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성 병원체의 수혈감염위험도 분류



Similar documents
(1-5장)바이오백서8.6-최종

@12호-end2



°Ç°�°úÁúº´6-2È£

제5호-9차

°Ç°�°úÁúº´5-44È£ÃÖÁ¾

제33호-7차

15호-출력

제3호-최종

768 PUBLIC HEALTH WEEKLY REPORT, KCDC 있으며, 국제적 정보 공유 및 국내 수행 임상시험과 임상연구의 우수성을 홍보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II. 몸 말 임상연구정보서비스시스템(CRIS)에는 임상연구의 종류 (중재연구,

제17호

°Ç°�°úÁúº´6-13È£ÀÛ¾÷

제7호 6차

untitled

관광정책-38호1부.indd

°Ç°�°úÁúº´6-24È£

제9호

Special Issue

예방접종관리과

도쿄도 감염증 주보

참고 금융분야 개인정보보호 가이드라인 1. 개인정보보호 관계 법령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시행령 금융실명거래 및 비밀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전자금융거래법 시행령 은행법 시행령 보험업법 시행령 자동차손해배상 보장법 시행령 자본시장과

(6) 에이즈 진행경과 HIV가 우리 몸 속으로 침투하여 에이즈에 감염되면 3-4 주 후 열, 오한, 인후통과 같이 감기증세와 유사한 증세가 나 타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급성증상도 모든 에이즈 감염자에게 나타나는 것이 아니고 약 30% 의 감염자에게 나타납니다

보건사회연구-25일수정

2학기신문.hwp

Medical POSTGRADUATES No. 6, Vol.31, 2003 A Case of Colonoscopic Reduction of Sigmoid Volvulus Fig. 3 Fig. 4 Fig. 5 Fig. 1 Fig

<4F4BB4D9BDC32E687770>

혐오의 시대에 맞서는 성소수자에 대한 12가지 질문


<4D F736F F F696E74202D20BEE0C7B0B9CCBBFDB9B0C7D05FC1A637B0AD5FC0CCC3E6C8A3205BC8A3C8AF20B8F0B5E55D>

<B3EBB5BFB0FCB0E8B9FD20B1B9C8B820B0E8B7F920C0C7BEC828C3D6C1BE29A4BB2E687770>

3232 편집본(5.15).hwp

최우석.hwp

< BDC3BAB8C1A4B1D4C6C75BC8A3BFDC D2E687770>

cls46-06(심우영).hwp

untitled

E1-정답및풀이(1~24)ok

<C1B6BCB1B4EBBCBCBDC3B1E2342DC3D6C1BE2E687770>

민주장정-노동운동(분권).indd

0429bodo.hwp

伐)이라고 하였는데, 라자(羅字)는 나자(那字)로 쓰기도 하고 야자(耶字)로 쓰기도 한다. 또 서벌(徐伐)이라고도 한다. 세속에서 경자(京字)를 새겨 서벌(徐伐)이라고 한다. 이 때문에 또 사라(斯羅)라고 하기도 하고, 또 사로(斯盧)라고 하기도 한다. 재위 기간은 6


과 위 가 오는 경우에는 앞말 받침을 대표음으로 바꾼 [다가페]와 [흐귀 에]가 올바른 발음이 [안자서], [할튼], [업쓰므로], [절믐] 풀이 자음으로 끝나는 말인 앉- 과 핥-, 없-, 젊- 에 각각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식형태소인 -아서, -은, -으므로, -음

時 習 說 ) 5), 원호설( 元 昊 說 ) 6) 등이 있다. 7) 이 가운데 임제설에 동의하는바, 상세한 논의는 황패강의 논의로 미루나 그의 논의에 논거로서 빠져 있는 부분을 보강하여 임제설에 대한 변증( 辨 證 )을 덧붙이고자 한다. 우선, 다음의 인용문을 보도록

<C0CEBCE2BABB2D33C2F7BCF6C1A420B1B9BFAAC3D1BCAD203130B1C72E687770>

6±Ç¸ñÂ÷

교사용지도서_쓰기.hwp

<C3D6C1BE5FBBF5B1B9BEEEBBFDC8B0B0DCBFEFC8A C3D6C1BEBABB292E687770>

초등국어에서 관용표현 지도 방안 연구

¸é¸ñ¼Ò½ÄÁö 63È£_³»Áö ÃÖÁ¾

177

제주어 교육자료(중등)-작업.hwp

01Report_210-4.hwp

<C3D1BCB15FC0CCC8C45FBFECB8AE5FB1B3C0B0C0C75FB9E6C7E D352D32315FC5E4292E687770>



교육 과 학기 술부 고 시 제 호 초 중등교육법 제23조 제2항에 의거하여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을 다음과 같이 고시합니다. 2011년 8월 9일 교육과학기술부장관 1.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은 별책 1 과 같습니다. 2.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별책

시험지 출제 양식

우리나라의 전통문화에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봅시다.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를 체험합시다.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를 소중히 여기는 마음을 가집시다. 5. 우리 옷 한복의 특징 자료 3 참고 남자와 여자가 입는 한복의 종류 가 달랐다는 것을 알려 준다. 85쪽 문제 8, 9 자료

상품 전단지

::: 해당사항이 없을 경우 무 표시하시기 바랍니다. 검토항목 검 토 여 부 ( 표시) 시 민 : 유 ( ) 무 시 민 참 여 고 려 사 항 이 해 당 사 자 : 유 ( ) 무 전 문 가 : 유 ( ) 무 옴 브 즈 만 : 유 ( ) 무 법 령 규 정 : 교통 환경 재

2

DBPIA-NURIMEDIA

화이련(華以戀) hwp

ÆòÈ�´©¸® 94È£ ³»Áö_ÃÖÁ¾

歯1##01.PDF

<5BC1F8C7E0C1DF2D31B1C75D2DBCF6C1A4BABB2E687770>

120229(00)(1~3).indd

7권30호-웹.indd

<30322EC6AFC1FD30342DC1A4B9AEC7F62E687770>

< B3E220BCF6C1B7B1B8BAB4C1F6C4A72D56312E687770>

京 畿 鄕 土 史 學 第 16 輯 韓 國 文 化 院 聯 合 會 京 畿 道 支 會

주간건강과질병 제 9 권제 34 호 유전자마커를이용한생물테러병원체검출기술동향 질병관리본부국립보건연구원병원체방어연구과조수경, 전정훈, 유재연, 이기은 * 제이에스바이오테크윤현규 * 교신저자 : / 공동교신저자 : yoo

신종플루가 국내외 경제 및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 1. 신종플루 전염 사태 확산 멕시코 돼지독감이 전세계로 확산되며 국내에서도 추정환자 발생 멕시코에서 최초로 발생한 신종플루(인플루엔자 A(H1N1)감염 사례가 미국,유럽 등으로 확산되자,세계보건기구(WHO)는 4/29

<BFBEBEC6C0CCB5E9C0C720B3EEC0CC2E20B3EBB7A120C0CCBEDFB1E220C7D0B1B3202D20C0DAB7E1322E687770>

SARS 유입 및 전파 방지 대책

<BCD2B0E6C0FCBCAD20C1A62032B1C72E687770>

민변_보도자료_특조위_예산_미편성_헌법소원_및_공.hwp

목 차 관광시론 관광특성화를 통해 국가브랜드 가치를 끌어올리자 진대제 인천세계도시축전 조직위원장 4 이슈와 사람 인천광역시 안 상 수 시장 김상태 편집위원장 6 기획특집 ➊ 기획특집 ➋ 관광수요 긴급진단 외생적 변화가 관광수요에 미치는 영향 한국 국제관광시장의 특성과

(자료)2016학년도 수시모집 전형별 면접질문(의예과포함)(최종 ).hwp

고위험병원체보존관리방법 안정배 생물안전평가팀 질병관리본부국립보건연구원

<BCBCB0E8C0E7B3ADB5BFC7E B3E238BFF92DC5EBB1C C8A328BFF920B9F8C8A320BAAFB0E6C7CFBFA920BBF5B7CE20BDC3C0DB292D312E687770>

3

< B5BFBEC6BDC3BEC6BBE E687770>


<3130BAB9BDC428BCF6C1A4292E687770>

11민락초신문4호


제1절 조선시대 이전의 교육

사진 24 _ 종루지 전경(서북에서) 사진 25 _ 종루지 남측기단(동에서) 사진 26 _ 종루지 북측기단(서에서) 사진 27 _ 종루지 1차 건물지 초석 적심석 사진 28 _ 종루지 중심 방형적심 유 사진 29 _ 종루지 동측 계단석 <경루지> 위 치 탑지의 남북중심

새만금세미나-1101-이양재.hwp

??

652

歯 조선일보.PDF

<33B1C7C3D6C1BEBABB28BCF6C1A42D E687770>

688È£

<C1DFB1DE2842C7FC292E687770>

Ⅰ. 머리말 각종 기록에 따르면 백제의 초기 도읍은 위례성( 慰 禮 城 )이다. 위례성에 관한 기록은 삼국사기, 삼국유사, 고려사, 세종실록, 동국여지승람 등 많은 책에 실려 있는데, 대부분 조선시대에 편 찬된 것이다. 가장 오래된 사서인 삼국사기 도 백제가 멸망한지

96부산연주문화\(김창욱\)

???? 1

Transcription:

감염성 병원체의 수혈감염위험도 분류

감염성 병원체의 수혈감염위험도 분류

발 간 사 최근 국내 외에서 신종 감염병 및 재출현 감염병 유행 사례가 증가함에 따라 감염자의 헌혈로 인한 수혈감염 예방을 위하여 여러 감염성 병원체의 수혈감염 위험도를 사전 분류 하고, 선제적이고 실효성 있는 혈액안전조치를 마련하여 이번에 감염성 병원체의 수혈감 염 위험도 분류 책자를 발간하게 되었습니다. 감염성 병원체의 수혈감염위험도는 감염병 및 혈액 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TF와 학계 의 견을 수렴하였고, 각 병원체의 수혈감염가능성과 생물학적 위험도, 대중의 우려를 종합평 가하여 4등급(수혈감염위험I군 IV군)으로 구분하였습니다. 이번 책자에는 수혈감염위험도를 분류한 89종의 병원체 중 수혈감염가능성이 매우 낮은 IV군을 제외한 I군 III군에 해당하는 60종의 감염성 병원체에 대해 역학적, 임상적 특성과 수혈감염가능성, 국내 수혈감염 사례, 혈액안전조치 범위 등을 기술하였습니다. 질병관리본부는 앞으로도 혈액안전 및 수혈감염 예방을 위하여 감염성 병원체의 수혈감 염 위험도 분류를 지속적으로 보완해 나갈 예정이오니 학계 및 혈액관계기관의 적극적인 협조와 관심을 요청드립니다. 감염성 병원체의 수혈감염위험도 분류 이 책자가 감염성 병원체의 실제적, 잠재적 혈액안전 위협에 대한 정책기관, 혈액관계기 관의 신속하고, 실효성 있는 혈액안전 조치 시행에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2011. 1. 질병관리본부장

감염성 병원체의 수혈감염위험도 분류 목 차 일러두기 수혈감염 위험 병원체 선정 5 수혈감염 위험도 등급 분류 5 감염성 병원체별 특성 및 혈액안전 조치 5 수혈감염 병원체의 수혈감염 위험도 등급 7 감염성 병원체별 특성 및 혈액안전 조치 15 수혈감염위험I군 병원체 16 수혈감염위험II군 병원체 26 수혈감염위험III군 병원체 84 색인 국문 색인 139 영문 색인 141

일러두기 수혈감염 위험 병원체 선정 >> 미국혈액은행협회(AABB) 지정 수혈감염 병원체,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개정 2009. 12. 29., 시행 2010. 12. 30.)에 따른 국내 법정 감염병 병원체를 대상으로 수혈감염 가 능성, 생물학적 위험도, 대중적 우려 등을 종합평가하여 총 89종의 병원체를 선정함 수혈감염 위험도 등급 분류 >> 수혈감염 위험도 등급은 수혈감염위험I군, 수혈감염위험II군, 수혈감염위험III군, 수혈감염위 험IV군으로 분류함 본 분류는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에서의 감염병 군 분류와는 별개임 수혈감염위험Ⅰ군(RED) : 우리나라에서 수혈감염 발생 사례가 보고된 바 있거나, 전 세계적으로 새롭게 수혈감염 가 능성이 제기되고 있는 병원체로, 수혈감염 가능성과 위중도가 높아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 한 병원체 수혈감염위험Ⅱ군(ORANGE) : 우리나라 및 전 세계적으로 수혈감염 발생빈도가 낮은 병원체로, 수혈감염 가능성 또는 위 중도가 높지 않으나 대중의 우려 등 사회혼란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어 중등도의 관리가 필 요한 병원체 수혈감염위험Ⅲ군(YELLOW) : 우리나라에서 수혈감염 발생 사례가 보고된 바 없으며, 전 세계적으로도 수혈감염 발생빈 도가 매우 낮은 병원체로, 수혈감염 가능성 또는 위중도가 매우 낮고 사회적 혼란 가능성도 낮아 기본적인 관리가 필요한 병원체 수혈감염위험Ⅳ군(WHITE) : 우리나라에서 수혈감염 발생 사례가 보고된 바 없으며, 전 세계적으로 수혈감염 발생 사례 가 없거나 극히 드물고 이론적인 가능성만 제시되는 병원체로, 수혈감염 가능성 및 위중도 가 매우 낮으며 대중의 우려도 없어, 관리보다 학문적 관찰만이 필요한 병원체 감염성 병원체의 특성 및 혈액안전 조치 >> 전체 89종 수혈감염위험 병원체 중 수혈감염 위험도가 매우 낮은 수혈감염위험IV군을 제외 한 I군 III군 병원체 60종의 역학적 임상적 특성과 수혈감염 가능성, 국내 수혈감염 사례, 헌혈자 배제 등을 기술함 >> 혈액안전 조치는 수혈감염위험도 등급과는 독립적으로 각 병원체의 특성을 고려하여 실효성 있는 혈액안전 조치 범위를 마련함 조치 범위는 병원체 특성에 따라 다르고, 혈액 폐기, 수혈자 조사, 역추적 조사로 구분

감염성 병원체의 수혈감염위험도 분류

수혈감염 병원체의 수혈감염 위험도 등급

감염성 병원체의 수혈감염 위험도 등급 수혈감염 위험Ⅰ군 병원체 번호 병원체명 혈액 폐기 혈액안전조치* 수혈자 조사 역추적 조사 1 말라리아원충 속(Plasmodium species) - 2 바베스열원충 속(Babesia Species) - 3 B형 간염 바이러스(Hepatitis B Virus) 4 C형 간염 바이러스(Hepatitis C Virus) 5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Human Immunodeficiency Virus) 비고 5종 : 필요 시 조사 * 혈액안전조치 혈 액 폐 기 : 헌혈 혈액의 감염 위험 등을 완전히 배제하지 못하는 경우 지체 없이 혈액의 출고 상태를 확인하여 해당 혈액제제 및 과거 헌혈 혈액제제 회수 폐기 수혈자 조사 : 헌혈자의 감염기 내 채혈한 혈액 또는 검사 상 양성인 혈액이 수혈된 사례에 대한 감염 여부 조사 역추적 조사 : 헌혈 혈액 선별검사 결과 음성은 확인하였으나 윈도우기 등에 의한 감염 가능성을 확인 하고자 시행하는 수혈감염 여부 조사 8 감염성 병원체의 수혈감염위험도 분류

