선 177.3(6.2%) 221.2(6.8%) 277.8(7.5%) 431.6(10.2%) 451.3(12.4%) 34.5% 일반기계 (플랜트) 221.6(7.8%) 239.2(7.3%) 307.6(8.3%) 373.0(8.8%) 268.5(7.4%) 18.9% 항공 6.4(0.2%) 8.9(0.3%) 9.3(0.3%) 9.2(0.2%) 9.8(0.3%) 12.8% 섬유 148.2(5.2%) 140.8(4.3%) 143.2(3.9%) 141.8(3.4%) 123.3(3.4%) -1.5% 금속 219.2(7.7%) 275.9(8.5%) 321.1(8.6%) 389.2(9.2%) 298.7(8.2%) 21.3% 철강 167.1(5.9%) 194.3(6.0%) 230.2(6.2%) 298.6(7.1%) 230.3(6.3%) 20.3% 비철금속 47.8(1.7%) 76.4(2.3%) 85.1(2.3%) 83.3(2.0%) 61.8(1.7%) 19.1% 뿌리산업* 4.3(0.2%) 5.2(0.2%) 5.8(0.2%) 7.3(0.2%) 6.7(0.2%) 21.1% 화학 255.4(9.0%) 294.7(9.1%) 350.9(9.4%) 406.4(9.6%) 351.9(9.7%) 15.6% 주력산업 계 1,416.0(49.8%) 1,625.6(49.9%) 1,924.8(51.8%) 2,254.9(53.4%) 1,874.7(51.6%) 16.7% 제조업 계 2,844.2(100%) 3,254.6(100%) 3,714.9(100%) 4,220.1(100%) 3,635.3 (100%) 14.1% ㅇ 2008년 기준 주력산업의 생산(국산)유발효과는 1,200조 원 규모이며, 고용유발효과는 10억 원 당 410만 명에 달하며, 이는 주력산업이 주변산업에 대한 파급효과가 지대함을 의미한다. 1.2 주력산업의 성장과 세계 속의 위상 ㅇ 우리나라 주력산업의 성장 요인으로는 정부의 중화학공업 육성정책과 함께 선진국으로부터 도입한 기술에 대한 빠른 획득 및 추격능력, 외형 확장 및 생산기술 극대화를 통한 규모의 경제 극대화, 수출 지향 발전전략의 채택 등을 들 수 있다. ㅇ 자동차산업은 1980년대 양산 및 수출단계를 거쳐, 1990년대 독자모델 개발에 성공하였으며, 2009 년 기준 생산 점유율 5.7%로 세계 5위, 수출 214만 대로 세계 4위의 위상을 보이고 있다. ㅇ 조선산업은 2009년 수출 실적 451억 달러로 1위 품목에 올랐으며, 3대 지표(수주량, 수주잔 량, 건조량) 모두에서 2000년 이후 2009년까지 수위를 유지하고 있을 뿐 아니라, 해양플랜트 선체 및 건조 기술 또한 세계 최고의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다. 2) 통계청 광업 제조업 조사보고서(10인 이상)에서 인용 재구성 3) 무역협회(KITA) 홈페이지의 산업별 MTI 분류코드를 활용하여 산출 4

I. 총 론 ㅇ 기계산업은 2000년대 이후 개도국의 산업화 과정에서 필요한 장비 수요 증가 및 전방산업 수출 호조에 힘입어 2010년 수출 366억 달러를 기록하였으며, 세계 시장 점유율 9위(2.8%)를 기록 하였다. ㅇ 플랜트산업은 2010년 해외플랜트 수주액 645억불로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하고 있으며, 연평균 40%의 성장률로 급속히 성장하고 있는 우리나라 경제성장의 핵심동력이다. ㅇ 항공산업은 세계에서 12번째로 초음속 항공기인 T-50 고등훈련기 자체 개발에 성공하였으며, 무 인기 기술분야에서는 아시아권 선도권에 올라 빠른 속도로 선진국을 추격하고 있으며, 09년 생 산 20억불, 세계시장 점유율 0.5%로 16위 수준에 머물고 있다. ㅇ 섬유의류산업은 국내 제조업체 수의 10%, 고용 7%를 차지하는 고용효과가 큰 산업으로서, 2010년 기준 수출 139억불, 세계 수출 시장에서 6위(2% 점유)를 기록하고 있다. ㅇ 철강산업은 제조업에 핵심 기초소재 및 부품을 제공하여 주력산업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기반사업으로 2009년 기준 세계 철강 생산의 4.0% 점유율(4,853만톤 생산)로 2000년대 이후 세계 5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ㅇ 비철산업은 고기능성 제품의 수요증가에 따라 자동차, 전자 정보산업의 고부가가치화 및 경쟁력 확보에 직결되는 핵심산업으로, 제련 생산량은 150만 톤(2009년)으로 세계 11위(1.9%)이며, 아 연(세계 2위, 45만 톤)과 구리(세계 3위, 56만 톤) 등의 분야에서는 세계 수준의 위상을 확보 하고 있다. ㅇ 뿌리산업 4) 은 소재를 부품 완제품으로 생산하는 공정산업으로, 제조업 전반에 연계성이 높고 최종 제품의 품질 및 성능을 결정하는 기반산업으로 세계 5위~10위의 생산 및 수출 실적을 기록하고 있다. ㅇ 화학산업은 국가기간산업으로 제조업 생산액의 10%, 수출 7.6%를 차지하며, 2009년 기준 생산 규모 1,035억불, 세계시장 점유율 3.0%로 세계 7위 수준의 생산 실적을 보유하고 있다. 4) 금형은 일반기계산업에 포함되어 세계 시장 속의 위상 고려시, 뿌리산업에서는 제외 5

The next big thing! 대한민국 산업 기술 비전 2020 - 주력산업 2 당면과제 2.1. 전략적 변곡점 도래 ㅇ 1970년대 한국사회의 초고속 압축성장을 주도하며 국가경제와 산업발전의 토대가 되었던 주력 산업은 현재 두 가지 측면에서 전략적 변곡점을 맞이하고 있다. 첫째로, 그린화 및 스마트화라는 메가트렌드이다. 둘째로, 주요 경쟁국의 주력산업 중요성 재조명 및 투자확대에 따른 글로벌 경쟁의 심화이다. 현재 주력산업이 직면하고 있는 이러한 전략적 변곡점 상황에서 관련 주체들의 전략적 선택이 향후 우리나라 산업의 흥망성쇠를 결정할 것이라 보고 있다. 주력산업은 이러한 전략적 변곡점 상황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글로벌 주도권 확보의 기회로 만들어 가야할 것이다. 2.1.1. 그린화 및 스마트화 <그림 2> 전략적 변곡점에 직면한 우리나라 주력산업 ㅇ 주력산업이 공통으로 직면하고 있는 전략적 변곡점의 주요 동인으로는 에너지 및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그린화 요구과 안전성/편의성/효율/생산성 향상 등을 위한 스마트화 요구가 있다. ㅇ 자동차, 조선, 항공산업 등 수송산업의 경우 그린화와 스마트화 추세는 절대적이며, 특히 에너 지 환경문제의 주요 관련 산업으로서 연비향상, 온실가스 배출축소, 대체에너지 활용기술 개발 등 그린화를 위한 산업 전반적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안전규제 강화, 소비자 편이 및 정 보통신 융합 요구에 따른 지능화 및 전자화, 스마트화 기술의 개발 및 적용이 가속되고 있다. ㅇ 기계, 플랜트, 철강, 화학, 섬유 등 타 주력산업의 경우도 에너지 및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그 린 제품/기술/공정 개발에 대한 필요성과 제품성능 고도화, 생산성 및 효율 향상을 위한 IT 융 합 등 스마트화의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6

I. 총 론 2.1.2. 글로벌 경쟁의 심화 ㅇ 미국, 일본, EU 등 주요 선진국들은 작금의 자국경제의 위기상황의 한 원인으로 제조업 경쟁력의 퇴 보를 지목하고, 국가적 차원에서 주력산업 경쟁력의 재무장에 총력을 경주하고 있다. 이전의 단순한 신기술 개발을 넘어서 전략적인 핵심기술 개발과 토탈 솔루션의 무기를 갖추고, 기존 시장뿐만 아니라 신흥시장을 포함하는 전방위적인 주력산업 재무장을 추진하고 있다. 융합연구 등을 통 하여 환경 및 에너지 규제를 극복할 수 있는 핵심기술을 신속하게 상용화해내고 있으며, 장비 만을 공급하던 체제에서 현지 밀착형 마케팅을 통해 설계 공정 설비관리 등 토탈 솔루션을 제 공하여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며 시장 점유율을 높여가고 있다. ㅇ 중국, 인도를 비롯한 후발 신흥국은 산업발전 과정 상 주력산업 발전에 자원을 집중하고 있는 가운데, 자국에 알맞은 산업전략을 수립하고 기술자립과 가격경쟁력 및 다양한 마케팅을 통하 여 신흥시장에서의 점유율을 급속하게 향상시키고 있는 현실이다. ㅇ 현재 우리나라는 단지 기술수준과 가격경쟁력이 선진국과 후발국 사이에 있다는 단선적인 상 황이 아니라 메가트렌드, 시장, 소비자의 수요, 가치사슬 등이 복잡하게 얽혀있는 그물망 속에 위치하고 있다. ㅇ 선진국의 주력산업 재무장과 후발국의 급부상은 향후 주력산업의 글로벌 경쟁을 격화시키고 복잡한 경쟁구도를 야기함으로써 이에 대한 현명한 대응이 절실하고 시급한 상황이다. 2.3. 주력산업의 재도약을 위한 대응과제 ㅇ 주력산업이 복잡한 그물망 형국 속에서 새로운 도약을 실현하는 변곡점을 만들어가기 위해서는 정확한 현황 분석과 미래 전망을 토대로 산업별 맞춤형 발전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ㅇ 이를 위해서는 주력산업별 거시적 환경 분석, 글로벌 시장 동향 분석, 기술 동향 분석, 정책 동 향 분석, 내부역량 분석, 경쟁력 분석 등을 수행하여 산업별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시급하다. ㅇ 이러한 시기에 우리나라 주력산업의 新 르네상스를 구현하기 위한 육성전략의 밑그림으로서 주 력산업 분야별 비전 2020을 제시하고자 한다. 7

The next big thing! 대한민국 산업 기술 비전 2020 - 주력산업 3 주력산업 전략 3.1. 비전 ㅇ 산업 및 기술혁신을 통한 주력산업의 新 르네상스 실현 3.2. 주요 전략 ㅇ 기존 주력산업은 산업 발전 단계상 성숙기 또는 제품 차별화 등 조정기에 접어들면서, 성장한계 에 봉착한 것으로 판단하거나 신기술 출현에 대한 과도한 기대로 재정적 및 인력 투자 등 산업 발전의 핵심 자원 배분의 우선순위에서 밀리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ㅇ 반면 일본, 독일 등 제조업 강국은 설계기술 등 가치 사슬 상류에서의 경쟁력 유지 노력과 부품 유지 보수, 컨설팅 등 부가가치가 높은 가치 사슬 하류의 역량 축적 노력을 경주해오고 있다. ㅇ 우리나라 주력산업은 그동안 지속적으로 추진해온 글로벌 경쟁력 강화 전략의 성과가 나타나 고 신흥시장의 수요 증가에 따른 시장 확대와 환율 등 수출중심인 주력산업의 경쟁요소가 유 리하게 작용하면서 괄목할 성과를 내고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그린화 및 스마트화, 글로벌 경쟁의 심화 등으로 전략적 변곡점에 직면함에 따라 글로벌 산업 판도의 대변혁이 진행되고 있는 현재 우리나라는 현 상황을 글로벌 선도국 도약의 절호의 기회로 삼을 수 있는 전략적 방향제시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세계경제의 불확실성이 증대하고 각국이 자국경제 중심적 환 율정책을 구사하며, FTA 등 산업환경이 급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어느 때보다 전략적 접 근이 필요한 시기이다. ㅇ 국가 전체의 산업발전 전략으로 주력산업의 고도화 와 신산업 창출 이라는 Two Track 전략을 추진하는 가운데, 주력산업의 고도화를 위한 주력산업 신르네상스 전략을 제시한다. ㅇ 주력산업 新 르네상스 전략의 주요 전략적 이니셔티브로는 크게 - R&D 확대를 통한 제품/기술 혁신 - 시장 마케팅 혁신 - 사업모델 혁신 - 전략 추진을 위한 환경조성 으로 정리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세부 전략은 다음과 같다. 3.2.1 R&D 확대를 통한 제품/기술 혁신 전략 주력산업의 R&D 투자확대를 통해 제품/기술/공정의 혁신 - 그린화 및 스마트화에 대응한 기술/제품 개발 - 주력산업과 신기술, 타산업 융합을 통한 고부가가치화 - 미래수요산업과 연계한 미래유망 제품/기술의 선점 ㅇ 날로 심각해지는 환경규제에 대응하고 제품 및 공정기술의 그린화를 후발국 추격회피와 경쟁 국과의 차별화 요소로 발전시켜 우리나라 주력산업의 기회요인으로 활용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제품의 그린화 뿐만 아니라 그린 소재, 그린 생산시스템 개발에 투자를 확대하여야 한다. 특히 전기차, 그린쉽, 고효율 항공기, 친환경 플랜트, CCU개념의 그린화학소재, 수소환 원제철 등의 개발이 시급하다. 8

