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바스학회지 J Korean 제 3 권 Bobath Assoc Vo l. 제 호 No., 2(뼈3 3, I. 서 형감각조절 형태로 나타난다(Bennett 론 987), N ashner(983) 는 정상 아동 자세조절 특성 을 다음과 같이 뇌성마비란 여러 하는 움직임

Similar documents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012임수진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77

서론 34 2

Abstract Background : Most hospitalized children will experience physical pain as well as psychological distress. Painful procedure can increase anxie

- 2 -

16_이주용_155~163.hwp

Àå¾Ö¿Í°í¿ë ³»Áö

1..

54 한국교육문제연구제 27 권 2 호, I. 1.,,,,,,, (, 1998). 14.2% 16.2% (, ), OECD (, ) % (, )., 2, 3. 3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2, pp DOI: * The Mediating Eff

230 한국교육학연구 제20권 제3호 I. 서 론 청소년의 언어가 거칠어지고 있다. 개ㅅㄲ, ㅆㅂ놈(년), 미친ㅆㄲ, 닥쳐, 엠창, 뒤져 등과 같은 말은 주위에서 쉽게 들을 수 있다. 말과 글이 점차 된소리나 거센소리로 바뀌고, 외 국어 남용과 사이버 문화의 익명성 등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 A Study on the Pe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3 * The Effect of H

상담학연구,, SPSS 21.0., t,.,,,..,.,.. (Corresponding Author): / / / Tel: /

,,,.,,,, (, 2013).,.,, (,, 2011). (, 2007;, 2008), (, 2005;,, 2007).,, (,, 2010;, 2010), (2012),,,.. (, 2011:,, 2012). (2007) 26%., (,,, 2011;, 2006;


ePapyrus PDF Document

139~144 ¿À°ø¾àħ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searc


원위부요척골관절질환에서의초음파 유도하스테로이드주사치료의효과 - 후향적 1 년경과관찰연구 - 연세대학교대학원 의학과 남상현

Jkafm093.hwp


도비라

44-4대지.07이영희532~

현대패션의 로맨틱 이미지에 관한 연구

( ) Jkra076.hwp

춤추는시민을기록하다_최종본 웹용

278 경찰학연구제 12 권제 3 호 ( 통권제 31 호 )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view of Research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2, pp DOI: 3 * Effects of 9th

歯5-2-13(전미희외).PDF

< D B4D9C3CAC1A120BCD2C7C1C6AEC4DCC5C3C6AEB7BBC1EEC0C720B3EBBEC8C0C720BDC3B7C2BAB8C1A4BFA120B4EBC7D120C0AFBFEBBCBA20C6F2B0A E687770>

( )Kjhps043.hwp

歯1.PDF


다문화 가정의 부모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

Microsoft PowerPoint - evaluation(창원대)

A Time Series and Spatial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Housing Prices in Seoul Ha Yeon Hong* Joo Hyung Lee** 요약 주제어 ABSTRACT:This study recognizes th

Lumbar spine

歯제7권1호(최종편집).PDF

특수교육논총 * ,,,,..,..,, 76.7%.,,,.,,.. * 1. **

hwp

975_983 특집-한규철, 정원호

( )Kju269.hwp

Kim et a l. The Effects 01 Balance Tools Training lor Static Stability in Normal Adults at Age 20 Years 서 원하는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이다(배 성수 등 감각계는 중요한 요소로서 볼

달생산이 초산모 분만시간에 미치는 영향 Ⅰ. 서 론 Ⅱ. 연구대상 및 방법 達 은 23) 의 丹 溪 에 최초로 기 재된 처방으로, 에 복용하면 한 다하여 난산의 예방과 및, 등에 널리 활용되어 왔다. 達 은 이 毒 하고 는 甘 苦 하여 氣, 氣 寬,, 結 의 효능이 있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 A Research Trend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 A Analysis of

12이문규

hwp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 A Study on the Ac


歯14.양돈규.hwp

27 2, 17-31, , * ** ***,. K 1 2 2,.,,,.,.,.,,.,. :,,, : 2009/08/19 : 2009/09/09 : 2009/09/30 * 2007 ** *** ( :

<35BFCFBCBA2E687770>


., (, 2000;, 1993;,,, 1994), () 65, 4 51, (,, ). 33, 4 30, 23 3 (, ) () () 25, (),,,, (,,, 2015b). 1 5,

歯kjmh2004v13n1.PDF

IKC43_06.hwp

A 617

DBPIA-NURIMEDIA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2, pp DOI: * The Effect of Paren


27 2, 1-16, * **,,,,. KS,,,., PC,.,,.,,. :,,, : 2009/08/12 : 2009/09/03 : 2009/09/30 * ** ( :

Kor. J. Aesthet. Cosmetol., 라이프스타일은 개인 생활에 있어 심리적 문화적 사회적 모든 측면의 생활방식과 차이 전체를 말한다. 이러한 라이프스 타일은 사람의 내재된 가치관이나 욕구, 행동 변화를 파악하여 소비행동과 심리를 추측할 수 있고, 개인의

304.fm

Microsoft PowerPoint - 발표자료(KSSiS 2016)

272 石 堂 論 叢 49집 기꾼이 많이 확인된 결과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야기의 유형이 가족 담, 도깨비담, 동물담, 지명유래담 등으로 한정되어 있음도 확인하였 다. 전국적인 광포성을 보이는 이인담이나 저승담, 지혜담 등이 많이 조사되지 않은 점도 특징이다. 아울

<C7D1B9CEC1B7BEEEB9AEC7D03631C1FD28C3D6C1BE292E687770>

서론

Jksvs019(8-15).hwp

232 도시행정학보 제25집 제4호 I.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사회가 다원화될수록 다양성과 복합성의 요소는 증가하게 된다. 도시의 발달은 사회의 다원 화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현대화된 도시는 경제, 사회, 정치 등이 복합적으로 연 계되어 있어 특

DBPIA-NURIMEDIA

4ÃÖÁØ¿µ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2, pp DOI: : - Qualitative Met

