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98; 39: 저작근공간감염의자기공명영상소견 1 성창규 한문희 검삼수2 검홍대 박병관 이인희 장기현 목 적 : 저작근공간에서발생하는감염의자기공명영상소견의특정을알아보고자하였 다 - 대상및방법 : 엄상병리학척검사와임상소견을통해저작근공간의

Similar documents
(

Kbcs002.hwp

±è¼Ò¿µ

Korean J Otolaryngol 40 1, January 1997 신마취하에 종양을 적출하였다. 경부의 절개는 양측에 증 례 서 접근하기 위하여 Apron 피판을 올린후 우측 흉쇄 유돌근과 흉골설골근사이의 근막을 흉쇄유돌근의 전 연을 따라 절개하자 피낭형성이 잘

( ) Jkra076.hwp

À̱ٿµ

( )Kju269.hwp

2-1

< D B4D9C3CAC1A120BCD2C7C1C6AEC4DCC5C3C6AEB7BBC1EEC0C720B3EBBEC8C0C720BDC3B7C2BAB8C1A4BFA120B4EBC7D120C0AFBFEBBCBA20C6F2B0A E687770>

자기공명영상장치(MRI) 자장세기에 따른 MRI 품질관리 영상검사의 개별항목점수 실태조사 A B Fig. 1. High-contrast spatial resolution in phantom test. A. Slice 1 with three sets of hole arr

Jkss hwp

<342EBEC8BCBABFAD2CB9DAC7E2C1D82E687770>

±è¹ÎÁö

황지웅

Crt114( ).hwp

04조남훈

( )Kjhps043.hwp

이철희 외 고실 골판의 형태를 분류하고 정상인에서의 분포 및 만성 중 평선에서 두위를 30 숙인 축상면에서 관찰하였고 1 mm 간 이염군 사이의 분포를 알아 봄으로써 전 상고실 골판의 형태 격으로 촬영하였으며 전형적인 supratubal recess가 잘 관찰 와 특징

Lumbar spine

Kjhps016( ).hwp

Ȳ¼º¼ö

제5회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마취통증의학교실 심포지엄 Program 1 ANESTHESIA (Room 2층 대강당) >> Session 4 Updates on PNB Techniques PNB Techniques for shoulder surgery: continuou

±èÇ¥³â

1) 측두하악관절장애 (TMD) 환자에게초음파와근막이완술이측두하악관절및경부의기능적회복에미치는영향, 1 The Effect of Ultrasound and Myofascial Release on a Functional Recovery of Neck in Patients

À̾Ƹ§

online ML Comm Case Report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11;54: / pissn / eissn

(49-54)Kjhps004.hwp

( )Kju225.hwp

슬라이드 1

노영남

KISEP Abstract 안면신경초종의치료경험 전영명 박기현 이진석 전상훈 The Management of Facial Nerve Schwannoma Young-Myoung Chun, M.D., Keehyun Park, M.D., Jin-Suk Le

KISEP Otology Korean J Otolaryngol 1999;42: 측두골에발생한사구종 6 예 남정권 윤태현 이광선 Six Cases of Glomus Tumor Jeoung Kueon Nam, MD, Tae Hyun Yoon, MD and Kwa

( )Jkstro011.hwp

KISEP Case Reports Korean J Otolaryngol 2001;44: 방사선치료후국소재발한비인강암에서수술을시행한 2 예 한경열 1 고경석 2 김창진 3 김상윤 1 Salvage Surgery for Locally Recurred Nasoph

untitled

( )Jksc057.hwp

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93; 29 (4) : 673~677 Journal 01 Korean Radiological Society. July 치브 p 겨님노야. ~~ ÒTo-õ. T 걱룬 방향결정의 CT 역할 대구가톨릭대학의학부진단방사선과학교실 정혜경 서광휘

ºÎÁ¤¸ÆV10N³»Áö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Can032.hwp

6.Kaes013( ).hwp


Jksvs019(8-15).hwp

388 The Korean Journal of Hepatology : Vol. 6. No COMMENT 1. (dysplastic nodule) (adenomatous hyperplasia, AH), (macroregenerative nodule, MR

45-51 ¹Ú¼ø¸¸

김이경외 : 경구용비스포스포네이트제재복용후발생한방선균증이동반된상악골괴사의영상의학적소견 였고, 3개월가량치유되지않는상악골괴사가있었으며, 방사선치료의과거력이없어 BRONJ에합당하였다. 비스포스포네이트는피로인산염 (pyrophosphate) 의무기질유사물 (inorganic