I. 총 론 ㅇ 자율주행자동차, 무인항공기 등 스마트화 및 다기능화가 글로벌 트렌드로 기존 제품의 성능향 상 뿐 아니라 새로운 상품 및 시장을 창출하고 있어 이에 대한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 ㅇ 주력산업과 IT/BT/NT 등의 신기술 융합을 통해 주력산업의 고부가가치화를 추구한다. 특히 우리나라가 강점을 가지고 있는 IT융합을 통해 그린화 및 스마트화를 선도하고 타 산업과의 융복합화로 성능 뿐 아니라 디자인 혁신을 견인한다. ㅇ 또한 미래수요산업과 연계한 제품/기술의 혁신을 가속화하는데, 예를 들면 그린수송시스템과 연 계한 공조기술, 초경량 부품 소재 및 성형기술의 개발, 인쇄전자 소자시장 확대에 대비한 인쇄전 자 연속 생산시스템, 차세대 반도체 3차원 패키징 장비 등 미래형 제품/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3.2.2 시장 마케팅 혁신 전략 전략적 접근으로 넛크랙커 위험 회피 - 브랜드 파워 강화를 통한 선진국시장 공략 - 현지화 및 차별화를 통한 신흥시장 지배력 강화 ㅇ 기존 선진국 시장에서는 브랜드 파워 강화를 통해 경쟁력을 제고한다. 특히 주력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은 제품과 기업 브랜드 가치 뿐 아니라, 국가 브랜드 가치와도 비례하는 만큼 정부의 국격 제고 노력과도 연계될 필요가 있다. ㅇ 또한 향후 주력산업의 수요가 신흥국을 중심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신흥시장에서 의 수요를 반영한 제품개발 및 마케팅전략 개발 등 현지화 노력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3.2.3 사업모델 혁신 전략 제품/기술 혁신과 사업모델 혁신의 결합이 성공 방정식 신 사업모델 사례 - Total Solution Provider 사업모델 - Product+Finance 사업모델 - 완제품-부품-소재 Stream 협력 사업모델 우리나라에 적합한 신사업모델의 지속적 발굴 추진 ㅇ 우리나라 제조업의 부가가치 저하 현상과 선진국이 설계(Design), R&D, 유지보수 서비스 등 부가 가치 창출 능력이 높은 부문으로 집중하는 현상을 고려하였을 때, 사업모델 혁신을 통해 우리나 라 주력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구조적으로 제고해야 하며, Total Solution Provider 사업모델, Product+Finance 사업모델, Stream 협력 사업모델 등 새로운 사업모델을 적극 발굴 및 추진 해야 한다. ㅇ Total Solution Provider 사업모델은 제품 패키지화를 통한 수평형 모델과 제품과 서비스를 연계 한 수직형 모델을 동시에 추진한다. 예를 들어 그린수송시스템, 플랜트, 공작기계, 항공기 등의 산업전략으로 적극 활용한다. ㅇ 플랜트, 항공기 등에서 활용되고 있는 BOT, BOO, BTL 등의 Product+Finance 사업모델을 확 대 발전시켜 新 파이낸싱 기법, 자원개발과 연계한 입체적 사업모델을 개발한다. ㅇ 공작기계 등에서는 완제품-장비-부품 소재 와 같은 가치사슬 전체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Stream 협력 사업 모델 또한 적극적으로 채택하여, 주력산업의 개방형 혁신을 가속화하고 대 중소기업의 협력모델을 정립한다. 9

The next big thing! 대한민국 산업 기술 비전 2020 - 주력산업 3.2.4 전략 추진을 위한 환경조성 ㅇ 신사업모델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산업과 기술의 융복합 및 시스템 R&D, 협업 R&BD가 필요 한데, 이를 지원하기 위한 R&D 체제의 혁신이 필요하다. ㅇ 다양한 신사업모델을 지원하는 제도 및 법규의 혁신이 필요하고, 이를 위한 新 파이낸싱 기 법 개발 등 제반 제도, 법규, 프로세스의 개선 및 신설이 필요하다. ㅇ 다양한 신사업모델을 지원하는 조직 및 인적 혁신이 요구된다. 특히, 칸막이형 조직/인력을 지 양하고 개방적이며 다학제적인 융합형 조직/인력을 육성한다. ㅇ 정부/대중소기업의 협력모델 및 역할 재정립을 위해 정부의 R&D 정책과 지원 연계를 통한 협력을 유도하고 다양한 신사업모델로 협업모델 구축 및 다변화를 촉진한다. 이를 통해 산업 생태계(Ecosystem)의 육성 및 강건화로 동반성장을 추구한다. ㅇ 인증, 표준화 등의 인프라를 확충한다. 10

I. 총 론 4 산업별 분석 및 발전전략 4.1. 자동차산업 ㅇ 정의 및 범위 자동차산업은 철강, 비철금속, 고무, 합성수지, 유리, 섬유 등 여러 가지 재료를 써서 각 부분 품마다 각기 다른 생산공정을 거친 2만여 개의 부품을 조립하여 자동차로 완성하는 복합적 성격의 대표적 조립산업이고, 시장진입에 막대한 자본이 소요되어 진입 및 철수장벽이 매우 높은 대표적인 자본집약형 산업이다. 자동차 산업은 크게 승용차 산업과 상용차 산업으로 분류할 수 있 으며, 승용차 산업에는 고효율 가솔린 자동차, 클린 디젤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전기 자동차, 연료전지 자동차 등이 산업 분류에 속해 있다. 자동차 산업은 국내 제조업 생산의 10.5%, 수출의 10.2%, 고용 10.6%를 차지하는 대표적인 핵심주력산업으로, 철강, 기계, 전기, 전자 화학 산업 및 금융업, 보험업, 광고업 등과 연계되어 전 후방 연관 및 파급 효과가 높은 산업이다. ㅇ 외부환경분석 중국, 인도 등 신흥시장의 수요가 자동차 시장 성장을 주도하는 반면 선진국 수요는 정체된 상황에서 신 흥국의 생산량 증대로 공급과잉 초래가 우려된다. 신흥시장 확대, 환경규제, 고유가, 스마트화 등의 영향으로 SUV, 대형 픽업트럭 등의 수요는 감소한 반면 소형차 시장은 크게 확대되고 있다. 2010 년 세계 시장은 7,800만대이며, 2020년 세계 시장은 1억 300만대 규모로, 특히 그린카 시장은 3,600만대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IEA 2009 참조). 에너지 환경 문제 대응을 위한 친환 경 그린카와 수요자 안전 및 편의 증대를 위한 스마트카 중심으로의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ㅇ 내부역량분석 국내 자동차산업은 조립생산, 국산화 단계, 양산 및 수출, 독자모델 개발단계를 거쳐 현재는 성숙 단계에 진입했다. 2009년 기준으로 한국 자동차산업은 생산 세계 5위(점유율 5.7%), 내 수 세계 12위, 수출 세계 4위(214만대)를 점하고 있다. 세계 5위 규모의 자동차 생산 능력과 우수한 개발 인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국제 경쟁력을 가진 다수의 부품 업체들로 구성된 산 업 기반과 안정적인 내수 시장을 확보하고 있다. 원천기술 부문에서는 선진업체에 비해 다 소의 격차가 있으며, 특히 친환경자동차 기술과 IT 융합 스마트 기술 등 미래 수요 대응 신 기술 개발의 역량은 선진국의 70~80%에 달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ㅇ 비전 및 목표 2020년 자동차산업 세계 4강 진입 : 생산 850만대(국내생산 500만대, 해외생산 350만대), 세계 시장 점유율 8.3%, 고용창출 30만명 달성 ㅇ 산업전략 전기 자동차(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 포함)와 연료전지 자동차를 포함한 전력 구동 기반 의 그린카와 고효율 가솔린 자동차, 클린 디젤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 내연기관 기반 의 그린카를 중심으로 하는 5대 중점제품을 육성하는 전략을 수립하고, 안전성과 편의성이 향상된 지능형 안전 자동차인 스마트카를 핵심기술로 육성하는 전략을 펼쳐야 한다. 11

The next big thing! 대한민국 산업 기술 비전 2020 - 주력산업 에너지 위기 해소 및 환경규제 대응을 위한 친환경 자동차의 집중 육성을 위해 제품과 서비 스를 연계한 수평형 사업모델과 제품과 부품을 연결한 수직형 사업모델을 동시에 추진하는 사업전략으로, 즉 완성차 업체와 핵심부품 업체의 협력 개발, 충전인프라와 차량 배터리 리 스 사업 등을 포함하는 금융서비스를 연계한 패키지 사업 모델인 Total Solution Provider 전 략을 추진해야 한다. 신흥시장은 기본 편의 장치 위주의 소형 저가 자동차로 진입한 후 시장 확대 전략을 펼쳐 야 하며, 선진시장은 IT융합 스마트 기술 기반의 첨단 안전 편의 장치를 탑재한 지능형 자 동차로 시장을 확대해야 한다. ㅇ 기술개발전략 5대 중점 육성 제품에 필요한 주요 핵심 기술로는 시스템 통합 및 장착성 기술, 고출력 고효율 구동부품 핵심기술, 고효율 충전시스템 기술, 과급 GDI 엔진 기술, 유해 배기 가스 저감 기술, 배기 후처리 시스템, 연소진단 기반의 통합제어 알고리즘 및 최적제어 기술, 고효율 연료전지 스텍 기술, 연료전지 시스템 기술, 안전 맵 연동 능동 안전 시스템 기술, V2X 기반의 통합제어 시스템 기술, 차량 IT 통합 인터페이스 기술 등 12개 핵심 기술이 확보되어야 한다. 현재 12개 핵심 기술의 수준은 선진국 대비 80% 정도이며, 2020년경에는 95% 정도로 제고할 수 있도록 자체개발과 Open Innovation 전략을 적절히 펼쳐야 한다. 특히, 친환경 자동차의 핵심 부품인 배터리, 모터, 인버터 등의 고성능화와 저가격화를 위한 제 품 설계기술, 신 공정기술과 신소재 등을 중점 개발하여야 하고, 안전성과 편의성을 극대화한 지능형 자동차를 위해 충돌 경보 시스템, 충돌 회피 시스템, 자율 주행과 자동 주차 등의 제품 기술을 확보해야 한다. 4.2. 조선 해양산업 ㅇ 정의 및 범위 조선 해양산업은 고부가가치 선박, 에너지 수송선박, 크루즈 및 해양레저 선박 등으로 구성 된 조선 산업과 해양플랜트 산업, 그리고 관련 기자재 산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연구개발, 설계, 생산을 연계 수행하는 지식 기반 복합 엔지니어링 산업이다. 국내에서 조선 해양산업 의 규모와 위상은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2009, 451억불, 국내 수출액 1위 품목)이 12.4%,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이 23.6%, 2008년 기준 제조업 대비 생산비중 5.9%, 부가가 치 5.9%, 고용 5.3%, 유형 고정자산 규모 5.8%를 차지하고 있으며, 해운업, 수산업, 국방, 에 너지 등 전방산업뿐만 아니라 철강, 기계 등 후방산업에 파급효과가 매우 큰 산업이다. ㅇ 외부환경분석 조선 해양산업에서는 중국의 조선 산업이 급성장하고 있고, IMO의 온실가스 배출 규제에 따른 지능형 친환경 선박으로 시장이 재편되고 있으며, 심해 에너지 자원을 확보하기 위한 해양플랜트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환경문제와 에너지 수급 불균형 등과 연계된 에너지 수요구조의 변화 로 Green Ship, 복합해양플랜트 및 Subsea Unit, 에너지원 수송관련 전용선, 심해용/극지용 Drillship, 빙해용 LNG운반선 등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아울러 소득 및 여가 시간의 증대에 따른 요트, 대형 크루즈선 등의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조선시장 수출규모는 향후 2020년 3,900만CGT, 해양플랜트는 435억 달러에 도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12

