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Similar documents
새천년복음화연구소 논문집 제 5 권 [특별 기고] 說 敎 의 危 機 와 展 望 조재형 신부 한국천주교회의 새로운 복음화에 대한 小 考 정치우 복음화학교 설립자, 교장 [심포지엄] 한국 초기 교회와 순교영성 한반도 평화통일과 한국 교회의 과제 교황 방한의 메시지와 복음의

하나님의 선한 손의 도우심 이세상에서 가장 큰 축복은 하나님이 나와 함께 하시는 것입니다. 그 이 유는 하나님이 모든 축복의 근원이시기 때문입니다. 에스라서에 보면 하나님의 선한 손의 도우심이 함께 했던 사람의 이야기 가 나와 있는데 에스라 7장은 거듭해서 그 비결을

Page 2 of 5 아니다 means to not be, and is therefore the opposite of 이다. While English simply turns words like to be or to exist negative by adding not,

134 25, 135 3, (Aloysius Pieris) ( r e a l i t y ) ( P o v e r t y ) ( r e l i g i o s i t y ) 1 ) 21, 21, 1) Aloysius Pieris, An Asian Theology of Li

본문01

Page 2 of 6 Here are the rules for conjugating Whether (or not) and If when using a Descriptive Verb. The only difference here from Action Verbs is wh

권두 칼럼 쁜 활동과 끊임없이 따라다니는 질투와 감시의 눈길을 피해 스도의 부활을 목격했기 때문이었다. 다시 사신 그리스도를 예수께서 이 집에 오시면 언제나 정성이 가득 담긴 음식을 그들이 눈으로 보고 손으로 만져 보았는데 도무지 아니라고 대접받고 휴식을 취했던 것으로

step 1-1


퇴좈저널36호-4차-T.ps, page Preflight (2)

Stage 2 First Phonics

泰 東 古 典 硏 究 第 24 輯 이상적인 정치 사회의 구현 이라는 의미를 가지므로, 따라서 천인 합일론은 가장 적극적인 경세의 이론이 된다고 할 수 있다. 권근은 경서의 내용 중에서 현실 정치의 귀감으로 삼을 만한 천인합일의 원칙과 사례들을 발견하고, 이를 연구하여

歯M PDF

- 2 -


I&IRC5 TG_08권

킹제임스 성경의 역사

Hi-MO 애프터케어 시스템 편 5. 오비맥주 카스 카스 후레쉬 테이블 맥주는 천연식품이다 편 처음 스타일 그대로, 부탁 케어~ Hi-MO 애프터케어 시스템 지속적인 모발 관리로 끝까지 스타일이 유지되도록 독보적이다! 근데 그거 아세요? 맥주도 인공첨가물이

성공회잡지 3호(3교).indd

Microsoft Word - WTBT_Korean.doc

가정법( 假 定 法 )이란, 실제로 일어나지 않았거나 앞으로도 일어나지 않을 것 같은 일에 대해 자신의 의견을 밝히거나 소망을 표현하는 어법이다. 가정법은 화자의 심적 태도나 확신의 정도를 나타내는 어법이기 때문 에 조동사가 아주 요긴하게 쓰인다. 조동사가 동사 앞에

<B3EDB9AEC1FD5F3235C1FD2E687770>

歯kjmh2004v13n1.PDF

장양수

ePapyrus PDF Document

<C7D1B9CEC1B7BEEEB9AEC7D C3D6C1BE295F31392EB9E8C8A3B3B22E687770>

<31342D3034C0E5C7FDBFB52E687770>

_KF_Bulletin webcopy

74 현대정치연구 2015년 봄호(제8권 제1호) Ⅰ. 서론 2015년 1월 7일, 프랑스 파리에서 총격 사건이 발생했다. 두 명의 남성이 풍자 잡지 주간 샤를리 의 본사에 침입하여 총기를 난사한 것이다. 이 사건으로 인해 열두 명의 사람이 목숨을 잃었다. 얼마 후에

<33C2F DC5D8BDBAC6AEBEF0BEEEC7D02D3339C1FD2E687770>

2 min 응용 말하기 01 I set my alarm for It goes off. 03 It doesn t go off. 04 I sleep in. 05 I make my bed. 06 I brush my teeth. 07 I take a shower.

철학탐구 1. 들어가는말,. (pathos),,..,.,.,,. (ethos), (logos) (enthymema). 1).... 1,,... (pistis). 2) 1) G. A. Kennedy, Aristotle on Rhetoric, 1356a(New York :

JSRT ( ) ( ) ( ) (K. Barth) (Christological). (Christomonism).. (Christological-centric theology).. 1. (Calvin).., (reality), (realities). cf.,, ( :,

바르게 읽는 성경

01김경회-1차수정.hwp

182 동북아역사논총 42호 금융정책이 조선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일제 대외금융 정책의 기본원칙은 각 식민지와 점령지마다 별도의 발권은행을 수립하여 일본 은행권이 아닌 각 지역 통화를 발행케 한 점에 있다. 이들 통화는 일본은행권 과 等 價 로 연


<C0DAB7E1C1FDBABBB9AE2E687770>

11¹Ú´ö±Ô

합격기원 2012년 12월 정기모의고사 해설.hwp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3, pp DOI: * The Grounds and Cons

<30322D28C6AF29C0CCB1E2B4EB35362D312E687770>

11.8.HUHkoreanrock.hwp

IKC43_06.hwp

중국 상장회사의 경영지배구조에 관한 연구

2 佛敎學報 第 48 輯 서도 이 목적을 준수하였다. 즉 석문의범 에는 승가의 일상의례 보다는 각종의 재 의식에 역점을 두었다. 재의식은 승가와 재가가 함께 호흡하는 공동의 場이므로 포 교와 대중화에 무엇보다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믿음을 지니고 있었다. 둘째

[ 영어영문학 ] 제 55 권 4 호 (2010) ( ) ( ) ( ) 1) Kyuchul Yoon, Ji-Yeon Oh & Sang-Cheol Ahn. Teaching English prosody through English poems with clon

6 영상기술연구 실감하지 못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 이외의 지역에서 3D 영화를 관람하기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영화 <아바타> 이후, 티켓 파워에 민감한 국내 대형 극장 체인들이 2D 상영관을 3D 상영관으로 점차적으로 교체하는 추세이긴 하지만, 아직까지는 관

,,,,,, ),,, (Euripides) 2),, (Seneca, LA) 3), 1) )

< FC3D6C1BEBCF6C1A45FB1E2B5B6B1B3B1B3C0B0B3EDC3D E687770>

4번.hwp

Output file

소식지도 나름대로 정체성을 가지게 되는 시점이 된 거 같네요. 마흔 여덟번이나 계속된 회사 소식지를 가까이 하면서 소통의 좋은 점을 배우기도 했고 해상직원들의 소탈하고 소박한 목소리에 세속에 찌든 내 몸과 마음을 씻기도 했습니다. 참 고마운 일이지요 사람과 마찬가지로

¹Ìµå¹Ì3Â÷Àμâ

1_2•• pdf(••••).pdf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A study on Characte

#중등독해1-1단원(8~35)학

2 소식나누기 대구시 경북도 영남대의료원 다문화가족 건강 위해 손 맞잡다 다문화가정 행복지킴이 치료비 지원 업무협약 개인당 200만원 한도 지원 대구서구센터-서부소방서 여성의용소방대, 업무협약 대구서구다문화가족지원센터는 지난 4월 2일 다문화가족의 지역사회 적응 지원을

2 KHU 글로벌 기업법무 리뷰 제2권 제1호 또 내용적으로 중대한 위기를 맞이하게 되었고, 개인은 흡사 어항 속의 금붕어 와 같은 신세로 전락할 운명에 처해있다. 현대정보화 사회에서 개인의 사적 영역이 얼마나 침해되고 있는지 는 양 비디오 사건 과 같은 연예인들의 사

歯kjmh2004v13n1.PDF

현대영화연구

DBPIA-NURIMEDIA

<C5D8BDBAC6AEBEF0BEEEC7D C1FD2E687770>

킹제임스 성경 답변서

May 2014 BROWN Education Webzine vol.3 감사합니다. 그리고 고맙습니다. 목차 From Editor 당신에게 소중한 사람은 누구인가요? Guidance 우리 아이 좋은 점 칭찬하기 고맙다고 말해주세요 Homeschool [TIP] Famil

최승락(강의안).hwp

<C3D6C1BE2034BFF C0CF2E696E6464>

íŁœêµŁêµ’íı„ 엤굒 íı„복욗 ìœ—íŁœ 복욄쀆 엤굒욟 íŁµì‰¬ì€† 3강징 ìıfl샄 슰구

2,5 부 1 부 입례송영 32장(만유의 주재) 예배에의 부름 시 68:19 사회자 송영 찬양대 기원 사회자 찬송 303장(날 위하여 십자가의) 다함께 기도 2부 : 윤영길 장로 /5부: 신동현 장로 신앙고백 사도신경 다같이 찬송 528장(예수가 우리를 부르는 소리)

?? 1990년대 중반부터 일부 지방에서 자체적인 정책 혁신 을 통해 시도된 대학생촌관 정책은 그 효과에 비자발적 확산 + 대한 긍정적 평가에 힘입어 조금씩 다른 지역으로 수평적 확산이 이루어졌다. 이? + 지방 A 지방 B 비자발적 확산 중앙 중앙정부 정부 비자발적

<C3D6C1BE2039BFF C0CF2E696E6464>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3, pp DOI: Awareness, Supports

7 1 ( 12 ) ( 1912 ) 4. 3) ( ) 1 3 1, ) ( ), ( ),. 5) ( ) ). ( ). 6). ( ). ( ).

<303038C0AFC8A3C1BE5B315D2DB1B3C1A42E687770>

02양은용

Until I Make Your Enemies(k)

300 구보학보 12집. 1),,.,,, TV,,.,,,,,,..,...,....,... (recall). 2) 1) 양웅, 김충현, 김태원, 광고표현 수사법에 따른 이해와 선호 효과: 브랜드 인지도와 의미고정의 영향을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18권 2호, 2007 여름

<313020C1A4BFECBAC034332E687770>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26권4호-교정본(1125).hwp

2 2010년 1월 15일 경상북도 직업 스쿨 운영 자격 취득 위한 맞춤형 교육 시 10곳 100명에 교육 기회 제공 본인에게 적합한 직종 스스로 선택 1인당 최고 100만원까지 교육비 지원 경상북도는 결혼이주여성 100명에게 맞춤형 취업교 육을 제공하는 결혼이민자 직

<B1E2C8B9BEC828BFCFBCBAC1F7C0FC29322E687770>

<C1A4BAB8B9FDC7D031362D335F E687770>

KD hwp

<5B335DC0B0BBF3C8BF2835B1B35FC0FAC0DAC3D6C1BEBCF6C1A4292E687770>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BCB1B9AEC8ADBFACB1B C1FD2D35B1B32E687770>

<C5F0B0E8C7D032352D3030B8F1C2F C1FD292E687770>

216 동북아역사논총 41호 인과 경계공간은 설 자리를 잃고 배제되고 말았다. 본고에서는 근세 대마도에 대한 한국과 일본의 인식을 주로 영토와 경계인 식을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이 시기 대마도에 대한 한일 양국의 인식을 살펴볼 때는 근대 국민국가적 관점에서 탈피할

?????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 A Analysis of

<B7CEC4C3B8AEC6BCC0CEB9AEC7D B3E23130BFF9292E687770>

야쿠르트2010 9월재출

2007 학년도 하반기 졸업작품 아무도 모른다 (Nobody Knows) 얄리, 보마빼 (AIi, Bomaye) 외계인간 ( 外 界 人 間 )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극작과 예술전문사 안 재 승