원위부요척골관절질환에서의초음파 유도하스테로이드주사치료의효과 - 후향적 1 년경과관찰연구 - 연세대학교대학원 의학과 남상현

김범수

대한영상의학회지 2010;62: 자기공명영상에서보이는난소성숙낭기형종의조영증강고형성분 : 악성세포전환을의미하는가? 1 송명규 김경아 이창희 최재웅 이종미 김윤환 박철민 목적 : MR 영상에서보이는난소의양성성숙낭기형종의조영증강고형성분에대해알아보고자하였다. 대상

GGNGBC_2008_v33n4_395.hwp

KISEP Otology Korean J Otolaryngol 2004;47: 정상측두골전산화단층사진상내이구조물의계측 부산대학교의과대학이비인후과학교실, 1 진단방사선과학교실 2 고의경 1 박성환 1 윤빛나 1 이일우 1 노환중 1 전경명 1 김학진 2 Nor

ORIGINAL ARTICLE J Rhinol 2018;25(1): pissn / eissn 편측성비부비동염에서최근유병률변

Thieme: Color Atlas of Acupuncture

Kaes017.hwp

KISEP Case Reports Korean J Otolaryngol 1999;42:232-6 경미로접근법으로제거한거대소뇌교각종양 4 예 박찬민 황보철 신종헌 손수준 Four Cases of Large Cerebellopontine Angle Tumors Remove

Â÷¼øÁÖ

KISEP Clinical Research J Korean Neurosurg Soc , 2000 급성경막하혈종에서응급두개골천공의위치 문수현 김근회 권택현 박윤관 정흥섭 서중근 = Abstract = Emergency Trephination Site o

005송영일

KISEP Case Reports Korean J Otolaryngol 1998;41 9 : 두경부영역에발생한횡문근육종 4 례 하승룡 이봉재 박선태 김상윤 Four Cases of Rhabdomyosarcoma in the Head and Neck Se

hwp

스마일 contents 당신을 만나 기분이 좋습니다! 병원에 있는 사람들은 모두 힘듭니다. 환자는 환자대로, 보호자는 보호자대로, 의료진은 의료진대로. 아픈 환자가 제일 힘들 것 같다가도, 그들을 뒷바라지하는 보호자가 더 어려울 것 같습니다. 하지만 환자와 보호자를 상

슬라이드 제목 없음

충북의대학술지 Chungbuk Med. J. Vol. 27. No. 1. 1~ Charcot-Marie-Tooth Disease 환자의마취 : 증례보고 신일동 1, 이진희 1, 박상희 1,2 * 책임저자 : 박상희, 충북청주시서원구충대로 1 번지, 충북대학교

WSAVA dental guideline 1차 번역 수정

1장

<30342E20B1E8C7F6BFEC2C20B1E8C8A3C1D82C20B9DABFB5C8B82E687770>

Microsoft PowerPoint - evaluation(창원대)

( )Kjhps035.hwp

천골부에 발생한 거대 신경초종 이학적 및 신경학적 소견 요추 및 천골부위의 피부에 발견되지 않았으며 CT에서 주위와 경계가 뚜렷한 종괴가 이상 소견은 없었으나 촉진상 좌측 천골 2번째 부위로 약 좌측 천골부에 있으며 이 종괴는 자궁과 소장을 앞, 좌우로 4 5cm정도의

012임수진

09구자용(489~500)

이신재 외: 자궁선근종의 자궁동맥색전술 후 장기 추적 자기공명영상 소견 angle, 80 ; matrix size, ; section thickness, 5 mm) 기법을 이용하여 영상을 얻었다. MRI에서 자궁선근종의 진단은 T2 강조 영상에서 자궁근층

Microsoft Word doc

1..

¾ç½ÂºÎ

Jkafm093.hwp


기관고유연구사업결과보고

12이문규

DBPIA-NURIMEDIA

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95 ; 33( 1) : 요추추간판탈출증에서의조영증강자기공명영상 : 조영증강양상을중심으로 1 곽현주 최혜열 김혜영 김유경 김아영 정은철 목 적. 수술전의추간판탈출증환자에서 Gd 조영증감자기공명영상시관잘되는요추간판의조영 증강앙상을기술하고자

CASE REPORT J Rhinol 2015;22(2): pissn / eissn 비인두에서발생한원발성결핵

KISEP Rhinology Korean J Otolaryngol 2001;44:392-8 만성부비동염환자에서의 99mTc-MDP 골 SPECT 를이용한골염의연구 장용주 1 구태우 1 박석건 2 정필상 1 Osteitis in Patients with Chronic P