<303720C7CFC1A4BCF86F6B2E687770>

레이아웃 1

< FC7D0C8B834C2F7BCF6C1A45FB4EBC7D1B9B0B8AEC0C7C7D0C8B820382D342E687770>

2 大 韓 政 治 學 會 報 ( 第 18 輯 1 號 ) 과의 소통부재 속에 여당과 국회도 무시한 일방적인 밀어붙이기식 국정운영을 보여주고 있다. 민주주의가 무엇인지 다양하게 논의될 수 있지만, 민주주의 운영에 필요한 최소한의 제도적 조건은 권력 행사에서 국가기관 사이의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3, pp DOI: : A basic research

한국체육학회지.hwp

. 45 1,258 ( 601, 657; 1,111, 147). Cronbach α=.67.95, 95.1%, Kappa.95.,,,,,,.,...,.,,,,.,,,,,.. :,, ( )

<342EBEC8BCBABFAD2CB9DAC7E2C1D82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2, pp DOI: IPA * Analysis of Perc

( )Jkstro011.hwp

<C7D1B1B9B1A4B0EDC8ABBAB8C7D0BAB85F31302D31C8A35F32C2F75F E687770>

:,,.,. 456, 253 ( 89, 164 ), 203 ( 44, 159 ). Cronbach α= ,.,,..,,,.,. :,, ( )

12È«±â¼±¿Ü339~370

WHO 의새로운국제장애분류 (ICF) 에대한이해와기능적장애개념의필요성 ( 황수경 ) ꌙ 127 노동정책연구 제 4 권제 2 호 pp.127~148 c 한국노동연구원 WHO 의새로운국제장애분류 (ICF) 에대한이해와기능적장애개념의필요성황수경 *, (disabi

00약제부봄호c03逞풚

<30392EB9DAB0A1B6F72CC1A4B3B2BFEE2E687770>

Transcription:

Lee and Hwang The Effects of Ankle Training on the Trunk Activity in Sitting during Lateral Weight Transfer in CP 발목 훈련이 양마비아 앉은 자세에서 외축 체중 이동시 체간 활동에 미치는 영향 이운영 홍정선 라윤주 신종현* 보바스어린이병원 물리치료실 보바스어린이병원 재활학과* The Effects of Ankle Training on the Trunk Activity in Sitting Position during Lateral Weight Transfer in Children with Spastic Diplegia Woon-Young Lee. jung-sun Hong. Yun-ju Ra*. jong- Hyun Shin*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Bobath Children's Hospi따l Department of Re따bilitation medicine, Bobath Children's Hospi띠l Abstract Background and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effects of ankle training on the trunk activity in sitting position during lateral weight transfer in children with spastic diplegia. Subjects and Methods: The subjects were 2 children with spastic 이plegia who had been treated at Hospital in Bundang-gu, Seongnarn-si as inpatients or outpatients. The method of this study was that the subjects were treated 0 times for 30 minutes each from september, 2007 to October, 2007. As well, the surface EMG was used to get the mus c e activity data from the rectus ahdormin떠is lumbar paraspinals, tibi떠is anterior, and gastrocnemius which showed the effects of ankle training.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Wilcoxon signed rank test between pre-training and post-training, by Marm Whitney U test between the dominant and non-dominant side, and by Pearson correlation for relations arnong RMS(root mean square) of each mus c e from SPSS/Pc.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RMS of the lumbar paraspina s, gastrocnemius between pre-post training in the dominant side.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RMS of the rectus abdorminalis. tibialis anterior(p<0.05). RMS of the lumbar paraspinals, gastrocnemiu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pre-post training in the non-dominant side. However, RMS of the rectus abdorminalis. tibialis anterior showed statistically differences(p<0.05). Seco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RMS of the rectus abdorminalis, lumbar paraspinals, gastrocnemius between the dominant and non-dominant side in the pre-training, bu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f RMS of the tibi머is anterior(p<0.05). We did not find significant difference of RMS of each mus c e between the dominant and non-dominant side in the post-training. Third. there were related to the lumbar paraspinals of non-dominant and gastrocnemius of dominant (r=0.64 ). the lumbar paraspinals of non-dominant and tibi려is anterior of both side(r=0.722, 0.580), the gastrocnemius of dominant and tibialis anterior of both side(r=0.779. 0.62), each other of 디bi외is anterior in pre-trai띠ng(r=0.764). Finally, we fou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ctus abdorrninalis of dominant and gastrocnemius of non-dominant( r=0.795), the lumbar paraspinals of dominant and gastrocnemius of non -dominant(r= -0.63). the lumbar paraspi Key words: spastic diplegia, trunk activity. ankle training i