<30322D3031BCD5B5BFC8A32DC6EDC1FD2E687770>

<BFACBCBCC0C7BBE7C7D 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searc

íŁœêµŁìšŸ 목íı„ퟗ쉤욗 ê°’ìŁ‹íŁœ íŁŸë‡Ÿë‰Ÿ 욟 샓엱슒 촋쀒욗 ë‚fl 엤굒 ífl—뀋잗과 ê·¸ 쀆ìı©

328 退溪學과 韓國文化 第43號 다음과 같은 3가지 측면을 주목하여 서술하였다. 우선 정도전은 ꡔ주례ꡕ에서 정치의 공공성 측면을 주목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이는 국가, 정치, 권력과 같은 것이 사적인 소유물이 아니라 공적인 것임을 강조하는 것으로 조선에서 표방하는 유

<B1B9BEC7BFF8B3EDB9AEC1FD20C1A63331C1FD2DBABBB9AE E687770>

Transcription:

칼빈의 해석학 -<기독교 강요>가 제시한 성경해석 논리 - 제2부 칼빈의 해석학 1. 칼빈의<기독교 강요>가 제시한 성경해석 논리 2. 칼빈이 말하는 성경의 자연스러운 의미 3. 칼빈의 성경 해석 논리 4. 칼빈의 비유해석 논리 5. 칼빈의 십계명 해석 논리 ------------------------------ 1. 칼빈의 기독교 강요가 제시한 성경해석논리 칼빈이 저술한 기독교 강요 는 진실로 그의 저술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요 불후의 명작이다. 그 러나 역사적으로 볼 때 기독교 강요 를 조직신학으로 보는 경우가 지배적임을 부인할 수 없다. 칼 빈이 기독교 강요 에서 기독교 핵심교리를 체계적으로 서술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지만 기독교 강요 는 오늘날의 조직신학 책과는 거리가 있다. 오늘날의 조직신학 책은 기독교 강요 에서처럼 기도를 체계적으로 그렇게 많은 분량에 걸쳐서 다루지 않는다. 보수신학을 대표하는 한 사람인 루 이스 벌코프도 자신의 조직신학 책에서 기도에 관한 체계적인 서술을 하지 않고 있다. 이런 점에서 보더라도 칼빈의 기독교 강요 는 오늘날의 의미에서 조직신학 책이 아니다. 칼빈은 기독교 강 요 를 23년에 걸쳐서 수정하고 보완했지만 한번도 기독교 강요 를 가르친 적은 없다. Calvin did not offer lecture on doctrine in his academy, So his Institutes did not arise directly out of his classroom. In stead, the exegetical work was primary, while his Institutes subordinate to his biblical interpretation(david, E. Steinmetz, Calvin in Context(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95), 15. 칼빈 시대에 신학이란 성경 강해였다. 설교도 성경 강해였고, 주중에 가르쳤던 강의도 성경 강해였다. 진정 칼빈은 성경 신학자였으며 그의 신학의 중요한 목적은 성경을 하나님의 말씀 으로 가르치고 또한 말씀대로 살도록 가르치는 것이었다. 칼빈의 [기독교 강요]가 제시한 성경해석논리 칼빈은 위대한 신학자요 강해 설교자요 목회자이다. 그는 기독교 강요 라는 불후의 명작을 저술하였으며, 23년이라는 장구한 세월동안 기독교 강요 를 수정 보안했다. 그래서 그의 책에는 다른 저서에서 느낄 수 없는 영적인 무게, 도전, 기도, 열정, 경건이 짙게 배어 있다. 칼빈 자신도 기독교 강요 는 다른 어떤 저술보다 훌륭하며 뛰어나다고 고 백했다.("Amongst all my studies this book holds the highest and most outstanding position."), CO, 17, 578. 그렇다면, 무슨 목적으로 칼빈은 기독교 강요 에 그렇게 많은 열정과 기도와 마음을 쏟았을까? 과연 기독교 강요 는 어떤 책일까? 기독교 강요 가 어떠한 책인가에 대해서는 보는 사람의 관점에 따라서 다르게 평가하지만 대부분 의 신학자들은 기독교 강요 는 성경을 올바르게 읽기 위한 안내서로 본다. Randal C. Zachman은 기독교 강요 는 미래 목사와 신학교수를 위한 변증법적, 수사학적, 신학적으로 쓰여진 교리와 경 건을 위한 책(a work of dialectical, rhetorical, and comprehensive theology, written for the purpose of clarifying the doctrine and strengthening the piety of the future pastors and - 1 -

teachers of the Church)으로 봤다. 그러나 과연 이러한 평가가 옳은지는 의문시된다. Jacques Pannier는 기독교 강요 는 성경을 주석 한 책(L' Institution, en principe, ne veut etre qu' un commentaire de L' Ecriture Sanite)이라 했고, Edward A. Dowey는 신학생이 성경 공부를 잘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안내서(guides for theological students in the study of Scriptures)라 했으며, Francois Wendel은 성경을 읽기 위한 입문서(an introduction to the reading of the Bible)로, John Hesselink는 성경 공부를 위한 교리적인 서론(a dogmatic introduction to the reading of Holy Scripture)으로 봤다. Jacqes Pannier in his introduction to the 1541 Institution, Vol. 1(Paris, 1936), P.XXIV. Calvin and Hermeneutics edited by Richard C. Gamble, Vol. 6(New York & London: Garland Publishing, INC. 1992), 122. Edward A. Dowey, JR. The Knowledge of God in Calvin's Theology(Michigan: Grand Rapids,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94), W. Walker, Calvin's Institutes "Its essential aim was to unfold the teaching of Scripture" Jean Calvin, Trans. E. N. Weiss(Geneva, 1909), 138. and note Francois Wendel, Calvin, Origins and Development of His Religious Thought, 367). Calvin's Institutes is "a properly dogmatic introduction to the reading of Holy Scripture" "The Development and Purpose of Calvin's Institutes," The Reformed Theological Review, Vol. XXIV(October, 1965), 69 그렇다. 기독교 강 요 는 성경을 올바르게 읽고 가르치기 위한 신학적인 안내서(theological grammar for right and profitable reading of Scripture)이다. 칼빈 자신도 1539 라틴어 판 기독교 강요 서문에서 그렇게 말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독교 강요 가 제시한 성경해석 논리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 그렇 다면, 분명히 해야 할 중요한 질문은 다음과 같다. 칼빈은 기독교 강요 에서 성경을 올바르게 읽 고 가르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했는가? 제시했다면 그것은 무엇인가? 다시 말하면, 기독교 강요 가 제시한 성경해석 논리는 무엇인가? 따라서, 본 논문은 기독교 강요 가 제시한 성경해석 논리를 명료화하는데 중점을 두며 동시에 질적인 면에서 현대해석과의 차이점을 부각시킬 것이다. I. 기독교 강요 가 제시한 성경해석 논리 칼빈은 1536년 라틴어 판 기독교 강요 서문에서가 아니라 1539, 1541, 1550, 1559 라틴어 판 서 문에서 성경해석 논리를 제시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칼빈 신학 목적과 기독교 강요 발전과정을 살피기 위해 초판 기독교 강요 의 서문을 살펴보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 기독교 강요 초판을 칼빈은 1536년에 저술했다. 초판은 루터의 소요리문답(short catechism)의 구조를 따라서 기독교 강요 를 배열했다. 그는 초판을 책제목, 프랑스 왕에게 바치는 헌사, 율법, 믿음, 기도, 성례, 거짓 성례, 그리고 기독교인의 자유와 같은 순서로 배열했다. 책의 분량도 그렇게 많지 않다. 1. 초판 (1536) 제목 칼빈은 초판 제목을 이렇게 적고 있다. "기독교 강요, 구원론을 이해하는데 필수적인 제반 사항과 경건의 개요를 거의 망라하였다. 경건에 열심이 있는 사람들은 모두 일독할 가치가 충분한 저서이 다." 또한 프랑스 왕에게 보낸 헌사에서 믿음의 고백 이라고 적고 있다. Institution of the Christian Religion embracing almost the whole sum of piety, & whatever is necessary to know the doctrine of salvation: a work most worthy to be read by all persons zealous for piety, and recently published. Preface to the most Christian King of France, whereas this book is offered to him as a confession of faith. John Calvin of Noyon, author at Basel M.D. XXXVI. 존 칼빈, 기독교 강요 (1536 초판완역), 포드 배틀즈 서론/양낙홍옮김(서울:크리스챤 다이제스트, 1988), 34. 그렇다. 1536년 기독교 강요 는 믿음의 고백이다. 기독교 강요 초판 제목은 무엇을 시사하는가? 그것도 책의 목적을 제시한다. 제목이 제시하는 바 - 2 -

와 같이 첫째, 칼빈은 기독교 강요 초판은 구원론을 이해하는데 필수적인 제반 사항을 다룬다. 둘째, 경건의 개요를 다룬다. 2. 기독교 강요 (1536)의 내용 기독교 강요 초판은 첫째, 구원론을 이해하는데 필수적인 제반 사항과 둘째, 경건의 개요를 다룬 다. 여기서 필수적인 제반 사항이란 조직신학의 한 부분인 구원론을 다루는 것이라기보다는 성경의 핵심인 구원교리를 이해하는데 필수적인 사항을 의미한다. 말하자면, 율법, 믿음, 기도, 성례를 다룬 다. 그래서 칼빈은 기독교 강요 초판을 조직신학적인 체계를 가지고 다루는 것이 아니라 요리문 답식으로 배열하고 전개한다. 라틴어로 Institutio라는 말이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든지 간에 기독 교 강요 초판은 조직신학 책이 아니라 프랑스 왕에게 드리는 믿음의 고백(confession of faith)이 다. David Willis says that the Institutes is "a confession which identifies not just the beliefs but the societal and personal direction of living arising out of those beliefs--the pietas--of the reforming movement of the Catholic Church in France at the time"(in Honor of Calvin, 1509-64, papers from the 1986 International Calvin Symposium, McGill University, E. J. Furcha, ARC Supplement #3 Faculty of Religious Studies, 1987, 134). 둘째, 경건의 개요를 다룬다. 여기서 경건이라는 말은 단순히 개인적인 것이라기보다는 하나님께 신령과 진정으로 드리는 예배를 말한다. 왜냐하면 진정한 경건은 순수하고 참된 종교를 명료화하기 때문이다. 신앙이 하나님에 대한 진지한 두려움과 결합되어 이 두려움이 자발적인 경외를 일으키 고 율법에 명시된 대로의 합법적인 예배를 하게 한다. 기독교 강요 (1559), I.2.2. 진정 칼빈은 경 건을 매우 중요시한다. 그렇다고 해서 경건과 믿음이 분리된 것은 아니다. 경건은 독자적으로 이해 되는 것이 아니라 구원의 교리와 연관해서 이해되어야 한다. 하나님에 대한 경외심이 없는 경건은 참 경건이 아니며 경건이 없는 하나님에 대한 믿음은 진정한 믿음이 아니기 때문이다. 따라서, 칼 빈에게 있어서 믿음과 경건은 구별되지만 불가분의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칼빈은 1536년 초판 기독교 강요 를 믿음의 창시자요 완성자가 되시는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경 건한 믿음을 가르치기 위해서 저술했다. 오로지 본인의 목적은 종교적 열정을 지닌 사람들이 참된 경건에 이르도록 하기 위한 확실한 기본원리를 전달하는 것입니다.... 간단하고 초보적인 교리의 형 태로... (My purpose was solely to transmit certain rudiments by which those who are touched with any zeal for religion might be shaped to true godliness. And I undertook this labour especially for our French countrymen, very many of whom I saw to be hungering and thirsting for Christ: very few who had been imbued with even a slight knowledge of him. The book itself witnesses that this was my intention, adopted as it is a simple and, you may say, elementary form of teaching). 존 칼빈, 기독교 강요, (1536초판 완역), 양낙홍 옮김, 34. 요약하면, 칼빈은 기독교 강요 초판을 예수 그리스도를 목말라하고 갈망하는 프랑스에 있는 성도 들이 진정한 경건의 생활을 하도록 구원의 교리에 대한 필수적인 제반 사항을 조직신학 체계가 아 니라 요리문답 형태로 가르치기 위하여 저술했다. 3. 1539년 라틴어 판 기독교 강요 의 서문 (the epistle to the reader-epistola ad lectoremof the Institutes Latin edition) 1539년 라틴어 판 서문은 1536년 초판과 비교할 때 아주 다른 신학적인 목적을 가지고 있다. 칼빈 은 서문에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 나의 책의 목적은 신학도들이 성경을 공부하도록 준비시키고 훈 련시켜서 그들로 하여금 성경에 쉽게 어려움 없이 접근하도록 하며 계속해서 정진하도록 했다. 그 - 3 -