Jkcs022(89-113).hwp

Àå¾Ö¿Í°í¿ë ³»Áö

골화범위의 측정 Fig. 1. Schematic illustration for division of thyroid lamina and calculation of ossification height in thyroid cartilage. Ossification heigh

비강부비동안와 금속 이물 Fig. 1. Simple paranasal sinus Xray showing two pieces of foreign body. Right one penetrates right ethmoid sinus, septum, and left ethmo

Microsoft PowerPoint - 발표자료(KSSiS 2016)

KISEP Abstract 산탄총에의한두경부손상 1 례 이대원 김종규 김형진 최득록 A Case of Shotgun Wound on Head and Neck Dae Won Lee, M.D., Jong Kyu Kim, M.D., Hyung Jin Ki

<B0E6C8F1B4EBB3BBB0FAC0D3BBF3B0ADC1C E687770>

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98; 38: 이하선종괴의 CT 및 MRI 소견 : 양성과악성의감별점 1 전영섭 이영준 박정욱 검익대 이종육 은충기 목 적 : 이하선종괴에있어서양성과악성의특정이되는 CT 및 MRI 소견을파악하여 양성과악성의감별점을알아보고자하였다. 대

대한소아치과학회지 38(4) 2011 소아에서발생한치성기원구개농양의치험례 류재량 김영진 김현정 남순현 경북대학교치의학전문대학원소아치과학교실 국문초록구강내대부분의감염은치성기원으로치성감염은초

16_이주용_155~163.hwp

Jkbcs016(92-97).hwp

433대지05박창용

example code are examined in this stage The low pressure pressurizer reactor trip module of the Plant Protection System was programmed as subject for

DBPIA-NURIMEDIA

Table 1. Distribution by site and stage of laryngeal cancer Supraglottic Glottic Transglottic Total Stage Total 20

???춍??숏

33-37ÃÖ¿µ¿ì

Transcription:

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98; 39: 633-638 저작근공간감염의자기공명영상소견 1 성창규 한문희 검삼수2 검홍대 박병관 이인희 장기현 목 적 : 저작근공간에서발생하는감염의자기공명영상소견의특정을알아보고자하였 다 - 대상및방법 : 엄상병리학척검사와임상소견을통해저작근공간의화농성감염으로진 단된 23 명의환자에서 MR 영상소견과임상소견을후향적으로분석하였으며, 각예에서 저작근공간구조물과주위공간으로의칭벙양상과하악골침범및농양형성유무, 감엽의 원인과그에따른특정등을조사하였다. 결과 : 저작근공간을구성하는저작근들중 23 예중에서교근은 21 예, 내익돌근은 14 예, 외익돌근은 12 예, 측두근은 13 예에서침범되었으며, 모든저작근을침범한경우는 8 예, 한 개의저작근에국한된경우는 5 예였고이들은 4 예가교근이고나머지 1 예는측두근이었다. 침범된구조물들은신호강도변화와조영증강이주된소견이었고 23 예중 22 예에서근다발 을따라파급되는양상을보였다. 병변내에농양을형성한경우는모두 7 예에서보였으며, 나머지 16 예에서는단순한염증성병변인봉소엽의소견을보였다. 하악골골수침범으로 인한신호강도변화및조영증강은 16 예에서보였고, 이중 8 예에서피질골의파괴를보였 는데이들은모두국소적인골파괴의형태를보였다. 저작근공간에만감염이국한된경우는 7 예였으며주변경부공간들중교통이자유로운측두공간으로의파급은 8 예에서보였고, 경부근막을뚫고주위경부공간으로침범한경우는 10 예에서보였다.2 예에서난원공을 통해해면동으로병변이연장된소견을보였으며 1 예에서는두개기저골수염을통해두개 강으로침벙하여뇌농양이동반되였다. 감염의원언으로는 23 예중 15 예에서치성원인이의 심되었으며이중 10 예가하악골대구치의발치나감염과관련이있는경우였다. 치성원인 에의한환자군은하악골병변이 15 명중 13 예에서있었고모든예에서교근을침범하였다. 결 론 : 저작근공간감엽은치성원인에의한경우가흔하며, 특징적인 MR 영상소견으 로병변이근다발을따라파급되고, 경부근막을뚫고주위경부공간을첨벙할수있으며, 하악골골수염을잘동반하고하악골골수염에동반되는피질골파괴의형태는국소적인양상을보인다. 저작근공간감염에서 MR영상은병변의범위와침범양상을잘보여주고, 피질골파괴가없는하악골골수염도쉽게발견할수있으며, 봉소엽과농양을구분하여배농시걸잡이로서유용하다. 저작근공간은심부경부근막 (deep cervical fascia) 의천엽 (superficial layer) 에의해서형성되며, 4개의저작근즉, 교근 (masseter), 내외익돌근 (medial & lateral pterygoid), 측두 근 (temporalis) 과하악골체부의후방부와하악지 (mandibular ramus), 삼차신경하악분할의분지들과내상악동맥 (internal maxillary artery) 과그분지들등을포함하는해부 l 서울대학교의과대학방사선과학교실, 방사선의학연구소 2 보라애병원방사선과 본논문은서울대학교병원임상연구비 (2-95 -191) 지원으로이루어졌 이논문은 199 8 년 3 월 3 0 일접수하여 199 8 년 7 월 23 일에채택되었응. αω학적공간으로, 주위에협부 (buccal space), 이하선공간, 부인 두공간 (parapharyngeal space), 악하선공간및설하공간과인 접해있으며위쪽으로는같은경부근막으로둘러싸인측두공 간 (temporal space) 과연결되어있다 (1-5). 이러한저작근공 간에발생효 } 는병변은저작근, 하악골및치아와관련된감염이 나종양성질환에의한것이대부분이며저작근공간을형성하 는근막이이러한병변의파급을막는데매우중요한역할을한 다. 저작근공간의병변을가진환자들은대부분개구장애를동반하여입상적검사에제한점이있으며이로인해 CT 나 MR 등과같은영상방법이병변의존재와범위를파악 :t} 는데중요

