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Similar documents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BFCFBCBA30362DC0B1BFECC3B62E687770>

:,,.,. 456, 253 ( 89, 164 ), 203 ( 44, 159 ). Cronbach α= ,.,,..,,,.,. :,, ( )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3, pp DOI: * Strenghening the Cap

untitled


230 한국교육학연구 제20권 제3호 I. 서 론 청소년의 언어가 거칠어지고 있다. 개ㅅㄲ, ㅆㅂ놈(년), 미친ㅆㄲ, 닥쳐, 엠창, 뒤져 등과 같은 말은 주위에서 쉽게 들을 수 있다. 말과 글이 점차 된소리나 거센소리로 바뀌고, 외 국어 남용과 사이버 문화의 익명성 등

380 Hyun Seok Choi Yunji Kwon Jeongcheol Ha 기존 선행연구에서는 이론연구 (Ki, 2010; Lee, 2012), 단순통계분석 (Lee, 2008), 회귀분석 (Kim, 2012)과 요인분석 (Chung, 2012), 경로분석 (Ku,

Kor. J. Aesthet. Cosmetol., 라이프스타일은 개인 생활에 있어 심리적 문화적 사회적 모든 측면의 생활방식과 차이 전체를 말한다. 이러한 라이프스 타일은 사람의 내재된 가치관이나 욕구, 행동 변화를 파악하여 소비행동과 심리를 추측할 수 있고, 개인의

DBPIA-NURIMEDIA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1, pp DOI: The Effects of Pare

상담학연구 * Shelton(1990) Eden(2001).. D 480,, 425..,... * (Corresponding Author): / / ( ) 1370 Tel: /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배진현 도은수 서영숙 보다 약 3배 더 발생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어 우리사회의 중 요한 보건문제가 될 것이다(Clinical Research Center for Stroke [CRCS], 2013). 뇌졸중은 뇌의 혈액순환장애로 발생되며, 뇌의 국소적인 부위나 전반적인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2, pp DOI: * The Mediating Eff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2, pp DOI: 3 * Effects of 9th

27 2, 17-31, , * ** ***,. K 1 2 2,.,,,.,.,.,,.,. :,,, : 2009/08/19 : 2009/09/09 : 2009/09/30 * 2007 ** *** ( :

구의 중요성이 인식되기 시작하였다(Kang & Lee, 2001). 이에 대한 결과로 1990 년대 이후 국내에서도 만성신부전환자의 혈액투석경험 (Shin, 1997), 신장이식 체험(Lee, 1998) 과 만성질환자의 강인성에 관한 연구 (Ko, 1999)등 만성질환

,,,.,,,, (, 2013).,.,, (,, 2011). (, 2007;, 2008), (, 2005;,, 2007).,, (,, 2010;, 2010), (2012),,,.. (, 2011:,, 2012). (2007) 26%., (,,, 2011;, 2006;

DBPIA-NURIMEDIA

歯5-2-13(전미희외).PDF


<C1A63238B1C731C8A328C6EDC1FDC1DF292E687770>


05_최운선_53~67,68.hwp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3, pp DOI: The Effect of Caree

27 2, 1-16, * **,,,,. KS,,,., PC,.,,.,,. :,,, : 2009/08/12 : 2009/09/03 : 2009/09/30 * ** ( :

서론 34 2

지난 2009년 11월 애플의 아이폰 출시로 대중화에 접어든 국내 스마트폰의 역사는 4년 만에 ‘1인 1스마트폰 시대’를 눈앞에 두면서 모바일 최강국의 꿈을 실현해 가고 있다

14.531~539(08-037).fm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1, pp DOI: - K * The Analysis

<353420B1C7B9CCB6F52DC1F5B0ADC7F6BDC7C0BB20C0CCBFEBC7D120BEC6B5BFB1B3C0B0C7C1B7CEB1D7B7A52E687770>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C7D1B1B9B1B3C0B0B0B3B9DFBFF85FC7D1B1B9B1B3C0B05F3430B1C733C8A35FC5EBC7D5BABB28C3D6C1BE292DC7A5C1F6C6F7C7D42E687770>