러기 위해서 종교의 모든 핵심을 부분에서 전체가 연결되도록 쉽게 요약했으며 순서에 따라서 배 열했다. 따라서 책의 목적을 올바로 이해한 사람은 성경에서 주로 찾아야할 주제가 무엇이며 또한 그 주제가 전체에 비춰 볼 때 어떤 목적을 가지고 있는지를 결정하는 데 어려움이 없을 것이 다. (my object in this work was to prepare and train students of theology for the study of the sacred volume, so that they might both have an easy introduction to it, and be able to proceed in it, with unfaltering step, seeing I have endeavored to give such a summary of religion in all its parts, and have digested it into such an order as may make it not difficult for any one, who is rightly acquainted with it, to ascertain both what he ought principally to look for in Scripture(quid potissimum quarere in Scriptura) and also to what end(quem in scopum) he ought to refer whatever contained in it.) 서문에서 제시하는 바와 같이 기독교 강요 제 2판 서문의 목적과 1536년 초판의 서문과는 아주 판이하게 다르다. 초판은 요리문답식인 반면에 제 2판은 요리문답에 나오는 주제가 없는 것은 아니 지만 성경을 올바로 읽고 가르치기 위한 초판과는 아주 다른 목적을 가지고 있다. 초판은 초신자를 위한 것인 반면에 제 2판은 신학도를 위한 것이다. 이런 점에서 제 2판은 기독교 강요 의 목적을 이해하는 중요한 전환점을 제시한다. 서문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2판 기독교 강요 는 우리에게 성경해석에 중요한 네 가지 논리를 제 공한다. 첫째, 1539년 제 2판 기독교 강요 는 신학생이 성경을 올바로 읽고 가르치도록 준비시키고 훈련 하는 안내서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이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가? 둘째,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칼빈은 기독교 핵심 주제를 부분에서 전체가 연결되도록 요약했다. 그러면 어떻게 핵심주제를 배열 했는가? 셋째, 핵심주제를 올바르게 가르치는 방법(ordo recte docendi)에 의해서 배열했다. 올바르 게 가르치는 배열구조는 로마서 구조를 따랐다. Richard Muller argues that the loci of the Institutes of 1539 are from the Romans' loci and Mellanchton's loci. The shift of the intention of 1536 Institutes in the 1539 Institutes is caused by right order of teaching, ordo recte docendi. He also states that Calvin asks his reader to use his Institutes as a background to the study of the Bible and to the study of commentaries, and the commentaries and sermon should be read in order to gain a full understanding of Calvin's thought, specially in relation to the biblical fontes of his topical argumentation(unaccommodated Calvin, 139, 158). 성경을 올 바로 가르치지 못하면 올바른 신앙생활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올바르게 가르치는 방법을 아는 것 은 대단히 중요하다. 그렇다면, 최종목표는 무엇인가? 넷째, 신학생으로 하여금 성경에서 중요한 주 제가 무엇이며 그 주제가 전체 성경 메시지의 목적과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가를 쉽게 찾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칼빈은 이 신학적 목적을 1541, 1550, 1559 라틴어 판 서문에 동일하게 기록하고 있 다. 이것은 무엇을 말하는가? 비록 각 기독교 강요 의 분량이나 배열의 순서가 다소 다른 점이 있 지만 같은 목적을 가지고 쓰여 졌음을 암시하고 있다. 가령 1536년 판은 6장으로 되어있지만 1539 년 판은 17장으로 늘어났고 1541년 판은 21장(1/4 수정)이며 1550년 판은 21장이지만 대폭적인 수 정을 했다. 1559년 최종판은 80장으로 거의 새로운 책이 되었다. 칼빈이 독자들에게 쓴 편지를 통해서 우리는 기독교 강요 의 신학 목적을 분명히 알 수 있다. 신 학도들이 성경을 올바로 읽고 가르치도록 하기 위해서 기독교 강요 을 저술했다. 다른 말로 말하 면 성경을 올바로 해석해서 가르치도록 하기 위한 성경해석 논리를 제시했다. 성경을 올바로 읽고 가르치기 위해서는 성경에서 중요한 주제가 무엇인가를 찾고 그것이 성경 전체 목적과 어떻게 연 관되었는가를 아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와 같은 신학적인 의도는 칼빈 자신이 프랑스어로 번역하려 고 계획한 크리소스톰의 강해설교(homiles)의 서문에서도 분명하게 보인다. 칼빈은 서문에서 성경 을 읽을 때 성경에서 무엇이 중요하고 그것이 우리를 어떤 목적으로 인도하는가를 아는 것이 필수 - 4 -

적이다 라고 말했다. The translation of the Latin text by John H. McIndoe into English is from Corpus Reformatorum, Vol.36, Brunsvigae, apud Schwetschke, 1879, The Hartford Quarterly, Winter, 1965, Vol.5, No.2. The translation is from John Robert Walchenbach, John Calvin as Biblical Commentator: An Investigation into Calvin's Use of John Chrysostom as an Biblical Tutor, University of Pittsburg, 1974 Diss., 25. Calvin puts the primary stress upon the illumination of Holy Spirit as the only guide which enables us to grasp the meaning of Scripture: "To be sure, it is my conviction that the Spirit of God is not only the best, but even the only guide, since apart from Him there is not even spark of light in our minds to enable us to grasp heavenly wisdom, while the moment he has shone forth His beams into our minds they are adequately, may amply, furnished and prepared to attain wisdom itself"(the Hartford Quarterly, Vol.5, No.2, Winter, 1965, 20). W. Ian. O. Hazlett은 프랑스판으로 계획된 크리소스톰의 강해설교에 대한 칼빈 자신의 라틴어 서문은 칼빈의 성경해석학과 주석의 원리를 특성 지우는 것 으로 이해했다. 다시 말하면 성경에서 중요한 주제가 무엇이며 그 주제는 성경의 최종목표(final goal) 예수 그리스도와 어떤 관계에 있는가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는 말이다. W. Ian O. Hazlett, "Calvin's Latin Preface to His Proposed French Edition of Chrysostom's Homiles: Translation and Commentary"(Humanism and Reform: The Church in Europe, England, and Scotland, 1400-1463. Essays in honor of James K. Cameron, ed. by James Kirk, Cambridge: Blackwell Publishers, 1991, 129-150.) 따라서, 기독교 강요 가 제시하는 성경해 석 논리는 성경에서 찾아야하는 주제(loci)와 목적(scopus)의 관계를 살핌으로 이해될 수 있다. II. 기독교 강요 에서 주제(Loci)의 개념 1. 주제 (Loci)의 개념 주제라는 개념을 수사학적인 관점에서 쓴 사람은 아리스토텔레스로서 희랍어 topoi(τοποι)의 개념 은 논의를 위한 장소(seat of an argument)를 의미한다. George A. Kennedy, Classical Rhetoric and its Christian and Secular Tradition from Ancient to Modern Times,(Chapel Hill: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1980), 82. Robert John Brake, Classical Conceptions of "Place": A Study in Invention, Diss. of Michigan State University, 1964, 19. 그래서 topoi(τοποι)라 는 개념은 논의나 설득을 위한 주제를 이끌어오는 장소(a place where arguments are found)라고 할 수 있다. 희랍의 topoi(τοποι)라는 말을 라틴어로 Loci라는 말로서 번역했으며 이 말의 의미는 논의를 위한 좌소(the seat of argument) 혹은 사람들이 믿도록 유인하는 이성적인 논의(an argument being reason which causes men to believe a thing otherwise be doubtable)라고 정의 할 수 있다. Robert John Brake, Classical Conceptions of "Place," 69, 74. Loci라는 언어는 수사학적으로 키케로에 의해서 처음 쓰여 졌으며 그가 아리스토텔레스의 희랍어 topoi를 라틴어 loci로 번역하는데서 기인된다. Loci 개념은 논리적인 분석에 기인(derived by logical process)하거나 다른 개념에서 추론된(inference) 개념이 아니라 그 개념 자체가 진리 (irreducibly underived truth)이며 근원적인 진리(foundational truth)이다. 키케로에 의하면 loci 개념 은 논의를 위한 좌소(sedes argumentorum) 혹은 주제의 요지이다. John R. Schneider, Philip Melanchthon's Rhetorical Construal of Biblical Authority, Oratio Sacra(Lewiston:The Edwin Mellen Press, 1990), 74. Muller defines loci as sources of argument(fontes argumentorum), Unaccommodated Calvin, 109. 신학자들이 청중을 감동시키기 위한 수사학적 방법인 loci 개념을 신학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신학적 인 용어로 자리매김을 하게 되었으며 논의를 위한 장소 혹은 좌소가 되었다. Boyle, Ratio, 91. 칼빈 이전에 loci 개념을 신학적인 입장에서 사용한 사람은 멜랑톤이다. 그는 그의 유명한 저서인 - 5 -

Loci Communes Theologici(신학통론)에서 loci 개념을 신학적인 방법으로 사용했다. 그는 자신의 저서의 목적을 이렇게 말하고 있다. the principal topics of Christian teaching pointed out so that youth may arrive at a twofold understanding: 1. What one must chiefly look for in Scripture. 2. How corrupt are all the theological hallucination of those who have offered us the subtleties of Aristotle instead of the teaching of Christ." Mellanchthon and Bucer, Ed. Wihelm Pauck, Libray of Christian Classics, Vol. XIX(Philadelphia: The Westminster Press, 1521), 18-19. 멜랑톤 자신이 말한 것처럼 Loci Communes Theologici는 로마서 주석이 아니라 첫째, 성경의 중요한 주제를 제시하며, 둘째, 스콜 라신학과 성경의 가르침은 서로 질이 다르다는 것을 명시했다. 멜랑톤에 의하면 성경의 중요한 주 제는 죄, 율법, 은혜이다. 이 주제를 이해하는 사람을 신자라고 부를 수 있다. 왜냐하면 예수 그리스 도는 위에서 명시한 개념에 의해서 드러나기 때문이다. 그에 의하면 성경은 율법과 복음의 두 부분 으로 되어있다. 율법은 죄를 드러내고 복음은 은혜를 보여준다. 죄는 병을 가져오고 은혜는 치유한 다. 성경이 두 부분으로 나눠져 있다고 해서 구약을 율법 신약을 복음으로 축소시키는 것은 바람직 하지 않다고 했다. 죄, 율법, 은혜는 로마서의 중요한 주제이며 로마서는 모든 성경을 재는 자이며 시금석(a touchstone and a measuring stick of all Scripture)이라고 했다. Mellanchthon and Bucer, LCC, 74., 이런 점에서 칼빈의 기독교 강요 서문에서 제시한 성경해석 논리와 유사한 점을 가지고 있으며 칼빈 자신이 멜랑톤의 Loci Communes의 불어 판 서문에서 말한 대로 멜랑톤의 저 서에서 영향을 받았다. Calvin himself acknowledged that his 1539 Latin edition is influenced by Melanchthon's Loci Comummes in his preface of Melanchthon's Loci Communes in French edition. Co. 9, cols. 847-50. Unaccommodated Calvin. Quirinus Breen에 의하면 멜랑톤의 loci는 그 자제로서는 성경의 전체 핵심 메시지도 아니며 그렇다고 해서 성경해석방법도 아니며, 다만 성 경을 연구하는 하나의 방법(a research method)이다. 희랍어 topoi는 수사학적인 주제 혹은 장소로 서, 라틴어 복수 loci는 논의를 위한 장소를 의미한다( Quirinus Breen, Christianity and Humanism: Studies on the History of Ideas(Michigan:Grand Rapids,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68), 각주 35, 105. George A. Kennedy, Classical Rhethoric and Its Christian and Secular Tradition From Ancient to Modern Times, 82). Dowey도 칼빈의 기독교 강요 는 성경으 로부터 주제를 가져와서 배열했으며 신학생들로 하여금 성경연구의 안내서로서의 역할을 한다고 말했다. Calvin's Institutes is "the collection and ordering of loci communes drawn from the Scripture, separated from the actual commentaries to make them manageable for readers(perspicuva brevitas), and to be used as guides for theological students in the study of Scripture"(The Knowledge of God in Calvin's Theology). Albert Clarke Dean argues that the topics of 1539 Latin edition comes from the letter of Romans and the same time, influenced by loci of Melanchthon, Augustine(The Institutes of 1539 and the letter to the Romans, Diss. of Union Theological Seminary, Richmond, Virginia, 1963, 95). Parker도 말하기를 기독교 강요 는 loci communes이라고 말했다. Ioannis Calvini Opera Exegetica Volumen XIII, Commentarius In Epistolam Pauli Ad Romanos, Ediderunt T.H.L. Parker, D.D. D.C. Parker, D. Theol., (Libraie Droz, Geneva, 1999). LIV. Quirinus Breen, Christianity and Humanism Studies on the History of Ideas(Michigan: Grand Rapids,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68). footnote 35, 105. 그러나 loci의 개념은 성경연구의 한 방법이라기보다는 논의를 위한 장소로 이해하는 것이 바 람직하다. Loci 자체는 성경해석 방법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리고 칼빈이 기독교 강요 서문에서 말한 것처럼 로마서 주석은 앞으로 쓰려는 주석의 모델이 되었다. 요약하면, 신학자들의 대부분의 학자들은 기독교 강요 의 loci의 개념은 칼빈 이전의 학자들에 의 하여 영향 받았으며 로마서의 loci를 올바르게 가르치는 순서(ordo recte docendi)에 의해서 배열되 - 6 -