성창뮤오 1: 저작근공간김염의자기공명영상 하다. 저작근공간병변의존재와범위를알아내고경계벚주위조직으로의침융양상을규명허는데있어서, MR영상이연부조직대조도가우수하고치아나골조직에의한인공물이적으며임의의다떤영상 (multiplanar image) 이가능하다는장점으로인해일반적으로 CT보다유용한것으로알려져있다 ( 6, 7). 본연구에서는이해부학적공간에생긴감염을 MR영상소견을중심으로분석하여그내부구조물들과주위공간으로의침벙양상등의특정적인영상소견과감염의원인에따른특정등을알아보고자한다. 대상및방법 1988년 9월부터 1997년 11월까지저작근공간의화농성감염으로진단된환자중 MR영상을얻은 23명을대상으로하였 며, 환자들의연령은 20세에서 70세까지로평균 40세였고남자가 19명, 여자가 4명이었다. 모든대상환자들은침흡인에의한임상병리학적검사나항생제치료에대한반응및추적검사, 임상적인소견등을종합하여화농성감염으로진단되였으며, 대상환자군에는결핵과같은육아종성감염이나기생충성감염, 또는종양성질환에감염이병발된경우등은없었다. 23명의환자들은대부분개구장애, 협부또는볼의종창및통증등의임상증상으로내원하였다.2명에서는당뇨병이있었고 1명은임신 34주된환자였으며각각 1 0명씩에서발열과백혈구증가증을보였다.9명은항생제로만치료하였으며 1 4명은침흡인이나수술적배농을병행하여치료하였다. 세균배양결과 9예에서균이동정되었는데연쇄상구균 (streptococus) 계통이많았으며 2예에서방선균 (act in omyces), 1예에서녹농균 (pseudomonas aeruginosa) 등이동정되었다. MR영상은 1.0T( Magnetom Expert, Siemens, Erlangen, Germany), 1.5T(Magnetom SP, Siemens, Erlangen, Ger many), 2.0T(Spectro-20000, Goldstar, Seoul, Korea) 초전도형장치를사용하였으며스펀에코방법으로반복시간 (TR) 400-750 msec, 반향시간 (TE) 15-30msec 의 T1강조영상과 TR / TE 2000-3000 msec / 20-40 msec 앙 : 자농도강조영상과 TR/TE 2000-3000msec/80-100 msec T2 강조영상을횡단영상으로얻었다. 또한체중 1Kg당 O.l mmol 의 Gd-DT P A (Magnevis t, Schering, Germany) 를정맥주사한후횡단및관상영상의 T1 강조영상을얻었다. 23명의대상환자에서임상소견과 MR영상소견을후향척으로분석하였다. 즉, 각예에서추론이가능한발병원인과그원인에따른영상소견의차이점, 저작근공간구조물각각의침범양상과주위공간으로의침범여부, 하악골골수의신호강도변화와조영증강양상빛피질골파괴유무, 배농이가능한농양의형성유무등을알아보았다. 결과감엽의원인으로는 23명중 1 5예에서병력및임상적소견으로치과적문제가의섬되었으며, 1예에서는악성외이도염의파급으로발생하였고나머지는뚜렷한원인을알수없었다. 치성원인으로추정되는 15예중 10예가하악골대구치의병적상태즉염증빛발치등과관련이있었으며하악골소구치 (pre molar tooth) 2예, 하악골소구치 1 예, 상악골대구치는 1 예, A B Fig. 1. Left masticator space infection with mandibular osteomyelitis. A. T2-weighted axial MR image shows heterogeneous high signal intensity within the left medial pterygoid and mas seter muscles. The signal intensity of mandibular bone marrow is lower than that of the normal contralateral side. B. Precontrast Tl-weighted axial MR image shows low signal intensity in the bone marrow of left mandibular ramus surrounded by diffusely enlarged masticatory muscles. Note well preserved fat in the parapharyngeal and buccal spaces on both sides. c. Postcontrast Tl-weighted axial MR image shows dense enhancement of the involved muscles, bone marrow and retromolar trigone area on the left - 634 - c

