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지 제4권 제2호 2004 Korean J Health Promot Dis Prev Vol. 4, No. 2, 2004 [원저] 일부 농촌 성인의 정상혈압, 고혈압환자 그리고 기존환자들 간의 건강관련 행위 및 건강인지 비교 조순자, 이성옥, 신연순, 이선영, 박연숙, 김인순, 안정선, 이양숙, 강현숙, 김희경, 서재순 1), 류순행 1) 공주대학교 간호학과, 공주시 보건소 1) - 요 약 - 연구배경 일부 농촌 지역 주민들의 혈압을 측정한 후 혈압정도에 따라서 건강관련행위와 건강인지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 여 고혈압관리 사업의 방향과 건강교육의 자료로 활용하고자함이다. 방 법 2002년 5월 13일부터 6월 22일까지(6주간) 공주시의 일개 동에 거주하고 있는 성인 남여 561명을 대상으로 혈압을 측정하고 설문지를 통하여 성, 연령, 교육수준, 흡연, 음주, 식생활, 운동, 건강검진 등을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혈압정도에 따라 정상혈압, 새롭게 발견된 고혈압환자 그리고 기존환자로 나누어 그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1) 정상혈압군, 새로운 고혈압환자군 그리고 기존환자군 사이에는 성별(χ 2 =9.428, p=.009)과 연령집단(χ 2 =47.033, p<0.001)에 따 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 음주와 관련된 습관(χ 2 =13.435, p=.009), 빈도(χ 2 =20.537, p=.008)와 소주 1병 이상과 미만을 기준으로 한 음주의 양(χ 2 =15.053, p=.001)에 따라 정상혈압, 새로운 고혈압환자 그리고 기존환자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음식 속의 염분(χ 2 =11.015, p=.026) 및 스트레스(χ 2 =10.790, p=.029)의 정도에 따라서도 정상혈압, 새로운 고혈압환자 그리고 기존환자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새롭게 발견된 고혈압환자군에서 타 집단에 비해 자신이 건강하다고 인지하고 있는 사람이 가장 많았으며 집단 간에도 통 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χ 2 =22.805, p<0.001). 결 론 고혈압은 특별한 증상이 없기 때문에 자주 혈압측정을 통해 새로운 고혈압환자 발견이 중요하다. 건강인과 새롭게 발견된 환 자들을 대상으로 지속적인 건강교육을 통해 질병에 대한 인식을 높여주어, 스스로 자신의 질병을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을 갖 도록하여 심혈관계질환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지 2004;4:73~81) 중심단어 정상혈압, 고혈압, 생활행태, 건강인지, 스트레스, 건강검진 1서 론 우리나라의 주요 사망원인 가운데 고혈압과 뇌혈관질환을 포함한 순환계질환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50대 이 후 연령층에서 높은 사망률을 보이고 있어 이들 질병에 대한 적 절한 건강관리가 요망되고 있다. 1) 고혈압은 상당 기간 무증상 상태로 진행되어 대부분의 경우 *본 논문은 2001년도 공주대학교 자체연구비 지원에 의해 수행되었음. 교신저자 : 조 순 자 공주대학교 간호학과 주 소 : 충남 공주시 옥룡동 공주대학교 간호학과 전 화 : 041-850-6019 E-mail : sjcho@kongju.ac.kr 접 수 일 : 2004년 2월 2일 채 택 일 : 2004년 6월 19일 그 질병의 심각성을 인식하지 못하여 조기발견이 어렵다. 뿐 만 아니라 고혈압을 노화로 인한 생리적인 당연한 과정으로 간주 하여 적절한 질병관리를 하지 못함으로써 합병증 발생으로 질 병을 악화시켜 조기사망을 초래하기가 쉽다. 더구나 고혈압은 우리나라의 경우 타 질병에 비해 높은 유병률을 나타내고 있어 지역사회 국민건강의 주요 관리대상의 질병이 되고 있다. WHO의 보고에 의하면, 고혈압은 심장병, stroke, 당뇨 등 과 함께 생활습관과 관련된 질병으로 분류하고 있다. 이러한 질병들을 적절히 조절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무 증상 단 계에서 지역사회 주민들에게 정규검진을 통해 질병을 발견하 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발견된 환자들 뿐 만 아니라 위험요 인에 처해 있는 건강인을 대상으로도 질병에 대한 인지도를 73
[일부 농촌 성인의 정상혈압, 고혈압환자 그리고 기존환자들 간의 건강관련 행위 및 건강인지 비교] 높이기 위하여 질병의 특성을 알게 하여 스스로 건강관리를 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재 우리나라의 농촌 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이러한 의료서비스는 그 동안 보건사업 이라는 명칭으로 질 병의 조기발견과 효율적 관리를 위해 행해져 왔으며, 특히 고혈압관리는 심혈관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2차 예방에 해당 하는 매우 중요한 사업 중의 하나라고 하겠다. 최근 산업화와 함께 경제발전으로 인한 생활향상으로 노인 인구의 급속한 증가는 고혈압과 같은 만성질환자의 현저한 증가를 가져오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만성퇴행성질환의 예 방 및 관리방법은 환자의 조기발견과 효율적 질병관리에 초 점을 맞추어 보건정책이 수립되어 시행되고 있다. 고혈압환 자 관리 역시 개인에게만 부과하기에는 역부족이므로 국가의 보건정책의 일환으로 사회 각 처의 협조와 함께 국민건강증 진사업으로 이루지고 있다. 