한국보바스학회지 J Korean 제 3 권 Bobath Assoc Vo l. 제 호 No., 2(뼈3 3, I. 서 형감각조절 형태로 나타난다(Bennett 론 987), N ashner(983) 는 정상 아동 자세조절 특성 을 다음과 같이 뇌성마비란 여러 하는 움직임과 가지 자세 기능적 발달 세에서 요동 (perturbation) 을 발생시키면 이동방향 활동들을 제한 장애로 설명하였는데 정상아동은 선자 태아와 에 따라 특정 골격이 활성화되는 것을 관찰하였 소아에서 일어냐는 비진행성 장애이다. 이 운동 는데 장애는 감각 인지 사소통 지각 그리고 행동 하였다. 예를 들면 힘판을 앞으로 움직이면 신 장애와 경기를 동반한다(Bax 체는 반작용으로 후방으로 넘어지기 한 뇌성마비는 비정상 et a l., 2005). 이러 긴장도 및 이를 방향특별성(이rec디on - specificity )이라고 과 같이 이상반사 때문에 복 전방에 위치하는 골격이 활성화되 비정상 중추자세조절기전 감각운동정보 통합작 며 이와 반대로 힘판을 뒤로 움직이면 아동은 용 손상 등으로 인하여 경직 신체 비대칭 및 전방으로 넘어지기 흔들렴 관절 된다. 둘째는 동원 변형 둥이 나타난다. 또한 옴 때문에 퉁쪽 육 활성화 개시시간으로 원위부에 통 및 양측 하지 무게 중심을 체중지지면 위 서 에 자 와 Hirschfeld (994) 는 정 상아동 앉은 자세에 체중 서도 선 자세에서 방향특별성과 동원개시시 유지하는 세유지에 능력 등이 대칭적인 필요한 정위반응과 평형반응 및 부하 이동이 보행 동 어렵게 된다. 인하여 정상적인 이로 인하여 자세긴장 대신 경지배 비정상적인 편위가 또한 인 과도한 그리고 활성 화가 및 유는 경직 달과 자세조절 동시 에 활성화 아직 있음을 보고하였다. 또한 동작 방향에 따른 골 나타남으로써 정 격 길항 나타난다고 보고하였 은 정반대 부족한 결과인 위부에서 원위부 순서 양하지마비아는 기립자세에서는 발은 회내 하퇴는 내측회전 슬관절은 굴곡 고관절은 과도한 동시활성화 약 설명이 과도한 동 로 나타났다. 비정상적인 활 등 활동은 나타났지만 길항 시수축을 보였으며 시간적인 동원 개시시간 980), 동안에 부적절한 시간조절 명확한 양하지마비아 자세조절에 차이가 신 어려워진다(B obath 길항 Brogren 대신에 다. 그러나 뇌성마비 화 과긴장이 Brogren 등 (996) 에 하면 이 동 자발적 움직임 동인 간 활동에서 동일한 결과를 얻었다 또는 외측 체중이동 시 정상아동 자세조절 발 상호신경지배 조절이 Forssberg 984), 또한 뇌 병변으 정상수준 자세 보였다 둥 (999) 은 앉은 자세에서 손 뻗기를 통한 전방 심각한 나타나고 상적인 서기 활동이 기능장애를 일상생활동작에 야기하게 된다(Bobath 로 감소하여 위부 순서 굴곡 내전 그리고 이 경사된 실정이다 특정을 내측 회전되며 보인다(D밟빼ashi 골반은 전방 2000; Jordan et 외. 983), Nolan(2003) 은 뇌 성 마비, 뇌 졸중 외 상성 뇌손상과 같은 상위운동신경원에 병변이 있 (B ergar et a l., 982), 양하지마비아는 피질척수로를 포함한 는 대부분 환자에서 발끝서기와 발끝보행이 나 상하행성 신경로가 지나가는 외측뇌실주위백질 타나며 이것은 위부보다는 비복 가자미 또는 속섬유막과 기저핵을 포함하는 영역 혈성 손상 또는 요인과 관련이 인한 초래하여 있다(Bernard 운동장애는 자세안정성과 뇌실내출혈과 하지 결여 병인학적 성 et a l., 200), 이로 옴통부위 운동성 같은 혹은 짧아진 아킬레스건과 같은 원위부 경직 허 저긴장도로 및 하지 (998) 은 인한 운동성이 부족하여 경직을 군사이에 다른 분절 특히 경 직성 Wiley와 Damian 양하지마비아는 정상아동과 비 약화뿐만 아니라 각 활동 불균형이 있다고 하였으며 다 른 연구에서는 양하지마비아 발목 굴 뇌성마 과 신 활동 비 아동들이 기능적인 활동을 할 때 많은 보상 작용을 보이고 이러한 보상작용 한 것이라 하였다 교하여 하지 활동 운동능력을 떨어뜨린다. 몽통 안정성과 하지 마비에 약화에 대하여 보고도 있었다 (Elder et al., 2003), 양상은 신체 앉은 자세에서 손 뻗기를 통한 전방 또는 외 경부 상지 상부체간에서 균 측 체중이동 시 ι n/ 체간 활동에 관한 많은 연구가

Lee and Hwang The Effects 0 Ankle Training on the Trunk Activity in Sitting during Lateral Weight Transler in CP 이루어져 왔으나 발목과 체간 활동과 연결 간활동에 성에 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대해서는 아직까지 알려진 사실이 실정이다. 발목과 골반 에서 동시에 군들 조절은 우리 질적이고 미흡한 몸 전반 () 양하지마비아 앉은 자세에서 외측 균형을 체중 이동시 과 발목 활 좋은 반드시 필요로 한다. Elder 동 (2003) 은 표면전 도를 이용하여 동을 RMS 값으로 확인한다. 정상아동과 편마비와 양 하지마비아로 분류되는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구체 (2) 양하지마비아 앉은 자세에서 외측 체중 뇌성마비아 이동시 과 활동을 비교하였는데 배측굴과 저측굴 전과 후 발목과 체간 활동을 RMS 값으 최대수축값과 평균진폭과 로 비교한다. 다. 그 저측굴 결과 크기를 조사하였 최대수축값은 정상아동 (3) 양하지마비아 앉은 자세에서 외측 보다 뇌성마비아에서 낮게 나타났다. 또 체중 이동시 한 간 활동 과 상호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환측보다 양하지마비아는 저측굴 편마비아 최대수축값이 낮게 과 발목과 체 나타 났다. 그리고 배측굴 최대수축값은 편 마비아 비마비측보다 높았으며 배측굴과 하였고 양하지마비아가. 연구방법 양하지마비아에서 평균진폭은 저측굴 길항 모두 정상아동보다 동시활성화도. 연구 대상 및 기간 정상아동보다 높 게 나타났다. 홍정선 (2007) 은 치료에서 가능한 감소 앉아 있 양하지마비아에서 2007 년 9월 -0월까지 에 소재한 병원에서 입원 및 외래 분당구 물리치료를 는 것이 에 앉아 있을 때 치료준비로 골반과 발목이 함 받는 아동 중에서 께 움직여져야 한다고 하였다. 또한 다리 움 대상으로 하였으며 선정 기준은 다음과 같다. 직임은 머리와 체간 그리고 결성을 협웅이 통해서 자 경기도 성남시 발목과 골반 연 ) 이루어져야 가능하다고 제안하였다. 앉은 자세에서 아동 발목이 양하지마비아 2 명을 양하지마비로 사 진단을 받은 5-8세 아동 저측 2) 혼자 앉는 것이 가능한 아동 굴곡될 때 다리는 신전되고 골반은 후방경사가 3) 치료자 지시를 따를 수 있는 아동 되며 아동이 바로 앉으려고 할 때 치료사가 체 4) 인지 시각 청각에 장애가 없는 아동 간 본 또는 통해서 골반을 다리가 지지하여 굴곡되고 고 하였다. 이런 연결성이 발목 골반이 활동을 통하여 촉진된다고 하였다. 배측굴곡을 전방경사된다 해 하지 잘 사용 또한 과 비우 2007년 9월 합당한 실시하였고 3 일부터 2 명을 예비실험으로 9월 대상으로 관찰한 문제점을 수정 보완하여 2007 년 9 월 7 부터 0 월 26 일까지 0 회씩 세측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기 간은 기준조건에 예비실험을 양하지마 비아는 자세이동과 일상적인 동작에서 하는 우세손에 4 일까지 골반과 발목 연구 대상자 각 한 명당 0 일 동안 을 하고 훈련 전 후 전도 계측도 시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양하지마비아 발 달에 매우 부족한 하지 발달 특히 발목 발달 과 발목과 연결된 하여 발목 골반과 체간 활동이 체간활동에 2. 자세조절을 통 미치는 전도 영향을 마비아 앉은 자세에서 외측 체중 9000 EMG System 용해 육 이완훈련 재교육을 목적으로 사 양하지 이동시 MES 9000 EMG System은 8 채 널 표면 전극을 사 세측과 활동을 알아보고자 한다. 목적은 이 기기는 (Myotronics-Noromed, INC) 을 사용하였다. MES 표면전도 RMS(root means square) 값으로 우 본 연구 연구 장비 용하는 기구로 표면 전극을 이용해 육 활성 체 끼 J