대한밤사선의학호 1);11998;39:633-638 악관절과관련된경우가 1예씩있었다. 악관절과관련된 1예는악관절의통증으로마취제주사및관절정복술을받은후저작근공간감염이발생한경우였으며, 이를제외한 14예중 9예는발치후에, 나머지는치아의감염이나감염과관련된치과적조작후에저작근공간감염이발생하였다. 저작근공간을구성하는저작근들중교근은총 23예중에서 21 예, 내익돌근은 14예, 외익돌근은 12예, 측두근은 13예에서침벙되었다. 모든저작근을침범한예는 8예, 한개의저작근에국한된경우는 5예였고, 이들은 4예가교근이고나머지 1예는측두근이었다. 이러한구조물들의침범은각 MRI sequence에서 의신호강도변화와근육의부피증가및조영증강등으로진단하였다. 침범된구조물의 MRI 신호강도는 T1 강조영상에서주위근육과비슷하거나 (n=12), 약간증가 (n=9), 또는약간감소된소견을보였으며 (n=2), T2 강조영상에서는 19예에서분명하게주위근육보다고신호강도를보였다 (Fig. 1). T1 강조영상에서병변이없는측과비교하였을때 4예를제외한 19 예에서침범된근육의팽만이있어병변의위치를알수있었다. 조영증강을하였을때모든예에서병변부위의조영증강이보였으며, 인접한피하지방등에염증성변화가분명한경우는 6예에서만보였다.23예중 22예에서그침범양상이근다 A B c Fig. 2. Masticator space infection with actinomycosis. A 2 X 4 cm oblong mass in to the left masseter muscle demonstrates high signal intensity on T2-weighted image(a), slightly high signal intensity on Tl-weighted image(b) and intense enhancement after i매 ection of contrast materiai(c). The surrounding muscle and subcutaneous fat are also involved. 3 4 Fig. 3. Masticator space abscess with extension to the cavernous sinus. Postcontrast Tl-weighted coronal image shows diffuse enhancement of all masticatory muscles. There is nonenhancing abscess within the masseter muscle (arrowhead). The infection spreads intracranially to involve the ipsilateral cavernous sinus through the foramen ovale (arrow). Fig. 4. Masticator space infection with osteomyelitis. Pre-(left) and post-contrast(right) Tl-weighted axial MR images show diffuse marrow involvement of the left mandibular ramus. Note the focal cortical disruption (arrow) and extension of inflammation to the surrounding muscles. α