I. 총 론 ㅇ 내부역량분석 조선 해양산업은 00년 이후 세계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으나, 최근 중국과 1위 경 쟁을 치열하게 벌이고 있다. 주력선종으로 컨테이너운반선, 유조선, 살물선 등의 기술 경쟁력 은 확보하였으며, 특히 LNG운반선, Drill Ship 등에서는 시장을 선점하고 있고, FPSO/FSRU 등 해양플랜트 분야도 진출하고 있다. 철강, 엔진, 기자재 등 세계적인 수준의 후방산업을 포 함한 세계 1위의 조선 산업기반을 확보하고 있으며, 컨테이너선, 유조선, LNG운반선 등 다 양한 선종과 해양플랜트를 설계하고 건조한 경험을 갖고 있는 우수한 인재와 대형 건조 설 비도 보유하고 있다. 친환경 동력원 관련 기술, 선형 설계 기술 등 친환경 선박 기술과 해양 플랜트 설계 및 설치 기술 등 해양플랜트 핵심기술 등의 역량은 선진국에 비해 미흡한 실정 이며, 가격 경쟁력은 중국 대비 열세이다. ㅇ 비전 및 목표 2020년 조선 해양 세계 1위 : 세계 시장 점유율 40%, 수출 1,200억불, 고용 창출 30만명 달성 ㅇ 산업전략 미래형 에너지 수송선박, 고부가가치 주력선박 등 산업용 선박과 크루즈선, 해양레저 선박 등 레 저용 선박과 Drill Ship, 해상플랫폼, 해저생산 시스템 등 해양플랜트를 7대 중점제품으로 집중 육 성하여야 한다. 급성장이 예상되는 심해 석유 가스 생산용 해양플랜트 분야의 Total Solution Provider 전략(해 상 해저 통합 엔지니어링, 핵심기자재 개발, 설치 기술 등을 통합적으로 일괄 제공)을 추진하여 수요를 확대하고 수익을 제고 한다. 주력선종은 선박 운영비 저감, 안전규제 만족 등으로 수요자 중심의 상품성을 강화하고, 온실가스 배출 저감, 연비 향상 기술 등을 이용한 Green Ship 기술로 상품 차별화 전략을 추진하며, 해양 레저 선박은 브랜드 구축 전략을 전개한다. ㅇ 기술개발전략 7대 중점 제품을 육성하기 위한 친환경 동력원 개발 기술, 에너지 절감 기술, FEED 기술, 동 적 성능 제어 기술 등 조선 해양 16개 핵심기술과 기자재 3개 핵심 기술을 집중 개발하여 선진국 대비 기술 수준을 2020년 경 95% 이상으로 제고한다. 특히, 글로벌 온실가스 감소 등 IMO의 규제 강화에 대비하여 친환경 기술과 IT 융합기술 중심으로 Green Ship 기술과 Smart Ship 기술을 개발한다. 심해 Oil & Gas의 생산성 향상, Platform 경량화 및 저장 능력 제고를 위한 Subsea Production & Processing 기술 등은 선진 업체와 국제 공동 기술 협력 개발을 통해 확보 한다. 4.3. 기계 산업 ㅇ 정의 및 범위 주력산업의 생산설비를 공급하는 공작기계, 금형, 정보통신 생산장비, 新 생산장비등의 제조 시스템과 건설기계, 농기계, 냉동공조기계, 섬유기계 등의 일반산업기계로 구성된다. ㅇ 외부환경분석 신흥시장 확대에 의한 기회와 중국 급성장에 따른 위기가 공존하고 있으며, 비즈니스 모델 13

The next big thing! 대한민국 산업 기술 비전 2020 - 주력산업 은 제품 서비스 금융 등을 결합한 토털솔루션 방식으로 변화하고 있다. 세계수출시장은 10년 1.3조불에서 20년 2.7조불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신흥국시장 비중이 35%에 서 48%로 크게 확대될 전망이다(KOAMI, 2010). 중국의 경우 자본력과 시장, 대만의 기술력 을 결합한 사업모델로 대만의 중소중견업체가 모듈생산을 담당하고 중국에서 조립 판매하 는 방식을 05년 이후 채택(Chiwan전략)하여 09년 수출 3위로 급상승하였다. 또한 선진국은 * 獨, 日 의 경우 A/S, 컨설팅 등 서비스분야에서 수익의 45%이상 창출하는 등 기계장비 판매위주에서 탈피하여 현지 밀착형 마케팅을 통한 설계 공정 설비관리 등 통합 서비스 제공으로 고수익을 창출하고 있으나, 한국의 경우 20%수준에 머물고 있다. 이와함께 신산업의 출현, 에너지 자원 확보, 고객요구 다양화, 환경규제 등으로 기회와 위 협이 상존하는 산업 환경에 대한 적절히 대처하기 위하여 신개념화, 그린화, 대형화, 고부가 가치화, 맞춤화 대응이 시급하다. ㅇ 내부역량분석 00년 점유율 1.7%(15위)에서 10년 기준 수출 366억불, 세계시장 점유율 2.8%로 9위를 차 지하는 등 상당한 성과를 달성하였으나, 엔고현상으로 인한 일본의 신흥시장 점유율 감소에 따른 반사효과에 기인한 면이 있다. 국내 기계산업의 강점으로는 자동차, 반도체, 디스플레 이, 조선산업 등과 같은 세계수준의 대규모 수요산업의 성장에 따른 내수 기반 확보 및 개발 성공경험 보유, Mid-Tech 제품에서 우수한 경쟁력 확보를 들 수 있다. 반면에, 국내 기계산 업의 경쟁력이 세계최고 수준대바 85% 수준에 머무는 등 선진국 대비 설계 및 부품소재기술 이 취약하고, 중국 대비 생산기술, 내구성 및 마케팅 분야 격차 축소로 인한 가격 경쟁력 약 화 등은 국내 기계산업의 약점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영세 중소기업의 비중이 높고, 브랜드 파워가 상대적으로 취약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ㅇ 비전 및 목표 2020년 세계 5대 기계강국 실현 이 비전으로, 2020년 생산액 250조원(세계 5위), 세계시장 점유율(8.9%, 환율 1130원 기준), 수출액 1800억불(세계 5위), 고용창출 87만명을 목표로 한다. ㅇ 산업전략 세계시장 점유율 5위 달성을 위한 제조시스템 및 일반산업기계 분야의 기계산업 10대 탑 브랜드 제품을 집중 육성한다. 제조시스템분야의 중점 육성제품은 복합 다기능가공기, 초고 속 대형 머시닝센터, 인쇄전자 생산시스템, 3차원 패키징장비, 그린카 금형 등이 있으며, 일 반산업기계분야의 중점 육성제품은 친환경 굴삭기, 산업용 고효율 히트펌프, 친환경 수전농 기계, 로봇 봉제기, 대형 광산기계로 구성된다. 제조시스템의 경우 주력산업의 수요변화에 대비하고 신산업육성 지원을 위해 특히 인쇄전 자 생산시스템 등의 신생산장비기술을 확보하여 박막태양전지와 유연 디스플레이와 같은 신 사업의 기반을 제공한다. 일반산업기계는 R&D투자 확대를 통해 자원확보, 삶의 질 향상 등에 대응하는 스마트화, 융합화 된 미래지향적 제품을 확대한다. 컨설팅, 설계 및 서비스 등 밸류체인 강화 및 산업생태계의 혁신을 통해 선진국형 산업으 로 전환하는 산업구조의 고부가가치화화 전략과 한국의 고속성장 및 기계화 경험에 기반한 차별화된 토털솔루션 제공으로 신흥시장을 집중 공략하고 점유를 확대하는 시장확대 전략을 추구한다. 14

I. 총 론 ㅇ 기술개발전략 10대 유망제품 19대 핵심기술을 중점개발하여 선진국 대비 기술수준을 09년 85%에서 20 년 95%로 제고하여 기술선도국으로의 도약을 꾀하며, 이를 위하여 기획/설계/제조/마케팅/ 서비스의 가치사슬 전반에 걸친 총체적인 기술역량 확보 및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기술개발, 역량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설계 및 서비스 관련 기술개발 지원을 확대, 수요산업과의 연계성 강화 및 조기융합형 기술개발을 추진하며, 미래의 산업수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정 부 R&D 투자 기획을 강화한다. 4.4. 플랜트 엔지니어링 산업 ㅇ 정의 및 범위 플랜트 엔지니어링 산업은 에너지, 자원 및 산업재를 생산하는 기술집약형 산업으로 목적에 따라 Oil&Gas, 정유/석유화학, 발전, Water, 해양 플랜트로 분류된다. ㅇ 외부환경분석 플랜트 엔지니어링 산업은 2010년 이후 연평균 6% 성장하여, 2010년 시장규모가 8,240억달러에 서 2020년 1조 5,800억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으며, 중동, 아시아, 아프리카 등 신흥 시장이 연 10%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특히 유가상승에 따른 국가 간 에너지 자원 확 보 경쟁으로 Oil&Gas 등 에너지 자원 플랜트 시장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최근 선진국 은 수익성 높은 엔지니어링과 구매 조달에 집중하고 있으며, 중국 등 후발국은 가격경쟁력 및 자국 플랜트 수요를 기반으로 기자재 시공 자국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ㅇ 내부역량분석 플랜트 엔지니어링 산업은 다양한 플랜트 시장에서 급성장하여 2010년 수주액 645억불로 현재 세계 6위 수준이다. 우리나라는 세계적인 정유 석유화학 담수 플랜트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으 며, 특히 중동시장 점유율이 1위이다. 또한 우리나라는 상세설계와 공기준수 단축 등의 시공영 역에서 우수한 경쟁력 보유하고 있으며, 기계, 조선, 에너지, 화학, 철강 등 세계 최고수준의 관련 산업 보유하고 있어 플랜트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는 성장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원천기술 을 포함한 엔지니어링과 기자재 경쟁력이 취약하여 플랜트 엔지니어링 산업의 부가가치 및 외화가득률이 낮은 상황이다. ㅇ 비전 및 목표 2020년 세계 3대 플랜트 엔지니어링 강국 실현 이 비전으로, 2020년 수주액 1,600억불, 시장 점유율 10%, 외화가득률 45%, 국산기자재 조달율 55% 달성을 목표로 한다. ㅇ 산업전략 Oil&Gas 플랜트, 차세대 연료화 플랜트, 가스화 발전 플랜트, 친환경 고효율 화력, 융복합 담수화 플랜트, 심해 생산용 해양플랜트 등 7대 중점제품을 집중 육성하여 2020년 세계시 장 점유율 10%를 달성한다. 엔지니어링 역량 확충을 통하여 설계, 시공, 운영 등 수요자의 요 구를 일괄 수행하는 통합솔루션 사업모델을 추진하고, 금융, 자원 공유, 운영 등을 연계하여 신 흥시장을 공략함과 동시에 실증사례를 확보하여 글로벌 시장으로 확대한다. 특히 정부와 민 간의 긴밀한 협력으로 실증을 통하여 플랜트 엔지니어링 산업의 핵심성공요인인 Track Record 확보기회를 제공한다. 15

The next big thing! 대한민국 산업 기술 비전 2020 - 주력산업 ㅇ 기술개발전략 7대 중점 육성제품의 13대 핵심기술을 집중 개발하여 기술수준 10년 80%에서 20년 95%를 달성하여 기술선도국으로 도약한다. 특히 플랜트 엔지니어링 산업의 부가가치 제고를 위한 엔지니어링 역량 확충 및 공용성 높은 핵심기자재 개발로 플랜트 산업의 고도화를 달성한다. 또한 향후 플랜트 엔지니어링 산업의 먹거리 창출을 위하여 Oil&Gas, 발전, Water, 해양 플랜트 등의 미래형 원천기술을 적극적으로 개발한다. 4.5. 항공산업 ㅇ 정의 및 범위 항공산업은 기계, 전자, IT, 소재 등의 첨단기술이 융복합된 종합시스템 산업으로, 민수기, 군용기, 무인기 등을 개발하고 생산하는 항공기 부품 제조산업과 항공기의 정비 및 개조를 담당하는 MRO산업으로 구성된다. * MRO : Maintenance, Repair and Overhaul ㅇ 외부환경분석 항공산업은 민수기 중심으로 그린항공기 및 스마트 항공부품의 수요가 확대 중이며, 향후 무인기가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세계시장규모는 09년 4,000억불에서 20년 6,000억불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향후 20년간 항공완제기 산업은 4.5%, 무인기 시장은 12% 이상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항공기 산업은 연비 제고, 배기가스 및 엔진소음 감소 등의 그린화와 IT, NT, BT 융합을 통한 지능형 무인기 등 스마트화가 빠르게 확산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또한 대형민항기의 경우 아시아 태평양 수요가 전체의 33%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는 등 아시아 태평양 시장이 급속 성장 중이며, 미국, EU 양강(Boeing 및 EADS) 구도 심화 및 글로벌 협업구조 강화 등 산업구조 변화가 가속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ㅇ 내부역량분석 국내 항공산업은 09년 생산 20억불, 세계시장 점유율 0.5%로 16위 수준이며, 완제기 및 원 자재 수입에 따른 무역적자는 수출이 연평균 11% 이상 증가하여 2009년 9.8억불을 기록하는 등 감소 추세에 있다. 국내의 경우 제조, 조립, 정비 등에서 세계수준의 경쟁력 보유하고 잇 으며, 자동차, IT, 기계 등 발달된 연관산업 및 세계 10위권의 군수시장과 8위권의 항공운항 시장을 보유하고 있어 강점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반하여 핵심기술역량은 선진국대비 70% 수준으로 핵심부품 및 인증기술이 상대적으로 취약한데, 군수 12.6억불(64%), 민수 7.2억 불(36%)로 군수 의존도가 높아 수익구조 및 저변이 취약하고, 관련기업 수 100여개, 고용 1 만명의 영세한 산업생태계 및 선순환 투자 미흡 등으로 인해 기업경쟁력이 약화되어 있다. ㅇ 비전 및 목표 2020년 항공산업 Global 7 도약 이 비전으로, 2020년 매출액 200억불, 수출액 100억불, 세계 시장점유율 3.3%, 항공기업 300개(글로벌중견기업 5개)육성을 목표로 한다. ㅇ 산업전략 글로벌 5대 항공산업국가 진입을 위한 100인승 터보프롭항공기, 중급전투기, 한국형 공 16