한국보바스학회지 J Korean Bobath 제 3 권 제 호 3, þss V이. No., 2008 직과 발목 굴과 발가락 연부조직 그리고 굴 도를 분석 할 수 있다(그림 ). 신 등을 신장시 켜 정 렬을 맞춘다(그림 치 료사 한 손은 아동 무릎을 잡고 다른 (5) 연구 방법 3. 손은 아동 ) 검사 시작 자세 대상자는 착용한 상태에서 정렬이 맞추어진 발가락을 감싸 고 발가락부터 천천히 신전을 시키면서 상를 입지 않고 짧은 반바지를 보조기와 신발을 착용하지 배측 않 6). 굴독을 유도하여 0초 동안 발목 유지하게 한 후 저 측굴곡으로 돌아오게 한다(그림 7). 도록 했다. 등받이 팔걸이가 없는 자에 발판 (6) 반복적으로 (5) 번을 좌 우 0회씩 시행한다. 없이 (7) 발이 떠 있도록 높이를 조절하였다. 그리 아동을 등받이 없이 손을 짚지 않고 앉힌 고 양쪽 상지 를 90 외 전하여 유지 하게 하였다. 후 보호자에게 한 손은 골반을 잡고 잡은 쪽 전극을 다리 와 발을 90 굴곡 배측굴곡시 켜 안정 부착하기 전에 피부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피부를 알코올로 깨끗이 하였다. 감있게 잡도록 한다(그림 (8) (7) 변에서 2cm 정도 abdorminais) 은 평행하게 떨어진 paraspinals) 은 Oumbar 행으로 L3과 la사이 부위에 요추극 장골능 극점 에 서 중심에서 2cm 경골을 따라 4cm되는 내측두 (gastrocnernius: 래에서 내측두 부위에 medial (9) (8) 번에서 신전시키고 아동에게 능동적으로 발과 다리를 하여 바로 앉아 0초 유지하도록 한다(그림 떨어진 0). ( 0) (8), (9) 번을 좌 우 0회씩 시 행한다. 비복 5) 각각 좌 우 에 부착하였다. 자료수집 표면전도를 실시한 상태에서 를 보기 위해 root mean 정하였으며 훈련 활성도 square (RMS) 값을 측 전과 후 각각 3 회 실시하여 평균값을 분석하였다. 검사 자세 3) 다리를 구부리라고 지시하면서 골반을 전방경사로 유도 평 head) 는 슬와 아 6cm 되는 부위에 반대쪽 골반을 발을 저 측 굴곡 한다(그림 9). 배 꼽으로부터 부위에 전경골 (tibialis anterior) 은 경골 결절 에서 치료사는 아동 잡고 후방경사 시키면서 2) 전도 부착부위 복직 (rectus 8). 시작 자세에서 벽 표시까지 locm 거리에 손 을 뻗어 5초 이상 유지하도록 하였다(그림 4. 2). 분석 방법 자료 보바스 치료를 병행하여 다음과 같이 발목훈 () 아동을 바로 누운 자세를 취하게 아동 머리에 베개 치 료사는 가자미을 아동 잡아 양하지마 양쪽 횡으로 향으로 맞춘다(그림 외측 체중 이동 시 과 전 후 바 복과 신장시켜서 안쪽방 훈련 전-후에 치 료사는 아동 발목 안쪽 주위 짧아진 조 - 4 RMS 값 Wilcoxon signed rank 기 과 간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RMS Mann-Whitney U 검정을 사용하였고 훈련 전과 후 과 비 발목과 체간 활동 RMS 값 상관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5). 훈련 법을 사용하였다. 값 4). 짧아진 구하였으며 앉은 자세에서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3). 놓은 후 벨트를 사용하거나 보호자 도움을 받아 유지하게 한다(그림 (4) 수건 치료사는 아동 무릎을 구부려서 발바닥을 바닥에 (3) 한다. 이 그리고 골반에 을 받쳐서 봄 정 렬을 맞춘다(그림 (2) 수준은 Q는 0.05로 하였다. 비아 연령 성별에 대한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련을 시행하였다. 때 SPSS for Windows(Ver. 0.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통계학적인 유 치료방법 4) 분석은 용하였다. Pearson correlation을 사

