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82D30362D313728B3AAC5C2C0B12DC1A4BAB4C1D6292D D E687770>

Similar documents
<31382D30342D313528C0B1B0E6C3B62DC1A4C7F6C8A E687770>

(49-54)Kjhps004.hwp

< D B4D9C3CAC1A120BCD2C7C1C6AEC4DCC5C3C6AEB7BBC1EEC0C720B3EBBEC8C0C720BDC3B7C2BAB8C1A4BFA120B4EBC7D120C0AFBFEBBCBA20C6F2B0A E687770>

02-AOCL hwp

천골부에 발생한 거대 신경초종 이학적 및 신경학적 소견 요추 및 천골부위의 피부에 발견되지 않았으며 CT에서 주위와 경계가 뚜렷한 종괴가 이상 소견은 없었으나 촉진상 좌측 천골 2번째 부위로 약 좌측 천골부에 있으며 이 종괴는 자궁과 소장을 앞, 좌우로 4 5cm정도의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앵커(20)를 이용한 옹벽 시공에 사용되는 옹벽패널에 있어서, 단위패널형태의 판 형태로 구성되며, 내부 중앙부가 후방 하부를 향해 기울어지도록 돌출 형성되어, 전면이 오 목하게 들어가고 후면이 돌출된 결속부(11)를 형성하되, 이 결속부(11

Kaes017.hwp

(곽상인-김미진) hwp

±è¹ÎÁö

김범수

Trd022.hwp

A 617

Kjtcs324( ).hwp

ºÎÁ¤¸ÆV10N³»Áö

139~144 ¿À°ø¾àħ

김범수

황지웅

Jkbcs016(92-97).hwp


Korean J Otolaryngol 40 1, January 1997 신마취하에 종양을 적출하였다. 경부의 절개는 양측에 증 례 서 접근하기 위하여 Apron 피판을 올린후 우측 흉쇄 유돌근과 흉골설골근사이의 근막을 흉쇄유돌근의 전 연을 따라 절개하자 피낭형성이 잘

6.Kaes013( ).hwp

04조남훈

Kbcs002.hwp

Jkbcs042.hwp

( ) ) ( )3) ( ) ( ) ( ) 4) 1915 ( ) ( ) ) 3) 4) 285

hwp

(

<30322D30382D313128B1E8BBF3B4F62DBDC5BCB1BED629372E687770>

Jksvs019(8-15).hwp

(정호경-김미진)( ).hwp

( )Jksc057.hwp

충북의대학술지 Chungbuk Med. J. Vol. 27. No. 1. 1~ Charcot-Marie-Tooth Disease 환자의마취 : 증례보고 신일동 1, 이진희 1, 박상희 1,2 * 책임저자 : 박상희, 충북청주시서원구충대로 1 번지, 충북대학교

권유진

7 1 ( 12 ) ( 1912 ) 4. 3) ( ) 1 3 1, ) ( ), ( ),. 5) ( ) ). ( ). 6). ( ). ( ).

<31382D30312D303828B1E8C0B1B4F62DC0AFC0CEC1A E687770>

본 발명은 중공코어 프리캐스트 슬래브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중공코어로 형성된 프리캐스트 슬래브 에 온돌을 일체로 구성한 슬래브 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온돌 일체형 중공코어 프리캐스트 슬래브는, 공장에서 제작되는 중공코어 프

<30332D30322D303828BEE7BCAEBFEC2DB7F9C1A4BFCF E687770>

KISEP Abstract 안면신경초종의치료경험 전영명 박기현 이진석 전상훈 The Management of Facial Nerve Schwannoma Young-Myoung Chun, M.D., Keehyun Park, M.D., Jin-Suk Le


975_983 특집-한규철, 정원호

<342EBEC8BCBABFAD2CB9DAC7E2C1D82E687770>

제5회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마취통증의학교실 심포지엄 Program 1 ANESTHESIA (Room 2층 대강당) >> Session 4 Updates on PNB Techniques PNB Techniques for shoulder surgery: continuou

Jkbcs030(10)( ).hwp

Jkbcs012( ).hwp

대한안신경의학회지 : 제 2 권제 1 호 Clin Neuroophthalmol 2(1):1-5, June 2012 ISSN: REVIEW 눈꺼풀관련질환 정성해 충남대학교병원신경과 Disorders of the Eyelid Seong-Hae Jeong,

Periorbital changes with aging 의학강좌 Figure 1. Photograph of a 74-year-old woman with high placement of multiple creases and hollow superior sulcus. 1.