., (, 2000;, 1993;,,, 1994), () 65, 4 51, (,, ). 33, 4 30, 23 3 (, ) () () 25, (),,,, (,,, 2015b). 1 5,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3 * The Effect of H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1, pp DOI: * The

. 45 1,258 ( 601, 657; 1,111, 147). Cronbach α=.67.95, 95.1%, Kappa.95.,,,,,,.,...,.,,,,.,,,,,.. :,, ( )


서론

< D3920C1A4BDC5B0A3C8A320B3BBC1F62DC3D6C1BE2E687770>

44-6대지.08김정희-5

DBPIA-NURIMEDIA

,, (, 2010). (, 2007).,,, DMB, ,, (, 2010)., LG., (, 2010) (, ,, ) 3, 10, (, 2009).,,. (, 2010)., (, 2010). 11

<31342EBCBAC7FDBFB52E687770>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2, pp DOI: IPA * Analysis of Perc

DBPIA-NURIMEDIA

<35BFCFBCBA2E687770>

歯14.양돈규.hwp

Lumbar spine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3, pp DOI: * The Grounds and Cons

DBPIA-NURIMEDIA

DBPIA-NURIMEDIA

232 도시행정학보 제25집 제4호 I.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사회가 다원화될수록 다양성과 복합성의 요소는 증가하게 된다. 도시의 발달은 사회의 다원 화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현대화된 도시는 경제, 사회, 정치 등이 복합적으로 연 계되어 있어 특

한국 출산력의 저하 요인에 관한 연구


hwp

DBPIA-NURIMEDIA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 A S


부산교육 311호

1..

(JH)

DBPIA-NURIMEDIA

특집-5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04_이근원_21~27.hwp

012임수진

<31372DB9DABAB4C8A32E687770>

untitled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 A Study on the Pe

< FC3BBBCD2B3E2C1A4C3A5C0C720C8AEC0E5B0FA20B9DFC0FC28C3D6C1BE31292E687770>

노동경제논집 38권 3호 (전체).hwp

202 김 수 현 원 영 신 있으므로, 이러한 선수들의 긍정적인 태도를 높여 구 단의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조직적 차원의 연구가 요구된다 하겠다. 따라서 선수들을 대상으로 한 프로 구단의 조직성과 제고에 관한 학문적 작업은 중요한 연구과제인 것이다. 최근 조직 커뮤

ÀÌÁÖÈñ.hwp


특수교육논총 * ,,,,..,..,, 76.7%.,,,.,,.. * 1. **

1. KT 올레스퀘어 미디어파사드 콘텐츠 개발.hwp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3, pp DOI: * The Structural Rel

<BAB8B0C7B1B3C0B0B0C7B0ADC1F5C1F8C7D0C8B8C1F632392D312E687770>

Kor. J. Aesthet. Cosmetol., 및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고, 만족 정도 에 따라 전반적인 생활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신체는 갈수록 개 인적, 사회적 차원에서 중요해지고 있다(안희진, 2010). 따라서 외모만족도는 개인의 신체는 타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 A Analysis of

<C0DBBEF7C1DF202D20C7D1B1B9BFA9BCBAC0CEB1C7C1F8C8EFBFF85FBFA9BCBAB0FA20C0CEB1C728C5EBB1C736C8A3292DB3BBC1F62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1, pp DOI: NCS : G * The Analy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searc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창업 여성CEO의 특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달생산이 초산모 분만시간에 미치는 영향 Ⅰ. 서 론 Ⅱ. 연구대상 및 방법 達 은 23) 의 丹 溪 에 최초로 기 재된 처방으로, 에 복용하면 한 다하여 난산의 예방과 및, 등에 널리 활용되어 왔다. 達 은 이 毒 하고 는 甘 苦 하여 氣, 氣 寬,, 結 의 효능이 있


< D B4D9C3CAC1A120BCD2C7C1C6AEC4DCC5C3C6AEB7BBC1EEC0C720B3EBBEC8C0C720BDC3B7C2BAB8C1A4BFA120B4EBC7D120C0AFBFEBBCBA20C6F2B0A E687770>

KIM Sook Young : Lee Jungsook, a Korean Independence Activist and a Nurse during the 이며 나름 의식이 깨어있던 지식인들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교육을 받은 간 호부들은 환자를 돌보는 그들의 직업적 소