었다는 것을 인정한다. 그렇다고 해서 단순히 칼빈이 에라스무스나, 멜랑톤, 불링거, 부커를 그대로 여과 없이 모방한 것은 아니다. 칼빈은 기독교 강요 의 loci를 논리적인 추론의 결과가 아니라 로 마서의 loci에서 온 것이다. 그렇다면, 왜 칼빈은 기독교 강요 의 loci를 로마서에서 가져 왔는가? 칼빈에 의하면 로마서를 성경의 66권 중의 하나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성경 내용의 중요성에 있어 서 모든 성경과 동일시하는 것은 아니다. 칼빈은 로마서를 성경 중의 성경으로 봤다. 이 말은 로마 서만이 하나님의 말씀으로 본다는 말이 아니라 로마서는 성경전체를 여는 열쇠를 제공한다는 점에 서 성경 중의 성경이다. 로마서 주석 논의(argument)에서 칼빈은 로마서의 중요성을 이렇게 말했 다. 만일 우리가 이 서신을 이해하게 되면, 성경 전체를 이해하게 되는 까닭입니다. 존 칼빈 원저/ 신약성경주해, Vol.7, 로마서, 빌립보서(서울:성서원, 1999), 22. When any one gains a knowledge of this epistle, he has an entrance opened to him to all the most hidden treasures of Scripture"(Epistle to the Romans, the argument(quod siquis veram eius intelligentiam sit assequutus, ad reconditissimos quosque Scripturae thesauros adeundos habeat opertaus fores). 로마서에서 가져온 loci는 우리로 하여금 성경 전체를 쉽게 이해할 수 있는 키를 제공한다. 따라서, 칼빈은 기독교 강요 의 loci를 로마서의 loci로부터 따오게 된 것이다. 2. 기독교 강요 에서 loci의 사용 컴퓨터 조사에 의하면 칼빈은 loci와 그와 관계된 단어(locus, locos, locum, locis)를 기독교 강요 의 여러 콘텍스트에서 약 460회 사용했다. 칼빈의 loci 개념은 논리적 추론의 결과가 아니라 로마 서에서 가져왔다면, loci 개념은 철학적인 loci 개념이 아니라 신학적인 loci이다. 비록 loci가 수사학 적이고 변증법적인 개념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칼빈이 loci 개념을 여과 없이 사용한 것은 아니다. 칼빈은 loci 개념을 기독교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래서 그의 저서 이름이 loci communes이 아니 라 기독교 강요 이다. 기독교 강요 에는 여러 가지 loci가 있다. 예를 들면, sacris locis(1.2.7-8), Scripturae locis(2.17.1), Petri locus(2.16.9.9.), Pauli locum(3.5.4.1.), Psalmorum locis(3.20.9.3), sola fides locum(3.13.4.22), misericordiae locum(3.12.6.1), Dei locum(3.22.4.2). 그렇다고 해서, 칼빈은 loci를 여과 없이 아무렇 게나 사용한 것은 아니다. At out set, I declared that I had no wish to engage in a diffuse discussion of common places(locorum communium)." 기독교 강요, 3.9.5.12. 그렇다. loci는 콘텍 스트에 따라서 다르게 사용했다. But these and other topics will be considered in their own places(alia suis locis); let it suffice at present to understand what faith is." 기독교 강요, 3.2.41.17. 칼빈은 기독교 강요 에서 loci를 올바르게 가르치는 순서(right order of teaching/ordo recte docendi)에 의해서 배열했다. Richard A. Muller, The unaccommodated Calvin, 118-139, 158. 비록 loci 개념이 콘텍스트에 따라서 다르지만 기독교 강요 에서 사용한 loci 개념을 네 가지로 요 약할 수 있다. 첫째, 성경구절 자체가 논의를 위한 장소(seat of argument and disputing)이다. "Now, many passages of Scripture(Scriptura multis locis) show that he is author of future immorality"(1.13.14.7). 둘째, 기독교 강요 에 있는 주제가 loci이다. For if we obtain justification by faith which leans on him, the groundwork of our salvation must be sought in him. This is clearly proved by several passages(pluribus locis)"(2.17.2.5). "We come to the third division(tertius locus), viz., the power of the Church, existing either in individual bishops, or in councils, whether provincial or general"(4.8.1.1.). 셋째, 기독교 강요 에 있는 주제(topics)는 자신의 loci를 가지고 있다. But these and other topics will be considered in their own place(alia suis locis); let it be suffice at present to - 7 -

understand what faith is(3.2.41.7)." 넷째, 로마서에는 아주 중요한 loci(롬 3:24)가 있다. There is, perhaps, no passage(insignior locus) in the whole of Scripture which more strikingly illustrates the efficacy of this righteousness, for it shows that mercy of God is the efficient cause, Christ with his blood the material cause, faith conceived by the word the formal cause or instrumental cause." 로마서 3:24 주석. 로마서 3:24 말씀은 하나님께서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보혈을 통해서 보여준 그리스도의 의의 효력을 보여주는 아주 중요한 loci이다. 이와 같이 칼빈에 있어서 loci의 개념은 이론적인 개념이 아니라 로 마서로부터 기인된 성경적인 loci이다. 요약하면, 기독교 강요 에는 논의를 위한 여러 가지 주제(loci)가 있다. 그러나 칼빈이 loci를 기독 교 강요 에서 사용한 주된 목적은 신학도로 하여금 성경에서 중요한 주제가 무엇인가를 찾도록 돕 기 위해서이다. 만약에 성경에서 주된 주제(loci)를 찾지 못한다면 어떻게 신학을 하는 초보자가 성 경을 올바로 읽을 수 있으며 가르칠 수 있겠는가? 그러나 성경의 loci의 의미는 그 자체로서는 이 해할 수 없고 성경 전체의 목적(scopus)에 비추어봐야 이해할 수 있다. 그래서 칼빈은 이렇게 말했 다. 더 나아가 나의 의도는 신학을 공부하는 사람들로 하여금 하나님의 말씀을 읽을 수 있도록 준 비시키고 가르쳐서 그들이 하나님의 말씀에 쉽게 접근하여 아무런 장애 없이 그 말씀대로 삶의 걸 음을 걸어 나갈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나는 이 책을 그러한 순서대로 배열하였음으로 누구든지 그것을 바르게 파악하기만 하면 성경연구의 기본적인 목적(quid potissimum quarere in Scriptura) 이 무엇이며, 성경 내용에 포함된 내용을 어떤 목표(quem in scopum)에 귀착시켜야 하는가를 결정 짓는 데 아무런 곤란도 당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존 칼빈, 영한합본 기독교 강요 김충호 옮김 (한국출판사, 2000), 62. III. 기독교 강요 에서 scopus 개념 Scopus라는 말은 희랍어 명사 skope(σκοπη), 동사 skopeo(σκοπεω)는 보다(to have in view)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명사 skope는 조망대(a looking out or watch tower on a hilltop)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은유적으로는 목적(aim), 끝(end), 타겟(target), 목표(goal)라는 의미로 쓰인다. Boyale 에 의하면 skope의 라틴어 사용은 터툴리안(Tertullian)의 빌립보서 3:14 주석에서 기인되며 에라스 무스(Erasmus)가 이 사실을 명시했다. Marjorie O' Rourke Boyle, Erasmus on Language and Method in Theology(Toronto and Buffalao:University of Toronto Press, 1977), 74-75. 신학적으로 마틴 루터도 scopus라는 말을 사용했다. Therefore our first task will be to hold to the certain scopus of the book, what it seeks and by what it seeks and by what it means it looks." 그러나 루터는 에라스무스가 자신의 저서에서 scopus의 용어가 자리매김을 한 후에 사용했 다. Quare primus nobis lobor erit, ut teneamus ertum libri scopum, quid quaerat et quo spectet"(martin Luther, Ecclesiastes Salmonis cum annotationibus, praef., in Werke(Weimar: Hermann bohlaus, 1931), XX, 9. 28-29. In English translation of Luther's Works, ed. Jarslov Pelikan and Hilton C. Oswald(St. Louis: Concordia, 1972), XV, 7, Scopus is translated as "aim." 에라스무스는 말하기를 모든 학문이 출발점(point of view)을 가지고 있는 것처럼 신학의 출발점은 예수 그리스도이며, 신학의 모든 것은 그리스도 예수를 명시한다고 말했다. ad unius Christi gloriam referret omina, Ratio 91(Boyle, Erasmus on Language and Method in Theology) 그렇다 고 해서 예수 그리스도가 단순히 신학이 아니며 모든 학문과 수사학의 목표도 아니다. 예수 그리스 도는 우리 삶의 목표이며 우리 인생을 인도하시는 유일한 목표라고 에라스무스는 말했다. Boyle, Erasmus on Language and Method, chapter three, ratio, 각주 102. 예수 그리스도는 이성이요, 신 학의 목표이며, 신학의 원리이다. 진정 예수 그리스도는 진정한 신학의 안내자 (a guide to true theology/ratio verae theologiae)요 진정한 신학의 목표(scopus)는 예수 그리스도이다. Boyle, Ratio - 8 -