I. 총 론 격헬기, 무인기시스템, 중고고도 무인기, 복합재 어셈블리, 항공전자부품, MRO 등의 8대 중 점 제품 집중 육성하여, 전략부품 및 MRO를 통한 글로벌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고, 완제 민 항기 진출로 지속적으로 성장을 견인한다. 또한 무인기를 통한 항공기 설계 원천기술을 확보 하여 미래시장을 선점한다. 시장진입을 위해서 국제공동개발, Joint Venture 등의 추진과 아 시아, 아프리카 등 신흥시장의 특성을 고려한 상품개발 및 마케팅 전략을 추진하며, 금융, 제 품, 플랫폼, MRO를 통합한 시스템화된 통합 솔루션의 상품화 전략 추진 등 사업모델을 혁신 한다. ㅇ 기술개발전략 8대 중점 육성제품 14대 핵심기술을 집중 개발하여 선진국 대비 기술수준을 09년 70%에 서 20년 85%로 제고하여 기술자립국으로 도약하며, 글로벌 Open Innovation과 타산업 융합 을 통한 기술개발을 적극 추진 한다. 이의 일환으로 전략 제품인 중형기 개발에 필요한 경량 화 등 친환경 고효율화 항공기술을 확보하며, IT 기술을 접목한 지능형 무인기 Smart 항공기 술을 개발하여 항공원천기술을 확보하고 일반항공기로 확산시킨다. 4.6. 철강 비철산업 ㅇ 정의 및 범위 철강 비철산업은 제조업의 핵심 기초소재 및 부품을 제공하여 주력산업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기반산업으로 광석으로부터 추출, 제련 등의 공정을 통해 금속을 제조하는 철강 및 비 철산업과 원재료를 주조, 성형, 열처리하여 부품을 제조하는 뿌리산업으로 구성된다. ㅇ 외부환경분석 선진시장은 정체 중이나, 중국 인도 등 신흥 시장의 생산 수요가 전체적인 시장 성장을 주 도할 것으로 전망된다. 철강 및 비철산업의 경우 자동차, 조선, 플랜트 등 수요산업의 그린 화, 스마트화 대응을 위한 고강도 초경량 고내식성 고부가가치 금속 소재의 수요가 확대되 고 있다. 그리고 희소금속은 자원이 편중되어 있으며 보유국의 해외 유출 억제로 자원이 부 족한 국가는 재활용 및 대체소재 개발에 주력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희소금속 중 25종은 3개국이 70% 이상 점유한 상황이다. 또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에너지 환경 규제가 강화 되는 추세로 이에 대한 대응이 필요한 상황이다. ㅇ 내부역량분석 국내 철강 비철산업은 자동차, 조선 등 안정적 내수기반을 바탕으로 범용철강제품, 비철금속 제련, 금형/용접 등의 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 및 생산성을 보유하고 있으나, 고 부가가치 소재 설계 제조 기술과 온실가스 저감 공정기술이 미흡한 상황이다. 이는 친환경 소재, 고강도 경량 소재, 고내식성 소재 등 수요산업에서 요구하는 고부가가치 금속소재 개 발을 위한 경쟁력 확보에 약점으로 작용하고 있다. ㅇ 비전 및 목표 2020년 철강 비철산업 세계 4강 도약 이 비전으로, 2020년 철강산업은 생산규모 8천만톤, 고 부가가치강 비중 60%, 비철산업은 세계시장 점유율 4%, 희소금속 원료자급율 80%, 뿌리산업 은 생산액 50조원, 고용인원 36만명 달성을 목표로 한다. 17

The next big thing! 대한민국 산업 기술 비전 2020 - 주력산업 ㅇ 산업전략 고부가가치 철강 비철소재 및 차세대 설비 공정 5대 제품을 집중 육성하여, 고부가가치 소 재시장을 선점하고 환경규제 및 원자재 수급 대응력을 강화한다. 그리고 해외 진출 시 원자 재 자주개발 투자, 해외 생산설비 구축 및 생산제품 판매 네트워크를 결합하는 글로벌화 전 략을 추진한다. 비철산업 원료 자급율 개선을 위하여 도시광산 기술개발, 폐자원 샘플링 분 석방법 표준화, 업체간 정보 네트워크 구축 등의 기반을 확충한다. 뿌리산업의 경쟁력 제고 를 위하여 기존 뿌리산업 집적지 고도화 및 특화단지 조성을 통한 뿌리산업 업종 내, 업종 간 협업 활성화를 추진한다. ㅇ 기술개발전략 5대 중점 육성제품의 11대 핵심기술을 집중 개발하여 선진국 대비 기술수준을 09년 80%에 서 20년 95%로 제고하여 기술선도국으로 도약한다. 수소환원제철법 등 친환경 자원저감형 공정 설비를 위한 차세대 원천기술 개발하고, 자동차, 조선, 플랜트 등 수요산업이 요구하 는 고부가가치 금속소재 설계 정밀가공기술 개발한다. 또한 다수의 기업이 활용할 수 있는 뿌리산업 공통 플랫폼 기술 및 IT 융복합화 기술을 개발한다. 4.7. 화학산업 ㅇ 정의 및 범위 화학산업은 원유, 천연가스, 합성가스, 바이오매스 등을 원료로 하여, 화학적 변환공정을 거쳐 화학제품과 소재를 생산하고 관련 서비스를 공급하는 산업분야로, 전통적인 석유화학산업, 정밀화학산업과 정보 전자소재 및 에너지 환경소재 등을 생산하는 화학신소재산업으로 구성 된다. 화학산업은 생활용품부터 자동차, 에너지, 정보 전자 등 전 산업분야에 걸쳐 핵심소재 를 공급하는 기반산업 국가 핵심기간산업이다. ㅇ 외부환경분석 신흥국의 추격 및 선진국의 진입장벽 강화로 석유화학 및 정밀화학산업에서 경쟁이 심화되 고 있으며, 선진국 중심으로 에너지 환경 및 정보 전자소재 등의 화학신소재산업을 집중 육성하여 시장 주도권을 강화하고 있다. 세계시장규모는 전통 화학산업의 꾸준한 성장과 화 학신소재산업의 고성장으로 2020년에는 5.1조$ 규모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ㅇ 내부역량분석 국내 화학산업은 09년 기준 생산규모 1,035억불, 세계시장 점유율 3.0%로 7위를 유지하고 있다. 우수한 화학제품 생산기술 및 화학소재 전문인력을 보유하고 있어 범용제품에 대한 경 쟁력을 확보하고 있으나, 원료의 해외 의존도가 높으며, 석유화학 핵심 공정기술, 화학신소재 원천기술은 선진국 대비 60% 수준으로 열위이다. ㅇ 비전 및 목표 지속적인 경쟁력 향상, 글로벌 화학산업 환경 변화 대응능력 확보 및 신화학산업 진출로 2020년에 생산 2,270억$, 수출 670억$를 달성하며 17만명의 고용을 창출하여 세계 5위의 화 학산업 강국으로 진입함으로서 국가 기반산업의 핵심위치를 유지한다. 18

I. 총 론 ㅇ 산업전략 바이오매스화합물, 화학신소재 등 8대 제품을 집중 육성하여 친환경 고기능 화학산업을 실현 한다. 이를 위하여 경쟁력을 갖춘 주력산업을 전방산업으로 하여 소재-부품-완제품 기업간 공 동으로 제품개발 및 시장창출을 달성하고, 또한 기업간 공동 R&D 유도 및 신뢰성 평가 지 원시스템 구축으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중견 화학소재기업을 육성하는 전략을 추구한다. ㅇ 기술개발전략 석유화학은 자체 개발로 범용수지 고성능화 및 바이오매스 전환기술을 확보하고, 해외와의 전략적 제휴로 고효율 촉매/공정기술을 개발한다. 정밀화학은 소재/제품기업간의 공동개발 로 인체 유해물이 없는 소재 제조기술 및 휴먼케어형 제품 기술을 확보한다. 정보전자 및 에 너지환경 화학은 차세대 디스플레이와 고효율 에너지 소자용 NT/IT기반 융복합 신규 합성 기술 및 제품화 기술을 개발한다. 4.8. 섬유의류산업 ㅇ 정의 및 범위 섬유의류산업은 원료 원사에서 제품생산까지의 제조분야와 패션디자인을 포함하는 산업으 로, 의류용 섬유, 실내장식과 생활편의성을 제공하는 생활용 섬유, 타 산업에 소재를 제공하 는 산업용 섬유로 구성된다. 산업용 섬유산업은 자동차 조선 정보 전자 등 수요산업에 고 부가가치 소재를 제공하는 핵심기반산업이며, 삶의 질을 중시하는 메가트렌드에 따라 의류용 및 생활용 섬유산업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ㅇ 외부환경분석 세계시장은 수요의 지속적인 증가와 더불어 완만한 성장세를 유지하여 2020년에 9,800억$ 규 모로 예상된다. 신흥국은 가격경쟁력을 앞세워 범용 의류 생활용 섬유 시장을 잠식하고, 선진국은 고급 패션 브랜드로 고부가가치 의류시장 장악하고 있다. 또한 선진국은 고성능 섬 유소재 및 제품화 기술 확보로 고부가가치 산업용 섬유 시장의 주도권을 강화하고 있다. ㅇ 내부역량분석 국내 섬유의류산업은 10년 기준 수출 139억불, 세계수출시장 점유율 2%(6위)를 나타내고 있 다. 우수한 숙련인력, 생산기술 및 설비를 확보하고 있으며, 대규모 전방수요산업을 보유하 는 등의 강점을 지니고 있으나, 패션디자인, 그린 스마트화 기술, 고기능 핵심소재 기술은 선 진국 대비 60~70% 수준으로 취약한 실정이다. ㅇ 비전 및 목표 섬유산업 고도화로 산업용섬유 비중 40%로 확대하여, 2020년에는 매출액 550억불, 섬유수출 250억$, 세계시장점유율 2.5%, 고용 28만명을 달성하여 세계 4위의 섬유소재 강국으로 도약 한다. ㅇ 산업전략 IT 융합 섬유소재, 친환경 고감성 섬유소재, 주거 및 인테리어용 친환경 스마트 제품 등 6 대 제품을 중점 육성한다. 섬유산업과 전방 수요산업 간의 공동목표달성을 위한 산업간 클러 19

The next big thing! 대한민국 산업 기술 비전 2020 - 주력산업 스터를 구축하여, 원소재 가공 부품 완제품의 섬유 스트림간 협력사업을 통해 시너지 극 대화 및 수익구조 개선을 추구한다. 의류 생활용 섬유는 고감성/고기능화 전략으로 시장경 쟁력을 강화하고, 산업용 섬유는 전방 수요산업과 연계하여 원천 및 응용기술 확보 후 글로 벌 시장에 진출하는 전략을 추구한다. ㅇ 기술개발전략 산업용 섬유산업은 고성능 수송기기용 섬유소재, 스마트 IT융합 소재 및 고효율 분리기능 소 재를 위한 고기능성 융복합 기술 개발에 집중하며, 의류용 섬유산업은 친환경 고감성 섬유 소재 개발과 더불어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창조적 패션디자인 기술을 개발한다. 생활용 섬유산업은 고급화되고 있는 주거 및 인테리어 제품의 친환경화 및 스마트화 기술을 개발 한다. 20

The next big thing! 대한민국 산업 기술산업 비전 기술 2020 비전 2020 자동차산업 Ⅱ 주력산업 The next big thing! 대한민국 산업 기술 비전 2020

Ⅱ. 자동차산업 1 서 론 1.1. 자동차산업의 특성 대표적 조립산업 / 자본집약형산업 / 그린화 / 스마트화 자동차는 2만여개 부품으로 완성되는 복합적 성격의 대표적 조립 산업이며, 자본집약형 산업 세계 자동차시장은 고효율 친환경차 등 그린카로 패러다임 전환 보다 안전하고 편리한 스마트화 자동차의 수요 증대 예상 o 자동차산업은 철강, 비철금속, 고무, 합성수지, 유리, 섬유 등 여러 가지 재료를 써서 각 부분품마다 각기 다른 생산공정을 거친 2만여개의 부품을 조립하여 자동차로 완성하는 복 합적 성격의 대표적 조립산업이다. o 시장진입에 막대한 자본이 소요되어 진입 및 철수장벽이 매우 높은 대표적인 자본집약형 산업 이다. - 시장진입을 위해서는 생산라인 구축, 부품공급선 확보, 초기투입모델 개발을 위한 연구개 발 등 막대한 자본투자가 선행되어야 한다. - 시장에 투입된 신차의 대중화 실패로 인한 조기 모델 대체가 발생할 경우 막대한 투자비 손실이 불가피하다. o 최근 세계 자동차 시장은 계속되는 지구온난화, 유가급등, 자원고갈, 환경 규제 강화로 인하여 고효율 친환경차 등의 그린카로 패러다임이 급속히 전환되고 있다. - CO 2 배출량이 적고 연비 효율이 우수한 고효율가솔린자동차, 대체연료자동차, 클린디젤자동 차, 하이브리드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 전기자동차, 연료전지차 등 그린화 자동차가 향후 시장을 점령할 것으로 예상된다. o 지능형 시스템과 다양한 IT융합기술을 활용한 자동차의 스마트화는 차세대 성장사업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 자동차의 스마트화는 차량내의 센서, 엑츄에이터, 컴퓨터 제어, 통신 네트워크 등을 활용하 여 차량의 높은 편의성 및 안전성을 추구하는 시스템이다. 23