수혈감염 위험Ⅱ군 병원체 번호 병원체명 혈액 폐기 혈액안전조치* 수혈자 조사 역추적 조사 6 두창 바이러스(Variola Virus) - 7 뎅기 바이러스(Dengue Virus) - 8 라싸 바이러스(Lassa Virus) - 9 리슈만편모충 속(Leishmania Species) - 10 마버그 바이러스(Marburg Virus) - 11 만성 소모성 질환 프리온(Chronic Wasting Disease Prion) - 12 발진열 리케치아(Rickettsia typhi) - 13 발진티푸스 리케치아(Rickettsia prowazekii) - 14 변종 크로이츠펠트-야콥병 프리온(Variant Creutzfeldf-Jakob Disease Prion, vcjd Prion) - 15 브루셀라속 균(Brucella Species) - 16 사스 코로나 바이러스(SARS Coronavirus) - 17 야토균(Francisella tularensis) - 18 에볼라 바이러스(Ebola Virus) - 19 A형 간염 바이러스(Hepatitis A virus) - 20 예르시니아 엔테로콜리티카균(Yersinia entercolitica) - 21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West Nile Virus) - 22 인체 T-림프영양성 바이러스 (Human T-Lymphotropic Virus) - 23 일본 뇌염 바이러스(Japanese Encephalitis Virus) - 24 치쿤구니야 바이러스(Chikungunya Virus) - 25 쯔쯔가무시균(Orientia tsutsugamushi) - 26 크로이츠펠트-야콥병 프리온 (Classical Creutzfelt-Jakob disease Prion, CJD Prion), - 인간 프리온 단백질(Human Prion Diseases, Proteins) 27 크루스파동편모충(Trypanosoma cruzi) - 28 크리미안-콩고 출혈열 바이러스(Crimean-Congo Hemorrhagic Fever Virus) - 29 큐열균(Coxiella burnetii) - 30 탄저균(Bacillus Anthracis) - 비고 29종 수 혈 감 염 병 원 체 의 수 혈 감 염 위 험 도 등 급 수혈감염 병원체의 수혈감염 위험도 등급 9

번호 병원체명 혈액 폐기 혈액안전조치* 수혈자 조사 역추적 조사 31 페스트균(Yersinia pestis) - 32 한타 바이러스(Hantavirus) - 33 황열 바이러스(Yellow Fever Virus) - 34 홍반열 리케치아(Rickettsia rickettii) - 비고 * 혈액안전조치 혈 액 폐 기 : 헌혈 혈액의 감염 위험 등을 완전히 배제하지 못하는 경우 지체 없이 혈액의 출고 상태를 확인하여 해당 혈액제제 및 과거 헌혈 혈액제제 회수 폐기 수혈자 조사 : 헌혈자의 감염기 내 채혈한 혈액 또는 검사 상 양성인 혈액이 수혈된 사례에 대한 감염 여부 조사 역추적 조사 : 헌혈 혈액 선별검사 결과 음성은 확인하였으나 윈도우기 등에 의한 감염 가능성을 확인 하고자 시행하는 수혈감염 여부 조사 10 감염성 병원체의 수혈감염위험도 분류

수혈감염 위험Ⅲ군 병원체 번호 35 병원체명 감비아파동편모충(Trypanosoma gambiense), 로데시아파동편모충(Trypanosoma rhodesiense) 혈액 폐기 혈액안전조치* 수혈자 조사 역추적 조사 - 36 공수병 바이러스(Rhabdovirus, Rabies Virus) - 37 디프테리아균(Corynebacteridium diphtheriae) - 38 레지오넬라속 균(Legionella species) - 39 렙토스피라속 균(Leptospira species) - 40 매독균(Treponema pallidum) - 41 베타용혈성연쇄구균(Group A β-hemolytic Streptococci) - 42 보렐리아균(Borrelia burgdorferi) - 43 보렐리아속 균(Borrelia species) - 44 보르나병 바이러스(Borna Disease Virus) - 45 세인트루이스뇌염 바이러스(St. Louise Encephalitis Virus) - 46 소아마비 바이러스(Poliovirus) - 47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Varicella Zoster Virus) - 48 수막염균(Neisseria meningitidis) - 49 원숭이두창 바이러스(Monkeypox Virus) - 50 이스턴이콰인뇌염 바이러스(Estern Equine Encephalitis Virus) - 51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형(H5N1)(Influenza A Virus, 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H5N1) - 52 임균(Neisseria gonorrhea) - 53 작은와포자충 속(Cryptosporidium species) - 54 진드기매개뇌염 바이러스(Tick-Born Encephalitis Virus Complex) - 55 콜로라도 진드기 열 바이러스(Colorado Tick Fever Virus, CTFV) - 56 클라미디아 트라코마티스균(Chlamydia trachomatis) - 57 풍진 바이러스(Rubella Virus) - 비고 26종 수 혈 감 염 병 원 체 의 수 혈 감 염 위 험 도 등 급 수혈감염 병원체의 수혈감염 위험도 등급 11

번호 병원체명 혈액 폐기 혈액안전조치* 수혈자 조사 역추적 조사 58 이종친화 쥐백혈병 바이러스 관련 바이러스(Xenotropic Murine Leukemia Virus Related Virus) - 59 헤모필루스 두크레이균(Hemophilus ducreyi) - 60 홍역 바이러스(Measles Virus) - 비고 * 혈액안전조치 혈 액 폐 기 : 헌혈 혈액의 감염 위험 등을 완전히 배제하지 못하는 경우 지체 없이 혈액의 출고 상태를 확인하여 해당 혈액제제 및 과거 헌혈 혈액제제 회수 폐기 수혈자 조사 : 헌혈자의 감염기 내 채혈한 혈액 또는 검사 상 양성인 혈액이 수혈된 사례에 대한 감염 여부 조사 역추적 조사 : 헌혈 혈액 선별검사 결과 음성은 확인하였으나 윈도우기 등에 의한 감염 가능성을 확인 하고자 시행하는 수혈감염 여부 조사 12 감염성 병원체의 수혈감염위험도 분류

수혈감염 위험Ⅳ군 병원체 번호 병원체명 혈액 폐기 혈액안전조치* 수혈자 조사 역추적 조사 61 광동주혈선충(Angiostrongylus cantonensis) - 62 돼지 내생성 리트로바이러스 (Porcine Endogenous Retrovirus) - 63 돼지 파보 바이러스(Porcine Parvovirus) - 64 라크로세 바이러스(La Crosse Virus) - 65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니스(Listeria monocytogenes) - 66 림프구성 맥락수막염 바이러스 (Lymphocytic Choriomeningitis Virus) - 67 바르토넬라 헨셀래(Bartonella henselae) - 68 브루스 파동편모충(Trypanosoma brucei) - 69 사상충(Filariae) - 70 스푸마 바이러스(Spumavirus, Simian Foamy Virus) - 71 아나플라즈마 파고사이토필럼(Anaplasma phagocytophilum) - 72 악구충(Gnathostomaspinigerum) - 73 에르리키아 차펜시스(Ehrlichia chaffeensis) - 74 엡스타인 바 바이러스(Epstein-Barr Virus) - 75 우두 바이러스(Vaccinia Virus) - 76 웨스턴 이콰인 뇌염 바이러스 (Western Equine Encepalitis Virus) - 77 이(E)형간염바이러스(Hepatitis E Virus) - 78 이하선염 바이러스(Mumps Virus) - 79 인간 파보 바이러스 B-19(Human Parvovirus B-19) - 80 인간 헤르페스 바이러스-8(Human Herpesvirus-8) - 81 인플루엔자 A형 바이러스 (Influenza A Viruses, other than H5N1) - 82 장 바이러스(Enteroviruses) - 83 주혈흡충(Schistosoma japonicum, S. mansoni, S. haematobium) - 84 지(G)형간염바이러스(Hepatitis G Viruses) - 비고 29종 수 혈 감 염 병 원 체 의 수 혈 감 염 위 험 도 등 급 수혈감염 병원체의 수혈감염 위험도 등급 13

번호 병원체명 혈액 폐기 혈액안전조치* 수혈자 조사 역추적 조사 85 클라미디아 뉴모니아(Chlamydia pneumoniae) - 86 토크 테노 바이러스 복합체(Torque Teno Virus Complex), Transfusion Transmitted Virus - 87 톡소 포자충(Toxoplasma gondil) - 88 포충(Echinococcus granulosus) - 89 폴리오마 바이러스(Polyomaviruses) - 비고 * 혈액안전조치 혈 액 폐 기 : 헌혈 혈액의 감염 위험 등을 완전히 배제하지 못하는 경우 지체 없이 혈액의 출고 상태를 확인하여 해당 혈액제제 및 과거 헌혈 혈액제제 회수 폐기 수혈자 조사 : 헌혈자의 감염기 내 채혈한 혈액 또는 검사 상 양성인 혈액이 수혈된 사례에 대한 감염 여부 조사 역추적 조사 : 헌혈 혈액 선별검사 결과 음성은 확인하였으나 윈도우기 등에 의한 감염 가능성을 확인 하고자 시행하는 수혈감염 여부 조사 14 감염성 병원체의 수혈감염위험도 분류

감염성 병원체별 특성 및 혈액안전 조치 감염성 병원체의 수혈감염위험도 분류

수혈감염 위험도 등급 : 수혈감염 위험Ⅰ군(RED) 말라리아원충 속(Plasmodium species) 1) 병원체 : Plasmodium falciparum, P. vivax, P. malariae, P. ovale 2) 질환명 : 말라리아(Malaria) 3) 지리적 분포 : <국외> 최근 말라리아의 주 유행지역은 아프리카의 중남부 지역, 중미 및 남미지역, 중동지역, 인 도 및 동남아지역, 말레이시아 및 태평양군도 등임 3) <국내> 경기도 : 동두천시, 파주시, 연천군, 김포시, 고양시(일산동구, 일산서구, 덕양구), 의정부 시, 양주시, 포천시, 가평군 인천시 : 강화군, 옹진군, 중구, 서구, 동구 강원도 : 고성군, 화천군, 철원군, 양구군, 인제군, 춘천시 북한지역 : 백두산 제외 전지역 출처 : 2010년 질병관리본부 말라리아 위험지역 분류 4) 잠복기 : 종과 환자의 면역상태, 기생충의 숫자에 따라 다름. P.falciparum과 P.vivax의 경우 1주에서 1 개월까지이나, P.malariae의 경우 수개월까지 걸리는 수가 있음. 5) 임상증상 : 수분 내지 1 2시간 동안 오한, 두통, 구역 등을 보이는 오한 전율기를 거쳐, 따뜻하고 건조 한 피부, 빈맥, 빈호흡 등을 보이는 발열기가 3 6시간 이상 지속된 후 땀 흘리는 발한기로 이어지게 된다. 발열 이외에도 환자는 빈혈, 두통, 비장종대, 혈소판감소 등의 소견을 보임 3) 16 감염성 병원체의 수혈감염위험도 분류

6) 혈액 제제 내의 생존 : 일반적으로 7-10일간 생존가능. 주로 적혈구 제제를 통한 감염임. 7) 수혈 감염 가능성 : 전 세계적으로 많은 수가 보고 되었음. 최근 5번째 Plasmodium species 인 P.knowlesi 가 말라리 아를 일으킬 수 있음이 발견되었음. 8) 국내 수혈 감염 사례 : 현재까지 12명의 국내 발생 건이 있었으며 원인 헌혈자는 11명이었는데, 현역 또는 제대군 인이 10명, 위험지역 거주 주민이 1명이었음. 발생지역은 전국적인 분포를 보이며, 수혈 제제로는 전혈 1단위, 농축적혈구 7단위, 농축혈소판 4단위이었음. 수혈에서 발열까지는 수 혈 감 염 위 험 I 군 병 원 체 평균 30.5일(범위 9-78일)이었음 3). 9) 헌혈자 배제 : 위험지역 여행 또는 거주 관련 헌혈배제 기준 2) (RED) - 6개월 미만 여행/숙박자는 1년간 전혈헌혈 및 혈소판 헌혈금지, 혈장성분헌혈만 가능 - 6개월 이상 거주 또는 군복무자는 2년간 전혈헌혈 및 혈소판 헌혈금지, 혈장성분헌혈만 가능 전염병 환자 관련 헌혈배제 기준 2) - 말라리아 치료 종료 후 3년간 헌혈배제 10) 혈액안전을 위한 조치 사항 : 혈액제제 즉시 폐기 및 수혈자에 대한 감염 여부 조사 실시 참고문헌 1) 질병관리본부 혈액안전감시과, 혈액매개감염병의 역학과 관리, 질병관리본부, 2007, p37 49 2) 질병관리본부 혈액안전감시과, 헌혈기록카드 문진항목 판정기준, 질병관리본부, 2010, p30 31, p52 3) Susan L. Stramer, F. Blaine Hollinger, Louis M. Katz, Steven Kleinman, Peyton S. Metzel, Kay R. Gregory, and Roger Y. Dodd,.Emerging infectious disease agents and their potential threat to transfusion safety. Transfusion 2009;49: 224S-226S 감염성 병원체별 특성 및 혈액안전 조치 17

수혈감염 위험도 등급 : 수혈감염 위험Ⅰ군(RED) 바베스열원충 속(Babesia Species) 1) 병원체 : Babesia microti, Babesia divergens, Babesia bovis 2) 질환명 : 바베스열원충증(Babesiosis) 3) 지리적(역학적) 분포 : <국외>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며 특히 열대와 아열대에 많이 분포함. 쥐바베스열원충(Babesia microti)은 미국 북동부 해안을 따라 비교적 국소적으로 분포하고 있고, 분기바베스열원충 (Babesia divergens)은 유럽에 넓게 분포하여 유고슬라비아, 프랑스, 소련, 아일랜드, 스코틀 랜드 등에서 증례가 보고되었음 1). <국내> 첫 감염사례는 아프리카 코트디부아르에서 2년간 거주하다가 1990년 일시 귀국한 지 2일 만에 고열 증상으로 국립의료원에 내원한 8세 남아의 적혈구 내에서 발견하였음. 2000년 법정전염병으로 지정된 이후 2005년 전남 구례에서 비장 적출을 받은 환자 1명에게서 바 베스열원충증이 발생하였음 1). 4) 잠복기 : 물린 후 1 6주 수혈 후 1 9주, 단 개인별 면역상태에 따라 더 길어질 수 있음. 9건의 사망 사례에서 수혈부터 증상 발현까지 2.5주 7주 이상의 간격을 갖는 것으로 보 고되었음(미국 예). 5) 임상증상 : 주요 증상은 원충에 의한 적혈구 파괴로 발생되는 용혈성 빈혈이임. 쥐바베스열원충의 경우 비장이 정상적인 환자에서는 감염 후 잠복기를 거친 후 점진적으로 식욕부진, 무기력, 고열, 오한, 전신 근육통이 발생함. 이학적 소견은 고열, 간과 비장이 경미한 종대가 나타남. 분기 바베스열원충의 경우 모든 환자가 비장적출술을 받은 사람에서 발생하였고, 무기력, 잦은 구토와 설사, 갑작스러운 고열, 오한, 황달 등이 발생하며, 약한 혈뇨를 보이기도 함 1). 18 감염성 병원체의 수혈감염위험도 분류