오늘날 대도시에 있는 병원들은 대형화, 전문화되어 가는 추세이지만, 중 소도시에는 종합병원이 없는 의료의 지역적 불균형과 IMF 이 후의 사회 경제적 요인으로 인하여 건강 과 관련된 문제 해결의 어려움을 지역보건사업의 일환으로 해결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 내에 종합병원이 없는 중 소도 시 중 하나이며 본교가 있는 지역주민들을 대상으로 고혈압 예방을 위한 교육과 관리를 통해 지역주민의 건강증진을 도 모할 목적으로 지역에 있는 기관(보건소 등)의 협조를 얻어 주민들의 건강습관을 파악하고 혈압을 측정하였다. 파악한 자료들을 통하여 주민들에게 계속적으로 건강상담과 교육을 실시하여 건강행위를 실천하도록 고취시킬 계획이다. 더 나 아가 고혈압 환자들 뿐 만 아니라 다른 만성질환자 및 그들 의 가족들을 대상으로 지속적인 건강교육을 실시하고, 필요 하다고 생각되는 질환의 간호방법을 교육하고 관리해 줌으로 써 미약하나마 주민건강증진에 기여할 목적으로 본 연구를 1 차적 기초사업으로 실시하게 되었다. 방 법 1. 연구 대상 및 기간 본 대학이 소재하고 있는 충남 공주시 옥룡동에 거주하는 주민들 중 혈압측정, 혈당검사 그리고 그들의 개인적 특성과 생활행태를 알 수 있도록 작성된 설문지를 가지고 지역 동장 의 협조를 얻은 후 조사를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그 지역에 살고 있는 30세 이상의 주민들 모두를 대상으로 하려 하였으 나 본 조사를 거부한사람, 방문 시 부재자 그리고 실거주자 가 아닌 사람들을 제외하고 본 연구에 자발적으로 동의하고 참여한 주민 561명을 대상(전체주민 1,240명)으로 혈압, 혈당 측정 그리고 개인적 특성과 생활행태 등을 조사하였다. 조사 는 2002년 5월 13일부터 6월 22일까지 6주 동안 공주시 보건 소장의 협조를 얻어 공주시 보건소에 근무하는 간호사와 임 상병리사의 도움을 받아 24주의 임상실습을 거친 간호과 3학 년 학생들을 2명 씩 1조로 짝을 지어 5개조로 나누어 이들에 게 사전교육을 시킨 후에 보건소 간호사의 지도 하에 가정방 문을 하여 혈압과 혈당을 측정한 후 이미 준비된 유인물을 가지고 질문형식으로 조사하였다. 조사 기간 중에는 방문조 사가 시작되는 당일 아침에 전 날의 조사에 관한 전반적인 검토를 통하여 당일의 조사에 만전을 기할 수 있도록 하여 조사가 원만히 진행되도록 하였다. 2. 연구방법 1) 혈압측정 연구자용으로 타당성과 신뢰성이 확인된 수은주 혈압계 (Baumanometer, 미국산)를 혈압측정을 위한 도구로 사용하였 다. 측정방법에서 대상자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생물학적 오차를 줄이기 위해 가정방문을 한 후 대상자와 마주 앉아 5 분 정도 담소를 하여 대상자를 안정시킨 후 의자에 앉게 한 다음 상박을 심장과 같은 높이로 하여 혈압계의 커프를 상박 에 감고, 상박동맥 위에 청진기를 대고 밸브를 조작하여 수 은구를 올렸다. 천천히 공기를 빼면서 처음 소리가 들리는 점(제1기 음)의 압력을 수축기혈압으로 하고 소리가 완전히 사라지는 지점(제5기 음)의 압력을 이완기혈압으로 하였다. 두 번 측정한 혈압의 오차가 5mmHg 이상있을 경우에는 두 측정치의 평균을 사용하였다. 2) 고혈압의 진단기준 혈압의 분류는 1차적으로는 JNC Ⅶ의 분류방법 2) 을 이용하 였다. 정상혈압군(normal blood pressure)의 경우 최고혈압 120mmHg 미만이고 최저혈압 80mmHg 미만인자로, 고혈압전기(prehypertension)는 최고혈압 120mmHg 이상 139mmHg 이하 또 는 최저혈압이 80mmHg이상 89mmHg이하인자, 1단계고혈압 (stage 1 hypertension)은 최고혈압이 140mmHg 이상 159mmHg 이하이거나 또는 최저혈압이 90mmHg이상 99mmHg이하인자 로 그리고 2단계고혈압은 최고혈압 160mmHg 이상이거나 또는 74
[A Comparison of the Health Behavior and Health Perception among Adults of Normal Blood Pressure, New Hypertension, Existing Hypertension in Rural Korea] 최저혈압이 100mmHg이상인 자로 4단계로 구분했다. 본 연구 에서는 정상혈압과 고혈압전기를 나타낸 집단을 정상혈압군으 로, 1단계고혈압과 2단계고혈압을 나타낸 집단을 새로 발견된 고혈압집단으로 분류하였으며, 본 연구조사 이전에 고혈압으로 진단받은 자들은 별도의 기존환자군의 세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3) 통계분석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0.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전체 조사대상자의 사회경제적 특성, 건강관련 행위 및 건강 인지 정도가 정상혈압군, 새로운 고혈압환자군 그리고 기존 환자군에 따라 변수의 특성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는 χ 2 -test로 분석하였다. χ 2 -test 검정 시 5이하의 기대값이 전체 cell 중에 서 20%를 넘을 경우에는 실수와 백분율로만 나타내었다. 정상혈압군, 새로운 고혈압환자군 그리고 기존환자군의 세 집 단간의 변수의 특성에 따라 평균의 차이가 있는지는 ANOVA로 분석하였다. 결 과 1. 연구대상자의 사회적 특성 표 1은 대상 모집단 1,240명에 대한 연구대상자들의 성별, 연령별 분포에 따른 비율을 제시한 것으로, 남자는 전체 550 명 중 35.8%인 197명, 여자는 전체 690명 중 52.8%에 해당하 는 364명으로 총 561명(45.2%)이 조사되었다. 