93. Donald Morrison Conroy, The Ecumenical Theology of Erasmus of Rotterdam: A Study of the Ratio Verae Theologiae: translated into English and Annotated, with a brief Account of His Ecumenical Writings and Activities within His Lifetime." Diss. of University of Pittsburgh, 1974.Boyle, Ratio 93. The translation of the Latin into English comes from Donald Morrison Conroy who has dissertation on "the Ecumenical theology of Erasmus of Rotterdam: A Study of the Ratio Verae Theologiae. translated into English and Annotated, with A brief Account of His Ecumenical Writings and Activities Within His Lifetime", University of Pittsburgh, 1974. According to Conroy, Erasmus wanted "renewal(restauratio) of the Church and society by going to the sources of the vetus theologia and setting forth the philosophia Christi for his own time appeared to be just on the brink of suceess."( 424 ). Here Philosophia Christi means "the wisdom of the Gospel and the true theology based upon it."(66) John Paul Newport, "An Investigation of Factors Influencing John Calvin's Use of the Linguistic And Historical Principles of Biblical Exegesis", The University of Edinburgh, 1953 Diss. According to him there four basic principles of Biblical Exegesis: 1) the linguistic principle, theological principle 2) historical principle 3) theological principle, and 4) the homiletical principle. He also mentions that the Institutes came to be considered as "theological exposition of Protestantism."(13) The linguistic or grammatical principle is established as the first of the basic principles of exegesis.(24) The historical principle is understood as the unity of the Old Testament and the New Testament. In other words, the Old Testament is interpreted in the light of the total revelation of God in Jesus Christ. The New Testament should be examined in the light of the its setting and context, then examined in the light of the Old Testament to discover its background in God's revelation(26). In other words, the New Testament passage should be considered in the light of the whole scope of Heilgeschicte (Richardson and Schwietzer, editors. Biblical Authority for Today(London: S.C.M. Press, LTD, 1951) 241. Newport, 27. The theological principle is based on the fact that the primary message of the Bible deals with God's grecious and redemptive activity for saving of sinful human being who saved them, that is, Jesus Christ.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he interpretor to know God and Jesus Christ in order correctly to interpret Scripture(27). The homiletical principle is practical principle. Its interpretation is application of the biblical message to the modern world.(31) Boyle, Ratio, 78. "Whatever he does with glory, he ascribes to Christ and to God"(ratio verae theologiae), 181. 따라서, 예수 그리스도는 성경의 scopus이기 때문에 성경의 loci는 예수 그리스도에 의해서 이해되어야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에라 스무스에게 있어서 scopus의 주된 목적은 성경해석의 원리를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삶의 질을 향 상키는 데 있다. However, inasmuch as the total doctrine of Christ tends to this, namely, that we ourselves might lead a devout and holy life, it will be appropriate in all the activity of life to hunt for examples and models from Sacred Scripture, especially from the Gospel, from which our obligations can in a specially way be deduced." Ration Verae Theologiae, 210. 그러나 기독교 강요 에서 칼빈의 주된 관심사는 성경을 올바로 읽고 가르치기 위한 신학적인 지도 (theological road map) 혹은 논리(theological grammar)를 제시하는 것이다. Michael Cart Armour에 의하면 scopus는 콘텍스트의 원리(the principle of context)라고 했다. 그러 면서 칼빈의 해석학에 있어서 context는 성경해석의 중요한 요소라고 했다. 성경의 의미는 context 에 의해서 결정되기 때문이라고 했다. 칼빈이 성경해석에 있어서 콘텍스트를 중요시 여긴 것은 사 실이나 그렇다고 해서 칼빈이 성경해석에 있어서 scopus가 단순히 context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 다. 칼빈에 있어서 scopus는 성경 전체 목표와 연결된다. Calvin's Hermeneutics and the History - 9 -

of Christian Exegesis (University of California 1992, Diss., 95). 에라스무스와는 다르게 멜랑톤은 scopus라는 개념을 loci를 조명하는 해석학적인 원리 (hermeneutical principle)로 사용한다. "Christ has been proposed to us as a scopus upon whom the human mind could successfully fix his eyes. When we despise this scopus about to fly upwards to heaven, it is inevitable that reason be imperiled, that it wander like a vagabond. That is what we see to have happened to that race of theologians when each imagines for God a new form, who, though he is the simplest of beings, has been so dissected by opinions that Proteus among the poets is not more variously put forward." MW I, 76. 이와 같이, 멜랑톤 에 의하면 하나님이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에게 scopus을 제시하였기 때문에 해석자로서 필수 요건은 해석학적으로 아주 중요한 성경의 scopus와 loci의 관계를 콘텍스트에서 보는 것이다. Schneider, 196.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학자들은 신학적인 주제(loci)를 올바르게 성경을 가르치는 순 서로 적절하게 배열할 뿐만 아니라 성경의 scopus와 연결시키는 데 실패했다. 이것은 성경해석의 원리를 잘 모르는 처사이기 때문이다. 성경의 loci는 성경의 scopus와의 관계성 속에서 진정한 의미 를 가지기 때문이다. Schneider, 193-97. 1. 기독교 강요 에서 scopus의 개념 칼빈은 scopus라는 개념을 여러 신학자들로부터 배웠다. 그렇다고 해서 여과 없이 그냥 분별없이 사용한 것이 아니다. Don H. Compler에 의하면 칼빈은 에라스무스의 신학적인 해석학을 배웠지만 그것을 자기 것으로 소화해서 사용했다고 말했다. 뿐만 아니라 루터, 멜랑톤, 불링거, 부커의 신학을 그대로 답습한 것이 아니라 새롭게 재창조했다고 말했다. The Independent Pupil:Calvin's Transformation of Erasmus' Theological Hermeneutics, Westminster Theological Journal, Vol.54(Fall, 1992), 217-33. 진정 칼빈은 scopus 개념을 적절한 context와 연관시켜 사용했다. Romans(3:24) is "Perhaps the most remarkable place in the whole of Scripture for explaining and magnifying the force of this righteousness"( Nullus est forte in tota Scriptura insignior locus as vim istius iustitiae illustrandam." but 3:28 is finished like this fuller explanation he says will be found in my Institutio Cap. Vi, 1539 X, &71-73(CO, 1,787-789); Inst.(1559) 0S 4.264-26 6.The Institutes of 1539 and the Letter to the Romans, diss. Albert Clarke Dean, 1953, Union Theological Seminary, Richmond, Virginia. Dean argues that the topics of 1539 Latin edition comes from the Letter of Romans and the same time, influenced by Loci of Melanchthon, Augustine and Romans. 2 Cor. 3:16 commentary For as Christ is in the end of it (euis finis sit Christus, Rom.10:4) to which it ought to be referred, it was turned away in another direction, when the Jews shut out christ from it. Hence, as in the law they wander into by-pass, so the law, too, becomes to them involved like a labyrinth, until it is brought to refer to its in the law, the truth of God will be distinctly seen by them, but so long as they think to be wise without Christ, they will wander in darkness, and will never arrive at a right understanding of the law. Now what is said of the law applies to all Scripture--that where it is not taken as referring to Christ as its one aim(as unium scopum), it is mistakenly twisted and perverted. Romans: John Calvin to simon Grynaeus, a man worthy of all honour, Greetings: "Since it is almost his only task to unfold the mind of writer(mentem scriptoris) whom he has undertaken to expound, he misses his mark(tantundem a scopo suo aberat), or at least strays outside his limits, by the extent to which he leads his readers away from the meaning of his author. Our desire, therefore, was that someone might be found, out of the number of those who have at the present day proposed to further the cause of theology in this kind of task, who would not - 10 -

only study to be comprehensible, but also try not to detain his readers too much with long and wordy commentaries." According to Calvin to expose the Scripture means to unfold the mind of author. How? Is it to find the scopos of author? Paul suggests his loci in the Epistle to the Romans, explaining the themes of chapters. For Example, "By making a contrast between opposites Paul adds here that it follows that righteousness of works disappears where we give place to the justification of faith(operum iustitiam evanescere, ubi fidei iustificationi locus datur). Here "locus" refers to the topic justification by faith. Romans(3:25) is interpreted as follows "having just stated that God has been reconciled in Christ, he now adds that this reconciliation is brought to pass faith, at the same time stating what should be the chief object of our faith in looking to Christ(Nam quum nuper dixsset pacificatum esse Deum in Christo, nunc addit fide hunc effectum constare, et simul quid fides nostra precipue in Christo respicere debeat.). " Here looking to Christ means Jesus as scopus, the object of our faith. Acts 9:20 "Certain it is that Paul declared how Christ was promised in the law, and to what end(in quem finem); but because all tended to this end(in hunc scopum), that he might prove that the son of Mary was he of whom the law and the prophets bare witness, therefore Luke is content with this one word only." Jesus Christ is the scopus of the law and prophets. This is scopus doctrinae Pauli. Acts 11:16 scopus fedei: "They must learn to seek for salvation at Christ's hand, and to look unto the power of his Spirit alone; because he misses the mark of faith(a fidei scopo) whosoever turns aside even but a little from the Spirit unto the signs; and he is a sacrilegious person who taketh even but an inch of Christ's praise, that be may deck man therewith." The salvation by faith through Jesus Christ and the power of Holy Spirit is the scopos of faith. Acts 13:16: "This did depend upon the promise of the Messiah, and did tend to that end(ad eum scopum), that God might govern them by the hand of Messiah." scopus promissionis Messaie: Acts 2:30 "No man,therefore, did doubt of this, but that this was the mark(his fuisset scopus) whereat all the prophets did aim, to lead the godly unto Christ as it were by the hand." scopus prophetarum: Christ as the scopus of the all prophets. See Rom.10:4. Acts 10:12 "But before we go any farther we must know the end of the vision(visionis scopus). Acts 10:28 "He maketh the sum and end of the vision(visionis et scopum) more plain, when he referreth that unto men which was spoken of meats. here scopus of Peter does not mean his own vision or scopus, but God gives scopus that is able to see and to understand God's aim toward gentiles. Acts 2:38: "That Christ is the mark and end(christum esse scopum) whereunto baptism directs us." Christ as scopus of baptism. Christ give a true meaning to the baptism. Acts 10:48 "but because Christ is the proper scope of baptism(baptismi scopus est Christus), therefore are we said to be baptized in his name. Acts 3:9: We are misled without scopus(si volmus ad scopum pervenire) if we would attain the mark. Scopus referred to the overarching purpose which the Holy Spirit had before Him as he guided the writings of Scripture. cite. Genesis 49:10: "In the first place, we must keep in mind the true design of the Holy Spirit(spiritus sancti consilium), which, hitherto, has not been sufficiently considered or expounded with sufficient distinctness." "For the dignity of Juda is so maintained as to show that its (tamen scopos)proposed end was common salvation of the whole peopl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 Institutes. "This is not the place to treat these points." see my Institutes(2 Cor, 9:5), "On this point I have expressed myself more fully in the preceding Epistle, and my Institutes will furnish a full discussion of it."(comm. 2 Cor. 5:10) Psalm 10:4: "design of prophets"(prophetae consilium) Psalm 10:4: "To - 11 -