6) 혈액 제제내의 생존 : 적혈구 내에서 35일 정도 생존 7) 수혈 감염 가능성: B. microti는 70 사례가 보고됨. 수혈감염 사례는 캐나다에서 발생한 1건을 제외하고 모두 미국 내에서 발생함. 일본에서도 1건이 발생하였고, 유럽에서는 수혈감염 가능 사례가 1건 있었음. B. duncani는 2건이 문헌에서 보고되었음. 유행지역을 방문하여 감염된 비유행지역의 여행자, 바베스열원충증 유행지역 헌혈자의 타지역 헌혈, 혈액제제의 수입 등이 수혈 감염 사례와 관련이 있음 8) 국내 수혈 감염 사례 : 우리나라의 경우 토착형 바베스열원충증이 거의 발생하고 있지는 않지만 바베스열원충증 수 혈 감 염 위 험 I 군 병 원 체 (RED) 종이 분포하고 있으며, 최근 미국 여행의 증가로 우리나라 헌혈자도 위험에 노출될 수 있 으므로 문진 시 주의하여야 함 1). 9) 헌혈자 배제 : 바베시아열원충증 환자는 영구 헌혈 금지 3) 10) 혈액안전을 위한 조치 사항 : 혈액제제 즉시 폐기 및 수혈자에 대한 감염 여부 조사 실시 참고문헌 1) 질병관리본부 혈액안전감시과, 혈액매개감염병의 역학과 관리, 질병관리본부, 2007,p50 57 2) 보건복지가족부, 질병관리본부, 대한의사협회, 2009 법정전염병 진단 신고 기준, 2009, p74 75 3) 질병관리본부 혈액안전감시과, 헌혈기록카드 문진항목 판정기준, 2010, p48 4) Susan L. Stramer, F. Blaine Hollinger, Louis M. Katz, Steven Kleinman, Peyton S. Metzel, Kay R. Gregory, and Roger Y. Dodd., Emerging infectious disease agents and their potential threat to transfusion safety. Transfusion 2009;49: 215S-218S 감염성 병원체별 특성 및 혈액안전 조치 19

수혈감염 위험도 등급 : 수혈감염 위험Ⅰ군(RED) 비(B)형 간염 바이러스(Hepatitis B Virus) 1) 병원체 : Hepatitis B virus (HBV) 2) 질환명 : B형 간염(Hepatitis B) 3) 지리적 분포 : <국외> 전 세계 만성 B형 간염 환자 수는 약 3억 5000만 명임. HBV의 분포는 각 지역과 인종에 따 라 차이가 있으며, 중동과 사하라 이남의 아프리카, 환태평양 지역의 발병률이 높고 서유 럽과 북아메리카는 발병률이 낮음. <국내> 국내의 경우 B형 간염이 필수적으로 예방접종 되도록 권장하고 있어 신규 감염은 적으나, 아직 성인에서의 만성 유병률은 높은 상황임. 2009년 국내 B형 간염 보고건 수는 5,566명으로, 급성 B형 간염이 1,746명, 산모에서 발 견된 만성 B형 간염이 3,813명,, 주산기 B형 간염이 7명 보고되었음 4) 4) 잠복기 : 6주에서 6개월 (평균 120일) 5) 임상증상 : 증상이 없는 불현성 감염증부터 수일 내에 사망하는 전격성 간염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 함. 잠복기를 거친 후 황달을 비롯한 전신 증상을 초래하는 급성 바이러스성 간염증상을 나타낸 후 보통 3-4개월 후 완전히 회복함. 간 기능 이상이 6개월 이상 지속될 경우 만성 간염으로 이행을 의심하여야 하며, 혈청학적 표지 검사를 해보아야 함. 6) 혈액 제제 내의 생존 : 혈액제제 내에서 계속적인 감염력이 유지됨. 20 감염성 병원체의 수혈감염위험도 분류

7) 수혈 감염 가능성 : HBV는 잠복기가 길고 지속성 감염자나 만성 환자가 많아 전 세계적으로 수혈감염 보고됨. 8) 국내 수혈 감염 사례 : 1999년 부터 2004년 사이 8명에서 B형간염 감염이 확인되었음 1). 9) 헌혈자 배제 : 최근 6개월 이내 황달 등 간염증상이 있어 치료를 받은 경우 - 치료 종료 후 6개월 헌혈금지(확인검사 결과에 따라 헌혈유보군 해제) 만성 B형 간염 환자 - 영구 헌혈 금지 10) 혈액안전을 위한 조치 사항 : 혈액제제 즉시 폐기 및 수혈자에 대한 감염 여부 조사 실시, 필요시 역추적조사 실시 수 혈 감 염 위 험 I 군 병 원 체 (RED) 참고문헌 1) 질병관리본부 혈액안전감시과, 혈액매개감염병의 역학과 관리, 질병관리본부, 2007,p12 17 2) 질병관리본부 혈액안전감시과, 헌혈기록카드 문진항목 판정기준, 질병관리본부, 2010, p50 3)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Hepatitis B. 2009. [cited 2009 May]. Available from: http://www. cdc.gov /hepatitis/hbv.htm 4)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전염병감시과, 2009 전염병 감시연보, 2009. p423 감염성 병원체별 특성 및 혈액안전 조치 21

수혈감염 위험도 등급 : 수혈감염 위험Ⅰ군(RED) 씨(C)형 간염 바이러스(Hepatitis C Virus) 1) 병원체 : Hepatitis C virus (HCV) 2) 질환명 : C형 간염(Hepatitis C) 3) 지리적 분포 : <국외> 전 세계적으로 약 1억 3천만명에서 1억 7천만명 정도가 HCV에 감염되었다고 추측하고 있 으며 특히 아프리카, 유럽 미국, 동남아시아에서 발생이 높음. <국내> 우리나라의 경우 지역에 따른 감염율의 차이는 크지 않으며 전체적으로 건강한 성인 및 헌 혈자에서 C형 감염 항체 양성율이 약 1%정도로 보고되고 있음. 2009년 국내 C형 간염 보고건 수는 6,406명임 1) 4) 잠복기 : C형 간염의 잠복기는 15일에서 120일이며 임상경과는 매우 다양함 2). 5) 임상증상 : 대부분의 환자에서 증상은 없으나 간 조직검사를 시행하면 활동성 간염이 발견되는 경우 가 많고, 이 경우 만성화되어 간경변증이나 간암으로 진행될 확률이 높아짐. 만성 C형간염 은 특징적인 증상은 거의 없기 때문에 피로감 등의 가벼운 증상에 의한 병원 방문이나 정 기적 신체검사에 의해 발견되는 경우가 많음. 6) 혈액 제제 내의 생존 : 혈액제제 내에서 계속적인 감염력이 유지됨. 22 감염성 병원체의 수혈감염위험도 분류

7) 수혈 감염 가능성 : C형 간염은 아직까지 백신이 개발되지 못하여 헌혈자 중 약 0.2%에서 양성이 확인되고 있 어 수혈 감염에 위험성이 매우 높은 상황임. 국내에서는 이러한 수혈 감염을 막기 위해서 2005년 2월부터 핵산증폭검사를 도입 시행하여 HCV의 수혈에 의한 전파를 줄이는데 기 여하고 있음. 8) 국내 수혈 감염 사례 : 대한적십자사에서 시행한 1999년 4월부터 2004년 4월 사이 출고된 부적격혈액에 대한 수 혈자 조사를 실시한 결과 확인 가능한 4,237명 중 감염은 되었으나 명백한 인과관계가 입 증되지 않은 C형간염의 경우가 2명 있었음. 9) 헌혈자 배제 : 전염병 환자 관련 헌혈자 문진 기준 - C형간염바이러스 항체양성 확진자 영구 헌혈 금지 3) 10) 혈액안전을 위한 조치 사항 : 혈액제제 즉시 폐기 및 수혈자에 대한 감염 여부 조사 실시. 역추적조사 실시 수 혈 감 염 위 험 I 군 병 원 체 (RED) 참고문헌 1)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전염병감시과, 2009 전염병 감시연보, 2009. p423 2) 질병관리본부 혈액안전감시과, 혈액매개감염병의 역학과 관리, 질병관리본부, 2007, p17 20 3) 질병관리본부 혈액안전감시과, 헌혈기록카드 문진항목 판정기준, 질병관리본부, 2010, p50 감염성 병원체별 특성 및 혈액안전 조치 23

수혈감염 위험도 등급 : 수혈감염 위험Ⅰ군(RED)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Human Immunodeficiency Virus) 1) 병원체 :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type-1 (HIV-1) HIV type-2 (HIV-2) 2) 질환명 : 후천성면역결핍증(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 AIDS) 3) 지리적 분포 : <국외> 전세계 모든 나라에 분포하지만, 발생국의 95%이상이 개발도상국이나 후진국임. 2007년 도 유엔 에이즈계획(UNAIDS)에 따르면 3,320만명이 바이러스 감염이 된 상태이며, 이중 15세 미만 소아는 250만명임. 아시아 지역의 감염자는 490만명으로 추정되며, 동남아시 아 지역이 가장 유병률이 높음 6) 2008년 한해에 전세계 약 280만 명이 AIDS로 사망하였고, 매일 7,400명이 새로 감염되는 것으로 추정됨. <국내> 2010년 6월말 현재 내국인 누적감염인은 총7,268명이며 1,292명이 사망하여 5,976명이 생존해 있음. 남성이 6,661명(91.6%), 여성이 607명(8.4%)임. 감염경로가 밝혀진 5,899 명 중 성접촉에 의한 감염의 비율은 5,845명(99%)으로 대부분을 차지함 5) 4) 잠복기 : 보통 2-6주 항체양전기(seroconversion window period)는 3주 급성감염기 : 21.5일 (5~70일) 5) 임상증상: 급성감염기 : 감염 후 3~4주 이내에 발열, 인후통, 기침, 근육통, 뇌수막염 증상, 발진 등의 감기와 유사한 증상이 나타나지만 이 질환의 특징적인 증상은 아니며 감염인의 30-50% 정도에서만 나타나고 대부분 1-6주 후에 저절로 호전됨. 급성 감염기를 겪은 후 8~10년 동안 아무런 증상이 없는 무증상 감염기를 겪음. 무증상기 동안 HIV에 의해 면역기능이 계속적으로 감소하게 되고, 면역기능을 담당하는 CD4+T세 포가 거의 파괴되면 AIDS가 발생하고 각종 바이러스, 진균, 기생충, 원충 및 세균에 의한 기회감염이 나타남. 24 감염성 병원체의 수혈감염위험도 분류

후천성면역결핍증 관련 증후군 : 후천성면역결핍증으로 이행되기 전에 전구증상으로는 발열, 오한 및 설사, 체중감소, 불면증 등이 있고 아구창, 구강백반, 칸디다 질염, 골반내 감염, 피부질환 등이 동반됨. 6) 혈액 제제 내의 생존 : HIV-1의 경우 제제 보관과 함께 약간의 감염력 감소를 보이나 감염력이 유지됨 7) 수혈 감염 가능성 : 감염된 혈액제제(혈장제제)를 수혈 받으면 90~100% 감염될 수 있고 전혈, 농축적혈구, 혈 소판, 백혈구, 혈장 등의 성분을 수혈할 때 전파가능성이 높음. 그러나 알부민, 면역글로 불린, 항트로빈 Ⅲ, B형 간염 예방주사에 의한 HIV 감염은 보고된 바가 없음. 수혈에 의해 HIV에 감염된 경우에는 성접촉에 의한 경우보다 잠복기가 짧고 AIDS로 진행 되는 기간도 짧음 1). 05년 2월 헌혈혈액 선별검사에서 감염 이후 평균 11일이 경과한 시점에서도 진단이 가능 한 HIV 핵산증폭검사를 도입하였음. 8) 국내 수혈 감염 사례 : 현재까지 국내수혈감염 16건, 국외수혈감염 13건, 혈장분획제제에 의한 감염이 17건을 차 지하고 있음. 2006년 이후 수혈로 인한 감염 사례는 없음. 수 혈 감 염 위 험 I 군 병 원 체 (RED) 9) 헌혈자 배제 : 후천성면역결핍증 환자, 의사환자, 병원체 보유자 영구 헌혈금지 4) 10) 혈액안전을 위한 조치 사항 : 혈액제제 즉시 폐기 및 수혈자에 대한 감염 여부 조사 실시. 역추적조사 실시 참고문헌 1) 질병관리본부 혈액안전감시과, 혈액매개감염병의 역학과 관리, 질병관리본부, 2007, p29 2) 질병관리본부, 감염병실험실진단: 질환별시험법 II, 2005 3) 보건복지가족부, 질병관리본부, 대한의사협회, 2009 법정전염병 진단 신고 기준, 2009, p255 257 4) 질병관리본부 혈액안전감시과, 헌혈기록카드 문진항목 판정기준, 2010, p47, p50 5) 한국에이즈정보센터, www.aidsinfo.or.kr 6) Harrison 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17th edition, The McGraw-Hill Companies, 2008. 7)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Guideline for HIV/AIDS Control, KCDC, 2010. 8) UNAIDS/WHO Joint United Nations Programme on HIV/AIDS (UNAIDS). World epidemic of HIV/AIDS report, UNAIDS/WHO in November 2009. 감염성 병원체별 특성 및 혈액안전 조치 25