연령에 따라서 는 30대군이 22.5%로 가장 낮았으며, 40대군 25.1%, 50대군 67.7% 60대군 83.5%, 70대군 94.4% 그리고 80대군 이상에서 는 전원이 조사되었다. Table 1. Percentages of the Subjects Total population Sample population Rate of Survey(%) Sex Male 550 197 35.8 Female 690 364 52.8 Age 30-39 409 92 22.5 40-49 378 95 25.1 50-59 164 111 67.7 60-69 158 132 83.5 70-79 89 84 94.4 >80 42 42 100.0 연구대상자들의 혈압을 JNC Ⅶ분류에 따른 분포를 기본으 로 하여 정상혈압군은 정상혈압자 93명(남자 20명, 여자 73 명)과 고혈압 전기를 나타낸 199명(남자 71명, 여자 128명)을 포함시켰으며, 새로 발견된 고혈압환자군으로는 1단계 고혈 압 환자는 115명(남자 55명, 여자 60명)과 2단계 고혈압 환자 48명(남자 18명, 여자 30명)을 포함하였고 기존환자군은 106 명(남자33명, 여자 73명)이었다. 표2에서 보여주듯이 이들 561 명을 정상혈압군, 새로운 고혈압환자군 그리고 기존환자군으 로 나누어 세 집단 간의 남여에 따른 분율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χ 2 =9.428, p=.009). 연령군별로 보면, 정상혈압군은 30-49세군에서 45.2%로 제일 많았으며 새로운 고혈압환자군과 기존환자군에서는 50-69세군에 서 각각47.2%와 57.1%로 제일 많았고 연령군에 따른 정상혈압군, Table 2. Distribution and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ccording to Classification of Blood Pressure Variables Normal blood pressure New Hypertension Existing hypertension Sex Male 91(31.2) 73(44.8) 33(31.1) Female 201(68.8) 90(55.2) 73(68.9) 9.428(.009) Age(years) 30-49 131(45.2) 46(28.6) 10( 9.5) 50-69 107(36.9) 76(47.2) 60(57.1) 70 and over 52(17.9) 39(24.2) 35(22.7) 47.033(.000) Education Primary school 71(35.5) 49(43.8) 49(64.5) Middle school 35(17.5) 22(19.6) 7( 9.2) High school 72(36.0 29(25.9) 13(17.1) College and over 22(11.0) 12(10.7) 7( 9.2) 21.370(.002) Family history of hypertension Yes 49(16.8) 32(19.6) 29(27.4) No 243(83.2) 131(80.4) 77(72.6) 5.520(.063) χ² (P) 75
[일부 농촌 성인의 정상혈압, 고혈압환자 그리고 기존환자들 간의 건강관련 행위 및 건강인지 비교] 새로운 고혈압환자군 그리고 기존환자군의 세 집단간에는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χ 2 =47.033, p=.000). 몇 가지 특성 중 교육수준에서만 정상혈압군, 새로운 고혈 압환자군 그리고 기존환자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χ 2 =21.370, p=.002). 2. 건강관련 행위 비교 표 3에서 제시하고 있는 것처럼 정상혈압군, 새로운 고혈 압환자군 그리고 기존환자군 간에 몇 가지 건강관련 행위를 비교해 보았다. 음주습관은 자주 마신다고 응답한 사람이 정 Table 3. Comparison of Subjects between Normal Blood Pressure, New Hypertension and Existing Hypertension Group by Health Behaviors 76 Variables Habit of smoking Smoking No smoking Normal blood pressure 51(22.1) 180(77.9) New Hypertension 36(27.5) 95(72.5) Existing hypertension χ² or F(p value) 14(16.5) 71(83.5) 3.646(.162) Age of beginning smoking* Mean±SD 24.01 ± 6.68 27.35 ± 11.39 25.92 ± 11.99 2.037(.134) Period of smoking(years)* Mean±SD 25.38 ± 14.70 30.15 ± 15.56 33.06 ± 13.90 2.126(.125) Number of Cigarette(per day)* Mean±SD 17.10 ± 10.13 18.89 ± 8.24 21.81 ± 13.57 1.375(.257) Habit of alcohol drinking Frequently Sometimes No drinking Amount of drinking Less than 1 bottle More than 1 bottle Frequency of drinking once/month 2-3times/month 1-2times/week 3-4times/week Almost everyday 18( 7.7) 91(38.7) 126(53.6) 92(80.0) 23(20.0) 32(29.1) 26(23.6) 33(30.0) 11(10.0) 8( 7.3) 22(16.1) 33(24.1) 82(59.9) 32(52.5) 29(47.5) 8(13.1) 16(26.2) 13(21.3) 11(18.0) 13(21.3) 6( 6.8) 31(35.2) 51(58.0) 13.435(.009) 27(75.0) 9(25.0) 15.053(.001) 8(22.9) 5(14.3) 13(37.1) 1( 2.9) 8(22.9) 20.537(.008) Age of beginning of drinking* Mean±SD 24.01 ± 6.68 27.35 ± 11.39 25.92 ± 11.99 2.037(.134) Dietary habit for salty intake Salty Normal Fresh Regular