translate the verb, to blaspheme, as has been done by others, is too remote from the scope of the passage(a context). Scopus와 같은 어원을 가진 명사가 기독교 강요 에서 63번 쓰였다. Context에 따라서 여러 가지 로 사용된다. 첫째, 성례의 scopus이다. Here again, we see what the aim of the sacrament(sacramenti scopus) is, namely, to keep us in remembrance of Christ's death"(4.17.37.17). 성례의 목적은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을 기억하는 것이다. 둘째, 선택의 scopus이 다. If the end of election(electionis scopus) is holiness of life, it ought to arouse and stimulate us strenuously to aspire to it, instead of serving as a pretext for sloth"(2.23.12.12). 셋째, 사도들 의 scopus이다. To make this plain, let us first attend to the scope of the Apostle(Apostoli scopus), and then show wherein their hallucination consists"(2.23.12.12). 넷째, 성경의 진정한 의 미를 가르쳐주는 성령의 scopus이다. I answer, that we shall never attain to the true knowledge of these passages unless we attend to the scope of the spirit in uttering them(in scopum convertamus quo sua verba Spiritu dirigit)." Exegesis of Luke 24:45. Calvin says that "For what we now read in reference to the apostles is daily accomplished he guides us to understanding the Scriptures."( Commentary on a harmony of the Evangellists, Mathew, Mark, and Luke, By Calvin, trans. William Pringle, Michigan: Grand Rapids, Baker Bok House, 1979), Vol. 3, 376. 성령 의 역사는 성경의 진정한 의미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 필수적이다. 성령은 우리의 마음을 열어서 성 경의 진정한 의미를 깨닫게 한다. 따라서, 성령의 내적인 조명이 없이는 우리는 어둠 속에 있으며 성경의 올바른 의미를 깨달을 수 없다. 다섯째, 하나님은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의 scopus로 세웠다. The true knowledge of Christ consists in receiving him as he is offered by the Father--namely, as invested with his gospel. For, as he is appointed as the end of our faith(in scopum fidei nostrae), so we cannot directly tend towards him except under the guidance of the gospel." "Haec igitur vera est Christi cognitio, si eum qalis offertur a Patre suscipimus, nempe Evangelio suo vestitum: quia sicuti in scopum fidei nostrae ipse destinatus est, ita nonnisi praeeunte Evangelio recta ad eum tendemus(3.2.6.2.)." 하나님은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의 목표(scopus fidei) 로 복음에 제시했다. 그래서 하나님의 말씀 없이는 진정한 예수 그리스도의 지식을 가질 수 없다. 1539 Latin edition written as follows: "Cum inexhausta caelestium divitiarum plenitudine: ut sit nobis unicus beatitunis ac bonorum ominum thesaurus. Sed enim ut in possessionem tantarum opum veniamus, tenenda est ratio, qua nobis acquisitae fuerunt. Est autem obedientia Christi, in iis omnibus praestandis et adimplendis, quae secundum aeternum Dei consillium, in salutem nostram erant necessaria. Ut ergo Evangelium fidei nostrae in scopum destinatur, et in Evangelio Chritus: sic in Christo ipso quidquid in salutem nostram aut fecit, aut passus est. Quare id ad fidei explicationem plene absolvendam restat, ut quidquid in Christo ad eius confirmationem spectat, ob oculos statuatur(cf.catech. 1538, Cr V 337). sic enim explicata eius materia, velut in iconica tabula, germana eius proprietas ad liquidum se proferet. Eiusmodi autem tabulae vice, symbolum Apostolicum nobis erit, in quo paucis verbis sigillam totam salutis nostrae oeconomiam sic expositum habemus, ut nulla particula praetermissa sit."(opera Selceta vol.iv, 13, no.d). 여섯째, Christi scopus 이다. "Here, however, we shall never arrive at the true meaning, unless we attend to the design of Christ(in Christi scopum), and the subject of which he is treating"(2.8.26.8). scopus fidelium(the aim of the believers, 3.9.4.6), orationis scopum(true object of prayer, 3.20.29.12). 위에서 제시한 scopus의 용례(usages)를 본 바와 같이 칼빈은 scopus 개념을 해석학적으로 사용하고 있음을 분명히 알 수 있다. The first one is from 1536 latin edition: " We do not doubt Jesus is our Christ, that is, Saviour. But as we obtain - 12 -

through him forgiveness of sins and sanctification, so also salvation has been given, in order that we may at last be led into God's kingdom, which will be revealed on the last day. And this is indeed the head(caput) and almost the sum of all those things(summa eorum ominum) which the Lord by his sacred Word offers and promises us. This is the goal(hic scopus) set for us in his Scriptures; this target he sets. The Word of God(Verbum Dei), therefore, is the object(obiectum) and target of faith(scopus fidei) at which one ought to aim;" According Calvin the Word of God is the scopus which enables us to understand the object of faith. Here the object of faith means Jesus Christ who is our saviour. If we missed this goal, we loose the ground which enables to stand and fall. This Jesus is the object of faith(scopus fidei). That is why Scripture should be understood by Jesus as the scopus of our fatih. Jesus.(1536, p.104 Latin and English translation, chapter II, Faith: containing an explication of the creed(called Apostolic, 43 Battles William Eeerdman Publsihing Company, 1995). 2. 주석에 있어서 Loci 와 Scopus의 개념 칼빈은 로마서 주석에서 로마서를 개괄하는 논지에서 "The whole epistle so methodical(methodica) that events very beginning is framed according to the rules of arts(ad rationem artis)."라고 말했다. 주된 주제는 많은 세부적인 주제(suis locis)로 나눠져있다. 로마서에는 진정 많은 loci가 있다. 각 장은 loci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장 중요한 로마서의 주제는 이신칭 의(justification by faith)이다. "The subject then of these chapters may be stated thus,--that man's only righteousness is through the mercy of God in Christ, which being offered by the Gospel is apprehended by faith"(sit ergo nobis istorum captum proposita thesis, Unicam esse hominbus iustitiam, Dei misericordiam in Christo, dum per Euangelium oblata, fide apprehenditur.) 로마서의 중요한 loci가 기독교 강요 에 제시되며, 칼빈은 이 loci를 올바르게 가 르치는 방법(ordo recte docendi)에 의해서 순서대로 배열했다. 칼빈은 해석학적으로 scopus 개념을 로마서 10:4 주석에서 명료화시키고 있다. Indeed, every doctrine of the law, every command, every promise, always points to Christ"(Imo quicquid doceat Lex, quicquid praecipiat, quicquid prommittat, semper Christum habet pro scopo). 그렇 다. 예수 그리스도는 율법의 마침(finis enim Legis Christus)이다. 율법의 모든 부분은 예수 그리스 도와 연결(Ergo in ipsum dirigendae sunt omnes partes) 되어있다. 다시 말하면, 예수 그리스도는 율법의 scopus이다. 예수 그리스도는 율법의 scopus이기 때문에 예수 그리스도와 연결 없이는 율 법의 의미를 올바로 이해할 수 없다. 요한복음 5:39 주석에서 칼빈은 예수 그리스도는 성경의 scopus가 됨을 강력히 주장한다. First, then, we ought to believe that Christ cannot be properly known in any other way than from the Scripture; and if it be so, it follows that we ought to read the Scriptures with the express design of finding Christ(hoc scopo) in them. Whoever shall turn aside from this object, though he may weary himself through his whole life in learning, will never attain the knowledge of the truth; for what wisdom can we have without wisdom of God?" 그렇다. 예수 그리스도는 성경의 scopus 이다. 따라서,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를 발견하기 위해서 성경을 읽어야 한다. 성경은 예수 그리스도를 여러 가지로 예시하기 때문이다. 누가복음 1:70 주석에서 칼빈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 "Nor was it the sole design of Zacharias to celebrate the truth and faithfulness of God, in performing and fulfilling what he formerly promised...., When Christ comes forth adorned with the testimonies of all the prophets, our faith in him rests on a truly solid foundation."..., for he that neglects this will never - 13 -

understand anything in the prophets: Jews wander wretchedly in reading the Scripture, in consequence of giving their whole study to words, and wandering from the main design(a scopo illo)." 선지자들은 처음부터 예수 그리스도가 구주가 됨을 증거 했다. 따라서, 예수 그리스도 가 선지서의 scopus이다. 뿐만 아니라 칼빈은 제네바 성경의 서문에서도 예수 그리스도가 성경의 scopus가 됨을 분명히 하고 있다. "If you ask in what this whole edification consists, which we are to receive thereby, in a word, it is a question of learning to place our trust in God and to talk in fear of him, and since Jesus is the end of the law and the prophets and the essence of the Gospel(Et d'autant que Iesus Christ est la fin de la Loy et des Prophetes, et la substance de l'evangile) [it is question] of aspiring to no other aim but to know Him, since we realize that we cannot deviate from that path in the slightest without going astray." 그렇다면 어떻게 우리는 성경을 읽어야 하는가? 칼빈에 의하면 우리는 성경을 기독론적으로 혹은 그리스도 중심적 으로 읽어야 한다( we must read it Christologically and Christocentrically. Klaas Runia, "The hermeneutics of the Reformers", Calvin Theological Journal, Vol. 19(1984), 144. The preface to Olivetan's New Testament, "Epistle to the faithful showing that Christ is the End of the Law"(Epistre aux feideles monstrant comment que Christ est la fin de la Loy, CR 9, 791, foot note) 출애굽기, 레위기, 민수기, 신명기 주석 서문에서 칼빈은 구약성경을 네 부분으로 나눈다. 서문, 십 계명, 부록 그리고 예수 그리스도는 율법의 마침으로 결론 짓는다. 여기서도 분명히 알 수 있는바 와 같이 예수 그리스도가 율법의 scopus이기 때문에 예수 그리스도와의 관계 안에서만 율법의 의 미를 올바로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을 칼빈은 분명히 하고 있다.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entaries and the Institutes. "This is not the place to treat these points." see my Institutes(2 Cor, 9:5), "On this point I have expressed myself more fully in the preceding Epistle, and my Institutes will furnish a full discussion of it."(comm. 2 Cor. 5:10)The relationship between commentaries and the Institutes. Jesus Christ is the scopus of the law. So, the spiritual worship should consists in faith, repentance, praise whereby their gratitude is proclaim, and even of the endurance of cross. 그리스도가 율법의 scopus라는 말은 칼빈의 율법과 복음의 개념을 이해하는 데 아주 중요한 예이 다. 칼빈은 시몬 그레네이우스(Simon Grynaeus/로마서 주석 서문)에게 보낸 유명한 편지에서 해석자의 유일한 목적은 저자의 마음 혹은 의도(mentem scriptoris)을 드러내는 것이라고 했다. Parker에 의 하면 저자의 마음을 드러내는 것은 text의 명료성(clarity)과 용이성(brevity)을 찾는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명료성과 용이성을 찾는 것이 성경의 해석학적 원리(hermeneutical principle of exegesis) 라고 했다. 그러나 명료성과 용이성이 해석학적인 원리인가는 의문이 간다. 왜냐하면, 우리가 성경 의 text를 쉽게 그리고 명료하게 해석했다면 우리는 그 해석을 좋은 해석이라고 말하지 이것이 해 석의 원리라고 말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용이성과 명료성은 해석학적인 원리라기보다는 칼빈 이 서문에서 말한 대로 해석자가 갖추어야 할 주된 덕목(the excellent virtue of interpreter)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저자의 마음을 혹은 의도를 드러낼 수 있는가? 저자의 의도를 드러내기 위해서는 단순히 역사적이고 문법적인 text의 의미를 찾는 것으로는 부족하다. 그 이상이다. 텍스트의 역사적 이고 문법적인 의미를 찾는 것은 해석의 일부분이다. 저자의 의도를 들어내기 위해서는 성경 텍스 트의 locus와 scopus의 적절한 관계성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Loci의 의미는 scopus와의 관계에서 이해되기 때문이다. 이 외에 성경해석에 있어서 한 가지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점은 성령의 조명 이다. 인간은 전적으로 부패되어 성경의 분명하고 단순한 의미를 성령의 내적 조명 없이는 찾을 수 없기 때문이다. Galatians 4:22: "Scripture, they say, is fertile and thus multiple meanings. I - 14 -