수혈감염 위험도 등급 : 수혈감염 위험Ⅱ군(ORANGE) 두창 바이러스(Variola Virus) 1) 병원체 : Variola Virus 2) 질환명 : 두창(Smallpox) 3) 지리적(역학적) 분포 : 1979년 WHO는 공식적인 두창박멸을 선언하였고, 현재까지 자연발생적인 두창은 더 이상 보고된 바 없음. 4) 잠복기 : 노출 후 7-17일 5) 임상증상 : 초기에 전신 무기력증, 발열, 경직, 구토, 두통 및 요통의 증상이 관찰되고 정신착란증세 (15%)와 광과민성 피부병변(10%)이 나타남. 급성기를 지나 2-3일 후에는 얼굴과 사지말 단에 경계가 분명한 홍반과 발진을 동반한 피부병변이 관찰됨. 사지말단에서 관찰되는 피 부병변이 일어난 후 1주일 이후 피부병변은 사지말단에서 몸통 부위로 확장되며, 기존의 피부병변은 수포 및 농포 등을 형성하며 증상이 빠르게 진행됨. 6) 혈액 제제내의 생존 : 알려진 바 없음. 7) 수혈 감염 가능성: 보고 사례 없음 26 감염성 병원체의 수혈감염위험도 분류

8) 국내 수혈 감염 사례 : 보고 사례 없음. 9) 헌혈자 배제 : 치료 종료 후 1개월간 헌혈 배제 2) 10) 혈액안전을 위한 조치 사항 : 혈액제제 즉시 폐기 및 수혈자에 대한 감염 여부 조사 실시 참고문헌 1) 보건복지가족부, 질병관리본부, 대한의사협회, 2009 법정전염병 진단 신고 기준, 2009, p255 257 2) 질병관리본부 혈액안전감시과, 헌혈기록카드 문진항목 판정기준, 2010, p48 3)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 감염병실험실진단, 2005, p721 724 4) Susan L. Stramer, F. Blaine Hollinger, Louis M. Katz, Steven Kleinman, Peyton S. Metzel, Kay R. Gregory, and Roger Y. Dodd,.Emerging infectious disease agents and their potential threat to transfusion safety. Transfusion 2009;49: 1S-235S 수 혈 감 염 위 험 II군 병 원 체 (ORANGE) 감염성 병원체별 특성 및 혈액안전 조치 27

수혈감염 위험도 등급 : 수혈감염 위험Ⅱ군(ORANGE) 뎅기 바이러스(Dengue Virus) 1) 병원체 : Dengue virus (DENV-1, DENV-2, DENV-3, DENV-4) 2) 질환명 : 뎅기열 (Dengue fever) 및 뎅기출혈열(Dengue hemorrhagic fever) 3) 지리적(역학적) 분포 : <국외> 아시아, 오세아니아, 아프리카, 오스트레일리아 및 미주의 열대 지역. 주로 평균 이하의 생활 수준이 낮은 주민에서 발생함. 풍토병 유행 지역으로의 여행하는 사람의 경우, 동남아시아 및 카리브 해 지역 여행자가 가장 위험함. <국내> 보고사례 없음 4) 잠복기 : 3-14일. 보통 4-7일. 5) 임상증상 : 전형적인 뎅기열은 5-7일간 지속되는 갑작스러운 고열과 동반되는 일시적 발진 (약 50%), 심한 두통, 목 통증, 허리 통증, 결막염, 안면 홍조 및 근육통, 식욕 부진, 오심, 구 토, 위약감 및 쇠약감을 나타냄. 발진은 체간에서 시작하여 사지로 퍼져나가는 양상이나, 발바닥과 손바닥은 침범하지 않 음. 표피 탈락이 있을 수 있음. 경우에 따라 이상성(biphasic) 양상을 보임. 출혈이 종종 나타나, 점상 출혈, 코피, 내부 장기 출혈 및 월경 과다가 있을 수 있으며, 중추 신경계 증상(뇌병증, 말초 단일 신경 병증, 다발성 신경병증 등)이 있을 수 있음. 상당 기간 회복이 지연되는 경우도 있음. 28 감염성 병원체의 수혈감염위험도 분류

6) 혈액 제제내의 생존 : 알려진 바 없음 7) 수혈 감염 가능성: 수혈 감염 사례가 보고된 바 있으며, 주사 바늘에 의한 손상, 골수 및 신장 이식에 의한 전 염 사례도 확인되었음. 8) 국내 수혈 감염 사례 : 보고 사례 없음 9) 헌혈자 배제 : 치료 종료 후 1개월간 헌혈 배제 2) 10) 혈액안전을 위한 조치 사항 : 혈액제제 즉시 폐기 및 수혈자에 대한 감염 여부 조사 실시 수 혈 감 염 위 험 II군 병 원 체 참고문헌 (ORANGE) 1) 보건복지가족부, 질병관리본부, 대한의사협회, 2009 법정전염병 진단 신고 기준, 2009, p255 257 2) 질병관리본부 혈액안전감시과, 헌혈기록카드 문진항목 판정기준, 2010, p48 3) Susan L. Stramer, F. Blaine Hollinger, Louis M. Katz, Steven Kleinman, Peyton S. Metzel, Kay R. Gregory, and Roger Y. Dodd,.Emerging infectious disease agents and their potential threat to transfusion safety. Transfusion 2009;49: 67S-69S0 4) Wilder-Smith A. Dengue in travelers. New Engl J Med 2005;353:924-32. 감염성 병원체별 특성 및 혈액안전 조치 29

수혈감염 위험도 등급 : 수혈감염 위험Ⅱ군(ORANGE) 라싸 바이러스(Lassa Virus) 1) 병원체 : Lassa virus 2) 질환명 : 라싸열(Lassa fever) 라싸출혈열(Lassa hemorrhagic fever) 3) 지리적(역학적) 분포 : <국외> 아프리카 지역의 풍토병이며, 현재에도 나이지리아, 리베리아, 시에라리온, 세네갈, 케냐 등의 사하라 사막 남서 아프리카에서 유행을 보이고 있으며, 이들 토착화 발생지역의 여 행객이 잠복기간 중 여행으로 인하여 다른 지역에서도 환자발생이 종종 보고되고 있음. <국내> 보고 사례 없음. 4) 잠복기 : 10일(범위 : 5-21일) 5) 임상증상 : 다양하고 비특이적인 증상을 보임. 약 80%는 증상이 없거나 경미하지만, 나머지 20%는 심한 전신 증상을 보임. 발열, 흉통, 인두통, 요통, 기침, 복통, 구토, 설사, 결막염, 안면부 종, 단백뇨, 점막출혈 등을 보임. 심 신부전, 진전, 뇌염 등으 신경학적 증상도 동반될 수 있음 6) 혈액 제제내의 생존 : 알려진 바 없음. 7) 수혈 감염 가능성: 보고 사례 없음 30 감염성 병원체의 수혈감염위험도 분류

8) 국내 수혈 감염 사례 : 보고 사례 없음 9) 헌혈자 배제 : 치료 종료 후 1개월간 헌혈 배제 2) 10) 혈액안전을 위한 조치 사항 : 혈액제제 즉시 폐기 및 수혈자에 대한 감염 여부 조사 실시 참고문헌 1) 보건복지가족부, 질병관리본부, 대한의사협회, 2009 법정전염병 진단 신고 기준, 2009, p50 51 2) 질병관리본부 혈액안전감시과, 헌혈기록카드 문진항목 판정기준, 2010, p48 3)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 감염병실험실진단, 2005, p811 813 4) Susan L. Stramer, F. Blaine Hollinger, Louis M. Katz, Steven Kleinman, Peyton S. Metzel, Kay R. Gregory, and Roger Y. Dodd,.Emerging infectious disease agents and their potential threat to transfusion safety. Transfusion 2009;49: 121S-123S 수 혈 감 염 위 험 II군 병 원 체 (ORANGE) 감염성 병원체별 특성 및 혈액안전 조치 31

수혈감염 위험도 등급 : 수혈감염 위험Ⅱ군(ORANGE) 리슈만편모충 속(Leishmania Species) 1) 병원체 : Leishmania species 2) 질환명 : 리슈마니아증, 리슈만편모충증(Leishmaniasis) 3) 지리적(역학적) 분포 : <국외> 아프리카, 아시아, 유럽, 중남미의 열대 및 아열대 지방에 광범위하게 분포 1) <국내> 1980년대 사우디아라비아를 다녀온 사람들에서 피부 리슈마니아증이 발견되었으나 1990 년대 이후로는 드물게 보고됨. 2000년 법정전염병으로 지정된 이후 2002면 1명, 2004년 1명(아르헨티나에 20일 가량 체류한 여행력 있는 10개월 여아)이 보고됨 1) 4) 잠복기 : 수주부터 수개월 5) 임상증상 : 피부 리슈마니아증 - 모래파리(sandfly)에 물린 자리에 나타나는 피부병변이 특징적이며 수주부터 수개월 후 자연적으로 치유되지만 보통은 반흔을 남김 점막 리슈마니아증 - 주로 비인두에 병변이 있음 내장 리슈마니아증 - 발열, 빈혈, 간비종대, 허약감, 전신쇠약, 출혈, 설사, 전신림프절종 대 등이 특징적이며, 치료하지 않으면 대개 이차감염으로 사망하는 치명적인 질환임 1) 6) 혈액 제제내의 생존 : 혈액은행 보관상태 하에 적혈구제제에서 15일 이상 생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4) 7) 수혈 감염 가능성: 비유행지역에서 영아나 면역약화 환자에서 수혈감염 사례가 3건 정도 보고되었음 4) 32 감염성 병원체의 수혈감염위험도 분류

8) 국내 수혈 감염 사례 : 보고 사례 없음 9) 헌혈자 배제 : 영구 헌혈 금지 2) 10) 혈액안전을 위한 조치 사항 : 혈액제제 즉시 폐기 및 수혈자에 대한 감염 여부 조사 실시 참고문헌 1) 보건복지가족부, 질병관리본부, 대한의사협회, 2009 법정전염병 진단 신고 기준, 2009, p60 62 2) 질병관리본부 혈액안전감시과, 헌혈기록카드 문진항목 판정기준, 2010, p48 3)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 감염병실험실진단, 2005, p1015 1023 4) Susan L. Stramer, F. Blaine Hollinger, Louis M. Katz, Steven Kleinman, Peyton S. Metzel, Kay R. Gregory, and Roger Y. Dodd,.Emerging infectious disease agents and their potential threat to transfusion safety. Transfusion 2009;49: 221S-223S 수 혈 감 염 위 험 II군 병 원 체 (ORANGE) 감염성 병원체별 특성 및 혈액안전 조치 33

수혈감염 위험도 등급 : 수혈감염 위험Ⅱ군(ORANGE) 마버그 바이러스(Marburg Virus) 1) 병원체 : Marburg virus 2) 질환명 : 마버그출혈열(Marburg hemorrhagic fever,mhf) Marburg virus disease Durba syndrome 3) 지리적(역학적) 분포 : <국외> 아프리카의 풍토병으로 처음 발생한 지리상의 지역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아마도 우간다 와 케냐 서부, 짐바브웨인 것으로 추측하고 있음 3) <국내> 보고 없었음 4) 잠복기 : 3-9일(범위 : 2-19일) 4) 5) 임상증상 : 갑작스런 열과 오한, 두통, 근육통이 나타나고, 증상 발현 5일 후 사람의 몸(가슴과 등,배) 에 가장 두드러지는 반상발진이 나타남. 황달, 췌장염, 심한 체중감소, 쇼크, 간 쇠약, 다량 의 출혈, 다기관 기능장애가 나타나며 점점 심해짐 1) 6) 혈액 제제내의 생존 : 알려진 바 없음. 7) 수혈 감염 가능성: 보고 사례 없음 34 감염성 병원체의 수혈감염위험도 분류

8) 국내 수혈 감염 사례 : 보고 사례 없음 9) 헌혈자 배제 : 치료 종료 후 1개월간 헌혈 배제 2) 10) 혈액안전을 위한 조치 사항 : 혈액제제 즉시 폐기 및 수혈자에 대한 감염 여부 조사 실시 참고문헌 1) 보건복지가족부, 질병관리본부, 대한의사협회, 2009 법정전염병 진단 신고 기준, 2009, p63 64 2) 질병관리본부 혈액안전감시과, 헌혈기록카드 문진항목 판정기준, 2010, p48 3)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 감염병실험실진단, 2005, p817 820 4) Susan L. Stramer, F. Blaine Hollinger, Louis M. Katz, Steven Kleinman, Peyton S. Metzel, Kay R. Gregory, and Roger Y. Dodd,.Emerging infectious disease agents and their potential threat to transfusion safety. Transfusion 2009;49: 127S-129S 수 혈 감 염 위 험 II군 병 원 체 (ORANGE) 감염성 병원체별 특성 및 혈액안전 조치 35

수혈감염 위험도 등급 : 수혈감염 위험Ⅱ군(ORANGE) 만성 소모성 질환 프리온(Chronic Wasting Disease Prion) 1) 병원체 : Chronic Wasting Disease(CWD) prion 2) 질환명 : 만성소모성질환(Chronic Wasting Disease, CWD) 3) 지리적(역학적) 분포 : <국외> 북아메리카 지역(콜로라도 북동부, 와이오밍 남동부, 네브라스카 남서부, 캐나다 일부 등) 1) <국내> 보고 사례 없음 4) 잠복기 : 자연 감염에서 결정하기는 어렵지만 경험적으로 1 2년 1) 5) 임상증상 : 인간에게 그대로 적용되지는 않으나 감염된 동물에서는 소진, 운동실조, 진전의 증상 보임 1) 6) 혈액 제제내의 생존 : 알려진 바 없음. 7) 수혈 감염 가능성: 알려진 바 없음. 8) 국내 수혈 감염 사례 : 보고 사례 없음 9) 헌혈자 배제 : 별도 기준 없음 미국 FDA 지침이나 미국혈액은행(AABB) 기준도 없음 36 감염성 병원체의 수혈감염위험도 분류

10) 혈액안전을 위한 조치 사항 : 혈액제제 즉시 폐기 및 수혈자에 대한 감염 여부 조사 실시 참고문헌 1) Susan L. Stramer, F. Blaine Hollinger, Louis M. Katz, Steven Kleinman, Peyton S. Metzel, Kay R. Gregory, and Roger Y. Dodd,.Emerging infectious disease agents and their potential threat to transfusion safety. Transfusion 2009;49: 50S-51S 수 혈 감 염 위 험 II군 병 원 체 (ORANGE) 감염성 병원체별 특성 및 혈액안전 조치 37

수혈감염 위험도 등급 : 수혈감염 위험Ⅱ군(ORANGE) 발진열 리케치아(Rickettsia typhi) 1) 병원체 : Rickettsia typhi 2) 질환명 : 발진열(Murine typhus) 3) 지리적 분포 : <국외> 쥐벼룩을 매개로 전파. 대부분의 연안과 항구지역의 풍토병임. 미국에서는 해마다 수천건 의 사례가 보고되고 있으며 호주, 중국, 그리스, 이스라엘, 쿠웨이트, 태국에서 유행이 보 고됨 2) <국내> 매년 지속적인 보고가 이뤄지고 있으며 2009년은 29건이 발생함. 4) 잠복기 : 1~2주 5) 임상증상 : 두통, 발열, 근육통이 대표적인 임상증상으로 발진티푸스와 유사하나 발진티푸스보다 경 함. 피부발진은 환자의 60~80%에서 보이며, 발열은 항생제 투여시 2~3일내 소실되나 치 료를 하지 않으면 고열이 12~16일간 지속됨. 두통은 가장 흔한 신경학적 증상임 2) 6) 혈액 제제 내의 생존 : 알려지지 않음. 7) 수혈 감염 가능성 : 이론적 가능성은 있으나 보고사례 없음 8) 국내 수혈 감염 사례 : 보고 사례 없음. 38 감염성 병원체의 수혈감염위험도 분류