exercise Yes No Duration of exercise Less than 30 minutes More than 30 minutes Type of exercise Walking Mountain climbing Running, jogging, others Stress Very much Much Moderate None Frustration Always & Often Sometimes Seldom * ANOVA test Standard deviation 59(24.6) 137(57.1) 44(18.3) 105(44.1) 133(55.9) 30(28.8) 74(71.2) 49(52.7) 12(12.9) 32(34.4) 42(17.7) 113(47.7) 82(34.6) 21( 9.1) 66(28.4) 145(62.5) 47(34.6) 65(47.8) 24(17.6) 60(44.8) 74(55.2) 18(30.0) 42(70.0) 27(50.0) 12(22.2) 15(27.8) 35(26.1) 49(36.6) 50(37.3) 10( 7.5) 32(24.1) 91(68.4) 32(34.8) 36(39.1) 24(26.1) 11.015(.026) 39(42.4) 53(57.6) 0.131(.937) 6(15.0) 34(85.0) 3.390(.184) 23(62.2) 7(18.9) 7(18.9) 4.754(.313) 18(19.6) 30(32.6) 44(47.8) 10.790(.029) 9(10.0) 25(27.8) 56(62.2) 1.566(.815)
[A Comparison of the Health Behavior and Health Perception among Adults of Normal Blood Pressure, New Hypertension, Existing Hypertension in Rural Korea] 상혈압군에서는 7.7%, 기존환자군에서는 6.8%이었으나 새로 운 고혈압환자군에서는 16.1%로 정상혈압군과 기존환자군에 비해 거의 2배 이상이나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χ 2 =13.435, p=.009). 음주의 정도에 따라 정상혈압군, 새로운 고혈압환자군 그리 고 기존환자군 간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음주하는 사람들의 1회 음주량을 소주 1병 미만을 마시는 집단과 소주 1 병 이상을 마시는 집단으로 구분하여 비교해 본 결과 소주 1병 이상을 마시는 사람이 새로운 고혈압환자군에서 47.5%로 정상 혈압군 20.0%, 기존환자군 25.0%에 비해 거의 2배 정도 많았으 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χ 2 =15.053, p=.001). 음주의 빈도는 정상혈압군에서는 거의 매일 마신다는 사람 이 7.3%이었으나 새로운 고혈압환자군과 기존환자군에서는 각각 21.3%와 22.9%로 정상혈압군에 비해 3배 이상 많았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χ 2 =20.537, p=.008). 식생활 중에서 음식의 염분의 양을 간접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짜게 먹는 습관이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 짠 음식을 좋 아하여 짜게 먹는 편이라고 응답한 사람이 새로운 고혈압환 자군과 기존환자군에서 각각 34.6%와 34.8%로 정상혈압군의 24.6%보다 현저하게 많았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χ 2 =11.015, p=.026). 운동과 혈압과의 관계에서는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고 있다 고 응답한 사람이 정상혈압군 44.1%, 새로운 고혈압환자군 44.8% 그리고 기존환자군이 42.4%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못했다. 운동을 한다고 응답한 사람 중에서 30분 이상 운동을 하는 사람은 기존환자군에서 85.0% 로 가장 많았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지난 1개월 동안 얼마나 많은 스트레스를 느꼈는가를 묻는 질문에는 많이 느꼈다고 응답한 사람이 새로운 고혈압환자군 에서 26.1%로 제일 많았으며, 기존환자군은 19.6%, 정상혈압 군은 17.7%의 순위를 나타냈으며 세 집단간의 스트레스는 통 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χ 2 =10.790, p=.029). 3. 건강 인지 비교 표 4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자신이 인지하고 있는 자신의 Table 4. Comparison of the Subjects between Normal Blood Pressure Group, New Hypertension and Existing Hypertension Group by Perception and Management of Health Variables Normal blood pressure New Hypertension Existing hypertension χ² (p value) Self-perceived health condition Good 98(40.7) 61(45.9) 21(22.8) Average 61(25.3) 24(18.0) 16(17.4) Not Good 82(34.0) 48(36.1) 55(59.8) 22.805(.000) Regular health management method Exercise 63(29.2) 37(30.1) 29(34.5) Diet 16( 7.4) 7( 5.7) 7( 8.3) Sufficient rest 28(13.0) 12( 9.8) 9(10.7) Restoratives and others 13( 6.0) 7( 5.7) 4( 4.8) None 96(44.4) 60(48.8) 35(41.7) 