acknowledge that Scripture is the most rich and inexhaustible fount of all wisdom. but I deny that its fertility consists in the various meanings which anyone may fasten to it as his pleasure. Let us know, then, that the true meaning of Scripture is the natural and simple one(verum sensum scripturae, qui germanus est et simplex), and let us embrace and hold it resolutely. Let us not merely neglect as doubtful, but boldly set aside as deadly corruption, those pretended expositions which lead us away from the literal sense(a literali sensu)." (Calvin's New Testament Commentaries, Vol. 11, Trans. T.H.L. Parker, Editors, David W. Torrance and Thomas F. Torrance(Michigan: Grand Rapids,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96), 85. 이점에서 볼 때 칼빈 이 기독교 강요 에서 제시한 성경해석논리는 성령의 조명 안에서 성경의 locus을 scopus와 적절 한 관계성 속에서 이해된다. IV. Loci와 Scopus의 해석학적인 관계성 1. loci와 scopus의 불가분의 관계성 기독교 강요 의 loci는 로마서에서 오며 그것을 성경을 올바르게 가르치는 방법(ordo recte docendi)에 의해서 칼빈은 배열했다. 이것은 무엇을 말해주는가? 칼빈은 자신의 라틴 기독교 강 요 를 새로운 주제를 삽입하며 그것을 순서에 따라서 배열하면서 수정보완 했음을 시사한다. 그래 서 기독교 강요 의 분량이 불어나게 되어 최종판은 거의 새 책이 되었다. 칼빈은 기독교 강요 를 신학도들이 성경에서 신학적인 loci와 scopus의 적절한 관계성을 쉽게 찾아서 올바르게 성경을 읽고 가르치게 하기 위해서 저술했다. 해석학적으로 말하면 칼빈이 기독교 강요 에서 제시한 성경 해석 논리는 loci와 scopus의 관계성을 살피는 것이다. Hans- Joachim Kraus는 칼빈의 성경해석은 로마서 주석이나 그레네우스에게 보낸 편지에서 말하는 저자의 의도를 드러내는 것이나 아니면 기독교 강요 로부터 왔다고 역설했다. 그러나 Muller는 Kraus가 말한 칼빈의 성경해석 원리는 칼빈이 주석한 구체적인 텍스트에 의해서 온 것이 아니기 때문에 신빙성이 떨어진다고 했다. "The Hermeneutic of Promise and Fulfillment in Calvin's Exegesis of the Old Testament Prophecies of the Kingdom," 69, see reference) 진정 칼빈의 성경 해석의 논리는 칼빈이 이론적으로 추출한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성경의 주석에서 왔다. 기독교 강요 의 loci는 철학적인 이론이나 칼빈 자신이 임의적으로 만들어낸 것이 아니라 로마서 주석을 통해서 얻은 통찰력이다. 1539 라틴어 기독교 강요와 로마서 주석의 출판연대가 같다. 로마 서 주석 서문에서 그레네우스에게 보낸 편지가 1539년 10/18, 스트라스버그이다. 그래서 로마서 주 석과 1539년 판이 서로 연관되었음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칼빈은 기독교 강요 에서 성경을 올바르게 읽고 가르치기 위해서 성경해석 논리를 제시하며 동시에 이 성경해석 논리는 로마서 뿐 만 아니라 다른 성경을 이해하는 성경해석 논리가 된다. Loci와 scopus의 해석학적인 관계성을 잘 보여주는 텍스트는 로마서 10:4 주석이다. 칼빈에 의하면 예수 그리스도는 율법의 scopus이다. a new righteousness in Christ, which is not acquired by the merits of our works, but being freely given is received by faith. Thus the righteousness of faith(as we saw in the first chapter), is witnessed to by the law. This remarkable passage(insignem locum) declares that the law in all its parts has reference to Christ, and therefore no one will be able to understand it correctly who does not constantly strive to attain this mark"(hunc scopum/habemus autem insignem locum, quod Lex omnibus suis partibus in Christum respiciat. Itaque rectum eius intelligentiam habere nemo poterit non ad hunc scopum perpetuo collimet.) 칼빈의 주석은 분명히 locus와 scopus가 해석학적으로 서로 긴 밀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성경에 있는 율법의 의미는 율법 자체로서 이해되는 것이 아니 라 율법의 scopus인 예수 그리스도와의 관계성 속에서 이해된다 This passage shows clearly that - 15 -

locus and the scopus are hermeneutically related each other. The law as the locus in the Bible has to be understood by the relation to Jesus Christ as the scopus of the law. Calvin says: "Indeed, every doctrine of the law, every command, every promise, is always points to Christ"(Imo quicquid doceat Lex, quicquid praecipiat, quicquid prommittat, semper Christum habet pro scopo) 칼빈은 누가복음 24:46 주석에서 예수 그리스도는 성경의 scopus(jesus Christ is the scopus of Scripture)임을 분명히 말하고 있다. "The same words warn us of what we must principally learn from the law and the prophets: as Christ is the end and the soul of the Law(finis et anima legis), whatever we learn without him or apart from him, is vain and unsatisfying. Whoever then desire to make the most proficiency in Scripture, should always keep his eye on this object(ad hunc scopum)." John Calvin, Calvin's Commentaries, A Harmony of the Gospels, Matthew, Mark, Luke and Jame & Jude, Vol. 3. Trans. A. W. Morrison(Michigan: Grand Rapids, William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72), 246. 여기서 율법과 선지자는 구약 성경을 의미하 며 결국 구약 성경은 예수 그리스도를 말하고 있다. 그래서 예수 그리스도는 성경의 scopus이다. 따라서, "if faith declines in the least degree from the mark(ab hoc scopo) at which it ought to aim, it does not retain its nature, but becomes uncertain credulity and vague wandering of mind." (3.2.6) "For, as he is appointed as the end of our faith(in scopum fidei nostrae ipse), so we cannot directly tend towards him except under the guidance of the Gospel."(3.2.6.2) 칼빈에 의하면 예수 그리스도는 성경의 scopus이다. 하나님이 그렇게 정하신 것이다(John 5:39, 2 Tim.3:15, Luke 24:46, Rom. 10:4). 따라서, 우리는 성경의 scopus인 예수 그리스도와 연관 없이 성경을 올바 로 이해할 수 없고 가르칠 수도 없다. 이와 같이 기독교 강요 에 제시된 loci는 그 자체로 이해될 수 없고 scopus와 관계에서만 올바로 이해된다. 이것은 기독교 강요 가 제시한 성경해석 논리(theological grammar for right and profitable reading of Scripture)이다. 여기서 말하는 loci는 수사학적인 loci가 아니라 신학적인 loci 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령의 내적 조명 없이는 진정한 성경의 쉽고 자연스러운 의미를 드러낼 수 없다. 2. 성령의 내적 조명 불가피성 크리스소톰의 강해설교를 위한 서문에서 칼빈은 성령의 내적 조명의 불가피성을 고백적으로 말하 고 있다. "to be sure, it is my conviction that the Spirit of God is not only the best, but even the only guide, since apart from Him there is not even a spark of light in our minds to enable to grasp heavenly wisdom itself." John Calvin: Preface of the Homiles of Chrisotom, The Hartford Quarterly(winter, 1965), 20. 진정 성령은 우리의 내적 선생(the Holy Spirit as our inner teacher)으로서 성경의 진정한 의미를 이해할 수 있도록 우리의 마음을 조명(illumine)하고 가르친 다. "The Word is the instrument by which the illumination of the Spirit dispensed"(1.9.3). 하나님 은 성령을 통해서 성경에서 말씀한다(God speaks to us through the Holy Spirit in Scripture). 그 렇다고 해서 loci와 scopus의 관계를 살피는 것이 필요 없다는 말은 아니다(Yet, Calvin says that it does not necessarily mean that we don't need the investigation of the loci and its relation to scopus because God gave us aids which enable us to investigate Scripture). Preface to the Homilies of Chrisotom, 20. According to Werner Schultz, Luther has two foci for interpreting Scripture:ⅰ)grammatical historical understanding of the text, ii) encounter of sola gratia, the living Christ(The Problem of Hermeneutics in Current Continental Philosophy and theology, Lutheran World, V.4, No.1. (June, 1959). - 16 -

기독교 강요 에서도 칼빈은 성경의 진정한 의미를 파악하는데 있어서 성령의 내적 조명과 가르침 이 절대적으로 필요함을 고백적으로 역설한다. "I answer, that we shall never attain to the true knowledge of these passage unless we attend to the scope of the Spirit in uttering them." Resondo, no as verma eorum intelligentiam nunquam accessuros nisi oculos in scopum convertamus quo sua verba Spiritus dirigit(institutes, 3.18.6.4). L. Floor 는 성령이 우리에게 이해 를 주고 성경을 올바로 깨닫도록 가르친다고 했다(the Holy Spirit gives us understanding. He teaches us how to interpret Scripture). L. Floor, "The hermeneutics of Calvin"(16), Vol. 6. Calvin and hermeneutics, ed. Richard C. Gamble(New York: Garland Publishing, INC., 1992), 188-189. 성령의 조명의 절대성은 제네바 성경을 강해하고 읽기 전 드리는 예배에서도 불 수 있다. 제네바 교회에서 예배를 드리는 자들은 성경을 강해하고 읽기 전에 하나님께 성령의 내적 조명과 가르침 을 통해서 성경을 올바로 이해할 수 있도록 이렇게 기도했다. "The minister would begin once again to pray, in order to beg of God the grace of his Holy spirit to the glory of his name and the edification of the Church: and that it may be received in such humility and obedience as belong to it." John Calvin, " La Forme des prieres et chantz ecclesiatiques, avec la maniere d"administrer les Scramens, et consacrer le mariage: selon la coustume de l"eglise ancienne. 1542, "OS 2:20 "... puis le ministre commence derechef a prier, pour demander a Dieu la grace de son sanict Espirit: afin, que sa parolle soit fidelement exposee a l"honneur de son Nom, et a l"eddification de L'Eglise:et qu' elle soit receue en telle humilite et obeisance, qu' elle appartient." Translation adapted from John Calvin, "forms of prayer for the Church, "Tracts and Treatises, vol.2. Translated by Herny Beveridge, historical notes by T.F. Torrance(Grand Rapids: Wm. B. Eerdmans Publishing Comany, 1958), 101. 성령은 말씀, 언어, 텍스트, 설교를 통해서 역사 한다. 그래서 성경을 올바르게 해석하기 위해서는 우리는 기도의 사람이 되어야한다(The Holy Spirit works through the means of the word, language, text, preaching and also we should be a man of prayer). 진정 하나님 말씀 앞에 겸손한 사람이 되어야 한다. 겸손한 사람은 자신의 전적 부패성을 깊이 깨닫는 자이다(In deed, "Only sinful man discover in the words of the scripture the true meaning of the Spirit)." Kenneth S. Kantzer, "Calvin and The Holy Scriputes," Walvood, John F. ed. Inspiration and Interpretation(Michigan: Grand Rapids, Eerdmans, 1957), 152. 그래서 칼빈에게 있어서 말씀과 성령의 관계성은 불가분의 관계이다(For Calvin, the relation between word and spirit is inseparable: "the Spirit wills to be conjoined(coniuntus) with God's Word by an indissoluble bond(individuo nexu)... we are expect nothing more from his[christ's] Spirit than he will illumine our minds to perceive the truth of his teaching)." 4.8.13. Cf. 1.9.3. "For by a kind of mutual bond(mutuo nexu) the Lord has joined together the certainty of his Word and of his Spirit so that the perfect religion of the Word may abide in our minds when the Spirit, who causes us to contemplate God's face, shines; and that we in turn may embrace the Spirit with no fear of being deceived when we recognize him in his own image, namely, in the Word." See also: John Hesselink, "Governed and Guided by the Spirit--A Key Issue in Calvin's Doctrine of the Holy Spirit," in Calvin Studies, Vol. V. Presented at a Colloquium on Calvin Studies at Davidson college and Davidson College Presbyterian Church, Davidson, North Carolina, ed. John H. Leith, January 19-20, 1990. 그렇다면 칼빈이 제시한 성경해석논리는 어떻게 현대 성경해석학과 다른가? V. 현대성경해석학의 두 지평 1. 두 지평의 논리 (The Grammar of Two Horizons) - 17 -