자기공명영상장치(MRI) 자장세기에 따른 MRI 품질관리 영상검사의 개별항목점수 실태조사 A B Fig. 1. High-contrast spatial resolution in phantom test. A. Slice 1 with three sets of hole arr

Lumbar spine

01[1].ȲÁßÇõ( ).hwp

Jkbcs032.hwp

Jkss hwp

( )Kjhps043.hwp

종골 부정 유합에 동반된 거주상 관절 아탈구의 치료 (1예 보고) 정복이 안된 상태로 치료 시에는 추후 지속적인 족부 동통의 원인이 되며, 이런 동통으로 인해 종골에 대해 구제술이나 2차적 재건술이 필요할 수도 있다. 2) 경종골 거주상 관절 탈구는 외국 문헌에 증례

(72) 발명자 오인환 서울 노원구 중계로 195, 101동 803호 (중계동, 신 안동진아파트) 서혜리 서울 종로구 평창14길 23, (평창동) 한훈식 서울 강남구 언주로71길 25-5, 301호 (역삼동, 영 훈하이츠) 이 발명을 지원한 국가연구개발사업 과제고유번호

<31322DC1F5B7CA31352D C0AFC1F6B8ED2DC7E3C7F6B5B E687770>

<30372EC0CCC0AFC1F82E687770>

Very low-risk Low-risk Intermediate-risk High-risk Appendiceal mucinous tumours Mucinous adenoma Mucinou

012임수진

(양석우-염혜리) hwp

< D31322D323128C0CCC1A4B1D42DB1E8C0E7C8C6292D 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 A Analysis of

(김소영-문찬희) hwp

1..

歯kjmh2004v13n1.PDF

CASE REPORT J Rhinol 2015;22(2): pissn / eissn 재발성안와주위염및급성누낭염

Ȳ¼º¼ö

Minimally invasive parathyroidectomy

10-JKOS hwp

Case Report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18;61(1):47-51 / pissn / eissn

Kaes025.hwp


( )Ksels001.hwp


12-JKOS (윤진숙-김보람)1410.hwp

ÃÖ¼±Çü

Kjhps016( ).hwp

005송영일

( )Kju269.hwp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 D C5F5B8EDB0A2B8B720C0FDB0B3B8A620C5EBC7D120B9E9B3BBC0E520BCF6BCFA20C8C420B9DFBBFDC7D120B0A2B8B7BBF3C7C7B3BBBBFDC0C720C4A1B7E128303

많이 이용하는 라면,햄버그,과자,탄산음료등은 무서운 병을 유발하고 비만의 원인 식품 이다. 8,등겨에 흘려 보낸 영양을 되 찾을 수 있다. 도정과정에서 등겨에 흘려 보낸 영양 많은 쌀눈과 쌀껍질의 영양을 등겨를 물에 우러나게하여 장시간 물에 담가 두어 영양을 되 찾는다

Kaes010.hwp

16_이주용_155~163.hwp

(71) 출원인 나혜원 대구 달서구 도원동 1438 대곡사계절타운 나혜리 대구 달서구 도원동 1438 대곡사계절타운 (72) 발명자 나혜원 대구 달서구 도원동 1438 대곡사계절타운 나혜리 대구 달서구 도원동 1438 대

<32342D30312D303428C0CCBCF6C1A42DC8B2BCBABCF E687770>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횡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제1 PC 패널과 제2 PC 패널이 횡방향으로 서로 접합되어 구축되는 건축구조물의 구조 벽체로서, 제1 PC 패널의 길이방향으로 하부측에는, 횡방향 측면이 상부측에서의 횡방향 측면보다 횡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있는 하부

388 The Korean Journal of Hepatology : Vol. 6. No COMMENT 1. (dysplastic nodule) (adenomatous hyperplasia, AH), (macroregenerative nodule, MR

<31372D30352D313628C7CFB8EDBCF72DC7D1B1D4C1F E687770>

878 Yu Kim, Dongjae Kim 지막 용량수준까지도 멈춤 규칙이 만족되지 않아 시행이 종료되지 않는 경우에는 MTD의 추정이 불가 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 이 SM방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O Quigley 등 (1990)이 제안한 CRM(Continu