<31335FB1C7B0E6C7CABFDC2E687770>

Research Article Korean J Child Stud 2018;39(6): pissn: eissn: X Effect of the Develo

상담학연구,, SPSS 21.0., t,.,,,..,.,.. (Corresponding Author): / / / Tel: /

- 최원희ㆍ 김명희: 중년후기 여성의 집단회상 경험과 효과에 대한 연구 - 에 직면하며 심리 사회적인 역할갈등, 고립, 위축, 상실 감 등을 경험하게 된다. 이 시기동안 위기에 잘 대처하 지 못하면 자신에 대하여 실망하며 두려움과 슬픔 등 을 겪으면서 자아존중감이 낮아

DBPIA-NURIMEDIA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4, pp DOI: * Relationship among

<31332EBEC6C6AEB8B6C4C9C6C3C0BB20C8B0BFEBC7D120C6D0C5B0C1F6B5F0C0DAC0CE20BFACB1B82E687770>

03-서연옥.hwp

Transcription: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Vol.5, No.4, August (2015), pp.333-342 http://dx.doi.org/10.14257/ajmahs.2015.08.73 여대생의 건강위험행위 구조모형 전정희 1)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n Health Risk Behavior in Jung-Hee Jeon¹) 요 약 본 연구는 여대생의 건강위험행위를 설명하는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고 수집된 자료와의 적합도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B시의 여대생 210명을 대상으로 2014년 3월 1일부터 4월 20일까지 자가 보고식 설문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PASW 18.0과 AMOS 1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 하였다. 연구 결과, 가설모형의 전반적인 적합도는 기준을 충족하였으며, 설정된 7개의 경로 중 3개의 경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여대생의 건강위험행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건강관련 자 기효능이었으며, 내적 통제위도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관련요인들에 의한 여 대생의 건강위험행위 설명력은 31%이었다. 이에 여대생의 건강위험행위를 감소하기 위한 중재 시 건 강관련 자기효능과 내적 통제위를 고려할 것을 제안한다. 핵심어 : 건강위험행위, 여대생, 구조모형, 건강관련 자기효능, 내적 통제위 Abstract Purpose: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construct a hypothetical structural model which explains the health risk behavior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and to test the fitness with collected data.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210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B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1 to April 20, 2014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s and were analyzed using PASW 18.0 and AMOS 16.0 programs. Results: The overall fitness indices of hypothetical model were good (χ²=146, p<.001), χ²/df=1.84, SRMR=.08, GFI=.92, RMSEA=.06, NFI=.90, IFI=.92, CFI=.91). Out of 7 paths, 3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lf efficacy related health had the greatest impact on health risk behavior in the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this model. also Health risk behavior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was directly affected by internal locus of control. This model explained 31% of the variance in health risk behavior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Conclusions: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nursing interventions to reduce health risk behavior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should address their Self efficacy related health, internal locus of control. Keywords : Health Risk Behavior,, Structural Model, Self efficacy related health, Internal locus of control Received (June 22, 2015), Review Request(June 23, 2015), Review Result(July 10, 2015) Accepted(July 31, 2015), Published(August 31, 2015) ¹608-711 Dept. Nursing, Tongmyong Univ., 428 Sinseon-ro, Namgu, Busan, Korea email: jjh@tu.ac.kr * 이 논문은 2013년도 동명대학교 교내학술연구비 지원으로 작성되었습니다. ISSN: 2383-5281 AJMAHS Copyright c 2015 HSST 333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n Health Risk Behavior in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우리나라의 3대 사망원인은 암, 뇌혈관 질환 및 심장질환과 같은 만성질환으로 총 사망자의 47.4%를 차지한다[1]. 