The next big thing! 대한민국 산업 기술 비전 2020 - 주력산업 1.2. 자동차산업의 중요성 국가의 경제성장 주도 / 파급효과 지대 자동차산업은 국가의 경제성장을 주도적으로 수행 - 매출액 1조 달러 상회, 1천만명 이상의 고용 소재산업 등 전통산업에서부터 IT, BT, ET 등 신성장산업에 이르기까지 생산유발 및 기술파급효과가 큰 산업 o 자동차산업은 현재 세계적으로 매출액이 1조 달러를 상회하고, 1천만명 이상을 고용하고 있는 최대 규모의 제조업으로, 각국의 경제 성장에 있어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 국가경제에서 자동차산업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기에, 대부분의 국가들은 내수 및 제 조업 활성화를 위해 자동차산업을 지원하는 정책을 우선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o 연관산업인 철강, 기계, 소재 등 전통산업 뿐만 아니라 정보기술(IT), 바이오기술(BT), 에너지기술 (ET), 환경기술(ET) 등 신 성장산업에까지 생산유발 및 기술파급효과가 발생하는 산업이다. - 자동차산업은 수많은 자재와 부품을 사용함에 따라 중간투입률이 높고 전후방 연쇄효과가 높은 산업이다. - 유통단계에서는 금융, 보험업, 자동차판매업, 광고업, 중고차 매매업 등과 긴밀한 관계를 지니고 있으며, 이용단계에서도 운송업뿐만 아니라 정비, 유류판매, 건설업 등과 폭넓은 연관성을 지니고 있다. o 전 후방 연관 효과가 높은 자동차산업이 향후 우리나라 국민소득 4만 달러 진입의 초석이 될 것이며, 특히 IT 등 신기술이 결합된 종합시스템 산업으로 업종 내 경쟁력 강화는 물론 경제 전반의 성장을 촉진할 것이다. - 자동차산업은 국가경제를 주도하는 제조업의 핵심주력산업으로 제조업 생산의 10.5%, 제조 업 수출의 10.2%, 고용의 10.6%를 차지(2008년 기준)하고 있다. 구 분 생산액 (십억원) <자동차산업의 위상(2008년)> 부가가 (십억원) 고용 (천명) 수출액 (백만달러) 무역수지 (백만달러) 설비투자 (십억원) 자동차산업 118,296 37,672 259 37,122 3,045 31,253 제조업비중 10.5% 10.3% 10.6% 10.2% 6.9% 자료: ISTANS 주요산업동향지표, 산업연구원 주: 1) 수출, 무역수지, 설비투자는 2009년 기준, 2) 자동차부품 포함 24

Ⅱ. 자동차산업 2 자동차산업의 외부환경 분석 2.1 자동차산업의 세계시장 현황 및 전망 2.1.1 글로벌 자동차시장 동향 신흥시장 주도 / 전략적 제휴 활발 중국 인도 등 신흥시장 수요가 자동차시장 성장을 주도, 선진국 시장은 정체 추세 - 신흥시장 중심으로 소형차 수요 크게 확대 생존 확보를 위해 자동차업체간 전략적인 합종연횡 제휴 금융위기 이후 소형차 저가차 생산 확대, 신흥시장에서의 판매력 강화 등에 총력 o 중국, 인도 등 신흥시장의 수요가 자동차 시장 성장을 주도하고 있는 반면 선진국 수요는 정체된 상황이다. - 국가별로 보면 기존의 선진시장인 미국, 일본, 서유럽 등은 자동차 수요가 정체 또는 감소하 고 있으나, 신흥시장인 중국, 인도 등은 빠르게 성장하였으며, 특히 금융위기 직후에도 중국은 소폭이나마 상승세 유지하고 있다. <중국의 연도별 생산량 추이> (단위 : 천대) 년 도 2001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5* 2020* 생 산 2,332 5,707 7,298 8,882 9,345 13,791 16,854 25,802 30,894-2007년 신흥국의 판매비중이 약 40%대였으나, 글로벌 위기로 인하여 2008년 45%로 증가 하였으며 이후 2015년에는 50%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o 선진국 수요의 정체 추세와 중국, 인도 등 신흥시장의 성장에 따른 공급량 지속적 증대로 공급과잉 초래가 우려되고 있다. o 신흥시장 확대, 환경규제 강화, 고유가 등의 영향으로 SUV, 대형 픽업트럭 등의 수요는 감소한 반면 소형차 시장은 크게 확대되고 있다. - 글로벌 위기 이후 경제성을 중시하는 소비성향이 강해지면서 미국 등 대형차 선호도가 높은 시장에서도 소형차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 또한 소형차 선호 비중이 높은 신흥시장의 자동차 수요가 증가하면서 세계 자동차 판매에서 소형차 판매비중이 더욱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25

The next big thing! 대한민국 산업 기술 비전 2020 - 주력산업 - 소비자들의 고연비, 친환경 중시 경향과 각국 정부가 친환경차 위주의 자동차 내수 진작책을 발표하면서 소형차와 함께 친환경자동차에 대한 선호가 증대하고 있다. 전세계 자동차 공급 및 수요 80,000 공급 수요 70,000 60,000 50,000 40,000 30,000 20,000 10,000 0 2001 2003 2005 2007 2009 자료: 각국 자동차공업협회, Automotive News Market Databook, Ward's Automotive Yearbook, Fourin o 시장의 급속한 위축으로 위기에 직면해 있는 완성차업체들은 생존능력 을 높이기 위한 합종연횡을 시도하는 등 생존 이 업계의 화두가 되고 있으며, 업체 간 판도 역시 크게 바뀔 것으로 예상 된다. 26

Ⅱ. 자동차산업 - 미국 빅3의 쇠퇴와 중국, 인도 등 신흥업체의 부상으로 세계 자동차시장은 과점체제가 약 화되고 보다 경쟁적인 구도로 변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o 미래 친환경차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선진 자동차 회사는 각사의 기술수준과 역량에 따라 핵심 기술 분야를 선택 집중 투자하고 있으며, 역량이 부족한 비주력 분야는 경쟁력 있는 업체와의 협력을 통해 기술을 확보하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 다양한 친환경 자동차 기술이 시장에 소개되고 있으나, 아직은 어느 한 기술이 주도적인 위 치로 부상하지 않고 있으므로, 주요 완성차 업체는 친환경 자동차 기술을 전부 개발하여야 하는 부담을 지고 있다. 따라서 완성차 업체들은 개발비를 절감하고 기술개발 투자에 따른 리스크를 분산하기 위해 업체 간 기술 제휴를 활발히 하고 있다. 대부분의 완성차 업체는 주요 핵심 기술을 선택하여 집중 육성하고, 나머지 기술은 제휴 등을 통해 협력 개발하는 멀티옵션(Multi-Option)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친환경차 개발을 위한 업체별 주력분야> 국 가 중점 개발 분야 협력 개발 분야 Toyota HEV EV, 클린디젤 일 본 Honda HEV EV, 클린디젤 Nissan EV HEV, 클린디젤 Mitsubishi EV HEV, 클린디젤 미 국 GM PHEV EV, HEV, 클린디젤 Renault EV 클린디젤 유 럽 PSA 클린디젤 EV, HEV, PHEV VW 클린디젤 EV, HEV, PHEV 중 국 BYD EV HEV, PHEV 시기 사례 주요 내용 비 고 09.6 09.6 09.7 09.12 피아트-크라이슬러 지분인수 지리차-볼보 인수 VW-포르쉐 인수 베이징차(BAIC)- Saab 기술 인수추진 <글로벌 경제위기 이후 자동차업계 전략적, 기술적 제휴> o 피아트, 뉴크라이슬러 지분 20%와 경영권 인수, 향후 지분 35%까지 확대 가능 o 미국 크라이슬러공장에서 경 소형 차 생산, 모델 플랫폼 파워트레인 판매 망 공유 합의 o 중국 지리차가 포드의 스웨덴 자회사 볼보 인수 추진 o 인수대금 약 20억불로 2010.1분기 최종계약 추진중 o 2010.3.28 볼보 인수 - 18억달러에 매입 - 계약성사 후 7억5000만달러의 별도 운영자금 투입 계획 o 독일 VW이 스포츠카업체인 포르쉐 지분 42% 인수 (2011년 완전 인수 예정) o 중국 베이징차는 사브의 기술을 2억불 에 이전 계약 추진 - Saab 9-3, 9-5 모델기술 o (피아트) 경 소형차 북미시장 진 출 및 취약한 소형상용차 기술 력 확보 o (크라이슬러) 최대 단점인 경 소 형차 라인업강화, 유럽 및 남미시 장 공동진출 o (지리차) 친환경 및 안전부문 기 술력 확보, 브랜드가치 상승 효 과 o (포드) 유동성 확보 및 구조조 정 추진 o지리차는 중국자동차업체중 최초 해외프리미엄 브랜드 인 수업체 o (VW) 스포츠카부문 강화 및 경 영권 안정 효과 o 베이징차는 고급차모델의 중국 생산 계획, 고급차기술 습득 효 과 27

The next big thing! 대한민국 산업 기술 비전 2020 - 주력산업 09. 12.10 09. 12.28 10.1 VW-스즈끼 지분 제휴 GM-상해기차 제휴 확대 스피케르-GM Saab 매각 합의 o VW은 일본 스즈끼 지분 19.9%(17 억 ) 인수 o 스즈끼는 VW지분 2.5% (7.7억 ) 인수 o 원칙적으로 경영독립성 유지, 부문별 협력강화 합의 o GM은 자사 인도사업부 50% 지분을 상해기차에 매각 (5억불)하는 방식으로 인도합작사 공동 경영 o GM은 네덜란드 스포츠카 제조업체 인 스피케르(Spyker) 에 매각 합의 o 대금은 현금 약 7,400만달러, 나머지 는 우선주 형태로 지급 o (VW) 인도 등 신흥시장 경 소형 차 기술력 및 판매망 확보를 통한 판매확대 o (스즈끼) 클린디젤, 하이브리드 등 친환경 기술 획득 및 연구개발 부담 축소, 유럽시장경쟁력제고효과 o (GM) 구조조정 자금 확보, 인도시 장내 저비용 생산 플랫폼 강화 o (상해기차) GM과 제휴강화로 글로 벌시장 진출 효과 2011년부터 인도에 소형차와 다용 도차 판매 o 스피케르는 60년 전통의 Saab를 인수, 기술개발과 판매신장 효과 10.3 다임러-르노 협력관계 모색중 닛산 르노 다임러 제휴 추진중 o 주식교환을 통한 장기적인 협력관 계 모색중 o 양사 각각 10% 미만 주식교환 협 상중 o 상호 지분투자 o협상 성사시 경영전반에 관한 폭넓은 공생관계 형성 o 부품공용화와 엔진 등을 공동개 발해 시너지효과 o 선진업체와의 기술 격차를 축소하고 신기술을 확보할 수 있는 기회로 판단한 중국, 인도 등 신흥업체들은 기술력을 갖춘 완성차 및 부품업체 인수를 적극적으로 추진할 전망이다. o 주요 완성차업체들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단기적으로 위기상황을 벗어나고 있으나, 장기 적으로는 변화된 산업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방안들을 모색하고 있다. - 고연비 소형차 저가차 조기 출시 및 생산 확대, 신흥시장에서의 판매력 강화 등을 통해 판매 유지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 또한 공장간 생산 물량 조정 등을 통해 시장 수요 변동에 대응할 수 있는 유연성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28

Ⅱ. 자동차산업 2.1.2 세계 자동차산업 전망 그린카 시장 증가 / 스마트화 활발히 진행 2020년 세계자동차시장 9,730만대 전망 : 선진국 4,295만대, 신흥국 5,435만대 2020년 세계 전기차 시장은 720만대로 보급대수 급격히 증가 전망 - EV 250만대, PHEV 470만대 증가 지능형 자동차를 위한 전장품 분야는 경기침체 이후 2011년까지 232억 달러로 주춤하 다가 2020년에 764억 달러(연평균 14% 성장 유지)로 급격히 증가 전망 o 2020년 세계자동차시장 9,730만대 정도로 전망되고 있다. - IEA에 의하면 2020년도 세계 자동차시장은 9,730만대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며, 동 기간 중 미국, 서유럽, 일본을 중심으로 한 선진국은 4,295만대에 머물고, 신흥국은 5,435만대에 달하 는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o 2015년 신흥국이 세계자동차 총생산의 51.9%를 점유하여 선진국 생산을 추월할 것으로 예상하 고 있으며, 이후 신흥국의 시장점유율이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 2015년 이후 선진국의 수요는 대부분 정체되고, BRICs 중심 신흥국가가 세계자동차 수요를 주도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29

The next big thing! 대한민국 산업 기술 비전 2020 - 주력산업 세계자동차장기공급전망 단위: 천대 140,000 120,000 계 100,000 80,000 60,000 40,000 성장 BRICs 선진 20,000 0 2005 2010 2015 2020 2025 2030 자료: JD Power (Global Car & Truck Forecast 1/4 '09) o 전세계 전기차 시장은 2020년 720만대에서 2050년 1억 100만대로 보급대수가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 이중에서 순수전기차(EV)가 250만 대로 증가하고,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PHEV) 가 470만 대로 증가하여, 전체 차량의 7.4%를 점유할 것으로 예상된다. - 가솔린차량은 자동차 에너지원이 다양화 되면서 전세계 비중이 2007년 80%에서 2020년에 는 56%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30