81 F Epigastric discomfort after meals for 3 hours

05-AOCL (CR).hwp

<32352D31302D313128C7D1BFB5B1D92DBCB3BAB8B6F E687770>

135 Jeong Ji-yeon 심향사 극락전 협저 아미타불의 제작기법에 관한 연구 머리말 협저불상( 夾 紵 佛 像 )이라는 것은 불상을 제작하는 기법의 하나로써 삼베( 麻 ), 모시( 苧 ), 갈포( 葛 ) 등의 인피섬유( 靭 皮 纖 維 )와 칠( 漆 )을 주된 재료

°ûÁø¿µ

±èÀ¯¹Ì

untitled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3, pp DOI: Awareness, Supports

54 한국교육문제연구제 27 권 2 호, I. 1.,,,,,,, (, 1998). 14.2% 16.2% (, ), OECD (, ) % (, )., 2, 3. 3

목 차 회사현황 1. 회사개요 2. 회사연혁 3. 회사업무영역/업무현황 4. 등록면허보유현황 5. 상훈현황 6. 기술자보유현황 7. 시스템보유현황 주요기술자별 약력 1. 대표이사 2. 임원짂 조직 및 용도별 수행실적 1. 조직 2. 용도별 수행실적

01. 본문(283-).hwp

Transcription:

= 증례보고 = 심한기계성위눈꺼풀처짐을유발한눈물샘눈꺼풀엽의거대다형성샘종 1 예 대한안과학회지 2011 년제 52 권제 2 호 J Korean Ophthalmol Soc 2011;52(2):241-245 pissn: 0378-6471 eissn: 2092-9374 DOI : 10.3341/jkos.2011.52.2.241 정병주 조양경 나태윤 가톨릭대학교의과대학성빈센트병원안과학교실 목적 : 심한기계성위눈꺼풀처짐을유발하여심각한시야장애를일으킨눈물샘눈꺼풀엽에생긴거대한다형성샘종의예를경험하고종양을성공적으로제거하였기에이를국내최초로보고하고자한다. 증례요약 : 82 세남자환자가약 10 여년전부터서서히커지기시작하여심한위눈꺼풀처짐을일으킨좌안위눈꺼풀의거대종괴를주소로내원하였다. 수술전검사한안와전산화단층촬영에서혈관종으로의심되는 2.3 2.0 cm 크기의커다란종괴가관찰되었으며, 쌍꺼풀선피부절개를통하여종괴를완전적출하였다. 술후종괴의병리조직검사결과에서는눈물샘의다형성샘종이확인되었다. 술후위눈꺼풀처짐은완전히회복되었으며, 6 개월까지의경과관찰중눈물분비의이상이나종양의재발소견은나타나지않고있다. 결론 : 눈물샘눈꺼풀엽에생긴거대한다형성샘종을쌍꺼풀선피부절개를통하여성공적으로제거하고심한기계성위눈꺼풀처짐을교정할수있었기에보고하는바이다. < 대한안과학회지 2011;52(2):241-245> 눈물샘의종양은전체안와종양중차지하는빈도가 10% 미만정도로드문편인데, 1 이중약반은상피성기원종양이고나머지반은림프증식성종양인것으로알려져있다. 상피성기원종양중에서는약반이양성종양이고, 나머지반이악성종양인데, 양성종양중가장흔한것이다형성샘종이며, 상피성기원종양의반을차지한다. 2 눈물샘의다형성샘종은대부분눈물샘안와엽에서발생하며, 반면그빈도가매우드물지만종양이눈물샘의눈꺼풀엽에서발생할경우결막혹은눈꺼풀쪽으로성장하여대개안구돌출등의증상없이눈꺼풀부종이나종괴또는결막충혈이나부종등의증상을나타낸다. 3,4 저자들은심한기계성위눈꺼풀처짐을유발하여심각한시야장애를일으킨눈물샘눈꺼풀엽에생긴거대한다형성샘종의예를경험하고종양을성공적으로제거하였기에이를국내최초로보고하고자한다. 접수일 : 2010년 6월 10일 게재허가일 : 2010년 11월 25일 증례보고 82 세남자환자가약 10 여년전부터서서히커지기시 심사통과일 : 2010 년 9 월 18 일 책임저자 : 나태윤경기도수원시팔달구지동 93-6 가톨릭대학교성빈센트병원안과 Tel: 031-249-7340, Fax: 031-251-6225 E-mail: laty@catholic.ac.kr 작한좌안위눈꺼풀의거대종괴로인한심한위눈꺼풀처짐을주소로내원하였다. 내원당시환자의눈꺼풀각막반사거리는우안은 3 mm, 좌안은 -2 mm였고, 심한기계성위눈꺼풀처짐으로좌안시야는모두가려져있었으며, 처진눈꺼풀을들어올리고나서야시력을측정할수있었다. 좌측위눈꺼풀에 2.0 2.0 cm 크기의둥근종괴가위눈꺼풀가쪽에있었고, 피부쪽으로심하게융기되어있었다. 약간의유동성이있는중등도경도의둥근종괴였으며, 압통이나발적등의소견은관찰되지않았다. 환자의시력과안압, 안구운동검사는모두정상이었으며, 전안부및안저검사에서도특이소견은없었다 (Fig. 1). 수술전안와전산화단층촬영에서안구의상외측에서약한조영증강과경계가명확한 2.3 2.0 cm 크기의종양이관찰되었으며, 혈관종으로판독되었다 (Fig. 2). 국소마취하에쌍꺼풀선을따라중앙과가쪽눈꺼풀피부에절개를가하자안와사이막과눈꺼풀올림근널힘줄로여겨지는, 종괴에의해늘어난얇아진조직이나타났으며, 종괴의눈꺼풀판쪽하단부에서다시한번절개를가하자, 주변안와조직과구분이잘되는피막에싸인종괴가드러났다 (Fig. 3). 조심스럽게박리를진행하여종괴를주변조직과완전히분리한후, 피막의손상없이완전적출하였으며, 절개한가쪽눈꺼풀올림근널힘줄과눈꺼풀피부는종괴제거후늘어진부분이많이있어반대쪽눈의위눈꺼풀테높이와대칭이되도록조정을하면서절제하고아래쪽의위눈꺼풀 241