9) 헌혈자 배제 : 치료 종료 후 1개월간 헌혈 배제 1) 10) 혈액안전을 위한 조치 사항 : 혈액제제 즉시 폐기 및 수혈자에 대한 감염 여부 조사 실시 참고문헌 1) 질병관리본부 혈액안전감시과, 헌혈기록카드 문진항목 판정기준, 2010, p48 2) 보건복지가족부, 질병관리본부, 대한의사협회, 2009 법정전염병 진단, 신고 기준, 질병관리본부, 2009, p78 80 수 혈 감 염 위 험 II군 병 원 체 (ORANGE) 감염성 병원체별 특성 및 혈액안전 조치 39

수혈감염 위험도 등급 : 수혈감염 위험Ⅱ군(ORANGE) 발진티푸스 리케치아(Rickettsia prowazekii) 1) 병원체 : Rickettsia prowazekii 2) 질환명 : 발진티푸스 (Epidemic typhus) 3) 지리적 분포 : <국외> 2차 세계대전 이후 대유행은 주로 아프리카(이디오피아, 르완다, 버룬디)에서 발생 2) <국내> 1960년대 이후 발생 보고 없음 2) 4) 잠복기 : 10-14일 (범위 5-23일) 3) 5) 임상증상 : 심한 두통, 발열, 오한, 발한, 기침, 근육통이 갑자기 발생함 2) - 이에 물린 자리의 가려움증을 호소하며 긁은 상처가 있으나 가피는 없음 - 짙은 반점 형태로 발병 4일에서 6일경 나타나며 몸통과 겨드랑이에서 시작하여 사지로 퍼지고 손바닥이나 발바닥에는 발생하지 않음 - 치료를 안하는 경우 약 2주 후 빠르게 열이 내리며 상태가 호전됨 6) 혈액 제제 내의 생존 : 알려지지 않음 7) 수혈 감염 가능성 : 이론적 가능성은 있으나 보고사례 없음 3) 8) 국내 수혈 감염 사례 : 보고 사례 없음 40 감염성 병원체의 수혈감염위험도 분류

9) 헌혈자 배제 : 치료종료 후 1개월간 헌혈 배제 1) 10) 혈액안전을 위한 조치 사항 : 혈액제제 즉시 폐기 및 수혈자에 대한 감염 여부 조사 실시 참고문헌 1) 질병관리본부 혈액안전감시과, 헌혈기록카드 문진항목 판정기준, 2010, p48 2) 보건복지가족부, 질병관리본부, 대한의사협회, 2009 법정전염병 진단, 신고 기준, 질병관리본부, 2009, p81 83 3) Susan L. Stramer, F. Blaine Hollinger, Louis M. Katz, Steven Kleinman, Peyton S. Metzel, Kay R. Gregory, and Roger Y. Dodd,.Emerging infectious disease agents and their potential threat to transfusion safety. Transfusion 2009;49: 181S-183S 수 혈 감 염 위 험 II군 병 원 체 (ORANGE) 감염성 병원체별 특성 및 혈액안전 조치 41

수혈감염 위험도 등급 : 수혈감염 위험Ⅱ군(ORANGE) 변종 크로이츠펠트 야콥병 프리온 (Variant Creutzfeldt-Jakob Disease Prion, vcjd Prion) 1) 병원체 : Variant Creutzfeldt-Jakob disease prion(vcjd prion) 2) 질환명 : 변종 크로이츠펠트-야콥병(Variant Creutzfeldf-Jakob Disease,vCJD) 인간 전염성 해면상 뇌병증(Human transmissible spongiform encephalopathy,tse) 3) 지리적(역학적) 분포 : <국외> 1995년 1월부터 2009년 2월 기간 동안 영국에서 168명의 사례가 보고되었고, 그 외에 프 랑스 23명, 스페인 5명, 아일랜드 4명, 미국 3명(2명은 영국 장기체류자, 1명은 사우디아 라비아 거주자), 네덜란드 3명, 포르투갈 2명, 캐나다 이탈리아 일본 사우디아라비 아 각 1명의 사례가 보고되었음 5) <국내> 아직까지 변종 크로이츠펠트-야콥병 환자 보고 사례는 없음 2). 4) 잠복기 : 잘 알려져있지 않지만 약 5 15년으로 추정됨. 5) 임상증상 : 변종 크로이츠펠트-야콥병은 20 30세에 발병하고, 초기증세는 주로 우울증, 불안감, 성격 변화, 초조감, 공격성향, 무감동증과 같은 정신적인 증상이 주로 나타남. 성격 및 정신적인 증상을 나타낸 후 6개월 정도 지나서 신경과적 증세가 나타나기 시작하며, 초기증세는 팔 다리 감각이상, 구음장애, 미각장애, 시력기능 이상과 운동실조증, 이상운동증(근경련, 무 도증, 근긴장 이상증)이 나타남. 그 외 질병이 진행되면서 인지기능 장애, 소변장애, 점진적 운동력 상실, 무언증 등이 나타나고 임상증상 발현 후 평균 14 16개월 사이에 사망함 1) 2). 6) 혈액 제제내의 생존 : 정확한 생존기간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프리온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생각하면 전체 보관 기관 동안 생존할 것으로 추정됨 42 감염성 병원체의 수혈감염위험도 분류

7) 수혈 감염 가능성: 인간에서 변종 크로아츠펠트-야콥병의 수혈 감염 가능성은 비교적 높은 비율임. 변종 크 로이츠펠트-야콥병은 말초림프조직에서도 쉽게 발견되어, 충수돌기, 비장, 편도, 림프절 등에서 프라이온 단백질이 검출되므로 혈액으로 전파가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음 5) 8) 국내 수혈 감염 사례 : 국내 보고 사례 없음. 9) 헌혈자 배제 : vcjd로 인한 수혈감염 예방을 위해 1980년 이후 영국, 프랑스 등 유럽국가 거주/방문/여행 기 타 유 럽 한 경우 헌혈금지(표 참조) 대상 지역 국 가 명 기간 누적기간 영국 광우병 발생국가 광우병 발생 위험성이 높은국가 본토, 북아일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즈, 맨(Man)섬, 채널(Channel)제도, 지 브롤터, 포클랜드섬 본토, 북아일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즈, 맨(Man)섬, 채널 (Channel)제도, 지브롤터, 포클랜드섬 프랑스, 그리스, 덴마크, 체코,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핀란드, 폴란드,룩셈부르 크, 리히텐슈타인, 오스트리아, 스위스, 스페인, 독일, 포르투갈, 이탈리아, 네덜 란드, 벨기에, 아일랜드 안도라, 알바니아, 크로아티아, 산마리노, 헝가리, 노르웨이, 불가리아, 보스니 아-헤르체고비나, 루마니아, 마케도니아, 모나코, 아이슬란드, 바티칸, 유고슬라 비아(세르비아, 몬테네그로), 몰타, 스웨덴 참조 : 헌혈금지 대상 국가에 거주 및 여행기간 산정은 합산하여 적용 (예: 프랑스 2년, 독일 2년, 포르투갈 1년 6개월 거주자의 경우 거주기간이 5년 이상이므로 영구 헌혈금지) 10) 혈액안전을 위한 조치 사항 : 혈액제제 즉시 폐기 및 수혈자에 대한 감염 여부 조사 실시 1980년부터 1996년까지 1997년부터 현재까지 1980년부터 현재까지 1980년부터 현재까지 1개월 이상 3개월 이상 5년이상 수 혈 감 염 위 험 II군 병 원 체 (ORANGE) 참고문헌 1) 보건복지가족부, 질병관리본부, 대한의사협회, 2009 법정전염병 진단 신고 기준, 2009, p255 257 2) 질병관리본부 혈액안전감시과, 혈액매개감염병의 역학과 관리, 질병관리본부, 2007, p75 76 3) 질병관리본부 혈액안전감시과, 헌혈기록카드 문진항목 판정기준, 2010, p49 4)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 감염병실험실진단, 2005, p845 5) Susan L. Stramer, F. Blaine Hollinger, Louis M. Katz, Steven Kleinman, Peyton S. Metzel, Kay R. Gregory, and Roger Y. Dodd,.Emerging infectious disease agents and their potential threat to transfusion safety. Transfusion 2009;49: 52S-55S 감염성 병원체별 특성 및 혈액안전 조치 43

수혈감염 위험도 등급 : 수혈감염 위험Ⅱ군(ORANGE) 브루셀라속 균(Brucella Species) 1) 병원체 : Brucella melitensis, Brucella suis, Brucella ovis, Brucella canis, Brucella maris 2) 질환명 : 브루셀라증(Brucellosis) 3) 지리적(역학적) 분포 : <국외> 포르투칼, 스페인, 프랑스 남부, 이탈리아, 그리스, 터키 등과 같은 지중해 연안국과 중남 미, 동유럽, 아시아, 아프리카, 카리브 연안 및 중동에서 발병률이 높음 3). <국내> 우리나라에서는 2000년에 법정전염병으로 지정된 후 2002년 젖소의 미살균 처리 우유를 마셔 감염된 첫 환자가 신고 보고되었고, 2009년 24건의 브루셀라증이 보고된바 있음 3). 4) 잠복기 : 대개 2-4주(범위 1-8주 이상) 5) 임상증상 : 불규칙적인 발열이 다양한 기간 계속되며, 두통, 쇠약감, 발한, 오한, 관절통, 권태, 체중 감소, 전신통 등이 일반적임 4) 6) 혈액 제제내의 생존 : 알려진 바 없음. 7) 수혈 감염 가능성: 전 세계적으로 수혈감염 보고 사례는 거의 없음 5) 8) 국내 수혈 감염 사례 : 보고 사례 없음. 44 감염성 병원체의 수혈감염위험도 분류

9) 헌혈자 배제 : 치료 종료 후 2년간 헌혈 배제 10) 혈액안전을 위한 조치 사항 : 혈액제제 즉시 폐기 및 수혈자에 대한 감염 여부 조사 실시 참고문헌 1) 보건복지가족부, 질병관리본부, 대한의사협회, 2009 법정전염병 진단 신고 기준, 2009, p92 95 2) 질병관리본부 혈액안전감시과, 헌혈기록카드 문진항목 판정기준, 2010, p48 3) 질병관리본부, 혈액매개감염병의 역학과 관리, 질병관리본부, 2007, p64 66 4)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 감염병실험실진단, 2005, p152 153 5) Susan L. Stramer, F. Blaine Hollinger, Louis M. Katz, Steven Kleinman, Peyton S. Metzel, Kay R. Gregory, and Roger Y. Dodd,.Emerging infectious disease agents and their potential threat to transfusion safety. Transfusion 2009;49: 199S-201S 수 혈 감 염 위 험 II군 병 원 체 (ORANGE) 감염성 병원체별 특성 및 혈액안전 조치 45

수혈감염 위험도 등급 : 수혈감염 위험Ⅱ군(ORANGE) 사스 코로나 바이러스(SARS Coronavirus) 1) 병원체 : SARS coronavirus 2) 질환명 :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sars) 3) 지리적(역학적) 분포 : <국외> 2003년 3월 12일 WHO 경보 후, 3월 17일 홍콩과 베트남에 이어 독일, 캐나다, 스위스, 태 국 등 7개 나라에서 167명의 환자와 4명의 사망자가 보고된 것을 시작으로 급속히 환자 수 와 사망자 수가 증가함1) 2003년 12월 31일 기준, WHO는 전세계 29개국에서 8,096명의 추정환자와 774명의 사 망자가 발생한 것으로 최종 집계함 1) <국내> 보고 사례 없음 4) 잠복기 : 2-10일 4) 5) 임상증상 : 발열(38 C 이상)이 첫 증상이며 오한, 두통, 근육통 등 전신적인 불편감이 동반되기도 하며 초기에 미약한 호흡기 증상이 나타남. 2 7일이 지나면 가래가 없는 마른기침이 나타나고 혈중 산소 포화도가 낮아짐. 대부분의 환자는 회복되지만 10 20%에서는 호흡부전이 나 타나고 인공호흡이 필요함 3) 6) 혈액 제제내의 생존 : 알려진 바 없음 7) 수혈 감염 가능성: 보고 사례 없음 46 감염성 병원체의 수혈감염위험도 분류

8) 국내 수혈 감염 사례 : 보고 사례 없음 9) 헌혈자 배제 : 치료 종료 후 3개월간 헌혈 배제 10) 혈액안전을 위한 조치 사항 : 혈액제제 즉시 폐기 및 수혈자에 대한 감염 여부 조사 실시 참고문헌 1) 보건복지가족부, 질병관리본부, 대한의사협회, 2009 법정전염병 진단 신고 기준, 2009, p184 187 2) 질병관리본부 혈액안전감시과, 헌혈기록카드 문진항목 판정기준, 2010, p49 3)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 감염병실험실진단, 2005, p921 926 4) Susan L. Stramer, F. Blaine Hollinger, Louis M. Katz, Steven Kleinman, Peyton S. Metzel, Kay R. Gregory, and Roger Y. Dodd,.Emerging infectious disease agents and their potential threat to transfusion safety. Transfusion 2009;49: 150S-152S 수 혈 감 염 위 험 II군 병 원 체 (ORANGE) 감염성 병원체별 특성 및 혈액안전 조치 47

수혈감염 위험도 등급 : 수혈감염 위험Ⅱ군(ORANGE) 야토균(Francisella tularensis) 1) 병원체 : Francisella tularensis 2) 질환명 : 야토병(Tularemia) 토끼열(Rabbit fever) 3) 지리적(역학적) 분포 : <국외> 위험지역에 국한되어 산발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주로 북반구에 제한되어 발생함. 미국 에서는 아칸소, 오클라호마, 미주리 등지에서 유행하고 있으며, 스칸디나비아, 동유럽, 러시아 및 시베리아 등에서 증가하고 있음 3) <국내> 우리나라에서는 1996년 말 포항 지역에서 죽은 야생토끼를 상처 난 손으로 요리해 먹은 40세 환자에서 임상적으로 궤양 림프절형으로 생각되는 야토병 1예를 확진하여 보고한 바 있음 3) 4) 잠복기 : 대개 3 5일이지만 수주가 될 수도 있음 5) 임상증상 : 갑작스런 발열, 오한, 두통, 설사, 근육통, 관절통, 마른기침, 진행되는 쇠약증 등 1) 6) 혈액 제제내의 생존 : 알려진 바 없음 7) 수혈 감염 가능성: 이론적 가능성은 있으나 보고사례 없음 8) 국내 수혈 감염 사례 : 국내 보고 사례 없음 48 감염성 병원체의 수혈감염위험도 분류