Lee and Hwang The Effects 0 Ankle Training on the Trunk Activity in Sining during Lateral Weight Transler in CP 연 화증 (preventricular 川- 연구결과 있었던 아동은!eul이malacia) 이 나 7명이었고 뇌 출혈 이 이완술 (tenotomy)올 한 아동은 4명이었으며 척수후절제술 (se!ective dosa! rhizotomy) 을 한 아동은 명이었다(표 2).. 연구 대상자 특성 연구 대상자는 남자 5명 여자 7명으로 총 2 명 이었다. 평균연령은 6.6세였고 평균 체중은 2.08 kg, 평균 신장은.26cm로 나타났다(표 ). 표. 연구 대상자 E E /셔 간 분류 ~기 까::. 납 5 7 여 앉은 자세에서 과 벼 외측 발목과 채 RMS 값 비교 은 9.08 에서 후 3.86로 증가하였고 RMS 값은 전 9.00에서 27.40 로 증가하여 통계학적으로 유한 차이가 있었 다 (p<0.05). 요추극과 내측비복 RMS 값은 5-6 세 7 5 7-8 세 6.l 6:!:l.03 증가하였으나 었다(표 체중 4 6 2 통계학적으로 전 골 RMS 값은 통계학적으로 없 복직 RMS 값은 7.20에서 유한 29.72로 차이가 증가하여 있었다 (p<0.05). 요추극과 내측비복 RMS 값은 증가하였으 8 3 나 통계학적으로 유한 차이가 없었다(표.26 :t7. 6 연구대상자 학적 특성은 재태기간(gestation age) 28주에서 36주로 모두 조산 아동이었으며 출생시 몽무게 (brith weight) 는 80g 에서 2700g 로 한 명만 차이가 7.23 에서 후는 2.59로 증가하고 전경 2.08 :t 4.08 신장 00-0cm -20cm 2-30cm 유한 3). 5-20kg 2-25kg 26-30kg 2500g 이상이었으며 나머지는 2220g 이하였다. 3). 3. 전과 후 앉은 자세에서 외측 체중 이동시 과 벼 간 RMS 값 비교 전과 후 과 간 RMS 값을 비교한 결과 복직 RMS 값 요추 극 RMS 값 내측비복 RMS 값은 유한 출생시 질식이 있었던 아동은 명이었으며 간 있는 아동은 없었다. 초음파 컴퓨터단층 촬영 자기공명단층촬영 2. 전과 후 전 복직 RMS 값 평균 명균±표준편차 연령 표 체중 이동시 일반적 특성 성별 질이 2. 검사에서 연구 대상자 학적 뇌설주변백질 차이가 없었으나 7.20로 증가하였으며 RMS 값은 9.00 과 통계학적으로 유한 차 이가 있었다 (p<0.05)( 표 4). 특징 명수 재태기간(주+일) 체중 (g) 2 3 4 5 6 7 8 9 0 2 36 30 32 30+ 30 28+3 30 28 32 32 29+3 3 2,700,760,845,240,600,80,500,000 2,40,200,200.900 진단명 가샤 수술적 중재 뇌실밸질 연화증 뇌실백질 연화증 이완술 + 이완술 뇌실내 출혈 뇌실백절연화증 뇌실내 출혈 이완술 선택적 척수후 절제술 뇌실백질 연화증 뇌실백질 연화증 뇌실내 출혈 - 5 이완술

한국보바스학회지 제 3 권 제 호 J Korean Bobath k,soc Vo l. 3, No., 표 2(뼈 전 후 앉은 자세에서 외측 체중 이동시 과 발목과 체간 RMS 값 비교 3. 복 직 훈련 후 훈련 전 육 우 세 비우세 우 p 비우세 세 p 9.08 :t 5.0 7.23 :t 02.26 0.590 3.86:t 06.43 2.59 土 08.49 0.443 요~그 그 6.07:t 9.7 22.27:t 3.99 0.347 22.8 土 2.34 29. 2 土 20.84 0.54 내측비복 2.06 土 8.66.67 :tl 0.44 0.887 6.68:t 08.38 20.06 :t 5.30 0.887 전경골 9.00 :t 5.0 7.20 :tl 0.6 0.039' 27.40 :tl 2.99 29.72 :t.94 0.843 'p<0.05 표 전과 후 4. 앉은 자세에서 외측 체증 이동시 과 간으I RMS 값 비교 우 육 비우세 세 훈련 전 훈련 후 p 훈련 전 훈련 후 p 9.08 :t 5.0 3.86 :t06.43 0.038' 7.23 :t02.26 2.59:t08.49 0.09 요추극 6.07 土 9.7 22.8l:t 2.34 0.060 22.27 :tl 3.99 29. 2 :t 20.84 0.099 내측비복 2.06 土 8.66 6.68 :t08.38 0.209.67 :tl 0.44 20.06 土 5.30 0.050 전경골 9.00 :t 5.0 27.40 :t 2.99 0.002" 7.20 :tl 0.6 29.72 :t ll.94 0.05' 효- ε 직 'p<0.05, "p<o.0 표 5. 전 과 발목과 체간 RMS 값 상관관계 복직 육 내측비복 전경골 내측비복 요추극 전경골 0.28 0.779" 0.62' -0.265 0.326-0.225 0.64 " -0.057 0. 98-0.367 0. 95 0.28 0. 39 0.0없 -0.392-0.389-0.289 0.722 0.779" 0. 39 0.764" -0.520 0.447-0.089 0.580' 0.62 0.084 0.764" - <r<l, p<0.05, "p<o.0 표 6. 후 과 내측비복 전경골 4. 요추극 복직 육 - <r<l, 발목과 체간 RMS 값 상관관계 -0.40 0.795"" 내측비복 전경골 -0.72-0.20 0.705" 0.034 0. 75 0.244 0.072-0.63' 0.307 0.034 0.098 0.349-0. 43 0.476 0. 64-0.0 0. 75 0.098 0.58-0.044 0.407 0.33 0.4 29 0.224 0.349 0.58 ~p<o. 05 ~.p <O.0 전 과 버 과 발목 과 체간 RMS 값 상관관계 전 요추극 모두 상관관계 (r=0.722) 가 요추극 과 있었다. 과 과 내측 상관관계 Cr=0.580) 가 있었고 또한 요추극 비 비복 과 상관관계 Cr=0.64)가 있었으 과 내측비복 과 우 며 요추극 세측과 모두 상관관계 (r=0.779 0.62) 가 과 ζ U