- 대한안과학회지 2011년 제 52 권 제 2 호 - Figure 1. Photographs show a huge protruding upper lid mass causing severe mechanical ptosis. Figure 2. () Orbit CT shows a 2.3 2.0 cm sized, round, demarcated huge mass protruding to the upper lid. () The mass is contrast enhanced and at first, radiological impression was hemangioma. Figure 3. () Through upper lid crease incision and dissection, almost totally exposed mass was seen. () The removed mass was well encapsulated and round firm shaped and 2.3 2.0 2.0 cm in size. 판과 쌍꺼풀선 절개 아래쪽 피부에 각각 봉합하였다. 적출 둘러싸인 둥근 형태를 취하고 있었다(Fig. 3). 술 후 종괴 된 종괴는 2.3 2.0 2.0 cm의 크기로 회백색의 피막에 잘 의 병리조직검사 결과 관 또는 샘 모양의 구조를 만드는 원 242

- 정병주 외 : 눈물샘의 거대 다형성 샘종 - Figure 4. () Histopathologic finding shows numerous tubular or glandular structures embedded in myxoid stroma (hematoxylineosin, 40). () The tubules are lined by two layers of cells. The inner layer has columnar epithelial cells with eosinophilic cytoplasm, and the outer layer is made up of myoepithelial cells. Scattered spindle cells in myxoid stroma are also seen (hematoxylin-eosin, 400). 있다.6-9 눈물샘의 다형성 샘종은 주로 30~40대에서 호발 하며, 여자보다 남자에서 조금 더 높은 발생 빈도를 보이는 10,11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대부분 안와엽에서 발생하며 눈 꺼풀엽에서 발생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3,4,12 임상적으로 안와엽에서 생긴 다형성 샘종은 보통 수개월에서 1년 이상 의 기간에 걸쳐 위눈꺼풀의 상외측에서 별다른 증상 없이 Figure 5. Photograph of the patient at postoperative 1 month shows completely removed upper lid mass and resolved preoperative severe mechanical ptosis. 서서히 커지는 종괴로 만져지면서 발견된다. 이 때 눈물샘 의 종양이 어느 정도 커질 경우 일반적인 안와 종양에서와 마찬가지로 안구돌출과 전위 증상을 일으킬 수 있는데, 보 통 안구 뒤편으로 자라 들어가 안구돌출과 안구의 하내측 주상피세포와 점액 성분의 바탕질로 이루어진 다형성 샘종 편위를 유발하며,10 때로 눈물샘오목을 확장시키기도 한 의 전형적인 소견이 나왔다(Fig. 4). 술 후 위눈꺼풀처짐은 다. 완전히 회복되어 좌안 눈꺼풀각막반사거리는 3 mm로 양안 발생하는 경우에는 안구 앞쪽으로 자라면서 초기에 눈꺼풀 이 동일하게 되고 시야 장애는 없어졌으며, 술 후 6개월 간 혹은 결막 부종 등의 증상을 일으키고 빨리 발견되기도 하 의 경과 관찰 중 눈물 분비의 이상이나 종양의 재발 소견은 는데, 없었다(Fig. 5). 지 않는다.3,4,12 한편 종양의 발생부위와 관계없이 종괴의 11 반면, 그 발생 빈도가 드물지만 종양이 눈꺼풀엽에서 12,13 이 때 안구돌출과 편위, 뼈 조직의 변형 등은 생기 급속한 성장은 악성 변화를 암시한다.14,15 본 증례에서도 눈 고 찰 물샘 눈꺼풀엽에 생긴 종양이 오랜 기간에 걸쳐 눈꺼풀 쪽 으로 자라 매우 심한 위눈꺼풀처짐을 일으켰는데, 아직까지 다형성 샘종은 주로 침샘에서 많이 발생하는 양성 종양 눈물샘 눈꺼풀엽에 생긴 거대한 크기의 다형성 샘종이 외 으로 90% 이상은 귀밑 침샘에서 생기나 다른 부위의 침샘 국에서는 보고가 있었지만, 국내에 보고는 없었다. 눈꺼풀 이나 구개, 기관지, 눈꺼풀, 눈물샘 등 샘 조직이 있는 부위 엽의 다형성 샘종은 임상적으로 눈꺼풀의 림프종, 염증성 라면 두부 또는 경부의 어디에서나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가성종양, 유피낭종, 눈물샘관 낭종, 산립종 등과 혼동되기 전체 다형성 샘종 중 매우 적은 약 0.5~1% 정도만이 눈물 쉬우므로 이들과의 감별이 필요하다. 샘에서 발생하며, 전체 눈물샘 병변 중에서는 10% 정도를 의 경우 안와전산화단층촬영에서 눈꺼풀 쪽에 위치한 종양 차지한다.5 눈물샘의 다형성 샘종은 눈물샘 조직이 있는 곳 의 거대한 크기와 조영 증강 소견 등으로 인하여 처음에는 이라면 어디에서든 발생할 수 있어 이소성 눈물샘(ectopic 혈관종으로 잘못 판독되기도 하였다. lacrimal gland)이나 부눈물샘에서 발생한 예도 보고된 바 13,16-18 실제로 이 환자 다형성 샘종은 잠재적으로 악성 변화의 가능성이 있으므 243