2.673(.953) Health examination of cancer Did 101(42.8) 35(27.1) 29(31.9) None 135(57.2) 94(72.9) 62(68.1) 9.781(.008) Health Examination of Cancer Male Did 17(28.3) 4( 7.8) 5(19.2) None 43(71.7) 47(92.2) 21(80.8) 7.529(.023) Female Did 84(47.7) 31(39.7) 24(36.9) None 92(52.3) 47(60.3) 41(63.1) 2.870(.238) Health examination taken in last two years Yes 118(50.0) 59(45.4) 50(54.9) No 118(50.0) 71(54.6) 41(45.1) 1.978(.372) Reason of not taking health examination Taken before 10(11.5) 4( 6.8) 6(17.6) Be in good health 22(25.3) 22(37.3) 9(26.5) Lack of Time 14(16.1) 5( 8.5) 1( 2.9) Cost 15(17.2) 7(11.9) 9(26.5) Others 26(29.9) 21(35.6) 9(26.5) 11.845(.158) 77
[일부 농촌 성인의 정상혈압, 고혈압환자 그리고 기존환자들 간의 건강관련 행위 및 건강인지 비교] 건강상태에 대하여 건강한 편이라고 응답한 사람들은 새로운 고혈압환자군이 45.9%로 제일 많았으며, 자신의 건강상태가 좋지 않다고 응답한 사람들은 기존환자군이 59.8%로 가장 높 았다. 연구대상자 스스로가 인지하고 있는 건강의 정도는 정 상혈압군, 새로운 고혈압환자군 그리고 기존환자군 간에 통 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χ 2 =22.805, p=.000). 최근 2년 이내에 건강검진과 암검사를 해 본 적이 있는가 를 물은 결과, 암검사를 받아 본적이 있다고 응답한 사람이 정상혈압군에서 42.8%로 가장 많았으며 새로운 고혈압환자군 이 27.1%로 가장 낮았다. 암검진여부에 따른 정상혈압군, 새 로운 고혈압환자군 그리고 기존환자군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 의한 차이가 있었는데(χ 2 =9.781, p=.008), 이를 다시 성별로 층화하여 보니, 남자들의 경우에서만 정상혈압군, 새로운 고 혈압환자군 그리고 기존환자군 사이에서 암검진 여부는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χ 2 =7.529, p=.023). 그러나 여자들의 경우에서는 암검진 여부에 따라서 정상혈압 군, 새로운 고혈압환자군 그리고 기존환자군 간에는 통계적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고 찰 우리나라 농촌지역의 고혈압 유병률은 농촌 지역사회를 대 상으로 한 최근의 연구들에 의하면 25-35%정도로 보고 되고 있어 유병률이 매우 높은 질환 3) 이며 1999년 발표된 우리나라 농어촌 지역 성인의 고혈압 유병률은 총 29.94%로 남성이 27.76%, 여성이 30.03%로 보고된 바 있고 4) 인구의 노령화 등 으로 증가 추세에 있어 국민건강에 매우 중요한 관리 대상 질병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자의 평균 유병률 이 48.0%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남자 성인의 고혈압 유병 률은 53.8%이었고 여자 성인의 유병률은 44.8%로 1998년 천 안시 5) 에서 조사된 유병률과 비교해 볼 때 천안시의 남자 유 병률 49.8%보다 높은 53.8%로 나타났으며 여자의 유병률도 38.8%보다 약간 높은 44.8%로 남여 공히 높은 유병상태를 보 였다. 이는 타 연구 4),5) 에서 보여준 결과와 동일하게남자가 여 자보다 고혈압 유병률이 높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1차적으 로는, 농촌 지역의 한 개 동을 연구자가 임의로 선정하여 그 지역 주민들 중 개개인의 의견을 고려하여 자발적 참여가 가 능한 사람들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건강 에 관심이 많은 사람들이나 자신이나 가족 중 고혈압 환자가 있는 사람들의 참여가 높을 것으로 생각되어 타 조사에 비해 다소 고혈압의 유병률이 높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사전에 계획된 전체 조사대상인구 1,240명 중 561 명(45.2%)만을 조사했으므로 엄밀한 의미에서의 해당 지역의 유병률을 나타냈다고 말하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점이다. 그 러나 타 조사와 비교해 볼 때 유병상태가 월등히 높게 나타 난 점을 고려해 보면, 단지 조사대상자들에 의해 초래된 결 과라고만 생각하기 보다는 인구의 노령화현상에 따른 실제적 인 환자의 증가추세를 시사해 주고 있는 것이라는 점도 배제 할 수 없다고 생각된다. 좀 더 고혈압의 유병상태를 비교하 기 위해서는 지금 분석정리 중에 있는 2001국민건강조사 결 과를 참고로 하면 명확해질 것으로 생각된다. 혈압은 연령에 따라 증가하며, 수축기 혈압은 연령 증가에 따라 증가하고 이완기 혈압은 연령 증가에 따라 완만히 증가 하다가 이후 정점을 보이는 현상을 보인다고 한다 5). 본 연구 에서는 고혈압의 연령별 유병률로 추정하여 볼 때 연령이 증 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는데 60대를 정점으로 하고 있었으며 초발연령(58.77±10.67세)과 비교해 보면 50대 말에 가장 많은 질병 발생을 보인 것으로 보아 고혈압 발생은 남여 모두 50 대 후반이 가장 높은 정점을 이루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 에서는 평균이환기간이 약 7.00±6.97년으로 조사된 것으로 볼 때 앞으로 생활수준의 향상과 보건의료 서비스의 확대로 인 하여 평균수명이 연장됨에 따라 노인인구의 증가는 곧 만성 질환자의 생존기간을 연장해 주면서 아울러 질병에 따른 이 환기간의 연장을 가져올 수 있어 더욱 더 연령에 따른 유병 률은 증가할 것으로 사료된다. 