9) 헌혈자 배제 : 치료 종료 후 3개월간 헌혈 배제 2) 10) 혈액안전을 위한 조치 사항 : 혈액제제 즉시 폐기 및 수혈자에 대한 감염 여부 조사 실시 참고문헌 1) 보건복지가족부, 질병관리본부, 대한의사협회, 2009 법정전염병 진단 신고 기준, 2009, p138 140 2) 질병관리본부 혈액안전감시과, 헌혈기록카드 문진항목 판정기준, 2010, p49 3)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 감염병실험실진단, 2005, p176 181 4) Susan L. Stramer, F. Blaine Hollinger, Louis M. Katz, Steven Kleinman, Peyton S. Metzel, Kay R. Gregory, and Roger Y. Dodd,.Emerging infectious disease agents and their potential threat to transfusion safety. Transfusion 2009;49: 204S-205S 수 혈 감 염 위 험 II군 병 원 체 (ORANGE) 감염성 병원체별 특성 및 혈액안전 조치 49

수혈감염 위험도 등급 : 수혈감염 위험Ⅱ군(ORANGE) 에볼라 바이러스(Ebola Virus) 1) 병원체 : Ebola virus 2) 질환명 : 에볼라출혈열(Ebola hemorrhagic fever) 3) 지리적(역학적) 분포 : <국외> 콩고 공화국, 가봉, 수단, 아이보리코스트, 우간다에서 발생 사례 있음 3) <국내> 보고 사례 없음 4) 잠복기 : 임상적 노출 이후 5 10일(범위 : 2 19일) 4) 5) 임상증상 : 발병초기에는 갑작스런 고열, 오한, 두통, 식욕부진, 관절과 근육의 통증 등의 증상을 보 이다가 오심, 구토, 인후통, 복통, 설사, 탈수 증상이 있다. 보통 수일 내로 몸통 전체에 특 징적인 반점, 구진성 발진, 점상출혈 및 점막출혈 나타냄. 쇼크나 백혈구감소증이 나타나 는 경우도 있음 3) 6) 혈액 제제내의 생존 : 알려진 바 없음 7) 수혈 감염 가능성: 보고 사례 없음 8) 국내 수혈 감염 사례 : 보고 사례 없음 50 감염성 병원체의 수혈감염위험도 분류

9) 헌혈자 배제 : 치료 종료 후 1개월간 헌혈 배제 10) 혈액안전을 위한 조치 사항 : 혈액제제 즉시 폐기 및 수혈자에 대한 감염 여부 조사 실시 참고문헌 1) 보건복지가족부, 질병관리본부, 대한의사협회, 2009 법정전염병 진단 신고 기준, 2009, p144 145 2) 질병관리본부 혈액안전감시과, 헌혈기록카드 문진항목 판정기준, 2010, p49 3)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 감염병실험실진단, 2005, p814 817 4) Susan L. Stramer, F. Blaine Hollinger, Louis M. Katz, Steven Kleinman, Peyton S. Metzel, Kay R. Gregory, and Roger Y. Dodd,.Emerging infectious disease agents and their potential threat to transfusion safety. Transfusion 2009;49: 72S-74S 수 혈 감 염 위 험 II군 병 원 체 (ORANGE) 감염성 병원체별 특성 및 혈액안전 조치 51

수혈감염 위험도 등급 : 수혈감염 위험Ⅱ군(ORANGE) 에이(A)형 간염 바이러스(Hepatitis A virus) 1) 병원체 : Hepatitis A virus (HAV) 2) 질환명 : A형 간염(Hepatitis A) 3) 지리적 분포 : <국외> 미국, 캐나다, 서유럽, 북유럽, 일본, 뉴질랜드, 호주 이외의 동남아나 아프리카의 개발도 상국 또는 저개발국가 <국내>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 지역, 광주, 전북 지역 4) 잠복기 : 10-50일 4) 5) 임상증상 : 발열, 식욕감퇴, 구역, 쇠약감, 복통, 설사 등 다른 바이러스 간염과 유사함 질병의 심한 정도는 감염 당시의 나이에 따라 결정된다. 소아는 거의가 증상이 없는 불현 성 감염(6세 이하에서 약 50%가 무증상)을 보이나, 연령이 높아질수록 증상이 심해짐 1) 6) 혈액 제제내의 생존 : 혈액제제 내에서 계속적인 감염력이 유지됨 4) 7) 수혈 감염 가능성 : 드물지만 보고사례 있음. 전염이 잘되지 않는 것은 짧은 viremic stage, 낮은 유병률, 만성 간 염의 부재, 수혈자의 면역력 때문임 4) 8) 국내 수혈 감염 사례 : 우리나라를 비롯한 대부분의 국가에서 헌혈시 A형 간염에 대한 검사는 시행하고 있지 않 기 때문에 정확한 발생률은 조사된 적이 없음. 국내에서 역추적조사로 수혈을 통한 A형 간 염이 증명된 사례가 1건 있음 52 감염성 병원체의 수혈감염위험도 분류

9) 헌혈자 배제 : 자진배제나 헌혈자 문진을 통한 배제 A형 간염 치료 종료 후 1개월간 헌혈금지 A형 간염에 대한 병력이 있는 경우는 혈액 검사를 실시한 후 HAV 항원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에만 수혈용 혈액으로 사용 2) 10) 혈액안전을 위한 조치 사항 : 혈액제제 즉시 폐기 및 수혈자에 대한 감염 여부 조사 실시 참고문헌 1) 보건복지가족부, 질병관리본부, 대한의사협회, 2009 법정전염병 진단 신고 기준, 2009, p255 257 2) 질병관리본부 혈액안전감시과, 헌혈기록카드 문진항목 판정기준, 2010, p50 3) 질병관리본부, 혈액매개감염병의 역학과 관리, 질병관리본부, 2007, p9 12 4) Susan L. Stramer, F. Blaine Hollinger, Louis M. Katz, Steven Kleinman, Peyton S. Metzel, Kay R. Gregory, and Roger Y. Dodd,.Emerging infectious disease agents and their potential threat to transfusion safety. Transfusion 2009;49: 87S-89S 수 혈 감 염 위 험 II군 병 원 체 (ORANGE) 감염성 병원체별 특성 및 혈액안전 조치 53

수혈감염 위험도 등급 : 수혈감염 위험Ⅱ군(ORANGE) 예르시니아 엔테로콜리티카균(Yersinia entercolitica) 1) 병원체 : Yersinia entercolitica 2) 질환명 : 예르시니아증(Yersiniosis) 3) 지리적(역학적) 분포 : <국외> 전세계적으로 분포하지만 주로 미국, 유럽, 아시아의 북부, 중부, 동부, 남아프리카, 오스 트레일리아의 온대나 아열대 기후지역에서 주로 발생한다. 한편 동남아시아와 아프리카 열대지역에서는 드물게 발생함 2) <국내> 자연환경계에 널리 분포하며 사람에게서도 발견되며, 소아의 위장염을 주 증상으로 하는 산발적인 보고가 있고 계절적으로는 여름철에 많은 발생을 보임 2) 4) 잠복기 : 음식을 통한 위장염은 보통 2 5일 수혈 관련 예르시니아증 대부분은 오염된 혈액을 수혈받은 1 2시간 후부터 발열, 저혈압 증상을 보임 3) 5) 임상증상 : 예르시니아 엔테로콜리티카 감염증은 소아에 많고 발열, 설사, 구토, 복통 등의 위장염 등 이 주요증상임. 감염 시 임상 증세는 연령에 따라 다양한 변화를 보이는데, 영유아에서는 급성 수성 설사가 3일에서 14일까지 지속되며, 5%정도에서는 혈변이 보임. 청소년이 경 우는 발열 및 중증도의 백혈구 증다증이 수반된 우하복부 동통이 특징적이기 때문에 급성 화농성 충수돌기염과 감별이 매우 어려움. 성인에서는 장염과 더불어 관절염이 동반되는 경우가 흔함 2) 54 감염성 병원체의 수혈감염위험도 분류

6) 혈액 제제내의 생존 : 전혈과 적혈구제제의 경우 전체 보관기간과 그 이상 생존 가능. 혈청형별 혈액제제 내 성 장과 생존의 다양성은 저장온도에서 혈청 저항과 철분 결합 능력과 관련이 있음 2) 7) 수혈 감염 가능성: 미국의 경우 1975년 이후 예르시니아 엔테로콜리티카 수혈감염 사례는 자가수혈을 포함 하여 30건 이상 보고됨. 적혈구제제 수혈을 통해 발생한 패혈증 사례의 절반이상이 예르 시니아 엔테로콜리티카가 원인이었고, 예르시니아 엔테로콜리티카에 의한 분획 농축 혈 소판 오염으로 수혈부작용 1건이 보고됨 2) 8) 국내 수혈 감염 사례 : 보고 사례 없음 9) 헌혈자 배제 : 치료 종료 후 1개월간 헌혈 배제 1) 수 혈 감 염 위 험 II군 병 원 체 10) 혈액안전을 위한 조치 사항 : 혈액제제 즉시 폐기 및 수혈자에 대한 감염 여부 조사 실시 (ORANGE) 참고문헌 1) 질병관리본부 혈액안전감시과, 헌혈기록카드 문진항목 판정기준, 2010, p50 2)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 감염병실험실진단, 2005, p33 37 3) Susan L. Stramer, F. Blaine Hollinger, Louis M. Katz, Steven Kleinman, Peyton S. Metzel, Kay R. Gregory, and Roger Y. Dodd,.Emerging infectious disease agents and their potential threat to transfusion safety. Transfusion 2009;49: 209S-211S 감염성 병원체별 특성 및 혈액안전 조치 55

수혈감염 위험도 등급 : 수혈감염 위험Ⅱ군(ORANGE)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West Nile Virus) 1) 병원체 : West Nile Virus 2) 질환명 : 웨스트나일열(West Nile fever) 3) 지리적 분포 : <국외> 모기 매개 질환. 흔히 사람, 조류, 그 외 몇몇 척추동물에서 질병을 일으키며 아프리카, 동 유럽, 서아시아, 중동에서 발생하였으나 최근 서반구로 확산되어 1999년 미국 동부지역 을 중심으로 한 유행이 처음 발생한 후 2000년부터 미국 전지역과 캐나다로 확산되고 있 으며 미국에서는 2007년 한해 3,630명의 환자가 발생하여 124명이 사망함 1). <국내> 보고 사례 없음. 4) 잠복기 : 보통 2에서 14일, 장기 이식으로 감염된 경우는 21일까지도 보고됨. 5) 임상증상 : 대부분 (약 80%)의 감염은 무증상감염을 보이고 감염자의 약 20%는 경한 임상증상(웨스 트나일열)을 보이며 증상은 3~6일 정도 지속됨. 주로 허약감, 두통, 식욕감퇴, 근육통, 구 역, 구토, 발진, 림프절병증, 안구통 등을 보임. 중증감염은 드물게 나타나며 신경증상을 동반하는데 고령 환자가 중증신경계 감염의 주요 위험요인임. 6) 혈액 제제 내의 생존 : 적혈구, 혈소판, FFP 제제에서 생존 가능성이 확인됨 3). 7) 수혈 감염 가능성 : 2002년 미국에서 23명이 수혈에 의한 감염이 증명되었고, 장기 이식으로 인한 감염도 있 음 3). 56 감염성 병원체의 수혈감염위험도 분류

2003년 헌혈자 선별검사에서 39개주에서 942 혈액 샘플이 NAT 양성이었고, 이는 약 매 4700명당 1명이었음 4) 8) 국내 수혈 감염 사례 : 보고사례 없음 9) 헌혈자 배제 : 최근 외국여행 한 경우 입국 후 1개월간 헌혈 배제 10) 혈액안전을 위한 조치 사항 : 혈액제제 즉시 폐기 및 수혈자에 대한 감염 여부 조사 실시 참고문헌 1)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대한의사협회, 2009 법정전염병 진단, 신고 기준, 질병관리본부, 2009, p146-148 2) 질병관리본부 혈액안전감시과, 헌혈기록카드 문진항목 판정기준, 2010, p32 3) Pealer LN, Marfin AA, Petersen LR, et al. Transmission of West Nile virus through blood transfusion in the United States 2002. N Engl J Med. 2003;349:1236 1245. 4) Principles and Practice of Infectious Diseases, 6th edition, Elsevier, 2005, p3387 수 혈 감 염 위 험 II군 병 원 체 (ORANGE) 감염성 병원체별 특성 및 혈액안전 조치 57

수혈감염 위험도 등급 : 수혈감염 위험Ⅱ군(ORANGE) 인체 T-림프영양성 바이러스(Human T-Lymphotropic Virus) 1) 병원체 : Human T-Lymphotropic Virus (HTLV-I, II) Human T-Lymphotropic Virus Variants (HTLV-III, IV) 2) 질환명 : HTLV-I은 성인 T-세포 백혈병(adult T-cell leukemia, ATL)과 HTLV-관련 척수병증 (HTLV-associated myelopathy, HAM)을 일으키나 나머지 HTLV-II,III,IV와 질환과의 관련 성은 알려져 있지 않음. 3) 지리적 분포 : <국외> 전 세계적으로 약 1천만 명에서 2천만 명이 HTLV-I에 감염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됨. 보 고된 HTLV 항체 양성률은 연구대상의 지역적 분포, 사회통계학적 구성과 개개인의 위험 행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일본 서남부지역, 아프리카 열대지역, 카리브해연안, 남미 일부지역, 중동 그리고 멜라네시아에서 높은 분포를 보임. HTLV 항체 양성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알려진 일본의 경우 40세 이상의 건강인의 6~37% 에서 HTLV-I에 대한 항체가 검출되고 120만명 이상이 HTLV-I에 감염되어 있으며 매년 80례 이상의 ATL이 진단되는 것으로 보고 있음 1). <국내> 우리나라는 일본과 지리적으로 가깝고 교류가 활발함에도 불구하고 HTLV 항체 양성률 이 매우 낮고 관련 질환 보고도 거의 없음. 2006년 대한적십자사 혈액수혈연구원에서 약 15,200명을 대상으로 HTLV 항체 선별검사 결과 1건(양성률 0.007%)의 양성을 확인하였 음 1). 4) 잠복기 : HTLV-I 감염후 ATL 발생까지 잠복기는 10-40년으로 추정하고 있으나, 다른 타입은 알 려져 있지 않음. 58 감염성 병원체의 수혈감염위험도 분류