- 대한안과학회지 2011 년제 52 권제 2 호 - 로다형성샘종이의심되는경우피막을손상시키지않고종양을완전히적출해내는것이중요하다. 불완전한종양의제거와절개생검은종양세포를주위조직으로퍼지게하고재발과악성화의빈도를높일수있으므로금해야한다. 14,15 종양을제거하는방법은종양의위치에따라다른데, 종양이안와엽에서발생하여안와내측깊숙이위치한경우에는외측안와절개술과두개절개술등의방법으로접근할수있고, 19,20 종양이눈꺼풀엽에서발생하여안와앞쪽이나눈꺼풀쪽에위치한경우에는쌍꺼풀선절개혹은결막경유접근법을이용할수있다. 3,4,12 저자들은눈물샘눈꺼풀엽에생긴거대한다형성샘종을쌍꺼풀선피부절개를통하여성공적으로제거하고심한기계성위눈꺼풀처짐을교정할수있었기에보고하는바이다. 참고문헌 1) Shields J, Shields CL, Scartozzi R. Survey of 1264 patients with orbital tumors and simulating lesions: The 2002 Montgomery Lecture, part 1. Ophthalmology 2004;111:997-1008. 2) lbert DM, Jakobiec F. Principle and practice of ophthalmology, 1st ed. Philadelphia: W.. Saunder company, 1994;1952-6. 3) Murphy M, Rodrigues MM. enign mixed tumor of the (palpebral) lacrimal gland presenting as a nodular eyelid lesion. m J Ophthalmol 1974;77:108-11. 4) uran J, Jakobiec F, Krebs W. enign mixed tumor of the palpebral lobe of the lacrimal gland. Clinical diagnosis and appropriate surgical management. Ophthalmology 1988;95:90-9. 5) Shields CL, Shields J, Eagle RC, Rathmell JP. Clinicopathologic review of 142 cases of lacrimal gland lesions. Ophthalmology 1989;96:431-5. 6) Mindlin, Lamberts D, arsky D. Mixed lacrimal gland tumor arising from ectopic lacrimal gland tissue in the orbit. J Pediatr Ophthalmol 1977;14:44-7. 7) Mueller EC, orit. berrant lacrimal gland and pleomorphic adenoma within the muscle cone. nn Ophthalmol 1979;11:661-3. 8) Kim NJ, Choung HK, Khwarg SI. enign mixed tumor arising from an accessory lacrimal gland in the inferior palpebral conjunctiva. J Korean Ophthalmol Soc 2006;47:1673-7. 9) Shin KS, Kim YD, Lee HK. case of benign mixed tumor presenting as a nodular eyelid lesion. J Korean Ophthalmol Soc 1991;32: 101-5. 10) Wright JE, Stewart W, Krohel G. Clinical presentation and management of lacrimal gland tumours. r J Ophthalmol 1979;63: 600-6. 11) Ni C, Cheng SC, Dryja TP, Cheng TY. Lacrimal gland tumors: a clinicopathological analysis of 160 cases. Int Ophthalmol Clin 1982;22:99-120. 12) Parks SL, Glover T. enign mixed tumors arising in the palpebral lobe of the lacrimal gland. Ophthalmology 1990;97:526-30. 13) Rose GE, Wright JE. Pleomorphic adenoma of the lacrimal gland. r J Ophthalmol 1992;76:395-400. 14) Shields J, Shields CL. Malignant transformation of presumed pleomorphic adenoma of lacrimal gland after 60 years. rch Ophthalmol 1987;105:1403-5. 15) Jung CK, Kim SM, Lee JY, Chung SK. Malignant change of pleomorphic adenoma. J Korean Ophthalmol Soc 1997;38:2251. 