성창김오 1 : 저작근공간김엽의자기공명영상 Fig. S. Masticator space infection involving the parapharyngeal space. A. Precontrast Tl-weighted axial MR image shows diffusely enlarged right masticatory muscles and abnormal mandibular bone marrow replaced by low signal intensity B. Postcontrast Tl-weighted axial MR image shows diffuse enhance ment of muscles and mandibular bone marrow. Note the focal disruption of the medial cortex (black arrow). The ipsilateral parapharyngeal space is involved (white arrow) A B 발을따라파급되어불분명한변연부를보이는특징적인소견을보였지만, 이러한특정적인소견을보이지않았던 l예에서는종양성병변과의감별이어려웠다 (Fig.2). 그러나그예에서도발치했던병력과병변주위근육변에동반된염증성변화등이진단에도움을주였으며, 배농과배양검사를통해방선균의감염에의한것으로확인되었다. 병변내에농양을형성한경우면모두 7예에서보였는데 (Fig. 3), 농 % 판단순한염증성병변인봉소염 (celluli tis) 과구분되어염증성병변내에서다양한크기와분명한경계를가 지며, T1 강조영상에서저신호강도, T2 강조영상에서고신호강도를보이고, 주변경계부위가조영증강되는병변으로보였 다. 하악골을침범하여골수의신호강도변화및조영증강을보인경우는 16예였는데, 이들중 8예에서피질골의파괴가있였다 (Fig. 4). 이러한피질골의파괴는모든경우에서부분적인파괴를보이는특정이있었다. 병변이저작근공간에만국한된경우는 7예였으며주변경부공간들중교통이자유로운측두공간으로의파급은 8예에서보였고부인두공간을침범한경우 (Fig. 5) 는 5예, 협부는 4예, 이하선공간은 4예였으며악하선공간을침범한경우도 2예있었다.2예에서난원공을통해해변동으로병변이연장된소견을보였으며 (Fig. 3), 1예는두개기저골수염을통해두개강으로침범하여뇌농양이동반되었다. 치성원인에의한것으로추정되는 15예중 13예에서하악골병변을보였고모든예에서교근을침범하는소견을보였다. 치성원인이있었지만하악골병변은없었던 2예중 1 예는상악골대구치발치로인해발생한경우로상악골치조돌기 (alveolar process) 의신호강도변화및조영증강을보였고, 또나머지 1 예는하악골대구치치료중의마취처치와관련된저작근공간의직접적인감염이원인으로추정되며, 이로인해하악골병변없이저작근공간에병변이발생하였다. 고찰경부는심부경부근막에의하여여러심부경부공간으로나누어지며심부경부큰막은천엽, 중엽, 심엽으로구성되어있다 (1, 2). 심부경부근막의천엽은하악골의하단부에서하악골을감싸며두층으로나뒤어져저작근공간을형성하는데, 외층은교근의외벽을따라상행하여협골궁 (zygomatic arch) 을거쳐측두근의외벽으로이행하고내층은내익돌근의내벽을따라상행하여난원공의내측에서두개기저부에붙는다. 저작근공간의구조물은 4개의저작근육즉, 교근, 내외익돌근빛측두근의하부와하악골체부의후방부와하악지, 삼차신경하악분할의분지들, 내악동맥과그분지들등을포함한다 (3, 4). 하악골은이공간의중심구조물로이를기준으로내측및외측구획으로나눌수였다 (5). 하악골체부의후방부, 하악지가이공간에포함되므로이부위의하악골병변즉종양이나치성감염등은바로저작근공간의병변이된다. 저작근공간의앞으로는협부, 뒤로는이하선공간, 안쪽빛뒤쪽으로부인두공간, 아래로는악하선공간, 설하공간과인접해있다 (4, 5). 심부경막의천엽으로주위의안면및경부공간들과분리되어있고하방으로는근막이하악골과단단히붙어있어병변이다른공간으로파급되는것을방지하지만, 상방으로연결되는측두공간괴는근막에의한경계가없어자유롭게교통할수있 고따라서병변이쉽게파급될수있다. 측두공간은측두근에의해서표재 (superficia I) 및심부공간으로나누어지는데 (2), 심부경부근막의천엽이표재측두공간의외연을형성하며상측두선 (superior temporal line) 에붙게되며, 이부위의근막이고막성형술등에서주로사용되는부분이다. 안쪽의심부측두공간은측두골의골막으로경계지워진다. 학자에따라서는저작근공간과측두공간을구분딴방법이다양한데이는이들두공간사이에근막등의경계없이자유롭게교통할수있음에연유한다. 즉, 협골상부는외부에서접근하기쉽고다른병리적원인에의한질환이생기거나파급되는특칭을보여측두공간으로따로구분하기도하고, 저작근공 - 636 -