만성질환은 흡연이나 음주, 부적절한 식이와 수면 및 신체적 비활동 등의 생 활습관과 관련된 건강위험행위에 의해 발생위험성과 악화 및 사망률이 높아지므로[2] 건강위험행 위의 교정을 통해 질병의 발생과 조기사망을 예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비용측면에서도 복합적 인 건강위험행위를 함께 교정하는 것이 건강유지증진보다 더욱 효과적이라는 것이 밝혀져 건강위 험행위에 대한 중요성이 점차 강조되고 있다[3]. 여성의 건강지표는 한 나라의 건강수준을 대변할 만큼 중요한 것으로 성인초기인 여대생의 습 관화된 건강위험행위는 현재의 건강상태와 앞으로 미래의 사회 구성원을 생산하고 양육하는 모성 으로서의 역할수행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여대생은 향후 중장년기를 대비하는 단계로 서 여성의 생애단계에서 가장 건강한 시기이자, 주관적으로도 자신이 매우 건강하다고 평가하고 자신의 건강을 내적으로 통제가 가능하다고 과신한 나머지 다른 어떤 연령층보다 건강문제에 대해 관심이 적고 건강의 중요성을 경시하는 경향이 있다[4][5]. 또한 이 시기에 접어들면서 중고등학교 의 학칙과 가정생활의 규범으로부터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독립하여 스스로 건강을 관리하는 책임을 져야하지만 갑작스럽게 주어진 자율과 독립성을 강조한 나머지 무절제한 생활양식으로 인 한 잦은 흡연과 폭음, 불규칙한 식사 습관 및 부적절한 수면, 운동부족 등의 건강위험행위의 빈도 가 증가하고 취약한 건강상태를 초래할 수 있다. 최근 들어 남성의 흡연율과 음주율은 감소하는 반면 여대생은 증가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6], 변화된 사회관계에서 대인관계 스트레스, 당면과제 및 취업난 등의 생활 스트레스가 점차 가중되어 두 가지 이상의 복합적인 건강위험행위를 하고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7]. 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와 건강위험행위는 건강과 관련한 자기효능과도 상 관이 있어[8][9] 성인초기의 여대생들이 자신의 건강과 생활습관에 대한 자발적인 노력과 실천을 통해 건강관련 자기효능을 높여 건강위험행위를 줄이고 평생의 건강을 좌우할 올바른 건강습관의 기반이 확립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건강행위와 관련한 선행연구들은 대부분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10-12]이었으며 전체 대학생 을 대상으로 음주, 흡연 등의 부분적인 건강위험행위에 대한 연구[13][14]가 일부 수행되었지만, 향 후 여성건강과 가족건강을 책임져야 할 여대생의 생활습관과 관련한 여러 가지 건강위험행위를 광 범위하고 통합적으로 살펴본 연구를 찾기 어려웠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여대생들의 건강위험행위 를 설명하고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구축하고 영향요인간의 관계를 규명하여 여대생의 건강위험행 위 예방을 위한 간호중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334 Copyright c 2015 HSST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Vol.5, No.4, August (2015) 1.2 연구의 목적 본 연구는 여대생의 건강위험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고 이를 토대로 여대생의 건강위험행위를 설명하는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여 이를 검증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문헌고찰과 선행연구를 통해 여대생의 건강위험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여 가설 모형을 구축한다. 2) 가설모형과 실제자료간의 적합도 검증을 통해 여대생의 건강위험행위를 설명하는 모형을 제 시한다. 3) 여대생의 건강위험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직접, 간접 및 총 효과를 확인한다. 1.3 개념적 기틀 및 가설 모형 본 연구는 여대생의 건강위험행위를 예측하는 모형을 구축하기 위하여 문헌고찰과 선행연구를 토대로 연구의 개념적 기틀을 구축하였다. 여대생의 건강위험행위를 예측하는 모형을 구축하기 위 한 변수들 간의 관계는 [그림 1]과 같다. 생활 스트레스 내적 통제위 건강관련 자기효능 건강위험행위 주관적 건강상태 [그림 1] 개념적 틀 [Fig. 1] Theoretical framework 2. 