5) 임상증상 : HTLV-I 감염자에선 ATL 발생빈도는 1~5%으로 추정되며 감염후 20~30년후에 발병하기 때문에 대부분 성인에서 진단됨. ATL의 예후는 매우 불량함. HAM은 HTLV-I 감염자의 약 4%에서 발병함. 이외에 HTLV-I은 포도막염, 다발성 근염, 기관지폐포성 폐렴, 자가 면역 갑상선염 그리고 관절염과 관련 있음. HTLV-II와 관련 있는 질환은 HAM과 유사한 척수병증만 있고, 대부분의 HTLV-II 감염 자는 증상이 발현되지 않음. HTLV-III, IV 는 질환과 연관성이 아직 규명되어 있지 않음. 6) 혈액 제제 내의 생존 : 감염자의 임파구내에서 생존하지만, 정확한 생존기간은 알려져 있지 않음. 7) 수혈 감염 가능성 : HTLV에 감염된 혈액제제를 수혈받은 환자의 14~63%가 감염되는 것으로 보고 있음. 전파 가능성은 혈액 제제의 보관기간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1). 8) 국내 수혈 감염 사례 : 보고 사례 없음. 수 혈 감 염 위 험 II군 병 원 체 9) 헌혈자 배제 : 헌혈자 문진과 헌혈혈액 선별검사를 통해 배제. 국내에선 2009년부터 HTLV-I 에 대해서 는 routine 검사를 시행하고 있음. (ORANGE) 확진 시 영구 헌혈 금지 10) 혈액안전을 위한 조치 사항 : 혈액제제 즉시 폐기 및 수혈자에 대한 감염 여부 조사 실시 참고문헌 1) 질병관리본부 혈액안전감시과, 혈액매개감염병의 역학과 관리, 질병관리본부, 2007, p89 100 2) 질병관리본부 혈액안전감시과, 헌혈기록카드 문진항목 판정기준, 2010, p47 감염성 병원체별 특성 및 혈액안전 조치 59

수혈감염 위험도 등급 : 수혈감염 위험Ⅱ군(ORANGE) 일본 뇌염 바이러스(Japanese Encephalitis Virus) 1) 병원체 : Japanese encephalitis virus(jev) 2) 질환명 : 일본 뇌염(Japanese encephalitis) 3) 지리적 분포 : <국외> 중국, 일본, 한국, 러시아 동부지역의 온대지역에서 여름과 가을에 주로 발생 아시아 지역에서는 낮은 신고율에도 불구하고 해마다 5만명이 감염되고 약 만명이 사망하 며 생존자 중 15천명에게도 신경학적인 후유증을 남기는 것으로 추정됨 1) <국내> 최근에 연간 수례씩 발생 보고가 있음 1) 4) 잠복기 : 6 16일 3) 5) 임상증상 : 불현성 감염이 대부분임 1) - 전구기(2~3일), 급성기(3~4일), 아급성기(7~10일), 회복기(4~7주)의 임상상을 보임 - 현성 감염인 경우 급성으로 진행하여, 고열(39~40 ), 두통, 현기증, 구토, 복통, 지각 이상 등을 보임 - 진행하면 의식장애, 경련, 혼수에 이르며 대개 발병 10일 이내에 사망 - 경과가 좋은 경우에 약 1주를 전후로 열이 내리며 회복됨 6) 혈액 제제 내의 생존 : 알려지지 않음 7) 수혈 감염 가능성 : 이론적 가능성 있으나 보고사례 없음 60 감염성 병원체의 수혈감염위험도 분류

8) 국내 수혈 감염 사례 : 보고 사례는 없으나 일본뇌염바이러스 유행 시 수혈감염의 가능성 있음 9) 헌혈자 배제 : 치료종료 후 1개월간 헌혈 배제 2) 10) 혈액안전을 위한 조치 사항 : 혈액제제 즉시 폐기 및 수혈자에 대한 감염 여부 조사 실시 참고문헌 1)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대한의사협회, 2009 법정전염병 진단, 신고 기준, 질병관리본부, 2009, p160-164 2) 질병관리본부 혈액안전감시과, 헌혈기록카드 문진항목 판정기준, 2010, p49 3) Susan L. Stramer, F. Blaine Hollinger, Louis M. Katz, Steven Kleinman, Peyton S. Metzel, Kay R. Gregory, and Roger Y. Dodd,.Emerging infectious disease agents and their potential threat to transfusion safety. Transfusion 2009;49: 116S-117S 수 혈 감 염 위 험 II군 병 원 체 (ORANGE) 감염성 병원체별 특성 및 혈액안전 조치 61

수혈감염 위험도 등급 : 수혈감염 위험Ⅱ군(ORANGE) 치쿤구니야 바이러스(Chikungunya Virus) 1) 병원체 : Chikungunya Virus (CHIKV) 2) 질환명 : 치쿤구니야(Chikungunya) 3) 지리적(역학적) 분포 : <국외> 아프리카, 인도, 동남아시아, 필리핀에서 풍토병이며 대규모 유행이 발생한 바 있음. 최근, 대형 유행이 코모로 제도, 마다가스카르, 마요트, 모리셔스, 세이셀 제도 등 인도양 의 도서 국가에서 발생하였음. 2007년 여름, 이탈리아에서 국지성 전염이 확인되었음. <국내> 보고사례 없음 4) 잠복기 : 잠복기는 3일에서 12일로 추정되며, 전구 증상은 없음. 인체 감염 시, 수 일 내에 바이러스혈증이 확인되며 이는 대개 5일 이내에 소실됨. 증상이 발생하기 이전의 바이러스혈증 기간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 없음. 5) 임상증상 : 고열 (39.5-40 )이 급격히 발생하며, 두통, 오한 및 관절통이 동반됨. 이후 4-8일 후 발 진이 발생하며, 이 때 백혈구 감소증이 동반될 수 있음. 급성 발열 시기는 대개 1주일 후 소실됨. 관절통은 10-15%의 환자에서 감염 수 개월 이후 까지 지속될 수도 있음. 6) 혈액 제제내의 생존 : 알려진 바 없음. 62 감염성 병원체의 수혈감염위험도 분류

7) 수혈 감염 가능성: 이론적 가능성 있으나 보고 사례 없음 8) 국내 수혈 감염 사례 : 보고 사례 없음 9) 헌혈자 배제 : 별도 기준 없음 미국 FDA 지침 또는 미국혈액은행협회(AABB) 기준 없음 미국의 일부 혈액원은 치쿤군야 유행 비말라리아 지역을 여행한 헌혈자에 대한 일시적 헌 혈 배제를 적용하고 있음. 임상적 치쿤군야에 대한 적절한 헌혈배제 기간은 알려져 있지 않으나 증상 소실 후 수 주간 헌혈 배제 되어짐 10) 혈액안전을 위한 조치 사항 : 혈액제제 즉시 폐기 및 수혈자에 대한 감염 여부 조사 실시 수 혈 감 염 위 험 II군 병 원 체 (ORANGE) 참고문헌 1) Charrel RN. Chikungunya outbreaks - the globalization of vectorborne diseases. N Engl J Med 2007;256:769-71. 2) Susan L. Stramer, F. Blaine Hollinger, Louis M. Katz, Steven Kleinman, Peyton S. Metzel, Kay R. Gregory, and Roger Y. Dodd,.Emerging infectious disease agents and their potential threat to transfusion safety. Transfusion 2009;49:59S-61S 감염성 병원체별 특성 및 혈액안전 조치 63

수혈감염 위험도 등급 : 수혈감염 위험Ⅱ군(ORANGE) 쯔쯔가무시균(Orientia tsutsugamushi) 1) 병원체 : Orientia tsutsugamushi (1995년 이전 Rickettsia tsutsugamushi) 2) 질환명 : 쯔쯔가무시증(Scrub typhus) 3) 지리적 분포 : 세계적으로 중앙아시아, 서아시아, 동남 아시아 및 호주 북부에서 흔함 1) 국내에서는 전국적으로 발생하고 있음 4) 잠복기 : 10~12일, 진드기 유충에게 물린 이후 약6-21일 이후 증상 발현 5) 임상증상 : 진드기 유충에 물린 부위에 나타나는 가피 형성이 특징적임 심한 두통, 발열, 오한이 갑자기 발생함 발병 5일 이후 발진이 몸통에 나타나서 사지로 퍼지며 반점상 구진의 형태를 보임 국소성 또는 전신성 림프절 종대와 비장 비대를 보임 1) 6) 혈액 제제 내의 생존 : 적혈구내 10일(최장30일) 생존 가능하며, 동결 및 deglycerolized 적혈구내 45일까지 생존 가능 3) 7) 수혈 감염 가능성 : 1건의 보고 사례가 있었으나 근거 불충분하였음 (미국) 3) 8) 국내 수혈 감염 사례 : 보고 사례 없음 9) 헌혈자 배제 : 치료 종료 후 1개월간 헌혈 배제 2) 64 감염성 병원체의 수혈감염위험도 분류

10) 혈액안전을 위한 조치 사항 : 혈액제제 즉시 폐기 및 수혈자에 대한 감염 여부 조사 실시 참고문헌 1)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대한의사협회, 2009 법정전염병 진단, 신고 기준, 질병관리본부, 2009, p188-191 2) 질병관리본부 혈액안전감시과, 헌혈기록카드 문진항목 판정기준, 2010, p49 3) Susan L. Stramer, F. Blaine Hollinger, Louis M. Katz, Steven Kleinman, Peyton S. Metzel, Kay R. Gregory, and Roger Y. Dodd,.Emerging infectious disease agents and their potential threat to transfusion safety. Transfusion 2009;49: 178S-180S 수 혈 감 염 위 험 II군 병 원 체 (ORANGE) 감염성 병원체별 특성 및 혈액안전 조치 65

수혈감염 위험도 등급 : 수혈감염 위험Ⅱ군(ORANGE) 크로이츠펠트-야콥병 프리온(Classical Creutzfeldt-Jacob Disease Prion) 인간 프리온 단백질(Human prion proteins) 1) 병원체 : Human prion proteins 2) 질환명 : 산발성 크로이츠펠트-야콥병(Sporadic CJD), 고전적 크로이츠펠트-야콥병(Classical CJD) 감염성 크로이츠펠트-야콥병(Infectious CJD) 변형 크로이츠펠트-야콥병 이외의 인간 프리온 질환(Human Prion Diseases, Other Than vcjd) 3) 지리적 분포 : 영국, 프랑스를 포함한 유럽 국내 - 표본감시를 통하여 2008년 총126명 신고됨 4) 잠복기 : 산발성 사례에서는 알려지지 않음 4-38년 (중앙값 12년) 5) 임상증상 : 신경병성질환 (치매, 운동실조, 간대성근경련, 혼수) 6) 혈액 제제 내의 생존 : 알려지지 않음 7) 수혈 감염 가능성 : 동물 모델 실험에서는 발현함 8) 국내 수혈 감염 사례 : 보고 사례 없음 9) 헌혈자 배제 : 영구 헌혈 금지 66 감염성 병원체의 수혈감염위험도 분류

10) 혈액안전을 위한 조치 사항 : 혈액제제 즉시 폐기 및 수혈자에 대한 감염 여부 조사 실시 참고문헌 1) 질병관리본부 혈액안전감시과, 헌혈기록카드 문진항목 판정기준, 2010, p49 2) Susan L. Stramer, F. Blaine Hollinger, Louis M. Katz, Steven Kleinman, Peyton S. Metzel, Kay R. Gregory, and Roger Y. Dodd,.Emerging infectious disease agents and their potential threat to transfusion safety. Transfusion 2009;49: 47S-49S 수 혈 감 염 위 험 II군 병 원 체 (ORANGE) 감염성 병원체별 특성 및 혈액안전 조치 67

수혈감염 위험도 등급 : 수혈감염 위험Ⅱ군(ORANGE) 크루스 파동편모충(Trypanosoma cruzi) 1) 병원체 : Trypanosoma cruzi 2) 질환명 : 샤가스 병(Chagas disease) 미국 파동편모충증(American trypanosomiasis) 3) 지리적(역학적) 분포 : <국외> 미국 남부, 멕시코, 브라질, 필레,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등 중남미에 분포 1) <국내> 보고 사례 없음 4) 잠복기 : 20 40일 3) 5) 임상증상 : 급성 샤가스병 - 국소 림프절염, 초기의 안와부종(Romana s sign), 불규칙적인 고열, 오한, 권태, 근육통, 피부발진 등이 나타난다. 거의 모든 장기와 조직을 침범하여 기능장애를 일 으키고, 심근염, 심부전, 뇌수막염 등으로 사망할 수 있음 만성 샤가스병 - 심장비대(부정맥, 심부전, 실신, 뇌혈전증 등 유발), 거대식도(흡인성 폐 렴 유발), 거대대장(변비, 복통 유발)등을 보인다. 심실 부정맥으로 급사할 수 있고, 거의 모든 장기와 조직을 침범하여 기능장애를 초래하고, 심근염, 심부전, 뇌수막염 등으로 사 망할 수도 있음 1) 6) 혈액 제제내의 생존 : 4 C에서 전혈 내에 적어도 18일 동안 존재 4 C에서 적혈구제제 내에 수일에서 수주까지 생존하지만 전혈 보다는 생존기간이 짧음 정상 보관 상태 하에 혈소판제제 내에 5일까지 생존 동결 혈장 제제 내에서 24시간 이내에 생존 68 감염성 병원체의 수혈감염위험도 분류

동결 적혈구 제제 내에서의 생존은 알려지지 않음 3) 7) 수혈 감염 가능성: 미국과 캐나다에서 7건이 보고됨 3) 8) 국내 수혈 감염 사례 : 보고 사례 없음 9) 헌혈자 배제 : 영구 헌혈 금지 2) 10) 혈액안전을 위한 조치 사항 : 혈액제제 즉시 폐기 및 수혈자에 대한 감염 여부 조사 실시 수 혈 감 염 위 험 II군 병 원 체 참고문헌 1) 보건복지가족부, 질병관리본부, 대한의사협회, 2009 법정전염병 진단 신고 기준, 2009, p106 108 2) 질병관리본부 혈액안전감시과, 헌혈기록카드 문진항목 판정기준, 2010, p48 3) Susan L. Stramer, F. Blaine Hollinger, Louis M. Katz, Steven Kleinman, Peyton S. Metzel, Kay R. Gregory, and Roger Y. Dodd,.Emerging infectious disease agents and their potential threat to transfusion safety. Transfusion 2009;49: 231S-233S (ORANGE) 감염성 병원체별 특성 및 혈액안전 조치 69