Ⅱ. 자동차산업 스마트화 분야의 세계시장은 2005년 152억 달러 수준에서 2007년에 232억 달러까지 증가하 였으나 최근 경기침체로 인해 다소 감소된 상태이며, 2011년쯤 되어야 전 고점(2007년) 수준 으로 회복할 것으로 예상된다. - 사회적 인지도 확대로 세계시장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5년에 439억 달러, 2020년 746억 달러에 달하며 그 후는 성장세가 다소 둔화되나, 여전히 2030년에 909억 달러 규모로 전망하고 있다. - 국내 지능형 자동차 생산 규모는 2011년에 15억 달러로 회복되고 2015년에는 31억 달러, 2020년에는 54억 달러 그리고 2030년에는 72억 달러 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지능형자동차 시장 전망> (단위: 백만달러) 구 분 2005년 2007년 2011년 2015년 2020년 2030년 세계시장규모 15,216 23,200 23,200 43,900 76,400 90,900 한국생산규모 620 1,500 1,500 3,100 5,400 7,200 차량의 안전성, 편의성, 친환경 요구 증대에 따라 전자시스템의 원가 비중이 급증하고 있다. - 현재 약 20%에 불과한 전장 부품의 원가 비중은 2020년에는 약 50%에 이를 것으로 내다 보고 있으며, 자동차 전자시스템 시장은 2006년에 1,430억 달러에서 2015년까지 1,840억 달 러, 그리고 2020년에는 2,200억 달러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2.2 외부환경 변화 국제유가 상승 지속 / 환경규제 강화 / 고안전 고편의 석유공급 확대 한계, 신흥국가 호황 지속 등으로 국제유가 상승 지속 환경오염 및 지구온난화 심각으로 유럽, 미국 등 주요국가의 환경규제 강화 - 유럽 : CO 2 배출규제 ( 12년)130g/km, ( 15년) 120g/km - 미국 : 연비 (현재)27.5MPG ( 25년)56.5MPG 상향 규제 고안전도에 대한 규제 강화와 고편의성 차량 수요 증대 2.2.1. 국제유가의 상승 o 국제 유가는 구조적이고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결정되며, 유가 상승은 지속될 것으로 전 망된다. 31

The next big thing! 대한민국 산업 기술 비전 2020 - 주력산업 - 2003년 이후 높은 GDP 성장에 따라 석유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나, 공급 확대는 제한 적이다. 석유가격 예측 USD 120 100 History Projection 80 60 AEO2007 High AEO2007 Low AEO2007 Reference AEO2008 High AEO2008 Low AEO2008 Reference Reference High price 40 20 Low price 1980 1995 2006 2015 2030 자료: Annual Energy Outlook 2008 o 향후 고유가 추세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 세계경제성장을 주도하는 신흥국가들의 호황국면 지속으로 석유수요는 지속적으로 증 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대체연료로의 전환이 촉진되더라도 석유수급 안정에 기여할 때까 지 상당한 시간 소요될 전망이다. - 또한 각국 정부도 석유수급 안정과 환경오염 방지 명분하에서 판매세를 인상하고 있는 추세여서 최종 소비자의 수송용 연료가격은 더욱 상승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2.2.2. 지구온난화 및 환경규제 강화 o 산업화 과정에서 CO 2 와 유해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화석연료의 사용으로 환경오염이 심각 해지고 있다. - CO 2 의 과다 배출로 인한 지구온난화가 심각한 상황에 이르게 되어 유럽에서는 환경규제를 강화하여 과도한 환경오염의 진행을 억제, 지연시키고자 노력하고 있다. 32

Ⅱ. 자동차산업 o 유럽에서는 2012년부터 130g/km, 2015년부터 120g/km의 CO 2 배출규제를 규정하고 있 으며, 미국은 2010년 27.5mpg로 되어 있는 연비 규정을 2025년에는 56.5mpg로 상향하여 CO 2 배출을 제한하는 규제를 제정했다. - 2012년부터 교토 의정서 등의 기후변화 협약에 따른 본격적인 규제 적용으로, 환경 규제가 무역 진입 장벽으로도 작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세계 주요 자동차 생산국의 연비/온실가스 규제안 연비/온실가스 규제 온실가스 배출 규제 연비중심 규제 美 보다 엄격한 연비 규제 2.2.3. 고안전도 규제 강화 o 해외 선진국들은 자동차 안전도 향상을 위한 자동차 및 교통정책을 마련하고, 관련 규정의 법 제화를 추진하고 있다. - 2007년 도로 사상자는 북미와 EU에서 각각 약 40,000명, 일본의 경우 6,300여명, 한국은 약 6,170명 정도가 발생하였으며, 유럽에서 중경상에 해당하는 도로 부상자의 숫자는 대략 170 만 명을 넘어서며 이에 따른 손실액은 연간 1,600억 유로(약 210조원)이다. - 이로 인해 해외 선진국들은 교통사고 제로 비전(교통사고 사상자 감소율을 미국은 30%, EU는 50%, 일본은 50%)을 선포하고 자동차 안전도 향상을 위한 자동차 및 교통정책을 마련되고 있으며, 첨단 안전 및 운전지원 시스템의 의무 장착화를 위한 법제화도 활발히 추진하고 있다. 33

The next big thing! 대한민국 산업 기술 비전 2020 - 주력산업 o 인구 과밀화에 따른 교통혼잡 등으로 자동차 내 생활시간이 증가 - 인구 1,000만 명 이상의 도시(메가 시티)가 2007년 전 세계 19개에서 2025년 27개 도시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인구 과밀화에 따른 교통 혼잡 등으로 자동차 내에서 거주하는 시간이 증가됨에 따라 차량 내부에서 휴식, 오락, 비즈니스 지원 기능 등에 대한 요구가 확 대 될 전망이다. 지역별 교통사망사 예측 (2륜차 제외) Death Millions 2 1.5 1 Total Eastern Europe OECD Pacific OECD Europe OECD North America Former Soviet Union Middle East Latin America 0.5 Other Asia China Africa 0 2000 2010 2020 2030 2040 2050 India 자료: The Sustainable Mobility Project, Full Report 2004 2.2.4. 자동차 수요 계층의 다양화 - 여성 근로인력 증가에 따른 여성 수요층, 고령화의 급속한 진전(국내 2019년 14% 돌파 예상)에 따른 고령운전자 등과 같이 신규 자동차 수요층(현재 40세 2015년 44세)이 출현함에 따라 다양한 수요 변화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차량 개발 전략이 필요하다. 34

Ⅱ. 자동차산업 2.3. 국내외 정책동향 엄격한 환경규제 / 안전규제 강화 미국 CAFE(평균연비), 유럽 CO 2 배출량 규제 등 세계시장의 엄격한 환경규제 강화, 안전 관련 법 규정 강화를 통한 첨단안전시스템 장착 의무화 주요 국가는 친환경 자동차산업 육성을 위해 R&D 지원, 인프라 구축 등 다양한 정책추진 북미, 유럽, 일본, 한국에서 안전도에 대한 규제 강화 및 차량용 통신 표준화 추진 2.3.1. 북미 및 유럽 등 세계 시장의 엄격한 환경 안전 규제 강화 o 미국은 자동차업체의 평균 연비를 규제하는 CAFE를 점차 강화하고 있다. - 2016년까지 자동차 온실가스 배출을 250g/mile로 규제하고, 자동차기업평균연비(CAFE) 규정을 35.5mpg로 현행 대비 42% 향상시키도록 조치를 취하였다. 2012년 자동차 모델부터는 연비와 온실가스 배출량 정도 등에 따라 A+부터 D까지 등급을 차량 옆 창문에 부착하는 신규 제도 도 입 계획을 밝혔다. A+등급은 가장 연비가 좋고 탄소 배출량도 적은 자동차에 부여된다. - CAFE 규정을 0.1mpg 초과할 때마다 대당 5.5달러의 벌금을 부과하는 등 친환경차를 생산할 능력이 없는 완성차업체를 시장에서 퇴출시키는 정책을 강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 캘리포니아주는 판매대수가 6만 대 이상인 업체는 판매대수의 2.5%에 해당하는 차량을 배출가스 가 없는 차량(ZEV)로 판매해야 하고, 이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면 대당 5,000달러의 벌금이 과징 된다. 2015년에는 배출가스가 없는 차량이 전체 판매 대비 6%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o 유럽은 자동차 배기가스 배출기준을 강화 - EU내 27개국에서 신규 등록되는 승용차의 CO 2 배출량을 2012년부터 평균 130g/km로 규 제하는 규정을 제정(2009. 4)하였으며, 위반 시 초과배출량 1g당 20~95유로의 페널티를 부과 하여 사실상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차량을 시장에서 퇴출코자 하고 있다. o 선진국을 중심으로 안전 관련 법 규정 강화를 통한 첨단 안전 시스템 장착 의무화를 확대 시행하고 있다. - 선진국은 자국의 교통사고 감소 및 글로벌 첨단안전시스템 시장의 선점을 목적으로 안전 법규를 강화하고 첨단 안전 시스템 장착을 의무화하고 있다. o WAVE(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s), CALM(Communications Access for Land Mobiles)등 차량용 통신 표준이 제정되면서 관련 산업계의 대응이 진행 중이다. - 특히 미국의 경우 자국이 주도한 차량용 통신 표준에 대한 실증 사업을 통해 자국시장 보호 및 해외시장 진출을 모색하고 있다. 35

The next big thing! 대한민국 산업 기술 비전 2020 - 주력산업 - 또한 미국은 기존 일본/독일이 주도하는 차량 편의 안전 시장을 미국 주도의 자동차-IT 융합 편의 안전 시장으로 변화를 시도하고 있는 상태이다. o NHTSA(National Highway Traffic Safety Administration), Euro ECAP, IIHS 등에서 정 면/측면/상부 충돌에 대한 규정뿐 아니라 승용차에 대한 ESC(electronic Stability Control), LDW(Lane Departure Warning), TPMS(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등의 안전도 시스템에 대한 장착 규제를 시행하고 있다. - 최근 NHTSA는 2011년형 모델을 대상으로 보다 강화된 충돌 테스트 프로그램을 준비 중이 라고 밝히고, 여기에는 부상에 대한 새 기준과 측면 충돌 등이 포함돼 있다. 2.3.2. 주요국가의 친환경 자동차 육성정책 추진 o 일본은 차세대자동차 육성 6대 전략(전체전략, 전지전략, 자원전략, 인프라전략, 시스템전략, 국제 표준화전략)을 마련하고 공급자측 대책(연구개발지원, 연비규제 등)과 수요자측 대책 (보조금, 세제 등)을 감안한 종합적인 정책을 추진하여 20년 신차 판매 대수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최대 50% 이상 목표로 한다. <차종별 정부의 보급 목표> 구 분 2020년 2030년 기존차량 50 ~ 80% 30 ~ 50% 차세대자동차 20 ~ 50% 50 ~ 70% 하이브리드차 20 ~ 30% 30 ~ 40% EV PHEV 15 ~ 20% 20 ~ 30% 연료전지차 ~ 1% ~ 3% 클린디젤차 ~ 5% 5 ~ 10% o 독일 정부는 차세대 전기구동자동차 시장을 선점하기 위하여 electro-mobility 계획을 발표 ( 09.8)하였다. 이 개발 계획에는 배터리 전기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가 주요 개발 대상이다. - 독일이 전기구동 자동차 시장선도를 위해 100만대 전기자동차 도로운행( 20년)을 목표로 각 종 R&D 지원 및 인프라구축 계획하고 있다. o 미국은 2009년 8월, 완성차업체와 부품업체가 추진하는 전기자동차 개발 프로젝트에 24억 달러(2조 4천억원)의 대규모 자금을 지원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총 80억 달러 규모의 전기차 지원 강화 방안을 발표하였다. 이 밖에도 전기차 구매 시 지원 강화 방안을 지속적으로 발표하고 있다. - 전기차 구입 시 7,500달러의 세액 공제를 현금 리베이트 방식으로 변경 검토 중이다. 현금 인센티브는 세액 공제와는 달리 전기차 구매 가격을 즉각적으로 낮추는 효과가 있다. 36

l Ⅱ. 자동차산업 - 전기차 소매시장이 아직 본격적으로 형성되지 못한 가운데 정부기관을 대상으로 한 플릿 판매는 안정적인 수요처 확보라는 측면에서 긍정적이다. - 주정부들이 연방정부의 7,500달러의 혜택 이외의 인센티브를 추가로 제공할 전망이다. 현재 17개 주가 전기차 구매자에게 각종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다. 조지아 등 9개 주는 전기차 구매자에게 1,500~6,000달러의 세제 혜택 또는 리베이트를 제공하고 있으며, 루이지애나, 하 와이, 워싱턴은 최소 1,200달러의 가정 내 충전소 설치비용을 보전해 주고 있으며, 메릴랜 드, 뉴저지 등은 6.5%의 판매세 면제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o 중국도 중국 과학원을 통해 2009년 8월 전기자동차 연구개발 센터 를 설립하여 직접적인 R&D를 지원함과 동시에, 10차 5개년 계획에서 신에너지 자동차산업 발전에 10억 위안(약 1,500억 원)을 직접 투입하는 것으로 확정하였다. 중국은 전기자동차 산업 육성을 통해 세계 자 동차산업 기술의 주요국으로 도약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주요국 친환경 자동차 기술 개발 정책 20년까지 EV 100만대 생산 보급 계획 ( 10.5 국가 EV 플랫폼 계획) 11년까지 EV, 충전인프라, 배터리 개발을 위해 5억 유로* 지원 ( 09. 8) 7,500억원 지원 EV/HEV 개발에 24억달러지원( 09. 8) 친환경 고연비 모델 개발을 위해 250억달러의 대출 프로그램 지원 ( 09. 7) 2.9조원 지원 30조원 융자? 20년까지 EV/HEV 200만 대보급목표( 09. 10)? 20년까지 EV/HEV 개발에 20억 유로지원( 09. 10) 3조원 지원 20년까지 EV/PHEV 500만대, HEV 1,500만대 목표 20년까지산업화및연구개발에500억RMB 지원 15년까지차량보급사업에500억 RMB 지원, 차량 운용 인프라 구축에 50억 RMB 지원, 차량 부품 사업에 100억 RMB 지원 총 1,150억RMB 지원 20조원 지원 20년까지 EV/HEV 등차세대차의일본내신차 판매 비중 50% 달성 ( 10.4 차세대자동차전략 2010) 2010년 계획212억엔 (EV 프로모션에 108억엔, 전지 개발에 74억엔 포함) 3,000억원 지원 37