연구 방법 2.1 연구 설계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확인된 여대생의 건강위험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들을 포괄하 여 여대생의 건강위험행위를 설명하고 예측하는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고 모형의 적합도와 경로를 검증하는 구조모형 연구이다. ISSN: 2383-5281 AJMAHS Copyright c 2015 HSST 335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n Health Risk Behavior in 2.2 연구 대상 본 연구의 대상자는 B시 소재 일 대학에서 본 연구의 목적과 내용을 이해하고 협조할 것을 동 의한 여대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구조방정식에서 표본의 수는 측정 변수 당 15명을 권장하며 최대 우도법을 사용하여 표본크기 200이 구조모형 검증에 필요한 임계치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표본 의 크기가 400이상으로 커지면 너무 민감하게 반응하여 모형적합도가 나빠질 수 있다[15]. 본 연구 의 15개의 측정변수에 필요한 225개의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25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고 응답이 부실한 설문을 제외한 210부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2.3 연구 도구 1) 건강위험행위 건강위험행위는 미국의 질병관리국에서 개발한 청소년 유해행동 감시시스템 도구(Youth Risk Behavior Survey Questionnaire)를 손은성(2004)[16]이 수정 보완한 도구 중 흡연, 음주, 신체적 비 활동, 부적절한 수면시간, 부적절한 식습관을 측정하는 항목들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총 44문항 으로 각 문항은 매우 그렇지 않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 4점까지 4점 Likert 척도이며 점수가 높 을수록 건강위험행위를 많이 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신뢰도 계수(Cronbach's a)는.82였 다. 2) 생활 스트레스 생활 스트레스는 전겸구, 김교헌 및 이준석(2000)[17]이 개발한 개정판 대학생용 생활 스트레스 척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각 문항은 전혀 없었다 0점에서 자주 있었다 3점의 4점 Likert 척 도로 점수가 높을수록 생활 스트레스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Cronbach's a)는.94였다. 본 연구에서 신뢰도 계수 3) 내적 통제위 내적 통제위는 Wallston, Wallston & DeVellis (1978)[18]가 개발한 다차원적 건강통제위 척도 중 내 적 통제위 성향을 측정하는 6문항을 이용하였다. 각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에서 매 우 그렇다 5점의 5점 Likert척도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내적 통제위 성향이 강하다는 것을 의미한 다. 본 연구에서 신뢰도 계수(Cronbach's a)는.82였다. 4) 주관적 건강상태 주관적 건강상태는 현재 본인의 건강상태는 어떻습니까? 라는 설문에 매우 건강하다 1점에서 매우 건강하지 않다 5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336 Copyright c 2015 HSST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Vol.5, No.4, August (2015) 5) 건강관련 자기 효능 건강관련 자기효능은 Sherer & Maddux (1982)가 개발한 일반적 상황에서의 자기효능감 척도를 정승은(2000)[19]이 건강관련 자기효능으로 수정 보완한 15항목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각 문항은 전혀 그렇다 않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 5점의 5점 Likert 척도로 점수가 높을수록 건강관련 자 기효능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신뢰도 계수(Cronbach's a)는.83이었다. 2.3 자료 수집 본 연구의 자료수집 기간은 2014년 3월 1일부터 4월20일까지였으며, 자가 보고식 설문으로 자료 를 수집하였으며 본 연구자가 직접 설문지를 배부하고 작성된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연구대상자가 원하지 않을 경우 언제라도 참여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과 연구의 결과는 연구의 목적 이외 어디 에도 이용되지 않는다는 점을 구두와 서면으로 약속하였다. 작성된 설문지는 고유번호를 기록하여 연구자의 개인장소에 보관하였고 연구자가 직접 자료를 정리하고 분석하였다. 설문지를 작성하는 데 소요된 시간은 약 10-20분 정도였다. 2.3 자료 분석 방법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연구변수에 대한 서술적 통계, 상관관계, 도구의 신뢰도는 PASW 18.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구조모형 분석은 AMOS 16.0을 이용하여 가설모형의 적합도, 경로계수의 유의성, 직접 효과, 간접 효과 및 총 효과에 대한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적합도 지수는 χ², χ²/df, SRMR (Squared Root Mean-squared Residual), GFI (Goodness-of-Fit Index), RMSEA (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 IFI(Incremental Fit Index), TLI (Tucker-Lewis Index), CFI (Comparative Fit Index)를 이용하였다. 