전통적으로 고대 해석학은 고대 문서의 이해를 위한 규칙들의 공식화에 있었다. 해석자는 문법, 어 휘, 문체들을 포함한 텍스트의 언어로부터 출발했다. 즉 텍스트의 언어적, 문화적, 역사적 문맥을 조 사함으로써 해석학이란 역사적인 맥락에서 조건 지워진다고 봤다. 그러나 현대에 이르러서 해석학 이란 텍스트의 역사적 맥락이란 양면적 즉 해석자와 텍스트간의 관계성에서 이루어진다고 본다. Anthony C. 씨슬톤, 두지평, 권성수외 역(총신대학출판부, 1995), 40. 종교개혁 이후 계몽주의 영향으로 오직 성경만(Scripture alone)으로가 아니라 오직 이성만(reason alone)으로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모든 것은 이성의 검증을 받게 되었다. 그래서 성경해석에 있어서 도 고등비평이 등장하게 되었고 성경도 다른 문서와 동일하게 취급하고자하는 사조가 지배적인 영 향을 미쳤다. 소위 자유주의 신학의 흐름이 신학계를 지배하게 되었다. 신학의 유일한 규범인 하나 님 말씀의 계시에서 신학을 시작하기보다는 인간의 인식론에 기초해서 하나님의 말씀을 이해하고 자하는 성향이 강해져갔다. 그래서 성경해석학도 철학의 영향을 받게 되었다. 현대 성경 해석학의 선구자인 쉴라이에르마허(Friedrich Schleiermacher)는 이해의 기술 (the art of understanding)로서 보편적 해석학을 시도했다. 이해하는 기술은 모든 학문에 다 적용할 수 있으며 성경도 마찬가지이다. 여기서 이해의 기술이라는 말은 화술적인 기술이 아니라 말해진 바(text)를 이해하는 기술인 것이다. 다시 말하면, 이해의 기술은 말하는 것과 이해하는 것의 구별을 의미한다. 해석에 있어서 이해한다는 것 은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이 해석학에 있어서 중요시 되었으며 이해 의 기술로서 해석은 텍스트 저자의 정신적(심리적) 과정을 감정이입을 통해서 다시 체험(추 체험)하 는 것이다. 리차드 E. 팔머, 해석학이란 무엇인가, 이한우 역(문예출판사, 1993), 132. 쉴라이에르마허 이후에 해석학에 획기적인 선을 그은 사람이 빌헤름 딜타이(Wilhelm Dilthey) (1833-1911)이다. 딜타이는 하이덱거, 불트만, 가다머에게 영향을 미친 중요한 사상가로서 자연과학 (naturwissenshaften)과 정신과학(geisteswis senschaften)을 분리시켰다. 전자는 설명을 기초한 과학 이며 후자는 이해를 기초한 학문이라고 했다. 딜타이는 정신과학에 기초한 해석학을 수립하고자 했 다. 딜타이에 의하면 해석이라는 것은 사변이 그 출발점이 아니라 구체적인 삶의 경험이 출발점이라고 믿었다. 구체적인 경험은 역사적인 것이다. 다시 말하면 인간의 자기 성찰은 내면적인 것뿐만 아니 라 실존의 역사성(geschtlichkeit)을 인식하는 것으로 봤다. 실존의 역사성을 무시하는 로크와 흄 그 리고 칸트에 의해 구성된 인식하는 주관 의 혈관 속에는 살아있는 피가 흐르지 않는다 고 딜타이 는 비판했다. 팔머, 해석학이란 무엇인가, 154에서 재인용. 이해에 있어서 감정과 의지, 이성을 총 체적으로 보지 않고 구별하는 데서 오는 이해는 뜨거운 피가 아니라 냉랭한 피가 흘러서 생동감이 없는 이해와 같은 것이다. 딜타이에 있어서 역사성이란 인간의 자기이해(self-understanding)를 말한다. 역사라고 하는 것은 단 순한 기록이 아니라 한정된 시간 속에서 일어나는 인간의 이해가 역사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과거 사실을 오늘의 현재에서 이해할 수 있는가? 삶의 객관화(objectification of life)를 통해서이다. 따라 서, 역사란 삶의 객관화(objectification of life)이다. 삶의 객관화란 인간 이해의 표현이요 그것이 역 사에 대한 해석이다. 따라서, 역사의식은 자기 이해의 하나의 형태이다 (historical consciousness is a mode of self-knowledge). Hans-Georg Gadamer, Truth and Method(New York: Crossroad, 1892), 207. 의미가 역사성에 기초해 있기 때문에 시간의 변화에 따라서 의미도 변하는 것이고 인 간 이해는 한정된 것이다. 틸타이는 해석학을 역사성 칼빈의 해석학-<기독교 강요>가 제시한 성경해석 논리(2) 제2부 칼빈의 해석학 - 18 -

1. 칼빈의<기독교 강요>가 제시한 성경해석 논리 2. 칼빈이 말하는 성경의 자연스러운 의미 3. 칼빈의 성경 해석 논리 4. 칼빈의 비유해석 논리 5. 칼빈의 십계명 해석 논리 --------------------------------------------- 1. 칼빈의 기독교 강요가 제시한 성경해석논리(2) 딜타이에 있어서 역사성이란 인간의 자기이해(self-understanding)를 말한다. 역사라고 하는 것은 단 순한 기록이 아니라 한정된 시간 속에서 일어나는 인간의 이해가 역사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과거 사실을 오늘의 현재에서 이해할 수 있는가? 삶의 객관화(objectification of life)를 통해서이다. 따라 서, 역사란 삶의 객관화(objectification of life)이다. 삶의 객관화란 인간 이해의 표현이요 그것이 역 사에 대한 해석이다. 따라서, 역사의식은 자기 이해의 하나의 형태이다 (historical consciousness is a mode of self-knowledge). Hans-Georg Gadamer, Truth and Method(New York: Crossroad, 1892), 207. 의미가 역사성에 기초해 있기 때문에 시간의 변화에 따라서 의미도 변하는 것이고 인 간 이해는 한정된 것이다. 틸타이는 해석학을 역사성의 지평 위에 놓음으로써 삶의 체험을 강조하 는 해석학을 발전시켰다. 쉴라이에르마허나 딜타이에서 이해라고 하는 것은 단순히 설명이 아니라 삶의 정황에서 오는 것임 을 강조했다. 그래서 해석이란 텍스트와 해석자의 관계성이 중요하게 됨을 암시해 준다. 여기서 해 석에 있어서 두 지평이라는 말이 떠오르게 된다. 여기서 지평이라는 말은 은유로서 무엇을 이해하 는 틀(frame-work for understanding)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관점(view-point), 출발점(point of departure), 안경(spectakles)으로도 말할 수 있다. 2. 마틴 하이데거 (Martin Heidegger)의 해석학 하이데거의 해석학에 있어서 그의 사상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전기 하이데거와 후기 하이데거의 사 상을 살펴보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 전기와 후기가 다르기 때문이다. 1) 전기 하이데거 하이데거는 그의 명저 존재와 시간 (Being and Time)이라는 저서에서 존재에 대해서 질문 (question of being)한다. 존재란 무엇인가 라는 질문이 아니라 존재란 어떻게 이해되어지는가 에 대한 질문이다. 이런 점에서 하이데거의 존재에 대한 질문은 형이상학적인 질문이 아니라 실존적인 질문이다. 하이데거의 존재에 대한 질문은 단순한 이론적인 존재 의미에 대한 질문이 아니라 존재 의 근원적인 혹은 원초적인 구조를 실존적 현상학적으로 파헤친 질문이다. 하이데거에서 존재란 그 냥 존재하는 사물이 아니라 자기 자신의 존재에 대해서 질문하는 존재(question about one's own being)이다. 이것이 현존재(dasein)이다. 현존재는 이미 세계 안에 주어진 존재(bing in the world)로 서 시간 안의 존재 혹은 역사적인 존재이다. 여기서 세계 안에 주어진 존재라는 말은 세계와 존재 를 구분하는 이원론적인 존재가 아니라 현 존재는 이미 세계 안에서 숨쉬고 살고 있는 존재로서 존재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현존재는 세계를 전제한다는 의미이다. 시간적 혹은 역사적인 존 재란 존재의 유한성을 의미한다. 하이데거의 존재의 의미는 어거스틴의 시간 개념에서 볼 때 더 명 확해진다. 성 어거스틴은 그의 명저 참회록 에서 시간과 존재에 대해서 아주 중대한 분석을 했다. 그에 의하면 시간은 과거 현재 미래로 나누어진 것이 아니라 현재를 기점으로 해서 우리는 과거는 - 19 -

기억으로, 현재는 직관으로, 미래는 기대로 이해한다는 것이다. 결국 과거, 현재, 미래라는 시간도 현재의 관점에서 과거를 기억하고 현재에서 현재를 직관하고 현재에서 미래를 기대하게 된다. 현재 라는 시점이 대단히 애매모호하지만 현재를 기점으로 해서 시간을 파악할 수밖에 없다. 그래서 현 재라는 시점이 중요한 것이다. 어거스틴은 시간은 창조와 더불어 시작된다고 했다. 참회록, 11권 30. 따라서, 인간은 시간 내 존 재가 된다. 시간을 팽창 (distension/ distentio) 이라고 정의한다. 참회록, 11권 23. 여기서 팽창이 라는 말은 마음을 혼란스럽게 하는 상태인 혼란(distraction)을 의미하기도 한다. 따라서, 시간 내에 존재하는 인간은 쉽게 이 세상에서 허무한 것들에 빠져들며, 세상 것에 애착심을 갖기 쉬우며, 세 상 것에 정신을 잃어버릴 때가 많다고 했다. 참회록, 11권 29장 39절. 따라서, 어거스틴은 이 세상 의 허무한 것에 빠지지 않기 위해서는 어떤 목적(intentio)을 가지고 살아야 하는 존재로 인간을 봤 다. 인간의 영원한 목표인 하나님의 목적을 위해서 살 때 허무한 세상에서 의미 있게 살 수 있는 것이다. 세상 것에 대한 지나친 애착심을 버리고 영원한 하늘나라를 소망하며 거룩한 나그네로 살 때 우리는 유혹 많고 부질없는 삶에서 벗어나 가장 의미 있고 감격에 찬 삶을 살 수 있다. 하이데거에 의하면 시간 내의 존재인 현존재가 무엇을 이해한다는 것은 세계 내에 있는 무엇을 사 용함으로 이해한다. 가령 망치의 의미는 못을 박으려고 할 때 드러나게 된다. 망치를 사용할 때 그 의미가 발견된다. 또한 현존재가 무엇을 이해한다고 하는 것은 이미 우리가 이해하고자 하는 것에 대한 선이해(vorverstandnis)가 불가피하다. 이것은 해석학적으로 대단히 중요한 개념이다. 가령 우 리가 구원이라는 말을 이해하려면 기독교 공동체 내에서 사용하는 구원의 개념을 이해하지 못하고 서는 구원이라는 말을 이해할 수는 것과 같다. 그래서 모든 이해는 선이해를 전제한다. 그래서 전 제 없는 해석은 없다는 말이 나오게 되었다. 선이해( 先 理 解 )라는 개념은 불트만의 성경해석학에 키 의 역할을 하는 개념이다. 2) 후기 하이데거 학자들의 견해에 따라서 다르지만 하이데거의 전기 사상과 후기 사상은 불연속적인 것이 아니라 자기 사상을 새로운 방법에서 보고자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하이데거 자신이 자신의 책 존재와 시간 을 펴 낸지 32년 후에 그때 중요했고 지금도 여전히 중요한 것은 존재자들의 존재(the Being of beings)를 명확하게 드러내는 일이다 라고 했다. 씨슬톤, 두지평, 506에서 재인용. 새로운 방법이란 언어를 통해서 보려고 하는 방법이다. 하이데거는 언어에의 도상에서 (On the Way to Language)라는 책에서 Stefan George's The Word 라는 시의 마지막 절을 인용하여 언어 의 본질을 말한다. So I renounced and sadly see: Where word breaks off no thing may be. 하 이데거에 의하면 이 시의 마지막 절은 언어가 무엇인지 즉 언어의 본질(the nature of language)을 잘 말해준다. Martin Heidegger, On the Way to Language(New York: Harper & Row, Publishers, 1982), 57-108. 번역한다면 그래서 나는 나 자신을 부인하고 애처롭게 언어가 결핍된 곳에는 어떤 사물도 없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여기서 사물이라는 것은 존재하는 모든 것이라고 하이데거는 말 했다. 다시 말하면, 언어가 없이는 아무 것도 존재하지 않으며 말할 수 없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언어가 없이는 하나님도 말할 수 없으며, 언어가 있는 곳이 존재가 있다고 하이데거는 말한 다. 존재는 언어를 통해서 존재(An is arises where the word breaks up)한다. Martin Heidegger, On the Way to Language, 108. 하이데거에 의하면 언어는 세 가지 특성을 가지고 있다. Martin Hidegger, Poetry, Language, Thought, Trans. Albert Hofstadter, 192 첫째, 언어는 표현이다(speaking is expression). 여기서 표 현이라는 말은 인간의 마음속에 있는 무엇인가를 언어를 통해서 밖으로 표출시킨다는 것이다. 그래 서 말함이란 외적인 것과 내적인 것을 포함한다. 둘째, 언어란 인간의 행위이다(speech is regarded as an activity of man). 따라서, 언어란 인간을 처음으로 존재케 하는 행위이다(It is langauge that - 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