The next big thing! 대한민국 산업 기술 비전 2020 - 주력산업 3 자동차산업 내부역량 분석 3.1. 글로벌 시장 포지션 생산 세계 5위 / 내수 12위 / 수출 4위 한국 자동차산업, 생산 세계 5위(점유율 5.7%), 내수 세계 12위, 수출 세계 4위 - 현대 기아차 세계시장 점유율 ( 02년)4.8% ( 09년) 8.0% 기록 - 자동차부품의 품질 및 가격경쟁력이 높아 GM 등 선진업체의 글로벌 소싱 대상 국내 스마트화 분야, 세계시장 점유율을 5.9% 차지, 2020년 7.2% 전망 o 우리나라 자동차산업은 1970년대 조립생산 및 국산화 단계, 1980년대 양산 및 수출단계, 1990년대 독자모델 개발단계를 거쳐 현재는 성숙기 초기단계에 진입하였다. - 세계 자동차산업에서 차지하는 한국 자동차 산업의 위상은 2009년 기준으로 생산 점유율 5.7%로 세계 5위, 내수규모는 139만대로 세계 12위이며, 자동차 수출 214만대로 세계 4위를 기록하고 있다. <세계 5대 자동차생산국 순위> 단위: 천대, % 구 분 2007 2008 2009 국가 생산 비중 국가 생산 비중 국가 생산 비중 1 일본 11,596 15.9 일본 11,563 16.3 중국 13,790 22.5 2 미국 10,751 14.7 중국 9,299 13.1 일본 7,934 12.9 3 중국 8,882 12.2 미국 8,671 12.3 미국 5,696 9.3 4 독일 6,196 8.5 독일 6,041 8.5 독일 5,206 8.5 5 한국 4,086 5.6 한국 3,826 5.4 한국 3,512 5.7 자료: 한국자동차공업협회 - 우리나라 자동차 업체의 대표인 현대 기아차는 IMF위기 이후 지속적인 성장을 거듭하여 세계시장 점유율은 2002년 4.8%에서 2009년 8.0%를 기록하고 있다. <현대/기아차 세계시장 점유율 성장 추이> 구 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시장점유율(%) 4.8% 4.9% 5.5% 5.9% 6.0% 6.1% 7.7% 8.0% 38

Ⅱ. 자동차산업 o 현대 기아차 등을 비롯한 국내 자동차 제작사들은 현재 세계 10여 곳 300만대 규모의 생산 능 력을 구축하고 현지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 현대차는 97년 터키 진출을 시작으로 인도( 98), 중국( 02), 미국( 05)에 이어 최근에는 러시 아( 10)에 진출하는 등 현지화에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으며, 기아차도 중국( 02), 슬로바키아 ( 06), 미국( 09) 등에 단계적으로 진출하며 세계화에 주력하고 있다. - 향후 현대자동차는 중국3공장, 인도3공장, 브라질 공장, 러시아 2공장 등을 추가로 가동할 예정이며 2013년에는 현대 기아자동차는 전세계 약700만대 생산체제를 구축할 예정이다. 국산 완성차 업체의 해외진출 현황 해외 공장 생산 능력 o 세계 자동차시장에서 국산차의 품질도 지속적으로 향상되어 미국 소비자 만족도 조사, 충돌테스 트 등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품질을 인정받고 있다. - 현대자동차, 미국 고객만족도 조사에서 제네시스(니어럭셔리 부문), 투싼(컴팩트SUV 부문) 각 각 1위(2010년), 타우엔진은 워즈오토 세계 10대 엔진 에 2년 연속 수상(2009~10년), 에쿠스 는 신기술 적용차량 순위에서 BMW 7 Series, BMW 5 Series, BMW 6 Series에 이어 전 세계 4위(2009년) - 기아자동차 쏘렌토R은 3년 후 잔존가치 1위 평가(미국 ALG사, 2010년 7월) - 현대 기아차의 브랜드 가치가 50억 달러(2010년)로 전 세계 65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자동차 업종 내에서는 업계 최고인 9.3% 성장(8위)하는 등 업계의 평균(2.8%)를 훨씬 앞서고 있다. 39

The next big thing! 대한민국 산업 기술 비전 2020 - 주력산업 현대/도요타의 품질 및 고객만족도 추이 현대차 초기품질조사(IQS) 추이 현대자동차 고객만족도 지수(APEAL) 추이 200 150 100 현대차 산업평균 도요타 도요타 산업평균 (총 37사) 827 820 840 825 853 852 853 835 853 838 850 852 20위 847 21위 832 28위 825 30위 50 797 34위 0 2000 01 02 03 2004 현대차 783 36위 1999 2000 01 02 03 2004 1 IQS : 출시 100일이내의신차에대한100개당 품질 결함지수, 숫자가낮을수록높은품질 2 APEAL : Automotive Performance Execution and Layout으로 자동차의 성능과 완성도, 서례 등의 종합적인 점수를 환산해 순위를 매기는 것 자료: J. D. Power, 현대자동차 IR 자료 o 기존 국산차의 수출은 주로 저가의 중소형 승용차 또는 소형 SUV에 집중되었으나, 최근에는 고급 대형 승용차로 선진 시장에 진출하는 등 공격적인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 현대자동차는 금년 12월부터 북미시장에 에쿠스를 수출하기 시작하는 등 이미 세계 10여개 국가에 국산 최고급 승용차를 공급하고 있으며, 쌍용차 또한 최고급 기종인 체어맨으로 세계시장에 진출하여 이미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o 우리나라 완성차 업체가 글로벌 자동차시장에서의 높은 성과를 보이고 있는 것에는 국내 부품산업도 큰 기여를 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가격과 품질 면에서 경쟁력이 높아져 GM 등 외국 선진업체로부터 글로벌 소싱 대상으로 부각되고 있다. - 2009년 매출액 기준 세계 100대 부품업체 중 국내 부품업체는 4개 업체가 포함 - LG화학 6위, 현대위아 66위로 첫 순위 진입, 현대모비스는 12위, 만도 61위로 순위가 상승 o 현재 국내 지능형 자동차의 부품산업은 비교적 양호한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세 계시장 점유율이 5.9%이며, 2020년에는 7.2%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되며, 수출시장 점유율은 현재 5.5%에서 2020년에 10.1%로 증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 08년 Global Insight) o 하지만 자동차산업 기술경쟁력은 선진업체에 비해 비교적 격차가 적으나, 미래첨단기술이나 신제품개발기술, 응용능력 등에서 격차가 심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40

Ⅱ. 자동차산업 - 최대 자동차시장인 미국내 특허등록 현황을 살펴보면 과거에 비해 증가하고는 있으나 여전히 선진업체에 비해 낮은 건수를 보이고 있어 원천기술 등에 있어 차이가 줄어들지 못하고 있다. <자동차산업의 미국 내 특허등록건수> 단위: 건 특허권자 1990 1995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합계 혼다 97 57 135 159 182 158 173 179 1,778 도요타 48 34 93 106 89 59 43 56 909 닛산 149 39 71 78 65 49 52 63 1,120 DCX 94 142 86 56 56 44 506 GM 69 70 74 46 42 61 49 72 1,148 Ford 47 72 84 85 93 63 561 보쉬 21 54 80 113 100 98 107 86 1,075 Aisin Seiki 26 17 30 42 48 35 38 25 519 현대 11 25 30 51 29 25 26 288 기타 2,432 2,694 4,292 4,581 4,490 4,316 4,037 3,843 54,015 합계 2,951 3,056 4,964 5,385 5,255 4,959 4,694 4,470 63,039 자료: 특허청 o 환경친화형 자동차 기술 수준은 관련 산업기반 구축으로 선진국의 70~80%에 달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나, 원천 기술 개발이 미흡하여 관련 특허 부문에서 취약한 실정이다. -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주요 부품인 모터나 전지의 기술력은 선진국의 약 90%에 도달하고 있으나 하이브리드용 변속기 기술력은 선진국의 50~65% 수준으로 취약하다. - 모터시스템은 과거 전기자동차 개발 사업에서 개발 경험이 있으며 하이브리드 자동차를 위한 기술 개발도 모터 단품으로는 상당한 수준에 있으나 시스템 레벨에서의 기술 개발은 아직 미흡 한 수준이다. - 반면 배터리의 경우 친환경 자동차 배터리로 부각되고 있는 리튬이온계열 배터리 분야에서 LG화학과 SK에너지, 삼성SDI 등 국내업체들이 2000년 이후 개발을 집중하면서 일본 업체들 과의 경쟁 가능한 기술력과 시장점유율을 확보한 상태이다. 41

The next big thing! 대한민국 산업 기술 비전 2020 - 주력산업 3.2 국내외 기술동향 주요 기술 동향 하이브리드자동차 : 2012년 약 150만대의 시장 전망, 일본이 대부분 시장 장악 클린디젤자동차 : 선진국은 디젤엔진의 초고효율화 기술개발 추진 중, 신흥국은 선진업 체와의 전략적 기술제휴 추진 전기차 : Nissan은 세계 최고수준의 양산형 전기차 개발하여 판매 개시( 10.11), 그러나 향후 충전시간 단축, 주행가능 거리 연장을 위한 2차전지와 구동모터 기술 확보가 절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 : 1일 주행거리가 비교적 긴 소비자층에 대응하는 전기자동차 제품으로, GM 등 미국에서 활발히 개발 중이며, 전기차와 기술적으로 유사하여 핵심기 술 국산화가 가능 연료전지차 : 최고속도, 주행거리 등 성능 면에서 기술수준은 확보되었으나, 핵심 기술개발은 미흡한 수준 고효율 가솔린차 : 국내 기술경쟁력 확보를 위해 차량의 연비 특성을 월등히 개선시킨 고효율 가솔린차의 독자기술 확보 필요 대체연료차 : 국가에너지 안보, 에너지 수급 다원화 측면에서 대체연료 차량기술 확보 필요 지능형 자동차 : 주행 안전성과 편의성을 최대한 제공하기 위한 지능형 자동차는 차선 유지시스템, 야간주행보조시스템, (반)자율주행시스템 등의 핵심 기술 개발을 필요로 함. 또한 세계적 수준의 IT와 자동차기술을 바탕으로 하는 지능형 자동차로 경쟁업체와 차 별화하여 선진시장 및 신흥시장 확보 및 기술선도 필요 o 전 세계 주요 자동차 메이커들은 배출 가스 및 연비 규제에 대한 친환경 규제와 안전 규제에 대응할 수 있는 자동차 부품의 핵심 기술 개발, 그린카 시장 선점을 위한 R&D 투자 및 그린카 활성화 방안을 내놓고 있다. -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일본이 대부분 특허를 선점하여 시장을 장악하였고, 클린디젤 자 동차는 유럽이 꾸준한 기술축적을 통하여 이미 경쟁력을 확보했으며, 미국은 수소연료전 지 자동차 등에 연구역량을 집중하였다. - 2009년 이후 세계 자동차 주요 생산국들이 전기자동차 기술개발에 전력을 다하고 있는 양상이며, GM의 Volt와 Nissan의 Leaf가 2010년 말부터 양산 하고 있다. Ford를 비롯한 Toyota, Honda, BMW, BYD 등이 전기차 시장에 참여하기 위해 2011년 이후 전기차 양 산을 준비하면서 추격을 시작하고 있다. 42