3. 연구 결과 3.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건강관련 특성 본 연구의 총 대상자 수는 일 대학에 재학 중인 여대생 210명으로 2학년 32.4%(68명), 3학년 32.9%(69명), 4학년 34.8%(73명)이었다. 연구대상자의 53.3%는 부모님과 거주하였으며, 자취 및 하 숙 30%, 기숙사 16.7% 순의 주거형태를 보였다. 대상자의 50%는 건강상태가 좋다고 응답하였으 며, 보통 36.7%, 나쁨 13.4%순으로 나타났다. 지난 한달 동안 운동여부에 대하여 68.1%는 전혀 운동을 하지 않는다고 하였으며, 22일 이상 매일 운동한다고 한 사람은 2.9.0%이었다. 한달 동안 아침식사 여부에 대해 전혀 먹지 않는다 30.5%, 22일 이상(매일) 25.2%, 1-7일(1주) 22.9%, ISSN: 2383-5281 AJMAHS Copyright c 2015 HSST 337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n Health Risk Behavior in 15-21일(3주) 12.4%, 8-14일(2주) 9.0% 순이었다. 연구대상자의 98.7%는 흡연을 하지 않는다고 하 였으며, 음주량에 대해서 소주 1명(맥주 4병) 34.8%, 소주 반병(맥주 2병) 26.7%, 소주 1-2잔(맥 주 한병 이하) 19.0%, '소주 2병(맥주 8병) 이상 은 19.5% 순이었다. 평균 수면시간(M±SD)은 6.05±1.13(최소 3시간, 최대 10시)이었다. 3.2 측정변수의 서술 통계와 상관관계 측정변수에 대한 서술통계 분석결과는 [표 1]과 같다. 본 연구대상자의 건강위험행위(1-4점)의 평 균은 1.95±0.30점이었다. 하부영역별로 신체적 비활동행위 2.72±0.65점, 식습관행위 2.48±0.54점, 수 면행위 2.17±0.53점, 음주 1.93±0.55점, 흡연 1.17±0.40점 순으로 나타나 여대생의 건강위험행위 중 신체적 비활동행위의 점수가 가장 높았다. 측정변수의 왜도와 첨도의 절대값을 살펴본 결과 모든 측정변수들이 왜도 3.00과 첨도 10.00을 초과하지 않아 일변량 정규성을 만족하였다. 측정변수간의 상관관계가.90이상일 경우 다중 공선성 의 문제를 제기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측정변수 간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가장 높은 상관을 보 인 생활 스트레스의 가족관계와 동성친구 요인의 상관이.57로 나타나 측정변수 간의 다중공선성 의 문제는 없었다. [표 1] 관측변수의 기술통계 (N=210) [Table 1] Descriptive Statics of Variables (N=210) 잠재변수 관측변수 최소 최대 M ±SD 왜도 첨도 건강위험행위 흡연 1.00 3.25 1.17 ±0.40 3.00 8.90 음주 1.00 3.67 1.93 ±0.55.58.22 식습관행위 1.00 3.67 2.48 ±0.54 -.22 -.20 신체적 비활동행위 1.00 4.00 2.72 ±0.65 -.39 -.08 수면행위 1.00 3.33 2.17 ±0.53 -.14 -.25 생활 스트레스 동성친구.00 2.60 0.30 ±0.51 2.20 5.00 이성친구.00 2.50 0.48 ±0.54 1.21 1.09 가족관계.00 2.83 0.47 ±0.56 1.54 2.29 교수관계.00 2.17 0.33 ±0.49 1.62 2.24 학업문제.00 3.00 1.70 ±0.68 -.11 -.47 경제문제.00 3.00 0.75 ±0.69 1.06.58 장래문제.00 4.25 1.19 ±0.71.55.90 가치관문제.00 3.00 0.90 ±0.73.69 -.19 338 Copyright c 2015 HSST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Vol.5, No.4, August (2015) 3.3 가설모형의 검정 단일 측정변수를 제외한 건강위험행위와 생활 스트레스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표준요인부하량(ß).50이상의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변수는 이성친구.43, 음주.41, 흡연.18이었 다. 이에 요인부하량이 너무 낮은 흡연을 가설모형에서 제거하여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한 결과 적 합지수는 χ²=220(p<.001), χ²/df=2.65, RMR=.03(SRMR=.08), GFI=.86, IFI=.83, TLI=.78, CFI=.83 RMSEA=.09(08,.10)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가설모형의 적합도 지수가 기준치와 비교하여 전반적 으로 낮은 적합도를 보여 모형수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3.4 수정모형의 검정 가설모형의 기존 변수를 유지한 상태에서 이론적 배경과 논리적 타탕성을 고려하여 수정 지수 (Modification Index)가 10 이상이고 동일변수 내 측정오차 간 상관이 나타난 오차들(생활 스트레 스 요인의 측정변수 오차 e1과 e4, e5과 e7, e5와 e8)의 공분산을 순차적으로 허용하여 모형을 수 정하였다. 