많은 고혈압 관련 연구에서 혈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 로 알려진 가족력이나 염분의 섭취에서는 일관성 있는 결과 를 보이고 있고 또 최근의 많은 연구에 의하면 체중감소, 저 염식 식단, 금주, 운동 등의 생활행태의 개선을 통하여 혈압 조절이 가능하다고 보고하고 있다. 7-9)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운동여부, 운동시간, 운동의 종류 등에 따라서는 고혈압 유무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지만, 음주습관, 음주의 양, 음주의 빈도, 염분의 섭취정도, 스트레스의 정도 등 몇 가지 생활행태와 고혈압 유무사이에서는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특히, 소주 1병을 기준으로 하여 음주의 양, 음주습관 및 음주의 빈도와 고혈압 유무와의 관계에서는 모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냄으로써 혈압에 영향을 주는 요인 은 음주습관과 빈도 이상으로 음주의 양이 중요하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직 간접적으로 보여 주는 결과라고 생각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뒷받침해 주는 연구로 알콜 섭취 감소량 과 혈압 감소 사이에는 양-반응 관계가 관찰되었다는 Xue Xin 10) 의 보고가 있다. 따라서 알콜 섭취의 양을 조절하는 것 이 고혈압을 조절하기 위한 일차적 예방방법이며 동시에 고 혈압 환자들의 합병증예방과 치료에 매우 중요한 요소임을 78
[A Comparison of the Health Behavior and Health Perception among Adults of Normal Blood Pressure, New Hypertension, Existing Hypertension in Rural Korea] 강력히 암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체중과 염분의 양 역시 매우 중요한 고혈압 악화 요인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체중10Kg 감량시 혈압 5~20mmHg 정도 의 최고혈압의 감소를, 100mEq/L 보다 적게 염분을 섭취할 때 8~14mmHg 정도의 최고혈압을 저하시킨다고 보고하고 있다. 2) 본 연구결과에서도 정상혈압군에서 보다도 새로 발견된 고 혈압환자군과 기존고혈압환자군에서 음식을 더 짜게 먹는 사 람이 많은 것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음을 볼 수 있 었다. 정신적인 긴장이 혈압을 상승시킨다는 연구는 많다. 11) 예 를들면, 입사시험 등에서 건강진단을 실시하면서 혈압을 측 정하면 젊은 피검자에서 고혈압인 경우를 흔히 볼 수 있는데 그러한 사람도 입사 후 긴장이 풀리면 혈압은 정상으로 된다. 스트레스란 말은 원래 라틴어의 stringere"에서 유래되었으 며 이 개념과 같은 뜻으로 고통(distress)이나 긴장(strain)을 의미하기도 한다. Cannon 12) 의 심리적 이론에서는 스트레스란 정서적으로 흥분과 연관된 자극이 생리적 변화과정의 원인 이 된다 라고 정의하였으며, 어떤 생활변화에 대하여 안정상 태를 유지하려고 하나 적응유지에 미치지 못하여 나타난다고 하였다. 13) 본 연구에서도 혈압상승이 스트레스와 관련하여 통 계적으로 유의성을 보인 것은 생활사건 중 복잡하고 사회생 활에서 개인이 자신의 돌발적인 사고에 더욱 많은 관심을 갖 게 된 최근의 사회적 추세를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고혈압 뿐 만 아니라 고혈압의 대표적인 합병증인 심혈관 계질환 역시 비만, 흡연, 음주, 운동 등의 생활행태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으며 생활행태들의 긍정적 변화가 심혈관계질환 의 발생률이나 사망률을 낮추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생 활행태의 변화와 병행하여 적절한 약물요법을 시행하는 것이 고혈압의 조절 및 고혈압으로 인한 합병증을 예방하는 최선 의 방법 9) 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특성에 관한 실천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 에서는 건강에 관한 인지 정도를 조사하여 정상혈압군과 새 로운 고혈압환자군 그리고 기존환자군의 세 집단을 비교해 본 결과 대상자 본인이 인지하는 자신의 건강상태에 대하여 새로 발견된 고혈압환자군에서 자신의 건강을 건강한 편이라 고 45.9%나 되는 사람들이 응답함으로써 자신의 혈압이 높다 는 것을 알지 못하고 있었으며, 막연히 자신은 건강하다고 생각하여 연구대상자의 50.5%나 되는 사람들이 지난 2년 동 안 건강검진을 한 번도 받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고혈압이라는 질병의 특성상 과거 20여 년동안 새로운 약 물이 개발되었고 고혈압 조절에 대한 개인적 관심 및 사회적 관심의 증가로 고혈압 조절에 많은 성과를 올린 것도 사실이 지만 아직도 혈압이 잘 조절되지 않는 환자들이 많은 것 2) 도 사실이다. 