대한방시선의학호! 지 1998; 39 : 633-638 간의일부로간주하여저작근공간의협골상부 (suprazygomatic portion of masticator space) 로분류하기도한다 (4, 8). 후자의경우에는협골하부를저작근공간의비인두부 (nasopharyngeal masticator space) 로구분하여내측으로는날개구개오목 (pterygopalatin e fossa) 과, 외측으로는협골사이에위치히는공간으로정의한다. 본연구에서도다른경부공간에비해측두공간으로의파급이가장많았으며, 이는이러한두공간의연속성에기인한다. 따라셔이부위병변의영상시협골상부를관상면등을통해같이검사동 } 는것이필요하다고생각된다. 일반적으로감염의파급은직접적인파급, 임파성및혈행성파급으로나눌수있다 (2). 근육이나다른기관들을감싸는섬유성결합조직중경부근막은뼈등을지날때그부위에부착하여하나의분리된분획또는공간을형성하게되는데, 어느공간에서발생한감염은일차적으로그공간내에국한된다. 그러나근막으로둘러싸인각공간사이에도연결통로가존재하므로감염은근막, 근육면, 혈관, 신경, 타액관, 지방면 (fat pad) 등을통해서비교적빨리여러연속된공간을챔벙하게된다 (2). 또한같은근막도부위에따라구조가조금씩다르므로감염의파급을제한하는능력에차이가있다 ( 2). 감염의직접적인파급은저항이가장낮은곳으로파급되므로저작근공깐감염이측두근을따라상부인측두공간으로파급되는경우가 8예로가장흔히보인것은두공간사이를경계짓는근막이없는점을고려할때당연한결과로생각된다저작근공간에만병변이국한된갱우는 7예였는데측두공간까지포함하면병변이근막내에국한된경우는 10예였다. 다른인접한주위공간, 즉부인두공간과협부, 이하선공간과악하선공간등으로파급된경우도많았는데, 23예중 1 3예에서저작근공간의병변외에주변경부공간 (n= lo) 및두개강으로의파급 (n=3) 이관찰되었다. 심부경부근막의천엽이하악골하부의골막과단단히붙어있어저작근공간의병변이하부로파급되는것을막고, 주로상부의측두공간과두개기저로의상행성파급을주로보이는것으로알려져있으나 (4, 9), 상행성보다오히려하행성파급을더많이보고한예도있다 (5). 본연구에서는상행성파급이훨씬많았으나 2예에서악하선공간으로의파 급을볼수있었다. 물론이러한파급양상은저작근공간을중심으로분석한것이므로치성원인에의한감염에서원인이되는치아의위치에따라염증의파급양상이다를수있고, 저작근공간보다부인두공간이나악하선공간에더잘침범함을보고한연구도있으므로이러한주위공간으로의파급양상을해석할때는그감염경로를이해하는것이중요하다 (1 0). 저작근공간감염에서임상적으로는발열, 압통성종괴나말초혈액에서의백혈구증가증등으로감염성질환을시사하는경우가많았으나단순히종괴만나타나거나개구장애의증상만보인경우도있었다. 특히만성적인염증인경우는전신증상없이점점진행되는개구장애와단단하고무통성의안면종창으로나타나흔히종양성질환과유사한양상을보인다 (11). 저작근공간감염은 MR영상에서대부분푸렷한종괴를형성하지않고저작근들을따라신호강도변화와조영증강, 근육의 팽창등을보이며, 많은예에서병변내부에농양을형성한다. 영상소견상농양의형성없이염증성변화나봉소염만있는경 우는항생제투여만으로도치료가가능하나, 하악골골수엽이 있으면골막하배액이펼요하고여러경부공간에농 OJ: 을형성 한경우는복합적인배농을필요로하게된다 (4, 5 ). 염증이파급되어저작근공간이침범된경우는치성농영 : 에 의한경우가가장흔한데그중대부분이제 2, 제 3 대구치의감 염이다 (4, 12). 또한외상후에생긴협골, 측두골또는하악골의 골수염에병발되어생길수있으며 (9, 13), 드물게는악성외이 도염에이차적으로생길수있는데악성외이도염은외이도에 서기원하는감염의증상과정후로임상적으로진단되며저작 근공간을침범하여개구장애를유발하고당뇨나면역이저하 된환자에서흔히보인다 ( 8 ). 본연구에서는원언을추정할수 있었던 1 6 예중악성외이도염에병발된 1 예를제외한 15 예가 치성원인에의한것이고그중 10 예가하악골대구치와관련이 있었다. 따라서이특정적인해부학적공간의감염은흔히병적 인하악골치아와연관되어있으며야부위의하악골골수염과 동반되어이공간의구성요소들에염증성변화를일으키는것 을알수있었다또한하악골골수염에동반되는피질골의파 괴가 8 예모두에서국소적인양상을보여김등 (1 4) 이보고한 종양성질환의심한골파괴를고려할때종양성질환과의강별 에도움을주는소견으로생각된다. 결론적으로, 저작근공간감염은치성원인에의한경우가흔 하며, 특정척인 MR 영상소견으로병변이근다발을따라파급 되고, 경부근막을뚫고주위경부공간을침범할수있으며, 하 악골골수염을잘동반하고하악골골수염에동반되는피질골 파괴의형태는국소적인양상을보인다. 저작근공간감염에서 MR영상은병변의범위와침범양상을잘보여주고, 피질골파 괴가없는하악골골수염도쉽게발견할수있으며, 봉소염과 농양을구분하여배농시길잡이로서유용하다. 차끼므 Õ~ a 1. Grodinsky M, Holyoke E. The fascia and fascial spaces of the head and neck and ad jacent regions. Am J Anat 1938 ; 63 : 367-407 2. Paonessa DF. Goldstein JC. Anatomy and physiology of head and neck infections (with emphasis on the fascia of the face and neck) Otolatyngol Clin North Am 1976; 9(3) : 561-580 3. Braun IF. Hoffman Jc. Computed tomography of the buccomasseteric region: l. Anatomy. AJN R 1984; 5: 605-610 4. Tryhus MR, Smoker WRK, Harnsberger HR. The normal and diseased masticator space. Semin Ultrasound CT MR 1990; 11(6) : 476-485 5. Hardin CW, Harnsberger HR, Osborn AG, Doxey GP, Davis RK. Nyberg DA. Infection and tumor of the masticator space CT evaluation. Radiology 1985; 157: 413-417 6. 나동규, 한문희, 김상준, 검광현, 장기현구강내악성종양의 MR 소견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93 ; 29(2): 179-185 7. Lufkin RB, Wortham DG, Diertich RB, et al. Tongue and oropharynx : Findings of MR imaging. Radi%gy. 1986; 16 1 : 69-75 8. Chong VFH, Fan YF. Pictorial review: Radiology of the Masticator space. C/in Radio/ 1996 ; 51: 457-465 - 637 -