16) Jakobiec F, onanno P, Sigelman J. Conjunctival adnexal cysts and dermoids. rch Ophthalmol 1978;96:1404-9. 17) Hornblass, Herschorn J. Lacrimal gland duct cysts. Ophthalmic Surg 1985;16:301-6. 18) Ramlee N, Ramli N, Tajudin LS. Pleomorphic adenoma in the palpebral lobe of the lacrimal gland misdiagnosed as chalazion. Orbit 2007;26:137-9. 19) Park G, Cho KR, Chung YS. case of pleomorphic adenoma (mixed tumor) in lacrimal gland. J Korean Ophthalmol Soc 1981; 22:291-4. 20) Kim HK, Kim HS, Cho NC. Transcranial approach for removal of pleomorphic adenoma of lacrimal gland. J Korean Ophthalmol Soc 1998;39:763-70. 244

- 정병주외 : 눈물샘의거대다형성샘종 - =STRCT= Giant Pleomorphic denoma of Lacrimal Gland Involving the Palpebral Lobe Causing Severe Mechanical Ptosis yung Ju Jung, MD, Yang Kyeung Cho, MD, PhD, Tae Yoon La, MD, PhD Department of Ophthalmology, St. Vincent's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chool of Medicine, Seoul, Korea Purpose: To report a rare case of giant pleomorphic adenoma of the lacrimal gland involving the palpebral lobe causing severe mechanical ptosis and visual field defect, which was removed successfully. Case Summary: n 82-year-old man visited our clinic with a large protruding mass on his left upper lid that had grown for approximately 10 years causing severe ptosis. Preoperative orbital CT showed a 2.3 2.0 cm sized large mass which was suspicious of hemangioma. The mass was completely excised through a lid crease incision. The histopathologic examination showed typical findings of pleomorphic adenoma. fter the surgery, preoperative mechanical ptosis was completely resolved and during the 6 months of follow-up, there was no abnormality of tear secretion and evidence of tumor recurrence. Conclusions: The authors experienced a rare case of giant pleomorphic adenoma of the lacrimal gland involving the palpebral lobe and resolved mechanical ptosis by complete removal of the tumor through a lid crease incision. J Korean Ophthalmol Soc 2011;52(2):241-245 Key Words: Giant pleomorphic adenoma, Lacrimal gland palpebral lobe, Mechanical ptosis ddress reprint requests to Tae Yoon La, MD, PhD Department of Ophthalmology, St. Vincent's Hospital #93-6 Ji-dong, Paldal-gu, Suwon 442-723, Korea Tel: 82-31-249-7340, Fax: 82-31-251-6225, E-mail: laty@catholic.ac.kr 2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