수정된 모형의 적합도는 χ²=149(p<.001), χ²/df=1.87, RMR=.03(SRMR=.07)로 표본크기와 모델의 복잡성에 민감한 χ²값과 SRMR은 권장수준을 만족하지는 못하였지만 GFI=.91, IFI=.91, TLI=.90, CFI=.91 RMSEA=.06(05, 08)는 권장수준을 만족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모형에서는 건강위험행위로 향하는 4개의 경로와 건강관련 자기효능으로 향하는 3경로가 설정되었고, 총7개의 경로 중 3개의 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그림 2]. [그림 2] 가설모형의 경로 [Figure 2] Path diagram for hypothetical model ISSN: 2383-5281 AJMAHS Copyright c 2015 HSST 339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n Health Risk Behavior in 수정 모형의 외생변수들이 건강위험행위에 영향을 주는 직접 효과, 간접 효과 및 총 효과를 분 석한 결과는 표 2와 같다. [표 2] 가설모형에서 변수들의 효과 (N=210) [Table 2] (N=210) 내생변수 외생변수 B S.E β C.R. p SMC 직접 간접 총 효과 건강위험행위 건강관련 자기효능 -.21.06 -.43-3.62 <.001.31 -.43 -.43* 내적 통제위.12.04.28 2.90.004.28 -.02.26 주관적 건강상태 -.01.02.05.55.581.05.13.18* 생활 스트레스.11.06.16 1.76.079.16.09*.25* 건강관련 자기효능 내적 통제위.04.07.04.50.617.17.04.04 주관적 건강상태 -.17.04 -.31-4.31 <.001 -.31 -.31 생활 스트레스 -.28.12 -.20-2.42.015* -.20 -.20 *p<.05; p<.01; p<.001; ; B=Estimate of regression weight; S.E.=Standard error of covariance; β=estimate of standardized regression weight; C.R=Critical Ratio; SMC=Squared Multiple Correlation. 건강위험행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경로는 건강관련 자기효능(ß=-.43, p<.001)과 내적 통제위 (ß=.28, p=.004)였으며, 주관적 건강상태(ß=.05, p=.581)와 생활 스트레스(ß=.16, p=.079)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변수가 여대생의 건강위험행위를 설명하는 부분은 31%이었다. 주관적 건강상태(ß=-.31, p<.001)는 건강관련 자기효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련변 수들이 건강관련 자기효능을 설명하는 부분은 17%였다. 가설모형에서 내생변수에 대한 외생변수들의 직접 효과, 간접 효과 및 총 효과를 분석하였다. 여대생의 건강위험행위와 관련된 요인들의 총 효과를 살펴보면, 건강관련 자기효능이 가장 큰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ß=-.43, p=.012), 내적 통제위(ß=.26, p=.007), 생활 스트레스(ß=.25, p=.022), 주관적 건강상태(ß=.18, p=.040)순으로 나타났다. 건강관련 자기효능은 여대생의 건강위험 행위에 직접적인 효과만으로 가장 큰 영양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내적 통제위는 건강관 련 자기효능을 통한 경로가 간접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ß=-.02, p=.633) 직접 효과를 감소시켜 총 효과를 감소시켰다. 반면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는 않으나 생활 스트레스(ß=.09, p=.045)와 주관적 건강상태(ß=.13, p=.003)는 건강관련 자기효능을 통한 간접 효과가 유의하여 총 효과가 유 의하게 상승하였다(표 2). 여대생의 건강위험행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건강관련 자기효능, 내적 통제위 순이 었으며, 총 효과에서는 건강관련 자기효능, 내적 통제위, 생활 스트레스, 주관적 건강상태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건강관련 자기효능이 여대생의 건강위험행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 340 Copyright c 2015 HSST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Vol.5, No.4, August (2015) 인으로 나타났다. 4. 결론 본 연구는 여대생의 건강위험행위에 관한 문헌과 선행연구를 토대로 가설모형을 구축하여 모형 의 적합도를 검증함으로써 여대생의 건강위험행위 감소를 위한 중재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 하고자 실시되었다. 여대생의 생활 스트레스, 내적 통제위, 주관적 건강상태 및 건강관련 자기효능이 건강위험행위 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개념적 틀을 구성하여 B시 소재 일 대학의 여대생 210명을 대상으로 자 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최종 수정모형의 적합도는 표본크기와 모델의 복잡성에 민감한 χ²값과 SRMR을 제외한 GFI=.91, IFI=.91, TLI=.90, CFI=.91 RMSEA=.06(05, 08)는 권장수준을 만족하였다. 설정된 7개의 경 로 중 3개의 경로가 지지되었으며 여대생의 건강위험행위는 건강관련 자기 효능, 내적 통제위 순 으로 직접적인 영향을 받으며 관련요인들의 설명력은 31% 이었다. 총 효과에서 건강관련 자기효 능, 내적 통제위, 생활 스트레스, 주관적 건강상태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된 바 이러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여대생의 건강위험행위를 감소할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해 볼 것을 제안한다. References [1] http://kostat.go.kr/portal/, June 20 (2015). [2] World Health Organization, The world health report 2002 reducing risks, promoting healthy life. Geneva:WHO (2002). [3] Y. T. Kim, H. J. Lee, Y. J. Kim, S. H. Jeong, J. H. Choi, H. M. Cho, 2007 The result of korea youth risk behaviors.