Lee and Hwang The Effects of Ankle Training on the Trunk Activity in Sitting during Lateral Weight Transfer in CP 있었다. 과 에서 상 또한 뇌성마비아 되며 후 과 체간 과 벼 발목 후 복직 와 내측비복 에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유한 차 이 (r= 0.795) 가 있었고 요추극 과 내측 비복 에 상관관계 (r=-o.않3 가 있었으며 요추극 -0.63) 과 내측비복 이 현상은 질연화증이 찰 정상아동과 손 뻗기 시 자세조절 차이를 보면 정상아동은 출생 후 나 et a l., 996a). 조산아동에서 크게 발목과 체간 활동 간 나타 련 전에서는 양 상관관계를 보면 훈 과 과 상관관계 그리고 내측비복 과 모두 유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감소하기 위한 이차적인 발목에서 분리되지 이것은 불안정성을 보상 현상들이 않은 자세반응으로 것이라 사료된다. 또한 요추극 뇌성마비아 높게 정상아동보다 뇌실주변백 나타나는 양측 발목들과 먼저 활동이 났다(Hadders- Algra et a l., 999). 본 연 구에 서 양 고 긴장성 타났다고 하였다(Hadders- Algra 과 과 상관관계 (r=0.705) 가 있었다(표 6). IV. 후방 신들에서 이후에서 값 상관관계 RMS 외측 체중 이동하여 손을 뻗을 때 신 억제가 동반 관관계 (r=0.764) 가 있었다(표 5). 5. 앉은 자세에서 유한 양 양측 나타난 과 상관관계도 길 항적 동시활성화가 나타난 것과 관련이 있다. 한편 양하지마비아 앉은 세전이라도 다음과 같은 다양한 자세조정을 할 손뻗기를 통한 외측 체중 수 있다. 첫째는 방향 특별성으로 후방 동요 시 보면 정상아동은 발달해 가면서 자세반응 다양 몽이 앞으로 넘어지면서 전방 성이 감소하지만 둘째는 하지 않았다. top-down 동원 순서 로 손을 뻗을 때 목이 우 분리 체간에 앞서 활동하는 것이고 셋째는 다양성 먹임기전을 통해 감각통합 발달하여 길항들보다 으로 여러 앞서 자세에 후방 자세들이 이동 시 자세에서 활성화하는 것이다. 따라 다양하게 반응하는 것 이다 (Touwen 993). 그러나 뇌성마비아 양한 유형에 따라 손 뻗기 화는 서로 다르게 마비아는 자세 방향 시 자세조정 조직 영향을 받지만 특별성 다 뇌성 top-down 동원순서 존성과 같은 기본적인 자세조직화 발 문제점은 특정과제조건에서 자세조정을 조절하 자세 반응 활동에서 또는 일반적인 움직임과 이동 그리고 자세조정 와 일치한다. 에서 점점 높아지는 길항적 동시활성화가 나 움직임동안 일 차적 인 일어나는 신경학적 조직화 비 기 능성 (Myklebust and Gottlieb, 같은 인 뇌 손상 결과인 반영 (Woollacott et a l., 998) 한다고 설 명 될 수 있다. 감소하지만 기술적이고 지적인 자동적인 다양성 감소는 일차적 신경학적 회로 감소를 움직임동안 자세반응 다양성 으로 적절한 결합 보상현상을 다양성이 자발적인 반영할 수 있다. 반면 지적이고 목표지향적인 을 이차적인 자동적이며 양하지마비아 자세반응 상으로 위한 감 Hadders - Algra 등( 999) 연구 997; Leonard et a l., 99) 또는 자세 불안정 성 감소하기 발 양하지마비아 운동수행에서는 정상아동보다 자세반응 다양성 에서 척수 회로에서 자세반응 잡기와 증가한다는 -상위 감각-운동 정상아동보다 다양성이 양하지마비아는 이 et al., 999). 이 것 은 하위 되 소되 었다(Hadders - Algra et a l., 996 a). 따라서 는 능력이 감소하며 뇌성마비로 발달되는 아동 타난다(Hadders- Al gra 갈 때 신경계 에서는 일반적인 움직임동안 외측 동요에 대한 뻗기 주된 발달해 때문이다. 또한 이다. 뇌성마비아 감소 경험들이 자동적인 움직임으로 통합하여 달해 가기 움직임에서는 양하지마비아는 이것은 정상아동들은 상하지 좌 움직임이 달을 따르며 정상아동보다 늦게 발달한다는 것 6 개월쯤부터 자세조정을 신경학적 가능성이 증가는 뇌 감소하여 손 신경학적 선택 부족으로 나타난다. 적절한 신경학적인 결합 선택은 적절한 감각정 7-