Ⅱ. 자동차산업 - 자동차 운행에 있어 안전성과 편의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지능형 자동차를 개발하기 위해 자동차의 스마트화는 시스템의 전자화 및 각 기술을 융합하는 융합시스템 개발에 주력하 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 o 하이브리드차는 2012년 전 세계 약 150만대 규모로 시장이 확대될 전망이므로 친환경 부품 개발에 대한 기술 개발은 업체 주도로 지속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일본은 하이브리드차의 선두업체로 기술 선도 및 시장 점유를 확대하고 있다. - 미국 및 유럽 선진업체는 경쟁력 확보를 위해 독자적인 친환경 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o 클린디젤자동차는 미국, 일본, 유럽 등 선진국에서 디젤엔진의 초고효율화, 초저공해 실현을 위한 산학연 협력을 통한 기초 원천 기술과 응용기술 확보를 진행하고 있고, 중국 등 신흥 개발국은 선진업체와의 전략적 기술 제휴를 통해 클린디젤차 기술을 축적하고 있다. o 전기차는 일본(미쯔비시)이 09년 양산형 전기차를 처음 발표하였고 Nissan이 Leaf를 2010년 말 출시하여 시판하였으며, 국내에서도 금년 9월에 현대자동차에서 1회 충전으로 140km까지 주행 가능한 전기차를 발표하였다. 석유 연료의 탈피 및 친환경 정책으로 전기 자동차의 개 발은 주행거리를 증가시키는 배터리 기술 및 구동모터 핵심기술 확보에 전력을 다하고 있다. - 전기차의 핵심은 구동 모터와 2차전지(에너지 저장시스템) 기술로써, Battery의 에너지 밀도 를 증가시키는 기술과 동일한 에너지에서도 주행거리를 최대로 확장할 수 있는 기술, 배터 리 가격을 경쟁력 확보 가능한 수준으로 낮출 수 있는 기술 확보가 절실하며, 동시에 보급 확대를 위한 전국적인 충전 인프라 구축도 병행되어야 한다. o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는 1일 주행 거리가 비교적 긴 소비자층과 전기자동차의 제한된 주행 거리에 대한 우려를 갖고 있는 소비자층을 대상으로 하는 제품으로 전기 자동차의 일종으로 볼 수 있으며, GM의 Volt는 순수 전기차 모드로 일 충전 주행거리 64km, 최고속도 160km/h 차량 으로 2010년 말부터 미국에 시판하고 있으며, 2011년 2만 5,000대 판매, 2012년 12만 대 이상 판매를 목표로 하고 있다. 43

The next big thing! 대한민국 산업 기술 비전 2020 - 주력산업 - 하이브리드 차량에 비해 비교적 단순한 제어가 가능하며, 충방전 전략이 핵심이다. 대표적 인 충방전 전략으로 Common Strategy와 Blended Strategy가 있다. 즉 SOC가 일정 수준 이하가 될 때까지 EV 모드로 운전하고 이후에 SOC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는 Charging Sustaining 모드로 운전하는 방법과 처음부터 전기차 모드와 하이브리드 모드를 혼합 운전 하는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o 연료전지차 기술은 성능 면에서 최고속도 160km/h, 주행거리 600km 등 일반인에게 보급할 정도의 기술 수준은 도달하였으나 아직까지 연료 전지 스텍, 수소 저장 장치, 운전 장치 등의 핵심 기술을 확보하여야 하며, 가격 측면에서 가솔린 차량 등과 비교하여 경쟁력 확보 가능 한 수준까지 내려야 한다. - 전기차에 버금가는 Zero-Emission에 도달하는 등 환경적인 측면에서는 매우 우수하나, 여 타 친환경 차량에 비해 매우 고가이며, 고압 수소탱크를 장착해야 하는 등으로 안전 측면 에서 차량 설계단계에서부터 고려해야할 사항이 많다. - 또한 차량 자체의 개발뿐만 아니라, 수소 충전을 위한 사회적 인프라도 적절히 갖춰줘야 하 는 등 시장 성숙화를 위한 민 관 공동의 노력이 필요하다. o 고효율 가솔린차 기술은 과급 기술과 GDI 기술로 출력 및 연비 특성을 개선하고, 파워트레 인과 새시 부품 등 차량의 각 요소 부품의 제어를 효과적으로 통합한 통합제어를 통해 차량 의 연비 특성을 기존 차량에 비해 월등히 개선시키는 기술이다. - 세계 주요 자동차 메이커들은 이미 독자적인 기술을 확보하고 있는 상태이며 국내 기술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라도 고효율 가솔린차의 독자기술을 확보해야 한다. o 대체연료차는 다른 친환경차량에 비해 파급효과가 작고, 연비 및 출력 특성에서 다소 뒤떨어졌 지만, 국가 에너지 안보 및 에너지 수급 다원화 측면에서 꾸준히 지원해야 하는 실정이다. o 지능형 자동차는 차량의 스마트화로 차량의 주행 안전성 및 편의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 고 안전 규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술이다. - 스마트화 기술은 현재 자동 주행 지원 시스템(Smart Cruise Control), 차선 이탈 방지 시스템 (LDWS), 차선 유지 지원 시스템(LKAS), 충돌 방지 시스템(Collision Avoidance System), 타이어 모니터링 시스템(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야간 주행 보조 시스템(Night Vision), 영상 블랙박스, 졸음 방지 시스템 등 다양한 종류의 사전 충돌 경고 및 제어 시스템으 로 주요 완성차 업계에서는 활발히 개발 진행 중에 있다. - 미래에는 기존 개발된 시스템들이 통합되어 충돌을 예방하고 승객과 보행자를 한층 더 보호하 는 기술이 상용화될 것으로 보이며 통신 기술(V2V, V2I)을 활용한 안전도 향상 기술도 선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 중국, 인도 등 신흥국 완성차 업체의 제품과의 차별성을 둘 수 있는 기술이며, 선진 시장의 진입 장벽을 뚫을 수 있는 기술이다. 한국의 발달된 IT 및 통신 기술을 활용하여 차량 내 의 안전 시스템(ASV)과 사회 기간 시설인 교통 시스템(ITS)과 연계된 종합적인 첨단 안 전 교통 시스템을 개발하여야 한다. 44

Ⅱ. 자동차산업 3.3. 핵심 역량별 경쟁력 친환경 기술 미흡 / 가솔린 디젤 엔진 경쟁력 확보 양산 대응 기술력은 선진업체에 비해 뒤지지 않는 수준이나, First Mover 전략보다 Fast Follower 전략 선택으로 기술적용시점이 2 5년의 시간차 발생 기술경쟁력 부문은 아직까지 선진업체에 비해 비교적 격차가 있으며, 특히 친환경 자동차 기술수준은 선진국의 70~80%에 달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 디젤 엔진의 기술은 독일 업체가 강세이나, 국내업체도 급격한 기술력 향상으로 선진 업체와 큰 격차 없이 친환경 디젤 엔진을 양산중임. 국내 LPI 하이브리드차 개발 시 모터 등 주요 부품의 국산화 개발에 성공하였으 나, 영구 자석의 국산화 등은 미흡함. 2차전지는 Li-ion 또는 Li-ion-polymer로 기술적 진보가 이행되고 있어 국내 업체가 비교적 기술적 우위를 확보하고 있는 핵심 분야임. 자동차의 지능화 및 전자화 분야는 선진국 대비 기술경쟁력은 양호 단계이나, 부품 소재의 자급도는 미흡 고효율 가솔린차는 일본, 유럽, 미국 순서로 기술 개발 및 양산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전체 다운사이징 기술 관련 산업 중 약 2% 정도를 차지, 관련 기술 개 발 시급 o 국내 자동차산업의 전반적인 기술 경쟁력 수준은 선진 자동차완성차업계와 비교할 때 기 본성능, 스타일, 첨단기술 장착 등의 측면에서 동등한 편이나, 안정성이나 신뢰성 측 면에는 다소 부족한 편이다. 선진국=100 <국내 자동차 산업의 기술경쟁력 수준(2007년)> 제품개발능력 부품소재 자급도 생산기술 및 설비수준 제품품질 승용차 90 95 95 90 90 종합 o 하이브리드 자동차를 시작으로 EV 및 PHEV 차의 등장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모터에 에 너지를 공급하는 2차전지에 대한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 모터의 핵심 기술로는 두 가지를 들 수 있는데, 하나는 모터의 고출력 밀도로, 대용량 모터의 소 형화, 경량화 개발 기술과 또 다른 하나는 모터 제어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인버터 기술이다. 인버터 기술은 IGBT 등 전력 반도체를 포함한 하드웨어 개발과 모터 제어 알고리즘을 효율적으 로 구현하는 소프트웨어 개발 기술이다. 45

The next big thing! 대한민국 산업 기술 비전 2020 - 주력산업 - 최근 영구자석형 소형 모터의 활용 범위가 크게 넓어졌고, 희토류 금속(Rare Earth Material)의 공급 부족현상으로 영구자석을 사용치 않는 유도전동기의 효율 개선을 위한 개발이 활발하다. - 국내에 LPI Hybrid를 양산 공급한 현대차는 LPI Hybrid 개발 시 PMSM 타입의 모터를 사용하 였으며, 모터 주요 부품의 국산화 개발에 성공하였으나, 영구 자석의 국산화를 달성치 못했다. 현대차에서 개발한 블루온 전기차에는 유도전동기를 사용하였다. o 고효율 가솔린 자동차의 파워트레인 기술은 크게 가솔린 엔진과 트랜스미션 관련 기술로 나눌 수 있고, 각각의 국내 완성차업체들의 양산 대응 기술력은 선진업체에 비해 뒤지지 않는 수준 으로 판단하고 있다. - 최근 가솔린 엔진은 CO 2 저감의 노력으로 연비 향상이 최우선 과제가 되어 있고, 이에 따라 Downsizing을 통한 비출력(Specific Power)과 비토크(Specific Torque)가 꾸준히 향상되고 있다. - 이러한 양산 기술들은 대부분 선진업체와 기술격차 없이 개발되어 양산엔진에 적용되고 있으며, 다만 기술 적용 시점에 있어서 선도적 지위를 확보치 못하고 외국 기술 선도 업체들에 2 5년의 시간차를 두고 추격하는 수준이다. - 이러한 원인으로는 국내 완성차 업계 및 부품업계가 신기술 신제품 개발에 선도적으로 나 서기보다는(First Mover) 선진업체에서 기 개발된 기술과 제품을 빠른 시일 내 국내 개발 하는 차량에 적용하는 전략(Fast Follower)을 구사함에 따른 시차이다. 국내 완성차 업계 및 부품업계의 연구역량의 부족과 기초소재 및 부품개발기술의 부족에도 그 원인이 있고, 특히 국내 완성차 1차 협력업체의 60 70%가 외자기업으로 구성되어 있어 기술적으로 종속 되어 있는데도 기인하고 있다. o 디젤 엔진은 내연기관 중 열역학적인 열효율이 가장 높고 CO 2 배출량이 적은 이유로, 유럽을 필두로 점차 사용비율이 증대되는 등 친환경 내연기관으로 부각 중이다. - 디젤 엔진의 기술 역시 독일 업체가 가장 앞서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국내업체 역시 최근 커먼레일 분사시스템, 후처리 기술개발 등 급격한 기술력 향상을 이루어 선진업체와 큰 격차 없이 친환경 디젤 엔진을 양산 적용하고 있다. - 다만, 가솔린 엔진과 동일하게 기술 적용시점에 있어서 선도적 지위를 확보치 못하고 기술 선도업체를 2 5년의 시간차를 두고 추격하는 수준이고, 특히 시스템제어 및 통합화 기술에서 선진 업체에 종속되어 있는 실정이다. - 이러한 원인으로는 가솔린 부분과 마찬가지로 국내 부품업계의 연구역량의 부족, 기초소재 및 부품개발기술의 부족, 국내 완성차 1차 협력업체가 해외 부품업체에 기술적으로 종속된 데 기인 하고 있다. o 국내 부품업체의 기술수준은 일본 부품업체 대비 80% 수준이며, 그 이유는 - 대형화, 전문화되지 못한 부품업체들의 기술개발 투자 부족 - 부품업체의 전문 기술인력 확보 미흡 - 완성차 업체와 연계한 공동기술 개발 및 공조체제 미흡 등 이다. 46

Ⅱ. 자동차산업 전세계 자동차 공급 및 수요 일본자동차 부품대비 % 자동차부품산업 경쟁력 점 79% 86% 71% 73% 9.5 7.86 생산기술 품질 경쟁력 부품설계 능력 생산설비 수준 자료: 한국자동차 부품산업진흥재단(2005), 미국완성차및부품업체설문조사 o 2차전지는 NiMH에서 Li-ion 또는 Li-ion-polymer로 기술적 진보가 이행되고 있고, 이 분야 는 국내 업체가 비교적 기술적 우위를 확보하고 있는 분야이다. - Li계 2차 전지의 주요 전지 소재가 국산 기술로 개발되어, 국내 업체가 가장 강점을 점할 수 있는 분야이다. - Li계 2차 전지다음의 차세대 배터리로 부상하고 있는 전고체 배터리, 금속-공기 배터리 등에 집중적인 분석 및 개발이 필요하다. o 자동차의 지능화 및 전자화 기술 분야는 선진국 대비 기술경쟁력은 양호 단계로, 완성차 업체의 제품개발능력, 생산기술 및 설비수준, 제품품질 등에서 경우에 따라 선진국에 근접한 수준을 보이는 편이나, 부품 소재 자급도, 시스템 기술 및 주요핵심부품(센서)에서 기 술경쟁력 수준이 미흡하다. - 하지만 세계 최고수준인 IT 인프라를 바탕으로 향후 급격한 성장이 전망되는 텔레매틱스 등 IT 융합 관련기술에서 경쟁력 확보에 유리한 입장이고, - 특히 무선네트워크, 디지털방송 등은 차량기술과 접목시켜 자동차의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에 선도적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선진국=100 <자동차 지능화 및 전자화 분야 기술 경쟁력 수준(2007년)> 제품개발능력 부품소재 자급도 생산기술 및 설비수준 제품품질 승용차 90 60 80 90 80 종합 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