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Seoul (2007) [4] N. S. Kim,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influencing factors if university students: Optimism and coping skill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07), Vol.19, No.5, pp.37-46. [5] Y. S. Byeon, J. W. Oak, The relation between perceived health status and health-promoting behaviors in femal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08), Vol.19, No.4, pp.715-723. [6] http://kosis.kr. 2012 National Health&Nutrition Survey, May 15 (2015) [7] S, H. Park, An association rule mining-based framework for understanding lifestyle risk behaviors. Doctoral dissertation, Seoul University. (2014) [8] D. Von Ah, S. Elbert, A. Ngamvitroj, N. Park, D. H. Kang, Predictors of health behaviors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4), Vol.48, No.5, pp.463-474. ISSN: 2383-5281 AJMAHS Copyright c 2015 HSST 341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n Health Risk Behavior in [9] Y. W. Lee, Relationship among daily life stress, self-efficacy, hardiness, and health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06), Vol.18, No.5, pp.699-708. [10] E. O. Park, A Comparative study of youth health risk behaviors by region: Focused on metropolitan areas, medium sized and small city areas, and rural areas.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2010), Vol.40, No.1, pp.14-23. [11] J. Choi, M. Y. Kim, Factors influencing health risk behavior in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Child Health Nursing. (2009), Vol.15, No.2, pp.182-189. [12] Y. J. Jee, Y. H. Kim, A structural model for health risk behavior of late adolescents: Based on 2010 Korea adolescent health survey.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2014), Vol.44, No.2, pp.179-188. [13] J. Y. Seo, Construction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on binge drinking among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4), Vol.26, No.1, pp.78-88. [14] J. S. Yoo, A diagnostic study on the variables related to smoking behavior among college students- Based the PRECEDE model-. Journal of Korean Nursing education. (2007), Vol.13, No.2, pp.266-276. [15] J. P. Yu, Concept and understanding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Seoul:Hannarae, (2012) [16] E. S, Son, The effects of high school student's health risk behaviors-focused on some high school students in Guri-si-. Master's thesis, Ewha Women University. (2004). [17] K. K. Chon, K. H. Kim, J. S. Yi, Development of the revised life stress scale for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00). Vol.5, No.2, pp.316-335. [18] K. A. Wallston, B. S. Wallston, R. Devellis, Development of the multidimensional health locus of control (MHLC) scales. Health education & Behavior. (1978), Vol.6, pp. 160-170. [19] S. E. Jeong, A predictive model for health risk behaviors of unmarried women in korea.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2000). 342 Copyright c 2015 HS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