한국보바스학회지 제 3 권 제 호 J Korean Bobath Assoc Vo l. 3, No., 2008 보를 필요로 하듯이 양하지마비아 결핍 서 된 신경학적인 결합 선택은 감각정보 손상된 과 진행과정 이 원인이 양 될 수도 있다(Hadders- Algra 양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과 내측비복 에서도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그러나 훈련 후에서 et 머. 996a, b; Edelman, 989). 따라서 경 직 성 는 발목 활동에서 양하지마비아 으며 반대로 치료 전에 상관관계가 없었던 요추 앉은 자세에서 손 뻗기를 통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 외측 체중이동 시 자세조절에서 관찰되는 자세 극 과 내측비복 과 요추 반응 극 그리고 복직 다양성 절한 신경학적 제한된 감소는 뇌 결합 레퍼토리 각통합에 손상으로 인한 적 결핍으로 운동 가능성 말해 에서 매우 유한 양 관관계가 나타났다. 이것은 훈련 전에서는 하지 양하지 와 골반 분리되지 않은 움직임을 보여주는 것 마비아는 제한된 감각정보에 따라 자세조정을 조 이며 훈련 후에는 양 하지 절해야 또한 체간과 하지 한다. 이것은 뇌 외부 적웅하는 가능성 결핍이다. 즉 동원되어 내부 눔거나 상 감 결과뿐만 아니라 결핍된 둘 수 있다. 다시 측비복 과 내 환경에 앉을 때 경험한 수와 팔 움직임 양과 분리된 움직임을 연결성을 보여준다고 사료 된다. 이것은 본 연구에서 행한 이 경직 성 양하지마비아에게 보다 명확한 구심성 정보 속도에 따라 적응하고 조절한다. 편마비아 를 제공하여 체간과 하지에서 보다 적절한 신경 에게 앉은 자세에서 무게가 있는 물건을 팔을 뻗 학적인 결합 선택이 강화된 것이라 사료된다. 어 쥐기를 시켰을 때 팔 움직임 속도가 조절되는 것을 전도로 확인하였다(Hadders-Algra et al., 999). 이것은 손 뻗기 시 보다 명확한 구심성 정 손진철 (2005) 은 뇌졸중에 한 편마비 환자에 서 발목 강화 운동이 상에 서기 균형 조절 능력 향 영향을 미쳤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 발 보는 자세 회로에서 가장 적절한 결합 선택을 강 목 훈련 후 발목과 체간들 화할 수 있을 것이다 (Hadders-Algra 증가하였으나 과 et 머. 996b). 따라서 더 명확한 구심성 정보가 손 뻗기시 자 세조정 특정과제조건으로 자세조절을 촉진할 내측비복 RMS 값에 이것은 앉은 자세에서 정성을 감소하기 은 하지 소와 과도한 길항적 결핍된 경 요추극과 유한 차이가 없었다. 외측 체중 이동 시 불안 수 있는 것을 미한다. 이에 본 연구자가 제안한 감각-운동 경험이 RMS 값은 모두 위한 이차적인 보상현상 활동 감 감소로 볼 수 직성 양하지마비아에게 명확한 구섬성 정보를 제 있다. 정상아동 발달에서 자세 활동 발달학 공하고자 한 것이다. 발목 구심성 질적 적인 변화는 인 변화는 목표지향적인 움직임에 영향을 미치는 있는 것이 자세회로에 가장 적절한 신경학적인 결합 선택 과 을 강화시킬 것이다. 본 연구결과 따라서 정보 훈련 전 우세 앉는 기술에 대한 발달과 관계가 아니라 서기와 보행 관계가 있다고 양하지마비아 통하여 et a l., 998), 위와 같은 발목 과 은 7.20으로 두 그룹 간 차이가 있었으 서기와 걷기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 사료된다. 나 훈련 본 연구 차이가 변화를 발달 측 RMS 값 평균은 9.00 이었으며 비 후에서는 각각 27.40과 29.72로 체간 하였다(Ingrid 능력 결과는 얻은 양하지마비아 나타나지 않았다. 이것은 질적이고 명확한 구심성 에서 발목과 체간 안정성 정보에 기와 보행에 도웅이 되는 자료로써 해 훈련 전과 후에서 활동 변화가 나타났으며 또한 훈련 전에는 보상적 인 과긴장이 자세조정은 치료 발달을 통해 서 뿐만 아니 라 직접적인 치료실습에 활용될 것이다. 나타났고 훈련 후에는 과 비 긴장도 균형이 관찰되었다. 이것이 앉 은 자세 균형에 영향을 미쳤다면 체간활동에 도 영향을 미쳤올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훈련 전과 후 면 치료 과 전은 v. 결 론 상관관계를 보 전경골과 과 에 - 8 - 본 연구는 양하지마비아 이

Lee and Hwang The Effects of Ankle Training on the Trunk Activity in Sitting during Lateral Weight Transfer in CP 체간 활동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실시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성남시 분당구에 모두 상관관계 과 에서 상관관계가 있었다 (r=0.764). 는 병원에서 입원 및 외래 치료를 받고 있는 경 상으로 하였다. 은 0 일 동안 0회 가 있었으며 (r=0.779 0.62), 소재하 직성 양하지마비아로 진단 받은 환아 2 명을 대 과 4) 후 복직 와 내측비복 30 에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분씩 실시하였으며 전과후에 표면전 차이 (r= 0.795) 가 도를 사용하여 RMS 값을 측정하였다. 앉은 자세 내측비복 에서 외측 며 (r=-0.63) 요추극 과 내측비복 훈련 전 후 체중 이동 시 과 RMS 값 차이를 비교하였으며 있었고 요추극 유한 에 과 상관관계가 있었으 과 상관관계가 있었다 (r=0.705). 훈련 전과 후 과 간 RMS 값 이상 차이를 비교하였고 훈련 전과 후 과 발목과 체간 RMS 값 상관관 계를 알아보았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체중 이동시 앉은 자세에서 외측 발목과 체간 RMS 값 각 대상마다 0 일 동 안 후에 체간 활동에 영향이 을 이 제안하고 알 수 발목과 ) 양하지마비아 결과를 통하여 있었다. 체간 연구에서 훈련이 위한 자세조절을 개선하기 용되어 질 수 있을 있었음 있는 양하지마비아를 위한 물리치료에 것이다. 그러나 짧은 적 연구 을 비교했을 때 전 후 요추극 기간과 적은 대상자로 객관적인 자료로 일반화 과 하여 내측비복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차이가 없었으나 복직 유한 경우 RMS 값 평균 해석하기에 은 대상과 장기적 은 9.08 에서 후 3.86로 증가하였고 하지마비아 전경골은 9.00 에서 연구와 분석이 27.40로 학적으로 유한 차이가 발목과 체간 때 전 후 증가하여 통계 있었다 (p<0.05). RMS 값을 비 비교했을 연결성 제한점이 있다. 앞으로 더 많 연구 기간을 통한 양 발목과 체간 필요하며 발달에 활동 상관관계 그 결과 발목과 체간 대한 구체적인 치료중재에 대한 연구가 더 펼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요추극과 내측비복 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유한 차이가 없었으나 복직 RMS 값 평균은 7.23 에서 2.59로 증가 참고문헌 하였고 전경골은 7.20 에서 29.72로 증가하여 통계학적으로 유한 차이가 있었다 (p<0.05). 2) 측 양하지마비아에서 체중 RMS 값을 로 이동 시 비교했을 요추극 앉은 자세에서 과 때 내측비복에서는 유한 차이가 전 외 복직 통계학적으로 유한 차이가 있었다 (p<0.05). 내측비복 RMS 값은 복직 모두 홍정선 홍정 선 양하지마.비아 진단과 치료. 한 997;7(7):90-03 Cerebral palsy treatment ideas from Bax M, Goldstein M, Rosenbaum P. Proposed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f cerebral 상관관계가 모두 palsy. Dev Med Child Neurol. 2005 ;47 있었으며 (r=0.64 ), 요추극 과 과 2005. Inc. 2007:02-03. 3) 전 요추극 과 내측 과 석사 normal development Koonja Publishing, 유한 차이가 없었다. 비복 미치는효과. 용인대학교 국댐 바까:학회지 요추극 통계학적으로 능력에 학위논문. 통계학적으 전경골에서만 후 절 간 없었으나 손진철. 뇌졸중 환자 발목 강화 운동이 균형 조 상관관계가 :57-576. Bennett C. The effectiveness of early intervention 있었다 (r=0.722, 0.580). 그리고 내측비복 과 - 9 - for infants at increased risk Academic Press. 987;79-2.