수혈감염 위험도 등급 : 수혈감염 위험Ⅱ군(ORANGE) 크리미안-콩고 출혈열 바이러스 (Crimean-Congo Hemorrhagic Fever Virus) 1) 병원체 : Crimean-Congo Hemorrhagic Fever Virus (CCHFV) 2) 질환명 : 크리미안-콩고출혈열 (Crimean-Congo hemorrhagic fever) 3) 지리적(역학적) 분포 : <국외> 크림 반도에서 1940년 처음 발견됨. 사하라 사막 이남의 아프리카, 불가리아, 서부 러시아 (유럽 쪽 러시아), 구 소비에트 연 방, 아라비아 반도, 이라크, 파키스탄, 구 유고슬라비아, 북 그리스, 중국 북서부. 일반적인 진드기 매개 바이러스의 분포와 유사함 2) <국내> 보고사례 없음 4) 잠복기 : 진드기에게 물린 후 보통 3-7일. 최대 13일 보인 사례가 기록되어 있음 2) 5) 임상증상 : 갑작스러운 발열, 근육통, 어지럼증, 목 통증 및 경직, 허리 통증, 두통, 눈부심. 오심, 구 토 및 인후통이 초기에 나타날 수 있으며, 설사와 동반됨. 이후 수 일에 걸쳐 감정적 변화가 나타날 수 있으며, 혼돈 및 공격적인 행동을 보일 수 있음. 2-4일 후, 공격적 행동이 소실되면서 졸리움 및 우울증이 나타나고 우측 상복부의 복통이 나타남(간 비대). 기타, 빈맥, 림프절 비대 및 체간과 사지에 점상 발진이 있을 수 있음. 그 외의 출혈성 증상으로, 증상 발생 이후 약 5일 후부터 혈변, 혈뇨, 코피가 있을 수 있고, 기타 잇몸, 질 등 점막 표면이나 주사 자리에서 출혈이 있을 수 있음 2) 70 감염성 병원체의 수혈감염위험도 분류

6) 혈액 제제내의 생존 : 알려진 바 없음 7) 수혈 감염 가능성: 보고사례 없음 환자의 체액과 접촉할 때 바이러스가 전염될 가능성은 있음 2) 8) 국내 수혈 감염 사례 : 보고 사례 없음 9) 헌혈자 배제 : 별도 기준 없음 미 FDA 권고안은 없으며, 헌혈 배제 기간에 대하여 권고안을 제정할 근거가 아직 불충분함 2) 10) 혈액안전을 위한 조치 사항 : 혈액제제 즉시 폐기 및 수혈자에 대한 감염 여부 조사 실시 참고문헌 수 혈 감 염 위 험 II군 병 원 체 (ORANGE) 1) Nabeth P. Crimean-Congo hemorrhagic fever. Mauritania. Emerg Infect Dis 2004;10:2143-9. 2) Susan L. Stramer, F. Blaine Hollinger, Louis M. Katz, Steven Kleinman, Peyton S. Metzel, Kay R. Gregory, and Roger Y. Dodd,.Emerging infectious disease agents and their potential threat to transfusion safety. Transfusion 2009;49: 64S-66S 감염성 병원체별 특성 및 혈액안전 조치 71

수혈감염 위험도 등급 : 수혈감염 위험Ⅱ군(ORANGE) 큐열균(Coxiella burnetii) 1) 병원체 : Coxella burnetii 2) 질환명 : 큐열(Q-fever) 3) 지리적(역학적) 분포 : <국외> 호주에서 처음으로 병원체가 분리되었으며, 주로 유럽이나 중동, 아프리카, 아메리카 대 륙, 그리고 호주 등에서 발생 2) <국내> 2006년 1월 4군 법정전염병으로 지정되어, 2006년 6건, 2007년 12건, 2009년 19건이 보 고되었음 1) 4) 잠복기 : 20일(범위 14-39일) 5) 임상증상 : 급성 증상은 고열, 오한, 두통이 공통된 증상이고 인플루엔자 유사 증상들과 비정형성 폐 렴을 일으킨다. 또한 만성으로 경과되어 1 20년 후에 치명적인 심내막염 증상을 나타냄 2) 6) 혈액 제제내의 생존 : 혈액은행 상황 하에서 보관 안전성에 관한 정보 없음 4) 7) 수혈 감염 가능성: 미국의 경우, 1건의 수혈감염 사례가 보고되었고, 골수이식을 통한 수혈감염 사례도 보고 된 바 있음 4) 8) 국내 수혈 감염 사례 : 보고 사례 없음 72 감염성 병원체의 수혈감염위험도 분류

9) 헌혈자 배제 : 법정전염병 헌혈금지 기준에 따라 영구 헌혈 금지 10) 혈액안전을 위한 조치 사항 : 혈액제제 즉시 폐기 및 수혈자에 대한 감염 여부 조사 실시 참고문헌 1) 보건복지가족부, 질병관리본부, 대한의사협회, 2009 법정전염병 진단 신고 기준, 2009, p198 201 2)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 감염병실험실진단, 2005, p557 561 3) 질병관리본부 혈액안전감시과, 헌혈기록카드 문진항목 판정기준, 2010, p50 4) Susan L. Stramer, F. Blaine Hollinger, Louis M. Katz, Steven Kleinman, Peyton S. Metzel, Kay R. Gregory, and Roger Y. Dodd,.Emerging infectious disease agents and their potential threat to transfusion safety. Transfusion 2009;49: 172S-174S 수 혈 감 염 위 험 II군 병 원 체 (ORANGE) 감염성 병원체별 특성 및 혈액안전 조치 73

수혈감염 위험도 등급 : 수혈감염 위험Ⅱ군(ORANGE) 탄저균(Bacillus Anthracis) 1) 병원체 : Bacillus Anthracis 2) 질환명 : 탄저(Anthrax) 3) 지리적(역학적) 분포 : <국외> 사람에서 발생하는 탄저는 주로 아프리카, 중앙아시아, 남부아시아, 중 동부아시아에서 빈번히 발생 1) <국내> 국내에서는 1952 1968년 사이에 4번의 집단발생에서 85명의 환자가 발생 한 후 보고가 없었으나 1992년 이후 산발적 발생이 지속되고 있음. 현재까지 국내에서 발생된 탄저환자 는 모두 소의 부산물을 생식하거나 피부접촉에 의한 위장관 탄저와 피부탄저의 임상소견 을 보임 1) 4) 잠복기 : 피부탄저 : 대개 5-7일(범위 1-12일) 호흡기탄저 : 대개 1-7일(최대 42일까지) 위장관탄저 : 대개 1-6일 4) 5) 임상증상 : 피부탄저 : 사람에서 가장 흔히 발생하는 형태로, 발병초기에는 감염피부에 구진이 발진되 고 수포가 형성된 후 병변이 전신으로 퍼져 주로 손, 얼굴, 목 등 사지말단에 나타나고 수 포가 궤양으로 변화됨. 시간이 지남에 따라 궤양은 검은 가피로 변하고, 피부병변 조직으 로 수분이 빠져나가 부종이 생기며 이로 인해 저혈압이 발생하나 피부의 통증은 없음. 호흡기탄저 : 초기에는 감기증세와 유사한 증상을 보이며, 피로감, 근육통, 기침 등이 나타 나고, 후기에는 심한 호흡곤란, 청색증, 저산소증, 객혈, 쇼크, 뇌염 등으로 인한 호흡곤란 으로 사망함. 74 감염성 병원체의 수혈감염위험도 분류

위장관탄저 : 심한 복통, 토혈, 전신장기의 출혈, 복수 형성, 설사가 나타나며, 병이 악화되 어 뇌염, 독혈증, 쇼크증상이 나타나면 사망하게 됨 2) 6) 혈액 제제내의 생존 : 알려진 바 없음. 7) 수혈 감염 가능성: 이론적 가능성 있으나 실제적 수혈감염은 동물 모델에서만 증명 8) 국내 수혈 감염 사례 : 보고 사례 없음. 9) 헌혈자 배제 : 치료 종료 후 1개월간 헌혈 배제 10) 혈액안전을 위한 조치 사항 : 혈액제제 즉시 폐기 및 수혈자에 대한 감염 여부 조사 실시 수 혈 감 염 위 험 II군 병 원 체 (ORANGE) 참고문헌 1) 보건복지가족부, 질병관리본부, 대한의사협회, 2009 법정전염병 진단 신고 기준, 2009, p255-257 2)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 감염병실험실진단, 2005, p354 356 3) 질병관리본부 혈액안전감시과, 헌혈기록카드 문진항목 판정기준, 2010, p49 4) Susan L. Stramer, F. Blaine Hollinger, Louis M. Katz, Steven Kleinman, Peyton S. Metzel, Kay R. Gregory, and Roger Y. Dodd,.Emerging infectious disease agents and their potential threat to transfusion safety. Transfusion 2009;49: 189S-191S 감염성 병원체별 특성 및 혈액안전 조치 75

수혈감염 위험도 등급 : 수혈감염 위험Ⅱ군(ORANGE) 페스트균(Yersinia pestis) 1) 병원체 : Yersinia pestis 2) 질환명 : 림프절 페스트(Bubonic plague), 폐 페스트(Pneumonic plague) 흑사병(Black Death) 3) 지리적 분포 : 국외 - 아프리카 (콩고, 마다가스카르, 탄자니아), 아시아(미얀마, 베트남), 아메리카(브라 질, 페루) 1) 국내 - 환자나 페스트균에 오염된 설치류가 발견된 적이 없음 1) 4) 잠복기 : 1~7일 (1-4일 원발성 폐 페스트) 3) 5) 임상증상 : 림프절페스트 - 서혜부의 화농성임파선염, 발열, 탈진, 패혈증, 다기관침범, 사망 폐페스트 - 발열, 오한, 두통, 피로, 근육통, 호흡곤란, 흉통, 혈담, 호흡부전, 쇼크 패혈성페스트 - 패혈증, 패혈성쇼크 6) 혈액 제제 내의 생존 : 직접적 근거 없으나 4 media에서 증식 가능 3) 7) 수혈 감염 가능성 : 보고된 사례 없으며 병원체의 독성은 무증상 균혈증을 보임 8) 국내 수혈 감염 사례 : 보고 사례 없음 9) 헌혈자 배제 : 치료 종료 후 1개월간 헌혈 배제 2) 76 감염성 병원체의 수혈감염위험도 분류

10) 혈액안전을 위한 조치 사항 : 혈액제제 즉시 폐기 및 수혈자에 대한 감염 여부 조사 실시 참고문헌 1) 보건복지가족부, 질병관리본부, 대한의사협회, 2009 법정전염병 진단 신고 기준, 2009, p226-228 2) 질병관리본부 혈액안전감시과, 헌혈기록카드 문진항목 판정기준, 2010, p49 3) Susan L. Stramer, F. Blaine Hollinger, Louis M. Katz, Steven Kleinman, Peyton S. Metzel, Kay R. Gregory, and Roger Y. Dodd,.Emerging infectious disease agents and their potential threat to transfusion safety. Transfusion 2009;49: 1S-235S 수 혈 감 염 위 험 II군 병 원 체 (ORANGE) 감염성 병원체별 특성 및 혈액안전 조치 77

수혈감염 위험도 등급 : 수혈감염 위험Ⅱ군(ORANGE) 한타바이러스(Hantavirus) 1) 병원체 : Hantaviruses 2) 질환명 : 한타바이러스 폐 증후군(Hantavirus pulmonary syndrome, HPS) 유행성출혈열, 신증후군출혈열(hemorrhagic fever with renal syndrome, HFRS) 3) 지리적(역학적) 분포 : <국외>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중국, 러시아 등 동북아시아와 스칸디나비아 반도, 유럽 및 북 남미 지역 등 세계적인 분포를 보이며 연간 환자 발생 수는 6 15만명으로 추정됨. 이 중 절반 이 중국에서 발생하며 러시아에서도 매년 수백에서 수천명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음 <국내> 1945년부터 1951년까지 기간동안 UN군 병사에서 2,500명 기까운 환자가 발생하였고, 1955년 이후 UN군에서의 환자 수는 급속히 감소함. 질병관리본부 집계에 의하면 국내 환자는 1970년대 말부터 1990년대 중반까지 년 간 100 명 이하의 환자가 보고되었으나, 1998년부터 꾸준히 증가하여 2001년부터 300명이상이 발생하며 증가추세를 보이다가 2008년에는 연간 375명의 환자가 보고되었음. 지역별로는 경기, 충남, 경북, 경남에서 월별로는 10월 1월에 호발하였음. 4) 잠복기 : 1-6주(평균 2-3주) 5) 임상증상 : 전형적인 증상은 발열, 출혈, 신부전 등이며 병의 진행정도에 따라 특징적인 5단계 임상상 을 보이나 최근 비정형적인 임상상을 보이는 경우도 많음. 1 발열기(3 5일) : 갑자기 시작하는 발열, 오한, 허약감, 근육통, 배부통, 오심, 심한 두 통, 안구통, 얼굴과 몸통의 발적, 결막 충혈, 출혈반, 혈소판 감소, 단백뇨 등을 보임 78 감염성 병원체의 수혈감염위험도 분류

2 저혈압기(1 3일) : 30 40%의 환자에서 나타나며 해열이 되면서 24 48시간 동안 저 혈압이 나타나고 이중 절반 정도에서 쇼크가 나타남. 배부통, 복통, 압통 등이 뚜렷해 지고 출혈반을 포함한 출혈성 경향이 나타남. 3 핍뇨기(3 5일) : 60% 환자에서 나타나며, 무뇨, 요독증, 신부전, 심한 복통, 배부통, 허약감, 토혈, 객혈, 혈변, 육안적 혈뇨, 고혈압, 뇌부종으로 인한 경련, 폐부종 4 이뇨기(7 14일) : 신기능이 회복되는 시기로 다량의 배뇨가 있음. 심한 탈수, 쇼크 등 으로 사망할 수 있음 5 회복기(3 6주) : 전신쇠약감이나 근력감소 등을 호소하나 서서히 회복 6) 혈액 제제내의 생존 : 알려진 바 없음 7) 수혈 감염 가능성: Hantavirus는 수혈에 의한 감염과 연관되어 있지 않음 4). 8) 국내 수혈 감염 사례 : 보고 사례 없음 수 혈 감 염 위 험 II군 병 원 체 9) 헌혈자 배제 : 치료 종료 후 1개월간 헌혈 배제 3) 10) 혈액안전을 위한 조치 사항 : 혈액제제 즉시 폐기 및 수혈자에 대한 감염 여부 조사 실시 (ORANGE) 참고문헌 1) 보건복지가족부, 질병관리본부, 대한의사협회, 2009 법정전염병 진단 신고 기준, 2009, p131 133 2)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 감염병실험실진단, 2005, p797 802 3) 질병관리본부 혈액안전감시과, 헌혈기록카드 문진항목 판정기준, 2010, p49 4) Susan L. Stramer, F. Blaine Hollinger, Louis M. Katz, Steven Kleinman, Peyton S. Metzel, Kay R. Gregory, and Roger Y. Dodd,.Emerging infectious disease agents and their potential threat to transfusion safety. Transfusion 2009;49: 82S-86S 감염성 병원체별 특성 및 혈액안전 조치 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