그 외에도 사회적인 범 국민운동으로 심혈관계질환자들을 위한 금연 캠패인 등을 통해 금연 운동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금연에 대한 의지가 정상혈압과 고혈압을 갖고 있는 환자들 간에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고혈압은 대부분의 경우 특별한 증상이 없으므로 본인이 병을 갖고 있는 환자라는 인식이 부족하여 적절한 질병관리 를 하고 있지 않고 있을 가능성이 크며, 이러한 인식 때문에 일차적 질병 관리에 어려움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평 소의 자신의 건강관리를 위해 운동이나 식사관리를 하는 사 람이 정상혈압군, 새로운 고혈압환자군 그리고 기존환자군 사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남으로 써 다시 한 번 고혈압에 대한 환자 자신의 인지도가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질병의 조기발견과 합병증 예방을 위하여 정기건강검진은 연구대상자 중에서 49.5%만이 검진을 받았으며 검진을 받지 않은 사유로는 본인이 건강하다고 생각하여 검진을 받지 않 았다고 응답한 사람이 새로 발견된 고혈압환자군에서 정상혈 압군의 25.3%보다 훨씬 많은 37.3%에 달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는 고혈압의 질병적 특성이 뚜렷한 임상증상을 나타내지 않는 것이므로 자주 혈압을 측정하게 하여 새로운 고혈압환 자를 조기에 발견한 후 계속적인 관리를 통해 심혈관계질환 의 발병을 미리 예방해 주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하겠다. 그 러므로 혈압관리는 생활양식의 개선이 매우 중요하며 특히 가족력을 갖고 있는 사람들이나 연령이 50대 이후에 비만 등 이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잦은 혈압측정과 질병에 관한 끊 임없는 교육과 홍보를 통해 질병에 인식을 높여 주어 지역사 회 주민들 스스로가 자신의 건강을 증진시키고 고혈압 발생 률을 감소시키며 또한 자신의 질병을 잘 관리할 수 있는 능 력을 갖도록 하여 심혈관계질환의 발병을 미연에 예방하도록 하여야 하겠다. 참고문헌 1. 박영임. 전명희. 농촌지역 고혈압 환자를 위한 자기조절 프 로그램 관련 요인 연구. 2001;12:202-13. 2. JNC. The sixth report of the Joint National Commitee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pressure (JNC Ⅵ). 3. 감신, 김인기, 천병렬, 이상원, 이경은, 안순기 등. 지역사회 79
[일부 농촌 성인의 정상혈압, 고혈압환자 그리고 기존환자들 간의 건강관련 행위 및 건강인지 비교] 보건사업에서 발견된 고혈압 환자의 치료실태와 관련요인. 한국농촌의학협회지. 2001;26:133-46. 4. 대한공중보건의사협의회, 오병희, 김창엽, 이건세, 강영호, 이영조, 강위창. 우리나라 농어촌지역 성인의 고혈압 유병 률. 대한내과학회지. 1999;56:299-316. 5. 이주연. 고혈압 환자들의 순응도와 건강행태의 관계[박사 학위논문]. 대전:충남대학교 대학원;1999. 6. 김삼수. 고혈압의 성인에 대한 최근 학설. 대한의학협회지. 1985;28:396-404. 7. Seppa K, Laippala P, Sillanaukee P. Drinking pattern and blood pressure. Am J Hypertens 1994;7:249-54. 8. Patricia J, Elmer, Richard Grimm Jr., Brian Laing, Greg Grandits, Ken Svendsen, Nancy Van Heel et al. Lifestyle intervention:results of the Treatment of Mild Hypertension Study(TOMHS). Prev Med 1995; 24:378-88. 9. 김경희, 강윤정, 박현순, 손지형, 양목화, 염현이 등. 고혈압 가족력이 가족둘의 생활 행태 및 고혈압 관리에 미치는 영 향: 일개 농촌주민을 대상으로: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03;3:319-25. 10. Xue Xin, Jiang He, Maria G. frontini, Lorraine G. Ogden, Oaitse I. Motsamai, Paul K. Whelton. Effects of alcohol reduction on blood pressure. Hypertension 2001;38:1112-7. 11. The Seventh Report of the Joint National Committee on Preventi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Pressure. JAMA 2003;289:2560-72. 12. 신해림. Lifestyle(생활습관)의 폭로영향평가. 한국역학회지. 1993;15:23-8. 13. 김정순. 1998년도 국민건강 영양조사 심층분석발표: 고혈 압 및 심혈관 질환의 역학적 특성 및 위험 요인 분석. 한국 지질 동맥경화학회지. 2000;10:239-43. 14. 본태성 고혈압 환자의 자가간호증진을 위한 자기조절 프로 그램 효과: Orem이론과 Bandura이론의 합성과정[박사학 위논문]. 서울:서울대학교 대학원;1994. 15. 김금이. 일 농춘지역 고혈압 환자들의 건강행태와 약물복 용 이행도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02;13:49-56. 16. 이수정. 본태성 고혈압 환자의 저염식 이행실태 및 관련요 인[석사학위논문]. 서울:서울대학교 대학원;1999. 17. 임진영. 한 지역사회 고혈압 관리사업의 효과 평가[석사학 위논문]. 대전:충남대학교 보건대학원;. 2001. 18. 고운영, 김정순, 문용, 임민경, 고민정. 일부 농촌 성인의 고 혈압 유병률과 역학적 특성. 한국역학회지. 1996;18:55-63. 19. 신해림. Lifestyle(생활습관)의 폭로영향 평가. 한국역학회 지. 1993;15:23-8. 20. Belloc N, Brelow L. Relationship of physical health status and health practices. Prev Med 1972;1:409-21. 21. 안윤옥. 건강증진의 방향과 미래.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지. 2003;3:1-5. 22. Expert Commitee on the Diagnosis and Classification of Diabetes Mellitus. Diabetes Care. volume 26. Supplement 1. January 2003. p S12. 80