잉 성침뮤오 1: 저작근공간감엽의자기공명영상 9. Braun IF, Hoffman Jc. Computed tomography of the buccomasseteric region: 2. Pathology. AJNR 1984; 5: 611-616 10. Kim HJ, Park ED, Kim JH. Hwang EG, Chung SH. Odontogenic versus nonodontogenic deep neck space infections: CT manifes tations. J Comput Assist Tomogr 1997; 21 (2): 202-208 11. Newman MH, Emley WE. Chronic masticator space infection Arch OtolmγngoI1974;99: 128-1 31 12. HaIl C. Morris F. Infec tions of the masticator space. Ann Otol Rhinol Laryngol 1941 ; 50: 11 23-11 40 13. CoIIier FA, Yglesias L. In fections of the lip and face. Surg Gynecol Obstet 1935; 60 : 277-290 14 김숭훈, 한문희, 장기현, 김광현, 송재우, 조인철, 연경모저작근 공간의병변 MRI 와 CT 소견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95; 32(2) 215-222 J Korean Radiol Soc 1998 ; 39 : 633-638 MR Imaging of Masticator Space Infection 1 Chang Kyu Seong, M.D., Moon Hee Han, M.D., Sam Soo Kim, M.D. 2, Hong Dae Kim, M.D., Byung Kwan Park, M.D., In Hee Lee, M.D., Kee-Hyun Chang, M.D. 1 Department of Radi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ζ and the Institute of Radiation Medicine 2Department of Radiology, Boramae Hospital PU rpose :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 appearances of masticator space infection, as seen on magnetic resonance(mr) imaging.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R images of 23 patients with clinica11y and bacteriologica11y proven masticator space infection, with attention to the involved structures, spread pattern, abscess formation, mandibular involvement, and etiology. Results: The masseter muscle was involved in 21 of 23 cases, while the cases, medial pterygoid, lateral pterygoid, and temporalis muscles were involved in 14, 12, and 13 cases, respectively. A11 muscles in the masticator space were involved in eight cases and only a single muscle in five. In a11 but one case, extension through the muscle plane was noted, and in 10 cases, transfascial extension was seen. Abscess formation was noted in seven cases. Mandibular involvement was seen in 16 cases, half of which showed focal cortical disruption. The source of infection was odontogenous in 15 cases, with frequent involvement of the mandible and masseter. Conclusion : Masticator space infection frequently originated from an odontogenous source. The characteristic MR appearances of this infection included extension through the muscle plane and frequent transfascial spread to adjacent deep cervical spaces, as well as common mandibular involvement with or without cortical disruption of focal pattern. Index words: Neck, infection Neck, MR Soft tissues, infection Soft tissues, MR Address reprint requests to: Moon Hee Han, M.D., Department of Radi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28, Yongon-Dong, Chongno-Ku, SeouL 110-744, Korea Tel. 82-2-760-3602 Fax, 8 2-2-743-63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