한국보바스학회지 J Korean Bobath þssoc 제 3 권 제 호 Vol. 3, No., 2α뻐 Berger W, Alenmueller E and Dietz V. The normal and impair어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cerebra palsy. Electoencephal Clini l Neurophysiol. 982;6:538-548. Hadders-Algra M, Brogren E, Forssberg H. Training affects the development of postura adjustments in sitting infants. ] Physiol. 996b;493:289-98. Bemard D, Ethel B, Ana B, Stewart G, Guy C. Distinct multi-joint control strategies in spastic diplegia associated with prematurity of Angelman sydrome. αinical Neuro physiol. 200; 2:68-625. Hadders-Algra M, Brogren E, Katz-Salomon M, Bobath B, Bobath K. Motor development in the different types of CP. Oxford: Butter worth-heinemann Ltd. 984. Hadders-algra, Ingrid B, Elisabeth F, Stremmelar B, Touwen B. Development of postural adjustments during reaching in infants Bobath K A Neurological basis for the treatment of cerebral palsy. 2nd ed, Philadelphia: ].B. Lippincot t. 980;37-66. with cerebra palsy. Dev Med Child Neuro l. 999 ;4 :766-776. Ingrid B, Kl ip A, Van E, Hadders-AIgra M. Postura adjustments accompanying fast Brogren E, Hadders- Al gra M and Forrssber H. Forssberg H. Periventricular leukomalacia and preterm birth have a different de -trimentai effect on postural adjustments. Brain. 999;22:727-40. pointing movements in standing, sitting, and lying adults. Exp Brain Res. 998 ;20:202-20. Postura control in children with spastic diplegia: Muscle ac디vity during pertubations in sitting. Dev Med Child Neurol. 996; 38:397-88. Brunt D, Scarborough N. Ankl e muscle activity during gait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Jordan R, Cusak J and Roseque B. Foot function and its relationship to postural in the pediatric patient with cerebra palsy and other notes and instroductiona materials. Neurodevelopment Treatment Association, New York. 983. and equinovarus defonnity. Arch Phys Med Rehabil. 988;69:5-7. Daever G. Cerebra pa sy methods of ev a uation and treatment: New York: The Medical Center. 967;3-7. D밟ahashi. 임상적동작분석. 영문출판사. 2000;35-352. Edelman G. Neura Darwinis m. The theory of neuronal group selection.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989. Leonard C, Hirschfeld H and Fotssberg H. The development of independent walking in children with cerebra p a sy. Dev Med Child Neurol. 99 ; 33:567-77. Nashner L, Shumway- Cook A and Marin O. Stance posture in select groups of children with Elder G, Ki rk J, Stewart G, Cook K, Weir D, Marshall A, Leathey L. Contributing factors to muscle weakness in children CP: deficits in sensory organization and coordination. Exp Brain Res. 983;49 :393-99. with cerebral palsy. Dev M ed Child Neurol. 2003 ;4 5:542-550. Nolan D, Caasey K. Postural control: Toe standing versus heel-toe 2003;9:-9. s떠nding. Ga it Posture. Forssberg H, Hirschfeld H. Postura adjustments in sitting hamans following extem a Touwen B. Neurological development in infancy. perturbations: mus cie activity and kine -matics. Exp Brain Res. 994;57:55-5Z7. Clinics in Developmen ta Medicine No. 58. ρndon: Spastics lnternational Medical Hadders-Algra M, Brogren E, Forssberg H. Ontogeny of postural adjustments during sitting in infancy: variation selection 뻐d modulation. ] Physiol. 앉)6a ;493:273-88. Publications. How normal is variable, or how variable is normal? Earψ Human Dev. 993;34:-2. Wiley M, Damiano D. Lower-extremity strength 0-

Lee and Hwang The Effects of Ankle Training on the Trunk Activity in Sitting during Lateral Weight Transfer in CP profiles in spastic cerebral palsy. Dev responses during Med Child Neurol. 998;40(2):00-07. C비ldren w 이lacott M, Burtner P, ]asiewicz ], Roncesvllle N, Sveistrup H. Development of postural - - and 뼈ldren standing in healthy with spastic 며plegia Neuroscience Biobehavior Review. 998 ;22:583-9.