Korean J Health Promot Dis Prev Vol. 4, No. 2, 2004 [Abstract] A Comparison of the Health Behavior and Health Perception among Adults of Normal Blood Pressure, New Hypertension, Existing Hypertension in Rural Korea Soon-Ja Cho, Sung-Ok Lee, Yeon-Soon Shin, Sun-Young Lee, Yoen-Suk Park, In-Soon Kim, Jung-Sun Ahn, Yang-Sook Lee, Hyun-Sook Kang, Hee-Kyung Kim, Jae-Soon Seo 1), Soon-Hang Ryu 1) Department of Nursing, KongJu National University,Kongju City Public Health Center 1)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health behavior and health perception related to hypertension among the adults residing in Kongju city.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ill be utilized as a basic data for the direction of the hypertension services and for the development of the educational health promotion programs for the community. Methods The subjects were 561 adults who had their blood pressure taken.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13th to June 22th, 2002 through a questionnaire asking their sex, age, education, smoking, drinking, diet, physical exercise, health examination.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normal blood pressure, new hypertension, existing hypertension group, according to their blood pressure for comparison. Results Conclusions Key words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revalence rate of hypertension among three groups by sex(p<.01) and age(p<.001).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ree groups in drinking habit(p<.01), frequency of drinking(p<.01) and amount of drinking(p<.01). 3)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ree groups in stress(p<.05) and the amount of salt taken in their diet(p<.05). 4)45.9% of the subjects belonged to new hypertension group perceived their health condition was very good. This proportion is the highest among three groups.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lf-perceived health condition among three groups(p<.001). It is important to find new hypertension through frequent blood pressure check up, because there is no special clinical symptoms in hypertension. It is necessary to educate normal blood pressure and new hypertension in order to raise their recognition of the disease and make them to have the ability to take care of their disease and prevent their cardiovascular disease in advance. (Korean J Health Promot Dis Prev 2004 ; 4 :73~81) normal blood pressure, hypertension, health perception, life style, stress, routine health examination. 2 Address for correspondence : Soon-Ja Cho Department of Nursing, Kongju National University T e l : 041-850-6019 E-mail : sjcho@kongju.ac.kr 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